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old maps recorded in the list of books of the Joseon period from the Jangseogak Library...

21
-`5`- 조선시대 書目에서 나타나는 古地圖 자료 연구 - 藏書閣 소장 자료를 중심으로 - 정대영* A Study of Old Maps Recorded in the List of Books of the Joseon Period from the Jangseogak Library Collection Jung Dae-Young* 요약:이 논문은 고지도 연구에 있어 서지학의 방법론인 목록조사법을 이용한 기초적인 연구이다. 서목(書目)에서는 다양한 고지 도 자료가 등장한다. 이 중에는 현재 알려지지 않은 많은 자료가 발견되고 있다. 중국 고지도에 대한 연구도, 실물이 발견되지 않는 11세기 이전 시기에는 서목을 통하여 이러한 부분을 보완할 수 있었다. 조선시대에는 많은 서목이 작성되었고, 내용상으로도 의미 있는 자료들이 있어 고지도 연구자에게 도움이 되며, 각 자료에 대한 향후 연구가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조선시대 서목중 43종의 서목원문을 분석하여 대표적인 고지도 소장처인 장서각(藏書閣) 고지도의 성격을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주지하는 바대로 규장각(奎章閣)자료와 서로 밀접한 연관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각 자료의 시·공간상의 변화과정을 개략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주요어:서지학(書誌學), 목록학(目錄學), 고지도(古地圖), 장서각(藏書閣), 서목(書目), 내하책자목록(內下冊子目錄), 조선시대 AbstractThis is a base study using the systematic bibliography as a methodology for surveying the old maps. Various informations on the old maps can be captured in the bibliography of the Joseon period. Among them many of the unknown sources have been found. A study before the 11th century Chinese old maps could be improved by musing the list of books. During the Joseon period many lists of books were documented. Each of them contains information meaningful data, so they are very precious for the ones researching old maps. In this paper, I analyze the original texts of Joseon Dynasty list of books. With this work, I discovered the old maps collection in Jangseo-gak Library closely related to the ones in Kyujang-gak Library. Moreover, I could catch the overview of its space time change. Key Words : Bibliography, Systematic bibliography, Old map, Jangseo-gak Library, List of books, Naeha-chaekja- mongnok(list of books given by Gojong) * 한국학중앙연구원 고문헌관리학과 박사과정 고지도연구학회지 제2권 제1호 2010(5~25)

Transcript of A study of old maps recorded in the list of books of the Joseon period from the Jangseogak Library...

-`5`-

조선시대書目에서나타나는古地圖자료연구- 藏書閣소장자료를중심으로-

정대 *

A Study of Old Maps Recorded in the List of Books of the Joseon Periodfrom the Jangseogak Library Collection

Jung Dae-Young*

요약:이논문은고지도연구에있어서지학의방법론인목록조사법을이용한기초적인연구이다. 서목(書目)에서는다양한고지

도자료가등장한다. 이중에는현재알려지지않은많은자료가발견되고있다. 중국고지도에대한연구도, 실물이발견되지않는

11세기이전시기에는서목을통하여이러한부분을보완할수있었다. 조선시대에는많은서목이작성되었고, 내용상으로도의미

있는자료들이있어고지도연구자에게도움이되며, 각자료에대한향후연구가요구된다.

본논문에서는조선시대서목중 43종의서목원문을분석하여대표적인고지도소장처인장서각(藏書閣) 고지도의성격을규명해

보고자 하 다. 분석결과 주지하는 바대로 규장각(奎章閣)자료와 서로 접한 연관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 고, 각 자료의

시·공간상의변화과정을개략적으로파악할수있었다.

주요어:서지학(書誌學), 목록학(目錄學), 고지도(古地圖), 장서각(藏書閣), 서목(書目), 내하책자목록(內下冊子目錄), 조선시대

Abstract:This is a base study using the systematic bibliography as a methodology for surveying the old maps.

Various informations on the old maps can be captured in the bibliography of the Joseon period. Among them many

of the unknown sources have been found. A study before the 11th century Chinese old maps could be improved by

musing the list of books. During the Joseon period many lists of books were documented. Each of them contains

information meaningful data, so they are very precious for the ones researching old maps.

In this paper, I analyze the original texts of Joseon Dynasty list of books. With this work, I discovered the old maps

collection in Jangseo-gak Library closely related to the ones in Kyujang-gak Library. Moreover, I could catch the

overview of its space time change.

Key Words : Bibliography, Systematic bibliography, Old map, Jangseo-gak Library, List of books, Naeha-chaekja-

mongnok(list of books given by Gojong)

* 한국학중앙연구원고문헌관리학과박사과정

고지도연구학회지 제2권 제1호 2010(5~25)

고지도2-1호.1정대 2010.11.5 11:13 AM 페이지5

1. 머리말

書目이라는용어는일반적으로책에대한기록즉,

‘책의목록’으로풀이된다. 이에대한학문을體系書

誌學이라고하며서목의내용을통해책의역사와분

류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다. 단순한 서명의 나열로

치부될수도있는이러한서목을연구하는것은현재

남아있지않은서적의확인과당시학자들의분류기

준을알수있다는점, 서명과함께부기된해제등을

통한 자료의 파악을 할 수 있다는 것에서 분명한 의

미를가진다. 그동안서지학에서는古地圖에대한연

구가이루어지지않았다. 그이유는지도라는자료가

어느 분야로 포함되어야 하는지, 혹은 典籍의 한 형

태인가에 대한 의문점과 필사본이 대부분인 지도자

료를 繪 資料로 보아야 하지 않겠는가라는 인식의

문제 다. 전자에 대해서는 636년경 중국의 魏徵등

이 편찬한『隋書』의「經籍志」에서 史部 地理類에 지

도자료가포함되어있는것을통하여이미지도자료

를책과동일시했음을확인할수있다.1) 후자의경우

지도에는 회화적인 요소가 존재하지만, 계통성이 존

재하고 시대별 특징 및 필사의 저본이 존재한다는

점, 刊印 및 傳寫가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古書의 특

징과매우유사한점을보이고있기도하다. 본논문

은고지도연구에있어서書目이어떠한의의를가질

수있는가를살펴보는데에그목적이있다. 그중에

서도현재남아있는조선시대의서목을중심으로논

의를전개시켜나갈것이다.

본론으로 들어가기에 앞서 우선적으로 중국의 사

례를살펴보기로하겠다. 중국은서목의시초로알려

져있는『別錄』, 『七略』, 『漢書』「藝文志」가저술된곳

이며, 한국의 서목에 많은 향을 끼쳤기에 본문에

앞서이자료들을살피는것은의미가있다고생각하

기때문이다. 문헌에서역사적으로가장이른시기에

지도가 언급된 것은『史記』의 卷26 刺客列傳에서 나

오는다음과같은구절이다.

저번장군은진나라왕이황금 1,000근과만호의

식읍(食邑)을내걸고찾고있습니다. 만일번장군의

목과연나라옥토인독항(督亢)의지도를얻어진나

라왕에게바친다면, 진나라왕이기뻐하며반드시

신을만날것입니다. 그때에신이비로소태자께은

혜를갚을수있을것입니다.”2)

이 기록을 통해 전국시대 말기에 이미 각 지역의

지도가 존재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秦始皇이 세

운 秦나라(B.C 221~B.C 206) 당시 왕실에서 지도를

소장하고 있었다는 사실을『史記』의 卷53 蕭相國世

家의다음기록을통해알수있다.

패공이함양에이르자모든장수들이다투어재

물이담긴창고에뛰어가나누어가졌으나, 蕭何만

이오직진나라의丞相府와御史府의법령문서들과

圖書들을수집하고감추어보관하 다.3)

문헌상에는이와같이기원전의지도에대한기록

이남아있다. 하지만현존하는最古의지도는일반적

으로 1121년《九域守令圖》, 1136년《華夷圖》, 1136년

《禹跡圖》4)로 알려져 있었다(그림 1).5) 따라서 B.C

300년부터 A.D 1100년까지의 1400년간의지도의역

사는문헌으로밖에는고증할수없었다.

고고학발굴에 의해 보고된 1974년 河北省 平山縣

中山國능묘에서나온청동평면도인《兆域圖》, 1972

년 湖南省 馬王堆에서 출토된《地形圖》6), 《駐軍圖》,

《城邑圖》(그림 2), 1986년甘肅省放馬灘에서발견된

《木板地圖》, 《紙質地圖》(그림 3) 등의 자료를 감안하

더라도,7) A.D 1~11C까지의기간의고지도자료에대

해서는 언급을 하기가 힘들다.8) 이런 상황에서 과거

의서적목록인서목은당시존재했던지도에많은정

보들을간접적으로제공해준다.

