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상거래 표준화 기술기반조성사업에 관한 보고서 - ITFIND

187
-1- 전자상거래 표준화 기술기반조성사업에 관한 보고서 차년도 중간보고서 (2 ) 2002. 5. 31 주관기관 한국표준협회 :

Transcript of 전자상거래 표준화 기술기반조성사업에 관한 보고서 - ITFIND

- 1 -

전자상거래 표준화

기술기반조성사업에 관한 보고서

차년도 중간보고서(2 )

2002. 5. 31

주관기관 한국표준협회:

산 업 자 원 부

- 2 -

제 출 문

산업자원부장관 귀하

본 보고서를 전자상거래 표준화 기술기반조성사업의 차년도 추진기간“ ” 2 ( : 2001.

중간보고서로 제출합니다7. 1 ~ 2002. 6. 30) .

2002. 5. 31

주관기관명 : 한국표준협회

총괄책임자 : 유 광 현

- 3 -

목 차

제 장 사업개요1

제 절 사업 추진 배경1

전자상거래표준화의 필요성1.

가 기술적 특성.

나 산업적 특성.

다 환경적 특성.

라 정책적 특성.

국내 외 관련 산업기술기반조성 현황2. ㆍ

가 국외현황.

선진국 및 개발도상국 현황 및 동향(1)

주요 해당분야 경쟁국가의 현황 및 동향(2)

나 국내현황.

국내 산업기술기반조성의 현황 및 수준(1)

관련기관들의 사업추진 현황 및 비교분석(2)

사전조사 등을 바탕으로 한 사업추진의 타당성 분석결과 제시(3)

제 절 사업 목표와 내용2

최종목표1.

사업내용 및 범위2.

제 절 추진전략3

연차별 중점 추진 사업내용1.

추진방안2.

추진조직3.

제 절 기대효과 및 공동활용방안4

기대효과1.

가 직접적 효과.

나 간접적 효과.

공동활용방안2.

제 장 당해년도 추진현황2

- 4 -

제 절 총괄1

추진전략1.

사업 목표 및 추진 내용2.

가 당해연도 사업목표.

나 추진 내용.

제 절 전자상거래 표준화 로드맵 년도2 (2002 )

정의 및 목표1.

구성2.

단계별 추진 전략3.

추진 체계4.

추진 경과5.

제 절 전자상가래 표준 개발3

전자카탈로그 분야1.

가 개요.

나 국제표준화 동향.

식별 표준(1)

분류 표준(2)

속성 표준(3)

온톨로지(4) (ontology)

표준화 지원기술(5)

다 국내표준화 활동.

전자카탈로그 기술위원회 활동(1)

년도 업종별 전자카탈로그 표준화 활동(2) 2001

년도 전자카탈로그 표준화 활동(3) 2001 G2B

라 개발 규격 요약.

전자카탈로그 상품분류코드(1)

전자카탈로그 상품식별코드(2)

전자카탈로그 상품속성코드(3)

전자카탈로그 운영 프로세스(4)

업종간 전자카탈로그 연계 지침(5)

전자카탈로그 데이터 인증 관련 기술현황(6)

- 5 -

전자문서 분야2.

가 개요.

나 국제표준화 동향.

개요(1) UN/CEFACT

의 조직 및 역할(2) UN/EDIFACT

의 조직 변경 계획 안(3) UN/CEFACT ( )

주요 워킹그룹의 활동내용(4) UN/CEFACT

무역절차 간소화 권고안(5) UN/CEFACT

(6) ISO TC154

(7) ISO/IEC JTC1 SC34

다 국내표준화 활동.

전자문서 기술위원회 활동(1)

산업부문 네트워크 구축지원사업 전자문서 표준화 가이드라인(2) B2B ,

라 개발 규격 요약.

를 기반으로 하는 메시지(1) EDI XML

기반 비즈니스 프로세스(2) UMM(UN/CEFACT Modeling Methodology)

분석 모델

업종간 핵심 컴포넌트 사전 및 어셈블러 규칙(3) (Dictionary ) (Assembly

을 고려한 전자문서규격 개발 지침rule)

제품모델 분야3.

가 개요.

나 국제표준화 동향.

다 국내표준화 활동.

라 개발 규격 요약.

국내적용 지침(1) STEP

매크로 파라메트릭 교환을 위한 표준 모델링 명령어(2)

제품 데이터 관리 스키마(3) (PDM)

전자화폐 분야4.

가 개요.

나 국제표준화 동향.

다 국내표준화 활동.

라 개발 규격 요약.

스마트카드 기반의 전자화폐 키 관리(1)

전자화폐 거래 프로토콜 및 데이터요소(2)

스마트카드형 전자화폐 시스템을 위한(3) PSAM

- 6 -

제 절 전자상거래 인증방안 연구4

개요1.

전자상거래 인증 프레임워크 연구2.

가 연구의 추진 절차.

나 연구의 필요성.

다 연구의 목표.

라 연구 내용.

제 절 전자상거래표준화 통합포럼 운영5

개요1.

주요추진 실적2.

가 전자상거래표준화 통합포럼 운영 회의.

나 기술세미나 개최.

다 국제표준화 협력 추진.

국제표준단체 가입(1)

국제표준전문가 해외파견(2)

라 정보제공 시스템 구축 및 운영.

개발목적(1)

개발이력(2)

(3) URL

주요기능(4)

- 7 -

표 목 차< >

표 전세계 부문별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장 규모 전망[ 1]

표 전자상거래 관련 국외 현황[ 2]

표 사업 주요계획[ 3] UK Online

표 마스터 플랜 개관[ 4] Infocomm21

표 주요 해당분야 경쟁국가의 현황 및 동향[ 5]

표 표준과제 진행 현황[ 6] ECIF

표 주요 부처별 전자상거래 정책 추진 현황[ 7]

표 전자상거래 인프라 확충 세부 추진 과제[ 8]

표 공공부문의 선도적 역할 강화 세부 추진 과제[ 9]

표 전산업의 비즈니스 네트워크 구축 세부 추진 과제[ 10] e-

표 전자카탈로그 관련 표준[ 11]

표 전자문서 관련 국제표준화 기구[ 12]

표 현재 프로젝트 팀의 전환 방안[ 13]

표 디렉토리[ 14] UN/EDIFACT

표 하위 워킹그룹[ 15] EWG

그 림 목 차< >

그림 전세계 인터넷 이용자 수 및 전자상거래 규모 전망[ 1]

그림 전자상거래 산업 디지털경제[ 2] , IT ,

그림 전자상거래 활성화 종합대책[ 3] (2000.02)

그림 영국의 온라인 정보화 청사진[ 4]

그림 광의의 전자상거래 기술 요소[ 5]

그림 당해연도 사업추진조직[ 6]

그림 로드맵 추진 체계[ 7]

그림 구조[ 8] UN/CEFACT

그림 의 전반적인 구조 개편안[ 9] UN/CEACT ( )

그림 전환 계획[ 10] UN/CEFACT

그림 전자화폐 키 관리 시스템[ 11]

그림 프로토콜[ 12] Flow

그림 구성도[ 13] PSAM

- 8 -

제 장 사업개요1

제 절 사업 추진 배경1

전자상거래표준화의 필요성1.

가 기술적 특성.

전자상거래는 다양한 통신방식과 정보기술을 응용한 복잡한 운영시스템과 구현O

제품을 근간으로 구성되는 특징이 있어 이들 제품 또는 기술간의 효율적인 통합화

문제가 전자상거래 활성화의 중요 제약 조건으로 작용하고 있음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요소기술 또는 제품간의 상호운용성 및 호환성을 확O

보하는 것이 글로벌 전자상거래 관련 시장의 활성화를 이끌어 낼수 있는 동인으로

판단되고 있어 표준화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음

선진 각국의 기업들은 전자카탈로그 등과 길은 표준화 활동을 전자O “ebXML”, “ ”

상거래 관련 세계 시장 장악을 위한 핵심 요소로 간주하고 글로벌 전자상거래 표준

개발 작업을 주도적으로 참여하여 리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

나 산업적 특성.

새로운 사업기회 창출 기업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 전자상거래의 필요성이 대두O ,

된 후 기업의 생존 전략으로까지 확대되며 전세계적으로 급속히 확산되고 있음

또한 기존의 지역적 전자상거래는 글로벌 표준에 의한 단일 글로벌 시장으로 확O

대 형성됨에 따라 전세계 누구와도 전자상거래가 가능케 됨

전자상거래 관련 시장은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장과 전자상거래 시장으로 구분될O

수 있으며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장은 기존의 서비스 시장과 많은 부분이 겹치며IT

년 억 달러에서 연평균 의 성장률을 보이며 년까지 약 억2000 758 47.4% 2005 5,273

달러로 성장 할 것으로 전망됨(Gartner Group)

- 9 -

표 전세계 부문별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장 규모 전망[ 1]

인터넷 사용 인구를 기반으로 전세계 전자상거래 시장은 년에 억 달러O 1997 260

에서 년 년에는 연간 억 달러 년 년에는 연간 조2001 - 2002 3,300 , 2003 - 2005 1

달러 이상으로 성장 할 것으로 전망(OECD)

그림 전세계 인터넷 이용자 수 및 전자상거래 규모 전망[ 1]

- 10 -

다 환경적 특성.

전자상거래는 정보기술을 생산하는 산업 정보기술을 이용하는 산업 그리고 전자O ,

상거래가 혼합된 디지털경제와 밀접한 관련을 기지고 있으며 미국 상무부는 디지털

경제를 이루는 하부구조는 정보기술이고 정보기술의 급속한 진보가 없다면 디지털,

경제가 도래할 수 없었다고 함

이러한 정보기술의 진보를 통해 피어난 꽃이 바로 전자상거래로 디지털 경제를O

구성하는 많은 요소 가운데서 가장 핵심적인 위치를 차지 함

디지털경제는 신경제 네트워크경재 지식기반경제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으O , ,

며 고성장 저실업 고생산성으로 대표되는 신경제는 와 인터넷을 배경으로 네트, , IT ,

워크경제는 인터넷이라는 네트워크 도구를 기반으로 지식기반경제는 인터넷이라는,

지식과 정보의 유통매개를 기반으로 형성되고 있어 모든 새로운 경제 개념이 전자

상거래와 관계를 형성하고 있음

그림 전자상거래 산업 디지털경제[ 2] , IT ,

- 11 -

라 정책적 특성.

미국 일본 등 선진국은 전자상거래 추진전략을 수립하고 법 제도 정비 등 전자상, ,

거래 활성화에 범국가적 역량을 결집하고 있음

미국 전자상거래 최선두 국가로써 글로벌 전자상거래 기본계획 을 수립하고O : “ ”

부통령을 위원장으로 하는 전자상거래 작업반“ (The U.S Government Working

을 구성 운영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정부의 노력Group on Electronic Commerce) ,

에 힘입어 민간기업도 개별기업차원은 물론 경쟁업체와의 협업과 이업종간의 제휴

등을 통해 전자상거래를 적극 추진하고 있음

일본 년대 중반부터 업종별 칼스 실증 프로젝트 등을 추진하였으나 큰 성O : 1990

과를 거두지 못해 전자상거래 발전이 상대적으로 부진한 편이나 년 들어 전자2000

서명법 제정 이후 범국적으로 선진국으로의 도약을 위해 노력을 경주하고 있으IT

며 구상 을 발표하고 기본법 을 재정하여 추진체제를 정비하고 단계“e- Japan ” “IT ”

적으로 국가역량을 결집하고 있음

영국 년 토니 블레어 총리 주도로 발표하며O : 1999 “[email protected]"

디지털혁명을 경제도약의 계기로 삼아 세계 최고수준의 전자상거래 선진국가로 도

약한다는 목표아래 총리 직속으로 전자상거래 담당각료 와 특사(e-Minister)

를 임명하였음(e-Envoy)

표 전자상거래 관련 국외 현황[ 2]

국가 추진체계 종합대책 관련법령

미국전자상거래작업반반장 부통령( : )

전자상거래“기본계획 이(1997)”후 매년 연례보고서 발표

통합전자거래법(1999)글로벌전자서명법(2000)

영국e-Mnister,e-Envoy

[email protected]

전자통신법(2000)

일본전략본부IT

본부장 총리( : )

추진전략IT (2000)중점계획e- Japan

(2001)

기본법IT (2000)전자서명법(2000)

- 12 -

국내는 선진국 수준의 인프라를 구축하고 년 이래 연평균 이상의O IT 1994 100%

이용자 증가세를 보이며 인터넷 보급률과 초고속인터넷 보급률 모두 회원국OECD

중 위로 평가 신경제에 관한 보고서1 (OECD , 2000. 5. 16)

전자거래기본법에 따라 산업자원부 재정경제부 정보통신부 등 전자상거래 관련O , ,

부처가 모두 참여하는 전자거래정책협의회 를 운영하고 있으며 전자상거래 활성“ ” “

화 종합대책 을 수립하여 대 중점시책과 개 장 단기 세부 과제를 제시하고 전” 5 40 ,

자상거래 확산을 위한 기본 틀을 마련하여 운영하고 있음

그림 전자상거래 활성화 종합대책[ 3] (2000.02)

- 13 -

국내 외 관련 산업기술기반조성 현황2. ㆍ

가 국외현황.

선진국 및 개발도상국 현황 및 동향(1)

가 미국( )

년 글로벌 전자상거래 프레임워크 는 미국의 정보고속도로 구축에서 한걸O 1997 “ ”

음 더 나아가 글로벌정보인프라 라는 목표(Glob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 GII)

를 설정하고 이러한 환경에서 중요한 상거래 수단인 전자상거래에 적용되는 다, GII

섯가지 주요한 원칙으로

민간주도-

정부의 부적절한 간섭배제-

양립가능하고 명확한 법적 환경의 유지와 강화-

인터넷의 특성 인정-

전세계적인 기초에 근거한 전자상거래 촉진-

을 설정하고 이러한 원칙에 일관되게 정책을 적용하고 있음

전자상거래 작업반은 제 차 연례보고서를 통해 관세 글로벌 전자상거래 시장O 1 , ,

관련 특허보호 및 도메인 이름 통일법 프레임워크 와, (Uniform Legal Framework)

전자서명 온라인상의 개인정보보호 기술표준 등의 문제를 주요 논의사항으로 다루, ,

었음

기업의 생존 및 국가의 흥망을 좌우하는 핵심요소로 표준화를 인식하고 기업을O

앞장세워 전 세제적인 전자상거래 표준의 제정에 있어서도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

고 있음

나 영국( )

영국의 전자상거래는 년 블레어 총리의 와O 1999 “[email protected]"

년 영국이 전자상가래 국민의 보편적 접근 전자정부에서 세계 최고가 되기위2000 ,

한 영국 온라인화 계획 을 통해 추진되고 있음“ (UK Oline)"

- 14 -

에 따라 전자상거래와 관련된 정부부처간 이해를 조O “[email protected]"

율하고 전략보고서의 내용을 실제 정책에 반영 감시하는 전자상거래 특사, “

직을 신설하여 프로그램 관(E-Envoy) e-Business, e-Government, e- Inclusion,

리 해외에서의 전략 수행 등 대 주요 업무를 담당케 함, 5

정부와 통신 전자 창조적 콘텐츠 산업계 인사 명이 참여하고 있는 민O IT, , , 36 ㆍ

관 포럼인 정보화시대 파트너쉽 애서 전자상거래 추“ (Information Age Partnership)

