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46차 도시인문학 포럼 (서울시립대): 사회적 합의 도출을 위한 합당한...

63
제46차 도시인문학 포럼 사회적 합의 도출을 위한 합당한 방법론적 도구로서의 게임이론 일시: 2015년 1월 20일 (화) 오전 10시 장소: 서울시립대학교 창공관 210호 주최: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 연구소 후원: 한국연구재단 발표자: 정훈 서울대학교 철학과 졸업 미국 코넬대학교 철학 석사 및 박사 현 미국 로체스터 공대 (RIT) 철학과 조교수 현 미국 로체스터 대학교 정치학 박사과정중 관심분야: 윤리학, 정치철학, 합리적 선택이론, 경제철학

Transcript of 제 46차 도시인문학 포럼 (서울시립대): 사회적 합의 도출을 위한 합당한...

제46차 도시인문학 포럼

사회적 합의 도출을 위한 합당한 방법론적도구로서의 게임이론

• 일시: 2015년 1월 20일 (화) 오전 10시• 장소: 서울시립대학교 창공관 210호• 주최: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 연구소• 후원: 한국연구재단

발표자: 정훈• 서울대학교 철학과 졸업• 미국 코넬대학교 철학 석사 및 박사• 현 미국 로체스터 공대 (RIT) 철학과 조교수• 현 미국 로체스터 대학교 정치학 박사과정중• 관심분야: 윤리학, 정치철학, 합리적 선택이론,

경제철학

목차

1. 게임이론의 기초

2. 게임이론에 대한 흔한 오해

3. 게임이론의 적용: 윤리학/정치철학에 대한 적용을중심으로

4. 맺으며: 도시문제 해결에 도움을 줄 수 있는게임이론

1. 게임이론의 기초

미시경제학(Microeconomics)

: 한 사회의 경제현상을 개별적인 경제주체 (즉, 소비자와 생산자)들의 선택과 행위를 통해서 분석하고설명을 시도하는 경제학의 하위 분야

- 미시 경제학에서 가장 기본적인 분석 단위는 개인의의사결정과 선택임

따라서, 의사결정이론(Decision Theory)은미시경제학의 가장 핵심이 되는 하위 분야임

의사결정이론(Decision Theory)의 세 분야

1. 개별적 의사결정이론 (Individual Decision Theory)

한 개인들의 선호체계를 표현하는 효용함수의존재(existence)와 그 유일성(uniqueness)을 증명함

2. 게임이론 (Game Theory)

2인 이상이 관여된 전략적 상황을 모형화하고수학적으로 분석함

3. 사회선택이론 (Social Choice Theory)

각 개인들의 선호를 바탕으로 사회전체의 선호를도출하는 방법을 분석함

• 앞서 설명하였듯이, 게임이론은 2인 이상이 포함된전략적 상황을 모형화하고 분석할 수 있는 수학적도구들을 제공함

• 어떤 상황이 “전략적(strategic)”이라는 것의 의미

한 사람에게 있어서 무엇이 최선의 행동인 지가 다른사람이 어떻게 행동하는 지에 영향을 받는 상황(예) 패널티킥에서 키커와 골키퍼

• 모형(model)이란 무엇인가?

어떤 대상의 분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그 대상의중요한 특성들은 추출하고, 중요하지 않은 특성들은생략하여 그 대상을 단순화시킨 것. (예) 지도

• 게임이론에서 “게임”이란, 연구자가 분석을 하고자하는 전략적 상황에 대한 하나의 모형(model)임

게임이론의 기본적인 가정

사람들은 자신의 선호(preference)에 따라 행동하고, 사람들의 선호는 합리적(rational)이다.

여기서, 사람들의 선호가 합리적이란 것의 의미는?

그것은 사람들의 선호가 완비적(complete)이고, 이행적(transitive)이라는 것을 의미함

• 이후의 논의에서 “xRy”란 표현은, “x를 적어도y만큼은 선호하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해석하자.

통상적으로, “R”은 “약한 선호” 관계를 표현한다고이해한다.

• 아울러, “xPy”는 “not yRx”로 정의하며, 그 의미는“x를 y보다 더 선호한다”라고 해석하자.

통상적으로, “P”는 “강한 선호”관계를 표현한다고이해한다.

• 아울러, “xIy”는 “xRy and yRx”로 정의하며, 그의미를 “x와 y는 무차별하다”로 해석하자.

• 선호가 완비적(complete)이라는 것의 의미는?

