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 무역자료실 직원용

306

Transcript of Untitled - 무역자료실 직원용

1990년대 이후 외국 선진기업의 해외M&A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EU등 단일시장의 조성

및 국가 간 경제장벽이 완화됨에 따라, 해외M&A는 더욱더 증가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다국적

기업의 과점화가 심화되었습니다. 일본 및 중국도 풍부한 외화를 바탕으로 해외M&A에 적극적으로

가담하고 있습니다.

중국의 경우 2009년 3월까지 전년동기 대비 M&A액수가 40% 증가하는 등 총 218억불로 독일에

이어 세계 2위를 기록하였습니다. 같은 기간 전 세계 M&A가 35% 감소한 것과는 대조적으로

중국은 2조 달러 이상의 막대한 외환보유고를 바탕으로 자동차, 철강, 비철금속 등의 해외 자원,

기술 및 시장 확보에 열을 올리고 있습니다.

일본도 해외기업인수가 전년대비 200% 증가한 784억 달러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일본의 해외기업

인수 증가는 경기 회복기에 일본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는 기반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금융 관련 기업인수가 활발해 글로벌 금융네트워크 형성을 통한 일본 금융업의

해외 경쟁력 강화가 예상되고 있습니다.

최근 미국, 호주 등 선진국의 경우 부동산 실물 부문의 위축으로 유동성 부족 상황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이는 실물 가치의 급격한 하락을 불러오고 있으며, M&A를 위한 인수 금융 및 가치

체계가 붕괴되는 현상을 낳았습니다. 이에 따라 미국, 호주 등 주요 선진국의 유망기업들은 다양한

원천기술 및 매력적인 시장을 보유하고 있는 등 우리나라 기업들이 인수하기에 좋은 사냥감으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더군다나 거시 경제관점에서 2010년 이후에는 풍부한 기업 현금자산, 저금리, 경제 및 증시의

회복, 기업구조조정 및 기업가치 저평가 등 매수기업의 입장에서 여러 호재가 속속 등장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기업들은 아직까지 해외M&A에 소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한국의 경우 M&A에 익숙하지 않은 기업문화와 과거의 M&A실패경험으로 부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러나 자력 성장 위주의 전략만으로는 M&A를 자유자재로 구사하는 글로벌

기업과의 경쟁에서 한 발 뒤쳐질 우려가 있습니다.

국내 기업들은 신성장 동력 확보를 위해 신재생에너지 및 친환경사업 등 녹색기술사업에 지속적으

로 투자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전통산업인 반도체 및 조선은 물론, 전략 포트폴리오 확보차원에서

전세계적인 그린오션에 동참하여 원천기술 및 시장 확보를 위해 M&A를 적극 고려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해외M&A를 위해서는 회계, 세무, 법률, 조직 및 인사 등 다양한 리스크 대처 능력과

경험을 보유하지 않고서는 쉽게 접근하기 어렵습니다. 이 중 특히 녹색산업 동향 및 해외 매물

기업에 대한 조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진 바가 없습니다.

이번 자료는 최근 증가하는 우리 녹색기업의 해외M&A 수요에 맞춰 충실한 길라잡이 역할을

하고자 기획되었습니다.

KOTRA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주요 10개국의 나라별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현황을

조사하여 우리기업의 해외M&A 기초 정보가 될 수 있도록 정리하였습니다.

자료 작성을 위해 온․오프라인 상의 공개 자료뿐 아니라 관련 책임자 인터뷰, 자료 입수 등의

방법으로 최대한 실무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자료를 포함할 수 있도록 노력했음을 알려드립니다.

자료 작성에 수고해 주신 해외KBC, 본사 해외협력개발팀 그리고 많은 조언을 주신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의 인사를 전합니다.

2009년 12월

KOTRA 전략사업본부장

박 기 식

조사개요 5

Ⅰ. 미국 9

1. 녹색산업 기술(시장) 현황 ● 10

2. 녹색기술 보유업체 명단 및 기술내용 ● 20

3. M&A 또는 전략적 기술제휴 가능성 ● 26

Ⅱ. 캐나다 29

1. 녹색산업 기술(시장) 현황 ● 30

2. 녹색기술 보유업체 명단 및 기술내용 ● 48

3. M&A 또는 전략적 기술제휴 가능성 ● 62

Ⅲ. 영국 73

1. 녹색산업 기술(시장) 현황 ● 74

2. 녹색기술 보유업체 명단 및 기술내용 ● 82

3. M&A 또는 전략적 기술제휴 가능성 ● 98

Ⅳ. 독일 101

1. 녹색산업 기술(시장) 현황 ● 102

2. 녹색기술 보유업체 명단 및 기술내용 ● 126

3. M&A 또는 전략적 기술제휴 가능성 ● 140

Ⅴ. 프랑스 142

1. 녹색산업 기술(시장) 현황 ● 144

2. 녹색기술 보유업체 명단, 기술내용 및 전략적 기술제휴 가능성 ● 152

Ⅵ. 스페인 169

1. 녹색산업 기술(시장) 현황 ● 170

2. 녹색기술 보유업체 명단 및 기술내용 ● 180

3. M&A 또는 전략적 기술제휴 가능성 ● 187

Ⅶ. 네덜란드 189

1. 녹색산업 기술(시장) 현황 ● 190

2. 녹색기술 보유업체 명단 및 기술내용 ● 203

3. M&A 또는 전략적 기술제휴 가능성 ● 223

Ⅷ. 덴마크 227

1. 녹색산업 기술(시장) 현황 ● 228

2. 녹색기술 보유업체 명단 및 기술내용 ● 241

3. M&A 또는 전략적 기술제휴 가능성 ● 247

Ⅸ. 스위스 251

1. 녹색산업 기술(시장) 현황 ● 252

2. 녹색기술 보유업체 명단 및 기술내용 ● 267

3. M&A 또는 전략적 기술제휴 가능성 ● 277

Ⅹ. 일본 279

1. 녹색산업 기술(시장) 현황 ● 280

2. 녹색기술 보유업체 명단 및 기술내용 ● 292

3. M&A 또는 전략적 기술제휴 가능성 ● 301

조사개요 5

조사개요

Ⅰ. 제목

□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Ⅱ. 조사의 목적 및 필요성

□ 조사의 필요성

- 녹색성장위원회(중점 녹색기술 개발 및 산업화 전략로드맵)에 따르면 우리나라 녹색기술은 선진국의

50%에 불과하며, 더욱이 최근의 글로벌 경제위기 속에서 위험 부담이 큰 신사업 진출이나 외부기업

인수가 꺼려지고 있음

- 국내 녹색산업의 기술수준이 선진국보다 현저히 낮아 우리 기업의 선진 녹색기술 습득이 절실히 필요

- 때문에 녹색산업 원천기술 보유기업의 M&A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자료화된 정보조사와 이의 전략적

활용이 필요함

□ 조사목적

- 해외 M&A를 통한 국내 기업의 기술 및 시장경쟁력 확보의 토대 마련

Ⅲ. 조사내용

□ 조사방법

- 조사 대상국 : 녹색산업 선진기술 보유국 10개국

․ 미주 : 미국, 캐나다

․ 유럽 : 영국, 독일, 프랑스, 스페인, 네덜란드, 덴마크, 스위스

․ 아시아 : 일본

6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 해당 국가에 위치한 KOTRA의 KBC(Korea Business Center) 지사의 현지조사, 유관 기관 담당자

인터뷰, 인터넷, 각국 통계청 및 기타 자료원 조사

□ 조사개요 내용

- 주요 국가별 녹색산업 동향, 국가별 기술력 보유현황 및 특화분야별 강점 및 녹색산업 정부정책 및

제도를 조사․정리

- 태양광, 풍력, 수소연료전지, 바이오매스, LED, Smart Grid 등 녹색산업 분야의 기술보유업체의 정보를

조사 ․정리

․ 태양전지, 모듈, 패널, 잉곳, 웨이퍼, 기타 소재(폴리실리콘), wire, slurry, sputtering, 풍력 블레이드,

모터, 터빈, 베어링, 기어박스, 캐스팅 등의 부품 및 기술

- 업체별 보유기술 정보, 업체별 M&A 또는 전략적 제휴가능성에 대한 판단

□ 국가별 조사내용 요약

◦ 미국

․ 신재생에너지에 의한 전력생산량, 관련 특허 및 기술력이 증가 추세임

․ 석유의존경제를 탈피하기 위해 정부차원의 신재생에너지 분야에 대한 각종 인센티브 제공 중(세액공제,

신재생에너지 의무비율할당제 등)

․ 바이오연료, 폐기물 처리 등의 신재생에너지 및 에너지효율분야 기술보유기업 9개 업체 조사

◦ 캐나다

․ 풍력발전이 캐나다 신재생에너지분야 중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기술적으로 앞서 있는 분야는

원자력발전임

․ 최근 다양한 인센티브 정책 및 전력 구매제도가 마련되고 있음

․ 15개 녹색기술 보유업체의 기술내용 및 동 업체들에 대한 M&A, 라이센싱, OEM 등의 투자 가능여부에

대한 조사

◦ 영국

․ 다른 유럽 국가들과 비교했을 때 대체원료 전기생산량은 낮은 수준임. 그 중 바이오매스에 의한 전기생산이

가장 큰 부분을 차지

․ 카본 트러스트(Carbon Trust)를 통한 녹색산업분야 기업지원이 대표적임

․ 38개 업체의 기술보유현황이 조사됨. 영국의 대체에너지 M&A 시장은 매우 활발한 상태로 기업 인수계획

시 정확한 계획 및 계산이 요구됨

조사개요 7

◦ 독일

․ 정부지원 높은 공급보상가격이 신재생에너지 생산량 증가의 주된 유인책으로 작용 중

․ 신재생에너지 관련 수출규모 역시 급속도로 성장 중

․ 12개 관련업체의 보유기술에 대한 상세한 조사

․ 아직 초기단계인 국내 신재생에너지 시장에 비해 세계적인 수준의 독일 기술력은 M&A시 우리 기업에게

큰 장점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됨

◦ 프랑스

․ 수력발전이 전체 신재생에너지 중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며, 프랑스 해외 영토에서는 태양광 에너지가

가장 수익성 높은 사업으로 각광받고 있음

․ 가장 최근으로는 프랑스 정부의 2009년 10월 채택 그러넬 환경법이 대표적임.

․ 9개 업체의 보유기술에 대한 조사 및 전략적 기술제휴 가능성에 대한 내용

◦ 스페인

․ 녹색에너지 분야에서 세계적인 수준의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유리한 자연조건으로 인해 태양광에너지에

의한 전력생산 및 소비의 비중이 매우 큼

․ 정부 차원의 에너지 절약정책, 태양광 판넬 의무 설치, 다양한 세제혜택 및 금융지원이 녹색사업의 육성정책으로

작용하고 있음

․ 신재생에너지 각 분야의 업체 중 선별된 10개 조사

․ 풍력발전, 태양광발전, 바이오매스 분야에서 기술협력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임

◦ 네덜란드

․ 주로 풍력 및 바이오에너지 분야에 관심

․ 세제혜택, 그린펀드, 신재생에너지 관련 인증마크 도입 등을 통해 다른 나라보다 경쟁력있는 분야에 집중적으

로 지원

․ 6개 선도업체의 기술에 대한 조사

․ 해외 에너지기업(우리나라의 STX 포함)의 旣 M&A 사례가 있음

◦ 덴마크

․ 풍력발전기 생산은 덴마크의 녹색시장의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산업으로, 높은 수출증가율을

보이고 있음

․ 풍력발전, 바이오매스, 바이오가스, 연료전지, 에너지효율건물, 이산화탄소 포집기술 등의 세계적 기술력

및 특화분야를 보유함

․ 전세계 풍력 터빈의 약 ⅓을 공급하고 있는 Vestas社 외 12개 업체 조사

8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 스위스

․ 신재생에너지 생산 및 사용률이 그리 높은 편은 아니나, 에너지 정책을 통해 비율을 높이려는 추세임

․ 스위스 환경 회사 및 대학들이 보유 중인 신기술 및 첨단기술로 해외 연구 및 계약이 활발하게 진행 중임

․ 9개 업체 기술 정보 및 연구소 정보

◦ 일본

․ 태양전지, 연료전지, 지열산업 분야에서 강세를 보이고 있음

․ R&D에 대한 지원과 태양전지 및 연료전지 보급책 등 신재생에너지의 전력생산 및 소비 비중을 늘리기

위한 정부차원의 노력이 존재

․ 19개 업체의 기술내용에 대한 조사가 이뤄졌음. 해외기업이 일본 국내기업을 M&A하는 건수가 증가하고

있는 만큼 눈여겨 볼만한 시장임

Ⅳ. 결과

□ 기대효과

- 녹색산업분야 해외 M&A를 통한 국내 기업의 원천기술 경쟁력 향상

- 해외 M&A사업의 토대 마련 및 촉진

□ 조사결과 활용방안

- 국내 기업의 녹색산업 기술관련 해외 M&A시 목표국 및 기업의 동향을 읽을 수 있는 기초정보로 활용

- 해외진출정보시스템(OIS, http://www.ois.go.kr/) 게재를 통해 국내 관심기업에게 언제든지 빠르고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정보자료를 제공

Ⅰ. 미국 9

Ⅰ. 미국

1. 녹색산업 기술(시장) 현황

2. 녹색기술 보유업체 명단 및 기술내용

3. M&A 또는 전략적 기술제휴 가능성

10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Ⅰ. 미국

1. 녹색산업 기술(시장) 현황

1) 국가별 녹색산업 동향

□ 에너지 시장 동향

- 미국의 신재생에너지 총소비량은 2007년 기준으로 전년에 비해 96조 BTU(British Thermal

Unit) 감소한 6,813조 BTU로 이는 전년에비해 1% 감소한 것임. 바이오연료 및 풍력에너지

소비는 증가했으나 수력에너지 소비가 감소하였음.

- 미국의 에너지 소비비중을 보면 석유(39%), 천연가스(23%), 석탄(22%), 원자력(8%), 신재

생에너지(7%)의 순임.

- 신재생에너지 소비에서는 바이오매스(53%), 수력(36%), 풍력(5%), 지열(5%), 태양(1%)의

순으로 소비되고 있음.

<미국의 전통에너지 및 신재생에너지 소비비중>

Ⅰ. 미국 11

- 미국의 신재생에너지 수요는 2007-2008년 사이에 8% 감소하였고 총에너지 및 화석에너지

소비는 4% 증가하였음. 신재생에너지가운데 수력발전 비중은 2008년 1% 증가하였고

바이오매스 에너지는 8% 증가, 태양열에너지는 13%, 풍력발전은 51%나 급증하였음.

<미국의 에너지원별 소비현황 (2004-2008)>(단위 : Quadrillion Btu)

에너지원 2004 2005 2006 2007 2008

Fossil Fuels 85,830 85,817 84,690 86,174 83,436

Coal 22,466 22,797 22,447 22,748 22,421

Coal Coke Net Imports 0.137 0.045 0.061 0.025 0.040

22,931 22,583 22,224 23,628 23,838

40,294 40,393 39,958 39,773 37.137

Electricity Net Imports 0.039 0.084 0.063 0.106 0.113

Nuclear Electric Power 8,222 8,160 8,214 8,458 8,455

Renewable Energy 6,260 6,423 6,909 6,814 7,301

3,023 3,133 3,361 3,597 3,884

Biofuels 0.513 0.594 0.795 1,025 1,413

Waste 0.389 0.403 0.414 0.430 0.431

Wood Derived Fuels 2,121 2,136 2,152 2,142 2,041

Geothermal Energy 0.341 0.343 0.343 0.349 0.358

Hydroelectric Conventional 2,690 2,703 2,869 2,446 2,453

Solar/PV Energy 0.065 0.066 0.072 0.081 0.091

Wind Energy 0.142 0.178 0.264 0.341 0.514

총 계 100,349 100,485 99,876 101,552 99,305

- 2008년 신재생에너지에 의한 발전량은 371TWh로 전년대비 6% 증가하였는데 이는 대부분

풍력과 태양에너지 발전량의 증가에 기인하고 있음.

12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미국의 분야별, 에너지원별 전력생산 현황(2004 - 2008)>

(단위 : Thousand Kilowatthours)

분야/에너지원 2004 2005 2006 2007 2008

Total 351,484,632 357,650,653 385,771,908 352,747,486 371,688,391

Biomass 53,537,453 54,276,810 54,860,621 55,538,578 55,875,118

  Waste 15,420,570 15,420,393 16,098,525 16,524,554 17,086,267

  Landfill Gas 5,128,425 5,142,111 5,677,040 6,157,750 6,590,366

  MSW Biogenic  8,150,974 8,330,471 8,477,571 8,303,838 8,459,538

  Other Biomass 2,141,171 1,947,810 1,943,913 2,062,966 2,036,363

  Wood and Derived Fuels  38,116,883 38,856,417 38,762,096 39,014,024 38,788,851

Geothermal 14,810,975 14,691,745 14,568,029 14,637,213 14,859,238

Hydroelectric Conventional 268,417,308 270,321,255 289,246,416 247,509,974 248,085,084

Solar/PV 575,155 550,294 507,706 611,793 843,054

Wind 14,143,741 17,810,549 26,589,137 34,449,927 52,025,898

Commercial 1,680,155 1,758,789 1,712,691 1,691,439 1,715,913

Biomass 1,575,188 1,672,752 1,619,245 1,614,160 1,640,533

  Waste 1,561,794 1,656,755 1,598,646 1,598,799 1,616,040

  Landfill Gas 172,029 217,632 172,590 202,547 231,583

  MSW Biogenic 945,344 953,093 955,910 962,496 964,155

  Other Biomass 444,421 486,031 470,146 433,756 420,303

  Wood and Derived Fuels  13,394 15,997 20,599 15,361 24,493

Hydroelectric Conventional 104,967 86,037 93,446 77,279 75,380

Industrial 32,412,566 32,198,528 31,871,511 30,508,807 30,370,006

Biomass 29,164,073 29,003,087 28,972,463 28,918,826 28,460,443

  Waste 796,988 732,553 572,447 631,452 597,960

  Landfill Gas 120,018 113,155 28,786 27,087 21,265

  MSW Biogenic  30,213 34,441 34,541 39,782 13,357

  Other Biomass 646,757 584,957 509,120 564,583 563,338

  Wood and Derived Fuels  28,367,085 28,270,534 28,400,016 28,287,374 27,862,484

Hydroelectric Conventional 3,248,493 3,195,441 2,899,048 1,589,981 1,909,563

Electric Power 317,391,910 323,693,336 352,187,707 320,547,239 339,602,472

Biomass 22,798,191 23,600,971 24,268,913 25,005,592 25,774,142

 Waste 13,061,787 13,031,084 13,927,432 14,294,304 14,872,266

  Landfill Gas 4,836,377 4,811,325 5,475,664 5,928,117 6,337,518

  MSW Biogenic 7,175,417 7,342,938 7,487,120 7,301,560 7,482,026

  Other Biomass 1,049,993 876,822 964,648 1,064,627 1,052,722

  Wood and Derived Fuels  9,736,404 10,569,886 10,341,481 10,711,288 10,901,875

Geothermal 14,810,975 14,691,745 14,568,029 14,637,213 14,859,238

Hydroelectric Conventional 265,063,848 267,039,777 286,253,922 245,842,714 246,100,141

Solar/PV 575,155 550,294 507,706 611,793 843,054

Wind 14,143,741 17,810,549 26,589,137 34,449,927 52,025,898

Ⅰ. 미국 13

□ 신재생에너지원별 산업동향

○ 태양에너지

- 미국의 태양에너지산업은 2008년에 발전용량이 1,265MW가 증가(16%)함으로써 총발전용

량이 9,183MW에 이름. 2008년 발효된 비상경제안정화법(EESA)으로 미국은 8년간 투자세

액 공제(ITC)를 30%까지 확대하고 주거용 태양광설치 한도액을 높이고 대체최소세(AMT)

에 대한 세액공제적용, 전력회사의 ITC 사용금지 해제 등을 통해 장기투자를 용이하게

하였음.

【태양전지】

- 미국의 태양전지 발전설비용량은 450MW 수준이며 발전원가는 kWh당 18∼23센트임.

미 에너지부는 2010년까지 kWh당 11∼18센트, 2015년까지 5∼10센트로 발전원가를 감소

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음.

- 태양전지 발전은 소규모 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가장 경제적인 방법의 하나이지만 아직

시장규모는 일천함. 그러나 전력공급의 안정성, 품질 등에서 매우 적합한 발전원으로

주목을 끌고 있음.

- 캘리포니아주 남부를 중심으로 미국에는 이미 수천가구의 태양전지 주택이 건설되어

있음.

- 미국은 태양전지 산업이 태동한 국가로 1996년까지 세계 태양전지시장의 44%를 점유하고

있었으나 다른 국가들의 태양전지 시장이 붐을 이룬 반면 미국은 오히려 위축됨으로써

2005년 9%까지 떨어졌음. 최근 주정부의 지원정책에 따라 이런 추세가 반전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음.

- IEA(International Energy Agency)는 미국 내의 건물옥상, 외장에 태양광 설비를 설치할

경우 국내 전력수요의 약 55%를 충당할 것이라고 추산하고 있음. 미 태양에너지산업협회

(SEIA, Solar Energy Industries Association)는 2025년까지 미국 내 신규발전량의 50%를

태양광으로 공급할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2020년까지 태양광발전으로 13만개의 신규고

용이 창출될 것으로 전망.

【태양광 집열발전(CSP)】

- 현재 미국 내 태양광 집열 발전설비 용량은 355MW이며 발전원가는 kWh당 12센트임.

태양광집열발전(Concentrating Solar Power)은 ①포물면 집열기술(Parabolic Through

Technologies, PT) ② 중앙흡수기시스템(Central Receiver Systems) ③접시시스템(Dish

Systems) ④집열태양전지시스템(Concentrating Photovoltaic Systems, CPV)이 있음.

- 1980년대 중반부터 총 355MW 용량의 9개 태양광 집열발전소가 캘리포니아주의 모하비

사막에서 운영되고 있음. 미국 남서부의의 몇 개주에서는 전체 생산전력의 일정비율을

14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태양광집열발전으로부터 공급받도록 하는 ‘태양광 의무비율 할당제도’를 시행함으로써

태양광 발전소 건설을 촉진하고 있음.

- 미국의 남서부의 아리조나주, 캘리포니아주, 네바다주, 뉴멕시코주는 대규모의 태양광자원

을 보유하고 있어 태양광 발전을 위한 양호한 입지조건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됨.

【태양열 난방】

- 미국은 1980년대 세계 태양광 난방산업을 주도하였으나 이후 정부인센티브 철폐, 천연가스

가격하락으로 세계시장에서 밀려나 현재는 150만개 이상의 가정과 소형사무실에서 태양광

난방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중 8%만이 온수, 급탕 및 실내난방에 사용되고 있고

나머지는 모두 수영장의 온수공급에 사용됨.

- 하와이주의 경우 태양광 난방설비 설치시설에 대한 에너지 요금 환불제도를 실시하고

있고 1인당 태양광 난방비율이 미국 내에서 가장 높은 주임.

○ 풍력에너지

- 풍력은 미국 전역에 걸쳐 가장 풍부한 에너지 자원의 하나로 미 에너지부(DOE)의 분석에

따르면 캔자스, 노스다코타, 텍사스 3개주의 풍력자원만으로도 미국 전체 전략수요량을

충당할만한 전력생산이 가능

- 1980년대에는 미국이 세계 풍력발전시장을 주도하였지만 1990년대 들어서는 연방 및

주정부의 정책변화로 위축되는 등 풍력에너지시장의 기복이 심했음. 2008년말 현재 총

풍력발전 설비는 25,369MW임.

- 풍력발전과관련한주요한기술적이슈는저풍속시발전기운전, 현대화된풍력블레이드의

개발, 송배전만 접속 등이 있음.

- 미국 내 풍력자원은 유럽에 비해 월등하며 국토전역에 분포되어 있음. 특히 중서부의

Great Plains(대평원지역)는 풍력자원의 페르시아만이라고 불리울 정도로 풍력이 풍부한

데 미 에너지부에서는 국토해안선의 5-50해리내의 연안 풍력자원이 90만MW의 풍력발전

을 제공할 수 있다고 추산하고 있음.

- 현재 상용규모의 풍력발전 프로젝트는 캘리포니아, 뉴욕, 텍사스, 몬태나주에서 계획,

개발 중에 있음.

○ 바이오에너지

【바이오연료】

- 바이오 연료는 농산물이나 농업폐기물로부터 파생된 액체연료로 바이오디젤(에스테르),

바이오알콜(에탄올) 등이 있으며 석유의 수입의존도를 직접 감소시켜준다는 점에서 여타

신재생에너지보다 이점이 있음.

Ⅰ. 미국 15

- 미국의 에탄올 생산량은 연간 148억 리터로 현재 81개의 상업용 공장이 가동되고 있고

미국의 최대농산물 중 하나인 옥수수로부터 주로 생산됨.

【바이오전력】

- 미국의바이오전력설비용량은 2004년 현재 10GW이며바이오전력의원료는두가지경로로

이루어져 있음. 하나는 펄프, 종이, 박스로부터 나오는 폐지류가 전체 바이오 전력의 3/4을

차지하고 고형폐기물, 매립지가스, 하수찌꺼기, 폐타이어, 농작물쓰레기등이 1/4을 차지함.

2004년 기준 바이오전력의 연간 발전량은 60TWh이며 발전원가는 kWh당 8∼10센트임.

○ 지열에너지

- 지열자원은 미국 내에 잠재부존량이 막대할 뿐 아니라 안정적인 원가로 기저부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신뢰할 수 있는 자원임.

- 미국은 지열발전과 지열난방 설비용량에 있어 세계 최대국가로 4개주(캘리포니아, 하와이,

네바다, 유타)에서 2,828MW의 신규 지열발전 프로젝트가 진행 중으로 장기적으로 2040년

까지 4만MW의 설비용량을 갖추게 되어 전력수요의 상당량을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됨.

- 미국의 지열 에너지는매년 6천만배럴의원유를대체할만한규모이며 2,200만톤의이산화탄

소감축효과가있고전력생산액은 15억달러에달하는것으로평가됨. 그러나 막대한 초기투

자비와 계속적 지열원 발굴의 어려움이 지열에너지 개발에 가장 큰 걸림돌임.

2) 기술력 보유현황 및 특화분야별 강점

□ 미국의 신재생에너지 기술력 보유

○ 신재생에너지 관련 기술력현황은 클린에너지 관련 특허건수로 유추할 수 있는데 2008년 클린에너지

관련 특허가 과거 7년 중 최고 건수 기록해 이 분야에 대한 R&D가 활발해지고 있음을 반영

- 지난 2008년 풍력, 태양력, 연료전지 등 클린에너지 관련 특허는 전년 894건에 비해 29건

증가한 928건을 기록했음.

- 클린에너지 관련 특허 중 연료전지 관련 특허가 전체 클린에너지 중 절반 이상을 차지

 

○ 클린에너지 특허 중 연료전지 관련 특허가 가장 많고 다음으로 풍력발전 관련 특허가 많은 것으로 파악됨

- 연료전지 관련 특허는 주로 델파이, GM, 도요타, 닛산 등과 같은 자동차업체가 전체

연료전지 특허의 약 25%를 차지하고, 나머지는 연구전문기업과 대학들, 소니와 같은

전자기업 등이 보유함.

16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 두 번째로는 최근 들어 기술 개발속도가 빠르고 풍력발전소 설치가 크게 증가한 풍력발전

관련 특허가 차지했으며, 지난 2002년 42건에서 2008년 158건으로 크게 증가함.

 

 ○ 특허 출원건수가 많은 분야, 빠른 기술 발전 의미

- 특정 클린에너지분야에 특허 출원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는 것은 클린에너지분야에

활발한 기술혁신이 이뤄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함.

- 또한 새로운 기술과 효율성이 높은 기술이 시장에 곧 선보일 것을 의미하는 기술상용화의

선행지수임.

< 클린에너지 관련 특허건수 및 종류 >

연도 Wind Solar

Hybrid or

Electric Vehicle

Fuel cell Hydro-electric

Tide or Wave

Geo- thermal

Biomass/Biofuels Other 총계*

2002 42 162 144 349 6 9 2 12 9 723

2003 49 156 122 464 5 11 5 24 3 824

2004 72 124 98 551 8 18 8 16 4 884

2005 92 104 101 501 7 11 6 14 3 827

2006 109 95 105 572 8 18 5 13 5 917

2007 133 100 105 517 4 15 4 28 2 894

2008 155 95 86 530 10 34 9 19 9 928

* 주 : Row totals may be less than the sum of the row because a small number of patents fall into more

than one category.

자료원 : Heslin Rothenberg Farley&Mesiti, Clean Tech Group

3) 녹색산업 정부정책 및 제도

□ 녹색산업 관련 정부정책 및 제도

○ 미국은 1970년 중반 석유파동으로 에너지안보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면서 1978년 국가에너지법(National

Energy Act: NEA)을 제정하였고, 공공시설규제정책법(Public Utility Regulatory Policies Act of 1978:

PURPA) 제정을 통해 신재생에너지 개발을 본격화함

○ PURPA는 발전에 열병합발전 기술을 활용하고 신재생에너지원 사용을 확대하도록 함으로써 발전부문의

진입규제 완화를 촉진하고 미국 전력산업을 경쟁체제로 전환시키는데 크게 기여하였음. PURPA의 주

내용은 공공사업자들이 폐열이나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하는 80MW 이하 용량을 가진 인증된 전력공급회사

(QFs: Qualifying Facilities)로부터 전력을 구매하도록 하는 의무구매제도(Feed-in tariff)로, 이로 인해

고효율의 열병합발전소 및 신재생에너지 사용 소규모 발전소 수가 급증하였음

Ⅰ. 미국 17

○ 또한 1978년에 태양, 풍력, 지열에너지 등 신재생에너지 생산설비를 구입, 설치한 사업자에게 일정비율의

세액공제 혜택을 주는 에너지세법(Energy Tax Act)이 제정되었음

○ 1992년 제정된 에너지정책법(Energy Policy Act of 1992, 2005년 개정)은 생산세액공제(Renewable

Electricity Production Tax Credit: PTC)제도, 신재생에너지 생산 인센티브(Renewable Energy

Production Incentive: REPI)제도 등 현재 시행되고 있는 신재생에너지 지원제도의 핵심내용을 담고

있음

○ 이밖에 요금상계제도(net metering), 의무비율할당제(Renewable Portfolio Standard: RPS)가 신재생에너

지 보급확대를 위해 시행되고 있음

□ 미국의 신재생에너지 정책방향

○ 석유 등 화석연료 소비 감축목표 설정을 통해 중장기적으로 석유의존경제(Petroleum- based economy)

탈피

- 대체 에너지 기술개발을 통해 2025년까지 대중동 원유수입을 75%수준까지 감축시키려는

목표 설정

- 신재생에너지 등 대체에너지 증산을 통해 2017년까지 10년에 걸쳐 가솔린소비를 20%

감축추진

○ 신재생에너지 사용의무화 쿼터(Renewable Fuel Standard : RFS) 설정을 통한 신재생에너지 생산 및

소비를 의무화

- 2022년까지 신재생에너지 생산량을 현재의 7배인 360억갤론까지 확대(2006년 약 55억갤론

생산)

- 2020년까지 자동차 기업평균연비기준(CAFE)을 갤런 당 35마일로 상향조정함으로써

바이오에탄올 등 신재생에너지 소비를 촉진

○ 신재생에너지 공급확대를 위해 조세감면, 기술개발, 국제협력 확대 등 인센티브 부여

- 신재생에너지 생산세금감면(Federal Renewable Production Tax Credit : PTC), 에너지부

중심의 기술개발 지원(2007년 약12억 달러)을 확대

○ 미국행정부는 석유의존도 탈피, 기후온난화방지 등을 위해 신재생에너지 정책을 향후 더욱 강화해나갈

전망

- 세금감면, 기술개발 및 지원, 국제협력 등 기존 정책기조 하에서 신재생에너지 생산

및 소비를 적극 추진할 예정

- 이와 함께 주정부 단위에서도 신재생에너지 생산 및 소비확대정책을 적극 추진할 전망임.

워싱턴DC 및 22개주는 전력생산 시 신재생에너지 사용비율을 의무화하고 뉴욕주는

2013년까지 발전량의 25%를 의무화할 예정

18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 미국의 신재생에너지 지원제도

【연방정부 차원의 지원제도】

○ 생산세액공제(Renewable Electricity Production Tax Credit: PTC)

- 이 제도는 연방정부차원의 지원제도 중 공급측면에서 지원되는 핵심으로 신재생에너지에

의해 발전된 단위전력 생산량 당 일정금액의 법인세를 공제해주는 제도임. 풍력, 지열,

폐쇄형 바이오매스는 2센트/kWh, 개방형 바이오매스, 소수력, 대수력 등 기타 신재생에너

지는 1센트/kWh가 공제됨.

○ 신재생에너지 생산 인센티브(Renewable Energy Production Incentive: REPI)

- REPI는 신재생에너지 생산설비에 의해 생산, 판매되는 전력에 대해 1kWh당 1.5센트를

생산시점부터 10년간 인센티브로지급하는제도로태양광, 태양열, 풍력, 지열, 바이오매스,

매립지가스, 가축메탄 및 해양에너지원, 수소연료전지 등이 수혜대상임.

○ 비용회수가속시스템(Modified Accelerated Cost-Recovery System: MACRS)+보너스감가상각제도

- 이 제도는 기업이 신재생에너지 분야에 설비투자한 금액을 상각비용 공제를 통해 회수할

수있게한 것으로상각기간은 3∼50년으로 에너지원별로 다름. 2008년에 설치되어 가동된

설비의 경우 연방경제촉진법(Federal Economic Stimulus Act)에 의해 50% 추가상각의

혜택이 주어짐.

○ 주택용태양광과 연료전지 세액공제(Residential Solar and Fuel Cell Tax Credit)

- 이 제도는 주택용 태양광 발전설비 및 태양열 온수설비를 2006-2008년 기간에 구매,

설치할 경우 30%의 세액공제(최대 2,000달러)를 해주는 제도임. 연료전지의 경우 0.5kW당

30%의 세액공제(최대 55달러)를 받을 수 있음.

○ 사업용 에너지 세액공제(Business Tax Credit)

- 태양광, 태양열, 지열, 연료전지, 태양광 하이브리드조명, 마이크로터빈 등 설비를

2006-2008년 설치, 가동하는 기업에 대해 최대 30%까지 세액공제를 해주는 제도임.

【주정부 차원의 지원제도】

○ 신재생에너지 의무비율할당제(Renewable Portfolio Standard: RPS)

- 이 제도는전력회사들이총발전량또는총전력판매량의일정비율이상을신재생에너지에

의해 충당하도록 의무화한 것으로 현재 미국에서 29개주에서 시행되고 있으며 점차

확대되고 있는 추세임. 의무비율은 주별로 다른데 각 주별 목표연도별 의무비율은 2020년

까지 15∼20%로 설정되어 있음.

○ 요금상계제도(Net Metering System)

- 이 제도는 전력 수요자가 구매한 전력과 신재생에너지원으로 자체 생산하여 공급한

전력을 상계하여 그 비용을 상쇄하는 제도로 대부분의 주에서 시행되고 있음.

Ⅰ. 미국 19

○ 재산세액공제(Renewable Energy Systems Property Tax Exemption)

- 신재생에너지원(텍사스주의 경우 태양광, 태양열, 풍력, 바이오매스)을 이용하는 발전,

저장설비설치또는발전시설건축과관련하여부과되는재산세를면제해주는프로그램임.

□ 기술개발 및 R&D 동향

○ 미국은 2000년 2,777백만 달러를 에너지 분야 RD&D 분야에 투자하였으며 이중 9.3%인 258백만 달러를

신재생에너지 분야에 투자하였음. 2006년까지 총 에너지예산에서 신재생에너지의 투자금액은 7∼8%대에

그쳤으나 2007년도 426백만 달러(11.6%), 2008년도 446백만 달러(10.3%)로 신재생부문 R&D예산이

급증하였음

○ 신재생에너지 부문별로는 태양에너지, 바이오에너지, 풍력에너지에 대부분의 R&D예산이 집중되어 있으며

특히 2007년 이후 태양에너지 및 바이오에너지에 대한 집중적인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음. 풍력에너지의

경우 2000년대 이후 지속적인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는 분야임

<미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RD&D 예산현황>

(단위 : 백만US$)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에너지효율화 660.073 695.749 679.59 451.104 425.481 390.556 438.34 462.719 501.308

화석연료 254.127 422.046 498.961 478.835 482.246 395.132 387.948 375.393 462.664

석유/가스 106.032 133.868 120.506 99.984 84.959 56.357 65.718 14.657 24.772

석탄 148.095 288.178 378.454 378.851 353.237 289.601 254.3 261.317 318.984

이산화탄소 .. .. .. .. 44.05 49.175 67.93 99.419 118.908

신재생에너지(A) 258.128 299.553 290.799 279.377 271.774 269.349 248.808 425.822 445.905

태양에너지 99.727 110.873 105.15 94.788 90.316 91.338 85.856 160.567 168.453

풍력에너지 38.874 47.317 44.922 47.941 44.528 44.047 40.238 49.756 49.545

해양에너지 0 0 0 0 0 0 0 0 0

바이오에너지 84.989 103.201 103.082 98.188 94.653 94.825 94.238 200.701 198.18

지열에너지 28.583 32.193 31.783 32.686 27.549 27.394 23.893 5.113 19.818

수력에너지 5.955 5.968 5.862 5.775 5.228 5.29 0.52 0 9.909

기타신재생 9.501 6.455 4.063 9.686 0

총에너지(B) 2776.765 3366.853 3347.303 3166.173 3231.465 3263.511 3212.86 3665.28 4317.028

A/B(%) 9.3 8.9 8.7 8.8 8.4 8.3 7.8 11.6 10.3

○ 에너지 연구, 개발, 실증 및 보급에 대한 미 정부의 투자는 에너지 안보확충, 에너지 비용감소, 에너지

이용과 관련된 오염 감소 등 사회적 편익을 제공하는 기술개발의 도입 및 확대를 가속화시키는 데 목표가

있음. 미 에너지부(DOE)의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지원프로그램은 연구보조금 및 국립연구소에 대한 직접적

연구개발 지원, 기업에 대한 다양한 형태의 금융, 기술 지원 등의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음

20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대상분야 신재생에너지 지역 뉴저지

세부분야 나노 촉매제, 폐기물/잔여물의 사용가능한 에너지화

기술명 Next Generation Catalyst (NxCatTM Technology)

기술내용

- 나노 촉매제, 폐기물/잔여물의 사용가능한 에너지化 - 적용분야 : 화학-의약품 제조, Fuel Cell, NOx와 VOC 배출감소, 수질 관리, 수질

회복

- 기술내용 : 동사의 주요제품 및 기술은 낮은 효율의 화석 연료들을 청정대체에너지로

변환시킬 수 있는 촉매제 (catalyst) 와 기술개발임. 석탄, 중유, 석유배럴통 밑에

남은 잔여원유, 석유-모래가 석인 아스팔트 등을 청정 연료액과 석유화학물로 변화시

키는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음.

(http://www.htigrp.com /data/upfiles/pdf/HCAT%206.07.pdf)

- 회사소개 : HTIG의 모회사인 Headwaters Incorporated 社는 석탄을 청정에너지로

2. 녹색기술 보유업체 명단 및 기술내용

□ Battelle Memorial Institute

대상분야 친환경산업 지역 오하이오

세부분야 인쇄산업, CO2 감소, 잉크 토너 산업, 폐 용지 처리 분야

기술명 Biobased (Soy) Toner

기술내용

- 적용분야: 인쇄, 잉크 토너 제작, 폐 용지 분리수거 작업

- 동 기술은 Ohio Soybean Council, Battelle社 그리고 Advanced Image Resources社의 합동 연구진 팀에 의해서 바이오 기반 수지를 개발하고 이에 따른 상품화된

품목으로 토너를 판매하였음. 이 새로운 기술은 콩기름과 콩 단백질 및 옥수수에서

추출된 탄수화물들을 화학공급재료와 함께 사용하고 있음.

- Battelle사는 특히 폐 오피스 용지를 재활용하는 과정에서 거쳐야 하는 잉크분해과정

(de-inking)을 염두에 두고 현저한 비용 절감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가변과정을

거쳐 생명체에서 추출한 폴리에스터 (Polyester), 폴리아마이드 (Polyamide) 그리고

폴리우레탄 (Polyurethane) 수지들을 개발하였음.

- 이후 동사는 표준 잉크분해과정에 쉽게 용해되는 화학물들의 적용과정을 통해 종이

섬유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있는 새로운 잉크를 개발

CEO Jeffrey Wadsworth 설립연도 1929년

주소 505 King Ave. Columbus, OH 43201매출액(2007년)

(US$천)3,815,100

담당자 Mr. Walter H. Plosila 고용 (명) 20,000명

연락처

전화:1-614-424-6424

팩스:1-614-424-5263

이메일:

홈페이지:http://www.battelle.org

해외조직

□ Headwaters Technology Innovation Group, Inc.

Ⅰ. 미국 21

변화시키는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음. 동사의 주요 분야는 ①건축자재, ②석탄 연소

제품 (Coal Combustion Products: CCPs), ③대체 에너지임. 동사의 석탄부서는

Fly Ash와 CCP라는 브랜드를 빌딩 자재 산업체들에게 판매하고 있음. 대체 에너지

부서의 경우 합성연료, 대체 에너지, 청정 석탄 산업체들을 위한 기술 개발을

하고 있음. 동사 대체에너지 산업의 2007년 매출액은 회사 전체 매출액의 28%의

29억 7천 달러, CCP제품은 매출액의 23%인 24억 6천만 달러임.

CEO Mr. Bing Zhou 설립연도 2004년

주소1501 New York Avenue,

Lawrenceville, NJ 08648

매출액(2007년)(US$천)

1,064,600

(모회사의 2007년 매출액)

담당자 Mr. Bing Zhou 고용 (명) 40명

연락처

전화: 1-609-394-3102

팩스: 1-609-394-1278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htigrp.com

해외조직

□ Virent Energy Systems Inc.

대상분야 바이오연료 지역 와이오밍

세부분야 신재생에너지활용기술

기술명 Catalytic Biomass Depolymerization

기술내용

- 적용분야 : 에탄올 등 청정에너지와 에너지원 추출 분야. 수소-알케인 등 청정원료

에너지원을 Biomass로부터 분리

- 동사의 주요사업은 바이오매스와 기타 폐기물을 신재생에너지로 변환과정에 있어

Heterogeneous catalysis에 근거한 Catalytic Biomass Depolymerizaton (CBD)를

위한 촉매과정 개발임. 바이오매스, 기타 폐기물 등을 청정 연료액과 석유 화학물로

변화시키는데 기존 촉매제들보다 빠르고 경제적으로 추출하는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음.

- 기술내용: Virent사가 2007년 9월 기준 US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 and

Technology의 프로젝트 펀딩을 받은 Catalytic Biomass Depolymerization (CBD)

기술은 이미 현존하고 있는 소재분해를 위한 재활용/再제조 프로세스의 일부를

사용, 이성촉진분열을 통해 자동차용 등 엔진연료를 생산하는 에너지 연료원(예:

Sugar)을 추출해내는 기술임.

CEO Lee Edwards 설립연도 2002년

주소3571 Anderson Street Madison , WI

53704

매출액(2007년)(US$천)

12,000

담당자 Dr. Randy Cortright 고용 (명) 80

연락처

전화: 1-608-663-0228

팩스: 1-608-663-1630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virent.com

해외조직

22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대상분야 수자원 관리 지역 올랜도

세부분야 폐수 재처리

기술명 Electrocoagulation Technology(전기응고)

기술내용

- 응고(Coagulation)방식은 폐수 처리에 있어 가장 유효한 방법 중의 하나로 검증된

부분으로 물질의 불안정화(Destablilzation)를 유발하고 이렇게 형성된 소립자(Small

Particle)을 대입자(Larger Particle)화하는 방법임.

- 전통적으로 응고방법은 화학적 및 전기적 방법의 2가지 방법이 사용되어 왔으나

화학처리제(Chemical treatments)의 높은 가격으로 인해 전기적 방법이 선호되고

있음.

- Electrocoagulation(EC)은 전류를 물속으로 흐르게 하는 방법으로 물속의 여러

오염물질의 제거에 매우 효과적인 방법임이 입증된 바 있음.

□ Power Span Inc.

대상분야 환경기술 지역 뉴햄프셔

세부분야 CO2 배출가스 감소기술

기술명Ammonia Based CO2 Scrubbing Technologies [ECO2™]

Electrocatalytic oxidation multi-pollutant control technology [ECO]

기술내용

- 동 기술은 Amine가 아닌 Ammonia를 기반으로 하여 발전소에서 배출되는 가스

내에서 CO2를 긁어냄(scrubbing). CO2가 포집된 후 포집용 솔루션 중 Ammonia는

다시 분리되어 다음 CO2를 함유한 배출가스를 긁어내기(scrubbing) 위해 시스템으로

돌아가 주입됨. CO2 捕集에 쓰인 Ammonia는 다음 CO2 긁어내기 과정에서 소멸되지

않고 계속 사용되고, 프로세스 중에 어떤 해로운 부산물도 창출해내지 않음.

- 현재 상용되는 CO2 포집 시스템인 Monoethanolamine를 사용하는 프로세스의

경우 많은 양의 CO2를 포집하기 힘들고 (X Kg CO2 흡수 솔루션 당 X Kg CO2),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기기와 설비가 쉽게 마모에 노출되며 또한 솔루션을 재생하기

위해 상당히 높은 에너지 소비를 요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음. 반면 수용 Ammonia의

경우 현재 상용되는 기술(Anime 사용기술)보다 2배에 다다르는 양의 CO2를 포집

할 수 있으며, CO2 분리와 포집 솔루션의 재생을 위하여 현재 상용되는 기술보다

49%에서 60% 적은 양의 에너지를 필요로 함. 또한 마모 문제가 존재하지 않으며,

Reagent 보충을 위한 비용도 현 상용기술보다 6분 1 수준임.

CEO Mr. Frank Alix 설립연도 1994년

주소100 International Drive, Suite 200

Portsmouth, NH 03801 USA

매출액(2007년)(US$천)

5,700

담당자 Mr. Frank Alix 고용 (명) 45

연락처

전화: 1-603-859-2500

팩스: 1-603-859-2501

이메일:[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powerspan.com

해외조직

□ Universal Systems Inc.

Ⅰ. 미국 23

CEO Mr. Daniel Spencer 설립연도 1990년

주소PO Box 716 2155 Windmill RD Suite

A, Baker City, OR 97814

매출액(2007년)(US$천)

75,000

담당자 Mr. Alirio Pinango 고용 (명) -

연락처

전화: 1-541-523-0220

팩스: 1-541-523-0223

이메일:

홈페이지:

www.universalsystemsinc.net

해외조직

캐나다

베네수엘라

에콰도르

트리니다드

시리아

대상분야 폐기물 처리 지역 코네티컷

세부분야 폐기물 처리 및 자원화시스템

기술명 Plasma Converter System

기술내용

- 동사의 Plasma 변환기는 일반 공기를 이온화 시켜 효과적인 전도물로 만들고

이로써 번개와 같은 전자 전호를 생성시킴. 동 전자들은 폐기물로 강력한 복사

에너지를 뿜어냄. Plasma 변환기안의 Plasma 관모(Plume)는 화씨 30,000 도에

다다르는데 이는 태양표면의 온도의 3배가 넘는 온도임.

- Plasma 탱크 용기 안으로 폐기물이 삽입되는 입구는 고체, 액체, 기체 등 어떤

형태의 공급자재를 한 번에 넣어도 아무 문제가 없음. 고체 폐기물의 경우 이들의

구성에 따라서 펌프식, 나사로 죄는 방식, 밀어 넣는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음.

- Plasma 탱크 용기는 천장 부분에 開閉門이 설치되어 있는 스테인리스 鋼을 자재로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 실린더 모양의 용기임. Plasma 토오치는 상기의 개폐문을

통하여 용기 안으로 삽입됨. 탱크 용기는 Plasma 변환 용기 내부에서 일어날 때

용기 내부에서 발생되는 에너지를 보존하고 안전을 위하여 특수 단열재와 내열재로

보호되어져 있음. 이와 함께 작업상 안전도를 높이기 위하여 특수 단열처리 된

카메라로 시설 운영자는 Plasma Converter System을 감시할 수 있음.

CEO Joseph F. Longo 설립연도 1993년

주소88 Danbury Rd., Wilton, Connecticut

06897-2525

매출액(2007년)(US$천)

5,800

담당자 Mr. Karl N. Hale 고용 (명) 21

연락처

전화: 1-203-762-2499

팩스: 1-203-761-0839

이메일:

홈페이지: www.startech.net

해외조직

□ Startech Environmental Corp

24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대상분야 조력에너지 지역 뉴욕

세부분야 해수흐름을 이용한 청정에너지 생산

기술명 Tidal Energy Systems

기술내용

□ National Instruments Incorporated

대상분야 에너지효율화 지역 텍사스

세부분야 산업시설의 에너지 사용 高 효율화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작

기술명 PAC (programmable automation controller)

기술내용

- 동 기술은 지난 20년간 산업 자동화 (Industrial Automation) 영역에서 사용되어

왔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인 LabView를 산업시설 시스템의 효율적 에너지 사용이

라는 목적을 위해, 휴먼 컴퓨터 인터페이스 내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한 기능을

강조한 Single Box 형태로 통합하여 업그레이드 시킨 전자기술과 IT의 융합 에너지

제어관리기술임.

- NI 사의 PAC를 이루고 있는 주요 기기구성요소들은 아래와 같음.

① PXI Compact PCT,

② Industrial PC, Compact Field Point,

③ Compact RIO (nterconnect Architecture),

④ Compaq DAQ (Data Aqcuistion),

⑤ Motors/Drivers,

⑥ Smart Camera,

⑦ Custom Layout

CEO James J. Truchard 설립연도 1976년

주소11500 North MoPac Expressway.

Austin, Texas 78759-3504 USA

매출액(2007년)(US$천)

820,500

담당자 Mr. Joe Bellin 고용 (명) 5,157명

연락처

전화: 1-512-338-9119

팩스: 1-512-683-5759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ni.com

해외조직

□ Verdant Power Inc.

Ⅰ. 미국 25

- Verdant Power System은 단순한 모듈방식의 디자인으로 원가효율적인 전력생산이

가능하고 인구밀집지역에도 광범위하게 설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음.

- 이 시스템은 댐, 물가두기 등 공사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환경파괴를 최소화하면서

조수발전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자본비용이 적게 들어 개발도상국에도 적용가능성

높음.

- Free Flow Kinetic Hydropower System은 3개의 블레이드, 수평축의 터빈이 해저,

하저에 배치되어 조수 또는 하수흐름에 따라 청정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고 해저에

설치되기 때문에 환경친화적일 뿐 아니라 해수(하수)의 자연흐름을 방해하지 않음.

CEO Ronald Smith 설립연도 2000년

주소The Octagon, 888 Main St. New York

NY 10044

매출액(2007년)(US$천)

3,000

담당자 Dean Corren 고용 (명) 20명

연락처

전화: 1-212-688-3383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 www.verdantpower.com

해외조직 캐나다

□ Air Product & Chemicals

대상분야 에너지효율화 지역 펜실베니아

세부분야

- 천연가스로부터 산화가스를 제거

- 산화부산물 생산 시 공기로부터 질소 분리

- 공정가스로부터 수소 분리

기술명 Advanced Membrane Devices for Natural Gas Cleaning

기술내용

- 이산화탄소(CO2), 산화황(H2S)은 천연가스의 가열가치를 높이기 위해 제거되어야

하는 불순물임.

- PRISM 박막(membrane)은 미 에너지부(DOE) 지원으로 개발, 상용화된 기술로

저급의 천연가스를 이산화탄소(CO2), 산화황(H2S)을 분리함으로써 업그레이드하는

기술임.

- PRISM 박막은 단순한 디자인으로 기존의 천연가스 업그레이드 기술인 아민

(Amine)시스템을 낮은 비용으로 대체할 수 있는 기술임.

- 이 박막설비는 국내 및 산업용 소비를 위해 이산화탄소(CO2), 산화황(H2S)이 많이

함유된 저급의 천연가스 생산에도 사용될 수 있음.

CEO John E. McGlade 설립연도 1940년

주소7201 Hamilton Boulevard Allentown,

PA 18195-1501

매출액(2007년)(US$천)

8,256,200

담당자 Montgomery Algor 고용 (명) 21,100명

연락처

전화: 1-610-481-4911

팩스: 1-610-481-5900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airproducts.com

해외조직영국, 네덜란드, 홍콩, 싱

가폴 등 38개 지사

26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3. M&A 또는 전략적 기술제휴 가능성

□ 그린산업 분야의 M&A 현황

- 2009년 미국 그린테크놀러지 부문의 증자 및 M&A는 95억불로 전년의 99억불에 비해

4.1% 감소하였음.

- 건수 기준으로는 2009년 총 248건의 증자 및 M&A거래가 이루어져 전년의 289건에 비해

14% 감소하였는데 이중 증자는 188건, M&A는 60건임.

- 이처럼 투자규모나 M&A건수가 감소하였지만 세계적인 경기침체를 감안하면 그린산업에

서는 투자가 다른 산업분야와 비교해서는 높은 관심을 받고 있음. 또한 미국의 경기부양법

(ARRA) 공표에 따른 공공부문의투자로약 300억불에달하는 투자자금이유입될예정이어

서 민간부문의 투자감소를 상쇄한 것으로 평가됨.

- 분야별로 살펴보면 유통, 저장, 효율화부문이 90건으로(36%)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다음으로 태양에너지 66건(27%), 바이오 44건(18%), 풍력 27건(11%)의 순임.

- 금액별로는 풍력이 30.5억불로 가장 많은 투자금액(32%)을 기록하였으며 유통, 저장,

효율화 21억불(22%), 바이오 19억불(20%), 태양에너지 18.6억불(20%)의 순임.

- 2009년에는 자본증자 부문이 M&A보다 활발했던 것은 그린산업 부문이 산업초기단계이기

때문에 일정 규모에 이른 기업수가 적었기 때문임. 또한 아직 산업이 정형화되지 못했기

때문에 목표시장, 유통채널, 성장경로 등에 대한 명확한 정의가 되어 있지 못한 것도

M&A 부진의 원인으로 볼 수 있음.

□ 미국 그린산업의 M&A거래

- 미국 그린기업의 M&A는 아직 목표시장이확실치않다는것이가장큰어려움임. 최종소비

자가 정부(주정부, 지방정부) 수준이며 일반 소비시장까지는 시장이 확대되지 못하고

있어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기에는 아직 견인력이 부족함.

Ⅰ. 미국 27

- 2009년 M&A를 기간별로 보면 1분기에 20건, 2분기에 14건, 3분기에 15건 4분기에 11건으로

초기에 비해 투자활력이 떨어지고 있음.

- 2009년 미국에서 거래된 M&A건중 대표적인 건은 Covanta Holding Corporation사가

쓰레기처리 및 신재생에너지 부문의 Veolia's North American EfW사를 인수한 건으로

거래금액은 4억5천만불임.

<미국의 그린산업 주요 M&A 거래(1억불 이상)>

연번 매수기업 매도기업 州 일시 금액

1 First Solar Optisolar CA 09.3월 400.8

2 Acuity Brands Lighting Inc. Sensor Switch CT 09.3월 205.0

3Agstar Financial

Services, PCA

Biorefineries(Verasun

Energy)SD 09.4월 323.5

4 Valero RenewablesFive US Ethanol Plants

(Verasun Energy)IA 09.4월 350.0

5Covanta Holding

Corporation

Veolia's North

American EfWFL 09.7월 450.0

6 Terra Firma Everpower Wind Holdings NY 09.9월 350.0

7 NestEra EnergyThree Wind Proj

(Babcock&Brown)SD 09.10월 352.0

8MEMC Electronic

MaterialsSunEdison MD 09.10월 200.0

9 Valero RenewablesTwo Ethanol Plants(ASA

Ethanol Holdings)OH 09.12월 200.0

자료원 : Peachtree Green Advisors

□ 한국기업과의 M&A

- 2009년 미국에서 성사된그린산업 부문에서의 M&A건 60건의평균 거래규모는 56백만불로

대기업 또는 컨소시엄이 녹색 기술력을 보유한 중소기업을 인수하는 형태로 진행되고

있음.

- 거래규모가 알려지지 않은 경우도 있어 정확한 거래규모를 파악하기는 어렵지만 미국

그린산업에서의인수합병은다른국가에비해상대적으로거래규모가 클뿐아니라다양한

금융기법이 사용되고 있어 이에 익숙치 않은 한국기업들에게 진입장벽으로 작용할 수도

있음.

- 또한 미국 그린기술의 경우 산업의 비정형화로 인해 목표시장, 수익모델 자료부재로

수익성 분석을 위해 어려움이 예상되는 바, 인수하고자 하는 미국기업의 기술내용, 인수에

따른 시너지효과등을정확히판단하기위한사전타당성조사를통해인수작업을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함.

Ⅱ. 캐나다 29

Ⅱ. 캐나다

1. 녹색산업 기술(시장) 현황

2. 녹색기술 보유업체 명단 및 기술내용

3. M&A 또는 전략적 기술제휴 가능성

30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에너지원 2005 2006 2007 2008

석탄 27 26 28 28*

석유 135 141 147 147*

천연가스 8 8 9 9*

원자력 19 20 19 48

Ⅱ. 캐나다

1. 녹색산업 기술(시장) 현황

1) 국가별 녹색산업 동향

□ 에너지 시장 동향

○ 에너지시장 동향 (발전량 기준)

- 자료원으로 캐나다 내 모든 통계 분석을 담당하는 캐나다 통계청(Statistics Canada)에서

제공하는 유료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

- 석탄, 석유, 천연가스와 같은 Primary Energy는 연도별로 통계가 집계되고 있으며, 현재

공개된 가장 최근 자료는 2007년 기준임. 따라서 석탄, 석유, 천연가스는 2008년 해당

수치가 없음.

-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은 2007년도까지 캐나다 통계청의 발전량 통계에 포함되지 않고

있었음. 2008년부터 풍력, 조력의 일부 신재생에너지가 통계에 잡히고 있으며, 나머지

태양광, 바이오에너지, 지열 등 기타 신재생에너지는 해당 자료가 없음.

- 2008년 통계에 한해 발전량의 큰 부분을 차지하는 석탄, 석유, 천연가스의 정보가 없어

합계란을채우는것이불가능하나, 총 전력발전량의상승추이를파악하는것을용이하게

하기 위해 석탄, 석유, 천연가스 3개 분야는 2007년도 수치를 그대로 사용한 추정치를

사용하였음.

<캐나다 에너지원별 발전량 2006-2008>(단위: 백만 toe)

Ⅱ. 캐나다 31

수력 79 77 80 103

신재생에너지 합계 - - - 0.4

태양에너지

풍력

바이오에너지

조력

지열 등 기타

- - -

-

0.39

-

0.01

-

합계 268 272 283 335

* 자료원: Statistics Canada (CANSIM 127-0001, 127-0002, 57-601-X)

○ 화력발전 대비 신재생에너지 증감추이

- 위의 표에서 볼수있는것과같이, 캐나다의석탄, 석유 등 화력발전의비중은 2005년부터

2008년까지 증가하거나 현상을 유지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임.

- 캐나다는 교토의정서에서 선진국으로 분류되어 의무적으로 온실 가스 배출의 감소를

이행해야 함. 그러나 최근까지 오히려 온실가스 배출량이 증가하였다는 연구 자료가

발표되는 등 사실상 정부 차원의 노력이 없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평가임.

- 정부는 2008년을 기점으로 일부 주에서 화력발전의 비율을 낮추고 이를 신재생에너지로

대체하겠다는 기존의 목표를 구체화하는 단계에 진입함.

- 온타리오주의 경우 2014년까지 모든 주 내에 위치한 모든 화력발전소를 폐쇄하고 이를

온실가스 배출이 적은 천연가스 발전소 및 신재생에너지 발전소로 대체하겠다는 계획을

세우고 실행을 추진하고 있음.

□ 에너지원별 산업동향

○ 태양광 발전 산업

- 2008년 International Energy Agency PV Annual Report에 의하면 캐나다 내 태양광

발전 관련 업체 수는 300개사 수준으로, 4억3천만 캐나다달러의 시장 규모에 2,090명이

고용되어 있음.

- 캐나다의 태양광(PV) 발전 설비 용량은 32.7MW로, 아직 캐나다 내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신재생에너지 분야임. (2008년 설비용량 기준)

- 그러나 설비 용량 성장은 1993년 1.24MW에서 2008년 32.7MW로 연평균 27%의 꾸준한

성장을 보이고 있음.

- 캐나다의태양광발전산업이차지하고있는 32.7MW 중 84%인 27.5MW는 Off-Grid용으로

사용되고 있고 나머지 16%만 On-Grid용으로 사용되고 있음. (2008년 International

Energy Agency PV Annual Report)

32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 Off-Grid는송전시설이없어자체발전이필수적인도서지역의발전을의미하며, On-Grid

는 송전선을 타고 각 도시에 배포되는 중앙 전력을 의미함.

- 세계적인 PV 산업 동향은 태양광에서 생성된 전력으로 기존 전력(On-Grid)을 대체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으나, 캐나다 시장은 이와는 다른 방향으로 성장하고있음을 확인할

수 있음.

- On-Grid 전력시장의 PV 활성화를 위해 특별히 온타리오주정부는 2009년 2월 공표하고

2009년 9월부터 Green Energy Act를 통해 주거 시설의지붕설치형 태양광 PV 발전시설에

최고 kWh당 80.2센트까지 지불하는 북미지역 최고 수준의 Feed-in Tariff를 지원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상대적으로 비중이 낮은 태양광발전 산업을 활성화하는노력을 기울이

고 있음.

○ 태양열 산업

- 캐나다태양열산업은약 200개 업체로구성되어있으며, 2008년 기준 총매출액은 1천백만

캐나다 달러로 연평균 16% 정도의 매출 성장률을 보이고 있음.

- 태양열 분야는 주요 발전원이 아닌 기존 사용 전력의 절약을 위해 보조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만큼 전반적인 인지도가 낮고 난방, 온수 등에 사용되는 Overhead Cost 절감이

필요한 공장시설, 농장시설 등을 중심으로 사용되고 있음.

- 2008년 OECD기구인 International Energy Agency가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2007년

한 해 동안 60,910 s/m의 신규 Air Heating 시스템이 태양열을 이용하여 설치되었음.

- 태양열 산업의 캐나다 내 시장은 주로 수영장 온수용 태양열 콜렉터 (Unglazed Plastic

Solar Collector)가 전체의 62%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곡물의 건조나 상업용

빌딩의 난방을 위한 태양열 콜렉터가 33% 정도임.

- 2008년 기준, 캐나다 내 상업용 빌딩, 곡물 건조장 및 수영장 중 544,000 s/m의 면적에

태양열 제품이적용되고 있었으며, 이로 인한 이산화탄소 감소량은 37,932톤으로예상되고

있음.

○ 풍력발전 산업

- 풍력 발전 산업은 설비 용량 기준으로 캐나다 신재생에너지 분야 중 규모가 가장 크며,

매년 설비용량의 빠른 성장을 거듭하고 있음.

- 캐나다 풍력발전 산업은 2009년 10월 현재 CanWEA 협회 회원 업체 수 기준으로 420개

업체 규모이나, 이는 캐나다 내 활동 중인 외국계 기업의 지사를 전부 포함한 수치이므로

순수 캐나다 업체 수는 이보다 작음. 2008년 CanWEA에서 실시한 조사에 의하면 회원

업체 중 캐나다 내 본사를 두고 있는 업체는 77%정도였음.

Ⅱ. 캐나다 33

- 캐나다의 풍력산업 협회인 CanWEA가 2007년 중 실시한 조사 자료에 따르면 캐나다의

풍력발전 산업은 2006년도 캐나다 GDP에 14억 9천만 캐나다 달러 정도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2005년도 GDP 기여도에 비해 2배에 가까운 성장임.

- 또한 2008년 캐나다 풍력발전에 고용되어 있는 인력은 3,340명이었으며 이는 2007년과

비교하여 178%의 성장을 보인 수치임.

- 2008년 International Energy Agency에서 발표한 IEA Wind 2008 Annual Report에

의하면 캐나다 내 풍력발전 설비용량은 2008년 말 2,369MW이었으며 2008년 한 해 신규

설치된 설비용량만 523MW 규모임.

- 2008년 캐나다 발전 중 풍력에서 발생된 전력은 3.61 TWh로 2008년 기준 캐나다 전체

전력 생산량의 0.1%에 해당

- 비록 캐나다 연방정부 차원에서 직접 추진하고 있는 풍력에너지 활성화 목표 (National

Wind Energy Deployment Target)는 별도로 지정되어 있지 않으나, 연방정부에서 제공하

는 풍력 및 신재생에너지 프로그램의 경제적인 인센티브를 통해 풍력발전 설비의 설치를

장려하고 있음.

- 캐나다 풍력발전산업은 주로 대형 발전업체 (Toronto Hydro, Hydro Quebec 등 공기업)가

소유하고 있는 Developer, 글로벌 기업 및 Income Fund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순수

내수 제조업 (Local Manufacturing)은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편임.

- 풍력단지 개발은 SaskPower, VisionQuest 등 풍부한 자금력을 보유하고 있는 대형

에너지 회사들이 주도하고 있으며, Acciona 등 외국계 대형 풍력 기업들이 캐나다 투자를

통해 생산시설을 건설 중임.

- GEWind의 퀘벡 주 내 현지 공장 건설과 LM Glasfiber의 블레이드 공장 건설, DMI

Industries의 타워 제조업체 인수, Fuhrlander의 풍력터빈 공급 등 외국계 회사의 캐나다

풍력 시장 참여가 점차 늘어나고 있음.

- 캐나다 내에서 직접 제조되고 있는 부품들은 주로 풍력발전 산업에서 기타부품

(Accessories)으로 불리고 있는 제품들로 인버터, 나셀 (터빈 덮개), 타워, 발전기 날(Rotor

Blade)등이며, 풍력발전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터빈 제조업체는 순수 캐나다 업체로는

Quebec의 AAER사 정도임.

○ 연료전지 산업

- 캐나다는 전 세계적인 에너지난과 환경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NRC (National Research

Council) 주도로 수소연료전지 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미 상당수의 세계 유수의

기업들 및 기관들이 상주하여 공동으로 기술개발에 참여하고 있고, 시장에서 주도권

확보를 위한 남보다 앞선 투자가 진행 중임.

- 1998년 NRC(National Research Council)는 수소연료전지 개발을 전략적 미래 사업으로

34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선정하였음.

- 캐나다 수소연료전지 협회(Hydrogen & Fuel Cells Canada)가 2000년 발족되면서 관련

분야 연구가 탄력을 받게 됨.

<National Research Council 수소전지 연구센터>

자료원: National Research Council(NRC)

- 2005년 수소전지관련클러스터에 2억 2천만캐나다달러가량의 연구자금이지원되었으며,

같은 해 캐나다의 관련 기업들은 1억 3천만 캐나다 달러의 매출 성과를 달성함.

- 2006년 NRC(National Research Council)는 2천만캐나다달러를투자하여관련연구시설을

브리티시콜롬비아대학(UBC) 내로 신설이전하였으며, 주로 Proton-exchange 전지기술,

Solid-oxide 전지기술, 차세대수소연료및신소재개발연구들을중점적으로수행하고있음.

- 밴쿠버 산업 클러스터에는 이미 관련 산업의 70%에 해당되는 1,500 여명이 종사하고

있으며, 지난 25년간의 연구 성과를 기반으로 관련 기술들의 상용화를 추진하고 있음.

<밴쿠버 수소전지 개발 클러스터>

자료원: National Research Council(NRC)

Ⅱ. 캐나다 35

- 캐나다는 2007년 밴쿠버 지역을 "수소전지 개발 클러스터"로 지정하여, NRC(National

Research Council) 주도로 기업, 기관 및 대학들이 공동연구 개발을 수행하고 있으며,

향후 시장에서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한 대규모 투자가 진행되고 있음.

․ 차량용 연료전지 분야의 Hydrogen Highway 시범 사업은 2010년 밴쿠버 동계 올림픽

기간중밴쿠버공항에서휘슬러까지개통되어운영될예정이며, 일반차량용수소연료전

지 뿐 아니라 대형버스용 수소연료전지 기술과 대형 충전소 건설 등 해당 인프라

및 관련 기술들의 집합체임.

․ 가정용 연료전지를 활용한 Hydrogen Village 사업은 2003년 컨퍼런스에서 처음

소개되었고, 대체 그린에너지 실용화를위한 수소연료전지 및 관련기술의 조기 실용화

를 목표로 수행하는 시범사업임.

○ 원자력 발전 산업

- 캐나다의 원자력 발전시장은 지난 10여 년간 정부차원의 지원 부족 및 시민들의 반대로

인해 기술개발이 지연되어 왔으나, 2008년 이후로 다시 기술개발에 가속도가 붙고 있음.

- Canadian Nuclear Association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원자력발전 시장은 2008년도

기준으로 16억 캐나다 달러의 매출액을 기록하였으며, 2만1천명의 직접 고용창출 및

1만 명의 간접 고용창출 효과를 보이고 있음.

- 캐나다 내 원자력발전 산업과 관련된 업체는 약 150개사이며, 이 중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기업은 CANDU Reactor를 개발한 Atomic Energy Canada Limited(AECL)임.

- 2009년 1월, 캐나다 연방정부는 연간예산 중 3억5천만 캐나다 달러를 원자력발전 산업의

발전을 위해 배정하였음. 이 예산은 AECL사의 3세대 CANDU Reactor 연구 개발과

Bruce Power사가 온타리오주에 갖고 있는 두 개의 원자력발전소에 배분될 예정임.

- 원자력기술 개발은 캐나다 동부 온타리오주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서부에서도알버타주및사스카추완주가활발한활동을시작하고있음. 특히사스카추완주

는 세계 최대 우라늄 매장량을 확보하고 있는 지역적인 장점을 살려 원자력발전 분야의

선두주자로 발전할 계획을 2009년 2월 발표한 바 있음.

- AECL에서 개발 중인 3세대 CANDU Reactor는 ACR-1000이라는 모델로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2016년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음. ACR-1000은 기존 원자력 발전소와 비교할

때 와트 당 발전비용을 더 낮추고, 간단한 공정작업을 통해 설치기간을 단축시키는 등

여러 이점으로 인해 원자력 발전 산업의 확장에 더욱 활력을 더할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예측하고 있음.

36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 바이오에너지 산업

- 캐나다는 국토 면적 중 41%에 달하는 4억 2백만 헥타르가 삼림으로 구성되어 있어

목재 자원이 매우 풍부하여 바이오에너지 산업 발전 잠재력이 매우 큰 편임.

- 현재 바이오에너지는 캐나다 전체 발전량의 6% 정도를 담당하고 있으며, 2008년 설치

용량은 1,469MW로 신재생에너지에서는 풍력발전 (2,369 MW) 다음으로 큰 용량을 갖고

있음.

- 바이오에너지 분야는①상업용목질계바이오매스, ②매립 쓰레기에서생성되는메탄가스

를 이용한 LFG 바이오매스, ③각종 곡물 쓰레기 및 동물 지방 등을 이용한 바이오연료

(바이오디젤, 바이오에탄올)로 구성되어 있음.

- 캐나다 내 16개의 바이오에탄올 생산시설이 2008년 운영 또는 시공 중이며 총 1,620백만

리터의 바이오에탄올 생산이 가능

․ 연방정부는 2001년 제정된 에탄올 확대 프로그램 (Ethanol Expansion Programme)을

통해 신규 에탄올 공장 건설을 지원함으로서 바이오 에너지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고 있음.

․ Natural Resources Canada는 최근 바이오에너지 분야에서 녹말을 주원료로하는 바이오

중합체(Biopolymer) 생성 기술과, 밀을 주원료로 하는 바이오에탄올 생성기술을 개발

중임.

- 바이오 디젤은 2008년 현재 캐나다 내에 4개의 생산시설이 운영, 시공 중이며 총 3억

리터의 바이오디젤 생산이 가능함.

○ 에너지원별 발전설비, 기자재, 부품 등의 시장규모(금액별)

(단위: 백만 캐나다달러)

에너지원 2005 2006 2007 2008

태양광 150 201 290 -

태양열 및 지열 105 109 112 117

풍력 733 906 1,003 1,307

원자력 1,593 1,607 1,642 1,682

바이오에너지 241 299 344 -

조력, 지열 등 기타 - - - -

합계 2,822 3,122 3,391 3,106

자료원: CanSIA (Canadian Solar Industries Association), CanWEA (Canadian Wind Energy Association),

Statistics Canada

- 신재생에너지원별 통계가캐나다통계청에의해정식으로 집계되기 시작한 것이 2008년이

며, 그 중에서도 풍력과 조력을 제외한 분야는 통계에 잡히지 않고 있음.

Ⅱ. 캐나다 37

- 따라서 분야별로 조사 가능한 시장 규모는 캐나다 내 산업협회에서 발표한 해당산업

전체 매출액이 대부분이며, 세부 품목별 시장 규모는 조사가 불가능함.

2) 기술력 보유현황 및 특화분야별 강점

□ 에너지원별 기술력 보유현황 및 특화분야별 강점

○ 태양광

- 태양광 산업의 기술 개발에 따른 효율성 개선 및 생산 단가 하락으로 인해 모듈 가격은

1999년도 당시 와트 당 11.09 캐나다 달러에서 꾸준히 하락하여 2005년에는 와트 당

4.31 캐나다 달러까지 하락

- 캐나다의 태양광 기술 개발은 연방 정부출연 연구기관인 Natural Resources Canada

(NRCan)에서 주로 지원

- NRCan에서 관리하는 연방 태양광 발전 프로그램 (Federal Photovoltaic Programme)은

캐나다 내 신 태양광 기술개발 및 산업 활성화를 목표로 하고 있음

- 2008년 중 NRCan의 대표적인 R&D 프로젝트로는 PV기술을 응용하여 자가발전이 가능하

도록 설계된 EcoTerra Home이 있으며, 이 모델 하우스는 동일 면적의 일반주택과 비교할

때 10%정도의 전력 소비만을 필요로 하며, 나머지 90%의 전력은 지붕 등에 설치된

PV발전 장치로부터 공급됨.

○ 태양열

- 캐나다 내 태양열 산업 기술개발은 연방정부 출연 연구기관인 Natural Resources Canada

(NRCan) 산하의 Sustainable Buildings and Communities Group (SBC)가 담당하고

있음.

- 토론토 인근에 위치한 NRCan 소유의 National Solar Test Facility (NSTF)에서 정부

주도의태양열기술 R&D프로젝트가진행되고있으며, 이 시설의실내태양광시뮬레이터

를 통해 국제 기술 인증도 가능함.

- 현재 NRCan에서 개발 중인 대표적인 신기술로는 계절별로 편차가 심한 태양열 에너지를

저장하는 장치 기술이 있으며, Borehole Thermal Energy Storage (BTES)와 Aquifer

Thermal Energy Storage (ATES)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 중임.

