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UTSOURCING, WEALTH CREATION, AND SMEs: THE INTERNATIONALIZATION OF SERVICES WITHIN THE GLOBAL...

19
한국도자학연구 Vol.8 No.1 2011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eramic Arts ISSN 1738-8473 메뉴.사례별 한식기 반상 규범화 연구 - 사각형접시와 메인디쉬 디자인을 중심으로 - 김명란 베트남 중부지역 출토 무역도자기 - 9 . 10세기 중국과 서아시아도자기를 중심으로 - 김인규 소규모 도자공예산업에서 디자인경영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희균 스테인리스 망을 이용한 도자기 캔버스에 관한 연구 나유석 서동희 작업 1970 ~ 2010까지의 도자 예술의 조형적 특징 연구 - 연대별로 1970년대,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 - 서동희 2010 울산세계옹기문화 엑스포 개최지 속성이 도시이미지 형성에 미치는 영향 손호익 17 . 18세기 ..청화발색과 청화기법에 관한 연구 - 일본 아리타의 청화기법을 중심으로 - 이은미 공예의 경제적 가치확대를 위한 대학 교육과정 유형화 연구 차화숙.류준호 Study for Standardization of menu, case-by-case korean style tableware -Constitution of a rectangular dish and main dish design- Kim, Myung Ran The Trade Ceramics excavated in the middle area of Vietnam - Focused on Chinese and West Asia Ceramics of the 9, 10C - Kim , In Gyu Impact of Design Management on Business Performance of Small Firms in the Ceramic Craft Industry Kim, Hee Gyun Study of making ceramic canvas to use stainless steel mesh Nah, You Seok Study on the Form and Color of Dong Hee Suh’s Ceramic Work -from 1970 to 2010: Discussed Chronologically by Decades- Dong Hee Suh An effect of the properties of Onggi Expo Ulsan Korea 2010’s venue on city image Son, Ho Ik A study on the 17.18 centuries a blue and white color and blue and white techniques, of Korea, China, Japan -blue and white techniques in the Arita area of Japan mainly- LEE, Eun Mi A study on higher education typology for expanding the economic value of crafts Cha, Hwa Suk . Yoo Jun Ho

Transcript of OUTSOURCING, WEALTH CREATION, AND SMEs: THE INTERNATIONALIZATION OF SERVICES WITHIN THE GLOBAL...

한국도자학연구

http://www.kscad.or.kr

한국도자학연구136-742서울시 성북구 동선동3가 249-1 성신여자대학교 미술대학 공예과 조형1관 B102호Sungshin Women`s University Crafts Arts 249-1,Dongseon-dong 3-Ga,Seonbuk-gu,Seoul, Korea 136-742TEL : 02)920-7491 / FAX : 02)920-2088E-mail : [email protected]

한국도자

학연

구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

eramic A

rts Vol.8 No.1 2011

Vol.8 No.1 2011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eramic Arts

ISSN 1738-8473

메뉴.사례별 한식기 반상 규범화 연구- 사각형접시와 메인디쉬 디자인을 중심으로 -

김명란

베트남 중부지역 출토 무역도자기- 9 . 10세기 중국과 서아시아도자기를 중심으로 -

김인규

소규모 도자공예산업에서 디자인경영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김희균

스테인리스 망을 이용한 도자기 캔버스에 관한 연구나유석

서동희 작업 1970 ~ 2010까지의 도자 예술의 조형적 특징 연구- 연대별로 1970년대,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 -

서동희

2010 울산세계옹기문화 엑스포 개최지 속성이 도시이미지 형성에 미치는 영향

손호익

17 . 18세기 한.중.일 청화발색과 청화기법에 관한 연구- 일본 아리타의 청화기법을 중심으로 -

이은미

공예의 경제적 가치확대를 위한 대학 교육과정 유형화 연구차화숙.류준호

Study for Standardization of menu, case-by-case korean style tableware-Constitution of a rectangular dish and main dish design-Kim, Myung Ran

The Trade Ceramics excavated in the middle area of Vietnam- Focused on Chinese and West Asia Ceramics of the 9, 10C -Kim , In Gyu

Impact of Design Management on Business Performance of Small Firms in the Ceramic Craft IndustryKim, Hee Gyun

Study of making ceramic canvas to use stainless steel meshNah, You Seok

Study on the Form and Color of Dong Hee Suh’s Ceramic Work-from 1970 to 2010: Discussed Chronologically by Decades-Dong Hee Suh

An effect of the properties of Onggi Expo Ulsan Korea2010’s venue on city imageSon, Ho Ik

A study on the 17.18 centuries a blue and white color and blue and white techniques, of Korea, China, Japan-blue and white techniques in the Arita area of Japan mainly-LEE, Eun Mi

