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Clinical Characteristics of Lower Gastrointestinal ...

7
예였으며, 2예는 크론병 환자에서 산발적으로 발생한 하부위장관 악 성종양으로 판단하였다. 이에 환자 5예의 임상 양상을 분석하여 전형 적인 크론병 연관 하부위장관 악성종양과 산발적으로 발생한 하부위 장관 악성종양의 차이점을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1. 증례 1 45세 남자 환자가 3주 전부터 발생한 복통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14년 전 복통으로 타 병원을 방문하여 충수 주위의 농양으로 진단받 고, 충수절제술 및 농양배액술을 시행받았다. 이후에도 복통이 지속 되어 7개월 뒤 재내원하여 복부 전산화단층촬영 등의 검사 결과, 복 강 내 농양이 맹장, 회장, 주변의 장간막에 퍼져 있는 소견이 발견되 어 맹장 및 부분 회장절제술을 시행받았다. 당시 절제된 표본에서 크 론병을 진단받고 4년간 외래에서 치료받았으나 이후 자의로 추적관 찰을 중단하였다. 본원 내원 3주 전부터 식후 간헐적으로 뒤틀리는 양상의 복통이 발생하였고 1주 전부터 구역과 구토가 발생하여 외부 병원을 방문하였고 복부 전산화단층촬영 및 소장 조영검사 결과 공 장의 말단과 회장에 장협착의 소견이 발견되어 추가적인 치료를 위 해 본원 응급실로 내원하였다. 크론병의 급성 악화 소견으로 일주일 Clinical Characteristics of Lower Gastrointestinal Cancer in Crohn’s Disease: Case Series of 5 Patients Ji Min Choi, Changhyun Lee, Yoo Min Han, Minjong Lee, Dong Kee Jang, Jeehye Kwon, Jong Pil Im, Sang Gyun Kim, Joo Sung Kim, Hyun Chae Ju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Liver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Received January 24, 2013. Revised March 14, 2013. Accepted March 26, 2013. Correspondence to Jong Pil Im,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Liver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103 Daehak-ro, Jongno-gu, Seoul 110-744, Korea. Tel: +82-2-740-8112, Fax: +82-2-743-6701, E-mail: [email protected] CASE REPORT 크론병은 궤양성 대장염과 함께 만성 염증성 장질환의 한 종류로 구강부터 항문까지 소화관의 어느 부위라도 침범할 수 있는 만성 육 아종성 염증 질환이다. 국내에서 보고된 다기관 연구에 따르면 1980년 대 중반 이후 크론병 환자수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로 1986-1990년 인구 10만 명당 0.05명에서 2001-2005년에는 1.34명으로 증가하였 고 이를 토대로 추정한 2005년 말 인구 10만 명당 크론병의 유병률은 11.24명이다. 1 서양 및 일본의 크론병 환자에서도 궤양성 대장염과 마 찬가지로 유병 기간이 길거나 염증의 정도가 심할수록 암 발생률이 높 아진다고 보고된 바 있으나, 2,3 현재까지 국내에서는 크론병에 병발한 하부위장관 암, 즉 대장암 4-6 및 소장암 6,7 에 대한 문헌보고가 드문 상 태이다. 저자들은 2004년 1월 이후 서울대학교병원을 방문한 크론병 환자 974명 중 추적관찰 기간 중에 하부위장관 암으로 진단받은 5예 를 경험하였고, 이들 중 3예는 악성종양이 크론병과 관련하여 발생한 Crohn’s disease is a chronic inflammatory disease that can involve the entire gastrointestinal tract. Several studies indicate that Crohn’s patients with long disease duration have an increased risk of small bowel or colorectal cancer. In Korea, only a few cas- es of Crohn’s disease-related small bowel or colorectal cancer have been reported. Here, we described 3 cases of colorectal can- cer and 2 cases of small bowel cancer in patients with Crohn’s disease. Among 5 patients, 3 had Crohn’s disease-related lower gastrointestinal malignancy and the other 2 had sporadic lower gastrointestinal malignancies. Since the diagnosis of Crohn’s disease-related lower gastrointestinal malignancy tends to be delayed, the development of malignancy should be considered in patients with long duration of Crohn’s disease if patients have refractory symptoms despite intensive medical treatment. Surgi- cal consultation should not be delayed. (Intest Res 2013;11:127-133) Key Words: Crohn disease; Jejunal neoplasms; Ileal neoplasms; Colorectal neoplasms © Copyright 2013. Kore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Intestinal Diseases. All rights reserved.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ISSN 1598-9100(Print) • ISSN 2288-1956(Online) http://dx.doi.org/10.5217/ir.2013.11.2.127 Intest Res 2013;11(2):127-133

Transcript of (PDF) Clinical Characteristics of Lower Gastrointestinal ...

