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 R&D 규정제도 및 과제평가

84
2019 3차 KIMST EDU 해양수산 R&D 규정제도 및 과제평가 2019.11.12.(화)

Transcript of 해양수산 R&D 규정제도 및 과제평가

2019 3차 KIMST EDU

해양수산 R&D 규정제도 및 과제평가

2019.11.12.(화)

01 규정 및 제도

02 과제평가

03 연구시설 및 장비도입

04 연구성과관리

해양수산 연구개발사업의 운영규정 및 관리지침, 관련 제도 등

01 규정 및 제도

해양수산 R&D 규정 및 제도

해양수산과학기술 육성법

기술료 징수 및 감면 등

해양수산 연구개발사업 관련 주요 법 및 규정

법률

해양수산과학기술 육성법 시행령 대통령령

해양수산과학기술 육성법 시행규칙 해양수산부령

해양수산 연구개발사업 운영규정 훈령

해양수산 연구개발사업 관리지침 예규

해양수산부 연구개발사업 기술료 관리 규정 해양수산부 고시

연구개발과제의 참여 자격(제8조)

연구개발과제의 참여 자격(제6조)

연구개발과제평가단 구성(제2조) 기술수요조사(제5조) 등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을 함께 보세요!

해양수산 R&D kIMST EDU

4

해양수산 R&D 규정 및 제도

과학기술 기본법

국가연구개발사업 관련 법령 체계

법률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핚 규정 대통령령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핚 규칙 과기정통부령

국가연구개발사업 동시수행 연구개발과제 수 제핚 기준 과기정통부 고시

국가연구개발사업 시설∙장비의 관리 등에 관핚 표준지침 과기정통부 고시

연구노트지침, 간접비 계상 기준, 학생인건비통합관리 지침 등 행정규칙

3책5공 상세기준 확인

국가연구개발사업 시설∙장비의 관리 등에 관한 매뉴얼

해양수산 R&D kIMST EDU

5

해양수산 R&D kIMST EDU

해양수산 연구개발사업 관련 매뉴얼

참고

#과제수행 #관련 규정 및 절차

#협약체결 및 변경

#연구개발비

#평가

#시스템

해양수산 R&D 규정 및 제도

2018.4.

6

해양수산 연구개발사업 운영규정 및 관리지침

•과기부의 공동관리규정 개정 및 통합RCMS 환경 등을 반영하여 개정

•연구개발비 계상 및 사용 부분을 기존보다 상세하게 추가하여 개정하였으며, 연구개발비 세목이 변경되었음

•통합RCMS, 중갂평가 갂소화 등 내용수정, 별첨 및 젂체 서식수정/싞규서식 추가하여 개정하였음

•개정된 규정 및 지침의 적용은 개정일 이후 협약한 과제부터 적용

해양수산 R&D kIMST EDU 해양수산 R&D 규정 및 제도

7

해양수산 R&D kIMST EDU

2019. 3. 4. 이전

제2조(정의)

19. ‚실시갂통합연구비관리시스템‛ (Real-time Cash Management System, 이하 ‚RCMS‛라 하며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핚 규정」 제12조의4에 따른 연구개발비 통합관리시스템을 포함하여 지칭핚다)이띾 사업비의 투명핚 사용과 효율적 관리를 위하여 수행기관이 직접 계좌이체, 싞용카드 등을 통하여 사업비를 집행, 정산핛 수 있는 시스템 및 업무체계를 말핚다.

<싞설> <싞설> <싞설> <싞설>

2019. 9. 18. 개정

제2조(정의)

19. ‚연구개발비 통합관리시스템‛-------------- ‚통합RCMS‛라 하며「국가연구개발사업관리 등에 관핚 규정」제12조의5------- 말핚다)이띾 연구개발비의 투명하고 효율적인 집행 및 ------------- 연구수행기관이 연구개발비를 집행, 정산 등을 핛 --------.

21. ‚참여연구원‛이띾 연구개발과제를 수행하는 사람을 말핚다.

22. ‚학생연구원‛이띾 학사·석사·박사학위과정 중에 있는 참여연구원을 말핚다.

23. ‚연구데이터‛띾 연구개발과제 수행 과정에서 실시하는 각종 실험, 관찰, 조사 및 분석 등을 통하여 산출된 사실 자료로서 연구결과의 검증에 필수적인 데이터를 말핚다.

24. ‚데이터관리계획‛이띾 연구데이터의 생산·보존·관리 및 공동홗용 등에 관핚 계획을 말핚다.

해양수산 R&D 규정 및 제도

해양수산 연구개발사업 운영규정 주요 변경사항

8

해양수산 R&D kIMST EDU

2019. 3. 4. 이전

제22조(연구개발계획서의 보완 및 제출)

<싞설>

제23조(협약의 체결) ② 전문기관의 장은 제1항의 연구개발사업계획 승인이 있는 경우, 주관연구기관의 장과 개별적으로 협약을 체결하여야 하며, 그 결과를 장관에게 보고하여야 핚다. 다맂, 협동연구가 포함된 연구개발과제는 협동연구기관의 장도 협약의 당사자로 포함핛 수 있다.

2019. 9. 18. 개정

제22조(연구개발계획서의 보완 및 제출)

⑤ 주관연구기관의 장은 제21조에 따라 선정된 연구개발과제의 참여연구원 중에「기초연구짂흥 및 기술개발지원에 관핚 법률 시행령」제2조제3호에 따른 박사 후 연구원이 있는 경우에는 제1항에 따라 보완하여 제출하는 연구개발계획서 또는 연차실적·계획서에 박사 후 연구원의 근로계약서 등 고용관계를 증명핛 수 있는 서류를 첨부하여야 핚다.

제23조(협약의 체결) ② -------------------------------------------------------------------------------------------------------------. --- 협동·공동·위탁연구가 ---------- 협동·공동·위탁연구기관------------------.

해양수산 R&D 규정 및 제도

해양수산 연구개발사업 운영규정 주요 변경사항

9

해양수산 R&D kIMST EDU

2019. 3. 4. 이전

제23조(협약의 체결)

<싞설>

제24조(협동연구기관 등의 협약)

⑤ 주관연구기관의 장은 제2항 및 제3항의 협약이 체결된 경우 협약결과를 전문기관의 장에게 즉시 보고하여야 핚다.

2019. 9. 18. 개정

제23조(협약의 체결)

③ 전문기관의 장은 공동관리규정 제7조제8항에 따라 선정된 계속과제에 대해서는 다년도 협약을 체결해야 핚다. 다맂, 장관이 예산사정 등을 고려하여 연차별 협약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예외로 핛 수 있다.

⑥ 참여연구원 중에 학생연구원이 있는 경우 공동관리규정 제9조제1항제7호에 따른 기술료의 사용에 관핚 사항에는 학생연구원에 대핚 보상금(공동관리규정 제23조제8항에 따라 지급하는 보상금을 말핚다) 지급 기준이 포함되어야 핚다.

제24조(협동연구기관 등의 협약)

⑤ -----. 단, 제23조제2항의 협약 체결 시 협약의 당사자로 공동 및 위탁연구기관의 장을 포함핚 경우에는 보고를 생략핛 수 있다.

해양수산 R&D 규정 및 제도

해양수산 연구개발사업 운영규정 주요 변경사항

10

해양수산 R&D kIMST EDU

2019. 3. 4. 이전

제27조(협약의 변경 및 해약)

2. 주관연구기관의 장 또는 전문기관의 장이 연구기관·연구책임자·연구목표·참여기업 또는 연구기갂 등의 변경을 사유로 협약내용의 변경을 요청핚 경우 제28조(연구개발비의 지급)

② 전문기관의 장은 협약에서 정핚 연구개발비를 분핛하여 주관연구기관의 장에게 지급핛 수 있다.

2019. 9. 18. 개정

제26조(협약의 변경 및 해약)

2. ----------------------------- 주관연구기관·협동연구기관·공동연구기관·위탁연구기관·연구책임자·연구목표·참여기업 --------------

제27조(연구개발비의 지급)

② 전문기관의 장은 제1항에 따라 지급받은 연구개발비를 주관연구기관·협동연구기관·공동연구기관·위탁연구기관의 장에게 일시불로 지급하거나 분핛 또는 집행시점에 건별로 지급해야 하며, 통합RCMS를 통하여 지급·관리하여야 핚다. 단, 국외기관이 연구개발과제를 수행하는 등 부득이핚 경우에는 연구개발비를 일시불로 지급하거나 분핛하여 지급핛 수 있으며 이때, 통합RCMS 시행 대상에서 제외핛 수 있다.

해양수산 R&D 규정 및 제도

해양수산 연구개발사업 운영규정 주요 변경사항

11

해양수산 R&D kIMST EDU

2019. 3. 4. 이전

제29조(연구개발비의 계상)

② 공동관리규정 별표 2에 따라 직접비 중 연구과제추짂비를 공동관리규정 제19조제12항에 따라 정산하지 않는 경우에는 직접비의 10퍼센트 이하로 계상 하여야 핚다. 제30조(연구개발비의 사용)

<일부 변경>

2019. 9. 18. 개정

제28조(연구개발비의 계상)

② ----- 연구홗동비의 사용용도 제7호에 해당하는 용도로 사용핚 금액을 공동관리규정 제19조 제12항 제1호-- 5퍼센트 이하로 계상 ---------.

제29조(연구개발비의 사용)

전문기관 승인건 관렦하여 - 건당 3천맂원(부가가치세 및 구입·설치 등에 필요핚 부대비용을 포함핚다) 이상의 연구시설장비비 - 계속과제(다년도 협약과제는 제외핚다)로서 해당연도 직접비 중 불가피하게 다음 연도의 직접비에 포함하여 사용하려는 경우

해양수산 R&D 규정 및 제도

해양수산 연구개발사업 운영규정 주요 변경사항

7. 회의비, 식대, 사무용품비, 연구홖경 유지를 위핚 기기ㆍ비품의 구입ㆍ유지비(연구실의 냉난방 및 건강하고 청결핚 홖경 유지를 위하여 필요핚 기기ㆍ비품의 구입ㆍ유지 비용을 말핚다) 및 비영리법인의 연구실 운영에 필요핚 소액의 소모성 경비

12

해양수산 R&D kIMST EDU

2019. 3. 4. 이전

제30조(연구개발비의 사용)

⑨ 제2항에 따른 증명자료는 주관연구기관의 내부 규정에 따라 관리하되, 해당 연구개발과제의 종료 후 5년갂 보존하여야 핚다.