A study on higher education typology for expanding the economic value of craftsCha, Hwa Suk . Yoo Jun Ho

coverVol.8-1.indd 1 11. 08. 30 오후 1:47

메뉴. 사례별 한식기 반상 규범화 연구

- 사각형접시와 메인디쉬디자인을 중심으로-

Study for Standardization of menu, case-by -case korean style

tableware

-Constitution of a rectangular dish and main dish design-

김 명 란

Kim, Myung Ran

수원대학교 디자인학부 교수

목 차

개요

Abstract

1. 서론

2. 2009년도 이후 도자식기 사례

2.1. 도자한식기 현황

2.2. 한식기 구성품의 변화- 사각형 접시 증가

2.3. 한식기 구성품의 사례조사

3. 한식기 구성품의 사례 도면화 및 규범구성안

비교분석

3.1. 2인반상 구성안 제안

3.2. 메뉴 사례별 식기구성 도면화와 규범안 비

교분석

4. 한식기 구성품에관한 설문조사및 통계

5. 결론

참고문헌

메뉴. 사례별 한식기 반상 규범화 연구

- 사각형접시와 메인디쉬디자인을 중심으로-

김 명 란/Kim, Myung Ran

개 요

2009년도 제안한 한식기 모듈은 4인 식탁 평면, 또는 일인매트에 주식기 평면크기인 밥,

국그릇의 지름11센치와 지름14센치를 기준으로 찬기 11센치 소접시, 14센치 중접시, 17센

치 대접시, 그리고 22센치 특대접시 총 4종의 모듈을 제안했다. 본 연구논문도 이 모듈을

중심으로 메뉴별, 메인디쉬의 크기와 형태를 연구하였다.

2009년 논문 발표이후 외식업체들의 한식코스요리의 세팅방법이 개성화되어 원형의 식

기일색에서 메인디쉬, 찬기의 사각형 접시 사용사례가 크게 증가하여 식탁세팅에 변화가

생겼다. 본 논문은 이 변화에대한 한식기 구성 규범화에 관한 실험, 제안연구이다. 한식기

구성 실험방법은 2009년도 제안한 밥, 국그릇의 모듈 직경11, 14센치를 기준으로하여 사

각형태의 각 변의 길이가 같은 11, 14, 17, 22센치의 정사각형과 긴 변의 길이가 17, 22센

치의 직사각형의 그릇 크기별로 평면카드를 만들어 원형모듈 카드와 함께 평면공간형 식

기배선 실험을 하였다. 본 연구자가 제안한 식기 모듈은 온라인 식기시장 조사결과 대부

분의 한식기 크기와 비슷했고 밥, 국그릇의 경우 2009년도 제안한 직경 11센치, 14센치

에비하여 수입도자기(코렐, 포트메리온)가 국내제품의 직경11~11.5센치 보다 조금 큰 직

경12~ 12.5센치로 1센치정도 크다.

식기사용 실태조사는 전국 한식당의 실제사례와 식기사용 설문지 통계자료를 기준으로

메뉴별로 분류, 도면화하고 본인이 제안한 기본 모듈로 구성된 구성 안과 비교분석하여 2

인반상 최대 식기수량은 12피스 구성으로 식기간소화 구성안을 비교,실험, 제안하였다. 그

결과 직사각형의 접시사용과 메뉴별 반찬가짓 수에 따라 구성안을 참고하면 식기의 수를

줄이고 식탁의 구성도 미감있고 심플하게 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한국도자학연구 9

ABSTRACT

Proposed in 2009 korean style tableware Module for 4person's table plane, a diameter

of 11cm, 14 cm of the rice, soup bowl, 11 cm small plate , 14 cm middle plate, 17 cm

big plate , and 22 cm big,big plates had offered a total of four modules. For this study,

based on the 2009' module in a module of a circular plate, each menu by rectangular

modules adding, a good example composition and menu of each is proposed.

Rectangular plate modules are added based on the prototype module of the same length

of each side 11, 14, 17 and 22 cm length of the long edge of the square and the 17 and

22 centimeters by the size of a rectangular plate made on the basis of a flat card module

card with circle plate Add a variety of configurations. Suggested by this study ,module of

tableware , the online tableware market research was similar to the size of most Korean

style tableware rice, soup, the import pottery (Corel, Portmeirion) of the domestic product

from 11 to 11.5 cm in diameter, slightly larger than the diameter of 12 ~ greater degree of

12.5 centimeter by centimeter.

Tableware of korean restaurant nationwide survey using actual cases and utensils used

by the menu survey, based on statistical data classification, drawings. I suggested to the

basic module configuration inside a model 2 person's table quantities up to 12 pieces

tableware experimental configuration, proposed As a result, the use of a rectangular plate

by Menu. Refer to the aesthetic composition and configuration of the table to reduce the

number of dishes and simple beauty, being able to make conclusions were obtained

1.서 론

본 연구자는 2009년도 현대 한식기 규범화연구 “현대 한식기의 일인 반상(一人飯床)세

트” 연구논문을 발표하였다. 우리나라 한식은 평면 공간형을 기본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식사메뉴별로 반찬가짓수가 100종류가 된다는 식당도 있을만큼 반찬가짓수별로 식기수량

이 많게는 한상에 100개이상의 식기를 사용한다. 이처럼 대량의 식기를 사용하는 식습관

은 식기이동, 세척, 수납등 식기사용자에게 무거운 도자그릇사용을 기피하게 한다.

