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유산 외국어해설능력 배양사업 심화과정 연구 - 대구경북 ...

107
문화유산 외국어해설능력 배양사업 심화과정 연구 여 중 철 外

Transcript of 문화유산 외국어해설능력 배양사업 심화과정 연구 - 대구경북 ...

문화유산 외국어해설능력 배양사업 심화과정 연구

여 중 철 外

제 출 문

구경북연구원장 귀하

본 보고서를 「문화유산 외국어해설능력 배양사업 심화과정 연구」

의 최종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05년 12월

남 학교 문화인류학과

【연 구 진】

연구책임자 : 여 중 철 교수(영남대학교)

공동연구원 : 이 형 우 (영남대학교)

이 청 규 (영남대학교)

성 태 규 (영남대학교)

목 차

1

< 목 차 >

연구최종보고 개요

1. 연구과제명: ······························································································ 3

2. 연구의 필요성 목 ··········································································· 3

1) 연구의 필요성 ······························································································ 3

2) 연구목 ········································································································ 5

3. 선행연구 황 ····························································································· 5

1) 선행연구 황 ································································································ 5

2) 연구주제와 련한 사업 황 ···································································· 5

4. 연구방법 범 , 연구기간 ································································ 13

1) 연구방법 ······································································································ 13

2) 연구범 ······································································································ 14

3) 연구기간 ······································································································ 14

5. 주요연구내용 ··························································································· 15

1) 심화과정 교육 추진체계 ·········································································· 15

2) 문화유산 외국어해설 문인력 활용방안 ·············································· 17

3) 산학 력에 의한 로그램 운 방안 ···················································· 18

4) 련기 별 역할 지원방안 ································································ 18

5) 인력양성 교육 로그램 개발 향후활용방안 수립 ························ 18

6. 기 효과 ··································································································· 19

1) 사업추진에 따른 효과 ······································································ 19

2) 정책 시사 ···························································································· 19

문화유산 외국어해설능력 배양사업 심화과정 연구 / 여중철

2

3) 투입소요인력 : 양성 후 취업 활용방안 ········································· 20

7. 세부사업별 연차별 산, 월별 추진계획 ·········································· 20

1) 문화유산 외국어해설능력 배양사업(심화과정 1단계) ······················· 20

8. 간보고 지 사항에 한 사업단의 방향설정 ······························· 21

1)1차시범사업(2005.1-5월)과의 차별성 ······················································ 21

2)권역별 특화된 로그램 ············································································ 22

3) 피교육생의 참여유도방안 홍보 실행방안 ······································ 23

4) 언어권별 특화된 로그램 ······································································ 24

부 록

문화유산 외국어해설능력 배양사업(심화과정)사업계획서 ···························· 27

1. 사업명: 문화유산 외국어해설능력 배양사업(심화과정) ················· 27

2. 사업목 : ·································································································· 27

1) 지식기반형 문화유산외국어해설사의 장해설능력배양 ·················· 27

2) 지역문화 산업 활성화를 한 기반여건 조성 ······························ 27

3) 실습참여와 장투입 활성화를 통한 과정수료생의 취업 유도 ······ 27

3. 사업기간: 2006.3.2(목) - 2006.7..31(월) (6개월간) ····························· 27

4. 사업개요: ·································································································· 27

1) 사업기본방향 세부지침 ······································································ 27

2) 교육내용 : ··································································································· 30

3) 교육방안 : ··································································································· 32

4) 평가방안 : ··································································································· 33

5) 사업추진조직 : ··························································································· 34

목 차

3

6) 소요 산(추정안) : ···················································································· 35

7) 사업추진일정 : 추후제시 ········································································· 40

5. 기 효과 : ································································································ 43

6. 향후발 방안 : ························································································ 44

7. 기타사항 : ································································································ 45

참고문헌 ············································································································ 48

[문화유산 외국어해설사 양성사업 교육 로그램 개발]에 한 설문지 ·········· 49

[문화유산 외국어해설사 양성사업 교육 로그램 개발]에 한 설문지내 용분석결과 ···· 54

문화유산 외국어해설사 개별 인터뷰 내용 ············································ 74

참 고자료

2005년도「문화유산해설사」사업 운용지침 ·········································· 81

2004년도「문화유산해설사」사업 운용지침 ·········································· 86

2005년도 문화유산해설사 배치활용사업 추진계획(제주도) ··············· 89

구 문화유산해설사회 회칙 ···································································· 97

남원문화유산해설사 회(가칭) 회칙(안) ·············································· 102

문화유산 외국어해설능력 배양사업

심화과정 연구

연구최종보고 개요

연구최종보고 개요

3

연구최종보고 개요

1 . 연구과 제 명 :

문화유산 외국어해설능력 배양사업 심화과정 연구

2 . 연구의 필 요성 목

1 ) 연구의 필 요성

○ 구 역시는 2005년 10월 서울, 부산, 서귀포시와 더불어 국제회의도시로 지정

된 바 있어, 앞으로 컨벤션산업의 속한 발달이 상되므로 국제회의 참가자

를 상으로 우리 문화유산에 한 외국어해설의 요구가 증 할 것이어서 이에

한 비를 하기 함

-2005년 국제회의일정: 10월 재 56건(2004년 46건)

2005.8.24-9.2 APEC 소기업장 회의(21개국 참석, EXCO)

10.10-10.23 2005 구경북 국제한방엑스포( 구)

제23회 국제동양의학학술 회

(50개국 1,000명 외국인, 의학 문가 1만명)

10.18-10.20 제9차 세계역사도시연맹총회(경주)

문화유산 외국어해설능력 배양사업 심화과정 연구 / 여중철

4

11.18-11.19 APEC 정상회의(21개국, 부산)

11.25 한 슈퍼모델선발 회( 구 EXCO 5층)

-2006년 정 국제회의일정:

2006.7.2-7.11 제38회 국제화학올림피아드( 남 학교)

(72개국, 외국인 500명, 내국인 350명 등 850명)

-2007년 정 국제회의 일정:

2007. 국제곤충학회(50개국, 1천여명)

2007. 국제 기 자공학회 센서 원회 국제학술회의(30개국, 1천여명)

○ 구경북지역에 산재한 문화유산은 문화재로서의 고유한 가치 뿐만 아니라 고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요한 자원으로, 이에 해 외국인에게 한 해

설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인 자원의 양성이 선무 : 국가이미지 제고

○ 구경북지역 권역별 문화 을 활성화하고 지역경제 발 제고에 선도자 역

할을 할 수 있는 문화유산 외국어해설사 양성을 한 심화과정 개발 : 통상수

입 증

연구최종보고 개요

5

2 ) 연구목

○ 지식기반형 문화유산외국어해설사의 장해설능력배양 로그램 개발

○ 이를 통해 구경북지역 문화 산업 활성화를 한 기반여건 조성

○ 실습참여와 장투입 활성화를 통한 과정수료생의 취업으로 지역인 자원 활용

3 . 선 행 연구 황

1 ) 선 행 연구 황

이원희 2003 “문화유산해설사 제도정착 활성화방안”

박석희 1999 “나도 자원해설가가 될 수 있다”

경수 편역 1997 “ 과 문화”

황달기역 1988 “ 과 문화”

2 ) 연구주 제 와 련 한 사 업 황

▶ 표 인 사 업 :

문화 부가 주 하고 역지자체가 시행한 문화유산해설사 양성사업

2001년부터 시작. 2005년 재 1천8백여명을 양성 국의 주요 지에 배치하여

활동

문화유산 외국어해설능력 배양사업 심화과정 연구 / 여중철

6

가 . 문화 부 지원, 역지방자치단체에서의 문화유산( ) 해설사 양성( 2 0 0 1 - 2 0 0 5 )

16개 시․도별 양성인원 및 실제 활동인원 수(2001~2005년)

(단위 : 명)

시․도 명

양성인원 활동인원

01년 02년 03년 04년 05년 합계 01년 02년 03년 04년 05년 합계

서울 0 0 64 10 21 95 0 0 64 10 21 95

부산 43 38 0 0 0 81 43 38 0 0 81

대구 25 24 37 0 27 113 11 16 29 0 26 82

인천 20 24 0 16 0 60 9 17 0 8 34

광주 23 25 0 20 23 91 7 5 0 19 23 54

대전 25 0 10 0 20 55 14 0 6 0 20 40

울산 31 28 0 0 5 64 10 13 0 0 5 28

경기 120 38 0 149 98 405 78 29 0 132 89 328

강원 17 17 7 29 22 92 12 15 6 18 21 72

충북 29 27 0 0 0 56 20 26 0 0 0 46

충남 58 25 0 35 0 118 44 24 0 35 0 103

전북 33 50 0 0 3 86 29 37 0 0 3 69

전남 25 31 0 14 14 84 12 27 0 13 14 66

경북 79 42 0 49 0 170 47 28 0 49 0 124

경남 33 38 0 46 0 117 22 34 0 46 0 102

제주 40 33 0 46 0 119 27 16 0 42 0 85

총계 601 440 118 414 233 1,806 385 325 105 372 222 1,,409

*자료출처: 문화관광부 관광산업과(2005)

나 . 역 지 방 자치 단 체 에 서 의 문 화 유 산 해 설 사 양 성 교 육 탁기

2001-2003년간 문화유산해설사 양성교육 탁기 (24기 )은 다음과 같다.

- 학교 14기 ( 남 박물 2회, 경북 박물 1회, 인하 사회교육원 2회,

연구최종보고 개요

7

담양 학 1회, 서강정보 학 교육원 2회, 울산 사회교육원 2회, 청주 3

회, 충남도립청암 학 2회, 공주 상정보 학 2회, 원 사회교육원 2회, 주

기 여 평생교육원 2회, 담양 학 문화 정보센터 3회, 진주국제 3회,

양산 1회)

-박물 2기 (부산시립박물 3회, 제주도민속자연사박물 3회)

-문화원 3기 (강화문화원 1회, 국문화원연합회 시지회 3회, 신라문화원 3

회)

- 조직 3기 (경기 공사 2회, 강원도 회 2회, (재)세계도자기엑스포

진흥본부 1회)

-기타 2기 (한국의 재발견 1회, 울산여성신문 사회교육원 1회)

* 이원희 2003 문화유산해설사 제도정착 및 활성화방안, pp.7-8

다 . 연간 교 육 시 간

-기본교육: 40시간(강원) - 217시간(충남)

100시간 미만-서울, 부산, 울산, 강원, 경북, 경남

100시간 이상- 구, 인천, 주, , 경기, 충북, 충남, 북, 남, 제주

-심화교육(재교육): 14시간 - 90시간(부산)

50시간 미만-인천, 주, 울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남, 경북, 경남

50시간 이상-부산, 구, , 충남, 북,

* 이원희 2003 문화유산해설사 제도정착 및 활성화방안, pp.12-13

문화유산 외국어해설능력 배양사업 심화과정 연구 / 여중철

8

라 . 문 화 유 산 해 설 사 에 한 활 동 지 원

2003년 재, 문화유산해설사에게 지 돠는 활동비 지 내역은 다음과 같다.

서울: 8,000원

부산, 인천, 주, , 울신, 경기, 강원, 충북, 충남, 북, 경남, 제주:

30,000원

구: 34,000원

경북: 35,000원

남: 45,000원

그 이외에 근무복을 지 하거나 우수자 표창을 하는 등의 인센티 가 주어진다.

* 이원희 2003 문화유산해설사 제도정착 및 활성화방안, p.21

마. 개선 안

-기본교육과 심화교육 상자와 연간 교육시간

시도별로 정인원을 선발하되, 1차년도에는 기본교육을 120시간 이상

수료하고 2차년도에는 60시간 이상의 심화교육 이수룰 필수사항으로 지정

- 탁교육기 의 선정

학박물 , 박물 , 문화원, 련기 등이 담당하되, 일정한 조건(공간,

인 자원, 교육경험 등)을 갖춘 기 을 경쟁을 통해 선정

연구최종보고 개요

9

-문화유산해설사에 한 활동지원

문화유산해설사가 자원 사 성격이 강하고 트타임식의 근무를 하고 있는데,

자기개발을 한 활동경비를 지 하여 스스로 해설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여건

을 조성

▶문 화 유 산 해 설 사 와 유 사 한 직 업 군

가 . 통 역 안 내 사

1962년부터 진흥법(제6조 종사원의 자격 등에 한 규정)에 의해

자격시험제도 시행

1984년부터 한국 공사에 탁

2003년 5월 재, 13,589명의 통역안내사 등록

나 . 국 내 여 행 안 내 사

1976년부터 진흥법에 의해 자격시험제도 시행

1987년부터 한국 회 앙회에 탁

2003년 6월 재, 68,157명의 국내여행안내사 등록

(역할)

여행일정 작성, 여행경비산출, 주요 명승지 지 안내, 숙식·쇼핑 등

여행일정 반에 필요한 각종 서비스 제공

문화유산 외국어해설능력 배양사업 심화과정 연구 / 여중철

10

다 . 문 안 내 원

1979년 4월부터 창덕궁 안내원

2003년 4월 재, 12명(4명 별정직, 8명 비정규직 안내원)

라 . 문 가 그 룹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문화유 답사회, 겨 문화답사연합, 한구민학회 등이 표

마. 자원 사 자

문화시민연 수원화성해설가, 담양가사문학해설가,

궁궐지킴이(1999.6), 궁궐길라잡이, 안동문화지킴이 등

바 . 시 니 어 클럽의 문 화 유 산 해 설 사

55세 이상을 상으로 보건복지부 지원사업

사 . 경 주 의 사 설 답 사 회 소 속 문 화 유 산 해 설 사

Full-time job 으로서 자리매김을 하고 있음

연구최종보고 개요

11

아 . 문 화 유 산 외 국 어 해 설 능 력 배 양 사 업 양 성 외 국 어 해 설 사

( 구경북연구원 주 , 남 학교 박물 탁교육)

2005년에 수행한 바 있는 문화유산 외국어해설능력 배양사업

구 역시와 경상북도의 지역인 자원개발사업의 1차년도 시범사업

기 반 68명, 심화반 46명의 수료생 배출

남 학교 박물 : 문화유산해설사업부 신설안 학본부에 제출

-사업목

구 경북지역을 방문하는 외국인을 상으로 우리 지역의 문화를 리 알림으

로써 지역 문화 활성화 지역경제 발 제고의 선도자 역할을 수행할 문

화유산 외국어해설 문가 국제 문화감각을 가진 컨설던트를 양성하고자

-사업 방향

1) 문화 지식 기반형 인재육성

2) 비교문화 컨설턴트 양성 기반 조성

3) 지자체 컨벤션 센터와 연계하여 수료생 취업 유도

4) 문화 산업 지역경제 활성화를 유도할 선도자 육성

문화유산 외국어해설능력 배양사업 심화과정 연구 / 여중철

12

-사업배경

1) 형태에 있어 자연 에서 문화 으로 이동하는 것이 세계 추세임

2) 구 경북지역은 신라 고려 조선시 의 유물 유 지가 골고루 산포되어

있어 문화 상의 최 지임

3) 외국인 지역투자가들의 지역문화이해에 한 필요성이 증하고 있음

4) 지역 컨벤션사업 유치에 문화 의 필요성이 증하고 있음

5) 외국인 상 문화 이 정착하기 해서는 지 수 을 갖춘 외국어문화유

산해설사 육성이 필수 인 과제임

6) 한류바람과 결합하여 외국인 객 유치를 본 괘도에 올려야 함

* 영남대학교 박물관 2004 대구경북 인적자원개발시범사업

- 2005년도 문화유산 외국어해설 능력배양사업계획서, pp.2-3

자. 학 이 자체 양 성 한 문 화 유 산 해 설 사

이 사업은 남 학교 한국학부에서 2002년부터 2005년까지 문화유산해설사와

문화 기획사를 양성하기 해 학본부의 산지원(3년간 약 1억5천만원)을

받아 학재학생과 졸업생, 학원생을 상 150여명의 인력을 양성

2005년 3월 연계 공으로 문화유산해설 공을 신설(8개과 참여)

연구최종보고 개요

13

4 . 연구방 법 범 , 연구기 간

1 ) 연구방 법

다음과 같은 방법이 이 연구 수행에 동원되었다.

첫째, 기존의 연구에 한 문헌조사

에 제시한 문헌 이외에 문화 부가 발간한 2004 문화산업백서(2004.12)와

2004 문화 축제 종합평가보고서(2005.2), 문화 부 한 국문화 정책연구원이

발간한 2004 문화정책백서(2005.3) 등을 검토해 보았으나 이 연구와 직 으로

련된 부분을 찾기 어려웠다.

둘째, 구경북지역 문화유산외국어해설사와 문화유산외국어해설사 양성과정 수

료생 상 설문조사(부록 2 참조)

자료수집 : 구 12명, 경주 22명, 안동 20명, 계 54명

외국어해설사 30명( 어 9, 일어 17, 국어 8명)

한국어해설사 18명

기타 6명

셋째, 기존의 사업에 한 사례분석( 구시, 안동시, 경주시, 제주도)

자체평가자료가 미흡하여 강의자료나 양성계획 이외의 구체 인 자료를 얻기

어려웠다.

문화유산 외국어해설능력 배양사업 심화과정 연구 / 여중철

14

넷째, 문화 부, 구시, 경상북도 담당공무원과의 인터뷰

문화유산해설사 양성은 문화 부 산업과가 담당하고 있으며 구시는

과, 경상북도는 진흥과가 담당하고 있다. 문화 부의 담당사무 은 기존의

문화 해설사(2005년 문화유산해설사에서 문화 해설사로 명칭 변경)와 업무

가 복되지 않으면 좋겠다는 의견을 제시하 으며, 2005년 사업과 련된 자료를

얻을 수 있었다.

