CLINICAL ROLE OF F-18 FLUORODEOXYGLUCOSE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FOR DETECTION AND MANAGEMENT...

6
765 신세포암 환자의 추적관찰을 위한 FDG-양전자방출단층촬영의 임상적 역할 Clinical Role of F-18 Fluorodeoxyglucose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for Follow-up of Patients with Renal Cell Carcinoma Geon Hun Kim, Moon Ki Jo, Gi Jeong Cheon 1 , Hyun Moo Lee 2 From the Departments of Urology and 1 Nuclear Medicine, Korea Cancer Center Hospital, 2 Department of Urology, College of Medicine,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Korea Purpose: To evaluate the role of [ 18 F]fluorodeoxyglucose-positron emission tomography (FDG-PET) for the follow-up of patients with a renal cell carci- noma (RCC), and compare FDG-PET with conventional imaging modali- ties, including computerized tomography (CT), chest PA, bone scan and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Materials and Methods: FDG-PET and conventional imaging techniques, includingCT, chest PA, bone scan and brain MRI, were performed on 69 patients who had undergone a radical nephrectomy and/or metastatec- tomy, with a final pathological diagnosis of a RCC. The final diagnoses of recurrences/metastases were established from the histopathological or clinical findings. Results: Recurrences and metastases were present at 47 sites (34 patients). The results of FDG-PET were true positive and false negative in 44 and 3 of the 47 sites, respectively. The results of conventional imaging tech- niques were true positive and false negative in 40 and 7 of the 47 sites, respectively. The results of FDG-PET were true negative and false positive in 34 and 1 of the 35 patients, respectively. The results of conventional imaging techniques were true negative and false positive in 30 and 5 of the 35 patients, respectively. Therefore, FDG-PET was more sensitive, spe- cific and accurate than conventional imaging techniques for the follow-up of patients with a RCC. Conclusions: FDG-PET accurately detected the postoperative recurrences and metastases in patients with a RCC. FDG-PET may have a role in the follow-up of patients with a RCC. (Korean J Urol 2007;48:765-770) Key Words: 18F fluorodeoxyglucose,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Re- nal cell carcinoma 대한비뇨기과학회지 제 48 권 제 8 호 2007 원자력병원 비뇨기과, 1 핵의학과, 2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비뇨기과학교실 김건훈조문기천기정 1 이현무 2 접수일자2007년 2월 27일 채택일자2007년 7월 3일 교신저자: 조문기 원자력의학원 원자력병원 비뇨기과 서울시 노원구 공릉 2동 215-4 139-706 TEL: 02-970-1299 FAX: 02-978-2005 E-mail: [email protected] 초음파나 전산화단층촬영과 같은 비침습적인 진단 방법 을 널리 사용함에 따라 우연히 발견되는 신세포암이 꾸준 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신세포암은 비뇨기계 암 중 치명적 인 암의 하나로 신세포암 환자의 40% 이상이 신세포암으로 인하여 사망한다. 신세포암 환자의 20-30%에서 진단 당시 이미 전이가 존재하며, 나머지 환자 가운데 20-40%는 근치 적 신적출술 후에 재발한다. 최근에 신세포암의 진단, 병기 결정, 치료법에 있어서 상당한 발전에도 불구하고 전이를 동반한 신세포암의 치료에 대한 반응률은 15-25%에 불과하 . 따라서 신세포암 환자에 있어서 적절한 재발 및 전이에 대한 추적관찰은 필수적이다. 근치적 신적출술 후 신세포

Transcript of CLINICAL ROLE OF F-18 FLUORODEOXYGLUCOSE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FOR DETECTION AND MANAGEMENT...

765

신세포암 환자의 추적관찰을 위한 FDG-양전자방출단층촬영의 임상적 역할

Clinical Role of F-18 Fluorodeoxyglucose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for Follow-up of Patients with Renal Cell Carcinoma

Geon Hun Kim Moon Ki Jo Gi Jeong Cheon1 Hyun Moo Lee2

From the Departments of Urology and 1Nuclear Medicine Korea Cancer Center Hospital 2Department of Urology College of Medicine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Korea

Purpose To evaluate the role of [18F]fluorodeoxyglucose-positron emission tomography (FDG-PET) for the follow-up of patients with a renal cell carci-noma (RCC) and compare FDG-PET with conventional imaging modali-ties including computerized tomography (CT) chest PA bone scan and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Materials and Methods FDG-PET and conventional imaging techniques includingCT chest PA bone scan and brain MRI were performed on 69 patients who had undergone a radical nephrectomy andor metastatec-tomy with a final pathological diagnosis of a RCC The final diagnoses of recurrencesmetastases were established from the histopathological or clinical findingsResults Recurrences and metastases were present at 47 sites (34 patients) The results of FDG-PET were true positive and false negative in 44 and 3 of the 47 sites respectively The results of conventional imaging tech-niques were true positive and false negative in 40 and 7 of the 47 sites respectively The results of FDG-PET were true negative and false positive in 34 and 1 of the 35 patients respectively The results of conventional imaging techniques were true negative and false positive in 30 and 5 of the 35 patients respectively Therefore FDG-PET was more sensitive spe-cific and accurate than conventional imaging techniques for the follow-up of patients with a RCCConclusions FDG-PET accurately detected the postoperative recurrences and metastases in patients with a RCC FDG-PET may have a role in the follow-up of patients with a RCC (Korean J Urol 200748765-770)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Key Words 18F fluorodeoxyglucose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Re-

nal cell carcinoma

한비뇨기과학회지제48 권 제8 호 2007

원자력병원 비뇨기과 1핵의학과 2성균 학교 의과 학 비뇨기과학교실

김건훈ㆍ조문기ㆍ천기정1ㆍ이 무2

수일자2007년 2월 27일채택일자2007년 7월 3일

교신 자 조문기 원자력의학원 원자력병원

비뇨기과 서울시 노원구 공릉 2동 215-4

983189 139-706TEL 02-970-1299FAX 02-978-2005E-mail andreakcchrekr

서 론

음 나 산화단층촬 과 같은 비침습 인 진단 방법

을 리 사용함에 따라 우연히 발견되는 신세포암이 꾸

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신세포암은 비뇨기계 암 치명

인 암의 하나로 신세포암 환자의 40 이상이 신세포암으로

인하여 사망한다 신세포암 환자의 20-30에서 진단 당시

이미 이가 존재하며 나머지 환자 가운데 20-40는 근치

신 출술 후에 재발한다 최근에 신세포암의 진단 병기

결정 치료법에 있어서 상당한 발 에도 불구하고 이를

동반한 신세포암의 치료에 한 반응률은 15-25에 불과하

다 따라서 신세포암 환자에 있어서 한 재발 이에

한 추 찰은 필수 이다 근치 신 출술 후 신세포

766 한비뇨기과학회지제 48 권 제 8 호 2007

Table 1 Characteristics of the 69 patients who underwent a radical

nephrectomy andor metastatectomy with a final pathological diag-

nosis of a RCC

No of patients

Age (years)

Mean 572

Range 31-77

Sex

Male 47

Female 22

Primary tumor stage

pT1a 7

pT1b 9

pT2 17

pT3a 19

pT3b 17

Distant metastasis

M0 51

M1 18

RCC renal cell carcinoma

암의 효과 인 추 찰을 해서는 재발 혹은 이의 시

기와 이 장기가 신 히 고려되어야 하고 재발이나 이

는 특히 폐 복강 내 장기 등에 호발하므로 술 후 추

찰을 하여 이 부 의 이 여부를 단할 수 있는 상기

법이 필수 이다

근치 신 출술 이후 신와에 국소 재발이 발생한 경우

에 이러한 국소 재발을 조기에 발견한다면 치료가 가능하

다1 이가 발생한 경우에는 조기에 이의 정도를 단함

으로써 한 치료 방침을 선택함은 물론 불필요한 치료

를 하는 오류를 피할 수 있다

최근 [18F]fluorodeoxyglucose-양 자방출단층촬 ([18F]flu-

orodeoxyglucose-positron emission tomography FDG-PET)은

포도당 유기체인 [18F]FDG를 인체에 주입하여 암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어 종양학 분야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2-4

우리나라에서도 1995년 PET가 도입된 이후 많이 이용되고

있다 Lee 등5은 FDG-PET가 신세포암 진단 병기결정에

있어서 기존의 병기결정 방법을 보완해주고 이 병소 진

단에 있어서는 기존의 병기결정 방법보다 우수하다고 보고

하 다 그러나 신세포암에 한 근치 치료 후 추 찰

에 있어서 FDG-PET의 역할은 아직 확실하게 규명되어 있

지 않다

이에 자들은 신세포암에 한 근치 신 출술

이병소 제술을 시행한 후 추 찰에 있어서 단순흉부촬

복부 산화단층촬 골주사 검사 뇌자기공명 상 등

기존의 추 검사방법과 FDG-PET의 결과를 비교하여 신세

포암 추 찰에 있어서 FDG-PET의 역할을 알아보고자 하

상 방법

2001년 1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신세포암이 의심되어

근치 신 출술을 시행받았거나 이를 동반한 신세포암

으로 근치 신 출술 이병소 제술을 시행받고 병리

조직학 으로 신세포암으로 확진된 환자 술 후 추

찰기간 동안 FDG-PET 복부 산화단층촬 단순흉부촬

골주사검사 뇌자기공명 상이 시행 가능했던 69명의

환자를 상으로 하 다 술 후 6개월마다 단순흉부촬

복부 산화단층촬 FDG-PET를 시행하 고 요통

통 등의 골 이 증상이 있는 경우와 두통 반신 마비 등의

뇌 이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증상에 따라 골주사 검사와

뇌자기공명 상을 시행하 다 재발이나 이의 진단은 조

직병리학 으로 는 임상 추 찰 결과로 명하 다

FDG- PET와 기존의 추 검사방법의 신세포암의 추 찰

결과를 비교하 다

FDG-PET 스캔은 ECAT HR+ PET 스캐 (Siemens Kno-

xville) 는 Discovery LS PET-CT 스캐 (GE Medical

Systems Waukesha USA)를 이용하여 시행하 다 환자들

은 PET 스캔 어도 6시간 이상 식하도록 하 고

FDG 투여 직 에 측정한 당이 120mgdl을 과하는 경우

는 없었다 FDG 370MBq를 정맥 내로 주입한 50분 후에

상획득을 시작하 다 상은 2D 방식으로 퇴부 반에

서 두개골 기 까지 5-7 frame을 얻었다 ECAT HR+ PET은

먼 68GE을 이용하여 frame당 3분씩 투과 상을 얻고 그

다음 frame당 7분씩 방출 상을 얻었다 얻어진 투과 상

으로 감쇄 보정을 하 고 OSEM algorithm (2 iteration 8

subsets) 방식으로 재구성하 다 Discovery LS PET-CT는

CT 상을 먼 얻고 한 frame당 6분씩 방출 상을 얻었

다 얻어진 CT 상으로 감쇄 보정을 하 고 OSEM al-

gorithm (2 iteration 16 subsets) 방식으로 재구성하 다 두

기기 간의 SUV의 차이는 phantom 연구에서 얻어진 maxi-

mum SUV에 하여 Discovery LS PET-CT의 값이 ECAT

HR+ PET보다 107배임을 보정하여 분석하 다 재구성된

상은 2명의 숙련된 핵의학과 의사가 재구성된 상을 환

자의 임상 병력과 기존의 추 검사방법의 결과를 참조

하여 분석하 다 정상조직과 비교한 병변의 FDG 섭취의

증가 정도 병변의 FDG 섭취의 분포 비정상 인 FDG 섭취

의 범 등을 고려하여 독하 다 PET의 정량 분석을

해서는 표 화섭취계수 (standardized uptake value SUV)

