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lbright Brochure PY2018 - Amazon AWS

30
Korean-American Educational Commission 한 미 교 육 위 원 단 풀브라이트 장학 프로그램 안내 2020-2021 한미교육위원단 역사 2 기관 및 조직 3 활동 및 사업 4 목적 4 한미교육위원단 중점지원연구분야 5 2020-2021 년도 한국인 장학 프로그램 6 대학원장학 프로그램 7 연구 및 강의/연구지원 장학 프로그램 12 Mid-Career Research 13 Senior Research 13 Lecturing/Research 14 Korea-U.S. Alliance Program 15 국제교육 행정가 (IEA) 프로그램 19 영어교사 미국학 연수 프로그램 22 한국어 보조교사 프로그램 (FLTA) 25 중견전문가 프로그램 28 풀브라이트 장학금에 대한 질문 29 유학 상담 센터 30

Transcript of Fulbright Brochure PY2018 - Amazon AWS

Korean-American Educational Commission

한 미 교 육 위 원 단

풀브라이트 장학 프로그램 안내

2020-2021

한미교육위원단

역사 2

기관 및 조직 3

활동 및 사업 4

목적 4

한미교육위원단 중점지원연구분야 5

2020-2021년도 한국인 장학 프로그램 6

대학원장학 프로그램 7

연구 및 강의/연구지원 장학 프로그램 12

Mid-Career Research 13

Senior Research 13

Lecturing/Research 14

Korea-U.S. Alliance Program 15

국제교육 행정가 (IEA) 프로그램 19

영어교사 미국학 연수 프로그램 22

한국어 보조교사 프로그램 (FLTA) 25

중견전문가 프로그램 28

풀브라이트 장학금에 대한 질문 29

유학 상담 센터 30

2 한미교육위원단 장학프로그램 안내서 PY2020

한미교육위원단 Korean American Educational Commission

2020-2021

풀브라이트 프로그램은 1945 년 9 월 미국 알칸사주(Arkansas)의 초선

상원의원인 제이 윌리엄 풀브라이트(J. William Fulbright)가 미국과 전세계

국가의 교육교류를 재정적으로 지원하기 위하여 법안을 제안하면서 시작되었다.

이 법안은 제 79 차 미국의회에서 가결이 되어 1946 년 8 월 1 일 헤리

트루만(Harry S. Truman) 대통령이 서명하면서 법으로 제정되었다. 풀브라이트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모든 국가들은 미국정부로부터 재정 및 행정적 지원을

받는데, 대한민국은 양국정부의 재정 지원으로 풀브라이트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국가들 중 하나이다.

한미교육위원단은(풀브라이트 위원단) 한미 양국간의 교육교류 프로그램을

주관하는 독자적인 교육교류기관으로 양국정부가 공동으로 후원하고 재정을

지원한다. 한미교육위원단은 한국에 68 년동안 풀브라이트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3,762 명의 한국인 장학생과 3,234 명의 미국인 장학생 (총 6,996 명)을

한국 풀브라이트(Fulbright)

프로그램

1945년 풀브라이트 상원의원의

법안 상정

역사

1950 년 대한민국과 미합중국

정부의 풀브라이트 프로그램

협정

1

2

(continued)

3 한미교육위원단 장학프로그램 안내서 PY2020

배출하였다. 한국의 풀브라이트 동문들은 주요 교육기관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교육분야에서 한국과 미국간의 상호 이해 증진에 기여하고 있다.

풀브라이트 해외장학이사회(J. William Fulbright Foreign Scholarship

Board)는 전세계 풀브라이트 프로그램을 관리하는 기구이며, 미국 대통령에

의하여 임명된 명망과 공정성을 지닌 학계, 문화계의 인사와 공직자 등 12 명의

위원으로 구성된다.

한국에서 풀브라이트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한미교육위원단은 한미 양국을

대표하여 동일한 수로 임명된 정위원 10 명과 2 명의 대리위원으로 위원회가

구성되어 있다. 양측의 정위원 중 적어도 두 명은 각각 양국정부를 공식적으로

대표하며, 나머지 위원은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한국 국민 혹은 미국

국민으로서, 교육자이거나 양국간의 교육교류 활동에 이해가 깊어야 한다.

한미교육위원단 위원들은 정기적인 모임을 통하여 장학생 선발이나 한국의

풀브라이트 프로그램 운영에 관한 정책을 논의하고 결정한다.

한미교육위원단의 업무는 한국인과 미국인으로 구성된 직원이 수행하며,

위원단의 최고 책임자인 단장은 위원회에 한미교육위원단의 사업운영과 보고의

책임이 있다. 단장은 장학생 선발에 관한 건의를 할 수 있지만, 위원회가

해외장학이사회(Fulbright Foreign Scholarship Board) 의 운영지침에 따라

모든 정책결정과 최종 선발결정을 한다.

한미교육위원단은 미국의 비영리 기관인 국제교육기구 IIE (Institute of

International Education)와 산하의 국제학자교류심의회 CIES (Council for

International Exchange of Scholars)의 협조로 교육교류활동을 한다. 이

두기관의 주소와 본 위원단과 관련된 업무내용은 다음과 같다.

한미교육위원단

(continued)

기관 및 조직

4 한미교육위원단 장학프로그램 안내서 PY2020

Council for International Exchange of Scholars (CIES)

IIE/CIES – 1400 K Street, N.W. Suite 700

Washington, D.C. 20005

www.cies.org

CIES 는 한미 양국 학자들의 연구나 강의를 목적으로 하는 모든 활동을 위한

업무를 맡고 있다. CIES 에서는 한국학자들이 미국내에서 소속하게 될 학교들을

선정자들의 선택과 한미교육위원단의 승인 그리고 전문가들의 검토를 거쳐

선정하며, 그에 따른 부수적인 업무를 수행한다. 연구나 강의목적으로 장학금을

받은 한국학자들은 미국에 체류하는 동안 CIES 와 긴밀한 연락을 해야 한다.

CIES 는 연구나 강의 목적을 지닌 미국인 학자들의 원서를 접수하고, 예비심사

후 모든 서류를 한미교육위원단에 보내 주는 역할을 한다. 풀브라이트 장학금에

지원하는 미국인 학자들은 모든 문의를 CIES 로 해야 한다.

Institute of International Education (IIE)

809 United Nations Plaza

New York, NY 10017

Website: www.iie.org

IIE 는 미국 뉴욕시에 본부를 두고 미국 전역에 걸쳐 6 개 도시에 지부를

두고있다. IIE 는 한미교육위원단이 운영하고 있는 프로그램중에서 한국

풀브라이트 장학금 수혜자들의 학교지원수속 및 관리 등의 업무를 맡고 있다.

한국인 학생 수혜자들은 미국체류기간동안 IIE 의 관계자와 긴밀한 연락을

유지해야 한다. 미국인 학생 지원자들을 위한 IIE 의 업무는 장학금 지원서류의

접수 및 예비심사를 한 후 한미교육위원단의 최종 결정을 위하여 모든 서류를

보내주는 것이다. 미국인 장학생들의 장학금에 대한 문의는 IIE 로 직접

해야한다.

한미교육위원단의 활동은 장학 프로그램과 시험관련 업무 및 유학상담 업무

등으로 구분된다. 장학프로그램 활동으로는 풀브라이트 장학프로그램을

포함하여 기타 장학프로그램의 행정 업무를 수행한다. 기타 프로그램은

EducationUSA 의 유학상담과 미국의 교육평가원 (Educational Testing

Service) 이 주관하는 TOEFL, GRE, ACT 시험장을 운영하며 AP, LSAT 등의

시험업무 및 한미양국의 학문과 학계를 위한 자문역할 등을 한다.