2 ) 연구범

첫째, 기존의 역지자체의 문화유산해설사 교육 로그램의 내용분석

둘째, 기존의 문화유산 외국어해설사 교육 로그램의 내용분석

셋째, 문화유산 외국어해설능력 배양사업 심화과정의 교육 로그램 활용계획

3 ) 연구기 간

2005.10.14 - 2005.12.14

연구최종보고 개요

15

5 . 주 요연구내 용

1 ) 심 화 과 정 교 육 추 진 체 계

▶교육추진체계 :

문화유산 외국어해설능력 배양사업단(2006년 심화과정)

-사업단장(박물 장 겸임 는 별도 임명)

-운 원회( 련 교수, 경원, 구시, 경상북도 계자로 구성)

-문화유산해설교육 (지도교수 선임)

-심화교육 (지도교수 선임)

-외국어교육부(외국어 교수 선임)

-문화유산연구개발 (지도교수 선임)

-홍보 (지도교수 선임)

-총무 (박물 행정실장)

문화유산 외국어해설능력 배양사업 심화과정 연구 / 여중철

16

사업추진조직도

대구 · 경북개발연구원인적자원개발지원센터

대구 · 경북개발연구원인적자원개발지원센터

영남대학교 박물관영남대학교 박물관

문화유산 외국어해설능력배양사업단

문화유산 외국어해설능력배양사업단

문화유산해설교육팀

심화교육팀

외국어교육팀

문화유산연구개발팀

대구광역시 · 경상북도지역인적자원개발사업

대구광역시 · 경상북도지역인적자원개발사업

운영위원회

연구최종보고 개요

17

영남대학교박물관 박물관장 여중철

문화유산 외국어해설 능력배양사업단 단장 미정

운영위원회

박물관장 여중철

국제교육원장 이동주

대경연구원 인적자원개발지원센터장 이석희

박물관 성태규

영어영문학과 노저용

문화유산해설교육팀 문화인류학과 이청규

심화교육팀 국사학과 이수환

외국어교육팀 영문학과 노저용

문화유산연구개발팀 국사학과 이형우

홍보팀 문화인류학과 박성용

행정팀 박물관 류후기

▶강사 학습방법 :

- 학교수 등 문가에 의한 강의 실습(개별 문화재 배경)

-외국인, 외국어 공 한국인 교수에 의한 외국어 능력배양교육

-해외주재 사 출신의 외교 에 의한 해당국가 문화 교육

- 재 활동 인 문화유산외국어해설사에 의한 달 학습

2 ) 문 화 유 산 외 국 어 해 설 문 인 력 활 용 방 안

▶ 서울 COEX(2000), 구 EXCO(2001), 부산 BEXCO(2001), 제주 ICC

JEJU(2003) 등 규모 시컨벤션시설과 연계한 인력활용방안 모색

▶ 외국수학여행회사와의 연계를 통한 인력활용방안 모색

문화유산 외국어해설능력 배양사업 심화과정 연구 / 여중철

18

▶ 구의 국제회의 문회사 벡스코와 인력활용방안 의(취업추천 2명)

▶ 구, 경북지역 학박물 과 박물 명 외국어해설사 활용방안 의(계명

1명, 남 1명 배정)

▶ 국제회의 주 기 과의 약을 통한 인력활용방안 의(지자체, 학, 학회,

기업체)

3 ) 산 학 력 에 의 한 로 그 램 운 방 안

▶컨벤션업체와의 력방안 : 교육 로그램 실행계획

▶ 회사와의 력방안 : 장 응능력 향상을 한 로그램 수립 비

취업

▶ 학 련학과와의 력방안 : 산학연 심의 실 가능한 로그램 개발

4 ) 련 기 별 역 할 지 원 방 안

▶ 구 역시, 경상북도

각종 국제회의에 문화유산 외국어해설 참여 교섭

▶ 학, 학회, 기업체

각종 국제회의, 시회, 무역상담에 외국어해설사 활용 요청

5 ) 인 력 양 성 교 육 로 그 램 개발 향 후 활 용 방 안 수 립

연구최종보고 개요

19

6 . 기 효 과

1 ) 사 업 추 진 에 따 른 효 과

○ 문화유산 외국어해설능력 배양사업을 통해 배출된 인 자원 우수한 인 자

원을 교육을 통해 문가로 양성함과 동시 기존의 문화유산해설사의 외국어 능

력을 함양함으로써 지역 문화유산을 외국인에게 정확하게 알림으로써 국가에

한 이미지와 지역

이미지 개선 ⇒ 이를 통해 국제통상 부문에 기여

○ 문화유산 외국어해설능력 배양사업을 구, 경주, 안동권역에 을 두고 지

에 거주하고 있는 인 자원을 양성하기 한 실질 이고 가시 인 효과를 거둘

수 있는 로그램으로 개발함으로써 외국인 객 증가에 기여 ⇒ 지역의

수입 증

○ 지역문화 활성화의 기반을 조성하고 새로운 직업군을 창출함으로써 문화

도시로서의 지역의 이미지 제고 ⇒ 취업난 해소

○ 시범사업을 통해 배출된 인 자원을 활용한 컨벤션산업, 외국기업 투자 유치 활

동의 활성화

2 ) 정 책 시 사

○경주시의 역사문화도시개발사업 2005년 7월 확정

경주시의 방폐장건설사업 2005년 12월 확정

⇒내외국인 객의 경주방문 폭 증가 망

수 높은 문화유산 외국어해설사의 수요가 격히 늘어날 망

문화유산 외국어해설능력 배양사업 심화과정 연구 / 여중철

20

○ 구 역시와 경상북도 :

문화 산업, 5 략사업

구시의 국제회의도시 지정(2005.10월) 이후 국제회의 개최횟수 증가 망

○문화 련 문인력양성 :

차세 에서 주목받는 부가가치가 높은 부문

3 ) 투 입 소 요인 력 : 양 성 후 취 업 활 용 방 안

○정규직 취업 상 : 10명

○문화유산외국어해설 리랜서 : 50명

○문화유산해설 문회사(사단법인)의 설립추진: 2005년 9월 목표

7 . 세 부 사 업 별 연차 별 산 , 월 별 추 진 계 획

1 ) 문 화 유 산 외 국 어 해 설 능 력 배 양 사 업 ( 심 화 과 정 1 단 계 )

○사업기간: 2006.2.1(수) - 2006.7..31(월) (6개월간)

○소요 산: 21.370만원

○사업계획서: 부록 1 참조

연구최종보고 개요

21

8 . 간 보고 지 사 항 에 한 사 업 단 의 방 향 설 정

1 ) 1 차 시 범 사 업 ( 2 0 0 5 . 1 - 5 월 ) 과 의 차 별 성

1차시범사업

(2005)

3차시범사업

(2006)비 고

1.목표

대구시민과 경상북도민을 대

상으로 대구경북지역의 문화

유산 외국어해설 능력배양-

기초반 및 심화반 운용

대구시, 경주시, 안동시 소

재 문화유산을 외국어로 해

설하는 능력배양-심화반 운

2.교육대상의 선발 및

교육프로그램

-선발방법:

지역일간지, 시도 및 대경

원, 영남대 홈페이지에 광고

-지원자 수 및 수료생 수:

총 194명 지원(내국인 186

명, 외국인 8명)

선발: 83명(영어 39, 일어

22, 중국어 22명)

수료: 기초반 68명-영어

28, 일어 16, 중국어 17명,

외국인 7명(일어 3, 중국어4

명)

수료: 심화반 46명-영어

18, 일어 11, 중국어 13명,

외국인 4명(일어 1, 중국어

3명)

-교육프로그램의 특성:

기초반을 수료한 수강생을

대상으로 심화반 선발 교육

-선발방법:

시도 및 대경원, 영남대 홈

페이지에 광고(기존 문화유

산해설사와 2005년 수료생,

명예통역사 대상 홍보)

-선발대상:

총 60명

언어권별:

영어 30명, 일어 15명, 중국

어 15명

활동지역별:

대구-18명(영어10, 일어 4,

중국어 4명)

경주-31명(영어 15, 일어

8, 중국어 8명)

안동-11명(영어 5, 일어 3,

중국어 3명)

경력별:

기존해설사 30, 심화반 수료

생 25, 명예통역사 5명

-교육프로그램의 특성:

기본교육을 수강하거나 현재

문화유산해설사나 통역사로

활동중인 인력을 대상으로

심화과정 교육

문화유산 외국어해설능력 배양사업 심화과정 연구 / 여중철

22

2 ) 권 역 별 특 화 된 로 그 램

구분 대구 경주 안동 비 고

1. 지역특성

고려 불교문화

근 대 산 업 도 시 ,

약령시, 섬유도

신라 불교문화와

조선시대 유교문

화(양반마을, 서

원)-세계문화유

조선시대 유교문화

(양반마을, 서원,

종갓집)와 하회별

신굿탈놀이

2. 교육목표

고려 불교문화와

근대에서 현대에

이르는 산업변천

상에 초점

신라천년의 고도

와 조선시대 유

교문화의 진수를

소개

전국에서 가장 많

이 알려진 전통의

고향으로 양반문화

와 상민문화 동시

에 교육

3. 교육 프로그램

1.문화유산해설:

팔공산과 동화

사, 약령시, 서

원과 전통마을,

근현대 문화재

학습

2.캠프워커, 화

교학교, 일본인

상사원과 협력,

프로그램 개발

1.불교문화유산

(불국사, 석굴암

등)과 유교문화유

산 ( 교 동 , 양 동 마

을)집중해설

2.유명사찰의 주

지스님과 양반마

을의 종손, 서원

원장 등 초청강

1.유교문화 집중강

의(퇴계, 서애, 학

봉선생의 생애와

학문, 유명서원)와

하회별신굿탈놀이

해설

2.종갓집의 종손,

문중 어른, 보존회

장 등 강의 참여

연구최종보고 개요

23

3 ) 피 교 육 생 의 참 여 유 도 방 안 홍 보 실 행 방 안

대구 경주 안동 비 고

1.현장실습 및

산학연 협동체계

구축을 통해 피

교육생의 실전경

험 축적

DEXCO, 대구전

시 컨 벤 션 센 터 ,

대구광역시, 국

립 대 구 박 물 관 ,

(주)오성관광 등

과 인력활용 협

약체결 추진

경주시, 경주엑

스포조직위원회,

경북관광개발공

사, 국립경주박

물관 불국사 등

과 외국어해설사

활용 협약체결

추진

안동시, 국학진

흥원, 안동대학

교와 외국어해설

사활용 협약체결

모든 피교육생이

최소한 1개 기관

에서 현장실습을

하도록 추진함으

로써 실재와 같

은 경험 축적

2.홍보계획

-KBS-1TV:

"어느 문화유산

외국어해설사의

하루“

-영남일보:

“대구에 이런

문화재가 있었

다”

(기획취재)

-TBC-TV:

“아는 만큼 보

인다-해설사의

힘”(TV 6mm

세상)

-대구일보:

“천년 유적을

새롭게 보는

법”(기획취재)

-MBC-TV:

외국인의 안목으

로 본 안동의 전

통문화“

-매일신문:

“문화유산해설

사를 통하면 안

동이 가까이 보

인 다 ” ( 기 획 취

재)

사업단 내 홍보

팀의 운용을 영

남대 본부의 홍

보팀의 지원하에

운용하도록 협조

요청 예정

문화유산 외국어해설능력 배양사업 심화과정 연구 / 여중철

24

4 ) 언 어 권 별 특 화 된 로 그 램

구 분 영어 일어 중국어 비 고

1.해당국 장기근

무자에 의한 외국

문화 심층해설 특

강 신설

주미, 주영 한국대

사관 근무 외교관,

특파원, 상사원 초

청특강

주일 한국대사관

근무 외교관, 특

파원, 상사원 초

청특강

주중 한국대사관

근무 외교관, 특

파원, 상사원 초

청특강

기본적인 매너,

금기 및 권장사항

집중교육:

2시간×3인×3언

어=18시간

2.대구경북지역

거주 외국인(교

수, 상사원, 직업

군인) 등 전문가

집단의 특강 및

현장체험교육

강의:

영미문화의 특성

과 미국인의 성향

현장체험장:

대구 미8군부대

강의:

일본인과 일본문

화의 특성

현장체험:

일본인회사(또는

부산일본영사관)

강의:

중국인과 중국문

화의 특성

현장체험:

화교학교

언어권별 특정지

역 방문을 통한

현장체험교육(미8

군부대, 화교학

교, 일본인회사

등):

8시간(2시간 강

의)+6시간현장체

험)×3언어=24시

3.현직 외국어해

설사의 강의 및

현장체험지도

대구, 경주, 안동

의 외국어해설사

의 현장경험 해설

실습(주제: 추후선

정)

대구, 경주, 안동

의 외국어해설사

의 현장경험 해

설실습(주제: 추

후선정)

대구, 경주, 안동

의 외국어해설사

의 현장경험 해설

실습(주제: 추후

선정)

4시간(2시간 강의

+ 2시간 체험지

도) ×3지역×3언

어=36시간

문화유산 외국어해설능력 배양사업

심화과정 연구

부 록

부 록 1 - 문화유산 외국어해설능력 배양사업(심화과정)사업계획서

27

부록 1

문 화 유 산 외 국 어 해 설 능 력 배 양 사 업 ( 심 화 과 정 ) 사 업 계 획 서

1 . 사 업 명 : 문 화 유 산 외 국 어 해 설 능 력 배 양 사 업 ( 심 화 과 정 )

2 . 사 업 목 :

1 ) 지 식 기 반 형 문 화 유 산 외 국 어 해 설 사 의 장 해 설 능 력 배 양

2 ) 지 역 문 화 산 업 활 성 화 를 한 기 반 여 건 조 성

3 ) 실 습 참 여 와 장 투 입 활 성 화 를 통 한 과 정 수 료 생 의 취 업 유 도

3 . 사 업 기 간 : 2 0 0 6 . 3 . 2 ( 목 ) - 2 0 0 6 . 7 . . 3 1 ( 월 ) ( 6 개월 간 )

4 . 사 업 개요:

1 ) 사 업 기 본 방 향 세 부 지 침

■사 업 기 본 방 향

◆21세기 지식기반형 문화유산 외국어해설사의 재교육을 통한 장해설능력배

문화유산 외국어해설능력 배양사업 심화과정 연구 / 여중철

28

-소규모심화교육을 통한 장투입 가능한 고 인 자원개발 추진

(vs. 기존의 문화유산해설사, 명 통역원, 회사 가이드와의 차별화)

◆문화유산외국어해설사의 활동을 통해 지역문화 산업 활성화 유도

◆실습참여와 장투입 활성화를 통한 과정수료생의 Full-time job 취업

-국제회의 련산업 활성화를 통한 국제통상 수익증

■세 부 지 침

◆문화유산 외국어해설능력배양 심화과정 선발 상 : 내외국인 60명

⇒(선발기 )

문화유산지식(권역별: 경주, 안동, 구) 50%

문화유산외국어해설능력 회화능력( 어, 일어, 국어) 50%

합계 100%

⇒(선발 상)

▶기존 문화유산외국어해설사 25명(경주, 안동, 구 장근무 가능자)

( 상)

경주 5명( 어 1명, 일어 2명, 국어 2명)

부 록 1 - 문화유산 외국어해설능력 배양사업(심화과정)사업계획서

29

안동 3명( 어 1명, 일어 2명)

구 75명( 어 32명, 일어 38명, 국어 5명)

계 83명( 어 34명, 일어 42명, 국어 7명)

▶문화유산외국어해설능력배양사업(심화반) 수료생 25명

(신청자)

어 14명(풀타임 6명, 트타임가능 8명)

일어 11명(풀타임 10명, 트타임가능 1명)

국어 9명(풀타임 9명)

계 34명(풀타임 25명, 트타임가능 9명)

▶명 통역사 5명

( 상)

경주 15명, 안동 6명, 구 45명 계 66명

▶문화유산해설사 5명

( 상)

경주 38명, 안동 34명, 구 150명 계 222명

문화유산 외국어해설능력 배양사업 심화과정 연구 / 여중철

30

⇒(선발방법)

의 4집단 구성원을 상으로 신청자 구두면 을 통해 선발(1인당 인

터뷰

시간: 문화유산지식 5분, 외국어해설능력 5분)

2 ) 교 육 내 용 :

■기본교육 1개월

◆문화유산 외국어해설을 한 기본소양교육 : 주당 2일, 1일 4시간(4시간

×8일=32시간(통합교육 10시간, 언어별 18시간, 권역언어별 4시간, 계 32

시간)

◆기본교육의 내용

사업단장의 책임 하에 비수강생들의 요구가 많은 문화유산 교육(불교 교리

사찰 소장유물 4시간, 통가옥 4시간, 단청 2시간, 계 10시간)을 받은 이후

언어권별로 외국근무 문가에 의한 특강(6시간), 구경북거주 외국인의 특강

장체험학습(8시간)과 항공사의 문가에 의한 매 교육(4시간)을 수료하고

지역별, 언어권별로 직 외국어해설사의 강의와 장체험지도(4시간) 등을 받

음으로써 모두 32시간의 기본교육을 받게 된다.

