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 - KOTRA 무역자료실

154
그리스 http://www.kotra.or.kr http://www.globalwindow.org 정보수정일자: 2012. 12. 20. 작성처: 아테네 무역관 본 자료를 무단으로 복제, 전재, 판매하는 행위는 저작권법에 의해 엄격하게 금지되며 위반 시에는 법률에 따라 처벌을 받게 됩니다.

Transcript of 그리스 - KOTRA 무역자료실

그리스

http://www.kotra.or.kr

http://www.globalwindow.org

정보수정일자: 2012. 12. 20.

작성처: 아테네 무역관

본 자료를 무단으로 복제, 전재, 판매하는 행위는

저작권법에 의해 엄격하게 금지되며 위반 시에는

법률에 따라 처벌을 받게 됩니다.

그리스

◀ 목 차 ▶

I. 국가일반

국가개요 / 1

정치사회동향 / 3

한국과의 주요이슈 / 12

II. 경제

경제동향 및 전망 / 13

주요 산업 동향 / 21

지역무역협정 체결현황 / 28

III. 무역

1. 교역동향

수출입 동향 / 28

한국과의 교역동향 및 특징 / 32

2. 무역관련 주요제도 및 절차 수입규제제도 / 35

대한수입규제동향 / 37

관세제도 / 39

주요인증제도 / 42

지적재산권 / 47

통관운송 / 53

그리스

IV. 투자

1. 투자환경 및 동향

투자환경 / 56

외국기업 투자동향 / 61

우리기업 투자동향 / 64

2. 외국인투자 유치제도 주요 투자법 내용 / 66

진출형태별 절차 / 75

투자입지여건/ 84

3. 사업관리 노무관리 / 89

조세제도 / 95

외환관리 및 자금조달 / 97

V. Business 참고정보

시장특성 / 100

물가정보 / 103

바이어발굴 / 104

상관습 및 거래 시 유의사항 / 108

무역, 투자 진출 시 애로사항 / 110

진출 성공, 실패 사례 / 112

이주정착 가이드 / 116

출장가이드 / 123

주요 전시회 개최일정 / 148

유관기관 웹사이트 / 150

그리스

그리스-1

Ⅰ. 국가일반

1. 국가개요 가. 일반사항

국가명 그리스(The Hellenic Republic, 통상Greece)

(현지어명: Elliniki Demokratia)

위치 유럽 대륙 남동쪽 발칸 반도에 위치하며, 북쪽은 알바니아 마케도니아,

불가리아와 국경을 마주하고 동쪽은 터키, 남쪽은 지중해에 접해있음

면적 131,957㎢ (남한의 132%)

기후 지중해성 기후(여름: 고온건조, 겨울: 저온다습)

수도 아테네(Athens)

인구 11,237,068명(2011년 기준, 통계청 데이터)

주요도시(인구) Athens(375.7만 명), Thessaloniki(104만 명), Patra( 33만 명),

Larisa(28만 명), Heralkion( 29만 명) 등

민족 그리스계 98%, 터키계 1%, 기타 1%

언어 그리스어(헬라어: 관공서의 공문서는 그리스어만을 사용)

종교 그리스 정교(Greek Orthodos) 97%, 회교 1%, 기타 2%

건국(독립)일 1821.3.25 오토만제국에 독립운동 선포

(1830.2.3 런던 의정서에 의해 국가승인)

정부형태 내각책임제

국가원수

ㅇ Karlos Papoulias(대통령: 국가원수)

- 재선 : 2010. 2. 3

- 임기: 5년

- Antonis Samaras(수상: 연합정부) 취임일: 2012.6.20

자료: EIU 2012.12

나. 경제지표

자료: EIU 2012.12

GDP(명목) 2,543 억 유로 (2012 예상치)

실질 경제성장률 -6.4 % (2012 예상치)

1인당 GDP 24,947 달러 (2012 예상치)

실업률 24.4% (2012 예상치)

인플레이션 1.0% (2012 예상치)

화폐단위 유로(Euro)

환 율 1유로=1.28 달러 (2012년 평균치)

외환보유고 40.42억 유로 (2012.9 기준)

외 채 3,103억 유로 (3012.9 기준)

산업별 GDP비중 1차산업 : 5%, 2차 산업 15%, 3차 산업 : 80%

교역구조 267억달러(수출), 583억 달러(수입) (2012 예상치)

주요 교역품 수출: 철강, 모피제품, 담배, 석유·석탄, 펄프, 동(구리), 알루미늄 등

수입: 제조업 기반 취약으로 대부분의 품목을 수입에 의존 (수입 초과 현상 상존)

그리스-2

다. 한-그리스 관계

체결협정

ㅇ 문화협정('67)

ㅇ 발명특허권 및 상표권 상호협정('73)

ㅇ 무역협정('74),

ㅇ 일반사증면제협정('79)

ㅇ 과학기술협력협정('94)

ㅇ 투자보장협정('95)

ㅇ 항공협정('96),

ㅇ 이중과세 방지협정('95 서명, 98 발효)

ㅇ 관광협정, 해운협정('06.9 서명)

ㅇ 경제협력협정('08.9.23 서명)

ㅇ 한-그리스 항공회담(’12.3.7~8)

교역규모

ㅇ 대 그리스 수출

- 2007년 : 16억 61백만 달러(40.0% 감소)

- 2008년 : 14억 13백만 달러(14.9% 감소)

- 2009년 : 32억 3백만 달러(126.7% 증가)

- 2010년 : 12억 9백만 달러(62.3% 감소)

- 2011년 : 13억 50백만 달러(11.7% 증가)

- 2012년.1월~10월 : 17억 77백만 달러 (54% 증가)

ㅇ 대 그리스 수입

- 2007년: 60백만 달러(27.9% 감소)

- 2008년: 1억 30백만 달러(117.0% 증가)

- 2009년: 56백만 달러(57.0% 감소)

- 2010년: 82백만 달러(45.6% 증가)

- 2011년: 91백만 달러(11.33% 증가)

- 2012년.1월~10월 : 1억 62백만 달러 (107.6% 증가)

주요 교역품

ㅇ 한국: 선박, 전기제품, 기계·컴퓨터, 플라스틱, 자동차, 철강 등전

ㅇ 그리스: 철강, 모피제품, 담배, 석유·석탄, 펄프, 동(구리), 알루미늄

교 민 수 약 300명(지�상사 주재원, 요식업, 여행업 등)

자료: KOTIS 2012.12

그리스-3

2. 정치 사회 동향 가. 국가조직

1) 행정부

ㅇ 형태: 내각책임제

ㅇ 대통령: 국가 상징으로서의 성격이 강하며, 임기는 5년으로 국회에서 선출되고 1회에

한해 연임 가능하다. 국가 원수로서 국군 통수권, 전쟁 선포권, 국회 통과 법안에 대한

거부권이 부여되나 이 거부권은 극히 예외적으로 행사됨.

ㅇ 총리: 다수당의 당수가 지명되고, 모든 행정부의 책임과 권한이 부여됨.

2) 사법부

ㅇ 사법부는 민사, 형사, 행정재판소로 구분되며 민·형사 최고재판소인 대법원의 이름은

‘아 리오스 빠고스’이며, 행정부의 위헌 및 행정권 남용을 판결하는 특별행정재판소가

있다. 대법원 판사는 대통령이 임명함.

3) 의회

ㅇ 300명의 국회의원으로 구성되는 단원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국회의원 선거는 매 4년

마다 실시된다. 300명의 국회의원 중 12명은 각 정당의 득표비율에 따라 전국구

의원으로 충당되며, 288명은 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 하에서 국민투표로 선출된다.

다수당의 당수가 총리로 지명되며, 주로 장관은 국회의원직을 겸임하고 있음..

ㅇ 현 대통령: Karolos Papoulias

- 2010.3 연임, 임기 5년, 의회 간선

ㅇ 현 총리: Antonis Samaras(연합정부)

- 2012년 5월 17일 7개 정당 취임식을 가졌으나 연정 구성 실패로 5월 18일 의회 해산,

6월 17일 제 2차 총선 실시 및 연합정부(3당) 구성함.

- 취임식 2012년 6월20일

나. 정치제도

1) 헌법

� 개관

ㅇ 1975년 민주공화제 헌법을 선포하여 프랑스와 독일 헌법의 절충형태로 대통령제를

가미한 의원 내각제의 정부형태를 규정하는 헌법을 채택하였다. 1986년 3월 대통령의

권한을 축소하는 내용의 개정헌법을 채택함으로써 종전 헌법의 정부형태에 의원 내각제

적 요소를 더욱 강화함.

그리스-4

� 개정헌법 요지

ㅇ 대통령의 권한 가운데 중요사항을 내각과 의회에 부여함으로써 대통령에게 의례적

상징적 권한만을 부여한다. 종전 대통령제를 가미한 의원내각제에 의회와 총리의

권한을 강화시킴으로써 의원 내각제적 요소를 강화

� 주요 개정내용

ㅇ 대통령 선출방법(제 32조): 종전 의회에서의 비밀투표 방식에서 공개투표방식으로 전환

ㅇ 대통령의 총리지명권(제 35조): 의회의 추천요건 삽입

ㅇ 대통령의 의회 해산권(제 36조): 총리의 건의 및 부서요건 삽입

ㅇ 국가평의회제도(제 39조): 폐지(대통령 자문기능 삭제)

ㅇ 대통령의 대국민성명 발표권(제 44조): 총리의 동의요건 삽입

� 기타 일반사항

ㅇ 주권재민의 원리와 3권 분립주의에 입각하여 국민의 기본권을 보장하며, 입법권, 행정권

및 사법권을 각각 분리한 정치구조를 채택함.

ㅇ 종교: 그리스 정교 외의 다른 종교 선택의 자유를 보장함.

2) 대통령

ㅇ 지위 및 선출방식: 대통령은 국가원수이며 행정부의 수반으로서 의회에서 선출된다.

임기는 5년이며, 1회에 한하여 연임이 가능함.

- 대통령은 총리지명 및 총리가 제청한 각료임명권, 군 총사령관으로서의 국군통수권,

전쟁 선포권, 대통령 선출 불가능 시 또는 총리 요청 시 의회해산권, 대법원 판사 임명권,

법률 공표 및 조약비준권, 의회 동의 하에 국민투표 실시권, 총리 동의 하의 대국민

성명 발표권 등 국가원수 및 행정부의 수반으로서의 권한을 보유함.

3) 행정부

ㅇ 총리 및 각료로 구성되는 내각은 헌법 및 법률에 의한 일반정책의 수립 및 집행을 담당함.

ㅇ 총리는 다수당의 당수로서 의회의 추천에 따라 대통령이 지명하고, 각료는 총리의

제청에 따라 대통령이 임명하며, 내각은 의회의 재적의원 과반수 이상의 신임 하에서만

존립이 가능함.

4) 의회

ㅇ 단원제 국회로서 300명의 국회의원으로 구성되며, 국회의원 선거는 4년마다 실시된다.

300명의 국회의원 중 5%는 각 정당의 득표 비율에 따라 전국구 의원으로 충당되며,

95%는 소선거구제 하에서 국민 투표로 선출된다. 다수당의 당수가 총리가 되며, 장관은

모두 국회 의원으로 구성됨.

그리스-5

5) 사법부

ㅇ 3심 제도로서 대법원, 고등법원, 하급법원(민사, 형사 및 행정법원으로 구분)으로 구성

되며, 행 정부의 위헌여부 및 행정권 남용을 최종 심판하는 특별재판소가 따로 있음.

ㅇ 각급 판사는 대통령이 임명하며, 형사처벌을 받지 않는 한 정년 65세까지 재직할 수

있고, 재판의 공정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영리 목적의 겸직은 금지함.

6) 주요 정당

� 신민당(New Democratic Party: ND)

1974년 11월 민정복귀를 계기로 Karamanlis 전 총리(현 Karamanlis 총리의 삼촌)가 창당한

보수 우파 정당이다. 2000년 선거에서 0.9%의 차이로 PASOK에 패하였다. 그러나 2004년

총선에서 165석을 획득하여 정권 탈환에 성공함.

2007년 9월 16일 실시된 조기총선에서 득표율 41.83%, 152석을 확보하여 가까스로

재집권에 성공함. 그러나 2009.10.4일 실시된 조기총선에서 33.4% 득표로 91석 획득에

그쳐 43.9% 득표율에 160석을 획득한 제1야당인 PASOK에 정권을 내주었음.

2010년 PASOK의 IMF, EU, ECB로부터 자금 지원 조달을 받는 긴축정책안을 통과시키며

국민들의 반심을 이용 총선을 요구하였으나 2011년 IMF, EU, ECB측에서 재정 지원을

위해서는 제 2당의 지원과 참여가 필요하다며 각서를 요구, 결국, PASOK과 손을 잡고 임시

연합정부를 구성함.

2012년 5월17일 조기 총선에서 1당이였지만, 정부를 구성하는 과반수를 넘지 못하며

연합정부 구성에 실패. 이어, 6월 17일 총선에서 PASOK과 Democratic Left(DHMAR)과

함께 연합정부를 구성함.

� 사회당(Pan - Hellenic Socialist Movement: PASOK)

1974년 11월 민정 복귀를 계기로 Papandreou 당수가 창당한 사회주의 좌파정당으로

저소득 층 및 청소년, 진보주의 인사들의 광범위한 지지를 받고 있음. 2000년 선거에서

가까스로 제1야당인 신민당을 누르고 집권 연장에 성공하였으나, 2004년 총선에서

신민당에 패해 집권 연장에 실패함.

2007년 9월 16일 총선에서 사회당은 38.10%의 지지율로 종전보다 15석이 감소한 102석을

얻는데 그침. 당내에서는 이번 총선 실패의 책임을 물어 Papandreou 당수가 사임해야

한다는 압력에 직면했었으나 재신임에 성공함.

2009.10.4일 실시된 조기총선에서 경제위기 타파에 대한 실패와 부패 등으로 집권당이었던

신민당에 이겨(43.9% 득표율, 160석) 정권을 탈환함.

2010년부터 IMF, EU, ECB로부터 재정 지원을 받으며 혹독한 긴축안을 실시함에 따라

국민들의 반심으로 인하여 지지율이 지난 40년간 최악으로 추락. 2012년 2번 실시된

총선에서도 가까스로 제 3당의 자리를 지키며 당 내부에서 의견 충돌이 일어나기 시작함.

제 1당인 ND(신민주당)과 손을 잡고 연합정부에 합류함.

그리스-6

� 좌파연합당(Coalition of Left and Progress; SYRIZA)

좌파연합당은 1989년 6월 선거 집권을 목표로 기존의 국제파 공산당(KKE)과

국내공산당(KKE-int)이 합당한 정당임. PASOK의 고강도 긴축정책에 대한 강렬한 비판과

반대로 국민들의 지지율을 얻음. 2012년 실시된 2차례 총선에서 각 52석, 72석을 얻으며

제2 정당이 되며 좌파 돌풍의 선봉으로 부상함.

� 공산당(Greek Communist Party: KKE)

좌파연합당 내 강경파들이 신임 당수의 온건 노선에 반발, 1990년 6월 독립 정당을 창당함.

ND와 PASOK에 이어 제 3당 역활을 수십년간 맡아온 공산당은 2012년 실시된 2차례 총선에서

각 12석, 26석으로 가까스로 의회에 진출함.

� 황금새벽당(Golden Dawn)

2012년의 2차례 실시된 총선의 최대 사건 중 하는 극우 파시스트인 황금새백당이 6.92%의

지지율로 18석이나 확보하며 처음으로 의회에 진출함.

� 민주좌파당(Democratic Left :DHMAR)

좌파연합당 대표로 활동하였던 Kouvelis가 2011년 10월 구성한 신규 당으로 2012년 총선에서

각 19석, 17석의 결과를 얻으며 바로 의회에 진출함. 현재 ND와 PASOK과 함께 연합정부를

구성하고 있음.

7) 주요 정책

ㅇ 대내 정책: 민주주의, 자유 시장주의, 독립성 유지 및 국가 안보 확립

ㅇ 대외 정책: 친 서방 정책, 국제적 지지확보 주력, 사이프러스 적극 지지, 국제 평화 및

인권 문제에 적극 참여

ㅇ 주요 정책

- 그리스 경제위기 극복

- 불법 외국인 체류자 경계선 및 국방력 증강

- 공기업 민영화 추진

- 사회보장제도 통합 시스템 구축

- 국가행정 선진화 시스템 구축 및 투명성 강화

8) 지방행정

ㅇ 전국은 56개의 주(州: Nomoi)로 구분되며, 인구 10,000명 이상의 상급 자치단체인

1,034개의 군(郡: Municipality)으로 구성되어 있음.

ㅇ 인구 5,000명 미만의 지방 자치단체는 지방선거에서 최고득표자(유효투표 50% 미만도

무방)가 자치단체의 장으로 당선되며, 자치단체장은 지방의회 재적의원 3/5까지 자기

정당원을 지방의원으로 임명할 수 있음.

그리스-7

ㅇ 인구 5,000명 이상의 지방자치단체는 유효투표 50% 이상을 득표한 후보자가 없을

경우에 는 최고 득표자와 차점자 간의 결선투표로 동 자치단체의 장이 선출되고, 이

경우 지방의회 의원의 2/5는 제1차 선거에서 획득한 후보자 간의 득표수에 따라

배분되며, 잔여 3/5은 결선 투표에서 최고 득표자와 차점자 간의 득표수에 따라서

배분됨.

ㅇ 투표는 복수 후보자에 대한 기명투표 방식으로 진행되며, 동 지방선거에서 당선된 지방

의원으로 구성되는 지방의회(Council)는 지방자치 업무에 대한 의결권을 가짐.

ㅇ 그리스 정부는 2010년 재정긴축 대책의 일환으로 그 동안 방만하게 분할 운용되어 오던

지방자치단체(읍)수를 현재의 1,034개에서 325개로 대폭 줄이는 지자체통합추진법에

대해 각 지자체장과 산하 공무원들이 격렬히 반대하며 시위를 벌인 바 있음. 정부는

지자체 통합으로 연간 약 20억 유로 정로 예산이 절감될 것으로 보고 있음.

ㅇ 2012년 구성된 연합정부는 2012년 하반기 지방자치단체수와 세무서를 통합을

취진시키고 있으며 공무원 축소에 힘을 기울이고 있다. 이로인하여 공무원들의 반대

시위가 2012년 4분기부터 2013년 상반기까지 지속적으로 일어날 것으로 예상됨.

다. 주요 인사

1) 대통령 (명목상의 국가원수)

ㅇ 성명: Karlos Papoulias

ㅇ 생년월일: 1929. 6. 4(요아니나에서 출생)

ㅇ 학력: 아테네대학 법대 졸업

ㅇ 가족사항: 부인 메이 파누, 3녀

ㅇ 주요경력

- 1977~2004년: 요아니나 지역구 국회의원 연임

- 1981~1989, 1993~1996: 외무부 차관, 장관

- 1997~2003: 외교 국방 위원회 위원장

- 2005. 3. 12~: 6대 대통령 선출(향후 5년간)

ㅇ 방한 경력: 없음

ㅇ 외국어 구사: 독어, 불어, 이탈리아어

2) 총리(실권자)

ㅇ 성명: 안토니스 사마라스(Antonis Samaras)

ㅇ 출생년도: 1951년 5월 23일

ㅇ 주요 학력

- ~1974: Amherst 대 경제학 학사

- 1974-1976: Harvard 경제학 석사

- 1972-1978: MIT 경제학 박사

그리스-8

ㅇ 주요 경력

- 1977-1989: 신민주당 국회의원(MP of Messenia Region)

- 1989.7-1989.10: 재무부 장관

- 1989.10-1992.4: 외교부 장관

- 1992.4-2009.11: 신민주당 국회의원으로 활동

- 2009.11-2012.6.20: 제1 야당 대표

- 2012.6.20 ~ 그리스 총리

ㅇ 가족 관계: 부인 요르기아 크레티코스, 1남1여

라. 외교관계

1) 개관

ㅇ 1974년 11월~1981년 10월까지 신민당 집권 시에는 친 서방정책을 근간으로 하여 i)

EU 및 NATO와의 관계 정립을 통한 서방과의 관계 긴밀화, ii) 발칸제국과의 우호협력

강화, iii) 대미 관계 중시, iv) 아랍 제국과의 관계 개선, v) 동구권 및 소련과의 경제협력

증대 등을 주요 외교 정책으로 내세우고 대 터키 관계 개선 및 헬싱키의정서에 따른

상호분쟁의 평화적 해결과 핵무기 경쟁 종식을 위한 군축지지 등의 대외정책을 표방함.

ㅇ 1981년 10월 총선에서 승리한 사회당(PASOK) 정부는 외교정책의 기조를 평화와

현실주의에 두고 기본적으로는 친 서방 노선을 견지하면서도 실리위주의 다면 외교정책을

표방함.

ㅇ 동서남북의 교차점에 위치한 그리스는 유럽, 발칸 및 지중해 국가임을 강조하면서 소련

및 동구권 국가와의 협력강화, 발칸 및 아랍제국과의 친선 우호협력 강화, PLO의

입장을 지지 하는 한편 대 이스라엘 강경자세, 비동맹권과의 유대강화 등 주변제국과의

실리추구관계 유지와 아울러 국제 평화를 위한 군축 및 비핵화 운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함.

ㅇ 터키와의 관계는 에게해 영유권 분쟁 및 사이프러스 분쟁에 대한 강경자세 고수로

긴장이 고조되었으나 터키의 EU 가입 지지 표명과 군사 HOTLINE 개설 등으로 양국간

관계 정상 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음.

ㅇ 터키의 Erdogan 총리는 5.14~5.16 간 양국 역사상 처음으로 그리스를 공식 방문,

Papandreou 그리스 총리와 정상회담을 가지고 경제.관광.에너지 분야 등에 대한 21개

협정에 서명하였는데, 이를 계기로 양국간 외교관계가 크게 개선될 것으로 전망됨.

ㅇ 대미 및 NATO 관계에 있어서는 집권초기의 양 기구에 대한 탈퇴입장에서 경제적 실리

및 안보를 위해 입장을 변경하고 NATO와는 미사일 구주지역 배치 반대, 그리스주둔

미군기지 철수, 폴란드 계엄령 비난 거부, NATO 합동군사훈련에 대한 수시 불참, 대

이라크 참전 불가 등 독자적인 입장을 견지한 바 있음.

ㅇ 1990년 4월 총선을 통해 연립정부를 구성한 신민당 주도정부는 과거 사회당 정부의

대서방 의존 탈피 및 자국의 실리외교 추구가 그리스를 고립시켰다고 판단하여 대 터키

관계 개선 및 서방과의 관계강화 등 탈 고립 정책을 추구함.

그리스-9

ㅇ 1993~2003년까지 집권한 사회당은 과거의 친소, 반미노선에서 탈피하여 친 서방 노선

을 채택하였고 2004년 새로 집권한 신민당 정부도 이와 같은 기본노선을 견지함.

ㅇ 한편 구 유고연방의 마케도니아인 FYROM(Former Yugoslav Republic of Macedonia)

과는 마케도니아 국명사용과 관련하여 외교마찰이 있는데, 그리스는 FYROM의

‘마케도니아’ 국명 사용에 반대하고 있다. 2008년 4월 2일, NATO 정상회담에 참석한

Karamanlis 총리는 FYROM과의 국명사용 분쟁이 해결되지 않고 있는 것을 이유로

FYROM의 NATO가입 표결 시 반대표를 던진 바 있음.

ㅇ 경제 실리 외교를 추진하기 위하여 Karamanlis 총리는 2004년과 2005년 각각 일본과

중국을 방문, 관광객 유치와 농산물 수출, 해운항만 분야 투자유치를 위한 양국간의

경제 협력 강화 등을 위해 노력함.

2) 대외정책의 기본방향

� 정책기조

ㅇ 그리스 경제위기 극복

ㅇ 불법 외국인 체류자 경계선 및 국방력 증가

ㅇ 공기업 민영화 추진

ㅇ 사회보장제도 통합 시스템 구축

ㅇ 국가행정 선진화 시스템 구축 및 투명성 강화

� 정책방향

ㅇ 친 서방(미국, EU, NATO 등) 정책 강화

ㅇ 대 터키 관계: 신뢰회복 및 현안문제 해결을 위한 성실한 대화를 희망하며 영토 불가침,

주권, 내정불간섭, 국제협약 준수의 원칙에 기초하여 추진함.

ㅇ 대 중동 관계: 이스라엘을 법적으로 승인하고, 대사급 외교관계 수립과 함께 PLO와의

관계를 격상시키며, 아랍국가들과의 전통적 우호관계 지속 유지함.

ㅇ 대 러시아 및 동부유럽 관계: 계속적인 우호증진 추구, 동부유럽 국가의 EU 관계 개선

지지

ㅇ 대 아시아 관계: 일본, 호주, 중국 및 극동의 신흥공업국가들과의 관계강화함.

ㅇ 최근 피레우스 항구 등 해운 항만 관리 및 관광객 유치 등을 위해 중국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는데 주력하고 있음.

마. 주한주재국기관

ㅇ 주한 그리스대사관

- 대사: Mr. Petros Avgerinos (2009년 1월말 부임)

- 상무관: Mr. Karapetsas Athanassios (2008년 9월 부임)

- Consular Office E-mail: [email protected]

- 주소: 서울시 중구 장교동 1가 한화빌딩 27층

- 전화: 02-729-1400/1

- 팩스: 02-729-1402

- e-메일: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 홈페이지: http://emb-greece.org

그리스-10

바. 최근 정치사회 동향

1) 개관

ㅇ 1974년 민정복귀 이후 그리스 정치는 중도사회주의 정당인 사회당(PASOK)과, 보수우익

정당인 신민당(ND) 양대 정당이 정국을 주도해오고 있음.

ㅇ 사회당은 1981~1989년, 1993~2004년에 걸쳐 약 20여 년간 집권하였고, 신민당은

1989~ 1993년 및 2004년~2009년 10월까지 집권하였다. 2009.10.4일 실시된 조기총선

에서 사회당이 다시 정권을 탈환함.

ㅇ 2011년 11월 그리스 2차 구제금융안 비준을 위한 긴축정책 시행에 대해 전 국민적인

반대가 심해 이전 총리 George A. Papandreou는 퇴진하고, Lucas Papademos를

필두로 하는 사회당(PASOK)-신민주당(ND)이 연합하여 신규 연립 정부가 구성됨.

ㅇ 이후 Lucas Papademos가 이끄는 연립정부는 2012년 3월 9일 1천억 유로규모의

국채교환을 성공적으로 이끌어냈고, 2차 구제금융도 성사됨. 이에 따라, 그리스 의회가

유로존 긴급 구제금융을 이달 말까지 비준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과도 연립정부의

임기는 오는 4월 12일께 끝나며 5월6일에 그리스 총선을 실시함.

ㅇ 한편, 2012년 5월 예정된 그리스 총선을 앞두고 그리스 집권 사회당(PASOK)에서는 지난

3월 18일 그리스 재무장관이던 Evangelos Venizelos가 사회당 당수로 선출됨. 지난

2011년 11월 총리직에서 물러난 George A. Papandreou 사회당 당수가 사퇴하면서

단독으로 출마함. 파판드레우 전 사회당 당수의 부친인 고(故) 안드레아스 파판드레우

전 총리가 사회당을 창당했지만, 그리스 경제가 구제금융을 받는 상황에 처하자

파판드레우 전 당수는 총리와 당수직을 모두 내놓음.

2) 최근 동향

ㅇ 2012년 5월 6일 총선을 실시하였으나 지난 2년간 긴축조치와 구제금융을 주도하던

집권당인 중도좌파의 사회당(PASOK)에 대한 지지율은 급락하여 3당으로 전전락하며

총선의 최대 패배자가 됨.

ㅇ 한편, 급진좌파연합(SYRIZA)이 예상보다 높은 지지율에 사회당을 누루고 제 2정당이

되며 좌파 돌풀의 선봉으로 부상함. 이번 총선의 최대 사건은 극우 파시스트인

황금새벽당(Golden Dawn)이 의회에 진출한 것임.

ㅇ 연립정부 구성을 위해서는 과반수이 151석을 확보해야만 하나 보수우파, 좌파연합인

1당, 2당의 연립정부 구성 노력이 모두 실패로 돌아감. 파플리아스 대통령은 각 정당

대표 조정 회의에서 소위 간용표결에 의한 연정 구성 합의에 마지막 기대를 하였으나

이 또한 실패하며 제 2차 총선을 실시함.

그리스-11

2012년 그리스 총선 결과

정당 공식 명칭 2 차 총선결과 1 차 총선결과

득표율 의석 득표율 의석

ND(New Democracy) 29.68% 129 18.86 108

SYRIZA(Coalition of

the Radical Left) 26.89% 71 16.77 52

PASOK(Panhellenic

Socialist Movement) 12.32% 33 13.18 41

Independent Greeks 7.49% 20 10.60 33

Golden Dawn 6.92%

18 6.97 21

DL(Democratic Left) 6.24% 17 6.10 19

KKE(Communist

Party of Greece) 4.51% 12 8.48 26

자료: 그리스 의회 2012.6.17 총선 결과

그리스-12

3. 한국과의 주요 이슈

가. 일반

ㅇ 그리스는 UN 및 기타 국제무대에서 우리 입장을 지지하는 등 전통 우방국으로서의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 2006.5: 유엔인권이사회(HRC) 이사국 진출 상호 지지, 유엔안보이사회 비상임이사국

(그리스 2005-06, 한국 2007-08) 교환 지지

- 2006.9: 반기문 전 외교통상부 장관의 유엔사무총장 진출 지지

- 2007.11: 여수세계박람회 유치 지지

- 2008.5: 2008-2011 UN 인권이사회 이사국 진출 지지 등 각종 국제무대에서 긴밀히

협력

- 2008.9.23: 경제협력협정

- 2012.3.7: 한-그리스 항공 회담

나. 무역 관계

연도별 그리스의 대 한국 무역적자규모

(단위: 백만 달러)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1-10

1,601 1,283 3,147 1,127 1,259 1,615

자료: KOTIS 2012.12

ㅇ ‘11년말 기준 한-그리스 양국간 교역량은 수출금액 기준으로 총 12억 5,800만

달러이며 전년대비 약 11.65% 증가하였으며, 수익금액 기준으로는 총 9,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약 11.33% 증가하였다.

ㅇ 그리스 재정위기가 본격적으로 대두된 2008년 이후 2010년에 양국간 교역량은 최대

감소(- 64.18%)를 기록한 이후 2011년에 증가세(11.67%)로 돌아섰다.

□ 2012 년 1 월~10 월 교역규모 현황

ㅇ 對그리스 수출: 17억 77백만 달러

- 주요수출품: 선박, 철도차량, 합성수지, 무선전화기, 반도체, 축전지, 승용차, 타이어 등

ㅇ 對그리스 수입: 1억 62백만 달러

- 주요수입품: 나프타, 연초류, 화장지, 선박, 모피, 섬유원료,비금속광물, 동괴및스크랩

그리스-13

II. 경제 1. 경제동향 및 전망

주요 경제 지표

구 분 단 위 2009년 2010년 2011년

명목GDP 10억 USD 327 304 216

1인당 GDP USD 28,903 27,749 27,184

실질 GDP 성장률 % -2.0 -4.5 1) -6.8

CPI소비지물가 지수 % 1.4 4.7 2.8

인구 명 11,237,068 11,237,068 11,237,068

수출 10억 달러 21.3 20.1 21.0 4

수입 10억 달러 64.2 45.5 50.9

무역수지 10억 달러 -48.9 -42.2 -26.0

경상수지 10억 달러 -23.4 -17.6 -8.3

외환보유고 억 유로 26.80 40.42 - 미발표

총 외채 억 유로 3,692 4,061 -미발표

환율(평균) 대 달러 1.39 1.33 1.32

실업률 % 9.4 12.5 17.7

GDP 대비 재정적자

비율 % -15.6 -10.4 - 6.7

투자예산총액 GDP 대비 % -11.4 -16.5 -11.4

자료: 2011년 EIU 8월 보고서 기준 (예상치)

가. 최근 경제동향

□ 유로존, 그리스 2 차 구제금융 지원 합의

ㅇ 유로존 재무장관들은 장시간 끝에 그리스에 1,300억 유로에 달하는 지원에 합의함.

- 1차 지원금인 1,110억 유로에 이어 2012년 2차 구제금융 지원에 제시된 훨씬 강도

높은 긴축안에 대하여 승인함.

- 유로그룹은 긴축안에 협의된 1300억 유로를 그리스에 2014년까지 제공하는데 전혀

문제가 없다는 입장임.

- 또한, 그리스가 긴축안에 합의함에 따라 3월 20일 만기가 돌아오는145억 유로의 부채를

상환할 수 있게 되어 일단 급한 불은 끔.

- 일부 유로존 국가는 얼마 전까지 그리스가 1차 구제금융 이후 더 악화된 상태에서 더

이상 강도 높은 긴축안을 견딜수 없을 것이라며 2차 구제금융 지원에 반대 의견을

보인바있음.

ㅇ 강도 높은 2차 구제금융 긴축안

- 그리스 정부는 유럽연합과 IMF에서 제시한 정부 부채를 국내총생산(GDP) 대비

169%(2011년)에서 2020년까지 120.5%로 대폭 낮추는 목표에 결국 동의함.

- 유로존 재무장관들은 민간채권단손실부담(PSI)인 채권 손실률을 50%에서 53.5%(약

2070억 유로)로 상향 조정하며 그리스를 압박함.

그리스-14

- 2차 국제금융 긴축안 주요 내용은 민간채권단손실부담과 그리스 노동시장 개혁에

있으며 그리스는 PSI와 최저임금 최대 32%까지, 연금을 최대 15%까지 대폭 하향

조정하는데 동의함.

- 유로그룹은 1차 구제금융으로 이루어진 긴축안이 제대로 이행되지 않아 이번 2차 긴축

이행에 대한 Task Force Team를 만들어 관리 감독을 강화하겠다는 입장임.

ㅇ 금번 긴축조치, 과연 이행할 수 있는 목표인 것인가?

- 일부 경제 전문가들에 의하면 그리스가 2020년까지 또 다른 구제금융 지원을 받지

않고는 정부 부채를 120.5%까지 줄이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의견을 보임.

- 또한, 독일을 포함한 일부 유럽연합국가들은 그리스가 올해 GDP의 1.5%에 해당하는

33억 유로 지출을 줄일 수 있는지 조차 의문을 가짐.

- 이번 2차 구제금융지원은 그리스의 디폴트를 몇 개월 늦추는데 불가하다는 반응도 보임.

- 하지만, 또 다른 경제전문가들은 민간채권단손실부담으로 그리스의 국내총생산 대비

부채 비율은 169%에서 130%로 대폭 떨어질 것으로 보며 노동개혁을 이행해 부채를

120%까지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여 그리스 디폴트에 대한

상반된 의견을 보임.

□ 긴축조치의 주요 내역

ㅇ 공공부분 인력 대폭 감원

- 2차 긴축안에 따르면 그리스 정부는 연내 공공부분 인력 1만 5,000명을 감원할

계획이며 2015년까지 최대 총 15만 명을 감원할 계획임.

- 또한, 공공부분 인력에 제공되던 상여금과 지원금 또한 대폭 하향 조정함.

- 그리스 정부는 2015년까지 자진 조기사퇴, 조기퇴직을 유도할 계획이며 불필요한

인력은 해고할 계획임을 밝힘.

ㅇ 실업자 보조 지원금 삭감

- 실업자 보조지원금 또한 2011년 7월에 매월 461.50유로 수준으로 조정한데 이어

2012년부터는 매월 359.97유로로 하향 조정됨.

- 그리스 정부는 국민최저임금과 기타 노동시장 개혁 관련 규정을 현재 20.9%인

실업률이 절반 이하로 떨어질 때까지 유지하겠다는 단호한 입장을 보임.

- 2011년 11월에 그리스 실업자 수는 102만9587명으로 집계되며 급상승함.

ㅇ 국민최저임금 삭감

- 국민최저임금은 25세 이상 근로자의 경우 22%나 감소됐으며 25세 미만일 경우 32%로

대폭 삭감됨.

- 25세 이상 근로자를 기준으로 볼 때 2011년 7월 최저임금이 751.39유로였던 것에 비해

2012년 최저임금이 586.09유로로 삭감됨에 따라 2005년도 수준으로 대폭 하락함.

- 25세 미만 근로자의 경우 최저임금 32% 삭감으로 510.94유로이며 파트 타임로 근무할

경우 월급은 255.47유로로 미미한 수준임.

그리스-15

연도별 국민최저임금 변화

(단위: 유로, %)

연 도 일 당 증감률 월 급 실제 임금

증감률

2002. 1. 1. 21.95 1,1 + 2,5 490.04 1,68

2002. 7. 1. 22.35 1,8 498.86 -

2003. 1. 1. 23.29 0,3 + 3,9 519.87 1,58

2004. 1. 1. 24.22 4 540.66 1,97

2004. 9. 1. 25.01 2 559.98 -

2005. 1. 1. 25.56 2,2 572.30 2,2

2005. 9. 1. 26.41 3,3 591.18 -

2006. 1. 1. 27.17 2,9 608.33 3,13

2006. 9. 1. 27.96 2,9 625.97 -

2007. 5. 1. 29.39 5,1 657.89 2,41

2008. 1. 1. 30.40 3,45 680.59 1,91

2008. 9. 1. 31.32 3 701 -

2009. 5. 1. 33.04 5,5 739.56 4,4

2010. 1. 1. 33.04 - 739.56 -2.8

2011. 7. 1. 33.57 1,6 751.39 -2,04

2012. 1. 1.(*)

25 세 이상 26.19 -22 586.08 -22

2012. 1. 1.(*)

25 세 미만 22.83 -32 510.94 -32

주: * 국민최저임금 삭감은 2012. 2. 14.에 국회를 통과했으나 2012. 1. 1.을 기준으로

적용됨.

자료: 그리스 총노동협회(GSEE)

ㅇ 연금 감축 계획 진행

- 금년에 3억2,500만 유로 상당의 연금을 감축할 계획임.

- 이는 2010년 1차 구제금융 긴축안에 동의하여 연금 평균 10%를 삭감한데 이어 추가로

평균 12%를 삭감하는 결과임.

- 이번 연금 감축으로 연금자는 매월 최소 12유로에서 최대 204유로까지 삭감된 연금을

받게 됨.

- 신규 연금 금액 지급은 2012. 5. 1부터 시행될 계획이나 공식적으로는 2012. 1. 1부터의

기준을 적용하기로 함. 따라서 1월~4월까지 받은 연금에서의 추가분을 그리스 정부는

5월부터 8개월로 분할해 지급될 연금에서 제하기로 함.

국민연금 삭감액

국가 연금 기관 삭감액(유로, 월 기준)

~ 1,200 유로 까지 없음

1,201 ~ 1,300 유로 없음

1,301 ~ 1,400 유로 - 12 유로

1,401 ~ 1,500 유로 -24 유로

1,501 ~ 1,600 유로 -36 유로

1,601 ~ 1,800 유로 -60 유로

그리스-16

국가 연금 기관 삭감액(유로, 월 기준)

1,801 ~ 2,000 유로 -84 유로

2,001 ~ 2,500 유로 -144 유로

2,501 ~ 3,000 유로 -204 유로

자료: 그리스총노동협회

보조연금 삭감액

보조 연금 조정 전 보조 연금 조정 후 감소율(%)

~ 200 유로 까지 없음

223 유로부터 200.7 유로(-22.3 유로)

-10 225 유로부터 202.5 유로(-22.5 유로)

250 유로부터 225 유로(-25 유로)

275 유로부터 233.75 유로(-41.25 유로) -15

300 유로부터 255 유로(-45 유로)

350 유로부터 280 유로(-70 유로)

-20

400 유로부터 320 유로(-80 유로)

500 유로부터 400 유로(-100 유로)

600 유로부터 480 유로(-120 유로)

700 유로부터 560 유로(-140 유로)

800 유로부터 640 유로(-160 유로)

900 유로부터 720 유로(-180 유로)

1,000 유부터 800 유로(-200 유로)

자료: 그리스총노동협회

ㅇ 2010년~ 2012년 현재까지 공공분야 근로자들의 월급은 약 -12%정도 삭감, 일반

근로자들의 경우 약 -20%정도 삭감, 연금은 약 -25%까지 감축됨.

□ 2012년 6월20일 구성된 연립정부, 135억 유로의 추가 긴축안 마련

ㅇ 9. 27 연립 정부는1차 구제금융에 따른 첫 긴축정책을 마련한’10. 5월 이후 가장 혹독한

긴축정책을 마련함.

- 이번 긴축안은 트로이카(EU, ECB, IMF)로부터 차기 구제금융 지원분 승인을 위해

마련되었으며 총 135억 유로의 재정지출을 삭감하는 것임

- 이 중 115억 유로는 공공지출의 삭감을 통해 마련하고, 나머지 20억 유로는 향후 2년간

또는 트로이카에서 만일 기간을 연장해줄 경우 향후 4년간 세금인상을 통해 재원을

마련할 계획임

-

ㅇ 한편, 이 긴축안에 대해 연립정부 안토니스 사마라스 수상을 비롯한 3당의 대표가

합의하였지만, 민주좌파의 쿠벨리스 대표와 사회당의 에반겔로스 베니젤로스 대표는

일정 부분의 보류 필요성을 언급.

- 민주좌파 대표 쿠벨리스는 트로이카에서 그리스 재정긴축을 완화할 수 있도록 긴축정책

집행 시여유를 달라고 요청.

- 트로이카는 그리스가 더 강한 긴축을 시행해야 하며 만일 그리스가 마련한 긴축목표를

달성하더라도 나머지 여유분을 주요 적자를 해결하는데 쓰여져야 할 것이라고 시사.

그리스-17

- 최근 재무부 야니스 스투나라스 장관은 트로이카의 계속된 그리스 긴축요구에 대해

‘만일 트로이카가 끝없는 긴축요구만 할 경우 결국 다음번에는 시리자 측의 재무부

장관과 함께 협의해야 할 것’이라며 날카롭게 반응한 바 있음.

□ 2012년 10월 중순, 긴축안 그리스 의회에서 표결에 부쳐질 예정

ㅇ 이번 긴축안은 브뤼셀에서 EU 정상회의가 개최되는 10.18일 전에 그리스 의회에서

표결에 부쳐질 것으로 예상됨

- 연립정부에서는 금번 긴축안이 의회에서 통과될 것으로 여기고 있으며, 현재 여당은

국회 전체 의석 300 석중178석을 보유한 상황

- 정부는 이번 긴축안이 의회를 통과하여 유로존으로부터 2차 구제금융금 1,300억 유로

중 315억 유로의 지원을 속히 받길 희망함

-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로존에서는 315억 유로의 승인결정은 트로이카에서 발표할 실사

- 보고서의 내용에 따라 결정할 것이라고 발표

- 만일, 이번 구제금융이 지원되지 않을 경우 그리스는 디폴트로 가거나 또는 현지 은행

시스템의 붕괴가 예상됨

- 이번에 받을 구제금융의 일부 250억 유로는 지급 불능에 빠진 그리스 은행의 자본

재구성에 쓰일 예정이며, 이를 위해 현재 그리스 은행은 전적으로 ECB의 유동성

공급에 의존하는 상황임

□ 긴축안 세부내역

ㅇ 재정지출 삭감내역으로 우선 공공부문 급여, 연금, 수당을 65억 유로 삭감할 예정

- 나머지는 공공기관의 구조개혁을 통해 절약되는 부분을 마련하고, 내년까지 80억

유로에 해당 하는 재정 삭감이 진행될 예정

ㅇ 은퇴자들은 평균 연금수령액 중 한달분이 감소 예상

- 월 1,000~1,500 유로 연금 수령자들은 2%까지 삭감되며, 1,500~2,000 유로 연금

생활자들은 5%까지 삭감되고, 2,000 유로 이상 연금수령자들은 최대 10%까지 삭감될

예정

- 한편, 내년부터 연금 수령연령은 기존 65세에서 67세로 높아지게 됨

ㅇ 공무원의 경우 전체 급여의 10%까지 삭감이 될 예정이며, 기존 연휴 수당이 폐지됨

- 기존에는 부활절, 성탄절 등을 포함하여 추가로 2개월 수당을 받았지만 이제는

12개월분 수당만 받게 됨

- 공공기업에 근무하는 근로자들의 경우 급여의 20~30%까지 삭감될 예정

- 사마라스 수상의 애초 바람에도 불구하고, 경찰, 군인들까지 급여가 6~23% 삭감될

예정

- 유일하게 장애인 수당은 삭감되지 않을 예정

ㅇ 세금은 기존 월급 생활자의 부담을 줄이고 대신 자영업자의 세금 부담을 30~35% 높일

예정

- 기존 480만명 월급 생활자들은 매년 전체 세금의 72%에 해당하는 80억 유로의 세금을

납부해왔지만 기업가, 자영업자들은 고작 30억 유로만 납부해왔기 때문에 정부는

이번에 불합리적인 세금체계를 고칠 계획임

그리스-18

- ‘Flat Rate’세를 도입하여 자영업자 및 자영업 전문직종에 속한 사람들에게는 통합된

35%의 세금을 부과할 예정

- 법인세는 기업의 크기와 법적지위와 관계없이 기존 42.5%에서 35%로 줄어들 예정

- 현재 상점주인, 소규모 무역상 등 자영업자들에게 적용되던 5,000 유로까지의

면세제도는 폐지됨

- 전문직종에서 발급하는 청구서에 기재된 원천징수세는 현행 20%에서 25%로 상향될

예정

- 현재 5,000 유로까지의 소득세 면제는 내년 8,000 유로까지 늘어나고, 2016년에

12,000유로까지 늘어남

- 가장 많은 소득세 비율인 45%는 35%로 줄어들 예정이며, 세금 체계는 8단계에서

3단계로 바뀔 예정

- 자영업자, 의사, 변호사, 회계사, 공증인, 기술자, 전기공, 배관공 등은 탈세가 가장

만연한 직종으로 탈세방지 관리를 강화할 예정임

- 첫 주택 구입시 적용되던 면세혜택은 기존 200,000 유로에서 100,000 유로로 감소

□ 그리스 시민의 반응

ㅇ 이번 긴축안 마련에 따라 9.26일 그리스 아테네 신타그마 광장에는 100,000명의 성난

군중과 30,000명의 경찰이 충돌하였음.

ㅇ 시위대의 주축은 민간 노조연맹 (GSEE)와 공공노조연맹(ADEDY)으로 이들은 이날

트로이카의 긴축안 약속은 그리스 경제에 재앙뿐이라고 주장함

ㅇ 시위대에 참가한 무역부문 노조는 원래 여당인 신민당을 적극 지원해왔지만 이번

긴축안을 통해서 향후 신민당과의 관계를 끊을 것이라고 주장

긴축안에 항의하기 위해 모인 군중들

그리스-19

트로이카와 정부에 항의하는 군중들

□ 현지 전문가의 정부부채 해결 방안

ㅇ 한편, 그리스 경제산업연구소(IOBE)에서는 거시경제 예측모델링을 통해 트로이카에

그리스 부채위기 해결을 위해 아래와 같은 방안을 제시함

- 첫번째, 민간 투자영역을 개선하는 것으로 민간투자가 회복되면 그리스 경제는

2014년에 약 0~1% 성장률을 성취할 것으로 예상

- 재무부 특별 태스크포스에 따르면, 민간 투자의 증가는 국가 재정을 끌어올릴 수 있는

것으로 그리스 GDP의 흐름은 민간투자 수준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고 밝힘

- 동 모델에 따를 경우, 그리스가 지난 2000년의 민간투자율을 회복한다면 그리스 GDP는

매년 0.5%씩 성장할 것이며, 공공부채는 2020년까지13~15%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됨

ㅇ 두번째로 민영화 프로그램의 완전한 실행임.