중국의 서목의 역사는 한나라 劉向이 제작한『別

錄』과그의아들인劉歆(B.C 53?~25)이 아버지의일

-`6`-

정대

고지도2-1호.1정대 2010.11.5 11:13 AM 페이지6

조선시대 書目에서 나타나는 古地圖 자료 연구 - 藏書閣 소장 자료를 중심으로 -

-`7`-

그림 1. 《九域守令圖》(1121), 《華夷圖》(1136), 《禹跡圖》(1136)

그림 2. 《地形圖》

그림 3. 《木板地圖》, 《紙質地圖》

고지도2-1호.1정대 2010.11.5 11:13 AM 페이지7

을이어서완성한『七略』을그최초로보고있다.9) 하

지만 이들은현재남아있지않으며실물로전해지는

가장오래된서목은班固(32~92)가저술한『漢書』「藝

文志」를시작으로紀傳體正史에서는서적의목록을

수록하는 전통이 생기게 되며, 이를 藝文志 혹은 經

籍志라고칭하 다. 25史에서 서목이 수록된 경우는

총 6번이며, 이를‘史志書目’이라한다. 지도자료는

서목에서史部에속한地理類안에포함시키는것이

일반적인데 사지서목의 편찬 이외에도 역대 제작된

몇몇대표서목을살펴보면 473년王儉에의해제작

-`8`-

정대

표 1. 중국 각종 서목에 나타나는 지도의 수록 여부

`서명 현존여부 저자 제작연대 지도류의분류체제

七略 無 劉歆 B.C 53?~25 ·

漢書藝文志 有 班固 82 지도가없음

中經簿 無 鄭墨 213~280 ·

中經新簿 有(일부) 荀勖 ?~289 원문이逸失되고체제만남아있음10)

晉元帝書目 無 李充 323~388 ·

七志 有(일부) 王儉 473원문이逸失되고체제만남아있음11)

지도가분리되어수록된최초의목록임

七錄 有(일부) 阮孝緖 527? 원문이逸失되고체제만남아있음12)

隋書經籍志 有 魏徵 636 史部- 地理類

舊唐書經籍志 有 張昭遠等 945 乙部史錄- 地理類

新唐書藝文志 有 歐陽修等 1060 乙部史錄- 地理類

宋史藝文志 有 脫脫等 1345 史類- 地理類

明史藝文志 有 張廷玉等 1735 史類- 地理類

표 2. 중국의 역대 史志書目에서 나타나는 地圖의 목록13)

서명 수록지도

漢書藝文志 無

隋書經籍志 洛陽圖(一卷), 江圖(一卷), 江圖(二卷), 隋西域圖(三卷), 幷州總管內諸州圖(一卷)

舊唐書經籍志三輔黃圖(一卷), 洛陽圖(一卷楊佺期撰), 周地圖(九十卷), 區宇圖(一百二十八卷虞茂撰), 長安四年十道圖(十三卷), 開元三年十道圖(十卷), 劍南地圖(二卷)

三輔黃圖(一卷), 洛城圖(一卷), 區宇圖(一百二十八卷), 周地圖(一百三十卷), 地域方丈圖(一卷), 地域方尺圖新唐書藝文志 (一卷), 江圖(二卷), 長安四年十道圖(十三卷), 開元三年十道圖(十卷), 劍南地圖(二卷), 方志圖(卷亡), 十道圖

(十卷), 地圖(十卷), 諸道行程血脈圖(一卷)

國要圖(一卷), 方志圖(二卷), 九域圖(三卷), 開元分野圖(一卷), 天下郡縣圖(一部卷亡), 唐國鑒圖(一卷), 元和國計圖(十卷), 諸道行程血脈圖(一卷), 斯朝貢圖(一卷), 嶽瀆福地圖(一卷), 南北對鏡圖(一卷), 混一圖( 一

宋史藝文志卷), 交廣圖(一卷), 三輔黃圖(一卷), 地裏圖(一卷), 指掌圖(二卷), 福建地理圖(一卷), 東京至益州地裏圖(卷亡), 契丹國土記, 契丹疆宇圖(二卷), 契丹地裏圖(一卷)

明史藝文志 明輿地指掌圖(一卷), 增補 思本廣輿圖(二卷), 考定輿地圖(十卷), 職方地圖(三卷), 宣大山西諸邊圖(一卷)

고지도2-1호.1정대 2010.11.5 11:13 AM 페이지8

된『七志』가 최초로 지도를 독립된 항목으로 분류하

여수록한것을표 1에서확인할수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타서목들은 대부분 유실되어 그

본문이전해지지않으며대략의체계만이전해져고

증을할수있는방법이매우한정되어있다. 따라서

중국의서목에서지도자료를살펴볼때필자는사지

서목에있는 6종의서목을표 2에서분석하 다.

『한서』「예문지」를 제외하고는 5종의 서목에서 지

도가 발견되는데『명사』「예문지」의 경우에는 실제로

明나라시기에이보다훨씬많은수의지도가있음이

확인되어 있기 때문에 큰 의미는 없다.14) 이 목록을

통해서 우리는 현재 남아있지 않은 隋(581~618), 唐

(618~907), 宋(960~1279)시기의지도를확인하고대

략적인규모를추측해볼수있다.

중국의 서목에서 지도자료를 연구하는 데에는 지

리상의 거리나 자료 확보의 어려움 등이 발생한다.

하지만 조선시대의 서목을 연구하는 것은 상대적으

로이러한제약에서자유로울수있다는장점을가지

고있다. 이제본론에서는이러한조선시대의서목에

서나타나는고지도자료와각자료가어떠한의미를

가질수있는가에대해분석을하도록하겠다.

2. 조선시대서목상의고지도개관

한국에 존재하는 서목은 408종으로 알려져 있으

며,15) 1910년 이전에 제작된 서목만으로 한정한다면

200여종이될것으로보인다. 필자가연구 역을조

선시대로한정한이유는고려에서제작된서목중에

지도가발견되는것이없기때문이다. 고려시대의서

목은 현재 再雕大藏經(八萬大藏經)에 있는 1087년

『大藏目錄』(도 4)과16) 1090년『新編諸宗敎藏總錄』과

같은불교관련서목만이남아있는상태에있다.17)

임진왜란이전에만들어진현존하는서목중지도

자료가나타나는것은魚叔權이제작하여 1585년제

작된 목판본『攷事撮要』에 실린「冊版目錄」이다.18)

여기에는임진왜란이전전국의官衙에소장된木板

을기록한것으로총 989종이실려있다. 이중에는 2

종의고지도목판이기록되어있는데‘小地圖(義城)’,

‘八道地圖(泰仁)’라는기록이바로그것이다. 이러한

사실은경상도의성과전라도의태인[현정읍지역]에

서 각각《小地圖》와《八道地圖》라는 지도의 목판을

보유하고있었다는것을확인하게해준다. 그러나이

지도에대한구체적인설명이명시되어있지않아서

각각의지도가어떠한지도인지는알기힘들다. 후자

조선시대 書目에서 나타나는 古地圖 자료 연구 - 藏書閣 소장 자료를 중심으로 -

-`9`-

그림 4. 再雕大藏經에 들어있는『大藏目錄』(1087)

고지도2-1호.1정대 2010.11.5 11:13 AM 페이지9

의《八道地圖》의 경우에는『新增東國輿地勝覽』에 실

린《東覽圖》일가능성이있다. 만약그렇다면이는태

인관아에서직접지도를인쇄하고있었다는사실을

말하는것으로서어째서유독조선전체에서태인관

아에만이러한지도가소장되어있는가에대한의문

이제기된다.19)

서목은수록한내용의목적에따라서여러종류로

세분되는데이렇게책자체가아닌책의목판, 즉책

판을싣는서목을‘冊板目錄’이라고한다. 앞에서살

펴본『攷事撮要』의 이후 이러한 기록의 형태는 원형

을 유지한 채 지속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즉, ①

‘목판명을 기입’하고 ② 그‘목판이 소장된 장소를

기록’하는 방법에서 이후 추가적으로 ③‘책을 제작

하는데들어가는종이의수’④‘목판의상태’⑤‘과

거와 현재의 비교’등이 추가적으로 들어간 것이다.

이러한변화는표 3의『攷事撮要』이후제작된 3종의

서목을통해확인할수있다.

위의표를살펴보면임란이후에는『攷事撮要』에서

기록되던단순한소장처형식에서벗어나, 제작상종

이의 수요와 훼손 여부 등을 기록한 점이 확인된다.

이미 1759년경에 들어서면 어숙권이『攷事撮要』를

쓸당시보다두배나많은양의지도목판이전라도에

소장되어있음을알수있다. 『完營冊版目錄』을살펴

보면《朝鮮地圖》와《八道地圖》의 목판이 이지러지고

닳았다는 표현이 있는 것으로 보아 소장된 지 수십

년이 넘은 상태의 목판이거나, 인출의 수요가 매우

많았던지도임을알게해준다. 『五車書錄』은『三南冊

板目錄』의목판을수정하여전라·충청·경상·함경

의 4개도에 소장된 책판의 기록으로서, 의미있는 사

례가 수록되어 있다. 즉 1759년 당시 순천에 있었던

《東國地圖》의목판이 40여년이지난이당시에는없

어져 버렸다는 기록이다. 또한 남원에서 소장하던

《朝鮮地圖》는 판이 닳아버린 상태에서 존재하다가

1765년 불타버렸다는 기록도 수록되어 있다.(燒燼秩

丙戌年) 즉 이 책은 앞의 기록들을 개정하여 증보한

셈인것이다.

