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33

Transcript of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 - 05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강현규

Ⅰ 서 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

Ⅱ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개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

Ⅲ 사업계획과 논리모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8

Ⅳ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middotmiddotmiddot14

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0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3

Ⅶ 맺음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8

2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국가연구개발사업은 정부의 과학기술정책 실현을 위한 수단으로 나라의

미래를 위한 투자이다 1982년 과학기술처가 추진한 특정연구개발사업을

시작으로 우리나라의 국가연구개발사업은 규모와 범위가 지속적으로

확대되어 왔다 우리나라가 세계 과학기술 상위권 국가로 발돋움하는데 견인차

역할을 하였고 우리나라의 주력산업 성장과 경제발전에 크게 기여해 왔다

과학기술 수준과 산업의 역량이 낮았던 과거에는 선진국을 빠르게 모방하는

추격형 국가연구개발사업을 통해 큰 성공을 거뒀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한 투자 확대했음에도 불구하고 과거와 같이 파급효과가 큰 성과는

보이지 않는다는 국민의 질책이 매섭다 이러한 원인은 우리나라의 국가연구개발사업이 선도형으로

기획되지 못했기 때문으로도 생각할 수 있다

추격형 시기에는 ʻ무엇을 하는가ʼʼ가 중요했으나 선도형 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ʻʻ왜 해야 하는가ʼʼ부터 고민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명확한 문제 정의와 이에 기반을 둔 사업

목표의 명확화 사업목표의 달성을 위한 연구개발활동의 구체화 활동을 위해 필요한 자원

투자 계획의 수립 연구개발 활동을 통한 산출 및 이를 활용한 성과와 파급효과까지 전 주기적인

고민을 통해 사업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사실 이러한 기획과정은 충분히 시간을 가지고 여러

주체가 참여하여 많은 토론을 거쳐야 하므로 쉬운 과정이 아니다 이해관계자가 다양할수록

이해하기 쉽고 소통에 용이한 방안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논리모형(logic-model)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본 이슈페이퍼는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 시에 유용한 논리모형을

설명하고 논리모형을 사업기획 사전평가에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기획이

충실해야 목표하는 성과를 효과적으로 도출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본 이슈페이퍼가

국가 연구개발사업의 기획역량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끝으로 본 이슈페이퍼의 내용은 필자의 개인적인 견해이며 KISTEP의 공식적인 의견이

아님을 밝힌다

2016년 5월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원장 박 영 아

3

Ⅰ 서 론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Ⅰ 서 론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한 예산 투입은 국민의 세금인 정부 재정의 지원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전제되어야 하므로 신규 사업 기획 시에 다각도의 충분한 고민이 필요함

국가연구개발사업은 정부의 과학기술 전략을 실현시키기 위한 구체화된 방안이므로

국가 과학기술정책에 기반을 두면서 충분한 고민을 통한 사업의 기획이 이루어져야 함

국가연구개발사업은 국가 전체의 파급효과를 고려하여 기획되고 추진되는 것이 바람직함

국가연구개발사업을 기획할 때에는 사업의 기획 이유부터 사업 종료 후 과학기술 경제 사회적으로 영향을 미칠 파급효과까지의 전 과정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

사업의 기획 이유부터 최종 파급효과 확산까지의 전 과정이 적절하고 합리적으로 설정이

되어야 하며 과정의 각 단계 간 인과관계에 바탕을 두고 논리적으로 설명될 수 있어야 함

사업의 전 과정을 포괄하는 논리적 연계성을 확보하기 위해 논리모형(logic model)을

활용하는 것이 좋으나 현재까지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시에는 잘 활용되지 않았음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시에 논리모형이 잘 활용되지 않았던 주된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판단됨

첫 번째는 논리모형 자체를 잘 모르거나 논리모형을 단순히 양식(template) 채우기로

인식하여 유용하지 않다고 생각하기 때문임

- 논리모형의 각 구성요소를 채우는 것도 중요하지만 논리모형의 진정한 유용성은

구성요소 간의 연계성에 바탕을 둔 논리적 흐름을 이어나기 위해 활용될 때 발휘되며

이를 통해 구상하는 사업에 대한 작동논리를 합리적으로 수립할 수 있음

두 번째는 사업의 기획 시에 우리에게 무슨 문제가 있고 어떤 문제를 우선적으로 해결

해야 하는가를 먼저 고민하고 그 문제 해결을 위해 달성해야 할 목표를 수립한 후에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해야 할 활동을 도출하는 순서로 기획하지 않았기 때문임

4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 통상적으로 단기간에 이루어지는 국내의 연구개발사업 기획에서는 ʻ무엇을 할

것인지ʼ부터 먼저 정해놓고 기획에 착수하기 때문에 논리모형을 활용할 기회와

필요가 없어짐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ex-ante evaluation) 시에도 정부 예산을 투입하기 전에

철저히 검토해야 하므로 사업의 기획배경 사업목표 투입 활동 산출 및 성과 영향까지

전 과정에 대한 분석이 필요함

정부는 예산낭비 방지 및 재정운영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2008년부터 국가연구개발

사업에도 사업계획에 대한 사전평가인 예비타당성조사1)를 실시하고 있음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를 통해 사업계획의 전반적인 작동논리를 분석함으로써

사업 추진의 필요성 및 시급성 사업계획의 충실성 및 성공가능성과 파급효과를 검토하여

정부예산 지원의 타당성 여부를 결정함

논리모형은 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에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현재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에서는 조사 대상사업의 주요쟁점 도출에 활용하고 있음

본 이슈페이퍼에서는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를 위해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는

논리모형을 설명하고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함

논리모형은 업무의 계획관리평가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수단임

논리모형 활용의 확산을 통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역량을 제고하고 사업계획의

완성도를 높여 사업의 성공가능성을 제고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함

1)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은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의 총괄수행기관임

5

Ⅱ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개요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Ⅱ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개요

1 연구개발 및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정의

연구개발의 정의

연구개발의 개념 및 범위는 일반적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 발간한 「프라스카티

매뉴얼(Frascati Manual)」을 따르고 있음

- 「프라스카티 매뉴얼(제7판)」에서는 연구개발(RampD)을 ʻ인류 문화 사회를 막론한 모든

종류의 지식을 증진시키거나 지식의 새로운 적용을 도모하기 위해 실시된 창의적이고

체계적인 작업ʼ으로 정의

우리나라에서는 연구개발활동을 ʻ지식의 축적(인간 문화 사회에 관한 지식 포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혹은 이렇게 축적된 지식을 가지고 새로운 응용을 촉진할 목적으로

체계적 토대 위에서 수행하는 창조적 활동ʼ으로 정의2)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정의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에서는 국가연구개발사업을 ʻ중앙행정기관이

법령에 근거하여 연구개발과제를 특정하여 그 연구개발비의 전부 또는 일부를 출연하거나

공공기금 등으로 지원하는 과학기술 분야의 연구개발사업ʼ으로 정의

- 국가연구개발사업은 보통 다수의 연구과제(project)나 내역사업으로 구성됨

- 2014년도에는 605개 세부사업 53493개의 세부 연구과제가 추진됨3)

2) 미래창조과학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5) 2014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3) 미래창조과학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5) 2014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보고서

6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2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은 국가연구개발 목표 설정 및 국가의 자원배분을 설계하는

정책기획과 추진 중 또는 종료된 사업의 성과를 검토하는 연구평가의 중간단계에 해당함

국가연구개발사업은 정책기획에서 도출된 공통된 목표를 지향하는 활동들이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구체적으로 표현된 것임

기술적 목표와 도달 방법을 제시하거나 목표 달성을 위한 요구사항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거나 성공적인 연구관리 방법을 제시하는 등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구체화를 위한

사항은 다양함

국가연구개발사업은 세부적인 과제 도출을 통해 구체화하여 기획되는 것이 바람직함

국가연구개발사업은 본래 정부의 역할을 타 주체가 대행하여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므로

사업계획이 추상적인 관념이나 철학이 아니라 구체적으로 제시될 필요가 있음

이는 법4)에서 연구개발과제를 특정해야 한다고 표현되어 있으며 과제란 연구지원에

대한 과제(project) 뿐만 아니라 연구 장비시설을 도입하거나 구축하는 과제 등이 모두

포함될 수 있고 이러한 과제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구체화되어 특정될 수 있음

- 과제란 국가연구개발사업에서 정부를 대행하는 주체가 수행하여야 하는 활동 등이

객관적으로 구체화된 실체를 의미함

4)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

7

Ⅱ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개요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방법에 대해 정부는 규정을 통해 명시하고 있음

성공가능성이 높은 충실한 사업의 기획을 위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

제4조(사전조사 및 기획) 제1호에서는 ʻ중앙행정기관의 장은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려는 경우에는 그 사업의 기술적경제적 타당성 등에 대한 사전조사 또는 기획

연구를 수행ʼ할 것을 명시하고 있음

정부는 신규 사업의 사전기획을 의무화5)하는 등 RampD기획의 강화를 추진하고 있음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을 위한 구성요소에 대한 획일적인 기준은 없으나 구체화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안에는 다음과 같은 사항들이 포함되어야 함6)

- 사업의 목표 세부추진내용 및 추진체계

- 다른 중앙행정기관의 소관 업무와 관련되는 사항에 대한 조정방안(해당 사항이 있는

경우만 해당)

- 사업의 평가계획

- 필요한 자원의 규모 및 인력 확보방안

- 정부지원의 타당성 검토 결과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방안 및 기대효과

- 국내외 특허 동향 기술 동향 표준화 동향 및 표준특허 동향

5) 국가과학기술위원회 (2011) 정부RampD 투자 효율화 추진계획

6)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 제4조 제7항

8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Ⅲ 사업계획과 논리모형

사업(program)이란 특정한 배경 하에서 특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여러 가지 자원을

투입하고 관련된 활동을 수행하여 산출물과 성과를 생성하는 일련의 작업임

대규모 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이슈문제 목표 대상 투입 활동 및

전략 운영평가체계 산출 및 성과 등이 포함된 사업계획을 수립해야 함

사업계획은 사업이 기획된 대로 시행된다면 의도하는 결과가 달성될 것이라는 일종의

가설임

- 따라서 잘 수립된 사업계획은 왜 해당 사업을 추진하여야 하며 사업이 무엇을

달성하고자 하고 어떻게 달성할 것이고 어떤 활동을 수행하여 어느 정도의 성과를

창출하고 그 성과를 어떻게 측정하고 평가할 지에 대해 충분한 정보를 포함해야 함

사업계획을 검토하는 평가자는 사업계획을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사업의 가설을 분해하기 위해

논리모형을 사용할 수 있음

- 사업계획에 대한 논리모형을 수립함으로써 평가자는 해당 사업의 기획주체가 생각하는

사업의 작동 메커니즘을 이해할 수 있음

논리모형은 각종 사업의 기획 관리 평가에 적용되는 방법 중 하나이며 어떻게 사업을

추진할 것인지를 나타낸 개념도로 정의할 수 있음7)

논리모형은 사업의 작동과 관련된 항목 간의 논리적 연관성을 보여주는 모델로서 사업

관련 활동과 결과가 최종목표에 어떻게 연계되는지를 보여줄 수 있음

논리모형은 사업을 작동시키는 투입자원 활동 그리고 달성할 변화나 결과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고 관계자들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한 체계적이고 시각적인 방법임

7) WK Kellogg Foundation (2004) Logic Model Development Guide

9

Ⅲ 사업계획과 논리모형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논리모형은 사업에 대한 개념 정립 기획 관리 평가 및 다른 사람과의 소통에 유용한

도구이며 사업의 작동 메커니즘 및 기대되는 성과를 다른 사람에게 설득하는 기본 근거가

될 수 있음

논리모형을 활용하여 사업을 분해함으로써 사업의 필요성 세부활동 및 전략 기대성과

산출 시기 수행주체 및 수행처 투입자원 산출의 종류와 규모 그리고 사업결과를 활용한

성과 등을 설명할 수 있음

논리모형은 사업의 생애(기획 실행 평가) 전 과정에 사용될 수 있는 유용한 관리 및 평가

도구임

정부에서도 이해관계자의 사업에 대한 이해를 돕고 성과목표 및 성과지표 설정에

활용하기 위해 사업 분석 시 논리모형의 활용을 권고하고 있음8)

논리모형은 사업의 기획단계 실행단계 그리고 평가단계에서 각각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

기획단계의 논리모형은 사업설계상의 오류와 사업 추진논리 간 괴리(gap)를 발견하는데

유용하며 사업의 작동 가능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줌

- 이를 통해 사업이 무엇에 관한 것인지 각 부분들이 어떻게 함께 작동하게 되는지에 대해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줌

- 이 단계에서의 논리모형은 사업의 설계와 기획에 영향을 주는 변화의 분석을 강조하는

이론접근모형(Theory approach model)이 주로 적용됨

사업 실행단계에 초점이 맞추어진 논리모형은 계획 관리의 핵심 도구로 활용될 수 있으며

사업을 관리하고 개선하기 위하여 필요한 자료를 파악하고 수집하는 데에 도움이 됨

- 이 단계에서는 주로 사업의 활동과 결과가 연결되는 지점에 초점을 두며 산출물을

명확히 파악하여 성과 분석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음

- 이 단계에서는 논리모형 중 집행과정의 세부적인 내용에 가장 주의를 기울이는 활동

접근모형(Activity approach model)이 활용됨

8) 미래창조과학부 (2013) 국가연구개발사업 표준성과지표 ndash 성과목표지표 설정 가이드라인

10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사업 평가단계에서는 공정하고 객관적인 평가와 이를 위한 정보제공이 필요하므로 성과

접근모형(Outcome approach model)이 적용됨

- 이 모형은 투입-활동-결과-성과-영향 사이의 논리적 개연성과 단계별 가정의 유효성을

확인하여 성과를 도출하기 위한 사업의 원활한 작동 가능성을 점검하는데 유용함

논리모형의 형태가 정형화된 것은 없으며 정보의 종류와 수준에 따라 기본항목으로

구성된 모형부터 세부적으로 구체화된 논리모형까지 다양한 형태로 구성이 가능함

사업의 추진단계 및 활용목적에 따라 강조하려는 사항이 다르므로 필요에 따라 다른

형태의 논리모형을 구성할 수 있음

lt그림 1gt과 같은 형태의 논리모형은 사업의 기획단계 및 사전평가 시 사업의 추진당위성

파악에 유용한 형태의 논리모형임

- 동 논리모형은 사업의 추진과정과 결과보다는 사업의 추진논리를 중점적으로 기술

- ʻ문제이슈(ProblemIssue)ʼ 항목에서는 연구개발사업을 통해 해결하거나 대처하고자

하는 문제를 설명

- ʻ사회적 수요자산(Community NeedsAssets)ʼ 항목에서는 문제이슈 관련 수요와

이의 해결을 위해 활용 가능한 사회적인 자산을 서술

- ʻ희망하는 결과(Desired results)ʼ 항목에서는 연구개발사업이 실행된다면 단기장기적으로 달성하고자 하는 것을 서술

- ʻ영향요인(Influential factors)ʼ 항목에서는 사회의 변화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생각하는

요인들 예를 들어 우호적 요인 또는 위험 요인 정책 환경 기타 요인 등을 열거

- ʻ전략(Strategies)ʼ 항목에서는 사업을 통해 희망하는 결과의 달성에 도움이 될 성공전략

또는 모범사례(best practice)를 기술

- ʻ가정(Assumptions)ʼ 항목에서는 전략이 어떻게 작동할 것인지에 관한 가정을 서술

11

Ⅲ 사업계획과 논리모형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lt그림 1gt 논리모형의 사례 1

출처 WK Kellogg Foundation (2004) Logic Model Development Guide

lt그림 2gt~lt그림 4gt와 같은 형태의 논리모형은 사업의 추진과정 및 결과를 보여줄 수 있는

기본적인 논리모형들로서 사업의 작동과정 분석에 유용함

- ʻ투입ʼ 항목에서는 활동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자원을 기재

- ʻ활동ʼ 항목에서는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수행할 활동을 서술

- ʻ산출ʼ 항목에서는 사업의 추진 중 또는 종료 시 창출할 것으로 기대하는 산출물을 기재

- ʻ성과ʼ 항목에서는 사업이 종료된 후의 변화를 기술하며 필요시 사업 종료 직후와 5~6년

이내의 중기로도 구분하여 기술할 수도 있음

- ʻ영향ʼ 항목에서는 사업이 종료된 후 장기적으로 발생될 것으로 예상하는 변화를 기재

12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lt그림 2gt 논리모형의 사례 2

출처 WK Kellogg Foundation (2004) Logic Model Development Guide

lt그림 3gt 논리모형의 사례 3

출처 McLaughlin JA and Jordan GB (2010) ldquoUsing Logic Modelsrdquo Handbook

of Practical Program Evaluation(Third Edition)

13

Ⅲ 사업계획과 논리모형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lt그림 4gt 논리모형의 사례 4

출처 노화준 (2008) 정책평가론

lt그림 1gt의 논리모형과 lt그림 2gt~lt그림 4gt의 논리모형을 결합하면 사업의 추진논리와

함께 추진과정 및 결과를 함께 볼 수 있는 논리모형을 구성할 수 있음

- 이러한 아이디어에 바탕을 두어 본 이슈페이퍼의 4장에서 설명할 논리모형이 개발됨

14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Ⅳ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Ex-ante evaluation)인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

에서는 사업계획의 쟁점사항 도출을 위한 핵심 도구로서 논리모형을 개발하여 활용하고

있음

관련 문헌들과 기존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 사례를 바탕으로 활용하기 용이한

논리모형을 개발하여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제2판)에 수록

본 논리모형은 이론접근모형과 성과접근모형을 결합한 형태로서 수직적으로는(상하

방향) 사업 추진에 대한 논리의 흐름을 수평적으로는(좌우 방향) 사업의 추진과정을

나타내도록 하여 이해하기가 용이함

- 제시된 논리모형은 정형화된 것은 아니며 사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논리모형을

변형하여 활용할 수 있음

사업계획의 평가자는 사업계획을 충분히 파악하고 이해한 후 논리모형을 작성하여야 함

- 논리모형 작성 시 주의할 점은 논리모형의 각 항목의 내용은 대상사업에 대한 평가자의

생각이 아니라 사업 기획주체의 의도와 논리를 담아야 함

논리모형이 작성된 이후에는 작성된 논리모형의 각 항목별 적절성과 항목 간 논리 흐름상의

오류나 괴리가 없는지 분석하여 주요 쟁점사항을 도출한 후 세부적으로 분석을 수행

사업의 기획단계에서도 본 논리모형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음

15

Ⅳ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를 위해 개발된 논리모형의 구조와 각 항목별로 다루어지는

내용 및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음

1 이슈 문제

ㅇ사업 추진의 필요성을 설명할 수 있는 배경요인 과학기술적 산업적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국가적 수요와 도전과제 등

ㅇ해당 사업을 통해 해결하거나 대처하고자 하는 문제나 이슈ㅇ해당 사업 분야와 관련된 정책 다른 연구개발사업 및 과제의 현황 미래 예측 기술과 시장의 동향 및 전망 전문가

설문 통계 및 조사 데이터 등도 활용ㅇ사업을 추진하지 않을 경우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문제나 잃게 되는 기회는 무엇인가ㅇ이슈문제 해결을 위해 연구개발사업 이외의 대안전략은 없는가

2 목표 3 수혜자

ㅇ해당 사업의 추진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사업의 핵심 성과 - 문제 해결 정도의 측정이 가능하도록 정량적 성과지표 제시

ㅇ사업목표 달성이나 사업의 산출로 인해 직접적인 이익을 얻는 주체

4 투입 5 활동 6 산출 7 성과 영향

ㅇ연구개발활동에 필요한 모든 자원

- 사업비 - 인적 자원 - 시설 및 장비 - 연구주체 지식

ㅇ목표를 달성하고 산출 발생을 위해 수행하는 연구개발 활동

ㅇ연구개발활동에 의한 직접적인 결과물 - 기술 정보 제품

데이터 서비스 논문 특허 등

- 산출물의 수량 규모 범위 등을 정량적으로 제시

ㅇ사업을 통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의도된 결과나 변화

ㅇ성과의 확산으로 인해 미래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직간접적 변화 및 파급효과

8 가정

ㅇ사업 추진 시 단계별로 발생할 상황과 변화에 대한 기대나 예측 - ldquo~~하면 ~~할 것이다rdquo로 표현되는 가정문(if-then)을 주로 사용ㅇ사업의 성공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외부요인 환경 조건 법 규정 원칙 믿음 위험

lt그림 5gt 연구개발사업의 쟁점사항 도출을 위한 논리모형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4) 연구개발부문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제2판)

16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983729 이슈문제 (IssueProblem)

이슈문제는 해당 연구개발사업을 기획하게 된 배경을 설명하고 사업의 추진당위성을

부여하는 항목

동 항목에서는 대상사업과 관련된 분야에서 어떠한 이슈나 문제가 존재하며 이러한

이슈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연구개발사업의 추진이 가장 효과적인 전략인지를

설명할 수 있어야 함

- 이를 위해 해당 사업의 필요성을 설명할 수 있는 배경요인(contextural factor)이 기술

되어야 하며 배경요인들에는 과학기술적 산업적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국가적

수요와 도전과제 등이 포함됨

사업에서 대처하려는 이슈나 문제가 여러 가지 요인들로 인해 복잡하다면 해당 사업과

연관성이 가장 높고 중요한 요인들로 압축하여 선정해야 함

- 이러한 문제 정의 과정을 통해 사업에서 추구하려는 목표를 명확히 설정할 수 있음

정부부처에서 제안하는 대부분의 연구개발사업은 특정 세부분야를 대상으로 하므로

광범위한 연구분야나 산업분야의 일반적이고 진부한 이슈문제를 제시하는 것보다는

사업에서 제안하는 세부분야의 특성과 현황에 기반을 둔 구체적이고 핵심적인 이슈

문제를 선정하여 강조하여야 설득력을 확보할 수 있음

사업의 필요성을 설명하기 위해 사업의 분야와 관련된 정책과 연구개발사업 및 과제의

현황 미래 예측 기술과 시장의 동향 및 전망 전문가 설문조사 통계 및 조사 데이터를

적극 활용하는 것이 좋음

제안된 연구개발사업 이외에 도출된 이슈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다른 대안이나 전략이

없는지도 고려할 필요가 있음

해당 사업계획에 대한 평가자는 사업 기획주체가 제시한 문제 정의가 적절한지를

분석함으로써 사업 추진당위성이 확보되었는지를 평가

17

Ⅳ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983730 목표 (Objective)

목표는 해당 사업의 추진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사업의 핵심 성과를 의미함

목표는 해결하고자 하는 이슈문제와 관련이 있어야 하며 해당 사업을 통해 그 이슈

문제가 해결될 수 있어야 함

- 즉 사업목표는 해당 사업을 통해 이슈문제가 어느 정도로 해결될 수 있는지 측정이

가능하도록 정량적으로 제시되어야 함

목표는 구체적이어야 하며(Specific) 측정 가능해야 하고(Measurable) 달성 가능해야

하며(Achievable) 이슈 및 연구개발활동과 연관이 있고(Relevant) 기한이 정해진

(Time-bound) 것이어야 함(SMART)9)

- 목표는 사업이 달성하고자 하는 바를 의미하므로 ① 이슈문제 및 ⑦ 성과영향과

연계하여 분석

목표는 구체성과 계측가능성을 기준으로 볼 때 목적과는 구분되는 개념임

- 사전적인 의미에서 목적(目的)은 ʻ실현하려고 하는 일이나 나아가는 방향ʼ이며 목표

(目標)는 ʻ어떤 목적을 이루려고 지향하는 실제적 대상으로 삼음 또는 그 대상ʼ을 뜻함

- 즉 목적은 추상적이고 방향과 의도를 함축하는데 반하여 목표는 구체적이고 범위가

제한적이며 일반적으로 측정 가능한 수치로 표현됨

983731 수혜자 (Beneficiary)

사업으로 인해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이해관계자는 여러 유형이 있을 수 있으나

수혜자10)는 사업목표와 접한 관련이 있어야 함

9) HM Treasury (2011) The Green Book Appraisal and Evaluation in Central Government

10) 예비타당성조사에서의 수혜자는 사업 추진을 통해 자금을 지원받는 주체가 아니라 사업목표 달성이나 사업의 산출로

인해 직접적인 경제적 이익을 얻는 주체를 의미하며 경제성 분석은 이 수혜자가 얻게 되는 직접적인 경제적 편익을

기준으로 분석함

18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983732 투입 (Input)

투입은 연구개발활동에 필요한 모든 자원을 의미

- 투입의 기본 항목은 재정적 자원과 인적 자원이며 연구시설middot장비 연구수행주체 관련

지식 등이 투입에 해당

- 해당 사업에서 활용될 기존 사업의 산출과 성과도 투입에 포함될 수 있음

사업이 충실하게 기획되면 희망하는 결과를 얻기 위한 최소의 물량규모가 정량적으로

산출될 수 있음

- 실무적으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에서 투입에 해당하는 물량규모는

총사업비라는 형태로 표현됨

983733 활동 (Activity)

국가연구개발사업에서의 활동은 목표를 달성하고 산출을 발생시키기 위해 수행하는

연구개발활동에 초점을 맞추어야 하며 연구개발에 인접한 활동은 연구개발예산 편성

기준에 부합하는지의 여부에 초점을 맞추어야 함

일반적으로 OO기술 개발 OO연구기반 구축 등이 큰 범위의 연구개발활동이 되며 각

연구개발활동은 요소기술 개발 등의 세부 연구개발활동으로 세분화될 수 있음

983734 산출 (Output)

산출은 연구개발활동을 통한 직접적인 결과물을 의미하며 각 활동별로 하나 이상의

산출이 존재할 수 있음

일반적으로 연구개발활동으로 개발된 기술 정보 데이터 제품 서비스 등이 해당되며

이 각각의 산출물은 정량적으로 수량 규모 범위 등이 제시되어야 함

- 기초연구사업에서 개발된 기술에 대한 논문과 특허도 산출물에 해당

19

Ⅳ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983735 성과영향 (OutcomeImpact)

성과는 사업의 목표와 접한 관련이 있으며 사업 추진에 따른 변화나 사업결과

(output)의 활용을 통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의도된 결과이며 영향은 성과의

확산으로 인해 미래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직간접적 변화 및 파급효과를 의미

- 일반적으로 연구개발사업의 단계 구분이나 관련 문헌에서 제시된 논리모형에서는

성과와 영향을 별도 항목으로 고려하기도 하지만 사업의 착수 전에 수행되는 사전

평가에서 성과와 영향을 구분하여 검토하는 것은 실효성이 낮으므로11) 성과와 영향을

종합하여 검토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의 경제성 분석은 국가연구개발사업으로 인한 직접적인

경제적 성과를 추정하는 것임

983736 가정 (Assumption)

사업계획은 그 자체가 기획된 대로 수행하면 기대하는 결과가 생성될 것이라는 가설이며

가정은 사업의 유효성에 대한 믿음임

가정은 사업 추진 시 논리모형의 각 항목별로 발생할 상황과 변화에 대한 기대나 예측을

의미

가정은 사업 수행에 직접적으로 관련 있는 것으로 한정되어야 하며 사업의 성공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외부요인들도 가정에 포함될 수 있음

- 이러한 외부요인으로는 환경 조건 법 규정 원칙 한계 믿음 위험 등이 될 수 있음

11) 사업으로 인한 성과와 영향은 종료평가와 추적평가를 통해 구체적인 평가가 가능함

20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사업계획은 적절한 기획을 통해 도출되어야 하며 기획과정 중에 논리모형을 통해

논리적인 비약을 배제함으로써 사업계획의 합리성을 확보할 수 있음

기획은 최적의 수단으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미래에 취할 행동을 위한 일련의

결정을 준비하는 계획적 과정임

충분한 고민과 의견 수렴을 통해 기획이 잘 이루어지면 사업 추진과 결과의 부실화를

미연에 방지하고 성공가능성을 높일 수 있음

논리모형은 기획과정의 각 시점에서 그 당시까지 구체화된 항목을 하나하나 채워나감

으로써 가시적인 논리의 확인과 기획참여자들 간의 소통과 이해 및 의견 수렴에 유용함

사업의 기획이 완료된 후에는 완성된 논리모형을 예산당국 주무부처와 같은 이해

관계자와 사업계획 평가자에게 제시하여 사업의 거시적인 작동논리를 이해시키고 예산

확보를 위해 설득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음

사업의 착수시점에 해당 사업에 대한 체계화된 정보가 없을 경우에는 후속관리가

부실화되기 쉬우므로 사업계획의 충실한 수립은 매우 중요함

전반적인 추진논리를 확보하기 위해 바람직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절차는

lt그림 6gt과 같이 제시될 수 있음

21

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lt그림 6gt 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정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4) 연구개발부문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제2판)

사업을 기획하기 위해서는 우선 대규모 신규 사업의 추진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이슈

또는 문제가 무엇인지 먼저 파악되어야 함

- 동향조사 예측조사 설문조사 인터뷰 통계분석 등 다양한 분석방법을 통해 적절한

범위 내에서 이슈문제를 식별한 후 기획 의도를 고려한 합리적인 평가기준을 적용하여

사업에서 집중하고자 하는 문제를 선택해야 함

- 선택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연구개발사업이 세금 자금 인력 지원 등 다른

대안과 비교할 때 가장 효율적인 방법인지 검토되어야 함

정부의 연구개발사업 추진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가 정의되면 사업을 통해 얻고자 하는

성과가 무엇인지 구체적이고 객관적으로 제시해야 함

- 이를 위해서는 사업의 성과물이 전달되는 수혜 대상이 명확히 정의되어야 함

사업목표가 설정되면 이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추진체계와 추진전략이 수립되어야 함

22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 추진체계는 다양한 참여주체의 분석을 통해 적절한 역할과 조정 협력관계 등을

조직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함

- 추진전략은 사업 및 기술 환경의 특성 분석을 통해 목표 달성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연구개발전략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함

세부과제의 구성을 완료하여 사업기간과 총사업비 그리고 필요한 장비와 시설 등 신규

구축할 인프라의 규모를 도출함

- 세부과제는 기본적으로 사업목표와 직접적으로 연계되어야 함 즉 세부과제가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사업목표가 달성될 수 있도록 구성할 필요

- 기술수요조사와 시설장비수요조사와 같은 시장이나 사회적 수요를 반영한 후보과제를

도출한 후 사업목표의 달성을 위한 전략적 방향을 고려한 기준과 가중치가 적용된

우선순위 선정절차를 거치는 것이 바람직함

- 선정된 세부과제는 목표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적절한 단위의 세부활동을 구성하고 사업

추진상의 기술개발 로드맵을 수립하며 각각의 세부 성과지표를 구체화함

- 세부활동이 구체화되면 활동별로 수행을 위한 비용 기간 조직 인프라 등의 자원 소요계획이

확립되며 이를 종합하여 전체 사업의 추진을 위해 필요한 투입자원의 총량을 도출함

수립된 사업계획 초안의 문제 정의 사업목표 설정 추진체계 및 추진전략 수립 세부과제

구성에 대한 재검토 및 보완을 통해 기획을 완료함

- 현실적으로 기획과정에서 모든 정보를 완벽하게 수집하고 분석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신규로 제안되는 사업과 유사한 선행사업이 없어 과거 사례의 참조에도 한계가 있을 수 있음

- 사업의 내용은 기획이 진행되면서 시간의 흐름과 함께 점진적으로 구체화12)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환류(feedback) 과정을 거쳐 사업계획을 보완하는 것이 중요함

- 환류 과정을 진행하기 전에 현재까지 기획된 사업계획에 대한 논리모형을 구성하여

전반적인 사업의 작동논리가 설득력 있게 기획되었는지 확인하고 환류 과정을 통해

보완된 사업계획에 대한 논리모형도 검토하는 것이 바람직함

12) PMI (2000) PMBOK Guide

23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가상의 사례를 통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을 설명하고자 함

lt그림 7gt은 가상의 국가연개구발사업에 대해 작성된 논리모형임

1 이슈 문제

ㅇ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시장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나 정부의 투자는 산발적이고 일회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해외 의존도가 증대되고 있음

- 클러스터 형태의 실증사업 추진 필요

ㅇ A 융합기술ʼ 분야의 생태계 조성과 연계하고 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 클러스터를 구축하고 Z지역의 산업지역발전의 거점 역할을 하도록 할 필요

2 목표 3 수혜자

ㅇ ʻA 융합기술ʼ 신산업 허브 구축

- ʻA 융합기술ʼ 신산업 창출 선도 및 발전 기반 구축

- 지역거점형 ʻA 융합기술ʼ 실증사업 중심 산업화 지원

- ʻA 융합기술ʼ 산학연 협력 및 비즈니스 협업체계 구축

ㅇA 융합기술 분야 기업

ㅇ국민공공기관

4 투입 5 활동 6 산출 7 성과 영향

ㅇ사업비 OO억 원

ㅇ연구인력

ㅇ ʻA 융합기술ʼ 통합

센터 구축

ㅇ실증사업

- B C D E 4개

산업 분야

ㅇB C D E 등 4개

산업 분야

ʻA 융합기술ʼ 시스템

ㅇ ʻA 융합기술ʼ 기반

융합산업의 생산성

증대

ㅇZ지역의 지역경제

발전

8 가정

ㅇ ʻA 융합기술ʼ 신산업 강화는 국가 발전의 원동력으로 작용할 것임

ㅇ지역 착형 거점 구축을 통해 기술발전을 선도하고 관련 산업 육성을 도모하며 지역산업 활성화를 도모할 것임

lt그림 7gt 가상의 사업계획에 기반한 논리모형 작성의 사례

24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사업에 대한 사전평가에서 논리모형은 사업의 거시적인 작동논리의 분석을 통해 주요

쟁점을 도출하기 위해 활용됨

논리모형에는 사업계획의 핵심 내용만 기재되므로 논리모형 분석은 세부내용의 상세한

적부 분석이 아닌 이슈 목표 활동으로 이어지는 사업의 주요 작동논리 분석과 세 항목 간의

논리적 연계성 분석이 주로 이루어짐

시장 수요나 전망 현장의 이슈를 고려하지 않고 적절한 기획과정도 거치치 않은 채 소수의

기획주체가 ʻ하고 싶고 할 수 있는ʼ 과제를 먼저 선정해 놓고 사업을 기획하여 전체적인

사업 작동논리가 부실한 경우가 많으므로 이러한 쟁점 여부의 파악을 위해 활용함

가상의 사업계획에서 제시한 이슈(983729)는 신규 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는 이유를 설명하는

문제 정의로서 적절치 않음

최근 2~3년전부터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다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들이 다수 착수되어

추진되고 있으므로 산발적일회적이라는 주장은 사실과 다름

ʻA 융합기술ʼ 분야는 현재 국내 기업에서 사업화를 추진 중인 분야이고 기업들의 기술 수준도

상대적으로 높으므로 해외의존도를 언급하는 것은 부적절함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시장이 확대될 것이라는 예측은 적절하지만 이러한 내용은 누구나

알고 있는 일반적인 사항이며 동 사업 내에서 실증을 하고자 하는 세부 산업 분야(B C

D E 산업)에서의 ʻA 융합기술ʼ의 시장 동향 전망과 데이터에 근거한 분석은 이루어지지

않음

대형 실증사업 추진을 위해서는 사업의 성과에 대한 구체적 근거 마련을 위해 사전 연구나

조사를 통한 성과 데이터의 구축이 필요하나 실증사업의 추진 필요성과 유효성을 설명

할 수 있는 근거자료가 부재함

Z지역에는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연구 및 산업기반이 국내에서도 상대적으로 미약하여

산업 클러스터가 형성될 가능성이 낮고 국가적인 차원의 활용도 관점에서 해당 지역에의

거점 구축의 당위성은 낮음

25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기획의 Tip

국가적인 차원에서 연구개발사업을 통해서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를 구체적이고 명확히 정의

- 현재 또는 미래에 어떤 문제가 있거나 발생할 것이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

개발사업을 구상하게 되었는지 제시

-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광범위한 이슈의 제기는 무의미

- 국내외의 각종 통계 보고서 정책자료 시장보고서 전문가 및 실무자 인터뷰 등 근거자료를

통해 구체화되고 특정화된 문제를 제시

- 특정 주체나 지역이 아닌 국가적인 차원의 문제를 제시해야 하며 해당 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지 않으면 국가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나 잃게 되는 기회가 무엇인지를 설명

- 지역기반 구축은 국가적인 필요성과 함께 전국에서 해당 지역이 기반 구축의 최적지임을

입증할 수 있는 근거가 필요

사업목표(983730)를 제시하였으나 선언적인 내용에 불과하며 성과지표의 구체화가 미흡하여

문제 해결 정도를 측정하기 어려움

동 사업에서는 광범위한 ʻA 융합기술ʼ의 적용 분야 중 소수의 분야만을 다루는 반면

사업목표는 사업 내용에 비해 지나치게 일반적이고 광범위하게 수립됨

동 사업은 상호 연관성이 낮은 여러 세부사업을 단일 사업 내에 포함시켜 전체 사업 수준의

거시적인 성과목표 제시가 어려운 한계가 있음

앞서 각 세부사업별로 해당 산업 분야의 문제 정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사업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와 성과가 불문명하며 이에 따라 성과지표를 정량적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하여 목표 달성 여부의 측정방법도 불분명함

26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기획의 Tip

관리 가능성의 관점에서 사업목표는 SMART하게 제시

- 구체적이고(Specific) 측정가능하며(Measurable) 달성가능하고(Achievable) 문제 활동과 연관성이 있으며(Relevant) 시간제약이 있도록(Time-bound)가 있도록 수립

해결해야 할 문제(983729)와 사업목표(983730) 간에 괴리가 존재하여 둘 간의 연계성은 미흡함

해결해야 할 이슈로 제시한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일반적인 문제들을 사업목표로 제시한

지역 착형 사업을 통해 해소하고자 함은 연계성이 낮음

문제 정의 자체가 세부 산업분야별 시장 전망 또는 현장의 이슈 분석을 통해 구체적으로

도출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를 해소하기 위해 달성할 사업목표의 설정도 어려운 한계가

있으며 동 사업의 추진으로 국내외에서 어느 정도의 성과를 거둘 수 있을지도 예상할 수

없음

제시된 4가지 실증사업은 공공 영역부터 민간의 사업화가 활발한 영역까지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어 시너지 효과 창출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됨

기획의 Tip

사업목표의 범위는 제시된 이슈문제의 범위와 일치해야 하며 사업목표를 달성하면 이슈문제가 어느 정도 해결되는지를 보여줄 수 있도록 사업목표를 수립

세부 실증사업을 통해 개발될 제품(시스템)의 사용자(구매자)까지 수혜자로 포함시켜

수혜자(983731)의 표적화가 부적절함

동 사업을 통해 제품을 개발하여 사업 종료 후 해당 제품의 판매를 통해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할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기업들이 동 사업의 직접적 수혜자임

27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동 사업은 A 융합기술ʼ 분야의 실증을 통한 시스템 개발로 종료되며 제품을 최종사용자

에게까지 보급하는 것은 사업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여러 단계 이후의 최종사용자를

동 사업의 수혜자로 제시하는 것은 부적절함

기획의 Tip

사업목표와 범위에 맞는 수혜자를 제시

- 성과확산단계에 따라 수혜자를 구분하여 제시할 수는 있으나 사업성과를 통해 직접적 경제적

수혜를 받는 주체만 경제성 분석의 대상이 됨

세부활동(983733)은 사업목표(983730)와 개념적으로는 일부 연계성이 있음

산업 분야에 A 융합기술ʼ의 접목하기 위한 실증사업의 추진이 동 사업의 주요 내용이므로

관련 신산업을 창출하고자 하는 사업의 목표와는 개념적으로 연계성이 있음

B C 분야는 사업목표와 관련성이 있고 구축되는 통합센터와 정보 공유도 가능할 것이나

D E 분야는 독립적이며 사업목표와의 연계성도 낮아 동일 사업 내에서 추진할 필요성

및 통합센터 구축의 필요성도 모호함

기획의 Tip

세부활동(세부사업 또는 과제)을 수행하면 제시된 사업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세부

활동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문제 해결 및 사업목표 달성과 연관성이 낮은 활동은 제외

- 사업목표 달성과 관련 없는 과제의 포함 불요불급한 시설 및 장비의 구축 필요 이상으로 부풀린

사업비의 요구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는 주요 요인임

이 외의 항목들은 거시적인 작동논리나 연계성에 대한 검토보다는 세부내용의 적부 분석을 수행함

투입(983732)과 산출(983734)은 활동의 상세한 분석을 통해 적절성을 분석

성과영향(983735)은 사업목표와 활동 산출의 상세한 분석을 통해 적절성을 분석

가정(983736)은 별도의 분석보다는 이슈 목표 활동과 연계하여 분석

28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Ⅶ 맺음말

사업의 직접적인 이해관계자는 해당 사업의 긍정적인 측면만 생각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사업 기획주체는 신규 사업의 기획 시 객관적인 시각에서 사업계획을 조망하고 보완하기 위해

논리모형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ʻ왜 해야 하는지ʼ ʻ어떠한 결과를 내려고 하는지ʼ ʻ무엇을 어떻게 하려고 하는지ʼ가

논리적으로 연계가 되어 설득력을 확보해야 함

사업의 착수 전에 문서뿐인 사업계획서를 분석하여 사전에 평가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나

논리모형을 활용한 사업의 작동논리와 추진과정의 객관적인 분석을 통해 기획단계의

오류로 인한 사업의 부실화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

제도적인 측면에서 평가결과의 일관성 확보를 위해 사전평가의 방법으로 논리모형

분석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함13)

본 이슈페이퍼에서는 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을 설명

하였으며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추진단계 및 종료단계에 적절한 논리모형의 개발 및 활용도

고려할 필요

사업 추진 중의 사업관리 또는 중간평가 시에는 투입 rarr 활동 rarr 산출 등 사업 추진과정을

확대하여 집중적으로 분석하는 특히 활동을 더 세부적으로 구분한 논리모형이 필요함

- 사업별 특성에 부합하도록 단계별 연차별 세부과제(기술)별로 마일스톤이 포함된

논리모형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는 사업 추진 로드맵을 포함하는 형태가 될 것임

사업 종료 시의 성과확산 전략 수립이나 종료평가 또는 그 이후의 추적평가 시에는 산출

rarr 성과 rarr 영향의 사업성과 확산과정을 집중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논리모형을 구성할 수 있음

- 성과의 확산은 해당 연구개발사업 이후에 이루어지므로 동 논리모형의 구성은 성과의

극대화를 위한 성과확산사업의 기획과정으로도 볼 수 있음

논리모형 활용의 확산을 통해 국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역량을 제고하고 사업계획의

완성도를 높여 사업의 성공가능성을 제고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함

13)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에서는 이를 필수적으로 활용하도록 하고 있음

29

참 고 문 헌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 고 문 헌

국가과학기술위원회 (2011) 정부RampD 투자 효율화 추진계획

노화준 (2008) 정책평가론

미래창조과학부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 대통령령 제26729호

미래창조과학부 (2013) 국가연구개발사업 표준성과지표 ndash 성과목표지표 설정 가이드라인

미래창조과학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5) 2014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보고서

미래창조과학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5) 2014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4) 연구개발부문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제2판)

HM Treasury (2011) The Green Book Appraisal and Evaluation in Central Government

McLaughlin JA and Jordan GB (1999) ldquoLogic models a tool for telling your programrsquos

performance storyrdquo Evaluation and Program Planning 22 65~72

McLaughlin JA and Jordan GB (2010) ldquoUsing Logic Modelsrdquo in Joseph S Wholey

Harry P Hatry and Kathryn E Newcomer(eds) Handbook of Practical Program

Evaluation(Third Edition) San Francisco Jossey-Bass 55~80

OECD (2015) Frascati Manual 2015

PMI (2000) PMBOK Guide

WK Kellogg Foundation (2004) Logic Model Development Guide

저자 소개

강 현 규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공공기술조사실장

- 전화 02-589-2813

- e-mail hkkangkisteprekr

KISTEP Issue Paper 2016-05

|발 행|2016년 5월

|발행인|박 영 아

|발행처|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서울시 서초구 마방로 68(양재동) 동원산업빌딩 9층~12층

전화 02) 589-2200 팩스 02) 589-2222

httpwwwkisteprekr

|인쇄처|(주)비전테크시스템즈 [TEL02)3432-7132]

2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국가연구개발사업은 정부의 과학기술정책 실현을 위한 수단으로 나라의

미래를 위한 투자이다 1982년 과학기술처가 추진한 특정연구개발사업을

시작으로 우리나라의 국가연구개발사업은 규모와 범위가 지속적으로

확대되어 왔다 우리나라가 세계 과학기술 상위권 국가로 발돋움하는데 견인차

역할을 하였고 우리나라의 주력산업 성장과 경제발전에 크게 기여해 왔다

과학기술 수준과 산업의 역량이 낮았던 과거에는 선진국을 빠르게 모방하는

추격형 국가연구개발사업을 통해 큰 성공을 거뒀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한 투자 확대했음에도 불구하고 과거와 같이 파급효과가 큰 성과는

보이지 않는다는 국민의 질책이 매섭다 이러한 원인은 우리나라의 국가연구개발사업이 선도형으로

기획되지 못했기 때문으로도 생각할 수 있다

추격형 시기에는 ʻ무엇을 하는가ʼʼ가 중요했으나 선도형 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ʻʻ왜 해야 하는가ʼʼ부터 고민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명확한 문제 정의와 이에 기반을 둔 사업

목표의 명확화 사업목표의 달성을 위한 연구개발활동의 구체화 활동을 위해 필요한 자원

투자 계획의 수립 연구개발 활동을 통한 산출 및 이를 활용한 성과와 파급효과까지 전 주기적인

고민을 통해 사업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사실 이러한 기획과정은 충분히 시간을 가지고 여러

주체가 참여하여 많은 토론을 거쳐야 하므로 쉬운 과정이 아니다 이해관계자가 다양할수록

이해하기 쉽고 소통에 용이한 방안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논리모형(logic-model)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본 이슈페이퍼는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 시에 유용한 논리모형을

설명하고 논리모형을 사업기획 사전평가에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기획이

충실해야 목표하는 성과를 효과적으로 도출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본 이슈페이퍼가

국가 연구개발사업의 기획역량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끝으로 본 이슈페이퍼의 내용은 필자의 개인적인 견해이며 KISTEP의 공식적인 의견이

아님을 밝힌다

2016년 5월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원장 박 영 아

3

Ⅰ 서 론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Ⅰ 서 론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한 예산 투입은 국민의 세금인 정부 재정의 지원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전제되어야 하므로 신규 사업 기획 시에 다각도의 충분한 고민이 필요함

국가연구개발사업은 정부의 과학기술 전략을 실현시키기 위한 구체화된 방안이므로

국가 과학기술정책에 기반을 두면서 충분한 고민을 통한 사업의 기획이 이루어져야 함

국가연구개발사업은 국가 전체의 파급효과를 고려하여 기획되고 추진되는 것이 바람직함

국가연구개발사업을 기획할 때에는 사업의 기획 이유부터 사업 종료 후 과학기술 경제 사회적으로 영향을 미칠 파급효과까지의 전 과정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

사업의 기획 이유부터 최종 파급효과 확산까지의 전 과정이 적절하고 합리적으로 설정이

되어야 하며 과정의 각 단계 간 인과관계에 바탕을 두고 논리적으로 설명될 수 있어야 함

사업의 전 과정을 포괄하는 논리적 연계성을 확보하기 위해 논리모형(logic model)을

활용하는 것이 좋으나 현재까지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시에는 잘 활용되지 않았음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시에 논리모형이 잘 활용되지 않았던 주된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판단됨

첫 번째는 논리모형 자체를 잘 모르거나 논리모형을 단순히 양식(template) 채우기로

인식하여 유용하지 않다고 생각하기 때문임

- 논리모형의 각 구성요소를 채우는 것도 중요하지만 논리모형의 진정한 유용성은

구성요소 간의 연계성에 바탕을 둔 논리적 흐름을 이어나기 위해 활용될 때 발휘되며

이를 통해 구상하는 사업에 대한 작동논리를 합리적으로 수립할 수 있음

두 번째는 사업의 기획 시에 우리에게 무슨 문제가 있고 어떤 문제를 우선적으로 해결

해야 하는가를 먼저 고민하고 그 문제 해결을 위해 달성해야 할 목표를 수립한 후에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해야 할 활동을 도출하는 순서로 기획하지 않았기 때문임

4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 통상적으로 단기간에 이루어지는 국내의 연구개발사업 기획에서는 ʻ무엇을 할

것인지ʼ부터 먼저 정해놓고 기획에 착수하기 때문에 논리모형을 활용할 기회와

필요가 없어짐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ex-ante evaluation) 시에도 정부 예산을 투입하기 전에

철저히 검토해야 하므로 사업의 기획배경 사업목표 투입 활동 산출 및 성과 영향까지

전 과정에 대한 분석이 필요함

정부는 예산낭비 방지 및 재정운영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2008년부터 국가연구개발

사업에도 사업계획에 대한 사전평가인 예비타당성조사1)를 실시하고 있음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를 통해 사업계획의 전반적인 작동논리를 분석함으로써

사업 추진의 필요성 및 시급성 사업계획의 충실성 및 성공가능성과 파급효과를 검토하여

정부예산 지원의 타당성 여부를 결정함

논리모형은 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에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현재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에서는 조사 대상사업의 주요쟁점 도출에 활용하고 있음

본 이슈페이퍼에서는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를 위해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는

논리모형을 설명하고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함

논리모형은 업무의 계획관리평가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수단임

논리모형 활용의 확산을 통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역량을 제고하고 사업계획의

완성도를 높여 사업의 성공가능성을 제고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함

1)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은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의 총괄수행기관임

5

Ⅱ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개요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Ⅱ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개요

1 연구개발 및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정의

연구개발의 정의

연구개발의 개념 및 범위는 일반적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 발간한 「프라스카티

매뉴얼(Frascati Manual)」을 따르고 있음

- 「프라스카티 매뉴얼(제7판)」에서는 연구개발(RampD)을 ʻ인류 문화 사회를 막론한 모든

종류의 지식을 증진시키거나 지식의 새로운 적용을 도모하기 위해 실시된 창의적이고

체계적인 작업ʼ으로 정의

우리나라에서는 연구개발활동을 ʻ지식의 축적(인간 문화 사회에 관한 지식 포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혹은 이렇게 축적된 지식을 가지고 새로운 응용을 촉진할 목적으로

체계적 토대 위에서 수행하는 창조적 활동ʼ으로 정의2)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정의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에서는 국가연구개발사업을 ʻ중앙행정기관이

법령에 근거하여 연구개발과제를 특정하여 그 연구개발비의 전부 또는 일부를 출연하거나

공공기금 등으로 지원하는 과학기술 분야의 연구개발사업ʼ으로 정의

- 국가연구개발사업은 보통 다수의 연구과제(project)나 내역사업으로 구성됨

- 2014년도에는 605개 세부사업 53493개의 세부 연구과제가 추진됨3)

2) 미래창조과학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5) 2014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3) 미래창조과학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5) 2014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보고서

6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2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은 국가연구개발 목표 설정 및 국가의 자원배분을 설계하는

정책기획과 추진 중 또는 종료된 사업의 성과를 검토하는 연구평가의 중간단계에 해당함

국가연구개발사업은 정책기획에서 도출된 공통된 목표를 지향하는 활동들이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구체적으로 표현된 것임

기술적 목표와 도달 방법을 제시하거나 목표 달성을 위한 요구사항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거나 성공적인 연구관리 방법을 제시하는 등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구체화를 위한

사항은 다양함

국가연구개발사업은 세부적인 과제 도출을 통해 구체화하여 기획되는 것이 바람직함

국가연구개발사업은 본래 정부의 역할을 타 주체가 대행하여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므로

사업계획이 추상적인 관념이나 철학이 아니라 구체적으로 제시될 필요가 있음

이는 법4)에서 연구개발과제를 특정해야 한다고 표현되어 있으며 과제란 연구지원에

대한 과제(project) 뿐만 아니라 연구 장비시설을 도입하거나 구축하는 과제 등이 모두

포함될 수 있고 이러한 과제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구체화되어 특정될 수 있음

- 과제란 국가연구개발사업에서 정부를 대행하는 주체가 수행하여야 하는 활동 등이

객관적으로 구체화된 실체를 의미함

4)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

7

Ⅱ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개요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방법에 대해 정부는 규정을 통해 명시하고 있음

성공가능성이 높은 충실한 사업의 기획을 위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

제4조(사전조사 및 기획) 제1호에서는 ʻ중앙행정기관의 장은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려는 경우에는 그 사업의 기술적경제적 타당성 등에 대한 사전조사 또는 기획

연구를 수행ʼ할 것을 명시하고 있음

정부는 신규 사업의 사전기획을 의무화5)하는 등 RampD기획의 강화를 추진하고 있음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을 위한 구성요소에 대한 획일적인 기준은 없으나 구체화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안에는 다음과 같은 사항들이 포함되어야 함6)

- 사업의 목표 세부추진내용 및 추진체계

- 다른 중앙행정기관의 소관 업무와 관련되는 사항에 대한 조정방안(해당 사항이 있는

경우만 해당)

- 사업의 평가계획

- 필요한 자원의 규모 및 인력 확보방안

- 정부지원의 타당성 검토 결과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방안 및 기대효과

- 국내외 특허 동향 기술 동향 표준화 동향 및 표준특허 동향

5) 국가과학기술위원회 (2011) 정부RampD 투자 효율화 추진계획

6)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 제4조 제7항

8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Ⅲ 사업계획과 논리모형

사업(program)이란 특정한 배경 하에서 특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여러 가지 자원을

투입하고 관련된 활동을 수행하여 산출물과 성과를 생성하는 일련의 작업임

대규모 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이슈문제 목표 대상 투입 활동 및

전략 운영평가체계 산출 및 성과 등이 포함된 사업계획을 수립해야 함

사업계획은 사업이 기획된 대로 시행된다면 의도하는 결과가 달성될 것이라는 일종의

가설임

- 따라서 잘 수립된 사업계획은 왜 해당 사업을 추진하여야 하며 사업이 무엇을

달성하고자 하고 어떻게 달성할 것이고 어떤 활동을 수행하여 어느 정도의 성과를

창출하고 그 성과를 어떻게 측정하고 평가할 지에 대해 충분한 정보를 포함해야 함

사업계획을 검토하는 평가자는 사업계획을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사업의 가설을 분해하기 위해

논리모형을 사용할 수 있음

- 사업계획에 대한 논리모형을 수립함으로써 평가자는 해당 사업의 기획주체가 생각하는

사업의 작동 메커니즘을 이해할 수 있음

논리모형은 각종 사업의 기획 관리 평가에 적용되는 방법 중 하나이며 어떻게 사업을

추진할 것인지를 나타낸 개념도로 정의할 수 있음7)

논리모형은 사업의 작동과 관련된 항목 간의 논리적 연관성을 보여주는 모델로서 사업

관련 활동과 결과가 최종목표에 어떻게 연계되는지를 보여줄 수 있음

논리모형은 사업을 작동시키는 투입자원 활동 그리고 달성할 변화나 결과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고 관계자들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한 체계적이고 시각적인 방법임

7) WK Kellogg Foundation (2004) Logic Model Development Guide

9

Ⅲ 사업계획과 논리모형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논리모형은 사업에 대한 개념 정립 기획 관리 평가 및 다른 사람과의 소통에 유용한

도구이며 사업의 작동 메커니즘 및 기대되는 성과를 다른 사람에게 설득하는 기본 근거가

될 수 있음

논리모형을 활용하여 사업을 분해함으로써 사업의 필요성 세부활동 및 전략 기대성과

산출 시기 수행주체 및 수행처 투입자원 산출의 종류와 규모 그리고 사업결과를 활용한

성과 등을 설명할 수 있음

논리모형은 사업의 생애(기획 실행 평가) 전 과정에 사용될 수 있는 유용한 관리 및 평가

도구임

정부에서도 이해관계자의 사업에 대한 이해를 돕고 성과목표 및 성과지표 설정에

활용하기 위해 사업 분석 시 논리모형의 활용을 권고하고 있음8)

논리모형은 사업의 기획단계 실행단계 그리고 평가단계에서 각각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

기획단계의 논리모형은 사업설계상의 오류와 사업 추진논리 간 괴리(gap)를 발견하는데

유용하며 사업의 작동 가능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줌

- 이를 통해 사업이 무엇에 관한 것인지 각 부분들이 어떻게 함께 작동하게 되는지에 대해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줌

- 이 단계에서의 논리모형은 사업의 설계와 기획에 영향을 주는 변화의 분석을 강조하는

이론접근모형(Theory approach model)이 주로 적용됨

사업 실행단계에 초점이 맞추어진 논리모형은 계획 관리의 핵심 도구로 활용될 수 있으며

사업을 관리하고 개선하기 위하여 필요한 자료를 파악하고 수집하는 데에 도움이 됨

- 이 단계에서는 주로 사업의 활동과 결과가 연결되는 지점에 초점을 두며 산출물을

명확히 파악하여 성과 분석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음

- 이 단계에서는 논리모형 중 집행과정의 세부적인 내용에 가장 주의를 기울이는 활동

접근모형(Activity approach model)이 활용됨

8) 미래창조과학부 (2013) 국가연구개발사업 표준성과지표 ndash 성과목표지표 설정 가이드라인

10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사업 평가단계에서는 공정하고 객관적인 평가와 이를 위한 정보제공이 필요하므로 성과

접근모형(Outcome approach model)이 적용됨

- 이 모형은 투입-활동-결과-성과-영향 사이의 논리적 개연성과 단계별 가정의 유효성을

확인하여 성과를 도출하기 위한 사업의 원활한 작동 가능성을 점검하는데 유용함

논리모형의 형태가 정형화된 것은 없으며 정보의 종류와 수준에 따라 기본항목으로

구성된 모형부터 세부적으로 구체화된 논리모형까지 다양한 형태로 구성이 가능함

사업의 추진단계 및 활용목적에 따라 강조하려는 사항이 다르므로 필요에 따라 다른

형태의 논리모형을 구성할 수 있음

lt그림 1gt과 같은 형태의 논리모형은 사업의 기획단계 및 사전평가 시 사업의 추진당위성

파악에 유용한 형태의 논리모형임

- 동 논리모형은 사업의 추진과정과 결과보다는 사업의 추진논리를 중점적으로 기술

- ʻ문제이슈(ProblemIssue)ʼ 항목에서는 연구개발사업을 통해 해결하거나 대처하고자

하는 문제를 설명

- ʻ사회적 수요자산(Community NeedsAssets)ʼ 항목에서는 문제이슈 관련 수요와

이의 해결을 위해 활용 가능한 사회적인 자산을 서술

- ʻ희망하는 결과(Desired results)ʼ 항목에서는 연구개발사업이 실행된다면 단기장기적으로 달성하고자 하는 것을 서술

- ʻ영향요인(Influential factors)ʼ 항목에서는 사회의 변화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생각하는

요인들 예를 들어 우호적 요인 또는 위험 요인 정책 환경 기타 요인 등을 열거

- ʻ전략(Strategies)ʼ 항목에서는 사업을 통해 희망하는 결과의 달성에 도움이 될 성공전략

또는 모범사례(best practice)를 기술

- ʻ가정(Assumptions)ʼ 항목에서는 전략이 어떻게 작동할 것인지에 관한 가정을 서술

11

Ⅲ 사업계획과 논리모형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lt그림 1gt 논리모형의 사례 1

출처 WK Kellogg Foundation (2004) Logic Model Development Guide

lt그림 2gt~lt그림 4gt와 같은 형태의 논리모형은 사업의 추진과정 및 결과를 보여줄 수 있는

기본적인 논리모형들로서 사업의 작동과정 분석에 유용함

- ʻ투입ʼ 항목에서는 활동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자원을 기재

- ʻ활동ʼ 항목에서는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수행할 활동을 서술

- ʻ산출ʼ 항목에서는 사업의 추진 중 또는 종료 시 창출할 것으로 기대하는 산출물을 기재

- ʻ성과ʼ 항목에서는 사업이 종료된 후의 변화를 기술하며 필요시 사업 종료 직후와 5~6년

이내의 중기로도 구분하여 기술할 수도 있음

- ʻ영향ʼ 항목에서는 사업이 종료된 후 장기적으로 발생될 것으로 예상하는 변화를 기재

12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lt그림 2gt 논리모형의 사례 2

출처 WK Kellogg Foundation (2004) Logic Model Development Guide

lt그림 3gt 논리모형의 사례 3

출처 McLaughlin JA and Jordan GB (2010) ldquoUsing Logic Modelsrdquo Handbook

of Practical Program Evaluation(Third Edition)

13

Ⅲ 사업계획과 논리모형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lt그림 4gt 논리모형의 사례 4

출처 노화준 (2008) 정책평가론

lt그림 1gt의 논리모형과 lt그림 2gt~lt그림 4gt의 논리모형을 결합하면 사업의 추진논리와

함께 추진과정 및 결과를 함께 볼 수 있는 논리모형을 구성할 수 있음

- 이러한 아이디어에 바탕을 두어 본 이슈페이퍼의 4장에서 설명할 논리모형이 개발됨

14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Ⅳ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Ex-ante evaluation)인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

에서는 사업계획의 쟁점사항 도출을 위한 핵심 도구로서 논리모형을 개발하여 활용하고

있음

관련 문헌들과 기존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 사례를 바탕으로 활용하기 용이한

논리모형을 개발하여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제2판)에 수록

본 논리모형은 이론접근모형과 성과접근모형을 결합한 형태로서 수직적으로는(상하

방향) 사업 추진에 대한 논리의 흐름을 수평적으로는(좌우 방향) 사업의 추진과정을

나타내도록 하여 이해하기가 용이함

- 제시된 논리모형은 정형화된 것은 아니며 사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논리모형을

변형하여 활용할 수 있음

사업계획의 평가자는 사업계획을 충분히 파악하고 이해한 후 논리모형을 작성하여야 함

- 논리모형 작성 시 주의할 점은 논리모형의 각 항목의 내용은 대상사업에 대한 평가자의

생각이 아니라 사업 기획주체의 의도와 논리를 담아야 함

논리모형이 작성된 이후에는 작성된 논리모형의 각 항목별 적절성과 항목 간 논리 흐름상의

오류나 괴리가 없는지 분석하여 주요 쟁점사항을 도출한 후 세부적으로 분석을 수행

사업의 기획단계에서도 본 논리모형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음

15

Ⅳ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를 위해 개발된 논리모형의 구조와 각 항목별로 다루어지는

내용 및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음

1 이슈 문제

ㅇ사업 추진의 필요성을 설명할 수 있는 배경요인 과학기술적 산업적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국가적 수요와 도전과제 등

ㅇ해당 사업을 통해 해결하거나 대처하고자 하는 문제나 이슈ㅇ해당 사업 분야와 관련된 정책 다른 연구개발사업 및 과제의 현황 미래 예측 기술과 시장의 동향 및 전망 전문가

설문 통계 및 조사 데이터 등도 활용ㅇ사업을 추진하지 않을 경우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문제나 잃게 되는 기회는 무엇인가ㅇ이슈문제 해결을 위해 연구개발사업 이외의 대안전략은 없는가

2 목표 3 수혜자

ㅇ해당 사업의 추진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사업의 핵심 성과 - 문제 해결 정도의 측정이 가능하도록 정량적 성과지표 제시

ㅇ사업목표 달성이나 사업의 산출로 인해 직접적인 이익을 얻는 주체

4 투입 5 활동 6 산출 7 성과 영향

ㅇ연구개발활동에 필요한 모든 자원

- 사업비 - 인적 자원 - 시설 및 장비 - 연구주체 지식

ㅇ목표를 달성하고 산출 발생을 위해 수행하는 연구개발 활동

ㅇ연구개발활동에 의한 직접적인 결과물 - 기술 정보 제품

데이터 서비스 논문 특허 등

- 산출물의 수량 규모 범위 등을 정량적으로 제시

ㅇ사업을 통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의도된 결과나 변화

ㅇ성과의 확산으로 인해 미래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직간접적 변화 및 파급효과

8 가정

ㅇ사업 추진 시 단계별로 발생할 상황과 변화에 대한 기대나 예측 - ldquo~~하면 ~~할 것이다rdquo로 표현되는 가정문(if-then)을 주로 사용ㅇ사업의 성공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외부요인 환경 조건 법 규정 원칙 믿음 위험

lt그림 5gt 연구개발사업의 쟁점사항 도출을 위한 논리모형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4) 연구개발부문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제2판)

16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983729 이슈문제 (IssueProblem)

이슈문제는 해당 연구개발사업을 기획하게 된 배경을 설명하고 사업의 추진당위성을

부여하는 항목

동 항목에서는 대상사업과 관련된 분야에서 어떠한 이슈나 문제가 존재하며 이러한

이슈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연구개발사업의 추진이 가장 효과적인 전략인지를

설명할 수 있어야 함

- 이를 위해 해당 사업의 필요성을 설명할 수 있는 배경요인(contextural factor)이 기술

되어야 하며 배경요인들에는 과학기술적 산업적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국가적

수요와 도전과제 등이 포함됨

사업에서 대처하려는 이슈나 문제가 여러 가지 요인들로 인해 복잡하다면 해당 사업과

연관성이 가장 높고 중요한 요인들로 압축하여 선정해야 함

- 이러한 문제 정의 과정을 통해 사업에서 추구하려는 목표를 명확히 설정할 수 있음

정부부처에서 제안하는 대부분의 연구개발사업은 특정 세부분야를 대상으로 하므로

광범위한 연구분야나 산업분야의 일반적이고 진부한 이슈문제를 제시하는 것보다는

사업에서 제안하는 세부분야의 특성과 현황에 기반을 둔 구체적이고 핵심적인 이슈

문제를 선정하여 강조하여야 설득력을 확보할 수 있음

사업의 필요성을 설명하기 위해 사업의 분야와 관련된 정책과 연구개발사업 및 과제의

현황 미래 예측 기술과 시장의 동향 및 전망 전문가 설문조사 통계 및 조사 데이터를

적극 활용하는 것이 좋음

제안된 연구개발사업 이외에 도출된 이슈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다른 대안이나 전략이

없는지도 고려할 필요가 있음

해당 사업계획에 대한 평가자는 사업 기획주체가 제시한 문제 정의가 적절한지를

분석함으로써 사업 추진당위성이 확보되었는지를 평가

17

Ⅳ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983730 목표 (Objective)

목표는 해당 사업의 추진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사업의 핵심 성과를 의미함

목표는 해결하고자 하는 이슈문제와 관련이 있어야 하며 해당 사업을 통해 그 이슈

문제가 해결될 수 있어야 함

- 즉 사업목표는 해당 사업을 통해 이슈문제가 어느 정도로 해결될 수 있는지 측정이

가능하도록 정량적으로 제시되어야 함

목표는 구체적이어야 하며(Specific) 측정 가능해야 하고(Measurable) 달성 가능해야

하며(Achievable) 이슈 및 연구개발활동과 연관이 있고(Relevant) 기한이 정해진

(Time-bound) 것이어야 함(SMART)9)

- 목표는 사업이 달성하고자 하는 바를 의미하므로 ① 이슈문제 및 ⑦ 성과영향과

연계하여 분석

목표는 구체성과 계측가능성을 기준으로 볼 때 목적과는 구분되는 개념임

- 사전적인 의미에서 목적(目的)은 ʻ실현하려고 하는 일이나 나아가는 방향ʼ이며 목표

(目標)는 ʻ어떤 목적을 이루려고 지향하는 실제적 대상으로 삼음 또는 그 대상ʼ을 뜻함

- 즉 목적은 추상적이고 방향과 의도를 함축하는데 반하여 목표는 구체적이고 범위가

제한적이며 일반적으로 측정 가능한 수치로 표현됨

983731 수혜자 (Beneficiary)

사업으로 인해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이해관계자는 여러 유형이 있을 수 있으나

수혜자10)는 사업목표와 접한 관련이 있어야 함

9) HM Treasury (2011) The Green Book Appraisal and Evaluation in Central Government

10) 예비타당성조사에서의 수혜자는 사업 추진을 통해 자금을 지원받는 주체가 아니라 사업목표 달성이나 사업의 산출로

인해 직접적인 경제적 이익을 얻는 주체를 의미하며 경제성 분석은 이 수혜자가 얻게 되는 직접적인 경제적 편익을

기준으로 분석함

18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983732 투입 (Input)

투입은 연구개발활동에 필요한 모든 자원을 의미

- 투입의 기본 항목은 재정적 자원과 인적 자원이며 연구시설middot장비 연구수행주체 관련

지식 등이 투입에 해당

- 해당 사업에서 활용될 기존 사업의 산출과 성과도 투입에 포함될 수 있음

사업이 충실하게 기획되면 희망하는 결과를 얻기 위한 최소의 물량규모가 정량적으로

산출될 수 있음

- 실무적으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에서 투입에 해당하는 물량규모는

총사업비라는 형태로 표현됨

983733 활동 (Activity)

국가연구개발사업에서의 활동은 목표를 달성하고 산출을 발생시키기 위해 수행하는

연구개발활동에 초점을 맞추어야 하며 연구개발에 인접한 활동은 연구개발예산 편성

기준에 부합하는지의 여부에 초점을 맞추어야 함

일반적으로 OO기술 개발 OO연구기반 구축 등이 큰 범위의 연구개발활동이 되며 각

연구개발활동은 요소기술 개발 등의 세부 연구개발활동으로 세분화될 수 있음

983734 산출 (Output)

산출은 연구개발활동을 통한 직접적인 결과물을 의미하며 각 활동별로 하나 이상의

산출이 존재할 수 있음

일반적으로 연구개발활동으로 개발된 기술 정보 데이터 제품 서비스 등이 해당되며

이 각각의 산출물은 정량적으로 수량 규모 범위 등이 제시되어야 함

- 기초연구사업에서 개발된 기술에 대한 논문과 특허도 산출물에 해당

19

Ⅳ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983735 성과영향 (OutcomeImpact)

성과는 사업의 목표와 접한 관련이 있으며 사업 추진에 따른 변화나 사업결과

(output)의 활용을 통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의도된 결과이며 영향은 성과의

확산으로 인해 미래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직간접적 변화 및 파급효과를 의미

- 일반적으로 연구개발사업의 단계 구분이나 관련 문헌에서 제시된 논리모형에서는

성과와 영향을 별도 항목으로 고려하기도 하지만 사업의 착수 전에 수행되는 사전

평가에서 성과와 영향을 구분하여 검토하는 것은 실효성이 낮으므로11) 성과와 영향을

종합하여 검토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의 경제성 분석은 국가연구개발사업으로 인한 직접적인

경제적 성과를 추정하는 것임

983736 가정 (Assumption)

사업계획은 그 자체가 기획된 대로 수행하면 기대하는 결과가 생성될 것이라는 가설이며

가정은 사업의 유효성에 대한 믿음임

가정은 사업 추진 시 논리모형의 각 항목별로 발생할 상황과 변화에 대한 기대나 예측을

의미

가정은 사업 수행에 직접적으로 관련 있는 것으로 한정되어야 하며 사업의 성공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외부요인들도 가정에 포함될 수 있음

- 이러한 외부요인으로는 환경 조건 법 규정 원칙 한계 믿음 위험 등이 될 수 있음

11) 사업으로 인한 성과와 영향은 종료평가와 추적평가를 통해 구체적인 평가가 가능함

20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사업계획은 적절한 기획을 통해 도출되어야 하며 기획과정 중에 논리모형을 통해

논리적인 비약을 배제함으로써 사업계획의 합리성을 확보할 수 있음

기획은 최적의 수단으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미래에 취할 행동을 위한 일련의

결정을 준비하는 계획적 과정임

충분한 고민과 의견 수렴을 통해 기획이 잘 이루어지면 사업 추진과 결과의 부실화를

미연에 방지하고 성공가능성을 높일 수 있음

논리모형은 기획과정의 각 시점에서 그 당시까지 구체화된 항목을 하나하나 채워나감

으로써 가시적인 논리의 확인과 기획참여자들 간의 소통과 이해 및 의견 수렴에 유용함

사업의 기획이 완료된 후에는 완성된 논리모형을 예산당국 주무부처와 같은 이해

관계자와 사업계획 평가자에게 제시하여 사업의 거시적인 작동논리를 이해시키고 예산

확보를 위해 설득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음

사업의 착수시점에 해당 사업에 대한 체계화된 정보가 없을 경우에는 후속관리가

부실화되기 쉬우므로 사업계획의 충실한 수립은 매우 중요함

전반적인 추진논리를 확보하기 위해 바람직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절차는

lt그림 6gt과 같이 제시될 수 있음

21

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lt그림 6gt 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정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4) 연구개발부문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제2판)

사업을 기획하기 위해서는 우선 대규모 신규 사업의 추진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이슈

또는 문제가 무엇인지 먼저 파악되어야 함

- 동향조사 예측조사 설문조사 인터뷰 통계분석 등 다양한 분석방법을 통해 적절한

범위 내에서 이슈문제를 식별한 후 기획 의도를 고려한 합리적인 평가기준을 적용하여

사업에서 집중하고자 하는 문제를 선택해야 함

- 선택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연구개발사업이 세금 자금 인력 지원 등 다른

대안과 비교할 때 가장 효율적인 방법인지 검토되어야 함

정부의 연구개발사업 추진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가 정의되면 사업을 통해 얻고자 하는

성과가 무엇인지 구체적이고 객관적으로 제시해야 함

- 이를 위해서는 사업의 성과물이 전달되는 수혜 대상이 명확히 정의되어야 함

사업목표가 설정되면 이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추진체계와 추진전략이 수립되어야 함

22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 추진체계는 다양한 참여주체의 분석을 통해 적절한 역할과 조정 협력관계 등을

조직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함

- 추진전략은 사업 및 기술 환경의 특성 분석을 통해 목표 달성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연구개발전략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함

세부과제의 구성을 완료하여 사업기간과 총사업비 그리고 필요한 장비와 시설 등 신규

구축할 인프라의 규모를 도출함

- 세부과제는 기본적으로 사업목표와 직접적으로 연계되어야 함 즉 세부과제가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사업목표가 달성될 수 있도록 구성할 필요

- 기술수요조사와 시설장비수요조사와 같은 시장이나 사회적 수요를 반영한 후보과제를

도출한 후 사업목표의 달성을 위한 전략적 방향을 고려한 기준과 가중치가 적용된

우선순위 선정절차를 거치는 것이 바람직함

- 선정된 세부과제는 목표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적절한 단위의 세부활동을 구성하고 사업

추진상의 기술개발 로드맵을 수립하며 각각의 세부 성과지표를 구체화함

- 세부활동이 구체화되면 활동별로 수행을 위한 비용 기간 조직 인프라 등의 자원 소요계획이

확립되며 이를 종합하여 전체 사업의 추진을 위해 필요한 투입자원의 총량을 도출함

수립된 사업계획 초안의 문제 정의 사업목표 설정 추진체계 및 추진전략 수립 세부과제

구성에 대한 재검토 및 보완을 통해 기획을 완료함

- 현실적으로 기획과정에서 모든 정보를 완벽하게 수집하고 분석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신규로 제안되는 사업과 유사한 선행사업이 없어 과거 사례의 참조에도 한계가 있을 수 있음

- 사업의 내용은 기획이 진행되면서 시간의 흐름과 함께 점진적으로 구체화12)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환류(feedback) 과정을 거쳐 사업계획을 보완하는 것이 중요함

- 환류 과정을 진행하기 전에 현재까지 기획된 사업계획에 대한 논리모형을 구성하여

전반적인 사업의 작동논리가 설득력 있게 기획되었는지 확인하고 환류 과정을 통해

보완된 사업계획에 대한 논리모형도 검토하는 것이 바람직함

12) PMI (2000) PMBOK Guide

23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가상의 사례를 통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을 설명하고자 함

lt그림 7gt은 가상의 국가연개구발사업에 대해 작성된 논리모형임

1 이슈 문제

ㅇ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시장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나 정부의 투자는 산발적이고 일회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해외 의존도가 증대되고 있음

- 클러스터 형태의 실증사업 추진 필요

ㅇ A 융합기술ʼ 분야의 생태계 조성과 연계하고 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 클러스터를 구축하고 Z지역의 산업지역발전의 거점 역할을 하도록 할 필요

2 목표 3 수혜자

ㅇ ʻA 융합기술ʼ 신산업 허브 구축

- ʻA 융합기술ʼ 신산업 창출 선도 및 발전 기반 구축

- 지역거점형 ʻA 융합기술ʼ 실증사업 중심 산업화 지원

- ʻA 융합기술ʼ 산학연 협력 및 비즈니스 협업체계 구축

ㅇA 융합기술 분야 기업

ㅇ국민공공기관

4 투입 5 활동 6 산출 7 성과 영향

ㅇ사업비 OO억 원

ㅇ연구인력

ㅇ ʻA 융합기술ʼ 통합

센터 구축

ㅇ실증사업

- B C D E 4개

산업 분야

ㅇB C D E 등 4개

산업 분야

ʻA 융합기술ʼ 시스템

ㅇ ʻA 융합기술ʼ 기반

융합산업의 생산성

증대

ㅇZ지역의 지역경제

발전

8 가정

ㅇ ʻA 융합기술ʼ 신산업 강화는 국가 발전의 원동력으로 작용할 것임

ㅇ지역 착형 거점 구축을 통해 기술발전을 선도하고 관련 산업 육성을 도모하며 지역산업 활성화를 도모할 것임

lt그림 7gt 가상의 사업계획에 기반한 논리모형 작성의 사례

24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사업에 대한 사전평가에서 논리모형은 사업의 거시적인 작동논리의 분석을 통해 주요

쟁점을 도출하기 위해 활용됨

논리모형에는 사업계획의 핵심 내용만 기재되므로 논리모형 분석은 세부내용의 상세한

적부 분석이 아닌 이슈 목표 활동으로 이어지는 사업의 주요 작동논리 분석과 세 항목 간의

논리적 연계성 분석이 주로 이루어짐

시장 수요나 전망 현장의 이슈를 고려하지 않고 적절한 기획과정도 거치치 않은 채 소수의

기획주체가 ʻ하고 싶고 할 수 있는ʼ 과제를 먼저 선정해 놓고 사업을 기획하여 전체적인

사업 작동논리가 부실한 경우가 많으므로 이러한 쟁점 여부의 파악을 위해 활용함

가상의 사업계획에서 제시한 이슈(983729)는 신규 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는 이유를 설명하는

문제 정의로서 적절치 않음

최근 2~3년전부터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다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들이 다수 착수되어

추진되고 있으므로 산발적일회적이라는 주장은 사실과 다름

ʻA 융합기술ʼ 분야는 현재 국내 기업에서 사업화를 추진 중인 분야이고 기업들의 기술 수준도

상대적으로 높으므로 해외의존도를 언급하는 것은 부적절함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시장이 확대될 것이라는 예측은 적절하지만 이러한 내용은 누구나

알고 있는 일반적인 사항이며 동 사업 내에서 실증을 하고자 하는 세부 산업 분야(B C

D E 산업)에서의 ʻA 융합기술ʼ의 시장 동향 전망과 데이터에 근거한 분석은 이루어지지

않음

대형 실증사업 추진을 위해서는 사업의 성과에 대한 구체적 근거 마련을 위해 사전 연구나

조사를 통한 성과 데이터의 구축이 필요하나 실증사업의 추진 필요성과 유효성을 설명

할 수 있는 근거자료가 부재함

Z지역에는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연구 및 산업기반이 국내에서도 상대적으로 미약하여

산업 클러스터가 형성될 가능성이 낮고 국가적인 차원의 활용도 관점에서 해당 지역에의

거점 구축의 당위성은 낮음

25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기획의 Tip

국가적인 차원에서 연구개발사업을 통해서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를 구체적이고 명확히 정의

- 현재 또는 미래에 어떤 문제가 있거나 발생할 것이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

개발사업을 구상하게 되었는지 제시

-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광범위한 이슈의 제기는 무의미

- 국내외의 각종 통계 보고서 정책자료 시장보고서 전문가 및 실무자 인터뷰 등 근거자료를

통해 구체화되고 특정화된 문제를 제시

- 특정 주체나 지역이 아닌 국가적인 차원의 문제를 제시해야 하며 해당 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지 않으면 국가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나 잃게 되는 기회가 무엇인지를 설명

- 지역기반 구축은 국가적인 필요성과 함께 전국에서 해당 지역이 기반 구축의 최적지임을

입증할 수 있는 근거가 필요

사업목표(983730)를 제시하였으나 선언적인 내용에 불과하며 성과지표의 구체화가 미흡하여

문제 해결 정도를 측정하기 어려움

동 사업에서는 광범위한 ʻA 융합기술ʼ의 적용 분야 중 소수의 분야만을 다루는 반면

사업목표는 사업 내용에 비해 지나치게 일반적이고 광범위하게 수립됨

동 사업은 상호 연관성이 낮은 여러 세부사업을 단일 사업 내에 포함시켜 전체 사업 수준의

거시적인 성과목표 제시가 어려운 한계가 있음

앞서 각 세부사업별로 해당 산업 분야의 문제 정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사업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와 성과가 불문명하며 이에 따라 성과지표를 정량적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하여 목표 달성 여부의 측정방법도 불분명함

26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기획의 Tip

관리 가능성의 관점에서 사업목표는 SMART하게 제시

- 구체적이고(Specific) 측정가능하며(Measurable) 달성가능하고(Achievable) 문제 활동과 연관성이 있으며(Relevant) 시간제약이 있도록(Time-bound)가 있도록 수립

해결해야 할 문제(983729)와 사업목표(983730) 간에 괴리가 존재하여 둘 간의 연계성은 미흡함

해결해야 할 이슈로 제시한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일반적인 문제들을 사업목표로 제시한

지역 착형 사업을 통해 해소하고자 함은 연계성이 낮음

문제 정의 자체가 세부 산업분야별 시장 전망 또는 현장의 이슈 분석을 통해 구체적으로

도출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를 해소하기 위해 달성할 사업목표의 설정도 어려운 한계가

있으며 동 사업의 추진으로 국내외에서 어느 정도의 성과를 거둘 수 있을지도 예상할 수

없음

제시된 4가지 실증사업은 공공 영역부터 민간의 사업화가 활발한 영역까지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어 시너지 효과 창출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됨

기획의 Tip

사업목표의 범위는 제시된 이슈문제의 범위와 일치해야 하며 사업목표를 달성하면 이슈문제가 어느 정도 해결되는지를 보여줄 수 있도록 사업목표를 수립

세부 실증사업을 통해 개발될 제품(시스템)의 사용자(구매자)까지 수혜자로 포함시켜

수혜자(983731)의 표적화가 부적절함

동 사업을 통해 제품을 개발하여 사업 종료 후 해당 제품의 판매를 통해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할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기업들이 동 사업의 직접적 수혜자임

27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동 사업은 A 융합기술ʼ 분야의 실증을 통한 시스템 개발로 종료되며 제품을 최종사용자

에게까지 보급하는 것은 사업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여러 단계 이후의 최종사용자를

동 사업의 수혜자로 제시하는 것은 부적절함

기획의 Tip

사업목표와 범위에 맞는 수혜자를 제시

- 성과확산단계에 따라 수혜자를 구분하여 제시할 수는 있으나 사업성과를 통해 직접적 경제적

수혜를 받는 주체만 경제성 분석의 대상이 됨

세부활동(983733)은 사업목표(983730)와 개념적으로는 일부 연계성이 있음

산업 분야에 A 융합기술ʼ의 접목하기 위한 실증사업의 추진이 동 사업의 주요 내용이므로

관련 신산업을 창출하고자 하는 사업의 목표와는 개념적으로 연계성이 있음

B C 분야는 사업목표와 관련성이 있고 구축되는 통합센터와 정보 공유도 가능할 것이나

D E 분야는 독립적이며 사업목표와의 연계성도 낮아 동일 사업 내에서 추진할 필요성

및 통합센터 구축의 필요성도 모호함

기획의 Tip

세부활동(세부사업 또는 과제)을 수행하면 제시된 사업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세부

활동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문제 해결 및 사업목표 달성과 연관성이 낮은 활동은 제외

- 사업목표 달성과 관련 없는 과제의 포함 불요불급한 시설 및 장비의 구축 필요 이상으로 부풀린

사업비의 요구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는 주요 요인임

이 외의 항목들은 거시적인 작동논리나 연계성에 대한 검토보다는 세부내용의 적부 분석을 수행함

투입(983732)과 산출(983734)은 활동의 상세한 분석을 통해 적절성을 분석

성과영향(983735)은 사업목표와 활동 산출의 상세한 분석을 통해 적절성을 분석

가정(983736)은 별도의 분석보다는 이슈 목표 활동과 연계하여 분석

28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Ⅶ 맺음말

사업의 직접적인 이해관계자는 해당 사업의 긍정적인 측면만 생각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사업 기획주체는 신규 사업의 기획 시 객관적인 시각에서 사업계획을 조망하고 보완하기 위해

논리모형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ʻ왜 해야 하는지ʼ ʻ어떠한 결과를 내려고 하는지ʼ ʻ무엇을 어떻게 하려고 하는지ʼ가

논리적으로 연계가 되어 설득력을 확보해야 함

사업의 착수 전에 문서뿐인 사업계획서를 분석하여 사전에 평가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나

논리모형을 활용한 사업의 작동논리와 추진과정의 객관적인 분석을 통해 기획단계의

오류로 인한 사업의 부실화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

제도적인 측면에서 평가결과의 일관성 확보를 위해 사전평가의 방법으로 논리모형

분석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함13)

본 이슈페이퍼에서는 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을 설명

하였으며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추진단계 및 종료단계에 적절한 논리모형의 개발 및 활용도

고려할 필요

사업 추진 중의 사업관리 또는 중간평가 시에는 투입 rarr 활동 rarr 산출 등 사업 추진과정을

확대하여 집중적으로 분석하는 특히 활동을 더 세부적으로 구분한 논리모형이 필요함

- 사업별 특성에 부합하도록 단계별 연차별 세부과제(기술)별로 마일스톤이 포함된

논리모형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는 사업 추진 로드맵을 포함하는 형태가 될 것임

사업 종료 시의 성과확산 전략 수립이나 종료평가 또는 그 이후의 추적평가 시에는 산출

rarr 성과 rarr 영향의 사업성과 확산과정을 집중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논리모형을 구성할 수 있음

- 성과의 확산은 해당 연구개발사업 이후에 이루어지므로 동 논리모형의 구성은 성과의

극대화를 위한 성과확산사업의 기획과정으로도 볼 수 있음

논리모형 활용의 확산을 통해 국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역량을 제고하고 사업계획의

완성도를 높여 사업의 성공가능성을 제고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함

13)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에서는 이를 필수적으로 활용하도록 하고 있음

29

참 고 문 헌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 고 문 헌

국가과학기술위원회 (2011) 정부RampD 투자 효율화 추진계획

노화준 (2008) 정책평가론

미래창조과학부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 대통령령 제26729호

미래창조과학부 (2013) 국가연구개발사업 표준성과지표 ndash 성과목표지표 설정 가이드라인

미래창조과학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5) 2014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보고서

미래창조과학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5) 2014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4) 연구개발부문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제2판)

HM Treasury (2011) The Green Book Appraisal and Evaluation in Central Government

McLaughlin JA and Jordan GB (1999) ldquoLogic models a tool for telling your programrsquos

performance storyrdquo Evaluation and Program Planning 22 65~72

McLaughlin JA and Jordan GB (2010) ldquoUsing Logic Modelsrdquo in Joseph S Wholey

