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SAIC 1 (SILVER EDITION) CHAPTER 2, 4, 6, 8, 10 해석본

60
MOSAIC 1 (SILVER EDITION) CHAPTER 2, 4, 6, 8, 10 해석본

Transcript of MOSAIC 1 (SILVER EDITION) CHAPTER 2, 4, 6, 8, 10 해석본

MOSAIC 1 (SILVER EDITION)

CHAPTER 2, 4, 6, 8, 10

해석본

1

< Index >

Chapter 2 Teamwork and Competition

Part 1: Beckham: An Autobiography

Part 2: Outward bound

Chapter 4 Health and Leisure

Part 1: Eat Like a Peasant, Fell Like a King

Part 2: Here come the Tourists!

Chapter 6 Money Matters

Part 1: Executive Takes Chance on Pizza, Transforms Spain

Part 2: The Luncheon

Chapter 8 Creativity

Part 1: Guggenheim Museum, U.S.A.

Part 2: Music Makes the World Go’Round:Lila Downs, Nancy Ajram…

Are Men More Creative than Women?

Chapter 10 Crime & Punishment

Part 1: Hooked on Crime

Part 2: Eye Witness

2

CHAPTER 2 TEAMWORK AND COMPETITION

Part 1: Beckham: An Autobiography (베컴: 자서전)

A. I took a knock or two during my first year in Madrid. With the standards set by the club, you

could never say you were in a comfort zone at Manchester United. But for 15 years, Old Trafford

(Stadium) had been home for me, as a soccer player at least. I knew how things worked and

understood exactly what was expected of me. Now I’d been whisked off to a new club in a new

country and didn’t really have a clue what was coming next. I was bracing myself for the

challenge: unfamiliar surroundings, a different language, and another way of life. Soccer’s

soccer wherever you’re playing it, of course, but I was pretty sure that training at real would be

very different to what I’d grown used to back home. How much of what I’d learnt so far, as a

player and as a person, was going to be of any use to me here?

A. 나는 Madrid에서 첫해 동안 힘든 시간을 보냈다. 그 클럽이 제정한 기준들로 인해서, 여러분은

Manchester United에서 편안함을 느꼈다고 결코 말할 수 없었을 것이다. 그러나 15년간, Old

Trafford(경기장)은 적어도 축구 선수로서, 나에게 편안한 곳이었다. 나는 어떻게 일들이 운영되는

지 알았고 나에게 기대되어지는 것을 정확히 이해하고 있었던 것이다. 나는 새로운 국가의 새로운

팀으로 빠르게 이적했고 다음에 어떤 일이 벌어질지 알 수 없었다(단서조차 찾을 수 없었다.). 나는

익숙하지 않은 환경과 다른 언어, 그리고 사람의 다른 방식과 같은 도전을 위해 마음의 준비를 하

고 있었다. 물론, 여러분이 축구 경기를 어디서 하고 있든 간에 축구는 축구지만, 나는 Real에서

하는 훈련이 내가 영국에서 익숙해져 있었던 것과는 다를 것이라는 것 만은 매우 확실했다. 내가

한 선수로서 그리고 한 인간으로서 지금까지 배운 것들이 얼마 만큼이 여기서 나에게 유용할 것인

가?

B. It didn’t help matters that I’d had some of the Spanish paper talk translated for me. Although

I got the feeling that, In England, people wanted me to do well, Some of the pundits here were

saying that Florentino Perez had just signed me to help the club shift replica shirts. I’m

confident in my own ability but, that summer morning at the training ground, there was a little

twist in the pit of my stomach: it felt as thought I‘d arrived in Madrid with something to prove. For

a start, I had the prospect of lining up alongside the galacticos.

B. 나 자신을 주제로 스페인 신문과의 대담을 가졌던 일은 문제 해결에 어떤 도움도 되지 못했다.

비록 영국에서 있을 때는 사람들이 내가 잘하길 바란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지만, 여기 있는

전문가들 중 몇몇은 구단주가 클럽이 복제 셔츠를 파는 것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 나에 대한 계

3

약에 서명했다고 말하고 있었다. 나는 내 자신의 능력에 자신이 있었지만, 그 해 여름 훈련장에

서, 조금 불편한 느낌이 들었다. 즉 나는 내가 입증해야 할 무언가를 가지고 마드리드에 도착한

것처럼 느꼈다. 처음에는, 기라성 같은 선수들(galacticos = galaxy)과 출전 선수 명단에 서기를

기대했다.

C. I was still pretty nervous when the balls came out and we got down to training. Was it

because of what other people might have been saying or was it me feeling a bit unsure of

myself?

C. 공이 나오고 우리가 훈련을 시작할 무렵 나는 여전히 꽤나 안절부절 못했다. 다른 사람들이 말

해왔을지도 모를 평가 때문이었을까 아니면 나 자신에 대해 약간의 불확실함을 느끼는 내가 문제

였을까?

D. We had a friendly against Valencia at the Mestella (Stadium) that didn’t go well for me or the

team. Then we were away to Real Mallorca (Stadium) and just never found a shape or pattern.

Worse for me, Carlos took me off ten minutes into the second half. The next day, I didn’t need

to understand the articles to get the drift of the headlines. Basically, people were saying: Is that

It? If it is, what’s he doing in Spain?

D. 나와 팀에게 좋은 경험을 주지 못했던 Mestella(경기장)에서 우리는 Valencia를 상대로 친선 시

합을 가졌다. 그리고 나서 우리는 Real Mallorca(경기장)에 원정경기를 갔는데, 우리 팀은 어떤 조

직력이나 패턴(공격/수비 등의 전형적인 축구패턴)을 갖추고 있지 못한 상태였다. 설상가상으로,

Carlos는 후반 10분에 나를 경기에서 제외시켰다. 다음날, 나는 헤드라인(표제어)을 완벽히 이해

하기 위하여(get the drift) 주요 해당 뉴스의 기사를 읽고 그 기사를 이해할 필요가 없었다. 기본적

으로, 사람들은 말하고 있었다: 겨우 이게 전부인가?, 그렇다면 그가 스페인에서 무엇을 할 것인

가?

E. Everything that had gone wrong in Mallorca seemed to come right at the Bernebeu (Stadium).

Almost from kick-off you could tell it was going to be our night. Raul and Ronaldo both scored

and then, about a quarter of an hour from the end, Ronaldo got away down the left wing. I was

on my way forward, but I was thinking: he’ll not cross it here. He’s bound to cut in and go for

goal. He swung it over, though, and I could tell it was going to miss out Guti at the near post.

As I jumped, I could see the goalkeeper coming to challenge and just concentrated on keeping

my eyes open. It was a fantastic cross. I was in the right place for the ball to hit me on the

head and go in, without me having to direct it at all. I could hardly believe it was happening. My

first game at the Bernebeu and I’ve just scored my first goal for Real Madrid.

4

E. Mallorca에서는 잘못 되어 졌던 모든 것들이 Bernebeu(경기장)에서는 잘 되어 가는 것 같았다.

거의 경기가 시작되자 마자 모든 사람들이 우리가 승리할 것(be our night)이라고 예견하는 정도로

분위기가 좋았다(말할 수 있을 정도였다). Raul과 Ronaldo가 득점을 하고 나서 시합 종료 대략

15분 쯤에, Ronaldo가 왼쪽 날개로 배치되었다. 나는 앞으로 전진하는 와중이었으나 그가 내가 있

는 방향으로 공을 연결해(cross it) 주지는 않으리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그는 상대 선수 앞으로 파

고 들어(cut in) (공을 가로채서) 골을 넣을 작정이었다. 그러나 그가 공을 쭉 돌려 찰 때서야

(swung it over) 나는 이것이 가까운 쪽의 골대(near post) 근처에 있는 Guti에게 못 미칠 것임

(miss out)을 알 수 있었다. 내가 뛰어 올랐을 때, 나는 공을 잡기 위해 오는 골키퍼를 볼 수 있었

고 단지 내 눈을 크게 뜨고 집중하려고 노력했다. 그것은 환상적인 크로스였다. 나는 방향을 잡아

줄 필요도 없이, 공을 머리로 맞출 수 있는 최적의 장소에 있었다. 나는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잇는

지 거의 믿을 수 없었다. Bernebeu에서 첫 경기였으며, 나는 Real Madrid를 위한 첫 번째 골을 기

록했다.

F. The other players all rushed over towards me. Roberto Carlos hugged me and lifted me off

the ground. I think the rest of the team understood what the moment meant to me. The Real

crowd had been great with me all night, never mind what doubts I’d had beforehand. My first

touch of the game. I chested the ball off to someone in midfield- a simple touch to a teammate

– and the fans were all up on their feet clapping and cheering.

F. 다른 모든 선수들이 나를 향해 달려들었다. Robert Carlos 감독이 나를 안았고 나를 헹가래 해

주었다. 나는 그 팀의 나머지 사람들이 그 순간이 나에게 무얼 의미하는지 이해했다고 생각한다.

Real의 군중들은 밤새 나와 기쁨을 나누었고, 내가 전에 가졌던 의식들에 마음을 두지 않았다. 처

음 경기에서 나는 공을 미드 필드에 있는 누군가에게 가슴으로 전달해 주었다(Chested). 그것은

팀 짝에게 단순히 차준 것에 불과한데 팬들이 모두 일어서서 박수치고 환호했다.

G. I’d been so unhappy during my last few months at Old Trafford. Now, in those few seconds

as I celebrated with a new set of teammates who’d already done everything they could to make

me feel at home, I knew for sure that by moving to Madrid, I’d done the right thing.

G. 나는 Old Trafford에서 지난 몇 달간 매우 불행했었다. 내가 편안함을 느끼도록 그들이 할 수

있는 모든 것들을 이미 했던 새로운 한 무리의 동료들과 함께 축하할 때 그 짧은 몇 초간, 나는

내가 Madrid로 옮김으로써, 옮은 일을 했다는 것을 확실히 알았다.

5

Part 2: Outward bound (세계를 향한 도약)

A. On a chilly night in the mountains south of Seoul, Kim, CEO of LG Electronics, Inc.,

holds a paper cup filled with soju, a clear, sweet Korean drink with a vicious bite.

Surrounding him are a dozen of the 300 LG suppliers’ managers whom Kim has spent

the day lecturing and rallying. They have also been hiking up a snow-covered

mountainside-necessary training, he says, for the grand plans he has for South Korea’s

second largest electronics firm. At the end of the day, he treats a group of employees to

an outdoor barbecue of grilled pork and bowls of fiery red kimchi. “Great people! Great

company!” he barks. “Great company! Great company!” they chant back.

어느 추운 저녁 서울 남쪽의 산기슭에서 LG전자의 CEO인 김쌍수 부회장은 고구마에서

만든 독한(vicious) 맛이 나는 맑은 소주를 가득 담은 종이컵을 높이 들었다. 주위에는 그

날 함께 강의하고 집회(rallying)를 가지며 보낸 LG전자 협력업체 사장단 10여 개 그룹의

300명이 둘러쌌다. 그들은 눈 덮인 산을 올랐다. 한국 2위의 전자업체의 거대한 계획을

위해서는 필요한 훈련이라고 그는 말한다. 그날의 마지막 파티에서 그는 돼지고기 바비큐

와 빨갛고 매운 김치를 LG전자 직원들에게 대접한다. 김부회장이 “Great Company! Great

People!”이라고 선창하면 직원들도 “Great Company! Great People!”을 주먹을 일제히 흔

들면서 따라 외친다. 김쌍수 부회장은 소주를 단숨에 마시고 다음 테이블로 가서 또 소주

를 마시고 격려를 한다. 이는 계속 이어진다.

B. When dancing girls in short skirts and blond wigs start jiggling to ear numbing Korean

pop music, the tireless Kim, 59, cavorts in a mush pit of workers near a stage. Later he

ascends the stage himself, microphone in hand, to croon out a popular oldie called Nui

(Sister). “We love our CEO,” says Kim Young Kee, an LG executive V.P, “He shows us a

good time.”

귀청이 찢어질 듯한(ear numbing: 귀를 멍하게 하는) 한국유행가에 맞춰 짧은 치마와 노

란 가발을 쓴 치어리더들이 춤을 추며(jiggling: 가볍게 흔드는 모습) 나오자, 지칠 줄 모르

는 59세의 김쌍수 부회장은 임시무대 아래에서 취한(mush pit: 광란의 모습을 보이는) 직

원들과 서로 부딪치며 춤을 춘다. 나중에 그는 무대에 올라 마이크를 손에 잡고는 “누이”

라는 옛 가요를 나직하게 부른다(croon out: 나지막하게 부르다). “우리는 부회장님을 좋아

합니다.”라고 LG의 김영기 부사장이 말한다. ‘부회장님은 항상 직원들을 즐겁게 해주시

죠.”

C. CEO’s rarely stoop to carouse with the common man in an Asia dominated by secretive

business clans. But Kim is no ordinary Asian boss. He began his career 35 years ago

6

as a nondescript engineer at an LG refrigeration factory, climbed the ranks and claimed

the CEO post in October. Now he aims to duplicate the same feat with LG-lifting a

company little known outside Asia into the stratosphere of global brands with Sony,

Panasonic, and Samsung. “I want to go down in LG history,” says Kim. “After death, a

tiger leaves its skin. A man leaves his name.”

비밀스런 재계(財界) 인맥과 엘리트 조직이 지배하는 아시아에서 CEO가 보통 사람들과

술을 마시려고(carouse: 떠들썩하게 잔치를 벌이다) 자세를 낮추는 일은(stoop) 거의 없다.

그러나 김쌍수 부회장은 그런 일반적 유형의 보스와는 전혀 다르다. 그는 35년 전 LG의

냉장고 공장에서 특징없는(nondescript) 엔지니어로 직장생활을 시작해서 진급을 했고

(climbed the rank) 작년 10월에 CEO 자리에 오르게 되었다. 이제 그는 자신의 성공을

LG에서도 똑같이 이루어 낼 생각이다. 아시아 밖에서는 잘 알려지지 않은 이 가전업체를

Sony, Panasonic, 삼성과 같이 글로벌 브랜드의 최고위치(stratosphere)로 끌어올리려고

한다. “나는 LG역사에 길이 남으려고 한다(I want to go down in LG history). 호랑이는 죽

어서 가죽을 남기고 사람은 이름을 남긴다.” 라고 김쌍수 부회장은 말한다.

D. LG seems well on its way. Revenues jumped 18% last year, to $17 billion, and net

profits rose 33%, to $556 million. Last year, LG was the world’s largest seller of mobile

phones operating on the CDMA standard which allows more people to use a network at

the same time. It makes dazzling flat screen TVs and other leading-edge gadgets.

LG는 성공가도를 달리고 있는 듯 하다. 작년 한해 매출은 18% 성장해, 170억불을 기록하

였으며 순이익은 33% 올라 5억5천6백만불을 달성하였다. 작년 LG는 동시에 더 많은 접

속자가 통화할 수 있는 표준규격인 CDMA 시장에서 휴대폰 단말기 최대 공급자였다. 이

회사는 멋진(dazzling) 평면 TV와 다른 첨단 제품을 만들고 있다.

E. LG faces plenty of competition. Its biggest rival at home and abroad Samsung

Electronics, whose revenues of $36.4 billion are two times as large as LG’s, has already

hit the U.S. – and scored big successes. Samsung is also ahead of LG in developing a

truly global brand.

LG는 수많은 경쟁에 직면해 있다. 국내외에서 가장 큰 경쟁자인 삼성전자는 매출이 364

억불로서 LG의 2배에 달하는데 이미 미국시장에 진출하여 크게 성공하고 있다. 삼성은 진

정한 세계적 브랜드를 만드는데도 LG보다 앞서 나가고 있다.

F. In this new digital world, LG has a distinct advantage in its ultra-wired South Korean

home base. The demanding Korean market, where an amazing 84% of households

using the Internet have high-speed access propels LG to develop more advanced

7

products and provides a testing ground for new technologies. LG has outpaced Nokia

and Motorola in cramming the hottest new features into its mobile phones. Its latest

model, the SC8000, combines a PDA, an MP3 player, a digital camera, and a camcorder.

이러한 디지털시대에서 LG는 최고로 네트워크화된 한국이라는 홈 Base를 가졌다는 경쟁

우위를 확보하고 있다. 84%가량의 집에서 고속 인터넷을 사용하는 까다로운 한국시장은

LG에게 더 진보한 제품을 개발하도록 압력을 가하면서(propel: 가속화하다) 동시에 신제품

의 test market이 되어준다. LG는 멋진 새로운 기능을 휴대전화에 도입하는데 있어 Nokia

와 Motorola를 제친 바(outpaced)가 있다. 한국에 4월에 출시된 최신모델 SC8000은

PDA,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를 결합한 형태이다.

G. It may seem odd that LG has turned over its top job to a farm boy from a tiny village in

eastern South Korea. Kim Sssang Su spent his childhood knee-deep in the family’s rice

paddies. He admits to being more comfortable visiting factory floors than in his

spacious office overlooking Seoul’s Han River.

이런 중요한 때에 한국의 동쪽 출신의 조그만 마을 출신의 시골소년에게 LG가 최고직위를

넘겨준다는 건 이상하게 보일지 모른다(it may seem odd: 이상하게 보이다). 김쌍수 부회

장은 어릴 때 무릎까지 잠기는 논(paddy)에서 부모의 농사를 도우며 자랐다. 그는 한강

을 조망하는 넓은 서울 사무실보다 공장이나 디자인 센터 등을 방문하는 것이 더 편하다

고 시인한다

H. It would be wrong, though, to underestimate Kim, who has become near legend in Seoul

for the turnaround he engineered at LG’s appliance business. When he took over in

1996, LG was making washing machine and refrigerators for low-cost Chinese

companies. Kim sliced costs by moving production of low-end products to China. He

proved here is room for innovation, introducing, for example, appliances like air

conditioners that can be controlled from the Internet. The result: sales reached $4.7

billion last year, more than twice the number when Kim took control.