정보, 문화시대라는 요즈음 우리나라 일상 생활도자 사용은 조금 늘었지만 식탁위의 도

자 그릇 상황은 저개발국가 시절의 ‘양으로 먹는 습관’이 그대로 남아있어 원시적인 상황

과 다를바 없다. 퓨전화되고 공간형 공통식기사용으로 전통 한식기의 대표 구성품인 반상

기(飯床器)를 사용사례는 찾아보기 힘들다. 요즈음 “한식의 세계화”란 잇슈아래 각종 행

사가 식생활 관련분야에서 폭넓게 진행되고 있으나 정작 세계적인 한식을 담아낼 한식기

의 정체성이 모호한 것이다. 일인용 배선식기인 반상기처럼 연대 우리나라 한식의 품위를

높여줄 한식기의 배선(配膳), 음식 써빙 매뉴얼등의 다각적인 규범화 연구가 필요하다. 1)

본 논문의 연구내용은 2009년도 발표한 원 형태의 모듈에 사각 형태를 추가 구성하여

1) 김명란, 현대도자 한식기의 일인반상 규범화연구, 한국도자학연구vol.6 No.1, 2009, p12.

10 한국도자학연구 Vol. 8 No. 1 2011 김 명 란

다양화되고 있는 한식기 구성을 메뉴별, 상황별로 분류하여 배선시 사각 형태에도 제안된

모듈이 합리적인지, 메뉴별 사례를 도면화하고 합리적인 식기구성안을 제안하고자 하였

다. 실험방법은 한식기 구성품에 대한 온라인, 오프라인 상황 조사및 일반인, 수원대 공예

과학생 110명을 대상으로 한 도자식기에 대한 설문조사를 하였다. 또한 2009년도 이후 인

터넷과 학생들, 전국 한식당의 실제사례를 메뉴별로 분류, 도면화하고 본인이 제안한 기

본 모듈로 대칭, 통일의 구성요소를 기준으로 한 구성안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실험 결과 2인 반상 식기의 수는 최대 12피스로, 가장 일반적인 3첩의 경우 밥, 국

그릇을 제외하고 22센치 이상 접시 1개로 구성하면 식탁 구성도 미감있고 심플하게 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본 연구논문은 이런 실험 방법으로 메뉴별, 상황 사례별로 식

기구성을 정리, 제안하였는데 앞으로 실효성에 대한 연구는 다음 과제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2. 2009년도 이후 도자식기 사례

2.1. 도자 한식기 현황

본 연구자는 2009년도 현대 한식기 규범화연구 “현대 한식기의 일인 반상(一人 飯床)세

트” 연구논문을 발표하였다. 연구내용은 일인용 식탁매트크기 25* 37센치와 28* 40센치를

기준으로 전통적 반상규범인 3, 5, 7첩 3종의 한식기 모듈을 제안하였다.

우리나라 식기세팅은 한 상(床)에 모든 요리그릇을 한번에 올리는 평면공간형이기 때문

에 서양식 시간형 배선인 코스요리경우에도 세팅초기 요리별로 3~ 6종류의 요리가 나온

후에도 남은 요리와 식사용 찬기와 밥, 국그릇이 전부 배치된다. 즉 우리나라 한식은 평

면 공간형을 기본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한정식의 식기 숫자는 물론 음식물 쓰레기로 넘

쳐난다.

세계는 지금 음식 전쟁이라 할만큼 세계 각국이 전통 음식 관광 자원화에 힘을 기울이

는 이때 한식의 세계화도 이슈화된지 오래다. 고급 한식 요리집의 코스요리와 대학생들의

생활도자 과제에서 그 변화를 느낄 수 있다. 그러나 일반가정의 손님 상이나 고급 요리점

의 경우라 할지라도 엄청난 수량의 식기 세척, 수납 문제는 계속 큰 문제가 되어, 일상

생활에서는 가볍고 깨지지 않는 소재를 사용한다. 외국 관광객들도 그릇, 분위기보다 맛

으로 유명한 집이나 남대문 먹자 골목의 순대국, 프라스틱 접시위에 비닐을 씌워 음식을

담는 거리 포장마차 떡볶이등을 선호한다고 한다.