예였으며, 2예는 크론병 환자에서 산발적으로 발생한 하부위장관 악

성종양으로 판단하였다. 이에 환자 5예의 임상 양상을 분석하여 전형

적인 크론병 연관 하부위장관 악성종양과 산발적으로 발생한 하부위

장관 악성종양의 차이점을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증 례

1. 증례 1

45세 남자 환자가 3주 전부터 발생한 복통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14년 전 복통으로 타 병원을 방문하여 충수 주위의 농양으로 진단받

고, 충수절제술 및 농양배액술을 시행받았다. 이후에도 복통이 지속

되어 7개월 뒤 재내원하여 복부 전산화단층촬영 등의 검사 결과, 복

강 내 농양이 맹장, 회장, 주변의 장간막에 퍼져 있는 소견이 발견되

어 맹장 및 부분 회장절제술을 시행받았다. 당시 절제된 표본에서 크

론병을 진단받고 4년간 외래에서 치료받았으나 이후 자의로 추적관

찰을 중단하였다. 본원 내원 3주 전부터 식후 간헐적으로 뒤틀리는

양상의 복통이 발생하였고 1주 전부터 구역과 구토가 발생하여 외부

병원을 방문하였고 복부 전산화단층촬영 및 소장 조영검사 결과 공

장의 말단과 회장에 장협착의 소견이 발견되어 추가적인 치료를 위

해 본원 응급실로 내원하였다. 크론병의 급성 악화 소견으로 일주일

Clinical Characteristics of Lower Gastrointestinal Cancer in Crohn’s Disease: Case Series of 5 Patients

Ji Min Choi, Changhyun Lee, Yoo Min Han, Minjong Lee, Dong Kee Jang, Jeehye Kwon, Jong Pil Im, Sang Gyun Kim, Joo Sung Kim, Hyun Chae Jung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Liver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Received January 24, 2013. Revised March 14, 2013. Accepted March 26, 2013.Correspondence to Jong Pil Im,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Liver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103 Daehak-ro, Jongno-gu, Seoul 110-744, Korea. Tel: +82-2-740-8112, Fax: +82-2-743-6701, E-mail: [email protected]

CASE REPORT

서 론

크론병은 궤양성 대장염과 함께 만성 염증성 장질환의 한 종류로

구강부터 항문까지 소화관의 어느 부위라도 침범할 수 있는 만성 육

아종성 염증 질환이다. 국내에서 보고된 다기관 연구에 따르면 1980년

대 중반 이후 크론병 환자수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로 1986-1990년

인구 10만 명당 0.05명에서 2001-2005년에는 1.34명으로 증가하였

고 이를 토대로 추정한 2005년 말 인구 10만 명당 크론병의 유병률은

11.24명이다.1 서양 및 일본의 크론병 환자에서도 궤양성 대장염과 마

찬가지로 유병 기간이 길거나 염증의 정도가 심할수록 암 발생률이 높

아진다고 보고된 바 있으나,2,3 현재까지 국내에서는 크론병에 병발한

하부위장관 암, 즉 대장암4-6 및 소장암6,7에 대한 문헌보고가 드문 상

태이다. 저자들은 2004년 1월 이후 서울대학교병원을 방문한 크론병

환자 974명 중 추적관찰 기간 중에 하부위장관 암으로 진단받은 5예

를 경험하였고, 이들 중 3예는 악성종양이 크론병과 관련하여 발생한

Crohn’s disease is a chronic inflammatory disease that can involve the entire gastrointestinal tract. Several studies indicate that Crohn’s patients with long disease duration have an increased risk of small bowel or colorectal cancer. In Korea, only a few cas-es of Crohn’s disease-related small bowel or colorectal cancer have been reported. Here, we described 3 cases of colorectal can-cer and 2 cases of small bowel cancer in patients with Crohn’s disease. Among 5 patients, 3 had Crohn’s disease-related lower gastrointestinal malignancy and the other 2 had sporadic lower gastrointestinal malignancies. Since the diagnosis of Crohn’s disease-related lower gastrointestinal malignancy tends to be delayed, the development of malignancy should be considered in patients with long duration of Crohn’s disease if patients have refractory symptoms despite intensive medical treatment. Surgi-cal consultation should not be delayed. (Intest Res 2013;11:127-133)