그러나, LG의 가전제품 시장에 새로운 문을 열어 서울에서 거의 전설적인 인물이 된 김쌍

수 부회장을 과소평가하는 것은 잘못이다. 그가 ‘96년 넘겨받았을 때 LG는 세탁기와 냉장

고를 만들었는데 하이얼처럼 값싼 제품을 만드는 중국회사 수준과 큰 차이가 없었다. 김

쌍수 부회장은 저가제품은 중국으로 생산지를 이전하여 원가경쟁력을 갖추도록 했다. 인

터넷을 통해 통제가 가능한 에어컨과 같은 가전제품을 개발∙출시함으로써 기본적인 백색가

전에도 혁신의 여지가 있음을 입증했다. 그 결과 매출은 김쌍수 부회장이 처음 맡았을 때

의 2배가 넘는 47억불에 달했다.

8

I. Kim is infusing LG’s other businesses with the same vigor. Called a “commander in the

field” by executives, he storms about LG’s factories and offices poring over details,

issuing commands and spurring on the staff by giving them what he terms “stretch

goals.” Awake at 5:30 each morning for a brisk walk, he openly prefers “morning

people” and holds 7 A.M. breakfast meetings with top executives. “I don’t like the

expression ‘nice,’” Kim says, “I don’t want LG to be perceived as nice. None of the

great companies in the world are nice.”

김쌍수 부회장은 LG의 다른 사업에도 같은 열정을 불어넣고 있다(infuse: (신념/사상 등을

불어넣다.). 임원들로부터 “야전사령관”으로 불리는 그는 LG의 공장과 사무실에 갑자기 들

이닥쳐(storm) 세부사항까지 챙기며(poring over) 지침을 내리고(issuing commands)

“stretch goal”이라고 불리는 적극적인 목표를 직원들에게 주어 박차를 가한다(spurring

on). 매일 아침 5시 30분에 일어나 힘차게 걷고는 ‘아침형 인간’을 공개적으로 좋아한다며

7시에 중역들과 아침을 먹으며 회의를 한다. “나는 ‘Nice’란 말을 싫어합니다. 나는 LG가

Nice하다고 인식되는 게 싫습니다. Great Company치고 ‘Nice’한 회사는 없습니다.”라고

그는 말한다

9

CHAPTER 4 HEALTH AND LEISURE

Part 1: Eat Like a Peasant, Feel Like a King (농부처럼 먹고, 왕처럼 느껴라)

A.

Research around the globe points to a recipe for well-being: eat simple foods, not elite treats.

Start with miso soup, a classically simple plate of pasta al pesto. On to the main course: grilled

chinook salmon, with steamed Chinese cabbage on the side. End with a Greek salad, sprinkled

with olive oil, and a New Zealand kiwi fruit for dessert.

전 세계의 연구들은 웰빙을 위한 한 요리법에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 상류층으로 대접받는(elite

treats) 음식을 삼가하고, 소박한 음식을 먹어라. 된장국으로 시작해서 조금은 고전적으로 보이는

간단한 pasta al pest 으로 나아가, 주 요리로: 중국식 삶은 배추가 곁들여진 구운 치누크족의

연어를 먹고 후식으로 올리브 기름이 뿌려진(sprinkled) 그리스 샐러드와 뉴질랜드 키위로

끝마쳐라.

B.

An eclectic menu, to be sure. But it could contain some of the world's healthiest dishes. Miso

soup, according to recent Japanese research, may help prevent cancer, as may cabbage.

Salmon, olive oil, and the garlic in your pesto can all help fight heart disease. Even the kiwi is

rich in fiber, potassium, and vitamin C. In the last few years, nutritionists have been studying

such international superfoods-dishes from around the globe that may hold the key to healthy

eating. They're building on research that began in the '40s and '50s, when researchers first

realized that a country's diet is intimately connected to the health of its people.

이러한 메뉴는 각종 재료를 다양하게 포함하고 있으면서도(eclectic) 전 세계의 가장 건강에 좋은

요리들까지 몇몇 포함된 식사라고 할 수 있다. 된장국은, 일본인의 연구에 의하면, 양배추처럼

암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한다. pesto 소스에 포함된 연어, 올리브 기름, 그리고 마늘은

심장병 퇴치에 도움이 될 수 있다. 키위까지도 섬유질, 칼륨(potassium) 그리고 비타민 C 가

풍부하다. 지난 몇 년 동안, 영양학자들은 건강식의 열쇠가 될지도 모르는 전 세계의 특별한

음식요리들을 연구하고 있다. 그들은 40 년대, 50 년대에 시작한 조사연구를 이어가고 있을 때

연구원들은 한 나라의 특정 음식(diet)은 그 나라 사람들의 건강과 접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처음으로 깨달았다.

참고: 페스토(pesto)는 가열조리하지 않은 소스로 신선한 바질(basil), 늘, 파인 너트(pine 마

nuts), 파르메산치즈나 페코리노(pacorino) 치즈와 올리브유로 만든 그린 소스(green sauce)이다.

10

C.

Since then, an explosion of medical studies has produced a flood of information on diverse

human diets-from the Eskimos of the Arctic to the Bushmen of Africa's Kalahari Desert. But the

globe-trotting researchers have done more than discover the best features of each country's

cuisine. They've also demonstrated broad nutritional principles that apply to people all over the

world. And their clearest finding is a sobering one.

그때부터, 북극의 에스키모에서 아프리카 칼라하리 사막의 부시맨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사람의

음식에 대한 정보가 폭발적인 의학 연구에 의해 홍수처럼 쏟아져 나왔다. 그러나 지구를 답사한

연구원들은 각 나라의 요리(cuisine)의 최고의 특징만을 발견한 것이 아니었다. 그들은 전 세계의

사람들에 적용되는 광범위한 영양의 원칙들을 또한 보여준 것이었다. 그래서 그들이 분명히 발견한

것은 절제된 소박한(sobering) 음식이다.

D.

In many countries, they've found, the healthiest diet is simple, inexpensive, traditional fare-

precisely the diet that people abandon as they move into affluence. Japanese immigrating from

the high-carbohydrate Pacific to high-fat America have a greater risk of heart disease the more

westernized their diet becomes. The same pattern holds for developing nations that emerge from

poverty into prosperity. Poor people who can't get enough to eat are at risk, of course, whatever

their diets. But as a country's food becomes richer, the scourges of poverty (infectious disease

and malnutrition) are replaced by the "diseases of civilization"(arteriosclerosis, certain cancers,

obesity).

많은 나라에서 가장 건강한 음식은 사람들이 부유해지면서(move into affluence) 버리는 소박하고,

비싸지 않으며, 바로 그 전통적인 음식이라는 것을 발견했던 것이다.

고탄수화물(high0carbohydrate)의 태평양에서 고 지방(high-fat)의 아메리카로 이주하는

일본인들은 그들의 식사가 서구화됨에 따라 심장병의 위험이 커진다. 빈곤에서 번영으로 이동하는

개발도상국에도 똑같은 형태가 나타난다. 물론 먹을 것이 부족한 가난한 사람들은 그들의 식사가

무엇이든 위험하다. 그러나 한 나라의 음식이 풍요로워짐에 따라 "빈곤의 재앙(scourge)(전염병과

영양실조)"이 "문명의 병"(동맥경화, 암, 비만)으로 바뀌어진다.

E.

The simple, ideal diet- often called the :peasant diet- is the traditional cuisine of relatively poor,

agrarian countries such as Mexico and China. It's usually based on a grain (rice, wheat, corn),

fruits and vegetables, small amounts of meat, fish, eggs or dairy products, and a legume.

11

종종 농부의 식사로 불려지는 소박한(peasant), 이상적인 식사는 멕시코와 중국 같은 비교적

빈곤한 농업국가의 전통요리라 할 수 있다. 그것은 보통 곡류(쌀, , 옥수수), 과일과 채소,

소량의 육류, 생선, 달걀이나 우유제품, 그리고 콩이 기본이다.

F.

The advantages are obvious: low fat and high fiber, with most calories coming in the grains and

legumes. "A low-fat, high-fiber diet is a preventive diet for heart disease, certain cancers,

hypertension, adult onset diabetes, obesity," says Dr.Wayne Peters, director of the Lipid

Consultation Service of Massachusetts General Hospital.

명백한 장점: 저지방, 고 섬유질로 대부분의 칼로리는 곡류와 콩에서 섭취. Massachusetts

General 병원의 지방질 상담 서비스 담당과장인 Wayne Peters 박사는 "저 비방, 고 섬유질

식사가 심장병, 어떤 종류의 암, 고혈압(hypertension), 성인병인 당뇨병(diabetes),

비만(obesity)을 예방하는 식사이다" 라도 말한다.

Early Diets: Nuts and Plants

초기의 식단들:견과류와 식물

G.

According to Peters, "We evolved eating a low-fat diet, and that’s what our genetic composition

is really designed to handle." Studies of one of the world’s most primitive diets-and one of the

healthiest ones-back him up. In southern Africa’s Kalahari Desert, some tribes still eat as early

humans did, hunting and gathering. Anthropologists say the foods of the Bushmen are probably

closest to foods that, over two million years, shaped our intestines, our cutting and grinding

teeth, our churning stomachs.

Peters 에 따르면 "우리는 저지방 식품을 먹도록 진화되었고(evolved), 우리의 유전자 구조(genetic

composition)는 그것을 처리하도록 만들어 졌습니다. 세계에서 가장 원시적이고(primitive), 가장

건강한 식단에 대한 연구가 그를 뒷받침해 줍니다.

남아프리카 칼라하리 사막의 몇몇 부족들은 아직도 초기의 인류가 해왔던 대로, 사냥과 채집에

의존해서 먹고 삽니다.

인류학자들은(anthropologist) 아마도 부시맨의 음식이 200 만년에 걸쳐 우리의 장(intestine)과

자르고 갈 수 있는 기능의 치아와, (음식들을)휘젓는 기능의 위장의 모양을 형성해온 그것에 가장

가까운 음식이라고 말합니다.

H.

12

"Hunting and gathering may not have been such a bad way of life," says Richard Lee, an

anthropologist at the University of Toronto who has studied the Kung tribe since the 1960s. "The

main element for the Kung is the mongongo, a superabundant nut eaten in large quantities. They

routinely collect and eat more than 105 edible plant species. Meat is secondary."

"수렵과 채집은 그렇게 나쁜 삶의 방식은 아닐 것입니다." 1960 년대부터 Kung 부족을 연구해온

토론토대학의 Richard Lee 는 말합니다. Kung 의 생활방식의 주요 구성요소는 아주 풍부해서 많은

양이 식용으로 사용되는 견과류인 mongongo 입니다. 그들은 일상적으로 105 종이 넘는 먹을 수

있는 식물들을 채집하여 먹고는 했습니다. 고기는 부차적인 먹이였습니다.

I.

Another student of the !Kung-Stewart Truswell, a professor of human nutrition at Australia’s

University of Sydney -says their eating schedule is really continual "snacking" (the gathering)

punctuated by occasional feasts after a successful hunt. They are nutritionally healthy, the only

shortfall being fairly low caloric intake. And Bushmen show few signs of coronary heart disease.

Those who avoid accidents or other calamities, says Lee, often live to "ripe old age"

Kung에 대해 연구하는 다른 사람인,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 대학의 인류영양학교수인 Stewart

Truswel은 그들의 식사 일정은 성공적인 사냥에 따른 드문 경우의 축제에 의해 중단되는 계속적인

"가벼운 식사”로 구성되어 왔다고 말합니다. 그들은 적은 양의(shortfall) 저칼로리 식사를 했을

뿐(fairly low caloric intake)이지만 영양적으로 건강합니다. 그리고

부시맨들에게서는 관상동맥(coronary) 관련의 심장병을 거의 찾아볼 수 업습니다. Lee가 말하기를,

사고나 다른

재난(calamities)들을 피한 사람들은 고령까지 산다고 합니다. (live to a ripe old age

고령까지 장수하다)

J.

Few people, though, would choose a !Kung diet- or even a simple peasant diet from western

Europe... In an affluent society, it takes willpower to keep fat intake down to the recommended

maximum: 30% of total calories. (The average American gets more than 40% of his calories from

fats.) When a country reaches a certain level of affluence, as the U.S... and Japan... grains and

beans give way to beef and butter. And animal protein- in meat and dairy products- usually

comes packaged with artery-clogging saturated fats and cholesterol.

하지만, 서유럽에서는 매우 적은 사람들이 Kung 의 식단이나 간단한 농촌의 식사를 선택합니다.

부유한(affluent) 사회에서는, 지방 섭취량이 전체 음식에서 최대한 30%보다 적어야 한다는 권고를

지키기 위해서 자제력(willpower = will)이 필요합니다. (일반적인 미국인은 40%의 열량을

13

지방에서 얻습니다. 어떤 나라가 미국이나 일본처럼 어떤 부의 기준을 넘는다면, 곡류와 콩류는

육류와 버터에 자리를 내어주게 됩니다. 그리고 고기나 유제품의 동물성 단백질은 동맥에

흡착하여 경화현상을 유발하는(artery-clogging saturated ) 지방과 콜레스테롤로 침착 됩니다.

K.

In India, for example, many middle-income people are now gaining weight on a rich diet - even

though the poor half of the population still can’t afford enough to eat. As the middle class has

become more affluent, they’ve been able to indulge, and Indian doctors are reportedly seeing

more obesity, hypertension, and heart disease. Many Indian dishes are soaked in ghee (clarified

butter) or coconut oil, one of the few vegetable oils that is virtually all saturated fat. Very recently,

though, Indians have gone in for the diets and aerobics classes that are popular among the rest

of the world’s elite.

예를 들자면 인도에서는 많은 중산층 사람들이 풍족한 식습관으로 인하여 체중이 증가하고 있다.

비록 가난한 사람의 반은 여전히 충분히 먹을 여유가 되지 못하지만 말이다.

중산층이 풍족해지면서 그들은 마음껏 마시고 먹게 되었으며(indulge: 탐닉하다), 많은 인도의

의사들은 비만(obesity), 고혈압(hypertension), 심장 관련 질환(Heart disease)을 더욱 많이 보고

있다고 발표했다. 많은 인도의 음식들은 ghee(:인도에서의 일종의 액체상 버터: 정화된 버터),

또는 식물성 지방으로는 몇 안 되는 포화 지방(saturated fat)으로 이루어진 코코넛 기름에 적셔져

있다. 그러나 최근의 많은 인도인들은 인도 이외의 세계의 엘리트들에게 널리 알려진 다이어트와

에어로빅 교실에 다니고 있다.

L.

If it’s just too difficult to stay with a really low-fat "peasant" diet, the alternative is to rehabilitate

high-calorie dishes. Cut down on overall fat intake and substitute, in the words of one

researcher, "nice fats for nasty fats." Americans have already been following this advice. In the

past 20 years the consumption of "nasty" saturated fats has declined, while we’ve taken in more

of the polyunsaturated fats, such as corn and safflower oils, that can help lower blood

cholesterol. This change may help explain the simultaneous 20% to 30% drop in heart disease in

the U.S

만약 아주 적은 지방을 섭취하는 식의 농촌식(peasant) 음식을 취하면서 살기가 어렵다면(농촌식

식습관을 지키기가 힘들다면), 그 대안은 고칼로리의 음식으로 돌아가는 것이다. 전반적으로

지방의 섭취를 줄이는 방법을 택하여야 한다. 한 조사자의 말처럼" 나쁜(nasty) 지방에서 좋은

지방으로"의 대체를 하는 것이다. 미국인들은 이미 이 충고를 따르고 있다. 옥수수나 잇꽃 기름과

같이 혈중 콜레스테롤을 줄일 수 있는 고도 불포화 지방산(polyunsaturated)을 섭취한 지난 20 년

동안 나쁜 포화 지방산의 소비는 감소했다.

14

이러한 변화는 미국에서의 심장관련 질환이 동시적으로 20 퍼센트에서 30 퍼센트 감소하였음을

설명하는데 도움을 준다.

Why Socrates Loved Olive Oil (왜 소크라테스는 올리브 오일을 사랑했을까요?)

M.

An even better strategy for changing our fat intake may come from studying diets in the

Mediterranean-Spain, Greece ,and southern Italy. With some regional variation, people in these

cultures eat small amounts of meat and dairy products(although consumption has increased

steadily since World War 2) and get almost all of their fat in the from of olive oil, says

physiologist Ancel Keys, professor emeritus at the University of Minnesota School of Public

Health and leader in international dietary studies.

우리의 지방 섭취를 바꿀 수 있는 더 좋은 방법 중의 하나는 스페인, 그리스, 그리고 남부

이탈리아와 같은 지중해인들의 식습관을 연구해 보는 것이다. 약간의 지역적인 차이가 있지만 이

지역의 사람들은 고기와 유제품을 적게 먹고(비록 세계 제 2 차 대전 이후 섭취량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지방은 대부분 올리브유의 형태로 섭취한다고 University of Minnesota School of

Public Health and leader in international dietary studies 의 생리학자이자 명예퇴직 교수인 Ancel

Keys 는 말한다.