진실태를 점검하고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고 있음

사업에서는 전자상거래 강국을 목표로 기업친화적 사업환경을 조성하O UK Online

는데 주력하기로 하고 만개 중소기업의 온라인 무역 지원 전자상거래 사용에서100 ,

중소기업이 국제적인 테스트 수준이 되도록 유도 영국 내에서 거래 비, B2B, B2C

중을 국가 중 가장 높은 수준이 되도록 목표 설정을 하였음G7

표 사업 주요계획[ 3] UK Online

분야 주요 내용

국민의온라인화

가장 낙후된 지역에 개의 온라인 센터설립을 시작으로- 600년까지 모든 공공도서관을 포함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2002 ,여개의 온라인 센터를 설립할 계획6,000년 가을부터 인터넷을 통해 교육과 훈련을 실시하는- 2000

개시“Learndirect”개의 센터가 년 월까지 수립 년까지- 1,000 Learndirect 2001 4 , 2002

매년 만개의 코스를 제공할 예정100

기업의온라인화

기업의 온라인화를 위해 년 한해 만 파운드 투자 향후- 2000 1,000 ,년간 만 파운드 투자2 1,500

정부의온라인화

지난 년간 정부서비스의 전자적 제공을 위해 억 파운드 투자- 3 10년까지 모든 서비스의 전자적 제공- 2005

- 15 -

그림 영국의 온라인 정보화 청사진[ 4]

다 일본( )

일본은 년 고도정보통신사화를 위한 기본방침 을 발표하고 년 기본O 1995 “ ” 1999

방침의 구현을 위한 대 행동원칙과 대 당면목표가 포함된 활동계획을 발표하였으3 4

며 년 제 회 국회에서 고도정보통신 네트워크사회 형성 기본법 기본법2000 150 “ (IT )"

을 제정하고 년 제 회 전략본부 회의에서 기관전략 에 근거하여 국가 전2001 1 “IT ” IT

략으로 전략 이 결정됨“e-Japan ”

고도정보통신사회행동계획의 대 원칙은 전자상거래 발전은 원칙적으로 민간주O 3 “

도로 이뤄져야 하며 정부의 역할은 민간 활동을 유도하기 위한 환경의 정비를 기" “

본으로 하며 불필요한 규제나 제한을 두지 말아야 하며 규제 등의 관여를 할 경우,

라도 명료하고 투명하도록 하여 거래당사자에게 불확실성을 주어서는 안되고 국”, “

경을 초월하는 전자상거래의 특성상 국제기관이나 외국과의 조정 및 국제적인 조화

확보와 세계적 표준에 관한 논의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라고 정의 함”

동 계획의 대 당면목표는 전자상가래 등 추진을 위한 환경정비 공공 분야의O 4 “ ", “

정보화 정보 해독능력의 향상 및 인재 육성과 교육의 정보화 네트워크 인프라", “ ", “

의 정비 등이며 그 밖의 과제로는 정보 통신의 고도화를 위한 제도 정비 기초적" ,

선단적인 연구개발 하이테크 범죄 및 프라이버시 대책 소프트웨어의 공급 콘텐츠, , ,

부문 상호운용성 및 상호접속성의 확보 표준 및 연동성 등을 포함하고 있음, ( )

- 16 -

라 싱가포르( )

싱가포르는 전국 광역인프라 구축을 위해 년 도입된 싱가포르 전략O 1998 “ One ”

과 정보통신산업의 발전을 통해 향후 년 내 정보화 시대의 세계 경제대국으로 도5

약한다는 비전을 제시한 으로 집약됨“Infocomm21 "

전국의 온라인화를 통해 싱가포르를 이른바 로 전환시키겠다O “Intelligent Island"

는 취지의 싱가포르 은 소프트웨어적 개념으로 첨단 네트워크 및 교류가 가능One

한 광대역 인프라망 구축이고 하드웨어적 개념으론 인프라의 초고속 대용량 성능,

을 최대한 활용하는 첨단 응용 기술 및 서비스 제공 임

세기 첫 년을 위한 계획으로 발표된O 21 10 IT ICT21(Information &

또는 은 싱가포르를 아시아 지역에Communications Technology 21) Infocomm21

서 가장 역동적이고 선도적인 허브로 발전시키고Infor-Communications ,

의 닷컴화를 통해 온라인 국가를 건설하여 정보화 부3P(Private, People, Public) ,

문의 인적역량을 배가한 것으로 계획의 주요 개관은 표 와 같음[ 4]

표 마스터플랜 개관[ 4] Infocomm21

목표 핵심 구성요소 비고

정보통신산업육성으로

글로벌 네트워크의 중

심으로 도약

통신시장 개방제도적 기업친화적 틀 구- ,축정보통신 초고속 멀티미디- (어 무선 집적지 개발, )

혁신과신서비스 창출 통신시장의 완전 자유화(2000.1발표)정보통신산업의 세계중심지로 도약(2000. 4발표)

비즈니스의 경쟁력강화

민간기업부문의 닷컴화온라인 경제 진입을 촉진-첨단의 전자상거래-인프라를 구축

전자상거래의 세계적거점지화(Dotcom thePrivate Sector. 2000. 8발표)

- 17 -

목표 핵심 구성요소 비고

강화e-lifestyle국민의 닷컴화온라인 라이프스타일 보편화-

시민의 온라인화 촉진Dotcom the Private

발표Sector, 2000. 8 )

전자정부 구축공공부문의 닷컴화양질의 온라인 정부서비스제공

최상의 전자정부 구현발표(2000.6 )

고급 정보통신 인력양상

인적 역량 배가에 대한 이해력 증진-Net

국제 유능인력 유치-아시아의 허브화- e-Learning

정보통신 인적자원 육성발표(2000. 3 )

마 중국( )

중국정보산업부 는 년 제 차 세계 컴퓨터O (Ministry of Information Industry) 2000 5

박람회에서 차 개년 계획동안의 정보산업발전방향을 발표하였는데 주요 내용은10 5

중국정보산업의 시장규모는 에의 배속도로 증가하여 세계 위를 차지하고 전G7 3 1 ,

자정보제조업의 시장규모는 세계 선진대열에 진입하며 중대한 정보공정에 사용되,

는 핵심기술의 국산화를 실현하겠다는 것 임

특히 중국은 인터넷 사용활성화를 위한 정책으로 정보산업부는 중문정보처리 정O ,

보검색 전자상거래 인터넷교육 인터넷 병원 등의 응용소프트웨어와 시스템 유닛, , ,

은 물론 중문 플렛폼과 각종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정부 기업 사업 단위 연합단, / ,

체 학교 개인의 인터넷 사용을 적극 활성화한다는 계획을 세웠음, ,

또한 전자상거래를 세기 정보사회 경제활동의 중요한 하나로 인식하여 전자O , 21

상거래를 지도하는 정책제정과 함께 인증센터 암호키 센터 지불 게이트웨이 및, ,

센터를 건설하며 전자상거래를 지원하는 법률을 제정하고 기업들도 전자상거EDI , ,

래를 적극 추진해야 함을 명시하였음

- 18 -

주요 해당분야 경쟁국가의 현황 및 동향(2)

표 주요 해당분야 경쟁국가의 현황 및 동향[ 5]

미국 유럽 일본

기본원칙

민간부문의 주도1.정부의 간여 최소화2.인터넷상의 전자상3.

거래는 전세계적으로촉진

규제 자체를 위한 규1.제 지양모든 규제는 유럽단2.일시장의 자유화에 기초모든 규제는 비즈니3.스 현실을 고려해야 함

전자상거래에 대한1.건설적 노력과 변화에대한 빠른 대응에 주력전자상거래의 보안2.및 신뢰구축 확보에 주력가이드라인에 의한3.국제적 공조체제를 확립

기술표준

시장의 수요와 공급에의한 사실표준의 발전및 정착에 노력

정보기술관련 개발비용최소화를 위해 정부와국제표준화기관에 의한표준제정 선행을 주장

통산성을 중심으로 표준기반의 정비 행정,및 민관 인터페이스에대한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음

전자결제

높은 컴퓨터 보급률과광대한 국토에 상응하는 네트워크형 전자화폐 개발에 중점

카드형 전자화폐개발IC에 역점을 두고 전자화폐 발행 및 통제의 주체 결정에 의견 수렴중

신용카드 선불카드 방/법이 실용화되고 있으며 전자 결제 시스템,안정성 확보를 위한 법적 환경정비 마련에 중점

보안암호화

인증 암호화 패스워드, ,통제 방화벽 사용을,통한 안전장치 설계에중점

민간과 정부는 암호기․술 개발과 암호 사용에대하여 부과해온 규제를 완화 암호화 기술/ ,상품 및 서비스 분야에서 포괄적이고 적절한산업정책 수립을 후원

네트워크상의 범죄행위방지 대책의 필요성 계몽 및 기술개발 촉진,암호기술의 부정이용대책 등 보안에 관한지침 정비

전자서명인증

밀레니엄 디지털 상거래법을 의회에 제출하고 연방정부차원에서전자서명의 법적효력발휘에 노력 개주에/41서 전자서명법 제정

내부시장접근 적용하여 전자서명에 대해,최소한 요건 충족으로자유로운 유통을 가능케 하고 국가간 전자,서명의 법적 상호 인증과 표준화를 도모

에서UNCITRAL 1996년부터 실시되고 있는모델법 작성 작업에 적극적으로 참가 인증실/용화 실험협의회에서전자서명 인증기관의설립예정

- 19 -

나 국내현황.

국내 산업기술기반조성의 현황 및 수준(1)

전자상거래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기반 기술부터 응용 기술에 이르기까지 매우O

다양한 정보 기술들이 상호운용성을 확보하며 통합화되어야 하며 이를 효과적이며

경제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 표준화는 필수적인 선행 항목임

그림 광의의 전자상거래 기술 요소[ 5]

그림 에서 기술되고 있는 다양한 기술요소에 대한 표준화 작업은 표 에O [ 5] [ 6]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총 개 분야에서 개의 과제가 전자상거래 표준화 통합5 39

포럼에서 추진되었거나 추진 중에 있음

- 20 -

표 표준과제 진행 현황[ 6] ECIF

번호 위원회 과제명 수행기간 현단계1

전자카탈로그

전자카탈로그 표준현황 및 적용지침 00.12~01.02

2상품분류체계 및 식별코드 표준현황 및적용지침

00.12~01.02

3 상품속성정보 게시 및 표준현황 적용지침 00.12~01.024 전자카탈로그UPC 00.12~01.025 형 전자카탈로그GDAS 00.12~01.02

6기반 전자카탈로그 리포지토리XML

구축기술00.12~01.02

7 식별체계 표준안 01.09~01.118 업종간 연계방안 01.09~02.019 카탈로그 데이터 인증 01.09~02.0110 분류체계 표준안 01.09~02.0111 공통속성 표준안 01.09~02.0112 운영프로세스 모델 01.09~02.0113

전자문서

전자문서 표준현황 및 적용지침 01.01~01.0214 전자상거래를 위한 기본요건 01.01~01.0215 전자상거래의 기술적 기본구조 01.01~01.0216 전자상거래를 위한 메시지 교환방식XML 01.01~01.0217 를 기반으로 하는 규격EDI XML 01.10~01.1118 기반 비즈니스 프로세스 분석모델UMM 01.10~01.11

19업종간 을Dictionary Assembly rule고려한 전자문서 규격

01.10~01.11

20

전자상거래서비스

전자상거래 프레임워크 표준현황 및적용지침

01.01~01.02

21비즈니스 모델의 분류와 표준 프로파일작성지침

01.01~01.02

22전자상거래를 위한 한글처리 표준현황 및적용지침

01.01~01.02

23 프레임워크 아키텍처 기능정의서ECIF 01.05~01.12

24프레임워크와 타 프레임워크 간ECIF

인터페이스 정의서01.05~01.12

25 기업 프로파일 표현방법 표준 01.07~01.1226 비즈니스 프로세스 메타모델 01.01~01.1227 메시지 교환형식 표준 01.07~01.1228 레지스트리 정보 모델 기능 정의서 01.08~01.1229 레지스트리 서비스 기능 정의서 01.08~01.1230 시스템 통합절차 지침 01.01~01.12

31비즈니스 모델 유형분류 및 정형화된표현방법에 관한 연구

01.01~01.12

32 용어표준e-Business 01.01~01.12

- 21 -

33제품모델

파트라이브러리와 관련한 부품체계STEP표준현황 및 적용 지침

00.12~01.02

34 표준 국내 적용 지침 개발STEP 00.12~01.0335 스키마 표준 규격 권고안 개발PDM 00.12~01.03

36전자상거래를 위한 표준STEP Parametrics규격 권고안 개발

00.12~01.03

37기타

전자지급결제 표준현황 01.01~01.02

38카드 접촉식 비접촉식 기반의 전자지불IC ( , )수단사용현황 및 표준화 과제

01.01~01.12

39 커머스 표준현황M- 01.01~01.12출처 전자상거래 표준화 로드맵[ : , 2002]

산업자원부와 정보통신부가 공동으로 설립한 민간표준화기구인 전자상거래 표준O

화 통합포럼 은 본 사업의 지원을 받아 민간부문에서는 국내 최초로 작성된(ECIF)

전자상거래 표준화 로드맵 을 확정하여 기업의 기술개 발전략 수립은 물론 정부의“ ”

관련정책 수립에 기여하고 있음

관련기관들의 사업추진 현황 및 비교분석(2)

가 주요 부처별 전자상거래 정책 추진 현황( )

표 주요 부차별 전자상거래 정책 추진 현황[ 7]

관련부처 소관업무 세부 추진과제

산업자원부

전자상거래o정책 총괄

매분기별로 전자거래정책협의회 정기 운영o각 부처별 추진 현황 점검 협의- ,

산업부문o전자상거래 확산

네트워크 구축지원사업 확대oB2B년까지 개 업종으로 확대- 2003 50

제조업의 확산- “e-Transformation"중소기업의 화 추진o IT

년까지 만개로 확대- 2003 3디지털산업단지 구축o

년까지 개 산업단지로 확대- 2005 21

- 22 -

관련부처 소관업무 세부 추진과제

산업자원부

사이버무역o촉진

종합추진단 구성 운영oB2B ,종합대책 수립 추진o ,한일 전자무역 네트워크 연계 등 개 분야 개 세- 4 16

부사업 추진

법 제도 정비o ,

전자거래기본법 개정o법률관계를 명확히 하고 인프라 지원시책 강화-분쟁조정위원회의 기능 강화o기본법 개정안에 반영-

인프라 조성o 기술개발 표준화 인력양성 지속 추진o , ,

정보통신부

전자상거래o법제도 정비

년 중 전자서명법 개정 추진o2001기술중립적으로 전자서명 개념을 확대하고 공인인- ,

증기관 지정제도 개선년까지 만명 전자서명 이용자확보o2002 1,000포럼 설립- PKI

응용분야별로 간담회 개최 등을 통해 이용 활성화-추진지적재산권 보호제도 확립o한국인터넷정보센터내에 도메인이름분쟁조정위원-

회 구성 운영,

초고속정보통o신망 구축

년 중 단계 초고속정보통신망 고도화 기본계o2001 3획을 수립 추진,기술개발 등 전략분야에 년까지o : SCM, CRM 2005억원 지원943

인프라 조성o

표준화 전자상거래 표준화 로드맵에 따라 체계적o :표준개발 및 보급인력양성 전문인력 양성 예산을 대폭 확대하고o : IT ,컨설턴트 전통산업의 인력 양성 등IT , IT

- 23 -

관련부처 소관업무 세부 추진과제

중소기업청

중소기업의 전o자상거래 촉진

만개 중소기업의 화 추진o1 IT조합중심의 시범사업 추진o B2B

년 개 조합을 선정 추진- 2001 3매년 전자상거래 종합박람회 개최o

년 월 개최 개 업체 참여 약- 2001 5 , 92 , 11만명 참관중소기업의 사이버무역기반 조성o

년 월말 현재 홈페이지 만 개- 2001 6 1 4,289업체 전자카탈로그 만 개 구축, 6 882

년까지 홈페이지 만개 기업 전자카- 2002 2 ,탈로그 만개 구축 추진10

조달청정부조달 전자o화

정부조달 사업 완료o EDI/EC조달 을 통한 인터넷 전자상거래 확대o e-Mail전자입찰시스템 이용 확대o전자지불시스템 구축o전자물품목록 시스템 구축o