Harry P Hatry and Kathryn E Newcomer(eds) Handbook of Practical Program

Evaluation(Third Edition) San Francisco Jossey-Bass 55~80

OECD (2015) Frascati Manual 2015

PMI (2000) PMBOK Guide

WK Kellogg Foundation (2004) Logic Model Development Guide

저자 소개

강 현 규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공공기술조사실장

- 전화 02-589-2813

- e-mail hkkangkisteprekr

KISTEP Issue Paper 2016-05

|발 행|2016년 5월

|발행인|박 영 아

|발행처|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서울시 서초구 마방로 68(양재동) 동원산업빌딩 9층~12층

전화 02) 589-2200 팩스 02) 589-2222

httpwwwkisteprekr

|인쇄처|(주)비전테크시스템즈 [TEL02)3432-7132]

3

Ⅰ 서 론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Ⅰ 서 론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한 예산 투입은 국민의 세금인 정부 재정의 지원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전제되어야 하므로 신규 사업 기획 시에 다각도의 충분한 고민이 필요함

국가연구개발사업은 정부의 과학기술 전략을 실현시키기 위한 구체화된 방안이므로

국가 과학기술정책에 기반을 두면서 충분한 고민을 통한 사업의 기획이 이루어져야 함

국가연구개발사업은 국가 전체의 파급효과를 고려하여 기획되고 추진되는 것이 바람직함

국가연구개발사업을 기획할 때에는 사업의 기획 이유부터 사업 종료 후 과학기술 경제 사회적으로 영향을 미칠 파급효과까지의 전 과정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

사업의 기획 이유부터 최종 파급효과 확산까지의 전 과정이 적절하고 합리적으로 설정이

되어야 하며 과정의 각 단계 간 인과관계에 바탕을 두고 논리적으로 설명될 수 있어야 함

사업의 전 과정을 포괄하는 논리적 연계성을 확보하기 위해 논리모형(logic model)을

활용하는 것이 좋으나 현재까지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시에는 잘 활용되지 않았음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시에 논리모형이 잘 활용되지 않았던 주된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판단됨

첫 번째는 논리모형 자체를 잘 모르거나 논리모형을 단순히 양식(template) 채우기로

인식하여 유용하지 않다고 생각하기 때문임

- 논리모형의 각 구성요소를 채우는 것도 중요하지만 논리모형의 진정한 유용성은

구성요소 간의 연계성에 바탕을 둔 논리적 흐름을 이어나기 위해 활용될 때 발휘되며

이를 통해 구상하는 사업에 대한 작동논리를 합리적으로 수립할 수 있음

두 번째는 사업의 기획 시에 우리에게 무슨 문제가 있고 어떤 문제를 우선적으로 해결

해야 하는가를 먼저 고민하고 그 문제 해결을 위해 달성해야 할 목표를 수립한 후에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해야 할 활동을 도출하는 순서로 기획하지 않았기 때문임

4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 통상적으로 단기간에 이루어지는 국내의 연구개발사업 기획에서는 ʻ무엇을 할

것인지ʼ부터 먼저 정해놓고 기획에 착수하기 때문에 논리모형을 활용할 기회와

필요가 없어짐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ex-ante evaluation) 시에도 정부 예산을 투입하기 전에

철저히 검토해야 하므로 사업의 기획배경 사업목표 투입 활동 산출 및 성과 영향까지

전 과정에 대한 분석이 필요함

정부는 예산낭비 방지 및 재정운영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2008년부터 국가연구개발

사업에도 사업계획에 대한 사전평가인 예비타당성조사1)를 실시하고 있음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를 통해 사업계획의 전반적인 작동논리를 분석함으로써

사업 추진의 필요성 및 시급성 사업계획의 충실성 및 성공가능성과 파급효과를 검토하여

정부예산 지원의 타당성 여부를 결정함

논리모형은 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에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현재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에서는 조사 대상사업의 주요쟁점 도출에 활용하고 있음

본 이슈페이퍼에서는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를 위해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는

논리모형을 설명하고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함

논리모형은 업무의 계획관리평가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수단임

논리모형 활용의 확산을 통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역량을 제고하고 사업계획의

완성도를 높여 사업의 성공가능성을 제고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함

1)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은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의 총괄수행기관임

5

Ⅱ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개요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Ⅱ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개요

1 연구개발 및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정의

연구개발의 정의

연구개발의 개념 및 범위는 일반적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 발간한 「프라스카티

매뉴얼(Frascati Manual)」을 따르고 있음

- 「프라스카티 매뉴얼(제7판)」에서는 연구개발(RampD)을 ʻ인류 문화 사회를 막론한 모든

종류의 지식을 증진시키거나 지식의 새로운 적용을 도모하기 위해 실시된 창의적이고

체계적인 작업ʼ으로 정의

우리나라에서는 연구개발활동을 ʻ지식의 축적(인간 문화 사회에 관한 지식 포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혹은 이렇게 축적된 지식을 가지고 새로운 응용을 촉진할 목적으로

체계적 토대 위에서 수행하는 창조적 활동ʼ으로 정의2)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정의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에서는 국가연구개발사업을 ʻ중앙행정기관이

법령에 근거하여 연구개발과제를 특정하여 그 연구개발비의 전부 또는 일부를 출연하거나

공공기금 등으로 지원하는 과학기술 분야의 연구개발사업ʼ으로 정의

- 국가연구개발사업은 보통 다수의 연구과제(project)나 내역사업으로 구성됨

- 2014년도에는 605개 세부사업 53493개의 세부 연구과제가 추진됨3)

2) 미래창조과학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5) 2014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3) 미래창조과학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5) 2014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보고서

6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2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은 국가연구개발 목표 설정 및 국가의 자원배분을 설계하는

정책기획과 추진 중 또는 종료된 사업의 성과를 검토하는 연구평가의 중간단계에 해당함

국가연구개발사업은 정책기획에서 도출된 공통된 목표를 지향하는 활동들이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구체적으로 표현된 것임

기술적 목표와 도달 방법을 제시하거나 목표 달성을 위한 요구사항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거나 성공적인 연구관리 방법을 제시하는 등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구체화를 위한

사항은 다양함

국가연구개발사업은 세부적인 과제 도출을 통해 구체화하여 기획되는 것이 바람직함

국가연구개발사업은 본래 정부의 역할을 타 주체가 대행하여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므로

사업계획이 추상적인 관념이나 철학이 아니라 구체적으로 제시될 필요가 있음

이는 법4)에서 연구개발과제를 특정해야 한다고 표현되어 있으며 과제란 연구지원에

대한 과제(project) 뿐만 아니라 연구 장비시설을 도입하거나 구축하는 과제 등이 모두

포함될 수 있고 이러한 과제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구체화되어 특정될 수 있음

- 과제란 국가연구개발사업에서 정부를 대행하는 주체가 수행하여야 하는 활동 등이

객관적으로 구체화된 실체를 의미함

4)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

7

Ⅱ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개요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방법에 대해 정부는 규정을 통해 명시하고 있음

성공가능성이 높은 충실한 사업의 기획을 위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

제4조(사전조사 및 기획) 제1호에서는 ʻ중앙행정기관의 장은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려는 경우에는 그 사업의 기술적경제적 타당성 등에 대한 사전조사 또는 기획

연구를 수행ʼ할 것을 명시하고 있음

정부는 신규 사업의 사전기획을 의무화5)하는 등 RampD기획의 강화를 추진하고 있음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을 위한 구성요소에 대한 획일적인 기준은 없으나 구체화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안에는 다음과 같은 사항들이 포함되어야 함6)

- 사업의 목표 세부추진내용 및 추진체계

- 다른 중앙행정기관의 소관 업무와 관련되는 사항에 대한 조정방안(해당 사항이 있는

경우만 해당)

- 사업의 평가계획

- 필요한 자원의 규모 및 인력 확보방안

- 정부지원의 타당성 검토 결과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방안 및 기대효과

- 국내외 특허 동향 기술 동향 표준화 동향 및 표준특허 동향

5) 국가과학기술위원회 (2011) 정부RampD 투자 효율화 추진계획

6)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 제4조 제7항

8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Ⅲ 사업계획과 논리모형

사업(program)이란 특정한 배경 하에서 특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여러 가지 자원을

투입하고 관련된 활동을 수행하여 산출물과 성과를 생성하는 일련의 작업임

대규모 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이슈문제 목표 대상 투입 활동 및

전략 운영평가체계 산출 및 성과 등이 포함된 사업계획을 수립해야 함

사업계획은 사업이 기획된 대로 시행된다면 의도하는 결과가 달성될 것이라는 일종의

가설임

- 따라서 잘 수립된 사업계획은 왜 해당 사업을 추진하여야 하며 사업이 무엇을

달성하고자 하고 어떻게 달성할 것이고 어떤 활동을 수행하여 어느 정도의 성과를

창출하고 그 성과를 어떻게 측정하고 평가할 지에 대해 충분한 정보를 포함해야 함

사업계획을 검토하는 평가자는 사업계획을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사업의 가설을 분해하기 위해

논리모형을 사용할 수 있음

- 사업계획에 대한 논리모형을 수립함으로써 평가자는 해당 사업의 기획주체가 생각하는

사업의 작동 메커니즘을 이해할 수 있음

논리모형은 각종 사업의 기획 관리 평가에 적용되는 방법 중 하나이며 어떻게 사업을

추진할 것인지를 나타낸 개념도로 정의할 수 있음7)

논리모형은 사업의 작동과 관련된 항목 간의 논리적 연관성을 보여주는 모델로서 사업

관련 활동과 결과가 최종목표에 어떻게 연계되는지를 보여줄 수 있음

논리모형은 사업을 작동시키는 투입자원 활동 그리고 달성할 변화나 결과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고 관계자들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한 체계적이고 시각적인 방법임

7) WK Kellogg Foundation (2004) Logic Model Development Guide

9

Ⅲ 사업계획과 논리모형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논리모형은 사업에 대한 개념 정립 기획 관리 평가 및 다른 사람과의 소통에 유용한

도구이며 사업의 작동 메커니즘 및 기대되는 성과를 다른 사람에게 설득하는 기본 근거가

될 수 있음

논리모형을 활용하여 사업을 분해함으로써 사업의 필요성 세부활동 및 전략 기대성과

산출 시기 수행주체 및 수행처 투입자원 산출의 종류와 규모 그리고 사업결과를 활용한

성과 등을 설명할 수 있음

논리모형은 사업의 생애(기획 실행 평가) 전 과정에 사용될 수 있는 유용한 관리 및 평가

도구임

정부에서도 이해관계자의 사업에 대한 이해를 돕고 성과목표 및 성과지표 설정에

활용하기 위해 사업 분석 시 논리모형의 활용을 권고하고 있음8)

논리모형은 사업의 기획단계 실행단계 그리고 평가단계에서 각각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

기획단계의 논리모형은 사업설계상의 오류와 사업 추진논리 간 괴리(gap)를 발견하는데

유용하며 사업의 작동 가능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줌

- 이를 통해 사업이 무엇에 관한 것인지 각 부분들이 어떻게 함께 작동하게 되는지에 대해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줌

- 이 단계에서의 논리모형은 사업의 설계와 기획에 영향을 주는 변화의 분석을 강조하는

이론접근모형(Theory approach model)이 주로 적용됨

사업 실행단계에 초점이 맞추어진 논리모형은 계획 관리의 핵심 도구로 활용될 수 있으며

사업을 관리하고 개선하기 위하여 필요한 자료를 파악하고 수집하는 데에 도움이 됨

- 이 단계에서는 주로 사업의 활동과 결과가 연결되는 지점에 초점을 두며 산출물을

명확히 파악하여 성과 분석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음

- 이 단계에서는 논리모형 중 집행과정의 세부적인 내용에 가장 주의를 기울이는 활동

접근모형(Activity approach model)이 활용됨

8) 미래창조과학부 (2013) 국가연구개발사업 표준성과지표 ndash 성과목표지표 설정 가이드라인

10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사업 평가단계에서는 공정하고 객관적인 평가와 이를 위한 정보제공이 필요하므로 성과

접근모형(Outcome approach model)이 적용됨

- 이 모형은 투입-활동-결과-성과-영향 사이의 논리적 개연성과 단계별 가정의 유효성을

확인하여 성과를 도출하기 위한 사업의 원활한 작동 가능성을 점검하는데 유용함

논리모형의 형태가 정형화된 것은 없으며 정보의 종류와 수준에 따라 기본항목으로

구성된 모형부터 세부적으로 구체화된 논리모형까지 다양한 형태로 구성이 가능함

사업의 추진단계 및 활용목적에 따라 강조하려는 사항이 다르므로 필요에 따라 다른

형태의 논리모형을 구성할 수 있음

lt그림 1gt과 같은 형태의 논리모형은 사업의 기획단계 및 사전평가 시 사업의 추진당위성

파악에 유용한 형태의 논리모형임

- 동 논리모형은 사업의 추진과정과 결과보다는 사업의 추진논리를 중점적으로 기술

- ʻ문제이슈(ProblemIssue)ʼ 항목에서는 연구개발사업을 통해 해결하거나 대처하고자

하는 문제를 설명

- ʻ사회적 수요자산(Community NeedsAssets)ʼ 항목에서는 문제이슈 관련 수요와

이의 해결을 위해 활용 가능한 사회적인 자산을 서술

- ʻ희망하는 결과(Desired results)ʼ 항목에서는 연구개발사업이 실행된다면 단기장기적으로 달성하고자 하는 것을 서술

- ʻ영향요인(Influential factors)ʼ 항목에서는 사회의 변화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생각하는

요인들 예를 들어 우호적 요인 또는 위험 요인 정책 환경 기타 요인 등을 열거

- ʻ전략(Strategies)ʼ 항목에서는 사업을 통해 희망하는 결과의 달성에 도움이 될 성공전략

또는 모범사례(best practice)를 기술

- ʻ가정(Assumptions)ʼ 항목에서는 전략이 어떻게 작동할 것인지에 관한 가정을 서술

11

Ⅲ 사업계획과 논리모형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lt그림 1gt 논리모형의 사례 1

출처 WK Kellogg Foundation (2004) Logic Model Development Guide

lt그림 2gt~lt그림 4gt와 같은 형태의 논리모형은 사업의 추진과정 및 결과를 보여줄 수 있는

기본적인 논리모형들로서 사업의 작동과정 분석에 유용함

- ʻ투입ʼ 항목에서는 활동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자원을 기재

- ʻ활동ʼ 항목에서는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수행할 활동을 서술

- ʻ산출ʼ 항목에서는 사업의 추진 중 또는 종료 시 창출할 것으로 기대하는 산출물을 기재

- ʻ성과ʼ 항목에서는 사업이 종료된 후의 변화를 기술하며 필요시 사업 종료 직후와 5~6년

이내의 중기로도 구분하여 기술할 수도 있음

- ʻ영향ʼ 항목에서는 사업이 종료된 후 장기적으로 발생될 것으로 예상하는 변화를 기재

12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lt그림 2gt 논리모형의 사례 2

출처 WK Kellogg Foundation (2004) Logic Model Development Guide

lt그림 3gt 논리모형의 사례 3

출처 McLaughlin JA and Jordan GB (2010) ldquoUsing Logic Modelsrdquo Handbook

of Practical Program Evaluation(Third Edition)

13

Ⅲ 사업계획과 논리모형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lt그림 4gt 논리모형의 사례 4

출처 노화준 (2008) 정책평가론

lt그림 1gt의 논리모형과 lt그림 2gt~lt그림 4gt의 논리모형을 결합하면 사업의 추진논리와

함께 추진과정 및 결과를 함께 볼 수 있는 논리모형을 구성할 수 있음

- 이러한 아이디어에 바탕을 두어 본 이슈페이퍼의 4장에서 설명할 논리모형이 개발됨

14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Ⅳ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Ex-ante evaluation)인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

에서는 사업계획의 쟁점사항 도출을 위한 핵심 도구로서 논리모형을 개발하여 활용하고

있음

관련 문헌들과 기존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 사례를 바탕으로 활용하기 용이한

논리모형을 개발하여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제2판)에 수록

본 논리모형은 이론접근모형과 성과접근모형을 결합한 형태로서 수직적으로는(상하

방향) 사업 추진에 대한 논리의 흐름을 수평적으로는(좌우 방향) 사업의 추진과정을

나타내도록 하여 이해하기가 용이함

- 제시된 논리모형은 정형화된 것은 아니며 사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논리모형을

변형하여 활용할 수 있음

사업계획의 평가자는 사업계획을 충분히 파악하고 이해한 후 논리모형을 작성하여야 함

- 논리모형 작성 시 주의할 점은 논리모형의 각 항목의 내용은 대상사업에 대한 평가자의

생각이 아니라 사업 기획주체의 의도와 논리를 담아야 함

논리모형이 작성된 이후에는 작성된 논리모형의 각 항목별 적절성과 항목 간 논리 흐름상의

오류나 괴리가 없는지 분석하여 주요 쟁점사항을 도출한 후 세부적으로 분석을 수행

사업의 기획단계에서도 본 논리모형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음

15

Ⅳ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를 위해 개발된 논리모형의 구조와 각 항목별로 다루어지는

내용 및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음

1 이슈 문제

ㅇ사업 추진의 필요성을 설명할 수 있는 배경요인 과학기술적 산업적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국가적 수요와 도전과제 등

ㅇ해당 사업을 통해 해결하거나 대처하고자 하는 문제나 이슈ㅇ해당 사업 분야와 관련된 정책 다른 연구개발사업 및 과제의 현황 미래 예측 기술과 시장의 동향 및 전망 전문가

설문 통계 및 조사 데이터 등도 활용ㅇ사업을 추진하지 않을 경우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문제나 잃게 되는 기회는 무엇인가ㅇ이슈문제 해결을 위해 연구개발사업 이외의 대안전략은 없는가

2 목표 3 수혜자

ㅇ해당 사업의 추진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사업의 핵심 성과 - 문제 해결 정도의 측정이 가능하도록 정량적 성과지표 제시

ㅇ사업목표 달성이나 사업의 산출로 인해 직접적인 이익을 얻는 주체

4 투입 5 활동 6 산출 7 성과 영향

ㅇ연구개발활동에 필요한 모든 자원

- 사업비 - 인적 자원 - 시설 및 장비 - 연구주체 지식

ㅇ목표를 달성하고 산출 발생을 위해 수행하는 연구개발 활동

ㅇ연구개발활동에 의한 직접적인 결과물 - 기술 정보 제품

데이터 서비스 논문 특허 등

- 산출물의 수량 규모 범위 등을 정량적으로 제시

ㅇ사업을 통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의도된 결과나 변화

ㅇ성과의 확산으로 인해 미래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직간접적 변화 및 파급효과

8 가정

ㅇ사업 추진 시 단계별로 발생할 상황과 변화에 대한 기대나 예측 - ldquo~~하면 ~~할 것이다rdquo로 표현되는 가정문(if-then)을 주로 사용ㅇ사업의 성공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외부요인 환경 조건 법 규정 원칙 믿음 위험

lt그림 5gt 연구개발사업의 쟁점사항 도출을 위한 논리모형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4) 연구개발부문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제2판)

16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983729 이슈문제 (IssueProblem)

이슈문제는 해당 연구개발사업을 기획하게 된 배경을 설명하고 사업의 추진당위성을

부여하는 항목

동 항목에서는 대상사업과 관련된 분야에서 어떠한 이슈나 문제가 존재하며 이러한

이슈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연구개발사업의 추진이 가장 효과적인 전략인지를

설명할 수 있어야 함

- 이를 위해 해당 사업의 필요성을 설명할 수 있는 배경요인(contextural factor)이 기술

되어야 하며 배경요인들에는 과학기술적 산업적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국가적

수요와 도전과제 등이 포함됨

사업에서 대처하려는 이슈나 문제가 여러 가지 요인들로 인해 복잡하다면 해당 사업과

연관성이 가장 높고 중요한 요인들로 압축하여 선정해야 함

- 이러한 문제 정의 과정을 통해 사업에서 추구하려는 목표를 명확히 설정할 수 있음

정부부처에서 제안하는 대부분의 연구개발사업은 특정 세부분야를 대상으로 하므로

광범위한 연구분야나 산업분야의 일반적이고 진부한 이슈문제를 제시하는 것보다는

사업에서 제안하는 세부분야의 특성과 현황에 기반을 둔 구체적이고 핵심적인 이슈

문제를 선정하여 강조하여야 설득력을 확보할 수 있음

사업의 필요성을 설명하기 위해 사업의 분야와 관련된 정책과 연구개발사업 및 과제의

현황 미래 예측 기술과 시장의 동향 및 전망 전문가 설문조사 통계 및 조사 데이터를

적극 활용하는 것이 좋음

제안된 연구개발사업 이외에 도출된 이슈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다른 대안이나 전략이

없는지도 고려할 필요가 있음

해당 사업계획에 대한 평가자는 사업 기획주체가 제시한 문제 정의가 적절한지를

분석함으로써 사업 추진당위성이 확보되었는지를 평가

17

Ⅳ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983730 목표 (Objective)

목표는 해당 사업의 추진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사업의 핵심 성과를 의미함

목표는 해결하고자 하는 이슈문제와 관련이 있어야 하며 해당 사업을 통해 그 이슈

문제가 해결될 수 있어야 함

- 즉 사업목표는 해당 사업을 통해 이슈문제가 어느 정도로 해결될 수 있는지 측정이

가능하도록 정량적으로 제시되어야 함

목표는 구체적이어야 하며(Specific) 측정 가능해야 하고(Measurable) 달성 가능해야

하며(Achievable) 이슈 및 연구개발활동과 연관이 있고(Relevant) 기한이 정해진

(Time-bound) 것이어야 함(SMART)9)

- 목표는 사업이 달성하고자 하는 바를 의미하므로 ① 이슈문제 및 ⑦ 성과영향과

연계하여 분석

목표는 구체성과 계측가능성을 기준으로 볼 때 목적과는 구분되는 개념임

- 사전적인 의미에서 목적(目的)은 ʻ실현하려고 하는 일이나 나아가는 방향ʼ이며 목표

(目標)는 ʻ어떤 목적을 이루려고 지향하는 실제적 대상으로 삼음 또는 그 대상ʼ을 뜻함

- 즉 목적은 추상적이고 방향과 의도를 함축하는데 반하여 목표는 구체적이고 범위가

제한적이며 일반적으로 측정 가능한 수치로 표현됨

983731 수혜자 (Beneficiary)

사업으로 인해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이해관계자는 여러 유형이 있을 수 있으나

수혜자10)는 사업목표와 접한 관련이 있어야 함

9) HM Treasury (2011) The Green Book Appraisal and Evaluation in Central Government

10) 예비타당성조사에서의 수혜자는 사업 추진을 통해 자금을 지원받는 주체가 아니라 사업목표 달성이나 사업의 산출로

인해 직접적인 경제적 이익을 얻는 주체를 의미하며 경제성 분석은 이 수혜자가 얻게 되는 직접적인 경제적 편익을

기준으로 분석함

18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983732 투입 (Input)

투입은 연구개발활동에 필요한 모든 자원을 의미

- 투입의 기본 항목은 재정적 자원과 인적 자원이며 연구시설middot장비 연구수행주체 관련

지식 등이 투입에 해당

- 해당 사업에서 활용될 기존 사업의 산출과 성과도 투입에 포함될 수 있음

사업이 충실하게 기획되면 희망하는 결과를 얻기 위한 최소의 물량규모가 정량적으로

산출될 수 있음

- 실무적으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에서 투입에 해당하는 물량규모는

총사업비라는 형태로 표현됨

983733 활동 (Activity)

국가연구개발사업에서의 활동은 목표를 달성하고 산출을 발생시키기 위해 수행하는

연구개발활동에 초점을 맞추어야 하며 연구개발에 인접한 활동은 연구개발예산 편성

기준에 부합하는지의 여부에 초점을 맞추어야 함

일반적으로 OO기술 개발 OO연구기반 구축 등이 큰 범위의 연구개발활동이 되며 각

연구개발활동은 요소기술 개발 등의 세부 연구개발활동으로 세분화될 수 있음

983734 산출 (Output)

산출은 연구개발활동을 통한 직접적인 결과물을 의미하며 각 활동별로 하나 이상의

산출이 존재할 수 있음

일반적으로 연구개발활동으로 개발된 기술 정보 데이터 제품 서비스 등이 해당되며

이 각각의 산출물은 정량적으로 수량 규모 범위 등이 제시되어야 함

- 기초연구사업에서 개발된 기술에 대한 논문과 특허도 산출물에 해당

19

Ⅳ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983735 성과영향 (OutcomeImpact)

성과는 사업의 목표와 접한 관련이 있으며 사업 추진에 따른 변화나 사업결과

(output)의 활용을 통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의도된 결과이며 영향은 성과의

확산으로 인해 미래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직간접적 변화 및 파급효과를 의미

- 일반적으로 연구개발사업의 단계 구분이나 관련 문헌에서 제시된 논리모형에서는

성과와 영향을 별도 항목으로 고려하기도 하지만 사업의 착수 전에 수행되는 사전

평가에서 성과와 영향을 구분하여 검토하는 것은 실효성이 낮으므로11) 성과와 영향을

종합하여 검토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의 경제성 분석은 국가연구개발사업으로 인한 직접적인

경제적 성과를 추정하는 것임

983736 가정 (Assumption)

사업계획은 그 자체가 기획된 대로 수행하면 기대하는 결과가 생성될 것이라는 가설이며

가정은 사업의 유효성에 대한 믿음임

가정은 사업 추진 시 논리모형의 각 항목별로 발생할 상황과 변화에 대한 기대나 예측을

의미

가정은 사업 수행에 직접적으로 관련 있는 것으로 한정되어야 하며 사업의 성공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외부요인들도 가정에 포함될 수 있음

- 이러한 외부요인으로는 환경 조건 법 규정 원칙 한계 믿음 위험 등이 될 수 있음

11) 사업으로 인한 성과와 영향은 종료평가와 추적평가를 통해 구체적인 평가가 가능함

20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사업계획은 적절한 기획을 통해 도출되어야 하며 기획과정 중에 논리모형을 통해

논리적인 비약을 배제함으로써 사업계획의 합리성을 확보할 수 있음

기획은 최적의 수단으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미래에 취할 행동을 위한 일련의

결정을 준비하는 계획적 과정임

충분한 고민과 의견 수렴을 통해 기획이 잘 이루어지면 사업 추진과 결과의 부실화를

미연에 방지하고 성공가능성을 높일 수 있음

논리모형은 기획과정의 각 시점에서 그 당시까지 구체화된 항목을 하나하나 채워나감

으로써 가시적인 논리의 확인과 기획참여자들 간의 소통과 이해 및 의견 수렴에 유용함

사업의 기획이 완료된 후에는 완성된 논리모형을 예산당국 주무부처와 같은 이해

관계자와 사업계획 평가자에게 제시하여 사업의 거시적인 작동논리를 이해시키고 예산

확보를 위해 설득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음

사업의 착수시점에 해당 사업에 대한 체계화된 정보가 없을 경우에는 후속관리가

부실화되기 쉬우므로 사업계획의 충실한 수립은 매우 중요함

전반적인 추진논리를 확보하기 위해 바람직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절차는

lt그림 6gt과 같이 제시될 수 있음

21

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lt그림 6gt 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정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4) 연구개발부문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제2판)

사업을 기획하기 위해서는 우선 대규모 신규 사업의 추진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이슈

또는 문제가 무엇인지 먼저 파악되어야 함

- 동향조사 예측조사 설문조사 인터뷰 통계분석 등 다양한 분석방법을 통해 적절한

범위 내에서 이슈문제를 식별한 후 기획 의도를 고려한 합리적인 평가기준을 적용하여

사업에서 집중하고자 하는 문제를 선택해야 함

- 선택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연구개발사업이 세금 자금 인력 지원 등 다른

대안과 비교할 때 가장 효율적인 방법인지 검토되어야 함

정부의 연구개발사업 추진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가 정의되면 사업을 통해 얻고자 하는

성과가 무엇인지 구체적이고 객관적으로 제시해야 함

- 이를 위해서는 사업의 성과물이 전달되는 수혜 대상이 명확히 정의되어야 함

사업목표가 설정되면 이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추진체계와 추진전략이 수립되어야 함

22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 추진체계는 다양한 참여주체의 분석을 통해 적절한 역할과 조정 협력관계 등을

조직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함

- 추진전략은 사업 및 기술 환경의 특성 분석을 통해 목표 달성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연구개발전략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함

세부과제의 구성을 완료하여 사업기간과 총사업비 그리고 필요한 장비와 시설 등 신규

구축할 인프라의 규모를 도출함

- 세부과제는 기본적으로 사업목표와 직접적으로 연계되어야 함 즉 세부과제가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사업목표가 달성될 수 있도록 구성할 필요

- 기술수요조사와 시설장비수요조사와 같은 시장이나 사회적 수요를 반영한 후보과제를

도출한 후 사업목표의 달성을 위한 전략적 방향을 고려한 기준과 가중치가 적용된

우선순위 선정절차를 거치는 것이 바람직함

- 선정된 세부과제는 목표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적절한 단위의 세부활동을 구성하고 사업

추진상의 기술개발 로드맵을 수립하며 각각의 세부 성과지표를 구체화함

- 세부활동이 구체화되면 활동별로 수행을 위한 비용 기간 조직 인프라 등의 자원 소요계획이

확립되며 이를 종합하여 전체 사업의 추진을 위해 필요한 투입자원의 총량을 도출함

수립된 사업계획 초안의 문제 정의 사업목표 설정 추진체계 및 추진전략 수립 세부과제

구성에 대한 재검토 및 보완을 통해 기획을 완료함

- 현실적으로 기획과정에서 모든 정보를 완벽하게 수집하고 분석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신규로 제안되는 사업과 유사한 선행사업이 없어 과거 사례의 참조에도 한계가 있을 수 있음

- 사업의 내용은 기획이 진행되면서 시간의 흐름과 함께 점진적으로 구체화12)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환류(feedback) 과정을 거쳐 사업계획을 보완하는 것이 중요함

- 환류 과정을 진행하기 전에 현재까지 기획된 사업계획에 대한 논리모형을 구성하여

전반적인 사업의 작동논리가 설득력 있게 기획되었는지 확인하고 환류 과정을 통해

보완된 사업계획에 대한 논리모형도 검토하는 것이 바람직함

12) PMI (2000) PMBOK Guide

23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가상의 사례를 통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을 설명하고자 함

lt그림 7gt은 가상의 국가연개구발사업에 대해 작성된 논리모형임

1 이슈 문제

ㅇ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시장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나 정부의 투자는 산발적이고 일회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해외 의존도가 증대되고 있음

- 클러스터 형태의 실증사업 추진 필요

ㅇ A 융합기술ʼ 분야의 생태계 조성과 연계하고 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 클러스터를 구축하고 Z지역의 산업지역발전의 거점 역할을 하도록 할 필요

2 목표 3 수혜자

ㅇ ʻA 융합기술ʼ 신산업 허브 구축

- ʻA 융합기술ʼ 신산업 창출 선도 및 발전 기반 구축

- 지역거점형 ʻA 융합기술ʼ 실증사업 중심 산업화 지원

- ʻA 융합기술ʼ 산학연 협력 및 비즈니스 협업체계 구축

ㅇA 융합기술 분야 기업

ㅇ국민공공기관

4 투입 5 활동 6 산출 7 성과 영향

ㅇ사업비 OO억 원

ㅇ연구인력

ㅇ ʻA 융합기술ʼ 통합

센터 구축

ㅇ실증사업

- B C D E 4개

산업 분야

ㅇB C D E 등 4개

산업 분야

ʻA 융합기술ʼ 시스템

ㅇ ʻA 융합기술ʼ 기반

융합산업의 생산성

증대

ㅇZ지역의 지역경제

발전

8 가정

ㅇ ʻA 융합기술ʼ 신산업 강화는 국가 발전의 원동력으로 작용할 것임

ㅇ지역 착형 거점 구축을 통해 기술발전을 선도하고 관련 산업 육성을 도모하며 지역산업 활성화를 도모할 것임

lt그림 7gt 가상의 사업계획에 기반한 논리모형 작성의 사례

24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사업에 대한 사전평가에서 논리모형은 사업의 거시적인 작동논리의 분석을 통해 주요

쟁점을 도출하기 위해 활용됨

논리모형에는 사업계획의 핵심 내용만 기재되므로 논리모형 분석은 세부내용의 상세한

적부 분석이 아닌 이슈 목표 활동으로 이어지는 사업의 주요 작동논리 분석과 세 항목 간의

논리적 연계성 분석이 주로 이루어짐

시장 수요나 전망 현장의 이슈를 고려하지 않고 적절한 기획과정도 거치치 않은 채 소수의

기획주체가 ʻ하고 싶고 할 수 있는ʼ 과제를 먼저 선정해 놓고 사업을 기획하여 전체적인

사업 작동논리가 부실한 경우가 많으므로 이러한 쟁점 여부의 파악을 위해 활용함

가상의 사업계획에서 제시한 이슈(983729)는 신규 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는 이유를 설명하는

문제 정의로서 적절치 않음

최근 2~3년전부터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다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들이 다수 착수되어

추진되고 있으므로 산발적일회적이라는 주장은 사실과 다름

ʻA 융합기술ʼ 분야는 현재 국내 기업에서 사업화를 추진 중인 분야이고 기업들의 기술 수준도

상대적으로 높으므로 해외의존도를 언급하는 것은 부적절함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시장이 확대될 것이라는 예측은 적절하지만 이러한 내용은 누구나

알고 있는 일반적인 사항이며 동 사업 내에서 실증을 하고자 하는 세부 산업 분야(B C

D E 산업)에서의 ʻA 융합기술ʼ의 시장 동향 전망과 데이터에 근거한 분석은 이루어지지

않음

대형 실증사업 추진을 위해서는 사업의 성과에 대한 구체적 근거 마련을 위해 사전 연구나

조사를 통한 성과 데이터의 구축이 필요하나 실증사업의 추진 필요성과 유효성을 설명

할 수 있는 근거자료가 부재함

Z지역에는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연구 및 산업기반이 국내에서도 상대적으로 미약하여

산업 클러스터가 형성될 가능성이 낮고 국가적인 차원의 활용도 관점에서 해당 지역에의

거점 구축의 당위성은 낮음

25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기획의 Tip

국가적인 차원에서 연구개발사업을 통해서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를 구체적이고 명확히 정의

- 현재 또는 미래에 어떤 문제가 있거나 발생할 것이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

개발사업을 구상하게 되었는지 제시

-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광범위한 이슈의 제기는 무의미

- 국내외의 각종 통계 보고서 정책자료 시장보고서 전문가 및 실무자 인터뷰 등 근거자료를

통해 구체화되고 특정화된 문제를 제시

- 특정 주체나 지역이 아닌 국가적인 차원의 문제를 제시해야 하며 해당 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지 않으면 국가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나 잃게 되는 기회가 무엇인지를 설명

- 지역기반 구축은 국가적인 필요성과 함께 전국에서 해당 지역이 기반 구축의 최적지임을

입증할 수 있는 근거가 필요

사업목표(983730)를 제시하였으나 선언적인 내용에 불과하며 성과지표의 구체화가 미흡하여

문제 해결 정도를 측정하기 어려움

동 사업에서는 광범위한 ʻA 융합기술ʼ의 적용 분야 중 소수의 분야만을 다루는 반면

사업목표는 사업 내용에 비해 지나치게 일반적이고 광범위하게 수립됨

동 사업은 상호 연관성이 낮은 여러 세부사업을 단일 사업 내에 포함시켜 전체 사업 수준의

거시적인 성과목표 제시가 어려운 한계가 있음

앞서 각 세부사업별로 해당 산업 분야의 문제 정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사업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와 성과가 불문명하며 이에 따라 성과지표를 정량적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하여 목표 달성 여부의 측정방법도 불분명함

26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기획의 Tip

관리 가능성의 관점에서 사업목표는 SMART하게 제시

- 구체적이고(Specific) 측정가능하며(Measurable) 달성가능하고(Achievable) 문제 활동과 연관성이 있으며(Relevant) 시간제약이 있도록(Time-bound)가 있도록 수립

해결해야 할 문제(983729)와 사업목표(983730) 간에 괴리가 존재하여 둘 간의 연계성은 미흡함

해결해야 할 이슈로 제시한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일반적인 문제들을 사업목표로 제시한

지역 착형 사업을 통해 해소하고자 함은 연계성이 낮음

문제 정의 자체가 세부 산업분야별 시장 전망 또는 현장의 이슈 분석을 통해 구체적으로

도출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를 해소하기 위해 달성할 사업목표의 설정도 어려운 한계가

있으며 동 사업의 추진으로 국내외에서 어느 정도의 성과를 거둘 수 있을지도 예상할 수

없음

제시된 4가지 실증사업은 공공 영역부터 민간의 사업화가 활발한 영역까지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어 시너지 효과 창출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됨

기획의 Tip

사업목표의 범위는 제시된 이슈문제의 범위와 일치해야 하며 사업목표를 달성하면 이슈문제가 어느 정도 해결되는지를 보여줄 수 있도록 사업목표를 수립

세부 실증사업을 통해 개발될 제품(시스템)의 사용자(구매자)까지 수혜자로 포함시켜

수혜자(983731)의 표적화가 부적절함

동 사업을 통해 제품을 개발하여 사업 종료 후 해당 제품의 판매를 통해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할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기업들이 동 사업의 직접적 수혜자임

27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동 사업은 A 융합기술ʼ 분야의 실증을 통한 시스템 개발로 종료되며 제품을 최종사용자

에게까지 보급하는 것은 사업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여러 단계 이후의 최종사용자를

동 사업의 수혜자로 제시하는 것은 부적절함

기획의 Tip

사업목표와 범위에 맞는 수혜자를 제시

- 성과확산단계에 따라 수혜자를 구분하여 제시할 수는 있으나 사업성과를 통해 직접적 경제적

수혜를 받는 주체만 경제성 분석의 대상이 됨

세부활동(983733)은 사업목표(983730)와 개념적으로는 일부 연계성이 있음

산업 분야에 A 융합기술ʼ의 접목하기 위한 실증사업의 추진이 동 사업의 주요 내용이므로

관련 신산업을 창출하고자 하는 사업의 목표와는 개념적으로 연계성이 있음

B C 분야는 사업목표와 관련성이 있고 구축되는 통합센터와 정보 공유도 가능할 것이나

D E 분야는 독립적이며 사업목표와의 연계성도 낮아 동일 사업 내에서 추진할 필요성

및 통합센터 구축의 필요성도 모호함

기획의 Tip

세부활동(세부사업 또는 과제)을 수행하면 제시된 사업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세부

활동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문제 해결 및 사업목표 달성과 연관성이 낮은 활동은 제외

- 사업목표 달성과 관련 없는 과제의 포함 불요불급한 시설 및 장비의 구축 필요 이상으로 부풀린

사업비의 요구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는 주요 요인임

이 외의 항목들은 거시적인 작동논리나 연계성에 대한 검토보다는 세부내용의 적부 분석을 수행함

투입(983732)과 산출(983734)은 활동의 상세한 분석을 통해 적절성을 분석

성과영향(983735)은 사업목표와 활동 산출의 상세한 분석을 통해 적절성을 분석

가정(983736)은 별도의 분석보다는 이슈 목표 활동과 연계하여 분석

28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Ⅶ 맺음말

사업의 직접적인 이해관계자는 해당 사업의 긍정적인 측면만 생각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사업 기획주체는 신규 사업의 기획 시 객관적인 시각에서 사업계획을 조망하고 보완하기 위해

논리모형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ʻ왜 해야 하는지ʼ ʻ어떠한 결과를 내려고 하는지ʼ ʻ무엇을 어떻게 하려고 하는지ʼ가

논리적으로 연계가 되어 설득력을 확보해야 함

사업의 착수 전에 문서뿐인 사업계획서를 분석하여 사전에 평가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나

논리모형을 활용한 사업의 작동논리와 추진과정의 객관적인 분석을 통해 기획단계의

오류로 인한 사업의 부실화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

제도적인 측면에서 평가결과의 일관성 확보를 위해 사전평가의 방법으로 논리모형

분석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함13)

본 이슈페이퍼에서는 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을 설명

하였으며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추진단계 및 종료단계에 적절한 논리모형의 개발 및 활용도

고려할 필요

사업 추진 중의 사업관리 또는 중간평가 시에는 투입 rarr 활동 rarr 산출 등 사업 추진과정을

확대하여 집중적으로 분석하는 특히 활동을 더 세부적으로 구분한 논리모형이 필요함

- 사업별 특성에 부합하도록 단계별 연차별 세부과제(기술)별로 마일스톤이 포함된

논리모형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는 사업 추진 로드맵을 포함하는 형태가 될 것임

사업 종료 시의 성과확산 전략 수립이나 종료평가 또는 그 이후의 추적평가 시에는 산출

rarr 성과 rarr 영향의 사업성과 확산과정을 집중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논리모형을 구성할 수 있음

- 성과의 확산은 해당 연구개발사업 이후에 이루어지므로 동 논리모형의 구성은 성과의

극대화를 위한 성과확산사업의 기획과정으로도 볼 수 있음

논리모형 활용의 확산을 통해 국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역량을 제고하고 사업계획의

완성도를 높여 사업의 성공가능성을 제고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함

13)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에서는 이를 필수적으로 활용하도록 하고 있음

29

참 고 문 헌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 고 문 헌

국가과학기술위원회 (2011) 정부RampD 투자 효율화 추진계획

노화준 (2008) 정책평가론

미래창조과학부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 대통령령 제26729호

미래창조과학부 (2013) 국가연구개발사업 표준성과지표 ndash 성과목표지표 설정 가이드라인

미래창조과학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5) 2014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보고서

미래창조과학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5) 2014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4) 연구개발부문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제2판)

HM Treasury (2011) The Green Book Appraisal and Evaluation in Central Government

McLaughlin JA and Jordan GB (1999) ldquoLogic models a tool for telling your programrsquos

performance storyrdquo Evaluation and Program Planning 22 65~72

McLaughlin JA and Jordan GB (2010) ldquoUsing Logic Modelsrdquo in Joseph S Wholey

Harry P Hatry and Kathryn E Newcomer(eds) Handbook of Practical Program

Evaluation(Third Edition) San Francisco Jossey-Bass 55~80

OECD (2015) Frascati Manual 2015

PMI (2000) PMBOK Guide

WK Kellogg Foundation (2004) Logic Model Development Guide

저자 소개

강 현 규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공공기술조사실장

- 전화 02-589-2813

- e-mail hkkangkisteprekr

KISTEP Issue Paper 2016-05

|발 행|2016년 5월

|발행인|박 영 아

|발행처|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서울시 서초구 마방로 68(양재동) 동원산업빌딩 9층~12층

전화 02) 589-2200 팩스 02) 589-2222

httpwwwkisteprekr

|인쇄처|(주)비전테크시스템즈 [TEL02)3432-7132]

4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 통상적으로 단기간에 이루어지는 국내의 연구개발사업 기획에서는 ʻ무엇을 할

것인지ʼ부터 먼저 정해놓고 기획에 착수하기 때문에 논리모형을 활용할 기회와

필요가 없어짐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ex-ante evaluation) 시에도 정부 예산을 투입하기 전에

철저히 검토해야 하므로 사업의 기획배경 사업목표 투입 활동 산출 및 성과 영향까지

전 과정에 대한 분석이 필요함

정부는 예산낭비 방지 및 재정운영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2008년부터 국가연구개발

사업에도 사업계획에 대한 사전평가인 예비타당성조사1)를 실시하고 있음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를 통해 사업계획의 전반적인 작동논리를 분석함으로써

사업 추진의 필요성 및 시급성 사업계획의 충실성 및 성공가능성과 파급효과를 검토하여

정부예산 지원의 타당성 여부를 결정함

논리모형은 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에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현재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에서는 조사 대상사업의 주요쟁점 도출에 활용하고 있음

본 이슈페이퍼에서는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를 위해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는

논리모형을 설명하고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함

논리모형은 업무의 계획관리평가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수단임

논리모형 활용의 확산을 통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역량을 제고하고 사업계획의

완성도를 높여 사업의 성공가능성을 제고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함

1)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은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의 총괄수행기관임

5

Ⅱ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개요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Ⅱ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개요

1 연구개발 및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정의

연구개발의 정의

연구개발의 개념 및 범위는 일반적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 발간한 「프라스카티

매뉴얼(Frascati Manual)」을 따르고 있음

- 「프라스카티 매뉴얼(제7판)」에서는 연구개발(RampD)을 ʻ인류 문화 사회를 막론한 모든

종류의 지식을 증진시키거나 지식의 새로운 적용을 도모하기 위해 실시된 창의적이고

체계적인 작업ʼ으로 정의

우리나라에서는 연구개발활동을 ʻ지식의 축적(인간 문화 사회에 관한 지식 포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혹은 이렇게 축적된 지식을 가지고 새로운 응용을 촉진할 목적으로

체계적 토대 위에서 수행하는 창조적 활동ʼ으로 정의2)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정의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에서는 국가연구개발사업을 ʻ중앙행정기관이

법령에 근거하여 연구개발과제를 특정하여 그 연구개발비의 전부 또는 일부를 출연하거나

공공기금 등으로 지원하는 과학기술 분야의 연구개발사업ʼ으로 정의

- 국가연구개발사업은 보통 다수의 연구과제(project)나 내역사업으로 구성됨

- 2014년도에는 605개 세부사업 53493개의 세부 연구과제가 추진됨3)

2) 미래창조과학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5) 2014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3) 미래창조과학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5) 2014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보고서

6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2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은 국가연구개발 목표 설정 및 국가의 자원배분을 설계하는

정책기획과 추진 중 또는 종료된 사업의 성과를 검토하는 연구평가의 중간단계에 해당함

국가연구개발사업은 정책기획에서 도출된 공통된 목표를 지향하는 활동들이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구체적으로 표현된 것임

기술적 목표와 도달 방법을 제시하거나 목표 달성을 위한 요구사항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거나 성공적인 연구관리 방법을 제시하는 등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구체화를 위한

사항은 다양함

국가연구개발사업은 세부적인 과제 도출을 통해 구체화하여 기획되는 것이 바람직함

국가연구개발사업은 본래 정부의 역할을 타 주체가 대행하여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므로

사업계획이 추상적인 관념이나 철학이 아니라 구체적으로 제시될 필요가 있음

이는 법4)에서 연구개발과제를 특정해야 한다고 표현되어 있으며 과제란 연구지원에

대한 과제(project) 뿐만 아니라 연구 장비시설을 도입하거나 구축하는 과제 등이 모두

포함될 수 있고 이러한 과제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구체화되어 특정될 수 있음

- 과제란 국가연구개발사업에서 정부를 대행하는 주체가 수행하여야 하는 활동 등이

객관적으로 구체화된 실체를 의미함

4)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

7

Ⅱ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개요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방법에 대해 정부는 규정을 통해 명시하고 있음

성공가능성이 높은 충실한 사업의 기획을 위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

제4조(사전조사 및 기획) 제1호에서는 ʻ중앙행정기관의 장은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려는 경우에는 그 사업의 기술적경제적 타당성 등에 대한 사전조사 또는 기획

연구를 수행ʼ할 것을 명시하고 있음

정부는 신규 사업의 사전기획을 의무화5)하는 등 RampD기획의 강화를 추진하고 있음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을 위한 구성요소에 대한 획일적인 기준은 없으나 구체화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안에는 다음과 같은 사항들이 포함되어야 함6)

- 사업의 목표 세부추진내용 및 추진체계

- 다른 중앙행정기관의 소관 업무와 관련되는 사항에 대한 조정방안(해당 사항이 있는

경우만 해당)

- 사업의 평가계획

- 필요한 자원의 규모 및 인력 확보방안

- 정부지원의 타당성 검토 결과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방안 및 기대효과

- 국내외 특허 동향 기술 동향 표준화 동향 및 표준특허 동향

5) 국가과학기술위원회 (2011) 정부RampD 투자 효율화 추진계획

6)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 제4조 제7항

8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Ⅲ 사업계획과 논리모형

사업(program)이란 특정한 배경 하에서 특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여러 가지 자원을

투입하고 관련된 활동을 수행하여 산출물과 성과를 생성하는 일련의 작업임

대규모 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이슈문제 목표 대상 투입 활동 및

전략 운영평가체계 산출 및 성과 등이 포함된 사업계획을 수립해야 함

사업계획은 사업이 기획된 대로 시행된다면 의도하는 결과가 달성될 것이라는 일종의

가설임

- 따라서 잘 수립된 사업계획은 왜 해당 사업을 추진하여야 하며 사업이 무엇을

달성하고자 하고 어떻게 달성할 것이고 어떤 활동을 수행하여 어느 정도의 성과를

창출하고 그 성과를 어떻게 측정하고 평가할 지에 대해 충분한 정보를 포함해야 함

사업계획을 검토하는 평가자는 사업계획을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사업의 가설을 분해하기 위해

논리모형을 사용할 수 있음

- 사업계획에 대한 논리모형을 수립함으로써 평가자는 해당 사업의 기획주체가 생각하는

사업의 작동 메커니즘을 이해할 수 있음

논리모형은 각종 사업의 기획 관리 평가에 적용되는 방법 중 하나이며 어떻게 사업을

추진할 것인지를 나타낸 개념도로 정의할 수 있음7)

논리모형은 사업의 작동과 관련된 항목 간의 논리적 연관성을 보여주는 모델로서 사업

관련 활동과 결과가 최종목표에 어떻게 연계되는지를 보여줄 수 있음

논리모형은 사업을 작동시키는 투입자원 활동 그리고 달성할 변화나 결과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고 관계자들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한 체계적이고 시각적인 방법임

7) WK Kellogg Foundation (2004) Logic Model Development Guide

9

Ⅲ 사업계획과 논리모형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논리모형은 사업에 대한 개념 정립 기획 관리 평가 및 다른 사람과의 소통에 유용한

도구이며 사업의 작동 메커니즘 및 기대되는 성과를 다른 사람에게 설득하는 기본 근거가

될 수 있음

논리모형을 활용하여 사업을 분해함으로써 사업의 필요성 세부활동 및 전략 기대성과

산출 시기 수행주체 및 수행처 투입자원 산출의 종류와 규모 그리고 사업결과를 활용한

성과 등을 설명할 수 있음

논리모형은 사업의 생애(기획 실행 평가) 전 과정에 사용될 수 있는 유용한 관리 및 평가

도구임

정부에서도 이해관계자의 사업에 대한 이해를 돕고 성과목표 및 성과지표 설정에

활용하기 위해 사업 분석 시 논리모형의 활용을 권고하고 있음8)

논리모형은 사업의 기획단계 실행단계 그리고 평가단계에서 각각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

기획단계의 논리모형은 사업설계상의 오류와 사업 추진논리 간 괴리(gap)를 발견하는데

유용하며 사업의 작동 가능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줌

- 이를 통해 사업이 무엇에 관한 것인지 각 부분들이 어떻게 함께 작동하게 되는지에 대해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줌

- 이 단계에서의 논리모형은 사업의 설계와 기획에 영향을 주는 변화의 분석을 강조하는

이론접근모형(Theory approach model)이 주로 적용됨

사업 실행단계에 초점이 맞추어진 논리모형은 계획 관리의 핵심 도구로 활용될 수 있으며

사업을 관리하고 개선하기 위하여 필요한 자료를 파악하고 수집하는 데에 도움이 됨

- 이 단계에서는 주로 사업의 활동과 결과가 연결되는 지점에 초점을 두며 산출물을

명확히 파악하여 성과 분석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음

- 이 단계에서는 논리모형 중 집행과정의 세부적인 내용에 가장 주의를 기울이는 활동

접근모형(Activity approach model)이 활용됨

8) 미래창조과학부 (2013) 국가연구개발사업 표준성과지표 ndash 성과목표지표 설정 가이드라인

10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사업 평가단계에서는 공정하고 객관적인 평가와 이를 위한 정보제공이 필요하므로 성과

접근모형(Outcome approach model)이 적용됨

- 이 모형은 투입-활동-결과-성과-영향 사이의 논리적 개연성과 단계별 가정의 유효성을

확인하여 성과를 도출하기 위한 사업의 원활한 작동 가능성을 점검하는데 유용함

논리모형의 형태가 정형화된 것은 없으며 정보의 종류와 수준에 따라 기본항목으로

구성된 모형부터 세부적으로 구체화된 논리모형까지 다양한 형태로 구성이 가능함

사업의 추진단계 및 활용목적에 따라 강조하려는 사항이 다르므로 필요에 따라 다른

형태의 논리모형을 구성할 수 있음

lt그림 1gt과 같은 형태의 논리모형은 사업의 기획단계 및 사전평가 시 사업의 추진당위성

파악에 유용한 형태의 논리모형임

- 동 논리모형은 사업의 추진과정과 결과보다는 사업의 추진논리를 중점적으로 기술

- ʻ문제이슈(ProblemIssue)ʼ 항목에서는 연구개발사업을 통해 해결하거나 대처하고자

하는 문제를 설명

- ʻ사회적 수요자산(Community NeedsAssets)ʼ 항목에서는 문제이슈 관련 수요와

이의 해결을 위해 활용 가능한 사회적인 자산을 서술

- ʻ희망하는 결과(Desired results)ʼ 항목에서는 연구개발사업이 실행된다면 단기장기적으로 달성하고자 하는 것을 서술

- ʻ영향요인(Influential factors)ʼ 항목에서는 사회의 변화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생각하는

요인들 예를 들어 우호적 요인 또는 위험 요인 정책 환경 기타 요인 등을 열거

- ʻ전략(Strategies)ʼ 항목에서는 사업을 통해 희망하는 결과의 달성에 도움이 될 성공전략

또는 모범사례(best practice)를 기술

- ʻ가정(Assumptions)ʼ 항목에서는 전략이 어떻게 작동할 것인지에 관한 가정을 서술

11

Ⅲ 사업계획과 논리모형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lt그림 1gt 논리모형의 사례 1

출처 WK Kellogg Foundation (2004) Logic Model Development Guide

lt그림 2gt~lt그림 4gt와 같은 형태의 논리모형은 사업의 추진과정 및 결과를 보여줄 수 있는

기본적인 논리모형들로서 사업의 작동과정 분석에 유용함

- ʻ투입ʼ 항목에서는 활동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자원을 기재

- ʻ활동ʼ 항목에서는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수행할 활동을 서술

- ʻ산출ʼ 항목에서는 사업의 추진 중 또는 종료 시 창출할 것으로 기대하는 산출물을 기재

- ʻ성과ʼ 항목에서는 사업이 종료된 후의 변화를 기술하며 필요시 사업 종료 직후와 5~6년

이내의 중기로도 구분하여 기술할 수도 있음

- ʻ영향ʼ 항목에서는 사업이 종료된 후 장기적으로 발생될 것으로 예상하는 변화를 기재

12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lt그림 2gt 논리모형의 사례 2

출처 WK Kellogg Foundation (2004) Logic Model Development Guide

lt그림 3gt 논리모형의 사례 3

출처 McLaughlin JA and Jordan GB (2010) ldquoUsing Logic Modelsrdquo Handbook

of Practical Program Evaluation(Third Edition)

13

Ⅲ 사업계획과 논리모형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lt그림 4gt 논리모형의 사례 4

출처 노화준 (2008) 정책평가론

lt그림 1gt의 논리모형과 lt그림 2gt~lt그림 4gt의 논리모형을 결합하면 사업의 추진논리와

함께 추진과정 및 결과를 함께 볼 수 있는 논리모형을 구성할 수 있음

- 이러한 아이디어에 바탕을 두어 본 이슈페이퍼의 4장에서 설명할 논리모형이 개발됨

14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Ⅳ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Ex-ante evaluation)인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

에서는 사업계획의 쟁점사항 도출을 위한 핵심 도구로서 논리모형을 개발하여 활용하고

있음

관련 문헌들과 기존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 사례를 바탕으로 활용하기 용이한

논리모형을 개발하여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제2판)에 수록

본 논리모형은 이론접근모형과 성과접근모형을 결합한 형태로서 수직적으로는(상하

방향) 사업 추진에 대한 논리의 흐름을 수평적으로는(좌우 방향) 사업의 추진과정을

나타내도록 하여 이해하기가 용이함

- 제시된 논리모형은 정형화된 것은 아니며 사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논리모형을

변형하여 활용할 수 있음

사업계획의 평가자는 사업계획을 충분히 파악하고 이해한 후 논리모형을 작성하여야 함

- 논리모형 작성 시 주의할 점은 논리모형의 각 항목의 내용은 대상사업에 대한 평가자의

생각이 아니라 사업 기획주체의 의도와 논리를 담아야 함

논리모형이 작성된 이후에는 작성된 논리모형의 각 항목별 적절성과 항목 간 논리 흐름상의

오류나 괴리가 없는지 분석하여 주요 쟁점사항을 도출한 후 세부적으로 분석을 수행

사업의 기획단계에서도 본 논리모형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음

15

Ⅳ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를 위해 개발된 논리모형의 구조와 각 항목별로 다루어지는

내용 및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음

1 이슈 문제

ㅇ사업 추진의 필요성을 설명할 수 있는 배경요인 과학기술적 산업적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국가적 수요와 도전과제 등

ㅇ해당 사업을 통해 해결하거나 대처하고자 하는 문제나 이슈ㅇ해당 사업 분야와 관련된 정책 다른 연구개발사업 및 과제의 현황 미래 예측 기술과 시장의 동향 및 전망 전문가

설문 통계 및 조사 데이터 등도 활용ㅇ사업을 추진하지 않을 경우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문제나 잃게 되는 기회는 무엇인가ㅇ이슈문제 해결을 위해 연구개발사업 이외의 대안전략은 없는가

2 목표 3 수혜자

ㅇ해당 사업의 추진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사업의 핵심 성과 - 문제 해결 정도의 측정이 가능하도록 정량적 성과지표 제시

ㅇ사업목표 달성이나 사업의 산출로 인해 직접적인 이익을 얻는 주체

4 투입 5 활동 6 산출 7 성과 영향

ㅇ연구개발활동에 필요한 모든 자원

- 사업비 - 인적 자원 - 시설 및 장비 - 연구주체 지식

ㅇ목표를 달성하고 산출 발생을 위해 수행하는 연구개발 활동

ㅇ연구개발활동에 의한 직접적인 결과물 - 기술 정보 제품

데이터 서비스 논문 특허 등

- 산출물의 수량 규모 범위 등을 정량적으로 제시

ㅇ사업을 통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의도된 결과나 변화

ㅇ성과의 확산으로 인해 미래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직간접적 변화 및 파급효과

8 가정

ㅇ사업 추진 시 단계별로 발생할 상황과 변화에 대한 기대나 예측 - ldquo~~하면 ~~할 것이다rdquo로 표현되는 가정문(if-then)을 주로 사용ㅇ사업의 성공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외부요인 환경 조건 법 규정 원칙 믿음 위험

lt그림 5gt 연구개발사업의 쟁점사항 도출을 위한 논리모형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4) 연구개발부문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제2판)

16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983729 이슈문제 (IssueProblem)

이슈문제는 해당 연구개발사업을 기획하게 된 배경을 설명하고 사업의 추진당위성을

부여하는 항목

동 항목에서는 대상사업과 관련된 분야에서 어떠한 이슈나 문제가 존재하며 이러한

이슈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연구개발사업의 추진이 가장 효과적인 전략인지를

설명할 수 있어야 함

- 이를 위해 해당 사업의 필요성을 설명할 수 있는 배경요인(contextural factor)이 기술

되어야 하며 배경요인들에는 과학기술적 산업적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국가적

수요와 도전과제 등이 포함됨

사업에서 대처하려는 이슈나 문제가 여러 가지 요인들로 인해 복잡하다면 해당 사업과

연관성이 가장 높고 중요한 요인들로 압축하여 선정해야 함

- 이러한 문제 정의 과정을 통해 사업에서 추구하려는 목표를 명확히 설정할 수 있음

정부부처에서 제안하는 대부분의 연구개발사업은 특정 세부분야를 대상으로 하므로

광범위한 연구분야나 산업분야의 일반적이고 진부한 이슈문제를 제시하는 것보다는

사업에서 제안하는 세부분야의 특성과 현황에 기반을 둔 구체적이고 핵심적인 이슈

문제를 선정하여 강조하여야 설득력을 확보할 수 있음

사업의 필요성을 설명하기 위해 사업의 분야와 관련된 정책과 연구개발사업 및 과제의

현황 미래 예측 기술과 시장의 동향 및 전망 전문가 설문조사 통계 및 조사 데이터를

적극 활용하는 것이 좋음

제안된 연구개발사업 이외에 도출된 이슈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다른 대안이나 전략이

없는지도 고려할 필요가 있음

해당 사업계획에 대한 평가자는 사업 기획주체가 제시한 문제 정의가 적절한지를

분석함으로써 사업 추진당위성이 확보되었는지를 평가

17

Ⅳ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983730 목표 (Objective)

목표는 해당 사업의 추진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사업의 핵심 성과를 의미함

목표는 해결하고자 하는 이슈문제와 관련이 있어야 하며 해당 사업을 통해 그 이슈

문제가 해결될 수 있어야 함

- 즉 사업목표는 해당 사업을 통해 이슈문제가 어느 정도로 해결될 수 있는지 측정이

가능하도록 정량적으로 제시되어야 함

목표는 구체적이어야 하며(Specific) 측정 가능해야 하고(Measurable) 달성 가능해야

하며(Achievable) 이슈 및 연구개발활동과 연관이 있고(Relevant) 기한이 정해진

(Time-bound) 것이어야 함(SMART)9)

- 목표는 사업이 달성하고자 하는 바를 의미하므로 ① 이슈문제 및 ⑦ 성과영향과

연계하여 분석

목표는 구체성과 계측가능성을 기준으로 볼 때 목적과는 구분되는 개념임

- 사전적인 의미에서 목적(目的)은 ʻ실현하려고 하는 일이나 나아가는 방향ʼ이며 목표

(目標)는 ʻ어떤 목적을 이루려고 지향하는 실제적 대상으로 삼음 또는 그 대상ʼ을 뜻함

- 즉 목적은 추상적이고 방향과 의도를 함축하는데 반하여 목표는 구체적이고 범위가

제한적이며 일반적으로 측정 가능한 수치로 표현됨

983731 수혜자 (Beneficiary)

사업으로 인해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이해관계자는 여러 유형이 있을 수 있으나

수혜자10)는 사업목표와 접한 관련이 있어야 함

9) HM Treasury (2011) The Green Book Appraisal and Evaluation in Central Government

10) 예비타당성조사에서의 수혜자는 사업 추진을 통해 자금을 지원받는 주체가 아니라 사업목표 달성이나 사업의 산출로

인해 직접적인 경제적 이익을 얻는 주체를 의미하며 경제성 분석은 이 수혜자가 얻게 되는 직접적인 경제적 편익을

기준으로 분석함

18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983732 투입 (Input)

투입은 연구개발활동에 필요한 모든 자원을 의미

- 투입의 기본 항목은 재정적 자원과 인적 자원이며 연구시설middot장비 연구수행주체 관련

지식 등이 투입에 해당

- 해당 사업에서 활용될 기존 사업의 산출과 성과도 투입에 포함될 수 있음

사업이 충실하게 기획되면 희망하는 결과를 얻기 위한 최소의 물량규모가 정량적으로

산출될 수 있음

- 실무적으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에서 투입에 해당하는 물량규모는

총사업비라는 형태로 표현됨

983733 활동 (Activity)

국가연구개발사업에서의 활동은 목표를 달성하고 산출을 발생시키기 위해 수행하는

연구개발활동에 초점을 맞추어야 하며 연구개발에 인접한 활동은 연구개발예산 편성

기준에 부합하는지의 여부에 초점을 맞추어야 함

일반적으로 OO기술 개발 OO연구기반 구축 등이 큰 범위의 연구개발활동이 되며 각

연구개발활동은 요소기술 개발 등의 세부 연구개발활동으로 세분화될 수 있음

983734 산출 (Output)

산출은 연구개발활동을 통한 직접적인 결과물을 의미하며 각 활동별로 하나 이상의

산출이 존재할 수 있음

일반적으로 연구개발활동으로 개발된 기술 정보 데이터 제품 서비스 등이 해당되며

이 각각의 산출물은 정량적으로 수량 규모 범위 등이 제시되어야 함

- 기초연구사업에서 개발된 기술에 대한 논문과 특허도 산출물에 해당

19

Ⅳ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983735 성과영향 (OutcomeImpact)

성과는 사업의 목표와 접한 관련이 있으며 사업 추진에 따른 변화나 사업결과

(output)의 활용을 통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의도된 결과이며 영향은 성과의

확산으로 인해 미래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직간접적 변화 및 파급효과를 의미

- 일반적으로 연구개발사업의 단계 구분이나 관련 문헌에서 제시된 논리모형에서는

성과와 영향을 별도 항목으로 고려하기도 하지만 사업의 착수 전에 수행되는 사전

평가에서 성과와 영향을 구분하여 검토하는 것은 실효성이 낮으므로11) 성과와 영향을

종합하여 검토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의 경제성 분석은 국가연구개발사업으로 인한 직접적인

경제적 성과를 추정하는 것임

983736 가정 (Assumption)

사업계획은 그 자체가 기획된 대로 수행하면 기대하는 결과가 생성될 것이라는 가설이며

가정은 사업의 유효성에 대한 믿음임

가정은 사업 추진 시 논리모형의 각 항목별로 발생할 상황과 변화에 대한 기대나 예측을

의미

가정은 사업 수행에 직접적으로 관련 있는 것으로 한정되어야 하며 사업의 성공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외부요인들도 가정에 포함될 수 있음

- 이러한 외부요인으로는 환경 조건 법 규정 원칙 한계 믿음 위험 등이 될 수 있음

11) 사업으로 인한 성과와 영향은 종료평가와 추적평가를 통해 구체적인 평가가 가능함

20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사업계획은 적절한 기획을 통해 도출되어야 하며 기획과정 중에 논리모형을 통해

논리적인 비약을 배제함으로써 사업계획의 합리성을 확보할 수 있음

기획은 최적의 수단으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미래에 취할 행동을 위한 일련의

결정을 준비하는 계획적 과정임

충분한 고민과 의견 수렴을 통해 기획이 잘 이루어지면 사업 추진과 결과의 부실화를

미연에 방지하고 성공가능성을 높일 수 있음

논리모형은 기획과정의 각 시점에서 그 당시까지 구체화된 항목을 하나하나 채워나감

으로써 가시적인 논리의 확인과 기획참여자들 간의 소통과 이해 및 의견 수렴에 유용함

사업의 기획이 완료된 후에는 완성된 논리모형을 예산당국 주무부처와 같은 이해

관계자와 사업계획 평가자에게 제시하여 사업의 거시적인 작동논리를 이해시키고 예산

확보를 위해 설득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음

사업의 착수시점에 해당 사업에 대한 체계화된 정보가 없을 경우에는 후속관리가

부실화되기 쉬우므로 사업계획의 충실한 수립은 매우 중요함

전반적인 추진논리를 확보하기 위해 바람직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절차는

lt그림 6gt과 같이 제시될 수 있음

21

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lt그림 6gt 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정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4) 연구개발부문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제2판)

사업을 기획하기 위해서는 우선 대규모 신규 사업의 추진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이슈

또는 문제가 무엇인지 먼저 파악되어야 함

- 동향조사 예측조사 설문조사 인터뷰 통계분석 등 다양한 분석방법을 통해 적절한

범위 내에서 이슈문제를 식별한 후 기획 의도를 고려한 합리적인 평가기준을 적용하여

사업에서 집중하고자 하는 문제를 선택해야 함

- 선택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연구개발사업이 세금 자금 인력 지원 등 다른

대안과 비교할 때 가장 효율적인 방법인지 검토되어야 함

정부의 연구개발사업 추진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가 정의되면 사업을 통해 얻고자 하는

성과가 무엇인지 구체적이고 객관적으로 제시해야 함

- 이를 위해서는 사업의 성과물이 전달되는 수혜 대상이 명확히 정의되어야 함

사업목표가 설정되면 이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추진체계와 추진전략이 수립되어야 함

22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 추진체계는 다양한 참여주체의 분석을 통해 적절한 역할과 조정 협력관계 등을

조직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함

- 추진전략은 사업 및 기술 환경의 특성 분석을 통해 목표 달성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연구개발전략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함

세부과제의 구성을 완료하여 사업기간과 총사업비 그리고 필요한 장비와 시설 등 신규

구축할 인프라의 규모를 도출함

- 세부과제는 기본적으로 사업목표와 직접적으로 연계되어야 함 즉 세부과제가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사업목표가 달성될 수 있도록 구성할 필요

- 기술수요조사와 시설장비수요조사와 같은 시장이나 사회적 수요를 반영한 후보과제를

도출한 후 사업목표의 달성을 위한 전략적 방향을 고려한 기준과 가중치가 적용된

우선순위 선정절차를 거치는 것이 바람직함

- 선정된 세부과제는 목표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적절한 단위의 세부활동을 구성하고 사업

추진상의 기술개발 로드맵을 수립하며 각각의 세부 성과지표를 구체화함

- 세부활동이 구체화되면 활동별로 수행을 위한 비용 기간 조직 인프라 등의 자원 소요계획이

확립되며 이를 종합하여 전체 사업의 추진을 위해 필요한 투입자원의 총량을 도출함

수립된 사업계획 초안의 문제 정의 사업목표 설정 추진체계 및 추진전략 수립 세부과제

구성에 대한 재검토 및 보완을 통해 기획을 완료함

- 현실적으로 기획과정에서 모든 정보를 완벽하게 수집하고 분석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신규로 제안되는 사업과 유사한 선행사업이 없어 과거 사례의 참조에도 한계가 있을 수 있음

- 사업의 내용은 기획이 진행되면서 시간의 흐름과 함께 점진적으로 구체화12)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환류(feedback) 과정을 거쳐 사업계획을 보완하는 것이 중요함

- 환류 과정을 진행하기 전에 현재까지 기획된 사업계획에 대한 논리모형을 구성하여

전반적인 사업의 작동논리가 설득력 있게 기획되었는지 확인하고 환류 과정을 통해

보완된 사업계획에 대한 논리모형도 검토하는 것이 바람직함

12) PMI (2000) PMBOK Guide

23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가상의 사례를 통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을 설명하고자 함

lt그림 7gt은 가상의 국가연개구발사업에 대해 작성된 논리모형임

1 이슈 문제

ㅇ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시장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나 정부의 투자는 산발적이고 일회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해외 의존도가 증대되고 있음

- 클러스터 형태의 실증사업 추진 필요

ㅇ A 융합기술ʼ 분야의 생태계 조성과 연계하고 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 클러스터를 구축하고 Z지역의 산업지역발전의 거점 역할을 하도록 할 필요

2 목표 3 수혜자

ㅇ ʻA 융합기술ʼ 신산업 허브 구축

- ʻA 융합기술ʼ 신산업 창출 선도 및 발전 기반 구축

- 지역거점형 ʻA 융합기술ʼ 실증사업 중심 산업화 지원

- ʻA 융합기술ʼ 산학연 협력 및 비즈니스 협업체계 구축

ㅇA 융합기술 분야 기업

ㅇ국민공공기관

4 투입 5 활동 6 산출 7 성과 영향

ㅇ사업비 OO억 원

ㅇ연구인력

ㅇ ʻA 융합기술ʼ 통합

센터 구축

ㅇ실증사업

- B C D E 4개

산업 분야

ㅇB C D E 등 4개

산업 분야

ʻA 융합기술ʼ 시스템

ㅇ ʻA 융합기술ʼ 기반

융합산업의 생산성

증대

ㅇZ지역의 지역경제

발전

8 가정

ㅇ ʻA 융합기술ʼ 신산업 강화는 국가 발전의 원동력으로 작용할 것임

ㅇ지역 착형 거점 구축을 통해 기술발전을 선도하고 관련 산업 육성을 도모하며 지역산업 활성화를 도모할 것임

lt그림 7gt 가상의 사업계획에 기반한 논리모형 작성의 사례

24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사업에 대한 사전평가에서 논리모형은 사업의 거시적인 작동논리의 분석을 통해 주요

쟁점을 도출하기 위해 활용됨

논리모형에는 사업계획의 핵심 내용만 기재되므로 논리모형 분석은 세부내용의 상세한

적부 분석이 아닌 이슈 목표 활동으로 이어지는 사업의 주요 작동논리 분석과 세 항목 간의

논리적 연계성 분석이 주로 이루어짐

시장 수요나 전망 현장의 이슈를 고려하지 않고 적절한 기획과정도 거치치 않은 채 소수의

기획주체가 ʻ하고 싶고 할 수 있는ʼ 과제를 먼저 선정해 놓고 사업을 기획하여 전체적인

사업 작동논리가 부실한 경우가 많으므로 이러한 쟁점 여부의 파악을 위해 활용함

가상의 사업계획에서 제시한 이슈(983729)는 신규 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는 이유를 설명하는

문제 정의로서 적절치 않음

최근 2~3년전부터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다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들이 다수 착수되어

추진되고 있으므로 산발적일회적이라는 주장은 사실과 다름

ʻA 융합기술ʼ 분야는 현재 국내 기업에서 사업화를 추진 중인 분야이고 기업들의 기술 수준도

상대적으로 높으므로 해외의존도를 언급하는 것은 부적절함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시장이 확대될 것이라는 예측은 적절하지만 이러한 내용은 누구나

알고 있는 일반적인 사항이며 동 사업 내에서 실증을 하고자 하는 세부 산업 분야(B C

D E 산업)에서의 ʻA 융합기술ʼ의 시장 동향 전망과 데이터에 근거한 분석은 이루어지지

않음

대형 실증사업 추진을 위해서는 사업의 성과에 대한 구체적 근거 마련을 위해 사전 연구나

조사를 통한 성과 데이터의 구축이 필요하나 실증사업의 추진 필요성과 유효성을 설명

할 수 있는 근거자료가 부재함

Z지역에는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연구 및 산업기반이 국내에서도 상대적으로 미약하여

산업 클러스터가 형성될 가능성이 낮고 국가적인 차원의 활용도 관점에서 해당 지역에의

거점 구축의 당위성은 낮음

25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기획의 Tip

국가적인 차원에서 연구개발사업을 통해서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를 구체적이고 명확히 정의

- 현재 또는 미래에 어떤 문제가 있거나 발생할 것이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

개발사업을 구상하게 되었는지 제시

-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광범위한 이슈의 제기는 무의미

- 국내외의 각종 통계 보고서 정책자료 시장보고서 전문가 및 실무자 인터뷰 등 근거자료를

통해 구체화되고 특정화된 문제를 제시

- 특정 주체나 지역이 아닌 국가적인 차원의 문제를 제시해야 하며 해당 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지 않으면 국가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나 잃게 되는 기회가 무엇인지를 설명

- 지역기반 구축은 국가적인 필요성과 함께 전국에서 해당 지역이 기반 구축의 최적지임을

입증할 수 있는 근거가 필요

사업목표(983730)를 제시하였으나 선언적인 내용에 불과하며 성과지표의 구체화가 미흡하여

문제 해결 정도를 측정하기 어려움

동 사업에서는 광범위한 ʻA 융합기술ʼ의 적용 분야 중 소수의 분야만을 다루는 반면

사업목표는 사업 내용에 비해 지나치게 일반적이고 광범위하게 수립됨

동 사업은 상호 연관성이 낮은 여러 세부사업을 단일 사업 내에 포함시켜 전체 사업 수준의

거시적인 성과목표 제시가 어려운 한계가 있음

앞서 각 세부사업별로 해당 산업 분야의 문제 정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사업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와 성과가 불문명하며 이에 따라 성과지표를 정량적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하여 목표 달성 여부의 측정방법도 불분명함

26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기획의 Tip

관리 가능성의 관점에서 사업목표는 SMART하게 제시

- 구체적이고(Specific) 측정가능하며(Measurable) 달성가능하고(Achievable) 문제 활동과 연관성이 있으며(Relevant) 시간제약이 있도록(Time-bound)가 있도록 수립

해결해야 할 문제(983729)와 사업목표(983730) 간에 괴리가 존재하여 둘 간의 연계성은 미흡함

해결해야 할 이슈로 제시한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일반적인 문제들을 사업목표로 제시한

지역 착형 사업을 통해 해소하고자 함은 연계성이 낮음

문제 정의 자체가 세부 산업분야별 시장 전망 또는 현장의 이슈 분석을 통해 구체적으로

도출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를 해소하기 위해 달성할 사업목표의 설정도 어려운 한계가

있으며 동 사업의 추진으로 국내외에서 어느 정도의 성과를 거둘 수 있을지도 예상할 수

없음

제시된 4가지 실증사업은 공공 영역부터 민간의 사업화가 활발한 영역까지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어 시너지 효과 창출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됨

기획의 Tip

사업목표의 범위는 제시된 이슈문제의 범위와 일치해야 하며 사업목표를 달성하면 이슈문제가 어느 정도 해결되는지를 보여줄 수 있도록 사업목표를 수립

세부 실증사업을 통해 개발될 제품(시스템)의 사용자(구매자)까지 수혜자로 포함시켜

수혜자(983731)의 표적화가 부적절함

동 사업을 통해 제품을 개발하여 사업 종료 후 해당 제품의 판매를 통해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할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기업들이 동 사업의 직접적 수혜자임

27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동 사업은 A 융합기술ʼ 분야의 실증을 통한 시스템 개발로 종료되며 제품을 최종사용자

에게까지 보급하는 것은 사업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여러 단계 이후의 최종사용자를

동 사업의 수혜자로 제시하는 것은 부적절함

기획의 Tip

사업목표와 범위에 맞는 수혜자를 제시

- 성과확산단계에 따라 수혜자를 구분하여 제시할 수는 있으나 사업성과를 통해 직접적 경제적

수혜를 받는 주체만 경제성 분석의 대상이 됨

세부활동(983733)은 사업목표(983730)와 개념적으로는 일부 연계성이 있음

산업 분야에 A 융합기술ʼ의 접목하기 위한 실증사업의 추진이 동 사업의 주요 내용이므로

관련 신산업을 창출하고자 하는 사업의 목표와는 개념적으로 연계성이 있음

B C 분야는 사업목표와 관련성이 있고 구축되는 통합센터와 정보 공유도 가능할 것이나

D E 분야는 독립적이며 사업목표와의 연계성도 낮아 동일 사업 내에서 추진할 필요성

및 통합센터 구축의 필요성도 모호함

기획의 Tip

세부활동(세부사업 또는 과제)을 수행하면 제시된 사업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세부

활동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문제 해결 및 사업목표 달성과 연관성이 낮은 활동은 제외

- 사업목표 달성과 관련 없는 과제의 포함 불요불급한 시설 및 장비의 구축 필요 이상으로 부풀린

사업비의 요구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는 주요 요인임

이 외의 항목들은 거시적인 작동논리나 연계성에 대한 검토보다는 세부내용의 적부 분석을 수행함

투입(983732)과 산출(983734)은 활동의 상세한 분석을 통해 적절성을 분석

성과영향(983735)은 사업목표와 활동 산출의 상세한 분석을 통해 적절성을 분석

가정(983736)은 별도의 분석보다는 이슈 목표 활동과 연계하여 분석

28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Ⅶ 맺음말

사업의 직접적인 이해관계자는 해당 사업의 긍정적인 측면만 생각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사업 기획주체는 신규 사업의 기획 시 객관적인 시각에서 사업계획을 조망하고 보완하기 위해

논리모형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ʻ왜 해야 하는지ʼ ʻ어떠한 결과를 내려고 하는지ʼ ʻ무엇을 어떻게 하려고 하는지ʼ가

논리적으로 연계가 되어 설득력을 확보해야 함

사업의 착수 전에 문서뿐인 사업계획서를 분석하여 사전에 평가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나

논리모형을 활용한 사업의 작동논리와 추진과정의 객관적인 분석을 통해 기획단계의

오류로 인한 사업의 부실화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

제도적인 측면에서 평가결과의 일관성 확보를 위해 사전평가의 방법으로 논리모형

분석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함13)

본 이슈페이퍼에서는 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을 설명

하였으며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추진단계 및 종료단계에 적절한 논리모형의 개발 및 활용도

고려할 필요

사업 추진 중의 사업관리 또는 중간평가 시에는 투입 rarr 활동 rarr 산출 등 사업 추진과정을

확대하여 집중적으로 분석하는 특히 활동을 더 세부적으로 구분한 논리모형이 필요함

- 사업별 특성에 부합하도록 단계별 연차별 세부과제(기술)별로 마일스톤이 포함된

논리모형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는 사업 추진 로드맵을 포함하는 형태가 될 것임

사업 종료 시의 성과확산 전략 수립이나 종료평가 또는 그 이후의 추적평가 시에는 산출

rarr 성과 rarr 영향의 사업성과 확산과정을 집중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논리모형을 구성할 수 있음

- 성과의 확산은 해당 연구개발사업 이후에 이루어지므로 동 논리모형의 구성은 성과의

극대화를 위한 성과확산사업의 기획과정으로도 볼 수 있음

논리모형 활용의 확산을 통해 국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역량을 제고하고 사업계획의

완성도를 높여 사업의 성공가능성을 제고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함

13)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에서는 이를 필수적으로 활용하도록 하고 있음

29

참 고 문 헌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 고 문 헌

국가과학기술위원회 (2011) 정부RampD 투자 효율화 추진계획

노화준 (2008) 정책평가론

미래창조과학부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 대통령령 제26729호

미래창조과학부 (2013) 국가연구개발사업 표준성과지표 ndash 성과목표지표 설정 가이드라인

미래창조과학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5) 2014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보고서

미래창조과학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5) 2014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4) 연구개발부문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제2판)

HM Treasury (2011) The Green Book Appraisal and Evaluation in Central Government

McLaughlin JA and Jordan GB (1999) ldquoLogic models a tool for telling your programrsquos

performance storyrdquo Evaluation and Program Planning 22 65~72

McLaughlin JA and Jordan GB (2010) ldquoUsing Logic Modelsrdquo in Joseph S Wholey

Harry P Hatry and Kathryn E Newcomer(eds) Handbook of Practical Program

Evaluation(Third Edition) San Francisco Jossey-Bass 55~80

OECD (2015) Frascati Manual 2015

PMI (2000) PMBOK Guide

WK Kellogg Foundation (2004) Logic Model Development Guide

저자 소개

강 현 규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공공기술조사실장

- 전화 02-589-2813

- e-mail hkkangkisteprekr

KISTEP Issue Paper 2016-05

|발 행|2016년 5월

|발행인|박 영 아

|발행처|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서울시 서초구 마방로 68(양재동) 동원산업빌딩 9층~12층

전화 02) 589-2200 팩스 02) 589-2222

httpwwwkisteprekr

|인쇄처|(주)비전테크시스템즈 [TEL02)3432-7132]

5

Ⅱ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개요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Ⅱ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개요

1 연구개발 및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정의

연구개발의 정의

연구개발의 개념 및 범위는 일반적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 발간한 「프라스카티

매뉴얼(Frascati Manual)」을 따르고 있음

- 「프라스카티 매뉴얼(제7판)」에서는 연구개발(RampD)을 ʻ인류 문화 사회를 막론한 모든

종류의 지식을 증진시키거나 지식의 새로운 적용을 도모하기 위해 실시된 창의적이고

체계적인 작업ʼ으로 정의

우리나라에서는 연구개발활동을 ʻ지식의 축적(인간 문화 사회에 관한 지식 포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혹은 이렇게 축적된 지식을 가지고 새로운 응용을 촉진할 목적으로

체계적 토대 위에서 수행하는 창조적 활동ʼ으로 정의2)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정의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에서는 국가연구개발사업을 ʻ중앙행정기관이

법령에 근거하여 연구개발과제를 특정하여 그 연구개발비의 전부 또는 일부를 출연하거나

공공기금 등으로 지원하는 과학기술 분야의 연구개발사업ʼ으로 정의

- 국가연구개발사업은 보통 다수의 연구과제(project)나 내역사업으로 구성됨

- 2014년도에는 605개 세부사업 53493개의 세부 연구과제가 추진됨3)

2) 미래창조과학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5) 2014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3) 미래창조과학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5) 2014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보고서

6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2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은 국가연구개발 목표 설정 및 국가의 자원배분을 설계하는

정책기획과 추진 중 또는 종료된 사업의 성과를 검토하는 연구평가의 중간단계에 해당함

국가연구개발사업은 정책기획에서 도출된 공통된 목표를 지향하는 활동들이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구체적으로 표현된 것임

기술적 목표와 도달 방법을 제시하거나 목표 달성을 위한 요구사항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거나 성공적인 연구관리 방법을 제시하는 등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구체화를 위한

사항은 다양함

국가연구개발사업은 세부적인 과제 도출을 통해 구체화하여 기획되는 것이 바람직함

국가연구개발사업은 본래 정부의 역할을 타 주체가 대행하여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므로

사업계획이 추상적인 관념이나 철학이 아니라 구체적으로 제시될 필요가 있음

이는 법4)에서 연구개발과제를 특정해야 한다고 표현되어 있으며 과제란 연구지원에

대한 과제(project) 뿐만 아니라 연구 장비시설을 도입하거나 구축하는 과제 등이 모두

포함될 수 있고 이러한 과제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구체화되어 특정될 수 있음

- 과제란 국가연구개발사업에서 정부를 대행하는 주체가 수행하여야 하는 활동 등이

객관적으로 구체화된 실체를 의미함

4)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

7

Ⅱ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개요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방법에 대해 정부는 규정을 통해 명시하고 있음

성공가능성이 높은 충실한 사업의 기획을 위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

제4조(사전조사 및 기획) 제1호에서는 ʻ중앙행정기관의 장은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려는 경우에는 그 사업의 기술적경제적 타당성 등에 대한 사전조사 또는 기획

연구를 수행ʼ할 것을 명시하고 있음

정부는 신규 사업의 사전기획을 의무화5)하는 등 RampD기획의 강화를 추진하고 있음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을 위한 구성요소에 대한 획일적인 기준은 없으나 구체화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안에는 다음과 같은 사항들이 포함되어야 함6)

- 사업의 목표 세부추진내용 및 추진체계

- 다른 중앙행정기관의 소관 업무와 관련되는 사항에 대한 조정방안(해당 사항이 있는

경우만 해당)

- 사업의 평가계획

- 필요한 자원의 규모 및 인력 확보방안

- 정부지원의 타당성 검토 결과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방안 및 기대효과

- 국내외 특허 동향 기술 동향 표준화 동향 및 표준특허 동향

5) 국가과학기술위원회 (2011) 정부RampD 투자 효율화 추진계획

6)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 제4조 제7항

8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Ⅲ 사업계획과 논리모형

사업(program)이란 특정한 배경 하에서 특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여러 가지 자원을

투입하고 관련된 활동을 수행하여 산출물과 성과를 생성하는 일련의 작업임

대규모 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이슈문제 목표 대상 투입 활동 및

전략 운영평가체계 산출 및 성과 등이 포함된 사업계획을 수립해야 함

사업계획은 사업이 기획된 대로 시행된다면 의도하는 결과가 달성될 것이라는 일종의

가설임

- 따라서 잘 수립된 사업계획은 왜 해당 사업을 추진하여야 하며 사업이 무엇을

달성하고자 하고 어떻게 달성할 것이고 어떤 활동을 수행하여 어느 정도의 성과를

창출하고 그 성과를 어떻게 측정하고 평가할 지에 대해 충분한 정보를 포함해야 함

사업계획을 검토하는 평가자는 사업계획을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사업의 가설을 분해하기 위해

논리모형을 사용할 수 있음

- 사업계획에 대한 논리모형을 수립함으로써 평가자는 해당 사업의 기획주체가 생각하는

사업의 작동 메커니즘을 이해할 수 있음

논리모형은 각종 사업의 기획 관리 평가에 적용되는 방법 중 하나이며 어떻게 사업을

추진할 것인지를 나타낸 개념도로 정의할 수 있음7)