- 정부 계획에 따르면 그리스는 2015년까지 국영부문 민영화를 통해 190억 유로 재원을

마련할 계획이며, 2020년까지는 500억 유로까지 늘릴 계획임.

- 이를 통해 그리스 정부부채의 일부 해소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번 연립정부는

기존 정부와 달리 강력한 민영화 정책을 추진할 것으로 예상함.

ㅇ 세번째로 ESM(유럽재정지원메커니즘)을 통한 현지 신용 시스템을 재구성하고, 기존

300억 가량의 정부부채를 탕감하는 것임

- 만일 성장률이 현재 부정적 전망치보다 높게 나올 경우, 재정수지는 2016년까지

목표치를 맞출수 있음.

- 또한 만일 은행 자본 재구성에 사용되어질 340억 유로의 부채가 삭감된다면,

정부부채는 2020년까지 GDP의 109%까지 떨어질 것으로 나타남.

ㅇ 현재, 특별 태스크 포스에서는 이러한 조건들이 이행되지 않을 경우 2020년까지

정부부채가 원래 목표인 120%를 넘어서 140%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측함.

- 트로이카에 제시된 상기 경제모델과 관련, 그리스 경제는 올해 6% 이상 감소할

예정이며, 2013년 3%, 2014년에 0~1% 정도로 나타날 것으로 보임.

그리스-20

□ 향후 전망

ㅇ 오는 10.8 유로존 재무장관 회의가 개최될 예정이며, 이 기간과 EU 정상회의가 열릴

10.18일 이전에 그리스 의회에서 긴축안 표결을 진행할 가능성이 높음.

ㅇ 이번 의회에서 만일 긴축안에 대해 부결할 경우 유로존에서는 남은 그리스 구제금융

집행분 승인을 거절할 가능성이 높음.

ㅇ 만일, 10월 중순경 그리스의 구제금융분 집행이 불확실해 질 경우 그리스의 디폴트

위기설이 커지면서 유로존 및 세계 경제에 큰 충격이 올 수 있음.

ㅇ 현재로서는 그리스 의회에서 디폴트를 피하기 위해 긴축안을 통과시킬 가능성이 높지만,

ㅇ 향후 현 정부에서는 성난 민심을 어떻게 다독일지가 중요한 과제임.

ㅇ 향후 우리 경제의 충격을 줄이고, 선제적 대응을 위해 그리스 의회 긴축안 표결과

유로존의 결정을 면밀히 주시할 필요가 있음.

그리스-21

2. 주요 산업 동향 가. 전체 산업 동향

그리스 경제는 전통적으로 제조업 기반이 매우 취약하며 관광, 해운업 등의 3차 산업

중심의 생산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리스는 비교적 부존자원이 취약한 국가 가운데 하나이다. 산악지역이 국토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전체의 30% 정도만이 경작이 가능하다. 이 가운데 약 40%가 양이나 염소

등의 방목장으로 이용되고 있다. 공식적으로는 국토의 22%가 삼림지역이라고 발표되고

있으나 2007년의 대형화재로 인하여 17%로 줄어든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광물자원으로는

보오크 사이트, 대리석, 철광석, 벤토나이트, 갈탄 등이 있다. 갈탄의 경우, 유럽에서 독일

다음으로 생산량이 많다. 원유는 북부 에게해 해저에서 소량 생산되고 있다.

발칸반도 최남단에 자리하고 있는 그리스는 북부의 산악지형으로 인해 유럽국가들과의

교통망이 그다지 발달되어 있지 않다. 이와 같은 지리적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정부에서는

EU 역내지원프로그램 자금의 1/4 정도를 도로 등과 같은 인프라 건설에 집중 투자하고

있다. 아테네 남부의 피레우스 항구와 북부 제2의 도시인 데살로니키 항구는 주요 해상운송

거점기지의 하나이다.

에너지 자원이 부족하여 에너지 소비량의 약 80%를 원유나 석유 및 천연가스 수입 등으로

충당하고 있다. 하지만 4개의 정유공장이 있어 역으로 국내소비 여유분을 해외로 수출하고

있다. 휘발유나 벙커유 및 등유 등은 수출이 수입을 초과하나, 난방용 디젤이나 윤활유는

수입분이 더 많다. 그 동안 정부에서는 기름을 수입하는 대신에 풍부한 갈탄을 연료로 많이

사용해 왔으나, 대기오염 문제로 러시아 등으로부터의 천연가스 수입으로 정책을 전환하고

있다.

GDP의 약 17%에 달하는 주력 산업인 관광업의 경우, 관광객 유치 확대를 위한 업계 및

국가 차원의 마케팅을 강화하고 있으나, 최근 불어 닥친 세계경제 위기 여파로 관광객이

감소하여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이다.

나. 가전제품 유통시장 동향

전반적인 그리스 유통업분야는 1990년대 초반까지 소규모 상점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었으나, 유럽 선진국의 유통 체인점이 진출하면서 점차 대형화 되는 추세이다. 그리스

유통시장의 대형화는 외국 선진 유통업체로부터 자극을 받아, 재래식 유통망을 통합하여

대형화되었다. 하지만 현지 상관습의 영향으로 서비스의 질이 비교적 낮은 편이다.

그러나 EMU(유로 단일통화권) 가입 이후 시장 개방이 가속화되고 있고 치열한 경쟁상태에

놓인 각 유통업체들은 과거에는 볼 수 없었던 가격파괴, 자체상표 부착, 반짝 할인판매,

회원제 할인판매, 신용할부판매 등의 공격적인 마케팅 도입과 함께 소비자 만족을

극대화하기 위한 다양한 부대서비스 개발을 위해 노력을 아끼지 않고 있다.

그리스의 가전제품 유통업 분야는 크게 전문 유통체인점과 하이퍼마켓, 그리고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소형 도소매점 등으로 구분된다.

그리스-22

1990년대까지는 독립적인 소형 도소매점이 주류를 이루어 왔으나 2000년 이후 전문

유통체인점 및 하이퍼마켓의 출현으로 급속히 경쟁력을 잃고 있다. 대부분의 가전제품 전문

유통체인점은 냉장고, 세탁기 등으로 대변되는 백색 가전(White household appliances)과

TV, VCR 등으로 대표되는 흑색 가전(Black household appliances), 토스터기 믹서 다리미

등과 같은 소형 가전 제품, 그리고 가정용 에어컨(24,000BTU 이하) 등을 대상으로 수입과

판매를 겸하고 있다.

대표적인 가전제품 전문체인점으로는 DSGI SOUTH-EAST EUROPE AEVE (Kotsovolos P.

S.A.), Electroniki Athinon S.A., Media Markt Athina S.A., Electro World, Ikona-Ihos S.A.

등이 있다. 그리고 대형 슈퍼마켓 체인점 형태인 하이퍼마켓의 대표적인 매장은 Carrefour,

Praktiker, Macro 등이며, 이들 하이퍼마켓의 시장 점유율은 상당히 증가하고 있다.

가전제품 시장은 전반적으로 타 산업과 마찬가지로 어려운 상황에 봉착한 상황이다.

그리스는 재정위기에 대한 대응책으로 긴축정책을 실시할 예정으로 이에 따른 각종 신규

세금이 부과될 것으로 예상되며, 소비자들의 가처분 소득이 줄어들고, 실질 구매력이

감소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경제위기로 고용사정이 악화되어 사람들은 더욱

소비를 줄일 것으로 예상되며, 아직 그리스 경기가 바닥이 아니고 내년에 더욱 악화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경기가 회복하기까지 향후 2~3 년은 더 기다려야 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경제위기로 인해 전반적인 수요는 감소함과 동시에 소비의 양극화가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며, 중산층의 구매력은 점점 떨어짐에 따라 소비의 패턴도 고급형 제품 또는 저가형

제품으로 나눠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현지 경제위기에도 큰 타격을 받지 않는

부유층을 타겟으로 한 럭셔리 마케팅과 동시에 저가를 선호하는 소비자들을 위한 보급형

마케팅 전략의 병행구사가 필요하다.

4) 주요 유통체인점 리스트

ㅇ DSGI SOUTH-EAST EUROPE A.E.V.E

- 설립년도: 1950년

- 종업원 수: 1300명

- 주소: Athinon-Lamias National Rd (14th km) & 2 Spilias, GR-14452 Metamorfossi,

Greece

- 전화: (#30-210) 2891000

- 팩스: (#30-210) 2891196

- 홈페이지: www.kotsovolos.gr

- 대표자 : Mr. F.De Vicente Lopez

- 취급분야: 가전제품, 전자제품, 통신기기, 음향 및 영상 기기 및 악세서리, 주방용품,

휴대폰 및 악세서리,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서적, 각종 전기기기 및 케이블 수입 및

현지 유통

ㅇ IKONA-ICHOS S.A.

- 설립년도: 1990년

- 종업원 수: 44명

- 주소: 57, Symenonidi, GR-54352 Thessaloniki, Greece

- 전화: (#30-2310) 989180

- 팩스: (#30-2310) 989200

- 홈페이지: www.e-h.gr

그리스-23

- 대표자: Mr. A. Giasin

- 취급분야: 가전제품, 전자제품, 각종 컴퓨터 기기 및 악세서리, 오디오 영상 기기 및

악세서리, 통신기기 및 악세서리, 주방용품 유통

ㅇ ELECTONIKI ATHINON S.A.

- 설립년도: 1989년

- 종업원수: 523명

- 주소: 2 Ethn. Makariou & Kifissou Ave., GR-12135 Peristeri, Greece

- 전화: (#30-210) 5703100

- 팩스: (#30-210) 5703180

- 홈페이지: www.electroniki.gr

- 대표자: Mr. J. Stroutsis

- 취급분야: 가전 및 전자제품, 주방용품 유통 및 현지 에어전트 활동.

ㅇ MEDIA MARKT ATHINA S.A.

- 설립년도: 2006년

- 종업원수: 185명

- 주소: 4 Leontos & Eleftherias, GR-16452 Argyroupoli, Greece

- 전화: (#30-210) 9978400

- 팩스: (#30-210) 9978539

- 대표자: Mr. P.U.Vogel

- 취급분야: 가전 및 전자제품, IT 및 통신 기기, 악세서리 취급

(자료: 2012.9 기준)

다. 관광산업 동향

그리스 관광산업은 직간접적으로 관광업 종사자가 774,200명(전체 고용 인구의 18.5%)에

달하며, GDP 기여도는 약 16%에 이르는 그리스 주요 산업이다.

그리스 통계청에서 발표 자료에 의하면 2011년 1월~12월 그리스를 방문한 관광객은 총

1,800만 명으로 전년도 동기간 기준 약 17% 감소를 보였다. 해당 기간 주요 국가별

관광객수를 살펴 보면 독일이 1,868,215명으로 1위를 차지하였으며 그 뒤로

영국(1,475,144명), 프랑스(1,036,288명), 이태리(872,499명), 불가리아(539,537명) 이다 .

유럽연합국가를 제외한 나머지 유럽국가의 관광객은 총 1,361,955명이다.

(2012년 3월 통계청 자료)

그리스 호텔업자 및 전문가들의 발표에 의하면, ‘09년 대비 ‘10년 관광분야가 큰 타격을

입을 것을 우려하고 있으며, 올 들어서 외국인 관광객 수가 전년에 비해 약 10% 이상이

줄어들었다고 밝혔다. 특히 작년도에는 주요 관광객 유치국가인 독일로부터의 방문객수가

10% 정도 줄어든 것으로 집계하고 있다. 이에 따라 2010년 관광수입도 전년대비 15%

정도 감소하였으며 엎친 데 겹친 격으로 최근 인상된 부가가치세 부분을 호텔업자들이 자체

흡수하기 위해 요금을 10% 정도 인하하고, 일부 호텔의 경우에는 “10일분 숙박비를 내고

14일을 묵으세요!”라는 파격적인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다.

그리스-24

정부의 신규 재정긴축안에 반대하며 2012 년 4 분기까지 여러 분야에서 시위가

이어질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관광객들이 그리스 관광을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된다. 정칙적과

경제적 불안정으로 그리스 관광업은 큰 타격을 입었다

라. 통신시장 동향

1) 통신시장 개요

그리스는 국영기업인 OTE(Hellenic Telecommunications Organization)를 통한 독점적 통신

시장을 유지해 왔으며, 실질적인 경쟁체제가 도입된 것은 이동통신(Cellular Phone) 및

인터넷 등이 본격적으로 도입된 최근 10여 년에 불과하다. 통신시장 개방으로 약 100개의

기업들이 통신허가권 취득을 신청했으나 실질적으로 시장에 진출한 기업은 20여 개사에

불과했으며, 현재 의미 있는 시장점유율을 가진 통신사업자는 5~6개 정도만 남아있는

실정이다.

2) 그리스 최대 통신기업 OTE(Hellenic Telecommunications Organization)

그리스 통신시장은 장기간 국영기업인 OTE(Hellenic Telecommunications Organization)가

독점을 해 왔으며, 이는 그리스 통신시장 개혁 및 발전에 큰 걸림돌이 되었다.(일부

그리스인들은 OTE의 낙후성 및 전근대적 사업추진 등으로 OTE를 그리스의 수치라고까지

비하) 2008년 OTE는 그리스정부의 일부 지분 매각 등을 통해 Deutsche TeleKom로

이전됐으며, 이후 2010년, 2011년 하반기 추가 지분을 이전하였다. 그리스 통신산업 역사상

큰 변곡점으로 인식되고 있으나 아직 크게 변경되거나 뚜려타고 할 만한 경영 방식은 없다.

전문가들은 그리스 통신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최소 50만 명의 고객 확보가 필요한

것으로 보고 있으며, 현재 매직 넘버(고객 80만 명)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기업은 OTE,

Vodafone, Wind Hellas 등 3개사에 불과한 실정이다. (이상 3개사는 그리스 3대

통신기업으로 통칭) OTE는 그리스 내 유일하게 유·무선 인프라를 보유하면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이며, 유선 통신 약 800만 명, 무선통신 약 700만 명, Broadband 약

100만 명에 이르는 고객을 확보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또한 OTE는 Public Switched

Telephony Networks의 98.5%를 장악 하고 있으며, 무선Connection의 41%를 관리함은

물론, 최근 성장세에 있는 Broadband 분야 에서도 50% 이상의 시장지배력을 보이고 있다.

3) 통신 서비스 업체 리스트

ㅇ OTE S.A. (Hellenic Telecommunication Organization S.A.)

- 설립연도: 1949년

- 종업원수: 10,742명

- 주소: 99 Kifissias Ave., Maroussi GR-151 24, Athens, Greece

- 전화: (30-210)6111100

- 팩스: (30-210)6115825

- 홈페이지: www.ote.gr

- e-메일: [email protected]

- 대표자: Mr. M. Tsamaz

- 매출액: 5,482,800,000 유로 (2010년)

- 자회사: CosmOTE, S.A. Ote-net S.A. Oellascom International S.A. Ote Leasing S.A.,

그리스-25

Maritel S.A. Ote Consulting S.A. 등 15개 의 국내 자회사와 Telecom Serbia, Armentel,

Transjordan com., Albanian Mobile, Germanos Bulgaria 등 12개 외국기업에 투자하고

있는 거대기업임.

ㅇ Forthnet S.A.

- 설립연도: 1995년

- 종업원수: 798명

- 주소: 4, Athidon, GR-176 71, Kallithea, Greece

- 전화: (30-211)9559000

- 팩스: (30-211)9559333

- 홈페이지: www.forthnet.gr

- 이메일: [email protected]

- 대표자: Mr. P. Papadopoulos

- 매출액: 404,002,620 유로 (2010년)

- 자회사: Dikomo Investments Sarl, Forthnet Media Holdings, Multichoise Cyprus,

Netmed 등 6개사의 국내 자회사와 5개사 외국기업에 투자하고 있음.

ㅇ Hellas On Line(HOL) S.A

- 설립연도: 1990년

- 종업원수: 410명

- 주소: 2 Andrianeiou, GR-11525, Athens, Greece

- 전화: (30-213)0004000

- 팩스: (30-213)0005000

- 홈페이지: www.hol.gr

- 대표자: Mr. Ant. Kerastaris 매출액: 190,801,026 유로 (2010년 기준)

ㅇ CosmOTE Mobile Telecommunications services S.A.

- 설립연도: 1996년

- 종업원수: 2,137명

- 주소: 44, Kifissias Ave, Maroussi, GR-151 25, Athens, Greece

- 전화: (30-210)6177777, 210-617420-4

- 팩스: (30-210)6177441

- 홈페이지: www.cosmote.gr

- 대표자: Mr. M. Tsamas .

- 매출액: 2,797,128,000 유로 (2010년 기준)

ㅇ Vodafone-Panafon Hellenic Telecommunications Company S.A.

- 설립연도: 1992년

- 종업원수: 2,332명

- 주소: 1-3, tzabella str., Halandri GR-152 31, Athens, Greece

- 전화: (30-210)6702000, 6703000

- 팩스: (30-210)6703200

- 홈페이지: www.vodafone.gr

- 대표자: Mr. G. Persianis

- 매출액: 1,087,805,000 유로 (2010년 기준)

(자료 : ICAP 2012년 9월 기준)

그리스-26

마. 해운/조선산업

IMF기관에 의하면 중국을 중심으로 아시아의 활발한 경제 활동에 따라 세계 교역이 증가,

즉 세계 경제가 4.5% 증가할 것으로 해운산업과 조선산업은 회복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하였으며 그리스 재정위기로 인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그리스 선사들의 발주가 전체

발주액의 약 20%를 차지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경제위기에도 불구하고 그리스

선사들의 발주가 잇따르고 있는 주 요인으로는 한국과 중국 조선소의 치열한 경쟁으로 인한

선가하락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하지만, 이전 발주수를 고려하였을 경우 전년도 대비 약 108척이 줄어든 것으로

집계되었다. 해당 분야 관계자들은 그리스 경제위기에 비해 조선/해운산업은 피해가 작다고

판단하고 있으며 올해부터 수요가 앞으로도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선박 건조에

필요한 각종 기계품목과 선박 기자재 등의 제조기반이 없기 때문에 선박기자재 수입량도

유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그리스 보유 선박수(Greek-Based, Greek-Owned Fleet/Number)

구분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선박보유수 4110 4142 4085 4184 3970 4164 4346 4545 4763 4655 4714

증감수 32 -57 99 -214 194 182 199 218 -108 59

자료: Petrofin Research, 2011년 7월 발표자료

그리스 보유 선박톤(Greek-Based, Greek-Owned Fleet/Tonnage)

구분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DWT 톤 194,486,455 208,001,159 222,368,331 237,288,216 242,802,092 256,174,041

평균선박

연령 19.14 18.7 18.4 17.6 16.4 15.92

평균 선박

DWT 46,707 47,860 48,926 49,820 52,160 54,343

자료: Petrofin Research , 2011년 7월 발표자료

모든 선박 기자재는 자유롭게 수출입이 되고 있으며 주로 수입 대상국은 일본, 한국, 중국,

싱가포르, 독일, 이태리, 영국 및 노르웨이이다. 주요 수출국의 경우 사이프러스, 불가리아,

루마니아, 터키, 두바이, 미국 등이며 주로 조선소에서 제공하는 오퍼에 포함되어 있는

Makers Liost에서 선주가 조선기자재 업체를 고르는 방식을 유지하고 있으며 선주가 특정

조선기자재 업체를 조선사에 요구하는 경우는 그리 흔치 않다.

저렴한 가격을 주요시하고 있지만 무엇보다도 빠른 기간 및 A/S를 가장 중요시 하고

있으며 한국은 부품별로 수입 대상국 중 상위 10위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스 내 조선기자재 생산이 없는 만큼 외국산 조선기자재 제품의 현지 유통 비중이 높아

경쟁도 치열한 편이며 최근 한국산 대비 약1/3 저렴한 가격 경쟁력을 앞세워 활발한

활동을 보이고 있는 중국 제품들의 유통이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리스-27

또한 중국 업체들의 경우 현지 마케팅/영업시 납기 단축 및 지불 기한 최대 90일 등의

파격적인 조건을 제시하며 한국산 제품이 기술력 하나만으로 경쟁하기에는 역부족하다.

이러한 중국 업체 마케팅에 대비 국내업체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2~3개월 납기 문제

해결 및 사후관리 서비스 수준을 향상시켜야 하며 사후관리 서비스 수준 향상을 위해서는

현지 거래업체를 꼼꼼히 검토한 후 선정 및 현지 업체의 물류시설을 이용하는 방법도

고려해볼 만 하다. 특히, 기술자들을 보유한 현지 업체와 거래할 경우 이들이 보유한

재고와 함께 기술자들을 파견하여 수리 업무를 진행할 수 있으므로 사후관리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그리스의 생산 산업 기반은 아주 취약한 상태로 모든 선박지자재 제품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현지에는 선주들을 대상으로 기자재 업체의 에이전트, 선박수리 및 개조, 선용품

공급사업, 선박관리사업 등을 하는 수백여 개의 해운 서비스 업체들이 존재하고 있다.

이들은 물류창고와 기술자들을 보유하고 있으며 여러 해외 기자재업체의 현지 에이전트를

담당하고 있으며 선주들과 거래를 하다 보니 현지 시장뿐만 아니라 선주사의 내부사정을 잘

파악하고 있으므로 상당한 정보력과 인맥을 갖추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현지 업체 및 에이전트가 기자재 유통 시장의 약 90% 이상을 장악하고 있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니며 오랜 기간 인맥으로 다져진 그리스 해운산업 중간업체의 개입없이

단독으로 선주들과 거래하려는 시도는 사실상 성공하기 어렵다. 그리스는 한국만큼이나

비즈니스에 있어서 대인관계가 중요한 사회이기 때문에 선주들은 평소에 안면이 있는

업체들과 거래하는 것을 선호한다. 현지에 3군데의 조선소가 있으나 주로 수리, 부품교체

및 정비 등의 업무만을 담당하고 있으므로 해당 현지 조선소의 구매 담당자와도 긴밀한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하다.

그리스의 제조업은 20명 이하의 소규모 기업 중심으로 특징지어지며 전체 산업 고용인력의

10% 내외를 흡수하고 있다.

광업, 채석 및 제조업의 총 생산량은 GDP의 16% 수준이며 식음료, 섬유류, 의류, 신발

등이 대표적인 분야이다. 따라서 대부분의 물품을 외국 수입품에 의존하는 대외의존형

구조를 취하고 있다.

그리스-28

3. 지역무역협정 체결현황 그리스는 EU 회원국으로서 단독적으로 지역무역협정을 체결할 권한이 없다. EU 집행위가

EU의 27개 회원국으로부터 특정 국가나 지역과의 지역무역협정 협상권을 위임받아 제

3국과 자유무역협정을 체결하는 절차를 밟고 있으며 체결된 자유무역협정 내용은 EU

27개국 모두에 적용된다.

□ EU의 FTA 정책

EU는 전통적으로 FTA 협상에서 ‘지역 대 지역’ 협상을 선호해왔으며 이러한 시각에서

개별국과의 양자간 협정보다는 지역통합체와의 ‘지역 대 지역 협정’ 체결에 더 중점을

두어왔다. 또한 상호주의에 의거한 FTA 보다는 일방적인 호혜적 특혜협정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1999년을 기점으로 하여 EU의 FTA 정책 방향이 크게 변경되어 ‘지역 대 지역

협정’ 이외에 개별 국과의 FTA협상을 본격적으로 시작하였으며, FTA 체결 동기도 정치적

동기와 함께 상업적 동기도 고려하면서 상호주의를 요구하기 시작했다. 이는 이전까지는

EU가 인근 국가의 정치, 경제적 안정 지원을 통해 궁극적으로 EU의 안보를 모색하는

‘정치적, 외교적 동기’에 의거하여 인근 국과의 FTA를 추진해왔으나 1999년부터는 이와

함께 신흥성장시장을 대상으로 원래 의미, 즉 상업적 의미의 FTA도 병행 추진함을 의미

한다.

□ EU의 FTA의 주요 특징

EU는 안보, 외교, 미국 견제 등의 다양한 동기들이 복합되어 다양한 형태의 FTA를 추진

하고 있으며, 추진 형태도 FTA, 경제협력협정, 안정화협정, 무역개발협정 등 다양한

명칭으로 추진하고 있다.

NAFTA(북미자유무역협정)를 자국 FTA의 모델로 삼고 있는 미국과 달리 단일한 롤 모델은

없으며 체결한 FTA 별로 내용도 매우 다양하다. 다만 WTO(세계무역기구)로부터 지역무역

협정으로 인정받기 위하여 가능한 한 FTA에서 양측 상품 무역의 90% 이상의 관세 철폐를

선호하고 있다. 그러나 최빈국과의 협상에서는 이를 고수하고 있지는 않다.

EU는 지난 2006년 10월 ‘신통상정책’을 선언하면서 FTA 우선추진대상국으로 한국, 인도,

ASEAN, 러시아, MERCOSUR, GCC를 선정한 바 있으며 한국과는 협상 완료, 인도와는

협상 계획이다. 이외에도 EU는 ACP 국가, MERCOSUR, GCC 국가, 그리고 일부 발칸

국가와 북아프리카 국가들과 지역 대 지역 차원의 FTA 협상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협상 진행 속도가 부진한 편이다. EU는 지난 2009년 한국과의 한-EU FTA

협상을 종료하였으며, ‘11년 한-EU FTA 협정을 체결하여 신규 관세가 7월1일부터

적용되고 있다.

그리스-29

III. 무역 1. 수출입동향 가. 수입 동향

2012년 그리스 상반기의 총수입액은 266억 달러로 집계되었으며 전년도 동기간 대비

17.9%의 감소를 보였다. 주요 수입 대상 국가 점유율은 여전히 러시아(10.5%), 독일

(10.4%), 이탈리아(8.3%), 한국(5.6%), 중국(5.4%), 네덜란드(5.1%) 등이다.

특히, 2012년 상반기에는 리비아로부터 약 10억 달러 정도의 석유를 수입하여 리비아가 10

위권안에 진입, 한국으로부터 수입 또한 14억 달러 이상으로 4위를 차지하여 나란히 수입

증가를 보인 국가이다.

그리스 국가별 수입 통계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국가 2009 2010 2011 2012(1월-6월)

금액 증감율

세 계 67,664 63,981 60,332 26,679 -17.95

1 러시아 3,447 6,383 5,637 2,803 -24.5

2 독 일 8,322 6,718 6,404 2,795 -16.29

3 이탈리아 7,769 6,283 5,575 2,216 -23.17

4 한 국 3,405 2,414 1,460 1,486 62.0

5 중 국 4,232 3,831 3,515 1,451 -23.16

6 네덜란드 3,666 3,371 3,289 1,347 -17.6

7 프랑스 3,711 3,129 3,043 1,265 -25.9

8 리비아 1,224 1,839 427 1,019 239.9

9 이 란 1,640 1,541 2,620 893 -19.0

10 벨기에 2,674 2,169 2.198 828 -26.2

11 스페인 2,468 1,929 1,884 812 -19.05

12 불가리아 1,219 1,286 1,602 787 4.39

13 영 국 2,320 1,916 1,728 708 -18.9

14 카자스탄 789 1.393 1,205 643 -15.6

15 터 키 1,832 1,551 1,600 640 -21.1

자료: World Trade Atlas 2012.12

2012년 상반기 주요 수입품목은 그리스 주요 수입품목별 증감율은 미네랄&연료(-18.1%),

의약품(-14.4%), 전기제품(-11.6%), 선박 및 보트(46.4), 기계류(-29.8%) 등을 위주로 수

입하고 있으며 경제위기에도 선박의 수입은 꾸준히 증가를 보이고 있다.

그리스-30

그리스 품목별 수입 통계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품목 2009 2010 2011

2012 (1월-6월)

금액

(점유율) 증감율

1 미네랄 연료 11,721

(16.90)

15,318

(23.94)

16,230

(26.90)

7,419

(27.8) -18.16

2 의약품 5,291

(7.62)

4,578

(7.16)

4,182

(6.93)

1,949

(7.3) -14.43

3 전기제품 4,373

(6.30)

3,945

(6.17)

4,056

(6.72)

1,804

(6.8) -11.6

4 선박 및 보트 5,188

(7.47)

3,907

(6.11)

1,702

(2.82)

1,567

(5.9) 46.4

5 기계류 5,474

(7.89)

3,975

(6.12)

3.308

(5.48)

1,231

(4.6) -29.8

6 플라스틱 1,862

(2.68)

1,860

(2.91)

1,959

(3.25)

803

(3.0) -20.4

7 자동차 5,095

(7.34)

2,775

(4.34)

2,065

(3.42)

665

(2.5) -39.4

8 육류 1,470

(2.12)

1,316

(2.06)

1,427

(2.36)

599

(2.2) -11.4

9 철강 1,514

(2.18)

1,422

(2.22)

1,677

(2.78)

556

(2.1) -38.4

10 유기화학물질 1,312

(1.89)

1,093

(1.71)

1,223

(2.03)

520

(1.9) -24.3

주: ( )는 점유율, 증감율은 전년동기대비, 순위는 2012년 1월-6월 누계 기준

자료: World Trade Atlas 2012.12

나. 수출동향

2011년 그리스 수출액은 총 312억 달러 규모로 전년도 동기간 대비 44%나 급증하며 국가경제

위기에 적극적인 수출을 늘리려는 노력의 결과를 보았다. 주요 수출국은 이탈리아(29억),

터키(25억), 독일(24억) 등 인근 국각로 주로 수출하였다.

그리스 국가별 수출 통계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국가 2009 2010 2011 2012(1월-6월)

금액 증감율

세 계 20,464 21,691 31,256 16,148 5.74

1 터 키 849 1,142 2,451 1,525 24.06

2 기타유럽국가* 386 452 1,890 1,249 105.4

3 이탈리아 2,349 2,297 2,955 1,228 -17.07

4 독 일 2,364 2,299 2,447 1,079 -15.4

5 불가리아 1,374 1,378 1,715 878 4.4

6 사이프러스 1,469 1,558 1,892 842 -11.3

7 미 국 992 827 1,674 648 -21.9

그리스-31

순위 국가 2009 2010 2011 2012(1월-6월)

금액 증감율

8 리비아 108 215 215 491 277.7

9 영 국 902 1,111 1,238 490 -26.5

10 싱가포르 44 137 819 482 30.3

11 프랑스 760 816 906 413 -15.5

자료: World Trade Atlas 2012.12

그리스 품목별 수출 통계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품목 2009 2010 2011

2012 (1월-6월)

금액

(점유율) 증감율

1 미네랄 연료 1,902

(9.3)

2,398

(11.06)

9,170

(29.3)

5,785

(35.8) 34.5

2 알루미늄 930

(4.54)

1,206

(5.56)

1,722

(5.51)

782

(4.8) -15.2

3 전기기계 1,012

(4.95)

1,094

(5.04)

1,351

(4.32)

653

(4.04) -2.5

4 의약품 1,306

(6.38)

1,346

(6.21)

1,195

(3.82)

597

(3.7) -0.21

5 철강 566

(2.77)

937

(4.32)

1,624

(5.2)

588

(3.6) -31.7

6 플라스틱 978

(4.78)

1,110

(5.12)

1,236

(3.95)

579

(3.59) -7.12

7 보존식품 883

(4.31)

964

(4.45)

1,068

(3.42)

558

(3.46) 1.98

8 기계 1,007

(4.92)

964

(4.45)

1,066

(3.41)

511

(3.17) -6.31

9 과일/견과류 900

(4.4)

881

(4.07)

906

(2.9)

405

(2.51) -2.37

10 구리류 355

(1.74)

605

(2.78)

797

(2.51)

382

(2.37) -11.44

11 어류, 수산물 636

(3.11)

679

(3.13)

809

(2.59)

368

(2.28) -8.55

주: ( )는 점유율, 증감율은 전년동기대비, 순위는 2012년 1월-6월 누계 기준

자료: World Trade Atlas 2012.12

그리스-32

2. 한국과의 교역동향 및 특징 가. 한국과의 수출입 동향 및 주요 교역품목

2012년 1월~10월 한국의 대 그리스 수출은 13억 5천만 달러로 전년도 동기간 대비

54%나 급증하였다. 2010년도 시작된 그리스 부도위기 당시 대 그리스 수출이 62%나 대폭

감소하였지만, 이후 꾸준한 증가율을 보이며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대 그리스 주력 수출품은 선박 수출(59%), 철도차량, 합성수지(-9%), 무선전화기(-47%),

개별소자반도체(-37%), 승용차(53%), 타이어(8%), 폴리에스텔섬유(7%), 자동차부품(-68%)

등이다.

우리나라의 대 그리스 수출입 현황

(단위: 천 달러, %)

연도 수출 수입

무역수지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2004 1,772,745 0.4 109,467 4.8 1,663,278

2005 1,792,882 1.1 92,757 ▽15.3 1,700,125

2006 2,768,233 54.4 83,429 ▽10.1 2,684,804

2007 1,660,923 ▽40.0 60,122 ▽27.9 1,600,801

2008 1,413,219 ▽14.9 130,490 117.0 1,282,729

2009 3,203,482 126 56,076 ▽57.0 3,147,406

2010 1,208,817 ▽62.3 81,642 45.6 1,127,175

2011 1,349,593 11.7 9,089 11.3 1,258,702

2012.1-10 1,776,930 54.0 161,701 107.6 1,615,229

자료: KOTIS 2012.12

한국의 대 그리스 수출주종 품목은 전체 수출액 가운데 약 54%를 차지하고 있는 선박임.

시기별 수주규모의 차이와, 건조기간이 장기인 품목 특성에 따라 월별 통계수치의 증감이

심한 편이나 그리스 경제위기가 시작된 2010년 이후에도 꾸준한 증가를 보이고 있음.

선박의 경우에는 비록 그리스 선주가 발주한 것이라 하더라도 인도시점에서 어느 나라에 국

적을 두느냐에 따라 즉, 편의치적 제도의 관행에 비추어 볼 때 대 그리스 수출 통계만으로

는 현실을 정확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장애가 있음.

대 그리스 선박 수출

(단위: 백만 달러)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1,296 1,058 1,158 2,313 1,031 871 2,859 959 1,083 1,776

자료: KOTIS 2012.12

그리스-33

한편, 그리스 사람들에게 한국산 휴대전화 인기가 매우 높은 편인데, 삼성전자 그리스 법인

과 LG전자 현지 판매법인은 휴대전화뿐만 아니라 전자제품 시장을 집중적으로 공략하고 있

다. 적극적인 마케팅과 홍보로 인하여 한국 전자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신뢰도가 높아지고

있다.

나. 주요 품목별 수출동향

그리스 재정위기 악화에 따른 정부지출 및 민간소비 침체 여파로 수출이 지속적으로 감소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선박은 꾸준한 증가를 보이고 있으며 그 뒤로 철도차량, 합성수지, 무

선전화기, 개별소자반도체, 축전지 등이 등이 어려운 환경에도 선전하고 있는 품목이다.

우리나라의 대그리스 주요 수출 품목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품목명 (MTI)

2009 2010 2011년 2012년

1월-10월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금액

1 선박

(7461) 2,859 228.1 959 -66.4 1,083 13.0 1,490

2 철도차량(7441) - - - - 11 - 139

3 합성수지(2140) 16 -39.8 20 24.1 28 44.5 22

4 무선전화기(8121) 90 -6.6 50 -44.9 27 -45.4 13

5 개별소자반도체

(8313) - - 0.7 2931 17 2,342.9 10

6 축전지 (8352)

11.9 -13.9 11.7 -2.1 13 13.4 8

7 승용차 (7411)

34 -69.3 33 -2.7 22 -33.5 8

8 타이어 (3203)

7 -57.4 6 -13.2 6.35 6.9 6

9 공기조절기(7131) 17 -33.1 9.1 -47.4 5.8 -37.0 5

10 원동기 (7111)

6 8.4 4 -25.6 6.11 47.0 4

11 인쇄용지 (2522)

8 110.6 2 -75.0 6.14 194.2 4

12 철도차량부품 - - 4

13 폴리에스텔섬유(4111) 3 -44.0 4.7 39.2 3.6 -23.2 4

14 기타플라스틱제품

(3109) 6 -12.2 5.2 -16.2 4.7 -8.8 4

17 자동차부품

(7420) 11 -12.3 6 -42.5 10 58.5 3

18 냉장고 (8230)

6 -31.1 5.8 -12.7 3.8 -34.4 2

19 가열난방기

(7133) 4 -76.1 3.4 -18.1 14 313.8 2

총계 3,203 126.7 1,209 -62.3 1,350 11.7 1,777

자료: KOTIS 2012.12

그리스-34

다. 대 그리스 수입동향

2012년 주요 수입품목은 나프타, 연초류, 선박, 동괴 및 스크랩이나 그리스로부터의 신규

수입을 시작하기 시작한 품목인 화장지(43005.8% 증가), 천연섬유원료(2,256.9% 증가),

참치(609.4% 증가), 의약품(318.1% 증가) 또한 주목할만한 품목이다.

우리나라의 대그리스 주요 수입 품목

(단위: 천 달러, %)

품목명

(MTI)

2009 2010 2011 2012년

1월-10월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금액

나프타

(1334) 8,989 - 30,649 241.0 7,691 -74.9 115,014

연초류

(0154) 19,462 -18.6 13,006 -33.2 11,235 -13.6 5,673

화장지

(2523) - - - - 13 980 5,491

선박

(7461) 2,859 228.0 959 -66.4 87 -89.5 4,297

기타모피

(3339) 1,084 -1.9 4,607 325.2 9,429 104.7 4,154

천연섬유원료 142 -92.4 3,336

동괴및스크랩

(6221) 485 -39.3 3,484 618.3 2,985 -14.3 2,290

기타비금속광물

(1290) 1,327 -55.1 1,385 4.3 1,914 38.2 1,968

혁의류 및 기타

(4413) 136 -55.6 488 257.8 1,430 193.3 1,968

고지 1,117 -49.3 4,823 331.9 6,045 25.3 1,667

음료 - - - - 1 590.4 1,513

참치 - - - - 235 -71.7 698

어육

(0451) 2,357 -14.0 2,072 -12.1 653 -68.5 1,013

식물성유지

(0131) 538 -17.8 444 -17.5 612 37.8 345

알루미늄조가공품

(6212) 1,354 12.5 1,485 9.7 581 -60.9 318

밍크모피

(3331) 481 324.9 865 79.9 1,716 98.5 611

알루미늄및스크랩

(6211) 683 -67.4 5,962 772.6 1,900 -68.1 1,042

총계 56,076 -57.0 81,642 45.6 90,891 11.3 161,701

자료: KOTIS 2012.12

그리스-35

3. 수입규제제도 가. 수입규제조치

EU 회원국은 자국 산업을 보호하려는 목적으로 단독으로 제 3국에 대해 수입 규제 조치를

취할 수 없으며 제3국에 대한 수입규제 조치는 EU를 통해 취하고 있다. 즉, 수입 규제 조치는

EU 차원에서 결정되며 EU 집행위가 타당성을 조사한 결과, 타당하다고 판단하여 결정된

조치는 EU 전 회원국에서 동시에 이행된다. 역외국 제품에 대한 수입관세율은 물론이고

반덤핑조치, 상계관세 조치, 세이프가드조치, 수입쿼터 조치 등도 EU의 27개국 모두가 동일

하게 취해지고 있다.

□ 반덤핑 관세

수출국의 기업이 덤핑 가격으로 수출하여 수입국 산업에 피해를 초래하는 불공정 거래

행위를 의미하는 것으로 현재 EU가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수입 규제 조치이다.

EU 집행위는 EU 기업으로부터 한 일정 수출국 기업이 덤핑 수출을 하고 있어 EU 산업이

피해를 받고 있다는 제소를 받으면 반덤핑 규정(384/96/ec)에 의거, 조사 후 반덤핑 조치의

타당성 여부를 평가한다. 반덤핑 관세 부과 결정을 좌우하는 조건은 다음과 같다.

ㅇ 덤핑 사실의 존재: 해당 수출국(제 3 역외국) 기업의 EU 수출가가 자국 내수 가격보다

낮을 때 덤핑으로 간주한다.

ㅇ EU 산업에 피해 존재: 덤핑 수입으로 EU 역내 산업이 상당한 피해를 받고 있음이

입증될 때 EU 산업에 피해가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EU 역내 산업이 시장 점유율을

상실하고 EU 생산자가 생산가를 줄일 수밖에 없기 때문에 결국 생산, 판매, 수익,

생산성 등에 부정적인 요인이 될 경우).

ㅇ EU의 전반적 이익: 반덤핑 조치를 취할 때 드는 비용이 그로 얻는 이익과 불균형을

이루지 않을 때 반덤핑 조치가 EU의 전반적 이익을 보호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ㅇ EU 집행위는 석탄과 철강제품에 대해서는 잠정 또는 확정 조치를 취할 권한이 있으나

석탄과 철강제품 이외 상품의 경우에는 이사회에 의해 확정 반덤핑 관세 부과가 결정된다.

ㅇ EU 집행위는 덤핑 제소 입수일부터 45일 내에 사전 조사, 공식 조사를 개시할 타당성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타당성을 입증할 만한 충분한 증거가 부족하거나

제소업체(들)의 생산이 EU 총 생산의 25% 미만일 경우에 공식 조사가 거절된다

□ 반보조금(Anti-subsidy) 및 상계 관세

EU는 WTO의 협정 내용을 EU 보조금 규정에 통합하여 1995년 1월 1일부터 수출 보조금을

받고 수출하는 제품에 대해 반 보조금 조치, 즉 상계관세 조치를 적용하고 있다. EU 규정은

EU 역외국 정부의 수출 보조금을 받고 EU에 수출되는 상품에 대해 상계관세를 부과하는데

상계 관세 부과 요건은 다음과 같다.

ㅇ 수출 보조금 또는 한 일정 산업, 일정 기업에 한정된 보조금 지급 사실 존재

그리스-36

ㅇ EU 산업에 물질적 피해(material injury) 초래: 수출 보조금을 받고 싼 가격으로 들어온

수입 제품으로 인해 EU 역내 산업이 시장 점유율을 상실하고 EU 생산자가 생산가를

줄일 수 밖에 없기 때문에 결국 생산, 판매, 수익, 생산성 등에 부정적인 요인이 될 경우

ㅇ EU 연합의 전반적 이익: 상계관세 조치를 취할 때 드는 비용이 그로 얻는 이익과

불균형을 이루지 않을 때

ㅇ 반덤핑 관세와 마찬가지로 EU 집행위가 조사하고 잠정 조치를 취한다. 제소와 조사

절차는 반덤핑 절차와 유사하다.

□ 세이프가드 조치

비록 수입이 공정하게 이루어졌으나 예외적으로 급작스러운 대폭의 수입 증가가 일어나 EU

역내 산업과 기업, EU 공익에 위협적인 요인이 될 때 취하는 조치로, EU 집행위는

회원국으로부터 요청을 받거나 또는 자발적으로 세이프가드 조사를 한다. 반덤핑이나 상계

관세처럼 기업이 직접 세이프가드 조치의 도입을 요청할 수 없다.

세이프 가드 조치로는 수입 쿼터로 수입 물량을 제한하는 조치와 감시 조치가 있는데 감시

(surveillance) 조치는 엄격한 의미에서 수입 제한 조치가 아니라, 수입 추이를 일일 점검하는

것으로, 해당 제품의 수입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 수입 라이센스를 요구하고 있다.

나. 수입 쿼터 제도

현재 EU는 공산품에 대해 수입 쿼터 제도를 운영하지 않고 있다.

다. 기타 교역관련 규정

수산물이나 일부 농산물 등에 대해서는 위생 및 인체 건강 보호를 이유로 특정 지역이나

특정 조건에서만 수입을 허용하하고 있으며 이들 품목 역시 EU 관보를 통해 발표되고 있다.

아울러 약간의 수정을 통해서 군사 무기로 사용할 수 있는 첨단기기에 대해서는 그 거래를

역시 제한하고 있다.

그리스-37

4. 대한수입규제 동향 2012년 9월 기준, EU로부터 반덤핑 규제를 받고 있는 우리나라 제품은 다음과 같은 품목이다.

구분 조치 유형 대상 품목

규제 중 반덤핑 관세 철강제 관연결구류

주: 한국산 PET 칩은 2012년 2월 28일로 반덤핑 규제가 종료되었다.

한편 EU 는 이사회 이행규정 102/2012를 통해 중국산과 우크라이나산 강철 로프와

케이블에 대해 지금까지 부과되는 기존의 반덤핑 관세 부과조치를 종료되는 시점에서 더

연장키로 결정하면서 중국산 강철 로프와 케이블이 모로코와 한국을 경유해 EU 로 우회

수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모로코와 한국에서 수출되는 일부 해당 품목도 반덤핑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2012년 2월 10일부터 한국산 강철 로프와 케이블에 반덤핑 관세 60.4%가

부과된다. 즉, 한국에서 EU 로 수출되는 일부 카테고리 제품에 대해 원산지 국가가

한국이든 아니든 간에(즉 한국산이든 한국산이 아니든) 상관없이 중국산과 같이 반덤핑관세

60.4%가 부과되므로 우리 업계의 각별한 주의가 요망된다.

한국에서 EU 로 수출되는 제품 가운데 반덤핑 대상의 강철 로프와 케이블의 Taric code 와

제품 설명은 다음과 같다.

1) 731210 81 13: steel ropes, and cables(including locked coil ropes), not coated or only

plated or coated with zinc with a maximum cross-sectional dimension, exceeding 3mm

but not exceeding 12mm consigned from the Republic of Korea

2) 731210 83 13: steel ropes, and cables(including locked coil ropes), not coated or only

plated or coated with zinc with a maximum cross-sectional dimension, exceeding 12mm

but not exceeding 24mm consigned from the Republic of Korea

3) 731210 85 13: steel ropes, and cables(including locked coil ropes), not coated or only

plated or coated with zinc with a maximum cross-sectional dimension, exceeding 24mm

but not exceeding 48mm consigned from the Republic of Korea

4) 731210 89 13: steel ropes, and cables(including locked coil ropes), not coated or only

plated or coated with zinc with a maximum cross-sectional dimension, exceeding 48mm

consigned from the Republic of Korea

5) 731210 98 13: other consigned from the Republic of Korea

참고: Taric code 의 앞에서 6자리까지는 HS Code 와 동일함.

그리스-38

단, 아래 한국 업체의 제품은 반덤핑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된다.

국가 회사 Code additionnel

TARIC

대한민국

(주)보성선재 A969

(주)청우제강 A969

씨에스 A969

(주)코스모 와이어 A969

(주)대흥산업주식회사 A969

DSR 제강(주) A969

고려제강 A969

만호제강(주) A969

(주)신한제강 A969

쌍용선재(주) A969

영흥철강 A969

그리스-39

5. 관세제도 가. 개요

EU 회원국으로서 EU 관세 제도를 따르고 있다. 그리스는 EU 공동 관세 제도가 도입된

지난 1968년부터 여타 EU 회원국과 동일한 관세 제도를 운용하고 있는데 EU의 주요 관세

제도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EU는 일반적으로 GATT(현 WTO) 가입국뿐만 아니라 비가입국에도 협정 관세를 부과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EU와 관세 동맹 체결 여부에 따라 일방 또는 양자간 특혜 관세 조치를 취하고 일부

제품에 대해 수입 관세의 감면, 면제 등 관세 혜택을 부여하기도 한다.