N.

Keys has noted that farmers sometimes quaff a wineglass of the oil before leaving for the fields

in the morning. Elsewhere in the Mediterranean, bread is dipped in olive oil. Salads are tossed

with it. Everything’s cooked in it.

Keys 는 농부들이 종종 밭에 나가기 전 아침에 와인 잔에 올리브유를 가득 담아 마시는 것(quaff:

벌컥벌컥 마시다)에 주목해왔다. 지중해의 다른 지방에서는 빵을 올리브유에 찍어먹기도 하고

샐러드와 섞어 먹기도 한다. 모든 것이 올리브 오일과 함께 요리된다.

O.

Though people in some of these countries eat nearly as much total fat as Americans, they are

singularly healthy, with very little heart disease. Now laboratory studies of olive oil help explain

why. Unlike most other vegetable oils common in the West, olive oil consists mainly of

"monounsaturated" fats. Recent research indicates that monounsaturates do a better job of

preventing heart disease than the more widely touted polyunsaturates.

15

비록 이러한 국가의 사람들이 미국인들과 비슷한 양의 지방을 섭취하지만 그들은 심장 관련

질환이 거의 없이 하나같이 건강하다. 오늘날의 연구실에서 올리브유에 관한 연구가 이것을

설명해준다. 서구의 일반적인 다른 식물성 기름과는 달리 올리브유는 주로 단일 불포화

지방산(monounsaturated)으로 이루어져 있다. 최근의 연구는 단일불포화지방산이 심장 관련

질환을 막는데 고도 불포화 지방산보다 뛰어난 것을 알려준다.

P.

As Americans become ever more concerned with healthy eating, we’re likely to pay more and

more attention to world cuisines. The polyglot among nations, we’ve started to seek out ethnic

flavors from everywhere. "Foreign" ingredients, from seaweed and salsa, are now readily

available in large supermarkets. And Mexican and Asian restaurants have become more

widespread than any other eateries except ice cream parlors, hamburger stands, and pizzerias,

according to the National Restaurant Association.

미국인이 건강한 식습관에 더욱 관심을 갖게 되면서 우리는 세계의 식습관에 더더욱 주의를

집중하게 되었다. 다개국어로(polygot = multilingual) 이루어진 여러 나라들 중에 우리는 민족적인

특성을 모든 곳에서 찾아나가기 시작했다. 해초와 살사에 이르는 "외국의" 재료들은 오늘날 대형

슈퍼마켓에서 찾을 수 있다. 그리고 National Restaurant Association 에 따르면 멕시코와 아시아

레스토랑이 아이스크림 가게나 햄버거 가게, 피자 가게를 제외한 어느 먹거리(eateries) 보다도

더욱 널리 퍼지게 되었다고 한다.

Q.

But the trick to finding healthy food, wherever it comes from, is to look carefully at each dish.

No single cuisine is all good or all bad. Each has something to teach us.

하지만 어디에서 왔건 건강한 먹거리를 찾는 비결은 모든 음식을 주의를 기울여 살펴보는 것이다.

그 어떤 음식도 완전히 좋거나 완전히 나쁘지는 않다. 각각이 우리에게 가르쳐 줄 무언가를 갖고

있다.

Part 2: Here come the Tourists!

"give me the t-shirt," the woman said to the tourist.

"티셔츠를 주세요" 그 여자가 여행객에게 말했다.

The small village in the Amazon was almost filled with beggars.

아마존에 있는 그 작은 마을은 가난뱅이(beggar: 거지, 가난뱅이, 빈털터리)들로 가득 차 있었다.

16

It was hard to believe that the community began its ecotourism project in 1992 in order to

protect natural resources.

그 마을은 천연자원을 보호하기 위해 1992 년에 환경지향의 관광정책(ecotourism project)이

시작된 지역이라고는 보기 어려웠다.

The villagers had lost interest in the land and become enchanted by things the tourists had.

마을사람들은 땅에는 관심을 잃었고 관광객들의 물건에 매혹되었다(become enchanted).

Their repeated "requests" annoyed tourists.

그들은 "요구"라는 말을 반복해서 관광객들을 짜증나게 했다(It is annoying: 짜증난다).

Some locals were more skilled and playful in their requests, others up-front and demanding.

몇몇은 좀더 기술적이고 농담하듯이 그들에게 요구하였고, 다른 사람들은 정면에다 대고 요구를

했다.

"They have money and many things," said the woman asking for the t-shirt.

"그들은 돈과 많은 것들을 가지고 있어요." 라고 티셔츠를 요구한 여자가 말했다.

"It's no problem for tourists"

"관광객들에게는 문제가 안되죠."

It is easy for the locals to perceive tourists as incredibly wealthy.

지역사람들에게 관광객은 매우 부유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쉬운 일이다.

The entire tourist experience revolves around money and purchases.

모든 관광객이 경험하는 것은 주로 돈과 구매품에 관련된다.

The community itself is being purchased.

지역사회 자체가 구매품이 되고 있다.

Tourists are superconsumers who bring their foreign languages and communications, strange

and inappropriate clothing, and camera into the community.

관광객은 그들의 외국어와 이를 통한 교제활동, 낯설고 부적절한 의상착용 그리고 카메라를

지역사회에 들여오는 대단한 고객입니다.

In the context of a brief visit, sometimes an overnight, few real friendships are formed between

tourists and locals.

때로는 일박의, 짧은 방문이라는 상황에서 볼 때, 관광객과 지역민 사이에 실제로 우정이

형성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

Tourists are eager for adventure, or at least the perfect photo opportunity.

관광객은 모험을 추구하거나 최소한 사진을 찍을 완벽한 기회를 찾는다.

If the tourist becomes upset in the midst of the excitement, the local usually pays the price.

만일 관광객이 흥분한 상태에서 화를 내거나 하면, 지역사회는 대가를 치루게 된다.

[관광객이 동네에 와서 만취해서 혼란스럽게 되면 지역사회에 나쁜 영향을 미치겠지요.]

But these strange people sometimes give away token gifts to locals, even money.

그러나 이 이방인들은 때때로 지역민에게 기념선물을 준다, 돈까지도.

17

This results in begging, which becomes increasingly widespread as locals begin to see

themselves as "poor" and tourists as "rich."

이 결과 구걸행위가 점점 일반화되어서 지역민들은 자신을 가난하고 관광객은 부자라고 여기기

시작한다.

The psychological pressure of viewing oneself as poor or backward can manifest itself in crimes

not previously common in community.

자신을 가난하고 뒤떨어졌다고 보는 심리적 압박은 이제까지 지역 내에서는 일반적이지 않았던

각종 범죄로 이어지는 현상을 초래할 수 있다.

Indigenous Peoples in the Andes demand compensation for having their photographs taken,

saying it's intrusive.

안데스 지역의 토착민(indigenous people)들은 그들의 사진을 찍는 것은 강요된 것(intrusive)이라고

말하며, 보상을 요구한다.

A women in Otavalo, Ecuador, explained to me.

에콰도르 오타발로의 한 여인은 나에게 설명하기를,

"We see ourselves and our children on post-cards and in books.

"우리는 엽서나 책에서 우리 자신이나 아이들을 본다.

We do not benefit from having our photos taken.

우리는 사진 찍힌 것에 대한 이득을 얻지 못하고 있다.

A foreigner does.

외국인은 그렇다.

We demand part of the profits."

우리는 이익의 일부를 요구한다."

In some indigenous communities, photography is taboo because it is believed to cause physical

and spiritual harm to the person who is photographed.

어떤 원주민사회에서는 사진이 사진 찍힌 사람의 육체적 혹은 영적으로 해를 입힌다고 믿기

때문에 금기사항이다.

In India young children have had limbs torn from their bodies to make them more pathetic and

hence "better" beggar.

인도에서는 어린 아이들을 더 애처로운(pathetic) 그래서 더 낳은 거지를 만들기 위해 그들의

몸에서 수족을 찢어내기까지 했습니다(limbs from the body). .

Adults who commit this violence often have several children who work for them.

이런 범죄를 저지르는 어른들은 종종 그들을 위해 일하는 몇몇의 아이들을 데리고 있다.

Other forms of begging sometimes found amusing by tourists offend many locals.

여행자들을 가끔씩 웃기게 하는 구걸의 다른 종류들은 많은 그 지역 사람들을 화나게 한다.

An indigenous leader from Panama told me, "It breaks my heart to see the young boys swimming

after the coins the tourists throw in the water.

18

파나마의 원주민 족장은 나에게 말했다, "여행자들이 물에 던진 동전을 주우려고 수영하는

어린아이들을 보는 것은 몹시 가슴 아프다.

We spent years acquiring our rights to these lands.

우리는 우리의 권리를 획득하려고 이 땅에서 몇 년을 보냈다.

Now with tourism, the people here do not care about the lands anymore.

이제 관광사업으로 인해, 사람들은 더 이상 땅에 대해 신경 쓰지 않는다.

They just want tourist dollars."

그들은 단지 여행자들의 돈을 원할 뿐이다."

While tourists believe they can contribute to destination communities, locals don't always agree.

여행객들은 그들이 도착한 현지지역사회에 기여를 한다고 믿고 있지만, 지역사람들이 항상

동의하지는 않는다.

Money spent by budget travelers-especially backpackers-may go into the local economy.

값싼 여행을 하는 사람들-특히 배낭여행객들-에 의해 소비되는 돈은 지역사회 경제로 들어갈지도

모릅니다.

They tend to eat in cheaper restaurants owned by locals and so get closer to the local culture.

그들은 현지인들이 운영하는 값싼 식당에서 식사를 하고 현지 문화를 이해해 맞추려고 하는

경향이 있다.

These young vacationers like to distinguish themselves as "travelers" not "tourists".

이런 젊은 여행객들은 자신들이 "관광객"이 아닌, "여행가"로 구분되기를 바란다.

They live by budget travel guides and often flock to the same inexpensive areas of villages and

cities.

그들은 값싼 여행하는 방법을 일러주는 매뉴얼을 보면서 여행을 하고 마을들이나 도시들의 동일한

값싼 지역에 자주 모이게 된다.

But in "frontiers" like Kathmandu, where a backpacking subculture has existed since it became

part of the "hippie" routes in the 1960s, such travelers have a reputation for stinginess and rude,

hard bargaining.

그러나 1960 년대 히피족들의 여행노정이 된 이래 배낭여행 하위문화(subculture)가 존재하게 된

카트만두의 "프론티어" 같은 곳에서는 이러한 여행객들이 인색하고(stinginess) 무례하며, 값을

많이 깎으려 한다는(hard bargaining) 명성을 얻고 있다.

In Indonesia I met a British bicyclist no money on his trip.

인도에서 나는 자전거를 타며 돈 없이 여행하는 영국인을 만났었다.

He lived with families that took him in every night from the road and ate what was offered to him

by people he met along his way.

그는 여행경로에서 매일 밤 그를 받아준 가정들에서 생활했으며, 그는 여행 중 그가 만났던

사람들이 제공했던 음식을 먹었다.

He had not worked in any of the places he had visited.

그는 자기가 방문했던 어떤 곳에서도 일을 하지 않았다.

19

He was extremely happy that he had just bargained a local merchant down from the equivalent

of ten cents to a penny for four pieces of bread.

그는 지역 상인에게 10 센터 가치의 빵 4 개를 1 페니로 깎아서 거래한 것에 대해 몹시 행복해

했다.

I thought it was rather odd that he was taking advantage of everyone he met and wouldn't even

pay a fair price to a poor baker.

나는 그가 만났었던 모든 이들을 이용하면서도 가난한 제과점 주인에게는 정당한 가격을 지불하지

않는 다는 것이 조금은 이상하다고 생각했었다.

20

CHAPTER 6 MONEY MATTERS

Part 1: Executive Takes Chance on Pizza, Transforms Spain

A.,

MADRID, Spain-Leopoldo Fernandez was earning $150,000 a year as an executive in Spain with

Johnson & Johnson when he decided to open a Pizzeria on the side

스페인의 마드리드-Leopoldo Fernandez 는 존슨앤존슨사의 이사로 1 년에 15 만 달러를

벌어들이고 있을 때 부업으로 시 외곽에 피자가게를 열기로 결정했다.

B.,

“Keep in mind, I knew nothing about pizza. My job was about selling heart valves, heart monitors,

surgical instruments,” sad the 47 year old Cuban American, a former marketing director for the

U.S. medical supply company.

“명심하세요, 나는 피자에 대해서 아무것도 아는 게 없었어요. 내 직업은 심장 밸브와 심장모니터,

외과 장비를 파는 것이었어요”라고 U.S. 의료 공급 회사의 전임 마케팅중역이었던 47 세의 쿠바계

미국인이 말했다.

C.,

6 years later, Fernandez is the president of TelePizza, a multinational company with projected

sales of $120 million this year. By year’s end, the Madrid-based pizza businessman’s name will

adorn more than 200 outlets in ten countries. The company, one of the first to answer a need for

convenience goods in modernizing Spain, may even be the world’s fastest growing pizza chain,

according to a recent issue of the trade magazine Pizza Today and research by TelePizza.

6 년 후, Fernandez 는 올해 1 억 2 천만 달러의 예상매출이 기대되는 다국적기업 TelePizza 의

사장되어 있다. 연말까지, 마드리드에 기반을 둔 피자 사업가의 이름이 10 개 국가에서 200 개

이상의 판매점에 실리게 된다(adorn: 장식하다, 광채를 더하다). 현대화 되고 있는 스페인에서

편리한 음식에 대한 필요성에 최초로 해답을 제시한 회사 중의 하나인 이 회사는, 최근 화제가

되고 있는 상업잡지인 Pizza Today 와 TelePizza 의 조사에 따르면,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피자체인점이 되어 가고 있다고 한다.

D.,

21

“I thought I’d just open five little stores and keep my job at Johnson & Johnson,” recalled

Fernandex in an interview as he puffed a $5 Cuban cigar. Two small Cuban flags are placed on

his desk top.

“나는 존슨앤존슨사에서의 일을 계속하면서 5 개의 작은 상점을 열었다”라고 인터뷰 중에

5 달러짜리 쿠바산 담배를 피우며(puffed: 한 모금 피우다) Fernandez 가 말했다. 2 개의 작은

쿠바국기가 그의 책상 위에 놓여져 있었다.

E.,

Success came “so quickly my biggest problem has been keeping on top of the growth-money

management, people management, and training. Most new businesses grow at 10-20 percent

yearly. We’ve grown at 10 percent a month since we opened,” Fernandez said.

성공은 매우 빨리 와서 내 가장 큰 고민은 늘어난 자산관리, 인사관리, 훈련 등이 되었다.

대부분의 신규 사업들은 연마다 10~20% 씩 성장하곤 한다. 우리는 문을 연 이래로 한 달에 10%

씩 성장을 했습니다. 라고 Fernandez 가 말했다.

F.,

After his first shop prospered in Madrid, Fernandez left his job, sold his house and stocks, and

cobbed together $300,000 to put into the business. From then on, new pizzerias opened rapidly,

first in Spain and then abroad.

마드리드에서 그의 첫 번째 매장 성공(prospered) 이후, Fernandez 는 그의 직업을 떠났고, 그의

집과 주식을 판 30 만 달러를 새 사업에 재투자했다. 그날 이후로 새로운 피자레스토랑을

스페인에서 시작해서 해외에 매장을 빠르게 확장해 나갔다.

G.,

At the time TelePizza began in the late 1980s, pizzas were available in Spain only in Italian

restaurants, and home delivery of any food was rare. But with more women in the workplace and

Spain still modernizing, there was a growing need for convenience foods. Telepizza’s success

is widely credited with setting off a boom in home-delivered fast food in Spain.

TelePizza 가 시작한 1980 년대 말쯤, 피자는 스페인에서 단지 이탈리아 레스토랑에서만 먹을 수

있는 음식이었을 뿐이었으며, 어떤 음식도 가정에 배달되는 것은 드물었다. 그러나 많은 여성들의

직장생활과 스페인의 여전히 진행되는 현대화 과정에서 간편한 음식에 대한 선호도는 점점

높아져갔다. TelePizza 의 성공은 스페인에서의 첫 가정배달 패스트푸드점이라는 붐을 장식하면서

넓게 명성을 얻었다.

22

H.,

Hundreds of motorbikes now ply Madrid’s streets delivering everything from pizza to traditional

specialties like Spanish tortillas (egg and potato omelettes) and paella.

현재 수백 대의 오토바이들이 피자에서부터 스페인 전통음식인 Tprtillas(계란과 감자로 만든

오믈렛), Paella 등의 모든 음식들을 배달하기 위해 마드리드의 거리를 부지런히 왕래하고 있다(ply).

I.,

Like the Domino’s chain of U.S. fame, TelePizza’s pies come fast-the company guarantees that

pizzas will arrive in under 30 minutes, depending on where customers live. They are fairly

affordable, with a pie for up to four people costing $13, compared with $6 for a McDonald’s

quarter pounder, fries, and Coke, undelivered.

미국의 유명한 도미노 체인점과 마찬가지로, TelePizza 의 파이는 빨리 배달되는데, 이 회사는

고객의 거주지에 따라 피자가 30 분 이내에 도착할 것이라는 점을 보증하고 있다. 감자튀김과

콜라가 포함되지 않은 맥도날드의 4 분의 1 의 파운드(햄버거가 파이의 4 분의 1 에 불과하다)가

6 달러나 하는 것과 비교할 때 TelePizza 는 4 인분의 파이가격이 13 달러에 불과할 만큼 알맞은

가격을 제공한다.