한미교육위원단은 미국과 한국 국민간의 우호 및 평화 관계 유지와 발전을

위하여 양국간 공유하는 교육, 문화, 사회, 경제, 정치 분야에서 학문 및

전문지식의 교류사업을 지원한다. 풀브라이트 프로그램의 목적은 수혜자에게

재정지원을 하고 수혜자는 양국간의 상호이해의 증진과 서로 다른 문화적

가치의 존중과 함께 봉사와 협력의 정신을 지향한다.

한미교육위원단

활동 및 사업

목적

5 한미교육위원단 장학프로그램 안내서 PY2020

인문과학

사회과학

예술

자연과학

생명과학

공학

한미교육위원단

장학 프로그램

중점지원 연구분야

전세계적으로 명성이 있는 풀브라이트

장학프로그램은 가장 우수하고 권위를

지닌 국제교육의 상징적인

프로그램으로 지원자의 소속기관이나

지역, 인종, 종교를 초월하여 다양성과

실력 위주의 공개경쟁에 의해

선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한미교육위원단의 풀브라이트 장학금

수혜자의 선발은 학위과정과 강의,

연구, 영어교육, 미국학 연수 및

국제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루어진다. 지원자는 지원당시 한국

국적 (한국인 장학프로그램의 경우)

혹은 미국국적 (미국인

장학프로그램의 경우)을 유지해야

한다.

한미교육위원단 장학 프로그램에

지원이 가능한 학문분야는

인문.사회과학/예술 및

자연과학/생명과학/공학 분야이며,

지원자의 연구분야가 미국학 및

한국학과 관련이 있어야 한다.

미국학과 한국학의 지원 목적은 양국

국민들이 상대국가의 사회와 문화에

대한 학위이수 및 연구에 있으며,

상대국과 관련된 학문분야를 강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해야한다. 한미

양국간의 문화를 비교 연구하는

연구계획도 지원 가능하다.

자연과학/생명과학/공학 분야에 대한

지원은 한국의 자연과학, 생명과학 및

공학 발전에 대한 공헌과 대학원

학위이수를 목적으로 한다.

이 안내 책자에 명시된 풀브라이트

장학금 수혜자 수와 수혜조건은

미국정부와 한국정부의 예산 책정액에

따라 변경 될 수 있다.

미국학 및 한국학

6 한미교육위원단 장학프로그램 안내서 PY2020

2020-2021 년도

풀브라이트 한국인

장학프로그램 대학원 장학 프로그램 (학위과정 및 비학위과정)

원서접수기간 2019 년 7 월 1 일–7 월 5 일 (7/4 휴일)

면접기간 추후공지

선발예정인원 35 명

연구 및 강의/연구지원 장학 프로그램

원서 접수기간 2019 년 9 월 16 일–9 월 20 일

면접기간 추후공지

선발예정인원

Mid-Career Research 12 명

Senior Research 6 명

Lecturing/Research 1 명

Korea-U.S. Alliance Program 2 명

국제교육행정가 (IEA) 프로그램

원서 접수기간 2019 년 10 월 15 일–10 월 18 일

면접기간 추후공지

선발예정인원 8 명

초/중/고등학교 영어교사 미국학 연수프로그램

원서 접수기간 2019 년 9 월 3 일–9 월 6 일

면접기간 추후공지

선발 예정인원 30 명

한국어 보조 교사 프로그램 (FLTA)

중견전문가 프로그램 (Senior Specialist Program)

7 한미교육위원단 장학프로그램 안내서 PY2020

대학원

장학프로그램 Fulbright Graduate Study Award

2020-2021

미국의 대학교에서 학위과정 및

비학위과정

개요

인문과학

예술

사회과학

자연과학

생명과학

공학

1

2

대학원과정 장학금은 미국대학에서 학위과정 또는 비학위 연구과정을 이수하고

한국에서 개인 및 사회에 공헌할 학문적으로 우수한 인재에게 수여된다. 학위과정

장학금은 미국대학에서 석사 혹은 박사학위 취득을 목표로 하는 지원자에게 수여된다.

비학위 연구과정 장학금은 박사학위논문 연구를 목적으로 한국에서 박사과정을 이수

중이거나, 또는 박사과정을 수료한 지원자에게 수여된다.

학위 및 비학위 과정 지원자는 미국 대학원 입학허가 자격요건에 충족되어야 한다. 이

두 과정중에 한가지 과정만 지원할 수 있다.

한미교육위원단은 지원자중에서 학문적 우수성을 기준으로 수혜자를 선정한다. 전공

분야와 관련하여 지원자가 제출한 학업계획이 한미교육위원단(KAEC)이 우선시하는

중점지원연구분야 중에서 미국에 대한 연구이면 우선 고려 대상이 된다.

2020 년도 선발예정인원은 인문/사회과학/예술 분야 30 명, 자연과학/ 생명과학/ 공학

분야 5 명이다.

3 2017 년 부터 탈북청년

대학원 장학생 선발 및

프로그램 시행

8 한미교육위원단 장학프로그램 안내서 PY2020

학위과정 지원자는 이수 희망 학위과정을 석사와 박사과정 중에 선택해야 한다.

학위과정 장학금은 프로그램이 시작이 되는 시점으로부터 1 년간 지급되며

수혜자의 학업 성취도와 예산에 따라 추가로 1 년 연장이 가능하다. 장학

수혜의 연장 목적은 수혜자의 성공적인 학위과정 이수이며, 모든 수혜자는 단

한번의 수혜연장을 받을 수 있다. 수혜 연장시 장학금은 다른 재원으로부터

받은 지원금을 고려하여 조정된다. 박사학위과정 3 년차부터 수혜자는 다른

재원으로 학비 및 경비를 조달해야 한다.

한미교육위원단은 2017 년부터 탈북청년 대학원 장학프로그램을 신설하여

학문적으로 경쟁력이 있는 탈북 청년에게 석/박사 학위 취득 기회를 제공한다.

이 프로그램의 목적은 탈북청년들이 각 학문 분야에서 전문가로서의 자질을

갖춘 통일미래 인재 양성에 있다.

비학위 연구과정 지원자들은 국내 대학의 박사학위 후보자 중 성적 우수자로서

국내의 박사학위 취득계획을 제시해야 한다. 미국에서 수행할 비학위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서 진행한 연구의 보완인 경우와 연구와 관련된 자료수집을

한국에서 할 수 없는 경우로 한정한다.

장학금은 10 개월에 한정하여 지급되며, 장학금의 수혜연장이나 체제연장은

허용되지 않는다. 비학위과정에 선발된 후 학위과정으로 전환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

대학원 과정의 수혜내역은 왕복항공료, 생활비(지역 여건을 고려하여 월 $1,280

- $2,160), 학비, 의료보험 및 그 외 잡비 등을 포함한다.

대학원 장학

프로그램

학위과정

비학위과정

장학금 수혜내역

(continued)

탈북청년학위과정

9 한미교육위원단 장학프로그램 안내서 PY2020

일반적으로 풀브라이트 장학금은 수혜 1 년차에는 최대 USD $40,000,

2 년차에는 USD $30,000 까지 지급되지만, 수혜자의 학비, 생활비 및 잡비

총액이 장학금의 최대액수 미만인 경우 IIE 의 대학별 평가 소요경비에 준하여

지급한다.

비학위과정 장학금은 학비를 포함하지 않는다. 책정된 장학금 액수는 미국에서

외국 유학생들이 대부분의 기본경비를 충당 할 수 있는 적정 금액이며, 지역에

따라 학비와 생활비가 높은 경우, 책정된 장학금 외의 추가 비용은 개인이

부담해야 한다.