논리모형은 사업의 작동과 관련된 항목 간의 논리적 연관성을 보여주는 모델로서 사업

관련 활동과 결과가 최종목표에 어떻게 연계되는지를 보여줄 수 있음

논리모형은 사업을 작동시키는 투입자원 활동 그리고 달성할 변화나 결과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고 관계자들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한 체계적이고 시각적인 방법임

7) WK Kellogg Foundation (2004) Logic Model Development Guide

9

Ⅲ 사업계획과 논리모형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논리모형은 사업에 대한 개념 정립 기획 관리 평가 및 다른 사람과의 소통에 유용한

도구이며 사업의 작동 메커니즘 및 기대되는 성과를 다른 사람에게 설득하는 기본 근거가

될 수 있음

논리모형을 활용하여 사업을 분해함으로써 사업의 필요성 세부활동 및 전략 기대성과

산출 시기 수행주체 및 수행처 투입자원 산출의 종류와 규모 그리고 사업결과를 활용한

성과 등을 설명할 수 있음

논리모형은 사업의 생애(기획 실행 평가) 전 과정에 사용될 수 있는 유용한 관리 및 평가

도구임

정부에서도 이해관계자의 사업에 대한 이해를 돕고 성과목표 및 성과지표 설정에

활용하기 위해 사업 분석 시 논리모형의 활용을 권고하고 있음8)

논리모형은 사업의 기획단계 실행단계 그리고 평가단계에서 각각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

기획단계의 논리모형은 사업설계상의 오류와 사업 추진논리 간 괴리(gap)를 발견하는데

유용하며 사업의 작동 가능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줌

- 이를 통해 사업이 무엇에 관한 것인지 각 부분들이 어떻게 함께 작동하게 되는지에 대해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줌

- 이 단계에서의 논리모형은 사업의 설계와 기획에 영향을 주는 변화의 분석을 강조하는

이론접근모형(Theory approach model)이 주로 적용됨

사업 실행단계에 초점이 맞추어진 논리모형은 계획 관리의 핵심 도구로 활용될 수 있으며

사업을 관리하고 개선하기 위하여 필요한 자료를 파악하고 수집하는 데에 도움이 됨

- 이 단계에서는 주로 사업의 활동과 결과가 연결되는 지점에 초점을 두며 산출물을

명확히 파악하여 성과 분석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음

- 이 단계에서는 논리모형 중 집행과정의 세부적인 내용에 가장 주의를 기울이는 활동

접근모형(Activity approach model)이 활용됨

8) 미래창조과학부 (2013) 국가연구개발사업 표준성과지표 ndash 성과목표지표 설정 가이드라인

10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사업 평가단계에서는 공정하고 객관적인 평가와 이를 위한 정보제공이 필요하므로 성과

접근모형(Outcome approach model)이 적용됨

- 이 모형은 투입-활동-결과-성과-영향 사이의 논리적 개연성과 단계별 가정의 유효성을

확인하여 성과를 도출하기 위한 사업의 원활한 작동 가능성을 점검하는데 유용함

논리모형의 형태가 정형화된 것은 없으며 정보의 종류와 수준에 따라 기본항목으로

구성된 모형부터 세부적으로 구체화된 논리모형까지 다양한 형태로 구성이 가능함

사업의 추진단계 및 활용목적에 따라 강조하려는 사항이 다르므로 필요에 따라 다른

형태의 논리모형을 구성할 수 있음

lt그림 1gt과 같은 형태의 논리모형은 사업의 기획단계 및 사전평가 시 사업의 추진당위성

파악에 유용한 형태의 논리모형임

- 동 논리모형은 사업의 추진과정과 결과보다는 사업의 추진논리를 중점적으로 기술

- ʻ문제이슈(ProblemIssue)ʼ 항목에서는 연구개발사업을 통해 해결하거나 대처하고자

하는 문제를 설명

- ʻ사회적 수요자산(Community NeedsAssets)ʼ 항목에서는 문제이슈 관련 수요와

이의 해결을 위해 활용 가능한 사회적인 자산을 서술

- ʻ희망하는 결과(Desired results)ʼ 항목에서는 연구개발사업이 실행된다면 단기장기적으로 달성하고자 하는 것을 서술

- ʻ영향요인(Influential factors)ʼ 항목에서는 사회의 변화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생각하는

요인들 예를 들어 우호적 요인 또는 위험 요인 정책 환경 기타 요인 등을 열거

- ʻ전략(Strategies)ʼ 항목에서는 사업을 통해 희망하는 결과의 달성에 도움이 될 성공전략

또는 모범사례(best practice)를 기술

- ʻ가정(Assumptions)ʼ 항목에서는 전략이 어떻게 작동할 것인지에 관한 가정을 서술

11

Ⅲ 사업계획과 논리모형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lt그림 1gt 논리모형의 사례 1

출처 WK Kellogg Foundation (2004) Logic Model Development Guide

lt그림 2gt~lt그림 4gt와 같은 형태의 논리모형은 사업의 추진과정 및 결과를 보여줄 수 있는

기본적인 논리모형들로서 사업의 작동과정 분석에 유용함

- ʻ투입ʼ 항목에서는 활동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자원을 기재

- ʻ활동ʼ 항목에서는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수행할 활동을 서술

- ʻ산출ʼ 항목에서는 사업의 추진 중 또는 종료 시 창출할 것으로 기대하는 산출물을 기재

- ʻ성과ʼ 항목에서는 사업이 종료된 후의 변화를 기술하며 필요시 사업 종료 직후와 5~6년

이내의 중기로도 구분하여 기술할 수도 있음

- ʻ영향ʼ 항목에서는 사업이 종료된 후 장기적으로 발생될 것으로 예상하는 변화를 기재

12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lt그림 2gt 논리모형의 사례 2

출처 WK Kellogg Foundation (2004) Logic Model Development Guide

lt그림 3gt 논리모형의 사례 3

출처 McLaughlin JA and Jordan GB (2010) ldquoUsing Logic Modelsrdquo Handbook

of Practical Program Evaluation(Third Edition)

13

Ⅲ 사업계획과 논리모형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lt그림 4gt 논리모형의 사례 4

출처 노화준 (2008) 정책평가론

lt그림 1gt의 논리모형과 lt그림 2gt~lt그림 4gt의 논리모형을 결합하면 사업의 추진논리와

함께 추진과정 및 결과를 함께 볼 수 있는 논리모형을 구성할 수 있음

- 이러한 아이디어에 바탕을 두어 본 이슈페이퍼의 4장에서 설명할 논리모형이 개발됨

14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Ⅳ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Ex-ante evaluation)인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

에서는 사업계획의 쟁점사항 도출을 위한 핵심 도구로서 논리모형을 개발하여 활용하고

있음

관련 문헌들과 기존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 사례를 바탕으로 활용하기 용이한

논리모형을 개발하여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제2판)에 수록

본 논리모형은 이론접근모형과 성과접근모형을 결합한 형태로서 수직적으로는(상하

방향) 사업 추진에 대한 논리의 흐름을 수평적으로는(좌우 방향) 사업의 추진과정을

나타내도록 하여 이해하기가 용이함

- 제시된 논리모형은 정형화된 것은 아니며 사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논리모형을

변형하여 활용할 수 있음

사업계획의 평가자는 사업계획을 충분히 파악하고 이해한 후 논리모형을 작성하여야 함

- 논리모형 작성 시 주의할 점은 논리모형의 각 항목의 내용은 대상사업에 대한 평가자의

생각이 아니라 사업 기획주체의 의도와 논리를 담아야 함

논리모형이 작성된 이후에는 작성된 논리모형의 각 항목별 적절성과 항목 간 논리 흐름상의

오류나 괴리가 없는지 분석하여 주요 쟁점사항을 도출한 후 세부적으로 분석을 수행

사업의 기획단계에서도 본 논리모형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음

15

Ⅳ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를 위해 개발된 논리모형의 구조와 각 항목별로 다루어지는

내용 및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음

1 이슈 문제

ㅇ사업 추진의 필요성을 설명할 수 있는 배경요인 과학기술적 산업적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국가적 수요와 도전과제 등

ㅇ해당 사업을 통해 해결하거나 대처하고자 하는 문제나 이슈ㅇ해당 사업 분야와 관련된 정책 다른 연구개발사업 및 과제의 현황 미래 예측 기술과 시장의 동향 및 전망 전문가

설문 통계 및 조사 데이터 등도 활용ㅇ사업을 추진하지 않을 경우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문제나 잃게 되는 기회는 무엇인가ㅇ이슈문제 해결을 위해 연구개발사업 이외의 대안전략은 없는가

2 목표 3 수혜자

ㅇ해당 사업의 추진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사업의 핵심 성과 - 문제 해결 정도의 측정이 가능하도록 정량적 성과지표 제시

ㅇ사업목표 달성이나 사업의 산출로 인해 직접적인 이익을 얻는 주체

4 투입 5 활동 6 산출 7 성과 영향

ㅇ연구개발활동에 필요한 모든 자원

- 사업비 - 인적 자원 - 시설 및 장비 - 연구주체 지식

ㅇ목표를 달성하고 산출 발생을 위해 수행하는 연구개발 활동

ㅇ연구개발활동에 의한 직접적인 결과물 - 기술 정보 제품

데이터 서비스 논문 특허 등

- 산출물의 수량 규모 범위 등을 정량적으로 제시

ㅇ사업을 통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의도된 결과나 변화

ㅇ성과의 확산으로 인해 미래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직간접적 변화 및 파급효과

8 가정

ㅇ사업 추진 시 단계별로 발생할 상황과 변화에 대한 기대나 예측 - ldquo~~하면 ~~할 것이다rdquo로 표현되는 가정문(if-then)을 주로 사용ㅇ사업의 성공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외부요인 환경 조건 법 규정 원칙 믿음 위험

lt그림 5gt 연구개발사업의 쟁점사항 도출을 위한 논리모형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4) 연구개발부문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제2판)

16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983729 이슈문제 (IssueProblem)

이슈문제는 해당 연구개발사업을 기획하게 된 배경을 설명하고 사업의 추진당위성을

부여하는 항목

동 항목에서는 대상사업과 관련된 분야에서 어떠한 이슈나 문제가 존재하며 이러한

이슈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연구개발사업의 추진이 가장 효과적인 전략인지를

설명할 수 있어야 함

- 이를 위해 해당 사업의 필요성을 설명할 수 있는 배경요인(contextural factor)이 기술

되어야 하며 배경요인들에는 과학기술적 산업적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국가적

수요와 도전과제 등이 포함됨

사업에서 대처하려는 이슈나 문제가 여러 가지 요인들로 인해 복잡하다면 해당 사업과

연관성이 가장 높고 중요한 요인들로 압축하여 선정해야 함

- 이러한 문제 정의 과정을 통해 사업에서 추구하려는 목표를 명확히 설정할 수 있음

정부부처에서 제안하는 대부분의 연구개발사업은 특정 세부분야를 대상으로 하므로

광범위한 연구분야나 산업분야의 일반적이고 진부한 이슈문제를 제시하는 것보다는

사업에서 제안하는 세부분야의 특성과 현황에 기반을 둔 구체적이고 핵심적인 이슈

문제를 선정하여 강조하여야 설득력을 확보할 수 있음

사업의 필요성을 설명하기 위해 사업의 분야와 관련된 정책과 연구개발사업 및 과제의

현황 미래 예측 기술과 시장의 동향 및 전망 전문가 설문조사 통계 및 조사 데이터를

적극 활용하는 것이 좋음

제안된 연구개발사업 이외에 도출된 이슈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다른 대안이나 전략이

없는지도 고려할 필요가 있음

해당 사업계획에 대한 평가자는 사업 기획주체가 제시한 문제 정의가 적절한지를

분석함으로써 사업 추진당위성이 확보되었는지를 평가

17

Ⅳ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983730 목표 (Objective)

목표는 해당 사업의 추진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사업의 핵심 성과를 의미함

목표는 해결하고자 하는 이슈문제와 관련이 있어야 하며 해당 사업을 통해 그 이슈

문제가 해결될 수 있어야 함

- 즉 사업목표는 해당 사업을 통해 이슈문제가 어느 정도로 해결될 수 있는지 측정이

가능하도록 정량적으로 제시되어야 함

목표는 구체적이어야 하며(Specific) 측정 가능해야 하고(Measurable) 달성 가능해야

하며(Achievable) 이슈 및 연구개발활동과 연관이 있고(Relevant) 기한이 정해진

(Time-bound) 것이어야 함(SMART)9)

- 목표는 사업이 달성하고자 하는 바를 의미하므로 ① 이슈문제 및 ⑦ 성과영향과

연계하여 분석

목표는 구체성과 계측가능성을 기준으로 볼 때 목적과는 구분되는 개념임

- 사전적인 의미에서 목적(目的)은 ʻ실현하려고 하는 일이나 나아가는 방향ʼ이며 목표

(目標)는 ʻ어떤 목적을 이루려고 지향하는 실제적 대상으로 삼음 또는 그 대상ʼ을 뜻함

- 즉 목적은 추상적이고 방향과 의도를 함축하는데 반하여 목표는 구체적이고 범위가

제한적이며 일반적으로 측정 가능한 수치로 표현됨

983731 수혜자 (Beneficiary)

사업으로 인해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이해관계자는 여러 유형이 있을 수 있으나

수혜자10)는 사업목표와 접한 관련이 있어야 함

9) HM Treasury (2011) The Green Book Appraisal and Evaluation in Central Government

10) 예비타당성조사에서의 수혜자는 사업 추진을 통해 자금을 지원받는 주체가 아니라 사업목표 달성이나 사업의 산출로

인해 직접적인 경제적 이익을 얻는 주체를 의미하며 경제성 분석은 이 수혜자가 얻게 되는 직접적인 경제적 편익을

기준으로 분석함

18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983732 투입 (Input)

투입은 연구개발활동에 필요한 모든 자원을 의미

- 투입의 기본 항목은 재정적 자원과 인적 자원이며 연구시설middot장비 연구수행주체 관련

지식 등이 투입에 해당

- 해당 사업에서 활용될 기존 사업의 산출과 성과도 투입에 포함될 수 있음

사업이 충실하게 기획되면 희망하는 결과를 얻기 위한 최소의 물량규모가 정량적으로

산출될 수 있음

- 실무적으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에서 투입에 해당하는 물량규모는

총사업비라는 형태로 표현됨

983733 활동 (Activity)

국가연구개발사업에서의 활동은 목표를 달성하고 산출을 발생시키기 위해 수행하는

연구개발활동에 초점을 맞추어야 하며 연구개발에 인접한 활동은 연구개발예산 편성

기준에 부합하는지의 여부에 초점을 맞추어야 함

일반적으로 OO기술 개발 OO연구기반 구축 등이 큰 범위의 연구개발활동이 되며 각

연구개발활동은 요소기술 개발 등의 세부 연구개발활동으로 세분화될 수 있음

983734 산출 (Output)

산출은 연구개발활동을 통한 직접적인 결과물을 의미하며 각 활동별로 하나 이상의

산출이 존재할 수 있음

일반적으로 연구개발활동으로 개발된 기술 정보 데이터 제품 서비스 등이 해당되며

이 각각의 산출물은 정량적으로 수량 규모 범위 등이 제시되어야 함

- 기초연구사업에서 개발된 기술에 대한 논문과 특허도 산출물에 해당

19

Ⅳ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983735 성과영향 (OutcomeImpact)

성과는 사업의 목표와 접한 관련이 있으며 사업 추진에 따른 변화나 사업결과

(output)의 활용을 통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의도된 결과이며 영향은 성과의

확산으로 인해 미래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직간접적 변화 및 파급효과를 의미

- 일반적으로 연구개발사업의 단계 구분이나 관련 문헌에서 제시된 논리모형에서는

성과와 영향을 별도 항목으로 고려하기도 하지만 사업의 착수 전에 수행되는 사전

평가에서 성과와 영향을 구분하여 검토하는 것은 실효성이 낮으므로11) 성과와 영향을

종합하여 검토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의 경제성 분석은 국가연구개발사업으로 인한 직접적인

경제적 성과를 추정하는 것임

983736 가정 (Assumption)

사업계획은 그 자체가 기획된 대로 수행하면 기대하는 결과가 생성될 것이라는 가설이며

가정은 사업의 유효성에 대한 믿음임

가정은 사업 추진 시 논리모형의 각 항목별로 발생할 상황과 변화에 대한 기대나 예측을

의미

가정은 사업 수행에 직접적으로 관련 있는 것으로 한정되어야 하며 사업의 성공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외부요인들도 가정에 포함될 수 있음

- 이러한 외부요인으로는 환경 조건 법 규정 원칙 한계 믿음 위험 등이 될 수 있음

11) 사업으로 인한 성과와 영향은 종료평가와 추적평가를 통해 구체적인 평가가 가능함

20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사업계획은 적절한 기획을 통해 도출되어야 하며 기획과정 중에 논리모형을 통해

논리적인 비약을 배제함으로써 사업계획의 합리성을 확보할 수 있음

기획은 최적의 수단으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미래에 취할 행동을 위한 일련의

결정을 준비하는 계획적 과정임

충분한 고민과 의견 수렴을 통해 기획이 잘 이루어지면 사업 추진과 결과의 부실화를

미연에 방지하고 성공가능성을 높일 수 있음

논리모형은 기획과정의 각 시점에서 그 당시까지 구체화된 항목을 하나하나 채워나감

으로써 가시적인 논리의 확인과 기획참여자들 간의 소통과 이해 및 의견 수렴에 유용함

사업의 기획이 완료된 후에는 완성된 논리모형을 예산당국 주무부처와 같은 이해

관계자와 사업계획 평가자에게 제시하여 사업의 거시적인 작동논리를 이해시키고 예산

확보를 위해 설득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음

사업의 착수시점에 해당 사업에 대한 체계화된 정보가 없을 경우에는 후속관리가

부실화되기 쉬우므로 사업계획의 충실한 수립은 매우 중요함

전반적인 추진논리를 확보하기 위해 바람직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절차는

lt그림 6gt과 같이 제시될 수 있음

21

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lt그림 6gt 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정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4) 연구개발부문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제2판)

사업을 기획하기 위해서는 우선 대규모 신규 사업의 추진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이슈

또는 문제가 무엇인지 먼저 파악되어야 함

- 동향조사 예측조사 설문조사 인터뷰 통계분석 등 다양한 분석방법을 통해 적절한

범위 내에서 이슈문제를 식별한 후 기획 의도를 고려한 합리적인 평가기준을 적용하여

사업에서 집중하고자 하는 문제를 선택해야 함

- 선택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연구개발사업이 세금 자금 인력 지원 등 다른

대안과 비교할 때 가장 효율적인 방법인지 검토되어야 함

정부의 연구개발사업 추진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가 정의되면 사업을 통해 얻고자 하는

성과가 무엇인지 구체적이고 객관적으로 제시해야 함

- 이를 위해서는 사업의 성과물이 전달되는 수혜 대상이 명확히 정의되어야 함

사업목표가 설정되면 이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추진체계와 추진전략이 수립되어야 함

22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 추진체계는 다양한 참여주체의 분석을 통해 적절한 역할과 조정 협력관계 등을

조직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함

- 추진전략은 사업 및 기술 환경의 특성 분석을 통해 목표 달성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연구개발전략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함

세부과제의 구성을 완료하여 사업기간과 총사업비 그리고 필요한 장비와 시설 등 신규

구축할 인프라의 규모를 도출함

- 세부과제는 기본적으로 사업목표와 직접적으로 연계되어야 함 즉 세부과제가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사업목표가 달성될 수 있도록 구성할 필요

- 기술수요조사와 시설장비수요조사와 같은 시장이나 사회적 수요를 반영한 후보과제를

도출한 후 사업목표의 달성을 위한 전략적 방향을 고려한 기준과 가중치가 적용된

우선순위 선정절차를 거치는 것이 바람직함

- 선정된 세부과제는 목표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적절한 단위의 세부활동을 구성하고 사업

추진상의 기술개발 로드맵을 수립하며 각각의 세부 성과지표를 구체화함

- 세부활동이 구체화되면 활동별로 수행을 위한 비용 기간 조직 인프라 등의 자원 소요계획이

확립되며 이를 종합하여 전체 사업의 추진을 위해 필요한 투입자원의 총량을 도출함

수립된 사업계획 초안의 문제 정의 사업목표 설정 추진체계 및 추진전략 수립 세부과제

구성에 대한 재검토 및 보완을 통해 기획을 완료함

- 현실적으로 기획과정에서 모든 정보를 완벽하게 수집하고 분석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신규로 제안되는 사업과 유사한 선행사업이 없어 과거 사례의 참조에도 한계가 있을 수 있음

- 사업의 내용은 기획이 진행되면서 시간의 흐름과 함께 점진적으로 구체화12)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환류(feedback) 과정을 거쳐 사업계획을 보완하는 것이 중요함

- 환류 과정을 진행하기 전에 현재까지 기획된 사업계획에 대한 논리모형을 구성하여

전반적인 사업의 작동논리가 설득력 있게 기획되었는지 확인하고 환류 과정을 통해

보완된 사업계획에 대한 논리모형도 검토하는 것이 바람직함

12) PMI (2000) PMBOK Guide

23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가상의 사례를 통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을 설명하고자 함

lt그림 7gt은 가상의 국가연개구발사업에 대해 작성된 논리모형임

1 이슈 문제

ㅇ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시장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나 정부의 투자는 산발적이고 일회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해외 의존도가 증대되고 있음

- 클러스터 형태의 실증사업 추진 필요

ㅇ A 융합기술ʼ 분야의 생태계 조성과 연계하고 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 클러스터를 구축하고 Z지역의 산업지역발전의 거점 역할을 하도록 할 필요

2 목표 3 수혜자

ㅇ ʻA 융합기술ʼ 신산업 허브 구축

- ʻA 융합기술ʼ 신산업 창출 선도 및 발전 기반 구축

- 지역거점형 ʻA 융합기술ʼ 실증사업 중심 산업화 지원

- ʻA 융합기술ʼ 산학연 협력 및 비즈니스 협업체계 구축

ㅇA 융합기술 분야 기업

ㅇ국민공공기관

4 투입 5 활동 6 산출 7 성과 영향

ㅇ사업비 OO억 원

ㅇ연구인력

ㅇ ʻA 융합기술ʼ 통합

센터 구축

ㅇ실증사업

- B C D E 4개

산업 분야

ㅇB C D E 등 4개

산업 분야

ʻA 융합기술ʼ 시스템

ㅇ ʻA 융합기술ʼ 기반

융합산업의 생산성

증대

ㅇZ지역의 지역경제

발전

8 가정

ㅇ ʻA 융합기술ʼ 신산업 강화는 국가 발전의 원동력으로 작용할 것임

ㅇ지역 착형 거점 구축을 통해 기술발전을 선도하고 관련 산업 육성을 도모하며 지역산업 활성화를 도모할 것임

lt그림 7gt 가상의 사업계획에 기반한 논리모형 작성의 사례

24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사업에 대한 사전평가에서 논리모형은 사업의 거시적인 작동논리의 분석을 통해 주요

쟁점을 도출하기 위해 활용됨

논리모형에는 사업계획의 핵심 내용만 기재되므로 논리모형 분석은 세부내용의 상세한

적부 분석이 아닌 이슈 목표 활동으로 이어지는 사업의 주요 작동논리 분석과 세 항목 간의

논리적 연계성 분석이 주로 이루어짐

시장 수요나 전망 현장의 이슈를 고려하지 않고 적절한 기획과정도 거치치 않은 채 소수의

기획주체가 ʻ하고 싶고 할 수 있는ʼ 과제를 먼저 선정해 놓고 사업을 기획하여 전체적인

사업 작동논리가 부실한 경우가 많으므로 이러한 쟁점 여부의 파악을 위해 활용함

가상의 사업계획에서 제시한 이슈(983729)는 신규 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는 이유를 설명하는

문제 정의로서 적절치 않음

최근 2~3년전부터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다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들이 다수 착수되어

추진되고 있으므로 산발적일회적이라는 주장은 사실과 다름

ʻA 융합기술ʼ 분야는 현재 국내 기업에서 사업화를 추진 중인 분야이고 기업들의 기술 수준도

상대적으로 높으므로 해외의존도를 언급하는 것은 부적절함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시장이 확대될 것이라는 예측은 적절하지만 이러한 내용은 누구나

알고 있는 일반적인 사항이며 동 사업 내에서 실증을 하고자 하는 세부 산업 분야(B C

D E 산업)에서의 ʻA 융합기술ʼ의 시장 동향 전망과 데이터에 근거한 분석은 이루어지지

않음

대형 실증사업 추진을 위해서는 사업의 성과에 대한 구체적 근거 마련을 위해 사전 연구나

조사를 통한 성과 데이터의 구축이 필요하나 실증사업의 추진 필요성과 유효성을 설명

할 수 있는 근거자료가 부재함

Z지역에는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연구 및 산업기반이 국내에서도 상대적으로 미약하여

산업 클러스터가 형성될 가능성이 낮고 국가적인 차원의 활용도 관점에서 해당 지역에의

거점 구축의 당위성은 낮음

25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기획의 Tip

국가적인 차원에서 연구개발사업을 통해서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를 구체적이고 명확히 정의

- 현재 또는 미래에 어떤 문제가 있거나 발생할 것이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

개발사업을 구상하게 되었는지 제시

-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광범위한 이슈의 제기는 무의미

- 국내외의 각종 통계 보고서 정책자료 시장보고서 전문가 및 실무자 인터뷰 등 근거자료를

통해 구체화되고 특정화된 문제를 제시

- 특정 주체나 지역이 아닌 국가적인 차원의 문제를 제시해야 하며 해당 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지 않으면 국가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나 잃게 되는 기회가 무엇인지를 설명

- 지역기반 구축은 국가적인 필요성과 함께 전국에서 해당 지역이 기반 구축의 최적지임을

입증할 수 있는 근거가 필요

사업목표(983730)를 제시하였으나 선언적인 내용에 불과하며 성과지표의 구체화가 미흡하여

문제 해결 정도를 측정하기 어려움

동 사업에서는 광범위한 ʻA 융합기술ʼ의 적용 분야 중 소수의 분야만을 다루는 반면

사업목표는 사업 내용에 비해 지나치게 일반적이고 광범위하게 수립됨

동 사업은 상호 연관성이 낮은 여러 세부사업을 단일 사업 내에 포함시켜 전체 사업 수준의

거시적인 성과목표 제시가 어려운 한계가 있음

앞서 각 세부사업별로 해당 산업 분야의 문제 정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사업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와 성과가 불문명하며 이에 따라 성과지표를 정량적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하여 목표 달성 여부의 측정방법도 불분명함

26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기획의 Tip

관리 가능성의 관점에서 사업목표는 SMART하게 제시

- 구체적이고(Specific) 측정가능하며(Measurable) 달성가능하고(Achievable) 문제 활동과 연관성이 있으며(Relevant) 시간제약이 있도록(Time-bound)가 있도록 수립

해결해야 할 문제(983729)와 사업목표(983730) 간에 괴리가 존재하여 둘 간의 연계성은 미흡함

해결해야 할 이슈로 제시한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일반적인 문제들을 사업목표로 제시한

지역 착형 사업을 통해 해소하고자 함은 연계성이 낮음

문제 정의 자체가 세부 산업분야별 시장 전망 또는 현장의 이슈 분석을 통해 구체적으로

도출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를 해소하기 위해 달성할 사업목표의 설정도 어려운 한계가

있으며 동 사업의 추진으로 국내외에서 어느 정도의 성과를 거둘 수 있을지도 예상할 수

없음

제시된 4가지 실증사업은 공공 영역부터 민간의 사업화가 활발한 영역까지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어 시너지 효과 창출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됨

기획의 Tip

사업목표의 범위는 제시된 이슈문제의 범위와 일치해야 하며 사업목표를 달성하면 이슈문제가 어느 정도 해결되는지를 보여줄 수 있도록 사업목표를 수립

세부 실증사업을 통해 개발될 제품(시스템)의 사용자(구매자)까지 수혜자로 포함시켜

수혜자(983731)의 표적화가 부적절함

동 사업을 통해 제품을 개발하여 사업 종료 후 해당 제품의 판매를 통해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할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기업들이 동 사업의 직접적 수혜자임

27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동 사업은 A 융합기술ʼ 분야의 실증을 통한 시스템 개발로 종료되며 제품을 최종사용자

에게까지 보급하는 것은 사업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여러 단계 이후의 최종사용자를

동 사업의 수혜자로 제시하는 것은 부적절함

기획의 Tip

사업목표와 범위에 맞는 수혜자를 제시

- 성과확산단계에 따라 수혜자를 구분하여 제시할 수는 있으나 사업성과를 통해 직접적 경제적

수혜를 받는 주체만 경제성 분석의 대상이 됨

세부활동(983733)은 사업목표(983730)와 개념적으로는 일부 연계성이 있음

산업 분야에 A 융합기술ʼ의 접목하기 위한 실증사업의 추진이 동 사업의 주요 내용이므로

관련 신산업을 창출하고자 하는 사업의 목표와는 개념적으로 연계성이 있음

B C 분야는 사업목표와 관련성이 있고 구축되는 통합센터와 정보 공유도 가능할 것이나

D E 분야는 독립적이며 사업목표와의 연계성도 낮아 동일 사업 내에서 추진할 필요성

및 통합센터 구축의 필요성도 모호함

기획의 Tip

세부활동(세부사업 또는 과제)을 수행하면 제시된 사업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세부

활동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문제 해결 및 사업목표 달성과 연관성이 낮은 활동은 제외

- 사업목표 달성과 관련 없는 과제의 포함 불요불급한 시설 및 장비의 구축 필요 이상으로 부풀린

사업비의 요구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는 주요 요인임

이 외의 항목들은 거시적인 작동논리나 연계성에 대한 검토보다는 세부내용의 적부 분석을 수행함

투입(983732)과 산출(983734)은 활동의 상세한 분석을 통해 적절성을 분석

성과영향(983735)은 사업목표와 활동 산출의 상세한 분석을 통해 적절성을 분석

가정(983736)은 별도의 분석보다는 이슈 목표 활동과 연계하여 분석

28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Ⅶ 맺음말

사업의 직접적인 이해관계자는 해당 사업의 긍정적인 측면만 생각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사업 기획주체는 신규 사업의 기획 시 객관적인 시각에서 사업계획을 조망하고 보완하기 위해

논리모형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ʻ왜 해야 하는지ʼ ʻ어떠한 결과를 내려고 하는지ʼ ʻ무엇을 어떻게 하려고 하는지ʼ가

논리적으로 연계가 되어 설득력을 확보해야 함

사업의 착수 전에 문서뿐인 사업계획서를 분석하여 사전에 평가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나

논리모형을 활용한 사업의 작동논리와 추진과정의 객관적인 분석을 통해 기획단계의

오류로 인한 사업의 부실화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

제도적인 측면에서 평가결과의 일관성 확보를 위해 사전평가의 방법으로 논리모형

분석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함13)

본 이슈페이퍼에서는 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을 설명

하였으며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추진단계 및 종료단계에 적절한 논리모형의 개발 및 활용도

고려할 필요

사업 추진 중의 사업관리 또는 중간평가 시에는 투입 rarr 활동 rarr 산출 등 사업 추진과정을

확대하여 집중적으로 분석하는 특히 활동을 더 세부적으로 구분한 논리모형이 필요함

- 사업별 특성에 부합하도록 단계별 연차별 세부과제(기술)별로 마일스톤이 포함된

논리모형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는 사업 추진 로드맵을 포함하는 형태가 될 것임

사업 종료 시의 성과확산 전략 수립이나 종료평가 또는 그 이후의 추적평가 시에는 산출

rarr 성과 rarr 영향의 사업성과 확산과정을 집중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논리모형을 구성할 수 있음

- 성과의 확산은 해당 연구개발사업 이후에 이루어지므로 동 논리모형의 구성은 성과의

극대화를 위한 성과확산사업의 기획과정으로도 볼 수 있음

논리모형 활용의 확산을 통해 국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역량을 제고하고 사업계획의

완성도를 높여 사업의 성공가능성을 제고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함

13)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에서는 이를 필수적으로 활용하도록 하고 있음

29

참 고 문 헌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 고 문 헌

국가과학기술위원회 (2011) 정부RampD 투자 효율화 추진계획

노화준 (2008) 정책평가론

미래창조과학부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 대통령령 제26729호

미래창조과학부 (2013) 국가연구개발사업 표준성과지표 ndash 성과목표지표 설정 가이드라인

미래창조과학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5) 2014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보고서

미래창조과학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5) 2014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4) 연구개발부문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제2판)

HM Treasury (2011) The Green Book Appraisal and Evaluation in Central Government

McLaughlin JA and Jordan GB (1999) ldquoLogic models a tool for telling your programrsquos

performance storyrdquo Evaluation and Program Planning 22 65~72

McLaughlin JA and Jordan GB (2010) ldquoUsing Logic Modelsrdquo in Joseph S Wholey

Harry P Hatry and Kathryn E Newcomer(eds) Handbook of Practical Program

Evaluation(Third Edition) San Francisco Jossey-Bass 55~80

OECD (2015) Frascati Manual 2015

PMI (2000) PMBOK Guide

WK Kellogg Foundation (2004) Logic Model Development Guide

저자 소개

강 현 규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공공기술조사실장

- 전화 02-589-2813

- e-mail hkkangkisteprekr

KISTEP Issue Paper 2016-05

|발 행|2016년 5월

|발행인|박 영 아

|발행처|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서울시 서초구 마방로 68(양재동) 동원산업빌딩 9층~12층

전화 02) 589-2200 팩스 02) 589-2222

httpwwwkisteprekr

|인쇄처|(주)비전테크시스템즈 [TEL02)3432-7132]

6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2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은 국가연구개발 목표 설정 및 국가의 자원배분을 설계하는

정책기획과 추진 중 또는 종료된 사업의 성과를 검토하는 연구평가의 중간단계에 해당함

국가연구개발사업은 정책기획에서 도출된 공통된 목표를 지향하는 활동들이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구체적으로 표현된 것임

기술적 목표와 도달 방법을 제시하거나 목표 달성을 위한 요구사항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거나 성공적인 연구관리 방법을 제시하는 등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구체화를 위한

사항은 다양함

국가연구개발사업은 세부적인 과제 도출을 통해 구체화하여 기획되는 것이 바람직함

국가연구개발사업은 본래 정부의 역할을 타 주체가 대행하여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므로

사업계획이 추상적인 관념이나 철학이 아니라 구체적으로 제시될 필요가 있음

이는 법4)에서 연구개발과제를 특정해야 한다고 표현되어 있으며 과제란 연구지원에

대한 과제(project) 뿐만 아니라 연구 장비시설을 도입하거나 구축하는 과제 등이 모두

포함될 수 있고 이러한 과제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구체화되어 특정될 수 있음

- 과제란 국가연구개발사업에서 정부를 대행하는 주체가 수행하여야 하는 활동 등이

객관적으로 구체화된 실체를 의미함

4)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

7

Ⅱ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개요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방법에 대해 정부는 규정을 통해 명시하고 있음

성공가능성이 높은 충실한 사업의 기획을 위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

제4조(사전조사 및 기획) 제1호에서는 ʻ중앙행정기관의 장은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려는 경우에는 그 사업의 기술적경제적 타당성 등에 대한 사전조사 또는 기획

연구를 수행ʼ할 것을 명시하고 있음

정부는 신규 사업의 사전기획을 의무화5)하는 등 RampD기획의 강화를 추진하고 있음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을 위한 구성요소에 대한 획일적인 기준은 없으나 구체화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안에는 다음과 같은 사항들이 포함되어야 함6)

- 사업의 목표 세부추진내용 및 추진체계

- 다른 중앙행정기관의 소관 업무와 관련되는 사항에 대한 조정방안(해당 사항이 있는

경우만 해당)

- 사업의 평가계획

- 필요한 자원의 규모 및 인력 확보방안

- 정부지원의 타당성 검토 결과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방안 및 기대효과

- 국내외 특허 동향 기술 동향 표준화 동향 및 표준특허 동향

5) 국가과학기술위원회 (2011) 정부RampD 투자 효율화 추진계획

6)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 제4조 제7항

8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Ⅲ 사업계획과 논리모형

사업(program)이란 특정한 배경 하에서 특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여러 가지 자원을

투입하고 관련된 활동을 수행하여 산출물과 성과를 생성하는 일련의 작업임

대규모 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이슈문제 목표 대상 투입 활동 및

전략 운영평가체계 산출 및 성과 등이 포함된 사업계획을 수립해야 함

사업계획은 사업이 기획된 대로 시행된다면 의도하는 결과가 달성될 것이라는 일종의

가설임

- 따라서 잘 수립된 사업계획은 왜 해당 사업을 추진하여야 하며 사업이 무엇을

달성하고자 하고 어떻게 달성할 것이고 어떤 활동을 수행하여 어느 정도의 성과를

창출하고 그 성과를 어떻게 측정하고 평가할 지에 대해 충분한 정보를 포함해야 함

사업계획을 검토하는 평가자는 사업계획을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사업의 가설을 분해하기 위해

논리모형을 사용할 수 있음

- 사업계획에 대한 논리모형을 수립함으로써 평가자는 해당 사업의 기획주체가 생각하는

사업의 작동 메커니즘을 이해할 수 있음

논리모형은 각종 사업의 기획 관리 평가에 적용되는 방법 중 하나이며 어떻게 사업을

추진할 것인지를 나타낸 개념도로 정의할 수 있음7)

논리모형은 사업의 작동과 관련된 항목 간의 논리적 연관성을 보여주는 모델로서 사업

관련 활동과 결과가 최종목표에 어떻게 연계되는지를 보여줄 수 있음

논리모형은 사업을 작동시키는 투입자원 활동 그리고 달성할 변화나 결과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고 관계자들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한 체계적이고 시각적인 방법임

7) WK Kellogg Foundation (2004) Logic Model Development Guide

9

Ⅲ 사업계획과 논리모형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논리모형은 사업에 대한 개념 정립 기획 관리 평가 및 다른 사람과의 소통에 유용한

도구이며 사업의 작동 메커니즘 및 기대되는 성과를 다른 사람에게 설득하는 기본 근거가

될 수 있음

논리모형을 활용하여 사업을 분해함으로써 사업의 필요성 세부활동 및 전략 기대성과

산출 시기 수행주체 및 수행처 투입자원 산출의 종류와 규모 그리고 사업결과를 활용한

성과 등을 설명할 수 있음

논리모형은 사업의 생애(기획 실행 평가) 전 과정에 사용될 수 있는 유용한 관리 및 평가

도구임

정부에서도 이해관계자의 사업에 대한 이해를 돕고 성과목표 및 성과지표 설정에

활용하기 위해 사업 분석 시 논리모형의 활용을 권고하고 있음8)

논리모형은 사업의 기획단계 실행단계 그리고 평가단계에서 각각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

기획단계의 논리모형은 사업설계상의 오류와 사업 추진논리 간 괴리(gap)를 발견하는데

유용하며 사업의 작동 가능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줌

- 이를 통해 사업이 무엇에 관한 것인지 각 부분들이 어떻게 함께 작동하게 되는지에 대해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줌

- 이 단계에서의 논리모형은 사업의 설계와 기획에 영향을 주는 변화의 분석을 강조하는

이론접근모형(Theory approach model)이 주로 적용됨

사업 실행단계에 초점이 맞추어진 논리모형은 계획 관리의 핵심 도구로 활용될 수 있으며

사업을 관리하고 개선하기 위하여 필요한 자료를 파악하고 수집하는 데에 도움이 됨

- 이 단계에서는 주로 사업의 활동과 결과가 연결되는 지점에 초점을 두며 산출물을

명확히 파악하여 성과 분석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음

- 이 단계에서는 논리모형 중 집행과정의 세부적인 내용에 가장 주의를 기울이는 활동

접근모형(Activity approach model)이 활용됨

8) 미래창조과학부 (2013) 국가연구개발사업 표준성과지표 ndash 성과목표지표 설정 가이드라인

10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사업 평가단계에서는 공정하고 객관적인 평가와 이를 위한 정보제공이 필요하므로 성과

접근모형(Outcome approach model)이 적용됨

- 이 모형은 투입-활동-결과-성과-영향 사이의 논리적 개연성과 단계별 가정의 유효성을

확인하여 성과를 도출하기 위한 사업의 원활한 작동 가능성을 점검하는데 유용함

논리모형의 형태가 정형화된 것은 없으며 정보의 종류와 수준에 따라 기본항목으로

구성된 모형부터 세부적으로 구체화된 논리모형까지 다양한 형태로 구성이 가능함

사업의 추진단계 및 활용목적에 따라 강조하려는 사항이 다르므로 필요에 따라 다른

형태의 논리모형을 구성할 수 있음

lt그림 1gt과 같은 형태의 논리모형은 사업의 기획단계 및 사전평가 시 사업의 추진당위성

파악에 유용한 형태의 논리모형임

- 동 논리모형은 사업의 추진과정과 결과보다는 사업의 추진논리를 중점적으로 기술

- ʻ문제이슈(ProblemIssue)ʼ 항목에서는 연구개발사업을 통해 해결하거나 대처하고자

하는 문제를 설명

- ʻ사회적 수요자산(Community NeedsAssets)ʼ 항목에서는 문제이슈 관련 수요와

이의 해결을 위해 활용 가능한 사회적인 자산을 서술

- ʻ희망하는 결과(Desired results)ʼ 항목에서는 연구개발사업이 실행된다면 단기장기적으로 달성하고자 하는 것을 서술

- ʻ영향요인(Influential factors)ʼ 항목에서는 사회의 변화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생각하는

요인들 예를 들어 우호적 요인 또는 위험 요인 정책 환경 기타 요인 등을 열거

- ʻ전략(Strategies)ʼ 항목에서는 사업을 통해 희망하는 결과의 달성에 도움이 될 성공전략

또는 모범사례(best practice)를 기술

- ʻ가정(Assumptions)ʼ 항목에서는 전략이 어떻게 작동할 것인지에 관한 가정을 서술

11

Ⅲ 사업계획과 논리모형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lt그림 1gt 논리모형의 사례 1

출처 WK Kellogg Foundation (2004) Logic Model Development Guide

lt그림 2gt~lt그림 4gt와 같은 형태의 논리모형은 사업의 추진과정 및 결과를 보여줄 수 있는

기본적인 논리모형들로서 사업의 작동과정 분석에 유용함

- ʻ투입ʼ 항목에서는 활동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자원을 기재

- ʻ활동ʼ 항목에서는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수행할 활동을 서술

- ʻ산출ʼ 항목에서는 사업의 추진 중 또는 종료 시 창출할 것으로 기대하는 산출물을 기재

- ʻ성과ʼ 항목에서는 사업이 종료된 후의 변화를 기술하며 필요시 사업 종료 직후와 5~6년

이내의 중기로도 구분하여 기술할 수도 있음

- ʻ영향ʼ 항목에서는 사업이 종료된 후 장기적으로 발생될 것으로 예상하는 변화를 기재

12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lt그림 2gt 논리모형의 사례 2

출처 WK Kellogg Foundation (2004) Logic Model Development Guide

lt그림 3gt 논리모형의 사례 3

출처 McLaughlin JA and Jordan GB (2010) ldquoUsing Logic Modelsrdquo Handbook

of Practical Program Evaluation(Third Edition)

13

Ⅲ 사업계획과 논리모형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lt그림 4gt 논리모형의 사례 4

출처 노화준 (2008) 정책평가론

lt그림 1gt의 논리모형과 lt그림 2gt~lt그림 4gt의 논리모형을 결합하면 사업의 추진논리와

함께 추진과정 및 결과를 함께 볼 수 있는 논리모형을 구성할 수 있음

- 이러한 아이디어에 바탕을 두어 본 이슈페이퍼의 4장에서 설명할 논리모형이 개발됨

14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Ⅳ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Ex-ante evaluation)인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

에서는 사업계획의 쟁점사항 도출을 위한 핵심 도구로서 논리모형을 개발하여 활용하고

있음

관련 문헌들과 기존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 사례를 바탕으로 활용하기 용이한

논리모형을 개발하여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제2판)에 수록

본 논리모형은 이론접근모형과 성과접근모형을 결합한 형태로서 수직적으로는(상하

방향) 사업 추진에 대한 논리의 흐름을 수평적으로는(좌우 방향) 사업의 추진과정을

나타내도록 하여 이해하기가 용이함

- 제시된 논리모형은 정형화된 것은 아니며 사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논리모형을

변형하여 활용할 수 있음

사업계획의 평가자는 사업계획을 충분히 파악하고 이해한 후 논리모형을 작성하여야 함

- 논리모형 작성 시 주의할 점은 논리모형의 각 항목의 내용은 대상사업에 대한 평가자의

생각이 아니라 사업 기획주체의 의도와 논리를 담아야 함

논리모형이 작성된 이후에는 작성된 논리모형의 각 항목별 적절성과 항목 간 논리 흐름상의

오류나 괴리가 없는지 분석하여 주요 쟁점사항을 도출한 후 세부적으로 분석을 수행

사업의 기획단계에서도 본 논리모형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음

15

Ⅳ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를 위해 개발된 논리모형의 구조와 각 항목별로 다루어지는

내용 및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음

1 이슈 문제

ㅇ사업 추진의 필요성을 설명할 수 있는 배경요인 과학기술적 산업적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국가적 수요와 도전과제 등

ㅇ해당 사업을 통해 해결하거나 대처하고자 하는 문제나 이슈ㅇ해당 사업 분야와 관련된 정책 다른 연구개발사업 및 과제의 현황 미래 예측 기술과 시장의 동향 및 전망 전문가

설문 통계 및 조사 데이터 등도 활용ㅇ사업을 추진하지 않을 경우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문제나 잃게 되는 기회는 무엇인가ㅇ이슈문제 해결을 위해 연구개발사업 이외의 대안전략은 없는가

2 목표 3 수혜자

ㅇ해당 사업의 추진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사업의 핵심 성과 - 문제 해결 정도의 측정이 가능하도록 정량적 성과지표 제시

ㅇ사업목표 달성이나 사업의 산출로 인해 직접적인 이익을 얻는 주체

4 투입 5 활동 6 산출 7 성과 영향

ㅇ연구개발활동에 필요한 모든 자원

- 사업비 - 인적 자원 - 시설 및 장비 - 연구주체 지식

ㅇ목표를 달성하고 산출 발생을 위해 수행하는 연구개발 활동

ㅇ연구개발활동에 의한 직접적인 결과물 - 기술 정보 제품

데이터 서비스 논문 특허 등

- 산출물의 수량 규모 범위 등을 정량적으로 제시

ㅇ사업을 통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의도된 결과나 변화

ㅇ성과의 확산으로 인해 미래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직간접적 변화 및 파급효과

8 가정

ㅇ사업 추진 시 단계별로 발생할 상황과 변화에 대한 기대나 예측 - ldquo~~하면 ~~할 것이다rdquo로 표현되는 가정문(if-then)을 주로 사용ㅇ사업의 성공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외부요인 환경 조건 법 규정 원칙 믿음 위험

lt그림 5gt 연구개발사업의 쟁점사항 도출을 위한 논리모형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4) 연구개발부문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제2판)

16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983729 이슈문제 (IssueProblem)

이슈문제는 해당 연구개발사업을 기획하게 된 배경을 설명하고 사업의 추진당위성을

부여하는 항목

동 항목에서는 대상사업과 관련된 분야에서 어떠한 이슈나 문제가 존재하며 이러한

이슈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연구개발사업의 추진이 가장 효과적인 전략인지를

설명할 수 있어야 함

- 이를 위해 해당 사업의 필요성을 설명할 수 있는 배경요인(contextural factor)이 기술

되어야 하며 배경요인들에는 과학기술적 산업적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국가적

수요와 도전과제 등이 포함됨

사업에서 대처하려는 이슈나 문제가 여러 가지 요인들로 인해 복잡하다면 해당 사업과

연관성이 가장 높고 중요한 요인들로 압축하여 선정해야 함

- 이러한 문제 정의 과정을 통해 사업에서 추구하려는 목표를 명확히 설정할 수 있음

정부부처에서 제안하는 대부분의 연구개발사업은 특정 세부분야를 대상으로 하므로

광범위한 연구분야나 산업분야의 일반적이고 진부한 이슈문제를 제시하는 것보다는

사업에서 제안하는 세부분야의 특성과 현황에 기반을 둔 구체적이고 핵심적인 이슈

문제를 선정하여 강조하여야 설득력을 확보할 수 있음

사업의 필요성을 설명하기 위해 사업의 분야와 관련된 정책과 연구개발사업 및 과제의

현황 미래 예측 기술과 시장의 동향 및 전망 전문가 설문조사 통계 및 조사 데이터를

적극 활용하는 것이 좋음

제안된 연구개발사업 이외에 도출된 이슈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다른 대안이나 전략이

없는지도 고려할 필요가 있음

해당 사업계획에 대한 평가자는 사업 기획주체가 제시한 문제 정의가 적절한지를

분석함으로써 사업 추진당위성이 확보되었는지를 평가

17

Ⅳ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983730 목표 (Objective)

목표는 해당 사업의 추진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사업의 핵심 성과를 의미함

목표는 해결하고자 하는 이슈문제와 관련이 있어야 하며 해당 사업을 통해 그 이슈

문제가 해결될 수 있어야 함

- 즉 사업목표는 해당 사업을 통해 이슈문제가 어느 정도로 해결될 수 있는지 측정이

가능하도록 정량적으로 제시되어야 함

목표는 구체적이어야 하며(Specific) 측정 가능해야 하고(Measurable) 달성 가능해야

하며(Achievable) 이슈 및 연구개발활동과 연관이 있고(Relevant) 기한이 정해진

(Time-bound) 것이어야 함(SMART)9)

- 목표는 사업이 달성하고자 하는 바를 의미하므로 ① 이슈문제 및 ⑦ 성과영향과

연계하여 분석

목표는 구체성과 계측가능성을 기준으로 볼 때 목적과는 구분되는 개념임

- 사전적인 의미에서 목적(目的)은 ʻ실현하려고 하는 일이나 나아가는 방향ʼ이며 목표

(目標)는 ʻ어떤 목적을 이루려고 지향하는 실제적 대상으로 삼음 또는 그 대상ʼ을 뜻함

- 즉 목적은 추상적이고 방향과 의도를 함축하는데 반하여 목표는 구체적이고 범위가

제한적이며 일반적으로 측정 가능한 수치로 표현됨

983731 수혜자 (Beneficiary)

사업으로 인해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이해관계자는 여러 유형이 있을 수 있으나

수혜자10)는 사업목표와 접한 관련이 있어야 함

9) HM Treasury (2011) The Green Book Appraisal and Evaluation in Central Government

10) 예비타당성조사에서의 수혜자는 사업 추진을 통해 자금을 지원받는 주체가 아니라 사업목표 달성이나 사업의 산출로

인해 직접적인 경제적 이익을 얻는 주체를 의미하며 경제성 분석은 이 수혜자가 얻게 되는 직접적인 경제적 편익을

기준으로 분석함

18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983732 투입 (Input)

투입은 연구개발활동에 필요한 모든 자원을 의미

- 투입의 기본 항목은 재정적 자원과 인적 자원이며 연구시설middot장비 연구수행주체 관련

지식 등이 투입에 해당

- 해당 사업에서 활용될 기존 사업의 산출과 성과도 투입에 포함될 수 있음

사업이 충실하게 기획되면 희망하는 결과를 얻기 위한 최소의 물량규모가 정량적으로

산출될 수 있음

- 실무적으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에서 투입에 해당하는 물량규모는

총사업비라는 형태로 표현됨

983733 활동 (Activity)

국가연구개발사업에서의 활동은 목표를 달성하고 산출을 발생시키기 위해 수행하는

연구개발활동에 초점을 맞추어야 하며 연구개발에 인접한 활동은 연구개발예산 편성

기준에 부합하는지의 여부에 초점을 맞추어야 함

일반적으로 OO기술 개발 OO연구기반 구축 등이 큰 범위의 연구개발활동이 되며 각

연구개발활동은 요소기술 개발 등의 세부 연구개발활동으로 세분화될 수 있음

983734 산출 (Output)

산출은 연구개발활동을 통한 직접적인 결과물을 의미하며 각 활동별로 하나 이상의

산출이 존재할 수 있음

일반적으로 연구개발활동으로 개발된 기술 정보 데이터 제품 서비스 등이 해당되며

이 각각의 산출물은 정량적으로 수량 규모 범위 등이 제시되어야 함

- 기초연구사업에서 개발된 기술에 대한 논문과 특허도 산출물에 해당

19

Ⅳ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983735 성과영향 (OutcomeImpact)

성과는 사업의 목표와 접한 관련이 있으며 사업 추진에 따른 변화나 사업결과

(output)의 활용을 통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의도된 결과이며 영향은 성과의

확산으로 인해 미래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직간접적 변화 및 파급효과를 의미

- 일반적으로 연구개발사업의 단계 구분이나 관련 문헌에서 제시된 논리모형에서는

성과와 영향을 별도 항목으로 고려하기도 하지만 사업의 착수 전에 수행되는 사전

평가에서 성과와 영향을 구분하여 검토하는 것은 실효성이 낮으므로11) 성과와 영향을

종합하여 검토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의 경제성 분석은 국가연구개발사업으로 인한 직접적인

경제적 성과를 추정하는 것임

983736 가정 (Assumption)

사업계획은 그 자체가 기획된 대로 수행하면 기대하는 결과가 생성될 것이라는 가설이며

가정은 사업의 유효성에 대한 믿음임

가정은 사업 추진 시 논리모형의 각 항목별로 발생할 상황과 변화에 대한 기대나 예측을

의미

가정은 사업 수행에 직접적으로 관련 있는 것으로 한정되어야 하며 사업의 성공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외부요인들도 가정에 포함될 수 있음

- 이러한 외부요인으로는 환경 조건 법 규정 원칙 한계 믿음 위험 등이 될 수 있음

11) 사업으로 인한 성과와 영향은 종료평가와 추적평가를 통해 구체적인 평가가 가능함

20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사업계획은 적절한 기획을 통해 도출되어야 하며 기획과정 중에 논리모형을 통해

논리적인 비약을 배제함으로써 사업계획의 합리성을 확보할 수 있음

기획은 최적의 수단으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미래에 취할 행동을 위한 일련의

결정을 준비하는 계획적 과정임

충분한 고민과 의견 수렴을 통해 기획이 잘 이루어지면 사업 추진과 결과의 부실화를

미연에 방지하고 성공가능성을 높일 수 있음

논리모형은 기획과정의 각 시점에서 그 당시까지 구체화된 항목을 하나하나 채워나감

으로써 가시적인 논리의 확인과 기획참여자들 간의 소통과 이해 및 의견 수렴에 유용함

사업의 기획이 완료된 후에는 완성된 논리모형을 예산당국 주무부처와 같은 이해

관계자와 사업계획 평가자에게 제시하여 사업의 거시적인 작동논리를 이해시키고 예산

확보를 위해 설득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음

사업의 착수시점에 해당 사업에 대한 체계화된 정보가 없을 경우에는 후속관리가

부실화되기 쉬우므로 사업계획의 충실한 수립은 매우 중요함

전반적인 추진논리를 확보하기 위해 바람직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절차는

lt그림 6gt과 같이 제시될 수 있음

21

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lt그림 6gt 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정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4) 연구개발부문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제2판)

사업을 기획하기 위해서는 우선 대규모 신규 사업의 추진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이슈

또는 문제가 무엇인지 먼저 파악되어야 함

- 동향조사 예측조사 설문조사 인터뷰 통계분석 등 다양한 분석방법을 통해 적절한

범위 내에서 이슈문제를 식별한 후 기획 의도를 고려한 합리적인 평가기준을 적용하여

사업에서 집중하고자 하는 문제를 선택해야 함

- 선택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연구개발사업이 세금 자금 인력 지원 등 다른

대안과 비교할 때 가장 효율적인 방법인지 검토되어야 함

정부의 연구개발사업 추진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가 정의되면 사업을 통해 얻고자 하는

성과가 무엇인지 구체적이고 객관적으로 제시해야 함

- 이를 위해서는 사업의 성과물이 전달되는 수혜 대상이 명확히 정의되어야 함

사업목표가 설정되면 이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추진체계와 추진전략이 수립되어야 함

22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 추진체계는 다양한 참여주체의 분석을 통해 적절한 역할과 조정 협력관계 등을

조직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함

- 추진전략은 사업 및 기술 환경의 특성 분석을 통해 목표 달성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연구개발전략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함

세부과제의 구성을 완료하여 사업기간과 총사업비 그리고 필요한 장비와 시설 등 신규

구축할 인프라의 규모를 도출함

- 세부과제는 기본적으로 사업목표와 직접적으로 연계되어야 함 즉 세부과제가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사업목표가 달성될 수 있도록 구성할 필요

- 기술수요조사와 시설장비수요조사와 같은 시장이나 사회적 수요를 반영한 후보과제를

도출한 후 사업목표의 달성을 위한 전략적 방향을 고려한 기준과 가중치가 적용된

우선순위 선정절차를 거치는 것이 바람직함

- 선정된 세부과제는 목표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적절한 단위의 세부활동을 구성하고 사업

추진상의 기술개발 로드맵을 수립하며 각각의 세부 성과지표를 구체화함

- 세부활동이 구체화되면 활동별로 수행을 위한 비용 기간 조직 인프라 등의 자원 소요계획이

확립되며 이를 종합하여 전체 사업의 추진을 위해 필요한 투입자원의 총량을 도출함

수립된 사업계획 초안의 문제 정의 사업목표 설정 추진체계 및 추진전략 수립 세부과제

구성에 대한 재검토 및 보완을 통해 기획을 완료함

- 현실적으로 기획과정에서 모든 정보를 완벽하게 수집하고 분석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신규로 제안되는 사업과 유사한 선행사업이 없어 과거 사례의 참조에도 한계가 있을 수 있음

- 사업의 내용은 기획이 진행되면서 시간의 흐름과 함께 점진적으로 구체화12)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환류(feedback) 과정을 거쳐 사업계획을 보완하는 것이 중요함

- 환류 과정을 진행하기 전에 현재까지 기획된 사업계획에 대한 논리모형을 구성하여

전반적인 사업의 작동논리가 설득력 있게 기획되었는지 확인하고 환류 과정을 통해

보완된 사업계획에 대한 논리모형도 검토하는 것이 바람직함

12) PMI (2000) PMBOK Guide

23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가상의 사례를 통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을 설명하고자 함

lt그림 7gt은 가상의 국가연개구발사업에 대해 작성된 논리모형임

1 이슈 문제

ㅇ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시장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나 정부의 투자는 산발적이고 일회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해외 의존도가 증대되고 있음

- 클러스터 형태의 실증사업 추진 필요

ㅇ A 융합기술ʼ 분야의 생태계 조성과 연계하고 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 클러스터를 구축하고 Z지역의 산업지역발전의 거점 역할을 하도록 할 필요

2 목표 3 수혜자

ㅇ ʻA 융합기술ʼ 신산업 허브 구축

- ʻA 융합기술ʼ 신산업 창출 선도 및 발전 기반 구축

- 지역거점형 ʻA 융합기술ʼ 실증사업 중심 산업화 지원

- ʻA 융합기술ʼ 산학연 협력 및 비즈니스 협업체계 구축

ㅇA 융합기술 분야 기업

ㅇ국민공공기관

4 투입 5 활동 6 산출 7 성과 영향

ㅇ사업비 OO억 원

ㅇ연구인력

ㅇ ʻA 융합기술ʼ 통합

센터 구축

ㅇ실증사업

- B C D E 4개

산업 분야

ㅇB C D E 등 4개

산업 분야

ʻA 융합기술ʼ 시스템

ㅇ ʻA 융합기술ʼ 기반

융합산업의 생산성

증대

ㅇZ지역의 지역경제

발전

8 가정

ㅇ ʻA 융합기술ʼ 신산업 강화는 국가 발전의 원동력으로 작용할 것임

ㅇ지역 착형 거점 구축을 통해 기술발전을 선도하고 관련 산업 육성을 도모하며 지역산업 활성화를 도모할 것임

lt그림 7gt 가상의 사업계획에 기반한 논리모형 작성의 사례

24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사업에 대한 사전평가에서 논리모형은 사업의 거시적인 작동논리의 분석을 통해 주요

쟁점을 도출하기 위해 활용됨

논리모형에는 사업계획의 핵심 내용만 기재되므로 논리모형 분석은 세부내용의 상세한

적부 분석이 아닌 이슈 목표 활동으로 이어지는 사업의 주요 작동논리 분석과 세 항목 간의

논리적 연계성 분석이 주로 이루어짐

시장 수요나 전망 현장의 이슈를 고려하지 않고 적절한 기획과정도 거치치 않은 채 소수의

기획주체가 ʻ하고 싶고 할 수 있는ʼ 과제를 먼저 선정해 놓고 사업을 기획하여 전체적인

사업 작동논리가 부실한 경우가 많으므로 이러한 쟁점 여부의 파악을 위해 활용함

가상의 사업계획에서 제시한 이슈(983729)는 신규 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는 이유를 설명하는

문제 정의로서 적절치 않음

최근 2~3년전부터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다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들이 다수 착수되어

추진되고 있으므로 산발적일회적이라는 주장은 사실과 다름

ʻA 융합기술ʼ 분야는 현재 국내 기업에서 사업화를 추진 중인 분야이고 기업들의 기술 수준도

상대적으로 높으므로 해외의존도를 언급하는 것은 부적절함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시장이 확대될 것이라는 예측은 적절하지만 이러한 내용은 누구나

알고 있는 일반적인 사항이며 동 사업 내에서 실증을 하고자 하는 세부 산업 분야(B C

D E 산업)에서의 ʻA 융합기술ʼ의 시장 동향 전망과 데이터에 근거한 분석은 이루어지지

않음

대형 실증사업 추진을 위해서는 사업의 성과에 대한 구체적 근거 마련을 위해 사전 연구나

조사를 통한 성과 데이터의 구축이 필요하나 실증사업의 추진 필요성과 유효성을 설명

할 수 있는 근거자료가 부재함

Z지역에는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연구 및 산업기반이 국내에서도 상대적으로 미약하여

산업 클러스터가 형성될 가능성이 낮고 국가적인 차원의 활용도 관점에서 해당 지역에의

거점 구축의 당위성은 낮음

25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기획의 Tip

국가적인 차원에서 연구개발사업을 통해서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를 구체적이고 명확히 정의

- 현재 또는 미래에 어떤 문제가 있거나 발생할 것이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

개발사업을 구상하게 되었는지 제시

-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광범위한 이슈의 제기는 무의미

- 국내외의 각종 통계 보고서 정책자료 시장보고서 전문가 및 실무자 인터뷰 등 근거자료를

통해 구체화되고 특정화된 문제를 제시

- 특정 주체나 지역이 아닌 국가적인 차원의 문제를 제시해야 하며 해당 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지 않으면 국가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나 잃게 되는 기회가 무엇인지를 설명

- 지역기반 구축은 국가적인 필요성과 함께 전국에서 해당 지역이 기반 구축의 최적지임을

입증할 수 있는 근거가 필요

사업목표(983730)를 제시하였으나 선언적인 내용에 불과하며 성과지표의 구체화가 미흡하여

문제 해결 정도를 측정하기 어려움

동 사업에서는 광범위한 ʻA 융합기술ʼ의 적용 분야 중 소수의 분야만을 다루는 반면

사업목표는 사업 내용에 비해 지나치게 일반적이고 광범위하게 수립됨

동 사업은 상호 연관성이 낮은 여러 세부사업을 단일 사업 내에 포함시켜 전체 사업 수준의

거시적인 성과목표 제시가 어려운 한계가 있음

앞서 각 세부사업별로 해당 산업 분야의 문제 정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사업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와 성과가 불문명하며 이에 따라 성과지표를 정량적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하여 목표 달성 여부의 측정방법도 불분명함

26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기획의 Tip

관리 가능성의 관점에서 사업목표는 SMART하게 제시

- 구체적이고(Specific) 측정가능하며(Measurable) 달성가능하고(Achievable) 문제 활동과 연관성이 있으며(Relevant) 시간제약이 있도록(Time-bound)가 있도록 수립

해결해야 할 문제(983729)와 사업목표(983730) 간에 괴리가 존재하여 둘 간의 연계성은 미흡함

해결해야 할 이슈로 제시한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일반적인 문제들을 사업목표로 제시한

지역 착형 사업을 통해 해소하고자 함은 연계성이 낮음

문제 정의 자체가 세부 산업분야별 시장 전망 또는 현장의 이슈 분석을 통해 구체적으로

도출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를 해소하기 위해 달성할 사업목표의 설정도 어려운 한계가

있으며 동 사업의 추진으로 국내외에서 어느 정도의 성과를 거둘 수 있을지도 예상할 수

없음

제시된 4가지 실증사업은 공공 영역부터 민간의 사업화가 활발한 영역까지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어 시너지 효과 창출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됨

기획의 Tip

사업목표의 범위는 제시된 이슈문제의 범위와 일치해야 하며 사업목표를 달성하면 이슈문제가 어느 정도 해결되는지를 보여줄 수 있도록 사업목표를 수립

세부 실증사업을 통해 개발될 제품(시스템)의 사용자(구매자)까지 수혜자로 포함시켜

수혜자(983731)의 표적화가 부적절함

동 사업을 통해 제품을 개발하여 사업 종료 후 해당 제품의 판매를 통해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할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기업들이 동 사업의 직접적 수혜자임

27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동 사업은 A 융합기술ʼ 분야의 실증을 통한 시스템 개발로 종료되며 제품을 최종사용자

에게까지 보급하는 것은 사업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여러 단계 이후의 최종사용자를

동 사업의 수혜자로 제시하는 것은 부적절함

기획의 Tip

사업목표와 범위에 맞는 수혜자를 제시

- 성과확산단계에 따라 수혜자를 구분하여 제시할 수는 있으나 사업성과를 통해 직접적 경제적

수혜를 받는 주체만 경제성 분석의 대상이 됨

세부활동(983733)은 사업목표(983730)와 개념적으로는 일부 연계성이 있음

산업 분야에 A 융합기술ʼ의 접목하기 위한 실증사업의 추진이 동 사업의 주요 내용이므로

관련 신산업을 창출하고자 하는 사업의 목표와는 개념적으로 연계성이 있음

B C 분야는 사업목표와 관련성이 있고 구축되는 통합센터와 정보 공유도 가능할 것이나

D E 분야는 독립적이며 사업목표와의 연계성도 낮아 동일 사업 내에서 추진할 필요성

및 통합센터 구축의 필요성도 모호함

기획의 Tip

세부활동(세부사업 또는 과제)을 수행하면 제시된 사업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세부

활동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문제 해결 및 사업목표 달성과 연관성이 낮은 활동은 제외

- 사업목표 달성과 관련 없는 과제의 포함 불요불급한 시설 및 장비의 구축 필요 이상으로 부풀린

사업비의 요구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는 주요 요인임

이 외의 항목들은 거시적인 작동논리나 연계성에 대한 검토보다는 세부내용의 적부 분석을 수행함

투입(983732)과 산출(983734)은 활동의 상세한 분석을 통해 적절성을 분석

성과영향(983735)은 사업목표와 활동 산출의 상세한 분석을 통해 적절성을 분석

가정(983736)은 별도의 분석보다는 이슈 목표 활동과 연계하여 분석

28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Ⅶ 맺음말

사업의 직접적인 이해관계자는 해당 사업의 긍정적인 측면만 생각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사업 기획주체는 신규 사업의 기획 시 객관적인 시각에서 사업계획을 조망하고 보완하기 위해

논리모형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ʻ왜 해야 하는지ʼ ʻ어떠한 결과를 내려고 하는지ʼ ʻ무엇을 어떻게 하려고 하는지ʼ가

논리적으로 연계가 되어 설득력을 확보해야 함

사업의 착수 전에 문서뿐인 사업계획서를 분석하여 사전에 평가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나

논리모형을 활용한 사업의 작동논리와 추진과정의 객관적인 분석을 통해 기획단계의

오류로 인한 사업의 부실화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

제도적인 측면에서 평가결과의 일관성 확보를 위해 사전평가의 방법으로 논리모형

분석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함13)

본 이슈페이퍼에서는 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을 설명

하였으며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추진단계 및 종료단계에 적절한 논리모형의 개발 및 활용도

고려할 필요

사업 추진 중의 사업관리 또는 중간평가 시에는 투입 rarr 활동 rarr 산출 등 사업 추진과정을

확대하여 집중적으로 분석하는 특히 활동을 더 세부적으로 구분한 논리모형이 필요함

- 사업별 특성에 부합하도록 단계별 연차별 세부과제(기술)별로 마일스톤이 포함된

논리모형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는 사업 추진 로드맵을 포함하는 형태가 될 것임

사업 종료 시의 성과확산 전략 수립이나 종료평가 또는 그 이후의 추적평가 시에는 산출

rarr 성과 rarr 영향의 사업성과 확산과정을 집중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논리모형을 구성할 수 있음

- 성과의 확산은 해당 연구개발사업 이후에 이루어지므로 동 논리모형의 구성은 성과의

극대화를 위한 성과확산사업의 기획과정으로도 볼 수 있음

논리모형 활용의 확산을 통해 국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역량을 제고하고 사업계획의

완성도를 높여 사업의 성공가능성을 제고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함

13)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에서는 이를 필수적으로 활용하도록 하고 있음

29

참 고 문 헌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 고 문 헌

국가과학기술위원회 (2011) 정부RampD 투자 효율화 추진계획

노화준 (2008) 정책평가론

미래창조과학부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 대통령령 제26729호

미래창조과학부 (2013) 국가연구개발사업 표준성과지표 ndash 성과목표지표 설정 가이드라인

미래창조과학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5) 2014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보고서

미래창조과학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5) 2014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4) 연구개발부문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제2판)

HM Treasury (2011) The Green Book Appraisal and Evaluation in Central Government

McLaughlin JA and Jordan GB (1999) ldquoLogic models a tool for telling your programrsquos

performance storyrdquo Evaluation and Program Planning 22 65~72

McLaughlin JA and Jordan GB (2010) ldquoUsing Logic Modelsrdquo in Joseph S Wholey

Harry P Hatry and Kathryn E Newcomer(eds) Handbook of Practical Program

Evaluation(Third Edition) San Francisco Jossey-Bass 55~80

OECD (2015) Frascati Manual 2015

PMI (2000) PMBOK Guide

WK Kellogg Foundation (2004) Logic Model Development Guide

저자 소개

강 현 규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공공기술조사실장

- 전화 02-589-2813

- e-mail hkkangkisteprekr

KISTEP Issue Paper 2016-05

|발 행|2016년 5월

|발행인|박 영 아

|발행처|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서울시 서초구 마방로 68(양재동) 동원산업빌딩 9층~12층

전화 02) 589-2200 팩스 02) 589-2222

httpwwwkisteprekr

|인쇄처|(주)비전테크시스템즈 [TEL02)3432-7132]

7

Ⅱ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개요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방법에 대해 정부는 규정을 통해 명시하고 있음

성공가능성이 높은 충실한 사업의 기획을 위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

제4조(사전조사 및 기획) 제1호에서는 ʻ중앙행정기관의 장은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려는 경우에는 그 사업의 기술적경제적 타당성 등에 대한 사전조사 또는 기획

연구를 수행ʼ할 것을 명시하고 있음

정부는 신규 사업의 사전기획을 의무화5)하는 등 RampD기획의 강화를 추진하고 있음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을 위한 구성요소에 대한 획일적인 기준은 없으나 구체화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안에는 다음과 같은 사항들이 포함되어야 함6)

- 사업의 목표 세부추진내용 및 추진체계

- 다른 중앙행정기관의 소관 업무와 관련되는 사항에 대한 조정방안(해당 사항이 있는

경우만 해당)

- 사업의 평가계획

- 필요한 자원의 규모 및 인력 확보방안

- 정부지원의 타당성 검토 결과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방안 및 기대효과

- 국내외 특허 동향 기술 동향 표준화 동향 및 표준특허 동향

5) 국가과학기술위원회 (2011) 정부RampD 투자 효율화 추진계획

6)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 제4조 제7항

8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Ⅲ 사업계획과 논리모형

사업(program)이란 특정한 배경 하에서 특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여러 가지 자원을

투입하고 관련된 활동을 수행하여 산출물과 성과를 생성하는 일련의 작업임

대규모 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이슈문제 목표 대상 투입 활동 및

전략 운영평가체계 산출 및 성과 등이 포함된 사업계획을 수립해야 함

사업계획은 사업이 기획된 대로 시행된다면 의도하는 결과가 달성될 것이라는 일종의

가설임

- 따라서 잘 수립된 사업계획은 왜 해당 사업을 추진하여야 하며 사업이 무엇을

달성하고자 하고 어떻게 달성할 것이고 어떤 활동을 수행하여 어느 정도의 성과를

창출하고 그 성과를 어떻게 측정하고 평가할 지에 대해 충분한 정보를 포함해야 함

사업계획을 검토하는 평가자는 사업계획을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사업의 가설을 분해하기 위해

논리모형을 사용할 수 있음

- 사업계획에 대한 논리모형을 수립함으로써 평가자는 해당 사업의 기획주체가 생각하는

사업의 작동 메커니즘을 이해할 수 있음

논리모형은 각종 사업의 기획 관리 평가에 적용되는 방법 중 하나이며 어떻게 사업을

추진할 것인지를 나타낸 개념도로 정의할 수 있음7)

논리모형은 사업의 작동과 관련된 항목 간의 논리적 연관성을 보여주는 모델로서 사업

관련 활동과 결과가 최종목표에 어떻게 연계되는지를 보여줄 수 있음

논리모형은 사업을 작동시키는 투입자원 활동 그리고 달성할 변화나 결과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고 관계자들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한 체계적이고 시각적인 방법임

7) WK Kellogg Foundation (2004) Logic Model Development Guide

9

Ⅲ 사업계획과 논리모형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논리모형은 사업에 대한 개념 정립 기획 관리 평가 및 다른 사람과의 소통에 유용한

도구이며 사업의 작동 메커니즘 및 기대되는 성과를 다른 사람에게 설득하는 기본 근거가

될 수 있음

논리모형을 활용하여 사업을 분해함으로써 사업의 필요성 세부활동 및 전략 기대성과

산출 시기 수행주체 및 수행처 투입자원 산출의 종류와 규모 그리고 사업결과를 활용한

성과 등을 설명할 수 있음

논리모형은 사업의 생애(기획 실행 평가) 전 과정에 사용될 수 있는 유용한 관리 및 평가

도구임

정부에서도 이해관계자의 사업에 대한 이해를 돕고 성과목표 및 성과지표 설정에

활용하기 위해 사업 분석 시 논리모형의 활용을 권고하고 있음8)

논리모형은 사업의 기획단계 실행단계 그리고 평가단계에서 각각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

기획단계의 논리모형은 사업설계상의 오류와 사업 추진논리 간 괴리(gap)를 발견하는데

유용하며 사업의 작동 가능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줌

- 이를 통해 사업이 무엇에 관한 것인지 각 부분들이 어떻게 함께 작동하게 되는지에 대해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줌

- 이 단계에서의 논리모형은 사업의 설계와 기획에 영향을 주는 변화의 분석을 강조하는

이론접근모형(Theory approach model)이 주로 적용됨

사업 실행단계에 초점이 맞추어진 논리모형은 계획 관리의 핵심 도구로 활용될 수 있으며

사업을 관리하고 개선하기 위하여 필요한 자료를 파악하고 수집하는 데에 도움이 됨

- 이 단계에서는 주로 사업의 활동과 결과가 연결되는 지점에 초점을 두며 산출물을

명확히 파악하여 성과 분석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음

- 이 단계에서는 논리모형 중 집행과정의 세부적인 내용에 가장 주의를 기울이는 활동

접근모형(Activity approach model)이 활용됨

8) 미래창조과학부 (2013) 국가연구개발사업 표준성과지표 ndash 성과목표지표 설정 가이드라인

10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사업 평가단계에서는 공정하고 객관적인 평가와 이를 위한 정보제공이 필요하므로 성과

접근모형(Outcome approach model)이 적용됨

- 이 모형은 투입-활동-결과-성과-영향 사이의 논리적 개연성과 단계별 가정의 유효성을

확인하여 성과를 도출하기 위한 사업의 원활한 작동 가능성을 점검하는데 유용함

논리모형의 형태가 정형화된 것은 없으며 정보의 종류와 수준에 따라 기본항목으로

구성된 모형부터 세부적으로 구체화된 논리모형까지 다양한 형태로 구성이 가능함

사업의 추진단계 및 활용목적에 따라 강조하려는 사항이 다르므로 필요에 따라 다른

형태의 논리모형을 구성할 수 있음

lt그림 1gt과 같은 형태의 논리모형은 사업의 기획단계 및 사전평가 시 사업의 추진당위성

파악에 유용한 형태의 논리모형임

- 동 논리모형은 사업의 추진과정과 결과보다는 사업의 추진논리를 중점적으로 기술

- ʻ문제이슈(ProblemIssue)ʼ 항목에서는 연구개발사업을 통해 해결하거나 대처하고자

하는 문제를 설명

- ʻ사회적 수요자산(Community NeedsAssets)ʼ 항목에서는 문제이슈 관련 수요와

이의 해결을 위해 활용 가능한 사회적인 자산을 서술

- ʻ희망하는 결과(Desired results)ʼ 항목에서는 연구개발사업이 실행된다면 단기장기적으로 달성하고자 하는 것을 서술

- ʻ영향요인(Influential factors)ʼ 항목에서는 사회의 변화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생각하는

요인들 예를 들어 우호적 요인 또는 위험 요인 정책 환경 기타 요인 등을 열거

- ʻ전략(Strategies)ʼ 항목에서는 사업을 통해 희망하는 결과의 달성에 도움이 될 성공전략

또는 모범사례(best practice)를 기술

- ʻ가정(Assumptions)ʼ 항목에서는 전략이 어떻게 작동할 것인지에 관한 가정을 서술

11

Ⅲ 사업계획과 논리모형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lt그림 1gt 논리모형의 사례 1

출처 WK Kellogg Foundation (2004) Logic Model Development Guide

lt그림 2gt~lt그림 4gt와 같은 형태의 논리모형은 사업의 추진과정 및 결과를 보여줄 수 있는

기본적인 논리모형들로서 사업의 작동과정 분석에 유용함

- ʻ투입ʼ 항목에서는 활동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자원을 기재

- ʻ활동ʼ 항목에서는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수행할 활동을 서술

- ʻ산출ʼ 항목에서는 사업의 추진 중 또는 종료 시 창출할 것으로 기대하는 산출물을 기재

- ʻ성과ʼ 항목에서는 사업이 종료된 후의 변화를 기술하며 필요시 사업 종료 직후와 5~6년

이내의 중기로도 구분하여 기술할 수도 있음

- ʻ영향ʼ 항목에서는 사업이 종료된 후 장기적으로 발생될 것으로 예상하는 변화를 기재

12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lt그림 2gt 논리모형의 사례 2

출처 WK Kellogg Foundation (2004) Logic Model Development Guide

lt그림 3gt 논리모형의 사례 3

출처 McLaughlin JA and Jordan GB (2010) ldquoUsing Logic Modelsrdquo Handbook

of Practical Program Evaluation(Third Edition)

13

Ⅲ 사업계획과 논리모형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lt그림 4gt 논리모형의 사례 4

출처 노화준 (2008) 정책평가론

lt그림 1gt의 논리모형과 lt그림 2gt~lt그림 4gt의 논리모형을 결합하면 사업의 추진논리와

함께 추진과정 및 결과를 함께 볼 수 있는 논리모형을 구성할 수 있음

- 이러한 아이디어에 바탕을 두어 본 이슈페이퍼의 4장에서 설명할 논리모형이 개발됨

14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Ⅳ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Ex-ante evaluation)인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

에서는 사업계획의 쟁점사항 도출을 위한 핵심 도구로서 논리모형을 개발하여 활용하고

있음

관련 문헌들과 기존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 사례를 바탕으로 활용하기 용이한

논리모형을 개발하여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제2판)에 수록

본 논리모형은 이론접근모형과 성과접근모형을 결합한 형태로서 수직적으로는(상하

방향) 사업 추진에 대한 논리의 흐름을 수평적으로는(좌우 방향) 사업의 추진과정을

나타내도록 하여 이해하기가 용이함

- 제시된 논리모형은 정형화된 것은 아니며 사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논리모형을

변형하여 활용할 수 있음

사업계획의 평가자는 사업계획을 충분히 파악하고 이해한 후 논리모형을 작성하여야 함

- 논리모형 작성 시 주의할 점은 논리모형의 각 항목의 내용은 대상사업에 대한 평가자의

생각이 아니라 사업 기획주체의 의도와 논리를 담아야 함

논리모형이 작성된 이후에는 작성된 논리모형의 각 항목별 적절성과 항목 간 논리 흐름상의

오류나 괴리가 없는지 분석하여 주요 쟁점사항을 도출한 후 세부적으로 분석을 수행

사업의 기획단계에서도 본 논리모형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음

15

Ⅳ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를 위해 개발된 논리모형의 구조와 각 항목별로 다루어지는

내용 및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음

1 이슈 문제

ㅇ사업 추진의 필요성을 설명할 수 있는 배경요인 과학기술적 산업적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국가적 수요와 도전과제 등

ㅇ해당 사업을 통해 해결하거나 대처하고자 하는 문제나 이슈ㅇ해당 사업 분야와 관련된 정책 다른 연구개발사업 및 과제의 현황 미래 예측 기술과 시장의 동향 및 전망 전문가

설문 통계 및 조사 데이터 등도 활용ㅇ사업을 추진하지 않을 경우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문제나 잃게 되는 기회는 무엇인가ㅇ이슈문제 해결을 위해 연구개발사업 이외의 대안전략은 없는가

2 목표 3 수혜자

ㅇ해당 사업의 추진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사업의 핵심 성과 - 문제 해결 정도의 측정이 가능하도록 정량적 성과지표 제시

ㅇ사업목표 달성이나 사업의 산출로 인해 직접적인 이익을 얻는 주체

4 투입 5 활동 6 산출 7 성과 영향

ㅇ연구개발활동에 필요한 모든 자원

- 사업비 - 인적 자원 - 시설 및 장비 - 연구주체 지식

ㅇ목표를 달성하고 산출 발생을 위해 수행하는 연구개발 활동

ㅇ연구개발활동에 의한 직접적인 결과물 - 기술 정보 제품

데이터 서비스 논문 특허 등

- 산출물의 수량 규모 범위 등을 정량적으로 제시

ㅇ사업을 통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의도된 결과나 변화

ㅇ성과의 확산으로 인해 미래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직간접적 변화 및 파급효과

8 가정

ㅇ사업 추진 시 단계별로 발생할 상황과 변화에 대한 기대나 예측 - ldquo~~하면 ~~할 것이다rdquo로 표현되는 가정문(if-then)을 주로 사용ㅇ사업의 성공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외부요인 환경 조건 법 규정 원칙 믿음 위험

lt그림 5gt 연구개발사업의 쟁점사항 도출을 위한 논리모형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4) 연구개발부문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제2판)

16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983729 이슈문제 (IssueProblem)

이슈문제는 해당 연구개발사업을 기획하게 된 배경을 설명하고 사업의 추진당위성을

부여하는 항목

동 항목에서는 대상사업과 관련된 분야에서 어떠한 이슈나 문제가 존재하며 이러한

이슈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연구개발사업의 추진이 가장 효과적인 전략인지를

설명할 수 있어야 함

- 이를 위해 해당 사업의 필요성을 설명할 수 있는 배경요인(contextural factor)이 기술

되어야 하며 배경요인들에는 과학기술적 산업적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국가적

수요와 도전과제 등이 포함됨

사업에서 대처하려는 이슈나 문제가 여러 가지 요인들로 인해 복잡하다면 해당 사업과

연관성이 가장 높고 중요한 요인들로 압축하여 선정해야 함

- 이러한 문제 정의 과정을 통해 사업에서 추구하려는 목표를 명확히 설정할 수 있음

정부부처에서 제안하는 대부분의 연구개발사업은 특정 세부분야를 대상으로 하므로

광범위한 연구분야나 산업분야의 일반적이고 진부한 이슈문제를 제시하는 것보다는

사업에서 제안하는 세부분야의 특성과 현황에 기반을 둔 구체적이고 핵심적인 이슈

문제를 선정하여 강조하여야 설득력을 확보할 수 있음

사업의 필요성을 설명하기 위해 사업의 분야와 관련된 정책과 연구개발사업 및 과제의

현황 미래 예측 기술과 시장의 동향 및 전망 전문가 설문조사 통계 및 조사 데이터를

적극 활용하는 것이 좋음

제안된 연구개발사업 이외에 도출된 이슈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다른 대안이나 전략이

없는지도 고려할 필요가 있음

해당 사업계획에 대한 평가자는 사업 기획주체가 제시한 문제 정의가 적절한지를

분석함으로써 사업 추진당위성이 확보되었는지를 평가

17

Ⅳ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983730 목표 (Objective)

목표는 해당 사업의 추진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사업의 핵심 성과를 의미함

목표는 해결하고자 하는 이슈문제와 관련이 있어야 하며 해당 사업을 통해 그 이슈

문제가 해결될 수 있어야 함

- 즉 사업목표는 해당 사업을 통해 이슈문제가 어느 정도로 해결될 수 있는지 측정이

가능하도록 정량적으로 제시되어야 함

목표는 구체적이어야 하며(Specific) 측정 가능해야 하고(Measurable) 달성 가능해야

하며(Achievable) 이슈 및 연구개발활동과 연관이 있고(Relevant) 기한이 정해진

(Time-bound) 것이어야 함(SMART)9)

- 목표는 사업이 달성하고자 하는 바를 의미하므로 ① 이슈문제 및 ⑦ 성과영향과

연계하여 분석

목표는 구체성과 계측가능성을 기준으로 볼 때 목적과는 구분되는 개념임

- 사전적인 의미에서 목적(目的)은 ʻ실현하려고 하는 일이나 나아가는 방향ʼ이며 목표

(目標)는 ʻ어떤 목적을 이루려고 지향하는 실제적 대상으로 삼음 또는 그 대상ʼ을 뜻함

- 즉 목적은 추상적이고 방향과 의도를 함축하는데 반하여 목표는 구체적이고 범위가

제한적이며 일반적으로 측정 가능한 수치로 표현됨

983731 수혜자 (Beneficiary)

사업으로 인해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이해관계자는 여러 유형이 있을 수 있으나

수혜자10)는 사업목표와 접한 관련이 있어야 함

9) HM Treasury (2011) The Green Book Appraisal and Evaluation in Central Government

10) 예비타당성조사에서의 수혜자는 사업 추진을 통해 자금을 지원받는 주체가 아니라 사업목표 달성이나 사업의 산출로

인해 직접적인 경제적 이익을 얻는 주체를 의미하며 경제성 분석은 이 수혜자가 얻게 되는 직접적인 경제적 편익을

기준으로 분석함

18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983732 투입 (Input)

투입은 연구개발활동에 필요한 모든 자원을 의미

- 투입의 기본 항목은 재정적 자원과 인적 자원이며 연구시설middot장비 연구수행주체 관련

지식 등이 투입에 해당

- 해당 사업에서 활용될 기존 사업의 산출과 성과도 투입에 포함될 수 있음

사업이 충실하게 기획되면 희망하는 결과를 얻기 위한 최소의 물량규모가 정량적으로

산출될 수 있음

- 실무적으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에서 투입에 해당하는 물량규모는

총사업비라는 형태로 표현됨

983733 활동 (Activity)