J.,

Some say Spain’s growing appetite for fast food is undermining the country’s healthy

Mediterranean diet. “There’s saying, when we were poor we made better eating choices than we

do now.” said Consuelo Lopez Nomdedeu, a nutritionist with the government-run National

College of Health. But Fernandez dismissed such complaints. “The key is variety in the diet,”

he said. “I wouldn’t eat pizza daily or hamburgers (nor would I eat) Spanish dishes like lentils or

garbanzos.”

몇몇 사람들은 패스트 푸드에 대한 스페인의 증가하는 욕구가 국가의 건강한 형태의 지중해의

식습관(diet)을 해치고 있다고 말한다. 그들은 우리가 가난했을 때에 지금보다 더욱 선택할 수

있는 음식의 폭이 다양했었다고 말한다. 이는 정부가 운영하는 영양학교의 영양사인 Consuelo

lopez Nomdedeu 가 한 말이다. 하지만 Fernandez 는 이러한 불평에 동의하지 않는다(dismiss:

각하다, 기각하다, 제안요구를 퇴짜놓다(reject)). 중요한 것은 식습관의 다양화라고 그는 말했다.

나는 피자나 햄버거를 매일은 먹지 않는다. 하지만 렌즈콩이나 병아리콩과 가은 스페인사람의

음식도 매일 먹지는 않는다.

K.,

23

Along with crediting the untapped Spanish market for his success, Fernandez noted that growing

up as an immigrant in the United States probably also helped. Like many other refugees fleeing

the Castro revolution, Fernandez moved to Florida from Cuba in 1960 with his parents.

스페인의 미개척(untapped) 시장을 신뢰한 것이 그의 성공비결이었다. Fernandez 는 미국이민자로

자란 것 또한 도움이 된 것으로 유명하다. 카스트로 혁명으로 도피한(fleeing) 많은 피난민들과

같이 Fernandez 도 가족과 함께 1960 년에 쿠바에서 플로리다로 이동했다.

L.,

An immigrant has to find ways to succeed because he’s on the bottom,” said Fernandez, who

also has worked for Procter & Gamble Co., the leading U.S. consumer products company.

그는 이민자로서 밑바닥 인생이었기에 성공해야 할 방법을 찾아야만 했다고 미국 소비재 산업의

선두기업이었던 Procter & Gamble 에서 일해왔던 Fernandez 가 말했다.

M.,

“Here, my advantage is that I understand Spanish Mentality better than Americans do, and I

understand Americans better than Spaniards do,” Fernandez said.

여기 나의 이점은 내가 미국인보다 정서적으로 스페인 사람을 더 잘 이해하고 스페인 사람보다

미국인을 잘 이해한다는 점이라고 Fernandez 가 말했다.

N.,

So far, his recipe for success is working. Fernandez said TelePizza outsells its three biggest

rivals in Spain-Domino’s, Pizza Hut, and Pizza World-combined. The company has a fleet of

more than 2,000 motorbikes in Spain and sells 25,000 pizzas daily in the Spanish market.

지금까지 그의 성공 비법은 일하는 것이다. Fernandez 는 스페인에 TelePizza 의 도미노피자

피자헛 피자월드 등 세 개의 피자 판매 라이벌보다도 더 판매량이 많다고 말했다. 그 회사는

스페인에 2 천대 이상의 오토바이를 보유하고 있고 스페인에서 하루에 2 만 5 천개의 피자를

판매한다.

O.,

About two-thirds of TelePizza outlets in Spain are franchises while 90 percent of the 40 stores

abroad are company-owned. In addition to Spain, there are TelePizza, outlets located in Mexico,

Colombia, Chile, Portugal, Belgium, Greece, and Poland-with stores in France and Brazil set to

open before year’s end.

24

해외의 40 개회사의 90%가 자회사인데 비해 스페인의 TelePizza 판매점의 대략 3 분의 2 는

프랜차이즈 체인점이다. 스페인 시장 이외에도 TelePizza 판매점은 멕시코, 콜롬비아, 칠레,

포르투갈, 벨기에, 그리스, 폴란드에 위치해 있고 연말 전에 프랑스와 브라질에 판매점을 열었다.

P.,

“We plan to go into the U.S. in due time,” Fernandez said. “For now we are maturing and

learning from growth markets.”

우리는 우리의 계획에 맞추어 미국으로 갈 계획이다. Fernandez 가 말했다. 지금 우리는

성숙해지는 과정에 있고 성장하는 시장을 통해 배우고 있다.

Part 2: The Luncheon

The Luncheon (Chapter 6, Part 2)

I caught sight of her at the play and in answer to her beckoning I went over during the interval

and sat down beside her. I was long since I had last seen her and if someone had not

mentioned her name I hardly think I would have recognized her. She addressed me brightly.

“Well, it’s many years since we first met. How time does fly! We’re none of us getting any

younger. Do you remember the first time I say you? You asked me to luncheon.”

Did I remember?

내가 그녀를 만난 것은 극장... 그녀는 손짓을 하여 나를 부르는 것이었다. 나는 막간을 이용하여

그녀 곁으로 가 앉았다. 우리가 작별한 것은 너무나 오래 전 일이어서, 누가 그녀의 이름을

일러주지 않았더라면 몰라봤을 지경이었다. 그녀는 내게 밝은 표정으로 인사를 던지는 것이었다.

"아 우리가 처음 만난 이래로 몇 해가 됐나요. 세월이란 참말 빨리 흘러가는군요! 이젠 우리도

피차 나이가 들어가는 것 같아요. 우리가 맨 처음 만나던 시절을 기억하고 계세요? 그 때 당신은

제게 점심을 같이 하자고 하셨죠?" 기억이 나냐고..?.

It was twenty years ago and I was living in Paris. I had a tiny apartment in the Latin Quarter

overlooking a cemetery and I was earning barely enough money to keep body and soul together.

She had read a book of mine and had written to me about it. I answered, thanking her, and

presently I received from her another letter saying that she was passing through Paris and would

like to have a chat with me; but her time was limited and the only free moment she had was on

25

the following Thursday: She was spending the morning at the Luxembourg and would I give her a

little luncheon at Foyot’s afterwards?

그것은 20 년 전 내가 파리에 살고 있던 때 일이었다. 나는 공동묘지가 내려다보이는 라틴구 어느

조그만한 아파트를 가지고 있었는데, 수입도 겨우 내 몸과 마음을 보전할 정도 수준의 입에

풀칠을 할 정도 밖에 되지 않았었다. 그녀는 내 책을 읽고 감상을 적어 보냈었다. 이에 대하여

내가 고맙다는 뜻의 답장을 냈던 것이었다. 그 후 곧 그녀에게서 또 편지가 왔는데 사연인즉은,

파리를 통과하기로 됐는데 나와 만나 이야기하고 싶다는 것, 그러나 시간의 제약을 받고 있으므로

다음 목요일밖에 잠시나마 틈이 없으며, 그 날 아침은 룩셈부르크에 볼일이 있으니 볼일이 끝난

다음 Foyot’s 에서 점심이나 한턱 내지 않겠느냐는 것이었다.

Foyot’s is a restaurant at which the French senators eat and it was so far beyond my means that

I had never even thought of going there. But I was flattered and I was too young to have learned

to say no to a woman. (Fe men, I may add, learn this until they are too old to make it of any

consequence to a woman what they say. ) I had eighty francs (gold francs) to last me the rest

of the month and a modest luncheon should not cost more than fifteen. If I cut out coffee for the

next two weeks I could manage well enough.

Foyot’s 은 프랑스 상원의원들의 단골 식당으로서 나같은 주제엔 당치도 않은 곳이었으므로

애당초부터 나는 그런 곳은 드나들 생각조차 먹어 본 일이 없었다. 그러나 나는 우쭐대는 느낌으로

승낙해 버리고 말았다(flattered: 아첨하다. 알랑거리다. 우쭐대다. 만족시키다.). 나는 아직

젊었었으므로 여자의 부탁을 거절할 만한 배짱이 되어 있질 않았던 때문이었다. (나이를 먹고

구렁이가 다 돼서 여자와의 약속쯤 개똥으로 생각할 나이가 되기까지에는, 아무도 그런 배짱을

갖지 못하리라는 것을 나는 첨언해 두고 싶다.) 수중에 돈이라고는 앞으로 한달 동안 먹고 살고할

80 프랑뿐이었다. 보통 점심 같으면 15 프랑 이내로충분하다. 내가 앞으로 두 주일 동안 커피를

끊는다면 그럭저럭 연명은 해 나갈 수 있으리라.

I answered that I would meet my friend-by-correspondence at Floyot’s on Thursday at half past

twelve. She was not so young as I expected and in appearance imposing rather than attractive.

She was in fact a woman of forty ( a charming age, but not one that excites a sudden and

devastating passion at first sight), and she gave me the impression of having more teeth, white

and large and even, than were necessary for any practical purpose. She was talkative, but since

she seemed inclined to talk about me I was prepared to be an attentive listener.

I was startled when the bill of fare was brought, for the prices were a great deal higher than I had

anticipated. But she reassured me.

26

결국 나는 다음과 같은 답신을 냈다... 목요일 2 시 Foyot’s 에서 뵙고자 합니다.

그녀는 내가 상상했던 것 같은 젊은 여인은 아니었다. 매력적이라기보다는 오히려 위풍당당한

모습이라고 할 수 있는 타입이였다. 그녀가 40 대의 여자였다(여자 40 이면 무르익고 매력적인

나이였으나 첫눈에 대뜸 미칠 듯한 정열을 끓어오르게 하는 그런 나이는 아니다.). 그녀의 치아는

실용적이라고 하기 보다는 새하얗고 큼직하고 고른 인상을 주었다. 그녀는 말이 많은 편이었다.

내게 관한 이야기를 하고 싶어 하는 눈치였으므로 나는 그녀의 말에 열심히 귀를 기울이는

방청자의 역할을 하기로 했던 것이었다.

메뉴를 보고 나는 깜짝 놀랐다(startled = Surprised). 예상했던 것보다 엄청나게 값이 비쌌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나는 그녀의 이야기를 듣고 안도의 한숨을 내쉬었다(reassure : 기운나게 하다.

자신을 갖게 하다. 기운차리게 하다.).

“I never eat anything for luncheon,” she said.

“Oh, don’t say that!” I answered generously.”

“I never eat more than one thing. I think people eat far too much nowadays. A little fish,

perhaps. I wonder if they have any salmon.” Well, it was early in the year for salmon and it was

not on the bill of fare, but I asked the waiter if there was any. Yes, a beautiful salmon had just

come in-it was the first they had had. I ordered it for my guest. The waiter asked her if she

would have something while it was being cooked.

"전 점심땐 아무것도 먹지 않아요."

"뭐 그러실 것 없잖습니까?" 하고 나는 점잖게 대꾸했다.

"전 한 가지밖에 안 먹어요. 요즈음 사람들은 너무 많이 먹어서 탈이지요. 생선 약간이 아마 좋을

거예요. 연어가 있을지 모르겠네요." 과연 연어는 아직 계절이 일렀으므로 메뉴에도 나와 있지

않았다. 그러나 나는 보이에게 연어 요리가 되느냐고 물은 즉,

'네, 아름다운 연어가 방금 들어왔습니다' 하는 대답이었다.

금년 들어 첫 연어가 들어온 모양이었다. 나는 나의 손님을 위하여 그 생선을 주문했다. 보이

녀석이 연어 생선요리가 나올 때까지 뭘 들지 않으시겠느냐고, 그녀에게 묻는 것이었다.

“No,” she answered. “I never eat more than one thing. Unless you had a little caviar. I never

mind caviar.”

My heart sank a little. I knew I could not afford caviar, but I could not very well tell her than. I

told the waiter by all means to bring caviar. For myself I choose the cheapest dish on the menu

and that was a mutton chop.

“I think you’re unwise to eat meat,” she said. “I don’t know how you can expect to work after

eating heavy things like chops. I don’t believe I overloading my stomach.”

27

Then came the question of drink.

"별로," 하고 그녀는 대꾸했다.

"난 한 가지 이상은 안 먹으니까. 허지만 알젓이 있다면,,, 철갑 상어알 요리 같으면 괜찮아요."

나의 가슴이 약간 가라앉는 느낌이었다. 내겐 철갑 상어알 요리를 살 여유가 없다는 것을 나는 잘

알고 있었다. 그러나 정말이지 그녀에게 그런 말은 할 수 없는 처지였다. 나는 호주머니를 털

각오를 하고, 철삽상어알요리을 가져오라고 웨이터에게 일렀다. 그리고 내 자신은 메뉴에 나타난

중에서 가장 값싼 요리를 선택한 즉 그것은 양고기 편육(mutton chop)이었다.

"선생님께서 고기를 청하시다니 현명치 못하여라." 하고 그녀는 말했다.

"편육같은 무거운(소화가 잘 안되는 )음식을 잡수시고 난 다음에 어떻게 창작을 하실 수

있으실는지 모르겠어요. 과식은 찬성 할 수 없어요."

“I never drink anything for luncheon,” she said.

“Neither do I,” I answered promptly.

“Except white wine,” She proceeded as though I had not spoken. “These French white wines are

so light. They’re wonderful for the digestion.”

“What would you like?” I asked, hospitable still, but not exactly effusive.

She gave me a bright and amicable flash of her white teeth.

“My doctor won’t let me drink anything but champagne.”

I fancy I turned a trifle pale. I ordered half a bottle. I mentioned casually that my doctor had

absolutely forbidden me to drink champagne.

“What are you going to drink, then?”

“Water.”

그 다음은 술 이야기가 나왔다.

"전 점심땐 술은 전연 안합니다." 하고 그녀는 말했다.

"저도 그런데요." 하고 나는 냉큼 대꾸해버렸다.

"허지만 백포도준 예외지요." 그녀는 내 말은 들은 체도 안하고 말을 계속하는 것이었다.

"프랑스 백포도주는 참 가벼운 맛이 있어요. 음식을 소화시키는 데 그만이거든요."

"그럼 뭘 드실까요?" 하고 나는 물었다. 이때까지만 해도 나는 여전히 손님을 후대하는 마음으로

말했던 것이다. 정직하게 말해서 심사를 들어내지는 않았다(not exactly effusive: 감정을 솔직히

나타내지 않는, 심정을 감정적으로 토로하지 않는).

그녀는 그 새하얀 이빨을 내놓고 웃으며 명쾌하고도 다정한 눈초리를 던지는 것이었다.

"의사 선생께서 샴페인 이외에는 아무것도 마시지 말라고 금하셨어요."

여기서 내 얼굴이 약간 질렸을 것이라고 나는 생각한다.(Trifle pale; 실소를 지으며 창백한 표정을

보이다.) 나는 샴페인 반 병을 주문했다. 그리고 나야말로 의사 선생으로부터 절대 샴페인을

마시지 말라는 금지를 당하고 있는 몸이라고 거짓말을 했다.

28

"그럼 선생께서 뭘 드시나요?"

"물."

She ate the caviar and she ate the salmon. She talked gaily of art and literature and music. But I

wondered what the bill would come to. When my mutton chop arrived she took me quite

seriously to task.

“I see that you’re in the habit of eating a heavy luncheon. I’m sure it’s a mistake. Why don’t

you follow my example and eat just one thing? I’m sure you’d feel ever so much better for it.”

“I am only going to eat one thing,” I said, as the waiter came again with the bill of fare.

그녀는 철갑상어알을 먹고 연어를 먹었다. 그리고 명랑하게(gaily: 유쾌하게, 명랑하게, 들뜬

기분으로) 예술과 문학과 음악을 논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나는 요리값이 얼마나 오를 것인가 하는

것이 걱정이 되어 죽을 지경이었다. 내 양고기 편육이 나오자 그녀는 아주 심각한 표정으로 나를

나무라는 것이었다.

"선생께서 점심에 그렇게 무거운 음식을 잡수시는 습관을 가지고 계시단 것은 옳지 못하신

일입니다. 선생께서도 제 본을 따셔서 한가지 요리만을 드시면 어떠실까요? 훨씬 기분이 좋으실

줄 믿습니다."

"그럼 저도 아무쪼록 한가지 요리만을 먹도록 하겠습니다." 하고 나는 보이가 메뉴를 가지고 다시

나타났을 때 말했다.

She waved him aside with an airy gesture.

“No, no, I never eat anything for luncheon, Just a bite, I never want more than that, and I eat

that more as an excuse for conversation than anything else. I couldn’t possibly eat anything

more-unless they had some of those giant asparagus. I should be sorry to leave Paris without

having some of them.”

“Madame wants to know if you have any of those giant asparagus,” I asked the waiter.

I tried with all my might to will him to say no. A happy smile spread over his broad, priest-like

face, and he assured me that they had some so large, so splendid, so tender, that it was a

marvel.

“I’m not in the least hungry,” my guest sighed, “but if you insist, I don’t mind having some

asparagus.”

I ordered them.

“Aren’t you going to have any?”

“No, I never eat asparagus.”

29

“I know there are people who don’t like them. The fact is, you ruin your palate by all the meat

you eat.”

그녀는 경쾌한 제스처로(with an airy gesture) 보이에게 물러가도록 이르는 것이었다.

"그만 됐어요, 그만. 난 점심땐 아무것도 안 먹는 사람이니까. 한 입 이외는 말이죠. 난 그 이상

절대 필요없어요. 그것도 대화를 위한 방편으로 필요하기 때문에 먹는 편이예요.. 큰

아스파라거스가 있다면 몰라도 그 밖엔 정말 아무것도 안 먹어요. 아스파라거스 하나 못 먹고

파리를 떠나간다는 것은 섭섭한 일이 아닐 수 없으니깐."