- 태양열 에너지 저장장치는 캐나다의 Drake Landing Solar Community가 최초이며,

Alberta주 Okotoks시에 위치한 시범단지에서 52가구에 공급될 난방시스템 전력의 90%를

태양열저장장치로부터 공급하기 위한 실험이 진행 중임.

38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 풍력

- 캐나다의 풍력발전과 관련된 기술개발은 연방정부 출연 연구 기관인 Natural Resources

Canada (NRCan)에서 담당하고 있으며, NRCan의 소속 부서인 Wind Energy

R&D(WERD)에서 기술 개발을 지원하고 있음.

- 또 다른 정부출연 기관인 Wind Energy Institute of Canada (WEICan)는 캐나다 PEI주

North Cape시에 풍력터빈 테스트 시설을 운영하고 있으며, 매년 캐나다 업체에게 무료

터빈 테스트를 제공하고 있음. 테스트를 통과하는 업체에게는 IEC 61400등 국제 공인인증

을 수여함.

- WEICan에서 2008년 4월부터 현재까지 시행중인 테스트로는 Raum Energy사의 1.3

kw급 소형풍력터빈, Cleanfield Energy사의 3.5kw급 소형 풍력터빈, Catch The Wind사의

레이저 풍력 탐지기인 Vindicator제품 등이 있음.

- 캐나다의 풍력 분야는 소형풍력발전 터빈 관련 기술이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퀘벡에 위치한 Magenn사의 Magenn Air Rotor System이 있음. 이 기술은 열기구를

응용하여 높은 고도에서 풍력발전을 가능하게 하는 소형풍력발전 기술로 풍력이 고도와

비례하여 강해지는 법칙을 응용한 기술임.

- 이 외에도 수직형 소형발전 터빈 (Vertical Axis Turbine) 제조 기술도 개발되고 있는데,

대표적인 업체로 WEICan에서 상용화를 위해 기술을 테스트중인 Cleanfield Energy사와

도시중심지역 건물 옥상 등에 높은 타워가 없이 설치가 가능한 소형터빈을 제조하고

있는 Wind Simplicity사가 있음.

○ 바이오에너지

- 펄프 및 제지산업이 활발한 캐나다의 산업 환경적 특성상 목재 칩, 톱밥, 나무껍질과

같은 산업 폐기물들을 활용한 바이오매스 생산이 활성화되어 있음.

- 바이오에탄올의 경우, 소비세를 면제해주는 프로그램 덕분에생산량이 2004년 2.3억L에서

2008년 8억L까지 크게 증가하였음.

- 연방정부는 2001년 제정된 에탄올 확대 프로그램 (Ethanol Expansion Programme)을

통해 신규 에탄올 공장 건설을 지원함으로서 바이오에너지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고 있음.

- Natural Resources Canada는 최근 바이오에너지 분야에서 녹말을 주원료로 하는 바이오

중합체(Biopolymer) 생성기술과, 밀을 주원료로 하는 바이오에탄올 생성기술을 개발

중임.

Ⅱ. 캐나다 39

○ 기타 분야 (Smart Grid, LED, 지열 등)

- 기타 분야의 기술보유 현황을 조사하기 위해 캐나다 내 해당 산업 협회, OECD IEA의

각 기술 분야 별 Task Force의 캐나다 담당자, 연방정부 산하의 Industry Canada와

Natural Resources Canada를 접촉하였음.

- 특히 Smart Grid, LED, 지열발전과 같은 경우 캐나다 내 산업규모가 너무 작고 활동량이

적어 아직 시장 형성 단계에 이르지 못하였다는 이유로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없다는 의견을 회신 받았음.

- Smart Grid와같은에너지효율화기술은실제로캐나다내에고유기술이없다는의견이며,

이는 최근 온타리오주가 FIT정책을 내세우면서 각 가정의 전력사용량을 효과적으로

계측하기 위한 Smart Grid부품을 전부 미국 및 유럽 국가들로부터 아웃소싱하고 있는

것에서 파악할 수 있다는 입장임.

- 지열분야와 관련해서는 Canada Geothermal Energy Association에 연락하였음. 캐나다

내 유일한 지열발전 산업협회인 CanGEA는 회원 수 약 65개사의 소규모 협회로, 회원

업체의 대부분은 해외에서 수입한 지열발전 제품의 Reseller, Distributor등이며 나머지는

설치서비스를 제공하는 Installer로 이루어져 있다고 하며, 캐나다 내 OEM은 현재까지는

없다고 함. 따라서 기술보유현황에 대한 정보의 제공 역시 불가능하다는 의견임.

○ 특화 분야별 강점

- 원자력 발전

․ 녹색 산업 중 캐나다가 가장 앞서 있는 분야는 단연 원자력 발전 분야라고 할 수 있음.

․ 캐나다의 원자력발전 기술 개발은 국영기업인 Atomic Energy of Canada Limited

(AECL)에서 단독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기술개발 활동 차원에서는 유일함.

․ 원자력 발전 기술은 캐나다가 이미 국제적인 수준을 보유하고 있음. AECL사에 의해

개발된 CANDU 원자력 발전기 4기가 월성 지역에도 설치되어 있고, 이 외에도 중국,

루마니아에도 캐나다의 CANDU 발전기가 설치되어 있음.

․ 연방정부는 2009년 경기부양책과함께발표한예산에서 3억5천만 캐나다달러를원자력

발전신기술개발을위해배정하는등중요성을강조하고있는데, 이는 기존보유기술을

강화한다는 차원에서 기타 신재생에너지 발전 기술과는 차별된 정책으로 볼 수 있음.

․ 2009년 현재연방정부의지원을받아개발중인원자력발전장비인 ACR-1000은 3+세대

발전기로서 1200MWe의 전력이 발전 가능하며 2016년 상용화를 목표로 개발 중임.

- 태양광

․ 태양광 발전 분야는 원자력 발전 외에 향후 기술 발전이 가장 크게 기대되는 분야임.

40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 2006년 기준 시장규모가 2억 캐나다 달러 수준으로 다른 신재생분야와 비교할 때

작은 규모이나, 온타리오주를 중심으로 빠른 속도의 시장 성장이 있을 것으로기대되고

있음. 전문가들에 의하면 2011년까지 현재 규모의 40% 이상 성장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음.

․ 그 근거로 온타리오주의 Green Energy Act와 같은 본격적인 정부차원의 지원이 시작되

었으며, 다른 신재생발전 분야보다 특별히 태양광 발전에 높은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음.

․ 온타리오주에 이어 현재 퀘벡주 정부도 Green Energy Act와 유사한 지원정책을 제정하

고 있는 중이며, 다른 주들도 이러한 추세를 따를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임.

․ 특히 지붕 장착형 태양광발전(Rooftop Mounted PV) 분야가 향후 주류 기술이 될

것으로 예상

․ 이는 온타리오주 Green Energy Act를 통해 지붕 장착형 발전은 킬로와트당 최대

80.2센트를 지원받을 수 있기 때문이며, 이는 같은 태양광 발전이라 하더라도 지상

발전소형태의 PV가킬로와트당 44.3센트밖에지원받지못한다는점을고려할때특별히

정책적으로 육성을 강조하는 분야임을 알 수 있음.

․ 따라서 현재 캐나다 태양광 업체들은 발전 효율이 높고 부착 상 어려움을 최소화할

수 있는 지붕형 PV모듈의 개발을 계획하고 있으며, 앞으로 10년 이상 지속적인 기술

개발이 이루어질 전망임.

․ 특히 온타리오주는 Green Energy Act를 통해 Feed-in Tariff를 받기 위해서는 일정량의

온타리오주産 제품과 서비스를 활용해야 한다는 Local Contents Rule을 의무화하여

필연적으로 캐나다 자체 기술 개발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됨

- 풍력

․ 풍력 발전분야는 태양광 발전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기술 발전 가능성이 높지 않을

것으로 예상됨.

․ 시장 규모로 판단하면 풍력발전은 태양광의 약 5배 규모로, 이미 어느 정도 시장이

형성되어 있는 기술이지만, 지형적인 제약이 크다는단점이 있고현지 정부들도 태양광

발전에 비해 지상 풍력발전단지의 설립을 반기지 않고 있음.

․북미에서가장적극적인지원정책을펴고있는온타리오주의 FIT 지원에서도 풍력발전

에 대해서는 태양광의 1/4 수준의 낮은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음.

․풍력발전분야는해상설치등분야가향후지속적으로발전할것으로예상되나, 전문가들

은 Local Contents의 개발은 거의없을것이며현산업구조와동일하게유럽등풍력기술

선진국으로부터 기술 및 제품을 대부분 아웃소싱을 해 오는 양상이 지속될 것이라는

의견임.

Ⅱ. 캐나다 41

- 연료전지

․ 연료전지분야는 밴쿠버 및 알버타주를 중심으로 기술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나, 캐나다

정부로부터 대체에너지로서 인정받고 있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음.

․ 연방, 주정부들이 본격적으로 신재생에너지 산업을 지원하기 시작했으나, 대부분의

경우 연료전지는 인센티브 수혜가능 분야에서 제외되어 있음.

․온타리오주의 Green Energy Act도 연료전지 분야에대해서는인센티브를전혀제공하고

있지 않으며, 이런 양상은 연료전지 기술개발이 기업 수준의 연구 활동으로 확산되지

못하고, 정부 출연 연구기관에서 시범적인 케이스로만 개발활동이 진행되도록 하는

약점을 야기하고 있음.

․ 연료전지 분야에서의 기술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정부의 보다 적극적인

지원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임.

3) 녹색산업 정부정책 및 제도

□ 녹색산업 관련 정부정책 및 제도

○ 고유가 ‧환경문제에 대응한 정부 정책

<녹색산업 관련 주요 규정동향>

연도 규정 내용

1996 - 1997 신재생에너지 개발 및 관련 기술의 상용화 촉진을 위한

청사진 마련

1998 민간부문 연구개발에 대한 지원제도 수립

1999 온실가스 배출 감소를 위한 전문가들과의 방안 수립

2000 - 2001 다양한 인센티브 제도 마련

2003 에탄올 연료생산 및 활용 확대 프로그램 발표

2004 주정부 차원의 신재생에너지관련 규정 및 제도 도입

2006 - 2007 초기 규정 및 제도 개정작업 진행

2007 ecoEnergy Technology Initiative 및 ecoTrust

Fund 프로그램 발표

2009 (온타리오주) 신재생에너지 발전소에 북미 최초로 Feed-in Tariff를 지원하는

Green Energy Act 발표

2010 - 2012 에탄올 및 바이오연료 혼합관련 법령제정 예정

자료원: 캐나다 연방정부 홈페이지

- 캐나다는 1990년대 중반부터 연방정부 주도로 신재생에너지 관련 규정들을 신설하여

산업을 육성하기 시작하였고, 2000년대 초반 다양한 인센티브 정책 및 전력 구매제도

등을 마련함으로써 본격적인 신재생에너지 발전을 촉진시키고 있음.

42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 주 정부 역시 2004년부터 관련 규정들을 신설하기 시작하여 2006년부터는 초기 규정

및 제도들에 대한 점검 및 개정 작업들을 진행하고 있음.

- 특히온실가스감축을위한차량용배기가스감소방안의일환으로에탄올과바이오연료의

생산 및 활용 확대 프로그램을 2003년 발표하였음.

․이프로그램에따라에탄올생산공장건설에 7,800만캐나다달러의예산을투입하였고,

에탄올 1리터당 10센트, 바이오디젤 1리터당 4센트의 인센티브를 지급

- 2007년 배기가스 감축을 위한 차세대 청정에너지 개발 프로젝트인 ecoEnergy Technology

Initiative와 온실 가스 감축을 위한 신재생에너지 생산과 에너지 효율 향상을 지원하는

ecoTrust Fund 프로그램을 발표

- 캐나다 연방정부는 2010년까지 차량용 가솔린에 5%의 에탄올 희석을 의무화하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으며, 2012년까지 경유와 난방용 등유에 2%의 바이오디젤을 희석시키도록

하는 법안을 준비하고 있음.

○ 신재생에너지 연구‧개발(R&D) 지원 프로그램

- 캐나다 연방정부에서 2008년 12월 발표한 Canada's Economic Action Plan에 의하면

신재생에너지 분야에는 총 23억 캐나다 달러 규모의 예산이 배정되어 있으며, 이는

경기부양책 총예산으로 책정된 400억 캐나다 달러의 5.75%에 해당되는 액수임.

- 신재생에너지에 배정된 23억 캐나다 달러는 다음과 같이 집행될 예정임.

프로그램명(예산, 비중) 내용

Clean Energy Fund (C$10억, 43%) 기술 연구개발 기금

Green Infrastructure Fund (C$10억, 43%) 신재생에너지 활용 인프라 구축 기금

ecoENERGY Retrofit (C$3억, 14%) 신재생에너지 활용 주거환경 개선 지원 프로그램

① Clean Energy Fund

․ 신재생에너지 기술 시연 및 연구개발 프로젝트에 지급되는 기금으로 총 10억 캐나다

달러 규모의 예산이 배정되어 있음.

구분 예산 규모

기술 시연 프로젝트 C$8억5천만 (85%)

a. 일반기술 시연 프로젝트 약 C$2억 (C$191.4백만)

b. 이산화탄소 포집기술 시연 프로젝트 C$6억5천만

기술 연구개발 프로젝트 C$1억5천만 (15%)

․ Clean Energy Fund의 첫 번째 부분은 일반기술 시연 프로젝트 기금 (Renewable

Energy and Clean Energy Systems Demonstration Projects)이며 총 2억 캐나다 달러가

배정되어 있음. 지원을 신청하는 프로젝트는 신재생에너지 발전기술을 중앙전력

(On-Grid)에 통합시키거나, 신재생에너지 난방 및 히팅 기술을 건축물에 적용시키는

Ⅱ. 캐나다 43

데에 중점을 두어야 함. 2009년 9월 14일 동 기금에 대한 신청이 마감되었으며, 신청

프로젝트들에대한검토가진행중임. 11월중순이후선정된프로젝트리스트가 Natural

Resources Canada를 통해 발표될 예정임.

․ 두 번째 기금인 대규모 이산화탄소 포집/저장기술 시연 프로젝트 기금 (Large Scale

CCS Demonstration Projects)에는 총 6억5천만 캐나다 달러가 배정되어 있으며, 선정된

프로젝트들에게 5년에 걸쳐 지급됨. 프로젝트 소요액수 1억 캐나다달러 이상의 대규모

프로젝트만 혜택을 받게끔 설계됨. 2009년 10월 8일 동 기금의 첫 수혜프로젝트인

Quest Project가 언론을 통해 공개되었음. Shell Canada, Chevron Canada Limited,

Marathon Oil Sands LP 3사의 합작프로젝트로 연간 1백만 톤 이상의 이산화탄소를

포집/저장할수있는기술을시연할계획이며, 총 1억2천만캐나다달러가지급될계획임.

2009년 10월 14일 두 번째 수혜 프로젝트인 TransAlta CCS가 공개되었음. TransAlta사

의 기존 화력발전소에 이산화탄소 포집/저장 시설이 부착되는 형식으로, 연간 1백만

톤 이상의 이산화탄소가 포집/저장가능하게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음. 총 3억1천5백만

캐나다달러가 지급될 계획임.

․ Clean Energy Fund의 세 번째 기금인 신재생에너지 기술 연구 및 개발 프로젝트

기금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s)에는 총 1억5천만 캐나다 달러가 배정되어

있으며, 신청 가능한 기술 분야는 다음과 같음.

a. 신재생에너지 발전기술. 캐나다의 중앙전력 및 건축물에의 통합이 용이해야 함.

b. 오일샌드 추출과 관련된 Challenge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

c. 수소 연료전지(Fuel Cell) 기술

d. 이산화탄소 포집비용을 낮추고포집된 CO2의저장에관련된과학적인이해를증진시

킬 수 있는 기술

② Green Infrastructure Fund

․ 신재생에너지 및 환경개선을 위한 인프라구축 프로젝트에 지급

․ 연방정부기관인 Infrastructure Canada에서 관리하고 있으며 선정 기준으로는 신청

프로젝트의 Elegibility (대규모 스케일 인프라 프로젝트로 환경개선을 위한 전략적

가치를 가져야함), Financial and Legal Requirements, Project Benefit이 있음.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은 공개되지 않았음.

․ 1차 라운드는 2009년 여름에 실시되었으며, 첫 수혜프로젝트가 2009년 9월 16일 발표되

었음. 이 프로젝트는 BC주 북부에 335 km 길이의 송전선을 설치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으며, 송전선이 설치될주변 지역은총 2,000MW 규모의 소규모수력발전, 지열발

전, 풍력 및 바이오매스 발전이 가능한 지역이며 총 1억3천만 캐나다달러가 기금에서

지급 예정

․ 추가적인 수혜프로젝트 여부 및 2차 라운드 시작 시기는 공개되지 않음.

44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주 인센티브 명 내용

ManitobaResidential Earth Power

Loan

Earth Heat Pump를 설치 목적에 한해 4.9%의 융자를 2만 달러까

지 대출해주며, 15년 이내 상환 의무

Saskatchewan

EnerGuide for HousesWater, Air 냉난방 펌프, Drain Water Heat Recovery System,

태양열 냉난방 시스템 설치를 위해 최대 5천 달러까지 지원.

Solar Heating Initiatives

for Today

연방정부의 ecoEnergy for Renewable Heat 프로그램과 연동되

어 대상기관 및 업체에 최대 8만 달러까지 지원.

Net Metering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해서 자체 전력을 생산하는 1 가구당 100kW

까지의 크레딧을 제공. 또한 해당 신재생에너지를 가정 내에

설치하는 비용의 25%, 최대 25,000 달러까지 주 정부에서 지원함.

British ColumbiaNet Metering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해서 자체적으로 전력을 생산하는 1 가구당

50kW까지의 크레딧을 제공.

Biodiesel 바이오디젤은 순수, 혼합물에 상관없이 BC주 연료 세금에서 제외

Quebec

Program to Promote

Energy Efficiency

R&D, Lab Experiment, Technical Demonstration 등 신재생에너

지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거나 에너지 발전 기술에 기여하는 프로

젝트를 지원

Hydro Quebec Grant for

Ground Source Heating

and Cooling System

지열 이용 냉난방시설 설치에 1 가구당 최대 4,800 달러까지

지원.

Ontario

Solar Energy Systems

Rebate Program & Wind,

Micro Hydro-Electric and

Geothermal Energy

Systems Rebate Program

2002년 11월부터 2010년 1월 중 새로 설치되거나 확장되는 태양

열, 풍력, 소형 수력발전, 지열발전 시스템에 대해 Provincial

Tax(8%)에 대한 환불 지원

Ontario Biogas Systems

Financial Assistance

Program

농가 및 교외 업체들에게 Biogas 시설 설치비용에 대해 최대

40만 달러까지 지원

③ ecoENERGY Retrofit

․ 2007년 4월에 연방정부가 ecoACTION 인센티브를 발표하면서 시작된 프로그램으로,

일반 가정에서 신재생에너지원을 사용하여 주거환경을 개조할 경우 연방정부에서

가구당 최대 5천 캐나다 달러까지 지급하는 프로그램

․ 2009년 발표된 경기부양책에서 기존의 ecoACTION 프로그램에 2009-2010년 중 매년

1억 5천만 캐나다 달러씩 총 3억 캐나다 달러를 추가로 지급하여, 20만 가구가 추가로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을 확대

○ 신재생에너지 사용 확산 장려정책

- 캐나다 내 2009년 10월 현재 각 주정부별로 다양한 확산 장려 정책이 구비되어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 정치적인 선전도구수준에지나지 않고 실제로사용을확산시키는데에는

기여하지 못하고 있다는 의견이 지배적임.

<주정부별 신재생에너지 확산장려 정책>

Ⅱ. 캐나다 45

Ontario Solar Thermal

Heat Incentive

태양열을 이용한 산업용, 상업용, 기관용 시설 냉난방 설치비용의

최대 25%, 또는 8만 달러까지 지원. 2011년 3월까지 진행

Feed-in Tariff2009년 9월 공개한 Green Energy Act에 포함되어 있는 발전차액

구매 인센티브.

Prince Edward

Island

Sales Tax Exemption100kW 이하의 풍력, 바이오매스, 열펌프, 태양열, 태양광 시스템

을 구입하는 데 대한 판매세 면제

Net Metering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해서 자체적으로 전력을 생산하는 1 가구당

100kW까지의 크레딧을 제공

Renewable Heat Loan

Program

바이오매스 및 태양열을 이용한 시스템 구입을 위해 1000달러

-5000 달러까지 저리 대출 지원

New Brunswick

Power Purchase

Program

대체에너지를 이용 소형 발전을 하는 가구 및 업체로부터 2MW까

지 전력을 주에서 구입

Net Metering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해서 자체적으로 전력을 생산하는 1 가구당

100kW까지의 크레딧을 제공

분야 프로젝트 사이즈 FIT 인센티브 (센트 / kWh)

Biomass10MW 이하 13.8

10MW 초과 13.0

Biogas

- On-Farm100kW 이하 19.5

100kW - 250kW 18.5

- Biogas 전용발전시설

500kW 이하 16.0

500kW - 10MW 14.7

10MW 초과 10.4

- 그러나 2009년 9월 정식 효력이 발생한 온타리오주의 Green Energy Act에 포함되어

있는 Feed in Tariff 인센티브는 전 세계 신재생에너지 관련 기업들로부터 큰 주목받고

있음.

- 온타리오주는 2009년 2월 신재생에너지의 글로벌 리더라는 비전 아래 Green Energy

Act를 공표하였으며 2009년 9월부터 효력이 발효되었음. 이는 기후변화 및 온실가스

등의환경문제를해결하고, 저렴한생산비용으로청정에너지를공급하는것을주요골자로

하고 있음.

- Green Energy Act를 통해 기존의 인센티브를 대폭 강화하여 소규모 청정 신재생에너지

생산업체로부터 향후 20년간 고정단가로전력을매입하는안정적인 Feed-in Tariff 인센티

브를 도입

- 1 kWh당 매입단가는 풍력발전은 지역에 따라 13.5센트-19센트, 바이오매스는 12.2센트,

바이오가스는 10.4센트-14.7센트, 소규모 수력발전은 13.4센트, 태양광의 경우 설치 위치에

따라 44.3센트부터 80.2센트임.

- Green Energy Act의 FIT 인센티브 내용은 아래와 같음.

46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Waterpower(수력)

- Any Type10MW 이하 13.1

10MW - 50MW 12.2

LFG (Land Fill Gas 활용 발전시설)

- Any Type10MW 이하 11.1

10MW 초과 10.3

Solar PV

- Any Type 10kW 이하 80.2

- 지붕부착형

10kW - 250kW 71.3

250kW - 500kW 63.5

500kW 초과 53.9

- 지상설치형 10MW 이하 44.3

Wind

- Onshore Any Size 13.5

- Offshore Any Size 19.0

자료원 : Ontario Power Authority (OPA)

- 온타리오주는 2015년까지 10,000MW의 신재생에너지 신규설비 건설을 통해 2017년까지

천연가스 사용량의 약 30% 절감, 2025년까지 25,000MW의 신재생에너지 생산설비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음.

- 온타리오주는 이번 Green Energy Act를 통해 캐나다 최초로 태양광, 풍력발전에 한해

이들 프로젝트들이 FIT 인센티브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일정량의 온타리오 산 제품과

서비스를 이용해야 하는 Local Contents 규정을 마련함.

<온타리오주 FIT Local Contents 규정>

신재생에너지 종류 2009.10.1-변동시기 변동시기 이후

소규모 (10kw 이하)

태양광 PV

40%

(변동시기 : 2011.1.1)60%

대규모 (10kw 이상)

태양광 PV

50%

(변동시기 : 2011.1.1)60%

풍력25%

(변동시기 : 2012.1.1)50%

자료원 : Ontario Power Authority (OPA)

□ 신재생에너지 연구 ‧ 개발(R&D) 지원 프로그램

- 캐나다 R&D 예산 추이를 입수하기 위해 캐나다 연방정부 산하의 신재생에너지 및

기타 녹색산업 기술의 개발을 맡고 있는 Natural Resources Canada와 접촉하였음.

- NRCan에 의하면 캐나다 정부의 녹색산업에 대한 R&D 예산은 분야별로 세분화되어

Ⅱ. 캐나다 47

있지 않고, 발표 이후 정해진 햇수만큼의 지원을 목표로 프로그램화 되어있는 경우가

많다고 함. (예: 2천만불을 배정하여 신재생에너지 장비를 사용하는 주거환경에 대해

향후 3년간 일정 세금 감면혜택, 1억불을배정하여 NRCan에서 선정하는태양광연구프로

젝트에 향후 3년간 비용지원 등)

- 또한 캐나다 정부가 본격적으로 신재생에너지의 R&D를 예산에 추가한 것은 불과 2년도

채 되지 않았으며, 실제로 2006년도 캐나다 총 예산에 신재생에너지와 관련된 부분은

1천만 캐나다달러였으며, 내용은 신재생에너지 장비를 사용하는 비즈니스에 대한 감가상

각을 높여주는 정도로 미미한 수준이었음.

- 2007년도 캐나다 총 예산중 신재생에너지 R&D 관련 예산은 2010년까지 계획하고 있는

전캐나다바이오에탄올 5% 희석목표를달성하기위한생산시설및바이오연료제조기술

을 위해 2억 캐나다달러를 배정하였음. 배정된 2억불은 2007년부터 2014년까지 7년에

걸쳐 매년 약 3천만불씩 균등하게 배정되고 있음.

- 2008년 캐나다 총 예산 중 신재생에너지 관련 예산은 1천만 캐나다달러였으며, 이는

2007년의 바이오연료 지원계획을 보조하는 역할을 하여 관련 기술 개발 업체를 선정하여

연구비를 지급하였음.

- 이와같이, 캐나다정부의 예산배정방식은매년 태양광, 풍력, 바이오매스 등 모든 분야에

일정 액수를 배정하는 형태가 아니고 국가개발 전략에 맞추어 특정 프로그램에 대한

R&D 장려 필요가 발생할 경우에만 해당 분야에 국한된 예산을 배정하는 방식임.

□ 성능평가, 인증, 표준 제도

- 캐나다의신재생에너지및기타녹색산업기술관련제품은기본적으로캐나다내품질인증

협회인 CSA 인증을 필수로 갖고 있어야 함.

- 하지만 캐나다의 경우 미국 산업에 의존도가 높고, 미국과의 거래가 활발한 이유로

미국의 Underwriters Laboratories(UL)기준 역시 받아들이고 있음.

- 각 주요 신재생에너지 협회에 접촉한 결과 한국 업체가 캐나다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캐나다의 CSA기준 혹은 미국의 UL기준을 취득해야 하며, 품질인증을 취득하지 못한

경우 진출에 큰 장애가 될 수 있다는 의견을 피력하였음.

48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대상분야 태양광 지역 Saint-Laurent

세부분야 태양광 폴리실리콘 생산

기술명 ○ Metal Purification Technology

기술내용

- 동 기술은 많은 종류의 합성금속을 생산하기 위해 사용되며, CdTe, CdS, ZnTe,

CZT등의 합성금속을 생산가능함.

- 태양광 분야에서는 특히 CdTe 박막형 태양광셀의 제조에 필요한 카드뮴 텔루라이트를

생산하는 것이 가능함.

- 동 기술을 사용하면 순도 5N부터 최대 7N까지의 합성금속 생산이 가능하며 다음

세 가지 과정으로 세분화됨.

① 금속물질의 적출 및 화학적 정화 (Electrowinning and Chemical Purification)를

통한 1단계 정화공정

② 증류 및 구역 정화 (Distillation and Zone Refining)을 통한 2단계 공정

③ Solution Growth 및 Vapor Growth를 통한 3단계 공정

CEO JACQUES L'ÉCUYER 설립연도 2000

2. 녹색기술 보유업체 명단 및 기술내용

□ ARISE Technologies Inc.

대상분야 태양광 지역 Waterloo

세부분야 태양광 결정질 셀

기술명 ○ High Efficiency PV Cells

기술내용

- 2010년 이후 상용화를 목표로 연구개발이 진행 중임.

- 동 기술의 핵심은 변환 효율성 20%를 초과하는 태양광 셀 제조이며, 현재 연구가

마무리 단계로, 2010년도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음.

- 동 기술은 단순한 태양광 셀단계 변환률의 개선 뿐 아니라 웨이퍼의 생산단계의

개선을 염두에 두고 있음. (동사는 향후 폴리실리콘 웨이퍼까지 자체 생산하는

Integrated Vertical Business Model을 고려 중임)

- 연구 과정, 현황 등의 공개를 피하고 있어 자세한 정보 입수는 불가능하나, 동 기술

적용 시 7N+순도의 폴리실리콘의 생산 및 효율성 20%를 초과하는 Mono/Poly

Crystalline 태양광 셀의 제조가 현저히 낮은 원가로 생산가능하게 됨.

CEO Vern Heinrichs 설립연도 2005

주소 65 Northland Road, Waterloo, Ontario매출액(2008년)

(백만CAD)36

담당자Chris Waters

(VP Business Development)고용 (명) 100

연락처

전화: 519-725-2244

팩스: 519-725-8907

웹사이트: www.arisetech.com

해외조직

2개

(Waterloo, 독일

Bischofswerda)

□ 5N Plus

Ⅱ. 캐나다 49

주소4385, Garand street, Saint-Laurent,

Québec 매출액(2008년)

(백만CAD)31

담당자 NICHOLAS AUDET (R&D Manager) 고용 (명) -

연락처

전화: 514-856-0644

팩스: 514-856-9611

웹사이트:

www.5nplus.comwww.arisetech.com

해외조직2개 (Saint-Laurent, 독일

Eisenhüttenstadt)

대상분야 풍력 지역 Kanata

세부분야 풍력 터빈 제조

기술명 ○ Magenn Air Rotor System

기술내용

- 동 기술은 공기보다 가벼운 열기구 형태의 터빈을 공중에 띄운 후 풍력이 강한

상공에서 발전할 수 있는 기술임.

- 부양형 풍력발전기는 기존에 여러 차례 시도되어왔던 기술이나, 동 기술의 차별점은

소형 터빈을 열기구에 부착시키는 형태가 아닌, 열기구 자체가 회전하면서 터빈역할

을 감당할 수 있게끔 설계되어 있는 점임.

- 결과적으로 발전기의 무게가 빠져 경량화가 이루어지므로 공중에 띄우는데 소비되는

시간 및 열기구 내 주입하는 가스 등이 절약될 수 있음.

- 현재는 100kW급 제품을 개발 중이며 2010년 상용화 계획 중.

CEO PIERRE RIVARD 설립연도 1980

주소105 Scheneider Road, Kanata,

Ontario, Canada

매출액(2008년) (백만CAD)

비공개

담당자 PIERRE RIVARD (CEO) 고용 (명) -

연락처

전화: 613-599-0567

팩스: 613-733-3260

웹사이트: www.magenn.com

해외조직 1개 (Kanata)

□ Magenn Power Corporation

50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 Hydrogenics Corporation

대상분야 연료전지 지역 Mississauga

세부분야 연료전지 스택, 모듈 제조

기술명 ○ PEM HyPX Fuel Cell System

기술내용

- 동사는 Proton Exchange Membrane(PEM) 방식의 수소연료전지 스택 및 모듈

제조기술을 보유하고 있음.

- 동 기술의 경쟁력은 여타 연료전지 업체들이 연료전지 자체인 스택의 제조에서

끝나는 것과 달리, 소비자 형태에 특화된 모듈까지 통합된 공정을 통해 제조가

가능하다는 점임.

-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연료전지의 구입 후 이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외부

Installer를 고용하는 등의 설치기간 없이 바로 사용이 가능하게 됨.

- 소비자 특화 모듈은 송전탑/데이터센터 백업파워 서플라이 유닛, 시내연료전지버

스 혹은 산업용 지게차의 엔진으로 구분됨.

- 이와 같은 User-Friendly 모듈 제조방식은 이미 유럽의 여러 국가들에서 동사의

제품을 시내버스에 탑재하여 사용하게 하는 결과를 낳았음.

- 또한 수소연료전지의 공급원료인 수소충전이 가능한 충전소의 디자인, 제조 및

설치 역시 제공하고 있어 유럽시장의 경우 인프라 구축 수요에 의해 정부와의

비즈니스가 활발함.

CEO DARYL WILSON 설립연도 1988

주소5985 McLaughlin Road,

Mississauga, Ontario

매출액(2008년) (백만CAD)

42

담당자 JOE CARGNELLI (CTO) 고용 (명) 150

연락처

전화: 905-361-3660

팩스: 905-361-3626

웹사이트: www.hydrogenics.com

해외조직

6개 (Mississauga, 벨기에

Oevel, 독일 Gladbeck, 미

국, 중국, 러시아)

Ⅱ. 캐나다 51

□ Plasco Energy Group Inc

대상분야 바이오매스 지역 Ottawa

세부분야 도시쓰레기 활용 발전용 Syngas생산

기술명 ○ Plasco Conversion System

기술내용

- 동 기술은 도시쓰레기 및 폐기물의 분리작업이 끝난 후 동 기술의 첫 단계인

Conversion 장치에 들어가 가열/냉각을 통해 가공되지 않은 Syngas (합성가스)

를 생산해낸 후, 두 번째 단계인 Gas Quality Control Suite에 주입되어 유해물질인

황, 기타 산성가스, 철분을 제거하고 순도가 높아진 최종 제품인 Purified Syngas

를 생산하게 되는 기술임.

- 동 기술은 세계에서는 유일하게 1톤의 쓰레기로 1 MWh 이상의 에너지 생산이

가능한 높은 순도의 합성가스를 생산해내는 기술임.

- 캐나다 정부 역시 동 기술의 우수성을 인정하고 향후 진행될 프로젝트에 동

기술을 적극 수용할 계획을 갖고 있음.

개념도

CEO ROD BRYDEN 설립연도 1986

주소5985 McLaughlin Road,

Mississauga, Ontario

매출액(2008년)(백만CAD)

비공개

담당자 ROD BRYDEN (CEO) 고용 (명) 125

연락처

전화: 613-591-9438

팩스: -

웹사이트:

www.plascoenergygroup.com

해외조직 1개 (Ottawa)

52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 Enerkem Technologies Inc

대상분야 바이오매스 지역 Montreal

세부분야 바이오연료 생산

기술명 ○ Syngas to Biofuel Technology

기술내용

- 동 기술은 바이오매스 활용기술의 multi platform화를 구축한 예로 다양한 형태의

원료(도시쓰레기, 목질계 폐기물, 농업 폐기물)를 수용하며, 최종 생산물로는

①화학물질(순수 메탄올, 아세트산, 올레핀 등), ②운송용 연료(바이오에탄올,

합성 가솔린, 합성 디젤 등)가 있음.

- 동 기술의 핵심은 합성가스를 최종생산물의 용도에 맞게 처리가 가능하다는

것이며, 동사는 이를 Gas Conditioning 기술이라 부르고 있음. 최종생산물에

따라 적절한 온도에 특정 촉매를 주입시키는 것을 자동화한 기술임.

- 동 기술의 경우 1톤의 바이오매스 원료로 360리터의 바이오에탄올의 생산이

가능하며, 이는 관련 분야에서는 보기 힘든 Positive energy balance (소요 원료보

다 최종생산 에너지가 높은 경우)라는 이유로 큰 관심을 얻고 있는 기술임.

개념도

CEO VINCENT CHORNET 설립연도 2002

주소615 René-Lévesque Blvd West,

Suite 820, Montréal QC매출액(2008년)

(백만CAD)비공개

담당자DINO MILL (VP Business

Development)고용 (명) -

연락처

전화: 613-591-9438

팩스: -

웹사이트: www.enerkem.com

해외조직 1개 (Montreal)

Ⅱ. 캐나다 53

□ BIOX Corporation

대상분야 바이오매스 지역 Oakville

세부분야 바이오디젤 생산

기술명 ○ BIOX Production Process

기술내용

- 동 기술의 최종 생산품은 자동차용 경유를 대체할 수 있는 자동차 엔진용 디젤임.

- 동 기술을 사용하면 현존하는 대부분의 바이오디젤 생산기술에서 사용이 불가능

한 유리지방산에서 바이오디젤의 생산이 가능하며, 따라서 비싼 공급원료 (유리지

방산 1% 미만)을 구입할 필요가 없고 저렴한 돼지고기, 소고기 지방 등으로도

높은 바이오디젤로의 변환률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함.

- 한 종류의 공급 원료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은 어떤 나라에 생산시설을 짓더라도

그 지역에서 구할 수 있는 가장 저렴한 공급 원료를 사용함으로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는 의미로, 동 기술의 가장 큰 경쟁력임.

- 동 기술 활용 시, 바이오디젤 생산 소요비용의 85%가량을 차지하는 공급원료

가격 및 종류에서 자유로울 수 있음.

개념도

CEO TIM HAIG 설립연도 2000

주소125 Lakeshore Road East, Suite

200, Oakville, Ontario

매출액(2008년) (백만CAD)

비공개

담당자SCOTT LEWIS (VP Business

Development)고용 (명) 100

연락처

전화: 905-337-4970

팩스: 905-337-4999

웹사이트: www.bioxcorp.com

해외조직 1개 (Oakville)

54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 SiXtron Advanced Materials

대상분야 태양광 지역 Dorval

세부분야 박막형 태양광 셀

기술명 ○ Anti-Reflection Coating Deposition Process

기술내용

- 동 기술은 박막형 태양전지판 제조공정 중 전지판 표면이 태양광을 반사하는

것을 막기 위한 Anti-Reflection 코팅기술임.

- 기존 박막형 태양전지판 코팅에는 Silicon Nitride(SiN)이 사용되는데 이 과정에는

폭발물질인 시레인가스(Silane)가 사용됨.

- 동 기술은 SiN 대신 Silicon Carbide(SiCN)을 사용하고 시레인가스를 필요로

하지 않는 Anti-Reflection코팅 기술로, SiN을 사용하던 기존 제조업체들이 쉽게

장비 교체가 가능하게끔 설계되어있고, SiN방식보다 저렴하기 때문에 원가절감이

가능하여 좋은 반응을 얻고 있는 기술임.

제품사진

<동 기술을 응용, 자동 코팅처리가 가능하게 제조된 SUNBOX 제품사진>

CEO ZBIGNIEW BARWICZ 설립연도 2004

주소1785 Rte Trans Canada, Dorval,

QC

매출액(2008년) (백만CAD)

비공개

담당자 ZBIGNIEW BARWICZ (CEO) 고용 (명) -

연락처

전화: 514-421-0202

팩스: 514-421-0204

웹사이트: www.sixtron.com

해외조직 1개 (Dorval)

Ⅱ. 캐나다 55

□ Woodland Biofuels Inc

대상분야 바이오매스 지역 Mississauga

세부분야 바이오에탄올 생산

기술명 ○ Catalyzed Pressure Reduction

기술내용

- 동 기술은 식물성 섬유질에서 자동차 엔진용 바이오 에탄올을 생산해내는 기술임.

- 동 기술 활용 시, 공급원료의 제약이 없어지며 옥수수 등 음식이 아닌 기타 목질계

바이오매스(나무껍질, 지푸라기 등)로도 에탄올의 생산이 가능해지는 것이 특징임.

- 현존하는 기타 바이오에탄올 생산기술은 공급원료에 제약이 있고 선처리과정

(pre-treatment)이 필요한 기술이 많으나, 동 기술은 별도의 선처리 과정이

필요없음.

개념도

CEO GREG NUTTALL 설립연도 2000

주소220 Superior Boulevard,

Mississauga, Ontario

매출액(2008년) (백만CAD)

비공개

담당자ANTONY MORAN (VP Business

Development)고용 (명) -

연락처

전화: 905-670-5502

팩스: 905-362-2245

웹사이트:

www.woodlandbiofuels.com

해외조직 1개 (Mississauga)

56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 Cyrium Technologies Inc

대상분야 태양광 지역 Ottawa

세부분야 고효율 태양광 셀(Concentrated PV Cell) 제조

기술명 ○ Cyrium Concentrated Photovoltaic(CPV) Technology

기술내용

- 기존 CPV 기술은 공통적으로 단/다결정질 태양광 모듈에 Sun Tracking 장치,

혹은 거울을 이용한 태양광 반사/집약식으로 태양광 자체의 집중도를 높여 발전효

율을 높이는 기술로 인식되고 있음.

- 동 기술은 태양광 셀 자체의 발전효율을 나노기술을 활용하여 개선하는 방식을

통해 현존하는 태양광 셀이 안고 있는 Efficiency Roll Off 현상을 최소화 하고,

40% 이상의 획기적인 발전효율을 유지할 수 있는 태양광 셀을 생산가능하게

하는 기술임.

- 아직 상용화에 들어가지 않고 Commercial Release Candidate 테스팅이 진행

중이며, 2010년 상용화를 계획 중.

- 동사는 2008년부터 캐나다 Cleantech 기술보유업체 Top 리스트에 언급되던

업체임.

제품사진

<나노기술을 응용하여 생산된 동사의 CPV 태양광 셀 시제품>

CEO HARRY ROZAKIS 설립연도 2002

주소

1200 Montreal Road,

M50-building, IPF wing,

Ottawa, Ontario

매출액(2008년)(백만CAD)

비공개

담당자 HARRY ROZAKIS (CEO) 고용 (명) -

연락처

전화: 613-482-3365

팩스: 613-747-9333

웹사이트:

www.cyriumtechnologies.com

해외조직 1개 (Ottawa)

Ⅱ. 캐나다 57

□ 6N Silicon Inc

대상분야 태양광 지역 Vaughan

세부분야 폴리실리콘 생산

기술명 ○ 6N Technology

기술내용

- Scrap Silicon을 태양광 전지에 사용할 수 있는 Solar-Grade 실리콘으로 정화시키

는 기술로 현재까지 Siemens 증기화 기술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불순물

을 모두 제거하는 데에는 비용이 너무 많이 든다는 단점이 있음.

- 동 기술의 핵심은 실리콘을 정화시키지 않고 알루미늄과 함께 녹이는 데 차이가

있으며, 순도 6N의 Solar-Grade 폴리실리콘을 기존 기술을 활용해 생산원가의

40%정도로 절감하면서 같은 퀄리티의 제품을 생산해내는 것이 가능함.

관련사진

<동사 기술공정 중 알루미늄 용해를 거쳐

순도가 높아진 폴리실리콘 조각을 합치는 Growing 과정>

CEO PAOLO MACCARIO 설립연도 2006

주소1 Royal Gate Boulevard,

Vaughan, Ontario

매출액(2008년) (백만CAD)

비공개

담당자 PAOLO MACCARIO (CEO) 고용 (명) 150

연락처

전화: 905-856-0367

팩스: 905-856-0327

웹사이트: www.6nsilicon.com

해외조직 1개 (Vaughan)

58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 MSR Innovations Inc

대상분야 태양광 지역 Burnaby

세부분야 BIPV 건물부착형 태양광 모듈

기술명 ○ Modular Solar Roofing

기술내용

- 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 (BIPV) 기술의 일환으로, 지붕타일형 태양전지판

어셈블리 시스템임.

- 태양 전지판이 내장되어 있는 폴리머 지붕 타일과 지붕 하층에 설치되는 폴리머

트랙의 두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유리판이 아닌 폴리머를 사용한 지붕 재질

때문에 상대적으로 경량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며, 기타 BIPV 기술보다 훨씬

저렴한 가격에 설치가 가능함.

- 기존의 지붕 설치식 태양 전지판이 단순히 지붕에 맞도록 외형만 변형시켜 기존

지붕위에 탑재하는 수준의 제품에서 벗어나 지붕의 건설과정에 태양전지판을

완전히 접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기술임.

개념도

CEO JIM THOMPSON 설립연도 2005

주소8988 Fraserton Court, Burnaby,

BC,

매출액(2008년) (백만CAD)

비공개

담당자 JIM THOMPSON (CEO) 고용 (명) -

연락처

전화: 604-454-1081

팩스: 604-454-1091

웹사이트:

www.msrinnovations.com

해외조직 1개 (Burnaby)

Ⅱ. 캐나다 59

□ Vaperma Inc.

대상분야 바이오매스 지역 St-Romuald

세부분야 바이오에탄올 생산

기술명 ○ Siftek Membrane Technology

기술내용

- 동 기술은 옥수수를 이용하여 바이오에탄올을 만드는 공정 중, 기존의 증류,

탈수 과정을 대체할 수 있는 기술로서 가스 분리에 특화된 막(membrane)을

이용, 효율적으로 순수 에탄올을 분리시킬 수 있는 기술임.

- 제품 원리는 Siftek Membrane 카트리지를 실린더 모양의 압축 용기에 설치하고,

한 쪽 끝에서 발효된 섭씨 100도 온도의 옥수수에서 나온 증기(ethanol-water

vapor mixture)를 투입하고 이 증기를 6-7 psi의 압력으로 제품을 통과하게

함.

- 이 과정에서 흡수된 수분은 제품 하단부에 위치한 구멍으로 빠지게 되고, 순도

99% 이상의 드라이 에탄올이 제품 반대쪽으로 나오는 원리임

개념도

CEO CLAUDE LETOURNEAU 설립연도 2003

주소2111, 4e rue, suite 101,

St-Romuald, Quebec, Canada

매출액(2008년)(백만CAD)

비공개

담당자 PIERRE COTE (CTO) 고용 (명) -

연락처

전화: 418-839-6989

팩스: 418-834-8225

웹사이트: www.vaperma.com

해외조직 1개 (St-Romuald)

60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 Timminco Limited

대상분야 태양광 지역 Toronto

세부분야 폴리실리콘 생산

기술명 ○ Timminco Polysilicon Procedure

기술내용

- 동사는 태양광 분야로 다각화하기 이전 30년간의 산업용 Silicon Metal 생산업체로

서 다양한 금속주조기술을 보유.

- 동 기술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Siemens 증기화방식의 높은 비용을 절감하면

서 태양광 모듈에 사용 가능한 최소 5N 순도 이상의 폴리실리콘을 생산해낼

수 있음.

- 동 기술사용 시 전력 소비 절감으로 총 생산원가가 절반 이하로 줄어들 수 있으며,

Siemens방식 사용 생산시설의 경우 생산라인증설 등에 2년 이상의 기간이 소요되

나 동 기술사용 시 1년 이하로 줄일 수 있음.

개념도

CEO HEINZ SCHIMMELBUSCH 설립연도 1934

주소150 King Street West, Suite 2401

Toronto, Ontario

매출액(2008년)(백만CAD)

253

담당자ROBERT DIETRICH

(EVP Finance and CFO)고용 (명) 490

연락처

전화: 418-839-6989

팩스: 418-834-8225

웹사이트: www.vaperma.com

해외조직 1개 (Toronto)

Ⅱ. 캐나다 61

□ ENSYN Technologies

대상분야 바이오매스 지역 Ottawa

세부분야 발전용 Syngas생산

기술명 ○ Rapid Thermal Processing

기술내용

- 동 기술은 유기 화합물 열분해(Pyrolysis)분야 기술 중 세계 최초로 상업화된

기술임.

- 바이오매스 원료를 2초 내에 액체 연료로 변화시킬 수 있으며, 장치에 들어간

원료를 내부에 있는 고온의 모래 입자들로 고온처리 한 후 바로 냉각시키는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음. 변환 효율은 높은 편으로 기존 바이오매스 원료 무게의

75%가 액체연료로 생성됨.

- 동 열분해 과정의 부수 산출물로는 숯 및 발전용으로 사용 가능한 바이오가스가

있으며, 동 기술은 이 두 가지 부산출물을 열분해 과정에 다시 사용할 수 있으므로

100% 재활용이 가능한 기술임.

제품사진

<동사의 RTP 기술을 활용하는 바이오매스 소각로>

CEO ROBERT GRAHAM 설립연도 1984

주소2 Gurdwara Road, Suite 210,

Ottawa, Ontario

매출액(2008년)(백만CAD)

비공개

담당자 BARRY FREEL (CTO) 고용 (명) -

연락처

전화: 613-248-2257

팩스: 613-248-2260

웹사이트: www.ensyn.com

해외조직 2개 (Ottawa, 미국)

62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기술명 Metal Purification Technology

기술정보

①금속물질의 적출 및 화학적 정화 (Electrowinning and Chemical Purification)를

통한 1단계 정화공정, ②증류 및 구역 정화 (Distillation and Zone Refining)을 통한

2단계 공정, ③Solution Growth 및 Vapor Growth를 통한 3단계 공정으로 이루어짐.

특히 동사가 태양광 카드뮴 텔루라이트를 원료로 한 CdTe 박막형 태양광셀 산업에

공급중인 CdTe 원석은 위의 3단계 공정을 모두 거친 순도 5N 이상의 금속임.

정보입수경로 업체웹사이트 및 동사관련 뉴스매체 활용

KBC 의견

동사는 세계적으로 CdTe 박막형 태양광 셀 제조업체들에게 CdTe 원석을 공급하고

있음. CdTe 박막형 태양광 셀은 박막형의 태양전지 중 제조비용이 가장 저렴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으나, 공해를 유발하고 인체에 치명적이라는 단점이 있어 양산이

이루어질 정도의 수요가 없음.

최근 미국의 Amerigon사와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Thermoelectric제품의 개발에

공동참여하기로 하였으며 한국 업체들과도 공동개발 프로젝트에 기술제휴가 가능할

수 있음. 동사는 현재 캐나다 Cleantech Top 10에 꼽히는 업체로 주식이 CAD

5달러 선에서 거래되고 있음. 의사회의 결정에 따라 M&A도 가능할 것으로 사료됨.

3. M&A 또는 전략적 기술제휴 가능성

1) 업체별 보유기술 정보 및 M&A/전략적 제휴 가능성

□ ARISE Technologies

기술명 High Efficiency PV Cells

기술정보

2010년 이후 상용화를 목표로 연구개발이 진행 중임. 현재 양산 중에 있는 동사의

단결정질, 다결정질 태양광 전지는 현존하는 다수의 태양전지 스탠다드 수준의

제품으로, 이보다 더 높은 발전효율성을 얻도록 하는 High Efficiency PV Cell 기술을

개발 중.

정보입수경로 VP Business Development인 Chris Waters씨와 유선 상 접촉

KBC 의견

2년 전 독일에 생산시설을 설립한 후, 빠른 속도로 매출 및 고객 베이스가 늘어나고

있는 업체이지만 아직 벤쳐 업체로 TSX 증시에 상장되어 있고, 주당 37센트 정도의

낮은 가격으로 거래되고 있으므로, 의사회 결정에 따라 M&A 가능성도 있을 것으로

사료됨.

국내 투자입지와 태양광에 대한 정부 정책 등에 관심이 많고, 향후 인센티브 등에

따라 제조시설을 한국에 투자하는 것도 가능한 업체임.

M&A 혹은제휴 가능성

M&A 가능성 □상 ■중 □하

가능성 높은 전략적

제휴 방법

■ 라이센싱 □ 기술매도 □ OEM

■ 대한국투자 (지분획득 등)

□ 기타 기술협력 (정보교류, 한국인력고용 등)

□ 5N Plus

Ⅱ. 캐나다 63

M&A 혹은제휴 가능성

M&A 가능성 □상 ■중 □하

가능성 높은 전략적

제휴 방법

□ 라이센싱 □ 기술매도 □ OEM

■ 대한국투자 (지분획득 등)

□ 기타 기술협력 (정보교류, 한국인력고용 등)

기술명 HyPX Fuel Cell System

기술정보

Proton Exchange Membrane(PEM) 방식의 수소연료전지 스택 제조기술과 다양한

실용목적을 위해 Plug-n-Play가 가능하도록 모듈까지 제조하는 기술로, 수소연료전

지를 도입하여 사용하는 소비자의 용이성을 강조한 기술임.

최종제품은 송전탑/데이터센터의 백업 파워로서 선반형태의 제품, 버스 및 산업용

지게차 등 Heavy Duty차량용 엔진 모듈이 있음.

정보입수경로 CTO인 Joe Cargnelli씨와 접촉

KBC 의견

동 기술의 경쟁력은 여타 연료전지 업체들이 연료전지 자체인 스택의 제조에서

끝나는 것과 달리, 소비자 입장에서 구입 후 긴 설치기간이 필요 없이 바로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는 점으로, 이미 유럽의 여러 국가들에서 동사의 제품을 시내버스에

탑재하여 사용하고 있음.

□ Magenn Power Corporation

기술명 Magenn Air Rotor System

기술정보

동 기술은 공기보다 가벼운 열기구 형태의 터빈을 공중에 띄운 후 풍력이 강한

상공에서 발전할 수 있는 기술임.

기존의 부양형 풍력발전기가 소형 터빈을 열기구에 부착시켰던 것과는 달리, 열기구

자체가 회전하면서 터빈역할을 감당할 수 있게끔 설계되어 있음. 결과적으로 발전기

의 무게가 빠져 경량화가 이루어지므로 공중에 띄우는데 소비되는 시간 및 열기구

내 주입하는 가스 등이 절약될 수 있음. 현재는 100kW급 제품을 개발 중이며 2010년

상용화 계획.

정보입수경로 CEO인 Pierre Rivard씨와 접촉

KBC 의견

2009년 3월 토론토 KBC가 주최한 Green Tech Exchange Forum에 참석하여

한국에의 투자진출 및 반대로 동사의 기술에 투자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는

등 다양한 형태의 기술 제휴에 관심을 보임.

과거 국내 현대중공업에 동 기술에 대한 투자유도를 위해 접촉한 바 있으며, 한국

소형풍력발전 업체 기술의 우수성을 인지하고 있으므로 한국업체들과의 기술제휴

및 M&A 가능성은 높음.

M&A 혹은제휴 가능성

M&A 가능성 ■상 □중 □하

가능성 높은 전략적

제휴 방법

■ 라이센싱 ■ 기술매도 □ OEM

■ 대한국투자 (지분획득 등)

□ 기타 기술협력 (정보교류, 한국인력고용 등)

□ Hydrogenics Corporation

64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동사는 또한 수소연료전지를 사용하는 차량과 함께 요구되는 수소 충전소의 제조

및 설치가 가능하므로 인프라 산업 방향의 진출도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음. 한국의

정유회사 및 정부기관 등 수소전지의 운송용 활성화를 위한 RPS 프로그램 등에 파트너로

서 참여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힌 바 있음. 접촉결과 M&A에는 관심이 없음을 밝힘.

M&A 혹은제휴 가능성

M&A 가능성 □상 □중 ■하

가능성 높은 전략적

제휴 방법

■ 라이센싱 □ 기술매도 □ OEM

■ 대한국투자 (지분획득 등)

□ 기타 기술협력 (정보교류, 한국인력고용 등)

기술명 Plasco Conversion System

기술정보

도시쓰레기 및 폐기물의 선 분리작업(Pre-Selection)이 끝난 후 동 기술의 첫 단계인

변환 장치에 들어가 가열/냉각을 통해 가공되지 않은 Syngas(합성가스)를 만들어냄.

이 합성가스는 두 번째 단계인 Gas Quality Control Suite에 주입되어 유해물질인

황, 기타 산성가스, 철분을 제거하고 순도가 높아진 최종 제품인 Purified Syngas를

생산하게 되는 기술임.

동 기술은 세계에서는 유일하게 1톤의 쓰레기로 1 MWh이상의 에너지 생산이 가능한

높은 순도의 합성가스를 생산해내는 기술임.

정보입수경로 CEO인 Rod Bryden씨와 접촉

KBC 의견

동사의 경우 토론토 KBC에서 지속적으로 접촉하고 있으며, 현재 한라공조, 한솔

등 국내 기업과 협의가 진행되고 있음. 캐나다 정부 역시 동 기술의 우수성을 인정하고

향후 진행될 프로젝트에 동 기술을 적극 수용할 계획을 갖고 있음.

국내 환경분야 엔지니어 기업과 전략적 파트너 관계를 구축하고자 희망하고 있으며,

라이센싱 혹은 직접 생산시설을 국내 파트너와 합작으로 투자하는 방안도 가능할

것으로 사료됨. M&A에 대한 관심은 없음.

M&A 혹은제휴 가능성

M&A 가능성 □상 □중 ■하

가능성 높은 전략적

제휴 방법

■ 라이센싱 □ 기술매도 □ OEM

■ 대한국투자 (지분획득 등)

□ 기타 기술협력 (정보교류, 한국인력고용 등)

기술명 Syngas to Biofuel Technology

기술정보

동 기술은 바이오매스 활용기술의 멀티 플랫폼화를 구축한 예로 다양한 형태의

원료(도시쓰레기, 목질계 폐기물, 농업 폐기물)를 수용하며, 최종 생산물로는 ①화학

물질(순수 메탄올, 아세트산, 올레핀 등), ②운송용 연료(바이오에탄올, 합성 가솔린,

합성 디젤 등) 심지어는 합성가스를 활용한 전력발전까지 가능한 복합 기술임.

동 기술의 핵심은 합성가스를 최종생산물의 용도에 맞게 처리가 가능하다는 것이며,

동사는 이를 Gas Conditioning 기술이라 부르고 있음. 최종생산물에 따라 적절한

온도에 특정 촉매를 주입시키는 것을 자동화한 기술임.

□ Plasco Energy Group Inc

□ Enerkem Technologies Inc

Ⅱ. 캐나다 65

정보입수경로 VP Business Development인 Dino Mill씨 접촉

KBC 의견

동 기술의 경우 1톤의 바이오매스 원료로 360리터의 바이오에탄올의 생산이 가능하

며, 이는 관련 분야에서는 보기 힘든 Positive energy balance (소요 원료보다

최종생산 에너지가 높은 경우)라는 이유로 큰 관심을 얻고 있는 기술임. 현재 상용화되

어 있지는 않고 정부 지원을 받아 시범 생산시설만을 운영하고 있는 상태임. 접촉결과

상용화 이전이기 때문에 어떤 방향의 해외진출방식을 희망하는지에 대한 정보는

얻기 힘들었으며, M&A에 대한 관심 또한 적은 상황.

M&A 혹은제휴 가능성

M&A 가능성 □상 □중 ■하

가능성 높은 전략적

제휴 방법

□ 라이센싱 □ 기술매도 □ OEM

■ 대한국투자 (지분획득 등)

■ 기타 기술협력 (정보교류, 한국인력고용 등)

기술명 BIOX Production Process

기술정보

동 기술의 최종 생산품은 자동차용 경유를 대체할 수 있는 자동차 엔진용 디젤임.

동 기술을 사용하면 현존하는 대부분의 바이오디젤 생산기술에서 사용이 불가능한

유리지방산에서 바이오디젤의 생산이 가능하며, 따라서 비싼 공급원료 (유리지방산

1% 미만)을 구입할 필요가 없고 저렴한 돼지고기, 소고기 지방 등으로도 높은 바이오디

젤로의 변환률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함.

한 종류의 공급 원료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은 어떤 나라에 생산시설을 짓더라도

그 지역에서 구할 수 있는 가장 저렴한 공급 원료를 사용함으로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는 의미로, 동 기술의 가장 큰 경쟁력임. 동 기술 활용 시, 바이오디젤 생산

소요비용의 85%가량을 차지하는 공급원료 가격 및 종류에서 자유로울 수 있음.

정보입수경로 VP Business Development인 Scott Lewis씨 접촉

KBC 의견

동사는 토론토 KBC에서 유망잠재투자가로 관리하고 있으며, 몇 차례의 방문면담을

통해 한국 정부의 바이오연료 활성화 정책이 본격적으로 가시화되면 직접 한국에

바이오디젤 생산시설을 설립할 의사가 있음을 파악한 바 있으나 M&A쪽은 관심이

없었음. 동사 운영방침 상 BOO방식 (Build Own and Operate)의 해외진출을 희망하고

있는 관계로 기술제휴 보다는 그린필드형 대한국투자 쪽에 가까움.

M&A 혹은제휴 가능성

M&A 가능성 □상 □중 ■하

가능성 높은 전략적

제휴 방법

□ 라이센싱 □ 기술매도 □ OEM

■ 대한국투자 (지분획득 등)

□ 기타 기술협력 (정보교류, 한국인력고용 등)

□ BIOX Corporation

66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 SiXtron Advanced Materials

기술명 Anti-Reflection Coating Deposition Process

기술정보

동 기술은 박막형 태양전지판 제조공정 중 전지판 표면이 태양광을 반사하는 것을

막기 위해 Anti-Reflection 코팅을 입히는 공정에 활용 가능한 기술임. 기존 박막형

태양전지판 코팅에는 Silicon Nitride(SiN)이 사용되는데 이 과정에는 폭발물질인

시레인가스(Silane)가 사용됨. 실제 이 공정중 시레인가스가 폭발하여 인명피해가

난 케이스도 있다고 함.

동 기술은 SiN 대신 Silicon Carbide(SiCN)을 사용하고 시레인가스를 필요로 하지

않는 Anti-Reflection 코팅 기술로, SiN을 사용하던 기존 제조업체들이 쉽게 장비

교체가 가능하게끔 설계되어있고, SiN방식보다 저렴하기 때문에 원가절감이 가능하

여 좋은 반응을 얻고 있는 기술임.

정보입수경로 CEO Zbigniew Barwicz씨 접촉

KBC 의견

동사는 캐나다 Cleantech Next 10에 선정된 업체로서, 북미 시장 뿐 아니라 아시아

시장에도 거래관계가 형성되어 있음. 실제로 한국, 중국, 일본을 포함한 아시아

지역이 박막형 태양전지 기술개발이 활발하므로 현재의 세일즈 중심 사업에서 향후

공동 R&D, 생산시설 설립 등 투자진출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음.

동사는 비상장기업이고 현재는 벤처캐피탈의 투자를 받아 운영되고 있는 업체이며,

접촉결과 M&A에 대해서는 관심을 보이지 않았음.

M&A 혹은제휴 가능성

M&A 가능성 □상 □중 ■하

가능성 높은 전략적

제휴 방법

■ 라이센싱 □ 기술매도 □ OEM

□ 대한국투자 (지분획득 등)

■ 기타 기술협력 (정보교류, 한국인력고용 등)

□ Woodland Biofuels Inc

기술명 Catalyzed Pressure Reduction

기술정보

동 기술은 식물성 섬유질에서 자동차 엔진용 바이오 에탄올을 생산해내는 기술임.

동 기술 활용 시, 공급원료의 제약이 없어지며 옥수수 등 음식이 아닌 기타 목질계

바이오매스(나무껍질, 지푸라기 등)로도 에탄올의 생산이 가능해지는 것이 특징임.

현존하는 기타 바이오에탄올 생산기술은 공급원료에 제약이 있고 선처리과정

(pre-treatment)이 필요한 기술이 많음. 동 기술은 별도의 선처리과정이 필요없음.

정보입수경로 VP Business Development인 Antony Moran씨 접촉

KBC 의견

토론토 KBC와의 면담 중 동사는 국내 업체들에게 Catalyzed Pressure Reduction

기술의 수출이 가능한 점을 강조하며, 국내 바이오 에탄올 생산업체들과의 교류를

희망한 바 있음. 국영기업(Crown Corporation)인 관계로 M&A에는 관심이 없음.

M&A 혹은제휴 가능성

M&A 가능성 □상 □중 ■하

가능성 높은 전략적

제휴 방법

□ 라이센싱 ■ 기술매도 □ OEM

□ 대한국투자 (지분획득 등)

□ 기타 기술협력 (정보교류, 한국인력고용 등)

Ⅱ. 캐나다 67

기술명 Cyrium Concentrated Photovoltaic(CPV) Technology

기술정보

기존 CPV 기술이라고 하면 일반 단/다결정질 태양광 모듈에 Sun Tracking 장치,

혹은 거울을 이용한 태양광 반사/집약식으로 태양광 자체의 집중도를 높여 발전효율

을 높이는 기술로 인식되고 있으나 동 기술은 태양광 셀 자체의 발전효율을 나노기술

을 활용하여 개선하는 방식을 통해 현존하는 태양광 셀이 안고 있는 Efficiency

Roll Off 현상을 최소화 하고, 40% 이상의 획기적인 발전효율을 유지할 수 있는

태양광 셀을 생산가능하게 하는 기술임.

아직 상용화에 들어가지 않고 Commercial Release Candidate 테스팅이 진행 중임.

정보입수경로 CEO인 Harry Rozakis씨 접촉

KBC 의견

동사는 2008년부터 캐나다 Cleantech 기술보유업체 상위 리스트에 언급되던 업체

로, 토론토 KBC에서 수차례 접촉한 바 있음.

현 CEO는 아직 상용화 단계에 이르지 못한 기술 및 제품에 대해 대한진출을 비롯하여

한국 업체들과의 제휴방안을 논하는 것은 너무 이르다는 의견을 보이며, 2010년

상용화를 계획하고 있으니 제품 양산이 시작된 이후 다시 연락할 것을 요청하였음.

M&A 혹은제휴 가능성

M&A 가능성 □상 □중 ■하

가능성 높은 전략적

제휴 방법

□ 라이센싱 □ 기술매도 □ OEM

□ 대한국투자 (지분획득 등)

■ 기타 기술협력 (정보교류, 한국인력고용 등)

□ Cyrium Technologies Inc

□ 6N Silicon Inc

기술명 6N Technology

기술정보

Scrap Silicon을 태양광 전지에 사용할 수 있는 Solar-Grade 실리콘으로 정화시키는

기술로 현재까지 Siemens 증기화 기술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불순물을

모두 제거하는 데에는 비용이 너무 많이 든다는 단점이 있음.

동 기술의 핵심은 실리콘을 증화시키지 않고 알루미늄과 함께 녹이는 데 차이가

있으며, 순도 6N의 Solar-Grade 실리콘을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에 생성해내는

것이 가능함.

정보입수경로 CEO인 Paolo Maccario씨 접촉

KBC 의견

2009년 7월 지역투자박람회 참석을 위해 방한한 이후 경북도 투자유치단과 면담을

가지는 등 한국 투자에 큰 관심을 갖고 있는 업체임.

국내 삼성, LG와 NDA계약을 체결하였으며 높은 퀄리티의 폴리실리콘을 낮은 가격에

생산해내는 것이 가능하여 세계적인 메이저 태양광 셀 제조업체들에게 높은 수요를

얻고 있는 기술임. 몇 차례 방문면담 결과 대한국 투자 의향은 있으나, M&A에는

관심이 없는 것으로 파악됨.

M&A 혹은제휴 가능성

M&A 가능성 □상 □중 ■하

가능성 높은 전략적

제휴 방법

□ 라이센싱 □ 기술매도 □ OEM

■ 대한국투자 (지분획득 등)

□ 기타 기술협력 (정보교류, 한국인력고용 등)

68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기술명 Siftek Membrane Technology

기술정보

동 기술은 옥수수를 이용하여 바이오에탄올을 만드는 공정 중, 기존의 증류, 탈수과정

을 대체할 수 있는 기술로서 가스분리에 특화된 막(membrane)을 이용, 효율적으로

순수 에탄올을 분리시킬 수 있는 기술임.

제품 원리는 Siftek Membrane 카트리지를 실린더 모양의 압축 용기에 설치하고,

한 쪽 끝에서 발효된 섭씨 100도 온도의 옥수수 증기(ethanol-water vapor mixture)

를 투입하고 이 증기를 6-7 psi의 압력으로 제품을 통과하게 함. 이 과정에서 흡수된

수분은 제품 하단부에 위치한 구멍으로 빠지게 되고, 순도 99% 이상의 드라이

에탄올이 제품 반대쪽으로 나오는 원리임

정보입수경로 CTO인 Pierre Cote씨 접촉

KBC 의견

동사는 기존 바이오에탄올 제조업체와 합작으로 기존생산시설을 동 기술로 대체하는

프로젝트 단위의 비즈니스를 주로 추진하고 있으며, 2008년 상용화된 이후 현재까지

캐나다, 브라질에서 총 3건의 JV에 참여한 바 있음.

아직까지 한국과 교류는 없으나 한국의 정유업체와 JV추진 혹은 턴키 솔루션 방식의

세일즈 방향으로 진출을 희망하고 있음. M&A에 관하여는 관심을 보이지 않음.

M&A 혹은제휴 가능성

M&A 가능성 □상 □중 ■하

가능성 높은 전략적

제휴 방법

■ 라이센싱 □ 기술매도 □ OEM

■ 대한국투자 (지분획득 등)

□ 기타 기술협력 (정보교류, 한국인력고용 등)

□ MSR Innovations Inc

기술명 Modular Solar Roofing

기술정보

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 (BIPV) 기술의 일환으로, 지붕타일형 태양전지판

어셈블리 시스템임. 태양 전지판이 내장되어 있는 폴리머 지붕 타일과 지붕 하층에

설치되는 폴리머 트랙의 두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유리판이 아닌 폴리머를

사용한 지붕 재질 때문에 상대적으로 경량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며, 기타 BIPV

기술보다 훨씬 저렴한 가격에 설치가 가능함.

기존의 지붕설치식 태양 전지판이 단순히 지붕에 맞도록 외형만 변형시켜 기존

지붕위에 탑재하는 수준의 제품에서 벗어나 지붕의 건설과정에 태양전지판을 완전히

접목시킬 것을 목적으로 하는 기술임.

정보입수경로 Mr. Michael Xiao(R&D Manager)

KBC 의견

2005년에 설립된 업체로 현재는 BC주 내에 정부 지원을 받고 시범설치를 진행

중임. 아직 상용화 단계까지 이루어지지 않았고, 향후 사업방향 등이 불투명한

점이 있음.

아직은 태양광 산업 내 입지를 굳히지 못한 상황이므로, 조금 더 시간을 두고 동향을

지켜볼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됨. M&A는 아직은 시기상조인 것으로 판단됨.

하지만 여러 국제적인 태양광 모듈 업체들과 파트너십 관계를 넓히고 있는 것으로

보아 국내 업체와 전략파트너십 제휴 등을 통한 향후 기술 라이센싱 방향으로 발전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됨.

M&A 혹은제휴 가능성

M&A 가능성 □상 □중 ■하

가능성 높은 전략적

제휴 방법

□ 라이센싱 □ 기술매도 □ OEM

□ 대한국투자 (지분획득 등)

■ 기타 기술협력 (정보교류, 한국인력고용 등)

□ Vaperma Inc

Ⅱ. 캐나다 69

기술명 Rapid Thermal Processing

기술정보

동 기술은 유기 화합물 열분해(Pyrolysis)분야 기술 중 세계 최초로 상업화된 기술임.

바이오매스 원료를 2초 내에 액체 연료로 변화시킬 수 있으며, 장치에 들어간 원료를

내부에 있는 고온의 모래 입자들로 고온처리한 후 바로 냉각시키는 과정으로 구성되

어 있음. 변환 효율은 높은 편으로 기존 바이오매스 원료 무게의 75%가 액체연료로

생성됨.

동 열분해 과정의 부수 산출물로는 숯 및 발전용으로 사용 가능한 바이오가스가

있으며, 동 기술은 이 두 가지 부산출물을 열분해 과정에 다시 사용할 수 있으므로

100% 재활용이 가능한 기술임.

정보입수경로 웹사이트 및 업체뉴스 활용

KBC 의견

동사는 턴키 솔루션의 납품에 주력하고 있으며, 아직까지 북미지역을 벗어나서

활동한 경험이 거의 없음. 하지만 미국 소재의 UOP사와 함께 JV를 추진하여 동

기술의 최종 생산품인 액체연료를 UOP사의 기술로 바이오디젤로 2차 변환하는

프로젝트에 참여한 바 있음. 한국과도 비슷한 양상의 공동 R&D 형태의 진출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됨.

M&A 혹은제휴 가능성

M&A 가능성 □상 □중 ■하

가능성 높은 전략적

제휴 방법

■ 라이센싱 □ 기술매도 □ OEM

□ 대한국투자 (지분획득 등)

□ 기타 기술협력 (정보교류, 한국인력고용 등)

□ Timminco Limited

기술명 Timminco Polysilicon Procedure

기술정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Siemens 증기화방식의 높은 비용을 절감하면서 태양광

모듈에 사용 가능한 최소 5N 순도 이상의 폴리실리콘을 생산해낼 수 있는 기술.

동 기술사용 시 전력 소비가 확연히 줄어듦으로 총 생산원가가 절반 이하로 줄어들

수 있으며, Siemens방식 사용 생산시설의 경우 생산라인증설 등에 2년 이상의

기간이 소요되나 동 기술사용 시 1년 이하로 줄일 수 있음.

정보입수경로 CFO인 Robert Dietrich씨 접촉

KBC 의견

동사는 태양광 분야로 다각화하기 이전 30년간의 산업용 Silicon Metal 생산업체로서

연 매출액 2억불 규모의 중견기업임. 안정적인 Silicon Metal 생산 비즈니스를 갖고

있고 매출액도 증가추세에 있으므로 M&A에 대해서는 낮은 관심을 보였음. 다만

동사의 기술 수입을 통한 국내 폴리실리콘 생산을 고려하는 것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됨.

M&A 혹은제휴 가능성

M&A 가능성 □상 □중 ■하

가능성 높은 전략적

제휴 방법

■ 라이센싱 □ 기술매도 □ OEM

□ 대한국투자 (지분획득 등)

□ 기타 기술협력 (정보교류, 한국인력고용 등)

□ ENSYN Technologies

70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2) 캐나다 주요 기술보유 업체별 개별 접촉결과를 통한 M&A 가능성 판단

-특허를통한고유기술을보유하고있는 15개캐나다업체와접촉결과Magenn Corporation

을 제외한 나머지 업체들은 M&A에 대해 소극적인 반응을 보이며 대체적으로 보수적인

경향을 보였음.

○ Magenn Corporation은 이미 한국의 현대 중공업과 접촉한 바 있으며, 동사의 공중부양형 풍력발전장치

관련기술에 대한 투자를 요청하는 등, M&A에도 열려있는 업체임

○ Magenn사의 기술은 한국 내 풍력발전 확산에 가장 걸림돌이 되는 장소적인 제약을 상당부분 해소시킬 수

있는 기술로, 지반이 평평하지 못한 산간지방에서도 부담없이 설치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한국과 매치가 잘

되는 기술이라고 할 수 있으며 현재 캐나다 내 주요 녹색기술 보유 기업 중 M&A가능성이 가장 높은 기업임

캐나다 주요 기술보유 업체 중에는 기술의 내용면에 있어서는 세계적인 주목을 받고

있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도 존재했으나, 아직 상용화 단계로 발전하지 못했거나,

시장진입 초기단계의 기술이 많았으며, 시장에서의 수익성을 인정받지 못한 단계라는

점이 M&A관련 언급을 주저하게 하는 주요 원인이 되었음.

○ Cyrium Technologies의 나노응용 기술인 CPV (Concentrated Photovoltaic) 기술은 태양광 셀 내부에서

마이크로레벨의 세부조정을 가능하게 하여 발전효율을 40%이상으로 유지시키는 획기적인 기술이며

많은 주목을 받고 있으나, 면담 결과 2010년 말 상용화 이전에는 M&A는 시기상조라는 반응을 확인함

○ 6N Silicon, Timminco, 5N Plus와 같이 태양광 셀 제조의 원료가 되는 폴리실리콘, CdTe 생산업체들의

경우 해당 기술이 오랜 세월의 금속주조기술 노하우를 기반으로 하고 있고, 태양광 산업으로의 다각화를

실시한 지 얼마 되지 않았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음. 이 업체들의 경우 M&A에 무관심했으며, 태양광

산업이 앞으로 성장할 가능성을 볼 때 핵심기술의 수익가능성을 확인하지 못하고 M&A를 통해 한국기업에

기술을 넘긴다는 것에 대해 시기상조라는 시각을 갖고 있는 경우가 있었음

바이오매스 분야의 기술 중에는 우수한 기술들이 존재하나, 대부분 턴키 방식의 장비

공급을 통한 해외시장 진출을 주된 비즈니스 모델로 삼고 있는 업체가 많았으며, 이와

같은 업체들은 대부분 M&A 의향에 대해 언급을 기피하는 경우가 많았음.