국가연구개발사업에서의 활동은 목표를 달성하고 산출을 발생시키기 위해 수행하는

연구개발활동에 초점을 맞추어야 하며 연구개발에 인접한 활동은 연구개발예산 편성

기준에 부합하는지의 여부에 초점을 맞추어야 함

일반적으로 OO기술 개발 OO연구기반 구축 등이 큰 범위의 연구개발활동이 되며 각

연구개발활동은 요소기술 개발 등의 세부 연구개발활동으로 세분화될 수 있음

983734 산출 (Output)

산출은 연구개발활동을 통한 직접적인 결과물을 의미하며 각 활동별로 하나 이상의

산출이 존재할 수 있음

일반적으로 연구개발활동으로 개발된 기술 정보 데이터 제품 서비스 등이 해당되며

이 각각의 산출물은 정량적으로 수량 규모 범위 등이 제시되어야 함

- 기초연구사업에서 개발된 기술에 대한 논문과 특허도 산출물에 해당

19

Ⅳ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983735 성과영향 (OutcomeImpact)

성과는 사업의 목표와 접한 관련이 있으며 사업 추진에 따른 변화나 사업결과

(output)의 활용을 통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의도된 결과이며 영향은 성과의

확산으로 인해 미래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직간접적 변화 및 파급효과를 의미

- 일반적으로 연구개발사업의 단계 구분이나 관련 문헌에서 제시된 논리모형에서는

성과와 영향을 별도 항목으로 고려하기도 하지만 사업의 착수 전에 수행되는 사전

평가에서 성과와 영향을 구분하여 검토하는 것은 실효성이 낮으므로11) 성과와 영향을

종합하여 검토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의 경제성 분석은 국가연구개발사업으로 인한 직접적인

경제적 성과를 추정하는 것임

983736 가정 (Assumption)

사업계획은 그 자체가 기획된 대로 수행하면 기대하는 결과가 생성될 것이라는 가설이며

가정은 사업의 유효성에 대한 믿음임

가정은 사업 추진 시 논리모형의 각 항목별로 발생할 상황과 변화에 대한 기대나 예측을

의미

가정은 사업 수행에 직접적으로 관련 있는 것으로 한정되어야 하며 사업의 성공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외부요인들도 가정에 포함될 수 있음

- 이러한 외부요인으로는 환경 조건 법 규정 원칙 한계 믿음 위험 등이 될 수 있음

11) 사업으로 인한 성과와 영향은 종료평가와 추적평가를 통해 구체적인 평가가 가능함

20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사업계획은 적절한 기획을 통해 도출되어야 하며 기획과정 중에 논리모형을 통해

논리적인 비약을 배제함으로써 사업계획의 합리성을 확보할 수 있음

기획은 최적의 수단으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미래에 취할 행동을 위한 일련의

결정을 준비하는 계획적 과정임

충분한 고민과 의견 수렴을 통해 기획이 잘 이루어지면 사업 추진과 결과의 부실화를

미연에 방지하고 성공가능성을 높일 수 있음

논리모형은 기획과정의 각 시점에서 그 당시까지 구체화된 항목을 하나하나 채워나감

으로써 가시적인 논리의 확인과 기획참여자들 간의 소통과 이해 및 의견 수렴에 유용함

사업의 기획이 완료된 후에는 완성된 논리모형을 예산당국 주무부처와 같은 이해

관계자와 사업계획 평가자에게 제시하여 사업의 거시적인 작동논리를 이해시키고 예산

확보를 위해 설득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음

사업의 착수시점에 해당 사업에 대한 체계화된 정보가 없을 경우에는 후속관리가

부실화되기 쉬우므로 사업계획의 충실한 수립은 매우 중요함

전반적인 추진논리를 확보하기 위해 바람직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절차는

lt그림 6gt과 같이 제시될 수 있음

21

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lt그림 6gt 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정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4) 연구개발부문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제2판)

사업을 기획하기 위해서는 우선 대규모 신규 사업의 추진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이슈

또는 문제가 무엇인지 먼저 파악되어야 함

- 동향조사 예측조사 설문조사 인터뷰 통계분석 등 다양한 분석방법을 통해 적절한

범위 내에서 이슈문제를 식별한 후 기획 의도를 고려한 합리적인 평가기준을 적용하여

사업에서 집중하고자 하는 문제를 선택해야 함

- 선택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연구개발사업이 세금 자금 인력 지원 등 다른

대안과 비교할 때 가장 효율적인 방법인지 검토되어야 함

정부의 연구개발사업 추진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가 정의되면 사업을 통해 얻고자 하는

성과가 무엇인지 구체적이고 객관적으로 제시해야 함

- 이를 위해서는 사업의 성과물이 전달되는 수혜 대상이 명확히 정의되어야 함

사업목표가 설정되면 이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추진체계와 추진전략이 수립되어야 함

22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 추진체계는 다양한 참여주체의 분석을 통해 적절한 역할과 조정 협력관계 등을

조직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함

- 추진전략은 사업 및 기술 환경의 특성 분석을 통해 목표 달성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연구개발전략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함

세부과제의 구성을 완료하여 사업기간과 총사업비 그리고 필요한 장비와 시설 등 신규

구축할 인프라의 규모를 도출함

- 세부과제는 기본적으로 사업목표와 직접적으로 연계되어야 함 즉 세부과제가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사업목표가 달성될 수 있도록 구성할 필요

- 기술수요조사와 시설장비수요조사와 같은 시장이나 사회적 수요를 반영한 후보과제를

도출한 후 사업목표의 달성을 위한 전략적 방향을 고려한 기준과 가중치가 적용된

우선순위 선정절차를 거치는 것이 바람직함

- 선정된 세부과제는 목표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적절한 단위의 세부활동을 구성하고 사업

추진상의 기술개발 로드맵을 수립하며 각각의 세부 성과지표를 구체화함

- 세부활동이 구체화되면 활동별로 수행을 위한 비용 기간 조직 인프라 등의 자원 소요계획이

확립되며 이를 종합하여 전체 사업의 추진을 위해 필요한 투입자원의 총량을 도출함

수립된 사업계획 초안의 문제 정의 사업목표 설정 추진체계 및 추진전략 수립 세부과제

구성에 대한 재검토 및 보완을 통해 기획을 완료함

- 현실적으로 기획과정에서 모든 정보를 완벽하게 수집하고 분석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신규로 제안되는 사업과 유사한 선행사업이 없어 과거 사례의 참조에도 한계가 있을 수 있음

- 사업의 내용은 기획이 진행되면서 시간의 흐름과 함께 점진적으로 구체화12)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환류(feedback) 과정을 거쳐 사업계획을 보완하는 것이 중요함

- 환류 과정을 진행하기 전에 현재까지 기획된 사업계획에 대한 논리모형을 구성하여

전반적인 사업의 작동논리가 설득력 있게 기획되었는지 확인하고 환류 과정을 통해

보완된 사업계획에 대한 논리모형도 검토하는 것이 바람직함

12) PMI (2000) PMBOK Guide

23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가상의 사례를 통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을 설명하고자 함

lt그림 7gt은 가상의 국가연개구발사업에 대해 작성된 논리모형임

1 이슈 문제

ㅇ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시장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나 정부의 투자는 산발적이고 일회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해외 의존도가 증대되고 있음

- 클러스터 형태의 실증사업 추진 필요

ㅇ A 융합기술ʼ 분야의 생태계 조성과 연계하고 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 클러스터를 구축하고 Z지역의 산업지역발전의 거점 역할을 하도록 할 필요

2 목표 3 수혜자

ㅇ ʻA 융합기술ʼ 신산업 허브 구축

- ʻA 융합기술ʼ 신산업 창출 선도 및 발전 기반 구축

- 지역거점형 ʻA 융합기술ʼ 실증사업 중심 산업화 지원

- ʻA 융합기술ʼ 산학연 협력 및 비즈니스 협업체계 구축

ㅇA 융합기술 분야 기업

ㅇ국민공공기관

4 투입 5 활동 6 산출 7 성과 영향

ㅇ사업비 OO억 원

ㅇ연구인력

ㅇ ʻA 융합기술ʼ 통합

센터 구축

ㅇ실증사업

- B C D E 4개

산업 분야

ㅇB C D E 등 4개

산업 분야

ʻA 융합기술ʼ 시스템

ㅇ ʻA 융합기술ʼ 기반

융합산업의 생산성

증대

ㅇZ지역의 지역경제

발전

8 가정

ㅇ ʻA 융합기술ʼ 신산업 강화는 국가 발전의 원동력으로 작용할 것임

ㅇ지역 착형 거점 구축을 통해 기술발전을 선도하고 관련 산업 육성을 도모하며 지역산업 활성화를 도모할 것임

lt그림 7gt 가상의 사업계획에 기반한 논리모형 작성의 사례

24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사업에 대한 사전평가에서 논리모형은 사업의 거시적인 작동논리의 분석을 통해 주요

쟁점을 도출하기 위해 활용됨

논리모형에는 사업계획의 핵심 내용만 기재되므로 논리모형 분석은 세부내용의 상세한

적부 분석이 아닌 이슈 목표 활동으로 이어지는 사업의 주요 작동논리 분석과 세 항목 간의

논리적 연계성 분석이 주로 이루어짐

시장 수요나 전망 현장의 이슈를 고려하지 않고 적절한 기획과정도 거치치 않은 채 소수의

기획주체가 ʻ하고 싶고 할 수 있는ʼ 과제를 먼저 선정해 놓고 사업을 기획하여 전체적인

사업 작동논리가 부실한 경우가 많으므로 이러한 쟁점 여부의 파악을 위해 활용함

가상의 사업계획에서 제시한 이슈(983729)는 신규 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는 이유를 설명하는

문제 정의로서 적절치 않음

최근 2~3년전부터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다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들이 다수 착수되어

추진되고 있으므로 산발적일회적이라는 주장은 사실과 다름

ʻA 융합기술ʼ 분야는 현재 국내 기업에서 사업화를 추진 중인 분야이고 기업들의 기술 수준도

상대적으로 높으므로 해외의존도를 언급하는 것은 부적절함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시장이 확대될 것이라는 예측은 적절하지만 이러한 내용은 누구나

알고 있는 일반적인 사항이며 동 사업 내에서 실증을 하고자 하는 세부 산업 분야(B C

D E 산업)에서의 ʻA 융합기술ʼ의 시장 동향 전망과 데이터에 근거한 분석은 이루어지지

않음

대형 실증사업 추진을 위해서는 사업의 성과에 대한 구체적 근거 마련을 위해 사전 연구나

조사를 통한 성과 데이터의 구축이 필요하나 실증사업의 추진 필요성과 유효성을 설명

할 수 있는 근거자료가 부재함

Z지역에는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연구 및 산업기반이 국내에서도 상대적으로 미약하여

산업 클러스터가 형성될 가능성이 낮고 국가적인 차원의 활용도 관점에서 해당 지역에의

거점 구축의 당위성은 낮음

25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기획의 Tip

국가적인 차원에서 연구개발사업을 통해서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를 구체적이고 명확히 정의

- 현재 또는 미래에 어떤 문제가 있거나 발생할 것이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

개발사업을 구상하게 되었는지 제시

-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광범위한 이슈의 제기는 무의미

- 국내외의 각종 통계 보고서 정책자료 시장보고서 전문가 및 실무자 인터뷰 등 근거자료를

통해 구체화되고 특정화된 문제를 제시

- 특정 주체나 지역이 아닌 국가적인 차원의 문제를 제시해야 하며 해당 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지 않으면 국가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나 잃게 되는 기회가 무엇인지를 설명

- 지역기반 구축은 국가적인 필요성과 함께 전국에서 해당 지역이 기반 구축의 최적지임을

입증할 수 있는 근거가 필요

사업목표(983730)를 제시하였으나 선언적인 내용에 불과하며 성과지표의 구체화가 미흡하여

문제 해결 정도를 측정하기 어려움

동 사업에서는 광범위한 ʻA 융합기술ʼ의 적용 분야 중 소수의 분야만을 다루는 반면

사업목표는 사업 내용에 비해 지나치게 일반적이고 광범위하게 수립됨

동 사업은 상호 연관성이 낮은 여러 세부사업을 단일 사업 내에 포함시켜 전체 사업 수준의

거시적인 성과목표 제시가 어려운 한계가 있음

앞서 각 세부사업별로 해당 산업 분야의 문제 정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사업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와 성과가 불문명하며 이에 따라 성과지표를 정량적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하여 목표 달성 여부의 측정방법도 불분명함

26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기획의 Tip

관리 가능성의 관점에서 사업목표는 SMART하게 제시

- 구체적이고(Specific) 측정가능하며(Measurable) 달성가능하고(Achievable) 문제 활동과 연관성이 있으며(Relevant) 시간제약이 있도록(Time-bound)가 있도록 수립

해결해야 할 문제(983729)와 사업목표(983730) 간에 괴리가 존재하여 둘 간의 연계성은 미흡함

해결해야 할 이슈로 제시한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일반적인 문제들을 사업목표로 제시한

지역 착형 사업을 통해 해소하고자 함은 연계성이 낮음

문제 정의 자체가 세부 산업분야별 시장 전망 또는 현장의 이슈 분석을 통해 구체적으로

도출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를 해소하기 위해 달성할 사업목표의 설정도 어려운 한계가

있으며 동 사업의 추진으로 국내외에서 어느 정도의 성과를 거둘 수 있을지도 예상할 수

없음

제시된 4가지 실증사업은 공공 영역부터 민간의 사업화가 활발한 영역까지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어 시너지 효과 창출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됨

기획의 Tip

사업목표의 범위는 제시된 이슈문제의 범위와 일치해야 하며 사업목표를 달성하면 이슈문제가 어느 정도 해결되는지를 보여줄 수 있도록 사업목표를 수립

세부 실증사업을 통해 개발될 제품(시스템)의 사용자(구매자)까지 수혜자로 포함시켜

수혜자(983731)의 표적화가 부적절함

동 사업을 통해 제품을 개발하여 사업 종료 후 해당 제품의 판매를 통해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할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기업들이 동 사업의 직접적 수혜자임

27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동 사업은 A 융합기술ʼ 분야의 실증을 통한 시스템 개발로 종료되며 제품을 최종사용자

에게까지 보급하는 것은 사업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여러 단계 이후의 최종사용자를

동 사업의 수혜자로 제시하는 것은 부적절함

기획의 Tip

사업목표와 범위에 맞는 수혜자를 제시

- 성과확산단계에 따라 수혜자를 구분하여 제시할 수는 있으나 사업성과를 통해 직접적 경제적

수혜를 받는 주체만 경제성 분석의 대상이 됨

세부활동(983733)은 사업목표(983730)와 개념적으로는 일부 연계성이 있음

산업 분야에 A 융합기술ʼ의 접목하기 위한 실증사업의 추진이 동 사업의 주요 내용이므로

관련 신산업을 창출하고자 하는 사업의 목표와는 개념적으로 연계성이 있음

B C 분야는 사업목표와 관련성이 있고 구축되는 통합센터와 정보 공유도 가능할 것이나

D E 분야는 독립적이며 사업목표와의 연계성도 낮아 동일 사업 내에서 추진할 필요성

및 통합센터 구축의 필요성도 모호함

기획의 Tip

세부활동(세부사업 또는 과제)을 수행하면 제시된 사업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세부

활동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문제 해결 및 사업목표 달성과 연관성이 낮은 활동은 제외

- 사업목표 달성과 관련 없는 과제의 포함 불요불급한 시설 및 장비의 구축 필요 이상으로 부풀린

사업비의 요구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는 주요 요인임

이 외의 항목들은 거시적인 작동논리나 연계성에 대한 검토보다는 세부내용의 적부 분석을 수행함

투입(983732)과 산출(983734)은 활동의 상세한 분석을 통해 적절성을 분석

성과영향(983735)은 사업목표와 활동 산출의 상세한 분석을 통해 적절성을 분석

가정(983736)은 별도의 분석보다는 이슈 목표 활동과 연계하여 분석

28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Ⅶ 맺음말

사업의 직접적인 이해관계자는 해당 사업의 긍정적인 측면만 생각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사업 기획주체는 신규 사업의 기획 시 객관적인 시각에서 사업계획을 조망하고 보완하기 위해

논리모형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ʻ왜 해야 하는지ʼ ʻ어떠한 결과를 내려고 하는지ʼ ʻ무엇을 어떻게 하려고 하는지ʼ가

논리적으로 연계가 되어 설득력을 확보해야 함

사업의 착수 전에 문서뿐인 사업계획서를 분석하여 사전에 평가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나

논리모형을 활용한 사업의 작동논리와 추진과정의 객관적인 분석을 통해 기획단계의

오류로 인한 사업의 부실화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

제도적인 측면에서 평가결과의 일관성 확보를 위해 사전평가의 방법으로 논리모형

분석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함13)

본 이슈페이퍼에서는 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을 설명

하였으며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추진단계 및 종료단계에 적절한 논리모형의 개발 및 활용도

고려할 필요

사업 추진 중의 사업관리 또는 중간평가 시에는 투입 rarr 활동 rarr 산출 등 사업 추진과정을

확대하여 집중적으로 분석하는 특히 활동을 더 세부적으로 구분한 논리모형이 필요함

- 사업별 특성에 부합하도록 단계별 연차별 세부과제(기술)별로 마일스톤이 포함된

논리모형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는 사업 추진 로드맵을 포함하는 형태가 될 것임

사업 종료 시의 성과확산 전략 수립이나 종료평가 또는 그 이후의 추적평가 시에는 산출

rarr 성과 rarr 영향의 사업성과 확산과정을 집중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논리모형을 구성할 수 있음

- 성과의 확산은 해당 연구개발사업 이후에 이루어지므로 동 논리모형의 구성은 성과의

극대화를 위한 성과확산사업의 기획과정으로도 볼 수 있음

논리모형 활용의 확산을 통해 국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역량을 제고하고 사업계획의

완성도를 높여 사업의 성공가능성을 제고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함

13)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에서는 이를 필수적으로 활용하도록 하고 있음

29

참 고 문 헌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 고 문 헌

국가과학기술위원회 (2011) 정부RampD 투자 효율화 추진계획

노화준 (2008) 정책평가론

미래창조과학부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 대통령령 제26729호

미래창조과학부 (2013) 국가연구개발사업 표준성과지표 ndash 성과목표지표 설정 가이드라인

미래창조과학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5) 2014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보고서

미래창조과학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5) 2014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4) 연구개발부문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제2판)

HM Treasury (2011) The Green Book Appraisal and Evaluation in Central Government

McLaughlin JA and Jordan GB (1999) ldquoLogic models a tool for telling your programrsquos

performance storyrdquo Evaluation and Program Planning 22 65~72

McLaughlin JA and Jordan GB (2010) ldquoUsing Logic Modelsrdquo in Joseph S Wholey

Harry P Hatry and Kathryn E Newcomer(eds) Handbook of Practical Program

Evaluation(Third Edition) San Francisco Jossey-Bass 55~80

OECD (2015) Frascati Manual 2015

PMI (2000) PMBOK Guide

WK Kellogg Foundation (2004) Logic Model Development Guide

저자 소개

강 현 규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공공기술조사실장

- 전화 02-589-2813

- e-mail hkkangkisteprekr

KISTEP Issue Paper 2016-05

|발 행|2016년 5월

|발행인|박 영 아

|발행처|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서울시 서초구 마방로 68(양재동) 동원산업빌딩 9층~12층

전화 02) 589-2200 팩스 02) 589-2222

httpwwwkisteprekr

|인쇄처|(주)비전테크시스템즈 [TEL02)3432-7132]

8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Ⅲ 사업계획과 논리모형

사업(program)이란 특정한 배경 하에서 특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여러 가지 자원을

투입하고 관련된 활동을 수행하여 산출물과 성과를 생성하는 일련의 작업임

대규모 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이슈문제 목표 대상 투입 활동 및

전략 운영평가체계 산출 및 성과 등이 포함된 사업계획을 수립해야 함

사업계획은 사업이 기획된 대로 시행된다면 의도하는 결과가 달성될 것이라는 일종의

가설임

- 따라서 잘 수립된 사업계획은 왜 해당 사업을 추진하여야 하며 사업이 무엇을

달성하고자 하고 어떻게 달성할 것이고 어떤 활동을 수행하여 어느 정도의 성과를

창출하고 그 성과를 어떻게 측정하고 평가할 지에 대해 충분한 정보를 포함해야 함

사업계획을 검토하는 평가자는 사업계획을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사업의 가설을 분해하기 위해

논리모형을 사용할 수 있음

- 사업계획에 대한 논리모형을 수립함으로써 평가자는 해당 사업의 기획주체가 생각하는

사업의 작동 메커니즘을 이해할 수 있음

논리모형은 각종 사업의 기획 관리 평가에 적용되는 방법 중 하나이며 어떻게 사업을

추진할 것인지를 나타낸 개념도로 정의할 수 있음7)

논리모형은 사업의 작동과 관련된 항목 간의 논리적 연관성을 보여주는 모델로서 사업

관련 활동과 결과가 최종목표에 어떻게 연계되는지를 보여줄 수 있음

논리모형은 사업을 작동시키는 투입자원 활동 그리고 달성할 변화나 결과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고 관계자들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한 체계적이고 시각적인 방법임

7) WK Kellogg Foundation (2004) Logic Model Development Guide

9

Ⅲ 사업계획과 논리모형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논리모형은 사업에 대한 개념 정립 기획 관리 평가 및 다른 사람과의 소통에 유용한

도구이며 사업의 작동 메커니즘 및 기대되는 성과를 다른 사람에게 설득하는 기본 근거가

될 수 있음

논리모형을 활용하여 사업을 분해함으로써 사업의 필요성 세부활동 및 전략 기대성과

산출 시기 수행주체 및 수행처 투입자원 산출의 종류와 규모 그리고 사업결과를 활용한

성과 등을 설명할 수 있음

논리모형은 사업의 생애(기획 실행 평가) 전 과정에 사용될 수 있는 유용한 관리 및 평가

도구임

정부에서도 이해관계자의 사업에 대한 이해를 돕고 성과목표 및 성과지표 설정에

활용하기 위해 사업 분석 시 논리모형의 활용을 권고하고 있음8)

논리모형은 사업의 기획단계 실행단계 그리고 평가단계에서 각각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

기획단계의 논리모형은 사업설계상의 오류와 사업 추진논리 간 괴리(gap)를 발견하는데

유용하며 사업의 작동 가능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줌

- 이를 통해 사업이 무엇에 관한 것인지 각 부분들이 어떻게 함께 작동하게 되는지에 대해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줌

- 이 단계에서의 논리모형은 사업의 설계와 기획에 영향을 주는 변화의 분석을 강조하는

이론접근모형(Theory approach model)이 주로 적용됨

사업 실행단계에 초점이 맞추어진 논리모형은 계획 관리의 핵심 도구로 활용될 수 있으며

사업을 관리하고 개선하기 위하여 필요한 자료를 파악하고 수집하는 데에 도움이 됨

- 이 단계에서는 주로 사업의 활동과 결과가 연결되는 지점에 초점을 두며 산출물을

명확히 파악하여 성과 분석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음

- 이 단계에서는 논리모형 중 집행과정의 세부적인 내용에 가장 주의를 기울이는 활동

접근모형(Activity approach model)이 활용됨

8) 미래창조과학부 (2013) 국가연구개발사업 표준성과지표 ndash 성과목표지표 설정 가이드라인

10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사업 평가단계에서는 공정하고 객관적인 평가와 이를 위한 정보제공이 필요하므로 성과

접근모형(Outcome approach model)이 적용됨

- 이 모형은 투입-활동-결과-성과-영향 사이의 논리적 개연성과 단계별 가정의 유효성을

확인하여 성과를 도출하기 위한 사업의 원활한 작동 가능성을 점검하는데 유용함

논리모형의 형태가 정형화된 것은 없으며 정보의 종류와 수준에 따라 기본항목으로

구성된 모형부터 세부적으로 구체화된 논리모형까지 다양한 형태로 구성이 가능함

사업의 추진단계 및 활용목적에 따라 강조하려는 사항이 다르므로 필요에 따라 다른

형태의 논리모형을 구성할 수 있음

lt그림 1gt과 같은 형태의 논리모형은 사업의 기획단계 및 사전평가 시 사업의 추진당위성

파악에 유용한 형태의 논리모형임

- 동 논리모형은 사업의 추진과정과 결과보다는 사업의 추진논리를 중점적으로 기술

- ʻ문제이슈(ProblemIssue)ʼ 항목에서는 연구개발사업을 통해 해결하거나 대처하고자

하는 문제를 설명

- ʻ사회적 수요자산(Community NeedsAssets)ʼ 항목에서는 문제이슈 관련 수요와

이의 해결을 위해 활용 가능한 사회적인 자산을 서술

- ʻ희망하는 결과(Desired results)ʼ 항목에서는 연구개발사업이 실행된다면 단기장기적으로 달성하고자 하는 것을 서술

- ʻ영향요인(Influential factors)ʼ 항목에서는 사회의 변화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생각하는

요인들 예를 들어 우호적 요인 또는 위험 요인 정책 환경 기타 요인 등을 열거

- ʻ전략(Strategies)ʼ 항목에서는 사업을 통해 희망하는 결과의 달성에 도움이 될 성공전략

또는 모범사례(best practice)를 기술

- ʻ가정(Assumptions)ʼ 항목에서는 전략이 어떻게 작동할 것인지에 관한 가정을 서술

11

Ⅲ 사업계획과 논리모형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lt그림 1gt 논리모형의 사례 1

출처 WK Kellogg Foundation (2004) Logic Model Development Guide

lt그림 2gt~lt그림 4gt와 같은 형태의 논리모형은 사업의 추진과정 및 결과를 보여줄 수 있는

기본적인 논리모형들로서 사업의 작동과정 분석에 유용함

- ʻ투입ʼ 항목에서는 활동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자원을 기재

- ʻ활동ʼ 항목에서는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수행할 활동을 서술

- ʻ산출ʼ 항목에서는 사업의 추진 중 또는 종료 시 창출할 것으로 기대하는 산출물을 기재

- ʻ성과ʼ 항목에서는 사업이 종료된 후의 변화를 기술하며 필요시 사업 종료 직후와 5~6년

이내의 중기로도 구분하여 기술할 수도 있음

- ʻ영향ʼ 항목에서는 사업이 종료된 후 장기적으로 발생될 것으로 예상하는 변화를 기재

12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lt그림 2gt 논리모형의 사례 2

출처 WK Kellogg Foundation (2004) Logic Model Development Guide

lt그림 3gt 논리모형의 사례 3

출처 McLaughlin JA and Jordan GB (2010) ldquoUsing Logic Modelsrdquo Handbook

of Practical Program Evaluation(Third Edition)

13

Ⅲ 사업계획과 논리모형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lt그림 4gt 논리모형의 사례 4

출처 노화준 (2008) 정책평가론

lt그림 1gt의 논리모형과 lt그림 2gt~lt그림 4gt의 논리모형을 결합하면 사업의 추진논리와

함께 추진과정 및 결과를 함께 볼 수 있는 논리모형을 구성할 수 있음

- 이러한 아이디어에 바탕을 두어 본 이슈페이퍼의 4장에서 설명할 논리모형이 개발됨

14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Ⅳ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Ex-ante evaluation)인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

에서는 사업계획의 쟁점사항 도출을 위한 핵심 도구로서 논리모형을 개발하여 활용하고

있음

관련 문헌들과 기존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 사례를 바탕으로 활용하기 용이한

논리모형을 개발하여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제2판)에 수록

본 논리모형은 이론접근모형과 성과접근모형을 결합한 형태로서 수직적으로는(상하

방향) 사업 추진에 대한 논리의 흐름을 수평적으로는(좌우 방향) 사업의 추진과정을

나타내도록 하여 이해하기가 용이함

- 제시된 논리모형은 정형화된 것은 아니며 사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논리모형을

변형하여 활용할 수 있음

사업계획의 평가자는 사업계획을 충분히 파악하고 이해한 후 논리모형을 작성하여야 함

- 논리모형 작성 시 주의할 점은 논리모형의 각 항목의 내용은 대상사업에 대한 평가자의

생각이 아니라 사업 기획주체의 의도와 논리를 담아야 함

논리모형이 작성된 이후에는 작성된 논리모형의 각 항목별 적절성과 항목 간 논리 흐름상의

오류나 괴리가 없는지 분석하여 주요 쟁점사항을 도출한 후 세부적으로 분석을 수행

사업의 기획단계에서도 본 논리모형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음

15

Ⅳ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를 위해 개발된 논리모형의 구조와 각 항목별로 다루어지는

내용 및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음

1 이슈 문제

ㅇ사업 추진의 필요성을 설명할 수 있는 배경요인 과학기술적 산업적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국가적 수요와 도전과제 등

ㅇ해당 사업을 통해 해결하거나 대처하고자 하는 문제나 이슈ㅇ해당 사업 분야와 관련된 정책 다른 연구개발사업 및 과제의 현황 미래 예측 기술과 시장의 동향 및 전망 전문가

설문 통계 및 조사 데이터 등도 활용ㅇ사업을 추진하지 않을 경우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문제나 잃게 되는 기회는 무엇인가ㅇ이슈문제 해결을 위해 연구개발사업 이외의 대안전략은 없는가

2 목표 3 수혜자

ㅇ해당 사업의 추진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사업의 핵심 성과 - 문제 해결 정도의 측정이 가능하도록 정량적 성과지표 제시

ㅇ사업목표 달성이나 사업의 산출로 인해 직접적인 이익을 얻는 주체

4 투입 5 활동 6 산출 7 성과 영향

ㅇ연구개발활동에 필요한 모든 자원

- 사업비 - 인적 자원 - 시설 및 장비 - 연구주체 지식

ㅇ목표를 달성하고 산출 발생을 위해 수행하는 연구개발 활동

ㅇ연구개발활동에 의한 직접적인 결과물 - 기술 정보 제품

데이터 서비스 논문 특허 등

- 산출물의 수량 규모 범위 등을 정량적으로 제시

ㅇ사업을 통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의도된 결과나 변화

ㅇ성과의 확산으로 인해 미래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직간접적 변화 및 파급효과

8 가정

ㅇ사업 추진 시 단계별로 발생할 상황과 변화에 대한 기대나 예측 - ldquo~~하면 ~~할 것이다rdquo로 표현되는 가정문(if-then)을 주로 사용ㅇ사업의 성공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외부요인 환경 조건 법 규정 원칙 믿음 위험

lt그림 5gt 연구개발사업의 쟁점사항 도출을 위한 논리모형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4) 연구개발부문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제2판)

16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983729 이슈문제 (IssueProblem)

이슈문제는 해당 연구개발사업을 기획하게 된 배경을 설명하고 사업의 추진당위성을

부여하는 항목

동 항목에서는 대상사업과 관련된 분야에서 어떠한 이슈나 문제가 존재하며 이러한

이슈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연구개발사업의 추진이 가장 효과적인 전략인지를

설명할 수 있어야 함

- 이를 위해 해당 사업의 필요성을 설명할 수 있는 배경요인(contextural factor)이 기술

되어야 하며 배경요인들에는 과학기술적 산업적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국가적

수요와 도전과제 등이 포함됨

사업에서 대처하려는 이슈나 문제가 여러 가지 요인들로 인해 복잡하다면 해당 사업과

연관성이 가장 높고 중요한 요인들로 압축하여 선정해야 함

- 이러한 문제 정의 과정을 통해 사업에서 추구하려는 목표를 명확히 설정할 수 있음

정부부처에서 제안하는 대부분의 연구개발사업은 특정 세부분야를 대상으로 하므로

광범위한 연구분야나 산업분야의 일반적이고 진부한 이슈문제를 제시하는 것보다는

사업에서 제안하는 세부분야의 특성과 현황에 기반을 둔 구체적이고 핵심적인 이슈

문제를 선정하여 강조하여야 설득력을 확보할 수 있음

사업의 필요성을 설명하기 위해 사업의 분야와 관련된 정책과 연구개발사업 및 과제의

현황 미래 예측 기술과 시장의 동향 및 전망 전문가 설문조사 통계 및 조사 데이터를

적극 활용하는 것이 좋음

제안된 연구개발사업 이외에 도출된 이슈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다른 대안이나 전략이

없는지도 고려할 필요가 있음

해당 사업계획에 대한 평가자는 사업 기획주체가 제시한 문제 정의가 적절한지를

분석함으로써 사업 추진당위성이 확보되었는지를 평가

17

Ⅳ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983730 목표 (Objective)

목표는 해당 사업의 추진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사업의 핵심 성과를 의미함

목표는 해결하고자 하는 이슈문제와 관련이 있어야 하며 해당 사업을 통해 그 이슈

문제가 해결될 수 있어야 함

- 즉 사업목표는 해당 사업을 통해 이슈문제가 어느 정도로 해결될 수 있는지 측정이

가능하도록 정량적으로 제시되어야 함

목표는 구체적이어야 하며(Specific) 측정 가능해야 하고(Measurable) 달성 가능해야

하며(Achievable) 이슈 및 연구개발활동과 연관이 있고(Relevant) 기한이 정해진

(Time-bound) 것이어야 함(SMART)9)

- 목표는 사업이 달성하고자 하는 바를 의미하므로 ① 이슈문제 및 ⑦ 성과영향과

연계하여 분석

목표는 구체성과 계측가능성을 기준으로 볼 때 목적과는 구분되는 개념임

- 사전적인 의미에서 목적(目的)은 ʻ실현하려고 하는 일이나 나아가는 방향ʼ이며 목표

(目標)는 ʻ어떤 목적을 이루려고 지향하는 실제적 대상으로 삼음 또는 그 대상ʼ을 뜻함

- 즉 목적은 추상적이고 방향과 의도를 함축하는데 반하여 목표는 구체적이고 범위가

제한적이며 일반적으로 측정 가능한 수치로 표현됨

983731 수혜자 (Beneficiary)

사업으로 인해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이해관계자는 여러 유형이 있을 수 있으나

수혜자10)는 사업목표와 접한 관련이 있어야 함

9) HM Treasury (2011) The Green Book Appraisal and Evaluation in Central Government

10) 예비타당성조사에서의 수혜자는 사업 추진을 통해 자금을 지원받는 주체가 아니라 사업목표 달성이나 사업의 산출로

인해 직접적인 경제적 이익을 얻는 주체를 의미하며 경제성 분석은 이 수혜자가 얻게 되는 직접적인 경제적 편익을

기준으로 분석함

18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983732 투입 (Input)

투입은 연구개발활동에 필요한 모든 자원을 의미

- 투입의 기본 항목은 재정적 자원과 인적 자원이며 연구시설middot장비 연구수행주체 관련

지식 등이 투입에 해당

- 해당 사업에서 활용될 기존 사업의 산출과 성과도 투입에 포함될 수 있음

사업이 충실하게 기획되면 희망하는 결과를 얻기 위한 최소의 물량규모가 정량적으로

산출될 수 있음

- 실무적으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에서 투입에 해당하는 물량규모는

총사업비라는 형태로 표현됨

983733 활동 (Activity)

국가연구개발사업에서의 활동은 목표를 달성하고 산출을 발생시키기 위해 수행하는

연구개발활동에 초점을 맞추어야 하며 연구개발에 인접한 활동은 연구개발예산 편성

기준에 부합하는지의 여부에 초점을 맞추어야 함

일반적으로 OO기술 개발 OO연구기반 구축 등이 큰 범위의 연구개발활동이 되며 각

연구개발활동은 요소기술 개발 등의 세부 연구개발활동으로 세분화될 수 있음

983734 산출 (Output)

산출은 연구개발활동을 통한 직접적인 결과물을 의미하며 각 활동별로 하나 이상의

산출이 존재할 수 있음

일반적으로 연구개발활동으로 개발된 기술 정보 데이터 제품 서비스 등이 해당되며

이 각각의 산출물은 정량적으로 수량 규모 범위 등이 제시되어야 함

- 기초연구사업에서 개발된 기술에 대한 논문과 특허도 산출물에 해당

19

Ⅳ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983735 성과영향 (OutcomeImpact)

성과는 사업의 목표와 접한 관련이 있으며 사업 추진에 따른 변화나 사업결과

(output)의 활용을 통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의도된 결과이며 영향은 성과의

확산으로 인해 미래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직간접적 변화 및 파급효과를 의미

- 일반적으로 연구개발사업의 단계 구분이나 관련 문헌에서 제시된 논리모형에서는

성과와 영향을 별도 항목으로 고려하기도 하지만 사업의 착수 전에 수행되는 사전

평가에서 성과와 영향을 구분하여 검토하는 것은 실효성이 낮으므로11) 성과와 영향을

종합하여 검토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의 경제성 분석은 국가연구개발사업으로 인한 직접적인

경제적 성과를 추정하는 것임

983736 가정 (Assumption)

사업계획은 그 자체가 기획된 대로 수행하면 기대하는 결과가 생성될 것이라는 가설이며

가정은 사업의 유효성에 대한 믿음임

가정은 사업 추진 시 논리모형의 각 항목별로 발생할 상황과 변화에 대한 기대나 예측을

의미

가정은 사업 수행에 직접적으로 관련 있는 것으로 한정되어야 하며 사업의 성공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외부요인들도 가정에 포함될 수 있음

- 이러한 외부요인으로는 환경 조건 법 규정 원칙 한계 믿음 위험 등이 될 수 있음

11) 사업으로 인한 성과와 영향은 종료평가와 추적평가를 통해 구체적인 평가가 가능함

20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사업계획은 적절한 기획을 통해 도출되어야 하며 기획과정 중에 논리모형을 통해

논리적인 비약을 배제함으로써 사업계획의 합리성을 확보할 수 있음

기획은 최적의 수단으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미래에 취할 행동을 위한 일련의

결정을 준비하는 계획적 과정임

충분한 고민과 의견 수렴을 통해 기획이 잘 이루어지면 사업 추진과 결과의 부실화를

미연에 방지하고 성공가능성을 높일 수 있음

논리모형은 기획과정의 각 시점에서 그 당시까지 구체화된 항목을 하나하나 채워나감

으로써 가시적인 논리의 확인과 기획참여자들 간의 소통과 이해 및 의견 수렴에 유용함

사업의 기획이 완료된 후에는 완성된 논리모형을 예산당국 주무부처와 같은 이해

관계자와 사업계획 평가자에게 제시하여 사업의 거시적인 작동논리를 이해시키고 예산

확보를 위해 설득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음

사업의 착수시점에 해당 사업에 대한 체계화된 정보가 없을 경우에는 후속관리가

부실화되기 쉬우므로 사업계획의 충실한 수립은 매우 중요함

전반적인 추진논리를 확보하기 위해 바람직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절차는

lt그림 6gt과 같이 제시될 수 있음

21

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lt그림 6gt 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정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4) 연구개발부문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제2판)

사업을 기획하기 위해서는 우선 대규모 신규 사업의 추진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이슈

또는 문제가 무엇인지 먼저 파악되어야 함

- 동향조사 예측조사 설문조사 인터뷰 통계분석 등 다양한 분석방법을 통해 적절한

범위 내에서 이슈문제를 식별한 후 기획 의도를 고려한 합리적인 평가기준을 적용하여

사업에서 집중하고자 하는 문제를 선택해야 함

- 선택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연구개발사업이 세금 자금 인력 지원 등 다른

대안과 비교할 때 가장 효율적인 방법인지 검토되어야 함

정부의 연구개발사업 추진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가 정의되면 사업을 통해 얻고자 하는

성과가 무엇인지 구체적이고 객관적으로 제시해야 함

- 이를 위해서는 사업의 성과물이 전달되는 수혜 대상이 명확히 정의되어야 함

사업목표가 설정되면 이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추진체계와 추진전략이 수립되어야 함

22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 추진체계는 다양한 참여주체의 분석을 통해 적절한 역할과 조정 협력관계 등을

조직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함

- 추진전략은 사업 및 기술 환경의 특성 분석을 통해 목표 달성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연구개발전략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함

세부과제의 구성을 완료하여 사업기간과 총사업비 그리고 필요한 장비와 시설 등 신규

구축할 인프라의 규모를 도출함

- 세부과제는 기본적으로 사업목표와 직접적으로 연계되어야 함 즉 세부과제가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사업목표가 달성될 수 있도록 구성할 필요

- 기술수요조사와 시설장비수요조사와 같은 시장이나 사회적 수요를 반영한 후보과제를

도출한 후 사업목표의 달성을 위한 전략적 방향을 고려한 기준과 가중치가 적용된

우선순위 선정절차를 거치는 것이 바람직함

- 선정된 세부과제는 목표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적절한 단위의 세부활동을 구성하고 사업

추진상의 기술개발 로드맵을 수립하며 각각의 세부 성과지표를 구체화함

- 세부활동이 구체화되면 활동별로 수행을 위한 비용 기간 조직 인프라 등의 자원 소요계획이

확립되며 이를 종합하여 전체 사업의 추진을 위해 필요한 투입자원의 총량을 도출함

수립된 사업계획 초안의 문제 정의 사업목표 설정 추진체계 및 추진전략 수립 세부과제

구성에 대한 재검토 및 보완을 통해 기획을 완료함

- 현실적으로 기획과정에서 모든 정보를 완벽하게 수집하고 분석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신규로 제안되는 사업과 유사한 선행사업이 없어 과거 사례의 참조에도 한계가 있을 수 있음

- 사업의 내용은 기획이 진행되면서 시간의 흐름과 함께 점진적으로 구체화12)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환류(feedback) 과정을 거쳐 사업계획을 보완하는 것이 중요함

- 환류 과정을 진행하기 전에 현재까지 기획된 사업계획에 대한 논리모형을 구성하여

전반적인 사업의 작동논리가 설득력 있게 기획되었는지 확인하고 환류 과정을 통해

보완된 사업계획에 대한 논리모형도 검토하는 것이 바람직함

12) PMI (2000) PMBOK Guide

23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가상의 사례를 통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을 설명하고자 함

lt그림 7gt은 가상의 국가연개구발사업에 대해 작성된 논리모형임

1 이슈 문제

ㅇ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시장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나 정부의 투자는 산발적이고 일회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해외 의존도가 증대되고 있음

- 클러스터 형태의 실증사업 추진 필요

ㅇ A 융합기술ʼ 분야의 생태계 조성과 연계하고 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 클러스터를 구축하고 Z지역의 산업지역발전의 거점 역할을 하도록 할 필요

2 목표 3 수혜자

ㅇ ʻA 융합기술ʼ 신산업 허브 구축

- ʻA 융합기술ʼ 신산업 창출 선도 및 발전 기반 구축

- 지역거점형 ʻA 융합기술ʼ 실증사업 중심 산업화 지원

- ʻA 융합기술ʼ 산학연 협력 및 비즈니스 협업체계 구축

ㅇA 융합기술 분야 기업

ㅇ국민공공기관

4 투입 5 활동 6 산출 7 성과 영향

ㅇ사업비 OO억 원

ㅇ연구인력

ㅇ ʻA 융합기술ʼ 통합

센터 구축

ㅇ실증사업

- B C D E 4개

산업 분야

ㅇB C D E 등 4개

산업 분야

ʻA 융합기술ʼ 시스템

ㅇ ʻA 융합기술ʼ 기반

융합산업의 생산성

증대

ㅇZ지역의 지역경제

발전

8 가정

ㅇ ʻA 융합기술ʼ 신산업 강화는 국가 발전의 원동력으로 작용할 것임

ㅇ지역 착형 거점 구축을 통해 기술발전을 선도하고 관련 산업 육성을 도모하며 지역산업 활성화를 도모할 것임

lt그림 7gt 가상의 사업계획에 기반한 논리모형 작성의 사례

24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사업에 대한 사전평가에서 논리모형은 사업의 거시적인 작동논리의 분석을 통해 주요

쟁점을 도출하기 위해 활용됨

논리모형에는 사업계획의 핵심 내용만 기재되므로 논리모형 분석은 세부내용의 상세한

적부 분석이 아닌 이슈 목표 활동으로 이어지는 사업의 주요 작동논리 분석과 세 항목 간의

논리적 연계성 분석이 주로 이루어짐

시장 수요나 전망 현장의 이슈를 고려하지 않고 적절한 기획과정도 거치치 않은 채 소수의

기획주체가 ʻ하고 싶고 할 수 있는ʼ 과제를 먼저 선정해 놓고 사업을 기획하여 전체적인

사업 작동논리가 부실한 경우가 많으므로 이러한 쟁점 여부의 파악을 위해 활용함

가상의 사업계획에서 제시한 이슈(983729)는 신규 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는 이유를 설명하는

문제 정의로서 적절치 않음

최근 2~3년전부터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다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들이 다수 착수되어

추진되고 있으므로 산발적일회적이라는 주장은 사실과 다름

ʻA 융합기술ʼ 분야는 현재 국내 기업에서 사업화를 추진 중인 분야이고 기업들의 기술 수준도

상대적으로 높으므로 해외의존도를 언급하는 것은 부적절함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시장이 확대될 것이라는 예측은 적절하지만 이러한 내용은 누구나

알고 있는 일반적인 사항이며 동 사업 내에서 실증을 하고자 하는 세부 산업 분야(B C

D E 산업)에서의 ʻA 융합기술ʼ의 시장 동향 전망과 데이터에 근거한 분석은 이루어지지

않음

대형 실증사업 추진을 위해서는 사업의 성과에 대한 구체적 근거 마련을 위해 사전 연구나

조사를 통한 성과 데이터의 구축이 필요하나 실증사업의 추진 필요성과 유효성을 설명

할 수 있는 근거자료가 부재함

Z지역에는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연구 및 산업기반이 국내에서도 상대적으로 미약하여

산업 클러스터가 형성될 가능성이 낮고 국가적인 차원의 활용도 관점에서 해당 지역에의

거점 구축의 당위성은 낮음

25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기획의 Tip

국가적인 차원에서 연구개발사업을 통해서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를 구체적이고 명확히 정의

- 현재 또는 미래에 어떤 문제가 있거나 발생할 것이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

개발사업을 구상하게 되었는지 제시

-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광범위한 이슈의 제기는 무의미

- 국내외의 각종 통계 보고서 정책자료 시장보고서 전문가 및 실무자 인터뷰 등 근거자료를

통해 구체화되고 특정화된 문제를 제시

- 특정 주체나 지역이 아닌 국가적인 차원의 문제를 제시해야 하며 해당 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지 않으면 국가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나 잃게 되는 기회가 무엇인지를 설명

- 지역기반 구축은 국가적인 필요성과 함께 전국에서 해당 지역이 기반 구축의 최적지임을

입증할 수 있는 근거가 필요

사업목표(983730)를 제시하였으나 선언적인 내용에 불과하며 성과지표의 구체화가 미흡하여

문제 해결 정도를 측정하기 어려움

동 사업에서는 광범위한 ʻA 융합기술ʼ의 적용 분야 중 소수의 분야만을 다루는 반면

사업목표는 사업 내용에 비해 지나치게 일반적이고 광범위하게 수립됨

동 사업은 상호 연관성이 낮은 여러 세부사업을 단일 사업 내에 포함시켜 전체 사업 수준의

거시적인 성과목표 제시가 어려운 한계가 있음

앞서 각 세부사업별로 해당 산업 분야의 문제 정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사업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와 성과가 불문명하며 이에 따라 성과지표를 정량적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하여 목표 달성 여부의 측정방법도 불분명함

26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기획의 Tip

관리 가능성의 관점에서 사업목표는 SMART하게 제시

- 구체적이고(Specific) 측정가능하며(Measurable) 달성가능하고(Achievable) 문제 활동과 연관성이 있으며(Relevant) 시간제약이 있도록(Time-bound)가 있도록 수립

해결해야 할 문제(983729)와 사업목표(983730) 간에 괴리가 존재하여 둘 간의 연계성은 미흡함

해결해야 할 이슈로 제시한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일반적인 문제들을 사업목표로 제시한

지역 착형 사업을 통해 해소하고자 함은 연계성이 낮음

문제 정의 자체가 세부 산업분야별 시장 전망 또는 현장의 이슈 분석을 통해 구체적으로

도출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를 해소하기 위해 달성할 사업목표의 설정도 어려운 한계가

있으며 동 사업의 추진으로 국내외에서 어느 정도의 성과를 거둘 수 있을지도 예상할 수

없음

제시된 4가지 실증사업은 공공 영역부터 민간의 사업화가 활발한 영역까지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어 시너지 효과 창출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됨

기획의 Tip

사업목표의 범위는 제시된 이슈문제의 범위와 일치해야 하며 사업목표를 달성하면 이슈문제가 어느 정도 해결되는지를 보여줄 수 있도록 사업목표를 수립

세부 실증사업을 통해 개발될 제품(시스템)의 사용자(구매자)까지 수혜자로 포함시켜

수혜자(983731)의 표적화가 부적절함

동 사업을 통해 제품을 개발하여 사업 종료 후 해당 제품의 판매를 통해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할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기업들이 동 사업의 직접적 수혜자임

27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동 사업은 A 융합기술ʼ 분야의 실증을 통한 시스템 개발로 종료되며 제품을 최종사용자

에게까지 보급하는 것은 사업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여러 단계 이후의 최종사용자를

동 사업의 수혜자로 제시하는 것은 부적절함

기획의 Tip

사업목표와 범위에 맞는 수혜자를 제시

- 성과확산단계에 따라 수혜자를 구분하여 제시할 수는 있으나 사업성과를 통해 직접적 경제적

수혜를 받는 주체만 경제성 분석의 대상이 됨

세부활동(983733)은 사업목표(983730)와 개념적으로는 일부 연계성이 있음

산업 분야에 A 융합기술ʼ의 접목하기 위한 실증사업의 추진이 동 사업의 주요 내용이므로

관련 신산업을 창출하고자 하는 사업의 목표와는 개념적으로 연계성이 있음

B C 분야는 사업목표와 관련성이 있고 구축되는 통합센터와 정보 공유도 가능할 것이나

D E 분야는 독립적이며 사업목표와의 연계성도 낮아 동일 사업 내에서 추진할 필요성

및 통합센터 구축의 필요성도 모호함

기획의 Tip

세부활동(세부사업 또는 과제)을 수행하면 제시된 사업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세부

활동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문제 해결 및 사업목표 달성과 연관성이 낮은 활동은 제외

- 사업목표 달성과 관련 없는 과제의 포함 불요불급한 시설 및 장비의 구축 필요 이상으로 부풀린

사업비의 요구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는 주요 요인임

이 외의 항목들은 거시적인 작동논리나 연계성에 대한 검토보다는 세부내용의 적부 분석을 수행함

투입(983732)과 산출(983734)은 활동의 상세한 분석을 통해 적절성을 분석

성과영향(983735)은 사업목표와 활동 산출의 상세한 분석을 통해 적절성을 분석

가정(983736)은 별도의 분석보다는 이슈 목표 활동과 연계하여 분석

28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Ⅶ 맺음말

사업의 직접적인 이해관계자는 해당 사업의 긍정적인 측면만 생각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사업 기획주체는 신규 사업의 기획 시 객관적인 시각에서 사업계획을 조망하고 보완하기 위해

논리모형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ʻ왜 해야 하는지ʼ ʻ어떠한 결과를 내려고 하는지ʼ ʻ무엇을 어떻게 하려고 하는지ʼ가

논리적으로 연계가 되어 설득력을 확보해야 함

사업의 착수 전에 문서뿐인 사업계획서를 분석하여 사전에 평가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나

논리모형을 활용한 사업의 작동논리와 추진과정의 객관적인 분석을 통해 기획단계의

오류로 인한 사업의 부실화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

제도적인 측면에서 평가결과의 일관성 확보를 위해 사전평가의 방법으로 논리모형

분석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함13)

본 이슈페이퍼에서는 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을 설명

하였으며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추진단계 및 종료단계에 적절한 논리모형의 개발 및 활용도

고려할 필요

사업 추진 중의 사업관리 또는 중간평가 시에는 투입 rarr 활동 rarr 산출 등 사업 추진과정을

확대하여 집중적으로 분석하는 특히 활동을 더 세부적으로 구분한 논리모형이 필요함

- 사업별 특성에 부합하도록 단계별 연차별 세부과제(기술)별로 마일스톤이 포함된

논리모형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는 사업 추진 로드맵을 포함하는 형태가 될 것임

사업 종료 시의 성과확산 전략 수립이나 종료평가 또는 그 이후의 추적평가 시에는 산출

rarr 성과 rarr 영향의 사업성과 확산과정을 집중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논리모형을 구성할 수 있음

- 성과의 확산은 해당 연구개발사업 이후에 이루어지므로 동 논리모형의 구성은 성과의

극대화를 위한 성과확산사업의 기획과정으로도 볼 수 있음

논리모형 활용의 확산을 통해 국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역량을 제고하고 사업계획의

완성도를 높여 사업의 성공가능성을 제고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함

13)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에서는 이를 필수적으로 활용하도록 하고 있음

29

참 고 문 헌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 고 문 헌

국가과학기술위원회 (2011) 정부RampD 투자 효율화 추진계획

노화준 (2008) 정책평가론

미래창조과학부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 대통령령 제26729호

미래창조과학부 (2013) 국가연구개발사업 표준성과지표 ndash 성과목표지표 설정 가이드라인

미래창조과학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5) 2014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보고서

미래창조과학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5) 2014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4) 연구개발부문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제2판)

HM Treasury (2011) The Green Book Appraisal and Evaluation in Central Government

McLaughlin JA and Jordan GB (1999) ldquoLogic models a tool for telling your programrsquos

performance storyrdquo Evaluation and Program Planning 22 65~72

McLaughlin JA and Jordan GB (2010) ldquoUsing Logic Modelsrdquo in Joseph S Wholey

Harry P Hatry and Kathryn E Newcomer(eds) Handbook of Practical Program

Evaluation(Third Edition) San Francisco Jossey-Bass 55~80

OECD (2015) Frascati Manual 2015

PMI (2000) PMBOK Guide

WK Kellogg Foundation (2004) Logic Model Development Guide

저자 소개

강 현 규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공공기술조사실장

- 전화 02-589-2813

- e-mail hkkangkisteprekr

KISTEP Issue Paper 2016-05

|발 행|2016년 5월

|발행인|박 영 아

|발행처|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서울시 서초구 마방로 68(양재동) 동원산업빌딩 9층~12층

전화 02) 589-2200 팩스 02) 589-2222

httpwwwkisteprekr

|인쇄처|(주)비전테크시스템즈 [TEL02)3432-7132]

9

Ⅲ 사업계획과 논리모형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논리모형은 사업에 대한 개념 정립 기획 관리 평가 및 다른 사람과의 소통에 유용한

도구이며 사업의 작동 메커니즘 및 기대되는 성과를 다른 사람에게 설득하는 기본 근거가

될 수 있음

논리모형을 활용하여 사업을 분해함으로써 사업의 필요성 세부활동 및 전략 기대성과

산출 시기 수행주체 및 수행처 투입자원 산출의 종류와 규모 그리고 사업결과를 활용한

성과 등을 설명할 수 있음

논리모형은 사업의 생애(기획 실행 평가) 전 과정에 사용될 수 있는 유용한 관리 및 평가

도구임

정부에서도 이해관계자의 사업에 대한 이해를 돕고 성과목표 및 성과지표 설정에

활용하기 위해 사업 분석 시 논리모형의 활용을 권고하고 있음8)

논리모형은 사업의 기획단계 실행단계 그리고 평가단계에서 각각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

기획단계의 논리모형은 사업설계상의 오류와 사업 추진논리 간 괴리(gap)를 발견하는데

유용하며 사업의 작동 가능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줌

- 이를 통해 사업이 무엇에 관한 것인지 각 부분들이 어떻게 함께 작동하게 되는지에 대해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줌

- 이 단계에서의 논리모형은 사업의 설계와 기획에 영향을 주는 변화의 분석을 강조하는

이론접근모형(Theory approach model)이 주로 적용됨

사업 실행단계에 초점이 맞추어진 논리모형은 계획 관리의 핵심 도구로 활용될 수 있으며

사업을 관리하고 개선하기 위하여 필요한 자료를 파악하고 수집하는 데에 도움이 됨

- 이 단계에서는 주로 사업의 활동과 결과가 연결되는 지점에 초점을 두며 산출물을

명확히 파악하여 성과 분석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음

- 이 단계에서는 논리모형 중 집행과정의 세부적인 내용에 가장 주의를 기울이는 활동

접근모형(Activity approach model)이 활용됨

8) 미래창조과학부 (2013) 국가연구개발사업 표준성과지표 ndash 성과목표지표 설정 가이드라인

10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사업 평가단계에서는 공정하고 객관적인 평가와 이를 위한 정보제공이 필요하므로 성과

접근모형(Outcome approach model)이 적용됨

- 이 모형은 투입-활동-결과-성과-영향 사이의 논리적 개연성과 단계별 가정의 유효성을

확인하여 성과를 도출하기 위한 사업의 원활한 작동 가능성을 점검하는데 유용함

논리모형의 형태가 정형화된 것은 없으며 정보의 종류와 수준에 따라 기본항목으로

구성된 모형부터 세부적으로 구체화된 논리모형까지 다양한 형태로 구성이 가능함

사업의 추진단계 및 활용목적에 따라 강조하려는 사항이 다르므로 필요에 따라 다른

형태의 논리모형을 구성할 수 있음

lt그림 1gt과 같은 형태의 논리모형은 사업의 기획단계 및 사전평가 시 사업의 추진당위성

파악에 유용한 형태의 논리모형임

- 동 논리모형은 사업의 추진과정과 결과보다는 사업의 추진논리를 중점적으로 기술

- ʻ문제이슈(ProblemIssue)ʼ 항목에서는 연구개발사업을 통해 해결하거나 대처하고자

하는 문제를 설명

- ʻ사회적 수요자산(Community NeedsAssets)ʼ 항목에서는 문제이슈 관련 수요와

이의 해결을 위해 활용 가능한 사회적인 자산을 서술

- ʻ희망하는 결과(Desired results)ʼ 항목에서는 연구개발사업이 실행된다면 단기장기적으로 달성하고자 하는 것을 서술

- ʻ영향요인(Influential factors)ʼ 항목에서는 사회의 변화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생각하는

요인들 예를 들어 우호적 요인 또는 위험 요인 정책 환경 기타 요인 등을 열거

- ʻ전략(Strategies)ʼ 항목에서는 사업을 통해 희망하는 결과의 달성에 도움이 될 성공전략

또는 모범사례(best practice)를 기술

- ʻ가정(Assumptions)ʼ 항목에서는 전략이 어떻게 작동할 것인지에 관한 가정을 서술

11

Ⅲ 사업계획과 논리모형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lt그림 1gt 논리모형의 사례 1

출처 WK Kellogg Foundation (2004) Logic Model Development Guide

lt그림 2gt~lt그림 4gt와 같은 형태의 논리모형은 사업의 추진과정 및 결과를 보여줄 수 있는

기본적인 논리모형들로서 사업의 작동과정 분석에 유용함

- ʻ투입ʼ 항목에서는 활동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자원을 기재

- ʻ활동ʼ 항목에서는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수행할 활동을 서술

- ʻ산출ʼ 항목에서는 사업의 추진 중 또는 종료 시 창출할 것으로 기대하는 산출물을 기재

- ʻ성과ʼ 항목에서는 사업이 종료된 후의 변화를 기술하며 필요시 사업 종료 직후와 5~6년

이내의 중기로도 구분하여 기술할 수도 있음

- ʻ영향ʼ 항목에서는 사업이 종료된 후 장기적으로 발생될 것으로 예상하는 변화를 기재

12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lt그림 2gt 논리모형의 사례 2

출처 WK Kellogg Foundation (2004) Logic Model Development Guide

lt그림 3gt 논리모형의 사례 3

출처 McLaughlin JA and Jordan GB (2010) ldquoUsing Logic Modelsrdquo Handbook

of Practical Program Evaluation(Third Edition)

13

Ⅲ 사업계획과 논리모형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lt그림 4gt 논리모형의 사례 4

출처 노화준 (2008) 정책평가론

lt그림 1gt의 논리모형과 lt그림 2gt~lt그림 4gt의 논리모형을 결합하면 사업의 추진논리와

함께 추진과정 및 결과를 함께 볼 수 있는 논리모형을 구성할 수 있음

- 이러한 아이디어에 바탕을 두어 본 이슈페이퍼의 4장에서 설명할 논리모형이 개발됨

14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Ⅳ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Ex-ante evaluation)인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

에서는 사업계획의 쟁점사항 도출을 위한 핵심 도구로서 논리모형을 개발하여 활용하고

있음

관련 문헌들과 기존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 사례를 바탕으로 활용하기 용이한

논리모형을 개발하여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제2판)에 수록

본 논리모형은 이론접근모형과 성과접근모형을 결합한 형태로서 수직적으로는(상하

방향) 사업 추진에 대한 논리의 흐름을 수평적으로는(좌우 방향) 사업의 추진과정을

나타내도록 하여 이해하기가 용이함

- 제시된 논리모형은 정형화된 것은 아니며 사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논리모형을

변형하여 활용할 수 있음

사업계획의 평가자는 사업계획을 충분히 파악하고 이해한 후 논리모형을 작성하여야 함

- 논리모형 작성 시 주의할 점은 논리모형의 각 항목의 내용은 대상사업에 대한 평가자의

생각이 아니라 사업 기획주체의 의도와 논리를 담아야 함

논리모형이 작성된 이후에는 작성된 논리모형의 각 항목별 적절성과 항목 간 논리 흐름상의

오류나 괴리가 없는지 분석하여 주요 쟁점사항을 도출한 후 세부적으로 분석을 수행

사업의 기획단계에서도 본 논리모형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음

15

Ⅳ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를 위해 개발된 논리모형의 구조와 각 항목별로 다루어지는

내용 및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음

1 이슈 문제

ㅇ사업 추진의 필요성을 설명할 수 있는 배경요인 과학기술적 산업적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국가적 수요와 도전과제 등

ㅇ해당 사업을 통해 해결하거나 대처하고자 하는 문제나 이슈ㅇ해당 사업 분야와 관련된 정책 다른 연구개발사업 및 과제의 현황 미래 예측 기술과 시장의 동향 및 전망 전문가

설문 통계 및 조사 데이터 등도 활용ㅇ사업을 추진하지 않을 경우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문제나 잃게 되는 기회는 무엇인가ㅇ이슈문제 해결을 위해 연구개발사업 이외의 대안전략은 없는가

2 목표 3 수혜자

ㅇ해당 사업의 추진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사업의 핵심 성과 - 문제 해결 정도의 측정이 가능하도록 정량적 성과지표 제시

ㅇ사업목표 달성이나 사업의 산출로 인해 직접적인 이익을 얻는 주체

4 투입 5 활동 6 산출 7 성과 영향

ㅇ연구개발활동에 필요한 모든 자원

- 사업비 - 인적 자원 - 시설 및 장비 - 연구주체 지식

ㅇ목표를 달성하고 산출 발생을 위해 수행하는 연구개발 활동

ㅇ연구개발활동에 의한 직접적인 결과물 - 기술 정보 제품

데이터 서비스 논문 특허 등

- 산출물의 수량 규모 범위 등을 정량적으로 제시

ㅇ사업을 통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의도된 결과나 변화

ㅇ성과의 확산으로 인해 미래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직간접적 변화 및 파급효과

8 가정

ㅇ사업 추진 시 단계별로 발생할 상황과 변화에 대한 기대나 예측 - ldquo~~하면 ~~할 것이다rdquo로 표현되는 가정문(if-then)을 주로 사용ㅇ사업의 성공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외부요인 환경 조건 법 규정 원칙 믿음 위험

lt그림 5gt 연구개발사업의 쟁점사항 도출을 위한 논리모형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4) 연구개발부문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제2판)

16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983729 이슈문제 (IssueProblem)

이슈문제는 해당 연구개발사업을 기획하게 된 배경을 설명하고 사업의 추진당위성을

부여하는 항목

동 항목에서는 대상사업과 관련된 분야에서 어떠한 이슈나 문제가 존재하며 이러한

이슈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연구개발사업의 추진이 가장 효과적인 전략인지를

설명할 수 있어야 함

- 이를 위해 해당 사업의 필요성을 설명할 수 있는 배경요인(contextural factor)이 기술

되어야 하며 배경요인들에는 과학기술적 산업적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국가적

수요와 도전과제 등이 포함됨

사업에서 대처하려는 이슈나 문제가 여러 가지 요인들로 인해 복잡하다면 해당 사업과

연관성이 가장 높고 중요한 요인들로 압축하여 선정해야 함

- 이러한 문제 정의 과정을 통해 사업에서 추구하려는 목표를 명확히 설정할 수 있음

정부부처에서 제안하는 대부분의 연구개발사업은 특정 세부분야를 대상으로 하므로

광범위한 연구분야나 산업분야의 일반적이고 진부한 이슈문제를 제시하는 것보다는

사업에서 제안하는 세부분야의 특성과 현황에 기반을 둔 구체적이고 핵심적인 이슈

문제를 선정하여 강조하여야 설득력을 확보할 수 있음

사업의 필요성을 설명하기 위해 사업의 분야와 관련된 정책과 연구개발사업 및 과제의

현황 미래 예측 기술과 시장의 동향 및 전망 전문가 설문조사 통계 및 조사 데이터를

적극 활용하는 것이 좋음

제안된 연구개발사업 이외에 도출된 이슈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다른 대안이나 전략이

없는지도 고려할 필요가 있음

해당 사업계획에 대한 평가자는 사업 기획주체가 제시한 문제 정의가 적절한지를

분석함으로써 사업 추진당위성이 확보되었는지를 평가

17

Ⅳ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983730 목표 (Objective)

목표는 해당 사업의 추진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사업의 핵심 성과를 의미함

목표는 해결하고자 하는 이슈문제와 관련이 있어야 하며 해당 사업을 통해 그 이슈

문제가 해결될 수 있어야 함

- 즉 사업목표는 해당 사업을 통해 이슈문제가 어느 정도로 해결될 수 있는지 측정이

가능하도록 정량적으로 제시되어야 함

목표는 구체적이어야 하며(Specific) 측정 가능해야 하고(Measurable) 달성 가능해야

하며(Achievable) 이슈 및 연구개발활동과 연관이 있고(Relevant) 기한이 정해진

(Time-bound) 것이어야 함(SMART)9)

- 목표는 사업이 달성하고자 하는 바를 의미하므로 ① 이슈문제 및 ⑦ 성과영향과

연계하여 분석

목표는 구체성과 계측가능성을 기준으로 볼 때 목적과는 구분되는 개념임

- 사전적인 의미에서 목적(目的)은 ʻ실현하려고 하는 일이나 나아가는 방향ʼ이며 목표

(目標)는 ʻ어떤 목적을 이루려고 지향하는 실제적 대상으로 삼음 또는 그 대상ʼ을 뜻함

- 즉 목적은 추상적이고 방향과 의도를 함축하는데 반하여 목표는 구체적이고 범위가

제한적이며 일반적으로 측정 가능한 수치로 표현됨

983731 수혜자 (Beneficiary)

사업으로 인해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이해관계자는 여러 유형이 있을 수 있으나

수혜자10)는 사업목표와 접한 관련이 있어야 함

9) HM Treasury (2011) The Green Book Appraisal and Evaluation in Central Government

10) 예비타당성조사에서의 수혜자는 사업 추진을 통해 자금을 지원받는 주체가 아니라 사업목표 달성이나 사업의 산출로

인해 직접적인 경제적 이익을 얻는 주체를 의미하며 경제성 분석은 이 수혜자가 얻게 되는 직접적인 경제적 편익을

기준으로 분석함

18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983732 투입 (Input)

투입은 연구개발활동에 필요한 모든 자원을 의미

- 투입의 기본 항목은 재정적 자원과 인적 자원이며 연구시설middot장비 연구수행주체 관련

지식 등이 투입에 해당

- 해당 사업에서 활용될 기존 사업의 산출과 성과도 투입에 포함될 수 있음

사업이 충실하게 기획되면 희망하는 결과를 얻기 위한 최소의 물량규모가 정량적으로

산출될 수 있음

- 실무적으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에서 투입에 해당하는 물량규모는

총사업비라는 형태로 표현됨

983733 활동 (Activity)

국가연구개발사업에서의 활동은 목표를 달성하고 산출을 발생시키기 위해 수행하는

연구개발활동에 초점을 맞추어야 하며 연구개발에 인접한 활동은 연구개발예산 편성

기준에 부합하는지의 여부에 초점을 맞추어야 함

일반적으로 OO기술 개발 OO연구기반 구축 등이 큰 범위의 연구개발활동이 되며 각

연구개발활동은 요소기술 개발 등의 세부 연구개발활동으로 세분화될 수 있음

983734 산출 (Output)

산출은 연구개발활동을 통한 직접적인 결과물을 의미하며 각 활동별로 하나 이상의

산출이 존재할 수 있음

일반적으로 연구개발활동으로 개발된 기술 정보 데이터 제품 서비스 등이 해당되며

이 각각의 산출물은 정량적으로 수량 규모 범위 등이 제시되어야 함

- 기초연구사업에서 개발된 기술에 대한 논문과 특허도 산출물에 해당

19

Ⅳ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983735 성과영향 (OutcomeImpact)

성과는 사업의 목표와 접한 관련이 있으며 사업 추진에 따른 변화나 사업결과

(output)의 활용을 통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의도된 결과이며 영향은 성과의

확산으로 인해 미래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직간접적 변화 및 파급효과를 의미

- 일반적으로 연구개발사업의 단계 구분이나 관련 문헌에서 제시된 논리모형에서는

성과와 영향을 별도 항목으로 고려하기도 하지만 사업의 착수 전에 수행되는 사전

평가에서 성과와 영향을 구분하여 검토하는 것은 실효성이 낮으므로11) 성과와 영향을

종합하여 검토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의 경제성 분석은 국가연구개발사업으로 인한 직접적인

경제적 성과를 추정하는 것임

983736 가정 (Assumption)

사업계획은 그 자체가 기획된 대로 수행하면 기대하는 결과가 생성될 것이라는 가설이며

가정은 사업의 유효성에 대한 믿음임

가정은 사업 추진 시 논리모형의 각 항목별로 발생할 상황과 변화에 대한 기대나 예측을

의미

가정은 사업 수행에 직접적으로 관련 있는 것으로 한정되어야 하며 사업의 성공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외부요인들도 가정에 포함될 수 있음

- 이러한 외부요인으로는 환경 조건 법 규정 원칙 한계 믿음 위험 등이 될 수 있음

11) 사업으로 인한 성과와 영향은 종료평가와 추적평가를 통해 구체적인 평가가 가능함

20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사업계획은 적절한 기획을 통해 도출되어야 하며 기획과정 중에 논리모형을 통해

논리적인 비약을 배제함으로써 사업계획의 합리성을 확보할 수 있음

기획은 최적의 수단으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미래에 취할 행동을 위한 일련의

결정을 준비하는 계획적 과정임

충분한 고민과 의견 수렴을 통해 기획이 잘 이루어지면 사업 추진과 결과의 부실화를

미연에 방지하고 성공가능성을 높일 수 있음

논리모형은 기획과정의 각 시점에서 그 당시까지 구체화된 항목을 하나하나 채워나감

으로써 가시적인 논리의 확인과 기획참여자들 간의 소통과 이해 및 의견 수렴에 유용함

사업의 기획이 완료된 후에는 완성된 논리모형을 예산당국 주무부처와 같은 이해

관계자와 사업계획 평가자에게 제시하여 사업의 거시적인 작동논리를 이해시키고 예산

확보를 위해 설득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음

사업의 착수시점에 해당 사업에 대한 체계화된 정보가 없을 경우에는 후속관리가

부실화되기 쉬우므로 사업계획의 충실한 수립은 매우 중요함

전반적인 추진논리를 확보하기 위해 바람직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절차는

lt그림 6gt과 같이 제시될 수 있음

21

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lt그림 6gt 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정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4) 연구개발부문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제2판)

사업을 기획하기 위해서는 우선 대규모 신규 사업의 추진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이슈

또는 문제가 무엇인지 먼저 파악되어야 함

- 동향조사 예측조사 설문조사 인터뷰 통계분석 등 다양한 분석방법을 통해 적절한

범위 내에서 이슈문제를 식별한 후 기획 의도를 고려한 합리적인 평가기준을 적용하여

사업에서 집중하고자 하는 문제를 선택해야 함

- 선택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연구개발사업이 세금 자금 인력 지원 등 다른

대안과 비교할 때 가장 효율적인 방법인지 검토되어야 함

정부의 연구개발사업 추진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가 정의되면 사업을 통해 얻고자 하는

성과가 무엇인지 구체적이고 객관적으로 제시해야 함

- 이를 위해서는 사업의 성과물이 전달되는 수혜 대상이 명확히 정의되어야 함

사업목표가 설정되면 이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추진체계와 추진전략이 수립되어야 함

22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 추진체계는 다양한 참여주체의 분석을 통해 적절한 역할과 조정 협력관계 등을

조직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함

- 추진전략은 사업 및 기술 환경의 특성 분석을 통해 목표 달성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연구개발전략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함

세부과제의 구성을 완료하여 사업기간과 총사업비 그리고 필요한 장비와 시설 등 신규

구축할 인프라의 규모를 도출함

- 세부과제는 기본적으로 사업목표와 직접적으로 연계되어야 함 즉 세부과제가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사업목표가 달성될 수 있도록 구성할 필요

- 기술수요조사와 시설장비수요조사와 같은 시장이나 사회적 수요를 반영한 후보과제를

도출한 후 사업목표의 달성을 위한 전략적 방향을 고려한 기준과 가중치가 적용된

우선순위 선정절차를 거치는 것이 바람직함

- 선정된 세부과제는 목표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적절한 단위의 세부활동을 구성하고 사업

추진상의 기술개발 로드맵을 수립하며 각각의 세부 성과지표를 구체화함

- 세부활동이 구체화되면 활동별로 수행을 위한 비용 기간 조직 인프라 등의 자원 소요계획이

확립되며 이를 종합하여 전체 사업의 추진을 위해 필요한 투입자원의 총량을 도출함

수립된 사업계획 초안의 문제 정의 사업목표 설정 추진체계 및 추진전략 수립 세부과제

구성에 대한 재검토 및 보완을 통해 기획을 완료함

- 현실적으로 기획과정에서 모든 정보를 완벽하게 수집하고 분석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신규로 제안되는 사업과 유사한 선행사업이 없어 과거 사례의 참조에도 한계가 있을 수 있음

- 사업의 내용은 기획이 진행되면서 시간의 흐름과 함께 점진적으로 구체화12)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환류(feedback) 과정을 거쳐 사업계획을 보완하는 것이 중요함

- 환류 과정을 진행하기 전에 현재까지 기획된 사업계획에 대한 논리모형을 구성하여

전반적인 사업의 작동논리가 설득력 있게 기획되었는지 확인하고 환류 과정을 통해

보완된 사업계획에 대한 논리모형도 검토하는 것이 바람직함

12) PMI (2000) PMBOK Guide

23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가상의 사례를 통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을 설명하고자 함

lt그림 7gt은 가상의 국가연개구발사업에 대해 작성된 논리모형임

1 이슈 문제

ㅇ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시장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나 정부의 투자는 산발적이고 일회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해외 의존도가 증대되고 있음

- 클러스터 형태의 실증사업 추진 필요

ㅇ A 융합기술ʼ 분야의 생태계 조성과 연계하고 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 클러스터를 구축하고 Z지역의 산업지역발전의 거점 역할을 하도록 할 필요

2 목표 3 수혜자

ㅇ ʻA 융합기술ʼ 신산업 허브 구축

- ʻA 융합기술ʼ 신산업 창출 선도 및 발전 기반 구축

- 지역거점형 ʻA 융합기술ʼ 실증사업 중심 산업화 지원

- ʻA 융합기술ʼ 산학연 협력 및 비즈니스 협업체계 구축

ㅇA 융합기술 분야 기업

ㅇ국민공공기관

4 투입 5 활동 6 산출 7 성과 영향

ㅇ사업비 OO억 원

ㅇ연구인력

ㅇ ʻA 융합기술ʼ 통합

센터 구축

ㅇ실증사업

- B C D E 4개

산업 분야

ㅇB C D E 등 4개

산업 분야

ʻA 융합기술ʼ 시스템

ㅇ ʻA 융합기술ʼ 기반

융합산업의 생산성

증대

ㅇZ지역의 지역경제

발전

8 가정

ㅇ ʻA 융합기술ʼ 신산업 강화는 국가 발전의 원동력으로 작용할 것임

ㅇ지역 착형 거점 구축을 통해 기술발전을 선도하고 관련 산업 육성을 도모하며 지역산업 활성화를 도모할 것임

lt그림 7gt 가상의 사업계획에 기반한 논리모형 작성의 사례

24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사업에 대한 사전평가에서 논리모형은 사업의 거시적인 작동논리의 분석을 통해 주요

쟁점을 도출하기 위해 활용됨

논리모형에는 사업계획의 핵심 내용만 기재되므로 논리모형 분석은 세부내용의 상세한

적부 분석이 아닌 이슈 목표 활동으로 이어지는 사업의 주요 작동논리 분석과 세 항목 간의

논리적 연계성 분석이 주로 이루어짐

시장 수요나 전망 현장의 이슈를 고려하지 않고 적절한 기획과정도 거치치 않은 채 소수의

기획주체가 ʻ하고 싶고 할 수 있는ʼ 과제를 먼저 선정해 놓고 사업을 기획하여 전체적인

사업 작동논리가 부실한 경우가 많으므로 이러한 쟁점 여부의 파악을 위해 활용함

가상의 사업계획에서 제시한 이슈(983729)는 신규 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는 이유를 설명하는

문제 정의로서 적절치 않음

최근 2~3년전부터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다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들이 다수 착수되어

추진되고 있으므로 산발적일회적이라는 주장은 사실과 다름

ʻA 융합기술ʼ 분야는 현재 국내 기업에서 사업화를 추진 중인 분야이고 기업들의 기술 수준도

상대적으로 높으므로 해외의존도를 언급하는 것은 부적절함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시장이 확대될 것이라는 예측은 적절하지만 이러한 내용은 누구나

알고 있는 일반적인 사항이며 동 사업 내에서 실증을 하고자 하는 세부 산업 분야(B C

D E 산업)에서의 ʻA 융합기술ʼ의 시장 동향 전망과 데이터에 근거한 분석은 이루어지지

않음

대형 실증사업 추진을 위해서는 사업의 성과에 대한 구체적 근거 마련을 위해 사전 연구나

조사를 통한 성과 데이터의 구축이 필요하나 실증사업의 추진 필요성과 유효성을 설명

할 수 있는 근거자료가 부재함

Z지역에는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연구 및 산업기반이 국내에서도 상대적으로 미약하여

산업 클러스터가 형성될 가능성이 낮고 국가적인 차원의 활용도 관점에서 해당 지역에의

거점 구축의 당위성은 낮음

25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기획의 Tip

국가적인 차원에서 연구개발사업을 통해서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를 구체적이고 명확히 정의

- 현재 또는 미래에 어떤 문제가 있거나 발생할 것이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

개발사업을 구상하게 되었는지 제시

-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광범위한 이슈의 제기는 무의미

- 국내외의 각종 통계 보고서 정책자료 시장보고서 전문가 및 실무자 인터뷰 등 근거자료를

통해 구체화되고 특정화된 문제를 제시

- 특정 주체나 지역이 아닌 국가적인 차원의 문제를 제시해야 하며 해당 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지 않으면 국가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나 잃게 되는 기회가 무엇인지를 설명

- 지역기반 구축은 국가적인 필요성과 함께 전국에서 해당 지역이 기반 구축의 최적지임을

입증할 수 있는 근거가 필요

사업목표(983730)를 제시하였으나 선언적인 내용에 불과하며 성과지표의 구체화가 미흡하여

문제 해결 정도를 측정하기 어려움

동 사업에서는 광범위한 ʻA 융합기술ʼ의 적용 분야 중 소수의 분야만을 다루는 반면

사업목표는 사업 내용에 비해 지나치게 일반적이고 광범위하게 수립됨

동 사업은 상호 연관성이 낮은 여러 세부사업을 단일 사업 내에 포함시켜 전체 사업 수준의

거시적인 성과목표 제시가 어려운 한계가 있음

앞서 각 세부사업별로 해당 산업 분야의 문제 정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사업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와 성과가 불문명하며 이에 따라 성과지표를 정량적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하여 목표 달성 여부의 측정방법도 불분명함

26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기획의 Tip

관리 가능성의 관점에서 사업목표는 SMART하게 제시

- 구체적이고(Specific) 측정가능하며(Measurable) 달성가능하고(Achievable) 문제 활동과 연관성이 있으며(Relevant) 시간제약이 있도록(Time-bound)가 있도록 수립

해결해야 할 문제(983729)와 사업목표(983730) 간에 괴리가 존재하여 둘 간의 연계성은 미흡함

해결해야 할 이슈로 제시한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일반적인 문제들을 사업목표로 제시한

지역 착형 사업을 통해 해소하고자 함은 연계성이 낮음

문제 정의 자체가 세부 산업분야별 시장 전망 또는 현장의 이슈 분석을 통해 구체적으로

도출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를 해소하기 위해 달성할 사업목표의 설정도 어려운 한계가

있으며 동 사업의 추진으로 국내외에서 어느 정도의 성과를 거둘 수 있을지도 예상할 수

없음

제시된 4가지 실증사업은 공공 영역부터 민간의 사업화가 활발한 영역까지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어 시너지 효과 창출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됨

기획의 Tip

사업목표의 범위는 제시된 이슈문제의 범위와 일치해야 하며 사업목표를 달성하면 이슈문제가 어느 정도 해결되는지를 보여줄 수 있도록 사업목표를 수립

세부 실증사업을 통해 개발될 제품(시스템)의 사용자(구매자)까지 수혜자로 포함시켜

수혜자(983731)의 표적화가 부적절함

동 사업을 통해 제품을 개발하여 사업 종료 후 해당 제품의 판매를 통해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할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기업들이 동 사업의 직접적 수혜자임

27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동 사업은 A 융합기술ʼ 분야의 실증을 통한 시스템 개발로 종료되며 제품을 최종사용자

에게까지 보급하는 것은 사업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여러 단계 이후의 최종사용자를

동 사업의 수혜자로 제시하는 것은 부적절함

기획의 Tip

사업목표와 범위에 맞는 수혜자를 제시

- 성과확산단계에 따라 수혜자를 구분하여 제시할 수는 있으나 사업성과를 통해 직접적 경제적

수혜를 받는 주체만 경제성 분석의 대상이 됨

세부활동(983733)은 사업목표(983730)와 개념적으로는 일부 연계성이 있음

산업 분야에 A 융합기술ʼ의 접목하기 위한 실증사업의 추진이 동 사업의 주요 내용이므로

관련 신산업을 창출하고자 하는 사업의 목표와는 개념적으로 연계성이 있음

B C 분야는 사업목표와 관련성이 있고 구축되는 통합센터와 정보 공유도 가능할 것이나

D E 분야는 독립적이며 사업목표와의 연계성도 낮아 동일 사업 내에서 추진할 필요성

및 통합센터 구축의 필요성도 모호함

기획의 Tip

세부활동(세부사업 또는 과제)을 수행하면 제시된 사업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세부

활동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문제 해결 및 사업목표 달성과 연관성이 낮은 활동은 제외

- 사업목표 달성과 관련 없는 과제의 포함 불요불급한 시설 및 장비의 구축 필요 이상으로 부풀린

사업비의 요구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는 주요 요인임

이 외의 항목들은 거시적인 작동논리나 연계성에 대한 검토보다는 세부내용의 적부 분석을 수행함

투입(983732)과 산출(983734)은 활동의 상세한 분석을 통해 적절성을 분석

성과영향(983735)은 사업목표와 활동 산출의 상세한 분석을 통해 적절성을 분석

가정(983736)은 별도의 분석보다는 이슈 목표 활동과 연계하여 분석

28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Ⅶ 맺음말

사업의 직접적인 이해관계자는 해당 사업의 긍정적인 측면만 생각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사업 기획주체는 신규 사업의 기획 시 객관적인 시각에서 사업계획을 조망하고 보완하기 위해

논리모형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ʻ왜 해야 하는지ʼ ʻ어떠한 결과를 내려고 하는지ʼ ʻ무엇을 어떻게 하려고 하는지ʼ가

논리적으로 연계가 되어 설득력을 확보해야 함

사업의 착수 전에 문서뿐인 사업계획서를 분석하여 사전에 평가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나

논리모형을 활용한 사업의 작동논리와 추진과정의 객관적인 분석을 통해 기획단계의

오류로 인한 사업의 부실화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

제도적인 측면에서 평가결과의 일관성 확보를 위해 사전평가의 방법으로 논리모형

분석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함13)

본 이슈페이퍼에서는 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을 설명

하였으며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추진단계 및 종료단계에 적절한 논리모형의 개발 및 활용도

고려할 필요

사업 추진 중의 사업관리 또는 중간평가 시에는 투입 rarr 활동 rarr 산출 등 사업 추진과정을

확대하여 집중적으로 분석하는 특히 활동을 더 세부적으로 구분한 논리모형이 필요함

- 사업별 특성에 부합하도록 단계별 연차별 세부과제(기술)별로 마일스톤이 포함된

논리모형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는 사업 추진 로드맵을 포함하는 형태가 될 것임

사업 종료 시의 성과확산 전략 수립이나 종료평가 또는 그 이후의 추적평가 시에는 산출

rarr 성과 rarr 영향의 사업성과 확산과정을 집중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논리모형을 구성할 수 있음

- 성과의 확산은 해당 연구개발사업 이후에 이루어지므로 동 논리모형의 구성은 성과의

극대화를 위한 성과확산사업의 기획과정으로도 볼 수 있음

논리모형 활용의 확산을 통해 국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역량을 제고하고 사업계획의

완성도를 높여 사업의 성공가능성을 제고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함

13)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에서는 이를 필수적으로 활용하도록 하고 있음

29

참 고 문 헌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 고 문 헌

국가과학기술위원회 (2011) 정부RampD 투자 효율화 추진계획

노화준 (2008) 정책평가론

미래창조과학부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 대통령령 제26729호

미래창조과학부 (2013) 국가연구개발사업 표준성과지표 ndash 성과목표지표 설정 가이드라인

미래창조과학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5) 2014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보고서

미래창조과학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5) 2014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4) 연구개발부문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제2판)

HM Treasury (2011) The Green Book Appraisal and Evaluation in Central Government

McLaughlin JA and Jordan GB (1999) ldquoLogic models a tool for telling your programrsquos

performance storyrdquo Evaluation and Program Planning 22 65~72

McLaughlin JA and Jordan GB (2010) ldquoUsing Logic Modelsrdquo in Joseph S Wholey

Harry P Hatry and Kathryn E Newcomer(eds) Handbook of Practical Program

Evaluation(Third Edition) San Francisco Jossey-Bass 55~80

OECD (2015) Frascati Manual 2015

PMI (2000) PMBOK Guide

WK Kellogg Foundation (2004) Logic Model Development Guide

저자 소개

강 현 규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공공기술조사실장

- 전화 02-589-2813

- e-mail hkkangkisteprekr

KISTEP Issue Paper 2016-05

|발 행|2016년 5월

|발행인|박 영 아

|발행처|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서울시 서초구 마방로 68(양재동) 동원산업빌딩 9층~12층

전화 02) 589-2200 팩스 02) 589-2222

httpwwwkisteprekr

|인쇄처|(주)비전테크시스템즈 [TEL02)3432-7132]

10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사업 평가단계에서는 공정하고 객관적인 평가와 이를 위한 정보제공이 필요하므로 성과