를 사용하 다

김건훈 외신세포암 환자의 추 찰을 한 FDG-양 자방출단층촬 의 임상 역할 767

Table 2 Detection of recurrentmetastatic lesions

Conventional method finding Follow-upCase PET Pathologic

Lesion site 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 peroidnumber finding result

Chest PA CT Bone scan Brain MRI (months)

Pathologic confirmed group

1 Lung + + RCC 23

2 Lung 985103dagger + RCC 19

3 Lung + 985103 RCC 18

4 Lung + + RCC 22

5 Bone + + RCC 15

6 Lung + + RCC 21

7 Renal bed + + RCC 28

8 Lung + + RCC 22

9 Lung + + RCC 22

10 Lung + + RCC 22

11 Lung 985103 + RCC 25

12 Lung + + RCC 27

13 Lung + 985103 RCC 28

14 Lung + + RCC 20

15 Lung + + RCC 26

16 Lung + + RCC 25

17 Bone + + RCC 23

18 Bone 985103 + RCC 20

19 Bone + + RCC 23

20 Renal bed + 985103 RCC 20

21 Renal bed 985103 + RCC 20

22 Lung liver + + + Liver RCC 13

23 Lung bone + + + Lung bone RCC 15

24 Lung bone + 985103 + Lung bone RCC 15

25 Lung bone + + + Bone RCC 18

26 Renal bed lung 985103 + + Renal bed lung RCC 20

27 Renal bed lung + + + Renal bed lung RCC 18

28 Renal bed lung + + + Renal bed spermatic 10

spermatic cord cord RCC

29 Lung bone adrenal gland + + 985103 + Bone RCC 16

Clinical confirmed group

30 Brain + + 12

31 Lung brain + + + 14

32 Perihilar lymph node + + 19

33 Lung perihilar lymph node + + + 18

34 Lung liver + + + 16

positive dagger negative CT computerized tomography MRI magnetic resonance imaging PET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RCC renal

cell carcinoma

통계학 으로는 동의도 평가를 해 kappa 분석을 이용

하 으며 분석결과 kappa값이 1에 가까울수록 동의도가 우

수한 것으로 단하 다

결 과

상 환자 69명 남자는 47명 여자는 22명이고 평균

연령은 572세 다 평균 추 찰 기간은 285개월이었으

며 재발이나 이가 처음 발생할 때까지의 평균 기간은

123개월이었다 (Table 1) 재발이나 이는 34명에서 발생

하 으며 23명에서 1부 9명에서 2부 2명에서 3부

에서 발생하여 총 47부 에서 발생하 다 재발 이 부

는 각각 폐 이 25부 골 이 8부 (흉추 4부 요추

1부 장골 2부 상완골 1부 ) 신와재발 6부 뇌 이

768 한비뇨기과학회지제 48 권 제 8 호 2007

Table 3 Comparison of FDG-PET and conventional imaging tech-

niques

FDG-PET Conventional

Sensitivity 936 851

Specificity 971 857

Accuracy 951 854

Kappa value 09010 07031

p-value <005 <005

abdominal computerized tomography chest PA bone scan and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FDG-PET [18F]fluorodeoxyglu-

cose-positron emission tomography

2부 간 이 2부 신문부의 림 이 2부 부신

이 1부 정삭 이 1부 다 (Table 2)

기존의 추 검사방법은 45부 를 재발이나 이로 정

하 고 재발 이로 정한 부 는 각각 폐 이 22부

골 이 6부 (흉추 1부 요추 1부 장골 2부 상완골

1부 두개골 1부 ) 신와재발 5부 뇌 이 2부 간

이 3부 신문부의 림 이 4부 부신 이 1부 정

삭 이 1부 종격동의 림 이 1부 는데 이 가운

데 간 이 1부 신문부의 림 이 2부 두개골 1부

종격동의 림 이 1부 등 모두 5부 에서 조직병

리학 으로 는 임상 추 찰 결과 양성인 것으로

명되었다 재발 이 부 가 확인된 47부 폐 이

3부 골 이 3부 신와재발 1부 등 모두 7부 에서 기

존의 추 검사방법에서는 재발 이소견을 보이지 않

았다 FDG-PET는 45부 에서 재발이나 이로 정하

고 재발 이로 정한 부 는 각각 폐 이 24부 골

이 8부 (흉추 4부 요추 1부 장골 2부 상완골 1

부 ) 신와재발 5부 뇌 이 2부 간 이 2부 신문부

의 림 이 2부 부신 이 1부 정삭 이 1부 으

며 기존의 추 검사방법에서 양성부 로 명되었던 5

부 에 해서는 재발 이 소견이 없었다 FDG-PET에

서 폐 이 소견을 보 던 24부 1부 에서 양성인 것

으로 명되었다 재발 이가 확인된 47부 폐 이

2부 신와재발 1부 에 해서 FDG-PET에서는 재발

이 소견을 보이지 않았다

폐 이 소견을 보이는 25부 3부 는 단순흉부촬 에

서 정상소견을 보 으나 흉부 산화단층촬 실시 후 이

가 의심되어 이부 에 한 폐 제술을 시행하 다 단

순흉부촬 과 흉부 산화단층촬 FDG-PET 모두에서 폐

이 소견을 보인 22부 15부 에 해 폐 제술을 시

행하 다 골 이 소견을 보이는 8부 는 이부 골 제

술을 시행하 다 신와재발 소견을 보이는 6부 와 정삭

이 소견을 보이는 1부 에 해서도 제술을 시행하 다

폐 골 제술 신와재발 제술 시행 후 조직병리학 으

로 모두 재발 이병소 음을 확인하 고 그 외의 이

부 는 임상 으로 이를 확인하 다 재발 이의 진

단에 있어서 FDG-PET는 민감도 936 특이도 971 정확

도 951 kappa 값이 09010이었고 표 화섭취계수의 평균

은 55로 나타났다 반면 기존의 병기결정방법은 민감도

851 특이도 857 정확도 854 kappa 값이 07031로

나타났다 (Table 3)

고 찰

신세포암에 한 근치 치료 후 재발하거나 이가 발

생한 경우 선별된 환자들에 해 외과 치료와 면역치료

를 기에 받는 것은 생존율 향상에 도움이 된다16 따라서

신세포암으로 근치 신 출술을 시행받은 환자들의 효과

인 추 찰이 환자의 치료방침 결정과 후에 요하

다 신세포암의 추 검사방법은 주로 복부 산화단층촬

단순흉부촬 등을 시행하며 필요 시 골주사 뇌자기공명

상 등을 시행한다 산화단층촬 이나 단순흉부촬 은

병소의 크기가 작은 경우 민감도가 낮다는 단 이 있으며

산화단층촬 의 경우는 유착이나 해부학 변형이 발생

한 조직에서는 주 조직과의 구별이 어려워 양성으로

독될 가능성이 있다

PET는 소멸 방사선과 CT의 원리를 응용하여 인체 내에

서 붕괴하는 방사성동 원소의 부 별 분포를 컴퓨터로 재

형성시켜 단층촬 된 상을 얻는 특수기법이며 재

FDG를 이용한 PET가 리 이용되고 있다 정상세포에 비

해 암세포에는 포도당의 사가 증가해 있으며 따라서

FDG-PET에서 암세포는 주변 조직보다 높은 섭취를 보이는

병소로 나타나게 된다 부분의 질병에서 화학 변화가

해부학 변화보다 먼 일어나므로 PET는 해부학 인 변

화가 생기기 이 에 기능 인 이상을 찾아낼 수 있으며

PET를 이용하면 인체 내 각 장기 내 생리 는 화학반응에

한 정량분석이 가능하다는 장 이 있다 PET의 정량

분석을 해서는 표 화섭취계수가 리 사용되는데 이는

FDG 정맥주사 후 30-60분 사이의 조직 평균방사능의 양

(MBqml)을 환자에게 주사된 붕괴 보정된 방사능의 양

(GBqkg)으로 나 값이다

본 연구에서는 찰자 간의 불일치를 최소화하기 하여

SUV의 기 을 심 역 내에서 가장 높은 SUV로 하 다

FDG-PET은 임상 으로 암의 검출 감별진단 암의 병기

결정 악성도 평가 치료효과의 정 재발 여부의 평가들에

이용되고 있으며 특히 같은 환자에서 치료 후 비교에 매

김건훈 외신세포암 환자의 추 찰을 한 FDG-양 자방출단층촬 의 임상 역할 769

우 유용하다78 최근 들어서는 PET과 CT 상을 결합하여

PET에서 이상 섭취를 보이는 병소의 정확한 해부학 치

를 악하는 데 많은 도움을 얻게 되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일반 PET 상 는 PET-CT 결합 상을 이용하 다 PET-

CT 결합 상에서 측정한 SUV는 감쇄보정 과정에서 일반

PET과는 달리 CT 상을 사용하기 때문에 일반 PET 상

에서 측정한 SUV와 다소 차이가 있다고 알려져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두 기기 간의 SUV 차이를 phantom 연구를 시행

하여 보정하 다

FDG-PET는 기존의 추 검사방법만으로 계획한 치료방

침을 변경하게 하 다 기존의 추 검사방법으로 폐 이

를 발견하지 못하고 FDG-PET에서 폐 이를 조기에 발견했

던 3명의 환자에서는 폐 이 제술을 시행하 고 기존의

추 검사방법으로 신와재발을 발견하지 못하고 FDG-PET

에서 조기에 발견했던 환자에서는 3개월 후 복부 산화단

층촬 술을 시행하여 신와재발을 확인하고 제술을 시행

하 다 기존의 추 검사방법에서 양성으로 명되었던

5부 (간 1부 신문부의 림 2부 두개골 1부 종

격동의 림 1부 )에서는 FDG-PET에서 정상 소견을 보

여 추 검사를 하기로 함으로써 불필요한 조직검사 수

술을 피하게 되었다

근치 신 출술 후 신와에 재발여부를 평가하는 데 있

어서 복부 산화단층촬 의 경우는 인 장기의 신와로의

이동 술 후 생긴 유착이나 부종 클립과 같은 인공물질 등

으로 인하여 재발 여부를 단하는 데 방해를 받게 되지만

FDG-PET의 경우에는 이러한 요인에 향을 받지 않으므로

재발 여부를 단하는 데 있어서 복부 산화단층촬 보다

우수하다 Safaei 등9은 신세포암의 근치 신 출술 후 재

발 여부의 평가에 있어 FDG-PET는 양성 조직 변화에서는

포도당 사용 정도가 낮고 악성 조직에서는 높기 때문에 재

발 여부 평가에 유용할 것이라고 하 으며 Ramdave 등10은

신세포암의 근치 신 출술 후 재발 이 여부의 평가

에 있어서 FDG-PET가 복부 산화단층촬 보다 우수하다

고 하 다 본 연구에서는 신와에 재발이 확인된 6부

복부 산화단층촬 에서 재발소견이 없었던 1부 에 해

FDG-PET에서는 재발소견을 보 고 최종 재발로 확인되었

으며 복부 산화단층촬 에서 이소견을 보 던 1부 에

해 FDG-PET에서는 재발소견을 보이지 않았다

폐 이의 경우 부분이 제가능하고 다른 부 이

병소보다는 면역요법에 다소 나은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1112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매우 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단순흉부촬 에서 이를 발견하지 못한 3

