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at determines the performance improvement of manufacturing SMEs in Incheon City: based on surveys...

83
2015년 기획연구과제 인천지역 우수기업 특성분석 -제조업분야 중소기업의 기업경영전략 및 인재정책을 중심으로 정남지

Transcript of What determines the performance improvement of manufacturing SMEs in Incheon City: based on surveys...

≫ 2015년 기획연구과제

인천지역 우수기업 특성분석-제조업분야 중소기업의 기업경영전략 및

인재정책을 중심으로

정남지

연구진

연구책임 정남지 지역경제연구실 연구위원

※ 본 연구결과는 연구진의 견해로서 인천광역시의 정책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인천지역 우수기업 특성 분석-제조업분야 중소기업의 기업경영전략 및 인재정책을 중심으로 ❚ i

연구 요약

Ⅰ. 연구개요

q 인천 제조업의 현황: 점차적 경쟁력 상실

m 한국은행 인천본부에서 매년 발행하는 『인천지역 기업경영분석』에 의하면 인천시 제조업은 매출액 증가율, 총자산 증가율 및 유형자산증가율 모두 전년에 비해 축소했음.

m 전국적으로 이러한 지표들이 상승하고 있음을 고려할 때, 인천 제조업들의 성장성은 취약해 지고 있는 것으로 보임.

q 불황을 딛고 성장하는 기업들을 찾아서: 인천시 핵심우수기업 특성파악

m 인천 제조업이 전반적으로 위축되고 있는 가운데서도 안정적으로 성과향상을 거듭하는 기업들이 존재할 것임.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기업들이 바로 인천지역 산업 및 경제 성장의 원동력이라 할 수 있음.

m 이러한 기업들은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을까? - 이 질문은 특히 제조업분야 중소기업에 큰 시사점을 지님.- 대기업들은 충분한 자금력과 다양한 경영전략을 통해 불황의 와중에도 성장

을 지속할 수 있지만, 내부 자원이 부족한 중소기업의 경우 외부환경의 영향을 지대하게 받게 됨.

-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장을 지속하는 중소기업들이 바로 인천시 산업발전의 원동력이라 할 수 있음.

m 본 연구는 인천시 제조업분야 중소기업들 중 지속적으로 성장을 거듭하는 기업들을 찾아서 그 특성들을 파악하고자 함.

m 특히 기업의 내부역량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경영전략과 인재정책을 중심으로 실태조사 실시

- 같은 외부적 조건에서도 지속적인 성장을 거듭한다는 것은 바로 기업의 내

ii ❚인천지역 우수기업 특성 분석-제조업분야 중소기업의 기업경영전략 및 인재정책을 중심으로

부역량이 뛰어나다는 의미임.- 기업의 내부역량은 외부로 부터의 새로운 정보, 지식 등의 가치를 인식하

고, 동질화 시키고, 상품의 상용화 단계에 적용시킬 수 있는 기업내부에 존재하는 역량(Cohen & Levinthal, 1990)

- 기업역량 향상을 통해 경쟁력을 재고하는 경영목표를 지닌 기업들은 비용(재료비, 인건비 등) 절감을 통해 성장 없이 수익률을 높이는 기업들과 경영방식에서 큰 차이가 나타남.

- 이런 기업들은 연구개발, 내부인재양성, 우수인재 보유, 종업원들의 사기진작을 통한 성과향상을 추구하는 경영기법을 활용하는 것으로 알려짐.

q 인천시 제조업분야 중소기업의 핵심우수기업의 특성파악이 중요한 이유

m 인천시의 중소기업 정책은 기업하기 좋은 환경 조성, 규제완화 등 기업 활동을 위한 외적 환경개선과 기업의 비용(시설비와 운전자금) 절감을 위한 금전적 지원 등 크게 두 방향에 집중되어 있음.

m 정보화·지식산업 시대의 도래와 함께 기업의 성장(또는 성과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은 기업 내부의 역량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정부의 기업지원정책도 달라질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임.

- 기업내부의 경쟁력 특히 인재가 기업의 성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은 제조업분야에서도 마찬가지(The surprising economics of a “people business” Harvard Business Review, June 2005)

m 그러나 인천시 제조업분야 우수중소기업의 성장과 발달에 중요한 내적 요인들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아직 체계적으로 연구된 바가 없으므로 본 연구에서 진행하는 조사를 통해 그 기초적인 자료를 구축하고자 함1).

1) 1980년대 폭스바겐사는 같은 엔진과 부품을 사용하고, 같은 매뉴얼에 의해 제작된 자동차라도 독일과 미국에서 조립된 제품 간에는 불량률과 내구성에서 큰 차이가 나는 이유를 찾아본 결과, 이는 독일 자동차 회사와 미국 지사 간에 공장 노동자들의 교육 수준, 공장에서 실시하는 직무교육의 질, 노동자들에 대한 대우 등에서 나타나는 차이가 노동자의 숙련도와 작업에 대한 충성도로 연결되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남. 이 사례는 두 가지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함: 1)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같은 기술과 공정 조건에서도 인력의 질(인재)에 따라 다른 성과가 나타나다는 점을 명확히 보여줌. 즉 제조업의 경우에도 같은 기술적 조건일 때 기업의 성과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인재라는 점, 2) 같은 제조업 부야라도 인재의 질은 지역의 노동시장의 질적인 차이에서 기인할 뿐 아니라, 기업체의 인재정책(직무교육, 성과에 대한 공정한 평가 등)의 영향도 지배적이라는 점

인천지역 우수기업 특성 분석-제조업분야 중소기업의 기업경영전략 및 인재정책을 중심으로 ❚ iii

m 지역에 기반을 둔 기업들이 공유하는 기업의 경영전략과 인재정책을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것은 보다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기업지원정책 수립을 위한 첫걸음으로 매우 중요함.

q 연구 방법

m 문헌조사 - 제조업분야 중소기업 성과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기업전략 및 인재정책 관련

문헌 고찰m 설문조사

- 설문조사 대상: 인천시 제조업분야 중소기업 중 우수기업으로 선정된 기업들2)

- 우수기업으로 선정된 기업들을 중심으로 조사할 경우, 인천 제조업 전반적으로 취약해 지고 있는 와중에도 지속적인 성장률을 보이는 기업들, 즉 상대적 비교우위에 있는 기업들을 대상으로 기업의 성과향상에 중요하게 작용하는 요인들을 찾아낼 수 있게 됨.

m 우수기업의 추출 및 특성 분석- 설문을 통해 수집한 2012년~2014년까지 4년 동안 매출액 증감율을 전국

제조업 매출액 성장률의 평균 9.61%와 비교하여 성장률이 우수한 기업으로 분류 가능함.

- 설문에 응답한 51개 기업들은 마이너스성장 기업, 저성장 기업(9.61%미만 성장기업), 핵심우수 기업(9.61% 이상 성장기업) 등 세 개의 그룹으로 구분

- 세 그룹의 기업들을 기업 속성, 경영전략, 인재전략의 항목별로 평균 비교를 통해 차별화되는 특성분석

q 조사의 설계

m 설문지 설계- 문헌조사를 통해 제조업분야 중소기업의 성장에 중요한 내부 역량과 관련된

요인들을 파악하여 설문에 반영- 관련 문헌에 의하면, CEO의 성향, 매출액 대 R&D 투자 비중, 일자리의 안

2) 중소기업의 기준은 상황에 따라 조금씩 달라질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종사자 수 500명 이하인 기업으로 설정함.

iv ❚인천지역 우수기업 특성 분석-제조업분야 중소기업의 기업경영전략 및 인재정책을 중심으로

정성, 성과에 따른 임금지급, 교육 훈련 여부 등이 제조업분야 중소기업의 성과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 있음.

- 따라서 설문의 주요항목들은 1) 기업체 관련 기본 사항, 2) CEO 특성, 3) 경영전략, 4) 인재정책 등으로 구성됨.

- 기업체 기본 사항에는 기업체의 성장성, 안정성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매출액 변화, 지출항목별 비중, 자산구성요소별 비중 등 포함

- CEO 특성은 CEO의 성별, 연령, 교육수준 등 포함- 경영전략에는 기업 내부역량 상승을 위한 기업의 경영상 노력을 측정할 수

있는 매출액 대시 연구투자개발비 비중, 신기술(기계) 도입비 비중, 타 업체 및 기관과 네트워킹 현황, 기술개발의 방식, 생산자 서비스 활용 정도 등 포함

- 인재정책에는 기업의 인재채용에 대한 태도를 알 수 있는 정규직 및 비정규직 비중, 업무분장별 종사자들의 구성비, 종사자들의 교육수준, 종사자들의 급여의 수준, 종사자들의 평균 종사연수,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훈련실시 여부 등 포함

m 샘플 추출- 본 연구는 기획과제로 수행하기 때문에 수반되는 연구기간과 연구비의 한계

상 인천의 제조업 기업 전체 모집단의 특성을 반영한 샘플을 추출하고 조사하기 어려우므로 판단추출방법3)을 활용함.

- 따라서 표본 프레임으로 인천시에서 선정한 비전기업 1200여개와 인천경영자 총연합회 소속 400여개 기업 대상으로 설정

- 표본 프레임 내 할당 추출법 적용으로 표본 추출하였으므로, 할당기준은 인천시 제조업분야 기업들의 종사자수기준 규모4).

3) 판단추출방법은 연구자가 모집단에 대한 사전 지식이 있는 경우, 이를 이용하여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 인천시 ‘우수기업’에 대한 표본 프레임 작성을 위해 연구자가 직접 우수기업의 기준을 설정하고 그에 맞추어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도 있겠으나, 본 연구의 기간 및 연구비의 한계 상 모든 과정을 수행하기는 어려우므로, 인천시에서 정한 기준에 의해 우수기업으로 선정된 기업들이 밀집된 비전기업협회 회원사 1200여개와 인천경영자 총연합회 소속 400여개 기업들을 표본 프레임으로 규정하고, 이들 중 일부를 표본 추출하여 조사를 실시함.

4) 현재 샘플은 100명 이상 300명 미만 기업들이 30%로 인천시 제조업 구성보다 조금 더 많이 선정됨.

인천지역 우수기업 특성 분석-제조업분야 중소기업의 기업경영전략 및 인재정책을 중심으로 ❚ v

m 설문조사 방법과 절차- Pilot Survey 후 설문확정- 본 설문조사는 5월부터 6월 중순까지 진행- 설문의 진행은 비전기업협회와 인천경영자총연합회 회원사를 중심으로 진행- 설문은 협회 사무처를 통해 회원사에게 이메일 형태로 전달- 완성된 설문은 이메일로 회수(총 51부 회수)- 회수 된 설문 중 빠진 문항이나 앞뒤 답변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전화통화

로 검수하여 답변의 충실도와 신뢰도를 높임(51부 중 45부 전화검수).

(2월) 문헌 검토 및 연구 질문 확정▼

(3월) 우수기업의 경영·인재관리 전략 요인추출▼

(4월) 설문지 작성▼

(5월)인천시·협회와 자문회의를 통한 협력체제

구축 및 Pilot Survey▼

(5~6월) 설문 진행 ⤵협회로 설문 전달

▼협회에서 회원사들에게

설문 이메일로 전달▼

이메일로 설문회수(6월15일~6월26일) 회수 설문에 대한 전화 검수 ⤶

▼(6월22일~6월26일) 설문응답 코딩

▼(6월26일~6월28일) 설문응답 분석

(6월28일~6월30일)매출액 성장 지표 비교를 통한

핵심우수기업 그룹의 선정 및 특성 분석▼

(6월28일~6월30일) 보고서 작성

<그림1 연구 흐름도>

vi ❚인천지역 우수기업 특성 분석-제조업분야 중소기업의 기업경영전략 및 인재정책을 중심으로

II. 인천시 제조업분야 핵심우수중소기업의 특성

q 기업체 속성

m 핵심우수기업의 연령은 마이너스성장 기업 24.75년, 저성장기업 30.94년 보다 월등히 낮은 16.37년으로 신생기업이나 업력이 아주 긴 기업들이 아닌 중견기업들로 나타남.

m 전체 종사자의 수는 평균 64.63명으로 마이너스성장 기업의 74.63명, 저성장 기업의 106.61명 보다 작음. 즉 종사자 수로 본 기업체의 규모도 상대적으로 작은 편

m 이 기업들은 자본금의 규모는 타 기업들 보다 작음(마이너스성장 기업의 1/11, 저성장 기업의 1/7.5 정도 수준).

q 경영전략 특성

m 타 그룹에 비해 업력이 짧고, 자기 자본율이 낮음에도 시설투자 비중은 다른 그룹들 보다 월등히 높음(마이너스 성장기업 2.25%, 저성장 기업7.44% vs. 핵심우수 기업 10.12%).

m 시설 및 설비 투자는 기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m 전체 지출에서 외주용역 발주가 차지하는 지출이 평균 13.88%로 마이너스

성장기업 10%, 저성장 기업 11.11% 보다 높게 나타나 주변기업의 매출에 기여하는 바가 조금 더 높은 것으로 추정

m 일정한 공정 부분에서 비교우위에 있는 외부기업을 활용하는 것은 전반적인 제품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함.

q 인재정책 특성

m 상시 기술개발직과 비중이 다른 두 그룹보다 월등히 높음(마이너스성장 기업 6.5%, 저성장 기업 17.4% vs. 핵심우수 기업 22.4%).

m 대학원 졸업자 평균도 다른 그룹보다 높음(마이너스성장 기업 2%, 저성장 기업 0.9% vs. 핵심우수 기업3.87%).

m 초급, 중급 급여 모두 마이너스 성장 기업보다 월등히 높음. 이는 핵심우수기업의 매출액 대비 인건비의 지중이 다른 그룹보다 높게 나타나는 점에도 반영됨.

인천지역 우수기업 특성 분석-제조업분야 중소기업의 기업경영전략 및 인재정책을 중심으로 ❚ vii

m 또한 직원교육을 위한 지출 역시 0.82%로 다른 그룹의 0.38%, 0.44%를 상회함.m 그룹별 기업체 업력을 고려한 종사자들의 평균 근속연수 또한 길게 나타남.m 신규 상시 종사자채용 비중(전체 상시종사자 주 중 신규 상시종사자 수의 비

중) 경우에도 핵심성장기업들은 평균 20.74%로 마이너스성장 기업의 12.78%, 저성장 기업의 20%를 상회하여 일자리 창출 기여도가 더 높게 나타남.

q 인천 제조업분야 핵심우수기업 특성의 정리

m 회수된 설문의 수가 작아 쉽게 일반화 할 수는 없지만, 본 설문조사결과 분석을 통해 추출된 핵심우수기업의 특성상 다음과 같은 결론을 조심스럽게 도출할 수 있음.

m 작지만 젊고 강한 기업- 인천 제조업 중소기업 중 지속적으로 전국평균을 상회하는 성장성을 보이는

기업은 비교적 규모가 작고 업력이 20년을 넘지 않는 젊은 기업m 비용절감 보다는 기술 및 인력 투자를 통해 기업역량 상승

- 이 기업들은 자본금 규모는 다른 그룹들 보다 작지만 시설투자, 연구개발에 적극적이고, 띠라서 연구개발 인력 비중도 높음.

- 특히 연구개발을 이끌어갈 고학력자(대학원 졸업자)의 비중이 월등히 높음.- 인재개발을 위한 교육 훈련 등에 대한 투자비중도 다른 그룹에 비해 높은 편

m 타 기업들 보다 더 높은 지역의 경제활동 기여도- 이 기업들은 외부로 전체 지출에서 외주비용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고 외주

건수도 타 기업들에 비해 많아 타 기업의 매출상승에 기여하므로 기역경제활동 기여도가 높은 것으로 추측됨.

m 타 기업들 보다 많은 일자리 창출- 핵심우수기업들은 타 기업에 비해 상시 신규일자리 창출 기여도가 높은 것

으로 분석됨.m 인천 제조업분야 핵심우수기업들은 기술투자 및 고급인력 확충, 인재개발 및

인재우대 등의 경영전략을 더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는 측면에서 타기업들과 차별화됨.

m 또한 적극적인 외주, 상시 종사자의 채용 면에서도 지역 경제에 기여하는 바가 타 기업들 보다 크다고 하겠음.

viii ❚인천지역 우수기업 특성 분석-제조업분야 중소기업의 기업경영전략 및 인재정책을 중심으로

q 핵심우수기업 특성의 시사점

m 흔히 연구개발 및 시설 투자에 적극적이고 우수한 인재를 우대해 주면서 매출성장·혁신에 뛰어난 기업의 경우, 기업의 규모가 크기 때문에 혹은 뛰어난 매출액 성장으로 여유자금이 충분하기 때문에 종사자의 복지나 기술개발 등에 투자할 여유가 있는 것이라고 해석함.

m 본 연구에서 진행한 조사결과 추출된 핵심우수기업들을 타 그룹과 비교해 보면 자본의 크기, 기업체의 규모가 연구개발, 시설투자 중심 경영전략과 인재우대정책을 반드시 결정하게 되는 것은 아닐 수도 있다는 점을 시사함.

m 주장하는 하는 바와 같이 제조업분야 중소기업 성과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문헌에서 연구개발, 시설투자 중심의 경영전략과 인재우대 정책을 도입했기 때문에 지속적인 성과향상이 가능했을 것이라는 반대의 가정을 해 볼 수 있는 여지를 남김.

m 그러나 앞서 언급한 대로 어떤 요인이 인천지역 제조업분야 중소기업의 성과향상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지 보다 명확한 인과관계 파악을 위해서는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기에 충분한 수의 표본이 필요하며, 분석 시 제조업 내 세분화된 업종 간 차이 또한 고려되어야 할 것임.

q 연구결과의 활용성(활용처)

m 본 연구를 통해 파악된 인천시 제조업분야 우수중소기업의 특성은 다음과 같은 분야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임.

- 인천시 기업들의 변화에 대한 보다 세부적인 이해(어떤 특성을 지닌 기업들이 성자하고 쇠퇴하고 있는가?)를 도울 수 있음.

- 인천지역 제조업의 성장성, 안정성 등에 대한 평균적인 수치는 알 수 있으나 어떤 기업들이 조금 더 나은 성과를 보이고 어떤 기업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지 자세히 파악하기 어려움.