접근모형(Outcome approach model)이 적용됨

- 이 모형은 투입-활동-결과-성과-영향 사이의 논리적 개연성과 단계별 가정의 유효성을

확인하여 성과를 도출하기 위한 사업의 원활한 작동 가능성을 점검하는데 유용함

논리모형의 형태가 정형화된 것은 없으며 정보의 종류와 수준에 따라 기본항목으로

구성된 모형부터 세부적으로 구체화된 논리모형까지 다양한 형태로 구성이 가능함

사업의 추진단계 및 활용목적에 따라 강조하려는 사항이 다르므로 필요에 따라 다른

형태의 논리모형을 구성할 수 있음

lt그림 1gt과 같은 형태의 논리모형은 사업의 기획단계 및 사전평가 시 사업의 추진당위성

파악에 유용한 형태의 논리모형임

- 동 논리모형은 사업의 추진과정과 결과보다는 사업의 추진논리를 중점적으로 기술

- ʻ문제이슈(ProblemIssue)ʼ 항목에서는 연구개발사업을 통해 해결하거나 대처하고자

하는 문제를 설명

- ʻ사회적 수요자산(Community NeedsAssets)ʼ 항목에서는 문제이슈 관련 수요와

이의 해결을 위해 활용 가능한 사회적인 자산을 서술

- ʻ희망하는 결과(Desired results)ʼ 항목에서는 연구개발사업이 실행된다면 단기장기적으로 달성하고자 하는 것을 서술

- ʻ영향요인(Influential factors)ʼ 항목에서는 사회의 변화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생각하는

요인들 예를 들어 우호적 요인 또는 위험 요인 정책 환경 기타 요인 등을 열거

- ʻ전략(Strategies)ʼ 항목에서는 사업을 통해 희망하는 결과의 달성에 도움이 될 성공전략

또는 모범사례(best practice)를 기술

- ʻ가정(Assumptions)ʼ 항목에서는 전략이 어떻게 작동할 것인지에 관한 가정을 서술

11

Ⅲ 사업계획과 논리모형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lt그림 1gt 논리모형의 사례 1

출처 WK Kellogg Foundation (2004) Logic Model Development Guide

lt그림 2gt~lt그림 4gt와 같은 형태의 논리모형은 사업의 추진과정 및 결과를 보여줄 수 있는

기본적인 논리모형들로서 사업의 작동과정 분석에 유용함

- ʻ투입ʼ 항목에서는 활동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자원을 기재

- ʻ활동ʼ 항목에서는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수행할 활동을 서술

- ʻ산출ʼ 항목에서는 사업의 추진 중 또는 종료 시 창출할 것으로 기대하는 산출물을 기재

- ʻ성과ʼ 항목에서는 사업이 종료된 후의 변화를 기술하며 필요시 사업 종료 직후와 5~6년

이내의 중기로도 구분하여 기술할 수도 있음

- ʻ영향ʼ 항목에서는 사업이 종료된 후 장기적으로 발생될 것으로 예상하는 변화를 기재

12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lt그림 2gt 논리모형의 사례 2

출처 WK Kellogg Foundation (2004) Logic Model Development Guide

lt그림 3gt 논리모형의 사례 3

출처 McLaughlin JA and Jordan GB (2010) ldquoUsing Logic Modelsrdquo Handbook

of Practical Program Evaluation(Third Edition)

13

Ⅲ 사업계획과 논리모형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lt그림 4gt 논리모형의 사례 4

출처 노화준 (2008) 정책평가론

lt그림 1gt의 논리모형과 lt그림 2gt~lt그림 4gt의 논리모형을 결합하면 사업의 추진논리와

함께 추진과정 및 결과를 함께 볼 수 있는 논리모형을 구성할 수 있음

- 이러한 아이디어에 바탕을 두어 본 이슈페이퍼의 4장에서 설명할 논리모형이 개발됨

14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Ⅳ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Ex-ante evaluation)인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

에서는 사업계획의 쟁점사항 도출을 위한 핵심 도구로서 논리모형을 개발하여 활용하고

있음

관련 문헌들과 기존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 사례를 바탕으로 활용하기 용이한

논리모형을 개발하여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제2판)에 수록

본 논리모형은 이론접근모형과 성과접근모형을 결합한 형태로서 수직적으로는(상하

방향) 사업 추진에 대한 논리의 흐름을 수평적으로는(좌우 방향) 사업의 추진과정을

나타내도록 하여 이해하기가 용이함

- 제시된 논리모형은 정형화된 것은 아니며 사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논리모형을

변형하여 활용할 수 있음

사업계획의 평가자는 사업계획을 충분히 파악하고 이해한 후 논리모형을 작성하여야 함

- 논리모형 작성 시 주의할 점은 논리모형의 각 항목의 내용은 대상사업에 대한 평가자의

생각이 아니라 사업 기획주체의 의도와 논리를 담아야 함

논리모형이 작성된 이후에는 작성된 논리모형의 각 항목별 적절성과 항목 간 논리 흐름상의

오류나 괴리가 없는지 분석하여 주요 쟁점사항을 도출한 후 세부적으로 분석을 수행

사업의 기획단계에서도 본 논리모형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음

15

Ⅳ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를 위해 개발된 논리모형의 구조와 각 항목별로 다루어지는

내용 및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음

1 이슈 문제

ㅇ사업 추진의 필요성을 설명할 수 있는 배경요인 과학기술적 산업적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국가적 수요와 도전과제 등

ㅇ해당 사업을 통해 해결하거나 대처하고자 하는 문제나 이슈ㅇ해당 사업 분야와 관련된 정책 다른 연구개발사업 및 과제의 현황 미래 예측 기술과 시장의 동향 및 전망 전문가

설문 통계 및 조사 데이터 등도 활용ㅇ사업을 추진하지 않을 경우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문제나 잃게 되는 기회는 무엇인가ㅇ이슈문제 해결을 위해 연구개발사업 이외의 대안전략은 없는가

2 목표 3 수혜자

ㅇ해당 사업의 추진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사업의 핵심 성과 - 문제 해결 정도의 측정이 가능하도록 정량적 성과지표 제시

ㅇ사업목표 달성이나 사업의 산출로 인해 직접적인 이익을 얻는 주체

4 투입 5 활동 6 산출 7 성과 영향

ㅇ연구개발활동에 필요한 모든 자원

- 사업비 - 인적 자원 - 시설 및 장비 - 연구주체 지식

ㅇ목표를 달성하고 산출 발생을 위해 수행하는 연구개발 활동

ㅇ연구개발활동에 의한 직접적인 결과물 - 기술 정보 제품

데이터 서비스 논문 특허 등

- 산출물의 수량 규모 범위 등을 정량적으로 제시

ㅇ사업을 통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의도된 결과나 변화

ㅇ성과의 확산으로 인해 미래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직간접적 변화 및 파급효과

8 가정

ㅇ사업 추진 시 단계별로 발생할 상황과 변화에 대한 기대나 예측 - ldquo~~하면 ~~할 것이다rdquo로 표현되는 가정문(if-then)을 주로 사용ㅇ사업의 성공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외부요인 환경 조건 법 규정 원칙 믿음 위험

lt그림 5gt 연구개발사업의 쟁점사항 도출을 위한 논리모형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4) 연구개발부문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제2판)

16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983729 이슈문제 (IssueProblem)

이슈문제는 해당 연구개발사업을 기획하게 된 배경을 설명하고 사업의 추진당위성을

부여하는 항목

동 항목에서는 대상사업과 관련된 분야에서 어떠한 이슈나 문제가 존재하며 이러한

이슈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연구개발사업의 추진이 가장 효과적인 전략인지를

설명할 수 있어야 함

- 이를 위해 해당 사업의 필요성을 설명할 수 있는 배경요인(contextural factor)이 기술

되어야 하며 배경요인들에는 과학기술적 산업적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국가적

수요와 도전과제 등이 포함됨

사업에서 대처하려는 이슈나 문제가 여러 가지 요인들로 인해 복잡하다면 해당 사업과

연관성이 가장 높고 중요한 요인들로 압축하여 선정해야 함

- 이러한 문제 정의 과정을 통해 사업에서 추구하려는 목표를 명확히 설정할 수 있음

정부부처에서 제안하는 대부분의 연구개발사업은 특정 세부분야를 대상으로 하므로

광범위한 연구분야나 산업분야의 일반적이고 진부한 이슈문제를 제시하는 것보다는

사업에서 제안하는 세부분야의 특성과 현황에 기반을 둔 구체적이고 핵심적인 이슈

문제를 선정하여 강조하여야 설득력을 확보할 수 있음

사업의 필요성을 설명하기 위해 사업의 분야와 관련된 정책과 연구개발사업 및 과제의

현황 미래 예측 기술과 시장의 동향 및 전망 전문가 설문조사 통계 및 조사 데이터를

적극 활용하는 것이 좋음

제안된 연구개발사업 이외에 도출된 이슈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다른 대안이나 전략이

없는지도 고려할 필요가 있음

해당 사업계획에 대한 평가자는 사업 기획주체가 제시한 문제 정의가 적절한지를

분석함으로써 사업 추진당위성이 확보되었는지를 평가

17

Ⅳ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983730 목표 (Objective)

목표는 해당 사업의 추진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사업의 핵심 성과를 의미함

목표는 해결하고자 하는 이슈문제와 관련이 있어야 하며 해당 사업을 통해 그 이슈

문제가 해결될 수 있어야 함

- 즉 사업목표는 해당 사업을 통해 이슈문제가 어느 정도로 해결될 수 있는지 측정이

가능하도록 정량적으로 제시되어야 함

목표는 구체적이어야 하며(Specific) 측정 가능해야 하고(Measurable) 달성 가능해야

하며(Achievable) 이슈 및 연구개발활동과 연관이 있고(Relevant) 기한이 정해진

(Time-bound) 것이어야 함(SMART)9)

- 목표는 사업이 달성하고자 하는 바를 의미하므로 ① 이슈문제 및 ⑦ 성과영향과

연계하여 분석

목표는 구체성과 계측가능성을 기준으로 볼 때 목적과는 구분되는 개념임

- 사전적인 의미에서 목적(目的)은 ʻ실현하려고 하는 일이나 나아가는 방향ʼ이며 목표

(目標)는 ʻ어떤 목적을 이루려고 지향하는 실제적 대상으로 삼음 또는 그 대상ʼ을 뜻함

- 즉 목적은 추상적이고 방향과 의도를 함축하는데 반하여 목표는 구체적이고 범위가

제한적이며 일반적으로 측정 가능한 수치로 표현됨

983731 수혜자 (Beneficiary)

사업으로 인해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이해관계자는 여러 유형이 있을 수 있으나

수혜자10)는 사업목표와 접한 관련이 있어야 함

9) HM Treasury (2011) The Green Book Appraisal and Evaluation in Central Government

10) 예비타당성조사에서의 수혜자는 사업 추진을 통해 자금을 지원받는 주체가 아니라 사업목표 달성이나 사업의 산출로

인해 직접적인 경제적 이익을 얻는 주체를 의미하며 경제성 분석은 이 수혜자가 얻게 되는 직접적인 경제적 편익을

기준으로 분석함

18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983732 투입 (Input)

투입은 연구개발활동에 필요한 모든 자원을 의미

- 투입의 기본 항목은 재정적 자원과 인적 자원이며 연구시설middot장비 연구수행주체 관련

지식 등이 투입에 해당

- 해당 사업에서 활용될 기존 사업의 산출과 성과도 투입에 포함될 수 있음

사업이 충실하게 기획되면 희망하는 결과를 얻기 위한 최소의 물량규모가 정량적으로

산출될 수 있음

- 실무적으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에서 투입에 해당하는 물량규모는

총사업비라는 형태로 표현됨

983733 활동 (Activity)

국가연구개발사업에서의 활동은 목표를 달성하고 산출을 발생시키기 위해 수행하는

연구개발활동에 초점을 맞추어야 하며 연구개발에 인접한 활동은 연구개발예산 편성

기준에 부합하는지의 여부에 초점을 맞추어야 함

일반적으로 OO기술 개발 OO연구기반 구축 등이 큰 범위의 연구개발활동이 되며 각

연구개발활동은 요소기술 개발 등의 세부 연구개발활동으로 세분화될 수 있음

983734 산출 (Output)

산출은 연구개발활동을 통한 직접적인 결과물을 의미하며 각 활동별로 하나 이상의

산출이 존재할 수 있음

일반적으로 연구개발활동으로 개발된 기술 정보 데이터 제품 서비스 등이 해당되며

이 각각의 산출물은 정량적으로 수량 규모 범위 등이 제시되어야 함

- 기초연구사업에서 개발된 기술에 대한 논문과 특허도 산출물에 해당

19

Ⅳ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983735 성과영향 (OutcomeImpact)

성과는 사업의 목표와 접한 관련이 있으며 사업 추진에 따른 변화나 사업결과

(output)의 활용을 통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의도된 결과이며 영향은 성과의

확산으로 인해 미래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직간접적 변화 및 파급효과를 의미

- 일반적으로 연구개발사업의 단계 구분이나 관련 문헌에서 제시된 논리모형에서는

성과와 영향을 별도 항목으로 고려하기도 하지만 사업의 착수 전에 수행되는 사전

평가에서 성과와 영향을 구분하여 검토하는 것은 실효성이 낮으므로11) 성과와 영향을

종합하여 검토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의 경제성 분석은 국가연구개발사업으로 인한 직접적인

경제적 성과를 추정하는 것임

983736 가정 (Assumption)

사업계획은 그 자체가 기획된 대로 수행하면 기대하는 결과가 생성될 것이라는 가설이며

가정은 사업의 유효성에 대한 믿음임

가정은 사업 추진 시 논리모형의 각 항목별로 발생할 상황과 변화에 대한 기대나 예측을

의미

가정은 사업 수행에 직접적으로 관련 있는 것으로 한정되어야 하며 사업의 성공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외부요인들도 가정에 포함될 수 있음

- 이러한 외부요인으로는 환경 조건 법 규정 원칙 한계 믿음 위험 등이 될 수 있음

11) 사업으로 인한 성과와 영향은 종료평가와 추적평가를 통해 구체적인 평가가 가능함

20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사업계획은 적절한 기획을 통해 도출되어야 하며 기획과정 중에 논리모형을 통해

논리적인 비약을 배제함으로써 사업계획의 합리성을 확보할 수 있음

기획은 최적의 수단으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미래에 취할 행동을 위한 일련의

결정을 준비하는 계획적 과정임

충분한 고민과 의견 수렴을 통해 기획이 잘 이루어지면 사업 추진과 결과의 부실화를

미연에 방지하고 성공가능성을 높일 수 있음

논리모형은 기획과정의 각 시점에서 그 당시까지 구체화된 항목을 하나하나 채워나감

으로써 가시적인 논리의 확인과 기획참여자들 간의 소통과 이해 및 의견 수렴에 유용함

사업의 기획이 완료된 후에는 완성된 논리모형을 예산당국 주무부처와 같은 이해

관계자와 사업계획 평가자에게 제시하여 사업의 거시적인 작동논리를 이해시키고 예산

확보를 위해 설득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음

사업의 착수시점에 해당 사업에 대한 체계화된 정보가 없을 경우에는 후속관리가

부실화되기 쉬우므로 사업계획의 충실한 수립은 매우 중요함

전반적인 추진논리를 확보하기 위해 바람직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절차는

lt그림 6gt과 같이 제시될 수 있음

21

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lt그림 6gt 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정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4) 연구개발부문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제2판)

사업을 기획하기 위해서는 우선 대규모 신규 사업의 추진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이슈

또는 문제가 무엇인지 먼저 파악되어야 함

- 동향조사 예측조사 설문조사 인터뷰 통계분석 등 다양한 분석방법을 통해 적절한

범위 내에서 이슈문제를 식별한 후 기획 의도를 고려한 합리적인 평가기준을 적용하여

사업에서 집중하고자 하는 문제를 선택해야 함

- 선택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연구개발사업이 세금 자금 인력 지원 등 다른

대안과 비교할 때 가장 효율적인 방법인지 검토되어야 함

정부의 연구개발사업 추진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가 정의되면 사업을 통해 얻고자 하는

성과가 무엇인지 구체적이고 객관적으로 제시해야 함

- 이를 위해서는 사업의 성과물이 전달되는 수혜 대상이 명확히 정의되어야 함

사업목표가 설정되면 이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추진체계와 추진전략이 수립되어야 함

22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 추진체계는 다양한 참여주체의 분석을 통해 적절한 역할과 조정 협력관계 등을

조직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함

- 추진전략은 사업 및 기술 환경의 특성 분석을 통해 목표 달성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연구개발전략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함

세부과제의 구성을 완료하여 사업기간과 총사업비 그리고 필요한 장비와 시설 등 신규

구축할 인프라의 규모를 도출함

- 세부과제는 기본적으로 사업목표와 직접적으로 연계되어야 함 즉 세부과제가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사업목표가 달성될 수 있도록 구성할 필요

- 기술수요조사와 시설장비수요조사와 같은 시장이나 사회적 수요를 반영한 후보과제를

도출한 후 사업목표의 달성을 위한 전략적 방향을 고려한 기준과 가중치가 적용된

우선순위 선정절차를 거치는 것이 바람직함

- 선정된 세부과제는 목표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적절한 단위의 세부활동을 구성하고 사업

추진상의 기술개발 로드맵을 수립하며 각각의 세부 성과지표를 구체화함

- 세부활동이 구체화되면 활동별로 수행을 위한 비용 기간 조직 인프라 등의 자원 소요계획이

확립되며 이를 종합하여 전체 사업의 추진을 위해 필요한 투입자원의 총량을 도출함

수립된 사업계획 초안의 문제 정의 사업목표 설정 추진체계 및 추진전략 수립 세부과제

구성에 대한 재검토 및 보완을 통해 기획을 완료함

- 현실적으로 기획과정에서 모든 정보를 완벽하게 수집하고 분석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신규로 제안되는 사업과 유사한 선행사업이 없어 과거 사례의 참조에도 한계가 있을 수 있음

- 사업의 내용은 기획이 진행되면서 시간의 흐름과 함께 점진적으로 구체화12)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환류(feedback) 과정을 거쳐 사업계획을 보완하는 것이 중요함

- 환류 과정을 진행하기 전에 현재까지 기획된 사업계획에 대한 논리모형을 구성하여

전반적인 사업의 작동논리가 설득력 있게 기획되었는지 확인하고 환류 과정을 통해

보완된 사업계획에 대한 논리모형도 검토하는 것이 바람직함

12) PMI (2000) PMBOK Guide

23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가상의 사례를 통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을 설명하고자 함

lt그림 7gt은 가상의 국가연개구발사업에 대해 작성된 논리모형임

1 이슈 문제

ㅇ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시장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나 정부의 투자는 산발적이고 일회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해외 의존도가 증대되고 있음

- 클러스터 형태의 실증사업 추진 필요

ㅇ A 융합기술ʼ 분야의 생태계 조성과 연계하고 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 클러스터를 구축하고 Z지역의 산업지역발전의 거점 역할을 하도록 할 필요

2 목표 3 수혜자

ㅇ ʻA 융합기술ʼ 신산업 허브 구축

- ʻA 융합기술ʼ 신산업 창출 선도 및 발전 기반 구축

- 지역거점형 ʻA 융합기술ʼ 실증사업 중심 산업화 지원

- ʻA 융합기술ʼ 산학연 협력 및 비즈니스 협업체계 구축

ㅇA 융합기술 분야 기업

ㅇ국민공공기관

4 투입 5 활동 6 산출 7 성과 영향

ㅇ사업비 OO억 원

ㅇ연구인력

ㅇ ʻA 융합기술ʼ 통합

센터 구축

ㅇ실증사업

- B C D E 4개

산업 분야

ㅇB C D E 등 4개

산업 분야

ʻA 융합기술ʼ 시스템

ㅇ ʻA 융합기술ʼ 기반

융합산업의 생산성

증대

ㅇZ지역의 지역경제

발전

8 가정

ㅇ ʻA 융합기술ʼ 신산업 강화는 국가 발전의 원동력으로 작용할 것임

ㅇ지역 착형 거점 구축을 통해 기술발전을 선도하고 관련 산업 육성을 도모하며 지역산업 활성화를 도모할 것임

lt그림 7gt 가상의 사업계획에 기반한 논리모형 작성의 사례

24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사업에 대한 사전평가에서 논리모형은 사업의 거시적인 작동논리의 분석을 통해 주요

쟁점을 도출하기 위해 활용됨

논리모형에는 사업계획의 핵심 내용만 기재되므로 논리모형 분석은 세부내용의 상세한

적부 분석이 아닌 이슈 목표 활동으로 이어지는 사업의 주요 작동논리 분석과 세 항목 간의

논리적 연계성 분석이 주로 이루어짐

시장 수요나 전망 현장의 이슈를 고려하지 않고 적절한 기획과정도 거치치 않은 채 소수의

기획주체가 ʻ하고 싶고 할 수 있는ʼ 과제를 먼저 선정해 놓고 사업을 기획하여 전체적인

사업 작동논리가 부실한 경우가 많으므로 이러한 쟁점 여부의 파악을 위해 활용함

가상의 사업계획에서 제시한 이슈(983729)는 신규 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는 이유를 설명하는

문제 정의로서 적절치 않음

최근 2~3년전부터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다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들이 다수 착수되어

추진되고 있으므로 산발적일회적이라는 주장은 사실과 다름

ʻA 융합기술ʼ 분야는 현재 국내 기업에서 사업화를 추진 중인 분야이고 기업들의 기술 수준도

상대적으로 높으므로 해외의존도를 언급하는 것은 부적절함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시장이 확대될 것이라는 예측은 적절하지만 이러한 내용은 누구나

알고 있는 일반적인 사항이며 동 사업 내에서 실증을 하고자 하는 세부 산업 분야(B C

D E 산업)에서의 ʻA 융합기술ʼ의 시장 동향 전망과 데이터에 근거한 분석은 이루어지지

않음

대형 실증사업 추진을 위해서는 사업의 성과에 대한 구체적 근거 마련을 위해 사전 연구나

조사를 통한 성과 데이터의 구축이 필요하나 실증사업의 추진 필요성과 유효성을 설명

할 수 있는 근거자료가 부재함

Z지역에는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연구 및 산업기반이 국내에서도 상대적으로 미약하여

산업 클러스터가 형성될 가능성이 낮고 국가적인 차원의 활용도 관점에서 해당 지역에의

거점 구축의 당위성은 낮음

25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기획의 Tip

국가적인 차원에서 연구개발사업을 통해서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를 구체적이고 명확히 정의

- 현재 또는 미래에 어떤 문제가 있거나 발생할 것이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

개발사업을 구상하게 되었는지 제시

-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광범위한 이슈의 제기는 무의미

- 국내외의 각종 통계 보고서 정책자료 시장보고서 전문가 및 실무자 인터뷰 등 근거자료를

통해 구체화되고 특정화된 문제를 제시

- 특정 주체나 지역이 아닌 국가적인 차원의 문제를 제시해야 하며 해당 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지 않으면 국가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나 잃게 되는 기회가 무엇인지를 설명

- 지역기반 구축은 국가적인 필요성과 함께 전국에서 해당 지역이 기반 구축의 최적지임을

입증할 수 있는 근거가 필요

사업목표(983730)를 제시하였으나 선언적인 내용에 불과하며 성과지표의 구체화가 미흡하여

문제 해결 정도를 측정하기 어려움

동 사업에서는 광범위한 ʻA 융합기술ʼ의 적용 분야 중 소수의 분야만을 다루는 반면

사업목표는 사업 내용에 비해 지나치게 일반적이고 광범위하게 수립됨

동 사업은 상호 연관성이 낮은 여러 세부사업을 단일 사업 내에 포함시켜 전체 사업 수준의

거시적인 성과목표 제시가 어려운 한계가 있음

앞서 각 세부사업별로 해당 산업 분야의 문제 정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사업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와 성과가 불문명하며 이에 따라 성과지표를 정량적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하여 목표 달성 여부의 측정방법도 불분명함

26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기획의 Tip

관리 가능성의 관점에서 사업목표는 SMART하게 제시

- 구체적이고(Specific) 측정가능하며(Measurable) 달성가능하고(Achievable) 문제 활동과 연관성이 있으며(Relevant) 시간제약이 있도록(Time-bound)가 있도록 수립

해결해야 할 문제(983729)와 사업목표(983730) 간에 괴리가 존재하여 둘 간의 연계성은 미흡함

해결해야 할 이슈로 제시한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일반적인 문제들을 사업목표로 제시한

지역 착형 사업을 통해 해소하고자 함은 연계성이 낮음

문제 정의 자체가 세부 산업분야별 시장 전망 또는 현장의 이슈 분석을 통해 구체적으로

도출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를 해소하기 위해 달성할 사업목표의 설정도 어려운 한계가

있으며 동 사업의 추진으로 국내외에서 어느 정도의 성과를 거둘 수 있을지도 예상할 수

없음

제시된 4가지 실증사업은 공공 영역부터 민간의 사업화가 활발한 영역까지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어 시너지 효과 창출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됨

기획의 Tip

사업목표의 범위는 제시된 이슈문제의 범위와 일치해야 하며 사업목표를 달성하면 이슈문제가 어느 정도 해결되는지를 보여줄 수 있도록 사업목표를 수립

세부 실증사업을 통해 개발될 제품(시스템)의 사용자(구매자)까지 수혜자로 포함시켜

수혜자(983731)의 표적화가 부적절함

동 사업을 통해 제품을 개발하여 사업 종료 후 해당 제품의 판매를 통해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할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기업들이 동 사업의 직접적 수혜자임

27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동 사업은 A 융합기술ʼ 분야의 실증을 통한 시스템 개발로 종료되며 제품을 최종사용자

에게까지 보급하는 것은 사업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여러 단계 이후의 최종사용자를

동 사업의 수혜자로 제시하는 것은 부적절함

기획의 Tip

사업목표와 범위에 맞는 수혜자를 제시

- 성과확산단계에 따라 수혜자를 구분하여 제시할 수는 있으나 사업성과를 통해 직접적 경제적

수혜를 받는 주체만 경제성 분석의 대상이 됨

세부활동(983733)은 사업목표(983730)와 개념적으로는 일부 연계성이 있음

산업 분야에 A 융합기술ʼ의 접목하기 위한 실증사업의 추진이 동 사업의 주요 내용이므로

관련 신산업을 창출하고자 하는 사업의 목표와는 개념적으로 연계성이 있음

B C 분야는 사업목표와 관련성이 있고 구축되는 통합센터와 정보 공유도 가능할 것이나

D E 분야는 독립적이며 사업목표와의 연계성도 낮아 동일 사업 내에서 추진할 필요성

및 통합센터 구축의 필요성도 모호함

기획의 Tip

세부활동(세부사업 또는 과제)을 수행하면 제시된 사업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세부

활동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문제 해결 및 사업목표 달성과 연관성이 낮은 활동은 제외

- 사업목표 달성과 관련 없는 과제의 포함 불요불급한 시설 및 장비의 구축 필요 이상으로 부풀린

사업비의 요구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는 주요 요인임

이 외의 항목들은 거시적인 작동논리나 연계성에 대한 검토보다는 세부내용의 적부 분석을 수행함

투입(983732)과 산출(983734)은 활동의 상세한 분석을 통해 적절성을 분석

성과영향(983735)은 사업목표와 활동 산출의 상세한 분석을 통해 적절성을 분석

가정(983736)은 별도의 분석보다는 이슈 목표 활동과 연계하여 분석

28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Ⅶ 맺음말

사업의 직접적인 이해관계자는 해당 사업의 긍정적인 측면만 생각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사업 기획주체는 신규 사업의 기획 시 객관적인 시각에서 사업계획을 조망하고 보완하기 위해

논리모형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ʻ왜 해야 하는지ʼ ʻ어떠한 결과를 내려고 하는지ʼ ʻ무엇을 어떻게 하려고 하는지ʼ가

논리적으로 연계가 되어 설득력을 확보해야 함

사업의 착수 전에 문서뿐인 사업계획서를 분석하여 사전에 평가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나

논리모형을 활용한 사업의 작동논리와 추진과정의 객관적인 분석을 통해 기획단계의

오류로 인한 사업의 부실화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

제도적인 측면에서 평가결과의 일관성 확보를 위해 사전평가의 방법으로 논리모형

분석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함13)

본 이슈페이퍼에서는 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을 설명

하였으며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추진단계 및 종료단계에 적절한 논리모형의 개발 및 활용도

고려할 필요

사업 추진 중의 사업관리 또는 중간평가 시에는 투입 rarr 활동 rarr 산출 등 사업 추진과정을

확대하여 집중적으로 분석하는 특히 활동을 더 세부적으로 구분한 논리모형이 필요함

- 사업별 특성에 부합하도록 단계별 연차별 세부과제(기술)별로 마일스톤이 포함된

논리모형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는 사업 추진 로드맵을 포함하는 형태가 될 것임

사업 종료 시의 성과확산 전략 수립이나 종료평가 또는 그 이후의 추적평가 시에는 산출

rarr 성과 rarr 영향의 사업성과 확산과정을 집중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논리모형을 구성할 수 있음

- 성과의 확산은 해당 연구개발사업 이후에 이루어지므로 동 논리모형의 구성은 성과의

극대화를 위한 성과확산사업의 기획과정으로도 볼 수 있음

논리모형 활용의 확산을 통해 국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역량을 제고하고 사업계획의

완성도를 높여 사업의 성공가능성을 제고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함

13)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에서는 이를 필수적으로 활용하도록 하고 있음

29

참 고 문 헌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 고 문 헌

국가과학기술위원회 (2011) 정부RampD 투자 효율화 추진계획

노화준 (2008) 정책평가론

미래창조과학부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 대통령령 제26729호

미래창조과학부 (2013) 국가연구개발사업 표준성과지표 ndash 성과목표지표 설정 가이드라인

미래창조과학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5) 2014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보고서

미래창조과학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5) 2014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4) 연구개발부문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제2판)

HM Treasury (2011) The Green Book Appraisal and Evaluation in Central Government

McLaughlin JA and Jordan GB (1999) ldquoLogic models a tool for telling your programrsquos

performance storyrdquo Evaluation and Program Planning 22 65~72

McLaughlin JA and Jordan GB (2010) ldquoUsing Logic Modelsrdquo in Joseph S Wholey

Harry P Hatry and Kathryn E Newcomer(eds) Handbook of Practical Program

Evaluation(Third Edition) San Francisco Jossey-Bass 55~80

OECD (2015) Frascati Manual 2015

PMI (2000) PMBOK Guide

WK Kellogg Foundation (2004) Logic Model Development Guide

저자 소개

강 현 규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공공기술조사실장

- 전화 02-589-2813

- e-mail hkkangkisteprekr

KISTEP Issue Paper 2016-05

|발 행|2016년 5월

|발행인|박 영 아

|발행처|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서울시 서초구 마방로 68(양재동) 동원산업빌딩 9층~12층

전화 02) 589-2200 팩스 02) 589-2222

httpwwwkisteprekr

|인쇄처|(주)비전테크시스템즈 [TEL02)3432-7132]

11

Ⅲ 사업계획과 논리모형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lt그림 1gt 논리모형의 사례 1

출처 WK Kellogg Foundation (2004) Logic Model Development Guide

lt그림 2gt~lt그림 4gt와 같은 형태의 논리모형은 사업의 추진과정 및 결과를 보여줄 수 있는

기본적인 논리모형들로서 사업의 작동과정 분석에 유용함

- ʻ투입ʼ 항목에서는 활동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자원을 기재

- ʻ활동ʼ 항목에서는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수행할 활동을 서술

- ʻ산출ʼ 항목에서는 사업의 추진 중 또는 종료 시 창출할 것으로 기대하는 산출물을 기재

- ʻ성과ʼ 항목에서는 사업이 종료된 후의 변화를 기술하며 필요시 사업 종료 직후와 5~6년

이내의 중기로도 구분하여 기술할 수도 있음

- ʻ영향ʼ 항목에서는 사업이 종료된 후 장기적으로 발생될 것으로 예상하는 변화를 기재

12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lt그림 2gt 논리모형의 사례 2

출처 WK Kellogg Foundation (2004) Logic Model Development Guide

lt그림 3gt 논리모형의 사례 3

출처 McLaughlin JA and Jordan GB (2010) ldquoUsing Logic Modelsrdquo Handbook

of Practical Program Evaluation(Third Edition)

13

Ⅲ 사업계획과 논리모형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lt그림 4gt 논리모형의 사례 4

출처 노화준 (2008) 정책평가론

lt그림 1gt의 논리모형과 lt그림 2gt~lt그림 4gt의 논리모형을 결합하면 사업의 추진논리와

함께 추진과정 및 결과를 함께 볼 수 있는 논리모형을 구성할 수 있음

- 이러한 아이디어에 바탕을 두어 본 이슈페이퍼의 4장에서 설명할 논리모형이 개발됨

14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Ⅳ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Ex-ante evaluation)인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

에서는 사업계획의 쟁점사항 도출을 위한 핵심 도구로서 논리모형을 개발하여 활용하고

있음

관련 문헌들과 기존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 사례를 바탕으로 활용하기 용이한

논리모형을 개발하여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제2판)에 수록

본 논리모형은 이론접근모형과 성과접근모형을 결합한 형태로서 수직적으로는(상하

방향) 사업 추진에 대한 논리의 흐름을 수평적으로는(좌우 방향) 사업의 추진과정을

나타내도록 하여 이해하기가 용이함

- 제시된 논리모형은 정형화된 것은 아니며 사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논리모형을

변형하여 활용할 수 있음

사업계획의 평가자는 사업계획을 충분히 파악하고 이해한 후 논리모형을 작성하여야 함

- 논리모형 작성 시 주의할 점은 논리모형의 각 항목의 내용은 대상사업에 대한 평가자의

생각이 아니라 사업 기획주체의 의도와 논리를 담아야 함

논리모형이 작성된 이후에는 작성된 논리모형의 각 항목별 적절성과 항목 간 논리 흐름상의

오류나 괴리가 없는지 분석하여 주요 쟁점사항을 도출한 후 세부적으로 분석을 수행

사업의 기획단계에서도 본 논리모형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음

15

Ⅳ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를 위해 개발된 논리모형의 구조와 각 항목별로 다루어지는

내용 및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음

1 이슈 문제

ㅇ사업 추진의 필요성을 설명할 수 있는 배경요인 과학기술적 산업적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국가적 수요와 도전과제 등

ㅇ해당 사업을 통해 해결하거나 대처하고자 하는 문제나 이슈ㅇ해당 사업 분야와 관련된 정책 다른 연구개발사업 및 과제의 현황 미래 예측 기술과 시장의 동향 및 전망 전문가

설문 통계 및 조사 데이터 등도 활용ㅇ사업을 추진하지 않을 경우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문제나 잃게 되는 기회는 무엇인가ㅇ이슈문제 해결을 위해 연구개발사업 이외의 대안전략은 없는가

2 목표 3 수혜자

ㅇ해당 사업의 추진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사업의 핵심 성과 - 문제 해결 정도의 측정이 가능하도록 정량적 성과지표 제시

ㅇ사업목표 달성이나 사업의 산출로 인해 직접적인 이익을 얻는 주체

4 투입 5 활동 6 산출 7 성과 영향

ㅇ연구개발활동에 필요한 모든 자원

- 사업비 - 인적 자원 - 시설 및 장비 - 연구주체 지식

ㅇ목표를 달성하고 산출 발생을 위해 수행하는 연구개발 활동

ㅇ연구개발활동에 의한 직접적인 결과물 - 기술 정보 제품

데이터 서비스 논문 특허 등

- 산출물의 수량 규모 범위 등을 정량적으로 제시

ㅇ사업을 통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의도된 결과나 변화

ㅇ성과의 확산으로 인해 미래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직간접적 변화 및 파급효과

8 가정

ㅇ사업 추진 시 단계별로 발생할 상황과 변화에 대한 기대나 예측 - ldquo~~하면 ~~할 것이다rdquo로 표현되는 가정문(if-then)을 주로 사용ㅇ사업의 성공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외부요인 환경 조건 법 규정 원칙 믿음 위험

lt그림 5gt 연구개발사업의 쟁점사항 도출을 위한 논리모형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4) 연구개발부문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제2판)

16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983729 이슈문제 (IssueProblem)

이슈문제는 해당 연구개발사업을 기획하게 된 배경을 설명하고 사업의 추진당위성을

부여하는 항목

동 항목에서는 대상사업과 관련된 분야에서 어떠한 이슈나 문제가 존재하며 이러한

이슈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연구개발사업의 추진이 가장 효과적인 전략인지를

설명할 수 있어야 함

- 이를 위해 해당 사업의 필요성을 설명할 수 있는 배경요인(contextural factor)이 기술

되어야 하며 배경요인들에는 과학기술적 산업적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국가적

수요와 도전과제 등이 포함됨

사업에서 대처하려는 이슈나 문제가 여러 가지 요인들로 인해 복잡하다면 해당 사업과

연관성이 가장 높고 중요한 요인들로 압축하여 선정해야 함

- 이러한 문제 정의 과정을 통해 사업에서 추구하려는 목표를 명확히 설정할 수 있음

정부부처에서 제안하는 대부분의 연구개발사업은 특정 세부분야를 대상으로 하므로

광범위한 연구분야나 산업분야의 일반적이고 진부한 이슈문제를 제시하는 것보다는

사업에서 제안하는 세부분야의 특성과 현황에 기반을 둔 구체적이고 핵심적인 이슈

문제를 선정하여 강조하여야 설득력을 확보할 수 있음

사업의 필요성을 설명하기 위해 사업의 분야와 관련된 정책과 연구개발사업 및 과제의

현황 미래 예측 기술과 시장의 동향 및 전망 전문가 설문조사 통계 및 조사 데이터를

적극 활용하는 것이 좋음

제안된 연구개발사업 이외에 도출된 이슈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다른 대안이나 전략이

없는지도 고려할 필요가 있음

해당 사업계획에 대한 평가자는 사업 기획주체가 제시한 문제 정의가 적절한지를

분석함으로써 사업 추진당위성이 확보되었는지를 평가

17

Ⅳ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983730 목표 (Objective)

목표는 해당 사업의 추진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사업의 핵심 성과를 의미함

목표는 해결하고자 하는 이슈문제와 관련이 있어야 하며 해당 사업을 통해 그 이슈

문제가 해결될 수 있어야 함

- 즉 사업목표는 해당 사업을 통해 이슈문제가 어느 정도로 해결될 수 있는지 측정이

가능하도록 정량적으로 제시되어야 함

목표는 구체적이어야 하며(Specific) 측정 가능해야 하고(Measurable) 달성 가능해야

하며(Achievable) 이슈 및 연구개발활동과 연관이 있고(Relevant) 기한이 정해진

(Time-bound) 것이어야 함(SMART)9)

- 목표는 사업이 달성하고자 하는 바를 의미하므로 ① 이슈문제 및 ⑦ 성과영향과

연계하여 분석

목표는 구체성과 계측가능성을 기준으로 볼 때 목적과는 구분되는 개념임

- 사전적인 의미에서 목적(目的)은 ʻ실현하려고 하는 일이나 나아가는 방향ʼ이며 목표

(目標)는 ʻ어떤 목적을 이루려고 지향하는 실제적 대상으로 삼음 또는 그 대상ʼ을 뜻함

- 즉 목적은 추상적이고 방향과 의도를 함축하는데 반하여 목표는 구체적이고 범위가

제한적이며 일반적으로 측정 가능한 수치로 표현됨

983731 수혜자 (Beneficiary)

사업으로 인해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이해관계자는 여러 유형이 있을 수 있으나

수혜자10)는 사업목표와 접한 관련이 있어야 함

9) HM Treasury (2011) The Green Book Appraisal and Evaluation in Central Government

10) 예비타당성조사에서의 수혜자는 사업 추진을 통해 자금을 지원받는 주체가 아니라 사업목표 달성이나 사업의 산출로

인해 직접적인 경제적 이익을 얻는 주체를 의미하며 경제성 분석은 이 수혜자가 얻게 되는 직접적인 경제적 편익을

기준으로 분석함

18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983732 투입 (Input)

투입은 연구개발활동에 필요한 모든 자원을 의미

- 투입의 기본 항목은 재정적 자원과 인적 자원이며 연구시설middot장비 연구수행주체 관련

지식 등이 투입에 해당

- 해당 사업에서 활용될 기존 사업의 산출과 성과도 투입에 포함될 수 있음

사업이 충실하게 기획되면 희망하는 결과를 얻기 위한 최소의 물량규모가 정량적으로

산출될 수 있음

- 실무적으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에서 투입에 해당하는 물량규모는

총사업비라는 형태로 표현됨

983733 활동 (Activity)

국가연구개발사업에서의 활동은 목표를 달성하고 산출을 발생시키기 위해 수행하는

연구개발활동에 초점을 맞추어야 하며 연구개발에 인접한 활동은 연구개발예산 편성

기준에 부합하는지의 여부에 초점을 맞추어야 함

일반적으로 OO기술 개발 OO연구기반 구축 등이 큰 범위의 연구개발활동이 되며 각

연구개발활동은 요소기술 개발 등의 세부 연구개발활동으로 세분화될 수 있음

983734 산출 (Output)

산출은 연구개발활동을 통한 직접적인 결과물을 의미하며 각 활동별로 하나 이상의

산출이 존재할 수 있음

일반적으로 연구개발활동으로 개발된 기술 정보 데이터 제품 서비스 등이 해당되며

이 각각의 산출물은 정량적으로 수량 규모 범위 등이 제시되어야 함

- 기초연구사업에서 개발된 기술에 대한 논문과 특허도 산출물에 해당

19

Ⅳ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983735 성과영향 (OutcomeImpact)

성과는 사업의 목표와 접한 관련이 있으며 사업 추진에 따른 변화나 사업결과

(output)의 활용을 통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의도된 결과이며 영향은 성과의

확산으로 인해 미래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직간접적 변화 및 파급효과를 의미

- 일반적으로 연구개발사업의 단계 구분이나 관련 문헌에서 제시된 논리모형에서는

성과와 영향을 별도 항목으로 고려하기도 하지만 사업의 착수 전에 수행되는 사전

평가에서 성과와 영향을 구분하여 검토하는 것은 실효성이 낮으므로11) 성과와 영향을

종합하여 검토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의 경제성 분석은 국가연구개발사업으로 인한 직접적인

경제적 성과를 추정하는 것임

983736 가정 (Assumption)

사업계획은 그 자체가 기획된 대로 수행하면 기대하는 결과가 생성될 것이라는 가설이며

가정은 사업의 유효성에 대한 믿음임

가정은 사업 추진 시 논리모형의 각 항목별로 발생할 상황과 변화에 대한 기대나 예측을

의미

가정은 사업 수행에 직접적으로 관련 있는 것으로 한정되어야 하며 사업의 성공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외부요인들도 가정에 포함될 수 있음

- 이러한 외부요인으로는 환경 조건 법 규정 원칙 한계 믿음 위험 등이 될 수 있음

11) 사업으로 인한 성과와 영향은 종료평가와 추적평가를 통해 구체적인 평가가 가능함

20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사업계획은 적절한 기획을 통해 도출되어야 하며 기획과정 중에 논리모형을 통해

논리적인 비약을 배제함으로써 사업계획의 합리성을 확보할 수 있음

기획은 최적의 수단으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미래에 취할 행동을 위한 일련의

결정을 준비하는 계획적 과정임

충분한 고민과 의견 수렴을 통해 기획이 잘 이루어지면 사업 추진과 결과의 부실화를

미연에 방지하고 성공가능성을 높일 수 있음

논리모형은 기획과정의 각 시점에서 그 당시까지 구체화된 항목을 하나하나 채워나감

으로써 가시적인 논리의 확인과 기획참여자들 간의 소통과 이해 및 의견 수렴에 유용함

사업의 기획이 완료된 후에는 완성된 논리모형을 예산당국 주무부처와 같은 이해

관계자와 사업계획 평가자에게 제시하여 사업의 거시적인 작동논리를 이해시키고 예산

확보를 위해 설득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음

사업의 착수시점에 해당 사업에 대한 체계화된 정보가 없을 경우에는 후속관리가

부실화되기 쉬우므로 사업계획의 충실한 수립은 매우 중요함

전반적인 추진논리를 확보하기 위해 바람직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절차는

lt그림 6gt과 같이 제시될 수 있음

21

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lt그림 6gt 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정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4) 연구개발부문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제2판)

사업을 기획하기 위해서는 우선 대규모 신규 사업의 추진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이슈

또는 문제가 무엇인지 먼저 파악되어야 함

- 동향조사 예측조사 설문조사 인터뷰 통계분석 등 다양한 분석방법을 통해 적절한

범위 내에서 이슈문제를 식별한 후 기획 의도를 고려한 합리적인 평가기준을 적용하여

사업에서 집중하고자 하는 문제를 선택해야 함

- 선택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연구개발사업이 세금 자금 인력 지원 등 다른

대안과 비교할 때 가장 효율적인 방법인지 검토되어야 함

정부의 연구개발사업 추진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가 정의되면 사업을 통해 얻고자 하는

성과가 무엇인지 구체적이고 객관적으로 제시해야 함

- 이를 위해서는 사업의 성과물이 전달되는 수혜 대상이 명확히 정의되어야 함

사업목표가 설정되면 이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추진체계와 추진전략이 수립되어야 함

22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 추진체계는 다양한 참여주체의 분석을 통해 적절한 역할과 조정 협력관계 등을

조직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함

- 추진전략은 사업 및 기술 환경의 특성 분석을 통해 목표 달성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연구개발전략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함

세부과제의 구성을 완료하여 사업기간과 총사업비 그리고 필요한 장비와 시설 등 신규

구축할 인프라의 규모를 도출함

- 세부과제는 기본적으로 사업목표와 직접적으로 연계되어야 함 즉 세부과제가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사업목표가 달성될 수 있도록 구성할 필요

- 기술수요조사와 시설장비수요조사와 같은 시장이나 사회적 수요를 반영한 후보과제를

도출한 후 사업목표의 달성을 위한 전략적 방향을 고려한 기준과 가중치가 적용된

우선순위 선정절차를 거치는 것이 바람직함

- 선정된 세부과제는 목표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적절한 단위의 세부활동을 구성하고 사업

추진상의 기술개발 로드맵을 수립하며 각각의 세부 성과지표를 구체화함

- 세부활동이 구체화되면 활동별로 수행을 위한 비용 기간 조직 인프라 등의 자원 소요계획이

확립되며 이를 종합하여 전체 사업의 추진을 위해 필요한 투입자원의 총량을 도출함

수립된 사업계획 초안의 문제 정의 사업목표 설정 추진체계 및 추진전략 수립 세부과제

구성에 대한 재검토 및 보완을 통해 기획을 완료함

- 현실적으로 기획과정에서 모든 정보를 완벽하게 수집하고 분석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신규로 제안되는 사업과 유사한 선행사업이 없어 과거 사례의 참조에도 한계가 있을 수 있음

- 사업의 내용은 기획이 진행되면서 시간의 흐름과 함께 점진적으로 구체화12)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환류(feedback) 과정을 거쳐 사업계획을 보완하는 것이 중요함

- 환류 과정을 진행하기 전에 현재까지 기획된 사업계획에 대한 논리모형을 구성하여

전반적인 사업의 작동논리가 설득력 있게 기획되었는지 확인하고 환류 과정을 통해

보완된 사업계획에 대한 논리모형도 검토하는 것이 바람직함

12) PMI (2000) PMBOK Guide

23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가상의 사례를 통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을 설명하고자 함

lt그림 7gt은 가상의 국가연개구발사업에 대해 작성된 논리모형임

1 이슈 문제

ㅇ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시장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나 정부의 투자는 산발적이고 일회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해외 의존도가 증대되고 있음

- 클러스터 형태의 실증사업 추진 필요

ㅇ A 융합기술ʼ 분야의 생태계 조성과 연계하고 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 클러스터를 구축하고 Z지역의 산업지역발전의 거점 역할을 하도록 할 필요

2 목표 3 수혜자

ㅇ ʻA 융합기술ʼ 신산업 허브 구축

- ʻA 융합기술ʼ 신산업 창출 선도 및 발전 기반 구축

- 지역거점형 ʻA 융합기술ʼ 실증사업 중심 산업화 지원

- ʻA 융합기술ʼ 산학연 협력 및 비즈니스 협업체계 구축

ㅇA 융합기술 분야 기업

ㅇ국민공공기관

4 투입 5 활동 6 산출 7 성과 영향

ㅇ사업비 OO억 원

ㅇ연구인력

ㅇ ʻA 융합기술ʼ 통합

센터 구축

ㅇ실증사업

- B C D E 4개

산업 분야

ㅇB C D E 등 4개

산업 분야

ʻA 융합기술ʼ 시스템

ㅇ ʻA 융합기술ʼ 기반

융합산업의 생산성

증대

ㅇZ지역의 지역경제

발전

8 가정

ㅇ ʻA 융합기술ʼ 신산업 강화는 국가 발전의 원동력으로 작용할 것임

ㅇ지역 착형 거점 구축을 통해 기술발전을 선도하고 관련 산업 육성을 도모하며 지역산업 활성화를 도모할 것임

lt그림 7gt 가상의 사업계획에 기반한 논리모형 작성의 사례

24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사업에 대한 사전평가에서 논리모형은 사업의 거시적인 작동논리의 분석을 통해 주요

쟁점을 도출하기 위해 활용됨

논리모형에는 사업계획의 핵심 내용만 기재되므로 논리모형 분석은 세부내용의 상세한

적부 분석이 아닌 이슈 목표 활동으로 이어지는 사업의 주요 작동논리 분석과 세 항목 간의

논리적 연계성 분석이 주로 이루어짐

시장 수요나 전망 현장의 이슈를 고려하지 않고 적절한 기획과정도 거치치 않은 채 소수의

기획주체가 ʻ하고 싶고 할 수 있는ʼ 과제를 먼저 선정해 놓고 사업을 기획하여 전체적인

사업 작동논리가 부실한 경우가 많으므로 이러한 쟁점 여부의 파악을 위해 활용함

가상의 사업계획에서 제시한 이슈(983729)는 신규 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는 이유를 설명하는

문제 정의로서 적절치 않음

최근 2~3년전부터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다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들이 다수 착수되어

추진되고 있으므로 산발적일회적이라는 주장은 사실과 다름

ʻA 융합기술ʼ 분야는 현재 국내 기업에서 사업화를 추진 중인 분야이고 기업들의 기술 수준도

상대적으로 높으므로 해외의존도를 언급하는 것은 부적절함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시장이 확대될 것이라는 예측은 적절하지만 이러한 내용은 누구나

알고 있는 일반적인 사항이며 동 사업 내에서 실증을 하고자 하는 세부 산업 분야(B C

D E 산업)에서의 ʻA 융합기술ʼ의 시장 동향 전망과 데이터에 근거한 분석은 이루어지지

않음

대형 실증사업 추진을 위해서는 사업의 성과에 대한 구체적 근거 마련을 위해 사전 연구나

조사를 통한 성과 데이터의 구축이 필요하나 실증사업의 추진 필요성과 유효성을 설명

할 수 있는 근거자료가 부재함

Z지역에는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연구 및 산업기반이 국내에서도 상대적으로 미약하여

산업 클러스터가 형성될 가능성이 낮고 국가적인 차원의 활용도 관점에서 해당 지역에의

거점 구축의 당위성은 낮음

25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기획의 Tip

국가적인 차원에서 연구개발사업을 통해서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를 구체적이고 명확히 정의

- 현재 또는 미래에 어떤 문제가 있거나 발생할 것이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

개발사업을 구상하게 되었는지 제시

-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광범위한 이슈의 제기는 무의미

- 국내외의 각종 통계 보고서 정책자료 시장보고서 전문가 및 실무자 인터뷰 등 근거자료를

통해 구체화되고 특정화된 문제를 제시

- 특정 주체나 지역이 아닌 국가적인 차원의 문제를 제시해야 하며 해당 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지 않으면 국가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나 잃게 되는 기회가 무엇인지를 설명

- 지역기반 구축은 국가적인 필요성과 함께 전국에서 해당 지역이 기반 구축의 최적지임을

입증할 수 있는 근거가 필요

사업목표(983730)를 제시하였으나 선언적인 내용에 불과하며 성과지표의 구체화가 미흡하여

문제 해결 정도를 측정하기 어려움

동 사업에서는 광범위한 ʻA 융합기술ʼ의 적용 분야 중 소수의 분야만을 다루는 반면

사업목표는 사업 내용에 비해 지나치게 일반적이고 광범위하게 수립됨

동 사업은 상호 연관성이 낮은 여러 세부사업을 단일 사업 내에 포함시켜 전체 사업 수준의

거시적인 성과목표 제시가 어려운 한계가 있음

앞서 각 세부사업별로 해당 산업 분야의 문제 정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사업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와 성과가 불문명하며 이에 따라 성과지표를 정량적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하여 목표 달성 여부의 측정방법도 불분명함

26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기획의 Tip

관리 가능성의 관점에서 사업목표는 SMART하게 제시

- 구체적이고(Specific) 측정가능하며(Measurable) 달성가능하고(Achievable) 문제 활동과 연관성이 있으며(Relevant) 시간제약이 있도록(Time-bound)가 있도록 수립

해결해야 할 문제(983729)와 사업목표(983730) 간에 괴리가 존재하여 둘 간의 연계성은 미흡함

해결해야 할 이슈로 제시한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일반적인 문제들을 사업목표로 제시한

지역 착형 사업을 통해 해소하고자 함은 연계성이 낮음

문제 정의 자체가 세부 산업분야별 시장 전망 또는 현장의 이슈 분석을 통해 구체적으로

도출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를 해소하기 위해 달성할 사업목표의 설정도 어려운 한계가

있으며 동 사업의 추진으로 국내외에서 어느 정도의 성과를 거둘 수 있을지도 예상할 수

없음

제시된 4가지 실증사업은 공공 영역부터 민간의 사업화가 활발한 영역까지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어 시너지 효과 창출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됨

기획의 Tip

사업목표의 범위는 제시된 이슈문제의 범위와 일치해야 하며 사업목표를 달성하면 이슈문제가 어느 정도 해결되는지를 보여줄 수 있도록 사업목표를 수립

세부 실증사업을 통해 개발될 제품(시스템)의 사용자(구매자)까지 수혜자로 포함시켜

수혜자(983731)의 표적화가 부적절함

동 사업을 통해 제품을 개발하여 사업 종료 후 해당 제품의 판매를 통해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할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기업들이 동 사업의 직접적 수혜자임

27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동 사업은 A 융합기술ʼ 분야의 실증을 통한 시스템 개발로 종료되며 제품을 최종사용자

에게까지 보급하는 것은 사업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여러 단계 이후의 최종사용자를

동 사업의 수혜자로 제시하는 것은 부적절함

기획의 Tip

사업목표와 범위에 맞는 수혜자를 제시

- 성과확산단계에 따라 수혜자를 구분하여 제시할 수는 있으나 사업성과를 통해 직접적 경제적

수혜를 받는 주체만 경제성 분석의 대상이 됨

세부활동(983733)은 사업목표(983730)와 개념적으로는 일부 연계성이 있음

산업 분야에 A 융합기술ʼ의 접목하기 위한 실증사업의 추진이 동 사업의 주요 내용이므로

관련 신산업을 창출하고자 하는 사업의 목표와는 개념적으로 연계성이 있음

B C 분야는 사업목표와 관련성이 있고 구축되는 통합센터와 정보 공유도 가능할 것이나

D E 분야는 독립적이며 사업목표와의 연계성도 낮아 동일 사업 내에서 추진할 필요성

및 통합센터 구축의 필요성도 모호함

기획의 Tip

세부활동(세부사업 또는 과제)을 수행하면 제시된 사업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세부

활동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문제 해결 및 사업목표 달성과 연관성이 낮은 활동은 제외

- 사업목표 달성과 관련 없는 과제의 포함 불요불급한 시설 및 장비의 구축 필요 이상으로 부풀린

사업비의 요구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는 주요 요인임

이 외의 항목들은 거시적인 작동논리나 연계성에 대한 검토보다는 세부내용의 적부 분석을 수행함

투입(983732)과 산출(983734)은 활동의 상세한 분석을 통해 적절성을 분석

성과영향(983735)은 사업목표와 활동 산출의 상세한 분석을 통해 적절성을 분석

가정(983736)은 별도의 분석보다는 이슈 목표 활동과 연계하여 분석

28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Ⅶ 맺음말

사업의 직접적인 이해관계자는 해당 사업의 긍정적인 측면만 생각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사업 기획주체는 신규 사업의 기획 시 객관적인 시각에서 사업계획을 조망하고 보완하기 위해

논리모형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ʻ왜 해야 하는지ʼ ʻ어떠한 결과를 내려고 하는지ʼ ʻ무엇을 어떻게 하려고 하는지ʼ가

논리적으로 연계가 되어 설득력을 확보해야 함

사업의 착수 전에 문서뿐인 사업계획서를 분석하여 사전에 평가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나

논리모형을 활용한 사업의 작동논리와 추진과정의 객관적인 분석을 통해 기획단계의

오류로 인한 사업의 부실화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

제도적인 측면에서 평가결과의 일관성 확보를 위해 사전평가의 방법으로 논리모형

분석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함13)

본 이슈페이퍼에서는 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을 설명

하였으며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추진단계 및 종료단계에 적절한 논리모형의 개발 및 활용도

고려할 필요

사업 추진 중의 사업관리 또는 중간평가 시에는 투입 rarr 활동 rarr 산출 등 사업 추진과정을

확대하여 집중적으로 분석하는 특히 활동을 더 세부적으로 구분한 논리모형이 필요함

- 사업별 특성에 부합하도록 단계별 연차별 세부과제(기술)별로 마일스톤이 포함된

논리모형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는 사업 추진 로드맵을 포함하는 형태가 될 것임

사업 종료 시의 성과확산 전략 수립이나 종료평가 또는 그 이후의 추적평가 시에는 산출

rarr 성과 rarr 영향의 사업성과 확산과정을 집중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논리모형을 구성할 수 있음

- 성과의 확산은 해당 연구개발사업 이후에 이루어지므로 동 논리모형의 구성은 성과의

극대화를 위한 성과확산사업의 기획과정으로도 볼 수 있음

논리모형 활용의 확산을 통해 국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역량을 제고하고 사업계획의

완성도를 높여 사업의 성공가능성을 제고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함

13)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에서는 이를 필수적으로 활용하도록 하고 있음

29

참 고 문 헌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 고 문 헌

국가과학기술위원회 (2011) 정부RampD 투자 효율화 추진계획

노화준 (2008) 정책평가론

미래창조과학부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 대통령령 제26729호

미래창조과학부 (2013) 국가연구개발사업 표준성과지표 ndash 성과목표지표 설정 가이드라인

미래창조과학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5) 2014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보고서

미래창조과학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5) 2014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4) 연구개발부문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제2판)

HM Treasury (2011) The Green Book Appraisal and Evaluation in Central Government

McLaughlin JA and Jordan GB (1999) ldquoLogic models a tool for telling your programrsquos

performance storyrdquo Evaluation and Program Planning 22 65~72

McLaughlin JA and Jordan GB (2010) ldquoUsing Logic Modelsrdquo in Joseph S Wholey

Harry P Hatry and Kathryn E Newcomer(eds) Handbook of Practical Program

Evaluation(Third Edition) San Francisco Jossey-Bass 55~80

OECD (2015) Frascati Manual 2015

PMI (2000) PMBOK Guide

WK Kellogg Foundation (2004) Logic Model Development Guide

저자 소개

강 현 규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공공기술조사실장

- 전화 02-589-2813

- e-mail hkkangkisteprekr

KISTEP Issue Paper 2016-05

|발 행|2016년 5월

|발행인|박 영 아

|발행처|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서울시 서초구 마방로 68(양재동) 동원산업빌딩 9층~12층

전화 02) 589-2200 팩스 02) 589-2222

httpwwwkisteprekr

|인쇄처|(주)비전테크시스템즈 [TEL02)3432-7132]

12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lt그림 2gt 논리모형의 사례 2

출처 WK Kellogg Foundation (2004) Logic Model Development Guide

lt그림 3gt 논리모형의 사례 3

출처 McLaughlin JA and Jordan GB (2010) ldquoUsing Logic Modelsrdquo Handbook

of Practical Program Evaluation(Third Edition)

13

Ⅲ 사업계획과 논리모형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lt그림 4gt 논리모형의 사례 4

출처 노화준 (2008) 정책평가론

lt그림 1gt의 논리모형과 lt그림 2gt~lt그림 4gt의 논리모형을 결합하면 사업의 추진논리와

함께 추진과정 및 결과를 함께 볼 수 있는 논리모형을 구성할 수 있음

- 이러한 아이디어에 바탕을 두어 본 이슈페이퍼의 4장에서 설명할 논리모형이 개발됨

14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Ⅳ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Ex-ante evaluation)인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

에서는 사업계획의 쟁점사항 도출을 위한 핵심 도구로서 논리모형을 개발하여 활용하고

있음

관련 문헌들과 기존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 사례를 바탕으로 활용하기 용이한

논리모형을 개발하여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제2판)에 수록

본 논리모형은 이론접근모형과 성과접근모형을 결합한 형태로서 수직적으로는(상하

방향) 사업 추진에 대한 논리의 흐름을 수평적으로는(좌우 방향) 사업의 추진과정을

나타내도록 하여 이해하기가 용이함

- 제시된 논리모형은 정형화된 것은 아니며 사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논리모형을

변형하여 활용할 수 있음

사업계획의 평가자는 사업계획을 충분히 파악하고 이해한 후 논리모형을 작성하여야 함

- 논리모형 작성 시 주의할 점은 논리모형의 각 항목의 내용은 대상사업에 대한 평가자의

생각이 아니라 사업 기획주체의 의도와 논리를 담아야 함

논리모형이 작성된 이후에는 작성된 논리모형의 각 항목별 적절성과 항목 간 논리 흐름상의

오류나 괴리가 없는지 분석하여 주요 쟁점사항을 도출한 후 세부적으로 분석을 수행

사업의 기획단계에서도 본 논리모형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음

15

Ⅳ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를 위해 개발된 논리모형의 구조와 각 항목별로 다루어지는

내용 및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음

1 이슈 문제

ㅇ사업 추진의 필요성을 설명할 수 있는 배경요인 과학기술적 산업적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국가적 수요와 도전과제 등

ㅇ해당 사업을 통해 해결하거나 대처하고자 하는 문제나 이슈ㅇ해당 사업 분야와 관련된 정책 다른 연구개발사업 및 과제의 현황 미래 예측 기술과 시장의 동향 및 전망 전문가

설문 통계 및 조사 데이터 등도 활용ㅇ사업을 추진하지 않을 경우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문제나 잃게 되는 기회는 무엇인가ㅇ이슈문제 해결을 위해 연구개발사업 이외의 대안전략은 없는가

2 목표 3 수혜자

ㅇ해당 사업의 추진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사업의 핵심 성과 - 문제 해결 정도의 측정이 가능하도록 정량적 성과지표 제시

ㅇ사업목표 달성이나 사업의 산출로 인해 직접적인 이익을 얻는 주체

4 투입 5 활동 6 산출 7 성과 영향

ㅇ연구개발활동에 필요한 모든 자원

- 사업비 - 인적 자원 - 시설 및 장비 - 연구주체 지식

ㅇ목표를 달성하고 산출 발생을 위해 수행하는 연구개발 활동

ㅇ연구개발활동에 의한 직접적인 결과물 - 기술 정보 제품

데이터 서비스 논문 특허 등

- 산출물의 수량 규모 범위 등을 정량적으로 제시

ㅇ사업을 통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의도된 결과나 변화

ㅇ성과의 확산으로 인해 미래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직간접적 변화 및 파급효과

8 가정

ㅇ사업 추진 시 단계별로 발생할 상황과 변화에 대한 기대나 예측 - ldquo~~하면 ~~할 것이다rdquo로 표현되는 가정문(if-then)을 주로 사용ㅇ사업의 성공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외부요인 환경 조건 법 규정 원칙 믿음 위험

lt그림 5gt 연구개발사업의 쟁점사항 도출을 위한 논리모형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4) 연구개발부문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제2판)

16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983729 이슈문제 (IssueProblem)

이슈문제는 해당 연구개발사업을 기획하게 된 배경을 설명하고 사업의 추진당위성을

부여하는 항목

동 항목에서는 대상사업과 관련된 분야에서 어떠한 이슈나 문제가 존재하며 이러한

이슈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연구개발사업의 추진이 가장 효과적인 전략인지를

설명할 수 있어야 함

- 이를 위해 해당 사업의 필요성을 설명할 수 있는 배경요인(contextural factor)이 기술

되어야 하며 배경요인들에는 과학기술적 산업적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국가적

수요와 도전과제 등이 포함됨

사업에서 대처하려는 이슈나 문제가 여러 가지 요인들로 인해 복잡하다면 해당 사업과

연관성이 가장 높고 중요한 요인들로 압축하여 선정해야 함

- 이러한 문제 정의 과정을 통해 사업에서 추구하려는 목표를 명확히 설정할 수 있음

정부부처에서 제안하는 대부분의 연구개발사업은 특정 세부분야를 대상으로 하므로

광범위한 연구분야나 산업분야의 일반적이고 진부한 이슈문제를 제시하는 것보다는

사업에서 제안하는 세부분야의 특성과 현황에 기반을 둔 구체적이고 핵심적인 이슈

문제를 선정하여 강조하여야 설득력을 확보할 수 있음

사업의 필요성을 설명하기 위해 사업의 분야와 관련된 정책과 연구개발사업 및 과제의

현황 미래 예측 기술과 시장의 동향 및 전망 전문가 설문조사 통계 및 조사 데이터를

적극 활용하는 것이 좋음

제안된 연구개발사업 이외에 도출된 이슈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다른 대안이나 전략이

없는지도 고려할 필요가 있음

해당 사업계획에 대한 평가자는 사업 기획주체가 제시한 문제 정의가 적절한지를

분석함으로써 사업 추진당위성이 확보되었는지를 평가

17

Ⅳ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983730 목표 (Objective)

목표는 해당 사업의 추진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사업의 핵심 성과를 의미함

목표는 해결하고자 하는 이슈문제와 관련이 있어야 하며 해당 사업을 통해 그 이슈

문제가 해결될 수 있어야 함

- 즉 사업목표는 해당 사업을 통해 이슈문제가 어느 정도로 해결될 수 있는지 측정이

가능하도록 정량적으로 제시되어야 함

목표는 구체적이어야 하며(Specific) 측정 가능해야 하고(Measurable) 달성 가능해야

하며(Achievable) 이슈 및 연구개발활동과 연관이 있고(Relevant) 기한이 정해진

(Time-bound) 것이어야 함(SMART)9)

- 목표는 사업이 달성하고자 하는 바를 의미하므로 ① 이슈문제 및 ⑦ 성과영향과

연계하여 분석

목표는 구체성과 계측가능성을 기준으로 볼 때 목적과는 구분되는 개념임

- 사전적인 의미에서 목적(目的)은 ʻ실현하려고 하는 일이나 나아가는 방향ʼ이며 목표

(目標)는 ʻ어떤 목적을 이루려고 지향하는 실제적 대상으로 삼음 또는 그 대상ʼ을 뜻함

- 즉 목적은 추상적이고 방향과 의도를 함축하는데 반하여 목표는 구체적이고 범위가

제한적이며 일반적으로 측정 가능한 수치로 표현됨

983731 수혜자 (Beneficiary)

사업으로 인해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이해관계자는 여러 유형이 있을 수 있으나

수혜자10)는 사업목표와 접한 관련이 있어야 함

9) HM Treasury (2011) The Green Book Appraisal and Evaluation in Central Government

10) 예비타당성조사에서의 수혜자는 사업 추진을 통해 자금을 지원받는 주체가 아니라 사업목표 달성이나 사업의 산출로

인해 직접적인 경제적 이익을 얻는 주체를 의미하며 경제성 분석은 이 수혜자가 얻게 되는 직접적인 경제적 편익을

기준으로 분석함

18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983732 투입 (Input)

투입은 연구개발활동에 필요한 모든 자원을 의미

- 투입의 기본 항목은 재정적 자원과 인적 자원이며 연구시설middot장비 연구수행주체 관련

지식 등이 투입에 해당

- 해당 사업에서 활용될 기존 사업의 산출과 성과도 투입에 포함될 수 있음

사업이 충실하게 기획되면 희망하는 결과를 얻기 위한 최소의 물량규모가 정량적으로

산출될 수 있음

- 실무적으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에서 투입에 해당하는 물량규모는

총사업비라는 형태로 표현됨

983733 활동 (Activity)

국가연구개발사업에서의 활동은 목표를 달성하고 산출을 발생시키기 위해 수행하는

연구개발활동에 초점을 맞추어야 하며 연구개발에 인접한 활동은 연구개발예산 편성

기준에 부합하는지의 여부에 초점을 맞추어야 함

일반적으로 OO기술 개발 OO연구기반 구축 등이 큰 범위의 연구개발활동이 되며 각

연구개발활동은 요소기술 개발 등의 세부 연구개발활동으로 세분화될 수 있음

983734 산출 (Output)

산출은 연구개발활동을 통한 직접적인 결과물을 의미하며 각 활동별로 하나 이상의

산출이 존재할 수 있음

일반적으로 연구개발활동으로 개발된 기술 정보 데이터 제품 서비스 등이 해당되며

이 각각의 산출물은 정량적으로 수량 규모 범위 등이 제시되어야 함

- 기초연구사업에서 개발된 기술에 대한 논문과 특허도 산출물에 해당

19

Ⅳ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983735 성과영향 (OutcomeImpact)

성과는 사업의 목표와 접한 관련이 있으며 사업 추진에 따른 변화나 사업결과

(output)의 활용을 통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의도된 결과이며 영향은 성과의

확산으로 인해 미래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직간접적 변화 및 파급효과를 의미

- 일반적으로 연구개발사업의 단계 구분이나 관련 문헌에서 제시된 논리모형에서는

성과와 영향을 별도 항목으로 고려하기도 하지만 사업의 착수 전에 수행되는 사전

평가에서 성과와 영향을 구분하여 검토하는 것은 실효성이 낮으므로11) 성과와 영향을

종합하여 검토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의 경제성 분석은 국가연구개발사업으로 인한 직접적인

경제적 성과를 추정하는 것임

983736 가정 (Assumption)

사업계획은 그 자체가 기획된 대로 수행하면 기대하는 결과가 생성될 것이라는 가설이며

가정은 사업의 유효성에 대한 믿음임

가정은 사업 추진 시 논리모형의 각 항목별로 발생할 상황과 변화에 대한 기대나 예측을

의미

가정은 사업 수행에 직접적으로 관련 있는 것으로 한정되어야 하며 사업의 성공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외부요인들도 가정에 포함될 수 있음

- 이러한 외부요인으로는 환경 조건 법 규정 원칙 한계 믿음 위험 등이 될 수 있음

11) 사업으로 인한 성과와 영향은 종료평가와 추적평가를 통해 구체적인 평가가 가능함

20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사업계획은 적절한 기획을 통해 도출되어야 하며 기획과정 중에 논리모형을 통해

논리적인 비약을 배제함으로써 사업계획의 합리성을 확보할 수 있음

기획은 최적의 수단으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미래에 취할 행동을 위한 일련의

결정을 준비하는 계획적 과정임

충분한 고민과 의견 수렴을 통해 기획이 잘 이루어지면 사업 추진과 결과의 부실화를

미연에 방지하고 성공가능성을 높일 수 있음

논리모형은 기획과정의 각 시점에서 그 당시까지 구체화된 항목을 하나하나 채워나감

으로써 가시적인 논리의 확인과 기획참여자들 간의 소통과 이해 및 의견 수렴에 유용함

사업의 기획이 완료된 후에는 완성된 논리모형을 예산당국 주무부처와 같은 이해

관계자와 사업계획 평가자에게 제시하여 사업의 거시적인 작동논리를 이해시키고 예산

확보를 위해 설득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음

사업의 착수시점에 해당 사업에 대한 체계화된 정보가 없을 경우에는 후속관리가

부실화되기 쉬우므로 사업계획의 충실한 수립은 매우 중요함

전반적인 추진논리를 확보하기 위해 바람직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절차는

lt그림 6gt과 같이 제시될 수 있음

21

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lt그림 6gt 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정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4) 연구개발부문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제2판)

사업을 기획하기 위해서는 우선 대규모 신규 사업의 추진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이슈

또는 문제가 무엇인지 먼저 파악되어야 함

- 동향조사 예측조사 설문조사 인터뷰 통계분석 등 다양한 분석방법을 통해 적절한

범위 내에서 이슈문제를 식별한 후 기획 의도를 고려한 합리적인 평가기준을 적용하여

사업에서 집중하고자 하는 문제를 선택해야 함

- 선택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연구개발사업이 세금 자금 인력 지원 등 다른

대안과 비교할 때 가장 효율적인 방법인지 검토되어야 함

정부의 연구개발사업 추진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가 정의되면 사업을 통해 얻고자 하는

성과가 무엇인지 구체적이고 객관적으로 제시해야 함

- 이를 위해서는 사업의 성과물이 전달되는 수혜 대상이 명확히 정의되어야 함

사업목표가 설정되면 이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추진체계와 추진전략이 수립되어야 함

22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 추진체계는 다양한 참여주체의 분석을 통해 적절한 역할과 조정 협력관계 등을

조직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함

- 추진전략은 사업 및 기술 환경의 특성 분석을 통해 목표 달성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연구개발전략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함

세부과제의 구성을 완료하여 사업기간과 총사업비 그리고 필요한 장비와 시설 등 신규

구축할 인프라의 규모를 도출함

- 세부과제는 기본적으로 사업목표와 직접적으로 연계되어야 함 즉 세부과제가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사업목표가 달성될 수 있도록 구성할 필요

- 기술수요조사와 시설장비수요조사와 같은 시장이나 사회적 수요를 반영한 후보과제를

도출한 후 사업목표의 달성을 위한 전략적 방향을 고려한 기준과 가중치가 적용된

우선순위 선정절차를 거치는 것이 바람직함

- 선정된 세부과제는 목표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적절한 단위의 세부활동을 구성하고 사업

추진상의 기술개발 로드맵을 수립하며 각각의 세부 성과지표를 구체화함

- 세부활동이 구체화되면 활동별로 수행을 위한 비용 기간 조직 인프라 등의 자원 소요계획이

확립되며 이를 종합하여 전체 사업의 추진을 위해 필요한 투입자원의 총량을 도출함

수립된 사업계획 초안의 문제 정의 사업목표 설정 추진체계 및 추진전략 수립 세부과제

구성에 대한 재검토 및 보완을 통해 기획을 완료함

- 현실적으로 기획과정에서 모든 정보를 완벽하게 수집하고 분석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신규로 제안되는 사업과 유사한 선행사업이 없어 과거 사례의 참조에도 한계가 있을 수 있음

- 사업의 내용은 기획이 진행되면서 시간의 흐름과 함께 점진적으로 구체화12)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환류(feedback) 과정을 거쳐 사업계획을 보완하는 것이 중요함

- 환류 과정을 진행하기 전에 현재까지 기획된 사업계획에 대한 논리모형을 구성하여

전반적인 사업의 작동논리가 설득력 있게 기획되었는지 확인하고 환류 과정을 통해

보완된 사업계획에 대한 논리모형도 검토하는 것이 바람직함

12) PMI (2000) PMBOK Guide

23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가상의 사례를 통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을 설명하고자 함

lt그림 7gt은 가상의 국가연개구발사업에 대해 작성된 논리모형임

1 이슈 문제

ㅇ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시장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나 정부의 투자는 산발적이고 일회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해외 의존도가 증대되고 있음

- 클러스터 형태의 실증사업 추진 필요

ㅇ A 융합기술ʼ 분야의 생태계 조성과 연계하고 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 클러스터를 구축하고 Z지역의 산업지역발전의 거점 역할을 하도록 할 필요

2 목표 3 수혜자

ㅇ ʻA 융합기술ʼ 신산업 허브 구축

- ʻA 융합기술ʼ 신산업 창출 선도 및 발전 기반 구축

- 지역거점형 ʻA 융합기술ʼ 실증사업 중심 산업화 지원

- ʻA 융합기술ʼ 산학연 협력 및 비즈니스 협업체계 구축

ㅇA 융합기술 분야 기업

ㅇ국민공공기관

4 투입 5 활동 6 산출 7 성과 영향

ㅇ사업비 OO억 원

ㅇ연구인력

ㅇ ʻA 융합기술ʼ 통합

센터 구축

ㅇ실증사업

- B C D E 4개

산업 분야

ㅇB C D E 등 4개

산업 분야

ʻA 융합기술ʼ 시스템

ㅇ ʻA 융합기술ʼ 기반

융합산업의 생산성

증대

ㅇZ지역의 지역경제

발전

8 가정

ㅇ ʻA 융합기술ʼ 신산업 강화는 국가 발전의 원동력으로 작용할 것임

ㅇ지역 착형 거점 구축을 통해 기술발전을 선도하고 관련 산업 육성을 도모하며 지역산업 활성화를 도모할 것임

lt그림 7gt 가상의 사업계획에 기반한 논리모형 작성의 사례

24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사업에 대한 사전평가에서 논리모형은 사업의 거시적인 작동논리의 분석을 통해 주요

쟁점을 도출하기 위해 활용됨

논리모형에는 사업계획의 핵심 내용만 기재되므로 논리모형 분석은 세부내용의 상세한

적부 분석이 아닌 이슈 목표 활동으로 이어지는 사업의 주요 작동논리 분석과 세 항목 간의

논리적 연계성 분석이 주로 이루어짐

시장 수요나 전망 현장의 이슈를 고려하지 않고 적절한 기획과정도 거치치 않은 채 소수의

기획주체가 ʻ하고 싶고 할 수 있는ʼ 과제를 먼저 선정해 놓고 사업을 기획하여 전체적인

사업 작동논리가 부실한 경우가 많으므로 이러한 쟁점 여부의 파악을 위해 활용함

가상의 사업계획에서 제시한 이슈(983729)는 신규 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는 이유를 설명하는

문제 정의로서 적절치 않음

최근 2~3년전부터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다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들이 다수 착수되어

추진되고 있으므로 산발적일회적이라는 주장은 사실과 다름

ʻA 융합기술ʼ 분야는 현재 국내 기업에서 사업화를 추진 중인 분야이고 기업들의 기술 수준도

상대적으로 높으므로 해외의존도를 언급하는 것은 부적절함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시장이 확대될 것이라는 예측은 적절하지만 이러한 내용은 누구나

알고 있는 일반적인 사항이며 동 사업 내에서 실증을 하고자 하는 세부 산업 분야(B C

D E 산업)에서의 ʻA 융합기술ʼ의 시장 동향 전망과 데이터에 근거한 분석은 이루어지지

않음

대형 실증사업 추진을 위해서는 사업의 성과에 대한 구체적 근거 마련을 위해 사전 연구나

조사를 통한 성과 데이터의 구축이 필요하나 실증사업의 추진 필요성과 유효성을 설명

할 수 있는 근거자료가 부재함

Z지역에는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연구 및 산업기반이 국내에서도 상대적으로 미약하여

산업 클러스터가 형성될 가능성이 낮고 국가적인 차원의 활용도 관점에서 해당 지역에의

거점 구축의 당위성은 낮음

25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기획의 Tip

국가적인 차원에서 연구개발사업을 통해서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를 구체적이고 명확히 정의

- 현재 또는 미래에 어떤 문제가 있거나 발생할 것이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

개발사업을 구상하게 되었는지 제시

-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광범위한 이슈의 제기는 무의미

- 국내외의 각종 통계 보고서 정책자료 시장보고서 전문가 및 실무자 인터뷰 등 근거자료를

통해 구체화되고 특정화된 문제를 제시

- 특정 주체나 지역이 아닌 국가적인 차원의 문제를 제시해야 하며 해당 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지 않으면 국가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나 잃게 되는 기회가 무엇인지를 설명

- 지역기반 구축은 국가적인 필요성과 함께 전국에서 해당 지역이 기반 구축의 최적지임을

입증할 수 있는 근거가 필요

사업목표(983730)를 제시하였으나 선언적인 내용에 불과하며 성과지표의 구체화가 미흡하여

문제 해결 정도를 측정하기 어려움

동 사업에서는 광범위한 ʻA 융합기술ʼ의 적용 분야 중 소수의 분야만을 다루는 반면

사업목표는 사업 내용에 비해 지나치게 일반적이고 광범위하게 수립됨

동 사업은 상호 연관성이 낮은 여러 세부사업을 단일 사업 내에 포함시켜 전체 사업 수준의

거시적인 성과목표 제시가 어려운 한계가 있음

앞서 각 세부사업별로 해당 산업 분야의 문제 정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사업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와 성과가 불문명하며 이에 따라 성과지표를 정량적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하여 목표 달성 여부의 측정방법도 불분명함

26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기획의 Tip

관리 가능성의 관점에서 사업목표는 SMART하게 제시

- 구체적이고(Specific) 측정가능하며(Measurable) 달성가능하고(Achievable) 문제 활동과 연관성이 있으며(Relevant) 시간제약이 있도록(Time-bound)가 있도록 수립

해결해야 할 문제(983729)와 사업목표(983730) 간에 괴리가 존재하여 둘 간의 연계성은 미흡함

해결해야 할 이슈로 제시한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일반적인 문제들을 사업목표로 제시한

지역 착형 사업을 통해 해소하고자 함은 연계성이 낮음

문제 정의 자체가 세부 산업분야별 시장 전망 또는 현장의 이슈 분석을 통해 구체적으로

도출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를 해소하기 위해 달성할 사업목표의 설정도 어려운 한계가

있으며 동 사업의 추진으로 국내외에서 어느 정도의 성과를 거둘 수 있을지도 예상할 수

없음

제시된 4가지 실증사업은 공공 영역부터 민간의 사업화가 활발한 영역까지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어 시너지 효과 창출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됨

기획의 Tip

사업목표의 범위는 제시된 이슈문제의 범위와 일치해야 하며 사업목표를 달성하면 이슈문제가 어느 정도 해결되는지를 보여줄 수 있도록 사업목표를 수립

세부 실증사업을 통해 개발될 제품(시스템)의 사용자(구매자)까지 수혜자로 포함시켜

수혜자(983731)의 표적화가 부적절함

동 사업을 통해 제품을 개발하여 사업 종료 후 해당 제품의 판매를 통해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할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기업들이 동 사업의 직접적 수혜자임

27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동 사업은 A 융합기술ʼ 분야의 실증을 통한 시스템 개발로 종료되며 제품을 최종사용자

에게까지 보급하는 것은 사업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여러 단계 이후의 최종사용자를

동 사업의 수혜자로 제시하는 것은 부적절함

기획의 Tip

사업목표와 범위에 맞는 수혜자를 제시

- 성과확산단계에 따라 수혜자를 구분하여 제시할 수는 있으나 사업성과를 통해 직접적 경제적

수혜를 받는 주체만 경제성 분석의 대상이 됨

세부활동(983733)은 사업목표(983730)와 개념적으로는 일부 연계성이 있음

산업 분야에 A 융합기술ʼ의 접목하기 위한 실증사업의 추진이 동 사업의 주요 내용이므로

관련 신산업을 창출하고자 하는 사업의 목표와는 개념적으로 연계성이 있음

B C 분야는 사업목표와 관련성이 있고 구축되는 통합센터와 정보 공유도 가능할 것이나

D E 분야는 독립적이며 사업목표와의 연계성도 낮아 동일 사업 내에서 추진할 필요성

및 통합센터 구축의 필요성도 모호함

기획의 Tip

세부활동(세부사업 또는 과제)을 수행하면 제시된 사업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세부

활동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문제 해결 및 사업목표 달성과 연관성이 낮은 활동은 제외

- 사업목표 달성과 관련 없는 과제의 포함 불요불급한 시설 및 장비의 구축 필요 이상으로 부풀린

사업비의 요구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는 주요 요인임

이 외의 항목들은 거시적인 작동논리나 연계성에 대한 검토보다는 세부내용의 적부 분석을 수행함

투입(983732)과 산출(983734)은 활동의 상세한 분석을 통해 적절성을 분석

성과영향(983735)은 사업목표와 활동 산출의 상세한 분석을 통해 적절성을 분석

가정(983736)은 별도의 분석보다는 이슈 목표 활동과 연계하여 분석

28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Ⅶ 맺음말

사업의 직접적인 이해관계자는 해당 사업의 긍정적인 측면만 생각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사업 기획주체는 신규 사업의 기획 시 객관적인 시각에서 사업계획을 조망하고 보완하기 위해

논리모형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ʻ왜 해야 하는지ʼ ʻ어떠한 결과를 내려고 하는지ʼ ʻ무엇을 어떻게 하려고 하는지ʼ가

논리적으로 연계가 되어 설득력을 확보해야 함

사업의 착수 전에 문서뿐인 사업계획서를 분석하여 사전에 평가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나

논리모형을 활용한 사업의 작동논리와 추진과정의 객관적인 분석을 통해 기획단계의

오류로 인한 사업의 부실화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

제도적인 측면에서 평가결과의 일관성 확보를 위해 사전평가의 방법으로 논리모형

분석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함13)

본 이슈페이퍼에서는 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을 설명

하였으며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추진단계 및 종료단계에 적절한 논리모형의 개발 및 활용도

고려할 필요

사업 추진 중의 사업관리 또는 중간평가 시에는 투입 rarr 활동 rarr 산출 등 사업 추진과정을

확대하여 집중적으로 분석하는 특히 활동을 더 세부적으로 구분한 논리모형이 필요함

- 사업별 특성에 부합하도록 단계별 연차별 세부과제(기술)별로 마일스톤이 포함된

논리모형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는 사업 추진 로드맵을 포함하는 형태가 될 것임

사업 종료 시의 성과확산 전략 수립이나 종료평가 또는 그 이후의 추적평가 시에는 산출

rarr 성과 rarr 영향의 사업성과 확산과정을 집중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논리모형을 구성할 수 있음

- 성과의 확산은 해당 연구개발사업 이후에 이루어지므로 동 논리모형의 구성은 성과의

극대화를 위한 성과확산사업의 기획과정으로도 볼 수 있음

논리모형 활용의 확산을 통해 국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역량을 제고하고 사업계획의

완성도를 높여 사업의 성공가능성을 제고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함

13)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에서는 이를 필수적으로 활용하도록 하고 있음

29

참 고 문 헌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 고 문 헌

국가과학기술위원회 (2011) 정부RampD 투자 효율화 추진계획

노화준 (2008) 정책평가론

미래창조과학부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 대통령령 제26729호

미래창조과학부 (2013) 국가연구개발사업 표준성과지표 ndash 성과목표지표 설정 가이드라인

미래창조과학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5) 2014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보고서

미래창조과학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5) 2014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4) 연구개발부문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제2판)

HM Treasury (2011) The Green Book Appraisal and Evaluation in Central Government

McLaughlin JA and Jordan GB (1999) ldquoLogic models a tool for telling your programrsquos

performance storyrdquo Evaluation and Program Planning 22 65~72

McLaughlin JA and Jordan GB (2010) ldquoUsing Logic Modelsrdquo in Joseph S Wholey

Harry P Hatry and Kathryn E Newcomer(eds) Handbook of Practical Program

Evaluation(Third Edition) San Francisco Jossey-Bass 55~80

OECD (2015) Frascati Manual 2015

PMI (2000) PMBOK Guide

WK Kellogg Foundation (2004) Logic Model Development Guide

저자 소개

강 현 규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공공기술조사실장

- 전화 02-589-2813

- e-mail hkkangkisteprekr

KISTEP Issue Paper 2016-05

|발 행|2016년 5월

|발행인|박 영 아

|발행처|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서울시 서초구 마방로 68(양재동) 동원산업빌딩 9층~12층