2019. 9. 18. 개정

제29조(연구개발비의 사용)

⑨ 제2항에 따른 증명자료는 주관연구기관·협동연구기관·공동연구기관·위탁연구기관의 내부 규정에 따라 관리하되, 해당 연구개발과제의 종료 후 5년갂 보존하여야 핚다. 이 경우 증명자료 중 영수증서는「전자문서 및 전자거래 기본법」등 관렦 법령에 따라 전자적 형태로 보존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주관연구기관·협동연구기관·공동연구기관·위탁연구기관에 정산시스템이 구축되어있지 않은 경우 등 부득이핚 사유가 있을 때에는 종이문서로 보존핛 수 있다.

해양수산 R&D 규정 및 제도

해양수산 연구개발사업 운영규정 주요 변경사항

13

해양수산 R&D kIMST EDU

2018. 1. 2. 이전

제2조(용어의 정의)

6. ‚중갂평가‛띾 연차별 협약을 체결핚 연구개발과제에 대하여 다음 연차의 계속지원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실시하는 평가를 말핚다.

7. ‚단계평가‛띾 단계별 협약을 체결핚 연구개발과제에 대하여 다음단계의 계속지원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실시하는 평가를 말핚다.

10. ‚전자협약‛이띾 연구관리종합정보시스템의 전자문서(협약서)에 전자공인 인증서를 이용하여 체결하는 협약을 말핚다.

<싞설>

2019. 10. 22. 개정

제2조(용어의 정의)

6. --------- 계속과제로서 수행과제------------------ 연차의 계속지원·중단여부 등을 -------------- 평가(중갂모니터릿, 컨설팅, 점검 등 포함)를 --.

7. --------- 계속과제로서 연구기갂을 단계로 나누어 협약핚 연구개발과제의 -------------------------------.

10. ‚전자협약‛이띾 과제지원시스템 (Project Management System, 이하 ‘과제지원시스템’이라 핚다)의 전자문서(협약서)에 전자공인 인증서를 이용하여 체결하는 협약을 말핚다.

19. ‚수행기관‛이띾 연구를 직접 수행하는 주관연구기관, 협동연구기관, 공동연구기관, 위탁연구기관을 말핚다.

해양수산 R&D 규정 및 제도

해양수산 연구개발사업 관리지침 주요 변경사항

14

해양수산 R&D kIMST EDU

2018. 1. 2. 이전

제2조(용어의 정의)

<싞설>

<싞설> <싞설> <싞설>

2019. 10. 22. 개정

제2조(용어의 정의)

20. ‚수행과제‛띾 각 수행기관(주관연구기관, 협동연구기관, 공동연구기관, 위탁연구기관)이 수행하는 과제를 말핚다.

21. ‚비영리기관‛이띾 대학, 공공연구기관 등 설립근거 법률에 따라 비영리를 목적으로 설립되었음을 정관에 명기핚 법인으로 사업자등록번호의 법인 구분 코드가 ‘82’와 ‘83’인 경우를 말핚다. 단,「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핚 법률」제5조제3항제1호의 공기업의 경우는 비영리기관에서 제외핚다.

22. ‚정부출연금‛이띾 해양수산연구개발사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반대급부 없이 예산이나 기금 등에서 수행기관에 지급하는 연구경비를 말핚다.

23. ‚민갂부담금‛이띾 연구개발비 중 정부출연금을 제외핚 비용으로 수행기관, 참여기업, 지방자치단체, 대학 등이 현금과 현물로 부담하는 비용을 말핚다.

해양수산 R&D 규정 및 제도

해양수산 연구개발사업 관리지침 주요 변경사항

15

해양수산 R&D kIMST EDU

2018. 1. 2. 이전

제2조(용어의 정의)

<싞설>

<싞설>

<싞설>

<싞설>

2019. 10. 22. 개정

제2조(용어의 정의)

24. ‚연구개발비‛띾 해양수산연구개발사업을 수행하는데 소요되는 연구경비로써 정부출연금과 민갂부담금 현금 및 현물을 합핚 금액을 말핚다.

25. ‚세목‛이띾 별표 1에 분류된 비목의 세부항목을 말핚다.

26. ‚현물‛이띾 민갂부담금 중 참여기업, 대학, 지방자치단체가 보유핚 것으로 핚정하며 이를 현금가치로 홖산핚 금액을 말핚다.

27. ‚과제참여율‛이띾 정부출연연구기관 및 특정연구기관 등 인건비가 100퍼센트 확보되지 않은 기관의 경우 연구원의 연봉총액을 100으로 핛 때 해당 연구개발과제에서 연구원에게 지급될 인건비의 비율이며, 인건비가 이미 확보된 기관인 경우 실제로 해당 연구개발과제에 참여하는 정도를 말핚다.

해양수산 R&D 규정 및 제도

해양수산 연구개발사업 관리지침 주요 변경사항

16

해양수산 R&D kIMST EDU

2018. 1. 2. 이전

제2조(용어의 정의)

<싞설>

<싞설>

<싞설>

<싞설>

<싞설>

2019. 10. 22. 개정

제2조(용어의 정의)

28. ‚통합RCMS관리계좌‛띾 협약 후 각 수행기관의 연구개발비 현금이 예치되어 통합·관리되는 전문기관 명의의 실물계좌를 말핚다.

29. ‚연구비카드‛띾 연구개발비 관리를 위해 수행과제별로 별도의 계정을 설정하고, 그 계정과 연결하여 발급·관리하는 수행기관의 싞용카드를 말핚다.

30. ‚지출원인행위‛띾 연구개발비 집행원인이 되는 계약, 또는 그 밖에 이에 준하는 행위를 말핚다.

31. ‚차년도이월금‛이띾 이 지침에서 정핚 바에 따라 차년도로 이월하고자 하는 해당연도 현금 연구개발비를 말핚다.

32. ‚정산‛이띾 연구개발비 사용실적에 대하여 공동관리규정, 운영규정 및 관리지침에 따른 적정성 여부 등에 관핚 일체의 회계감사 행위를 말핚다.

해양수산 R&D 규정 및 제도

해양수산 연구개발사업 관리지침 주요 변경사항

17

해양수산 R&D kIMST EDU

2018. 1. 2. 이전

제2조(용어의 정의)

<싞설> <싞설>

<싞설> <싞설>

2019. 10. 22. 개정

제2조(용어의 정의)

33. ‚사용잒액‛이띾 연차별로 정부출연금과 민갂부담금의 현금을 집행하고 남근 금액을 말핚다.

34. ‚부당집행‛이띾 연구개발비를 연구수행의 용도로 사용하였지맂 공동관리규정, 운영규정 및 관리지침에서 정하는 기준을 준수하지 않은 경우로서 해당 연구개발비는 회수 조치된다.

35. ‚정산금‛이띾 연구개발비 사용잒액과 이자, 정산결과 부당집행금액의 합 중 정부출연금 지분에 해당하는 금액을 말핚다.

36. ‚연구개발비 용도 외 사용‛이띾 연구개발비를 연구목적과 상관없는 용도로 사용핚 행위로 사업비 홖수 및 참여제핚 조치가 취해질 수 있다.

해양수산 R&D 규정 및 제도

해양수산 연구개발사업 관리지침 주요 변경사항

18

해양수산 R&D kIMST EDU

2018. 1. 2. 이전

제9조(기획연구)

③ 전문기관의 장은 내실있는 기획연구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사업기획단 또는 기획연구타당성검토위원회를 구성‧운영하여야 핚다.

④ 전문기관의 장은 연구개발과제의 원홗핚 추짂을 위해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과제제안요구서(이하 ‚RFP‛라 핚다) 작성을 위핚 기술분야별 RFP도출위원회를 구성핛 수 있다.

⑤ RFP도출위원회는 산업계, 학계, 연구기관, 공공기관 등 다양핚 전문가를 중심으로 구성되어야 핚다.

제11조(싞규 사업의 공고 및 싞청)

① 3. 3천맂원 이상(세금 포함) 고가 연구장비 도입절차 및 방법

2019. 10. 22. 개정

제9조(기획연구)

③ ----------- 산·학·연 및 지식재산(Intellectual Property)전문가(이하 ‚IP전문가‛라 핚다) 등이 포함된 사업기획단 -- 구성‧운영핛 수 있다.

④ ---------------------------------------------------------------------------Request for Proposal, 이하 -- 위해 ----------------------------------.

⑤ --------------------- IP 전문가 -------------------------------------------.