Key Words: Crohn disease; Jejunal neoplasms; Ileal neoplasms; Colorectal neoplasms

© Copyright 2013. Kore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Intestinal Diseases. All rights reserved.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ISSN 1598-9100(Print) • ISSN 2288-1956(Online)http://dx.doi.org/10.5217/ir.2013.11.2.127Intest Res 2013;11(2):127-133

Ji Min Choi, et al. • Lower Gastrointestinal Cancer in Crohn’s Disease

128 www.irjournal.org

간 항생제 사용 및 금식, 비위관 삽입 등 보존적인 치료를 하였으나

복통이 호전되지 않아 복부 전산화단층촬영을 재시행한 결과, 공장

의 벽이 부분적으로 두꺼워져 있고, 상부의 소장은 심하게 늘어나 있

었으며, 여러 개의 후복강 및 장간막 림프절 종대가 관찰되었다(Fig.

1). 크론병에 의한 소장 협착 소견으로 외과적 절제를 시행하였고 수

술 후 조직 소견에서 장막하 조직까지 침윤한 점액성 선암이 관찰되

었으며 일부 반지 세포암 성분이 같이 발견되었다. 주변의 8개 림프절

조직 중 3개에서 전이 소견을 보였다(Fig. 2). 환자는 수술 후 회복된

뒤 5-fluorouracil, cisplatin 기반의 보조적 항암 치료 중에 있으며 현

재 6개월째 경과 관찰 중이다.

2. 증례 2

24세 남자 환자가 3일 전부터 발생한 복통과 흑색변을 주소로 내

원하였다. 9세 때 발열, 설사로 타 병원에서 검사 결과 장결핵 의증으

로 결핵약을 복용하였으며, 12세 때 다시 증상이 악화되어 시행한 검

사에서 결핵 중합효소연쇄반응이 양성으로 보고되어 결핵의 재발로

생각하고 결핵약을 복용하였다. 그러나 증상이 호전되지 않아 본원

소아과로 의뢰되었고 대장 및 소장 조영검사, 대장내시경 시행 후 크

론병으로 진단되어 prednisolone, mesalazine 투여 시작 후 증상이 호

전되었다. 이후 prednisolone을 감량할 때마다 복통이 재발하고 배변

이 잦아지는 양상을 보이는 스테로이드 의존성 크론병으로 진단되었

으며 추적관찰 기간 동안 소장 및 대장의 다발성의 협착 소견이 점차

악화되었다. 내원 3일 전부터 간헐적으로 뒤틀리는 양상의 복통 및

흑색변이 발생하여 내원하였으며 복부 전산화단층촬영에서 소장이

여러 군데 좁아져 있었고 특히 횡행 결장은 완전 폐쇄에 가깝게 관찰

되었으며(Fig. 3), 주위 림프절 비대는 관찰되지 않았다. 크론병의 급

성 악화 가능성에 대해 금식, 비경구 영양치료, 스테로이드 정맥주사

등의 치료를 시행하였고 복통은 약간의 호전을 보였으나 횡행 결장의

완전 폐쇄가 호전되지 않아 수술적 절제를 시행하였다. 수술 후 조직

소견에서는 장막하 조직까지 침윤하고 있는 점액성 선암이 발견되었

고 주변의 림프절 조직에서 암세포는 발견되지 않았다. 환자는 보조

Fig. 1. Abdominal CT findings. (A) Circum-ferential thickening of small bowel wall with luminal narrowing is observed (arrow heads). Bowel is severely dilated proximal to obstruction. (B) Small bowel segmental wall thickening at pelvic cavity level is ob-served (arrow heads).BA

Fig. 2. Microscopic findings (H&E stain). (A) Mucinous adenocarcinoma invades into subserosa (×100). (B) The tumor contained signet ring cells (×200).

BA

http://dx.doi.org/10.5217/ir.2013.11.2.127 • Intest Res 2013;11(2):127-133

129www.irjournal.org

항암화학요법을 계획하고 있다.

