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ET KOREA 2022 - Baoquocte.vn

Post on 16-Mar-2023

0 views 0 download

Transcript of MEET KOREA 2022 - Baoquocte.vn

GẶP GỠ HÀN QUỐC 2022 MEET KOREA 2022

II 30 NĂM QUAN HỆ NGOẠI GIAO VIỆT NAM - HÀN QUỐC

Maeil

“Những người bạn thật sự”

Hướng đến 30 năm phát triển mới

Maeil

KHÁNH LINH

“Quan hệ Việt Nam và Hàn Quốc đang trong thời kỳ phát

triển tốt đẹp nhất kể từ khi hai nước thiết lập quan hệ ngoại

giao. Chúng ta đã trở thành đối tác quan trọng hàng đầu của

nhau trên nhiều lĩnh vực”.

III베-한 수교 30주년

가장 발전한 시기부이 탄 선 (Bui Thanh Son)베트남

외무부 장관은 2022년 2월 9일부터 11

일까지 김치의 본고장인 한국을 공식

방문하고 매일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이와

같이 강조했습니다.

이번 방문은 베트남 외무부 장관 접견

당시 한국의 고위 지도부가 평가한 바와

같이, 한-베트남 수교 30주년(1992

년 12월 22일 ~ 2022년 12월 22일)을

시작으로 한 해를 여는 중요한 의미를

지닌 행사입니다.

진정한 친구들

한 달 후, 삼 선 시티 (타잉화 성)에서

열린 “MEET KOREA 2022“ 에서

응웬 민 부 외무부

부장관 베트남과 한국이 "진정한

친구"라고 강조했습니다.한국은 여러

분야에서 베트남의 주요 파트너이며,

베트남은 한국의 신남방 정책의 핵심

파트너입니다.

양국의 '진정한 친구'의 관계를 입증할

증거는 많습니다. 정책적으로 2001

년에는 21세기 포괄적 동반자 관계가

되었고, 2009년에는 전략적인 협력

동반자 관계로 두 차례 격상되었습니다,

또한 올해에는 전면적인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격상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국방, 안보 및 외교 협력

기조도 정기적으로 유지되고 있습니다.

당과 국회 차원의 협력은 계속해서

실질적인 효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경제적으로 한국은 2022년 2월까지

총 누적 자본이 784억 달러에 달하고,

약 9,300개의 실효 프로젝트에

투자하여 , 베트남에서 가장 큰

투자국이 되었습니다. 개발 협력(ODA),

관광 및 노동분야에서는 두 번째로

큰 파트너이고, 세 번째로 큰 무역

파트너이며 2021년에는 780억 달러에

달하는 양자 무역 거래액을 달성하여

2020년 같은 분기에 비해하며18.2%

증가 했습니다.

양측은 2015년부터 한-베트남

자유무역협정(VKFTA)을 체결해

현재 효과적으로 실행되고 있습니다.

베트남과 한국 간의 경제, 과학 및 기술

협력에 관한 정부간 위원회 , 원자력,

에너지 및 산업 협력에 관한 합동 장관급

위원회, 베트남-한국 부총리급 경제대화

와 같은 양자 협력 메커니즘이 계속

유지되고 있습니다.

COVID-19 전염병 예방을 위한 협력은

지난 시간 동안 양국 관계의 밝은

면이었습니다. 한국은 COVID-19

전염병 예방에 있어 우리를 가장 먼저

지원한 국가 중 하나입니다. 백신이

부족한 상황에서 한국 정부는 여전히

코로나19 전염병 예방을 위해 약 140

만 회분의 백신과 많은 의료 장비를

베트남에 지원하기로 결정하였고

동시에 CDC 질병 통제 센터를 건설하기

위해 베트남에 2억 5천만 달러 지원을

적극적으로 추진합니다.

두 나라 국민의 우호는 깊어가고, 양국

교류는 점점 더 활발해지고 있으며,

약 200,000명의 각 나라 국민이 다른

나라에 거주하고, 일하거나 공부하고

있습니다. 코로나19가 발생하기 전인

2019년도에는 한 해 동안 양국을 오가는

사람은 약 500만 명에 달하였고, 매달

수천편의 직항기가 있었습니다..

양국은 정기적으로 각국에서 6만여

가구의 다문화가족을 포함한 우호교류

활동을 조직하여 양국 국민간 이해와

신뢰를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현재 베트남의 76개 (성, 시, 자치단체)

가 한국의 자치단체 및 단체와 상호협력

협약을 체결하였습니다. 한국 투자자는

박닌, 하노이, 동나이, 하이퐁, 타이응웬,

호치민시에 집중되어 있고 59개 지역에

거주하고 있습니다.

다자협력에 대하여 양국은 긴밀한

교류를 유지하고 국제기구 출마를

위한 상호 지원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은 베트남이 2020~2021

년 유엔 안보리 비상임이사국, 2020년

아세안 의장국 역할을 다하도록 적극

지원하였습니다.

특히 한국-아세안, 메콩-한국 협력의

범위 내에서 다자간 및 양자간 협력

메커니즘을 긴밀히 조정하고 2021

년-2024년 기간에 베트남이 ASEAN

협력 관계의 조정국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였습니다.

30년의 새로운 발전을 향해

최근 박노완 주베트남 한국대사는

월드 앤 베트남신문과의 인터뷰에서

"견고하고 안정적인 발전"을 위한

베트남과 한국의 전략적 협력

파트너십을 강조했습니다.

특별히 글로벌 공급망 차질전 대부분의

한국 기업이 생산 시설을 베트남으로

이전할 때 "경제 협력관계의 필요성과

타당성"을 강조했습니다.

그는 최근 한국이 전략적 원자재 확보에

어려움을 겪을 때 베트남이 한국에 대한

요소 공급을 지원했다고 전했습니다.

이는 '밀접한 경제관계'가 더욱 깊어져서

양국이 서로를 지지할 수 있는 전략적

관계로 발전하고 있다는 증거입니다.

한국 외교관에 따르면 베트남은 2045

년까지 선진국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베트남의 가장 적합한 파트너는

단기간에 후진국에서 선진국으로 진출한

경험이 있는 한국입니다."

응웬 민 부 외무부

부장관은 미래에 대한 비전과 함께 이어

"2022년은 양국 수교 30주년이 되는

해이자 더 큰 목표와 성과로 양국의

새로운 발전 30년을 여는 해"라고

말했습니다.

양국의 협력 가능성과 기회는 여전히

매우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기회는

국제 및 지역 상황의 새로운 움직임

속에서 경제, 정치 및 외교등의 새로운

협력분야에 대한 양국 정상의 정치적

의지와 비전, 양국의 새로운 지위와

역량에서 비롯됩니다,

또한 양국의 역사와 문화의 유사성과

제도적 틀의 지속적인 강화, 신뢰가

두터워지며 , 인간 관계가 깊어지고,

베트남-한국 관계가 발전할 기회가

점점 더 많아지고 있습니다.

올해 양국 관계를 전면적인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격상하기로 합의한 것도

지난 30년간 양국 관계의 발전에 따른

결과입니다. 앞으로 양국 관계는 폭과

깊이가 모두 다양한 분야에서 계속

발전하여 양국이 지향하는 전략적이고

포괄적인 성격을 더욱 분명하게 보여줄

것입니다.

부이 탄 선 외무부

장관은 매일신문과의 인터뷰에서

"30년 전, 베트남과 한국은 과거를

연연하지않고 미래를 내다보는 정신으로

악수하고 수교하며 양국 관계 발전의

새로운 장을 열었습니다."

두 나라 관계의 눈부신 성과와 비젼을

보면 정말 '올바른 결정'이었습니다.

카안 린 (KHANH LINH)

“한국과 베트남은 외교 관계가 수립이 후 가장 발전한 시기에 있으며, 우리는 많은 분야에서 서로의 가장 중요한 파트너가 되었습니다.”

브엉 딩 후에 국회의장이 2021년 12월 14일 오후 한국에서 주한 베트남대사관 새 본부 명패 게양식에 참석했다. 사진: 베트남통신사

IV 30 NĂM QUAN HỆ NGOẠI GIAO VIỆT NAM - HÀN QUỐC

Thế mạnh miền “đất võ trời văn”

Thương hiệu môi trường đầu tư thông thoáng

Bình Định đã và đang “chuyển mình” trở

thành điểm đến đầu tư hấp dẫn của các

nhà đầu tư nước ngoài, trong đó có nhà

đầu tư Hàn Quốc.

V베-한 수교 30주년

투자자에게는 아무 장벽이 없다응웬 피 롱 (NGUYEN PHI LONG)

빈딘 성의 2022년 및 다음

해의 신규 투자유치 전략은

투자촉진, 행정개혁 및

기업지원에 중점을 두는

것이다. 빈딘 성은 산업개발;

관광개발; 항구 및 공항을

포함한 항만 및 물류 서비스

개발; 양에서 질로 첨단기술을

바탕으로 농림어업 개발;

도시화 과정과 함께 하는

도시경제 개발 등 5개 주요

분야의 핵심사업에 대한

잠재력과 강력한 브랜드를

가진 국내외 투자자를

유치하는데 중점을 두는

것 것이다. 동시에 20차 성

당대회 결의에 따라 투자환경

개선, 인적자원의 질적인 향상,

사회경제적 기반시설 완성,

성 북방의 성장 촉진 등을

돌파구로 한다.

"무예와 문학의 땅"의 강점

총 면적이 6,071km2인 빈딘

성은 중남부 해안에 위치하며

베트남 중부 핵심 경제 지역의

5개 성 중 하나이다. 중부와

서부고원(Tay Nguyen)의

다른 지역과 비교할 때 빈딘

성은 많은 장점이 있다.

첫째, 빈딘 성은 동남아시아에

전략적 위치를 가지고 있으며

퀴논 국제 항구를 통해 메콩

지역의 동해에 가장 가까운

관문이며 매우 편리한 교통

인프라를 가지고 있으며 도로,

베트남 횡단철도, 국제항공,

국제항로의 4개 노선 모두에서

남북 축의 중심에 위치한다.

퀴논 국제항은 베트남의 주요

항구 중 하나이며 바람의

영향이 적은 정박지와 대형

창고의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베트남에서 세 번째로 많은

통관 물량을 보유하고 최대

70,000톤의 선박을 안전하게

입출항할 수 있다. 퀴논

항구에서 한국 항구를 포함하여

아시아와세계 여러 국가의 주요

항구로 직접 갈 수 있다.

둘째, 빈딘 성에는 풍부하고

고품질의 인적 자원이 있다.

인구가 150만 명이 넘고 그 중

55% 이상이 노동 연령인 빈딘

성은 외국인 투자자에게 풍부한

인적 자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 지역에는 38개의 훈련

분야가 있는 퀴논 대학교, 8

개의 훈련 분야가 있는 꽝트룽

대학교, 5개의 훈련 분야가

있는 FPT 대학교 등 3개

대학이 있다. 현재 20,000명

이상의 대학생들이 학교에서

공부하고 있으며 매년 4,000

명 이상의 학생들이 졸업한다.

또는 5개 전문대학과

직업학교가 지역의 인적 자원을

훈련하고 제공하는 데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다.

빈딘 성은 현재 베트남의

과학 중심지로 간주된다. 매년

국제과학교육센터(ICISE)

에서 많은 국제 과학 회의가

개최되어 노벨상, 필드상,

쇼상, 카블리상을 수상한 수십

명의 교수를 포함한 수백 명의

교수와 여러 국가 및 지역의

주요 과학자가 참여한다.

셋째, 빈딘 성은 중부 해안

지역의 관광 중심지로 발전할

수 있는 많은 잠재력과 이점을

가지고 있다.

오랜 역사와 문화를 지닌

빈딘 성은 여전히 많은 귀중한

유무형 문화 작품을 보존하고

있으며 도아떤(Dao Tan),

도아쥐뜨(Dao Duy Tu),

쑤언지에우(Xuan Dieu),

제란비엔(Che Lan Vien),

이엔란(Yen Lan), 한막뜨

(Han Mac Tu)… 등 베트남의

많은 훌륭한 인재를 육성하는

곳이며 Tuong(전통 고전극),

Bai Choi(민요) 등 예술의

요람이며 오늘날까지 전해

내려오는 불멸의 따이선(Tay

Son) 전통 무술의 발상지이다.

베트남에서 빈딘 성만큼

134km 길이의 해안선을 따라

퀴논(Quy Nhon) 해변, 겐랑

(Ghenh Rang)해변, 뀌화(Quy

Hoa)해변, 바이자이(Bai Dai)

해변, 프엉마이(Phuong Mai)

반도, 덤티나이(Dam Thi Nai)

석호, 하이장(Hai Giang)

관광지, 논리(Nhon Ly)반도,

에오 지오(Eo Gio)만, 쭝르엉

(Trung Luong)해변, 빈호이

(Vinh Hoi)관광지, 화이하이

(Hoai Hai)마을... 등 많은

아름다운 해변과 관광지가 있는

곳은 거의 없다.

넷째, 빈딘 성은 역동적으로

발전하는 경제를 가지고 있으며

산업화와 현대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경제 성장률이 높은

베트남의 성 및 도시 중에

하나이다.

빈딘 성은 점차 성장의

핵심지역이 되어 중부지방의

핵심 경제지역의 도시 - 산업

- 서비스 중심지로 부상하고

있으며 중남부 지역, 서부

고원지역(Tay Nguyen)의

시장 확대에 기여하고 라오스,

캄보디아, 태국 시장으로

연결되는 가교 역할을 하는

중요한 국제 교류의 거점이다.

최근 몇 년 동안 빈딘 성은

경제성장 측면에서 볼 때

GRDP 평균 성장률이 상당히

좋으며 동시에 안정적인 정치

및 안보 배경을 가지고 있다.

이는 투자 유치를 촉진하기

위한 기본 조건이다.