■외국어 장실습교육 2개월

◆외국어 해설능력 향상을 한 장실습교육 : 주당 1-2일, 1일 8시간(2

부 록 1 - 문화유산 외국어해설능력 배양사업(심화과정)사업계획서

31

시간 강의, 6시간 실습), 지역별 7주제, 개인별 56시간(경주, 안동, 구

권역별로 내외국인 외국어 담당교수 3명, 문화유산 공 교수 1명, 조교

1명으로 을 구성하여 해설실습 후 평가회를 거쳐 교정교육

◆경주, 안동, 구 문화유산에 한 집 교육

(강의내용)

구: 구의 근 건축, 약령시, 뒷골목문화, 녹동서원, 가톨릭과 개신교

유 , 구의 밤 문화, 고령 가야고분과 암각화

(강사) 백 흠( 구 ), 박성용, 이형우( 남 )

경주: 신라의 역사(박물 ), 왕경, 불교문화, 고분, 남산유 , 교동 한옥

, 양동마을과 옥산서원

(강사) 이근직(경주 ), 여 철, 이청규( 남 )

안동: 선비와 양반문화, 하회마을과 병산서원, 퇴계선생과 도산서원,

주 선비 과 소수서원, 주 부석사, 하회별신굿탈놀이, 안동의 불교문화

(강사) 임재해(안동 ), 성태규, 이수환( 남 )

* 집 인 요 강의

■피드백교육 1개월

◆외국어 해설능력 향상을 한 장실습교육을 검하는 교육으로 주제

문화유산 외국어해설능력 배양사업 심화과정 연구 / 여중철

32

별 수강생의 발표, 지도교수의 강평, 응책 논의로 강의 진행 : 주당 2

일, 1일 4시간, 4주간 진행, 개인별 32시간(언어권별)

언어별: 7주제별 4시간, 종합주제 4시간

3 ) 교 육 방 안 :

■권역별, 언어권별 반편성 :

대구권 경주권 안동권 계

영 어 10 15 5 30

일 어 4 8 3 15

중국어 4 8 3 15

계 18 31 11 60

* 의 숫자는 수강생 선발결과에 따라 변동 가능

◆주제별 강사진 구성

추후 선정

◆권역별 강사진 구성

▶경주권; 지도교수 이청규(문화인류학과), 강사 이근직, 여 철, 조교 1

명, 수강생 31명 계 45명

부 록 1 - 문화유산 외국어해설능력 배양사업(심화과정)사업계획서

33

▶안동권; 지도교수 이수환(국사학과), 강사 임재해, 성태규, 조교 1명, 수

강생 11명 계 15명

▶ 구권; 지도교수 박성용(문화인류학과), 강사 백 흠, 이형우, 조교 1

명, 수강생 18명 계 22명

◆언어별 강사진 구성

▶ 어; 지도교수 노 용( 문학과), 강사 리타 테일러, 조교 1명, 수강생

30명, 계33명

▶일어; 지도교수 이원희(일문학과), 강사 가쿠치 세이지, 조교 1명, 수강

생 15명 계 18명

▶ 국어; 지도교수 박운석( 문학과), 강사 공경신, 조교 1명, 수강생 15

계 18명

4 ) 평 가 방 안 :

■1차평가 : 기본교육

교육시작 후 4주차 실시(수강생 자체평가 외부평가)

구경북연구원 는 구시내 타 학 문화유산 문가

문화유산 외국어해설능력 배양사업 심화과정 연구 / 여중철

34

■2차평가 : 외국어해설 능력배양을 한 실습교육

교육시작 후 12주차 실시(수강생 자체평가 외부평가)

구경북연구원 는 구시내 타 학 외국어 문가

■3차평가 : 피드백교육

교육시작 후 16주차 실시(수강생 자체평가 외부평가)

구경북연구원 는 구시내 타 학 외국어 문가

■4차평가 : 체교육과정 성과에 한 평가

교육시작 후 18주차 실시(수강생 자체평가 내, 외부평가)

교육참여 교수, 구경북연구원 는 구시내 타 학 문가

5 ) 사 업 추 진 조 직 :

■주 : 구경북연구원(원장: 홍 철박사)

지역인 자원개발센터(센터장: 이석희박사)

■ 탁교육 : 남 학교 박물 ( 장: 여 철교수)

문화유산해설사업단(단장: 미정)

부 록 1 - 문화유산 외국어해설능력 배양사업(심화과정)사업계획서

35

■사업추진세부조직 :

사업단장: 여 철( 남 학교 박물 장, 문화인류학과 교수)

문화유산해설 : 장 이청규(문화인류학과 교수)

외국어해설교육 : 장 노 용( 문과 교수)

장실습 : 장 이수환(국사학과 교수)

행정 : 장 류후기( 남 학교 박물 행정실장)

담당 심재석( 남 학교 박물 학 연구원)

조교 8명(총 2명, 권역별 3명, 외국어별 3명)

6 ) 소 요 산 ( 추 정 안 ) :

■인건비 2,000만원

임직원 인건비 120만원×1인×5월=600만원

행정조교인건비(4명) 60만원×4인×5월=1.200만원

행정직원수당(2명) 20만원×2인×5월=.200만원

■사업추진비 1,500만원

소모품비(문구류) 200만원

문화유산 외국어해설능력 배양사업 심화과정 연구 / 여중철

36

복사인쇄비(10종) 1,000만원

회의비 300만원

운 원회 장회의비 30만원×10회=300만원

■사업직 비 14,515만원

사업홍보비 790만원

자료 재료비 300만원

학술경비(세미나 개최경비) 500만원

실험실습비 12,925만원

강사료(외국근무 문가 특강) 20만원×2시간×3인×3언어×=360만원

강사료( 구경북지역 외국인 특강, 2시간 강의, 6시간 체험) 80만원×3언어

=240만원

강사료(외국어 장실습 교정교육, 4시간) 30만원×8회×3 =720만원

강사료(매 교육 4시간) 40만원×3언어=120만원

강사료(문화유산특강 10시간) 30만원×5강좌=150만원

강사료(외국어 장실습교육, 2시간강의, 6시간체험)60만원×7지역×3인×3언어

=3,780만원

실습조교 지원비 5만원×7지역×4언어=105만원

부 록 1 - 문화유산 외국어해설능력 배양사업(심화과정)사업계획서

37

장 지도교수 지원비 20만원×10명×5월=1,000만원

수강생 장실습지원비 50만원×60명=3,000만원

수강생 체회의비 60만원×5회=300만원

수강생 선발 각종 평가비 450만원

수강생 선발비 20만원×10명=200만원

평가비(5차) 50만원×5회=250만원

문화유산강의교재개발비 10만원×10강죄=100만원

자료수집 개발비 2,100만원

자료수집비 50만원×21주제=1,050만원

교재개발 편찬비 50만원×21주제=1,050만원

장비 리비( 여, 수리비 등) 200만원

기계기기임차비 300만원

■ 비비(이상의 3.2%) 575만원

■간 리비(총액의 13%) 2,780만원

합 계 21,370만원

* 실행 산 편성시 세부내역 변경가능

문화유산 외국어해설능력 배양사업 심화과정 연구 / 여중철

38

교육비 산출내역

* 사업비 소요예산 (단위: 천원)

계 정 과 목예산액 산 출 내 역 비 고

항 목

인건비

직원 인건비 20,000

전임직원 인건비 6,000

120만원×5개월=600만원

행정조교 인건비 12,000

60만원×4인×5개월=1,200만원

행정직원수당 2,000

20만원×2인×5개월=200만원

사업추진비

소모품비

15,000

소모품비(각종 사무용품비) 2,000

복 사인 쇄 비

복사인쇄비(10종) 10,000

회 의 비

회의비 3,000

운영위원회 및 팀장회의비

30만원×10회=300만원

사업직접비

사업홍보비

145,150

사업홍보비 7,900

자료 및 재료비

자료 및 재료비 3,000

학술경비 학술경비(세미나 개최경비) 5,000

실험실습비

강사료 53,700

외국근무 전문가특강

20만원×2시간×3인×3언어=360만원

대구경북지역 외국인 특강

(2시간 강의, 6시간 체험)

80만원×3언어=240만원

외국어현장실습 및 교정교육, 4시간

30만원×8회×3팀=720만원

매너교육 4시간

40만원×3언어=120만원

문화유산특강 10시간

30만원×5강좌=150만원

외국어현장실습교육

(2시간강의, 6시간체험)

60만원×7지역×3인×3언어=3,780

만원

부 록 1 - 문화유산 외국어해설능력 배양사업(심화과정)사업계획서

39

계 정 과 목예산액 산 출 내 역 비 고

항 목

사업직접비

실험실습비

실습조교 지원비 1,050

5만원×7지역×3언어=105만원

팀장 및 지도교수 지원비 10,000

20만원×10명×5월=1,000만원

수강생 현장실습지원비 30,000

50만원×60명=3,000만원

수강생 전체회의비 3,000

60만원×5회=300만원

수강생 선발 및 각종 평가비 4,500

수강생 선발비 20만원×10명=200만

평가비(5차) 50만원×5회=250만원

문화유산 강의교재 개발비 1,000

10만원×10강좌=100만원

자료수집 및 개발비 21,000

자료수집비

50만원×21주제=1,050만원

교재개발 및 편찬비

50만원×21주제=1,050만원

장비관리비(대여, 수리비 등) 2,000

기계임차비 3,000

예비비

예비비 5,750 예비비 (이상의 3.2%) 5,750

간접관리비

간접관리비 27,800 간접관리비(총액의 13%) 27,800

합 계 213,700

문화유산 외국어해설능력 배양사업 심화과정 연구 / 여중철

40

7 ) 사 업 추 진 일 정 : 추 후 제 시

* 아래의 일정은 2006년 3월 2일 사업을 시작할 경우를 상정한 것으로, 사업시작

일자가 뒤로 미루어지면 미루어지는 일수 만큼 연기될 것임

2006.2월 수강생 모집 개깅 비

2006.3월 기본교육(1개월)

2006.4월 - 5월 외국어 장실습교육(2개월)

2006.6월 피드백교육(1개월)

2006.7월 자체평가, 세미나, 보고서 작성

부 록 1 - 문화유산 외국어해설능력 배양사업(심화과정)사업계획서

41

문화유산 외국어해설능력배양사업(심화과정) 추진세부일정

2006. 2. 1(수) 수강생 모집공고

2. 10(금) 지원서 접수 마감

2. 13(월)~14(화) 면접심사

2.16(목)~2.28(화) 수강대상자 발표, 통지 및 개강준비

3. 2(목) 13-17시 기초반 개강식 및 강의(주제: 단청, 2시간)

3. 7(화) 13-17시 강의(주제: 불교 교리 및 사찰유물, 4시간)

3. 9(목) 9-17시 강의(주제: 전통가옥)

3. 14(화) 13-17시 강의(주제: 국제매너교육, 4시간)

3. 16(목) 13-17시 강의(주제: 언어권별 문화와 사람들, 4시간)

3. 21(화) 13-15시 강의(주제: 언어권별 전문가 특강, 2시간

3. 23(목) 10-19시 강의(주제: 외국인특강 및 체험, 8시간)

3. 28(화) 13-17시 강의(주제: 현직해설사특강 및 체험 4시간)

3. 30(목) 13-17시

기본교육 평가회

4. 4(화) 9-17시

외국어현장실습교육(1주차)

(대구) 대구의 근대건축(대구시내 일원)

(경주) 신라의 역사(국립경주박물관)

(안동) 선비와 양반문화(안동댐, 국학진흥원)

4. 11(화) 9-17시

외국어현장실습교육(2주차)

(대구) 대구 약령시(약령시)

(경주) 신라의 왕경(반월성, 안압지)

(안동) 하회마을과 병산서원(하회, 병산서원)

4. 18(화) 9-17시

외국어현장실습교육(3주차)

(대구) 대구의 뒷골목문화(대구시내 일원)

(경주) 불교문화(불국사, 석굴암, 황용사지)

(안동) 퇴계선생과 도산서원(종가, 도산서원)

4. 25(화) 9-17시

외국어현장실습교육(4주차)

(대구) 녹동서원(가창 녹동서원)

(경주) 신라의 고분(대릉원)

(안동) 영주선비촌과 소수서원(영주일원)

문화유산 외국어해설능력 배양사업 심화과정 연구 / 여중철

42

5. 2(화) 9-17시

외국어현장실습교육(5주차)

(대구) 가톨릭과 개신교유적(대구시내 일원)

(경주) 남산유적(남산일원)

(안동) 영주 부석사(부석사)

5. 9(화) 9-17시

외국어현장실습교육(6주차)

(대구) 대구의 밤문화(대구시내 일원)

(경주) 교동 한옥촌(교동)

(안동) 하회별신굿탈놀이(하회마을)

5. 16(화) 9-17시

외국어현장실습교육(7주차)

(대구) 고령 가야고분과 암각화(고령)

(경주) 양동마을과 옥산서원(양동, 옥산동)

(안동) 안동의 불교문화(봉정사 외)

5. 23(화) 13-17시 외국어현장실습교육 평가회(영대박물관)

5. 30(화) 13-17시 피드백교육(1차): 주제(4.4 실습자료)

6. 1(목) 13-17시 피드백교육(2차): 주제(4.11 실습자료)

6. 8(목) 13-17시 피드백교육(3차): 주제(4.18 실습자료)

6. 13(화) 13-17시 피드백교육(4차): 주제(4.25 실습자료)

6. 15(목) 13-17시 피드백교육(5차): 주제(5.2 실습자료)

6. 20(화) 13-17시 피드백교육(6차): 주제(5.9 실습자료)

6. 22(목) 13-17시 피드백교육(7차): 주제(5.16 실습자료)

6. 27(화) 13-17시 피드백교육 평가회(영대박물관)

6. 29(목) 13-17시 종합평가회(수강생, 대경원, 강사진)

7. 4(화) 13-17시 문화유산외국어해설의 전망 세미나(영남대)

7. 6(목) 16시 수료식(영남대박물관 강당)

7. 7(금)-7.30(일) 설문조사(수강생, 기업체, 지자체 대상) 및

교육성과 자체평가보고서 작성

7.31(월) 보고서 제출

부 록 1 - 문화유산 외국어해설능력 배양사업(심화과정)사업계획서

43

5 . 기 효 과 :

1 ) 문 화 유 산 외 국 어 해 설 재 교 육 을 통 해 장 투 입 가 능 한 문 화 유 산 해

설 사 를 양 성 , 시 도 단 의 각 종 국 제 회 의 의 부 행 사 인 문 화 분

야 에 활 용

-2005년 국제회의일정: 10월 재 56건(2004년 46건)

2005.8.24-9.2 APEC 소기업장 회의(21개국 참석, EXCO)

10.10-10.23 2005 구경북 국제한방엑스포( 구)

제23회 국제동양의학학술 회

(50개국 1,000명 외국인, 의학 문가 1만명)

10.18-10.20 제9차 세계역사도시연맹총회(경주)

11.18-11.19 APEC 정상회의(21개국, 부산)

11.25 한 슈퍼모델선발 회( 구 EXCO 5층)

-2006년 정 국제회의일정:

2006.7.2-7.11 제38회 국제화학올림피아드( 남 학교)

(72개국, 외국인 500명, 내국인 350명 등 850명)

문화유산 외국어해설능력 배양사업 심화과정 연구 / 여중철

44

-2007년 정 국제회의 일정:

2007. 국제곤충학회(50개국, 1천여명)

2007. 국제 기 자공학회 센서 원회 국제학술회의(30개국, 1천여명)

2 ) 구경 북 소 기 업 의 제 품 수 출 상 담 시 시 , 내 외 문 화 투 어 에

문 화 유 산

외국어해설사를 투입, 국가에 한 신인도 친 도를 제고함으로써 수출

상담에 정 기여

3 ) 구, 서 울 , 부 산 등 도 시 의 컨 벤 션 회 의 기 획 사 와 연계 경 주 , 안

동 , 구

소재 문화유산 외국어해설활동 참여 유도

6 . 향 후 발 방 안 :

1 ) 문 화 유 산 외 국 어 해 설 사 재 교 육 수 료 생 에 한 특 별 활 용 계 획

→특화된 문화유산 지식을 가진 외국어해설사에게 구경북연구원 이사장 명의

의 수료증을 수여하고 역지자체와 기 지자체의 국제 행사에 극 으로

활용

부 록 1 - 문화유산 외국어해설능력 배양사업(심화과정)사업계획서

45

→ 기업과 소기업의 해외바이어 유치활동에 참여토록 소개

2 ) 재 교 육 수 료 생 을 천 후 F u l l - t i m e 근 무 자로 활 용 하 기 하 여 기

존 의 문 화 유 산

( )해설사, 명 통역사, 여행가이드와는 다른 근무여건(활동 역, 시간, 보수

등)을 부여하는 방안 모색

3 ) 문 화 유 산 외 국 어 해 설 사 재 교 육 수 료 생 에 게 남 학 교 총 동 창 회

특 별 회 원 자격 을 부 여 함 으 로 써 의 료 비 감 액 등 혜택 부 여

4 ) 문 화 유 산 외 국 어 해 설 사 재 교 육 수 료 생 에 게 남 학 교 박 물 문

화 유 산 해 설

사업단(가칭)의 성원자격을 부여, 각종 행사에 활용

7 . 기 타 사 항 :

1 ) 재 교 육 에 참 여 하 는 문 화 유 산 외 국 어 해 설 사 는 투 철 한 사 명 의 식 을

바 탕으 로 문 화 분 야 의 최일 선 개척자로 서 의 소 임 을 다 하 도 록

문화유산 외국어해설능력 배양사업 심화과정 연구 / 여중철

46

2 ) 2 0 0 5 년 반 기 에 탁교 육 을 수 행 한 바 있 는 『문 화 유 산 외 국 어 해

설 능 력

배양사업』이 기 교육과 심화교육에 치 하 다면, 이번 사업은 장투입이

가능한 인 자원을 Man-to-man 방식으로 교육하여 개인이 가지고 있는 지

능력을 극 화할 계획임

3 ) 사 업 추 진 단 연락처

남 학교 박물

- 장 여 철(문화인류학과 교수)

810-1705( 장실), 810-2245(연구실), 019-504-3424(휴 폰)

이메일: [email protected]

-행정실 실장 류후기, 담당 하정애

810-1706, 810-1707

-학 연구실 심재석

810-1711, 011-502-8040, 이메일: [email protected]

-문화유산해설사업단 :

담당 한규호, 810-4442, 814-4443(fax), (이메일)[email protected]

부 록 1 - 문화유산 외국어해설능력 배양사업(심화과정)사업계획서

47

심화반 수료자 명단

순번 지원분야 성명 순번 지원분야 성명

1 영어 고정숙 24 일본어 손복록

2 영어 김경애 25 일본어 윤정우

3 영어 김수경 26 일본어 이동선

4 영어 김화숙 27 일본어 이영주

5 영어 노기정 28 일본어 이정선

6 영어 박영희 29 일본어 최현숙

7 영어 박인순 30 중국어 김경숙

8 영어 배경주 31 중국어 김인숙

9 영어 배봉숙 32 중국어 서보근

10 영어 안현주 33 중국어 손진영

11 영어 여지혜 34 중국어 신명은

12 영어 이소희 35 중국어 이경미

13 영어 이은경 36 중국어 이계혜

14 영어 지혜정 37 중국어 이귀옥

15 영어 차재환 38 중국어 이승옥

16 영어 최용부 39 중국어 정성희

17 영어 최정안 40 중국어 최호순

18 영어 허영윤 41 중국어 한순남

19 일본어 권찬은 42 중국어 황정혜

20 일본어 김교환 43 외국인 권하연

21 일본어 김영호 44 외국인 박경순

22 일본어 김정희 45 외국인 최상란

23 일본어 도명기 46 외국인 와다 토루

문화유산 외국어해설능력 배양사업 심화과정 연구 / 여중철

48

참 고문 헌

교육인 자원부 2003 미래의 직업세계 2권

구경북 RHRD지원센터․ 남 학교 박물 2005 RHRD 시범사업결과보고서

-문화유산 외국어해설능력 배양사업

박석희 1999 나도 자원해설가가 될 수 있다, 서울: 백산출 사

남 학교 문화유산해설 문화 기획사 문인력사업단 2004 지방 학 신

역량강화사업신청서-문화유산해설 문화 기획사 문인력사업(소형)

남 학교 박물 2004 구경북 인 자원개발시범사업 - 2005년도 문화유산

외국어해설 능력배양사업계획서

이원희 2003 문화유산해설사 제도정착 활성화방안, 서울: 한국문화 진흥원

경수 1999 과 문화, 서울: 까치

황달기 역 1999 과 문화, 서울: 아세아문화사

부 록 2 - 설 문 지

49

부록 2

『문화유산 외국어해설사 양성사업 교육 로그램 개발』에 한 설문지

- 부탁의 말씀 -

안녕하십니까?