- 본 연구에서 조사를 통해 수집한 자료는 인천시 제조업의 현황에 대해 보다 자세한 정보를 제공함.

m 지역 맞춤형 경제개발정책을 수립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로서의 역할- 같은 내용의 설문을 주기적으로 실시함으로써 인천시 제조업분야 우수기업

에 대한 정보 축적가능

인천지역 우수기업 특성 분석-제조업분야 중소기업의 기업경영전략 및 인재정책을 중심으로 ❚ ix

- 지역경제개발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은 더욱 커지고 있으나, 선도적인 산업정책, 일자리 창출 정책 등 경제개발 정책을 수립할 수 있는 지역단위의 양질의 데이터가 턱없이 부족한 상황

m 지방자치단체에서 필요한 데이터 구축 방법에 대한 제안- 본 연구는 설문조사라는 큰 비용이 들지 않는 방법을 통해 지방자치단체의

조건에 부합하고 독창적인 데이터를 구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음.m 현재는 표본 수가 적다는 한계점이 있으나, 표본 수가 충분히 확보된다면 핵

심우수 기업 분석결과는 바탕으로 인천시 제조업분야 중소기업의 경영개선도 도움이 되는 경영전략 및 인재정책 선정 가능

q 연구의 한계점

m 조사비, 조사인력, 조사시간이 부족한 상황에서 기업체 경영·인재전략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다보니 인천시와 협회 등의 협조를 받아 설문을 진행하게 되었고, 따라서 설문조사 진행과정 자체에 대해 연구자가 통제할 수 있는 여지가 충분하지 않았음.

m 특히 설문의 특성상 기업체의 매출액 등 민감한 질문, 업무분장별 인력구성과 근속연수 등 빠른 시간 안에 답하기 어려운 질문들이 포함된 설문을 이메일로 배포하고 수거하면서 처음에 목표로 했던 부수만큼 회수가 어려웠음 (200부 목표, 51부 실현).

m 주어진 6개월의 연구기간 동안 전체적인 연구 틀과 설문지를 설계하고 설문조사를 실시했지만, 조사비, 조사인력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에서 충분한 응답수를 확보하기 어려웠음.

m 그 결과 회수된 51부의 응답을 3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비교 시 유효 응답수가 20미만이어서 분석결과의 일반화가 어렵다는 통계상 결정적 한계점이 있음.

q 향후 과제

m 분석결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추가 설문 진행이 반드시 필요함.m 충분한 응답이 확보될 경우, 핵심우수기업의 성과향상과 경영전략/인재정책

간의 통계적 분석을 통해 인과관계를 파악할 수 있을 것임.m 조사 대상 기업들 중 성과향상(성장성) 지표상 우수한 기업들을 전국 제조

x ❚인천지역 우수기업 특성 분석-제조업분야 중소기업의 기업경영전략 및 인재정책을 중심으로

업, 인천시 제조업 전체의 성과향상과 비교 가능하도록 지표 개발m 전국 제조업, 인천시 제조업 보다 경쟁력 있는 기업들의 경영전략 및 인재정

책 분석 m 우수기업의 경영전략 및 인재정책과 성과향상 간 인과관계 분석m 정책적 함의 도출

인천지역 우수기업 특성 분석-제조업분야 중소기업의 기업경영전략 및 인재정책을 중심으로 ❚ xi

차례

Ⅰ.연구의 개요 ··································································································· 1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 12. 연구 목적 및 방법 ······························································································ 53. 연구내용 ················································································································ 6

Ⅱ. 기업의 내부역량과 성과 향상, 그리고 지역경제의 성장 ·················· 71. 지역경제개발 패러다임과 기업에 대한 접근의 변화 ·································· 72. 기업내부역량(Internal capacity or absorptive capacity)관련 선생연구 고찰10

Ⅲ. 인천시 우수기업 경영전략 및 인재정책 연구 및 설문조사 방법 141. 인천시 우수기업의 경영전략 및 인재정책 조사 방법 ······························ 14

Ⅳ. 인천시 우수기업 경영전략 및 인제정책 조사 결과 ························· 191. 조사대상 제조업분야 중소기업의 일반적 특성 ·········································· 192. CEO 특성 ············································································································ 223. 기업경영전략 ······································································································ 234. 인력 고용ㆍ고용현황 및 인재정책 ······························································ 335. 조사결과 요약 ···································································································· 38

Ⅴ. 핵심우수기업의 추출과 특성분석 ························································· 411. 핵심우수기업의 추출 ························································································ 412. 연구의 한계점 ···································································································· 493. 향후과제 ·············································································································· 49

참고문헌 ············································································································ 50부록1 ·················································································································· 52부록2<설문지> ······························································································· 59

xii ❚인천지역 우수기업 특성 분석-제조업분야 중소기업의 기업경영전략 및 인재정책을 중심으로

표차례

<표 1> 인천지역 제조업 기업경영 주요지표(전국과 인천 비교) ·················· 2<표 2> 인천시 제조업, 비전기업협회, 경총, 설문조사대상 기업체 규모별 분포 비교 15<표 3> 제조업 기업체의 경영전략·인재정책 조사영역 및 조사항목 ······ 16<표 4> 응답 기업체 연령분포 ·········································································· 19<표 5> 응답기업체 자본금규모 분포 (2014년 말 기준) ···························· 19<표 6> 각 연도별 매출액 변화 비교 2010~2014 ········································ 21<표 7> 항목별 평균 지출 비중 ·········································································· 21<표 8> 자금 원천별 비중 ···················································································· 21<표 9> CEO의 학력 ··························································································· 22<표 10> 이전경력 ······························································································· 22<표 11> 응답기업들 중 용역수주 또는 외부발주가 없는 기업들의 분포 30<표 12> 중앙·지자체 정책자금 활용현황 ·························································· 31<표 13> 주력산업분야 상시종사자 평균 근속연수 ······································· 36<표 14> 주력산업분야 상시종사자의 평균 근속연수의 타 기업과 비교 · 36<표 15> 성과향상 정도에 따른 응답기업체 그룹화 ······································· 42<표 16> 연평균 매출액 증가율(성장성)에 따른 그룹간 비교 ····················· 43

<부록표 1> 조직형태 ·························································································· 52<부록표 2> 창업방식 ······························································································ 52<부록표 3> 벤처기업 인증여부 ············································································ 52<부록표 4> 상장여부 ···························································································· 52<부록표 5> CEO성별 ····························································································· 52<부록표 7> CEO의 기업체 설립여부 ································································· 53<부록표 8> CEO의 학력 ····················································································· 53<부록표 9> 전공과 주력산업분야 동일한지 여부 ············································ 53<부록표 10> 대표자의 주력산업분야 종사연수 ··············································· 53<부록표 11> 연구개발활동의 정도 ····································································· 53

인천지역 우수기업 특성 분석-제조업분야 중소기업의 기업경영전략 및 인재정책을 중심으로 ❚ xiii

<부록표 12>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 ····················································· 53<부록표 13> 기술개발 방식 ················································································· 54<부록표 14> 주력산업관련 특허, 인증, 수상경력 현황 ······························· 54<부록표 15> 신기술 투자활동 ············································································· 54<부록표 16> 매출액 대비 신기술투자 비중 ····················································· 54<부록표 17> 제휴활동 ··························································································· 55<부록표 18> 제휴활동의 목적별 분포 ······························································· 55<부록표 19> 제휴활동의 지역별 분포 ······························································· 55<부록표 20> 기업들의 거래처 현황 ··································································· 55<부록표 21> 정책자금을 통해 지원받는 횟수 ················································· 56<부록표 22> 지원받는 정책자금의 총액 ··························································· 56<부록표 23> 종사자의 초급, 중급, 고급 구분 기준 ······································· 56<부록표 24> 외국인 인력수 ················································································· 56<부록표 25> 외국인 국적(다중응답분석 이용) ··············································· 56<부록표 26> 외국인 인력 주요업무 ··································································· 57<부록표 27> 임직원 교육·훈련 현황 ·································································· 57<부록표 28> 교육기관의 지역적 분포(다중응답분석) ··································· 57<부록표 29> 소재지 외 기관에서 교육시키는 이유(다중응답분석) ··········· 57<부록표 30> 주력분야 제품·서비스의 가격경쟁 상황 ·································· 57<부록표 31> 주력분야 제품·서비스의 비가격경쟁 상황 ································ 57<부록표 32> 기업체 주력상품‧서비스의 주요 경쟁요소 ································· 58<부록표 33> 주요 경쟁업체의 유형별 분포 ····················································· 58<부록표 34> 주요 경쟁업체 소재지역 ······························································· 58<부록표 35> 본사 설립 입지 요인 ····································································· 58<부록표 36> 애로요인 ··························································································· 58

xiv ❚인천지역 우수기업 특성 분석-제조업분야 중소기업의 기업경영전략 및 인재정책을 중심으로

그림차례

<그림 1> 연구 흐름도 ·························································································· 18<그림 2> 연구개발활동의 적극성 ········································································ 23<그림 3>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 투자비중 ···················································· 24<그림 4> 기술개발방식 ·························································································· 24<그림 5> 주력산업관련 특허, 인증, 수상경력 현황 ······································· 25<그림 6> 신기술 투자활동 ···················································································· 26<그림 7> 매출액 대비 신기술투자 비중 ···························································· 26<그림 8> 타기업과의 제휴활동 ············································································ 27<그림 9> 제휴활동의 목적별 분포 ······································································ 27<그림 10> 제휴활동의 지역별 분포 ··································································· 27<그림 11> 주력분야 관련 주요정보 취득원 ····················································· 28<그림 12> 주로 활용하는 기업지원 서비스분야(1~5위) ··························· 29<그림 13> 가장 필요로하는 기업지원 서비스(1~5위) ······························· 29<그림 14> 필요로 하는 기업지원 서비스의 제공지역 ································· 29<그림 15> 기업들의 거래처 현황 ······································································· 30<그림 16> 정책자금을 통해 지원받는 횟수 ··················································· 32<그림 17> 지원받는 정책자금의 총액 ····························································· 32<그림 18> 응답기업 고용형태별 인력의 분포 ··············································· 33<그림 19> 상시종사자들의 업무분장별 구성 ··············································· 34<그림 20> 임시종사자들의 업무분장별 구성 ················································· 34<그림 21> 상시종사자들의 학력분포 ····························································· 34<그림 22> 연도별 평균 신규채용 수(2012~2014) ······································· 35<그림 23> 연도별 평균 근로계약해지 건수(2012~2014) ··························· 36<그림 24> 임직원 교육·훈련 현황 ···································································· 37<그림 25> 해당교육기관의 지역 ········································································· 37<그림 26> 소재지 외 기관에서 시키는 이유 ··················································· 37

Ⅰ. 연구 개요 ❚ 1

I 연구 개요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연구 배경

q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기업과 지역경제의 발전

m 기업은 지역경제발전의 중요한 견인차 중의 하나이지만, 모든 기업이 지역경제발전에 기여하는 것은 아님.

m 그렇다면 어떤 기업들이 지역의 경제발전에 기여할까? 바로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기업, 지속적으로 성과향상이 가능한 기업들임.

- 기업의 성과향상을 측정하는 기준은 대상에 따라 목적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예: 기술혁신, 매출액 증가, 신제품 개발 등). 본 연구에서는 성과향상을 매출액 증가로 한정지어 접근함.

- 성장 없이 비용(시설비, 재료비, 인건비 등) 절감을 통해 이익률만 높이는 기업들은 일자리 창출, 지역의 소득증가, 연관 산업의 발전 등에 기여하는 바가 매우 낮음.

m 따라서 공공의 입장에서 볼 때, 지역의 안정적인 경제개발을 위해서는 새로운 기업의 유치도 중요하지만, 기존 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데 필요한 지원을 해 주는 것도 못지않게 중요함5)

q 인천 제조업의 현황: 점차적 경쟁력 상실

m 제조업이 인천의 산업구조에서 차지하는 위치가 점점 축소되고 있기는 하지

5) 그러나 시민의 세금으로 민간기업에 대한 지원을 어떤 방식으로 얼마나 해 주어야 할지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을 것임.

2 ❚인천지역 우수기업 특성 분석-제조업분야 중소기업의 기업경영전략 및 인재정책을 중심으로

만, 여전히 중요하게 인천시 산업기반의 한 축을 이루고 있음.m 한국은행 인천본부에서 매년 발행하는 『인천지역 기업경영분석』에 의하면

인천시 제조업은 매출액 증가율, 총자산 증가율 및 유형자산증가율 모두 전년에 비해 축소했음. 전국적으로 이러한 지표들이 상승하고 있음을 고려할 때, 인천 제조업들의 성장성은 취약해 지고 있는 것으로 보임.

구분 전국 인천2012(A) 2013(B) B-A 2012(A) 2013(B) B-A

성장성매출액 증가율 4.2 0.5 -3.7 2.3 -9.3 -11.6총자산증가율 4.6 5.6 1.0 6.0 4.4 -1.6유형자산증가율 6.4 4.8 -1.6 10.3 8.7 -1.6

수익성매출액 영업이익률 5.1 5.3 0.2 3.6 4.9 1.3매출액세전순이익률 5.2 4.7 -0.5 3.2 4.0 0.8이자보상비율 455.4 513.6 58.2 226.6 313.0 86.4

안정성부채비율 101.0 92.9 -8.1 160.8 153.9 -6.9차입금의존도 25.6 24.5 -1.1 36.7 38.2 1.5자기자본비율 49.7 51.8 2.1 38.4 39.4 1.0

자료 : 한국은행 인천지부(2014).

<표 1> 인천지역 제조업 기업경영 주요지표(전국과 인천 비교)(단위: %, %p)

q 불황을 딛고 성장하는 기업들을 찾아서

m 인천 제조업이 전반적으로 위축되고 있는 가운데서도 안정적으로 성과향상을 거듭하는 기업들이 존재할 것임.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기업들이 바로 인천지역 산업 및 경제 성장의 원동력이라 할 수 있음.

m 이러한 기업들은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을까? - 이 질문은 특히 제조업분야 중소기업에 큰 시사점을 지님.- 대기업들은 충분한 자금력과 다양한 경영전략을 통해 불황의 와중에도 성장

을 지속할 수 있지만, 내부 자원이 부족한 중소기업의 경우 외부환경의 영향을 지대하게 받게 됨.

-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장을 지속하는 중소기업들이 바로 인천시 산업발전의 원동력이라 할 수 있음.

m 본 연구는 인천시 제조업분야 중소기업들 중 지속적으로 성장을 거듭하는 기업들을 찾아서 그 특성들을 파악하고자 함.

Ⅰ. 연구 개요 ❚ 3

m 특히 기업의 내부역량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경영전략과 인재정책을 중심으로 실태조사 실시

- 같은 외부적 조건에서도 지속적인 성장을 거듭한다는 것은 바로 기업의 내부역량이 뛰어나다는 의미임.

- 기업의 내부역량은 외부로 부터의 새로운 정보, 지식 등의 가치를 인식하고, 동질화 시키고, 상품의 상용화 단계에 적용시킬 수 있는 기업내부에 존재하는 역량(Cohen & Levinthal, 1990)

- 기업역량 향상을 통해 경쟁력을 재고하는 경영목표를 지닌 기업들은 비용(재료비, 인건비 등) 절감을 통해 성장 없이 수익률을 높이는 기업들과 경영방식에서 큰 차이가 나타남.

- 이런 기업들은 연구개발, 내부인재양성, 우수인재 보유, 종업원들의 사기진작을 통한 성과향상 등의 경영기법을 활용하는 것으로 알려짐.

2) 연구의 필요성

q 정보화・지식 산업시대 제조업 기업의 역량을 결정하는 요인은 지식과 인재

m 인천시의 중소기업 정책은 기업하기 좋은 환경 조성, 규제완화 등 기업 활동을 위한 외적 환경개선과 기업의 비용(공장부지, 공장건물, 기계설비 등의 자본투자비와 운전자금) 절감을 위한 금전적 지원 등 크게 두 방향에 집중되어 있음.

m 정보화·지식산업 시대의 도래와 함께 기업의 성장(또는 성과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은 기업 내부의 역량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정부의 기업지원정책도 달라질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임.

- 기업내부의 경쟁력 특히 인재가 기업의 성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은 제조업분야에서도 마찬가지(The surprising economics of a “people business” Harvard Business Review, June 2005)

- 인천시 제조업의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뿌리산업에서 조차도 기업 내부에 축적된 정보, 기업 특유의 노하우 인재정책 등이 중요하게 작용함.

4 ❚인천지역 우수기업 특성 분석-제조업분야 중소기업의 기업경영전략 및 인재정책을 중심으로

폭스바겐의 교훈

- 1980년대 폭스박겐사(社)는 같은 엔진과 부품을 사용하고, 같은 매뉴얼에 의해 제작된 자동차라도 독일과 미국에서 조립된 제품 간에는 불량률과 내구성에서 큰 차이가 나는 것을 이상하게 생각해 그 이유를 조사함.

- 결과, 이는 독일 자동차 회사와 미국 지사 간에 공장 노동자들의 교육 수준, 공장에서 실시하는 직무교육의 질, 노동자들에 대한 대우 등에서 나타나는 차이가 노동자의 숙련도와 작업에 대한 충성도로 연결되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남.

이 사례는 두 가지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해 주고 있음.

1) 같은 기술과 공정 조건에서도 인력의 질(인재)에 따라 다른 성과가 나타나다는 점을 명확히 보여줌. 즉 제조업의 경우에도 같은 기술적 조건일 때 기업의 성과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인재임.

2) 같은 제조업분야라도 인재의 질은 지역의 노동시장의 질적인 차이에서 기인할 뿐 아니라, 기업체의 인재정책(직무교육, 성과에 대한 공정한 평가 등)의 영향도 지배적임.

출처: Rutherford, Tod D. and Gertlert, Meric S. (2002). "Labour in ‘lean’ times: geography, scale and the national trajectories of workplace change." Transactions of the Institute of British Geographers. Vol. 27 Issue 2, p195. 18p

m 그러나 인천시 제조업분야 우수중소기업의 성장과 발달에 중요한 내적 요인들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아직 체계적으로 연구된 바가 없으므로 본 연구에서 진행하는 조사를 통해 그 기초적인 자료를 구축하고자 함.

m 지역에 기반을 둔 기업들이 공유하는 기업의 경영전략과 인재정책을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것은 보다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기업지원정책 수립을 위한 첫걸음으로 매우 중요함.

Ⅰ. 연구 개요 ❚ 5

2. 연구 목적 및 방법

1) 연구 목적

m 인천시 제조업분야 중소기업들 중 지속적으로 성장을 거듭하는 기업들을 찾아서 그 특성들을 파악하고자 함. 특히 기업의 내부역량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경영전략과 인재정책을 중심으로 조사하여 지속적인 기업지원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2) 연구 방법

q 문헌조사

m 제조업분야 중소기업 성과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기업전략 및 인재정책 관련 문헌 고찰

q 설문조사

m 설문조사 대상- 인천시 제조업분야 중소기업 중 우수기업으로 선정된 기업들6)

- 우수기업으로 선정된 기업들을 중심으로 조사할 경우, 인천 제조업 전반적으로 취약해 지고 있는 와중에도 지속적인 성장률을 보이는 기업들, 즉 상대적 비교우위에 있는 기업들을 대상으로 기업의 성과향상에 중요하게 작용하는 요인들을 찾아낼 수 있게 됨.

m 설문조사 내용- 제조업분야 중소기업의 성과향상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 성과향상에 영향

을 미치는 기업의 경영전략과 인재정책 관련 내용 중심으로 설계

q 우수기업의 추출 및 특성 분석

m 설문을 통해 수집한 2012년~2014년까지 4년 동안 매출액 증감율을 전국 제조업 매출액 성장률의 평균 9.61%와 비교하여 성장률이 우수한 기업으로 분류 가능함.

6) 중소기업의 기준은 상황에 따라 조금씩 달라질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종사자 수 500명 이하인 기업으로 설정함.