개방적인 투자환경의 브랜드 구축

빈딘 성은 투자 및 비즈니스

협력 기회를 모색하는

투자자를 위해 가장 유리한

조건을 조성한다. 빈딘 성에

찾아오는 투자자가 어떤

장벽에도 직면하지 않을

것이며 빈딘 성은 투자자가

아이디어 형성부터 투자기회

모색, 프로젝트 구축, 프로젝트

개발까지 지원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것을

약속한다.

지난 동안 빈딘 성은

지속적으로 행정절차를

개혁하고 간소화했으며

애로사항을 긴급히 해결하여

개방적인 투자환경의 브랜드를

구축하는 데 기여했고 기업이

사업을 신속하게 전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투자 프로젝트의 형성과

시행을 위한 행정절차의

처리시간이 구체적으로

규정되어 있다. 정부의 규정에

비해 투자 증명서 발급

기한이 단축된다. 빈딘 성은

투자분야에서 행정절차를

수행하는 데 소요되는

총 시간을 32일에서 25

일로 단축하여 행정절차

개혁에 앞장서며 베트남

기획투자부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이에 따라 빈딘 성의 2021

년 지방경쟁력지수(PCI)는 "

보통" 등급(2020년)의 37

위에서 "좋음" 등급의 11위로

상승했다. 이는 코로나19가

확산하고 있는 복잡한 상황

속에서도 빈딘 성의 투자환경

개선을 위한 노력을 보여주는

성과라고 볼 수 있다.

지난 1년 동안 투자자들과

함께하기 위한 빈딘 성의

노력에 대한 "열매"를 맺었다.

코로나19 사태로 어려운 한

해를 보낸 빈딘 성은 여전히

긍정적인 성과를 거두어

중부지역의 투자 유치에 있어

높이 평가된다. 외국인 투자

유치와 관련하여 현재 4개의

프로젝트가 있으며 총 등록

자본금은 8034만 달러(2020

년에 비해 프로젝트의 수가

똑같으나 총 등록 자본금

521.83% 증가)이다. 누적

등록 자본금이 1조 880억

달러인 86개의 외국인 투자

프로젝트가 있으며 이 중에

총 등록 자본금이 8억 4,335

만 달러인 경제 구역 및 산업

구역에 38개의 프로젝트가

있다.

외국인 투자 프로젝트 중 현재

에너지, 의류 등 분야에서

한국 기업의 투자 프로젝트가

4개 있으며 총 등록

자본금은 9,774만 달러이다

. 프로젝트의 수량은 많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이러한

프로젝트는 매우 효과적으로

운영되어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고 빈딘 성에 대한

한국 투자 유치의 파급효과를

창출한다.

세계 투자의 새로운 물결에

직면하고 한국 투자자들의

투자 동향을 인지한 빈딘

성은 투자 유치 및 세계 통합

계획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기

위해 역동적이고 발전된

경제를 가진 한국의 투자자를

투자 유치의 대상으로

선택한다.

빈딘 성의 또 다른 잠재력과

장점은 이곳의 사람과 문화가

한국 기업과 한국 투자자의

투자 및 비즈니스 요구에

적합한다는 것이다. 한국

투자자가 전자부품 생산,

자동차산업 지원산업, 항구

기반시설, 산업단지 기반시설,

에너지, 관광, 첨단농업,

수산업, 폐기물 처리 등과

같은 지방이 촉진하고 있는

분야에서 투자할 수 있다.

중부 해안 지역인 빈딘 성은

빈딘 성에 찾아오는 모든

기업이 동등하게 대우받고

모든 기업이 메커니즘 및 정책,

계획, 투자기회, 비즈니스에

대한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가장 유리한 조건을 제공받을

것이라고 약속한다.

빈딘 성은 한국 투자자를 포함한 외국인 투자자에게 매력적인 투자처가 되기 위해 변신하고 있다.

2022년 4월 빈딘성 해변도로 프로젝트의 깟띠엔-지엠번(Cat Tien-Diem Van)구간 착공식.

빈딘성 인민위원회와 베트남 항공사들 간의 협력 협약서 체결식

VI 30 NĂM QUAN HỆ NGOẠI GIAO VIỆT NAM - HÀN QUỐC

Tình hữu nghị chưa hề thay đổi

Nhiều điểm sáng hợp tác

Ở thành phố Quy Nhơn (tỉnh Bình Định) có một tuyến đường mang tên Yongsan. Ở quận Yongsan (thành phố

Seoul) có một tuyến đường mang tên Quy Nhơn, Việt Nam.

VII베-한 수교 30주년

활발한 지방협력

한국에 있는 베트남

사람들에게는 "그리움을

일으키는" 장소인 퀴논길은

용산구 이태원 관광특구에

위치한 300m길이의 거리로

`퀴논정원`이라는 작은

정원과 베트남 식료품을 파는

가게들이 들어서 있으며거리의

담장에 베트남 상징 벽화가

있다.

베트남에 있는 한국인들은

용산이라는 길을 걷거나

퀴논시의 한옥정자를 방문할

때 고향에 대한 향수가 훨씬

덜하다. 한옥정자에는 두 지방

간의 오랜 우정의 증거로 "

형제정"이라는 표지판이 있다.

여전한 우호관계

한국과베트남의 수교가 30

년이라면 퀴논시와 용산구의

우호관계는 이에 못지 않다.

양 도시의 우호관계는 1996

년에 수립한 이래로 더욱

긴밀하고 실질적으로 발전해

나가고 있다. 특히 2016년 4

월에 용산국제교류사무소의

와 퀴논시 세종학당의 설치·

운영은 주목을 받았다.

방문 및 출장 외에도 퀴논시와

용산구는 체결된 상호협력

업무협약(MOU)의 내용을

실현했다. 용산구는 백내장

수술을 위한 수술실 건설

및 장비 구매를 위해 35억

VND 이상으로 시 보건소에

지원하고 코로나19 예방 및

통제를 위해 거의 80,000

개의 의료용 마스크와 500

개의 의료용 보호복을 퀴논

시에 기부해 많은 의미 있는

프로그램과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서울시 순천향대학교 부속병원

의사들은 매년 퀴논 시에서

가난하고 불우한 환자들을

위한 백내장 무료 검진 및

치료를 한다.

용산구는 숙명여자대학교에서

학사 및 석사 과정을 공부할 수

있도록 퀴논 시의 학생 9명과

공무원 1명을 후원했다. 또는 4

억 2천만 VND 으로 2억 VND

의 현금과 학용품과 220개의

장학금을 퀴논시의 불우한

학생들에게 전달했다.

2018년부터 현재까지

용산구는 매년 레퀴돈(Le

Quy Don) 영재고등학교에

한국유학 장학금 하나를

후원해왔다. 조선대학교는

퀴논 공과대학의 강사를 위해

박사과정 한국유학 장학금

하나를 후원했다.

2012년부터 2021년까지

실시된 '해피 하우스' 사업은

퀴논시의 예산 이외에

용산구와 새마을운동

용산구지회, 용산구 단체 및

개인이 프억미(Phuoc My)

마을의 빈곤가정을 위해 35억

VND 이상으로 21채 주택의

건립을 지원했다.

또한 용산구는 해피

하우스사업의 지원 대상인

프억미 마을의 빈곤가정이

가축, 차량 등을 구입하여 생활

조건을 개선하고 빈곤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2억 1천만

VND 이상을 지원했다.

4월 말 두 도시의 자매결연

26주년 기념식에 퀴논

시를 방문하는 동안 성장현

용산구청장은 코로나19

대유행의 지난 2년간 많은

것이 변화했지만 용산구와

퀴논시의 형제정이 여전하다며

아직 해보지 못한 일들과 오랜

시간 쌓아온 감정들이 모든

어려움과 장애를 이겨낼 수

있는 힘이 되어준다고 말했다.

주목받는 협력사업

빈딘 성은 주목받는 퀴논-

용산 형제정 외에도 한국의

각 지방과 한국 파트너와의

포괄적인 협력을 촉진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빈딘 성과 한국 측 간의

접촉, 연락 및 정보교환은

정기적으로 유지된다. 협력 및

투자 기회를 모색하는 한국

기업 및 투자자와의 회의

빈도가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빈딘 성 지도자는 2019년 12

월에 주베트남 한국 대사관

정우진 총영사, 2020년 11

월에 주베트남 한국 대사관

박노완 대사와의 면담을

가졌다.

면담에서 양측은 빈딘 성과

한국 지방 및 파트너 간의

협력 관계, 특히 가까운 장래에

빈딘 성에 투자 촉진 활동을

강화하기 위해 많은 중요한

정보를 교환했다.

의료분야에서는

한국국제협력단(KOICA)

을 통해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이 푸퐁(Phu

Phong)종합병원(현재 Tay

Son면 보건소임) 에 총액 18만

5천 달러 이상의 의료기기를

지원했다. 성 보건기관은

현재 한국 정부가 약 350만

달러의 총 예산을 지원하는

퀴논시 의료센터에 의료 장비

공급사업을 구현하기 위해

한국수출입은행과 협력하고

있다.

교육훈련 분야의 협력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졌다. KOICA

는 용산구의 주도적 역할

외에도 퀴논 공과대학의

교육훈련을 위해 총 250

만 달러를 지원했다. 퀴논

공과대학에서는 40명의

관리자와 교사를 파견하여

한국의 연수 과정에 참석했고

동시에 많은 한국 전문가와

KOICA 자원 봉사자가 이

대학교의 직업훈련 등을

지원한다.

또한 한국 기업인들은 레퀴돈

영재 고등학교와 뒤프억(Tuy

Phuoc)면의 여러 학교의

우수한 학생들에게 많은

장학금을 수여했다. HDC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는

용산구 캠페인을 통해 32

억 VND 이상의 금액으로

프억미 마을에 유치원 건립을

후원했다.

한국어 교육을 위해 퀴논

세종학당에서는 1,150

여명의 공무원, 대학생, 학생

등을 대상으로 10개 과정 55

반의 무료 한국어 교육과정을

마련했다.

스포츠분야에서 KOICA

자원봉사자들의 도움으로 빈딘

성 태권도 대표팀의 실적은

전국 대회에서 점차적으로

향상되었으며 특히 성의

선수들이 선수권 대회, 전국

태권도 대표팀 컵 및 전국

청소년 대회에서 메달을

획득했다.

한국 파트너들은 또한

사회보장 사업에서 빈딘성과

동행한다. 한국 정부가 2

천만 달러의 예산으로

KOICA를 통해 후원한 한국

베트남 전후 지뢰 피해 극복

협력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빈딘 성은 KOICA, UNDP

및 VNMAC와 협력하여

지뢰제거를 실시해 거의 5,000

헥타르에서 거의 70,000개의

폭탄과 지뢰와 모든 종류의

폭발물을 회수했다. 빈딘 성와

한국 파트너들은 장애인과

지뢰 피해자 삶의 질을

향상시키도록 한-베 평화마을

프로젝트의 2단계 구현을 위해

지속적으로 협력하고 있다.

빈딘 성이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인 목적지로 부상하고

있다는 맥락에서 양측 간의

투자협력은 빼놓을 수 없다.

중남부 해안 지역에 위치한

빈딘 성은 국제항구, 완성된

교통인프라 및 화물운송을

위한 다양한 교통수단 등의

장점을 갖추어 중부 핵심경제

지역의 5개 성 중 하나이다.

빈딘 성에는 등록자본금

총액이 10억 8800만 달러로

외국인 투자 프로젝트가 86

개 있으며 이 중 한국 기업의

투자 프로젝트가 등록자본금

총액 9774만 달러로 4개가

있다. 에너지, 의류 등 분야의

프로젝트는 매우 효과적으로

운영되어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고 빈딘 성에 대한

한국 투자 유치의 파급효과를

창출한다.

빈딘 성은 투자 및 비즈니스

협력 기회를 모색하는

투자자를 위한 가장 유리한

조건을 조성한다. 지난 3

월에 진행된 한국과의 투자

촉진 온라인 컨퍼런스와 5월

12일과 13일에 열린 Meet

Korea 2022 프로그램은 빈딘

성의 잠재적인 이점을 한국

투자자들에게 알리기 위한

빈딘성의 노력의 일환으로

빈딘 성을 비롯한 베트남

중부지역 및 서부 고원지역

(Tay Nguyen)의 국제협력

증진 및 외국인 직접투자

유치를 강화한다.

홍푹 (Hong Phuc)

퀴논 시(빈딘 성) 용산거리가 있으며 용산 구(서울 시)에 베트남 퀴논거리가 있다.

VIII 30 NĂM QUAN HỆ NGOẠI GIAO VIỆT NAM - HÀN QUỐC

Khởi đầu tốt đẹp

Không ngừng thúc đẩy

Nhận thấy thế mạnh của các doanh nghiệp Hàn Quốc phù hợp với lĩnh vực mà tỉnh thu hút đầu tư, trong

những năm qua, Bình Định không ngừng tăng cường các hoạt động xúc tiến, thu hút đầu tư của Hàn

Quốc vào Bình Định với nhiều hình thức và hoạt động khác nhau nhằm giới thiệu tiềm năng, thế mạnh

của tỉnh đến các nhà đầu tư Hàn Quốc.

IX베-한 수교 30주년

좋은 출발점한국기업들이 빈딘성에

투자하는 것을 유치하기 위한

강화활동들의 출발점은 2018

년5월 17일부터 6월 27일까지

한국에서의 투자유치활동을

곱을 수 있다. 처음으로

빈딘성의 인민위원회 호꾸억중

주석이

투자유치간사단을 이끌고

한국을 방문한 것이다. 이

간사단은 전문적인 자료부터

홍보까지 치밀하게 준비했다.

그 결과 한국파트너들의 큰

관심을 끌었다.