본 설문조사는 『문화유산외국어 능력개발사업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의견

을 조사하여 보다 효율적인 교과과정 개발 방향을 모색하고, 향후 교육과정 개발

연구 자료로 사용하고자 합니다. 대구경북연구원의 정책과제로서 문화유산 외국어

해설사 능력배양사업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현재 일

선에서 근무하시는 문화유산해설사 여러분들을 대상으로 현장경험과 교육 경험을

바탕으로 의견을 수렴하고자 합니다.

여러분께서 응답하여 주신 내용은 학문적 통계자료 이외의 어떠한 용도로도 이용

되지 않으며, 익명으로 처리하므로 응답자의 비밀이 보장됩니다. 바쁘신 가운데 다

소나마 어려움이 있더라도 설문에 응답해 주시면 교육프로그램 연구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문화유산외국어해설능력배양사업 심화과정 연구』

연구책임자: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여 중 철

연락처: 박물관장실 053-810-1705

연구실 053-810-2245

휴대전화 019-504-3424

※ 본 설문 조사 내용이외에 새로운 건의 는 제안사항이 있으시면

자우편([email protected])r으로 보내주시면 검토하겠습니다.

문화유산 외국어해설능력 배양사업 심화과정 연구 / 여중철

50

피 면 자 인 사 항

1. 성 명 ( )

2. 연 령 ( 만 세 )

3. 성 별 남( ) 여( )

4. 혼인여부 (기혼, 미혼)

5. 종 교 (기독교, 불교, 천주교, 기타 )

6. 학 력 ( )

7. 직 업 ( )

8. 구사 가능한 외국어

① 어 ② 국어 ③일어 ④기타( )

8-1. 구사가능한 외국어 공인시험을 치르신 이 있으시면 수를 기입해 주시기 바랍니다.

①TOEFL ②TOEIC ③JPT ④HSK

⑤기타( )

9. 문화유산해설사 근무 경력

①3개월 미만 ②6개월 미만 ③1년 미만 ④1년 이상 ⑤5년 이상

10. 문화유산 외국어 해설사 활동하시는 지역은?

① 구 역시 ②경상북도(경주권) ③경상북도(안동권)

④기타

11. 재 주로 해설하는 문화유 지는 어디 입니까?

① ② ③

12. 재 담당하고 있는 해설유 지의 선택방식은?

①본인의 결정 ②기 의 결정 ③기타

13. 문화유산 외국어 해설사 근무횟수는?

①주 1회 ②주 2~3회 ③주 4~5회 ④매일

14. 정규과정이외에 외국어를 수학한 기간은?

①1년 미만 ②1~3년 ③3~5년 ④5~10년 ⑤10년 이상

부 록 2 - 설 문 지

51

15. 사용하시는 외국어를 사용하는 국가에서 거주한 이 있으시면 국가명과 거주기간을 기입하여

주십시오

국가명: 거주기간: 년 개월

16. 외국어의 훈련방법은 주로 어디에서 하십니까

①독학 ②학원 ③해외연수 ④스터디그룹(동아리활동)

17. 귀하의 외국어 구사능력이 한국문화에 한 설명을 하는데 부족함이 없다고 생각하십니까?

①매우그 다 ②그 다 ③보통 ④조 부족 ⑤매우부족

18. 외국어로 문화유산 해설시 가장 어려운 은 한국문화에 한 기본 인 이해가 부족해서 입니

까? ( ) 아니오( )

19. 문화유산해설 교육을 받으신 곳은 어디입니까?

20. 문화유산해설 교육방식에 하여 부족한 부분이 있었다면 자유롭게 기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1. 문화유산해설 교육방식에 하여 만족한 부분이 있었다면 자유롭게 기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2. 문화유산 해설교육의 교과과정에 보완되어야 할 과목에 하여 말 하여 주십시오.

23. 장에서 문화유산해설을 할 때 어려운 에 하여 말 해 주십시오.

24. 교육과정 수료 후 문화유산 해설능력향상을 해 개인 으로 자료수집, 는 지식습득을 하

여 하신일이 있으시면 말 해 주십시오.

25. 본인이 소속되어 활동 인 문화유산해설 련 모임이 있으시면 모임의 이름과 문화유산 해설

능력향상을 해 어떤 활동을 하시며, 문화유산해설에 도움이 된다면 그 내용을 구체 으로

말 해 주십시오.

26. 본인이 남성 혹은 여성이기 때문에 가지는 문화유산해설에 장단 이 있다면 말 해 주십시오.

27. 지 맡고 있는 장에 불만이 있으시면 그 내용을 말 해 주십시오.

28. 내국인을 상으로 문화유산해설을 하실 때 어려운 을 말 해 주십시오.

29. 외국인을 상으로 문화유산해설을 하실 때 어려운 을 말 해 주십시오.

문화유산 외국어해설능력 배양사업 심화과정 연구 / 여중철

52

30. 지속 인 문화유산해설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그 다면 그 이유에 하여 말 해 주십시오.

31. 주변의 소개 는 권유로 문화유산해설을 하시고 보수를 받으신 이 있으신지요? (

), 아니오( )

31-1. 있으시다면 보수(1회당)는 어느 정도입니까?

①10만원 이하 ②10만원 ~ 30만원 ③ 30만원 이상 ④기타

32. 재 근무하시는 근무여건에 해 만족하시는지요?

( ), 아니오( )

32-1. 만일 그 지 않다면 그 이유를 말 해 주십시오.

33. 자원 사로서의 「문화유산해설사」에 하여 만족하시고 계신지요?

( ), 아니오( )

33-1. 그 지 않다면 이유를 말 해 주십시오.

34. 문화유산해설사 지원에 하여 지자체나 정부에 바라시는 이 있으면 말 해 주십시오.

35. 문화유산해설에 보수를 받아야 한다면 하루 얼마정도가 당하다고 생각합니까? (

)

36. 문화 활성화를 하여 지자체가 우선 으로 해야 될 일은 무엇이라고 생각합니까?

37. 문화유산해설의 유료화에 한 생각을 말 해 주십시오

38. 장경험을 통해 볼 때 문화유산해설사로서 갖추어야 될 자질에 하여 하실 말 이 있으면 해

주십시오.

39. 문화유산해설사로 활동하는데 한 가족의 반응은 어떻습니까

40. 문화유산해설사로 활동하면서 개인 으로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 것은 무엇입니까?

41. 해설을 할 때 자신만의 노하우라고 생각되는 것이 있으면 말해 주십시오.

1) 외국인 상

2) 내국인 상

부 록 2 - 설 문 지

53

42. 문화유산해설사로서의 가장 큰 보람은 무엇입니까?

43. 문화유산해설사 제도가 사회 으로 정착되려면 무엇이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합니까?

44. 문화유산해설사로 활동하면서 자신에게 일어난 가장 큰 변화는 무엇이라고 생각합니까?

45. 문화유산해설사로 활동하는데 고령이 문제가 된다고 생각하십니까?

문제가 된다면 어떤 이유 때문입니까?

46. 문화유산해설 교육을 한 공식 교육제도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까?

그 다면 그 이유는?

47. 문화유산해설에 한 국가공인 자격증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필요하다면 어떤 이유로?

48. 문화유산해설사가 하나의 직업군이 되기 해서는 무엇이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합니까?

49. 유료 해설을 한 문화유산해설 사업조직이 생긴다면 참여할 의사가 있으신지요?

50. 문화유산 외국어해설 능력배양 사업에 해 들어보신 이 있습니까

( ) 아니오( )

50-1. 라고 답하셨다면 어떤 경로를 통해 알게 되셨습니까

①신문 고( ) ②신문기사( ) ③홍보자료( ) ④가족 는 친구( )

51. 문화유산 외국어해설 능력배양 사업을 시행한다면 교육에 참여하실 의향이 있으십니까?

( 0 ) 아니오( )

52. 문화유산해설 교육기 에 하고 싶은 말이 있으시면 말해주십시오.

문화유산 외국어해설능력 배양사업 심화과정 연구 / 여중철

54

부록 3

『문 화 유 산 외 국 어 해 설 사 양 성 사 업 교 육 로 그 램 개발 』 에 한

설 문 지 내 용 분 석 결 과

1 . 성 명 : 개인의 라이버시 보호를 하여 생략

2 . 연령

연령 인원(명) 비고

60대 5

남 2 - 63세 경주,영어

69세 안동,☓여 3 - 60세 경주,일어

61세, 안동 ,일어

61세 ,안동 ☓)

50대 8

40대 23

30대 5

20대 2

무응답 10

계 53

5

8

23

5

2

10

인원(명)

60대

50대

40대

30대

20대

무응답

3 . 성 별

성별 인원(명) 비고

남 8

여 44

무응답 1

계 53

0

10

20

30

5

23

85

10

2

부 록 3 - 설문지 내용분석 결과

55

4 . 혼 인 여 부

혼인여부 인원(명) 비고

기혼 45

미혼 5 ( 남 1, 여 4)

무응답 3

계 53

0

10

20

30

40

50

기혼 미혼 무응답

5

45

3

5 . 종교

종교 인원(명) 비고

불교 23

천주교 5

기독교 4

유교 1

원불교 1

기타 4

없음 4

무응답 11

계 53

문화유산 외국어해설능력 배양사업 심화과정 연구 / 여중철

56

6 . 학 력

학력 인원(명) 비고

대학원 졸 5

대학원 재학 1

대졸 23

대재 1 (방통대 )

사범졸 1 (61세, 여)

전문대졸 1

고졸 7 (모두 안동권 )

무응답 14

계 53

5 1

23111

7

14

인원(명)

대학원 졸

대학원 재학

대졸

대재

사범졸

전문대졸

고졸

무응답

7 . 직 업

직업 인원(명) 비고

문화유산 해설사 6

명예통역 안내원 2

강사, 번역 6

상업, 자영업 4

주부 11

무응답 24

계 53

626

4

11

24

인원(명)

문화유산 해설사

명예통역 안내원

강사 번역

상업 자영업

주부

무응답

부 록 3 - 설문지 내용분석 결과

57

8 . 외 국 어

외국어 인원(명) 비고

영어 11 경주 2, 안동 4, 대구 5

일본어 17 경주 8, 안동 7, 대구 2

중국어 7 경주 2, 안동 1, 대구 4

기타 2

무응답 16

계 53

9 . 근 무 경 력

근무경력 인원(명) 비고

1년 미만 4

1년 이상 33

5년 이상 11

경험없음 5

계 53

문화유산 외국어해설능력 배양사업 심화과정 연구 / 여중철

58

1 0 ~1 1 . 활 동 지 역 해 설 유 지

지역 세부지역 인원(명) 계

경주경주시내전역 13

21경주시외지역 8

안동

하회마을 14

20봉정사 3

이천동 석불상 3

대구

용연사 1

6

경상감영공원 1

대구향교 1

남평문씨 세거지 1

약령시 1

기타 1

경주 21명 시내 역 13명

불국사, 석굴암, 릉원, 양동마을 등 8명

안동 20명 하회마을 14명

정사 3명

이천동 석불상 3명

구 6명

용연사, 경상감 공원, 구 향교, 남평문씨 세거지, 약령시 각 1명씩

부 록 3 - 설문지 내용분석 결과

59

1 2 . 해 설 유 지 선 택

선택 사유 인원(명) 비고

본인의 결정 13

기관의 결정 31

본인 + 기관의 결정 3

해당무 6

계 53

1 3 . 주 당 해 설 활 동 근 무 회 수

주당 근무 회수 인원(명) 비고

주 1회 4

주 2-3회 23

주 4-5회 7

무응답 19

53

문화유산 외국어해설능력 배양사업 심화과정 연구 / 여중철

60

1 4 . 정 규 과 정 이 외 에 해 당 외 국 어 수 학 기 간

인원(명) 비고

1년 미만 5(일어 1명, 중국어1명,

외국어 해당없음 )

1-3년 9

3-5년 13

5-10년 1

10년 이상 2

무응답 23

계 53

1 5 . 해 외 거 주 경 험 여 부

인원(명) 비고

미국 3

영국 1

일본 5

중국 3

캐나다 1

무응답 40

계 53

부 록 3 - 설문지 내용분석 결과

61

1 5 - 1 . 거 주 기 간

인원(명) 비고

1개월 3

2-10개월 3

1년 6개월 2

3년 이상 1

33년 8개월 1 ( 중국 교포 )

계 100

1

2

3

4

1

2

33

1

1 6 . 외 국 어 연수 방 법

인원(명) 비고

학원 6

독학 20

스터디 그룹 6

해외연수 + 독학 2

무응답 19

계 53

문화유산 외국어해설능력 배양사업 심화과정 연구 / 여중철

62

1 7 . 문 화 유 산 외 국 어 해 설 한 자신 의 외 국 어 구사 능 력 이 부 족 함 이 없 는 가 ?

인원(명) 비고

매우 그렇다 1

그렇다 6

보통이다 9

조금부족 8

매우부족 14

무응답 15

계 53

0

2

4

6

8

10

12

14

16

1

6

9

1415

8

1 8 . 문 화 유 산 해 설 시 한 국 문 화 에 한 이 해 부 족 으 로 어 려 움 있 는 가 ?

인원(명) 비고

예 10

아니오 23

무응답 20

계 53

10

23

20

인원(명)

아니오

무응답

부 록 3 - 설문지 내용분석 결과

63

1 9 . 문 화 유 산 해 설 교 육 받 은 기 은 ?

인원(명) 비고

경상북도 7

경주시 7

경주신라문화원 6

경주문화원 1

안동시 7

안동민속

박물관1

영남대학교

박물관11

(+경북대 박물관,

국립대구박물관 등 )

기타 6

안동+경주,

안동+경주+고령,

안동+영주+경주

무응답 7

계 53

3 2 . 재 근 무 여 건 에 만 족 하 는 가 ?

인원(명) 비고

예 17

아니오 16

무응답 20

계 53

2 0 . 2 2 . 문 화 유 산 해 설 교 육 방 식 에 있 어 서 부 족 한 , 보완 할 과 목

* 내국인 상 해설과 외국인 상 해설에는 그 깊이와 범 를 달리해서 사용하기에 합한 교육이

되어야 함

* 교재는 교육시작 에 미리 혹은 날 미리 배부하기

* 설명하기 어려운 학술용어를 외국어로 표 하는 법과 더 유창한 외국어 실력 배양

* 교육기간이 짧아서 문화유산에 한 더 깊고 문 인 지식을 얻지 못함

* 고건축과 불교문화에 한 더 많은 교육의 필요성

* 장 실습, 장에서 안내해야할 포트 작성, 연령별, 소속단체, 특성별, 안내기법, 리젠테

이션 기법, 표 방법, 화 기법 등이 보강 필요

* 지역 가이드로서 심화 교육이 필요하며, 지역별 교육이 더욱 효과 일 것으로 생각함.

* 다른 지역 해설사들이 직 해설하는 것을 보고 들음으로써 장해설을 효과 으로 하는 구

체 인 실례를 많이 보여주는 것이 좋겠음.

문화유산 외국어해설능력 배양사업 심화과정 연구 / 여중철

64

2 1 . 문 화 유 산 해 설 교 육 방 식 에 있 어 서 만 족 한

* 각계의 가장 문가를 모시고 교육받은

* 장 답사 주의 교육이 좋음

2 3 , 2 7 . 장 에 서 문 화 유 산 해 설 을 할 때 의 어 려 운 , 불 만 인 은 ?

* 깊이 있는 해설을 하기 한 우리 문화재에 한 이해와 해설 훈련 부족

* 한 문화유산에 해 해설이나 유래가 각 문헌마다 다른 경우

* 맞춤형 안내를 요구할 때나 짧은 시간의 안내 요구 시 객의 의식과 안내자의 생각이 불

일치 때,

* 소수의 사람들이 신청할 때는 인력이 효율 으로 배치되지 못하는 (문화유산 해설사의 해

설하는 시간 를 정해놓고 문화유 에 한 해설을 할 필요성 있음)

* 객들의 수 에 맞는 안내 필요, 외국어 구사 필요

* 듣는 사람의 극 이지 않은 태도, 유 지에 한 잘못된 지식

* 휴가철이나 시즌에 한꺼번에 많은 수의 여행객이 올 때 조직 으로 통제할 수 있는 체제

가 갖추어져야 함

* 단순한 휴식이나 놀이 공원이 아닌 유서 깊은 역사 유 공원이 되게 유료화할 필요가 있는

곳도 있다.

* 통일된 해설사의 복장이 있으면 좋겠다.

* 해설사 부스에 화, 인터넷 시설이 없는 등 정보 인 라 부족

* 더울 때나 추울 때 근무 환경이 열악하고 해설사가 기할 수 있는 사무실이 없는 곳도 있고,

있는 곳도 무 좁으며, 화장실 등 편의시설이 가까이에 없는 경우도 있어서 어려움.

* 근무지의 교통이 불편하고 근무수당이 무 비 실 이다.

* 출 퇴근 시간의 규제

2 4 . 교 육 과 정 수 료 후 해 설 능 력 향 상 해 하 고 있 는 개인 노 력 은 ?

* 우리지역 내의 각 유 지의 자료와 사진 서 을 수집

* 문서 구입, 학 논문 수집, 세미나 참석

* 답사, 장조사, 인터넷 검색을 통해 련 문화재에 한 더 많은 지식 습득

* 학원 수학, 박물 문화강좌 수강, 국내외 문화유산 답사

* 코리아 타임즈에 우리 문화유산에 해서 읽고 스크랩 함

* 외국어 공부

2 5 . 본 인 이 소 속 되 어 활 동 인 문 화 유 산 련 모 임 과 그 활 동

한국 문화 해설사회,

구 문화 해설사회

경북 문화 해설사회,

경주 문화 해설사회

( 구 경북 문화유산 외국어 해설사회 등 모임에 어도 한 곳에 소속되어 월례회와 답

사를 통해 활동 인 사람이 20명 임 )

부 록 3 - 설문지 내용분석 결과

65

2 6 . 남 성 혹 은 여 성 이 기 때 문 에 가 지 는 해 설 사 로 서 의 장 단 ?

남성 : 장 - 단체 학생 통솔에는 유리

단 - 남성 단체는 효과가 은 것 같음

여성 : 장 - 부드러운 목소리로 차분하게 해설하므로 객에게 더 친화력있게 다가갈 수 있

다.