전화 02) 589-2200 팩스 02) 589-2222

httpwwwkisteprekr

|인쇄처|(주)비전테크시스템즈 [TEL02)3432-7132]

13

Ⅲ 사업계획과 논리모형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lt그림 4gt 논리모형의 사례 4

출처 노화준 (2008) 정책평가론

lt그림 1gt의 논리모형과 lt그림 2gt~lt그림 4gt의 논리모형을 결합하면 사업의 추진논리와

함께 추진과정 및 결과를 함께 볼 수 있는 논리모형을 구성할 수 있음

- 이러한 아이디어에 바탕을 두어 본 이슈페이퍼의 4장에서 설명할 논리모형이 개발됨

14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Ⅳ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Ex-ante evaluation)인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

에서는 사업계획의 쟁점사항 도출을 위한 핵심 도구로서 논리모형을 개발하여 활용하고

있음

관련 문헌들과 기존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 사례를 바탕으로 활용하기 용이한

논리모형을 개발하여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제2판)에 수록

본 논리모형은 이론접근모형과 성과접근모형을 결합한 형태로서 수직적으로는(상하

방향) 사업 추진에 대한 논리의 흐름을 수평적으로는(좌우 방향) 사업의 추진과정을

나타내도록 하여 이해하기가 용이함

- 제시된 논리모형은 정형화된 것은 아니며 사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논리모형을

변형하여 활용할 수 있음

사업계획의 평가자는 사업계획을 충분히 파악하고 이해한 후 논리모형을 작성하여야 함

- 논리모형 작성 시 주의할 점은 논리모형의 각 항목의 내용은 대상사업에 대한 평가자의

생각이 아니라 사업 기획주체의 의도와 논리를 담아야 함

논리모형이 작성된 이후에는 작성된 논리모형의 각 항목별 적절성과 항목 간 논리 흐름상의

오류나 괴리가 없는지 분석하여 주요 쟁점사항을 도출한 후 세부적으로 분석을 수행

사업의 기획단계에서도 본 논리모형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음

15

Ⅳ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를 위해 개발된 논리모형의 구조와 각 항목별로 다루어지는

내용 및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음

1 이슈 문제

ㅇ사업 추진의 필요성을 설명할 수 있는 배경요인 과학기술적 산업적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국가적 수요와 도전과제 등

ㅇ해당 사업을 통해 해결하거나 대처하고자 하는 문제나 이슈ㅇ해당 사업 분야와 관련된 정책 다른 연구개발사업 및 과제의 현황 미래 예측 기술과 시장의 동향 및 전망 전문가

설문 통계 및 조사 데이터 등도 활용ㅇ사업을 추진하지 않을 경우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문제나 잃게 되는 기회는 무엇인가ㅇ이슈문제 해결을 위해 연구개발사업 이외의 대안전략은 없는가

2 목표 3 수혜자

ㅇ해당 사업의 추진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사업의 핵심 성과 - 문제 해결 정도의 측정이 가능하도록 정량적 성과지표 제시

ㅇ사업목표 달성이나 사업의 산출로 인해 직접적인 이익을 얻는 주체

4 투입 5 활동 6 산출 7 성과 영향

ㅇ연구개발활동에 필요한 모든 자원

- 사업비 - 인적 자원 - 시설 및 장비 - 연구주체 지식

ㅇ목표를 달성하고 산출 발생을 위해 수행하는 연구개발 활동

ㅇ연구개발활동에 의한 직접적인 결과물 - 기술 정보 제품

데이터 서비스 논문 특허 등

- 산출물의 수량 규모 범위 등을 정량적으로 제시

ㅇ사업을 통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의도된 결과나 변화

ㅇ성과의 확산으로 인해 미래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직간접적 변화 및 파급효과

8 가정

ㅇ사업 추진 시 단계별로 발생할 상황과 변화에 대한 기대나 예측 - ldquo~~하면 ~~할 것이다rdquo로 표현되는 가정문(if-then)을 주로 사용ㅇ사업의 성공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외부요인 환경 조건 법 규정 원칙 믿음 위험

lt그림 5gt 연구개발사업의 쟁점사항 도출을 위한 논리모형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4) 연구개발부문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제2판)

16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983729 이슈문제 (IssueProblem)

이슈문제는 해당 연구개발사업을 기획하게 된 배경을 설명하고 사업의 추진당위성을

부여하는 항목

동 항목에서는 대상사업과 관련된 분야에서 어떠한 이슈나 문제가 존재하며 이러한

이슈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연구개발사업의 추진이 가장 효과적인 전략인지를

설명할 수 있어야 함

- 이를 위해 해당 사업의 필요성을 설명할 수 있는 배경요인(contextural factor)이 기술

되어야 하며 배경요인들에는 과학기술적 산업적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국가적

수요와 도전과제 등이 포함됨

사업에서 대처하려는 이슈나 문제가 여러 가지 요인들로 인해 복잡하다면 해당 사업과

연관성이 가장 높고 중요한 요인들로 압축하여 선정해야 함

- 이러한 문제 정의 과정을 통해 사업에서 추구하려는 목표를 명확히 설정할 수 있음

정부부처에서 제안하는 대부분의 연구개발사업은 특정 세부분야를 대상으로 하므로

광범위한 연구분야나 산업분야의 일반적이고 진부한 이슈문제를 제시하는 것보다는

사업에서 제안하는 세부분야의 특성과 현황에 기반을 둔 구체적이고 핵심적인 이슈

문제를 선정하여 강조하여야 설득력을 확보할 수 있음

사업의 필요성을 설명하기 위해 사업의 분야와 관련된 정책과 연구개발사업 및 과제의

현황 미래 예측 기술과 시장의 동향 및 전망 전문가 설문조사 통계 및 조사 데이터를

적극 활용하는 것이 좋음

제안된 연구개발사업 이외에 도출된 이슈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다른 대안이나 전략이

없는지도 고려할 필요가 있음

해당 사업계획에 대한 평가자는 사업 기획주체가 제시한 문제 정의가 적절한지를

분석함으로써 사업 추진당위성이 확보되었는지를 평가

17

Ⅳ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983730 목표 (Objective)

목표는 해당 사업의 추진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사업의 핵심 성과를 의미함

목표는 해결하고자 하는 이슈문제와 관련이 있어야 하며 해당 사업을 통해 그 이슈

문제가 해결될 수 있어야 함

- 즉 사업목표는 해당 사업을 통해 이슈문제가 어느 정도로 해결될 수 있는지 측정이

가능하도록 정량적으로 제시되어야 함

목표는 구체적이어야 하며(Specific) 측정 가능해야 하고(Measurable) 달성 가능해야

하며(Achievable) 이슈 및 연구개발활동과 연관이 있고(Relevant) 기한이 정해진

(Time-bound) 것이어야 함(SMART)9)

- 목표는 사업이 달성하고자 하는 바를 의미하므로 ① 이슈문제 및 ⑦ 성과영향과

연계하여 분석

목표는 구체성과 계측가능성을 기준으로 볼 때 목적과는 구분되는 개념임

- 사전적인 의미에서 목적(目的)은 ʻ실현하려고 하는 일이나 나아가는 방향ʼ이며 목표

(目標)는 ʻ어떤 목적을 이루려고 지향하는 실제적 대상으로 삼음 또는 그 대상ʼ을 뜻함

- 즉 목적은 추상적이고 방향과 의도를 함축하는데 반하여 목표는 구체적이고 범위가

제한적이며 일반적으로 측정 가능한 수치로 표현됨

983731 수혜자 (Beneficiary)

사업으로 인해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이해관계자는 여러 유형이 있을 수 있으나

수혜자10)는 사업목표와 접한 관련이 있어야 함

9) HM Treasury (2011) The Green Book Appraisal and Evaluation in Central Government

10) 예비타당성조사에서의 수혜자는 사업 추진을 통해 자금을 지원받는 주체가 아니라 사업목표 달성이나 사업의 산출로

인해 직접적인 경제적 이익을 얻는 주체를 의미하며 경제성 분석은 이 수혜자가 얻게 되는 직접적인 경제적 편익을

기준으로 분석함

18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983732 투입 (Input)

투입은 연구개발활동에 필요한 모든 자원을 의미

- 투입의 기본 항목은 재정적 자원과 인적 자원이며 연구시설middot장비 연구수행주체 관련

지식 등이 투입에 해당

- 해당 사업에서 활용될 기존 사업의 산출과 성과도 투입에 포함될 수 있음

사업이 충실하게 기획되면 희망하는 결과를 얻기 위한 최소의 물량규모가 정량적으로

산출될 수 있음

- 실무적으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에서 투입에 해당하는 물량규모는

총사업비라는 형태로 표현됨

983733 활동 (Activity)

국가연구개발사업에서의 활동은 목표를 달성하고 산출을 발생시키기 위해 수행하는

연구개발활동에 초점을 맞추어야 하며 연구개발에 인접한 활동은 연구개발예산 편성

기준에 부합하는지의 여부에 초점을 맞추어야 함

일반적으로 OO기술 개발 OO연구기반 구축 등이 큰 범위의 연구개발활동이 되며 각

연구개발활동은 요소기술 개발 등의 세부 연구개발활동으로 세분화될 수 있음

983734 산출 (Output)

산출은 연구개발활동을 통한 직접적인 결과물을 의미하며 각 활동별로 하나 이상의

산출이 존재할 수 있음

일반적으로 연구개발활동으로 개발된 기술 정보 데이터 제품 서비스 등이 해당되며

이 각각의 산출물은 정량적으로 수량 규모 범위 등이 제시되어야 함

- 기초연구사업에서 개발된 기술에 대한 논문과 특허도 산출물에 해당

19

Ⅳ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983735 성과영향 (OutcomeImpact)

성과는 사업의 목표와 접한 관련이 있으며 사업 추진에 따른 변화나 사업결과

(output)의 활용을 통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의도된 결과이며 영향은 성과의

확산으로 인해 미래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직간접적 변화 및 파급효과를 의미

- 일반적으로 연구개발사업의 단계 구분이나 관련 문헌에서 제시된 논리모형에서는

성과와 영향을 별도 항목으로 고려하기도 하지만 사업의 착수 전에 수행되는 사전

평가에서 성과와 영향을 구분하여 검토하는 것은 실효성이 낮으므로11) 성과와 영향을

종합하여 검토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의 경제성 분석은 국가연구개발사업으로 인한 직접적인

경제적 성과를 추정하는 것임

983736 가정 (Assumption)

사업계획은 그 자체가 기획된 대로 수행하면 기대하는 결과가 생성될 것이라는 가설이며

가정은 사업의 유효성에 대한 믿음임

가정은 사업 추진 시 논리모형의 각 항목별로 발생할 상황과 변화에 대한 기대나 예측을

의미

가정은 사업 수행에 직접적으로 관련 있는 것으로 한정되어야 하며 사업의 성공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외부요인들도 가정에 포함될 수 있음

- 이러한 외부요인으로는 환경 조건 법 규정 원칙 한계 믿음 위험 등이 될 수 있음

11) 사업으로 인한 성과와 영향은 종료평가와 추적평가를 통해 구체적인 평가가 가능함

20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사업계획은 적절한 기획을 통해 도출되어야 하며 기획과정 중에 논리모형을 통해

논리적인 비약을 배제함으로써 사업계획의 합리성을 확보할 수 있음

기획은 최적의 수단으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미래에 취할 행동을 위한 일련의

결정을 준비하는 계획적 과정임

충분한 고민과 의견 수렴을 통해 기획이 잘 이루어지면 사업 추진과 결과의 부실화를

미연에 방지하고 성공가능성을 높일 수 있음

논리모형은 기획과정의 각 시점에서 그 당시까지 구체화된 항목을 하나하나 채워나감

으로써 가시적인 논리의 확인과 기획참여자들 간의 소통과 이해 및 의견 수렴에 유용함

사업의 기획이 완료된 후에는 완성된 논리모형을 예산당국 주무부처와 같은 이해

관계자와 사업계획 평가자에게 제시하여 사업의 거시적인 작동논리를 이해시키고 예산

확보를 위해 설득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음

사업의 착수시점에 해당 사업에 대한 체계화된 정보가 없을 경우에는 후속관리가

부실화되기 쉬우므로 사업계획의 충실한 수립은 매우 중요함

전반적인 추진논리를 확보하기 위해 바람직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절차는

lt그림 6gt과 같이 제시될 수 있음

21

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lt그림 6gt 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정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4) 연구개발부문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제2판)

사업을 기획하기 위해서는 우선 대규모 신규 사업의 추진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이슈

또는 문제가 무엇인지 먼저 파악되어야 함

- 동향조사 예측조사 설문조사 인터뷰 통계분석 등 다양한 분석방법을 통해 적절한

범위 내에서 이슈문제를 식별한 후 기획 의도를 고려한 합리적인 평가기준을 적용하여

사업에서 집중하고자 하는 문제를 선택해야 함

- 선택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연구개발사업이 세금 자금 인력 지원 등 다른

대안과 비교할 때 가장 효율적인 방법인지 검토되어야 함

정부의 연구개발사업 추진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가 정의되면 사업을 통해 얻고자 하는

성과가 무엇인지 구체적이고 객관적으로 제시해야 함

- 이를 위해서는 사업의 성과물이 전달되는 수혜 대상이 명확히 정의되어야 함

사업목표가 설정되면 이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추진체계와 추진전략이 수립되어야 함

22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 추진체계는 다양한 참여주체의 분석을 통해 적절한 역할과 조정 협력관계 등을

조직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함

- 추진전략은 사업 및 기술 환경의 특성 분석을 통해 목표 달성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연구개발전략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함

세부과제의 구성을 완료하여 사업기간과 총사업비 그리고 필요한 장비와 시설 등 신규

구축할 인프라의 규모를 도출함

- 세부과제는 기본적으로 사업목표와 직접적으로 연계되어야 함 즉 세부과제가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사업목표가 달성될 수 있도록 구성할 필요

- 기술수요조사와 시설장비수요조사와 같은 시장이나 사회적 수요를 반영한 후보과제를

도출한 후 사업목표의 달성을 위한 전략적 방향을 고려한 기준과 가중치가 적용된

우선순위 선정절차를 거치는 것이 바람직함

- 선정된 세부과제는 목표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적절한 단위의 세부활동을 구성하고 사업

추진상의 기술개발 로드맵을 수립하며 각각의 세부 성과지표를 구체화함

- 세부활동이 구체화되면 활동별로 수행을 위한 비용 기간 조직 인프라 등의 자원 소요계획이

확립되며 이를 종합하여 전체 사업의 추진을 위해 필요한 투입자원의 총량을 도출함

수립된 사업계획 초안의 문제 정의 사업목표 설정 추진체계 및 추진전략 수립 세부과제

구성에 대한 재검토 및 보완을 통해 기획을 완료함

- 현실적으로 기획과정에서 모든 정보를 완벽하게 수집하고 분석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신규로 제안되는 사업과 유사한 선행사업이 없어 과거 사례의 참조에도 한계가 있을 수 있음

- 사업의 내용은 기획이 진행되면서 시간의 흐름과 함께 점진적으로 구체화12)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환류(feedback) 과정을 거쳐 사업계획을 보완하는 것이 중요함

- 환류 과정을 진행하기 전에 현재까지 기획된 사업계획에 대한 논리모형을 구성하여

전반적인 사업의 작동논리가 설득력 있게 기획되었는지 확인하고 환류 과정을 통해

보완된 사업계획에 대한 논리모형도 검토하는 것이 바람직함

12) PMI (2000) PMBOK Guide

23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가상의 사례를 통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을 설명하고자 함

lt그림 7gt은 가상의 국가연개구발사업에 대해 작성된 논리모형임

1 이슈 문제

ㅇ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시장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나 정부의 투자는 산발적이고 일회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해외 의존도가 증대되고 있음

- 클러스터 형태의 실증사업 추진 필요

ㅇ A 융합기술ʼ 분야의 생태계 조성과 연계하고 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 클러스터를 구축하고 Z지역의 산업지역발전의 거점 역할을 하도록 할 필요

2 목표 3 수혜자

ㅇ ʻA 융합기술ʼ 신산업 허브 구축

- ʻA 융합기술ʼ 신산업 창출 선도 및 발전 기반 구축

- 지역거점형 ʻA 융합기술ʼ 실증사업 중심 산업화 지원

- ʻA 융합기술ʼ 산학연 협력 및 비즈니스 협업체계 구축

ㅇA 융합기술 분야 기업

ㅇ국민공공기관

4 투입 5 활동 6 산출 7 성과 영향

ㅇ사업비 OO억 원

ㅇ연구인력

ㅇ ʻA 융합기술ʼ 통합

센터 구축

ㅇ실증사업

- B C D E 4개

산업 분야

ㅇB C D E 등 4개

산업 분야

ʻA 융합기술ʼ 시스템

ㅇ ʻA 융합기술ʼ 기반

융합산업의 생산성

증대

ㅇZ지역의 지역경제

발전

8 가정

ㅇ ʻA 융합기술ʼ 신산업 강화는 국가 발전의 원동력으로 작용할 것임

ㅇ지역 착형 거점 구축을 통해 기술발전을 선도하고 관련 산업 육성을 도모하며 지역산업 활성화를 도모할 것임

lt그림 7gt 가상의 사업계획에 기반한 논리모형 작성의 사례

24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사업에 대한 사전평가에서 논리모형은 사업의 거시적인 작동논리의 분석을 통해 주요

쟁점을 도출하기 위해 활용됨

논리모형에는 사업계획의 핵심 내용만 기재되므로 논리모형 분석은 세부내용의 상세한

적부 분석이 아닌 이슈 목표 활동으로 이어지는 사업의 주요 작동논리 분석과 세 항목 간의

논리적 연계성 분석이 주로 이루어짐

시장 수요나 전망 현장의 이슈를 고려하지 않고 적절한 기획과정도 거치치 않은 채 소수의

기획주체가 ʻ하고 싶고 할 수 있는ʼ 과제를 먼저 선정해 놓고 사업을 기획하여 전체적인

사업 작동논리가 부실한 경우가 많으므로 이러한 쟁점 여부의 파악을 위해 활용함

가상의 사업계획에서 제시한 이슈(983729)는 신규 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는 이유를 설명하는

문제 정의로서 적절치 않음

최근 2~3년전부터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다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들이 다수 착수되어

추진되고 있으므로 산발적일회적이라는 주장은 사실과 다름

ʻA 융합기술ʼ 분야는 현재 국내 기업에서 사업화를 추진 중인 분야이고 기업들의 기술 수준도

상대적으로 높으므로 해외의존도를 언급하는 것은 부적절함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시장이 확대될 것이라는 예측은 적절하지만 이러한 내용은 누구나

알고 있는 일반적인 사항이며 동 사업 내에서 실증을 하고자 하는 세부 산업 분야(B C

D E 산업)에서의 ʻA 융합기술ʼ의 시장 동향 전망과 데이터에 근거한 분석은 이루어지지

않음

대형 실증사업 추진을 위해서는 사업의 성과에 대한 구체적 근거 마련을 위해 사전 연구나

조사를 통한 성과 데이터의 구축이 필요하나 실증사업의 추진 필요성과 유효성을 설명

할 수 있는 근거자료가 부재함

Z지역에는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연구 및 산업기반이 국내에서도 상대적으로 미약하여

산업 클러스터가 형성될 가능성이 낮고 국가적인 차원의 활용도 관점에서 해당 지역에의

거점 구축의 당위성은 낮음

25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기획의 Tip

국가적인 차원에서 연구개발사업을 통해서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를 구체적이고 명확히 정의

- 현재 또는 미래에 어떤 문제가 있거나 발생할 것이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

개발사업을 구상하게 되었는지 제시

-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광범위한 이슈의 제기는 무의미

- 국내외의 각종 통계 보고서 정책자료 시장보고서 전문가 및 실무자 인터뷰 등 근거자료를

통해 구체화되고 특정화된 문제를 제시

- 특정 주체나 지역이 아닌 국가적인 차원의 문제를 제시해야 하며 해당 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지 않으면 국가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나 잃게 되는 기회가 무엇인지를 설명

- 지역기반 구축은 국가적인 필요성과 함께 전국에서 해당 지역이 기반 구축의 최적지임을

입증할 수 있는 근거가 필요

사업목표(983730)를 제시하였으나 선언적인 내용에 불과하며 성과지표의 구체화가 미흡하여

문제 해결 정도를 측정하기 어려움

동 사업에서는 광범위한 ʻA 융합기술ʼ의 적용 분야 중 소수의 분야만을 다루는 반면

사업목표는 사업 내용에 비해 지나치게 일반적이고 광범위하게 수립됨

동 사업은 상호 연관성이 낮은 여러 세부사업을 단일 사업 내에 포함시켜 전체 사업 수준의

거시적인 성과목표 제시가 어려운 한계가 있음

앞서 각 세부사업별로 해당 산업 분야의 문제 정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사업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와 성과가 불문명하며 이에 따라 성과지표를 정량적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하여 목표 달성 여부의 측정방법도 불분명함

26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기획의 Tip

관리 가능성의 관점에서 사업목표는 SMART하게 제시

- 구체적이고(Specific) 측정가능하며(Measurable) 달성가능하고(Achievable) 문제 활동과 연관성이 있으며(Relevant) 시간제약이 있도록(Time-bound)가 있도록 수립

해결해야 할 문제(983729)와 사업목표(983730) 간에 괴리가 존재하여 둘 간의 연계성은 미흡함

해결해야 할 이슈로 제시한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일반적인 문제들을 사업목표로 제시한

지역 착형 사업을 통해 해소하고자 함은 연계성이 낮음

문제 정의 자체가 세부 산업분야별 시장 전망 또는 현장의 이슈 분석을 통해 구체적으로

도출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를 해소하기 위해 달성할 사업목표의 설정도 어려운 한계가

있으며 동 사업의 추진으로 국내외에서 어느 정도의 성과를 거둘 수 있을지도 예상할 수

없음

제시된 4가지 실증사업은 공공 영역부터 민간의 사업화가 활발한 영역까지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어 시너지 효과 창출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됨

기획의 Tip

사업목표의 범위는 제시된 이슈문제의 범위와 일치해야 하며 사업목표를 달성하면 이슈문제가 어느 정도 해결되는지를 보여줄 수 있도록 사업목표를 수립

세부 실증사업을 통해 개발될 제품(시스템)의 사용자(구매자)까지 수혜자로 포함시켜

수혜자(983731)의 표적화가 부적절함

동 사업을 통해 제품을 개발하여 사업 종료 후 해당 제품의 판매를 통해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할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기업들이 동 사업의 직접적 수혜자임

27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동 사업은 A 융합기술ʼ 분야의 실증을 통한 시스템 개발로 종료되며 제품을 최종사용자

에게까지 보급하는 것은 사업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여러 단계 이후의 최종사용자를

동 사업의 수혜자로 제시하는 것은 부적절함

기획의 Tip

사업목표와 범위에 맞는 수혜자를 제시

- 성과확산단계에 따라 수혜자를 구분하여 제시할 수는 있으나 사업성과를 통해 직접적 경제적

수혜를 받는 주체만 경제성 분석의 대상이 됨

세부활동(983733)은 사업목표(983730)와 개념적으로는 일부 연계성이 있음

산업 분야에 A 융합기술ʼ의 접목하기 위한 실증사업의 추진이 동 사업의 주요 내용이므로

관련 신산업을 창출하고자 하는 사업의 목표와는 개념적으로 연계성이 있음

B C 분야는 사업목표와 관련성이 있고 구축되는 통합센터와 정보 공유도 가능할 것이나

D E 분야는 독립적이며 사업목표와의 연계성도 낮아 동일 사업 내에서 추진할 필요성

및 통합센터 구축의 필요성도 모호함

기획의 Tip

세부활동(세부사업 또는 과제)을 수행하면 제시된 사업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세부

활동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문제 해결 및 사업목표 달성과 연관성이 낮은 활동은 제외

- 사업목표 달성과 관련 없는 과제의 포함 불요불급한 시설 및 장비의 구축 필요 이상으로 부풀린

사업비의 요구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는 주요 요인임

이 외의 항목들은 거시적인 작동논리나 연계성에 대한 검토보다는 세부내용의 적부 분석을 수행함

투입(983732)과 산출(983734)은 활동의 상세한 분석을 통해 적절성을 분석

성과영향(983735)은 사업목표와 활동 산출의 상세한 분석을 통해 적절성을 분석

가정(983736)은 별도의 분석보다는 이슈 목표 활동과 연계하여 분석

28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Ⅶ 맺음말

사업의 직접적인 이해관계자는 해당 사업의 긍정적인 측면만 생각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사업 기획주체는 신규 사업의 기획 시 객관적인 시각에서 사업계획을 조망하고 보완하기 위해

논리모형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ʻ왜 해야 하는지ʼ ʻ어떠한 결과를 내려고 하는지ʼ ʻ무엇을 어떻게 하려고 하는지ʼ가

논리적으로 연계가 되어 설득력을 확보해야 함

사업의 착수 전에 문서뿐인 사업계획서를 분석하여 사전에 평가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나

논리모형을 활용한 사업의 작동논리와 추진과정의 객관적인 분석을 통해 기획단계의

오류로 인한 사업의 부실화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

제도적인 측면에서 평가결과의 일관성 확보를 위해 사전평가의 방법으로 논리모형

분석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함13)

본 이슈페이퍼에서는 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을 설명

하였으며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추진단계 및 종료단계에 적절한 논리모형의 개발 및 활용도

고려할 필요

사업 추진 중의 사업관리 또는 중간평가 시에는 투입 rarr 활동 rarr 산출 등 사업 추진과정을

확대하여 집중적으로 분석하는 특히 활동을 더 세부적으로 구분한 논리모형이 필요함

- 사업별 특성에 부합하도록 단계별 연차별 세부과제(기술)별로 마일스톤이 포함된

논리모형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는 사업 추진 로드맵을 포함하는 형태가 될 것임

사업 종료 시의 성과확산 전략 수립이나 종료평가 또는 그 이후의 추적평가 시에는 산출

rarr 성과 rarr 영향의 사업성과 확산과정을 집중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논리모형을 구성할 수 있음

- 성과의 확산은 해당 연구개발사업 이후에 이루어지므로 동 논리모형의 구성은 성과의

극대화를 위한 성과확산사업의 기획과정으로도 볼 수 있음

논리모형 활용의 확산을 통해 국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역량을 제고하고 사업계획의

완성도를 높여 사업의 성공가능성을 제고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함

13)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에서는 이를 필수적으로 활용하도록 하고 있음

29

참 고 문 헌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 고 문 헌

국가과학기술위원회 (2011) 정부RampD 투자 효율화 추진계획

노화준 (2008) 정책평가론

미래창조과학부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 대통령령 제26729호

미래창조과학부 (2013) 국가연구개발사업 표준성과지표 ndash 성과목표지표 설정 가이드라인

미래창조과학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5) 2014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보고서

미래창조과학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5) 2014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4) 연구개발부문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제2판)

HM Treasury (2011) The Green Book Appraisal and Evaluation in Central Government

McLaughlin JA and Jordan GB (1999) ldquoLogic models a tool for telling your programrsquos

performance storyrdquo Evaluation and Program Planning 22 65~72

McLaughlin JA and Jordan GB (2010) ldquoUsing Logic Modelsrdquo in Joseph S Wholey

Harry P Hatry and Kathryn E Newcomer(eds) Handbook of Practical Program

Evaluation(Third Edition) San Francisco Jossey-Bass 55~80

OECD (2015) Frascati Manual 2015

PMI (2000) PMBOK Guide

WK Kellogg Foundation (2004) Logic Model Development Guide

저자 소개

강 현 규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공공기술조사실장

- 전화 02-589-2813

- e-mail hkkangkisteprekr

KISTEP Issue Paper 2016-05

|발 행|2016년 5월

|발행인|박 영 아

|발행처|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서울시 서초구 마방로 68(양재동) 동원산업빌딩 9층~12층

전화 02) 589-2200 팩스 02) 589-2222

httpwwwkisteprekr

|인쇄처|(주)비전테크시스템즈 [TEL02)3432-7132]

14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Ⅳ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Ex-ante evaluation)인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

에서는 사업계획의 쟁점사항 도출을 위한 핵심 도구로서 논리모형을 개발하여 활용하고

있음

관련 문헌들과 기존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 사례를 바탕으로 활용하기 용이한

논리모형을 개발하여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제2판)에 수록

본 논리모형은 이론접근모형과 성과접근모형을 결합한 형태로서 수직적으로는(상하

방향) 사업 추진에 대한 논리의 흐름을 수평적으로는(좌우 방향) 사업의 추진과정을

나타내도록 하여 이해하기가 용이함

- 제시된 논리모형은 정형화된 것은 아니며 사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논리모형을

변형하여 활용할 수 있음

사업계획의 평가자는 사업계획을 충분히 파악하고 이해한 후 논리모형을 작성하여야 함

- 논리모형 작성 시 주의할 점은 논리모형의 각 항목의 내용은 대상사업에 대한 평가자의

생각이 아니라 사업 기획주체의 의도와 논리를 담아야 함

논리모형이 작성된 이후에는 작성된 논리모형의 각 항목별 적절성과 항목 간 논리 흐름상의

오류나 괴리가 없는지 분석하여 주요 쟁점사항을 도출한 후 세부적으로 분석을 수행

사업의 기획단계에서도 본 논리모형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음

15

Ⅳ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를 위해 개발된 논리모형의 구조와 각 항목별로 다루어지는

내용 및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음

1 이슈 문제

ㅇ사업 추진의 필요성을 설명할 수 있는 배경요인 과학기술적 산업적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국가적 수요와 도전과제 등

ㅇ해당 사업을 통해 해결하거나 대처하고자 하는 문제나 이슈ㅇ해당 사업 분야와 관련된 정책 다른 연구개발사업 및 과제의 현황 미래 예측 기술과 시장의 동향 및 전망 전문가

설문 통계 및 조사 데이터 등도 활용ㅇ사업을 추진하지 않을 경우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문제나 잃게 되는 기회는 무엇인가ㅇ이슈문제 해결을 위해 연구개발사업 이외의 대안전략은 없는가

2 목표 3 수혜자

ㅇ해당 사업의 추진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사업의 핵심 성과 - 문제 해결 정도의 측정이 가능하도록 정량적 성과지표 제시

ㅇ사업목표 달성이나 사업의 산출로 인해 직접적인 이익을 얻는 주체

4 투입 5 활동 6 산출 7 성과 영향

ㅇ연구개발활동에 필요한 모든 자원

- 사업비 - 인적 자원 - 시설 및 장비 - 연구주체 지식

ㅇ목표를 달성하고 산출 발생을 위해 수행하는 연구개발 활동

ㅇ연구개발활동에 의한 직접적인 결과물 - 기술 정보 제품

데이터 서비스 논문 특허 등

- 산출물의 수량 규모 범위 등을 정량적으로 제시

ㅇ사업을 통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의도된 결과나 변화

ㅇ성과의 확산으로 인해 미래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직간접적 변화 및 파급효과

8 가정

ㅇ사업 추진 시 단계별로 발생할 상황과 변화에 대한 기대나 예측 - ldquo~~하면 ~~할 것이다rdquo로 표현되는 가정문(if-then)을 주로 사용ㅇ사업의 성공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외부요인 환경 조건 법 규정 원칙 믿음 위험

lt그림 5gt 연구개발사업의 쟁점사항 도출을 위한 논리모형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4) 연구개발부문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제2판)

16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983729 이슈문제 (IssueProblem)

이슈문제는 해당 연구개발사업을 기획하게 된 배경을 설명하고 사업의 추진당위성을

부여하는 항목

동 항목에서는 대상사업과 관련된 분야에서 어떠한 이슈나 문제가 존재하며 이러한

이슈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연구개발사업의 추진이 가장 효과적인 전략인지를

설명할 수 있어야 함

- 이를 위해 해당 사업의 필요성을 설명할 수 있는 배경요인(contextural factor)이 기술

되어야 하며 배경요인들에는 과학기술적 산업적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국가적

수요와 도전과제 등이 포함됨

사업에서 대처하려는 이슈나 문제가 여러 가지 요인들로 인해 복잡하다면 해당 사업과

연관성이 가장 높고 중요한 요인들로 압축하여 선정해야 함

- 이러한 문제 정의 과정을 통해 사업에서 추구하려는 목표를 명확히 설정할 수 있음

정부부처에서 제안하는 대부분의 연구개발사업은 특정 세부분야를 대상으로 하므로

광범위한 연구분야나 산업분야의 일반적이고 진부한 이슈문제를 제시하는 것보다는

사업에서 제안하는 세부분야의 특성과 현황에 기반을 둔 구체적이고 핵심적인 이슈

문제를 선정하여 강조하여야 설득력을 확보할 수 있음

사업의 필요성을 설명하기 위해 사업의 분야와 관련된 정책과 연구개발사업 및 과제의

현황 미래 예측 기술과 시장의 동향 및 전망 전문가 설문조사 통계 및 조사 데이터를

적극 활용하는 것이 좋음

제안된 연구개발사업 이외에 도출된 이슈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다른 대안이나 전략이

없는지도 고려할 필요가 있음

해당 사업계획에 대한 평가자는 사업 기획주체가 제시한 문제 정의가 적절한지를

분석함으로써 사업 추진당위성이 확보되었는지를 평가

17

Ⅳ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983730 목표 (Objective)

목표는 해당 사업의 추진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사업의 핵심 성과를 의미함

목표는 해결하고자 하는 이슈문제와 관련이 있어야 하며 해당 사업을 통해 그 이슈

문제가 해결될 수 있어야 함

- 즉 사업목표는 해당 사업을 통해 이슈문제가 어느 정도로 해결될 수 있는지 측정이

가능하도록 정량적으로 제시되어야 함

목표는 구체적이어야 하며(Specific) 측정 가능해야 하고(Measurable) 달성 가능해야

하며(Achievable) 이슈 및 연구개발활동과 연관이 있고(Relevant) 기한이 정해진

(Time-bound) 것이어야 함(SMART)9)

- 목표는 사업이 달성하고자 하는 바를 의미하므로 ① 이슈문제 및 ⑦ 성과영향과

연계하여 분석

목표는 구체성과 계측가능성을 기준으로 볼 때 목적과는 구분되는 개념임

- 사전적인 의미에서 목적(目的)은 ʻ실현하려고 하는 일이나 나아가는 방향ʼ이며 목표

(目標)는 ʻ어떤 목적을 이루려고 지향하는 실제적 대상으로 삼음 또는 그 대상ʼ을 뜻함

- 즉 목적은 추상적이고 방향과 의도를 함축하는데 반하여 목표는 구체적이고 범위가

제한적이며 일반적으로 측정 가능한 수치로 표현됨

983731 수혜자 (Beneficiary)

사업으로 인해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이해관계자는 여러 유형이 있을 수 있으나

수혜자10)는 사업목표와 접한 관련이 있어야 함

9) HM Treasury (2011) The Green Book Appraisal and Evaluation in Central Government

10) 예비타당성조사에서의 수혜자는 사업 추진을 통해 자금을 지원받는 주체가 아니라 사업목표 달성이나 사업의 산출로

인해 직접적인 경제적 이익을 얻는 주체를 의미하며 경제성 분석은 이 수혜자가 얻게 되는 직접적인 경제적 편익을

기준으로 분석함

18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983732 투입 (Input)

투입은 연구개발활동에 필요한 모든 자원을 의미

- 투입의 기본 항목은 재정적 자원과 인적 자원이며 연구시설middot장비 연구수행주체 관련

지식 등이 투입에 해당

- 해당 사업에서 활용될 기존 사업의 산출과 성과도 투입에 포함될 수 있음

사업이 충실하게 기획되면 희망하는 결과를 얻기 위한 최소의 물량규모가 정량적으로

산출될 수 있음

- 실무적으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에서 투입에 해당하는 물량규모는

총사업비라는 형태로 표현됨

983733 활동 (Activity)

국가연구개발사업에서의 활동은 목표를 달성하고 산출을 발생시키기 위해 수행하는

연구개발활동에 초점을 맞추어야 하며 연구개발에 인접한 활동은 연구개발예산 편성

기준에 부합하는지의 여부에 초점을 맞추어야 함

일반적으로 OO기술 개발 OO연구기반 구축 등이 큰 범위의 연구개발활동이 되며 각

연구개발활동은 요소기술 개발 등의 세부 연구개발활동으로 세분화될 수 있음

983734 산출 (Output)

산출은 연구개발활동을 통한 직접적인 결과물을 의미하며 각 활동별로 하나 이상의

산출이 존재할 수 있음

일반적으로 연구개발활동으로 개발된 기술 정보 데이터 제품 서비스 등이 해당되며

이 각각의 산출물은 정량적으로 수량 규모 범위 등이 제시되어야 함

- 기초연구사업에서 개발된 기술에 대한 논문과 특허도 산출물에 해당

19

Ⅳ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983735 성과영향 (OutcomeImpact)

성과는 사업의 목표와 접한 관련이 있으며 사업 추진에 따른 변화나 사업결과

(output)의 활용을 통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의도된 결과이며 영향은 성과의

확산으로 인해 미래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직간접적 변화 및 파급효과를 의미

- 일반적으로 연구개발사업의 단계 구분이나 관련 문헌에서 제시된 논리모형에서는

성과와 영향을 별도 항목으로 고려하기도 하지만 사업의 착수 전에 수행되는 사전

평가에서 성과와 영향을 구분하여 검토하는 것은 실효성이 낮으므로11) 성과와 영향을

종합하여 검토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의 경제성 분석은 국가연구개발사업으로 인한 직접적인

경제적 성과를 추정하는 것임

983736 가정 (Assumption)

사업계획은 그 자체가 기획된 대로 수행하면 기대하는 결과가 생성될 것이라는 가설이며

가정은 사업의 유효성에 대한 믿음임

가정은 사업 추진 시 논리모형의 각 항목별로 발생할 상황과 변화에 대한 기대나 예측을

의미

가정은 사업 수행에 직접적으로 관련 있는 것으로 한정되어야 하며 사업의 성공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외부요인들도 가정에 포함될 수 있음

- 이러한 외부요인으로는 환경 조건 법 규정 원칙 한계 믿음 위험 등이 될 수 있음

11) 사업으로 인한 성과와 영향은 종료평가와 추적평가를 통해 구체적인 평가가 가능함

20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사업계획은 적절한 기획을 통해 도출되어야 하며 기획과정 중에 논리모형을 통해

논리적인 비약을 배제함으로써 사업계획의 합리성을 확보할 수 있음

기획은 최적의 수단으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미래에 취할 행동을 위한 일련의

결정을 준비하는 계획적 과정임

충분한 고민과 의견 수렴을 통해 기획이 잘 이루어지면 사업 추진과 결과의 부실화를

미연에 방지하고 성공가능성을 높일 수 있음

논리모형은 기획과정의 각 시점에서 그 당시까지 구체화된 항목을 하나하나 채워나감

으로써 가시적인 논리의 확인과 기획참여자들 간의 소통과 이해 및 의견 수렴에 유용함

사업의 기획이 완료된 후에는 완성된 논리모형을 예산당국 주무부처와 같은 이해

관계자와 사업계획 평가자에게 제시하여 사업의 거시적인 작동논리를 이해시키고 예산

확보를 위해 설득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음

사업의 착수시점에 해당 사업에 대한 체계화된 정보가 없을 경우에는 후속관리가

부실화되기 쉬우므로 사업계획의 충실한 수립은 매우 중요함

전반적인 추진논리를 확보하기 위해 바람직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절차는

lt그림 6gt과 같이 제시될 수 있음

21

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lt그림 6gt 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정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4) 연구개발부문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제2판)

사업을 기획하기 위해서는 우선 대규모 신규 사업의 추진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이슈

또는 문제가 무엇인지 먼저 파악되어야 함

- 동향조사 예측조사 설문조사 인터뷰 통계분석 등 다양한 분석방법을 통해 적절한

범위 내에서 이슈문제를 식별한 후 기획 의도를 고려한 합리적인 평가기준을 적용하여

사업에서 집중하고자 하는 문제를 선택해야 함

- 선택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연구개발사업이 세금 자금 인력 지원 등 다른

대안과 비교할 때 가장 효율적인 방법인지 검토되어야 함

정부의 연구개발사업 추진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가 정의되면 사업을 통해 얻고자 하는

성과가 무엇인지 구체적이고 객관적으로 제시해야 함

- 이를 위해서는 사업의 성과물이 전달되는 수혜 대상이 명확히 정의되어야 함

사업목표가 설정되면 이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추진체계와 추진전략이 수립되어야 함

22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 추진체계는 다양한 참여주체의 분석을 통해 적절한 역할과 조정 협력관계 등을

조직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함

- 추진전략은 사업 및 기술 환경의 특성 분석을 통해 목표 달성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연구개발전략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함

세부과제의 구성을 완료하여 사업기간과 총사업비 그리고 필요한 장비와 시설 등 신규

구축할 인프라의 규모를 도출함

- 세부과제는 기본적으로 사업목표와 직접적으로 연계되어야 함 즉 세부과제가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사업목표가 달성될 수 있도록 구성할 필요

- 기술수요조사와 시설장비수요조사와 같은 시장이나 사회적 수요를 반영한 후보과제를

도출한 후 사업목표의 달성을 위한 전략적 방향을 고려한 기준과 가중치가 적용된

우선순위 선정절차를 거치는 것이 바람직함

- 선정된 세부과제는 목표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적절한 단위의 세부활동을 구성하고 사업

추진상의 기술개발 로드맵을 수립하며 각각의 세부 성과지표를 구체화함

- 세부활동이 구체화되면 활동별로 수행을 위한 비용 기간 조직 인프라 등의 자원 소요계획이

확립되며 이를 종합하여 전체 사업의 추진을 위해 필요한 투입자원의 총량을 도출함

수립된 사업계획 초안의 문제 정의 사업목표 설정 추진체계 및 추진전략 수립 세부과제

구성에 대한 재검토 및 보완을 통해 기획을 완료함

- 현실적으로 기획과정에서 모든 정보를 완벽하게 수집하고 분석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신규로 제안되는 사업과 유사한 선행사업이 없어 과거 사례의 참조에도 한계가 있을 수 있음

- 사업의 내용은 기획이 진행되면서 시간의 흐름과 함께 점진적으로 구체화12)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환류(feedback) 과정을 거쳐 사업계획을 보완하는 것이 중요함

- 환류 과정을 진행하기 전에 현재까지 기획된 사업계획에 대한 논리모형을 구성하여

전반적인 사업의 작동논리가 설득력 있게 기획되었는지 확인하고 환류 과정을 통해

보완된 사업계획에 대한 논리모형도 검토하는 것이 바람직함

12) PMI (2000) PMBOK Guide

23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가상의 사례를 통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을 설명하고자 함

lt그림 7gt은 가상의 국가연개구발사업에 대해 작성된 논리모형임

1 이슈 문제

ㅇ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시장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나 정부의 투자는 산발적이고 일회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해외 의존도가 증대되고 있음

- 클러스터 형태의 실증사업 추진 필요

ㅇ A 융합기술ʼ 분야의 생태계 조성과 연계하고 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 클러스터를 구축하고 Z지역의 산업지역발전의 거점 역할을 하도록 할 필요

2 목표 3 수혜자

ㅇ ʻA 융합기술ʼ 신산업 허브 구축

- ʻA 융합기술ʼ 신산업 창출 선도 및 발전 기반 구축

- 지역거점형 ʻA 융합기술ʼ 실증사업 중심 산업화 지원

- ʻA 융합기술ʼ 산학연 협력 및 비즈니스 협업체계 구축

ㅇA 융합기술 분야 기업

ㅇ국민공공기관

4 투입 5 활동 6 산출 7 성과 영향

ㅇ사업비 OO억 원

ㅇ연구인력

ㅇ ʻA 융합기술ʼ 통합

센터 구축

ㅇ실증사업

- B C D E 4개

산업 분야

ㅇB C D E 등 4개

산업 분야

ʻA 융합기술ʼ 시스템

ㅇ ʻA 융합기술ʼ 기반

융합산업의 생산성

증대

ㅇZ지역의 지역경제

발전

8 가정

ㅇ ʻA 융합기술ʼ 신산업 강화는 국가 발전의 원동력으로 작용할 것임

ㅇ지역 착형 거점 구축을 통해 기술발전을 선도하고 관련 산업 육성을 도모하며 지역산업 활성화를 도모할 것임

lt그림 7gt 가상의 사업계획에 기반한 논리모형 작성의 사례

24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사업에 대한 사전평가에서 논리모형은 사업의 거시적인 작동논리의 분석을 통해 주요

쟁점을 도출하기 위해 활용됨

논리모형에는 사업계획의 핵심 내용만 기재되므로 논리모형 분석은 세부내용의 상세한

적부 분석이 아닌 이슈 목표 활동으로 이어지는 사업의 주요 작동논리 분석과 세 항목 간의

논리적 연계성 분석이 주로 이루어짐

시장 수요나 전망 현장의 이슈를 고려하지 않고 적절한 기획과정도 거치치 않은 채 소수의

기획주체가 ʻ하고 싶고 할 수 있는ʼ 과제를 먼저 선정해 놓고 사업을 기획하여 전체적인

사업 작동논리가 부실한 경우가 많으므로 이러한 쟁점 여부의 파악을 위해 활용함

가상의 사업계획에서 제시한 이슈(983729)는 신규 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는 이유를 설명하는

문제 정의로서 적절치 않음

최근 2~3년전부터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다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들이 다수 착수되어

추진되고 있으므로 산발적일회적이라는 주장은 사실과 다름

ʻA 융합기술ʼ 분야는 현재 국내 기업에서 사업화를 추진 중인 분야이고 기업들의 기술 수준도

상대적으로 높으므로 해외의존도를 언급하는 것은 부적절함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시장이 확대될 것이라는 예측은 적절하지만 이러한 내용은 누구나

알고 있는 일반적인 사항이며 동 사업 내에서 실증을 하고자 하는 세부 산업 분야(B C

D E 산업)에서의 ʻA 융합기술ʼ의 시장 동향 전망과 데이터에 근거한 분석은 이루어지지

않음

대형 실증사업 추진을 위해서는 사업의 성과에 대한 구체적 근거 마련을 위해 사전 연구나

조사를 통한 성과 데이터의 구축이 필요하나 실증사업의 추진 필요성과 유효성을 설명

할 수 있는 근거자료가 부재함

Z지역에는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연구 및 산업기반이 국내에서도 상대적으로 미약하여

산업 클러스터가 형성될 가능성이 낮고 국가적인 차원의 활용도 관점에서 해당 지역에의

거점 구축의 당위성은 낮음

25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기획의 Tip

국가적인 차원에서 연구개발사업을 통해서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를 구체적이고 명확히 정의

- 현재 또는 미래에 어떤 문제가 있거나 발생할 것이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

개발사업을 구상하게 되었는지 제시

-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광범위한 이슈의 제기는 무의미

- 국내외의 각종 통계 보고서 정책자료 시장보고서 전문가 및 실무자 인터뷰 등 근거자료를

통해 구체화되고 특정화된 문제를 제시

- 특정 주체나 지역이 아닌 국가적인 차원의 문제를 제시해야 하며 해당 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지 않으면 국가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나 잃게 되는 기회가 무엇인지를 설명

- 지역기반 구축은 국가적인 필요성과 함께 전국에서 해당 지역이 기반 구축의 최적지임을

입증할 수 있는 근거가 필요

사업목표(983730)를 제시하였으나 선언적인 내용에 불과하며 성과지표의 구체화가 미흡하여

문제 해결 정도를 측정하기 어려움

동 사업에서는 광범위한 ʻA 융합기술ʼ의 적용 분야 중 소수의 분야만을 다루는 반면

사업목표는 사업 내용에 비해 지나치게 일반적이고 광범위하게 수립됨

동 사업은 상호 연관성이 낮은 여러 세부사업을 단일 사업 내에 포함시켜 전체 사업 수준의

거시적인 성과목표 제시가 어려운 한계가 있음

앞서 각 세부사업별로 해당 산업 분야의 문제 정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사업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와 성과가 불문명하며 이에 따라 성과지표를 정량적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하여 목표 달성 여부의 측정방법도 불분명함

26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기획의 Tip

관리 가능성의 관점에서 사업목표는 SMART하게 제시

- 구체적이고(Specific) 측정가능하며(Measurable) 달성가능하고(Achievable) 문제 활동과 연관성이 있으며(Relevant) 시간제약이 있도록(Time-bound)가 있도록 수립

해결해야 할 문제(983729)와 사업목표(983730) 간에 괴리가 존재하여 둘 간의 연계성은 미흡함

해결해야 할 이슈로 제시한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일반적인 문제들을 사업목표로 제시한

지역 착형 사업을 통해 해소하고자 함은 연계성이 낮음

문제 정의 자체가 세부 산업분야별 시장 전망 또는 현장의 이슈 분석을 통해 구체적으로

도출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를 해소하기 위해 달성할 사업목표의 설정도 어려운 한계가

있으며 동 사업의 추진으로 국내외에서 어느 정도의 성과를 거둘 수 있을지도 예상할 수

없음

제시된 4가지 실증사업은 공공 영역부터 민간의 사업화가 활발한 영역까지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어 시너지 효과 창출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됨

기획의 Tip

사업목표의 범위는 제시된 이슈문제의 범위와 일치해야 하며 사업목표를 달성하면 이슈문제가 어느 정도 해결되는지를 보여줄 수 있도록 사업목표를 수립

세부 실증사업을 통해 개발될 제품(시스템)의 사용자(구매자)까지 수혜자로 포함시켜

수혜자(983731)의 표적화가 부적절함

동 사업을 통해 제품을 개발하여 사업 종료 후 해당 제품의 판매를 통해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할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기업들이 동 사업의 직접적 수혜자임

27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동 사업은 A 융합기술ʼ 분야의 실증을 통한 시스템 개발로 종료되며 제품을 최종사용자

에게까지 보급하는 것은 사업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여러 단계 이후의 최종사용자를

동 사업의 수혜자로 제시하는 것은 부적절함

기획의 Tip

사업목표와 범위에 맞는 수혜자를 제시

- 성과확산단계에 따라 수혜자를 구분하여 제시할 수는 있으나 사업성과를 통해 직접적 경제적

수혜를 받는 주체만 경제성 분석의 대상이 됨

세부활동(983733)은 사업목표(983730)와 개념적으로는 일부 연계성이 있음

산업 분야에 A 융합기술ʼ의 접목하기 위한 실증사업의 추진이 동 사업의 주요 내용이므로

관련 신산업을 창출하고자 하는 사업의 목표와는 개념적으로 연계성이 있음

B C 분야는 사업목표와 관련성이 있고 구축되는 통합센터와 정보 공유도 가능할 것이나

D E 분야는 독립적이며 사업목표와의 연계성도 낮아 동일 사업 내에서 추진할 필요성

및 통합센터 구축의 필요성도 모호함

기획의 Tip

세부활동(세부사업 또는 과제)을 수행하면 제시된 사업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세부

활동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문제 해결 및 사업목표 달성과 연관성이 낮은 활동은 제외

- 사업목표 달성과 관련 없는 과제의 포함 불요불급한 시설 및 장비의 구축 필요 이상으로 부풀린

사업비의 요구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는 주요 요인임

이 외의 항목들은 거시적인 작동논리나 연계성에 대한 검토보다는 세부내용의 적부 분석을 수행함

투입(983732)과 산출(983734)은 활동의 상세한 분석을 통해 적절성을 분석

성과영향(983735)은 사업목표와 활동 산출의 상세한 분석을 통해 적절성을 분석

가정(983736)은 별도의 분석보다는 이슈 목표 활동과 연계하여 분석

28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Ⅶ 맺음말

사업의 직접적인 이해관계자는 해당 사업의 긍정적인 측면만 생각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사업 기획주체는 신규 사업의 기획 시 객관적인 시각에서 사업계획을 조망하고 보완하기 위해

논리모형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ʻ왜 해야 하는지ʼ ʻ어떠한 결과를 내려고 하는지ʼ ʻ무엇을 어떻게 하려고 하는지ʼ가

논리적으로 연계가 되어 설득력을 확보해야 함

사업의 착수 전에 문서뿐인 사업계획서를 분석하여 사전에 평가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나

논리모형을 활용한 사업의 작동논리와 추진과정의 객관적인 분석을 통해 기획단계의

오류로 인한 사업의 부실화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

제도적인 측면에서 평가결과의 일관성 확보를 위해 사전평가의 방법으로 논리모형

분석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함13)

본 이슈페이퍼에서는 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을 설명

하였으며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추진단계 및 종료단계에 적절한 논리모형의 개발 및 활용도

고려할 필요

사업 추진 중의 사업관리 또는 중간평가 시에는 투입 rarr 활동 rarr 산출 등 사업 추진과정을

확대하여 집중적으로 분석하는 특히 활동을 더 세부적으로 구분한 논리모형이 필요함

- 사업별 특성에 부합하도록 단계별 연차별 세부과제(기술)별로 마일스톤이 포함된

논리모형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는 사업 추진 로드맵을 포함하는 형태가 될 것임

사업 종료 시의 성과확산 전략 수립이나 종료평가 또는 그 이후의 추적평가 시에는 산출

rarr 성과 rarr 영향의 사업성과 확산과정을 집중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논리모형을 구성할 수 있음

- 성과의 확산은 해당 연구개발사업 이후에 이루어지므로 동 논리모형의 구성은 성과의

극대화를 위한 성과확산사업의 기획과정으로도 볼 수 있음

논리모형 활용의 확산을 통해 국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역량을 제고하고 사업계획의

완성도를 높여 사업의 성공가능성을 제고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함

13)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에서는 이를 필수적으로 활용하도록 하고 있음

29

참 고 문 헌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 고 문 헌

국가과학기술위원회 (2011) 정부RampD 투자 효율화 추진계획

노화준 (2008) 정책평가론

미래창조과학부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 대통령령 제26729호

미래창조과학부 (2013) 국가연구개발사업 표준성과지표 ndash 성과목표지표 설정 가이드라인

미래창조과학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5) 2014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보고서

미래창조과학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5) 2014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4) 연구개발부문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제2판)

HM Treasury (2011) The Green Book Appraisal and Evaluation in Central Government

McLaughlin JA and Jordan GB (1999) ldquoLogic models a tool for telling your programrsquos

performance storyrdquo Evaluation and Program Planning 22 65~72

McLaughlin JA and Jordan GB (2010) ldquoUsing Logic Modelsrdquo in Joseph S Wholey

Harry P Hatry and Kathryn E Newcomer(eds) Handbook of Practical Program

Evaluation(Third Edition) San Francisco Jossey-Bass 55~80

OECD (2015) Frascati Manual 2015

PMI (2000) PMBOK Guide

WK Kellogg Foundation (2004) Logic Model Development Guide

저자 소개

강 현 규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공공기술조사실장

- 전화 02-589-2813

- e-mail hkkangkisteprekr

KISTEP Issue Paper 2016-05

|발 행|2016년 5월

|발행인|박 영 아

|발행처|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서울시 서초구 마방로 68(양재동) 동원산업빌딩 9층~12층

전화 02) 589-2200 팩스 02) 589-2222

httpwwwkisteprekr

|인쇄처|(주)비전테크시스템즈 [TEL02)3432-7132]

15

Ⅳ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를 위해 개발된 논리모형의 구조와 각 항목별로 다루어지는

내용 및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음

1 이슈 문제

ㅇ사업 추진의 필요성을 설명할 수 있는 배경요인 과학기술적 산업적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국가적 수요와 도전과제 등

ㅇ해당 사업을 통해 해결하거나 대처하고자 하는 문제나 이슈ㅇ해당 사업 분야와 관련된 정책 다른 연구개발사업 및 과제의 현황 미래 예측 기술과 시장의 동향 및 전망 전문가

설문 통계 및 조사 데이터 등도 활용ㅇ사업을 추진하지 않을 경우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문제나 잃게 되는 기회는 무엇인가ㅇ이슈문제 해결을 위해 연구개발사업 이외의 대안전략은 없는가

2 목표 3 수혜자

ㅇ해당 사업의 추진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사업의 핵심 성과 - 문제 해결 정도의 측정이 가능하도록 정량적 성과지표 제시

ㅇ사업목표 달성이나 사업의 산출로 인해 직접적인 이익을 얻는 주체

4 투입 5 활동 6 산출 7 성과 영향

ㅇ연구개발활동에 필요한 모든 자원

- 사업비 - 인적 자원 - 시설 및 장비 - 연구주체 지식

ㅇ목표를 달성하고 산출 발생을 위해 수행하는 연구개발 활동

ㅇ연구개발활동에 의한 직접적인 결과물 - 기술 정보 제품

데이터 서비스 논문 특허 등

- 산출물의 수량 규모 범위 등을 정량적으로 제시

ㅇ사업을 통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의도된 결과나 변화

ㅇ성과의 확산으로 인해 미래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직간접적 변화 및 파급효과

8 가정

ㅇ사업 추진 시 단계별로 발생할 상황과 변화에 대한 기대나 예측 - ldquo~~하면 ~~할 것이다rdquo로 표현되는 가정문(if-then)을 주로 사용ㅇ사업의 성공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외부요인 환경 조건 법 규정 원칙 믿음 위험

lt그림 5gt 연구개발사업의 쟁점사항 도출을 위한 논리모형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4) 연구개발부문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제2판)

16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983729 이슈문제 (IssueProblem)

이슈문제는 해당 연구개발사업을 기획하게 된 배경을 설명하고 사업의 추진당위성을

부여하는 항목

동 항목에서는 대상사업과 관련된 분야에서 어떠한 이슈나 문제가 존재하며 이러한

이슈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연구개발사업의 추진이 가장 효과적인 전략인지를

설명할 수 있어야 함

- 이를 위해 해당 사업의 필요성을 설명할 수 있는 배경요인(contextural factor)이 기술

되어야 하며 배경요인들에는 과학기술적 산업적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국가적

수요와 도전과제 등이 포함됨

사업에서 대처하려는 이슈나 문제가 여러 가지 요인들로 인해 복잡하다면 해당 사업과

연관성이 가장 높고 중요한 요인들로 압축하여 선정해야 함

- 이러한 문제 정의 과정을 통해 사업에서 추구하려는 목표를 명확히 설정할 수 있음

정부부처에서 제안하는 대부분의 연구개발사업은 특정 세부분야를 대상으로 하므로

광범위한 연구분야나 산업분야의 일반적이고 진부한 이슈문제를 제시하는 것보다는

사업에서 제안하는 세부분야의 특성과 현황에 기반을 둔 구체적이고 핵심적인 이슈

문제를 선정하여 강조하여야 설득력을 확보할 수 있음

사업의 필요성을 설명하기 위해 사업의 분야와 관련된 정책과 연구개발사업 및 과제의

현황 미래 예측 기술과 시장의 동향 및 전망 전문가 설문조사 통계 및 조사 데이터를

적극 활용하는 것이 좋음

제안된 연구개발사업 이외에 도출된 이슈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다른 대안이나 전략이

없는지도 고려할 필요가 있음

해당 사업계획에 대한 평가자는 사업 기획주체가 제시한 문제 정의가 적절한지를

분석함으로써 사업 추진당위성이 확보되었는지를 평가

17

Ⅳ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983730 목표 (Objective)

목표는 해당 사업의 추진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사업의 핵심 성과를 의미함

목표는 해결하고자 하는 이슈문제와 관련이 있어야 하며 해당 사업을 통해 그 이슈

문제가 해결될 수 있어야 함

- 즉 사업목표는 해당 사업을 통해 이슈문제가 어느 정도로 해결될 수 있는지 측정이

가능하도록 정량적으로 제시되어야 함

목표는 구체적이어야 하며(Specific) 측정 가능해야 하고(Measurable) 달성 가능해야

하며(Achievable) 이슈 및 연구개발활동과 연관이 있고(Relevant) 기한이 정해진

(Time-bound) 것이어야 함(SMART)9)

- 목표는 사업이 달성하고자 하는 바를 의미하므로 ① 이슈문제 및 ⑦ 성과영향과

연계하여 분석

목표는 구체성과 계측가능성을 기준으로 볼 때 목적과는 구분되는 개념임

- 사전적인 의미에서 목적(目的)은 ʻ실현하려고 하는 일이나 나아가는 방향ʼ이며 목표

(目標)는 ʻ어떤 목적을 이루려고 지향하는 실제적 대상으로 삼음 또는 그 대상ʼ을 뜻함

- 즉 목적은 추상적이고 방향과 의도를 함축하는데 반하여 목표는 구체적이고 범위가

제한적이며 일반적으로 측정 가능한 수치로 표현됨

983731 수혜자 (Beneficiary)

사업으로 인해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이해관계자는 여러 유형이 있을 수 있으나

수혜자10)는 사업목표와 접한 관련이 있어야 함

9) HM Treasury (2011) The Green Book Appraisal and Evaluation in Central Government

10) 예비타당성조사에서의 수혜자는 사업 추진을 통해 자금을 지원받는 주체가 아니라 사업목표 달성이나 사업의 산출로

인해 직접적인 경제적 이익을 얻는 주체를 의미하며 경제성 분석은 이 수혜자가 얻게 되는 직접적인 경제적 편익을

기준으로 분석함

18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983732 투입 (Input)

투입은 연구개발활동에 필요한 모든 자원을 의미

- 투입의 기본 항목은 재정적 자원과 인적 자원이며 연구시설middot장비 연구수행주체 관련

지식 등이 투입에 해당

- 해당 사업에서 활용될 기존 사업의 산출과 성과도 투입에 포함될 수 있음

사업이 충실하게 기획되면 희망하는 결과를 얻기 위한 최소의 물량규모가 정량적으로

산출될 수 있음

- 실무적으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에서 투입에 해당하는 물량규모는

총사업비라는 형태로 표현됨

983733 활동 (Activity)

국가연구개발사업에서의 활동은 목표를 달성하고 산출을 발생시키기 위해 수행하는

연구개발활동에 초점을 맞추어야 하며 연구개발에 인접한 활동은 연구개발예산 편성

기준에 부합하는지의 여부에 초점을 맞추어야 함

일반적으로 OO기술 개발 OO연구기반 구축 등이 큰 범위의 연구개발활동이 되며 각

연구개발활동은 요소기술 개발 등의 세부 연구개발활동으로 세분화될 수 있음

983734 산출 (Output)

산출은 연구개발활동을 통한 직접적인 결과물을 의미하며 각 활동별로 하나 이상의

산출이 존재할 수 있음

일반적으로 연구개발활동으로 개발된 기술 정보 데이터 제품 서비스 등이 해당되며

이 각각의 산출물은 정량적으로 수량 규모 범위 등이 제시되어야 함

- 기초연구사업에서 개발된 기술에 대한 논문과 특허도 산출물에 해당

19

Ⅳ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983735 성과영향 (OutcomeImpact)

성과는 사업의 목표와 접한 관련이 있으며 사업 추진에 따른 변화나 사업결과

(output)의 활용을 통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의도된 결과이며 영향은 성과의

확산으로 인해 미래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직간접적 변화 및 파급효과를 의미

- 일반적으로 연구개발사업의 단계 구분이나 관련 문헌에서 제시된 논리모형에서는

성과와 영향을 별도 항목으로 고려하기도 하지만 사업의 착수 전에 수행되는 사전

평가에서 성과와 영향을 구분하여 검토하는 것은 실효성이 낮으므로11) 성과와 영향을

종합하여 검토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의 경제성 분석은 국가연구개발사업으로 인한 직접적인

경제적 성과를 추정하는 것임

983736 가정 (Assumption)

사업계획은 그 자체가 기획된 대로 수행하면 기대하는 결과가 생성될 것이라는 가설이며

가정은 사업의 유효성에 대한 믿음임

가정은 사업 추진 시 논리모형의 각 항목별로 발생할 상황과 변화에 대한 기대나 예측을

의미

가정은 사업 수행에 직접적으로 관련 있는 것으로 한정되어야 하며 사업의 성공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외부요인들도 가정에 포함될 수 있음

- 이러한 외부요인으로는 환경 조건 법 규정 원칙 한계 믿음 위험 등이 될 수 있음

11) 사업으로 인한 성과와 영향은 종료평가와 추적평가를 통해 구체적인 평가가 가능함

20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사업계획은 적절한 기획을 통해 도출되어야 하며 기획과정 중에 논리모형을 통해

논리적인 비약을 배제함으로써 사업계획의 합리성을 확보할 수 있음

기획은 최적의 수단으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미래에 취할 행동을 위한 일련의

결정을 준비하는 계획적 과정임

충분한 고민과 의견 수렴을 통해 기획이 잘 이루어지면 사업 추진과 결과의 부실화를

미연에 방지하고 성공가능성을 높일 수 있음

논리모형은 기획과정의 각 시점에서 그 당시까지 구체화된 항목을 하나하나 채워나감

으로써 가시적인 논리의 확인과 기획참여자들 간의 소통과 이해 및 의견 수렴에 유용함

사업의 기획이 완료된 후에는 완성된 논리모형을 예산당국 주무부처와 같은 이해

관계자와 사업계획 평가자에게 제시하여 사업의 거시적인 작동논리를 이해시키고 예산

확보를 위해 설득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음

사업의 착수시점에 해당 사업에 대한 체계화된 정보가 없을 경우에는 후속관리가

부실화되기 쉬우므로 사업계획의 충실한 수립은 매우 중요함

전반적인 추진논리를 확보하기 위해 바람직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절차는

lt그림 6gt과 같이 제시될 수 있음

21

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lt그림 6gt 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정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4) 연구개발부문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제2판)

사업을 기획하기 위해서는 우선 대규모 신규 사업의 추진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이슈

또는 문제가 무엇인지 먼저 파악되어야 함

- 동향조사 예측조사 설문조사 인터뷰 통계분석 등 다양한 분석방법을 통해 적절한

범위 내에서 이슈문제를 식별한 후 기획 의도를 고려한 합리적인 평가기준을 적용하여

사업에서 집중하고자 하는 문제를 선택해야 함

- 선택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연구개발사업이 세금 자금 인력 지원 등 다른

대안과 비교할 때 가장 효율적인 방법인지 검토되어야 함

정부의 연구개발사업 추진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가 정의되면 사업을 통해 얻고자 하는

성과가 무엇인지 구체적이고 객관적으로 제시해야 함

- 이를 위해서는 사업의 성과물이 전달되는 수혜 대상이 명확히 정의되어야 함

사업목표가 설정되면 이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추진체계와 추진전략이 수립되어야 함

22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 추진체계는 다양한 참여주체의 분석을 통해 적절한 역할과 조정 협력관계 등을

조직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함

- 추진전략은 사업 및 기술 환경의 특성 분석을 통해 목표 달성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연구개발전략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함

세부과제의 구성을 완료하여 사업기간과 총사업비 그리고 필요한 장비와 시설 등 신규

구축할 인프라의 규모를 도출함

- 세부과제는 기본적으로 사업목표와 직접적으로 연계되어야 함 즉 세부과제가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사업목표가 달성될 수 있도록 구성할 필요

- 기술수요조사와 시설장비수요조사와 같은 시장이나 사회적 수요를 반영한 후보과제를

도출한 후 사업목표의 달성을 위한 전략적 방향을 고려한 기준과 가중치가 적용된

우선순위 선정절차를 거치는 것이 바람직함

- 선정된 세부과제는 목표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적절한 단위의 세부활동을 구성하고 사업

추진상의 기술개발 로드맵을 수립하며 각각의 세부 성과지표를 구체화함

- 세부활동이 구체화되면 활동별로 수행을 위한 비용 기간 조직 인프라 등의 자원 소요계획이

확립되며 이를 종합하여 전체 사업의 추진을 위해 필요한 투입자원의 총량을 도출함

수립된 사업계획 초안의 문제 정의 사업목표 설정 추진체계 및 추진전략 수립 세부과제

구성에 대한 재검토 및 보완을 통해 기획을 완료함

- 현실적으로 기획과정에서 모든 정보를 완벽하게 수집하고 분석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신규로 제안되는 사업과 유사한 선행사업이 없어 과거 사례의 참조에도 한계가 있을 수 있음

- 사업의 내용은 기획이 진행되면서 시간의 흐름과 함께 점진적으로 구체화12)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환류(feedback) 과정을 거쳐 사업계획을 보완하는 것이 중요함

- 환류 과정을 진행하기 전에 현재까지 기획된 사업계획에 대한 논리모형을 구성하여

전반적인 사업의 작동논리가 설득력 있게 기획되었는지 확인하고 환류 과정을 통해

보완된 사업계획에 대한 논리모형도 검토하는 것이 바람직함

12) PMI (2000) PMBOK Guide

23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가상의 사례를 통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을 설명하고자 함

lt그림 7gt은 가상의 국가연개구발사업에 대해 작성된 논리모형임

1 이슈 문제

ㅇ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시장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나 정부의 투자는 산발적이고 일회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해외 의존도가 증대되고 있음

- 클러스터 형태의 실증사업 추진 필요

ㅇ A 융합기술ʼ 분야의 생태계 조성과 연계하고 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 클러스터를 구축하고 Z지역의 산업지역발전의 거점 역할을 하도록 할 필요

2 목표 3 수혜자

ㅇ ʻA 융합기술ʼ 신산업 허브 구축

- ʻA 융합기술ʼ 신산업 창출 선도 및 발전 기반 구축

- 지역거점형 ʻA 융합기술ʼ 실증사업 중심 산업화 지원

- ʻA 융합기술ʼ 산학연 협력 및 비즈니스 협업체계 구축

ㅇA 융합기술 분야 기업

ㅇ국민공공기관

4 투입 5 활동 6 산출 7 성과 영향

ㅇ사업비 OO억 원

ㅇ연구인력

ㅇ ʻA 융합기술ʼ 통합

센터 구축

ㅇ실증사업

- B C D E 4개

산업 분야

ㅇB C D E 등 4개

산업 분야

ʻA 융합기술ʼ 시스템

ㅇ ʻA 융합기술ʼ 기반

융합산업의 생산성

증대

ㅇZ지역의 지역경제

발전

8 가정

ㅇ ʻA 융합기술ʼ 신산업 강화는 국가 발전의 원동력으로 작용할 것임

ㅇ지역 착형 거점 구축을 통해 기술발전을 선도하고 관련 산업 육성을 도모하며 지역산업 활성화를 도모할 것임

lt그림 7gt 가상의 사업계획에 기반한 논리모형 작성의 사례

24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사업에 대한 사전평가에서 논리모형은 사업의 거시적인 작동논리의 분석을 통해 주요

쟁점을 도출하기 위해 활용됨

논리모형에는 사업계획의 핵심 내용만 기재되므로 논리모형 분석은 세부내용의 상세한

적부 분석이 아닌 이슈 목표 활동으로 이어지는 사업의 주요 작동논리 분석과 세 항목 간의

논리적 연계성 분석이 주로 이루어짐

시장 수요나 전망 현장의 이슈를 고려하지 않고 적절한 기획과정도 거치치 않은 채 소수의

기획주체가 ʻ하고 싶고 할 수 있는ʼ 과제를 먼저 선정해 놓고 사업을 기획하여 전체적인

사업 작동논리가 부실한 경우가 많으므로 이러한 쟁점 여부의 파악을 위해 활용함

가상의 사업계획에서 제시한 이슈(983729)는 신규 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는 이유를 설명하는

문제 정의로서 적절치 않음

최근 2~3년전부터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다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들이 다수 착수되어

추진되고 있으므로 산발적일회적이라는 주장은 사실과 다름

ʻA 융합기술ʼ 분야는 현재 국내 기업에서 사업화를 추진 중인 분야이고 기업들의 기술 수준도

상대적으로 높으므로 해외의존도를 언급하는 것은 부적절함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시장이 확대될 것이라는 예측은 적절하지만 이러한 내용은 누구나

알고 있는 일반적인 사항이며 동 사업 내에서 실증을 하고자 하는 세부 산업 분야(B C

D E 산업)에서의 ʻA 융합기술ʼ의 시장 동향 전망과 데이터에 근거한 분석은 이루어지지

않음

대형 실증사업 추진을 위해서는 사업의 성과에 대한 구체적 근거 마련을 위해 사전 연구나

조사를 통한 성과 데이터의 구축이 필요하나 실증사업의 추진 필요성과 유효성을 설명

할 수 있는 근거자료가 부재함

Z지역에는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연구 및 산업기반이 국내에서도 상대적으로 미약하여

산업 클러스터가 형성될 가능성이 낮고 국가적인 차원의 활용도 관점에서 해당 지역에의

거점 구축의 당위성은 낮음

25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기획의 Tip

국가적인 차원에서 연구개발사업을 통해서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를 구체적이고 명확히 정의

- 현재 또는 미래에 어떤 문제가 있거나 발생할 것이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

개발사업을 구상하게 되었는지 제시

-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광범위한 이슈의 제기는 무의미

- 국내외의 각종 통계 보고서 정책자료 시장보고서 전문가 및 실무자 인터뷰 등 근거자료를

통해 구체화되고 특정화된 문제를 제시

- 특정 주체나 지역이 아닌 국가적인 차원의 문제를 제시해야 하며 해당 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지 않으면 국가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나 잃게 되는 기회가 무엇인지를 설명

- 지역기반 구축은 국가적인 필요성과 함께 전국에서 해당 지역이 기반 구축의 최적지임을

입증할 수 있는 근거가 필요

사업목표(983730)를 제시하였으나 선언적인 내용에 불과하며 성과지표의 구체화가 미흡하여

문제 해결 정도를 측정하기 어려움

동 사업에서는 광범위한 ʻA 융합기술ʼ의 적용 분야 중 소수의 분야만을 다루는 반면

사업목표는 사업 내용에 비해 지나치게 일반적이고 광범위하게 수립됨

동 사업은 상호 연관성이 낮은 여러 세부사업을 단일 사업 내에 포함시켜 전체 사업 수준의

거시적인 성과목표 제시가 어려운 한계가 있음

앞서 각 세부사업별로 해당 산업 분야의 문제 정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사업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와 성과가 불문명하며 이에 따라 성과지표를 정량적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하여 목표 달성 여부의 측정방법도 불분명함

26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기획의 Tip

관리 가능성의 관점에서 사업목표는 SMART하게 제시

- 구체적이고(Specific) 측정가능하며(Measurable) 달성가능하고(Achievable) 문제 활동과 연관성이 있으며(Relevant) 시간제약이 있도록(Time-bound)가 있도록 수립

해결해야 할 문제(983729)와 사업목표(983730) 간에 괴리가 존재하여 둘 간의 연계성은 미흡함

해결해야 할 이슈로 제시한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일반적인 문제들을 사업목표로 제시한

지역 착형 사업을 통해 해소하고자 함은 연계성이 낮음

문제 정의 자체가 세부 산업분야별 시장 전망 또는 현장의 이슈 분석을 통해 구체적으로

도출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를 해소하기 위해 달성할 사업목표의 설정도 어려운 한계가

있으며 동 사업의 추진으로 국내외에서 어느 정도의 성과를 거둘 수 있을지도 예상할 수

없음

제시된 4가지 실증사업은 공공 영역부터 민간의 사업화가 활발한 영역까지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어 시너지 효과 창출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됨

기획의 Tip

사업목표의 범위는 제시된 이슈문제의 범위와 일치해야 하며 사업목표를 달성하면 이슈문제가 어느 정도 해결되는지를 보여줄 수 있도록 사업목표를 수립

세부 실증사업을 통해 개발될 제품(시스템)의 사용자(구매자)까지 수혜자로 포함시켜

수혜자(983731)의 표적화가 부적절함

동 사업을 통해 제품을 개발하여 사업 종료 후 해당 제품의 판매를 통해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할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기업들이 동 사업의 직접적 수혜자임

27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동 사업은 A 융합기술ʼ 분야의 실증을 통한 시스템 개발로 종료되며 제품을 최종사용자

에게까지 보급하는 것은 사업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여러 단계 이후의 최종사용자를

동 사업의 수혜자로 제시하는 것은 부적절함

기획의 Tip

사업목표와 범위에 맞는 수혜자를 제시

- 성과확산단계에 따라 수혜자를 구분하여 제시할 수는 있으나 사업성과를 통해 직접적 경제적

수혜를 받는 주체만 경제성 분석의 대상이 됨

세부활동(983733)은 사업목표(983730)와 개념적으로는 일부 연계성이 있음

산업 분야에 A 융합기술ʼ의 접목하기 위한 실증사업의 추진이 동 사업의 주요 내용이므로

관련 신산업을 창출하고자 하는 사업의 목표와는 개념적으로 연계성이 있음

B C 분야는 사업목표와 관련성이 있고 구축되는 통합센터와 정보 공유도 가능할 것이나

D E 분야는 독립적이며 사업목표와의 연계성도 낮아 동일 사업 내에서 추진할 필요성

및 통합센터 구축의 필요성도 모호함

기획의 Tip

세부활동(세부사업 또는 과제)을 수행하면 제시된 사업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세부

활동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문제 해결 및 사업목표 달성과 연관성이 낮은 활동은 제외

- 사업목표 달성과 관련 없는 과제의 포함 불요불급한 시설 및 장비의 구축 필요 이상으로 부풀린

사업비의 요구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는 주요 요인임

이 외의 항목들은 거시적인 작동논리나 연계성에 대한 검토보다는 세부내용의 적부 분석을 수행함

투입(983732)과 산출(983734)은 활동의 상세한 분석을 통해 적절성을 분석

성과영향(983735)은 사업목표와 활동 산출의 상세한 분석을 통해 적절성을 분석

가정(983736)은 별도의 분석보다는 이슈 목표 활동과 연계하여 분석

28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Ⅶ 맺음말

사업의 직접적인 이해관계자는 해당 사업의 긍정적인 측면만 생각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사업 기획주체는 신규 사업의 기획 시 객관적인 시각에서 사업계획을 조망하고 보완하기 위해

논리모형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ʻ왜 해야 하는지ʼ ʻ어떠한 결과를 내려고 하는지ʼ ʻ무엇을 어떻게 하려고 하는지ʼ가

논리적으로 연계가 되어 설득력을 확보해야 함

사업의 착수 전에 문서뿐인 사업계획서를 분석하여 사전에 평가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나

논리모형을 활용한 사업의 작동논리와 추진과정의 객관적인 분석을 통해 기획단계의

오류로 인한 사업의 부실화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

제도적인 측면에서 평가결과의 일관성 확보를 위해 사전평가의 방법으로 논리모형

분석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함13)

본 이슈페이퍼에서는 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을 설명

하였으며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추진단계 및 종료단계에 적절한 논리모형의 개발 및 활용도

고려할 필요

사업 추진 중의 사업관리 또는 중간평가 시에는 투입 rarr 활동 rarr 산출 등 사업 추진과정을

확대하여 집중적으로 분석하는 특히 활동을 더 세부적으로 구분한 논리모형이 필요함

- 사업별 특성에 부합하도록 단계별 연차별 세부과제(기술)별로 마일스톤이 포함된

논리모형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는 사업 추진 로드맵을 포함하는 형태가 될 것임

사업 종료 시의 성과확산 전략 수립이나 종료평가 또는 그 이후의 추적평가 시에는 산출

rarr 성과 rarr 영향의 사업성과 확산과정을 집중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논리모형을 구성할 수 있음

- 성과의 확산은 해당 연구개발사업 이후에 이루어지므로 동 논리모형의 구성은 성과의

극대화를 위한 성과확산사업의 기획과정으로도 볼 수 있음

논리모형 활용의 확산을 통해 국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역량을 제고하고 사업계획의

완성도를 높여 사업의 성공가능성을 제고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함

13)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에서는 이를 필수적으로 활용하도록 하고 있음

29

참 고 문 헌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 고 문 헌

국가과학기술위원회 (2011) 정부RampD 투자 효율화 추진계획

노화준 (2008) 정책평가론

미래창조과학부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 대통령령 제26729호

미래창조과학부 (2013) 국가연구개발사업 표준성과지표 ndash 성과목표지표 설정 가이드라인

미래창조과학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5) 2014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보고서

미래창조과학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5) 2014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4) 연구개발부문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제2판)

HM Treasury (2011) The Green Book Appraisal and Evaluation in Central Government

McLaughlin JA and Jordan GB (1999) ldquoLogic models a tool for telling your programrsquos

performance storyrdquo Evaluation and Program Planning 22 65~72

McLaughlin JA and Jordan GB (2010) ldquoUsing Logic Modelsrdquo in Joseph S Wholey

Harry P Hatry and Kathryn E Newcomer(eds) Handbook of Practical Program

Evaluation(Third Edition) San Francisco Jossey-Bass 55~80

OECD (2015) Frascati Manual 2015

PMI (2000) PMBOK Guide

WK Kellogg Foundation (2004) Logic Model Development Guide

저자 소개

강 현 규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공공기술조사실장

- 전화 02-589-2813

- e-mail hkkangkisteprekr

KISTEP Issue Paper 2016-05

|발 행|2016년 5월

|발행인|박 영 아

|발행처|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서울시 서초구 마방로 68(양재동) 동원산업빌딩 9층~12층

전화 02) 589-2200 팩스 02) 589-2222

httpwwwkisteprekr

|인쇄처|(주)비전테크시스템즈 [TEL02)3432-7132]

16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983729 이슈문제 (IssueProblem)

이슈문제는 해당 연구개발사업을 기획하게 된 배경을 설명하고 사업의 추진당위성을

부여하는 항목

동 항목에서는 대상사업과 관련된 분야에서 어떠한 이슈나 문제가 존재하며 이러한

이슈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연구개발사업의 추진이 가장 효과적인 전략인지를

설명할 수 있어야 함

- 이를 위해 해당 사업의 필요성을 설명할 수 있는 배경요인(contextural factor)이 기술

되어야 하며 배경요인들에는 과학기술적 산업적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국가적

수요와 도전과제 등이 포함됨

사업에서 대처하려는 이슈나 문제가 여러 가지 요인들로 인해 복잡하다면 해당 사업과

연관성이 가장 높고 중요한 요인들로 압축하여 선정해야 함

- 이러한 문제 정의 과정을 통해 사업에서 추구하려는 목표를 명확히 설정할 수 있음

정부부처에서 제안하는 대부분의 연구개발사업은 특정 세부분야를 대상으로 하므로

광범위한 연구분야나 산업분야의 일반적이고 진부한 이슈문제를 제시하는 것보다는

사업에서 제안하는 세부분야의 특성과 현황에 기반을 둔 구체적이고 핵심적인 이슈

문제를 선정하여 강조하여야 설득력을 확보할 수 있음

사업의 필요성을 설명하기 위해 사업의 분야와 관련된 정책과 연구개발사업 및 과제의

현황 미래 예측 기술과 시장의 동향 및 전망 전문가 설문조사 통계 및 조사 데이터를

적극 활용하는 것이 좋음

제안된 연구개발사업 이외에 도출된 이슈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다른 대안이나 전략이

없는지도 고려할 필요가 있음

해당 사업계획에 대한 평가자는 사업 기획주체가 제시한 문제 정의가 적절한지를

분석함으로써 사업 추진당위성이 확보되었는지를 평가

17

Ⅳ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983730 목표 (Objective)

목표는 해당 사업의 추진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사업의 핵심 성과를 의미함

목표는 해결하고자 하는 이슈문제와 관련이 있어야 하며 해당 사업을 통해 그 이슈

문제가 해결될 수 있어야 함

- 즉 사업목표는 해당 사업을 통해 이슈문제가 어느 정도로 해결될 수 있는지 측정이

가능하도록 정량적으로 제시되어야 함

목표는 구체적이어야 하며(Specific) 측정 가능해야 하고(Measurable) 달성 가능해야

하며(Achievable) 이슈 및 연구개발활동과 연관이 있고(Relevant) 기한이 정해진

(Time-bound) 것이어야 함(SMART)9)

- 목표는 사업이 달성하고자 하는 바를 의미하므로 ① 이슈문제 및 ⑦ 성과영향과

연계하여 분석

목표는 구체성과 계측가능성을 기준으로 볼 때 목적과는 구분되는 개념임

- 사전적인 의미에서 목적(目的)은 ʻ실현하려고 하는 일이나 나아가는 방향ʼ이며 목표

(目標)는 ʻ어떤 목적을 이루려고 지향하는 실제적 대상으로 삼음 또는 그 대상ʼ을 뜻함

- 즉 목적은 추상적이고 방향과 의도를 함축하는데 반하여 목표는 구체적이고 범위가

제한적이며 일반적으로 측정 가능한 수치로 표현됨

983731 수혜자 (Beneficiary)

사업으로 인해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이해관계자는 여러 유형이 있을 수 있으나

수혜자10)는 사업목표와 접한 관련이 있어야 함

9) HM Treasury (2011) The Green Book Appraisal and Evaluation in Central Government

10) 예비타당성조사에서의 수혜자는 사업 추진을 통해 자금을 지원받는 주체가 아니라 사업목표 달성이나 사업의 산출로

인해 직접적인 경제적 이익을 얻는 주체를 의미하며 경제성 분석은 이 수혜자가 얻게 되는 직접적인 경제적 편익을

기준으로 분석함

18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983732 투입 (Input)

투입은 연구개발활동에 필요한 모든 자원을 의미

- 투입의 기본 항목은 재정적 자원과 인적 자원이며 연구시설middot장비 연구수행주체 관련

지식 등이 투입에 해당

- 해당 사업에서 활용될 기존 사업의 산출과 성과도 투입에 포함될 수 있음

사업이 충실하게 기획되면 희망하는 결과를 얻기 위한 최소의 물량규모가 정량적으로

산출될 수 있음

- 실무적으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에서 투입에 해당하는 물량규모는

총사업비라는 형태로 표현됨

983733 활동 (Activity)

국가연구개발사업에서의 활동은 목표를 달성하고 산출을 발생시키기 위해 수행하는

연구개발활동에 초점을 맞추어야 하며 연구개발에 인접한 활동은 연구개발예산 편성

기준에 부합하는지의 여부에 초점을 맞추어야 함

일반적으로 OO기술 개발 OO연구기반 구축 등이 큰 범위의 연구개발활동이 되며 각

연구개발활동은 요소기술 개발 등의 세부 연구개발활동으로 세분화될 수 있음

983734 산출 (Output)

산출은 연구개발활동을 통한 직접적인 결과물을 의미하며 각 활동별로 하나 이상의

산출이 존재할 수 있음

일반적으로 연구개발활동으로 개발된 기술 정보 데이터 제품 서비스 등이 해당되며

이 각각의 산출물은 정량적으로 수량 규모 범위 등이 제시되어야 함

- 기초연구사업에서 개발된 기술에 대한 논문과 특허도 산출물에 해당

19

Ⅳ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983735 성과영향 (OutcomeImpact)

성과는 사업의 목표와 접한 관련이 있으며 사업 추진에 따른 변화나 사업결과

(output)의 활용을 통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의도된 결과이며 영향은 성과의

확산으로 인해 미래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직간접적 변화 및 파급효과를 의미

- 일반적으로 연구개발사업의 단계 구분이나 관련 문헌에서 제시된 논리모형에서는

성과와 영향을 별도 항목으로 고려하기도 하지만 사업의 착수 전에 수행되는 사전

평가에서 성과와 영향을 구분하여 검토하는 것은 실효성이 낮으므로11) 성과와 영향을

종합하여 검토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의 경제성 분석은 국가연구개발사업으로 인한 직접적인

경제적 성과를 추정하는 것임

983736 가정 (Assumption)

사업계획은 그 자체가 기획된 대로 수행하면 기대하는 결과가 생성될 것이라는 가설이며

가정은 사업의 유효성에 대한 믿음임

가정은 사업 추진 시 논리모형의 각 항목별로 발생할 상황과 변화에 대한 기대나 예측을

의미

가정은 사업 수행에 직접적으로 관련 있는 것으로 한정되어야 하며 사업의 성공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외부요인들도 가정에 포함될 수 있음