동반 가족 자격은 J-2 비자의 소지자로 한정하며, 1 인 가족 동반인 경우에

월$200, 2 인 이상의 가족을 동반할 경우에는 월 $350 을 지원받는다. 동반

가족수당 혜택은 수혜자의 동반가족이 공식비자 서류에 명시된 수혜기간의

최소한 80%에 해당하는 기간을 수혜자와 동반하여 미국에서 거주해야 받을 수

있다. 수혜자는 가족에 대한 경비를 지불하기 위하여 충분한 개인경비를

소지해야 한다.

수혜 후보자들의 학교선정 과정에서 IIE 는 한미교육위원단의 요청에 따라, 항상

미국의 해당학교에 재정적 지원을 요구한다. 학교의 재정지원이 확보가 되면

한미교육위원단의 Fulbright 장학금은 해당학교의 장학 지원금액에 따라

조정되며, 한미교육위원단이 책정한 장학금과 학교의 지원금의 총액이

장학생의 1 년 총 소요 경비를 초과하는 경우, 풀브라이트 장학금은 축소

조정된다.

대학원 장학

프로그램

지원 및 선발과정 원서접수는 2019 년 7 월 1 일–7 월 5 일 까지 4 일간 (7 월 4 일 공휴일)

한미교육위원단에서 받는다. 지원자는 온라인 접수를 포함한 모든 구비서류를

접수 마감일까지 한미교육위원단에 제출해야 한다. 우편접수의 경우, 소인이

마감일 까지만 찍힌 우편물만 유효한 것으로 간주한다.

제출된 서류 검토 후, 서류전형에 합격한 지원자는 이메일 혹은 전화를 통해

면접일자와 시간을 통보받는다. 모든 면접은 영어로 진행되며 일정은 추후에

공지될 예정이다.

한미교육위원단은 면접 심사위원회의 추천에 따라, 수혜후보자를 선발한 후 모든

심사결과를 Fulbright 장학금 수여에 관한 최종 결정권을 가지고 있는 미국의

풀브라이트 해외장학이사회 (J. William Fulbright Foreign Scholarship

Board)에 제출하여 최종승인을 받는다.

최종결정은 2019 년 9 월 중에 통보될 예정이며, 장학금 수혜의 효력은 수혜자가

미국의 대학이나 연구기관으로부터 입학 허가를 받고, 한미교육위원단의 심의와

국무성발행 비자 (J-1 Visa) 발급 후, 결정된 미국대학원이나 연구기관으로

출국하면서 시작된다.

(continued)

10 한미교육위원단 장학프로그램 안내서 PY2020

대학원 장학

프로그램

(continued)

자격요건

A. 자격요건

1. 대한민국 국민으로 이중국적자 혹은 외국영주권 소유자가 아닌 지원자

2. 지원 당시부터 장학금 개시시점인 2020 년 8 월까지 한국에 거주하는 지원

3. 미국에서 원활한 학업 이수를 위한 양호한 건강 상태 유지를 할 수 있는 지

원자 및 학업이수가 가능한 신체장애자

4. 남자의 경우 유학 직전까지 군복무를 필하거나 면제를 받은 지원자로 장학

생 선발과정이 요구하는 모든 절차에 응할 수 있는 지원자

5. 일정한 수준의 영어실력을 갖춘 지원자 (영문학과 언어학 전공자는

TOEFL IBT 100 점, IELTS 7 점이상, 그 외의 분야는 TOEFL IBT 88 점,

IELTS 6.5 점 이상 점수를 소지한 지원자) GRE 혹은 GMAT 의 성적이

2020 년 9 월까지 유효한 점수를 소지한 지원자

6. 성적 우수자 (전 학년 학부 평균학점 4.0 만점인 경우 3.0, 4.3 인 경우

3.225, 4.5 인 경우 3.375 이상을 요구하며 3,4 학년 혹은 대학원 성적이

우수해야 함)

7. 최소한 4 년제 대학 졸업 또는 2020 년 2 월 졸업예정자인 지원자 (소지한

대학원학위와 동일한 수준의 학위 프로그램에 지원할 수 없으며, 지원자의

전공분야는 인문/사회과학, 예술 및 자연과학/공학/생명과학분야로 제한하

며 경우에 따라 세부전공을 제한할 수 있다. )

8. 지원 부적격자 (북한이탈주민 지원자는 예외)

① 외국고등학교 졸업자

② 외국대학의 학사학위 소지자

③ 외국대학 학부과정 입학 후, 한국대학으로 편입한 학력소지자

④ 지원하는 학위과정과 동일한 과정을 한국 및 외국대학에서 1 년(혹은 2

학기)이상 이수한 경우

⑤ 전공과 무관하게 소지한 학위와 동일한 수준의 학위에 지원하는 경우

⑥ 미국대학에 입학 후, 남은 학위과정의 재정적 지원을 원하는 경우

⑦ 지난 5 년간 한미교육위원단의 직원이었거나 미국정부 장학금을 받았

던 수혜자

⑧ 지원원서 접수 후, 2020 년 가을학기에 미국대학에서 대학원과정 학업

을 시작한 경우

B. 선호대상 지원자

1. 학문적으로 우수한 지원자

2. 미국학을 연구하는 지원자

3. 지원 당시에 35 세 미만의 지원자

4. 미국에서 교육을 받은 경험이 없는 지원자

11 한미교육위원단 장학프로그램 안내서 PY2020

한미교육위원단 지정서식을 제외하고 모든 서류는 영문으로 발급받거나 작성

한다.

모든 증명서는 영문본이어야 하며 압인 후 발행기관의 봉투사용 및 공식봉인

이 되어야 한다.

구비서류의 지원서 작성 설명은 http://www.fulbright.or.kr 를 참조하며, 한

미교육위원단으로 제출된 일체의 서류는 반환하지 않는다.

주소: 서울시 마포구 백범로 28 길 23 풀브라이트빌딩 (우편번호: 04156)