국방부 국방o CALS/EC

국방조달 전자상거래 체제를 개발하여 시험o운용후 개통향후 전자입찰체계 개발 방식의 전자문o , EDI서 교환체계를 방식으로 개선 추진XML

출처 전자상거래 표준화 로드맵[ : , 2002]

나 주요 사업별 세부 추진 현황( )

전자상거래 인프라 확충 사업은 전자상거래 활성화에 기본이 되는 정보 통신망O “ ”

확충을 비롯하여 표준화 기술개발 인력양성 전자결제시스템 구축등의 과제가 추, , ,

진 중에 있음

- 24 -

표 전자상거래 인프라 확충 세부 추진 과제[ 8]

세부추진과제 추진현황 관련부처 일정

초고속정보통신망조기구축

년 년 초고속정보통신망 고2001 - 2005도화계획을 수립하여 상경 준비 중

정통부 2005

전자상거래 표준화

전자상거래 표준화 로드맵 수립전자상거래 규격 개발전자상거래 인증 및 통합품질 서비스 개발

산자부 계속

전자상거래 기술개발

전자상거래 기술개발 사업 시행계획 공고(2001. 05)

산자부 정통,부

계속

전자상거래 전문인력양성 정규 교육(기관)

년 대학 원 전문대학 산업대학 정2002 ( ), ,원조정 지침에 반영전자상거래 관련학과 및 전공과정신 증,설 권장

교육부 정통,부

계속

전자상거래 전문인력양성민간 교육 기관( )

인터넷 전문가 양성 훈련기관 및 과정 선정 만명 양성(1 )분야 전문인력 양성 예산 확대IT

억원(2001-2,141 )

노동부 정통,부

계속

전자상거래 관리사 우대조치 검토 노동부 계속

비즈니스 인력e-양성

에 전문과정 개설KAIST전문강사 양성 추진

산자부 계속

전자결제시스템 구축 보급,

전자결제 구축기본계획 및 세부계획B2B수립

재경부 산자,부

계속

물류체계 구축대 거점별 내륙화물기지 조성5로지스틱스 기반 확충 등e

산자 건교 해, ,수

계속

비즈니스 인덱e-스 도입

인덱스 개발사업 타당성 검토산자부 중기,청

계속

공공부문의 선도적 역할 강화 사업은 세기 전자정부와 지식경제강국 구축의O “ ” 21

핵심과제로 전자조달을 통한 투명성과 생산성 제고 및 서비스 핵심을 통한 고객만

족 정부 실현을 위해 추진 중에 있음

- 25 -

표 공공부문의 선도적 역할 강화 세부 추진 과제[ 9]

세부추진과제 추진현황 관련부처 일정

정부통합전자조달시스템구축

활성화 실무추진단구성G2B활성화 세부사업계획 수립G2B

기획예산처2001계속

정부부문전자조달조기구축

정부조달의 전자화추진

정부조달 확산사업완료EDI/EC (2001)조달 개통 및 품목확대e-Mail공공기관에 전자고지서 발급

조달청 계속

국방 CALS/EC체계구축

국방조달 전자거래체계 개통운영 국방부 2005

건설 CALS/EC체계구축

건설 관련기관 연계추진CALS/EC건설입찰 계약 전자처리 완료, ISP

건교부 2002

공기업의 전자조달확산

한국전력 등 개 선도 공기업대상 계약7전자처리 수립 완료ISP

기획예산처2000계속

전산업의 비즈니스 네트워크 구축 사업은 제조업을 중심으로 농축산물 건설O “ e- ” , ,

의료 등 차 산업까지 전 산업의 비즈니스 네트워크 구축을 통하여 디지털 국1~3 e-

가 경쟁력을 향상하기 위해 추진 중에 있음

표 전산업의 비즈니스 네트워크 구축 세부 추진 과제[ 10] e-

세부추진과제 추진현황 관련부처 일정

제조업의e-Transformation

산업별 비즈니스 로드맵 수립e-시범사업 대상 업종 확대B2B

산자부2000계속

농축 수산물 유통합리ㆍ화

농산물 사이버 도매시장 활성화전자수협 유통정보화 및 전자거래시스템 개발

농림부 해,수부

2005

의료분야 유통개혁 및의료보험 확산EDI

의료보험 이용기관 이용률 확대EDI ,의약품 유통체계 현대화 정보화,

복지부 계속

- 26 -

세부추진과제 추진현황 관련부처 일정

건설 산업의 디지털화인 허가 전자처리시스템 및,

시범적용 중CITIS건교부 2005

중소기업의 화IT중소기업 화 지원대상 모집IT ,선정

산자부 중기,청

2001계속

디지털산업단지 구축안산지역 차년도 시스템 구축1완료개 산업단지 신규 지정5

산자부 중기,청

2005

중소기업의 전자상거래촉진

조합중심의 커뮤니티형 소규모시범사업 추진계획 수립B2B

중기청 계속

산업의 비즈니스 확e-산 붐 조성

비즈니스 기업인연합회 창e-립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 구e-

성 운영추진,

산자부 계속

사전조사 등을 바탕으로 한 사업추진의 타당성 분석결과 제시(3)

가 전자상거래 표준화 활동의 실용성 및 방향성 제공( )

본 사업을 통해 개발되고 있는 전자상거래 표준화 로드맵 은 여명의 전자상O “ ” 50

거래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관련 분야의 기술 발전 추이 및 민간 수요에 대한 적극

적인 반영을 통해 국내 표준화 활동의 프레임워크를 형성하여

기업을 위시한 전자상거래 관련 당사자들에게 전자상거래 기술개발에 대한 가이-

드라인을 제시하여(ECIF, 2002)

관련기업의 기술개발전략 수립을 용이하게 함은 물론 정부의 관련정책 및 사업이-

일관되게 수립되고 수행 될 수 있도록 기여하고 있음 전자상거래백서, (2001 , 2001)

본 사업은 또한 전자상거래 표준화 로드맵 에서 제시한 기술분야별 표준화 대O “ ”

상 및 중요도에 기초하여 해당 민간 전문가들로 하여금 전자상거래 표준 개발을 수

행토록 하고 있어

- 27 -

다양한 기술요소로 구성된 전자상거래 표준화 활동이 방향성을 잃지 않고 관련-

기술 개발을 선도하며 시장의 니즈를 반영하여 실효성 높은 표준이 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이해당사자들간의 충분한 의견 교환 및 표준 수혜자들의 작업 참여를 장려하여-

작업 결과의 현실 적용이 용이토록 하여 지금까지 발생하던 표준 및 시장 기술의“

편차 및 사업의 중복투자를 최소화하여 국가 차원의 시너지 효과를 창출”

나 전자상거래 상호운용성 확보 및 신뢰기반 구축( )

본 사업을 통해 개발되고 있는 전자상거래 인증제도는 전자상거래 국가 인증O “

모델 과 전자상거래 통합 품질 서비스 로 구성되어 표준에 가만한 기술개발을 장” “ ”

려하고 관련 솔루션의 보급 적용 전 단계에서부터 신뢰성 및 상호운용성을 확보ㆍ

토록 하며

대규모 정부 프로젝트에서부터 민간기업의 적용에 이르기까지 결과물에 대한 상-

호연동성 확보를 위한 재투자 또는 수정 보완 작업의 최소화를 유도하여 전자상거

래의 조기 활성화를 촉진할 수 있도록 하며

국제표준에 대한 충실한 이행과 적용을 장려하고 전자상거래의 특징 중 하나인-

글로벌화를 지원하여 전자상거래 자체의 선진화는 물론 전자상거래 서비스 기술의

선진화를 효율적으로 추진하는데 기여 함

최근 전자상거래의 개념이 협업적 전자거래 로 발전함O (Collaborative Commerce)

에 따라 기업간 통합환경이 무엇보다 중요하게 되어 이를 가능케 하는 기업내 또는

기업간 시스템 통합 기술이 중요한 기술분야로 대두되고 있음

이와 같은 시스템 통합 과정을 제대로 수행하지 않을 경우 업무프로세스 효율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마켓플레이스 사이에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서E-

별도의 변환과정이 필요하게 되어 기업간 전자상거래시 막대한 비용부담을 감수해

야 할 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 전자상거래 활성화에 저해요소로 작용할 수 있음

본 사업에서는 이와 같은 통합기술요소 동기 비동기 메시징 비즈니스 프로세- ( ,ㆍ

스 자동화 데이터변환 규칙 엔진 등 및 구현환경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구축된, , )

시스템 또는 적용환경에 대한 전자상거래 통합품질을 평가할 수 있도록 평가지침을

제공함

- 28 -

제 절 사업 목표와 내용2

최종목표1.

최종목표 세부목표 구체적 실적 예상치

전자상거래 표준화 로드맵 개발

기술발전 추세와 민간수요에 따른 기o술표준의 방향제시연도별 표준화 대상 우선 순위 선정o지속적인 수정 보완 작업을 통한 실o ㆍ

용성 및 신뢰성 확보

전자상거래 표준o화 로드맵 건1

전자상거래 표준안 및 적용지침( )서 개발

로드맵에 따른 일관성 있는 규격 개발o수행사실상 표준의 적극적인 수용을 통한o

시장 니즈 반영적요지침서 개발을 통해 표준의 활용o

성 및 이해력을 증대

표준 안 및 적용o ( )지침서 건 개발90

전자상거래인증방안 연구

전자상거래 상호운용성 및 신뢰성 기o반 마련전자상거래 통합환경의 질적 수준 향o

상 및 상호연동성 강화전자상거래 서비스 기술 및 전자상거o

래의 글로벌화 추진을 통한 세계시장 경쟁력 강화

전자상거래 인증o프레임워크 개발전자상거래 통합o

품질 평가방법론 및평가소프트웨어 개발전자상거래 통합o

품질 평가 실증 사업 실시

- 29 -

사업내용 및 범위2.

사업내용 세부목표 사업범위 등

운영적측면

표준화 로드맵개발

전자상거래 표준화 및 관o련 기술 개발에 대한 가이드라인 제공

전자상거래 표준화의 체계o적이며 일관성 있는 추진

전자상거래 기술 요소 분류 및o시장흐름 분석기술 요소별 표준화 동향 및o

선진 각국의 대응 현황 분석기술 분야별 표준화 대상 선정o

및 추진 우선 순위 결정

전자상거래 인증연구회구성/운영

전자상거래 인증 모델 및o실증 적용 방법 연구

전자상거래 인증 프레임 워크o의 타당성 검토 자문․

정보 수집 및분석

국내 전자상거래 표준화o및 상호운용성 확보를 위한방향 제시

전자상거래 표준화 및 관련 기o술 동향 수집 및 분석선진 각국의 상호운용성 확보o

방안 분석

기반조성측면

표준 안 및 적( )용지침서 개발

표준기반 전자상거래 기술o개발 및 서비스 글로벌 환경조성

표준화 로드맵 분석o표준화 대상의 구체화를 위한o

신수요 파악표준 안 및 적용지침서 건o ( ) 90

개발

성과활용측면

전자상거래 인증방안연구

전자상거래 상호운용성 확o보전자상거래 글로벌화 및o신뢰성 확보

전자상거래 인증프레임워크o개발국제 인증 동향 파악 및 적용o사례 분석전자상거래 통합품질평가 방o법론 및 평가 소프트웨어 개발전자상거래 인증 실증사업 수o행

로드맵 및 표준의 보급 및적용

표준화 로드맵 및 표준의o실용성 확보관련 정부 추진 사업에의o적용 및 보완

로드맵 및 표준의 관계기관 보o급

시범사업과의 연계방안o B2B분석

를 통한 의견수렴 및 개o ECIF선점 파악

사업종료 후운영측면

전자상거래 표준화 활성화및 질적 수준향상

전자상거래 국내 기술의o국제 표준화통합품질평가에 따른 전자o상거래 신뢰성 확보

전자상거래 국제 표준화 및 민o간 대응 활성화전자상거래 통합품질 기업 적o용 및 교육

- 30 -

전자상거래 표준화 로드맵 개발o

전자문서 정보기술 통신기술 요소기술 등과 같이 다양한 정보기술분야로 구성- , , ,

된 전자상거래 기술 표준에 대한 총괄적인 이해 증진 및 표준간의 상호 연관성 적,

용 방법을 연구하여 기술발전 추세와 민간수요에 따른 표준의 방향을 제시

현재 국내에서 추진되고 있는 관련 사업에 효율적으로 표준이 사용될 수 있도록-

연도별 개발 우선 순위 설정

정보기술의 기술발전 속도 및 국내외 시장 니즈의 적절한 반영을 통해 표준이 기-

술 발전 및 전자상거래 활성화에 저해 요소가 되지 않도록 지속적인 개정 작업 수

전자상거래 표준 안 개발 및 보급o ( )

전자상거래 표준화 기반을 체제적으로 조성하기 위해 표준화 로드맵에서 설정한-

연도별 우선 순위에 의거하여 표준 안 개발( )

- 31 -

기술 개발 및 도입시 표준을 편리하고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표준 적용 지-

침서를 해설서 형태로 개발하여 관련 업계에게 보급함으로써 개발된 표준의 적극적

인 활용을 촉진

의 국제규격을 포함하여 전자상거래 관련 각종 국제 포럼 및 컨소- ISO/IEC JTC1

시엄 등에서 개발되어 또는 개발중인 시장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사실상 표준을( )

적극적으로 표준으로 수용

전자상거래 인증제도 연구 및 구축o

전자상거래 관련 표준에 대한 인증 제도에 대한 실효성 및 타당성을 연구하여 전-

자상거래 신뢰성 확보 및 소비자 보호 증진을 위한 선진화된 전자상거래 인증제도

개발

연구 결과에 준하여 전자상거래 인증을 위한 지침서 및 매뉴얼 심사기준을 개발- ,

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한 전자상거래 인증 시범사업 실시

최종적으로 전자상거래 인증제도를 조속히 정착시켜 전자상거래 활성화에 기여-

전자상거래 표준화 통합포럼 운영o

전자상거래 관련 기술 분야를 세분화하여 해당 표준화기관 및 관련 단체 기업의- ,

전문가들로 구성된 통합포럼을 구성하여

기술개발 진흥사업 및 표준화 추진체계간 연계성 강화 방안 연구 및 적용,․전자상거래 기술 및 표준화 국제전문가 초청 포럼 운영․실무 작업반 활동 관리․국제포럼활동 적극적 참여 등의 활동을 추진․통합포럼 산하에 로드맵 워킹그룹 전자카탈로그 전자문서 제품모델- “ ”, “ ”, “ ”, “ ”,

전자상거래서비스 전자지급결제 기술위원회를 구성하여 개월마다 정기모임을“ ”, “ ” 2

통해 담당분야 국내외 표준화 활동 수행

- 32 -

제 절 추진전략3

연차별 중점 추진 사업내용1.