우리나라 대형 도자식기 제조업체들의 제품 퀄리티, 제조 기술 수준은 상당히 높다고 평

가되지만 엄청난 수량의 식기 아이템들을 자세히 보면 본 연구자가 1975년도 혼수품을

준비한 식기 아이템과 대동소이하다. 우리나라 혼수용품으로 필수적인 홈세트는 서양식

기 디너세트에 밥, 국그릇을 추가한 아이템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최근 3~40년 동안 우리

나라 IT기술의 놀랄만한 발전에 비하여 도자식기 생산라인은 커다란 사회적 생활변화와

소비자의 니즈와는 별개로 보수적 방법으로 생산, 유통되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앞으로도

계속 도자식기 생산이 지속되려면 이 시대적 요구를 간과하면 안될 것이라 본다. 한식의

세계화에 어울리는 한식기의 세계화 연구는 식기 규범화면에서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한국도자학연구 11

사진2-1,2,3(좌측부터).

일반식당(사진좌)과 가정의(사진우) 사각형접시 사용사례

사진1-1,2,3,4,5(좌측부터). 한.아세안 정상회의 오찬메뉴

:잔치국수와김치

2009.06.06 중앙일보(사진=김성룡 기자)

2.2. 한식기 구성품의 변화- 사각형 접시증가

2009년 6월 1일부터 6월 2일까지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가 열

렸을때 한식세계화 추진단 자문위원 안정현씨는 영부인 김윤옥여사의 의견을 참고하여

비빔밥대신 잔치국수를 메인디쉬로 한 식사메뉴 여섯가지 코스구성을 하였는데 그때 사

용된 식기형태가 모두 사각형태의 식기였다. (사진1 참조)

위 사례는 이번 연구의 주제가 된 사각형접시와 메인디쉬는 메뉴, 사례별 한식기 구성 중

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식기 아이템이라고 생각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 식당, 일반가정

식탁 사례 조사와 설문 결과를 통하여 보면 당시의 테이블세팅이 인터넷에, 일반에 널리

소개, 회자되었는데 이에 대한 영향인지 외식업체들의 테이블세팅이나 우리 서민들의 일

상 생활 식탁에서도 사각형태의 식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사진2참조)

본 연구자는 1985년도부터 밥그릇을 중심으로 하는 한식기 디자인 연구를 하여 왔으나

지난 20년간을 돌이켜 보면 요즘 국가적 큰 행사에서 본격적으로 한식의 세계화가 잇슈

화되고 있는 것에 비하여 한식의 정체성은 이미지들만 난무하여 한식기의 기본 구성품조

차 정립되어있지 못한 상황이어서 식기생산자와 사용자 양쪽이 혼란스럽다. 요는 코스화

된 양식의 메뉴처럼 상차림, 서빙순서 등 규범화가 필요하다. 국가적인 대규모 행사가 아

니어도 일반가정의 소규모 이벤트, 일상 식사시에도 사진1과같이 일상적인 식기형태가 아

닌 그릇을 사용하면 새 옷을 입을 때처럼 즐거울 것이다. 사진1에서 사용된 식기는 도예

작가의 일품생산방법에 의해 제작된 그릇이다.

12 한국도자학연구 Vol. 8 No. 1 2011 김 명 란

사진3-1,2,3,4(좌측부터).

도자식기 생산측 반상세트중 사각형 접시 (청주도자박물관,한국도자기)

2005년 2011년도

원 형(圓形)으로만 이루어졌던 반상 식기 세트에 사각 형태의 그릇이 적극적으로 대량생

산된 것은 2005년도 경으로 생각된다.(사진3- 3참조) 사각 형태 그릇은 여러 가지 반찬을

나란히 배치하는 평면 공간형 한식 배선에 틈새없이 많은 반찬을 배치할 수 있고 액센

트가 되어 식탁의 변화를 주어 새 옷을 입은 것처럼 눈이 즐겁다. 그러나 주의하지 않으

면 사진2- 2,3 처럼 원형과 달리 사각 형태의 한 변과 직선의 변화는 정확하게 줄을 맞추

지 않으면 더욱 산만한 식탁구성이 된다.

2.3. 한식기 구성품의 사례조사

- 선호도 1위의 김치찌개와 김치그릇의 메인디쉬화

우리나라 직장인들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23일 남녀 직장인(1121명)을 대상으로 '2009

올해의 점심메뉴 톱 5'를 조사한 결과, 전체 응답자 중 45.0%가 가장 선호하는 메뉴로 '

김치찌개', 다음이 된장찌개(32.4%), 백반(27.8%), 비빔밥(27.2%), 돈가스(26.1%), 김밥과 자

장면, 부대찌개, 부침개, 삼계탕 등이 10위안에2) 들었으며 2011.2.17 일본의 인기 정보 프

로그램 “와랏테이이토모” 에서는 세대별 일본여성이 가장 좋아하는 국물요리 조사결과

20대부터 60대까지 전부 1위가 김치찌개였고, 2010.11월1일부터 12월31일까지 마케팅 조

사회사 휴마가 회원 248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도 20대가 가장선호하는 국물요

리 1위 역시 김치찌개였다고 한다.3)