한국을 방문하는 과정에서

빈딘성의 지도자들은

한국산업기술협회

(KOITA, 8600개의 단원),

한국무역투자진흥기관

(KOTRA), 효성그룹(

산업용 원사), SH그룹(

부동산프로젝트 개발), LG

화학(석유화학), K-Eco그룹

(환경 처리), 인천항, 인천-

IFEZ자유경제구역관리사무실,

CJ그룹(식품), 삼성엔지니어링

(폐기물처리), AFG(

자문, 에너지)등과 같은

한국의 큰 기업들과 직접

면담했다. 특히 외무청 및

한국산업기술협회, 그리고

주한 베트남대사관이 협력해서

빈딘성 투자촉진회의를 위한

면담활동들을 전개했다.

한국투자 파트너들은 항만

문제, 교통인프라, 인력,

투자수속 등에 대한 관심을

보여줬다. 이 외에 빈딘성 젋은

사업가협회의 대표와 PISICO

그룹 및 년호이 A (Nhon Hoi A, 년호이 공업단지에 속함)

공업단지가 한국기업들에게

빈딘성을 소개하고 유치활동을

벌였다. 양국 기업들은

구체적인 분야와 업종들에

대한 정책들을 의논하고

토론했다.

투자유치를 위한 한국방문은

일차적으로 좋은 성과를

거뒀다. 특히 2018년 11

월에 빈딘성 인민위원회와

한국산업기술협회(KOITA)가

체결한 MOU는 상기할 만하다.

이 MOU는 한국기업들과

빈딘성의 기업들 간의 협력

관계를 촉진하기 위해서

한국산업기술협회의 김이환

상임부회장이 이끄는 방문단이

뀌년에서 빈딘성과 체결한

것이다.

끊임없는 추진

그간의 성과에 이어서 서울시

용산구 지도자들의 초청을

받아 빈딘성과 뀌년시의

대표단, 그리고 인민위원회

주석이자 빈딘성의 공산당성위

부비서인 호꾸옥중(

단장이 2019

년 10월 10일부터 10월 15

일까지 한국을 방문했다. 이

방문에는 용산구 구청장의

도움으로 빈딘성은 한국에서

투자촉진회의를 성공적으로

열수 있었다. 이 회의에는

베트남 시장에 관심을

가지고 빈딘성에 투자할

의사가 있는 한국의 250

여개의 기업이 참여했다. 이

방문 이후로 삼성엔지니어링

– 베트남유한책임회사,

HANA E&C유한책임 회사

같은 한국의 큰 기업들이

투자하기 위해서 수도물처리

및 공급공장과 5성 관광호텔과

관련해서 빈딘성을 직접

여러번 방문하여 우대정책

등을 포함한 투자가능성을

검토했다.

코로나 팬테믹의 영향으로

인해 현재 빈딘성이 한국에서

추진하려는 투자유치활동들은

일시적으로 중지되었다.

그러나 빈딘성은 다른

다양한 방식으로 한국의

파트너들과 연결하고

의논하여 투자협력추진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그 중에 베트남 주베

한국대사관과 외교부가

공동으로 주최한 “한국을

만나다, 2020년”회의에

빈딘성 인민위원회 부주석

응웬피롱

단장과 단원들이 참여했다.

이 회의에는 한국의 400여

기업들이 참여했다. 이어서

2021년 3월 23일에 빈딘성

인민위원회가 Becamex IDC

그룹과 협력하여 빈딘성의

잠재력과 강점들을 한국의

투자가들에게 홍보하는 온라인

투자촉진회의를 개최했다. 이

회의에서 빈딘성은 베트남

내외에서 활동하고 있는 한국

투자가들이 빈딘성에 투자할

수 있는 환경 및 기회들을 직접

검토할 수 있도록 방문초청을

진행했다.

한국투자가들을 대상으로

2018년부터 펼친

적극적이고 자율적이며

굳은 결심으로 시작한

투자유치활동으로 베트남

빈딘성이 한국투자가들의

새로운 도착점이 되기를

희망한다. 그리고 이

목표를 현실화하기 위해서

빈딘성은 한국파트너들이

성에서 투자하도록 구체적인

방법들을 지속적으로

모색하는 중이다. 능동적으로

투자환경을 개선하고, 열려

있는 정책 기제를 구축하며,

한국투자가들을 끌만한 매력을

창출하고 회의와 세미나를

개최하여 빈딘성이 추진하고자

하는 프로젝트들을 적극적으로

소개하고, 한국파트너들에게

적합한 투자방식을 조성하는

등의 구체적인 활동들을

펼치는 중이다.

한국파트너의 빈딘(Binh Dinh) 성 유치를 강화한다한국기업이 지닌 장점들이 빈딘성의 투자유치 항목들과 적합하기 때문에 지난 몇년간 빈딘성은 한국투자를 유치하는 다양한 형식으로 많은 활동들을 강화했다. 이를 통해서 한국투자자들에게 빈딘성의 잠재력과 강점들을 소개했다.

안논군 산업단지에 위치한 100% 한국 자본을 가지고 있는 세플러스(Sepplus) 빈딘 의류수출 공장에서 일하는 근로자의 모습.

베트남 캄시스(Cammsys)유한책임회사의 목표는 한국 전기자동차가 빈딘성을 포함 한 베트남 시장을 정복하는 것이다.

X 30 NĂM QUAN HỆ NGOẠI GIAO VIỆT NAM - HÀN QUỐC

Phòng KHCN và Hợp tác quốc tế, Trường Đại học Quy Nhơn:Địa chỉ: 170 An Dương Vương, Thành phố Quy Nhơn, Tỉnh Bình Định;

Website: https://en.qnu.edu.vn;

Email: international@qnu.edu.vn;

TRƯỜNG ĐẠI HỌC QUY NHƠN:

퀴논사범대학은 1977년 설립된

공립대학으로 교육훈련부 산하

대학이다. 특히, 베트남 중부와

서부고원(Tay Nguyen) 지역에 대한

양질의 인적 자원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2003년에 퀴논대학교(QNU)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여러 전공, 여러

분야를 교육하는 이 학교는 현재 약

750명의 강사와 행정직원이 있는데 그

중 34명의 부교수 및 207명의 박사를

포함된다. 이 학교에서는 자연과학과

사회과학 및 공학, 경제, 금융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47개 대학과정,

24개 석사과정, 03개 박사과정

등에 참여하는 학생 1만4,000

명을 양성하고 있다. 퀴논 대학교는

현재와 같은 국제통합 상황 속에

대학 국제화를 촉진하는 것이 세계로

뻗어나가는 가장 좋은 방향이라고

두기 때문에 교육, 과학 연구 및

기술 이전 등에 대해 유럽, 아시아 및

동남아시아의 많은 파트너들과 협력

관계를 구축, 개발 및 유지해왔다.

이 학교의 국제협력 프로그램은

벨기에VLIR-UOS 이 후원하는

IUC 프로그램과TEAM 프로젝트,

유럽 위원회가 후원하는 EMMA 14

프로젝트와 Erasmus+ 프로젝트 및

HR4 프로젝트 등이다. 한국 파트너에

대해, 퀴논대학교는 퀴논시 주재

용산구 대표사무소의 연결을 통해

여러 기구, 대학, 연구소 등과 협력에

첫발을 내디뎠다. 구체적으로 아래와

같다.

1. 숙명여자대학교

아태여성정보통신원(APWINC)와

협력하여 퀴논 대학교의 여학생들을

대상으로 리더십 및 정보통신 기술

교육 프로그램을 개최한다.

2. 한-베 우호협회와의 유대관계를

확립하였으며 매년 한-베 우호협회는

퀴논 대학교의 가난하고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생들을 지원하기 위해

장학금을 수여한다.

3. 한양대학교와 협력하여 퀴논

대학교의 학생들과 한양대학교 봉사단

간의 언어, 문화 교류 활동을 개최한다.

4. 한-베 문화교류센터를 통해

서울대학교와 협력하여 빈딘성 지역의

일부 중고학교에서 정수 시스템을

설치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5. 가장 최근인 2022년 4월 26일

퀴논시와 용산구 간의 우호협력 26

주년 맞이하여 용산구와 전북대학교

대표단이 퀴논을 방문한데 퀴논

대학교는 문화, 언어에 관한 용산구와

협력 협약서를 체결했고 학생 및 강사

교류활동에 관한 전북대학교와 협력

협약서를 체결한다.

퀴논 대학교는 앞으로 한국

파트너들과 체결한 협력 프로그램을

현실화하기를 바란다. 특히, 퀴논

대학교는 문화, 언어 교류뿐만 아니라

연구 교류, 학술교류 및 대학교육

협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하는데 이를

통해 양측의 지속 가능한 발전과

끈끈한 관계 증진시키는데 기여하기를

바란다./.

퀴논대학교

개발을 위한 연결

XI베-한 수교 30주년

한국과 베트남 서로의 가장 중요한 파트너

지난 시간 동안 양국의

협력은 다양한 분야에서 많은

실질적인 성과를 거두었고

그중 주목받는 무역과 투자에

대한 협력으로 경제협력이

여전히 중요한 기둥이었다.

최대의 투자국

베트남과 한국은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관계를 나날이

발전시켜 나가고 있으며

한국은 베트남의 주요 경제

파트너 중 하나가 되었다.

2022년 3월기준 786

억 달러의 누적 투자액과

9,265개의 프로젝트로 전체

외국인 투자의 18.6%를

차지해 한국은 베트남의 최대

투자국이다. 한국 투자자의

프로젝트 규모는 평균

프로젝트당 790만 달러이다.

또한 양국 간의 2021년 무역

규모는 약 780억 달러로

한국은 베트남의 세 번째로

큰 교역 상대국 (중국과

미국 다음으로)이 되었다.

한국직접투자기업은 베트남

총 수출액의 30% 이상을

기여한다.

한국직접투자기업, 특히 삼성,

LG, 한화, 두산, 현대, 포스코

등과 같은 한국의 대기업은

베트남 지방의 경제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베트남이

특히 전자, 자동차, 기계, 야금

등의 분야에서 글로벌 가치

사슬에 더 깊고 광범위하게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최근 몇 년 동안 한국의

투자자본 흐름이 베트남의

외국인 직접투자 유치의

전략적 목표로 올바르게

향하고 있기 때문에 투자 총액

외에도 자본흐름의 측면을 볼

때도 한국이 베트남의 중요한

투자국이 되었다. 한국 기업은

의류에서 전자; 인프라에서

에너지; 자동차에서 항공우주;

제조, 부동산, 은행 및 금융,

스타트업에서 공기업 민영화;

물류에서 서비스에 이르기까지

베트남 경제의 모든 영역에

진출해 있다.

이를 통해 경제 구조 조정에

기여하고 공업, 건설, 농업,

관광, 서비스, 수출 등의

분야를 촉진하여 베트남

전국의 많은 지역에서

700,000명 이상의 근로자를

위한 일자리를 창출한다.

한국 투자자의 많은

프로젝트는 규모가 크고

빠르게 진행하고 사회경제적

영향이 크고 베트남의 전략적

공급망 구축에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다. 최근 삼성,

LG, 포스코, 현대, 롯데 등

대기업이 수십억 달러의

투자액으로 베트남에 투자한

대규모 프로젝트에 따라 많은

위성 투자자를 유치했다.

한국 투자자는 베트남의 59

개 성 및 도시(석유개발지역

포함)에 있다. 박닌 성은

베트남에 대한 한국의

투자금액 측면에서 최고의

지역으로 한국의 베트남 총

투자액의 약 14.9%, 두 번째는

하이풍 성으로 11.2%, 세

번째는 하노이로 10.8%를

차지한다. 동나이 성, 타이응옌

성, 호치민 시가 그 뒤를

이었다.

한국 투자자들은 자금

투자뿐만 아니라 근로자를

위한 주택 건설, 도로 및

인프라 건설 지원, 의료장비

지원, 도서 후원, 장학금 후원

등의 활동을 통해 지역 사회와

함께 사회적 책임을 수행하고

있다.

광범위하고 실질적이며 효과적인 협력

투자 활동과 함께 양국 간

교역규모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2019년에는

약 700억 달러에 달했다.

그 다음 2년 동안 코로나

19 대유행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양국 간 교역규모는

여전히 증가하고 있다. 2021

년 양국 간 교역액은 781억

달러로 2020년 대비 18.33%

증가하며 그 중 한국에 대한

베트남의 수출액은 14.9%

증가한 219억 달러, 수입액은

19.7% 증가한 562억 달러를

기록했다.

양국은 경제, 무역 및 투자

협력의 질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2023년까지 양국

교역액을 1,000억 달러,

2030년에는 1,500억 달러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기로

합의했다.

한국 자본 흐름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단계는

노동 집약적 투자 프로젝트와

전자 부품 및 장비 생산하는

프로젝트이다. 그러나 다음

단계는 단순히 직접 투자가

아닌 간접 투자에 초점이 맞춰

변경되었다.

SK그룹이 빈그룹(Vingroup)

에 10억 달러, 마산그룹

(Masan Group)에 4억 7

천만 달러를 투자하거나 KEB

하나은행이 BIDV 지분의

15%를 인수하는 등 한국

기업들은 많은 베트남 기업의

주식을 인수했다. 현재

베트남에서 활동하고 있는

한국금융투자협회(KOFIA)

의 16개 회원사는 수십억

달러의 투자액으로 주식과

주식파생상품 거래 시장에

참여하고 있다.

한국 및 세계 여러 나라의

대규모 고객 네트워크 덕분에

한국 기업 및 베트남 대기업에

금융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금융분야에서 한국 기업의

베트남 진출이 증가하고 있다.

이들은 모두 강력한

재정능력과 낮은 가격으로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기업이다. 이에

베트남에서 활동하는 9,000

개 이상의 한국 기업에 대한

금융지원 과제로 금융은행은

가까운 장래에 한국의 강력한

투자 물결이 예상되는

분야이다. 또한 한국 기업들은

금융기술(핀테크) 분야에

막대한 투자를 할 준비가

되어 있으며 이 분야에 대한

베트남의 법적 틀이 곧 완성될

예정이다.