: 모든 대상 x, y에 대하여, xRy 혹은 yRx이다.

한 마디로, 한 사람의 선호가 완비적이라는 것은 그사람에게 있어서 비교가 불가능한 두 개의 대상이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 선호가 이행적(transitive)이라는 것의 의미는?

: 임의의 세 대상 x,y,z에 대하여, xRy 이고 yRz이면, xRz이다.

한 사람의 선호가 완비적이고 이행적일 경우, 우리는모든 대상들을 그 사람의 선호에 따라 순서대로나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 마디로, (약한) 선호의 완비성과 이행성은순환적인 (강한) 선호구조(strict preference cycle)를 배제시킨다. (예) xPy 이고, yPz이고, zPw이면서 wPx인 경우

• 모든 대상들을 한 사람의 선호에 따라 순서대로나열하는 것이 가지는 장점

그 사람의 선호를 효용함수(utility function)를통해서 실수(real number)로 표현하는 것이가능해진다.

어떤 효용함수 가 한 사람의 선호를 나타내어준다(represent)는 것의 의미:

• if and only if

• if and only if

• if and only if

(예)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에 대한 어떤 사람의선호가 다음과 같다고 가정해보자.

소고기돼지고기닭고기

이러한 사람의 선호를 우리는

U(소고기) = 10U(돼지고기) = 5U(닭고기) = 1

와 같은 효용함수로 표현해주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효용함수가 제공해주는 유의미한정보는 오로지 수의 “순서”일 뿐이라는 점이다.

동시행동(simultaneous move) 유한게임(Finite Game)의 기본적인 구성요소

1. 게임의 플레이어들의 집합:

2. 각 플레이어 i 가 선택할 수 있는 행동들의 집합:

3. 각 플레이어 i 가 모든 가능한 행동들의 조합에관하여 가지는 선호를 표현해주는 효용함수

.

이 세 가지의 구성요소들만을 가지고도 우리는다양한 전략적 상황들을 모형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제 다음과 같은 이야기를 들었다고 가정해보자.

• 어떤 중범죄를 저지른 유력한 용의자 두 명이 경찰에잡혀서 조사를 받는 중이다.

• 경찰은 두 용의자들이 실제 범인이라고 확신하고있다.

• 그러나 그 두 용의자들을 경찰들이 생각하는중범죄로 기소를 하기에는 증거가 불충분하다. (경찰이 보유한 증거로는 용의자들을 경범죄로 밖에기소를 하지 못한다.)

• 두 용의자들을 중범죄로 기소하기 위해서는용의자들의 자백이 필수적이다.

• 그러나 두 용의자들은 묵비권을 행사하고 있다.

• 경찰은 용의자들의 자백을 유도하기 위해서, 용의자들을 서로 의사소통을 할 수 없는 다른취조실에 가둬놓은 다음, 각각의 용의자들에게다음과 같은 제안을 한다.

- 당신은 범행을 자백하거나 계속 침묵할 수 있다. - 만약 당신과 당신 동료 모두 끝까지 침묵할 경우,

당신 둘은 감옥에서 1년을 살게 될 것이다. - 만약 한 사람이 침묵하는동안, 다른 사람이 자백을 할

경우, 자백을 한 사람은 무죄로 풀려나고, 침묵한사람은 혼자서 감옥에서 10년을 살게 될 것이다.

- 만약 당신과 당신 동료 모두 자백을 한다면, 당신과당신 동료는 둘다 감옥에서 5년을 살게 될 것이다.

- 자아, 당신은 어떠한 선택을 할 것인가?

• 이 이야기 속에서 각각의 용의자들이 처해있는상황은 전략적 상황이다.

• 각 용의자들이 오직 자신이 감옥에서 사는 기간을줄이는 것에만 관심이 있다고 가정할 경우, 각용의자들의 선호는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내가 자백하고, 상대방이 침묵둘 다 침묵둘 다 자백

내가 침묵하고 상대방이 자백

• 이러한 전략적 상황을 우리는 어떻게 모형화할 수있을까?

• 플레이어들의집합:  용의자 용의자

• 각플레이어들이선택할수있는행동의집합:

협조 침묵 비협조 자백용의자 용의자

• 각플레이어들의선호:

자백 침묵 침묵 자백침묵 침묵 침묵 침묵자백 자백 자백 자백침묵 자백 자백 침묵

우리는 동일한 모형을 다음과 같은 매트릭스 형태로 보다간결하게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모형이 바로 그 유명한 죄수의 딜레마(Prisoner’s Dilemma)이다.