한편 문화체육관광부는 국가 별로 한식 세계화의 방향을 수립하기 위해 지난해 ‘국가별

20대 한식메뉴 개발사업’ 보고서를 발표했다. (사)한국외식산업경영연구원이 2007년 10월

에서 2008년 3월까지 6개월에 걸쳐 조사한 결과 일본 현지인이 선호하는 한식메뉴는 김

치, 부침개, 불고기, 비빔밥, 떡볶이, 삼겹살, 찌개, 갈비 등 한국거주 일본인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삼겹살, 찌개류, 부침개, 떡볶이, 불고기 등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4)

또한 국내, 외국인에게 선호도 1위인 김치찌개 용기는 대부분 옹기제 뚝배기. 내열도기

인 뚝배기에 열을 가했을때 세제거품이 많이 유출된다는 연구 결과에도 불구하고 뚝배기

에 대한 우리나라 국민들의 높은 선호도는 식문화 보수성을 보여주며 앞으로 도자식기

아이템 연구개발이 필요한 부분이다.

2) blog.daum.net/01195077236/710 | 사랑의 밥상

3) 출처 일본뉴스포털 Jpnews.kr에 의하면 일본인이 좋아하는 한식랭킹 1위.삼계탕,2위 순두부찌개,3위 부침개,삼겹살,4

위 비빔밥,전복죽,고기,5위 닭갈비,떡볶이,만두라고한다.

4) 최밍키 기자 cmk@ Foodbank.co.kr 2009-08-18

한국도자학연구 13

사진4-1,2,3. 김치그릇의 대형화사례

샤브샤브집의 김치 그릇, 전통적인 보쌈 김치의 그릇, 냉면그릇에 담은 물김치

사진5-1, 2, 3.

직사각형 생선접시의 정형화 사례

김치가 한식을 대표하는 중요 아이템으로 유명해진 것은 오래전 일이며 일본에서도 기

무치라는 명칭으로 중국에서도 OEM으로 김치제조법이 널리 퍼져있다. 한국에서 만든 원

조 김치에 대한 평가는 맛에 대한 것뿐만 아니라 한식의 메뉴들과 함께 김치 관련 요리,

김치 찌게가 한식의 대표 선호음식으로 손꼽힌다. 보쌈으로 일컬어지는 돼지고기와 김치

의 만남, 김치전, 김치볶음밥 등 김치는 식탁의 주인공으로 변화되어 김치담는 그릇크기

도 그에 맞추어 메인디쉬화, 대형화 되었다.(참고사진4-1,2,3)

- 생선접시의 직사각형태 정형화 및 찬기 사각접시 대형화

본 연구자의 식기사례조사를 통하여 메뉴별로 정리한 총 54건의 사례를 보면 크게 두가

지면에서 변화한 것을 알 수 있다. 첫 번째 변화는 생선접시의 경우 대부분 직사각형의

접시로 사용, 변화한 점이고 두 번째 변화는 메인디쉬의 형태, 크기가 사각형이나 27센치

이상의 크기로 대형화되어 음식의 형태, 내용에따라 식기를 선택하고 사용하는 식탁세팅

에대한 의식화가 진전되었다는 점이다.(사진5-1,2,3 참조)

3. 한식기 구성품의 사례 도면화및 구성안 비교분석

3. 1. 2인반상 구성안 제안

2009년도 제안한 한식기 모듈은 4인 식탁평면, 또는 일인매트에 주식기 평면 크기인 밥,

국그릇의 지름 11센치와 지름 14센치를 기준으로 찬기 11센치 소접시, 14센치 중접시, 17

센치 대접시, 그리고 22센치 특대접시 총 4종이다.

본 연구방법도 이 모듈을 기본으로 각 변이 11, 14, 17, 22센치의 정사각형과 17, 22센치

를 긴 변으로 하는 직사각형의 카드를 만들어 추가 구성하였다. 2009년도 원 형태의 모

14 한국도자학연구 Vol. 8 No. 1 2011 김 명 란

사진6- 1, 2. 2인반상 구성안

( 직경 11, 14, 17,22센치 원형카드및 각 변이 11,14,17,22센치의 정사각형과 긴변의

길이가 17, 22센치의 직사각형 카드 사용)

듈에 사각 형태의 그릇 크기별로 60*60센치 평면 공간형에 배선, 실험 결과 총 20건의 규

범구성안을 최종안으로 선별하였다. (사진6-1, 2. 참조)

본 실험을 통하여 2009년 논문 발표이후 외식업체들의 한식코스요리의 세팅방법도 개성

화되고 원형의 식기일색에서 메인 디쉬, 찬기의 사각형 접시 사용사례도 많아져 이에 대

한 별도의 크기, 형태 구성연구가 필요하다는 생각이다.

3.2. 메뉴 사례별 식기구성 도면화와 규범구성안 비교 분석.