3. 증례 3

34세 여자 환자가 3달 전부터 시작된 복통과 좌하복부 종괴를 주

소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20년 전부터 심한 복통, 복부 팽만감 및 설

사가 간헐적으로 있어 왔으나 특별한 검사 없이 지내오다가 6년 전

하복부 통증이 심해져 타 병원을 방문하여 대장내시경을 시행하였

고, 항문연에서 38 cm, 18 cm 상방에 궤양성 병변이 발견되어 장

결핵 의증으로 결핵약을 복용하였으나 증상의 호전을 보이지 않았

다. 1년 후 상기 증상에 대해 본원을 방문하여 복부 전산화단층촬영

및 대장내시경을 시행하였고 크론병으로 진단되어 prednisolone 50

mg, mesalazine, metronidazole, azathioprine 투약을 시작하였다. 이

후 prednisolone 5 mg까지 감량하여 투약하던 중 소변색이 탁해지

고 냄새가 심해져 비뇨기과로 입원하였고 방광경 검사 결과 장방광

루(enterovesical fistula)가 발견되어 infliximab을 투약 후 요로계 증

상이 호전되었다. Prednisolone 5 mg, mesalazine, metronidazole,

Fig. 3. Abdomen CT finding. Multifocal stricture of the small bowel and nearly complete obstruction at the mid transverse colon with low attenuating mass-like wall thickening are shown (arrow heads).

Fig. 4. Gross and microscopic findings. (A) Segmental mass-like thickening of small bowel wall. (B) Moderate to poorly differentiated adenocar-cinoma invading the subserosa of small bowel (H&E stain, ×200). (C) Moderately differentiated adenocarcinoma of bladder, clinically from small bowel (H&E stain, ×200).

CB

A

Ji Min Choi, et al. • Lower Gastrointestinal Cancer in Crohn’s Disease

130 www.irjournal.org

azathioprine 유지하던 중 내원 1년 전부터 장협착이 심해지고 복통이

악화되어 infliximab을 총 3회 투약하였으나 좌하복부의 통증이 점차

악화되고 복부의 종괴가 만져져 입원하였다. 복부 전산화단층촬영에

서 소장의 다발성 협착과 주위 림프절 비대가 관찰되었고, 특히 회장

말단부는 협착이 심하고 장벽이 두꺼워져 종괴를 형성하고 있었으며

이는 방광 상부와 직접 맞닿아 있었다. 크론병에 병발한 소장암의 방

광 침윤이 의심되어 소장 부분절제술 및 방광 부분절제술을 시행하였

고 수술 후 소장 조직에서는 장막하 조직까지 침윤하고 있는 선암이

발견되었으며 방광 조직에서도 선암이 발견되었다(Fig. 4). 주변의 림

프절 조직에서 암세포는 발견되지 않았다. 환자는 수술 후 회복된 뒤

xeloda, oxaliplatin 기반의 항암치료를 8차까지 진행하였고 이후 재

발이 없는 상태로 5년 6개월째 추적관찰 중에 있다.

4. 증례 4

60세 여자 환자가 대변이 묽어져 내원하였다. 6년 전부터 복통, 설

사가 자주 발생하여 타 병원을 방문하여 위염으로 진단받고 치료하였

으나 증상의 호전이 없었고, 1년간 10 kg의 체중 감소가 있어 3년 전

본원을 방문하였다. 대장내시경 및 소장조영술을 시행한 결과 소장

을 침범한 크론병으로 진단되어 prednisolone 40 mg, sulfasalazine,

metronidazole, azathioprine 복용을 시작하였고 이후 증상은 호전되

었다. Prednisolone은 감량하여 중단하였고 mesalazine 유지하던 중

내원 2년 전 복통, 복부 팽만감, 설사가 다시 심해졌고 복부 전산화

단층촬영에서 소장의 부분 폐쇄 소견이 관찰되어 입원하였다. 금식

하며 hydrocortisone 100 mg 하루 세 번 투약을 시작하였고 이후 증

상이 호전되고 전산화단층촬영에서 소장의 폐쇄 소견 또한 호전되

어 prednisolone 40 mg, mesalazine, metronidazole, azathioprine 유

지하며 퇴원하였다. 내원 1년 전에도 같은 증상으로 입원하여 hydro-

cortisone 투약 후 증상 호전되어 경구약으로 변경하여 퇴원하였던 병

력이 있었다. 이후 mesalazine, metronidazole, azathioprine 유지하던

중 내원 2개월 전부터 대변이 묽어지는 양상으로 대장내시경을 시행

하였고 회장 말단부에 크론병의 급성 악화에 합당한 소견이 있었으며

직장의 용종이 우연히 관찰되어(Fig. 5) 조직검사를 시행하였다. 조

직검사에서는 선암이 보고되어 내시경 점막절제술을 추가로 시행하

였고 이후 재발의 증거가 없이 2년 동안 추적관찰 후 현재는 추적관

찰이 중단된 상태이다.