대학원 장학

프로그램

구비서류

제출기한 2019 년 7 월 5 일

제출처 한미교육위원단 풀브라이트 대학원 장학지원 담당자

온라인

지원서

소정양식

한미교육위원단

지정서식 온라인으로 입력/전송

풀브라이트

온라인 지원서 온라인으로 입력/전송 후 출력한 원본 1 부 제출

성적증명서 대학/대학원

영문 각 2 부

해외교환학생은 외국대학 성적표 원본 2 부도

별도로 제출

추천서 영문 3 부

학문적 능력이나 업무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교

수 혹은 근무처 상사 등 3 인의 추천인으로 구성 풀브라이트 온라인 지원서에서 추천인 이메일을

입력하면 추천인에게 추천서 양식이 전송되고

추천인은 이 양식을 작성하여 온라인으로 제출 추천서 양식은 홈페이지 대학원 장학프로그램

구비서류의 풀브라이트 온라인 지원서 작성안내

참고

재학/졸업/

재직증명서 영문 각 2 부

영문 재학 혹은 졸업 증명서 각 2 부. 연구기관

혹은 회사의 영문 재직증명서 각 2 부 발급 기관의 봉투에 넣어 봉인 후 압인 또는

발행인의 서명

영어시험

성적증명서

공식 TOEFL

혹은 IELTS

성적표와 사본

각 1 부

지원 당시 성적이 다음해 9 월까지 유효할 것

본인 소유 성적표 사본 제출

성적표 요청은 TOEFL 의 경우 KAEC 기관

Code 9350 으로 신청

공식 GRE 혹은

GMAT 성적표와

사본 각 1 부

지원 당시 성적이 다음해 9 월까지 유효할 것

본인 소유 성적표 사본 제출

성적표 요청은 GRE 의 경우 뉴욕 소재 IIE 2326

과 Korean-American Educational

Commission (Fulbright) 6960 으로, GMAT 는

FOF-4J-28 의 기관코드를 사용하여 신청

법학 전공 및 비학위과정 지원자는 GRE, GMAT

점수 제출 면제

포트폴리오 영문 포트폴리오

4 세트

미술과 디자인전공자는 동일한 내용의 포트폴리

오 4 세트 제출

인쇄형식의 포트폴리오를 선호. 분야에 따라 CD

혹은 DVD 로 제출 가능

재고용

증명서 영문 1 부

재직 중이고 현재 직장으로 복귀가 보장된 경우

로 선택사항

서식은 한미교육위원단에서 다운로드 가능

북한이탈

주민지원자

북한이탈주민

등록확인서 1 부 북한이탈주민의 지원시 등록확인서 첨부

12 한미교육위원단 장학프로그램 안내서 PY2020

연구 및

강의/연구지원

장학프로그램 Fulbright Research and

Lecturing/Research Award

2020-2021

연구 및 강의/연구지원 장학금은 한국의 대학교에 재직중인 교수, 정부 및

연구기관의 학자 및 교육전문가에게 제공된다. 이 장학 프로그램의 목적은

비학위과정 연구를 통하여 학자는 한국의 학문발전에 공헌하고, 전문인은 자신의

보다 나은 경력의 개발을 위한 학문 및 전문 지식의 향상에 있다. 연구내용과

계획은 한미 양국의 실질적인 학문 및 전문지식의 교류를 목적으로 해야 하며,

단순한 시찰방문이나 개인적인 경험을 위한 여행을 목적으로 할 수 없다.

본 장학프로그램은 학문적 배경과 자격조건에 따라 Mid-Career Research 와

Senior Research 로 구분한다. Mid-Career 연구의 지원자는 일반 4 년제 대학의

부교수, Senior 연구 지원자는 4 년제 대학의 정교수가 대상이며, 각 프로그램은

지원자격을 갖춘 전문 연구직 지원자도 포함한다. 지원 가능한 전공분야는

사회과학, 인문과학, 예술 및 간호학 분야 이다. 단, 간호학 분야 지원자의 경우,

간호학과 4년제 프로그램 지정인가를 받은 전문대학의 교수도 지원이 가능하다.

강의/연구 장학프로그램의 연구부문은 연구지원 장학프로그램 목적과 동일하며

미국대학에서 한국에 대한 주제로 강의할 기회가 주어진다. 강의/연구지원

장학프로그램은 미국대학에 수혜자를 배치할 때 강의배정에 큰 중점을 둔다.

한미양국의 학문 및 전문지식의

교류

개요

연구 프로그램

강의/ 연구 프로그램

한미동맹 프로그램

1

2

(continued)

13 한미교육위원단 장학프로그램 안내서 PY2020

연구 및 강의/

연구 프로그램

Mid-Career

Research

한미교육위원단은 지원자중에서 학문적 우수성을 기준으로 수혜자를 선정한다.

지원자가 제출한 연구 및 강의계획이 한미교육위원단이 정한 중점지원

연구분야와 밀접한 연관성이 있으면 우선 선정 고려대상이 된다. 강의/연구

장학금 수혜자는 미국에서 한국학 증진에 역점을 두고, 연구장학금 수혜자는

한국에서 미국학 증진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본 장학금의 수혜자는 풀브라이트 장학프로그램의 목적에 상응하지 않는 활동을

하는 것을 금하며, 수혜기간 동안 장학금 이외의 보수를 받을 수 없다.

Mid-Career Research

A. 경력요건 (지원당시 기준)

1. 박사학위 소지자 (전문직업인의 경우 지원자의 분야에서 요구하는 최종학

위 소지자)

2. 교수의 경우; 한국의 고등교육법에 의해 인가된 대학에서 6 년 이상의 재직

경력을 갖춘 전임강사부터 부교수경력이 5 년 이하인 전임교수

3. 전임연구원(full-time)의 경우; 승인된 연구기관에서 6 년 이상의 경력을

소지

4. 전문직업인의 경우; 전문연구분야에서 최종학위 취득 후 6 년 이상의 경력

을 보유해야하며, 연구분야가 최종학위 분야와 동일해야 한다. 6 년 이내에

지원자가 전근했을 경우 동일 전공분야이면 전근 이전 경력과 합산 가능

B. 수혜기간: 6 개월 (프로그램의 시작은 2020 년 9 월 혹은 2021 년 1 월에 가능)

C. 선발예정 인원: 12 명

D. 체제 기간연장: 미국 체재가능기간은 장학 수혜기간을 포함하여 1 년이며 비

자 연장 및 의료보험 지원 가능

(continued)

14 한미교육위원단 장학프로그램 안내서 PY2020

연구 및 강의/

연구지원

프로그램

Lecturing &

Research

Senior Research

A. 경력요건 (지원당시 기준)

1. 박사학위 소지자

2. 교수의 경우; 한국 고등교육법에 의해 인가된 대학에서 부교수 재직경력 5

년 이상 또는 정교수

3. 전임연구원(full-time)의 경우; 승인된 연구기관에서 10 년 이상의 경력보

4. 전문직업인의 경우; 전문연구분야에서 최종학위 취득 후 10 년 이상의 경

력 보유

B. 수혜기간: 6 개월 (프로그램의 시작은 2020 년 9 월 혹은 2021 년 1 월에 가능)

C. 선발예정인원: 6 명

D. 체제기간연장: 미국 체재가능기간은 장학 수혜기간을 포함하여 1 년이며 비자

연장 및 의료보험 지원 가능

Lecturing & Research

강의/연구지원 장학프로그램은 한국대학의 사회과학, 인문과학, 예술 및 경영학

전공 교수를 대상으로 하며 미국 대학생들에게 전공과목 분야에서 한국을 주제로

강의가 가능해야 한다. 본 장학 프로그램의 수혜자는 전공 분야 내에서 한국과

관련된 내용을 미국대학교의 학부에서 매 학기당 두 강좌를 개설해야 한다.

수혜자의 학교배정은 한미교육위원단과 국제학자교류심의회(CIES)가 협의하여

한국학이 개설되어 있는 미국 소재 대학에서 강의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장학금의 지원자는 미국에서 강의하는 동안에 수행할 연구과제도 제출해야 한다.

연구 계획서는 자신의 전공 분야가 한국 또는 미국과 관련이 있거나, 양국의

비교연구를 포함해야 한다. 지원자의 연구과제는 한국학이 개설되어 있는 미국의

어느 대학에서라도 강의가 가능한 주제로 선정해야 한다. 학기 중에 휴가기간

동안 미국 내의 타 지역으로 여행이 허용되며, 경비는 자비로 충당한다.

지원 당시에 한국의 고등교육법에 의하여 인가된 4 년제 대학에서 강의하고 있는

교수 중 다음 사항에 해당이 되면 신청할 수 있다.

A. 일반요건

1. 양호한 건강

2. 우수한 영어실력

3. 한국학과 관련된 강의주제

B. 경력요건 (지원당시 기준)

1. 박사학위 소지자로 지원 당시 대학에서 5 년 이상의 강의 경력을 보유한 전

임교수

2. 지원한 해로부터 3 년이내에 정년 은퇴하였으나 은퇴 이후부터 지원 당시

까지 대학에서 자신의 전공강의를 계속하고 있는 명예교수

Senior

Research

(continued)

15 한미교육위원단 장학프로그램 안내서 PY2020

연구 및 강의/

연구 프로그램

Korea-U.S.