○ BIOX Corporation의 경우 바이오에탄올 생산원가를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고, 공급원료의 제한을 거의

없애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음. 하지만 BIOX사는 해외진출에 있어 턴키 솔루션 제공을 원칙으로 삼고 있고,

원천기술에 대한 권리보장에 큰 관심을 갖고 있으며, M&A의향에 대해서는 언급을 피하는 경향을 보였음

○ Woodland Biofuels사의 경우에도 바이오디젤 생산원가를 절약하고 허용 공급원료의 범주를 크게 넓히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음. Woodland사 역시 본 조사를 위한 인터뷰 결과 턴키 솔루션 판매 이외 형태의

협력에는 관심이 없다고 하며, M&A와 같은 기술이전에는 큰 의향을 보이지 않았음

○ 기타 바이오매스 업체들인 ENSYN, Vaperma 등의 기업들에서도 이와 비슷한 반응을 확인할 수 있었음

Ⅱ. 캐나다 71

현 시점에서 캐나다 녹색산업 기술보유 기업들은 대체적으로 과거 수 년간 연구해온

기술의 성과를 맛보기 시작하는 태동기 단계의 기업들이 많으며, 따라서 고유기술을

본격적인 상용화를 위해 준비하고 있는 기업들이 많았음. 이들 업체들의 경우 M&A와

같이 고유기술의 소유권을 잃게 되는 기술협력 방식은 기피하는 응답을 많이 접할 수

있었으며, 대부분의 경우 한국 업체들과여러 형태의 장기적비즈니스 제휴관계로 발전하

기를 희망하였음.

○ 시사점

- 동 조사를 위해 캐나다 내 녹색산업 기술 기업들과 접촉을 하면서 상업화 단계까지

진행되지 못한 벤처 수준의 업체가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음.

- 해당 분야 중에서는 바이오매스 분야가 캐나다 특유의 풍부한 목질계 자원공급에 힘입어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기존 공급 원료의 제약을 탈피하고 다양하며 저렴한

원료의 사용을 가능케 하는 기술의 개발이 두드러짐. 하지만 바이오매스 원료의 입수가

원활하지 못할 수 있는 한국과는 매칭 포인트를 찾기 어렵다는 점은 고려해야 할 부분임.

- 캐나다의 태양광 발전 기술 분야에서는 Cyrium Technologies, Arise Technologies와

같은 고효율 태양전지 제조기술이 두드러짐. Cyrium사의 CPV기술은 태양광 셀에서

보기 드문 형태의 나노기술을 접합시킨 형태로 40%이상의 변환효율과 기온 차에 따른

발전량의 낙차를 최소화했다는 점에서 향후 상용화될 경우 산업 전체에 큰 영향을 끼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됨. 반도체/나노기술이 발달되어 있는 한국과 잘 어울리는 차세대

태양광 분야라고 볼 수 있음.

- 또한 풍력분야의 Magenn Power Corporation의 MARS기술은 부력을 사용하여 풍력이

강한 높은 상공에서 발전효율을 높인다는 점은 기존 소형풍력 업체들이 기 시도했던

기술임. 하지만 기존 열기구형태의 풍력터빈이 지상에서 사용되는 것과 비슷한 구조의

터빈(나셀, 블레이드)을 부착해서 전체적인 무게를 가증시켰던 것과 달리, MARS기술은

열기구자체가회전하면서터빈역할을하게되어있으므로경량화가이루어져설치시간이

단축되는 등 여러 긍정적인 효과들을 기대할 수 있는 좋은 기술임. 한국의 좁은 지형으로

인해 지상풍력발전 설치가 용이하지 못한 지역에 잘 맞는 기술로 판단됨.

- Cyrium Technology, Magenn과 같이 첨단기술를 갖고 있는 업체가 캐나다에 존재한다는

것과, 이런 업체들의 대부분이 R&D 마지막 단계로 상용화를 앞두고 있다는 점으로

미루어 볼때 5-10년 이내캐나다가신재생에너지분야에서두각을드러낼것으로예상됨.

- 또한 각 업체 경영진과 직접 접촉한 결과 대부분 M&A에 대해서는 소극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국내 업체들과 파트너십을 통한 장기 관계구축을 선호하는 경우가 많았음.

- 따라서캐나다신재생에너지업체들의기술M&A를 원하는국내기업들은현재벤처/R&D

단계의캐나다기술보유업체들의상용화추이를예의주시하여, 전략적파트너십단계에서

점차 기술 제휴 정도를 높여 공동 글로벌 전략을 고려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됨.

Ⅲ. 영국 73

Ⅲ. 영국

1. 녹색산업 기술(시장) 현황

2. 녹색기술 보유업체 명단 및 기술내용

3. M&A 또는 전략적 기술제휴 가능성

74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Ⅲ. 영국

1. 녹색산업 기술(시장) 현황

1) 국가별 녹색산업 동향

□ 에너지 시장 동향

<대체원료로 생산된 영국의 총 전력량>

자료원: www.statistics.gov.uk

- 바이오매스, 태양광, 풍력, 조력 등과 같은 대체원료(Renewable Sources)에 의해 생산되는

전기량은 1991년 약 5,300GWh에서 2007년 19,700GWh로 약 3.7배가 넘는 성장을 이룸

- 2007년 영국에서 생산되는 전체 전기량 중 대체원료에서 생산된 전기량은 약 5%를

차지함

Ⅲ. 영국 75

<국가 별 대체원료에서 생산된 전기소비량>

(% of gross electricity consumption)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유럽연합 27개국 13.1 13.4 13.4 13.8 14.4 12.9 12.9 13.9 14.0 14.6 15.6

스웨덴 49.1 52.4 50.6 55.4 54.1 46.9 39.9 46.1 54.3 48.2 52.1

스페인 19.7 18.6 12.8 15.7 20.7 13.8 21.7 18.5 15.0 17.7 20.0

오스트리아 67.5 67.9 71.3 72.4 67.2 66.1 53.1 58.7 57.4 56.6 59.8

이탈리아 16.0 15.6 16.9 16.0 16.8 14.3 13.7 15.9 14.1 14.5 13.7

프랑스 15.2 14.4 16.5 15.1 16.5 13.7 13.0 12.9 11.3 12.5 13.3

핀란드 25.3 27.4 26.3 28.5 25.7 23.7 21.8 28.3 26.9 24.0 26.0

영국 1.9 2.4 2.7 2.7 2.5 2.9 2.8 3.7 4.3 4.6 5.1

자료원: www.stat.ee/

- 그러나 1991년부터 2007년까지 대체원료 전기량이 3.7배 성장했음에도 불구하고 영국의

총 전기소비량 대비 대체원료 전기가 차지하는 비율은 다른 유럽 국가들과 비교할 때

현저히 낮은 수준임

- 2010년 비율이 2007년 대비 약 2배가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지만 여전히 타국에

비해 총 전기소비량 대비 대체원료 전기 생산이 저조한 실정임

□ 에너지원별 산업동향

<대체원료에서 생산된 전력량, 영국>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Generation (GWh)

Wind:

Onshore 945 960 1,251 1,276 1,736 2,501 3,574 4,491 5,792

Offshore 1 5 5 10 199 403 651 783 1,305

Solar photovoltaics 1 2 3 3 4 8 11 14 17

Hydro: - - - -

Small scale 214 210 204 150 283 444 478 534 568

Large scale 4,871 3,845 4,584 2,987 4,561 4,478 4,115 4,554 4,600

Biomass: - - - -

Landfill gas 2,188 2,507 2,679 3,276 4,004 4,290 4,424 4,677 4,757

Sewage sludge digestion 367 363 368 394 440 470 456 496 564

Municipal solid waste combustion 840 880 907 965 971 964 1,083 1,177 1,226

Co-firing with fossil fuels - - 286 602 1,022 2,533 2,528 1,956 1,613

Animal Biomass 456 542 568 535 565 468 434 555 587

Plant Biomass 31 234 272 402 362 382 363 409 568

Total biomass 3,882 4,526 5,080 6,174 7,364 9,107 9,288 9,270 9,315

총 전 력 량 9,914 9,549 11,127 10,600 14,147 16,940 18,116 19,646 21,597

자료원: Department for Business Innovation & Skills

76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대체원료에 의해 생산된 전기량 중 각각의 원료가 차지하는 비중>

영국 기업혁신․기술부(Department for Business Innovation & Skills)에서 2008년에 발간한

통계자료(위 테이블 참조)에 의하면 영국의 주요 대체에너지 분야는 크게 4가지로 나누어짐

○ 풍력

- 대체에너지 중에서 풍력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년 커지고 있음

- 2000년 대체원료로 생산된 전기량 중 풍력이 차지하는 비중은 9.5%에 불과하였으나

2008년 32.9%까지 그 비중이 확대됨

- 더욱이 2008년에는 풍력발전이 수력에서 생산되는 전기량을 추월함

- 풍력 발전은 다시 육상(onshore)용 풍력발전과 해상(offshore)용 풍력발전으로 나눠지는

데, 이중 육상(onshore)용 풍력발전이 주류를 이루며 2008년 풍력발전의 81.6%를 차지함

- 하지만 해상(offshore)용 풍력발전은 2000년 당시 단지 1GWh양의 전기를 생산하였으나

2008년 1,305GWh로 매년 급격히 증가하고 있음

○ 태양광

- 태양광에 의해 생산되는 전기량도 매년 증가하고 있지만 전체 대체원료(Renewable

Sources)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작음

- 가장 큰 이유로는 영국의 일조량은 하루 평균 4시간으로 다른 국가보다 매우 적음

○ 수력

- 2000년 대체원료가 생산한 전기량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지만 시간이 갈수록

그 비중이 점점 작아지고 있음

- 수치로 나타내면 2000년 51.3%를 차지하였으나 2008년 23.9%로, 4개의 주요 대체원료

중 가장 큰 감소세를 보이고 있음

Ⅲ. 영국 77

- 실제로수력을이용한전기생산량은매년큰변화가없으나대체원료에생산되는전기량이

매년 증가함에 따라 그 비중이 점점 작아지는 것으로 파악됨

- 수력발전은 다시 대용량(Large Scale) 발전과 소용량(Small Scale) 발전으로 나눠지며

대용량 발전이 수력발전의 약 90%를 차지하고 있음

○ 바이오매스

- 대체 원료 중 매년 가장 많은 양의 전기를 생산하고 있음

- 2008년 바이오매스를원료로생산되는전기량은약 9,300GWh로, 전체의 43.1%를차지하였

으며 2000년에 생산된 전기량을 비교할 때 2.4배가 증가함

- 바이오매스 중가장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매립가스(Landfill Gas)는 매년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2008년에는 4,757GWh의 전기량을 생산하였음

- 특히 바이오매스 중 식물 바이오매스(Plant Biomass)는 2001년 31GWh에서 2008년

568GWh로 무려 18배나 증가하였음

2) 녹색산업 정부정책 및 제도

□ 녹색산업 관련 정부정책 및 제도

○ Climate Change Act 2008 : 2008년 11월 세계최초로 기후변화 관련법이 자국법화 되어 발효됨

- 주요내용:

․온실가스 배출량을 1990년 대비 2022년까지 35%, 2050년까지 80% 감축

․온실가스 배출 억제를 위한 탄소 예산(Carbon Budgeting) 제도를 수립

․조언을 전담한 기후변화위원회(The Committee on Climate Change)를 신설

․온실가스 배출 제한을 위한 거래계획(Trading Schemes)과 대체에너지 사용 증대

○ 카본 트러스트(Carbon Trust)

- 2001년 지구 온실가스 배출 감축과 녹색기술 개발 및 육성을 위해 영국정부가 민간

업체와 함께 설립한 독립 기관임

- 주요 사업 내용:

․온실가스 감축에 관한 종합적인 컨설팅 제공

․녹색 프로젝트 재정지원

․투자를 통한 새로운 저탄소 기술을 육성, 지원

․저탄소 제품과 서비스 사용을 장려

․저탄소에 관련된 신규 사업 발굴 및 지원

78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Year Hydro Wind and wave Landfill gas Other biofuels Total

England 2008 88 219 345 227 879

2007 87 205 338 217 847

2006 64 148 324 178 714

Wales 2008 50 42 21 14 127

2007 49 40 19 11 119

2006 46 35 17 4 102

○ 에너지 ․기후변화부(Department for Energy and Climate Change), 기업혁신 ․기술부(Department for

Business, Innovation & Skills)의 에너지, 정책과 환경식품농업부(Department for Environment, Food

and Rural Affairs)의 기후변화 억제정책을 통합하여 2008년 10월에 신설된 정부기관임

- 주요 정책분야:

․지구촌 기후 변화와 에너지 관련 정책

․영국 내 에너지 공급 정책

․에너지 소비자 지원 정책

․저탄소 관련 정책

○ 기후변화위원회(Committee on Climate Change)

- Climate Change Act의 내용에 따라 신설된 독립기구로 온실가스 감축에 관한 조언을

담당하고 있음

- 주요 사업내용:

․영국 정부에 탄소 예산(Carbon Budgets)에 관한 독립적인 조언을 제공

․탄소 감축 진행과정을 모니터

․기후변화에 관련된 조사 실행 및 분석

․기후변화에 관한 관심을 확대시킴

○ 'ACT ON CO2' 캠페인

- 에너지절약과탄소배출감축정책을일반국민들에게널리홍보하고이해를돕는캠페인임

- 에너지․기후 변화부, 교통부, 환경식품 농업부, 지역사회․지방정부부 등 영국 정부

4개 부처가 공동으로 진행함

- ‘CO2 계산기’를 제공하여 각 개인이 얼마만큼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며 어떻게 줄일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도 함께 제공함

○ 각 지방정부의 정책 및 프로젝트

<대체원료를 이용한 전기 발전 지역의 수>

Ⅲ. 영국 79

Scotland 2008 191 135 38 20 384

2007 184 124 36 18 362

2006 165 98 31 10 304

Northern

Ireland2008 45 63 1 7 116

2007 43 58 _ 7 108

2006 39 37 _ 7 83

UK Total 2008 374 459 405 268 1,506

2007 363 427 393 253 1,436

2006 318 329 372 199 1,218

Department of Energy & Climate Change, Energy Trends 2007, 2008, 2009

<기술, 지역별 운영 중인 프로젝트>

자료원: Planning, Monitoring & Review of Renewable Energy Projects, September 2008-November 2008

○ 잉글랜드

- 대체 에너지 산업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와 지원으로 영국 4개 지방정부 중 가장 많은

수의 대체에너지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음

- 2008년 11월 잉글랜드에서 실행중인 대체에너지 프로젝트는 400개(1690MW)로 집계됨

- 대체원료(Renewable Sources)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장소의 수는 879개(2008년

12월 집계)로 영국 전체 대체에너지 생산 장소의 약 58%를 차지하고 있음

- 1999년부터 2007년 8월까지 총 466건의 대체에너지 계획 신청서(renewable energy

80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planning applications)를 받은 잉글랜드 정부는 그 중 332건을 승인하여 영국 지방정부

중 가장 많은 신청서를 승인함

- 2008년 4분기 실행 중인 프로젝트의 대체에너지 생산량(위 그래프 참조) 중 해상용

(Offshore) 풍력발전이 20%, 육상용(Onshore) 풍력발전이 29%로 풍력발전이 전체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매립가스(Landfill Gas)발전이 31%, 도시와 산업쓰레기

(Municipal and Industrial Waste) 발전이 13%로 그 뒤를 따르고 있음

- 대체에너지 규제(Renewable Obligation)에 따라 잉글랜드와 웨일즈 지방에 전기를 공급하

는 회사들은 2001년까지 대체에너지 비중을 10%까지 늘려야함

- 따라서 전기 공급회사들이 더 많은 대체에너지 프로젝트에 참여할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풍력을 이용한 대체에너지 계획 신청서(renewable energy planning applications)가

급증하고 있어 향후 풍력발전 프로젝트의 비중이 더욱 커질 것으로 보임

○ 북아일랜드

- 영국 전체대체에너지규모면에서북아일랜드가차지하는비율은아주낮지만북아일랜드

정부 역시 친 대체에너지 정책을 고수하고 있음

- 1999년부터 2008년 8월까지 북아일랜드에 접수된 대체에너지 계획 신청서는 총 71건으로

영국 지방정부 중 가장 낮은 수치이지만 이 중 70건을 승인하여 가장 높은 승인률을

기록함

- 실행 중인 프로젝트(2008년 4분기)는 35건으로 생산 용량은 219MW임

- 그 중 육상용(Onshore) 풍력 발전량이 97%를 차지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그 비중은

큰 변동이 없을 것으로 예상됨

○ 스코틀랜드

- 대체에너지 규제 스코틀랜드(Renewable Obligation Scotland)를 바탕으로 타 지방정부보

다 훨씬 더 적극적인 대체에너지 정책을 펼치고 있음

- Renewable Obligation Scotland에 따르면, 스코틀랜드 지방에 전기를 공급하는 회사들은

2010년까지 대체원료(Renewable Sources)를 통하여 생산되는 전기의 비중을 18%까지

끌어올려야함

- 스코틀랜드 정부에서 출간한 간행물인 “Securing a Renewable Future: Scotland's

Renewable Energy”에 따르면 대체에너지에 관한 정책이 순조로이 진행 중이며 2020년에

는 스코틀랜드에서 사용되는 전기의 약 40%가 대체원료(Renewable Sources)로부터

생산될 것으로 예상됨

- 2008년 4분기 스코틀랜드에서 실행 중인 대체에너지 프로젝트는 142건으로 잉글랜드보다

Ⅲ. 영국 81

그 수는 적지만, 생산 용량이 2078MW로 규모면에서 잉글랜드를 앞지르고 있음

- 실행중인 대체에너지 프로젝트 중 육상용(Onshore) 풍력발전량이 80%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두 번째로 수력발전이 12%를 기록하고 있음

○ 웨일즈

- 2008년 웨일즈 지방에 대체원료(Renewable Sources)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장소의

수는 127개로 영국 전체 대체에너지 생산 장소의 약 8%를 차지하고 있음

- 웨일즈 정부의 승인을 받아 실행 중인 대체에너지 프로젝트(2008년 4분기)는 53건으로

생산용량은 410MW임

- 이중 육상용(Onshore) 풍력 프로젝트 발전 용량이 전체의 75%를 차지함

○ 성과Million tonnes of carbon dioxide

1990 1995 2000 2005 2006 2007

Carbon dioxide 592.4 549.8 548.6 555.2 554.5 543.7

Methane 103.5 90.2 68.4 49.6 49.6 ..

Nitrous oxide 63.8 53 43.6 39.8 38.3 ..

HFC 11.4 15.5 9.1 9.2 9.2 ..

PFC 1.4 0.5 0.5 0.5 0.3 ..

SF6 1 1.2 1.8 1.1 0.9 ..

‘Basket' of greenhouse gases 770.8 709 671.4 655.5 652.3 639.4

자료원: Department for Environment, Food and Rural Affairs; BERR

- 위 테이블은 1999년부터 2007년까지 영국에서 배출된 탄소, 메탄 등 온실가스의 양을

나타낸 것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이 매년 꾸준히 감소함

- 온실가스 배출량은 1990년과 2006년 사이에 약 16%가 줄었으며, 온실가스의 약 80%를

차지하는 탄소는 2006년 554.5백만 톤으로 1990년 대비 약 6%가 감소함

- 영국정부가추진하고있는녹색정책들이온실가스배출감축에가시적인효과를나타내는

것으로 보임

○ 향후 전망

- 경기침체로 인해 영국정부는 많은 국가정책 사업을 축소하고 있지만 탄소배출 감축과

녹색에너지 관련 사업은 오히려 확대하고 있음

- 최근 영국 정부는 카본 트러스트(Carbon Trust)를 통해 새로 창업하는 녹색 기업에

약 1,800만 파운드를 지원하겠다고 발표함은 물론, 앞으로 녹색 기술에 대한 투자를

82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대상분야 바이오매스 지역 Bath

세부분야 폐에너지물을 통하여 이산화탄소가 발생하지 않는 전기를 생산

기술명 Geo-pressure

기술내용

- 영국의 Bath에 위치한 2OC Limited는 규모는 작지만 기술투자에 매우 적극적인

회사임

- Geo-pressure: 2OC Limited사의 독자적인 기술을 일컫는 말로 유럽과 미국에서

그 우수성을 점점 인정받고 있음

- 1GW의 전기를 이 기술을 통하여 생산할 때 약 1백만 톤의 이산화탄소 발생을 억제할

수 있음

- 천연가스가 소비자들에게 유통되기 전에 가스압력 억제 발전소(Pressure Reduction

Station)에서 가스의 압력을 낮추는데 이 과정에서 발생되는 에너지를 터빈 발전

시스템에 이용하여 이산화탄소가 발생하지 않는 전기를 생산하고 있음

- 영국 내 Geo-Pressure 기술에 적합한 가스압력 억제 발전소는 약 (Pressure

Reduction Station) 2000개가 있으나 안타깝게도 가스 압력을 통해 발생되는 에너지

는 대부분 다른 용도로 이용되지 못하고 있음

- 결국 버려지는 에너지를 통하여 이산화탄소가 발생하지 않는 전기를 생산할 수

있게 됨

CEO Michael Edge 설립연도 2005

주소2OC Limited, Solsbury Hill, Bath, UK

BA1 7AB매출액 -

담당자 - 고용 (명) -

연락처

전화: 44-1225-851115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2oc.co.uk

해외조직 없음

더욱 확대하겠다고 밝힘

- 어려운 상황에서도 녹색 기술에 집중 투자하는 가장 큰 이유는 녹색 산업이 미래에

핵심 산업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세계의 주도권을 미리 선점하고자 하는 다분한 의도가

있어 보임

2. 녹색기술 보유업체 명단 및 기술내용

□ 2OC Limited

Ⅲ. 영국 83

대상분야 해양에너지 지역 Edinburgh

세부분야 바다 물결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수력 에너지 컨버터

기술명 "Oyster"

기술내용

- 해양 에너지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명성이 있는 회사로써 올 10월에 스코틀랜드에서

최고 친환경 기업으로 선정되었을 정도로 영국 내 녹색산업을 대표하는 회사 중

하나임.

- Aquamarine Power가 개발한 "Oyster"는 수심 약 10에서 12미터의 해안

가까이에 형성된 바다 물결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수력 에너지 컨버터

□ Advanced Plasma Power Limited

대상분야 바이오매스 지역 London

세부분야쓰레기를 수소가 풍부한 합성가스로 변환시키고 또 Plasmarok라 불리는 건축자

재물로 전환시키는 독자적인 기술

기술명 Gasplasma process

기술내용

- Advanced Plasma Power가 보유한 Gasplasma process기술은 쓰레기를

수소가 풍부한 합성가스로 변환시키고 또 Plasmarok라 불리는 건축자재물로

전환시키는 독자적인 기술임

- 영국의 한 유력한 환경 컨설팅 회사의 보고서에서 쓰레기를 에너지로 바꾸는

기술 중 가장 깨끗하게 변환시키는 기술로 뽑힘

- Gasplasma process는 대략 3단계로 나누어지며 각 단계별 내용은 다음과

같음

△ 1단계: 수집된 쓰레기에서 유리, 철재, 단단한 플라스틱과 같은 재활용품을

걸러냄

△ 2단계: 1단계에서 걸러진 쓰레기를 가스화하여 합성가스와 숯, 재 등

을 생산함. 현 단계에서 생산된 합성가스는 아직 타르나 매연이 포함되어

있음

△ 3단계: 플라스마 컨버터(plasma converter)를 이용하여 불순물이 포함된

합성가스를 정화하며, 동시에 숯과 재를 용해하여 건축 자재로 쓰이는

Plasmarok로 변환시킴

CEO Simon Merriweather 설립연도 November 2005

주소

Advanced Plasma Power, Mercury

House, Triton Court, 14 Finsbury

Square, London EC2A 1BR

매출액 -

담당자 - 고용 (명) -

연락처

전화: 44-20-7374-6335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advancedplasmapower.com

해외조직 없음

□ Aquamarine Power

84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로써, 20개의 "Oyster"가 약 도시 9,000가구의 전기를 공급할 수 있을 정도로

효과적임

- 작동원리는 물결이 움직일 때 마다 컨버터에 설치된 발진기가 작동됨과

동시에 바닷물을 해안가까지 연결된 관속으로 펌프질하도록 설계됨. 이때

관속에 있는 물의 압력이 증가하고 이 고압력의 물은 다시 해안가에 설치된

수력발전기를 통해 전기로 변환됨

- "Oyster"의 가장 큰 장점은 발전기와 기아 박스 등 복잡한 전기 발전장치를

해안에 설치하기 때문에 이들 장비를 바다 속으로 가지고 들어갈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CEO Martin McAdam 설립연도 2003

주소Aquamarine Power, 10 Saint Andrew

Square, Edinburgh EH2 2AF매출액 -

담당자 - 고용 (명) -

연락처

전화: 44-131-718-6011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aquamarinepower.com

해외조직 없음

□ Bical Ltd

대상분야 재생에너지 지역 Staffordshire

세부분야 억새풀 연구개발

기술명 억새풀 연구개발

기술내용

- Bical은 영국 내 재생 에너지 관련 기업들 중 드물게 억새풀을 연구 개발하여 이를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기술을 보유한 업체임

- 억새풀: 억새풀은 다년생 식물로 이미 영국과 유럽의 에너지 조사 기관에서

열이나 전기를 생산하기에 최적의 에너지 작물로 억새풀을 발표한 바 있음.

특히 석탄 대신 억새풀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할 경우, 억새풀 1톤당 최고

2톤의 이산화탄소가 배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음

- Bical은 억새풀을 친환경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기술과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직접 작물도 재배 관리하고 있음

CEO - 설립연도 -

주소

Bical, Alrewas Hayes,

Burton-on-Trent, Staffordshire DE13

7DL

매출액 -

담당자 - 고용 (명) -

연락처

전화: 44-845-450-1615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bical.net

해외조직 -

Ⅲ. 영국 85

□ Bio Driven Ltd

대상분야 바이오디젤 지역 Canterbury

세부분야 바이오디젤 생산 및 유통

기술명 EN14212 Biodiesel

기술내용

- 영국 켄트 지방에 위치한 Bio Driven은 EN14212 바이오 디젤을 직접 생산하여

소비자들에게 유통시키는 소규모 업체임

- EN14212 Biodiesel: 시중에 출시되어 있는 일반 바이오 디젤처럼 사용된 식용유를

사용하지만 제조 방법에서 Bio Driven사가 찾아낸 특수한 화학물질을 첨가하여

완벽에 가까운 친환경제품으로 거듭남. 차량의 성능을 한층 업그레이드시키면서도

동시에 독소와 황의 배출이 되지 않음

CEO 설립연도 -

주소Bio Driven Ltd, The Stable Block,

Hardres Court, Canterbury CT4 6EN매출액 -

담당자 - 고용 (명) -

연락처

전화: 44-1227-700288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biodriven.co.uk

해외조직 -

□ BiogenGreenfinch

대상분야 신재생에너지 지역 Bedfordshire

세부분야 슬러리 및 유기농 쓰레기처리

기술명 혐기성 소화

기술내용

- 혐기성 소화(嫌氣性 消化) 기술을 바탕으로 새로운 스타일의 농장을 개발하기 위해

설립된 회사이었지만 혐기성 소화기술을 음식물 쓰레기에 새롭게 적용하면서 신재생

에너지를 생산하는 회사로 탈바꿈함

- Anaerobic Digestion (혐기성 소화)은 유럽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로 독일의 경우

약 3000개의 공장이 슬러리와 유기농 쓰레기를 만들고 있음

CEO John Ibbett 설립연도 2005

주소Milton Parc, Milton Ernest,

Bedfordshire MK44 1YU매출액 -

담당자 Anita Smith, Marketing Manager 고용 (명) -

연락처

전화: 44-1234-827249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biogengreenfinch.co.uk

해외조직 없음

86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 Biojoule Ltd

대상분야 바이오매스 지역 Oxford

세부분야 나무 펠릿공장 개발

기술명 Biojoule plant

기술내용

- 바이오매스 생산 기술을 보유한 업체로 특히 나무 펠릿공장 개발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음

- Biojoule plant: Biojoule이 연구 개발한 통합 펠릿 공장으로 창고, 건조실 그리고

펠릿 제조실 등을 갖추고 있음.

- 특히 전자동 시스템을 이용하여 물과 전기 연결이 필요 없으며 40m×20m공간이

평평한 곳 어디서나 설치 가능하기 때문에 기존 공장보다 더욱 실용적임

CEO - 설립연도 -

주소 115 Magdalen Road, Oxford OX4 1RQ 매출액 -

담당자 - 고용 (명) -

연락처

전화: 44-1865-251578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biojoule.co.uk

해외조직 없음

□ Boomeco Ltd

대상분야 바이오매스 지역 Gloucestershire

세부분야 바이오매스 생산 기술

기술명 -

기술내용

- 바이오매스 생산부터 운송까지 풀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로 영국뿐만 아니라 북유럽

까지 다양한 고객을 확보하고 있음

- 재활용 목재부터 팀버 부산물까지 다양한 바이오매스 생산 기술을 보유하고 있음

CEO Oliver Latter 설립연도 2000

주소

Unit 1 Q Park, Bath Road,

Woodchester, Gloucestershire QL5

5HT

매출액 -

담당자 - 고용 (명) -

연락처

전화: 44-1453-873773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boomeco.co.uk

해외조직 없음

Ⅲ. 영국 87

□ Bronzeoak Group Ltd

대상분야 바이오매스 지역 Surrey

세부분야 바이오에탄올 및 바이오에너지 생산설비 연구개발

기술명 -

기술내용

- 바이오 에탄올과 바이오 에너지 생산설비를 연구 개발하는 업체로써 필리핀, 인도네시

아, 아프리카 등지에 이미 진출한 지 17년이 되는 글로벌 회사임

- 필리핀에서 바이오 에탄올을 성공적으로 개발한 후에 현재 다른 동남아시아 국가에서

새로운 바이오 에탄올 개발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음.

CEO Graham Stowell 설립연도 1981

주소Bronzeoak House, Stafford Road,

Caterham, Surrey CR3 6JG매출액 -

담당자 - 고용 (명) -

연락처

전화: 44-1883-341055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bronzeoak.com

해외조직 마닐라, 자카르타

□ D1 Oils PLC

대상분야 바이오매스 지역 London

세부분야 바이오 디젤 연료 생산

기술명 -

기술내용

- 자트로파 쿠르카스(Jatropha curcas)라고 불리는 식물을 에너지 원료로 개발한

업체로써 바이오 디젤 연료를 생산하고 있음

- 자트로파는 다른 식물들과는 달리 쓰레기 더미와 같은 악조건의 땅에서도 잘 자라며

그 씨는 최고 40%의 오일을 포함하고 있음.

- D1 Oils의 기술을 통해 씨에서 뽑아낸 쿠르드 식물성 기름은 보일러와 발전기에

직접 사용되거나 정제과정을 통해 최고 등급의 바이오 디젤로 탈바꿈되어 시중에

판매되고 있음

CEO Ben Good 설립연도 -

주소33-37 Charterhouse Square,

London, EC1M 6EA매출액 -

담당자 - 고용 (명) -

연락처

전화: 44-20-7367-5600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d1plc.com

해외조직 없음

88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 EarthEnergy Limited

대상분야 지열에너지 지역 Falmouth Cornwall

세부분야 지열펌프 시스템

기술명 -

기술내용- 1995년 영국 최초로 지열을 이용한 지열 펌프 시스템을 개발하여 상용화시킨

GeoScience의 자회사로 영국 내 지열펌프 시스템을 전문적으로 설치하는 회사임

CEO Brian Kennelly 설립연도 1995

주소

Falmouth Business Park, Bickland

Water Road, Falmouth Cornwall TR11

4SZ

매출액 -

담당자 - 고용 (명) 60명 이상

연락처

전화: 44-1326-310650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earthenergy.co.uk

해외조직 없음

□ Econergy Ltd

대상분야 목재 에너지 지역 Bedfordshire

세부분야 에너지 절약형 제품 및 시스템

기술명 -

기술내용

- 목재 에너지로 특화되어 있는 이 회사는 에너지 절약형 제품들과 시스템을 시장에

출시하여 현재 소비자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고 있음

- 또 대용량(100KW-5MW) 펠릿 바이오매스 보일러부터 소용량 바이오매스 보일러까지

직접 제작 판매하고 있으며 설치부터 에너지 절약 컨설팅까지 종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CEO - 설립연도 -

주소

Unit 8&9, St. George's Tower,

Hatley St. George, Sandy,

Bedfordshire SG19 3SH

매출액 -

담당자 - 고용 (명) -

연락처

전화: 44-870-0545-554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http://www.econergy.ltd.uk/

해외조직 없음

Ⅲ. 영국 89

□ EGS Energy Limited

대상분야 지열 에너지 지역 Cornwall

세부분야 지열 시스템 기술

기술명 Engineered Geothermal System(EGS)

기술내용

- 지열 시스템(Engineered Geothermal System) 기술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지열

에너지를 영국에 상용화시킨 기업임

- Engineered Geothermal System(EGS): 유럽과 일본등지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로

땅속 깊이 있는 뜨거운 바위를 이용하여 물을 약 섭씨 150도 정도 데운 다음, 뜨거워진

물을 다시 회전 터빈을 돌리는데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함

CEO David Kempton 설립연도 -

주소13 North Parade, Penzance, Cornwall

TR18 4SL매출액 -

담당자 - 고용 (명) -

연락처

전화: 44-8456-435-208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egs-energy.com

해외조직 -

□ ENER-G Natural Power Ltd

대상분야 바이오매스 지역 Lancashire

세부분야 쓰레기 매립가스 에너지

기술명 -

기술내용

- 열병합 발전, 대체 에너지, 에너지 경영 그리고 쓰레기로 부터 에너지 생산을 주요

사업내용으로 운영하고 있는 회사임

- 보유한 에너지 관련 기술 중 특히 매립가스(Landfill Gas)에서 에너지를 뽑아내는

기술은 그 우수성이 널리 알려져 있으며 타사의 추종을 불허함

CEOTim Scott, Andrew Evans, Andrew

MacLellan, Derek Duffill설립연도 2005

주소ENER-G House, Daniel Adamson

Road, Salford, Lancashire M50 1DT매출액 58,386

담당자 - 고용 (명) 645

연락처

전화: 44-161-745-7450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energ.co.uk

해외조직스페인, 헝가리, 노르웨이,

멕시코 등

90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 Enpure Limited

대상분야 폐기물 처리 지역 Birmingham

세부분야 하수처리, 슬러지 처리, 쓰레기 건조 및 에너지 생산

기술명 하수 슬러지 소화(sewage sludge digestion)

기술내용

- 하수 슬러지 소화(sewage sludge digestion) 기술로 오랜 역사를 지닌 Enpure

Limited는 2000년 초부터 사업영역 확대하여, 현재는 하수처리, 슬러지 처리, 쓰레기

건조 및 에너지 생산 등 다양한 기술을 보유․제공하는 업체임

- Enpure Limited가 보유한 물 처리에 관한 기술로는 Enflo-vite, Flofiler, Enhance,

Sonix, Anaerobic Digestion, Sevar 등이 있음

CEO - 설립연도 -

주소

Enpure House, Woodgate Business

Park, Kettleswood Drive, Birmingham

B32 3DB

매출액 -

담당자 - 고용 (명) -

연락처

전화: 44-121-251-9000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enpure.co.uk

해외조직 중동지역

□ Ensus

대상분야 바이오매스 지역 Cleveland

세부분야 바이오 에탄올 및 바이오 디젤 생산

기술명 -

기술내용

- 자동차 연료로써 적합한 바이오 에탄올을 생산하여 유럽전역의 운수업체에 공급하는

업체로써 현재 영국의 윌톤지방에 연간 약 400백만 리터의 바이오 에탄올이 생산

가능한 공장을 설립함

- 주로 사탕수수, 밀, 옥수수등 유기체 바이오매스로부터 바이오 에탄올을 생산하고

있으며 콩, 종려나무, 포도들로부터 추출된 식용유를 이용하여 바이오 디젤을 생산하

고 있음

CEO Alwyn Hughes 설립연도 -

주소The Granary, 17a High Street, Yarm,

Cleveland TS15 9BW매출액 -

담당자 - 고용 (명) -

연락처

전화: 44-1642-794-040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ensusgroup.com

해외조직 없음

Ⅲ. 영국 91

□ Evergreen Energy UK Ltd

대상분야 바이오매스 지역 Essex

세부분야 바이오 디젤 생산 및 판매

기술명 -

기술내용

- 폐식용유를 유럽 기준에 적합한 B100 En14214 바이오 디젤로 변환시켜 판매하는

업체로, 일주일에 약 17만 리터의 바이오 디젤 생산하고 있음.

- 최근 좀 더 높은 수준의 바이오 디젤을 생산하기위해 영국 Essex 지방에 오일처리

공장을 신설하는 등 제품 개발에 꾸준한 투자를 하고 있음

CEO - 설립연도 -

주소

Evergreen Energy UK Ltd, High Laver

Hall, High Laver, Ongar, Essex CM5

0DU

매출액 -

담당자 - 고용 (명) -

연락처

전화: 44-1277-890-071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evergreenenergyukltd.co.uk

해외조직 -

□ Filsol Solar Ltd

대상분야 태양에너지 지역 Carmarthenshire

세부분야 태양광 전지 시스템 제조, 디자인 및 공급

기술명 태양광 전지 시스템

기술내용

- 1981년에 설립된 Filsol Solar Ltd는 태양광 전지 시스템을 제조, 디자인, 공급, 설치하는

회사로 영국 내 태양광 분야를 선도하는 기업 중 하나임

- 가정용부터 사업용까지 다양한 태양전지 모듈을 공급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평평하고

납작한 모양의 컬렉터를 이용한 태양열 온수기는 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얻고 있음

CEO John Blower 설립연도 1981

주소

Filsol Solar Limited, 15 Ponthenri

industrial Estate, Ponthenri, Llanelli,

Carmarthenshire SA15 5RA

매출액 -

담당자 - 고용 (명) -

연락처

전화: 44-117-9063420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filsol.co.uk

해외조직 없음

92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 Flexenergy

대상분야 에너지 절약 지역 Scotland

세부분야 친환경, 에너지 절약 제품 제조

기술명 단열 이중보온관 (pre-insulated pipe)

기술내용

- 영국의 단열 이중보온관 (pre-insulated pipe) 제조사중 가장 명성이 있는 25년

경력의 마켓리더로써 많은 친환경, 에너지 절약 제품을 제조․출시하고 있음

- Flexalen의 단열 이중 보온관은 주로 폴리부텐(PB-1)을 기본적인 재료로 쓰고 있는데

폴리부텐은 섭씨 95도까지 열을 발산하는 히팅 시스템에서 유일하게 쓰이는 플라스틱

으로 수명이 길고 내구성이 매우 우수함

CEO - 설립연도 -

주소

Flexenergy, Unit 1, Station Road Ind

Est, Station Road, Methil Eife,

Scotland KY8 3HA

매출액 -

담당자 - 고용 (명) -

연락처

전화: 44-845-644-3793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flexalen.co.uk

해외조직 없음

□ Freepower Ltd

대상분야 친환경 전기발전 기술 지역 Hampshire

세부분야 소형 터빈 기술

기술명 유기농 랭킨싸이클(ORC)

기술내용

- 소형 터빈 기술의 선두주자인 이 업체는 특히 유기농 랭킨싸이클(ORC)을

이용하여 새로운 전기발전 기술을 창안해 냄

- 엔진 배기통, 바이오가스, 바이오매스, 태양등 다양한 곳에서 열들이 발산되나

이들 대부분은 버려지고 있음

- Freepower Ltd는 이 버려지고 있는 열들에 ORC라는 기술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함

CEO Mym Simcock 설립연도 March 2000

주소

Freepower Ltd, 56 Reith Way,

West Portway Industrial Estate,

Andover, Hampshire SP10 3TY

매출액 -

담당자 - 고용 (명) -

연락처

전화: 44-1264-363807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freepower.co.uk

해외조직 유럽, 미국, 아시아 등

Ⅲ. 영국 93

대상분야 합성가스 지역 South Yorkshire

세부분야 발전된 기화 설계를 통한 합성가스 생산

기술명 열 변화 기술(Thermal Conversion Technology)

기술내용

- 발전된 기화(氣化) 설계를 바탕으로 매우 효과적인 열 변화 기술(Thermal Conversion

Technology)을 개발한 업체로 이 기술을 이용하면 깨끗한 합성가스(Synthetic Gas)

를 생산할 수 있음

- ITI 에너지 기화장치는 특히 RDF(Refuse Derived Fuel)를 에너지로 변환시키기에

적합하며 1.5톤의 RDF는 약 1.7MWe로 변환됨

CEO Tony Fordham 설립연도 -

주소

ITI Energy, Advanced Manufacturing

Park, Technology Centre, Brunel Way,

Rotherham, South Yorkshire S60 5WG

매출액 -

담당자 - 고용 (명) -

연락처

전화: 44-114-254-1233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iti-energy.com

해외조직 없음

□ Hydroventuri Ltd

대상분야 수력 에너지 지역 London

세부분야 수력발전을 통한 전기생산

기술명 -

기술내용

- 수력 에너지를 이용하여 효과적이지만 더욱 낮은 비용으로 전기를 생산하는 업체로써

2007년‘Innovation in Addressing Climate Change'에서 쉘 스프링보드 상을 수상

한 경험이 있음

- 현재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큰 낙폭을 이용한 수력발전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데

이 발전 시스템은 거대한 댐을 필요로 하여 많은 비용을 지불하여야 함. 그러나

Hydroventuri의 기술을 이용하면 수력전기를 생산하기에 적합하지 않았던 곳(작은

낙폭의 장소, 강, 조수가 있는 곳)에서도 물만 이동할 수 있으면 수력전기 생산이

가능하여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음

CEO Harvey West 설립연도 2002

주소

Bessemer Building Level 1, Incubator

Unit, Prince Consort Road, London

SW7 2BP

매출액 -

담당자 - 고용 (명) -

연락처

전화: 44-207-594-3503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hydroventuri.com

해외조직 없음

□ ITI Energy Limited

94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대상분야 조력발전 지역 Glasgow

세부분야 조류발전 에너지

기술명 Rotech Tidal Turbin(RTT)를 이용한 전기 생산

기술내용

- 가장 깨끗하고 탄소가 전혀 없는 친환경적인 전기 생산기술을 목표로 끊임없이

연구해온 이 업체는 조류발전 에너지(Tidal Stream Power Energy)를 21세기의

에너지 대안으로 제시함

- 양방향 수평 터빈인 Rotech Tidal Turbin(RTT)를 이용하여 조류로부터 전기를 생산하

고 있는데, 한 에너지 기관의 조사에 따르면 Lunar Energy가 사용 중인 이 기술은

1KWh 당 약 5.0p 비용밖에 들지 않아 앞으로 그 시장성이 무궁하다고 함

CEO William M. Law 설립연도 1994

주소191 West George Street, Glasgow G2

2LD매출액 -

담당자 Andrea Tyrrell 고용 (명) 110

연락처

전화: 44-1482-648964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lunarenergy.co.uk

해외조직 없음

□ Land Energy Ltd

대상분야 대체에너지 지역 London

세부분야 우드 펠릿 생산 및 공급

기술명 -

기술내용

- 우드 펠릿 생산하여 유럽 고객들에게 공급하는 업체로써 최근 열과 동력이 결합된

바이오매스(Combined Heat and Power) 공장을 건설하는 등 대체에너지에 관련하여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음

- 특히 A급 품질의 우드 칩만을 골라 최고 등급의 천연 우드 펠릿을 생산하고 있음

CEO John Westmacott 설립연도 -

주소 54 Hatton Garden, London EC1N 8HN 매출액 -

담당자 - 고용 (명) -

연락처

전화: 44-20-7440-9570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land-energy.com

해외조직 없음

□ Lunar Energy Ltd

Ⅲ. 영국 95

대상분야 친환경 전기발전 기술 지역 Hampshire

세부분야 소형 터빈 기술

기술명 유기농 랭킨싸이클(ORC)

기술내용

- 근해 바다의 파동과 조류에서 해양 대체에너지를 생산하는 업체로 조류발전 장치인

Neptune Proteus NP 1000과 수심이 얕은 곳에 쓰이는 발전장치 Neptune Triton을

개발․생산하고 있음

- 특히 Neptune Proteus는 일반 회전 터빈에 비해 30% 효율성이 더 우수한 정사각형

터빈이 장착되어 있으며 설치가 용이하고 연간 약 1000 MWh 전력을 생산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음

CEO - 설립연도 2005

주소18 High Street, North Ferriby, East

Yorkshire HU14 3JP매출액 -

담당자 - 고용 (명) -

연락처

전화: 44-1482-637196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neptunerenewableenergy.com

해외조직 없음

□ Marine Current Turbines Ltd

대상분야 조력발전 지역 Bristol

세부분야 조류터빈‘SeaGen’을 통한 전기 생산

기술명 SeaGen

기술내용

- 2009년 Cleantech그룹의 'Global Cleantech 100' 조사에서 세계를 선도하는 조류발

전 에너지회사로 선정된 Marine Current Turbines은 2008년 5월 세계 최초의 대규모

상업용 조류 터빈인 'SeaGen'을 북 아일랜드의 Srangford 와 Portafeery 사이에

설치하여 하루에 약 1.2Mw의 전기를 생산하고 있음

- 일반 조류 터빈보다 약 4배정도 더 파워풀한 'SeaGen'은 지름이 15m에서 20m인

두 개의 회전날개를 가지고 있으며 풍력발전 터빈처럼 기어 박스를 통하여 발전하는

시스템으로 이루어짐

CEO Anthony Davies OBE 설립연도 -

주소

Marine Current Turbines Ltd, The

Court, The Green, Stoke Gifford,

Bristol BS34 8PD

매출액 -

담당자 - 고용 (명) -

연락처

전화: 44-117-979-1888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marineturbines.com

해외조직 없음

□ Neptune Renewable Energy Ltd

96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대상분야 파동에너지 지역 Edinburgh

세부분야 파동에너지 컨버터 전문 제작

기술명 파동에너지 컨버터

기술내용

- 파동에너지 컨버터(wave energy converter) 전문 제작사인 Pelamis Wave Power는

세계 최초로 해안 파도를 이용한 상업용 스케일의 전기 생산 컨버터를 제작하였으며

그 시스템은 규모면에서 최근에 개발된 풍력 터빈과 비슷함

- 컨버터는 약 180m 길이에 지름이 약 4m이며 1기당 4개의 전력 컨버젼 모듈을

가지고 있음. 그리고 컨버터 한 대당 약 500가정의 전기수요를 충족시킬 만큼의

전기를 생산하고 있음

CEO Neels Kriek 설립연도 1998

주소Pelamis Wave Power Ltd, 31 Bath

Road, Leith, Edinburgh EH6 7AH매출액 -

담당자 - 고용 (명) 70

연락처

전화: 44-131-554-8444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pelamiswave.com

해외조직 포르투갈

□ Orecon Ltd

대상분야 파동에너지 지역 Cornwall

세부분야 파동에너지 장치 개발 및 공급

기술명 MRC 파동에너지 장치

기술내용

- 2002년 파동에너지(wave energy) 전문가인 Nicola Meek와 Fraser Johnson에

의해서 설립된 회사로써 현재 MRC 파동에너지 장치(wave energy device)를 개발․공급하고 있음

- Orecon이 개발한 MRC 파동에너지 장치는 OWC 기술을 이용하여 비용을 낮췄으며

약 1.5Mw의 전기를 생산하여 상업용으로 적합한 대용량 장치임

CEO - 설립연도 2002

주소2 Dreason, Bodmin Road, Bodmin,

Cornwall PL30 4BG매출액 -

담당자 - 고용 (명) -

연락처

전화: 44-1208-269-374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orecon.com

해외조직 없음

□ Pelamis Wave Power Ltd

Ⅲ. 영국 97

□ Pptek Ltd

대상분야 바이오매스 지역 West Sussex

세부분야 바이오매스 발전 엔진 성능 저하 해소

기술명 BioGas AutoKleen

기술내용

- 매립 가스(Landfill Gas) 와 하수쓰레기 가스(Sewage Gas)에 포함되어 있는 Volatile

Methyl Siloxanes(VMS)란 물질은 엔진에서 연소 시 이산화규소로 변화되는데 이 물질은

가스 안에 다른 물질들과 결합되어 연소 표면(Combustion Surface)에 축적이 됨.

이 축적된 침전물은 연소실의 기능을 악화시키며 발전 엔진의 성능을 크게 떨어뜨림

- Pptek는 생화학 필터링 시스템인 BioGas AutoKleen를 개발하여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였는데, Volatile Methyl Siloxanes(VMS)이 발전엔진에 도달하기 전에 제거시

켜 침전물이 연소 표면에 쌓이지 않게 만듦.

CEO - 설립연도 -

주소

Orchard Business Park, North End

Road, Yapton, Nr Arundel, West

Sussex BN18 0GA

매출액 -

담당자 - 고용 (명) -

연락처

전화: 44-1243-584-034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pptek.co.uk

해외조직 네덜란드

□ Proven Energy Ltd

대상분야 풍력에너지 지역 Glasgow

세부분야 풍력터빈 제작 및 설치

기술명 Proven Flexible Blade System

기술내용

- 소용량 풍력 터빈 제작과 설치 분야에 세계적으로 명성있는 업체 중 하나로 현재까지

2000개가 넘는 터빈을 제조, 설치한 경험이 있음

- Proven Energy가 특허를 받은 탄력적인 날개 시스템(Proven Flexible Blade System)

은 강풍이 불 때 발전기 사용을 중단해야하는 일반 터빈과는 달리, 공기 역학 효과를

최대한 줄이기 위해 날개가 비틀어지게끔 설계하여 강한 폭풍 속에서도 안전한

발전을 할 수 있게 함

CEO Chris Simpson 설립연도 1982

주소

Proven Energy Ltd, Torus Bldg,

Rankine Ave, East Kilbride, Glasgow

G75 0QF

매출액 -

담당자 - 고용 (명) -

연락처

전화: 44-1355-597-000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provenenergy.co.uk

해외조직 없음

98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3. M&A 또는 전략적 기술제휴 가능성

□ 대체에너지 분야의 M&A 열풍

- 2007년 전 세계 대체에너지 분야의 M&A 규모는 미화 434억 달러이며 2006년에 비해

약 15% 증가함

- 또 2008년 체결된 세계전체의 기업 인수 합병은 총 234건으로 2007년 207건에 비해 약

13%가 증가함(자료원: PricewaterhouseCoopers, Renewables Deals 2008 Annual Review)

- 전 세계 에너지산업에 종사하는 202명의 Senior Executive를 대상으로 KPMG가 2008년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78%가 대체에너지에 관련해서 기업 인수를 진행

중이거나 대상을 찾고 있다고 응답해 M&A 열풍이 아직 식지 않았음을 보여주고 있음

- 영국에서도 대체에너지 M&A에 대한관심이 크게 증대되고있는데특히사모펀드(Private

Equity Funds)와 인프라 펀드(Infrastructure Funds)가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음

- 투자자들이 관심을 보이는 가장 큰 이유는 정부의 정책적 지원에 때문에 다른 분야에

비해 리스크가 상대적으로 작고 에너지 가격이 계속해서 상승되고 있기 때문임

□ 영국 대체에너지 분야 M&A

<2008년 나라 별 유럽 대체에너지 거래량>

By value(US$m)

% share of total Europe deal value

Portugal 4,236 24.90%

Spain 3,800 22.30%

UK 3,185 18.70%

Germany 2,578 15.10%

Italy 854 5.00%

Czech Republic 666 3.90%

Greece 641 3.80%

France 325 1.90%

Denmark 224 1.30%

Sweden 196 1.20%

Finland 175 1.00%

Norway 53 0.30%

Romania 44 0.30%

Georgia 25 0.10%

Belgium 19 0.10%

Total 17,023 100%

자료원: PricewaterhouseCoopers, Renewables Deals 2008 Annual Review

Ⅲ. 영국 99

- 위 자료는 2008년 유럽에서 체결된 대체에너지 분야 M&A의 거래대금으로, 영국은

미화 31억 8천5백만 달러로 유럽 전체의 18.7%, 전 세계의 12%를 차지하고 있음

- 특히 2008년 영국에서 체결된 대체에너지 분야 M&A중 풍력발전에 관한 것이 7건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해, 대체 원료(Renewable Sources)중 풍력에 대한 관심이 가장

큰 것을 파악할 수 있음

- 아래 테이블은 2008년 영국에서 체결된 대체 에너지 분야 M&A중 거래금액이 가장

높은 2건에 대한 정보로 이 두 건이 영국 전체의 83%를 차지하고 있음

Year Target Company Acquirer Target Nation (US $m)Renewable Sources

2008 AirtricityScottish & Southern

EnergyUK 2,143 Wind

2008

Greater Gabbard Offshore

Winds Limited/Scottish and

Soutern Energy plc

npower renewables/

RWE InnogyUK 496 Wind

자료원: PricewaterhouseCoopers, Renewables Deals 2008 Annual Review

- 영국에서 성사된 대부분의 M&A는 자국 내 기업들을 대상으로 한 것이며, 영국 기업이

해외 기업 및 대체에너지 기술을 인수한 경우는 흔치 않음

- 해외 대체에너지 기업을 인수한 대표적인 사례로 International power와 Trinergy의

M&A를 들 수 있으며 영국 기업이 해외 대체에너지 기업을 인수한 거래 중 거래대금이

가장 큰 건 중 하나임

Acquirer Target Assets, Locations Capacity Price Paid($m)

International

powerTrinergy

Wind farms,

Italy & Germany648MW 1,196

자료원: Deloltte, Sustaining growth for renewable energy

□ 한국 기업과의 M&A

- 최근 영국에서 체결된 대체에너지 M&A건 수 중 대부분 거래대금이 작은 소규모 건으로

녹색 기술력을 바탕으로 한 소규모 업체들의 인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음

- 특히 영국에서 풍력발전 기술을 보유한 중․소 업체들은 피인수 대상으로 인기를 모으고

있으며 앞으로도 이와 같은 현상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됨

- 그러나현재인수․합병의활발한움직임은영국기업을인수하고자하는한국기업들에게

많은 부담이 될 것으로 판단됨

100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 구체적으로 영국의 대체 에너지 M&A 시장이 활황인 관계로 한국기업들은 영국 내

자국 기업뿐 아니라 해외 기업과도 인수과정에서 경쟁해야 하는 위치에 놓임

- 이러한 인수 경쟁은 인수 대상 기업의 가치를 상승시켜 거래대금을 기대이상으로 올릴

수있으므로, 우선적으로인수를통하여예상되는시너지를정확히계산한후인수작업을

추진하는 것이 가장 현명한 방법이라고 판단됨

Ⅳ. 독일 101

Ⅳ. 독일

1. 녹색산업 기술(시장) 현황

2. 녹색기술 보유업체 명단 및 기술내용

3. M&A 또는 전략적 기술제휴 가능성

102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Ⅳ. 독일

1. 녹색산업 기술(시장) 현황

1) 국가별 녹색산업 동향

□ 에너지 시장 동향

-독일신재생에너지생산은지난 10여년간급성장을보였으며, 독일정부는독일연방환경부

의 주도하에 미래성장 산업지원 차원에서 신재생에너지 기술 개발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음.

- 연방정부는 전력 생산 및 1차 에너지소비에서 신재생에너지 사용 비율을 2010년까지

2000년도 대비 4.2%, 전력 사용에서 12.5%로 확대한다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음. 이는

거의 2배 이상의 증가를 의미하며, 더 나아가서 독일 정부는 신재생에너지원을 통한

전기 생산을 2020년까지 30%로 높일 계획임.

- 연방환경부의 통계에 따르면, 2008년 기준 1차 에너지소비에서 신재생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율은 7.0%로 지난 2006년의 5.8%, 2007년의 6.9%에서 지속적인 상승률을 보이고 있으며,

2008년 최종에너지 소비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9.5%임. 또한 총 전력 생산량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15.1%로 전년의 14.8%에서 소폭 상승함.

- 2008년 기준 독일 신재생에너지 생산에서 차지하는 주요 에너지원별 규모 면에서는

풍력이 43.5%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뒤를 수력(23%), 바이오 고체연료

(11.8%), 바이오가스(8.7%) 등이 잇고 있음.

Ⅳ. 독일 103

<주요 에너지원별 신재생에너지 생산>

자료원: 연방 환경부(BMU)

* 주: 위에서 아래 순으로 수력, 풍력, 태양광, 바이오 고체연료, 바이오 액화연료, 바이오가스, 정화가스, 폐열가스,

폐기물의 바이오성분 순임.

□ 에너지원별 산업동향

○ 태양에너지 산업 동향

- 이미 수년 전부터 태양광 발전 설비 시설의 수가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지난 2008년

한 해 설비 용량은 2000 MW에 이름. 여기에는 무엇보다 현재 신 재생에너지법(EEG)에

따른 독일정부의 지원을 통한 높은 기준 공급보상가격이 주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

<신 재생에너지법에 따른 태양 발전 지원 규모 (2005-2008년)>

(단위: %, 유로)

연도신재생에너지에서 차지하는

태양광 발전의 비중 (%)총 보상 가격

2005년 2.9 6억 7911만

2006년 4.3 11억 7680만

2007년 4.6 15억 9748만

2008년 6.2 22억 1862만

자료원: Spiegel지, 신 재생에너지법 정산 보고서

- 현재 독일 신재생에너지 생산에서 태양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중은 2008년 기준 4.3%로

비교적 낮은 편이며, 정부의 지원을 통해 설치된 태양광 시설 설비는 장기적으로 약

270억유로라는 막대한 비용이 들 것으로 예상되는반면, 이용가치는 매우적고, 태양광의

전력 생산 효율 역시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남.

104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 이에 따라최근 총선이후출범한신정부는태양광기준보상지원규모를감소할계획으로

있으며, 독일 태양광 에너지 기준 가격 의무 구매 제도 관련 보상가격이 2010년 1월부터

조율될것으로보임. 그 주된이유는 태양광발전시설설비비용이약 30%까지 감소하였기

때문임.

- 빠른속도로 성장하고 있는독일 태양광에너지 발전 산업은 금융 위기를 맞아 큰 감소세

이후 회복세에 접어들고 있으나, 신정부의 출범 이후 발표된 보상 축소 안으로 향후

관련 산업이 위축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음.

○ 풍력에너지 산업 동향

- 독일 신재생에너지생산에서풍력에너지는 높은성장률을보이며, 2007년 42%에서 2008년

43.5%로 증가함.

- 독일 풍력에너지 연구소 (DEWI)에 따르면 2008년 상반기에 독일에서는 총 800 MW

용량의 415개의 풍력 발전시설이 신설되었으며, 전년 동기 대비 20% 증가함. 이로써

2008년 중반까지 설비된 풍력 발전시설은 총 19,869개로 총 발전 용량은 23,044 MW임.

<독일 총 풍력 발전용량>

자료원: 연방 풍력에너지 연합(Bundesverband Windenergie)

- 독일 풍력에너지 연구소 (DEWI)의 2008년 결산보고에 따르면, 독일 풍력산업은 경기침체

에도불구하고안정세를보임. 2008년독일내에서는총 1665 MW 용량의 866개의 풍력발전

시설이 신설되었으며, 이는 전년(1667 MW, 883개)에 버금가는 규모임.

Ⅳ. 독일 105

- 연방 풍력에너지 연합(Bundesverband Windenergie)에 따르면, 2008년 말까지 설비 완료된

풍력발전 시설은 총 20,301개이며, 총 발전 용량은 23,903 MW로 집계됨. 이를 통해

독일 풍력발전이 독일 총 전력소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약 7%에 이름.

- 특히 2009년 1월 1일부터 시행된 신재생에너지법(EEG)에 의해 기준 보상가격이책정됨에

따라 관련 업체들은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계획 하에 사업을 확대해 나가고 있으며, 특히

친환경 기술로서 풍력발전은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되고 있음.

○ 바이오에너지 산업 동향

- 2008년 바이오매스, 바이오가스, 폐열 등을 포함한 바이오 에너지에 의한 총 전력 생산은

27TWh에 이르며, 이는 독일 총 전력 소비의 4.5%에 해당함.

- 2008년까지 집계된 바이오에너지생산시설은총 209개로, 발전 총량은 1040 MW에 이르며,

전반적으로 독일 전역에 걸쳐 골고루 분포되어 있으나 독일 남부 지역이 주요 생산

거점임.

<독일 내 바이오가스 시설 분포도>

자료원: 독일경제기술부, 2009년 3월 기준

- 2008년 기준 바이오매스 산업분야 총 매출은 108억 유로로 경제 불황에도 전년 102억

3000만 유로 대비 소폭의 상승세를 보임.

106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 수력에너지 산업 동향

- 연방 경제기술부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독일의 수력발전 산업은 오래 동안 가장

중요한 재생 에너지원이었으나 2004년 이래로 풍력에 의한 전력 생산이 수력발전을

능가함.

- 독일 수력발전 총량은 지난 몇 년간 꾸준한 안정세를 보이고 있으며, 수력발전에 의한

전력생산은 2006년의 216억 kWh와 2007년의 207억 kWh에 이어 2008년 213 kWh을

기록함. 이로 인해 2008년 수력 발전은 총 신재생에너지 생산의 23%를 차지하고 있음.

- 연방 경제기술부에 의하면, 2008년 기준 수력발전 산업분야 총매출은 13억 7000만 유로이

며, 수력발전으로 인한 CO2 감소효과는 약 2260만 톤에 이름.

- 독일제 3대 전력공급업체인 EnBW 자료에의하면독일전체수력발전시설가운데 1MW

이상 규모의 발전소의 약 85%가 바이에른과 바덴-뷔르템베르크주에 소재하고 있음.

○ 지열

- 지열을이용한에너지원은현재독일전력생산에서비중이낮은편이나, 계절이나기후조건

에 관계없이 항시 전력생산 가능하므로 세계적으로 가장 생산적인 신재생에너지원임.

- 연방 경제기술부에 따르면, 현재 설비된 3개의 지열 발전소의 전력 생산량은 2008년

기준 0.018 TWh이며, 열처리 펌프 매출은 전년 대비 1.4% 증가한 약 62,450개로 집계됨.

- 연방환경부 및 관련 업계에 따르면, 2008년 말까지 약 15개의 지열 관련 전력 및 열

생산 프로젝트가 계획 단계에 있는 것으로 파악됨.

○ 에너지원별 산업 매출

- 신재생에너지분야는 2008년뚜렷한매출상승을보였으며, 2007년 대비약 12.5%의증가율을

기록함. 또한 각 에너지원별로 다소 차이가 있으나, 모두 성장세를 보이고 있음.

<주요 에너지원별 연간 산업 총 매출액>(단위: 유로)

에너지원 2005 2006 2007 2008

태양에너지(태양광, 태양열 포함) 42억 5000만 59억 4000만 72억 7000만 97억 5000만

풍력 45억 56억 4000만 57억 58억

바이오에너지 62억 5000만 81억 3000만 102억 3000만 108억

수력 11억 7000만 12억 7000만 12억 3000만 13억 7000만

지열 2억 7000만 5억 8000만 6억 11억 300만

합계 (기타 포함) 약 164억 (약 181억)* 약 216억 (224억)* 약 250억 5000만 약 288억 8000만

자료원: 독일 연방 환경부(BMU)

*주: 동 수치는 관련 기관에서 당해 연도 집계 수치를 수정 발표한 수치임.

Ⅳ. 독일 107

<주요 에너지원별 연간 산업 총 매출 및 비중>

(단위: 유로, %)

자료원: 독일 연방 환경부(BMU)

*주: 위에서 아래로 수력, 풍력, 태양에너지, 지역, 바이오매스 순임.

- 또한 연방 환경부에 의하면, 독일 신재생에너지 매출은 2003년-2007년까지 약 188%의

높은 상승률을 기록한 바 있음.

<2003-2008년 독일 신재생에너지 산업 매출>

(단위: 10억 유로)

자료원: 독일 연방 환경부(BMU)

108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 에너지원별 기업 수

○ 독일의 에너지원별 산업의 기업 수는 전기와 가스 및 원격 난방열 공급별로 분류 및 파악 가능하나,

신재생에너지원별 기업 수의 경우 태양에너지와 바이오매스 및 바이오가스 산업 관련 협회를 통한 별도

집계를 제외하면, 총괄 집계되고 있지 않음

- 이와관련하여연방신재생에너지협회장과인터뷰한결과, 2008년 기준독일총신재생에너

지 관련 업체 수는 7,000개에 달할 것으로 추정되나, 아직 정확한 수치는 파악된 바

없음. 이 중 5,000개사 정도가 협회에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됨.

- 관련업체수파악이어려운점은일반기술산업업체의경우도부분적으로신재생에너지

관련 수주사업을 진행시키고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임. 이러한 일반 기업들도 통계에

포함시킬 경우 관련업체 수치는 훨씬 높을 것으로 보임.

<독일 에너지 산업의 기업 수>

(단위: 개)

분류 2005 2006 2007 2008

전기 공급 992 1,004 1,045 1,062

가스 공급 691 700 736 758

원격 난방열 공급 489 492 482 493

태양에너지 - - - 15000, 그 중 제조사는 200

풍력에너지 - - - 63* (56: 연방 경제 기술부 등록업체)

수력에너지 - - - 29* (9: 연방 경제 기술부 등록업체)

바이오매스 - - - 427 (56: 연방 경제 기술부 등록업체)

자료원: 연방경제기술부, 연방 신재생에너지 협회, www.solarbusiness.de, http://www.biogas-infoboard.de,

기업검색 사이트 www.wlw.de

*주: 기업검색 사이트 등록업체 중 풍력 및 수력 발전 설비 기업의 수

□ 주요 에너지원 별 고용인원

○ 신재생에너지 산업은 고용 및 경제 성장의 밑거름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이는 특히 관련 분야 성장률과

고용인원 수에서 나타남

○ 현재 집계된 최신 통계에 따르면, 2008년도 관련 분야 고용인원은 2007년도의 25만 명에 이어 이보다

12% 증가한 28만 명임

○ 이러한 높은 성장률의 주요인은 현재 약 300억 규모의 시장으로 성장한 국내시장에서의 매출과 신재생에너지

원에 의한 전력 및 열 생산 증가임

Ⅳ. 독일 109

<주요 에너지원 별 고용인원>(단위: 명)

에너지원 2004 2006 2007 2008

태양에너지(태양광, 태양열 포함) 25,100 40,200 50,700 74,400

풍력 63,900 82,100 84,300 85,100

바이오에너지 56,800 95,400 96,100 95,800

수력 9,500 9,400 9,400 9,300

지열 1,800 4,200 4,500 9,100

관련 공공기관 3,400 4,300 4,300 4,300

합계 160,500 235,600 249,300 278,000

자료원: 연방환경부

○ 신재생에너지 통계 Arbeitsgruppe(AGEE-Stat)에 따르면, 신재생에너지 투입으로 약 1억 1500만 톤의

CO2 감소효과가 있는 것으로 잠정 집계됨

□ 정부(공공) 및 민간 기업 투자동향

○ 2008년 신재생에너지 총 투자는 98억 유로로 전년 대비 약 20% 상승함. 또한 총 투자에서 차지하는

지원 규모는 12억 유로로 나타남

<독일 신재생에너지 총 (누계)투자 규모 및 지원 규모>(단위: 10억 유로)

*주: Invesitionsvolumen: 투자 규모/ Fördervolumen: 그 중 지원금 규모

○ 또한 신용부흥대출은행은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관련 시장부양프로그램 차원에서 예를 들어, 바이오매스,

바이오가스, 지열 이용 관련 여러 혁신 시설설비 등에 지원을 수행하고 있으며, 2000-2009년까지 3900

건의 신용 대출 지원을 한 바 있으며, 그 규모는 9억 7000만 유로에 이름

○ 이러한 신재생에너지 산업과 관련한 독일신용대출은행(KfW)를 통한 지원은 향후 보다 강화될 예정이며,

특히 관련 연관 혁신 기술 지원이 확대될 예정임

110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 정부 차원에서 이미 신재생에너지를 사용한 난방 시스템에 16억 유로 규모의 투자가 이루어진 바 있으며,

이로 인해 지난 2008년 한 해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한 난방시스템 지원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함.

총 신청 건수는 29만 건에 이르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약 60%의 증가율임

- 여기에는 연방환경부의 시장부양프로그램(Marktanreizprogramm)이 투자의 원동력으로

작용하고 있음.

- 2008년 보완된시장부양프로그램은특히금융위기동안재생에너지분야의투자원동력으

로 작용함.

○ 4억 유로의 정부지원과 함께 30억 유로 이상의 투자가 발생함. 이러한 투자는 기후보호 측면에서뿐만

아니라 관련 산업 및 수공업 분야에서의 고용발생 및 고용안정 등의 부가 효과를 유발함

○ 또한 연방환경부의 지원 프로그램은 일반 상업 및 지방자치단체 투자가들의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음.

이러한 투자자들은 신용부흥대출은행 프로그램 차원의 신재생에너지 지원을 받을 수 있음. 특히 수요가

높은 분야는 신재생에너지에서 발생하는 열처리 네트워크로 2008년에만 이미 800여개의 열처리네트워크

에 대해 저렴한 이자율과 함께 약 1억 1500만 유로 규모의 지원이 이루어짐

- 그 외에도 지열 시설, 바이오매스 발전시설, 대규모 열저장시설, 바이오가스 처리 및

네트워크 시설 등에 높은 수요를 보이고 있음.

- 2009년 1월-8월까지 신청 접수된 신용 대출 규모는 약 2억 유로에 달하며, 이는 전년도

평균을 넘어선 수치임.

○ 민간 기업 및 기관 주도 하에 아프리카 사막에 초대형 태양열 발전소 설립 계획

- 2009년 6월 독일의 15개 기업 및 기관들은 공동 협력 하에 아프리카 사막에 초대형

태양열 발전소 설립 계획을 발표하고 이를 위해 약 4000억 유로를 투자하기로 함.

- 참여 기업으로는 독일의 대표적인 기입인 Siemens를 비롯하여 세계최대 재보험사 중의

하나인 Muenchener Rueck, 독일 은행(Deutsche Bank) 등으로 알려져 있으며, 대규모

에너지 공급업체인 RWE와 Eon 역시 이에 관심을 표명하고 있음.

- 향후 3년 안에 구체적인 실행과 관련한 계획들이 이루어질 전망이며, 태양열 발전소

건설에만도 약 3500억 유로가 투자될 전망임.

- 그 외 투자비용은 독일로의 전력 공급을 위한 새로운 송전선 건설에 소요될 계획임.

- 이 프로젝트는 역사상 최대 민간 주도 전력 생산 사업이 될 것으로 보이며, 경제위기에도

기후환경 변화에 대한 대비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나가고, 세계적으로 그린 테크놀로지

기술의 선두적인 위치를 선점하고자 하는 데에 목적이 있음.

○ 2005년-2008년까지 집계된 신재생에너지 지원 규모는 약 8600만 유로에 달하며, 이 중 태양광이 44.1%,

풍력발전이 21.0%, 지열이 13.5%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또한 2008년 신규 지원은 총 1억 5100만 유로로 각 에너지원별 지원 규모를 살펴보면, 태양광 발전

투자가 대폭 감소한 반면, 풍력발전에 대한 투자 비중이 증가세를 보이고 있음

Ⅳ. 독일 111

<각 에너지원별 평균 지원 규모 비중(2005-2008년) 및 2008년 신규 지원규모>

자료원: 연방환경부(BMU)

*주: 위에서 아래 순으로 태양광, 풍력, 지열, 저온 태양열, 태양열발전, 시스템 융합, 기타 순임.

□ 에너지원별 수출입 규모

○ 신재생에너지 수출 규모

- 독일은 세계적인 수출 강국일 뿐만 아니라 신재생에너지 관련 수출 강국임. 현재 풍력,

수력, 태양광, 바이오에너지 및 지열 에너지 투자가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가운데,

신재생에너지 수출 규모는 2007년 90억 유로에 이어 2008년 120억 유로로 집계됨.

<독일 신재생에너지 수출 규모 변화>(단위: 10억)

자료원: 독일 신재생에너지 에이전시

112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수출 2005 2006 2007 2008

미 가공 휘발유(나프타) 1,215 1,216 1,417 1,304

가솔린 4,670 4,471 4,372 4,341

디젤유 8,894 9,138 9,391 7,841

경유 1,047 1,730 2,633 1,664

등유 5,428 5,620 5,080 4,100

- 독일 신재생에너지 에이전시에서 집계한 바에 따르면, 독일 신재생에너지원 중 풍력

산업이 2008년 기준 총 생산의 82% 수출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규모는

70억 유로에 이름. 그 뒤를 수력이 80%로 차지하고 있으며, 바이오가스의 경우 수출

비중이 10%이며, 그 규모는 약 1억 5000만 유로임.

- 특히 높은 수출 증가를 보이고 있는 분야는 태양광 발전 산업으로 연방태양경제연합에

따르면, 2008년 기준 총 생산의 46%를 수출(2007년의 경우 28%)하고 있으며, 그 규모는

37억 유로(2007년의 경우 20억 유로)임.

<2008년 기준 신재생에너지원별 수출 비중>(단위: %)

신재생에너지원 수출 비중

바이오가스 10%*

태양광 46%

풍력 82%

수력 약 80%

자료원: 독일 신재생에너지 에이전시

*주: 2007년 통계 수치(현재 입수 가능한 최신 수치임.)

- 향후 2020년까지 독일 신재생에너지 산업은 80%의 평균 수출 비중 상승을 목표로 하고

있음.

- 독일 신재생에너지 에이전시에 따르면, 독일 신재생에너지 시장의 주요 수출 시장은

유럽으로 2007년 기준(현재 입수 가능한 최신 수치) 39억 유로 규모로 45%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뒤를 아시아(22억 유로, 26%), 아메리카(21억, 25%), 호주 및 태평양 연안

국가(2억, 2%), 아프리카(2억, 2%) 등이 잇고 있음.

○ 화석에너지 및 기타 에너지원별 수출입규모

- 독일 신재생에너지 에이전시가 발표한 독일 에너지 수입의존도를 살펴보면, 우라늄의

경우 100%, 석유는 97%, 천연가스 86%, 석탄 69%이며, 2008년도 기준 총 수입규모는

800억 유로임.