“이 숙녀분께서 큰 아스파라거스가 있는지를 물으시네” 나는 웨이터에게 물을 수 밖에 없었다.

나는 보이가 '노'라고 말해 주기를 바란다는 의지를 최선을 다해 내보였다. 즐거운 미소가 보이의

넓적하고 목사님같이 인자한 얼굴에 떠올랐다.

이윽고 그는, "깜짝 놀라실 만큼 크고 맛있고 녹신녹신한 놈이 있습니다." 하고 대답하는 것이었다.

"전 조금도 배 고프진 않습니다." 하고 나의 손님은 한숨을 섞어가며 말했다.

"그러나 선생님께서 꼭 주문하신다면 몇 개쯤 먹을 용의는 없지도 않습니다. "

나는 아스파라거스를 주문하고 말았다.

"선생님 좀 안 드시겠어요?"

"아뇨, 전 아스파라거슨 안 먹습니다."

"하긴 아스파라거스를 덜 좋아하는 사람들이 있긴 하죠. 사실인즉슨 고기만 잡수셔서

미각(palate)을 망치신 때문이겠죠."

We waited for the asparagus to be cooked. Panic seized me. It was not a question now of how

much money I should have left over for the rest of the month, but whether I had enough to pay

the bill. It would be mortifying to find myself ten francs short and be obliged to borrow from my

guest. I could not bring myself to do that. I knew exactly how much I had and if the bill came

to more I had made up my mind that I would put my hand in my pocket and with a dramatic cry

start up and say it had been picked. Of course it would be awkward if she had not money

enough either to pay the bill. Then the only thing would be to leave my watch and say I would

come back and pay later.

우리는 그 놈의 아스파라거스가 나올 때까지 기다리었다. 나는 겁이 났다. 이제는 그 달 생활비로

얼마의 돈을 남겨 두느냐가 문제가 아니었다. 수중의 돈 전부를 털어서 과연 이 요리값이 될

것이냐 하는 것이 문제였다. 10 프랑 쯤 모자라는 굴욕적인 상황이 벌어진다면, 나의 손님에게서

빌리는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될 것이었다. 그러나 그렇게 못할 노릇이다. 나는 내 전 재산이

얼마라는 것을 잘 알고 있었다. 만약 요리값이 내 생각보다 초과되면, 호주머니 속에 손을 처넣는

순간 극적인 비명을 올려, 날치기를 당했어! 하고 외치리라. 그러나 그녀 역시 충분한 돈을 가지고

있지 않는 경우엔 일은 물론 난처하게 되리라. 그땐 시계라도 끌러 놓고 나중에 셈을 하러

오겠다고 말하는 수밖에 없겠지.

30

The asparagus appeared. They were enormous, succulent, and appetizing. The smell of the

melted butter tickled my nostrils as the nostrils of Jehovah were tickled by the burned offerings

of the virtuous Semites. I watched the abandoned woman thrust them down her throat in large

voluptuous mouthfuls and in my polite way I discoursed on the condition of the drama in the

Balkans.

At last, she finished.

“Coffee?” I asked.

“Yes, just an ice cream and coffee,” she answered.

아스파라거스가 나왔다. 큼직하고 육즙이 넘쳐났으며(succulent = watery), 입맛을 끄는 놈이었다.

녹아 들어간 버터의 향이 나의 콧구멍(nostrils)을 간지럽히고 있었다(tickle). 기특한

유태인(virtuous Semites: jews) 들이 불에 구운 현물을 바쳤을 때 여호와의 코를 간지럽혀졌던

것처럼--- 염치도 없는 그 여인이 크고도 요염한(voluptuous) 그 입 가득 아스파라거스를 삼키는

꼴을 바라보면서도 여전히 나는 정중한 태도로, 발칸 제국의 연극 현황에 대하여 역설하고

있었던(discourse: 논하다, 설교하다, 강연하다) 것이다.

이윽고 그녀는 식사를 끝냈다. .

"커피는?" 하고 나는 물었다.

"네, 아이스크림과 커피 조금만." 하고 그녀는 대답하였다.

I was past caring now, so I ordered coffee for myself and an ice cream and coffee for her.

“You know, there’s one thing I thoroughly believe in,” she said, as she ate the ice cream. “One

should always get up from a meal feeling one could eat a little more.”

“Are you still hungry?” I asked faintly.

“Oh, no. I’m not hungry; you see, I don’t eat luncheon. I have a cup of coffee in the morning

and then dinner, but I never eat more than one thing for luncheon. I was speaking for you.”

“Oh, I see!”

이제는 포기한 상태로 나는 내가 마실 커피와 그녀를 위해 아이스크림과 커피를 주문했다.

"아세요? 제게는 한가지 믿음이 있어요." 하고 그녀는 아이스크림을 먹으면서 말했다.

"사람은 항상 조금 부족하다고 느끼는 순간(조금 더 먹을 수 있다고 느끼는 순가) 자리에서

일어나야 한다는 점이예요.."

"아, 아직도 시장하신가요?" 하고 나는 맥없이 말했다.

"아 아뇨, 전 시장하지 않아요. 전 점심 안먹는 사람이란 걸 아시면서--- 전 아침에 커피 한 잔을

하고 저녁까지 아무것도 안 먹는 답니다. 점심을 한다고 해도 한가지 요리 이상은 절대 먹지

않아요. 그렇게 말씀드렸자나요. "

"아 그렇지요!"

31

Then a terrible thing happened. While we were waiting for the coffee, the head waiter, with an

ingratiating smile on his false face, camp up to us bearing a large basket full of peaches. They

had the blush of an innocent girl; they had the rich tone of an Italian landscape. But surely

peaches were not in season then? Lord knew what they cost. I knew too-a little later, for my

guest, going on with her conversation, absentmindedly took one.

정말 사건이 벌어진 것은 여기서부터였다. 우리가 커피를 기다리고 있을 때 수석 웨이터가 거짓에

찬 얼굴에 아첨 띤(ingratiating) 미소를 띠며 큰 광주리 가득이 복숭아를 들고 나타났다. 복숭아는

순진한 처녀의 볼처럼 홍조를 띠었다(blush of an innocent girl). 이탈리아의 풍경화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그럼 풍요한 색깔을 지니고 있는 복숭아였다. 그러나 확실히 지금은 복숭아 때가

아니었다. 그 값은 하나님만이 아실 것이었다. 그러나 잠시 후 물론 알게 되었다.. 나는 그녀와의

대화에 빠져 얼빠진 듯이 그녀를 위해 복숭아 하나를 집고 말았다.

“You see, you’ve filled your stomach with a lot of meat”-my one miserable little chop-“and you

can’t eat any more. But I’ve just had a snack and I shall enjoy a peach.”

The bill came and when I paid it I found that I had only enough for a quite inadequate tip. Her

eyes rested for an instant on the three francs I left for the waiter and I knew that she thought me

mean. But when I walked out of the restaurant I had the whole month before me and not a

penny in my pocket.

"이거 보세요, 선생께선 고기를 잔뜩 드셨지 않나요."---사실인즉 나는 겨우 한 조각밖에 못

먹었다.

"이젠 더 못 잡수실 거예요. 하지만 전 간식 수준으로 식사를 했으니 복숭아 정도는 더 즐겨도 될

것 같긴 해요." 계산이 나왔다. 값을 치르고 나니 팁 값도 못되는 돈이 겨우 남았다는 것을 나는

알았다. 내가 보이에게 3 프랑을 들려 줄때 그녀의 눈이 그것을 바라보는 것을 나는 알았다.

그녀는 나를 너무 박한 사람이라고 생각했으리라. 그러나 내가 식당 문을 열고 나서는 순간 내

앞에는 한 달이 기다리고 있었다. 호주머니엔 단 동전 한 푼도 없는 신세였다.

“Follow my example,” she said as we shook hands, “and never eat more than one thing for

luncheon.”

“I’ll do better than that,” I retorted. “I’ll eat nothing for dinner tonight.”

“Humorist!” she cried gaily, jumping into a cab. “You’re quite a humorist!”

But I have had my revenge at last. I do not believe that I am a vindictive man, but when the

immortal gods take a hand in the matter it is pardonable to observe the result with complacency.

Today she weighs twenty-one stone.

32

"제 본을 따세요." 하고 그녀는 악수를 하며 말했다. "점심땐 한가지 요리 이상은 잡수시지

마세요."

"전 그 이상으로 잘하렵니다." 하고 나는 대답했다. "오늘 밤 저녁부터 아무것도 먹지

않을거니까요"

"어마, 유머쟁이!" 하고 그녀는 택시 속으로 뛰어들어가며 명쾌한 음성으로 외쳤다.

"당신은 정말 유머쟁이세요!"

그러나 결국 나는 복수를 한 셈이 되었다. 내가 복수심이 강한 사람이라고는 믿어지지 않으나

영원하신 하나님께서 굽어 살피심에 내가 만족감을 가지고 이 결과를 지켜보는 것을 용서해 주실

것이다. 그녀는 지금 294 파운드(stone = 14 pounds)가 넘는 뚱뚱보가 되어버렸으니 말이다.

33

CHAPTER 8 CREATIVITY

Part 1: Guggenheim Museum, U.S.A.

미국의 구겐하임 미술관

In 1932, New York's Museum of Modern Art assembled what was clearly meant to be a definitive

exhibition of modern architecture.

1932 년, 뉴욕 현대미술관은 분명 현대건축의 결정적 전시자료라 명명될만한 것들을 불러 모았다.

It presented the work of Frank Lloyd Wright along with that of Le Corbusier, Ludwig Mies vander

Rohe, and Walter Gropius, two leaders of Germany's revolutionary design school, the Bauhaus.

거기엔 Le Corbusier 를 비롯해 Frank Lloyd Wright, 독일의 혁신적인 디자인 학교인 바우하우스의

두 리더, Ludwig Mies vander Rohe 와 Walter Gropius 의 작품이 전시되었다.

On that occasion, Wright commented, "I warn you that having made an excellent start, I fully

intend not only to be the greatest architect that has ever been but also the greatest of all future

architects."

그 자리에서 라이트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저는 여러분이 훌륭한 시작을 하셔야만 한다는 것을

주의드리고 싶습니다. 저는 진심으로 지금까지 존재해온 중 가장 훌륭한 건축가가 되는 것은 물론

미래의 모든 건축가들 가운데서도 최고가 될 생각입니다."

Wright's pride in his own work was understandable.

라이트의 자기 작품에 대한 자부심은 충분히 이해할 수 있었다.

When his three co-exhibitors were still in grade school, he was already designing remarkably

innovative houses, any one of which could have established him as first among contemporary

architects.

그의 세 공동전시자가 아직 대학원에 재학 중이었을 때, 그는 이미 두드러지게 혁신적인 집들을

디자인하고 있었으며, 그 집들 중에 어떤 집은 현대 건축가들 사이에서 처음으로 그의 명성을

확고히 다지게 했을 수도 있었을 것이다.

With the help of devoted assistants, Wright had created dozens of these houses, year after year.

라이트는 헌신적인 조수들의 도움을 받으며, 수년간 수십 채의 집들을 지었다.

34

By 1932, Wright's work had become highly individualistic - often with hint of expressionism that

would surface in his design for the Guggenheim Museum.

구겐하임 미술관 디자인에 자주 나타나는 표현주의적 단서를 지닌 채, 1932 년까지 라이트의

작품은 매우 개인주의적이 되었다.

Frank Lloyd Wright's childhood had been shaped by a New England heritage of liberal

Protestantism and an acceptance of the "natural philosophy" that was expressed in the writings

of Walt Whitman and Henry David Thoreau.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의 유년기는 뉴잉글랜드의 자유로운 신교적 전통과, 월트 휘트먼과 헨리

데이빗 쏘로우의 저서에서 표현되었던 '자연철학'의 수용에 의해 형성되었다.

These two American writers believed that much of modern human anguish was die to urban

environments and loss of contact with nature.

이 두 미국 작가는 현대인들의 많은 고뇌가 도시 환경과 자연에 대한 접촉의 상실에 기인한다고

믿었다.

The human foot had been made to touch earth, not concrete, and human dwellings were meant

to be in harmony with their natural surroundings.

인간의 발은 콘크리트가 아니라 흙에 접촉하도록 만들어졌으며, 인간의 거주지는 자연 환경과

조화를 이루도록 운명지어졌다.

In the spirited and energetic atmosphere of the times, it is perhaps not surprising that Wright

also developed that insistence upon absolute freedom of mind that marks the true pioneer as

well as the renowned artist.

활발하고 생기 넘치는(spirited) 시대 분위기 속에서, 라이트 역시 유명한 예술가뿐만 아니라

진정한 개척자의 특색인 마음의 절대자유에 대한 주장을 발전시켜 나간 것은 그다지 놀라운 일이

아니다.

This is why he so often seemed more concerned with finding the proper form for an idea than

with pleasing his clients.

이것이 그가 고객의 즐거움 보다는 상상에 대한 적당한 형식을 발견하는데 더욱 신경을 쓴 것처럼

보였던 이유이다.

To Wright, the artistic integrity of his work was for more important than its practical function.

라이트에게 있어서 예술적인 진실이 실용적인 기능보다 더 중요했다.

35

Once, when the owner of one of his houses called to say that rain was dripping on him from a

crack in the ceiling, Wright said to have suggested that the man move his chair.

언젠가 그가 지은 건물의 한 소유자가 그의 집으로 그를 불러 천장의 갈라진 틈을 통해 비가

샌다고 말했을 때, 라이트는 집주인에게 그의 의자를 옮기라고 제안하였다.

Both Wright's genius and obstinacy came to play their roles in his design for the Guggenheim

Museum in New York City.

라이트의 천재성과 고집(obstinacy)은 뉴욕 구겐하임 미술관을 위한 그의 디자인에서 잘 나타났다.

In the early 1940s, Solomon R. Guggenheim, who was committed to the development of modern

painting, found himself in need of more space to house a growing collection of pictures.

1940 년대 초, 현대 회화의 발전에 헌신했던 솔로몬 R 구겐하임은 늘어나는 그림 수집품을

보관하기 위해 더 넓은 공간이 필요하다는 걸 깨달았다.

He decided that a museum of modern art ought to be the work of a leading modern architect.

그는 현대 예술 미술관은 선도적인 현대 건축가의 작품이어야 한다고 결심했다.

Ironically, he turned to Wright, a man known to have little liking for twentieth-century painting,

and commissioned him to design the new museum.

아이러니컬하게도, 그는 20 세기 회화를 거의 좋아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진 라이트에게 새로운

미술관을 디자인해 줄 것을 의뢰했다.

Wright's creation is one of the most original buildings in the world, a museum with its own place

in the history of art.

라이트의 작품은 세계에서 가장 독창적인 건물들 중에 하나로, 예술사에 있어서 한 자리를

차지하는 미술관이다.

Yet as a picture gallery, it is a failure.

그럼에도 그림 전시관으로써 미술관은 실패작이었다.

Ultimately, the only thing it displays well is itself.

궁극적으로, 그것이 제대로 보여주는 것은 그 자신밖에 없었다.

Perhaps at the time that the plans for the Guggenheim were being drawn up, the administrators

of the museum were unaware of Wright's growing rejection of conventional square and

rectangular forms of city buildings and blocks.

36

구겐하임을 위한 계획이 구상되고 있던 때, 미술관의 관계자들은 구태의연한 정사각형과

직사각형의 모형의 도시의 건물과 블록 형태에 대한 라이트의 커져만 가는 거부감을 깨닫지

못하고 있었을 것이다.

Wright was continually searching for natural forms appropriate to human needs, forms that he

described as "organic architecture, opening onto the world rather than insulating people from it."

"사람들로부터 격리되기(insulating) 보다는 세상에 열려있는 유기적 건축" 이라는 자신의 묘사처럼

라이트는 인간의 니즈에 적합한 자연스러운 형태를 추구해왔다.

So he had begun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the triangle, the polygon(recalling the form of

mineral crystals), and even the circle.

그래서 그는 삼각형, 다각형(광물의 결정의 형태를 떠올리게 하는), 심지어 동그라미의 가능성을

탐색하기 시작했다.

For some time, he had been ready to take the logical step from the circle to the spiral, the form

of conch shells, "plastic and continuous."

때론, 소라껍데기 모양의 "성형적이고 계속적인" 원에서 나선형으로의 논리적 단계를 거칠 준비도

되어 있었다.

This form is more properly called a helix, and is really a circle carried to the third dimension.

이 형태는 나선(helix)이라고 불리는데 더욱 적당하며, 3 차원의 고리형상이다.

Wright boldly designed the new building in the shape of an inverted conical spiral, and

convinced Solomon Guggenheim that this form would make a magnificent museum.

라이트는 대담하게도 반전된 원뿔형의 나선형 모양(inverted conical spiral)으로 새로운 건물을

설계했고, 이 형태가 웅장한 미술관을 형상화할 것이라며 솔로몬 구겐하임을 설득했다.

The museum is essentially a long ramp that starts at ground level and spirals upward in five

concentric turns, continually growing wider so that it opens out toward the top.

미술관은 본래 지면으로부터 시작해 다섯번의 동심원을 그리며 나선형으로 올라가서 지속적으로

정상을 향해 활짝 펴지는 긴 경사면(ramp)의 형태가 되었다.

Within the spiral is a vast central space, illuminated primarily by a huge skylight.