관세는 EU가 정하여 매년 발표하는 EU 관세율 표에 의하여 각 회원국 세관 당국이 징수

한다. EU 관세율표는 전 세계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제품의 관세 분류 방식인 HS(Harmoni

zed-System) 분류 체계를 기초로 EU가 공동으로 정한 통합분류(CN) 방식에 의해 분류

되며 관세율에는 수입 부담금과 농산물의 경우 공동 농업 정책에 의한 농업 분담금 등이

포함된다.

EU 집행위는 매년 관세율 표를 EU 관보를 통해 공표한다. 일반적으로 관세율에는 종가

관세(Ad-valorem Tariff)가 적용되고 석탄, 농산물 일부, 식품, 영화 필름 등에는 종량세

(Specific Duties)가 적용된다.

국제 가격의 변화에 대하여 일정 수준의 관세 유지를 목적으로 담배, 과일, 카펫 및 시계

일부 등에는 종량세로 관세의 상하한선을 설정한 후 그 범위 내에서 종가세를 부과하는

선택 관세(Alternative Tariff)가 있다.

또한 계절에 따라 가격 변동이 심한 과일, 채소, 화훼류 등의 상품에 대해서는 관세율이

신축적으로 조절되는 계절 관세(Seasonal Tariff)가 적용된다.

한편, 농산물에 대해서는 관세뿐만 아니고 수입 부과금(Import Levy)을 부여한다.

EU는 일년에 상, 하반기 두 차례에 걸쳐 역내 공급이 수요를 못 따라 가거나 일시적으로

수요가 급증하여 EU 역내 생산만으로는 수요를 충족시킬 수 없는 품목에 대해 일시적으로

관세 부과를 면제해주고 있다. 이들 품목은 EU 관보를 통해 발표된다.

나. 통관시 적용되는 규정

1) 상품 분류 번호

모든 상품의 수출입시, 통관 서류에 상품 분류 번호가 기재되어야 하며 상품 분류 번호에

따라 해당 품목의 관세율이 적용된다. 그리스에서는 모든 EU 회원국과 마찬가지로 8자리의

EU 상품 분류 제도(CN CODE)가 적용된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수입 시 8단위보다 더

상세히 분류된 10 자리의 세분 번호가 적용될 수 있다.

CN CODE 8자리 상품 분류 번호의 앞 6자리까지는 HS 코드와 일치한다.

그리스-40

상품 분류 번호에 따라 관세율이 다를 수 있으므로 상품 분류 기재 시 정확한 상품 분류

번호를 기재해야 한다.

유사한 카테고리의 제품일지라도 세분된 상품 분류 번호에 따라 관세율이 달라질 수 있으며

또한 관세 환급이나 수입규제 적용 유무가 좌우될 수 있으므로 상품종류에 따라 정확한

상품 분류 번호를 획득할 필요가 있다. EU는 EU 수출입업자에게 수출입 상품의 정확한

번호를 제공하기 위해 BTI(Binding Tariff Information)이라는 시스템을 마련했다.

EU 수출입업자는 한 EU회원국 세관당국에 BTI 상품분류번호를 요청할 수 있고 신청국

세관에서 발급한 상품번호는 EU전체에서 유효하다. 일반적으로 유효기간은 6년이나 EU가

규정을 통해 해당상품의 관세번호를 변경할 때 유효기간 중이라도 기존의 상품번호는 더

이상 유효하지 않게 된다. 이 경우 수출입업자는 해당국 세관당국에 과도기간을 부여해 줄

것을 신청할 수 있고 법으로 규정된 조건이 충족될 때 세관당국은 과도기간을 부여한다.

BTI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EU 집행위 관세 사이트를 참조하면 된다.

(http://ec.europa.eu/taxation_customs/customs/customs_duties/tariff_aspects/classificati

on_goods/index_en.htm#authorities)

2) 세관신고

EU에 수입 상품을 상업적으로 판매하려는 사람은 상품 수입 시 수입국 세관 당국에 신고를

해야 한다. 세관신고 방법에는 인터넷을 통해 하는 방법과 신고서(Single Administrative

Document) 작성을 통해 문서로 하는 방법이 있다. 신고서는 하기 사이트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http://ec.europa.eu/taxation_customs/customs/procedural_aspects/general/sad/index_en.h

tm

* EU 회원국 입국 시 10,000 유로 이상을 소지한 여행자는 세관당국에 신고해야 한다.

* 세관 검사에서 개인 여행자가 소지한 위조상품이 적발될 경우, 해당 상품의 압수는 물론

벌금을 물을 수 있으므로 EU 여행 때 위조상품은 소지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원산지 규정

상품의 원산지 규정은 관세와 무역에 관한 정책적 결정을 수행하는 수단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원산지 규정 또한 벨기에에 국한된 자국 원산지 규정은 없으며 EU의 원산지

규정이 그대로 적용된다. 모든 상품의 원산지가 중요성을 갖는 것은 관세율을 결정하는데

기초 자료가 될 뿐 아니라 GSP 수혜, 반덤핑 관세, 수입 물량 제한 조치, 심지어는 수입

금지와 같은 무역 정책적인 조치 적용에 근거 자료가 되기 때문이다.

EU의 원산지 기준은 매우 복잡하여 품목별로 공정기준, 부가가치 기준이 병행하여 적용

되고 있다.

* 우리 수출업체가 EU에 수출할 때 한-EU FTA 협정에 의한 관세특혜를 받으려면 건당

6,000 유로 초과시 우리 관련 당국(관세청 당국) 으로부터 인증 수출업자로서 원산지

증명서를 발급받아야 한다.

그리스-41

4) 관세 부과 가액

상품의 실질 거래 가격, 즉 송장 금액을 기준으로 관세가 부과된다. 단, 인도 조건에 따라

송장에는 명시되어 있지 않지만 송장 금액과는 별도로 관세 부과 가액 산정 시 반영되는

요소들이 있다. 운송료, 보험료, 로열티, 라이선스 수수료, 연구개발비 등이 그러하다.

통관 시 관세 이외에도 부가가치세(부가가치세율은 회원국마다 다소 차이가 있으며 벨기에

경우에는 21%가 적용됨)와 일부 특정 제품(담배, 주류, 석유 등)에 대해서는 특별세

(excise)가 부과된다. 또한 특별세의 세율도 회원국마다 차이가 있다.

5) 일반특혜관세제도(GSP)

개도국의 수출 확대와 산업화를 촉진하기 위하여 개도국 산 제품에 대해 낮은 수입관세율을

적용하는 제도로, 176개 개도국에 대해 이러한 관세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은

EU로부터 GSP 혜택을 받고 있지 않다.

GSP 제도는 세가지(표준 GSP, 최빈국에 대한 무세 혜택, GSP+)로 구성되어 있는데, 표준

GSP 제도는 176개 수혜대상국을 대상으로 약 6,400개 품목에 대해 제공되는 일반 GSP

제도이며, GSP+ 제도는 표준 GSP 제도에 추가하여 노동권 보호를 포함하여 지속 가능한

개발을 추진하는 국가에 대해 추가적으로 혜택을 더 제공하는 것이며, 최빈국에 대한 GSP

제도는 역시 표준 GSP 제도에 추가하여 50개 최빈국에 대해 무세 혜택을 제공하는

내용이다.

현행 EU의 GSP 제도는 2009년부터 2011년간 3년 동안 적용되기로 되어 있었으나 신규

수정안이 늦기 마련되어(2012년 5월에 채택) EU당국은 현행 제도를 2013년 12월 31일까지

적용키로 결정했다. 집행위가 채택한 수정안은 이사회와 EU의회의 승인을 받는 절차가

남아 있는데 이 두 기관의 승인을 받으면 2014년 1월 1일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GSP 신 규정 안의 주요 내용은 경제적으로 더 이상 GSP의 혜택을 받을 필요가 없는

사우디아라비아, 카타르, 벨로루시, 러시아 등의 국가를 수혜 대상국에서 제외하는 대신

여타 최빈국에 대한 혜택을 강화하는 방향의 제안이다. 또한, 기존의 제도는 수혜기간을

일정 기간(예 : 현행 제도는 원래 2009년 1월1일부터 2011년 12월 31일까지 시행되는

것이었음)동안 정해 놓았는데 신규 제도는 “open-ended” 제도로 기간에 상관하지 않고

상황에 따라 수혜조건을 변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6) 수출입업자 세관등록번호(EORI : Economic Operator Registration and Identification)

EU에서는 2009년 7월 1일부터 EU 수출입업자는 통관과 관련된 서류에 EU공동의

세관번호를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EORI 번호는 EU 회원국 각국 세관이 등록 신청자(수출입업자)에게 부여하는 일종의

customer code번호이며 일단 한 EU 회원국 세관당국에 등록된 번호는 전 EU회원국에서

공동으로 통용되므로 다른 회원국 수출입 시 해당 회원국 세관에 다시 세관등록번호를 받을

필요가 없다.

그리스-42

6. 주요인증제도 가. CE 마킹 제도

공산품에 대해 EU 회원국 전체에 적용되는 강제 기술규격 인증으로 27개 EU 회원국과

스위스, 노르웨이, 아이슬란드의 EFTA 국가에 수출하려면 다음과 같은 22개 카테고리의

품목에 CE 마킹 지침(93/68/EEC)에 의거, CE 마크를 획득, 부착해야 한다.

CE 마킹 대상 품목 및 규정 지침

품목 규정 지침

가스기기(Appliances Burning Gaseous Fuels) 2009/142/EC

사람수송용 케이블(Cableway Installation to Carry Persons) 2000/9/EC

저압 전기 기기(Low Voltage Electrical Equipment) 2006/95/EC

건설자재(Construction Products) 89/106/EEC, 93/68/EEC

폭발용 기기 및 보호제품(Equipment and Protective System for

used in potentially explosive Atmospheres) 2007/23/EC

민간용 폭발물(Explosives for Civil Uses) 93/15/EEC

온수보일러(Hot Water Boiler) 92/42/EEC, 93/68/EEC, /

2004/8/EC

승강기(Lift) 95/16/EC

기계(Machinery) 2006/42/EC

의료기기(Medical Devices)

93/42/EEC, 98/79/EC,

2000/70/EC,

2007/47/EEC

의료용 임플란트(Active Implantable Medical Devices) 90/385/EEC, 93/42/EEC,

93/68/EEC, 2007/47/EC

시험관 치료용 기기(In Vitro Diagnostic Medical Devices) 98/79/EC

수동저울(Non-automatic Weighing Instruments) 2009/23/EC

무선전신 및 통신 말단기기

(Radio Equipment & Tele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99/5/EC

개인보호장비(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89/686/EEC, 93/68/EEC,

93/95/EEC, 96/56/EC

단순압력용기(Simple Pressure Vessels) 2009/105/EC

압력기기(Pressure Equipment) 97/23/EC

여가용 보트(Recreational Craft) 94/25/EC

장난감 안전(Safety of Toys) 88/378/EEC, 93/68/EEC,

2009/48/EC

EMC(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2004/108/EC

측정기기 2004/22/EC

그리스-43

이외에도 다음과 같은 안전규격이 적용되고 있다.

ㅇ 전자파적합성 지침(89/336/ EEC)

- 모든 전자전기 제품은 전자파 적합성 지침의 기술 규준을 준수하고 CE 마킹을 획득

해야 한다.

ㅇ 결함 제품에 대한 책임

- 85/374/eec(1999/34/EEC 수정 지침) 지침에 의거, 제조자(수입, 유통자 포함)는 결함

이 있는 제품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한다.

ㅇ 일반 제품 안전

- 92/59/EEC 지침에 의거, 제조자(수입, 유통업자)는 시판 상품에 대한 안전을 보장해야 하고

위험한 제품을 시장에 내놓아 인체나 환경에 손상을 끼쳤을 때 그에 대한 책임을 진다.

ㅇ 환경 규격

- 2000/14/EC 지침에 의거하여 실외에서 사용되는 기기는 동 지침의 소음 발생 기준을

준수해야 한다.

나. 에코 라벨

에코 라벨은 친환경적 제품에 부여하는 라벨로 자율적 라벨이다. 에코 라벨은 1993년 이후

적용되고 있는 라벨로 2010년 5월말 기준 26개 품목군에 대해 기준이 제정되어 있다.

ㅇ 에코라벨 대상 품목: 세제(다목적용 세제, 식기세척기용 세제, 식기세제, 세탁세제,

비누/샴프/ 헤어 컨디셔너), 의류(섬유 제품, 신발), Do-it-yourself(페인트와 바니쉬),

전자제품(PC, 노트북, TV), 바닥덮개(wooden coverings, textile coverings, hard flor

covering), 가구(목재가구), 정원용품(Growing media 및 Soil improvers), 가정용기기(전구,

heat pump), Lubricants, 기타 가정용품(매트리스), 종이제품(복사용지와 그래픽용지,

티슈페이퍼), 서비스(Campsite services, Tourist accommodation service)

다. 에너지 라벨

에너지 소비율에 따라 A-G까지 에너지 효율 등급을 표시해야 한다. A는 에너지 효율성이

가장 우수한 것을 의미하며 G는 가장 낮은 것을 의미한다. 에너지 효율성을 표시해야 하는

에너지 라벨 대상 품목은 냉장고, 냉동고, 냉장-냉동고 콤비, 세탁기, 건조기(electric

tumble dryers), 세탁기-건조기 콤비, 식기 세척기, 램프, 전기 오븐, 에어컨 등으로 대상

품목은 계속 늘어나고 있다.

전력 소모제품의 기술 진전에 따라 현행 등급 수준이 높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장고와

냉동고 등 가전 제품의 경우 에너지 효울성이 높은 A++, A+ 등이 나오고 있다.

2011년 11월 30일부터 TV에도 에너지 라벨을 부착해야 한다. 최근 EU는 관보를 통해

TV에 대한 에너지 라벨 법규 (Commission Delegated Regulation(EU) No. 1062/2010)를

공식 발표하고, 2011년 11월30일 이후부터 출시되는 모든 TV에 대해 에너지 라벨 부착을

의무화하는 한편, 2020년까지 4단계에 걸쳐 에너지 효율 등급 기준을 상향 조정하기로

했다.

그리스-44

해당 제도에 따라 해당품목 제조업체는 A에서부터 G까지 7단계의 라벨을 부차개야 하는데,

각 라벨은 녹색(A), 노랑색(D), 붉은색(G)로 이어지는 일련의 색상이 부여되어 식별이

용이하도록 하고 있다. 에너지 효율 등급 기준을 단계적으로 상향 조정키로 한 것은 기존의

냉동, 냉장고, 식기세척기나 세탁기에 대한 에너지 자벨 시행 사례에서 보듯이

시행초기에는 A등급이 2%에 불과했으나, 현재는 90%에 이르고 있는 점을 고려한 것으로,

현재 시판되고 있는 TV 중 A등급을 받을 수 있는 제품은 없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해당 규정에 나타난 TV에너지 효율 등급 기준 상향 조정 일정은 다음과 같다.

ㅇ 1단계(2013년 12월31일까지)

- A, B, C, D, E, F, G의 7 등급이 적용. 단, 제조업체가 자사 제품이 A+, 또는 A++,

A+++기준이라 판단할 경우 적합성을 입증한 후 해당 등급을 표시할 수 있다.

ㅇ 2단계(2014년 1월1일부터)

- 최고 등급 A+부터 최저 F까지 7 등급으로 분류. 따라서 G등급이 없어지는데, 이는 G

등급에 속하는 저에너지 효율 제품은 사실상 2014년 1월 1일부터는 판매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ㅇ 3단계(2017년 1월1일부터)

- 최고등급 A++부터 최저 E등급까지 7등급으로 분류되며, F 등급은 없어진다.

ㅇ 4단계(2020년 1월1일부터)

- 최고등급 A+++부터 최저 D 등급까지 7등급으로 분류되며 E 등급은 없어진다

한편 GEEA의 에너지라벨제도 역시 적용되고 있다. GEEA(Group for Energy Efficient

Appliances)란 네덜란드, 덴마크, 스위스, 프랑스 등 유럽 회원국들이 운영하는 에너지 절약

제품 보조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포럼이며 GEEA 규격에 적합한 제품은 GEEA의 에너지

라벨을 사용할 수 있다.

대상 품목은 컴퓨터, 모니터, 프린터, 팩시밀리, 복사기, 스캐너, 복합기, 텔레비전, 비디오,

오디오, 배터리 충전기 등 19개 품목으로 GEEA의 회원은 다음과 같다.

ㅇ 정회원

- 스위스 : The Swiss Federal Office of Energy (SFOE)

- 덴마크 : The Danish Energy Authority (DEA)

- 네덜란드 : The Netherlands Agency for Energy and the Environment (SenterNOVEM)

- 독일 : The German Energy Agency (dena) / Gemeinschaft Energielabel Deutschland(GED)

ㅇ 준회원

- 스웨덴 The Swedish National Energy Administration (STEM)

- 오스트리아 : The Austrian Energy Agency (E.V.A.)

- 프랑스 : The French Agency for Energy and the Environment (Ademe)

그리스-45

에너지 소비 효율 등급 표시 제도

에너지 효율 등급

□ 개요

에너지 소비 효율에 따라 A∼G까지Energy효율

등급 라벨 표시 및 최저 효율 기준, 적용 에너지

효율 등급, 연간 에너지 소비량 등 표시

□ 대상 품목

라벨 표시: 냉장고, 냉동고, 세탁기, 식기세척기

등(10품목)

최저 효율: 냉장고, 냉동고, 냉동냉장고, 보일러, 안정기

등(5품목)

□ 시행 기관

EU위원회(EU Commission)

□ 근거 법령

에너지 라벨링 지침(Council directive/92/75/EEC,

1992)

GEEA

□ 개요

스위스, 독일 등 유럽 9개국이 운영하는 대기 전력

감소를 위한 에너지 절약 제품 보급 프로그램이며

Energy라벨 사용

□ 대상 품목

컴퓨터, 모니터, 프린터, 팩시밀리, 복사기, 스캐너,

복합기, 텔레비전, 비디오, 오디오, 배터리 충전기

등(19품목)

Energy 2000

□ 개요

대기 전력 절감형 제품을 보급하는 유럽의 대표적

프로그램 GEEA와 동일 기준을 적용하며 같은 Energy

라벨 사용

□ 대상 품목

컴퓨터, 모니터, 프린터, 팩시밀리, 복사기, 스캐너,

복합기, 텔레비전, 비디오, 오디오, DVD플레이어

등(15품목)

□ 시행 기관

스위스 에너지부(SFOE: The Swiss Federal Office of

Energy)

그리스-46

라. 그리스의 인증관리제도

1) 개 요

그리스는 Law 372/76 (Law 1682/1997 로 개정)에 의거하여 국가인증 전담기관으로

Hellenic Organization for Standard(ELOT)(www.elot.gr)을 설치, 운영하고 있다. ELOT 는

제품이나 시스템이 ISO 와 같은 국제기준에 부합되는지 여부를 신청에 의해 심사를 하고

표준부합마크(Conformity Marks)와 표준부합증명(Certificates of Conformity) 등을 발급하는

업무를 하고 있다.

즉, ELOT 는 Hellenic Standards, European Standards(EN), Experimental European

Standards(CEN), Harmonization Documents(HD), European Telecommunication Standards

(ETSI), Experimental European Telecommunication Standards(I-ETS) 등에 부합여부를

심사하고 증명서를 발급하고 있다. 검사 및 테스트, 제품이나 품질시스템 인증 등의 업무는

ELOT EN 45012, ELOT EN 45011 에 의거하여 ISO/IEC Guides 61- 62- 65, ELOT EN ISO

9000 및 ISO 10011 등에 대한 기술 심사 및 증명서를 발급하고 있다.

그리스 표준(Hellenic Standards)은 그리스 정부가 국제기구 등의 기준에 맞추어 제품, 공정,

서비스 및 품질관리 시스템 등에 대한 사양, 규칙 및 가이드라인 등을 담은 기술 표준이다.

ELOT은 ISO, CEN, CENELEC, CENCER, CASCO, IQNet, CB Certification Scheme, CCA,

HAR, ENEC 협약 등에 가입되어 있는 국내 유일의 국가공인 인증기관이다.

2) ELOT 주요부서

ㅇ Standardization Division

- Director: Mr. E. Melagrakis

- Assistant Director: Mr. G. Githonas

- Tel: (+30) 210 21 20 111

- Fax: (+30) 210 228 3135

- E-mail: [email protected]

ㅇ Electrotechnical Standardization Division

- Director: Mr. E. Melagrakis

- Assistant Director: Mrs. Ch. Kapranou

- Tel: (+30) 210 21 20 413

- Fax: (+30) 210 228 6078

- E-mail: [email protected]

ㅇ Certification Division

- Director: Mr. K. Panagiotopoulos

- Tel: (+30) 210 21 20 400

- Fax: (+30) 210 228 3721

- E-mail:[email protected]

그리스-47

7. 지식재산권 가. 개요

그리스는 EU 회원국으로서 EU의 지식재산권 제도를 그대로 적용하고 있다. EU에서

지식재산권 보호제도를 운영하는 주체는 크게 3가지가 있다. 각 회원국 정부, EU 집행위 및

지식재산권 보호를 위해 특별히 설치되어있는 제3의 기관인 유럽특허청이 그것이다.

EU 집행위는 유럽 공동체 상표, 유럽공동체 디자인, 저작권, 저작인접권 등에 있어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고, 각 회원국 정부는 이를 이행하는 동시에 여타 지재권 보호에

대한 정책 결정 및 이와 관련된 법규를 자체적으로 설치, 운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EU

차원에서 통일된 제도의 경우에도 자국에만 적용되는 별도의 제도를 병행 설치하는 경우도

있다.

나. 특허권 (Patents)

유럽에서 특허를 보호받을 수 있는 방법은 크게 2가지로 구분된다. 먼저 그리스를 포함하여

각 EU 회원국들이 자체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특허제도이며, 둘째로는 유럽 특허청을 통해

특허를 허락 받는 방법이다. 유럽특허청을 통해 취득하는 유럽특허제도의 경우 출원인이

지정하는 여러 국가에서 특허를 취득할 수 있다. 그러나 유럽 특허제도는 27개 EU 회원국

전역에서 자동적으로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 두 가지 제도와 별도로 현재 공동체특허제도 도입이

추진되고 있다. 공동체 특허제도란 하나의 출원을 통해 등록 받은 특허로 EU 회원국

전체에서 권리를 행사할 수 있고 특허의 무효 또는 침해에 대한 재판도 공동체 특허법원이

전담하는 개념이다.

특허권(Patents)의 존속기간은 설정등록이 있는 날부터 특허출원일(application) 후 20년이

되는 날까지이며, 추가 특허권(Patents of addition)은 별도로 특허권이 설정되어 있지 않는

한 주 특허권(main patent)의 존속기간이 적용된다. 특허는 특허출원 전에 국내 또는

국외에서 공지되었거나 공공연히 실시된 발명이 아닌 신규성(novelty)이 있어야 한다.

공공의 질서 또는 선량한 풍속을 문란하게 하거나 공중의 위생을 해할 염려가 있는 발명,

동식물의 유전자변형에 대해서는 특허를 받을 수 없다.

ㅇ 수수료 (fees)

- 특허(patent) 또는 실용신안권(utility-model certificates) 출원 신청수수료 (application

fee)는 60유로, 선행기술 등 조사보고서 수수료(search-report fee)는 350유로

- 선행기술 등 조사보고서 문서 작성 수수료(Search Report with Written Opinion Fee)는

850유로

- 설정등록료(patent-grant fee or publication fee)의 경우 특허는 180유로, 실용신안은

130유로

- 각종 청구수수료(Claims fee)는 건당 30유로

- 특허의 양도, 명의변경 등 등록수수료 200유로

- 특허권이나 실용신안권이 등록되면 그 권리자는 권리를 보호하기 위하여 매년

특허료(annual fee)를 납부해야 하는데, 특허인 경우 특허등록 2년차까지는 면제되나

3년차부터 20유로로 시작하여 매년 다음의 금액을 납부해야 한다.

그리스-48

- 이 특허료를 납부기간이 경과 후 추가납부기간인 6개월 이내에 납부하지 아니하면

권리가 소멸된다.

수수료 등 납부 관할부서는 산업재산권기구(OBI; Industrial Property Organization)이며

홈페이지(www.obi.gr)에 수수료 등에 대한 자세한 안내를 받을 수 있다.

특허권 및 실용신안권 보호수수료(유로)

연 차 별 특허권 실용신안권

등록 1년차 0 0

2 0 0

3 20 20

4 50 50

5 80 80

6 90 90

7 100 100

8 115 0

9 140 0

10 190 0

11 240 0

12 300 0

13 400 0

14 500 0

15 600 0

16 700 0

17 800 0

18 900 0

19 1000 0

20 1100 0

자료: 그리스 상공회의소 (2012.12 기준)

다. 상표권 (Trademarks)

그리스를 포함하여 EU에서 상표를 보호받기 위한 방법은 크게 두 가지이다. 먼저 각

개별국가의 상표보호 담당관청을 통해 상표를 출원하고 등록한 후 권리를 행사하는 소위,

국별 상표권이다. 다음으로는 유럽공동체 상표청에 상표를 출원하고 심사를 거쳐 등록된

상표를 이용하는 유럽공동체상표이다.

공동체 상표제도는 회원국 특허청이 자국 내에서만 효력을 갖는 상표권을 부여하고 있는

기존의 상표제도와 병행하도록 하여, 기존의 국가별 등록제도와 공존하고 있다. 공동체

상표로 등록될 수 있는 표장은 문자, 도형 등은 물론이고 상품이나 상품의 포장인 입체상표,

소리상표, 냄새상표, 동작상표 등도 등록이 가능하다. 공동체 상표에 대해서는 EU

회원국내에서 독점 배타적인 권리가 부여되고 등록 후 10년간 유효하며 계속해서

갱신등록이 가능하다. 공동체상표 출원은 공동체 상표청, 회원국의 특허청, 또는 베네룩스

상표청을 통해 출원이 가능하며 EU 회원국 언어로 출원하되, 공동체 상표청 공식언어인

영어, 불어, 독일어, 스페인어, 이태리어 중 하나를 제2 언어로 지정해야 한다.

그리스-49

상표권도 선출원주의를 채택하고 있어 먼저 출원한 자만이 그 상표에 관하여 상표 등록을

받을 수 있다. 현저한 특징이 없는 상표, 선량한 풍속에 어긋나거나 공공질서를 해칠

우려가 있는 상표, 이미 등록된 상표를 모방한 상표이거나 오도할 우려가 있는 상표,

제품의 종류, 품질, 무게, 목적지, 가치, 원산지 등을 오도할 우려가 있는 선, 숫자, 단어

또는 징표 등을 사용한 상표, 그리스 또는 다른 나라의 국기 또는 휘장 등을 모방한 상표는

등록을 받을 수 없다. 상표권을 정당한 이유 없이 등록상표를 그 지정상품에 대하여 취소

청구심판 청구일 전 5년간 계속하여 사용하지 않는 경우 취소된다.

ㅇ 수수료

- 상표등록, 상표권이전, 상표권 취소심판 청구 등 수수료는 각각 120유로이다.

- 상표권 등록은 변호사(lawyer)를 통해서만이 할 수 있는데 아테네 변호사협회 (Athens

Bar)는 대행수수료 최저한도를 정해놓고 있다.

라. 산업디자인 (Industrial Models and Designs)

EU는 디자인의 경우에도 회원국 전역에서 보호될 수 있는 공동체 디자인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공동체 상표청이 업무를 담당하는데, 공동체 디자인은 물품 자체의 선, 윤곽, 색체,

형상, 질감, 재질 및 장식의 특징 등을 디자인으로 정의하고 있다. 보호기간은 등록 디자인

출원일로부터 5년간 단위로 연장하여 최장 25년까지 보호된다.

그리스에서 등록신청은 OBI에 하면 된다. 신청 시 성명, 국적, 주소(신청인이 그리스인이

아닌 경우 대행인을 지정해야 함), 흑백사진 2장(필요 시 칼라 사진) 또는 묘사도 (depic

tion) 및 디자인에 대한 간략한 설명 등을 제출해야 하며, 반도체 디자인(topography of

semiconductor)의 존속기간은 은 10년이다. 복수디자인은 50개까지 출원할 수 있다.

ㅇ 수수료 (fees)

- 산업디자인 출원등록료(filing & registration fee)는 20유로

- 복수디자인 추가등록료(supplementary registration fee)는 디자인 당 8유로

- 디자인 공개료(publication fee)는 14유로

- 복수디자인 공개료 디자인 당 3유로

- 디자인의 양도(assignment), 실시권허여(licence) 및 기타 권리의 변경(modification)

또는 명의변경 등록료는 58유로

- 등록 후 최초 5년간은 권리보호를 위한 디자인등록료(protection fee)를 납부하지

않으나, 1차 5년 연장 시 58유로, 2차 5년 연장 시 58유로, 3차 5년 연장 시 72유로,

4차 연장 시 88유로를 각각 납부

마. 저작권 (Copyrights)

EU는 문화적 또는 예술적 작품의 저작권을 작가의 사후, 또는 저작자가 익명이거나 가명인

경우 일반대중이 그 작품을 이용할 수 있게 된 다음해부터 70년간 보호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또한 영화 및 시청각 작품도 감독 등 저작자의 사후 70년 동안 보호되도록 규정

하였다. 음반 재작권은 보호기간이 음반에 고정된 때로부터 50년간이다.

저작자에 대한 재판매권도 보호되어 판매가가 일정 금액이상인 경우에 한하여 판매가격에

대한 재판매권 부과 비율을 정하고 있으며, 이 재판매권 보호기간도 저작자 사후 70년

간으로 규정하고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보호기간 역시 저작자 사후 또는 최초 공개된

이후 70년간 보호된다. 그리스에는 저작권에 대한 등록제도가 정비되어 있지 않다.

그리스-50

바. 기술이전계약 (Technology-transfer contracts)

계약의 대상은 특허권(Patents), 실용신안권(Utility-model certificates), 산업디자인 (Industrial

designs) 등에 대한 실시권(Licencing), 기타 관련 소유권정보, 기술적 제조 또는 건설방법

이나 디자인, 조직 및 관리 서비스, 특화된 컨설팅 서비스, 모니터링 및 검사 서비스,

신기술이나 직원교육에 대한 공동조사 또는 개발 등이다.

기술이전은 계약서 사본과 소정의 제출서류를 OBI에 제출하여 등록을 받아야 하며, 등록

전에 법원에서는 이해당사자들의 이의신청을 청취하는 절차를 거친다.

실시권(licencing)에 대한 로열티는 양자간 협의에 의해 정해지며, 대외적으로 알려지기를

꺼려하지만 보통 총 매출액의 2~4% 수준이며, 지명도 있는 제품(branded product)인

경우에는 1~2%가 추가된다. 또한 부품을 추가로 공급할 경우 별도로 비용을 청구하게 된다.

최근 유럽 유명제품의 경우 그리스업체에 기술을 이전하고 제품을 생산, 그리스를 비롯한

발칸지역 국가들로 공급하고 있는 경향이 두드러진다. 노하우나 기술 이전 계약이나 프렌

차이징 대상업체를 물색하려면 산업재산권기구(OBI)나 미-그리스 상공회의소, 영-그리스

상공회의소 등에 문의할 수 있다.

사. 그리스 지식재산권

1) 지식재산권 관련법 (Intellectual Property Law)

ㅇ 근거법령 : Law 1733/87(특허법), Law 2239/94(상표법), Law 2121/94(저작권법)

ㅇ 특허 관련 국제협약:

- 유럽 특허권에 관한 뮌헨협약(Munich Int’l Convention on European Patents 1973)(Law

1607/86으로 비준)

- 산업디자인에 관한 헤이그협정(The Hague Agreement on Industrial Design 1925) 및

스톡홀름 수정안 (Law 2417/96으로 비준, 대통령령 259/97)

- 특허절차상 미생물기탁의 국제적 승인에 관한 부다페스트조약(Budapest Treaty on the

Int’l Recognization of the Deposit of Micro-organisms for the Purposes of Patent

Procedure 1977) (Law 2128/93으로 비준)

- 특허 공동이행 조약(Patent Co-operation Treaty) (Law 1883/90으로 비준)

- 공동체 특허협약(Community Patent Convention 1989) (Law 2029/92으로 비준)

ㅇ 저작권 관련 국제협약

- 파리협약(Paris Convention 1883-1934) (Law 213/75로 비준)

- 저작권법에 관한 베른협약(Bern Convention on Copyright Law 1888) (Law 100/75로

비준)

- 저작인접권에 관한 로마협약(Rome Convention on neighbouring rights 1961) (Law

2054/92로 비준)

- 저작권에 관한 세계협약(World Convention on Copyright 1971) (Law 100/75로 비준)

- 음반제작자들의 저작인접권에 관한 제네바협약(Geneva Convention on neighbouring

rights of record producers 1971) (Law 2148/93로 비준)

- 저작권법에 관한 우루과이라운드 최종 의정서 부속서 13 (Final Act of Uruguay Round

그리스-51

Annex 13 on Copyright Law 19950 (Law 2290/95로 비준)

- 세계지식재산권기구 저작권조약(WIPO Copyright Treaty0 (Law 3184/2003으로 비준)

- 세계지식재산권기구 실연/실연자조약(WIPO Performances & Performers Treaty(Law

3183/2003으로 비준)

2) 등록절차

□ 등록 기관

ㅇ 산업재산권기구 (OBI; Industrial Property Organization)

- 주소: 5, Pandanassis str., 151 25 Paradissos Amaroussiou, Athens, Greece

- 전화: 30) 210-618-3500, 80011-08108 (free phone line)

- 팩스: 30) 210-681-9231

- 홈페이지: www.obi.gr

- e-메일: [email protected]

- 근무시간 : 08:00~14:00 (토, 일요일 휴무)

(2012 년 3 월 확인 유효함)

등록절차

특허권

출원 신청

서류 보완(4개월간)

조사보고서 작성

최종 조사보고서

특허 등록

→ 실용신안권으로

전환 등록여부 판단

실용신안권

출원 신청

서류 보완(4개월간)

실용신안권 등록

(2012년 9월 기준)

ㅇ 제출서류

a) An application form, available from OBI (in duplicate)

b) A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in duplicate)

c) Claims on a separate sheet of paper (in duplicate)

d) Abstract of the invention on a separate sheet of paper (in duplicate)

e) Drawings of the invention (필요 시)t (in duplicate on Sheller matte A4 paper)

(기타 필요 시 제출서류)

f) Designation of the inventor on a form available from OBI (법인증명서)

(in duplicate)

g) Articles of Association (회사 정관)

h) Power of Attorney

i) Priority certificate and attested translation thereof into Greek

j) Official certificate from the competent agency (출원 전 전시회 출품했을 경우 그 사실

증명서)

그리스-52

3) 소비자보호제도

그리스의 소비자 보호를 명시한 관련 법규는 Law2251/1994이며 유럽국가들이 채택 하고

있는 EU의 규정을 모두 수용한 소비자보호 체계를 갖추고 있다. 지역 관할 관청 소속의

소비자 연맹은 해당 관련 법규에 따라 소비자의 이익을 대변하고 있으며 소비자와 관련된

각종 현안들을 전파하고 소비자의 제품 구매와 관련된 각종 소송에 개입하는 한편 소비자

교육 등의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그리스 의회는 신제품의 등장에 따른 소비 창출을 위해 각종 광고의 규제 여부를 심사 하고

있다. 슈퍼마켓 및 체인점 등에서의 소비자 환불은 구입 금액의 100% 환불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다른 제품으로 교체만을 허용하는 것이 대다수이며, 일부에 한해

전액 금액으로 환불하는 경우가 있고 점차 확산되는 추세에 있다. 각 유통업체의 이러한

소비자 보호 관련 운영비 부담을 공급자에게 떠넘기는 추세여서 치열한 유통 분야의 경쟁과

맞물려 출혈 경쟁이 과열되고 있다.

그리스-53

8. 통관 / 운송 가. 통관 절차

그리스의 통관절차는 다른 나라와 마찬가지로 일반적으로 물품이 통관지역에 도착하면

첨부된 B/L서류를 심사하여 관세 및 기타세가 부과된 후 반출되는 절차를 거치고 있다.

고가제품이 DHL이나 FEDEX등을 통해 도착한 경우, DHL 등에서 통관을 본인에게 위임시킬

것인지를 묻는 전화 및 통관 위임장 형식서를 문서에 기재된 수취인에게 보내준다.

수취인은 세금 번호와 회사 도장이 찍힌 위임장을 팩스로 보내주면 상기 운송 회사와 협력

관계에 있는 통관사가 모든 절차를 대신 처리한다.

화장품이나 의약품, 의료기기 등의 경우는 그리스 화장품 및 의약식약청의 샘플 수입

허가서(정식 수입허가 절차를 위해서는 비용이 상당히 소요되며 서류도 복잡함)를 받아야

한다. Commercial Invoice를 제출하고 확인 도장을 받아야 하는데, 보통 접수 후 근무일

기준 5일~7일일 가량 기다려야 한다. 또한 세관 근처(공항이나 항만)에 있는 국가 화학

검사소에서 확인증도 받아야만 통관이 가능하다. 또한 전자제품 및 일부 수입제한 품목은

통관심사가 매우 까다롭다.

개인의 이삿짐인 경우에도 물품구입 영수증(구입금액 증빙자료), 제조 회사명, 모델명을

확인하는 절차가 있으며 특히 전자제품은 1품목당 1개를 초과할 수 없다. 샘플로 보내지는

경우, commercial invoice에 value를 낮추었다 하더라도 그리스에서 판매되는 유사 제품의

가격을 적용해 고율의 관세를 부가시키는 경우가 적지 않다. 또한, 선물, 사용하던

물품(중고)라 할지라도 판단에 따라 관세를 부가시키는 경우도 흔하다.

일반적으로 통관절차에 소요되는 기간은 물품의 수량 및 부피에 따라 상이하며 반출대상

품목에 따라 최소 1주일에서 1개월까지 소요되고 있다. 특히 7~8월의 하계 휴가가

집중기간 및 연말의 크리스마스 휴가시즌의 통관은 다른 기간 에 비해 시일이 많이

소요되고 있으므로 긴급 또는 중요물품의 경우에는 가급적 이 기간을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연말에는 세관직원 및 관련 노무자들이 가입한 노조의 영향력이 커서

차년도 임금 인상 및 근로조건 개선을 요구하는 파업이 많아, 제때 통관이 이루어지지 않아

곤란을 겪기도 한다.

현재까지 무역사절단 참가를 위해 샘플에 공항 통관에서 문제가 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무역관 직원이 직접 공항 통관 부서를 찾아가 샘플임을 설명하고도

적용되는 관세를 지불하고 나서야 샘플을 가지고 나올 수 있다.

나. 운송

1) 국제공항

2001년 3월 29일 개항한 아테네 신 국제공항(http://www.aia.gr)은 아테네 시내로부터

동쪽으로 25Km 떨어진 Spata 지역에 위치해 있으며, 각종 최첨단 시설과 연간 1,600만

명(최대 5,000만 명)을 수용할 수 있는 거대한 규모를 자랑하고 있다.

Ele. Venizelos 신공항은 150,000㎡의 여객 터미널과 14개의 탑승용 브리지, 163개의

Check-in 창구, 총 4Km에 달하는 왕복의 평면 및 계단 에스컬레이터, 쾌적한 화장실 및

승강기 등이 완비 되어 있으며 연간 22만 톤의 화물 처리능력을 갖추고 있다.

그리스-54

보안시설 면에서는 현재까지 맨체스터, 브뤼셀 및 오슬로 국제공항 등에만 설치되어 있는

첨단의 Tomography baggage screening system이 설치되어 있으며 각 수화물에 대한 bar-

code 검색 및 첨단 자동인식 장치 등에 의해 평균 10분 내에 화물 수령이 가능하다. 신공항

맞은편에는 354개의 객실과 회의실 등을 갖춘 5-star급의 Sofitel Hotel이 바로 공항 건물

맞은편 쪽으로 위치하고 있다. 청사 내에 대단위 쇼핑몰과 우체국, 통역서비스를 갖춘

비즈니스센터 및 VIP 라운지 등이 들어섰다.

신공항 주변지역에 대한 대대적인 중장기 재개발 계획도 병행되고 있는데 우선 신공항이

위치한 Spata와 Loutsa, Rafina, Porto Rafti 지역을 수도권 재편 프로젝트와 연계함으로써

이 지역 일대가 과거 농경지에서 현지 산업단지를 비롯한 대단위 상업지구로 탈바꿈하여

수도권 경제의 새로운 축으로 등장하고 있다. 이와 함께 신공항과 기존의 산업시설들을

연결하기 위한 주변도로 정비 작업도 진행하고 있다. 대표적인 것으로는 정유시설이

밀집되어 있는 Elefsina와 Stavros, Spata 지역을 연결 하는 6차선 freeway network을

구축하였고, 아테네 시내로부터 공항까지 전철을 개통하였다. 또한, 공항 근처 IKEA,

KOTSOVOLOS, FACTORY OUTLET, LEROY MERLIN 등 대형 유통마켓이 들어서며 운영되고

있다.

아테네 국제공항은 정부가 55%, 민간 3개 투자자가 45%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으며, 연간

약 1,000만 명 정도가 이용하고 있다. 정부 소유인 55%를 민영화를 통하여 운영권

라이센스를 검토 중에 있으며 아테네 국제공항뿐만 아니라 각 주요 도시 및 섬에 위치한

공항들 또한 민영화를 통하여 운영권 라이센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애당초 2012년 안에

진행 예정이었으나 2번의 총선으로 인하여 진행이 늦어짐에 따라 2013년 안에 공개

국제입찰이 진행될 것이라 예상되고 있다.

2) 무역항

그리스 최대 무역항은 아테네 외항인 Piraeus 항구로, 대부분의 대 그리스 한국 수출입

물품들 이 이곳을 통해 통관되고 있다. 북부 그리스 및 발칸지역으로 향하는 물건들은

그리스 제2의 도시이며 북부 상공업의 중심지이기도 한, 아테네에서 500km 북부에 위치한

데살로니키 항구를 이용하고 있다. 그 외 주요항구로 Patra, Volos, iraklion, Rafina 등이

있다. 파업이 자주 발생하는 그리스에서는 종종 부두 노조의 파업으로 하역작업이 지연되는

경우가 있다.

그리스 정부는 2008년 초 항만 현대화 방안의 일환으로 피레우스와 데살로니키 컨테이너

터미널 운영권 민영화를 위한 국제입찰을 공고한 바 있다. 피레우스 항구의 경우 중국의

COSCO와 Hutchison이 입찰에 참가하였는데 Cosco사가 낙찰을 받아 향후 30년간

컨테이너 터미널 운영권을 가진다는 운영계약 승인안이 2009년 3월초 의회를 통과하였다.

데살로니키 항구는 위 두 회사와 Dubei Port World(DPW)가 입찰에 참가신청을 했으나

2009년 경제위기로 인해 해외투자자들이 모두 신청을 철회하여 2009년 4월초 국제입찰이

공식 무산되었으며 2013년 안에는 그리스 정부에서 추진하는 민영화 프로젝트에 포함되어

있다.

그리스-55

3) 주요 운송회사 및 통관서비스 회사

ㅇ BEINOGLOU, ORPHEE, INT’L FORWARDERS S.A

- 주소: Syngrou Ave & 2a Evripidou, Beinoglou Bldg, 17674 Kallithea

- 전화: 30-210-946-6100, 팩스: 30-210-943-1021

- 이메일: [email protected]

- 홈페이지: www.beinoglou.gr

- 설립연도: 1923

- 종업원 수: 310

- 업종: 항공/해상 물류업체, 운송업, 포장 및 통관 절차, 물류창고 운영

ㅇ THIRD PARTY LOGISTICS FRAKAPOR LTD.

- 주소: 33 Dimokratias Ave & Ir. Polytechneiou, 19300 Aspropyrgos

- 전화: 30-210-559-6811, 559-5206

- 팩스: 30-210-559-5244

- 이메일: [email protected]

- 홈페이지: www.frakapor.gr

- 설립연도: 2007

- 종업원 수: 15

- 업종: 물류창고, 항공/해상 물류 운송

ㅇ GOLDAIR CARGO S.A.

- 주소: Rykia, 19300, Aspropyrgos

- 전화: 30-211-180-4200/1, 팩스: 30-210-522-8700

- 이메일: goldair-cargo @goldair.gr

- 홈페이지: www.goldair-cargo.com

- 설립연도: 1988

- 종업원 수: 95

- 업종: 항공 물류 운송 및 통관절차.

ㅇ CELEBRITY INTERNATIONAL MOVERS S.A.

- 주소: 102 Kapodistriou Ave, 14235 Nea lonia

- 전화: 30-210-272-0106, 팩스: 30-210-272-0105

- 이메일: [email protected]

- 홈페이지: www.celebrity.gr

- 설립연도: 1993

- 종업원 수: 11

- 업종: 항공/해상 물류 운송, 물류창고, 포장 및 통관 서비스 (자료: 무역관 및 지상사 자체 보유 자료, 2012.12 기준)

4) 세관 등 통관 제도 운영 주체들의 근무 관행

ㅇ 샘플 통관이라 하여 Commercial Invoice에 가격을 undervalue해서 보낸 경우, 동 제품의

시가를 따져 관세를 매기는 것이 보통이다.

ㅇ 통관사를 통하지 않고 본인(바이어)이 직접 통관 시도할 경우, 불친절하고 절차가 복잡

하며, 근무시간이 짧아 서두르지 않으면 당일 통관이 쉽지 않다.

ㅇ 잦은 파업으로 통관이 늦어지는 일이 비일비재하며, 간혹 제품 포장이 뜯겨나가고

분실되는 사례도 발생한다.

그리스-56

IV. 투자 1. 투자환경

가. 투자매력도

그리스는 지리적으로 유럽, 중동, 북부 아프리카의 3각 교차지점에 위치하고 영어 구사

인력이 비교적 풍부하고 EU국가 중 청년층의 높은 실업률로 우수 인력 확보가 용이하며

동구권 해체에 따라 구동구권 국가로의 진출을 위한 발칸지역의 교두보로 활용 할 수 있는

지리적인 이점이 있다. 그 밖에도 2002년 EUROZONE 가입 이후 이자율과 인플레이션도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어 기업의 자금조달이 용이해지는 등 투자여건이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다

반면에 현지여건상 관료주의, 산업 저변 취약으로 인한 원자재 조달의 어려움, 숙련공

확보의 어려움 등으로 해외시장 진출을 목표로 한 대 규모 투자유치가 여의치 않다. 아울러

도로, 금융, 행정 서비스 등의 사회 간접 자본 시설이 낙후 되어 있고, 노조의 도전적

성향으로 노동생산성이 EU국가 중 하위에 머물고 있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 다국적 기업들은 주로 M&A 방식을 통하여 그리스의 통신, IT, 식음료, 담배 및

소매분야에 많이 진출하고 있으며 정부에서도 cash grant 및 tax break 등의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green field 형 직접투자는 그리 활발하지 못한데, 관료 행정의

비효율성이 매우 심각하기 때문이다. 정부에서는 이와 같은 불만해소를 위하여 1996년에

투자청(ELKE � Invest in Greece Agency로 개칭)을 설립 운영 중에 있으나, 특히 지방정부

차원에서의 행정 비효율성으로 인하여 크게 개선되지 않고 있다.