<주요 에너지원별 세부 수출 동향>(단위: 1000t)

Ⅳ. 독일 113

액화가스 613 574 549 557

항공터빈 연료 455 503 504 467

역청 796 867 841 899

석유코크스 660 654 628 673

기타 석유제품 2,523 2,574 2,667 3,628

합계 26,301 27,346 28,080 25,475

에너지원 2005 2006 2007 2008

석탄 134.1 137.9 142.0 128.5

갈탄 154.1 151.1 155.1 150.0

석유 11.6 10.5 9.7 10.5

천연가스 71.0 73.4 75.9 83.0

원자력 163.0 167.4 140.5 148.8

풍력 27.2 30.7 39.7 40.2

수력 26.7 26.8 28.1 27.0

수력발전 중 신재생에너지원 19.6 20.0 21.2 21.0

기타 에너지원 32.9 39.1 46.4 51.1

자료원: 독일 연방환경부

<주요 에너지원별 세부 수입 동향>

(단위: 1000t)

수입 2005 2006 2007 2008

액화가스 704 784 679 890

가솔린유 2,800 1,785 1,442 1,282

미 가공 휘발유(나프타) 7,498 7,174 7,236 6,252

항공터빈 연료 4,528 4,587 4,627 4,745

디젤유 2,747 3,385 3,137 3,823

경유 9.998 11,277 4,858 10,328

등유 1,633 1,415 1,271 1,456

역청 360 513 390 295

석유코크스 762 895 727 937

기타 석유제품 3,931 5,167 4,255 4,679

합계 34,961 36,982 28,622 34,686

자료원: 독일 연방환경부

□ 독일 에너지 발전량

- 연방경제기술부에서 발표한 독일 에너지원별 총 전력 생산량은 631.9TWh로 세부 에너지

원별 총 전력 생산량은 아래와 같음.

<독일 에너지원별 총 전력 생산량>(단위: TWh)

114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기타 에너지원 중 바이오매스 12.0 15.5 19.4 23.0

기타 에너지원 중태양광 1.3 2.2 3.1 4.0

기타 에너지원 중 폐열 6.1 7.3 9.0 9.9

합계 620.6 636.8 637.6 639.1

* 자료원: 독일경제기술부(BMWI)

- 라인-베스트팔렌 경제연구소(RWI)에서 집계 발표한 2008년 독일 에너지원별 전력 생산량

의 비율은 다음과 같음.

<2008년 독일 에너지원별 전력 생산 비율>(단위: %)

에너지원 전력 생산 비중

원자력 23.3

갈탄 23.3

석탄 20.1

가스 13

풍력 6.3

바이오매스 3.6

태양광 0.6

기타 9.6

*자료원: 라인-베스트팔렌 경제연구소(RWI: Rheinisch-Westfaellisches Institut fuer Wirtschaftsforschung)

- 이중 독일 경제기술부에 따른 독일 신재생에너지에 의한 발전 총량은 전체 전력소비의

약 14.8%에 해당함.

<2008년 독일 신재생에너지원별 발전 총량>(단위: GWh)

에너지원 2005 2006 2007 2008

수력 21,524 20,042 21,249 20,900

풍력 27,229 30,710 39,713 40,400

바이오매스 10,495 15,593 18,645 21,084

바이오성 폐기물 3,039 3,675 4,130 4,950

태양광 1,282 2,220 3,075 4,000

지열 0.2 0.4 0.4 18.0

합계 63,569 72,240 86,812 91,352

자료원: 독일경제기술부(BMWI)

○ 독일 현 에너지 시장 평가 및 전망

- 2005년-2008년 까지 독일 에너지원별 총 전력 생산량을 비교해 보면, 석탄, 갈탄 등의

화석에너지비중은 감소하고있는반면, 신재생에너지 비중은점차확대되고 있는추세임.

Ⅳ. 독일 115

- 2008년 독일 신재생에너지 시장에서는 태양광과 태양열 산업이 성장세를 보였으며,

태양전기 및 태양열을 통한 CO2 절감효과가 각각 250만 톤, 120만 톤에 이름. 그러나

최근 출범한 독일 신정부의 태양광 전기 기준 보상가격 인하 등, 태양에너지에 대한

투자 규모가 다소 감소할 예정으로 있어, 향후 독일 태양에너지 산업은 다소 위축될

가능성이 있음.

- 그 외에도 풍력 발전의 경우 2006년 큰 폭의 증가율을 기록한 이래 경제 불황 속에서도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음.

2) 에너지원별 기술력 보유현황 및 특화분야별 강점

○ 현재 독일은 바이오매스, 태양, 풍력 등의 대체 에너지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선두를 달리고 있으며 소기업이나

국제적으로 성공을 거두고 있는 독일 기업이 증가하고 있음

○ 태양 에너지

- 독일의 태양발전 기술 관련 생산 기업은 약 200여 개로 오랜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는

기업이 다수임.

- 태양 발전기술과관련하여독일은태양광셀, 패널, 모듈및특수모듈, 인버터, 잉곳․웨이

퍼, 폴리실리콘, (크리스탈) 모듈, 박막전지및플라즈마기술, 자동화공정기술, 면 공정레이

저기 및 표면 공정 광학 기술을 비롯하여 웨이퍼 가공장비, 각종 집광판 설치 부품 등

다수 분야에서 기술노하우를 보유하고 있음.

- 특히 최근에는 독일 태양광 제조 기술 분야 전체 공정라인의 7개사, 12개 연구소, 4개

대학으로구성된세계최대의태양광클러스터 ‘솔라밸리’를 구성하여, 산학 공동 연구개발

을 추진 중에 있음.

․ 주요 연구 분야는 태양광 분야 핵심기술인 박막기술 연구와 폴리 실리콘, 웨이퍼 변환

효율 증진 관련 연구임.

- 그 외에도 일부 태양광기업들의경우스페인이나이스라엘, 아프리카, 중국 등 생산시설에

대한 투자를 확대해 나가고 있으며, 일부 기업들은 한국기업과도 이미 손잡고 프로젝트

추진을 하고 있기도 함.

○ 풍력 에너지

- 독일은풍력발전관련 20여년의축적된기술력을보유하고있으며, 대규모 풍력 발전설비

건설에 주력하고 있음.

․ 80년대와 90년대에는 소규모 및 중간 규모의 발전 시설이 중점적으로 개발되었고 약

116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6여 년 전부터 메가와트(MW)급의 시설 설비가 중점적으로 이루어짐.

․ 현재 시장에서 가장 최대 규모인 5-6 MW의 발전기 시설은 연간 약 3400 가구가 소비할

수 있는 전력 생산이 가능함.

- 이와 같이 독일은 독자적으로 풍력 발전 시설을 설비할 수 있는 기술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으며, 풍력 타워 및 블레이드, 모터, 터빈, 베어링, 타워플랜지, 메인샤프트, 해상용

풍력발전기 로터블레이드 및 각종 부품 등의 주로 생산하고 있음.

․ 특히 독일의 노르덱스는 풍력발전기 생산의 90%를 해외에 수출하는 등 중소기업이나

글로벌 시장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는 기업이 다수임.

- 한편, 최근 경기침체로힘든조선업계의일부업체들이풍력발전기용부품제조기업으로

변신을 꾀하고 있음.

․ 대표적인 사례로는 요트 제조업계에서 명성이 높은 중소기업이었던 Abeking &

Rasmussen(A&R) Rotec GmbH사가 현재 SGL Rotec사로 개칭하고 풍력발전기용

로터블레이드 제조 전문기업으로 거듭남. 선박 전문제작기업이지만 간간이 소량 로터블

레이드를 생산해오다 선박업계가 침체기를 맞으면서 풍력발전기용 로터블레이드 생산

에만 주력함.

․ 조선분야 전통기업이 사업전략을 바꿀 때만 해도 업계의 웃음거리였으나 선박제작으로

쌓아온 기술력과 품질로 파이버 강화소재를 사용한 로터블레이드를 선보이면서, 현재

풍력발전부품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음.

○ 바이오매스 및 바이오가스

- 독일은 바이오매스 및 가스 플랜트와 관련하여 프로젝트 개발 및 세부계획에서부터

설비 건설이나서비스영업에이르기까지 바이오가스기술관련전 분야에 걸친 노하우를

갖고 있는 기업이 다수 있음.

- 주요 보유 기술은 농․축산업에서 발생하는 쓰레기․폐수․찌꺼기 등을 활용해 신재생에

너지를 생산하는 바이오가스 플랜트 개발 기술, 환경부하 저감용 바이오 연료 생산 기술

등을 비롯하여 바이오매스 플랜트 설립 후 고객의 기준에 따른 가스, 펌프, 측정 기술

등 세밀한 기술 관련 서비스, 에러 분석(up- und down-scaling) 기술 등임.

․ 특히 Schmack Biogas AG의 경우, 바이오가스 생산 공정에 해조류 배양액을 투입하여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면서 순도 높은 바이오가스를 생산하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음.

○ 수력에너지

- 현재 신재생에너지 발전 사업 중 수력의 비중이 점차 낮아지고 있는 추세이나 독일은

수력 발전과 관련한 원천 기술을 보유하고 있음.

Ⅳ. 독일 117

- 특히 발전소 운하를 새로운 친자연적인 조건, 즉 물고기의 이동 및 산란이 가능한 운하로

개조할 계획 하에, 새로운 공법을 이용한 발전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며, 2010년 전기

공급이 가능할 예정임.

․ 현재 NaturEnergie사는 라인 펠덴(Rheinfelden)에 새로운 발전 시설을 건설 중인데,

이는 독일 신재생에너지 관련 투자 중최대 규모로 3억 8000 유로 가량이 투자될예정임.

기존의 운하를 이용한 수력 발전시설

(1898년)강을 이용한 수력발전

(2011년 완공 예정인 신 수력발전소)

수압관로 수 12 7

터빈 수 20 관모양의 터빈, 1개의 끼워 넣은 터빈

초 당 낙수량 600 ㎥/s 1,500 ㎥/s

발전용량 26 MW 100 MW

연평균 생산량 1억 8500만 kWh 6억 kWh

자료원: NaturEnergie 홈페이지 보도 자료

<구 발전소 횡단면(왼쪽) 및 신 발전소 횡단면(오른쪽)>

자료원: NaturEnergie 홈페이지 보도 자료

․ 위 그림은 기존의 발전소와 신 발전소 횡단면을 비교한 것으로 가운데 어두운 부분이

기능이 향상된 터빈임.

․ 기존의 발전소에서는 20개의 터빈이 가동됨. 부분적으로 100년 이상의 것도 있음.

118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 신 발전소에서는 4개의 관모양의 터빈이 기존의 3배 이상의 전기를 생산함. 이는 연간

6,000만 kWh의 신재생에너지 생산이 가능함을 의미함.

* 그림 설명: 시설 설립 단계

자료원: NaturEnergie 홈페이지 보도 자료

2003년-2005년: 수압관로 7-5와 수문비(Wehrinsel)

2005년-2007년: 수압관로 4-2

2010년 가동예정: 기관실과 수압관로 및 라인강 준설작업

2011년: 강 우회로

․ 현재 30만의 고객에게 에너지 공급 중이며, 새로 건립중인 발전시설을 통해 165,000

가구 내지 50만 명이 신재생에너지 공급의 혜택을 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 지열

- 독일의경우지열발전의규모가매우미미하나, 2003년 이래로최초의상용지열발전소가

설립되면서 빠른 속도의 성장세를 보이고 있음.

- 현재 독일은 전반적인 지열 발전 시설 관련 노하우를 비롯하여 열처리 펌프 등 관련

제품 생산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음.

○ 연료전지 기술력 보유현황

- 최근 9월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개최된 세계 최대의 모터쇼에서는 전기자동차를 비롯한

친환경자동차가 화두가 됨. 특히 Daimler사의 경우, 이번 박람회에서 전기자동차와 수소전

지 자동차 프로토타입을 선보였으며, 포르쉐에서도 911 시리즈에 전기 모터를 장착할

계획이라고 밝힘.

- 이와 같이 Daimler, BMW, Audi 등 독일의 대표적인 자동차 제조사들은 현재 앞 다투어

연료전지개발에주력하고 있으며, 배터리 생산업체, 전력회사 및 동력 전달장치제조업체

등과 협력하여, 전기 자동차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음.

Ⅳ. 독일 119

․ 예컨대, BMW에서는 미국의 기어 생산업체인 AC Propulsion과 협력하여 전기 모터를

개발하였으며 2008년도에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전기 Mini를 테스트 한 바 있음. 또한

전력회사 Vattenfall과 협력하여, 베를린에서 50대의 전기 Mini를 시범 운행하고 있음.

이 프로젝트에서 Vattenfall은 전기 자동차 충전에 필요한 충전소 및 가격 정산시스템을

제공하고, 배터리는 Bosch와 Samsung이 합작 투자한 조인트 벤처 회사에서 제공하고

있음.

․ Daimler에서도 베를린, 런던, 로마에서 각각 100대의 전기 스마트카를 시범 운행하고

있으며, 이 프로젝트에서는 독일의 전력회사 RWE에서 충전소와 가격정산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음. Evonik과 다임러의 공동 투자회사인 Litec과 Deutsche Automotive에서

는 전기저장 기술을 담당함.

․ 이에 비해, VW에서는 기존자동차의 연비개선 여지가 아직 많이 남아있다는 판단 하에

연비 향상을 위한 1리터 자동차 (1리터에 100 km를 주행하는 차량)등의 프로젝트에

주력하고 있으며, 일본의 전자회사 Toshiba와 협력하여 "UP"이라는 새로운 소형차

모델의 전기자동차 모델을 개발하여 2011년까지 상용화를 검토 중임.

․ VW의 자회사인 Audi의 경우에도, 일본 Sanyo와 합작하여 리튬-이온배터리 개발을

위한 회사를 설립하고, 전기자동차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음.

- 특히 여기에는 정부의 장기적인 차원에서의 대폭적인 지원이 큰 역할을 하고 있으며,

2008년 11월 독일 정부는 10개년의 국가적 차원의 전기자동차 개발 10개년 계획

(Nationaler Entwicklungsplan Elektromobilitaet)을 수립하고, 2009년 8월 19일 구체적인

정책을 입안함. 독일 정부는 이러한 정책을 통해, 2020년까지 100만대, 2030년까지는

500만대의 전기자동차를 보급할 계획임.

○ LED

- LED 등친환경신기술과관련하여독일은오스람사와같이다수의특허를보유한세계적인

선도 기업이 다수 있음.

- 세계적인 기업인 독일 오스람사를 비롯하여 자회사인 Osram Opto Semiconductors는

변환기술 및 CLC(Chip Level Coating) 프로세스 등 LED 원천 기술에 대한 특허를

다수 보유하고 있으며, 최근 2007년 백색 및 가시광대의 LED 관련 특허를 서울 반도체와,

LED 및 레이저 기술 관련 특허를 일본 Gosei사와 공유하기로 하는 등 상호 라이선싱

체결을 하고 있는 추세임.

- LED 칩, 패키징 관련 기술은 Osram Opto Semiconductors가 보유하고 있으며, 그 외

LED 컨트롤, 기기 관련 기술은 Osram사가 관할함.

120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 Smart Grid 및 에너지 효율화

- 소규모의 풍력발전이나 태양광 발전이 비교적 보편화되어 있는 독일에서는 전력 공급과

분배의 효율화를 위해서 지능형 전력망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상황임.

- 2008년 세계적인 경영컨설팅 회사인 Booz & Company가 유럽의 선두에너지 공급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독일 에너지 공급업체들은 2020년까지 400억- 500억

유로를 전력망 현대화사업에 투자할 예정이며, 이중 150억-250억 정도가 스마트 그리드

및 이와 관련된 기술에 해당되는 투자임. 이렇듯, 독일에서도 스마트 그리드는 차세대

성장 동력으로서 커다란 잠재력을 가진 분야로 부상하고 있음.

- 특히 세계적인 대기업인 Siemens사의 에너지 부문 계열사인 Siemens Energy는 이미

전력 생산, 전송 및 배분과 관련된 제품 및 서비스, 솔루션을 제공하는 세계 시장 선두

주자에속하는데, 기존의시장지위를통해서이미스마트그리드분야에서유리한위치를

확보하고 있음.

․ Siemens사는 스마트그리드의 3가지핵심요소인 전력사용량 측정의 디지털화및 전력의

효율적 사용, 그리고 이를 가능하게 하는 IT 솔루션을 포함한 스마트 미터링(Smart

Metering), 전력 공급업체들의 IT 시스템 구축을 내용으로 하는 그리드 인텔리전스

(Grid Intelligence), 전력망 자체의 효율적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지능형 전력망

(Intelligent Network) 구축 등 모든 분야에 걸쳐 제품과 서비스를 개발하면서, 스마트

그리드 분야의 세계적인 선두주자가 되기 위해 전력을 다하고 있음.

․ Siemens사의 대표 기술력은 전기 정보 전달, 가공, 지능형 운용, 시뮬레이션 기술을

포함한 전력망 자동화, 변전소 및 전력 변환기 등의 전력망 제어 기술 및 자동형 원격

검침 시스템인 AMIS (Automated Metering and Information System) 등임. 특히 AMIS

는 생산된 에너지 소비량을 실시간으로 점검 가능하며, 전력 수요에 관한 정보와 공급망

관리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연결하여 주목을 끌고 있음.

- 그 외에도 스마트 미터링과 관련하여 E.ON Metering GmbH, EnBW의 자회사인 Yellow

Strom AG사 등도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음.

- 더불어 독일 정부는 2007년 4월부터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전력 사용, 전력 공급의 안정성

및환경친화성을높일목적하에 “E-Energy" 이니셔티브를추진하고있음. 이와관련하여

독일 정부는 스마트그리드 실현을 위한 중요 3개 기술을 지정하고 시범 프로젝트 실시를

위한 기업을 공모하였는데, 그 3개의 기술은 다음과 같음.

① E-Energy 플랫폼 창출: 모든 시장 참여자들의 영업 활동과 법률적 사항이 실시간으로

공개되는 온라인 플랫폼 창출

②기술 시스템, 부품 및작업 프로세스및 정비과정 등을모두디지털화하여 전시스템을

자동으로 통제, 분석, 제어, 조절하는 시스템 구축

③ 에너지 플랫폼과 기술 시스템을 온라인으로 연결하여, 전력 거래 등의 사업적 측면과

인프라 구조 통제와 관련된 기술적 문제를 상호 유기적으로 결합하는 시스템 구축

Ⅳ. 독일 121

․ 기술 공모에 응모한 28개의 프로젝트 중 선정된 6개 프로젝트는 아래와 같음.

<독일 정부가 선정한 6개의 E-Energy 프로젝트>

프로젝트명 내용 지역 추진 주체

eTelligence에너지, 시장, 네트워크를 위한

인텔리전스 개발 Cuxhaven 지역 EWE AG

E-DeMa분산적으로 연결된 에너지 시스템

개발에서부터 미래 E-Energy 시장 까지 루르 지역 RWE Energy AG

MeRegio 최소 배출량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개발 바덴 지역EnBW Energie

Baden-Württemberg AG

Modellstadt

Mannheim만하임 전 도시의 지능형 전력망 구축 만하임 지역 MVV Energie AG

RegModHarz신재생 에너지를 통합시키는 새로운

전력망 구축 하르츠 지역

RegenerativKraftwerk

Harz GmbH & Co KG

Smart Watts전력 인터넷 구축을 통한 에너지 시스템의

자율 규제 능력 향상 Aachen 지역 utilicount GmbH & Co. KG

자료원: 독일 경제 기술부 발간 “E-Energy"

3) 녹색산업 정부정책 및 제도

□ 녹색산업 관련 정부정책 및 제도

- 독일은 일찍이 연방환경청의 주도 하에 신재생에너지 개발 및 보급과 관련한 다양한

지원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있으며, 연방정부는 전력 생산및 1차 에너지소비에서 신재생에

너지 사용 비율을 2010년까지 2000년도 대비 4.2%, 전력 사용에서 12.5%로 확대한다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음.

- 연방정부의 에너지정책의 주요 핵심 전략

․ 발전소 시설 및 네트워크 개선

․ 경제적으로 효율성이 높은 신재생에너지 확충

․ 적절한 에너지 및 전기가격을 위한 시장 경쟁력 강화

․ 에너지 효율성 증대를 위한 이니셔티브 및 대책 수립

․ 신기술을 위한 연구 개발 장려

․ 세계적인 에너지 공급을 개선시키기 위한 국제적인 협력 강화

․ 산업국가 및 신진공업국과의 새로운 세계 기후보호 협약 추진

- 정부 차원에서 고유가 및 원자재 가격 상승에 대한 대비책으로 정경 단체와 연방 정부

및 연방 경제기술부가 협력하여 대비 전략을 제시한 바 있음. 이는 거의 2배 이상의

증가를 의미함. 더 나아가서 독일 정부는 신재생에너지원을 통한 전기 생산을 2020년까지

122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30%로 높일 계획임.

- 연방정부는 보다 효율적이면서 친환경적인 에너지 공급을 위해 2009년까지 에너지 연구

개발 사업 지원을 30% 증액할 계획임. 더불어 에너지 소비 절약을 위한 차원에서 2,490만

유로를 지원하기로 함.

□ 신재생에너지 연구‧개발(R&D) 지원 프로그램

- 독일은 정부의 적극적인 시장조성 및 R&D 투자로 태양광 시장에서 세계 1위에 이어

각 에너지 연구 개발 분야에서도 시장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을 기하고 있음.

- 2009년 1월1일부터 신축 건물에 대해 신재생에너지원을 이용한 난방이 의무화 되었으며,

이를 위해 연방정부는 2012년까지 연간 5억 유로의 예산을 책정함.

- 2008년 각 에너지 별 연구개발 지원 예산 규모는 전년 대비 21.1% 증가한 8597만 유로로

집계됨.

- 또한 2008년 연방정부의 신재생에너지 R&D 지원 중 태양광 제조 기술 분야가 전체의

41%를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풍력에너지 지원에서 큰 성장세가 돋보임.

<연구개발(R&D) 지원 예산 추이>

(단위: 천유로, %)

구분 2005 2006 2007 20082005-2008 평균

평균

비중(%)

태양광에너지 41.961 37,609 32,108 39,939 37,904 44.1

풍력 16,885 9,765 15,741 29,908 18,075 21.0

지열 10,667 13,985 14,443 7,415 11,628 13.5

태양열(저열) 4,920 6,612 5,676 5736 5,736 6.7

태양열 발전시설 5,154 5,906 5,935 7,078 6,018 7.0

시스템 융합 - - - 822 206 0.2

기타 6,229 6,490 6,437 6,460 6,404 7.5

합계 85,816 80,367 80,340 97,358 85,970 100

자료원: 독일 환경부(BMU), 2009년 10월 현재 집계 발표된 최신 수치임.

□ 신재생에너지 사용 확산 장려정책 및 특혜제도

○ 새로운 신재생에너지 시설관련 투자지원 프로그램

- 이미 2007년 8월 1일부로 연방정부는 기존의 신재생에너지 시설 투자관련 지원제도를

개편하여 지원 신청 절차를 간소화한 바 있음.

Ⅳ. 독일 123

에너지원 상세 분류발전 용량에 따른 분류 및

기타 분류

적용 연도 및 인하

비율

보상요금

(단위: 센트/kWh)적용기간

태양에너지

건물지붕이나 외벽

30 kW 미만 연간 5% 49.21

20년30 - 100 kW 연간 5% 46.82

100 kW 이상 연간 5% 46.30

건물 전면 설치 시 보너스 규정 +5.0 20년

야외 및 기타 시설 연간 6.5% 37.96 20년

- 지원대상은 기업이나자영업자로서태양열집열기 및바이오가스등을비롯한 신재생에너

지 시설을 설비하고자 하는 주체임.

- 2008년 1월 1일부터는 연방환경청 주관 하에 이와 관련하여 3억 5,000만 유로가 지원되고,

2009년부터는 5억 유로 상당이 지원될 예정임.

- 독일 정부는 환경보호와 에너지 절약 및 신재생에너지와 관련하여 중소기업에 대해

총 투자금액의 50%를 지원하고 있음. 신 연방주와 베를린의 경우 최대 지원 금액은

100만 유로이며, 구 연방주에 대해서는 50만 유로까지 지원 가능함. 이 프로그램은 다른

지원프로그램과 병행 신청이 가능함.

- 또한 연방 경제 및 수출관리공단(BAFA)은 2008년부터 에너지 효율성이 높은 난방용

열펌프의 신축 및 개조와 관련하여 지원하기로 함. 그 외에 태양열 시설 및 바이오가스

시설은 예전과 다름없이 지속적으로 지원됨.

- 그 외에도 독일은 연방주정부를 중심으로 각각 자체적인 에너지 정책을 펼쳐나가고

있으며 202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비율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연방정부의 정책과 관련하여

자체적인 지원프로그램과 에너지 효율화 산업을 추진하고 있음.

- 또한 70년대 이래로일반가정에에너지관련상담지원및오래된건물의에너지절약관련

설비 리모델링에 관한 거주 지역 내 상담지원, 재건축관련 독일신용대출은행(KfW)를

통한 포괄적인 에너지 절약과 관련해 저렴한 이율로 대출이 가능함. 특히 중소기업의

에너지 절약 대책과 관련한 투자를 위한 대출지원 등이 있음.

○ 신 재생에너지 기준가격 의무 구매제도

- 독일은 2000년 4월 1일부터 시행된 신재생에너지법을통해신재생에너지원에의해 생산된

전력에 대해 각 지역 전력 공급업체에서 만족할 수 있는 기준 가격으로 구매하도록

하는 정책을 펼치고 있음.

- 이에 따라 각 지역의 에너지 공급업체는 해당 지역에서 신재생에너지에 의해 생산된

전력을 구매해야 하는데, 에너지원 및 발전규모에 따라 가격에 조금씩 차이가 있음.

<신재생에너지법에 따른 전기 보상요금(예시)>

124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풍력에너지

내륙시설초기 보상 연간 2% 8.19

20년말기 보상 연간 2% 5.17

해양시설초기 보상 2008년부터 9.1

20년말기 보상 2008년부터 6.19

폐열,

바이오가스

및 기타 가스

폐열, 바이오가스 및

광산(갱내) 가스

500 kW까지 연간 1.5% 7.33

20년500 kW - 5 MW 연간 1.5% 6.35

광산(갱내) 가스시설 5 MW 이상 연간 1.5% 6.35

지열 지열

5 MW까지 2010년부터 15.00

20년5 - 10 MW 2010년부터 14.00

10 - 20 MW 2010년부터 8.95

20 MW 이상 2010년부터 7.16

수력에너지

발전시설 용량 5

MW까지

500 kW까지 없음 9.6730년

500 kW - 5 MW까지 인하 6.65

(발전용량 확대 시)

발전시설 용량 5 MW -

150 MW

500 kW까지 연간 1% 7.43

15년

500 kW - 10 MW까지 연간 1% 6.45

10 MW - 20 MW까지 연간 1% 5.91

20 MW - 50 MW까지 연간 1% 4.42

50 MW - 150 MW까지 연간 1% 3.58

자료원: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농업회의소

- 2008년 6월 6일독일연방의회는기후와에너지프로그램과관련하여부분적으로결의하여

기존의 신재생에너지법을 보완함.

- 이에 따라 태양전기관련 100kW의 대규모 시설의 경우 2009년에서 2010년 사이에 연간

8%, 2010년 이후 9% 가격을 낮추기로 결정함. 100kW 이상의 시설에서 발전되는 전력에

대해서는 2009년부터 10% 이상 가격을 내릴 방침임.

- 법 개정의 목표는 신재생에너지에 의한전력 공급량을 2010년까지 적어도 12.5%로 확대하

는 데에 있으며 2020년까지 최소 20%로 확대할 계획으로 있음.

○ 에너지 생산성 강화 정책

- 2020년까지 연방정부는 전 경제 분야에 있어서 에너지 생산성을 1990년에 대비 두 배로

증가시키려는 목표를 설정함. 이는 1990년도 대비 국민 총생산 단위당 에너지 소비량을

반감하고자 하는 시도임.

- 그 외에도 연방정부는 에너지 절약을 위한 다양한 지원프로그램을 마련해 놓고 있음.

그 예로는 70년대 이래로 일반 가정에 에너지 관련 상담지원 및 오래된 건물의 에너지

절약관련 설비 리모델링에 관한 거주 지역 내 상담지원, 재건축관련 독일신용대출은행

(KfW)를 통한 포괄적인 에너지 절약 관련에 대해 저렴한 이율로 대출, 특히 중소기업의

에너지 절약 대책을 위한 투자를 위한 대출지원 등을 들 수 있음.

Ⅳ. 독일 125

□ 신재생에너지 관련 제품에 대한 세금감면 등 특혜제도

- 이미앞에서밝힌바있듯이신재생에너지에의해생산된전력에대해서는신재생에너지법

에 의해 정해진 기준 가격으로 의무 구매가 되는 특혜가 주어짐. 따라서 개인이나 기업이

신재생에너지원을이용해생산한전기를각지역전기공급업체에상당히유리한조건으로

판매할 수 있음.

□ 성능평가, 인증, 표준 제도

○ Der blaue Engel: 유럽 환경인증마크

- 1978년에 처음으로 도입된 가장 오래된 환경인증 마크로 현재

세계적으로 환경시스템 개발 분야의 선구적 역할을 하는 제품 및

서비스를 대상으로 함.

- 독일 품질 보증과 표시를 위한 연구소(Deutsches Institut für

Gütesicherung und Kennzeichnung e.V. (짧게: “RAL”이라고 함)에서 수여함.

- 현재 대내외적으로 약 3,600개의 제품 및 서비스에 부여되었으며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긍정적인 특성을 부각하기 위해 자발적인 차원에서 획득 가능함.

○ TÜV-Mark EE01(Ökostrom): 신재생에너지원을 통해 생산된 전기 인증마크

- 독일의 주요 검증기관인 TÜV에서 부여하는 100% 친환경적인신재생

에너지원이며 최소 25%가 신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에 부여됨.

- 기타 전력원에 비한 부가금은 다시 신재생에너지개발을 위해 재투자

됨.

- 그 외에도 이어 향후 100% 수력발전에 대한 “TÜV-Mark EE02”와 50% 신재생에너지와

50%에 의해 생산된 에너지에 부여되는 “TÜV Mark-UE01”라는 인증마크가 새로 도입될

예정임.

- 인증을 위한 심의는 전기의 생산부터 소비자에게 전달되는 유통과정에서 정해진 기준에

대해 준수하는 전 과정을 통해 이루어짐.

126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2. 녹색기술 보유업체 명단 및 기술내용

□ SolarWorld AG

대상분야 태양광 지역 North Rhine-Westphalia

세부분야 태양모듈, 태양발전 시설 등 원재료에서 시스템까지 모든 제품

기술명

- Sunkits : 다양한 이용이 가능한 도구로써, Solarworld의 모든 구성요소와 조립이

되어 Solarworld 제품을 한 곳에 집약

- Sunmodule Plus : 광전지 모듈으로, 고효율적이며 정확도가 높으며 안정된 작업을

보인다. 단일/다분자결정구조체 실리콘으로 만들어짐

- Energyroof : 실내에 설치되는 제품브랜드로, 창의적이고 미학적인 건축을 추구하는

건축가, 건축업자, 계획업자에게 유용

- Suntrac : 태양의 방향을 따라 움직이는 태양열발전시스템(ground mounting

tracking system)

- Suntub : 평지붕시스템(flat roof system). 특히 모듈을 들어올리는 것을 위해

개발되었으며, 다양한 기능을 가지며 후면환기에 탁월

- Suntrol : 광전지 시스템에 의한 발생전력, 총 에너지량과 이산화탄소 저장량에

대한 최신정보를 표시

기술내용

- Sunmodule

모듈의 프레임과 판유리가 실리콘으로 잘 발라져 있어 일치된 상태를 유지함.

이는 균열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고, 모듈의 안정적인 상태가 지속되게 한다.

표준 IEC 61215에 따른 모듈의 앞부분에 압력(5.4 kN/㎡ 이상)을 가하는 테스트

결과는 모듈이 대량의 눈과 얼음체를 지탱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특허를 받은

납작하고 밀집된 연결 소켓은 모듈을 부식으로부터 보호하며, 열을 제거해 최적의

온도유지를 제공한다. 또한 고품질, 내구력이 강한 연결케이블은 선 제작된 플러그

와 소켓으로 이루어져 있다.

CEO Mr. Frank H. Asbeck 설립연도 1998

주소Martin-Luther-King-Str. 24

53175 Bonn, Germany

매출액(2008년)(천유로)

900,000

담당자 Mrs. Kühnemann (구매 안내) 고용 (명) 2500

연락처

전화+49-228559 200

팩스+49-228559 2099

[email protected],

www.solarworld.de

해외조직

생산설비: Germany

(Freiberg) + USA

(California, Oregon)

판매지점: Germany,

Spain, California, South

Africa+ Singapore

Ⅳ. 독일 127

대상분야 바이오가스 지역 North Rhine-Westphalia

세부분야 바이오가스 플랜트 관련 개발 설치 및 서비스 등

기술명

- 턴키(turn key)건설, 계획과 위임을 모두 포함한 바이오가스 생산을 위한 모든

연관 서비스를 제공

- 생물학적, 기술적 측면의 서비스와 플랜트 설비 및 구동 운용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

- Güstrow에 있는 자사의 바이오가스 플랜트를 구동하고 있으며, 세계에서 가장

큰 바이오가스 생산기지(22메가와트 전력생산)를 지을 수 있음

기술내용

- 바이오가스 생산

바이오가스는 자연적 분해로 인한 부산물로 농업과 관련한 거름과 다른 유기물질로

부터 생산된다. 단열 플랜트에서 발효된 부산물은 전기와 열에너지를 사용하는데

이용된다. 나머지 잔여물은 고품질 액상거름이나 화학비료로 변화시킬 수 있다.

발효되는 물질은 열을 가하고 보온이 되는 단열 콘크리트 탱크(fermenter)안으로

□ Sunways AG Photovoltaic Technology

대상분야 태양광 지역 Baden-Württemberg

세부분야 태양광 시스템 (태양전지, 모듈, 인버터)

기술명

- Sunways Solar Cellsworld : 고효율, 강력한 3-bus bar 기술과 최대의 산출농도를

지님

- Sunways Solar Inverters with Advanced Technology, New Technology or

Performance Technology : 기술특허 HERIC®topology로, 뛰어난 효율성을 위한

광전자배열 출력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 Sunways Solar Modules : 고품질, 내구성을 갖는 제품으로, 모듈의 산출에 있어

뛰어남. 이음매없는(seamless) 제조로 최소한의 오차허용도를 통해 신뢰도 확보.

엄밀한 기준체계인 «Performance Plus+»는 본 제품의 산출량이 요구되는 액면산

출량보다도 많음을 보장한다.

기술내용 HERIC®topology (부분적 부하로도 최대의 효율수준을 냄)

CEO Mr. Michael Wilhelm 설립연도 1993

주소

Sunways AG

Photovoltaic Technology

Macairestr. 3 - 5

78467 Konstanz, Germany

매출액(2008년)(천유로)

2억 623만 유로

담당자Mr. Dipl.-Ing. (FH) Günter Haug (MHH Solartechnik 구매안내)

고용 (명) 371

연락처

전화 +49-228 559 20-0

팩스 +49-228 559 20-99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sunways.de

해외조직2개(Konstanz, Arnstadt,

Barcelona, Bologna)

□ EnviTec Biogas AG

128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펌프되고, 그 안의 섭씨 35-38도의 밀폐된 공기 안에서 발효된다. 중요한 프로세스

는 내부에서 자체적으로 이뤄진다. 박테리아가 바이오매스를 분해하고 메탄을

포함하고 있는 가스를 생산해낸다. 이 바이오가스로 전기와 열에너지를 생산하는

플랜트를 구동할 수 있으며 나머지 잔여물은 자동적으로 저장설비로 넘어가게

된다.

CEO Olaf von Lehmden 설립연도 2002

주소Boschstraße 2

48369 Saerbeck

매출액(2007년)(천유로)

1억 100만 유로

담당자 Mr. Martin Kerschbaumer 고용 (명) 350

연락처

전화 +49-2574-88880

팩스 +49-2574-8888-800

이메일[email protected]

홈페이지 :

www.envitec-biogas.de

해외조직

7개(Czech Rep., France,

Italy, Belgium, India,

Spain, Korea)

□ PlanET Biogastechnik GmbH

대상분야 바이오가스 지역 North Rhine-Westphalia

세부분야 바이오가스 플랜트 관련 개발, 설비 및 향후 서비스

기술명

- NawaRotor

- MultiRotor

- Solid mincer

위의 다른 세 기술을 이용한 맞춤식 제공을 통해 각각의 요구사항을 맞출 수 있음.

가능한 시스템은 4-80㎥ 범위까지. 시스템은 마멸방지처리가 되어 있으며 전체

컨트롤 기술을 포함해 전달됨.

기술내용

- NawaRotor : Fill level 아래의 2미터까지 맞을 수 있도록 최적화된 기술. 기술적으로

적은 전력소모로도 필요한 양만큼 충실할 수 있도록 줄여짐.

- MultiRotor : Fill level 아래의 6미터까지 설치될 수 있으며, 충실한 삽입 및 다른

발효기와의 연결을 조정한다.

- Solid mincer : 빈틈없게 포장하는 검증된 기술로, Fill level 아래의 18미터까지

채울 수 있다.

CEO Mr. Hendrik Becker 설립연도 1998

주소Up de Hacke 26

48691 Vreden

매출액(2007년)(천유로)

3000만 유로

담당자 Mr. Borchert 고용 (명) 160

연락처

전화 +49-2564-3950-0

팩스 +49-2564-3950-50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planet-biogas.com

해외조직4개 (NL, France, Canada,

Czech Rep.)

Ⅳ. 독일 129

대상분야 풍력에너지 지역 Lower Saxony

세부분야 풍력에너지 플랜트 설계 및 설치

기술명 ENERCON rotor blades

기술내용

블레이드가 안쪽의 회전자 부분에서도 사용되는 수정된 디자인으로 에너지 산출을

상승시킬 수 있다. 회전자의 블레이드는 방해요소에도 덜 민감해지며 블레이드 측면의

일정한 공기의 흐름을 제공한다. 블레이드의 끝은 소음발생과 에너지 산출과 관련해서

도 최적화되어 있다. 과하거나 적은 압력으로 인해 발생하는 블레이드 끝의 동란은

회전자 판에서 효과적으로 제거된다. 때문에 전체 블레이드는 동란에 의해 발생하는

에너지 손실없이 사용될 수 있다.

ENERCON rotor blades는 소위 “샌드위치 방법”이라고 불리는 진공주입프로세스

로 제조된다. 주형 안의 유리섬유매트는 진공으로 스며들게 하는 작업으로

(vacuum-impregnated) 펌프와 호스 시스템을 통해 수지처리 된 것이다. 이 방법은

얇은 판자(laminate)에 발생할 수 있는 에어포켓을 줄여준다.

<Structure of an E-70 rotor blade (sandwich construction)>

효과적으로 로터 블레이드의 표면을 바람이나 물, 자외선, 부식과 변형으로 보호하기

위해, 블레이드의 마무리 작업은 젤코팅, 주입, 가장자리보호와 탑 코팅을 포함해

이뤄진다. ENERCON은 용해방지 폴리우레탄 합성수지만을 이용한다. 사용하는 동안

의 풍력을 효과적으로 견디게 하기 위해, 본 제품은 아주 큰 블레이드 테두리 직경을

갖고 있다. 또한, ENERCON에 의해 풍력발전터빈으로 제작된 이중 열(double-row)

볼트연결은 일정한 부하분배를 형성한다는 데 또 다른 강점을 갖고 있다. 강한 바람과

외부적 압력이 영향을 미치는 장소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CEO Mr. Aloys Wobben 설립연도 1984

□ ENERCON GmbH

130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주소Dreekamp 5

D-26605 Aurich

매출액(2007년)(천유로)

31억 5000만 유로

담당자 - 고용 (명) 130

연락처

전화 +49-4941-927-0

팩스 +49-4941-927-109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enercon.de

해외조직7개 (Sweden, Brazil,

India, Turkey, Portugal)

대상분야 풍력에너지 지역 Baden-Wuerttemberg

세부분야 Generators

기술명 WinDrive System

기술내용

- WinDrive Technology

풍력발전 터빈 제조업체들을 위한 혁신적인 구동렬(drive train) 구성요소로, 다양한

입력속도를 지속적인 출력속도로 바꿔주는 기술이다. 동위상의 발전기로 중간전압

으로 전기생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WinDrive의 핵심 기능은 풍력발전 터빈 로터의 가변 입력속도를 지속적이고 안정된

출력속도로 바꿔주는 것이다. WinDrive를 사용함으로써, 풍력발전 터빈 로터는

어떤 풍력속도에서도 효율극대점에서 작동할 수 있다.

정격 풍력터빈출력으로 WinDrive는 시스템 토크의 한계에 대해 터빈 로터와 WinDrive

유닛 사이의 기어에 속도를 빠르게 함으로써 향상된 컨트롤을 제공해 준다.

컨트롤은 기어의 고리에 연결된 유체역학적 변환기(hydrodynamic converter)를

통해 이뤄진다. 이 기어 고리의 연결은 입력속도와 출력속도 사이의 다양한 변환비율

을 가능케 한다.

- WinDrive

∙가변속도, 유체역학 기어상자(Hydrodynamic gearbox)

∙풍력 로터에서 발생하는 가변 입력속도

∙발전기에 지속적인 출력 속도

- WinDrive의 주요 구성성분

∙Planetary gearing

∙유체역학 토크 변환기(Hydrodynamic torque converter)

- Wind turbine drive train의 주요 구성성분

∙풍력 로터

∙주축

∙중심 기어상자

∙WinDrive

∙발전기

CEO Mr. Peter Edelmann 설립연도 1997.7.7

주소Voithstraße 1

74564 Crailsheim

매출액(2007년)(천유로)

1 011 Mio. EUR

담당자 - 고용 (명) 4941

□ Voith Turbo GmbH & Co. KG

Ⅳ. 독일 131

연락처

전화 +49-7951 32-0

팩스 +49-7951 32-500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voithturbo.de

해외조직

8개(Serbia, Colombia,

NL, Australia 2x, Belgium,

Austria, Canada)

대상분야 풍력에너지 지역 Baden-Württemberg

세부분야 풍력터빈 및 발전기 설계, 부하 계산, 유한요소 분석, 테스팅, 검증

기술명- 풍력(발전)터빈 설계, 검증 및 테스팅

- Direct-drive 풍력발전기 design

기술내용

풍력발전에 의한 작동의 부하 계산, 유한요소 분석, 검증과 주요 구성요소와 전기

시스템까지 확장 계획

- 부하 계산

모든 풍력발전 터빈의 설계 과정은 기계적 부하를 위한 설계를 계산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풍력/환경적 조건과 하중 사례들 때문에 Germanischer Lloyd’s

"Guideline for the Certification of Wind Turbines"나 IEC 61400-1 Ed. 3와 같은

설계 표준이 기준점이 된다. 터빈의 설계와 작동 컨셉은 제조업체에 의해 정해진다.

또한 시뮬레이션 모델은 다음과 같은 4가지 구성요소로 구성된다.

ㆍ풍력 모델 (돌풍, 방향 변화 등의 방해요소)

□ SIAG Schaaf Industrie AG

대상분야 풍력에너지 지역 Rhineland-Palatinate

세부분야 튜브, 타워, 풍력에너지기술을 포함하는 플랜트 엔지니어링, 철골 구조

기술명

- 125미터 높이, 직경 6미터, 100톤 이상 되는 관 모양의 철골

- 다중 전선 기술(multiple wire technology), 첨단 철골 구조, 아크 용접 기계(arc

welding machines), 프로토타이핑 프로세스 등의 전체 제조과정의 첨단 기술

- 메인 프레임, 발전기 프레임, 내장된 부분 등으로 구성됨

CEOMr. Dipl-Ing., Dipl.-Wi.-Ing.

Rüdiger Schaaf 설립연도 1999 (1925)

주소Burgweg 21-23

56428 Dernbach

매출액(2008년)(천유로)

280 mio. EUR

담당자Dr.-Ing. Alexander Hufnagl

(COO)고용 (명) 1087

연락처

전화 +49-2602-9340-0

팩스 +49- 2602-9340-410화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siag-group.com

해외조직

3개 (Czech Rep., France,

Egypt)

[근래에 USA, Canada,

Vietnam, India으로 진출 예정]

□ Wind-direct GmbH

132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ㆍ항공 로터 모델(종종 2D Blade-Element-Momentum이론에 기반해 cL, cD and

cM aerofoil, 3D correction을 사용)

ㆍ동력 구조 모델(종종 형태적 접근에 기반하며, 일반적으로 28과 같이 적은 숫자로

지어짐)

ㆍ기능적 터빈 모델(Pitch와 torque 컨트롤러와 관리 컨트롤)

이러한 기능을 위한 잘 알려진 소프트웨어 코드는 Bladed, Flex5 와 그 외의 것들이

있다. Wind-direct는 정확한 계산을 제공하는 Bladed에 의해 사용된다.

- 기계적, 구조적 설계

Wind-direct는 실물크기의 3D 모델링과 풍력발전 터빈의 요소들에 대한

Finite-Element (FE) 분석을 제공한다. 실용적인 실제 상황에서의 시뮬레이션,

테스트와 분석데이타 간의 상호관계, 수명예측에 대한 서비스, 최적화된 설계,

운동량 분석 및 실패 경우예측이 모두 동사의 고급 엔지니어들에 의해 실행된다.

ㆍ설계와 검증을 위한 3D 모델링 및 주형구조(허브나 기반 프레임)의 FE 강도 및

노화 분석

ㆍ베어링 자리의 뻣뻣함에 대한 분석(베어링 공급자들이 베어링의 수명을 계산하는데

있어 필요한 정보)

ㆍ설계와 검증을 위한 로터 락에 대한 강도 분석 (용접 구조와 볼트)

ㆍ설계와 검증을 위한 Nacelle과 spinner FRP 구조에 대한 3D 모델링과 FE 강도

분석

- 전기 시스템 설계

풍력발전 터빈의 전기 시스템은 주로 다음과 같은 4개의 주요 부분 및 관련 요소들로

이뤄져있다.

ㆍ블레이드 피치 시스템: UPS의 도움으로 이뤄지는 각각 3개의 블레이드로 작동되는

전기 드라이브에 기반

ㆍ터빈 안전 및 조정 시스템: 풍력에너지에 유연하게 변경되는 산업자동화 기술에 기반

ㆍ파워 시스템: 발전기, 진동수 변환기 및 변압기

ㆍ부수적 시스템: yaw drives, 팬, 수력학, 빛 등등

- 활성 부분의 전자기 계산

Finite-Element-Method (FEM)를 사용하는 풍력 발전기의 자기장에 대한 세부적인

측정은 유도계수, 피크 토르크, demagnetization 위험도 측정 등에 있어서 필요하다.

Wind-direct의 기술자들은 이와 관련한 문제에 대해 FEMAG라는 소프트웨어의

도움을 받는데, 이 프로그램은 기하학적, 로드 입력에서 오는 상기 매개변수를

유도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이다.

검증된 분석절차를 사용하는 손실 계산: 세 단계를 차용하는 기계에서는 다음과

같은 손실이 발생한다.

ㆍ고정자 감음(stator winding)에서 발생하는 전기저항의 손실

ㆍ고정자 티스(teeth) 및 요크(yoke)에서 발생하는 와상전류 및 히스테리시스 손실

ㆍ고정자, 로터와 영구자석의 전도부분에서 발생하는 와상전류 및 히스테리시스

손실

전기 장치의 정상상태작동에 대한 분석적 계산의 기본 목적은 복잡한 현상을 간단한

하나의 과정의 회로로 줄이자는 것이다. 이것의 매개변수, 유도계수, 저항은 기계설

계의 기하학적 배열에서 나온 간단한 분석식으로 추정될 수 있다. 매개변수가

가능하기만 하다면, 손실과 각 작동포인트에 대한 결과시스템의 효율성은 쉽게

계산될 수 있다.

Ⅳ. 독일 133

- 기계적, 구조적 설계

여태까지 direct-drive식 풍력 발전기 분야에 대한 리서치 활동은 발전기 작동부분에

만 초점을 맞춰왔다. 하지만 비용견적을 통해 총 발전기 비용의 상당한 부분이

사용되지 않는 부분 역시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부분은 엔지니어들에게조차

쉽게 간과되곤 한다. 구성요소에 대한 스트레스와 압력의 분산을 결정하는 구조적

계산은 Finite-Element-Methods (FEM)에 있어 첫 번째로 고려되어야 할 적용사항

이 되고 있다. 발전기 설계자의 입장에서 발전기의 구조를 탐구하는 가장 큰 이유는

설계에 있어서 최소한으로 가장 작은 에어 갭의 수치를 얻기 위해서다. 보통 에어

갭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세 가지 경우가 있는데 자기장력, 자기 토르크 그리고

애로다이나믹 로드(aerodynamic load)에 의한 변형이 있다. 실제 에어 갭의 기능을

하는 자기 로드는 비선형 전자기력 FEM 소프트웨어 패키지인 FEMAG와 함께

계산된다.

Wind-direct는 기계관련 분야의 플로잉 서비스를 제공한다.

ㆍ최적화된 지지구조 설계

ㆍ자기 로드 하에서의 변형에 대한 FE 분석

- 손실 계산 및 열 계산

저속력 발전기는 일반적으로 80% 이상의 손실이 고정자 감음에서 발생하며, 히스테

리시스와 와상전류에서 발생하는 손실은 종종 간과되곤 한다. 고정자 기류가 생산해

내는 손실은 발전기 내부의 온도 상승을 야기하는데, 노화와 파괴의 위험도 상승

때문에 내부허용 최대 온도는 일반적으로 Class B, 130°C의 보온 정도를 넘어서는

안된다. 더욱이 영구자석기계에서는 강한 자석 온도가 되돌릴 수 없는

demagnetization의 위험도를 상승시킬 수도 있다. 때문에 발전기를 열 제한 평가를

적용함으로써 최대한 작게 설계하기 위한 세부적인 온도 측정이 필요하다.

- Wind-direct는 열 측정을 위해 다음과 같은 접근방안을 사용하고 있다.

ㆍ다량 네트워크를 이용한 분석적 접근

ㆍ슬롯과 얇은 판 더미(laminated stack)에 대한 2D FE 분석

ㆍ끝 winding의“핫 스팟(hot spot)”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완성 모델의 3D FE 분석

주요 결과: 최대 고정자 기류 로드와 자석의 온도가 주어진 슬롯 구조를 위한

냉각 시스템으로 기능함.

만약 컴팩트형 발전기 설계가 고려되어야 한다면, 발전기를 냉각시키기 위해 자연

풍력에 의지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불가능하다. 대신, Wind-direct는 물이나 공기로

활성화된 냉각을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anaging Director Dr.-Ing. Stephan Jöckel 설립연도 11. September 2008

주소

P 6, 26

68161Mannheim

Germany

매출액(2008년)(천유로)

-

담당자 Dr.-Ing. Stephan Jöckel (MD) 자본금 25,000유로

연락처

전화 +49-621 / 401 645-0

팩스 +49-621 / 401 645-29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wind-direct.eu

고용 (명) -

134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대상분야 풍력 에너지 지역 베를린

세부분야 로터 블레이드(rotor blades), 라이센스 및 기술이전

기술명- 특화 블레이드(날개)

- Blade family concept

기술내용

- 특화 (항공기, 프로펠러) 날개

피치 터빈(Pitch turbines)를 폐쇄적인 공간에서 사용하는 것은 고효율적인 작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광범위하게 진행된 동사의 측정은 전력 곡선의 예상값이 작동

중에도 얻어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블레이드는 유리-에폭시와 탄소-에폭시

기술을 통해 생산된다. 오직 불용성 합성수지만이 사용된다. 짜여진 유리 직물의

구조는 동사의 엔지니어들에 의해 만들어진다.

동사의 Glass Fibre Reinforced Polymer (GFRP) 원료는 원료에 대한 강도와

저항적 특성과 관련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검정된 랩과의 긴밀한 협조를 통한

새로운 분석-합성 방법(analytical–synthetic method)을 통해 만들어진다. 결과로

나온 원료모델을 통해 동사 제품인 블레이드의 강도와 내구성을 측정할 수 있다.

알루미늄 라이트닝 보호 시스템은 본사의 모든 블레이드와 통합되며 모서리의

마멸방지를 위한 특수처리가 사용된다. 변형센서(strain censor)가 달린 블레이드

의 사용 역시 가능하다.

- Blade family concept

통일성을 통한 비용절약을 위해 Euros blades는 제품군으로 만들어지고 있다.

가운데 부분은 군 내에서 모두 동일하며, 루트(root)와 팁(tip) 부분은 고객의 요구에

맞게 설계될 수 있다.

<호환가능한 블레이드 부분>

□ EUROS Entwicklungsgesellschaft fur Windkraftanlagen mbH

Ⅳ. 독일 135

- 블레이드 개발

블레이드는 항공학, 재료학, 경량구조 및 생산기술 전문가들로 구성된 엔지니어링

부서에서 개발된다.

고객과의 협력으로, 블레이드는 정확히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수정될 수 있다.

엔지니어링 부서는 로터 블레이드 설계와 관련 증명서를 위해 필수적인 모든

계산을 집행한다. 최적화된 컨트롤 시스템이나 개조된 블레이드 구조가 로드를

줄이는데 사용된다.

<Buckling 분석>

<FEM 분석>

<마스터 플러그(Master plug)와 주형>

CEO Dr. Michael Wolf 설립연도 1996

주소

Falkenberger Straße 146 A/B

13088 Berlin

Germany

매출액(2008년) 150만 유로

담당자Dr. Michael Wolf

[email protected]고용 (명)

23 (폴란드 공장 종사원수

포함 274명)

연락처

전화 +49-30 854 01 09-00

팩스 +49-30 854 01 09-29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euros.de

해외조직 1 개 (공장 Poland)

136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대상분야 풍력에너지 지역 Baden-Württemberg

세부분야 풍력에너지 리서치 및 설계

기술명

- 동사는 다양한 종류의 풍력에너지 시스템에 대한 리서치와 설계를 진행하고 있다.

동사의 기업 내 도구인 ADCoS를 통한 공기력탄성의(aeroelastic) 로드 시뮬레이션

뿐만 아니라, 우리는 로터 블레이드의 공기력 탄성적․구조적 설계, 풍력에너지

발전기의 다양한 기계적 요소의 유한요소계산(finite elemente calculations),

numerical flow 시뮬레이션을 제공한다.

- Load Calculation

- ADCoS

- Rotor Blade Design

- CFD

- FE-Computation

기술내용

- Load Calculation

규모가 더욱 큰 풍력에너지 발전기에 대한 요즘의 추세는 동력 로드와 풍력에너지

시스템의 가동의 정확성을 요구하고 있다. 때문에 풍력에너지 발전기의 복잡한

동력 시스템을 가장 정확한 로드를 받기 위한 시뮬레이션 프로세스로 모의실험하는

것이 필요하다.

로드를 계산하는 데 Aeroelastic 소프트웨어 패키지인 ADCoS는 IEC-, GL- and

DIBt 가이드라인을 따라 GL, DEWI, DEWI-OCC 와 TUEV에 의해 성공적으로

인증되었다.

- ADCoS

ADCoS는 매우 효율적이고 강력한 aeroelastic 소프트웨어 패키지로, 구조적 동작

과 유한요소에 대한 공기역학로드 간의 상호작용을 다룬다. 멀티메가와트 풍력에너

지 플랜트의 디자인에 대한 증가하는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1995년부터 개발되고

개선되어 왔다.

ADCoS는 arbitrary tower와 lattice tower 혹은 근해 풍력에너지 설치물과 같은

□ Aero Dynamik Consult Ingenieurgesellschaft mbH

Ⅳ. 독일 137

파운데이션과 관련한 풍력에너지 발전기를 모델링할 수 있게 해 준다.

로터 블레이드의 비틀림이나 바다 지면의 균질하지 못한 성격과 같은 비선형성

(non-linearities)이 고려되어야 한다. Bremerhaven에 위치한 Fraunhofer-

Institute CWMT와의 협력관계를 통해, 근해 설치물의 구조를 위한 파랑하중(wave

loads)을 달성하기 위한 ADCoS와 ANSYS/ASAS 간의 인터페이스를 개발 중이다.

- 로터 블레이드 설계

동사는 6메가와트 이상의 풍력에너지 변환기를 위한 로터 블레이드 개발 관련해

오랜 경험이 있다. 공기역학적 최적화, 구조적 설계, 스트레스 분석 및 서류 검정과

관련해 동사는 블레이드 개발 과정 전반을 다루고 있다.

동사는 이 분야와 관련해 다양한 WTG 제조사(ENERCON E40, E66/70, E112,

REpower RE40.0와 같은)를 위해 일한 경험이 있다.

로터 블레이드 제조를 위해, 동사는 마스터 플러그와 주형에 대한 3D-CAE-data뿐

아니라 설계도까지 공급하고 있다. 현재 CAE-Systems이 가능하다(PRO/E).

- CFD

풍력 터빈 개발 시, 동사는 최근의 정보와 가장 현대적인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 결과 CFD(computational fluid dynamics)의 적용은 최적화와 공기역학 구성요소

의 분석에 포함된다. 복잡한 공기역학 플로우 현상을 탐구하기 위해서 OpenFOAM® (Open Field Operation and Manipulation) CFD Toolbox가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실행상황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며 모델 창조에서부터 결과에 대한 최종설명

에 이르는 전반적인 프로세스를 포함한다.

- FE-Computation

동사는 한정요소계산(finite-elemente-computations) 분야에서 전문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우리는 본사의 ADCoS 로드 시뮬레

이션을 위한 NX/Nastran for Window sand라는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사용해 일하고

있다. 직원들은 로터 허브나 multi-axial external loads 아래에 있는 nacelle frames와

138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같이 규모가 크고 복잡한 기계 부분 계산에 전문적인 지식을 보유하고 있다.

Managing Director Dipl.-Ing.Stefan Kleinhansl 설립연도 1987

주소

Strohgaeustrasse 9

73765 Neuhausen/ Stuttgart

Germany

매출액(2008년) -,

320,234 유로 (총자산)

담당자Dipl.-Ing. Wolfgang

Heydlauff (Project Engineer)자본금

148,053유로

(2007년 기준)

연락처

전화 +49 7158 956 5510

팩스 +49-7158956 55199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aero-dynamik.de

고용 (명) 5

대상분야 태양광 지역 Hesse

세부분야Parabolic technology를 사용한 태양에너지 플랜트 리시버의 선두 공급자로 PV제품

도 공급

기술명- Concentrated Solar Power (CSP) technology

- SCHOTT POLY™ module

기술내용

- Concentrated Solar Power (CSP) technology : 전력 생산을 포함한 넓은 분야에서

이용가능

- 주요 기술 : 고효율 리시버

PTR 리시버 : 태양열 플랜트 집약체로, 파라볼릭 기술로 태양복사에너지를 열에너지

로 전환하는 것. 태양복사의 96%를 전달.

- SCHOTT POLY™ module의 특징 : 210, 217, 220, 225와트의 4가지 출력정도가

가능. 고효율, 변형이 없는 변환장치를 위한 새로운 PV 와이어 케이블

CEO Dr. Martin Heming 설립연도 1979

주소Carl-Zeiss-Straße 4

63755 Alzenau

매출액(2008년)(천유로)

482 milion EUR

□ Schott Solar AG

Ⅳ. 독일 139

담당자Mr Ivan Poerwowidjojo

Area Sales Manager고용 (명) 1650

연락처

전+49 6023/91-1712

화+49 6023/91-1700

[email protected]

www.schottsolar.com

해외조직3개

(Spain, Czech Rep., USA)

□ Voith Hydro Holding GmbH & Co. KG

대상분야신재생에너지 (풍력, 수력, 바이

오매스)지역 Baden-Wuerttemberg

세부분야 태양광 패널, 셀

기술명

- 수력발전 플랜트를 위한 기구, 설치 및 서비스 완비

- 발전기 및 전동발전기. 익사이테이션 시스템(Excitation systems), 진동수 변환기

(Frequency converters), 보호 시스템(protection systems), 모든 종류의 볼트를

위한 조차장(switchyards), 변압기

- 발전장치 자동화, 수력발전 플랜트와 캐스케이드(cascades)를 위한 컨트롤 센터(플

랜트 관리와 진단시스템 포함)

- 기존의 수력발전 플랜트에 대한 서비스, 현대화 및 재건

- 저장펌프와 방사, 반축 및 반축플로우 펌프(radial, semi-axial and axial-flow

pumps)

- Voith Hydro Ocean Current Technologies : RWE Innogy GmbH (20% 분담

소유) 2009년 2월

기술내용

- 2009년 말까지 첫 번째 110KW 프로토타입이 한국 해안에서 배치 및 시행

- 초기의 테스트는 발전장치 프로젝트의 일부로, 중기에 조류로부터 몇 백MW의

전기를 생산해내는 것이다.

- 프로젝트에 대한 총 투자비용은 3천만 유로(300 million EURO)

- 성공적인 완비를 위해 유럽에서 다른 시범 플랜트가 따를 것임

- RWE는 현재 아시아 지역의 풍력에너지 시장에 참여해야 할지, 어떻게 참여할

것인지에 대해 논의 중에 있음

CEO Dr. Roland Muench 설립연도 2008

주소P.O. Box 20 1089510

Heidenheim매출액(2008년) EUR 800 mio

담당자Mr Juergen Sehnbruch

(Member of Board)고용 (명) 3,643

연락처

전화 +49 73 21 37-0

팩스 +49 73 21 37-78 28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voithhydro.com

해외조직

유럽 26곳 (Norway,

Sweden, Spain, Italy,

Czeck, Slowakia, Russia),

미주지역 (US, Canada,

Mexico, Brazil), 아시아-태

평양 (China, Korea, Japan,

India, Turkey)

140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3. M&A 또는 전략적 기술제휴 가능성

□ 독일 신재생에너지 M&A 및 전략적 기술제휴 현황

- 2008년 PWC에서 발표한 신재생에너지 관련 M&A 집계에 따르면, 2007년 독일에서

성사된 M&A 규모는 25억 7800만 달러로 이는 전체 170억 2300만 유로 중 15.1%를

차지하고 있음.

- 또한 2008년 기준 독일 전략적 기술 제휴 현황을 살펴보면, 태양광 및 풍력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태양광의 경우 6건, 풍력 5건, 바이오 관련 1건 등 총 12건으로 집계됨.

- 그 중 Bosch Group과 Ersol Solar Energy사의 기술 협약 건은 약 8억 8900만 달러

규모로 2008년 기술제휴 규모 면에서 6위를 기록하였으며, REpower Systems AG사와

Suzlon Energy Ltd의 경우 7억 6900만 달러, Nordex AG와 Ventus Venture Fund GmbH

& Co Beteiligungs KG 4억 1100만 달러 규모를 나타냄.

<2008년 독일 M&A 및 전략적 기술 제휴 현황>

피인수기업 신재생에너지원 인수기업(Acquirer)

Ersol Solar Energy AG 태양광 The Bosch Group

REpower Systems AG 풍력 Suzlon Energy Ltd

Nordex AG 풍력Ventus Venture Fund GmbH & Co Beteiligungs

KG

SULFURCELL Solartechnik

GmbH태양광

Intel Corp; Zouk Ventures Ltd; AIG Private Equity

Ltd; Demeter Partners; Climate Change Private

Equity; BankInvest Private Equity

Power Station

(Wind power station)풍력 Meinl International Power Ltd

Power Station(독일 내 3개의

태양광 파크)태양광 Renewagy AS

Vensys Energy AG 풍력 Xinjiang Goldwind Science & Technology Co Ltd

Conergy AG 풍력 Warburg Pincus LLC

Power Station (2 solar power

parks in Augsburg, Germany)태양광 Renewagy AS

Petrotec AG 바이오 연료 IC Green Energy Ltd

ALGATEC Solar AG 태양광 Solar Thin Films Inc

Johanna Solar Technology

GmbH 태양광 Solar Sunvim Group Co Ltd

자료원: PWC

- 독일에서 성사된 대부분의 조인트벤처 등의 전략적 기술 제휴 건은 자국 내 기업들

대상으로 한 경우가 대부분이나, 인도의 Suzlon Energy Ltd사나 미국의 Solar Thin

Ⅳ. 독일 141

Films Inc사, 중국의 Solar Sunvim Group Co Ltd사 등 해외기업과의 M&A 및 기술

제휴 건도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또한 세계 최대의 자동차 부품회사인 Bosch사는 aleo solar AG사의 인수계획을 발표하는

등 신재생에너지 사업에 대한 투자를 확대해 나가고 있으며, 독일 기업의 높은 녹색

기술력을 바탕으로 한 중소업체의 조인트 벤처 등은 독일 내 시장에서 뿐만 아니라

글로벌 시장으로 확대되고 있는 경향을 보임.

․ 아울러 이는 태양광 및 풍력 발전 기술뿐만 아니라 바이오기술 관련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는 중소기업들에도 확대 적용될 것으로 전망됨.

□ 한국기업과의 M&A

- 독일의 신재생에너지 관련 기술력이 세계적 수준이라면, 국내 시장은 아직 초기 단계에

머물고있는상태임. 신재생에너지부문중에서최근한국업체들이독일로진출을시도하

기 시작한 분야는 풍력 및 태양광 시장임.

- 현재 상황에서는 풍력 및 태양광 시장에 종사하고 있는 국내 업체들이 앞으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독일 풍력설비 업체에 OEM 부품 수출 또는 기술제휴, 인수합병의

방식으로 시장에 진출하는 것이 추천됨.

- 추후에 국내업체가 동 분야의 기술 경쟁력을 갖추게 되면, 독일 업체와 합작으로 국내에

설비공장을 설치하여 역으로 독일로 부품을 수출할 가능성이 전망됨.

- 한 예로, 독일 풍력발전기용 기어박스 제조업체인 독일 야케(Jake) 사에 OEM으로 부품을

공급하던 국내업체 평산의 경우, 야케사의 지분 전량을 인수하는 방식으로 안전하게

수요처를 확보하여 소재 공급 및 수급이 원활해 졌으며 야케사의 높은 가공 기술 또한

습득할 수 있게 되었음.

Ⅴ. 프랑스 143

Ⅴ. 프랑스

1. 녹색산업 기술(시장) 현황

2. 녹색기술 보유업체 명단, 기술내용 및 전략적 기술제휴 가능성

144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Ⅴ. 프랑스

1. 녹색산업 기술(시장) 현황

1) 국가별 녹색산업 동향

□ 에너지 시장 동향

○ 신재생 에너지 분야는 정부의 세금감면 장려 정책 및 환경중요성에 대한 국민의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빠르게 성장하고 있음

- 2007년 기준 프랑스 신재생 에너지 시장은 22만명의 고용인원 및 33억유로의 매출액을

기록함으로서 2006년 대비 17% 증가함.

- 신재생 에너지를 통해 생산 및 공급 된 전력량은 2007년도에 12.9%이였으나, 2008년도는

14.1%로 증가하였음.

- 에너지원별비교시수력발전이전체신재생에너지중 87%로 가장큰비중을차지하며,

다음으로 풍력이 8%, 폐기물이 2.5%임. 프랑스에서 신재생 에너지 시장이 저조한 요인은

원자력 에너지 때문이며 유럽에서 가장 저렴한 전기세를 유지하고 있고 있음. 프랑스

정부는 여전히 원자력 발전에 상당한 비중의 예산을 투자하고 있음.

○ 태양광 에너지원은 2007년 430 백만 유로의 매출액을 달성하는 등 고속 성장을 기록 하고 있는 분야임

DOM TOM (프랑스 해외 영토)의 경우, 유일하게 태양광 에너지만이 수익성이 매우 높으며, 크게 성장

하고 있음

<에너지원 별 전력생산 추이>toe: 석유 동급 1톤

  2005 2006 2007 2008

풍력 85 192 354 496

태양광 2 2 3 5

태양열 38 48 58 70

바이오가스 221 241 256 279

지열 130 114 109 114

목재 에너지 8534 8362 8280 8697출처 : http://www.statistiques.developpement.durable.gouv.fr

프랑스 정부 친환경 개발 통계 자료.

Ⅴ. 프랑스 145

○ 프랑스 신 신재생에너지 시장은 아직까지도 정부에서 구체적인 산업정책을 마련하기를 기다리는 추세임.

그러나 독일과는 반대로 매우 작은 규모의 중소기업들과 프랑스 전기 가스 공사 (EDF GDF SUEZ) 같은

대기업 그룹들이 이 분야에 투자하기 시작함. 소기업의 경우, 풍력, 태양광 에너지 분야에 많이 진출해

있음

<수력을 제외한 프랑스 시장의 신재생 에너지 전력 생산량>

<프랑스 신재생에너지 시장 추이 (프랑스 및 해외 영역) 1970-2005>

출처 : 에너지 연구소

□ 에너지원별 산업동향

○ 풍력 에너지 

- 2004년부터 2005년 사이, 프랑스 풍력 에너지 시장은 거의 두 배로 성장함.

- 1996년 프랑스 정부는 풍력발전이 추후 프랑스 시장에 정착하는데 기반이 되어 준 “2005

146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Eole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당시 2005년에 250–500MW정도의 풍력 발전기를 설치할

것을 목표로 책정함. 2009년 초, 프랑스는 전 지역에 2000개 정도의 풍력발전기 및 350개의

풍력 단지를 보유하고 있으며 예를 들어 Centre, Champagne‐Ardenne, Picardie et

Lorraine 지방의 경우, 전력 소모의 15%를 풍력 에너지가 충당하고 있음.

- 풍력발전 전력 생산량은 빠르게 성장하는 추세임.

- 2008년 말, 이미 프랑스 풍력시장 전력량은 6백만 MWh를 초과하였으며 이는 프랑스

전체 전기 소모량의 1.5%에 해당됨. 매년 400개 정도의 풍력 발전기가 추가로 설치되고

있으나, 풍력 단지 규모는 점차 줄어들고, 반면에 전력량은 증가하고 있음. 1997년부터

2007년 사이, 풍력 생산전력량은 거의 10배로 증가함.

- 2008년 풍력분야 투자 금액은 15억 유로임.

- 2020년에는 2500MW의 풍력 전력 생산을 예상하고 있으며, 그 중 6000MW는 해상 풍력일

것으로 예상됨.

- 또한그러넬환경법(Grenelle de l’environnement)에서 2020년도에는 전체프랑스전력중

풍력발전전력이 10%일것으로예상하고있음. 풍력분야는특히전력량만을고려시,프랑스

신재생 에너지 분야 중 선두 부문이며 2007년 부품 공급 매출액이 4억 유로에 달함.

- 프랑스 주요기업 : THEOLIA, MAÏA EOLIS, COMPAGNIE DU VENT

○ 바이오매스 및 바이오가스

- 신재생에너지 중 도시 폐기물 전력 생산량은 2008년 전체 전력생산량 중 대략 2.5%

정도를 차지하였음.

Ⅴ. 프랑스 147

- 난방이나 연료 생산 바이오가스 에너지원은 프랑스 시장에서 크게 부진함. 특히 재생

가능한 폐기물 중 단지 18%만이 바이오가스 사용에 이용될 뿐이며 바이오가스를 이용한

에너지 생산은 또한 극히 한정되어 있음.

- 프랑스 시장에서 실질적으로 가능한 바이오가스 에너지 생산량은 연간 3.5백만 TOE

정도임. 바이오가스 분야를 활성화하기 위해서 Nelly Olin 전 장관은 2005년 바이오가스를

활용한전력구매를 50% 증가하겠다고발표하기도했으나동분야는아직프랑스시장에서

는 활발하지 못함.

- 프랑스 정부는 바이오매스 연료 비중을 7%로 증감할 것을 목표로 하고 있음.

- 프랑스 주요 기업 : NOVERGIE, NASKEO

○ 목재 에너지

- 목재 재생 에너지 설비 기기에 대한 프랑스 시장 규모는 약 20억 유로이며 2008년 프랑스

전체 전력생산량 중 1.8% 수준임.

- 목재를 이용한 바이오매스 생산 분야에서 프랑스는 EU지역 선두임.

- 프랑스는 5백만 이상의 가정이 목재 난방 장치설비를 갖추고 있으며(프랑스전체 가정의

15%) 목재 에너지는 프랑스 에너지 소비의 4% 정도를 차지함.

- 프랑스는 산림 자연 증가율이 높아 목재 에너지 성장에 좋은 여건을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이 시장은 확장되는 추세임. 특히 2003–2005년 사이 목재 이용 난방 설비 판매는

26% 증가하였으며 88%의 목재 에너지는 가정용 난방에 사용되고 있음.

- 2009년 9월 프랑스 대통령 Sarkozy는 2009년 목재 에너지 확산 장려를 위해 20백만

유로의 펀드를 조성함.

○ 태양광

- 프랑스는태양광전력생산에서세계 4위이나 해외영토를제외한프랑스본토지역에서는

아직 태양광 에너지를 통한 전력 생산은 극히 한정되어 있음.

- 그러나 태양광 설비를 주택에 설치할 경우, 세금의 50%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3kWh 이하의 설비를 설치할 경우, 부가가치세가 5.5%로 인하되는 등의 혜택을 누릴

수 있음.

- 현재 프랑스에는 5천 가구 정도가 태양광 시스템을 설치하였음.

- 프랑스 정부는 태양광 분야에 지원을 지속하고 있음. ADEME (프랑스 환경 에너지

관리청)은 연간 2–3백만 유로를 투자하고 ANR (프랑스 국립 연구소)는 2005년과 2006년

148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각각 매년 10백만 유로를 투자함

- 프랑스 태양 에너지 시장 규모는 4.3억 유로.

- 2007년부터 프랑스 태양에너지 시장은 크게 성장하고 있으며 그 이유는, 프랑스 전기공사

(EDF)에서 전기세를 kWh당 0.3유로 증가하였고 또한, 2007년부터 태양광 설치비용이

10–15% 인하된 가격으로 간주되고 있기 때문이다. 프랑스 태양광 에너지 생산량은

2008년 175 MW였으며, 2007년 대비 70MW, 150% 증가하였음. 2008년 프랑스 태양광

단지 규모는 3배로 전력 생산량은 25MW에서 69MW로 증가하였음.

- 프랑스 주요 기업 : PHOTOWATT INTERNATIONAL, TENESOL

○ 태양열

- 다른 신재생에너지에 비해 프랑스 태양열 시장은 저조한 편임. 2008년 설치 면적은

313,000 m²로 18% 증가하였으나 과거에 비해 증가율은 둔화됨.

- 주로 주택용 온수에 사용되며, 보일러 설치는 2008년 42,000개, 2007년 39,000개, 2006년

35,000개 임. 태양열 집열판 면적은 2008년 57,000m², 2007년 40,000m², 2006년 22,000m²이

었음.

<최근 10년 간 프랑스 태양열 시장 성장 표>

- 프랑스 정부는 2010까지 1백만 m² 설치 면적을 목표로 하고 있으나, 현실적으로 목표

달성은 불가능할 것으로 예상됨.

- 태양열 시장은 2008년 4억 유로 정도의 매출액을 기록하였음.

- 프랑스 주요 업체: JACQUES GIORDANO INDUSTRIES

Ⅴ. 프랑스 149

○ 지열

- 2002년부터 프랑스 지열 시장은 70% 증가하였으며, 2007–2008년 지열 설비 판매는

152,000대로서 수량에서 두 배정도 증가하였음.

- 그러나 프랑스 시장에서는 지열 신재생에너지 인지도가 아직 낮으며, 그 비중이 전체

재생 에너지의 2.3%를 차지함. 과달루프의 해외영토 지역에만 유일하게 지열 에너지

발전소가 설치됨.