Alliance

Program

Korea-U.S. Alliance Program

한미동맹 60 주년 기념사업으로 프로그램의 목적은 한미동맹과 관련된

학문분야를 전공으로 하는 교수와 외교관계 전문 연구자들의 한미 양국의

미래지향적 전략적 동반관계 발전에 있다. 본 프로그램의 수혜자는 귀국 후,

학술발표나 저술활동 및 강연으로 연구결과를 발표해야 한다.

풀브라이트 한미 동맹관계 연구 및 강의 장학프로그램 2020 년도 선발 예정

인원은 2 명이다. 동 프로그램의 경력요건, 구비서류 및 장학금 수혜내역은 기존의

풀브라이트 연구 및 강의/연구지원 장학프로그램과 동일하다.

수혜기간은 연구만 하는 경우 6 개월이며, 2020 년 9 월 혹은 2021 년 1 월에 장학

프로그램을 시작할 수 있다. 강의와 연구를 동시에 수행하는 경우, 수혜기간은

10 개월이고, 2020 년 9 월에 프로그램을 시작해야 한다.

1. 생활비: 월 $2,710-$3,145 지급 (소속대학이나 연구소의 지역 물가 고려)

2. 가족수당: 1 인 동반 가족 월 $200 지급, 2 인 이상 동반 가족 월 $350

3. 주택수당: 동반가족이 없는 경우 월 $200, 가족 동반의 경우 월 $300

4. 정착비 및 연구비: $1,875 (6 개월에 한번 지급되는 고정액)

5. 미국무성 의료보험 혜택

6. 국제항공권

동반가족 자격은 J-2 비자의 소지자로 한정하며 수혜기간의 80% 이상의 기간을

미국에서 수혜자와 동반해야 가족수당과 주택수당이 지급된다. 가족수당은

수혜기간 종료 후에 정산된다. 동반자녀의 자격은 미혼으로서 출국 시 21 세

미만으로 제한한다. 의료보험과 왕복항공권은 수혜자 본인만 혜택을 받는다.

장학금 수혜내역

3. 전문직 은퇴자의 경우; 전문연구직에서 25 년이상 전임으로 근무 후 지원

한 해로부터 3 년이내에 은퇴한 지원자로 전문분야의 최종학위 소지 및 지

원 당시에 한국의 인가된 4 년제 대학에서 본인의 전문분야 강의를 하고 있

는 전문직 은퇴자

C. 제출서류

1. 강의 계획안(lecturing proposal)

2. 전공분야에서 한국과 관련된 두 가지 강좌의 한 학기용 영문 강의요목

(syllabus) 사본

3. 연구 계획안 (research proposal)

4. 강의 경력증명서(명예교수 혹은 전문직 은퇴자의 경우)

D. 공식초청서: 미국대학교의 정규학기 강의교수 공식초청(Formal Acceptance)

E. 선발예정인원: 1 명

F. 수혜기간: 약 10 개월 (1 Academic Year)이며 2020 년 가을학기부터 시작

(continued)

16 한미교육위원단 장학프로그램 안내서 PY2020

연구 및 강의/

연구 프로그램

(continued)

지원 및

선발과정

연구지원 장학금 수혜금액 내역 예시: 동반가족이 2 명, 수혜기간이 6 개월이며

체재기간이 12 개월의 경우

예상되는 최대 수혜총액은 $29,195 (원화 약 3,500 만원) 에 해당한다.

수혜내역은 다음과 같으며, 예상 수혜총액에 포함된 의료보험 및 국제항공권은

수혜자에게 현금으로 지급되지 않는다.

1. 생활비: 약 $18,870 (지역에 따라 차등 지급됨)

2. 가족수당: $2,100 (동반가족 2 인경우)

3. 주택수당: $1,800 (가족동반의 경우)

4. 정착비 및 연구비: $1,875

5. 미국무성 의료보험: 연간 $1,200 상당하는 혜택 (수혜자 본인만 해당)

6. 국제항공권 (수혜자 본인만 해당)

원서접수 기간은 2019 년 9 월 16 일 부터 9 월 20 일 까지이며 지원자는 온라인

접수를 포함한 모든 구비서류를 접수 마감일까지 한미교육위원단에 제출해야

한다. 우편접수의 경우, 소인이 마감일까지 찍힌 우편물만 유효하다. 지원서

양식은 한미교육위원단의 홈페이지 http://www.fulbright.or.kr 에서 직접 online

으로 제출이 가능하다.

서류전형 심사에 합격한 지원자는 이메일 혹은 전화로 면접 일정을 통보받는다.

강의/연구지원 장학프로그램 지원자에게는 모의강의 날짜와 시간이 통보가 된다.

면접과 강의는 영어로 이루어지며 면접일정은 추후 발표될 예정이다.

한미교육위원단은 심사위원회의 추천에 의해 후보자를 선발한 후 미국의 J.

William Fulbright Foreign Scholarship Board 의 최종 승인을 받는다.

최종 선정자는 2019 년 11 월말 이후에 발표한다. 연구지원 장학금의 수혜 효력은

미국의 대학이나 연구기관에서 체재허가를 승인 후, 한미교육위원단이

수혜자에게 승인을 통보하면서 연구지원 장학금의 지급효력이 발생한다.

A. 자격요건

1. 대한민국 국민 (이중국적자나 외국영주권 소유자가 아닌 지원자)

2. 지원 당시 2019 년 9 월부터 장학금 개시시점인 2020 년 8 월 혹은

2021 년 1 월까지 한국에 거주할 수 있는 지원자

3. 미국에서 원활한 연구 및 강의활동을 위한 양호한 건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지원자 및 연구 및 강의활동이 가능한 신체장애자

4. 전형과정에서 영어 인터뷰에 응할 수 있는 지원자

자격요건

17 한미교육위원단 장학프로그램 안내서 PY2020

연구 및 강의/

연구 프로그램

5. 학문적 우수성 혹은 탁월한 전문적 경력을 가진 지원자 (지원자는 개요

부분의 요구사항을 충족해야 하며 전공분야는 인문/사회과학 및 예술 및

간호학 분야로 제한한다.)

6. 다음의 경우에 해당되는 후보자는 지원 및 수혜 자격이 상실된다.

수혜후보자가 다른 기관의 후원 또는 개인적 이유로 장학금 개시시점

인 2020 년 8 월 이전에 조기출국을 할 경우

수혜후보자가 지원시점부터 2020 년 8 월 이전까지 기한이 6 개월 이

상인 J-2 비자를 소지할 경우

지원당시에 과거 5 년 동안 미국정부 장학금을 수혜경험이 있는 경우

연구지원 및 강의/연구지원 장학 프로그램의 동일 프로그램을 다시 지

원 할 경우

B. 선호대상 지원자

1. 학문적으로 우수한 자

2. 미국에서 학업 및 연구 경험이 적은 지원자

3. 지원자의 중점연구가 미국연구인 경우

4. 강의 및 연구대상 기관이 지원자가 박사학위를 취득하지 않은 학교인 경

5. 지원자의 강의/연구프로그램 목적이 한국관련 강의에 중점을 두는 경우

C. 제약사항: 배우자와 같이 수혜자일 경우, 장학금이 일부 제한된다.

(continued)