구 분 연차별 중점목표 주요 사업내용주요 사업내용별예상 사업비

차년도1

전자상거래 표준의 개발 및 국내전자상거래의 글로벌화 추진

표준화 로드맵 개발o표준 안 및 적용지침서 개발o ( )전자상거래인증방안 연구o전자상거래표준화통합포럼운영o국제표준화회의 참가지원o기술 세미나개최o정보제공시스템 구축o

천원o35,000천원o170,000천원o35,000천원o26,000천원o50,000천원o20,000천원o10,000

차년도2

전자상거래 표준의 개발 및 전자상거래 인증방안연구

표준화 로드맵 개발o표준 안 및 적용지침서 개발o ( )전자상거래래 인증방안 연구o

천원o35,000천원o270,000천원o35,000

차년도3

전자상거래 표준의 개발 및 전자상거래 인증방안연구

표준화 로드맵 개발o표준 안 및 적용지침서 개발o ( )전자상거래 통합품질평가지침o

개발

천원o35,000천원o200,000천원o70,000

차년도4

전자상거래 표준의 개발 및 전자상거래 인증방안연구

표준화 로드맵 개발o표준 안 및 적용지침서 개발o ( )전자상거래 통합품질평가시스템o

구축 및 시범적용

천원o35,000천원o150,000천원o120,000

차년도5

전자상거래 표준의 개발 및 전자상거래 인증방안연구

표준화 로드맵 개발o표준 안 및 적용지침서 개발o ( )전자상거래 통합품질평가 교육o

실시시범사업 대상 통합품질o B2B

평가 지원사업민간업체 대상 통합품질평가 인o

증 사업

천원o35,000천원o100,000천원o70,000

천원o50,000

천원o50,000

- 33 -

추진방안2.

전자상가래 분야 표준의 실용성 및 신뢰성 확보O

전자상거래 분야 기술발전 추이와 민간수요에 대한 적극적인 반영을 통해 표준-

수혜자의 표준에 대한 실용성을 제고하며 전자상거래 인증 체계 구축을 통하여 서

비스 기술 및 전자상거래에 대한 신뢰성 확보를 통하여 전자상거래 조기 활성화에

기여

주요사업내용 추진방안

전자상거래표준화 로드맵

차년도까지 성공적으로 수행한 로드맵의 지속적인 보완작업o2및 적극적인 홍보를 통하여 국내 전자상거래 기술개발 도입 및,관련 사업 추진을 선도기술 및 용어의 정의 의미의 명확한 전달을 통하여 수혜자의o ,

가독성 및 이해력을 증대하여 로드맵의 활용 범위를 확장로드맵의 적용분야를 등과 같은 응용기술o ERP, CRM, SCM

분야까지 확대하여 표준화의 연계방안 및 장래에 대한비전제시를 통해 전자상거래 기술개발의 가인드 역할을 수행

표준 안 및( )적용지침서 개발

전자상거래 표준화 로드맵을 기준으로 중요도 및 시간적o적정성을 고려하여 일관된 시장 기술 선도형 표준을 개발ㆍ표준 수혜자의 표준에 대한 적용 및 이해력을 증대하기 위해o

표준 안 별 적용지침서를 지속적으로 개발하여 표준과 함께( )보급표준 안 개발 단계부터 표준 수혜자 또는 이해당사자간의o ( )

충분한 협의 및 선진국의 추진 현황 사실상 표준의 흐름을,파악하여 표준개발에 적용하여 표준에 대한 신뢰성 증진

전자상거래 인증방안 연구

총괄적인 전자상거래 인증 모델의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여o궁극적인 국가 인증 정책의 방향을 설정하는데 기여토록 함기술표준원 및 관련기관과의 유기적 업무협조를 통하여o

기관별 담당영역을 명확히 정의하여 인증정책의 실효성을증대하여 중복투자로 인한 정책의 비효율성을 최소화하도록 함관련 민간기업과의 지속적인 의견교환을 통해 사업의o

실용성을 증대하여 전자상거래 조기 활성화에 기여토록 함전자상거래 시스템에 대한 통합품질평가을 통해 상호운용성o

및 연동성 확보를 위한 제반여건을 마련케 하여 전자상거래자체의 업무효율 및 신뢰성을 증진토록 함

- 34 -

국내 전자상거래의 글로벌화 및 시장 지향적 추진O

전세계적으로 전자상거래가 급속히 확산되며 지역적 전자상거래에서 글로벌 표준-

에 의한 단일 글로벌 시장이 형성되어 감에 따라 국내 전자상거래 서비스 기술 및

전자상거래가 글로벌 시장 경쟁에서 기술 또는 서비스의 우위를 확보할 수 있도록

주요사업내용 추진방안

전자상거래 표준화 로드맵

국제 표준화 동향 선진 각국의 기술개발 수준 및o ,중점 추진 분야 글로벌 시장의 수요 및 분야별 표준,화 현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전자상거래 표준화‘로드맵 개발’

표준 안 및 적용 지침서( )개발

기술 변화가 빠른 전자상거래 기술표준의 특성을 감o안하여 사실상표준의 적극적인 수용 및 잠정표준 을“ ”이용한 국가표준 개발의 기간 단축표준 개발시 철저한 국제 표준화 및 글로벌 시장 흐o

름 분석 등의 예측 기능을 강화하여 시장 선도적 표준개발을 유도

전자상거래 인증 방안연구

국내 솔루션과 관련 서비스의 질적 향상 및 시장 경o쟁력 강화를 위한 글로벌 상위 품질 지향

와 같은 국제 포럼에서 수행하고 있는 적합성o OASIS활동의 적극적인 적용 및 관련 표준화 기술 개발을 통한 글로벌화 추진

- 35 -

국내 표준 추진 체계간의 연계성 강화 추진o

표준 이해 당사자간 및 사업 추진 기관간의 상호 이해 증진과 효율적인 공조체제-

를 형성할 수 있도록 추진되고 있는 전자상거래 관련 표준화 활동 및 각종 사업에

대한 지속적인 소개를 통해 중복 투자 및 단속화 현상을 최소화하여 국가 시너지

효과 극대화

주요사업내용 추진방안

전자상거래 표준화 로드맵

전자상거래표준화통합포럼을 공식적인 의견 교환 창구o로 활용하여 표준 수혜자 및 이해당사자와 전문가 그룹간의 효율적인 공동 작업을 수행토록 함전자상거래 표준화 로드맵의 적용 범위 확대를 통한 전o

자상거래 국가 정책의 일관성을 부여하기 위한 관련 유관기관과의 의견 교류 활성화

표준 안 및 적용 지침( )서 개발

기술표준원 전자거래진흥원 전자상거래표준화통합포o , ,럼등과 표준 개발 작업을 공동 수행하여 표준 개발의 중복성 및 방향성 상실을 방지

전자상거래 인증방안연구

기술표준원 전자거래진흥원과 공동으로 관련 사업을o ,진행하여 개발에서부터 시행에 이르는 전과정의 흐름이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함기술표준원 전자거래진흥원과 명확한 인증 영역 및 업o ,

무범위에 대한 역할을 정의하여 추진

- 36 -

추진조직3.

그림 당해연도 사업추진조직[ 6]

전자상거래표준화 통합포럼o

전자상거래 관련 개 기관의 발의에 의해 구성 한국표준협회 한국전산원 한- 15 ( , ,

국전자거래진흥원 한국인터넷기업협회 한국전자거래협회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 , , ,

전자상거래연구조합 카드연구조합 한국정보보호센터 한국유통정보센터 한국전, IC , , ,

자통신연구원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특허청 국립지리원, , ITS Korea, , )

총회 이사회 사무국 전략위원회 기술위원회 등의 기능을 갖고 있으며 회원사- , , , ,

의 총의로 표준화 로드맵 통합포럼 표준 기술지침 기술동향 보고서 등을 발간, , ,

- 37 -

기술위원회o

기술적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기술분야별로 기술위원회를 구성운영하고 있으며-

차년도 사업기간중 전자문서 전자카탈로그 제품모델 전자상거래 서비스 전자지2 , , , ,

급결제 등 개 기술위원회 구축되어 활동 중5

기술위원회 산하에 표준화 과제별 워킹그룹을 구성하여 표준화 작업을 수행-

전략위원회o

표준절차의 원활한 진행 기술위원회간 조정 및 총괄 국제표준화 협력 등 포럼- , ,

의 정책수립이나 기술적인 의사결정을 담당

전략위원회 산하에 로드맵 워킹그룹을 두고 전자상거래 표준화 로드맵 을 개발- ” ”

및 유지보수

운영간사기관o

통합포럼의 운영 및 기술위원회의 원활한 사업수행을 지원-

주관기관은 통합포럼의 운영간사기관 역할을 수행하여 본 기술기반조성 사업과-

통합포럼 운영을 연계

인증제도 연구회o

개발된 표준의 채택 촉진 및 표준에 대한 적합성 평가 수단을 제공하기 위하여-

인증제도를 연구하고 있으며 관련 연구회를 주관기관에서 운영

- 38 -

제 절 기대효과 및 공동활용방안4

기대효과1.

가 직접적 효과.

산업 측면O

전자상거래 표준이 관련 기술 개발 및 사업을 선도하여 사업 중복 투자 축소 및-

이해관계자간 공조 체제 형성을 통해 국가 차원의 시너지 효과 극대화

전자상거래 시스템간 상호운용성을 확보를 통한 시스템 보완을 위한 재투자 비용-

을 최소화하며 업무 효율을 극대화하여 경제적 우위 확보에 기여

전자상거래인증제도 도입을 통해 솔루션 및 서비스의 질적 수준을 국제화하여 시-

장 경쟁력을 증대하며 전자상거래 자체의 신뢰성 및 글로벌화를 촉진하여 전자상거

래 조기 활성화에 기여

국내 전자상거래의 글로벌화를 통해 국내 솔루션 및 서비스의 글로벌 시장 경쟁-

력을 증가하여 국내 솔루션의 수출 증대 및 시장 진출을 용이하게 함

정책 측면o

전자상거래 표준화 로드맵을 통해 국가 정책 및 시행 사업의 방향성 및 일관성을-

부여하여 불필요한 기술 또는 사업투자 및 중복투자를 방지하여 재원의 효율적 이

용을 촉진

시범사업 등과 같은 정부 추진 사업에 개발된 표준과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B2B

민간 부문의 표준 정착을 선도하고 아울러 정부 추진 사업의 비용적 효율성을 증대

- 39 -

나 간접적 효과.

잠재적 경제효과o

국내 전자상거래 관련 사업 및 기술 개발의 핵심 기업 또는 전문가를 중심으로-

국제표준화 활동을 전개하여 세계 시장 진출의 교두보 형성

잘 구축된 전자상거래 기술 기반하에서 세계 각국과의 전자상거래 효율성 및 상-

호운용성을 증대하여 디지털 경제로의 이전을 촉진

인프라 향상 수준 등o

국제적 기술 추이 및 시장 수요를 반영한 표준 로드맵의 개발 보급을 통해 표- ㆍ

준의 세계적 수준 유지

표준 추진 체계간 상호 공조체계 구축을 통한 표준의 전략적 사용 증대-

공동활용방안2.

개발된 표준 및 작용 지침서를 관련 단체 및 사업자 표준화 기관 등에 제공하여o ,

활용토록 하며 특히 정부 추진 사업에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추진 사업의 효용성,

및 운영성을 극대화토록 함

전자상거래 표준화 로드맵을 산업체에 제공하여 제품개발 및 도입시 활용토록 하o

며 정부 정책 수립 및 시행시 참고토록 하여 일관된 전자상거래 정책 수립을 통한

국가차원의 시너지효과를 극대화 함

기술세미나 및 전자상거래표준화통합포럼을 통하여 사업 결과물에 대한 보급 및o

확산을 추진하며 산 학 연에 제공하며 연구 활동의 기초자료로 활용토록 함ㆍ ㆍ

- 40 -

제 장 당해년도 추진현황2

제 절 총괄1

추진전략1.

전자상거래 표준 안 개발 및 보급o ( )

전자상거래표준화통합포럼을 통한 철저한 사전 조사 및 기술 조사를 수행하여 국-

내외적인 기술 추이 및 표준화 동향을 반영하여 현실성 있는 표준화 로드맵 개발

개발된 표준화 로드맵은 관련 사업자 및 표준화 단체를 중심으로 배포하여 해당-

회원들에게 재 배포토록 함

전자상거래 기술 개발 기업 및 표준화 단체를 대상으로 기술 및 표준별 우선 순-

위를 조사하여 규격 개발 항목 및 개발 순위 결정시 적극적으로 반영

주요 국가 규격에 대한 적용 편리성 및 이해 증진을 위해 적용지침서를 제작하여-

관련기관에게 배포

전자상거래 추진체계간 연계성 강화o

전자상거래 표준화 통합포럼 및 산하 기술위원회에 전자상거래 관련 이해당사- “ ”

자를 결집시킴으로써 광범위한 합의를 도출할 수 있도록 하고 표준화 추진기관 간

의 연계성을 확보하고 상호간 이해 증진 및 협력 관계 개선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함

- 41 -

사업 목표 및 추진 내용2.

가 당해연도 사업목표.

당해연도 주요목표 세부목표 구체적 실적 예상치

전자상거래표준화로드맵로드맵 월판 수정o (2001.3 )

보완수정된 로드맵 건o 1

전자상거래 표준 안 및( )적용지침서 개발

표준 안 및 적용지침서o ( )개발

표준 안 건o ( ) 10적용지침서 건o 7

전자상거래인증방안인증방안 확립o시범인증 추진o

시범인증 결과보고서o 1건

나 추진 내용.

전자상거래표준화 로드맵 개발 건o (1 )

차년도 로드맵 년 월판 을 기솔발전 추세와 민간수요에 따른 표준 방향제- 1 (2001 3 )

시를 추가하여 개정

연도별 개발 우선순위 설정-

전자상거래 표준 안 및 적용지침서 개발 건o ( ) (15 )

전자카탈로그분야 규격개발 종- (6 )Ⅰ

전자카탈로그 상품분류코드․전자카탈로그 상품식별코드․전자카탈로그 상품속성코드․전자카탈로그 운영 프로세스․업종간 전자카탈로그 연계지침․전자카탈로그 데이터 인증 관련기술 현황․

- 42 -

전자문서 규격개발 종- (3 )

를 기반으로 하는 메시지EDI XML․기반 비즈니스 프로세스 분석 모델UMM(UN/CEFACT Modeling Methodology)․

업종간 핵심 컴포넌트 사전 및 어셈블리 규칙 을 고려(Dictionary ) (Assembly rule)․한 전자문서규격 개발 지침

제품모델 규격개발 종- (3 )

국내 적용 지침STEP․매크로 파라매트릭 교환을 위한 표준 모델링 명령어․제품 데이터 관리 스키마(PDM)․

전자화폐 규격개발 종- (3 )

스마트카드 기반의 전자화폐 키 관리․전자화폐 거래프로토콜 및 데이터 요소․스마트카드형 전자화폐 시스템을 위한 PSAM․

전자상거래 인증방안 건o (1 )

전자상거래 인증제도 프레임워크 개발-

- 43 -

제 절 전자상거래 표준화 로드맵 년도2 (2002 )

정의 및 목표1.

전자상거래 표준화 로드맵이란 전자상거래 표준화와 관련된 가이드라인이나 지O

침을 제시하는 것으로 정의되며 기업을 위시한 전자상거래 관련 당사자들에게 전,

자상거래 기술개발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전자상거래 표준화를 세계적으,

로 효율적으로 추진하는 지침을 주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하여 로드맵은 다음의 내용을 포함한다o .

전자상거래 및 전자 상거래 표준화 개요-

전자상거래 기술 분류-

요소기술별 표준 현황 분석-

요소기순 분류에 따른 기술 분야별 표준화 대상 분야의 선정 및 추진 일정-

기존의 로드맵 보완에 따른 정보 제공-

구성2.

전자상거래란 상거래 행위가 컴퓨터와 인터넷을 이용해 수행하는 행위이므로 기o

본적으로 시스템 간의 상호 연동 을 전제로 한다(interoperation) .

본 로드맵 에서는 표준화 대상 분야의 선정을 위한 기술 분야를 현재 제안되고o

사용되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 프레임워크 들에서 공동적으로 사용되어지는 것으로

보이는 요소 기술에 집중한다(core) .