협조(침묵) 비협조(자백)

협조(침묵) ‐1, ‐1 ‐10, 0

비협조(자백) 0, ‐10 ‐5, ‐5용의자 1

용의자 2

• 일단, 우리가 어떤 전략적 상황을 모형화하는데성공하였다면, 이어서 우리는 그러한 전략적 상황이궁극적으로 어떤 상황으로 귀결될 지가 궁금할것이다.

• 그러기 위해서, 우리는 게임이론적 모형을 어떤특정한 해결개념(solution concept)에 근거해서풀어야(solve) 한다.

이와 같은, 동시행동-유한게임에서 일반적으로 가장널리 활용되는 해결개념은 바로 “내쉬균형(Nash Equilibrium)”이다.

• 그렇다면, 내쉬균형이란 무엇인가?

• 직관적으로 설명을 하자면, 어떤 상황이내쉬균형이라는 것은, 그 상황에 처한 어느 누구도,다른 사람들이 행동을 바꾸지 않는 이상, 자기자신의행동을 바꿀 유인동기가 없는 상태에 있다는것을 의미한다.

다른 사람들이 행동을 바꾸지 않는 이상, 어느 누구도자신의 행동을 바꿀 유인동기가 없다는 점에서내쉬균형은 상당히 안정적인(stable) 상태라고 할 수있다.

내쉬균형은 전략적 상황이 궁극적으로 어떻게 귀결될지를 예측해준다.

내쉬균형을 보다 엄 하게 정의하기 위해서는 다음의표현들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플레이어 i 가 하는 행동이 일 때, 은 1부터 n까지의 플레이어들이 하는 행동목록(action profile)을 지칭한다고정의하자.  

이 때, 은 플레이어 i 를 제외한 모든플레이어들이 ( )를선택하고, 플레이어 I 는 를 선택하는 행동목록을지시한다고 정의하자.

Definition (Nash Equilibrium) An action profile   ∗∗ ∗ ∗ is a Nash equilibrium if and only if for every 

and every  ,  ∗ ∗ ∗ .

그렇다면, 죄수의 딜레마의 내쉬균형은 무엇인가?

죄수의 딜레마의 유일한 내쉬균형은 (비협조,비협조)이다.

협조(침묵) 비협조(자백)

협조(침묵) ‐1, ‐1 ‐10, 0

비협조(자백) 0, ‐10 ‐5, ‐5용의자 1

용의자 2

어떤 전략적 상황이 어떻게 귀결이 될 지를 어떤해결개념을 통해서 파악을 한 다음에, 우리는 그러한최종 귀결 상태가 어떠한 특성들을 가지는 지 살펴볼 수있다.

“파레토-최적 (Pareto Optimality)”의 개념

• 정의: 다른 누군가의 처지를 악화시키지 않고서는어떤 사람의 처지도 개선시키는 것이 불가능한상황을 우리는 파레토 최적한 상황이라고 말한다.

그렇다면, 죄수의 딜레마의 유일한 내쉬균형인(비협조, 비협조)는 파레토-최적한가?

답: 아니오.

우리가 (비협조, 비협조) 상태에서 (협조, 협조) 상태로이동할 경우, 우리는 어느 누구의 처지도 악화시키지않으면서도 용의자 1과 용의자 2 모두의 상황을 개선시킬수 있다.

(비협조, 비협조)는 파레토 최적하지 않은 상황이다. 이처럼, 내쉬균형상태와 파레토 최적인 상태가 반드시

일치하는 것이 아니다.

협조(침묵) 비협조(자백)

협조(침묵) ‐1, ‐1 ‐10, 0

비협조(자백) 0, ‐10 ‐5, ‐5용의자 1

용의자 2

죄수의 딜레마가 우리에게 주는 교훈

각 개인들이 저마다 자신의 선호를 합리적으로추구하는 것이 반드시 사회적 최적상태로 연결되는것이 아니다. (애덤 스미스의 “보이지 않는 손”에대한 비판)

죄수의 딜레마를 게임이론을 통해서 모형화하지 않았을경우, 우리는 죄수의 딜레마의 유일한 균형상태가(비협조, 비협조)라는 사실과 그러한 상태가 최적하지않다는 것을 직관적으로 깨닫기 어려웠을 것이다.

이것이 바로 어떤 전략적인 상황을 게임이론을통해서 모형화하는 것이 가지는 장점이다.