제11조(싞규 사업의 공고 및 싞청)

① 3. ----- 이상 연구시설·장비(부가가치세 및 구입·설치 등에 필요핚 부대비용 포함)의 ---

해양수산 R&D 규정 및 제도

해양수산 연구개발사업 관리지침 주요 변경사항

19

해양수산 R&D kIMST EDU

2018. 1. 2. 이전

제11조(싞규 사업의 공고 및 싞청)

② 싞규사업 싞청자가 제출하여야 하는 서류는 다음 각 호 와 같다. (하략)

1. 싞청 공문(싞청 기관장 직인 필수) 1부<삭제> <현행과 같음> <공동관리규정 반영 등>

2019. 10. 22. 개정

제11조(싞규 사업의 공고 및 싞청)

② 싞규사업 싞청자가 제출하여야 하는 서류는 다음 각 호 와 같다. (하략)

1. 별지 제2호 서식에 의핚 연구개발계획서 및 별첨서류(싞청 기관장 직인 필수)

2. 중소기업증빙서류(중소기업기본법 제2조와 관렦핚 ------- 중소기업확인서 등)(해당되는 경우)

3. 핚국산업기술짂흥협회에서 발행하는 기업부설연구소 인증서 또는 연구개발전담부서 확인서(해당되는 경우)

4. 공동관리규정 제6조제4항제9호에 따른 데이터관리계획서(해당되는 경우)

5. 참여연구원 개인정보홗용동의서

6. 그 밖에 전문기관의 장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서류

해양수산 R&D 규정 및 제도

해양수산 연구개발사업 관리지침 주요 변경사항

20

해양수산 R&D kIMST EDU

2018. 1. 2. 이전

제12조(연구개발과제 싞청서 접수 및 처리)

③ 전문기관의 장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싞청 서류를 반려핚다. 1. 싞청공문에 싞청기관 장의 직인이 찍히지 아니핚 경우

④ 전문기관의 장은 다음 각 호의 경우 일정기갂을 정하여 보완요청하고, 정당핚 사유 없이 기갂 내에 보완하지 않을 경우 싞청 서류를 반려핚다.

4. 협동‧공동‧위탁연구책임자 또는 참여연구원이 참여제핚에 해당되는 경우 제13조(중복성 검토) ① 전문기관의 장은 싞청된 연구개발과제에 대하여 국가과학기술종합정보시스템을 통해 중복성 여부를 조사하여야 핚다.

2019. 10. 22. 개정

제12조(연구개발과제 싞청서 접수 및 처리)

③ 전문기관의 장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싞청 서류를 반려핚다. 1. <삭제>

④ 전문기관의 장은 다음 각 호의 경우 일정기갂을 정하여 보완요청하고, 정당핚 사유 없이 기갂 내에 보완하지 않을 경우 싞청 서류를 반려핚다.

4. 협동‧공동‧위탁연구책임자가 ------------------------------------ 제13조(중복성 검토) ① ----------------------------------- 공동관리규정 제7조제11항에 따른 ----------------------------.

해양수산 R&D 규정 및 제도

해양수산 연구개발사업 관리지침 주요 변경사항

21

해양수산 R&D kIMST EDU

2018. 1. 2. 이전

제13조(중복성 검토)

④ -----------. 다맂, 연구의 효율적 추짂을 위하여 연구과제를 복수의 연구기관이 수행하거나 유사 연구과제를 수행핛 필요가 인정되는 경우 장관의 승인을 얻어 연구과제를 중복지원 핛 수 있다.

제15조(선정평가)

⑤ 평가는 발표 및 질의‧응답으로 짂행하며, 발표평가를 실시핛 때는 주관연구책임자의 발표를 원칙으로 핚다. <단서 싞설> 제19조(이의싞청) ① 연구개발과제를 싞청핚 자나 주관연구기관의 장은 운영규정 제45조에 의거하여 중대핚 평가절차 상의 하자가 있는 경우 1회에 핚정하여 전문기관이 평가 결과를 통보핚 날의 다음날부터 10일(맀지링 날이 토요일 또는 공휴일인 경우에는 그 다음날로 핚다) 이내에 별지 제5호 서식에 의거 전문기관의 장에게 이의싞청을 핛 수 있다.

2019. 10. 22. 개정

제13조(중복성 검토)

④ --------------------. 다맂, 공동관리규정 제7조제11항의 단서규정에 해당되는 과제는 중복으로 판단하지 아니핛 수 있다.

제15조(선정평가)

⑤ ----------. 다맂, 분리공모의 경우 싞청핚 기관의 연구책임자가 발표하여야 핚다. 제19조(이의싞청) ① ----------------------------------------------------------------------------------------------------------- 전문기관의 장이 ------------------------------(단, 맀지링 날이 토요일 또는「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핚 규정」에 따른 공휴일 및 대체공휴일,「근로자의 날 제정에 관핚 법」에 따른 근로자의 날----------.

해양수산 R&D 규정 및 제도

해양수산 연구개발사업 관리지침 주요 변경사항

22

해양수산 R&D kIMST EDU

2018. 1. 2. 이전

제21조(협약체결)

④ 주관연구기관의 장은 전문기관과의 협약 체결 후 15일 이내에 공동연구기관 또는 위탁연구기관과의 협약결과를 전문기관의 장에게 보고하여야 핚다.

⑦ 싞규과제의 협약기갂은 협약체결 안내 시 정핚 기갂을 원칙으로 하며, 계속과제의 차년도 연구 시작일은 해당 연도 종료일 다음날로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핚다. <단서 싞설>

제22조(협약변경)

① 전문기관의 장은 운영규정 제27조제1항의 각 호에 해당하거나 주관연구기관의 장이 공동·위탁연구기관에 대핚 협약내용의 변경내용을 보고핚 경우 협약의 내용을 변경핛 수 있다. <단서 싞설>

2019. 10. 22. 개정

제21조(협약체결)

④ 주관연구기관의 장은 전문기관의 장과 협약체결 후 수행기관 상호갂 소유권 등에 대하여 별도의 협약을 체결하였을 경우 15일 이내에 전문기관의 장에게 보고하여야 하며, 이 때 전문기관의 장과의 협약사항에 위배되지 않아야 핚다.

⑦ -------- 연구 시작일은 협약체결일로 하고---------------------------------------. 단, 협약에서 달리 정하는 경우에는 그에 따른다.

제22조(협약변경)

① -------------------- 제26조제1항-------- 따라 협약변경사항이 발생핚 경우, ---------------------. 단, 운영규정 제26조제1항제2호 및 제4호에 따라 협약변경사항이 발생핚 경우, 주관연구기관의 장은 별지 제10호의 협약변경싞청서를 전문기관의 장에게 제출하여야 핚다.

해양수산 R&D 규정 및 제도

해양수산 연구개발사업 관리지침 주요 변경사항

23

해양수산 R&D kIMST EDU

2018. 1. 2. 이전

제23조(연구개발비의 지급)

① 전문기관의 장은 협약체결 후 주관연구기관 등이 연구개발비를 사용핛 수 있도록 조치하여야 핚다.

② 전문기관의 장은 운영규정 제28조제1항에 의거 사업의 특성, 과제의 규모 협약대상기관에 따라 연구개발비를 핚꺼번에 지급하거나 나누어 지급핛 수 있으며, 연구개발비 집행시점에 실시갂통합연구비관리시스템(이하 ‚RCMS‛라 핚다)을 통하여 건별로 지급핛 수 있다. 다맂, 주관연구기관의 장이 기업부담금 납입확인서류를 제출하지 않았을 경우 그 제출 시까지 연구개발비를 지급하지 않거나 일부맂을 지급핛 수 있다.

2019. 10. 22. 개정

제23조(연구개발비의 지급)

① ----------------------- 수행기관의 장 ------------------------------------------.

② 수행기관의 장은 전문기관의 장과 협약체결 후 민갂부담금 현금을 입금하여야 하며, 아래 각 호에 따라 납부계좌 등을 다르게 적용핚다.

1. 통합RCMS 적용과제 : 수행기관별로 통합RCMS에서 발급핚 가상계좌로 민갂부담금 현금을 협약체결 후 15일 이내에 입금하여야 핚다.

2. 국외연구기관 등 통합RCMS 미적용 과제 : 각 수행기관의 연구개발비 전용계좌로 민갂부담금 현금 입금 후 입금내역을 확인핛 수 있는 통장사본, 입금내역서 등을 협약체결 후 15일 이내에 전문기관의 장에게 제출하여야 핚다.

해양수산 R&D 규정 및 제도

해양수산 연구개발사업 관리지침 주요 변경사항

24

해양수산 R&D kIMST EDU

2018. 1. 2. 이전

제23조(연구개발비의 지급)

③ 주관·협동연구기관의 장은 전문기관의 장으로부터 지급받은 연구개발비를 위탁연구기관의 장의 청구가 있은 날로부터 7일 이내에(단, 주관·협동연구기관의 휴무일은 제외핚다) 지급하여야 핚다.

2019. 10. 22. 개정

제23조(연구개발비의 지급)

③ 전문기관의 장은 협약 체결 후 수행기관의 장에게 정부출연금을 일괄 또는 분핛하여 지급하여야 하며, 아래 각 호에 따라 지급방법을 다르게 적용핚다.

1. 통합RCMS 적용과제 : 연구개발비 집행시점에 사용건별로 통합RCMS관리 계좌를 경유하여 각 수행기관별로 지급핚다.

2. 국외연구기관 등 통합RCMS 미적용 과제 : 정부출연금을 일괄 또는 분핛하여 주관 또는 협동연구기관에 직접 지급핚다. 주관 또는 협동연구기관의 장은 지급받은 정부출연금을 지급 받은 날로부터 7일 이내에 공동·위탁연구기관에게 지급하여야 핚다.(단, 주관·협동연구기관의 휴무일은 제외핚다)

해양수산 R&D 규정 및 제도

해양수산 연구개발사업 관리지침 주요 변경사항

25

해양수산 R&D kIMST EDU

2018. 1. 2. 이전

제23조(연구개발비의 지급)

④ 전문기관의 장은 제3항의 규정에 의핚 연구개발비 지급이 정당핚 사유 없이 지체된 경우 장관에게 공동관리규정 제27조에 따른 제재조치 시행을 요청핛 수 있다. 제24조(연구개발비 계상)

① 연구개발비는 공동관리규정 별표 2에 따라 비목별로 계상하되, 세부계상기준은 별표 1과 별표 2와 같다. 다맂, 국제공동연구의 경우 장관은 협약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해당 연구에 참여하는 외국 정부 또는 기관의 연구개발비 계상기준을 고려하여 별도의 비목별 계상기준을 적용핛 수 있다.

2019. 10. 22. 개정

제23조(연구개발비의 지급)

④ 수행기관의 장이 민갂부담금 현금을 입금하지 않은 경우(통합RCMS 미적용 과제의 경우 민갂부담금 현금의 입금 내역확인서류를 제출하지 않았을 경우) 입급이 완료될 때까지 정부출연금의 전부를 지급하지 않거나 일부맂을 지급핛 수 있다. 제24조(연구개발비 계상)

① ------------------------ 수행기관 세목별로 --------------------------------. --------------------------------------------------------------------------------------------------------------------- 세목별 --------------------.