6 ❚인천지역 우수기업 특성 분석-제조업분야 중소기업의 기업경영전략 및 인재정책을 중심으로

m 설문에 응답한 51개 기업들은 마이너스성장 기업, 저성장 기업(9.61%미만 성장기업), 핵심우수 기업(9.61% 이상 성장기업) 등 세 개의 그룹으로 구분

m 세 그룹의 기업들을 기업 속성, 경영전략, 인재전략의 항목별로 평균 비교를 통해 차별화되는 특성분석

3. 연구내용 (설문조사내용 분석 결과)

q 조사대상 기업 전반에 대한 분석

m 인천 제조업 우수 중소기업 경영전략 및 인재정책의 특성m 기업 지원정책의 활용정도m 인천 제조업 우수 중소기업이 일자리 창출에 미치는 영향

q 조사대상 기업들의 성과향상의 편차 분석

m 연간 매출액 변화정도를 지표로 조사대상 기업들의 성장성 편차 분석m 성장성이 역성장(마이너스 성장), 저성장, 고성장 그룹으로 분리m 각 그룹별 기업 속성, CEO 특성, 주요 경영전략 및 인재정책의 특성 분석

Ⅱ. 기업내부역량과 성과향상 그리고 지역경제 성장 ❚ 7

Ⅱ 기업내부역량과 성과향상 그리고 지역경제 성장

1. 지역경제개발 패러다임과 기업에 대한 접근의 변화

1) 산업화 시대 경제개발 패러다임

q 대기업 중심, 수출주도산업 중심

m 산업화 시대에는 규모의 경제, 수출주도 산업 중심, 정부의 경제개발계획을 수행해 낼 수 있는 대기업 등을 중심으로 한 경제개발 모델이 핵심

- 한국형 개발국가(developmental state)의 전형적 경제성장 모델m 지역경제개발 역시 대기업을 중심으로 한 산업구조로 형성됨.

- 지역에 유력한 대기업을 유치함으로써 협력 및 하청관계에 있는 중소기업을 지역으로 모으고 이로 인해 다양하고 많은 일자리 창출이 가능

- 주도적 대기업을 중심으로 유관분야 중소기업이 공간적으로 집중하는 Hub-and-spoke형 지역산업구조는 대기업이 경제적 안정성을 제공하는 반면, 중소기업의 독자적 혁신을 방해할 수도 있음(Harrion, 1994; Gray and Markusen, 1996).

- 대기업 중심의 관점에서 중소기업은 경제적 비효율: 규모가 작아 자체적 기술개발과 생산이 불가능하여 경제성이 없는 조직

2) 탈산업화, 지식산업사회와 중소기업

q 산업구조, 생산양식의 변화와 중소기업의 양적 성장

m 미국, 유럽 등 후기 산업화 사회로 먼저 진입한 경우, 1970년대에 시작된 탈산업화 과정과 산업구조조정이 1990년대에 거의 완성되면서 수많은 중소기업의 출현을 경험함.

8 ❚인천지역 우수기업 특성 분석-제조업분야 중소기업의 기업경영전략 및 인재정책을 중심으로

m 컴퓨터, 텔레콤 등 IT관련 산업의 발달과 함께 중소기업의 역할 역시 변화- 중소기업이 새로운 혁신기술 개발의 65%이상 담당(Acs, 1998)- 일자리 창출의 주요 역할 담당(Acs, 1998)- 기업의 작은 규모 덕분에 빠른 의사결정 가능하고 기술 및 시장의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가능- 작은 규모 때문에 부족한 자원은 공간적 집적으로 해결 가능(Externalities

of spatial agglomeration)

q 산업단지 및 클러스터 정책의 유행

m 1990년대 Michael Porter(1990)를 중심으로 클러스터 정책 유행- 중소기업의 공간적 직접을 통한 ‘기업 내부 자원 부족’의 문제를 해결- 또한 지리적 근접성에서 기인하는 경제활동 외 사회정치적 이점을 극대화 - 예를 들어 지식 전달, 공유, 협업, 대면 접촉을 통한 신속한 업무 추진 등- 유사 산업에 종사하는 기업들이 공간적으로 집적함으로써 누릴 수 있는 집

적의 외부효과: 인프라 및 정보 공유, 노동시장 공유 등 m 중소기업의 공간적 집적을 유도함과 동시에 중소기업의 성장과 기술혁신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외적 요인’ 지원

q 중소기업 성장과 기술혁신을 위한 지원의 종류

m 네트워크- 기업 간 협력적 네트워크, 학교-기업간 네트워크 등을 통해 중요한 정보 공

유, 지식 전달, 기술개발 협력7)

- 대표적으로 산·학·연 지원금m 혁신 환경 (innovative milieu): 혁신 도시m 기업을 위한 공간 및 공동사용 설비 제공: 벤처 인큐베이터m 우리나라의 경우 벤처기업 활성화를 위해 벤처기업 설립 지원 서비스, ‘벤처

7) 이러한 네트워크는 같은 지역내 근접한 기업간 기업-대학간에 일어날 수도 있지만, 지역의 근접성이 너무 지나칠 경우 lock-in effect에 빠질 염려가 있음. 이러한 부정적인 영향을 보완하기 위해 타지역에 있는 기업과 장거리 또는 글로벌 네트워크가 중요하게 부각됨.

Ⅱ. 기업내부역량과 성과향상 그리고 지역경제 성장 ❚ 9

인증서’제도, 벤처 인증과 투자유치를 원활하게 지원하기 위한 ‘기술보증제도’ 등 기술력 있는 중소기업 지원을 위한 제도

m 또한 각 지자체 단위에서 운영하는 경영안정화 자금 및 중소기업 기원자금이 있음.

q 외적 요인중심 기업지원 접근방식의 문제점

m 같은 지역에 입지한 유사한 조건의 기업에도 성과향상 정도에 편차가 발생하는 이유를 설명할 수 없음.

- 같은 산업단지 또는 클러스터에 입지해 있으면서 유사한 업종에 종사하는 기업들 간에도 기업의 성과향상 수준에는 차이가 날 수 있음.

- 기업 외적인 요인에만 집중할 경우, “왜 같은 조건에서 기업체 A는 승승장구 하는데, 유사한 성격을 지닌 기업체 B는 그렇게 하지 못하는가?”에 대한 답을 할 수 없음.

- 즉 기업 내부에 이미 존재하는 역량을 개념적 틀로 끌로 들어오지 않으면 해결되지 않는 부분임.

m 기업 외부에 존재하는 정보, 지식, 그리고 금전적 지원 모두 기업활동과 성과를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요인이지만, 실증적 연구를 통해 외적인 요인들이 기업의 성과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입증하기가 쉽지 않음.

- 대표적인 예로 기업의 기술혁신에 미치는 R&D 지원자금, 벤처 인큐베이터, 네트워킹의 영향의 유효성은 연구마다 조금씩 다르게 나타남.

- 이는 기업외적 요인 외에 다른 요인들이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다는 반증이기도 함.

10 ❚인천지역 우수기업 특성 분석-제조업분야 중소기업의 기업경영전략 및 인재정책을 중심으로

2. 기업 내부역량(internal capacity or absorptive capacity)관련 선

행연구 고찰

1) 기업 내부역량의 중요성

q 기업 내부역량이란

m 흡입능력(absorptive capacity)과 유사어로 교환하여 쓰임8).m 외부로 부터의 새로운 정보, 지식 등의 가치를 인식하고, 동질화시켜, 상품

의 상용화 단계에 적용시킬 수 있는 기업내부에 존재하는 역량(Cohen & Levinthal, 1990)

m 외부의 조건이 같더라도(예를 들어 같은 시장 및 신기술 등에 대한 정보를 입수하고, 같은 금액의 정부 지원금을 받고, 같은 지역노동시장에 대한 접근이 가능하더라도), 외부 자원을 어떻게 해석하여 받아들이고, 자기화해서 기업체 내 기존의 리소스와 결합시키는지, 그 결합의 결과로 어떤 신상품이나 기술을 개발하는지 등은 개별 기업의 역량(internal capacity)에 달려 있음.

m 즉 지역 내 모든 기업들이 같은 종류와 같은 양의 외적 요인들에 대한 접근이 가능하고 활용가능하다 할지라도 기업 내부에 이미 존재하는 내적 역량에 따라 외적 요인을 흡수하는 능력(absorptive capacity)이 다를 수밖에 없음.

m 기업 내부역량은 기업 종사자들이 이미 보유하고 있는 지식과 그들의 다양성(교육, 실무 경험 등)에 의존함(Cohen & Levinthal, 1990).

m 기업 내부역량은 누적적이므로 기업의 입장에서는 내부역량을 키우기 위해 지속적으로 투자할 인센티브가 생김.

m Cohen & Levinthal(1990)의 경우 대표적인 내부역량 개발 방식을 연구개발(R&D) 투자로 꼽음.

m 그러나 후속연구에 의해 그 보다 많은 요인들이 기업의 내부역량 향상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규명함.

8) 본 보고서에서는 internal capacity와 absorptive capacity를 구분하지 않고 기업내부 역량으로 사용

Ⅱ. 기업내부역량과 성과향상 그리고 지역경제 성장 ❚ 11

2) 기업의 인재정책과 기업 내부역량의 향상

q 자원중심 접근(resource-based approach)과 기업의 인재정책

m 기업경영 분야에서는 기업의 내부자원(internal resource) 경쟁력 강화와 기업의 성과향상이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이론적 틀을 1990년대에 구축

- Resource-based approach, strategic human resource management, high performance work system 등의 이론이 이에 속함.

- 관련 문헌에서는 인재가 기업의 가장 중요한, 다른 기업들과 차별되는 특화된 경쟁력을 형성하기 위한 중요한 자원이라고 주장함.

m 종사자들은 비용이 아니라 가장 중요한 기업의 자산(Barney, 1990)- 산업분야를 막론하고 종사자들의 월등히 우수한 성과가 바로 기업의 지속가

능한 성과향상의 중요한 바탕- 종사자들의 월등한 성과는 종사자들에게 직장에서 자신들의 뛰어난 능력을

발휘하게 하고, 그러한 능력을 직장의 성과향상과 연결하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인재정책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강조

- 즉 기업의 인재정책이 바로 기업의 성과향상의 중요한 열쇠임을 강조함.

q 종사자들에게 동기부여를 목적으로 하는 인재정책

m 종사자들에게 어떤 종류의 동기부여가 기업의 성과향상에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연구는 2000년대 초반부터 풍성하게 진행되어 옮.

m Batt (2002)은 다음과 같은 인사정책이 종사자들에게 동기부여와 관련되어 있으며, 또한 기업의 성과향상과도 관련 있음을 실증적으로 보여 줌.

- 선별적 채용: 특정한 스킬보다 전반적으로 우수한 업무능력과 지속적 학습능력 위주의 채용 (학력을 기준으로 한 human capital 채용). 교육수준이나 숙련도는 기업체의 휴먼 캐피털의 indicator로 기업체의 absorptive capacity 또는 internal capacity를 구성하는 중요한 요인

- 성과에 따른 급여 지급: 성과에 따른 급여는 직원들의 사기를 진작시키고 업무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남.

- 일자리 안정성: 기업체 직원의 일자리 안정성은 자신의 지위에 대한 자신감, 직장에 대한 충성도 상승으로종사자들에게 동기부여를 목적으로 하는 인재정책(Batt, 2002)

12 ❚인천지역 우수기업 특성 분석-제조업분야 중소기업의 기업경영전략 및 인재정책을 중심으로

m 교육·훈련: 교육·훈련 역시 직원들의 사기를 진작시키고 업무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남 업무 성과향상

q 자원중심 접근 기업경영전략이 지역경제개발에 가지는 의의

m 내부 역량에 대한 투자 없이 비용절감을 통해 이익률을 높이고자 하는 기업들은 결과적으로 종사자를 비용의 관점에서 보게 되므로 종사자들에게 안정적인 일자리를 제공하거나 사기를 높이려고 하는 노력을 등한시 하게 됨

m 자원중심적 접근은 안정적인 일자리, 종사자들의 사기진작을 통한 기업에 대한 애착 및 충성도 상승이 기업의 성과향상과 맞물려 돌아가는 톱니바퀴 같은 관계임을 강조함.

m 지역의 정책결정자의 관점에서 볼 때, 지역의 일자리 창출과 일터의 복지향상에 기여도가 높으면서도 성과향상 또한 높은 기업들을 유치하거나, 이미 지역에 기반한 기업들의 체질개선을 통해 보다 효과적인 경영전략과 인재정책을 활용하도록 유도하는 정책을 도입하는 것이 한정된 기업지원 정책자금을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이 될 수도 있음.

3) 제조업분야 중소기업 성과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m 우리나라의 경우 철강, 중화학, 자동차 산업 등을 중심으로 기업의 규모가 클수록 경쟁력 또한 커지는 산업을 중심으로 산업화를 진행 온 역사 때문에 대기업의 역할이 중요했음.

m 중소기업은 제조업분야 대기업의 하청 업체로 1990년대 까지도 정부의 정책적 지원을 받지 못하고 있었음.

m 국내 중소기업에 대한 구조적인 이해와 정책적 지원체계가 최근에야 구조화되고 정착되고 있음.

m 중소기업의 성과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연구도, 국내의 경우 그 역사가 짧은 편임. 따라서 본 연구는 해외에서 진행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선행연구 고찰을 하고자 함.

q 제조업분야 중소기업 성과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경영전략들

m R&D 투자 - 중소기업의 경우에도 지속적으로 기술개발에 투자하는 경우 성과향상에 차

Ⅱ. 기업내부역량과 성과향상 그리고 지역경제 성장 ❚ 13

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드러남 (Freel, 2003)m 네트워킹

- 네트워킹은 정보수집, 지식 전달, 협업 등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de, Jong J, and Patrick Vermeulen, 2006).

q 제조업분야 중소기업 성과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인재정책들

m Welbourne & Andrews(1996) 스타트 업 기업에서 인재정책을 제대로 활용했을 경우 5년 동안 생존할 확률이 훨씬 높아진다고 밝힘.

m 정남지(2014) 중소기업의 혁신은 휴먼 캐피털(교육수준과 경력의 합)이 높은 종사자를 채용하려는 노력과 일자리의 안정성을 제공하는 기업일수록 새로운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확률이 높음.

m Burton & O’Reilly(2004) 첨단산업 스타트 업 기업의 경우 종사자들에 대한 동기부여와 인센티브 제공이 기업의 IPO 가능성과 통계적으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남.

4) 정리

q 제조업분야 중소기업의 성과향상 요인에 대한 맥락적 이해 필요

m 기업성과 향상과 관련된 기존의 연구에 의하면 기업의 경영전략 및 인재정책은 기업 외부적인 요인들(경제, 기술, 제도적 조건, 공공의 지원 등)과 더불어 기업성과향상을 결정짓는 매우 중요한 요인들 중의 하나임.

m 기업의 성장에 기여하는 내부 역량과 관련된 요인은 여러 가지가 있으며, 산업분야, 기업의 주력 상품 및 주요핵심 등에 따라 종류도 달라짐.

m 같은 산업분야에서도 지역별로 기업의 경영전략과 인재정책에 편차가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짐(앞의 폭스바겐의 예).

m 따라서 인천시 제조업분야 중소기업의 성과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경영전략과 인재정책을 별도로 조사해 볼 필요가 있음.

m 다음 장에서는 지금까지 검토한 다양한 요인들을 반영하여 조사 및 설문 설계를 반영하는 방법에 대한 논의를 진행함.

14 ❚인천지역 우수기업 특성 분석-제조업분야 중소기업의 기업경영전략 및 인재정책을 중심으로

Ⅲ 인천시 우수기업 경영전략 및 인재정책 연구 및 설문조사 방법

1. 인천시 우수기업의 경영전략 및 인재정책 조사 방법

1) 조사의 설계

q 표본 추출

m 본 연구는 인천지역 내 제조업분야 우수중소기업9)의 경영전략 및 인재정책을 조사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므로 이에 부합한 표본 프레임 구축을 위해 판단추출방법(judgemental sampling) 활용

- 판단추출방법은 연구자가 모집단에 대한 사전 지식이 있는 경우, 이를 이용하여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

- 인천시 ‘우수기업’에 대한 표본 프레임 작성을 위해 연구자가 직접 우수기업의 기준을 설정하고 그에 맞추어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도 있겠으나, 본 연구의 기간 및 연구비의 한계 상 모든 과정을 수행하기는 어려움.

- 따라서 인천시에서 정한 기준에 의해 우수기업으로 선정된 기업들이 밀집된 비전기업협회 회원사 1200여개와 인천경영자 총연합회 소속 400여개 기업들을 표본 프레임으로 규정하고, 이들 중 일부를 표본 추출하여 조사를 실시함.

- 즉, 비전기업협회 소속 기업과 인천경영자 총연합회 소속 기업들은 제조업 위주이며 기업의 성과향상이 타 기업들에 비해 비교우위에 있다고 판단되는 집단이므로 이 단체에 소속된 기업들을 대상으로 조사할 경우, 적어도 인천지역에 기반을 둔 제조업 종사 기업들 중 비교적 우수한 기업들을 대상으로 표본을 추출 할 수 있음.

9) 중소기업을 판단하는 기준은 상황이나 목적에 따라 조금씩 달라지며, 본 연구에서는 300인 이하 사업장을 중소기업으로 규정했음.

Ⅲ. 인천시 우수기업 경영전략 및 인재정책 연구 및 설문조사 방법 ❚ 15

q 표본 설계 및 규모

m 표본 프레임 내 할당 추출법 적용으로 표본 추출- 이렇게 설정된 표본 프레임 내에서 표본의 추출의 객관성 유지를 위해 할당

추출법(quota sampling)을 적용하였음.- 할당추출시 기업규모(종사자수 기준)를 기준으로 활용하였음.

m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인천시 제조업은 50명 미만의 사업장이 89%를 차지하여 소규모 기업들이 절대다수를 차지하는 반면 비전기업협회와 경총 회원사들은 그 보다 조금 더 큰 규모의 분포가 높은 편임.

m 본 설문조사는 중소기업을 주심으로 하므로, 50명 미만 소기업의 분포를 60%로, 200~300명 중기업의 분포가 30%로 조정하여 표본을 설계함.

기업체 규모 인천시 제조업 (2014) 비전기업협회(2015) 경총(2015) 조사대상(2015)50명 미만 20,434(89%) 742(72.6%) 213(51.95%) 30(59%)100명 미만 355(1.5%) 180(17.61%) 115(28.05%) 4(8%)300명 미만 193(0.83%) 100(9.78%) 51(12.44%) 15(30%)500명 미만 17(0.07%) - 9(2.20%) 2(4%)1000명 미만 6(0.03%) - 12(2.93%) -100명 이상 3(0.01%) - 10(2.44%) -

계 22,175(100%) 1,022(100%) 410(100%) 51(100%)

<표 2> 인천시 제조업, 비전기업협회, 경총, 설문조사대상 기업체 규모별 분포 비교

2) 설문의 설계

q 설문항목의 설정

m 문헌조사를 통해 제조업분야 중소기업의 성장에 중요한 내부 역량과 관련된 요인들을 파악하여 설문에 반영

m 앞서 고찰한 관련 문헌에 의하면, CEO의 성향, 매출액 대 R&D 투자 비중, 일자리의 안정성, 성과에 따른 임금지급, 교육 훈련 여부 등이 제조업분야 중소기업의 성과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함.

m 따라서 설문의 주요항목들은 1) 기업체 관련 기본 사항, 2) CEO 특성, 3) 경영전략, 4) 인재정책 등으로 구성됨.