부 에 해서 FDG-PET에 의해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함으

로써 좋은 결과를 보 다 Janzen 등13은 림 의 이를

진단하는 데 산화단층촬 은 83-89의 민감도를 보이나

FDG-PET는 100의 민감도를 보여 FDG-PET가 우수하다

고 하 다 본 연구에서는 4명의 환자에서 산화단층촬

에서 신문부의 림 이 소견을 보 으나 2명의 환자에

서 양성으로 명되었으며 FDG-PET에서는 양성으로

명된 2명의 환자에서는 이소견을 보이지 않았고 나머

지 2명의 환자에서만 이소견을 보여 림 이를 진단

하는 데 FDG-PET가 산화단층촬 에 비해 우수한 결과를

보 다 Wu 등14은 골 이 병변에 해 골주사의 민감도는

775 정확도는 596 FDG-PET의 민감도는 100 정확도

100로 FDG-PET가 우수하다고 하 다 본 연구에서는 골주

사의 민감도는 625 특이도 833 정확도 714 FDG-

PET의 민감도 100 특이도 100 정확도 100로 FDG-

PET가 우수한 결과를 보 다 부신 이 여부에 해서도

FDG-PET는 기존의 진단방법에 비하여 우수하다는 보고가

있었고15 본 연구에서는 1명에서 부신 이가 있었으며

FDG-PET와 기존의 진단방법의 차이는 없었다

결 론

신세포암 환자의 추 찰에 있어서 기존의 추 검사방

법과 FDG-PET의 결과를 비교하 을 때 FDG-PET는 민감

도 936 특이도 971 정확도 951 kappa값 09010 기

존의 추 검사방법은 민감도 851 특이도 857 정확도

854 kappa값 07031로 FDG-PET가 우수하다 한 FDG-

PET는 한 번의 비침습 인 촬 으로 모든 장기의 정보를

한꺼번에 얻을 수가 있는 장 이 있어 기존의 병기결정 방

법을 체할 수 있다고 단하며 향후 장기 인 추 찰

을 시행하여 더 많은 증례를 통한 분석을 요할 것으로 단

한다

REFERENCES

1 Motzer RJ Bander NH Nanus DM Renal-cell carcinoma N

Engl J Med 1996335865-75

2 Delbeke D Oncological applications of FDG PET imaging

brain tumors colorectal cancer lymphoma and melanoma J

Nucl Med 199940591-603

3 Scott AM Larson SM Tumor imaging and therapy Radiol

Clin North Am 199331859-79

4 Rigo P Paulus P Kaschten BJ Hustinx P Bury T Jerusalem

G et al Oncological applications of positron emission tomo-

graphy with fluorine-18 fluorodeoxyglucose Eur J Nucl Med

1996231641-74

5 Lee SW Jo MK Lee HM Clinical role of F-18 fluorodeoxy-

glucose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for diagnosis and

770 한비뇨기과학회지제 48 권 제 8 호 2007

staging of renal tumors Korean J Urol 200445299-302

6 Flanigan RC Yonover PM Campbell SC Role of nephrectomy

in metastatic renal cell carcinoma AUA Update Series

200221242-7

7 Findlay M Young H Cunningham D Iveson A Cronin B

Hickish T et al Noninvasive monitoring of tumor metabolism

using fluorodeoxyglucose and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in colorectal cancer liver metastases correlation with tumor

response to fluorouracil J Clin Oncol 199614700-8

8 McGuirt WF Greven K Williams D 3rd Keves JW Jr

Watson N Cappellari JO et al PET scanning in head and

neck oncology a review Head Neck 199820208-15

9 Safaei A Figlin R Hoh CK Silverman DH Seltzer M Phelps

ME et al The usefulness of F-18 deoxyglucose whole-body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 for re-staging of renal

cell cancer Clin Nephrol 20025756-62

10 Ramdave S Thomas GW Berlangieri SU Bolton DM Davis

I Danguy HT et al Clinical role of F-18 fluorodeoxyglucose

positron-emission tomography for detection and management

of renal cell carcinoma J Urol 2001166825-30

11 Thrasher JB Paulson DF Prognostic factors in renal cancer

Urol Clin North Am 199320247-62

12 Thrasher JB Clark JR Cleland BP Surgery for pulmonary

metastases from renal cell carcinoma Army experience from

1977-1987 Urology 199035487-91

13 Janzen NK Laifer-Narin S Han KR Seltzer M Thomas MA

Pantuck AJ et al Emerging technologies in uroradiologic

imaging Urol Oncol 200321317-26

14 Wu HC Yen RF Shen YY Kao CH Lin CC Lee CC

Comparing whole body 18F-2-deoxyglucose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and technetium-99m methylene diphosphate bone

scan to detect bone metastases in patients with renal cell

carcinomas - a preliminary report J Cancer Res Clin Oncol

2002128503-6

15 Harrison J Ali A Bonomi P Prinz R The role of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in selecting patients with metastatic

cancer for adrenalectomy Am Surg 200066432-6

766 한비뇨기과학회지제 48 권 제 8 호 2007

Table 1 Characteristics of the 69 patients who underwent a radical

nephrectomy andor metastatectomy with a final pathological diag-

nosis of a RCC

No of patients

Age (years)

Mean 572

Range 31-77

Sex

Male 47

Female 22

Primary tumor stage

pT1a 7

pT1b 9

pT2 17

pT3a 19

pT3b 17

Distant metastasis

M0 51

M1 18

RCC renal cell carcinoma

암의 효과 인 추 찰을 해서는 재발 혹은 이의 시

기와 이 장기가 신 히 고려되어야 하고 재발이나 이

는 특히 폐 복강 내 장기 등에 호발하므로 술 후 추

찰을 하여 이 부 의 이 여부를 단할 수 있는 상기

법이 필수 이다

근치 신 출술 이후 신와에 국소 재발이 발생한 경우

에 이러한 국소 재발을 조기에 발견한다면 치료가 가능하

다1 이가 발생한 경우에는 조기에 이의 정도를 단함

으로써 한 치료 방침을 선택함은 물론 불필요한 치료

를 하는 오류를 피할 수 있다

최근 [18F]fluorodeoxyglucose-양 자방출단층촬 ([18F]flu-

orodeoxyglucose-positron emission tomography FDG-PET)은

포도당 유기체인 [18F]FDG를 인체에 주입하여 암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어 종양학 분야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2-4

우리나라에서도 1995년 PET가 도입된 이후 많이 이용되고

있다 Lee 등5은 FDG-PET가 신세포암 진단 병기결정에

있어서 기존의 병기결정 방법을 보완해주고 이 병소 진

단에 있어서는 기존의 병기결정 방법보다 우수하다고 보고

하 다 그러나 신세포암에 한 근치 치료 후 추 찰

에 있어서 FDG-PET의 역할은 아직 확실하게 규명되어 있

지 않다

이에 자들은 신세포암에 한 근치 신 출술

이병소 제술을 시행한 후 추 찰에 있어서 단순흉부촬

복부 산화단층촬 골주사 검사 뇌자기공명 상 등

기존의 추 검사방법과 FDG-PET의 결과를 비교하여 신세

포암 추 찰에 있어서 FDG-PET의 역할을 알아보고자 하

상 방법

2001년 1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신세포암이 의심되어

근치 신 출술을 시행받았거나 이를 동반한 신세포암

으로 근치 신 출술 이병소 제술을 시행받고 병리

조직학 으로 신세포암으로 확진된 환자 술 후 추

찰기간 동안 FDG-PET 복부 산화단층촬 단순흉부촬

골주사검사 뇌자기공명 상이 시행 가능했던 69명의

환자를 상으로 하 다 술 후 6개월마다 단순흉부촬

복부 산화단층촬 FDG-PET를 시행하 고 요통

통 등의 골 이 증상이 있는 경우와 두통 반신 마비 등의

뇌 이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증상에 따라 골주사 검사와

뇌자기공명 상을 시행하 다 재발이나 이의 진단은 조

직병리학 으로 는 임상 추 찰 결과로 명하 다

FDG- PET와 기존의 추 검사방법의 신세포암의 추 찰

결과를 비교하 다

FDG-PET 스캔은 ECAT HR+ PET 스캐 (Siemens Kno-

xville) 는 Discovery LS PET-CT 스캐 (GE Medical

Systems Waukesha USA)를 이용하여 시행하 다 환자들

은 PET 스캔 어도 6시간 이상 식하도록 하 고

FDG 투여 직 에 측정한 당이 120mgdl을 과하는 경우

는 없었다 FDG 370MBq를 정맥 내로 주입한 50분 후에

상획득을 시작하 다 상은 2D 방식으로 퇴부 반에

서 두개골 기 까지 5-7 frame을 얻었다 ECAT HR+ PET은

먼 68GE을 이용하여 frame당 3분씩 투과 상을 얻고 그

다음 frame당 7분씩 방출 상을 얻었다 얻어진 투과 상

으로 감쇄 보정을 하 고 OSEM algorithm (2 iteration 8

subsets) 방식으로 재구성하 다 Discovery LS PET-CT는

CT 상을 먼 얻고 한 frame당 6분씩 방출 상을 얻었

다 얻어진 CT 상으로 감쇄 보정을 하 고 OSEM al-

gorithm (2 iteration 16 subsets) 방식으로 재구성하 다 두

기기 간의 SUV의 차이는 phantom 연구에서 얻어진 maxi-

mum SUV에 하여 Discovery LS PET-CT의 값이 ECAT

HR+ PET보다 107배임을 보정하여 분석하 다 재구성된

상은 2명의 숙련된 핵의학과 의사가 재구성된 상을 환

자의 임상 병력과 기존의 추 검사방법의 결과를 참조

하여 분석하 다 정상조직과 비교한 병변의 FDG 섭취의

증가 정도 병변의 FDG 섭취의 분포 비정상 인 FDG 섭취

의 범 등을 고려하여 독하 다 PET의 정량 분석을

해서는 표 화섭취계수 (standardized uptake value SUV)

를 사용하 다

김건훈 외신세포암 환자의 추 찰을 한 FDG-양 자방출단층촬 의 임상 역할 767

Table 2 Detection of recurrentmetastatic lesions

Conventional method finding Follow-upCase PET Pathologic

Lesion site 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 peroidnumber finding result

Chest PA CT Bone scan Brain MRI (months)