- 44 -

또한 현재 국내 전자상거래 표준화를 위한 가능한 모든 표준화 항목 및 그 중요o

도 선정을 위하여 먼저 요소 기술별 분류를 통해 각 분야 별로 관련 표준화 항목,

을 도출하고 난 후 누락된 항목 및 중복 항목의 조정 과정을 거치면서 작성한다, .

요소 기술별 분류는 개의 요소기술과 어느 하나의 기술로서 보기 어렵거나 다o 8

수의 요소 기술로 폭 넓게 연관되어진 표준을 위해 공통 분야 및 기술에 관련된 표

준화에 국한되지 않고 전자상거래 표준화 일반에 속하는 총괄을 포함하여 총 개10

로 분류한다.

공통-

총괄-

등록 및 검색-

전자 문서-

비즈니스 프로세스-

전자 카탈로그-

제품 모델-

전자 지급 결제-

보안 인증-

메시지 전송-

각 기술 분야 별로 기술 요소의 정의 내용 그리고 필요성을 개요하고 현재까지o , , ,

의 국내외 표준 및 표준화 현황과 동향 그리고 앞으로의 표준화 기술 항목을 기술,

하고 그 추진 일정을 년부터 년까지 개년으로 계획한다2001 2005 5 .

마지막으로 로드맵의 추진 경험 및 내용을 다음 로드맵에 반영될 수 있도록 추진o

과정 중에 공유되었던 의견으로 구성한다.

- 45 -

단계별 추진 전략3.

전자상거래 표준화 로드맵은 단계에 걸쳐 작성되는 프로젝트로 차년도 작업을o 3 2

진행하였음

단계별 추진 전략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o .

지난 차년도 작업은 전자상거래 기술 중 일반의 관심이 큰 분야를 중심으로 현- 1

황 분석과 개략적이고 또는 우선 시급한 표준화 추진 일정을 도출하는데 그 중점( )

을 두었다.

차년도인 금번 로드맵은 단체 로드맵에 따른 표준화 추진에 대한 현황 전자상- 2 1 ,

가래 기반 기술 체제 현황 검토 및 표준화 항목을 기술별로 유도하고 전자상거래,

프레임워크의 표준에 대한 전략적인 접근을 시도 한다.

차년도에는 차년도에 작업한 결과를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하고 새로운 변- 3 1~2 ,

화를 반영하여 우리니라의 전자상거래의 발전 기반을 위한 종합 지침으로서 전자상

거래 표준화 로드맵의 완결편을 펴낼 예정이다.

추진 체계4.

로드맵 는 다음 그림 과 같은 추진 체계를 가진다 기업 학계 연구소 등o 2002 [ 7] . , ,

으로부터 전문가들이 로드맵 워킹그룹을 형성한다 각 요소 기술별로 인의 로. 3~7

드맵 분야별 소 위원회를 구성하여 분야별로 표준화 항목 및 추진 일정을 마련하

고 로드맵 워크샵을 통해 분야별 발표 및 토의를 거쳐 상호 중복 및 누락 사항 등,

을 조정한다.

이 과정을 통해 로드맵 초안은 위원회간 회의를 통한 의견 조정과 공청회를 통o ,

한 다양한 이해관계 당사자들의 의견 수렴을 통하여 최종안으로 확정된다.

- 46 -

그림 로드맵 추진 체계[ 7]

추진 경과5.

목 로드맵 작성을 위한 준비회의o 2002.1.10 ( )

참석자 김선호 교수 김성혁 교수 이상구 교수- : , ,

내 용-

로드맵 채용 결정PM․미션 재검토ECIF․

로드맵 작성 방향 검토․

목 로드맵 초안작성을 위한 차 준비회의o 2002.2.7 ( ) 1

참석자 심준호 교수 외 명- : 6

내 용-

로드맵 초안을 위한 사전검토․미션에 대한 토론ECIF․

- 47 -

월 로드맵 초안작성을 위한 차 준비회의o 2002. 2 18 ( ) 2

참석자 심준호 교수 외 명- : 10

내 용-

전자상거래 표준분류체계 초안작성을 위한 검토․로드맵 제작 일정계획 수립․

목 로드맵 워킹그룹 차회의o 2002.3.7 ( ) 1

참석자 김성혁 교수 이창수 교수 유천수 부장 장재경 팀장 등 총 명- : , , , 12

내 용-

전자상거래 표준분류체계 초안검토 및 수정․향후 일정계획 수립․

월 로드맵 업무회의o 2002.3.18 ( )

참석자 심준호 교수 외 명- : 2

내 용-

로드맵 위킹그룹 위원 및 분과장 선정․로드맵 워크샵 일정 논의․중복부분에 대한 해결방안 논의․조정을 위한 조직운영방안 논의․

목 카탈로그분과 차회의o 2002.3.22 ( ) 1

참석자 김선호 교수 외 명- : 10

내 용-

전자상거래 표준분류체계 초안 검토․카탈로그 분과 로드맵 초안 검토․

수 비즈니스프로세스 분과 차회의o 2002.3.27 ( ) 1

참석자 김훈태 교수 김동수 박사 신기태 교수 홍정완 교수- : , , ,

내 용-

전자상거래 표준분류체계 초안 검토․비즈니스프로세스 분과 로드맵 초안 검토․

- 48 -

목 전자상거래 표준화 로드맵 워크샵 결과보고o 2002.3.28 ( )

참석자 김규수 부회장 등 분야별 전문가 명- : 45

내 용-

분야별 로드맵 발표․분과별 문제점 지적․

목 로드맵 워킹그룹 및 카탈로그 분과 차회의o 2002.4.4 ( ) 2

참석자 김덕현 교수 외 명- : 10

내 용-

분과별 중복부분 조정․로드맵 집필방향 토의․로드맵 공청회 개최․카탈로그 분과 로드맵 초안 검토․

월 전자상거래 표준화 로드맵 공청회o 2002.4.15 ( )

참석자 학계 기업 연구소 등 전자상거래 관련 전문가 명- : , , 62

내 용-

분야별 로드맵 발표․패널토론 중복부분에 대한 해결방안 논의( )․추후 일정논의 전자문서의 개념 및 범위와 관련 진흥원과 협의( )․

금 전략위원회o 2002.4.26 ( )

참석자 강우성 과장 손덕주 부장 김덕현 교수 등 총 명- : , , 14

내 용-

카탈로그 분야 문자 수정․표준화 추진기구 소개 국내외 나누어서( )․개 분야의 그룹핑9․참여전문가 나열․요소기술 간의 상 중 하 분류, ,․

- 49 -

제 절 전자상거래 표준 개발3

전자카탈로그 분야1.

가 개요.

전자카탈로그는 내용적 요소와 기술적 요소로 구성된다 내용적 구성요소는 상품의.

내용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상품분류 및 식별 표준 속성 표준으로 다시 구분된다, .

기술적 구성요소는 그 내용을 어떠한 형식으로 구축하여 구매자에게 어떻게 보내야

하는지에 대한 기술적 방법을 정의하는 부분이다 이것은 포맷 표현 전송 디렉토. , , ,

리 서비스의 네 가지로 구성된다.

표 전자카탈로그 관련 표준[ 11]

구성요소 표준 내 용

내용적

식별상품 식별 업체 식별,

등GTIN, GLN, DUNS

분류상품 분류

등UPSPSC, eCI@ss, HS, SITC

속성상품분류체계에 따른 상품 속성 정보 정의(contents)

등GDAS, IEC61360

기술적

전송통신망상으로 교환하기 위한 프로토콜

등HTTP, X.400, X.435, FTP, SMTP

포맷상품정보를 담고 있는 문서 형태에 관한 표준 텍스트,

등HTML, XML, SGML, PDF, RTF

표현상품정보를 화면에 출력하기 위한 표준 CSS, XSL,

등DSSSL

디렉토리카탈로그 및 목록 등에 사용되는 디렉토리 표준 X.500,

등LDAP

이러한 표준들 중에서 가장 동일하기 어려운 부분은 내용적 구성 요소인 상품식별,

분류 속성 표준이다 기술적 구성 요소에 해당하는 표준들은 여러 방식 중에 시장, .

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식 하나를 선정하면 되지만 상품 식별 분류 속성 표준, ,

은 업종 분류방식 사용목적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 표준들이 다를 경우 업, , .

체간 마켓플레이스간에 전자거래가 활성화될 수 없게 된다 또한 현실적으로, e- . ,

내용적 구성 요소의 표준화가 더 어려우며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있다 그래서 전.

자카탈로그 기술위원회에서는 기술적 구성요소보다는 내용적 구성요소의 표준화에

중점을 두기로 결정하였다.

- 50 -

이에 차년도 사업에서는 전자카탈로그의 내용적 구성요소의 핵심인 분류코드 식2 ,

별코드 속성코드에 대한 표준 건을 개발하여 전자카탈로그 기술위원회의 합의 과, 3

정을 거쳐 년 월 전자상거래통합포럼 총회에서 승인 확정되었다2002 3 .

또한 전자카탈로그의 구축 갱신 공유 검색 교환 등의 기능을 포함하는 전자 카, , , ,

탈로그 운영프로세스에 대한 지침을 개발하였고 업종간 전자카탈로그 연계 지침으,

로 업종별 전자카탈로그 들을 통합하여 전자카탈로그 데이터를 연계해Repository

주며 검색 및 교환하게 할 수 있는 의 표준 모델을 제시하였으Central Repository

며 전자카탈로그의 데이터 무결성과 신뢰성 확보를 위한 데이터 인증 지침을 개발,

하였다.

나 국제표준화 동향.

전자카탈로그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담은 전자문서로서 내용을 구성하고 있는 다양

한 표준들이 연관되어 있다 당해연도에 추진중이거나 향후 추진해야할 기본적인. ,

구성요소에 대한 표준의 추진현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식별 표준(1)

전자카탈로그와 관련된 많은 표준 중 식별표준은 무엇보다도 가장 기초적이고 중요

한 표준중의 하나이다 식별표준은 비단 카탈로그 표준 자체에서 뿐만 아니라 기존.

상거래 또는 전자상거래 시 기업간 거래에서 거래 주체간 상품을 식별하고 전자적

인 수단에 의해 상품정보를 교환하는 과정에서도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즉. ,

거래 당사자간에 상품을 사고파는 과정에서 상품에 대한 식별코드는 거래 업무 프

로세스상에서 상품정보를 표현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Key

정보흐름의 효율성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이미 국제적.

으로 이 년 전부터 국제적인 상품 식별을 위해 전세계적으로EAN International 25

유일성이 보장되며 상품을 식별할 수 있는 무의미성 코드체제로 이루어진

시스템을 보급하고 있다 동 시스템은 전세계 여개국의 만 기업에EAN/UCC . 100 90

서 상품 서비스 자산 그리고 로케이션을 식별하는데 코드시스템을 활용하고 있, , ,

다.

- 51 -

시스템의 상품식별코드체계는EAN/UCC EAN/UCC-8, UPC-12, EAN/UCC-13,

로써 바코드 심볼과 함께 상품에 부여되어 활용되고 있으며 이 코드EAN/UCC-14

체계를 전산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구조체계를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코드체계GTIN .

는 이미 전세제적으로 개 업종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기존 상거래와 전자상거래에23

서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 중의 하나이다 이미 선진국에서는 이러한.

과 구분 없이 코드체계를 자국 내에서 활용하고 있는 것이On-Line Off-Line GTIN

현실이다.

또한 은 전자카탈로그 표준권고안인EAN International GDAS(Global Data

를 제정 배포하여 각 국가별로 전자카탈로그를 구축하는데 가Alignment System) ,

이드라인을 제공함과 동시에 국제적인 호환 및 연계를 지원하고 있다 이에 따라.

호주 미국 캐나다 등 선진국에서는 이미 식별표준으로(EANnet), (UCCnet), (ECCnet)

을 적용하고 속성표준으로 를 채택하야 자국 내 산업계에서 서비스를 실GTIN GDAS

시히고 있으며 이들 카탈로그를 국가간 연계하는 프로젝트까지도 추진하고 있는 단

계이다.

이제 국내에서도 를 통하여 전자카탈로그 상품식별코드로 이 채택되고ECIF GTIN

시범사업 업종에서 전자카탈로그 구축이 이루어지고 있는 시점인 만큼 전자카B2B

탈로그 식별표준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인식하고 및 등에서 호환 가능한B2B G2B

식별표준체계가 보급되고 정착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될 것이다.

- 52 -

상품식별코드와는 별개로 기업식별코드도 중요한 식별 표준에 해당된다 현재 국제.

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기업식별코드는 사의 코드와 에D&B DUNS , EAN/UCC

서 제시하는 등이 있다 로제타넷에서는 코드체계를 표준으로 채택하고GLN . DUNS

있다 국내에서는 사업자등록번호 법인등록번호 등이 기업식별코드로 사용되기도. ,

한다 전자카탈로그 기술위원회에서는 이 표준을 년에 제정할 계획이다. 2002 .

분류 표준(2)

상품분류코드는 등 다양한 분류코드가 국제HS, SITC, UNCCS, UNSPSC, eCI@ss

적으로 통용되고 있다 인터넷이 등장하고 전자상거래라는 화두가 등장하기 전에는.

수출입상품을 위한 분류코드인 코드 에 조달되는 상품을 분류하는HS , UN UNCCS

등이 국제적으로 통용되었다 이러한 범용분류코드는 특정 영역에서 표준분류코드.

로 인정을 받았다 하지만 전자상거래가 활성화되면서 기업내 또는 기업간 비즈니. e

스 추진과 관련된 솔루션이 등장하면서 솔루션의 기반이 되는 상품분류코드에 대한

표준화가 중요한 이슈로 등장하였다 이와 같은 이슈와 함께 가. UNSPSC, eCl@ss

온라인 솔루션업체 및 오프라인 제조업체의 관심을 끌기 시작했다 따라서 여기서.

는 기업간 전자상거래 및 전자조달 을 위한 전자카탈(e-Business) (e-Procurement)

로그에 적용할 수 있는 국제 상품분류코드인 를 둘러싼 미국 유UNSPSC, eCl@ss ,

럽 등 선진국의 표준화 동향에 대한 특징을 소개하기로 한다.

첫째 전자카탈로그 및 전자조달시스템 구축 솔루션 업체를 중심으로, UNSPSC,

상품분류코드에 대한 필요성 및 구현 이 증가되고 있는 추eCl@ss (Implementation)

세이다 예를 들어 라는 솔루션 구축업체가 라는 제조업체에서 추진하는 마켓플. A B

레이스 구축이나 를 위한 전자카탈로그를 구축해야 한다고 가정해e- Procurement

보자 솔루션업체는 제조업체에 기존에 구축된 자체분류코드가 있으면 기존코드. A

와 표준 상품분류코드간의 호환성을 유지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 한다 만약 제.

조업체에서 사용하는 자체상품분류코드가 없으면 를 분류코드로UNSPSC, eCl@ss

채택 한다 나 코드는 모두 상품수가 고정된 코드가 아니라 언제든. UNSPSC eCl@ss

지 추가 및 수정이 가능한 코드이다 이러한 추가 및 수정을 위한 코드상정활동.

활동 역시 온라인 업체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오프라인 제조업(TAG ) .

체보다는 온라인 솔루션업체를 중심으로 표준화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 53 -

둘째 분류코드 표준화의 관점을 유일성보다는 호환성에 두고 있다 달리 표현하면, .

를 전자카탈로그용으로 유일한 표준분류코드로 보지 않고 도 표준UNSPSC eCl@ss

분류코드라는 관점에서 이들간의 호환성을 강조하고 있다 전자 카탈로그 관련 외.