16 ❚인천지역 우수기업 특성 분석-제조업분야 중소기업의 기업경영전략 및 인재정책을 중심으로

- 기업체 기본 사항에는 기업체의 성장성, 안정성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매출액 변화, 지출항목별 비중, 자산구성요소별 비중 등 포함

- CEO 특성은 CEO의 성별, 연령, 교육수준 등 포함- 경영전략에는 기업 내부역량 상승을 위한 기업의 경영상 노력을 측정할 수

있는 매출액 대시 연구투자개발비 비중, 신기술(기계) 도입비 비중, 타 업체 및 기관과 네트워킹 현황, 기술개발의 방식, 생산자 서비스 활용 정도 등 포함

- 인재정책에는 기업의 인재채용에 대한 태도를 알 수 있는 정규직 및 비정규직 비중, 업무분장별 종사자들의 구성비, 종사자들의 교육수준, 종사자들의 급여의 수준, 종사자들의 평균 종사연수,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훈련실시 여부 등 포함

m Pilot Survey 후 설문확정

조사 영역 항목 내용

기업체 관련 사항

기업체 일반 주소, 본사여부, 사무소 여부, 연구소 여부, 실립연도, 자본금, 조직형태, 창업방식, 벤처기업지정여부, 상장여부, 주력산업분야매출액 2010년부터 2014년까지 매출액총지출규모와 지출항목 총지출액, 시설투자, 인건비, 경비, 영업비, 외주 용역비, 교육훈련비, 기타 자금의 원천별 비중 내부 보유자금, 융자 (일반금융기관, 정책자금, 채권, 사채 등), 투자유치 (인천내, 서울, 경기, 기타 지역)

CEO관련 인적사항 성별, 연령, 학력, 전공학과경력관련 이전경력, 대표자의 주력산업분야 종사 연수

경영전략

연구개발 및 기술투자 관련신기술개발(연구개발) 집중도 (연구개발투자액), 기술개발방식, 산·학·연 연구개발사업 참여건수, 특허·인증·수상경력

기술투자 관련 새로운 설비 도입 집중도 (신기술 투자액)기업 외부 네트워크 및 정책자금 활용

타 기업·기관과 제휴 여부, 제휴 분야, 주요정보 취득경로, 주로 활용하는 기업서비스와 가장 필요로 하는 분야, 용역 수주 및 외주 정책자금 활용 중앙정부 정책자금 활용여부와 금액, 인천시 정책자금 활용여부와 금액

인재정책인력 및 고용 현황 주력분야 상시·임시 종사자 비중학력분포 주력분야 상시종사자 학력수준연평균 임금수준 주력분야 상시종사자 임금수준신규채용과 근로계 주력분야·비주력분야 년도별 신규채용과 계약해지

<표 3> 제조업 기업체의 경영전략·인재정책 조사영역 및 조사항목

Ⅲ. 인천시 우수기업 경영전략 및 인재정책 연구 및 설문조사 방법 ❚ 17

3) 설문조사 방법과 절차

q 설문조사의 진행

m 본 설문조사는 5월부터 6월 중순까지 진행m 설문의 진행은 비전기업협회와 인천경영자총연합회 회원사를 중심으로 진행m 설문은 협회 사무처를 통해 회원사에게 이메일 형태로 전달m 완성된 설문은 이메일로 회수 (총 51부 회수)

q 설문의 충실도 및 신뢰도 확보

m 설문에 작성자의 이름과 연락처를 기입하도록 함.m 회수 된 설문 중 빠진 문항 또는 앞뒤 답변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설문작성

자에게 전화로 검수m 각 지출항목의 비중, 실제 인건비 지출의 정도, 종사자들의 고용지위, 업무

분장별 답변의 충실도와 신뢰도를 높임(51부 중 45부 전화검수).

조사 영역 항목 내용약 해지 수평균 근속연수 초급·중급·고급 인력 별 평균근속 연수외국인 인력 외국인 인력 수, 국적, 업무의 종류직무교육 현황 외부 교육·훈련 여부, 지역, 인천 외부의 경우 그 이유

경쟁환경 및 에로사항경쟁환경 경쟁상황, 경쟁력 요소, 경쟁업체 위치입지 주요 입지 결정요인애로 요인 애로 사항의 종류

18 ❚인천지역 우수기업 특성 분석-제조업분야 중소기업의 기업경영전략 및 인재정책을 중심으로

(2월) 문헌 검토 및 연구 질문 확정▼

(3월) 우수기업의 경영·인재관리 전략 요인추출▼

(4월) 설문지 작성▼

(5월)인천시·협회와 자문회의를 통한 협력체제

구축 및 Pilot Survey▼

(5~6월) 설문 진행 ⤵협회로 설문 전달

▼협회에서

회원사들에게 설문 이메일로 전달

▼이메일로 설문회수

(6월15일~6월26일) 회수 설문에 대한 전화 검수 ⤶▼

(6월22일~6월26일) 설문응답 코딩▼

(6월26일~6월28일) 설문응답 분석▼

(6월28일~6월30일)매출액 성장 지표 비교를 통한

핵심우수기업 그룹의 선정 및 특성 분석▼

(6월28일~6월30일) 보고서 작성

<그림 1> 연구 흐름도

Ⅳ. 인천시 우수기업 경영전략 및 인재정책 조사 결과 ❚ 19

IV 인천시 우수기업 경영전략 및 인재정책 조사 결과

1. 조사대상 제조업분야 중소기업의 일반적 특성

q 기업체 연령

m 설문에 응답한 총 51개 기업체들 중 평균 업력은 37.74년으로 대부분이 중견기업임(표 6 참조).

- 총 51개 기업체중 42개 기업(80%) 이 10년 이상 된 기업들임. - 10년 이상 된 42개 기업들 중 10년~15년 사이의 업력을 지닌 업체는 13개

(25.5%), 15~30년의 업력을 지닌 업체는 14개(27.5%), 40년 이상의 업력을 지닌 기업은 11개(21.6%)의 분포를 보임.

- 조사대상 기업들의 업력이 평균 30년 이상의 중견 중소기업들의 비중이 높은 만큼 기업의 경영전략과 인재정책 등이 어느 정도 확립되어 있을 것으로 예상

연령 분포(%)5년미만 2(3.9%)

5년~10년미만 7(13.7%)10년~15년미만 13(25.5%)15년~30년미만 14(27.5%)30~40년미만 4(7.8%)

40년이상 11(21.6%)합계 51(100%)

<표 4> 응답 기업체 연령분포

구분 분포(%)5억 미만 23(42.1%)

5억 ~10억 미만 12(23.5%)10억~15억 미만 3(5.9%)15억~20억 미만 2(3.9%)

20억 이상 11(21.6%)합계 51(100%)

<표 5> 응답기업체 자본금규모 분포 (2014년 말 기준)

20 ❚인천지역 우수기업 특성 분석-제조업분야 중소기업의 기업경영전략 및 인재정책을 중심으로

q 기업의 조직형태, 창업 방식, 벤처·상장여부

m 총 51개 응답 기업 중 47개의 기업(92.2%)이 주식회사 형태이고 4개의 기업(7.8%)이 개인 기업형태임(부록표 1 참조).

m 창업방식별 분포는 독자창업이 47개 업체(92.2%), 모기업으로 부터 분사 3개 업체(5.9%). 기타가 1개 업체(2.0%)로 나타남(부록표 2 참조).

m 51개 응답기업 중 22개 기업(43.1%)이 벤처기업으로 등록한 것으로 나타났고, 3개 기업이 상장사이고, 1개 기업이 코스닥에 상장한 것으로 나타남 (부록표 3, 4 참조)

q 기업 재무구조

m 자본금 규모 분포(2014년 말 기준)- 설문에 응답한 기업체들의 전체 자본규모는 5억 원 미만이 23개(42.1%), 5

억~10억 미만이 12개(23.5%)로 대부분을 차지하여 50인 이하 소규모 사업장의 분포가 높은 것과 마찬가지로 자본금의 규모가 작은 기업들의 분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남(표 7 참조).

- 20억 이상의 대규모 자본기업은 11개(21.6%)로 표본 추출 시 200~300인 이상 사업장의 분포가 조금 높게 잡힌 것이 반영된 것으로 추측됨.

m 연도별 매출액 변화- 설문기입 된 2010년부터 2014년까지 매년 매출총액을 기준으로 연도별 매

출액 변화율 계산- 기업의 매출액 변화는 전년도 매출액에서 당년도 매출액을 차감하여 계산한

것으로 그 변화 폭은 해마다 큰 차이를 보이고 있음(표 8 참조).- 2010년에서 2013년까지는 전체적으로 상승세를 보이며, 특히 2012년에서

2013년 응답기업의 평균매출액 상승률은 15.37%로 2011년~2012년 사이 상승률 8.93%의 거의 두 배를 보이고 있음. 그러나 2013년에서 2014년 사이 매출액 성장률은 다시 7.22% 급감해 성장의 둔화를 나타냄.

- 2010년~2014년 사이 매출액은 평균 9.18% 상승한 것으로 나타남.

Ⅳ. 인천시 우수기업 경영전략 및 인재정책 조사 결과 ❚ 21

 구분 평균(%) 표준편차(%) 최소값(%) 최대값(%) 결측 2010-2011 매출액 변화 7.93 33.50 -81 136 62011-2012 매출액 변화 8.93 37.49 -100 140 52012-2013 매출액 변화 15.37 47.88 -36 300 52013-2014 매출액 변화 7.22 24.77 -64 77 5연도별 매출액 변화 평균 9.18 15.61 -27.50 59.50 6

<표 6> 각 연도별 매출액 변화 비교 2010~2014

m 지출항목별 비중 - 지출항목은 시설투자, 인건비 (영업, 기술, 기타 등), 경비, 영업비, 외주, 교

육, 기타 등의 항목으로 구분하여 그 비중을 기입하도록 함(표 9 참조).- 전체 7개 지출항목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분야는 인건비로 영업, 기술, 기

타분야의 인건비 지출은 평균적으로 전체 지출의 32.82%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남.- 다음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지출항목은 기타로 여기에는 재료구매비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설문작성자에게 재료비를 기타에 포함하도록 했음). 이는 제품을 만들기 위해 원료를 구매해야 하는 제조업의 특성을 잘 반영한 것임.

m 자금의 원천별 비중 - 자금원천은 유보자금(자기보유자금), 일반금융기관의 차입, 정부의 정책자금

활용, 투자유치 등으로 구분하여 그 비중을 기입하도록 함.- 질문에 응답한 46개 기업들의 자금원천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일반금융기관의 차입(44.0%)이며, 다음으로 유보자금(36.29%) 순이고, 반면 자금원천 중 투자자금은 매우 작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표 8 참조).

구분 평균 표준편차시설투자 8.45 14.415

인건-영업 6.98 6.343인건-가슐 8.18 12.518인건-기타 17.67 12.869

경비 16.45 19.886영업비 6.41 6.667외주 11.27 13.441교육 0.67 1.853기타 23.80 25.624

주 : n=46, 결측 5

<표 7> 항목별 평균 지출 비중 구분 평균 표준편차

유보자금 36.29 40.550일반금융기관차입 44.00 37.253정부정책자금활용 16.29 26.613

기타융자 2.87 15.159투자유치(인천 내) 0.58 3.583

투자유치(서울,경기,기타) 0.00 0.000주 : n=45, 결측 6

<표 8> 자금 원천별 비중

22 ❚인천지역 우수기업 특성 분석-제조업분야 중소기업의 기업경영전략 및 인재정책을 중심으로

2. CEO 특성

q 성별, 연령, 설립여부

m 51개 응답 기업의 대표자들 47명은 남성, 4명은 여성 CEO로 나타났으며 (부록표 5 참조), 이들은 대부분 40대 이상으로 40대 17명(33.4%), 50대 18명(35.3%), 60대 이상 16명(31.4%)의 분포를 보이고 있음. 중소기업에 업력이 짧은 기업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30대 CEO가 전혀 없는 것이 특이함 (부록표 6 참조).

m 51명의 CEO들 중 직접 현재 운영 중인 기업을 설립한 경우는 16명 (31.4%)으로 나타남(부록표 7 참조).

q CEO의 학력, 이전 경력, 종사 연수

m 응답한 51개 기업의 CEO들은 고졸이하 11명(21.6%), 대졸 26명(51%), 대학원 석사 이상 14(27.5%) 등의 학력 분포를 보임(표 9 참조).

m 현재 기업경영 이전의 경력의 경우, 국내 기업회사원·연구원에서 일한 경우 37명(72.5%)가 대부분이고 다른 사업체를 운영한 경우 6명(11.8%)의 분포를 나타냄(표 10 참조).

m 응답의 88%인 45명이 10년 이상 기업체의 주력산업에 종사해 온 것으로 나타남(부록표 10 참조).

구분 분포고졸 이하 11(21.6%)

대졸 26(51.0%)대학원 석사 13(25.5%)대학원 박사 1(2.0%)

합계 51(100%)

<표 9> CEO의 학력 구분 분포(%)국내 기업회사원·연구원 37(72.5%)

다른 사업체 경영 6(11.8%)기타 7(13.7%)결측 1(2..0%)합계 51(100%)

<표 10> 이전경력

Ⅳ. 인천시 우수기업 경영전략 및 인재정책 조사 결과 ❚ 23

3. 기업경영전략

1) 연구개발 및 기술투자 관련

q 연구‧개발활동

m 기업의 경쟁력 향상을 위해 자체적인 신기술개발(연구개발)에 적극적인지 여부를 묻는 질문에 51개 기업 중 25개 기업(49%)은 매우 적극적이다, 다소 적극적이다는 12개 기업(23.5%), 타 기업들과 유사한 정도이다는 9개 기업(17.6%)의 분포를 보여 대부분 자체적인 신기술 개발에 적극적이거나 평균 정도의 노력을 기울인다고 답변(그림 2 참조)

m 전체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투자액 (기술개발인력 인건비, 외주용역개발비 등)의 비중을 묻는 질문에 19개 기업(37.3%)이 5%라고 답했고, 각각 9개 기업 (17.6%)이 5%~10%미만과 10~15%미만 이라고 답했음(그림 3 참조).

m 20% 이상 투자하는 기업도 17.6%로 인천 제조업분야 우수기업들은 자체적인 연구개발활동에 상당한 노력을 기울이는 것으로 보임.

<그림 2> 연구개발활동의 적극성주: n=50, 결측 1

24 ❚인천지역 우수기업 특성 분석-제조업분야 중소기업의 기업경영전략 및 인재정책을 중심으로

<그림 3>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 투자비중주: n=48, 결측 3

q 기술개발방식 및 특허‧인증‧수상경력

m 기업의 생산과정에 필요한 기술개발 또는 시장에 출시할 신생품으로서 기술개발은 기업의 성과향상에 지대한 영향을 미침, 기업의 기술개발방식은 기업내부에서 직접 개발하는 독자개발, 외부로 부터의 기술도입, 타 기업/기관과 공동개발, 외부로 아웃 소싱 등 다양한 방식이 존재함.

m 주로 어떤 방식으로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는 가에 대한 질문에 독자개발이라는 답변이 78.4%(40개)로 압도적으로 많았음(그림 4 참조).

m 이는 기술개발을 독자적으로 하는 국내기업의 특성과 일치함.

<그림 4> 기술개발방식주 : n=50, 결측 1

Ⅳ. 인천시 우수기업 경영전략 및 인재정책 조사 결과 ❚ 25

m 특허, 우수경영관련 수상, 기술 품질인증 여부에 대한 질문에 응한 기업들 중 기술특허를 등록한 기업은 38개, 우수 경영관련수상 기업은 17개, 국내 기술품질 인증기업 34개, 해외 기술 및 품질 인증기업 22개의 분포를 보임 (그림 5 참조).

주: n=48, 결측3 주: n=49, 결측2

주: n=50, 결측1 주: n=49, 결측2<그림 5> 주력산업관련 특허, 인증, 수상경력 현황

q 신기술 투자활동

m 경쟁력 향상을 위해 새로운 설비 도입 등 신기술 투자의 정도를 묻는 질문에 매우 적극적(39.2%, 20개)이거나 다소 적극적(29.4%, 15개)이라고 답한 기업이 전체 응답기업의 70%이상의 분포를 보임(그림 6참조).

m 반면 지역내 다른 기업과 유사하다고 답한 기업은 11개(21%), 소극적이거나 매우 소극적이라고 답한 기업은 2개(4%)의 분포를 보임.

m 2014년 매출액 대비 신기술 투자액의 비중은 평균 9.1%이고, 5% 미만 투자 기업 25개(49%), 5~10% 미만 투자기업 10개(19%), 10~20%미만 투자기업 8개 (15%)의 분포를 나타냄.

26 ❚인천지역 우수기업 특성 분석-제조업분야 중소기업의 기업경영전략 및 인재정책을 중심으로

<그림 6> 신기술 투자활동주 : n=50, 결측 1

<그림 7> 매출액 대비 신기술투자 비중주 : n=49, 결측 2

2) 기업 외부 네트워크 및 정책자금 활용

q 기업 외부 네트워크 현황

m 타 기업 또는 기관과 네트워킹은 새로운 정보 입수, 협업 기회의 창출 등 사회적 관계를 기반으로 하는 기회창출에 중요한 역할을 함.

m 경쟁력 향상을 위해 타 기업 또는 기관과 제휴에 적극적인가 하는 질문에 매우 적극적(19.6%, 10개)이거나 다소 적극적(37.3%, 19개)이라고 답한 기업이 전체 응답기업의 57% 정도이며 지역 내 같은 업종의 타기업들과 유사한 노력을 기울인다고 답한 기업들도 23.5%(12개)의 분포를 보임(그림 8 참조).

m 기업 외부 네트워크는 응답한 기업들이 연구개발이나 신기술투자에 보이는 적극성에 비해 낮게 나타나는데, 이는 기업외부 네트워킹과 관련된 문헌들에 의하면 경쟁이 심한 시장환경에서는 외부 기관과 협력이 낮게 나타나는 경우가 종종 있음.

- 시장의 열띤 경쟁 분위기는 종종 협력에 대한 인센티브를 낮추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 이유는 경쟁이 심한 환경에서 협력을 통해 기업의 노하우나 영업비밀이 공개되는 것을 꺼리기 때문임(정남지, 2014).

m 타 기업 또는 기관과 제휴는 주로 기술분야(51%, 26개)에서 일어나고 다음으로 마케팅(11.8%, 6개)과 인력 분야(11.8%, 6개)에서 일어나고 있음 (그림 9 참조).

m 제휴활동의 수는 1~3개 미만의 경우가 지배적이며, 제휴활동의 지역적 분포의 경우 25건으로 대부분 인천지역에 집중되어 있고, 다음으로 서울지역 (13건), 경기(8건)의 분포를 보임(그림 10 참조).