1990년 이후 매년 학생들의 실제 생활도자 사용상황을 사진으로 제출 받아왔는데 최근

2, 3년사이에 가정식탁 식기 배치에 대한 의식 변화와 함께 사용자에 따라 개성적인 식기

사용 방법을 발견하게 되었다. 10년전 식탁세팅에 대한 의식은 물론 식기에대한 관심이

전무하던 시절과 비교하면 보수적이라는 식생활의 이러한 변화에 우리나라 경제와 정치,

식문화 발전 과도기를 피부로 느끼게 된다.

아래 사진 7, 8, 9의 표의 내용은 왼쪽부터 식기사용 실제 사례 사진이고 그 다음의 도

면은 실제 사례를 식기 크기 비례에 마추어 그린것이다. 그 다음 규범 구성안은 사진6-

1, 2의 식기 모듈 크기 카드로 구성한 2인 반상 식기 구성안 중에서 실 사례의 반찬 가짓

수와 메인 디쉬의 크기 등이 적합한 것을 선택한 것.

사진 7- 1, 2, 3을 제외한 나머지의 실 사례 구성도면과 규범 구성안을 비교해 보면 사각

접시를 이용하면 평면 구성이 벌어지고 산만해지는 원 형 식기 구성 외곽선을 정리 정돈

할 수 있으며 4인용, 6인용 식탁에서도 일 인용 식기 구성 경계 표현이 가능한 장점이 있

다. 시각적인 평면 구성의 짜임도 실 사례 도면과 비교하면 균형있는 구성이 되었다.

이와 같은 실험 방법은 본 연구자가 처음으로 시도해 본 것으로 앞으로 테이블세팅의

경우나 외식업체의 메뉴에 따른 식기 구성 시뮬레이션 방법으로 유용할 것이라 생각된다.

한국도자학연구 15

사진7- 1, 2, 3.

개성적인 밥,국그릇의 형태와 한 개의 모듬찬기로 사용한 직사각형접시 사례

: 이 사례는 2010년도 봄학기 제출된 대학2학년 학생 가정의 일인용 반상.

일반적으로 6종류의 찬기에 담아내는 나물류, 밑반찬류를 하나의 사각접시에 모듬으로

배선하였다. 본 연구목표와 동일한 식기숫자 줄이기, 밥,국그릇의 개성화, 균형있는 식탁

구성이 돋보이는 세팅 사례.

사진7-1. 실제 사례 사진 사진7-2. 실제사례 도면화 사진7-3. 규범 구성안

사진8-1,2,3,4,5.(상단부터)

-주메뉴는 달라도 종지형 찬기6종을 기본으로 배선한 사례와 도면화, 규범안사진8-1.실제사례 사진 실제 사례 도면화 규범 구성안

16 한국도자학연구 Vol. 8 No. 1 2011 김 명 란

사진9 - 1, 2, 3, 4, 5.(상단부터)

- 타찬기와 구별하여 메인디쉬의 크기를 큰 접시로 사용한 사례사진9-1. 실제 사례 사진 실제사례 도면화 규범 구성안

1. 식기구입시 세트로 구입합니까?

① 예 ② 아니요 ③ 관심없다

2. 다음 식기중 어떤 식기를 사용하고 싶습니까?

① 우리나라 전통적인 디자인과 색채 ② 유럽스타일의 화려한 디자인과 색채

4. 한식기 구성품에관한 설문조사및 통계

4.1. 설문 문항

한국도자학연구 17

③ 심플하고 기능적인 형태의 디자인과 흰색 ④ 심플하고 기능적인 형태의 디자인과 컬러플한 색채

⑤ 관심없다

3. 선호하는 식사스타일

① 퓨전스타일: 빵과 밥, 찌개, 면등 융합한 메뉴.

② 한식 : 김치와 찌개중심의 메뉴

③ 아침은 간편하게 (빵 또는 분식,시리얼). 점심,저녁은 한식

④ 식사메뉴에 관심없다.

4. 가장 많이 사용하는 그릇(사용빈도: 순서별 기입)

① 오목한 완의 밥,국그릇 ② 라면그릇(사발)-면기, 비빔밥용,등

③ 사각접시 ④ 생선접시

⑤찬기-오목한 접시 ⑥ 납작한 둥근접시 ⑦냉장고용밀폐용기

5. 앞으로 구입하고 싶은 식기.(복수가능)

① 오목한 완의 밥,국그릇 ② 라면그릇(사발) ③ 사각접시 ④ 생선접시 ⑤찬기-오목한 접시

⑥ 자신만의 밥,국그릇 ⑦ 대형접시(27센치이상) ⑧ 관심없다

4. 2. 2001년도 식기설문조사 통계결과

4.2.1.

식기는 세트로 구입하지않는다가 63.6 %, 세트구입-25.4%.

4.2.2.