Pathologic confirmed group

1 Lung + + RCC 23

2 Lung 985103dagger + RCC 19

3 Lung + 985103 RCC 18

4 Lung + + RCC 22

5 Bone + + RCC 15

6 Lung + + RCC 21

7 Renal bed + + RCC 28

8 Lung + + RCC 22

9 Lung + + RCC 22

10 Lung + + RCC 22

11 Lung 985103 + RCC 25

12 Lung + + RCC 27

13 Lung + 985103 RCC 28

14 Lung + + RCC 20

15 Lung + + RCC 26

16 Lung + + RCC 25

17 Bone + + RCC 23

18 Bone 985103 + RCC 20

19 Bone + + RCC 23

20 Renal bed + 985103 RCC 20

21 Renal bed 985103 + RCC 20

22 Lung liver + + + Liver RCC 13

23 Lung bone + + + Lung bone RCC 15

24 Lung bone + 985103 + Lung bone RCC 15

25 Lung bone + + + Bone RCC 18

26 Renal bed lung 985103 + + Renal bed lung RCC 20

27 Renal bed lung + + + Renal bed lung RCC 18

28 Renal bed lung + + + Renal bed spermatic 10

spermatic cord cord RCC

29 Lung bone adrenal gland + + 985103 + Bone RCC 16

Clinical confirmed group

30 Brain + + 12

31 Lung brain + + + 14

32 Perihilar lymph node + + 19

33 Lung perihilar lymph node + + + 18

34 Lung liver + + + 16

positive dagger negative CT computerized tomography MRI magnetic resonance imaging PET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RCC renal

cell carcinoma

통계학 으로는 동의도 평가를 해 kappa 분석을 이용

하 으며 분석결과 kappa값이 1에 가까울수록 동의도가 우

수한 것으로 단하 다

결 과

상 환자 69명 남자는 47명 여자는 22명이고 평균

연령은 572세 다 평균 추 찰 기간은 285개월이었으

며 재발이나 이가 처음 발생할 때까지의 평균 기간은

123개월이었다 (Table 1) 재발이나 이는 34명에서 발생

하 으며 23명에서 1부 9명에서 2부 2명에서 3부

에서 발생하여 총 47부 에서 발생하 다 재발 이 부

는 각각 폐 이 25부 골 이 8부 (흉추 4부 요추

1부 장골 2부 상완골 1부 ) 신와재발 6부 뇌 이

768 한비뇨기과학회지제 48 권 제 8 호 2007

Table 3 Comparison of FDG-PET and conventional imaging tech-

niques

FDG-PET Conventional

Sensitivity 936 851

Specificity 971 857

Accuracy 951 854

Kappa value 09010 07031

p-value <005 <005

abdominal computerized tomography chest PA bone scan and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FDG-PET [18F]fluorodeoxyglu-

cose-positron emission tomography

2부 간 이 2부 신문부의 림 이 2부 부신

이 1부 정삭 이 1부 다 (Table 2)

기존의 추 검사방법은 45부 를 재발이나 이로 정

하 고 재발 이로 정한 부 는 각각 폐 이 22부

골 이 6부 (흉추 1부 요추 1부 장골 2부 상완골

1부 두개골 1부 ) 신와재발 5부 뇌 이 2부 간

이 3부 신문부의 림 이 4부 부신 이 1부 정

삭 이 1부 종격동의 림 이 1부 는데 이 가운

데 간 이 1부 신문부의 림 이 2부 두개골 1부

종격동의 림 이 1부 등 모두 5부 에서 조직병

리학 으로 는 임상 추 찰 결과 양성인 것으로

명되었다 재발 이 부 가 확인된 47부 폐 이

3부 골 이 3부 신와재발 1부 등 모두 7부 에서 기

존의 추 검사방법에서는 재발 이소견을 보이지 않

았다 FDG-PET는 45부 에서 재발이나 이로 정하

고 재발 이로 정한 부 는 각각 폐 이 24부 골

이 8부 (흉추 4부 요추 1부 장골 2부 상완골 1

부 ) 신와재발 5부 뇌 이 2부 간 이 2부 신문부

의 림 이 2부 부신 이 1부 정삭 이 1부 으

며 기존의 추 검사방법에서 양성부 로 명되었던 5

부 에 해서는 재발 이 소견이 없었다 FDG-PET에

서 폐 이 소견을 보 던 24부 1부 에서 양성인 것

으로 명되었다 재발 이가 확인된 47부 폐 이

2부 신와재발 1부 에 해서 FDG-PET에서는 재발

이 소견을 보이지 않았다

폐 이 소견을 보이는 25부 3부 는 단순흉부촬 에

서 정상소견을 보 으나 흉부 산화단층촬 실시 후 이

가 의심되어 이부 에 한 폐 제술을 시행하 다 단

순흉부촬 과 흉부 산화단층촬 FDG-PET 모두에서 폐

이 소견을 보인 22부 15부 에 해 폐 제술을 시

행하 다 골 이 소견을 보이는 8부 는 이부 골 제

술을 시행하 다 신와재발 소견을 보이는 6부 와 정삭

이 소견을 보이는 1부 에 해서도 제술을 시행하 다

폐 골 제술 신와재발 제술 시행 후 조직병리학 으

로 모두 재발 이병소 음을 확인하 고 그 외의 이

부 는 임상 으로 이를 확인하 다 재발 이의 진

단에 있어서 FDG-PET는 민감도 936 특이도 971 정확

도 951 kappa 값이 09010이었고 표 화섭취계수의 평균

은 55로 나타났다 반면 기존의 병기결정방법은 민감도

851 특이도 857 정확도 854 kappa 값이 07031로

나타났다 (Table 3)

고 찰

신세포암에 한 근치 치료 후 재발하거나 이가 발

생한 경우 선별된 환자들에 해 외과 치료와 면역치료

를 기에 받는 것은 생존율 향상에 도움이 된다16 따라서

신세포암으로 근치 신 출술을 시행받은 환자들의 효과

인 추 찰이 환자의 치료방침 결정과 후에 요하

다 신세포암의 추 검사방법은 주로 복부 산화단층촬

단순흉부촬 등을 시행하며 필요 시 골주사 뇌자기공명

상 등을 시행한다 산화단층촬 이나 단순흉부촬 은

병소의 크기가 작은 경우 민감도가 낮다는 단 이 있으며

산화단층촬 의 경우는 유착이나 해부학 변형이 발생

한 조직에서는 주 조직과의 구별이 어려워 양성으로

독될 가능성이 있다

PET는 소멸 방사선과 CT의 원리를 응용하여 인체 내에

서 붕괴하는 방사성동 원소의 부 별 분포를 컴퓨터로 재

형성시켜 단층촬 된 상을 얻는 특수기법이며 재

FDG를 이용한 PET가 리 이용되고 있다 정상세포에 비

해 암세포에는 포도당의 사가 증가해 있으며 따라서

FDG-PET에서 암세포는 주변 조직보다 높은 섭취를 보이는

병소로 나타나게 된다 부분의 질병에서 화학 변화가

해부학 변화보다 먼 일어나므로 PET는 해부학 인 변

화가 생기기 이 에 기능 인 이상을 찾아낼 수 있으며

PET를 이용하면 인체 내 각 장기 내 생리 는 화학반응에

한 정량분석이 가능하다는 장 이 있다 PET의 정량

분석을 해서는 표 화섭취계수가 리 사용되는데 이는

FDG 정맥주사 후 30-60분 사이의 조직 평균방사능의 양

(MBqml)을 환자에게 주사된 붕괴 보정된 방사능의 양

(GBqkg)으로 나 값이다

본 연구에서는 찰자 간의 불일치를 최소화하기 하여

SUV의 기 을 심 역 내에서 가장 높은 SUV로 하 다

FDG-PET은 임상 으로 암의 검출 감별진단 암의 병기

결정 악성도 평가 치료효과의 정 재발 여부의 평가들에

이용되고 있으며 특히 같은 환자에서 치료 후 비교에 매

김건훈 외신세포암 환자의 추 찰을 한 FDG-양 자방출단층촬 의 임상 역할 769

우 유용하다78 최근 들어서는 PET과 CT 상을 결합하여

PET에서 이상 섭취를 보이는 병소의 정확한 해부학 치

를 악하는 데 많은 도움을 얻게 되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일반 PET 상 는 PET-CT 결합 상을 이용하 다 PET-

CT 결합 상에서 측정한 SUV는 감쇄보정 과정에서 일반

PET과는 달리 CT 상을 사용하기 때문에 일반 PET 상

에서 측정한 SUV와 다소 차이가 있다고 알려져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두 기기 간의 SUV 차이를 phantom 연구를 시행

하여 보정하 다

FDG-PET는 기존의 추 검사방법만으로 계획한 치료방

침을 변경하게 하 다 기존의 추 검사방법으로 폐 이

를 발견하지 못하고 FDG-PET에서 폐 이를 조기에 발견했

던 3명의 환자에서는 폐 이 제술을 시행하 고 기존의

추 검사방법으로 신와재발을 발견하지 못하고 FDG-PET

에서 조기에 발견했던 환자에서는 3개월 후 복부 산화단

층촬 술을 시행하여 신와재발을 확인하고 제술을 시행

하 다 기존의 추 검사방법에서 양성으로 명되었던

5부 (간 1부 신문부의 림 2부 두개골 1부 종

격동의 림 1부 )에서는 FDG-PET에서 정상 소견을 보

여 추 검사를 하기로 함으로써 불필요한 조직검사 수

술을 피하게 되었다

근치 신 출술 후 신와에 재발여부를 평가하는 데 있

어서 복부 산화단층촬 의 경우는 인 장기의 신와로의

이동 술 후 생긴 유착이나 부종 클립과 같은 인공물질 등

으로 인하여 재발 여부를 단하는 데 방해를 받게 되지만

FDG-PET의 경우에는 이러한 요인에 향을 받지 않으므로

재발 여부를 단하는 데 있어서 복부 산화단층촬 보다

우수하다 Safaei 등9은 신세포암의 근치 신 출술 후 재

발 여부의 평가에 있어 FDG-PET는 양성 조직 변화에서는

포도당 사용 정도가 낮고 악성 조직에서는 높기 때문에 재

발 여부 평가에 유용할 것이라고 하 으며 Ramdave 등10은

신세포암의 근치 신 출술 후 재발 이 여부의 평가

에 있어서 FDG-PET가 복부 산화단층촬 보다 우수하다

고 하 다 본 연구에서는 신와에 재발이 확인된 6부

복부 산화단층촬 에서 재발소견이 없었던 1부 에 해

FDG-PET에서는 재발소견을 보 고 최종 재발로 확인되었

으며 복부 산화단층촬 에서 이소견을 보 던 1부 에

해 FDG-PET에서는 재발소견을 보이지 않았다

폐 이의 경우 부분이 제가능하고 다른 부 이

병소보다는 면역요법에 다소 나은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1112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매우 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단순흉부촬 에서 이를 발견하지 못한 3