책판목록이 아닌 일반적인 서목에서는 이보다 훨

씬많은수의지도들이발견된다.20) 필자는표 4와같

이조선시대의서목중에서 43종의서목원문을분석

하 고, 이 중에서 34종의서목에서 337종의지도자

-`10`-

정대

표 3. 『攷事撮要』, 『慶尙道冊板』, 『完營冊版目錄』, 『五車書錄』에 수록된 고지도 목판

서명 연대 수록지도종수 내용

攷事撮要 1585 2小地圖(義城) 八道地圖(泰仁)

八道地圖(星州壯紙八張)慶尙道冊板 18C 초 3 八道地圖(星州壯紙八張)

八道地圖(固城壯紙八張)

東國地圖(順天壯紙八丈)

完營冊版目錄 1759 4朝鮮地圖(南原四丈 )天下地圖(順天壯紙四丈)八道地圖(求禮白紙四丈 )

東國地圖(順天紙八丈昔有今無秩)朝鮮地圖(南原四丈燒燼秩丙戌年)

五車書錄 1791 5 天下地圖(固城壯紙四丈)天下地圖(順天四丈 秩)八道地圖(求禮紙十丈頑秩)

고지도2-1호.1정대 2010.11.5 11:13 AM 페이지10

료가수록되어있음을확인하 다.21)

이 337종이라는 수치는 중복되는 지도가 많을 것

이기때문에절대적으로유의미한수치는아니다. 또

한 경향을 살펴보면 대다수의 서목들이 18~19C에

집중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왕실의 자료가 많

음을 확인할 수 있다. 조선시대 궁중에는 매우 많은

수의도서관이있었고, 각각의도서관마다자체서목

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특별한 이유 때문

조선시대 書目에서 나타나는 古地圖 자료 연구 - 藏書閣 소장 자료를 중심으로 -

-`11`-

표 4. 각 서목의 고지도 수록 건수

번호 서목명 작성연대 수록고지도종수

1 慶北各地圖書目錄 미상 1

2 慶尙道冊板 미상 3

3 古圖書展觀目錄 1931~1932 1

4 攷事撮要 1585 2

5 古冊版所在攷 미상 1

6 嶠南冊錄 1783 4

7 奎章閣圖書課藏書目錄 1895 7

8 奎章閣樓上庫冊目錄 1907~1910 8

9 奎章閣書目 1897~1906 25

10 奎章總目 1781 1

11 內閣藏書彙編 미상 10

12 內務府冊目錄 미상 2

13 內下冊子目錄 미상 52

14 登錄圖書追加目錄 미상 1

15 寶文閣冊目錄 1801년경 4

16 奉謨堂奉藏書目 1910 10

17 奉謨堂後庫奉藏書目 미상 4

18 西庫書目 1886~1895 3

19 西庫藏書錄 1865~1866 15

20 鮮冊名題 1946 18

21 承華樓書目 1864~1910 1

22 演慶堂圖書引繼目錄 1929 8

23 演慶堂漢文目錄附諺文目錄 1920 6

24 五車書錄 미상 5

25 完營冊版目錄 미상 4

26 李王家圖書室藏書目錄(完全) 1914 35

27 李王家圖書室藏書假目錄 1916 10

28 李王家藏書閣古圖書目錄(1923) 1923 27

29 李王家藏書閣古圖書目錄(1935) 1935 40

30 集玉齋書籍目錄 미상 9

31 冊版置簿冊 미상 4

32 春坊藏書總目草本 1905 2

33 弘文館書目 1908 9

34 文院書目 1864~1906 5

337

고지도2-1호.1정대 2010.11.5 11:13 AM 페이지11

-`12`-

정대

표 5. 書目에 수록된 고지도자료

서목명 작성 고지도 수록지도연대 종수

慶尙道冊板 18C 초 3 八道地圖(星州壯紙八張), 八道地圖(星州壯紙八張), 八道地圖(固城壯紙八張)

攷事撮要 1585 2 小地圖(義城), 八道地圖(泰仁)

嶠南冊錄 1783 4朝鮮地圖(淸道壯紙三張 不用), 天下地圖(淸道壯紙三張 不用), 天下地圖(固城頑缺), 八道地圖(固城 缺)

大淸一統輿圖(16冊 49架), 世界地圖(1冊 49架), 測地圖(4冊 49架), 皇朝中外一奎章閣圖書課藏書目錄 1895 7 統輿圖(12冊 48架), 皇淸地理圖(2冊 49架), 皇淸職工圖(8冊 49架), 皇淸職工圖

(16冊 49架)

萬國航海圖(北十欌 1卷), 福建沿海圖(南十架 1卷), 新戶稅官圖(北十一欌 1卷), 奎章閣樓上庫冊目錄 1907~1910 8 洋外 具全圖(北十一欌 1卷), 輿地圖(簇子及帖 1件 1 ), 日本國全圖(南十架 1

卷), 海上 具全圖(北九欌 1卷), 橫濱稅官圖(北九欌 2卷)

各道地圖簇子, 各道地圖帖, 慶州集慶殿舊墓圖帖, 坤輿圖說, 大日本國海圖, 大淸輿地圖, 萬國航海圖, 明陵圖帖, 武烈祠圖簇子, 福建沿海山河圖, 純祖大王胎

奎章閣書目 1897~1906 25 封圖簇子, 神戶稅關圖, 洋外 具全圖, 鬱陵島內圖, 鬱陵島外圖, 越中八圖帖,義林寺圖形, 日本全圖, 莊陵圖帖, 地毬全圖簇子, 測地繪圖, 海上 具全圖, 憲宗大王胎室石物加封圖簇子, 黃州葛隅坪圖, 濱稅關圖

奎章總目 1781 1 輿地圖

萬國航海圖(1冊), 新刊地球全圖(1帖), 新戶稅官圖(1冊), 洋外砲具全圖(1冊), 鬱內閣藏書彙編 1874년경 10 陵島內外圖(1件2冊), 日本全圖(1冊), 測地繪圖(4冊), 平圓地球全圖(3軸), 海上

具全圖(1冊), 黃州葛隅坪圖(1冊)

內務府冊目錄 미상 2 八道地圖(3匣), 海上砲具全圖(1卷)

江華府宮殿圖(分類:荒字), 結城地圖(分類:地字), 京師城內首善地圖(分類:玄字), 古味呑圖(分類:日字, 冊數:1張), 南大門外試驗場圖形(分類:荒字),丹陽地圖(分類:地字), 大東方輿全圖(分類:玄字, 冊數:21卷), 大日本國郡輿地全圖(分類:洪字), 大阪市中明細全圖(分類:洪字), 德山地圖(分類:地字),東闕圖(分類:없음, 冊數:2匣), 萬國輿地全圖(分類:天字, 冊數:1件), 文義地圖(分類:盈字), 北漢全圖(分類:宇字, 冊數:1), 石城地圖(分類:地字), 新昌地圖(分類:地字), 神戶稅關圖(分類:洪字), 俄國輿地圖(分類:荒字), 牙山錨地地圖(分類:洪字, 冊數:1張), 牙山地圖(分類:地字), 亞細亞東北輿地圖(分類:洪字, 冊數:3), 楊口朔寧公州等地圖(分類:天字, 冊數:1封), 陽根郡

內下冊子目錄 1884 52 地圖(分類:日字1), 燕岐地圖(分類:地字), 連山地圖(分類:地字), 延豊地圖(分類:地字), 嶺東各鎭津圖冊(分類:荒字), 嶺東西邑地圖冊(分類:荒字), 永同地圖(分類:地字), 汚川地圖(分類:地字), 溫陽地圖(分類:地字), 龍崗江西處圖形(分類:荒字, 冊數:2), 恩津地圖(分類:地字), 仁川居留地圖形(分

類:洪字), 長崎稅關圖(分類:洪字), 長崎稅關圖(分類:宇字, 冊數:1), 全義地圖(分類:地字), 定山地圖(分類:地字), 堤川地圖(分類:地字), 提川地圖(分類:宇字, 冊數:1), 朝鮮全圖(分類:宇字, 冊數:1), 左海輿地圖(分類:玄字.冊數:8卷), 地圖(分類:地字, 冊數:22件), 地圖彩式(冊數:1), 鐵原府龍華洞圖(分類:日字1), 淸安地圖(分類:地字), 波除地圖(分類:洪字, 冊數:2張),洪州地圖(分類:地字), 花島鎭圖(分類:日字), 華城全圖(分類:黃字), 橫濱稅關圖(分類:洪字), 橫城邑圖形(分類:荒字. 冊數:2度)

고지도2-1호.1정대 2010.11.5 11:13 AM 페이지12

에책이합쳐지거나분산되는등출입과이동이있을

때에도서목을새로제작했기때문에, 조사한대다수

의 서목은 왕실에 초점이 맞춰지고 있다. 이러한 점

은이조사의한계점이라할수있을것이다.22) 각서

목에기록된지도의기록은아래의표 5와같이정리

해보았다. 괄호안의내용은지도목록에대한원문의

주석으로서, 주석의 기술방법은 각각의 書目마다 일

괄되지 않고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지도의 수록순서

는원문의순서와동일함을미리밝힌다. 일제시대에

제작된몇몇서목은수치가많고중복되는부분이많

아표에서는제외하 다.