베트남 경제는 개방성이

크며 안정적으로 발전하며

각 부처 및 지역이 아시아의

경제강국인 한국의 투자사업

개발의 강점에 따른 방향으로

투자유치에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향후에도

한국 기업들이 베트남 시장에

계속 투자할 것이다.

한국과 베트남의 협력은

무역, 투자, 문화교류, 관광,

인적자원개발 등 대부분의

분야에서 광범위하고

실질적이며 그 중 경제협력이

중요한 축이다. 2015

년 12월에 발효된 한베

자유무역협정(VKFTA)은

경제 협력, 무역 및 투자가

훨씬 더 강력하고 효과적으로

촉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한국은 또한 베트남과 많은

양자간 및 다자간 FTA, 특히

AKFTA, VKFTA, RCEP

등과 같은 차세대 협정을

체결한 몇 안되는 국가 중

하나이다. 또한 정부간 위원회,

부총리급 경제대화; 에너지,

산업 및 상업 협력에 관한

공동위; 한-베 FTA 공동위

등과 같은 베트남과 많은 협력

메커니즘을 가진 국가이다.

협력 메커니즘

중에서는 주목받는

지역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

(RCEP)의 일환으로 베트남과

한국은 서로에게 중요한

파트너이며 협정 발효를 위한

비준 절차를 곧 완료한다.

이는 양국이 공동으로

양자 협력활동을 추진하고,

서로의 주요 무역 및 투자

파트너로서의 지위를 계속

강화하고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심화시키는 중요한

기반이 된다.

관세 특혜(2040년까지

베트남과 한국 간의 수입관세

최소 92% 철폐 포함), 규정과

표준의 조화, 수출 절차 축소를

통해 이 협정은 양국 경제계가

투자와 기업 협력활동을

촉진할 수 있는 유리한 여건이

계속 조성될 것으로 기대된다.

주반 (Chu Van)

30년의 수교를 통해 한국과 베트남은 서로에게 매우 중요한 파트너가 되었다.

한국에서 베트남과 한국 기업 간의 비즈니스 교류.

응웬홍지엔(Nguyen Hong Dien)베트남 산업무역부 장관과 문승욱 한국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협력 협약서를 체결하였다.

XII 30 NĂM QUAN HỆ NGOẠI GIAO VIỆT NAM - HÀN QUỐC

Thu hút thêm doanh

XIII베-한 수교 30주년

베트남-한국자유무역협정

(VKFTA)이 2015년부터

정식으로 체결된 이래

양국간 무역이 빠르게

발전해 나가고 있습니다.

그에 따라서 베트남과 한국

무역총매출액은 2016년에

비해 79% 상승한 807억

달러에 달했습니다. 2022

년 1월부터 3월까지의

무역량은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27% 증가했습니다.

양국은 2023년에

무역총매출액 1.000억 달러 달성의 목표를 세웠지만 제가

보기에는 무역총매출액은 그보다 더 일찍, 아마 올해에

1.000달러에 도달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한국기업들의 투자가 증가하면 할수록 쌍방 무역량이

지속적으로 상승할 것이고 베트남은 가장 좋은 투자지로

입증될 것입니다. 그 이유는 첫째, 1억 명의 인구를 가진

베트남은 생산을 위한 인력을 충분히 공급할 수 있고,

내수시장의 규모도 유망합니다. 둘째, 삼성, Intel, Foxconn

같은 세계적인 그룹이나 기업들은 외국투자자에게 우대가

적용되는 베트남에서 투자규모를 확장할 추세입니다.

마지막으로 인도-태평양지역의 중심지에 위치한 베트남은

동아시아의 무역센터가 될 만한 지리적인 장점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베트남은 또한 열려 있는 무역정책을

적용하고 있는 국가이며 유럽연합-베트남 자유무역협정

(EVFTA), 포괄적 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

(CPPTPP),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과 같은

세계적인 자유무역협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나라이기도

합니다.

주베트남 한국대사관, 명문기 무역담당관

외교관계를 맺을 때부터 베트남과 한국의

경제협력관계가 나날이 강력하게 발전해 나가고

있습니다. 베트남은 항상 한국 신남방정책의

중요한 파트너이며 최고우대 대상국입니다.

KOTRA 사무실이 싱가포르에서 하노이로

옮겨진 것 또한 베트남의 국제적인 지위와 발전

잠재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앞으로 양국은 지속적으로 긴밀한 협력, 특히

RCEP과 VKFTA같은 새로운 자유무역협정에

의해 2023년에 쌍방 무역총매출액이 1000억

달러의 목표에 도달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서 베트남과 한국은

구체적인 활동계획들을 세웠고 기본적으로는 4

가지 방향으로 전개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첫째, 한국기업들이 베트남에서 경영하도록

유치하길 강화하는 것입니다. 둘째, 팬데믹

시기에 베트남에 있는 한국기업들이 생산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생산이 끊기지 않도록,

한국으로 수출하는 가치를 상승하도록 보장하는

조치로 한국기업들의 활동을 지지하는 것입니다.

셋째, 베트남기업과 한국기업의 경쟁능력을

향상할 수 있는 모든 조건, 양국 기업이 무역을

강화할 수 있는 조건들을 집중적으로 조성하는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공급망의 간접적인

단절을 줄이는 데에 협력을 강화하는 것입니다.

2022년 4월말까지 외국 총투자비율의 18.6%

를 차지하며 총누적투자자본은 786억 달러에

이르고, 9272개의 프로젝트를 함께하는

한국은 현재 베트남에서 1위 외국투자자

(FDI)입니다. 베트남은 앞으로 계속 한국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인 땅이 될 것입니다.

글로벌 공급망(GVC)을 건설하는 데에도

베트남은 한국기업들의 관심을 가장 많이 받는

국가입니다.

한국과 베트남의 협력은 여러 분야에서

전개되고 있습니다. 특히 전자제품생산,

자동차부품, 금속, 기계, 플라스틱, 하이텍크

산업 등이지요. 양국은 디지털기술, 생명공학,

스마트농장 등과 같은 새롭고 잠재적인 산업에

공통의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베트남에

한국투자의 잠재력은 여전히 유망합니다.

한국투자자들은 빈딘성의 잠재성을

높이 평가합니다. 빈딘성은 2021년에

지방경쟁력지수(PCI)가 68.32점을

달성함으로써 11위에 도달했고, ‘좋음’

으로 나왔습니다. 2020년에 비해 26단계를

상승한 빈딘성은 행정개혁, 경영환경개선 및

투자유치환경에 대해서 상당히 많은 노력을

보여줬습니다.

현재, 4개의 한국 FDI 프로젝트가 빈딘성에서

진행되고 있으며 총투자액이 744만 달러에

달합니다. 그런데 제가 보기에는 행정수속분야의

개선과 투자우대정책에서 보이는 빈딘성의

노력은 앞으로 더 많은 FDI투자금을 유치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KOTRA하노이 사무실 신남방정책 국가위원, 박민준 베트남 경영협력센터장

베트남-한국 무역총매출액이 1.000억 달러에 육박하다

베트남은 한국 신남방정책의 최고우대 대상국이다

1992년 외교관계를 맺을

때부터 한국과 베트남은 짧은

기간에 경제적 파트너의

관계에서 놀랄만한 성과들을

이룩했고 현재도 이루어 내고

있습니다.

기획투자부의 통계에 따르면

2021년 12월까지 베트남에서

한국의 투자 프로젝트수가

9200여건, 총누적투자액이

747억 달러에 달하고 있으며

베트남에 투자하는 영토 또는

국가들 가운데 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한

세계적인 경제침체 상황에서도

베트남 경제는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이

성장력이 계속 앞으로 나가기

위해서는 제가 보기에 FDI

기업들을 유치하는 것이

핵심적인 열쇠입니다.

FDI기업들이 자주 겪는

어려움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가 한국에서처럼

‘외국투자검사체계’

를 적용하길 제안합니다.

이 체계는 1999년에

설치되었는데 FDI기업들이

겪고 있는 어려움들을

발견하고 효율적으로 해결하여

투자환경을 개선함으로써

외국투자를 더욱 확장하는데

유용합니다.

한국에서 외국투자검사는

대통령에 의해서 임명되며

재정, 세금, 법률, 노동과

같은 분야에서 종사하는

전문가들과 중앙과 지방정권과

협력해서 이루어집니다. FDI

기업들의 어려움들은 전문가의

직접방문, 온라인, 이메일

등을 통해서 접수되고요.

접수된 어려움은 유관기관의

관리체계에 기록되고

관리됩니다. 그리고 최종

해결된 결과는 기업에게

공식적으로 통보됩니다.

따라서 ‘외국투자검사’

가 어려움들을 해결하는

업무는, 현장답사를 통해서

문제를 깊이 검토함으로써,

유관기관의 부서나 기업

대표의 토론을 통해서 얻은

피드백을 받는 것보다

적극적이고 효율적으로

운영됩니다. 그 외에도

검사 사무실에서 해결하는

절차가 통과될 때마다

기업에게 업데이트를 해주고

언제든지 다른 질문들을

받을 준비 상태에 있습니다.

외국투자검사는 APEC같은

국제공동체의 큰 관심을 받고

있으며 러시아와 브라질에서

모범적인 모델이 되기도

했습니다.

현재, 베트남은

외국기업협회와 FDI

기업협회가 어려움이나

건의사항의 발생시 접수받기

위한 채널이 많습니다. 그러나

실제로 보면 답변 시간이

느리거나 명확하지 않는

부분도 많습니다. 추적관리도

실시되지 않는 상태입니다. 그

외에도 어려움들을 접수하고

해결하는 방식에 대한 규정이

확립되지 않아서 기업의

오해를 많이 불러일으키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래서 어려움을 빠르게

접수하고 정책개선방안을

제출하여 어려움들을 해결하는

데 필요한 업무를 지원하고

해결하는 전부의 과정을

추적관리하는 시스템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해

보입니다. 제가 생각하기에

이는 베트남정부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는 데 기여할

뿐만 아니라, 외국투자확장과

유치에 더 좋은 결과를 가져올

것임을 확신합니다.

주베트남 호치민 한인상공인연합회(KORCHAM), 손영일회장

(출처: 2022년 투자신문)

FDI기업을 더 끌어 들이는 일은 성장의 핵심적인 열쇠이다

XIV 30 NĂM QUAN HỆ NGOẠI GIAO VIỆT NAM - HÀN QUỐC

Chúc mừng bạn đã giành giải Đặc biệt của cuộc thi! Cơ duyên nào đã dẫn bạn tới cuộc thi thiết kế logo kỷ niệm 30 năm thiết lập quan hệ ngoại giao Việt Nam - Hàn Quốc?

Hãy chia sẻ về quá trình lên ý tưởng của bạn để thiết kế một logo ấn tượng và ý nghĩa như vậy?

Thông qua tác phẩm của mình, bạn muốn gửi gắm thông điệp gì?

Cảm xúc của bạn khi giành giải Đặc biệt của cuộc thi và chứng kiến tác phẩm do mình thiết kế chính thức trở thành logo kỷ niệm 30 năm thiết lập quan hệ ngoại giao

Việt Nam - Hàn Quốc?

Nhìn vào tác phẩm có thể thấy hẳn bạn phải say mê với văn hóa Hàn Quốc. Bạn thấy những điểm tương đồng giữa văn hóa Việt Nam và Hàn Quốc?

Xin cảm ơn bạn!

Sinh viên Ngô Quang Trung, tác giả logo chính thức kỷ niệm 30 năm thiết lập quan hệ ngoại giao

Việt Nam - Hàn Quốc, đã chia sẻ về quá trình lên ý tưởng thiết kế logo thể hiện tình hữu nghị bền

vững giữa hai nước.

“Việc công bố logo chính thức là hoạt động mở đầu cho chuỗi các sự kiện, giao lưu văn hóa sẽ được tổ chức trong năm 2022 để kỷ niệm 30 năm thiết lập quan hệ ngoại giao hai nước” .

Ngô Quang Trung là sinh viên năm thứ 4, học tập trong lĩnh vực khoa học máy tính của Đại học Quốc gia TP.HCM, nhưng lại có niềm say mê với thiết kế. Trung đã tự học thiết kế logo và đang tham gia làm công việc thiết kế logo tự do.

XV베-한 수교 30주년

특별 로고 디자인을 통한 한국-베트남 우호

양국 대사관이 공동으로

주최한 한-베 국민 로고

디자인 공모전에 참여한 774

작품을 이기고, 응오 꾸앙

쭝대학생의 작품은 특별상으로

선정되었고 공식적으로

한국과 베트남 수교 30주년을

기념하는 로고가 되었다.

응우 꾸앙 쭝의 작품은 2022

년 한-베 수교 30주년을

기념하는 각종 언론매체와

행사에 활용될 것이다.

지난 코로나 팬데믹을

극복하기 위해서 한국정부와

한국국민이 베트남 인민에게

100여만 도즈 아스트라제네가

백신과 600여만 의료 장비들을

지원한 게시물을 우연히

읽었습니다.

이 의미 있는 지원은

저에게 인상적이었고

감격스러웠습니다. 팬데믹을

막고 빠른 시일 내에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양국의

지도자들과 국민의 협력과

노력이잖아요.

그래서 한국 정부와

국민으로부터 받은 그 지원을

기억하고 감사한 마음을

표현하려고, 제가 할 수 있는

어떤 일을 하고 싶었습니다.

생각은 행동으로 옮겼지요.

제가 한국이란 나라와

한국사람에 대한 정보를

찾아보기 시작했습니다. 원래

김치의 천국으로 불리는

한국을 잘 몰랐거든요.

제가 원래 디자인에

열정적이었는데 한-베 수교

30주년 기념 로고 디자인

공모를 읽자마자 창의성을

동원해서 주저없이 참여하기로

결심했습니다.

제가 30년간 한국과 베트남의

우정을 상징하는 30가지의

다른 의미를 지닌 총 30

개의 디자인을 콘테스트에

제출했습니다.