5. 증례 5

49세 여자 환자로 내원 1일 전 발생한 복통 및 혈변으로 내원하였

다. 이전 특이 병력은 없던 환자로 1일 전부터 호전과 악화를 반복하

는 복통이 발생하였고, 대변의 양상이 피가 섞인 점액질로 변하였으

며 횟수는 하루 10회 이상이었다. 복부 전산화단층촬영 및 대장내시

경의 결과 크론병으로 진단되었으며 직장의 용종이 우연히 발견되어

(Fig. 6) 조직검사를 시행하였다. 조직검사에서는 선암이 보고되어 내

시경적 점막절제술을 추가로 시행하였고 절제된 조직에서 종양은 점

막 고유층까지 침범하고 있었다. 이후 크론병에 대해서 prednisolone

50 mg, mesalazine, metronidazole, azathioprine 복용을 시작하였고

외래 추적관찰을 통해 prednisolone은 점차 감량하여 중단하였으며,

mesalazine, metronidazole, azathioprine을 복용하면서 크론병은 관

해 상태로 8년간 경과 관찰 중에 있다.

고 찰

크론병과 관련된 대장암과 소장암이 1948년과 1956년에 각각 처음

으로 보고된 이래로,8,9 국내에서도 2000년과 2007년에 각각 처음으

로 크론병에 병발한 대장암과 소장암의 증례가 보고된 바 있다. 저자

들은 2004년 1월 이후 서울대학교병원을 방문한 크론병 환자 974명

Fig. 5. Colonoscopic finding. 0.4 cm sized Is (sessile type) polyp at the rectum (arrow heads).

Fig. 6. Colonoscopic finding. 1.5 cm sized Isp (semipedunculated type) polyp at the distal rectum.

http://dx.doi.org/10.5217/ir.2013.11.2.127 • Intest Res 2013;11(2):127-133

131www.irjournal.org

Tabl

e 1.

Clin

ical

Cha

ract

erist

ics

of L

ower

Gas

troi

ntes

tinal

Can

cer i

n Pa

tient

s of

with

Cro

hn’s

Dise

ase

No.

Sex

Mon

trea

l cl

assif

i-ca

tion

Age

at

canc

er

diag

nosis

(y

r)

Dura

tion

of C

DM

edic

atio

nLo

catio

n of

tum

or

Uppe

r ga

stro

in-

test

inal

in

volv

emen

t

Type

of

CD

Inte

rval

fr

om

the

last

co

lono

scop

y

Ope

ratio

nHi

stol

ogy

Diff

eren

t-ia

tion

Stag

e (A

JCC

7th)

Out

com

e (m

o)

1M

A2L3

B245

14 y

r 8 m

o-

Jeju

num

Neg

ativ

eIle

ocol

itis

Unk

now

nSm

all b

owel

se

gmen

tal

rese

ctio

n

MAD

C (c

onta

ined

SR

C)

P/D

pT3N

1M0

Aliv

e (6

)

2M

A1L3

B224

12 y

r 2 m

oM

esal

azin

e (8

00 m

g tid

), az

athi

oprin

e (5

0-37

.5 m

g bi

d)

Tran

sver

se

colo

nN

egat

ive

Ileoc

oliti

s9

yr 1

1 m

oTo

tal

cole

ctom

yM

ADC

P/D

pT3N

0M0

Aliv

e (2

)

3F

A2L3

B334

4 yr

9 m

oM

esal

azin

e (5

00 m

g tid

), pr

edni

solo

ne

(5 m

g qd

), az

athi

oprin

e (5

0 m

g qd

), m

etro

nida

zole

(2

50 m

g tid

)

Ileum

Neg

ativ

eIle

ocol

itis

4 yr

7 m

oSm

all b

owel

se

gmen

tal

rese

ctio

n an

d pa

rtia

l cy

stec

tom

y

ADC

P/D

pT3N

0M0

Aliv

e (6

6)

4F

A3L1

B260

3 yr

1 m

oM

esal

azin

e (5

00 m

g tid

), az

athi

oprin

e (5

0 m

g qd

), m

etro

nida

zole

(2

50 m

g tid

)