18 한미교육위원단 장학프로그램 안내서 PY2020

연구 및 강의/

연구 프로그램

구비서류

제출기한 2019 년 9 월 20 일

제출처 한미교육위원단 풀브라이트 연구 및 강의/연구 지원 장학 담당자

지원서

소정양식

한미교육위원단

지정서식 온라인으로 입력, 전송

풀브라이트

온라인 지원서 온라인으로 입력, 전송 후 출력한 원본 1 부 제출

재직증명서 영문 1 부 서면 제출

추천서 영문 3 부

지원자가 계획한 분야의 강의 및 연구수행 여부

를 평가할 수 있는 3 명의 추천인으로 구성 풀브라이트 온라인 지원서에서 추천인 이메일을

입력하면 추천인에게 추천서 양식이 전송되고

추천인은 이 양식을 작성하여 온라인으로 제출 서면추천서일 경우, 한미교육위원단 홈페이지

에서 서식을 다운로드 받아 제출 추천인이 직접 한미교육위원단에 접수마감일까

지 우송하거나, 지원자가 제출하는 경우, 반드시

추천인이 추천서를 밀봉 후, 봉투의 봉인선에 추

천인의 서명을 할 것

이력서 영문 1 부

온라인 지원서 양식으로 작성, 제출하고 출력한

원본 1 부 제출

6 페이지 이하로 작성하고, PDF 형식으로 업로

참고문헌 영문 1 부

Research Proposal 에 언급된 참고문헌

온라인 지원서 양시으로 작성, 제출하고 출력한

원본 1 부 제출

3 페이지 이하로 작성하고, PDF 형식으로 업로

포트폴리오 영문 포트폴리오

4 세트

미술과 디자인전공자는 동일한 내용의 포트폴리

오 4 세트를 제출

인쇄형식의 포트폴리오를 선호. 분야에 따라 CD

혹은 DVD 로 제출 가능

재정증명서 영문 1 부 수혜 확정 이후 제출 가능하며, 지원자의 소속기

관에서 승인된 안식년 기간이 기재되어야 함

모든 증명서는 영문본이어야 하며 발행기관의 봉투사용 및 공식봉인이 되어야 한

다.

구비서류의 지원서 작성 설명은 한미교육위원단의 홈페이지를 참조하며, 제출된

일체의 서류는 반환하지 않는다.

한미교육위원단 주소: 서울시 마포구 백범로 28 길 23 풀브라이트빌딩 (우편번

호: 04156)

19 한미교육위원단 장학프로그램 안내서 PY2020

풀브라이트

국제교육 행정가

프로그램 International Education Administrator Program

2020-2021

미국의 대학을 포함한

고등교육기관 방문

개요

미국의 교육 관계자와 상호

교류와 국제교육 프로그램의

철학 및 운영에 대한 연수

1

2

국제교육 행정가 프로그램은 국제교육 담당자를 대상으로 2020 년 5 월과 6 월

사이에 단기로 미국의 대학을 포함한 고등교육기관을 방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참석자들은 미국의 교육기관 및 사립기관을 방문하여 관계자들과 상호 교류하며

국제교육 프로그램의 철학 및 운영에 대한 연수를 받는다. 방문기간 중에는 미국

교육 관계자들과 그룹 혹은 개별토의에 참가하며 교육관련 회의에 참석할 기회도

갖게 된다. 참석자들은 본인의 업무와 직책에 대하여 영어로 간단한 발표를 할 수

있어야 한다.

참석자들은 연수기간 중에 한미교육위원단의 인솔자 안내를 받아야 하며 프로그램

시행 전이나 진행 중에 개별여행 및 가족동반을 할 수 없다. 개별여행은 프로그램의

종료 후에 가능하다. 귀국 후에 자신의 연수 경험과 내용을 미국교육 관련이 있는

교육자들과 공유하고 발표를 해야 한다. 그리고 동일 프로그램으로 한국을 방문하는

미국인 참석자들에게 학교방문/시찰을 위한 인솔과 안내 역할을 해야 한다.

프로그램 기간은 2 주이며 2020 년 5 월말에 미국의 St. Louis, Missouri 에서

개최하는 NAFSA: Association of International Educators 가 주최하는

국제교육주제의 연례회의에 참가를 희망하는 경우는 자비로 참가할 수 있다.

(continued)

20 한미교육위원단 장학프로그램 안내서 PY2020

국제교육행정가

프로그램

수혜내역

지원 및 선발과정

미국 왕복여비와 숙식비가 제공되며 개인경비는 본인이 부담한다.

지원서는 온라인으로 작성하여 제출하며, 접수기간은 2019 년 10 월

15 일부터 10 월 18 일이다. 서류전형에 합격한 지원자에 한하여 면접일자와

시간이 통보되며, 면접은 영어로 진행된다. 최종선발은 2019 년 12 월에

통보한다.

1. 대한민국 국민 (이중 국적자나 외국영주권 소지자로서 한국에 거주하는

지원자는 지원자격이 없다.)

2. 양호한 건강상태를 지닌 지원자 (프로그램 수행에 지장이 없는 신체장애자도

지원가능)

3. 장학금 수혜시점 기준으로 대학, 정부 및 교육기관의 국제교육부서에서

최소한 1 년 이상 국제교육업무을 담당하고 프로그램 종료후 1 년 이상 동일

업무를 수행할 행정직원

4. 장학금 수혜시점 기준으로 과거 5 년간 풀브라이트 장학금 혹은 미국정부

장학금을 받지 않은 지원자

5. 우수한 영어실력

6. 학사 이상의 학위 소지자

7. 미국에서 학업 및 거주 경험이 적은 지원자 선호

8. 수혜후보자로 선발된 후, 국제교육업무를 맡지 않을 경우 장학금 수혜는 자동

취소

자격요건

(continued)

21 한미교육위원단 장학프로그램 안내서 PY2020

국제교육행정가

프로그램

구비서류

지원자는 2019 년 10 월 18 일까지 한미교육위원단에 다음 서류들을 제출해야 한다.

1. 지원서 소정양식 (한미교육위원단 홈페이지의 국제교육행정가 구비서류난 참조)

온라인 지원서: 온라인으로 제출후, 출력물 1 부 제출

한미교육위원단 지정서식: 온라인으로 입력/제출

2. 재직증명서: 영문 1 부

3. 추천서: 영문 2 부

온라인 혹은 서면 제출

추천인은 지원자의 국제교육업무에 관여될 것

서면 추천서: 추천인이 직접 한미교육위원단으로 제출. 지원자가 제출시

추천서 봉투의 봉인선에 추천인의 서명

출장허가서 (최종선발 확정후 소속기관에서 발급)

주소: 서울시 마포구 백범로 28 길 23 풀브라이트빌딩 (우편번호: 04156)

22 한미교육위원단 장학프로그램 안내서 PY2020

풀브라이트

영어교사 미국학

연수 프로그램 Fulbright American Studies Program for

Korean English Teachers

2020-2021

영어교사의 미국 사회와 문화

체험 및 영어 교수법 훈련

개요

영어 수업과정 및 내용의 개발

영어교사의 영어실력 강화

풀브라이트 영어교사 미국학 연수 프로그램은 영어교사들이 미국사회와 문화를

체험하고 배우며, 영어교수법 훈련에 참가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 프로그램의

목적은 영어교사들이 학생들의 영어실력 향상을 위한 수업과정 및 내용의 개발과

연수자의 영어실력 강화에 있다.

1. 처음 4-5 주 동안 참가자들은 대학 수준의 강의를 수강하고 세미나에 참여한다.

이 기간 동안 집중적으로 영어교수법 훈련에 참여하며, 연수자의 영어실력을 향

상하기 위한 강의수강 및 미국의 다양한 역사, 문화, 사회 및 교육에 대한 강의를

듣는다. 연수자들은 일지를 작성하며 개별지도를 받을 수 있다.

2. 처음 4-5 주를 마치고 다음 2 주간은 미국의 중등학교로 파견되어 전문 ESL 교사

들의 수업참관 및 미국학생들을 가르칠 기회를 갖게된다. 또한 미국가정에 홈스

테이를 하도록 주선하여 참석자가 미국 가정생활을 직접 체험할 기회를 갖는다.