나선형안에는 거대한 중앙 공간이 있고, 거대한 채광창에 의해 밝게 비추어졌다.

At the first-floor level, the main spiral is joined with a smaller, round building, used for readings,

lectures, and offices.

37

일층에서는, 중심 나선형이 열람실, 강의실과 사무실로 쓰이는 더 작은 둥그런 건물과

결합되어있다.

A broad horizontal rectilinear base connects both elements and also relates the museum as a

whole to its rectilinear environment of city blocks and conventional buildings.

넓은 수평의 직선으로 쭉 늘어선 기반 부분이 양쪽 요소를 연결시키고 미술관은 도시의 블록들과

기타 빌딩들에 의해 직선으로 둘러싸인 환경 전체와 이어져 있다.

In defense of his stunningly original design, Wright declared that he was not merely playing a

game with forms: He believed that the helix was really the best shape for a picture gallery.

그의 놀랍도록 독창적인 계획안을 지키기 위해, Wright 는 그가 단지 형태를 가지고 장난하는 것이

아님을 선언했다: 그는 나선형이 실로 화랑에 있어서 최적의 형태임을 확신했다.

He claimed that the conventional manner of displaying paintings in one dreary room after

another distracts the attention of visitors by making them concerned with the condition of their

feet rather than the masterpieces on the walls.

그는 따분한 장소에 미술품들을 전시하는 판에 박힌 방식이 벽에 걸린 명작보다 오히려 그들의 발

상태에 신경을 쓰게 만들므로 방문객들의 주의를 흩뜨린다고 주장하였다.

According to Wright, this museum fatigue was the result of bad architecture.

Wight 에 의하면, 이 미술관이 주는 피로요인은 잘못된 건축의 결과라는 것이었다.

At the Guggenheim, visitors would enter on the ground floor and he carried by elevator up to the

top, where they would begin to slowly wind down along the spiral.

구겐하임에서, 방문객들은 1 층으로 입장하여 엘리베이터를 타고 맨 위층으로 올라가, 나선형을

따라 천천히 아래로 내려오게 된다.

Any weariness would be counteracted by the natural form of the shell, which would gently

"spiral" visitors down to the first floor.

어떠한 피로도 조개의 자연적인 형태에 의해 감소되며, '나선형'은 방문객들을 서서히 1 층으로

내려준다.

As they descended, they would be able to study the paintings hung along the outward-leaning

walls.

그들을 내려가게 할 때 같이, 그들은 바깥쪽을 향해 경사진 벽을 따라 전시된 그림들을 음미할 수

있다.

38

In this way, each work of art would be viewed at an angle-as Wright believed the artist himself

had seen it on the easel.

이러한 방법으로, 각 예술작품은 하나의 각도에서 관람되어질 수 있다-라이트는 미술가가 자신의

작품을 화가(그림을 그릴 때 화판을 받치는 삼각의 틀)에 놓고 보았을 것이라고 믿었다.

But in reality, the museum is a challenge.

그러나 실제로, 미술관은 하나의 도전이다.

Visitors must make their way down a ramp at an angle, studying paintings hung on a wall that

both curves and slopes.

미술관 방문자들은 곡선들과 경사면들 벽에 전시된 미술품들을 음미하면서, 한 쪽 방향에서

경사로 아래로 진행해야만 한다.

As a building, however, the Guggenheim Museum defines a magnificent space and has become

a compulsory stop on even the most basic tour of New York.

그러나 하나의 건물로서 구겐하임 미술관은 하나의 장대한 공간을 구현하고 있으며 뉴욕의 가장

기본적인 관광여행에서 조차 의무적으로 들리는 곳이 되었다.

The startling effect of the Guggenheim lies in its unusual form and stark simplicity.

구겐하임 미술관의 놀라운 효과는 색다른 형태와 아주 단순함에 있다.

While it was under construction-and remaining upright in apparent defiance of gravity-Wright

would smirk happily and say of his colleagues, "They'll spend years trying to work it out."

구겐하임 미술관이 건설 중이었을 때-진지함을 무시하는 것처럼 보이는 곧은 자세를 유지하며-

라이트는 능글맞게 흡족한 마음으로 웃으며 그의 동료들에게 "일을 완성시키려면 수년은 걸릴걸."

이라고 말했다.

The Architecture of Shanghai and Dubai

A., Daring architecture in the 21st century is booming. Megacities throughout the world are

tearing down the old and building the new. Two leaders in the competition for the most amazing

city skyline are Shanghai, China, and Dubai, United Arab Emirates(U.A.E.)

21세기의 대담한(Daring) 건축구조는 급속히 퍼져가고 있다. 세계 곳곳의 거대도시(megacity) 들

은 옛 것을 허물고 새것을 짓고 있습니다. 이러한 놀라운 도시 스카이라인에 대한 경쟁관계를 형

성하고 있는 두 선발주자는 중국의 상하이와 UAE의 두바이입니다.

39

B., China, with its manufacturing boom, is rapidly razing old sections of its cities and building

phenomenal skyscrapers. Some of the world’s most imaginative buildings, topped off with balls,

space needles, and observation decks, grace the skyline. Pudong, a district along the Huangpu

River in Shanghai, boasts one of the world’s tallest hotels, the 88 story Grand Hyatt Hotel. In a

mere 12 years, Shanghai has built a skyline comparable to New York’s, which took over 50 years

to build. Architects from all over the world compete for contracts in this rapidly expanding city of

20 million.

제조업의 붐을 경험하고 있는 중국은 급속히 중국내 도시들의 오래된 지역들을 허물고(raze) 놀랄

만한(phenomenal) 초고층빌딩(skyscrapers)들을 건설하고 있습니다. 공이나, 스페이스니들과 전망

대를 얹은 세계에서 가장 많은 상상력이 동원된 몇몇 건물들은 도시의 스카이라인을 돋보이게 하

고 있습니다(grace the skyline). 상하이의 황하강을 따라 형성된 푸동지역에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호텔중 하나인 88층의 Grand Hyatt Hotel이 있습니다. 상하이는 50여년에 걸쳐 조성된 뉴욕의 스

카이라인과 견줄만한 스카이라인을 건축하여 왔습니다. 전세계의 건축가들은 빠르게 팽창하는 2천

만 인구의 도시에서 계약을 성사시키기 위한 경쟁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C., Halfway around the globe in the U.A.E., the architecture of Dubai is in close competition with

the cities of China. The building boom in Dubai is fueled by the oil economy. Buildings like the

Emirates Towers and the Burj Juman Shopping Center combine state of the art architectural

design with traditional Arab architecture. The Burj Al Arab is also one of the world’s tallest

hotels, standing at 321 meters, or 1,083 feet. The international Trade Centre, which can be

seen for miles around the city, is a symbol of Dubai’s rise in the business world. At ground

level, off shore, the architects of Dubai have built a man-made island housing extremely

expensive condominiums and hotels.

지구의 반대편에 위치한 U.A.E에 있는 두바이의 건축물은 중국의 도시들과 접한 경쟁관계를 형

성하고 있습니다. 두바이에서의 건축붐은 석유경제가 그 동력이 되고 있습니다. Emirate 타워 등과

Burj Juman 쇼핑센터 와 같은 빌딩들은 전통적인 아랍식 건축과 최첨단 기술을 사용한(state of

the art) 건축 디자인을 통합하고 있고 있습니다. Burj Al Arab 또한 321 미터 또는 1,083 피트의

높이를 자랑하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호텔 중의 하나입니다. 도시의 멀리에서도 볼 수 있는 국제

무역 센터(international trade center)는 세계 경제로의 두바이의 도약을 상징하는 심벌이 되고 있

습니다. 해안에서 떨어진(off shore) 평지의 높이에 두바이의 건축가들은 초고가의(extremely

expensive) 콘도와 호텔로 구성된 인공섬을 조성하기도 했습니다.

D., Shanghai and Dubai are not only architectural leaders, but economic and cultural leaders in

their sphere of the globe, and worldwide also.

40

상하이와 두바이는 자국이 속한 영역에서 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볼 때 건축학 측면에서의 선

두주자일 뿐 아니라 경제/문화적으로도 선두주자의 역할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Part 2: Music Makes the World Go’Round:Lila Downs, Nancy Ajram…

A., Lila Downs was born in 1968. Her father was a professor from the United States and her

mother, a singer, was a Mixteca Indian from Mexico. Lila spent the first few years of her life in

Mexico until her parents separated and she went to live with a relative in California. Her

childhood was spent shuttling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Mexico and she passed a lot of

time grappling with her cultural identity while she was growing up. She developed her early on,

but her road to becoming a well-known, professional singer was long and circuitous. Lila started

singling mariachi songs as a child and later grew to love and study classical music and opera.

She studies voice in both the United States and Mexico, which has contributed to her unique

style.

Lila Downs 는 1968 년에 태어났다. 그녀의 아버지는 미국의 교수였고, 그녀의 어머니는 가수로

멕시코인과 인도인의 혼혈이었다. 그녀의 부모님이 별거 할 때까지, Lila 는 그녀의 생에서 첫 몇

년을 멕시코에서 보냈다. 그리고 그녀는 캘리포니아의 친척집에 맡겨졌다. 그녀는 미국과

멕시코를 왕복하면서 어린시절을 보냈고, 그녀가 자라는 동안 그녀의 문화적 정체성을 찾기 위해

고심하며 많은 시간을 보냈다. 그녀는 일찍부터 음악을 공부하겠다는 그녀의 야망을 발달시켰지만,

유명하고 전문적인 가수가 되는 길은 길고 돌아가야 했다. Lila 는 어린 시절에는 멕시코의 거리의

악대의 음악을 노래하였고, 후에는 전통적인음악[클래식 음악]과 오폐라를 사랑하고, 공부하게

되었다. 그녀는 미국과 멕시코 양쪽 다에서 성악을 공부하였고, 그것은 그녀만의 독특한 스타일을

만드는데 기여하였다.

B. Besides music, Lila also studies anthropology. In the early 1990’s, she was hired to help

translate documents related to the deaths of Mexicans who had died while crossing the

Mexican/U.S. border. This experience prompted her to write songs to tell their stories. One of

these songs, Ofrenda, is on her debut album, La Sandunga.

음악에 더해 Lila 는 또한 인류학은 공부했다. 1990 년대 초반, 그녀는 멕시코와 미국의 국경선을

건너는 동안에 사망한 멕시코인의 죽음과 관련된 문서를 번역하는 도움을 주기위해 고용되었다.

이 경험은 그들의 이야기를 얘기하기 위한 노래들을 쓰는데 그녀에게 자극 되었다. 이러한 노래

중 한 개인 Ofrenda 는 그녀의 데뷔 엘범인 La Sandunga 에 있다.

41

C. She has come out with three more high-profile albums over the past few years, that have

earned her increasing critical acclaim. Her album, Tree of Life, includes songs in three of the

indigenous languages of Mexico, Zapotec, Nhuatl, and Mixtec. Her album La Linea, deals with

the subject of the border and features songs sung in English, Spanish, and Mayan. The pan-

American make-up of her band has resulted in interesting combinations of traditional Mexican

cumbia. bolero, ranchera, and songs that experiment with unexpected influences, such as

reggae, jazz, and rap.

그녀는 높아져가는 결정적인 찬사를 획득한 지난 몇 년 동안 더 많이 주목을 끄는 3 개의 앨범을

판매 했습니다. 그녀의 앨범인 Tree of Life 에의 3 개의 곡속에 Mexico, Zapotec, Nahuatl 그리고

Mixtec 의 고유한 언어를 포함한다. 그녀의 앨범 Lal linea 는 국경선의 주제를 다루고 영어,

스페인어 그리고 마야어를 불러진 노래의 특징을 가진다. 그녀의 밴드의 범 미국인 조직은

전통적인 Mexican cumbia, bolero, ranchera, 그리고 ㄱㄷㅎㅎㅁㄷ, jazz, and rap 과 같은 예상치

못한 영향을 시도한 노래의 흥미로운 결과를 초래했다.

D,. In addition to her musical achievements, Lila has also dabbled in cinema and appeared in the

movie Frida, about Mexico’s iconic artist, Frida Kahlo.

그녀의 음악적 업적에 더하여 Lila 는 또한 영화제작[산업]에 잠깐 손을 댔고 멕시코의 초상화

화가‘frida kahlo'에 관한 영화 frida 에 나오기도 했다.

Nancy Ajram

E. Who would have imagined that the young girl born to Nabil and Rimonda Ajram on the 16th of

May, 1983, in Al-Ashrafia, Lebanon, would be a famous singer by the age of 21!

그 누가 1983 년 5 월 16 일 레바논의 Al-Ashrafia 에서 Nbil 와 Rimonda Ajram 사이에 태어난

어린 소녀가 그녀나이 21 살에 유명한 가수가 될 거라고 생각했겠는가!

F. She had quite a normal childhood with her small family. But when Nancy Ajram was twelve,

she participated in a television program called “Nojoum Al-Mostakbal” and actually won first

prize. Soon after, Ajram began studying music under the supervision of some of the finest

teachers in her country. When she turned 18, she joined the Syndicate of Professional Artists in

Lebanon-after they made an exception regarding her age.

42

그녀는 그녀의 작은 가족과 함께 전적으로 평범한 유년기를 보냈다. 그러나 Nancy Ajram 이

12 세가 됐을 때, 그녀는 “Nojoum Al-Mostakbal"라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에 참가하게 되었고

거기서 첫 번째 수상을 하게 되었다. 그 후 곧, Ajarm 은 그녀 나라의 가장 좋은 선생님 중의 한

명의 지도 아래에서 음악공부를 시작하게 된다. 그녀나이 18 세, 그녀는 레바논의 Syndicate of

Professional Artists[전문적인 예술가 조합]에 들어가게 된다. 그 후 그녀 나이에 관해서 예외를

두었다.

G. Her first album, Mehtagalak, was released in 1998 and marked her first official step in the

world of show business. But it took the young singer another three years to launch her second

album, Shil Oyounak Ani, in 2001. Then her true hit came with her third and most famous album,

Ya Salam, in 2003. The singer stressed the success of the album by shooting three of its songs

in the form of video clips. The clips were a tremendous hit and gained popularity in such as

short time that they gave the singer incredible fame in the Arab world. Her latest album Ah we

Nos is witnessing the same success as the previous one.

그녀의 첫 번째 앨범 Metagalak 는 1998 년에 나왔고 연예게에서의 공식적인 첫발을 내 딛게

되었다. 그러나 2001 년 그녀의 두 번째 앨범 Shil oyounak Ani 이 나오기까지는 삼년의 세월이

걸렸다. 그리고 그녀의 진정한 희트곡이자 가장 유명한 앨범인 2003 년에 나온 Ya Salam 이 세

번째 앨범이 되었다.

H. As for other activities besides singing, the Lebanese diva has agreed to be the spokesperson

for the international soft drink company, Coca Cola.

노래 이외의 다른 활동으로, 이 레바논의 디바는 세계적인 음료회사인 코카콜라의 상품

홍보모델이 되는데 동의했다.

Don Popo

I,. Don Popo, born Jeyffer Renteria, is a highly successful young man rapping his way up the

ladder to international recognition. At the same time, he works hard to create opportunities for

other Colombian youth to have lives free of drugs, violence, and crime.

원래 jeffer Renteria 라는 이름을 가진 Don Popo 는 그의 삶에서 랩을 하면서 국제적인 인정을

박는 단계에 오른 매우 성공한 젊은이다. 같은 때에, 그는 다른 콜롬비아 청소년들에게 마약, 폭력

그리고 범죄로부터 자유롭게 살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많은 기회를 만드려고 열심히 일했다.

J., The 27-year-old artist sponsors workshops where poor kids can rap and break dance, create

graffiti or learn how to be a DJ. He also raises funds for festivals where young people can

demonstrate their talents to a wider audience. To inspire kids in his old Bogota neighborhood,

43

he gives away his own CDs which appeared on the Sony Music label until he switched to smaller,

independent labels. The message: Look kids, you can do this, too! His longtime dream is to

open a kind of hip-hop academy in one of Bogota’s largest slums and mix music lessons with

information about issues like safe sex and discrimination.

27 살의 랩 아티스트는 가난한 어린이들이 랩과 브레이크 댄스를 할 수 있고 낙서를 창조하거나

DJ 가 되는 방법을 배울 수 있는 실습실을 후원하였다. 그는 또한 젊은이들이 그들의 재능을 더

많은 관객에게 보여줄 수 있도록 하는 행사를 위해 기금을 모았다. 그는 그의 오랜 Bogota 의

이웃에 사는 어린이들을 격려하기 위해, 그 자신의 작고 독립적인 상표로 바꾸기 전까지 소니

음악 브랜드로 출시된 CD[자신이 낸 음반]을 무료로 제공하였다. 여기서 ‘어린이들이여 보라,

너도 또한 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달한다. 그의 오랫동안 꿈은 일종의 힙합 아카데미를

Bogota 의 가장 큰 빈민가 중 한곳에 문을 여는 것이고, 그 곳에서 안전한 성관계와 차별 같은

문제점들에 대한 정보와 음악 수업을 융화시키는 것이다.

K., This dream is closer to realization now that Don Popo has two sources of income. One is his

musical career, which is a surprising experiment in the hip-hop world because he uses acoustic

guitar, violin, and bass. His poetic talents yield lyrics that touch upon emotions as well as the

political situation in his homeland. “I don’t want to talk about the government, guerrillas, and

paramilitary groups, “ he raps. “I want to talk about the little children who see their fathers

murdered, about the hopelessness, about the feeling of having no future.” Don Popo himself

started making music at the age of 13, two years after his own father was murdered. It was the

only way this silent young man could express his feelings.