부 에 해서 FDG-PET에 의해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함으

로써 좋은 결과를 보 다 Janzen 등13은 림 의 이를

진단하는 데 산화단층촬 은 83-89의 민감도를 보이나

FDG-PET는 100의 민감도를 보여 FDG-PET가 우수하다

고 하 다 본 연구에서는 4명의 환자에서 산화단층촬

에서 신문부의 림 이 소견을 보 으나 2명의 환자에

서 양성으로 명되었으며 FDG-PET에서는 양성으로

명된 2명의 환자에서는 이소견을 보이지 않았고 나머

지 2명의 환자에서만 이소견을 보여 림 이를 진단

하는 데 FDG-PET가 산화단층촬 에 비해 우수한 결과를

보 다 Wu 등14은 골 이 병변에 해 골주사의 민감도는

775 정확도는 596 FDG-PET의 민감도는 100 정확도

100로 FDG-PET가 우수하다고 하 다 본 연구에서는 골주

사의 민감도는 625 특이도 833 정확도 714 FDG-

PET의 민감도 100 특이도 100 정확도 100로 FDG-

PET가 우수한 결과를 보 다 부신 이 여부에 해서도

FDG-PET는 기존의 진단방법에 비하여 우수하다는 보고가

있었고15 본 연구에서는 1명에서 부신 이가 있었으며

FDG-PET와 기존의 진단방법의 차이는 없었다

결 론

신세포암 환자의 추 찰에 있어서 기존의 추 검사방

법과 FDG-PET의 결과를 비교하 을 때 FDG-PET는 민감

도 936 특이도 971 정확도 951 kappa값 09010 기

존의 추 검사방법은 민감도 851 특이도 857 정확도

854 kappa값 07031로 FDG-PET가 우수하다 한 FDG-

PET는 한 번의 비침습 인 촬 으로 모든 장기의 정보를

한꺼번에 얻을 수가 있는 장 이 있어 기존의 병기결정 방

법을 체할 수 있다고 단하며 향후 장기 인 추 찰

을 시행하여 더 많은 증례를 통한 분석을 요할 것으로 단

한다

REFERENCES

1 Motzer RJ Bander NH Nanus DM Renal-cell carcinoma N

Engl J Med 1996335865-75

2 Delbeke D Oncological applications of FDG PET imaging

brain tumors colorectal cancer lymphoma and melanoma J

Nucl Med 199940591-603

3 Scott AM Larson SM Tumor imaging and therapy Radiol

Clin North Am 199331859-79

4 Rigo P Paulus P Kaschten BJ Hustinx P Bury T Jerusalem

G et al Oncological applications of positron emission tomo-

graphy with fluorine-18 fluorodeoxyglucose Eur J Nucl Med

1996231641-74

5 Lee SW Jo MK Lee HM Clinical role of F-18 fluorodeoxy-

glucose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for diagnosis and

770 한비뇨기과학회지제 48 권 제 8 호 2007

staging of renal tumors Korean J Urol 200445299-302

6 Flanigan RC Yonover PM Campbell SC Role of nephrectomy

in metastatic renal cell carcinoma AUA Update Series

200221242-7

7 Findlay M Young H Cunningham D Iveson A Cronin B

Hickish T et al Noninvasive monitoring of tumor metabolism

using fluorodeoxyglucose and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in colorectal cancer liver metastases correlation with tumor

response to fluorouracil J Clin Oncol 199614700-8

8 McGuirt WF Greven K Williams D 3rd Keves JW Jr

Watson N Cappellari JO et al PET scanning in head and

neck oncology a review Head Neck 199820208-15

9 Safaei A Figlin R Hoh CK Silverman DH Seltzer M Phelps

ME et al The usefulness of F-18 deoxyglucose whole-body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 for re-staging of renal

cell cancer Clin Nephrol 20025756-62

10 Ramdave S Thomas GW Berlangieri SU Bolton DM Davis

I Danguy HT et al Clinical role of F-18 fluorodeoxyglucose

positron-emission tomography for detection and management

of renal cell carcinoma J Urol 2001166825-30

11 Thrasher JB Paulson DF Prognostic factors in renal cancer

Urol Clin North Am 199320247-62

12 Thrasher JB Clark JR Cleland BP Surgery for pulmonary

metastases from renal cell carcinoma Army experience from

1977-1987 Urology 199035487-91

13 Janzen NK Laifer-Narin S Han KR Seltzer M Thomas MA

Pantuck AJ et al Emerging technologies in uroradiologic

imaging Urol Oncol 200321317-26

14 Wu HC Yen RF Shen YY Kao CH Lin CC Lee CC

Comparing whole body 18F-2-deoxyglucose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and technetium-99m methylene diphosphate bone

scan to detect bone metastases in patients with renal cell

carcinomas - a preliminary report J Cancer Res Clin Oncol

2002128503-6

15 Harrison J Ali A Bonomi P Prinz R The role of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in selecting patients with metastatic

cancer for adrenalectomy Am Surg 200066432-6

김건훈 외신세포암 환자의 추 찰을 한 FDG-양 자방출단층촬 의 임상 역할 767

Table 2 Detection of recurrentmetastatic lesions

Conventional method finding Follow-upCase PET Pathologic

Lesion site 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985160 peroidnumber finding result

Chest PA CT Bone scan Brain MRI (months)

Pathologic confirmed group

1 Lung + + RCC 23

2 Lung 985103dagger + RCC 19

3 Lung + 985103 RCC 18

4 Lung + + RCC 22

5 Bone + + RCC 15

6 Lung + + RCC 21

7 Renal bed + + RCC 28

8 Lung + + RCC 22

9 Lung + + RCC 22

10 Lung + + RCC 22

11 Lung 985103 + RCC 25

12 Lung + + RCC 27

13 Lung + 985103 RCC 28

14 Lung + + RCC 20

15 Lung + + RCC 26

16 Lung + + RCC 25

17 Bone + + RCC 23

18 Bone 985103 + RCC 20

19 Bone + + RCC 23

20 Renal bed + 985103 RCC 20

21 Renal bed 985103 + RCC 20

22 Lung liver + + + Liver RCC 13

23 Lung bone + + + Lung bone RCC 15

24 Lung bone + 985103 + Lung bone RCC 15

25 Lung bone + + + Bone RCC 18

26 Renal bed lung 985103 + + Renal bed lung RCC 20

27 Renal bed lung + + + Renal bed lung RCC 18

28 Renal bed lung + + + Renal bed spermatic 10

spermatic cord cord RCC

29 Lung bone adrenal gland + + 985103 + Bone RCC 16

Clinical confirmed group

30 Brain + + 12

31 Lung brain + + + 14

32 Perihilar lymph node + + 19

33 Lung perihilar lymph node + + + 18

34 Lung liver + + + 16

positive dagger negative CT computerized tomography MRI magnetic resonance imaging PET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RCC renal

cell carcinoma

통계학 으로는 동의도 평가를 해 kappa 분석을 이용

하 으며 분석결과 kappa값이 1에 가까울수록 동의도가 우

수한 것으로 단하 다

결 과

상 환자 69명 남자는 47명 여자는 22명이고 평균

연령은 572세 다 평균 추 찰 기간은 285개월이었으

며 재발이나 이가 처음 발생할 때까지의 평균 기간은

123개월이었다 (Table 1) 재발이나 이는 34명에서 발생

하 으며 23명에서 1부 9명에서 2부 2명에서 3부

에서 발생하여 총 47부 에서 발생하 다 재발 이 부

는 각각 폐 이 25부 골 이 8부 (흉추 4부 요추

1부 장골 2부 상완골 1부 ) 신와재발 6부 뇌 이

768 한비뇨기과학회지제 48 권 제 8 호 2007

Table 3 Comparison of FDG-PET and conventional imaging tech-

niques

FDG-PET Conventional

Sensitivity 936 851

Specificity 971 857

Accuracy 951 854

Kappa value 09010 07031

p-value <005 <005

abdominal computerized tomography chest PA bone scan and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FDG-PET [18F]fluorodeoxyglu-

cose-positron emission tomography

2부 간 이 2부 신문부의 림 이 2부 부신

이 1부 정삭 이 1부 다 (Table 2)

기존의 추 검사방법은 45부 를 재발이나 이로 정

하 고 재발 이로 정한 부 는 각각 폐 이 22부

골 이 6부 (흉추 1부 요추 1부 장골 2부 상완골

1부 두개골 1부 ) 신와재발 5부 뇌 이 2부 간

이 3부 신문부의 림 이 4부 부신 이 1부 정

삭 이 1부 종격동의 림 이 1부 는데 이 가운

데 간 이 1부 신문부의 림 이 2부 두개골 1부

종격동의 림 이 1부 등 모두 5부 에서 조직병

리학 으로 는 임상 추 찰 결과 양성인 것으로

명되었다 재발 이 부 가 확인된 47부 폐 이

3부 골 이 3부 신와재발 1부 등 모두 7부 에서 기

존의 추 검사방법에서는 재발 이소견을 보이지 않

았다 FDG-PET는 45부 에서 재발이나 이로 정하

고 재발 이로 정한 부 는 각각 폐 이 24부 골

이 8부 (흉추 4부 요추 1부 장골 2부 상완골 1

부 ) 신와재발 5부 뇌 이 2부 간 이 2부 신문부

의 림 이 2부 부신 이 1부 정삭 이 1부 으

며 기존의 추 검사방법에서 양성부 로 명되었던 5

부 에 해서는 재발 이 소견이 없었다 FDG-PET에

서 폐 이 소견을 보 던 24부 1부 에서 양성인 것

으로 명되었다 재발 이가 확인된 47부 폐 이

2부 신와재발 1부 에 해서 FDG-PET에서는 재발

이 소견을 보이지 않았다

폐 이 소견을 보이는 25부 3부 는 단순흉부촬 에

서 정상소견을 보 으나 흉부 산화단층촬 실시 후 이

가 의심되어 이부 에 한 폐 제술을 시행하 다 단

순흉부촬 과 흉부 산화단층촬 FDG-PET 모두에서 폐

이 소견을 보인 22부 15부 에 해 폐 제술을 시

행하 다 골 이 소견을 보이는 8부 는 이부 골 제

술을 시행하 다 신와재발 소견을 보이는 6부 와 정삭

이 소견을 보이는 1부 에 해서도 제술을 시행하 다

폐 골 제술 신와재발 제술 시행 후 조직병리학 으

로 모두 재발 이병소 음을 확인하 고 그 외의 이

부 는 임상 으로 이를 확인하 다 재발 이의 진

단에 있어서 FDG-PET는 민감도 936 특이도 971 정확

도 951 kappa 값이 09010이었고 표 화섭취계수의 평균

은 55로 나타났다 반면 기존의 병기결정방법은 민감도

851 특이도 857 정확도 854 kappa 값이 07031로

나타났다 (Table 3)