단 - 햇볕에 피부가 노출되어 그을리는 것과 이르거나 늦은 녁 홀로 찾아온 내방

객을 안내하기 힘듬

그 외 성별의 차이가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답도 4명 있었음

2 8 . 내 국 인 상 문 화 유 산 해 설 시 어 려 움 ?

* 답사 문가들이 방문 할 때나 과시할 목 으로 해설을 요구할 때, 는 나에게 있는 지식

보다 한층 더 깊이 있는 질문을 할때

* 많은 인원에게 한꺼번에 설명을 할 때 객의 수 을 맞추기 힘들고 람객들을 집 시

키기 힘들다.

* 람객의 성숙되지 못한 람 문화에 어려움 느낌

* 문화유산에 한 잘못된 인식과 자문화에 한 열등 선입

* 시간상 문제

2 9 . 외 국 인 상 문 화 유 산 해 설 시 어 려 움 ?

*외국어 구사능력 부족과 특히 문어휘 부족

* 외국의 문화와 비교하여 설명 불가, 지식 부족,

*우리의 문화와 습을 그네들에게 짧은 시간에 이해시키기 힘들다

3 0 . 지 속 인 문 화 유 산 해 설 교 육 의 필 요성 은 ?

*질 높은 해석을 해 충분한 거름이 필요하다.

*폭 넓은 교양과 매 를 익히기 해 더 많은 교육이 필요하다.

*단계 이고 체계 인 문 지식의 보충, 심화가 꼭 필요함 등 정 답변이 다수.

3 1 . 주 변 의 소 개 는 권 유 로 문 화 유 산 해 설 을 하 고 보수 받 은 경 험 있 나 ?

: 19명

문화유산 외국어해설능력 배양사업 심화과정 연구 / 여중철

66

3 1 - 1 . 있 다 면 보수 는 1 회 당 얼 마?

인원(명) 비고

5만원 정도 1

10만원 이하 13

10만원~30만원 5

기타 1

계 20

3 3 . 자원 사 로 서 의 문 화 유 산 해 설 사 에 해 서 만 족 하 고 있 는 가 ?

인원(명) 비고

예 31

아니오 4

무응답 18

계 53

3 3 - 1 . 아 니 면 그 이 유 는 ?

* 주말에 항상 출근, 가족 화합의 문제, 갈등 래

* 공공근로라는 명칭 하에 우리의 권리를 제 로 주장 할 수가 없는 것,

* 사회 으로나 정부의 도움으로 안정되고 정착된 문유사가 되었음 함

* 자원 사도 아니고 그 다고 제 로 된 보수 지 도 안하면서 필요에 따라 자원 사자로

지칭되기 때문

부 록 3 - 설문지 내용분석 결과

67

3 4 . 문 화 유 산 해 설 사 에 해 서 정 부 나 지 자체 에 바 라 는

* 법 이나 제도 으로 입법화 된 해설사 배양하여 ,좀더 안정된 직업화.

* 정규 인 시간과 보수, 지 를 인정해주는 지원 필요, 유사 해설사와 차별화 필요

* 동 기, 근무시간 조

* 배치된 지역 말고도 언제든지 자원 사 할 수 있는 기회 많이 제공 바람

* 문화유산 해설사를 통합 지칭할 수 있는 제복이 있었으면 함

* 해설사 부스에 화, 인터넷 시설이 없는 등 정보 인 라 구축

* 가까운 이웃나라 견학을 한번 하면 도움이 될 듯 함

문화유산 외국어해설능력 배양사업 심화과정 연구 / 여중철

68

3 7 . 문 화 유 산 해 설 사 의 유 료 화 에 한 생 각

인원(명) 비고

찬성 15

반대 10

무응답 28

계 53

3 5 . 보수 를 받 아 야 한 다 면 하 루 에 얼 마정 도 가 당 한 가 ?

인원(명) 비고

5만원 15

5-7만원 1

5-10만원 1

10만원 6

10만원 이상 1

20만원 2

현재 만족 2

무응답 25

계 53

0

5

10

15

20

25

30

1

15

1

6

1 2

25

2

3 6 . 문 화 활 성 화 를 해 지 자체 가 해 야 할 일 은 무 엇 ?

*지자체장의 문화 에 한 열린 생각

*공무원들의 장답사를 통한 문화재 보존, 정비, 주변 환경 개선 코스 개발

* 지를 기억할 만한 상품 개발과 내외 홍보 필요

* 객을 한 안내 센터 필요,

*해설사의 자질을 향상 시켜 보는 문화 유 이 화 이나 드라마처럼 재미있다는 인식

이 확산시킴

부 록 3 - 설문지 내용분석 결과

69

3 8 . 장 경 험 을 통 해 서 본 문 화 유 산 해 설 사 가 갖 추 어 야 할 자질 은 ?

*단정한 복장과 외모, 성실한 자세, 의바른 행동, 친 한 서비스 정신, 명랑한 성격

*상 를 향한 배려, 최선을 다해 노력하고 사할 자세, 자원 사자로서의 책임감

*문화재에 한 심, 사랑,

*역사와 문화에 한 폭넓은 지식, 끊임없이 연구하고 공부하는 자세

*객 입장 필요, 극단 인 표 은 피하기

*언어 구사 능력과 외국어 구사능력

*지리환경, 교통 이용 등에 능통해야 한다

*지자체의 얼굴이라는 자부심을 가지고, 우리 것에 한 자존심이 있어야 함

3 9 . 문 화 유 산 해 설 사 로 활 동 하 는 데 한 가 족 들 의 반 응 은 ?

인원(명) 비고

긍정적 23

부정적 3

무응답 27

계 53

23

3

27

인원(명)

긍정적

부정적

무응답

4 0 , 4 4 . 문 화 유 산 해 설 사 활 동 이 개인 으 로 도 움 이 되 는 것 , 자신 에 게 일 어 난 큰 변 화 ?

* 문화유산을 이해하고, 우리문화에 한 애정을 갖게 되고 애향심이 더 커짐,

* 언어능력 향상

* 사회생활 참여하여 자아성취감 갖게 됨.

* 책 많이 보게 되고 지속 공부를 함으로써 아이의 교과 공부에도 많은 도움

* 여가시간의 활용과 사하는 보람을 느낌.

* 정 사고를 하게 되고 두려움이 사라지고 극 인 성격으로 변함

* 일자리가 있는 것이 자부심을 느끼고 생활의 활력소가 된다.

* 밖에 나와 움직이는 것이 생동감과 활력을 주고 운동에도 보탬이 되어 건강함.

* 다양한 사람들과의 만남에서 얻는 즐거움

*세상 모든 것이 소 하게 보이고 모든 사물을 자세히 보게 됨

문화유산 외국어해설능력 배양사업 심화과정 연구 / 여중철

70

4 1 . 문 화 유 산 해 설 사 로 서 자신 만 의 노 하 우 는 ?

1) 외국인 상

* 정확한 발음이 되도록 노력

* 한국 인 것의 체험을 유도하여 외국인에게 한국의 이미지 심어 한국의 문화에 한 이

미지 높임

* 일상 인 화와 련 정보 제공, 분명한 의사 달과 미소

* 해설 내용을 완 히 숙지하여 정성껏 설명한다.

2) 내국인 상

* 명확한 해설

* 약간의 유머도 필요

* 조상들의 지혜를 알리고 자부심을 갖도록 함

* 체 개념과 시 틀을 잡고 이해하도록 함

* 여러 가지 그 지역의 특수성과 상황을 연 시켜 잘 설명하여 듣는 사람의 공감을 이끌어

낸다.

* 문화재에 한 쉬운 질문으로 람객을 해설에 참여시킴

4 2 . 문 화 유 산 해 설 사 로 서 의 가 장 큰 보람 은 ?

* 우리나라 역사 통을 알리는 것

* 해설을 듣고 가는 분들이 많은 정보과 좋은 인상을 가지고 돌아 갈 때

* 내가 가진 그 무언가를 사회를 해 나 어 수 있는

* 잘 알려지지 않은 지방 문화를 알리는 데에 보람 느낌

* 문화유산을 바라보는 이해와 심의 폭 넓어짐

* 자신의 해설을 듣고 만족해하고 고마움의 인사를 받을 때

* 여행객들이 몰랐던 유 에 해 잘 알고 갈 때

4 3 . 문 화 유 산 해 설 사 제 도 가 사 회 으 로 정 착 하 기 해 서 가 장 필 요한 것 은 ?

* 경치 에서 문화 사업으로 환, 박물 이나 주요 지에 시간 별로 해설사의 해

설을 상설화 할 필요가 있다.

* 정부와 지자체에서 극 지원을 받아 많은 자료와 교육을 통한 지역 문가로 양성하고 합

당한 보수도 필요하다.

* 문화유산 해설사의 유료화가 필요

* 지속 인 추진 필요, 문화유산 해설사에 한 재교육, 심화교육이 필요

* 문화유산 해설사의 직업화가 필요하며, 주 5일 근무나 4일 근무 요망

부 록 3 - 설문지 내용분석 결과

71

4 5 . 문 화 유 산 해 설 사 로 서 활 동 하 는 데 고령 이 문 제 가 되 나 ? 그 이 유 는 ?

인원(명) 비고

문제된다 16

(이유 : 해설을 듣는

분들의 부담과 불편함,

체력과 건강의 문제 등)

문제없다 11

무응답 26

계 53

16

11

26

인원(명)

문제된다

문제없다

무응답

4 6 . 문 화 유 산 해 설 교 육 을 한 공 식 교 육 제 도 가 필 요한 가 ? 그 이 유 는 ?

필요하다 : 23명

이유: 한 문화재에 관련한 통일된 해설이 필요함

해설사들의 책임감과 전문성을 위해

좀더 체계적이고 깊이 있는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 될 것임

개인적인 지식 습득 노력에는 한계가 있기 때

무응답 : 30명

4 7 . 문 화 유 산 해 설 에 한 국 가 공 인 자격 증 이 필 요한 가 ? 그 이 유 는 ?

필요하다 :25명

이유 : 자격증이 있을 때 본인 해설에 책임을 진다.

평균 실력을 유지하기 위함

자부심과 긍지를 갖고 책임감도 가져

해설사 급수 획득을 위해 더 많이 노력하고

실력을 쌓기 때문

질적 향상과 자격증이 있으면 그에 따른 대우

도 함께 따를 것이기 때문

해설사의 지위를 보장해 주기 때문

굳이 필요 없다 2명

무응답 26명

문화유산 외국어해설능력 배양사업 심화과정 연구 / 여중철

72

4 8 . 문 화 유 산 해 설 사 가 하 나 의 직 업 군이 되 기 해 선 무 엇 이 필 요하 다 고 생 각 하 는 가 ?

* 폭넓은 문지식, 외국어 능력, 철 한 로 정신

* 자질과 자세, 사하는 마음

* 국가 공인 자격증, 해설사를 배양해내는 공식 인 교육제도

* 연령 제한, 자격 기 강화

* 복지향상, 합당한 보수

* 경치 에서 문화 사업으로 환,

* 박물 이나 주요 지에 시간 별로 해설사의 해설을 상설화할 필요

4 9 . 유 료 해 설 을 한 문 화 유 산 해 설 사 업 조 직 이 생 긴 다 면 참 여 할 의 사 가 있 는 가 ?

인원(명) 비고

있다 19

없다 2

무응답 32

계 53

5 0 . 문 화 유 산 외 국 어 능 력 배 양 사 업 에 해 들 어 본 이 있 는 가 ?

인원(명) 비고

예 27

아니오 16

무응답 10

계 53

부 록 3 - 설문지 내용분석 결과

73

5 0 - 1 . 들 어 본 이 있 다 면 어 떤 경 로 를 통 해 알 게 되 었 나 ?

인원(명) 비고

신문광고 4

신문기사 2

홍보자료 10

가족 또는 친구 11

무응답 26

계 53

5 1 . 문 화 유 산 해 설 능 력 배 양 사 업 을 한 다 면 참 여 하 실 의 사 가 있 는 가 ?

인원(명) 비고

예 32

경주 8/22명

안동 13/20명

대구 11/11명

아니오 2

무응답 19

계 53

5 2 . 문 화 유 산 교 육 기 에 하 고 싶 은 말 이 있 다 면 ?

* 권 있는 교수님들로부터 깊이 있는 철 한 교육으로 실력 쌓게 해 달라.

* 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실질 인 교육을 해 로그램을 좀 더 조직 으로 운 해 달라.

* 장에서 사용 가능한 핵심 부분을 간단명료하게 교육을 해 줬음 하는 바람

* 그 지역의 특색에 맞게, 필요한 부분을 소에 아주 작은 지역 단 로 교육받을 수 있으면

좋겠다.

* 외국어 해설 수강 시간이 증가했으면 좋겠다

* 같은 내용의 반복이 아닌 보수교육이 계속해서 이루어 졌으면 좋겠다

문화유산 외국어해설능력 배양사업 심화과정 연구 / 여중철

74

부록 4

문 화 유 산 외 국 어 해 설 사 개별 인 터 뷰 내 용

문화유산 외국어 해설능력배양사업 심화과정 로그램을 개발하기 해 직에서 활동하고 있는

외국어해설사들에게 어떤 동기나 계기로 언제부터 활동을 하게 되었으며, 장에서 활동할 때 겪었

던 애로사항들, 심화교육 로그램에 참고할 내용이나 원하는 내용, 심화교육 로그램을 권역별로

실시할 경우 내용과 방법, 문화유산 외국어 해설사가 되려는 분들에게 한 조언 등을 개인 인터뷰

를 통해 물어보았다.

#인터뷰 1 ( 경주, 어 )

2001년 TV에서 시청에서 하는 문화유산해설사 모집 홍보물을 통해 알게 되었습니다. 하다 보니

외국어 자료가 부족하고 정기 인 연수 필요성을 실히 느 고, 우( 료)수 이 낮은 것 같습니

다.

심화교육 로그램에는 장 경험자의 체험담과 노하우를 통한 교육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고요,

경주는 불교권이므로 불교교리, 사찰의 구조, 불상의 형태, 통 한옥구조, 단청, 능(묘제)에 한

해설을 좀 가르쳐줬으면 좋겠습니다.

문화유산 외국어 해설사가 되려는 분들은 손쉬운 인터넷 자료도 좋지만, 학 도서 이나 박물

등 권 있는 기 의 자료로 공부하는 태도를 더 권하고 싶습니다. 문화유산과 련된 폭넓은

상식이 필요하므로 다양한 독서가 요합니다.

#인터뷰 2 ( 경주, 어 )

도 1년 채용공고를 보고 시작하게 되었는데, 직종에 비해 우가 낮다는 생각이 듭니다. 심

화 교육 로그램에는 역사에 한 비디오를 상 하거나 슬라이드를 통한 교육도 좋을 것 같고, 이

번 기회에 사찰에 한 것을 좀 상세히 했으면 좋겠습니다.

문화유산 외국어 해설사가 되려는 분들은, 어로 해설하는 경우는 어권 국가 뿐 아니라 다른

유럽계나 다른 나라들에서 온 객도 있으므로 려운 단어들을 쓰는 것보다 쉽게 풀어서 말하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인터뷰 3 ( 구 , 어 )

문화유산을 공부하고 싶어서 2002년부터 이 일을 하게 되었습니다. 어려운 이 있다면 어가

아직 완 하지 못한 이죠. 심화교육 로그램에는 강사 선택에 많은 신경을 써 주시기 바랍니다.

문화재 교육도 작년에 비해 한층 깊이가 있고 다양한 강의가 있었으면 합니다. 그리고 권역별 교육

부 록 4 - 문화유산 외국어해설사 개별 인터뷰 내용

75

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 합니다. 안동, 경주, 구 구분은 나 에 문제이지 교육은 모두가 같이

받아야 한다고 생각 합니다.

문화유산 외국어 해설사가 되려는 분들은 많은 내공을 쌓아야 합니다. 엄청난 양의 공부와 부지

런한 답사를 통해 많은 것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첫째도 공부, 둘째도 공부, 셋째도 공부입니다.

#인터뷰 4. ( 안동 , 어 )

2004년 8월 1일 시작, 안내 자원 사로 활동을 하고 있던 문화유산해설사 제도가 생기게

되어 자연스럽게 하게 되었는데, 외국인이 많이 와서 심을 갖고 어공부도 하게 되었습니다. 그

러나 우리 문화유산을 어로 설명해 놓은 책들을 많이 찾을 수 없어서 안타까웠습니다. 심화교육

로그램에는 외국에서는 문화 해설을 어떻게 하는 가를 실제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가졌으면

하고, 외국인들의 심사나 우리들의 문화에 감동받을 수 있는 들을 좀 더 알고 싶습니다. 마

을, , 서원, 탑에 한 한국의 문화재 특징을 외국어와 한국어가 가능한 교수님의 설명을 듣고 싶

습니다. 그러니까 과 교수님을 청해서 외국어 해설을 문 으로 하는 방법론에 해 강

의를 해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문화유산 외국어 해설사가 되려는 분들은 이러 이러한 것들이 어떤 문화재 종류로 지정이 되었

다기보다는 왜 국보나 보물로 한 이외 문화재로 지정될 수 있었는지에 한 요성이나 이유를

설명하고 그들과 다른 문화의 생활양식에 해 설명해 주었을 때 방문객들은 흥미로워 한다는 것

을 기억했으면 좋겠습니다..

#인터뷰 5 ( 경주, 일어 )

2004년 경주 시청 홈페이지를 보고 알게 되어 활동을 시작했습니다. 나라 마다 문화, 역사, 사고

방식, 언어가 다 다르므로 가장 하고 합한 해설의 달, 특히 문화 역사의 문용어 달에

많은 사고가 요구된다는 것을 느끼고 있습니다.

심화교육 로그램에는 불교에 한 이해가 얕은 계로 불교에 한 심화교육의 필요를 느낍니

다. 경주에는 고분이 많아서 고분에 한 상세한 고찰도 필요하고, 많은 문화 유 보물에 한

상세한 교육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문화유산 외국어해설사가 되려는 분들은 문화재에 애착이 있어야 하고 많은 심과 흥미를 가지

고 해설에 임하여야 한다. 요한 것은 재미 있는 화술도 구비해야 한다는 입니다.

#인터뷰 6 ( 구 , 일어 )

공이 일문학인데, 언어 뿐만 아니라 문화 역사에 심이 많았습니다. 우연히 경주 불국사를

방문하 는데, 그곳에서 활동하던 자원 사자의 설명이 무척 인상 이어서, 그후 구에서도 모집

을 하기에 응시하여 2002년 5월부터 활동을 시작하 습니다.