다시 말해서, 게임이론을 통한 모형화 작업은 우리가직관만으로는 깨닫기 힘든 어떤 전략적 상황이 갖는다양한 함의를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는방법이다.

우리 주위에 죄수의 딜레마와 같은 구조를 가진 전략적상황들: 미-소 군비경쟁, 희소자원에 대한 무분별한 사용, 우리 나라 사교육 등등

그러나 세상의 모든 전략적 상황들이 죄수의 딜레마의구조를 갖는 것은 아니다.

다음은 다양한 전략적 상황들을 모형화한 주요게임이론적 모형들이다.

Stag Hunt (사슴사냥 게임)

이처럼, 복수의 내쉬균형이 존재할 때, 실제로 그복수의 내쉬균형들 중에서 결국 어떤 내쉬균형이선택되느냐의 문제는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셸링(Thomas Schelling)에따르면, 이 경우에 선택되는 내쉬균형은 사회-문화적조건에 영향을 받는 “Focal Point”라고 설명하였다.

사슴 토끼

사슴 3, 3 0, 1

토끼 1, 0 1, 1사냥꾼 1

사냥꾼 2

Battle of the Sexes(연인 간의 고 당기기 게임)

축구 발레

축구 2, 1 0, 0

발레 0, 0 1, 2남자

여자

Coordination Game(협응게임)

좌측통행 우측통행

좌측통행 1, 1 0, 0

우측통행 0, 0 1, 1운전자 1

운전자 2

Matching Pennies(동전 맞추기 게임)

동전 맞추기 게임에서는 순수전략 상의 내쉬균형이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각 플레이어들이 각각의 행동들을 확률적으로플레이하는 혼합전략 상의 내쉬균형은 존재한다.

앞면 뒷면

앞면 1, ‐1 ‐1, 1

뒷면 ‐1, 1 1, ‐1Player 1

Player 2

- 지금까지 우리가 살펴본 게임이론 모형들은 유한한수의 플레이어들이 저마다 선택할 수 있는 행동이유한한 상황에서 동시에 어떤 행동을 선택해야 되는전략적 상황들을 모형화한 사례들이다.

- 그러나 우리가 세상에서 접하는 모든 전략적 상황들이이처럼 단순한 구조를 가지는 것이 아니다.

• 선택할 수 있는 행동들이 무한한 경우• 관련 당사자들이 동시에 행동을 하지 않고, 순차적으로

행동을 하는 경우• 전략적 상황에 불확실성이 개입되어 있는 경우• 어떤 특정한 전략적 상황들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이처럼, 보다 복잡한 전략적 상황들을 게임이론을

통해서 모형화하기 위해서는 더욱더 복잡한 개념들과테크닉들이 동원된다.

각 플레이어들이 순차적으로 전략을 선택하는 게임의 예:

The Entry Game (진입게임)

<확장형태 (Extensive Form)>

<매트릭스 형태 (Strategic Form)>

방금 보았듯이, 진입게임의 내쉬균형은 두 개이다.

(In, Acquiesce)와 (Out, Fight)

하지만, 이 중에서 (Out, Fight)이 이 전략적 상황의균형상태라는 측면에서 설득력이 다소 떨어진다.

왜냐하면, (Out, Fight)라는 행동목록은, 비록 실제로는Challenger가 In을 플레이하지는 않지만, 만약(반사실적으로) Challenger가 In을 플레이할 경우, Incumbent가 Fight을 플레이할 거라고 가정을 하고있는데, Challenger가 In을 플레이할 경우, Incumbent가 Fight을 플레이하는 것은 Incumbent의선호를 고려했을 때, 비합리적이기 때문이다.

이것은 내쉬균형이라는 해결개념이 각 플레이어들이전략을 순차적으로 선택을 하는 전략적 상황을분석하기에는 적당하지 않은 해결개념이라는 것을보여준다.

결국 게임이론가들은 이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내쉬균형의 단점을 해결할 수 있는 “부분게임완전균형(Subgame Perfect Equilibrium)”이라는새로운 해결개념을 제시하였다.

한 마디로, 부분게임 완전균형은 각각의 플레이어들이모든 부분게임들에서 합리적으로 행동할 것을요구한다.

다시 진입게임으로 되돌아가 보자.

<확장형태 (Extensive Form)>

<매트릭스 형태 (Strategic Form)>

(In, Acquiesce), (Out, Fight) 두 개의 내쉬균형들 중에서, 오직(In, Acquiesce)만인 부분게임 완전균형이다!