조사한개개의서목이모두의미를가지고있겠지

만, 그중에서도특히관심을끄는것은 52종의지도

가 수록되어 있는『內下冊子目錄』(1884)이다. 다음

조선시대 書目에서 나타나는 古地圖 자료 연구 - 藏書閣 소장 자료를 중심으로 -

-`13`-

寶文閣冊目錄 1801년경 4 各道輿地圖(一卷), 統營地圖(一卷), 統營合操圖(一卷), 八道輿地圖(六卷)

京畿附忠淸道地圖簇子(數稱 1, 數 1, 全羅 江原 二幅欠), 景慕宮舊廟圖(2欌第2層 1帖, 正祖御筆宋翼魯奉納), 慶尙左右圖地圖簇子(數稱 1, 數 1), 世界

奉謨堂奉藏書目 1910 10地圖簇子(數稱 1, 數 1), 純祖胎封山圖簇子(數稱 1, 數 1), 隆陵山圖簇子(1欌上, 子 1 ), 莊祖胎封圖(3欌第1層 2幅), 平安南北圖地圖簇子(數稱 1, 數 1, 八道地圖八幅中), 咸鏡南道地圖簇子(數稱 1, 數 1), 咸鏡北道地圖簇子(數稱 1, 數 1)

奉謨堂後庫奉藏書目 1910년이후 4 明陵圖(1帖), 越中圖(1帖), 莊陵圖(1帖), 集慶殿圖(1帖)

西庫書目 1886~1895 3 明陵圖帖(一卷), 莊陵圖帖(二件各一卷), 鎭海義林寺圖形帖(一卷)

江華地圖, 高麗諸陵圖帖, 喬洞地圖, 淡彩山水圖帖 圖形, 明陵圖帖, 西洋國地西庫藏書錄 1865~1866 15 圖, 兩南地圖全帖, 輿地圖, 輿地全圖, 嶺南輿圖, 地圖, 地圖帖, 統營三道合操

圖, 海西京畿海路圖

承華樓書目 1864~1910 1 朝鮮地圖(畵簇)

五車書錄 1791 5東國地圖(順天紙八丈昔有今無秩), 朝鮮地圖(南原四丈燒燼秩丙戌年), 天下地圖(固城壯紙四丈), 天下地圖(順天四丈 秩), 八道地圖(求禮紙十丈頑秩)

完營冊版目錄 1759 4東國地圖(順天壯紙八丈), 朝鮮地圖(南原四丈 ), 天下地圖(順天壯紙四丈),八道地圖(求禮白紙四丈 )

文院書目 1864~1906 5各道地圖簇子(疊破), 純祖大王胎封圖簇子(一 修補), 莊陵圖帖(一卷), 莊陵圖帖(一卷), 憲宗大王胎室石物加封圖簇子(一)

各處地圖(一塊), 南北極圖(二軸), 漏色東洋地球圖(一軸), 東西球圖(一軸), 東洋集玉齋書籍目錄 1904 9 地球圖(一軸), 西洋地球圖(一軸), 蘇蕃司全圖(一軸), 赤道南北極圖(一軸), 支那

地方各省地圖(一塊)

冊版置簿冊 1740년이후 4東國地圖(淸道壯紙三丈), 東國地圖(順天壯紙八丈), 朝鮮地圖(南原白紙四丈), 天下地圖(淸道壯紙三丈)

春坊藏書總目草本 1905 2 東闕圖(1匣 16帖), 時敏堂圖(1帙 1帖)

慶州集慶殿舊基圖帖(一冊), 明陵圖帖(一冊), 純宗大王胎封山圖(簇子一), 鬱陵弘文館書目 1908 9 島外圖(一冊), 越中圖(八帖一冊), 莊陵圖帖(一冊), 地圖帖(一冊), 集慶殿舊基圖

帖(一冊), 黃州葛隅坪圖(一冊)

서목명 작성 고지도 수록지도연대 종수

고지도2-1호.1정대 2010.11.5 11:13 AM 페이지13

장에서는 이 내하책자목록을 중심으로 서목에서 나

타나는 지도의 의미를 심층적으로 분석해 나가도록

하겠다.

3. 『內下冊子目錄』내의지도분석

앞서 언급한 내하책자목록은 高宗(재위 1863~

1907)이 1884년까지奎章閣에하사했던書冊들의목

록으로서 매우 독특한 서목이라고 할 수 있다(그림

5).23) 이에대한연구는최근에서야이루어졌는데장

숙에따르면이서목은근대화를열망하는고종이

개화와 관련된 자료들을 지속적으로 구비하면서 奎

章閣에하사했던책목록으로각책에는하사했던날

짜를기록했다고한다.24) 이러한사실로인해서적의

제작연대를확인할수있다는점에서이목록은서지

학적으로도중요한자료라할수있다. 이서목은또

한 函架順배열이라는 구성을 취하고 있는데 도서관

책장의구획배치순구성이라고할수있다. 즉현대

의 900.xxx, 800.xxx와같은방식의서가분류인데주

제별분류라기보다는입고된순서에따른배열로보

인다. 그 사실은 본문에 서술된 자료에 일관성이 없

는것으로확인이된다. 당시규장각에서는표 6에서

와같이천자문순인天地玄黃순으로서고를구획했

던것을알수있는데, 지도자료는이중여러곳에

서 발견되며 특히‘地字’분류에서는 십여 종의 지도

가 연이어 수록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그림

5).

이는 어느시기에일괄적으로이지도들이규장각

에하사되었음을의미하는것이다. 기록된것을살펴

보면본문의많은서적에서보이는하사일자가지도

자료에는 한군데도 나타나지 않아 아쉬운 부분으로

남는다. 하지만 내하책자목록의 고지도 연구는 다른

서목에있는고지도의연구에비해많은이점을가지

고 있다. 그것은 ① 현재까지 전해지는 자료가 많아

유일본으로확인이용이하다는점②서명이일반적

일경우에도冊數및주기사항을통해원본의추정이

가능하다는 점 ③ 고지도의 소장역사 및 기원을 알

수있는중요한단서를제공해준다는점이다.

표 6을 살펴보면, 《俄國輿地圖》, 《東闕圖》와 같은

경우제목만으로도쉽게확인이가능하다. 《俄國輿地

圖》는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藏書閣의 유일본이며

2008년보물 1597호로지정된바있는자료이다. 《東

闕圖》는 1989년국보 249호로지정되어있는동궐도

를 말하는 것으로서, 목록상에‘2匣’이라고 한 것이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현재 동궐도는 동아대학교,

고려대학교에 각각 한 점씩이 소장되어 있는데, 이

두병풍지도가모두 1880년대당시고종이규장각에

하사했던자료임이확인되는것이다.

-`14`-

정대

그림 5. 『內下冊子目錄』(1884)의 표지와‘地字’목록의 지도자료

고지도2-1호.1정대 2010.11.5 11:13 AM 페이지14

두 번째로 冊數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방법에 대

해서는《地圖》와《大東方輿全圖》의 사례를 들 수 있

겠다. 각각‘22件’과‘21卷’으로기록되어있는것을

볼때, 앞의《地圖》는『大東輿地圖』이고뒤의《大東方

輿全圖》는대동여지도의 21과 22첩을합쳐서필사본

으로현재전해지는대동방여전도임을확인할수있

다.25) 이것은『대동여지도』를 고종이 직접 규장각에

하사했다는증거가된다. 이미김정호의탄압설에대

해서는많은비평이가해졌지만이자료역시대원군,

고종시기에『대동여지도』가정부의탄압을받지않았

음을증명하는자료가될수있을것이다.