- 그러나 프랑스는 유럽 시장에서는 이태리 다음으로 동 분야가 발달해 있음.

- 프랑스 주요 업체 : AIRPAC

○ 해양에너지 

- RANCE 지방에 설치된 해양 발전소는 240MW전력을 생산하며 동 분야에서 세계에서

가장 큰 발전소이지만 전체 수력 발전 에너지의 1%만을 차지함. 최근, HYDROHEIX와

SAIPEM 두 업체가 산업 컨소시엄을 구성하는 등 해양 풍력 시범 설비 준비에 필요한

자금확보를위해경쟁하고있으나프랑스에는해양에너지시장이없는것이나마찬가지임.

○ 수력 에너지

- 수력 에너지는 전체 신재생에너지의 90%의 큰 비중을 차지함. 그러나 전력 생산량은

강수량 조건에 크게 좌우되며, 비가 적게 온 해는 전력 생산량이 크게 떨어짐.

2) 녹색산업 정부정책 및 제도

□ 녹색산업 관련 정부정책 및 제도

- 2001년 9월 27일 EU 규범 : 프랑스는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2003년도 15.7% 및, 2010년도

21%로 증가해야 할 의무가 있으며, 또한 EU는 2020년까지 재생 에너지 비중을 20%로

상향한다는 목표를 설정함.

○ 2000년 2월 10일 법률 : 프랑스전기공사(EDF)는, 독립적 개별업체가 12메가와트(MW)이하의 신재생

에너지 설비에서 생산한 전기를 구매해야 할 의무를 가짐

○ 2005년 세금 감면 및 재정 관련 법률 : 자택 설비비용에 한정하여, 세금 감면 혜택을 부여함

- 신재생 에너지 전기 발전 설비를 설치할 경우, 40% 수준까지 세금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었으며, 특히 2006년부터는 감면 비율이 50%로 증가하였음.

- 또한 일반 세금 법률 코드에 에너지 절감 및 재생 에너지 전기 발전 설비기기 관련

150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감면 특혜에 대해 명시되어 있음.

- 프랑스정부의장려정책덕분에 2005년에는 45만 가정이신재생에너지제품을설치하였음.

○ 재생 에너지 정책 방향에 관한 법률

- 2005년 7월 13일자 POPE 법률 : 신재생에너지 관련 법률이 강화되었으며, 이 분야 연구

개발을 확산하기로 결정함.

- 프랑스에서 필요한 에너지 중 신재생 에너지로부터 획득 가능한 비율을 2010년 10%

수준으로 예상함.

- 201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생산 전력 비율을 21%로 증감하는 것을 목표로 함.

- 201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원천 난방 에너지 생산 비중을 50% 증감할 것을 목표로 함.

- 2010년 12월 31일까지 시중 판매 전체 연료 중 바이오연료의 비중을 5.75%로 증감할

것임.

- 2007년 10월 Grenelle de l’Environnement (환경 관련, 프랑스 정부, 직장 협회, NGO간의

회담) 채택 사항 : 2010년까지 25GW 풍력을 설치할 것을 목표로 하며. 그 중 해양 풍력

발전의 비중이 6GW가 될 예정임.

<Grenelle de l'Environnement 회담결정하 2002년 신재생에너지원별 전력발생 목표량>

단위 TOE

○ 2008년 개발된 «2012년 ECO TECH 프로젝트»: 중소기업의 녹색 산업 참여 장려를 위해 프랑스 정부는

위원회를 신설함

○ 2009년 10월 : 프랑스 환경부와 개발부는 Grenelle de l'Environnement에서 채택된 녹색 연구 과제에

대해 2012년까지 15억 유로를 투자할 예정임. 그러나 일부에서는 연구 관련 분야가 농업부터 온도 상승까지

Ⅴ. 프랑스 151

너무 광범위하다는 지적임

○ 탄소 세금 : 2009년 현재 아직 검토 중인 프로젝트. 동 세금은 2010년 재정법에 포함될 예정임. 우선

초기 단계의 탄소 세금은 발생된 CO2 한 톤 당 0.17 유로 예정이며 점차 세금이 인상될 예정임

□ 신재생에너지 연구‧개발(R&D) 지원 프로그램

- 그러넬 환경법(Grenelle de l’Environnement)에서, 프랑스 정부는 ADEME (프랑스 환경

에너지 관리청), ANR (프랑스 국립 연구소), OSEO(중소 기업 지원 기관)등에 친환경

에너지연구 개발비용으로 10억 유로를추가로 투자하기로 결정했다. 특히 ADEME(프랑

스 환경 에너지 관리청)에는 새로운 형태의 신재생 에너지 실험 개발 연구비용으로

4년에 걸쳐 4억 유로를 투자하기로 하였다. 태양 에너지 프랑스 국가 연구소(L’Institut

National de l’Energie Solaire)는 새로운 산업 형태 육성 장려를 위하여 공공 기업과

민간 기업 간의 공동 합작 기술 플랫폼을 여러 개 신설하기도 하였다.

- 또한, 프랑스 정부는 신재생에너지 연구개발 클러스터(Pôles de Compétitivité)을 운영함으

로서 재생 에너지 공동 연구를 추진하고 있으며, 공적 자금의 30%를 향후 3년 동안

친환경 개발에 투자할 계획을 가지고 있음. (현재 16%)

- 2002년부터 2006년 사이 프랑스 정부는 에너지 분야 연구 개발에 매년 7-8억 유로를

투자하였으나, 실질적으로 신재생에너지 분야 투자는 2006년도에 55백만 유로로 작은

비중을 차지함. 프랑스 정부는 2009년도 원자력과 신재생에너지의 투자 예산을 각각

4억 유로로 동일한 비중으로 배당했음.

<신재생에너지 분야 R&D 프랑스 정부 투자비용>단위: million유로

152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대상분야 바이오매스/바이오에너지, 풍력 지역 Paris FRANCE

세부분야 풍력기기, 부품

기술명 MULTIBRID M5000

기술내용

AREVA는 터빈 고안 제조업체인 MULTIBRID 업체를 인수 한 후, 해상 풍력 시장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되었음. 주요 활동으로 풍력 기술 개발 및 5MW의 해양 터빈을

위한 M5000 기술 고안 및 개발이 있다.

MULTIBRID M5000:

1. 특징

- 나셀과 로터의 무게를 크게 줄임으로서 운송, 설치 등이 편이하며 또한 경제적임.

- 회전 부품이 적어서 드라이브 시스템 손상이 적음.

- 모든 부속품 또는 감지기를 두 배로 장착함으로써 제품에 하자가 있을 시 시스템

운용에 문제가 없게 되어 있음.

- 해양의 부식성 공기 (소금 및 습기) 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나셀 및 허브가

진공으로 감싸져 있음.

2. 기술

- 로터

탄소 섬유 스트립을 사용함으로서 로터 블레이드의 무게가 가볍고, 강성이 높음.

- 로터 베어링/배율기

O 형태의 두 줄로 정리된 테이퍼 롤러 베어링이 기계의 케이싱에 힘을 전송함.

- 발전기/변환기

영구 자석의 동기 발전기 고정자가 기계 케이싱에 직접 설치되어 있음. 로터가

직접 메인 섀프트에 직접 설치되어 있으므로 추가 베어링이 필요 하지 않음.

2. 녹색기술 보유업체 명단, 기술내용 및 전략적 기술제휴 가능성

□ AREVA BU RENOUVELABLE

Ⅴ. 프랑스 153

- 에어컨디셔닝

타워 하단부에, 외부 공기를 흡수한 후, 물과 소금 입자를 제거하는 에어컨디셔닝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음. 동 시스템은 타워 및 나셀에 강한 압력을 형성하여,

풍력기기의 공기 흐름 제어 역할을 함.

CEO Mrs Anne Lauvergeon 설립연도 2001년

주소

Tour Areva Paris La defense

92084 France210, Ottawa,

Ontario

매출액(2008년)(백만CAD)

119,000,000 (그룹)

담당자Mr Felix DEBIERRE

AVERA MULTIBRID DIRECTOR고용 (명) 65,583 (그룹)

연락처

전화 :+33 1 34 96 64 27

이메일:[email protected]

www.areva.com

www.multibrid.com

해외조직

그룹 Areva는 세계적으로 70개

의 나라에 진출 하여 있음. 신재

생에너지 관련 아시아 지역에

는 인도와 중국에만 진출해 있

음. 풍력 : 독일 Bremerhaven

에 풍력 생산 공장이 있음.

전략적 제휴

가능성

독일 정부는 2008년도에 32개의 해상 풍력 발전 프로젝트를 승인 하는 등 이 분야가

크게 활성화되어 가고 있음.

그 중 MULTIBRID M5000 기술 적용 AREVA 프로젝트 ALPHA VENTUS는 2009년

6월 30미터 깊이의 해양 밑에 6개의 foundations 설치 완료함.

이미 한국 여러 업체들이 동 업체 풍력 기술에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여러 업체로부터

접촉을 받고 있다고 함. Mr DEBIERRE는 한국 업체들과 기술 제휴 관련 언제든지

협상할 준비가 되어있다고 함.

대상

분야

바이오매스, 풍력, 이산화탄소 포집

기술지역

Le Vallois PERRET

FRANCE

세부분야 이산화탄소 포집 기술

기술명 CHILLED AMMONIA PROCESS

기술 내용

알스톰사, 전력 연구소(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EPRI), 위 에너지(We

Energies)사는 독특한 이산화탄소 포획 공정‐화석 연료의 연소를 이용한 발전 플랜트

들로부터 배출되는 오염원들의 영향을 저감시킬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을 개발함. 

이산화탄소 포획 공정은 냉각된 암모니아를 사용하여 이산화탄소를 포획하는 것

임. 이 공정은 고압 및 고농도 형태로 이산화탄소를 분리/포획/처리하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획기적으로 저감시키게 됨.

알스톰, EPRI, Statoil 및 기타 기관들로부터 지원받은 실험실 연구에서 다른 이산화탄

소 포획 기술들보다 매우 저렴한 비용으로 90% 이상의 이산화탄소를 저감할 수

□ ALSTOM

154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있음이 증명되었으며, 포획되어 격리된 이산화탄소는 상업적으로 이용되거나 적합한

지질 특성을 보이는 지역에 저장하게 됨.

Pleasant Prairie Power Plant(P4)의 유닛 1과 유닛 2는 최근에 리모델링되었음.

선정 촉매 저감장치(SCR) 배출 NO2와 젖은 가스 탈황시스템 SO2 가스 조절함.

(이 리모델링은 새로운 굴뚝 설치도 포함하고 있음) 차가워진 암모니아 파일럿 시스템

은 유닛 1 혹은 유닛 2 FGD와 배터리 사이의 가스를 1퍼센트 정도 줄이게 됨. 가스는

우선 식혀진 후 농축되고 습기와 남은 찌꺼기가 제거된 후 CO2 흡수제에 투입됨.

그 후 CO2는 암모니아 기반의 제품 덕에 흡수되고 가스와 분리됨. 포획된 CO2는

데워지고, 매우 깨끗한 CO2만 배출됨. 상업적인 응용에선 이 CO2는 압축되어 이동되고

강화 Oil Recovery 같은 산업 프로세스에 사용되어 짐. CO2는 방전 샘플링 측정

공정 처리된 가스와 재혼합되며 추출된 모든 가스 볼륨은 FGD outlet transition

배관으로 다시 들어가고 그곳에서 FGD 배출 가스와 합쳐지게 됨.

2008년 초부터 2009년 말까지 미국 WISCONSIN주에 PLEASANT PRAIRIE CARBON

CAPTURE PILOT PLANT에서 테스트 중이며, 1.7 MW SLIPSTREAM을 이용하여

매일 40톤의 이산화탄소 포집에 성공하였음.

CEO M. Georges Roux 설립연도 1917년

주소3 Ave. Andre Malraux

Levallois‐Perret 92309 France매출액

(천유로)

18,700,000€ (2007 ‐ 2008) (그룹)

Ⅴ. 프랑스 155

담당자Mr Philippe PAELINCK

CO2 Business Dept DIRECTOR고용(명) -

연락처

전화 :+33 1 41 49 28 76

이메일:philippe.paelinck@power

.alstom.com

www.power.alstom.com

해외조직

세계적으로 70개 국가에 진출

해 있음.

1. 수력 (Alstom Power Hydro)

: 27개 국가에 진출 해 있으며,

유럽 지역 외, 미국, 캐나다, 브

라질에 진출해 있음.

2. 풍력/태양광 : 7개 국가에 지

사를 두고 있음. 일본, 인도, 이

태리, 스페인, 프랑스, 포르투

갈, 쿠바

아시아 지역은 일본에만 진출

해 있으며, 3개의 풍력 단지를

개발하였음. (ITO, SATOMI,

MITO)

전략적 기술 제휴

가능성

ALSTOM사는 현재 6개의 국가에서 10개의 시범 프로젝트 진행 중이며 2015년부터는

동 기술 상업화 하는 것을 목표로 함.

- 이미 KEPCO와 접촉 중이다.

- 그러나 한국의 업체에서 동 기술에 관심을 가진다는 것은 무척 반가운 소식이며

한국 업체들이 접촉을 해오면 적극적으로 대응할 것이다.

- 2015년 상용화 예정이나 그전에 미국이나 유럽 시범공장 중 한 프로그램에 한국업

체가 참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 공동 펀드를 운영하는 것도 고려해 볼 수 있다.

- 관심 있는 한국 업체들은 프랑스 본사가 아닌 ALSTOM 한국 지사 CO2 부서와

접촉을 해야 한다.

156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 ECOTECNIA(ALSTOM POWER 자회사)

대상분야 태양광 지역 Grenoble

세부분야 태양광시스템

기술명 Hybrid Automomous 시스템 : CICLOPS

기술 내용

세계적인 에너지 공급 및 차량 등의 제작․운송 전문업체

에너지와 철도관련 분야에서 혁신적이며 환경친화적인 기술로 세계기준을 이끌어가

는 글로벌 기업임.

○ 하이브리드 automomous 시스템: CICLOPS

Alstom Ecotècnia가 고안한 통합 시스템으로서, 전기 공급이 좋지 않은 고립

된 지역을 위한 10-50kW 전력 하이브리드, 풍력, 태양광, 디젤 전기 발전 통합

시스템. 모듈러 시스템으로서 천연 자원 및 하기 설비를 필요로 함.

- An Ecotècnia 7/10 wind turbine of 10 kW - A photovoltaic solar plant (2, 5 or 10 kWp)

- A generator set

- A 120V battery

- The CICLOPS (solar charger, wind, diesel and one or more 10 kW wave

inverters)

특히 전기 소모량이 최대 하루 100kW/일인 지역에 적절함.

농촌, 관광지역, 캠핑장, 산장 별장, 저개발국 등

CEO Mr.Jean Michel Zarza 설립연도 1981년

주소3 Ave. Andre Malraux Levallois

‐Perret 92309 France 매출액 (천유로) 350,000€

담당자Mr Georges Roux

Operation Director고용(명) 750명

연락처

전화 :+33 1 41 49 28 76

이메일:philippe.paelinck@alst

om.com

www.power.alstom.com

해외조직

7개 나라(일본, 인도, 이태리, 스

페인, 프랑스, 포르투갈, 쿠바)

아시아 지역은 일본에만 진출

해 있으며, 3개의 풍력 단지를

개발하였음. (ITO, SATOMI,

MITO)

전략적 기술제휴

가능성현재 아시아지역에는 일본에만 진출해 있으며 한국기업과의 제휴에 관심이 있음.

Ⅴ. 프랑스 157

대상분야 바이오매스 지역 PARIS FRANCE

세부분야 쓰레기 재활용 기술 및 에너지 개발

기술명 Ecomethaniseur®

기술 내용

- 음식쓰레기 등의 유기폐기물에서 가스(메탄과 CO2)를 추출하여 에너지로 사용할

수 있는 기술. 폐기물을 사용하여 메탄을 추출하기 위하여 아래 세 차례 공정을

거치게 됨.

기술 비고

준비과정Veolia의 특허기술 CONTROLMAX를 사용해 다른 폐기물과

Ecomethaniseur에서 사용되는 유기체의 폐기물을 나누는 과정.

바이오 리액터 과정매립식 폐기장에서 유기성의 폐기물에서 lixiviat(쓰레기에서

발생하는 오염수)를 최적화 하여 사용하는 바이오 리액터를 통해 메탄을 뽑아내는 과정.

에너지 추출 및 준비과정

동 과정을 통하여 추출한 메탄을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과정.

- 현재 지하에 쓰레기를 묻어 메탄올을 뽑아내는 기술은 존재하나 경제성이 떨어짐.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Veolia Environment에서는 바이오 리액터 R&D에

투자 중.

- Veolia Environnement는 2001년 이후 Ecomethaniseur를 개발하면서 반대로

공기가 없는 상태의 매립식 폐기장을 완전 밀폐하여 폐기물을 발효시키는 박테리

아가 메탄을 생산하게 함. 이런 식의 발효방법은 비교적 많은 시간을 요구하기

때문에 바이오 리액터 기술을 사용, lixiviat를 입력하여 공기 대신 촉매제 박테리아

수를 계속 늘려 공정속도를 가속하고 더 많은 메탄을 생산하게 하는 기술.

- 미국에서도 lixiviat를 사용하여 매립식 폐기장의 처리 속도를 가속하는 모델이

존재하였으나 공기를 삽입함으로서 박테리아들의 활동량을 늘려 더 속도에만

의존하고 에너지를 생산하는 분야까지는 발전하지 못함.

- 연구소에서 검토한 결과 지성 휘발성 산(AGV: Acides gras volatiles), 또는

농도 높은 암모니아 (NH4+가 리터당 3000mg 이상)를 사용하였을 때 최고의

결과를 얻음.

- 동 기술을 사용하기 위해 지면을 방수필터로 완벽하게 차단하되 매립된 폐기물을

□ VEOLIA ENVIRONNEMENT

158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geomembrane (이량체 재료로 만들어진 섬유)으로 덮어 공기가 들어갈 수 없도록

밀폐함.

- Veolia Environnement사가 다른 프랑스 연구기관이나 다른 업체들과 공동

연구하는 바이오 리액터는 현재까지 알려진 매립식 폐기장의 문제점을 강구하고

메탄 생산 최적화를 위한 습도 공급 방안을 연구하고 있음.

○ 적용 및 응용 분야

- 현존하는 기술은 환경오염에 대한 리스크가 크며 공정 중 발생하는 독성이

강한 lixiviat와 메탄가스를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여러 문제가 발생하고 있음.

- lixiviat가 지하로 흘러들어 가는 것을 막기 위하여 지면을 완벽히 방수필터로

덮어야 하기에 산출되는 가격이 문제로 제시됨.

- 메탄올은 CO2보다 21배 더 오염도가 높기에 완벽한 컨트롤이 필요함.

- 위 문제들을 해결하고 보다 경쟁력 있는 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Veolia

Environment을 중심으로 2000년 이후 북미와 프랑스의 15개 기관/기업이 공동

으로 개발한 기술임.

- 현재 프랑스 내에서는 Vergne시 쓰레기장에서 시범 사업 중임. 미국 Onyx

Waste Services와 함께 17곳에서 시범 사업 중임. 오스트레일리아 Woodlawn과

Ti Tree에서 시범 사업 중임.

- 현재 매립식 폐기장에서 몇 가지의 새로운 설치를 통하여 모든 시설에 적용

가능.

CEO M. Henri PROGLIO 설립연도 1853년

주소3638, avenue Kléber 75116 Paris

매출액

(천유로)

36,200,000€ (2007 ‐ 2008) (그룹)

담당자Mr Eric Lesueur

R&D deputy DIRECTOR고용(명) 336,013 (그룹)

연락처

전화 :+33 1 71 75 06 60

이메일:[email protected]

http://www.veoliaenvironnement.com

해외조직세계적 66개 국가에 진출해 있

음.

전략적 기술제휴

가능성

Veolia 사내 연구결과 유럽은 유기성 폐기물이 비교적 많지 않은 반면 중국 또는

일본의 경우 유기성 폐기물이 비교적 많은 이유로 동 기술의 향후 시장성이 더

높다고 판단됨.

현재 오염 최소화 그리고 메탄 생산 최적화를 위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지만 새로운

대체 에너지로의 기능을 담당할 수는 없음. 그러나 쓰레기 재활용이 대중화되고

원유 가격이 급등하면서 보완 에너지원으로 부각되고 있음.

그러나 현시점에서 아직 개발되고 있는 기술이며 상용화 계획은 구체적으로 나와

있지 않음. Veolia Environnement에서 언급을 피함.

Ⅴ. 프랑스 159

대상분야 폴리프로필렌 자재 제작 지역 THIANT FRANCE

세부분야 빗물 필터링 및 리사이클

기술명 Nidaroof®

기술 내용

○ 기술(제품, 서비스, 공정) 개요

Nidaplast Honeycomb사는 1985년 기업 설립 이후로 벌집 모양 자재 생산을 중심으로

솔루션의 다양화에 노력을 기울임. Nidaroof은 전체적으로 아래 다섯 가지의 용도가

있음.

- 단기간/장기간 빗물 보유

- 가벼운 자재를 사용하여 지붕/테라스, 정원에 설치할 수 있고 제방 건축 시에도

활용 가능함.

- 자갈길에서 자갈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자갈이 다른 쪽으로 몰리거나

자갈길이 아닌 곳으로 움직여 가는 것을 방지함.

- 자갈길의 자갈이 바람에 노출되어 생기는 문제를 방지함.

- 지붕 위에서 자리고 있는 잔디들이 바람에 노출되어 생기는 문제를 방지함.

- Nidaroof®라는 제품은 벌집모양의 자재로 빌딩의 지붕위에 장치하여 빗물을

필터링하고 재활용함.

- 방수 처리된 지붕위에 장착된 Nidaroof를 사용하여 빗물을 받아 식물을 위한

수조로 활용할 수 있으며 필터링한 후 식수로 사용할 수도 있음.

- 정원용 자갈 아래에 동 제품을 사용할 수도 있음.

- 별도로 고인 물을 퍼내기 위한 물 펌프를 사용할 필요도 없기에 특별한 에너지원이

필요 없음.

- 높이 900m 미만의 가파르지 않은 평면에서 사용 (5% 미만)

- 빗물 1kg 당 Nidaroof 자재는 0.036kg밖에 필요하지 않음.

- 염소나 플라스틱 같은 환경오염 자재를 사용하지 않고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함.

□ NIDAPLAST

160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특질 제품정보

자재 폴리프로필렌 (60%는 리사이클 자재를 사용)그물세공 50mm 넓이의 육각 모양무게 34kg/㎥

빗물 최고저장량

40mm 높이

60mm 높이

100mm 높이

494mm 높이

(95% 미만)

38 litre/㎡ 이하

57 litre/㎡ 이하

95 litre/㎡ 이하

494 litre/㎡ 이하 무게저항력 빈 상태에서 30톤/㎡

- 콘크리트 지면 위에 습기방지면, 열방지면, Preflex, Geoflow를 설치하고 그 위에

Nidaroof 제품을 장치함. Nidaroof 위쪽에 필터섬유를 한층 설치하고 그 위쪽에

자갈 또는 잔디를 깔아 놓음.

- 위 그림 우측아래 부분에 설명되어있는 것처럼 Nidaroof 사용 시 제품 아래쪽에

Prefix, Gravifix, Geoflow같은 방수층용 제품들이 같이 설치되며 이는 빗물이

콘크리트 쪽으로 흘러 내려가 벽면 품질에 차질을 주거나 수증기로 변하여 제품을

보존하는데 문제가 생기지 않게 하는 장치들임. 이 같은 제품은 Sidaplast라는

회사와 Nidaplast Honeycomb사 두 업체의 공동개발 및 협조를 통하여 상용화계획

중인 Graviland Pack의 한 부분으로 제공될 계획임.

- 테라스나 지붕에 고인 물로 발생할 수 있는 위생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솔루션과

폭우가 내렸을 경우 도시 내에서 배수가 되지 않아 홍수로 번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지붕에 빗물을 담아두는 방법을 연구 중임.

- 지붕위에 잔디밭을 만들거나 자갈밭을 만들 경우 바람이나 폭우 때문에 생기는

문제를 해결함.

- 동 제품은 지붕위에 잔디밭을 조성하는 제품으로 식물에 최적화된 환경을 제공함.

- 빗물을 저장한 후 천천히 배수시켜 홍수를 예방할 수 있음.

○ 적용 및 응용 분야

- 이 기술은 빗물을 사용하여 도심 내 빌딩 지붕에 자연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함.

- 이 제품은 건물 지붕이나 정원, 또는 자갈길 밑 부분에 설치하는 제품이지만

적용 분야에 따라 Nidaroof 외 Nidaplast‐Honeycomb의 다른 제품들을 사용하여

녹지 개발이 불가한 땅에 사용하여 손쉽게 잔디밭을 조성할 수 있음.

- 동 제품이 사용될 수 있는 건물 중 가장 최적화된 건물은 유럽에서 자주 찾아

Ⅴ. 프랑스 161

볼 수 있는 공중 정원이 있는 건물들임. 빌딩 위에서 흘러내리는 빗물을 공중

정원에 설치되어있는 Nidaroof에서 빗물을 받아 필터링하여 지면 밑에 있는 물탱크

로 보내어 지하수로 전달하거나 아니면 처리하여 식수 또는 다른 용도로 빗물을

사용할 수 있음.

- 빗물 매니지먼트 솔루션이지만 기본적으로 Nidaplast의 꿀 벌집 모양 제품들이

판매되었던 기존의 시장에도 판매가 가능하기에 여러 용도로 사용이 가능함.

예를 들어 자갈들을 고정시키는 용도로 한 겹의 Nidaroof를 사용하고 그 밑에

한두 겹의 동 제품을 빗물 유지를 위한 용도로 사용하는 방법도 존재함.

CEO M. Jacques STIEVENART 설립연도 1985년

주소

Nidaplast Honeycombs

Rue Paul Vaillant Couturier

59224 Thiant

France

매출액 (천유로) 18,000€ (2008) (그룹)

담당자 Mr Thierry LEVAUX

Responsible Commercial고용(명) 74명

연락처

전화 :+33 3 27 44 72 01

이메일:[email protected]

http://www.nidaplast‐honeycombs.com

해외조직

전략적 기술제휴

가능성

프랑스에서는 50년 전부터 홍수가 자연 재난 중 가장 커다란 피해를 미침. 도시개발이

점점 가속되면서 배수 시스템이 폭우가 내릴 경우 모든 빗물을 소화하지 못함. 도시개발

에 따른 홍수재난을 해결하기 위한 유럽연합의 법에 맞추기 위해 프랑스도 2006년

12월 30일에 새로운 법률을 제정함. 이후 대부분 지방 자치단체에서 건축 시 빗물이

초당 2리터 이상 흘러내리지 못하도록 됨.

- Nidaroof 제품은 위 법률이 제정된 이후 지붕 위 간단한 설치로 빗물배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솔루션으로 부상함. 지붕 위를 정원이나 다른 용도로 계속 사용할

수 있는 길을 제시함.

- 세계적으로 지방의 도시화가 계속되면서 비가 내렸을 때 아스팔트가 깔려있는

지면으로 빗물이 흘러 제대로 배수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면서 점점 홍수가

세계 공통적인 자연 재난으로 인식됨.

- 유럽에서는 빗물배수규정이 제정된 이후 경쟁성이 있는 제품으로 등장함. 유럽

외의 국가에서도 비슷한 규정이 있다면 충분히 경쟁성이 있으나 만약 규정이

없는 국가라면 크게 경쟁성이 없을 수도 있음.

업체 반응: 아직 한국, 아시아 지역에 동 기술이 적용되지 않았으나, 한국 업체에서

기술 제휴 등의 파트너쉽에 관심이 있는 경우 환영을 표명함.

162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대상분야 시멘트 지역 GUERVILLE FRANCE

세부분야 시멘트 제작 및 생산

기술명 TX Active®, TX Aria®, TX Arca®

기술 내용

- PICADA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10년간의 연구 끝에 TX ACTIVE®라는 광촉매

기술을 개발함.

- 동 기술을 이용하여 TX ARIA®와 TX ARCA®라는 두 가지의 새로운 시멘트

제품을 2006년 말에 소개함.

- TX ARIA® 시멘트는 광촉매 기술을 사용하여 자동적으로 청소가 되도록 제작된

시멘트임.

- TX ARCA® 시멘트는 오염원이 되는 기체를 시멘트 표면에서 포획함. NOx,

벤젠, 톨루엔 등을 O2, H2O, CO2로 환원시켜 환경 위해 기체를 감소시킴. 이

과정에서 오존 발생률도 이차적으로 감소함.

- 2006년 제품 발표 시 계산된 가정 학설에 의하면 대도시 15%의 건물의 표면에

동 기술 제품을 사용했을 경우 도시 내 공기오염의 50%를 감소시킬 수 있다고

함.

□ CIMENTS CALCIA

Ⅴ. 프랑스 163

상황 결과

실험실에서 일산화질소, 이산화질소,

이산화유황, 일산화탄소를 3분간 햇빛에

노출하였을 경우

오염분자의 75% 감소

동일한 물질로 실험실 밖에서 실험한 경우 20%-70% 공기오염분자 감소

○ 적용 및 응용 분야

- 1996년 기술개발을 시작하여 2005년 말까지 시범사업 완료하고 2006년부터

상용화 및 타 시장 전략적 파트너 발굴을 시작함.

- 현재 건축 표면 공사 및 재공사, 방음벽, 도로 표면 재공사, 터널 내 표면, 철도역

재공사 및 공장 내면 공사를 위해 쓰이고 있음.

- 현재까지 시범사업과 소수의 건축용으로 1천 톤 정도의 물량을 생산함.

- 건축물의 표면에만 동 제품을 적용해도 충분한 만족도를 얻음. 가격 부담 없이

대기환경 개선에 공헌할 수 있기에 긍정적인 시장의 반응을 받는 것으로 관찰됨.

- 현재 건축물 시범사업에 사용되는 시멘트 제품은 물론 동 기술을 활용하여

페인트 및 타르, 벽토 등을 중심으로 다양한 제품을 개발 중에 있음.

- 동 기술 관련 제품은 건물 표면뿐만 아니라 도로 및 실내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시범사업 및 관련 건축물

시범사업 및 관련 건축물 비고

쥬빌레 교회 TX Active 기술을 사용하는 제품이 처음으로

투입된 건설물

Cite de la Musique et des Beaux Arts

보르도 경찰청

에어프랑스 파리 본사

모봉 종합병원

ZAC 빌딩

Segrate 도로시간당 1천대 이상의 차량이 사용하는 도로.

60%의 산화질소를 감소하는 결과를 보임

칼루스코 공장공장내 지평표면을 동 제품을 사용. 45%

이상의 산화질소 감소.

졍 블루젠 도로

파리주변도도시 반브에 시간당 1만3천대의

차량이 사용되는 거리에 중요부분을 동

제품을 사용하여 재공사.

일 드 프랑스 소음벽 건설일 드 프랑스 도(都)내 5천미터 길이의

방음벽을 동 제품을 사용하여 건설함

브레시아 소음벽 건설8천미터 길이의 프레시아 도시 내 도로

방음벽을 동 제품 사용 재공사.

펠르지네 발 수가나 기차역 플랫폼

카스텔 상 피에트로 거리

엄페르토 터널터널 내부벽을 동 기술을 사용하는 페인트로

재처리

164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CEO M. Giampiero PESENTI 설립연도 1864년

주소

Les Technodes BP 01

78931 Guerville Cedex

France

매출액 (천유로) 5,776,000€ (2008) (그룹)

담당자

Mr Jean‐Philippe VACHERResponsible Marking 고용(명)

1,460명 (프랑스 지사)

22,000명 (그룹)

연락처

전화 :+33 1 34 77 78 00/6 07 22 52 22

이메일:jvacher@ciments‐calcia.comhttp://www.ciments‐calcia.com

해외조직 세계 22개국에 진출해 있음

전략적 기술제휴

가능성

이탈리아의 시멘트 생산기업 Italcementi Group의 프랑스 자회사로 1995년부터 ISO

9002 품질마크를 취득하였음. 1997년 이후 EU에서 가장 규모가 큰 시멘트 생산업체로

부상함.

1998년에 시멘트 생산업체로는 처음으로 환경보호 관련 ISO 14001를 취득하였으며

이후 환경보호관련 제품을 개발하여 판매하고 있음.

시멘트 제품 TX Arca와 TX Aria의 경우 1킬로당 1유로정도의 가격을 책정. 일반적인

시멘트 제품에 비해 20% 정도 비싸나 현존하는 건축물에 한 겹만을 새로 발라 충분히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경쟁력이 있음.

한편 5층 건물의 표면에 동 제품 한 겹을 덧칠할 경우 일반 페인트나 벽토보다

저렴해 경쟁력이 있음.

유럽연방의 규정 EN 197 1, CEM 12.5 N CE, CEM I 52.5 N CE 등을 획득하였으며

유럽, 그리고 세계 특허를 획득하였음.

유럽 내에는 물론 세계에서 인정받는 연구원들 (CNR, ARPA, Ispra Research Center)

의 검토결과 제품의 환경보호 기능을 인증받음.

사용면적이 클수록 효과성이 높기 때문에 대형건물 건설 시장에 진출 가능성이

큰 제품임.

이태리, 프랑스 그리고 미국에서 우선적으로 제품을 상용화하고 Italcementi Group의

에이전시가 있는 19개국에서 판매할 예정임.

업체 반응: 동 제품 관련 아직 아시아 또는 한국에는 기술 협력이나 상용화되지

않았으나 아주 관심이 많다고 하며, 가능성에 큰 기대를 건다고 함. 한국업체가

관심을 보일 경우, 이태리 본사와 직접 연락해야 한다고 하나, 우선 첫 접촉은 프랑스

지사를 통해 줄 것을 원함.

Ⅴ. 프랑스 165

대상분야 바이오매스 지역 MALAKOFF FRANCE

세부분야 산업/농업 유기폐기물 처리 및 바이오가스

기술명 ERGENIUM, Completely Stirred Tank Reactor

기술 내용

2개의 바이오가스 생산 기술을 보유 :

○ ERGENIUM

산업 유기물을 통해 바이오가스 생산을 하는 방법으로, 유기 폐기물의 부패율을

향상시키는 기술임. 전용 원자로를 통하여 좀 더 세밀한 분해를 돕는다. 50kW 이상의

프로젝트일 경우, 일반 재래 설비들 보다 20%이상의 높은 에너지 생산율. 프랑스

Essone 지방 Bressonvilliers에 250kW를 2010말 설치완료 예정.

○ Completely Stirred Tank Reactor

독일 업체 Biogaskontor기술을 동 업체에서 인수하였다. 산업 및 농업 폐기물을

반응기를 통해 바이오가스화. Digester는 철강이나 콘크리트로 되어 있는 탱크로서

지하에 묻을 수도 있음. 메탄화의 조건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진공 상태에서 40도의

열을 가열함. 탱크 내부 유기물을 균일하게 혼합하는 기능: 표면에 응어리가 지거나

침강되는 것이 방지됨.

CEO M. Aurélien LUGARDON. 설립연도 2005년

주소52, rue Paul Vaillant Couturier,

92240 MALAKOFF, FRANCE매출액 (천유로)

18,000 € (2007년 대비 122%

증가) (2008)

□ NASKEO

166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담당자Mr Sylvain FREDERIC

Responsible Marking고용(명) 15명

연락처

전화 :+33 1.57.21.34.70

이메일:[email protected]

http://www.naskeo.com/index.html

해외조직

전략적 기술제휴

가능성

업체 반응 :

○ ERGENIUM

2010년 말에 시험 완료 예정이며, 아직 아시아 시장과는 특별한 접촉이 없었음.

그러나 한국 업체가 동 업체의 기술에 관심이 있다면, 언제든지 적극적으로 대할

의향이라고 함.

○ Completely Stirred Tank Reactor

독일업체 기술을 보유하고 있기는 하나, 소유권이 없다고 함. 따라서 동 기술에 관심이

있을 경우, 독일 업체 Biogaskontor에 접촉해야 한다고 함.

대상분야 풍력 지역 MALAKOFF FRANCE

세부분야 GEOWIND 풍력 데이터 SIMULATION 시스템 프로세스

기술명 GEOWIND SYSTEM

기술 내용

ADEME (프랑스 환경 에너지 관리청)의 요청 하, 동 업체는 GEOWIND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음.

- 디지털 시뮬레이션, 통계적인 연관성, 예측모드를 통해 신빙성 있는 풍력 데이터를

계산하는 프로그램임.

- 세계적으로 풍력 분야의 reference로 간주되는 WASP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계산 방식에 적용하였음.

- 깊이 있는 해석 및 전체적인 데이터 분석을 가능하게 하는 GIS platform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을 적용하였음.

- 두 가지 분석 모드: Specific spot mode 및 surface mode.

기능 :

- 일반적인 WORLD WIND 기능

Globe navigation

Anaglyph Stereo view

Vertical exaggeration

Fly to a lat/long location

Switch from globe to flat earth view and apply different projections

Load maps from WMS sources.

- Show OGC conform 기능

Shapefiles can be loaded as Worldwind layers, attributes, and styled layer

descriptors

Classify Shapefile features based on attribute data.

Query attribute data and select features.

Create new attributes and perform spreadsheet‐like calculations on attributes Add parameter files from models or modeling frameworks(currently OMS)

□ COMPAGNIE DU VENT (GDF/Suez 프랑스 가스 공사 소속)

Ⅴ. 프랑스 167

- Visualize Geotiff files as Worldwind Layers.

- Visualize KML/KMZ files as Worldwind layers for basic Geometries

http://code.google.com/p/wwj‐kml

- Find a location using Geonames webservice.

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프랑스 지역 125,000㎡의 풍력을 계산하였음.

CEO Mr Jean‐Michel Germa 설립연도 1989년

주소

650, rue Louis LépineCS 20756

34967 Montpellier Cedex 9

FRANCE

매출액 (천유로) 11,3000 €

담당자Mr Philippe ALEXANDRE

Director R&D 고용(명) 85명

연락처

전화 :+33 4 99 52 64 70

이메일:

[email protected]

www.compagnieduvent.fr

해외조직 모로코에 지사가 있음

전략적 기술제휴

가능성

동 소프트웨어는 각 지역 마다 풍력 데이터를 입력하여 풍력정보지도 제조용으로

사용됨.

업체 반응 : 한국에서 요청할 경우, 동 기술을 이용하여 한국 풍력 정보를 연구한

후 이미 모든 한국 풍력 데이터가 입력된 소프트웨어를 공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함.

또한 기술 이전은 현재 힘들지만, 라이센스 같은 비즈니스 형태는 고려해 볼 수

있다고 함.

대상분야 태양광 지역 PARIS FRANCE

세부분야 태양광 설치 시스템

기술명 FRESNEL TOUR

기술 내용

○ FRESNEL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기술. 하나의 튜브에 여러 반사 거울을

설치함으로써 ABSORBER TUBE의 효율을 향상시키게 됨.

□ CNIM (CONSTRUCTIONS INDUSTRIELLES DE LA MEDITERRANNEE)

168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 TOUR

수많은 거울(HELIOSTATS)을 이용하여 태양광을 타워로 집중시키는 기술임.

HELIOSTAT는 햇빛의 움직임에 따라 같이 움직이게 되며, 그것은 낮 동안 태양에너지를

최대한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해 줌.

CEO Mr Vsevolod DMITRIEFF 설립연도 1856년

주소35 rue de Bassano, 75008

PARIS FRANCE매출액 (천유로) 678,000€

담당자Mr Roger PUJOL

Environment director 고용(명) 3460명

연락처전화 :+33 4 94 10 01

이메일: [email protected]

www.cnim.fr

해외조직

세계적으로 12개 국가에 진

출해 있음. 아시아는 유일하

게 중국에 지사가 있음.

전략적 기술제휴

가능성

동 업체는 1980년 THEMIS 태양광 발전소를 설계한 태양광 에너지 시장의 선구자임.

현재 FRESNEL, TOURS 기술을 바탕으로 한 태양광 발전소를 설계, 건축, 운용하고

있음.

Ⅵ. 스페인 169

Ⅵ. 스페인

1. 녹색산업 기술(시장) 현황

2. 녹색기술 보유업체 명단 및 기술내용

3. M&A 또는 전략적 기술제휴 가능성

170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Ⅵ. 스페인

1. 녹색산업 기술(시장) 현황

1) 국가별 녹색산업 동향

□ 에너지 시장 동향

○ 스페인은 녹색에너지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의 기술과 경쟁력을 보유한 국가 중 하나이며, 특히 신재생에너지

산업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음

- 태양광 분야의 경우, 2008년에 발전량 기준으로 독일을 앞지르며 세계 1위를 기록했음.

스페인의 태양광 발전량이 2007년 560MW에서 2008년에 2,511MW로 높은 증가를 기록했

으며, 1,500MW을 기록한 독일에 비해 67%나 높은 수치임.

- 2007년에도 2006년 대비 450%나 성장한 바 있으며, 이와 같은 태양광 에너지 산업의

호황은 태양광 발전 전력에 대한 정부의 보조금과 태양광 판넬 생산 단가의 하락세가

주요 요인이라 할 수 있음.

< 국가 및 지역별 태양광 에너지 발전량 현황 >(단위: MW)

구분 2005 2006 2007 2008

스페인 26 88 560 2,511

독일 850 850 1,100 1,500

미국 114 145 207 342

일본 290 287 210 230

기타 전세계 국가 12 196 207 485

기타 EU국가 30 37 108 492

총 합계 1,321 1,603 2,392 5,559

자료원: EPIA (European Photovoltaic Industry Association)

Ⅵ. 스페인 171

□ 에너지원별 산업동향

○ 신재생에너지 이용비율이 전체의 7.6%(2008년 기준, 소비량 기준)

- 2008년 기준, 스페인의 총 전기 소비량은 142,070ktep이었으며, 신재생에너지 소비량은

전체의 7.6%로 나타남. 전체 에너지 소비 중 석유 47.9%, 천연가스 24.5%, 핵발전 10.8%,

석탄 9.8%로 아직 신재생에너지 이용비율이 낮은 편임.

○ 반면, 전체 에너지 생산 중 신재생에너지 비중은 2008년 기준 20.5%로 나타났으며, 매년 생산량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임

<전체 에너지 생산 중 신재생에너지 비중>

연도 2005 2006 2007 2008 2009*

비중 18% 18.8% 19.8 % 20.5% 25%

주: *는 예상치

자료원: IDAE (에너지 전략 및 다변화기구)

- 신재생에너지 설치용량의경우, 수력이 가장 높게나타났으며, 풍력, 태양광 순으로기록됨.

< 2008년 신재생에너지 설치용량 및 생산량 >

세부구분 설치용량(MW) 생산량(GWh)

수력(>50MW) 13,521 9,802

수력(10-50MW) 3,058 10,517

수력(<10MW) 1,872 2,952

바이오매스 374 2,485

매립에너지 189 1,835

풍력 16,546 31,802

태양광 3,270 2,512

바이오가스 149 635

태양열 61 15

총계 39,041 62,555

자료원: IDAE

○ 1700여개의 신재생에너지 관련 기업이 활동 중

- 스페인 무역통상관광부 산하기관인 에너지 전략 및 다변화기구(Institute for

Diversification and Saving of Energy : IDAE)에 따르면, 2008년 말 기준 스페인에서

활동하는 신재생에너지 관련 기업 수는 약 1700여개인 것으로 파악됨.

- 태양광 에너지관련기업이 전체의 31.4%로 가장큰 비중을차지하고 있으며, 풍력, 태양열

에너지와 관련된 기업이 그 뒤를 잇고 있음.

172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 에너지별 관련 기업 분포 및 평균 근로자수(2008년 기준) >

(단위: %, 명)

구분 전체 중 비율(%) 기업별 평균 근로자수(명)

풍력 25.4 108

수소 에너지 5.7 192

태양열 20.0 128

태양광 31.4 74

바이오매스 7.2 92

바이오연료 5.3 33

바이오가스 1.1 241

기타 3.9 241

자료원: 스페인 태양광 협회(ASIF)

○ 풍력에너지

- 2008년말 기준, 총 16,740MW로 설치용량 기준으로 유럽 내 2위(1위 독일, 23,903MW)를

기록했으며, 2010년까지 20,155MW의 발전시설을 구축할 계획임.

- 스페인 풍력 시장은 약 20억 유로 규모이며, 최근 매년 약 15%의 성장세를 보여왔음.

- 현재 Iberdrola, Gamesa, Acciona와 같이 각 분야별 세계 상위 10위 안에 드는 풍력

발전 관련 스페인 기업들이 활동하고 있으며, 그 밖에도 약 600여개의 풍력 관련 기업이

있음.

○ 태양광에너지

- 녹색에너지산업중가장빠른속도로성장한분야중하나로, 당초정부계획은 2010년까지

400MW의 발전용량을 확충하는 것이었으나, 2007년 말에 이미 500MW를 보유함으로서

목표량을 크게 초과했음.

- 스페인은 유리한 자연조건으로 인해 s/m당 1580 kWh 의 태양 빛을 받아 유럽 평균

일조량인 1096kWh 보다 월등히 높게 나타남.

- 세계적인 컨설팅 그룹 Ernest & Young에서 스페인이 태양광 산업에 있어 세계에서

두번째로유망한국가라고밝힌바있으며, 2008년에태양광발전분야세계 1위를기록했음.

- 스페인 태양광 에너지 부문의 시장 포화상태, 정부의 지원액 감축, 건설 경기 하락 등에

영향을 입어 ISOFOTON과 같은 대표적인 태양광 부문 기업도 직원을 감원하고, 태양광

모듈 공장 생산을 일시 중단하는 등 경제위기의 영향을 받고 있음.

- 이런 스페인 국내 사정으로 인해, 해외 진출에 활발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국제

건설 프로젝트입찰에서 두드러진 활동을 보이고 있음.

Ⅵ. 스페인 173

2) 기술력 보유현황 및 특화분야별 강점

□ 에너지원별 기술력 보유현황 및 특화분야별 강점

○ Iberdrola, Acciona 등 세계적인 글로벌 기업의 활발한 활동

- 풍력 및 태양 에너지 부분에서 세계적인 글로벌기업으로 손꼽히는 Iberdrola, Acciona,

Isofoton 등이 대표적인 스페인 기업임.

- Iberdrola 사의 경우, 총 9,600 MW 규모의 신재생에너지 발전 플랜트가 가동 중에 있으며,

총 56,000 MW 규모의 신재생에너지 플랜트 건설 프로젝트에 참여해왔음. 2008년 총

매출액은 약 28억 유로로 전년 대비 21.5% 증가해, 최근 빠르게 성장하는 기업으로

손꼽힘.

- Acciona 사의 경우 현재 총 5,500 MW 규모의 신재생에너지 발전 플랜트가 가동 중에

있으며, 그 중 5,300MW는 풍력 발전시설에 해당함. 최근 미국 진출도 활발히 이루어져

네바다 주에 41MW규모의 태양광 플랜트와 29MW의 태양열 플랜트를 설치함. 2008년

총 매출액은 약 18억 유로로 전년 대비 59% 증가한 바 있음.

- 스페인 태양광 에너지 부문의 시장 포화상태, 정부의 지원액 감축, 건설 경기 하락 등에

영향을 입어 ISOFOTON과 같은 대표적인 태양광 부문 기업도 직원을 감원하고, 태양광

모듈 공장 생산을 일시 중단하는 등 경제위기의 영향을 받고 있음.

- 이런 스페인 국내 사정으로 인해, 해외 진출에 활발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국제

건설 프로젝트입찰에서 두드러진 활동을 보임.

○ 풍력에너지

- 2008년 말 기준, 총 16,740MW로 설치용량 기준으로 유럽 내 2위(1위 독일, 23,903MW)를

기록했으며, 2010년까지 20,155MW의 발전시설을 구축할 계획임.

- 스페인 풍력 시장은 약 20억 유로 규모이며, 최근 매년 약 15%의 성장세를 보임.

- 현재 Iberdrola, Gamesa, Acciona와 같이 각 분야별 세계 상위 10위 안에 드는 풍력

발전 관련 스페인 기업들이 활동하고 있으며, 그 밖에도 약 600여개의 풍력 관련 기업이

종사하고 있음.

- Acciona사의 경우, 경북영양에 기투자진출한 바 있으며, 스페인 유력 풍력 발전기업들이

대한 진출에 관심을 보여 왔음.

- Gamesa가 대표적인 풍력터빈 제조기업이며, 2010년까지 8-10 MW 규모의 풍력 터빈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음.

174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 2007년 이후 Off-shore 풍력 발전시설 건설이 합법화되어, Iberdrola, Acciona, Capital

Energy 등과 같은 기업이 연안 풍력 사업에도 진출 중이나, 아직은 시험단계임.

- 가정용 풍력 발전 시설을 위한 기술 발전 및 보급화도 함께 진행 중이며, 지붕용 소형

발전기 등 실험적인 연구가 추진되고 있음.

○ 태양광에너지

- 녹색에너지 산업 중 가장 빠른 속도로 성장한 분야 중 하나로, 당초 계획은 2010년까지

400MW의 발전용량을 확충하는 것이었으나, 2007년 말에 이미 500MW를 보유함으로서

목표량을 크게 초과함.

- 스페인은 유리한 자연조건으로 인해 s/m당 1580 KWh 의 태양빛을 받아 유럽 평균

일조량인 1096KWh보다 월등히 높게 나타남.

- 세계적인 컨설턴트 그룹 Ernest & Young에서 스페인이 태양광 산업에 있어 세계에서

두번째로유망한국가라고밝힌바있으며, 2008년에 태양광발전분야세계 1위를기록했음.

- 태양광 모듈, 판넬, 태양추적기, 엔지니어링등태양광발전분야의단계별제품과서비스가

다양하게 발달되어 있음.

- 최근 Organic Cell이나 Polimetric Cell과 같은 새로운 물질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도

연구되고 있으며, 제 3세대인 고집중 태양전지에 대한 개발도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음.

- 또한, 스페인에서는 기존의 태양광 발전 시스템 이외에도 타워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등 신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음. 또한, 태양광 전지도 유연성(flexible cell) 있는 제품,

나노기술을 활용한 다중결정 태양전지, 박막 투명 실리콘 태양광 전지 등 신제품이 연구

개발되고 있으므로, 태양광 분야에 대한 다양한 기술 협력 모색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됨.

○ 폐기물 에너지 분야 협력 유망

- 스페인 내에서 폐기물 처리를 통해 에너지를 생산하는 기술개발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어, 동 분야에 대한 기술 협력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망됨.

- 환경오염 없이 폐기물을 처리하면서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이나 가스 등을 이용해

전기를 생산, 에너지화 하는 폐기물에너지화 시스템이 유망할 것으로 보임.

- 특히, 동 분야의 경우 우리나라의 수요에 비해 아직 기술력이나 공급이 부족한 상황으로

평가되고있어, 스페인의우수기술보유기업과의공동연구및개발등도가능할것으로보임.

- 일례로 스페인의 대표적인 폐수처리 기업 Agbar의 경우에도 폐기물 처리 관련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해외진출도 활발하게 추진 중임.

Ⅵ. 스페인 175

○ 바이오에너지 분야 협력 가능

- 스페인 내에서 바이오매스를 바이오연료로 변환시키는 기술 및 장비가 개발되고 있어,

동 분야에 대한 협력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됨. 일례로 해초에서 발생되는 CO₂를 활용해

의약품으로 변환시키거나 연료로 활용하는 기술도 개발되어 있어, 국내 도입이 가능한

기술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보임.

3) 녹색산업 정부정책 및 제도

□ 녹색산업 관련 정부정책 및 제도

○ 2005-2010 신재생에너지 계획

- 기존의 2000-2010 10개년 에너지개발계획을 대체하는 계획안으로총 236억유로를 투자하

여 2010년까지 국내 총 에너지 소비량의 12% 이상을 대체에너지로 충당하는 것을 주

내용으로 함.

- 주요 목표

․ 2010년까지 전체 에너지 소비량의 12%를 신재생에너지로 대체․신재생에너지 전력생산

량을 전체의 최소 29.4%로 확대

․ 자동차에서 소비되는 에너지의 5.75%를 바이오 연료로 대체

- 분야별 주요 목표

․ 풍력에너지 : 설치량을 20,155MW로 확대(45,511GWh 생산)

․ 수력에너지 : 수력발전소 360MW, 소형수력발전소 450MW

․ 태양열에너지 : 4,200,000㎡, 500MW규모

․ 태양광에너지 : 363MWp

․ 바이오매스 : 1695MW

․ 바이오가스 : 94MW

<2005-2010년 신재생에너지 진흥계획에 책정된 예산 현황>

분야 단위

공공부문 총지원액 84억 9224만 유로

총투자액 235억 9864만 유로

총에너지 생산량 10,480,526 tep

고용인원 94,925명

감소예상 오염물질량 76,983,254 CO2

자료원: 스페인 산업통상관광부(www.mityc.es)

176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 국가 에너지 절약 및 효율적 사용 정책 추진

- 스페인정부는 2004-2012년 기간 중 국가적 차원의 에너지 절약 및 효율적 사용 정책

(Estrategia de Ahorro y Eficiencia Energeticas)을 시행해 왔으며, 이를 위해 조명, 교통,

가전제품, 인프라 시설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에너지 사용 효율성을 극대화하려는 노력

중임.

- 특히 2008년 8월 1일 국무회의에서 총 2억 4500만 유로를 투자해 에너지 절약 계획(Plan

de Ahorro y Eficiencia de Energia 2008-2011)을 시행하기로 결정한바 있으며, 이를

통해 석유 수입량의 10% 가량을 감축함으로서 총 41억 유로의 경제효과를 얻게 될

것으로 기대됨.

- 본 에너지 절약 계획은 운송, 건설, 조명 분야에 걸친 총 31개의 에너지 절약 방안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중 조명분야에 해당하는 에너지 절약 방안은 총 8개임.

○ 조명분야 에너지 절약 관련 주요 사항

- EU와의 협정에 따라 2012년까지 저효율 전구의 판매 금지를 준비 중이며, 이를 위해

2009년과 2010년에 걸쳐 매년 각 가정에 고효율전구 한 개씩을 무상 지급할 예정임.

이를 통해약 5천만개의고효율전구가소비될것으로예상되며, 사용될전구는공공입찰을

통해 전구 제조사를 선별할 계획임.

- 위의 방안과 더불어, 국가적 차원에서 두 개의 백열전구를 한 개의 고효율 전구로 교체해

주는 방안을 시행할 예정임. 동 방안을 위해 총 600개의 고효율 전구를 추가로 공급할

예정임.

- 모든 정부 부처는 2009-2011년간 매년 총 전력사용의 10%를 절약하는 방안을 의무적으로

마련해야 함. 특히, 공공기관 외관 조명을 고효율 전구로 바꿀 예정임.

□ 신재생에너지 연구‧개발(R&D) 지원 프로그램

- 스페인 중앙정부 및 지방 자치주는 국가경제 발전을 위해 우선순위로 꼽히는 산업을

적극 지원하며, 기술 개발 및 연구 활동을 지원하고 있음.

- 특히 2008년부터 2011년까지 제 6차 R&D(I+D+i) 육성 국가계획을 실시하여 5차시보다

두 배 이상의 자금을 지원할 예정임. 동 국가계획을 통해 과학지식 증대, R&D 부문

협력, 산업별 기술 혁신, 전략 기술 확보 (바이오테크놀로지, 나노기술, 자연환경변화

등) 등을 추진 중임.

- R&D 부문 장려 인센티브 정책은 다음과 같이 분류됨

․ 인센티브 종류: 지원금, 융자, 선불

․ 대상: 기업 (중소기업포함), 기술 센터, 대학연구센터, R&D 센터, 비영리 연구 센터등

Ⅵ. 스페인 177

․대상프로젝트 및활동분야: 순수 및 응용과학 연구, 기술 가능성 시험 연구, 과학 세미나

및 컨퍼런스 등

- CDTI에서 기술개발 지원제도 운영

․ 일례로 개별 기술연구개발 프로젝트(PID)의 경우, 1-2년의 연구기간 동안 최대 75%까지

자금 대부(10년 동안 무이자). 단, 15%에 해당되는 금액은 상환의 의미가 없는 순수

지원 자금임.

○ 유럽 연합 내 Framework Programme을 통한 기술협력

- 스페인기업과 외국기업과의기술 협력제도는 EU 기준에 맞게진행되며, 외국 기업과의

기술협력 프로그램을 Framework Programme(Programa Marco)이라 칭함.

- 동 Framework Programme은 유럽 내 산업의 기술력 향상을 목적으로 하며, 녹색에너지는

물론 나노기술, 게놈 프로젝트, 우주항공, IT 등 각종 R&D 분야를 지원함.

- 이를 위해 EU 차원에서 총 175억 유로의 예산이 소요되며, 그 중 8억 1000만 유로가

그린에너지 개발 연구에 이용되고 있음.

○ 비EU국과의 합의된 기술협력 정책

- EU와 비EU 국가와의 기술 협력 시 적용되는 기본적인 정책은 준비되어 있지 않으며

개별사안(case-by-case)에 따라 결정됨. 즉 어떤 특정 국가와 기술 협력이 필요할 시에는

그 건에만 해당하는 가이드라인이 주어지게 됨.

○ 스페인 산업기술개발센터(CDTI)의 국제협력프로그램 운영

- 스페인 내 기술 개발을 위해 외국기관과 공동 기술개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와도 Korea & Spain Innovating(KSI)라는 프로그램을 운영 중임.

- 단, 동 공동 기술개발 지원프로그램은 녹색 에너지산업에국한되지않고, 전반적인 산업기

술을 포괄하고 있음.

□ 신재생에너지 사용 확산 장려정책 및 특혜제도

○ 태양광 판넬 의무 설치

- 스페인에서 2006년 3월 1일부터 신규 건축물 기술규정(Codigo Tecnico de la Edificacion)이

발효되어 병원, 하이퍼마켓, 호텔, 전시장 등 대형 건물의 경우 태양광판 설치가 의무화됨.

178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 태양광 발전 전력에 대한 보조금제도 운영

- 법령 Royal Decree 661/2007에 의거해, 태양광 발전을 통해 생산된 전력의 경우 정부의

보조금 지원을 통해 일반 발전 시설에서 생산된 전력보다 높은 가격에 판매할 수 있게

되었음. 정부의 태양광시설 설치목표량이 조기 달성됨에 따라, 2008년 9월 26일에 Royal

Decree 1578/2008을 통해 정부 보조금 수준을 조정한 바 있음.

- 정부보조금 지원은 산업통상관광부 에너지정책국 (Direccion General de Politica

Energetica)에서 관리하는 에너지 생산시설 등록부에 등록허가를 받는 시설에만 해당함.

이와 같은 시설은 아래와 같이 두 가지로 분류됨.

․ Type 1) 농어업 및 주거, 서비스, 상업, 공업용 시설로서 천정이 견고한 재질로 쌓여있는

것을 전제로 함.

subtype 1) 동력 20kW 이하

subtype 2) 동력 20kW 이상

․ Type 2) 위의 조건에 해당되지 않는 시설물

- 지급액

․ 시설별 해당되는 타입에 따라 다른 액수의 지원금을 받게 됨.

타입 액수 (Euro/kWh)

Type1subtype 1.1 34.00

subtype 1.2 32.00

Type2 32.00

○ 세제혜택 및 금융지원

- 신재생에너지 분야 금융지원제도 운영

․ IDAE에서 3천만 유로 가량의예산을통해 신재생에너지산업관련 프로그램을지원하고

있으며, 지원 방식은 신용대부를 통한 태양열 에너지, 폐기물 발전 등 신재생에너지

분야 프로젝트에 투자하는 형태임.

․ 대기업을 제외한 개인, 중소기업, 단체 및 지자체가 지원대상임.

․ 해당 분야 : 태양광 발전(태양전지판을 이용, 기존 전력망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태양열

발전(20kW이하 발전시설), 바이오매스 등

․ 저금리 금융대출제도 운영

: 중소기업, 기관, 개인에게 11년간 저금리 자금 대출 (euribor+0.30%)

: 20kW이상 규모의 태양열 발전소 건설, 3MW(t)건물용 바이오매스 이용 열발전소

등 규정을 명시해 해당분야에 대출제도 운영

: 소요 자금 100%까지 지원되며, 최대 150만 유로(부가세 제외 시)까지 지원함.

Ⅵ. 스페인 179

- 신재생에너지 분야에 대한 투자 시 세제 감면 혜택 부여

투자실시 연도 세제 감면 비율(%)

2006년 이전 10

2007년 8

2008년 6

2009년 4

2010년 2

2011년 0

자료원 : 스페인산업통상관광부

○ 지역별 인센티브

- 각 지자체별 신재생에너지 분야에 대한 인센티브제 운영

․ 주거시설에 대한 투자 시 5%의 세제 감면 혜택이 있으며 연간 최대 4100유로까지

혜택을 받을 수 있음.

- EU가 지정한 한도 내에서 보조금, 신용대부, 사회보장세 할인 등 여러 가지 장치가

마련되어 있는데, 스페인 내 지역 간의 경제 격차를 줄이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어

경제 발전이 더딘 지역일수록 더 많은 인센티브 혜택을 받을 수 있음.

- 위의 지역별 인센티브 혜택은 EU 위원회에서 제작한 EU 지원금 상한 기준에 의거해

주어지게 되는데, 2007-2013년에 지정된 스페인 지역별 상한선은 동유럽 국가의 EU

가입으로 인해 2000-2006년에 비해 다소 낮아짐.

- 동 기준에 의거하여, Extremadura, Canarias, Andalucia 와 같이 경제성장율이 낮은

곳에는 고정 자산 투자액의 최고 40% 까지 보조금 상한이 가능하고, 그 밖에 Castilla-La

Mancha나 Galicia 주도 최고 30%의 보조금 지원을 받을 수 있음.

- 상기 보조금은 상한선을 의미하므로 반드시 상한선인 40%를 지원 받는다는 보장이

없으며, 투자규모, 기타 여건 등을 고려해 양자 간 협상을 통해 지원 폭이 달라짐.

< 마드리드 주의 인센티브 예시 >

- 풍력발전 : 30% 자금 지원

- 바이오매스 : 투자액의 30% 지원

- 풍력발전(신규설비 또는 기존, 10MW까지) : 투자액의 30%

- 태양광(5kWp이상) : 라인 연결 시스템 1.3유로/Wp, 자체 충전시스템 3.5유로/Wp 등

- 연구개발 프로젝트 : 투자액의 40%까지 지원

* 동 지원의 경우, 추후 자금 상환의무 없음.

180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대상분야 태양열 지역 스페인 세비야

세부분야 Solar tower

기술명 태양에너지 타워

기술내용

- 솔라 타워 기술은 크게 집광기(heliostat)와 리시버(receiver)로 구성되어 있음.

집광기는 태양열을 받아서 중앙 리시버에 집중시키는 역할을 하며, 각 집광기는

평평한 반사표면, 지지 구조물, 태양광추적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음. 최근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반사표면은 거울임. 리시버는 집광기를 통해 반사된 태양에너지를

작동유체(working fluid)로 전달하는 기능이 있으며, 작동유체에서 나오는 열이

전력 운영에 이용됨. 이런 솔라 타워 기술은 다른 방식에 비해 에너지 효율성이

높은 특징이 있음.

- 세계 최초로 상용화된 태양에너지 타워 PS10은 7년간의 연구개발 노력의 결과물이었

음. PS10은 11MW의 전력생산 가능용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연간 24.3GWh의 청정에

2. 녹색기술 보유업체 명단 및 기술내용

□ ADES

대상분야 풍력 지역 스페인 사라고사

세부분야 Wind Turbine

기술명 100, 250 KW의 소형 풍력터빈

기술내용

- 강풍에도 견디는 3가지의 passive mechanical system을 보유한 제품임:Oscillating

single-blade rotor, power train pendulum, autotimonante gondola. 이를 통해

전력 과부화도 줄일 수 있음.

- 동 터빈은 기존의 인프라구조를 활용하면서 전력연결이 어려운 지역에도 설치가

가능함.

- 현재 100, 250KW의 소형 풍력터빈을 주로 생산하고 있고, 2012년까지 1.3MW

규모 제품으로 제품을 다양화할 계획임.

- 동사의 터빈은 설치가 용이하며, 유지비용이 저렴하다고 함.

- 현재 콜롬비아와 라트비아에 수출중임.

CEO Manuel Lahuerta Romero 설립연도 1992.05.08

주소

CALLE SABINA PG

MALPICA-ALFINDEN, NAVE 13.

PUEBLA DE ALFINDEN (LA)

50171, ZARAGOZA

매출액(2007년) (천유로)

34,679

담당자 Maria Lahuerta Antoune 고용 (명) 60

연락처

-Phone : +34 976 571 193

-Fax : +34 876 246 364

-E-mail : [email protected]

-Web : www.ades.tv

해외조직 없음.

□ Abengoa Solar

Ⅵ. 스페인 181

너지를 공급하고 있음. 이는 5500개 가정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양이며, 6700톤의

CO2 배출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함. PS10에는 624개의 집광기가 작동중이며,

개개의 집광기는 태양추적시스템을 갖추고 있음. 리시버는 타워 윗부분에 위치해

있으며, 보통 92%의 열효율을 보이며 섭씨 250도의 스팀 55MWt를 전달할 수

있음. 동 시스템의 작동을 위해서는 집광기 청결상태 유지가 필수조건이므로 관리에

주의를 기울여야 함. PS10은 태양이 부족한 구름이 낀 날씨나 밤에도 전력생산을

위해 1시간 동안 스팀을 저장할 수 있으며, 태양열 반사정도가 낮을 때 천연가스를

통해 12-15%정도를 공급할 수 있음.

- PS10부지 근처에 PS20이 건설되었으며, 20MW규모로 1255개의 집광기가 설치되었

음. 160m 높이의 타워로 2009년 4월 30일부터 운행을 시작했으며, 12000개 가정에

전력을 공급할 예정이다. PS20은 기존보다 리시버의 효율성을 높였으며, 에너지

저장 및 운영 시스템에서도 개선된 것으로 평가되고 있음.

- 동 타워 건설 운영을 통해 세비야 지역에서 전력 생산뿐만 아니라, 지역 고용창출

효과도 있으며 시설 견학을 위한 과학투어도 활성화되고 있음. Abengoa Solar사는

솔라 타워 방식 이외에도 Parabolic Trough 기술, Dish Stirling 방식도 개발 중이며,

R&D에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기업임.

CEO SANTIAGO SEAGE MEDELA 설립연도 1983년

주소AVENIDA LA BUHAIRA 2, 41018,

SEVILLA

매출액(2007년) (천유로)

69,000

담당자 Gunnar Marquardt 고용 (명) 100

연락처

-Phone : +34 954 937 111

-Fax : +34 954 452 659

-E-mail :

[email protected]

-Web : www.abengoasolar.es

해외조직 미국, 모로코, 알제리, 중국 등

대상분야 태양에너지 지역 스페인 톨레도

세부분야 Solar Concentrator

기술명 125-129 STIRLING

기술내용

- 대형 태양열 기지(CSP)를 위한“125-129 STIRLING”라는 Stirling disc

concentrator를 개발했음.

- 고도의 반사경으로 구성된 64.5㎡ 규모의 2개의 타원형구조물로 구성됨.

□ TITAN TRACKER

182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 동 기술은 고집중 태양광 분야에도 성공적으로 적용되었으며, 기하학과 지속적인

연구로 0.01˚보다 높은 고도의 정밀함과 높은 신뢰성을 획득했음.

- 또한, Stirling Concentrator은 비용적인 면에서 효율성이 높아, 대형 태양열 발전소

에 이용되고 있음.

- TITAN TRACKER는 이 기술에 대한 관심이 있는 EPC 및 제조업체와 라이센스

계약 체결이 가능하다는 입장임.

CEO Carlos Garcia 설립연도 2005년

주소Carretera de Gerindote 18,

45500, Torrijos(Toledo)

매출액(2007년) (천유로)

6,000

담당자 Carlos García 고용 (명) 7

연락처

-Phone : +34 925 770 418

-Fax : +34 925 770 418

-E-mail : [email protected]

-Web : www.titantracker.es

해외조직 없음.

□ YES INTERNATIONAL(Ynfiniti)

대상분야 풍력 지역 스페인 마드리드

세부분야 Wind Turbine Cleaning System

기술명 Wind Turbine Cleaning System

기술내용

- 동사는 수증기를 통해 풍력 터빈 블레이드를 청소하는 시스템을 개발, 보유하고

있음. 이 시스템은 터빈 블레이드의 기반 부분에 설치하며, 자동 세척 시스템임.

- 동 세척시스템을 통해 에너지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음.

CEO GREGORIO ENCINAS CASTRO 설립연도 2006.06.28

주소

Calle Ochandiano 6, Edificio 6,

Planta 2, Centro Izquierda

28023,

El Plantio, Madrid, Spain

매출액(2007년) (천유로)

15,174

담당자 Lola Perez 고용 (명) 120

연락처

-Phone : +34 913 729 287

-Fax : +34 913 077 676

-E-mail :

[email protected]

-Web :

http://www.yesinternational.es

해외조직 없음.

Ⅵ. 스페인 183

대상분야 Green bus 지역 Madrid

세부분야 Green bus

기술명 TEMPUS

기술내용

- 2개의 전기 모터와 3개의 나트륨 염화물 전지로 구성됨.

- 전력이 다 소모되었을 경우, 디젤 엔진이 작동해서 재충전하게 되는 시스템임.

- 이런 디젤 엔진과 전기모터의 혼합 시스템을 통해 50%의 연료 절감 효과와 이산화탄

소 배출 감소 효과가 있음. 80리터의 디젤 연료로 300km 운행이 가능함.

- 이 버스는 오래된 도시 내 좁은 거리를 위해 특수 디자인되었음.

□ TECNALIA

대상분야 태양전지 지역 Madrid

세부분야 NANOSOL Project

기술명 태양전지용 신규 재료 연구

기술내용

- Metal Oxide와 Conductive Plymer를 활용한 모노구조 하이브리드 코팅에 기반한

태양광 전지를 개발 중임.

- 현재 이용되고 있는 DSSC (Dye Sensitized Solar Cells)에 대한 대안으로 안정성과

제조의 용이성을 높이는 기술임.

CEO José María Echarri 설립연도 2001

주소

Parque Tecnológico de Bizkaia, C/Geldo,

Edificio 700

48160 Derio

매출액(2007년) (천유로)

125,000

담당자 Luis Pedrosa 고용 (명) 1402

연락처

-Phone : +34 946 073 300

-Fax : +34 946 073 349

-E-mail :

[email protected]

-Web : www.tecnalia.info

해외조직

중국, 미국, 콜롬비아, 세르

비아, 이탈리아, 프랑스, 멕

시코, 불가리아, 이집트

□ CASTROSUA

184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CEO JOSE CASTRO SUAREZ 설립연도 1971.08.13

주소

CARRETERA CORUNA KM 59.5.

SANTIAGO DE COMPOSTELA,

15890,

A CORUÑA, Spain

매출액(2007년) (천유로)

48,868

담당자Antonio Barreiro

José Ramón Porto 고용 (명) 400

연락처

-Phone : +34 981 552 460

-Email :[email protected]

-Web : www.castrosua.com

해외조직 없음.

대상분야 Biofuel 지역 스페인 마드리드

세부분야 Biofuel adapter

기술명 Biokit. Biofuel adapter

기술내용

- Biokit는 바이오 에탄올e85를 가솔린 차량에서 대체연료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전자장비. 동 장비는 스위치보드, 배선기(hardwiring), 온도센서기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3,4 실린더 엔진에 이용이 가능함. 스위치보드는 모터 타입과 실린더

수에 맞춰서 조정이 됨.

- 동 장비 이용 시 일반 휘발유와 바이오 에탄올 중에 선택할 수 있는 장비가 있어,

사용이 편리함.

CEO José Luis Martin 설립연도 2006

주소

C/ Almería, 16-18, V 10. Colonia Los Ángeles, C.P. 28223.

Pozuelo de Alarcón (Madrid).

Spain

매출액(2007년) (천유로)

-

담당자 José Luis Martin 고용 (명) -

연락처

-Phone : +34 917 113 256

-Fax : +34 915 189 829

-Web : www.biokitmotor.com

해외조직 없음.

□ BIOKIT

Ⅵ. 스페인 185

□ AEROBLADE

대상분야 풍력 지역 스페인 비토리아

세부분야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기술명-풍력터빈용 블레이드

-풍력 블레이드 발전을 위한 항공기술

기술내용

-동사는 풍력 터빈 블레이드의 설계 및 제조 전문기업임.

-최저 비용으로 최대의 전력 생산을 도모하도록 설계되어 있음. 또한, 침식, 물,

바람 등의 상황에서도 보호될 수 있도록 설계되었음.

-동사는 Aernnova라는 항공 회사와 Synergy그룹에 속해있는 바스크지방의 주요

풍력 터빈 블레이드 제조기업임.

-2010년에 1000개의 풍력 터빈 블레이드를 시장에 공급할 예정임.

CEO Joseba Aramburu 설립연도 2008

주소Portal de Gamarra, 40, 01013,

Vitoria, Spain

매출액(2007년) (천유로)

-

담당자 Itziar Castresana 고용 (명) -

연락처

-Phone : +34 945 129 270

-Fax : +34 945 298 174

-Email :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Web : www.aeroblade.es

해외조직 없음.

□ BIOENERGIAS BETANIA

대상분야 Biofuel 지역 스페인 바르셀로나

세부분야 Biofuel

기술명 Biodiesel

기술내용

- 바이오 디젤 제조관련 전 과정에 대한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자동화 방식의

공장 건설 엔지니어링에도 종사하고 있음.

- 유기 폐기물을 바이오비료와 동물용 사료로 전환시키는 바이오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바이오디젤, 바이오에탄올, 바이오가스 등의 공장을 위한 바이오연료 솔루

션 기술도 보유하고 있음.

CEO Jorge García Pena 설립연도 -

주소

C/ Manuel florentin 25-31 casa

12, Esplugas de Llobregat

08950, Barcelona, España매출액(2007년)

(천유로)30,000

담당자 Jorge García Pena 고용 (명) -

연락처

-Phone : +34 934 737 420

-Fax : +34 934 731 292

-Email : [email protected]

-Web : www.bio-energias.com

해외조직중남미에서 다수 프로젝트

진행 중

186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 Solmeraya

대상분야 태양광 지역 스페인 알메리아

세부분야 태양광 모듈

기술명 PV Flexible Module

기술내용

- 어떤 표면에도 적용 가능한 유연성 있는 태양광 모듈로서 에너지 생산과 공간

효율을 최대화함.

- 크리스탈 태양광 모듈보다 90%이상 가벼움.

- 다른 제품에 비해 온도와 습기에 대한 저항력이 강하고, 생산 및 판매비용이 저렴함.

- 특히, 온실 및 관개시설용으로 활용이 가능하며, 물의 증발을 막고 깨끗한 전기를

생산할 수 있음.

- 알메리아 대학(Universidad de Almería)과 공동 연구를 통한 R&D를 진행해 왔음.

CEO Enrique Myro 설립연도 2008

주소C/ La Pilarica, 6, 5ºA; 04009

Almería, Spain매출액(2007년)

(천유로)-

담당자 Leyre Gabela 고용 (명) -

연락처

-Phone : +34 950 174 285

-Fax : +34 950 174 285

-E-mail : [email protected]

-Web : www.solmeraya.es

해외조직 없음.