또 다른 문제점으로서는 투자업체와 경쟁분야에 있는 국내 기업들이 인허가권을 쥐고 있는

관료들과 결탁하여 조직적으로 견제 내지 방해를 하는 사례도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전세계 183개국을 비교 분석하여 세계은행이 발간한 Doing Business 2010 Greece를

근거로 그리스의 비즈니스 환경은 2009 보고서에서 96위, 2010년 보고서에는 109위로

하락하였으나 경제위기로 인하여 해외 투자 유치를 위하여 기업설립 절차, 프로젝트 투자

절차 단순화 등의 효과로 2011년 101위, 2012년에는 100위를 차지하며 긍정적인으로

변화되고 있다.

구분 2012년도 순위

Ease of Doing Business 100

Starting a Business 135

Dealing with Construction Permits 41

Getting Electricity 77

Registering Property 150

Getting Credit 78

Protecting Investors 155

Paying Taxes 84

Trading Across Borders 80

Enforcing Contracts 90

자료: 세계은행이 발간한 Doing Business 2012 Greece

그리스-57

1) 기업 운영의 용이성

183국 가운데 100위에 랭크 되어 있는 그리스의 기업환경은 그리 만족스럽지 않다.

행정관청의 비효율성, 노조의 강성에 의한 종업원 관리의 어려움, 산업 기반시설이 크게

발달되어 있지 않는 점 등 전반적으로 중하위권의 사업환경으로 분석되었다.

2) 창업 단계

2011년까지만 하여도 창업을 위해서는 대략 15개 정도의 절차를 거쳐야 하는데,

소요일수나 비용들을 기준으로 2009년 133위에서 2010년 140위, 2011년 149위로

악화되었다. 2012년 창업을 위한 절차는 대략 10개 정도로 평균적 10일로 감소함에 따라

창업은 135위로 조금 더 좋은 결과를 받았지만 주변 국가인 프랑스 25위, 벨기에 36위,

이태리 77위, 유럽 국가 평균인 57위를 비교할 경우 아직도 창업 환경이 취약하다고 볼 수

있다.

창업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친다.

1. Register with Athens bar association (회사등록)

2. Precheck with GEMINET the name of the company, the tax identificationnumber of the

founders, the compliance with the social security fund and the tax compliance

certificate approval of the company’s name

(회사명 사용,(사회보장.연금기관, 창업자 세무 등록 번호 확인

3. Sign the articles of Association before the notary & Notarize articles (정관 공증)

4. Once the signed articles association are scanned and uploaded, pay for all the fees

and obtain certification by the Lawyers Welfare Fund, the GEMI number and the tax

registration number or the company(변호사협회 수수료 납부 및 납부확인서 취득)

5. Submit summary of the Articles of Incorporation to the Printing Office for publication in

the Official Gazette(회사정관 공고)

6. Register with Chamber of Commerce (상공회의소 등록)

7. Deposit capital in a bank (자본금 은행납입)

8. Make a seal (회사직인 제작)

9. Register accounting books (회계장부 신고)

10.Notify the Manpower Employment Organization within 30 days of hiring a worker

(직원채용절차 개시)

3) 인허가 취득

다른 국가와 비교할 때 41위로 중상위권에 속해 있으며, 인허가 절차는 14개 정도,

소요일수는 169일이다.

4) 자산 취득 및 등록

자산등록 절차 수, 소요기간 및 제반 비용 등을 측정해서 국가간 비교하여 유럽 평균

58위에 비해 그리스는 150위를 기록하며 자산 등록 절차가 복잡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스-58

5) 투자가(일반주주) 보호

이 지표는 기업이 얼마나 투명경영을 하여 주주 등 이해관계자의 이익을 보호하고 있는가를

측정하고 있다. 정보공개의 정도, 경영자 책임의 범위, 이해관계자(주주)가 기업을 상대로

얼마나 용이하게 소송을 제기할 수 있는가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스의 경우 0-10

구간에서 투자가 보호지수가 3.3에 불과하여 155위에 머물렀다.

6) 세금 부담 정도

기업경영에 수반되는 각종 세금의 종류, 세금납부 서류 준비 등에 소요되는 시간, 세금부담

비율 등을 지표로 해서 측정되었는데, 그리스는 세금종류 10개, 시간 224시간, 이익에 대한

세금의 비율 46.4%로 측정되어 83위를 기록했다.

7) 대외교역의 용이성

수출입에 들어가는 서류 종류 수, 통관 등 처리일수, 수요비용 등을 비교 분석한

대외교역의 용이성 정도에 있어서 그리스는 84위를 기록하였다. 수출관련 서류종류는 5종,

수출업무 처리 기간 20일, 소요비용(컨테이너당) 1,153달러, 수입관련 서류 6종, 소요일수

25일, 수입업무 소요비용 1,265달러 등으로 나타났다.

나. 외국인 투자에 대한 개방화 정도

그리스 정부는 외국인 투자를 유치하기 위해 투자 인센티브 법을 제정하는 등 제도상으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1990년도 이후 물가, 임금 연동제를 폐지 하고 임금 인상률을

물가 상승률 이내로 억제하였으며, 국영기업을 민영화하는 등의 조치에 힘입어 투자환경은

개선추세에 있기는 하나 외국인 투자는 절대금액 면에서 아직 미미한 수준에 머물러 있다.

기존의 투자유치 촉진법(Law3299/2004)을 보완하여 2006년에 제정된 LAW 3522에 따르면

1차, 2차, 3차 산업 등 산업별 분류에 따른 상행위를 2가지로 세분화하여 상행위 별로

외국인 투자 시 세제감면 등의 인센티브를 보장하고 있다. 한편, 그리스 주요지역을 3개

권역으로 구분하여 권역별 외국인 투자에 대한 인센티브를 차등적 용하고 있으며,

저개발지역에 대한 투자 시 인센티브의 폭이 상대적으로 다양하다. 그리스 투자청(Invest In

Greece Agency)에 의하면 이들 3개 권역 구분을 일부 재조정 하려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Law3299, Law3522에 의한 외국인 투자 시 그리스 정부에서 보조하는 투자촉진 보조금은

지역별 개발 정도 및 신규 고용창출 정도에 따라 차등 적용되고 있으며 개발이 이미 상당히

진행된 지역 외에는 신규고용 창출을 조건으로 보조금이 지급되고 있다.

다. 투자진출 시 유의사항

1990년대 이후 최근까지 주요 국영기업에 대한 민영화 작업 및 EMU(Europe’s economic

and monetary union) 가입을 전후한 그리스 정부의 지속적인 노력으로 인플레 및 이자율

하락, 주식시장 활성화 등 외국인 투자여건이 꾸준히 개선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투자

시 문제점이 적지 않아 상당한 주의가 요망된다. 현지 투자 시 주요 문제점인 산업의

미발달로 인해 원자재 조달이 힘든 실정이다. 광산자원인 대리석, 알루미늄 등의 광산물을

그리스-59

제외하고는 원자재 조달을 해외에서 반입해야 하지만 원거리로 인하여 저부가가치 품목은

타당성이 떨어진다.

대 그리스 투자진출의 가장 큰 장애요인은 설립관련 인허가 기관의 비효율이라 하겠다.

투자청에서는 외국인 투자유치를 촉진하기 위해 원스탑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노력하고

있으나 관련 지자체 등의 행정 비효율이나 부패 등으로 정부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다음으로는 노무관리의 어려움을 들 수 있다. 각종 법규정이 근로자 위주로 되어 있어

종업원 해고, 휴가제공, 각종 법정 상여금 지급 등 예상치 못한 추가비용이 만만치 않다.

인건비도 높아 그리스 기업 조차도 인건비가 낮은 인근 발칸국가로 공장을 옮기는 사례가

많다. 또한 공무원까지도 파업이 보장되어 있기 때문에 현안 발생시 파업이 빈발한다는

문제가 있다. 공공기업 민영화 등 개혁정책에 저항하는 개인이나 단체들로 인해 항만이나

운송업자들의 파업도 수시로 발생, 물류 문제로 어려움을 겪는 사례도 종종 발생한다.

라. 타당성 조사

1) 투자 타당성 조사 항목

ㅇ 투자 목적

- 내수시장, EU진출 발판, 발칸지역진출 교두보 등

ㅇ 입지 조건

- 아테네를 중심으로 한 남부와 데살로니키 중심의 북부

- 인프라 정비상황(전력, 용수, 통신의 확보방법과 비용)

- 운송/물류여건(운송 소요기간, 비용)

ㅇ 생산환경

- 생산기계, 설비수입(수입관세)

- 원자재 조달(운송시간 및 통관기간, 비용, 주변국환경 등)

- 주변국 연관산업 발달 상황

- 노동력 공급(노동력 확보, 임금수준, 노동관행)

- 전력, 용수, 통신 등 가격

- 환경보호대책과 기업의 부담비용

ㅇ 시장 현황(내수판매 계획 시)

- 시장환경과 특성(시장 수요와 규모 및 특성, 판매동향)

- 유통구조와 진출가능성(외국 경쟁기업 진출동향)

ㅇ 공장 용지

- 토지임차료

- 공장용지의 지형, 지질상태

ㅇ 공장 건설

- 시공 가능회사(설계, 소요자재 조달, 건설기간 및 건설비용)

- 건축관련 법규, 관할관청의 인허가 난이도

그리스-60

ㅇ 인력

- 인력확보(현지고용, 본국 파견 기술, 관리인원)

- 임금과 복리후생비 수준(현지 노동법 파악)

ㅇ 파견자의 생활환경

- 체류 비자 확보

- 거주환경(현지 한국식품, 의료, 자녀교육)

ㅇ 자금 조달

- 자기자본(초기 자본투자액, 자금운용)

- 차입자금(차입선과 차입조건, 차입액, 상환계획)

그리스-61

2. 외국기업 투자동향 가. 일반 동향

국가 부도 위기를 맞으며 그리스 기업 및 업체들이 구조조정을 하거나 영업을 폐쇄하면서

인근 발칸국가로 공장을 이전하는 사례가 다수 발생하고 있다. 그리스 업체들의 공장이전을

부추기는 요인으로는 고비용뿐만 아니라 복잡한 행정절차와 공무원들의 비효율, 그리고

극심한 인력난인 것으로 분석된다. 그리스 현 정부인 사회당은 현지 기업을 살리기 위하여

1~3 일만 걸린다는 기업설립 “One Stop 절차”와 외국인 투자를 촉진시키기 위하여 설립

절차 단계를 줄인 “Fast Track” 등을 도입하였다. 하지만, 위와 같은 절차의 경우 몇 년전

신민주당 측에서 발표한 후 별다른 호응을 받지 못했던 단계를 단지 반복한다는 비난을

받고 있다. 그리스 업체들의 주요 진출선호 국가로는 알바니아, 불가리아 및 이집트 등으로,

인건비 등에 있어서 그리스보다 유리하기 때문이다.

국가부도로 인하여 IMF 와 유럽으로부터 차관 지원을 받고 있는 그리스는 그리스에서

창업하는데 소요되는 절차를 줄이기 위하여 노력중에 있으며 또한 중소기업의 부도와

폐쇄를 막기 위하여 높은 인건비 감소와 엄격한 종업원 해고 규정을 변경하기 위하여 검토

중에 있으며 2011 년에 발표하였다. 2012 년 공식 최저 임금은 680 유로이다.

최근 세계적으로 새로운 공장을 설립하는 것보다는 기존업체를 인수합병(M&A) 하는 것을

선호하는 방향으로 투자패턴이 바뀌고 있는데, 그리스도 M&A 를 포함한 해외직접투자

(FDI) 규모가 대폭 증가하고 있다.

나. 그리스의 투자 유입 및 유출

2011 년 그리스 외국인 투자는 33 억으로 전년도 대비 증가를 보이며 불안정한 그리스

시장에 활력을 넣어주었다.

연도별 직접투자액(Inflows, Net inflows)

(단위: 백만 유로)

자료: 그리스 중앙은행

그리스-62

다. 그리스 직접투자액

주요 국가별 직접투자액(2003-2011)

(총 투자액: 38,231.3 million Euros)

자료: 그리스 중앙은행

그리스 산업 분야별 투자 현황

(총액: 38, 231,3 백만 유로)

자료: 그리스 중앙은행

그리스-63

그리스 제조업 분야별 투자 현황(2003-2011)

(총액: 9,766.8 백만 유로)

자료: 그리스 중앙은행

그리스 서비스업 분야별 투자 현황(2003-2011)

(총액 : 26,179.3 백만 유로)

자료: 그리스 중앙은행

그리스-64

3. 우리기업 투자동향

가. 투자 동향

그리스의 산업구조상 우리나라 기업들이 진출을 희망하는 제조업 기반이 취약한 편이어서

우리나라 기업들의 투자 진출도가 매우 낮은 실정이다.

금년 상반기까지 현지 진출 한국기업은 LG 전자 1개사에 불과했으며, 그동안 지점 형태로

운영하던 삼성전자가 2010년 7월 들어 현지 에이젼트와의 계약을 해지하고 모바일 부문

판매 법인을 설립하였다. 삼성전자는 2010년 말 모든 분야 법인화를 추진하였다.

우리 기업의 대 그리스 진출의 걸림돌로는 높은 인건비, 해고 요건의 엄격 등 노무 관리의

어려움, 낮은 내수 시장 여건, 행정의 비효율성 등을 들 수 있다.

국가 부도위기로 인하여 외국인 직접 투자가 절실히 필요한 상황으로 외국인 투자 촉진을

위하여 투자법 관련 절차를 단순화, 허가 발급 기간 감소 등 여러 사항을 검토 중에 있다.

태양광 시스템 등 일부 최신기술을 보유한 한국업체에 대해서 그리스 에이전트 측에서 현지

조립 공장 설립과 같은 투자진출을 제의하는 사례가 조사되고 있다.

지정학적으로 그리스가 앞으로 발칸반도를 중심으로 하는 남유럽 허브국가로 변신을 추진

중에 있어, 낙후된 금융 시스템으로 발칸국가로 직접 진출이 어려운 분야의 경우 그리스

업체를 통한 우회수출 방법도 고려해 볼만하다 하겠다.

아시아 기업 투자 성공 사례로 중국의 COSCO사를 꼽을 수 있다. 중국 최대의 해운업체로

그리스 피레우스 항만청과 피레우스항 두곳의 화물터미널 운영권에 대한 투자내용에 합의

현재 운영하고 있다. COSCO사는 해당 투자가 남부와 중부 유럽, 북아프리카를 아우르는

피레우스항의 지리적 이점을 이용하기 위해 전략적으로 이루어졌다고 발표하였으며 투자

내용에는 피레우스 항만청의 선박 수선 전용건물 공동 건설에 대한 합의도 포함되어 있다.

피레우스항 투자에 따라 COSCO사는 향후 35년 동안 피레우스 1부두와 2부두 총 2개

부두의 운영권을 확보하였으며 2015년까지 두 개 부두에 총 5.5억 유로를 투자하여 부두의

운영시설을 업그레이드 하고 2015년까지 부두의 화물 처리량을 현재의 160만

TEUs수준에서 370만 TEUs수준까지 끌어올린다는 계획을 발표하였다.

한편, 중국의 원자바오 총리가 자주 그리스를 공식 방문하고 있으며 피레우스 1부두와

2부두의 현장 또한 방문하여 COSCO사의 투자에 상당히 큰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방문

기간 동안 중국과 그리스는 공동합의문을 발표하였다.

해당 합의문 내용에는 중국의 그리스 투자 활동에 그리스가 최대한의 편의를 제공할

것이라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어 향후 중국의 대 그리스 투자가 더욱 활발해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그리스-65

나. 현지법인 및 지상사

No 업체명 진출형태 진출연도 취급분야 종업원 수

한국인 현지인

1 LG전자 판매법인 2002 가전제품 4 95

2 STX조선 지점 2006 선박수주 2 1

3 KCC 지점 2005 페인트 등 판매 2 1

4 대우인터내셔널 지점 2006

전자, 철강,

기계 1 0

5 대우조선해양 지점 1995 선박수주 2 2

6 현대로템 서비스법인 2003 기관차 수주 3 1

7 삼성전자 판매법인 2003 가전제품 8 30

8 삼성중공업 지점 1993 선박수주 2 1

9 서로해운 서비스법인 2005 해운부대업무 2 1

10 한국선급 서비스법인 1996 선박검사-

서비스

2 2

11 한화 지점 1993 석유화학,철강

1 3

12 현대미포조선 지점 1981 선박수주 2 1

13 현대중공업 지점 1983 선박수주 2 1

14 한진중공업 지점 2008 선박수주 2 1

15 SPP조선 지점 2008 선박수주 2 1

16 성동조선해운 지점 2010 선박수주 1 1

주: 2012년 12월 기준

그리스-66

4. 주요 투자법 내용 가. 투자법 개요

그리스 정부의 투자유치정책은 Development Law 1892/90과 2004년에 수립된 Law3299/

2004, 그리고 2006년 12월 22일 개정된 Law3522/2006에 근거하고 있다. 그리스의

투자유치는 그리스 경제의 국제경쟁력 강화, 신규 일자리 창출, 지역별 균형발전, 환경보호

등을 주요 목적으로 삼고 있으며 생산적인 투자에 대해서는 자금대출 및 이자율 감면,

임대료 및 각종 세제혜택 제공을 주요 인센티브로 제시하고 있다.

인센티브의 수혜 폭이 가장 큰 분야는 고용창출의 파급효과가 높은 제조, 생산 분야이며

다음으로 는 관광 등 서비스업종이다. 각종 인센티브는 투자대상 지역, 분야, 고용창출

효과, 투자유형, 기업의 연혁 등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2006년 그리스 정부는 국내

민간투자 촉진과 외국인 직접투자 유치 촉진을 위해 기존 투자 인센티브 법안

(Law3299/2004)을 일부 개정하였다. 소위 개발법(Development law)으로 불리는 이 법안은

1953년 최초 제정된 이래 이번이 벌써 14번째 개정작업이 이루어졌다. 2004년 3월 새로

집권한 신민당 정부가 그리스 경제 개혁 정책의 핵심 사안으로 국내외 투자가들에 대한

인센티브 강화와 투자 절차의 간편화 등 과거와는 다른 획기적인 내용을 담은

Law3299/2004를 입안하였고, 2006년에는 인센티브 적용 내용 등을 일부 개정하였다.

정권교체에 따라 2010년 6월경 신규 개발 촉진법이 발표될 예정이다.

� 언론에 보도된 사회당 정부의 신규 개발 촉진법안

『기존 개발촉진법 3299/2004 의 결점(개발목표와 전략이 미흡, 경쟁력 향상을 위한 동기

부여 결여, 제도와 규정이 복잡)을 보완하여, 사회당 정부는 경쟁력 향상(품질, 대외수출

여부), 녹색산업 성장, 고용기여도 및 구조조정이라는 3 대 원칙 하에 신 개발촉진법을 6 월

말까지 완성, 국회에 상정 예정이다. 기업자금 지원 대책은 3 대 기본원칙에 기초해

경쟁력(50%), 녹색산업 연관 여부(30%), 고용기여도 및 구조조정(20%) 항목으로 기업을

평가하고 이에 따라 지원금 비율을 차별화(15%, 20%, 30%, 40%) 하며 지원절차는 전체

지원액의 25%는 선불, 25%는 투자 중간에, 45%는 완성단계에, 나머지 5%는 투자 완료 후

3 년이 지난 시점에 지원하게 된다. 지원대상은 중·소 기업으로 10~50 명의 종업원

고용기업이 1000 만 유로 이하의 투자를 할 경우, 51~250 명 고용기업이 5000 만 유로

이하의 투자를 할 경우에 지원되지만, 250 명 이상의 대기업이 5000 만 유로 이상의 투자를

할 경우에는 세금만 감면해줄 예정이다. 신개발 촉진법 시행으로 소요되는 예산규모는 연간

약 15 억~20 억 유로 정도로 추산된다.』

현재 시행중인 그리스 투자촉진법은 중소규모 투자 프로젝트에도 대규모 프로젝트와 유사한

인센티브를 부여하고 있어 EU의 기준과도 부합되는 것으로 다음과 같은 점에서 종전

투자촉진법 (Law3299/2004 이전 법안) 과는 차별성을 갖고 있다.

첫째, 투자 지원금 규모를 10만 유로에서 50만 유로까지 계층별로 상한선을 정하여 이를

투자기 업의 규모에 비례하여 골고루 지원할 계획이다.

둘째, 종전 투자촉진법과는 달리 인센티브 부여 시 일정 규모의 추가 고용 창출 의무를

전제로 하지 않고 있으며 오히려 역으로, 투자로 인한 추가 고용 임금의 일부를 정부가

보전해 줄 계획이다.

그리스-67

셋째, 새 정부의 공약대로 관광과 운송 분야 등 그리스의 주력 산업분야에 대해서는 특히

추가 인센티브가 부여된다.

넷째, 과거에는 투자에 대한 보조금 지원 신청 기한이 매년 9월 15일까지로 정해졌으나 새

투자 촉진법에 따르면 투자계획서 제출을 연중 아무 때나 할 수 있게 된다.

다섯째, 인센티브 부여를 위한 투자 프로젝트 심사기간을 크게 단축, 투자 기업은 계획서

제출 시점부터 적어도 2-3개월 내에 심사결과에 따른 인센티브 수혜 여부와 폭을 알 수

있게 된다.

여섯째, 인센티브 수혜를 위한 투자가의 프로젝트 참여 비율 하한선을 과거 40%에서

25%로 낮추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법률의 내용보다 실행의 문제라는 것이다. 과거에도 법보다는 공무원의

관료주의 행태가 보다 큰 투자 장벽이 되었던 현실을 감안하면 새로운 법안도 실행 여부가

중요하다.

나. 투자구역(Map of Investment Zones )

그리스-68

1) 국가 영토(지역)의 지역 구분(Division of the Country into Zones)

ㅇ A 지역

- 경제산업구역(Industrial and Business Areas, VEPE) 지역을 제외한 Attiki 주,

Thessaloniki 주와 B 지역의 범위에 속하는 각 주들에 부속된 도서(섬)지역

ㅇ B 지역

- Thessaly 지역의 주(Karditsa, Larissa, Manisia, Trikala), 남부 Aegean 지역의 주

(Kyclades, Dodekanissos), Ionian 도서(섬) 지역의 주(Kerkyra, Lefkada, Kefallonia,

Zakynthos), Crete 지역의 주(Iraklio, Lasithi, Rethimno and Chania), 중앙 마케도니아

지역의 주(Chalkidiki, Serres, Kilkis, Pella, Imathia, Pieria), 서부 마케도니아 지역의

주(Grevena, Kozani, Florina, Kastoria), Stelrea Ellada 지역의 주(Fthiotida, Fokida, Evia,

Viotia, Evritania)

ㅇ C 지역

- 동부 마케도니아와 Thrace 지역의 주(Kavala, Drama, Xanhi, Rodopi, Evros), Epirus

지역의 주(Arta, Preveza, Ioannina, Thesprotia), 북부 Aegean 지역의 주(Lesvos, Chios,

Samos), Peloponnese 지역의 주(Lakonia, Messinia, Korinthia, Argolia, Arkadia), 서부

그리스 지역의 주(Achaia, Etoloakarnania, Ilia)

2) 투자유치법이 적용되는 분야

ㅇ 제1차 산업(e.g., 식물의 경작과 보호를 위한 온실 산업, 축산업, 수산업 등)

ㅇ 제2차 산업(e.g., 제조업, 에너지 산업 등)

ㅇ 제3차 산업:

- 관광 산업(호텔 산업, 컨퍼런스(회의) 센터 운영, 해상 리조트(모터 보트, 요트 등

해상관광지), 놀이 공원(thematic parks), 골프장, 온천(광천수) 개발, 해수치료요법 센터

운영, 건강 관광 센터 운영, 스포츠 관광 센터 운영 등)

- 기타 서비스 산업(e.g., 응용산업 연구 실험실, 상거래 담당 센터, 소프트웨어 개발,

공급망 관리 산업, 물류 센터 운영 산업 등)

다. 지역별 투자 인센티브

1) 인센티브 내용

ㅇ 현금 지급: 투자 계획에 소요되는 비용을 지원

ㅇ 임대료 지원: 기계장비 임대료, 부동산 임대료

ㅇ 임금 지원: 창출된 고용과 관련된 임금에 대해 지원

ㅇ 세금 감면혜택: 투자 이행 완료된 후 첫 10년 동안의 비분배 이익에 대해서만 부여

그리스-69

2) 현금 지급, 임대료 및 임금 지원비율

투자유형 A 지역 B 지역 C 지역

제1유형 20% 30% 40%

제2유형 15% 25% 35%

ㅇ 중소기업에 대한 추가혜택

- 중기업(medium sized)이 최대 1,500만 유로를 투자할 경우 최대 10%, 소기업 및

영세기업 (small & very small sized)이 최대 1,000만 유로를 투자할 경우에는 최대

20%를 추가로 제공함

ㅇ 대형 프로젝트에 대한 지원율

- 대형프로젝트는 5천만 유로를 초과하는 투자를 말함

- 이 경우 처음 5천만 유로까지는 지원비율 100%, 5천만-10천만 유로까지는 지원비율의

1/2, 10천만 초과부터는 지원율의 34%를 적용

- 예를 들어 C지역에 제1유형 프로젝트의 지원율은 40%인데, 13천만 유로 규모의 대형

프로젝트를 한다고 할 경우 지원율은 다음과 같이 산출

구 분 지원율 지원액 비 고

처음 5천만 40% 2천만 지원율 40% 모두 적용

다음 5천만 20% 1천만 지원율 40%의 1/2만 적용

다음 3천만 13.6% 4.08백만 지원율 40%의 34%만 적용

총 13천만 유로 3천4.08백만 유로

3) 세금 감면 비율

투자유형 A 지역 B 지역 C 지역

제1유형 60% 100% 100%

제2유형 50% 100% 100%

4) 지원금(보조금) 지급 조건

� 현금 보조금 지급

ㅇ 보조금의 지급은 다음의 경우에 따라 분할로 이루어진다.

- 보조금의 50%는 투자의 50%가 이행된 후, 투자 사실관계와 투자 승인결정의 조건을

투자자가 준수하고 있는지에 대해서 관할 감독기관이 확인한 후에 지급된다.

- 보조금의 잔여 50%는 투자 이행이 완료되었고, 투입된 자본이 생산적 활동을 시작

했다는 관할 감독기관의 확인이 있은 후에 지급된다. 자금의 지급은 5개월 내에

이루어진다.

- 현금 보조금 지급결정에 의해 승인된 금액의 50%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전

에 총액을 지급할 수도 있다. 그러나 그리스에서 설립되어 적법하게 영업중인 그리스

은행에서 총액 지급분에 10%를 추가한 금액에 대해서 보증을 했을 경우에 한한다.

- 지원금은 투자자에게 직접 지급되거나, 또는 투자 계획을 수행중인 회사에 단기 대출을

해준 금융기관에 지급된다.

그리스-70

� 부동산 임대료 지원

ㅇ 부동산 임대료의 지급 보조는 기계적 장비가 설치되고, 그리고 사실관계가 확인된

후부터 유효하게 지급된다. 50%에 대한 최초 지급액은 투자 승인 결정에서 규정하고

있는 마지막 이행기간(Completion Period)까지 지급된다. 잔여 50% 지원액은 투자가

완료되고 사업운영의 시작이 확인되었을 것을 조건으로 이행기간(Completion Period)

이 경과한 이후 지급된다.

� 임금에 대한 보조금 지급

ㅇ 임금에 대한 보조금은 투자자의 적절한 신청이 있은 후, 매 6개월마다 지급된다.

라. 인센티브 수혜 조건

1) 투자자 자신의 참여

ㅇ 투자계획 비용에 대한 현금 지원 그리고(또는) 임대료 지원을 받는 투자는 전체 투자에

있어서 투자자 자신이 참여한 비율이 정부가 지원한 금액의 25%이상이어야 한다.

ㅇ 세금 감면과 고용 창출과 같은 임금 지원을 받는 투자는 전체 투자에 있어서 적어도

25% 이상은 투자자 자신의 자금, 또는 대출금을 통해 투자자의 재정적 참여가

이루어져야 한다.

2) 투자계획의 이행개시

ㅇ 투자계획의 이행개시는 투자촉진법에 규정되어 있는 투자 제안을 요청하는 신청서를

관할 관청에 제출한 이후부터 시작된다.

ㅇ 투자예산액 수정은 최초 금액의 5%를 초과하지 못한다.

마. 유형 분류

1) 제1 유형에 해당하는 상행위 저공해 에너지와 특히 태양열, 풍력 에너지, 수력, 지열 그리고 바이오매스 에너지를 이용한

전기 생산에 대한 투자 계획. 열병합발전에 대한 투자계획. ㅇ Attica, Thessalonica 그리고 Chania 주에 위치한 무두(피혁/제혁)공장을 적절한 기반

시설이 위치하고 있고, 곧 기반시설이 설치될 산업지구(Industrial Business Estate)로

이전 하는 데 대한 투자계획

ㅇ 광역 기반시설에 의존하는 혁신적 광역 통신 서비스 제공에 대한 투자 계획

ㅇ 소프트웨어 개발에 대한 투자 계획.

ㅇ 응용 산업, 에너지, 미네랄, 농업, 축산, 산림, 수산 연구에 필요한 실험실 창설에 대한

투자 계획. 또는 기술과 산업 계획 개발에 대한 투자 계획.

그리스-71

ㅇ 첨단 기술 서비스 제공에 대한 투자 계획

ㅇ 열 병합 발전뿐만 아니라 재생(renewable) 가능한 원천 에너지의 개발, 액체 연료나

전기 에너지를 가스 연료, 지역 산업시설에서 나온 불합격 가공 물질을 재생 가능한

원천 에너지로 대체, 미사용(rejected) 열의 복구에 대한 투자 계획

ㅇ 에너지 절약에 대한 투자 계획

ㅇ 새로운 상품의 생산 또는 첨단 기술을 이용한 상품 생산에 대한 투자 계획 등

2) 제2유형에 해당하는 상행위

ㅇ 산업 광물과 방사능이 없는 광물을 채굴하고 분쇄/분별하는 것과 관련한 투자 계획

ㅇ 현대적 기술을 이용하는 온실타입의 농업기업과 생물학적 농경, 축산 품종개량

ㅇ (번식)업(마구간이나 준 마구간 형식의), 그리고 어업기업 (수산 양식)과 관련된 투자

계획.

ㅇ 일반적인 산업 광물을 채굴/취급하고 활용하는 것과 관련된 투자 계획. 대리석을

채석하고 활용하는 것과 관련된 투자 계획

ㅇ 미네랄에 대한 투자 계획 등

ㅇ 투자 인센티브 법안을 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

- www.elke.gr (종전 것도 접속 가능)

- 기관명 변경에 따르는 새로운 웹사이트: www.investingreece.gov.gr

바. 투자유형에 따른 인센티브 수혜 실사례

1) Crete섬 풍력 발전소 건설 프로젝트

ㅇ 프로젝트 개요

- 발전규모 : 18 MW

- 총 투자금액 : 2천 3백만 유로

- 투자지역 : Zone B (크레테섬)

- 투자유형 : 제 1유형

- 인센티브 내용 : Cash grant

- 인센티브 규모 : 30%

- 정부지원 후 자본구조 · 자본금(자기자본) : 5.75백만 유로(25%)

· 타인자본(부채) : 10.35백만 유로(45%)

· 정부보조금 : 6.9백만 유로(30%)

· 총 계 : 23백만 유로 (100%)

그리스-72

2) Alexandroupolis지역 태양광 패널 생산 프로젝트

ㅇ 프로젝트 개요

- 연 생산능력 : 60 MWh/년

- 부지면적 : 28,000 평방미터

- 고용창출 규모 : 정규직 180명

- 총 투자금액 : 1억 8천만 유로

- 이 중 수혜대상 경비로 인정되지 않는 경비(은행이자, 부지매입비) 2천만 유로를

제외하면 지원대상 투자규모는 1억 6천만 유로임

- 투자지역 : Zone C (알렉산드로폴리스 지역)

- 투자유형 : 제 1유형

- 인센티브 내용 : Cash grant

- 인센티브 규모 : 40%

- 정부지원금 산출 내역

구 분 지원비율 적용 산출비율 지원금액

최초 5천만 유로 40%의 100% 40% 2천만 유로

다음 5천만 유로 40%의 1/2 20% 1천만 유로

나머지 6천만 유로 40%의 34% 13.6% 8.2백만 유로

총 1억 6천만 유로 3천820만 유로

- 정부지원 후 자본구조

· 자본금(자기자본) : 40백만 유로(22%)

· 타인자본(부채) : 101.8백만 유로(57%)

· 정부보조금 : 38.2백만 유로(21%)

· 총 계 : 1억8천만 유로 (100%)

사. 투자 제한 장려 및 제한 금지 분야

그리스가 투자기업들에 인센티브를 제공하며 투자 유치를 힘쓰는 산업 분야는 제조업, 첨단

과학 기술, 에너지, 관광 호텔분야, 운송업(창고) 분야 등이며 실업률이 높은 지역에의

투자를 선호한다.

반면 투자 금지 및 제한 관련, 투자청 관리에 따르면 외국인 투자가 그리스 입법에 의해

특별히 금지되지는 않으나 다만 EU 법이 적용되기 때문에 EU 규정에 따라 라디오, TV

방송국 등의 매스컴 분야와 방위 산업 분야에 일부 제한이 있다. 지역별로는 국경 지역의

투자 시 일정 제한이 있기 때문에 특별한 심사 절차를 거쳐야 한다.

아. 외국인 투자 정책 및 제도 향후 방향

1) 회사 설립 절차 단순화 제도 도입

그간 그리스에서 회사를 설립 할 경우 회사의 성격에 따라 총 15 단계에서 16 단계에

달하는 설립 절차를 거쳐야 했다. 여러 단계의 설립 절차를 걸쳐 회사설립을 진행할 경우

회사설립에 평균 38 일이나 소요된다는 보고가 있었다. 그리스 정부는 외국인 투자

활성화의 일환으로 회사설립 간소화법 (Law3853 / 2010)을 지난 6 월 2 일 국회 본회의에

통과시켰다.

그리스-73

회사유형별 회사 설립 단계

구분 주식회사 유한회사 합자회사

기존 15 단계 16 단계 15 단계

변경 1 단계

회사설립 간편법은 기존의 십 수개에 달하는 회사설립 단계를 1 단계로 간소화 한다는

내용으로, 회사설립에 따른 소요기간도 이전 평균 38 일에서 하루로 대폭 축소되는 것을 그

목표로 하고 있다. 1 단계로 하루만에 회사 설립이 가능한 회사설립 간편법은 99 개의

상공회의소의 본부 및 지부, 100 개의 시민서비스 센터, 3,200 개의 등기소의

서비스네트워크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동 법안 실행은 2010 년도 10 월 17 일부터

실시되었으나 잦은 파업으로 인하여 사실상 큰 변화는 없다.

2) 투자 인센티브 강화

그리스 정부는 현재 외국인 투자에 대한 신규 인센티브 법안을 국회에 상정한 상태이며,

10 월 말까지 동 법안이 국회를 통과할 것이라고 발표한 바 있다. 동 법안의 주요 내용은

모든 투자 제안서에 대한 3 개의 관점에서의 평가, 국가 균형개발을 위해 구분한 3 개의

투자지역에 대한 회사 규모별 인센티브 지급액, 보조금 지급 시기 등에 대해 명시하고 있다.

투자안 평가 관점 및 가중치

그린

관점

경쟁력, 사업의 질

관점

고용 및 균형개발

관점 총점

30% 50% 20% 100%

특히 투자안 평가 시 그린 관점에 대한 30%라는 높은 가중치가 눈에 띄는데, 그리스

정부가 그린 에너지 투자 및 개발에 대한 의지를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이다.

투자 지역별, 회사 규모별 인센티브 지급액

투자지역 회사규모에 따른 보조금 지급 비율

Large (S.A.) Medium (Ltd.) Small (Private)

ZONE A 15% 20% 25%

ZONE B 30% 35% 40%

ZONE C 40% 45% 50%

보조금 지급 시기

구 분 지급 비율

사전지급 총 보조금의 25% 지급

중간 지급 추가 25% 지급

완성기준 지급 40% 지급

최종 지급 투자 개시 3 년 후 잔금 10% 지급

그리스-74

3) 투자진출절차(법인 및 사무소 설립절차, 허가기관)

회사설립 간편법 국회 통과로 기존에 15 개에 달하는 회사설립 절차가 올 해 10 월

17 일부터 1 단계로 대폭 축소될 예정이다. 회사설립이 간편해짐에 따라 그리스에서

회사설립에 소요되는 시간도 24 시간 이내로 축소될 전망이다. 회사설립을 위해서는 지역

거점별로 설치되어 있는 시민 서비스센터에 회사설립 지원서를 작성 제출하면 당일

회사설립이 가능하다.

ONE STOP SHOP 서비스 진행 절차

회사 설립 절차법 명시 규정에 따른 회사 설립 등기서에 서명

일반 기업 대장에 서명된 신청서 제출

해당 상공회의소에 회사명 등록과 회원 등록을 위한 신청서 제출

회사 설립 시 필요한 각종 비용 일괄납부

자본금 관련 세금 신고 및 해당 세금 지불

회사 건물 임대차 계약서 또는 소유권 증명서 제출

기타 신청서 제출 및 세무 번호와 연금재단 회사 고유번호 발급을 위한 신청서 작성

그리스-75

5. 진출형태별 절차

가. 법상 구분

1) 주식회사 (Company Limited By Shares, A.E.)

ㅇ 2 인 이상의 발기인(초기 투자자)를 필요로 하며 투자자의 수는 제한이 없으나 최소

60,000 유로의 자본금이 필요하며 이사회는 최소 3 인 이상이어야 함.

ㅇ 주식회사는 기본적으로 대규모 회사를 전제로 하고 있으며 이사회를 필수기관으로 하고

있고 주식양도의 자유를 기본 원칙으로 하고 있음.

ㅇ 경영주체는 주주이며, 그 주주가 소유주 수에 따라서 의결권을 행사하고 주식회사의

의사를 결정하는 최고기관인 주주총회를 정기적으로 이행하고 있으며 때에 따라 임시로

여는 임시 주주총회가 있음.

ㅇ 총회에서의 결산사항은 상법이나 회사의 정관 중으로 주요 내용은 이사 감의 선임, 그

보수의 결정, 결산안, 합병보고의 승인, 정관의 변경, 이사, 감사의 해임, 영업권의 양도,

자본의 감소, 회사의 해산 등으로 회사 관련 자본소유에 기초를 둔 최고의사의 결정과

주주의 이익확보에 본질을 두고 있음.

ㅇ 주주총회에서 투표를 통해 이사회 멤버 선출 및 회사 경영 최고 책임자를 선출하며

이사회에서는 회사 경영 및 업무 집행 관련 결정에 본질을 두고 있음.

2) 유한회사 (limited Liability Company, E.P.E)

ㅇ 1 인 유한책임회사와 2 인 이상 유한책임회사가 있으나 외국인의 경우 1 인

유한책임회사를 설립할 수 없음.

ㅇ 2 인 이상 유한책임회사를 설립하고자 하는 경우 최소의 18,000 유로의 자본금이

필요하며 정관 공증을 마친 후 자본금의 1% 금액의 자본세를 세무서에 납부해야 함.

ㅇ 유한책임을 지는 사원들이 모여서 설립한 회사로서 설립 당시 2 인 이상이 자본금을

출연하며 회사의 경영 손익에 대해 일정 부문만 책임을 지게 되며 회사에 큰 손실이

발생하였을 경우 자본금을 댄 사원들이 그 손실을 모두 떠맡는 게 아니라 각자 정해진

비율 혹은 자본금 만큼 책임을 짐.

ㅇ 내부적으로는 파트너와 회사 운영 관리/경영으로 나뉘어져 있으므로 유한책임회사의

모든 파트너는 회사의 경영 및 관리를 할 수 있는 권리가 있지만, 실제로는 1 인 이상의

운영 및 관리를 도맡아 하는 관리자에게 할당됨. 법률적으로는 주로 소규모 합작회사나

지인들끼리 공동사업을 영위하고자 할 때 유용한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현지인을

보호하기 위한 차원에서 외국인의 지분소유가 최대 49%로 한정 되어 있음

그리스-76

3) 개인기업

ㅇ 그리스 내 소규모 영세기업의 형태로 일반적으로 가족노동을 중심으로 자영업주에

의하여 운영되며, 생계유지를 위한 생업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는 기업으로 광공업 및

상업 부분에 많이 종사하고 있으나 외국인이 설립할 수 없는 기업 형태임.

나. 투자형태별

1) 현지법인

ㅇ 상기 법상의 주식회사 및 유한회사 형태로 현지 진출할 수 있음.

ㅇ 법적으로 현지에서 독립된 하나의 회사이며, 본사와는 다만 업무적 협력 관계와 최고

경영진에 대한 선임권만 있게 되는 형태임.

ㅇ 생산이나 판매를 현지에서 독립적으로 수행하고, 본사와도 계약에 의해 거래가

이루어져서 손익이 독립적으로 발생하게 됨.

ㅇ 금융적으로 자유롭게 현지 금융이나 투자 등을 실시 및 현지 기업으로서 현지화된 영업

전략을 펼쳐나갈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그리스 내의 모든 법적 책임을

떠맡게 됨.

2) 지점

ㅇ 지점은 일종의 현지 사무소로, 법인과는 다르게 독립된 회사가 아니라 본사 직원이

업무를 보기 위해 편의상 마련해 놓은 사무실의 개념이라고 할 수 있음.

ㅇ 지점을 설립하는 경우는 현지에서 영업 활동을 하기 위해 본사 직원이 파견되어 업무를

하게 되어, 현지 통제가 용이하며, 자사를 잘 파악하고 있는 인력이 파견됨으로 업무

진행상 커뮤니케이션 오류가 줄어들고, 회사의 기밀이 외부로 새 나는 것에 대한

우려가 줄어 드는 장점을 가지고 있음.

ㅇ 단점으로는, 큰 문제 발생 시 법인과는 달리 지점의 경우 한국의 본사에까지 책임

소제가 있다는 점 임.

ㅇ 지점 설립 시 현지 주식회사 및 유한회사와 같은 형태로 진출할 수 있으며 설립 시

본사 회사 형태를 기준을 중심으로 함.

ㅇ 즉, 본사가 주주로 이루어진 회사인 주식회사의 경우 현지 지점도 주식회사 형태로

진출할 수 있으며 주식회사가 아닐 경우 유한회사 형태로 진출하게 됨.

ㅇ 추가로, 본사가 주식회사의 형태이나 현지 진출 자본금이 60,000 로 이하일 경우 본사가

주식회사이더라도 유한회사 형태로 진출하게 되며 최소 18,000 유로의 자본금이 필요함.

ㅇ 외국인 지점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본사에서 파견된 직원을 포함하여 현지 지점 근무

직원이 최소 4 인 이상이어야 함.

그리스-77

ㅇ 연간 최소 100,000 유로의 지점 운영비용의 조건을 충족시켜야 함.

3) 연락사무소

ㅇ 연락사무소는 지점과는 달리 직접적인 회사의 영업활동 이 외의 업무를 수행 할 수

있는 형태로 단순 시장조사 및 바이어 발굴 등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음.

ㅇ 특히, 현지 기업들이 국내업체 연락시 발생할 수 있는 시차, 커뮤니케이션 등의

문제점을 줄이고 관련업체 관계자들과 친분을 돈독히 하기 위함이 현지에 연락사무소를

설립하는 주요 목적임.

4) 프로젝트 오피스

ㅇ 연락사무소와 같은 개념으로 단순 시장조사 및 바이어 발굴 등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음.

ㅇ 프로젝트 오피스의 경우 현지에 프로젝트/입찰/투자건 등에 참가하여 한정된 기간 동안

현지에서 시공, 영업 활동 등을 진행하여야 하는 경우로 써 해당 기간 동안 현지

기업에서 연락을 할 수 있는 사무소의 역할 수행이 목적임.

ㅇ 주로, 프로젝트가 끝난 후에 본사 직원들은 국내로 철수하며 현지직원 1 인만을

고용하여 사무소를 유지하는 경우가 있으나 주로 프로젝트 이 후 사무소를 폐쇄하는

경우가 흔함.

다. 투자주체별

1) 단독 투자

ㅇ 외국인 투자자는 100% 자기자본으로 기업법과 관련법의 규정에 따른 주식회사,

유한회사, 합작회사, 개인회사 등을 설립하여 현지에서 투자활동을 할 수 있음.

ㅇ 현지 법률에 따른 법인 자격이 주어지며, 투자 승인 확인서를 발급받는 날로부터 설립

및 활동을 할 수 있음.

2) 합작 투자

ㅇ 외국투자자는 현지 투자자와 합작하여 현지 기업법 및 관련 볍률 규정에 따라 2 인

이상으로 이루어진 주기회사, 유한회사 및 합작회사 등 설립 가능함.

ㅇ 단독투자와 같이 현지 법률에 따른 법인격이 주어지며 투자 승인 확인서를 발급 받은

날부터 설립된 것으로 간주되어 활동할 수 있음.

그리스-78

라. 외국인 진출 선호 형태

1) 선호형태 및 사유

ㅇ 그리스에 진출하는 대부분의 외국계 회사들은 다국적 기업 형태를 취하는데 즉, 토착

그리스 기업과 연합하여 회사를 차리는 경우가 흔함.

ㅇ 그리스 투자청에서도 각 분야별로 외국 업체들과 합작을 희망하는 그리스 업체들을 소개하고 있음

ㅇ 외국회사들이 현지에 단독으로 법인을 설립하는 경우는 그리 흔하지 않음

ㅇ 특히, 제조업 분야에 진출했던 외국업체들이 현재는 그리스 공장이나 유통망을 폐쇄,

축소시키고 노동 비용이 저렴한 인근 발칸반도 지역으로 이전하고 있음.

ㅇ 과거, 선박회사들의 경우 offshore 형태의 업체들이 많았으나 개발 촉진법에 따라 off

shore 회사들에 대한 특혜들이 대거 축소 또는 폐지됨에 따라 이 형태로의 회사 설립은

불가하게 됨.

ㅇ 주식회사의 경우 이사회가 3 인 이상 및 자본금 60,000 유로 이상으로 대규모 사업에

적합하여 초기 진출 시 주식회사 형태는 거의 활용되지 않음.

ㅇ 특히, 그리스의 경우 제조산업이 취약하기 때문에 생산업의 현지진출은 거의 없으므로

주로 현지에서 간단한 영업활동 및 조사를 위한 지점 및 연락사무소를 선호함.

2) 외국인에게 어려운 형태

ㅇ 외국인의 경우 개인회사 설립이 불가능하며 합작투자 혹은 유한회사 설립시 회사

지분을 49% 이상 소유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음.