세 번째, 고지도의 소장역사 및 기원에 대해서는

앞서제시한《俄國輿地圖》를통해살펴볼수있겠다

(그림 6). 『아국여지도』는 1972년에와서야그존재가

세상에 알려진 지도이다.26) 이후로 몇 차례 동안 이

지도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으나,27) 계속되는 의문

은 최초로 이 지도에 해제를 하 던 柳永博(1972)의

말처럼 1935년 일본이 李王家의 藏書를 최종적으로

정리했던『李王家藏書閣古圖書目錄』에도빠져있던

이 지도가 어디에 있다가 나타났느냐는 것이었다.28)

이 지도를제작한것으로알려진申先郁과金光勳에

대해서는 조선왕조실록29) 등의 사료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지만 지도자체에 대한 언급은 이제껏 없었던

것이다. 그러나내하책자목록상에천자문순서로 8번

째인‘荒字’의 구역에 이 지도가 소장되어 있었음을

확인함으로서, 이 자료는 고종이 김광훈과 신선욱에

게 녹둔도와 경계일대를 정찰하여 지도를 제작하게

한후규장각에하사하여보관하 다는사실을알수

있게 되었다(그림 7). 또한 이와 더불어 1864~1906,

혹은 1885~1886년 사이에 제작되었을 것으로 여겨

조선시대 書目에서 나타나는 古地圖 자료 연구 - 藏書閣 소장 자료를 중심으로 -

-`15`-

표 6. 『內下冊子目錄』상의 고지도 표기 방식

분류 書名 冊數 본문페이지

天字 朝鮮全圖 2件 11

天字 萬國與地全圖 1件 11

天字 楊口朔寧公州等地圖 1封 21

天字 朱兵營道騎兵營道砲兵營道 同封 21

地字 地圖 22件 24

地字 新昌地圖 · 24

地字 連山地圖 · 24

地字 洪州地圖 · 24

地字 淸安地圖 · 24

地字 丹陽地圖 · 24

地字 德山地圖 · 24

地字 恩津地圖 · 24

地字 石城地圖 · 24

(中略)

宇字 長崎稅關圖 1 49

宇字 北漢全圖 · 50

宇字 提川地圖 · 55

미상 東闕圖 2匣 62

盈字 文義地圖 · 65

地圖彩式 1 68

고지도2-1호.1정대 2010.11.5 11:13 AM 페이지15

졌던 아국여지도의 제작시기가 적어도 1884년 이전

으로소급된다는결론을내릴수있게된다.

34종의 서목 중에서 나타나는 지도자료에는 현재

전하지않고사라져버린지도가기술된사례도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裝幀형태에 대한 기술을

통해조금이나마원본의모습을추측할수있을것이

다. 석사논문에서필자는고지도의장정별분류를 12

가지로제시한바있는데,30) 이와같은방식으로위의

표 5에서 제시한 자료들을 분류하여 다음과 같은 표

를제작할수있었다. 표 7을통해서조선시대의서목

에서는 많은 경우 지도의 장정형태를 기록하 으며,

또한 장정형태가 명칭이 매우 다양함을 알 수 있었

다. 한사례로, 표에서확인되는《各處地圖》는‘一塊’

라는 독특한 개수단위로 외형을 표현하 는데 이는

‘한뭉텅이’로해석하는것이가능할것으로보인다.

이로서 1904년경고종의서재 던集玉齊에는각지

역의지도, 즉《各處地圖》로통칭되는자료한묶음이

있었다는것이확인된것이다.

《越中圖》31)의경우에는동일한지도의경우에도‘1

帖’, ‘八帖一冊’등으로다르게외형을표현하고있

는것을확인할수있다. 만약월중도가발견되지않

았다면 이 두 기록은 각각 다른 지도를 의미한다고

생각되었을것이다. 월중도가기록되어있는『奉謨堂

後庫奉藏書目』과『弘文館書目』은각각 1911, 1908에

제작된서목임을생각한다면, 이를통해 1908년까지

-`16`-

정대

그림 6. 《俄國輿地圖》

그림 7. 『內下冊子目錄』내《俄國輿地圖》

고지도2-1호.1정대 2010.11.5 11:13 AM 페이지16

조선시대 書目에서 나타나는 古地圖 자료 연구 - 藏書閣 소장 자료를 중심으로 -

-`17`-

표 7. 역대 서목상의 장정형태 기술

장정형태 고지도명 기술방식 서목명

卷軸裝

景慕宮舊廟圖 2欌第2層 1帖 奉謨堂奉藏書目明陵圖 1帖 奉謨堂後庫奉藏書目明陵圖帖 一卷 西庫書目時敏堂圖 1帙 1帖 春坊藏書總目草本

折帖裝 新刊地球全圖 1帖 內閣藏書彙編越中圖 1帖 奉謨堂後庫奉藏書目越中圖 八帖一冊 弘文館書目莊陵圖 1帖 奉謨堂後庫奉藏書目集慶殿圖 1帖 奉謨堂後庫奉藏書目

胡蝶裝

包背裝

線裝 萬國航海圖 1冊 內閣藏書彙編

南北極圖 二軸 集玉齋書籍目錄漏色東洋地球圖 一軸 集玉齋書籍目錄東西球圖 一軸 集玉齋書籍目錄東洋地球圖 一軸 集玉齋書籍目錄

簇子西洋地球圖 一軸 集玉齋書籍目錄蘇蕃司全圖 一軸 集玉齋書籍目錄純宗大王胎封山圖 簇子一 弘文館書目平圓地球全圖 3軸 內閣藏書彙編赤道南北極圖 一軸 集玉齋書籍目錄朝鮮地圖 畵簇 承華樓書目

東國地圖 淸道壯紙三丈 冊版置簿冊東國地圖 順天壯紙八丈 冊版置簿冊天下地圖 淸道壯紙三張 不用 嶠南冊錄天下地圖 固城壯紙四丈 五車書錄天下地圖 順天四丈 秩 五車書錄

摺鋪 天下地圖 順天壯紙四丈 完營冊版目錄天下地圖 淸道壯紙三丈 冊版置簿冊八道地圖 星州壯紙八張 慶尙道冊板八道地圖 星州壯紙八張 慶尙道冊板八道地圖 固城壯紙八張 慶尙道冊板八道地圖 求禮紙十丈頑秩 五車書錄八道地圖 求禮白紙四丈 完營冊版目錄

毛裝

낱장修善全圖 一張道光咸豊間刻本在山樓藏淺見倫太郞氏藏 鮮冊名題海左全圖 一張咸豊末年刻本在山樓藏 鮮冊名題

貝葉裝

屛風

其他各處地圖 一塊 集玉齋書籍目錄支那地方各省地圖 一塊 集玉齋書籍目錄

고지도2-1호.1정대 2010.11.5 11:13 AM 페이지17

홍문관에있던이지도가 1911년어떠한이유에서인

지봉모당으로이전됨에따라다시금전체적인서적

의목록을기록하 다는것을확인하게된다.

4. 藏書閣소장고지도를통한

서목활용사례

3장까지는 조선시대 서목에서 나타나는 지도자료

의개관과개별서목을분석하여그내용을간략하게

살펴보았다. 하지만중요한것은이러한사실의나열

이과연어떠한의미를가질수있는가에있다. 단순

한 자료의 나열로 그치는 것이 아닌, 실제 사례에서

서목들이어떻게종합적으로활용될수있는지를이

장에서는 살펴보도록 하겠다. 그 대상으로는 한국학

중앙연구원 藏書閣에 소장되어 있는 고지도자료를

선정하 다.

장서각은서울대학교규장각과더불어조선왕실과

궁궐에있는자료들을소장하고있는양대기관이다.

하지만 이제까지 규장각에 비하여 고지도자료에 대

한 연구가 적었을 뿐만 아니라, 소장되어 있는 고지

도자료의 종수에 있어서도 정확한 통계를 제시하지

못하 었다. 1995년국사편찬위원회에서제작한『한

국고지도목록』에서는장서각의지도자료가 31종이라

제시되었고, 이후 오랜동안 장서각의 지도자료는 31

종으로 인용되었다. 이는 600여 건 6,000여 도엽에

이르는 규장각에 비해 적은 수치이기에 상대적으로

저평가되었고연구도많은부분에서이루어지지못

하 다. 이후 2006년에간행된해제집32)을통하여장

서각에는 114종의지도자료가있는것으로정리되었

고 현재는 더 많은 수의 지도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

인되고 있다. 장서각의 지도가 중요한 의미를 갖는

것은장서각자체의특수성에있다. 장서각은고종이

건립하려 하다가 실패한 채 일본인에 의해 건립된

‘李王職藏書閣’이그전신이며왕실에서소유한대다

수의전적자료를소장하고있다. 규장각의경우는구

한말규장각장서및기타자료들이여러차례의이관

과정을 거치면서 경성제국대학교로 옮겨져 보관된

자료를 그 전신으로 한다. 여기에서 중요한 점은 두

도서관의 장서가 제 자리를 찾기까지 1910년부터

1920년 사이에 수차례의 혼입과 분산과정을 거쳤다

는 사실이다. 필자의 석사논문에서는 장서각에 소장

된지도자료를 220종으로밝힌바있는데, 그중에서

조선시대와 일제까지의 서목을 통해 소장경로가 확

인된사례는 46종이었다. 이지도들이현재는장서각

소장본이라는점에서(문화재관리국자료포함) 과거

에자료의유입이지속적으로있어왔음을다음의표

8과같이확인할수있었다.33)

이 표를통해살펴보면현재에서과거로역순으로

살펴볼 경우, 각각의 자료가 다른 곳에서 유입된 경

우가많음을알게된다. 또한같은장소에있었던지

도자료도시간에따라흩어지는과정을거침을살펴

볼 수 있다. 40번의《純祖胎封圖》와 41번의《憲宗胎

封圖》의 경우에는 1873년 당시 文院에 소장되어

있었고 1890년까지도 奎章閣에 계속 있었음이 확인

된다. 그러나어떠한이유에서인지 1900년에두자료

는 분리되어 수장되고 이후 일제시기 이왕직장서각

의목록에모습을나타내지않다가최근에와서야자

료의소장이밝혀졌다.