Rect

umN

egat

ive

Ileiti

s2

yr 4

mo

Endo

scop

ic

subm

ucos

al

diss

ectio

n

ADC

W/D

pT1N

0M0

Follo

w-u

p lo

ss (3

0)

5F

A3L2

B149

--

Rect

umN

egat

ive

Colit

is-

Endo

scop

ic

muc

osal

re

sect

ion

ADC

W/D

pTisN

0M0

Aliv

e (9

6)

6F

A3L3

B262

3 m

oM

esal

azin

e (1

,500

mg

qd),

pred

niso

lone

(15

mg

qd)

Tran

sver

se

colo

nN

egat

ive

Ileoc

oliti

s3

mo

Smal

l bow

el

segm

enta

l re

sect

ion

and

subt

otal

co

lect

omy

MAD

CP/

DU

nkno

wn

Aliv

e (u

nkno

wn)

7M

A3L3

B285

--

Hep

atic

fle

xure

Neg

ativ

eIle

ocol

itis

-Ri

ght h

emi-

cole

ctom

yAD

CM

/DU

nkno

wn

Aliv

e (1

8)

8F

A2L3

B231

3 yr

Sulfa

sala

zine

(dos

e:

unkn

own)

, ste

roid

(d

ose:

unk

now

n),

infli

xim

ab (5

mg/

kg)

Ileum

Neg

ativ

eIle

ocol

itis

2 m

oSm

all b

owel

an

d co

lon

segm

enta

l re

sect

ion

SRC

P/D

pT2N

1Mx

Aliv

e (1

3)

Case

1-5

from

our

cas

es; C

ase

64 ; Cas

e 75 ; C

ase

87

AJCC

, Am

eric

an Jo

int C

omm

ittee

on

Canc

er; M

, Mal

e; F,

Fem

ale;

tid,

ter i

n di

e (th

ree

times

a d

ay);

bid,

bis

in d

ie (t

wic

e a

day)

; qd,

qua

que

die

(onc

e a

day)

; MAD

C, m

ucin

ous

aden

ocar

cino

ma;

SR

C, s

igne

t rin

g ce

ll ca

rcin

oma;

ADC

, ade

noca

rcin

oma;

P/D

, poo

rly d

iffer

entia

ted;

M/D

, mod

erat

ely

diff

eren

tiate

d; W

/D, w

ell d

iffer

entia

ted.

Ji Min Choi, et al. • Lower Gastrointestinal Cancer in Crohn’s Disease

132 www.irjournal.org

을 추적관찰한 결과 하부위장관 암이 발견된 총 5명의 예를 경험하

였고, 그 중 대장암이 3예에서 발견되었으며 나머지 2예는 소장암이

었다(Table 1).

크론병 연관 하부위장관 암의 경우 염증에 의한 협착이나 누공이

형성된 자리에 주로 발생하며, 대장과 소장을 같이 침범하는 크론병

으로 진단되었던 경우에 특히 발생 가능성이 높아진다.10,11 또한 크론

병의 유병 기간이 10년 이상으로 길고 처음 크론병으로 진단되었던 나

이가 30대 이하로 젊은 환자에서 하부위장관 악성종양의 발생 가능

성은 증가한다.12-14 증례 1의 경우 수술 전 공장의 침범 유무를 확인

할 수 없어 소장에 악성종양이 원발성으로 발병하였는지 아니면 크론

병과 관련되어 발병하였는지 정확하지 않지만, 증례 2, 3의 환자에서

는 크론병에 의한 만성 염증으로 협착 또는 누공이 형성된 부분에 악

성종양이 발생하였다. 그러나 증례 1, 2, 3은 모두 조직학적으로 미분

화된 형태였으며 처음 크론병으로 진단될 당시 나이가 30대 이하로

젊었고 대장과 소장을 함께 침범하고 있었던 경우로 크론병과 연관

되어 발생한 하부위장관 암으로 판단하였다. 반면 나머지 2예는 이전

크론병에 의해 이환되지 않았던 장관의 분획에 용종이 우연히 발견되

어 조직검사를 시행한 결과 악성종양으로 진단된 경우로 크론병과 직

접적인 연관이 없이 산발적으로 발생한 하부위장관 암으로 판단하고

내시경 절제술만 시행 후 추적관찰 중이다.