문화유산 외국어해설능력 배양사업 심화과정 연구 / 여중철

76

우리 것에 한 설명을 많이 하고 싶은 욕심도 많지만, 상 나라의 문화와 비교 설명하고 싶은

데, 를 들어 불교, 신사에 한 설명을 하고자 할 때, 같은 용어라도 일상용어와 발음이 다르고,

같은 유교 용어이긴 하지만 그 로 사용했을 때 받아들이는 감각이 다르기 때문에 문용어에

서 오는 어려움을 많이 느낍니다.

기본 인 언어에 한 것은 어려움이 없으나, 문용어에 한(종교별 언어라거나)지식 부족과,

문화의 비교 설명이 어렵다는 이 있습니다. 그들이 빨리 이해할 수 있으려면 그들의 문화를 를

들어 한다면 좀 더 빨리 달되지 않을까요? 그런 을 심화교육 로그램에서 다루어 주었으면

합니다.

문화유산 외국어 해설사가 되려는 분들은, 물론 외국어는 기본이고, 우리 문화에 한 심도있는

지식도 요하지만, 무엇보다 요한 것은 그들을 하는 해설사들의 매 라고 생각합니다. 설명

즉 말을 잘하기 보다는 간결하지만 가슴깊이 남아있을 해설이 요하지 않을까요?

#인터뷰 7 ( 구 , 일어 )

2002년 2월경, 신문지상에서 구 역시 문화유산 해설사 모집공고를 하고, 역사와 문화에

한 지 욕구의 충족과 아울러 외국어의 실제 사용 기회를 늘림으로써 외국어 구사 능력을 향상시

킬 수 있는 계기로 여기고 지원해서 합격한 후 교육 수료 후 활동을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해 보니

외국어 해설에는 문화유 련 문 용어들을 많이 구사하여야 하므로 통상의 외국어 능력만으로

는 해설에 한계가 있는 이 어렵습니다.

심화교육 로그램에는 우리 문화와 외국의 문화를 동시에 이해하고, 비교 설명할 수 있는 능력

을 기르는 것이 요하므로, 비교 문화론 소양을 높일 수 있는 과목이 많이 개설되면 좋을 것이

라 생각이 됩니다. 반드시 어권별로 실시하는 것이 좋을 것 같고, 원어민으로서 문화유산에 한

문 지식을 가진 강사를 섭외하여, 문화유산 장에서 해설의 실제를 연습하는 것이 좋겠다고

생각합니다.

문화유산 외국어 해설사가 되려는 분들은, 문화유산 외국어해설은 단순한 통역가이드가 아니므

로, 통상의 외국어 구사능력도 갖추어야 하지만, 그보다 그 나라의 문화에 한 이해, 우리 문화와

의 차이 과 공통 상 계 등을 설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를 해서는 그 나라 문화에

한 연구를 많이 하고, 가능한 한 많은 답사를 하면서 그 나라 해설사들 의 해설도 들어서 해설

장에서 직 구사되는 용어와 표 방식들을 익 두면 큰 도움이 됩니다.

#인터뷰 8 ( 안동, 일어 )

처음에는 하회마을에서 10개월정도 자원 사 형식으로 근무하다가 문화유산 해설사로 근무를 시

작하여 3년 정도 근무했습니다. 찾아오는 외국인 객들을 보면서 외국어 해설이 필요하다는 생

각에, 오래 부터 심이 있었던 일본어학과를 졸업하면서 외국어 해설을 하게 되었습니다. 그

런데 문화재는 독특한 용어가 있고 그런 것들을 설명하는 것에 많은 애로를 느낍니다.

부 록 4 - 문화유산 외국어해설사 개별 인터뷰 내용

77

심화 교육 로그램에는 고건축에 해서 상세히알고 그것을 외국어로 설명하는 법을 알고 싶습

니다. 그래서 해당 외국어별로 심도 있는 교육을 받고자 합니다. 외국어도 물론 잘 해야겠지만

그보다 먼 손님을 하 태도라든가 기본 인 소양교육도 먼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 합니다

문화유산 외국어 해설사가 되려는 분들은 내가 하고자 하는 일에 애정과 지를 가지고 즐기면

서 하시기를 권합니다.

#인터뷰 9 ( 경주, 국어 )

2005 년 시청 홈페이지 채용 공고란을 보고 이력서 제출하여 선발되어서 시작하게 되어서 아직

경험이 오래진 않습니다만, 외국어 통역원으로서 나름 로 고 인력이라 여기는데 우가 무 낮

은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 고유의 용어들을 외국어로 표 하기 힘들기 때문에 많은 외국어 자료들이 있었으면 좋

겠습니다. 그리고 심화 교육 로그램에서는 각 언어별로 외국어 교육을 따로 좀 했으면 어떨까요.

각 언어별로 문용어가 표 된 자료에 한 연구하고 유 지마다 번역 된 자료를 만들어 분석해

보는 시간을 가졌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불교문화에 해 좀 더 쉽고 자연스럽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어렵지 않은 교육을 했으면 좋겠습니다.( 종교가 불교가 아닌 사람은 좀 거리감이 있기 때

문에... )

권역별 모든 유 지에 해 확실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묘제에 해 쉬운 해설 교육을 받고 싶

습니다. ( 직 참 하는 형식의 체험학습 )

문화유산 외국어 해설사가 되려는 분 들은, 그 지방에 어디에 어떤 유 지가 있는지 정도는 기본

으로 다 알고 있어야 되고, 역사 인 지식도 필요합니다. 외국어해설의 경우, 깊게 는 아니더라도

항상 비하는 자세가 필요하겠으며, 꾸 히 공부를 해야 한다.

이 인터뷰를 통해서, 부분의 외국어해설사들은 각 지역의 지지체들이 홍보하는 모집공고를 통해

해설사를 시작하게 되었으나, 개인의 노력이 아니면 해당 외국어에 한 공부가 어렵고, 문화재에

한 해설 요령이나 해설에 필요한 자료를 구하기 못해 많은 애로사항이 있다는 을 이야기하고

있고, 심화교육의 필요성을 느끼고 요청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방법 면에서는 체로 각 권역별로 자기 지역의 문화재에 한 것을 심도 있게 다루면서 어권

별 수업을 병행할 것을 요구하고 있었다.

한 문화유산 외국어 해설사가 될 사람이 갖추어야할 자질로서 폭넓은 상식과 문용어의 사용을

해 다양하고 많은 양의 공부를 꾸 히 할 것과, 어디에 어떤 유 지가 있으며 어떤 역사 인 의

미를 담고 있는지를 달할 것 등의 지리 인 지식과 역사 인 지식도 요구되며,

재미있는 화술로 쉽게 풀어서 흥미 있게 ,간결하지만 가슴깊이 남는 해설을 외국인에 한 매 를

갖추어 할 것 등이 요구됨을 알 수 있는데, 이 한 심화과정에서 다루어져야 할 부분임을 알 수

있었다.,

문화유산 외국어해설능력 배양사업

심화과정 연구

참 고 자 료

참고자료 1 - 2005년도 문화유산해설사 사업운용지침

81

<참고자료 1>

2 0 0 5 년 도 「 문 화 유 산 해 설 사 」 사 업 운 용 지 침

국 ( 산 업 과 ) , 2 0 0 5 . 2 . 5 ( 토 )

□ 사 업 개요

○ 사업내용 : 문화유산해설사 운용 양성사업

○ 사업주체 : 문화 부(운 주체 : 시․도 자치단체)

○ 운용방침 : 년도(2004년) 사업 용

- 문화유산해설사 활동인원 : 1,200여명

- 지 유 지 등 상시설 : 450여개소

○ 지원 산 : 945백만원( 진흥개발기 )

※ 각 시․도 자치단체 산(지방비)은 지방 실정에 따라 년도 사업비 이상 반드시 확보

□ 2 0 0 5 년 도 「 문 화 유 산 해 설 사 」 사 업 운 용 지 침

○ 명칭변경 : 문화유산해설사(추후 여론수렴 후 변경문제 최종 결정)

○ 문화유산해설사의 기본요건

- 해설사는 우리문화, 역사, 에 한 기본 소양을 갖추고, 상 해설지에 한 해 박 한 지 식 을

가 진 자로 서 국 내 ․ 외 객 에 게 동 유 지 에 한 해 설과 이해를 돕는 자원 사개념의

활동을 기본으로 함.

- 생 계 유 지 수 단 으 로 서 의 문 화 유 산 해 설 사 의 활 동 참 여 는 배 제 하 며 , 한 안내원(가이드)

는 유사개념의 겸무활동을 지함.

- 활동연령은 만60세 이하를 원칙으로 함. 다만, 연령 과자라도 건강하여 활동이 가능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자체 으로 단․결정하여 활용.

- 된 자의 활동이 미미하여 년간 20시간 이내 이거나, 형사사건 기타 사업목 에 배되

는 자는 활동 자격을 배제함.

○ 운용기간 : 연 무 휴 를 원 칙 으 로 하 되 , 산 등 을 감 안 세 부 인 사 항 은 지 방자치단체 실정

에 맞게 운용.

○ 활동시간

- 1일 8시간 활동을 기본으로 함.

- 1일 3회를 기본 해설시간으로 함.

* 다만, 단체 객의 사 약의 경우는 별도 운 .

문화유산 외국어해설능력 배양사업 심화과정 연구 / 여중철

82

○ 해설 상지 정비 : 객의 수요가 거나, 해설사의 배치가 불필요하다고 단되는 지역은

자체 단 하에 정비.

- 홍보안내지 는 해설지를 별도 제작하여 배포․활용( 체)

- 각 시․도 자치단체 실정에 따라, 폐지 는 신규 지정하여 운 토록 함

○ 활동 사례비

- 교통비, 식비를 감안하여 1일 3만원 내외를 기본으로 함.

- 산 사정 등을 감안, 각 시․도 자치단체 실정에 맞게 운용

○ 자격증 복장 등 권장

- 조 사칭 활동 등을 방지하기 해, 시․도지사 명의의 자격증 발부 개인 인식이 가능

한 리번호 부여 등

- 객과 구별 가능한 복장 는 조끼 등의 착용.

○ 안내 홍보

- 문화 부에서 국 으로 문화유산해설사의 활동에 하여 홍보

- 각 시 ․ 도 자체 에 서 는 홍 보매 체 를 활 용 하 여 자체 홍 보 강 화 문 화 유 산 해 설 상지,

약제도, 화번호 등 홍보

- 시 ․ 도 안 내 지 도 , 지 유 인 물 에 문 화 유 산 해 설 사 홍 보문 안 삽 입 , 종합 안내소,

지 입구에 안내문 부착 등

○ 효율성 제고를 한 해당 산의 탄력 운용

- 우리부 산 교부시 사업을 세분화(신규인력 양성비, 재교육비, 활동비 등)하지 않고 일 교부 정

인바, 세부 으로 구분하여 지출이 필요할 경우(재교부), 시․도 자체 으로 결정

- 각 시․도 자체 운 에 따라 필요하다고 단되는 기 장소확보 등 시설비, 장비구입(핸드마

이크 등) 인력양성 등에 지출 가능토록 실행 산의 재편성 운용.

○ 기타 사항은 례에 따라 자치단체에서 하게 운용

□ 행 정 사 항

○ 상기 문화유산해설사 사업 운용지침은 2005년 1월1일부터 소 용하되, 산사정 등을 감안

하여 탄력 운용

○ 기본방향

- 기 확보된 국고(기 ) 산은 2004년도 사업에 해 지원(시․도 배정액 별첨)

○ 추진일정

- 지침 시달(문화 부), 보조 교부 신청 교부(2005.2월)

- 문화유산해설사 장 배치 활동(2005. 1월 ~ 12월)

- 사업정산(2006년 1월)

참고자료 1 - 2005년도 문화유산해설사 사업운용지침

83

※ 명칭변경(문화유산해설사 → 문화 해설사) 문제를 포함하여, 동 제도 반에 한 건의사

항 등을 수렴하여 개선방안 마련 후, 별도지침 통보 정(별도양식에 따라, 명칭변경 의견

건의사항 제출 : 2005. 2.28한)

○ 2004년도 사업비 정산(2005. 2월)

- 2004년도 사업비 정산 보고서는 활동 황 장비구입 등 구체 으로 작성

- 사업추진에 따른 각종 증빙서류 등은 각 시․도에서 자체 보 하고, 총 내역만 보고

○ 세부 증빙서류 활동실태 등에 한 검은 추후 문화 부에서 실시 정

첨 부 1. 문화유산해설사 명칭변경 건의사항 제출양식 1부.

2. 2005년도 문화유산해설사 국고(기 )보조 배정액 1부. 끝.

문화유산 외국어해설능력 배양사업 심화과정 연구 / 여중철

84

시 ․ 도 별① 명 칭 변 경

② 건 의 사 항 ③ 기 타

찬 성 반 사 유

( 역 자치

단 체 명 )

( 기 자치

단 체 명 )

○○시

○○시

○○군

〈첨 부 〉문 화 유 산 해 설 사 명 칭 변 경 건 의 사 항 제 출 양 식

1 . 문 화 유 산 해 설 사 명 칭 변 경

○ 행 : 문화유산해설사 ⇒ 변경 : 문화 해설사

○ 사유

- 2001년부터 운 되어 오고 있는 문화유산해설사 제도는, 당 ‘문화재나 문화유산’을 심으로

운용되어 왔으나,

- 최근에 해설사의 역할과 기능이 기존의 ‘문화유산’뿐만 아니라, ‘ 지, 단지, 생태․녹색 , 농어

체험 ’ 등 다양한 분야의 자원으로 확 되고 있음

- 따라서 기존의 문화유산 해설 개념을 포함한 모든 자원 을 해설하는 상 개념으로의

명칭 통일(문화 해설사)이 불가피함

2 . 명 칭 변 경 건 의 사 항 제 출 양 식

* 의 견 작 성 시 역 자치 단 체 의 경 우 해 당 역 자치 단 체 의 종합 인 의 견 을 , 기 자치단체의 경우

개별 기 자치단체의 의견을 작성하시기 바람

참고자료 1 - 2005년도 문화유산해설사 사업운용지침

85

시 도2 0 0 4 년 도 2 0 0 5 년 도 증 감

비 고계 국 비 지 방 비 계 국 비 지 방 비 계 국 비 지 방 비

합 계 3,887,172 9 4 5 , 0 0 0 2,942,172 9 4 5 , 0 0 0

서울특별시 147,150 29,648 117,502 29,648

부산 역시 101,833 44,860 56,973 44,860

구 역시 245,747 78,807 166,940 78,807

역시 62,807 23,222 39,585 23,222

인천 역시 126,045 27,053 98,992 27,053

주 역시 63,216 26,725 36,491 26,725

울산 역시 44,120 22,060 22,060 22,060

경 기 도 640,582 126,504 514,078 126,504

강 원 도 230,395 73,787 156,608 73,787

충청북도 302,940 85,120 217820 85,120

충청남도 289,756 64,016 225,740 64,016

라북도 307,717 79,631 228,086 79,631

라남도 233,551 50,233 183,318 50,233

경상북도 523,340 85,369 437,971 85,369

경상남도 255,340 74,290 181,050 74,290

제 주 도 312,633 53,675 258,958 53,675

각 시․도 2005년도 문화유산해설사 국고(기 )보조 배정액

(단 천원)

문화유산 외국어해설능력 배양사업 심화과정 연구 / 여중철

86

<참고자료 2>

문 화 부

2 0 0 4 년 도 「 문 화 유 산 해 설 사 」 사 업 운 용 지 침

개 요

2001년 우리부의 문화유산해설사 양성․활용사업 추진계획에 따라 각 시․도에서 2004년 1월 현재까지 추진 중인 동 사업의 활성화와 효율성 제

고를 위하여 사업 운용지침을 수립․시달하고 동 사업의 당초 취지에 맞

도록 각 시․도 자체 실정을 감안하여 추진토록 함

■ 2 0 0 4 년 문 화 유 산 해 설 사 의 운 용 목 표

◦ 문화유산해설사 활동인원 : 1000명

◦ 유 지등 상시설 : 300개소

◦ 지원 산 : 945백만원( 진흥개발기 )

■ 문 화 유 산 해 설 사 사 업 운 용 지 침

【 문화유산해설사의 기본요건】

◦ 문화유산해설사는 우리문화, 역사에 한 기본 소양을 갖추고, 상 유 지에 한 해박

한 지식을 가진 자로서 국내․외 객에게 동 유 지에 한 해설과 이해를 돕는 자원

사 개념의 활동을 기본으로 함

◦ 문화유산해설사의 활동을 생계유지 수단으로서의 참여는 배제하며 한 안내원으로서

의 활동을 함

◦ 지속 인 해설 안내활동이므로 연령을 60세 이하로 함.