이처럼, 분석하고자 하는 전략적 상황이 복잡해짐에따라 기존의 해결개념들이 재구실을 하지 못할 때, 게임이론가들은 새로운 해결개념들을 제시하게 되었고, 새로운 해결개념을 제시하는 것은 게임이론 연구에있어서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다음은 각각의 게임유형에 따라 표준적으로 정립된해결개념들을 정리한 것이다.

완전한정보 불완전한정보

동시행동 내쉬균형(Nash Equilibrium)

베이지안내쉬균형(Bayesian Nash Equilibrium)

순차적행동 부분게임완전균형(Subgame Perfect Equilibrium)

완전베이지안균형(Perfect Bayesian Equilibrium)

2. 게임이론에 대한 흔한 오해

- 일부 학자들 중에는 게임이론에 대해서 매우 부정적인견해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있다.

- 하지만, 게임이론에 대한 대부분의 부정적인 견해들은게임이론에 대한 그릇된 이해 혹은 오해에서 비롯되는경우가 많다.

<가장 흔한 게임이론에 대한 오해에 근거한 비판 두 가지>

(1) 게임이론은 인간 행위에 대한 규범적 이론으로서부적합하다 - 그것은 도덕적 가치, 정의감, 민주적시민의식, 이타심을 강조하기 보다는, 사람들로 하여금항상 자신의 이기심을 극대화할 것을 요구한다.

(2) 게임이론은 인간행위에 대한 기술적 이론으로서도부적합하다 – 실제로 많은 사람들은 게임이론에서가정하는 것처럼 이기적으로 행동하지 않는다.

- 오해의 근거가 되는 게임이론의 근본적인 가정:

“사람들은 항상 자신의 효용을 극대화한다(혹은 극대화해야 한다.)”

언뜻 보기에, 이 문장은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자신의이익을 극대화한다는 사실적인 주장 혹은 사람들은모름지기 자신의 이익을 극대화해야 한다는 규범적인주장을 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하기 쉽다.

하지만, 이것은 틀린 해석이다. 앞서 살펴보았듯이, 효용함수는 단순히 어떤 사람의

선호를 수로 표현해주는 장치일 뿐이다. 따라서, 위 문장이 주장하는 것은 단지 사람들이 어떤

행동을 할 때, 자신의 선호에 따라서 행동한다는 것이다. 이때, 게임이론은 사람들의 선호가 이기적인지

이타적인지에 대한 어떠한 가정도 하지 않는다.

게임이론은 사람들이 가진 선호의 구체적인 내용을문제삼지 않는다.

게임이론은 오직 사람들이 가진 선호가 “완비성”과“이행성”이라는 형식적인 조건들만 충족시킬 것을요구한다.

자신의 안락함을 포기하더라도 이 세상을 굶어죽는어린이가 한 명도 없는 세상으로 만드는 것을 선호하는이타적인 사람이라도, 그 선호가 완비성과 이행성만충족시킨다면 게임이론적 관점에서는 충분히 합리적인선호를 가진 사람이며, 이 사람이 만약 전재산을UNICEF에 기부하였다면, 이러한 행동 역시 자신의효용을 극대화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한 마디로, 게임이론은 사람들로 하여금 이기적일 것을요구하지 않는다.

게임이론이 사람들의 행위를 설명하는 기술적인이론으로서 부적합하다는 주장에 대한 해명

- 실제로 많은 실험을 해본 결과, 죄수의 딜레마의 구조를흉내낸 여러 실험들에서 피실험자들은 “비협조”를선택하지 않고 “협조”를 선택하는 경우가 많았다.

- 이러한 실험결과들을 두고, 사람들은 게임이론의예측력이 떨어진다고 생각하면서 게임이론이 인간행위에 대한 기술적 이론으로서 부적합하다고주장하기 쉽다.

그러나 이러한 실험결과들이 보여주는 것은게임이론의 예측력이 떨어진다는 것도, 게임이론이인간 행위에 대한 기술적 이론으로서 부적합하다는것도 아니다.

이러한 실험결과들이 말해주는 것은, 단지, 실험자의의도와는 달리, 피실험자들이 자신들이 참여했던실험을 실제로는 죄수의 딜레마로 인식하지 않았다는것이다.

• 앞서 설명하였듯이, 게임이론은 단지 여러 전략적상황들을 모형화할 수 있는 수학적 도구들을제공해준다.

• 어떤 전략적 상황의 핵심적인 특성들을 게임이론을통해서 정확하게 모형화하였다면, 그 게임의균형상태는 그러한 전략적 상황이 최종적으로 어떻게귀결될 지에 대한 비교적 정확한 예측을 제공할 수있다.