이러한 꿈은 현재 실현에 가깝다. Don Popo 는 두 가지 경로의 얻는 것이 있다. 하나는 음악적인

진로로써, 그것은 보통 기타, 바이올린, 베이스를 사용하기 때문에 힙합세계에서 놀라운 시도라고

할 수 있다. 그의 창조적인 재능은 고구에서의 정치적인 상황 뿐만 아니라 고국에서의 감정을

암시하는 가사를 산출하게 한다. “나는 정부, 게릴라, 그리고 준 군사적인 그룹에 대해 말하고

싶지 않다.”라고 그는 랩 했다. “나는 그들 아버지가 살해되는 것을 본 어린 아디들, 희망 없는

아이들, 미래가 없는 아이들에 대해서 이야기 하고 싶다.” 그의 아버지가 살해된 2 년이 지난해에

Don Popo 는 그 스스로 13 살의 나이로 음악을 만들기 시작했었다. 이것[음악]은 이 침묵한 어린

아이가 그의 감정을 표현할 수 있는 유일한 방식 이었다.

L., The other source of income is a new clothing company headed up by Don Popo called La

Familia Ayara. Like other Colombian rap artists and their families, he makes the pants at home. “I

don’t want to encourage employee anonymity.” says Don Popo. “I want small-scale operations,

not productions for the masses.”

44

다른 경로로 얻는 것은 La Familia ayara 라고 불리는 Don Popo 에 의해서 통괄되는 새 의류

회사이다. 다른 콜롬비아 랩 아티스트나 그들이 조직들처럼, 그는 집에서 바지를 만들었다. “나는

고용자들의 익명성을 장려하길 원하지 않습니다.” 라고 Don Popo 가 말했다. “나는 다량을 위한

생산이 아닌, 작은 규모의 경영을 원합니다.”

M., Colombian hip hoppers used to have no choice but to get their pants and shirts tow sizes

too big or buy smuggled goods from North America. Now there’s an honest alternative, which

can be purchased in Colombian shops. So why is this clothing so important? The sparkle returns

to his eyes. “Clothing gives us recognition, our own identity.”

콜롬비아 힙합퍼들은 북아메리카로부터 수 된 물건이나 두 싸이즈 큰 셔츠와 바지를 구입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선택의 여지가 없었다. 지금은 콜롬비아 상점으로부터 구입할 수 있는 정당한

대안품이 있다. 그런데 왜 이런 옷이 중요할까? 그의 불꽃튀는[열정적인] 눈으로 들어가보자.

“옷은 우리에게 우리의 정체성을 인식하게 해줍니다.”

Are Men More Creative Than Women?

A., Throughout history it has been men, for the most part, who have engaged in public life. Men

have sought public achievement and recognition, while women have obtained their main

satisfactions by bearing and rearing children. In women’s eyes, public achievement makes a

man more attractive as a marriage partner. But for men the situation is reversed. The more a

woman achieves publicly, the less desirable she seems as a wife.

역사적으로 대부분의 경우에 사회생활에 종사하는 것은 남성의 몫이었다. 남성은 사회적인 성취와

업적을 추구해 왔다. 반면, 여성은 임신/출산/양육에서 주로 만족을 찾아왔다. 여성의 시각에서 볼

때 사회적인 성취도를 달성한 남자는 결혼상대자로 좀더 매력적이라고 느낀다. 하지만, 남성에게

는 반대로 여겨지는데, 사회적으로 성공한 여자일수록 아내로서는 덜 바람직하다고 느낀다.

B., There are three possible positions one can take about male and female creativity. The first is

that males are inherently more creative in all fields. The second is that if it were not for the

greater appeal of creating and cherishing young human beings, females would be as creative as

males. If this were the case, then if men were permitted the enjoyment women have always

had in rearing young children, male creativity might be reduced also. (There is some indication in

the United States today that this is so.) The third possible position is that certain forms of

creativity are more congenial to one sex than to the other and that the great creative acts will

therefore come from only one sex in a given field.

45

여성과 남성의 창의성에 대한 세가지 주장(position)이 존재한다. 첫째, 남자는 유전적으로 모든

분야에서 여자보다 더욱 창의적이라는 것이다. 둘째, 출산/양육에 대한 의무 등이 발현되지 않는다

는 전제 하에서 여성은 남성과 동일하게 창의적이라는 것이다. 이것이 사실이라고 가정할 때, 남

성이 양육활동을 여성과 동일하게 하게 되면(양육의 기쁨(의무)를 가진다면) 남성의 창의력이 감소

할지도 모른다(오늘날의 미국에서는 그것이 사실이라는 몇몇 지표가 발견되고 있다.). 세번째 주장

은 창의성의 유형에 따라 한쪽의 성에서 더 적합하게 나타난다는 것이며, 따라서 주어진 분야에서

의 창의성은 항상 한쪽 성에서 더 잘 발현한다고 설명한다.

CHAPTER 10 CRIME & PUNISHMENT

Part 1: Hooked on Crime (범죄에 연루된)

Vancouver Crooks Meeting to Talk About Their Compulsion to be Lawless

A, It’s Tuesday evening, 7 P.M., and the last of the stragglers takes his seat. The lights in the

Salvation Army dining hall are extinguished; candles are lit. A dozen men and one woman sit

around a rectangle of tables waiting for Stan Mingo to start tonight’s meeting. It’s doubtful

anywhere in Vancouver tonight there is a larger gathering of career criminals, at least outside the

prison system.

화요일 저녁 7시 마지막 낙오자(straggler)가 자리에 앉습니다. 구제 단체의 식당을 비추는 조명은

꺼져있고 촛불이 밝혀져 있습니다. 12명의 남자와 1명의 여성이 직사각형의 테이블에 앉아 오늘의

미팅을 시작하기 위해 Stan Mingo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아마 오늘 뱅쿠버의 어디에서도(적어도

형무소 밖에서는) 오늘같이 큰 규모의 범죄경력자 모임은 찾아볼 수 없지 싶습니다.

The men range from their 20s to their 50s, and from clean-cut to jailhouse hard. The woman, in

her 50s, has a son up for robbery. They’ve got no proof, she says. The men nod politely, like

they’ve never heard that one before. The air smells of strong coffee. People drop coins into a

cup making the rounds. “My name is Stan,” says the burly guy at the head of the table. “I have

a crime addiction.”

모인 사람들은 20대에서 50대까지의 단정한(clean-cut)한 남자부터 교도소에서 갓 출소한 모습의

남자들과 강도 혐의로 재판중인 아들을 둔 50대의 여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들은 증거가

없어요,” 그녀가 말합니다. 그러자 남자들은 그전에는 해본 적 없는 것 같이 공손하게 고개를 끄

덕여 동의를 표합니다. 공기에는 진한 커피향이 섞여있고, 사람들은 주변을 돌며 컵에 동전을 던

46

져넣습니다. “제 이름은 Stan”이에요. 테이블의 앞쪽에 앉은 건장한(burly) 남자가 말합니다. “전

범죄중독증이 있어요”

B. With that, Mingo begins another weekly meeting of the founding chapter of Crime Addiction

Anonymous-dedicated to the contentious premise that crime can be an illness as tenacious as

dependency on alcohol or drugs. The program was founded by Mingo, who washed up almost a

year ago at the Salvation Army’s Harbour Light Detox and Recovery Centre in the city’s hard-luck

Downtown Eastside. He was addled by crack cocaine, and ground down by homelessness and

doubts about his abilities as a master criminal. He’s spent more than half his 50 years in jail,

for robberies, extortion, attempted murder, assault, trafficking, and small-time cons. Prison

tattoos cover his upper torso like an illustrated criminal can be thrilling. “It’s fun to go in and

rob a bank. It’s a trip, man. It’s a power trip to rob anybody, even with a knife in a back

alley.” There were few limits. He wouldn’t harm old people, he says, “and most women, unless

she acted and fought like a man.”

그와 함께, Mingo는 ‘익명의 범죄 중독자’-논란의 여지가 있는 전제인 범죄가 알코올이나 마약에

대한 의존성만큼이나 중독성이 강하다는 가설을 기초로 함- 의 설립을 위한 또 다른 주간 회의를

시작합니다. 그 프로그램은 Mingo에 의해 설립되었습니다. Mingo는 거의 1년전에 도시의 빈민가

에서 구세군의 Harbour Light Detox and Recovery Center (중독 근절과 회복에 빛을 주는 피난처

센터)의 도움으로 범죄로부터 손을 씻게 된 사람입니다. 그는 값싼 농축 코카인에 중독되었었고,

범죄에 숙달됨에 따라 능력에 대해 의심받고, 집도 없이 밑바닥에 떨어졌으며, 50평생 중에 절반

이상을 강도질, 착취, 살인미수, 폭행, 마약거래, 그리고 하찮은 사기 혐의 등으로 감옥에서 보내

왔습니다. 그의 가슴 위쪽은 겁을 주기 위해 범죄를 형상화한 문신들로 덮여 있습니다. “은행을 털

러 가는 것은 재미있죠. 그것은 여행이에요. 누군가를 강도질 하는 것은 나를 흥분시키는 여행이

죠. 심지어 뒷골목에서 칼을 가지고 다니는 것도요.” 범죄 대상에는 거의 제한이 없습니다. 그는

늙은 사람들을 해치지는 않으려고 합니다. 그는 말합니다. “그리고 대부분의 여자들 역시 헤치지

않습니다. 남자같이 행동하고 싸우는 여자만 아니면.”

C. Back when things were flush, he owned a home, a motorcycle, even a Vancouver restaurant,

where the daily special was the heroin behind the counter. He called it the Alibi. Say what you

want about Mingo, he has a sense of humour.

모든 것에서 손을 씻었을 때, 그는 집을 소유했고, 오토바이, 심지어 밴쿠버에 레스토랑도 가지게

되었습니다, 오늘의 요리가 카운터 뒤에 있는 헤로인이었죠. 그는 그것은 알리바이(현장부재증명)

라 불렀고요. 당신이 Mingo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말해보시죠, 그는 유머감각이 있습니다.

D. He credits Harbour Light with saving his life, and for providing the inspiration and wherewithal

47

to draft the plan for CAA. The first meeting was held in May. A second chapter has since

opened, also in the neighborhood. The program’s strength is that it was created by the members,

not imposed on them, says Harbour Light associate executive director Gary Johnson. Asked if

crime can be addictive, Johnson responds without hesitation: “Absolutely.” There is some irony

in the fact that the group steals heavily from the 12-step, spiritually based alcoholics

Anonymous program, started in 1935 and now used in more than 150 countries. A spokesman

for AA’s general service office in New York City, however, says other groups are welcome to

share its traditions. They are spiritual principles we don’t claim a right to if somebody wants to

adopt them for themselves,” notes Rick A. who, in the AA tradition, asked his surname not be

used. AA’s principles have been applied to addictions from narcotics and nicotine to gambling

and sex. As for crime, Rick concedes, “This is the first time I’ve heard of that.”

그는 Harbour Light을 생명의 은인이라고 말합니다. 그것이 CAA를 만들 영감을 주었고 수단을 공

급했습니다. 첫번째 회의는 5월에 열렸습니다. 두번째 회가 역시 근처에서 열렸습니다. 그 프로그

램의 힘은 그것이 멤버들에 의해 자발적으로 만들어진 것입니다. 그들에게 부과된 의무가 아니라

는 것이지요. Harbour Light의 연합 이사인 Gary Johnson이 말합니다. 범죄가 중독성일 수 있느냐

고 질문을 받는다면, 존슨은 주저없이 대답합니다.: “절대적으로”. 그 사실에는 정신적으로 알코올

중독자 익명 프로그램에 소속된 12단계부터 그룹들이 훔친다는 Irony(반어,역설)이 있습니다. 1935

년에 시작되었고, 지금은 150개국 이상에서 사용되어집니다. 뉴욕시에 있는 AA’s 일반 서비스 사

무실의 대변인은, 다른 그룹들이 그것의 전통을 나누는 것을 환영합니다. 그들은 만약에 누군가가

그들 스스로에게 적용하기를 원한다면, 우리가 당연하다고 생각하지않는 정신적인 신념을 갖고 있

습니다. Rick A.는, AA 교부에 있고, 그의 성은 알려주지 않았습니다.. AA의 신념들은 마약과 니코

틴 상용자에서부터 도박과 섹스 중독자까지, 중독으로서 적용된다는 것입니다. Rick은 시인합니다.

“이것은 나도 처음 들어보는 것입니다.”

E. Whether crime is, well, a legitimate addiction is an open question. “I’m very cautious in

labeling anything with this very appealing and sexy label of addiction,” says Benedikt Fischer,

associate professor of criminology and public health at the University of Toronto, and research

scientist with the Toronto-based Centre for Addiction and Mental Health. The term addiction is

rather imprecise and often not “terribly helpful,” he says. Crimes are committed for many

reasons-economic need, compulsiveness, even an attraction to “ the rush.”

범죄든 아니든, 합법적인 중독은 논란의 여지가 많은 질문입니다. “나는 이러한 매우 매력적이고

섹시한 중독이라는 라벨을 어떤 것에 부착하는 것에 매우 조심스럽습니다.”라고 베네딕트 피숴는

말한다. 토론토 대학에서 범죄학과 공공 건강 학과의 교환 교수이자, 토론토에 본부를 둔, 중독과

정신 건강에 대한 연구센터의 조사 과학자이기도 합니다. 그 중독이라는 용어는 상당히 부정확하

고, 자주 “크게 도움이 되는” 것은 아니라고, 그는 말합니다. 범죄는 -경제적 필요, 강박증, 심지

48

어 돌격이 주는 흡인력등 많은 이유들 때문에 저질러 지기 때문입니다.

F. Many of the men tonight are also fighting drugs or alcohol. They find crime similarly irresistible.

Jason, in his 20s, says he’s been clean for four months and a day. Money is tight. When he

sees crack dealers, “I just want to take them out. Smash their heads and take their money.”

“The scary part is I like hurting people, too, you know.” He pauses. “I’m hugely grateful for this

meeting.”

오늘밤에도 많은 사람들이 역시 마약이나 알코올과 싸우고 있다. 그것들은 범죄와 유사하게 저항

할 수 없는 것이다. Jason은, 그의 20대에, 그가 넉달 하고도 하루 동안만 깨끗했다고 말합니다.

경제적으로 어려웠기 때문이었습니다. 그가 코카인 거래상을 볼 때, :”나는 그것들을 빼내기를 원

할 뿐이다. 그들의 머리들을 때려부수어서, 그들의 돈을 꺼내라, “무서운 부분은, 내가 사람들을

헤치는 것을 좋아한다는 것입니다..” 그는 잠시 멈춥니다. 나는 이 모임에 대단히 감사하고 있습니

다.”

G. Geroge, his dark hair streaked with grey, figures he’s stolen or conned $80,000 from family

members. “If you’ve ever seen the look in your family’s eyes after you break their hearts,” he

says, “It’s tough.”

머리가 희끗한 조지는 그가 가족 구성원들로부터 $80,000을 도둑맞았거나 속여서 뺏겼다고 생각

한다. “당신이 그들의 마음을 부순 후에 만약에 당신이 당신의 가족구성원의 눈 속에 있는 그 모

습을 본다면.., 그것은 어려운 일이다.”

H. Tonight’s topic is Step Nine: making amends. It’s no easy task, they agree. Where do you find

all the people you’ve hurt? How do you pay all that money back? Rick B. lowers his shaved head,

clasps his hands on the table. “ How do you make amends to a dead person,” he asks. “I did

my time, but that’s not making amends.” Is prayer making amends? It’s been 100 days, he says,

“no crime, no dope.” He’s feeling guilt and shame for the first time in years. “It’s like we’re

thawing out, becoming human again.”

오늘의 주제는 아홉번째 단계이다. 고치는 것. 그들도 그것은 쉬운 일이 아님에 동의한다. 당신이

헤친 사람들을 어디에서 찾겠는가? 어떻게 모든 돈을 돌려 줄 것인다? Rick B.는 그의 삭발한 머

리를 내린다. 그리고 손으로 테이블 위를 친다. 죽은 사람들에게는 어떻게 보상할 것인가,” 그는

묻는다. “나는 나의 시간을 쏟아 부었다. 그러나 그것은 고치는 것이 아니다.” 기도가 고치는 것인

가? 백일 동안 이었다. 그는 말한다. “범죄도 , 마약도 안된다.” 그는 죄책감을 느끼고, 몇 년만에

처음으로 수치심을 느낀다. “그것은 우리가 녹아지는 것과 같다, 다시 인간이 되는 것이다.”

49

I., Mingo knows the group faces skepticism. He knows some members will backslide. “For me,

it’s a new vision. I have strength and hope of recovery.” the evening’s wrenching hour of

confession ends with arms linked in a group prayer. Some hurry into the night. Others help

Mingo rearrange the hall’s furniture. He gathers his papers and asks about the collection cup,

which usually adds about $5 to the group’s modest coffers. It’s gone. Ripped off, apparently, in

mid-meeting.

Mingo는 그 그룹이 회의론에 직면하고 있다는 것을 안다. 그는 몇몇 멤버들은 원래의 악습으로

되돌아 갈 것을 안다. “나에게는, 그것은 새로운 비전이다. 나는 힘이 있고, 회복에 대한 희망이

있다.” 그 저녁의 괴로운 뒤틀림의 시간은, 고백으로 끝난다. 그룹 지어 기도를 한 후에, 몇몇은

서둘러 집에 가고, 다른 사람들은 밍고가 홀의 가구를 다시 배열하는 것을 돕는다, 그는 그의 종

이들을 모으고, 그 수집 컵이 어디에 있는지 묻는다. 보통 5$ 정도가 다, 약 5$를 그 그룹의 죄질

이 가벼운, 재원들에게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회의 중간에 누군가가 훔쳐갔기 때문이다.