Ⅳ. 인천시 우수기업 경영전략 및 인재정책 조사 결과 ❚ 27

<그림 8> 타기업과의 제휴활동주 : n=50, 결측 1

<그림 9> 제휴활동의 목적별 분포주1: n=45, 결측 6주2: 다중선택가능 문항으로 1순위 응답만 추출

주: n=36, 결측 15 주: n=36, 결측 15

주: n=36, 결측 15 주: n=36, 결측 15<그림 10> 제휴활동의 지역별 분포

28 ❚인천지역 우수기업 특성 분석-제조업분야 중소기업의 기업경영전략 및 인재정책을 중심으로

m 주력산업분야 기술, 시장 등 주요 정보를 얻는 주요 소스에 대한 질문에 14개 기업들이(27.5%) 대부분 납품 모기업 등 거래상 고객을 통해 주요정보를 얻는다고 답했고, 정부 및 공공기관 11개(21.6%), 관련 업종 단체·협회 9개(17.6%) 등의 분포를 보임(그림 11참조).

- 즉, 조사대상 기업들은 주요 기술 시장정보 취득 등 기업경영에 필수적인 정보는 거래관계상의 기업들, 정부 공공기관 등 기업경영상 필요에 의해 이미 형성된 사회적 관계에 의존하는 경향이 크다고 볼 수 있음.

- 거래관계가 아닌 기업 기관과의 제휴관계는 기술·마케팅 분야에 집중되어 있어 사회적 관계의 종류와 관계의 목적이 어느 정도 분리 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남.

<그림 11> 주력분야 관련 주요정보 취득원주: 다중선택가능 문항으로 1순위 응답만 추출

q 기업지원 서비스

m 조사대상 기업들이 주로 활용하는 기업지원 서비스에 대한 질문에 특허·인증 획득(33개, 65%), 투자·자금 조달(26개, 50%), 인력개발(교육훈련)(26개, 13.26%)의 분포를 보임(그림 12 참조).

m 또한 기업들이 가장 필요로 하는 기업지원서비스는 기술개발지원(33%, 17개), 투자·자금조달(21.6%, 11개), 특허·인증 획득(11.8%, 6개), 해외시장 진출 지원(11.8%, 6개) 순으로 나타남(그림 13 참조).

Ⅳ. 인천시 우수기업 경영전략 및 인재정책 조사 결과 ❚ 29

<그림 12> 주로 활용하는 기업지원 서비스분야(1~5위)

<그림 13> 가장 필요로하는 기업지원 서비스(1~5위)

m 현재 가장 필요로 하는 기업지원서비스는 수요에 비해 공급이 부족하다는 의미이므로, 이 부족한 서비스들을 어디에서 충족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가장 필요로 하는 서비스 상위 4개 서비스의 활용지역을 분석해 봄.

- 기술개발지원, 투자자금조달, 특허인증획득 등의 서비스는 인천지역 집중도가 서울이나 기타 지역보다 월등히 높지만, 해외시장진출 관련 서비스의 경우 서울에 대한 집중도가 인천에 비해 3배 이상 높게 나타남(그림 14참조).

- 이는 해외시장진출 서비스의 경우 인천시내에 해당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이 형성되어 있지 않음을 시사함.

<그림 14> 필요로 하는 기업지원 서비스의 제공지역

30 ❚인천지역 우수기업 특성 분석-제조업분야 중소기업의 기업경영전략 및 인재정책을 중심으로

q 거래처 현황

m 전체 51개 기업 중 48개 기업이 수주 받는 거래처에 대한 응답을 했으며, 이들 수주받는 거래처가 있다고 응답한 기업은 모두 27개임(그림 15참조).

m 또한 외주주는 거래처가 있는지 여부에 대한 질문에 응답한 기업은 49개 이며 이들 중 29개 기업이 외주 주는 거래처가 있음.

m 용역 수주 또는 외부 발주의 빈도는 1개~20개 미만에 집중하여 나타났으나 (용역수주 12개, 23.5%, 외부발주 19개, 37.3%), 거래하는 기업체의 수가 50곳이 넘는 기업들도 용역수주 12개, 외부발주 6개로 나타나 용역 수주 또는 발주하고 있는 기업들은 상당히 활발한 거래 활동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남.

m 거래처 현황을 묻는 질문에 수주 받은 거래처가 없다고 답한 기업과 외주를 주는 거래처가 없다고 응답한 기업들은 각각 21개로 나타남. 이들 21개 기업 중 15개 기업은 수주를 받거나 외주를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남 (표 11 참조).

- 이들 15개 기업들의 종사자수는 평균 119명으로 기업체의 규모가 중견급인 것으로 보아, 제품의 개발이나 생산을 모두 기업체 내부 역량과 시스템에 의존하는 것으로 보임.

주:n=48, 결측 3 주 : n=49, 결측 2<그림 15> 기업들의 거래처 현황

구분 응답수 기업규모(평균)외부용역수주없음 21 129외부용역발주없음 21 115

수주/발주 모두 없음 15 119

<표 11> 응답기업들 중 용역수주 또는 외부발주가 없는 기업들의 분포

Ⅳ. 인천시 우수기업 경영전략 및 인재정책 조사 결과 ❚ 31

q 정책자금의 활용

m 51개 응답 기업들 중 18개(35%) 기업이 중앙정부의 정책자금 활용하고 있고, 31개의 기업(60%)이 인천광역시 정책자금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남. 이중 중앙정부와 인천시의 정책자금을 동시에 활용하고 있는 기업은 14개 (27%)로 나타남(표 12 참조).

구분 정책자금활용중앙정부 18(35.3%)

인천광역시 31(60.8%)중앙정부부와 인천광역시의 정책자금 모두 활용 14

사용하지 않음 3

<표 12> 중앙·지자체 정책자금 활용현황

주1 : 중앙정부 n=48, 결측 3

m 현재 활용중인 프로그램의 개수를 묻는 질문에 중앙정부의 정책자금은 활용한다고 응답한 18개의 기업들 중 86%인 13개 기업이 1~2개의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남. 인천시의 정책프로그램을 활용 중인 32개의 기업들 중 53%인 27개의 기업이 1~2개의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남(그림 16 참조).

m 활용 중인 정책자금의 총액은 1억에서 10억 사이의 분포가 가장 높음(그림 17 참조).

32 ❚인천지역 우수기업 특성 분석-제조업분야 중소기업의 기업경영전략 및 인재정책을 중심으로

주 : n=18, 결측33 주 : n=31, 결측 20<그림 16> 정책자금을 통해 지원받는 횟수

주 : n=19, 결측 32 주: n=32, 결측 19<그림 17> 지원받는 정책자금의 총액

Ⅳ. 인천시 우수기업 경영전략 및 인재정책 조사 결과 ❚ 33

4. 인력 고용·고용현황 및 인재정책

1) 인력 및 고용 현황

q 고용형태별 인력의 분포

m 응답 기업들이 주역분야에 고용하고 있는 종사자들은 대부분 상시형태 (80.43%)의 종사자로 비교적 안정성이 높은 일자리를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그림 18참조).

m 상시종사자들의 업무분장별 구성은 기술숙련자 34.7%, 관리직이 19.5%, 기술개발직이 15.78%, 영업직 12%의 순으로 나타남(그림 19참조).

- 제조업의 특성상 기술숙련분야의 인력구성 비중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됨.

m 임시직은 전체 고용인원의 1.61%를 차지하며(그림 19참조), 기술개발 분야 1.4%, 숙련기술자 16.2% 등이 임시직인 반면 기타 업무에 투입된 인력들 중 60%가 임시직인 것으로 나타남(그림 20참조).

- 이는 주력분야 핵심업무에는 상시인력을 고용하지만, 중요하지 않은 기타 업무에는 임시직을 활용하는 노동의 종류와 고용상 지위의 분화가 이루어 지고 있음을 나타남.

<그림 18> 응답기업 고용형태별 인력의 분포

34 ❚인천지역 우수기업 특성 분석-제조업분야 중소기업의 기업경영전략 및 인재정책을 중심으로

<그림 19> 상시종사자들의 업무분장별 구성

<그림 20> 임시종사자들의 업무분장별 구성

<그림 21> 상시종사자들의 학력분포

Ⅳ. 인천시 우수기업 경영전략 및 인재정책 조사 결과 ❚ 35

q 응답기업 상시종사자들의 학력 분포

m 응답 기업 상시종사자들의 평균 학력 분포는 특성고 (실업계) 졸업 약30%, 대학졸업 25%, 전문대 졸업 21%, 인문고 졸업 10% 등의 분포를 보임(그림 21참조).

- 제조업의 특성을 반영하여 특성고, 인문고 등 고졸 학력자들의 비중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됨.

q 상시종사자들의 임금수준

m 조사대상 기업 초급 종사자들의 평균 임금은 187만원, 중급 종사자들의 평균 임금은 250만원의 분포를 보임10)

q 주력분야 비주력분야 인력 신규채용과 근로계약 해지 (2012~2014)

m 51개 조사대상 기업들은 주력분야에서 매년 평균 500명 이상을 신규로 채용하는 것으로 나타남11)(그림 22 참조).

<그림 22> 연도별 평균 신규채용 수(2012~2014)

m 반면 51개 조사대상 기업은 주력분야에서 매년 평균 690명 정도의 인원에 대한 근로계약을 해지하는 것으로 나타남(그림 23 참조).

m 이는 51개 기업 전체로 볼 때 신규채용보다는 계약해지 건수가 높으므로 신규일자리 창출이 계속 일어나기는 하지만, 실제로는 일자리의 개수가 줄어 드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음.

10) 종사자의 초급, 중급, 고급 구분 기준은 부록의 설문지 참조11) 51개 기업 전체 신규채용의 합에 대한 평균

36 ❚인천지역 우수기업 특성 분석-제조업분야 중소기업의 기업경영전략 및 인재정책을 중심으로

<그림 23> 연도별 평균 근로계약해지 건수(2012~2014)

q 조사대상 기업 종사자들의 평균 근속연수

m 조사대상 기업 종사자들의 평균 근속연수는 초급인력의 경우 2.67년, 중급인력의 경우 5.46년, 고급인력의 경우 8.66년으로 나타남(표 13 참조).

m 주력산업분야 상시종사자의 평균 근속연수가 다른 기업에 대해 긴 편인가하는 질문에 그렇다고 응답한 기업은 41.2%, 다른 기업과 유사하다고 답한 기업들은 49%로 대부분의 기업들이 종사자들의 근속연수가 긴 편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남(표 14 참조).

구분 평균 근속연수 최소값 최대값 표준편차초급인력 2.67 0.30 11.46 2.32중급인력 5.46 1.06 12.00 2.88고급인력 8.66 .75 12.00 2.81

<표 13> 주력산업분야 상시종사자 평균 근속연수

구분 분포 (%)다른기업보다 짧은 편 1(2.0%)

다른 기업과 유사 25 (49%)다른 기업보다 긴 편 21 (41.2%)

모름 3 (5.9%)결측 1 (2.0%)합계 51 (100%)

<표 14> 주력산업분야 상시종사자의 평균 근속연수의 타 기업과 비교

Ⅳ. 인천시 우수기업 경영전략 및 인재정책 조사 결과 ❚ 37

2) 응답기업 직무교육 현황

q 임직원 교육 훈련 현황

m 응답한 기업들 중 74.5%인 39개 기업이 교육·훈련을 실시하고 있다고 응답함(그림 24 참조).

m 해당교육기관의 소재지는 인천이 55.2%, 서울이 24.1%, 경기가 17.2%의 순으로 나타났으며(그림 25 참조), 인천시 외 기관에서 교육을 시키는 이유로는 소재지에 해당 교육기관이 없기 때문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음(그림 26 참조).

<그림 24> 임직원 교육·훈련 현황 <그림 25> 해당교육기관의 지역

<그림 26> 소재지 외 기관에서 시키는 이유주 : 다중선택가능문항 으로 1순위 응답만 추출

38 ❚인천지역 우수기업 특성 분석-제조업분야 중소기업의 기업경영전략 및 인재정책을 중심으로

5. 조사결과 요약

1) 조사대상 기업의 주요경영전략

q 연구개발 및 시설 투자에 적극적

m 기업의 경쟁력 향상을 위해 자체적인 신기술개발(연구개발)에 적극적인지 여부를 묻는 질문에 51개 기업 중 25개 기업(49%)은 매우 적극적이라고 답했고, 다소 적극적이라고 답한 기업은 12개(23.5%), 타 기업들과 유사한 정도라고 답한 기업은 9개(17.6%)의 분포를 보여 대부분 자체적인 신기술 개발에 적극적이거나 평균 정도의 노력을 기울인다고 응답하였음.

m 전체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투자액(기술개발인력 인건비, 외주용역개발비 등)의 비중을 묻는 질문에 19개 기업(37.3%)이 5%라고 답했고, 각각 9개 기업 (17.6%)이 5%~10%미만과 10~15%미만 이라고 답했음. 20%이상 투자하는 기업도 17.6%로 인천 제조업분야 우수기업들은 자체적인 연구개발 활동에 상당한 노력을 기울이는 것으로 보임.

m 그러나 신기술 연구개발 방식은 협업보다는 독자개발이 지배적으로 연구개발 활동 시 기업체 내부의 역량에 대한 의존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남.

m 응답기업의 50%이상의 기업들이 기술특허 보유, 우수경영관련 수상, 국내 국외 기술 및 품질 인증 획득한 것으로 나타나 기술개발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가 어느 정도 결실로 나타나는 것으로 유추할 수 있음.

q 거래업체와 정부기관을 통한 주요 정보수집

m 타 기업 및 기관과 제휴를 위한 네트워크 활동은 기술투자 보다는 조금 덜 적극적이며, 주요 제휴분야는 기술개발과 마케팅에 집중해 있음. 제휴활동의 빈도는 1~3개 미만인 경우가 많고 제휴대상 기업 및 기관은 지역적으로는 대부분 인천에 집중해 있음.

m 주력분야 신기술 및 시장동향 등 중요한 정보를 구득하는 경로는 거래 기업(27.5%)이나 정부 공공기관(21.6%) 등이 지배적으로 나타남.

q 활발한 기업서비스 및 정책자금 활용

m 가장 자주 활용하는 기업지원 서비스는 특허 인증획득지원, 인력개발, 투자

Ⅳ. 인천시 우수기업 경영전략 및 인재정책 조사 결과 ❚ 39

자금 조달 관련 서비스로 나타났으며, 가장 필요로 하는 (현재 가장 부족한) 서비스는 기술개발지원, 투자자금조달, 특허인증 획득, 해외시장 진출 등으로 나타났음. 현재 해외시장진출 관련부분은 대부분 서울에 있는 서비스를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남.

m 중앙정부 정책자금 활용기업은 18개, 인천시 정책자금 활용기업은 31개, 이 중 중복활용은 14개로 인천시 정책자금에 대한 활용도가 중앙정부 정책자금의 활용도보다 조금 더 높게 나타났으며, 응답 기업들 중 정책자금을 활용하는 경우, 그 자금의 총액은 평균 1억~10억 사이로 집계되었음.

2) 조사대상 기업의 주요 인력·고용현황 및 인재정책

q 높은 상시종사자 비중

m 2014년 말 현재 응답 기업이 고용하고 있는 인력 중 80%이상이 상시 종사자로 국내 노동시장의 비정규직 분포가 30%정도 선인 것을 감안하면, 인천시의 우수기업들은 비교적 안정성이 높은 일자리들을 제공하는 것으로 해석됨.

m 상시종사자별 업무분장 상 기술숙련자의 비중이 34.7%로 가장 높고 다음은 기술개발직으로 15.7%의 분포를 보임.

m 종사자들의 학력분포는 특성고 졸업이 약 30%로 가장 높은 비중을 보이며, 대학졸업자는 25%, 전문대 졸업자는 21%의 분포를 보임.

m 응답 기업들에 고용된 초급 종사자는 평균 월 187만원, 중급 종사자는 350만원의 월급을 받는 것으로 나타남.

q 종사자 근속기간의 숙련도에 따라 편차

m 조사대상 기업의 상시종사자들을 평균적으로 초급인력의 경우 2.67년 근속하고, 중급인력은 5.46년 근속, 고급 인력은 8년 넘게 근속하는 것으로 나타남.

q 높은 직무교육·훈련 실시율

m 응답기업의 75%이상이 직무교육·훈련을 실시한다고 응답하였고 이들 중 55.3%가 인천에서 교육 시행하며, 관외인 서울이나 경기도에서 직무교육·훈련을 시행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70%의 응답이 소재지에 해당기관이 없거나 수준이 낮기 때문이라고 응답함.

40 ❚인천지역 우수기업 특성 분석-제조업분야 중소기업의 기업경영전략 및 인재정책을 중심으로

m 51개의 조사대상 기업들은 2012년부터 평균 500명을 상회하는 인력을 신규채용 하였으나, 같은 기간 연평균 690명의 상시 종사자들과의 계약을 해지한 것으로 나타남. 그러나 조사대상 기업의 일자리 창출 기여도는 어쩌면 그리 높지 않을 수 있음. 보다 정확한 분석을 위해서는 어떤 사람들과 계약해지가 이루어졌는지에 대한 정보가 필요함.

Ⅴ. 핵심우수기업의 추출과 특성 분석 ❚ 41

V 핵심우수기업의 추출과 특성분석

1. 핵심우수기업의 추출

1) 핵심우수기업 추출의 필요성

q 우수기업 내부에서도 성과향상 편차 존재

m 기업의 성과향상을 측정하는 기준은 몇 가지가 있겠으나, 본 연구에서는 연간 매출액 증가율을 기준으로 측정함.

m 앞의 <표 8>에서 보듯이 조사대상 기업들의 연평균 매출액은 2010년부터 2014년 기간동안 9.81%%로 꾸준히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성장률의 최소값이 0이하인 기업들이 존재하는 것으로 보아 모든 기업들이 성과향상을 경험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추정할 수 있음.

m 즉 인천시에서 우수한 기업으로 분류되는 기업들 간에도 성과향상에 있어 상당한 편차가 존재하는 것으로 보임.

q 지속적 성과향상 가능 기업의 경영전략‧인재정책 분석

m 따라서 인천시 우수기업들 중 지속적으로 높은 성과향상을 보인 기업들을 추출하고 그 기업들이 활용하는 경영전략과 인재정책의 공통분모를 분석해 보면 향후 기업지원정책 수립을 위한 의미 있는 자료가 될 것임.

2) 핵심우수기업 추출

q 핵심우수기업 추출 기준

m 연평균 매출액 증가율은 기업의 성장성을 측정할 수 있는 대표적인 지표이며,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계산함.

매출액증가율전기매출액당기매출액

×

42 ❚인천지역 우수기업 특성 분석-제조업분야 중소기업의 기업경영전략 및 인재정책을 중심으로

m 2010년부터 2014년 사이 5년간의 매출액 증가율의 평균을 계산한 후, 전국제조업 연평균 성장률인 9.61% 기준으로 그룹을 분화함.

m 즉 매출액 성장률이 음수인 기업들은 마이너스 성장기업, 9.61% 미만인 기업들은 저성장 기업, 9.61% 이상인 기업들은 핵심성장기업으로 구분.

q 핵심우수기업의 추출

m 위와 같은 기준으로 기업들의 성장률을 구분해 본 결과 매출액을 기재하지 않아 계산이 불가능한 6개의 기업을 제외하면 2011년에서 2014년 사이 평균적으로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한 기업은 8개, 9.61% 미만의 저성장 기업은 18개, 9.61% 이상의 핵심우수기업은 19개로 나타남(표 15참조).