3. 마지막 주 3 일은 연수기간 동안 습득한 지식과 경험을 참가자 전원이 함께 통합

정리할 시간을 갖고 귀국준비를 한다.

연수기간은 2019 년 12 월말 부터 약 7 주간 (연수기간은 추후 확정) 진행이 되며

지원대상은 2019 년도에 풀브라이트 영어보조교사를 수용하는 시, 도 교육청 산하의

초/중/고등학교 영어교사 이다. 선정인원은 30 명으로 Texas International

Education Consortium at Univ. of Texas, Austin, Texas and other Texas cities

에서 연수가 진행된다.

1

2

(continued)

23 한미교육위원단 장학프로그램 안내서 PY2020

영어교사

미국학 연수

프로그램

수혜내역

지원 및 선발과정

연수기간 동안 숙박비와 식사비, 편도항공료 및 의료보험 제공 (그 외의 경비는

개인부담)

1. 원서접수기간: 2019 년 9 월 3 일 – 2019 년 9 월 6 일

2. 원서제출처: 한미교육위원단

3. 지원서양식: 한미교육위원단 홈페이지 구비서류난에서 다운로드하고 작성 및

전자 송부

4. 지원서 및 출장허가서: 서면 제출

5. 서류전형과 면접시험은 한미교육위원단이 주관한다. 면접 시험 전에 모든

지원자는 유효한 영어시험 성적을 소지해야 하며 2019 년 8 월까지 유효해야

한다. 지원자는 영어시험 성적표 사본을 원서 접수시 제출한다.

6. 서류전형을 통과한 지원자의 면접은 영어로 진행되며 10 월중에 시행할

예정이다. 면접전형공지는 지원자의 소속학교로 직접 통보하며, 최종결정은

10 월 말에 통보한다.

자격요건 1. 영문학 혹은 영어학 전공의 학사 이상의 학력 소지자

2. 영어교사 전임경력이 2020 년 2 월 29 일 기준으로 최소한 3 년 이상인 교사

3. 동일학교에서 1 인이상 지원이 가능함

4. 초등학교 교사일 경우, 반드시 지원당시에 영어교사 전담 경력이 3 년 이상의

소지자로 소속학교의 영어전담교사인 지원자

5. 연수기간 동안 학교장으로부터 출장허가 및 추천을 받을 수 있는 교사

6. 지원자격 제외 대상:

이중 국적자

영어권 국가에서 학사이상의 학위를 취득한 교사

(continued)

24 한미교육위원단 장학프로그램 안내서 PY2020

영어교사

미국학 연수

프로그램

구비서류

2002 년 이후 동일 프로그램에 참가했던 교사

한국어 보조교사 프로그램 (FLTA) 동시 지원자

7. 지원자는 프로그램 지원가능 여부 및 수혜 확정시 프로그램 참가 가능 여부를

시도 교육청의 해당부서와 사전 확인한 후 신청 (2 월 수업기간 동안 출장 가능

여부 등)

8. 연수자가 연수완료전에 개인적인 건강상의 사유로 (지병 혹은 임신) 조기귀국을

하게 되는 경우, 연수자는 한미교육위원단이 정한 규정에 따라 소요경비를

반납해야 한다.

9. 영어 성적: iBT 80 점/기관토플(ITP) 550 점/IELTS 6.5 점 이상 소유자

1. 지원서 소정양식 및 사진 1 장 (반 명함판): 온라인으로 입력 전송 후 출력한 원본

1 부

2. 대학/대학원 영문 졸업 증명서 1 부

3. 대학/대학원 전학년 영문 성적 증명서 1 부

4. 지원자가 초등학교 교사인 경우, 소속학교가 발급하는 영어전담 교사 확인서

5. 출장허가서 양식: 구비서류난 에서 다운로드

6. 지원당시 유효한 영어시험 성적표

25 한미교육위원단 장학프로그램 안내서 PY2020

풀브라이트

한국어 보조 교사

프로그램 Fulbright Foreign Language Teaching

Assistant Program 2020-2021

미국의 대학과 고등학교에서

한국어 강의 확대의 목적

개요

미국에서 한국어 수업 체험과

미국학 강화 및 영어 교육관련

강좌 수강

1

2

FLTA 프로그램은 미국의 대학과 고등학교에 개설되어 있는 한국어 강의를

확대하기 위하여 마련된 9 개월의 비학위과정 프로그램이며 미국무성이 재정 지원을

한다. FLTA 프로그램은 수혜자가 미국에서 한국어 강의를 하고, 미국학 강좌 및

영어교육관련 강좌를 수강하여 미국사회와 문화를 경험하도록 한다. 이 프로그램은

수혜자의 영어실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여 프로그램 종료후 한국에 돌아와

대학이나 중등학교에서 자신의 경험을 토대로 미국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또한 영어강의를 향상하는 이중 목적을 갖고 있다.

FLTA 프로그램의 수혜자 선발확정은 2020 년 5 월이며, 수혜자가 미국대학에서

수행해야 하는 업무는 다음과 같다.

1. 한 학기당 2 강좌 이상의 한국어 강의

2. 한 학기당 미국학 및 영어교육 관련 강좌를 각각 1 강좌 이상 수강

3. 참가대학 혹은 지역사회에서 열리는 문화행사에 적극적인 참여 및 한국 문화행사

개최에 주도적인 역할

4. 한국어 동아리 운영

(continued)

26 한미교육위원단 장학프로그램 안내서 PY2020

한국어 보조

교사 프로그램

지원자격

구비서류

1. 대한민국 국민 (이중국적자 제외)

2. 2020 년 2 월 기준으로 최소 학사학위 소지자

3. 지원 가능한 영어능력: TOEFL IBT 79 점 이상, IELTS: 6.0 이상

4. 프로그램의 전형기간 동안 (지원시점부터 출국시점까지) 한국에

거주해야 함.

5. 초,중,고등학교의 현직 교사인 경우, 지원당시에 소속 교육청과 휴직

처리를 반드시 사전 협의 후에 지원

6. 선호대상:

영어교육 강의 유경험자 (대학교 영어강사, 초중등 영어교사, 영문학/

영어교육 전공의 학부 4 학년 이상의 대학생 혹은 대학원생)

대학에서 한국어 교육과정 120 시간 이상 이수한 수료증 소지자

미국에서 거주, 학업, 연수 등의 경험이 적은 지원자

7. 지원자격 제약 사항:

수혜자의 체류 연장 및 가족 동반 불가

수혜기간 (2020 년 8 월 – 2021 년 6 월) 중에 출산예정자는 지원

불가

영어교사 미국학 연수프로그램 동시 지원자

1. 원서 접수: 2019 년 8 월 26 일 - 8 월 30 일

2. 제출 장소: 한미교육위원단 (우편접수의 경우 마감일자 소인 우편물까지

만 접수)

3. 지원자는 https://apply.iie.org/FLTA2020 에서 온라인 지원서를 입력

전송하고, 원본 1 부를 출력하여 우편 또는 방문접수

(continued)

27 한미교육위원단 장학프로그램 안내서 PY2020

한국어 보조

교사 프로그램

선발과정

4. Supplemental Forms

영문 추천서 3 부 (온라인 혹은 서면으로 제출가능함)

Medical Form: 지원 후에 1 차전형을 통과한 지원자만 작성

5. 대학/대학원 전학년 영문성적증명서 (원본 각 1 부) *

6. 대학/대학원 영문 졸업증명서 및 영문재학증명서 (원본 각 1 부) *

7. 영어평가시험 성적표 (유효한 TOEFL IBT, IELTS 성적표로 본인 성적표 원본

제출) *

8. 사진 2 매 (여권용 크기로 뒷면에 성함기재)

9. 한국어 교육과정 수료증 제출 - 2020 년 2 월까지 (온라인 강의는 인정이 안

됨.)