- 이러한 외부요인으로는 환경 조건 법 규정 원칙 한계 믿음 위험 등이 될 수 있음

11) 사업으로 인한 성과와 영향은 종료평가와 추적평가를 통해 구체적인 평가가 가능함

20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사업계획은 적절한 기획을 통해 도출되어야 하며 기획과정 중에 논리모형을 통해

논리적인 비약을 배제함으로써 사업계획의 합리성을 확보할 수 있음

기획은 최적의 수단으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미래에 취할 행동을 위한 일련의

결정을 준비하는 계획적 과정임

충분한 고민과 의견 수렴을 통해 기획이 잘 이루어지면 사업 추진과 결과의 부실화를

미연에 방지하고 성공가능성을 높일 수 있음

논리모형은 기획과정의 각 시점에서 그 당시까지 구체화된 항목을 하나하나 채워나감

으로써 가시적인 논리의 확인과 기획참여자들 간의 소통과 이해 및 의견 수렴에 유용함

사업의 기획이 완료된 후에는 완성된 논리모형을 예산당국 주무부처와 같은 이해

관계자와 사업계획 평가자에게 제시하여 사업의 거시적인 작동논리를 이해시키고 예산

확보를 위해 설득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음

사업의 착수시점에 해당 사업에 대한 체계화된 정보가 없을 경우에는 후속관리가

부실화되기 쉬우므로 사업계획의 충실한 수립은 매우 중요함

전반적인 추진논리를 확보하기 위해 바람직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절차는

lt그림 6gt과 같이 제시될 수 있음

21

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lt그림 6gt 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정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4) 연구개발부문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제2판)

사업을 기획하기 위해서는 우선 대규모 신규 사업의 추진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이슈

또는 문제가 무엇인지 먼저 파악되어야 함

- 동향조사 예측조사 설문조사 인터뷰 통계분석 등 다양한 분석방법을 통해 적절한

범위 내에서 이슈문제를 식별한 후 기획 의도를 고려한 합리적인 평가기준을 적용하여

사업에서 집중하고자 하는 문제를 선택해야 함

- 선택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연구개발사업이 세금 자금 인력 지원 등 다른

대안과 비교할 때 가장 효율적인 방법인지 검토되어야 함

정부의 연구개발사업 추진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가 정의되면 사업을 통해 얻고자 하는

성과가 무엇인지 구체적이고 객관적으로 제시해야 함

- 이를 위해서는 사업의 성과물이 전달되는 수혜 대상이 명확히 정의되어야 함

사업목표가 설정되면 이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추진체계와 추진전략이 수립되어야 함

22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 추진체계는 다양한 참여주체의 분석을 통해 적절한 역할과 조정 협력관계 등을

조직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함

- 추진전략은 사업 및 기술 환경의 특성 분석을 통해 목표 달성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연구개발전략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함

세부과제의 구성을 완료하여 사업기간과 총사업비 그리고 필요한 장비와 시설 등 신규

구축할 인프라의 규모를 도출함

- 세부과제는 기본적으로 사업목표와 직접적으로 연계되어야 함 즉 세부과제가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사업목표가 달성될 수 있도록 구성할 필요

- 기술수요조사와 시설장비수요조사와 같은 시장이나 사회적 수요를 반영한 후보과제를

도출한 후 사업목표의 달성을 위한 전략적 방향을 고려한 기준과 가중치가 적용된

우선순위 선정절차를 거치는 것이 바람직함

- 선정된 세부과제는 목표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적절한 단위의 세부활동을 구성하고 사업

추진상의 기술개발 로드맵을 수립하며 각각의 세부 성과지표를 구체화함

- 세부활동이 구체화되면 활동별로 수행을 위한 비용 기간 조직 인프라 등의 자원 소요계획이

확립되며 이를 종합하여 전체 사업의 추진을 위해 필요한 투입자원의 총량을 도출함

수립된 사업계획 초안의 문제 정의 사업목표 설정 추진체계 및 추진전략 수립 세부과제

구성에 대한 재검토 및 보완을 통해 기획을 완료함

- 현실적으로 기획과정에서 모든 정보를 완벽하게 수집하고 분석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신규로 제안되는 사업과 유사한 선행사업이 없어 과거 사례의 참조에도 한계가 있을 수 있음

- 사업의 내용은 기획이 진행되면서 시간의 흐름과 함께 점진적으로 구체화12)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환류(feedback) 과정을 거쳐 사업계획을 보완하는 것이 중요함

- 환류 과정을 진행하기 전에 현재까지 기획된 사업계획에 대한 논리모형을 구성하여

전반적인 사업의 작동논리가 설득력 있게 기획되었는지 확인하고 환류 과정을 통해

보완된 사업계획에 대한 논리모형도 검토하는 것이 바람직함

12) PMI (2000) PMBOK Guide

23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가상의 사례를 통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을 설명하고자 함

lt그림 7gt은 가상의 국가연개구발사업에 대해 작성된 논리모형임

1 이슈 문제

ㅇ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시장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나 정부의 투자는 산발적이고 일회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해외 의존도가 증대되고 있음

- 클러스터 형태의 실증사업 추진 필요

ㅇ A 융합기술ʼ 분야의 생태계 조성과 연계하고 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 클러스터를 구축하고 Z지역의 산업지역발전의 거점 역할을 하도록 할 필요

2 목표 3 수혜자

ㅇ ʻA 융합기술ʼ 신산업 허브 구축

- ʻA 융합기술ʼ 신산업 창출 선도 및 발전 기반 구축

- 지역거점형 ʻA 융합기술ʼ 실증사업 중심 산업화 지원

- ʻA 융합기술ʼ 산학연 협력 및 비즈니스 협업체계 구축

ㅇA 융합기술 분야 기업

ㅇ국민공공기관

4 투입 5 활동 6 산출 7 성과 영향

ㅇ사업비 OO억 원

ㅇ연구인력

ㅇ ʻA 융합기술ʼ 통합

센터 구축

ㅇ실증사업

- B C D E 4개

산업 분야

ㅇB C D E 등 4개

산업 분야

ʻA 융합기술ʼ 시스템

ㅇ ʻA 융합기술ʼ 기반

융합산업의 생산성

증대

ㅇZ지역의 지역경제

발전

8 가정

ㅇ ʻA 융합기술ʼ 신산업 강화는 국가 발전의 원동력으로 작용할 것임

ㅇ지역 착형 거점 구축을 통해 기술발전을 선도하고 관련 산업 육성을 도모하며 지역산업 활성화를 도모할 것임

lt그림 7gt 가상의 사업계획에 기반한 논리모형 작성의 사례

24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사업에 대한 사전평가에서 논리모형은 사업의 거시적인 작동논리의 분석을 통해 주요

쟁점을 도출하기 위해 활용됨

논리모형에는 사업계획의 핵심 내용만 기재되므로 논리모형 분석은 세부내용의 상세한

적부 분석이 아닌 이슈 목표 활동으로 이어지는 사업의 주요 작동논리 분석과 세 항목 간의

논리적 연계성 분석이 주로 이루어짐

시장 수요나 전망 현장의 이슈를 고려하지 않고 적절한 기획과정도 거치치 않은 채 소수의

기획주체가 ʻ하고 싶고 할 수 있는ʼ 과제를 먼저 선정해 놓고 사업을 기획하여 전체적인

사업 작동논리가 부실한 경우가 많으므로 이러한 쟁점 여부의 파악을 위해 활용함

가상의 사업계획에서 제시한 이슈(983729)는 신규 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는 이유를 설명하는

문제 정의로서 적절치 않음

최근 2~3년전부터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다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들이 다수 착수되어

추진되고 있으므로 산발적일회적이라는 주장은 사실과 다름

ʻA 융합기술ʼ 분야는 현재 국내 기업에서 사업화를 추진 중인 분야이고 기업들의 기술 수준도

상대적으로 높으므로 해외의존도를 언급하는 것은 부적절함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시장이 확대될 것이라는 예측은 적절하지만 이러한 내용은 누구나

알고 있는 일반적인 사항이며 동 사업 내에서 실증을 하고자 하는 세부 산업 분야(B C

D E 산업)에서의 ʻA 융합기술ʼ의 시장 동향 전망과 데이터에 근거한 분석은 이루어지지

않음

대형 실증사업 추진을 위해서는 사업의 성과에 대한 구체적 근거 마련을 위해 사전 연구나

조사를 통한 성과 데이터의 구축이 필요하나 실증사업의 추진 필요성과 유효성을 설명

할 수 있는 근거자료가 부재함

Z지역에는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연구 및 산업기반이 국내에서도 상대적으로 미약하여

산업 클러스터가 형성될 가능성이 낮고 국가적인 차원의 활용도 관점에서 해당 지역에의

거점 구축의 당위성은 낮음

25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기획의 Tip

국가적인 차원에서 연구개발사업을 통해서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를 구체적이고 명확히 정의

- 현재 또는 미래에 어떤 문제가 있거나 발생할 것이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

개발사업을 구상하게 되었는지 제시

-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광범위한 이슈의 제기는 무의미

- 국내외의 각종 통계 보고서 정책자료 시장보고서 전문가 및 실무자 인터뷰 등 근거자료를

통해 구체화되고 특정화된 문제를 제시

- 특정 주체나 지역이 아닌 국가적인 차원의 문제를 제시해야 하며 해당 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지 않으면 국가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나 잃게 되는 기회가 무엇인지를 설명

- 지역기반 구축은 국가적인 필요성과 함께 전국에서 해당 지역이 기반 구축의 최적지임을

입증할 수 있는 근거가 필요

사업목표(983730)를 제시하였으나 선언적인 내용에 불과하며 성과지표의 구체화가 미흡하여

문제 해결 정도를 측정하기 어려움

동 사업에서는 광범위한 ʻA 융합기술ʼ의 적용 분야 중 소수의 분야만을 다루는 반면

사업목표는 사업 내용에 비해 지나치게 일반적이고 광범위하게 수립됨

동 사업은 상호 연관성이 낮은 여러 세부사업을 단일 사업 내에 포함시켜 전체 사업 수준의

거시적인 성과목표 제시가 어려운 한계가 있음

앞서 각 세부사업별로 해당 산업 분야의 문제 정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사업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와 성과가 불문명하며 이에 따라 성과지표를 정량적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하여 목표 달성 여부의 측정방법도 불분명함

26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기획의 Tip

관리 가능성의 관점에서 사업목표는 SMART하게 제시

- 구체적이고(Specific) 측정가능하며(Measurable) 달성가능하고(Achievable) 문제 활동과 연관성이 있으며(Relevant) 시간제약이 있도록(Time-bound)가 있도록 수립

해결해야 할 문제(983729)와 사업목표(983730) 간에 괴리가 존재하여 둘 간의 연계성은 미흡함

해결해야 할 이슈로 제시한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일반적인 문제들을 사업목표로 제시한

지역 착형 사업을 통해 해소하고자 함은 연계성이 낮음

문제 정의 자체가 세부 산업분야별 시장 전망 또는 현장의 이슈 분석을 통해 구체적으로

도출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를 해소하기 위해 달성할 사업목표의 설정도 어려운 한계가

있으며 동 사업의 추진으로 국내외에서 어느 정도의 성과를 거둘 수 있을지도 예상할 수

없음

제시된 4가지 실증사업은 공공 영역부터 민간의 사업화가 활발한 영역까지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어 시너지 효과 창출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됨

기획의 Tip

사업목표의 범위는 제시된 이슈문제의 범위와 일치해야 하며 사업목표를 달성하면 이슈문제가 어느 정도 해결되는지를 보여줄 수 있도록 사업목표를 수립

세부 실증사업을 통해 개발될 제품(시스템)의 사용자(구매자)까지 수혜자로 포함시켜

수혜자(983731)의 표적화가 부적절함

동 사업을 통해 제품을 개발하여 사업 종료 후 해당 제품의 판매를 통해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할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기업들이 동 사업의 직접적 수혜자임

27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동 사업은 A 융합기술ʼ 분야의 실증을 통한 시스템 개발로 종료되며 제품을 최종사용자

에게까지 보급하는 것은 사업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여러 단계 이후의 최종사용자를

동 사업의 수혜자로 제시하는 것은 부적절함

기획의 Tip

사업목표와 범위에 맞는 수혜자를 제시

- 성과확산단계에 따라 수혜자를 구분하여 제시할 수는 있으나 사업성과를 통해 직접적 경제적

수혜를 받는 주체만 경제성 분석의 대상이 됨

세부활동(983733)은 사업목표(983730)와 개념적으로는 일부 연계성이 있음

산업 분야에 A 융합기술ʼ의 접목하기 위한 실증사업의 추진이 동 사업의 주요 내용이므로

관련 신산업을 창출하고자 하는 사업의 목표와는 개념적으로 연계성이 있음

B C 분야는 사업목표와 관련성이 있고 구축되는 통합센터와 정보 공유도 가능할 것이나

D E 분야는 독립적이며 사업목표와의 연계성도 낮아 동일 사업 내에서 추진할 필요성

및 통합센터 구축의 필요성도 모호함

기획의 Tip

세부활동(세부사업 또는 과제)을 수행하면 제시된 사업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세부

활동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문제 해결 및 사업목표 달성과 연관성이 낮은 활동은 제외

- 사업목표 달성과 관련 없는 과제의 포함 불요불급한 시설 및 장비의 구축 필요 이상으로 부풀린

사업비의 요구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는 주요 요인임

이 외의 항목들은 거시적인 작동논리나 연계성에 대한 검토보다는 세부내용의 적부 분석을 수행함

투입(983732)과 산출(983734)은 활동의 상세한 분석을 통해 적절성을 분석

성과영향(983735)은 사업목표와 활동 산출의 상세한 분석을 통해 적절성을 분석

가정(983736)은 별도의 분석보다는 이슈 목표 활동과 연계하여 분석

28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Ⅶ 맺음말

사업의 직접적인 이해관계자는 해당 사업의 긍정적인 측면만 생각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사업 기획주체는 신규 사업의 기획 시 객관적인 시각에서 사업계획을 조망하고 보완하기 위해

논리모형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ʻ왜 해야 하는지ʼ ʻ어떠한 결과를 내려고 하는지ʼ ʻ무엇을 어떻게 하려고 하는지ʼ가

논리적으로 연계가 되어 설득력을 확보해야 함

사업의 착수 전에 문서뿐인 사업계획서를 분석하여 사전에 평가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나

논리모형을 활용한 사업의 작동논리와 추진과정의 객관적인 분석을 통해 기획단계의

오류로 인한 사업의 부실화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

제도적인 측면에서 평가결과의 일관성 확보를 위해 사전평가의 방법으로 논리모형

분석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함13)

본 이슈페이퍼에서는 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을 설명

하였으며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추진단계 및 종료단계에 적절한 논리모형의 개발 및 활용도

고려할 필요

사업 추진 중의 사업관리 또는 중간평가 시에는 투입 rarr 활동 rarr 산출 등 사업 추진과정을

확대하여 집중적으로 분석하는 특히 활동을 더 세부적으로 구분한 논리모형이 필요함

- 사업별 특성에 부합하도록 단계별 연차별 세부과제(기술)별로 마일스톤이 포함된

논리모형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는 사업 추진 로드맵을 포함하는 형태가 될 것임

사업 종료 시의 성과확산 전략 수립이나 종료평가 또는 그 이후의 추적평가 시에는 산출

rarr 성과 rarr 영향의 사업성과 확산과정을 집중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논리모형을 구성할 수 있음

- 성과의 확산은 해당 연구개발사업 이후에 이루어지므로 동 논리모형의 구성은 성과의

극대화를 위한 성과확산사업의 기획과정으로도 볼 수 있음

논리모형 활용의 확산을 통해 국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역량을 제고하고 사업계획의

완성도를 높여 사업의 성공가능성을 제고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함

13)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에서는 이를 필수적으로 활용하도록 하고 있음

29

참 고 문 헌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 고 문 헌

국가과학기술위원회 (2011) 정부RampD 투자 효율화 추진계획

노화준 (2008) 정책평가론

미래창조과학부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 대통령령 제26729호

미래창조과학부 (2013) 국가연구개발사업 표준성과지표 ndash 성과목표지표 설정 가이드라인

미래창조과학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5) 2014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보고서

미래창조과학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5) 2014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4) 연구개발부문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제2판)

HM Treasury (2011) The Green Book Appraisal and Evaluation in Central Government

McLaughlin JA and Jordan GB (1999) ldquoLogic models a tool for telling your programrsquos

performance storyrdquo Evaluation and Program Planning 22 65~72

McLaughlin JA and Jordan GB (2010) ldquoUsing Logic Modelsrdquo in Joseph S Wholey

Harry P Hatry and Kathryn E Newcomer(eds) Handbook of Practical Program

Evaluation(Third Edition) San Francisco Jossey-Bass 55~80

OECD (2015) Frascati Manual 2015

PMI (2000) PMBOK Guide

WK Kellogg Foundation (2004) Logic Model Development Guide

저자 소개

강 현 규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공공기술조사실장

- 전화 02-589-2813

- e-mail hkkangkisteprekr

KISTEP Issue Paper 2016-05

|발 행|2016년 5월

|발행인|박 영 아

|발행처|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서울시 서초구 마방로 68(양재동) 동원산업빌딩 9층~12층

전화 02) 589-2200 팩스 02) 589-2222

httpwwwkisteprekr

|인쇄처|(주)비전테크시스템즈 [TEL02)3432-7132]

17

Ⅳ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983730 목표 (Objective)

목표는 해당 사업의 추진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사업의 핵심 성과를 의미함

목표는 해결하고자 하는 이슈문제와 관련이 있어야 하며 해당 사업을 통해 그 이슈

문제가 해결될 수 있어야 함

- 즉 사업목표는 해당 사업을 통해 이슈문제가 어느 정도로 해결될 수 있는지 측정이

가능하도록 정량적으로 제시되어야 함

목표는 구체적이어야 하며(Specific) 측정 가능해야 하고(Measurable) 달성 가능해야

하며(Achievable) 이슈 및 연구개발활동과 연관이 있고(Relevant) 기한이 정해진

(Time-bound) 것이어야 함(SMART)9)

- 목표는 사업이 달성하고자 하는 바를 의미하므로 ① 이슈문제 및 ⑦ 성과영향과

연계하여 분석

목표는 구체성과 계측가능성을 기준으로 볼 때 목적과는 구분되는 개념임

- 사전적인 의미에서 목적(目的)은 ʻ실현하려고 하는 일이나 나아가는 방향ʼ이며 목표

(目標)는 ʻ어떤 목적을 이루려고 지향하는 실제적 대상으로 삼음 또는 그 대상ʼ을 뜻함

- 즉 목적은 추상적이고 방향과 의도를 함축하는데 반하여 목표는 구체적이고 범위가

제한적이며 일반적으로 측정 가능한 수치로 표현됨

983731 수혜자 (Beneficiary)

사업으로 인해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이해관계자는 여러 유형이 있을 수 있으나

수혜자10)는 사업목표와 접한 관련이 있어야 함

9) HM Treasury (2011) The Green Book Appraisal and Evaluation in Central Government

10) 예비타당성조사에서의 수혜자는 사업 추진을 통해 자금을 지원받는 주체가 아니라 사업목표 달성이나 사업의 산출로

인해 직접적인 경제적 이익을 얻는 주체를 의미하며 경제성 분석은 이 수혜자가 얻게 되는 직접적인 경제적 편익을

기준으로 분석함

18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983732 투입 (Input)

투입은 연구개발활동에 필요한 모든 자원을 의미

- 투입의 기본 항목은 재정적 자원과 인적 자원이며 연구시설middot장비 연구수행주체 관련

지식 등이 투입에 해당

- 해당 사업에서 활용될 기존 사업의 산출과 성과도 투입에 포함될 수 있음

사업이 충실하게 기획되면 희망하는 결과를 얻기 위한 최소의 물량규모가 정량적으로

산출될 수 있음

- 실무적으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에서 투입에 해당하는 물량규모는

총사업비라는 형태로 표현됨

983733 활동 (Activity)

국가연구개발사업에서의 활동은 목표를 달성하고 산출을 발생시키기 위해 수행하는

연구개발활동에 초점을 맞추어야 하며 연구개발에 인접한 활동은 연구개발예산 편성

기준에 부합하는지의 여부에 초점을 맞추어야 함

일반적으로 OO기술 개발 OO연구기반 구축 등이 큰 범위의 연구개발활동이 되며 각

연구개발활동은 요소기술 개발 등의 세부 연구개발활동으로 세분화될 수 있음

983734 산출 (Output)

산출은 연구개발활동을 통한 직접적인 결과물을 의미하며 각 활동별로 하나 이상의

산출이 존재할 수 있음

일반적으로 연구개발활동으로 개발된 기술 정보 데이터 제품 서비스 등이 해당되며

이 각각의 산출물은 정량적으로 수량 규모 범위 등이 제시되어야 함

- 기초연구사업에서 개발된 기술에 대한 논문과 특허도 산출물에 해당

19

Ⅳ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983735 성과영향 (OutcomeImpact)

성과는 사업의 목표와 접한 관련이 있으며 사업 추진에 따른 변화나 사업결과

(output)의 활용을 통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의도된 결과이며 영향은 성과의

확산으로 인해 미래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직간접적 변화 및 파급효과를 의미

- 일반적으로 연구개발사업의 단계 구분이나 관련 문헌에서 제시된 논리모형에서는

성과와 영향을 별도 항목으로 고려하기도 하지만 사업의 착수 전에 수행되는 사전

평가에서 성과와 영향을 구분하여 검토하는 것은 실효성이 낮으므로11) 성과와 영향을

종합하여 검토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의 경제성 분석은 국가연구개발사업으로 인한 직접적인

경제적 성과를 추정하는 것임

983736 가정 (Assumption)

사업계획은 그 자체가 기획된 대로 수행하면 기대하는 결과가 생성될 것이라는 가설이며

가정은 사업의 유효성에 대한 믿음임

가정은 사업 추진 시 논리모형의 각 항목별로 발생할 상황과 변화에 대한 기대나 예측을

의미

가정은 사업 수행에 직접적으로 관련 있는 것으로 한정되어야 하며 사업의 성공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외부요인들도 가정에 포함될 수 있음

- 이러한 외부요인으로는 환경 조건 법 규정 원칙 한계 믿음 위험 등이 될 수 있음

11) 사업으로 인한 성과와 영향은 종료평가와 추적평가를 통해 구체적인 평가가 가능함

20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사업계획은 적절한 기획을 통해 도출되어야 하며 기획과정 중에 논리모형을 통해

논리적인 비약을 배제함으로써 사업계획의 합리성을 확보할 수 있음

기획은 최적의 수단으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미래에 취할 행동을 위한 일련의

결정을 준비하는 계획적 과정임

충분한 고민과 의견 수렴을 통해 기획이 잘 이루어지면 사업 추진과 결과의 부실화를

미연에 방지하고 성공가능성을 높일 수 있음

논리모형은 기획과정의 각 시점에서 그 당시까지 구체화된 항목을 하나하나 채워나감

으로써 가시적인 논리의 확인과 기획참여자들 간의 소통과 이해 및 의견 수렴에 유용함

사업의 기획이 완료된 후에는 완성된 논리모형을 예산당국 주무부처와 같은 이해

관계자와 사업계획 평가자에게 제시하여 사업의 거시적인 작동논리를 이해시키고 예산

확보를 위해 설득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음

사업의 착수시점에 해당 사업에 대한 체계화된 정보가 없을 경우에는 후속관리가

부실화되기 쉬우므로 사업계획의 충실한 수립은 매우 중요함

전반적인 추진논리를 확보하기 위해 바람직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절차는

lt그림 6gt과 같이 제시될 수 있음

21

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lt그림 6gt 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정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4) 연구개발부문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제2판)

사업을 기획하기 위해서는 우선 대규모 신규 사업의 추진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이슈

또는 문제가 무엇인지 먼저 파악되어야 함

- 동향조사 예측조사 설문조사 인터뷰 통계분석 등 다양한 분석방법을 통해 적절한

범위 내에서 이슈문제를 식별한 후 기획 의도를 고려한 합리적인 평가기준을 적용하여

사업에서 집중하고자 하는 문제를 선택해야 함

- 선택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연구개발사업이 세금 자금 인력 지원 등 다른

대안과 비교할 때 가장 효율적인 방법인지 검토되어야 함

정부의 연구개발사업 추진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가 정의되면 사업을 통해 얻고자 하는

성과가 무엇인지 구체적이고 객관적으로 제시해야 함

- 이를 위해서는 사업의 성과물이 전달되는 수혜 대상이 명확히 정의되어야 함

사업목표가 설정되면 이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추진체계와 추진전략이 수립되어야 함

22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 추진체계는 다양한 참여주체의 분석을 통해 적절한 역할과 조정 협력관계 등을

조직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함

- 추진전략은 사업 및 기술 환경의 특성 분석을 통해 목표 달성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연구개발전략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함

세부과제의 구성을 완료하여 사업기간과 총사업비 그리고 필요한 장비와 시설 등 신규

구축할 인프라의 규모를 도출함

- 세부과제는 기본적으로 사업목표와 직접적으로 연계되어야 함 즉 세부과제가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사업목표가 달성될 수 있도록 구성할 필요

- 기술수요조사와 시설장비수요조사와 같은 시장이나 사회적 수요를 반영한 후보과제를

도출한 후 사업목표의 달성을 위한 전략적 방향을 고려한 기준과 가중치가 적용된

우선순위 선정절차를 거치는 것이 바람직함

- 선정된 세부과제는 목표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적절한 단위의 세부활동을 구성하고 사업

추진상의 기술개발 로드맵을 수립하며 각각의 세부 성과지표를 구체화함

- 세부활동이 구체화되면 활동별로 수행을 위한 비용 기간 조직 인프라 등의 자원 소요계획이

확립되며 이를 종합하여 전체 사업의 추진을 위해 필요한 투입자원의 총량을 도출함

수립된 사업계획 초안의 문제 정의 사업목표 설정 추진체계 및 추진전략 수립 세부과제

구성에 대한 재검토 및 보완을 통해 기획을 완료함

- 현실적으로 기획과정에서 모든 정보를 완벽하게 수집하고 분석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신규로 제안되는 사업과 유사한 선행사업이 없어 과거 사례의 참조에도 한계가 있을 수 있음

- 사업의 내용은 기획이 진행되면서 시간의 흐름과 함께 점진적으로 구체화12)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환류(feedback) 과정을 거쳐 사업계획을 보완하는 것이 중요함

- 환류 과정을 진행하기 전에 현재까지 기획된 사업계획에 대한 논리모형을 구성하여

전반적인 사업의 작동논리가 설득력 있게 기획되었는지 확인하고 환류 과정을 통해

보완된 사업계획에 대한 논리모형도 검토하는 것이 바람직함

12) PMI (2000) PMBOK Guide

23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가상의 사례를 통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을 설명하고자 함

lt그림 7gt은 가상의 국가연개구발사업에 대해 작성된 논리모형임

1 이슈 문제

ㅇ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시장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나 정부의 투자는 산발적이고 일회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해외 의존도가 증대되고 있음

- 클러스터 형태의 실증사업 추진 필요

ㅇ A 융합기술ʼ 분야의 생태계 조성과 연계하고 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 클러스터를 구축하고 Z지역의 산업지역발전의 거점 역할을 하도록 할 필요

2 목표 3 수혜자

ㅇ ʻA 융합기술ʼ 신산업 허브 구축

- ʻA 융합기술ʼ 신산업 창출 선도 및 발전 기반 구축

- 지역거점형 ʻA 융합기술ʼ 실증사업 중심 산업화 지원

- ʻA 융합기술ʼ 산학연 협력 및 비즈니스 협업체계 구축

ㅇA 융합기술 분야 기업

ㅇ국민공공기관

4 투입 5 활동 6 산출 7 성과 영향

ㅇ사업비 OO억 원

ㅇ연구인력

ㅇ ʻA 융합기술ʼ 통합

센터 구축

ㅇ실증사업

- B C D E 4개

산업 분야

ㅇB C D E 등 4개

산업 분야

ʻA 융합기술ʼ 시스템

ㅇ ʻA 융합기술ʼ 기반

융합산업의 생산성

증대

ㅇZ지역의 지역경제

발전

8 가정

ㅇ ʻA 융합기술ʼ 신산업 강화는 국가 발전의 원동력으로 작용할 것임

ㅇ지역 착형 거점 구축을 통해 기술발전을 선도하고 관련 산업 육성을 도모하며 지역산업 활성화를 도모할 것임

lt그림 7gt 가상의 사업계획에 기반한 논리모형 작성의 사례

24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사업에 대한 사전평가에서 논리모형은 사업의 거시적인 작동논리의 분석을 통해 주요

쟁점을 도출하기 위해 활용됨

논리모형에는 사업계획의 핵심 내용만 기재되므로 논리모형 분석은 세부내용의 상세한

적부 분석이 아닌 이슈 목표 활동으로 이어지는 사업의 주요 작동논리 분석과 세 항목 간의

논리적 연계성 분석이 주로 이루어짐

시장 수요나 전망 현장의 이슈를 고려하지 않고 적절한 기획과정도 거치치 않은 채 소수의

기획주체가 ʻ하고 싶고 할 수 있는ʼ 과제를 먼저 선정해 놓고 사업을 기획하여 전체적인

사업 작동논리가 부실한 경우가 많으므로 이러한 쟁점 여부의 파악을 위해 활용함

가상의 사업계획에서 제시한 이슈(983729)는 신규 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는 이유를 설명하는

문제 정의로서 적절치 않음

최근 2~3년전부터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다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들이 다수 착수되어

추진되고 있으므로 산발적일회적이라는 주장은 사실과 다름

ʻA 융합기술ʼ 분야는 현재 국내 기업에서 사업화를 추진 중인 분야이고 기업들의 기술 수준도

상대적으로 높으므로 해외의존도를 언급하는 것은 부적절함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시장이 확대될 것이라는 예측은 적절하지만 이러한 내용은 누구나

알고 있는 일반적인 사항이며 동 사업 내에서 실증을 하고자 하는 세부 산업 분야(B C

D E 산업)에서의 ʻA 융합기술ʼ의 시장 동향 전망과 데이터에 근거한 분석은 이루어지지

않음

대형 실증사업 추진을 위해서는 사업의 성과에 대한 구체적 근거 마련을 위해 사전 연구나

조사를 통한 성과 데이터의 구축이 필요하나 실증사업의 추진 필요성과 유효성을 설명

할 수 있는 근거자료가 부재함

Z지역에는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연구 및 산업기반이 국내에서도 상대적으로 미약하여

산업 클러스터가 형성될 가능성이 낮고 국가적인 차원의 활용도 관점에서 해당 지역에의

거점 구축의 당위성은 낮음

25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기획의 Tip

국가적인 차원에서 연구개발사업을 통해서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를 구체적이고 명확히 정의

- 현재 또는 미래에 어떤 문제가 있거나 발생할 것이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

개발사업을 구상하게 되었는지 제시

-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광범위한 이슈의 제기는 무의미

- 국내외의 각종 통계 보고서 정책자료 시장보고서 전문가 및 실무자 인터뷰 등 근거자료를

통해 구체화되고 특정화된 문제를 제시

- 특정 주체나 지역이 아닌 국가적인 차원의 문제를 제시해야 하며 해당 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지 않으면 국가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나 잃게 되는 기회가 무엇인지를 설명

- 지역기반 구축은 국가적인 필요성과 함께 전국에서 해당 지역이 기반 구축의 최적지임을

입증할 수 있는 근거가 필요

사업목표(983730)를 제시하였으나 선언적인 내용에 불과하며 성과지표의 구체화가 미흡하여

문제 해결 정도를 측정하기 어려움

동 사업에서는 광범위한 ʻA 융합기술ʼ의 적용 분야 중 소수의 분야만을 다루는 반면

사업목표는 사업 내용에 비해 지나치게 일반적이고 광범위하게 수립됨

동 사업은 상호 연관성이 낮은 여러 세부사업을 단일 사업 내에 포함시켜 전체 사업 수준의

거시적인 성과목표 제시가 어려운 한계가 있음

앞서 각 세부사업별로 해당 산업 분야의 문제 정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사업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와 성과가 불문명하며 이에 따라 성과지표를 정량적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하여 목표 달성 여부의 측정방법도 불분명함

26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기획의 Tip

관리 가능성의 관점에서 사업목표는 SMART하게 제시

- 구체적이고(Specific) 측정가능하며(Measurable) 달성가능하고(Achievable) 문제 활동과 연관성이 있으며(Relevant) 시간제약이 있도록(Time-bound)가 있도록 수립

해결해야 할 문제(983729)와 사업목표(983730) 간에 괴리가 존재하여 둘 간의 연계성은 미흡함

해결해야 할 이슈로 제시한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일반적인 문제들을 사업목표로 제시한

지역 착형 사업을 통해 해소하고자 함은 연계성이 낮음

문제 정의 자체가 세부 산업분야별 시장 전망 또는 현장의 이슈 분석을 통해 구체적으로

도출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를 해소하기 위해 달성할 사업목표의 설정도 어려운 한계가

있으며 동 사업의 추진으로 국내외에서 어느 정도의 성과를 거둘 수 있을지도 예상할 수

없음

제시된 4가지 실증사업은 공공 영역부터 민간의 사업화가 활발한 영역까지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어 시너지 효과 창출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됨

기획의 Tip

사업목표의 범위는 제시된 이슈문제의 범위와 일치해야 하며 사업목표를 달성하면 이슈문제가 어느 정도 해결되는지를 보여줄 수 있도록 사업목표를 수립

세부 실증사업을 통해 개발될 제품(시스템)의 사용자(구매자)까지 수혜자로 포함시켜

수혜자(983731)의 표적화가 부적절함

동 사업을 통해 제품을 개발하여 사업 종료 후 해당 제품의 판매를 통해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할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기업들이 동 사업의 직접적 수혜자임

27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동 사업은 A 융합기술ʼ 분야의 실증을 통한 시스템 개발로 종료되며 제품을 최종사용자

에게까지 보급하는 것은 사업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여러 단계 이후의 최종사용자를

동 사업의 수혜자로 제시하는 것은 부적절함

기획의 Tip

사업목표와 범위에 맞는 수혜자를 제시

- 성과확산단계에 따라 수혜자를 구분하여 제시할 수는 있으나 사업성과를 통해 직접적 경제적

수혜를 받는 주체만 경제성 분석의 대상이 됨

세부활동(983733)은 사업목표(983730)와 개념적으로는 일부 연계성이 있음

산업 분야에 A 융합기술ʼ의 접목하기 위한 실증사업의 추진이 동 사업의 주요 내용이므로

관련 신산업을 창출하고자 하는 사업의 목표와는 개념적으로 연계성이 있음

B C 분야는 사업목표와 관련성이 있고 구축되는 통합센터와 정보 공유도 가능할 것이나

D E 분야는 독립적이며 사업목표와의 연계성도 낮아 동일 사업 내에서 추진할 필요성

및 통합센터 구축의 필요성도 모호함

기획의 Tip

세부활동(세부사업 또는 과제)을 수행하면 제시된 사업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세부

활동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문제 해결 및 사업목표 달성과 연관성이 낮은 활동은 제외

- 사업목표 달성과 관련 없는 과제의 포함 불요불급한 시설 및 장비의 구축 필요 이상으로 부풀린

사업비의 요구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는 주요 요인임

이 외의 항목들은 거시적인 작동논리나 연계성에 대한 검토보다는 세부내용의 적부 분석을 수행함

투입(983732)과 산출(983734)은 활동의 상세한 분석을 통해 적절성을 분석

성과영향(983735)은 사업목표와 활동 산출의 상세한 분석을 통해 적절성을 분석

가정(983736)은 별도의 분석보다는 이슈 목표 활동과 연계하여 분석

28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Ⅶ 맺음말

사업의 직접적인 이해관계자는 해당 사업의 긍정적인 측면만 생각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사업 기획주체는 신규 사업의 기획 시 객관적인 시각에서 사업계획을 조망하고 보완하기 위해

논리모형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ʻ왜 해야 하는지ʼ ʻ어떠한 결과를 내려고 하는지ʼ ʻ무엇을 어떻게 하려고 하는지ʼ가

논리적으로 연계가 되어 설득력을 확보해야 함

사업의 착수 전에 문서뿐인 사업계획서를 분석하여 사전에 평가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나

논리모형을 활용한 사업의 작동논리와 추진과정의 객관적인 분석을 통해 기획단계의

오류로 인한 사업의 부실화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

제도적인 측면에서 평가결과의 일관성 확보를 위해 사전평가의 방법으로 논리모형

분석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함13)

본 이슈페이퍼에서는 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을 설명

하였으며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추진단계 및 종료단계에 적절한 논리모형의 개발 및 활용도

고려할 필요

사업 추진 중의 사업관리 또는 중간평가 시에는 투입 rarr 활동 rarr 산출 등 사업 추진과정을

확대하여 집중적으로 분석하는 특히 활동을 더 세부적으로 구분한 논리모형이 필요함

- 사업별 특성에 부합하도록 단계별 연차별 세부과제(기술)별로 마일스톤이 포함된

논리모형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는 사업 추진 로드맵을 포함하는 형태가 될 것임

사업 종료 시의 성과확산 전략 수립이나 종료평가 또는 그 이후의 추적평가 시에는 산출

rarr 성과 rarr 영향의 사업성과 확산과정을 집중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논리모형을 구성할 수 있음

- 성과의 확산은 해당 연구개발사업 이후에 이루어지므로 동 논리모형의 구성은 성과의

극대화를 위한 성과확산사업의 기획과정으로도 볼 수 있음

논리모형 활용의 확산을 통해 국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역량을 제고하고 사업계획의

완성도를 높여 사업의 성공가능성을 제고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함

13)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에서는 이를 필수적으로 활용하도록 하고 있음

29

참 고 문 헌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 고 문 헌

국가과학기술위원회 (2011) 정부RampD 투자 효율화 추진계획

노화준 (2008) 정책평가론

미래창조과학부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 대통령령 제26729호

미래창조과학부 (2013) 국가연구개발사업 표준성과지표 ndash 성과목표지표 설정 가이드라인

미래창조과학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5) 2014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보고서

미래창조과학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5) 2014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4) 연구개발부문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제2판)

HM Treasury (2011) The Green Book Appraisal and Evaluation in Central Government

McLaughlin JA and Jordan GB (1999) ldquoLogic models a tool for telling your programrsquos

performance storyrdquo Evaluation and Program Planning 22 65~72

McLaughlin JA and Jordan GB (2010) ldquoUsing Logic Modelsrdquo in Joseph S Wholey

Harry P Hatry and Kathryn E Newcomer(eds) Handbook of Practical Program

Evaluation(Third Edition) San Francisco Jossey-Bass 55~80

OECD (2015) Frascati Manual 2015

PMI (2000) PMBOK Guide

WK Kellogg Foundation (2004) Logic Model Development Guide

저자 소개

강 현 규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공공기술조사실장

- 전화 02-589-2813

- e-mail hkkangkisteprekr

KISTEP Issue Paper 2016-05

|발 행|2016년 5월

|발행인|박 영 아

|발행처|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서울시 서초구 마방로 68(양재동) 동원산업빌딩 9층~12층

전화 02) 589-2200 팩스 02) 589-2222

httpwwwkisteprekr

|인쇄처|(주)비전테크시스템즈 [TEL02)3432-7132]

18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983732 투입 (Input)

투입은 연구개발활동에 필요한 모든 자원을 의미

- 투입의 기본 항목은 재정적 자원과 인적 자원이며 연구시설middot장비 연구수행주체 관련

지식 등이 투입에 해당

- 해당 사업에서 활용될 기존 사업의 산출과 성과도 투입에 포함될 수 있음

사업이 충실하게 기획되면 희망하는 결과를 얻기 위한 최소의 물량규모가 정량적으로

산출될 수 있음

- 실무적으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에서 투입에 해당하는 물량규모는

총사업비라는 형태로 표현됨

983733 활동 (Activity)

국가연구개발사업에서의 활동은 목표를 달성하고 산출을 발생시키기 위해 수행하는

연구개발활동에 초점을 맞추어야 하며 연구개발에 인접한 활동은 연구개발예산 편성

기준에 부합하는지의 여부에 초점을 맞추어야 함

일반적으로 OO기술 개발 OO연구기반 구축 등이 큰 범위의 연구개발활동이 되며 각

연구개발활동은 요소기술 개발 등의 세부 연구개발활동으로 세분화될 수 있음

983734 산출 (Output)

산출은 연구개발활동을 통한 직접적인 결과물을 의미하며 각 활동별로 하나 이상의

산출이 존재할 수 있음

일반적으로 연구개발활동으로 개발된 기술 정보 데이터 제품 서비스 등이 해당되며

이 각각의 산출물은 정량적으로 수량 규모 범위 등이 제시되어야 함

- 기초연구사업에서 개발된 기술에 대한 논문과 특허도 산출물에 해당

19

Ⅳ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983735 성과영향 (OutcomeImpact)

성과는 사업의 목표와 접한 관련이 있으며 사업 추진에 따른 변화나 사업결과

(output)의 활용을 통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의도된 결과이며 영향은 성과의

확산으로 인해 미래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직간접적 변화 및 파급효과를 의미

- 일반적으로 연구개발사업의 단계 구분이나 관련 문헌에서 제시된 논리모형에서는

성과와 영향을 별도 항목으로 고려하기도 하지만 사업의 착수 전에 수행되는 사전

평가에서 성과와 영향을 구분하여 검토하는 것은 실효성이 낮으므로11) 성과와 영향을

종합하여 검토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의 경제성 분석은 국가연구개발사업으로 인한 직접적인

경제적 성과를 추정하는 것임

983736 가정 (Assumption)

사업계획은 그 자체가 기획된 대로 수행하면 기대하는 결과가 생성될 것이라는 가설이며

가정은 사업의 유효성에 대한 믿음임

가정은 사업 추진 시 논리모형의 각 항목별로 발생할 상황과 변화에 대한 기대나 예측을

의미

가정은 사업 수행에 직접적으로 관련 있는 것으로 한정되어야 하며 사업의 성공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외부요인들도 가정에 포함될 수 있음

- 이러한 외부요인으로는 환경 조건 법 규정 원칙 한계 믿음 위험 등이 될 수 있음

11) 사업으로 인한 성과와 영향은 종료평가와 추적평가를 통해 구체적인 평가가 가능함

20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사업계획은 적절한 기획을 통해 도출되어야 하며 기획과정 중에 논리모형을 통해

논리적인 비약을 배제함으로써 사업계획의 합리성을 확보할 수 있음

기획은 최적의 수단으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미래에 취할 행동을 위한 일련의

결정을 준비하는 계획적 과정임

충분한 고민과 의견 수렴을 통해 기획이 잘 이루어지면 사업 추진과 결과의 부실화를

미연에 방지하고 성공가능성을 높일 수 있음

논리모형은 기획과정의 각 시점에서 그 당시까지 구체화된 항목을 하나하나 채워나감

으로써 가시적인 논리의 확인과 기획참여자들 간의 소통과 이해 및 의견 수렴에 유용함

사업의 기획이 완료된 후에는 완성된 논리모형을 예산당국 주무부처와 같은 이해

관계자와 사업계획 평가자에게 제시하여 사업의 거시적인 작동논리를 이해시키고 예산

확보를 위해 설득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음

사업의 착수시점에 해당 사업에 대한 체계화된 정보가 없을 경우에는 후속관리가

부실화되기 쉬우므로 사업계획의 충실한 수립은 매우 중요함

전반적인 추진논리를 확보하기 위해 바람직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절차는

lt그림 6gt과 같이 제시될 수 있음

21

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lt그림 6gt 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정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4) 연구개발부문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제2판)

사업을 기획하기 위해서는 우선 대규모 신규 사업의 추진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이슈

또는 문제가 무엇인지 먼저 파악되어야 함

- 동향조사 예측조사 설문조사 인터뷰 통계분석 등 다양한 분석방법을 통해 적절한

범위 내에서 이슈문제를 식별한 후 기획 의도를 고려한 합리적인 평가기준을 적용하여

사업에서 집중하고자 하는 문제를 선택해야 함

- 선택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연구개발사업이 세금 자금 인력 지원 등 다른

대안과 비교할 때 가장 효율적인 방법인지 검토되어야 함

정부의 연구개발사업 추진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가 정의되면 사업을 통해 얻고자 하는

성과가 무엇인지 구체적이고 객관적으로 제시해야 함

- 이를 위해서는 사업의 성과물이 전달되는 수혜 대상이 명확히 정의되어야 함

사업목표가 설정되면 이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추진체계와 추진전략이 수립되어야 함

22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 추진체계는 다양한 참여주체의 분석을 통해 적절한 역할과 조정 협력관계 등을

조직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함

- 추진전략은 사업 및 기술 환경의 특성 분석을 통해 목표 달성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연구개발전략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함

세부과제의 구성을 완료하여 사업기간과 총사업비 그리고 필요한 장비와 시설 등 신규

구축할 인프라의 규모를 도출함

- 세부과제는 기본적으로 사업목표와 직접적으로 연계되어야 함 즉 세부과제가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사업목표가 달성될 수 있도록 구성할 필요

- 기술수요조사와 시설장비수요조사와 같은 시장이나 사회적 수요를 반영한 후보과제를

도출한 후 사업목표의 달성을 위한 전략적 방향을 고려한 기준과 가중치가 적용된

우선순위 선정절차를 거치는 것이 바람직함

- 선정된 세부과제는 목표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적절한 단위의 세부활동을 구성하고 사업

추진상의 기술개발 로드맵을 수립하며 각각의 세부 성과지표를 구체화함

- 세부활동이 구체화되면 활동별로 수행을 위한 비용 기간 조직 인프라 등의 자원 소요계획이

확립되며 이를 종합하여 전체 사업의 추진을 위해 필요한 투입자원의 총량을 도출함

수립된 사업계획 초안의 문제 정의 사업목표 설정 추진체계 및 추진전략 수립 세부과제

구성에 대한 재검토 및 보완을 통해 기획을 완료함

- 현실적으로 기획과정에서 모든 정보를 완벽하게 수집하고 분석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신규로 제안되는 사업과 유사한 선행사업이 없어 과거 사례의 참조에도 한계가 있을 수 있음

- 사업의 내용은 기획이 진행되면서 시간의 흐름과 함께 점진적으로 구체화12)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환류(feedback) 과정을 거쳐 사업계획을 보완하는 것이 중요함

- 환류 과정을 진행하기 전에 현재까지 기획된 사업계획에 대한 논리모형을 구성하여

전반적인 사업의 작동논리가 설득력 있게 기획되었는지 확인하고 환류 과정을 통해

보완된 사업계획에 대한 논리모형도 검토하는 것이 바람직함

12) PMI (2000) PMBOK Guide

23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가상의 사례를 통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을 설명하고자 함

lt그림 7gt은 가상의 국가연개구발사업에 대해 작성된 논리모형임

1 이슈 문제

ㅇ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시장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나 정부의 투자는 산발적이고 일회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해외 의존도가 증대되고 있음

- 클러스터 형태의 실증사업 추진 필요

ㅇ A 융합기술ʼ 분야의 생태계 조성과 연계하고 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 클러스터를 구축하고 Z지역의 산업지역발전의 거점 역할을 하도록 할 필요

2 목표 3 수혜자

ㅇ ʻA 융합기술ʼ 신산업 허브 구축

- ʻA 융합기술ʼ 신산업 창출 선도 및 발전 기반 구축

- 지역거점형 ʻA 융합기술ʼ 실증사업 중심 산업화 지원

- ʻA 융합기술ʼ 산학연 협력 및 비즈니스 협업체계 구축

ㅇA 융합기술 분야 기업

ㅇ국민공공기관

4 투입 5 활동 6 산출 7 성과 영향

ㅇ사업비 OO억 원

ㅇ연구인력

ㅇ ʻA 융합기술ʼ 통합

센터 구축

ㅇ실증사업

- B C D E 4개

산업 분야

ㅇB C D E 등 4개

산업 분야

ʻA 융합기술ʼ 시스템

ㅇ ʻA 융합기술ʼ 기반

융합산업의 생산성

증대

ㅇZ지역의 지역경제

발전

8 가정

ㅇ ʻA 융합기술ʼ 신산업 강화는 국가 발전의 원동력으로 작용할 것임

ㅇ지역 착형 거점 구축을 통해 기술발전을 선도하고 관련 산업 육성을 도모하며 지역산업 활성화를 도모할 것임

lt그림 7gt 가상의 사업계획에 기반한 논리모형 작성의 사례

24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사업에 대한 사전평가에서 논리모형은 사업의 거시적인 작동논리의 분석을 통해 주요

쟁점을 도출하기 위해 활용됨

논리모형에는 사업계획의 핵심 내용만 기재되므로 논리모형 분석은 세부내용의 상세한

적부 분석이 아닌 이슈 목표 활동으로 이어지는 사업의 주요 작동논리 분석과 세 항목 간의

논리적 연계성 분석이 주로 이루어짐

시장 수요나 전망 현장의 이슈를 고려하지 않고 적절한 기획과정도 거치치 않은 채 소수의

기획주체가 ʻ하고 싶고 할 수 있는ʼ 과제를 먼저 선정해 놓고 사업을 기획하여 전체적인

사업 작동논리가 부실한 경우가 많으므로 이러한 쟁점 여부의 파악을 위해 활용함

가상의 사업계획에서 제시한 이슈(983729)는 신규 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는 이유를 설명하는

문제 정의로서 적절치 않음

최근 2~3년전부터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다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들이 다수 착수되어

추진되고 있으므로 산발적일회적이라는 주장은 사실과 다름

ʻA 융합기술ʼ 분야는 현재 국내 기업에서 사업화를 추진 중인 분야이고 기업들의 기술 수준도

상대적으로 높으므로 해외의존도를 언급하는 것은 부적절함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시장이 확대될 것이라는 예측은 적절하지만 이러한 내용은 누구나

알고 있는 일반적인 사항이며 동 사업 내에서 실증을 하고자 하는 세부 산업 분야(B C

D E 산업)에서의 ʻA 융합기술ʼ의 시장 동향 전망과 데이터에 근거한 분석은 이루어지지

않음

대형 실증사업 추진을 위해서는 사업의 성과에 대한 구체적 근거 마련을 위해 사전 연구나

조사를 통한 성과 데이터의 구축이 필요하나 실증사업의 추진 필요성과 유효성을 설명

할 수 있는 근거자료가 부재함

Z지역에는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연구 및 산업기반이 국내에서도 상대적으로 미약하여

산업 클러스터가 형성될 가능성이 낮고 국가적인 차원의 활용도 관점에서 해당 지역에의

거점 구축의 당위성은 낮음

25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기획의 Tip

국가적인 차원에서 연구개발사업을 통해서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를 구체적이고 명확히 정의

- 현재 또는 미래에 어떤 문제가 있거나 발생할 것이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

개발사업을 구상하게 되었는지 제시

-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광범위한 이슈의 제기는 무의미

- 국내외의 각종 통계 보고서 정책자료 시장보고서 전문가 및 실무자 인터뷰 등 근거자료를

통해 구체화되고 특정화된 문제를 제시

- 특정 주체나 지역이 아닌 국가적인 차원의 문제를 제시해야 하며 해당 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지 않으면 국가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나 잃게 되는 기회가 무엇인지를 설명

- 지역기반 구축은 국가적인 필요성과 함께 전국에서 해당 지역이 기반 구축의 최적지임을

입증할 수 있는 근거가 필요

사업목표(983730)를 제시하였으나 선언적인 내용에 불과하며 성과지표의 구체화가 미흡하여

문제 해결 정도를 측정하기 어려움

동 사업에서는 광범위한 ʻA 융합기술ʼ의 적용 분야 중 소수의 분야만을 다루는 반면

사업목표는 사업 내용에 비해 지나치게 일반적이고 광범위하게 수립됨

동 사업은 상호 연관성이 낮은 여러 세부사업을 단일 사업 내에 포함시켜 전체 사업 수준의

거시적인 성과목표 제시가 어려운 한계가 있음

앞서 각 세부사업별로 해당 산업 분야의 문제 정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사업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와 성과가 불문명하며 이에 따라 성과지표를 정량적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하여 목표 달성 여부의 측정방법도 불분명함

26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기획의 Tip

관리 가능성의 관점에서 사업목표는 SMART하게 제시

- 구체적이고(Specific) 측정가능하며(Measurable) 달성가능하고(Achievable) 문제 활동과 연관성이 있으며(Relevant) 시간제약이 있도록(Time-bound)가 있도록 수립

해결해야 할 문제(983729)와 사업목표(983730) 간에 괴리가 존재하여 둘 간의 연계성은 미흡함

해결해야 할 이슈로 제시한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일반적인 문제들을 사업목표로 제시한

지역 착형 사업을 통해 해소하고자 함은 연계성이 낮음

문제 정의 자체가 세부 산업분야별 시장 전망 또는 현장의 이슈 분석을 통해 구체적으로

도출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를 해소하기 위해 달성할 사업목표의 설정도 어려운 한계가

있으며 동 사업의 추진으로 국내외에서 어느 정도의 성과를 거둘 수 있을지도 예상할 수

없음

제시된 4가지 실증사업은 공공 영역부터 민간의 사업화가 활발한 영역까지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어 시너지 효과 창출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됨

기획의 Tip

사업목표의 범위는 제시된 이슈문제의 범위와 일치해야 하며 사업목표를 달성하면 이슈문제가 어느 정도 해결되는지를 보여줄 수 있도록 사업목표를 수립

세부 실증사업을 통해 개발될 제품(시스템)의 사용자(구매자)까지 수혜자로 포함시켜

수혜자(983731)의 표적화가 부적절함

동 사업을 통해 제품을 개발하여 사업 종료 후 해당 제품의 판매를 통해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할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기업들이 동 사업의 직접적 수혜자임

27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동 사업은 A 융합기술ʼ 분야의 실증을 통한 시스템 개발로 종료되며 제품을 최종사용자

에게까지 보급하는 것은 사업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여러 단계 이후의 최종사용자를

동 사업의 수혜자로 제시하는 것은 부적절함

기획의 Tip

사업목표와 범위에 맞는 수혜자를 제시

- 성과확산단계에 따라 수혜자를 구분하여 제시할 수는 있으나 사업성과를 통해 직접적 경제적

수혜를 받는 주체만 경제성 분석의 대상이 됨

세부활동(983733)은 사업목표(983730)와 개념적으로는 일부 연계성이 있음

산업 분야에 A 융합기술ʼ의 접목하기 위한 실증사업의 추진이 동 사업의 주요 내용이므로

관련 신산업을 창출하고자 하는 사업의 목표와는 개념적으로 연계성이 있음

B C 분야는 사업목표와 관련성이 있고 구축되는 통합센터와 정보 공유도 가능할 것이나

D E 분야는 독립적이며 사업목표와의 연계성도 낮아 동일 사업 내에서 추진할 필요성

및 통합센터 구축의 필요성도 모호함

기획의 Tip

세부활동(세부사업 또는 과제)을 수행하면 제시된 사업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세부

활동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문제 해결 및 사업목표 달성과 연관성이 낮은 활동은 제외

- 사업목표 달성과 관련 없는 과제의 포함 불요불급한 시설 및 장비의 구축 필요 이상으로 부풀린

사업비의 요구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는 주요 요인임

이 외의 항목들은 거시적인 작동논리나 연계성에 대한 검토보다는 세부내용의 적부 분석을 수행함

투입(983732)과 산출(983734)은 활동의 상세한 분석을 통해 적절성을 분석

성과영향(983735)은 사업목표와 활동 산출의 상세한 분석을 통해 적절성을 분석

가정(983736)은 별도의 분석보다는 이슈 목표 활동과 연계하여 분석

28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Ⅶ 맺음말

사업의 직접적인 이해관계자는 해당 사업의 긍정적인 측면만 생각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사업 기획주체는 신규 사업의 기획 시 객관적인 시각에서 사업계획을 조망하고 보완하기 위해

논리모형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ʻ왜 해야 하는지ʼ ʻ어떠한 결과를 내려고 하는지ʼ ʻ무엇을 어떻게 하려고 하는지ʼ가

논리적으로 연계가 되어 설득력을 확보해야 함

사업의 착수 전에 문서뿐인 사업계획서를 분석하여 사전에 평가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나

논리모형을 활용한 사업의 작동논리와 추진과정의 객관적인 분석을 통해 기획단계의

오류로 인한 사업의 부실화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

제도적인 측면에서 평가결과의 일관성 확보를 위해 사전평가의 방법으로 논리모형

분석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함13)

본 이슈페이퍼에서는 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을 설명

하였으며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추진단계 및 종료단계에 적절한 논리모형의 개발 및 활용도

고려할 필요

사업 추진 중의 사업관리 또는 중간평가 시에는 투입 rarr 활동 rarr 산출 등 사업 추진과정을

확대하여 집중적으로 분석하는 특히 활동을 더 세부적으로 구분한 논리모형이 필요함

- 사업별 특성에 부합하도록 단계별 연차별 세부과제(기술)별로 마일스톤이 포함된

논리모형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는 사업 추진 로드맵을 포함하는 형태가 될 것임

사업 종료 시의 성과확산 전략 수립이나 종료평가 또는 그 이후의 추적평가 시에는 산출

rarr 성과 rarr 영향의 사업성과 확산과정을 집중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논리모형을 구성할 수 있음

- 성과의 확산은 해당 연구개발사업 이후에 이루어지므로 동 논리모형의 구성은 성과의

극대화를 위한 성과확산사업의 기획과정으로도 볼 수 있음

논리모형 활용의 확산을 통해 국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역량을 제고하고 사업계획의

완성도를 높여 사업의 성공가능성을 제고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함

13)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에서는 이를 필수적으로 활용하도록 하고 있음

29

참 고 문 헌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 고 문 헌

국가과학기술위원회 (2011) 정부RampD 투자 효율화 추진계획

노화준 (2008) 정책평가론

미래창조과학부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 대통령령 제26729호

미래창조과학부 (2013) 국가연구개발사업 표준성과지표 ndash 성과목표지표 설정 가이드라인

미래창조과학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5) 2014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보고서

미래창조과학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5) 2014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4) 연구개발부문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제2판)

HM Treasury (2011) The Green Book Appraisal and Evaluation in Central Government

McLaughlin JA and Jordan GB (1999) ldquoLogic models a tool for telling your programrsquos

performance storyrdquo Evaluation and Program Planning 22 65~72

McLaughlin JA and Jordan GB (2010) ldquoUsing Logic Modelsrdquo in Joseph S Wholey

Harry P Hatry and Kathryn E Newcomer(eds) Handbook of Practical Program

Evaluation(Third Edition) San Francisco Jossey-Bass 55~80

OECD (2015) Frascati Manual 2015

PMI (2000) PMBOK Guide

WK Kellogg Foundation (2004) Logic Model Development Guide

저자 소개

강 현 규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공공기술조사실장

- 전화 02-589-2813

- e-mail hkkangkisteprekr

KISTEP Issue Paper 2016-05

|발 행|2016년 5월

|발행인|박 영 아

|발행처|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서울시 서초구 마방로 68(양재동) 동원산업빌딩 9층~12층

전화 02) 589-2200 팩스 02) 589-2222

httpwwwkisteprekr

|인쇄처|(주)비전테크시스템즈 [TEL02)3432-7132]

19

Ⅳ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983735 성과영향 (OutcomeImpact)

성과는 사업의 목표와 접한 관련이 있으며 사업 추진에 따른 변화나 사업결과

(output)의 활용을 통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의도된 결과이며 영향은 성과의

확산으로 인해 미래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직간접적 변화 및 파급효과를 의미

- 일반적으로 연구개발사업의 단계 구분이나 관련 문헌에서 제시된 논리모형에서는

성과와 영향을 별도 항목으로 고려하기도 하지만 사업의 착수 전에 수행되는 사전

평가에서 성과와 영향을 구분하여 검토하는 것은 실효성이 낮으므로11) 성과와 영향을

종합하여 검토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의 경제성 분석은 국가연구개발사업으로 인한 직접적인

경제적 성과를 추정하는 것임

983736 가정 (Assumption)

사업계획은 그 자체가 기획된 대로 수행하면 기대하는 결과가 생성될 것이라는 가설이며

가정은 사업의 유효성에 대한 믿음임

가정은 사업 추진 시 논리모형의 각 항목별로 발생할 상황과 변화에 대한 기대나 예측을

의미

가정은 사업 수행에 직접적으로 관련 있는 것으로 한정되어야 하며 사업의 성공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외부요인들도 가정에 포함될 수 있음

- 이러한 외부요인으로는 환경 조건 법 규정 원칙 한계 믿음 위험 등이 될 수 있음

11) 사업으로 인한 성과와 영향은 종료평가와 추적평가를 통해 구체적인 평가가 가능함

20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사업계획은 적절한 기획을 통해 도출되어야 하며 기획과정 중에 논리모형을 통해

논리적인 비약을 배제함으로써 사업계획의 합리성을 확보할 수 있음

기획은 최적의 수단으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미래에 취할 행동을 위한 일련의

결정을 준비하는 계획적 과정임

충분한 고민과 의견 수렴을 통해 기획이 잘 이루어지면 사업 추진과 결과의 부실화를

미연에 방지하고 성공가능성을 높일 수 있음

논리모형은 기획과정의 각 시점에서 그 당시까지 구체화된 항목을 하나하나 채워나감

으로써 가시적인 논리의 확인과 기획참여자들 간의 소통과 이해 및 의견 수렴에 유용함

사업의 기획이 완료된 후에는 완성된 논리모형을 예산당국 주무부처와 같은 이해

관계자와 사업계획 평가자에게 제시하여 사업의 거시적인 작동논리를 이해시키고 예산

확보를 위해 설득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음

사업의 착수시점에 해당 사업에 대한 체계화된 정보가 없을 경우에는 후속관리가

부실화되기 쉬우므로 사업계획의 충실한 수립은 매우 중요함

전반적인 추진논리를 확보하기 위해 바람직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절차는

lt그림 6gt과 같이 제시될 수 있음

21

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lt그림 6gt 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정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4) 연구개발부문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제2판)

사업을 기획하기 위해서는 우선 대규모 신규 사업의 추진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이슈

또는 문제가 무엇인지 먼저 파악되어야 함

- 동향조사 예측조사 설문조사 인터뷰 통계분석 등 다양한 분석방법을 통해 적절한

범위 내에서 이슈문제를 식별한 후 기획 의도를 고려한 합리적인 평가기준을 적용하여

사업에서 집중하고자 하는 문제를 선택해야 함

- 선택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연구개발사업이 세금 자금 인력 지원 등 다른

대안과 비교할 때 가장 효율적인 방법인지 검토되어야 함

정부의 연구개발사업 추진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가 정의되면 사업을 통해 얻고자 하는

성과가 무엇인지 구체적이고 객관적으로 제시해야 함

- 이를 위해서는 사업의 성과물이 전달되는 수혜 대상이 명확히 정의되어야 함

사업목표가 설정되면 이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추진체계와 추진전략이 수립되어야 함

22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 추진체계는 다양한 참여주체의 분석을 통해 적절한 역할과 조정 협력관계 등을

조직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함

- 추진전략은 사업 및 기술 환경의 특성 분석을 통해 목표 달성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연구개발전략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함

세부과제의 구성을 완료하여 사업기간과 총사업비 그리고 필요한 장비와 시설 등 신규

구축할 인프라의 규모를 도출함

- 세부과제는 기본적으로 사업목표와 직접적으로 연계되어야 함 즉 세부과제가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사업목표가 달성될 수 있도록 구성할 필요

- 기술수요조사와 시설장비수요조사와 같은 시장이나 사회적 수요를 반영한 후보과제를

도출한 후 사업목표의 달성을 위한 전략적 방향을 고려한 기준과 가중치가 적용된

우선순위 선정절차를 거치는 것이 바람직함

- 선정된 세부과제는 목표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적절한 단위의 세부활동을 구성하고 사업

추진상의 기술개발 로드맵을 수립하며 각각의 세부 성과지표를 구체화함

- 세부활동이 구체화되면 활동별로 수행을 위한 비용 기간 조직 인프라 등의 자원 소요계획이

확립되며 이를 종합하여 전체 사업의 추진을 위해 필요한 투입자원의 총량을 도출함

수립된 사업계획 초안의 문제 정의 사업목표 설정 추진체계 및 추진전략 수립 세부과제

구성에 대한 재검토 및 보완을 통해 기획을 완료함

- 현실적으로 기획과정에서 모든 정보를 완벽하게 수집하고 분석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신규로 제안되는 사업과 유사한 선행사업이 없어 과거 사례의 참조에도 한계가 있을 수 있음

- 사업의 내용은 기획이 진행되면서 시간의 흐름과 함께 점진적으로 구체화12)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환류(feedback) 과정을 거쳐 사업계획을 보완하는 것이 중요함

- 환류 과정을 진행하기 전에 현재까지 기획된 사업계획에 대한 논리모형을 구성하여

전반적인 사업의 작동논리가 설득력 있게 기획되었는지 확인하고 환류 과정을 통해

보완된 사업계획에 대한 논리모형도 검토하는 것이 바람직함

12) PMI (2000) PMBOK Guide

23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가상의 사례를 통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을 설명하고자 함

lt그림 7gt은 가상의 국가연개구발사업에 대해 작성된 논리모형임

1 이슈 문제

ㅇ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시장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나 정부의 투자는 산발적이고 일회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해외 의존도가 증대되고 있음

- 클러스터 형태의 실증사업 추진 필요

ㅇ A 융합기술ʼ 분야의 생태계 조성과 연계하고 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 클러스터를 구축하고 Z지역의 산업지역발전의 거점 역할을 하도록 할 필요

2 목표 3 수혜자

ㅇ ʻA 융합기술ʼ 신산업 허브 구축

- ʻA 융합기술ʼ 신산업 창출 선도 및 발전 기반 구축

- 지역거점형 ʻA 융합기술ʼ 실증사업 중심 산업화 지원

- ʻA 융합기술ʼ 산학연 협력 및 비즈니스 협업체계 구축

ㅇA 융합기술 분야 기업

ㅇ국민공공기관

4 투입 5 활동 6 산출 7 성과 영향

ㅇ사업비 OO억 원

ㅇ연구인력

ㅇ ʻA 융합기술ʼ 통합

센터 구축

ㅇ실증사업

- B C D E 4개

산업 분야

ㅇB C D E 등 4개

산업 분야

ʻA 융합기술ʼ 시스템

ㅇ ʻA 융합기술ʼ 기반

융합산업의 생산성

증대

ㅇZ지역의 지역경제

발전

8 가정

ㅇ ʻA 융합기술ʼ 신산업 강화는 국가 발전의 원동력으로 작용할 것임

ㅇ지역 착형 거점 구축을 통해 기술발전을 선도하고 관련 산업 육성을 도모하며 지역산업 활성화를 도모할 것임

lt그림 7gt 가상의 사업계획에 기반한 논리모형 작성의 사례

24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사업에 대한 사전평가에서 논리모형은 사업의 거시적인 작동논리의 분석을 통해 주요

쟁점을 도출하기 위해 활용됨

논리모형에는 사업계획의 핵심 내용만 기재되므로 논리모형 분석은 세부내용의 상세한

적부 분석이 아닌 이슈 목표 활동으로 이어지는 사업의 주요 작동논리 분석과 세 항목 간의

논리적 연계성 분석이 주로 이루어짐

시장 수요나 전망 현장의 이슈를 고려하지 않고 적절한 기획과정도 거치치 않은 채 소수의

기획주체가 ʻ하고 싶고 할 수 있는ʼ 과제를 먼저 선정해 놓고 사업을 기획하여 전체적인

사업 작동논리가 부실한 경우가 많으므로 이러한 쟁점 여부의 파악을 위해 활용함

가상의 사업계획에서 제시한 이슈(983729)는 신규 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는 이유를 설명하는

문제 정의로서 적절치 않음

최근 2~3년전부터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다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들이 다수 착수되어

추진되고 있으므로 산발적일회적이라는 주장은 사실과 다름

ʻA 융합기술ʼ 분야는 현재 국내 기업에서 사업화를 추진 중인 분야이고 기업들의 기술 수준도

상대적으로 높으므로 해외의존도를 언급하는 것은 부적절함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시장이 확대될 것이라는 예측은 적절하지만 이러한 내용은 누구나

알고 있는 일반적인 사항이며 동 사업 내에서 실증을 하고자 하는 세부 산업 분야(B C

D E 산업)에서의 ʻA 융합기술ʼ의 시장 동향 전망과 데이터에 근거한 분석은 이루어지지

않음

대형 실증사업 추진을 위해서는 사업의 성과에 대한 구체적 근거 마련을 위해 사전 연구나

조사를 통한 성과 데이터의 구축이 필요하나 실증사업의 추진 필요성과 유효성을 설명

할 수 있는 근거자료가 부재함

Z지역에는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연구 및 산업기반이 국내에서도 상대적으로 미약하여

산업 클러스터가 형성될 가능성이 낮고 국가적인 차원의 활용도 관점에서 해당 지역에의

거점 구축의 당위성은 낮음

25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기획의 Tip

국가적인 차원에서 연구개발사업을 통해서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를 구체적이고 명확히 정의

- 현재 또는 미래에 어떤 문제가 있거나 발생할 것이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

개발사업을 구상하게 되었는지 제시

-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광범위한 이슈의 제기는 무의미

- 국내외의 각종 통계 보고서 정책자료 시장보고서 전문가 및 실무자 인터뷰 등 근거자료를

통해 구체화되고 특정화된 문제를 제시

- 특정 주체나 지역이 아닌 국가적인 차원의 문제를 제시해야 하며 해당 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지 않으면 국가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나 잃게 되는 기회가 무엇인지를 설명

- 지역기반 구축은 국가적인 필요성과 함께 전국에서 해당 지역이 기반 구축의 최적지임을

입증할 수 있는 근거가 필요

사업목표(983730)를 제시하였으나 선언적인 내용에 불과하며 성과지표의 구체화가 미흡하여

문제 해결 정도를 측정하기 어려움

동 사업에서는 광범위한 ʻA 융합기술ʼ의 적용 분야 중 소수의 분야만을 다루는 반면

사업목표는 사업 내용에 비해 지나치게 일반적이고 광범위하게 수립됨

동 사업은 상호 연관성이 낮은 여러 세부사업을 단일 사업 내에 포함시켜 전체 사업 수준의

거시적인 성과목표 제시가 어려운 한계가 있음

앞서 각 세부사업별로 해당 산업 분야의 문제 정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사업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와 성과가 불문명하며 이에 따라 성과지표를 정량적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하여 목표 달성 여부의 측정방법도 불분명함

26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기획의 Tip

관리 가능성의 관점에서 사업목표는 SMART하게 제시

- 구체적이고(Specific) 측정가능하며(Measurable) 달성가능하고(Achievable) 문제 활동과 연관성이 있으며(Relevant) 시간제약이 있도록(Time-bound)가 있도록 수립

해결해야 할 문제(983729)와 사업목표(983730) 간에 괴리가 존재하여 둘 간의 연계성은 미흡함

해결해야 할 이슈로 제시한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일반적인 문제들을 사업목표로 제시한

지역 착형 사업을 통해 해소하고자 함은 연계성이 낮음

문제 정의 자체가 세부 산업분야별 시장 전망 또는 현장의 이슈 분석을 통해 구체적으로

도출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를 해소하기 위해 달성할 사업목표의 설정도 어려운 한계가

있으며 동 사업의 추진으로 국내외에서 어느 정도의 성과를 거둘 수 있을지도 예상할 수

없음

제시된 4가지 실증사업은 공공 영역부터 민간의 사업화가 활발한 영역까지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어 시너지 효과 창출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됨

기획의 Tip

사업목표의 범위는 제시된 이슈문제의 범위와 일치해야 하며 사업목표를 달성하면 이슈문제가 어느 정도 해결되는지를 보여줄 수 있도록 사업목표를 수립

세부 실증사업을 통해 개발될 제품(시스템)의 사용자(구매자)까지 수혜자로 포함시켜

수혜자(983731)의 표적화가 부적절함

동 사업을 통해 제품을 개발하여 사업 종료 후 해당 제품의 판매를 통해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할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기업들이 동 사업의 직접적 수혜자임

27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동 사업은 A 융합기술ʼ 분야의 실증을 통한 시스템 개발로 종료되며 제품을 최종사용자

에게까지 보급하는 것은 사업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여러 단계 이후의 최종사용자를

동 사업의 수혜자로 제시하는 것은 부적절함

기획의 Tip

사업목표와 범위에 맞는 수혜자를 제시

- 성과확산단계에 따라 수혜자를 구분하여 제시할 수는 있으나 사업성과를 통해 직접적 경제적

수혜를 받는 주체만 경제성 분석의 대상이 됨

세부활동(983733)은 사업목표(983730)와 개념적으로는 일부 연계성이 있음

산업 분야에 A 융합기술ʼ의 접목하기 위한 실증사업의 추진이 동 사업의 주요 내용이므로

관련 신산업을 창출하고자 하는 사업의 목표와는 개념적으로 연계성이 있음

B C 분야는 사업목표와 관련성이 있고 구축되는 통합센터와 정보 공유도 가능할 것이나

D E 분야는 독립적이며 사업목표와의 연계성도 낮아 동일 사업 내에서 추진할 필요성

및 통합센터 구축의 필요성도 모호함

기획의 Tip

세부활동(세부사업 또는 과제)을 수행하면 제시된 사업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세부

활동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문제 해결 및 사업목표 달성과 연관성이 낮은 활동은 제외

- 사업목표 달성과 관련 없는 과제의 포함 불요불급한 시설 및 장비의 구축 필요 이상으로 부풀린

사업비의 요구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는 주요 요인임

이 외의 항목들은 거시적인 작동논리나 연계성에 대한 검토보다는 세부내용의 적부 분석을 수행함

투입(983732)과 산출(983734)은 활동의 상세한 분석을 통해 적절성을 분석

성과영향(983735)은 사업목표와 활동 산출의 상세한 분석을 통해 적절성을 분석

가정(983736)은 별도의 분석보다는 이슈 목표 활동과 연계하여 분석

28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Ⅶ 맺음말

사업의 직접적인 이해관계자는 해당 사업의 긍정적인 측면만 생각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사업 기획주체는 신규 사업의 기획 시 객관적인 시각에서 사업계획을 조망하고 보완하기 위해

논리모형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ʻ왜 해야 하는지ʼ ʻ어떠한 결과를 내려고 하는지ʼ ʻ무엇을 어떻게 하려고 하는지ʼ가

논리적으로 연계가 되어 설득력을 확보해야 함

사업의 착수 전에 문서뿐인 사업계획서를 분석하여 사전에 평가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나

논리모형을 활용한 사업의 작동논리와 추진과정의 객관적인 분석을 통해 기획단계의

오류로 인한 사업의 부실화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

제도적인 측면에서 평가결과의 일관성 확보를 위해 사전평가의 방법으로 논리모형

분석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함13)

본 이슈페이퍼에서는 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을 설명

하였으며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추진단계 및 종료단계에 적절한 논리모형의 개발 및 활용도

고려할 필요

사업 추진 중의 사업관리 또는 중간평가 시에는 투입 rarr 활동 rarr 산출 등 사업 추진과정을

확대하여 집중적으로 분석하는 특히 활동을 더 세부적으로 구분한 논리모형이 필요함

- 사업별 특성에 부합하도록 단계별 연차별 세부과제(기술)별로 마일스톤이 포함된

논리모형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는 사업 추진 로드맵을 포함하는 형태가 될 것임

사업 종료 시의 성과확산 전략 수립이나 종료평가 또는 그 이후의 추적평가 시에는 산출

rarr 성과 rarr 영향의 사업성과 확산과정을 집중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논리모형을 구성할 수 있음

- 성과의 확산은 해당 연구개발사업 이후에 이루어지므로 동 논리모형의 구성은 성과의

극대화를 위한 성과확산사업의 기획과정으로도 볼 수 있음

논리모형 활용의 확산을 통해 국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역량을 제고하고 사업계획의

완성도를 높여 사업의 성공가능성을 제고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함

13)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에서는 이를 필수적으로 활용하도록 하고 있음

29

참 고 문 헌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 고 문 헌

국가과학기술위원회 (2011) 정부RampD 투자 효율화 추진계획

노화준 (2008) 정책평가론

미래창조과학부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 대통령령 제26729호

미래창조과학부 (2013) 국가연구개발사업 표준성과지표 ndash 성과목표지표 설정 가이드라인

미래창조과학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5) 2014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보고서

미래창조과학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5) 2014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4) 연구개발부문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제2판)

HM Treasury (2011) The Green Book Appraisal and Evaluation in Central Government

McLaughlin JA and Jordan GB (1999) ldquoLogic models a tool for telling your programrsquos

performance storyrdquo Evaluation and Program Planning 22 65~72

McLaughlin JA and Jordan GB (2010) ldquoUsing Logic Modelsrdquo in Joseph S Wholey

Harry P Hatry and Kathryn E Newcomer(eds) Handbook of Practical Program

Evaluation(Third Edition) San Francisco Jossey-Bass 55~80

OECD (2015) Frascati Manual 2015

PMI (2000) PMBOK Guide

WK Kellogg Foundation (2004) Logic Model Development Guide

저자 소개

강 현 규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공공기술조사실장

- 전화 02-589-2813

- e-mail hkkangkisteprekr

KISTEP Issue Paper 2016-05

|발 행|2016년 5월

|발행인|박 영 아

|발행처|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서울시 서초구 마방로 68(양재동) 동원산업빌딩 9층~12층

전화 02) 589-2200 팩스 02) 589-2222

httpwwwkisteprekr

|인쇄처|(주)비전테크시스템즈 [TEL02)3432-7132]

20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사업계획은 적절한 기획을 통해 도출되어야 하며 기획과정 중에 논리모형을 통해

논리적인 비약을 배제함으로써 사업계획의 합리성을 확보할 수 있음

기획은 최적의 수단으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미래에 취할 행동을 위한 일련의

결정을 준비하는 계획적 과정임

충분한 고민과 의견 수렴을 통해 기획이 잘 이루어지면 사업 추진과 결과의 부실화를

미연에 방지하고 성공가능성을 높일 수 있음

논리모형은 기획과정의 각 시점에서 그 당시까지 구체화된 항목을 하나하나 채워나감

으로써 가시적인 논리의 확인과 기획참여자들 간의 소통과 이해 및 의견 수렴에 유용함

사업의 기획이 완료된 후에는 완성된 논리모형을 예산당국 주무부처와 같은 이해

관계자와 사업계획 평가자에게 제시하여 사업의 거시적인 작동논리를 이해시키고 예산

확보를 위해 설득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음

사업의 착수시점에 해당 사업에 대한 체계화된 정보가 없을 경우에는 후속관리가

부실화되기 쉬우므로 사업계획의 충실한 수립은 매우 중요함

전반적인 추진논리를 확보하기 위해 바람직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절차는

lt그림 6gt과 같이 제시될 수 있음

21

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lt그림 6gt 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정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4) 연구개발부문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제2판)

사업을 기획하기 위해서는 우선 대규모 신규 사업의 추진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이슈

또는 문제가 무엇인지 먼저 파악되어야 함

- 동향조사 예측조사 설문조사 인터뷰 통계분석 등 다양한 분석방법을 통해 적절한

범위 내에서 이슈문제를 식별한 후 기획 의도를 고려한 합리적인 평가기준을 적용하여

사업에서 집중하고자 하는 문제를 선택해야 함

- 선택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연구개발사업이 세금 자금 인력 지원 등 다른

대안과 비교할 때 가장 효율적인 방법인지 검토되어야 함

정부의 연구개발사업 추진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가 정의되면 사업을 통해 얻고자 하는

성과가 무엇인지 구체적이고 객관적으로 제시해야 함

- 이를 위해서는 사업의 성과물이 전달되는 수혜 대상이 명확히 정의되어야 함

사업목표가 설정되면 이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추진체계와 추진전략이 수립되어야 함

22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 추진체계는 다양한 참여주체의 분석을 통해 적절한 역할과 조정 협력관계 등을

조직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함

- 추진전략은 사업 및 기술 환경의 특성 분석을 통해 목표 달성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연구개발전략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함

세부과제의 구성을 완료하여 사업기간과 총사업비 그리고 필요한 장비와 시설 등 신규

구축할 인프라의 규모를 도출함

- 세부과제는 기본적으로 사업목표와 직접적으로 연계되어야 함 즉 세부과제가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사업목표가 달성될 수 있도록 구성할 필요

- 기술수요조사와 시설장비수요조사와 같은 시장이나 사회적 수요를 반영한 후보과제를

도출한 후 사업목표의 달성을 위한 전략적 방향을 고려한 기준과 가중치가 적용된

우선순위 선정절차를 거치는 것이 바람직함

- 선정된 세부과제는 목표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적절한 단위의 세부활동을 구성하고 사업

추진상의 기술개발 로드맵을 수립하며 각각의 세부 성과지표를 구체화함

- 세부활동이 구체화되면 활동별로 수행을 위한 비용 기간 조직 인프라 등의 자원 소요계획이

확립되며 이를 종합하여 전체 사업의 추진을 위해 필요한 투입자원의 총량을 도출함

수립된 사업계획 초안의 문제 정의 사업목표 설정 추진체계 및 추진전략 수립 세부과제

구성에 대한 재검토 및 보완을 통해 기획을 완료함

- 현실적으로 기획과정에서 모든 정보를 완벽하게 수집하고 분석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신규로 제안되는 사업과 유사한 선행사업이 없어 과거 사례의 참조에도 한계가 있을 수 있음

- 사업의 내용은 기획이 진행되면서 시간의 흐름과 함께 점진적으로 구체화12)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환류(feedback) 과정을 거쳐 사업계획을 보완하는 것이 중요함

- 환류 과정을 진행하기 전에 현재까지 기획된 사업계획에 대한 논리모형을 구성하여

전반적인 사업의 작동논리가 설득력 있게 기획되었는지 확인하고 환류 과정을 통해

보완된 사업계획에 대한 논리모형도 검토하는 것이 바람직함

12) PMI (2000) PMBOK Guide

23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가상의 사례를 통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을 설명하고자 함

lt그림 7gt은 가상의 국가연개구발사업에 대해 작성된 논리모형임

1 이슈 문제

ㅇ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시장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나 정부의 투자는 산발적이고 일회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해외 의존도가 증대되고 있음

- 클러스터 형태의 실증사업 추진 필요

ㅇ A 융합기술ʼ 분야의 생태계 조성과 연계하고 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 클러스터를 구축하고 Z지역의 산업지역발전의 거점 역할을 하도록 할 필요

2 목표 3 수혜자

ㅇ ʻA 융합기술ʼ 신산업 허브 구축

- ʻA 융합기술ʼ 신산업 창출 선도 및 발전 기반 구축

- 지역거점형 ʻA 융합기술ʼ 실증사업 중심 산업화 지원

- ʻA 융합기술ʼ 산학연 협력 및 비즈니스 협업체계 구축

ㅇA 융합기술 분야 기업

ㅇ국민공공기관

4 투입 5 활동 6 산출 7 성과 영향

ㅇ사업비 OO억 원

ㅇ연구인력

ㅇ ʻA 융합기술ʼ 통합

센터 구축

ㅇ실증사업

- B C D E 4개

산업 분야

ㅇB C D E 등 4개

산업 분야

ʻA 융합기술ʼ 시스템

ㅇ ʻA 융합기술ʼ 기반

융합산업의 생산성

증대

ㅇZ지역의 지역경제

발전

8 가정

ㅇ ʻA 융합기술ʼ 신산업 강화는 국가 발전의 원동력으로 작용할 것임

ㅇ지역 착형 거점 구축을 통해 기술발전을 선도하고 관련 산업 육성을 도모하며 지역산업 활성화를 도모할 것임

lt그림 7gt 가상의 사업계획에 기반한 논리모형 작성의 사례

24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사업에 대한 사전평가에서 논리모형은 사업의 거시적인 작동논리의 분석을 통해 주요

쟁점을 도출하기 위해 활용됨

논리모형에는 사업계획의 핵심 내용만 기재되므로 논리모형 분석은 세부내용의 상세한

적부 분석이 아닌 이슈 목표 활동으로 이어지는 사업의 주요 작동논리 분석과 세 항목 간의

논리적 연계성 분석이 주로 이루어짐

시장 수요나 전망 현장의 이슈를 고려하지 않고 적절한 기획과정도 거치치 않은 채 소수의

기획주체가 ʻ하고 싶고 할 수 있는ʼ 과제를 먼저 선정해 놓고 사업을 기획하여 전체적인

사업 작동논리가 부실한 경우가 많으므로 이러한 쟁점 여부의 파악을 위해 활용함

가상의 사업계획에서 제시한 이슈(983729)는 신규 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는 이유를 설명하는

문제 정의로서 적절치 않음

최근 2~3년전부터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다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들이 다수 착수되어

추진되고 있으므로 산발적일회적이라는 주장은 사실과 다름

ʻA 융합기술ʼ 분야는 현재 국내 기업에서 사업화를 추진 중인 분야이고 기업들의 기술 수준도

상대적으로 높으므로 해외의존도를 언급하는 것은 부적절함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시장이 확대될 것이라는 예측은 적절하지만 이러한 내용은 누구나

알고 있는 일반적인 사항이며 동 사업 내에서 실증을 하고자 하는 세부 산업 분야(B C

D E 산업)에서의 ʻA 융합기술ʼ의 시장 동향 전망과 데이터에 근거한 분석은 이루어지지

않음

대형 실증사업 추진을 위해서는 사업의 성과에 대한 구체적 근거 마련을 위해 사전 연구나

조사를 통한 성과 데이터의 구축이 필요하나 실증사업의 추진 필요성과 유효성을 설명

할 수 있는 근거자료가 부재함

Z지역에는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연구 및 산업기반이 국내에서도 상대적으로 미약하여

산업 클러스터가 형성될 가능성이 낮고 국가적인 차원의 활용도 관점에서 해당 지역에의

거점 구축의 당위성은 낮음

25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기획의 Tip

국가적인 차원에서 연구개발사업을 통해서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를 구체적이고 명확히 정의

- 현재 또는 미래에 어떤 문제가 있거나 발생할 것이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

개발사업을 구상하게 되었는지 제시

-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광범위한 이슈의 제기는 무의미

- 국내외의 각종 통계 보고서 정책자료 시장보고서 전문가 및 실무자 인터뷰 등 근거자료를

통해 구체화되고 특정화된 문제를 제시

- 특정 주체나 지역이 아닌 국가적인 차원의 문제를 제시해야 하며 해당 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지 않으면 국가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나 잃게 되는 기회가 무엇인지를 설명

- 지역기반 구축은 국가적인 필요성과 함께 전국에서 해당 지역이 기반 구축의 최적지임을

입증할 수 있는 근거가 필요

사업목표(983730)를 제시하였으나 선언적인 내용에 불과하며 성과지표의 구체화가 미흡하여

문제 해결 정도를 측정하기 어려움

동 사업에서는 광범위한 ʻA 융합기술ʼ의 적용 분야 중 소수의 분야만을 다루는 반면

사업목표는 사업 내용에 비해 지나치게 일반적이고 광범위하게 수립됨

동 사업은 상호 연관성이 낮은 여러 세부사업을 단일 사업 내에 포함시켜 전체 사업 수준의

거시적인 성과목표 제시가 어려운 한계가 있음

앞서 각 세부사업별로 해당 산업 분야의 문제 정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사업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와 성과가 불문명하며 이에 따라 성과지표를 정량적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하여 목표 달성 여부의 측정방법도 불분명함

26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기획의 Tip

관리 가능성의 관점에서 사업목표는 SMART하게 제시

- 구체적이고(Specific) 측정가능하며(Measurable) 달성가능하고(Achievable) 문제 활동과 연관성이 있으며(Relevant) 시간제약이 있도록(Time-bound)가 있도록 수립