 구 분 분 포(%)마이너스 성장 기업 8(15.6%)

저성장 기업(0~9.61% 미만) 18(35.5%)핵심우수기업 (9.61%이상) 19(37.3%)

시스템 결측값 6(11.8%)합계 51(100%)

<표 15> 성과향상 정도에 따른 응답기업체 그룹화

q 그룹 간 특성 비교

m 핵심우수기업의 특성을 알기 위해서는 마이너스 성장 기업, 저성장 기업들과 같은 항목으로 평균을 비교해 보는 방법을 취함.

m 이는 핵심우수기업 자체만의 지표들은 이 기업들이 어떤 측면에서 타 기업들과 차별화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우수한 성과향상을 유지할 수 있는지 뚜렷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임.

m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항목을 중심으로 세 그룹 간 평균을 비교했으며 그 결과는 <표 16>와 같음

- 기업체 특성: 연령, 자본금 규모, 지출구조 등- 기업의 경영전략: 연구개발 및 신기술 투자비중, 외부용역 수주/발주 수,

정책자금 활용도- 기업의 인재정책: 인력구조, 학력 분포, 급여 수준, 평균 근속기간, 주력상

시 종사자의 신규채용 및 계약해지 등

Ⅴ. 핵심우수기업의 추출과 특성 분석 ❚ 43

12) 근속연수는 기업체 업력이 짧을수록 근속연수도 짧을 수밖에 없는 점을 감안하여 기업체 업력대비 근속연수의 평균값을 계산

항목마이너스 성장기업 저성장 기업 핵심우수 기업 결 측

평균 N 평균 N 평균 N 평균 N회사연령 24.75 8 30.94 18 16.37 19 17.33 6규모(종사자수 기준) 75 8 109 18 68 19 60 6자본금(백만원) 8679.75 8 5500.61 18 729.37 19 2755.83 6시설투자 지출비중(%) 2.25 8 7.44 18 10.12 17 15.00 6영업분야 인건비 비중(%) 3.63 8 7.00 18 6.82 17 11.83 6기술분야 인건비 비중(%) 12.50 8 6.39 18 6.18 17 13.50 6기타 분야 인건비 비중 (%) 10.88 8 19.78 18 21.00 17 11.00 6경비 비중(%) 13.88 8 18.33 18 18.00 17 9.83 6영업비 비중(%) 2.14 7 10.72 18 7.83 18 16.17 6외주지출 비중(%) 10.00 8 11.11 18 13.88 17 6.00 6교육·훈련비 비중(%) .38 8 .44 18 .82 17 1.33 6기타 지출 비중(%) 35.50 8 26.22 18 16.88 17 20.50 6매출액대비 연구개발 비중(%) 1.00 6 1.00 18 4.76 18 1.5 6매출액대비 기술투자 비중 (%) 2.14 7 10.72 18 7.83 18 16.17 6외부로부터 수주(건) 12.88 8 51.94 17 31.44 18 32.00 5외부로 용역발주(건) 8.50 8 8.47 17 21.33 18 2.67 6중앙정책 자금총액(백만원) 1166.67 3 583.33 6 1096.00 9 1273.00 1인천정책 자금총액(백만원) 1109.67 6 402.10 10 681.71 14 266.50 2전체 종사자 중 상시관리직 비중(%) 19.64 8 20.48 18 17.1840 19 22.68 6전체 종사자 중 상지영업직 비중(%) 12.21 8 11.57 18 10.1978 19 18.20 6전체 종사자 중 상시숙련직 비중(%) 38.64 8 34.85 18 33.9575 19 28.24 6전체 종사자 중 상시기술직 비중(%) 6.53 8 17.38 18 22.4002 19 8.33 6전체 종사자 중 상시 기타 비중(%) 0.00 1 65.56 3 69.4444 4   0상시종사자 중 대학원 이상 비중(%) 2.01 8 .91 18 3.8748 19 7.36 6상시종사자 중 대학졸업 비중(%) 19.93 8 9.03 18 9.7804 19 .55 6상시종사자 중 전문대 졸업 비중(%) 350.00 8 467.65 17 418.4211 19 350.00 5상시종사자 중 특성고 졸업 비중(%) 26.98 8 30.04 18 29.9549 19 30.40 6상시종사자 중 인문고졸업 비중(%) 10.14 8 9.78 18 13.3242 19 3.64 6상시종사자 중 고졸이하 비중(%) 19.93 8 9.03 18 9.7804 19 .55 6초급종사자 평균 임금(백만원) 187.50 8 244.44 18 218.4211 19 170.00 5중급종사자 평균 임금(백만원) 350.00 8 467.65 17 418.4211 19 350.00 5초급종사자 12)평균근속년수(년) 0.33 8 0.12 16 0.13 16 0.17 5중급종사자평균근속년수(년) 0.56 7 0.35 17 0.57 17 0.56 5신규일자리 창출 비중(%)13) 12.78 8 20.00 18 20.74 19 14.55 6계약해지 비중(%)14) 0.11 8 0.18 18 0.14 19 0.07 5

<표 16> 연평균 매출액 증가율(성장성)에 따른 그룹간 비교

44 ❚인천지역 우수기업 특성 분석-제조업분야 중소기업의 기업경영전략 및 인재정책을 중심으로

3) 핵심우수 기업 특성의 비교 분석

q 기업체 속성

m 핵심우수기업의 연령은 타 그룹 연령평균 마이너스성장 기업 24.75년, 9.61% 미만 성장기업 30.94년 보다 월등히 낮은 16.37년으로 비교적 신생기업이나 업력이 아주 긴 기업들이 아닌 중견기업들로 나타남.

m 종사자 수 기준 기업체 규모면에서도 핵심우수기업은 마이너스성장 기업이나 저성장 기업보다 규모가 작은 것으로 나타남.

- 마이너스 성장기업 평균 75명, 저성장 기업 평균 109명 vs. 핵심우수 기업 평균 68명(상시, 임시 종사자 모두 포함)

m 이 기업들은 자본금의 규모는 타 기업들 보다 작음 (마이너스성장 기업의 1/11, 저성장 기업의 1/7.5 정도 수준)

q 경영전략 특성

m 타 그룹에 비해 업력이 짧고, 지본금 규모가 작음에도 연구개발 투자비중과 기술투자 비중은 다른 그룹들 보다 월등히 높음.

- 자본금 규모: 마이너스 성장기업 평균 86억, 저성장 기업 평균 55억원 vs. 핵심우수 기업 평균 7억원

- 연구개발 비중: 매출액 대비 마이너스 성장기업 1.0%, 저성장 기업 1.0% vs. 핵심우수 기업 4.76%

- 기술투자비중: 매출액 대비 마이너스 성장기업 2.25%, 저성장 기업7.44% vs. 핵심우수 기업 10.12%

m 전체 지출에서 외주용역 발주가 차지하는 지출이 평균 13.88%로 마이너스 성장기업 10%, 저성장 기업 11.11% 보다 높게 나타나 연관된 주변기업의 매출에 기여하는 바가 조금 더 높은 것으로 추정

13) 신규 일자리 창출 비중은 기업의 상시종사자 수 대비 그해 신규로 창출된 일자리의 비중으로 계산함.

14) 계약해지 비중은 기업의 상시종사자 수 대비 그해 계약해지된 종사자 수의 비중으로 계산함.

Ⅴ. 핵심우수기업의 추출과 특성 분석 ❚ 45

q 인재정책 특성

m 상시 기술개발직과 비중이 다른 두 그룹보다 월등히 높음.- 마이너스성장 기업 6.5%, 저성장 기업 17.4% vs. 핵심우수 기업 22.4%

m 평균 대학원 졸업자의 비중도 다른 그룹보다 높음.- 마이너스성장 기업 2%, 저성장 기업 0.9% vs. 핵심우수 기업3.87%

m 초급, 중급 종사자 급여 모두 마이너스 성장 기업보다 월등히 높음. 이는 핵심우수기업의 매출액 대비 인건비의 지중이 다른 그룹보다 높게 나타나는 점에도 반영됨.

m 급여수준이 저성장 기업보다는 낮게 나타나는데, 이는 핵심우수기업의 규모가 저성장 기업의 규모보다 작기 때문에 평균 인건비가 조금 낮은 것으로 파악됨.

m 그러나 핵심우수 기업의 평균 종사자 수가 저성장 기업 평균 종사자 수의 62%임에 반해 임금은 저성장 기업 임금의 89%인 점을 감안하면 핵심우수기업이 상대적으로 높은 월급을 지급하는 것으로 해석 가능함.

- 초급 종사자 평균 월급: 마이너스성장 기업 평균 187만원, 저성장 기업 평균 244만원 vs. 핵심우수 기업 평균 218만원

- 중급 종사자 평균 월급: 마이너스성장 기업 평균 350만원, 저성장 기업 평균 467 만원 vs. 핵심우수 기업 평균 418만원

m 핵심우수 기업은 또한 직원의 직무교육 및 훈련에 대한 투자율도 높은 것으로 나타남.

- 전체 지출대비 교육·훈련비 비중: 마이너스성장 기업 0.38%, 저성장 기업 0.44% vs. 핵심우수 기업 0.82%

m 그룹별 기업체 업력을 고려한 종사자들의 평균 근속연수 또한 길게 나타남.m 핵심우수 기업의 신규 상시종사자 채용 비중(전체 상시종사자 주 중 신규 상

시종사자 수의 비중)도 타 기업들 보다 높아 일자리 창출 기여도가 더 높게 나타남.

- 마이너스성장 기업 12.78%, 저성장 기업 20% vs. 핵심우수 기업 20.74%

46 ❚인천지역 우수기업 특성 분석-제조업분야 중소기업의 기업경영전략 및 인재정책을 중심으로

4) 핵심우수기업 특성의 정리

m 샘플의 수가 작아 쉽게 일반화 할 수는 없지만, 본 설문조사결과 분석을 통해 추출된 핵심우수기업의 특성 상 다음과 같은 결론을 조심스럽게 도출할 수 있음.

q 작지만 젊고 강한 기업

m 인천 제조업 중소기업 중 지속적으로 전국평균을 상회하는 성장성을 보이는 기업은 비교적 규모가 작고 업력이 20년을 넘지 않는 기업들이고 평균 68명 정도 규모도 50인 이상 100인 이하 사업장이 많은 것으로 나타남.

q 비용절감 보다는 기술 및 인력 투자를 통해 기업역량 상승

m 이 기업들은 자본금 규모는 다른 그룹들 보다 작지만 시설투자, 연구개발에 적극적이고, 띠라서 연구개발인력 비중도 높음.

m 특히 연구개발을 이끌어갈 고학력자(대학원 졸업자)의 비중이 월등히 높음.m 인재개발을 위한 교육 훈련 등에 대한 투자비중도 다른 그룹에 비해 높은 편

q 타 기업들 보다 더 높은 지역의 경제활동 기여도

m 이 기업들은 외부로 전체 지출에서 외주비용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고 외주 건수도 타 기업들에 비해 많아 타 기업의 매출상승에 기여하므로 기역경제활동 기여도가 높은 것으로 추측됨.

q 타 기업들 보다 많은 일자리 창출

m 핵심우수기업들은 타 기업에 비해 상시 신규일자리 창출 기여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됨.

m 인천 제조업분야 핵심우수기업들은 그렇지 않은 기업들과 기술투자 및 고급인력 확충, 인재개발 및 인재우대 등의 경영전략을 더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는 측면에서 그렇지 않은 기업들과 차별화됨.

m 또한 적극적인 외주, 상시종사자의 채용 면에서도 지역 경제에 기여하는 바가 타 기업들 보다 크다고 하겠음.

Ⅴ. 핵심우수기업의 추출과 특성 분석 ❚ 47

5) 핵심우수기업 특성의 시사점

m 흔히 연구개발 및 시설 투자에 적극적이고 우수한 인재를 우대해 주면서 매출성장·혁신에 뛰어난 기업의 경우, 기업의 규모가 크기 때문에 혹은 뛰어난 매출액 성장으로 여유자금이 충분하기 때문에 종사자의 복지나 기술개발 등에 투자할 여유가 있기 때문에 그런 경영전략의 도입이 가능한 것이라고 해석함.

m 본 연구에서 진행한 조사결과 추출된 핵심우수기업들을 타 그룹과 비교해 보면 자본의 크기, 기업체의 규모가 연구개발, 시설투자 중심 경영전략과 인재우대정책을 반드시 결정하게 되는 것은 아닐 수도 있다는 점을 시사함.

m 오히려 연구개발, 시설투자 중심의 경영전략과 인재우대 정책을 도입했기 때문에 지속적인 성과향상이 가능했을 것이라는 반대의 가정을 해 볼 수 있는 여지를 남김.

m 그러나 앞서 언급한 대로 어떤 요인이 인천지역 제조업분야 중소기업의 성과향상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지 보다 명확한 인과관계 파악을 위해서는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기에 충분한 수의 표본이 필요하며, 분석 시 제조업 내 세분화된 업종 간 차이 또한 고려되어야 할 것임.

6) 연구결과의 활용성(활용처)

m 본 연구를 통해 파악된 인천시 제조업분야 우수중소기업의 특성은 다음과 같은 분야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임.

m 인천시 기업들의 변화에 대한 보다 세부적인 이해 (어떤 특성을 지닌 기업들이 성자하고 쇠퇴하고 있는가?)를 도울 수 있음.

- 인천지역 제조업의 성장성, 안정성 등에 대한 평균적인 수치는 현재에도 발표되고 있지만, 어떤 기업들이 조금 더 나은 성과를 보이고 어떤 기업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지 자세히 파악하기 어려움.

- 본 연구에서 조사를 통해 수집한 자료는 인천시 제조업의 현황에 대해 보다 자세한 정보를 제공함.

m 지역 맞춤형 경제개발정책을 수립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로서의 역할- 같은 내용의 설문을 주기적으로 실시함으로써 인천시 제조업분야 우수기업

에 대한 정보 축적가능

48 ❚인천지역 우수기업 특성 분석-제조업분야 중소기업의 기업경영전략 및 인재정책을 중심으로

- 지역경제개발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은 더욱 커지고 있으나, 선도적인 산업정책, 일자리 창출 정책 등 경제개발 정책을 수립할 수 있는 지역단위의 양질의 데이터가 턱없이 부족한 상황

m 지방자치단체에서 필요한 독창적인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에 대한 제안- 본 연구는 설문조사라는 큰 비용이 들지 않는 방법을 통해 지방자치단체의

조건에 부합하고 독창적인 데이터를 구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음.m 현재는 표본 수가 적기는 하나, 표본 수가 충분히 확보된다면 핵심우수 기업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인천시 제조업분야 우수중소기업의 경영전략 및 인재정책을 타 기업에 전수하여 교육프로그램 운영으로 인천시내 중소기업들의 경쟁력을 전반적으로 상승시키는 효과 창출

Ⅴ. 핵심우수기업의 추출과 특성 분석 ❚ 49

2. 연구의 한계점

m 조사비, 조사인력, 조사시간이 부족한 상황에서 기업체 경영·인재전략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다보니 인천시와 협회 등의 협조를 받아 설문을 진행하게 되었고, 따라서 설문조사 진행과정 자체에 대해 연구자가 통제할 수 있는 여지가 충분하지 않았음.

m 특히 설문의 특성상 기업체의 매출액 등 민감한 질문, 업무분장별 인력구성과 근속연수 등 빠른 시간 안에 답하기 어려운 질문들이 포함된 설문을 이메일로 배포하고 수거하면서 처음에 목표로 했던 부수만큼 회수가 어려웠음 (200부 목표, 51부 실현).

m 주어진 6개월의 연구기간 동안 전체적인 연구 틀과 설문조사를 설계하고 실시했지만, 조사비, 조사인력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1인 연구체제에서는 충분한 응답수를 확보하기 어려웠음.

m 그 결과 회수된 51부의 응답을 3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비교 시 유효 응답수가 20미만이어서 분석결과의 일반화가 어렵다는 통계상 결정적 한계점이 있음.

3. 향후 과제

m 분석결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추가 설문진행이 반드시 필요함.m 충분한 응답이 확보될 경우, 핵심우수기업의 성과향상과 경영전략/인재정책

간의 통계적 분석을 통해 인과관계를 파악할 수 있을 것임.m 조사 대상 기업들 중 성과향상(성장성) 지표상 우수한 기업들을 전국 제조

업, 인천시 제조업 전체의 성과향상과 비교 가능하도록 지표 개발m 전국 제조업, 인천시 제조업 보다 경쟁력 있는 기업들의 경영전략 및 인재정

책 분석 m 우수기업의 경영전략 및 인재정책과 성과향상 간 인과관계 분석m 정책적 함의 도출

50 ❚인천지역 우수기업 특성 분석-제조업분야 중소기업의 기업경영전략 및 인재정책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 문헌자료

정남지 (2014) "Does Job Security Help Innovation in Small Firms?: Commitment-Based

Human Resource Practice And Innovation in Software Firms in Seoul, Korea."

Journal of Small Bussiness Innovation. Vol.17.No 2. pp43-60

Barney, J. (1991) "Firm Resources and Sustained Competitive Advantage." Journal of

Management. 17(1): 99-120.

Batt, R. (2002). "Managing customer services: Human resource practices, quit rates, and

sales growth."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5(3): 587-597.

Datta, D K, J P. Guthrie, and P M. Wright. (2005).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Labor Productivity: Does Industry Matter?".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8(1):

135-145.

de, Jong J, and Patrick Vermeulen. (2006). "Determinants of Product Innovation in Small

Firms." International Small Business Journal. 24(6): 587-609

Freel, Mark S. (2003). "Sectoral Patterns of Small Firm Innovation, Networking and

Proximity." Research Policy. 32(5): 751-770.

Hutchinson, V, and P Quintas. (2008) "Do SMEs Do Knowledge Management?: or

Simply Manage What They Know?". International Small Business Journal. 26(2):

131-154.

Rutherford, Tod D. and Gertlert, Meric S. (2002). "Labour in ‘lean’ times: geography,

scale and the national trajectories of workplace change." Transactions of the Institute

of British Geographers. Vol. 27 Issue 2, p195. 18p

Welbourne, T.M. and A.O. Andrews. (1996). "Predicting the Performance of Initial Public

Offerings: Should Human Resource Management be in the Equat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9(4):891-919.the Equat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9(4):891-919.

참고문헌 ❚ 51

■ 인터넷자료

Barber, F and Strack, R (2005). "The surprising economics of a “people business”."

Harvard Business Review, Online resource. Accessed on June 19th, 2015.https://hbr.org/2005/06/the-surprising-economics-of-a-people-business

Burton, Diane and O'Reilly, Charles. (2004). "Walking the talk: the impact of high:

commitment values and practices on technology start-ups." Cornell University ILR

School Working Paper.

http://digitalcommons.ilr.cornell.edu/cgi/viewcontent.cgi?article=1098&context=workin

gpapers.