이상의 5, 6, 7 번의 제출서류는 원본으로 제출함과 동시에 5 번은 전자원서

Page #11 에, 6, 7 번은 Page #12 에 각각 Upload 하여 제출

구비서류 제출 후에 서류전형에서 합격한 지원자에게 면접시험 기회가

주어지며 전자우편 혹은 전화를 통해 면접일자와 시간이 통보된다. 면접시험

일자는 추후 발표된다. 면접 후에 미국에서 FLTA 프로그램을 주관 및

운영하는 미국무성과 IIE 가 한미교육위원단이 추천한 지원자들의 서류를

심의하여 2020 년 5 월경에 수혜자를 확정 통보한다.

1. 수혜기간 동안의 월생활비, 의료보험, 여비보조

2. 미국대학에서 수강할 등록금 면제 (학기당 2 개 강좌)

수혜내역

28 한미교육위원단 장학프로그램 안내서 PY2020

풀브라이트

Senior Specialist

프로그램 Fulbright Senior Specialist Program

istant Program 2020-2021

미국과 한국의 상호이해 촉진 및

장기협력

개요

참가국 기관간의 유대관계

향상과 유지의 목적

1

2

미국 국무성의 교육문화국은 그동안 시행해오던 기존의 풀브라이트 교환교수

프로그램을 보완하기 위하여 Fulbright Senior Specialist Program 을 설립하여

2001 년부터 시행하고있다. 프로그램의 주된 목적은 미국과 각국 사이의 상호이해

촉진과 장기협력을 통하여, 참가국의 기관과 미국내 기관사이의 유대관계 유지에

있다.

Senior Specialist 프로그램은 미국인 학자 및 전문가를 타국가에서 2 주에서

6 주동안 강연 및 자문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단기 장학프로그램이다. 미국

소재의 Council for International Exchange of Scholars (CIES)는 다양한 분야의

수혜 후보자 명단을 보유하고, 풀브라이트 운영사무국을 통하여 타국가의

기관으로부터 미국인 학자를 신청 받고 요청한 학자 및 연구분야와 미국인 학자와의

연관성을 심사하여 수혜자를 선발한다.

신청 분야는 인류학/고고학, 경영학, 신문방송학, 경제학, 교육학, 환경학, 정보기술,

법학, 문헌정보학, 정치학/행정학, 사회학 및 사회복지학, 미국학 (미술, 미술사,

무용, 경제, 정부, 역사, 문학, 음악, 대중문화, 연극), 도시계획학, 보건학,

평화분쟁해결연구 등이다.

프로그램의 비용은 미국 국무성의 교육문화국과 초빙기관이 분담하며 미국무성은

국제항공료 및 비용 (1 일 $200) 을 지급하고, 초빙기관은 한국 내의 숙식과

국내여행경비를 제공한다.

이 프로그램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아래의 CIES 의 웹사이트

https://fulbrightspecialist.worldlearning.org 를 참고하고 관심있는 기관은

한미교육위원단으로 문의한다.

29 한미교육위원단 장학프로그램 안내서 PY2020

Frequently Asked

Questions

풀브라이트 장학금에 대한

질문과 답변

Q: 동시에 두 가지 장학금을 수혜받을

수 있는가?

원칙적으로 풀브라이트 장학금은

수혜자가 지급목적이 동일한 다른

장학금을 받았을 경우에는 지급되지

않는다. 그러나, 풀브라이트 장학금과

다른 재원 (미국대학 등)의 장학금

총액이 유학경비 전액을 넘지 않는 한,

두 장학금을 동시에 수혜하는 것은

허용될 수 있다.

Q: 풀브라이트 장학금의 수혜자는

세계 어디에서나 유학할 수 있는가?

한미교육위원단에 의하여 지급되는

풀브라이트 장학금의 수혜대상국은,

한국인의 경우는 미국이고, 미국인의

경우는 한국으로 국한된다.

Q: 이전에 미국에서 수학한 경험이

있다면, 풀브라이트 장학금 수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미국에서 전혀 공부하지 않은

지원자가 보다 유리할 수 있다. 더

자세한 내용을 위해서는 해당장학금

자격요건을 참고하기 바란다.

Q: 풀브라이트 장학금 수혜자가

미국에서 유학이나 연구를 수행할

학교나 소속기관의 선정 및 그에 따른

수속절차는 어디에서 맡아 하는가?

대학원 장학프로그램의 경우, 뉴욕의

IIE (Institute of International

Education) 가 선발된 장학생들이

선호하는 미국대학의 입학절차를 맡게

된다. 학생들이 개별적으로

미국대학에 입학신청수속을 할 수도

있는데, 그와 같은 경우 학생들은

반드시 한미교육위원단에 통보하여야

한다. 어떤 대학의 입학허가도 받지

못한 수혜 후보자는 풀브라이트

대학원 장학금 수혜 후보자 자격이

상실된다. 연구 및 강의/연구지원

장학프로그램의 경우, 연구기관

선정은 수혜자가 직접 미국대학으로

부터 받아야 하며, 연구기관을

결정하여 한미교육위원단에 통보하면,

이후 워싱턴의 CIES (Council for

International Exchange of Scholars)

는 수혜자의 연구기관과 공식적인

확인절차를 밟게된다.

Q: 풀브라이트 장학금 수혜자가 받는

비자는 어떤 종류의 비자인가?

풀브라이트 장학금 수혜자는 교환방문

(J-1) 비자를 받는다. 이 교환방문

비자를 받은 한국인이 미국에서

취업하거나 이민신청 자격을 얻기

위해서는 승인된 학업이나 연구를

끝마친 직후 귀국하여 적어도 2 년을

한국에서 거주해야 한다. (미국을

방문하는 여행비자나 학생비자는 2 년

자국내 거주규정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Q: 영어실력은 어느 정도나 중요한가?

한미교육위원단에서는 장학생 선발시

영어실력의 우수성을 학문적 능력보다

중시 하지 않지만, 미국에서 학업과

연구의 성공여부는 생각이나 의견을

영어로 명료하게 표현 및 발표하는

능력에 크게 좌우된다. 즉, 자신의

학문 연구 목적에 대한 서술과 자기

소개를 할 수 있는 영어회화능력은

매우 중요하다.

Q: 풀브라이트 장학금은 연장이

가능한가?

대학원 학위과정 장학금만 1 년간

연장이 가능하다. 수혜자는 장학금

지급 연장신청을 미국의 IIE (Institute

of International Education) 로 해야

하며, 한미교육위원단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장학금 연장은 우수한

학업성취와 한미교육위원단의 예산에

의해 결정된다.

30 한미교육위원단 장학프로그램 안내서 PY2020

미국 유학 준비 학생에게 미국의

학교에 대한 정보 제공

한미교육위원단은 유학상담센터를 운영하여 미국유학을 준비하는 한국인들과

한국의 교육 제도에 관심이 있는 미국의 학교 혹은 기관들에 대한 정보와 상담을

제공한다.

유학상담센터는 방문이나 전화 및 웹사이트 조회로 이용할 수 있다.

웹사이트: http://www.educationusa.or.kr/

상담예약: http://www.educationusa.or.kr/kr/usec/advising.php

전화: 02-3275-4011

시간: 월요일 부터 금요일까지 (오전 9:00 – 오후 5:30)

휴무: 한국공휴일과 미국공휴일

유학 상담 센터

U.S. Education Center

한미교육위원단

서울시 마포구 백범로 28 길 23

풀브라이트빌딩 3 층 04156

전화: (02) 3275-4018

e-mail: [email protected]

Home Page: http://www.fulbright.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