다만, 연령 과자라도 건강하여 활동이 가능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자체 으로 단․결정

하여 활용

◦ 된 자로서 활동이 미미하여 년간 20시간 이내로 활동하거나 형사사건 기소 등으로 일

정기간 활동이 불가능한자는 자격을 취소함

【 문 화 유 산 해 설 사 운 용 기 간 】

◦ 2월부터 11월말까지 10개월(동 기 2개월간 휴식)

◦ 10개월간 연 무휴 원칙(설연휴, 추석연휴 제외)

참고자료 2 - 2004년도 문화유산해설사 사업운용지침

87

【 문 화 유 산 해 설 사 활 동 기 간 】

◦ 1일 8시간 활동을 기본으로 함

◦ 1일 3회를 기본 해설기간으로 함

* 3회 : 오 10시, 오후1시, 오후3시(매회 2시간 이내)

* 다만 단체 객의 사 약의 경우는 별도 운

【 문 화 유 산 해 설 상 지 정 비 】

◦ 문화유산해설이 불필요한 상지(해설 소재거리 미약 내지 해설 안내에 짧은 시간이 소

요되는 등)에 하여 정비

- 2003년 12월 문화 부 실태 검에서 일부 지 됨

- 홍보안내지 는 해설지를 해당 시․도에서 별도 제작하여 배포․활용

◦ 각 시․도의 독특한 문화이해와 풍부한 소재거리를 가진 상지에 하여는 신규․선정

하여 운 토록 함

【 활 동 사 례 비 】

◦ 교통비, 식비를 감안하여 1일 3만원 내외를 기본

◦ 각 시․도 자체 실정 상지등을 감안한 가․감 인정

【 자격 증 복 장 등 】

◦ 조 사칭 활동 등의 방지를 한 시․도지사 직인 날인의 자격증 발부 개인 인

식이 가능한 리번호 부여 등

- 시 : 서울 구 덕수궁(010211)

01은 시․도번호, 02는 시․도 자체 시․군․구번호,

11은 개인번호 등으로 부여

◦ 일반인과 식별 가능한 복장 는 조끼등의 착용

- 각 시․도 자체 산등을 감안하여 지원

【 안 내 홍 보 】

◦ 문화 부에서 국 으로 문화유산해설사의 활동에 하여 홍보 계획인바,

- 특히 1일 3회 연 무휴 안내(1월, 12월 제외)등

◦ 각 시․도 자체에서는 홍보매체를 활용하여 자체 홍보 강화

- 문화유산해설 상지, 약제도, 화번호등

◦ 시․도 안내지도, 지 유인물에 문화유산해설사 홍보 문안 삽입, 종합 안내소,

지 입구 안내문 부착 등

문화유산 외국어해설능력 배양사업 심화과정 연구 / 여중철

88

【 효 율 성 제 고를 한 해 당 산 의 탄 력 운 용 】

◦ 우리부 산교부시 사업을 세분화(신규양성비, 재교육비, 활동비 등)하지 않고 일 교부

정인바, 세부 으로 구분하여 지출이 필요한 경우(재교부 련), 시․도 자체 으로

결정

◦ 각 시․도 자체 운 에 따라 필요하다고 다되는 기 장소 확보 단체 람객용 핸

드마이크 등 구입에 지출 가능토록 실행 산의 재편성 운용

- 3개 항목(신규양성비등)외에 시설장비비 등 추가 수립

◦ 당 기존 안내시간 외에 별도로 약한 수학여행, 답사단 등 단체 람객에 한 해설시

비용 징수 가능(시․군․구 자체 으로 결정)하나, 징수비용은 문화유산해설사의 1일

활동 사례비(3만원내외)를 과할 수 없음

■ 행 정 사 항

◦ 상기 문화유산해설사사업 운용지침은 2004년 2월1일부터 용

◦ 2003년 11월 18일 개최된 시․도 문화유산해설사 담당자회의시 제출토록 되어있던 시․

도 지 문화유산해설사 황(양식 가송부)과 새로 정비되거나 폐지된 문화유산해

설 상지에 하여 우리부로 1월31일 한 내역 제출(별도양식 없음)

참고자료 3 - 2005년도 문화유산해설사 배치활용사업 추진계획

89

<참고자료 3>

2 0 0 5 년 도 문 화 유 산 해 설 사 배 치 활 용 사 업 추 진 계 획 ( 제 주 도 )

° 2001년도와 2002년도 및 2004년도에 양성된 문화유산해설사를 각 문화유적지에 배

치하여, 문화유적에 대한 수준높은 관광풍토를 조성

° 관광객들에게 우리문화유적에 대한 정확한 이해기회 제공으로 제주관광의 질적 수준

및 이미지 제고

Ⅰ. 추 진 방 향

° 3년간 양성된 문화유산해설사의 문성을 높이기 하여 재교육 실시 (재교육은

활용공백기간을 최소화하기 하여 선배치후 실시)

° 재교육등을 통하여 해설 장 처능력 강화

° 도와 시․군의 역할분담을 통한 체계 인 리 운

° 자원 사를 원칙으로 하되 교통비, 식비 등 실비 보상

° 인력활용 산은 국비, 도비, 시군비등 기지 확정된 산을 활용하되 실제 활용기

(시․군)에서 집행

Ⅱ. 2 0 0 4 년 도 배 치 활 용 실

°배치활용기간 : 2004. 2. 2 - 2. 31

°배치 황

배치장소 배치인원 주간배치일(월~일) 비고

총 5개 기관 20개소 100명 7일(월~일)

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 10 7일(월~일)

제주시

(3개소)

소계 17 〃

삼양선사유적지 7 〃

용두암 6 〃

제주목관아지 4 〃

서귀포시

(6개소)

소계 23 〃

서복전시관 2 〃

천지연폭포 5 〃

정방폭포 4 〃

주상절리대 5 〃

서복전시관 4

이중섭미술관 2

문화유산 외국어해설능력 배양사업 심화과정 연구 / 여중철

90

배치장소 배치인원 주간배치일(월~일) 비고

북제주군

(5개소)

소계 24명 〃

항몽유적지 5 〃

항일기념관 5 〃

만장굴 7 〃

비자립 6 〃

우도 1

남제주군

(5개소)

소계 26명 〃

성산일출봉 8 〃

산빙산 4 〃

추사거적지 4 〃

성읍민속마을 7 〃

하멜상선전시관 3 〃

Ⅲ. 2 0 0 5 년 도 배 치 활 용 계 획

배치 및 활용기준

° 2001년도와 2002년도 및 2005년도에 양성된 인력 중 활용 희망자

° 문화관광부 2005년도 사업계획신청에 의한 기관별 배치 및 활용인원

° 문화유산해설사별 배치는 근무여건의 형평성과 효율적인 해설활동을 위하여

개별상담 후 배치장소별로 상호 순환배치

° 선배치후 재교육실시 (2005.상반기중)

-근거 :문화유산 해설사 재교육 지침 (문화관광부)

□해 설 활 동 근 무 지 배 치 황

배치장소 주간배치일수(월~일) 배치인원 1일 활용인원

총 5개 기관 20개소 7일(월~일) 95 36명

제주도민속자연사박물관 7일(월~일) 10명 4명

제주시

(3개소)

소계 7일(월~일) 16명 8명

용두암 〃 5 2

제주목관아지 〃 6 3

삼양선사유적지 〃 5 2

서귀포시

(6개소)

소계 7일(월~일) 21명 8

천지연폭포 〃 3 2

정방폭포 〃 3 1

천제연폭포 〃 4 1

주상절리대 〃 4 2

서복전시관 〃 3 1

이중섭미술관 〃 4 1

참고자료 3 - 2005년도 문화유산해설사 배치활용사업 추진계획

91

배치장소 주간배치일수(월~일) 배치인원 1일 활용인원

북제주군

(5개소)

소계 7일(월~일) 25명 9명

항몽유적지 〃 6 2

항일기념관 〃 6 2

만장굴 〃 6 2

비자림 〃 6 2

우도 〃 1 1

남제주군

(5개소)

소계 7일(월~일) 23명 7명

성산일출봉 〃 8 2

산방산 〃 3 1

추사거적지 〃 3 1

성읍민속마을 〃 6 2

하멜상선전시관 〃 3 1

《총 개 요》

○배 치 활 용 기 별 사 업 주

● 도단 : 민속자연사박물 장

● 시․ 군단 :시장 ․ 군수

○사 업 기 간 : 2 0 0 5 . 2 . 2 - 1 2 . 3 1

○배 치 장 소 별 근 무 자 황 : 총5개 기 20개소 95명

(붙임과 같음)

○2 0 0 5 년 도 문 화 유 산 해 설 사 배 치 차

● 양성활용희망자에 한 수요 악〈도민속자연사박물 시군〉

▶ 배치기 별 활용 희망지 조사확인

● 배치기 활용희망자병 명부작성 보고 (배치활용기 →도)

● 배치희망자 명부확인 후 기 별 확정시달 (도→ 배치기 )

▶ 문화 부 사업계획상의 불부합여부 ( 정인력배치 등) 확인

● 배치기 별 장배치 (장소별 근무자 확인 배치 교육실시)

○기 별 역 할 분 담

〈도 〉

▶배치활용계획 시달 조정 통제

▶문화유산해설사제도 안내 홍보

▶보수교육(민속자연사박물 )

〈시 ․ 군 등 실 제 활 용 기 〉

▶문화유산해설사 리 장배치 활용

▶문화유산해설사제도 안내 홍보

문화유산 외국어해설능력 배양사업 심화과정 연구 / 여중철

92

□2 0 0 5 년 도 문 화 유 산 해 설 사 배 치 사 업 세 부 추 진 계 획

1 . 문 화 유 산 해 설 사 재 교 육 활 용 사 업

○ 사업내용: 문화유산해설사 재교육 활용

○ 재교육인원: 119명(양성교육인원)

-배치자(95명) 미배치자(24명)

※다만, 미배치자는 교육기 인 민속자연사박물 에서 교육수요 악 후 결정

2 . 사 업 추 진 체 계 일 정

〈사 업 추 진 체 계 〉

․문화 부: 사업총 산지원(활용비 양성교육비 일부)

․도 : 인력배치 활용계획수립, 양성교육 이수자 인력배치

․ 시 ․ 군: 인력활용계획수립, 시․군비 확보 활용비 집행

〈사 업 추 진 일 정 〉

․ 사업계획 수립 보조 교부 신청 결정 :2~3월

․ 재교육 실시 (2005.1/4~2/4분기)

․해설사 배치 활용(2005년도 배치기간 내)

3 . 문 화 유 산 해 설 사 활 동 방 법 ( 국 공 통 기 )

○ 근무시간

▶동 기 (2월, 11~12월) ⇒10:00~17:00

▶3~10월⇒ 10:00~18:00

○ 근무요령

▶활동배치 장소별로 근무조 편성 윤번제 근무

▶지역별로 지정된 장소에 기하면서 객을 상으로 안내 설명

▶문화유산해설사증 패용

▶근무당일 활동사항을 근무일지에 기록 유지(붙임양식)

4 . 사 업 비 집 행

○사 업 비 황⇒ 총 4 5 5 , 9 9 5 천 원 ( 국 비 5 3 , 6 7 5 , 지 방 비 4 0 2 , 3 2 0 )

․활용비 → 398,212천원 (국비 44,792, 지방비 353,420)

․재교육비→ 57,783천원 (국비 8,883, 지방비 48,900)

※배 치 기 별 활 용 비

-제주민속자연사 박물 :94,645 (국비 13,745 도비 80,900)

-제 주 시: 76,650(국비 8,470, 도비 12,700 시비 55,480)

참고자료 3 - 2005년도 문화유산해설사 배치활용사업 추진계획

93

-서귀포시: 87,600(국비 9,680, 도비 14,600 시비 63,320)

-북제주군: 98,550(국비 10,890, 도비 16,350 군비 71,310)

-남제주군: 98,550(국비 10,890, 도비 16,350 군비 71,310)

○문 화 유 산 해 설 사 활 용 비 집 행

․활용비 집행은 배치기 별 인력 활용일수에 따라 집행에 철

-활용비 보상:1일 30,000원 (교통비, 식 등 최소실비 지 )

☞ 문화유산해설사별 활용일수는 산 범 내에서 활동희망일수에 따라 배치장소별로 해설

에 지장이 없도록 신축 으로 조정하여 활용 할 수 있도록 인력 리를 하고,

활용비는 출근상황 등을 확인하여 실제 활용한 일수를 산정지 하고 월단 로 익월

3일 이 까지 해설사 개인통장계좌로 입 처리( “ ”2.2 ~2.29까지 활동비 →

3.3 이 까지 지 )

5 . 근 무 활 동 지 원 포 상 확

․ 문화유산해설사 사업실 이 우수한 기 해설사에 한 포상 확

- 앙 도 단 검시 우수기 해설사: 앙 도단 포상

-기타 우수 안내 해설사에 한 자체표창 :시 ․ 군별

6 . 해 설 사 증 발

-도에서 해설사증 크기, 형태, 문구 등 별도(안)을 마련 발 배부

☞ 객들에게 문화유산해설사를 독특하게 보이도록 특징 있게 제작

7 . 문 화 유 산 해 설 사 재 교 육 사 업 계 획 수 립 기

○ 강사 선정 교육과정 수립

-해당 지별 문가를 빙하여 문성을 높이도록 함

-강사 선정시 지역 역사유 등에 밝은 시 ․ 도 문화재 원, 내 학 교수․ 교사, 향토사

학가 문화 술인

- 지역을 포 하는 일률 지식의 습득보다 실제 해설에 필요한 장성과 문성

확보 제되고 노련한 해설기술을 학습토록 함

○ 2005년도 재교육기 지정운 :제주도 민속자연사 박물

-문화 부의 방침에 의하여 2001년도,2002년도 2004년도 문화유산해설사

양성교육기 을 지정운 실시

○ 인력활용배치 리방안

-시 ․ 도별 환경에 맞게 수립하되 주5일 근무제의 확산과 더불어 토․일요일은 반드시

배치활용

-시군본청 부서에서 인 사항 리 활용계획을 수립 총 운

- 지내 일정장소에서 해설하는 시간제 투어 방식 등 지역실정에 맞게 다양한

활용 형태를 검토

문화유산 외국어해설능력 배양사업 심화과정 연구 / 여중철

94

☞ 매시간 주장소에서 해설 (“ ” 천지연의 경우 폭포앞 장 :오 10:00부터

매시간 해설)

→일정 인원을 모아 해설함으로서 방문객이 찾아올 때마다 혹은 찾아오는 방문객에게

문화유산해설사가 찾아가는 번거로움 방지

-토․ 일 외 주 수학여행, 단체 객에 한 신청 시 극 지원 활용

○ 지별 인력 재배치 (부득이한 경우에 한함)

- 지의 해설필요성 객 수요에 따라 문성이나 통근범 를 해치지 않고,

활용 산 범 내에서 배치장소 재선정 인력 배치 검토

(정부방침 상 재검토시에는 반드시 도 사 승인 요)

○ 목 외 활동 지

-종합 안내소에 안내원으로 배치하는 것(종합 안내소에서 기하며 안내활동을

돕는 것은 가능), 버스에 동승하여 안내원 역할을 하는 것, 여러 지를

순환하여 근무하는 것 등 문화유산해설사의 목 과 배치되는 활동을 함

○ 홍보활동 강화

- 안내지도 지 안내팜 렛, 지 입장권에 문화유산해설사 배치 지,

해설시간, 문의처 등 게재 홍보

- 지 매표소, 지 안내소 등에서 문화유산해설사 해설 홍보(다만, 주변경 을

감안하여 수막 제작은 원칙 으로 하지 않도록 함)

-시 ․ 도 홈페이지 활용

○ 기장소 확보

-문화유산해설사를 한 기장소를 반드시 확보

- 기 장소는 지 매표소나 입구 안내소 등을 공동 활용하거나 별도의 기장소를

확보토록 함

-향후 지안내소 시설시 문화유산해설사의 기장소를 확보하는 방안도 계획에

포함하여 수립

Ⅳ. 문 화 유 산 해 설 사 홍 보

○인터넷을 통한 홍보

도, 시 ․ 군의 인터넷 홈페이지에 문화유산해설사 이용안내문 등 지속 인

홍보내용 게재

○문화유산해설사 안내 제작설치 객 이용안내문 제작 배포

:안내 모형 문안 (별첨내용)

○국내외 여행사를 통한 문화유산해설사 활용홍보

참고자료 3 - 2005년도 문화유산해설사 배치활용사업 추진계획

95

○다양한 활용방안 강구

․문화 지 배치 활용을 기본으로 각종 문화행사, 이벤트 행사시 극 활용

Ⅴ. 문 화 유 산 해 설 사 재 교 육 지 침 ( 문 화 부 )

재교육의 전국적 통일성 확보를 위해 본 지침이 문화관광부에서 ‘03년도에 기 시달된

바 금년도에도 본 지침을 준수하여 세부계획 수립 등 사업추진

※ 교육기관(민속자연사 박물관)에서 ‘03년도에 기 재교육계획을 수립, 실시한 실적이

있으므로 이를 참고로 보완 개선하여 계획수립 시행

◈ 재 교 육 ◈

□재 교 육 실 시 방 향

○ 개별 지별 문지식을 배우기 한 심화학습

○개별 배치 장 주의 교육으로 장성 강화 실제 해설에 필요한 장 처능력 배양

□재 교 육 실 시 기

○제주도 민속자연사 박물 (양성교육기 )

□교 과 목 교 육 시 간

○교육과정은 문심화 학습과 비교지 견학으로 구분 실시

○총 교육시간 :24시간 이상

- 문심화 학습(12시간 이상): 배치된 지의 자원(역사․ 문화자원)에 한

문가를 빙하여 동일지역에 배치된 문화 해설사에 하여 심화학습

( 장에서 실시하는 것도 가능함)

* 유사 지(사찰, 박물 , 서원 등) 별로 는 권역별로 묶어 교육가능

-비교지 견학: 유사 지 는 우수 해설 지를 견학하여 해설능력 배양

-사찰 배치자는 사찰 련 교육 실시

․사찰 배치자의 경우 사찰 문가 도는 사찰 측의 교육담당자가 교육실시

※시 ․ 도 별 로 지 역 사 찰 측 과 의 후 교 육 로 그 램 운

○총 교육시간을 24시간 이상으로 하되 해당 지에 한 장 학습 이외의 비교지

견학은 재교육비의 30% 이내로 함

○지속 인 보수교육을 통한 문화유산해설사 자질향상 도모

◈사 업 비 집 행 ◈

▷ 강사 수당은 시간 당 10만원 이내로 하되, 타 시․도의 우수 강사 빙을 해

부득이 한 경우 상향 조정 가능

▷ 여비지 단가는 공무원여비 규정 범 내에서 집행

▷ 교육기간 동안의 교육생의 교통비, 식비 등 지원은 총사업비의 40% 이내로 책정함

문화유산 외국어해설능력 배양사업 심화과정 연구 / 여중철

96

Ⅵ. 행 정 사 항

1. 활용기 에서는 문화유산해설사에 하여 사 충분한 근무요령 숙지 후 장배치

☞ 장근무여건 (시설물설치, 근무 기장소 등), 안내요령 등

2. 제주도민속자연사박물 에서는 2005년도 재교육실시계획을 수립제출(2005. 3. 10한)

3. 배치활용기 에서는 자체 운 계획을 제출: 2005. 2. 10한

-배치장소별 세부내역(다음서식)포함

배치장소해설사

해설일시 해설장소대기장소

비고장소명 연락처성명 연락처

홍보계획

별도수립

※해당 문화유 지의 여건에 따라 해설시간 등 탄력 운

4. 문화유산해설사 활동실 기록을 한 근무일지 작성 철

․활용기 은 근무일지를 문화유산해설사 배치장소에 제작 비치

-근무일지 양식에 따라 활동살 을 개인별로 기록유지토록 하고 월1회 일지를 활동장소별로 취합

하여 원본은 회수하여 활용비 지 증빙자료로 보 비치하고, 사본은 장 보 하여 활동상황 리

를 할 수 있도록 조치

☞ 배치활용 기 에서는 매일 장 활동상황을 지 확인하여 근무일지 담당공무원

확인란에 서명

5. 활용기 에서는 활용실 을 매익월 5일까지 다음양식에 의하여 제출

활동장소 성명 활동내역

-해설활동참여일수:

-해설안내 관광객수:

참고자료 4 - 대구 문화유산해설사회 회칙

97

<참고자료 4>

구 문 화 유 산 해 설 사 회 회 칙

2 0 0 4 . 0 1 . 1 3 . 제 정

제 1 장 총 칙

제 1 조 ( 명 칭 )

본 회는 “ 구 문화유산 해설사회”라 칭한다.