Ⅵ. 스페인 187

회사명 업체 의견

ADES

- 몇 년 전에 한국에 자사 제품 설치 방안을 조사한 적이 있으나, 경제

위기와 원화의 평가절하로 인해 시장조사를 중단했었음.

- 현재 동사 제품의 해외시장 진출에 관심이 많기 때문에, 대한 수출 및

한국과의 협력관계 구축에도 관심이 있음.

Abengoa Solar- 동사는 최근 해외진출을 강화하고 있으므로, 시장 상황에 따라서 대한

투자진출 및 솔라타워 건설 등 다양한 가능성이 열려있다는 입장임.

Titan Tracker- 현재 자사 제품의 수출에 관심이 크므로, 대한수출을 우선적으로 추진하길

희망함.

Biokit Motor

- 유럽에서 Biokit의 제품은 인증을 받았기 때문에 한국에서의 제품 판매에

문제가 없음. 동사는 한국 기업과 협력관계 구축을 희망하며, 수출 및

라이센스 등 다양한 가능성 모색이 가능하다는 입장임.

Aeroblade- 동사 제품 생산을 위한 탄소 섬유 및 유리 섬유 제조업체에 관심이 있으며,

동사에서 제조한 터빈 블레이드의 대한 수출도 희망하고 있음.

YES International - 대한 수출 및 서비스 제공에 관심이 있음.

Castrosua- 한국기업과의 기술적인 협력에 개방적임. 특히, 리튬 전지 및 전기 자동차의

기술관련 공동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는 한국의 업체와 제휴를 희망함.

Tecnalia- 기술 이전 및 공동 연구 등 한국기업과의 기술협력에 큰 관심을 보임.

이미 아시아 및 다른 지역의 국가들과 국제적인 제휴를 맺고 있다고 함.

3. M&A 또는 전략적 기술제휴 가능성

○ 전반적인 제휴 가능성

- 풍력분야의경우, 풍력발전기 완제품 및각종 부품산업이발달되어있어, 부품산업 위주로

전략적인 제휴가 가능할 것으로 보이며, 소형 풍력발전기 등 신규 개발 제품에 대해서도

기술협력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됨.

- 태양광 에너지 분야의 경우, 태양광 모듈, 판넬, 태양추적기, 엔지니어링 등 발전 단계별

제품과 서비스가 다양하게 발달되어 있어, 태양광 분야에 대한 다양한 기술협력 모색이

가능할 것으로 보임.

-또한, 스페인내에서폐기물처리를통해에너지를생산하는기술개발이활발하게연구되고

있어, 동 분야에 대한 기술 협력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망됨. 환경오염 없이 폐기물을

처리하면서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이나 가스 등을 이용해 전기를 생산, 에너지화하는

폐기물에너지화 시스템이 유망할 것으로 보임. 특히, 동 분야의 경우 우리나라의 수요에

비해아직기술력이나공급이부족한상황으로평가되고있어, 스페인의우수기술보유기

업과의 공동연구 및 개발 등도 가능할 것으로 보임.

- 그 외에 바이오매스를 바이오연료로 변환시키는 기술 및 장비가 개발되고 있어, 동

분야에 대한 협력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됨.

188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Bioenergías Betania- 한국기업과의 제휴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2009년 10월에 기술

이전을 목적으로 그린허브코리아 테크노마트 행사에 참가했음.

- 브라질,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경우 현지 파트너와 비즈니스를 진행하고

있으며, 아시아 지역으로 비즈니스 확장을 희망하고 있음. 특히, 바이오

디젤 생산공장 특허 이전을 희망함.

Solmeraya- 자사의 제품 판매, 라이센스와 생산 기술을 이전을 목적으로 한 한국기업과

의 제휴에 관심이 있음.

Ⅶ. 네덜란드 189

Ⅶ. 네덜란드

1. 녹색산업 기술(시장) 현황

2. 녹색기술 보유업체 명단 및 기술내용

3. M&A 또는 전략적 기술제휴 가능성

190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태양열

- 일반 가정용 태양열 집열판과 아파트용 대형 집열판 시장 성장세

- 네덜란드 중앙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06년 기준 1억 6천만 유로 규모의 시장이

형성되어 있음.

- 네덜란드 내 2006년 기준 총 647,000㎡의 태양열 집열판 설치. 이 중 41%가 소형

탭 워터 시스템(tap water system)

Ⅶ. 네덜란드

1. 녹색산업 기술(시장) 현황

1) 국가별 녹색산업 동향

□ 에너지 시장 동향

- 네덜란드는 천연 가스와 석유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에너지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청정

에너지원으로의 전환을 적극 추진 중

- 위도 상 태양열의 부족으로 태양열 에너지는 많이 활용되지 않고 주로 풍력 에너지와

바이오 에너지에 대해 연구 개발을 가속

․ 특히 북해 연안에 위치한 지리적 특성을 활용하여 풍력 발전에 대한 비중을 높여가고

있음.

- 현재네덜란드의재생에너지발전비율은전체전력생산량의 6.5% (국내소비량기준)이며

2010년까지 9%에 이를 것으로 전망

- 또한 중장기적 관점에서 2020년까지는 전체 발전량의 20%를 신재생 에너지로 충당예정,

아울러 1990년 대비 이산화탄소 배출 30% 축소도 병행 추진 중

- 네덜란드 최대 전력회사인 NUON社의 경우 재생 에너지를 이용한 전력 생산이 전체

생산량의 21.8%이며 향후 몇 년 내에 30%로 확대할 예정

□ 에너지원별 산업동향

Ⅶ. 네덜란드 191

풍력

- 네덜란드의 풍력 발전은 매년 약 200 MW씩 증가, 매년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약 50억 유로 규모의 시장형성

- 2007년 기준 1,826개의 풍력기가 가동 중이며 이는 600,000 가구의 전력 공급이

가능한 수치

- 1975년부터 1990년대 후반까지 네덜란드 풍력기 터빈 및 부품을 국내 생산하였고

현재는 소수의 생산 업체가 존재

- 가장 주도적인 업체는 Legewey였으나 2003년 파산. 새롭게 등장한 시장 선두 주자는

Darwind BV로서 일본 Harokasan의 자회사임

- 네덜란드 풍력기 시장의 95%를 차지하는 것은 상위 10개사이며 그 중 4개사의 비중이

70%를 넘고 있음

·Vestas(Denmark):28% / General Electronic Wind(미국):18% / Enercon(독일):13%

/ Gamesa(스페인):13%

- 나머지 6개 업체의 시장 점유율은 각각 6% 내외로서 Suzlon, Siemens, Repower,

Nordex, Ecotecnia, Mitsubishi 등이 있음

바이오에너지

- 네덜란드의 재생 에너지 분야 중 최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바이오 에너지는 네덜란드

국내 혹은 국외산 식물성 바이오매스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생산

- 소각, 발효, 가스화 등의 방법을 활용하고 있음.

- 대부분의 바이오매스는 네덜란드 내에서 공급되나 2006년 기준 21 PJ의 바이오매스가

수입되었고 13PJ 이상이 수출되었음

- 네덜란드 정부는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에너지 생산 확대를 추진 중이며 2020년까지

약 5만 가구의 에너지 공급이 가능한 양인 75PJ의 바이오에너지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음

조력 없음

<발전량 기준 에너지원 별 발전 규모>

(단위: PJ/TJ/백만 kWh)

에너지원 2005 2006 2007

석탄 342 PJ 325 PJ 354 PJ

석유 1,249 PJ 1,221 PJ 1,352 PJ

천연가스 1,480 PJ 1,435 PJ 1,395 PJ

원자력 - - -

신재생에너지 합계 78,210 TJ 86,559 TJ 90,839TJ

태양에너지 1,047 TJ 1,085 TJ 1,124 TJ

풍력 17,222 TJ 22,463 TJ 28,193 TJ

바이오에너지 59,208 TJ 62,140 TJ 60,645 TJ

조력 - - -

지열 등 기타 733 TJ 871TJ 877 TJ

합계 114,471 백만 kWh 116,085 백만 kWh 116,620 백만 kWh

* 주 : 원 자료원에서 상이한 단위로 발전량 수치를 제시되어 그대로 인용

* 자료원 : Milieu & Natuur Compendium, Binnenlands energieverbruik per energiedrager

192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연도별, 에너지원별 신재생에너지 생산량>

Energy sources/ techniques

PeriodsPrimary energy

equivalents in TJ/yearPrim. energy eqv. in ㎥

of natural gas.Prim. energy eqv. in % of total energy cons.

Total

energy

sources

2003 48,396 1,529.1 1.502004 61,026 1,928.1 1.852005 80,538 2,544.6 2.442006 89,751 2,835.7 2.792007 95,924 3,030.8 2.872008* 113,874 3,597.9 3.43

Hydroelectric

power

2003 607 19.2 0.022004 794 25.1 0.022005 733 23.2 0.022006 871 27.5 0.032007 877 27.7 0.032008* 836 26.4 0.03

Wind

energy

2003 11,112 351.1 0.342004 15,594 492.7 0.472005 17,222 544.1 0.522006 22,463 709.7 0.702007 28,193 890.8 0.842008* 34,926 1,103.5 1.05

Solar energy(total)

2003 886 28.0 0.032004 985 31.1 0.032005 1,047 33.1 0.032006 1,085 34.3 0.032007 1,123 35.5 0.032008* 1,185 37.4 0.04

Ambient heat(total)

2003 1,380 43.6 0.042004 1,826 57.7 0.062005 2,328 73.5 0.072006 3,192 100.8 0.102007 4,149 131.1 0.122008 5,516 174.3 0.17

Biomass(total)

2003 34,411 1,087.2 1.062004 41,827 1,321.5 1.272005 59,208 1,870.7 1.802006 62,140 1,963.4 1.932007 61,581 1,945.7 1.842008* 71,411 2,256.3 2.15

Co-firing of

biomass in electr.

plants

2003 7,127 225.2 0.222004 14,123 446.2 0.432005 30,522 964.4 0.932006 29,445 930.3 0.912007 15,702 496.1 0.472008* 20,191 637.9 0.61

Biofuels for road

transport

2003 134 4.2 0.002004 134 4.2 0.002005 101 3.2 0.002006 1,979 62.5 0.062007 13,031 411.7 0.392008* 14,032 443.4 0.42

* 주 : 2008년 자료는 잠정 수치

* 자료원 : CPS(네덜란드 통계청)

Ⅶ. 네덜란드 193

□ 신재생에너지 관련 주요 지표별 통계

○ 에너지원별 신재생에너지 전력 소비

○ 신재생에너지 소비전력의 생산, 수입

○ 연도별 풍력발전 신규설치

194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2) 기술력 보유현황 및 특화분야별 강점

□ 에너지원별 기술력 보유현황 및 특화분야별 강점

○ 태양광 기술개발 주요 프로젝트

- 차세대 Solar Cell 개발 추진

․ Thin Film Technology 개발에 중점

․ 주요 성과 : Ultra-thin solar foil 개발(Nuon Helianthos개발)

․ 기존 crystalline-silicon solar panel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대량생산 가능, 건물에 Built-in

으로 사용하기가 용이

- Solar Cell 생산기술의 혁신

․ Casting Technique for Wafers 향상

․ Method of Producing Solar Cell Coating 향상

․ 저렴한 소재(quarts)로부터 Cell 생산 기술 개발(15-20%비용 절감)

○ 바이오매스 기술개발 주요 프로젝트

- 새로운 방식의 바이오연료 생산방식

․ 촉매를 이용한 화학공정, 또는 Food가 아닌 바이오매스로부터 바이오 연료 생산 등

- 바이오가스(biogas)를 그린가스(green gas)로 전환

․축산분뇨, 하수슬러지, 채소, 정원폐기물등으로부터발효에의해생산되는바이오가스를

그린가스로 전환(ECN 실용화 테스트 중)

․ 2015년 상용화, 2020년 네덜란드 소비 천연가스의 10%를 그린가스로 대체 가능(그린

가스로 전환 시 이산화탄소 흡수, 기후변화에도 기여)

- 바이오매스 주요 프로젝트

․ 농산부산물을 이용한 바이오 발전(Bio-power plant)

․ 매립지 가스(메탄)를 정화하여 천연가스 공급체계와 연계(Essent Milieu)

․ 네덜란드를 바이오매스 수출입의 주요 관문으로 육성:

ex) Rotterdam : Electricity, Biofuels, New biomass application을 위한 수송

Amsterdam : Solid biomass의 bulk 수송

Terneuzen : Bio-ethanol, 바이오디젤을 위한 바이오매스 수송

Delfzijl : Biomas Cluster(Intelligent of biomass - Pharmacy, flavouring 물질 추출)

3) 녹색산업 정부정책 및 제도

Ⅶ. 네덜란드 195

□ 녹색산업 관련 정부정책 및 제도

○ 에너지 효율 향상 : 2020년까지 2005년 대비 20%향상

- 매년 1% 에너지효율 향상의 기존 목표를 2%로 상향 조정(2007년)

○ 2020년 온실가스 배출량을 1990년 대비 30%까지 감축

○ 지속가능에너지 소비 비중 : 2020년에 전체에너지 소비의 20%까지 확대 (전력 10%, 바이오연료․열에너지

등 10%)

○ 바이오연료의 에너지소비 비중 : 2020년 10%까지 확대

2020년 EU의 에너지정책 목표

- 에너지 효율 향상 : 2005년 기준 20% 향상

- 온실가스 감축 : 1990년 대비 20%

- 지속가능에너지 소비 비중 : 20%까지 확대

- 바이오연료의 에너지소비 비중 : 10%까지 확대

□ 신재생에너지 사용 확산 장려정책

○ SDE (Stimuleringsregeling Duurzame Energie)

- 개념 : 신재생에너지의 전력 생산 비용과 일반적인 전력 생산비용의 차이를 정부에서

보전하여 주는 제도

- 도입배경 : 2008년부터 신재생에너지발전을 촉진하기 위하여 기존의 MEP제도를 대체한

SDE제도를 도입, 기존의 MEP제도에서는 열병합발전에 대하여서도 보조금을 지급하였

으나, 동 제도에서는 제외됨.

․ MEP(Milieukwaliteit Van de Electrociteits Productie) : 환경 친화적 전력생산을 유도하기

위하여 정부에서 신재생에너지 전력과 열병합발전에 보조금을 지급(2006년 이후에는

신규신청을 받지 않음, 현재에도 기존 시설에는 보조금 지급)

- 지원 대상 및 지원기간

․ 육상 풍력(15년), 태양광 발전(15년), 바이오매스 발전(12년), 해양풍력(2009년 도입예정),

폐기물, 매립지 가스, 수력

- kwh당, N㎥지원 보조금 : 매년 변동(2009년의 경우)

․ 태양광 : 25.3cent euro/kWh (0.6kWp-15kWp) 38.3cent euro/kwh (15kWp-100kWp)

* 2009년의 경우 전체 지원 한도는 20MW

196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 세전소득 : 500,000

- EIA 적용대상 투자금액 : 300,000

- 법인세율 : 25.5%EIA 비혜택 EIA 적용

세전소득 500,000 유로 500,000 유로

EIA적용 소득공제 - 132,000 유로

EIA적용 후 세전소득 500,000 유로 368,000 유로

법인세 112,375 유로 78,715 유로

세후 소득 387,625 유로 421,285 유로

차액 33,660 유로

투자금액 대비 혜택 11.22%

․ 육상풍력 : 4 cent euro/kwh

․ 바이오매스 발전 : 생산 형태에 따라 5.9-17.7cent euro/kwh

․ 바이오가스 생산 : 생산 형태에 따라 21.8-58.3cent euro/N㎥

- 2009년 예산 : 2.5백만유로(MEP예산 포함할 경우 775.5백만유로)

․2008년의 경우 MEP예산 포함 711.9백만유로

○ EIA (Energie Investeringsaftrek)

- 에너지절약을 위해 자산(corporate asset)에 투자한 금액의 44%를 법인세 산출을 위한

세전소득금액에서 공제

<EIA 적용시의 세제혜택 비교>

- EIA의혜택을받기위해서는투자자산이최소 450유로 이상, 연간 기준 2200유로 이상이어

야 하며, 최대 1억1300만 유로까지 소득공제혜택을 받을 수 있음.

- EIA에 적용되는 케이스는 EIA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SenterNovem에서 별도로 지정하며,

매년 리뷰과정을 거쳐 새롭게 발표되고 있음

Ⅶ. 네덜란드 197

<EIA 신청 절차>

IRWA로 EIA신청

·자산에 투자 후 3개월 이내에 Breda시에 위치한 IRWA라는 기관으

로 EIA 신청

·신청양식은 SenterNovem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

↓ ↓

IRWA의 신청확인

메일송부

·IRWA는 신청 후 4주 이내로 신청을 접수했음을 확인하는 레터를

신청자에게 송부

↓ ↓

SenterNovem이

EIA수혜여부 판단 후 통지

·SenterNovem은 신청서류를 확인 후 8주 이내에 EIA 수혜여부를

판정하여 통보

·판정을 위한 추가서류가 필요시 이를 신청자에게 요구할 경우

3주 이내에 제출해야 함

↓ ↓

세금환급 연말 세금정산시 SenterNovem의 확인통지서를 첨부하여 소득공제

- EIA 담당기관 : Ministry of Economic Affairs에 의해서 설립되어 SenterNovem과

Belastingdienst(세무당국, 한국의 국세청에 해당)에 의해서 관리

○ Energietransitie (UKR): 장기적 신재생 에너지 생산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으로 정부와 업체의 공조,

청정 가스, 청정 원료, 친환경 교통 정책 및 전기 정책에 대한 포괄적인 정보 제공 및 네트워크 구축에

역점

○ EOS (Energie Onderzoek Subsidie)

- 단기, 중기, 장기 계획에 모두 참여하며 혁신 기술 시험 운영, 지식 네트워크 구축을

위주로 지원

- 프로젝트 성격에 따라 5개 분야로 구분

․ EOS NEO : 에너지 분야의 기초연구에 지원

․ EOS LT : 장기(2020-2050) 유망 에너지기술에 대하여 지원

․ EOS ES : 연구기관에서 산업분야로의 기술 전달을 목적으로 한 공동기술개발 프로젝트

를 중점 지원

․ EOS Demo : 실제 상업화를 위한 테스트, 파일럿 프로젝트 지원

․ Transition UKR : 신재생에너지 소재 등 소재 개선 프로젝트를 지원

198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 EOS Instrument -Overview >

- 주요 지원 대상 : 바이오매스, New Gas, Cleaner Fossil Fuels, 해양풍력발전기 등

- 2008년도, 2009년도 기술개발 지원 예산 :

․ 연구개발 : 61.3백만 유로(2008), 57.5백만 유로(2009)

․ Demo 프로젝트 지원 : 112.4백만 유로(2008), 98.0백만 유로(2009)

○ 그린펀드(Green Fund Scheme)

-개념 : 보통의 투자펀드보다 낮은 이율로 투자펀드를 조성하여, 친환경 프로젝트에 투자,

그린펀드에 투자한 투자자에게는 정부에서 투자자들에게 2.5%의 세제 혜택을 제공

- 효과 : 1995년 도입된 이후 68억 유로가 5761개 프로젝트에 투자되었으며, 7.5백만 유로가

투자자들에게 세제 혜택으로 돌아감

<Green Fund Scheme 워크플로우>

Ⅶ. 네덜란드 199

<Green Fund Scheme의 세제혜택 비교>

Normal loan Green Fund loan

Net interest for Saver 2.5 % 2.5 %

Tax 2.5 % 0 %

Gross interest for saver 5.0 % 2.5 %

Bank interest costs 5.0 % 2.5 %

Bank costs, profit, risk* 1.0 % 2.2 %

Interest level loan for project 6.0 % 4.7 %

* 주 : Green Fund Scheme을 홍보하는데 따른 별도의 cost로 인해 Normal Loan보다 높게 산정. Project Risk

Evaluation은 Normal Project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므로 Risk Premium은 동일.

○ DEN Programma: 지속가능 에너지 센터 운영, 콩그레스 및 워크숍 등 교육활동, 지역별 지원, 허가증

신청 등 실무적인 지원

○ 에너지세의 면제(Energy Tax Redemption)

- 신재생에너지 발전의 촉진을 위하여 Green Certificate를 소유한 신재생에너지의 경우,

에너지 규제세인 에너지세를 면제

※이외에도각종재생에너지관련지원금은 NUON社의지원금데스크를통하여온라인상

(www.nuonsubsidiedesk.nl)으로 간편하게 검색 가능

□ 신재생에너지 연구‧개발(R&D) 지원 프로그램

- ECN에 따르면 네덜란드 신재생 에너지 연구 개발 (R&D) 예산은 공공부문 기준 약

2억 5천만 유로 수준

- 공공 프로젝트는 4-5년간 진행되는 중장기 프로젝트가 주류를 이루고 1년 단위의 단기

계획은 소수에 불과.

- 이러한 공공 연구를 주관하는 대표적인 단체는 ‘재생 에너지 연구 위원회 (Commissie

Onderzoek Duurzame Energie) 로서 ECN, TNO, NWO 및 네덜란드 공대의 연합 연구체이

며 네덜란드의 신재생 에너지 분야 공공 연구의 성과를 총괄

200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연구개발(R&D) 예산 추이>

(단위: 천유로)

구분2005 2006 2007

공공 민간 공공 민간 공공 민간

태양에너지 45,000 180,000 47,000 188,000 50,000 200,000

풍력 8,000 32,000 9,000 36,000 10,000 40,000

바이오에너지 33,000 132,000 35,000 140,000 38,000 152,000

조열/지열 기타 20,000 80,000 22,000 88,000 24,000 96,000

합계 106,000 424,000 113,000 452,000 122,000 488,000

* 주 1) : 기준 공공 연구비 자료 2007, 연간 10% 성장 추정치)

* 주 2) : 기준 민간 연구비 자료, 자료원 SER, 중기 연구비 예산 기준 비례추정

자료원 : Een Nationale onderzoeksagenda duurzame energie, Social Economische Raad (SER)

□ 신재생에너지 사용 확산 장려정책 및 특혜제도

- 신재생 에너지와관련된대표적인네덜란드인증제도는 Certi Q인증제로서재생에너지로

생산된 전기임을 증명하는 제도임

- Certi Q는 재생 에너지를 생산하는 기업에 대해서는 각종 지원금과 조세 혜택이라는

두 가지 이점을 제공하며 소비자에게는 청정 연료로 발생된 전기임을 증명하는 역할

<Certi Q 인증마크>

- Certi Q는 지원금 및 조세감면 수혜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5가지로 나누어

인증서를 발급

① Guarantees of Origins (Garanties van Oorsprong, GoOs) : 신재생에너지, 또는 열병합발

전(Combined Heat and Power, CHP)를 활용해 생산한 전기에 대한 인증

② Certificates for Combined Heat and Power (Certificaten Voor Warmtekrachtkoppeling,

CHP) : 탄소중립1)(CO2-neutral)적인 열병합발전소로부터 생산된 전기에 대한 인증

③ RECS Certificates (RECS Certificaten) : 신재생에너지인증시스템(Renewable Energy

Certificate System)의 약자로, EU내에 GoOs가 도입되지 않은 국가들과의 에너지

거래를 위해 도입된 단일인증제도

④ Energy Labelling Certificates (Etikketeringscertificaten) : 전기비용 영수증에 Certi Q

1) 경제활동으로 배출되는 탄소의 양이 전혀 없는 상태. 열병합발전시 발생하는 잉여열(by-product heat, decentralized energy)을

재활용하여 전력생산효율 향상 등을 통해 탄소배출을 상쇄

Ⅶ. 네덜란드 201

인증서를부착하여소비자들에게신재생에너지로생산된전기임을인지하도록하는인증

제도

⑤ Certificates for ‘Own Use’ Electricity (Certificaten Voor Eigenverbruik) : 신재생에너지

를 이용한 자가용 전력발전을 위한 인증제도로, 보조금 혜택을 위한 필요조건

<Certi Q 워크플로우>

신재생에너지 생산기업 화석연료에너지 생산기업

1. 에너지생산

2. 전기네트워크기업으로 전기 공급

2-1. Certi Q 신청

2-2. Certi Q 계좌 개설

2-3. Certi Q Credit 발급

3. 소비자에게 전기공급

4. 소비자의 사용량만큼 Certi Q 계좌에서 Credit

차감

1. 에너지생산

2. 전기네트워크 기업으로 전기 공급

3. 소비자에게 전기공급

※ 에너지 생산기업별 계좌로 발전량에 따라 인증서를 발행한 후 소비자에게 판매한 전력량만큼 계좌에서

차감되는 구조로, 인증된 발전량에 따라 정부보조금 및 세금감면혜택이 결정됨.

□ 신재생에너지 관련 제품에 대한 세금감면 등 특혜제도

- 주로 재생 에너지를 생산, 사용하는 업체를 대상으로 재생 에너지 사용 부분에 한하여

세금 감면 혜택을 수여하는 제도로서 대표적으로 MIA와 Vamil이 활발히 이용되고 있음

- MIA (Milieu Investeringsaftrek) : 친환경기업활동수단에 대한세금혜택으로서 기업체의

친환경 투자에 대한 일정 정도 세금 감면 혜택 보장. Vamil 제도와 병행되어 운영

- Vamil (Regeling willekeurige afschrijving milieu-investeringen): MIA와 같이 기업의

202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친환경 투자에 대한 세금상의 혜택을 주는 것으로 특정한 친환경 시설 투자에 대한

전면 혹은 일정 부분에 대한 세금 감면.

□ 네덜란드 신재생에너지 지원 정책의 시사점

○ 다른 나라보다 경쟁력이 있는 분야에 대한 집중적 지원

- 세계적으로 신재생에너지 투자가 풍력, 태양광, 바이오연료 생산시설에 집중되고 있으나,

네덜란드의 경우 자국의 나라가 강점이 있는 바이오매스, 해양풍력, PVT시스템 개발,

보급에 대한 지원 강화

○ 효과적인 신재생에너지 보급을 위해 태양광, 태양열 등 복합 신재생에너지 타운 조성과 PVT시스템의

보급 등 다양한 Pilot Project를 통해 시행착오를 최소화

○ 그린펀드 조성을 통하여 국민 개개인의 신재생에너지 등 친환경 분야 대한 관심과 투자를 유도하고,

투자 재원을 확보

○ 신재생에너지 Certificate제도를 통한 신재생에너지 거래시장 형성

- 정부는 Certificate를 통하여 신재생에너지가 판매 소비된 이후, 나머지 전력에 대하여서만

발전차액을 지급

○ 신재생에너지 산업뿐만 아니라, 이와 연관된 산업의 선점

- 2020년 이후 바이오매스가 하나의 주요 에너지원으로 사용됨에 따라 이의 수송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이의 수송 선점 작업 전략 추진

○ 상용화된 신재생에너지 뿐만 아니라 미래 신에너지의 개발 노력 강화

- "Hydrogen City", 수소발전 건설을 통하여 미래 에너지원에 대한 투자 강화 및 신규

시장 선점

Ⅶ. 네덜란드 203

대상분야 수자원 관리 지역 Dedemsvaart

세부분야 산업 공업용 각종 PVC 파이프 및 피팅 제작업

기술명 빗물 관리 시스템(Q-BIC, AQUA CELL)

기술내용

○ 기술 개요

WAVIN社 빗물 관리 시스템의 핵심은 빗물집수, 배수(Drain & Infiltration) 및 저수(Water

reservoir)를 위한 하니콤과 유사한 복잡한 내부형상을 가지고 있는 PP 재질의 ‘박스

(BOX)'인 Q-BIC과 AQUA CELL이며 Q-BIC은 AQUA CELL의 유지보수성과 생산효율성

을 업그레이드한 제품

일종의 레고블럭과 같으며 화학적 기계적 작동 없이 구조물 내부 형상만으로 일정량의

물을 저장할 수 있으며 기술적 SPEC은 아래와 같다.

구분 내역

규격 L 600 x W 1,200 x H 600 mm

총 부피 432L

저수능력 95% (유입량)

재질 Virgin copolymer PP

동 제품은 건물지하, 주차장, 야지 등 배수와 저수가 필요한 장소의 지중에 설치하며

필요한 용량(부피)만큼 단위 구조물 시공하고 전체 시공물을 GEO TEXTILE로 감싸는

것으로 간단히 설치 된다. GEO TEXTILE이 투수재질일 경우 나무(숲)와 같이 일정시간

동안 물을 저장하고 있다가 천천히 주변 토양에 물을 배수할 수 있으며 GEO TEXTILE이

방수일 경우, 지하 저수조 역할을 할 수 있다.

○ 특징

동 제품의 가장 큰 특징은 손쉬운 시공과 다양한 활용가능성에 있다. 일반 지하 배수

및 저수시설 시공은 주로 일정 깊이의 구덩이를 형성한 후 구덩이 내에 콘크리트

재질로 벽체와 상부구조물을 시공하게 되는데 이때는 철근 보강작업, 시멘트 양생

등 부수적인 공사와 함께 짧게는 며칠에서 길게는 몇 달까지 장기간의 공사가 필요하게

된다. 아울러 공사지점이 장비 접근이 어려운 산지 등 야지일 경우, 공사물자 수송

등에 많은 제약이 따르게 된다.

반면 WAVIN社의 제품은 구덩이에 GEO TEXTILE을 깔고 그 위에 레고 블록과 같이

Q-BIC 등을 원하는 용량(부피)만큼 조립한 후, GEO TEXTILE로 역시 상부를 봉합하고

위에 토사를 덮는 것으로 간단히 시공할 수 있다. 개별 블록을 조립하는 방법도 블록을

쌓은 후, 별도의 장비없이 주변 불럭과 간단한 이음장치를 연결해 주면 된다. 아울러

제품자체가 플라스틱 재질의 경량이므로 수송이 용이하여 기존 콘크리트 시공이 불가능

한 지역에서도 별도의 장비나 기술없이 비숙련 노동자들도 손쉽게 시공할 수 있다.

2. 녹색기술 보유업체 명단 및 기술내용

□ WAVIN

204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시공현장1] [시공현장 2]

○ 이점

정사각형, 삼각형, 장방형 등 시공 장소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설치가 가능하며 단위

블록의 용량(432L)를 기준으로 편리하게 저수 및 배수용량 산출이 가능하다. 또한

대규모 토목공사가 필요 없으며 유지보수 또한 블록이나 GEO TEXTILE을 교체하는

것만으로 간단히 이뤄지며 저수조를 배수조로 전환하는 것도 매우 용이하다.

○ 적용 및 응용 분야

동 기술은 여름 집중 강우시 도심지 홍수조절 기능, 빗물 저장을 통한 갈수기 용수부족해

결, 산불진화용 야지 저수기능, 도서지방의 빗물을 이용한 용수공급, 도심지 주거

및 상업용 건물의 생활용수 공급 등 매우 다양한 용도로 활용이 가능하다.

현재, 베를린 올림픽 주경기장에 시공된 사례가 있으며 영국 버밍햄 국제공항 야외

주차장(2000대 규모)에 약 7,000개의 Q-BIC이 시공되어 있다.

○ 평가 및 향후 전망

Q-BIC을 이용한 것은 아니지만 한국에서도 이미 서울 자양동 주상복합 아파트인

스타시티에 이와 빗물 저수시설을 이용한 사례가 있다. 세계적으로 성공적인 빗물

재활용 사례로 손꼽히고 있는 이 시설은 연간 약 4만톤의 빗물을 재활용하여 단지

조경용수, 분수, 실개천, 공용화장실 등에 사용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전체 단지에서

사용한 수돗물 비용의 20%에 해당하는 금액을 절감하고 있다. 이 단지에는 1000톤짜리

지하저수조가 약 3개가 설치되어 있다.

만약 Q-BIC과 같이 시공이 간편한 제품을 서울, 부산, 대구 등 주요 도심지역에 대량

설치할 경우, 홍수조절은 물론 막대한 생활용수 절약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참고

: 일반 가정이 연간 수세식 화장실에 사용하는 수돗물의 양은 약 30,000L)

WAVIN社는 2007년부터 서울대학교 빗물연구센터(실장 한무영 교수)내에 약 20톤

규모의 실험용 시설을 설치하여 시험운용중에 있다.

아울러 국토해양부, 소방방제청, 환경부 등 유관기관에서도 2007년에 국회에 빗물처리

관련 입법상정안을 제출한 바가 있으며 2008년 중으로 관련법이 제정될 전망이어서

동 제품과 같은 빗물 재활용 기술의 활용도는 매우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 특허취득

현재 유럽 및 미국 등에 특허출원중이며 한국도 PCT를 통해 간접 출원중이다.

Ⅶ. 네덜란드 205

기술도면

CEO 설립연도 1955년

주소 Rollepaal 19, 7701 BR, Dedemsvaart 매출액 150억 유로(EUR)

담당자 Area Manager 고용 (명) 7,000

연락처

전화:31-523 624 911

팩스:31-523-624-600

이메일:[email protected]

홈페이지:www.wavinoverseas.com

해외조직 유럽국가내만 28개

대상분야 에너지 활용 지역 Avenhoorn

세부분야 주거 및 산업 에너지

기술명 도로(아스팔트) 표면열을 이용한 냉난방 에너지 시스템

기술내용

○ 기술 개요

Road Energy System은 Delft 공대와의 공동연구 약 7년, Ooms社 자체연구 10여년의

기간을 투입해 개발한 것으로 도심지역 주거 및 상업용 건물의 냉난방을 위한 신개념

에너지 생산 방식이다. 계절의 특징을 이용한 환경 친화적 기술로써 ‘Aspart Collect’

라고도 하며 아스팔트 도로에서 발생하는 표면열을 집열하여 재사용한다.

Road Energy System은 아스팔트 혹은 콘크리트 층 아래에 물을 함유한 열전도 파이프

라인을 설치하여 여름철 등 상온이 높아 아스팔트 표면열이 높을 때는 열을 흡수 지하에

저장하고 반대로 겨울철에는 지하에 저장된 열을 이용하여 도로 표면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한편 주변 건물의 냉난방 에너지 공급도 가능하도록 구현한 체계이다.

□ Ooms International Holding B.V.

206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시스템 체계도]

[시공현장 모습]

[도로 시공 모습]

○ 특징

화석 연료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도심지 등 포장면이 많은 지역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활용하는 친환경 기술로, 하절기 도심지역 복사열 흡수를 통해 전체적인 기온조절

기능과 주변건물 냉난방 에너지 생산, 도심지 기온 조절로 인한 건물 냉난방 수요

감소 등 1석 3조의 효과를 노릴 수 있으며 화석연료 소비로 인한 이산화탄소 방출량을

줄일 수 있어 대기 환경개선 효과도 있다.

한편, 도로 건설시, 동시에 시설할 경우 거의 반영구적으로 사용가능하며 도로 자체도

온도조절 기능을 가지게 되어 고온 및 냉각 등으로 인한 도로표면 파손율로 대폭

줄일 수 있어 도로 수명 자체도 연장될 수 있다.

Ⅶ. 네덜란드 207

<아스팔트의 에너지 균형>

<아스팔트 콜렉터 내 수온 비교(적(온),청(냉))>

○ 적용 및 응용 분야

도로주변 건물의 냉난방, 엔지니어 구조물/공항 활주로/ 선적 및 하역 플랫폼/항만/버스

정류장/기차역 등의 노면 결빙 또는 표면열로 인해 파손이 우려되는 장소

또는 도로주변 스포츠 센터 등 공공시설, 농작물 재배시설(온실) 등

○ 평가

건물 냉난방에 사용되는 화석연료를 절약, 도심지 기온조절, 포장도로 파손방지 등

활용가능성이 매우 다양하고 큰 환경 친화 기술이다.

Oom社가 자체적으로 분석한 실험자료에 따르면 약 4,000㎡의 아스팔트 콜렉터의

설치시 전력생산 340kW, 이산화탄소 절감율: 55%, 화석연료 절감율: 55%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향후 전망

네덜란드 정부는 2020년까지 전체 에너지 사용량의 10%를 재생 에너지원에서 생산된

에너지의 사용을 계획하고 있어 네덜란드 내에서도 향후 기술적용 사례가 늘고 있으am

로 기대되며 이미 해외 수주도 이뤄져 영국 스코틀랜드Ullaapool 에 이미 500㎡ 면적의

주차장에 시공되었으며 벨기에 Zoerle-Parwijs 지역의 700㎡ 면적의 도로에도 설치된

사례가 있다.

우리나라와 같이 서울 등 대도시에 인구가 밀집해 있고 하절기 도심 복사열로 인해

‘열섬’ 현상이 빈발하여 냉방수요가 폭증하는 악순환이 되풀이되는 국가에서 동

시스템을 활용할 경우, 막대한 에너지 절감효과와 더불어 주거 환경 개선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208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제품사진

CEO J.D.Ooms 설립연도 1913년

주소P.O.Box 1, 1633 ZG Avenhoorn, The

Netherlands매출액 기업에서 공개 거부

담당자 J.D.Ooms 고용 (명) 600명

연락처

전화: (31-22) 954-7700

이메일: t&[email protected]

홈페이지: http://www.ooms.nl

해외조직

대상분야 수자원 관리 지역 Apeldoorn

세부분야 수질 관리

기술명 수자원 재생산 기술(Memstill)

기술내용

○ 기술 개요

Memstill은 네덜란드 신지식 신기술 연구의 선두 기관인 TNO가 관련 연구 기관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내놓은 새로운 Membrane 수질 정화 기술이다. Memstill 기술은

경제적인 수질 정화의 잠재력이라고 불리며 기대를 모으고 있는 기술로서 Membrane

수질 정화 기술의 미래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Memstill은 기술은 세계적으로 특허 출원하여 시장에 소개되고 있다. Memstill이라는

명칭은 Membrane 과 Distillation의 합성으로 비롯되었으며 Membrane 정화 처리

방식에 의해 해수를 일반 용수 (단물, Sweet water)로 바꾸는 기술이다. Memstill의

작용 원리는 비단 해수 뿐만이 아니라 산업 폐수의 정화도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Memstill 기술은 산업 폐기물로 오염된 해수를 단물로 다시 생산해 내는데 성공한

세계 첫 번째 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2006년에 개발 성공하여 이미 상용화 단계에

있으며 현재까지 미약한 양이나 Memstill 플랜트를 통하여 오염된 해수가 정화되어

재사용되고 있다.

Memstill 기술은 해수의 식수 전환을 주된 목표로 하여 개발되었기에 범지구적 차원에서

□ TNO

Ⅶ. 네덜란드 209

의 식수 문제 해결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하고 있다. 전세계적으로 3천만㎥의 해수가

식수로 정화되고 있는데 이는 전체 필요 식수량의 1%에 이르는 미미한 수치이다.

Memstill은 기존의 기술의 통합적인 형태로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

<Memstill 폐수 처리기의 시험 운영을 위해 건설된 모습>

○ 특징

Memstill 기술은 multi-stage flash (MSF)와 multi-effect distillation (MED)모드를

membrane 모듈로 통합시킨 기술임이며 키워드는 다음과 같다.

- Pilot Plant

- High specific flux 2.5 10-10 ㎥/㎡.s.Pa

- At low heat consumption 80-240 MJ/㎥ distilled water

- In scaleable MD modules 25-50 ㎥/day module

- With little feed pre treatment

- At costs <USD 0.50/㎥ (large scale)

Memstill의 큰 강점은 에너지 소비 측면에 있는데 아래 그래프에서 보이는 것처럼

기존 기술과 비교시에 이 기술의 장점이 부각될 수 있다. 나열하자면,

- MSF와 MED보다 에너지 소비 낮음

- Reverse Osmosis(RO)전기 사용

- 비교적 저온 운영에 효율적 (폐열, 태양열 집열)

- 소규모 적용에서 에너지 효율 있음

<기술별 단위 부피당 가격 비교>

210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기술별 에너지 소모량 비교>

○ 기술의 원리

Memstill-process는 해수 및 폐수로부터 물을 추출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이 기술

자체는 오늘날 전혀 특별한 기술이 아니지만 이 추출 과정상 대단히 많은 에너지가

소요된다.

Memstill 기술은 해수나 폐수 정화 처리 시설 장치 중 컴팩트한 모듈에 Membrane

기술을 결합시켜 정화 처리 효율을 극대화시킨다. Membrane을 거쳐서 온도가 약간

상승된 해수나 폐수가 통과될 때 Membrane은 수증기를 자유롭게 통과시키게 되고

Membrane을 통과하면서 수증기의 온도가 하강하게 된다.

이 작동원리를 컴팩트한 모듈에 적용할 때에는 극히 적은 온도차이가 존재하고 소요되는

에너지도 미량이다. Memstill-reactor는 Condenser-array, 사이의 막, Membrane

array 의 3개의 층이 한 조가 된 수백 개의 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정화 장치

안에 유입된 해수나 폐수는 단지 몇 도의 온도차가 나도록 가열되어도 효율적인 추출

작용을 위한 증기압을 형성하게 된다.

Memstill 장치의 합성필터는 직경 0.1 micrometer 의 크기로 20%정도의 합성물질로

구성되는데, 해수의 경우 소금이 걸러지지 않아 Membrane막 층을 통과한 액체만

정화되는 원리이다. 즉 Memstill은 Membrane을 이용한 추출 기술로 극미립 필터를

이용하여 청정수를 밖으로 증발시키고 오염수를 갈라내는 기술이라고 요약할 수 있다.

Memstill의 또 다른 장점으로, 정화과정 후 남은 열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인데 이로 인해 폐수처리 시 발생하는 폐열이 다시 에너지원으로 재사용되게 된다.

unit Feed Distillate Na+ [mg/l] 7900 0.110

Cl- [mg/l] 13900 0.130 SO42- [mg/l] 1280 <0.020

Ca2+ [mg/l] 300 0.039 Mg2+ [mg/l] 960 0.017

HCO3- [mg/l] 150 3.5 Bo2+ [mg/l] 3.5 0.15

Si4+ [mg/l] 0.275 SS [mg/l] 9.2 <1.0

pH [mg/l] 8.0 6.6 Conductivity [mg/l] 34500 0.75

<Separation performance E.ON pilot>

Ⅶ. 네덜란드 211

○ 적용 및 응용 분야

Memstill은 네덜란드 내에서는 물론 국제적으로 상업화하기 위하여 국제 특허를 출원하

였다.

이 기술의 보완해야 할 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Spin-Off의 개발 향상에 주력하고 있는

상태이다. 아직까지 기술 개선을 위하여 기술 개발 기관인 TNO를 주축으로 하여

컨소시엄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컨소시엄에 네덜란드의 관련 단체들이 대거 참여하고

있으며 Memstill의 잠재성에 대해 큰 기대를 모으고 있다.

시험 프로젝트를 비롯하여 리액터기의 시험 가동 등에 참여하고 있다. 컨소시엄에

참여한 대표적 단체는 다음과 같고 식음료 산업 및 환경 평가 기관, 네덜란드 하수

관리 기관 등 관심 영역이 매우 다양하다.

- Ecological Management Foundation, Amsterdam

- University of Twente

- Hamers International

- Seghers Scientecmatrix

- E.ON Benelux

- Heineken

- Gemeentewaterleidingen Amsterdam (Amsterdam Water Supply)

- Watercompany Europoort (WBE)

시험 가동에 성공한 Memstill의 Pilot의 규모는 다음과 같다.

Length 1500 mm

Width 1000 mm Number of membranes per element 2

Number of elements per membrane module 10 Number of installed membranes modules 2

Total membrane area 600 m2(EON pilotplant contained 2 parallel

streets of 300 m2)

Memstill Membrane Module Dimensions for the Pilot plants

Memstill은 현재 약 20여개의 분야에 적용되고 있으며 그 중 대표적인 분야는:

- 해수를 일반 용수 (Sweet water)로 전환하는 대규모의 처리 시설장,

- 전력과 용수를 동시에 생성이 필요한 프로젝트,

- Brines와 폐기물 stream을 농축해야 하는 프로젝트,

- 해안 산업이나 선박 상의 식수 생산시,

- 식료 산업 등 폐수 처리의 수요가 많은 산업,

- 일반 폐수 처리 등이다.

○특허취득

국제 특허 취득:

- Membrane Distillation Method for Purification of a Liquid

- International Applcation Number: PCT/NL2007/050524

- International Filing Date: 2007.10.31

유럽 특허 취득:

- Membrane Distillation Method for Purification of a Liquid

- Application Number: 06076956.9

- Date of Filing: 2006.10.31

212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 향후 전망

Memstill기술은 지역적 용수 공급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받고 있다.

인구 증가 전망에 따르면 향후 20년 동안 세계 인구는 약 50퍼센트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이로 인한 식수 부족이 예상되며 Memstill 기술의 사용으로 지구 면적 97퍼센트

에 해당하는 해수를 식수원으로 활용하여 수자원 부족 현상을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2005년부터 2015년까지 매년 해수의 용수화 설치 수요는 15%씩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

고 있는데 전세계적으로 작동되고 있는 해수 및 폐수 추출 플랜트는 매일 2천 5백만

㎥의 해수를 일반 용수로 전환하고 있다. 이러한 일반 용수 추출용 플랜트 시장은

연간 매출액 15억 달러에 이르고 있으며 2025년에는 5십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Memstill 기술의 수요는 비약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기술도면

CEO 설립연도

주소Laan van Westenenk 501, 7334 DT

Apeldoorn, The Netherlands매출액

담당자 Jolanda van Medevoort 고용 (명) 80

연락처

전화: (31-55) 549-3493

팩스: (31-55) 549-3201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tno.nl

해외조직

Ⅶ. 네덜란드 213

대상분야 대기 환경 지역 Nijmegen

세부분야 청정 대기

기술명 바이오매스 (Columbus)

기술내용

○ 기술 개요 및 특징

2007년에 Royal Haskoning사가 특허를 취득한 신개념 바이어매스 및 매스오일 처리기

술로서 Columbus®라는 제품명으로 소개되고 있다.

Columbus의 특징은 기존의 바이오매스 처리 방식에서 지적된 거품발생, 고에너지

사용 등의 문제를 해결한 기술로 각광받고 있는데 특히 비용 절감면에서 가장 큰

경쟁력을 가지고 있는 기술로 인식되고 있다.

제품 개발 당시 가장 주안점을 둔 부분은 유입된 물질의 고른 혼합과 Slib발효에 있어서의

안정성 및 높은 건조 성분이어서 기존의 유사기술에서 발견되는 단점들이 혼합력,

발효 안정성, 건조 성분에 있어 크게 향상되었다.

Columbus는 바이오매스 처리에 있어 기존 방식보다 에너지 사용량이 적어 저비용적인

측면뿐 아니라 친환경적 기술이라는 장점이 있어 대체 기술로서의 큰 시장성을 확보하고

있다.

Columbus기술이 기존 Slib 방식과 비교시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 폐수 정화 시 생성되는 폐기물인 Slib의 경우 주로 발효방식 처리된 후 바이오

가스가 발생되며 발생량은 Head당 연간 20kg

- 이 때 발생되는 바이오 가스는 전력 에너지로 전환이 가능함. 이는 Head 당

연간 12 KWh의 전력 생산 가능성을 의미하며 이에 대한 비용은 1.30유로 정도로

기존방식과 비교 약 30% 정도의 비용절감 효과가 나타남.

- 또한 Columbus 방식으로 처리할 경우 폐기물 감소량은 30%정도로 비용은 Head당

연간 2.10유로로 역시 기존 방식과 비교, 약 25% 정도의 비용절감 효과를 가져옴

- 네덜란드 전체 110개의 폐수 처리 시설에서 사용 중이 Slibgisting Installation에서

발생되는 비효율 개선이 일차적인 목표임.

- 종합적으로 Columbus 방식은 기존 Slib 방식과 비교, 전체적인 비용면에서

약 15% 정도의 폐수처리 비용 절감이 나타나는 것으로 평가됨.

2. 적용분야

- Columbus기술은 일반적으로 환경 부담이 적고 경제성 있는 폐수 및 하수처리

시설 신규 설치 시에 가장 적용이 용이할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 기존의 폐수 처리 시설의 경우 규모면에서 방대하여 운영에 비효율적인 측면이

기업의 부담이 높아가고 있는 상황에서 미래를 위한 발효 기술(De gisting voor

□ Royal Haskoning B.V.

214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de toekomst)라는 평가를 가지고 있는 Columbus기술의 경우 폐수 및 하수처리

분야에 활발히 적용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 네덜란드의 경우 폐수정화 시 50% 정도의 slib을 발효시켜 처리하고 있다. 그럼에도

네덜란드의 대형 정화시설의 80%에 이르는 시설이 적절한 운영을 실현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며 아울러 운영 프로세스상 많은 에너지가 요구되고 있는 문제적

현실에 직면하고 있다.

- 또한 정화 프로세스 과정상 발생하는 거품, 불완전한 발효 탱크 등 복합적 문제가

있으며 시설물 청소비용 또는 역시 고비용체제로 네덜란드 기업들이 그동안

부담스러움을 가져 왔으나 Columbus는 이러한 폐수 시설물 운영의 복잡성과

비용절감이라는 두 가지 문제를 동시에 해결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 하수 처리 방식에 있어 에너지 사용량 및 비용을 동시에 줄일 수 있는 획기적인

하수 처리 시설이다.

- 현재 네덜란드 전체의 380개 하수정화 처리 시설의 약 90%가 slibgisting installation

기술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는 전통적인 방식의 바이오매스 처리를 위한 하수

및 폐수 정화기술이다.

하지만 Royal Haskoning에서 개발한 Columbus 방식은 하수 처리 시설을 신설 및

보완할 수 있는 기술로서 기존 하수 처리 방식과 비교하여 70%의 에너지 절감을

실현할 수 있고 설치 비용면에서도 30% 절감된 비용으로 설치 실현 및 하수 시설

운영이 가능하기 때문에 금년부터 다수의 기업들이 동 방식을 도입하고 있다.

- 네덜란드 기업들이 신규 하수 설치 시 Columbus 기술을 활용할 경우 고효율

저비용의 하수 처리 시설을 운영할 수 있으며 또한 기존 slibgisting installation에

Columbus 기술을 적용할 경우에도 기존 방식에 입각한 에너지 사용량 및 하수

처리 시설운영 비용절감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 금년 들어 네덜란드기업들은 Kyoto 협약에 따른 그린에너지 사용 시책을 효율적으

로 추진하기 위해 Columbus 기술 적용을 확대하고 있다.

<Mesofiel 및 Thermofiel 컨디션 아래에서의 바이오매스 생성 시>

<복잡하고 부피가 큰 기존 폐수 처리 장치>

Ⅶ. 네덜란드 215

○ 특허취득

네덜란드 특허 등록 번호:1032379( 2007.9.3)

○ 향후 전망

- Columbus 기술은 기존의 폐수 처리 기술과 혼합 가능하기 때문에 이미 사용

중인 폐수 처리기를 보완할 수 있으므로 시장이 매우 넓다.

- 환경부담을 줄이고 경제적인 운영이 가능하기 때문에 시장 수요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Kyoto 협약에 따른 그린 에너지 사용 촉진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친환경 제품으로 기업들의 관심이 증폭되고 있다.

- 폐수 및 하수 처리 시설의 복잡성을 해결하는 것에 촛점을 두고 개발된 기술로서

탱크를 간편하고 부작용 없이 적정 온도를 유지하게 함으로써 폐수 처리 시설

운영상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는 점도 주요한 마케팅 요소로 향후 Columbus기술

의 활용을 크게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도면사진

CEO 설립연도 1881년

주소Barbarossastraat 35, 6522 DK

Nijmegen, The Netherlands매출액

담당자 Ben Bisseling 고용 (명) 4,300

연락처

전화: (31-24) 328-4284

팩스: (31-24) 323-9346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http://www.royalhaskoning.com

해외조직

216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대상분야 대기 환경 지역 Assen

세부분야 청정 대기

기술명 CO₂포집 및 저장 기술

기술내용

○ 기술 개요 및 특징

네덜란드 석유화학 관련기업들은 북해 연안에서 석유와 천연가스를 생산하면서 정유

및 채굴에 관련된 진보적인 기술확보에 역점을 기울이고 있다.

석유 및 가스 채굴에 있어 Shell의 자회사이며 네덜란드 최대의 정유사인 NAM이

성공한 이산화탄소 포집 기술은 아직 백퍼센트 완성된 단계는 아니나 현재까지 매우

순조로운 단계를 거치며 완성단계에 이르고 있다.

네덜란드의 주요 천연가스 생산은 북구 Groningen 및 북해 인근연안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데, 북구 Groningen 천연가스 필드에서 생산되는 천연가스량은 289억/㎥에,북해

인근의 천연가스 필드에서 생산되는 양은 188억/㎥에 달하며 네덜란드 주요산업의

원동력으로 자리잡고 있기 때문에 석유/천연가스 관련기업들은 석유, 천연가스 채굴과

관련된 신기술 개발에 큰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2007년 NAM은 총 477억/㎥의 천연가스를 360 duizend/㎥의 석유를 생산하였다.

이중 천연가스의 경우에는 지구온난화 및 기후 변화 등의 사유로 인해 당초 계획보다

약 110억/㎥ 적은 양이 생산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2007년의 경우 NAM이 석유 및 가스 채굴시 발생되는 막대한 양의 이산화탄소를

처리하는 기술을 처음으로 적용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Barendrecht 지방의 가스추출 시 적용한 기술로 일명 ‘Barendrecht CO₂포집’

이라는 명칭으로도 불리는 이 기술은 가스 추출 현장에서 약 천만 톤의 이산화탄소를

포집하여 대규모 상업적 온실로 운송한 획기적인 기술로 평가받았으며 아울러 2005년

이후 가장 큰 이슈로 적용되고 있는 온실가스 감소에 큰 기여를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가스 채굴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의 포집, 저장, 운송의 3가지 기술 중 NAM이 담당하는

영역은 포집 후 지하에 저장하는 것인데 적용 시험장소인 Barendrecht Pernis 채굴장에

서는 성공적으로 포집 및 저장이 진행되어 이산화탄소 저장이 가능한 가스 필드가

점점 더 많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산화탄소 포집 기술은 고압력과 저장으로 간략히 정리할 수 있다.

- 고압력 Compressor 로 이산화탄소 포집

- 운송: 채굴지에서부터 필요한 산업 영역까지 파이프 운송

- 운송된 이산화탄소는 컴프레서에 저장. 고압에 의해 압축됨.

<가스 채굴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 저장, 운송하는 과정>

□ Nederlandse Aardolie Maatschappij (NAM)

Ⅶ. 네덜란드 217

○ 적용분야

Barendrecht 프로젝트의 경우 3개 당사자인 Shell, OCAP, NAM이 참여하여 가스

채굴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공기 중으로 방출되는 것을 억제하는 최적의 수단으로서

파이프 운송과 지하 매장을 동시에 추진한 프로젝트이다.

Pernis 가스 정유소에서 연간 방출되는 이산화탄소량은 1백만 톤 중,

- 150,000 톤은 음료 산업에 사용,

- 380,000 톤은 여름 온실 재배에 사용,

- 400,000 톤은 겨울철 Barendrecht 가스 필드에 매장된다.

<음료산업>

<온실산업>

<가스필드>

NAM은 2007년 “Barendrecht CO₂포집 기술”을 7개 가스필드에 적용하였다.

- 7개의 설치소에서 발생된 전체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373.000톤으로 실제 방출가능수

치인 409.917보다 37.000톤이 적은 수치로 발표되어 동 기술의 효율성을 입증하였다.

"Barendrecht CO₂포집 기술"의 또 다른 적용상 이점으로 재활용이 가능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 Pernis에서 가스 채굴 시 발생된 이산화탄소는 네덜란드 내의 Westland의 온실로

운송되어 사용됨으로써 네덜란드의 주요산업으로 분류되고 있는 석유화학 및

온실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시너지 효과를 누릴 수 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218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 평가

기술적으로 가스 필드에서 방출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여겨졌

으나 NAM에서 Barendrecht 가스 필드에서 이산화탄소 포집에 성공하여 국제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특기할 만한 Barendrecht 이산화탄소 포집 기술의 특징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 채굴 현장에 Compressor를 설치하여 이산화탄소를 압축.

- no extra ground surface

- no extra emission

- no extra sound

- no extra risks

○ 향후 전망

- "Barendrecht CO₂포집 및 운송기술"은 가스추출 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효율적으로 포집하여 산림 확충 자원으로 재활용하여 온실 가스 누출 방지 및

산림 관리의 두가지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현재까지 유일한 기술로 평가받고

있음.

- "Barendrecht CO₂포집 및 운송기술"은 아직까지는 미완의 기술로, 2010년이

되어야 비로소 완전한 모습으로 프로젝트의 성패를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현재까지 다수의 실험프로젝트를 분석한 결과, 가시적으로 성과가 나타남으로써

향후 다수의 기업들이 동 기술을 적용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음.

- 특히, 기후변화 대책, 온실가스 방출 절감을 위해 석탄, 천연가스, 석유 등 화석연료

연소 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하여 대기 중 방출을 막을 수 있는 기술이

출연됨에 따라 네덜란드를 포함한 전세계적인 기업들이 동 기술에 높은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아울러 유사기술 개발에 역점을 기울이고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부여하고 있음.

<유럽 일대의 가스 채굴지 및 전세계적으로 진행 중인 이산화탄소 저장 프로젝트>

Ⅶ. 네덜란드 219

기술도면

CEO 설립연도 1943

주소Schepersmaat 2,9405 TA Assen, The

Netherlands매출액

담당자 Roelf Venhuizen 고용 (명) 1,836

연락처

전화: (31-59) 236-9111

팩스: (31-59) 236-2200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http://www.nam.nl

해외조직

220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대상분야 에너지 발생 지역 Apeldoorn

세부분야 전력 생산

기술명 바이오 에탄올 저가 생산 기술 (Omnivore process)

기술내용

○ 기술 개요

Surphuric Acid가 주요한 역할을 하는 새로운 TNO의 Omnivore process 기술은

바이오매스에 포함된 당이 치밀하게 연결되어 있는 구조를 싼 값으로 자유롭고 효과적으

로 분리하는 것으로 목적으로 하고 있다.

바이오연료에 대한 EU의 관심과 향후 EU 에너지 전략상 화석 에너지 사용을 부분적으로

바이오연료로 대체하는 계획이 나오는 현실에서 이 기술에 갖는 관심은 더욱 클 수밖에

없다.

바이오에탄올, 바이오알코올 생산 시 발생 비용을 절반으로 절감할 수 있는 획기적인

기술로 소개되고 있으며 Recycle flow를 통하여 실현된다.

<Recycle flow 진행 과정>

○ 기술 특징

Omnivore process 기술은 Sulphuric Acid를 적정 온난 기온에 노출시켜 처리하는

것으로서 기존에 쓰이던 방식인 Arkenol Process와 다르게 Bio Sulfurol Process

Biomass 처리 방식이라는 점에서 가장 큰 특징을 보이고 있다.

Omnivore process 기술은 바이오매스에 포함된 당(sugars)의 선처리(pre-treatment)

를 통하여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해체하는, 즉 농축된 sulphuric acid를 바이오매스에

선 처리하는 것이 이 기술의 핵심이다.

농축된 Sulphuric Acid를 바이오매스에 선 처리함으로써 농축된 Sulphuric Acid에서

당을 자유롭게 하는 것은 시험적이고 분석적인 측면에서 효율성이 매우 높은 기술로

평가받고 있을 뿐 아니라 비용절감이라는 기업에서의 이점에서 볼 때 우선적으로

고려대상인 경제적인 이점도 보유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이러한 Sulphuric Acid의 재사용과 수자원 및 에너지 재사용은 에너지 사용

및 비용 면에서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점도 큰 이점으로 평가받고 있다.

□ TNO

Ⅶ. 네덜란드 221

○ 적용분야

Omnivore process 기술은 Starch Plant에 가장 널리 적용되고 있으나 이외에도 바이오

에탄올 생산 시 현재 널리 사용 중인 Plant Fraction의 목재 Plant의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TNO의 Omnivore Process는 거시적으로 통합적 수자원, 에너지, 첨가물의 사용으로까

지 이어질 수 있다.

Omnivore Process는 Membrane Unit과 폐수 정화장치를 조합할 경우 99.9%의

Sulphuric acid가 복구시킬 수 있기 때문에 동 기술의 적용범위가 폐수 및 오수 정화산업

에도 활용될 수 있다.

아울러 Sulphuric Acid의 재순환 및 에너지의 재순환이 이 과정에서 즉각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재사용을 통한 환경 부담 감축 효과도 나타날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에 적용범위는 광범위하게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Omnivore Process 기술은 네덜란드 내에서는 식품분야에서 이미 적용되고 있다.

옥수수로부터 발생되는 바이오 에탄올을 이 기술로 처리하여 효율성을 높임으로 네덜란

드 식품산업의 경우 이 기술을 통해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 받고 있다.

<네덜란드에 세워진 Omnivore process 플랜트 전경>

네덜란드 이외의 경우 북유럽 및 남미에 시험 플랜트를 건설하여 시험 운영을 추진

중에 있으므로 실제 운영상의 효율에 대한 검증이 진행 중이다.

○ 평가

농축 Sulphuric Acid를 사용하는 Omnivore Process 기술 이외의 선처리 기술 중

몇 가지 주목받는 유사 기술로서 Ligno-cellulose의 Hydrolysis 기술을 들 수 있다.

Hydrolysis 기술은 Extrusion, steam explosion, extraction과 enzyme conversion

등의 과정으로 구성된다. 하지만 동 기술의 경우 효율이 높은 방식으로 평가 받고

있으나 비용이 많이 든다는 단점을 보유하고 있다. 원인은 auxiliaries (sulphuric acid,

neutralising agent, enzymes, extraction agents)의 사용에 있고 초기 투자 비용이

높기 때문이다. 이에 비해 TNO의 Omnivore process Sulphuric Acid 선처리 기술은

비용 절감 측면에서 탁월하다.

기존 기술과 신기술을 복합 적용할 때 가격 절감 효과는 기존 방식 생산 시 리터당

45 유로 센트에서 리터당 20-30 유로센트로 낮아질 수 있어 비용 절감 면에서 큰

이점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가격 경쟁력 면에서 바이오 에탄올이 다른 연료와 함께 세계 연료 시장에

진출할 수 있다.

222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대규모의 기술 적용은 5년 정도의 시간이 더 필요할 것으로 전망된다.

○ 향후 전망

향후 유럽 시장에서 바이오 연료에 대한 수요는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EU는 2010년까지 5.75 퍼센트의 화석 연료 사용을 바이오 연료 사용으로 대체할

것을 규정하고 있어 향후 환경적인 측면과 경제적인 측면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기술에 많은 기업들이 투자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Omnivore Process 기술은 이러한 점에서 관련 기업들의 수요를 충족하고 있기 때문에

향후 동기술에 대한 기업들의 관심은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기술사진

CEO 설립연도

주소Laan van Wetenenk 501, 7334 DT

Apeldoorn매출액

담당자 Erik Drop 고용 (명) 80

연락처

전화: (31-55) 549-3493

팩스: (31-55) 549-3201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http://www.tno.nl

해외조직

Ⅶ. 네덜란드 223

3. M&A 또는 전략적 기술제휴 가능성

○ Unbundling Act (Splitsingswet) 에 따른 대규모 M&A 가능성

- 2006년 통과, 2008년 7월부터 발효, 2011년까지 유예기간

- 전기생산(production)과 네트워크(grid) 기업 간의 분리가 핵심

- 이에 따라 Alliander(Nuon), Stedin(Eneco), Enexis(Essent) 등 기존의 한 기업으로 뭉쳐있

던 네트워크 기업이 분사

- 업계전문가들은 Unbundling Act에 따른 기존 자산의 매각 및 사업개편 M&A 활성화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

○ Nuon과 Essent의 합병에 따른 부수적인 M&A기회

- 총 240억 유로규모의 합병에 대해 네덜란드 경쟁위원회 (Netherlands Competition

Authority)에서 부과하는 조건들에 관심 집중

- 에너지시장에 대해 국가기간사업(national nature)로 정의함에 따라 합병조건을 만족하기

위해 합병 직후 가스 및 오일부분에 대한 상당수준의 자산매각이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음.

○ 신재생에너지 분야의 M&A에 대한 해외기업의 관심집중

-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정부의 강력한 의지 및 각종 인센티브 / 보조금 정책

- VC들과 신재생에너지 기술을 보유한 Incubator기업을 위한 펀딩 모집이 활성화

․ 연금관리기관인 APG사와 PGGM사가 5억 유로 JV 설립

․ Rabo Private Equity가 6000만 유로의 Rabo Venture 설립

․ Essent사와 Delta사가 5000만 유로의 Sustainable Energy Technology(SET) 설립

○ 신재생에너지 분야 M&A 활성화를 저해하는 요소도 상존

- M&A에 따른 네덜란드 정부의 독과점 규제 및 세제 등에 대한 정책적인 불확실성이

커 Private Equity등 투자가들의 결정을 지연시킴

- 노동단체협약(Collective Labor Agreement)로 인해 인수한 기업의 구조조정이 매우

어려움

- 정부 인센티브 시스템의 비일관성으로 인해 리스크매니지먼트비용이 상승

․ MEP(Milieukwaliteit Van de Electriciteits Productie) 제도는 2005년 도입 이후 2006년

224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폐지, 현재 재도입을 검토 중

□ 주요 M&A 케이스

○ STX 중공업의 풍력에너지 기업 Harakosan Europe B.V 인수

- 2009년 7월, STX 중공업이 일본 Harakosan사의 유럽법인인 Harakosan Europe B.V의

지분 100% 인수 (인수가격 : 19mil USD, 240억원)

- Harakosan Europe B.V는 2003년 청산된 Lagerwey사의 기술을 토대로 2005년 설립

○ 중국 XEMC사의 풍력터빈제조기업 Darwind 인수

- 2009년 8월, XEMC사가 자산구매계약를 통해 Darwind Wind Turbines사 인수

- 당시 한국기업도 입찰에 참가했다는 정보가 있으나 어느 기업인지에 대해서는 밝혀지지

않았으며, Harakosan을 인수한 STX중공업이 가장 유력할 것이라는 것이 업계의 관측임

○ 스웨덴 에너지기업 Vattenfall사의 Grid 기업 Nuon사 인수

- 2009년 1월 1일 부로 스웨덴 Vattenfall AB 사가 N.V. Nuon Energy사의 지분 100%를

인수하기로 합의

- 2009년 7월 1일 49%인수, 2011년에 15%, 2013년에 15%, 2015년에 나머지 21%를 인수

- 인수가격은 100%기준 9,863.5 million EURO이며 최초 49%에 대해서 4,833 million EURO를

지급

○ 독일 에너지기업 RWE사의 Grid 기업 Essent사 인수

- 2009년 1월 합의, European Commission 심의를 거쳐 2009년 9월 30일 공식인수 완료

- Essent사의 발행주식 100%를 7.3 billion EURO에 인수

- 최초 9.3 billion EURO로 전체를 인수하는 오퍼였으나 Borssele원자력발전소의 대주주인

Delta사의 인수반대로 해당 자산은 인수에서 제외됨으로써 인수가가 낮아짐

○ 미국 에너지기업 Valero Energy사의 Refinary 기업 TOTAL Raffinaderij Nederland N.V사 인수

- 2009년 5월 20일 미국출신의 Valero Energy Corp. (NYSE: VLO) 가 Dow Europe Gmbh와

Dow Benelux NV가 소유한 TOTAL Raffinaderij Nederland N.V. 지분 45%를 인수

- 인수 금액은 725 million 달러

Ⅶ. 네덜란드 225

□ M&A 타겟기업

- Confidentiality, Valuation 등의 문제로 인해 해당 기업의 M&A 가능성에 대해서는 대부분

의 기업이 응답할 수 없다는 반응을 보임

- 정확한 공개매수가 없는 상황에서 M&A에 오픈되어 있다는 내용에 대해서만 답변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의견도 다수

- 단, LED 기술보유 1개 기업에서 현재 투자가를 찾고 있음을 공개적으로 밝힘(아래 표에

기재)

기업명 Polymer Vision Ltd.

주 소 High Tech Campus 48, 5656 AE Eindhoven

연락처P : +31-40-277-4200

F : +31-40-274-6665

홈페이지 www.readius.com

주요 사업영역 LED / Flexible display screen

담당자

정보

이름 : Patrick Maas

직책 : Financial Controller

T +31 40 27 74199

F +31 40 27 46665

기업개요

·Philips Research사의 사내 기술 벤처로 시작

·종이처럼 얇고 구부릴 수 있어서 펜이나 휴대폰에 말아넣을 수 있는 새로운 유형의

얇고 유연성이 뛰어난 능동 매트릭스(AM-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기술 보유

·2009년 7월 자금위기로 인해 공식적으로 부도가 발생한 상황이며, 신제품생산

및 자금사정 완화를 위한 투자자를 찾고 있는 중이라고 함

Ⅷ. 덴마크 227

Ⅷ. 덴마크

1. 녹색산업 기술(시장) 현황

2. 녹색기술 보유업체 명단 및 기술내용

3. M&A 또는 전략적 기술제휴 가능성

228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Ⅷ. 덴마크

1. 녹색산업 기술(시장) 현황

1) 국가별 녹색산업 동향

□ 에너지 시장 동향

○ 에너지 산업과 경제성장

- 덴마크는 지난 25년간 추진한 에너지 소비 절감 정책 및 에너지 기술개발정책에 힘입어

약 75% 정도의 경제 성장을보여주었는데, 높은 경제 성장률의 원동력으로 에너지효율성

을 높이는 정책에 대한 꾸준하고 집중적인 투자로 보고 있으며 이를 통해 화석연료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환경을 보호하는 효과를 동시에 가져왔음.

-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사용에 대한 적극적인 권장 정책으로 인해 최근 신재생에너지

사용 비율은 전체 에너지 소비의 15%를 넘어섰으며, 이로 인해 1990년부터 2006년까지

경제성장률은 40%를 기록한 반면에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약 14% 정도 감소함.

- 2007년 기준 덴마크 전력소비량의 28%, 지역난방사용량의 47% 정도가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하였음.

○ 에너지 생산량 (발전량 기준)(단위: PJ)

에너지원 1990년 2000년 2006년 2007년

석유 256 765 724 625

천연가스 116 310 390 346

석탄 120 60 89 72

신재생에너지 48 83 119 130

폐기물 및 기타 4 7 9 9

합계 424 1,165 1,242 1,110

자료원: 덴마크 에너지청

Ⅷ. 덴마크 229

○ 주요 관련품목 수출입 동향

- 덴마크의 녹색에너지 관련 장비의수출은 2007년 기준 580억 DKK (약 78.4억유로)규모이

며 이는 2000년도의 280억 DKK에 비해 2배 이상 증가.

-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풍력발전기로 연 평균 20-25% 의 수출 증가율을

보이면서 덴마크 최대의 산업기반으로 자리 잡고 있음

- 한편 녹색에너지 제품에 대한 수입은 190억 DKK (약 25.7억 유로) 규모로 수입품의

대부분은 풍력발전기 제조에 사용되는 부품

○ 품목별 에너지 생산 및 수출입 현황 (2007년 기준)

단위 생산 수입 수출

원유

(미가공 및 반가공)천톤 15,432 2,281 9,815

석탄, 코크스 천톤 - 8,123 77

석유 천톤 7,285 21,164 1,033

천연가스 N㎥ 8,897 - 4,282

기타가스 천톤 501 5 94

재생 에너지 자원 TJ 129,866 18,699 1,681

전력 GWh 36,896 10,426 11,377

지역난방 TJ 122,111 - -

자료원: 덴마크 에너지청

□ 에너지원별 산업동향

○ 풍력발전

- 1980년대 처음으로 풍력발전이 도입된 이래 덴마크의 풍력발전 산업은 기술적으로나

부가가치 생산에 있어서 놀라운 발전을 이룩하고 있음.

- 덴마크 해안은 난기류의 영향이 적고 양질의 바람을 얻을 수 있는 지리적인 이점 때문에

오래전부터 해상 풍력발전 프로젝트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진행되고 있음.

- 덴마크풍력터빈산업은 2만3천명을고용하고연간 57억 유로 (해외수출 포함)의 매출액을

올리는 산업으로 성장하였으며, 전 세계 풍력 터빈 시장의 30%를 점유함.

- Vestas사는 덴마크를 대표하는 풍력터빈 제조회사로서 전 세계 풍력 터빈의 약 1/3을

공급하고 있으며, 세계를 선도하는 기술력과 지역적 장점을 지니고 있어 경쟁사인 인도의

Suzlon, 스페인의 Gamesa, 독일의 Siemens Wind Power사 등도 덴마크에 위치함.

230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 덴마크의 풍력발전산업은 매년 20% 이상의 고속 성장을 구가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스페인, 미국, 독일, 중국 등 해외 시장 진출을 적극적으로 펼치고 있음.

- 세계 최대 해상풍력발전단지인 덴마크 Horns Rev 풍력발전단지에는 2MW급 80여기의

풍력발전기가 20㎢에 걸쳐 설치되었으며, 동 시설의 건설을 위해 투자된 비용은 20억

DKK (약 2억 6천만유로) 정도이며 이를 통해 15만 가구가 사용할 수 있는 전기가 생산됨.

- 2009년 4월 기준 덴마크 내에는 총 5,096기의 풍력발전기가 설치되어 3,165 MW의 전력을

생산 중.

- 향후 덴마크 정부는 노후된 육상 풍력발전기 교체 및 신규 해상 풍력발전 단지 조성을

지속적으로 추진하여, 2012년까지 덴마크는 풍력을 통한 전력생산을 1,300MW 증가시킬

예정인데 이 경우 덴마크에서 풍력발전을 통해 생산되는 전력량은 4,500MW를 넘어설

전망.

○ 태양 에너지

- 덴마크의 태양력 에너지 시장은 다른 대체 에너지에 비해 규모가 작은 편임.

- 덴마크의 주요 기업들은 주로 세계적인 대형 그룹의 공급자 역할을 하고 있으며 패널

자체 보다는 인버터 분야에 경쟁력을 가지고 있음.

- 덴마크에는 3만여 개의 태양열 발전 시스템이 가정에 설치되어 있는데 대부분 난방

및 온수 공급을 위해 사용되고 있다. 이들 시스템은 정부에서 설치비의 30%를 지원해

주던 1991년-2001년 사이에 설치된 것임.

- 대규모의 태양열발전소는대부분바이오매스발전을보완하기위한목적으로 설치되었으

나 최근에 태양열 발전에 대한 정부 보조가 없어지면서 신규 설치는 중단되었음.

- 덴마크에는 40만㎡ 규모의 태양열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가장 큰 태양열 발전소는

AErø에 있는 17,000㎡ 규모

○ 바이오매스

- 덴마크에서 소비되는 신재생에너지의 70% 가량이 바이오매스이며 주로 짚, 목재, 재생

폐기물로부터 생산됨.

- 바이오매스 에너지는 1980년과 비교했을 때 4배 이상 증가하였는데 특히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열병합발전과 지역난방시스템의 보급이 주원인임.

- 덴마크의 바이오매스 분야에는 약 50여개의 업체들이 활동 중이며 이들 업체의 매출액은

총 35억 DKK(약 4억6천만유로) 규모로 추정.