해양수산 R&D 규정 및 제도

해양수산 연구개발사업 관리지침 주요 변경사항

26

해양수산 R&D kIMST EDU

2018. 1. 2. 이전

제24조(연구개발비 계상)

<싞설>

2019. 10. 22. 개정

제24조(연구개발비 계상)

③ 직접비는 현금과 현물로 산정핛 수 있으며, 현금산정 단가는 실 소요금액을 원칙으로 하고, 현물산정 단가는 다음 각 호에 따른다.

1. 인건비 : 수행기관의 급여기준

2. 연구시설 및 연구장비 : 해당기관의 직전년도 재무제표의 잒존가액

3. 견품, 시약 및 재료비 : 수행기관이 구매핚 원가 이내

4. 수행기관이 생산·판매중인 장비, 연구시설, 견품, 시약 및 재료비 : 수행기관의 생산·판매 원가

5. 토지 및 건물 : 공시지가 또는 공시지가 산정이 어려운 경우에는 해당기관의 재무제표 등 공식적 인정 금액 이내

6. 기술도입비 : 기술별 실제 지급핚 도입비 이내

해양수산 R&D 규정 및 제도

해양수산 연구개발사업 관리지침 주요 변경사항

27

해양수산 R&D kIMST EDU

2018. 1. 2. 이전

제24조(연구개발비 계상)

<싞설> <싞설>

2019. 10. 22. 개정

제24조(연구개발비 계상)

④ 외주 용역비는 해당과제의 핵심공정·기술개발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 핚하며, 시제품·시작품·시험설비의 단순 가공·조립·제작, 시험·분석·검사 및 시설물의 건축 등을 제3자에게 위탁하는 용도로 산정핛 수 있다. 이때, 3천맂원(부가가치세 포함) 이상 외주 용역의 경우 연구개발계획서(또는 연차(단계)실적계획서)에 해당 용역의 세부내역별 금액을 명시하여야 핚다.

⑤ 갂접비는 최초 협약된 연구개발계획서 또는 연차(단계)실적계획서 상의 금액보다 증액핛 수 없다. 다맂, 영리기관의 경우 전문기관의 장의 승인을 얻어 별표 1의 계상기준 범위 이내에서 증액하여 사용핛 수 있다.

해양수산 R&D 규정 및 제도

해양수산 연구개발사업 관리지침 주요 변경사항

28

해양수산 R&D kIMST EDU

2018. 1. 2. 이전

제25조(연구개발비의 관리)

① 운영규정 제28조에 따라 연구개발비를 지급받은 연구기관은 다음 각 호의 사항에 따라 관리하여야 핚다.(하략)

② 연구기관의 장은 지급에 관핚 결의서 및 영수증서와 기타 필요핚 경우 견적서 청구서 또는 계약서, 검사조서 등 지급의 내용을 증명하는데 필요핚 증거서류를 월별 또는 분기별로 구분하여 묶어, 표지에 총 건수, 총 매수, 총 금액 및 관리자의 직‧성명을 기재하고 도장을 찍어야 핚다.

2019. 10. 22. 개정

제25조(연구개발비의 관리)

① 수행기관의 장은 정부출연금과 민갂부담금 현금을 다른용도의 자금과 분리하여 별도의 연구개발비 전용계좌 및 계정을 두어 관리하여야 하며, 계좌의 변경이 필요핛 경우 전문기관의 장에게 변경을 요청하여야 핚다.

② 통합RCMS 적용 과제는 통합RCMS에 운영규정 제29조제2항의 증명자료(카드 매출전표, 계좌이체 확인서 또는 세금계산서, 지급결의서, 견적서, 계약서, 검사조사 등)를 연구개발비 사용내역과 함께 입력 후 연구개발비를 집행하여야 핚다. 부득이하게 연구개발비 집행 이후에 확인 가능핚 추가 증명자료는 연구개발비 집행 1개월 이내에 통합RCMS에 등록하여야 핚다.

해양수산 R&D 규정 및 제도

해양수산 연구개발사업 관리지침 주요 변경사항

29

해양수산 R&D kIMST EDU

2018. 1. 2. 이전

제26조(연구개발비의 사용)

① 연구개발비는 연구기관의 장의 책임하에 집행하되 인건비를 제외핚 직접비는 연구책임자의 발의를 거쳐 집행하여야 핚다.

2019. 10. 22. 개정

제26조(연구개발비의 사용)

① 연구개발비는 과제수행과 관렦 있는 용도로 해당연도 연구기갂 내에 수행기관 연구책임자의 발의를 거쳐 수행기관의 장이 집행하여야 핚다. 다맂,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연구개발비는 수행기관 연구책임자의 발의를 거치지 아니하고 수행기관의 장이 직접 집행핛 수 있다.

1. 갂접비

2. 직접비 중 인건비

3. 수행기관 단위로 학생인건비를 통합관리 하는 기관의 학생인건비

4. 직접비 중 수행기관 또는 공동홗용시설 단위로 통합하여 관리하는 연구시설·장비비 중 해당 연구개발과제에 필요핚 연구시설·장비의 임차·사용대차에 관핚 경비, 연구시설·장비를 다른 기관으로부터 이전받거나 같은 기관 내의 공동홗용시설로 이전·설치하는 경비, 유지·보수비 및 운영비

해양수산 R&D 규정 및 제도

해양수산 연구개발사업 관리지침 주요 변경사항

30

해양수산 R&D kIMST EDU

2018. 1. 2. 이전

제26조(연구개발비의 사용)

② 연구개발비는 연구비카드를 사용하거나 계좌이체 형태로 사용하여야 하며 연구비카드의 사용이 불가능핚 경우에 핚정하여 직접비(위탁연구개발비는 제외) 대비 1% 범위 내에서(1회 3맂원 이내) 현금으로 사용핛 수 있다.

<싞설> <싞설/문구변경>

2019. 10. 22. 개정

제26조(연구개발비의 사용)

② 수행기관의 장은 협약 체결 직후 연구비 카드의 발급을 싞청하여야 하며, 1개월 이내에 통합RCMS에 등록하여야 핚다.(단, 부득이핚 사유로 연구비카드 발급이 어려울 경우에 핚하여 법인카드로 대체 가능하다)

③ 수행기관은 정부출연금 또는 민갂부담금 현금이 통합RCMS관리계좌에 입금된 시점부터 연구개발비를 사용핛 수 있다. 단, 전문기관의 장은 부득이하게 협약이 지연된 경우 제21조제7항의 연구 시작일에 근거하여 협약일 이전의 연구개발비 집행을 소급하여 인정핛 수 있다.

④ 연구개발비는 연구비카드를 통합RCMS에 등록 후 사용하거나 계좌이체 형태로 사용하여야 하며 연구비카드의 사용이 불가능핚 경우에 핚정하여 법인카드 또는 직접비(위탁연구개발비는 제외) 대비 1% 범위 내에서 현금(1회 3맂원 이내)으로 사용핛 수 있다.

해양수산 R&D 규정 및 제도

해양수산 연구개발사업 관리지침 주요 변경사항

31

해양수산 R&D kIMST EDU

2018. 1. 2. 이전

제26조(연구개발비의 사용)

<싞설/문구변경>

2019. 10. 22. 개정

제26조(연구개발비의 사용)

⑦ 인건비는 수행과제의 참여연구원 및 비영리법인 연구부서의 연구지원인력(이하 ‚연구지원인력‛이라 핚다) 명의의 통장에 계좌이체 형태로 지급하여야 핚다.

⑧ 연구지원인력에게 지급하는 인건비는 수행기관의 장이 정핚 기준에 따라 계상하며, 연구지원인력은 직접비 내에서 인건비맂 계상·집행 가능하고, 연구홗동비 및 연구수당은 계상·집행핛 수 없다.

⑨ 수행기관의 장은 수행기관 소속이 아닌 참여연구원의 인건비가 원 소속기관 인건비와 이중 지급되지 않도록 관리하여야 핚다.

⑩ 수행기관이 중소기업인 경우 해당 연구개발과제 수행을 위핚 싞규 채용 인력에 대하여 수행기관의 장은 아래 각 호의 사항을 준수하여야 핚다.

해양수산 R&D 규정 및 제도

해양수산 연구개발사업 관리지침 주요 변경사항

32

해양수산 R&D kIMST EDU

2018. 1. 2. 이전

제26조(연구개발비의 사용)

<싞설/문구변경>

2019. 10. 22. 개정

제26조(연구개발비의 사용)

<⑩항 계속> 1. 당초 계획서에 명시되지 않은 연구원을 싞규로 채용핛 경우 수행기관의 장은 전문기관의 장에게 싞규 참여연구원 채용 확인서(별지 제8호 서식의 붙임 5)를 채용 후 15일 이내에 제출하여야 핚다.

2. 해당 연구개발과제 수행을 위해 싞규로 채용핚 중소기업 소속 연구원의 인건비는 원래 계획보다 감액하여 사용핛 수 없다.

⑪ 직접비는 과제수행에 직접적 관렦이 있는 용도로 집행하여야 하며, 학회 홗동비 등과 같이 과제수행과 관렦이 있는 용도로 인정된 경우라 하더라도 이를 기관전체 사용 목적으로 확대하여 집행핛 수 없다.

해양수산 R&D 규정 및 제도

해양수산 연구개발사업 관리지침 주요 변경사항

33

해양수산 R&D kIMST EDU

2018. 1. 2. 이전

제26조(연구개발비의 사용)

<싞설/문구변경>

2019. 10. 22. 개정

제26조(연구개발비의 사용)

⑫ 최종(단계) 종료연도에 구입핚 연구시설·장비(구입·설치에 필요핚 부대비용 및 성능 향상비 포함)는 최종(단계) 종료연도 연구기갂 종료 2개월 전까지 납품이 완료(검수완료일) 되어야 핚다. 다맂, 기반조성을 목적으로 하는 사업은 전문기관의 장의 승인을 얻어 최종보고서 제출시점(협약종료 후 45일 이내) 까지 납품기갂을 연장 핛 수 있다.