고 찰

신세포암에 한 근치 치료 후 재발하거나 이가 발

생한 경우 선별된 환자들에 해 외과 치료와 면역치료

를 기에 받는 것은 생존율 향상에 도움이 된다16 따라서

신세포암으로 근치 신 출술을 시행받은 환자들의 효과

인 추 찰이 환자의 치료방침 결정과 후에 요하

다 신세포암의 추 검사방법은 주로 복부 산화단층촬

단순흉부촬 등을 시행하며 필요 시 골주사 뇌자기공명

상 등을 시행한다 산화단층촬 이나 단순흉부촬 은

병소의 크기가 작은 경우 민감도가 낮다는 단 이 있으며

산화단층촬 의 경우는 유착이나 해부학 변형이 발생

한 조직에서는 주 조직과의 구별이 어려워 양성으로

독될 가능성이 있다

PET는 소멸 방사선과 CT의 원리를 응용하여 인체 내에

서 붕괴하는 방사성동 원소의 부 별 분포를 컴퓨터로 재

형성시켜 단층촬 된 상을 얻는 특수기법이며 재

FDG를 이용한 PET가 리 이용되고 있다 정상세포에 비

해 암세포에는 포도당의 사가 증가해 있으며 따라서

FDG-PET에서 암세포는 주변 조직보다 높은 섭취를 보이는

병소로 나타나게 된다 부분의 질병에서 화학 변화가

해부학 변화보다 먼 일어나므로 PET는 해부학 인 변

화가 생기기 이 에 기능 인 이상을 찾아낼 수 있으며

PET를 이용하면 인체 내 각 장기 내 생리 는 화학반응에

한 정량분석이 가능하다는 장 이 있다 PET의 정량

분석을 해서는 표 화섭취계수가 리 사용되는데 이는

FDG 정맥주사 후 30-60분 사이의 조직 평균방사능의 양

(MBqml)을 환자에게 주사된 붕괴 보정된 방사능의 양

(GBqkg)으로 나 값이다

본 연구에서는 찰자 간의 불일치를 최소화하기 하여

SUV의 기 을 심 역 내에서 가장 높은 SUV로 하 다

FDG-PET은 임상 으로 암의 검출 감별진단 암의 병기

결정 악성도 평가 치료효과의 정 재발 여부의 평가들에

이용되고 있으며 특히 같은 환자에서 치료 후 비교에 매

김건훈 외신세포암 환자의 추 찰을 한 FDG-양 자방출단층촬 의 임상 역할 769

우 유용하다78 최근 들어서는 PET과 CT 상을 결합하여

PET에서 이상 섭취를 보이는 병소의 정확한 해부학 치

를 악하는 데 많은 도움을 얻게 되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일반 PET 상 는 PET-CT 결합 상을 이용하 다 PET-

CT 결합 상에서 측정한 SUV는 감쇄보정 과정에서 일반

PET과는 달리 CT 상을 사용하기 때문에 일반 PET 상

에서 측정한 SUV와 다소 차이가 있다고 알려져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두 기기 간의 SUV 차이를 phantom 연구를 시행

하여 보정하 다

FDG-PET는 기존의 추 검사방법만으로 계획한 치료방

침을 변경하게 하 다 기존의 추 검사방법으로 폐 이

를 발견하지 못하고 FDG-PET에서 폐 이를 조기에 발견했

던 3명의 환자에서는 폐 이 제술을 시행하 고 기존의

추 검사방법으로 신와재발을 발견하지 못하고 FDG-PET

에서 조기에 발견했던 환자에서는 3개월 후 복부 산화단

층촬 술을 시행하여 신와재발을 확인하고 제술을 시행

하 다 기존의 추 검사방법에서 양성으로 명되었던

5부 (간 1부 신문부의 림 2부 두개골 1부 종

격동의 림 1부 )에서는 FDG-PET에서 정상 소견을 보

여 추 검사를 하기로 함으로써 불필요한 조직검사 수

술을 피하게 되었다

근치 신 출술 후 신와에 재발여부를 평가하는 데 있

어서 복부 산화단층촬 의 경우는 인 장기의 신와로의

이동 술 후 생긴 유착이나 부종 클립과 같은 인공물질 등

으로 인하여 재발 여부를 단하는 데 방해를 받게 되지만

FDG-PET의 경우에는 이러한 요인에 향을 받지 않으므로

재발 여부를 단하는 데 있어서 복부 산화단층촬 보다

우수하다 Safaei 등9은 신세포암의 근치 신 출술 후 재

발 여부의 평가에 있어 FDG-PET는 양성 조직 변화에서는

포도당 사용 정도가 낮고 악성 조직에서는 높기 때문에 재

발 여부 평가에 유용할 것이라고 하 으며 Ramdave 등10은

신세포암의 근치 신 출술 후 재발 이 여부의 평가

에 있어서 FDG-PET가 복부 산화단층촬 보다 우수하다

고 하 다 본 연구에서는 신와에 재발이 확인된 6부

복부 산화단층촬 에서 재발소견이 없었던 1부 에 해

FDG-PET에서는 재발소견을 보 고 최종 재발로 확인되었

으며 복부 산화단층촬 에서 이소견을 보 던 1부 에

해 FDG-PET에서는 재발소견을 보이지 않았다

폐 이의 경우 부분이 제가능하고 다른 부 이

병소보다는 면역요법에 다소 나은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1112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매우 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단순흉부촬 에서 이를 발견하지 못한 3

부 에 해서 FDG-PET에 의해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함으

로써 좋은 결과를 보 다 Janzen 등13은 림 의 이를

진단하는 데 산화단층촬 은 83-89의 민감도를 보이나

FDG-PET는 100의 민감도를 보여 FDG-PET가 우수하다

고 하 다 본 연구에서는 4명의 환자에서 산화단층촬

에서 신문부의 림 이 소견을 보 으나 2명의 환자에

서 양성으로 명되었으며 FDG-PET에서는 양성으로

명된 2명의 환자에서는 이소견을 보이지 않았고 나머

지 2명의 환자에서만 이소견을 보여 림 이를 진단

하는 데 FDG-PET가 산화단층촬 에 비해 우수한 결과를

보 다 Wu 등14은 골 이 병변에 해 골주사의 민감도는

775 정확도는 596 FDG-PET의 민감도는 100 정확도

100로 FDG-PET가 우수하다고 하 다 본 연구에서는 골주

사의 민감도는 625 특이도 833 정확도 714 FDG-

PET의 민감도 100 특이도 100 정확도 100로 FDG-

PET가 우수한 결과를 보 다 부신 이 여부에 해서도

FDG-PET는 기존의 진단방법에 비하여 우수하다는 보고가

있었고15 본 연구에서는 1명에서 부신 이가 있었으며

FDG-PET와 기존의 진단방법의 차이는 없었다

결 론

신세포암 환자의 추 찰에 있어서 기존의 추 검사방

법과 FDG-PET의 결과를 비교하 을 때 FDG-PET는 민감

도 936 특이도 971 정확도 951 kappa값 09010 기

존의 추 검사방법은 민감도 851 특이도 857 정확도

854 kappa값 07031로 FDG-PET가 우수하다 한 FDG-

PET는 한 번의 비침습 인 촬 으로 모든 장기의 정보를

한꺼번에 얻을 수가 있는 장 이 있어 기존의 병기결정 방

법을 체할 수 있다고 단하며 향후 장기 인 추 찰

을 시행하여 더 많은 증례를 통한 분석을 요할 것으로 단

한다

REFERENCES

1 Motzer RJ Bander NH Nanus DM Renal-cell carcinoma N

Engl J Med 1996335865-75

2 Delbeke D Oncological applications of FDG PET imaging

brain tumors colorectal cancer lymphoma and melanoma J

Nucl Med 199940591-603

3 Scott AM Larson SM Tumor imaging and therapy Radiol

Clin North Am 199331859-79

4 Rigo P Paulus P Kaschten BJ Hustinx P Bury T Jerusalem

G et al Oncological applications of positron emission tomo-

graphy with fluorine-18 fluorodeoxyglucose Eur J Nucl Med

1996231641-74

5 Lee SW Jo MK Lee HM Clinical role of F-18 fluorodeoxy-

glucose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for diagnosis and

770 한비뇨기과학회지제 48 권 제 8 호 2007

staging of renal tumors Korean J Urol 200445299-302

6 Flanigan RC Yonover PM Campbell SC Role of nephrectomy

in metastatic renal cell carcinoma AUA Update Series

200221242-7

7 Findlay M Young H Cunningham D Iveson A Cronin B

Hickish T et al Noninvasive monitoring of tumor metabolism

using fluorodeoxyglucose and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in colorectal cancer liver metastases correlation with tumor

response to fluorouracil J Clin Oncol 199614700-8

8 McGuirt WF Greven K Williams D 3rd Keves JW Jr

Watson N Cappellari JO et al PET scanning in head and

neck oncology a review Head Neck 199820208-15

9 Safaei A Figlin R Hoh CK Silverman DH Seltzer M Phelps

ME et al The usefulness of F-18 deoxyglucose whole-body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 for re-staging of renal

cell cancer Clin Nephrol 20025756-62

10 Ramdave S Thomas GW Berlangieri SU Bolton DM Davis

I Danguy HT et al Clinical role of F-18 fluorodeoxyglucose

positron-emission tomography for detection and management

of renal cell carcinoma J Urol 2001166825-30

11 Thrasher JB Paulson DF Prognostic factors in renal cancer

Urol Clin North Am 199320247-62

12 Thrasher JB Clark JR Cleland BP Surgery for pulmonary

metastases from renal cell carcinoma Army experience from

1977-1987 Urology 199035487-91

13 Janzen NK Laifer-Narin S Han KR Seltzer M Thomas MA

Pantuck AJ et al Emerging technologies in uroradiologic

imaging Urol Oncol 200321317-26

14 Wu HC Yen RF Shen YY Kao CH Lin CC Lee CC

Comparing whole body 18F-2-deoxyglucose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and technetium-99m methylene diphosphate bone

scan to detect bone metastases in patients with renal cell

carcinomas - a preliminary report J Cancer Res Clin Oncol

2002128503-6

15 Harrison J Ali A Bonomi P Prinz R The role of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in selecting patients with metastatic

cancer for adrenalectomy Am Surg 200066432-6

768 한비뇨기과학회지제 48 권 제 8 호 2007

Table 3 Comparison of FDG-PET and conventional imaging tech-

niques

FDG-PET Conventional

Sensitivity 936 851

Specificity 971 857

Accuracy 951 854

Kappa value 09010 07031

p-value <005 <005

abdominal computerized tomography chest PA bone scan and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FDG-PET [18F]fluorodeoxyglu-

cose-positron emission tomography

2부 간 이 2부 신문부의 림 이 2부 부신

이 1부 정삭 이 1부 다 (Table 2)