라. 투자형태별 설립절차

1) 유한회사 및 주식회사

No. 구분 준비사항 유의사항 담당부서 기간

1

설립요건 최소 2인 이상 필요

* 주식회사 :

최소자본 60,000

유로

* 유한회사 :

최소자본18,000

유로

임대차 가

계약 가계약 체결서

구비서류

투자허가 신청서 신청 양식 작성

대행업체 법무법인 및 회

계법인 등

­ 창립주주명부

­ 창립사원명부

­ 합작투자계획서

­ 단독투자계획서

­ 주식회사 경우

­ 유한회사 경우

­ 합작투자 경우

­ 단독투자 경우

그리스-79

1

­ 사무실 임대차

가계약서

­ 설립할 회사 정관

­ 사업타당성 조사서

­ 사업자등록증

­ 법인등기부 등본

­ 본사 정관

­ 재정능력확약서

­ 위임장

­ 대표자 여권, 사진

­ 대행 위임장

허가서

신청 해당 구비서류 일체

­ Invest in Greece

시안별 검토의견

제시기관

­ General secretarial for

Investment & Development

­ General Administration for

private investment

­ Private investment approval &

control administration

­ Evaluation & Promotion

Department

15일 허가서

발급

2

허가서

취득 이후

절차

회사명 사용승인 획

그리스 상공회의소

5일

3 회사등록

4 정관등록

5 자본금 은행납입 은행

6 자본세 납부 세무서

7 변호사 수수료 납부 변호사 사회보장및 연금

기관 8 변호사협회 수수료

납부확인서 취득

9 서류 법원 제출 법원

10 회사정관 공고

11 상공회의소 등록 상공회의소

12 사회보장, 연금기관

등록 사회보장, 연금기관

13 세무서 등록 및 세무

번호 취득 세무서

14 회사직인 제작, 신고 경찰서(공증)

15 회계장부 신고 세무서

16 직원 채용 절차 개시

주식회사의 경우 이사회가 최소 3인 이상이어야 함

-

자료: 그리스 상공회의소 (2012.12 기준)

그리스-80

2) 지사설립절차(지점 및 대표사무소/프로젝트 오피스)

No. 구분 준비사항 유의사항 담당부서 기간(일)

1

설립요건 최소4인 이상 필요

최소 연간 지사

운영비 100,000

유로

임대차

가계약 가계약 체결서

구비서류

­ 사무실임대차 가계약서

­ 본사로부터 지사 설립

희망 신청서 및 증명서

­ 현지 지사 대표 위임장

­ 현지 지사 대표자 여권/ 사진

­ 대행 위임장

­ 회사 정관

­ 재정능력확약서

그리스어 공식

번역 필요

대행업체 법무법인 및

회계법인 등

현지 지점 대표자 노동허가

및 비자 신청 대표자가 외국

인일 경우

관할지역 구청

관할지역 세무서

대표자 세무 번호 발급

2

신규 지

신청서

제출

해당 구비서류 일체

그리스 상공회의소

시안별 검토의견 제시

기관

­ General secretarial for

Investment & Development

­ General Administration

for private investment

­ Private investment approval

& control administration

­ Evaluation & Promotion

Department

15

3 신규 지사

등록 해당 구비서류 일체 Government Gazette

4

허가 취득

이후 절차

허가서를 포함 및 해당

구비서류 일체 등록번호 취득 그리스 상공회의소

5

5 지사 세무서 등록 및 세

금번호 취득 세금번호 취득 관할지역 세무서

6 회사직인 제작 및 신고 경찰서(공증)

7 회계장부 신고 세무서

8 직원 채용 절차 개시 최소 4인 이상

이어 야함

9 사회보장, 연금기관 등

록 사회보장 및 연금 기관

자료: 그리스 상공회의소 (2012.12 기준)

그리스-81

3) 회사 설립 절차 단순화

ㅇ 회사설립 간편법 국회 통과로 기존에 약 15 개에 달하는 회사설립 절차가 ‘10 년

10 월말부터 1 단계로 대폭 축소되어 그리스에서 회사설립에 소요되는 시간도 24 시간

이내로 줄어들 계획이었으나 현실상 아직까지 기존 절차와 별다른 차이가 없음.

One Stop Shop 서비스 진행 절차

회사 설립 절차법 명시 규정에 따른 회사 설립 등기서에 서명

일반 기업 대장에 서명된 신청서 제출

해당 상공회의소에 회사명 등록과 회원 등록을 위한 신청서 제출

회사 설립 시 필요한 각종 비용 일괄납부

자본금 관련 세금 신고 및 해당 세금 지불

회사 건물 임대차 계약서 또는 소유권 증명서 제출

기타 신청서 제출 및 세무 번호와 연금재단 회사 고유번호 발급을 위한 신청서

작성

마. 추천 법무법인/회계 법인

ㅇ L & A Law firm

- 주소: EL-PA Manor 4 층, 3 Akti Miaouli Str., GR-18535, Piraeus, Greece

- 전화번호: +30) 210-4174183

- 팩스: +30) 210-4131773

- 이메일: [email protected]

- 홈페이지: www.latsoudislaw.com

- 종업원 수: 20

- 관련 분야/주요 업종: 해외 기업 현지 진출 관련 회계법률 & 관련 법률

ㅇ Sarantis Law Firm

- 주소: 9 Anagnostopoulou Str., GR-10673, Athens, Greece

- 전화번호: +30) 210-3670400

- 팩스: +30) 210-3621593

- 이메일: [email protected]

- 홈페이지: www.sarantitis.com

- 종업원 수: 25

- 관련 분야/주요 업종: 해외기업 현지 진출 관련 회계법률 & 관련 법률

그리스-82

ㅇ Deloitte Business Solutions S.A.

- 주소: 3A Fragoklissias & Gronikou Str., GR-15125, Maroussi, Athens, Greece

- 전화번호: +30) 210-6781100

- 팩스: +30) 210-6776190

- 이메일: [email protected]

- 홈페이지: www.deloitte.com

- 종업원 수: 69

- 관련 분야/주요 업종: 비즈니스 합병 세부, IT 및 경영전반 컨설팅, 특정분야 조사서비스,

직원교육 및 각종 타당성 조사 등

ㅇ Ernst & Young Hellas Certificated Auditors Accountants S.A.

- 주소: Athinon-Lamias National Road(11th km), GR-14451, Metamorfossi, Greece

- 전화번호: +30) 210-2886000

- 팩스: +30) 210-2886906

- 이메일: [email protected]

- 홈페이지: www.ey.com

- 종업원 수: 200

- 관련 분야/주요 업종: 회계 세무 기업재무관련 각종 서비스, 기업경영 전반 자문 및

타당성 조사 등

ㅇ Grant Thornton S.A.

- 주소: 56 Zefirou Str., GR-17564, P. Faliro, Athens, Greece

- 전화번호: +30) 210-7280000

- 팩스: +30) 210-7253317

- 이메일: [email protected]

- 홈페이지: www.grant-thornton.gr

- 종업원 수: 240

- 관련 분야/주요 업종: 회계 세무 비즈니스 투자 기업합병 등에 대한 컨설팅 서비스

ㅇ KPMG Kyriacou Advisors S.A.

- 주소: 3 Tombra Str., GR-15342, Ag. Paraskevi, Athens, Greece

- 전화번호: +30) 210-6062100

- 팩스: +30) 210-6022111

- 이메일: [email protected] / [email protected]

- 홈페이지: www.kpmg.gr

- 종업원 수: 100

- 관련 분야/주요 업종: 회계 세무 및 비즈니스 전반 컨설팅, 조사

ㅇ Athene Consulting House S.A.

- 주소: 25-29 Karneadou Str., GR-10675, Athens, Greece

- 전화번호: +30) 210-7263300

- 팩스: +30) 210-7263339

- 이메일: [email protected]

- 홈페이지: www.ach.gr

- 종업원 수: 20

- 관련 분야/주요 업종: 비즈니스 경영 투자 컨설팅, 금융조사 등

그리스-83

ㅇ Accenture S.A.

- 주소: 1 Arkadias Str., GR-14564, Kifissia, Athens, Greece

- 전화번호: +30) 210-6781400

- 팩스: +30) 210-6776405

- 이메일: [email protected]

- 홈페이지: www.accenture.com

- 종업원 수: 180

- 관련 분야/주요 업종: 비즈니스 경영 컨설팅, 기획, 엔지니어링 전산시스템 서비스 등

그리스-84

6. 투자입지여건 가. 입지여건 개황

그리스는 EU의 제3차 공동체지원프로그램 지원을 받아 산업기반시설 근대화 작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와 함께 교통 통신 분야 대외개방을 통한 경쟁력 강화도

모색하고 있으며, 발칸반도 동남부에 위치한 그리스는 인접국가들과의 교통망 구축에 힘을

쏟고 있다.

1) 고속도로

ㅇ EGNATIA HIGHWAY: 총 연장 680 ㎞인 이 도로는 그리스 북부 지역 특히 제 2 의

도시인 데살로니키를 통과하고, 이오니아해의 이구메니차 항구와 터키의 국경지역에

위치한 Alexandroupolis 를 동서로 관통하여 터키와 발칸지역 국가 들과 연결되어 있다.

ㅇ PATHE MOTORWAY: 그리스 제 1 의 항구인 피레우스항에서 국토를 남북으로 가로질러

구 유고연방 국가와 연결된 총 연장 750 ㎞에 이른다.

그리스-85

ㅇ IONIAN MOTORWAY: 중서부 Igoumenitsa 항구에서 국토를 동서로 종단하여

테살로니키 항구를 지나는 EGNATIA HIGHWAY 와 연결된다.

ㅇ ATTIKI ODOS MOTORWAY: 최근에 건설된 가장 현대화된 고속도로로서 주요도시 항구

아테네국제공항 및 아테네 각 지역과 연결되고 있다.

ㅇ RION-ANTIRION 대교: 그리스 동부에 위치한 펠레폰네소스 반도와 북부지역을

연결하는 2.5 ㎞에 달하는 현수교이다.

2) 주요 항구

Port Map of Greece

자료: ΠΕΙΡΑΙΑΣ(Piraeus), ΘΕΣ/ΝΙΚΗ(Thessaloniki), ΒΟΛΟΣ(Volos), ΠΑΤΡΑ(Patra),

ΑΛΕΞΑΝΔΡΟΥΠΟΛΗ(Alexandroupoli), ΕΛΕΥΣΙΝΑ(Elefsina), ΛΑΥΡΙΟ(Lavrio), ΗΓΟΥ

ΜΕΝΙΤΣΑ(Igoumenitsa), ΗΡΑΚΛΕΙΟ(Iraklio), ΚΑΒΑΛΑ(Kavala), ΡΑΦΗΝΑ(Rafina)

ㅇ 피레우스 항구: 최대흘수(draft) 14.0m 인 그리스 최대항구로서 아테네 남서부에

위치하고 있다. 대부분의 화물이 이 항구를 통해 그리스로 반출입되고 있다.

ㅇ 데살로니키 항구: 그리스 북부에 위치한 제 2 의 항구로서 최대 흘수 11.5m.

발칸국가와 터키 및 흑해지역과의 교역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리스-86

3) 주요 공항

ㅇ 아테네 국제공항이 주요 관문이며, 섬이 많은 나라로서 공항이 많이 개설되어 있다.

Airport Map of Greece

나. 산업 단지

그리스 내 산업 공단은 지역별로 단지가 조성되어 운영되고 있으며 주로 테살로니키,

파트라, 볼로스, 이라클리오 등과 같은 항구도시 및 북 마케도니아의 스라키 등 저개발된

그리스 북부 지방에 위치하고 있다.

저개발지역의 경우 외국기업이 투자를 희망할 경우 별도의 제약은 없으며 현지의 고용 증대

및 개발 효과 등으로 인해 권장되고 있으며 주요 혜택으로는 공단 이외의 지역에 비해

저렴한 가격에 공장 부지를 제공하며 영업허가 외에 건축허가 절차가 생략되는 한편

대출이자 보조금 지원 등이 있다.

그리스-87

그리스 산업 단지

산업공단 명 입주업체 수 공단 총면적 비고

데살로니키 신도스 241 4,451,781m2

파트라 50 4,000 sq

이라클리오 192 * 크레테 섬

이라클리오(피니키아) 37 * 크레테 섬

이라클리오(아노폴리스) 36 * 크레테 섬

하니아(수다) 20 * 크레테 섬

레씸노(아르카디우) 91 * 크레테 섬

라시씨우 148 115sq 크레테 섬

라미아 * 1,600sq

트리폴리 38 750,000m2

멜리갈라 2 657,600m2

스페르호기야 * 171,800m2

요아니나 56 839.8sq

코자니 준비 중 801sq

플로리나 10 484,956m2

펠라스(드로시아) 2 *

킬키스 33 21,782m2

세론 * 1,200sq

드라마 53 *

카발라 23 *

크산씨 22 95,869sq

로도피 94 800,87sq

알렉산드루폴리 37 * 에브로

오레스티아다스 * 1000sq 에브로

페론 * 1000sq 에브로

데브조스 * 600sq 에브로

프레베자 11 1,318,786m2

볼로스 140 4,449sq

아띠끼 레프키포스 소형전자제품, 소프트웨어,

과학기기, 생명공학 * 아테네 근교

아띠끼 라브리우 신과학기술 공단 * 아테네 근교

주: 기타 현재 공단이 조성되고 있는 곳들도 있다.

자료: 그리스 투자청 (Invest in Greece Agency)

그리스-88

□ Map of Investment Zones

다. 자유무역지대

그리스에는 현재까지 특정 지역을 중심으로 조성된 자유 무역 단지는 없다.

라. 현지 투자유치 전문기관 연락처

제도 변경이 잦고 최근 투자 유치를 위한 Incentive제 시행 등으로 투자 진출 시 투자 유치

전문 기관(Invest in Greece Agency) 접촉은 필수 사항이다.

□ Invest in Greece Agency (종전 ELKE (Hellenic Center for Investment)을 개칭 (’08.3.12))

ㅇ 주 소: 3 Mitropoleos Str., GR-105 57, Athens, Greece

ㅇ 전 화: (30-210) 3242-070

ㅇ 팩 스: (30-210) 3242-079

ㅇ 홈페이지: www.elke.gr, www.investingreece.gov.gr

그리스-89

7. 노무관리 가. 노동시장 개황

2012년 2분기 그리스 근로자는 3,793,147명, 실업자는 1,168,761명으로 집계되었다.

2012년 2분기 실업율은 23.6%로 1분기 22.6%에 비해 상승하였으며 2011년 2분기

16.3%보다 급증하였다

연령별 실업률

(단위: %)

연령

2분기 비교

2011년 2012년

남성 여성 총 남성 여성 총

총 13.7 20.0 16.3 20.8 27.3 23.6

15-24 36.7 50.8 43.1 46.8 62.1 53.9

25-29 24.5 31.7 27.7 35.0 38.9 36.8

30-44 12.0 18.8 14.9 19.3 26.1 22.3

45-64 9.2 11.4 10.1 14.8 17.9 16.0

65+ 1.0 3.3. 1.8 3.6 5.6 4.2

자료: 그리스 통계청, 2012년 9월

최근 발칸국가 동유럽 중동 및 아프리카 국가로부터의 이민자가 늘어 약 100만 명 정도가

되는 것으로 발표되고 있으며 이 중 절반 정도가 불법 이민자들이다. 이들 이민자들 가운데

고급 기술을 가지고 있는 사람도 많이 있으나 체류허가 및 노동허가를 받는 것이

까다로워서 농촌이나 공사판 등을 전전하는 사람들도 있다. 거리 교차로마다 자동차

유리창을 닦아주고 몇 센트를 받거나 중국산 저가 공구세트나 꽃을 파는 외국인을 흔히 볼

수 있다. 소매상 노조 등에서는 이들을 합법화해서 값싼 인력 채용을 쉽게 할 수 있도록

정부에 촉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정부는 2010년 4월 IMF-EU-ECB 차관 지원을 받기 시작하며 국가 부다 위기에 맞춰 여러

개정을 수정하며 ‘10년 11월 노동법을 개정하였다. 불법 노동자 처벌규정이 너무 엄격해서

고용주에게는 3개월 이하의 징역이나 3,000~15,000유로 정도의 벌금에 처해지고, 심할

경우에는 1년간 영업이 중단되기도 한다. 강제출국에 따르는 비용도 모두 고용주가

부담한다. 이처럼 경영주들은 기존 인력의 해고의 어려움, 저임금 외국인 노동자 채용기회

박탈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리스 정부에서는 Law89에 의해 설립된 외국업체들에 부여하는 각종 혜택을 폐지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개정법률안을 2005년 말 통과시킨 바 있는데, 이들 외국회사들이 설치한

지점이나 지사는 그리스인 종업원 4명 이상을 의무적으로 고용하도록 규정하여 인건비

상승과 인력관리 측면에서 전보다 어려움을 겪고 있다.

나. 노동법 주요 내용

1) 고용여건

15세 이하는 고용 금지, 16~18세까지는 야간 작업 고용이 금지되어 있으며 외국인의

고용은 노동부 및 법무부 허가가 필요하다. 직원 채용 시 3개월 간 수습 기간을 거친 후

정식 채용이 가능하다. 고용계약은 쌍방의 합의에 따라 체결되며 노동법에 저촉되는 조항은

무효로 간주된다.

그리스-90

2) 휴가제도

주 5일 근무자는 순수 근무일과 근무시간 기준에 따라 연간 20일~24일이며 주 6일

근무자는 24일~26일이다. 순수 근무일의 기준은 공휴일과 국경일을 제외한 것이며 같은

직장에서 10년 근무 혹은 여러 직장에서 근무한 경력을 합쳐 총 12년을 채운 경우 연간

휴가일에 2일이 추가 된다. 25년 이상 근무자는 3~4일간 휴가일이 추가된다.

입사 1년 차인 경우, 주 5일 근로자의 경우 20일, 주 6일 근로자의 경우 24일의 휴가를

가질 수 있으며, 채용 2년째부터는 1일씩 휴가일수가 가산된다. 즉, 입사 2년 차인 경우,

주 5일 근무자는 21일, 주 6일 근로자는 25일의 휴가를 가질 수 있다. 입사 1년 이내인

경우에는 주 5일 근로자의 경우 20일, 주 6일 근로자의 경우 24일을 기준으로 실제 근무

개월 수에 따라 휴가일수가 산출된다. 예컨대 주 5일 근무제를 채택하고 있는 회사

근로자가 채용 후 5개월이 지났을 경우 8일의 휴가를 가질 수 있다. (20일 * 5/12)

현지 노동법에는 근로자가 질병 등의 사유로 정기 휴가 외에 연간 10일 한도 이내에서

병가를 사용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결혼휴가 1주일 등도 명시하고 있고 군사동원

훈련 등은 휴가 산정에서 제외토록 규정하고 있어 실질적인 연간 휴가 기간은 1개월

이상이다. 출산휴가는 총 17주이며 출산 전 8주간, 출산 후 9주를 준다.

3) 초과 근무 수당

현지 노동법에는 주당 40~48시간 근무 시 월 급여 기준 시간당 수당의 25% 추가지급이

의무화 되어 있으며 주당 48시간 이상 근무 시 시간당 100%의 추가지급이 필수이다. 단,

연간 기준으로 주 48시간 이상을 초과한 근무시간이 120시간을 초과할 수 없다. 초과근무

120시간을 초과할 경우에는 노동부의 허가를 받아야 하는데 정부는 고용증진을 위해 이를

억제하고 있기 때문에 사실상 불가능하다.

공휴일 및 국경일기간 중 초과 근무 시 주간에는 75%, 야간에는 100%를 추가 지급해야

한다. 부활절 기간의 초과 근무 수당은 전년 12월부터 부활절까지 계속 근무한 근로자에

한하여 50%를 지급하여야 한다. 이 밖에도 휴가수당 50%, 크리스마스 수당 100% 등의

초과근무 수당 지급이 명시되어 있다. 2011년부터 적용된 공무원들의 수당은 월급의

퍼센테이지 기준에서 부활절, 여름 휴가 수당 각 250 유로, 크리스마스 수당 500유로로

지정되어 있다.

4) 최저임금제도

노동법에는 노동조합과 사용자단체만이 단체교섭권과 단체협약 체결권을 가지도록 규정되어

있어, 단협의 형태에 따라 최상급 단체인 그리스노총 및 각 단위노조와 사용자단체간에

단체교섭과 체결을 하게 된다. 전국 차원의 교섭은 그리스노동조합총연맹(GSEE; Greek

General Confederation of Labour)과 사용자 단체(SEB; the Federation of Greek

Industries)만이 참여할 수 있다. 매년 ‘전국노동단체협약’이 체결되며, 여기에서는 조합원

비조합원 여부를 떠나 전국 모든 업종과 부문의 노동자들에게 적용될 최저수준이 규정된다.

이와는 별도로 전국 차원의 부문별, 업종별 단체협약이 있어 업종 또는 산별 노동자들에게

적용되며, 지역별 단체협약은 부문별 전국 단협에 포함되지 못한 노동자에게 적용된다.

또한 이들 전국 또는 지역별 단체협약에도 적용을 받지 못하는 노동자에 대해서는 기업별

그리스-91

단체협약이 체결되는데, 이 경우에는 ‘대표’ 노동조합만이 사용자단체나 개별 사용자와

교섭한다. 대표 노동조합의 기준은 최근의 집행부 선거에 참가한 조합원 수에 따른다.

2012년 4월부터 시행된 최저임금 제도는 680유로이다. 이 중 근로자의 사회보장세 개인

부담인 16.5%를 제외할 경우 직접적인 월급은 약 570유로 수준이다.

5) 해고절차와 조건

현지 노동법은 임신 중인 여성 근로자와 휴가 또는 군복무 중인 근로자의 해고를 불법으로

규정 하고 있으며 계약기간이 종료되었을 경우에 한하여 해고가 가능하며 계약기간 종료

이외의 기타 사유로 해고 시에는 전문 변호사의 자문이 필히 요구된다.

20인 이상 사업장의 경우 대량 해고 제한 규정이 있으며, 20~50인 규모의 사업장은 연간

5명 이내, 50인 이상 사업장은 연간 총 종업원의 3%이내에서 해고가 가능하다. 해고 시

퇴직 위로금은 1년 이내 근무자의 경우 월급여 1개월 분이며 1~4년 근무자는 2개월 분이며

4년 이상 근무자의 경우 2년 단위로 1개월 분의 위로금이 추가 지급되어야 한다.

아래는 그리스 투자청에 질의하여 받은 해고관련 답변사항이다.

ㅇ 무기한 근로 계약직 근로자 해고 시

- 해고통지 없이 근로 계약이 해지된 경우, 해고 근로자는 근로연수에 따른 해고통지

의무 개월에 해당하는 월급을 수령한다. 해고통지가 이뤄진 경우, 상기 금액의 절반에

해당하는 금액 수령한다. 단, 채용 후 2개월 이전에 해고된 경우, 고용주는 근로계약

해지를 이유로 배상 책임을 지지 않는다.

ㅇ 한시적 근로 계약 해지 경우

- 중대 사유 없이 해고되는 경우

· 그리스 민법상, 한시적 근로 계약이 고용주에 의해 중대한 사유 없이 조기 해지되는

경우, 근로자는 해지에 따른 계약 취소를 이유로 권리를 가지며, 이 권리는 손해배상

청구권이 아니라 계약 해지일부터 계약에 명시된 근로 계약 종료일까지의 임금 체불

성격이다. 이 경우, 해당 월의 지급일이 명시되었을 경우, 그 지급일이 경과될 경우

이자까지 부가된다.

- 중대 사유에 의해 계약 해지된 경우

· 고용주가 한시적 근로 계약을 법원 결정에 의해 중대한 사유로 판명될 수 있는 사실에

기초하여 해지한 경우, 근로자는 해고 관련 배상 청구권을 가지지 않는다. 고용주 입장

에서 계약 해지를 정당화 시킬 수 있는 중대한 사유는 첫째 피고용자의 고용주에 대한

부적절할 행동, 둘째 고용주의 지시 이행 거부, 셋째, 근무 중 형사상 범법 행위를

저지른 경우 등이다. 근로 계약 해지를 정당화 시킬 수 있는 중대한 사유 발생 여부는

법원이 그 결정권을 지닌다.

ㅇ 일정한 기간 내에 해고된 근로자는 법적 배상 지급을 청구하는 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

[법률 3198/1955]

- 3개월 이내

· 근로자가 근로 계약 해지 후 3개월 이내에 배상 청구 관련 소송을 제기하지 않는 경우,

해당 근로자는 근로 관계 해지 취소에서 비롯되는 어떤 배상 청구권도 행사할 수 없다.

이 규정은 근로 종속 계약의 해지에 한하여 적용된다.

그리스-92

- 6개월 이내

· 의무적 배상 관련 근로자의 모든 청구권은, «요구 가능한 채무를 청구할 수 있는 권리가

발생한» 시점부터 6개월 이내에 관련 소송이 제기되지 않으면,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아울러, 법률 3198/1955에서 『기업의 경제 활동 제한 관련 규정 조항』은 다음과 같은

사항을 명시하고 있다. 기업들과 고용주들이 근로 계약 해지 대신, 본인들의 경제 활동을

제한한 경우 (사업축소 등) 근로자들을 연간 3개월 이상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대기

상태로 놓아둘 수 있다. 이 경우 근로자는 완전 고용 상태에서 수령한 최근 2개월 치

평균봉급의 절반을 수령한다.

(이상 그리스 투자청 질의응답 내용)

한편 그리스 정부는 현재의 재정 안정화 프로그램 적용 기간 동안 대량 해고 상한선을 기존

2%에서 4%로 상향 조정하고 해고 자율화 제도를 신규 도입했으며 해고 시 보상금을 기존

수준의 50% 지급으로 감소시켰다. 비교적 노동자 위주의 비탄력적인 노동시장에 어느

정도의 유연성을 가미하고자 하는 의지로 해석된다.

현재 노동부에서 추가적으로 검토하고 있는 해고와 보상, 근로계약 관련 조항은 다음과

같다.

ㅇ 1-20 근로자 고용 기업의 경우 고용주가 해고시키기 원하는 사람을 언제든지 해고

가능 (제한시킬 예정)

ㅇ 20-200인 근로자 고용 기업의 경우 매월 해고 근로자수 상한선을 기존 2%에서 4%로

조정

ㅇ 실업상태의 청년들에게 근로 경험 제공목적의 계약을 체결할 경우 최저 임금의 80%만

지급가능

ㅇ 유사직종 근로 계약의 조건들은 직종별 또는 전국 단위의 단체 근로 협약서 조건들과

일치 않을 수도 있음

ㅇ 고용주와 합의가 되지 않은 노조단체들의 중재 요청 권리 폐지

ㅇ 최초로 근로계약을 체결하는 25세 이하의 청년들과 장기 실업자들의 법정 최저

일수당보다 적은 임금 수령

ㅇ 해고 보상금 범위와 지급 방법 재 정립

ㅇ 위기 상황시 지역별 직종별 단체 근로 계약을 폐지하며 각 사업장별 상이한 근로계약

가능

ㅇ 고령 해고자들 지원 대책 마련

노동부는 이 제안을 가지고 5월 31일 고용주 단체와 노조 단체들과 협상을 벌일 예정

이지만 노조 단체들은 노동부의 입장이 근로자의 권익을 크게 훼손시킨다며 협상 자체에

임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6) 노조 결성 조건

그리스에서는 약 35% 정도의 노동자가 노조에 가입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으며,

가장 노조결성이 높은 분야는 공공기관과 은행권이다. 소매점과 관광업 분야의 노조결성은

일부 제한되어 있다. 종업원 10명 이상인 사업장에서 설립 가능하며 사용자에게 통지 후

지방법원에 등록하는 것으로 절차가 완료된다.

노조활동은 법적으로 보장되어 있으며 노동 3권이 완벽하게 보장된 반면, 독일에서와 같은

노조의 경영참가권은 없다.

그리스-93

파업권은 조합원 전체투표에 의해서 가결된 경우 합법적으로 인정되며 파업기간 중

사업주는 직장을 폐쇄할 수 없고 신규 인력채용이 금지된다.

단, 공공서비스와 직결 는 국가 기간산업은 파업 중이라 할지라도 필수요원은 근무를 해야

하며 파업기간 중 사업주는 임금 지불 의무가 면제된다.

그리스 노조(전노조, 공무원 노조)는 단순히 종업원의 권리보호와 복지증진을 위해서만

활동하지 않으며 노조 간부가 정당의 간부를 겸하고 있는 등 정치적인 영향력도 행사하고

있다.

7) 임금 이외의 비용

연간 월 급여의 200% 보너스 지급이 의무화 되어 있으며 부활절(4월) 50%, 하계(보통

7월에 지급) 휴가비 50%, 크리스마스 100% 등으로 구분된다.

아울러 사회보장세로 월 급여의 44.16%에 해당하는 금액을 국가에 납부해야 하는데,

종업원이 16.5%, 고용주가 28.11%(통상 고용주세라 함)를 각각 부담한다. 그리스

사회보장의 성격은 연금, 의료보험, 산재보험과 함께 사망 시 적용되는 종합보험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2010년 그리스 EU와 IMF로부터 1,110억 유로 차관 지원에 합의하였으며 이에 대한

조건으로 4년 동안 약 154억 5,000만 유로 규모의 추가 재정 긴축안을 발표하였다. 긴축

안에는 임금 및 상여금 감소 내용을 담고 있어 노동자들의 대규모의 반대 시위가 자주

일어나고 있다.

안정화 프로그램(2010년~2014년)이 적용되는 기간 동안 공무원 급여를 동결하였으며

공무원 연간 200% 상여금 제도를 삭제하였다. 단 3,000유로 이하의 봉급 수령자들에

대해서는 월급에 상관없이 연간 부할절 상여금 500유로, 여름 상여금 250유로, 휴가 수당

250유로로 연간 총 1,000유로의 상여금을 지급 하기로 하였다.

또한, 공무원 수당의 12%의 삭감에 이어 추가로 8%를 추가 삭감하여 총 20%의 수당이

삭감, 공기업 근로자들 급여 기존 7% 삭감에 이어 추가로 3%로 총 10%를 삭감, 국회의원

200% 상여금 폐지 및 기타 수당 삭감하였다.

연금 수령자들 또한 200%의 상여금 제도가 폐지되었으며 단, 2,500유로 이하의 연금

수령자들에 대해서는 연금수령액에 상관없이 성탄절 상여금 400유로, 부활절 상여금 200

유로, 휴가 수당 200유로로 연간 총 800유로의 상여금을 지급하기로 하였다.

반면 논란이 되었던 민간분야의 200% 상여금은 유지키로 결정하였으며2011년부터 공무원

여성의 연금 수령 연령을 남성과 동일화하기로 하였으며 조기 연금 최소 연령을 55세에서

60세로 상향 조정하였다.

그리스-94

다. 인력파견업체를 통한 채용(Outsourcing)의 사례 (그리스 People for business 사의 경우)

1) 용역기간

고용주 측에서 원하는 기간 동안 기간을 지정할 수 있음.

2) 인원 선발

채용회사가 제시하는 자격조건에 맞는 일정 수의 후보자를 선발하여 보내면 채용회사가

면접을 통해 적격직원을 최종 선정함. 물론 채용 의뢰업체가 이미 선택한 사람을 쓸 수

있음

3) 인원 교체 가능여부

언제든지 교체 요청 가능함. 그러나 무한 근로계약의 경우에는 1,2개월 이내에 교체를 할

경우에는 보상 없이 요청 가능하나, 3-12개월 내에 교체 요청시 1개월 급여를 배상해야 함.

한시적 계약의 경우, 계약 종료시점 이전에 교체 요구할 경우 나머지 계약 기간동안의 모든

월급을 추가로 지급해야 함. 한시적 계약기간(예컨대 1.1-6.31) 동안 인원교체 요구도 없이

정상적으로 기간이 종료되면 추가 지불하는 것 없음.

4) 파견회사 수수료

월급과 휴가, 성탄절 수당, 연금재단 부담분 모두 포함 액수의 10%

고용 비용 계산 방법(요율)

항목 비율

급여 100%

성탄절 휴가(부활절) 13.02%

휴가 수당 8.33%

연금재단 고용주 부담 34.16%

미사용 휴가 미포함 전체 155.511%

미사용 휴가 보상 8.33%

미사용 휴가 포함 전체 164.24%

예컨대 근로자 월 실수령액이 1000 유로인 경우, 휴가 미사용시 (매달 2 일, 일년 20 일)

전체 금액은 1642.24 유로이며, 이 금액에 대한 수수료(10%) 164.22 유로를 합치면 총

1,824.88 유로를 인력소개업체에 매달 지불해야 한다. 그리고 부가가치세도 추가로 납부

해야 한다.

그리스-95

8. 조세제도

그리스의 조세 체계는 조세 법률주의 원칙에 입각하고 있으며, 해외원천소득에 대한

납세의무는 없으나 외국인이라도 그리스 내에서 발생한 소득에 대해서는 과세한다.

그리스 정부는 탈세 근절을 위해서 2010년도부터 ‘탈세와의 전쟁’을 선포하고 대대적인

세수확보 노력을 기울였으나, 관련 공무원들의 비효율적이고 관료적인 업무처리 때문에

성공하지 못했다. 공무원들 조차도 부업을 할 경우 소득금액을 제대로 신고하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 정부지출액을 축소하지 못한 상황에서 정부의 세수확보 노력이 실패하자

(재정적자 증가), 국제금융시장에서 그리스 신용도가 급락하게 되었고 투자자들의 우려가

급증했다. 그 결과로 그리스 국채의 위험이자율이 치솟았으며, 그리스는 자립적인

채무상환능력을 상실하고 급기야 EU-IMF가 패키지로 제공하는 차관을 도입하게 됐다.

그리스 정부의 자체적인 탈세근절노력 실패 및 합리적인 과세 시스템 부재에 따라 결국에는

경제적 독립성을 상실하게 되었는데, IMF와 EU의 개입으로 세수확보정책을 한단계 강화

시행하게 되었으며 탈세근절노력 또한 강력해지고 있다. IMF와 EU, 그리스 3자간 합의된

그리스 경제 안정화 프로그램에는 세수확보를 위한 과세정책도 대거 포함되어 있는데, 주요

내용은 1) 부가가치세율 인상: 기존 4.5%(도서, 잡지류) -> 5.5%, 9% (식당, 호텔, 식료품,

약, 전기, 물, 전화) -> 11%, 19%, 23% (일반 공산품) -> 23%, 2) 특소세 부과 (주류 9-

12센트/리터, 담배 30-60센트/갑, 1-2유로/병), 2) 소득세율을 재조정하여 6만 유로 이상의

고소득층에 특별세 부과, 3) 비과세 연소득 한도액인 5,000유로의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연소득 신고 총액에 따라 일정 비율의 영수증을 의무적으로 수집 (예컨대 2만 유로 소득을

신고할 경우 3,000 유로에 해당하는 영수증 수집) 등이 있다.

IMF 체제 개막 후 그리스 정부는 탈세근절을 위해 더 더욱 노력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변호사, 의사, 교수, 언론인은 물론 정치인들을 대상으로 집중적으로 탈루혐의자를 색출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결과로 탈세자 명단을 대중에 공개할 준비를 하고 있다.

한편, 그리스 정부는 경제범죄대책반의 단속 활동을 강화할 것을 5월 중순에 발표했으며,

동 대책반은 6월 초부터 영수증 미발급 업체들에 대해 집중단속을 시행할 예정이다. (IMF

도입 전 그리스 정부는 원활한 세수 확보를 위해 모든 업종에 대해 영수증 발급기를 설치를

의무화 하였음) 자발적이든 타의에 의해서든 불요불급 EU와 IMF가 내세운 안정화

프로그램을 시행해야 하는 그리스는 IMF 체제를 통해 합리적인 과세 시스템을 확보하고

과세 징수를 정상화 할 수 있는 기회를 맞고 있다.

가. 직접세

법인세와 개인소득세, 재산세, 특별소비세, 금융 거래 수수료, 자본 집중세(비EU 국가 기업

대상), 인지세, 도로 주행세 등이 있다.

법인세는 법인의 형태와 관련 분야에 따라 세부 과세 내용이 정해지며 개인의 경우 소득의

정도에 따라 차등 부과 원칙이 적용된다. 2010 년 기준 법인 세율 (주식 회사)은 24 %이다.

그리스 정부는 2010년부터 매년 1%씩 감소하여 2014년까지 20%로 법인세를 감소 여부를

검토 중에 있다. (Law 3697/2008)

그리스-96

나. 기타세

양도 소득세, 상속 증여세, 부동산세 등이 있다.

다. 기타 조세 관련 제도

ㅇ 소득 세법에 명시된 이월 결손금 제도에 따라 선박 회사를 제외한 거의 대부분의

“Commercial Company”의 소득 결손은 차기 회계연도 또는 그 이후 (5년 간)로 이월

가능하다.

2012년 개인 소득세율표

소득구간(EURO) 세율(%)

세금 총액

소 득 소득세

2012 2012 2012

5,000 0% 5,000 0

7,000 10% 12,000 700

4,000 18% 16,000 1,420

10,000 25% 26,000 3,920

14,000 35% 40,000 8,820

20,000 38% 60,000 16,420

40,000 40% 100,000 이상 32,420

100,000 45%

자료: 그리스 재경부

1) 적용 예

ㅇ 가령 2012년 연간 소득총액이 20,000유로인 경우, 5,000유로까지는 면세되고 초과분

7,000유로에 대해서 10% 세율, 4,000유로에 대해서는 18%, 나머지 4,000유로에

대해서는 25%의 세율이 적용되므로 소득세 산출세액은 2,920유로 (700+1,420+800)

이다.

ㅇ 개인소득세 산정 시 부양자녀공제, 배우자 공제, 교육비 공제 등 각종 공제제도가 있다.

ㅇ 2011년부터 지출(영수증) 신고 제도가 새로 도입되었으며 소득구간에 해당되는 영수증

신고 금액을 소득세에서 공제하여 준다. 반면 영수증 신고 금액이 적을 경우 차이

금액의 10%가 추가로 벌금으로 책정된다.

ㅇ 해당 규정으로 소비자가 벌금 회피를 위해 지출 시 마다 공급사업자에게 영수증 발급을

요청하게 됐으며, 따라서 자영업자 (전문기술자, 사업자, 전기공, 수도공, 변호사, 의사

등)들이 영수증을 끊을 수 밖에 없게 됐다.

그리스-97

소득구간

(EURO)

영수증(증빙) 신고

금액율 (%)

소득

(EURO)

지출 영수증 신고

금액 (EURO)

벌금

(%)

6,000 미만 0% 6,000 0

10% 6,001~12,000 10% 12,000 1,200

12,001 이상 30% 15,000 4,500

자료: 재경부

2) 적용 예

ㅇ 가령 2012년 연간 소득총액이 30,000유로인 경우, 기본 12,000유로에 적용되는 10%의

영수증 신고 금액과 추가 소득액인 18,000유로의 30%를 더한 금액의 영수증(증빙)을

신고 해야 한다.

- (12,000 유로 X 10%) + (18,000 유로 X 30%)

- 1,200 유로 + 5,400 유로 = 6,600 유로

- 영수증(증빙) 신고 시 6,600유로가 개인소득세에서 공제된다.

ㅇ 소득이 30,000유로로 6,600 유로 영수증을 신고해야 하나 만약 3,000유로의

영수증밖에 신고를 못하였다고 할 경우 차이 금액의 10%가 벌금으로 책정되어 개인

소득세에 추가된다.

- 6,600유로 – 3,000유로 = 3,600유로 (영수증 미신고 금액)

- 3,600 X 10% = 360유로 (벌금 추가)

법인 형태별 법인세

Tax Rates for Legal Entities

Type of Legal Entity 2010 2011 2012 2013 2014

O.E., E.E., Civil Law Communities 255 25% 25% 35% 35%

Joint Ventures, Civil companies,

Participation and Nominee Companies 24% 23% 22% 21% 20%

Legal Services Companies of L.518/89,

Notorial Companies of L.284/93 24% 23% 22% 21% 20%

Societe Anonymes, Foreign & domestic

Legal Entities witha non profitable

status

24% 23% 22% 21% 20%

자료: 그리스 재무부

ㅇ 그리스 조세법 관련 사이트

- 그리스 재무부: www.mnec.gr/en/

- 그리스 회계사 연합회: http://www.pol.org.gr/CMS/

그리스-98

9. 외환관리 및 자금조달 가. 자금 송금

그리스의 외환 관리는 EU 회원국 간의 자본 이동의 경우 완전 자유화되어 있다. 외국환

관리 정책 및 외국인의 투자에 관한 사항은 경제재무부와 그리스 중앙 은행에서 직접

관장하다가 EMU 가입 이후에는 유럽 중앙 은행으로 넘어가게 되었고, 이에 따라 그리스

중앙 은행 및 경제재무부의 입지가 좁아지고 있다.

그리스 통화는 유로이며 각종 계약은 유로화 또는 외화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스 중앙

은행은 EU 중앙 은행(ECB; European Central Bank)이 통보하는 환율을 중앙은행

일일관보를 통해 발표한다. 대부분의 송금은 중앙은행이 고시하는 환율을 적용해서

이루어지나 개별 거래 은행별로 별도의 우대환율 적용할 수도 있다.

승인을 득한 수출입에 수반된 지불이나 기타 일정 거래에 부수되는 외환 지불은 자동적으로

인정되나 기타 무역 외 결제는 조건부로 인정하고 있다. 단, 경우 통계집계를 위하여

개인이나 법인이 무역관련 지불이나 송금 시 10,000유로 이상인 경우 송금은행에

신고하도록 되어 있다. (납세완납증명서 제시를 폐지하고 납세번호 기입으로 간소화)

재화나 용역의 수출로 획득한 외화는 중앙 은행 또는 외국환은행에 의무적으로 매각하도록

되어 있으며 특허 사용료, 수수료, 배당금, 투자 자본에 대한 원리금의 송금은 사전에

중앙은행의 승인이 필요하다. 누구나 외화 구좌 개설이 가능하며 외화 구좌를 통한 외환의

대외 송금은 자유화 되어 있으나 은행에서 외환 송금 시 불법 자금 세탁방지 등을 이유로

송금 사유 증빙을 요구하고 있다.

로열티 송금의 경우 세무당국에서는 관련 서류를 엄격히 심사하고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사전승인을 받아야 한다. 또한 2007년 6월 15일부터 유럽 연합 국가에 출입국하는

관광객들은 10,000 유로 이상 소지 시 (현금이든 수표든 상관없이) 반드시 공항에 신고해야

한다. 짐 수색 시 신고되지 않은 금액들은 전액 압수 조치된다. 해당 조치는 불법 자금

세탁 방지 목적으로 도입되었다.

나. 자금조달

그리스 중앙은행 자료에 의하면 2010년 5월 기준으로 그리스에서 영업을 하고 있는 국내외

은행 및 금융기관은 58개인데 이 중 국내은행은 20개로 현지에서 활동하고 있다.

상업은행들은 보험회사, 뮤추얼펀드사, 투자회사 및 중개서비스 등 사업을 할 수 있다. 또한

신용카드, 리스업무, 팩토링 및 기타 금융서비스업을 할 수 있다. 모든 상업은행들은 투자,

소비자 금융 서비스, 자산관리 및 투자자문 업무 전담부서를 운영하고 있다.

교통통신부 산하에는 서민들을 대상으로 저리 융자업무를 주로 하는 우편저축은행이

있었으나 이 은행도 2006년 5월부터 일반 은행처럼 상업화되었으며, 이와 같은

서민금융업무는 경제 재무부 산하의 저축대출기금(TPD)로 이관되었다. TPD는 정부재산관리

업무 및 서민들이나 공무원들에게 저리로 융자를 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농어촌 지역의 서민들이나 영세업자를 대상으로 저리 금융업을 하는 협동조합은 전체

금융시장의 1% 이하에 불과했지만 최근에는 통폐합을 통한 몸집 불리기를 통해 시장을

확장해서 지금은 3% 내외의 시장점유율을 가지고 있다.

그리스-99

1) 단기자금 조달

단기 운영자금은 보통 은행으로부터의 당좌차월(1~180일)을 많이 활용하고 있다. 적용

이자율은 그리스가 유로통화권으로 편입된 후에는 전보다 대폭 낮아졌는데, 그리스도 EU

중앙 은행이 고시하는 이자율을 따르고 있다. 적용 이자율은 2004년 최저점을 기록한 이래

2005년 말 이후 점차 상승하여 2007년 평균 재할인율은 6.57%, 2011년 9.5%이다.

거액대출에 대한 이자율은 해당기업의 신용도나 대출기간 등을 고려해서 은행과 재고하여

결정된다. 은행들은 보통 은행간 이자율에 소정의 이자율을 더해서 우대금리

(프라임레이트)를 책정하고 이를 기업대출에 적용한다.

최근 은행들의 마진 이자율은 유로죤 국가 은행들과의 경쟁과열로 점차 낮아지고 있는

추세이며, 그리스 사람들은 이용의 편리성 등을 이유로 대체적으로 자국계 은행과 거래를

선호하고 있다.

2) 중장기자금 조달

신용평가기관들의 신용등급을 가지고 있는 대형 국영기업들은 사채(corporates bond)를

발행하여 자본시장을 통하여 저리로 자금을 조달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기업들은 그렇지 못하다.

설령 중소기업들이 발행한다 하더라도 정크본드로 취급되어 14% 이상의 이자율로 조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스에서 사채발행이 보편화되지 않은 또 다른 이유는 사채 이자소득에

대한 세율이 20%에 달하기 때문이다.

그리스-100

V. Business 참고정보 1. 시장특성 가. 개요

ㅇ 그리스의 핵심산업은 관광, 해운업, 농수산물, 식료품, 의류, 신발 등이며 제조업 기반이

취약하여 일반 소비재를 비롯한 각종 산업재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대부분

의 교역 상대국들과 극심한 무역역조 상태에 놓여있다. 그리스의 기업형태는 대부분

소규모로서 가족경영 방식의 전근대적인 형태이다. 그러나 최근 다국적 기업 진출

등으로 경영행태의 변화가 많이 감지되고 있다.

ㅇ 국영기업 대부분은 생산성이 매우 낮아 경제에 기여하는 정도는 실업률 감소 정도에

불과 하며 매년 막대한 정부보조금을 필요로 함에 따라 재정적자의 대표적인 원인이

되고 있다. 최근 제기되는 국영항공사인 올림픽항공의 경우 매년 막대한 손실로 재정

투입을 하고 있는데 EU내 다른 나라로부터 보조금 금지를 위한 소송이 걸려 있으며,

정부에서는 올림픽 항공을 해외에 매각하는 절차를 밟고 있다.

ㅇ 현지의 시장규모가 한정되어 있어 수입상들은 대량 오더보다는 소량수입을 선호하고

있으며 중개상을 통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물건 주문 시 배송 시간이 오래 걸리는 타

국가 보다 배송 시간이 빠른 근처 유럽국가로부터 수입하는 것을 선호한다.

ㅇ 특히, 의류이나 섬유의 경우 중개상의 개입이 일반적이다.

ㅇ 이니셜 오더는 대부분 극소량으로 우리나라 업체들이 제시하는 최소주문량에 훨씬

미달하는 경우가 많으며, 구매패턴은 품질보다 가격을 우선시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ㅇ 대부분의 그리스 수입상은 근처 발칸국가 및 키프러스, 지중해 연안 국가에 사무실이

있거나 거래하는 무역상이 있어 재수출을 하므로 그리스 판매 독점권 및 지정된 국가

판매 독점권을 요구하는 경향이 있다.