52 ❚인천지역 우수기업 특성 분석-제조업분야 중소기업의 기업경영전략 및 인재정책을 중심으로

부록1

구분 분포(%)개인기업 4(7.8%)주식회사 47(92.2%)

기타 0합계 51(100%)

<부록표 1> 조직형태 구분 분포(%)

독자(개인)창업 47(92.2%)기존기업분사(spin-off) 3(5.9%)

기타 1(2.0%)합계 51(100%)

<부록표 2> 창업방식

구분 분포(%)벤처기업아님 29(56.9%)벤처기업임 22(43.1%)

합계 51(100%)

<부록표 3> 벤처기업 인증여부구분 분포(%)

상장하지 않음 47(92.2%)거래소 상장 3(5.9%)코스닥등록 1(2.0%)

합계 51(100%)

<부록표 4> 상장여부

구분 분포(%)남 47(92.2%)여 4(7.8%)

합계 51(100%)

<부록표 5> CEO성별구분 분포(%)40대 17(33.3%)50대 18(35.3%)

60대이상 16(31.4%)합계 51(100%)

<부록표 6> CEO의 연령

부록 ❚ 53

구분 분포(%)설립자임 34(66.7%)

설립자가 아님 16(31.4%)결측 1(2.0%)합계 51(100%)

<부록표 7> CEO의 기업체 설립여부

구분 분포(%)고졸 이하 11(21.6%

대졸 26(51.0%)대학원 석사 13(25.5%)대학원 박사 1(2.0%)

합계 51(100%)

<부록표 8> CEO의 학력

구분 분포(%)동일 21(41.2%)무관 18(35.3%)기타 11(21.6%)결측 1(2.0%)합계 51(100%)

<부록표 9> 전공과 주력산업분야 동일한지 여부

구분 분포(%)1~3년 미만 2(3.9%)3~5년 미만 2(3.9%)

5년~10년 미만 2(3.9%)10년 이상 45(88.2%)

합계 51(100%)

<부록표 10> 대표자의 주력산업분야 종사연수

구분 분포(%)매우적극적 25(49.0%)다소적극적 12(23.5%)지역내 같은 업종의 타기업체들과 유사 9(17.6%)

다소 소극적 3(5.9%)매우 소극적 1(2.0%)

결측 1(2.0%)합계 51(100%)

<부록표 11> 연구개발활동의 정도구분 분포(%)

5% 미만 19(37.3%)5%~10% 미만 9(17.6%)10%~15% 미만 9(17.6%)15%~20% 미만 2(3.9%)

20% 이상 9(17.6%)결측 3(5.9%)합계 51(100%)

<부록표 12>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

54 ❚인천지역 우수기업 특성 분석-제조업분야 중소기업의 기업경영전략 및 인재정책을 중심으로

구분 분포(%)독자 개발 40(78.4%)

국내 대학/연구소로부터의 기술도입 2(3.9%)국내 기업으로부터의 기술도입 3(5.9%)

대학/연구소와 공동개발 2(3.9%)외부개발기업에 아웃소싱 2(3.9%)

해외기업으로부터의 기술도입 1(2.0%)결측 1(2.0%)합계 51(100%)

<부록표 13> 기술개발 방식

구분 기술특허등록 우수경영관련수상기술 및 품질 인증 기타 수상경력국내인증 해외인증

0개 10(19.6%) 32(62.7%) 16(31.4%) 27(52.9%) 27(52.9%)1개~5개미만 22(43.1%) 11(21.6%) 24(47.1%) 15(29.4%) 17(33.3%)5개~10개미만 6(11.8%) 4(7.8%) 5(9.8%) 6(11.8%) 3(5.9%)10개~15개미만 6(11.8%) 2(3.9%) 1(2.0%) 1(2.0%) 015개~20개미만 1(2.0%) 0 0 0 0

20개이상 3(5.9%) 0 4(7.8%) 0 2(3.9%)결측 3(5.9%) 2.0(3.9%) 1(2.0%) 2.0(3.9%) 2(3.9%)합계 51(100%) 51(100%) 51(100%) 51(100%) 51(100%)

<부록표 14> 주력산업관련 특허, 인증, 수상경력 현황

구분 분포(%)매우적극적 20(39.2%)다소적극적 15(29.4%)

지역내 같은 업종의 타기업들과 유사 11(21.6%)다소 소극적 3(5.9%)매우 소극적 1(2.0%)

결측 1(2.0%)합계 51(100%)

<부록표 15> 신기술 투자활동구분 분포(%)

5%미만 25(49.0%)5%~10%미만 10(19.6%)10%~20%미만 8(15.7%)20%~50%미만 5(9.8%)

50%이상 1(2.0%)결측 2(3.9%)합계 51(100%)

<부록표 16> 매출액 대비 신기술투자 비중

부록 ❚ 55

구분 분포(%)매우 적극적 10(19.6%)다소 적극적 19(37.3%)

지역내 같은 업종의 타기업들과 유사 12(23.5%)다소 소극적 4(7.8%)매우 소극적 5(9.8%)

결측 1(2.0%)합계 51(100%)

<부록표 17> 제휴활동

구분 분포(%)기술분야 26(51.0%)

마케팅분야 6(11.8%)공동생산 분야 4(7.8%)

인력분야 6(11.8%)기타 3(5.9%)결측 6(11.8%)합계 51(100%)

<부록표 18> 제휴활동의 목적별 분포

구분 인천 서울 경기 기타분포(%) 분포(%) 분포(%) 분포(%)

0개 4(7.8%) 20(39.2%) 25(49.0%) 23(45.1%)1개~3개미만 25(49.0%) 13(25.5%) 8(15.7%) 9(17.6%)3개~5개미만 3(5.9%) 1(2.0%) 0(0.0%) 1(2.0%)

5개이상 4(7.8%) 2(3.9%) 3(5.9%) 3(5.9%)결측 15(29.4%) 15(29.4%) 15(29.4%) 15(29.4%)합계 51(100%) 51(100%) 51(100%) 51(100%)

<부록표 19> 제휴활동의 지역별 분포

구분 수주받은거래처 외주주는 거래처분포(%) 분포(%)

0개 21(41.2%) 21(41.2%)1개~20개미만 12(23.5%) 19(37.3%)20개~50개미만 3(5.9%) 4(7.8%)50개~80개미만 4(7.8%) 3(5.9%)80개~100개미만 2(3.9%) 1(2.0%)100개이상 6(11.8%) 1(2.0%)결측 3(5.9%) 2(3.9%)합계 51(100%) 51(100%)

<부록표 20> 기업들의 거래처 현황

56 ❚인천지역 우수기업 특성 분석-제조업분야 중소기업의 기업경영전략 및 인재정책을 중심으로

구분 중앙정부 인천광역시0개 0(0.0%) 1(2.0%)

1~3미만 13(25.5%) 27(52.9%)3~5미만 4(7.8%) 3(5.9%)

5이상 1(2.0%) 0(0.0%)결측 33(64.7%) 20(39.2%)합계 51(100%) 51(100%)

<부록표 21> 정책자금을 통해 지원받는 횟수구분 중앙정부 인천광역시

100백만원 미만 3(5.9%) 5(9.8%)100~1,000백만원 미만 7(13.7%) 16(31.4%)1000~2,000백만원 미만 6(11.8%) 9(17.6%)2,000백만원이상 3(5.9%) 2(3.9%)

결측 32(62.7%) 19(37.3%)합계 51(100%) 51(100%)

<부록표 22> 지원받는 정책자금의 총액

구분 고급 중급 초급학력기준

• 박사, 석사 6년 이상• 학사 9년 이상• 전문대12년 이상• 고졸 15년 이상

• 석사 3년 이상• 학사 6년 이상• 전문대 9년 이상• 고졸 12년 이상• 석사, 학사, 전문대졸• 고졸 3년 이상

자격기준• 기사 7년 이상• 산업기사 10년 이상 • 기사 4년 이상• 산업기사 7년 이상 • 기사, 산업기사

<부록표 23> 종사자의 초급, 중급, 고급 구분 기준

구분 분포(%)0명 30(58.8%)

1~5명미만 4(7.8%)5명~10명미만 6(11.8%)10명~20명미만 5(9.8%)

20명이상 4(7.8%)결측 2(3.9%)합계 51(100%)

<부록표 24> 외국인 인력수구분 분포(%)미국 1(4.5%)중국 5(22.7%)일본 1(4.5%)

동남아 12(54.5%)기타 3(13.6%)합계 22(100%)

<부록표 25> 외국인 국적(다중응답분석 이용)

부록 ❚ 57

구분 분포(%)주력산업분야 핵심업무 2(3.9%)주력산어분야 비핵심업무 16(31.4%)

비주력산업분야 핵심업무 0(0.0%)비주력산업분야 비핵심업무 1(2.0%)

기타 1(2.0%)결측 31(60.8%)합계 51(100%)

<부록표 26> 외국인 인력 주요업무구분 분포(%)

교육·훈련함 38(74.5%)

교육·훈련하지 않음 13(25.5%)

합계 51(100%)

<부록표 27> 임직원 교육·훈련 현황

구분 분포(%)인천 32(55.2%)서울 14(24.1%)경기 10(17.2%)기타 2(3.4%)합계 58(100%)

<부록표 28> 교육기관의 지역적 분포(다중응답분석)

구분 분포(%)소재지에 해당 교육기관이 없음 15(51.7%)소재지에 있는 해당분야 교육기관의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음 5(17.2%)다른 지역 교육기관의 교육조건이 좋음(교육비 저렴) 4(13.8%)

기타 5(17.2%)합계 29(100%)

<부록표 29> 소재지 외 기관에서 교육시키는 이유(다중응답분석)

구분 분포(%)전혀없음 1(2.0%)약간있음 3(5.9%)

보통 9(17.6%)다소치열 21(41.2%)매우치열 16(31.4%)

결측 1(2.0%)합계 51(100%)

<부록표 30> 주력분야 제품·서비스의 가격경쟁 상황

구분 분포(%)전혀없음 1(2.0%)약간있음 5(9.8%)

보통 14(27.5%)다소치열 20(39.2%)매우치열 10(19.6%)

결측 1(2.0%)합계 51(100%)

<부록표 31> 주력분야 제품·서비스의 비가격경쟁 상황

58 ❚인천지역 우수기업 특성 분석-제조업분야 중소기업의 기업경영전략 및 인재정책을 중심으로

구분 분포(%)가격 8(15.7%)

기술·품질 37(72.5%)인지도 1(2.0%)

마케팅(영업력 등) 5(9.8%)입지유리 0(0.0%)

기타 0(0.0%)합계 51(100%)

<부록표 32> 기업체 주력상품‧서비스의 주요 경쟁요소

구분 분포(%)국내 대기업 7(12.7%)

국내 중소기업 31(56.4%)국내 외국계 기업 6(10.9%)

해외기업 10(18.2%)기타 1(1.8%)합계 55(100%)

<부록표 33> 주요 경쟁업체의 유형별 분포(다중응답)

구분 분포(%)인천 14(26.9%)서울 11(21.2%)경기 12(23.1%)기타 15(28.8%)합계 52(100%)

<부록표 34> 주요 경쟁업체 소재지역

구분 분포(%)기업운영환경이 상대적으로 유리(임대료 등) 10(19.6%)

귀사의 주력분야 수요기반이 상대적으로 우수(마케팅에 유리) 9(17.6%)설립자의 연고지 9(17.6%)

주력분야 관련 기관의 집적이 상대적으로 우수 8(15.7%)자금조달에 유리(투자, 융자, 정책자금 등) 6(11.8%)

전문인력 확보가 용이 5(9.8%)지자체의 육성 의지 및 지원 2(3.96%)

기타 1(2.0%)우수한 거주환경(주거·교통·교육환경 등) 1(2.0%)

합계 51(100%)

<부록표 35> 본사 설립 입지 요인

구분 분포(%)판로확보/시장개척(마케팅 활동) 11(21.6%)

기술인력 확보 및 유지 11(21.6%)자금조달 10(19.6%)기술개발 6(11.8%)

적시 신제품 개발 4(7.8%)전략적 제휴 파트너 확보 3(5.9%)

수출(해외 시장개척) 3(5.9%)인건비 부담정도 2(3.9%)

정보부족(시장, 기술 동향) 1(2%)합계 51(100%)

<부록표 36> 애로요인

부록 ❚ 59

부록 2<설문지>

통계법 33조(비밀의 보호)에 의거 본 조사에서 개인의 비밀에 속하는 사항은 엄격히 보호됩니다. ID

인천시 우수기업 지원을 위한 기업경영전략 및 인재정책 실태조사 설문지

※ 응답 시 유의사항 ※본 설문은 모두 7쪽으로 구성되어있습니다. 본 설문의 주 응답자는 기업의 대표자 또는 경영관리/기획부서의 책임자입니다. 만약, 특정 문항이 별도의 부서에서만 응답이 가능할 경우는 각 담당자와의 연락을 통해 응답해 주시기 바랍니다.

※ 응답자에 대한 답례품 제공 ※본 설문에 응답해신 분들께는 소정의 선물을 보내 드립니다. 설문 응답자 본인의 성함과 주소를 자세히 기입해 주시기 바랍니다. (성명: 주소: )

I. 기업체 일반 현황 및 대표자 관련

■ 기업체 일반현황

업체명 한글 영문

주 소

본사

전화 : 팩스 :

(빌딩명이 있으면 반드시 기입하여 주십시오) 빌딩명:

(공단 내에 위치한 공단의 명칭을 기입하여 주십시오): 공단

사무소 전화: 팩스:

연구소 ① 없음 ② 있음(주소: )

안녕하십니까?

본 설문조사는 인천발전연구원과 인천광역시 경제산업국이 협력하여 지역산업발전을 위해 시행하는 과

제의 일환으로, 귀사의 경영전략, 인력 및 인재관리, 기술개발 및 기업 간 네트워크, 정부지원 활용, 경

쟁 환경 등에 대한 조사입니다. 이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인천광역시의 장래 기업지원정책 수

립에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본 조사를 통해 수집된 귀사와 관련된 정보는 별도의 장소에 안전하게 보관될 것이며 귀사와 관련된

귀중한 정보가 개별적으로 공개되는 일은 절대로 없을 것입니다.

설문의 내용이나 진행방법에 관한 질문은 본 설문책임자인 인천발전연구원 정 남지 연구위원에게 문의

하시기 바랍니다.

□ 주관기관: 인천발전연구원

□ 후원기관: 인천광역시 경제산업국

□ 연구책임자: 인천발전연구원 지역경제연구실 정 남지 연구위원

□ 조사책임자: 인천발전연구원 지역경제연구실 정 남지 연구위원

전자우편: [email protected], 직통전화: 032-260-2641

60 ❚인천지역 우수기업 특성 분석-제조업분야 중소기업의 기업경영전략 및 인재정책을 중심으로

* 산업분야는 공장등록증이 있으신 경우, 등록증의 산업분류를 기입해 주십시오.

* 위의 경우 외엔 8쪽 ‘한국산업분류표’에 나온 분류와 코드를 입력해 주십시오 (예: 금속광업 일 경우: 대분류 1/

중분류1-(2))

■ 대표자에 대한 정보

■ 기업체 매출 및 재무구조 관련 정보

A. 귀사의 연도별 매출액에 가장 가까운 금액에 표시해 주십시오.

설립연도 년 자본금(2014년 말) 백만원

조직형태 ① 개입기업 ② 주식회사 ③ 기타 ( )

창업방식 ① 독자(개인)창업 ② 기존 기업 분사(spin-off) ③ 대학/연구소 창업 ④기타벤처기업지정여

부① 벤처기업이 아님 ② 벤처기업임(벤처투자기업, 연구개발기업, 신기술기업)

상장여부 ① 상장하지 않음 ② 거래소 상장 ③ 코스닥 등록

주력산업분야

(산업분류코드입

력)

① 주력산업분야 (산업대분류상 분류: | 산업중분류상 분류: )

② 비주력산업분야 1 (산업대분류상 분류: | 산업중분류상 분류: )

③ 비주력산업분야 2 (산업대분류상 분류: | 산업중분류상 분류: )

성명 성별 (남, 여)

업체 설립 여부 ① 설립자임 ② 설립자가 아님

연 령 ① 20대 이하 ② 30대 ③ 40대 ④ 50대 ⑤ 60대 이상

학 력① 고졸 이하 ② 대졸

③ 대학원 석사(국내, 해외) ④대학원 박사((국내, 해외)

전공학과 ① 주력산업분야와 동일 ② 주력산업분야와 무관 ③ 기타

이전경력

(주요 근무조직)

① 국내 기업회사원•연구원 ② 외국계 기업회사원•연구원 ③ 다른 사업체 경영

④ 대학•공공기관 연구원 ⑤ 기타( )

대표자의 주력산업분야

종사 연수① 1년 미만 ② 1-3년 미만 ③ 3-5년 ④ 5-10년 ⑤ 10년 이상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 )억 원 ( )억 원 ( )억 원 ( )억 원 ( )억 원

① 10억 미만

② 10억~30억 미만

③ 30억~50억 미만

④ 50억~120억 미만

⑤ 120억~300억 미만

⑥ 300억~500억 미만

⑦ 500~1,000먹 미만

⑧ 1,000억~1,500억 미만

⑨ 15,00억 이상

① 10억 미만

② 10억~30억 미만

③ 30억~50억 미만

④ 50억~120억 미만

⑤ 120억~300억 미만

⑥ 300억~500억 미만

⑦ 500~1000먹 미만

⑧ 1,000억~1,500억 미만

⑨ 1,500억 이상

① 10억 미만

② 10억~30억 미만

③ 30억~50억 미만

④ 50억~120억 미만

⑤ 120억~300억 미만

⑥ 300억~500억 미만

⑦ 500~1000먹 미만

⑧ 1,000억~1,500억 미만

⑨ 1,500억 이상

① 10억 미만

② 10억~30억 미만

③ 30억~50억 미만

④ 50억~120억 미만

⑤ 120억~300억 미만

⑥ 300억~500억 미만

⑦ 500~1000먹 미만

⑧ 1,000억~1,500억 미만

⑨ 1,500억 이상

① 10억 미만

② 10억~30억 미만

③ 30억~50억 미만

④ 50억~120억 미만

⑤ 120억~300억 미만

⑥ 300억~500억 미만

⑦ 500~1000먹 미만

⑧ 1,000억~1,500억 미만

⑨ 1,500억 이상

※ 본 항목들은 인천시 우수기업들의 경영전략, 인재정책 등과 기업성과 향상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항목이니 꼭 답해 주시기 바랍니다. 본 연구를 통해 분석된 인천시 기업의 우수경영전략 및 인재정책 등은 지역기업성장을 위한 경영교육지원 및 기업지원정책 수립에 매우 귀중한 자료가 될 것입니다. 본 항목의 정보는 설문분석을 위한 목적에만 활용될 것을 약속드립니다.

부록 ❚ 61

B. 2014년도 기준으로 귀사의 총지출규모와 지출항목별 비중을 표시하여 주십시오.

구분 금액

2014년 총지출액 백만원

총지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

시설투자 %

인건비

영업직 인건비 %

기술개발직 인건비 %

기타 인건비 %

경비(건물관리비, 통신비 등) %

영업비(마케팅, 홍보비 등) %

외주 용역비 %

교육훈련비 %

기타 ( ) %

합계 100.0%

C. 2014년도에 귀사가 조달한 자금의 원천별 비중을 표시하여 주십시오.

II. 연구 개발 및 기술 투자 관련

■ 연구개발 관련

2-1. 귀사는 경쟁력 향상을 위해 자체적인 신기술개발(연구개발)에 적극적인 편입니까?