제일 많은 디자인 로고를 보낸

사람인지 모릅니다. 하지만 이

숫자를 통해서 수교 기간에

대한 인상을 주고 싶었습니다.

공모전에 대한 저의 진지함과

열정도 전달하려고 했고요.

디자인 작품들에서 저의

모든 아이디어를 표현하고

싶었습니다. 한국의 국화와

베트남의 별이나 베트남의

물소와 한국의 태극을 결합한

디자인이나, 두 나라 국기에

비둘기 날개를 그린 디자인

예로 들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도 콘테스트를 통해서

제가 한국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찾게 되었습니다.

한국을 알아가면 갈수록

흥미롭습니다. 밤 늦게까지

새우면서 사이트들을 뒤지고

한국의 전통 복장, 한국의

색감, 태극기의 의미 등을

검토했습니다.

제가 IT광이어서 과학기술이나

컴퓨터에 대한 관심만

가졌기에 문화나 사회 분야에

대한 지식은 짧습니다. 그러나

이 콘테스트를 참가하면서부터

제가 문화적인 지식을 배우기

시작했어요. 그래야 전면적인

시야로 깊이 있는 작품들을

디자인 할 수 있겠더라고요.

이번 수상한 작품은 3가지의

기준으로 만들었습니다.

그것은 우호적인 협력, 동등한

쌍방, 그리고 지속가능한

연결입니다.

로고에서 우호적인 협력은 3

수와 0수의 엮음으로써 마치

두 나라의 우호적인 악수를

연상케 합니다. 한국과

베트남의 우호수교관계 30

주년을 상징한 숫자이기도

하지요. 연속적이고 끝이

없는 평행선은 숫자 30을

더 유연하게 만들려고 한

것이고요.

특히 베트남의 규문각(奎文閣)

과 한국의 광화문(경복궁의

정문), 두 나라의 대표적인

랜드마크와 양국 국기에

등장한 별과 태극의 원을

같이 중앙에 배치했는데 이는

동등과 쌍방의 의미를 표현한

것입니다.

두 나라 국기의 대표적인

색인 빨강과 파랑을 조화롭게

엮었고, 두 랜드막크 바로

밑에 연결하는 두 개의 다리

이미지를 결합해서 나눔과

협력, 지속가능한 관계의

상징으로 했습니다.

두 나라에서 온 775명의

출품작이 넘치는 "숲"

한가운데, 아직 어리고 경험이

많지 않은 제가 감히 많은 것을

바라지 않았거든요.

그래서 콘테스트 결과

통보전화를 받았을 때 제가

엄청 떨렸고 사실 믿기지도

않았어요. 제가 부모님께

소식을 전했을 때에도

부모님은 장난인 줄 알았어요.

하노이에서 열린 한-베

수교 30주년 로고 발표식에

초청되어, 수상을 하고서야

비로소 부모님이 사실인 걸

믿었어요.

최근에 주베트남 한국대사관

외벽에 걸린 패널에 로고가

엄숙히 새겨진 걸 알아

봤는데요. 제 작업이 이렇게

유용하고 정중하게 쓰인 걸

보고 더욱 더 영광이라고

생각합니다.

작품을 보니까 쭝이

한국문화에 매료되어 있는 것

같아요. 본인이 보기에 베트남

문화와 한국 문화가 어떤

유사점을 공유하고 있나요?

사실 저는 김치, 김밥, 떡볶이

같은 요리나 다른 많은

베트남 젊은이들처럼 한국

음악을 통해서만 한국을

알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가족과 함께 한국에 가서

실제로 한국을 경험할 기회를

생각하고 있습니다.

제가 보기에는 베트남과

한국의 문화는 생활 양식과

음식에 많은 유사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베트남에서 많은

한국 식당과 음식이 현존한

것을 보면 알 수 있는데,

한국음식은 저와 같은 다른

젊은이들에게 어필과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Thu Trang기자

한국과 베트남 수교 30주년을 기념하기 위한 공식 로고를 제작한 응오 꾸앙 쭝(Ngo Quang Trung)대학생이 인터뷰를 통해서 두 나라의 지속 가능한 우정을 보여준 로고 디자인 아이디어를 공유했다.

주베트남 한국대사관 외벽에 걸린 패널에 정중하게 새겨진 로고.

(주베 대한민국대사관 대사박노완)

XVI 30 NĂM QUAN HỆ NGOẠI GIAO VIỆT NAM - HÀN QUỐC

Tiềm năng phát triển nông nghiệp

Tiềm năng phát triển công nghiệp

Tiềm năng phát triển du lịch

Thành phố Buôn Ma Thuột có diện tích tự nhiên là 37.718 ha chiếm khoảng 2,87% diện tích tự nhiên

của tỉnh Đắk Lắk, gồm 13 phường và 8 xã với hệ thống giao thông gắn kết địa phương và các vùng phụ

cận gồm đường bộ và đường hàng không.

XVII베-한 수교 30주년

부온 마 투옷(BUON MA THUOT)시, 떠이 응웬 (TAY NGUYEN)지역의 핵심도시

부온 마 투옷은 종종 축소된 작은

베트남으로 비유한다. 이 도시에는

54민족 가운데 40여 형제의 민족이

기거하고 있으며, 그 가운데 낀(Kinh)

족이 85%정도 차지하고 있고, 나머지

15%는 다른 민족들이다. 자연의

혜택과 인간의 노력으로 부온 마

투옷은 자연호수와 인공호수, 그리고 이

호수들과 숲이 이어지는 곳, 커피농장,

고무농장, 소수민족마을 등으로

유명하다. 이 모든 공간은 상쾌하고

청정한 도시 분위기를 만들어 주고

있으며, 매력적이고 활기찬 관광지로

기억에 남는다. 커피, 후추, 코코아,

아보카도, 옥수수를 비롯해서 여러 콩

종류와 같은 다양하고 풍부한 농산물들

가운데에서도 가장 으뜸인 농산물은

오래전부터 세계적으로도 유명한

커피다. 부온 마 투옷은 베트남에서 ‘

커피의 수도’로 불린다. 현재 부온

마 투옷은 ‘세계적인 커피도시’로

발돋움하기 위한 프로젝트를 세우는

중이다.

농업 발전 잠재력

지속가능한 고품질 농업을 집중적으로

발전시키고 유기농 농업의 발전을

우대한다. 농업과 관광을 연결한다.

가치의 체인을 따라서 농업과

과학기술을 연계한다. 가공업과 시장을

연결한다. 농산물 생산 및 판매공정에

과학기술의 진보들, 특히 자동화를

적용한다. 시의 특산물로 여겨지는

농산물을 브랜드화, 시장화한다.

현재 부온 마 투옷은 지속적으로

투자유치 분야들의 목록을 마련하고

있으며, 이 중에 농업분야에는 4개의

프로젝트가 있다.

- 프로젝트 01.

프로젝트 명: 첨단기술을 응용한

농업생산구역

위치: 에아까오

규모: 70 ha

생산품목: 경작(최고급 야채, 꽃, 과일)

투자 유치 형식: MTV 부온 마 투옷

커피 유한책임회사 소유 토지

토지사용현황: 시청이 관리하는

연계토지로서 회사는 토지를

임대하거나 가치의 체인을 따라

농업구역들과 연계할 수 있다.

총 비용(가산): 817억 VND

- 프로젝트 02.

프로젝트 명: 첨단기술을 응용한

농업생산구역

위치: 화쑤언 면

규모: 300 ha

생산품목: 경작, 사육, 농산물재배 및

보관

투자 유치 형식: 드라이 흐링

커피 유한책임 회사의 토지

토지사용현황: 농업구역들은 커피를

재배하고 있다. 따라서 회사는

토지를 임대하거나 가치 체인을 따라

농업구역들과 연계할 수 있다.

총 비용(가산): 15.000억 VND

- 프로젝트 03.

프로젝트 명: 가축, 가금 사육구역 및

집중도축장

위치: 끄에부르

규모: 32 ha

생산품목: 사육

투자 유치 형식: 인민의 농토. 회사가

농토임대를 협상함

총 비용(가산): 1.200억 VND

- 프로젝트 04.

프로젝트 명: 가축, 가금 사육장 및

집중도축장

위치: 화카인 면

규모: 40 ha

생산품목: 사육

투자 유치 형식: 인민의 농토다. 회사는

토지임대를 협상한다.

총 비용(가산): 1.400억 VND

공업발전 잠재력

가공업과 경쟁성이 높은 공업에

집중한다. 예를 들면 태양광 전기생산,

농업생산, 사육을 위한 기계제조공학,

소프트웨어 공업, 과학기술연구 및

응용, 자동화 등이다. 부온 마 투옷

시는 전자경제, 창조와 스타트업과

같은 4차 산업혁명분야와 관련되는

첨단기술지구를 건설 중에 있다. ‘국립

창조 및 혁신센터’와 연계해서 부온 마

투옷시에서는 떠이 응웬지역의 중점 ‘

창조 및 혁신센터’를 건설한다.

투자받은 과학기술의 인프라체계로

부온 마 투옷시는 화푸

공업단지, 떤안 1-2공업구 및

공업단지 외에도 생산업 위주로 수백

여 종류의 프로젝트를 유치했다. 부언

마 투옷시에는 현재 큰 규모의 공장들이

있다. 그들은 사이곤 맥주공장,

안타이 커피공장, 쭝응웬

커피공장, 동남아철강공장

등이다.

관광, 여행 발전 잠재력

여행과 관광업을 우대하며 고품질

관광에 집중한다. 농업, 임업, 자연풍경,

소수민족의 문화 및 공동체와 연결되는

관광유형에 집중한다.

문화적, 역사적 유적들은 부온 마

투옷시를 방문하는 국제관광객을

유치하는 데 중요하고 주된

관광자원이다. 부온 마 투옷시는 역사

및 문화 유적지가 5군데 있는데, 모두

국가급이나 성급 유적지들이며, 그 중에

국가급 유적지는 4군데이다. 특색이

강한 전통적 축제들은 재조명되고

있으며 더욱 활발하게 발전하는

추세이다.

매해 부온 마 투옷시에서는 다양한

축제들이 열린다. 대표적으로 부온 마

투옷 커피축제가 2년에 한번 열린다.

그 외에 33개 소수민족 공동체와

마을에서의 전통 축제와 제례들은 부온

마 투옷시의 특색을 형성한다. 일명 ‘

도시 속의 마을’이다. 이는 관광업,

여행업을 개척하는 데에 있어서 자연과

더불어 사회적인 장점이다.

닥락 외무청

부온 마 투옷시는 자연면적이 37.718ha이며 닥락(Dak Lak)성의 자연면적 중 2.87%를 차지한다. 부온 마 투옷시에는 13개의 동과 8개의 면이

있다. 특별한 위치에 있기 때문에 부온 마 투옷은 인근 지역들과 항공과 도로망으로 연결되어 있다.

세계 커피 박물관(출처: 닥락성 홈페이지)

부온 마 투옷 시의 중심 (출저: 부온 마 투옷시 홈페이지)

XVIII 30 NĂM QUAN HỆ NGOẠI GIAO VIỆT NAM - HÀN QUỐC

Kết tinh của sự hợp tác

Vươn lên trở thành số "1"

Từ mối lương duyên

hợp tác giữa Tập

đoàn Thành Công (TC

Group) và Hyundai

Motor, sau 13 năm,

Hyundai vươn lên vị

trí số 1 tại thị trường ô

tô Việt Nam, đóng góp

mạnh mẽ vào sự phát

triển kinh tế - xã hội

nói chung.

XIX베-한 수교 30주년

2009년 9월에 TC그룹은

베트남에서 현대의 승용

및 승합 자동차 단독 유통

파트너가 되었다. 이 시점은

현대자동차란 브랜드가

베트남에 등장한지 3년이

된 시점이었다. 그러나 당시

유통업체와 한국에서 온

현대자동차는 예상한 매출을

계속 달성하지 못한 상태였고,

베트남 시장에서 그 지위를

마련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초창기에 베트남 국내

시장에서 잘 팔리는

현대자동차의 i10, Elantra,

Santa Fe모델은 사실상

수입되었다. 그런데2011

년에 현대-TC 자동차조립-

생산공장이 1단계에

가동됨에 따라서 Avante

모델이 베트남에서 조립되기

시작했고, 현대자동차가

베트남 시장에서 조립생산해서

내놓은 첫 모델이 되었다. 이

시기에 현대자동차 판매 1

위 모델은 Grand i10이었고

인도에서 수입된 모델이었다.

그러나 2014년 12월에

TC그룹이 자동 용접

로봇시스템을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가장 비싼

자동차모델인 Santa Fe

를 베트남에서 생산할 수

있게 되었다. 그때부터

현대자동차는 나날이 발전을

거듭했다. 한편 현재까지

베트남 시장에서 조립생산하는

이 한국 자동차 브랜드의

주력들은 다음과 같다.

Elantra (2016/7월), Grand

i10 (2017/7월), Tucson

(2017/8월), Accent (2018/4

월), Kona (2018/8월), Santa

Fe All New (2019/1월)

등이다.

TC그룹이 현대자동차와 힘을

합쳐서 베트남에 조립공장을

세운 시점에서 보자면, 완전

수입되는 자동차를 애호하는

시장분위기와 함께 경쟁

파트너들이 수입차 목록을

확장하고 있는 추세에 따라서,

합리적이지 않은 전략으로

보는 시선도 있었다. 그러나

시간은 TC그룹의 결정이

옳았음을 입증했다.

협력의 결정체

2009년부터 현재까지, 13년이

지난 그 시간만큼 TC그룹과

현대자동차가 협력한 여정은

잊을 수 없는 흔적들을 남겼다.

2009년에 승용 및 승합

자동차를 유통하는 파트너부터

인연을 맺기 시작했지만, 2017

년 9월에 TC-현대 상용차

벤처(HTCV), 즉 현대 상용차

모델들을 유통하는 업체가

이미 만들어져 있었다. 이는 두

파트너의 넓고 깊은 협력의 한

장면을 기록한 사건이다.