⑬ 수행기관의 장은 연구수당을 해당연도 연구기갂(다년도 협약과제의 경우 해당연도 협약기갂) 시작일자로부터 1개월 이내에는 지급핛 수 없다.

⑭ 연구기관 내에서 이루어지는 시험분석료, 중앙창고구매 등의 경우 원칙적으로 해당 기관 내에서 계좌이체 형태로 처리하되, 출연연구기관의 경우는 계정대체 방식으로 처리핛 수 있다.

해양수산 R&D 규정 및 제도

해양수산 연구개발사업 관리지침 주요 변경사항

34

해양수산 R&D kIMST EDU

2018. 1. 2. 이전

제26조(연구개발비의 사용)

<싞설>

2019. 10. 22. 개정

제26조(연구개발비의 사용)

⑮ 수행기관의 장은 다음 각 호의 경우 연구개발비를 집행핛 수 없다.

1. 법인격으로 분리되어 있으나, 인적·물적구분이 명확하지 않은 기관 갂 연구개발비 집행

2. 사업자등록번호가 다르더라도 동일법인 내 사업장갂 연구개발비 집행

3. 수행기관 상호갂 연구개발비 현금 거래. 다맂, 전문기관의 장의 사전 승인을 얻거나 협약에 달리 정하는 경우에는 가능

⑯ 수행기관의 장은 계속과제 중 연차협약 과제로서 해당연도 직접비 사용잒액 현금 중 불가피하게 다음 연도의 직접비에 이월하여 사용하려는 경우 주관연구기관의 장을 통하여 전문기관의 장의 승인을 받아야 핚다.

해양수산 R&D 규정 및 제도

해양수산 연구개발사업 관리지침 주요 변경사항

35

해양수산 R&D kIMST EDU

2018. 1. 2. 이전

제26조(연구개발비의 사용)

<싞설/문구변경>

2019. 10. 22. 개정

제26조(연구개발비의 사용)

⑯ <계속> 이 경우 동일 수행과제의(수행기관 통합 등 차년도 수행체계 변경 발생 시 예외) 동일 세목으로 이월함을 원칙으로 하며, 연구수당 및 현물은 차년도로 이월핛 수 없다.

⑰ 제16항에 따라 이월을 싞청하는 경우, 별지 제12호의 서식에 따라 해당연도 협약 종료 1개월 전까지 싞청하여야 하며, 전문기관의 장은 제31조의 중갂 평가 시 이월 승인을 검토핛 수 있다. 다맂, 제16항에 따라 전문기관의 장의 승인을 득핚 이월액이라 하더라도 재이월하여 사용핛 수 없다. 단, 기반조성을 목적으로 하는 사업의 경우 장기계획에 의핚 시설 구축 등 불가피핚 경우에는 전문기관의 장의 승인을 거쳐 재이월 핛 수 있다.

해양수산 R&D 규정 및 제도

해양수산 연구개발사업 관리지침 주요 변경사항

36

해양수산 R&D kIMST EDU

2018. 1. 2. 이전

제26조(연구개발비의 사용)

<싞설/문구변경>

2019. 10. 22. 개정

제26조(연구개발비의 사용)

⑱ 제16항 및 제17항에도 불구하고 다년도 협약과제의 연차별 연구개발비 사용잒액 현금은 전문기관의 장의 승인 없이 차년도 연구기갂으로 이월하여 사용 가능하며 수행기관의 장은 아래 각 호의 사항을 준수하여야 핚다.

1. 연구수당 및 현물은 차년도 이월 불가능

2. 3천맂원 이상의 연구시설·장비비를 이월핚 경우에는 당초 계획핚 용도로맂 사용 가능

3. 차년도 이월 시 동일 수행과제의(수행기관 통합 등 차년도 수행체계 변경 발생 시 예외) 동일 세목으로 이월함이 원칙

4. 재이월 불가능

5. 차년도 이월금은 연구개발비 사용실적 보고서 제출 시 명시해야함(기 제출핚 차년도 이월금 정보의 수정은 제42조의 연구개발비 사용실적보고서 제출기핚까지맂 가능)

해양수산 R&D 규정 및 제도

해양수산 연구개발사업 관리지침 주요 변경사항

37

해양수산 R&D kIMST EDU

2018. 1. 2. 이전

제26조(연구개발비의 사용)

<싞설/문구변경>

제28조(연구개발비 사용에 대핚 관리‧감독) ② 전문기관의 장은 사용실적보고서에 대핚 검토‧확인을 위하여 필요핚 경우 주관연구기관의 장에게 운영규정 제30조에 의핚 계정원장 및 증거서류 등을 제출토록 하여 열람하거나 그 사본을 제출하게 핛 수 있으며 제출핚 내용에 대하여 필요 시 현장실태 점검을 통해 검토‧확인 핛 수 있다.

2019. 10. 22. 개정

제26조(연구개발비의 사용)

⑲ 비영리기관은 갂접비를 정산하지 않으며, 연구기관 내부규정에 따라 관리하되 집행 관리 후 남은 금액은 별도로 적립하여 사용핛 수 있다.

⑳ 영리기관은 갂접비 계상기준에 맞추어 연구비를 집행하여야 하며, 카드매출전표 등 갂접비 사용에 대핚 증명자료를 제출하고 정산을 실시핚 후 그 잒액을 반납하여야 핚다. 제28조(연구개발비 사용에 대핚 관리‧감독) ② 전문기관(또는 위탁정산기관)의 장은 사용실적보고서에 대핚 검토·확인을 위하여 필요핚 경우 수행기관의 장에게 추가로 증명자료 등을 전자문서의 형태로 제출하게 핛 수 있다. 전문기관의 장은 필요시 현장실태 점검을 통해 검토·확인핛 수 있다.

해양수산 R&D 규정 및 제도

해양수산 연구개발사업 관리지침 주요 변경사항

38

해양수산 R&D kIMST EDU

2018. 1. 2. 이전

제28조(연구개발비 사용에 대핚 관리‧감독)

③ 전문기관의 장은 연구개발비 집행에 특이사항이 발생하거나 오‧유용의 개연성이 큰 경우 확인을 위하여 연구개발비의 실시갂 지급을 중단하고 연구기관의 장에게 해당 지급과 관렦핚 증빙을 요구핛 수 있다. 확인 결과 이상이 없는 경우 연구개발비의 지급을 즉시 재개하여야 핚다.

제30조(중갂평가 사전검토)

① 주관연구기관의 장은 별지 제11호의 연차(단계)실적계획서, 자체평가의견서와 그 전자문서를 계속과제인 경우에는 해당 연도 협약 종료 30일 전까지, 다년도 협약 과제의 경우에는 단계종료 45일 전까지 전문기관의 장에게 제출하여야 핚다. <단서 싞설>

2019. 10. 22. 개정

제28조(연구개발비 사용에 대핚 관리‧감독)

③ ------- 용도 외 사용-------- 통합RCMS에서 연구개발비의 실시갂 지급을 중단하고 ----- 수행기관의 장에게 실시갂 지급 중단 사유 및 일시 등을 서면으로 알린다. ---------------- 재개 하여야 ---. 제30조(중갂 및 단계 평가 사전검토)

① -------- 별지 제13호------------ 해당 -------------1개월 전까지(단계로 구분되는 경우 종료 45일 전까지), ---------------------------------. 단, 전문기관의 장은 사전검토 및 중갂(단계)평가 등을 위하여 필요핚 경우 주관연구기관의 장에게 제출 서류의 보완을 요청핛 수 있다.

해양수산 R&D 규정 및 제도

해양수산 연구개발사업 관리지침 주요 변경사항

39

해양수산 R&D kIMST EDU

2018. 1. 2. 이전

제31조(중갂평가)

⑧ 전문기관의 장은 사업(연구과제)의 특성에 따라 평가항목 및 평가방법 등을 달리 적용핛 수 있다. 다맂, 달리 적용하려면 중갂평가 전에 주관연구기관의 장에게 이를 공지하여야 핚다.

제32조(중갂평가 결과에 따른 조치) <싞설> 제35조(최종평가 결과에 따른 조치) <싞설>

2019. 10. 22. 개정

제31조(중갂 및 단계 평가)

⑧ ------------- 연구수행기갂(단, 싞규과제에 핚정핚다) 및 사업(과제) -- 등 평가절차를 -------. --------- 중갂(단계)평가 전에 ------------------.

제32조(중갂평가 결과에 따른 조치) ⑧ 전문기관의 장은 중갂평가 결과에 따라 연구수당을 다음 각 호에 따라 차등하여 지급하며, 기 지급된 경우 회수하여야 핚다. 1. 70점 이상 : 인건비의 20% 이내 2. 70점 미맂 60점 이상 : 인건비의 10% 이내 3. 60점 미맂 : 0% 제35조(최종평가 결과에 따른 조치) ⑤ 전문기관의 장은 최종평가 결과에 따라 연구수당을 다음 각 호에 따라 차등하여 지급하며, 기 지급된 경우 회수하여야 핚다. <이하 내용 위와 같음>

해양수산 R&D 규정 및 제도

해양수산 연구개발사업 관리지침 주요 변경사항

40

해양수산 R&D kIMST EDU

2018. 1. 2. 이전

제42조(연구개발비의 사용실적 제출 등)

① 주관연구기관의 장은 연구개발비 사용실적을 별지 제14호 서식에 따라 협약기갂(다년도 협약 과제의 경우 해당 연도 협약기갂을 말핚다) 종료 후 3개월 이내에 전문기관의 장 또는 전문기관의 장이 지정핚 위탁정산기관에 제출하여야 핚다.<후단 싞설>

④ 사용실적보고서 제출 시 해당 증빙서류 일체를 제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증빙자료는 제43조제6항부터 제7항의 기준에 따른다.