국솔루션 대부분 업체의 솔루션 소개자료를 보면 제조업체 내부에서 사용하는 자체

상품분류코드와 간의 호환성 와 간의 매핑 테UNSPSC, eCl@ss , UNSPSC eCl@ss

이블 및 호환시스템을 지원한다 자기 회사의 솔루션의 강점을 전자카탈로그용 범.

용분류코드와의 호환성에 두고 있다 국내와 마찬가지로 미국 유럽 등 선진국 역시. ,

업종별로 범용화 되어있는 표준분류코드를 사용 하거나 솔루션업체에서 개발한 상

품분류코드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향후 활성화 될 수 있는 전자카탈로.

그를 활용한 국제간 거래 및 업종간 거래를 고려하여 많은 국가의 전업종에서 사용

할 수 있는 상품분류코드를 지원하고 있다UNSPSC, eCl@ss .

셋째 국가적 차원의 지원보다는 민간의 솔루션 업체를 중심으로 표준화 작업이 진,

행되고 있다 상품분류코드를 표준화하는 일은 많은 투자가 뒤따라야 한다 하지만. .

전자상거래를 위한 근간이 되는 분류코드를 생성 운영 유지 보수하는 업무 자체만, ,

으로는 수익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국내에서는 정부에서 이를 지원하여 업종.

별 표준분류코드를 수립하도록 지원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외국의 경우는 표.

준분류코드를 기반으로 수익을 창출하려는 솔루션업체가 코드 운영기관에 참여하여

분류코드를 생성 운영 유지보수하고 있는 양상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를, , . UNSPSC

운영하는 의 경우 미국 유럽 등 국가의 전자카탈로그ECCMA , , ERP, CMS, e-

솔루션업체로부터 재정적 지원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Procurement . eCl@ss

는 독일에서 화학업종을 중심으로 를 구축하던 업체가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만ERP

든 분류코드이다 는 화학업종에서 출발하였지만 업종을 확대하여 다양한. eCI@ss

업종에서 를 구현하고 있다eCl@ss .

- 54 -

넷째 시장성을 바탕으로 표준화 활동이 진행되고 있다 를 운영하는, . UNSPSC

와 후원하던 간의 결별소식이 국내에 전해지면서 많은 관심을 모았다ECCMA UNDP .

하지만 미국이나 유럽시장은 결별사실에 대해서 별로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왜냐.

하면 현재 분류코드를 시스템에 적용하도록 가 운영하는 를 사용하ECCMA UNSPSC

고 장기적으로 가 운영하는 가 활성화되더라도 위 두 가지 코드에UNDP UNSPSC

대한 호환성을 지원하는 솔루션만 구축하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미국 유럽 국가. ,

의 표준화 활동은 정책에 바탕을 둔 표준화가 아니라 시장성과 기술에 바탕을 둔

표준화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속성 표준(3)

전자카탈로그 속성 표준의 국제 표준은 를GDAS(Global Data Alignment System)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다 는 및 가 국가별 전자카탈로. GDAS EAN International UCC

그를 전세제적으로 상호연계하고 호환 가능한 글로벌 네트워크로 구축하기 위해 제

정한 전자카탈로그 국제적 데이터 세트로 상품 공동 데이터를 개 그룹과 개12 114

데이터필드로 구분하여 정의한다.

프로젝트 범위는 상품 회전율이 빠른 소비재 품목GDAS (FMCG: Fast Moving

를 대상으로 하고 시스템에 기반하여 다른 업종의 요Consumer Goods) , EAN/UCC

구사항을 충분히 수렴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설계하고 있다 개 주요 데이터는. 114

데이터 정의 데이터 내용 데이터 구조 과의 매핑 관계 분류 기타 필요, , , EANCOM , ,

한 규정들로 구성되며 을 참고로 주요 데이터를 정리하였으며 시스템 호, UCC net

환성에 역점을 두고 있다.

는 국제 전자상거래의 마스터 데이터 동일화를 위한 데이터 정의 데이터 사GDAS (

전 의 의미를 가지며 신제품과 변경사항을 비롯한 거래업체 거래 아이템에 대한) , ,

데이터 정렬을 위한 프로세스 모델 표준이다.

- 55 -

표준화 프로젝트의 궁극적 목적은 전자카탈로그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할 때 분산되

고 상호 연결된 국가별 데이터 풀 로 유연성을 보장하여 각 지역별 데이터 풀(pool)

에서의 최소한의 변경이 가능하며 국재적인 인프라가 요구되지 않으면 각 지역 데

이터 풀의 자치성이 인정되고 지역별 요구사항을 수용할 수 있는 전자 카탈로그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년 월 현재 는 각국 센터 및 일반 업체를 포함해 개2002 4 GDAS EAN 54

업체가 표준화에 참여하고 있으며 향후 동향으로 데이터 교환 메시지에 대한 문법

인증과 데이터 풀에 대한 접근 통제 기능성 상품 정보의 추가 수정 비(syntax), , ( , ,

활성 재활성 조회 등 과의 기능적 매핑 데이터 분산 구성 등록된 상, , ), EANCOM , ,

품정보의 교환 파일럿 프로젝트에 대한 사양 정관 검증 및 인증, (specification), , ,

규약에 대한 내용을 프로젝트 팀을 통해 보완하고 수정해 나갈 예정이다.

그동안 상품의 속성은 표준으로 제시되고 있으나 기업정보에 대한 속성은GDAS

표준으로 제시된 것이 없었다 그러나 년 월에 에서. , 2001 7 EAN/UCC Business

을 발표하면서 기업정보 속성에 관한 표준을 제시하였Messaging Standard V 1.0

다 이것은 의 에서 다루고 있지 않는 상세한 내용을 정의하고 있으며. ebXML CPP

기업 속성들이 스키마에 반영되고 있다.

온톨로지(4) (ontology)

온톨로지는 간단하게 정의하면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정의할 수 있다.

온톨로지는 철학 용어로서 그 의미는 존재론 을 말한다- “ ” .

인공지능 에서 온톨로지는 개념화의 명확한 표현 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AI) “ ” .

지식공학 에서 온톨로지는 인공 설계를 위해 사용하는 기본 어휘 또는 개념- (KB) “

시스템 으로 정의하고 있다” .

그러나 온톨로지와 유사한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는 분류학 용어학 및 단어집을 명,

확히 구분하여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 56 -

용어학 개념들의 표시 즉 레이블이라고 할 수 있다- : , .

단어집 단어들의 세트로서 각각의 단어들은 개념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는 온- : .

톨로지와 매우 흡사하다 그러나 단어집은 언어에 기반하고 있고 따라서 범용성이.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단어집은 용어들 관계 기술에 있어서 매우 미흡하다 용어. .

학에 따라 개념들의 레이블이 정의되어야 단어집이 존재할 수 있다.

분류학 분류학도 또한 온톨로지와 매우 흡사하다 이는 개념들의 계층을 나타- : .

내며 한마디로 말하면 온톨로지는 명확히 정의된 개념들의 분류라고 할 수 있다.

온톨로지 온톨로지는 매우 명확하고 모호하지 않은 개념들의 기술로서 그들 간- :

의 관계를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현재 특정 분야에 대해 온톨로지가 존재하고는.

있으나 어떤 법칙이 있는 것은 아니다.

온톨로지는 특정 분야 또는 모든 분야에서 사용되는 개념과 그 개념의 정의 그 개,

념의 변형 관련어 및 유사어 그러고 여러 다른 개념들 간의 관계를 표현한 것을, ,

말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모든 분야에 사용되는 개념들을 수집하여 이들 간의 관.

계를 표현한다는 것은 불가능할 수도 있기 때문에 특정 분야나 특정 응용 영역을

위한 온톨로지 개발이 추진되고 있다 최근 들어 에 대한 관심과 연. Semantic Web

구가 급증하면서 을 이용한 검색도구를 개발하기 위하여 온톨로지 및 이TopicMap

의 응용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전자상거래의 개념이 마켓플레이스로 전환되면서 전자상거래시스템에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협상의 자동화 시장의 투명성 연합 형성 온라인 배치 등은 이러. , , ,

한 변화의 극히 일부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공급자나 생산자 모두 표준화 라는. “ ”

공통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즉 상이하고 다양한 제품 상품 및 서비스표현정보. , , ,

거래표현정보 및 기술표현정보 등을 통합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온톨.

로지는 서로 다른 분산된 정보를 통합시켜준다 이러한 기능 때문에 온톨로지는 마.

켓플레이스를 성립시키는 중요한 수단이 되었다.

- 57 -

온톨로지도 전자상거래와 마찬가지로 수평적 표준과 수직적 표준이 있다 수평적.

표준은 전 상품 정보를 다루고 있는 온툴로지로써 범위가 넓은 대신에 상세한 정보

를 다루지는 못한다 대표적인 예로. UN/SPSC(Universal Standard Products and

와 가 있다 수직적 표준은 특정 분야의 상품Services Classification code) UCEC .

정보만을 다루는 온톨로지로서 그 분야의 정보를 매우 상세하게 다룬다 대표적인.

예로 가 있다RosettaNet Dictionaries .

는 회사마다 각기 다르게 정의한 용어로 인해 발생하는 프RosettaNet Dictionaries

로세스의 혼란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RosettaNet Technical Dictionary (RNTD)

와 두개로 구성되어 있다 는 제품과RosttaNet Business Dictionary (RNBD) . RNTD

서비스를 정의하기 위한 용아를 제공하고 있고 는 거래 파트너 간의 비즈니, RNBD

스 거래를 정의하기 위한 용어를 제공하고 있다 는 부분과 부분으로 되. RNTD EC IT

어 있으며 각각은 와ECTO (RosettaNet EC Technical Dictionary) ITTD

로 되어 있었으나 현재는 로 통합되어(RosettaNet IT Technical Dictionary) RNTD

두 기술 사전은 더 이상 개발되고 있지 않다 를 통해 고객 뿐 아니라 공급자. RNTD

들의 의사소통의 통일성을 가져올 수 있다.

온톨로지를 통해 데이터 의미의 기계 해독이 가능해지고 또한 이러한 데이터 구조,

화는 새로운 형태의 자동화 서비스를 가능하게 한다 그 결과 마켓플레이스에. B2B

서 온톨로지는 전자카탈로그 못지 않게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온톨로지는.

마켓플레이스의 기능과 역할을 충실히 발휘하기 위한 첫 단계이다B2B .

일반적인 온톨로지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념을 명확히 정의 내리고 있기 때문에 검색자 및 기타 사용자들에게 개념,

의 모호성을 줄여준다.

둘째 정보 검색을 용이하게 한다, .

최종사용자가 검색을 할 때 사용할 명확한 개념을 제공해준다- .

색인 기능도 제공한다- .

다양한 데이터베이스를 통합 검색할 수 있도록 해준다- .

- 58 -

셋째 자연언어로 질의를 해도 자동으로 적절한 용어를 인식하여 검색해주므로 정,

확성을 높여준다 즉 사용자 질의어를 시스템 용어로 매핑이 가능해진다. .

넷째 개념의 계층 구조를 쉽게 알 수 있다, .

다섯째 색인이 가능하여 전체 데이터페이스를 검색할 수고를 덜어준다, .

이러한 기능면에서 온톨로지는 정보의 조직과 검색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정보검색 분야에서는 온톨로지를 시소러스 라고 부르기도(thesaurus)

한다 전자상거래도 정보의 조직과 검색이라는 측면에서는 정보검색 분야와 유사하.

기 때문에 이 기능들을 마켓플레이스에 적용하여 본다면 온톨로지는 제품 상품 및, ,

서비스에 사용되는 용어들의 조직화 브라우징 및 파라미터 검색을 용이하게 한다, .

즉 다시 말해서 온톨로지를 통해 서로 다른 마켓플레이스간에 상거래의 호환성을

보장하면서 마켓플레이스 운용에 필요한 온라인 정보와 서비스에 효과적이고 효율

적인 의미적 접근이 가능하게 된다.

세계는 인터넷과 연관된 각종 컨텐츠 및 장비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는 하나의 거대한 네트워크 사회로 급변해가고 있다 그러나 현재 전자상거.

래의 제품 정보들은 매우 상이하며 각 제품의 유형에 있어서도 공급자들 간에 통,

일성 있는 표현방법도 없다 뿐만 아니라 마켓플레이스 등장으로 전 세계가 단일.

시장화가 됨에 따라 다국어 언어수요가 폭증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여전히 자국

중심의 마켓플레이스를 형성하여 자국어만을 제공할 뿐이다.

다양하고 복잡한 또는 전자상거래 활동애서 상품 제품 및 서비스 등의B2B B2C ,

정보를 표현하기 위해서 이제는 특정 언어에 의존적인 온톨로지로는 국제간 상거래

가 힘들게 되었다 국제간 전자상거래가 다양한 언어를 수용하는 단일의 글로벌 마.

켓플레이스화 되어감에 따라 시스템은 다국어를 제공하여야 하고 온톨로지 또한,

이러한 다국어 기능을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외국어를 모르더라도 다국어 자동변.

환 기능을 통해 상거래에 있어 보다 정확한 거래가 형성될 수 있고 거래 시장 또,

한 전 세계로 확장할 수 있게 된다.

- 59 -

에서는 이에 대한 표준화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현재ISO ISO/TR 16668 Basic

표준이 제시되고 있다 이 외에도Semantics Register . MULECO(Multilingual

가 있다 는 이미 있는 온Upper-Level Electronic Commerce Ontology) . MULECO

톨로지들을 식별하여 서로의 관계를 나타내주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이들의 용어는,

다국어 온톨로지로 정의되어 있어서 각국의 언어로 유사어를 찾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프로젝트는 산업별 기술사항과 상업적 용어 비즈니스 역할 등을. MULECO ,

확장한 상위단계 온톨로지를 개발할 것이다 여기서 채택한 산업과 프로세스 분류.

스키마 표준은 이며 온톨International Standard for Industrial Classification(ISIC) ,

로지 정의에 필요한 기술 표준은 와IEEE Standard Upper-level Ontology(SUO)

이다 그 외에 에서 개 국DAML+OIL . CEN/ISSS Electronic Commerce Workshop 5

어 영어 이태리어 스페인어 프랑스어 독일어 를 지원하는 욕조 및 난방기 산업의( , , , , )

제품 용어 및 분류표준으로 이 있다CWA 14113-1 .

국내의 전자상거래 표준화 활동이 년 전에 시작되어 본격적인 단계에 접어들고2-3

있지만 온톨로지에 관한 표준활동은 아직 태동하지도 않고 있다 그러나 전자카탈.

로그 분야에서 시작한 상품분류체계표준은 온톨로지 활동의 시작이라고 날 수 있

다 따라서 이를 기반으로 제품 상품 및 서비스 표현정보 거래표현 정보 및 기술. , ,

표현정보 등에 관한 다양한 용어 변형 유사어 및 관련어를 수집하여 내표표현, ,

을 정하고 내표표현의 정의 및 이들간의 관계를 정립 시킨 온톨로지를(authority) ,

개발하여야 한다 그 후에 이들에 대응하는 다국어 온톨로지를 개발하여야 전 세계.

적으로 단일화되어 가는 마켓플레이스의 주도권을 잡을 수 있다.

표준화 지원기술(5)

표준화를 지원하는 기술은 항상 새롭게 발전하고 있으며 각 표준의 구현을 위해,

서로 연관성을 가지며 매우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즉 표준안과는 달리 한. ,

두 가지의 규격으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널리 사용되는 방법적 측면으로서 참고

될 수 있다.

- 60 -

가 운영 프로세스( )

전자카탈로그를 운영하기 위한 프로세스는 구체적인 기술형태로서 보다는 전자 카

탈로그 시스템을 구현 또는 구축하기 위한 기능의 그룹들로 정의된다 따라서 운영. ,

프로세스는 국제적으로 정해진 표준규격이나 기술적 동향이 따로 존재 하지 않고,

현재 상업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여러 전자카탈로그 관리 시스템들의 기능을 정리하

여 그 동향을 살필 수 있다 크게 전자카탈로그 이용 프로세스와 전자카탈로그 관.