• 하지만, 만약 어떤 전략적 상황의 핵심적인 특성을부정확하게 모형화하였다면, 그로부터 탄생한 게임의균형상태는 그러한 전략적 상황이 최종적으로 어떻게귀결될 지에 대한 정확한 예측을 제공할 수 없다.

• 이 세상에는 정확한 지도와 부정확한 지도가 있다.

• 마찬가지로, 어떤 전략적 상황을 모형화한 게임들중에는 맞는 것도 있고, 틀린 것도 있다.

• 만약 어떤 전략적 상황이 어떤 게임의 균형상태가예측하는 방식으로 전개되지 않았다면, 그것이말해주는 것은, 인간 행위에 대한 기술적 이론으로서게임이론이 틀렸다는 것이 아니라, 단지 우리가 그러한전략적 상황을 분석하기 위해서 잘못된 게임을선택했다는 것이다.

3. 게임이론의 적용

: 윤리학/정치철학에 대한 적용을 중심으로

• 그렇다면, 이러한 게임이론은 어떤 분야에 적용이 될 수있을까?

• 앞서 설명하였듯이, 게임이론은 어떤 전략적 상황을모형화하는 데 매우 강력한 이론적, 방법론적 도구들을제공해준다.

따라서, 어떤 전략적 상황을 분석할 필요가 있는 모든학문분야에 게임이론은 적용될 수 있다.

(예)• 경제학: 경쟁이 관여된 여러 경제적인 현상• 정치학: 정당의 선거전략과 유권자들의 투표 행태• 정책학: 각종 사회정책의 디자인 및 결과 예측• 생물학: 진화생물학에서 자연선택이 이루어지는 과정• 윤리학/정치철학: 사회계약론적 전통

게임이론의 도시문제에 대한 적용사례:

• 미국 뉴욕시의 고등학교 지원 및 배치 문제(https://ssri.duke.edu/news/how-game-theory-helped-improve-new-york-city%E2%80%99s-high-school-application-process)

이 연구로 Alvin E. Roth는 2012년에 노벨 경제학상 수상

• 공유지에 대한 무절제한 사용 문제(http://www.amazon.com/Governing-Commons-Evolution-Institutions-Collective/dp/0521405998/ref=sr_1_3?ie=UTF8&qid=1421114365&sr=8-3&keywords=tragedy+of+the+commons&pebp=1421114374107&peasin=521405998)

이 연구로 Elinor Ostrom은 2009년 노벨 경제학상 수상

이어서, 게임이론이 윤리학/정치철학자들에게 어떠한도움을 줄 수 있는 지에 대해서 알아보자.

• 윤리학에서 “절차주의(proceduralism)”적 입장은어떤 도덕원칙에 대한 정당화 근거를 그러한 원칙이이상적이고 정당한 절차를 통해서 도출되었다는것으로부터 찾는다.

• 윤리학/정치철학에서 절차주의적 입장을 따르고 있는대표적인 이론들은 주로 사회계약론적 전통에 속한이론들이라고 할 수 있다.

• 기본적으로 사회계약론자들은 우리 사회가 지향해야할 도덕원칙들을 합리적인 개인들 간의 자발적인 합의혹은 협상을 통해서 철학적으로 정당화하고자 한다. (예: 홉스, 로크, 루소, 롤즈, 고티에, 드워킨, 등등)

• 이때, 여러 사회계약론적 이론들에서 이론적으로상정하고 있는 합의 혹은 협상이 이루어지는 계약상황은 기본적으로 전략적 상황이다.

따라서, 그러한 전략적 상황을 보다 엄 하게모형화하고 분석하는 데 게임이론은 많은 도움을 줄 수있다.

• 사실 많은 사회계약론적 이론들에서 제시하는계약상황들은, 어떤 역사적 사실을 기술하고 있는 것이아니라, 그 자체로 이론적인 모형들이다.

• (예): 홉스의 자연상태, 롤즈의 원초적 입장, 드워킨의가상적 보험시장, 등

• 앞서 설명하였듯이, 윤리적 절차주의를 따르고 있는사회계약론적 이론들에서는, 어떤 도덕 혹은 정의의원칙에 대한 철학적 정당성을, 그 이론에서 상정하고있는 계약상황에서 이루어지는 합리적인 개인들 간의합의 혹은 협상의 결과를 통해서 확보한다.