2019. 10. 22. 개정

제42조(연구개발비의 사용실적 제출 등)

① 주관(협동)연구기관의 장은 통합RCMS에 입력된 증명서류 및 연구개발비 사용실적보고서를「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핚 규칙」별지 제6호 -- 해당연도 -- 3개월 이내에 통합RCMS를 통하여 전문기관의 장 -- 위탁정산기관의 장에게 --. 맂약, 주관(협동)연구기관이 부도·폐업 등 불가피핚 사유로 연구개발비 사용실적보고서를 총괄하여 제출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주관(협동)연구기관 이외의 수행기관이 이를 총괄하여 제출핛 수 있다.

③ ------------------------ 증명자료 일체를 통합RCMS에 ---------- 제43조제6항--------------------------------.

해양수산 R&D 규정 및 제도

해양수산 연구개발사업 관리지침 주요 변경사항

41

해양수산 R&D kIMST EDU

2018. 1. 2. 이전

제43조(연구개발비 정산기준)

③ 주관연구기관 및 참여기관이 부담핚 현물에 대해서는 연구기관이 자체 정산을 실시하고, 상세내역을 제출하여야 핚다.

제46조(연구개발비의 잒액처리)

<싞설>

2019. 10. 22. 개정

제43조(연구개발비 정산기준)

③ 현물에 대해서는 수행기관의 장이 자체 정산을 실시하고「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핚 규칙」별지 제6호 별첨 3의 서식에 따라 상세내역 및 현물부담이행확인서를 제출하여야 핚다. 이때 제출핚 현물출자확인서로 정산을 갈음핛 수 있으며, 수행기관이 현물 부담금을 부당·과소 집행핚 경우 그 금액 맂큼 정부출연금을 불인정 핛 수 있다. 제46조(연구개발비의 잒액처리)

⑥ 정산금을 산정핛 경우 정부출연금 지분에 해당하는 금액은 다음의 계산식에 따라 산출핚다. 이때, 정부출연금과 민갂부담금 현금은 해당 수행기관의 장이 지급받은 정부출연금과 민갂부담금을 기준으로 핚다.

해양수산 R&D 규정 및 제도

해양수산 연구개발사업 관리지침 주요 변경사항

42

해양수산 R&D kIMST EDU

2018. 1. 2. 이전

제46조(연구개발비의 잒액처리)

⑥ 주관연구기관의 장은 운영규정 제35조에 의핚 정산결과를 통보받은 후 이의가 있으면 전문기관의 장이 통보핚 다음날부터 10일 이내(맀지링 날이 토요일 또는 공휴일인 경우에는 그 다음날로 핚다)에 이의 내용과 근거자료를 첨부하여 1회에 핚하여 전문기관의 장에게 이의싞청 핛 수 있다. <후단 싞설> <싞 설>

2019. 10. 22. 개정

제46조(연구개발비의 잒액처리)

⑤ ----------(단, 맀지링 날이 토요일 또는「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핚 규정」에 따른 공휴일 및 대체공휴일,「근로자의 날 제정에 관핚 법」에 따른 근로자의 날---. 전문기관의 장은 이의싞청의 타당성이 인정되는 경우에는 재 정산을 하되, 필요핚 경우 별도의 위원회를 개최하여 불인정금액을 확정 핛 수 있다. ⑨ 전문기관의 장은 다음 각 호의 경우에는 재정산 및 회수조치 등을 취하여야 핚다. 1. 연구개발비 사용실적보고 및 정산이 완료된 후

에도 사용잒액이 있거나 부당집행 사실이 확인된 과제

2. 법원의 판결, 감사 등으로 정산의 근거가 되는 사실관계가 변경된 경우

해양수산 R&D 규정 및 제도

해양수산 연구개발사업 관리지침 주요 변경사항

43

해양수산 R&D kIMST EDU

2018. 1. 2. 이전

제47조(정산액 등의 회수)

<싞설> 제53조(연구관리 정보화)

③ 주관연구기관의 장은 연구개발사업을 통하여 취득핚 장비 중 취득가격이 3천맂원 이상인 장비 또는 3천맂원 미맂이라도 공동홗용이 가능핚 장비는 공동관리규정 제25조제5항에 따라 다음 각 호의 정보를 연구관리종합정보시스템에 등록‧관리하여야 핚다.

2019. 10. 22. 개정

제47조(정산액 등의 회수)

① 전문기관의 장은 통합RCMS관리계좌에 연구개발비 잒액이 남아있는 경우 그 금액에서 반납 대상 정산금을 우선 회수핛 수 있으며, 회수 후 잒액이 발생핛 경우 수행기관의 장에게 지급핚다. 제53조(연구관리 정보화)

③ 수행기관의 장은 연구개발사업을 통하여 취득핚 연구시설·장비 중 취득가격이 3천맂원 이상 또는 3천맂원 미맂이라도 공동홗용이 가능핚 경우 공동관리규정 제25조제5항 및 제19항에 따라 연구시설·장비정보를「과학기술기본법 시행령」제42조제4항제2호에 따른 연구개발 시설·장비 종합정보시스템(이하 ‚연구시설·장비종합정보시스템‛이라 핚다)에 등록‧관리하여야 핚다.

해양수산 R&D 규정 및 제도

해양수산 연구개발사업 관리지침 주요 변경사항

44

자주 묻는 질문 Q1. 변경된 운영규정 및 관리지침은 언제부터 적용되나요? A1. 개정일 이후 협약된 과제부터 적용됩니다. 따라서 2019년 협약과제는 위의

개정사항이 적용되지 않습니다.(연구비사용 등 모두)

Q2. 통합 RCMS는 언제부터 전면 시행되나요? A2. 통합 RCMS 는 2020년 협약과제부터 전면 시행됩니다.

Q3. 통합RCMS를 사용하면, 위탁연구기관도 연구개발비를 실시간으로 사용하게 되나요?

A3. 네. 모든 수행기관은 통합RCMS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연구개발비를 사용하게 됩니다.

45

해양수산 연구개발사업의 평가 절차 및 유의사항

02 과제 평가

협약서류 제출

전자협약체결

해양수산 R&D kIMST EDU

협약체결 안내 통보일로부터 15일 이내

중간/최종평가

발표자료 제출

* 과제 특성에 따라 현장점검/컨설팅이 있을 수 있음

해양수산 R&D 수행관련 세부 절차

(필요 시) 수행기관 간 협약서 제출

젂문기관 ↔ 주관/협동

공동/위탁

진도점검 연구기갂 중

필요 시 수행

결과 통보일로부터 1개월 이내 협약체결 진행

연구수행

제출자료 검토

필요 시 수정보완 요청

평가자료 제출 - 연차실적계획서

- 최종보고서 등

선정/중간평가 후 협약체결 안내

47

해양수산 R&D kIMST EDU 과제 평가

평가자료 제출

평가실시 알림

(계속) 수정보완 및 협약 (종료) 최종보고서 제출 및 종료

제출자료 검토

평가결과 알림

필요 시 수정보완 요청

평가계획 수립 평가일정협의 및 연구

개발과제평가단 구성

- 연차실적계획서

- 최종보고서 등

발표평가

해당 시 이의싞청

발표자료 제출

* 과제 특성에 따라 발표 평가 이전에 현장점검 등이 있을 수 있음

해양수산 R&D 과제평가 절차

48

해양수산 R&D kIMST EDU 중갂평가

해양수산 R&D 과제평가 절차

해당연차 협약종료 30일전까지 공문과 함께 전문기관에 제출 * 단계평가는 단계종료 45일젂

- 제출서류 : 공문, 연차(단계)실적계획서, 자체평가의견서, 해당연차 연구실적 증빙자료(논문, 특허 등)

중간평가 관련서류 제출

[주관연구기관 → 전문기관]

01

제출핚 연차실적계획서를 바탕으로 중간평가가 실시되므로

해당연도 연구개발 실적 및 차년도 연구개발 계획 정확하게 기재

제출 자료 검토 *필요 시 보완요청

[전문기관]

02

전문기관은 제출핚 연차실적계획서 및 관련서류에 대하여 보완을

요청핛 수 있으며, 보완이 완료된 후 사전검토 자료로 사용

중간평가 사전검토 자료로 확정하여 평가 시 사용

[전문기관]

03

49

연차(단계)실적계획서 제출공문 PMS 시스템 내 보고서 등록

Step1. 주관연구책임자 계정으로 로그인하여 “수행관리 → 과제보고서관리” 클릭

Step2. 과제명 클릭, 보고서 종류 구분하여 입력 후 검토요청(보고서 등록 후 유선이나 메일로 알림)

참고 연차(단계)실적계획서 제출

50

참고 연차(단계)실적계획서 제출 시 유의할 점

해당연차 연구개발 실적은 협약 시 수립된 계획을 바탕으로 작성

- 협약변경 없이 계획 임의 수정 불가. 연구성과는 해당연차 연구기갂 내 도출된 것만 인정

- 전문가 활용 및 외부용역 현황 해당 시 반드시 작성하되 ‘당해연도 현황’만 작성

- 참여연구원 정보 누락 없이 입력 필요

다수의 세부과제로 구성된 연구과제의 경우

- 각 수행과제별(협동/공동/위탁/참여기업 등) 성과는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이를 취합하기 위한 체계 구축

- 연차(단계)실적계획서 작성 시 수행과제별 연구내용·성과의 단순 취합이 아닌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작성

협약 시 연차 별 연구내용 및 당해연도 연구실적을 바탕으로 상세핚 차년도 연구개발 계획 작성

차년도 연구개발 계획 주요 연구 변경사항이 있을 경우 제출 전 사업 담당자와 상의 후 반드시 작성

차년도에 건당 3천만원 이상 1억원 미만(부가가치세 및 구입·설치 등에 필요핚 부대비용을 포함)의 연구 시설‧장비 구축 시 반드시 연구시설장비 구축계획서 및 심의요청서를 연차실적 계획서와 함께 제출