① 매우 적극적 ② 다소 적극적 ③ 지역 내 같은 업종의 타기업체들과 유사 ④ 다소 소극적 ⑤ 매우 소극적

2-2. 귀사의 주력분야 연구개발투자액(기술개발인력 인건비, 외주용역개발비 등)이 전체 주력분야 매출

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어느 정도 입니까? (최근 3년간(2012~2014) 연구개발투자액의 평균을

적어 주십시오)

주력분야 연구개발투자액 = 주력분야 매출액의 (          )%

구 분국내조달자금에서 차지하는 비중

(2014년도 기준)

내부 유보자금(개인자금 포함) %

융자

일반금융기관 차입 %

정부의 정책자금 활용 %

기타(채권, 사채 등) %

투자

유치

인천 내(기관 등) 투자유치 %

인천 외 투자

유치

서울(기관 등) 투자 유치 %

경기 지역(기관 등) 투자 유치 %

기타 지역(기관 등) 투자 유치 %

합 계 100.0%

62 ❚인천지역 우수기업 특성 분석-제조업분야 중소기업의 기업경영전략 및 인재정책을 중심으로

2-3. 귀사는 주로 어떤 방식으로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고 계십니까? 우선순위가 높은 순으로 답해 주

십시오.

1순위( ), 2순위( ), 3순위( )

①독자 개발 ②국내 대학/연구소로부터의 기술도입 ③국내 기업으로부터의 기술도입 ④대학/

연구소와 공동개발

⑤기업과의 공동개발 ⑥외부개발기업에 아웃소싱 ⑦해외 대학/연구소로부터의 기술도입 ⑧해외기업으

로부터의 기술도입 ⑨해외 대학/연구소와 공동개발 ⑩해외기업과의 공동개발 ⑪기타

2-4. 최근 3년(2012~2014)동안 귀사의 주력분야 관련 산․학․연 연구개발사업 참여 건수와 지원기관을

적어 주십시오.

2-5. 귀사의 주력산업관련 특허, 인증, 수상경력 현황을 적어주십시오.

■ 기술투자 관련

2-6. 귀사는 경쟁력 향상을 위해 신기술 투자(새로운 설비 도입 등)에 적극적인 편입니까?

① 매우 적극적 ② 다소 적극적 ③ 지역 내 같은 업종의 타기업체들과 유사 ④ 다소 소극적 ⑤ 매우 소극적

2-7. 2014년 12월 현재 귀사의 주력분야 신기술 투자액(새로운 설비 도입 등)이 전체 주력산업부문 매

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어느 정도 수준입니까? (최근 3년간(2012~2014) 연구개발투자액의 평균을

적어 주십시오)

주력분야 새로운 설비 도입 투자액 = 주력분야 매출액의 (          )%

III. 기업 외부 네트워크 및 정책자금 활용

■ 기업외부 네트워크

3-1. 귀사의 경쟁력 향상을 위해 타 기업 또는 기관과 제휴에 적극적입니까? (단순 거래관계 제외)

① 매우 적극적 ② 다소 적극적 ③ 지역 내 같은 업종의 타기업체들과 유사 ④ 다소 소극적 ⑤ 매우 소극적

3-2. 2015년 4월말 현재 귀사는 타 기업 또는 기관과 어떤 유형의 제휴를 주로 하고 있습니까?

1위 : 2위 :

① 기술 분야 ② 마케팅 분야 ③ 공동생산 분야 ④ 인력 분야 ⑤ 기타

3-3. 귀하가 제휴하는 기업 및 기관을 지역별로 구분하여 적어주십시오.

전체 ( ) 건중앙정부,

공공기관 지원 ( ) 건

지자체, 지역 공공기관

지원 ( )건

대학, 연구소

지원 ( )건타기업 ( )건 자체 ( ) 건

지원기관 명

기술특허(등록기준) 우수경영관련 수상기술 및 품질 인증

기타 수상경력국내 인증 해외 인증

건 건 건 건 건

인 천 인천 외 지역

( )개서울 경기 기타 지역

( )개 ( )개 ( )개

부록 ❚ 63

■ 기업지원 서비스

3-4 주력산업분야 관련 기술, 시장 등 주요 정보를 주로 어디에서 얻게 됩니까?

1순위( ), 2순위( ), 3순위( )

① 대학/연구소 ② 정부 및 공공기관 ③ 고객(납품모기업 등)

④ 제품/서비스 협력업체(하청업체 등) ⑤ 관련 업종 단체/협회 ⑥ 컨설팅업체

⑦ 금융기관(벤처캐피탈 등) ⑧ 동종업체간 교류 ⑨ 기타( )

3-5. 귀사가 주로 활용하는 기업지원서비스는 어떤 분야인지 아래 표에 모두 표시해 주십시오.

활용 분야

활용 경험 제공부문 지역 만족도

① 있음

② 없음

① 인천

② 서울

③ 기타 지역

① 만족

② 보통

③ 불만

① 법률

② 특허•인증 획득

③ 회계•세제

④ 투자, 자금조달

⑤ 인력개발(교육•훈련)

⑥ 해외시장 진출 지원

⑦ 경영일반(조직, 인사 등)

⑧ 업체 네트워크 구축 지원

⑨ 기술개발 지원

⑩ 마케팅, 영업

⑪ 창업지원

⑫ 기타

3-6. 귀사가 가장 필요로 하는 기업지원서비스는 무엇입니까? (위 문3-5번의 표를 참조하여 번호를 적

어주십시오.)

1순위 : 2순위 :

3-7. (용역 수주 개발이 있는 경우, 2014년도 기준) 귀사가

1) 다른 기업/기관으로부터 수주를 받는 거래처는 몇 개입니까? 개

2) 다른 기업으로 외주를 주는 거래처는 몇 개입니까? 개

■ 정책자금 활용

3-8. 귀사는 중앙정부의 정책자금을 활용하고 계십니까? ① 예 ② 아니오

3-9. 중앙정부의 정책자금을 활용하고 계신다면, 몇 개의 프로그램의 지원을 받고 계십니까? ( )

3-10. 2015년 4월말 현재 중앙정부 정책자금의 총액을 어느 정도 됩니까? ( )백 만원

3-11. 중앙정부 지원금을 통해 어떤 분야에 중요한 효과(개선)를 경험하셨습니까? (예: 설비 보완 등)

( )

3-12. 귀사는 인천광역시의 정책자금을 활용하고 계십니까? ① 예 ② 아니오

3-13. 인천광역시의 정책자금을 활용하고 계신다면, 몇 개의 프로그램의 지원을 받고 계십니까?( )

3-14. 2015년 4월말 현재 인천광역시의 정책자금의 총액을 어느 정도 됩니까? ( )백 만원

3-15. 인천광역시 지원금을 통해 어떤 분야에 중요한 효과(개선)를 경험하셨습니까? (예: 설비 보완 등)

( )

64 ❚인천지역 우수기업 특성 분석-제조업분야 중소기업의 기업경영전략 및 인재정책을 중심으로

IV. 기업체 인력·고용 현황 및 인재정책

■ 인력 및 고용 현황

4-1. 2015년 4월말 현재 귀사의 임직원현황에 대해 답해 주십시오. 단, 주력분야 외에 비주력분야와

겸업을 하시는 경우 주력분야 인력만 자세히 적어 주십시오,

※ 상시종사자는 기본적으로 고용주와 1년 이상의 고용계약을 맺고 정상 근무시간의 1/3이상 근무하는 자

※ 임시종사자는 고용계약을 맺었거나 맺지 않았어도 1개월 이상 근무하면서 고정급여를 받는 자도 포함

※ 인턴(취업연수생)은 무급으로 업무를 배우는 자

4-2. 2015년 4월말 현재 귀사의 주력분야 상시종사자의 학력수준을 적어 주십시오.

4-3. 2015년 4월말 현재 귀사의 주력분야 상시종사자 기술개발(숙련)인력 1인당 연평균 임금수준을 표

시해 주십시오.

※ 연평균 임금수준에는 급여(임금), 제수당 및 잡급, 퇴직급여충당금전입액, 복리후생비(법정복리비, 장학금, 의료보험, 피복비, 보건비, 무료급식비 등)를 포함

구 분 전체주력분야

비주력분야

부문관리직 영업직기술개발

기술숙련

직기타

상시 종사자 명 명 명 명 명 명 명

임시 종사자 명 명 명 명 명 명 명

인 턴 (취업연수생) 명 명 명 명 명 명 명

합계 명 명 명 명 명 명 명

구분 전체 관리직 영업직 기술개발직 기술숙련직 기타

대학원 석사 이상 명 명 명 명 명 명

대학 졸업 명 명 명 명 명 명

전문대 졸업 명 명 명 명 명 명

특성화 고등학교 졸업 (실업계) 명 명 명 명 명 명

인문계 고등학교 졸업 명 명 명 명 명 명

고졸 이하 명 명 명 명 명 명

합계 명 명 명 명 명 명

구분 고급 중급 초급

학력기준

• 박사, 석사 6년 이상• 학사 9년 이상• 전문대12년 이상• 고졸 15년 이상

• 석사 3년 이상• 학사 6년 이상• 전문대 9년 이상• 고졸 12년 이상

• 석사, 학사, 전문대졸• 고졸 3년 이상

자격기준

• 기사 7년 이상• 산업기사 10년 이상

• 기사 4년 이상• 산업기사 7년 이상

• 기사, 산업기사

초급 중급 고급

① 100만원 미만

② 100만원~200만원 미만

③ 200만원~300만원 미만

④ 300만원~400만원 미만

⑤ 400만원~500만원 미만

⑥ 500만원 이상

① 100만원 미만

② 100만원~200만원 미만

③ 200만원~300만원 미만

④ 300만원~400만원 미만

⑤ 400만원~500만원 미만

⑥ 500만원 이상

① 100만원 미만

② 100만원~200만원 미만

③ 200만원~300만원 미만

④ 300만원~400만원 미만

⑤ 400만원~500만원 미만

⑥ 500만원 이상

부록 ❚ 65

4-4. 지난 3년 동안 귀사는 몇 명이나 새로 고용했으며, 몇 명이 떠났습니까?

4-5. 귀사의 주력산업분야 상시종사자의 평균 근속연수는 몇 년 정도입니까?

4-6. 귀사의 주력산업분야 상시종사자의 평균 근속연수는 다른 기업에 비해 긴 편입니까, 짧은 편입니까?

① 다른 기업 보다 짧은 편 (문4-7로) ② 다른 기업과 유사 ③ 다른 기업보다 긴 편 (문4-8로)

④ 모름

4-7. 귀사의 주력산업분야 상시종사자의 평균 근속연수가 다른 기업에 비해 짧은 편이라면, 그 주된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 )

4-8. 귀사의 주력산업분야 상시종사자의 평균 근속연수가 다른 기업에 비해 긴 편이라면, 그 주된 이

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

4-9. 2014년 12월 현재 귀사 종사자 중 외국인 인력은 몇 명입니까? ( )명

4-10. 그들의 국적은 어떻게 됩니까? ( )

①미국 ②중국 ③일본 ④ 유럽국가 ⑤ 호주 ⑥ 동남아 국가 ⑦ 기타 (국가명: )

4-11. 외국인 인력들이 담당하고 있는 업무의 종류는 어떤 것입니까?

① 주력산업분야 핵심업무 ② 주력산업분야 비핵심업무 ③ 비주력산업분야 핵심업무

④ 비주력산업분야 비핵심 업무 ⑤ 기타 ( )

■ 직무교육 현황

4-12. 귀사는 임직원에 대한 교육 • 훈련을 외부기관을 통해 시키고 있습니까?

① 시키고 있음 ② 시키고 있지 않음

4-13. (문4-12번에서 교육 • 훈련을 시키고 있는 경우) 귀사가 주로 지원하는 교육 • 훈련 분야는 무

엇이고, 해당 교육기관은 어느 지역에 있습니까?

년도 2012 2013 2014

신규

고용주력분야

비주력분야

주력분야

비주력분야

주력분야

비주력분야

직장

떠남주력분야

비주력분야

주력분야

비주력분야

주력분야

비주력분야

주요 교육 • 훈련 분야 지역

① 인천 ② 서울 ③ 경기 ④ 기타 지역

초급 중급 고급

① 6개월 미만 ( ) 명

② 6개월 ~ 1년 미만 ( ) 명

③ 1년 ~ 3년 미만 ( ) 명

④ 3년 ~ 5년 미만 ( ) 명

⑤ 5년 ~10년 미만 ( ) 명

⑥ 10년 이상 ( ) 명

① 6개월 미만 ( ) 명

② 6개월 ~ 1년 미만 ( ) 명

③ 1년 ~ 3년 미만 ( ) 명

④ 3년 ~ 5년 미만 ( ) 명

⑤ 5년 ~10년 미만 ( ) 명

⑥ 10년 이상 ( ) 명

① 6개월 미만 ( ) 명

② 6개월 ~ 1년 미만 ( ) 명

③ 1년 ~ 3년 미만 ( ) 명

④ 3년 ~ 5년 미만 ( ) 명

⑤ 5년 ~10년 미만 ( ) 명

⑥ 10년 이상 ( ) 명

66 ❚인천지역 우수기업 특성 분석-제조업분야 중소기업의 기업경영전략 및 인재정책을 중심으로

4-14. (문 4-13에서 소재지 외 교육기관 활용 업체만 응답) 소재지 외 기관에서 시키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① 소재지에 해당 교육기관이 없음 ② 소재지에 있는 해당분야 교육기관의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음

③ 다른 지역 교육기관의 교육조건이 좋음(교육비 저렴 등) ④ 기타 ( )

V. 경쟁 환경

■ 경쟁환경

5-1. 귀사가 개발 • 공급하는 주력분야 제품 • 서비스의 경쟁상황은 어떠합니까?

5-2. 귀사가 중점을 두고 있는 주요 경쟁요소를 우선순위별로 적어주십시오. 1순위( ), 2순위( ), 3

순위( )

① 가격 ② 기술 · 품질 ③ 인지도 ④ 마케팅(영업력 등) ⑤ 입지가 유리 ⑥ 기타( )

5-3. 귀사의 주요 경쟁업체는 다음 어디에 해당합니까?

① 국내 대기업 ② 국내 중소기업 ③ 국내 외국계 기업 ④ 해외기업 (국가명: ) ⑤기타( )

5-4. 귀사의 주요 국내 경쟁업체는 어느 지역에 소재하고 있습니까?

① 인천 ② 서울 ③ 경기도 ④ 기타 지역

■ 입지

5-5. 귀사가 현재 소재지에 본사를 설립한 데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친 요인은 무엇입니까? 우선순위

가 높은 순으로 3가지만 골라 주십시오. 1순위( ), 2순위( ), 3순위( )

① 설립자의 연고지

② 자금조달에 유리(투자, 융자, 정책자금 등)

③ 귀사의 주력분야 수요기반이 상대적으로 우수 (마케팅에 유리)

④ 주력분야 관련 기관의 집적이 상대적으로 우수

⑤ 기업운영환경이 상대적으로 유리(임대료 등)

⑥ 연구개발환경이 유리(관련 대학, 연구소 소재 등)

⑦ 전문인력 확보가 용이

⑧ 기업지원서비스기관이 우수(창업보육시설, 컨설팅기관, 벤처캐피탈 등)

⑨ 지자체의 육성 의지 및 지원

⑩ 우수한 거주환경(주거 • 교통 • 교육 환경 등)

⑪ 기타( )

■ 애로요인

5-6. 현재 귀사가 겪고 있는 애로사항을 우선순위를 두어 적어주십시오. 1순위( ), 2순위( ), 3순위

( )

① 자금조달 ② 기술인력 확보 및 유지

③ 유능한 CFO 등 확보 및 유지 ④ 정보부족(시장, 기술 동향)

⑤ 기술개발 ⑥ 적시 신제품 개발

⑦ 판로확보/ 시장개척(마케팅활동) ⑧ 수출(해외시장개척)

⑨ 전략적 제휴 파트너 확보 ⑩ 인건비 부담정도

1)가격경쟁 ① 전혀 없음 ② 약간 있음 ③보통 ④다소 치열 ⑤ 매우 치열

2)비가격경쟁(품질•기술수준, AS 등) ① 전혀 없음 ② 약간 있음 ③보통 ④다소 치열 ⑤ 매우 치열

부록 ❚ 67

[별 첨]대분류 중분류 대분류 중분류

1. 농업,

임업 및

어업

⑴농업

⑵임업

⑶어업

10.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⑴출판업

⑵영상•오디오 기록물 제작 및

배급업

⑶방송업

⑷통신업

⑸컴퓨터프로그래밍, 시스템 통합 및 관리업

⑹정보서비스업

2. 광업

(1) 석탄, 원유 및 천연가스 광업⑵ 금속 광업⑶ 비금속광물 광업;연료용 제외⑷ 광업 지원서비스업

11. 금융 및보험업

⑴금융업⑵보험 및 연금업⑶금융 및 보험 관련 서비스업

3. 제조업

⑴ 식료품 제조업 ⑵ 음료 제조업 ⑶ 담배 제조업⑷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제외⑸ 의복, 의복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⑹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⑺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가구제외⑻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⑼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⑽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⑾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⑿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⒀ 고무제품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⒁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⒂ 1차 금속 제조업(16) 금속가공제품 제조업;기계 및 가구 제외⒄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⒅ 의료, 정밀, 광학기기 및 시계 제조업⒆ 전기장비 제조업⒇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21)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22)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23) 가구 제조업(24) 기타 제품 제조업

12. 부동산업

및 임대업

⑴부동산업

⑵임대업; 부동산 제외

13.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⑴연구개발업

⑵전문서비스업

⑶건축기술, 엔지니어링 및 기타 과학기술

서비스업

⑷기타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14.

사업시설관리

사업지원

서비스업

⑴사업시설관리

및 조경 서비스업

⑵사업지원 서비스업

4. 전기, 가스,

증기 및 수도산업

⑴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⑵수도사업

15.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⑴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5.

하수•폐기물처리,

원료재생 및

환경복원업

⑴하수, 폐수 및 분뇨 처리업⑵폐기물 수집운반, 처리 및 원료재생업⑶환경 정화 및 복원업

6. 건설업⑴종합 건설업⑵전문직 건설업

16. 교육 서비스업

⑴교육 서비스업

7. 도매 및 소매업

⑴자동차 및 부품 판매업⑵도매 및 상품중개업⑶소매업; 자동차 제외

17.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⑴보건업⑵사회복지 서비스업

8. 운수업

⑴육상운송 및 파이프라인 운송업⑵수상 운송업⑶항공운송업⑷창고 및 운송관련 서비스업

18.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

⑴창작, 예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⑵스포츠 및 오락관련 서비스업

9. 숙박 및 음식점업

⑴숙박업⑵음식점 및 주점업

19.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

⑴협회 및 단체⑵수리업⑶기타 개인 서비스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