제 2 조 ( 목 )

본 회는 구 문화유산 해설사의 친목도모와 정보교류, 문화재 연구 보존 활동을 한 모임

으로서 국내 객들에게 우리 고장의 역사와 문화를 리 알리는 문화유산 해설을 목 으로 한

다.

제 3 조 ( 소 재 )

본 회의 사무소는 구 역시 내에 둔다.

제 2 장 회 원

제 4 조 ( 회 원 회 비 )

1. 본 회의 회원은 구 문화유산해설사로서 년 회비를 납부한 자로 구성한다.

2. 회비에 한 상세 규정은 운 원회에서 결정한다.

(운 원-년 5만원, 일반회원 년-2만원)

제 5 조 ( 회 원 의 권 리 와 의 무 )

1. 권리 - 회원은 총회에서 표결권, 선거권, 피선거권을 가진다.

2. 의무 -

1) 회원은 구문화유산 해설사회의 친목도모 정보교류에 극 조하여야 한다.

2) 회원은 구 문화유산해설사회 규정을 수하여야 한다.

3) 회원은 정기모임 분과 원회 활동에 극 참여하여야 한다.

4) 회원은 운 원회 승인을 얻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년 회비 납부를 성실히 하여야 한

다.

제 6 조 ( 회 원 의 포 상 )

본 회의 발 목 달성에 헌신 인 노력과 공헌이 있다고 운 원회에서 인정한 자에

하여 포상할 수 있다.

제 7 조 ( 회 원 의 탈 퇴 와 제 명 )

1. 회원은 임의로 탈퇴할 수 있다.

2. 본 회의 의무를 이행하지 아니하거나, 본 회의 명 를 손상시키는 회원은 제18조 1항에 의거

총회 의결로 제명할 수 있다.

문화유산 외국어해설능력 배양사업 심화과정 연구 / 여중철

98

제 3 장 운 원 회 ( 임 원 )

제 8 조 ( 운 원 회 구성 선 출 방 법 )

본 회는 다음의 운 원을 두며 총회에서 선임한다.

1. 회 장 : 1인

2. 부회장: 회장에 선임된 기수 이외의 기수에서 1명씩

3. 이 사 : 20인 이내(회장, 부회장, 사무국장, 분과 원장은 당연직 이사임)

4. 감 사 : 2인 이내

5. 기 타 : 고문단(5인 이내)과 자문 원(5인 이내) 명 회장을 운 원회의 결의로 둘 수

있다.

제 9 조 ( 운 원 의 의 무 )

1. 회 장 : 본 회를 표하며 총회와 운 원회를 소집하고 그 의장이 된다.

2. 수석 부회장 : 회장을 보좌하고, 회장의 유고 장기 부재 시 회장의 직무를 행한다.

3. 이 사 : 운 원회에 출석하여 상정된 의안을 심의 의결한다.

4. 감 사 : 본 회의 회계와 업무집행 상황을 감사하며 총회 는 운 원회에 보고하고, 총회의

임사항을 처리 보고한다.

6. 사무국장 : 사무국 분과 원회의 제반 업무를 장하고, 회장단 유고시 그 직무를 행한

다.

제 1 0 조 ( 운 원 의 임 기 보선 )

1. 운 원의 임기는 1년으로 하되, 연임할 수 있다.

2. 운 원의 임기 결원이 발생시 운 원회에서 보선하며, 취임된 운 원은 임자의

잔여기간으로 한다.

3. 운 원의 임기가 정기총회 개최 에 만료된 때에는 그 정기총회가 개최될 때까지 연장한

다.

제 4 장 조 직 구 성

제 1 1 조 ( 조 직 )

본 회는 다음의 조직을 둘 수 있다.

1. 사무국

2. 고문단

3. 자문 원회

4. 분과 원회

1) 총무 분과 원회

2) 기획 홍보 분과 원회

3) 교육 분과 원회

4) 사회 분과 원회

5. 기타 본 회 목 달성을 한 기구

참고자료 4 - 대구 문화유산해설사회 회칙

99

제 1 2 조 ( 사 무 국 )

본 회 집행 부서로서 다음과 같다.

1. 사무국장은 총회 운 원회에서 채택된 직무시행과 업무 각 분과 원회의 업무를

장한다.

2. 사무국장은 회장이 운 원회의 동의를 얻어 임명하며, 회장 부회장의 지도 감독을 받

아 업무를 수행한다.

제 1 3 조 ( 분 과 원 회 )

본 회의 목 달성을 한 집행부서로서 각 분과 원회의 조직과 업무는 다음과 같다.

1. 조직 : 각 분과 원회는 원장과 간사 1인씩을 두며, 분과 원장은 회장이 운 원회의 동

의를 얻어 임명하고 간사는 분과 원장이 임명한다.

2. 업무 :

1) 총무 분과 원회

회원 리, 문서 리, 내외 연락사항, 경리, 회계 타 분과 원회의 업무 이외의 모든

업무를 장한다.

2) 기획 홍보 분과 원회

본 회 회원의 권익과 수익사업, 목 달성을 해 필요한 새로운 사업의 기획 내외

홍보업무를 장하며, 본 회 홈페이지 리와 내외 정보 자료를 수집 분석 리하

며, 본회에서 출간하는 모든 출 업무를 장한다.

3) 교육 분과 원회

본 회 회원 일반인, 객들을 한 내외 교육과 답사, 문화재 연구 보존 활동

에 한 반 인 업무를 장한다.

4) 사회 분과 원회

본 회 목 달성을 한 사회 사에 한 모든 업무를 장한다.

5) 기타 본 회 목 달성을 한 기구

제 5 장 총 회 운 원 회

제 1 4 조 ( 회 의 )

본 회는 다음과 같이 회의를 둔다.

1. 총 회

2. 운 원회

3. 분과 원회

제 1 5 조 ( 총 회 의 구성 )

본 회 총회의 구성은 제 8조 운 원과 제 5조의 회원으로 한다.

제 1 6 조 ( 총 회 의 기 능 )

총회는 다음의 사항을 의결한다.

1. 운 원 선출에 한 사항

2. 회칙 개정에 한 사항

3. 사업계획 결산에 한 사항

4. 기타 요 사항

문화유산 외국어해설능력 배양사업 심화과정 연구 / 여중철

100

제 1 7 조 ( 총 회 구분 소 집 )

1. 총회는 정기총회와 임시총회로 구분한다.

2. 정기총회는 매 회계연도 개시 1개월 이내에 회장이 소집한다.

3. 임시총회는 운 원회의 요구가 있거나 회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할 시 회장이 이를 소집한

다.

4. 회장은 회의일 10일 에 회의 목 과 일시 장소를 유, 무선 서면으로 참석자에게 통

지한다.

단, 긴 시와 정당한 사유가 있을 시에는 외로 한다.

5. 총회의 회의록은 사무국장이 작성하고 낭독하며, 회장 사무국장이 기명날인 하여 보 하

도록 한다.

제 1 8 조 ( 의 결 정 족 수 )

각 회의에 의결에 한 사항은 다음과 같다.

1. 각 회의는 재 회원 과반수이상 출석으로 성립하고, 의결은 출석 회원 과반수 찬성으로

하되, 가부 동수인 경우는 회장이 결정한다.

2. 사정상 긴 을 요할 경우에는 운 원회에 임 가결할 수 있으며, 추후 총회 때 사무국장

이 보고한다.

제 1 9 조 ( 운 원 회 구성 )

운 원회는 운 원직으로 구성한다.

제 2 0 조 ( 운 원 회 의 의 결 사 항 )

운 원회의 의결사항은 다음과 같다.

1. 총회에 상정할 의안의 심의

2. 총회에서 임받은 사항

3. 사업 계획 수립

4. 산, 결산의 심의

5. 회칙 개정에 한 사항

6. 총회의 의결을 필요로 하는 사항 긴 을 요하는 사항, 다만 이 경우에는 차기 총회의 추

인을 받아야 한다.

7. 기타 회칙 사업에 한 사항

제 2 1 조 ( 운 원 회 소 집 )

1. 매 홀수 달 둘째 월요일 녁 6시에 정기 운 원회를 소집한다.

2. 회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할 시 는 운 원 과반수이상 요구가 있을 때 임시 운 원회를

회장이 소집한다.

3. 운 원회를 소집, 회의 개최 1주일 에 회의 목 과 사실을 명시하여 통지한다.

4. 운 원회는 항의 통지 사항에 하여 의결한다.

단, 출석운 원 원 찬성일 때는 통지하지 않은 사항이라도 이를 상정 의결할 수 있다.

제 2 2 조 ( 분 과 원 회 상 정 사 항 )

각 분과 원회의 상정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1. 운 원회에 상정할 안건의 사항

2. 운 원회에서 임한 사항

3. 분과 원회 사업 업무계획

4. 기타 사업 활동에 한 사항

참고자료 4 - 대구 문화유산해설사회 회칙

101

제 6 장 재 산 회 계

제 2 3 조 ( 재 정 )

본 회의 재원은 다음 수입으로 조성한다.

1. 회비

2. 찬조

3. 지원

4. 보조

5. 기부

6. 기타 사업 수익

제 2 4 조 ( 회 계 부 분 )

본 회의 회계는 일반 회계와 특별 회계로 구분한다.

1. 일반 회계는 회비 수입 기타 외에 하는 경상 수입과 이에 한 지출을 리한다.

2. 특별 회계는 특정한 지원 보조 으로 운 하거나 외 수입으로서 지출하는 것으로 일반 회계

와 구분하여 필요시 결성한다.

3. 제 23조 재정 수입원은 특별한 용도를 지정하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 회계에 편입한다.

제 2 5 조 ( 회 계 년 도 )

본 회의 회계연도는 매년 1월 1일에 시작하여 12월 31일로 종료한다.

제 2 6 조 ( 산 , 결 산 )

본 회의 매 회계연도 산은 일체 수입을 세입으로 하고, 일체의 지출은 세출로 사무국에서 편

성하여 운 원회의 심의를 거쳐 총회의 승인을 받되 당해연도 산이 확정될 때까지의 제반 지

출은 년도 산에 하여 집행할 수 있다.

제 2 7 조 ( 감 사 )

본 회의 감사는 회칙 제 9조 4항의 규정에 따라 업무 재무에 한 사항을 년 1회 이상 감사

하여 운 원회에 보고 하여야 한다.

제 2 8 조 ( 용 규 정 )

본 회의 회칙에 규정되지 아니한 사항은 비 리 민간단체 지원법 련 법규를 용하거나

운 원회가 따로 정한 규정에 의한다.

부 칙

제 1 조 ( 시 행 일 )

본 회칙은 창립총회 일로부터 시행한다.

문화유산 외국어해설능력 배양사업 심화과정 연구 / 여중철

102

<참고자료 5>

남 원 문 화 유 산 해 설 사 회 ( 가 칭 ) 회 칙 ( 안 )

제 1 장 총 칙

제 1조 ( 명칭 ) 본 회는 남원문화유산해설사 의회 (이하 문해 이라 한다.

제 2조 ( 소재지 ) 본회의 사무소는 남원시에 둔다.

제 3조 ( 목 ) 본회는 남원지역 문화유산 문화자원에 한 연구와 문화진흥을 목 으

              

로 한다.

제 4조 ( 사업 ) 본회는 제3조의 목 을 달성하기 하여 다음 각 호의 사업을 수행한다.  

  1. 국 최고의 문화유산 해설사 자격소양을 갖도록 회원상호간 문화지식정보 공유 양 방향  

교육실시

  2. 회원별로 분야별 최고 문가 양성

  3. 남원을 찾는 객에게 문화유산해설 서비스 사

  4. 주기 인 회원상호간의 문화강좌 실시

  5. 남원문화자원의 상품화 연구 개발

  6. 회원가족동반 희망자 문화답사 실시

  7. 지역문화에 한 사회교육 활동

  8. 기타 지역문화발 에 기여할 수 있는 사업

제 2 장 회 원

제 5 조 ( 구분 입회 차 )  

① 본회의 회원은 정회원과 회원으로 구분한다.

② 정회원은 남원시에 거주하는 자로서 본회의 설립 목 에 찬동하여 가입한 자로서 문화유산해

설사자격증을 보유한자로 남원문화유산해설사 의회장(이하 "회장??이라 한다) 앞으로 가입원

서를 제출하고 총회 승인을 얻은 자로 한다.

③ 회원은 거주지역을 불문하고 문화유산해설사과정을 수강하고 있는 자로서 운 원회의 승인

을 얻은 자로 한다.

참고자료 5 - 남원문화유산해설사협회 회칙

103

제 6 조 ( 회원의 권리 ) 회원은 총회를 통하여 본원의 운 에 참여할 권리를 갖는다.

제 7조 ( 회원의 의무 ) 회원은 다음 각 호의 의무를 진다.  

1. 본회의 회칙 수

2. 총회 운 원회의 결의 사항 수

3. 회비 제,부담 의 납부

제8조 ( 회원의 탈퇴 ) 회원은 회장에게 탈퇴서를 제출함으로써 자유롭게 탈퇴 할 수 있다.

제9조 ( 회원의 상벌 )  

① 본회의 회원으로서 본회의 발 에 기여한 자는 운 원회의 의결을 거쳐 포상할 수 있다.

② 본회의 회원으로서 본회의 목 에 배되는 행 는 명 손상을 가져오는 행 를 하거나 제

7조의 의무사항을 지키지 않는 자에 하여는 운 원회의 의결을 거쳐 제명등의 징계를 할 수

있다.

③ 제명 이외의 징계는 운 원회의 의결로 정한다.

제 3 장 임 원

제10조 ( 임원 ) 본회에 다음 각 호의 임원을 둔다.  

① 회장 1명

② 총무 1명

③ 운 원  3명  

④ 감사 1명

제11조 ( 임원의 선임 )  

1. 임원은 종회에서 선임한다.

2. 임원은 임기만료 1개월 이 에 선출하되, 새로운 임원의 선출에도 불구하고 종 임원의

잔여임기는 보장된다.

3. 임원이 임기 궐 된 때에는 궐 된 날로부터 1개월 이내에 보선하되, 그 임기는 임자 의

잔여 임기로 한다.

제12조 ( 임기 )  

1. 임원의 임기는 회장.총무 운 원 감사 모두 1년으로 하되 연임할 수 있다.  

제13조 ( 정치 여 등의 지 ) 본 회는 정치,종교활동에 여해서는 아니된다

제14조 ( 임원의 사퇴 )  

문화유산 외국어해설능력 배양사업 심화과정 연구 / 여중철

104

1. 임원은 회장에게 사퇴서를 제출하여 운 원회의 승인을 얻음으로써 임원자격이 상실된다.

2. 제1항의 경우 임원직만 상실되고 회원으로써의 자격은 그 로 유지된다.

제15조 ( 임원의 직무 )  

1. 회장은 본회을 표하고 본회의 업무를 통리하며, 총회 운 원회의 의장이 된다.

2. 총무는 회장을 보좌하고, 회장의 유고 궐 시 그 직무를 행한다.

3. 운 원회는 운 원회에  출석하여 본회의 업무에 한 사항을 심의, 의결하며 회장 는 운

원회로부터 부터 임된 사항을 처리한다.

4. 감사의 직무는 다음 각 호와 같다.  

① 본원의 재무상태를 감사하는 일

② 운 원회의 운 과 그 업무에 한 사항을 감사하는 일

③ 제1호 제2호의 감사결과 부정 는 부당한 이 있음을 발견할 때에는 운 원회나 총회

에 그 시정을 요구한다

제16조 ( 운 원 등 )  

1. 본회의 발 을 하여  고문 자문 원 약간 명을 둘 수 있다.

2. 고문 자문 원은 학식과 덕망이 있는 자 에서 운 원회의 동의를 얻어 회장이 추 한다.

제 4 장 총 회

제17조 ( 구성 )  

1. 총회는 정회원과 회원으로 구성한다.

2. 총회의 효율 인 운 을 해 회원과 회원을 표하는 의원을 둘 수 있다.

의원은 5명 내외로 하고, 회원 에서 총회에서 선출한다.

제18조 ( 구분 소집 )  

1. 총회는 정기총회와 임시총회로 구분한다.

2. 정기총회는 매년 1월?2월 에 개최한다.

3. 임시총회는 회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에 개최한다.

4. 총회의 소집은 회장이 회의 안건을 명기하여 회의 개시 14일 까지 문서로 통지하여야 한다.

제19조 ( 의결정족수 )  

1. 총회는 재 정회원 회원의 과반수의 출석으로 개의하고, 출석 회원의 과반수의 찬성으로

의결한다. 단, 가부 동수인 경우에는 회장이 결정한다.

2. 제1항의 의결권은 총회에 참석하는 다른 회원에게 서면으로 임할 수 있다.

참고자료 5 - 남원문화유산해설사협회 회칙

105

제20조 ( 총회의 기능 ) 총회의 기능은 다음 각 호와 같다.  

1. 임원선출에 한 사항

2. 본회의 해산 회칙의 변경에 한 사항

3. 산 결산의 승인

5. 사업 계획의 승인

6. 기타 요한 사항

제 5 장 운 원 회

제21조 ( 구성 ) 운 원회는 회장과 원으로 구성한다.

제22조 ( 소집 )  

1. 운 원회는 회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에 회장이 소집한다.

2. 운 원회의 소집은 회장이 회의안건을 명기하여 회의 개시 5일 까지 문서로 통지하여야 한

다.

제23조 ( 운 원회의의 기능 )  

1. 업무의 집행에 한 사항

2. 사업계획서의 운 에 한 사항

3. 산 결산서의 작성에 한 사항

4. 총회에서 임받은 사항

5. 총회에 부의할 안건의 작성

6. 회장이 부의하는 사항

7. 기타 요 사항

제24조 ( 수입 ) 본원의 수입 은 회원의 회비, 기본재산으로부터 발생한 과실, 찬조 , 보조 ,

타 잡수입으로 한다.

제25조 ( 회계년도 ) 본원의 회계년도는 정부의 회계년도에 따른다.

제 6 장 보 칙  

1. 제1조 ( 시행일 ) 이 회칙은 2004.  .    .로부터 시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