기존의 추 검사방법은 45부 를 재발이나 이로 정

하 고 재발 이로 정한 부 는 각각 폐 이 22부

골 이 6부 (흉추 1부 요추 1부 장골 2부 상완골

1부 두개골 1부 ) 신와재발 5부 뇌 이 2부 간

이 3부 신문부의 림 이 4부 부신 이 1부 정

삭 이 1부 종격동의 림 이 1부 는데 이 가운

데 간 이 1부 신문부의 림 이 2부 두개골 1부

종격동의 림 이 1부 등 모두 5부 에서 조직병

리학 으로 는 임상 추 찰 결과 양성인 것으로

명되었다 재발 이 부 가 확인된 47부 폐 이

3부 골 이 3부 신와재발 1부 등 모두 7부 에서 기

존의 추 검사방법에서는 재발 이소견을 보이지 않

았다 FDG-PET는 45부 에서 재발이나 이로 정하

고 재발 이로 정한 부 는 각각 폐 이 24부 골

이 8부 (흉추 4부 요추 1부 장골 2부 상완골 1

부 ) 신와재발 5부 뇌 이 2부 간 이 2부 신문부

의 림 이 2부 부신 이 1부 정삭 이 1부 으

며 기존의 추 검사방법에서 양성부 로 명되었던 5

부 에 해서는 재발 이 소견이 없었다 FDG-PET에

서 폐 이 소견을 보 던 24부 1부 에서 양성인 것

으로 명되었다 재발 이가 확인된 47부 폐 이

2부 신와재발 1부 에 해서 FDG-PET에서는 재발

이 소견을 보이지 않았다

폐 이 소견을 보이는 25부 3부 는 단순흉부촬 에

서 정상소견을 보 으나 흉부 산화단층촬 실시 후 이

가 의심되어 이부 에 한 폐 제술을 시행하 다 단

순흉부촬 과 흉부 산화단층촬 FDG-PET 모두에서 폐

이 소견을 보인 22부 15부 에 해 폐 제술을 시

행하 다 골 이 소견을 보이는 8부 는 이부 골 제

술을 시행하 다 신와재발 소견을 보이는 6부 와 정삭

이 소견을 보이는 1부 에 해서도 제술을 시행하 다

폐 골 제술 신와재발 제술 시행 후 조직병리학 으

로 모두 재발 이병소 음을 확인하 고 그 외의 이

부 는 임상 으로 이를 확인하 다 재발 이의 진

단에 있어서 FDG-PET는 민감도 936 특이도 971 정확

도 951 kappa 값이 09010이었고 표 화섭취계수의 평균

은 55로 나타났다 반면 기존의 병기결정방법은 민감도

851 특이도 857 정확도 854 kappa 값이 07031로

나타났다 (Table 3)

고 찰

신세포암에 한 근치 치료 후 재발하거나 이가 발

생한 경우 선별된 환자들에 해 외과 치료와 면역치료

를 기에 받는 것은 생존율 향상에 도움이 된다16 따라서

신세포암으로 근치 신 출술을 시행받은 환자들의 효과

인 추 찰이 환자의 치료방침 결정과 후에 요하

다 신세포암의 추 검사방법은 주로 복부 산화단층촬

단순흉부촬 등을 시행하며 필요 시 골주사 뇌자기공명

상 등을 시행한다 산화단층촬 이나 단순흉부촬 은

병소의 크기가 작은 경우 민감도가 낮다는 단 이 있으며

산화단층촬 의 경우는 유착이나 해부학 변형이 발생

한 조직에서는 주 조직과의 구별이 어려워 양성으로

독될 가능성이 있다

PET는 소멸 방사선과 CT의 원리를 응용하여 인체 내에

서 붕괴하는 방사성동 원소의 부 별 분포를 컴퓨터로 재

형성시켜 단층촬 된 상을 얻는 특수기법이며 재

FDG를 이용한 PET가 리 이용되고 있다 정상세포에 비

해 암세포에는 포도당의 사가 증가해 있으며 따라서

FDG-PET에서 암세포는 주변 조직보다 높은 섭취를 보이는

병소로 나타나게 된다 부분의 질병에서 화학 변화가

해부학 변화보다 먼 일어나므로 PET는 해부학 인 변

화가 생기기 이 에 기능 인 이상을 찾아낼 수 있으며

PET를 이용하면 인체 내 각 장기 내 생리 는 화학반응에

한 정량분석이 가능하다는 장 이 있다 PET의 정량

분석을 해서는 표 화섭취계수가 리 사용되는데 이는

FDG 정맥주사 후 30-60분 사이의 조직 평균방사능의 양

(MBqml)을 환자에게 주사된 붕괴 보정된 방사능의 양

(GBqkg)으로 나 값이다

본 연구에서는 찰자 간의 불일치를 최소화하기 하여

SUV의 기 을 심 역 내에서 가장 높은 SUV로 하 다

FDG-PET은 임상 으로 암의 검출 감별진단 암의 병기

결정 악성도 평가 치료효과의 정 재발 여부의 평가들에

이용되고 있으며 특히 같은 환자에서 치료 후 비교에 매

김건훈 외신세포암 환자의 추 찰을 한 FDG-양 자방출단층촬 의 임상 역할 769

우 유용하다78 최근 들어서는 PET과 CT 상을 결합하여

PET에서 이상 섭취를 보이는 병소의 정확한 해부학 치

를 악하는 데 많은 도움을 얻게 되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일반 PET 상 는 PET-CT 결합 상을 이용하 다 PET-

CT 결합 상에서 측정한 SUV는 감쇄보정 과정에서 일반

PET과는 달리 CT 상을 사용하기 때문에 일반 PET 상

에서 측정한 SUV와 다소 차이가 있다고 알려져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두 기기 간의 SUV 차이를 phantom 연구를 시행

하여 보정하 다

FDG-PET는 기존의 추 검사방법만으로 계획한 치료방

침을 변경하게 하 다 기존의 추 검사방법으로 폐 이

를 발견하지 못하고 FDG-PET에서 폐 이를 조기에 발견했

던 3명의 환자에서는 폐 이 제술을 시행하 고 기존의

추 검사방법으로 신와재발을 발견하지 못하고 FDG-PET

에서 조기에 발견했던 환자에서는 3개월 후 복부 산화단

층촬 술을 시행하여 신와재발을 확인하고 제술을 시행

하 다 기존의 추 검사방법에서 양성으로 명되었던

5부 (간 1부 신문부의 림 2부 두개골 1부 종

격동의 림 1부 )에서는 FDG-PET에서 정상 소견을 보

여 추 검사를 하기로 함으로써 불필요한 조직검사 수

술을 피하게 되었다

근치 신 출술 후 신와에 재발여부를 평가하는 데 있

어서 복부 산화단층촬 의 경우는 인 장기의 신와로의

이동 술 후 생긴 유착이나 부종 클립과 같은 인공물질 등

으로 인하여 재발 여부를 단하는 데 방해를 받게 되지만

FDG-PET의 경우에는 이러한 요인에 향을 받지 않으므로

재발 여부를 단하는 데 있어서 복부 산화단층촬 보다

우수하다 Safaei 등9은 신세포암의 근치 신 출술 후 재

발 여부의 평가에 있어 FDG-PET는 양성 조직 변화에서는

포도당 사용 정도가 낮고 악성 조직에서는 높기 때문에 재

발 여부 평가에 유용할 것이라고 하 으며 Ramdave 등10은

신세포암의 근치 신 출술 후 재발 이 여부의 평가

에 있어서 FDG-PET가 복부 산화단층촬 보다 우수하다

고 하 다 본 연구에서는 신와에 재발이 확인된 6부

복부 산화단층촬 에서 재발소견이 없었던 1부 에 해

FDG-PET에서는 재발소견을 보 고 최종 재발로 확인되었

으며 복부 산화단층촬 에서 이소견을 보 던 1부 에

해 FDG-PET에서는 재발소견을 보이지 않았다

폐 이의 경우 부분이 제가능하고 다른 부 이

병소보다는 면역요법에 다소 나은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1112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매우 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단순흉부촬 에서 이를 발견하지 못한 3

부 에 해서 FDG-PET에 의해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함으

로써 좋은 결과를 보 다 Janzen 등13은 림 의 이를

진단하는 데 산화단층촬 은 83-89의 민감도를 보이나

FDG-PET는 100의 민감도를 보여 FDG-PET가 우수하다

고 하 다 본 연구에서는 4명의 환자에서 산화단층촬

에서 신문부의 림 이 소견을 보 으나 2명의 환자에

서 양성으로 명되었으며 FDG-PET에서는 양성으로

명된 2명의 환자에서는 이소견을 보이지 않았고 나머

지 2명의 환자에서만 이소견을 보여 림 이를 진단

하는 데 FDG-PET가 산화단층촬 에 비해 우수한 결과를

보 다 Wu 등14은 골 이 병변에 해 골주사의 민감도는

775 정확도는 596 FDG-PET의 민감도는 100 정확도

100로 FDG-PET가 우수하다고 하 다 본 연구에서는 골주

사의 민감도는 625 특이도 833 정확도 714 FDG-

PET의 민감도 100 특이도 100 정확도 100로 FDG-

PET가 우수한 결과를 보 다 부신 이 여부에 해서도

FDG-PET는 기존의 진단방법에 비하여 우수하다는 보고가

있었고15 본 연구에서는 1명에서 부신 이가 있었으며

FDG-PET와 기존의 진단방법의 차이는 없었다

결 론

신세포암 환자의 추 찰에 있어서 기존의 추 검사방

법과 FDG-PET의 결과를 비교하 을 때 FDG-PET는 민감

도 936 특이도 971 정확도 951 kappa값 09010 기

존의 추 검사방법은 민감도 851 특이도 857 정확도

854 kappa값 07031로 FDG-PET가 우수하다 한 FDG-

PET는 한 번의 비침습 인 촬 으로 모든 장기의 정보를

한꺼번에 얻을 수가 있는 장 이 있어 기존의 병기결정 방

법을 체할 수 있다고 단하며 향후 장기 인 추 찰

을 시행하여 더 많은 증례를 통한 분석을 요할 것으로 단

한다

REFERENCES

1 Motzer RJ Bander NH Nanus DM Renal-cell carcinoma N

Engl J Med 1996335865-75

2 Delbeke D Oncological applications of FDG PET imaging

brain tumors colorectal cancer lymphoma and melanoma J

Nucl Med 199940591-603

3 Scott AM Larson SM Tumor imaging and therapy Radiol

Clin North Am 199331859-79

4 Rigo P Paulus P Kaschten BJ Hustinx P Bury T Jerusalem

G et al Oncological applications of positron emission tomo-

graphy with fluorine-18 fluorodeoxyglucose Eur J Nucl Med

1996231641-74

5 Lee SW Jo MK Lee HM Clinical role of F-18 fluorodeoxy-

glucose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for diagnosis and

770 한비뇨기과학회지제 48 권 제 8 호 2007

staging of renal tumors Korean J Urol 200445299-302

6 Flanigan RC Yonover PM Campbell SC Role of nephrectomy

in metastatic renal cell carcinoma AUA Update Series

200221242-7

7 Findlay M Young H Cunningham D Iveson A Cronin B

Hickish T et al Noninvasive monitoring of tumor metabolism

using fluorodeoxyglucose and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in colorectal cancer liver metastases correlation with tumor

response to fluorouracil J Clin Oncol 199614700-8

8 McGuirt WF Greven K Williams D 3rd Keves JW Jr

Watson N Cappellari JO et al PET scanning in head and

neck oncology a review Head Neck 199820208-15

9 Safaei A Figlin R Hoh CK Silverman DH Seltzer M Phelps

ME et al The usefulness of F-18 deoxyglucose whole-body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 for re-staging of renal

cell cancer Clin Nephrol 20025756-62

10 Ramdave S Thomas GW Berlangieri SU Bolton DM Davis

I Danguy HT et al Clinical role of F-18 fluorodeoxyglucose

positron-emission tomography for detection and management

of renal cell carcinoma J Urol 2001166825-30

11 Thrasher JB Paulson DF Prognostic factors in renal cancer

Urol Clin North Am 199320247-62

12 Thrasher JB Clark JR Cleland BP Surgery for pulmonary

metastases from renal cell carcinoma Army experience from

1977-1987 Urology 199035487-91

13 Janzen NK Laifer-Narin S Han KR Seltzer M Thomas MA

Pantuck AJ et al Emerging technologies in uroradiologic

imaging Urol Oncol 200321317-26

14 Wu HC Yen RF Shen YY Kao CH Lin CC Lee CC

Comparing whole body 18F-2-deoxyglucose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and technetium-99m methylene diphosphate bone

scan to detect bone metastases in patients with renal cell

carcinomas - a preliminary report J Cancer Res Clin Oncol

2002128503-6

15 Harrison J Ali A Bonomi P Prinz R The role of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in selecting patients with metastatic

cancer for adrenalectomy Am Surg 200066432-6

김건훈 외신세포암 환자의 추 찰을 한 FDG-양 자방출단층촬 의 임상 역할 769

우 유용하다78 최근 들어서는 PET과 CT 상을 결합하여

PET에서 이상 섭취를 보이는 병소의 정확한 해부학 치

를 악하는 데 많은 도움을 얻게 되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일반 PET 상 는 PET-CT 결합 상을 이용하 다 PET-