리 프로세스의 두 가지 항목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전자카탈로그 관리 프로세스를,

구축 갱신 공유 프로세스로 세분화하고 또 이들의 하부 프로세스로서 설계 정제, , , ,

입력 일관성 유지 백업 권한설정 인증설정 프로세스로 구체화될 수 있다 전자카, , , , .

탈로그 이용 프로세스에 대해서는 검색 동기화 교환 프로세스로 일차 세분화를 하, ,

고 하부 프로세스로 기본검색 검색지원 검색어 검증 검색 시나리오 제공 카탈로, , , , ,

그 구성 병합 일관성 유지 교환규약 설정 전송 프로세스로 정의될 수 있다, , , , .

나 데이터 인증( )

데이터 인증 기술은 크게 전자서명 기술의 세 종류로 나누어 진, Watermark, DRM

다 전자서명은 지금까지 일반화되어 있는 종이 문서에 표기되던 수기 서명이나 인.

장의 효과를 전자적 매체에 효율적으로 서명 효과를 부여하는 전자적 서명 방식을

말한다 암호의 인증기능을 사용하여 서명에 참여한 사용자 인증과 서명 대상인 전.

자 문서의 인증을 동시에 실행함으로써 전자서명효과를 얻는다 는 디지. Watermark ,

털 데이터에 원하는 정보를 은닉하는 기술로 주로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데이터의 질적 저하를 적게 하면서 저작권 정보를 삽입할 수 있게

한다 전자 카탈로그를 위해서는 기법을 활용해 임의의 정보를 디지털. Watermark

데이터에 삽입할 수 있으므로 인증과 무결성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기술은 암호화 기술을 이용하여 적법한 사용자가 적법한 자신의 권한에 맞는DRM ,

행위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술로써 불법적인 컨텐츠의 도용을 원천적으로 방,

지하는 기술이다 전자카탈로그의 데이터를 상품으로서 인식하고 판매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으며 자료교환 시 교환되는 자료를 외부로부터 보호 할 수 있다, .

- 61 -

다 카탈로그 연계 기술( )

카탈로그 연계를 위한 기술은 상당히 포괄적인 기술로서 카탈로그 간 이질성을 극

복할 수 있는 표준화의 접근에 대하여 프라임워크 형식의 틀을 제공함으로써 해결

하려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현재 국제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기술로는 크게. ebXML

과 기술이 있다 은 매시지 교환에 대한 표준뿐만 아니라 일UDDI registry . ebXML

반적인 비즈니스 프로세스 모델과 핵심 공용 데이터 컴포넌트 그리고 산업 또는,

기업의 요구사항을 저장해 놓은 분산 저장소를 내포하고 있는 아키텍end-to-end

쳐를 가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은 년 월에 발표되어. ebXML registry V2.0 2001 12

구현 인프라의 핵심 구성요소로서 산업표준의 적용이 용이하며 기존 자원과ebXML

메타 데이터로의 재활용성을 높임 수 있다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의 역할은. UDDI

기업 등록부이다 이는 인터넷상의 표현과 검색 통합 동종 혹은 계열 업계간의 연. , ( ,

결과 협업 에 대한 통일 규약이다 이 프로젝트는 현재 각 기업이 홈페이지와 닷컴) .

주소를 갖고 있는 것처럼 주소를 갖게 하고 전자상거래를 원하는 기업들이UDDI

이 주소를 통해 사업 내용과 전자상거래 방법 등을 공유토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은 년 월에 발표되었으며 이기종 플랫폼과의 프로그래밍UDDI registry V2.0 2001 6 ,

으로 웹 서비스를 발견하고 등록하기 위해 초기에 제안된 메시지 처리 규격SOAP

을 사용한다.

라 기술( ) Interoperability

기술은 하나의 기술로 설명하기 어려울 정도의 다양하고 복잡한Interoperability ,

형태의 기술들의 집합체라고 할 수 있다 전자카탈로그 간에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이질성 극복 과제가 결국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라고interoperability

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서 에서는 프레임워크를 제안해 놓은, CommerceNet eCo

상태이다 사양은 비즈니스 파트너들이 웹을 통해 서로를 발견하고 어떻게 비. eCo

즈니스를 진행할 것인가를 정한 프레임워크이다 그것은 각 기업들이 갖고 있는 상.

품이나 서비스들을 서로 쉽게 찾고 이것들에 대한 설명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방

법을 제공한다 사양은 와 으. eCo eCo architecture eCo semantic recommendation

로 구성되어 있다 는 전자상거래에서 필요한 정보들이 어떻게 교. eCo architecture

환될 수 있는지에 대한 개념적인 구조를 제시한다 예를 들어 상품을 가진 기업은.

그들의 전자상거래 시스템에 대한 메타 데이터 설명을 어떤 표준에 맞추어 기술할

수 있다 이 메타 정보를 다른 기업이 보고 해당 기업에 대한 이해를 할 수 있으며. ,

이 기업과 상거래를 하기 위해 필요한 비즈니스 프로세스 요구사항을 얻을 수 있

다.

- 62 -

마 코드 매핑( )

분류코드간 매핑을 위한 기술은 크게 크로스워크 테이블 방법 분류코드 유사도에,

의한 자동선택 방법의 두가지 경향을 띠고 있다 크로스워크 테이블 방법은 가장.

단순한 방법으로 매핑 테이블을 만들어 특정 분류코드를 선택 시 매핑 테이블로부

터 상대 분류코드를 찾아내는 방법이다 하지만 이 방법은 구축방법이 간단하다는. ,

장점이 있지만 분류코드 간의 의미상 중복성과 부분적으로 겹치는 현상이 빈번하,

기 때문에 정확한 분류코드 매핑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분류코드 유.

사도 자동선택 방법은 분류코드의 유사도를 측정하여 자동으로 매핑하는(similarity) ,

방법으로서 크로스워크 테이블 방법과는 달리 일일이 분류코드 간에 매핑할 필요요

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유사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어떻게 결정하느냐에 따. ,

라 실제로 매핑이 얼마나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가가 결정된다 현재 유사도를 측정.

하는 방법으로서 실용적으로 쓰일만한 기술이 없다는 점으로 볼 때 매핑의 정확도,

가 많이 떨어질 수 있으며 이 때문에 매핑이 이루어진 결과를 다시 검증해야 한다

는 단점이 있다.

이와는 별도로 최근 새로운 기술로서 분류코드 룰 테이블을 사용하는 방법이 등장

하고 있는데 크로스워크 테이블 방법이 단순히 분류코드간의 매핑을 값과 값으로,

하기 때문에 생겨나는 매핑 오류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분류코드 간의 매핑

을 룰을 사용하여 정의한다 각각의 분류코드에 대하여 정의해야 한다는 점에서 크.

로스워크 테이블 방법과 유사하지만 값이 아니라 룰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명확히,

구분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을 쓰면 사용자 의도에 따른 정확한 분류코드 매핑이.

가능하며 다중 분류코드 간의 매핑도 기능하다.

- 63 -

다 국내표준화 활동.

전자카탈로그 기술위원회 활동(1)

당해연도 추진된 과제와 관련한 전자상거래표준화통합포럼의 기술위원회 활동 내역

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분류코드체계 회의O WG

일시 목- : 2001. 10. 25( ) 13:30-15:30

장소 대한상공회의소 의원회의실- :

참석 명- : 39

안건 전자카탈로그 분류코드체계 표준화방인 발표 및 의견 수렴- :

운영프로세스 회의O WG

일시 목- : 2001. 10. 25( ) 16:30-19:00

장소 대한상공회의소 의원회의실- :

참석 명- : 32

안건 업종간 전자카탈로그연계지침 개발 설명 및 의견 수렴- :

식별코드체계 회의O WG

일시 수- : 2001. 11. 7( ) 15:00-17:00

장소 대한상공회의소 제 회의실- : 4

참석 명- : 23

안건 전자카탈로그 식별모드체계 표준화방안 발표 및 의견 수렴- :

- 64 -

전자카탈로그 기술위원회O

일시 목- : 2001. 11. 22( ) 13:20-18:20

장소 대한상공회의소 중회의실- :

참석 명- : 91

안건- :

우선추진과제 분류 식별 속성 표준초안 보고o ( , , )〫〫과제진행 중간 보고 운영프로세스 내 개 과제o ( WG 3 )

공통속성 회의O WG

일시 수- : 2001. 12. 5( ) 15:00-17:00

장소 대한상공회의소 제 회의실- : 4

참석 명- : 11

안건 전자카탈로그 공통속성 표준화방안 발표 및 의견 수렴- :

공통속성 회의O WG

일시 수- : 2001. 12. 18( ) 14:00-16:00

장소 대한상공회의소 제 회의실- : 4

참석 명- : 17

안건 전자카탈로그 공통속성 표준화방안 발표 및 의견 수렴- :

운영프로세스 회의O WG

일시 수- : 2001. 12. 18( ) 16:00-18:00

장소 대한상공회의소 제 회의실- : 4

참석 명- : 16

안건 전자카탈로그 운영프로세스모델 표준화방안 발표 및 의견 수렴- :

- 65 -

전자카탈로그 표준화 추진단 워크샵O

일시 목 금 박 일- : 2002. 2. 7( )-2. 8( ) 1 2

장소 오크밸리 원주- : ( )

참석 명- : 72

안건 전자카탈로그 식별 분류 속성 업종간 연계지침 표준 안 발표 및 개- : , , , ( ) 20

시범사업업종대상 의견 수렴

전자카탈로그 기술위원회O

일시 금- : 2002. 2. 22( ) 15:00-1800

장소 대한상공회의소 제 회의실- : 3

참석 명- : 78

안건 개 과제 표준 안 의결- : 3 ( )

식별코드표준안 식별코드체계 채택: GTIN․분류코드표준안 기반의 분류코드체계 채택: UNSPSC․속성코드표준안 기반의 공통속성 채택: GDAS․

년 정기총회O ECIF 2002

일시 금- : 2002. 3. 13( ) 13:30-18:00

장소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실- :

참석 명- : 400

안건 전자카탈로그 기술위원회 개과제 표준안 의결 승인 보고- : 3

운영프로세스 회의O WG

일시 월- : 2002. 3. 25( ) 14:00-18:00

장소 대한상공회의소 제 회의실- : 4

참석 명- : 32

안건- :

운영프로세스모델 표준 초안 발표 및 의견 수렴․데이터 인증지침 표준 초안 발표 및 의견 수렴․

- 66 -

전자카탈로그 데이터 인증지침 규격개발 프로젝트운영회의O

일시 월- : 2002. 1. 28( ) 13:00-16:00

장소 대한상공회의소 제 회의실- : 4

참석 명- : 10

안건 전자카탈로그 데이터 인증지침 규격 안 검토- : ( )

전자카탈로그 규격개발사업 결과물 검토위원회 제 차 회의O 1

일시 목- : 2002. 3. 21 ( ) 15:00-18:00

장소 대한상공회의소 제 회의실- : 2

참석 명- : 10

안건 개 과제 대상 검토- : 3

운영프로세스모델 표준규격 안( )․데이터 인증지침 표준규격 안( )․업종간 연계지침 표준규격 안( )․

전자카탈로그 규격개발사업 결과물 검토위원회 제 차 회의O 2

일시 화- : 2002. 4. 16( ) 14:00-17:00

장소 대한상공회의소 제 회의실- : 2

참석 명- : 11

안건 개 과제 대상 검토- : 6

식별코드 표준규격 안( )․분류코드 표준규격 안( )․공통속성 표준규격 안( )․운영프로세스모델 표준규격 안( )․데이터 인증지침 표준규격 안( )․업종간 연계지침 표준규격 안( )․

- 67 -

년도 업종별 전자카탈로그 표준화 활동(2) 2001

네트워크 구축지원사업으로 추진중인 시범사업 중 전자카탈로그 표준화 활동을B2B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가 기계( )

식별표준(EAN/UCC)①

를 식별체계 구조로 선택- EAN/UCC-14 .

분류표준(UN/SPSC)②

개념을 에 접목시켜 새로운 기계산업용 분류 체제인 구- UN/SPSC KSIC KMISC

성.

분류한 중 서비스 부문 및 기계산업과 무관한 부문 등을 제외시키고- Segments ,

에서 분류한 기계산업 분야 개 업종과 관련된 개의 반영KSIC 61 21 Segments .

나 유통( )

상품의 정보 수집 등록text /①

개 제조업체의 건 상품 정보 등록- 4,041 100,500

상품비율은 식품 일용품 문화용품 의류신변 잡화 내구소비- 48%, 39%, 8%, 3%,

재 로 구성2%

개 그룹 개 데이터필드로 구축되어 가이드라인의 대부분 수용- 11 , 117 GDAS

상품 이미지 촬영 및 등록②

총 건의 이미지 촬영 및 등록- 130,455 .

단품의 경우 전면 측면 내용사진 컷으로 구성- / / 3 .

전면사진 매장관리 측면 제품형태 확인 내용 제품속성정보 확인( - , - , - )

박스 또는 형태가 불규칙한 상품의 경우 측면사진만을 촬영 제품형태 확인이 가- ,

능하도록 등록

- 68 -

분류표준(UN/SPSC)③

분류코드 분석- UN/SPSC

상품분류코드 표준안 제정-

분류의 지역화 및 세분화-

자리수가 자리를 초과할 경우 매핑테이블을 이용한 기존 체계와의 호환성 유지- 2

와 식별코드의 연계방안- UN/SPSC

다 전자( )

분류표준(UN/SPSC)①

전자업계 부품 및 공급업체 표준정보 분류체제 수립-

라 철강( )

분류표준(UN/SPSC)①

에 기초- UN/SPSC

분류체계의 구조 의- : 6 Segment 7 Level Hierarchy

자재물품 분류체계 표준화 총 건 구축- : 139,304

마 조선( )

조선소 현황 파악①

조선 사의 시스템의 생성 관리 절차 및 시스템 조사 분석- 4 CAD Catalog DATA / /

국내외 유사관련 시스템 개발현황 분석-

시스템 사용실태 조사- CAD

- 69 -

테스트Feasibility②

조선 기자재의 특성 분석- 3D Part Model

번역기 개발방안 수립-

시범 테스트-

카탈로그 시스템 구축방안 수립3D e③

카탈로그 구축 마스터 플랜 작성- e

테스트를 위한 과제 시범 시스템- Feasibility 3D Integration

분류표준(UN/SPSC)④

표준분류체계 수립-

분류체계 자료 수집 및 분석․표준분류체계 제안․분류체계 도식화 작업․전자거래 사례 수집 및 분석․부품 표준화 대상 정의-

각 사별 비표준 항목 기자재 제외 항목( )․국제표준 항목 정의 및 각 사변형 표준 도출(JIS/KS)․표준화 항목에 대한 개념․부품 표준화 대상 품목․표준화 항목 여건- : 26,800

바 자동차( )

분류표준(UN/SPSC)①

데이터 분석-

데이터 모델링-

기존 분류체계 분석․물품 분류 표준안 작성․국제 표준코드인 코드와의 매핑UN/SPSC․자동차공업의 표준 분류체계 설계․- Information Gathering

별 템플릿 작성 총 개Leaf Class ( 627 )․공급사 및 제조업체 별 공급대상 아이템 선정· Leaf Class

데이터 표준화-

- 70 -

사 골판지( )

골판지포장 제품분류 코드체계 표준화/①

제품 분류 관련 문헌 및 자료 조사-

분류체계 조사-

골판지 제품 분류안 정립-

분류 체계서 작성-

표준 분류 안 정립 및 구축- ( )