ㅇ 수입상들은 현지의 판촉활동 지원 홍보비 명목으로 총 수입액의 3%규모의 현지 홍보비

지원을 거래업체에 요구하는 사례가 많으며 현지 대형 유통업체간의 경쟁이 치열하여

수출업체가 제시하는 가격에 따라 거래여부 결정에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나. 소비자특성

ㅇ 중류 이상의 소비자들은 서유럽 유명브랜드 명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지만 일반

서민들은 최근 급격히 밀려드는 값싼 중국제 소비제품을 많이 소비하고 있다.

ㅇ 2010년부터 국가 부도위기를 맞으며 2012년 4분기까지 인상되는 세금, 부가세 및

물가에 모든 제품 가격이 폭등하여 일반 서민들의 소비 심리가 매우 위축되어 있다.

ㅇ 최근 그리스는 재정적자 위기로 인해 구제금융을 받는 최악의 상황이다. 정부지출 축소

와 함께 세수증대를 위한 강력한 정책이 추진되고 있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지갑을 열지

않고 있어서 바이어들도 수입물량을 축소하거나 중단하는 실정이다.

그리스-101

다. 한국제품에 대한 인지도

ㅇ 삼성전자 휴대폰, 현대자동차, 선박 등 한국 대기업 제품들의 현지 진출이 급증하고 IT

강국 이라는 한국의 이미지에 따라 공산품의 한국제품에 대한 인지도는 상당히 높다고

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LG 전자의 에어컨과 휴대폰, 냉장고, 플라즈마 및 LCD TV,

삼성전자의 가전 제품 및 휴대폰, 현대 자동차의 악센트, 아토스, 기아자동차의 스포티지

등은 그리스에서도 유명 상품으로 분류된다.

- 한국산 핸드폰의 인기는 대단하며, 특히 에어컨의 경우 중국산은 혹서기에 작동이

중단되는 사례가 많자 이를 기피하고 한국산 제품을 찾는 추세이다.

ㅇ 또한 현대미포조선, 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등의 조선 업체들도 그리스 선주들로부터

매년 일본, 중국보다 많은 선박 건조 주문 실적(그리스 발주량의 50% 이상을 독식)을

거두고 있다.

라. 유망상품

ㅇ 자동차의 현지진출이 증가함에 따라 자동차부품 및 액세서리류, IT제품, 선박기자재,

보안 용품, 위성안테나제품, 첨단 신제품류 등이 수출 유망 품목으로 등장하고 있다.

마. 유통구조

ㅇ 그리스의 인구는 아테네, 데살로니키, 파트라와 같은 대도시들이 발달한 것에서 볼 수

있듯이 해안선을 끼고 많이 분포되어 있다. 주요 유통 센터들은 수도인 아테네와 북쪽

의 데살로니키에 집중되어 있으나 파트라와 하니아에도 펠레폰네소스 반도와 크레테

섬내 주민들을 겨냥한 많은 유통 센터들이 들어서고 있다.

ㅇ 특히 아테네 (항구 도시 피레우스 포함) 는 그리스 전체 인구의 약 40%가 거주하고

있으며 이들의 대부분은 서비스업, 그리고 일부가 제조업 등 기타 산업에 종사하고

있다. 대형 업체와 주요산업체의 본사가 위치해 있는 곳도 아테네이며 금융 기관들도

대부분 아테네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아테네는 여타 도시 보다 구매력이 높으며

유통 센터들도 이 곳에 집중되어 있다.

ㅇ 데살로니키 역시 그리스에서는 빼놓을 수 없는 유통의 중심지로 자리잡아 가고 있다.

그리스 인구의 약 20%가 이 곳에 거주하고 있으며 발칸반도를 겨냥한 대부분의 중요한

수출업체 및 유통업체들은 이곳에 사무실을 갖고 있기도 하다. 또한 대형 국제 박람회

장이 있어 매년 수많은 경제인들이 방문하는 국제적인 도시이기도 하다.

ㅇ 그리스 유통구조는 대형화, 집중화 되어 가고 있다. 특히 소비재상품의 경우에는 독일의

슈퍼마켓 체인인 Lidl과 Dia, 불란서의 까르푸 등 대형 슈퍼마켓들을 비롯하여 JUMBO

(장난감류), Market Mall (전자제품), Hondos Center (화장품) 등 전문 매장의 시장

지배율이 급속도로 확대되고 있어 소규모 소매상점들은 점점 사라져 가는 추세이다.

1) 에이전트와 유통업체 선정

ㅇ 그리스는 비교적 작은 국가이기는 하나 지리적으로나 문화적으로 우리나라와는 상당한

거리가 있기 때문에 거래 시 현지 독점 수입 또는 유통업체를 선정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 그리스 바이어나 유통 업체들도 거래 시 독점 에이전트 관계를

원하고 있다.

그리스-102

2) 텔레마케팅과 e-쇼핑

ㅇ 1990년 이후 그리스에서는 TV를 통한 Telemarketing 이나 최근 Internet을 통한 e-

쇼핑이 새롭고 효과적인 마케팅 수단으로 잡아 가고 있으며, 시장도 급속도로 확대되고

있다.

ㅇ 그러나 그리스는 인터넷 사용료가 다른 유럽 연합 국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싸고

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신뢰도가 확고하지 못하기 때문에 효과적인 마케팅 방법이

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3) 기타 참고사항

� 시장특성

ㅇ 총인구는 2011년 인구센서스 기준으로 1,100만명으로 시장이 협소하고 폐쇄적이므로

다수 수입상과 거래하기 보다는 한두 명의 유력 바이어를 통한 수출이 오히려 유리한

측면이 있다.

ㅇ 공업수준이 미약하여 공산품의 수입 의존도가 크며, 특히 승용차, 전기전자제품 등 소비

재의 수입 비중이 큰 편이다. 상품유통에 대해 부가가치세(23%) 및 특별소비세 등이

부과 되고, 유통 마진이 높아 시판가격이 높게 형성되어 있다. (보통 소비자가격이

수입가의 3-5배)

ㅇ 그리스의 유통구조는 미분화 상태로서 가족중심의 개인회사로 운영되거나 수입상이

도소매를 겸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아테네 소재 백화점은 6개 정도에 불과하며 전문점

및 일반 소매점이 주류를 이루는 한편, 대형 슈퍼 체인이 중요한 소매점 역할을 하고

있다.

ㅇ 시장이 협소하기 때문에 에이전트의 활용이 매우 중요시되며, 전자제품 등 유명 브랜드

제품의 현지 에이전트 홍보 및 판촉활동 활발하다.

그리스-103

2. 물가정보 (1 EUR€ = 1.29 US$ / 2012년 12월 19일 기준)

구분 항목 가격(EUR)

식품류

쌀 1kg 1,35

계란 12개 2,30

쇠고기 등심 1kg 17,20

돼지고기 등심 1kg 7,30

우유 500ml 0,70

식용류 1L 2,70

생수 1L 0.70

맥주 (하이네켄 330ml, 6팩) 4,70

담배 1갑 (말보로 라이트) 4.00

햄버거 (맥도날드 빅맥) 3,70

김치찌개 1인분 12,00

의료비

의료보험료 (4인가족, 치과제외 Full Cover, 1년) 6.500

병원진료비 (의료보험 X, 몸살감기 내과초진) 50,00

병원진료비 (의료보험 ㅇ, 몸살감기 내과조친) 10.00

차량관련

중형승용차 (1.600cc 신차, 오토, 에어컨포함 기본사양) 18.000(KIA)

무연휘발유 1L 1,65

자동차 등록비 98-1200

자동차보험료 의무 (2000cc신차,운전경력10년,대인/대물커버, 1년) 1,450

교통비

도심 1시간 주차료 12,00

지하철 기본요금 (1구간) 1,40

시내버스 기본요금 1,20

택시 기본요금 3,30

통신

시내전화 요금 (3분) 0,11282

국제전화 요금 (3분, 한국으로 걸 때) 1,14724

휴대전화 요금 (월표준 1분) 0,1694

인터넷 월사용료 (Double Play 기준) 45,00

주택 아파트 월 임차료 (150sm, semi-furnished, 시내, 중상급) 1.300

교육

외국인학교 초등 1년 수업료 (중상급) 10.020

외국인학교 중등 1년 수업료 (중상급) 10.896

외국인학교 고등 1년 수업료 (중상급) 11.994

숙박 특급호텔(5성급) 1박 정상요금 (싱글) 190

중급호텔(3성급) 1박 정상요금 (싱글) 80

임금/노무

대졸 초임 (중상급 대졸, 영어구사, 외국인회사 초임 월급여) 1.000

생산직 초임 (학력무관 월급여 초임) 1,300

매니저급 급여 (인사담당 5년 경력 과장급 월급여) 1.800

주당 법정근무시간 40시간

출산휴가일수 17주

연간 국경일수 13일

주5일 근무 여부 실시

기타 드라이크리닝 (정장 1벌 기준) 12

그리스-104

3. 바이어 발굴

가. 오프라인을 통한 바이어 발굴

불특정 바이어를 대상으로 특정 제품을 홍보하고 적격 바이어를 발굴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기 마련이나, 무역관을 활용한다면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해외마케팅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코트라가 제공하는 대표적인 해외마케팅 지원 사업으로는 지사화 사업, 전시회 참가,

무역사절단(구 시장개척단) 참가, 바이어찾기 등의 해외시장조사, 해외비즈니스 출장지원

등이 있다. 사업 참가 전 각 사업별 본사 담당자 및 마케팅 타깃 지역을 관할하는 무역관에

사전 접촉해서 해당 품목 시장과 참가하고자 하는 사업 전반에 대한 이해도를 높인다면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사업 참여가 가능하다. 각종 사업은 코트라 홈페이지

(www.kotra.or.kr) 우측의 ‘사업참가’ 란에 게시되어 있으며 해당하는 사업명 클릭시 사업에

대한 개요를 확인할 수 있으며 사업 신청도 가능하다.

1) 지사화사업

ㅇ 사업내용

- 아테네 무역관 소속 전담직원이 지사화사업 참가업체의 시장개척을 위해 시장조사,

수출거래선 발굴, 거래성사 지원 등의 활동을 하며 참가기업의 해외지사 같은 역할과

기능을 수행하는 사업

- 2013년도 전 세계 지사화사업 참가 예정업체는 2,000개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며

해가 거듭할 수록 지사화사업에 대한 수출업체의 호응과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

- 수출성약 등을 참가목적으로 하는 지사화사업 이외에도 ‘세일즈랩(Sales Rep) 서비스’

(참가사가 직접 현지인을 채용, 자사 마케팅만 전담), ‘My Office 서비스‘(참가사 직원을

해외 무역관에 파견 근무), ‘주문형 프로젝트’ (투자허가, 공장건설 등 별도지원 서비스)

를 별도 지사화사업 부가서비스 상품으로 시행

ㅇ 지원기간: 1년

ㅇ 참가경비: 지역별로 상이(부가세 포함, 300만원)

□ 아테네 무역관 지사화 참가 안내

ㅇ 참가경비: 부가세 포함 300만원

ㅇ 지원기간: 1년이며, 최대 3년간 연장 가능

ㅇ 그리스지역과의 비즈니스시 필요성

- 아테네무역관은 현재 주 그리스 한국대사관 소속(상무관실)으로 되어 있으며, 보통

바이어들은 무역관이 지원하는 한국업체에 대한 신뢰도가 매우 높음

- 그리스와의 시차(7시간, 썸머타임 적용시 6시간)가 있기 때문에 한국에서 바이어를

접촉하는 시간적 제약을 해결할 수 있음

- 한국과 원거리 지역으로서 해외출장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무역관을 지사로 활용하는

것이 시간 및 경비 측면에서 유리

- 그리스 바이어는 대부분 그리스 시장 뿐 아니라 발칸반도 내 다른 국가에서도

비즈니스를 하기 때문에 무역관이 없는 발칸지역 시장을 개척하는 데에도 용이함

ㅇ 지사화 성공사례

- 자동차부품, 정미기(색채선별기), 태양광 패널, 모듈, 컨버터, 의료용품 등 업체들이

많은 성과를 거두고 있음

그리스-105

2) 해외전시회 참가

ㅇ 사업내용

- 해외에서 개최되는 전시회에 KOTRA와 유관단체가 공동으로 한국관을 구성하여

수출업체들의 전시회 참가를 지원하는 사업

- 지원내용: 임차료, 장치비, 운송비 등 직접소요경비 50% 내에서 국고지원(항공, 숙식비

는 업체부담), 장치디자인 시공 및 바이어 상담주선, 사후관리 및 호텔예약 등 기타

행정서비스

ㅇ 2012년도 주요 전시회

- 아테네무역관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함 (www.kotra.or.kr/athens)

- 전시정보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함 (www.gep.or.kr)

3) 무역사절단 참가

ㅇ 사업내용

- KOTRA 본사에서 지방자치단체나 유관기관과 협력하여 해외시장진출을 희망하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해외사절단을 구성하여 파견하고, 무역관에서 현지 바이어와

수출상담, 현지 유통망 발굴, 현지 투자진출 방안 모색 등을 지원함으로써 국내업체의

해외시장개척 활동을 지원하는 사업

ㅇ 파견국가: 2~3개국 순회 상담

ㅇ 참가업체수: 통상 10개사 내외

4) 해외시장조사

ㅇ 사업내용

- 업체로부터 조사의뢰를 받아 전 세계 해외무역관 네트워크를 활용해 관심바이어 발굴,

원부자재 공급선, 맞춤형 시장조사 등 현지 시장동향을 조사해 주는 유료 서비스

ㅇ 서비스 구분 및 수수료

- 바이어 찾기(본사의 수출전문위원이 마케팅지원)

- 원부자재 공급선 조사

- 맞춤형 시장조사

- 바이어 연락처 확인

ㅇ 조사기간: 입금 완료 후 약 3주 (조사내용의 난이도 및 무역관 업무 과부하 여부에

따라 연장 가능)

5) 해외비지니스 출장지원 서비스

ㅇ 사업내용

- 해외비즈니스 출장 시 해외 무역관에서 바이어 상담주선, 호텔예약, 통역원 알선 을

지원하는 서비스로 무역관의 마케팅 전문요원이 비즈니스와 관련된 각종 출장업무를 지원

그리스-106

ㅇ 서비스별 세부 지원내용

- 해외세일즈 출장지원: 바이어 상담주선, 일정주선, 출장안내자료 및 상담장 지원, 현지

체제 시 애로사항 지원

- 해외투자환경 지원 출장지원: 관할지역 투자환경 브리핑, 현지 한국 투자업체나 투자

유관기관 등 상담주선, 일정주선, 관할지역 투자환경 개황 및 투자관련 참고자료 제공

- 그룹비즈니스 출장지원: 바이어 상담주선, 일정주선, 출장안내자료 및 상담장 지원, 현지

체제 시 애로사항 지원

ㅇ 수수료: 무역관 별 차등 책정 (300,000원 ~ 580,000원)

- 그룹비즈니스 출장지원의 경우 기본수수료 외 실비를 추가 부담할 수 있음

ㅇ 접촉부서: 본사 지방협력팀 (02-3460-7738)

6) 기타방법

ㅇ 바이어 발굴은 현지 바이어 디렉토리(ICAP 발간, www.icap.com), 상공회의소(아테네

상의, 데살로니키 상의, 피레우스 상의 등)나 그리스 제조인 연합회 (GFI) 회원명부

등에 나타난 바이어들에게 C/L 발송을 통해 바이어를 발굴한다. (ICAP 발간 디렉토리

는 본사 자료실에 비치되어 있음)

ㅇ Helexpo 전시회(아테네 및 데살로니키), Expoathens전시장 등 전시회에 직접 참가 하

거나, 참가 업체들을 통해 바이어를 발굴한다. (아테네 무역관 홈페이지 전시정보 참조)

- Helexpo S.A. 전시회: www.helexpo.gr

- EXPOATHESNS 전시장: www.expoathens.gr

ㅇ 현지매체(신문이나 관련 잡지, 텔레마케팅 등) 광고를 통해 바이어를 발굴한다.

ㅇ 현지 행사 참가를 통한 바이어 발굴

나. 온라인을 통한 바이어 발굴

ㅇ KOTRA 의 전자무역. 수출마켓 플레이스를 접속하여 발굴

- www.buykorea.or.kr

ㅇ 그리스 전화부 사이트

- http://www.xo.gr/default.aspx?pid=40&la=2&si=1

ㅇ 그리스 포탈 사이트

- www.in.gr

ㅇ 아테네 상공회의소

- www.acci.gr

ㅇ 데살로니키 상공회의소

- www.ebeth.gr

그리스-107

ㅇ 피레우스 상공회의소

- www.pcci.gr

ㅇ 그리스 제조인 연합회 (GFI)

- www.sev.org.gr

그리스-108

4. 상관습 및 거래시 유의사항 � 상관습

ㅇ 시장 규모는 협소한 반면, 수입상이 많아 경쟁이 치열하며 대량 수입 보다 소령규먀

선호 한다. 수입상인 경우에는 즉석에서 구매를 결정하지 않고 자기의 판매고객과 상담

후 수입 여부를 결정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견본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다.

ㅇ 수세기에 걸친 터키의 지배로 중동의 영향을 받아 서구적 합리성이 다소 미흡하며,

거래 성사 여부는 품질, 가격조건 외에 인간관계가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ㅇ 그리스 바이어들은 개인적인 관계를 중시하여 거래선 변경을 쉽게 하지 않는 보수적인

경향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일단 거래가 성사되고 어느 정도 신뢰가 형성되면 지속

적인 거래가 가능하다.

ㅇ 그러나 최근 그리스 사회에도 많은 변화가 감지된다. 즉 치열한 시장 경쟁에서 살아

남기 위해 가격이 싸거나 비교해서 괜찮을 경우 거래선을 기꺼이 바꾸려는 경향도 많아

지고 있다.

ㅇ 특히, 이들은 물건에 하자가 있을 경우, 무역 클레임은 각오해야 하며, 손해보기를 절대

싫어한다.

ㅇ 매년 하계 휴가가 집중되는 6월 말~9월 초에 대부분의 기업들이 1개월 단위로 집단

휴가를 실시하고 공공기관도 같은 실정이어서 동기간 중 비즈니스 진행이 불가능하다.

또한 부활절 연휴도 약 2주에 달하여 업무 공백으로 비즈니스 진행이 여의치 않다.

� 상담 시 유의사항

ㅇ 수입상과의 처음 약속 시 문서로 알린 후 전화를 걸어 약속하는 것이 좋으며,

일반적으로 약속관념이 부족하여 약속시간보다 20~30분 늦는 경우가 보통이다.

초대면의 경우 성급한 상담보다 개인신상에 관한 가벼운 화제로 시작한다.

ㅇ 가격 협상 시 즉석에서 너무 쉽게 가격을 수락하는 것은 피하는 것이 좋으며, 즉석

가격 수락은 가격 재인하 요청 등 계약 결렬의 빌미가 될 수 있다. 실제 구입물량보다

훨씬 많은 물량을 구매 하겠다는 경향이 많고, 상담 시 그리스 내 독점 에이전트를

요구하는 경우가 많다.

- 가격 협상에 있어 그리스 바이어들이 많이 사용하는 수법으로는 1) 대량구매를 할

것같이 구매수량을 제시하고 대량구매에 따른 단가 인하를 요구 → 어느 정도 시일이

지난 후 시장상황이 나빠져서 당초의 구매수량을 구입할 수 없게 되었다. 그러나 당초

제시한 단가를 적용해 주면 상황이 좋아지면 추가로 주문을 하겠다 → 다음에는 이

단가(대량구매 적용단가) 마저도 더 깎아달라고 요구하는 등 장기간에 걸쳐 집요하게

가격인하를 시도한다.

- 중국산보다 우리 제품의 품질이 좋다는 것을 뻔히 알면서도 중국제품 가격을 제시하며

이 정도로 깎아주지 않으면 시장에서 먹히지 않는다는 논리로 협상을 시도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담 초기에 바이어가 중국제품을 취급한 경험이 있는지, 현재도 중국 제품을

취급하고 있는지 아니면 거래가 끊겼는지 등을 미리 파악한 후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중국과 거래경험이 있는 바이어들은 품질이나 A/S 등의 문제로

그리스-109

골치를 먹었던 경험이 있기 때문에 한국으로 거래선을 전환하려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니, 무리하게 가격인하는 요구하면 단호하게 대응할 필요가 있다.

ㅇ 우리 나라 업체들이 바이어와 상담에 있어 가장 많이 결렬되는 부분은 발주물량이다.

그 동안 그리스는 인접국에서 소량 신용결재 방식으로 수시로 주문하는 것이 관행인데,

한국업체들은 이를 간과하고 최소 주문량을 과다하게 고집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한국

업체 입장에서야 수량 주문이라 할지라도 같은 노력이 들기 때문에 가급적 컨테이너

단위로 구매를 해주기를 바라나, 그리스 시장특성(시장 협소에 따른 소량 주문)과

관행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시장반응이 검증되지 않는 제품을 처음부터 많은 물량을

주문하는 것에 따르는 위험부담을 느끼는 그리스 바이어의 입장을 고려해야 한다. 자기

제품에 대한 시장조사를 해본다는 생각으로 이들의 요구조건을 가능한 들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ㅇ 계약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계약체결 이후에도 상황 변동에 따라 계약불이행 또는 대금

미지급 사례가 종종 발생하는 바, L/C 대금 추심 후 생산에 임하는 것이 좋으며,

견본품을 요구할 때도 가급적 샘플대금을 받는 것이 좋다.

ㅇ 선물로 인한 거래성사는 기대할 수 없으므로 부담 없는 선물이 좋다. 그리스 수입상

들은 일반적으로 선물보다도 저녁만찬 초대를 중요시한다.

그리스-110

5. 무역, 투자진출시 애로사항 가. 일반 현황

그리스는 한국과의 낮은 지리적 접근성, 행정관청의 비효율성 등을 이유로 기업설립 시

소요되는 비용이 많아 현재 우리나라 투자진출업체는 LG 전자, 삼성 전자 현지법인

2 개사에 불과하다. 산업구조상 2 차산업이 발달하지 않아 제조업 기반이 취약하여 대부분의

공산품 소비는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주요 수입 대상국은 이탈리아, 독일, 오스트리아

등으로 인근 유럽국가와의 교역이 일반화 되어 있다. 한국 및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

국가들과의 교역량도 눈에 띄게 증가 하고 있는 추세이나 현지 비즈니스 관행과 대관청

업무 등에 익숙지 않아 초기에는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된다.

그리스 업체들은 일반적으로 다품종 소량 구매를 선호하며 적기 납품을 지향해 원거리에

위치한 한국업체들의 경쟁력이 유럽에 소재한 업체들에 비해 떨어진다. 이에 따라 현지에

지점을 두고 시장을 관리하거나 현지 에이전트를 활용하지 않으면 거래 성사나 A/S 에

있어 애로를 겪게 된다. 노동자 위주의 법체계나 관행, 급여 이외에 부담하는 법정

인센티브 등으로 인해 진출기업이나 지상사들은 종업원 관리에 많은 비용을 부담하고 있다.

그리스 기업인들도 전통적으로 신용이나 안면을 중시하고, 서류보다는 구두에 의한 방법이

많았으나 최근에는 이러한 관행이 많이 바뀌고 있다. 따라서 상대방과의 거래 관련한 모든

내용들을 서류로 보관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상대방의 말만 믿고 하는 거래를 경계해서

문제 발생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 할 필요가 있다.

대 그리스 프로젝트 진출 기회는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나 정치적 혹은 예산상의 문제로

입찰조건이 외국업체에게 불리하거나 프로젝트 자체가 지연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최근

그리스 재정위기 악화 및 이에 따른 정부의 긴축재정정책으로 인해 국제 입찰 예정이었던

대형 프로젝트들이 무기한 연기되거나 취소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바이어들은 시장상황이 악화되면 고의적으로 클레임을 제기하기도 하며, 외상으로 물건을

선적했을 경우에는 여러가지 이유를 대며 가격할인을 시도하고 대금지급을 미루거나

회피하기 때문에 회수에 대한 확실한 대비책을 마련한 후 선적 해야 한다.

2006 년 개정된 그리스 기업법에 의하면 현지 진출 지상사들은 최소 4 명의 현지인을

의무적으로 고용해야 한다. 그리고 연락사무소 기능에 그치는 업무를 하더라도 (영업

이익이 없는 경우라도) 인건비나 운영경비 등을 소득으로 남은 운영비를 소득으로 간주하여

일정 비율의(25%-45%) 법인세를 부과하고 있다.

2013 년부터는 최대 45%인 법인세를 35%로 감소하여 모든 법인세, 자영업세를 통일하는

방법을 검토하고 있다.

나. 분쟁해결 절차

법적 조치보다는 당사자간의 합의적 해결이 가장 좋은 방안이므로 수입상과의 꾸준한

통화와 면담 등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이 중요하다. 당사자간 문제가 소송으로

비화될 경우에는 외국인인 우리 기업의 패소 가능성이 커 합의에 의한 해결이 바람직하다.

그리스-111

ㅇ 중재 조항

- 수출계약서상 분쟁 발생 시 중재조항(대한상사 중재원 중재, 아테네 상공회의소(그리스

등)이 삽입되어 있는 경우, 해당 중재기관에 분쟁해결을 의뢰한다.

- 대한상사중재원

ᆞ 전화 : 02-551-2000, 홈페이지 : http://www.kcab.or.kr/jsp/kcab_kor/index.jsp

- 아테네 상공회의소(Athens Chamber of Commerce), Dept of Arbitration

ᆞ 전화 : +30)210-362-4341 (Ext. 310,311) 홈페이지 : www.acci.gr

ㅇ Financial and Economic Crime Unit (FECU) 접촉

- 수입상의 고의 등 범죄적인 행태가 있을 경우에는 현지 관련 기관을 접촉하여 압력을

요청한다.

ᆞ 전화 : +30)210-3375-276, +30)210-3427-367, +30)210-3424-390

ᆞ 주소: 207 Piraeus Str. & 92 Alkifronos str., Athens, Greece

ㅇ 소제기: 변호사를 선임하여 해당 건을 현지법원에 소를 제기한다.

다. 관련 분야 변호사 및 법률사무소

ㅇ 상사 전문 변호사: Mr. Korakas Anastasios

- 전화 : +30)210-383-7528, +30)210-382-1649

- 주소 : 5, Mavrokordatou str., GR-10678 Athens, Greece

- 이메일 : [email protected]

ㅇ 상사 전문 변호사: Mr. Dimitrios Spiropoulos

- 전화 : +30)210-3638-885, +30)210-3644-211, +30)210-3609-001

- 팩스 : +30)210-3609-110

- 주소 : 41 Asklipiou str. (3rd Floor), GR-106 80 Athens, Greece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홈페이지: www.ks-law.gr

ㅇ 지사 설립, 법률.회계사무소: Scorinis Law Offices

- 담당변호사 : Maria G. Botsi (Mob:30-693-725-8500)

- 전화 : +30)210-418-1818, +30)210-452-5849

- 팩스 : 30-210-418-1822

- 주소 : 67 Iroon Polytechniou Ave., GR-18536 Piraeus, Greece

- 이메일 : [email protected]

그리스-112

6. 진출 성공, 실패 사례 가. 실패 사례: 신용장 거래에서 개설은행의 대금 미지급에 따른 분쟁

1) 분쟁사례

국내 업체가 신용장거래 조건으로 선적한 후 화환어음을 국내 은행에 매입시켜 대금을

선지급 받았으며 수입상은 선적서류를 인수한 후 신용장 개설 은행에 대금을 입금해

놓았으나 이후 수입상이 인도된 상품에 주요한 하자가 발견됐다며 현지 법원에 개설 은행을

상대로 대금 지급 정지 가처분 신청을 해 대금지급이 정지된 사례이다.

수입대금이 신용장 개설은행에 입금되긴 했으나 Usance 만기가 도래하지 않아 매입은행에

송금되기 전인 3~7 일 동안 개설은행에 잠겨있는 공백기간을 이용해 수입상이 현지 법원의

힘을 빌어 대금송금을 일단 막아버린 것이다. 수입상은 그리스 법원에 향후 제기하는 본

소송의 최종 판결이 날 때까지 신용장 개설은행의 대금 송금을 일시 정지시키는 가처분

조치를 청구했으며 법원은 이를 받아들여 신용장 개설은행에 대금지급 정지 가처분 명령을

내렸고 이와 함께 수입상은 법원에 인도 상품의 하자와 관련 수출상에 하자품의 회수나

대체 손해 배상 등의 조치를 구체적으로 요청하는 화해 재판을 청구하였으며 이에 따라

그리스 법원은 심리날짜를 정해 수출상에 대해 그리스 법정 출두를 명령하였다.

2) 쟁점

국내 수출상은 “선적서류에 이상이 없었고 또 수입업체가 선적서류를 인수해 신용장 개설

은행이 매입은행에 대금지급 확약서를 보낸 이상 신용장통일규칙(UCP)에 따라 선적 상품의

하자 여부와 관계없이 일단 수입대금이 국내 매입은행에 송금돼야 당연하고, 실제 하자

여부에 대한 판단과 보상 등은 당사자간 합의를 통해 별도로 해결해야 함이 마땅하다.”고

개설은행에 주장하였으나, 신용장 개설은행은 “수입상이 제기한 본 소송의 결과가 나오기

전에는 현지 법원의 대금 지급 정지 가처분 명령대로 대금을 송금할 수 없다.”는 회신을

되풀이 하였다.

3) 경과

국내 수출상은 각각 다른 바이어 2 명으로부터 동일한 유형의 지급정지가 발생함(동일한

에이전트를 통해 2 개 바이어에게 수출한 관계로)에 따라 현지변호사를 선임해 그리스

수입상이 제기한 본 소송에 대응했으며 심리가 있은 후 6 개월이 지나 그리스 법원의

판정이 내려졌는데 2 건의 재판 결과가 상이하게 나왔다.

두 수입상이 선적상품 하자를 이유로 제기한 신용장 개설은행에 대한 대금지급 정지 가처분

청구가 이유 있다고 일단 받아들였던 그리스 법원은 본 소송에서 A 바이어가 제기한 소송의

경우는 원고인 수입상이 피고인 수출상에게 청구한 내용이 부당하다며 원고 패소 판결을

내렸고 피고인 국내 수출상 측 변호사가 이를 근거로 신용장 개설은행에 즉시 대금지급 요

청을 해 수출대금을 회수했다. 반면 B 바이어가 제기한 소송의 경우는 원고의 청구내용이

받아들여져 제품의 하자 정도가 최종 확인될 때까지 대금지불을 계속 정지시킨다는 판결을

내려 수출대금은 계속해 신용장 개설 은행에 억류 상태에 놓이게 되었다. 이후 피고인 수출

상은 결국 수입상인 B 사가 청구한 원단 하자로 인한 피해액과 소송비용을 포함 총 미화

1 만 5,000 달러(수출대금 미화 5 만 달러)의 금액을 보상키로 합의해 분쟁이 종료되었다.

그리스-113

4) 시사점

수입상으로부터 클레임을 제기받고 또 신용장 개설은행에 대해 현지 법원이 내린 대금지급

정지 가처분 사실을 확인하고 수출상이 내세웠던 신용장 통일규칙은 본 소송에서 그리스

법원이 판결을 내리는 결정적 준거가 되지 못했다. 왜냐하면 현지법원이 수입상의 대금지급

정지 가처분 신청을 법원이 받아들인 논리는 Usance 신용장의 대금지급 기한 만료 전에

수입상은 신용장 개설은행에 수입대금을 입금시켰기 때문에 대금이 아직 국내은행에

송금되지 않았다 하더라도 소유권은 이미 수출상에 이전된 것으로 봐야 하며 이로써

수입상과 신용장 개설은행은 신용장 통일규칙에서의 의무를 일단 준수했다는 것이다.

다만 인도상품에 명백한 하자가 발견됐음에도 불구하고 신용장 거래규칙에 의해 대금지급

기한 만기시 신용장 개설은행으로부터 매입은행으로의 자동 송금이 예상되기 때문에 제품

하자의 정도와 피해액 등이 본 소송을 통해 확인될 때까지 수입대금지급을 정지시켜 달라는

수입상의 청구는 계약법 상 타당하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품하자 정도와 보상과

관련 수입상 A 바이어와 C 바이어의 본 소송 청구에 대해 법원의 판결이 상이하게 나온

이유는 두 수입상이 각기 다른 변호사를 활용해 수출상을 대상으로 청구한 내용이 서로

달랐기 때문이다.

패소판정을 받은 수입상 A 바이어의 경우 원고의 신청이 받아들여지지 않았던 사유는

원고가 제품 하자를 이유로 계약 전체 파기를 요구하는 등 부당한 내용이 있었고 원고측

변호사의 법리 적용에 기술적 문제(technicalities)가 있었으며 이에 대해 피고측 변호사가

적절히 대응 했기 때문이다. 반면 수입상 B 사의 경우는 원고는 선적 전부터 피고인

수출상에 대해 샘플에서 나타난 것과 같은 하자가 분명 없어야 한다는 점을 계속 강조

했으며 이에 대해 피고인 수출상도 이를 보증했고, 하자 발생 통지 이후에도 수출상이

하자에 대한 인정과 이에 대한 보상을 약속했기 때문에 대금 지급 자체를 거부하는 것이

아니라 제품의 하자 정도에 대한 확실한 판정이 날 때까지 이를 정지시켜달라는 청구였기

때문이다.

나. 분쟁 사례: 식품통관 불합격 시 반품관련 계약조항 미비로 인한 분쟁

한국 내 식품 수입업체가 그리스로부터 식품원자재 수입을 위해 선금(물품대금의 1/2)과

한국까지의 운송료를 부담하고 물건을 받았으나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청(KFDA) 검사를

통과하지 못하여 반품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였다.

그러나 그리스 수출업체는 자기들의 잘못(한국에서 허용되지 않는 보존료 첨가)임에도

불구하고 반송료를 한국 측이 부담해달라며 선급금 반환을 지연시키고 있다. 한국 측에서는

수입운송료, KFDA검사료, 공급처 적기납품 물가에 따른 손해, 선급금 은행 이자 등과 같이

이번 거래와 관련한 손해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기 송금한 선급금만 돌려 달라고

요구하였으나 그리스 업체는 막무가내로 애를 먹이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우선 불합격의 경우 수출자 부담으로 전량 반송 또는

폐기 처분한다는 수입계약조건을 명확히 해야 하며, 대금반환 교섭에 있어서도 처음부터

선급금만 돌려달라는 방식이 아니라, 해당 거래와 관련해서 입고 있는 손해액을 모두

청구한 후 교섭을 시작하여 일부 양보하는 조건으로 선급금만을 돌려달라는 방식으로 해야

한다.

그리스 상인들은 유태인 상인이나 중국상인들도 혀를 내두를 정도로 금전적 문제에

있어서는 민감하고 집요한 면이 있다. 물건이나 돈이 일단 자기 손에 들어오면 이를 미끼로

가격 추가할인, 대금지연 등의 비상식적인 행동도 서슴지 않는다. 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는 계약조항의 철저한 준비와 함께 분쟁해결 교섭에 있어서도 조금이라도 허점을

보이지 말고 강력히 나가야 할 것이다.

그리스-114

다. 성공사례: 지사화 사업

시장 개척을 위해 지사화 사업을 가입하는 것은 거의 필수라고 생각하면서도, 시장 개척

이후 (1~2명의 에이젼트나 거래선 발굴 이후) 시장 확대를 목표로 지사화 사업 갱신 및

추가 갱신을 필수로 여기는 한국 업체들은 사실 많지 않다. 확보된 현지 에이젼트를 통해

거래를 확대해 가면 된다는 생각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일 것이다. 이런 이유

때문에 상당수 업체들의 지사화 사업 참가가 일회성으로 끝나고 있다.

자동차 부품 업체인 G 사는 지사화 사업을 2년 차 진행하고 있는 업체이다. 이미 주요

경쟁사들이 After Market 시장의 주요 바이어들을 차지하고 있는 상황에서 후발 주자로

참가한 업체였다. 그리고 지사화 사업 참가 후 일부 바이어들을 발굴했다는 점에서 지사화

사업 갱신을 요청했을 때 반응은 약간 부정적이었다.

그러나 무역관 직원이 바이어 방문 또는 전화 통화 시 들었던 바에 의하면 해당 회사에

대한 평가가 시장에서 그다지 호의적인 것은 아니었다. 바이어들은 동사 부품 가격이

경쟁사들에 비해 비싼 점, 수출과 서비스 지원이 경쟁사들에 떨어진다는 등의 불평을

가지고 있었다. 시장에서 평가는 지사업체의 경쟁사들인 P사, C사, K 사 등이 더 나은

상황이었다. 후발주자로서 시장 개척과 확대를 위해서는 무엇인가 장점이 어필되어야

하는데 그것이 쉽지 않았던 것이다. 한 두 번 거래를 했던 업체들은 이상하게도 더 이상 G

사와 거래를 하고 싶어하지 않았다.

작년 G 사 마케팅 책임자의 첫 출장 시 함께 방문했던 바이어들은 한결같이 G 사의 부품

가격이 비싸다는 점을 언급했다. 그러나 G 사는 정책을 크게 바꾸지 않았다. 그나마 무역관

소개로 G 사와 거래를 꽤 큰 규모로 하던 한 바이어도 수지 타산이 맞지 않다면서

거래선을 변경해 버렸다. 무역관은 그 바이어가 다시 G사와 거래를 시작할 수 있도록

설득해야 했다. 다행히 무역관을 신뢰하던 바이어가 (기존에 한국 거래업체에게 10만 달러

이상을 주문했다가 사기를 당한 적이 있던 바이어였음) 거래 안정성을 위해 G 사와 거래를

다시 시작하게 되었다. 경쟁사들은 가격 경쟁에서 살아남고자 낮추고 있었는데 G 사는

본인들은 아무 문제가 없다며 다른 업체들이 자기들보다 낮은 가격을 제공할 리 없다는

생각에 사로잡혀 기존 정책을 고수했기 때문에 빚어진 결과였다. 그러나 상기 바이어와

거래관계를 회복 시킨 탓에 무역관의 지사화 사업 갱신 요청은 결국 수용되었다.

인터넷을 통해서도 얼마든지 해당 국가의 바이어들을 찾을 수 있는 시대가 되었다. 그러나

바이어들이 무역관에 한국 업체 소개 문의를 요청하는 이유는 생면부지의 한국 업체와

거래했다가 피해를 입었거나, 미리 그런 위험 가능성을 피하고 신뢰할 수 있는 수출 업체를

찾기 위해서이기 때문일 것이다. 때마침 다른 바이어가 필터 수출 업체를 찾아달라는

요청과 이곳 기아 자동차에서 근무하다 새로 자동차 부품 사업에 뛰어든 사람에게서 연락이

왔다. 특히 무역관에서는 후자와의 전화 통화를 통해 해당 바이어가 이미 그리스 A/S

시장에서 호평을 받고 있는 한국 수출 업체들과 연락을 주고 받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지사 업체에 이 사실을 통보하고, 최선의 offer를 제시하도록 요청하였다.

G 사는 이 바이어를 붙잡기 위해 출장을 결정했고, 동 바이어에게 베스트의 offer를 제시,

결국 6만 달러 가량의 수출을 할 수 있게 되었다. 동 바이어는 얼마 후 추가 주문을 했다.

업체 정책상 독점 에이젼트에게만 제품을 공급하는 것이 아니고, 여러 바이어들에게 제품을

수출해야 하고 시장 확대를 목표로 하는 경우라면 정보력이 뛰어나고 시장 상황에 대해

긴밀한 체크를 할 수 있는 해외 무역관 지사화 사업을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하겠다.

그리스-115

라. 성공 사례 : 지사화 사업

D 사는 보일러 전문 제조업체로 러시아와 중앙아시아 국가에 가스 보일러를 수출하고 있던

업체였다. 90년대 후반에 그리스 데살로니끼 지역에 가스보일러를 소규모 수출한 경험이

있었으나 지속적인 관계로 발전하지 못했다.

아테네 무역관은 지사화 업체 발굴 노력의 일환으로 그리스 시장 진출 가능성이 높은

제품의 발굴을 위해 노력하고 있던 중, 그리스 정부가 에너지 비용 절감 대책으로 구형

아파트들의 중앙난방 보일러 교체 지원책을 발표 내용을 접하게 되었다. 신축 아파트들의

경우 난방비 절약을 위해 기름 보일러가 아닌 가스 보일러가 주로 설치되고 있던

상황이었고, 비용 절감을 위해 천연가스를 활용한 가스보일러의 수요가 증가할 것이라는

예상 가운데 그리스 관련 제품의 수입 통계 자료를 확인하였다. 예상대로 최근 2년간 가스

보일러들의 수입이 큰 폭으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었다.

이 같은 시장 상황에 고무되어, 한국의 유명 보일러 제조업체들의 발굴 노력을 기울이게

되었다. 그러나 K 사, G 사 등은 이미 그리스 시장에 진출하여 활발히 시장 개척을

진행하고 있는 상황이어서 국내 제조업체 가운데 경쟁력이 높은 타 업체를 발굴해야 했다.

D 사에 그리스 시장 상황에 대해 설명하고, 지사화 사업 참가를 요청했을 때 즉각적으로

긍정적인 답변을 보내왔다. 동 사의 해외영업 팀장님은 지사화 사업 가입 직후 그리스 지역

출장을 계획하고 바이어 상담 주선을 요청하였다. 상담 스케쥴 작성을 위하여 그리스

바이어들을 접촉하였을 때 보일러를 취급하는 대형 바이어들이 관심을 보였다. 이틀 동안

8개사의 상담이 진행되었고, 모든 바이어들이 대우 가스 보일러에 큰 관심을 보였고,

2개사는 독점 대리권을 요구하고, 주문을 하겠다고 약속하였다. 바이어인 A 사와 최종적인

협상이 진행되어 샘플 오다가 이뤄진 후 9월 약 4만 6,000달러 가량의 첫 선적이 이뤄지게

되었다.

D 사는 우수한 품질의 제품을 생산하는 업체였고, 다년간의 수출 경험에서 비롯된

노하우인지 기계 제품 수출 이후 무엇이 필요한지 잘 알고 있었던 업체였다. 즉 바이어와

그 직원들에게 보일러 설치 및 사용법에 대해 교육을 실시하고자 그리스에 교육 출장을

다시 한 번 다녀갔다. 바이어는 D사의 제품은 물론, 서비스 지원에 대해 큰 만족을

표시하였고, 고객들의 평가도 좋았다고 말하면서 곧 추가 오더를 진행하겠다고 약속하였다.

한국 업체 D사의 성공 요인은 코트라 아테네 무역관의 그리스 정부 정책 및 경제 동향에

대한 면밀한 관찰과 그에 따른 시장 상황 및 수요에 대한 예측, 적기 대응이 맞아 떨어졌고,

지사업체의 출장 상담과 바이어 기술 교육 등을 통한 바이어와의 신뢰 관계 구축.

경쟁력있는 가격과 우수한 품질 보유에 따른 바이어들의 적극적인 관심 유도가 가능했기

때문이다. 아울러 가스 보일러에 대한 시장 수요 발생에 따른 바이어의 관심이 크게 증가

했던 점도 D사의 수출 성약에 기여했다.

그리스-116

7. 이주정착 가이드

가. 도착 전 준비사항

□ 사증

그리스와는 사증면제 협정이 체결되어 있어 관광을 갈 경우 비자 없이 입국하여 3개월간

체류가 가능하다. 3개월 기간산정은 Schengen 조약 당사국 체류기간+그리스 체류기간을

의미하며, Schengen 조약 당사국은 벨기에, 독일, 오스트리아, 프랑스, 스페인, 이탈리아,

룩셈부르크, 네덜란드, 포르투갈, 덴마크, 핀란드, 그리스, 아이슬란드, 노르웨이,

스웨덴(영국 아일랜드 스위스 3개국은 조약 체결국이 아님) 등으로서, 조약 당사국에서

입국하거나 경유하여 입국할 경우에는 입국 카드 없이 입국 심사인만 날인한다.

그리스에 취업할 경우 취업비자를 주한 그리스대사관에서 발급 받아 입국해야 한다. 입국

후에 노동허가를 신청하여 노동허가(Work Permit)를 받아야 하나, 허가 기준이 까다로워

취득이 어려운 실정이다.

□ 건강 진단

입국 시 건강진단서, 전염병 예방접종 증명서 등은 요구되지 않지만, 장기 체류를 위해

비자를 신청 할 경우 그리스 국립병원으로부터 받은 건강진단서가 요구되며 사립 및 개인

병원 건강 진단서는 해당되지 않는다. 기본 건강진단서의 경우 기본적으로 폐 엑스레이를

찍어 내과의사에게 확인하여 진찰을 받는 것으로 간단한 검사이나 그리스 국립병원 이용 시

예약을 하여도 약 1달 이후의 날짜가 지급되므로 미리 가까운 국립병원에 전화하여 예약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기후 및 의복

기후는 4계절 지중해성 기후로 여름은 고온 건조하며, 겨울은 우기임. 겨울에 0도 이하로

기온이 떨어지는 날이 많지는 않지만 습하고 바람이 강하여 실제 체감온도는 영하로

느껴진다. 봄(5월), 가을(10월)은 한국 기후와 유사하나 기간이 매우 짧으며 춥고 더운

날씨가 반복되어 감기에 걸리기 쉽다. 특히, 봄, 가을 계절을 중심으로 그리스 독감이

유행을 하므로 항상 조심해야 한다. 의복은 일반적인 의류의 경우에도 한국보다 가격이

비싼 편이며, 국적이 다양한 수입품이 많다. 특히 신사복 정장 등은 가급적 한국에서

계절별로 모두 준비해 오는 것이 좋다.

□ 애완동물 동반

해외 이주에 있어 키우던 애완동물을 동반할 것인가, 데리고 갈 경우 입국에 어려움은

없는가, 그리고 집에서 동물을 키울 때 그 나라 이웃(특히 아파트)이 이것에 대해서 민원을

제기하지 않을까 등과 같은 걱정이 많게 된다. 우선 체류하고자 하는 나라마다 동물에 대한

인식이나 제도 등이 상이할 것이므로 그곳에 살고 있는 지인을 통해서 상황을 파악하는

것이 우선이다.

일단 애완동물을 집에서 키우는 것에 큰 문제가 없다고 판단되면 출국 전에 준비할 사항이

무엇인지 파악해야 하는데, 일차로 접촉하는 곳이 한국에 있는 해당국가 대사관이 될

것이다. 그러나 대사관에서도 애완견에 대한 규정이나 절차 등을 아는 경우가 적으므로

티켓팅을 의뢰한 여행사를 통해 알아보는 방법이 가장 좋다.

그리스-117

여행사에서는 탑승할 항공사를 접촉해서 애완견의 기내반입 요구 조건을 알아봐 줄 수

있는데, 광견병 예방접종 증명서, 광견병 항체형성 증명서, 건강진단서, 동물의 사이즈와

무게, 동물 종류(개의 경우 말티즈인지, 세퍼트인지 등), 동물 전자인식표(electronic

identification microchip) 장착 증명서 등을 요구한다. 이와 같은 증명서는 가까운 동물

병원에 가면 발급받을 수 있다.