그 다음에, HTMV, 즉 현대-

TC 자동차생산공장이 두

파트너를 본격으로 연결했고,

이곳에서 생산된 자동차의

품질이 그에 따라 높아졌다.

2021년 4월에 베트남

현대-TC자동차 기업(HTV),

승용차 유통업체가 정식으로

설립되었다. 이때부터 TC

그룹과 현대자동차는

자동차 생산부터 유통까지,

승용차부터 상용차까지

전면적으로 협력하는 인연을

맺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든든한 공동체를 만들었고

베트남 소비자들에게

현대자동차란 이름을 신뢰할

만한 브랜드로 각인시켰다.

1위에 오름

TC그룹과 현대자동차가

정식으로 협력한 첫 해에는

현대자동차 모델 매출은

6.335대였고 시장점유율 7%

에 시장규모 4위에 머물러

있었다. 그런데 그 이후

현대차란 브랜드의 경영실적은

매해 증가했고 시장점유율과

시장에서의 순위도 상승했다.

2010년에 3위에 올랐고,

2019년부터 현재까지는

시장에 제일 많이 팔리는

자동차로 1위를 차지하고

있다. 판매 매출은 2019

년, 2020년, 2021년에 각각

79.569대, 81.368대, 70.518

대였다.

이러한 성공은 현대자동차의

파트너인 TC그룹의 노력에서

비롯되었고, 결정적인 요인은

베트남시장에 현대의 세계적인

모델들을 생산할 수 있는

생산라인의 설치였다. Santa

Fe나 KONA같은 세계시장에

등장한 현대자동차의 모델들이

빠른 시일 내에 베트남에서도

등장했고, 세계시장에서와

같은 품질과 성능을

지니고 있다. 현대자동차의

모델들은 디자인에서의

아름다움, 설비에서의

현대성, 운행에서의 신뢰성과

안전성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이는 소비자들이 선택하는

결정적인 요인들이다.

한편, TC그룹이 설립한 R&D

센터에는 베트남 소비자들의

자동차 사용요구에 대한

많은 연구들을 진행했다. 그

결과, 현대자동차에서 이전된

기술들과 함께 보다 현지에

적합한 개선들이 이루어질 수

있었다.

현대자동차가 승용차뿐 아니라

상용차 차급도 중요시하고

있다. 소형 트럭모델부터 대형

트럭 모델까지, Solati같은 16

인승 승합차나 County같은 29

인승 승합차, Universe같은

45인승 승합차 또한 베트남

시장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2021년 판매보고서에 따르면

현대의 Accent모델이 판매 1

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19.956

대가 팔렸고 B사이즈 Sedan

차급에서 1등을 차지했다.

2위는 현대의 Santa Fe

이고 12.126대가 팔렸으며

SUV 7인승 차급에서 1등을

차지했다. Tucson, Grand

i10 같은 다른 모델들이 해당

차급에도 상위권에 속하고

있다.

유의할 점은 베트남 시장에서

팔리는 현대자동차 모델들

거의 100%가 닌빈(Ninh

Binh)성에 있는 현대-TC

자동차공장에서 생산된

모델들인 점이다. 이는 내수

생산을 강화하는 정책으로

가격이 낮춰지고 품질은

유지되어서 더 많은 소비자가

자동차를 소유할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TC그룹이 노력한

결과가 아닐 수 없다.

현대가 베트남의 1등 브랜드가 된 과정베트남 TC그룹과 현대자동차의 13년 인연으로 현재 현대는 베트남 자동차 시장에서 1위를 차지하는 브랜드가 되었고 전체적으로 경제-사회의 발전에 크나 큰 기여를 하고 있다.

베트남 TC-현대자동차 생산라인

베트남 TC-현대자동차 생산공장 모습

XX 30 NĂM QUAN HỆ NGOẠI GIAO VIỆT NAM - HÀN QUỐC

Tiếp nối thành công của công ty mẹ CAMMSYS và tăng tốc chiến lược đưa Việt Nam

trở thành đầu cầu cho thị trường toàn cầu

Công ty cổ phần CEVO Mobility (www.cevo.co.kr) là công ty con của CAMMSYS Corp., Ltd., được thành lập vào ngày 01/04/2021, sau khi tách ra từ bộ phận sản xuất ô tô điện của CAMMSYS. Theo đó, ngoại trừ mảng ô tô điện, CAMMSYS vẫn tiếp tục điều hành hai mảng kinh doanh khác (Camera Module, Bảo mật thông tin sinh trắc học) và niêm yết trên sàn chứng khoán KOSDAQ, còn CEVO là pháp nhân chưa niêm yết và chỉ tập trung thực hiện dự án ô tô điện.

Ông PARK YOUNG TAE đồng thời là người đại diện của CAMMSYS và CEVO Mobility.

XXI베-한 수교 30주년

쎄보모빌리티, K-초소형 전기차 업고 아세안 시장 공략에 속도모기업 캠시스의 성공 계승 도전 베트남을 교두보로 글로벌 행보 가속화

한국의 e모빌리티 전문기업이자 초소형 전기차 시장의 강자인 쎄보모빌리티(대표이사 박영태)가 글로벌 시장으로 사업 영토를 확장한다. 특히 모기업 캠시스 이어‘초소형 전기차’로 베트남에서 또다른 성공을 이끌어내고 아세안 시장까지 적극 공략한다는 계획이다.

쎄보모빌리티(이하 ‘쎄보’)는 한국 판매

1위를 통해 검증된 경쟁력과 자체 기술

보유라는 장점을 살려 베트남 현지화를

진행할 계획이다. 쎄보는 출시 1년만에 한국

초소형 전기차 부문에서 1위(판매 대수

기준)를 차지했다. 이듬해인 2021년에도

1위 자리를 유지하며 업계 내 명실상부한

리더 기업으로 자리잡았다. 특히, 2021

년 4월에는 모기업 캠시스로부터 분사해

독립된 전기차 전문기업으로 재탄생했다.

한국 강소기업 중에서 유일하게 차량

설계부터 개발, 디자인까지 자체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차량 소재 및 배터리를

포함한 성능 향상을 위해 연구개발(R&D)

투자의 비중을 매년 늘려오고 있다는 점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요소다.

회사 관계자는 첫 해외 진출지로 베트남을

선택한 이유를 “자체 조사 결과 글로벌

시장 중 초소형 전기차에 대한 수요가 특히

높을 것으로 파악했다”며, “오토바이가

제1의 교통수단이지만 안전과 편의성을

고려할 때 초소형 전기차가 훌륭한 대안이

될 수 있다. 대기오염, 친환경 에너지 등에

대한 높아지는 관심 또한 긍정적인 요소”

라고 설명했다.

쎄보는 전략적 투자(SI), R&D 및 기술이전

등 다양한 부문에서 협업할 수 있는

베트남 파트너를 찾고 있다. ‘전기차

생산기반 마련’을 출발점으로 베트남이

동남아시아의 전기차 핵심 거점으로 성장

할 수 있도록 R&D를 포함한 관련 기술을

이전할 계획이다. 전기차 부품산업 육성

및 관련 인력 양성에도 적극 지원한다.

파트너는 전기차 독자 설계와 부품 개발

능력, 전기차 전문인력을 확보하게 되며

카셰어링, 물류, 배달 등의 쎄보 노하우도

공유하게 된다. 베트남 중앙ㆍ지방 정부는

전기차 수출 기지를 구축하고 전기차 산업

선진국 진입을 위한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쎄보는 지난해 12월 하노이‘VIMEX

PO 2021’과 올해 3월 타잉화 성에서

열린 ‘MEET KOREA 2022’에 참가해

본격적인 해외 진출을 위한 비즈니스

활동을 진행했다. 특히, ‘MEET KOREA

2022’에서는 응우옌 반티 타잉화성 투자

부성장과의 개별 간담회를 통해 베트남

내 초소형 전기차에 대한 규정과 제도적

지원을 요청했다. 또, 타잉화성과 같은

친환경 도시를 초소형 전기차 시범운영

도시 지정을 제안해 지방 정부로부터

긍정적인 반응을 얻기도 했다.

박영태 대표는 "베트남은 인구가 1억명이

넘어 내수 규모가 크고, 초소형 전기차가 잘

쓰일 수 있는 요소를 두루 갖춘 매력적인

시장”이라며, “쎄보모빌리티가 한국에서

초소형 전기차의 대중화와 물류, 배달,

공유 차량 비즈니스에 기여를 했듯,

베트남에서도 관련 산업 발전의 원동력이

될 수 있도록 지역내 기업들과 협업하며

기여하고 싶다”고 말했다.

(끝)

XXII 30 NĂM QUAN HỆ NGOẠI GIAO VIỆT NAM - HÀN QUỐC

Vừa qua, Công ty TNHH điện Nghi Sơn 2 [NS2PC – liên doanh giữa KEPCO Hàn Quốc (50%) và Tập đoàn

Marubeni (40%), Công ty Tohoku (10%) (Nhật Bản)] tổ chức lễ khánh thành Tổ máy số 1 Dự án Nhà máy

nhiệt điện BOT Nghi Sơn 2 tại Khu kinh tế Nghi Sơn, thị xã Nghi Sơn, tỉnh Thanh Hóa. Đây là dự án đầu

tư nước ngoài lớn thứ 2, mang đậm dấu ấn hợp tác quốc tế giữa Việt Nam với Hàn Quốc và Nhật Bản, đi

vào vận hành và mang lại hiệu quả kinh tế to lớn.

XXIII베-한 수교 30주년

응이손2 석탄화력발전소 건설과 운영

프로젝트는 설계용량이 1,200MW로

2018년에 착공했으며 한국전력공사·

일본 마루베니 그룹·도호쿠 전력이

총 투자액 약 28억 달러를 투자한

대규모 사업이다. 이 발전소는 고효율로

초초임계압(USC)을 활용하여 석탄

소비량, 온실 가스 배출 및 기타 환경

문제를 크게 줄이는 데 기여하는

베트남에서 몇 안 되는 석탄화력 발전소

중 하나이다.

한국전력공사는 송전·배전·

판매를 독점하고 있는 한국 최대의

국영기업으로 알려져 있다. 한전은

원자력, 풍력 및 석탄 발전프로젝트를

포함한 전력 프로젝트의 개발, 송배전

및 발전 프로젝트 개발을 담당한다.

또한 한전은 27개국 41개 프로젝트에

투자하고 있으며 탱화 성 응이손 2

석탄화력 발전소 프로젝트는 그 중

하나이다.

공사기간 동안 코로나19대유행 사태,

원자재 가격 상승 등 여러 어려움을

겪어야 했지만 탱화 성 당국들의

결심과 주민의 지지, 투자자와의

원활한 업무협조 등으로 프로젝트가

계약일정대로 완료되었다. 일정에 맞춰

완료되었을 뿐만 아니라 공사 중에

프로젝트는 항상 국제 안전 표준을

준수했다.

NS2PC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프로그램을 통해 생계, 의료, 교육,

생수공급, 주거위생환경 등 지역 사회의

발전을 지원하는 데 특별한 관심을

기울였다.

NS2PC의 지원과 관련하여 쩐빈투언

(Tran Binh Thuan) 하이하(Hai Ha)

읍 인민위원회 위원장 은 하이하읍의

연 사회화 수입은 거의 2억 동이나

현재까지 하이하읍에 대한 NS2PC가

실제적인 사회 보장 프로젝트를 통해

100억 동을 지원했다며 NS2PC가

지난 3년 동안 지원한 만큼의 자금을

모으는 데 50년 이상이 걸린다고 한다.

(하이하읍은 NS2PC가 사회 보장

프로그램을 구현하기 위해 지원하는 3

개의 읍 중 하나이다)

2022년 1월 11일 공식적으로 가동

개시한 응이손2 석탄화력 발전소의

1호기는 남북 500KV 송전선로에

성공적으로 연결돼 국가 전력망에

연결됐다. 전체 발전소는 2022년 7

월까지 상업가동될 것으로 예상되며

생산, 영업 및 600만 가구 이상에

전력을 공급할 것으로 예상된다.

응웬번티(Nguyen Van Thi) 타잉화성

인민위원회 상임 부위원장에 따르면

응이손2 석탄화력 발전소의 1

호기가 공식적으로 가동된 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고 한다. 1

호기가 가동되면 연간 약 39억kWh

의 전력을 공급할 예정이다. 특히

코로나19 사태로 많은 어려움이 있는

가운데 1호기 준공은 공사 과정에 대한

투자자들의 큰 결심과 노력이 보일

수 있다. 이 프로젝트는 건설-운영-

양도의 형태로 투자되며 25년 후에

베트남 전력공사에 양도될 것이다.

이는 또한 응이손 경제구역에서 응이손

정유·석유화학플랜트 프로젝트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외국인 투자 프로젝트이며

베트남 정부와 한국 정부, 일본 정부

간의 좋은 협력관계를 보여주는

프로젝트이다.

프로젝트 실행 중 외국 전문가들의

지원에 대해 응웬번티 상임부위원장은

이 중요한 프로젝트에 탱화 성을

투자하도록 선택한 한국과 일본

투자자들의 협력을 높이 평가한다.

동시에 성의 당국들, 지역 주민, 특히

응이손2 전력회사와 업체의 전 직원이

어려움을 극복하고 1 호기를 가동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고 칭찬했다.