이러한서목의분석과기타관련문헌등의분석을

통해 장서각 자료의 성격이 ① 奎章閣 및 奎章閣 西

庫와 文院, 奉謨堂, 奉謨堂 後庫의 자료가 1914년

에서 1935년 사이에‘李王職藏書閣’으로 완전히 이

관된것이아니라다른서고에개별적으로분산되었

을수있다는것②같은서고에있었던자료라도일

괄적으로이관되지않았을가능성이높다는것을확

인할 수 있었다.34) ①과 같은 경우에는 기존에 여러

학자들의 연구를 통해서 밝혀진 것이었기에 새로울

것이 없는 결과이다. 그러나 ②와 같은 경우에는 대

부분의 경우 추측성 단정이 많았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연구의결과②의추정이사실임을확인할수

-`18`-

정대

고지도2-1호.1정대 2010.11.5 11:13 AM 페이지18

조선시대 書目에서 나타나는 古地圖 자료 연구 - 藏書閣 소장 자료를 중심으로 -

-`19`-

표 8. 도서목록을 통해 확인되는 장서각 고지도의 시대별 소장처

* 표범례: : 李王家藏書閣, : 奎章閣, : 文化財廳, : 奉謨堂, : 西庫, : 李王家圖書室, : 演慶堂, : 文院,

: 春坊, : 韓中硏藏書閣, : 弘文館홍한춘

이연실서봉분규각

순서 지도명 1865년 1873년 1880년 1890년 1900년 1910년 1914년 1920년 1923년 1929년 1935년 현재

1 江南全圖 실 각 각 한

2 京畿附忠淸道 봉 실 각 각 한

3 廣西全圖 실 각 각 한

4舊幕府聖堂

실 각 한釋奠圖附學校圖

5 貴州全圖 실 각 각 한

6 金城山城圖 각 각 한

7 羅南地形圖 각 한

8 唐土名勝圖會 실 각 한

9唐土中興

실 각 한沿革地圖說

10 大東輿地圖 규 실 각 각 한

11 大屯形勢圖 각 각 한

12 東國地圖 실 각 각 한

13 笠巖山城圖 각 각 한

14 木浦地形圖 각 한

15 富士山明細圖 각 한

16 山東全圖 실 각 각 한

17 山西全圖 실 각 각 한

18 色楞厄河圖 실 각 각 한

19 世界地圖 실 각 한

20 輿地圖 실 각 각 한

21 歷代輿地沿革險要圖 실 각 한

22 熱河圖 실 각 각 한

23 嶺南圖 실 각 각 한

24 烏蘇里江圖 실 각 각 한

25 越中圖 규 홍 봉 한

26李氏歷代地理

실 각 한沿革圖

27 日本地圖 규 홍 각 한

28 浙江全圖 실 각 각 한

29 朝鮮通信略圖 각 문

30 地圖 서 한

31 集慶殿舊基圖 규 홍 봉 문

고지도2-1호.1정대 2010.11.5 11:13 AM 페이지19

있었다. 지도자료를 통해 증명된 사례는 다음과 같

다.

서울대학교 규장각에서는 소장 고서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규장각목록소재도서 현재소장여부조

사’작업을 실시한 바 있었다.35) 조선시대 규장각에

관련된 5종의 서목36)을 비교하여 현재 규장각에 그

도서가 소장되어 있는지를 비교, 대조하는 작업이었

다. 5종의서목을통해현재소장이확인된자료에는

아래의 표 9와 같이 청구기호를 기록하 으며, 소장

되지않은자료에는‘*’표시를하 다.(‘$’표시는소

장되어 있으나 완질이 아닌 경우임) 이 중에서 고지

도자료만을추려보면 43종이 확인되는데, 그중 현재

규장각에소장된자료는 9종이다. 조선시대규장각에

서 현재의 규장각으로 자료가 이동하면서 지도자료

중 34종이 다른 곳으로 옮겨진 것이다. 이 소장되지

않은 지도들을 분석해본 결과 현재 한국학중앙연구

원 장서각에 최소 7종이 소장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에서‘현 장서각 소장여부’칸은 원본에서

필자가 추가한 것임) 각 지도는《慶州集慶殿舊墓圖

帖》, 《明陵圖帖》, 《純祖大王胎封圖簇子》, 《嶺南輿圖》,

《越中八圖帖》, 《地圖》37), 《憲宗大王胎室石物加封圖簇

子(헌종태봉도)》이다. 이 지도 7종은 모두 위의 표 8

에서확인되는것들이다. 중요한사실은위의표에서

각각 31번, 43번, 40번, 23번, 25번, 30번, 31번에해

당하는 이 지도들이《嶺南輿圖》를 제외하고는 모두

일제시기에 이왕가장서각에 소속된 적이 없다는 사

실에있다.38) 따라서위의표 8에서 1914~1935년사

이에빈칸으로나타나는것이소장되지않았음을나

타낸다. 1935년당시까지장서각에소장되어있지않

다가 2010년현재장서각에소장되어있다는사실은

많은시사점을던지고있다. 1920년이후로이두기

관의장서가이동한적이없다는사실에서이러한결

론은어떻게설명될수있는것인지더많은향후연

구가필요할것이다.

-`20`-

정대

순서 지도명 1865년 1873년 1880년 1890년 1900년 1910년 1914년 1920년 1923년 1929년 1935년 현재

32 靑邱圖 실 각 각 한

33 巴顔哈拉母魯圖 실 각 각 한

34 河南全圖 실 각 각 한

35 哈密圖 실 각 각 한

36 湖廣全圖 실 각 각 한

37 皇朝一統輿地圖 실 각 한

38 黑龍江口圖 실 각 각 한

39 莊祖胎封圖 봉 한

40 純祖胎封圖 이 규 홍 봉 한

41 憲宗胎封圖 이 규 한

42 時敏堂圖帖 춘 한

43 明陵圖 서 서 규 홍 봉 문

44 景慕宮舊廟圖 봉 문

45 大東輿地圖 실 각 각 한

46 唐土名勝圖會 연 연 한

표 8. 계속

고지도2-1호.1정대 2010.11.5 11:13 AM 페이지20

조선시대 書目에서 나타나는 古地圖 자료 연구 - 藏書閣 소장 자료를 중심으로 -

-`21`-

표 9. ‘규장각목록소재 도서 현재소장여부조사표’중의 고지도 현황

고지도명 합계

各道地圖簇子 1 · · 1 · ·

各道地圖帖 1 · · 1 · ·

江華地圖 1 1 · · · · 고축4709-57

慶州集慶殿舊墓圖帖 1 · · 1 · · 文K2-4388

高麗諸陵圖帖 1 1 · · · ·

坤與圖說 1 · · · 1 · $

坤輿圖說 1 · · 1 · · $

濱稅關圖 1 · · 1 · ·

喬洞地圖 1 1 · · · · 규10348

淡彩山水圖帖 1 1 · · · ·

大日本國海圖 1 · · 1 · ·

大淸輿地圖 1 · · 1 · ·

圖形 1 1 · · · ·

萬國航海圖 1 · · 1 · ·

明陵圖帖 2 1 · 1 · · 文 k2-4423

武烈祠圖簇子 1 · · 1 · ·

福建沿海山河圖 1 · · 1 · ·

西洋國地圖 1 1 · · · ·

純祖大王胎封圖簇子 1 · · 1 · ·

神戶稅關圖 1 · · 1 · · 규10330

兩南地圖全帖 1 1 · · · ·

洋外 具全圖 1 · · 1 · ·

輿地圖 1 1 · · · ·

與地圖 1 · · · 1 ·

輿地勝覽 1 1 · · · ·

輿地勝覽 1 1 · · · · 규799등

輿地全圖 1 1 · · · ·

嶺南輿圖 1 1 · · · · 귀 k2-4564

鬱陵島內圖 1 · · 1 · · 규10334

鬱陵島外圖 1 · · 1 · · 규10339

越中八圖帖 1 · · 1 · · 귀K2-4458

義林寺圖形 1 · · 1 · · 규10335

西庫藏書錄(1865~1866)

奉謨堂奉安御書總目

(정조연간)

奎章閣書目(1897~1906)

奎章總目(1781)

書香閣奉安總目

(철종연간)

현규장각소장여부

현장서각소장여부

고지도2-1호.1정대 2010.11.5 11:13 AM 페이지21

5. 맺음말

본논문은고지도의연구에있어서書目이어떻게

활용될수있는지를살펴본기초적연구이다. 실물자

료인典籍을대상으로하는연구에서서목의이용은

텍스트에서는알수없었던여러사실과주변적인정

황에 단서를 제공한다. 이러한 연구방법은 서지학은

물론이고타분야에서도활용되고있으며점차그중

요도가높아질것으로보인다.39) 서목을통한고지도

자료의분석을통해아직발견되지않은지도가있을

가능성, 이미사라진지도에대한복원및확증, 지도

자료의소장과유입의역사등을간략하게나마확인

할수있었다.