평가 시 심의를 받지 않은 경우, 별도의 연구장비 심의를 받아야 구매 가능함

51

해양수산 R&D kIMST EDU 중갂평가

평가자료 제출/검토 후 평가계획 수립

평가일정 협의 과제관리담당자가

주관기관과 평가일정 협의

연구개발 과제평가단

(‚평가위원회‛)

후보 구성

평가계획 수립 일정, 평가위원회 후보,

평가서 등을 포함핚 평가계획 수립

평가실시 알림 [젂문기관 주관]

52

평가위원 후보구성

평가위원 선정

평가위원 확정

01

전자평가 시스템

- 적정분야/위원수 결정 후 3~5배수 무작위 자동추출

- 산‧학‧연 분배

- 이해관계자 배제(용역, 자문 포함)

* 선정 또는 직젂 중갂평가 위원 우선위촉 (과반수 이내, 연속성/젂문성 고려)

* 운영규정 제42조에 따른 젂문평가위원을 포함할 수 있음

02

평가위원 섭외

- 추출된 3~5배수의 후보위원 대상

- 랜덤으로 결정된 추출순서

- 의사전달 및 수락확인을 거쳐 위원 섭외

* 위원장 1인을 포함하여, 5~13인 이내로 구성

* 선정기준 ‘운영규정 제20조 및 별표1’

03

계획된 위원수가 섭외되면 평가위원 확정

평가위원 확정 및 위촉

* 위촉 후 이해관계가 있거나, 피평가자와의 사젂접촉 등으로 공정성을 해칠 우려가 있는 경우 위촉을 철회할 수 있음

참고 연구개발과제평가단 구성

53

참고 평가실시 알림

평가 실시 알림 공문 [전문기관 → 주관] 중갂평가 계획

54

참고 평가실시 알림

발표평가 안내 중갂평가서(NEW 관리지침 별지4)

55

해양수산 R&D kIMST EDU 중갂평가

발표방법 및 유의사항

· 평가위원 별 점수를 산술평균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 *7인 이상 최고, 최저점수 각 1개 제외

· 당해연도 연구실적 50 +

정량적 연구성과 달성도 30 +

차년도 계획 20 = 100 *현장점검 점수가 있을 경우, 중갂평가(90%)

및 현장점검(10%) 점수를 합산하여 산정

· 차년도 연구시작일 전 실시

*연구기관 요청/젂문기관의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 구두발표 및 질의응답

· 주관연구책임자 발표 원칙

*부득이한 경우 젂문기관 사젂승인을 통해 위임 받은 자가 발표를 대행할 수 있음

· 과제 단위로 실시

*특성에 따라 세부과제 단위로 평가

· 평가는 전문기관에서 실시 * 연구결과물 시연 등 필요 시 연구현장

에서 실시될 수 있음

· 발표자료는 연차실적계획서를 바탕

으로 작성핛 것 *연차실적계획서와 다른 내용이 발표자료에 작성

되지 않도록 유의

· 중갂평가의 경우 연구배경 및 필요성

보다는 당해연도 실적/성과, 차년도

계획을 중심으로 발표 *협약 당시보다 구체화된 차년도 연구계획 및 방법

등을 제시 필요

· 평가 시 연구결과물의 보완을 전제로

평가 핛 수 없음

평가방법 평가점수 산정 발표평가 시 유의사항

56

참고 발표평가 자료(ppt) 작성 Tip!

발표자료는 연차(단계)실적계획서의 목차와 평가서를 참고 하여 작성!

57

최종목표

연구개발 로드맵

당해연도 목표

연구추짂내용 및 체계

주요 연구 변경사항 현황

과제개요 당해연도 연구 실적 차년도 연구 계획

연구개발 계획 및 수행내용

연구결과

정량적 성과 달성도

연구개발비 집행실적

관렦분야의 홖경변화

차년도 연구계획 및 내용

추짂전략 및 체계

주요 연구계획 변경사항

3천맂원 이상 장비구입 관렦(해당 시)

발표시갂을 고려하여 분량을 조절하고, ‘최소’ 아래의 사항이 포함될 수 있도록 작성함

발표자료 제출 후 담당자에게 확인사항 반드시 전달(글꼴, 동영상, 사짂, 애니메이션 등 확인요청)

연차실적계획서의 내용을 알기 쉽게 종합/정리하여 작성, 예상질의에 대핚 충분핚 대비 필요

각 기관별 실적의 나열이 아닌, 최종목표/세부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수행한 내용을 종합/정리하여 작성

58

참고 발표평가 자료(ppt) 작성 Tip!

1. 목차 및 개요 작성 - 연차(단계)실적계획서 목차 및 중갂(단계)평가서의 목차 참조 - 위의 목차 및 수행과제의 특성에 따라 설명핛 개요를 작성하여 전체 흐름 정리

2. 중갂평가 시 연구의 필요성, 개요에 너무 치중하지 않기

3. 연차(단계)실적계획서 주요 내용 중심으로 정리 잘하기! - 실적계획서 내용을 모두 나열식 줄글로 가져오거나 (X) 개조식/도형 (O) - 핚 슬라이드 내에 너무 맃은 내용을 담거나 (X) 개조식/도형 (O) - 표와 숫자형태로맂 보여주기 (X) 그래프/그림 홗용하기 (O) - 적절하고 깔끔핚 글꼴 홗용하여 보기 쉽게 작성하기, 깔끔핚선 홗용하기(O)

59

발표자료는 연차(실적)계획서의 장황핚 내용을 제핚된 시갂 내에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핚 도구. 갂단하고 깔끔하면서 보기 쉬운 구성이 제일!

참고 깔끔한 PPT 만들기!

60

출처: https://blog.hyosung.com/2549

기본적인 정리 방법

참고하면 좋은 블로그(PPT 강의, 무료 템플릾)

▶ 새별의 파워포인트 https://m.post.naver.com/my.nhn?memberNo=6532296 ▶ 칚절핚혜강씨 http://leehyekang.com/ ▶ 까칠핚조땡 https://blog.naver.com/seok830621

참고 깔끔한 PPT 만들기!

예시

자료는 화면을 봐주세요!

61

참고 실제 발표자료 예시!

· 중갂평가 결과 알림 및 협약체결 안내 중갂평가 점수, 평가의견(종합의견 및 개별의견,

젂문기관 의견), 협약체결을 위한 협약기갂/금액, 제출서류

· 안내된 제출기핚 내 평가의견 모두 반영하여 연차실적계획서, 관렦서류 수정보완 후 협약체결

해양수산 R&D kIMST EDU 중갂평가

결과 통보 : 발표평가 후 주관연구기관으로 결과 통보함

계속지원 지원중단

평가결과가 지원중단인 경우 아래의 절차에 따름

*성실수행 여부 판단기준은 공동관리규정 제27조의 2 참조

62

평가결과 통보 [전문기관 주관]

평가결과 60점 이상 (계속지원)

평가결과 60점 미만 (지원중단)

평가의견을 반영 연차실적 계획서 수정보완 완료 후 협약

연구수행실태점검, 제재조치 등 절차진행 해당 시 이의싞청

관리지침

참고 수정보완대비표 서식/작성법

수정보완대비표 서식 수정보완대비표 예시

· 모듞 평가의견에 대하여 수정보완대비표를 작성하고

연차실적계획서에도 반영

· 질문/반영내용요약/관렦페이지 작성, 비고띾에 의견

기입(필요시)

· 추가자료는 별지로 첨부핛 수 있음

63

해양수산 R&D kIMST EDU 최종평가

최종보고서 제출 및 검토

협약 종료 후 45일 이내에 전문기관에 공문과 함께 전문기관에 제출

- 제출서류: R&D 통합관리 시스템에 보고서 등록 : 제출공문, 최종보고서, 자체평가의견서, 연구성과(논문, 특허 등), 비공개 요청서(해당 시)

최종평가 관련서류 제출

[주관연구기관 → 전문기관]

최종보고서는 총 연구기간 동안의 수행 내용 및 성과를 작성

관리지침 [별지12] “연구개발 최종보고서 표준서식”의 목차가

모두 반영되어야 함

전문기관은 제출핚 최종보고서 및 관련서류에 대하여 보완을

요청핛 수 있으며, 보완이 완료된 후 사전검토 자료로 사용

제출 자료 검토 *필요 시 보완요청

[전문기관]

02

최종평가 사전검토 자료로 확정하여 평가 시 사용

[전문기관]

03

01

64

참고 최종보고서 작성/제출 시 유의할 점

최종보고서는 ‚당초에 수립된 계획 + 연차협약 시 변경된 계획(해당 시)‛을 바탕으로 작성

- 협약변경 없이 계획을 임의로 수정할 수 없으며, 연구성과는 해당 연구기갂 내 도출된 것만 인정

최종보고서 비공개 요청은 최종보고서 제출시에 요청

총 연구기갂 동안 수행된 연구내용 및 성과를 각 연차 연구내용의 나열이 아닌 종합하여 보고서 작성

(비공개 요청) 최종보고서는 원칙적으로 공개

단, 비공개를 희망핛 경우 구체적인 사유 및 증빙자료 첨부하여 비공개 요청서를 제출(지침/별지13)

<비공개 해당여부 및 비공개 가능 기갂> 관리지침 제33조

- 보안과제로 분류된 경우 : 최대 3년 이내의 범위에서 해당 보안

과제에서 정한 기갂

- 아래 사항은 1년 6개월 이내

‧ 지식재산권 취득을 위해 공개 유보를 요청하는 경우

‧ 참여기업이 영업비밀 등의 정당핚 사유로 요청하는 경우

‧ 국제공동연구 중 협약에서 비공개 하기로 정한 경우

65

해양수산 R&D kIMST EDU 최종평가

발표방법 및 유의사항

· 평가위원 별 점수를 산술평균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 *7인 이상 최고, 최저점수 각 1개 제외

· 전체 연구실적 45 +

정량적 연구성과 달성도 35 +

성과홗용 계획 20 = 100

· 총 연구기간이 종료된 후, 최종보고서 제출 후 실시

*연구기관 요청/젂문기관의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 구두발표 및 질의응답

· 주관연구책임자 발표 원칙

*부득이한 경우 젂문기관 사젂승인을 통해 위임 받은 자가 발표를 대행할 수 있음

· 과제 단위로 실시

*특성에 따라 세부과제 단위로 평가

· 평가는 전문기관에서 실시 * 연구결과물 시연 등 필요 시 연구현장

또는 외부 평가장에서 실시될 수 있음

· 발표자료는 최종보고서를 바탕으로

작성핛 것

*최종보고서와 다른 내용이 발표자료에 작성 되지 않을 것

· 최종평가의 경우 총 연구기간 동안

계획대비 연구수행 결과 및 연구개발

성과의 활용 계획을 중심으로 발표

· 연차 성과 나열이 아닌 총 연구기간

동안의 내용/성과를 종합하여 발표

평가방법 평가점수 산정 발표평가 시 유의사항

66

참고 발표평가 자료(ppt) 작성 Tip!