Ⅷ. 덴마크 231

- 관련 전문가에 따르면 전체 매출액의 절반가량은 수출이며 바이오매스 산업에 종사하고

있는 인원은 1,500명 정도로 추정

- 정부는 EDDP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2세대 바이오 에탄올 연료개발과 동시에 2010년까지

신 바이오에탄올을 이용하여 작동되는 대형 발전소 건립을 추진 중이며, 향후 5-10년

사이에 국제적인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함.

○ 바이오가스

- 덴마크에는 20여개의 바이오가스 발전소가 건립되어 있으며, 이는 1984년에서 1998년간에

건설된 것으로 바이오가스를 이용한 발전소 건립을 위해 당시 건설에 필요한 20-40%의

자금을 정부가 지원함.

- 대규모의 바이오가스 발전소 외에도 50여개 이상의 소형 바이오가스 발전시설이 있는데

그 수는 증가하고 있는 추세.

- 20여개의 바이오가스 발전소는 연간 1.1백만 톤의 동물 배설물과 40만 톤 규모의 산업

폐기물을 처리.

- 바이오가스를 이용한 발전은 전력 생산과 함께 CO2 배출을 줄여 환경오염을 줄이는

두가지의장점을가지고있어덴마크정부는가능한범위내에서바이오가스발전시설을

확충하려 노력 중

- 바이오가스의 75% 가량이 가축 분뇨(특히 돼지 사육)에서 생산되고 있으며 가축분뇨

처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농가들의 바이오가스 처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음

- 바이오가스부문에는약 25개의 업체가연관되어있으며이들의연간매출액은 4억 DKK(약

5천3백만 유로) 정도로 매출액의 90%이상이 덴마크 시장에서 발생하며 관련 산업에

종사하고 있는 종업원은 약 100-120명 수준임.

○ 연료전지 (수소전지 포함)

- 2006년부터 시작된 연료전지 관련 정부-기업 간 협력관계 구축을 토대로 현재 다양한

연료전지 개발 및 생산을 위한 기반시설이 완비되었지만 아직까지 기술적 완성도가

부족하며, 기존의 전력 및 난방시설과 비교하여 에너지 효율성, 가격 및 서비스 경쟁력이

떨어짐.

- 덴마크는우선연료전지기술개발을특정분야로한정시키고 (예를들어전력백업시스템,

지게차또는장애인 전용차 등등), 기술적 노하우가축정되는 대로 전력, 교통, 난방시스템

응용을 위한 기술개발로 확대할 계획임.

- 덴마크는 현재 소형 발전 및 난방 시스템을 위한 연료전지 개발을 진행 중이며, 전지의

232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효율성을 높이는데 중점을 두고 있음.

- 정부의 지원규모는 2007년을 기준으로 할 때 연료전지 프로젝트에만 약 5천만 DKK

정도의 자금이 할당되었음.

- 덴마크는 현재 연료전지 기술을 활용한 천연가스 융합 소형 전력 및 난방 시스템 관련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예산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이는 몇 년 후 가정용 난방

및 전력공급을 위한 연료전지 시스템을 구축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음.

○ 저 전력 건물

- 덴마크 정부는 최근 신, 구 건물에 대한 에너지 소비 감소 정책과 더불어서 에너지

효율성이 높은 부품과 시스템을 이용한 저 전력 건물 기술개발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솔루션 개발 투자에 착수함.

- 향후 15-20년간 에너지 소비율 25% 절감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고효율, 저비용의 건물용

부품 개발에 우선적으로 집중하고 있음.

- 30-50년 후에는 기존 건물들에도 신기술을 적용하여 기존 전력소모량을 절반으로 감소시

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음.

○ 이산화탄소 분리 및 저장

- 덴마크는 이산화탄소의 저장 기술 분야 관련 선도국가로서 지하매장을 하나의 대안으로

보고 있으며, 이를 위해 배출가스로부터 분리된 이산화탄소가 완벽하게 저장될 수 있는

최적의 지역적 조건이 요구되고 있음.

- 1999년부터 덴마크는 EU의 지원을 받고 있는 GESTCO(Geological Storage of CO2

from Combustion of Fossil Fuels)에 가입.

- GESTCO 프로젝트에서 덴마크가 이산화탄소 저장을 위한 최적의 국가로 결론 내리고

이산화탄소 매장 가능성 확인을 위해 Kalundborg 지역을 조사함.

- 최종적으로 덴마크 최대 에너지 공급회사인 DONG Energy사의 석탄 발전소가 위치해

있는 Esberg 지역에 시험설비 설치.

- 그럼에도 불구하고 IEA (International Energy Agency)는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에

킬로와트 당 0.2-0.25 DKK의 추가비용이 발생한다고 보고, 신규 대형 발전소와 관련된

이산화탄소 저장 설비만 경제성이 있다고 판단함.

Ⅷ. 덴마크 233

○ 기타 기술

- Wave Power: 신기술개발의일원으로파력을이용한기술개발에착수하여 몇몇 시험설비

를 덴마크에 착공함. 아직은 기술개발 초기단계이지만 장기적으로 어느 정도의 가능성을

보여줄 것으로 전망함.

- District cooling: 이미 선 개발이 진행된 지역 냉방 시스템 기술은 덴마크 시장에 적절히

접근하고 지역난방과 함께 덴마크의 기술력 수출에 어느 정도 이바지 할 것으로 전망.

- Fusion Energy: EU 에너지 연구 프로그램 중에서 가장 우선시되는 분야 중 하나로

매우 장기적인 계획이 요구되는 분야. 전체 예산의 절반 정도가 퓨전 에너지 개발을

위한 유럽 연합 공동 프로젝트에 투입될 예정.

2) 기술력 보유현황 및 특화분야별 강점

□ 에너지원별 기술력 보유현황 및 특화분야별 강점

○ 풍력발전

- 풍력발전은 덴마크의 주요 산업분야 중 하나로서 점점 성장하는 다양한 연구단체와

산학의 긴밀한 협력으로 얻어진 기술력 때문에 전 세계 우수한 풍력발전 업체인 인도의

Suzlon, 스페인의 Gamesa, 독일의 Siemens Wind Power사 등도 덴마크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음.

- 덴마크 풍력발전 산업은 2000-2008년 사이에 4배 이상 성장하여 420억DKK의 수출실적으

로 올렸으며, 2008년 덴마크 전체 에너지 수출의 65%를 차지함.

- 파트너십 강화: 덴마크의 주요 대학, 국가연구소 기업들로 구성된 공동체 Megavind는

풍력발전 기술을 주도하며, 통일성 있는 시험방법, 부품 및 설비의 기준을 마련하여

기술개발의 일관성을 유도함.

- 주요 강점 기술 분야는 풍력터빈 설계, 터빈 제조, 공기역학, 구조역학, 풍력 하중 및

위치 선정, 에너지 시스템과의 통합화, 해상풍력 최적화 등임.

- 덴마크의 최대강점, 공력탄성학 [aeroelasticity]:

․ 공기의 힘과 이로 인해 생기는 구조의 변형진동과의 상호관계를 공기역학과 탄성학을

이용하여 다루는 항공학의 한 분야

․ 1997년부터 ERP 프로그램을통해 매년 연구자금이투입되고있으며, 공기역학, 구조역학,

회전자 설계 및 복합섬유 날개재료 연구와 더불어 MW급 풍력 터빈 기술 발전에 기여.

․ Risø DTU 풍력에너지 연구소에 34미터 풍력터빈 날개 테스트용 실험실 완비.

234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34미터 풍력터빈 날개 테스트 실험실>

자료원: Risø DTU

- 해상풍력(offshore)발전: 현재 해상풍력발전은육상에비해 2배 정도의 비용이 소요되지만,

“bottleneck” 프로젝트를 통해 경제적인 해상풍력 발전 솔루션을 개발 중.

- ForskEL은 최초의 두 대단위 해상풍력발전 농장(Horns Rev1 Wind Farm, Nysted

Offshore Wind Farm) 개발을 지원.

○ 태양 에너지

- 덴마크의 태양 에너지 기술개발은 크게 두 가지 성향을 보여주는데 하나는 실리콘 PV

cell 연구개발에 대한 세계적인 흐름을 마지못해 따라가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PV Cell

기술을 대단위 태양력 발전소에 적용할 수 있는 혁신적인 기술을 덴마크 산업을 통해

개발하는 것임.

- 대단위 태양력 발전을 위한 기술로는 Photo Electro Chemical(PEC) cell과 Polymer

PV cell 기술이 주목받고 있으며, 덴마크 연구소들은 경제성, 수명, 효율성 면에서 좋은

결과를 보여주고 있음.

- 덴마크의 Topsil, RAcell Solar와 같은 기업들은 ForskEL 프로그램을 통해 FZ

mono-crystal-growing 기술과 같은 실리콘 PV cell 관련 연구개발을 하고 있지만 오늘날

시장에 소개되는 덴마크산 실리콘 PV cell 제품은 없음.

- 태양 에너지 관련 덴마크의 최대강점은 PV cell 발전소 설치를 위한 가장 핵심 기술인

인버터 기술이며, Danfoss 그룹이 최고 효율을 자랑하는 인버터 기술을 선도하고 있고,

Sunsil사는 최고 안정성과 효율성을 자랑하는 PV 모듈기술을 선도하고 있음.

- 덴마크 에너지 연구소는 인버터 기술의 발전만이 태양력 발전의 효율성을 풍력발전과

동일한 수준으로 끌어 올릴 수 있는 유일한 대안이며, 스마트그리드 기술에도 기여할

것으로 예상함.

Ⅷ. 덴마크 235

- 덴마크는 EU 국가 중 태양열 도시 건설 부분에서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7개 지역에

200kWp 용량의 2000㎡ PV cell 건설에 착수하여 2025년까지 300,000㎡까지 확대하여

전체 전기소비의 10-15%정도를 공급할 예정임.

- 덴마크 정부는 Thin-Film, Photo-Electro-Chemical, Polymer 등을 이용한 신세대 솔라

셀연구개발 7개년 계획을발표하였으며, Riso DTU 태양에너지프로그램을통해개발되고

있는 플라스틱 PV cell은 실리콘 PV cell에 비해 제조 단가가 낮고 대용량 발전이 용이한

장점이 있어 효율성을 0.167%에서 2.3%까지 향상시킴.

○ 바이오매스

- 덴마크의바이오매스연구개발은바이오매스의생산과취급, 열병합발전을위한연소장치

개발 등 크게 두 가지로 나눠짐.

- 1993년부터시작된덴마크전력회사들의연간 1.4톤의짚을사용해야한다는의무규정으로

인해 연소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노력을 기울이게 되면서 오늘날 짚을 이용한

바이오매스 연소기술은 세계를 선도하게 되었음.

- 연소기술 개발 노력의 결과로 450도에서 540도 증가된 스팀온도는 전력 생산성 향상을

가져왔고, 시멘트나콘크리트 제조 시발생되는 재를이용하는기술은 Studstrup 발전소에

서 짚-석탄 동시연소장치의 상업화를 초래하여결과적으로 Avedore 지역에 2개의 발전소

를 설립하게 됨.

- 최근 바이오매스에 대한 상업적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연소기술의 최적화, 예를 들어

부식방지 향상 물질개발 및 더 효율적인 재생 폐기물 사용에 많은 연구자금이 지원됨.

○ 바이오가스

- 덴마크의 바이오가스 연구개발은 현상유지를 하는 정도였으나 최근 바이오매스의 급속적

인 성장에 따라 프로세스 컨트롤 및 바이오가스 발전소의 생산성 향상 부분에 집중되고

있음.

- 또한배설물에너지의활용성을향상시켜주는미생물개발과바이오가스발전에사용되는

건조물을 추출해내는 배설물의 분리 기술 개발에도 중점을 두고 있음.

- 현재 총 배설물의 5%만이 바이오가스 발전소에 사용되고 있으며, 덴마크 바이오가스

협회는 전처리 방법, 생화학적 변환법, 더 효율적인 프로세스 컨트롤 방법을 개발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음.

- 최근에는 동물 배설물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짚, 건초 같은 보조 재료 개발과 동시에

바이오가스와 다른 에너지원과의 상호관계 향상을 위한 기술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음.

236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 연료전지 (수소전지 포함)

- 2006년부터 시작된 연료전지 관련 정부-기업 간 협력관계 구축을 토대로 현재 다양한

연료전지 개발 및 생산을 위한 기반시설이 완비되었지만 아직까지 기술적 완성도가

부족하며, 기존의 전력 및 난방시설과 비교하여 에너지 효율성, 가격 및 서비스 경쟁력이

떨어짐.

- 덴마크는우선연료전지기술개발을특정분야로한정시키고 (예를들어전력백업시스템,

지게차 또는 장애인 전용차 등등), 기술적노하우가 축정되는 대로 전력, 교통, 난방시스템

응용을 위한 기술개발로 확대할 계획임.

- 덴마크는 현재 소형 발전 및 난방 시스템을 위한 연료전지 개발을 진행 중이며, 전지의

효율성을 높이는데 중점을 두고 있음.

- 정부의 지원규모는 2007년을 기준으로 할 때 연료전지 프로젝트에만 약 5천만 DKK

정도의 자금이 할당되었음.

- 덴마크는 현재 연료전지 기술을 활용한 천연가스 융합 소형 전력 및 난방 시스템 관련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예산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이는 몇 년 후 가정용 난방

및 전력공급을 위한 연료전지 시스템을 구축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음.

○ 저 전력 건물

- 덴마크는 전체 에너지 소비 중 난방, 환기, 조명에 사용되는 비율이 30-40% 정도이므로

에너지효율성이높은부품과시스템을이용한저전력건물기술개발의필요성을절감하고

2008년 저 전력 건물 지식센터를 덴마크 기술 연구소에 설립하고 2011년까지 약 7500만

DKK 정도의 연구자금을 투입.

- 덴마크는 Saint Gobain Isover사의 건축용 절연재, Velux사의 태양열 패널 지붕창을

비롯하여, 냉난방시소모되는전력의 25-30%를절감할수있는콘크리트제조시사용되는

상전환 물질(phase-changing materials)에 대한 기술력 보유하고 있음.

- 최근 Nini Ptyds사는 영구자석을 이용한 신개념 냉방 기술을 개발하였으며, 암모니아와

같은 천연 냉각제 개발로 기존 냉각제를 대체하고자 함.

- 조명 부분에서는 수명이 길고 다양한 디자인 구성이 가능한 LED를 활용한 기술개발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PV cell 과 혼합한 일체형 LED 야외용 조명은 빠르게 상업화되고

있음.

- Aalborg Portland사는덴마크과학기술재단지원으로콘크리트제조시원재료로사용되는

클링커를대체하는나노파티클을개발하여 30% 정도의 에너지절감효과를보여주었으며,

콘크리트 제작 시 5% 정도의 이산화탄소 배출 절감효과를 보여줌.

Ⅷ. 덴마크 237

<Wave Power Unit>

○ 파력 (Wave power)

-파도는바람이강해짐에따라서서히강해지고바람이

멈춘후에도서서히 약해지는특성이 있어 풍력발전

과조화를이룰경우풍력발전단독의경우보다더욱

더 안정된 전력 공급이 가능함.

- 2005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 파력 연구개발은 최

근 8200만 DKK정도의 자금을 투입하여 1:2 스케일

500kW급 파력 발전소 테스트가 가능하게 되었으며

북해에 110kW급 시험 발전소를 건설하여 만족할만

한 결과를 얻게 되면 해상풍력발전소 Horns Rev2와

함께 500kW급 파력 발전소가 건설될 예정임.

- 덴마크는 경량화 물질 개발을 통한 건설비용 절감과 최적화된 설계를 통해 40-50%

정도의 효율성 증대를 가져와 풀 스케일 1MW급 파력 발전소 설립을 기대할 수 있는

신개념 프로젝트 "Crestwing"을 준비하고 있음.

3) 녹색산업 정부정책 및 제도

□ 녹색산업 관련 정부정책 및 제도

○ 2007년 1월 덴마크 정부에 의해 발표된 "에너지정책 비전 2025 (A Visionary Danish Energy Policy

2025)" 에 따르면 덴마크의 녹색 에너지 정책은 크게 에너지 소비절감, 재생 에너지 개발, 신기술 개발

세 분야로 나누어 짐

- 에너지 소비절감

․ 현재 덴마크 전체 에너지 소비의 85%를 차지하는 화석연료 사용을 2025년까지 현

수준보다 15% 감축.

․ 2025년까지 전체 에너지 절감 규모를 매년 1.25%씩 증가.

․ 2008년 에너지 절감 의무 규정을 연간 3PJ에서 5PJ로 확대

․ 에너지 소비절감 보조금 정책을 할당제에서 석유나 가스와 같은 특정 분야별 지원으로

변경.

․ 저 전력 건물의 건축 및 사용 확대정책으로 2007년부터 2011년까지 연간 2천만 DKK

투입, 홍보 및 캠페인 활동을 위해 연간 5백만-천만 DKK 투입.

- 재생 에너지

․ 2025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전체 소비의 최소 30%까지 확대

238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 2020년까지 운송수단의 바이오 연료 사용 비율을 10%까지 확대

․ 지난 20년간 전체 에너지 소비량 중 재생 에너지 사용 비율은 약 5%에서 15%까지

증가됨.

․ 신재생에너지 저변 확대를 위한 시장 지향형 보조금 확대

․ 정부는 기존 법령을 개선함으로서 전력 및 지역난방 발전을 위한 연료 선택의 유연성

확대.

․ 폐기물을 이용한 신재생에너지 기술 개발 확대

․ 에너지 관련 세금제도의 합리성 점검

․ 풍력발전소 설립에 대한 전략적 계획 수립. 풍력발전 협의회의 육상 및 해상 풍력발전

비교 보고서를 토대로 해상풍력발전에 총력을 가할 예정.

․정부의바이오가스사용촉진정책:현상태에서전력과난방에너지생산을위해화석연료

를 대체할 수 있는 최선책으로 봄.

- 신에너지 기술개발

․ 덴마크 정부는 2010년까지 신에너지 기술관련 R&D 부분 예산을 2007년 대비 두 배로

확대하여 연간 약 10억 DKK (약 1.33억 유로, 1유로=7.5DKK 기준)정도 투자 예정.

․ 연료전지(fuel cell) 개발 부분은 이미 5천만 DKK 정도 할당되어 있음

․ 운송수단을 위한 2세대 바이오 연료 개발

○ 보조 정책

- 바이오 연료 사용 확대: 2020년까지 대중교통수단의 바이오 연료 사용 비율을 10% 까지

확대.

- 덴마크는 바이오매스 사용 비율이 전체 에너지 소비의 11% 정도로서 유럽 국가 중

최고임. (EU 평균 약 4%)

- 수소/전기 자동차에 대한 세금 감면: 덴마크 정부는 자동차에 대한 화석연료 사용 감소를

위해 수소연료 및 전기를 사용하는 자동차에 대한 세금 감면 실시.

- 풍력발전의지역화: 장기적인전력공급책마련을위한풍력발전최적의장소를집중적으로

육성.

- 전력공급 인프라 확대: 풍력 터빈 제조의 증가와 더불어 전력 공급 인프라 확대 계획.

- 천연가스 확보 노력: 덴마크 정부는 2015년부터 시작되는 본격적인 천연가스의 수입에

대비하여 북해에 매장되어 있는 천연가스 채취를 위해 노르웨이와의 협력관계 구축.

- EU 내 선도적 역할: 덴마크 정부는 EU연합과의 전략적 에너지 정책 기획 협력을 통해

EU내 에너지 정책 주도.

Ⅷ. 덴마크 239

○ Green Tax

- 1970년대부터시작된에너지관련세금으로가정의에너지소비를줄이기위해시작하였으

며 1990년에 들어와 전 산업분야로 확대함.

- 기본적으로 CO2 tax, SO2 tax, Energy tax 세 가지로 나누어지며, 노동자들의 세금은

낮추고 기업의 세금을 높이는 것을 주요 골자로 함.

․ CO2 tax: 중공업, 경공업, 지역난방의 세가지분야로분류하여 에너지 사용량에비례하여

세금 부과.

․ SO2 tax: 에너지 소비 면에서 동일하나 이산화황 (SO2) 배출량 또는 연료에 포함된

황(sulfur) 성분량에 근거하여 세금 부과.

․ Energy tax: 온수를 포함한 일반 지역난방에 관련된 부분에 대한 에너지 소비세 부과.

- 1996년부터 1999년까지 매년 백만 유로 이상 (최대 15백만 유로) 증가하던 전체 세금이

2000년 4천 8백만 유로의 감소를 기록하면서 2002년 1월부로 임시 중단됨. 이는 Green

Tax Package가 에너지 소비 감소 및 세수증가를 위한 좋은 방안이었지만, 기업들에게만

집중적으로 부담이 되었던 이유로 인해 작은 기업들이 경쟁력을 잃고 사라지게 되면서

전체 세수량의 급격한 감소를 가져왔음.

- Green Tax를 간접세로 전환하여 세금 부담을 분산시키고 기업들에게는 에너지 사용량에

비례하여 세금을 부과하게 하는 등 환경청의 세금정책 변화를 통해 2009년부터 Green

Tax 부활을 위한 준비 중에 있음.

○ 기존 에너지 산업 관련 주요 법령

- Energy and CO2 Tax (1996)

- 건물의 전력, 수도 절감법(1996)

- 전기용품 에너지 라벨링(1997)

- Green Owner Fee for Passenger Cars (1999)

- 전력절감 신탁법(1999)

- 전력생산에 대한 CO2 쿼터법(1999)

- 공공전력공급의 에너지 절감 행동법(2000)

- 난방 공급법(2000)

- 에너지절감진흥법(2000)

- CO2 배출거래계획(2004)

240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 전력 및 천연가스 공급법(2005)

- 건물 에너지절감진흥법(2005)

- 풍력발전터빈 기술인증계획에 대한 행정명령(2007)

○ 최근 에너지 관련 국회 의결사항 및 지원 내용

- 2008년 2월 덴마크 정부는 국회를 통해 신재생에너지 개발, 에너지 효율성 증가 및

에너지 기술개발 부분에 있어 전폭적인 지원을 약속함.

- 신재생에너지 경우 2011년까지 덴마크 전체 에너지 소비량의 20%까지 확대 계획.

- 2012년까지 새로운 400MW 용량의 해양 풍력발전터빈(offshore wind turbine) 건설.

- 2020년까지 에너지 소비 비율을 2006년 대비 4%까지 감소.

- 2012년까지 잠정적으로 수소연료 자동차 및 전기자동차에 대한 등록세 감면 실시.

- 2012년까지 전기자동차 개발을 위한 연구자금으로 3천5백만 DKK 지원 확정.

- 2012년까지 태양 및 풍력 에너지 기술개발 연구자금으로 매년 2천5백만 DKK 지원

확정.

□ 신재생에너지 연구‧개발(R&D) 지원 프로그램

○ 덴마크 정부의 적극적인 에너지 연구개발 지원 프로그램, EDDP (Energy Technology Development

and Demonstration Program)

- 기본적으로 연구개발의 상업적 효과를 증진시키고 다양한 응용제품을 확대하기 위한

정책

- 정부의 이러한 정책은 기업, 국립 연구소 및 대학 간의 협력관계를 촉진하여 최선의

기술개발을 도모하였으며, 특정 에너지기술 분야에서는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추게 됨.

○ 기존 연구개발 (R&D) 지원

- 2007년부터 2008년까지 덴마크 정부의 에너지 관련 연구개발 자금 지원은 약 6.7억

DKK 정도 되었으며 분야별 금액은 아래와 같음.

Ⅷ. 덴마크 241

<연구개발(R&D) 예산 추이>

(단위: 백만 DKK)

구분지원 금액

2007년 2008년

바이오매스 38.7 47.0

액체 바이오연료 167.6 111.0

풍력 105.9 113.3

수력, 파동에너지 23.6 44.4

PV Cell, 태양에너지 45.9 35.4

연료전지 및 수소에너지 115.4 126.3

에너지 효율성 제고 106.6 125.5

석유 및 가스 14.6 14.8

탄소 포집 2.4 3.0

천연가스 및 지역난방 3.0 1.0

사회적 융합 시스템 37.6 55.1

기타 15.4 119.9

합계 676.7 746.7

자료원: 덴마크 에너지 연구협회 (energiforskning)

2. 녹색기술 보유업체 명단 및 기술내용

□ Vestas Wind Systems A/S

대상분야 풍력 지역 Randers

세부분야 풍력 터빈

기술명 OptiTip®, OptiSpeed®, Active Stall®

기술내용

- OptiTip®: 풍력터빈 날개의 최적위치 선정기술

- OptiSpeed®: 최대 전력을 끌어내기 위한 바람의 조건에 따른 풍력터빈 속도조절

기술

- Active Stall®: 최소 부하, 최대 에너지 발생 기술

CEO Ditlev Engel 설립연도 1898

주소Alsvej 21, 8940 Randers SV,

Denmark

매출액(2007년) (천유로)

4,900,000

담당자Kresten Christensen

Policy Analyst고용 (명) 21,000

연락처

전화: (+45) 9730 0000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vestas.com

해외조직전 세계 26개국 33개 지역

(본사: 덴마크)

242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 LM Glasfiber A/S

대상분야 풍력 지역 Kolding

세부분야 풍력 터빈용 날개

기술명- Vacuum Assisted Resin Transfer Moulding (VARTM)

- VT8

기술내용

- Vacuum Assisted Resin Transfer Moulding (VARTM): 압력으로 송진을 금형

안에 이미 형성된 섬유질 속으로 스며들게 하는 기술

- VT8: 복잡한 계산방식을 간소화 하여 계산 속도와 정밀도를 향상시킨 소프트웨어

CEO Roland Mikael Sundén 설립연도 1965

주소Jupitervej 6, 6000 Kolding,

Denmark

매출액(2008년) (천유로)

885,000

담당자Einar Friis Hansen, Project

Manager고용 (명) 6,200

연락처

전화: (+45) 7984 0932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lmglasfiber.com

해외조직전 세계 9개국 15개 지역

(본사: 덴마크)

□ Topsoe Fuel Cell A/S

대상분야 연료전지 지역 Lyngby

세부분야 Solid Oxide Fuel Cell (SOFC)

기술명 - Topsoe Fuel Cell planar SOFC technology

기술내용

- 전기 효율성: 단독 유닛으로 50% 이상, 가스터빈과 혼합사용 시 70%이상

- 다양한 다른 연료들과의 호환성 높음.

- 이산화탄소 및 황산 배출량 최저

- 저소음, 높은 신뢰성, 경제성 확보

CEO Henrik Topsøe 설립연도 2004

주소Nymøllevej 66,

2800 Lyngby, Denmark

매출액(2008년)(천유로)

652

담당자Helge Holm-Larsen, Business

Development고용 (명) 50

연락처

전화: (+45) 4527 2168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topsoefuelcell.com

해외조직전 세계 9개국 12개 지역

(본사: 덴마크)

Ⅷ. 덴마크 243

□ IRD Fuel Cells A/S

대상분야 연료전지 지역 Svenborg

세부분야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Technology (PEMFC)

기술명- DMFC Fuel Cell Stacks

- LTPEM Fuel Cell Stacks

기술내용

- DMFC Fuel Cell Stacks: 액상 메탄올로부터 직접 0.1-2kW의 전기를 생성시키는

전기화학적 소자. 주로 저온에서 동작하며 배터리처럼 재충전이 필요 없음.

- LTPEM Fuel Cell Stacks: 수소와 산소의 전기 화학적 분해를 이용하여 1.0-3.0kW의

전기를 생성. 50%이상의 효율과 완전 무공해라는 특징이 있음.

CEO Bjørn Thorsen 설립연도 1995

주소Kullinggade 31,

5700 Svendborg, Denmark

매출액(2008년) (천유로)

2,600

담당자Madeleine Odgaard, Project

Manager고용 (명) 30

연락처

전화: (+45) 6363 3030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ird.dk

해외조직미국

(본사: 덴마크)

□ Haldor Topsoe A/S

대상분야 청정연료 지역 Lyngby

세부분야 Ammonia catalysts

기술명 - Ammonia plant designs, CATOX, SNOX™, TREMP™

기술내용

- Ammonia plant designs: 암모니아 제조를 위한 촉매기술 전 과정

- CATOX: 경제적으로 Volatile Organic Compounds(VOCs)을 제거할 수 있는 촉매

연소기술

- SNOX™: 연소가스로부터 이산화황과 이산화질소를 제거하여 황산과 순수질소를

재생해내는 기술

- TREMP™: 석탄, 코크스, 바이오매스 등과 같은 연료로부터 SNG를 생산해내는

기술

CEO Haldor Topsøe 설립연도 1940

주소Nymøllevej 55,

2800 Lyngby, Denmark

매출액(2008년) (천유로)

673,000

담당자 Niels Christiansen, Project Manager 고용 (명) 1,945

연락처

전화: (+45) 4527 2080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topsoe.com

해외조직전 세계 9개국 12개 지역

(본사: 덴마크)

244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 Burmeister & Wain Scandinavian Contractors A/S

대상분야 바이오매스 지역 Allerød

세부분야 바이오매스 발전설비

기술명 - BWSC biomass plant

기술내용

- 짚, 나무조각, 기타 유기물질을 연료로 하는 바이오매스 발전 설비로 발전시설은

크게 연료저장소, 공급시스템, 증기보일러, 증기 터빈, 발전기, 콘덴서, 가스 정화기

로 분류

- 발전설비는 특정 수준의 전력과 열을 얻기 위해 역압 혹은 콘덴싱 터빈과 결합이

될 수 있으며, 10-60MW의 전력과 20-150MW 열 증기의 생산이 가능

CEO - 설립연도 1904

주소Gydevang 35, DK-3450 Allerød,

Denmark

매출액(2008년) (천유로)

187,000

담당자Sigurd Andersen, Business

Development고용 (명) 500

연락처

전화: (+45) 4814 0022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bwsc.dk

해외조직전 세계 9개국 10개 지역

(본사: 덴마크)

□ Wave Star Energy A/S

대상분야 풍력 지역 Hellerup

세부분야 파력 (wave power) 에너지

기술명- Wave Star Energy’s scale 1:10 machine

The Wave Star 500 kW test section

기술내용

- 길이 24미터, 부표 지름 1미터인 1:10 스케일의 파력 발전 장비로서 5cm 정도

높이의 파도에 약 5.5 kW의 전력을 생산함.

- 3년 전 북해에 150미터 정도 길이로 테스트용 발전 장비를 설치하였으며 그동안

15차례의 폭풍에도 전혀 손상이 없었음.

CEO Bent Kristensen 설립연도 2000

주소Gammel Vartov Vej 20

DK-2900 Hellerup, Denmark

매출액(2007년) (천유로)

-

담당자Per Resen Steenstrup

Project Manager고용 (명) 27

연락처

전화: (+45) 3940 4696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wavestarenergy.com

해외조직 없음

Ⅷ. 덴마크 245

□ Danisco A/S

대상분야 청정연료 지역 Copenhagen

세부분야 바이오연료 제조용 효소

기술명- STARGEN™ 001

- Accellerase® 1500

기술내용

- 곡물과 바이오매스를 에탄올 제조에 필요한 원료로 변환시키는 효소로써 당화작용

과 발효작용을 동시에 진행하여 그래뉼러당이나 천연 녹말을 발효성당으로 전환

- Genencor 효소는 기존의 방법보다 생산성을 높이고 에너지 소비를 줄이며 에탄올

생산량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Novozymes과 함께 전 세계 에탄올

제조공장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음

CEO Tom Knutzen 설립연도 1989

주소Langebrogade 1, DK-1001

Copenhagen K

매출액(2008년) (천유로)

1,730,000

담당자Søren Bjerre-Nielsen, Business

Manager고용 (명) 7,000

연락처

전화: (+45) 3266 2000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danisco.com

해외조직전 세계 42개국 97개 지역

(본사: 덴마크)

□ VELUX A/S

대상분야 태양광 지역 Hørsholm

세부분야 올인원 (all-in-one) 태양열 전동 지붕창 (roof window)

기술명- GGL/GGU Solar

- io-homecontrol®

기술내용

- GGL/GGU Solar: 세계최초 올인원 (all-in-one) 태양열 전동 지붕창 (roof window)

이다. 연결 케이블이 전혀 필요 없으며, 독창적인 태양 전지 기술을 사용하여

어떠한 전원으로부터 완전 독립, 100% 태양열로만 작동함.

- io-homecontrol®: 자사의 창문 이외에도 다른 보안 장비나 전자제품을 동시에

조정할 수 있는 에너지 절약형 무선 프로토콜

CEO Jørgen Tang-Jensen 설립연도 1941

주소Ådalsvej 99, 2970 Hørsholm,

Denmark

매출액(2008년) (천유로)

2,300,000

담당자Per Jacobsen,

Project Manager고용 (명) 10,000

연락처

전화: (+45) 7669 3700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velux.dk

해외조직전 세계 40개국 41개 지역

(본사: 덴마크)

246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 SunFlake A/S

대상분야 태양광 지역 Copenhagen

세부분야 태양광 전지

기술명- NanoFlakes: Solar cells based on a novel shape of semiconductor

nanostructures

기술내용- NanoFlakes: 반도체 나노구조를 이용하여 태양광 흡수율을 높여 제조단가를

30% 절감. 아직은 상용화 단계로의 개발 중.

CEO Martin Aagesen 설립연도 2008

주소Universitetsparken 5, 2100

Copenhagen, Denmark

매출액(2008년) (천유로)

27

담당자Martin Aagesen,

Managing Director고용 (명) 5

연락처

전화: (+45) 3026 6932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sunflake.dk

해외조직 없음

□ Logstor A/S

대상분야 저 전력 건물 지역 Løgstør

세부분야 지역난방용 파이프

기술명 - Pre-insulated pipe systems

기술내용

- 현장 배관 후 보온작업이나 외부보호를 하는 기존의 방식과는 달리 파이프를

공장에서 보온하여 제품을 생산함으로써 공정을 단순화하고 비용과 공기를 단축.

- 기존 파이프는 세 가지 다른 두께로 단열처리가 되어 있어 열 방출을 줄이는

수요에 따라 적용이 가능하며 조인트, 벤드, 브랜치, 밸브 등을 포함하고 있어

end-to-end 설치가 가능

CEO Preben Tolstrup 설립연도 2005

주소Danmarksvej 11,

9670 Løgstør, Denmark

매출액(2008년) (천유로)

160,000

담당자Lars Ibsen, Sales & Marketing

Manager고용 (명) 1,200

연락처

전화: (+45) 9966 1000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logstor.com

해외조직전 세계 34개국 40개 지역

(본사: 덴마크)

Ⅷ. 덴마크 247

3. M&A 또는 전략적 기술제휴 가능성

○ 덴마크 주요 업체들의 M&A 또는 전략적 제휴에 대한 사례를 통한 가능성 판단

- 덴마크는 큰 맥락에서 볼 때 세계적으로 기술을 선도하는 몇몇 주력분야에 대해서는

집중적인투자와자체기술개발을선호하며, 경쟁력이부족하다고판단되는분야에대해서

는다양하고적극적인국제협력을통해새로운연구결과를도출하고좀더새로운응용제품

개발에 힘쓰는 경향이 있음.

- Vestas는 덴마크를 대표하는 에너지관련기업으로서자사의기술력을보호하려는보수적

인 성향과 더불어 국제 경쟁업체들과의 지속적인 협력관계를 통해 기술력 및 시장을

확대하려는이중적인면을가짐. 세계적인 기업으로성장하는 1990년대에 국제적인협력관

계가 가장 활발했으며, 이를 통해 실제 현장에서 응용할 수 있는 기술력 향상과 국제시장

확대라는 두 마리 토끼를 다 잡음.

․ 1994년 스페인의 Gamesa사, SODENA사와 합작하여 조인트 벤쳐 Gamesa Eolica S.A를

설립하고 스페인에 6대의 V39-500 kW 터빈 설치 프로젝트 수주.

․ 1995년덴마크 I/S Midtkraft사와 합작하여 10대의 V39-500 kW turbines 설치 프로젝트를

수주

․ 1997년 노르웨이 A/S Nordjyllandsværket사와의 합작으로 35대의 V44-600 kW turbines

설치 프로젝트 수주.

- Vestas는 또한 “The Global University Programme”을 통해 세계의 유수한 풍력발전

관련 대학 및 연구소들과의 협력관계를 통해 새로운 이론과 응용기술을 개발하고 전

세계의 고급인력들을 유치하고자 노력함. 특별히 Vestas Power Programme은 덴마크의

Aalborg 대학과 협력관계를 맺고 있으며, 3개의 연구개발 프로젝트에서 10명의 박사과정

을 배출하고 있음.

- LM Glasfiber사는 전 세계를 대표하는 풍력터빈용 날개를 생산하는 기업으로서 세계

10대 풍력터빈 제조업체중 8개 기업들과 20개의 글로벌 고객들을 보유하고 있어 자사

고객들 및 엔드유저들과의 긴밀한 협력 관계를 더 중요시함.

․ 신물질 개발 및 날개모양 설계 시에도 고객사 및 고객사 기술연구소와 함께 협력하여

개발하므로 프로젝트의 지역조건에 따른 최적의 설계가 가능하여 출력 및 효율을 10%

이상 증대시킴.

․ 2008년 가을 Vestas, Dong Energy, Riso DTU, National Sustainable Energy 연구소와

함께 공동개발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덴마크 서부지역에 설치되는 풍동 테스트 장비에

장착될 효율향상 및 노이즈 감소에 최적화된 날개를 설계 제작함.

- 세계적인 촉매 관련 기업인 Haldor Topsoe사는 설립자인 Haldor Topsøe 박사의 과학적

지식에 힘입어 러시아 과학기술 연구소와 Topsoe R&D 연구소는 지난 반세기 동안

기술협력관계를 돈독히 해왔음.

248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 1991년 모스크바에 지사를 설립하여 러시아 및 인근 다른 국가들에 대한 기술 서비스를

전담해 왔음.

․ 화학비료 제작을 위한 암모니아, 메탄올, 포름알데히드, 수소 파트를 전담해 왔음.

․ Topsoe에서 사용하는 재활용 암모니아의 50% 정도를 이곳에서 생산함.

- Haldor Topsoe사는 또한 2004년 6월 이란의 Petrochemical Research & Technology

Company (NPC-RT)와 석유화학 산업을 위한 신기술 공동개발에 대한 협약을 맺었으며,

Zagros사와 함께 Bandar Assaluyeh에 800,000 MTPY 용량의 DME 공장을 설립함.

- Topsoe Fuel Cell (TOFC)사는 2006년 Riso 국립 연구소와 함께 SOFC 연구를 위한

5개년 전략적 협력관계를 구축하였으며, TOFC사에서 연구소로 지원하는 재정적 지원에

대한 비밀을 보장하고 연구결과에 대한 독점적 권리를 TOFC사가 갖기로 함.

- Danisco사는 바이오연료용 효소 전문 기업으로 2004년 독일의 메타지노믹스

(metagenomics) 전문 기업인 BRAIN AG사와 바이오화학 산업을 위해 재생 물질을

이용한 효소 공동 개발 협력.

- Danisco사의 효소부분 그룹사인 Genencor사는 DONG Energy, Statoil, AgBioEnergy사

와 함께 차세대 바이오에탄올 생산 공장을 덴마크 Kalundborg지역에 공동 설립하였으며,

2009년 현재 시간당 4톤의짚을수용하고연간 4500톤의 바이오에탄올을생산하는유럽의

주요바이오에탄올생산지로성장함. 2020년까지 유럽의재생바이오연료의 10%를 공급할

예정임.

- Velux사는 태양열 전동 지붕창 전문 제조업체로서 친환경 주택건설을 위해 RENSON,

NIKO, WindowMaster, HÖRMANN, ASSA ABLOY 등과 같은 기업들과 협력관계를

맺고 있음.

- Velux 홍보담당 Michael K. Rasmussen.씨에 의하면, “Light of Tomorrow”라는 주제로

International VELUX Award 2010을 개최할 예정이며,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가진 전

세계의 젊은이들이참가하여 “지속가능한생활”에 대한새로운 해결방안을제공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음. 또한 이는 새로운 기술개발 인력을 유치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수도

있을 것으로 전망함.

○ 시사점

- 덴마크의 에너지 관련 기술들은 전통적으로 강한 전문분야의 강점을 충분히 살리면서

새롭게 대두되는 신재생에너지 기술 분야에 대한 과감한 투자와 빠른 흡수를 통해 자사

제품의 독창성을 살리고, 다양화하는 덴마크 기업들의 유연한 대처가 신기술의 절묘한

조화를 이루고 더 나아가 안정적인 시장 확보를 이룩하게 되었음.

- 또한무대를덴마크에 한정시키지 않고전 세계에너지기술 관련기업들과의협력관계를

Ⅷ. 덴마크 249

통한융합제품 개발과신물질 개발을 위한적극적인 전략과 대규모프로젝트를기획하고

실행하여 자사 제품의 활용도 극대화시킴.

-덴마크는국가면적이작고인구밀도가적어자국내좋은아이디어를가진중소형기업들을

대기업으로흡수, 합병시켜기술적효과를 극대화 시키는 데는 적극적이지만, 외국 기업과

의 M&A는 다소 배타적인 경향이 있음.

- 일반적인 경우에는 인수 합병 보다는 지분투자를 유도하거나 공동 투자 프로젝트 기획을

선호함.

- 기업과 대학연구소간의공동연구활동은연구결과의시너지효과및기업으로의연구인력

공급 등의 다양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적극적인 전략 관계를 구축하고 있지만 주로

EU권내의 대학 및 연구소에만 국한되는 경향이 있음.

-프로젝트의성향에따라비 EU권국가의연구소및대학과의공동연구활동도이루어지고

있지만 의사소통의 제한, 지리적, 문화적 차이, 연구내용의 정보 보안의 어려움으로 인해

대체적으로 소극적임.

- 반면에 비 EU권 국가들의 기업들과는 시장 진출을 위해 전략적 협력 관계를 적극적으로

펼치는 편이지만 시장성이 높고 판매가 원활한 국가에만 제한되는 경향도 있음.

- 기술개발 부분은 순차적인 일련의 개발 과정을 필요로 하는 장기적인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단계별 제품 활용과 시장 확보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더 향상된 기술적 단계로

넘어가지 못하는 치명적인 단점을 지니고 있어 양국 간의 충분한 사전 검토와 협의가

중요함.

- 한국의 기업, 연구소, 대학들과의 협력관계 구축을 위해서는 직접적인 합병 보다는 한국의

장점을 살릴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하여 양국의 융합기술개발 프로젝트를 구성하고, 개발된

기술을 실제로 현장에 적용시켜 가시적인 효과까지 보여 줌으로서 양국의 우대관계를

증진함과동시에인력교류를통한간접적인기술력향상을도모하는것이최선의방안으로

사료됨.

○ 자료원 : 덴마크 환경부 (Danish Ministry of the Environment), 덴마크 환경 컨소시엄 (Climate Consortium

Denmark), 덴마크 에너지청 (Danish Energy Agency), 덴마크 건설 협회 (The Danish Construction

Association), 북유럽 에너지 솔루션 (Nordic Energy Solutions), 덴마크 교통 에너지부 (Danish Ministry

of Transport and Energy), 덴마크 기상 에너지부 (Danish Ministry of Climate and Energy), 덴마크

에너지 연구협회 (energiforskning)

Ⅸ. 스위스 251

Ⅸ. 스위스

1. 녹색산업 기술(시장) 현황

2. 녹색기술 보유업체 명단 및 기술내용

3. M&A 또는 전략적 기술제휴 가능성

252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Ⅸ. 스위스

1. 녹색산업 기술(시장) 현황

1) 국가별 녹색산업 동향

□ 에너지 시장 동향

- 1990년 이후 스위스의 에너지 사용량은 평균 8% 증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석유 사용량은

24% 감소했으나 석탄 사용량은 14%, 가스 사용량은 65%로 급격히 증가하였다. 소요

에너지의 대부분은 교통(35%), 가정(28%), 산업계(20%)에서 소비된다. 한편 재생 에너지

의 사용률은 18%로 아직은 다소 낮은 편이다.

- 스위스는 에너지 수요의 약 80%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이 중 대부분은 원유, 가스,

핵연료이다. 한편 신재생에너지 중 스위스 국내 에너지 비율이 가장 높은 분야는 수력

발전이며, 바이오매스, 폐 연소열, 태양열, 풍력, 하수침전물의 개발이 있다.

- 스위스의 에너지 정책(Energy Swiss)은 균형 잡힌 에너지 개발의 지향에 있다. 동 정책의

목표는 교토의정서의 감축목표를 준수하는 것인데, 이는 2008년-2012년 내 1990년 대비

이산화탄소배출량을평균 10% 감축하고향후 10년 내 화석 연료 소비량을최소 20%까지

줄이는 것을 의미한다. 동시에 재생 에너지의 사용률을 총 에너지 사용량의 50%까지

증가시킨다는 야심찬 계획도 포함되어 있다.

- 스위스의미래에너지는단연재생에너지이다. 화석연료의절감, 기후변화문제, 스위스의

높은에너지수입의존도에비추어보아최대중점사항은바로에너지원을재생에너지로

전환하는 일이다. 재생 에너지는 기존의 수력 발전과 기타 재생 에너지를 포함한다.

기술의진보덕분에재생에너지의가격경쟁력과긍정적인효과는증가하고있고앞으로의

성장 견지 또한 우수하다.

Ⅸ. 스위스 253

<재생 에너지 시장 점유율>

<재생 자원 구성 비율>

<스위스의 에너지원별 소비경향>(단위: Terajoules)

자원 2005 2006 2007 2008

석유 226,000 217,000 190,000 198,000

가스 109,000 107,000 104,000 110,000

석탄 6,300 6,400 7,400 6,700

재생 에너지 8,800 9,200 10,000 11,500

총합 350,100 339,600 311,400 326,200

출처: 스위스 에너지청.

254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 에너지원별 산업동향

○ 수력 에너지

- 스위스는수력발전이용에이상적인조건을갖추고있다. 지형적인이유와높은연강수량으

로 인해 수력 발전을 통한 에너지를 쉽게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스위스 에너지청의

자료에의하면수력발전은 1970년대만해도스위스국내전기생산량의 90%를차지하였으

나 1985년 60%대로 감소하였다. 이후 수력발전 이용률은 약 57%대를 보이고 있으나

여전히 스위스 내 가장 중요한 재생 에너지이다.

- 스위스에는 현재 대략 530여개의 수력발전소가 존재하며, 각 발전소의 생산량은 최소

300 kW로 연간 평균 약 35,500 GWh의 전력을 생산한다. 국내 수력 발전소의 47%는

저수지 없이 흐르는 물을 이용하고 49%는 저장 발전소에서, 약 4%는 양수발전소에서

생산되고 있다. 특히 칸톤(Kanton)2) 우리(Uri), 그리손(Grisons), 티시노(Ticino), 발레

(Valais)에서의 수력발전 생산이 상당히 높은 점유율을 나타낸다. 스위스는 수력 발전소의

약 10%가국경지역의수역을따라위치한다. 현재수력발전시장은약 20억원규모이며(기

본적으로 KW당 5백 원), 스위스 에너지 산업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 스위스연방정부의목표는향후수력발전의생산역량을보다확장하는것이다. 수력발전의

잠재력을 보다 폭넓게 이용하기 위해기존의 발전소는 생태학적, 환경적 조건을 고려하여

신규 개조되거나 확장될 전망이다. 한편 최대 10MWh 용량을 가진 소형 수력 발전소는

스위스 정부로부터 전력 생산 비용을 보상받을 수 있다.3) 동 조치를 통해 수력 평균

생산량을 2000년 대비 2000GWh 증대하고자 한다.

○ 바이오매스 에너지

- 스위스 국내의 바이오매스(Biomass) 정의는

광합성을 통해 생산된 유기물을 뜻한다. 이는

지질학적 과정으로 변성된 석유, 석탄, 가스와

같은 유기물과는 반대되는 개념이다. 이러한

바이오매스(Biomass) 에너지 자원은 현재 열,

전기, 동력 에너지원으로사용되고 있으며스위

스의 공식적인 판별 기준은 아래와 같다.

․ 바이오매스(Biomass)와 동일한 마른 목재

* 예: 숲, 들판, 울타리, 과수원 등에서 나오는 제재. 산업과 가정에서 나오는 목재 폐기물

․ 적절 사용처: (유기체의)산화, 가스 생산

2) 한국의 도에 해당하는 스위스 행정 관할 지역.

3) 신재생에너지 발전차액지원제도(Kostendeckende Einspeisevergütung: KEV).

Ⅸ. 스위스 255

* 목질 함량이 적은 습윤 바이오매스

* 예: 비료, 잉여 작물, 음식과 요식 산업, 개인 가정에서 나오는 음식물 유기 폐기물

․ 적절 사용처: 발효

- 바이오매스는 스위스 재생 에너지 자원에서 두 번째로 중요한 자원이다. 현재 잠재

바이오매스 에너지의 40%가 성공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최근에 진행

중인 연구 프로젝트는 바이오매스 1kg 만으로 10분 동안 전기다리미(1000W)사용이,

2시간 동안 텔레비전(80W) 시청이 각각 가능함을 보여준다. 또한 2시간 20분 동안 전구

(60W) 사용, 이산화탄소 중립 자동차의 1km 구간 운행이 가능한양의 에너지를산출한다.

주안점은 유기 폐기물의 구성 성분 칼로리에 따라 에너지 발생량이 좌우된다는 것이다.

- 현재 바이오매스 에너지는 아래의 두 가지 다른 형태로 생산되고 있다.

․ 농업 영역에서 바이오가스 식물의 현탁액과 다른 유기 폐기물들은 가공, 변성한다.

2008년, 약 10,000개의 가정에 바이오매스 에너지가 전력과 난방의 용도로 공급되었으며

2009년에는 더 큰 성장이 예상된다.

․ 식물 발효 산업 영역에서 현재 약 640,000 톤의 생물 분해성 폐기물들이 발효되고 있다.

이것은국내 6,000개 이상의가정에난방에너지를보급할수있는양과동일하고자동차로

약 2억km를 운전할 수 있는 생태학적 화석 연료의 양과 같다.

- 최근 시작한 바이오매스와 목재 에너지 연구 프로그램은 스위스에 적절한 새로운 신기술

개발에 집중할 예정이다. 주요 쟁점은 연소, 가스 발생, 발효 시설의 설치 지역이다.

○ 태양 에너지

- 스위스에서 태양에너지는현재태양열집열기를

통한일반적인 난방, 온수시설과집광 시스템을

통한 화학 공정과 전력 생산에 이용되고 있다.

그밖에도태양광발전을통한전력생산등다양

한 분야에 활발히 활용되고 있다. 특히 태양광

발전(일광을 전력으로 바뀌어주는 전환 장치)은

미래의 에너지 기술에서 중요한 역할을 차지할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태양열 에너지의 잠재 가

능성을크게보고있다. 만약예측수치가현실화

된다면, 태양광 발전 (PV) 기술을 통해 2050년

까지 현재 필요한 전기의 약 20%까지 생산이 가능해 진다.

- 태양광 발전은 새로운 기술로 연구 과제가 많고 난해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난

몇 년 간 태양광 발전의 세계 시장은 특별히 유럽에서 매년 30% 이상씩 성장하고 있다.

스위스에 현재 설치된 발전소의생산량은 약 30MW 로 국내 전력 시장에서낮은비율(약

256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0.04%)에 불과하다.

- 스위스의 난방 설치 회사들은 태양열 시스템을 공급하기 시작했고, 지난해 온수와 보조

난방을 위해 약 4,000개의 시스템이 설치되었다. 현존하는 모든 건물에 해당 태양열

에너지 시스템이 설치될 경우 스위스 모든 가정의 난방 수요가 충족 가능해진다.

- 태양 에너지는 태양열 화학 반응 공정을 통해 저장될 수 있다. 장기간 화학 물질을

저장할 수 있는 기술과 태양 에너지의 변환 과정, 반응 기술이 현재 연구되고 있다.

최근 연구의 목적은 새로운 재료, 태양 전지의 성분 개발과 진행과정 연구이다. 특히

태양열집열기영역의중점사항은저비용의계간저장기술과효과적인최적화시스템의

기술 향상이다.

<스위스 태양에너지 이용 난방시장 (1990-2007년)>

주1: 세로측은 매년 판매된 태양열 설비(단위: 제곱미터(㎡));

주2: 가로측은 년도

주3: 2007년이 입수 가능한 가장 최근 수치

자료: Markterhebung Sonnenenergie 2007.

Ⅸ. 스위스 257

<스위스 태양에너지 이용 전력시장 (1990-2007년)>

주1: 세로측은 매년 판매된 태양열 설비(단위: 킬로와트 피크(kWp));

주2: 가로측은 년도;

주3: 2007년이 입수 가능한 가장 최근 수치;

자료: Markterhebung Sonnenenergie 2007.

- 스위스 태양 에너지 협회(Swisssolar)의 전무이사인 스티켈베르거씨(Mr. Stickelberger)

에 따르면, 태양광 발전 산업에서 올해 매출액 15억 스위스 프랑(CHF)이 전망된다.

더 나아가 매출액의 95%가 수출을 통해서 실현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현재 스위스

국내 태양광 발전 산업에 직간접적으로 연관된 직업은 5,000개 이상이다.

○ 풍력 에너지

- 스위스에서 현재 사용되고, 향후 예상되는 다른

재생 자원으로는 풍력 에너지가 있다. 풍력 에너

지는 바람에 따라 움직이는 큰 터빈 날개를 통해

생산되는운동에너지로전력을생산한다. 따라서

해당 물리적 에너지는 발전기를 통해 전력으로

전환된다.

- 1986년 28 KW의 생산량을 가진 첫 풍력 에너지

발전소가 스위스에 설립 되었다. 현재 30개의 풍

력발전소가스위스에있으며전체발전소의생산

량은 시간당 14 GWh이다. 베른(Bern) 근교에 있는 스위스 최대 규모의 발전소는 여덟

개의 바람 터빈을 보유하고 있으며 1년에 총 7,660 kW의 전기를 생산한다. 다른 큰

규모의 풍력 발전소는 칸톤(Kanton) 발레(Valais), 루체른(Luzern), 우리(Uri)에 있다.

258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 풍력 에너지의 사용 비율은 전 세계적으로 급격히 성장하고 있고(세계 시장 성장 비율

약 20%), 스위스에서의 풍력에너지개발또한많은 가능성이 있다. 2030년 까지 스위스의

풍력 발전소 건립 목표인 연간 600 GWh 생산기준을 충족하는 발전소 건립이 가능할

전망이다. 이러한 풍력 에너지 발전소 건설 수주의 40% 이상은 스위스 국내 기업들이

차지할 예정이다.

- 스위스의 풍력분야 부품 공급 산업은 지난 몇 년간 계속 발전해 왔다. 몇 개의 국내

업체들은 변환 장치, 회전 날개를 위한 특수 아교, 얼음 감지 시스템 등을 해외 협력

업체들에게 공급하기도 해왔다. 2008년 풍력산업영역에서 17억 스위스 프랑(CHF)의

매출액이 달성되었으며, 더 나아가 약 350개의 정규직이 창출되었다.

- 그러나 생태학적, 경제적 관점에서의 풍력 에너지의 여러 우수한 기능에도 불구하고,

풍력 발전소의 건립은 종종 반대 세력에 부딪혀 지연되기도 한다. 2006년 8월, 스위스

연방 회의는 풍력 에너지의 입지를 분명히 하고 2010년 까지 50-100 GWh의 전력 생산이

가능하도록 풍력 에너지 산업을 증진시키고자 하였다.

○ 지열 에너지

- 지열 자원은 지표아래에고체구조안에열의형태로

저장 되어 있다. 그 온도는 지구 표면 약 15m 하층에

매년 일정한 상태로 지속되며 스위스 영토 내 5,000m

지하의 온도는 대략 200℃ 이다. 지열은 자연적으로

주어지며, 점진적으로 다양한 방법을 통해 활용되고

있다. 수직 지열 감지기, 지하수 수원지, 기초 퇴적물,

지하수 굴착 산업과 냉각, 열펌프가 개발되고 있으며,

스위스는 현재세계지열센서활용분야의선두주자

이다.

- 스위스에서의 지열에너지를통한전력생산 가능성은 상당히크다. 2030년까지 상당수의

발전소건립이기대되고있으며, 건립이완성된후모든발전소의생산량은총 800 GWh으

로 예상된다. 스위스에서 장기적인 지열 에너지 생산은 불가할 것으로 보이나, 현재

바젤(Basel)에서 진행되는 프로젝트를 통해 3 MW의 전력 생산과 20 MW의 발열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해당 생산량은 10,000개 가정의 전력 수요량과 2,700개 가정의

난방 수요량에 상응한다.

- 해당 지열 프로젝트의 입안은 이미 1996년에 시작되었다. 공사기간 중 타 지역에서

발생하는 지진이 시공 지역에 미치는 영향이 상당한 수준이므로 이 부분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진원 시뮬레이션과 여진에 대한 연구가 중점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지열 연구는 지열 에너지의 열 교환 규모를 확장하는 것과 지열에서 전력을

생산하는 것 두 가지에 초점이 맞추어 지고 있다.

Ⅸ. 스위스 259

2) 기술력 보유현황 및 특화분야별 강점

□ 에너지원별 기술력 보유현황 및 특화분야별 강점

○ 태양 에너지

- 실리콘 박막 영역에서 몇 가지 기술의 진보가 있다. 연구 분야에서는 뉴샤텔 대학

(University of NeuchatelI MT)이 업체 중에는 왤리콘 솔라(Oerlikon Solar)가 기술진보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중점 목표는 태양광 전지 박막필름의 가격 절감을 통한

상용화 확대와 비정질 실리콘, 실리콘-게르마늄(SiGe) 합성물, 미세 결정질 실리콘의

실험과 연구이다.

- 분야별 추진기술은 다음과 같다.

․ 재료

유리 기판 위에 비정질 실리콘과 결정질 실리콘의 접합 기술 증진이 목표이다. 모든

개발은 산화아연(ZnO: Zinc Oxide)과 산화 실리콘(SiOx: Silicium Oxide)에 기초한

중간 반사층 연구에 기반을 둔다. 산화 실리콘(SiOx: Silicium Oxide)의 중간 반사층

개발은 표면 1㎠ 당 태양광 전지 효율성을 13%로 증가시킨다.

․ 공정과정

많은 양의 침전물 발생 시에도 미세결정질 실리콘 생산을 증대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효율성 7.1%의 단일 미세결정질 실리콘 태양 전지를 생산할 때 1mm/s의 낮은

비율로 침전물이 발생한다. 더 나아가 나노 텍스쳐(Nano Textured)기판과 단일 결정

전지 연결을 위한 레이져 스크라이빙 생산이 가능하다.

․ 부속 장치

미세 결정질의 효율성은 13.1%이다. 상충적으로 비정질직렬태양전지의초기효율성은

9.8%, 고정된 효율성 8.3%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함으로써 미세

결정질 태양 전지는 중간 반사 층에서 고정된 효율성 10%를 달성한다.

․ 자료제공: 스테판 노박 (Mr. Stefan Nowak; [email protected])

○ 지열 에너지

- 지열의 99% 온도는 1,000℃ 이상이기 때문에 스위스 에너지청은 지열 에너지 영역의

새로운 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 2009년 처음으로 테라 아게(Terra AG; www.terra-eu.eu)가 <Terra-Drill 4407 V>

명칭의 견본 제품을 시장에 출시했다.

260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 테라 아게는 스위스 에너지청의 지원으로 지열 에너지의 효과적인 사용을 위한 수직

드릴 기계를 개발했다. 기존의 기계 대비 수평이 아닌 수직형으로 일정한 폭으로 시굴이

가능하다. 이는 좁고 협소한 지역에 적합하며 주변 이웃들에게 주는 피해도 줄일 수

있다. 동 드릴은 7톤의 압력으로 수직 120m 깊이의 구멍을 뚫는다. 수력 전원함과 공기

컴프레셔는 100ft 높이까지 위치할 수 있어 좁은 지역에서 공간 절약이 가능하다. 넓이는

0.95m(37.4 inch)로 정원문과같이좁은지역도통과할수있기때문에운송또한편리하다.

이중 연결구조(Preventer)는 OD 178mm (7") 케이스의 드릴과 OD 89 mm (3.5")의 드릴

로드(Rods)가 진흙으로부터 드릴을 제거할 수 있게 한다. 다운 홀 해머(down-

the-hole-hammer)는 진흙을 더 효과적으로 제거한다. 이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펌프를

통해 압축 공기를 습하게 만든다. 3중의 조임쇠와 브레이크 어파트(break-apart) 시스템은

수압 조임쇠, 케이스와 드릴 로드(Rods)의 나사를 빼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 자료 제공: 루돌프 민더(Mr. Rudolf Minder ; [email protected])

○ 바이오매스

- 열수 기술을 통한 목질 바이오매스의 기화는 현재 가장 큰 주목을 받고 있는 신기술이다.

- 열수 기술은 높은 압력, 온도, 특별히 임계점(374°C, 22.1 MPa)에서 사용 가능한 수성

시스템을 의미한다. 임계 온도 이하의 물에서 염류는 가용성이 높지만, 임계 온도 이상의

물에서는 반응이 촉진된다. 염류는 적절한 장치를 통해 지속적인 방법으로 바이오매스의

흐름에서 가스로 먼저 분류된다.

- 해당 공정은 몇 가지 이점을 가지고 있다. 염류의 독성은 촉매제 역할 뿐 아니라, 농축된

형태로 한차례 분류된다. 또한 양분으로써도 사용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동 공정을

위해 잠재력이 높은 에너지를 가진 액체 비료, 목질과 같은 습윤 바이오매스가 사용된다.

열수 기술은 높은 열효율을 가진 전도유망한 새로운 기술로, 바이오매스에서 생산된

양분 염류의 사용처를 보다 확장시킨다. 동 기술로 인하여 고가의 건조 공정은 필요

없게 되고, 공정 완료시 습윤 바이오매스는 메탄 가스로 전환된다.

- 자료 제공: 산드라 헤르믈레(Ms. Sandra Hermle ; [email protected])

4. 풍력 에너지

- 냉각 축차의 날개(Iced rotor blades)는 풍력 터빈의 에너지 생산량을 대폭 감소시킨다.

게다가 냉각 시 발생한 얼음은 유해하다. 이러한 부정적인 효과를 방지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이 연구, 개발되고 있다.

- 코팅 축 차 날개(rotor blade coating)는 실용가능성이 높은 접근 방법으로 물의 동결에

영향을 끼치는 코팅 기술개발이 실현되었다. 부동액 코팅 위의 작은 물방울들은 처리되지

Ⅸ. 스위스 261

않은일반유리위에있는물방울들보다늦게동결된다는사실이밝혀졌다. 작은물방울들

은 동결되기 전에 날개에 의해 증발되고, 이 때문에 코팅 축차 날은 동결되지 않는다.

비동결 코팅에 유착된 얼음의 상태 또한 알루미늄을 노출시킬 만큼 양호하며, 유착 제거

코팅보다도우수하다. 동 기술로 인하여특별히알프스산맥또는고지대처럼풍력발전의

일반적인 조건을 이상적으로 갖춘 지역을 위한 풍력 에너지 장치들의 개발이 촉구된다.

- 자료 제공: 로버트 호르바티(Mr. Robert Horbaty ; [email protected])

○ 수력 에너지

- 높은 해수면의 차이로 인해 대량의 수원 공급은 감압을 통한 에너지 형태로서 높은

잠재력을가지고있다. 동 영역의에너지만이실질적으로물의공급을필요로하며나머지

는 더 이상 사용이 불가한 열로 변형된다. 따라서 "팰턴(Pelton) 터빈" 건설을 이용한

에너지 생산이 강행되었다.

- 터빈으로부터 유입된 압축된 물 즉, 수윤활 흐름을 봉수하는 수력학 또한 개발되었다.

봉수된 물은 밀폐된 상태가 되고 수력학적 윤활기술로 인하여 설비의 작동은 마멸되지

않는다. 윤활 시스템의 깊이 차이에서 발생하는 틈은 시험용 터빈에서 다시 보정될 수

있다.

- 스위스 Crémines에서 진행된 시험용 터빈과 양수장 내구성 시험은 긍정적인 결과를

보여준다. 감압 밸브는 유입을 조절하기 때문에 주어진 영역에서는 유입 압력의 증가를

막을 수 있다. 동 흐름의 양은 필요한 소비량과 정확히 일치한다. 만약 보편적인 터빈이

감압밸브대신에사용된다면, 동흐름은역압과일치하여조절된다. 몇 개의조정시스템은

응용과학 대학에서 테스트되었고, 다른 시험들 역시 준비되고 있는 중이다.

- 지금까지 젯 펌프(Jet Pump)는 해당 역할에 적당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목적에 따라

노즐에 의한 젯 펌프로 사용되며, 개략적인 공기 유입을 가능하게 한다. 초과 유입된

공기는 공기 제거 밸브를 통해 필요에 따라 제거될 수 있다. 동 설계 구조는 대부분의

장치에 적용이 가능하다. P2E 일반 터빈이 개발되는 동안 터빈의 시험이 고려되었다.

동형 크기와 일반적인 장치 규격화의 기초는 최근 개발 및 이행되고 있다.

- 자료 제공: 클라우스 요르데(Mr. Klaus Jorde ([email protected])

262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 재생 에너지 영역의 프로젝트와 협동조합

- 아래의 몇 가지 예는 스위스의 환경 회사들의 공동연구와 해외 연구에 참가한 주요

사례들이다.

○ 왤리콘 솔라 (Oerlikon solar; www.oerlikon.com/solar) (2009.9월)

- 왤리콘 솔라(Oerlikon Solar)와 타이안왜이 솔라 필름(Tianwei SolarFilms)은 타일랜드

그린 에너지(Thailand Green Energy Co., Ltd.)의 역사상 가장 큰 실리콘 PV 박막 필름

계약을 맺었다. 동 계약의 조건에 따라 타이완왜이 솔라 필름은 최근에 성장하기 시작한

동남아시아 시장에 70MW의 태양전지 박막 필름 패널을 공급하게 되었다.

- “동 계약을 통해 급성장을 하고 있는 아시아 태양열 에너지 시장에 우리의 태양 전지

박막필름을공급할수 있게된것을 매우기쁘게생각한다. 또한 우리의 빠른생산라인은

큰 이점으로 작용할 것이다.” 왤리콘 솔라의 대표 지니 세르겐트(Jeannine Sargent)씨는

이렇게 말하였다.

- 티안웨이 솔라 필름과 왤리콘 솔라는 생산라인에서 앞과 뒤를 연결하는 첨단 기술인

무정형의 IHIGH PERFORMANCE를 설치하였다. 저압 화학 기상 증착 장치 공정(Low

Pressure Chemical Vapor Deposition:LPCVD)은 인습적인 방법에 뛰어난 투명 전도성

산화물(Transparent Conductive Oxide :TCO)층의 발생에 사용된다. 빛의 전달과 해당층

의분산된특성들은효율성에있어서매우중요하다. 동 효율성은태양에서전기적에너지

를 변환시키는 솔라 모듈의 종류에 따라 좌우되기 때문이다. 태양광 모듈의 높은 성과와

뛰어난 생산 라인은 생산 태양 에너지 시장에서 왤리콘 솔라의 앞선 기술을 증명한다.

○ 솔라로닉스(Solaronix;www.solaronix.com) (2009년 초)

- 솔라로닉스는 제품 DSC-IC 09로 일본에서 잘 알려져 있다. 염료 태양전지 산업에 대한

세 번째 국제 협의회에서도 큰 성공을 거두었는데, 동 협의회는 세계 각국의 과학자들과

엔지니어, 발명가 등으로부터 큰 관심을 받고 있다.

- 방문객들은사용중인염료태양전지와모듈뿐만아니라솔라로닉스의태양광시뮬레이션

을위한독점적인 광엔진을볼수 있는기회를가졌다. 또한 미래의공동연구와전문지식

공유에 대해서도 토론하였다.

- 솔라로닉스가 생산하는 서니 메모리즈 파워(Sunny Memories powered) 시스템은 저명한

디자인 학교인 스위스 로잔 미술 디자인 대학(the University of Art and Design Lausanne:

ECAL), 영국 왕립 미술 대학(the Royal College of Art: RCA, 미국의 캘리포니아 미술

대학(the California College of the Arts: CCA), 프랑스의 국립고등산업디자인 학교(the

Ecole Nationale Supérieure de Création Industrielle : ENSCI) 등 네 곳에 설치되었다.

Ⅸ. 스위스 263

- 솔라로닉스는 해당 전시회에서 염료 태양전지와 같은 분열 태양전지 기술의 미래에

대해 설명하였다. 혁신적인 디자인 프로젝트의 설명회 중 곧 출시될 투명, 또는 다채로운

색과 모양의 염료 태양전지의 특색을 소개하기도 하였다.

○ 콤포가스(Kompogas;www.kompogas.com) (2008년, 2009년)

- 주방, 폐휴지, 목질 조각에서 생산된 유기농 폐기물의 대부분은 소각로에서 불태워진다.

콤포가스(Kompogas)는 보유 특허기술을 통해 동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콤포가스는

지금까지 40개가 넘는 세계의 발전소들과 협력 하고 있다. 용적량은 4000- 275,000 tons/a

으로, 최근 도하(Doha: Emirates of Katar)에서 진행된 연구에서 용적량 275000 tons/a을

달성하였다. 콤포가스는 특허 인가자인 케펠 세그허(Keppel Seghers)와 협력하였다.

최근 프랑스 몽트펠리에(Montpellier)에서 이뤄진 국제적 프로젝트로 용적량 100000

tons/a 의 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동 연구의 특허는 빈씨 환경 회사(The Company

Vinci environment)가 출원하였다.

○ 콜렌토(Colenco; www.colenco.ch) (2008년, 2009년)

- 동 업체는 인도 아삼의 데마지 지역(Dhemaji District of Assam)에 위치한 수반시리

HEP(the Subsansiri HEP)사와 공식적인 건설 계약을 체결하였다. 현재 인도의 데마지

지역은 수력에너지 발전의 높은 가능성을 보이고 있다. 동 프로젝트는 "더 낮은 수반시리

2000 MW아삼(lower subsansiri 2000MW Assam)"이라 불리며, 인도에서 건설 중인

수력 발전소 중 가장 큰 규모이다. 총 다섯 개로 나누어진 터널 안에는 지름 9.5미터와

31m, 21m 높이의잠함이 2개씩있다. 동 발전소가건설된다면인도에서가장높은방출량을

가진 발전소가 될 것이다.

○ 호프스테터(Hofstetter-UWT; www.hofstetter-uwt.ch) (1975년-2009년)

- 호프스테터(Hofstetter)는 낮은 발열량(lcv)의 가스 연소 기술의 선두 주자로 세계 15,000개

가 넘는 곳에 자사 시스템을 설치하고 있다.

- 파트너들과의 집약적인 네트워크를 통해 소비자와 직접적인 접촉을 할 수 있으며, 많은

나라에서 특장점을 발휘하고 있다. "HOFGAS-Efficiency 5000" 매립식 쓰레기 처리

지역 건설은 브라질의 사오 조아오(Sao Joao)에서 성공적으로 이행되었다. 동 프로젝트의

핵심 공정은 지금까지 건설된 연소기들 중 가장 큰 3 HOFGAS®- Efficiency 5000의

고열 불꽃으로 이뤄진다. 연소기의 점진적인 과정을 통하여 표준 조절량 1:10에 도달하게

된다. 배출되는 가스는 고열의 연소를 통하여 배기물 규정에 규합하게 된다. 이것은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의 조건과 CO2 유입 인증에도 부합한다. 사용고객들은 아래

와 같은 이익을 얻을 수 있다.

264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 낮은 획득 비용과 유지보수 비용

○ 공간 절약 (작은 불꽃 연소기 5개 대신에 3개)

○ 배출가스거래를 통한 이익 분배

○ 23MW의 안정적인 전력 생산

○ 매립지 가스 활용을 통한 환경 보호 활동

○ 뛰어난 스위스의 품질로 인한 장기간의 시스템 서비스

○ 에스 스위스 솔라 시스템(3S Swiss Solar Systems; www.3-s.ch) (2009년 11월)

- 3에스 태양열 산업 그룹(The 3S Industries solar group)은 현재 스페인 태양 에너지

시장에서 높은 시장성을 보이고 있다. 신규 판매지역 및 서비스 회사 설립은 남부 유럽,

아프리카, 라틴 아메리카의 고객들에게 이익을 주었다. 고객들은 간단한 자문과 서비스

과정에서 즉각적인 효과를 볼 수 있었기 때문이다.

- 새로운 보완점에 따라 3에스 그룹(the 3S Group)은 국제시장에서의 입지를 계속해서

굳건히 하고 있다. 또한 3에스 그룹(the 3S Group)의 활동은 현재 새로운 회사 설립을

통해 스페인과 포르투갈을 넘어 그리스, 아프리카와 라틴아메리카의 시장까지그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스페인에 새로 설립된 3에스 산업(3S Industries SD S.L.)의 본부장인

클라우디오 기셉(Claudio Gisep)은 3에스 그룹(3S Group)의 일부인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하였다.

- 3S 산업 지주 회사(3S Industries AG)와 태양 전지 관련 3S, 자회사 조몬트(Somont),

3S 스위스 솔라 시스템(3S Swiss Solar Systems)과 파잔(Pasan)은 세계 태양 전지모듈

생산설비 시장의 선두 주자이다. 3에스 그룹(3S Group)은 모든 태양 전지모듈 생산의

가치 창출을 그 목표로 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납땜, 라미네이팅(laminating), 단일 지붕

아래 테스트의 핵심 기술의 결합을 포함한다. 3S 스위스 솔라 시스템(3S Swiss Solar

Systems)은 지붕, 건물의 외관, 차광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진보된 건물 일체형 태양열

시스템을 개발, 생산 하고 있다. 여기에 태양 전지 생산 기술에 대한 모든 전문 지식을

활용하고 있다.

○ 헥시스(Hexis AG; www.hexis.ch) (2006년- 2009년)

- 헥시스(Hexis Ltd.)는 알렉산더 슐러 박사(Dr. Alexander Schuler)의 지휘 하에 15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해당 팀은 고체 산화물 형태의 연료 전지(Solide Oxid Fuel Cell:SOFC)의

고온 개발을 담당하고 있다. 실제 주어진 조건 아래 이루어진 성능 실험은 연료 전지

보일러의 기술 개발에서 가치 있는 결과를 산출한다.

- 헥시스는 2001년 이후 스위스와 독일, 오스트리아의 발전장치 산업 파트너들과 함께

임시 모델 «HXS 1000 Premiere»를 테스트 해 오고 있다. 동 프로젝트가 가장 활성화

되었을 때는 동시에 110개의 시스템이 가동되기도 했다. 해당 영역의 테스트가 진행되는

Ⅸ. 스위스 265

동안 수많은 가정은 기본 수요 전력 및 모든 난방 수요를 헥시스의 연료 전지 시스템을

통해 충족할 수 있었다. 2006년 말부터 생산된 «Galileo 1000 N»의 후속 제품으로서

«HXS 1000 Premiere»의 테스트가 2008년, 2009년에 계속 이어질 예정이다.