응웬번티 상임부위원장은 또한 2호기를

준공하고 전체 프로젝트를 상업가동에

들어가기 위해 성의 당국들, 특히

응이손 경제구역 관리위원회, 응이손군

당위원회, 응이손군 인민위원회, 사업

주변지역의 당위원회와 인민위원회 및

주민들이 한국 투자자와 일본 투자자와

저극적으로 협조해 프로젝트 수행

과정에서 가장 높은 책임을 가지고

문제와 애로사항을 적시에 제안하고

해결해야 한다며 투자자가 가장 유리한

여건으로 프로젝트를 구현하도록 보안

- 질서, 사회 안전을 보장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위의 지시에 따라 응이손2 전력회사는

앞으로 한전·일본 마루베니 그룹·

도호쿠 전력와 긴밀히 협력하여 2

호기 건설을 위해 최대의 재정자원,

인적자원, 장비 및 기계를 준비하고

계약일정을 보장하고 노동 안전과

환경위생을 절대적으로 보장하고

건설 과정이 사업지역의 생산활동과

국민들의 생활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고 동시에 코로나19 를 안전하고

유연하며 효과적으로 통제하도록 한다.

응이손2 석탄화력발전소의 효과적인

건설 및 운영은 국가 에너지안보를

보장하며 산업 및 일상 생활을 위한

전력 수요를 충족하며 노동자를

위한 일자리 창출하며 타잉화 성의

사회경제적 발전에 크게 기여한다.

동시에 화력발전소 개발에 있어

일반적으로 베트남과 한국 간의

성공적인 국제협력의 사례가 되며 특히

한국 및 일본 투자자와 타잉화 성의

성공적인 협력의 사례가 되어 투자

유치에 강력한 파급효과를 창출하고

타잉화 성을 비롯한 중북부 지역과

베트남의 산업화 및 현대화 과정을

가속화하는데 기여한다.

PV

최근 응이손2(Nghi Son 2) 전력회사[NS2PC– 한국전력공사(50%)와 마루베니그룹 (40%), 도호쿠 전력회사(10%)(일본)의 합작회사임]가 타잉화성 응이손군 응이손 경제구역에서 응이손2 석탄화력발전소 건설및 운영사업(BOT) 1호기 준공식을 개최했다. 이 프로젝트는 베트남, 한국, 일본 간의 국제협력의 프로젝트이며 두 번째로 큰 외국인 투자 사업으로 알려져 있으며 가동되어 막대한 경제적 이익을 가져왔다.

타잉화 성의 응이손 2 석탄화력발전소 한국과 베트남 간의 국제협력의 주목할 만한 사업

XXIV 30 NĂM QUAN HỆ NGOẠI GIAO VIỆT NAM - HÀN QUỐC

Chiến lược kinh doanh độc đáo

Phát triển bền vững, đón đầu tương lai

Vượt mặt các hãng dược phẩm quốc tế, Bidiphar hiện đứng số 1 tại Việt Nam về số

lượng hoạt chất điều trị ung thư đấu thầu trong bệnh viện. Sắp tới, dòng sản phẩm

thuốc điều trị ung thư đạt chuẩn GMP-EU ra mắt sẽ là bệ phóng để Bidiphar bứt phá

mạnh mẽ.

XXV베-한 수교 30주년

차별화된 경영전략

설립되고 발전한지 42년이 지난

Bidiphar는 오늘날까지 진취적이고

공격적 경영으로 매출액이 수백억동에

이르는 베트남의 첨단 제약기업이다.

이 성과를 이를 수 있었는 이유는

Bidiphar가 과학기술과 연구에

끊임없이 투자하는 데 집중했기

때문이다. 특히 암치료약제와

신장투석액을 제조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품 시리즈는 설비, 기술, 인력과

장기적인 연구기간을 요구하기 때문에

베트남에서 모든 제약사가 할 수 있는

일은 아니다.

2008년에 Bidiphar는 ‘Made in

VietNam’의 암치료제를 연구하고

생산하는 전략을 수립하여 시행하기

시작했으며, 2010년에는 베트남에서

이 특별한 약품을 성공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유일한 업체로 발돋움했다.

현재 40여종에 이르는 암치료제가

암환자들을 전면적으로 치료할 때

필요한 약들을 제공할 수 있으며,

Bidiphar는 전국 암치료제시장에서 5

위를 차지하고 있다. 더불어 2021년

SSI Research에 따르면 암치료약제

수량에 있어서는 Bidiphar가 1위를

유지하고 있다.

지난 10년동안 병원들의 신뢰를 얻은

주사용 암치료제 시리즈의 성공에

이어서 「암치료제인 Anastrozole,

Letrozole, Capecitabine의 알약생산

기술공정에 대한 연구」란 Bidiphar

의 연구프로젝트는 2021년말에

통과되었고, 베트남에서 암치료제에

있어서 선구적인 발전의 전환점을

마련했다. 국가급 프로젝트인 이 연구는

과학기술부의 3.500억동 연구비로

진행되었다. 현재 알약으로 된 암치료제

생산라인이 가동될 예정이다. 더불어

투자된 주사용 암치료제생산 라인이

GMP-EU기준에 달한 것은 Bidiphar가

베트남 암치료제시장의 으뜸 기업으로

성장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암치료제품 시리즈 이외에도 Bidiphar

는 현재 의료기관에서 신장투석액 관련

제품들을 공급하는 첨단기업이기도

하다. Bidiphar의 이 제품 시리즈는

사실 세계의 큰 약제들과 직접적으로

경쟁하고 있으며 2025년에 베트남

시장 점유율 30%를 목표로 하고 있다.

지속가능한 발전의 미래를 마주한다

현재 Bidiphar의 제품 품목에는 300

여 제품이 있고 이 제품들은 베트남 63

개성에 있는 1.550개의 병원과 15.000

여 약국에 납품되고 있다. 빈딘(Binh

Dinh)성에 위치한 공장 시스템 외에도

Bidiphar는 17지사와 1.134명의 젊은

전문직 직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들은

북부에서 남부에 이르기까지 근무하고

있다.

든든한 지반 위에 회사는 시장

점유율을 확장해 나가고 있으며, 생산과

경영결과도 나날이 좋아지고 있다.

2018년 Bidiphar는 정식으로 DBD주식

코드로 HOSE 증권시장에 상장했다.

팬데믹 시대임에도 불구하고 Bidiphar

는 튼튼하고 강력하게 성장하고

있다. 2021년 매출이 16.347억동에

이르며, 이는 9% 증가한 수치다.

세금공제전 이익은 2324억동으로

29% 상승했으며, 매해 20%에서 30%

로 정도로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Bidiphar는 지분의 구조를 다양화하고,

외국투자를 유치하여 외국약품회사들과

협력하고 투자를 보다 수월하게 받을 수

있도록 장외주식거래를 계속 100%로

늘리고 있다.

Bidiphar의 회장, 팜티투흐엉(Pham

Thi Thanh Huong)CEO는 암치료제와

신장투석액을 주력제품으로 결정하고

경영전략으로 선택하는 일에 대해서

사실 충분한 성장잠재력을 가지고 있지

않고서는 도전할 수 없는 일이라고

밝혔다. Bidiphar는 제약과 경영 40

여년의 경험과 함께 선구적으로

과학연구에 투자했기 때문에

첨단기술을 요구하는 특별한 제품

시리즈를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성공할 수 있었던 것이다. 앞으로

GMP-EU기준에 따른 알약과 주사용

암치료제를 생산하는 2라인이 가동되면

Bidiphar는 국제시장과 국내시장을

확장할 수 있는 돌파구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소비자의 신뢰를 가치의 기준으로

삼는다는 경영철학으로 거의

반세기동안 Bidiphar는 품질이 좋은

제품들로 소비자들의 신뢰를 얻었고

이를 발판으로 약품시장에서 회사의

위상을 높여왔다. 앞으로 Bidiphar

는 첨단기술로 선구적인 약제

특별치료제품들을 연구하고 개발해

나갈 것이다. 이 제품들은 Bidiphar

가 차별화된 회사로 2025년까지

베트남 톱5 약제회사들 가운데 하나로

발전해나가는데 경쟁력있는 든든한

발판이 될 것이다.

여러 국제적인 제약회사들을 뛰어넘어서, Bidiphar는 현재 병원에 입찰하는 암치료약제로 베트남시장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앞으로 GMP-EU기준을 통과한 암치료 약제 시리즈가 시장에 등장할 계획이며 이는 Bidiphar에게 강력한 돌파구가 될 전망이다.

빈딘 제약회사차별화된 경영전략으로 강력하게 돌파한다

XXVI 30 NĂM QUAN HỆ NGOẠI GIAO VIỆT NAM - HÀN QUỐC

Hợp tác phục vụ chiến lược phát triển bền vững của BIDV

Hợp tác trong hành trình thực hiện các nhiệm vụ của đất nước trong thời đại mới

Ngày 11/11/2019, BIDV đã chính thức công bố Hana Bank – định chế tài chính – ngân hàng uy tín hàng

đầu Hàn Quốc là cổ đông chiến lược nước ngoài, phát hành riêng lẻ thành công hơn 603,3 triệu cổ phần

với tổng giá trị giao dịch gần 20.300 tỷ đồng. Đây là giao dịch mua bán - sáp nhập (M&A) với một nhà

đầu tư chiến lược lớn nhất lịch sử ngành ngân hàng Việt Nam và là giao dịch kép.

XXVII베-한 수교 30주년

이에 따라 하나은행은 최소 5년간

BIDV의 지분 15%를 보유하기

위해 투자했다. 동시에 BIDV는

하나금융그룹과 하나은행으로부터

은행의 전략적 개발 관리 기술시스템

관리 및 디지털뱅킹 소매금융 개발 강화

수익성 있는 자산 포트폴리오 다각화

위험 관리 인적자원 교육 및 개발 등

6개 분야를 포함하되 이에 국한되지

않는 장기 기술 지원 프로그램을

지원하게 된다. 코로나19로 인해

양국 사회경제가 심각한 타격을 입은

상황에서 2년 동안 BIDV와 하나은행의

협력 관계는 더욱 깊어져 실질적인

성과를 거두며 한국과 베트남의 양대

금융기관의 공동 발전에 기여하고

있으며 양국 간의 금융 및 은행

분야에서 모범적인 협력 관계가 되기

위해 노력해왔다.

BIDV의 지속 가능한 발전 전략을 위한 제휴

2021년 1월 11일에 BIDV 이사회는

"BIDV의 2025년 발전 전략 및

2030년 비전"을 승인하는 결의안을

발표했으며BIDV의 실적에 대한

철저한 평가, 정치-경제-사회-

기술환경 분석, 은행산업 발전동향

분석을 바탕으로 미션, 비전, 종합목표,

핵심과제 및 실행솔루션을 제시했다.

이는 향후 10년뿐만 아니라 BIDV의

향후 장기적인 발전을 위한 BIDV의

포괄적인 목표이다. 지난 2년간 BIDV

와 하나은행의 협력 관계도 이 정해진

목표를 지키는 데 초점을 맞춰왔다.

하나은행은 BIDV의 솔루션 구현

과정에서 BIDV를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BIDV에 직접 파견된 전문가 팀을

통해 가장 앞선 관리 방법, 상품 및

서비스를 공유했으면서 거버넌스 역량

개선, 국제 거버넌스 관행 충족, 재무

표준에 따른 위험관리와 투명성 강화,

지털 변환의 정보기술 적용, 소매금융

서비스의 발전 촉진, 한국 외투기업을

중심으로 법인고객 및 개인고객 확대

등과 같은 여러 측면에서 성과를

나타냈다.

또한 BIDV는 하나은행의 기술 지원과

노하우 공유를 바탕으로 가상계좌

서비스, 실명확인(e-KYC)을 통한

계좌개설 서비스, 법인고객을 위한

ERP 연동 서비스, 급여지급을 위한

빠른 대출 서비스, 실시간 베트남 송금

서비스 등 많은 신제품과 서비스를

출시했다. 또한 하나은행은 BIDV가

운영 관리 모델, 위험관리, 중앙 집중식

신용승인 및 RPA(로봇 프로세스

자동화) 도입과 같은 내부 관리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솔루션을

개발하고 적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는 국제 표준 운영을 향해 조직

모델을 변환하고 은행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는 사업/솔루션을 효과적으로

구현하는 목적으로 한다.

기술 지원 협력 활동의 이행과 병행하여

BIDV와 하나은행은 베트남과 한국의

양대 금융 기관으로서 기관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핵심 가치가

사회적 책임의 이행에 기반한다는

점을 이해하고 베트남에서 사회 보장

활동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젝트과 함께

하겠다는 의지를 확인했다. 구체적으로,

하나은행은 BIDV의 지원을 통해 2021

년 말에 코로나19 백신기금에 60억

VND를 기부했으며 2022년에 BIDV

전통의 날을 65주년 기념을 맞아 400

억 VND 규모로 BIDV와 함께 홍수

방지 주택 건설사업 진행 등 사회보장

활동을 계속하고 있다.

새시대 베트남의 과제 수행을 위한 여정에 협력

BIDV의 역사는 영광과 자부심,

그리고 많은 어려움과 도전이라는

국가의 위대한 과제를 항상 동반하는

조직의 여정이다. 그 지칠 줄 모르는

긴 여정에서 활동의 규모와 성격;

시간과 공간, 이름과 산업분야에 대해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BIDV는 문화적

정체성, 선구적인 정신, 창의적인 정신,

그리고 주어진 책임을 지고 완수하기

위한 많은 노력 및 집중력을 최대화하는

것이 여전한다.

글로벌화 시대와 4차 산업혁명 시대는

금융은행 산업이 급격한 변화와

몸부림을 겪어 첨단 기술의 금융은행

서비스를 제공하고 빠르고 편리하며

안전한 거래에 대한 고객의 요구에

부응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BIDV와 전략적 파트너인 하나은행,

하나금융그룹 간의 협력 관계는

포괄적인 금융 생태계 구축을 위해

앞으로 더욱 확대 및 발전할 것이며

BIDV가 더 많은 성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하고 "2025년 발전전략 , 2023

년 비전"을 이루면서 베트남 최고의

디지털 플랫폼으로 동남아시아를

선도하는 금융기관이 되고 아시아 1

백대 은행에 포함되기 위해 노력한다.