J., Ming, momentarily flummoxed, roars with laughter. What’s a guy to do? He jabs a meaty

finger at the writer’s notebook. “That’s crime addiction, man,” he says. “Write that down.”

Ming은, 순간적으로 어리둥절했다. 웃으면서 고함친다. 인간이 무엇을 해야 하는가? 그는 주먹으

로 찌르듯 친다. 필자의 노트에서 살찐 손가락을. “그것이 범죄 중독이야,” 그가 말한다. “적어”

Part 2: Eye Witness

Eye Witness

He had seen a murder, and the sight had sunken into the brown pits that were his eyes.

그는 살인사건을 보았고, 그 광경은 그의 눈에 깊이 각인되었다.

It had tightened the thin line of his mouth and given him a tic over his left cheekbone.

그의 입 얇은 선이 죄어졌고 그의 왼쪽 광대뼈에 안면경련이 일어났다.

He sat now with his hat in his hand, his fingers nervously exploring the narrow brim.

그는 그의 손에 그의 모자를 들고 손가락으로 불안한 듯 좁은 챙을 만지작거리며 앉아있었다.

He was a thin man with a moustache that completely dominated the confined planes of his face.

그는 작은 얼굴에 매우 특색 있는 콧수염을 가진 마른 사내였다.

50

He was dressed neatly, his trousers carefully raised in a creaser-protecting lift.... "That him?" I

asked.

그는 말쑥하게 차려 입었고, 그의 바지는 주름 잡는 기구로 조심스럽게 들어 올려져 있었다. "저

남자인가?"나는 물었다.

"That's him," Magruder said.

"저 남자입니다," Magruder 가 말했다.

"And he saw the mugging?"

"그럼 그가 강도 행위를 목격한 건가?"

"He says he saw it. He won't talk to anyone but the lieutenant."

"그가 보았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경찰 부서장 외에는 아무에게도 말하려 하지 않습니다."

"None of us underlings will do, huh?"

"우리 아랫사람 중엔 할 수 있는 사람은 없는 건가, 하?"

Magruder shrugged.

Magruder 는 어깨를 으쓱하였다.

He'd been on the force for a long time now, and he was used to just about every type of

taxpayer.

그는 오랫동안 경찰에 있었고, 오로지 모든 납세자의 유형에만 익숙해 있었다.

I looked over to where the thin man sat on the bench against the wall.

나는 벽에 기대어 있는 긴 의자에 앉아 있는 마른 사내를 훑어보았다.

"Well," I said, "let me see what I can get out of him."

"좋아, 그로부터 들을 수 있는지 어디보자." 나는 말했다.

Magruder cocked an eyebrow and asked,"You think maybe the Old Man would like to see him

personally?"

Magruder 는 눈썹을 들어 올리며 물었다, "당신은 늙은 남자가 그를 개인적으로 보고 싶어 할

것이라고 생각합니까?"

"Maybe, If he's got something. If not, we'd be wasting his time. And especially in this case, I

don't think..."

51

"아마도 그가 뭔가를 얻을 수 있다면. 만약 아니라면, 우리는 그의 시간을 낭비하게 하는 것이지.

그리고 이 사건은 특히, 나도 모르겠군..."

"Yeah," Magruder agreed.

"예", Magruder 가 동의했다.

I left Magruder and walked over to the little man.

나는 Magruder 를 남겨놓고 그 작은 남자에게 걸어갔다.

He looked up when I approached him, and then blinked.

내가 그에게 다가갔을 때, 그는 바라보며 눈을 깜빡였다.

"Mr. Struthers?"

"Struthers 씨?"

"Yes," he said warily.

"예", 그는 경계하며 대답했다.

"I'm Detective Cappeli. My partner tells me you have some information about the..."

"전 형사 Cappeli 라고 합니다. 제 파트너가 당신이 이 사건에 대하여 어떤 정보를 가지고 있다고

나에게 말했습니다."

"You're not the lieutenant, are you?"

"당신은 경찰 부서장이 아니지 않나요?"

"No," I said, "but I'm working very closely with him on this case."

"그렇습니다. 그러나 전 이 사건에서 그와 함께 매우 가까이서 일하고 있습니다."

"I won't talk to anyone but the lieutenant," he said.

"나는 경찰 부서장 외에는 누구와도 이야기 하지 않겠소." 그는 말했다.

His eyes met mine for an instant, and then turned away.

그의 눈은 잠깐 나와 마주쳤고, 그런 후 돌아섰다.

He was not being stubborn, I decided.

그가 완고하지 않다고 나는 판단했다.

52

I hadn't seen stubbornness in his eyes. I'd seen fear.

나는 그의 눈에서 완강함을 보지 못했다. 나는 두려움을 보았다.

"Why, Mr. Struthers?"

"왜 그러죠, Struthers 씨?"

"Why what? Why won't I tell my story to anyone else? Because I won't, that's why."

"왜라뇨? 어째서 내가 나의 이야기를 아무에게나 해야 합니까? 그런 이유 때문에 싫습니다."

"Mr. Struthers, withholding evidence is a serious crime.

"Struthers 씨 증거를 은닉하는 것은 심각한 범죄입니다.

It makes you an accessory after the fact. We'd hate to hate to ..."

그것은 진실 뒤에서 당신을 방조자로 만드는 것입니다. 우리는 미워하는 것을 미워하고..."

"I'm not withholding anything.

"나는 아무것도 은닉하지 않습니다.

Get the lieutenant, and I'll tell you everything I saw.

경찰 부서장을 데려다 주시오, 그러면 내가 본 모든 것을 당신에게 말하겠소.

That's all, get the lieutenant."

그게 전부요, 경찰 부서장을 데려다 주시오."

I waited for a moment before trying again.

나는 다시 시도하기 전에 잠시 시간을 가졌다.

"Are you familiar with the case at all, sir?"

"당신은 이러한 경우가 전혀 없었나요?"

Struthers considered his answer.

Struthers 는 그의 답변을 고려했다.

"Just what I read in the papers. And what I saw."

"단지 나는 신문을 읽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나는 무엇인가를 보았습니다."

53

"You know that it was Lieutenant Anderson's wife who was mugged? That the mugger was after

her purse and killed her without getting it?"

"당신은 누가 경찰 부서장 Anderson 의 부인에게 강도 행위를 했는지 알고 있지 않습니까? 그

강도는 그녀를 죽이고 지갑을 가지고 가지 않았습니다."

"Yes, I know that."

"예, 나도 알고 있소."

"Can you see then why we don't want to bring the lieutenant into this until it's absolutely

necessary?

"당신은 왜 우리가 그것이 절대적으로 필요할 때 까지 이곳으로 경찰 부서장을 데려오길 원치

않는지 알고 있습니까?

So far, we've had ten people confessing to the crime, and eight people who claim to have seen

the mugging and murder."

그만해 둡시다. 우리는 범죄를 자백한 10 명의 사람들과 강도와 살인을 목격했다고

주장하는 8 명의 사람들이 있습니다."

"I did see it," Struthers protested.

"나는 그것을 보았습니다." Struthers 는 항의 했다.

"I'm not saying you didn't, sir. But I'd like to be sure before I bring the lieutenant in on it."

"나는 당신이 하지 않았다고 말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내가 이곳으로 경찰 부서장을 데려오기

전에 내가 당신을 믿을 수 있기를 바랍니다."

"I just don't want any slip-ups," Struthers said. "I... I don't want him coming after me next."

"난 단지 실수하기 싫어서입니다." Struthers 가 말했다. "나는... 나는 내가 말할 후에 그가 오는

것을 원하지 않습니다."

"We'll offer you every possible protection, sir.

"우리는 당신에게 모든 가능한 보호를 제공할 것입니다.

The lieutenant, as you can well imagine, has a strong personal interest in this case.

당신이 추측할 수 있는 것처럼 경찰 부서장은 이 사건에 개인적으로 강한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He'll certainly see that no harm comes to you."

그는 당신에게 아무런 해가 안 된다는 것을 확실히 알게 될 것입니다."

54

Struthers looked around him suspiciously. "Well, do we have to talk here?"

Struthers 는 그를 의심스럽게 쳐다보았다. "글쎄, 우리는 여기서 이야기해야만 하는 겁니까?"

"No, sir, you can come into my office."

"아닙니다. 제 사무실로 가실 수 있습니다."

He deliberated for another moment, and then said, " All right."

그는 좀 더 신중히 생각하고 "좋습니다."라고 말했다.

He stood up abruptly, his fingers still roaming the hat brim.

그는 여전히 모자의 챙을 만지작거리면서 벌떡 일어났다.

When we got to my office, I offered him a chair and a cigarette.

우리가 내 사무실에 도착했을 때, 나는 그에게 의자와 담배를 제공했다.

He took the seat, but declined the smoke.

그는 자리에 앉았지만, 담배는 정중히 사양했다.

"Now then what did you see?"

"당신은 무엇을 보았습니까?"

"I saw the mugger, the man who killed her." Struthers lowered his voice. "But he saw me, too.

"나는 강도를 보았고, 그 사람이 그녀를 죽였습니다." Struthers 가 목소리를 낮췄다. 그러나 그

또한 나를 보았습니다.

That's why I want to make absolutely certain that... that I won't get into any trouble over this."

그것이 내가 절대적으로 확실하게 만들길 원하는 이유이고... 나는 이 문제에서 어떠한 근심도

받지 않으려는 것입니다."

"You won't, sir. I can assure you. Where did you see the killing?"

"당신이 한 것이 아닙니다. 나는 당신을 보증할 수 있습니다. 어디에서 살인을 보았습니까?"

"On Third and Elm. Right near the old paint factory. I was on my way home from the movies."

"세 번째와 느릅나무에서. 그래요 그 오래된 페인트 공장 근처입니다. 나는 극장에서 집으로 가는

길이였습니다."

55

"what did you see?"

"무엇을 봤습니까?"

"Well, the woman, Mrs. Anderson-I didn't know it was her at the time, of course - was standing

on a corner waiting for the bus.

"글쎄, 여자, Anderson 부인은-물론, 나는 그 때는 그녀라는 것을 알지 못했습니다-길 모퉁이에

서서 버스를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I was walking down toward her.

나는 그녀 쪽으로 걸어 내려가고 있었습니다.

I walk the way often, especially coming home from the show.

나는 특히 극장에서 집으로 올 때, 그 길을 걷습니다.

It was a nice night and..."

좋은 밤이었습니다. 그리고..."

"What happened?"

"무슨 일이 일어났습니까?"

"Well, it was dark, and I was walking pretty quiet, I guess. I wear gummies-gum sole shoes."

"글세, 어두웠고 제 추측에 전 상당히 조용하게 걷고 있었습니다. 전 바닥이 고무로 된 신을 신고

있었습니다."

"Go on."

"계속하세요."

"The mugger came out of the shadows and grabbed Mrs. Anderson around the throat, from

behind her.

"그 강도는 그림자 속에서 튀어나왔고 그녀의 뒤에서 Anderson 부인의 목을 졸랐습니다.

She threw up her arm, and her purse opened and everything inside fell on sidewalk.

그녀는 팔이 떨어졌고, 그녀의 지갑이 열렸으며 내부의 모든 것들이 인도로 떨어졌습니다.

Then he lifted his hand and brought it down, and she screamed, and he yelled, 'Quiet, you

bitch!'

56

그런 후 그는 그의 손을 올렸다가 내리쳤고, 그녀는 비명을 질렀으며, 그는 '조용히 해, 나쁜

년!'이라고 소리쳤습니다.

He lifted his hand again and brought it down again, all the time yelling, 'Here, you bitch, here,

here,' while he was stabbing her.

그는 그의 손을 다시 올렸다가 내리침을 다시 했고, 그가 그녀를 찌르는 동안 '여기, 나쁜 년,

여기, 여기'라고 계속해서 소리쳤습니다.

He must have lifted the knife at least a dozen times."

적어도 12 번 칼을 내리쳤던 것이 틀림없습니다."

"And you saw him? You saw his face?"

"그리고 당신은 그를 봤습니까? 당신은 그의 얼굴을 봤습니까?"

"Yes. She dropped to the ground, and he came running up the street toward me.

"예, 그녀가 바닥에 쓰러졌고 그는 내 쪽 길로 달려왔습니다.

I tried to get against the building, but I was too late.

나는 빌딩 뒤에 숨어 보려했지만 너무 늦었었죠.

We stood face to face, and for a minute I thought he was going to kill me, too.

우리는 서로 얼굴을 맞대고 서있었고, 잠시 동안 난 그가 또한 날 죽일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But he gave a kind of moan and ran up the street."

그러나 그는 신음 소리 같은 것을 내고는 길을 뛰어 올라갔습니다."

"Why didn't you come to the police at once?"

"왜 즉시 경찰서로 오지 않았습니까?"

"I... I guess I was scared. Mister, I still am.

"나는... 나는 무서웠어요. 선생, 나는 지금도 그렇다오.

You've got to promise me I won't get into any trouble.

당신은 내가 어떠한 근심도 생기지 않도록 나에게 약속해야 하오.

I'm a married man, and I got two kids. I can't afford to ..."

나는 결혼했고, 두 아이가 있소. 나는 감당할 수 없습니다..."

57

"Could you pick him put of a line-up? We've already rounded up a lot of men, some with records

as muggers. Could you pick the killer?"

"당신은 사람들을 줄 세운 중에서 그를 집어낼 수 있습니까? 우리는 벌써 몇몇 강도 경력이 있는

다수의 사람들을 체포하였습니다. 당신은 그 살인자를 골라 낼 수 있습니까?"

"Yes. But not if he can see me. If he sees me, it's all off.

"예. 그러나 만약 그가 나를 볼 수 있다면 안 하겠습니다. 만약 그가 나를 본다면, 모두 끝난

겁니다.

I won't go through with it if he can see me."

그가 날 볼 수 있다면 끝내 그것을 하지 않을 것입니다."

"He won't see you, sir. We'll put you behind a screen

"그는 당신을 볼 수 없습니다. 우리는 당신을 칸막이 뒤에 세울 테니까요."

"So long as he doesn't see me.

"그가 나를 알아보지 않는 한 말이죠.

He knows what I took like, too, and I got a family.

그 역시 내 생김새도 알고 있고 난 가족도 있습니다.

I won't identify him if he knows I'm the one doing it."

만약에 그가 내가 유일한 목격자라는 걸 안다면 난 그를 확인하지 않겠습니다."

"You've got nothing to worry about."

"당신은 그것에 대해서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I clicked down Magruder's toggle on the intercom, and when he answered, I said, "Looks like

we've got something here, Mac.

그가 대답했을 때, 나는 인터콤에서 Magruder 의 토글을 눌렀고, 나는 말했다. "여기 뭔가 있는

것처럼 보이는군, Mac.

Get the boys ready for a run-through, will you?"

당신은 그 불량배들을 들여보낼 준비를 해주겠소?"

"Right, I'll buzz you."

58

"예, 제가 당신에게 부저로 신호하겠습니다."

We sat around and wait for Magruder to buzz.

우리는 앉았고, Magruder 의 부저를 기다렸다.

"I won't do it unless I'm behind a screen," Struthers said.

"내가 칸막이 뒤에 있지 않으면 그것을 하지 않겠소." Struthers 가 말했다.

"You'll have a one-way mirror, sir."

"당신은 단 방향 거울에 있습니다."

We've waited for about five minutes when the door opened.

우리는 문이 열릴 때까지 약 5 분 동안 기다리고 있었다.

A voice lined with anguish and fatigue said, "Mac tells me you've got a witness."

고통과 피로가 깔린 목소리가 말했다, "Mac 당신이 목격자를 가졌다고 말해주세요."

I turned from the window, ready to say, "Yes, sir."

나는 창으로 몸을 돌렸고, 말할 준비를 했다, "예"

And Struthers turned to face the door at the same time.

그리고 Struthers 가 동시에 얼굴을 문 쪽으로 돌렸다.

His eyebrows lifted, and his eyes grew wide.

그의 눈썹이 들어 올려졌고, 눈이 커졌다.

He stared at the finger in the doorway, and I watched both men as their eyes met and locked for

an instant.

그는 출입구 쪽에 손가락을 가리켰고, 나는 그들의 눈을 마주치고 잠시 머뭇거리는 두 남자를

보았다.

"No!" Struthers said suddenly. "I... I've changed my mind. I... I can't do it. I have to go. I have to

go."

"안돼!" Struthers 가 갑자기 말했다. "난... 난 마음을 바꿨어. 난... 난 할 수 없어. 난 가야만해. 난

가야만해."

He slammed his hat onto his head and ran out quickly, almost before I'd gotten to my feet.

59

내가 일어서기 바로 전에, 그는 그의 머리에 그의 모자를 꾹 눌러쓰고 급히 밖으로 달려

나갔다.

"Now what the hell got into him all of a sudden?" I asked.

"갑자기 뭐하는 짓이야?" 나는 물었다.

Lieutenant Anderson shrugged wearily.

경찰 부서장 Anderson 은 피로한 모습으로 어께를 으쓱였다.

"I don't know," he said. "I don't know."

"나는 모릅니다.", 그는 말했다. "나는 모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