따라서, 상정된 계약상황에서 합리적인 당사자들이실제로 어떠한 합의 혹은 협상의 결과에 도달하게 되는지를 정확하게 예측하고 분석하는 것은 여러사회계약론적 이론들에서 제시하고 있는 도덕원칙혹은 정의의 원칙을 철학적으로 정당화하는 데 있어서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고 할 수 있다.

문제는 윤리학 혹은 정치철학 그 자체적으로는 이러한전략적 상황들을 정확하고 엄 하게 분석할 수 있는방법론적 도구들이 없다는 데 있다.

• 윤리학/정치철학자들이 주로 의존하는 것은개념분석(conceptual analysis)과 직관(intuition)이다.

• 하지만, 분배적 정의와 같은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있어서 오직 개념분석과 직관에 의존하는 것은 많은한계가 있다.

• 특히, 직관에 대한 지나친 의존은 철학적 위험성을내포하고 있다.

• 왜냐하면, 이 세상에는 직관적으로 그럴 듯 하지만, 실제로는 틀린 것들이 많기 때문이다.

윤리학/정치철학에 있어서 보다 엄 한 방법론의필요성을 보여주는 사례:

드워킨(Ronald Dworkin)의 가상의 보험시장을 통한평등주의 옹호에 대한 로머(John Roemer)의 비판

[드워킨의 이론]

• (선택적 불운): 미리 보험에 가입함으로써, 그것에 따른피해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었던 불운 (예: 재해피해)

• (비선택적 불운): 미리 보험에 가입함으로써, 그것에따른 피해를 사전에 방지하는 것이 불가능한 불운(예: 선천적으로 가난하거나 장애인으로 태어나는 경우)

• 드워킨에 따르면, 선택적 불운은 개인의 책임이다.

따라서, 선택적 불운에 대해서는, 국가가 정의의이름으로 보상을 해줄 것이 도덕적으로 요청되지않는다.

• 그러나, 드워킨에 따르면, 비선택적 불운은 개인의책임이라고 할 수 없다.

따라서, 비선택적인 불운에 대해서는 국가가 보상을해줄 것이 도덕적으로 요청된다.

드워킨의 기본적인 아이디어는 사람들이 가진비선택적인 불운을 선택적인 불운으로 전환시키는것이었다.

그것을 위해서 드워킨이 이론적으로 도입한 것이 바로“가상의 보험시장”이다.

[“가상의 보험시장”을 통한 드워킨의 평등주의 사회에대한 정당화]

• 드워킨은 롤즈가 제시한 원초적 입장에서, 사람들이,“무지의 베일”을 쓴 채, 무지의 베일이 벗겨졌을 때자신에 닥칠 지도 모르는 비선택적 불운에 대해서보험을 살 수 있는 가상의 보험시장을 가정한다.

• 예를 들어서, 내가 원초적 입장에서 무지의 베일을 쓴채, 선천적 장애인으로 태어날 경우 국가로부터 보상을받는 보험을 샀다면, 나는, 무지의 베일이 벗겨지고나서, 실제로 선천적 장애를 지니고 있을 경우, 국가로부터 보상을 받게 된다.

• 드워킨은 이러한 가상의 보험시장을 통해서 사람들은무지의 베일이 벗겨진 순간 자신이 겪을 지도 모르는비선택적 불운에 대해서 보험을 사게 될 것이라고주장하였다.

• 그 결과, 이러한 가상의 보험시장을 통해서 탄생한국가는, 부자들로부터 세금을 걷어서 가난하거나선천적인 장애를 가지고 태어난 사람들을 보상해주는“평등주의적 사회”가 될 것이라고 드워킨은주장하였다.

• 여기서우리는드워킨이평등주의적사회를‘절차주의적으로정당화’하고있다는것을주목할필요가있다. 

• 즉, 드워킨이 지향하는 평등주의적 사회가 가지는 도덕적정당성은, 무지의 베일을 쓴 사람들이 원초적인 입장에서이루어지는 가상의 보험시장에서, 현실사회에서 자신에게발생할지도 모르는 불행에 대비하기 위해, 보험을 구입할것이란 바로 그 사실로부터 나온다.

• 따라서, 드워킨이 가정하고 있는 그러한 가상의보험시장에서 합리적인 개인들이 과연 어떠한 보험을 사게되고, 그러한 개인들이 산 보험이, 무지의 베일이 벗겨진순간, 어떤 사회적 분배결과로 귀결될 지를 정확하게보이는 것은 드워킨의 이론에서 철학적으로 가장 중요한부분이다.