해결해야 할 문제(983729)와 사업목표(983730) 간에 괴리가 존재하여 둘 간의 연계성은 미흡함

해결해야 할 이슈로 제시한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일반적인 문제들을 사업목표로 제시한

지역 착형 사업을 통해 해소하고자 함은 연계성이 낮음

문제 정의 자체가 세부 산업분야별 시장 전망 또는 현장의 이슈 분석을 통해 구체적으로

도출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를 해소하기 위해 달성할 사업목표의 설정도 어려운 한계가

있으며 동 사업의 추진으로 국내외에서 어느 정도의 성과를 거둘 수 있을지도 예상할 수

없음

제시된 4가지 실증사업은 공공 영역부터 민간의 사업화가 활발한 영역까지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어 시너지 효과 창출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됨

기획의 Tip

사업목표의 범위는 제시된 이슈문제의 범위와 일치해야 하며 사업목표를 달성하면 이슈문제가 어느 정도 해결되는지를 보여줄 수 있도록 사업목표를 수립

세부 실증사업을 통해 개발될 제품(시스템)의 사용자(구매자)까지 수혜자로 포함시켜

수혜자(983731)의 표적화가 부적절함

동 사업을 통해 제품을 개발하여 사업 종료 후 해당 제품의 판매를 통해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할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기업들이 동 사업의 직접적 수혜자임

27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동 사업은 A 융합기술ʼ 분야의 실증을 통한 시스템 개발로 종료되며 제품을 최종사용자

에게까지 보급하는 것은 사업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여러 단계 이후의 최종사용자를

동 사업의 수혜자로 제시하는 것은 부적절함

기획의 Tip

사업목표와 범위에 맞는 수혜자를 제시

- 성과확산단계에 따라 수혜자를 구분하여 제시할 수는 있으나 사업성과를 통해 직접적 경제적

수혜를 받는 주체만 경제성 분석의 대상이 됨

세부활동(983733)은 사업목표(983730)와 개념적으로는 일부 연계성이 있음

산업 분야에 A 융합기술ʼ의 접목하기 위한 실증사업의 추진이 동 사업의 주요 내용이므로

관련 신산업을 창출하고자 하는 사업의 목표와는 개념적으로 연계성이 있음

B C 분야는 사업목표와 관련성이 있고 구축되는 통합센터와 정보 공유도 가능할 것이나

D E 분야는 독립적이며 사업목표와의 연계성도 낮아 동일 사업 내에서 추진할 필요성

및 통합센터 구축의 필요성도 모호함

기획의 Tip

세부활동(세부사업 또는 과제)을 수행하면 제시된 사업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세부

활동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문제 해결 및 사업목표 달성과 연관성이 낮은 활동은 제외

- 사업목표 달성과 관련 없는 과제의 포함 불요불급한 시설 및 장비의 구축 필요 이상으로 부풀린

사업비의 요구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는 주요 요인임

이 외의 항목들은 거시적인 작동논리나 연계성에 대한 검토보다는 세부내용의 적부 분석을 수행함

투입(983732)과 산출(983734)은 활동의 상세한 분석을 통해 적절성을 분석

성과영향(983735)은 사업목표와 활동 산출의 상세한 분석을 통해 적절성을 분석

가정(983736)은 별도의 분석보다는 이슈 목표 활동과 연계하여 분석

28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Ⅶ 맺음말

사업의 직접적인 이해관계자는 해당 사업의 긍정적인 측면만 생각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사업 기획주체는 신규 사업의 기획 시 객관적인 시각에서 사업계획을 조망하고 보완하기 위해

논리모형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ʻ왜 해야 하는지ʼ ʻ어떠한 결과를 내려고 하는지ʼ ʻ무엇을 어떻게 하려고 하는지ʼ가

논리적으로 연계가 되어 설득력을 확보해야 함

사업의 착수 전에 문서뿐인 사업계획서를 분석하여 사전에 평가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나

논리모형을 활용한 사업의 작동논리와 추진과정의 객관적인 분석을 통해 기획단계의

오류로 인한 사업의 부실화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

제도적인 측면에서 평가결과의 일관성 확보를 위해 사전평가의 방법으로 논리모형

분석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함13)

본 이슈페이퍼에서는 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을 설명

하였으며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추진단계 및 종료단계에 적절한 논리모형의 개발 및 활용도

고려할 필요

사업 추진 중의 사업관리 또는 중간평가 시에는 투입 rarr 활동 rarr 산출 등 사업 추진과정을

확대하여 집중적으로 분석하는 특히 활동을 더 세부적으로 구분한 논리모형이 필요함

- 사업별 특성에 부합하도록 단계별 연차별 세부과제(기술)별로 마일스톤이 포함된

논리모형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는 사업 추진 로드맵을 포함하는 형태가 될 것임

사업 종료 시의 성과확산 전략 수립이나 종료평가 또는 그 이후의 추적평가 시에는 산출

rarr 성과 rarr 영향의 사업성과 확산과정을 집중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논리모형을 구성할 수 있음

- 성과의 확산은 해당 연구개발사업 이후에 이루어지므로 동 논리모형의 구성은 성과의

극대화를 위한 성과확산사업의 기획과정으로도 볼 수 있음

논리모형 활용의 확산을 통해 국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역량을 제고하고 사업계획의

완성도를 높여 사업의 성공가능성을 제고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함

13)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에서는 이를 필수적으로 활용하도록 하고 있음

29

참 고 문 헌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 고 문 헌

국가과학기술위원회 (2011) 정부RampD 투자 효율화 추진계획

노화준 (2008) 정책평가론

미래창조과학부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 대통령령 제26729호

미래창조과학부 (2013) 국가연구개발사업 표준성과지표 ndash 성과목표지표 설정 가이드라인

미래창조과학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5) 2014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보고서

미래창조과학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5) 2014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4) 연구개발부문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제2판)

HM Treasury (2011) The Green Book Appraisal and Evaluation in Central Government

McLaughlin JA and Jordan GB (1999) ldquoLogic models a tool for telling your programrsquos

performance storyrdquo Evaluation and Program Planning 22 65~72

McLaughlin JA and Jordan GB (2010) ldquoUsing Logic Modelsrdquo in Joseph S Wholey

Harry P Hatry and Kathryn E Newcomer(eds) Handbook of Practical Program

Evaluation(Third Edition) San Francisco Jossey-Bass 55~80

OECD (2015) Frascati Manual 2015

PMI (2000) PMBOK Guide

WK Kellogg Foundation (2004) Logic Model Development Guide

저자 소개

강 현 규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공공기술조사실장

- 전화 02-589-2813

- e-mail hkkangkisteprekr

KISTEP Issue Paper 2016-05

|발 행|2016년 5월

|발행인|박 영 아

|발행처|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서울시 서초구 마방로 68(양재동) 동원산업빌딩 9층~12층

전화 02) 589-2200 팩스 02) 589-2222

httpwwwkisteprekr

|인쇄처|(주)비전테크시스템즈 [TEL02)3432-7132]

21

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lt그림 6gt 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정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4) 연구개발부문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제2판)

사업을 기획하기 위해서는 우선 대규모 신규 사업의 추진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이슈

또는 문제가 무엇인지 먼저 파악되어야 함

- 동향조사 예측조사 설문조사 인터뷰 통계분석 등 다양한 분석방법을 통해 적절한

범위 내에서 이슈문제를 식별한 후 기획 의도를 고려한 합리적인 평가기준을 적용하여

사업에서 집중하고자 하는 문제를 선택해야 함

- 선택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연구개발사업이 세금 자금 인력 지원 등 다른

대안과 비교할 때 가장 효율적인 방법인지 검토되어야 함

정부의 연구개발사업 추진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가 정의되면 사업을 통해 얻고자 하는

성과가 무엇인지 구체적이고 객관적으로 제시해야 함

- 이를 위해서는 사업의 성과물이 전달되는 수혜 대상이 명확히 정의되어야 함

사업목표가 설정되면 이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추진체계와 추진전략이 수립되어야 함

22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 추진체계는 다양한 참여주체의 분석을 통해 적절한 역할과 조정 협력관계 등을

조직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함

- 추진전략은 사업 및 기술 환경의 특성 분석을 통해 목표 달성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연구개발전략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함

세부과제의 구성을 완료하여 사업기간과 총사업비 그리고 필요한 장비와 시설 등 신규

구축할 인프라의 규모를 도출함

- 세부과제는 기본적으로 사업목표와 직접적으로 연계되어야 함 즉 세부과제가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사업목표가 달성될 수 있도록 구성할 필요

- 기술수요조사와 시설장비수요조사와 같은 시장이나 사회적 수요를 반영한 후보과제를

도출한 후 사업목표의 달성을 위한 전략적 방향을 고려한 기준과 가중치가 적용된

우선순위 선정절차를 거치는 것이 바람직함

- 선정된 세부과제는 목표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적절한 단위의 세부활동을 구성하고 사업

추진상의 기술개발 로드맵을 수립하며 각각의 세부 성과지표를 구체화함

- 세부활동이 구체화되면 활동별로 수행을 위한 비용 기간 조직 인프라 등의 자원 소요계획이

확립되며 이를 종합하여 전체 사업의 추진을 위해 필요한 투입자원의 총량을 도출함

수립된 사업계획 초안의 문제 정의 사업목표 설정 추진체계 및 추진전략 수립 세부과제

구성에 대한 재검토 및 보완을 통해 기획을 완료함

- 현실적으로 기획과정에서 모든 정보를 완벽하게 수집하고 분석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신규로 제안되는 사업과 유사한 선행사업이 없어 과거 사례의 참조에도 한계가 있을 수 있음

- 사업의 내용은 기획이 진행되면서 시간의 흐름과 함께 점진적으로 구체화12)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환류(feedback) 과정을 거쳐 사업계획을 보완하는 것이 중요함

- 환류 과정을 진행하기 전에 현재까지 기획된 사업계획에 대한 논리모형을 구성하여

전반적인 사업의 작동논리가 설득력 있게 기획되었는지 확인하고 환류 과정을 통해

보완된 사업계획에 대한 논리모형도 검토하는 것이 바람직함

12) PMI (2000) PMBOK Guide

23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가상의 사례를 통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을 설명하고자 함

lt그림 7gt은 가상의 국가연개구발사업에 대해 작성된 논리모형임

1 이슈 문제

ㅇ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시장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나 정부의 투자는 산발적이고 일회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해외 의존도가 증대되고 있음

- 클러스터 형태의 실증사업 추진 필요

ㅇ A 융합기술ʼ 분야의 생태계 조성과 연계하고 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 클러스터를 구축하고 Z지역의 산업지역발전의 거점 역할을 하도록 할 필요

2 목표 3 수혜자

ㅇ ʻA 융합기술ʼ 신산업 허브 구축

- ʻA 융합기술ʼ 신산업 창출 선도 및 발전 기반 구축

- 지역거점형 ʻA 융합기술ʼ 실증사업 중심 산업화 지원

- ʻA 융합기술ʼ 산학연 협력 및 비즈니스 협업체계 구축

ㅇA 융합기술 분야 기업

ㅇ국민공공기관

4 투입 5 활동 6 산출 7 성과 영향

ㅇ사업비 OO억 원

ㅇ연구인력

ㅇ ʻA 융합기술ʼ 통합

센터 구축

ㅇ실증사업

- B C D E 4개

산업 분야

ㅇB C D E 등 4개

산업 분야

ʻA 융합기술ʼ 시스템

ㅇ ʻA 융합기술ʼ 기반

융합산업의 생산성

증대

ㅇZ지역의 지역경제

발전

8 가정

ㅇ ʻA 융합기술ʼ 신산업 강화는 국가 발전의 원동력으로 작용할 것임

ㅇ지역 착형 거점 구축을 통해 기술발전을 선도하고 관련 산업 육성을 도모하며 지역산업 활성화를 도모할 것임

lt그림 7gt 가상의 사업계획에 기반한 논리모형 작성의 사례

24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사업에 대한 사전평가에서 논리모형은 사업의 거시적인 작동논리의 분석을 통해 주요

쟁점을 도출하기 위해 활용됨

논리모형에는 사업계획의 핵심 내용만 기재되므로 논리모형 분석은 세부내용의 상세한

적부 분석이 아닌 이슈 목표 활동으로 이어지는 사업의 주요 작동논리 분석과 세 항목 간의

논리적 연계성 분석이 주로 이루어짐

시장 수요나 전망 현장의 이슈를 고려하지 않고 적절한 기획과정도 거치치 않은 채 소수의

기획주체가 ʻ하고 싶고 할 수 있는ʼ 과제를 먼저 선정해 놓고 사업을 기획하여 전체적인

사업 작동논리가 부실한 경우가 많으므로 이러한 쟁점 여부의 파악을 위해 활용함

가상의 사업계획에서 제시한 이슈(983729)는 신규 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는 이유를 설명하는

문제 정의로서 적절치 않음

최근 2~3년전부터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다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들이 다수 착수되어

추진되고 있으므로 산발적일회적이라는 주장은 사실과 다름

ʻA 융합기술ʼ 분야는 현재 국내 기업에서 사업화를 추진 중인 분야이고 기업들의 기술 수준도

상대적으로 높으므로 해외의존도를 언급하는 것은 부적절함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시장이 확대될 것이라는 예측은 적절하지만 이러한 내용은 누구나

알고 있는 일반적인 사항이며 동 사업 내에서 실증을 하고자 하는 세부 산업 분야(B C

D E 산업)에서의 ʻA 융합기술ʼ의 시장 동향 전망과 데이터에 근거한 분석은 이루어지지

않음

대형 실증사업 추진을 위해서는 사업의 성과에 대한 구체적 근거 마련을 위해 사전 연구나

조사를 통한 성과 데이터의 구축이 필요하나 실증사업의 추진 필요성과 유효성을 설명

할 수 있는 근거자료가 부재함

Z지역에는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연구 및 산업기반이 국내에서도 상대적으로 미약하여

산업 클러스터가 형성될 가능성이 낮고 국가적인 차원의 활용도 관점에서 해당 지역에의

거점 구축의 당위성은 낮음

25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기획의 Tip

국가적인 차원에서 연구개발사업을 통해서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를 구체적이고 명확히 정의

- 현재 또는 미래에 어떤 문제가 있거나 발생할 것이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

개발사업을 구상하게 되었는지 제시

-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광범위한 이슈의 제기는 무의미

- 국내외의 각종 통계 보고서 정책자료 시장보고서 전문가 및 실무자 인터뷰 등 근거자료를

통해 구체화되고 특정화된 문제를 제시

- 특정 주체나 지역이 아닌 국가적인 차원의 문제를 제시해야 하며 해당 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지 않으면 국가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나 잃게 되는 기회가 무엇인지를 설명

- 지역기반 구축은 국가적인 필요성과 함께 전국에서 해당 지역이 기반 구축의 최적지임을

입증할 수 있는 근거가 필요

사업목표(983730)를 제시하였으나 선언적인 내용에 불과하며 성과지표의 구체화가 미흡하여

문제 해결 정도를 측정하기 어려움

동 사업에서는 광범위한 ʻA 융합기술ʼ의 적용 분야 중 소수의 분야만을 다루는 반면

사업목표는 사업 내용에 비해 지나치게 일반적이고 광범위하게 수립됨

동 사업은 상호 연관성이 낮은 여러 세부사업을 단일 사업 내에 포함시켜 전체 사업 수준의

거시적인 성과목표 제시가 어려운 한계가 있음

앞서 각 세부사업별로 해당 산업 분야의 문제 정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사업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와 성과가 불문명하며 이에 따라 성과지표를 정량적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하여 목표 달성 여부의 측정방법도 불분명함

26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기획의 Tip

관리 가능성의 관점에서 사업목표는 SMART하게 제시

- 구체적이고(Specific) 측정가능하며(Measurable) 달성가능하고(Achievable) 문제 활동과 연관성이 있으며(Relevant) 시간제약이 있도록(Time-bound)가 있도록 수립

해결해야 할 문제(983729)와 사업목표(983730) 간에 괴리가 존재하여 둘 간의 연계성은 미흡함

해결해야 할 이슈로 제시한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일반적인 문제들을 사업목표로 제시한

지역 착형 사업을 통해 해소하고자 함은 연계성이 낮음

문제 정의 자체가 세부 산업분야별 시장 전망 또는 현장의 이슈 분석을 통해 구체적으로

도출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를 해소하기 위해 달성할 사업목표의 설정도 어려운 한계가

있으며 동 사업의 추진으로 국내외에서 어느 정도의 성과를 거둘 수 있을지도 예상할 수

없음

제시된 4가지 실증사업은 공공 영역부터 민간의 사업화가 활발한 영역까지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어 시너지 효과 창출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됨

기획의 Tip

사업목표의 범위는 제시된 이슈문제의 범위와 일치해야 하며 사업목표를 달성하면 이슈문제가 어느 정도 해결되는지를 보여줄 수 있도록 사업목표를 수립

세부 실증사업을 통해 개발될 제품(시스템)의 사용자(구매자)까지 수혜자로 포함시켜

수혜자(983731)의 표적화가 부적절함

동 사업을 통해 제품을 개발하여 사업 종료 후 해당 제품의 판매를 통해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할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기업들이 동 사업의 직접적 수혜자임

27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동 사업은 A 융합기술ʼ 분야의 실증을 통한 시스템 개발로 종료되며 제품을 최종사용자

에게까지 보급하는 것은 사업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여러 단계 이후의 최종사용자를

동 사업의 수혜자로 제시하는 것은 부적절함

기획의 Tip

사업목표와 범위에 맞는 수혜자를 제시

- 성과확산단계에 따라 수혜자를 구분하여 제시할 수는 있으나 사업성과를 통해 직접적 경제적

수혜를 받는 주체만 경제성 분석의 대상이 됨

세부활동(983733)은 사업목표(983730)와 개념적으로는 일부 연계성이 있음

산업 분야에 A 융합기술ʼ의 접목하기 위한 실증사업의 추진이 동 사업의 주요 내용이므로

관련 신산업을 창출하고자 하는 사업의 목표와는 개념적으로 연계성이 있음

B C 분야는 사업목표와 관련성이 있고 구축되는 통합센터와 정보 공유도 가능할 것이나

D E 분야는 독립적이며 사업목표와의 연계성도 낮아 동일 사업 내에서 추진할 필요성

및 통합센터 구축의 필요성도 모호함

기획의 Tip

세부활동(세부사업 또는 과제)을 수행하면 제시된 사업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세부

활동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문제 해결 및 사업목표 달성과 연관성이 낮은 활동은 제외

- 사업목표 달성과 관련 없는 과제의 포함 불요불급한 시설 및 장비의 구축 필요 이상으로 부풀린

사업비의 요구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는 주요 요인임

이 외의 항목들은 거시적인 작동논리나 연계성에 대한 검토보다는 세부내용의 적부 분석을 수행함

투입(983732)과 산출(983734)은 활동의 상세한 분석을 통해 적절성을 분석

성과영향(983735)은 사업목표와 활동 산출의 상세한 분석을 통해 적절성을 분석

가정(983736)은 별도의 분석보다는 이슈 목표 활동과 연계하여 분석

28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Ⅶ 맺음말

사업의 직접적인 이해관계자는 해당 사업의 긍정적인 측면만 생각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사업 기획주체는 신규 사업의 기획 시 객관적인 시각에서 사업계획을 조망하고 보완하기 위해

논리모형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ʻ왜 해야 하는지ʼ ʻ어떠한 결과를 내려고 하는지ʼ ʻ무엇을 어떻게 하려고 하는지ʼ가

논리적으로 연계가 되어 설득력을 확보해야 함

사업의 착수 전에 문서뿐인 사업계획서를 분석하여 사전에 평가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나

논리모형을 활용한 사업의 작동논리와 추진과정의 객관적인 분석을 통해 기획단계의

오류로 인한 사업의 부실화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

제도적인 측면에서 평가결과의 일관성 확보를 위해 사전평가의 방법으로 논리모형

분석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함13)

본 이슈페이퍼에서는 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을 설명

하였으며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추진단계 및 종료단계에 적절한 논리모형의 개발 및 활용도

고려할 필요

사업 추진 중의 사업관리 또는 중간평가 시에는 투입 rarr 활동 rarr 산출 등 사업 추진과정을

확대하여 집중적으로 분석하는 특히 활동을 더 세부적으로 구분한 논리모형이 필요함

- 사업별 특성에 부합하도록 단계별 연차별 세부과제(기술)별로 마일스톤이 포함된

논리모형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는 사업 추진 로드맵을 포함하는 형태가 될 것임

사업 종료 시의 성과확산 전략 수립이나 종료평가 또는 그 이후의 추적평가 시에는 산출

rarr 성과 rarr 영향의 사업성과 확산과정을 집중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논리모형을 구성할 수 있음

- 성과의 확산은 해당 연구개발사업 이후에 이루어지므로 동 논리모형의 구성은 성과의

극대화를 위한 성과확산사업의 기획과정으로도 볼 수 있음

논리모형 활용의 확산을 통해 국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역량을 제고하고 사업계획의

완성도를 높여 사업의 성공가능성을 제고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함

13)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에서는 이를 필수적으로 활용하도록 하고 있음

29

참 고 문 헌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 고 문 헌

국가과학기술위원회 (2011) 정부RampD 투자 효율화 추진계획

노화준 (2008) 정책평가론

미래창조과학부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 대통령령 제26729호

미래창조과학부 (2013) 국가연구개발사업 표준성과지표 ndash 성과목표지표 설정 가이드라인

미래창조과학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5) 2014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보고서

미래창조과학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5) 2014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4) 연구개발부문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제2판)

HM Treasury (2011) The Green Book Appraisal and Evaluation in Central Government

McLaughlin JA and Jordan GB (1999) ldquoLogic models a tool for telling your programrsquos

performance storyrdquo Evaluation and Program Planning 22 65~72

McLaughlin JA and Jordan GB (2010) ldquoUsing Logic Modelsrdquo in Joseph S Wholey

Harry P Hatry and Kathryn E Newcomer(eds) Handbook of Practical Program

Evaluation(Third Edition) San Francisco Jossey-Bass 55~80

OECD (2015) Frascati Manual 2015

PMI (2000) PMBOK Guide

WK Kellogg Foundation (2004) Logic Model Development Guide

저자 소개

강 현 규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공공기술조사실장

- 전화 02-589-2813

- e-mail hkkangkisteprekr

KISTEP Issue Paper 2016-05

|발 행|2016년 5월

|발행인|박 영 아

|발행처|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서울시 서초구 마방로 68(양재동) 동원산업빌딩 9층~12층

전화 02) 589-2200 팩스 02) 589-2222

httpwwwkisteprekr

|인쇄처|(주)비전테크시스템즈 [TEL02)3432-7132]

22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 추진체계는 다양한 참여주체의 분석을 통해 적절한 역할과 조정 협력관계 등을

조직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함

- 추진전략은 사업 및 기술 환경의 특성 분석을 통해 목표 달성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연구개발전략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함

세부과제의 구성을 완료하여 사업기간과 총사업비 그리고 필요한 장비와 시설 등 신규

구축할 인프라의 규모를 도출함

- 세부과제는 기본적으로 사업목표와 직접적으로 연계되어야 함 즉 세부과제가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사업목표가 달성될 수 있도록 구성할 필요

- 기술수요조사와 시설장비수요조사와 같은 시장이나 사회적 수요를 반영한 후보과제를

도출한 후 사업목표의 달성을 위한 전략적 방향을 고려한 기준과 가중치가 적용된

우선순위 선정절차를 거치는 것이 바람직함

- 선정된 세부과제는 목표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적절한 단위의 세부활동을 구성하고 사업

추진상의 기술개발 로드맵을 수립하며 각각의 세부 성과지표를 구체화함

- 세부활동이 구체화되면 활동별로 수행을 위한 비용 기간 조직 인프라 등의 자원 소요계획이

확립되며 이를 종합하여 전체 사업의 추진을 위해 필요한 투입자원의 총량을 도출함

수립된 사업계획 초안의 문제 정의 사업목표 설정 추진체계 및 추진전략 수립 세부과제

구성에 대한 재검토 및 보완을 통해 기획을 완료함

- 현실적으로 기획과정에서 모든 정보를 완벽하게 수집하고 분석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신규로 제안되는 사업과 유사한 선행사업이 없어 과거 사례의 참조에도 한계가 있을 수 있음

- 사업의 내용은 기획이 진행되면서 시간의 흐름과 함께 점진적으로 구체화12)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환류(feedback) 과정을 거쳐 사업계획을 보완하는 것이 중요함

- 환류 과정을 진행하기 전에 현재까지 기획된 사업계획에 대한 논리모형을 구성하여

전반적인 사업의 작동논리가 설득력 있게 기획되었는지 확인하고 환류 과정을 통해

보완된 사업계획에 대한 논리모형도 검토하는 것이 바람직함

12) PMI (2000) PMBOK Guide

23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가상의 사례를 통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을 설명하고자 함

lt그림 7gt은 가상의 국가연개구발사업에 대해 작성된 논리모형임

1 이슈 문제

ㅇ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시장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나 정부의 투자는 산발적이고 일회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해외 의존도가 증대되고 있음

- 클러스터 형태의 실증사업 추진 필요

ㅇ A 융합기술ʼ 분야의 생태계 조성과 연계하고 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 클러스터를 구축하고 Z지역의 산업지역발전의 거점 역할을 하도록 할 필요

2 목표 3 수혜자

ㅇ ʻA 융합기술ʼ 신산업 허브 구축

- ʻA 융합기술ʼ 신산업 창출 선도 및 발전 기반 구축

- 지역거점형 ʻA 융합기술ʼ 실증사업 중심 산업화 지원

- ʻA 융합기술ʼ 산학연 협력 및 비즈니스 협업체계 구축

ㅇA 융합기술 분야 기업

ㅇ국민공공기관

4 투입 5 활동 6 산출 7 성과 영향

ㅇ사업비 OO억 원

ㅇ연구인력

ㅇ ʻA 융합기술ʼ 통합

센터 구축

ㅇ실증사업

- B C D E 4개

산업 분야

ㅇB C D E 등 4개

산업 분야

ʻA 융합기술ʼ 시스템

ㅇ ʻA 융합기술ʼ 기반

융합산업의 생산성

증대

ㅇZ지역의 지역경제

발전

8 가정

ㅇ ʻA 융합기술ʼ 신산업 강화는 국가 발전의 원동력으로 작용할 것임

ㅇ지역 착형 거점 구축을 통해 기술발전을 선도하고 관련 산업 육성을 도모하며 지역산업 활성화를 도모할 것임

lt그림 7gt 가상의 사업계획에 기반한 논리모형 작성의 사례

24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사업에 대한 사전평가에서 논리모형은 사업의 거시적인 작동논리의 분석을 통해 주요

쟁점을 도출하기 위해 활용됨

논리모형에는 사업계획의 핵심 내용만 기재되므로 논리모형 분석은 세부내용의 상세한

적부 분석이 아닌 이슈 목표 활동으로 이어지는 사업의 주요 작동논리 분석과 세 항목 간의

논리적 연계성 분석이 주로 이루어짐

시장 수요나 전망 현장의 이슈를 고려하지 않고 적절한 기획과정도 거치치 않은 채 소수의

기획주체가 ʻ하고 싶고 할 수 있는ʼ 과제를 먼저 선정해 놓고 사업을 기획하여 전체적인

사업 작동논리가 부실한 경우가 많으므로 이러한 쟁점 여부의 파악을 위해 활용함

가상의 사업계획에서 제시한 이슈(983729)는 신규 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는 이유를 설명하는

문제 정의로서 적절치 않음

최근 2~3년전부터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다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들이 다수 착수되어

추진되고 있으므로 산발적일회적이라는 주장은 사실과 다름

ʻA 융합기술ʼ 분야는 현재 국내 기업에서 사업화를 추진 중인 분야이고 기업들의 기술 수준도

상대적으로 높으므로 해외의존도를 언급하는 것은 부적절함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시장이 확대될 것이라는 예측은 적절하지만 이러한 내용은 누구나

알고 있는 일반적인 사항이며 동 사업 내에서 실증을 하고자 하는 세부 산업 분야(B C

D E 산업)에서의 ʻA 융합기술ʼ의 시장 동향 전망과 데이터에 근거한 분석은 이루어지지

않음

대형 실증사업 추진을 위해서는 사업의 성과에 대한 구체적 근거 마련을 위해 사전 연구나

조사를 통한 성과 데이터의 구축이 필요하나 실증사업의 추진 필요성과 유효성을 설명

할 수 있는 근거자료가 부재함

Z지역에는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연구 및 산업기반이 국내에서도 상대적으로 미약하여

산업 클러스터가 형성될 가능성이 낮고 국가적인 차원의 활용도 관점에서 해당 지역에의

거점 구축의 당위성은 낮음

25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기획의 Tip

국가적인 차원에서 연구개발사업을 통해서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를 구체적이고 명확히 정의

- 현재 또는 미래에 어떤 문제가 있거나 발생할 것이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

개발사업을 구상하게 되었는지 제시

-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광범위한 이슈의 제기는 무의미

- 국내외의 각종 통계 보고서 정책자료 시장보고서 전문가 및 실무자 인터뷰 등 근거자료를

통해 구체화되고 특정화된 문제를 제시

- 특정 주체나 지역이 아닌 국가적인 차원의 문제를 제시해야 하며 해당 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지 않으면 국가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나 잃게 되는 기회가 무엇인지를 설명

- 지역기반 구축은 국가적인 필요성과 함께 전국에서 해당 지역이 기반 구축의 최적지임을

입증할 수 있는 근거가 필요

사업목표(983730)를 제시하였으나 선언적인 내용에 불과하며 성과지표의 구체화가 미흡하여

문제 해결 정도를 측정하기 어려움

동 사업에서는 광범위한 ʻA 융합기술ʼ의 적용 분야 중 소수의 분야만을 다루는 반면

사업목표는 사업 내용에 비해 지나치게 일반적이고 광범위하게 수립됨

동 사업은 상호 연관성이 낮은 여러 세부사업을 단일 사업 내에 포함시켜 전체 사업 수준의

거시적인 성과목표 제시가 어려운 한계가 있음

앞서 각 세부사업별로 해당 산업 분야의 문제 정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사업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와 성과가 불문명하며 이에 따라 성과지표를 정량적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하여 목표 달성 여부의 측정방법도 불분명함

26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기획의 Tip

관리 가능성의 관점에서 사업목표는 SMART하게 제시

- 구체적이고(Specific) 측정가능하며(Measurable) 달성가능하고(Achievable) 문제 활동과 연관성이 있으며(Relevant) 시간제약이 있도록(Time-bound)가 있도록 수립

해결해야 할 문제(983729)와 사업목표(983730) 간에 괴리가 존재하여 둘 간의 연계성은 미흡함

해결해야 할 이슈로 제시한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일반적인 문제들을 사업목표로 제시한

지역 착형 사업을 통해 해소하고자 함은 연계성이 낮음

문제 정의 자체가 세부 산업분야별 시장 전망 또는 현장의 이슈 분석을 통해 구체적으로

도출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를 해소하기 위해 달성할 사업목표의 설정도 어려운 한계가

있으며 동 사업의 추진으로 국내외에서 어느 정도의 성과를 거둘 수 있을지도 예상할 수

없음

제시된 4가지 실증사업은 공공 영역부터 민간의 사업화가 활발한 영역까지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어 시너지 효과 창출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됨

기획의 Tip

사업목표의 범위는 제시된 이슈문제의 범위와 일치해야 하며 사업목표를 달성하면 이슈문제가 어느 정도 해결되는지를 보여줄 수 있도록 사업목표를 수립

세부 실증사업을 통해 개발될 제품(시스템)의 사용자(구매자)까지 수혜자로 포함시켜

수혜자(983731)의 표적화가 부적절함

동 사업을 통해 제품을 개발하여 사업 종료 후 해당 제품의 판매를 통해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할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기업들이 동 사업의 직접적 수혜자임

27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동 사업은 A 융합기술ʼ 분야의 실증을 통한 시스템 개발로 종료되며 제품을 최종사용자

에게까지 보급하는 것은 사업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여러 단계 이후의 최종사용자를

동 사업의 수혜자로 제시하는 것은 부적절함

기획의 Tip

사업목표와 범위에 맞는 수혜자를 제시

- 성과확산단계에 따라 수혜자를 구분하여 제시할 수는 있으나 사업성과를 통해 직접적 경제적

수혜를 받는 주체만 경제성 분석의 대상이 됨

세부활동(983733)은 사업목표(983730)와 개념적으로는 일부 연계성이 있음

산업 분야에 A 융합기술ʼ의 접목하기 위한 실증사업의 추진이 동 사업의 주요 내용이므로

관련 신산업을 창출하고자 하는 사업의 목표와는 개념적으로 연계성이 있음

B C 분야는 사업목표와 관련성이 있고 구축되는 통합센터와 정보 공유도 가능할 것이나

D E 분야는 독립적이며 사업목표와의 연계성도 낮아 동일 사업 내에서 추진할 필요성

및 통합센터 구축의 필요성도 모호함

기획의 Tip

세부활동(세부사업 또는 과제)을 수행하면 제시된 사업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세부

활동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문제 해결 및 사업목표 달성과 연관성이 낮은 활동은 제외

- 사업목표 달성과 관련 없는 과제의 포함 불요불급한 시설 및 장비의 구축 필요 이상으로 부풀린

사업비의 요구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는 주요 요인임

이 외의 항목들은 거시적인 작동논리나 연계성에 대한 검토보다는 세부내용의 적부 분석을 수행함

투입(983732)과 산출(983734)은 활동의 상세한 분석을 통해 적절성을 분석

성과영향(983735)은 사업목표와 활동 산출의 상세한 분석을 통해 적절성을 분석

가정(983736)은 별도의 분석보다는 이슈 목표 활동과 연계하여 분석

28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Ⅶ 맺음말

사업의 직접적인 이해관계자는 해당 사업의 긍정적인 측면만 생각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사업 기획주체는 신규 사업의 기획 시 객관적인 시각에서 사업계획을 조망하고 보완하기 위해

논리모형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ʻ왜 해야 하는지ʼ ʻ어떠한 결과를 내려고 하는지ʼ ʻ무엇을 어떻게 하려고 하는지ʼ가

논리적으로 연계가 되어 설득력을 확보해야 함

사업의 착수 전에 문서뿐인 사업계획서를 분석하여 사전에 평가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나

논리모형을 활용한 사업의 작동논리와 추진과정의 객관적인 분석을 통해 기획단계의

오류로 인한 사업의 부실화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

제도적인 측면에서 평가결과의 일관성 확보를 위해 사전평가의 방법으로 논리모형

분석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함13)

본 이슈페이퍼에서는 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을 설명

하였으며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추진단계 및 종료단계에 적절한 논리모형의 개발 및 활용도

고려할 필요

사업 추진 중의 사업관리 또는 중간평가 시에는 투입 rarr 활동 rarr 산출 등 사업 추진과정을

확대하여 집중적으로 분석하는 특히 활동을 더 세부적으로 구분한 논리모형이 필요함

- 사업별 특성에 부합하도록 단계별 연차별 세부과제(기술)별로 마일스톤이 포함된

논리모형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는 사업 추진 로드맵을 포함하는 형태가 될 것임

사업 종료 시의 성과확산 전략 수립이나 종료평가 또는 그 이후의 추적평가 시에는 산출

rarr 성과 rarr 영향의 사업성과 확산과정을 집중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논리모형을 구성할 수 있음

- 성과의 확산은 해당 연구개발사업 이후에 이루어지므로 동 논리모형의 구성은 성과의

극대화를 위한 성과확산사업의 기획과정으로도 볼 수 있음

논리모형 활용의 확산을 통해 국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역량을 제고하고 사업계획의

완성도를 높여 사업의 성공가능성을 제고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함

13)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에서는 이를 필수적으로 활용하도록 하고 있음

29

참 고 문 헌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 고 문 헌

국가과학기술위원회 (2011) 정부RampD 투자 효율화 추진계획

노화준 (2008) 정책평가론

미래창조과학부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 대통령령 제26729호

미래창조과학부 (2013) 국가연구개발사업 표준성과지표 ndash 성과목표지표 설정 가이드라인

미래창조과학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5) 2014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보고서

미래창조과학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5) 2014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4) 연구개발부문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제2판)

HM Treasury (2011) The Green Book Appraisal and Evaluation in Central Government

McLaughlin JA and Jordan GB (1999) ldquoLogic models a tool for telling your programrsquos

performance storyrdquo Evaluation and Program Planning 22 65~72

McLaughlin JA and Jordan GB (2010) ldquoUsing Logic Modelsrdquo in Joseph S Wholey

Harry P Hatry and Kathryn E Newcomer(eds) Handbook of Practical Program

Evaluation(Third Edition) San Francisco Jossey-Bass 55~80

OECD (2015) Frascati Manual 2015

PMI (2000) PMBOK Guide

WK Kellogg Foundation (2004) Logic Model Development Guide

저자 소개

강 현 규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공공기술조사실장

- 전화 02-589-2813

- e-mail hkkangkisteprekr

KISTEP Issue Paper 2016-05

|발 행|2016년 5월

|발행인|박 영 아

|발행처|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서울시 서초구 마방로 68(양재동) 동원산업빌딩 9층~12층

전화 02) 589-2200 팩스 02) 589-2222

httpwwwkisteprekr

|인쇄처|(주)비전테크시스템즈 [TEL02)3432-7132]

23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가상의 사례를 통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을 설명하고자 함

lt그림 7gt은 가상의 국가연개구발사업에 대해 작성된 논리모형임

1 이슈 문제

ㅇ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시장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나 정부의 투자는 산발적이고 일회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해외 의존도가 증대되고 있음

- 클러스터 형태의 실증사업 추진 필요

ㅇ A 융합기술ʼ 분야의 생태계 조성과 연계하고 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 클러스터를 구축하고 Z지역의 산업지역발전의 거점 역할을 하도록 할 필요

2 목표 3 수혜자

ㅇ ʻA 융합기술ʼ 신산업 허브 구축

- ʻA 융합기술ʼ 신산업 창출 선도 및 발전 기반 구축

- 지역거점형 ʻA 융합기술ʼ 실증사업 중심 산업화 지원

- ʻA 융합기술ʼ 산학연 협력 및 비즈니스 협업체계 구축

ㅇA 융합기술 분야 기업

ㅇ국민공공기관

4 투입 5 활동 6 산출 7 성과 영향

ㅇ사업비 OO억 원

ㅇ연구인력

ㅇ ʻA 융합기술ʼ 통합

센터 구축

ㅇ실증사업

- B C D E 4개

산업 분야

ㅇB C D E 등 4개

산업 분야

ʻA 융합기술ʼ 시스템

ㅇ ʻA 융합기술ʼ 기반

융합산업의 생산성

증대

ㅇZ지역의 지역경제

발전

8 가정

ㅇ ʻA 융합기술ʼ 신산업 강화는 국가 발전의 원동력으로 작용할 것임

ㅇ지역 착형 거점 구축을 통해 기술발전을 선도하고 관련 산업 육성을 도모하며 지역산업 활성화를 도모할 것임

lt그림 7gt 가상의 사업계획에 기반한 논리모형 작성의 사례

24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사업에 대한 사전평가에서 논리모형은 사업의 거시적인 작동논리의 분석을 통해 주요

쟁점을 도출하기 위해 활용됨

논리모형에는 사업계획의 핵심 내용만 기재되므로 논리모형 분석은 세부내용의 상세한

적부 분석이 아닌 이슈 목표 활동으로 이어지는 사업의 주요 작동논리 분석과 세 항목 간의

논리적 연계성 분석이 주로 이루어짐

시장 수요나 전망 현장의 이슈를 고려하지 않고 적절한 기획과정도 거치치 않은 채 소수의

기획주체가 ʻ하고 싶고 할 수 있는ʼ 과제를 먼저 선정해 놓고 사업을 기획하여 전체적인

사업 작동논리가 부실한 경우가 많으므로 이러한 쟁점 여부의 파악을 위해 활용함

가상의 사업계획에서 제시한 이슈(983729)는 신규 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는 이유를 설명하는

문제 정의로서 적절치 않음

최근 2~3년전부터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다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들이 다수 착수되어

추진되고 있으므로 산발적일회적이라는 주장은 사실과 다름

ʻA 융합기술ʼ 분야는 현재 국내 기업에서 사업화를 추진 중인 분야이고 기업들의 기술 수준도

상대적으로 높으므로 해외의존도를 언급하는 것은 부적절함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시장이 확대될 것이라는 예측은 적절하지만 이러한 내용은 누구나

알고 있는 일반적인 사항이며 동 사업 내에서 실증을 하고자 하는 세부 산업 분야(B C

D E 산업)에서의 ʻA 융합기술ʼ의 시장 동향 전망과 데이터에 근거한 분석은 이루어지지

않음

대형 실증사업 추진을 위해서는 사업의 성과에 대한 구체적 근거 마련을 위해 사전 연구나

조사를 통한 성과 데이터의 구축이 필요하나 실증사업의 추진 필요성과 유효성을 설명

할 수 있는 근거자료가 부재함

Z지역에는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연구 및 산업기반이 국내에서도 상대적으로 미약하여

산업 클러스터가 형성될 가능성이 낮고 국가적인 차원의 활용도 관점에서 해당 지역에의

거점 구축의 당위성은 낮음

25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기획의 Tip

국가적인 차원에서 연구개발사업을 통해서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를 구체적이고 명확히 정의

- 현재 또는 미래에 어떤 문제가 있거나 발생할 것이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

개발사업을 구상하게 되었는지 제시

-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광범위한 이슈의 제기는 무의미

- 국내외의 각종 통계 보고서 정책자료 시장보고서 전문가 및 실무자 인터뷰 등 근거자료를

통해 구체화되고 특정화된 문제를 제시

- 특정 주체나 지역이 아닌 국가적인 차원의 문제를 제시해야 하며 해당 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지 않으면 국가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나 잃게 되는 기회가 무엇인지를 설명

- 지역기반 구축은 국가적인 필요성과 함께 전국에서 해당 지역이 기반 구축의 최적지임을

입증할 수 있는 근거가 필요

사업목표(983730)를 제시하였으나 선언적인 내용에 불과하며 성과지표의 구체화가 미흡하여

문제 해결 정도를 측정하기 어려움

동 사업에서는 광범위한 ʻA 융합기술ʼ의 적용 분야 중 소수의 분야만을 다루는 반면

사업목표는 사업 내용에 비해 지나치게 일반적이고 광범위하게 수립됨

동 사업은 상호 연관성이 낮은 여러 세부사업을 단일 사업 내에 포함시켜 전체 사업 수준의

거시적인 성과목표 제시가 어려운 한계가 있음

앞서 각 세부사업별로 해당 산업 분야의 문제 정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사업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와 성과가 불문명하며 이에 따라 성과지표를 정량적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하여 목표 달성 여부의 측정방법도 불분명함

26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기획의 Tip

관리 가능성의 관점에서 사업목표는 SMART하게 제시

- 구체적이고(Specific) 측정가능하며(Measurable) 달성가능하고(Achievable) 문제 활동과 연관성이 있으며(Relevant) 시간제약이 있도록(Time-bound)가 있도록 수립

해결해야 할 문제(983729)와 사업목표(983730) 간에 괴리가 존재하여 둘 간의 연계성은 미흡함

해결해야 할 이슈로 제시한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일반적인 문제들을 사업목표로 제시한

지역 착형 사업을 통해 해소하고자 함은 연계성이 낮음

문제 정의 자체가 세부 산업분야별 시장 전망 또는 현장의 이슈 분석을 통해 구체적으로

도출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를 해소하기 위해 달성할 사업목표의 설정도 어려운 한계가

있으며 동 사업의 추진으로 국내외에서 어느 정도의 성과를 거둘 수 있을지도 예상할 수

없음

제시된 4가지 실증사업은 공공 영역부터 민간의 사업화가 활발한 영역까지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어 시너지 효과 창출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됨

기획의 Tip

사업목표의 범위는 제시된 이슈문제의 범위와 일치해야 하며 사업목표를 달성하면 이슈문제가 어느 정도 해결되는지를 보여줄 수 있도록 사업목표를 수립

세부 실증사업을 통해 개발될 제품(시스템)의 사용자(구매자)까지 수혜자로 포함시켜

수혜자(983731)의 표적화가 부적절함

동 사업을 통해 제품을 개발하여 사업 종료 후 해당 제품의 판매를 통해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할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기업들이 동 사업의 직접적 수혜자임

27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동 사업은 A 융합기술ʼ 분야의 실증을 통한 시스템 개발로 종료되며 제품을 최종사용자

에게까지 보급하는 것은 사업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여러 단계 이후의 최종사용자를

동 사업의 수혜자로 제시하는 것은 부적절함

기획의 Tip

사업목표와 범위에 맞는 수혜자를 제시

- 성과확산단계에 따라 수혜자를 구분하여 제시할 수는 있으나 사업성과를 통해 직접적 경제적

수혜를 받는 주체만 경제성 분석의 대상이 됨

세부활동(983733)은 사업목표(983730)와 개념적으로는 일부 연계성이 있음

산업 분야에 A 융합기술ʼ의 접목하기 위한 실증사업의 추진이 동 사업의 주요 내용이므로

관련 신산업을 창출하고자 하는 사업의 목표와는 개념적으로 연계성이 있음

B C 분야는 사업목표와 관련성이 있고 구축되는 통합센터와 정보 공유도 가능할 것이나

D E 분야는 독립적이며 사업목표와의 연계성도 낮아 동일 사업 내에서 추진할 필요성

및 통합센터 구축의 필요성도 모호함

기획의 Tip

세부활동(세부사업 또는 과제)을 수행하면 제시된 사업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세부

활동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문제 해결 및 사업목표 달성과 연관성이 낮은 활동은 제외

- 사업목표 달성과 관련 없는 과제의 포함 불요불급한 시설 및 장비의 구축 필요 이상으로 부풀린

사업비의 요구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는 주요 요인임

이 외의 항목들은 거시적인 작동논리나 연계성에 대한 검토보다는 세부내용의 적부 분석을 수행함

투입(983732)과 산출(983734)은 활동의 상세한 분석을 통해 적절성을 분석

성과영향(983735)은 사업목표와 활동 산출의 상세한 분석을 통해 적절성을 분석

가정(983736)은 별도의 분석보다는 이슈 목표 활동과 연계하여 분석

28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Ⅶ 맺음말

사업의 직접적인 이해관계자는 해당 사업의 긍정적인 측면만 생각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사업 기획주체는 신규 사업의 기획 시 객관적인 시각에서 사업계획을 조망하고 보완하기 위해

논리모형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ʻ왜 해야 하는지ʼ ʻ어떠한 결과를 내려고 하는지ʼ ʻ무엇을 어떻게 하려고 하는지ʼ가

논리적으로 연계가 되어 설득력을 확보해야 함

사업의 착수 전에 문서뿐인 사업계획서를 분석하여 사전에 평가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나

논리모형을 활용한 사업의 작동논리와 추진과정의 객관적인 분석을 통해 기획단계의

오류로 인한 사업의 부실화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

제도적인 측면에서 평가결과의 일관성 확보를 위해 사전평가의 방법으로 논리모형

분석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함13)

본 이슈페이퍼에서는 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을 설명

하였으며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추진단계 및 종료단계에 적절한 논리모형의 개발 및 활용도

고려할 필요

사업 추진 중의 사업관리 또는 중간평가 시에는 투입 rarr 활동 rarr 산출 등 사업 추진과정을

확대하여 집중적으로 분석하는 특히 활동을 더 세부적으로 구분한 논리모형이 필요함

- 사업별 특성에 부합하도록 단계별 연차별 세부과제(기술)별로 마일스톤이 포함된

논리모형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는 사업 추진 로드맵을 포함하는 형태가 될 것임

사업 종료 시의 성과확산 전략 수립이나 종료평가 또는 그 이후의 추적평가 시에는 산출

rarr 성과 rarr 영향의 사업성과 확산과정을 집중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논리모형을 구성할 수 있음

- 성과의 확산은 해당 연구개발사업 이후에 이루어지므로 동 논리모형의 구성은 성과의

극대화를 위한 성과확산사업의 기획과정으로도 볼 수 있음

논리모형 활용의 확산을 통해 국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역량을 제고하고 사업계획의

완성도를 높여 사업의 성공가능성을 제고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함

13)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에서는 이를 필수적으로 활용하도록 하고 있음

29

참 고 문 헌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 고 문 헌

국가과학기술위원회 (2011) 정부RampD 투자 효율화 추진계획

노화준 (2008) 정책평가론

미래창조과학부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 대통령령 제26729호

미래창조과학부 (2013) 국가연구개발사업 표준성과지표 ndash 성과목표지표 설정 가이드라인

미래창조과학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5) 2014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보고서

미래창조과학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5) 2014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4) 연구개발부문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제2판)

HM Treasury (2011) The Green Book Appraisal and Evaluation in Central Government

McLaughlin JA and Jordan GB (1999) ldquoLogic models a tool for telling your programrsquos

performance storyrdquo Evaluation and Program Planning 22 65~72

McLaughlin JA and Jordan GB (2010) ldquoUsing Logic Modelsrdquo in Joseph S Wholey

Harry P Hatry and Kathryn E Newcomer(eds) Handbook of Practical Program

Evaluation(Third Edition) San Francisco Jossey-Bass 55~80

OECD (2015) Frascati Manual 2015

PMI (2000) PMBOK Guide

WK Kellogg Foundation (2004) Logic Model Development Guide

저자 소개

강 현 규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공공기술조사실장

- 전화 02-589-2813

- e-mail hkkangkisteprekr

KISTEP Issue Paper 2016-05

|발 행|2016년 5월

|발행인|박 영 아

|발행처|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서울시 서초구 마방로 68(양재동) 동원산업빌딩 9층~12층

전화 02) 589-2200 팩스 02) 589-2222

httpwwwkisteprekr

|인쇄처|(주)비전테크시스템즈 [TEL02)3432-7132]

24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사업에 대한 사전평가에서 논리모형은 사업의 거시적인 작동논리의 분석을 통해 주요

쟁점을 도출하기 위해 활용됨

논리모형에는 사업계획의 핵심 내용만 기재되므로 논리모형 분석은 세부내용의 상세한

적부 분석이 아닌 이슈 목표 활동으로 이어지는 사업의 주요 작동논리 분석과 세 항목 간의

논리적 연계성 분석이 주로 이루어짐

시장 수요나 전망 현장의 이슈를 고려하지 않고 적절한 기획과정도 거치치 않은 채 소수의

기획주체가 ʻ하고 싶고 할 수 있는ʼ 과제를 먼저 선정해 놓고 사업을 기획하여 전체적인

사업 작동논리가 부실한 경우가 많으므로 이러한 쟁점 여부의 파악을 위해 활용함

가상의 사업계획에서 제시한 이슈(983729)는 신규 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는 이유를 설명하는

문제 정의로서 적절치 않음

최근 2~3년전부터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다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들이 다수 착수되어

추진되고 있으므로 산발적일회적이라는 주장은 사실과 다름

ʻA 융합기술ʼ 분야는 현재 국내 기업에서 사업화를 추진 중인 분야이고 기업들의 기술 수준도

상대적으로 높으므로 해외의존도를 언급하는 것은 부적절함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시장이 확대될 것이라는 예측은 적절하지만 이러한 내용은 누구나

알고 있는 일반적인 사항이며 동 사업 내에서 실증을 하고자 하는 세부 산업 분야(B C

D E 산업)에서의 ʻA 융합기술ʼ의 시장 동향 전망과 데이터에 근거한 분석은 이루어지지

않음

대형 실증사업 추진을 위해서는 사업의 성과에 대한 구체적 근거 마련을 위해 사전 연구나

조사를 통한 성과 데이터의 구축이 필요하나 실증사업의 추진 필요성과 유효성을 설명

할 수 있는 근거자료가 부재함

Z지역에는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연구 및 산업기반이 국내에서도 상대적으로 미약하여

산업 클러스터가 형성될 가능성이 낮고 국가적인 차원의 활용도 관점에서 해당 지역에의

거점 구축의 당위성은 낮음

25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기획의 Tip

국가적인 차원에서 연구개발사업을 통해서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를 구체적이고 명확히 정의

- 현재 또는 미래에 어떤 문제가 있거나 발생할 것이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

개발사업을 구상하게 되었는지 제시

-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광범위한 이슈의 제기는 무의미

- 국내외의 각종 통계 보고서 정책자료 시장보고서 전문가 및 실무자 인터뷰 등 근거자료를

통해 구체화되고 특정화된 문제를 제시

- 특정 주체나 지역이 아닌 국가적인 차원의 문제를 제시해야 하며 해당 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지 않으면 국가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나 잃게 되는 기회가 무엇인지를 설명

- 지역기반 구축은 국가적인 필요성과 함께 전국에서 해당 지역이 기반 구축의 최적지임을

입증할 수 있는 근거가 필요

사업목표(983730)를 제시하였으나 선언적인 내용에 불과하며 성과지표의 구체화가 미흡하여

문제 해결 정도를 측정하기 어려움

동 사업에서는 광범위한 ʻA 융합기술ʼ의 적용 분야 중 소수의 분야만을 다루는 반면

사업목표는 사업 내용에 비해 지나치게 일반적이고 광범위하게 수립됨

동 사업은 상호 연관성이 낮은 여러 세부사업을 단일 사업 내에 포함시켜 전체 사업 수준의

거시적인 성과목표 제시가 어려운 한계가 있음

앞서 각 세부사업별로 해당 산업 분야의 문제 정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사업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와 성과가 불문명하며 이에 따라 성과지표를 정량적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하여 목표 달성 여부의 측정방법도 불분명함

26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기획의 Tip

관리 가능성의 관점에서 사업목표는 SMART하게 제시

- 구체적이고(Specific) 측정가능하며(Measurable) 달성가능하고(Achievable) 문제 활동과 연관성이 있으며(Relevant) 시간제약이 있도록(Time-bound)가 있도록 수립

해결해야 할 문제(983729)와 사업목표(983730) 간에 괴리가 존재하여 둘 간의 연계성은 미흡함

해결해야 할 이슈로 제시한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일반적인 문제들을 사업목표로 제시한

지역 착형 사업을 통해 해소하고자 함은 연계성이 낮음

문제 정의 자체가 세부 산업분야별 시장 전망 또는 현장의 이슈 분석을 통해 구체적으로

도출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를 해소하기 위해 달성할 사업목표의 설정도 어려운 한계가

있으며 동 사업의 추진으로 국내외에서 어느 정도의 성과를 거둘 수 있을지도 예상할 수

없음

제시된 4가지 실증사업은 공공 영역부터 민간의 사업화가 활발한 영역까지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어 시너지 효과 창출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됨

기획의 Tip

사업목표의 범위는 제시된 이슈문제의 범위와 일치해야 하며 사업목표를 달성하면 이슈문제가 어느 정도 해결되는지를 보여줄 수 있도록 사업목표를 수립

세부 실증사업을 통해 개발될 제품(시스템)의 사용자(구매자)까지 수혜자로 포함시켜

수혜자(983731)의 표적화가 부적절함

동 사업을 통해 제품을 개발하여 사업 종료 후 해당 제품의 판매를 통해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할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기업들이 동 사업의 직접적 수혜자임

27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동 사업은 A 융합기술ʼ 분야의 실증을 통한 시스템 개발로 종료되며 제품을 최종사용자

에게까지 보급하는 것은 사업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여러 단계 이후의 최종사용자를

동 사업의 수혜자로 제시하는 것은 부적절함

기획의 Tip

사업목표와 범위에 맞는 수혜자를 제시

- 성과확산단계에 따라 수혜자를 구분하여 제시할 수는 있으나 사업성과를 통해 직접적 경제적

수혜를 받는 주체만 경제성 분석의 대상이 됨

세부활동(983733)은 사업목표(983730)와 개념적으로는 일부 연계성이 있음

산업 분야에 A 융합기술ʼ의 접목하기 위한 실증사업의 추진이 동 사업의 주요 내용이므로

관련 신산업을 창출하고자 하는 사업의 목표와는 개념적으로 연계성이 있음

B C 분야는 사업목표와 관련성이 있고 구축되는 통합센터와 정보 공유도 가능할 것이나

D E 분야는 독립적이며 사업목표와의 연계성도 낮아 동일 사업 내에서 추진할 필요성

및 통합센터 구축의 필요성도 모호함

기획의 Tip

세부활동(세부사업 또는 과제)을 수행하면 제시된 사업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세부

활동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문제 해결 및 사업목표 달성과 연관성이 낮은 활동은 제외

- 사업목표 달성과 관련 없는 과제의 포함 불요불급한 시설 및 장비의 구축 필요 이상으로 부풀린

사업비의 요구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는 주요 요인임

이 외의 항목들은 거시적인 작동논리나 연계성에 대한 검토보다는 세부내용의 적부 분석을 수행함

투입(983732)과 산출(983734)은 활동의 상세한 분석을 통해 적절성을 분석

성과영향(983735)은 사업목표와 활동 산출의 상세한 분석을 통해 적절성을 분석

가정(983736)은 별도의 분석보다는 이슈 목표 활동과 연계하여 분석

28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Ⅶ 맺음말

사업의 직접적인 이해관계자는 해당 사업의 긍정적인 측면만 생각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사업 기획주체는 신규 사업의 기획 시 객관적인 시각에서 사업계획을 조망하고 보완하기 위해

논리모형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ʻ왜 해야 하는지ʼ ʻ어떠한 결과를 내려고 하는지ʼ ʻ무엇을 어떻게 하려고 하는지ʼ가

논리적으로 연계가 되어 설득력을 확보해야 함

사업의 착수 전에 문서뿐인 사업계획서를 분석하여 사전에 평가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나

논리모형을 활용한 사업의 작동논리와 추진과정의 객관적인 분석을 통해 기획단계의

오류로 인한 사업의 부실화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

제도적인 측면에서 평가결과의 일관성 확보를 위해 사전평가의 방법으로 논리모형

분석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함13)

본 이슈페이퍼에서는 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을 설명

하였으며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추진단계 및 종료단계에 적절한 논리모형의 개발 및 활용도

고려할 필요

사업 추진 중의 사업관리 또는 중간평가 시에는 투입 rarr 활동 rarr 산출 등 사업 추진과정을

확대하여 집중적으로 분석하는 특히 활동을 더 세부적으로 구분한 논리모형이 필요함

- 사업별 특성에 부합하도록 단계별 연차별 세부과제(기술)별로 마일스톤이 포함된

논리모형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는 사업 추진 로드맵을 포함하는 형태가 될 것임

사업 종료 시의 성과확산 전략 수립이나 종료평가 또는 그 이후의 추적평가 시에는 산출

rarr 성과 rarr 영향의 사업성과 확산과정을 집중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논리모형을 구성할 수 있음

- 성과의 확산은 해당 연구개발사업 이후에 이루어지므로 동 논리모형의 구성은 성과의

극대화를 위한 성과확산사업의 기획과정으로도 볼 수 있음

논리모형 활용의 확산을 통해 국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역량을 제고하고 사업계획의

완성도를 높여 사업의 성공가능성을 제고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함

13)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에서는 이를 필수적으로 활용하도록 하고 있음

29

참 고 문 헌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 고 문 헌

국가과학기술위원회 (2011) 정부RampD 투자 효율화 추진계획

노화준 (2008) 정책평가론

미래창조과학부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 대통령령 제26729호

미래창조과학부 (2013) 국가연구개발사업 표준성과지표 ndash 성과목표지표 설정 가이드라인

미래창조과학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5) 2014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보고서

미래창조과학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5) 2014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4) 연구개발부문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제2판)

HM Treasury (2011) The Green Book Appraisal and Evaluation in Central Government

McLaughlin JA and Jordan GB (1999) ldquoLogic models a tool for telling your programrsquos

performance storyrdquo Evaluation and Program Planning 22 65~72

McLaughlin JA and Jordan GB (2010) ldquoUsing Logic Modelsrdquo in Joseph S Wholey

Harry P Hatry and Kathryn E Newcomer(eds) Handbook of Practical Program

Evaluation(Third Edition) San Francisco Jossey-Bass 55~80

OECD (2015) Frascati Manual 2015

PMI (2000) PMBOK Guide

WK Kellogg Foundation (2004) Logic Model Development Guide

저자 소개

강 현 규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공공기술조사실장

- 전화 02-589-2813

- e-mail hkkangkisteprekr

KISTEP Issue Paper 2016-05

|발 행|2016년 5월

|발행인|박 영 아

|발행처|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서울시 서초구 마방로 68(양재동) 동원산업빌딩 9층~12층

전화 02) 589-2200 팩스 02) 589-2222

httpwwwkisteprekr

|인쇄처|(주)비전테크시스템즈 [TEL02)3432-7132]

25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기획의 Tip

국가적인 차원에서 연구개발사업을 통해서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를 구체적이고 명확히 정의

- 현재 또는 미래에 어떤 문제가 있거나 발생할 것이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

개발사업을 구상하게 되었는지 제시

-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광범위한 이슈의 제기는 무의미

- 국내외의 각종 통계 보고서 정책자료 시장보고서 전문가 및 실무자 인터뷰 등 근거자료를

통해 구체화되고 특정화된 문제를 제시

- 특정 주체나 지역이 아닌 국가적인 차원의 문제를 제시해야 하며 해당 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지 않으면 국가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나 잃게 되는 기회가 무엇인지를 설명

- 지역기반 구축은 국가적인 필요성과 함께 전국에서 해당 지역이 기반 구축의 최적지임을

입증할 수 있는 근거가 필요

사업목표(983730)를 제시하였으나 선언적인 내용에 불과하며 성과지표의 구체화가 미흡하여

문제 해결 정도를 측정하기 어려움

동 사업에서는 광범위한 ʻA 융합기술ʼ의 적용 분야 중 소수의 분야만을 다루는 반면

사업목표는 사업 내용에 비해 지나치게 일반적이고 광범위하게 수립됨

동 사업은 상호 연관성이 낮은 여러 세부사업을 단일 사업 내에 포함시켜 전체 사업 수준의

거시적인 성과목표 제시가 어려운 한계가 있음

앞서 각 세부사업별로 해당 산업 분야의 문제 정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사업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와 성과가 불문명하며 이에 따라 성과지표를 정량적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하여 목표 달성 여부의 측정방법도 불분명함

26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기획의 Tip

관리 가능성의 관점에서 사업목표는 SMART하게 제시

- 구체적이고(Specific) 측정가능하며(Measurable) 달성가능하고(Achievable) 문제 활동과 연관성이 있으며(Relevant) 시간제약이 있도록(Time-bound)가 있도록 수립

해결해야 할 문제(983729)와 사업목표(983730) 간에 괴리가 존재하여 둘 간의 연계성은 미흡함

해결해야 할 이슈로 제시한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일반적인 문제들을 사업목표로 제시한

지역 착형 사업을 통해 해소하고자 함은 연계성이 낮음

문제 정의 자체가 세부 산업분야별 시장 전망 또는 현장의 이슈 분석을 통해 구체적으로

도출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를 해소하기 위해 달성할 사업목표의 설정도 어려운 한계가

있으며 동 사업의 추진으로 국내외에서 어느 정도의 성과를 거둘 수 있을지도 예상할 수

없음

제시된 4가지 실증사업은 공공 영역부터 민간의 사업화가 활발한 영역까지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어 시너지 효과 창출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됨

기획의 Tip

사업목표의 범위는 제시된 이슈문제의 범위와 일치해야 하며 사업목표를 달성하면 이슈문제가 어느 정도 해결되는지를 보여줄 수 있도록 사업목표를 수립

세부 실증사업을 통해 개발될 제품(시스템)의 사용자(구매자)까지 수혜자로 포함시켜

수혜자(983731)의 표적화가 부적절함

동 사업을 통해 제품을 개발하여 사업 종료 후 해당 제품의 판매를 통해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할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기업들이 동 사업의 직접적 수혜자임

27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동 사업은 A 융합기술ʼ 분야의 실증을 통한 시스템 개발로 종료되며 제품을 최종사용자

에게까지 보급하는 것은 사업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여러 단계 이후의 최종사용자를

동 사업의 수혜자로 제시하는 것은 부적절함

기획의 Tip

사업목표와 범위에 맞는 수혜자를 제시

- 성과확산단계에 따라 수혜자를 구분하여 제시할 수는 있으나 사업성과를 통해 직접적 경제적

수혜를 받는 주체만 경제성 분석의 대상이 됨

세부활동(983733)은 사업목표(983730)와 개념적으로는 일부 연계성이 있음

산업 분야에 A 융합기술ʼ의 접목하기 위한 실증사업의 추진이 동 사업의 주요 내용이므로

관련 신산업을 창출하고자 하는 사업의 목표와는 개념적으로 연계성이 있음

B C 분야는 사업목표와 관련성이 있고 구축되는 통합센터와 정보 공유도 가능할 것이나

D E 분야는 독립적이며 사업목표와의 연계성도 낮아 동일 사업 내에서 추진할 필요성

및 통합센터 구축의 필요성도 모호함

기획의 Tip

세부활동(세부사업 또는 과제)을 수행하면 제시된 사업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세부

활동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문제 해결 및 사업목표 달성과 연관성이 낮은 활동은 제외

- 사업목표 달성과 관련 없는 과제의 포함 불요불급한 시설 및 장비의 구축 필요 이상으로 부풀린

사업비의 요구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는 주요 요인임

이 외의 항목들은 거시적인 작동논리나 연계성에 대한 검토보다는 세부내용의 적부 분석을 수행함

투입(983732)과 산출(983734)은 활동의 상세한 분석을 통해 적절성을 분석

성과영향(983735)은 사업목표와 활동 산출의 상세한 분석을 통해 적절성을 분석

가정(983736)은 별도의 분석보다는 이슈 목표 활동과 연계하여 분석

28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Ⅶ 맺음말

사업의 직접적인 이해관계자는 해당 사업의 긍정적인 측면만 생각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사업 기획주체는 신규 사업의 기획 시 객관적인 시각에서 사업계획을 조망하고 보완하기 위해

논리모형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ʻ왜 해야 하는지ʼ ʻ어떠한 결과를 내려고 하는지ʼ ʻ무엇을 어떻게 하려고 하는지ʼ가

논리적으로 연계가 되어 설득력을 확보해야 함

사업의 착수 전에 문서뿐인 사업계획서를 분석하여 사전에 평가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나

논리모형을 활용한 사업의 작동논리와 추진과정의 객관적인 분석을 통해 기획단계의

오류로 인한 사업의 부실화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

제도적인 측면에서 평가결과의 일관성 확보를 위해 사전평가의 방법으로 논리모형

분석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함13)

본 이슈페이퍼에서는 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을 설명

하였으며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추진단계 및 종료단계에 적절한 논리모형의 개발 및 활용도

고려할 필요

사업 추진 중의 사업관리 또는 중간평가 시에는 투입 rarr 활동 rarr 산출 등 사업 추진과정을

확대하여 집중적으로 분석하는 특히 활동을 더 세부적으로 구분한 논리모형이 필요함

- 사업별 특성에 부합하도록 단계별 연차별 세부과제(기술)별로 마일스톤이 포함된

논리모형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는 사업 추진 로드맵을 포함하는 형태가 될 것임

사업 종료 시의 성과확산 전략 수립이나 종료평가 또는 그 이후의 추적평가 시에는 산출

rarr 성과 rarr 영향의 사업성과 확산과정을 집중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논리모형을 구성할 수 있음

- 성과의 확산은 해당 연구개발사업 이후에 이루어지므로 동 논리모형의 구성은 성과의

극대화를 위한 성과확산사업의 기획과정으로도 볼 수 있음

논리모형 활용의 확산을 통해 국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역량을 제고하고 사업계획의

완성도를 높여 사업의 성공가능성을 제고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함

13)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에서는 이를 필수적으로 활용하도록 하고 있음

29

참 고 문 헌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 고 문 헌

국가과학기술위원회 (2011) 정부RampD 투자 효율화 추진계획

노화준 (2008) 정책평가론

미래창조과학부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 대통령령 제26729호

미래창조과학부 (2013) 국가연구개발사업 표준성과지표 ndash 성과목표지표 설정 가이드라인

미래창조과학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5) 2014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보고서

미래창조과학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5) 2014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4) 연구개발부문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제2판)

HM Treasury (2011) The Green Book Appraisal and Evaluation in Central Government

McLaughlin JA and Jordan GB (1999) ldquoLogic models a tool for telling your programrsquos

performance storyrdquo Evaluation and Program Planning 22 65~72

McLaughlin JA and Jordan GB (2010) ldquoUsing Logic Modelsrdquo in Joseph S Wholey

Harry P Hatry and Kathryn E Newcomer(eds) Handbook of Practical Program

Evaluation(Third Edition) San Francisco Jossey-Bass 55~80

OECD (2015) Frascati Manual 2015

PMI (2000) PMBOK Guide

WK Kellogg Foundation (2004) Logic Model Development Guide

저자 소개

강 현 규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공공기술조사실장

- 전화 02-589-2813

- e-mail hkkangkisteprekr

KISTEP Issue Paper 2016-05

|발 행|2016년 5월

|발행인|박 영 아

|발행처|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서울시 서초구 마방로 68(양재동) 동원산업빌딩 9층~12층

전화 02) 589-2200 팩스 02) 589-2222

httpwwwkisteprekr

|인쇄처|(주)비전테크시스템즈 [TEL02)3432-7132]

26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기획의 Tip

관리 가능성의 관점에서 사업목표는 SMART하게 제시

- 구체적이고(Specific) 측정가능하며(Measurable) 달성가능하고(Achievable) 문제 활동과 연관성이 있으며(Relevant) 시간제약이 있도록(Time-bound)가 있도록 수립

해결해야 할 문제(983729)와 사업목표(983730) 간에 괴리가 존재하여 둘 간의 연계성은 미흡함

해결해야 할 이슈로 제시한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일반적인 문제들을 사업목표로 제시한

지역 착형 사업을 통해 해소하고자 함은 연계성이 낮음

문제 정의 자체가 세부 산업분야별 시장 전망 또는 현장의 이슈 분석을 통해 구체적으로

도출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를 해소하기 위해 달성할 사업목표의 설정도 어려운 한계가

있으며 동 사업의 추진으로 국내외에서 어느 정도의 성과를 거둘 수 있을지도 예상할 수

없음

제시된 4가지 실증사업은 공공 영역부터 민간의 사업화가 활발한 영역까지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어 시너지 효과 창출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됨

기획의 Tip

사업목표의 범위는 제시된 이슈문제의 범위와 일치해야 하며 사업목표를 달성하면 이슈문제가 어느 정도 해결되는지를 보여줄 수 있도록 사업목표를 수립

세부 실증사업을 통해 개발될 제품(시스템)의 사용자(구매자)까지 수혜자로 포함시켜

수혜자(983731)의 표적화가 부적절함

동 사업을 통해 제품을 개발하여 사업 종료 후 해당 제품의 판매를 통해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할 ʻA 융합기술ʼ 분야의 기업들이 동 사업의 직접적 수혜자임

27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동 사업은 A 융합기술ʼ 분야의 실증을 통한 시스템 개발로 종료되며 제품을 최종사용자

에게까지 보급하는 것은 사업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여러 단계 이후의 최종사용자를

동 사업의 수혜자로 제시하는 것은 부적절함

기획의 Tip

사업목표와 범위에 맞는 수혜자를 제시

- 성과확산단계에 따라 수혜자를 구분하여 제시할 수는 있으나 사업성과를 통해 직접적 경제적

수혜를 받는 주체만 경제성 분석의 대상이 됨

세부활동(983733)은 사업목표(983730)와 개념적으로는 일부 연계성이 있음

산업 분야에 A 융합기술ʼ의 접목하기 위한 실증사업의 추진이 동 사업의 주요 내용이므로

관련 신산업을 창출하고자 하는 사업의 목표와는 개념적으로 연계성이 있음

B C 분야는 사업목표와 관련성이 있고 구축되는 통합센터와 정보 공유도 가능할 것이나

D E 분야는 독립적이며 사업목표와의 연계성도 낮아 동일 사업 내에서 추진할 필요성

및 통합센터 구축의 필요성도 모호함

기획의 Tip

세부활동(세부사업 또는 과제)을 수행하면 제시된 사업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세부

활동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문제 해결 및 사업목표 달성과 연관성이 낮은 활동은 제외

- 사업목표 달성과 관련 없는 과제의 포함 불요불급한 시설 및 장비의 구축 필요 이상으로 부풀린

사업비의 요구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는 주요 요인임

이 외의 항목들은 거시적인 작동논리나 연계성에 대한 검토보다는 세부내용의 적부 분석을 수행함

투입(983732)과 산출(983734)은 활동의 상세한 분석을 통해 적절성을 분석

성과영향(983735)은 사업목표와 활동 산출의 상세한 분석을 통해 적절성을 분석

가정(983736)은 별도의 분석보다는 이슈 목표 활동과 연계하여 분석

28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Ⅶ 맺음말

사업의 직접적인 이해관계자는 해당 사업의 긍정적인 측면만 생각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사업 기획주체는 신규 사업의 기획 시 객관적인 시각에서 사업계획을 조망하고 보완하기 위해

논리모형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ʻ왜 해야 하는지ʼ ʻ어떠한 결과를 내려고 하는지ʼ ʻ무엇을 어떻게 하려고 하는지ʼ가

논리적으로 연계가 되어 설득력을 확보해야 함

사업의 착수 전에 문서뿐인 사업계획서를 분석하여 사전에 평가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나

논리모형을 활용한 사업의 작동논리와 추진과정의 객관적인 분석을 통해 기획단계의

오류로 인한 사업의 부실화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

제도적인 측면에서 평가결과의 일관성 확보를 위해 사전평가의 방법으로 논리모형

분석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함13)

본 이슈페이퍼에서는 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을 설명

하였으며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추진단계 및 종료단계에 적절한 논리모형의 개발 및 활용도

고려할 필요

사업 추진 중의 사업관리 또는 중간평가 시에는 투입 rarr 활동 rarr 산출 등 사업 추진과정을

확대하여 집중적으로 분석하는 특히 활동을 더 세부적으로 구분한 논리모형이 필요함

- 사업별 특성에 부합하도록 단계별 연차별 세부과제(기술)별로 마일스톤이 포함된

논리모형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는 사업 추진 로드맵을 포함하는 형태가 될 것임

사업 종료 시의 성과확산 전략 수립이나 종료평가 또는 그 이후의 추적평가 시에는 산출

rarr 성과 rarr 영향의 사업성과 확산과정을 집중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논리모형을 구성할 수 있음

- 성과의 확산은 해당 연구개발사업 이후에 이루어지므로 동 논리모형의 구성은 성과의

극대화를 위한 성과확산사업의 기획과정으로도 볼 수 있음

논리모형 활용의 확산을 통해 국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역량을 제고하고 사업계획의

완성도를 높여 사업의 성공가능성을 제고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함

13)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에서는 이를 필수적으로 활용하도록 하고 있음

29

참 고 문 헌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 고 문 헌

국가과학기술위원회 (2011) 정부RampD 투자 효율화 추진계획

노화준 (2008) 정책평가론

미래창조과학부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 대통령령 제26729호

미래창조과학부 (2013) 국가연구개발사업 표준성과지표 ndash 성과목표지표 설정 가이드라인

미래창조과학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5) 2014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보고서

미래창조과학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5) 2014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4) 연구개발부문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제2판)

HM Treasury (2011) The Green Book Appraisal and Evaluation in Central Government

McLaughlin JA and Jordan GB (1999) ldquoLogic models a tool for telling your programrsquos

performance storyrdquo Evaluation and Program Planning 22 65~72

McLaughlin JA and Jordan GB (2010) ldquoUsing Logic Modelsrdquo in Joseph S Wholey

Harry P Hatry and Kathryn E Newcomer(eds) Handbook of Practical Program

Evaluation(Third Edition) San Francisco Jossey-Bass 55~80

OECD (2015) Frascati Manual 2015

PMI (2000) PMBOK Guide

WK Kellogg Foundation (2004) Logic Model Development Guide

저자 소개

강 현 규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공공기술조사실장

- 전화 02-589-2813

- e-mail hkkangkisteprekr

KISTEP Issue Paper 2016-05

|발 행|2016년 5월

|발행인|박 영 아

|발행처|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서울시 서초구 마방로 68(양재동) 동원산업빌딩 9층~12층

전화 02) 589-2200 팩스 02) 589-2222

httpwwwkisteprekr

|인쇄처|(주)비전테크시스템즈 [TEL02)3432-7132]

27

Ⅵ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 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동 사업은 A 융합기술ʼ 분야의 실증을 통한 시스템 개발로 종료되며 제품을 최종사용자

에게까지 보급하는 것은 사업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여러 단계 이후의 최종사용자를

동 사업의 수혜자로 제시하는 것은 부적절함

기획의 Tip

사업목표와 범위에 맞는 수혜자를 제시

- 성과확산단계에 따라 수혜자를 구분하여 제시할 수는 있으나 사업성과를 통해 직접적 경제적

수혜를 받는 주체만 경제성 분석의 대상이 됨

세부활동(983733)은 사업목표(983730)와 개념적으로는 일부 연계성이 있음

산업 분야에 A 융합기술ʼ의 접목하기 위한 실증사업의 추진이 동 사업의 주요 내용이므로

관련 신산업을 창출하고자 하는 사업의 목표와는 개념적으로 연계성이 있음

B C 분야는 사업목표와 관련성이 있고 구축되는 통합센터와 정보 공유도 가능할 것이나

D E 분야는 독립적이며 사업목표와의 연계성도 낮아 동일 사업 내에서 추진할 필요성

및 통합센터 구축의 필요성도 모호함

기획의 Tip

세부활동(세부사업 또는 과제)을 수행하면 제시된 사업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세부

활동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문제 해결 및 사업목표 달성과 연관성이 낮은 활동은 제외

- 사업목표 달성과 관련 없는 과제의 포함 불요불급한 시설 및 장비의 구축 필요 이상으로 부풀린

사업비의 요구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는 주요 요인임

이 외의 항목들은 거시적인 작동논리나 연계성에 대한 검토보다는 세부내용의 적부 분석을 수행함

투입(983732)과 산출(983734)은 활동의 상세한 분석을 통해 적절성을 분석

성과영향(983735)은 사업목표와 활동 산출의 상세한 분석을 통해 적절성을 분석

가정(983736)은 별도의 분석보다는 이슈 목표 활동과 연계하여 분석

28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Ⅶ 맺음말

사업의 직접적인 이해관계자는 해당 사업의 긍정적인 측면만 생각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사업 기획주체는 신규 사업의 기획 시 객관적인 시각에서 사업계획을 조망하고 보완하기 위해

논리모형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ʻ왜 해야 하는지ʼ ʻ어떠한 결과를 내려고 하는지ʼ ʻ무엇을 어떻게 하려고 하는지ʼ가

논리적으로 연계가 되어 설득력을 확보해야 함

사업의 착수 전에 문서뿐인 사업계획서를 분석하여 사전에 평가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나

논리모형을 활용한 사업의 작동논리와 추진과정의 객관적인 분석을 통해 기획단계의

오류로 인한 사업의 부실화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

제도적인 측면에서 평가결과의 일관성 확보를 위해 사전평가의 방법으로 논리모형

분석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함13)

본 이슈페이퍼에서는 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을 설명

하였으며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추진단계 및 종료단계에 적절한 논리모형의 개발 및 활용도

고려할 필요

사업 추진 중의 사업관리 또는 중간평가 시에는 투입 rarr 활동 rarr 산출 등 사업 추진과정을

확대하여 집중적으로 분석하는 특히 활동을 더 세부적으로 구분한 논리모형이 필요함

- 사업별 특성에 부합하도록 단계별 연차별 세부과제(기술)별로 마일스톤이 포함된

논리모형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는 사업 추진 로드맵을 포함하는 형태가 될 것임

사업 종료 시의 성과확산 전략 수립이나 종료평가 또는 그 이후의 추적평가 시에는 산출

rarr 성과 rarr 영향의 사업성과 확산과정을 집중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논리모형을 구성할 수 있음

- 성과의 확산은 해당 연구개발사업 이후에 이루어지므로 동 논리모형의 구성은 성과의

극대화를 위한 성과확산사업의 기획과정으로도 볼 수 있음

논리모형 활용의 확산을 통해 국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역량을 제고하고 사업계획의

완성도를 높여 사업의 성공가능성을 제고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함

13)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에서는 이를 필수적으로 활용하도록 하고 있음

29

참 고 문 헌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 고 문 헌

국가과학기술위원회 (2011) 정부RampD 투자 효율화 추진계획

노화준 (2008) 정책평가론

미래창조과학부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 대통령령 제26729호

미래창조과학부 (2013) 국가연구개발사업 표준성과지표 ndash 성과목표지표 설정 가이드라인

미래창조과학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5) 2014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보고서

미래창조과학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5) 2014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4) 연구개발부문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제2판)

HM Treasury (2011) The Green Book Appraisal and Evaluation in Central Government

McLaughlin JA and Jordan GB (1999) ldquoLogic models a tool for telling your programrsquos

performance storyrdquo Evaluation and Program Planning 22 65~72

McLaughlin JA and Jordan GB (2010) ldquoUsing Logic Modelsrdquo in Joseph S Wholey

Harry P Hatry and Kathryn E Newcomer(eds) Handbook of Practical Program

Evaluation(Third Edition) San Francisco Jossey-Bass 55~80

OECD (2015) Frascati Manual 2015

PMI (2000) PMBOK Guide

WK Kellogg Foundation (2004) Logic Model Development Guide

저자 소개

강 현 규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공공기술조사실장

- 전화 02-589-2813

- e-mail hkkangkisteprekr

KISTEP Issue Paper 2016-05

|발 행|2016년 5월

|발행인|박 영 아

|발행처|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서울시 서초구 마방로 68(양재동) 동원산업빌딩 9층~12층

전화 02) 589-2200 팩스 02) 589-2222

httpwwwkisteprekr

|인쇄처|(주)비전테크시스템즈 [TEL02)3432-7132]

28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ISSUE PAPER 2016-05

Ⅶ 맺음말

사업의 직접적인 이해관계자는 해당 사업의 긍정적인 측면만 생각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사업 기획주체는 신규 사업의 기획 시 객관적인 시각에서 사업계획을 조망하고 보완하기 위해

논리모형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ʻ왜 해야 하는지ʼ ʻ어떠한 결과를 내려고 하는지ʼ ʻ무엇을 어떻게 하려고 하는지ʼ가

논리적으로 연계가 되어 설득력을 확보해야 함

사업의 착수 전에 문서뿐인 사업계획서를 분석하여 사전에 평가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나

논리모형을 활용한 사업의 작동논리와 추진과정의 객관적인 분석을 통해 기획단계의

오류로 인한 사업의 부실화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

제도적인 측면에서 평가결과의 일관성 확보를 위해 사전평가의 방법으로 논리모형

분석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함13)

본 이슈페이퍼에서는 사업의 기획 및 사전평가에 유용한 논리모형의 활용 방안을 설명

하였으며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추진단계 및 종료단계에 적절한 논리모형의 개발 및 활용도

고려할 필요

사업 추진 중의 사업관리 또는 중간평가 시에는 투입 rarr 활동 rarr 산출 등 사업 추진과정을

확대하여 집중적으로 분석하는 특히 활동을 더 세부적으로 구분한 논리모형이 필요함

- 사업별 특성에 부합하도록 단계별 연차별 세부과제(기술)별로 마일스톤이 포함된

논리모형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는 사업 추진 로드맵을 포함하는 형태가 될 것임

사업 종료 시의 성과확산 전략 수립이나 종료평가 또는 그 이후의 추적평가 시에는 산출

rarr 성과 rarr 영향의 사업성과 확산과정을 집중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논리모형을 구성할 수 있음

- 성과의 확산은 해당 연구개발사업 이후에 이루어지므로 동 논리모형의 구성은 성과의

극대화를 위한 성과확산사업의 기획과정으로도 볼 수 있음

논리모형 활용의 확산을 통해 국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역량을 제고하고 사업계획의

완성도를 높여 사업의 성공가능성을 제고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함

13) 연구개발부문 예비타당성조사에서는 이를 필수적으로 활용하도록 하고 있음

29

참 고 문 헌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 고 문 헌

국가과학기술위원회 (2011) 정부RampD 투자 효율화 추진계획

노화준 (2008) 정책평가론

미래창조과학부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 대통령령 제26729호

미래창조과학부 (2013) 국가연구개발사업 표준성과지표 ndash 성과목표지표 설정 가이드라인

미래창조과학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5) 2014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보고서

미래창조과학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5) 2014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4) 연구개발부문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제2판)

HM Treasury (2011) The Green Book Appraisal and Evaluation in Central Government

McLaughlin JA and Jordan GB (1999) ldquoLogic models a tool for telling your programrsquos

performance storyrdquo Evaluation and Program Planning 22 65~72

McLaughlin JA and Jordan GB (2010) ldquoUsing Logic Modelsrdquo in Joseph S Wholey

Harry P Hatry and Kathryn E Newcomer(eds) Handbook of Practical Program

Evaluation(Third Edition) San Francisco Jossey-Bass 55~80

OECD (2015) Frascati Manual 2015

PMI (2000) PMBOK Guide

WK Kellogg Foundation (2004) Logic Model Development Guide

저자 소개

강 현 규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공공기술조사실장

- 전화 02-589-2813

- e-mail hkkangkisteprekr

KISTEP Issue Paper 2016-05

|발 행|2016년 5월

|발행인|박 영 아

|발행처|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서울시 서초구 마방로 68(양재동) 동원산업빌딩 9층~12층

전화 02) 589-2200 팩스 02) 589-2222

httpwwwkisteprekr

|인쇄처|(주)비전테크시스템즈 [TEL02)3432-7132]

29

참 고 문 헌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 고 문 헌

국가과학기술위원회 (2011) 정부RampD 투자 효율화 추진계획

노화준 (2008) 정책평가론

미래창조과학부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 대통령령 제26729호

미래창조과학부 (2013) 국가연구개발사업 표준성과지표 ndash 성과목표지표 설정 가이드라인

미래창조과학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5) 2014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보고서

미래창조과학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5) 2014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4) 연구개발부문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제2판)

HM Treasury (2011) The Green Book Appraisal and Evaluation in Central Government

McLaughlin JA and Jordan GB (1999) ldquoLogic models a tool for telling your programrsquos

performance storyrdquo Evaluation and Program Planning 22 65~72

McLaughlin JA and Jordan GB (2010) ldquoUsing Logic Modelsrdquo in Joseph S Wholey

Harry P Hatry and Kathryn E Newcomer(eds) Handbook of Practical Program

Evaluation(Third Edition) San Francisco Jossey-Bass 55~80

OECD (2015) Frascati Manual 2015

PMI (2000) PMBOK Guide

WK Kellogg Foundation (2004) Logic Model Development Guide

저자 소개

강 현 규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공공기술조사실장

- 전화 02-589-2813

- e-mail hkkangkisteprekr

KISTEP Issue Paper 2016-05

|발 행|2016년 5월

|발행인|박 영 아

|발행처|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서울시 서초구 마방로 68(양재동) 동원산업빌딩 9층~12층

전화 02) 589-2200 팩스 02) 589-2222

httpwwwkisteprekr

|인쇄처|(주)비전테크시스템즈 [TEL02)3432-7132]

저자 소개

강 현 규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공공기술조사실장

- 전화 02-589-2813

- e-mail hkkangkisteprekr

KISTEP Issue Paper 2016-05

|발 행|2016년 5월

|발행인|박 영 아

|발행처|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서울시 서초구 마방로 68(양재동) 동원산업빌딩 9층~12층

전화 02) 589-2200 팩스 02) 589-2222

httpwwwkisteprekr

|인쇄처|(주)비전테크시스템즈 [TEL02)3432-71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