여러 문헌에 따르면 크론병의 진단에서부터 하부위장관의 악성종

양이 발생할 때까지는 평균 15-21년의 기간이 걸리는 것으로 보고되

어 있다.15,16 저자들이 경험한 3예의 크론병 연관 하부위장관 악성종

양 중 2예에서 암 발생 전 10년 이상의 크론병의 유병 기간을 보이고

있다. 증례 3의 경우 6년 전 대장의 다발성 궤양을 장결핵으로 진단

하였으나 결핵약 투약에도 호전을 보이지 않았고, 장결핵과 크론병

이 증상, 내시경 소견 및 조직학적 소견에 있어 구별이 쉽지 않은 경우

가 많다는 점에서 당시 대장의 궤양성 병변이 크론병이었을 가능성이

있겠으며 나아가 20년 전부터 간헐적으로 발생하였던 복통, 복부 팽

만감 및 설사가 크론병에 기인한 증상이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

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할 때, 증례 3의 경우 또한 실제로는 4년 9개

월 이상의 유병 기간을 가질 것으로 의심되며 이로써 본 기관에서 경

험한 3예가 이전의 연구 결과와 부합한다고 할 수 있다. 이번 증례 외

에 현재까지 국내에서 보고된 크론병에 병발한 대장암 및 소장암 3예

의 경우 악성종양 발생 전 크론병의 유병 기간이 상대적으로 짧게 보

고되었으나 Table 1의 증례 6에서는 10년 전부터 지속되어 온 복통과

설사의 원인이 진단되지 못했고, 증례 7 또한 10년 전 뚜렷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대장 폐색 및 협착, 누공이 있었다. 증례 8의 경우에는

15년 전 만성 복통과 설사가 있어 시행한 대장내시경에서 대장의 궤

양성 병변이 관찰되었고 결핵성 장염에 준하여 치료한 병력이 있으나

여러 차례 재발한 바 있으며 당시 결핵성 장염으로 확진할 만한 근거

가 부족한 상태였다. 3개의 증례 모두 10-15년 전의 증상 및 징후가

크론병에 기인하였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Table 1).

크론병에서 발생하는 장관 악성종양의 경우 복통, 혈변, 소장 폐

쇄 등의 증상을 주로 보이나, 이는 크론병의 급성 악화의 증상과 구

별이 어렵고 협착이 동반된 경우 대장내시경으로 협착 부위 상부로의

진입이 어려워 검사가 쉽지 않다. 또한, 전산화단층촬영 등의 영상학

적인 검사에서 장관벽의 비후, 점막하층의 불규칙한 조영 증강, 좁아

진 내강, 주변 조직 및 장기와의 유착, 점막하 지방 침착 등의 소견을

보일 수 있으나 이는 크론병의 급성 악화 시에도 관찰될 수 있어 악성

종양의 감별이 쉽지 않다.17 이에 따라 크론병과 관련된 하부위장관

의 악성종양의 경우 수술 전에 조기 진단이 되지 않고 수술 후 우연히

진단되는 경우가 많으며, 산발적으로 발생하는 하부위장관 악성종양

에 비해 조직학적으로 미분화된 경우가 많고 진행된 병기에 발견되어

예후가 좋지 않다.3,10,18 여기에 기술한 증례 중에서도 크론병과 관련

된 하부위장관의 악성종양 3예 가운데 1예에서만 수술 전 악성종양

의 발생을 의심할 수 있었으며 나머지 2예의 경우는 수술 후 병리 소

견으로 암이 진단되었고, 산발적으로 발생한 하부위장관 암이 조직학

적으로 분화도가 좋거나 침범 범위가 얕았던 것에 비해 장기간에 걸

친 크론병과 관련하여 발생한 악성종양 3예의 경우에는 조직학적으

로 미분화되어 있거나 점액성 선암의 형태를 띠었으며 병기가 높았다.

따라서 크론병의 급성 악화가 의심되었으나 금식 및 비경구 영양치

료, 약물 치료 등의 내과적인 치료에 반응이 없으면서 앞에서 기술한

악성종양 발생의 위험인자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항상 조기에 악성

종양의 발생 가능성을 항상 고려하여 진단과 치료가 늦어지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또한 증례 4, 5의 경우와 같이 크론병 환자에

서도 산발적인 대장암이 발생할 수 있음을 인지하고, 크론병에 이환

되지 않은 부위에 용종이 발생한 경우 일반적인 용종의 치료 원칙에

준하여 악성종양의 가능성을 확인해 보아야 하며 정기적인 대장내시

경 검진도 고려하여야 한다.