• 하지만, 드워킨의 논증은 가상의 보험시장의 메커니즘에대한 정확한 분석 없이, 단지 그러한 가상의 보험시장을통해서는 평등주의적 사회가 도출될 것 같다는 직관적인믿음에만 의존하고 있다.

• 존로머는 이러한 드워킨의 가상의 보험시장의메커니즘을 게임이론을 통해서 수학적으로 정확하게모형화하였다.

• 이어서, 존로머는 이렇게 모형화된 드워킨의 가상의보험시장을 통해서는, 무지의 베일이 벗겨진 후에, 실제사회에서 가난하거나 장애가 있는 사람들로부터세금을 걷어서 부자들에게 나누어주는 매우 왜곡된분배결과가 나온다는 것을 수학적으로 증명하였다.

보험시장의 메커니즘을 엄 하게 분석을 해 본 결과, 드워킨이 제시한 가상의 보험시장은, 드워킨이 생각한것처럼, 평등주의적 사회를 정당화해주기는 커녕, 오히려 극심한 불평등을 정당화해주는 결과를 초래한것이다.

• 나는 이 사례가 왜 윤리학-정치철학자들이 게임이론을비롯한 경제이론 및 기타 다른 사회과학적 방법론을적극적으로 배워야 하는 지를 보여주는 사례라고생각한다.

• 철학자들은 그 누구보다도 여러 규범적 개념들을분석하고, 우리의 상식적인 직관들을 기발한사고실험을 통해서 시험하는 데 능통하다.

• 이러한 점은 논의의 기본적인 가정들이나 전제들을근본적으로 재검토하는 것에 상대적으로 약한경제학자들이나 기타 사회과학자들이 배워야 할부분이다.

• 하지만, 이 세상에 있는 많은 유의미한 철학적 주제들중에는 그러한 개념분석과 직관에 호소하는사고실험만으로 제대로 해결되기 힘든 주제들이 많이있다.

• 그 중에서 하나가 분배적 정의의 문제라고 나는생각한다.

• 나는 기본적으로 철학자들이 다른 자연과학 혹은사회과학 분야에서 개발되고 발전된 다양한 방법론을적극적으로 배우고 수용하는 것이, 철학을 하는데 매우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

• 게임이론은, 어떤 목적을 위해서든, 전략적 상황을엄 하게 분석할 수 있게 해주는 현존하는 가장 발전된방법론적 도구이다.

• 나는 기본적으로 방법론적 도구들은 많이 알면 많이 알수록 좋다고 생각한다.

• 만약 어떤 목수가 공구함에 망치 하나만을 가지고 다닐경우, 그 목수가 할 수 있는 작업은 매우 한정될 것이다.

• 하지만, 그 목수가 공구함에 망치 뿐만 아니라, 10자드라이버, 1자 드라이버, 뺀치, 알랜렌치, 톱, 등등을구비하고 다닐 경우, 그 목수는 훨씬 더 다양한 작업을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 마찬가지로, 철학자들도 다른 자연과학이나사회과학의 방법론들을 적극적으로 배우게 되면, 보다많은 철학적인 문제들을 그전보다도 잘 해결할 수 있는능력을 구비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4. 맺으며:

도시문제 해결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게임이론

• 현대 사회에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많은 도시문제들이발생함 (예: 교통체증, 환경오염, 빈부격차, 범죄율증가 등)

• 우리는 이러한 도시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그러한문제들을 발생시킨 근본적인 구조적 혹은 제도적인원인을 찾아내고, 그러한 구조적 혹은 제도적인환경들이 개인들의 인센티브 구조에 어떠한 영향을미치는 지를 분석할 필요가 있음

• 이어서, 우리는 그러한 도시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정책들을 찾아내고 실시해야 되는데, 우리는 어떤정책을 실현하기에 앞서, 그러한 정책을 실현하는것이 어떤 결과를 가져오게 될 지를 합리적으로예측할 필요가 있음

게임이론은 이처럼 여러 도시문제들이 발생하는근본적인 원인을 분석하고, 그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위해 제시된 여러 정책들이, 과연 우리가 바라는사회적 결과를 가져오게 될 지를 분석할 수 있는엄 한 방법론적인 도구들을 제공함

도시문제에 대한 정확한 원인분석과 그러한도시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제시된 사회정책의정확한 결과 예측은 그러한 사회정책에 대한 사회적합의를 도출하는 데 많은 도움을 줄 수가 있음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