특히 주의할 사항은 광견병 항체형성 여부를 증명하는 서류 인데, 그 동안 이 예방접종을

받지 않았을 경우에는 주사를 맞고 난 후, 1개월 이후에 피를 빼서 이를 다른 기관

(국제적으로 판정 가능한 기관)에 보내서 증명서를 받는다. 이 기간도 약 1개월 정도

걸린다. 즉, 출국 전 2개월 전에 예방접종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서둘러서 이것부터 챙겨야

한다.

공항검역소에서 다시 건강진단서에 대한 확인서를 받아야 하므로 평상시보다 1~2시간 일찍

도착하는 것이 좋다. 애완동물과 용기무게를 합쳐 5kg 이하이면 기내 탑승이 가능하며, 그

이상이면 전용 수하물칸으로 탑승시켜야 한다. 기내탑승의 경우 용기크기는 가로+세로+

높이를 합쳐 115cm이하여야 하며(높이는 20~22cm), 수하물칸 탑승의 경우에는 가로+세로

+높이 총 합계가 246cm 이하(높이는 86~88cm)여야 한다.

애완동물에 대한 요금은 승객의 수하물 소지여부에 관계없이 각 구간별로 정해진 초과

수하물 요금을 별도로 지불해야 한다. 미주구간의 경우 구간별로 정해져 있는 초과수하물

1개에 대한 요금의 2배, 미주와 구간은 애완동물과 운반용기의 총 무게에 대한 초과수하물

요금을 별도의 카운터에서 내야 한다.

기내반입 애완동물은 환승 시에 승객이 데리고 이동해야 하며, 수하물 칸 탑승 애완동물은

자동적으로 환적이 되므로 신경을 쓰지 않아도 된다. 도착지 공항에서는 준비해온 증명서를

검역당국에 제출하고 동물을 찾아서 입국을 하면 된다. 대부분 그리스인들은 애완동물을

좋아하는 편이며 가족처럼 여기지만, 애완동물을 기르게 될 경우 주위 이웃들에게 양해를

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이사화물

화물은 아테네 인근 피레우스 항에서 통관하며 현지 통관의 경우 이삿짐 운송업체의 바가지

요금청구 사례가 비일비재한 바, 가급적 출발지 운송업체에서 door to door 또는 door to

inside 서비스를 의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 피레우스 항에서 아테네 시내 자택까지의

운송경비는 1,000-1,500유로 수준으로, 출발지 운송업체와 계약시 그리스 현지 운송업체에

세관통관료, 모든 도로 사정하에서의 운송 및 Unpacking을 운송조건에 포함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사전 조건없이 계약을 할 경우에는 door to door 서비스일지라도 500-

1,000유로 상당의 추가요금을 청구 당할 수 있으니 유의해야 하며, 그리스 세관에서는 물품

통과 시 선적서류 및 이사물품 리스트를 요구하므로 입국 시 동 서류들을 지참하여야 한다.

□ 국제운전면허증 (단기체류자)

국제운전면허증이 현지에서 통용되므로 1년 이내 체류할 경우, 한국에서 국제운전면허증을

발급 받아 온다. 1년 이상 장기 체류 시에는 한국 운전면허증을 그리스(EU) 운전면허증으로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면허증 교환 시 필요한 서류는 체류허가증, 노동허가증, 개인

세금 번호(Α.Φ.Μ), 유효 한국 면허증, 사진 2장을 가지고 거주지역 교통부서에 가서 신청서

그리스-118

작성 후 제출하면 된다. 다만, 체류허가증 또는 노동허가증을 받은 후 185일이 경과된 뒤에

신청이 가능하며 그리스 운전면허증은 신청 후 약 45일정도가 소요되므로 1년 이상

장기체류 예정자도 국제면허증을 사전에 한국에서 발급받아 오는 것이 좋다.

또한, 한국으로 입국하기 전 그리스 운전면허증은 다시 반납한 후 국제운전면허증을 돌려

받아야 한다. 따로 제출 서류는 없으며 다만, 카운터에서 운전면허 반납을 위한 서류에

해당 정보를 적어 제출하면 된다.

□ 아포스티유 확인(Apostille) 제도 안내

우리나라에 대한 「아포스티유 협약」이 2007년 7월 14일 정식 발효되었다. 그 동안 대한

민국 정부 기관 발행 공문서의 해외사용을 위해서는 재외공관의 영사확인을 받아야 했으나,

「아포스티유 협약」발효에 따라 2007년 7월 14일로 공문서 영사확인제도는 「아포스티유

확인」제도로 대체됐다.

ㅇ 아포스티유 협약

­ 명칭: Convention Abolishing the Requirment of Legalization for foreign Public

Document (외국공문서에 대한 인증서의 요구를 폐지하는 협약)

­ 개요: 협약 가입국들 사이에서 공문서의 국제적 활용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 외국

공관의 영사확인 등 복잡한 인증절차를 폐지하는 대신 공문서 발행국가가 인증하는

내용을 골자로 하는 다자간 협약

­ 정부기관 발행 문서: 호적등본, 납세사실증명서, 이혼판결문, 의약품 허가확인서,

□ 국공립학교 발행 성적증명서 등

그리스 정부(외교부)는 그 동안 「아포스티유 확인」제도의 시행 초기임을 감안, 우리나라

정부기관 발행 공문서에 영사확인을 인정하여 왔으나, 앞으로는 영사 확인된 공문서는

인정하지 않으며 「아포스티유 확인」을 받은 공문서만을 인정, 접수 가능하다는 방침이다.

ㅇ 국내에서 「아포스티유 확인」을 받을 수 있는 곳

­ 외교통상부 별관 1, 영사민원실(코리안리 빌딩 4층, Tel. 2100-7500)

­ 우편 이용시에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수송동 80번지 외교통상부 별관 1 Korea Re 빌딩

4층 영사민원실 아포스티유」담당자에게 송부(신청 서류일체, 반송용우표 및 봉투, 수수료)

ㅇ 신청 서류(방문 시)

­ 발급신청서(영사민원실 비치)

­ 발행/공증된 문서

­ 수수료: 500원

­ 기타, 판단서류

­ 대리인의 경우 대리인 신분증 지참

ㅇ 아포스티유 확인」제도 정보

­ www.0404.go.kr

­ 2100-7500, 3210-0404

그리스-119

ㅇ 그리스 내 정부발행 문서를 한국에 제출해야 할 경우 그리스 내 「아포스티유 확인」을

받을 수 있는 곳:

­ 그리스: Tel: 210-6709693, 210-6709695

­ Add.: 56, Katechaki str., Athens

­ Tel.: 210-6914145, 210-6991175

­ Add.: 125-127 Kifissias Ave. Athens

□ 주요 한국식품 준비물

현지에 체류하고 있는 교민 수가 300명 정도에 불과하여 한국식품만을 판매하는 마켓이

따로 있지 않아 한국식품을 현지에서 구하기가 수월하지 않다. 아테네에는 아시안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는 ‘아시안 마켓’이 몇 군데 있는데, 최근에는 한국 라면이나 고추장, 된장,

미역, 참기름, 단무지, 김 등을 구입할 수는 있으나, 어차피 컨테이너로 이삿짐을 운송하는

경우에는 한국에서 식품을 충분히 가지고 오는 것이 좋다. 특히 고춧가루, 통조림 깻잎,

마른 오징어, 안주용 건조해산물, 젓갈류, 김치액젓, 당면, 비빔면, 짜파게티, 짜장(소스),

카레, 조미료(다시다류), 겨자/와사비가루, 잡곡류(팥, 찹쌀, 현미, 보리) 등)와 같은 식품은

현지에서 구입이 어렵다.

최근에는 EMS와 같은 국제운송 시스템을 이용해서 한국이나 한국식품 구입이 수월한 인근

유럽 국가(독일, 프랑스, 네덜란드 등)의 아는 사람에게 부탁해서 물품을 조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네덜란드 한국식품 무역업체로부터 한국식품을 컨테이너로 주문할 수

있으나 대부분 가정집은 소량을 필요로 하므로 컨테이너 비가 부담될 수 밖에 없다. 현지

한인식당에서 두부나 김치, 떡 등은 구입이 가능하며 간혹 한인식당에서 인근 국가로부터

고추장, 된장, 라면, 카레, 소주, 젓갈류, 김, 짜장(소스), 고춧가루 등 구하기 힘든

한국식품을 컨테이너로 대량 들여와 판매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시기를 잘 맞추면 더욱

간편하게 구입할 수 있으며 가격 또한 “아시안 마켓”에 비해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다.

(주로 한인교회에서 주최하는 한인바자회 시기를 기준으로 보면 된다).

나. 도착 후 준비사항

□ 집 구하기

그리스에서는 주거지가 정해지지 않으면 은행구좌 개설이나 대출, 외국인 등록, 전화 신청,

전기 신청, 휴대폰 신청, 체류비자 신청, 세금번호 신청 등 거주지 계약서가 요구되는 모든

서류 신청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현지에 도착하는 즉시 빠른 시일 안에 집을 구해야 한다.

집을 구하는 방법은 주거 희망지역의 부동산 중개업자를 통하는 방법이 있으며 영자 또는

그리스어 신문을 활용하여 대상지를 물색한 후, 임대주와 직접 대면하는 방법이 있다.

그리스는 월세 제도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매월 정해진 날짜 안에 집세를 지불해야 한다.

임차계약은 통상 임차인과 임대주가 직접 대면하여 제반 사항에 합의한 후 계약서에

서명함으로써 발효된다. 계약 시 첫 달 집세와 2 개월치 집세를 보증금으로 지불해야 하며

보증금은 차후 계약기간을 마치고 계약을 해지할 경우 임차인으로부터 돌려받게 된다.

부득이하게 계약 기간을 채우지 못하고 나가게 될 경우, 임대인은 보증금을 돌려 받지

못한다 부동산중개업자를 통한 임차 시 중개수수료는 1개월치 임차료이며 임대주와 직접

계약 체결하면 중개수수료를 절약할 수 있다.

그리스-120

7월 말부터 9월 초까지는 집주인들이 대부분 장기 하계휴가를 떠나기 때문에 집주인과

직접 협상이 어려운 시기이며 또한 9월부터 10월 그리고 2월부터 3월은 대학교 새 학기가

시작됨에 따라 타 도시에서 학생들이 집을 구하므로 집 구하기가 힘들다. 따라서 가족이

나중에 합류하는 경우에는 임시로 호텔이나 게스트하우스에 묵으면서 거주환경이나

교통상황 등을 파악한 뒤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집을 얻는 것이 좋다.

외국인에게 임대하는 주택이나 아파트는 대체로 에어컨, 냉장고, TV, 음향기기, 식탁, 소파,

세탁기, 침대, 옷장(built-in) 등 Semi-furnished 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물품은 국내에

남겨두고 오는 것이 바람직하다.

□ 행정 절차

집을 구하고 나면 주소지 관할관청에 외국인 등록을 해야 하나 관련 작성서류가 모두

그리스어로 작성되어야 하므로 외국인이 직접 작성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하므로 부동산

중개업자나 임대주에게 대행토록 요청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국인 등록신청과 함께 주

그리스 한국대사관에 재외국민 등록서류를 작성, 제출하고 의료보험 신청서를 함께

작성하는 것으로 행정절차가 완료된다.

□ 체류허가 신청 및 체류 연장 신청

재외 그리스공관에서 장기체류 목적에 부합한 비자를 발급받아 입국해야 하는데, 사증기간

만료 2개월 전 거주지 관할관청(Periferia)에 체류허가를 신청(서류구비)한다. 관할관청

(Periferia) 공무원과의 면접을 거쳐 체류허가 발급되며 2개월 내에 발급하도록 되어 있으나

보통 6개월 이상이 소요된다.

체류기간을 연장하고자 할 경우 비자 만료일 2개월 전부터 연장 신청에 필요한 서류를

준비하여 거주지 구청(Dimarxeio)에 필요한 서류를 제출한 후 연장신청 증명서

(Bebaiosi)를 받으면 된다.

거주지 지역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나지만 주로 3~6개월 정도 소요되며 새 비자가 발급

되었을 경우 거주지구청(Dimarxeio)으로 찾아가 비자를 받아오면 된다. 체류 기한이 만료된

후에는 연장 신청할 때 받은 증명서(Bebaiosi)를 새 비자가 발급될 때까지 지니고 다녀야

한다.

ㅇ 주한 그리스대사관 연락처

­ 주소: 서울시 중구 장교1동, 한화빌딩 27층

­ 전화번호: (02) 729-1401

­ FAX : (02) 729-1402

□ 구좌개설

구좌를 개설할 때에는 소속단체장 명의의 재직증명서와 현지공관에서 지급받은 ID카드 또는

여권 사본을 제출해야 하며 연간 소득규모와 소속단체의 성격, 주요 활동 및 매출규모 등을

소개한 영문 레터를 첨부하여야 한다. 일반기업의 법인 신용카드의 발급 시에도 상기 자료

제출이 요구된다.

그리스-121

개인이 구좌를 개설하고자 할 경우 여권, 체류 비자, 세금번호, 거주지 계약서나 본인 이름

앞으로 나오는 공과금 고지서를 제출하여야 하고 신용카드 발급 신청 시에는 추가로 관할

세무서로부터 최근 신고한 소득세 증명서를 받아 제출하여야 한다.

은행 측에서 일년 소득이 낮다고 판단할 경우 신용카드 발급을 거절하는 경우도 있다. 신용

카드 발급 시 최소 연 소득액의 기준은 은행마다 다르지만 주로 10,000~15,000 유로 이다.

□ 전화 설치

그리스 통신공사(OTE)에 전화로 신청하면 되는데 영어 소통이 어렵기 때문에 현지인(주로

집주인)의 도움을 받는 것이 필요하다. 신청요금은 회선 신청비 및 설치인건비 등을

감안하여 100 유로 내외 수준이다. 전화와 인터넷 사용비를 포함한 한달 평균 전화비용은

45유로 기준이라 볼 수 있다.

□ 전력공급

사무실 개설 및 거주지 임대계약 체결 후(부동산 구매 시 소유이전 완료), 증빙서류를

그리스 전력청에 제출하면 전력청이 확인을 거쳐 전력공급을 재개하게 되는데 이 때

전력청에 일정비용의 보증금을 납부해야 전력공급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대부분은 사무실 주인이나 집주인의 이름으로 되어있는 것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보증금의 경우 임대하는 주택의 면적, 층 수 등의 기준으로 책정되며 보통 약 70유로에서

150유로 내외이다.

□ 외국인 사립 학교 등록

그리스에 거주하는 교포, 지상사 주재원 자녀들은 주로 현지 외국인 사립 학교에 등록하여

교육을 받고 있다. 외국인 사립 학교는 크게 미국과 영국 학교로 나뉜다.

ㅇ St. Lawrence College(영국) / www.st-lawrence.gr

ㅇ American Community Schools of Athens(미국) / www.acs.gr

- 2 학교가 모두 유아원부터(3세 이상), 유치원, 초등학교(6년), 중학교(3년), 고등학교

(영국 4년, 미국 3년)으로 나뉘어 있다.

- 9월초에 학기가 시작되어 6월 중순에 학년을 마치며 크리스마스 기간 2주, 부활절 기간

2주 그리고 여름 방학이 2달 반이다.

- 수업은 영어로 진행되며 이 외에 그리스어, 불어, 러시아어, 중국어, 독어, 아랍어 중

선택하여 제 2 외국어 수업을 들을 수 있다.

- 매년 6월말부터 약 1달간 여름학교(Summer School)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으며

외국어, 수영, 승마, 농구, 축구, 캠프 등 원하는 프로그램을 고를 수 있다.

학교 등록을 위해서는 학교 등록 신청서를 작성해야 하며 신청서 제출 시 대사관이나 현지

경찰서로부터 공증받은 부모님 & 자녀 여권 복사본, 사진 4장, 최근 2년 학력 증명서,

성적표, 현지 국립 병원으로 받은 신체 검사 증명서(엑스레이, 피검사, 폐 검사, 알레르기

등 간단한 검사임)를 같이 제출해야 한다.

그리스-122

모든 제출 서류는 영어 혹은 그리스로 공식 기관으로부터 번역되거나 일반 번역 회사를

통해 번역한 경우 따로 번역본을 공식 기관에 신청하여 관련 서류를 공증 받아야 한다.

만약, 이주 전 다니던 학교가 영어권 학교가 아닐 경우 학생의 영어 기준을 알기 위한 영어

필기 시험을 거쳐야 하며 때에 따라 입학 후 영어 언어 코스(Language Course)를 약

3개월~1년 정도 거친 후 정상 수업을 들어갈 수 있다. 언어 코스를 참가하게 될 경우,

수학, 영어, 체육 등 기본적인 수업만 받게 된다

□ 그리스 운전면허증으로 교환(장기체류자)

그리스에 거주하는 교포, 지상사 주재원 등 장기체류자의 한국 운전면허증을 인정하는

그리스 정부 결정문이 2004년 7월 23일자 관보에 게재되었는데, 이로써 한국 운전면허증이

공식적으로 인정을 받게 되어 한국 운전면허증을 그리스 운전면허증으로 교환할 수 있다.

그리스에서 외국 운전면허증이 인정되는 국가로는 EU회원국을 제외하고는 한국, 미국,

캐나다, 호주, 일본, 남아공 등 6개국이다.

도착 후 그리스 면허증이 나오기까지는 약 1개월 이상이 걸리므로 얼마 동안은

국제면허증을 가지고 운전하며, 교환 발급 시에는 한국면허증은 발급기관에 예치하고 귀국

시 반납 받는다.

□ 장기거주허가 취득

그리스에서 5년 동안 적법하게 거주하고 있는 non-EU 국가 국민은 장기거주허가(longterm

resident permit)를 받을 수 있다.

그리스 내무부에 의하면 현재 적법하게 5년 이상 그리스에 거주 또는 일을 하고 있는

외국인은 약 25만 명 정도가 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데, 이들은 새로운 허가제도에 따라

장기거주 비자를 받게 될 것으로 보인다.

신청자격을 가진 외국인은 먼저 175시간의 그리스어(level 2 수준)와 문화 교육 과정을 받고

난 후 테스트에 통과되어야 한다. (그리스 중학교인 secondary school 을 졸업한 사람은

테스트 면제)

이러한 제도는 EU가 회원국들에게 공통적으로 적용되도록 제도화한 EU directive 2003/

109/EC에 의한 것으로서 회원국들은 자격자에게 최소한 5년 이상의 장기거주비자를

내주도록 되어 있다.

처음 신청 시 600유로 수수료를 내지만 5년 후 갱신 시에는 수수료 없이 허가된다.

장기거주허가를 받은 자와 그 가족은 그 나라 공공정책 및 안녕에 해가 된다고 판단되는

경우가 아니면 다른 EU 국가에서도 거주할 수 있는 자격이 있다. (별도 그 나라에 허가

신청 필요)

그리스-123

8. 출장가이드 □ 아테네 무역관 위치

ㅇ 주소: 354 Mesogion Ave. Ag. Paraskevi, GR-153 41, Athens, Greece

ㅇ 무역관이 위치한 Mesogion Ave.는 Kifissias Ave.와 함께 아테네 시내와 북쪽을

연결하는 간선 도로의 하나로 2001년 3월 말 개항된 아테네 신공항(Venizelos)을

연결하는 중심 축의 역할을 맡고 있음.(공항-무역관사무실-아테네 시내/지하철 2호선)

ㅇ 아테네 신공항에서 아테네 무역관 사무실까지 거리는 약 23km 정도이며 버스노선

(노선번호, A5, B5 403, 406, 407, 480, 300번대 버스들)이 통과하고 있음. 가장 가까운

버스 정류장은 Tombra 정류장임.

ㅇ 무역관 근처 그리스 조폐청 전철역(NOMISMATOKOPEIO)에서 도보로 10분 이내이며

시내 중심가에서 공항까지는 택시로 약 30분 이내, 요금은 25-30유로 이내임.

ㅇ 비상 연락망

- 무역관 사무실: 30-210-6543-623/4

- 윤강덕 무역관장: 30-6944-301-713

- 우병일 과장: 30-6944-881-784

- 월-금: 08:30-16:30, 토-일 휴무

가. 기후

1) 기온

그리스의 기후는 여름은 고온건조하고 겨울은 비교적 온난한 지중해성 기후를 보이며,

연평균 기온은 영상 10-15도 수준이나. 우기로서 가장 추운 12월부터 2월 중에는 남부의

아테네의 경우 최저 기온이 0도, 북부의 데살로니키의 경우 최저 기온이 영하 3도

정도이다.

그러나 동절기 중 아테네의 체감온도는 실제 기온보다 5-10도 정도 낮은 편이어서 상당히

쌀쌀하다. 최근에는 아테네 지역에 겨울철 폭설이 쏟아지고 여름에 폭우가 내리기도 하며

예상치 못한 기온 변화가 있는 등 이상 기후를 경험하고 있다. 봄과 가을은 상당히 짧은

편이며 여름이 상대적으로 길고, 일조량이 많아 건기에 해당한다.

여름 기간의 평균기온은 34-38도 정도이나 가장 무더운 7-8월 기간은 인근 아프리카

사하라 사막 열풍의 영향으로 아테네의 경우 최고 45도, 테살로니키 지역은 최고 40도까지

기온이 올라간다.

2) 강우량

아테네를 중심으로 한 남부지방의 연평균 강우량은 350mm 정도이며, 테살로니키를

중심으로 한 북부지방은 1,700mm 수준으로 남부와 북부의 강우량 차이가 많이 난다. 동쪽

에게해 지역은 강우량이 적은 반면, 서쪽 이오니안해 섬 지역은 비가 많이 내린다. 특히,

여름기간 중 북부 지방은 산악지대가 많고, 강수량이 풍부하여 비가 자주 내리는 편이어서

수목이 울창한 반면, 남부지방은 비가 거의 내리지 않기 때문에 지형이 척박하고 민둥

바위산이 많다.

그리스-124

3) 기타 사항

그리스의 기후에 관한 풍토병은 환절기에 발생하는 독감이 있는데 주로 가을에서 겨울,

겨울에서 봄으로 바뀌는 환절기에 집중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주요 증상은 목에 통증과

함께 바이러스 및 집안의 곰팡이 등의 영향으로 입안의 목젖 안쪽 식도벽 주위가 하얗게

변색돼 심하면 출혈이 발생하며, 고열과 함께 몸 전체에 욱신거리는 통증이 일어나고 몸이

나른해져 무기력증에 빠지는 특징이 있다.

보통 독감에 전염되면, 완치까지 최소 1주에서 2주정도 소요되며 현지 의사들의 주요

처방은 간단한 진통제와 목안의 감염된 부위를 치료하는 약 정도이고 휴식과 함께 따뜻한

차를 자주 마실 것을 권하고 있다.

나. 시차/근무시간

1) 시 차

그리스의 서머타임 적용시기는 매년 3월의 마지막 일요일부터 10월의 마지막 일요일까지

이며 동기간 중 GMT+3시간의 시차가 있으며 11월부터 3월까지는 GMT+2시간의 시차가

있다. 서머타임 기간 중 우리나라와의 시차는 +6시간이며, 서머타임 기간 외에는 +7시간 이다.

ㅇ 2012년 서머타임 적용 기간: 2012. 3. 25 – 2012. 10. 28

2) 근무시간

그리스는 주 5일 근무를 원칙으로 하고 있으나 기후 및 문화적인 배경을 바탕으로 관공서

및 일반상점의 근무시간이 상이하고 일반 상점들도 요일마다 영업시간이 서로 다르므로

처음 그리스에서 생활하는 외국인들에게 매우 혼란스러운 점이 있다.

ㅇ 관공서: 월요일-금요일 08:00 - 14:00

ㅇ 은행: 월요일-목요일 08:00 - 14:30, 금요일 08:00 - 14:00

­ 특히 최근 은행지점들끼리 경쟁이 심해지면서 시내 중심부, 쇼핑 지역 및 비즈니스

지역 등에 위치한 몇몇 은행 지점들은 월요일부터 금요일 08:00 – 20:00까지 근무하고

있으며 토요일 또한 10:00 – 16:00까지 근무를 하고 있다.

ㅇ 우체국: 월요일-금요일 07:30 - 14:30, 금요일 08:00 - 14:00

­ 단, 아테네 시내의 중앙우체국은 월요일 - 금요일 07:30 - 20:00까지며, 토요일은

07:30- 12:00까지 임.

ㅇ 기업

­ 주 5일 근무를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09:00 ~ 17:00 근무가 보통임

­ 최근 IT분야 등 신생기업 중심으로 근무시간을 08:00에서 17:00, 또는 18:00까지

연장하는 추세에 있으나, 아직까지 절반 이상의 기업들은 오후 15:00까지 밖에 근무를

하지 않고 있어 이후 시간에는 비즈니스 진행이 잘 되지 않음.

DHL의 경우 현재의 아테네 공항 인근의 중앙 영업소는 토요일에 08:00 -

14:00까지 영업한다.

그리스-125

우리나라에서 그리스로 배달되는 우편물의 접수까지는 선편이 통상 2개월, 일반 항공우편이

약 15-20일, DHL 및 기타 특급 항공우편이 1주일 정도 소요된다.

ㅇ 일반상점

­ 08:30 - 15:00 (월, 수, 토)

­ 08:30 - 14:00 & 17:30 - 20:30(화, 목, 금)

­ 화, 목, 금요일에는 14:00 - 17:30까지는 문을 닫고 영업을 하지 않는다.

­ 몇몇 상점들은 월요일 수요일에 상점을 18:00까지 영업시간을 늘려 연장 영업을 하고

있다.

ㅇ 약국

­ 일반 상점과 영업 시간이 동일하나 약국의 경우 토요일과 일요일은 구역별로 당번제로

지정된 1개 약국이 08:00 - 20:00까지 또 다른 당번 약국은 밤늦게 혹은 24시간 영업을

한다(참고로 현지의 병원에서는 의사가 진찰 후 처방전만 환자에게 주며 환자 가

인근의 약국을 찾아가서 처방전을 제시하고 약을 구입해야 한다.)

­ 한국 소화제 같은 약은 팔지 않으며 또한 의사의 처방이 없을 경우 약을 구입하기가

사실상 어려우므로 그리스 출장 시 소화제, 피부병, 연고, 설사 등의 구급약을 준비

하여야 한다. 또한 당뇨 등의 경의 한국에서 미리 의사 처방전을 챙겨 여행 시 당뇨

관련 약품 구입시 현지 의사 방문 없이 약을 구입할 수 있음.

ㅇ 연말 연시 중 특수 영업 시간(일반 상점만 적용)

­ 아테네: 08:30- 21:00(월요일 - 금요일), 08:30 - 18:00(토), 10:30 - 17:00(일요일)

­ 피레우스: 08:00-21:00(월요일 - 금요일), 08:00 -18:00(토), 10:30 - 17:00(일요일)

­ 특수 영업 기간은 매년 틀리지만 주로 12월 중순부터 연말까지, 부활절 2주전부터

부활절 성금요일까지 적용된다.

ㅇ 1월1일 ~ 2일, 부활절 기간, 12월 25일 ~ 26일은 모든 식당 및 상점들 또한 휴무

기간이다.

ㅇ 슈퍼마켓

­ 서머타임 기간 중: 08:00 - 21:00(월-금요일), 08:00 - 18:00 (토)

­ 서머타임 기간 이후: 08:00 - 20:00(월-금요일), 08:00 - 18:00 (토)

­ 미니 슈퍼마켓의 경우 주로 07:00 – 23:00까지(월-토) 운영하며 각 미니 슈퍼마켓에

따라 일요일에 영업하는 곳과 휴무하는 곳으로 나뉘게 된다.

ㅇ 미용실

­ 주로 영업시간은 월, 수, 토요일 09:00~14:30, 화, 목, 금요일은 09:00 ~ 14:30 &

17:00 ~21:00이다. 최근, 미용에 관심이 많아지면서 업무시간을 09:00 ~ 21:00로

늘리는 미용실들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 미용실 이용은 자유로우며 간단한 컷트 시 요금은 대략 15~50유로 내외이고(미용사 팁

별도), 남성 이발요금은 대략 15~30유로 정도이며 머리 샴푸, 크림, 드라이, 스타일링을

요구 시 따로 요금이 추가된다. 간혹, 의견을 묻지 않고 바로 서비스를 제공한 후 요금을 추가 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반드시 머리 손질 시작 전 원하고자 한 서비스를 확실히 알려두는 것이 좋다.

그리스-126

다. 도량형

측정 물리량 단위

길이 ㎜, ㎝, ㎞

무게 ㎎, ㎏, ton

넓이 ㎠, ㎡

부피 ㎤, ㎥, ㎦, L, cL

기온 섭씨 (C°)

ㅇ 무게: 수입 소비재의 경우 온스 단위가 병행사용

ㅇ 부피: 액체 - 수입품의 경우 gal병행

ㅇ 넓이: 편의에 따라 Acre가 사용됨.

라. 출입국/비자

1) 입국수속

아테네 공항에 도착하여 Passport Control이라고 표시된 곳에서 여권과 입국카드를 제출하면 3-

4개의 간단한 질문으로 입국심사를 마치게 된다. 그리스 입출국시 심사절차는 까다롭지 않은

편이다.

입국 심사가 끝나면 이 때 입국 심사관이 여권에 스탬프를 찍는지 필히 확인해야 하는데 그

이유는 입국스탬프가 없으면 출국 시 입국일자 확인이 되지 않아 곤란을 겪기 때문이다.

ㅇ Shengen 조약 당사국에서 입국하거나 경유하여 입국할 경우에는 출입국 심사 없이

출입국

ㅇ Shengen 조약 체결국: 벨기에, 네덜란드, 룩셈부르크, 독일, 프랑스, 이태리, 덴마크,

그리스, 스페인, 포르투갈, 오스트리아, 핀란드, 스웨덴, 아이슬란드, 노르웨이

­ 주의: 영국, 아일랜드, 스위스 3개국은 Shengen 조약 체결국이 아님.

2) 입국비자

1979년 2월 25일자로 발효된 양국간의 비자면제협정에 의거 체재기간이 90일 이내인

경우에는 비자가 불필요하며 90일이 초과될 경우에는 적어도 체재 만료 20일 전에 현지

경찰서, 체재지 관할 구청에서 체제기간 연장허가를 받으면 된다.

3) 공항-시내간 교통

공항에서 시내는 도시 외곽 고속도로로 연결되어 있으며 직통버스(3.2유로), 전철(편도티켓

6유로, 왕복티켓 10유로), 택시(30유로 이내)를 이용할 수 있다. 택시의 경우 가끔 바가지

요금을 씌우는 경우가 있어 주의가 요망된다.

□ X95번 스케줄

공항으로부터 아테네 북쪽으로 돌아서 신다그마 광장이 종점이다. 보통 1시간 정도 걸리며

신다그마 광장 종점에서 다시 공항으로 출발한다.

그리스-127

□ 공항 버스 X96번 스케줄

X96번 공항으로부터 아테네 남쪽인 바닷가 쪽을 지나 피레우스 항구 근처가 종점이다. 보통 1시간 30분 정도 걸리며 특히, 날씨가 좋은 여름철에는 바닷가 길이 많이 밀린다. 종점에서 다시 공항으로 출발한다.

신다그마 광장 – 공항 시 분 04 25 40 55 05 20 30 40 55 06 05 20 30 40 50 07 05 20 35 45 08 00 15 25 40 50 09 05 15 30 45 10 00 15 30 45 11 00 15 30 45 12 00 10 25 40 55 13 10 25 40 55 14 10 25 35 50 15 05 20 35 50 16 05 20 35 50 17 10 25 40 18 00 15 30 45 19 00 15 35 50 20 05 20 35 50 21 10 25 40 55 22 15 35 50 23 05 20 35 50 00 05 25 45 01 05 25 45 02 05 25 50 03 15 40 04 05 05 05

공항 - 신다그마 광장 시 분 05 25 45 06 00 20 35 50 07 05 15 30 40 50 08 00 15 30 45 55 09 10 25 35 50 10 00 15 25 40 55 11 10 25 40 55 12 10 25 40 55 13 10 20 35 50 14 05 20 35 50 15 05 20 35 45 16 00 15 30 45 17 00 15 30 45 18 00 20 35 50 19 10 25 40 55 20 10 25 45 21 00 15 30 45 22 00 20 35 50 23 05 20 35 50 00 10 25 40 55 01 10 25 45 02 05 25 45 03 05 25 50 04 15 40 05 05 06 05

공항 – 피레우스 항구

시 분

06 30

07 00 25 50

08 10 30 55

09 15 35

10 00 20 45

11 05 30 55

12 15 40

13 00 20 45

14 05 25 50

15 15 40

16 05 30 55

17 20 45

18 10 30 55

19 20 45

20 10 40

21 05 35

22 05 40

23 20

00 00 40

01 20

02 00 40

03 20

04 00 40

05 20

06 00

피레우스 항구 – 공항

시 분

05 00 25 45

06 10 30 50

07 10 30 50 45

08 15 35

09 00 25 50

10 15 35

11 00 20 40

12 05 25 45

13 10 35

14 00 25 50

15 15 40

16 05 30

17 15 40

18 05 30

19 00 30

20 00 30

21 10 50

22 30

23 10 50

00 30

01 10 50

02 30

03 10 50

04 30

그리스-128

□ 공항 버스 X97번 스케줄

공항으로부터 아테네 남쪽과 북쪽의 중간 지점 길을 지나 다프니(메트로 역)앞에 종착한다.

보통 1시간 정도 걸리며 다프니 종점에서 다시 공항으로 출발한다.

마. 환율/환전

1) 환전

환전은 입국 시 공항 환전소에서 할 수 있으며 시내의 환전소, 은행, 호텔에서도 가능하다.

환전 RATE는 장소에 따라 크게 다르지 않으며 호텔에서는 조금 불리하므로 한국에서

유로화를 준비해 오거나 공항 환전소에서 환전하는 것이 유리하다.

환전 시에는 동유럽 등지에서 유입된 위조 유로화폐가 많이 통용되고 있기 때문에 위조

유로 지폐 구분법(지폐의 우측 하단 공백 부분을 불빛에 비춰보면 투명하게 문양이나

모양이 있는지 여부, 지폐의 중앙부분에 선이 있는지를 눈으로 확인 또는 손가락 끝으로

만져 보아서 확인 등)을 숙지하고 확인 후 돈을 수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막기 위해서는 수수료가 다소 높더라도 은행에서 환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은행 환전

도 100% 완전한 것은 아니다. 위조 지폐가 가장 많이 발견되는 지폐는 50유로짜리이므로

환전할 때 적은 단위의 지폐로 교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대부분의 호텔이나 큰 상점들에서 신용카드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신용카드로 결재

하는 것도 환전의 번거로움이나 위조 지폐의 위험을 사전 예방하는 방법이다.

공항 – 다프니 분

04 55 05 55 06 45 07 30 08 15 09 05 10 00 11 00 55 12 45 13 35 14 25 15 15 16 00 55 17 55 18 45 19 45 20 50 22 00 23 10 00 25 01 50 2 55

공항 – 다프니 분

06 00 07 00 55 08 40 09 25 10 15 11 15 12 15 13 10 14 05 45 15 35 16 25 17 10 18 05 19 05 55

20 55

22 05 23 10 00 20 01 35 02 55 04 05

그리스-129

2) 환율

EMU 가입국가로서 2002년 1월 1일부터 유로화가 통용되고 있다. 대 달러 환율은 1유로

(EUR)에 1.29달러(USD) (2012년 9월 28일 기준) 이다.

바. 교통/통신

1) 우리나라와의 교통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 그리스 아테네까지 직항로는 개설되어 있지 않으며 중동, 동남

아시아를 경유하거나 유럽의 각 도시를 경유해야 한다.

싱가포르 항공(SQ) 또는 타이항공(TG), 에미레트항공(EK)은 각각 싱가포르 및 방콕,

두바이를 경유하고 유럽 노선은 파리, 프랑크푸르트, 암스테르담, 취리히, 런던, 로마 등을

경유하고 있다. 한국과 직항 노선이 있는 이스탄불과 카이로를 경유해도 된다.

2) 아테네 국제공항

항공편을 이용한 그리스 입국 시 아테네 북동쪽에 위치한 엘레프쎄리오스 베니젤로스

(Elefthe rios Venizelos Int'l Airport)국제 공항으로 도착하게 된다.

공항에서 시내로는 도시 외곽고속도로(아티키 오도)를 통해 어렵지 않게 진입할 수 있으나

시내 중심부로 연결되는 부분에서 교통 체증이 있을 수 있으므로 일정 수립 시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충분한 시간적 여유(30분-1시간)가 필요하다.

3) 국내교통

□ 국내 항공노선

아테네를 중심으로 30개 가량의 도시와 에게 해, 이오니아 해의 섬들을 연결하고 있으며

가장 긴 거리라도 1시간 정도밖에 걸리지 않는다.

국내선 시각표는 매년 3개의 기간으로 구분되어 있다. 구분 기간은 4~9월(성수기), 11~

3월(비수기), 10월 & 5월(Normal Period)로 나누어진다.

특히 여름인 6월부터 8월 기간 중 에게 해의 섬들과 이오니아 해의 섬들로 가는 비행기

편은 상황에 따라 늘어나기도 하고 신설되기도 하며 시기에 따라 스케줄이 많이 바뀌므로

가능한 한 사전 확인이 필요하다.

또한 그리스인 휴가철인 7월부터 8월말, 12월 중순부터 1월 중순, 부활절 기간을 중심으로

비행기와 배편 확보가 힘들기에 미리 예약하여 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시내버스 및 지하철

교통체증이 심한 아테네 시내에서 전용 차선을 통해 운행되므로 매우 유용한 교통수단이며,

일반 버스를 마치 2대 연결한 듯한 18m짜리 버스, 전기를 이용한 트롤리, 트램 등이

다니고 있다.

그리스-130

요금은 거리에 관계없이 1.40유로이며 거리의 키오스크(매점)에서 구입할 수 있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1.40유로 티켓은 버스나 전동 트롤리, 메트로 등 90분 한해 사용 가능하며

이 외 버스만 이용시 1,20센트, 24시간 티켓(4유로), 일주일 티켓(14유로), 버스 및 트롤리

한달 패스(23유로), 버스, 트롤리, 지하철 한달 패스(45유로) 등 다양한 요금 티켓이 있다.

각종 티켓 및 패스로는 공항행 지하철을 이용할 수 없다.

탑승 시 반드시 탑승권을 가판대 등에서 사전에 구입하여야 하며 탑승 후 내부에 설치된

탑승권 인식기에 꽂으면, 번호, 탑승일자, 시각 등이 기재된다. 버스에는 기사 외에 안내

승무원이 별도로 없고 버스의 앞뒷문에서 자유로이 타고 내리며, 탑승권 확인은 자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별도의 감시자가 없으나 주요 정류장에서 검표원이 무임 승차를

단속하는 사례가 있다. 적발 시 티켓 요금의 60배가 벌금으로 부과된다. (버스, 트램,

지하철, 트롤리, 공항행 공통사항)

□ 중장거리버스

아테네 외곽을 비롯한 지방의 주요 관광지로의 이동을 위한 중장거리버스는 민영 버스회사

인 크텔(KTEL)이 운영하고 있으며 차량이 비교적 낡아 불편한 점이 있으나 내륙의 구석

구석을 연결하고 있기 때문에 관광객뿐만 아니라 그리스 사람들의 중요한 교통수단으로

인식되고 있다.

승차권은 버스터미널에서 구입해야 하며 행선지에 따라 창구가 다르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대부분의 터미널에서는 영어가 아닌 그리스어로만 표기되어 있으며, 관광객의 이용이

많은 일부 장소에만 영어로 표기되어 있다.

또한, 직접 버스 탑승 후 운전기사 옆에 있는 승무원으로부터 표를 구입할 수 있다. 탑승

후 행선지를 알려 주면 승무원이 해당되는 가격을 알려주며 이때 현금으로 지불하고 표를

받으면 된다. 간혹 승무원이 지니고 있는 잔돈이 여유 치 않아 곤란을 겪는 경우도

있으므로 미리 잔돈을 챙겨가면 도움이 된다.

□ 아테네 시내 주요 관광 버스

아테네 시내 관광은 최근 아테네 버스 협회에서 시내 투어를 위해 운행시키고 있는 400번

버스로 할 수 있다. 유명한 관광 국가인 프랑스, 독일, 영국에서 운행하는 Hop in & Hop

out 운행 방식으로 유적지, 박물관 등 관광명소 근처 버스 정류장에 내려 구경 후 다시

해당 정류장에서 버스를 타고 다음 관광지로 향하는 것이다.

해당 티켓은 5유로 이며 400번 버스 안에서만 구입이 가능하다. 해당 티켓은 24시간 동안

유효하며 아테네 모든 버스, 메트로, 트롤리, 트램 구간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테네 - 공항 구간 제외) 30분 간격으로 운행하며 다만 비수기인 11월 ~4월

동안은 1시간 간격으로 운행하므로 배차 간격이 긴 것이 단점이다.

Period Time Table Frequency

6월 ~ 9월 07:30 ~ 21:00 30’

10월 & 5월 09:00 ~ 18:00 30’

11월 ~ 4월 10:00 ~ 16:00 60’

주: OASA, 2010년 기준

그리스-131

□ 400번 버스 운행로 (버스 정류장 역 영문 표기임)

ㅇ National Archaeological Museum

ㅇ Omonia

ㅇ Psyrri

ㅇ Kerameikos

ㅇ Thissio

ㅇ Monastiraki

ㅇ Market (Varvakeios Agora)

ㅇ Klafthmonos Square

ㅇ Syntagma

ㅇ Benaki Museum

ㅇ National Gallery (Ethniki Pinakothiki)

ㅇ Ampelokipi

ㅇ National Gallery (Ethniki Pinakothiki)

ㅇ Panathinaikon Stadium

ㅇ Plaka

ㅇ Akropoli

ㅇ Οlympic Zeus Temple

ㅇ Greek Parliament

ㅇ University (Panepistimio)

ㅇ Omonia

□ 지하철(Metro)

3개 노선이 개통되어 있으며 그 중 1호선은 남서쪽의 Piraeus 항구와 북쪽의 Kifissia,

2호선은 남동쪽 Ag. Dimitrios와 서북쪽의 Ag. Antonios, 3호선은 시내 중심가 Egaleo와

동북쪽 Doukisis Plakentias (공항 연결), 새벽 05:30부터 자정까지 약 3~10분 간격으로

운행되고 있으며 금요일 & 토요일에는 새벽 02:00까지 연장 운행하고 있다.

□ 택시

택시요금은 기본 요금(3.20유로) 이외에 거리에 따라 미터 요금이 추가되는 거리 시간 병산

제를 채택하고 있다. 초기 요금은 1.19 유로부터 시작이며 단거리 운행시 기본 요금은

3.20유로이다.

공항에서 아테네 시내까지 택시를 이용할 경우 소요시간은 약 40분 정도 소요되며 탑승 시

소유한 짐(가방) 1개당 추가요금(0.50센트)이 부과되어 미터 요금에 추가된다. 그리스

톨게이트 통과비(약 2.7 유로)와 공항 진입비용(3.2유로)이 추가된다.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합승이 일반화되어 있으며 상당수의 택시기사들이 영어가 서툰데다

가 교통 체증 등으로 아테네 시내에서의 택시 이용은 상당히 불편하기 때문에 시내에서의

택시 이용 시 가급적 투숙호텔에 요청하고 바이어와 상담을 마친 후에 바이어에게 택시를

잡아주도록 요청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콜택시의 경우 2.65유로 추가된다)

부활절과 크리스마스를 일주일 전후로 보통 2주일동안 1유로의 특별 요금이 추가된다. 택시

요금 미터기에 낮에는 Tariff를 1로 누르는지 확인하며 밤 12-5시 사이에는 야간 요금인

2번으로 누르게 되어있기 때문에 택시 승차 시 이에 대한 확인이 필요하다.

그리스-132

4) 통신

□ 전화

시내 전화는 공중전화를 사용하거나 신문을 파는 가판점(일부)에서 주인에게 전화료를

지불하고 사용할 수 있다. 공중전화는 카드식과 동전식이 있으나 카드식 전화기가 보다

많이 보급되어 있다. 전화카드는 보통 시내 가판대(키오스크)에서 구입할 수 있으며 최저

단위는 4유로이다.

최근 인터넷폰을 이용한 전화카드(일반 공중 전화에서 사용가능)를 그리스 전화사를 비롯한

여러 통신 회사에서 제공하고 있는데 한국으로 국제 전화 시에 상기 전화카드보다 저렴하다.

고정식 전화의 경우음질이 어느 정도 양호한 편이나 핸드폰 통화의 경우 아직은 음질

상태가 좋지 못하다.

그리스에서 한국으로 국제전화를 거는 방법은 직통인 경우 00을 누르고 국가코드 (82)를

누 른 후 지역번호에서 0을 제외한 번호를 누른다. Collect Call의 경우 청색 공중 전화

박스에서 수화기를 들고 데이콤이나 한국통신 수신자 부담 전화번호를 누르면 한국 교환원

과 연결 및 바로 원하는 곳에 통화가 가능하다.

ㅇ 한국으로 전화하는 방법: (유효)

­ 직통전화(일반전화): 00-82-41(천안)-xxx-xxxx

­ 핸드폰: 00-82-11(011의 경우)-xxx-xxxx

­ 수신자부담 전화(collect call): 00800-8211000

□ 우편

우체국의 업무시간은 월~금요일까지 07:30~14:00까지며 아테네 시내의 신타그마 광장에

위 치한 중앙우체국의 업무시간은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는 08:00~20:00, 토요일은

08:00~ 12:00까지다. 특급 우편인 DHL의 각 영업점은 월~금요일 중 08:00~17:00까지

근무한다.

우표는 우체국과 거리 가판대(키오스크)에서 구입할 수 있는데 가판대에서 구입하는 경우

보통 10%의 수수료가 부과된다.

그리스-133

사. 호텔/식당

1) 호텔

주요 호텔 리스트

등급 구분 아테네 테살로니키

Luxury

호 텔 명 Hilton Hotel Makedonia Palace

주 소 46, Vas. Sofias Ave., 115 28 Athens, Greece

2, Meg., Alexandrou Ave., GR-546 40, Thessaloniki, Greece

전 화 (30-210)728-1000 (30-2310)86-1052

팩 스 (30-210)728-1241 (30-2310)897-211

호 텔 명 Divani Caravel

주 소 2, Vas. Alexandrou, GR-161 21, Athens, Greece

전 화 (30-210)720-7000

팩 스 (30-210)725-3750

1 급

호 텔 명 Amalia Hotel Thessaloniki Electra Hotel

주 소 10, Amalias Ave., GR-105 57, Athens, Greece

9, Aristottelous Sq.,GR-546 24, Thessaloniki, Greece

전 화 (30-210)607-2000 (30-2310)294-000

팩 스 (30-210)607-2135 (30-2310)294-001

호 텔 명 Athens Electra

주 소 5, Ermou Str., GR-105 63, Athens, Greece

전 화 (30-210)337-8000

팩 스 (30-210)322-0310

2 급

호 텔 명 Titania Hotel Astoria Hotel

주 소 52, Panepistimiou Str., GR-106 78, Athens, Greece 26,

9, Salaminos & Tsimiski Str. Dimokratias Sq., GR-546 Thessaloniki, Greece

전 화 (30-210)330-0111 (30-2310)505-510

팩 스 (30-210)330-0700 (30-2310)531-564

호 텔 명 Ilisia Hotel A.B.C. Hotel

주 소 25, Michalakopoulou Str., GR-115 28, Athens, Greece

41, Aggelaki Str., GR-546 21,Thessaloniki, Greece

전 화 (30-210)724-4051/6 (30-2310)26-5421

팩 스 (30-210)724-1847 (30-2310)27-6542

ㅇ 참고사항: 그리스는 관광국가로서 외국 관광객들을 위한 호텔 및 유스호스텔 등이

다양한 등급으로 구분되어 있다. 관광목적이 아닌 비즈니스 출장인 경우 아테네

무역관에서는 교통의 편리함과 효율적인 비즈니스 추진을 감안하여 상기에 소개한

호텔들을 중심으로 대사관 할인가격으로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ㅇ 비수기 호텔 가격

­ 특급(힐튼호텔): 트윈룸, 싱글룸 - 230유로 (특별가격임. 조식, 세금포함)

­ 1급(아말리아호텔): 싱글룸 – 90유로, 트윈룸 – 110유로(조식, 세금포함)

­ 2급(티타니아호텔): 싱글룸 – 70 유로, 트윈룸 – 90유로(조식, 세금포함)

­ 3급(프레지던트호텔): 싱글룸 – 70 유로, 트윈룸 – 75유로 (조식, 세금포함)

ㅇ 성수기 호텔 가격은 상기 가격에 2/3 정도 인상됨.