또한 BIDV와 하나은행,

하나금융그룹의 협력 성과는 강력하게

확산되어 한국과 베트남의 양대

금융권의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것이다.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양국 간 경제

협력 전망에 새로운 자극과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 베트남에서 활동하고

있는 한국 기업, 양국에서 거주하고

있는 국민이 포함된 조직, 기업, 개인과

함께 베트남 경제에 봉사할 수 있는

능력을 강화하고 베트남과 한국의 협력

관계 강화에 기여하는 견고한 가교의

역할을 하고 있다.

2019년 11월 11일에 BIDV는 권위 있는 한국 금융기관인 하나은행을 해외 전략적 주주로 공식 발표했으며 신주6억 330만 주를 거의 20조 3000억 VND에 인수했다. 이번 인수합병(M&A)은 베트남 은행업계 사상 최대 규모의 해외 전략적 지분거래이자 이중 거래다.

BIDV - 하나은행, "튼튼한 우정 - 동반성장"

XXVIII 30 NĂM QUAN HỆ NGOẠI GIAO VIỆT NAM - HÀN QUỐC

Đào đạo nguồn nhân lực kỹ thuật số

Các chương trình đào tạo nổi bật trong chiến lược phát triển nguồn nhân lực

Tổng công ty Điện lực TP.HCM luôn xác định nguồn nhân lực chất lượng cao là nguồn lực quý giá

nhất, là giá trị cốt lõi, nền tảng vững chắc góp phần vào sự thành công của Tổng công ty. Vì vậy,

trong chiến lược phát triển nguồn nhân lực và nâng cao năng lực quản trị doanh nghiệp, Tổng

công ty Điện lực TPHCM chủ trương định hướng tăng cường hợp tác với các đối tác tại các

nước phát triển trong khu vực và trên thế giới như Hàn Quốc, Singapore, Pháp…

EVNHCMC:

XXIX베-한 수교 30주년

고급인력 개발에 집중한다

인력은 회사가 끊임없는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데 힘을

보태는 원동력이며, 최종적

목표인 고객의 이익을 위한

서비스의 효과를 향상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요인이기

때문이다.

디지털 인력 교육

EVNHCMC에서 디지털화는

여러 측면에서 창조적이고

선구적이며 앞선 임무이다.

디지털화는 다이나믹하고

현대적인 도시의 경제와

사회를 발전시키는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안전하고

안정적이며 지속적인 고품질

전기를 공급하는 목표를

지향한다. 디지털화의 목표는

3M이란 방침으로 소비자에게

최선의 전기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것은 ‘

소비자가 원하는 모든 요구는

24/7시간에 EVNHCMC

가 해결한다’, ‘소비자가

필요하면 어디서나, 언제든지

달려간다’, 그리고 ‘

어디서든’이다.

2021~2025연도 EVNHCMC

의 목표는 “디지털

기업이 되어 지역과 세계의

전기회사들만큼 발전하여

도시 곳곳에 에너지 안녕을

보장하고, 전기공급 품질과

소비자관련 서비스의 품질을

높인다”는 것이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발전전략에는

EVNHCMC가 디지털기술

고급인력 개발을 우선적

업무로 한다. 이는 EVNHCMC

가 디지털기업이 되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핵심적인

열쇠이다.

이 시기에 EVNHCMC

는 디지털인력 자원에

집중하는데 그 방향은 EVN

의 직업적인 기준과 기술 및

문화를 바탕으로 전문적이고

능동적이며 창조하는

디지털인력을 개발하는

것이다. 기술은 언제나 창조와

변화, 그리고 끊임없는 배움을

요구한다. 따라서 EVNHCMC

는 과학기술 인력을 교육하고

훈련하여 강한 조직으로

만드는데, 특히 전문분야나

기술측면에서 국제와 지역

수준에 부응하는 첨단

전문가 그룹이다. 그래야 4

차 산업혁명의 성과들과 EVN

이 활동하는 모든 분야에서

효과적으로 연구하고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구비하여 기업디지털화와

스마트도시건설 사업

등을 추진할 수 있다.

따라서 EVNHCMC

는 스마트전기시스템,

디지털기업,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재생에너지, 지하전기시스템

공간확보 등과 같은 분야를

중심으로 한 인력을 개발할

것이다.

한편, EVNHCMC는

호치민시에서 있는 대학과

협력해서 교육프로그램과

과학연구를 진행하여 산업의

경험과 학문을 교류하는

채널을 마련하고 EVN에서의

기업경영능력향상, 생산과

경영에 응용가능한 과학연구

프로젝트들을 진행할 수 있는

인력 자원을 개발하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EVN의 모든

활동마다 디지털화를 실시하는

과정의 협력을 강화하고 4차

산업혁명의 성과에 응용도를

높이는 목표로 향하고 있다.

인력지원 발전전략에서 대표적인 교육프로그램

인력자원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EVNHCMC이

근로자와 노동자를 위한 여러

교육 프로그램을 개설했다.

실질적인 효과가 있는

대표적 프로그램들은 널리

응용되었는데, 그 중에 아래와

같이 몇몇을 꼽을 수 있다.

- 중전압 그리드에서

전선수리공 교육프로그램을

연구하여 개발하고

유지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EVN전체에

적용되었을 뿐만 아니라

타 회사의 노동자에게도

교육프로그램으로 사용되었다.

EVN은 활선 중전압 그리드

시공 16조(96명)를 교육했고

실제로 인력을 배출했다. 이는

지역 전기회사들이 요구하는

전기그리드 수리, 유지보수,

시공의 업무들을 잘 수행하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 설비의 운행조건에 따른

첨단수리보수기술(CBM)을

성공적으로 응용했다. 이는

EVNHCMC과 말레이시아

전기회사가 협력한

프로젝트이다.

- 110kV 활선 그리드를

보수하고 수리하는 전문적인

근로자 인력을 성공적으로

훈련했다. 110kV 활선 그리드

시공조를 설립하였고, 2020

년 12월부터 이 조가 활동하기

시작했다. 이는 베트남에서

110kV 활선 그리드 보수 시에

필요한 고급기술에 능숙하고

전문화된 근로 인력이다.

이 외에도 EVNHCMC는 EVN

의 E-learning 교육시스템을

지속적으로 모든 근로자들에게

효과적으로 전개할 계획이다.

특히 2020년에 모든 활동들이

코로나 팬데믹의 영향을

받았지만, 위에 언급한

온라인 교육혁신은 EVN의

내부교육 내용들을 효과적으로

촉진할 수 있었다. 현재,

EVNHCMC는 56개의 온라인

수업을 운영하고 있고 평균

참여회수가 13,4이다. 2021

년에 6545/6545명이 온라인

교육을 받았는데, 이는 전체

근로자가 평균 40시간 이상

교육시간을 보낸 셈이다.

2021년 말에 EVNHCMC의

과학기술분야, 특히 Smart

Grid, IT, GIS, AMR/AMI,

전기시장, 프로젝트관리,

기업경영, 인력경영, 활선

그리드 등과 관련한 고급인력

자원에 70명의 전문가를

배출하였고, 260명의

근로자가 중전압 케이블시공,

그리드 IT, 그리드운행 및

SCADA, 조절체계관리,

중전압 그리드와 110kV

지하케이블 운행관리,

광케이블 관리 및 사고처리

등과 관련한 숙련된 노동자가

되었다. 184명의 기술자는

ASEAN 기술자조직연맹회의

(CAFEO)가 발급하는

ASEAN기술자인증을

받았으며, ASEAN국가 전체

402명의 기술자들 가운데

46%를 차지하는 숫자다.

앞으로 EVNHCMC는

국제와 지역의 고급인력

기준에 적합한 고급인력을

양성할 예정이다. 이들은

지속가능한 발전의 요구들과

스마트도시 건설과 같은

요구에 충분한 능력을 갖춘

인력이 될 것이다. 특히

국제적 통례에 따른 현대적인

경영의 기준에 맞는 교육

인력들이다. 이들은 경쟁적인

시장에 참여하는 인력들이며

스마트 전기 그리드, 디지털

기업,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재생에너지, 지하

전기 그리드 공간 등의

업무들을 수행할 인력원이다.

더불어 EVNHCMC의

근로자들과 노동자들의

정신적, 물질적 생활을

향상시키는 데에도 노력한다.

구체적으로 디지털화 과정에

복무하는 전문지식을 갖추도록

교육프로그램들을 강화하거나

경쟁적인 전기소매시장에

참여할 수 있는 인력을

교육하는 등의 사업이다.

한편, 소비자를 위한 서비스의

품질을 높이고 전기 그리드를

관리하고 운행하며 보수하고

수리하는 업종의 능력향상

교육을 강화한다. 기업관리

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지식업데이트도 중요하게

판단하여 관련 교육도 전개될

것이다.

위에 언급한 기업운영능력을

교육하고 향상하는 목표

달성을 위해 호치민시

경제대학교와 한국파트너와의

면담에서 TCT는 UEH

와 한국파트너가 같이 손을

내밀어 교육프로그램에서

협력하기를 전망한다.

구체적인 사항은 다음과 같다:

+ 한국전력회사들에

구체적으로 적용되는 목표와

경영기준.

+ 실제적으로 전개되었고

습득한 경험들 공유.

+ 한국전력회사에서 실제로

적용되는 인력관리모델.

+ 소프트웨어,

능률관리모델 등, 한국에서의

노동능률관리.

+ 한국기업에서 디지털화의

실제적인 경험, 특히

에너지분야.

+ 리스크 관리모델과

방법을 적용한 경험.

402명의 ASEAN기술자들 중에 EVNHCMC는 184명의 기술자를 보유한 것에 자랑스럽다.

팜꾸옥바오(Pham Quoc Bao) 위원회의 의장 및 2021~2025연도 EVNHCMC 및 경제대학교의 인력교육개발협력 계약식 모습

호치민시 총전력회사(EVNHCMC)는 회사의 간부들과 노동자들이 가장 소중한 재산과 가치일 뿐만 아니라 회사의 모든 성공에 기여할 든든하고 핵심적인 가치임을 확신한다. 따라서 인력자원을 개발하고 기업운영능력을 향상하는 전략에 있어서 EVNHCMC는 한국, 싱가포르, 프랑스 등 같은 지역과 세계의 발전한 파트너들과 협력하는 것을 강화하는 주장을 실시하고 있다.

XXXII 30 NĂM QUAN HỆ NGOẠI GIAO VIỆT NAM - HÀN QUỐC

Công ty TNHH SEPPLUS BÌNH ĐỊNH:

코로나 팬데믹은 생산과 경영에 적지

않은 영향을 주었지만 빈딘 SEPPLUS

유한책임회사는 노동자들에게 충분한

급여와 보너스를 보장함으로써

노동자가 안정적으로 일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한편 생산 규모가

끊임없이 확장하는 회사로서 빈딘

SEPPLUS는 노동자들이 모여드는

회사로 유명하다. 최근 몇 년 동안

빈딘성은 모든 분야에서 급속하게

발전하고 있으며 교통인프라,

도시기반시설에 효율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나날이 개선되고 있는

행정개혁업무와 투자유치를 위한

우대정책들과 함께 빈딘성은 베트남

중남부 경제 성장의 나침반과 같은

위치에 있으며 기업들과 노동자들이

모여드는 회사이다.

정재철(Chung Jae Chul) 사장이

이끌고 있는 빈딘 SEPPLUS

유한책임회사는 이러한 상황을

보여주는 대표적 예시이다. 순수 외국

자본 회사로 16년 전에 설립되었고,

초창기 수권자본금은 150만 달러였다.

빈딘 SEPPLUS(본부는 안년면, 빈딘구

공업단지에 있다)는 국제 인사들, 특히

한국과 미국의 인사들에게 신뢰를 쌓고

위상을 구축해온 회사이다.

이 회사는 베트남에서 외국으로

수출하는 고급의류생산 능력과

품질에서 최고 등급을 차지하는

회사이다. 다양하고 풍부한 주문품을

공급하는 데 여러 면에서 기준을

충족하고 있다. 매달 10만~20만 종에

이르는 제품을 시장에 출품하고 있다.

현재 회사는 1000여명의 노동자에게

일자리를 제공하고 있다. 생산과

경영계획을 고무시키는 한편, 늘

노동자의 생활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예를 들면 문병, 가족방문, 연말 파티

(현금 보너스 포함), 관광 등이 있다.

설날, 4월 30일(남부해방기념일), 5

월 1일(국제노동의 날) 같은 명절과

기념일에 노동자들에게 2백만 동의

보너스를 지급하고 있다. 현재 이

회사는 안년면에서 노동자 급여가 가장

높은데, 노동자 일인 평균 8백만 동에서

1.5백만 동 정도를 받는다.

노동자에게 안정적 급여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노동자가 근무하는 환경이 항상

깨끗하고 청결하며 편의시설 또한 잘

구비되어 있다. 그 가운데 노동자와

근로자를 위한 식단은 품질지수나

위생 및 식품안전지수를 상시적으로

상회하고 있으며, 노동자는 안전하게

섭취하고 노동할 수 있다.

SEPPLUS 유한책임회사의 빈딘

사무실, 응웬티치프엉

대표이자 수석회계사는 다음과

같이 밝히고 있다.

“저희는 수출의류를 전문적으로

생산하는 업체이며, 시장의 다양한

요구에 충분히 부응할 수 있는

업체입니다. 회사는 생산라인을

확장하는 계획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현재 노동자와 근로자를 대량으로

추가 고용할 계획입니다. 현재

빈딘 SEPPLUS는 봉제수, 코딩수,

다림질수 등 약 500여 명의 근로자가

필요합니다. 물론 숙련된 근로자에게는

당연히 우대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미숙련 근로자의 경우 회사가 교육을

통해 숙련화를 도모하고 있습니다.

회사의 노동자로 고용되면 당연히 그에

따른 안정적인 근로제도와 급여 및

보너스가 보장될 것입니다.”

빈딘 SEPPLUS 유한책임회사:

노동자들의 이상적 노동환경

Hotline: 1900 56 1212www.hyundai.tcmotor.vn

IONIQ 5Ðánh thức tương l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