식기디자인과 색채는 연령별로 차이가 있어서 구별하여 집계를 하였다. 20대는 4번의 심

플하고 기능적이고 컬러한 것을 선호한다가 30%, 3번의 심플하고 기능적인 흰색식기 선

호도가 20%, 1번의 전통적 디자인과 색채의 식기가 18%이다. 한편 3~50대의 경우는 3번

의 심플,기능적, 흰색의 식기 선호도가 50%, 4번의 심플, 기능적, 컬러풀한 식기가 20%,1

18 한국도자학연구 Vol. 8 No. 1 2011 김 명 란

번의 전통적디자인과 색채의 식기가 20%, 유럽스타일의 홈세트와 수입도자기는 10%선으

로 연령무시한 전체 통계는 4번이 (심플, 컬러풀)39.1%, 3번(심플,화이트)이 29.1%, 1번의

전통디자인이 21%, 2번의 유럽스타일 홈세트가 11%이다.

4.2.3.

선호 음식스타일은 한식만-36.3%, 한식포함-28.1%, 퓨전스타일-23.6%, 선호하는 식사스타

일은 2번,3번 합하면 하루 한기이상은 한식이64.4%이다.

4.2.4.

앞으로 구입하고 싶은 식기 1위는 자신만의 밥, 국그릇-43%, 2위는 대형접시-13%, 이외

대부분 10%미만으로 자신만의 밥,국그릇의 개성화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본 논문의 주

제로 다루고 있는 대형접시에 대한 요구도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5. 결론

2009년도 발표한 한식기 기본 모듈에 관한 온라인 시장조사 결과 수입도자기 포함하여

15개업체의 한국인을 위한 식기 세트중 밥, 국그릇의 크기9(지름11센치와 지름14센치)가

본 연구자 발표내용과 대동소이하였다. 수입도자기제품이 직경 1센치에서 1.5센치 큰 정

도로 2센치를 넘지 않았다. 물론 직경 1센치의 크기는 부피면에서 차이가 크다. 특히 우

리나라 일반가정에서 가볍고 깨지지 않는다고 인기높은 코렐제품의 밥, 국그릇은 직경12

센치, 15.7센치이다. 밥에 나물, 찌개국물을 비벼먹길 좋아하는 우리들의 식습관을 생각하

한국도자학연구 19

사진10-1. 한식 코스의 세팅과 식사차림 사진10-2. 양식의 세팅

면 공기밥그릇보다 큰 그릇이 편리할 것이다. 이러한 디자인의 문제가 식기구성에 관련된

다. 본 연구에서 결론을 얻은 것은 우리나라 식탁이 실로 풍요로워졌고 소비자들의 의식

도 패션적이고 식탁구성도 창의적인 모습으로 변화했다는 점이다.

본 연구의 주제인 실제사례에서 많이 사용되고있는 사각형의 찬기와 대형접시를 원형

모듈과 평면형으로 구성, 실험한 결과 원형 그릇만으로 구성한 것보다 평면공간형인 우리

식탁에 어울린다는 결론을 얻었다.

앞으로 소비자들의 눈높이가 높아진 만큼 이러한 소비자들 유행을 선도하려면 IBM이

나 삼성, LG회사들처럼 한식기에서도서로 호환가능한 기준을 두고 그 안에서 디자인, 컨

텐츠 경쟁을 하여야 발전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식단의 메뉴별 규범화 기준을 가지

고 그 안에서 새로운 아이템과 디자인으로 패션을 유도하는 디자인개발에 관한 적극성이

요구된다. 코렐이 유리제품이라서 열등하다는 논리보다 그릇의 투광성과 장식성을 높인

기술이 사용자의 편리성과 만족감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소비자측의 요구를 먼저 생각해

봐야 할 일이다. 도자기의 기술수준은 이미 식기의 기능을 충족시키고도 남을 만큼 아니

오히려 사용하기 아까울 만큼 구축되어있다. 전 세계의 도자시장을 일본이 중국 대신 동

양도자기를 유럽에 수출하고 경제대국의 기반을 다진 것처럼 이제부터는 IT강국의 힘으

로 세계 도자시장의 패션을 끌어갈 디자인 인재를 활용해야 한다.

2001년도 가정용 식기에관한 설문조사결과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생각할 수있다.

- 식기수량이 30피스이상 대량으로 구성된 홈세트 또는 반상세트에대한 소비자들의 요구

가 줄어들고있다는 사실이 입증되었다. 따라서 많이 만들어 많이 판다는 대량생산체제의

시대는 이미 유럽,일본등 선진제국의 사례에서도 알 수있듯이 소량 다품종화에대한 식기

디자인개발과 시대성 있는 아이템개발이 필요하다고 본다.

- 설문항의 4번과 같은 컬러플한 식기에 대한 요구는 설문대상자 90%가 젊은이들이기 때

문에 당연한 결과이나 패션계의 유행심리처럼 시대성을 반영한 결과라고 생각된다. 즉 식

기의 패션도 다양해지면 생산라인도 활발해질 것이므로 좋은 현상이라고 생각할 수있다.

- 한식의 세계화 운동만이 아니라 실제 식생활은 젊은이들도 한식을 선호한다는 사실은

앞으로도 한식기디자인이 꾸준히 개발되어져야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있다.