우리 나라에서도 크론병의 유병률이 증가함에 따라 크론병 연관 하

부위장관 암의 발생 또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나 이에 대한 국내 기

관의 연구나 적절한 감시 프로그램, 의사 및 환자의 주의가 부족한 것

이 현실이다. 이번 보고에서와 같이 크론병 환자에서는 크론병 연관

하부위장관 암 뿐만 아니라 산발적으로 발생하는 하부위장관 암 또

한 동반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지속적인 주의 및 관찰이 필요하다.

또한 실제 국내 크론병 환자에서의 하부위장관 암의 유병률에 대한

다기관 연구가 필요하겠고 다양한 진단방법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크론병 환자들에 대한 적절한 감시 프로그램의 수립이 요구되는

바이다.

REFERENCES

1. Yang SK, Yun S, Kim JH, et al. Epidemiology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in the Songpa-Kangdong district, Seoul, Korea, 1986-2005: a KASID study. Inflamm Bowel Dis 2008;14:542-549.

2. Mizushima T, Ohno Y, Nakajima K, et al. Malignancy in Crohn’s disease: incidence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in Japan. Diges-tion 2010;81:265-270.

3. Tirkes AT, Duerinckx AJ. Adenocarcinoma of the ileum in Crohn disease. Abdom Imaging 2005;30:671-673.

4. Moon JH, Park CH, Jung JO, et al. A case of colon cancer associ-ated with Crohn’s disease. Korean J Gastroenterol 2006;48:124-127.

5. Shin DW, Hahn BC, Shin JU, et al. A case of colon carcinoma in crohn’s disease. Korean J Med 2000;59:80-84.

http://dx.doi.org/10.5217/ir.2013.11.2.127 • Intest Res 2013;11(2):127-133

133www.irjournal.org

6. Shin US, Yu CS, Kim CW, et al. Malignancy Associated with In-flammatory Bowel Disease. J Korean Soc Coloproctol 2009;25: 150-156.

7. Kim JS, Cheung DY, Park SH, et al. A case of small intestinal sig-net ring cell carcinoma in Crohn’s disease. Korean J Gastroen-terol 2007;50:51-55.

8. Ginzburg L, Schneider KM, Dreizin DH, Levinson C. Carcinoma of the jejunum occurring in a case of regional enteritis. Surgery 1956;39:347-351.

9. Warren S, Sommers SC. Cicatrizing enteritis as a pathologic en-tity; analysis of 120 cases. Am J Pathol 1948;24:475-501.

10. Kamiya T, Ando T, Ishiguro K, et al. Intestinal cancers occur-ring in patients with Crohn’s disease. J Gastroenterol Hepatol 2012;27(Suppl 3):103-107.

11. Choi PM, Zelig MP. Similarity of colorectal cancer in Crohn’s dis-ease and ulcerative colitis: implications for carcinogenesis and prevention. Gut 1994;35:950-954.

12. Friedman S, Rubin PH, Bodian C, Goldstein E, Harpaz N, Present DH. Screening and surveillance colonoscopy in chronic Crohn’s colitis. Gastroenterology 2001;120:820-826.

13. Bernstein CN, Blanchard JF, Kliewer E, Wajda A. Cancer risk in patients with inflammatory bowel disease: a population-based study. Cancer 2001;91:854-862.

14. Ekbom A, Helmick C, Zack M, Adami HO. Increased risk of large-bowel cancer in Crohn’s disease with colonic involvement. Lancet 1990;336:357-359.

15. Palascak-Juif V, Bouvier AM, Cosnes J, et al. Small bowel ad-enocarcinoma in patients with Crohn’s disease compared with small bowel adenocarcinoma de novo. Inflamm Bowel Dis 2005;11:828-832.

16. Solem CA, Harmsen WS, Zinsmeister AR, Loftus EV Jr. Small intestinal adenocarcinoma in Crohn’s disease: a case-control study. Inflamm Bowel Dis 2004;10:32-35.

17. Hristova L, Soyer P, Hoeffel C, et al. Colorectal cancer in inflam-matory bowel diseases: CT features with pathological correla-tion. Abdom Imaging 2012. [Epub ahead of print]

18. Senay E, Sachar DB, Keohane M, Greenstein AJ. Small bowel carcinoma in Crohn’s disease. Distinguishing features and risk factors. Cancer 1989;63:360-3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