그리스-134

2) 식당

□ 그리스의 식사문화

그리스는 일조량이 매우 많은 나라이며 여름이 길고, 일조시간이 긴 탓에 다른 나라에 비해

특이한 점이 있다. 주요 관광지를 제외한 대부분의 식당들이 점심 시간에는 영업을 하지

않으며 저녁 때에도 7시나 8시 이후에나 문을 여는 경우가 많다.

무더운 여름을 이겨내려는 선조들의 지혜로 오랜 동안 현지인들의 생활 속에 자리잡은 시에

스타 (낮잠 시간)의 영향으로, 오후 2시경이면 하루 일과를 끝마치기 때문에 별도의 점심

문화가 없다.

최근 몇 년 사이에 상당한 변화를 겪으면서 젊은 층을 중심으로 점심문화가 자리잡아 가고

있으나 아직까지 대부분의 사람들이 LOUKOUMAS라는, 2유로 안팎의 도넛이나 가벼운

샌드위치, 햄버거 등으로 점심을 대신하고 있다.

그리스의 저녁 식사시간은 통상 9:30 ~ 12시경이다. 따라서 현지인들과의 저녁 약속은 통상

9시 이후에나 가능하다. 현지 한국인이 운영하는 식당에서 국내 단체 여행객들이나 출장

업체들이 식사를 마치고 일어날 무렵이면 그때서야 그리스 사람들이 하나 둘씩 식당에

들어서는 모습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 그리스 식당

그리스의 식당은 타베르나(TABERNA)라고 불리며 서민들이 이용하는 값싼 식당부터 고급

레스토랑까지 매우 다양하며 가격 수준도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그리스 전통음악인 부주키를 들으며 식사를 할 수 있는 부주키아(Bouzoukia)는 한번 가

볼만 하며 커피나 가벼운 식사를 할 수 있는 카페니온(kafenion)과 패스트푸드점도 많이

있다.

영업시간은 주로 레스토랑 12:00~16:00 & 20:00~24:00, 카페니온 08:00~24:00, 타베르나

12:00~23:00, 부주키아 22:00~5:00까지이다.

□ 한국인 식당(확인 요망)

현지에서 한국인이 운영하는 식당은 4개가 있으며 한식 이외에 중식 및 일식을 갖추고 있다.

ㅇ 도시락 (한식/일식)

- 주소: 11 Voulis Str., Athens(힐튼호텔에서 차를 타고 약 30분 정도)

- 전화: (30-210) 3233 330 / 핸드폰 (30) 6977-620297

ㅇ VIP (한식/중국식)

- 주소: 41 VASSILIOS GEORGIOU B, ATHENS, GREECE (힐튼호텔에서 걸어서

5~7분정도)

- 전화: (30-210) 723-2017 / 핸드폰 (30) 6977-395890

ㅇ 서울하우스 (한국/중국식)

- 주소: 36 Eleftherias Ave., Kalithea, Athens Greece(힐튼호텔에서 차를 타고10~15분 정도)

- 전화: (30-210) 9889-206 / 핸드폰 (30) 6944-580003

ㅇ 이 외에도 중국, 일본식당이 일부 있으나 가격은 대체로 비싼 편이다.

그리스-135

아. 관공서 관행

그리스의 발전을 저해하고 있는 가장 큰 사유 중의 하나가 뿌리 깊은 관료주의로 지적되고

있을 정도로 부정부패가 만연해 있으며, 관공서의 서비스 수준은 아직까지 매우 낮은

실정이다. 그리스 공무원 사회가 부패하게 된 것은 1980년대 접어들어 들어선 사회당

정부가 정식적인 공무 이외에 장관과 차관 주위에 자문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사람들을

무원칙적으로 채용하고, 기존의 행정관료들을 변두리로 내몰아버렸기 때문이라고 한다. 즉

자문단에 의한 정책 결정이 이뤄지고 실무자들은 잘 모르는 상황이 연출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공식적인 경로를 통한 관공서 담당자 수배는 매우 어려우며 혈연, 지연, 학연 등을 이용한

인맥을 통해 비공식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보편화 되어 있고 담당자의 이석이 빈번하여 전화

연결이 어려운 때가 적지 않다.

고위공직자를 통해 실무책임자를 소개 받을 때에는 신중한 검토가 요망된다. 왜냐하면 고위

공직자가 신민주당 당원이고 하위 책임자가 사회당 당원인 경우 또는 반대의 경우에는

역효과가 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예컨대 그리스의 투자 인센티브 법상 투자허가 여부를 6개월 이내에 결정토록 명문화 되어

있으나 실무선에서는 예측이 불가능하며 유력한 에이전트를 통한 로비활동 없이는 동 기간

내 회신을 기대하기 어렵다.

언론의 자유와 민주적 정권교체의 정착으로 권력형 부정은 없는 편이나 일선 행정기관

중에서도 특히 세무서, 세관 등은 공공연하게 뇌물이 통용되고 있다.

국제입찰도 이면교섭에 의해 결정되고 있는 것은 공공연한 비밀이며 이러한 부정을

고발하면 해당 공무원을 처벌을 받게 되나 부정이 구조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고발한

민원인은 향후 적지 않은 어려움을 겪기 때문에 사실상의 고발은 불가능한 실정이다.

세관의 경우 물품의 통관이 담당세관의 임의적 판단에 따라 처리되는 경우가 많아 함께

발송되는 소포의 수량이 다수일 때에는 통관기준이 상이하게 적용될 때가 많아 물품 추적

및 수령에 곤란을 겪는 경우도 적지 않다.

민원인이 줄지어 기다리고 있어도 10분 이상 사적인 전화통화나 동료직원간 대화는

예사이며 수십 년간 이러한 관행에 젖어서인지 이에 대해 항의하는 민원인도 발견하기

어려울 정도이다.

직업으로서의 공무원에 대한 일반인들의 선호는 비교적 높은 편인데 이는 보수가 낮음에도

불구하고 근무가 매우 편하고 근무시간이 짧아(통상 오후 2시까지) 부업이 가능하며 평생

동안 직장이 보장되어 있기 때문이다.

최근 그리스 정부(신민당 정부)의 노동시장 개방 및 사회보장제도 개선에 대해 일반 노조와

함께 공무원 노조가 강하게 반발하는 양상을 보인 것도 자신들의 기득권을 최대한 지키려는

보수적인 입장을 견지하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그리스-136

자. 공휴일

2012 년도 그리스 공휴일

일 자 공휴일 명

1월 1일 New Year's Day

1월 6일 Epiphany Day (그리스정교 기념일) *예수 그리스도의 세례를 통해 물을 정결케 한 날을 기념

2월 27일 Clean Monday (그리스정교 기념일) *부활절 40일 전으로 금식에 들어가는 날을 기념

3월 25일 독립기념일

4월 13일 ~ 16일 부활절

5월 1일 노동절

6월 4일 Whit Monday (성령 강림절) *예수 그리스도의 제자들에게 성령께서 임한 날을 기념

8월 15일 Assumption (그리스정교 기념일) *성모마리아 승천일-Dormanation of the Virgin Mary

10월 28일 No Day (Beginning Day of World War Ⅱ)

12월 25일 Christmas Day

12월 26일 Boxing Day

ㅇ 그리스인들의 휴가 집중에 따른 출장 지양 기간

- 부활절 기간 전후 약 1주일

- 여름휴가 기간: 7월 중순부터 9월 초까지

- 12월 중순부터 내년도 정교회 기념일(1월6일) 지내고 1월 10일까지

차. 여행시 유의사항

1) 팁 제도

호텔에서의 팁은 청소원에게 1유로, 포터에게 가방 1개당 50센트 정도이며 관광 가이드 및

차량 기사의 경우 관행상 10-50 유로 정도의 팁이 지불되고 있다. 식당에서의 팁은 음식

값의 5-10% 정도이다.

2) 여행시 유의사항

그리스는 다른 유럽에 비해 치안사정은 비교적 좋은 편이나 최근 인근 발칸 국가로부터

경제 난민이 대거 유입하면서 절도, 소매치기 사건 등이 증가 추세에 있다. 그리스

전체적으로 치안은 비교적 안정되어 있으나 아테네 시내 중심가 옴모니아 광장 주변이나

좁은 골목길의 심야 단독외출은 삼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무런 이유 없이 접근하여

친절을 베풀거나 차나 한잔하자며 유흥업소로 유인하여 바가지를 씌우는 경우가 가끔

있으므로 각별한 주의가 요망된다.

노상 주차 등으로 도로가 협소하고 과속운전, 신호위반 사례가 많아 도로 교통안전에

특별히 주의하여야 하며, 낡은 여객선 침몰 사건도 간혹 발생하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그리스-137

또한 그리스는 지진발생지역 중의 하나이므로 비상구나 안전 탈출로에도 유념해야 한다.

그리스 경제위기로 인하여 EU와 IMF로부터 1,110억 유로 차관 제공 합의 조건으로 4년간

약 154억 5,000만 유로 규모의 추가 재정 긴축안에 합의하였다. 긴축안에는 공무원,

공기업 근로자, 연금 수령자, 국회의원, 민간기업 근로자들의 연간 상여금 전체 폐지 및

일부분 삭감, 기타 수당 폐지 및 일부분 삭감 등을 발표함에 그리스 모든 야당들과 노조

단체들이 대대적인 반발을 보이며 국회의사당 앞에서 잇따른 시위가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시위들은 몸싸움으로까지 이어지며 화약통을 던지거나 건물에 불을 지르는 경우가

번번히 일어나 문제를 일으키고 있으며 5월초에 일어난 총파업의 경우 시내에 위치한 은행

에 불을 질러 당일 근무하고 있던 그리스 은행 직원 3명이 호흡곤란으로 질식하여 사망한

사태가 일어나기도 하였다. 또한, 옴모니아 지역, 쇼핑거리, 대중교통, 박물관 및 유적지 등

번잡한 장소에서 특히 외국인을 상대로 소매치기 사건이 많이 접수되고 있으며 여행 시

중요한 소지품의 관리를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

가능하다면 옴모니아 지역 투숙 및 방문은 금지하는 것이 좋으며 밤늦게 인적이 드문 장소

접근을 피하고 혹시 시내에 시위가 일어나고 있을 경우 시위장 근처를 방문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3) 문화적 금기사항

그리스는 그리스 정교회국가로 전국에 산재되어 있는 수도원 방문 시에는 복장에서 예의를

갖추어야 하며, 반바지차림이나 지나친 노출은 삼가야 한다. Mount Athos 지역에 있는

수도원은 여자의 출입이 금지되어 있다.

4) 간단한 현지어 회화

ㅇ 안녕하십니까?: 깔리 메라(아침인사), 깔리 스페라(저녁인사)

ㅇ 좋습니다, 당신은요?: 뽈리 깔라 혹은 뽈리 깔라, 에시스?

ㅇ 고맙습니다: 에프하리스토

ㅇ 실례합니다: 시그노미

ㅇ 매우 좋군요: 폴리 오레오(=very good)

ㅇ O.K: 엔 닥시

ㅇ Hello: 야수(단수), 야사스(복수, 존칭)

카. 시장 특성 및 상관습

1) 시장특성

총 인구는 2011년 인구센서스 기준으로 1,100만 명 정도로서 시장이 협소하고

폐쇄적이므로 다수 수입상과 거래하기 보다는 한두 명의 유력 바이어를 통한 수출이 오히려

유리한 측면이 있다. 산업수준이 미약하여 공산품의 수입 의존도가 크며, 특히 승용차,

전기전자제품 등 소비재의 수입 비중이 큰 편이다. 상품유통에 대해 부가가치세(23%) 및

특별소비세 등이 부과되고, 유통 마진이 높아 시판가격이 높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스의 유통구조는 미분화 상태로서 가족중심의 개인회사로 운영되거나 수입상이

도소매를 겸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아테네 소재 백화점은 3개 정도에 불과하며 전문점 및

그리스-138

일반 소매점이 주류를 이루는 한편, 대형 슈퍼 체인이 중요한 소매점 역할을 하고 있다.

시장이 협소한 관계로 에이전트의 활용이 매우 중요시되며, 전자제품 등 유명 브랜드제품의

현지 에이전트 홍보 및 판촉활동 활발하다.

2) 상관습

시장 규모는 협소한 반면, 수입상이 많아 경쟁이 치열하며 대량수입 보다 소량구매

선호하며, 수입상 단독 구매보다 고객과 상담 후 수입여부를 결정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견본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다. 수세기에 걸친 터키의 지배로 중동의 영향을 받아 서구적

합리성이 미흡하며, 거래 성사 여부는 품질, 가격조건 외에 인간관계가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매년 하계 휴가가 집중되는 6월 말~9월 초에 대부분의 기업들이 1개월 단위로

집단휴가를 실시 하고 공공기관도 같은 실정이어서 해당 기간 중 비즈니스 진행이

불가능함. 또한 부활절 연휴도 약 2주에 달하여 업무 공백으로 비즈니스 진행이 여의치

않다.

3) 상담 시 유의사항

수입상과의 처음 약속 시 문서로 알린 후 전화를 걸어 약속하는 것이 좋으며, 일반적으로

약속관념이 부족하여 약속시간보다 20-30분 늦는 경우가 보통이다. 초대면의 경우 성급한

상담보다 개인신상에 관한 가벼운 화제로 시작한다.

가격 협상 시 즉석에서 너무 쉽게 가격을 수락하는 것은 피하는 것이 좋으며, 즉석 가격

수락은 가격 재인하 요청 등 계약 결렬의 빌미가 될 수 있다. 실제 구입물량보다 훨씬 많은

물량을 구매 하겠다는 경향이 많고, 상담시 그리스 내 독점 에이전트를 요구하는 경우가 많다.

계약에 대한 개념 부족으로 계약체결 이후에도 상황 변동에 따라 계약불이행 또는 대금

미지급 사례가 종종 발생하는 바, L/C 대금 추심 후 생산에 임하는 것이 좋으며, 견본품을

요구할 때도 가급적 샘플료를 받는 것이 좋다. 선물로 인한 거래성사는 기대할 수 없으므로

부담 없는 선물이 좋다. 그리스 수입상들은 일반적으로 선물보다도 저녁만찬 초대를

중요시한다.

타. 유용한 연락처

ㅇ 주 그리스 한국대사관

- 주 그리스 한국대사: 장태신 대사

- 교민담당 영사: 이현식 영사

- 주소:19th floor, Athens Tower A B/D, 2-4 Messogion Ave., GR-115 27, ATHENS,

GREECE

- 전화: (30-210) 698-4080/2, 699-8164(비상전화)

- 팩스: (30-210) 698-4083

ㅇ 아테네무역관

- 주소: 354, Messogeion Ave., GR-153 41, Ag. Paraskevi, Athens, Greece

- 전화: (30-210)6543-623/4

- 팩스: (30-210)6543-508

- e-메일: [email protected]

그리스-139

ㅇ 한인회

- 전화: 30-210-723-2017 / 697-739-5890

- 한인회장: 김기석 회장

ㅇ 아테네 공항

- 전화: 30-210-353-0000

ㅇ 현지 긴급전화번호

- 경찰: 100

- 소방서: 199

- 긴급 앰뷸런스: 166

- 안내전화: 11888

- 야간 의사 및 약국 문의: 1434

- 차량 고장 시: Express Service 154, ELPA 174

� 비즈니스 관련 유용한 연락처

ㅇ 그리스 경제인(제조업체) 연합회

- 주소: 5 Xenofontos str., GR-10557 Athens Greece

- 전화: +30-210-3237325-9

- 팩스: +30-210-3222929

- e-메일: [email protected]

- 홈페이지: www.fgi.org.gr

ㅇ 데살로니끼 Helexpo 국제 전시장

- 주소: 154 Egnatia Str., GR-54636 Thessaloniki Greece

- 전화: +30-2310-291111

- 팩스: +30-2310-256827

- e-메일: [email protected]

- 홈페이지: www.helexpo.gr

ㅇ 아테네 Helexpo 국제 전시장

- 주소: 39 Kifissias Ave., GR-15123 Maroussi Athens Greece

- 전화: +30-210-6168 888

- 팩스: +30-210-6168 800

- e-메일: [email protected]

- 홈페이지: www.helexpo.gr

ㅇ 그리스 전화번호부 홈페이지: www.xo.gr

ㅇ 아테네 상공회의소

- 주소: 7,Akademias str.,10671, Athens

- 전화: +30 210 3604815-9

- 팩스: +30 210 3616408

- e-메일: [email protected]

그리스-140

ㅇ 피레우스 상공회의소(President: Mr. G.Kassimatis)

- 주소: 1,LOUDOVIKOU STR., ODYSSOS SQ., GR-185 31 PIRAEUS

- 전화: +30 210 4177241-5

- 팩스: +30 210 4178680

- e-메일: [email protected]

파. 간추린 주요 역사

ㅇ 미노안, 키클라데스 문명(B.C.3000-1400), 미케네문명(B.C.1400-1200)등 고대문명

발상, B.C. 8-9세기 도시국가 형성

ㅇ 페르시아 전쟁(B.C.492-479) 이후 아테네와 스파르타 전성

ㅇ 알렉산더 대왕의 마케도니아 왕국에 흡수(B.C.336-146)

ㅇ 로마제국(B.C.146-474)과 비잔틴제국(B.C.474-1453) 지배

ㅇ 오스만 터키 지배(1453-1830)

ㅇ 독립왕국 수립(1830.3.25)

ㅇ 근대국가 형성(1830-1913)

- 입헌군주국 수립(1863)

- 발칸 전쟁시 터키(1912)와 불가리아(1913)에 승리

ㅇ 1차 대전 중 연합국 일원으로 참전, 2차 대전 중(1941-44) 독일, 이태리, 불가리아에

의해 점령

ㅇ 좌우 세력 간 내전(1946-49), 입헌군주정(1959-67), 군사정권(1967-74)을 거침

하. 관광명소

1) 개 요

그리스는 흔히 서구 문명의 요람으로 일컬어지고 있으며 현재 우리가 누리고 있는 20세기

문명의 기원으로 보아도 과언이 아니다.

철학자 소크라테스, 아리스토텔레스, 플라톤과 광대한 제국을 건설한 알렉산더 대왕, 의학의

아버지 히포크라테스, 이솝 우화로 알려진 이솝, 물리학의 아르키메데스, 수학의 피타

고라스, 역사학자 헤로도투스 등 오늘날 인류 문명의 초석을 다듬은 위인 영웅은 모두

그리스에서 탄생했으며 이들의 발자취를 찾아오는 세계 각지로부터의 관광객이 끊이지 않고

있다.

아테네시내의 주요 관광지로는 그리스 고적 제1호인 동시에 UNESCO 지정 세계고적 1호인

아크로폴리스를 비롯하여 제 1회 근대올림픽 경기가 열렸던 올림픽경기장, 세계 최고의 대

학 아카데미아, 아테네 국립 고고학박물관 등이 있으며 아테네 근교에는 수니온, 고린도 운

하, 에피다브로스 원형극장, 미케네 유적지, 델피 유적지 등이 그리스 도처에 산재해 있다.

그리스-141

♣ 신화에 등장하는 주요 신과 상징물 ♣

ㅇ 제우스: 올림포스신들의 제왕으로서 신들의 중앙에 위치하며, 높은 의자에 앉은 모습

ㅇ 헤라: 제우스의 옆에 놓인 약간 낮은 의자에 앉은 모습이며, 상징물은

공작새(제우스의 아내)

ㅇ 포세이돈: 바다의 신이며, 항상 삼지창을 든 모습(제우스의 동생)

ㅇ 헤파이토스: 대장장이 신이며, 항상 도끼를 든 모습 (절름발이 불구자 신이나, 미의

여신 아프로디테의 남편)

ㅇ 아테네: 지혜와 전쟁의 여신. 투구와 뱀 장식의 망토와 방패, 창을 들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되며, 상징물은 부엉이

ㅇ 아폴론: 음악의 신이자 태양의 신과 동일시 됨. 작은 하프와 같은 악기를 들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됨

ㅇ 아프로디테: 사랑과 미의 여신. 보티첼리의 그림 <아프로디테의 탄생>에 큰 조개

껍질에서 아프로디테가 걸어 나오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음

2) 주요 관광명소 안내

□ 아크로폴리스

아테네 시 한복판에 우뚝 솟은 아크로폴리스 언덕에는 파르테논 신전, 에렉티온, 아테나

니케 신전이 있고 그 주위에 아고라광장, 디오니소스극장, 아티쿠스오데온 극장,

아레오파고스 언덕 등이 있다.

ACROPOLIS란 원래 ACRO(높다)와 POLIS(도시)의 두 단어를 합친 것인데 이는 고대

그리스 의 대부분 도시국가가 종교적, 군사적 이유에서 비교적 높은 언덕을 중심으로

도시를 형성한 데서 연유한다. 아크로폴리스 중심에는 고대 아테네 도시국가의

수호신이었던 아테나 여신을 모시기 위해 지은 웅장한 파르테논 신전이 있는데 이 신전은

아테네 전성기의 공화군주 페리 클레스가 페르시아와의 전쟁에서의 승리를 기념하기 위해

BC 447-438 기간 중 당대의 건축가 이크티노스를 시켜서10년에 걸쳐서 지은 것이다.

로마제국 시절을 거쳐 비잔틴제국 시절에는 아테네 시 기독교회당으로 사용되다가 터키

지배 하에서는 회교사원, 군사령부, 화약고 등으로 이용되기도 했는데 특히 1687년에는

베네치아 군대가 파르테논의 터키 군을 대포로 공격하여 신전 내의 화약고가 폭발,

48시간의 대화재가 계속되어 신전의 상당부분이 파손되었다.

그리스-142

신전 안팎의 여러 조각품들은 터키 지배 시 콘스탄티노플 주재 영국대사로 부임한 옐친 경

에 의해 발굴되어 현재 대영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는데 1929년 그리스의 독립을 계기로

2000여 년의 세월을 지내면서 주위에 빽빽이 들어선 각종 가옥과 건물 등을 말끔히

철거함으로써 현재의 모습을 드러내게 되었다.

아크로폴리스 서남쪽에 자리잡은 아테나 니케 신전은 승리의 여신인 아테나 여신을 모시기

위해 파르테논신전에 앞서 건축된 것이며, BC 407년에 완공된 에렉티온은 당시 아테나

여신 과 함께 경쟁적으로 아테네를 수호했다는 포세이돈 신을 위해 건립된 것인데 특히

6명의 여 사제가 신전 입구를 떠받치고 있는 모습이 특이하다.

아크로폴리스에서 내려다 보이는 곳에 옛 시장 터의 유적인 아고라가 있으며 부근에 사도

바울이 아테네 시민들에게 기독교를 전파하던 아레오파고스 언덕이 있다. 서남쪽에는 기원

전 6세기에 건축된 디오니소스극장이 폐허로 남아있고 그 옆에는 AD161년에 당시

아티카의 대부호 헤롯 아띠꾸스가 지어 아테네 시에 기증했다는 아티쿠스 오데온 극장이

있다.

6,000석의 객석을 갖고 있는 이 극장은 최근에 복원되어 지금도 여름철이면 음악회와

그리스 고전극 등이 상영되고 있다. 또한 파르테논 신전 아래쪽에 있는 아크로폴리스

박물관에는 아테네의 전성기였던 파르테논 신전 건립 당시의 유물들과 아크로폴리스에서

발굴된 예술품들이 전시되어 있다

□ 근대 올림픽 경기장

아테네 시내 중심지에 위치한 ATHENS STADIUM은 1896년에 제1회 근대 올림픽 경기가 개

최되었던 곳으로 유명하다. 이 경기장은 BC 330년에 이미 고대 경기장으로 사용되던

자리에 새로 근대 올림픽경기장을 건립한 것인데 이곳은 또 페르시아와의 전쟁 당시 무명의

아테네 병사가 마라톤전쟁에서의 승전보를 아테네시민들에게 전하고 쓰러져 죽은 지점이기도

하다.

고대 그리스의 도시국가들은 험난한 산악과 계곡을 경계로 서로 난립하여 상호간에 수없이

잦은 전쟁을 벌리면서도 아테네, 델피, 코린도스, 올림피아의 4개 도시국가가 주최하는

각종 운동 경기에 참가하여 친선을 도모하여 왔는데 이 중에서도 가장 규모가 큰 것이

올림피아 경기로서 정확히 BC 776년에 최초의 경기가 시작되어 약 1,000년간 매 4년마다

개최됐었다.

그리스-143

이 고대 올림픽에는 그리스의 전 도시국가는 물론 멀리 지중해 연안의 다른 나라들 까지도

참가했는데 경기 도중에는 일체의 전투 행위와 무기 사용이 금지되고 운동 경기가 끝나면

토론, 음악, 연극 등 사교 행사가 열렸으며 심지어는 조약의 체결 등 외교 교섭까지도 벌어졌다.

올림픽 제전은 그리스가 로마 제국에 흡수된 뒤에도 한동안 계속되었는데 특히 폭군 네로

황제는 모든 경기 종목에 자신의 이름을 등록하여 매번 엉터리 우승을 했다고 하며 마차

경기에서는 네로가 낙마하여 골인을 하지 못했는데도 우승의 영광을 차지했다고 한다.

AD393년 로마 황제 데오도시우스 1세는 기독교교리를 내세워 올림픽을 금지시켰는데, 그

후 프랑스와 독일 학자들에 의해 올림픽 유적지가 발굴되고 1896년에 쿠베르탱 남작이

근대 올림픽 경기를 부활시켰다.

한편 올림픽에서 마라톤이 경기종목으로 채택된 유래를 보면 다음과 같다.

BC 490년 당시 강대한 페르시아제국을 이룩한 다리우스 대왕은 그리스를 정벌하기 위해

10만 대군을 이끌고 아테네동쪽 42KM 지점에 있는 마라톤 평원에 도착했는데 이 때

아테네를 중심으로 한 전 그리스군의 병력은 1만 명에 불과 했음에도 그 해 9월 12일 몇

시간만의 전투 끝에 192명의 아테네 병사가 목숨을 잃은 반면 페르시아군은 무려

6,400명의 희생자를 내고 후퇴해 버리고 말았다.

이 날은 유럽문화가 페르시아 문화를 싸워 이김으로써 오늘날의 찬란한 서구문명이 꽃필 수

있었던 역사적인 순간이었고 이 승리의 기쁨을 동포들에게 알리기 위해 단숨에 마라톤에서

아테네로 달려가 승전보를 전하고 숨진 한 병사의 애국심을 기리기 위해서 마라톤이 올림픽

경기종목으로 채택되었다. 지금도 아테네에서 동쪽으로 42KM 떨어진 마라톤에는 당시 페르

시아와 싸우다 숨진 아테네 병사들의 유골을 함께 묻은 마라톤 무덤이 그대로 보존되어 있다.

□ 수니온

아테네 시 정남쪽 67 KM떨어진 아티카 반도 끝에 위치한 수니온에는 바다의 신

포세이돈을 모신 신전이 있다. BC 444년에 건축된 이 신전은 옛 그리스 선원들이 멀리

이집트와 흑해로 나갔다가 되돌아 올 때 길을 표시해 주는 등대의 구실도 했는데 지금은

12개의 도리아식 돌 기둥과 초석만이 웅장한 모습을 지키고 있다.

에게해와 지중해가 갈라지는 길목에 위치한 이 곳 수니온은 몇 년 전까지만 해도 많은 사람

들이 이 곳 방문을 기념하여 자기의 이름을 돌기둥에 새기는 것이 허용되었는데 영국의

유명한 낭만파 시인 바이런 경이 19세기 초 이곳에 와서 자기의 이름을 초석에 새기면서

당시 터키의 지배 하에 있던 그리스의 찬란한 문명을 구하는 것이 서구의 역사적인

사명이라고 굳게 믿고 영국의 왕실과 의회에 정신적, 물질적 지원을 호소함으로써 그리스

독립운동의 횃불을 올린 곳이기도 하다.

특히 수니온에서의 지중해 수평선 너머로 해지는 모습은 저녁노을의 일대 장관이 맑은

날이면 어김없이 되풀이 되고 있어 특히 일몰시간에 관광객들이 많이 몰려들고 있다.

바이런 경은 후에 그리스의 독립을 위해 터키와의 전쟁에 참전하여 코린도스에서

병사했는데 그는 수니온에 다음과 같은 한편의 시를 남겼다.

그리스-144

"나를 수니온의 대리석 꼭대기에 세워달라. 이곳이야말로 나와 바닷물결이 서로 이야기하는

것을 막을 자 아무도 없을지니 여기 백조처럼 노래 부르다가 죽고 싶어라 결코 노예의 땅은

용서치 않으리니 사모스 섬의 포도주 잔을 힘껏 멀리 던지자"

□ 코린도스

아테네에서 서쪽 87KM 지점에 위치한 코린도스는 고대 그리스의 도시국가 중에서 가장

영화로운 생활을 누렸던 곳이었다. 그리스 본토와 펠로폰네소스 반도를 연결하는 길목에

자리 잡은 지리적인 이점으로 인해 무역과 상업이 크게 번창하여 BC 500년경에 이미 인구

30만의 대도시로 성장하였으며 이오니아, 도리아 건축양식에 비해 코린도 양식이 가장

섬세하고 사치스러웠던 것도 바로 이런 이유 때문이었다.

그러나 번창했던 코린도스는 로마의 지배에 대항하여 싸우다가 멸망하고 그 후 수차례

지진으로 폐허가 된 채 지금은 아폴로신전의 돌기둥과 상점, 관청가, 노변시장, 정원,

분수대 등의 옛 자취 만이 잡초에 덮여 있을 뿐이다. 이 곳의 아폴로 신전은 BC 6세기경에

건립되어, 그리스 신전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외 로마시대의 수세식

화장실 터와 고대의 저수장으로 사용되었으며 지금까지도 자연수가 솟아 나오고 있는

피레네 샘이 관광명소로 유명하다.

성경의 고린도 전서는 사도 바울이 이 곳에 초대 교회를 세우고 이 초대교회에 보낸 서신을

모아 성경의 한 부분이 되었는데 초대교회 자리에는 현재 그리스정교회가 자리잡고 있다.

그리스도 교의 전파를 위해 이 곳에 왔던 사도 바울은 당시 코린도스의 사치와 허영을

맹렬히 비난했다고 하는데 특히 코린도스는 알렉산더 대왕이 이 곳을 지나가다가 당시

나무통 속에서 일생을 보내면서 철학을 연구하던 디오게네스와 만났던 곳이기도 하다.

이때에 알렉산더 대왕은 디오게네스를 흠모하던 끝에 '내가 귀하를 위해 해줄 수 있는 일이

있으면 무엇이던 부탁하라'고 말하자 디오게네스는 '한 가지 부탁이 있소, 지금 당신이 내

앞에 서서 햇빛을 가리고 있으니 좀 비켜 서 주시오' 라고 대답했다고 한다. 디오게네스는

대낮에도 등불을 들고 다니면서 '사람을 찾는다'고 외친 괴짜 철학자였다.

코린도스의 폐허 뒤에 우뚝 솟은 아크로코린도 꼭대기에는 중세 프랑스, 이태리, 터키의

지배자 들이 겹겹으로 둘러쳐 만든 웅장한 성이 그대로 남아 있어 이 곳에 올라가 사방을

내려다 보면 펠로폰네소스 평야, 코린도스 해협과 그 양쪽의 바다가 훤히 한눈에 들어

온다. 이곳 아크로 코린도는 우리에게 잘 알려진 시지프스의 전설이 서려있는 곳이다.

'제우스 신이 강의 신 아소프스의 딸 에기나를 겁탈하자 시지프스는 이 사실을

아소푸스에게 알린다. 이를 못마땅하게 여긴 제우스 신은 시지프스를 벌하기 위해 그에게

바윗돌 한 개를 아크로코린도에 끌어 올리도록 명령한다. 그러나 시지프스가 아무리 힘을

그리스-145

들여 밀어 올려도 바위는 다시 아래로 굴러 떨어져 버리고 만다' 인간의 끝없는 고통을

상징한 유명한 시지프스의 신화가 바로 이 것이다.

펠로폰네소스 반도와 그리스 본토를 연결하는 코린도스 운하는 최고수심이 약 8M, 길이가

6.34 KM로서 1893년에 완성되었다. 이 곳에 운하를 파겠다는 노력은 고대

그리스인들로부터 시작하여 꾸준히 계속되어 왔는데 모두 실패했으며 AD 67년에는

로마제국의 네로 황제가 죄수 6,000명을 동원하여 공사를 개시했으나 이 역시 실패하고

19세기 말에 들어서야 비로소 프랑스 기술진에 의해 완성이 되었다. 지면으로부터 약 80M

아래에 파여진 이 운하는 그리스의 피레아스 항에서 이태리의 브린디시 항까지 약

200마일의 항해거리를 단축해 주고 있다.

□ 에피다브로스

아테네에서 153 KM 떨어진 펠로폰네소스 반도 동쪽. 에피다브로스에는 그리스에서 가장

아름답다고 하는 원형극장이 있다. 이 곳에서는 지금도 매년 6월 하순부터 9월까지 그리스

고전극과 음악회 등이 공연되고 있는데 그리스가 낳은 세계적인 성악가 마리아 칼라스도 이

곳에서 공연한 적이 있다.

AD 4세기경에 건축된 이 원형극장은 넓은 벌판의 한복판에 자리잡고 있어 14,000명을 수용

할 수 있는 규모와 조형미가 특이한데 무엇보다도 음향학적인 특수설계에 의해 건축되어 이

극장에서는 확성기의 도움이 없이도 아래쪽 무대에서 동전 떨어뜨리는 소리는 물론 종이를

찢는 소리가 제일 위쪽에 있는 객석에까지 선명하게 들린다. 영국인들이 이와 똑같이

영국에 지으려다가 실패했다고 하며 음향학을 최대한 활용한 고대 그리스인의 지혜를 엿보게

한다.

원래 에피다브로스는 의술의 신인 아스클레피오스의 성역으로 번성했던 곳으로 주요 유적은

원형극장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 있는데 BC 6세기경 아스클레피오스의 신앙이 이곳에 전해

지자 당시 사람들이 충직하게 이 신에게 기도를 올리면서 병을 고쳤다고 한다. 당시 병자

들은 이곳에 오면 일단 아스클레피오스에게 예물을 올린 다음 아바톤이라고 하는 기숙사에

머물면서 병을 고치곤 했는데 이들은 이곳에서 잠자는 사이에 병이 치료된다고 믿었으며,

육체적 단련을 필요로 하는 환자들을 위해 사용되던 운동경기장과 체육관 등의 터가 지금도

남아 있다.

그리스-146

□ 미케네

아테네에서 약 150KM 지점, 코린도스의 남쪽에 위치한 미케네는 크레타 섬의 미노아

문명의 뒤를 이어 기원전 16세기에서 14세기까지 한창 번성했던 미케네 문명의 본고장이며

호메로스의 서사시 일리아드와 오디세이의 현장이기도 한 곳이다.

일리아드에 의하면 그 옛날 트로이의 전쟁과 트로이의 목마로 유명한 아가멤논 왕 시절의

미케네는 너무나도 황금이 많이 쌓여 `황금의 미케네' 라는 이름을 얻고 있었는데 트로이의

정복에 나섰던 아가멤논 왕이 트로이를 정복하고 돌아오자 왕비 클리템네스트는 정부인

에기스토스와 공모하여 왕을 암살하게 된다. 이에 왕자 오리스테스는 어른이 되어 여동생

엘렉트라의 설득에 의해 어머니인 왕비와 에기스토스를 살해하고 델피의 신탁에 따라 아테

네로 피신하게 되며 이곳에서 아테나 여신과 아폴로 신이 주재하는 아레오파고스 재판에서

죄의 사함을 받고 고국으로 다시 돌아가 왕위를 이어받게 된다.

종전에는 일리아드에 등장하는 인물들이 모두 가공인물로 간주되어 왔으나 미케네의 유적지

가 트로이의 발굴로 유명한 독일인 실업가 하인리히 슐리만에 의해 1876년에 최초로

발굴이 개시되면서 미케네 시대의 왕릉과 각종 귀금속, 아가멤논 왕의 것으로 보이는 왕관

등이 발견됨에 따라 호메로스의 서사시가 역사적 사실에 근거하고 있음을 뒷받침 해주게

되었다. 그 후 1950년대에 들어 그리스 정부에 의해 본격적인 발굴이 진행되어 지금의

미케네에는 왕궁의 입구인 사자문과 왕릉, 비밀저수지, 아트레우스의 보고 등 미케네

시대의 찬란한 유적들이 공개되고 있다.

□ 델피

아테네 시 서북쪽 170KM의 험난한 산골짜기 한복판에 자리잡고 있는 델피는 고대

그리스인 들이 개인의 문제나 국가의 운명에 관해서 신의 예언 또는 충고를 듣던 신탁의

장소로 유명하다.

델피는 그리스 영토의 중간쯤에 자리잡은 유리한 위치 때문에 다른 도시국가들은 물론,

멀리 이집트에서까지 값비싼 예물을 가지고 이곳을 찾아 오기도 했다. 이러한 이유로 당시

그리스 인들은 델피가 지구의 중심이며 땅의 여신 게(GE)가 사는 곳이라고 믿고 있었다.

깎아 지른 듯이 우뚝 솟은 두 개의 암벽을 지구의 두 유방으로 생각했으며 바로 눈

아래로는 항시 희뿌연 안개가 서려있는 깊은 계곡이 뻗어 있어 옛 사람들에게 공포와

경외심을 불러 일으키기에 알맞은 곳이었다. 또한 당시에는 지진이 많이 발생했으므로

그리스인들은 땅의 여신을 위로 하고 숭배하기 위해 여러 가지 기념물과 신전을 짓게

되었다고 한다.

델피의 신탁은 땅의 여신의 여사제인 피티아(PYTHIA)가 동굴 속에서 한 것으로 알려지고

그리스-147

있는데 이 동굴 바깥에는 피톤(PYTH0N)이라고 하는 뱀이 항상 지키고 있었으며 신탁을 내리

기 전에는 동굴 속에서 항상 흰 연기가 나왔다고 하며 피티아는 신들린 상태에서 예언을

했다고 한다. 이 동굴의 위치와 연기의 유래는 아직까지도 학자들이 발견해 내지 못하고

있다.

아들이 아버지보다도 어머니를 더 따르는 심리상태인 `오이디푸스 컴플렉스'로 우리에게

잘 알려진 오이디푸스 이야기 중 아버지를 살해하고 어머니와 결혼하게 될 것이라는 예언도

델피에서 비롯되며, 철학자 소크라테스는 델피에서 이 세상에서 가장 현명한 사람이 누구

냐고 물은 데 대한 대답으로 `바로 당신이다'라는 신탁을 받게 되는데 소크라테스는 처음

에는 이 뜻을 이해하지 못했으나 후에 자기가 자신의 어리석음을 잘 알고 있기 때문에 이

세상에서 가장 현명하다는 신탁을 받은 것으로 깨닫고 그 유명한 `너 자신을 알라'라는

말을 남겼다고 한다.

그리스와 페르시아간의 전쟁 시에 델피는 암암리에 침략군의 편을 들어 페르시아에 유리한

신탁을 내렸는데 페르시아 장군 크세르크세스가 델피로 접근할 때 난데없는 돌벼락을 맞아

패배함으로써 델피의 신탁은 하루아침에 그 명성이 땅에 떨어지게 된다. 뒤이어 그리스의

여러 도시 국가 특히 아테네와 스파르타는 델피를 차지하려고 서로 겨루게 되어 델피의

영광은 점점 빛을 잃게 되는데 로마제국 시절에 와서는 여러 황제들이 차례로 델피의

보물을 약탈해 갔으며 드디어 데오도시우스 황제는 올림픽 경기의 폐지와 함께 델피의

신탁까지 금지해 버렸다.

오늘날 델피에는 아폴로, 제우스, 포세이돈 신 등 제신을 모셨던 신전과 각종 예물 및

금은보화를 보관했던 성역의 초석 및 돌기둥만이 남아 있으며 그 외 고대 경기장과 체육관,

주신 디오니소스를 위해 지은 극장 터 등이 남아 있다.

하. 기타 쇼핑 등

그리스의 토산품에는 도자기류, 대리석 가공품, 풍경화, 아이콘상등을 비롯한 수공예품과

민예품이 있으며, 선물용으로는 토산 농산물을 가공한 제품(올리브 비누나 올리브유

화장품, 히오스 섬에서 생산된 마스티초 등) 및 가죽 제품 등이 있다. 이들 제품은 생산

지방에 따라 품질과 가격이 다르며 같은 상품이라도 상점마다 차이가 있는데 구입한

대부분의 상품에는 23 % 정도의 부가세(VAT)가 가산되어 있다.

아테네의 쇼핑가는 신다그마 광장 근처의 상점들과 아크로폴리스 근처의 플라카 지구이며,

관광 상품 판매 전문점과 전통 춤 등을 공연하는 음식점 등이 있다.

그리스-148

9. 주요 전시회 개최일정 가. 2012년 주요 전시회

전시회 국문명 개최 도시 개최 기간

그리스 테살로니키 비즈니스 가구 및 장식

박람회 테살로니키 2012.1.20-1.23

그리스 테살로니키 농기계 설비 박람회 테살로니키 2012.2.1-2.5

그리스 테살로니키 건축기자재 박람회 테살로니키 2012.2.16-2.19

그리스 테살로니키 냉,난방기기, 재생에너지

산업박람회 테살로니키 2012.2.16-2.19

그리스 테살로니키 대리석(광물) 가공기기 박람회 테살로니키 2012.2.6-2.19

그리스 아테네 포장기자재 산업 박람회 아테네 2012.2.17-2.20

그리스 건축자재 박람회 테살로니키 2012.2.18-2.21

그리스 아테네 건축 및 리노베이션 박람회 아테네 2012.3.15-3.18

그리스 아테네 에너지 산업 기술 박람회 아테네 2012.3.15-3.18

그리스 아테네 IT전자통신 박람회 아테네 2012.4.5-4.9

그리스 테살로니키 가구부품 및 장식 박람회 테살로니키 2012.5.5-5.13

사이프러스 니코시아 국제박람회 니코시아 2012.5.18-5.27

그리스 아테네 선박기자재 박람회 아테네 2012.6.4-6.8

그리스 테살로니키 종합 박람회 테살로니키 2012.9.8-9.16

그리스 아테네 고급 요트 박람회 아테네 2012.9.13-9.17

그리스 아테네 육해공군 방위 산업 박람회 아테네 2012.10.2-10.6

그리스 아테네 산업 전문 기계 박람회 아테네 2012.10.4-10.7

그리스 아테네 전자 조명 기술 박람회 아테네 2012.10.13-10. 15

그리스 테살로니키 보석세공품, 시계,세공기계

박람회 테살로니키 2012.10.13-10.15

그리스 아테네 보트 박람회 아테네 2012.10.13-10.21

그리스 아테네 태양광 에너지 박람회 아테네 2012.11.1-11.4

그리스 테살로니키 유기농 박람회 테살로니키 2012.11.2-11.4

그리스 국제 호텔 및 레스토랑 전문설비 박람회 아테네 2012.11.22-11.25

그리스 테살로니키 관광 산업 박람회 테살로니키 2012.11.23-11.25

그리스 테살로니키 호텔 전문설비 박람회 테살로니키 2012.11.23-11.25

나. 2013년 주요 전시회

전시회 국문명 개최 도시 개최 기간

그리스 테살로니키 축산업 박람회 테살로니키 2013.2.7-10

그리스 테살로니키 에너지 산업 기술 박람회 테살로니키 2013.2.21-2.24

그리스 건축자재 박람회 테살로니키 2013.2.21-2.24

그리스 테살로니키 가구 산업용 기계, 도구, 원재료

박람회 테살로니키 2013.2.21-24

그리스 테살로니키 비즈니스 가구 및 장식 박람회 테살로니키 2013.2.21-2.24

그리스 테살로니키 보석, 시계, 귀금속 박람회 테살로니키 2013.3.1-3.4

그리스 테살로니키 와인 페어 테살로니키 2013.3.7-3.10

그리스-149

전시회 국문명 개최 도시 개최 기간

그리스 테살로니키 식품 및 기계 박람회 테살로니키 2013.3.7-3.10

그리스 테살로니키 여행 박람회 테살로니키 2013.4.18-4.21

그리스 테살로니키 서적 박람회 테살로니키 2013.4.18-4.21

그리스 부동산 박람회 테살로니키 2013.5.17-5.19

그리스 테살로니키 나노과학 박람회 테살로니키 2013.7.1-7.7

그리스 테살로니키 국제 박람회 테살로니키 2013.9.7-9.15

그리스 테살로니키 귀금석, 시계, 보석 및 가공기계

박람회 테살로니키 2013.11.2-11.4

그리스 테살로니키 지역정부 단체 박람회 테살로니키 2013.11.21-11.24

그리스 테살로니키 관광 박람회 테살로니키 2013.11.21-11.24

그리스-150

10. 유관기관 웹사이트

□ 교역 관련 기관

ㅇ General Secretariat of Trade(무역국): www.gge.gr(현지어)

ㅇ 그리스 재무부: www.mnec.gr

ㅇ 아테네 상공회의소: www.acci.gr

ㅇ 데살로니키 상공회의소: www.ebeth.gr

ㅇ 그리스 북부 수출인 협회 사이트: www.seve.gr

ㅇ 그리스 수출 협회: www.hepo.gr

ㅇ 그리스 중소기업 협회: http://www.eommex.gr

ㅇ 그리스 관광 협회: http://www.gnto.gr

ㅇ 피레우스 상공회의소: http://www.pcci.gr

ㅇ Hellenic shipping chamber: http;//nee.gr

ㅇ Federation of Greek Industries: http://www.fgi.org.gr

ㅇ Panhellenic Exporters Association: http://www.pse.gr

□ 투자유치 정부기관

ㅇ Invest in Greece Agency

- 주소: 3 Mitropoleos Str., GR-10557 Athens Greece

- 전화: +30) 210-335-5700

- 팩스: +30) 210-324-2079

- 이메일: [email protected]

- 홈페이지: www.investingreece.gov.g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