그러나서목을통한연구는분명한한계점을가지

고있음도명확하다. 첫째, 민간의모든지도를망라

할수없고기록이충실한사대부, 관부, 특히왕실자

료가 많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연구가 치우칠 수 있

다는점, 둘째, 세부사항이기록되지않을경우이지

도가현재무엇인지알기힘들가능성이있어輿地圖

와같이일반명사가아닌특수명칭의지도만이확인

될가능성이있다는것과셋째, 당시의서목중어떤

것은이전의목록을그대로베끼는경우가있기에신

뢰성이결여될가능성이있다는점이그것이다.

서목을통한조사가단순한사실의나열에서벗어

나본격적인연구가되기위해서는거시적인서목전

체의연구보다는미시적으로서목에실린각각의지

도들을 고증하고 대조하는 작업이 필수적으로 요구

된다. 또한 넓게는 중국과 일본의 서목에 있는 고지

도자료를연구하여삼국간의 향관계와비교사적인

연구가역시병행되어야할것이다.

-`22`-

정대

고지도명 합계

日本全圖 1 · · 1 · ·

莊陵圖帖 1 · · 1 · ·

地毬全圖簇子 1 · · 1 · ·

地圖 1 1 · · · · 귀k2-4583

地圖帖 1 1 · · · · 고4709-11

測地繪圖 1 · · 1 · · $

統營三道合操圖 1 1 · · · ·

海上 具全圖 1 · · 1 · · 규중6500

海西京畿海路圖 1 1 · · · · 奎軸12153

憲宗大王胎室石物加1 · · 1 · ·

封圖簇子(헌종태봉도)

黃州葛隅坪圖 1 · · 1 · ·

西庫藏書錄(1865~1866)

奉謨堂奉安御書總目

(정조연간)

奎章閣書目(1897~1906)

奎章總目(1781)

書香閣奉安總目

(철종연간)

현규장각소장여부

현장서각소장여부

표 9. 계속

고지도2-1호.1정대 2010.11.5 11:13 AM 페이지22

1) 『隋書』卷28 經籍志에는서적의목록이실려있다. 이중에

서史部- 地理類에는 5종의지도자료가확인되는데, 이는

書目상가장오래된지도에대한기록이다. 각지도의기록

은 다음과 같다. 《洛陽圖》一卷, 《江圖》一卷, 《江圖》二卷,

《隋西域圖》三卷, 《幷州總管內諸州圖》一卷.

2) “夫樊將軍, 秦王購之金千斤, 邑萬家. 誠得樊將軍首與燕督

亢之地圖, 奉獻秦王, 秦王必說見臣, 臣乃得有以報.”번역은

정범진, 2001, 『사기』, 까치 방참조.

3) “沛公至咸陽, 諸將皆爭走金帛財物之府分之, 何獨先入收秦

丞相御史律令圖書藏之.”이후班固는『漢書』에서이‘圖書’

라는단어를圖籍文書로풀이하 다. 『漢書』卷1 高帝紀 -

“蕭何盡收秦丞相府圖籍文書”.

4) 《華夷圖》(1136)는《禹跡圖》(1136) 비석의뒷면에세겨진지

도이다. 도판출처: J.B. Harley and David Woodward, The

history of cartography. 2-2, Cartography in the

traditional East and Southeast Asian societie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4, pp.46-48.

5) ジョセフ·ニ-ダム著 ; 東 精一; 藪內淸等譯, 『中國の科

學と文明- 第6卷:地の科學』, 思索社, 1979, p.59.

6) 이 지도의 이름은《長沙國深平防區地形圖》, 《地形圖》, 《漢

初諸侯長沙國南部地形圖》등으로 불리고 있는데, 필자는

본 지도의 정식명칭을 알지 못하여 고지도학자인 曹婉如

(曹婉如 等, 앞의 책, p.343)의 에 따라《地形圖》라고 하

다. 도판출처: 遼寧省國土資源廳, 『國土資源』(2008. 1),

p.51.

7) 두장의지도중에서《紙質地圖》의경우에는종이에지도를

그린것으로지금까지발견된가장빠른시기의종이로판

명되었으며, 이는 蔡倫(A.D 50?~121)이 만든 종이보다 적

어도 300년 이상 앞선 것이다. 서지학개론편찬위원회 편,

『서지학개론』(2004, 한울아카데미), p.38; 도판출처: 山東

省博物館(http://www.sdmuseum.com).

8) 이 지도들은연구결과연대가각각다음과같이밝혀졌다.

《兆域圖》(B.C 323~315), 《地形圖》, 《駐軍圖》, 《城邑圖》(B.C

1~2C), 《木板地圖》, 《紙質地圖》(B.C 179~141) - 曹婉如

等, 『中國歷史地理學五十年』(2005, 學苑出版社), pp.343-

346; J. B. Harley and David Woodward, ibid., 1994, p.40.

9) 이에대한기록은班固의『漢書』「藝文志」의서문에서자세

히적혀있다.

10) 순욱이정묵의체계를본따만들었다는『中經新簿』는『隋

書』「經籍志」의 서문에 간략한 체제만이 등장하고 있다.

이를 통해서 우리는 그 편성의 대강을 짐작할 수는 있으

나, 각각에어떠한서적이포함되어있을지에대해서는추

정할수밖에없다. 지도가만약이목록에포함이되었다

면丁部의圖贊에속해있을가능성이높다고본다.

『隋書』志第二十七 經籍一(經)- 魏氏代漢, 采 遺亡,

藏在秘書中, 外三閣. 魏秘書郞鄭默, 始制《中經》, 秘書監荀

勖, 又因《中經》, 更著《新簿》, 分爲四部, 總括群書. 一曰甲

部, 紀六藝及小學等書;二曰乙部, 有古諸子家, 近世子家,

兵書, 兵家, 術數;三曰丙部, 有史記, 舊事, 皇覽簿, 雜

事;四曰丁部, 有詩賦, 圖贊, 汲塚書. 大凡四部合二萬九

千九百四十五卷. 但錄題及言, 盛以 囊, 書用 素. 至於

作者之意, 無所論辯. 惠, 懷之亂, 京華蕩覆, 渠閣文籍, 靡

有孑遺.

11) 王儉의『七志』역시『隋書』「經籍志」에서 그 대강의 형태

를추정할수있다. 이를통해확인해보면, 마지막 7번째

인‘圖譜志’를왕검이신설하여이곳에여러주제의그림

을따로모아둔것을알수있다. 또한『隋書』「經籍志」에

서설명하길, 지역및그림을기록한다하 으므로여기서

말하는지역은지도라고추정할수있는증거가된다. 이

를 통해 판단한다면, 『七志』는 확인할 수 있는 가장 이른

시기에지도가분리되어나타난목록이다.

『隋書』志第二十七 經籍一(經)- 東晉之初, 漸更鳩聚.

著作郞李充以勖舊簿校之, 其見存者, 但有三千一十四卷.

充遂總沒 篇之名, 但以甲乙爲次. 自爾因循, 無所變革.

其後中朝遺書, 稍流江左. 宋元嘉八年, 秘書監謝靈運造《四

部目錄》, 大凡六萬四千五百八十二卷. 元徽元年, 秘書丞王

儉又造《目錄》, 大凡一萬五千七百四卷. 儉又別撰《七志》:

一曰《經典志》, 紀六藝, 小學, 史記, 雜傳;二曰《諸子志》,

紀今古諸子;三曰《文翰志》, 紀詩賦;四曰《軍書志》, 紀兵

書;五曰《陰陽志》, 紀陰陽圖緯;六曰《術藝志》, 紀方技;

七曰《圖譜志》, 紀地域及圖書. ...(후략)

12) 唐의道宣(596~667)이 저술한『廣弘明集』卷三에는阮孝緖

의七 序가실려있어, 우리는그대략적인모습을파악

할수있다. 하지만위의『中經新簿』와마찬가지로, 이역

시구체적인세부목록들은확인할길이없다.

13) 이후, 표에서는지도명, 서명에서각괄호(『 』, 《 》)를생략

하기로한다.

14) 한서예문지에서는 지도가 확인되지 않는다. 지도라고 추

측이가능한자료들이있긴하지만정확하지는않다. ‘圖’

라는주석을달아놓은자료는 15건이보이는데과연병법

서등에서쓰인이자료가지도 는지에대해서는더많은

연구가필요한부분으로향후이부분에대해연구를진행

할 예정이다. 『神輸』五篇 圖一, 『吳孫子兵法』八十二篇 圖

九卷, 『齊孫子』八十九篇 圖四卷, 『楚兵法』七篇 圖四卷,

조선시대 書目에서 나타나는 古地圖 자료 연구 - 藏書閣 소장 자료를 중심으로 -

-`23`-

고지도2-1호.1정대 2010.11.5 11:14 AM 페이지23

『孫軫』五篇圖二卷, 『王孫』十六篇圖五卷, 『魏公子』二十一

篇 圖十卷, 『黃帝』十六篇 圖三卷, 『風後』十三篇 圖二卷,

『齊冶子』一篇 圖一卷, 『鬼容區』三篇 圖一卷, 『別成子望軍

氣』六篇圖三卷, 『鮑子兵法』十篇圖一卷, 『五子胥』十篇圖

一卷, 『苗子』五篇圖一卷.