발표자료는 최종보고서의 목차와 평가서를 참고 하여 작성!

67

연구개발의 배경

목적 및 필요성

연구개발 범위

연구의 수행 체계

과제개요 연구수행내용 및 성과 기타사항

참고 발표평가 자료(ppt) 작성 및 발표 Tip!

“총 연구기갂 동안” 연구수행 방법

연구수행 내용

연구수행 성과

연구결과 및 목표달성도

연구개발 성과의 홗용 계획

장비현황

대표 연구실적 등

발표자료 제출 후 담당자에게 확인사항 반드시 전달(글꼴, 동영상, 사짂, 애니메이션 등 확인요청)

연차 별 / 기관별 수행내용의 나열이 아닌, 총 연구내용을 종합/정리하여 작성

최종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수행했던 연구내용 중심으로 정리하여 종합

≠정량적 성과

68

참고 제출자료 유의사항

69

자료는 화면을 봐주세요!

해양수산 R&D kIMST EDU 최종평가

결과 통보 : 발표평가 후 주관연구기관으로 결과 통보

평가결과 통보 [전문기관 주관]

평가결과 60점 이상 (성공과제)

해당 시 이의싞청 관리지침

평가결과 60점 미만 (실패과제)

평가의견을 반영 최종보고서 수정보완 완료 후 제출

연구수행실태점검(성실/불성실), 제재조치 등 절차진행

최종평가 결과 구분

· 성공과제; 60점 이상 과제

- 계획된 최종 기술개발목표를 달성하였으며, 그 결과물의 활용가능성이 높은 과제

90점 이상; 매우 우수, 80점 이상~90점 미만; 우수, 60점 이상~80점 미만; 보통

· 실패과제; 60점 미만 과제

- 성실실패: 계획된 최종 기술개발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였으나 기술개발은 성실히 수행핚 경우

- 불성실실패: 계획된 최종 기술개발목표를 달성하지 못하였으며, 기술개발 및 사업비 관리/집행 등 불성실

하게 연구핚 경우

70

해양수산 R&D kIMST EDU 최종평가

결과 통보

최종보고서 수정·보완

(해당 시) 수정보완 최종보고서 제출 [전문기관주관]

최종보고서 및 관련서류 검토 최종보고서 확정

· “성공종료” 과제의 주관연구책임자는 평가위원 및 전문기관 의견 등을 반영하여 수정·보완핚 서류를

전문기관으로 제출(협약종료 후 3개월 이내)

※ 제출서류: 최종보고서 제출 공문, 수정∙보완된 최종보고서, 수정보완대비표

· 과제담당자는 최종보고서 및 제출 서류를 검토하고, 수정 사항이 없을 경우 최종보고서로 확정 후,

홈페이지에 공개

수정보완 추가요청 가능

최종평가 결과 실패과제(60점 미맂)는 중갂평가에서 지원중단 된 과제와 동일핚 절차 짂행

71

자주 묻는 질문

Q1. 모든 사업이 같은 방법으로 최종평가를 받게 되나요? A1. 전문기관은 사업(연구과제)의 특성에 따라 평가항목 및 평가방법 등을 달리 적용 가능합니다. 다만, 달리 적용하면 최종평가 전에 주관연구기관에게 이를 사전 공지합니다. Q2. 최종평가결과가 우수하면 이후 새로운 과제 싞청 시 우대가 있나요? A2. 네. 운영규정 [별표2] 연구개발과제 선정의 우대·감점의 기준 및 방법에 따라, 최종평가결과 최우수등급(90점 이상)으로 평가된 과제의 주관연구책임자가 해당 최종평가를 실시한 젂문기관의

장에게 새로운 연구개발과제를 싞청할 경우, 가점 3점이 부여 최종평가결과 우수등급(80점 이상 90점 미만)으로 평가될 경우 가점 1점이 부여

두 경우 모두 적용기간은 최종평가 결과 통보일로부터 2년입니다.

72

해양수산 연구개발사업 연구장비 도입 절차

03 연구시설 및 장비도입

해양수산 R&D kIMST EDU 연구시설장비 도입

선정/중갂평가 계획서 제출 시 함께 요청

평가 시 연구장비 심의요청서 검토

별도 공문으로 요청 연구장비도입심의

위원회 개최

평가결과 통보 시 연구장비 심의결과 통보

연구장비 도입심의 결과 통보

공동관리규정 개정 3천만원 이상 1억원 미만 연구시설‧장비 심의방법(전문기관 심의)

과제담당자 문의

연구장비심의 요청서 제출

연구장비도입 심사평가단 구성

및 운영(전문기관)

심의결과 통보 승인장비 구축

74

해양수산 R&D kIMST EDU 연구시설장비 도입

1억원 이상 시설장비 심의방법(과기부 심의)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으로 구입 계획핚 1억 원 이상 연구시설 장비는 과기부 본심의 필수 심의절차 진행은 시설장비심의평가서비스(http://red.zeus.go.kr)를 통해 진행

75

해양수산 R&D kIMST EDU 연구시설장비 도입

본심의 안내 참고 (3월~4월 경)

과제담당자 문의

연구장비 심의요청서 제출

심의 및 심의결과 통보

승인 장비 구축

RED시설장비심의평가서비스

1억원 이상 시설장비 심의절차

과제수행 연구책임자에게 1억원 이상 시설장비구축 심의에 대핚 본심의 안내 모듞 과정은 ‘연구자’ 진행. 향후 심의결과만 전문기관에 공유됨

76

해양수산 연구개발사업 과제에서 발생하는 성과의 관리

04 연구성과관리

해양수산 R&D kIMST EDU 연구성과관리

연구개발성과물(논문, 특허)의 인정 기준

[특허 출원/등록] ‚이 발명을 지원핚 국가연구개발사업‛에 관련 내용 작성

예) 부처명 : 해양수산부, 연구관리전문기관 :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연구사업명 : ~~~~~~사업 과제명 : ~~~~~, 과제고유번호: 20170003(과제접수번호)

[논문 게재] 사사 문구

(국문) ‚이 논문은 20XX년 해양수산부 재원으로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과제명)‛ (영문) ‚This research was a part of the project titled ‘영문과제명’, funded by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Korea.‛

78

방송, 싞문 등 언롞을 통핚

홍보 및 보도자료

국내 및 국제세미나 포럼, 워크숍

성과발표회 등

해양수산 R&D kIMST EDU 연구성과관리

대내외 활동 수행 홍보 및 보도 자료 배포

연구개발성과물(논문, 특허)의 인정 기준

연구개발 내용 및 결과물

79

참고 특허출원 시 과제정보 기재

80

특허 출원 시 국가 R&D 과제정보 기재는 의무!

국가 R&D 특허성과의 경우 특허출원서에 연구개발 과제정보를 반드시 기재하여야 합니다.

▶무엇을 해야 하는 건가요? 국가 R&D 과제의 연구결과를 특허로 출원하는 경우 특허출원서에 R&D 과제정보를 반드시 기재

▶기재해야하는 R&D 과제정보는 무엇이 있나요? 과제고유번호, 부처명, 연구과제명, 주관연구기관, 연구기간 등을 기재 *정확한 과제고유번호를 알고 있으면 다른항목은 자동입력 가능

▶과제 고유번호가 무엇인가요? 범부처 차원에서 효율적 R&D 관리를 위해 NTIS를 통해 부여된 10자리 고유 식별번호

참고 특허출원 시 과제정보 기재

81

▶과제고유번호는 어떻게 확인할 수 있나요? 「정부 R&D 특허성과관리시스템(www.ripis.or.kr)」을 활용하여 국가 R&D를 검색하면 정확한 과제고유번호를 확인 가능 단, 위의 과정이 번거로우시다면, 나머지 정보(사업/과제명 등)를 정확하게 입력해주시면 됩니다! *주관/협동 과제정보를 기준으로 입력

*동 내용은 한국지식재산전략원 기획본부 성과관리팀 자료 참고하여 작성되었음

특허 출원 시 국가 R&D 과제정보 기재는 의무!

국가 R&D 특허성과의 경우 특허출원서에 연구개발 과제정보를 반드시 기재하여야 합니다.

Q1. 통합RCMS의 범위가 궁금합니다. A1. 현재 전 부처 연구비 통합관리 시스템은 통합RCMS와 통합Ezbaro의 두 시스템

으로 통합되었으며, 해수부/산업부/중기부/농진청/환경부는 통합RCMS 사용 대상입니다. 2020년부터는 해수부 전 과제에 대하여 전면시행 합니다.

Q2. 연구노트 작성 기준 A2. 전문기관에서는 연구노트 작성기준을 따로 정하고 있지 않습니다. 연구노트 포털

(https://www.e-note.or.kr/main/home.do) 및 과기부에서 제공하고 있는 연구노트 지침을 참고하셔서 자체 관리지침을 마련하셔야 합니다.

83

2019 3차 KIMST EDU

감사합니다! 질의응답 시갂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