- 앞으로 구입하고싶은 식기 1위가 자신만의 밥, 국그릇으로 43%에 달한다는 설문결과는

의외이다. 그러나 이시대의 식기의 개성화를 주장하여온 본 연구자입장에선 확신을 얻게

된 결과이다. 또한 2위가 대형 접시 구입희망이라는 결과 역시 본 연구의 주제이기도하여

이시대의 사각 대형 접시에대한 소비자요구를 확인할 수있다.

대형 사각접시 선호도는 사진10-2와 같은 간단한 양식의 식기세팅과 관련이 있다고 보인

다. 이에대한 식기구성 규범화연구는 앞으로도 계속 지속되어 실생활에 배로먹는 한국인

20 한국도자학연구 Vol. 8 No. 1 2011 김 명 란

사진11-1. 2011 수원대학 2학년

맹희진학생이 가정에서 직접 요리하고 세

사진11-2. 2010 수원대학 4학년 김나래학

생이 한국도자기인턴실습으로 그릇을 선

택하여 직접 요리하고 세팅한 사례

의 배고픈시절의 이미지를 벗어나야겠다.

한편 컬러플한 식기디자인의 선호도는 사진 11-1과 2를 비교하면 알 수 있다. 대학생들이

직접 요리하고 컬러플한 그릇에 음식을 세팅하여 가족과 함께 즐거움을 나누는 유쾌한

분위기가 식탁에서 느껴진다.

참고문헌

1. 김명란, 생활도자공예디자인, 세진사, 1997

2. 문화가 살아있는 상차림 그릇전-오늘의 식기-,제8회 김옥길 기념강좌,2008

3. 현대도자식기의 기형과 모듈,재단법인세계도자기엑스포,2007

4 .김명란, 식기디자인방법과 활용화, p8,제17회도자기심포지움 학술대회 발표논문,2004.10.21

5. 김명란, 현대도자 한식기의 일인반상 규범화연구, 한국도자학연구vol.6 No.1, 2009, p12.

7. blog.daum.net/01195077236/710 | 사랑의 밥상

8. 최밍키 기자 cmk@ Foodbank.co.kr 2009-08-18

9. 각종 인터넷 쇼핑몰( cjmall, auction 등) 참고

한국도자학연구 21

한국도자학연구

http://www.kscad.or.kr

한국도자학연구136-742서울시 성북구 동선동3가 249-1 성신여자대학교 미술대학 공예과 조형1관 B102호Sungshin Women`s University Crafts Arts 249-1,Dongseon-dong 3-Ga,Seonbuk-gu,Seoul, Korea 136-742TEL : 02)920-7491 / FAX : 02)920-2088E-mail : [email protected]

한국도자

학연

구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

eramic A

rts Vol.8 No.1 2011

Vol.8 No.1 2011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eramic Arts

ISSN 1738-8473

메뉴.사례별 한식기 반상 규범화 연구- 사각형접시와 메인디쉬 디자인을 중심으로 -

김명란

베트남 중부지역 출토 무역도자기- 9 . 10세기 중국과 서아시아도자기를 중심으로 -

김인규

소규모 도자공예산업에서 디자인경영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김희균

스테인리스 망을 이용한 도자기 캔버스에 관한 연구나유석

서동희 작업 1970 ~ 2010까지의 도자 예술의 조형적 특징 연구- 연대별로 1970년대,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 -

서동희

2010 울산세계옹기문화 엑스포 개최지 속성이 도시이미지 형성에 미치는 영향

손호익

17 . 18세기 한.중.일 청화발색과 청화기법에 관한 연구- 일본 아리타의 청화기법을 중심으로 -

이은미

공예의 경제적 가치확대를 위한 대학 교육과정 유형화 연구차화숙.류준호

Study for Standardization of menu, case-by-case korean style tableware-Constitution of a rectangular dish and main dish design-Kim, Myung Ran

The Trade Ceramics excavated in the middle area of Vietnam- Focused on Chinese and West Asia Ceramics of the 9, 10C -Kim , In Gyu

Impact of Design Management on Business Performance of Small Firms in the Ceramic Craft IndustryKim, Hee Gyun

Study of making ceramic canvas to use stainless steel meshNah, You Seok

Study on the Form and Color of Dong Hee Suh’s Ceramic Work-from 1970 to 2010: Discussed Chronologically by Decades-Dong Hee Suh

An effect of the properties of Onggi Expo Ulsan Korea2010’s venue on city imageSon, Ho Ik

A study on the 17.18 centuries a blue and white color and blue and white techniques, of Korea, China, Japan-blue and white techniques in the Arita area of Japan mainly-LEE, Eun Mi

A study on higher education typology for expanding the economic value of craftsCha, Hwa Suk . Yoo Jun Ho

coverVol.8-1.indd 1 11. 08. 30 오후 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