15) 윤병태, 1984, 「한국의 書目에 대하여」, 『圖書館情報學論

集』, p.9.

16) 도판출처: 고려대장경지식베이스

(http://kb.sutra.re.kr/ritk/index.do)

17) 천혜봉, 1997, 『한국서지학』, 민음사, pp.49-50.

18) 조사에서사용된『攷事撮要』는宣祖 18년(1585) 판본이다.

19) 필사본에비해목판본혹은활자본에대하여서지학연구

자들이 의미를 부여하는 것은 이 자료가 필연적으로 2부

이상의복본으로제작되었다는것과, 그로인해지식의전

파와확산에 향을미쳤다고생각하기때문이다. 필자의

확인에의하면조선시대최초로지도가인쇄된것은申叔

舟가 저술한『海東諸國記』(1471)에 실린《海東諸國總圖》,

《日本本國圖》, 《西海道九州圖》, 《壹岐島圖》, 《對馬島圖》,

《琉球國圖》의 6장이다. 외국의 지도가 아닌 국내의 지도

를인쇄한최초의사례는앞에서언급한『新增東國輿地勝

覽』(1530)에 실린《東覽圖》이다. 『東國輿地勝覽』(1486)의

第一稿本에도 지도가 실려 있었지만 현재 남아있는 동람

도는신증동국여지승람의것이다.

20) 여기에서 말하는‘일반적인 서목’이란 기관이나 왕실 혹

은 민간에서 소장하고 있던 책의 목록을 지칭하는‘藏書

目錄’을말한다.

21) 본래 조선시대의서목을 1910년까지제작된서목으로한

정해야할것이지만조사에서는 1945년까지제작된서목

들을대상으로하 다. 그이유는일제시기에도왕실과기

타서고에소장된서적들을조사하기위해여러차례서목

을 제작하 으며 이 서목은 내용상 조선시대의 서목으로

취급해야한다고생각했기때문이다.

22) 민간의私家에서제작한서목을찾는다는것은쉬운일이

아니다. 예를들어陶山書院과같은서원이나향교에는몇

몇 서목이 존재하지만 이러한 곳에도 지도자료는 수록되

어있지않은경우가대부분이다. 성급한결론이지만이런

경향을살펴볼때조선시대제작된대다수의지도는관아

와왕실의전각에소장되어있었던것으로생각한다. 현재

많이 발견되는 천하도류 여지도나 팔도지도류 자료는 민

간에 워낙 광범위하게 퍼져 있었으므로 논의에서 제외해

야할것이다.

23) 내하책자목록은현재한국학중앙연구원藏書閣에소장되

어있는유일본으로서고종시대의왕실서책연구에귀중한

자료이다. 자료의서지사항은다음과같다. 內下冊子目錄,

高宗21(1884)頃, 帖裝, 1卷1帖(32折); 23.2×21.5cm, 中表

紙上墨書識記: 甲申(1884) 紙質: 楮紙.

24) 장 숙, 2009, 「‘內下冊子目錄’을통해본고종의개화관

련서적수집실상과 향」, 『한국민족운동사연구』58.

25) 그러나대부분의지도를본명칭으로기록하는앞의사례

에 비추어《大東輿地圖》만을‘地圖’로 기록했다는 것에

의문점을품을수도있다. 22건으로구성된지도로는대동

여지도를제외하고는생각하기어려운데, 그렇다면이지

도는 대동여지도를 규장각에 하사하기 위해 특별히 필사

하여 제목을‘地圖’라고 적은 고지도일지도 모른다는 추

측역시 가능하다. 하지만 현재까지 밝혀진《大東輿地圖》

의異本중筆寫本, 木板本, 模寫本에서는‘地圖’라는제목

의자료를찾는데실패하 다. 대동여지도의이본에관해

서는장진숙(2008)의석사논문참조.

26) 조선일보, 「창경원 장서각서「아국여지도」발견」(1972. 2.

5), 7면참조.

27) 2010년 현재까지《俄國輿地圖》에 대한 연구는 다음과 같

다.

문화재관리국장서각編, 1972, 『國學資料-창간호』.

한국정신문화연구원編, 1994, 『江北日記, 江左與地記, 俄

國輿地圖』.

국학진흥연구사업추진위원회編, 2007, 『俄國輿地圖』.

문화재청編, 2008, 『한국의옛지도』.

28) 문화재관리국장서각編, 앞의책, p.19.

29) 朝鮮王朝實錄, 高宗 22卷, 22年(1885) 6月 13日(庚辰).

30) 정대 , 2010, 『장서각 소장 고지도의 서지학적 연구』(한

국학중앙연구원고문헌관리학과석사논문), p.30.

31) 보물 1536호, 한국학중앙연구원장서각소장.

32) 장서각편, 2006, 『장서각도서한국본해제- 지리류3(지도

편)』.

33) 조사에서사용한장서각관련서목은다음의 21종과같다.

奉謨堂奉安御書總目, 西庫藏書錄, 內下冊子目錄, 奎章閣

書目, 內閣藏書彙篇, 文院書目, 奎章閣樓上庫冊目錄, 春

坊藏書摠目, 帝室圖書目錄, 奉謨堂奉藏書目, 登錄圖書追

加目錄, 奉謨堂後庫奉藏書目, 公文書類引繼目錄, 內務府

冊目錄, 李王家圖書室藏書假目錄, 李王家圖書室藏書目錄,

藏書閣圖書課藏書目錄, 演慶堂漢文目錄, 李王家藏書閣古

圖書目錄, 演慶堂圖書引繼目錄, 李王家藏書閣古圖書目錄

34) 정대 , 2010, 앞의논문, p.90.

35) 이조사의결과물은규장각홈페이지에서확인할수있다.

36) 5종의 서목은 다음과 같다. 『奉謨堂奉安御書總目』(96종),

『奎章總目』(700종), 『西庫藏書錄』(1,800종), 『書香閣奉安

-`24`-

정대

고지도2-1호.1정대 2010.11.5 11:14 AM 페이지24

總目』(179종), 『奎章閣書目』(3,700종).

37) 이 지도는 일반명사인‘地圖’로 기록되어 있으나 장서각

소장본《地圖》로추정된다. 이자료는 4책 105면으로매우

거질의 채색지도첩이며, 이에 대한 상세한 해제가『조선

왕실의 행사그림과 옛지도』(2005)에서 양보경 교수에 의

해이루어졌다.

38) 《嶺南輿圖》만이 유독 이왕직도서관에 수록되었고 과거에

규장각에수록된사실이없다는것은이지도가현재장서

각에소장된《嶺南圖》가아니라는반증일수도있다.

39) 대표적인 사례로 조선시대의 書畵자료를 서목을 통해 연

구한황정연, 2006, 「朝鮮時代書畵收藏硏究」(한국학중앙

연구원미술사학박사학위논문)를들수있다.

참고문헌

攷事撮要.

朝鮮王朝實錄.

국학진흥연구사업추진위원회編, 2007,俄國輿地圖,

한국학중앙연구원장서각.

遼寧省國土資源廳, 2008, 國土資源.

문화재관리국장서각編, 1972, 國學資料- 창간호.

문화재청編, 2008, 한국의옛지도, 문화재청.

정범진역(사마천저) 2001, 史記, 까치 방.

서지학개론편찬위원회편, 2004, 서지학개론, 한울아카데

미.

윤병태, 1984, 한국의 書目에 대하여, 圖書館情報學論集

제1호.

장서각 편, 2006, 장서각도서한국본해제 - 지리류3(지도

편).

장 숙, 2009, ‘內下冊子目錄’을통해본고종의개화관련

서적수집실상과 향, 한국민족운동사연구 58.

정대 , 2010, 장서각소장고지도의서지학적연구, 한국

학중앙연구원고문헌관리학과석사논문.

천혜봉, 1997, 한국서지학, 민음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編, 1994, 江北日記, 江左與地記, 俄

國輿地圖,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황정연, 2006, 朝鮮時代書畵收藏硏究, 한국학중앙연구원

미술사학박사학위논문.

曹婉如等, 2005, 中國歷史地理學五十年, 學苑出版社.

東 精一藪內淸等譯(ジョセフ·ニ-ダム著), 1979 中國

の科學と文明- 第6卷:地の科學, 思索社.

J. B. Harley and David Woodward, 1994, Cartography

in the traditional East and Southeast Asian

societie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최초투고일 2010. 6. 15최종접수일 2010. 6. 30

조선시대 書目에서 나타나는 古地圖 자료 연구 - 藏書閣 소장 자료를 중심으로 -

-`25`-

고지도2-1호.1정대 2010.11.5 11:14 AM 페이지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