○ 컨쳅테 테크닉 움벨트(Concepte Technik Umwelt; www.ctu.ch) (2007 & 2008)

- 체테우 컨쳅테 테크닉 움벨트(CTU Conzepte Technik Umwelt AG)는 열 폐기물 처리

및 바이오매스 에너지 생산 분야에서 광범위한 경험을 가진 활동적인 기업이다. 지난

몇 년간 독일, 오스트리아, 네덜란드에서 추진된 국제 프로젝트에서 성공을 거두었고,

국제적 명성을 얻게 되었다. 예를 들어 독일의 그뢰베른(Gröbern)에는 하수 슬러지

(Sludge)를 건조시키기 위한 열이 발생되는 지역에 두개의 발효 설비가 설치되었다.

- 2008년 말, 네덜란드의 윌립-악터획(Wilp-Achterhoek)에서 발열 용적량 60000 t/a의

바이오가스 발전소가 완공되었다.

3) 녹색산업 정부정책 및 제도

□ 녹색산업 관련 정부정책 및 제도

○ 다른 선진국과 마찬가지로 스위스 에너지 정책에서 에너지 연구는 핵심 사안이다. 스위스 정부는 에너지

연구에 연간 17억 스위스 프랑(CHF)을 소요하고 있으며, 안전하고 적절한 에너지 공급원을 발굴하여

에너지 기술 시장에서의 스위스의 입지를 확고히 하는 데에 중점을 두고 있다. 2007년 말 기준, 연구계,

엔지니어, 사무원, 대학원생 등 1,200명이 동 연구에 참여하였다.

○ 스위스에는 에너지 연구 관련 다음과 같은 분류와 기준이 존재한다.

- 효과적인 에너지 소비(가정, 교통, 전력 등에서)

- 재생가능 에너지(태양열, 풍력, 바이오매스, 수력 발전 등 )

- 핵 에너지(핵분열, 방사성 폐기물, 신기술 등)

- 에너지 경제 방침과 기술 교환 (교환 기술 정보 등)

266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2007년 예산 비율(총 1억 7천 스위스 프랑)>

38%

23%

30%

9%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

재생 에너지

핵에너지

기술 교환

□ 신재생에너지 연구‧개발(R&D) 지원 프로그램

<재생 에너지 연구 개발을 위한 공공 지출(단위 100만 스위스 프랑)>

0

5

10

15

20

25

30

2005 2006 2007

태양 에너지

바이오 매스

지열 에너지

풍력 에너지

수력 에너지

* 신재생에너지 연구 개발을 위한 공공 지출 금액 도표로 단위는 백만 스위스 프랑(CHF)이다.

□ 신재생에너지 사용 확산 장려정책 및 특혜제도

- 매년 세금 정산 시 에너지 절약에 투자한 일정 금액은 공제가 가능하다. 기본적으로

두 가지 종류의 투자 금액이 구분된다. 투자가치를 포함한 설치비용과 보수 유지 관리

비용이 그것이다. 연방 정부의 에너지 관련법에 따르면 태양 에너지, 지열 에너지, 풍력

에너지, 바이오매스에 관한 사항은 세금에서 경감받을 수 있다. 그러나 수력 발전에

대한 내용은 공제나 지원이 불가능하다.

Ⅸ. 스위스 267

- 연방 주의 성격과 스위스의 칸톤 자치권 체계에 따라 재생 에너지 투자에 따른 세금

감세는 매우 다양하다. 합리적인 에너지 활용 대책을 이용한다면, 일반적으로 처음 5년간

평균 50%, 그 이후 100%의 감세를 받는다. 반면에 칸톤에서는 세금 감세가 정당화

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2. 녹색기술 보유업체 명단 및 기술내용

□ Oerlikon Solar Ltd.

대상분야 태양 에너지 도시 9477 Trubbach

세부분야 양끝을 잇는 태양광 전지의 실리콘 박막 생산

기술명 비정질 태양광 모듈 & 미세결정질 태양광 모듈

기술

내용

○ 비정질 태양광 모듈

- TCO 층의 비정질 실리콘으로 제조되며 가격이 저렴함.

○ 미세결정질 태양광 모듈

- 미세결정질 셀은 비정질 실리콘(a-Si)에 미정질의 흡수체를 직렬로 연결한 구조임.

- 동 층은 30% 가능 범위 안에서 붉은색 부분의 에너지와 적외선 스펙트럼을 효과적으

로 변환시킴.

- 상기 업체는 해당 단일 비정질 실리콘(a-Si)을 직렬구조의 미세결정질 셀로

변환시켜 그 기능을 향상시킴.

CEO Mr. Hans Ziegler 설립연도 2003

주소 Hauptstrasse 1a 매출액 -

담당자Mr. Ghavi

[email protected]고용 (명) -

연락 정보

전화 +4181844469

팩스 +41817846598

www.oerlikon.com/solar

해외 지점 북미, 유럽, 아시아

268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 Kompogas AG

대상분야 바이오매스 도시 8152 Glattbrugg

세부분야 유기 폐기물과 생물체

기술명 발효를 통한 바이오가스 생산

기술 내용

○ 콤포가스(Kompogas) 생성 과정

- 유기 폐기물과 식물성 생물체는 강판을 통해 먼저 운반되고 하류에서 상반되는

것들을 전처리로 분리함.

- 상기 내용들은 발효 반응기로 들어가기 전 중간 저장고로 운반됨.

- 한편 동 발효 과정은 수평 혼합 관류형 반응기와 중앙의 탈 가스 장치로 구성

되어있음.

- 콤포가스(Kompogas) 시스템의 높은 성능과 공정은 이미 입증되었음. 무엇보다

콤포가스(Kompogas)설비의 핵심은 공정 과정과 발효의 유동 특성에 있음.

- 일반적으로 반응 장치 흡입구의 고체성분의 30%는 건성 상태임.

- 동 반응장치 흡입구에서 기질을 포함한 유기물들이 많은 바이오가스로 전환됨.

- 동 과정은 미생물에 의한 무기성 발효이며, 55-60℃에서 진행되는 호열성 공정임.

- 지역 및 선호에 따라 해당 바이오가스(Biogas)는 전력, 소형 열 병합, 발전소

또는 차량을 위한 화석 연료로 사용될 수 있음.

- 또한 해당 콤포가스(Kompogas)는 천연가스 공급망으로도 직접 공급이 가능함.

CEO Mr. Harald Lüling 설립연도 1988

주소 Flughofstrasse 54 매출액 -

담당자Mr. Knecht

[email protected]고용 (명) -

연락 정보

전화: +41448097751

팩스: +41448097700

www.kompogas.ch

해외 지사 -

Ⅸ. 스위스 269

□ AEK Energie AG

대상분야 바이오매스 지역 4502 Solothurn

세부분야 목질 펠릿(Pellet)

기술명 펠릿(Pellet)에 기초한 재생가능 에너지 생산

기술 내용

○ AEK 펠릿(Pellet) 공정

- 동 업체는 목질 펠릿(Pellet) 생산 영역에서 꾸준한 기술 발전을 이루며 스위스

시장을 선도하고 있음.

- 목질 펠릿(Pellet)은 주택과 상가 건물의 난방과 온수 시설에 사용 가능하며, 일반적으

로 펠릿(Pellet)을 만드는 공정은 다음과 같음.

- 삼림 목재, 부산물을 함께 건조하고, 가공되지 않은 재료들을 먼저 톱밥 형태로

분쇄함.

- 그 다음 강한 압력으로 기계 안에서 형태를 만듦.생성된 새로운 형태의 펠릿(Pellet)

은 냉각된 후 저장고로 이동됨.

- 고품질의 목질 펠릿(Pellet)은 최소한의 재를 발생시키고, 보일러 크기에 상관없이

사용될 수 있음.

- 이러한 펠릿(Pellet)의 조건(지름 6mm 또는 8mm)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반드시

첨가물이 없고 가공되지 않은 상태의 목재를 사용해야만 함.

- 특수 펠릿(Pellet) 연소기는 청결하며 부산물로 방출 되는 소량의 재는 고품질의

정원용 비료로서 사용할 수 있음.

- 이러한 목질 펠릿(Pellet)의 이용은 난방유를 12-15% 절감하는 효과 또한 있음.

- 목질 펠릿(Pellet) 보일러는 일반 석유 보일러보다 열효율이 25%더 높음.

- 화석 연료의 가격은 지속 상승하고 있으나 목재 가격은 시장의 공급자원으로서

그 가격이 반드시 고정됨.

- 목질 펠릿(Pellet) 산업의 성장과 생산은 전원 지역의 새로운 사업으로서 기여할

수 있음.

- 또한 중요한 사항은 목질 펠릿(Pellet)은 탄소중립이라는 점임. 연소 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의 양은 나무가 성장할 때 흡수하는 양과 동일함.

CEO Mr. Bruno Jordi 설립연도 2003

주소 Westbahnhofstrasse 3 매출액 -

담당자Mr. Jordi

[email protected]고용 (명) -

연락 정보

전화 +41326248888

팩스 +41326248800

www.aek.ch/pellets

해외 지점 없음

270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대상분야 가스 도시 3324 Hindelbank

세부분야 가스 연소

기술명 LCV 가스의 연소 시스템

기술

내용

○ 가스 연소를 전력으로 전환하는 첨단 시스템과 기술을 개발하고 판매하는 업체임

○ 사용영역 사례는 다음과 같음:

- 폐기물은 통상 안전한 매립식 쓰레기 처리소에 보관됨. 깊은 곳에 같이 매립된

미생물들은 해당 폐기물들을 분해하고 가스를 방출시킴.

□ AF-Colenco AG

대상분야 에너지 환경 생산 기술 도시 5405 Baden

세부분야 지하수 보호와 폐기물 처리

기술명 다양한 분야

기술 내용

- 스위스 국내와 세계 시장에서 에너지 산업 분야의 선두주자인 업체임.

- 제공 서비스는 전 세계 1,500개 이상의 환경 프로젝트에서 좋은 성과를 창출하고

있으며 폐기물 처리, 지하수 보호 연구 조합에서 큰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

- 해외 및 스위스 국내 파트너들과 다양한 프로젝트를 실시 중이며, 우수 엔지니어,

과학자, 기술자, 금융업자, 특별 계약직들이 고용되어 있음.

- 수면 아래의 화학적 독소와 방사능 폐기물

의 처리 과제는 혁신적인 첨단과학 기술

개발의 원동력이 됨.

- 그 결과 지하수 관리, 채광 활동을 위한

지원, 지하 가스 저장고, 탄화수소 침전

지 특성화와 같은 분야의 현저한 발전이

시현됨.

- 또한 지열 에너지의 개발, 수자원의 지질

학적 분포, 자연재해의 예보와 관련된

영역에서도 기술적 진보를 가능케 함.

- 동사의 기술과 전문지식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분야와 영역에서 활용됨.

○ 환경 보호와 용수 관리 관헌

○ 석유와 시멘트 산업

○ 공익설비와 독립적인 발전소 건설

○ 방사능 폐기물 처리 대행업

CEO Mr. Roberto Gerosa 설립연도 1990

주소 Täfernstrasse 26 매출액 -

담당자Dr. Joachim Poppei

[email protected]고용 (명) -

연락 정보

전화 +41564831212

팩스 +41564831255

www.colenco.ch

해외 지점 다수

□ Hofstetter AG

Ⅸ. 스위스 271

- 해당 업체의 컴프레셔 스테이션(Compressor Stations)은 발생 가스를 추출하고

활용할 수 있게 함. 고열을 통해 법적, 환경적으로 안전하게 잔여 가스가 연소됨.

- 탄광에서 석탄이 채굴될 때 주로 메탄으로 구성된 탄광 가스가 방출됨. 강력한

기능의 컴프레셔(Compressor)가 현재 활성 중이거나 폐광에서 가스를 추출함.

또한 추출된 가스를 엄격히 제안된 방법으로 재사용되도록 송달함.

- 탄광 가스가 중요한 가장 큰 이유는 바로 탄광 주변 사람들의 안전 때문이다.

또한 탄광 가스를 전력 발생을 위한 화석 연료로써 경제적으로 이용할 수도 있음.

- 산업 영역에서는 프로세스(Process) 가스, 목재 가스, 증기와 같은 가스가 발생됨.

발생하는 모든 종류의 가스는 복잡한 공정을 거쳐 정제됨. 만약 이러한 정제 시스템이

고장나거나 정밀 검사가 필요할 경우에도 해당 공정이 중단되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함. 상기 업체는 메인 시스템으로서의 불꽃 연소기 또는 가스 제거를 위한

산업용 지원 설비를 맞춤 제작해 줌.

CEO Mr. Jörg Schürmann 설립연도 1975

주소 Münchringenstrasse 12 매출액 -

담당자 Mr. Schürmann 고용 (명) -

연락 정보

전화 +41344118611

팩스 +41344118610

www.hofstetter-uwt.ch

해외 지점 -

대상분야 가스 도시 5232 Villigen

세부분야 바이오가스

기술명 바이오매스로부터 만들어진 합성 천연 가스

기술 내용

- 폴 세레러 인스티튜트(The Paul Scherrer Institute:PSI)는 종합 학문 연구 센터임.

- 또한 스위스 유일의 가장 큰 정부 연구기관으로 1,300명의 직원들이 고용되어

있음.

- 최근에 바이오매스를 변환하여 합성 천연가스를 생산하는 새로운 기술이 소개되었

고, 촉매를 이용한 메탄화 과정에 필요한 정보가 연구되고 있음.

- 해당 신규 기술은 목재 가스 생산의 앞선 기술로 평가됨. 또한 스위스 전력 연구소의

지원으로 진행되는 EU 프로젝트로서 시험과정을 거칠 예정임.

- 고품질의 합성천연가스(SNG)는 천연가스와 쉽게 섞일 수 있으며 현존하는 천연가스

보급망에 공급이 가능함.

- 바이오매스, 농업 폐기물의 발효를 통해 얻어지는 바이오가스는 합성천연가스(SNG)

와 함께 현재와 미래에 천연가스를 대체할 에너지로 모든 곳에서 사용될 수 있음.

- 또한 대중교통에서 가스 운송수단의 저공해 화석연료로 사용 가능함.

- 한편 합성천연가스(SNG)는 장기적으로 가스 연소 발전소나 열병합 발전소의

전력 생산에도 사용될 수 있음.

- 스위스는 5년 안에 50,000톤의 나무(수분 함유율 10%)로부터 연간 18,000,000

㎥의 합성천연가스를 생산할 수 있음.

- 이는 13,000대의 차량이 각각 150,000 km 운전하기에 충분한 양임.

- 또한 합성 천연 가스의 생산은 합리적인 물류관리를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더 매력적이고 경제적임.

□ Paul Scherrer Institute

272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 특히 북유럽 지역의 삼림처럼 풍부한 양의 목재가 있고 대중교통의 이동 거리가

짧을 때 유용함.

CEO Mr. Mesot 설립연도 1987

주소 Postal Code 매출액 -

담당자Mr. Samuel Stucki

[email protected]고용 (명) -

연락 번호

전화 +41563102111

팩스 +41563102199

www.psi.ch

해외 지점 -

대상분야 태양 에너지 지역 3250 Lyss

세부분야 태양열 모듈&시스템

기술명 건물 일체형 태양열 발전 시스템

기술 내용

- 3S 스위스 솔라 시스템(3S Swiss Solar Systems AG)은 세계 태양열 모듈의 수동과

반수동 생산 라인 시장에서 앞서가는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음.

- 3S-외관 판은 표준기준 또는 맞춤형 태양열 판을 사용하며, 건물 일체형 태양열

시스템과 건물 외관의 조화를 이룸.

- 3S 외관의 디자인은 매우 다양하고 밀폐형 연결 박스와 짧고 세밀한 연결 케이블을

사용함.

- 관련 법규에 따라 빌딩의 높이를 고려해 유리나 필름 또는 유리끼리 맞붙여진

외관 판이 사용됨.

- 한편 두 개의 다른 종류의 고정 시스템은 3S의 차광판을 통해 가능함.

- 위치 고정 시스템은 이미 지정된 위치 덕분에 틀이 없는 태양열 판의 사용이 가능함.

- 해당 태양열 판은 심미안을 고려한 전력 발생용 유리 외관 생산에 경제적으로

이용됨.

- 유보 영역 시스템과 조임 받침대 시스템은 높은 건물에 적당함. 해당 태양 판은

반드시 건축용 연속 유리판의 조합으로만 생산되어야 함. 높은 위치의 영역은

틀이 없는 태양열 판이 배후에 붙여지고 외관 구조 지지대로 고정됨.

- 완벽한 일체형 태양열 시스템 건물은 상트 모리츠(St. Moritz)에 위치함. 동 건물은

틀이 없는 태양열판의 맞춤제작을 통해 훌륭한 미관을 갖춤.

CEO Mr. Hofer 설립연도 2002

□ 3S Swiss Solar Systems AG

Ⅸ. 스위스 273

주소 Schachenweg 24 매출액 -

담당자Mr. Blanchet

[email protected]고용 (명) -

연락 정보

전화 +41563102111

팩스 +41563102199

www.3-s.ch

해외 지점 다수

대상분야 에너지 공급 지역 8404 Winterthur

세부분야 연료 전지

기술명 난방 연료 전지 갈리리오 1000N

기술 내용

- 가정의 기존 가스보일러를 대체할 연료전지 시스템<Galileo 1000 N> 개발 업체임.

- 소음이 적고 경제적인 저공해 시스템은 천연 가스를 즉시 전력과 열로 전환시킴.

- 동 업체의 연료전지는 전해물 형태와 온도 설정에 따라 달라짐.

- <Galileo 1000 N>는 고체 산화물 형태의 고온 연료 전지 형태로 작동함. 이용되는

전해물은 세라믹으로 800-950℃ 의 온도에서 활성화 됨. 한편 전기 화학적 공정은

아래의 순서를 따름.

- 새로 형성된 수소와 일산화탄소 가스 복합체는 음극에서 산화되고, 수증기와 일산화

탄소가 생성됨.

- 해당 반응은 전자 전도체를 통해 연료 전지 밖으로 나온 전자들을 자유롭게 만듦.

- 양극에서 산소 기체는 자유로워진 전자, 생성된 산소이온과 함께 재생산되며,

이온 전도가 가능한 전해물을 통해 이동함.

- 음극에서부터 양극으로 전도된 전자들은 전류로서 사용됨.

- 연료전지 모듈의 고체 산화물 형태는 세라믹 전해물, 전기 유닛(Unit)과 같은 전지와

금속 회로(MIC)로 구성됨.

- 금속회로(MIC)가 보유한 다양한 기능 중, 개별 전지의

전기적인 연결 확보 기능이 가장 중요함.

- 그 밖의 기능으로는 전극 표면의 가스 공급, 기류에

저항하는 가스 흐름 봉인 및 재연소가 있음.

- 연료는 전지의 음극 경로 안에서 밖으로 방사형으로

이동함.

- 동시에 예열된 기류는 밖에서 안으로 연료 전지스택

(Stack)안의 금속회로(MIC) 위 4개의 경로를 따라 전환됨.

- 또한 연료 전지의 양극을 지나 방사형으로 밖을 향해

이동함.

- 음극에서 전환되지 못한 연료는 연료 전지 스택(Stack)의

가장자리에서 재연소 됨.

CEO Mr. Schuler 설립연도 1991

주소 Zum Park 5 매출액 -

담당자Herr Nerlich

[email protected]고용 (명) -

□ Hexis AG

274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연락 정보

전화 +41522628207

팩스 +41522626333

www.hexis.ch

해외 지점 -

□ Conzepte Technik Umwelt AG

대상분야 바이오매스 도시 8400 Winterthur

세부분야 하수 처리시설

기술명 발효 & 가스화

기술 내용

○ 열 하수처리시설 영역과 바이오매스 에너지 발전에 많은 경험을 가진 업체임

○ 열 하쯔웨이스트(Hazwaste) 처리:

- 상기 업체의 하쯔웨이스트(Hazwaste)시스템은 처리가 어려운 하수나, 화학 물질,

가스, 액체 생성과정에서 나오는 부산물을 처리함.

- 해당 폐기물들은 적절한 곳에서 안전하게 파기되고 에너지와 부차적인 원재료들은

재생됨.

- 일반적인 수용량은 1-30 MW 범위임.

○ 연도 가스 클리닝:

- 연도 가스 클리닝 시스템은 경제적인 배기량 제한과 안전을 목적으로 구성되어

있음.

- 선택적촉매환원법(SCR), 무촉매환원법(SNCR)이 불필요하거나 질소산화물(NOx)

의 제거가 필요할 경우, 장치에 따라 건조, 반 건조, 습윤 과정으로 진행됨.

- 일반적인 재료처리량은 2000-200000 N㎥/h임.

○ 재생 에너지 생산:

- 바이오매스 에너지 생산 기술은 비목질의 발효와 목질의 유기 원재료, 폐기물의

가스화 기술을 포함하고 있음.

- 생산된 가스는 전처리 후 직접적인 가스 연료 또는 열과 동력 생산에 간접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

- 일반적인 생산량은 0.2-5MW임.

CEO Mr. Schaub 설립연도 1996

주소 Bürglistrasse 29 매출액 -

담당자Herr Schaub

[email protected]고용 (명) -

연락 정보

전화 +41522626161

팩스 +41522620072

www.ctu.ch

해외 지점 -

Ⅸ. 스위스 275

□ 조사연구 기관

- 하기 업체들은 수력, 바이오매스, 지열, 풍력, 태양 에너지 등을 연구하거나 제조 및

판매하고 있다.

1. 수력

업체명 Entec renewable energy solution (www.entec.ch)

담당자 Mr. Klaus Jorde, Deputy Director

이메일 [email protected]

전화 +41 71 2281020

팩스 +41 71 2281030

대학명 University of Berne, geographical department (http://hydrant.unibe.ch)

담당자 Dr. Rolf Weingartner, Head of Institute for hydrology

이메일 [email protected]

전화 +41 31 6318874

팩스 +41 31 6318511

2. 풍력

연구소명 Swiss Federal Institute of technology (www.ethz.ch)

담당자 Dr. Reza Abhari, Head of Institute for energy technologies

이메일 [email protected]

전화 +41 44 6322691

팩스 +41 44 6321100

대학명 Zurich University of applied sciences (www.zhaw.ch)

담당자 Dr. Martina Hirayama, Head of Institute for materials & process engineering

이메일 [email protected]

전화 +41 58 9347326

팩스 +41 58 9357326

연구기관명 Enco AG, wind energy research (www.enco-ag.ch)

담당자 Mr. Robert Horbaty, Head research wind for federal office of energy

이메일 [email protected]

전화 +41 58 9347326

팩스 +41 58 9357326

3. 지열

대학명 University of Neuchatel, center for geothermal research (www.crege.ch)

담당자 Dr. Francois-David Vuataz, Head of Institute for geothermal research

이메일 [email protected]

전화 +41 32 7182602

팩스 +41 32 7182603

276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연구소명 Swiss federal Institute of technology (www.ethz.ch)

담당자 Dr. Ladislaus Rybach, Head Institute for geophysics

이메일 [email protected]

전화 +41 44 6332076

팩스 +41 44 6331065

대학명 University of Lugano, Institute for environmental research (www.leee.supsi.ch)

담당자 Dr. Pahud Daniel, Head competence center geothermal research

이메일 [email protected]

전화 +41 58 6666353

팩스 +41 58 6666349

4. 바이오매스

대학명 University of applied sciences Lucerne, Institute for bioenergy (www.hslu.ch)

담당자 Dr. Thomas Nussbaumer, Head of Institute bioenergy & sustainability

이메일 [email protected]

전화 +41 41 3493519

팩스 +41 41 3493960

연구기관명 Oekozentrum Langenbruck Switzerland (www.oekozentrum.ch)

담당자 Mr. Christian Gaegauf, Head competence center for biomass research

이메일 [email protected]

전화 +41 62 3873126

5. 태양에너지

대학명 University Lausanne, Institute for renewable energy (www.epfl.ch)

담당자 Prof. Christophe Ballif, Head competence center for solar energy

이메일 [email protected]

전화 +41 32 7183336

팩스 +41 32 7183201

연구소명 Paul Scherrer Institute Switzerland (www.psi.ch)

담당자 Dr. Aldo Steinfeld, Head solar technology laboratory

이메일 [email protected]

전화 +41 56 3103124

팩스 +41 56 3103160

연구소명 EMPA Material Science & Technology (www.empa.ch)

담당자 Dr. Frank Nueesch, Head laboratory photovoltaic

이메일 [email protected]

전화 +41 44 8234740

팩스 +41 44 8234012

Ⅸ. 스위스 277

대학명 University of applied Sciences Bern, Institute for renewable energy (www.bfh.ch)

담당자 Dr. Heinrich Häberlin, Head of laboratory photovoltaic이메일 [email protected]

전화 +41 34 4266811

팩스 +41 34 4266813

대학명 University of Geneva, Institute for energy research (www.unige.ch)

담당자 Mr. Pierre Ineichen, Head solar research

이메일 [email protected]

전화 +41 22 3790640

팩스 +41 22 3790789

대학명University of applied sciences, Institute for solar technique & research

(www.solarenergy.ch)

담당자 Prof. Matthias Rommel, Head of Institute

이메일 [email protected]

전화 +41 55 2224821

팩스 +41 55 2224844

3. M&A 또는 전략적 기술제휴 가능성

- 스위스에서 오랜 기간, 가장 중요한 재생 에너지 자원은 수력 발전이었다. 그러나 최근

들어 태양, 바이오매스, 풍력, 지열을 포함한 새로운 재생 에너지가 급격히 발전하고

있으며, 스위스 에너지산업에서 그 중요성도 커지고 있다.

- 스위스는 30년 내에 경제적 가치에 우선하여, 태양광, 지열에너지 개발에 우선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한편 목질, 바이오매스 등의 재생 에너지 자원과 소규모 수력 발전소에서

생산되는 전력, 중급 규모의 풍력 에너지는 현재 이용이 가능하며 경제적으로도 주목을

끌고 있다.

- 스위스는 에너지정책의일환으로고압송전시스템(Grid)의 설치 비용을 정부가보상해주

고 있다. 동 정책의 목표는 신재생에너지의 전력 생산 비율을 2030년까지 하루 전력

소비량의 10% 또는 5,400 GWh 까지 높이는 것이다. 오늘날 스위스 총 전력 생산의

약 55.6%는 재생 에너지를 통해 생산되며, 신재생에너지 중 지금까지 가장 큰 공급원은

수력발전(96.5%)이다. 380개의 전력 회사가 현재 스위스 전력 공급 수요의 4.5%에 해당하

는 신재생에너지로부터 전력을 공급하고 있다. 기존과 다른 새로운 재생 에너지의 형태는

스위스 전력 생산의 약 5.7%에 해당한다. 그 중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는 것은 목질과

바이오가스에서 생산되는 바이오매스(3.72%)이고, 그 다음은 폐기물 소각 발전소(0.47%)

이다. 태양에너지(0.13 %)와 풍력에너지(0.004%)가 그 뒤를 따른다.

278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 앞서 언급한 정보들은 스위스의 녹색 산업이 꾸준히 발전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스위스 국내 시장은 소규모이어서 지금까지 소수의 회사만이 국제적인 성공을 이루었다.

예를 들어 왤리콘 솔라(Oerlikon Slolar), 3S 스위스 솔라 시스템(3S Swiss Solar Systems),

콤포가스(Kompogas), 호프스테터(Hofstetter UWT), 컨쳅테 테크닉 움벨트(Conzepte

Technik Umwelt CTU)등이 그 예이다.

- 그러나 향후 몇 년 이내에 수많은 스위스 회사들이 각광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데,

신규 대체에너지 기술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 높은 명성을 얻는

회사들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많은 스위스 회사들은 인접 유럽 국가들과 협업으로

국제적인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또한 스위스는 IEA와 같은 국제기구의 연구사업

및 EU 프로젝트에도다수참여하고있다. 한편현재까지스위스와아시아국가의전략적인

협정 또는 공식적인 협력은 상당히 미미하다.

- 신재생에너지 분야 스위스 업체들은 우리나라를 비롯한 아시아 등지로부터의 M&A

등에는 큰 관심이 없어 보인다. 그러나 스위스 기업들은 원칙적으로 국제적인 협력과

공동사업에 개방적이며, 스위스 업체들과의 협력사업은 신재생에너지 분야 기술/경험

노하우 축적에 중요한 기회가 될 수 있다.

- 신재생에너지 연구기관의 경우 프로젝트 분야를 구체적으로 설정하고 예산을 조달한

이후 스위스 연방공대(ETH) 등 우수 연구기관을 접촉하여 연구제안서를 제공할 경우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업체들의 경우 국내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 등을 발주하고

전제조건으로서의 국내업체와의 협업 등을 제안함으로써 협력사업, 더나아가 중장기적으

로는 제 3국 공동진출 등을 시도해 볼 수 있을 것이다.

* 첨부: 유용한 웹사이트

Swiss Federal Office of Energy www.bfe.admin.ch

Federal Office for Environment www.bafu.admin.ch

Swiss Water Industry Association www.swv.ch

Swiss Biomass Association Platform www.biomassenergie.ch

International Association and Collaboration in Bioenergy www.ieabioenergy.com

Domestic Association for Green Energy based on Wood www.holzenergie.ch

Swiss Association of Solar Energy Companies www.swissolar.ch

Website for domestic research, partnership and institution in PV field www.photovoltaic.ch

Association of wind energy experts, companies and institutions www.wind-energie.ch

National Association for Geothermal Energy www.geothermie.ch

Swiss Association for Domestic Companies in Environmental Techniques www.svut.ch

Ⅹ. 일본 279

Ⅹ. 일본

1. 녹색산업 기술(시장) 현황

2. 녹색기술 보유업체 명단 및 기술내용

3. M&A 또는 전략적 기술제휴 가능성

280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Ⅸ. 일본

1. 녹색산업 기술(시장) 현황

1) 국가별 녹색산업 동향

□ 녹색산업 시장규모

○ 에너지원별 설비 및 부품시장 통계는 미비하여 현재 입수 가능한 태양광전지와 연료전지 부품을 중심으로

기술함

<일본의 그린에너지 부품시장 규모(예측)>(단위: 백만엔)

에너지원 2008 2009 2010 2011 2012

태양광

실리콘잉곳ㆍ웨이퍼 253,000 217,500 195,000 218,000 254,000

전극페이스트 10,000 10,300 12,400 14,200 16,700

인터커넥터 1,100 1,200 1,400 1,900 2,300

기판재 130 520 975 1,680 3,100

타깃재 1,091 1,773 3,735 6,715 9,660

투명도전막부착 기판 1,150 1,700 3,000 5,200 6,010

증감색소 - - - 90 145

산화티탄 페이스트 - - - 30 45

유기계 태양전지 전해액 - - - 30 50

태양광 합계 266,471 232,993 216,510 247,845 292,010

연료전지

PEFC전극재 597 1,011 1,120 1,581 2,295

PEFC전해질 501 801 948 1,138 1,670

GDL 572 862 1,050 1,252 1,837

PEFC세퍼레이터 768 1,162 1,140 1,490 2,200

SOFC전극재 29 39 77 105 130

SOFC전해질 12 15 25 34 41

SOFC세퍼레이터 9 10 30 35 35

DMFC전극재 0 3 30 135 240

DMFC전해질 - 1 6 30 60

연료전지 합계 2,488 3,904 4,426 5,800 8,508

자료원: 2009 첨단전지부품재료시장총조사(후지경제)

Ⅹ. 일본 281

○ 발전량을 기준으로 한 에너지시장 동향은 아래 표와 같음

<일본의 에너지원별 발전량>(단위: 1000kWh)

에너지원 2006 2007 2008

화력 577,569,108 661,082,618 621,286,238

원자력 303,426,205 263,832,228 258,127,915

수력 89,005,010 76,853,312 75,913,999

지열 2,877,724 2,847,408 2,555,540

풍력 5,149 6,338 5,199

태양광 270 115 373

합계 972,883,466 1,004,622,019 957,889,264

자료원: 자원에너지청 전력조사통계

- 2008년 전반적인 전력공급이 줄어든 가운데 태양광 발전량만 유일하게 증가하였으나

전체 발전량 중 극히 미미한 실정임

- 풍력발전은 오히려 발전량이 6,338천kWh에서 5,199천kWh로 줄어듦.

□ 에너지원별 산업동향

○ 태양광발전

- 도입량이 착실히 늘어나 2007년 말 누적으로 192만kw에 달함.

․ 일본은 2004년 말까지 최대 도입국이었으나, 독일의 도입양이 급속히 늘어 2005년 이후

독일에 밀려 세계 2위가 됨.

- 태양전지 생산량에서 과거 세계 선두를 차지하였으나 2007년 말 시점에서는 전세계

생산량의 약 4분의 1을 일본 기업이 생산하고 있음.

- 최근 큐셀즈, 퍼스트솔라, 산텍 등 해외 신흥 제조업체들이 점유율 상위에 랭크되면서

일본기업의 2008년도 점유율은 20%를 밑돌게 되었음.

- 일본기업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급감한 이유는 보급촉진 정책에 따라 독일을 중심으로

한 유럽 수요가 급격히 늘었기 때문임.

- 일본 국내시장은 산업용이 주종을 이루는 구미와 달리 시장의 거의 대부분을 주택용

태양광전지가 차지하고 있음.

․ 2007년 유럽은 산업용 태양광전지가 전체의 72%를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발전사업용에

많이 쓰이고 있음.

- 일본태양광전지시장은판매베이스로결정 실리콘 태양광전지를 취급하는 샤프, 교세라,

산요전기, 미츠비시전기 4개사가 과점시장을 형성하고 있음.

282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 상기 4개사 이외로는 박막실리콘 태양광전지를 생산하는 카네카와 미츠비시중공업이

있지만, 생산 제품의 거의 대부분을 수출하고 있음.

<일본 국내출하량 점유율(2008년, %)>

자료원 : 닛케이산업신문

- 일본 국내 생산되는 제품은 다결정 실리콘 태양광전지가 표준적인 제품으로 전체

생산의 80% 가량을 차지하며 그 외에는 저렴한 생산비용이 장점인 박막실리콘

태양전지가 각광받고 있음.

- 향후 전망으로는 금융위기 영향으로 2009년에 성장이 둔화된 이후 순조롭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박막실리콘 태양전지가 결정실리콘 태양전지와의 격차를 줄여나갈

것으로 예측됨.

<태양광전지 종류별 시장규모추이>(단위: MW, 백만엔)

구분 2008 2009 2010 2011 2012

결정실리콘

태양전지

수량 1,090 1,350 1,700 2,050 2,500

금액 398,940 380,600 361,290 404,600 469,230

박막실리콘

태양전지

수량 150 220 420 740 1,010

금액 47,220 56,000 81,440 137,000 176,630

화합물반도체

태양전지

수량 12 55 90 200 400

금액 3,840 14,300 17,640 37,500 71,000

유기계

태양전지

출력용량 근소 근소 근소 1 2

금액 근소 근소 50 260 450

합계금액 450,000 450,900 460,420 579,360 717,310

전년비 - 100.2% 102.1% 125.8% 123.8%

자료원: 2009 첨단전지부품재료시장총조사(후지경제)

Ⅹ. 일본 283

○ 풍력발전

- 풍력발전기 도입량은 2007년 말 시점에서 1,409기, 출력 약 168만kW임.

- 지역별로 보면, 바람이 많은 홋카이도, 토호쿠, 규슈 지방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음.

- 풍력발전에 대해 RPS법을 시행하여, 계통연계 기술 요건 가이드라인에 의해 발전한

전력을 전력 회사에 팔 수 있게 됨에 따라 매전사업을 목적으로 하는 발전기 설치가

증가하고 있음.

- 또한, 풍력 발전용 기기의 대형화, 사업규모의 확대를시행함으로 인해설치비용과 발전비

용도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되었음.

- 일본의 풍력발전시장은 미국과 독일기업이 시장의 대부분을 장악하며 발전해 왔으나

2008년 들어 미쓰비시중공업이 국내시장에 집중하면서 점유율 1위인 36%를 기록함.

- 미쓰비시가점유율을올릴수있었던배경에는 2007년 2위였던스페인의가메사와 4위였던

덴마크의 베스타스가 2008년에는 신규 발전 실적이 없었기 때문임.

<2008년도 일본 국내 풍력발전능력 점유율>

자료원 : NEDO, 닛케이

- 미쓰비시중공업에 이어 후지중공업, 니혼제강소가 양산을 시작하면서 일본 국내시장은

토종 3개 기업의 점유율이 높아질 것으로 예측되고 있음.

- 일본은 산악과 구릉지역이 많아 낙뢰의 위험이 있고, 잦은 태풍 등으로 풍량이 일정치

않아 구미제품의 화재와 블레이드 추락 등 트러블이 발생하였음.

- 이러한 점을 앞세워 일본의 3대 제조기업은 점유율을 높여나간다는 전략을 세우고 있음.

284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 특히후지중공업과 히타치가공동으로개발 생산하는제품은 2000킬로와트급으로 정면이

아닌아래에서 위로부는 바람에적합한다운윈드라는 특수한구조를 가지고있어산악과

구릉지역에 적합한 것으로 알려짐.

- 일본 정부는 2010년도 까지 누계 발전능력 300만 킬로와트를 목표로 설정하고 있으며,

일본풍력발전협회의 예측에 따르면 일본 국내의 풍력발전 이용 가능량은 육상에서만

2500만 킬로와트이며 해상발전까지 포함하면 8100만 킬로와트에 달할 것으로 추정됨.

- 산업계 동향을전문으로하는회사사계보에 따르면민주당의환경정책이순풍으로작용하

여 풍력발전 시장규모는 2020년까지 120조엔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일본의 풍력발전 관련업체>

미쓰비시중공업

일본 업체 중 1위

총납입수 326기, 총출력 313MW(2008년 12월말기준)

www.mhi.co.jp

JWS 니혼제강소

제강제품, 수지기계가 주력인 기업

GE의 풍력발전시스템을 수입판매하다가 영구자석려자동기(励磁同期)기어리스

풍력발전시스템을 개발, 제조판매 시작. 타워, 블레이드, 발전기의 각 요소를

자사기술로 제조

www.jsw.co.jp

후지중공업

누계 20기, 설비용량 1100kw 실적보유

40kw급, 100kw급에 이어 2000kw급 대형시스템을 개발

www.fhi.co.jp

www.subaru-windturbine.jp

제파(소형기)빌딩옥상에 설치할 수 있는 소형 풍력발전기와 태양전지를 결합한 제품이 특징

www.zephyreco.co.jp

자료원 : 업계지도2010, 각 기업 홈페이지 등

○ 바이오매스 에너지

- 바이오매스 에너지는 화석자원을 뺀, 동식물에 유래하는 유기물로 에너지원으로 이용

가능한 것을 말함.

- 바이오매스 에너지 자원은 원료 면에서 폐기물계와 식물(재배작물)계로 분류되어, 이용방

법에는 크게 나누어 직접연소, 메탄(CH4)발효의 생물화학적 변환, 가스화와 탄산 등의

열화학적 변환에 의한 연료화가 있음.

- 일본에서는 2006년에 이용된 바이오매스 에너지는 원유로 환산하면 6.12Mtoe(석유환산

톤)이며, 1차 에너지 국내 공급량 527.56Mtoe에 차지하는 비율은 1.2%임.

- 바이오매스 에너지는 폐기물의 소각에 의한 에너지가 주이며, 기타 제지업의 과정에서

Ⅹ. 일본 285

배출되는 흑액이나 칩 폐재, 농림 축산업의 과정에서 배출되는 나무와 바가스(사탕수수의

찌꺼기), 가정이나 사무소에서 나오는 쓰레기를 소각시켜 얻은 전력·열을 이용하는 것도

있음.

- 특히, 흑액이라는펄프화공정에서폐약과칩, 제재공정에서 폐재 등을열수요에활용하는

형태를 중심으로 도입이 진전되고 있음.

○ 연료전지

- 연료전지는 수소와 공기 중의 산소를 화학적으로 반응시켜 직접 전기를 발생시키는

장치임

- 연료전지는 연료로 하는 수소가 천연가스·LPG가스, 석탄, 석유 등의 화석연료, 제철과

석유 정제 등의 프로세스로 발생하는 부생가스, 전력에 의한 물 전기분해 등 다양한

에너지원에서 만들 수 있고, 발전효율이 30-60%로 높음.

- 연료전지는 코제네레이션 시스템(열전병급 시스템)으로써 이용하는 경우에 이론적으로는

종합효율이 80% 정도로 비약적인 에너지 효율을 가지는 그린에너지임.

- 2008년 3월 시점에서, 실용화 된 인산형 연료전지는 누적으로 229대 정도 도입되었으나

가동하고 있는 것은 43대(6,600kW)임.

- 2008년에는 파나소닉이출력 1kw 신형고체분자형 가정용 연료전지(PEFC)를 발표하였음.

2008년 6월부터 양산하며 2010년도 5000대, 2015년도 10만대 생산을 목표를 함.

- 2009년에는 도쿄가스가 에네팜이라는 브랜드로 가정용 연료 전지를 일반 판매하고 있음.

○ 지열

- 지열발전은 지표에서 지하심부에 침투한 빗물이 지열에 의해 가열되어 고온의 열수로

저장되어 있는 지열 저류층으로부터 갱정에 의해 지상으로 열수·증기를 추출해 터빈을

돌려 전기를 일으키는 시스템임.

- 일본의 지열발전은 제2차 석유 쇼크를 계기로 증가했지만, 리드 타임이 길며 개발 비용이

비싸 설치가 정체되고 있음.

- 2007년도 시점에서 지열발전소는 18지점, 20유니트가 있으며 약 53만kW 설비용량을

보유하고 있음.

286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2) 기술력 보유현황 및 특화분야별 강점

□ 에너지원별 기술력 보유현황 및 특화분야별 강점

○ 태양전지산업

- 일본은태양전지분야에있어선구적인역할을했으나최근독일, 대만, 중국 등 신흥업체가

급성장하면서 다소 주춤하고 있으나 기술면에 있어서는 여전히 우세를 보이고 있음.

- 변환효율이 높은 결정질제품에 필요한 실리콘웨이퍼 제조업체를 비롯하여, 태양전지

발전소자, 모듈에 이르기까지 강세를 보이고 있음.

- 장기간의 기술개발과 투자로 인해 일본메이커가 태양전지부문에서 두각을 나타냄에도

불구하고 아직 일본정부에서는 원자력발전을 기간전원으로 정하고 있어 신재생에너지정

책이 우선시되지 않는 경향이 있으며 따라서 국내시장은 침체되어 있는 실정임.

- 따라서 일본 메이커는 현재 태양광발전에 대한 우대정책이 확립된 해외시장 즉, 유럽,

아시아로의 생산거점 확산도 일부 검토하고 있음. (실제, 동 분야 선두업체인 샤프는

일본외에영국, 미국에생산거점을두고있으며교세라는체코, 멕시코, 중국에, 산요전기는

헝가리, 멕시코에 각각 생산거점을 마련)

- 박막형등실리콘을적게사용하는비결정질태양전지의고효율화등을위해서는지속적이

고 막대한 투자가 필요하며 따라서 일본에서는 관련 대학, 업체가 중동자본을 유치하기

위해 나서고 있을 정도임.

○ 연료전지 산업

- 가정용 PEFC(고체고분자형)에 이어 거치형 SOFC(고체산화물형)이 크게 성장할 것으로

보이며 실증기간을 거쳐 2011년부터는 시장 확대가 기대되고 있음.

- 2009년 4월부터 본격적으로 판매하는 가정용 연료전지 “에네팜(ENE FARM)”의 경우

일본정부에서 설치보조금까지 지급하는 등 적극적인 보급 활동이 주목됨.

- 연료전지 중 현재 가장 유망시되고 있는 휴대기기용 DMFC (Direct Methanol Fuel

Cells)의 경우 2016년도에 3천만대 규모까지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연료전지 전체시장의

86%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예측됨.

- 분야별로는 자동차 연료전지 또한 주목되는데, 구미기업이 금융위기로 고전하고 있어

혼다, 도요타 등의 일본업체에 기대가 모이고 있음.

- 연료전지자동차의보급을위해서는수소충전소확충등과제는많지만장기적인안목으로

볼 때 고성장이 예상되며 자동차분야 응용기술인 만큼 한국투자가능성도 있다고 판단됨.

Ⅹ. 일본 287

- 연료전지의 상용화를 위해서는 관련 법률 등의 제약이 심하므로 규제완화 등의 조치가

우선되어야 함. 국제적으로도 연료카트리지 등의 수송 문제 및 각종 조성, 지원책이

검토, 마련되고 있는 실정임.

- 주요 시제품 및 개발제품 기술 특징은 다음과 같다.

① 파나소닉 고체분자형 연료전지(PEFC)

․ 천연가스에서 수소를 추출하는 연료처리기의 효율을 높임

․ 종래 연료처리기가 세 개의 기기로 구성된 것을 하나로 묶어 소형화 하여 불필요한

방열을 줄임.

․ 발전시스템의심장부인스택(막전극집합체)의 내구성을향상시킴. 종전제품은수소와

산소가 반응할 때 생성되는 불순물 때문에 전해질막이 열화되는 문제가 있었으나

파나소닉은 소재메이커와 공동으로 불순물에 영양을 덜 받는 전해질막을 개발함.

② 토토(TOTO)-노리츠의 가정용 고체산화물형 연료전지(SOFC)

․ 발전용 셀에 값비싼 백금대신 저렴한 세라믹을 사용하여 연료전지 가격 현실화 추구

․ 용매와 세라믹 분말이 섞인 흙탕물과 같은 슬러리(slurry)에 원통형 셀을 담가 세라믹

분말이 균일하게 부착시킴.

․ 이것을 건조하고 굽는 작업을 되풀이하는 방법으로 셀스택(Cell Stack)을 싼 가격에

양산하는 것이 가능

․ 노리츠와 TOTO는 2011년에 제품가격을 100만 엔 이하로 낮추는 것을 목표로 함.

○ 지열산업

- 일본에서는 한때 오일쇼크를 계기로 지열개발을 추진하였으나 이후 원자력발전의 보급

및 화석연료의 가격하락, 정부규제 등으로 인해 약 20년간 신규건설이 중단된 상태였음.

그러나 최근 풍부한 지열자원을 이용한 발전사업이 다시 주목받고 있음.

- 현재 미츠비시머티리얼과 J파워가 약 400억 엔을 투입, 2016년에 출력량 6만KW의 발전소

를 건설할 계획이며 닛테츠광업과 큐슈전력도 약 200억 엔을 투입하여 발전소를 신규

건설할 예정임. 또한 이데미츠흥산의 자회사도 오이타현에 지열발전소 건설을 추진 중임.

- 일본에서는 경제산업성이 지열발전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올 4월까지 초기투자에 대한

자금지원 및 국립공원내사업시 규제완화 등 지열발전지원책을마련할 방침으로 앞으로도

동 분야 투자 및 개발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됨.

- 동 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설비인 히트펌프분야는 미국이 가장 우세하다고 할 수 있으나

일본 역시 지진이 많은 지질구조상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지열교환기를 미국과 공동으로

완성하는 등 연구 개발 면에서 리드하고 있음.

288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3) 녹색산업 정부정책 및 제도

□ 신재생에너지 연구‧개발(R&D) 지원 프로그램 (2008년)

○ 태양광 발전기술

- 혁신형 태양전지 국제연구거점 정비사업 : 20억엔

․태양광발전기술에 있어서 특히 고효율(발전효율 40% 초과), 화력발전과 동등한저비용화

가 기대될 혁신적 태양전지 실현을 목표로 함.

- 태양광 발전시스템 실용화 촉진 연구 기술개발 : 2억엔

․ 박막 실리콘 태양전지나 다결정 실리콘셀 등 태양광발전의 발전비용 저감에 연결하는

실용화가 기대될 건에 대해 조기 사업화를 위한 연구를 조성.

○ 바이오매스 에너지

- 바이오매스 에너지 등 고효율 전환 기술개발 : 28억엔

․ 셀룰로스계 원료로부터 더 저비용, 고효율 에너지화를 가능하게 하는 선진적/혁신적인

신기술 확립을 목표로 함.

○ 풍력발전기술

- 양상 풍력발전기술 연구개발 : 2억엔

․ 양상에 있어서의 풍황 관측 방법, 양상 풍력발전 시스템의 설계지침 및 환경 영향평가

방법의 확립 등을 목표로 하고 실현 가능성 등에 대해 검토함.

- 차세대 풍력발전 기술 연구개발 : 2.1억엔

․ 풍력발전 관련 기초/응용기술이나 자연환경 대응기술에 대해 국제동향을 파악하고

일본의 특성을 고려한 연구개발을 함 (복잡 지형의 풍황 해석방법, 소형 풍차 신뢰성

평가방법, 낙뢰 보호기술 등)

○ 기타

- 차세대 축전 시스템 실용화 전략적 기술개발 : 53억엔

․신에너지의출력 안정화나하이브리드자동차, 전기자동차, 연료자동차등 차세대 자동차

를 보급시키기 위해 축전지 및 모터 등 주변기기의 저비용화와 고성능화를 목표로

하여 산학과 연계하여 집중적으로 연구개발을 함.

Ⅹ. 일본 289

<연구개발(R&D) 예산 추이>

단위 : 억엔

2006 2007 2008

태양에너지 39 24.3

풍력 4.1

바이오에너지 2 8.7 28

조력 지열 등 기타 6 53

합계 47 8.7 109.4

자료원 : 신에너지대책과 예산안 개요 (경제산업성 자원에너지청 신에너지대책과 발표)

○ 신재생에너지 연구개발 지원 프로그램

- NEDO『신에너지 벤처기술 혁신사업』

- 프로그램목적: 중소·벤처기업 등이 보유하고있는기술을 활용한기술개발 추진을지원하

는 것과 같이 신사업 창성과 확대를 목표로 하는 사업화 지원을 목적으로 함. 신에너지

분야에 있어서의 기술의 선택지를 확대하고 벤처기업의 혁신적인 기술에 대해 시장에서

벤처캐피털 등의 자금을 초래하는 시스템을 마련함으로써 신에너지의 자립적인 발전을

가속화함.

- 대상이 되는 기술분야 : ①태양광발전 ②바이오매스 ③연료전지, 축전지 ④풍력발전

기타 미이용 에너지의 기술 분야

- 신청자 요건은 기업(벤처, 중소, 대기업), 대학 등 법인격 보유 기관으로 관련 분야의

개발 등에 관한 실적을 보유하고 기술개발 목표의 달성 및 기술개발 수행에 필요한

조직과 인력을 보유하고 있는가 등을 들고 있음.

- 응모대상 사업 지원내용

· Feasibility Study (기간 : 1년 이내, 비용 : 1천만엔 이내/년)

· 기술개발(2년 정도, 비용 : 5천만엔 이내/년)

□ 신재생에너지 사용 확산 장려정책 및 특혜제도

○ 전정권(자민당)의 태양전지 보급책

- 일본의 그린 뉴딜정책인 “저탄소 혁명”의 일환으로 태양광발전 도입량 2020년 목표를

현재의 10배에서 20배로 확대지향

- 가정용태양광 발전시스템보급을위해보조금외에태양광발전으로생산된전기중쓰고

남은잉여전기를 10년간 1킬로와트당 48엔에매수하는제도를 2009년 11월 1일부터시작

290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구매가격표>

구매가격(엔/kWh)

단가 (자가발전설비 병설시)

주택용 태양광발전설비10kW미만 48 39

10kW이상 24 20

비주택용 태양광발전설비 (공장, 사업소 등) 24 20

주: 2010년3월31일까지 태양광전력구매 계약을 신청한 경우

구매기간 : 10년간(고정), 구매비용 부담 : 전력을 사용하는 가구 전체

자료원 : 경제산업성 고시 제278호

<일반 가정 코스트 회수 플랜 예시>

자료원 : 2009년 7회 경제재정고문회의 참고자료

○ 민주당의 태양전지 보급책

- 2009년 11월부터 시작 예정인 고정가격매수제도가 보다 광범위하게 적용될 전망으로,

전 정부안인쓰고남은잉여전력을매수하는제도를발전전력의전량을매수하는방식으로

강화한다는 주장을 펼치고 있음.

- 전량 매수방식으로바뀌면태양전지투자금회수가능기간이축소되기때문에현제도보다

보급 확대에 유리할 것으로 예측됨.

- 이러한 제도는 실제 독일 등에서 도입하여 일거에 보급을 확대한 실적이 있음.

○ 연료전지 보급책

- 현재 한 대 설치하는 데에 250만 엔가량 소요되는 연료전지를 보급 확산하기 위해 140만

엔까지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음.

Ⅹ. 일본 291

○ 풍력발전 보급책

- 민주당은 정권공약에서 신재생에너지가 만드는 전기를 전량 매수하는 제도를 창설하는

것을 명기.

- 동 제도가 도입되면 사업성이 부족해 발전소 건립을 포기한 곳에서 풍력발전기 건설을

재추진할 가능성이 높음.

○ 신재생에너지 등 전기이용법에 의한 RPS제도

- 신재생에너지의 보급을 위해 전기 사업자에 대해 일정량 이상의 신재생에너지 등을

이용하여얻을전기의이용을의무화함으로써신재생에너지이용추진을도모하는제도임.

- 법령명 : 전기사업자에 의한 신에너지 등의 이용에 관한 특별조치법

- 시행일자 : 2003년 4월

- 이용목표 : 총합자원에너지조사회의의견을청취하여 신재생에너지 등전기의 이용목표를

정함

- 대상에너지 : 풍력, 태양광, 지열, 수력, 바이오매스

<2007년도 이후 8년간에 대한 이용목표>

년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목표량

(억kWh)86.7 92.7 103.3 122.0 131.5 141.0 150.5 160.0

자료원 : 경제산업성 고시 제106호

- 의무 이행 상황(2008년도) : 2008년도 의무대상 전기사업자(40개 전력회사)는 모두 의무를

이행. 전기사업자 17사와 발전사업자 9사는 차년도에 뱅킹을 실행

2008년도 의무량 2009년도 뱅킹 총량

기준이용량 : 7,465,699,000 kWh

7,043,150,000 kWh

전기사업자 : 6,939,765,000 kWh

발전사업자 : 103,385,000 kWh

주 : 뱅킹이란 년도 의무량을 초과하여 신재생에너지 전기를 공급한 경우 의무초과량을 차년도 의무이행에 충당할

수 있는 제도

자료원 : 경제산업성 고시 제106호

292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2. 녹색기술 보유업체 명단 및 기술내용

□ AGC Ceramics Co., Ltd.

대상분야 태양전지 지역 도쿄

세부분야 Silicon Ingot 웨이퍼

기술명 - 일방향 응고(一方向凝固)기술로 Ingot를 제조

기술내용

- 금속 실리콘에서 SOG실리콘 제조

- SOG 실리콘:Solar grade 실리콘. 시멘스법에 따라 화학 플랜트로 CVD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제조. 반도체용 웨이퍼로서 사용되는 폴리 실리콘과는 달리 태양전지용으

로만 대응 가능한 품질 레벨의 실리콘 원료를 말함

CEO 바다 하지메(馬田 一) 설립연도 2003.4.1

주소2-2-3 Uchisaiwai-cho,

Chiyoda-ku, Tokyo100-0011매출액(억엔) 39.082

담당자 고용(명) 단독 14492

연락처

TEL 03-3597-3111

FAX 03-3597-4860

www.jfe-steel.co.jp

해외조직 15개(서울, 북경, 뉴욕 등)

□ SUMCO 솔라

대상분야 태양전지 지역 와카야마

세부분야 Silicon Ingot 웨이퍼 원료

기술명 - 다결성 실리콘 웨이퍼를 생산하기 위한 전자 캐스트법

기술내용

-「전자 캐스트법」이란, 도가니내의 실리콘 원료를 고주파 유도에 의해 가열 용해하여

강한 전자력의 작용으로 실리콘 용액을 부유시켜, 연속적으로 Ingot을 성장시키는

프로세스임

CEO 설립연도 -

주소260-100, Funoo, Kainan-shi,

Wakayama-ken 642-0001매출액(억엔) -

담당자 고용(명) -

연락처

TEL 0734-83-8187 

FAX 0734-83-8188

www.sumcosi.com/corporate/corp

orate5.html

해외조직

SUMCO그룹 내 10개

(경기도 성남, 미국, 영국

등)

Ⅹ. 일본 293

□ ASAHI GLASS CO., LTD.

대상분야 태양전지 지역 도쿄

세부분야 기판재료, 투명도전막 기판

기술명- 태양전지 TCO(Transparent Conductive Oxide)기판: 박막 타입 유리 기판

- 투명 도전막「타입 VU」

기술내용

- 독자적인 표면 형상으로 입사빛을 산란시키고, 실리콘층 내에 빛을 가두고 있음.

고투과율이며, 투명 도전막을 코트한 플로트 유리 기판.

- 저저항과 빛의 산란 성능이 높은 것이 큰 특징.

- 독자적으로 개발한 나노 스케일(1 m의 10억분의 1)의 성막 기술에 의해서, 헤이즈율

을 90%까지 향상시킨「타입 HU」의 개발 성과를 발표.

- 이는 요철 위에 한층 더 작은 요철을 붙이는 것으로 보다 복잡한 반사를 가능하게

한 것. 발전층에 보다 많은 빛이 흡수 가능하여 발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

CEO 카도마츠 마사히로(門松 正宏) 설립연도 1950.6.1

주소1-12-1, Yurakucho,

Chiyoda-ku, Tokyo100-8405 매출액(억엔) 14,443

담당자 고용(명) 6,692

연락처TEL 03-3218-5741

www.agc.co.jp/index2.html해외조직 65개(서울, 상해, 미국 등)

□ Ube Industries, Ltd

대상분야 태양전지 지역 도쿄

세부분야 기판재료, 증감 색소

기술명- COF(Chip·On·Film) 기판

- 색소 증감형 태양전지 셀

기술내용

- 폴리이미드와 동박막을 주원료로 하여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의 IC실장이나 반도체

패키지용으로서 사용됨.

- 구성 재료 가운데, 광전 변환 효율의 열쇠를 잡는 이산화티타늄의 표면 구조나

입자 사이즈의 제어, 최적인 색소의 탐색 등에 중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시켜 10%

이상의 변환 효율을 실현하는, UBE만이 가능한 고성능 제품을 목표.

CEO 타무라 히로아키(田村 浩章) 설립연도 1942.3

주소

Seavans North Bldg,

1-2-1,Shibaura,Minato-Ku, Tokyo

105-8449, Japan

매출액(억엔) 3,200

담당자 고용(명) 3,672

연락처TEL 03-5419-6110

www.ube-ind.co.jp해외조직

19개(상해, 미국, 싱가폴

등)

294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 M.SETEK Co.,Ltd.

대상분야 태양전지 지역 도쿄

세부분야 태양광 발전 실리콘 wafer

기술명 - 단결정 실리콘 wafer

기술내용 - 에너지 변환율이 우수한 단결정의 실리콘을 사용

CEO 마츠미야 리츠오(松宮 律夫) 설립연도 1978.2

주소3-6-16 Yanaka, Taito-ku Tokyo

110-0001매출액(억엔) 220.36(2006년)

담당자 고용(명) 305

연락처TEL 03-3824-3241

www.msetek.com/index-2.html해외조직

7개(상해, 요하네스부르

크 등)

□ Oike & Co., Ltd.

대상분야 태양전지 지역 교토

세부분야 투명도전막 기판

기술명- 스패터링 기술

- 나노 사이즈의 얇은 조각 장증착미분(状蒸着微粉)「리프 파우더」를 개발

기술내용

- 플라스틱 필름의 표면에 Cu, ITO 등의 도전막을 만들어, 도전 기능을 부여. 투명도가

높고, 도전성 높은「투명 도전성 필름」은 빛과 전기 모두 통하는 특성을 살려,

터치 패널이나 EL에 사용되고 있음. 또한, 도전막의 기술을 응용한「전자파 쉴드

소재」는 반대로 전자파를 차단. 인체에 전자기기 장해 저감 가능.

- 얇아서 도전성이 뛰어나며 도전·전자재료로서 연료 전지나 2차 전지 전용으로

파는 것 외에 도장 재료로서의 채용도 노림. 이 미분은 금속이나 합금, 금속 화합물

등을 증착이나 스패터링으로 필름상에 성막 후 박리하여, 이것을 세세하게 분쇄하여

만듦. 평면에서 사이즈는 장경 1 마이크로-50 마이크로미터, 두께 10 나노-300나노

미터. 구형이 두께가 1 마이크로-2 마이크로 미터의 일반적인 도전성 파우더나

도장용 공금속분보다 얇으며, 도전성 향상과 도장재료의 사용량 삭감 등이 전망

가능.

CEO 오이케 히토시(尾池 均) 설립연도 1947.9

주소

181 Tokusayama-cho Nishi-iru,

Nishinotoin bukkoji, Shimogyo-ku,

Kyoto 600-8461

매출액(억엔) 자본금 2,240

담당자 고용(명) 600

연락처

TEL 075-341-2151

FAX 075-341-8058

www.oike-kogyo.co.jp

해외조직 2개(파리, 상해)

Ⅹ. 일본 295

□ KANTO DENKA KOGYO CO.,LTD.

대상분야 태양전지 지역 도쿄

세부분야 전해액

기술명 - 리튬 이온 배터리등의 전기분해액의 재료가 되는 불소 화합물을 제조

기술내용 - 전기분해액의 재료에 6불화 인산 리튬을 사용

CEO 미즈노 마사오(水野 正雄) 설립연도 1938.9.22

주소

Tokio Marine Nichido Bldg, Shinkan,

2-1, Marunouchi 1-chome,

Chiyoda-ku, Tokyo 100-0005, 

매출액(억엔) 500

담당자 고용(명) 601

연락처

TEL 03-3216-4561

FAX 03-3216-4581

www.kantodenka.co.jp

해외조직 2개(대만, 한국)

□ CANON OPTRON INC.

대상분야 태양전지 지역 이바라기

세부분야 타겟 재료(투명 도전막, 반사 방지막, 금속막용 타겟)

기술명

- 조성 분석

- 본딩 상태의 비파괴 검사

- 막특성 평가

기술내용

- 분석:ICP, 형광 X선분석, X선회절, FT-IR

- 검사:초음파탐상검사 장치

- 평가:투과율, 도전율, AFM, 막응력, SEM, FIB

CEO 모미야마 키쿠오(籾山 喜久雄)  설립연도 1974

주소1744-1, Kanakubo, Yuki-shi, Ibaraki

307-0015, Japan매출액(억엔) 46.3

담당자 고용(명) 250

연락처

TEL 0296-21-3700

FAX 0296-21-3770

www.canon-optron.co.jp

[email protected]

해외조직 없음

296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 Kojundo Chemical Lab. Co.,Ltd

대상분야 태양전지 지역 사이타마

세부분야 산화 티탄 페이스트

기술명 - 순도 99.999-99.9999%의 고순도 BST 스패터링 타겟

기술내용

- 원료로 사용되는 탄산바륨, 탄산 strontium를 독자적인 정제 기술로 99.9999%까지

고순도화하여 한층 더 티탄의 알코키시드를 증류 정제하여 산화 티탄을 합성하여

99.9999%까지 고순도화 함.

CEO 호치도 미치오(宝地戸道雄) 설립연도 1962.9.1

주소5-1-28, Chiyoda, Sakado-shi,

Saitama 350-0284매출액(억엔) 36.89(2007년)

담당자 고용(명) 180

연락처

TEL 049-284-1511

FAX 049-284-1351

www.kojundo.co.jp/

해외조직 없음

 □ Nippon Sheet Glass Co., Ltd.

대상분야 태양전지 지역 도쿄

세부분야 기판재료, 투명도전막 기판

기술명

- 박막 태양광 발전 모듈을 위한 투명도전막(Transparent Conductive Oxide Coating

: TCO)이 부착된 플로트 유리

- 결정 태양광 발전 모듈을 위한 반사 방지막(Anti-Reflection Coating : AR)이 부착된

형판 유리

- 집광형태양광 발전을 위한 함유 철분량을 극도로 줄인 투명성이 높은 유리

기술내용

CEO 후지모토 카츠지(藤本 勝司) 설립연도 1918.11.22

주소

Sumitomo Fudosan Mita Twin Bldg.

West Wing, 5-27, Mita 3-Chome,

Minato-ku, Tokyo, 108-6321

매출액(억엔) 1,435.82

담당자 고용(명) 6,700

연락처TEL 03-5443-9500

www.nsg.co.jp해외조직 159개

Ⅹ. 일본 297

□ Nippon Kayaku Co., Ltd.

대상분야 태양전지 지역 도쿄

세부분야 증감색소

기술명 - 색소증감 태양전지

기술내용 - 산화 티탄·나노 미립자, 색소, 수지 페이스트로 구성

CEO 시마다 코이치로(島田紘一郎) 설립연도 1916.6.5

주소

Tokyo Fujimi Bldg., 11-2, Fujimi

1-chome, Chiyoda-ku, Tokyo

102-8172

매출액(억엔) 1,343.53

담당자 고용(명) 1,808

연락처TEL 03-3237-5111

www.nipponkayaku.co.jp/해외조직 16개(중국, 미국 등)

□ Hitachi Cable, Ltd.

대상분야 태양전지 지역 도쿄

세부분야 인터커넥터

기술명 - 태양전지 모듈의 셀 간의 접속

기술내용

- 신뢰성이 높은 Sn-Ag-Cu계의 납프리 타입의 땜납을 채용

- 평각선과 셀의 접속 작업성을 양호하게 하는 원호상 단면을 형성

- 연질이며 높은 도전율의 터프 피치동(銅), 무산소동(銅)을 도체재료로 사용

- 집전용 busbar의 절연 피복은 MFJ(Multi Frame Joiner)에 적용 가능

CEO 이마이 미츠오(今井光雄) 설립연도 1956.4.10

주소

Akihabara UDX,

4-14-1, Sotokanda, Chiyodaku,

Tokyo 100-8971, JAPAN

매출액(억엔) 4,931.51

담당자 고용(명) 16,230

연락처

TEL 03-5256-5454

FAX 03-5256-3240

www.hitachi-cable.co.jp

해외조직 41개(한국, 중국 등)

298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 MITSUBISHI PAPER MILLS LIMITED

대상분야 태양전지 지역 도쿄

세부분야 증감 색소

기술명 증감 색소 제조

기술내용

- 귀금속의 Ru(르테니움)를 포함하고 있지 않음

- D102와 D131는 유기 색소의 특징인 선명한 색(적색, 황색)을 가지고 있음

- D149는 빨강 보라색이 있어 유기 색소로서는 세계에서 톱클래스의 광전 변환 효율을

가지고 있음.

CEO 스즈키 구니오(鈴木 邦夫) 설립연도 1898.4.1

주소

4-2, Marunouchi 3-chome,

Chiyoda-ku, Tokyo 100-0005,

Japan

매출액(억엔) 2,531.02

담당자 고용(명) 4,577

연락처TEL 03-3213-3751

www.mpm.co.jp해외조직 3개

□ Mitsubishi Materials Corporation

대상분야 태양전지 지역 도쿄

세부분야 전극 페이스트, 타겟 재료

기술명

- 전극용 니켈 타겟, 태양전지 제조 장치용 씰 부품, CIGS계 태양전지용 타겟(Cu,

Cu-Ga), 다결정 일레븐 나인 고순도 실리콘, 광발전 효율용 결정 실리콘, Ag전극

형성용 나노 잉크 등

기술내용

CEO 이데 아키히코(井手 明彦) 설립연도 1950

주소3-2, Otemachi 1-chome,

Chiyoda-ku, Tokyo 100-8117 Japan매출액(억엔) 7,127.58

담당자 고용(명) 4,648

연락처TEL 03-5252-5200

www.mmc.co.jp해외조직 약4개(한국, 중국, 미국 등)

Ⅹ. 일본 299

□ Japan Steel Works, LTD.

대상분야 풍력발전 지역 도쿄

세부분야 브레이드

기술명 - RIM 성형법(Resin Infusion Molding)

기술내용

- 브레이드 본체의 형태와 진공 시트 사이에 유리 섬유를 적층 배치한 후, 흡인기를

이용하여 진공 상태를 만들어, 그 안에 에폭시 수지를 넣어 함침 성형함. 이 방법으로

본체를 2분할 제조한 후 조합하여 접착 완성함.

CEO나가타 마사히사

사토 이쿠오(佐藤 育男)설립연도 1950.12.11

주소

Gate City Ohsaki-West Tower, 11-1,

Osaki 1-chome, Shinagawa-ku,

Tokyo 141-0032, Japan

매출액(2008년)(억엔)

2,271.13

담당자 고용(명) 2,284

연락처

TEL 03-5745-2001

FAX 03-5745-2025

http://www.jsw.co.jp/

해외조직 8개 (한국, 중국, 미국 등)

□ 이마노철공소(今野鉄工所)

대상분야 풍력발전 지역 홋카이도

세부분야 풍력 발전용 로터축 (일본에 하나밖에 없음)

기술명 풍력 발전용 로터축 제조

기술내용

- 로터축은 길이 2·6미터, 직경 22센치의 대형 부품. 가공에는 선반·프라이즈를

일관 작업 할 수 있는「복합 NC(수치제어) 선반·MT4000」을 활용, 무로란(室蘭)특

수강철로 제조된 환봉강재를 이 장치로 가공.

- 대형 로터는 종래, 3대의 기계를 바꾸어 하면서 제조하였으나, 도입 후에는 이

장치 한 대로 제조 가능하여, 더욱 비용삭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되었으며, 정밀도도

높아졌음.

CEO 콘노 이사무(今野 勇) 설립연도 1962.10

주소1-25-33, Kohoku-Cho,

Muroran-Shi, Hokkaido 050-0063 매출액(억엔) 약 3 (2008년)

담당자 고용(명) 35

연락처

TEL 0143-55-7802

FAX 0143-55-7844

http://www.h-kogyokai.com/mem

bers/list/306.html

해외조직 없음

300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 Cygnus Energy

대상분야 소형 풍력발전기 지역 도쿄

세부분야 독립형 범용 소형 풍력 발전기

기술명-「풍력 발전용의 풍차」특허 제 3451085호

- 상표 등록 제 4807915호「시그너스 밀(CYGNUS MILL)」

기술내용 - 항공 공학에 근거한 특수한 날개의 형상

CEO 후쿠도메 슈조(福留 修蔵) 설립연도 1990.8.31

주소7-4, Nakasu, Nihonbashi, Tyuo-ku,

Tokyo 103-0008매출액(억엔) -

담당자 고용(명) 17

연락처

TEL 03-3663-7733 

FAX 03-3663-7789

www.cygnus-energy.com

해외조직 없음

□ HOUEI DENKEN CO., LTD

대상분야 풍력발전 지역 카고시마

세부분야 브레이드, 발전기, 제어장치

기술명 - 특허 제 3763841호

기술내용

- 소형화와 고출력화를 양립한 당사 독자적인 증자시스템

- 당사 시스템에 최적화된 제어장치를 개발. 저풍 속에서도 충분한 발전량을 얻기

위한 섬세한 제어와 고풍속시의 안전 대책을 양립. 전력량을 볼 수 있게 한 표시기도

옵션으로 선택 가능.

CEO 시오미 야스키(塩見 泰樹) 설립연도 1994

주소

1791-1, Miyazato-cho,

Satsumasendai-shi, 895-0056

Kagoshima-ken

매출액(억엔) 15.58(2007년)

담당자 고용(명) 250

연락처

TEL 0773-42-3180  

FAX 0773-43-1881

http://www.hoei-fh.co.jp/hoeidenk

en/index.htm

해외조직 없음

Ⅹ. 일본 301

□ 타다정공주식회사(太田精工 株式会社)

대상분야 풍력발전 지역 미에

세부분야 풍력 발전용 베어링

기술명 - 절삭가공

기술내용 프라이스 가공, 일관기계가공 등

CEO 타다 시게오 (太田 繁雄) 설립연도 1944년

주소1539-8, Rokuziyama, Ohkane-cho,

Yokkaichi-shi, 512-8053 Mie-ken매출액(억엔) -

담당자 고용(명) 33

연락처

TEL 059-338-0971

FAX 059-338-0972

http://cniss.chuokai-mie.or.jp/mono

map/cgi_bin/result.cgi?selid=02009

[email protected]

해외조직 없음

3. M&A 또는 전략적 기술제휴 가능성

□ M&A에 대한 인식변화

- 일본의 수많은 중소기업은 자금난과 회사를 물려줄 후계자가 없는 문제로 존속의 기로에

서있음.

- 이러한 문제의 해결책으로 M&A가 대안으로 거론되는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으며 시중

서점가도 이러한 현상을 반영하여 M&A에 대한 다양한 서적이 출간되고 있음.

- 대일 투자유치를 담당하는 JETRO도 투자유치의 수단으로써 해외기업의 일본기업 M&A

에 주목하고 있음.

- 그러나 일본 특유의 보수성, 기술유출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해외기업에 의한 M&A를

꺼려하는 분위기가 있어 외국기업보다는 국내기업간의 M&A를 선호하고 있음.

- 이러한 인식을 개선하고자 JETRO는 해외기업에 의한 M&A 모범사례를 발굴하고 있음.

302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 해외기업의 일본기업 M&A 증가

○ 거점 기능 다양화 추세

- 외국기업의 대일투자진출이 주로 판매거점 설립에 편중되어 왔으나 최근 1-2년 사이에

거점 기능의 다면화가 진행되고 있음.

<외국기업의 거점기능 추이>

2006년도 2007년도 2008년도2003-2008년도

누계

거점설립건수 115개사 125개사 123개사 669개사

판매거점

조달

일본기업의 글로벌 지원(서포트)

제조

R&D

금융

연락

93

0

1

1

0

2

18

85

6

9

2

3

3

17

79

9

7

2

2

8

16

500

20

18

9

7

16

99

자료원 : JETRO

○ M&A 건수 증가

- 해외기업이 일본 국내기업을 M&A하는 건수가 꾸준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음.

<외국기업에 의한 M&A 추이>

자료원 : 내각부 통상백서2008

Ⅹ. 일본 303

□ 일본 녹색산업 기업 M&A시 고려사항

- 그러나일본지방중소기업이겪고있는후계자문제와기업의영속성을보장하는해결책으

로 M&A가 주목받고 있음.

- 따라서 오너경영자 연령이 높으며 매출규모가 크지 않은 녹색산업 기업을 목표로 두고

단기적으로는 제휴형태로 관계를 맺어 신뢰를 쌓은 후 장기적으로 기업을 인수하는

전략이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됨.

작 성 자

Ÿ 뉴욕KBC

Ÿ 토론토KBC

Ÿ 런던KBC

Ÿ 프랑크푸르트KBC

Ÿ 파리KBC

Ÿ 마드리드KBC

정원준 차장

강은호 과장

송지영 과장

조세정 과장

이성길 차장

김윤희 과장

Ÿ 암스테르담KBC

Ÿ 코펜하겐KBC

Ÿ 취리히KBC

Ÿ 도쿄KBC

Ÿ 해외협력개발팀

윤예찬 과장

남우석 과장

신순재 차장

김준한 과장

고영준 대리

KOTRA자료 09-053

주요국의 녹색산업 동향 및 기술보유기업 조사

발 행 인

편 집 인

발 행 처

발 행 일

주 소

전 화

홈페이지

조환익

박기식

KOTRA

2009년 12월

서울시 서초구 헌릉로 13

(우 137-749)

02) 3460-7114(대표)

www.kotra.or.kr

Copyright ⓒ 2009 by KOTRA. All rights reserved.

이 책의 저작권은 KOTRA에 있습니다.

저작권법에 의해 한국 내에서 보호를 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