CT 결합 상에서 측정한 SUV는 감쇄보정 과정에서 일반

PET과는 달리 CT 상을 사용하기 때문에 일반 PET 상

에서 측정한 SUV와 다소 차이가 있다고 알려져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두 기기 간의 SUV 차이를 phantom 연구를 시행

하여 보정하 다

FDG-PET는 기존의 추 검사방법만으로 계획한 치료방

침을 변경하게 하 다 기존의 추 검사방법으로 폐 이

를 발견하지 못하고 FDG-PET에서 폐 이를 조기에 발견했

던 3명의 환자에서는 폐 이 제술을 시행하 고 기존의

추 검사방법으로 신와재발을 발견하지 못하고 FDG-PET

에서 조기에 발견했던 환자에서는 3개월 후 복부 산화단

층촬 술을 시행하여 신와재발을 확인하고 제술을 시행

하 다 기존의 추 검사방법에서 양성으로 명되었던

5부 (간 1부 신문부의 림 2부 두개골 1부 종

격동의 림 1부 )에서는 FDG-PET에서 정상 소견을 보

여 추 검사를 하기로 함으로써 불필요한 조직검사 수

술을 피하게 되었다

근치 신 출술 후 신와에 재발여부를 평가하는 데 있

어서 복부 산화단층촬 의 경우는 인 장기의 신와로의

이동 술 후 생긴 유착이나 부종 클립과 같은 인공물질 등

으로 인하여 재발 여부를 단하는 데 방해를 받게 되지만

FDG-PET의 경우에는 이러한 요인에 향을 받지 않으므로

재발 여부를 단하는 데 있어서 복부 산화단층촬 보다

우수하다 Safaei 등9은 신세포암의 근치 신 출술 후 재

발 여부의 평가에 있어 FDG-PET는 양성 조직 변화에서는

포도당 사용 정도가 낮고 악성 조직에서는 높기 때문에 재

발 여부 평가에 유용할 것이라고 하 으며 Ramdave 등10은

신세포암의 근치 신 출술 후 재발 이 여부의 평가

에 있어서 FDG-PET가 복부 산화단층촬 보다 우수하다

고 하 다 본 연구에서는 신와에 재발이 확인된 6부

복부 산화단층촬 에서 재발소견이 없었던 1부 에 해

FDG-PET에서는 재발소견을 보 고 최종 재발로 확인되었

으며 복부 산화단층촬 에서 이소견을 보 던 1부 에

해 FDG-PET에서는 재발소견을 보이지 않았다

폐 이의 경우 부분이 제가능하고 다른 부 이

병소보다는 면역요법에 다소 나은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1112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매우 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단순흉부촬 에서 이를 발견하지 못한 3

부 에 해서 FDG-PET에 의해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함으

로써 좋은 결과를 보 다 Janzen 등13은 림 의 이를

진단하는 데 산화단층촬 은 83-89의 민감도를 보이나

FDG-PET는 100의 민감도를 보여 FDG-PET가 우수하다

고 하 다 본 연구에서는 4명의 환자에서 산화단층촬

에서 신문부의 림 이 소견을 보 으나 2명의 환자에

서 양성으로 명되었으며 FDG-PET에서는 양성으로

명된 2명의 환자에서는 이소견을 보이지 않았고 나머

지 2명의 환자에서만 이소견을 보여 림 이를 진단

하는 데 FDG-PET가 산화단층촬 에 비해 우수한 결과를

보 다 Wu 등14은 골 이 병변에 해 골주사의 민감도는

775 정확도는 596 FDG-PET의 민감도는 100 정확도

100로 FDG-PET가 우수하다고 하 다 본 연구에서는 골주

사의 민감도는 625 특이도 833 정확도 714 FDG-

PET의 민감도 100 특이도 100 정확도 100로 FDG-

PET가 우수한 결과를 보 다 부신 이 여부에 해서도

FDG-PET는 기존의 진단방법에 비하여 우수하다는 보고가

있었고15 본 연구에서는 1명에서 부신 이가 있었으며

FDG-PET와 기존의 진단방법의 차이는 없었다

결 론

신세포암 환자의 추 찰에 있어서 기존의 추 검사방

법과 FDG-PET의 결과를 비교하 을 때 FDG-PET는 민감

도 936 특이도 971 정확도 951 kappa값 09010 기

존의 추 검사방법은 민감도 851 특이도 857 정확도

854 kappa값 07031로 FDG-PET가 우수하다 한 FDG-

PET는 한 번의 비침습 인 촬 으로 모든 장기의 정보를

한꺼번에 얻을 수가 있는 장 이 있어 기존의 병기결정 방

법을 체할 수 있다고 단하며 향후 장기 인 추 찰

을 시행하여 더 많은 증례를 통한 분석을 요할 것으로 단

한다

REFERENCES

1 Motzer RJ Bander NH Nanus DM Renal-cell carcinoma N

Engl J Med 1996335865-75

2 Delbeke D Oncological applications of FDG PET imaging

brain tumors colorectal cancer lymphoma and melanoma J

Nucl Med 199940591-603

3 Scott AM Larson SM Tumor imaging and therapy Radiol

Clin North Am 199331859-79

4 Rigo P Paulus P Kaschten BJ Hustinx P Bury T Jerusalem

G et al Oncological applications of positron emission tomo-

graphy with fluorine-18 fluorodeoxyglucose Eur J Nucl Med

1996231641-74

5 Lee SW Jo MK Lee HM Clinical role of F-18 fluorodeoxy-

glucose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for diagnosis and

770 한비뇨기과학회지제 48 권 제 8 호 2007

staging of renal tumors Korean J Urol 200445299-302

6 Flanigan RC Yonover PM Campbell SC Role of nephrectomy

in metastatic renal cell carcinoma AUA Update Series

200221242-7

7 Findlay M Young H Cunningham D Iveson A Cronin B

Hickish T et al Noninvasive monitoring of tumor metabolism

using fluorodeoxyglucose and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in colorectal cancer liver metastases correlation with tumor

response to fluorouracil J Clin Oncol 199614700-8

8 McGuirt WF Greven K Williams D 3rd Keves JW Jr

Watson N Cappellari JO et al PET scanning in head and

neck oncology a review Head Neck 199820208-15

9 Safaei A Figlin R Hoh CK Silverman DH Seltzer M Phelps

ME et al The usefulness of F-18 deoxyglucose whole-body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 for re-staging of renal

cell cancer Clin Nephrol 20025756-62

10 Ramdave S Thomas GW Berlangieri SU Bolton DM Davis

I Danguy HT et al Clinical role of F-18 fluorodeoxyglucose

positron-emission tomography for detection and management

of renal cell carcinoma J Urol 2001166825-30

11 Thrasher JB Paulson DF Prognostic factors in renal cancer

Urol Clin North Am 199320247-62

12 Thrasher JB Clark JR Cleland BP Surgery for pulmonary

metastases from renal cell carcinoma Army experience from

1977-1987 Urology 199035487-91

13 Janzen NK Laifer-Narin S Han KR Seltzer M Thomas MA

Pantuck AJ et al Emerging technologies in uroradiologic

imaging Urol Oncol 200321317-26

14 Wu HC Yen RF Shen YY Kao CH Lin CC Lee CC

Comparing whole body 18F-2-deoxyglucose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and technetium-99m methylene diphosphate bone

scan to detect bone metastases in patients with renal cell

carcinomas - a preliminary report J Cancer Res Clin Oncol

2002128503-6

15 Harrison J Ali A Bonomi P Prinz R The role of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in selecting patients with metastatic

cancer for adrenalectomy Am Surg 200066432-6

770 한비뇨기과학회지제 48 권 제 8 호 2007

staging of renal tumors Korean J Urol 200445299-302

6 Flanigan RC Yonover PM Campbell SC Role of nephrectomy

in metastatic renal cell carcinoma AUA Update Series

200221242-7

7 Findlay M Young H Cunningham D Iveson A Cronin B

Hickish T et al Noninvasive monitoring of tumor metabolism

using fluorodeoxyglucose and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in colorectal cancer liver metastases correlation with tumor

response to fluorouracil J Clin Oncol 199614700-8

8 McGuirt WF Greven K Williams D 3rd Keves JW Jr

Watson N Cappellari JO et al PET scanning in head and

neck oncology a review Head Neck 199820208-15

9 Safaei A Figlin R Hoh CK Silverman DH Seltzer M Phelps

ME et al The usefulness of F-18 deoxyglucose whole-body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 for re-staging of renal

cell cancer Clin Nephrol 20025756-62

10 Ramdave S Thomas GW Berlangieri SU Bolton DM Davis

I Danguy HT et al Clinical role of F-18 fluorodeoxyglucose

positron-emission tomography for detection and management

of renal cell carcinoma J Urol 2001166825-30

11 Thrasher JB Paulson DF Prognostic factors in renal cancer

Urol Clin North Am 199320247-62

12 Thrasher JB Clark JR Cleland BP Surgery for pulmonary

metastases from renal cell carcinoma Army experience from

1977-1987 Urology 199035487-91

13 Janzen NK Laifer-Narin S Han KR Seltzer M Thomas MA

Pantuck AJ et al Emerging technologies in uroradiologic

imaging Urol Oncol 200321317-26

14 Wu HC Yen RF Shen YY Kao CH Lin CC Lee CC

Comparing whole body 18F-2-deoxyglucose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and technetium-99m methylene diphosphate bone

scan to detect bone metastases in patients with renal cell

carcinomas - a preliminary report J Cancer Res Clin Oncol

2002128503-6

15 Harrison J Ali A Bonomi P Prinz R The role of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in selecting patients with metastatic

cancer for adrenalectomy Am Surg 2000664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