표준 분류 코드 조사 및 표준화-

골판지포장 선자카탈로그 표준안 설계②

표준 코드에 따른 정의- Class

카탈로그 디렉토리 표준 정립-

제품별 정리- Property

표준 전자카탈로그 시스템 설계-

전자카탈로그 정의- DTD

표준 검색시스템 설계-

골판지포장 전자거래문서 표준안 작성③

표준전자품질인증서 설계- DTD

문서의 분석 및 표준화- Off Line

골판지 거래문서의 표준화-

원지 상자 등의 표준화 안- , ( )

- 71 -

아 정밀화학( )

표준 정립①

원료 제품 분류 관련 문헌 및 자료 조사- ,

국내 외 분류체계 조사- ㆍ

원료 제품 분류안 정립- ,

분류 체계서 작성-

표준 분류 안 정립 및 구축 단계- ( ) (1 )

분류 코드 조사 및 표준화-

전자카탈로그 표준화 및 구축②

표준 코드에 따른 정의- Class

디렉토리 표준 정립-

제품별 정리- Property

표준 전자카탈로그시스템 설계-

전자카탈로그 정의- DTD

전자카탈로그 관리시스템 개발- (CMS)

표준 검색체계 구축-

전자카탈로그 구축 단계- (1 )

자 시계( )

완제품 부품의 분류체계 정립 화 및 용어통일/ , Code①

제품의 단계 용도 속성별 분류체계 정립- / /

분류체계의 속성 속성값 표준화- /

분류체계에 따른 제품별 체계 확립- Code

와 연동방안 강구- Global Code

- 72 -

전자카탈로그 표준화 및 구축DB②

제품코드 식별코드의 적용- /

부품별 전송 포맷 표현표준 정립- / /

표준 전자카탈로그 엔진 도입-

수집 분류 및 입력- /

정립- Process

표준거래체계 구축③

업체별 거래방법 분석-

프로세스별 표준문서 제정-

표준 거래체계 관리체계 구축- ( )

차 파스너( ) (fastener)

제품 부품 분류코드체계 표준화/①

제품 부품 분류 관련 문헌 및 자료 조사- ㆍ

국내 외 분류체계 조사- ㆍ

파스너 제품부품 분류안 정립- ․분류 체계서 작성-

표준 분류 안 정립 및 구축 단계- ( ) (1 )

표준 분류 코드 조사 및 표준화-

전자카탈로그 체계 표준화 및 시스템 구현②

표준 코드에 따른 정의- Class

카탈로그 디렉토리 표준 정립-

제품 부품별 정리- Propertyㆍ

표준 전자카탈로그 시스템 설계-

전자카탈로그 정의- DTD

전자카탈로그 시스템 구현-

- 73 -

카 물류업종( )

국가물류 인프라 기본구도 수립 물류 표준화( )①

물류 프로세스의 표준화-

분류체계 표준화-

타 농축산업종( )

농축산물 표준화 체계 구축①

기 분산된 의 조사 및 통합 작업- DB

해외 분류체계의 조사 분석-

전체 표준화 설계 정립-

농축산물 제품 표준화의 단계적 구축-

분류체계 정립 및 구축․분류코드 정립․식별코드 정립․명칭 정립․속성 정립․

전자 카탈로그 표준화 구축②

전자카탈로그 시스템 설계-

종내 거래 프로세스 표준 모델 도출․전자 카탈로그 필요기능 구축․표준 정의․

파 공구업종( )

기본 인프라 구축을 위한 분류체계 표준화 및 전자 카탈로그 구축①

표준분류체계개발 및 전자카탈로그 구축을 통한 정보공유 및 기업간 연동 체계구-

해외시장과의 연계를 위한 국제 분류체계 수용-

- 74 -

하 건설업종( )

자재분류체계 표준화 단계(1 )①

분류체계 표준화 방안 정립-

분류체계 조사-

분류 체계서 작성-

표준 분류 안 정립 및 구축- ( )

표준 분류 코드 조사 및 표준화-

분류체계 구축-

전자카탈로그 표준화 단계(1 )②

코드에 따른 정의- Class

카탈로그 디렉토리 표준 정립-

제품별 및 정의- DTD Property

표준 전자카탈로그시스템 설계-

시스템 구축-

갸 목재가구( )

제품 분류코드체제 표준화①

목제품 검측 등급 기준 표준화- /

제품 분류체제 표준화-

제품식별 표준 개발-

제품분류 표준 조사 분석- /

전자카탈로그 체계 구축②

카탈로그 표준화-

표준 검색체계 구축-

전자카탈로그 시스템 구축-

- 75 -

냐 금형업종( )

금형 원부자재 전자상거래 기반 구축①

품질 인증 체계 표준화-

금형 원부자재 분류 체계 표준화-

금형 원부자재 구축- DB

전자카탈로그 구축-

년도 전자카탈로그 표준화 활동(3) 2001 G2B

년도는 정부 부문에서는 전자상거래의 활성화를 위한 중대한 전환점이 되었다2001 .

기획예산처를 비롯하여 산업자원부 정보통신부 등을 포함한 범 정부적인 차원에서,

정부전자조달시스템 활성화 전략 용역 계약을 삼성 주 와 체결하여“ (G2B) ” SDS( ) 12

월에 용역결과를 산출하였다 또한 정부물품의 집중구매를 담당하는 조달청 목록정.

보과에서도 여러 기관과의 협력을 통하여 만 품목의 식별 번호를 부여하였다30 .

가 사업 현황( ) G2B

참여기관①

기획예산처 산업자원부 국방부 건설교통부 조달청 한국전력공사 한국통신공사, , , , , , ,

한국수자원공사 한국도로공사 한국가스공사 대한주택공사 인천국제공항사 등, , , ,

- 76 -

용역결과②

전자카탈로그체계-

기존 군 급 품명 품목번호: (2) - (2) - (3) - (4)

용역결과 채택 분류번호 단위 를 참고 속성번호 무의미 단위: 8 (UNSPSC ) + / 8

를 참고(GDAS )

분류번호 를 참고한 번호부여- : UNSPSC

식별번호 속성항목에 참조번호로 사용- :

속성번호 를 참고한 번호를 부여- : GDAS

향후방향③

전 정부기관에서 사용할 표준코드로 채택하여 기존의 시스템을 일시 변환할 예정이

며 시기는 년 월로 예정2002 9

나 조달청의 물품 목록화 활동( )

년 월 까지의 목록화 현황2001 12 31

군 급 현황 군 급- / : 73 /546

품명부여 만 천 품명- : 1 2

목록번호부여 만 품목 건설자재 만 품목 의료용품 만 천 품목- : 30 ( 13 , 5 5 )

이미지입력 만 천 품목- : 5 9

- 77 -

라 개발 규격 요약.

전자카탈로그 상품분류코드(1)

가 목적 및 필요성( )

이 규격은 고비용 저효율 구조를 개선할 수 있는 전자상거래 및 관련 비즈니스ㆍ

모델에 사용될 물품정보의 근간이 되는 분류체계에 대한 이해를 돕고 표준물품분류

체계 코드 를 권고 함으로써 시범사업 뿐만 아니라 전 업종에 걸쳐 표준분( ) ( ) B2B勸告

류체제 도입 및 활용에 기여하고자 한다.

산업부문 네트워크구축사업 일명 시범사업 차년도 개 업종 및- B2B ( B2B ) 1, 2, 3 30

추가업종에 사용할 표준분류체계를 권고함.

시범사업 시범업종을 대상으로 표준분류체계 적용에 따른 가이드라인을 제시- B2B

함으로써 업무의 효율성 증대

전자상거래에 및 비용 원가분석 통계분석 관련 솔루션에 사용될 표준분류체계에- / ,

대한 검토

국내외 물품분류체계에 대한 학문적 연구조사 및 도입 적용현황을 토대로 향- ㆍ

후 국내의 전자상거래 및 관련 비즈니스모델에 사용될 표준분류체계의 적용가능성

을 검토

국내외 분류체계 중 표준분류체계로 적용 가능한 분류체계를 예로 들어 심층분석-

적용가능성 문제점 및 적용할 경우 현업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라( + )

인을 제시.

나 주요내용( )

이 규격은 전자상거래의 토대 역할을 하는 전자카탈로그를 구축 할 때 적용할 수

있는 표준분류코드 및 표준분류적용 방법에 대한 규격이다.

이 규격이 제시하는 범위는 다음과 같다.

- 78 -

기존에 사용하는 자체상품분류코드가 존재할 경우 표준상품분류코드와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해당업 종별 업체별로 자체상품분류코드를 구축하는 방법,

기존에 사용하는 자체상품분류코드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표준상품분류코드를 반-

영하여 자체상품분류코드를 수립하는 방법

표준상품분류코드인 의 개요 적용타당성 구성체계 분류기준- UNSPSC(ECCMA) , , , ,

한국형 유보코드 및 확장코드를 사용 가능한 경우 및 사용할 때 자리 수에 대해서

기술한다.

다 활용방안 및 기대효과( )

이 규격은 전자상거래에 사용될 기본 상품정보 분류 식별 속성 의 표준화를 준비‘ ( , , )

하는 단계 에서 필요한 표준상품분류코드의 수립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고 학문적’ ,

기술적 뒷받침을 제공하고자 작성되었다 또한 시범사업뿐만 아니라 업종별 업. B2B ,

체별로 표준분류체계에 대한 방향성 및 가이드라인이 없이 업종별 업체별로 상이,

하게 상품분류코드에 대한 표준화작업이 진행될 경우 향후 발생 할 수 있는 고비용

비효율 작업지연 혼선 등을 방지하고자 작성되었다/ , , .

거래 상품의 속성을 정의하는 상품카탈로그 게시표준은 상품정보 거래정보 소비자, ,

보호관련 정보 등을 속성으로 가지며 각 속성에 대한 값을 정의한다 상품코드는, .

제품정보에 대한 속성중의 하나로서 거래하고자 하는 상품을 식별하는 중요한 요소

로서 거래하고자 하는 당사자 사이에 상호 인식 가능해야 한다 또한 업종간 연계, . ,

된 전자상거래가 실현되기 위해서는 전체 산업상품에 대한 일관되고 통일된 분류코

드가 개발되거나 기존의 상품분류코드 중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한가지의

상품분류코드를 선정할 필요성이 있다 공통된 상품분류코드를 이용하는 것은 구매.

자와 공급자 사이의 거래를 용이하게 함은 물론 전자상거래 시대에서 거래를 위한,

필수사항이다 공통된 분류코드가 국내뿐만 아니라 국가간에도 통용된다면 수출 수. /

입 비중이 높은 우리나라의 경우 상품분류 운영에서 많은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경쟁력을 보다 한층 강화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하나의 통일된 상품분류코드. ,

가 존재한다면 비록 각 기업이 특정목적을 위해 상품분류코드를 커스터마이징,

하여 사용한다 하더라도 많은 절약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Customizing) .

- 79 -

전자카탈로그 상품식별코드(2)

가 목적 및 필요성( )

전자상거래의 발전에 따라 국내에서의 기업간거래와 국제 기업간거래를 위해서 기,

업들이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는 전자카탈로그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이러.

한 공동 전자카탈로그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상품과 부품의 식별코드체계와 분류

코드체계의 표준이 필요하다.

상품식별코드와 상품분류코드는 각 기업의 업무담당자 들이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체제이다 상품과 부품의 수요예측에서부터 주문서 작성 송장 입고확인 재고관. , , ,

리 판매 등의 시점에서 항상 식별코드가 사용된다 즉 상품의 모든 처리단계에서, .

데이터의 색인을 구성하는 중요한 코드가 바로 상품을 유일하게 식별하는 식별체계

이다.

이렇게 매일의 일상업무에서 사용하는 코드이니 대부분의 기업은 나름의 식별체계,

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각 산업은 또한 그 산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식별코드를 가지게 되었다.

이재 전자상거래의 비중이 점점 커지는 시기에 식별코드를 표준화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과거에는 각 산업에서 두 개의 기업이 서로 식별코드를 교환하면 되었지.

만 이제는 산업 내의 모든 기업이 공유하는 식별코드체계를 가지지 않으면 안되게,

되었다.

표준식별코드체계를 구성하는 처음 단계에서는 각 기업의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대

립하게 된다 왜냐하면 개발 기업은 식별체계표준을 자기회사에 유리한 방향으로. ,

유도하려 하기 때문이다 식별코드를 바꾸는 문제는 일개기업의 입장에서 보면 매.

우 귀찮지만 하지 않을 수는 없는 중요한 문제이기 때문이기도 하다.

상품의 식별체계로서 현재 세계적으로 사용되는 코드로는 과 코드가 있EAN UPC

다 그 밖에 각 산업에서 사용하는 나름의 식별체계를 가지고 있다 각 산업별로는. .

분류체계를 겸하는 식별코드를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상품의 분류코드체계 코드 및 코드 등이 있다UN/SPSC HS .

국내의 유통업계에서는 년 가입을 계기로 국가코드를 부여받아 유1988 EAN EAN

통정보센터에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제조업체 코드를 부여하고 각 기업이 일련번

호를 임의로 사용하는 체계를 운용하고 있다 그러나 유통산업과 섬유산업 이외의.

다른 산업에서는 아직 표준식별코드체계가 없는 실정이다.

- 80 -

이에 각 산업이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식별체계의 표준안을 제시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유통업계에서는 성공적으로 체계를 도입하여 체계를 정착시켰. EAN KAN

지만 다른산업들은 나름대로의 식별체계 표준을 모색하고 있는 실정이다 전자상거, .

래 시대의 도래와 함께 식별체계의 표준을 빨리 마련하는 것은 각 산업의 국제경쟁

력을 좌우하게 될 것이다.

나 주요내용( )

이 규격은 전자카탈로그에서 상품을 식별하기 위한 코드구조로 산업의 구분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상품식별코드구조로서 물류단위를 나타낼 수 있도록 코드를EAN

확장한 자리의 숫자로 된 코드구조를 제시한14 GTIN(Global Trade Item Number)

다.

이 규격을 이용하여 식별하는 대상은 정보를 조회하거나 가격을 매기거나 주문을,

하거나 송장을 발행하는 상품이다 이러한 상품에는 거래의 대상이 되는 모든 원재.

료 제품 서비스를 포함한다, , .

다 활용방안 및 기대효과( )

이 규격에서 제시하는 전자카탈로그 상품식별코드를 전사업에 활용함으로써 산업간

정보 전달 및 공유에 기여한다.

전자카탈로그 상품속성코드(3)

가 목적 및 필요성( )

이 규격은 전자카탈로그 속성 국제표준 에 기반하여 전자카탈로그 속성 정보GDAS

를 개발하되 전체 산업에서 수용할 수 있는 공통 속성을 추출하고 이에 대한 우리,

말 용어를 개발하는 것이다 개발된 표준안은 추출된 공통속성 항목을 위한 정의와.

속성항목에 대한 사용설명 등을 포함하여 전자카탈로그 전문(M/O, L/G), comment

가 뿐만 아니라 비전문가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공통속성을 구축하고 궁극적으로

전자카탈로그 개발 및 활용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 81 -

국내 거래 활성화를 위해 개발된 전자카탈로그 공통속성에는 국내 환경에 적B2B

합한 공통 속성과 이에 대한 우리말 용어가 포함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관련 용어.

들에 대한 변형들을 수집하고 대표표현을 선정하였다 또한 사용되는 한글 용어 및.

영어 용어들의 변형 형태를 수집하고 대표표현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국내 및 국제 거래를 위해 국제 표준 와 호환성을 유지할 수 있는 표GDAS

준 개발을 위해 이 규격은 표준에 기반하되 추가 여과 과정을 거침으로써GDAS

보다 더욱 일반적이며 광범위하게 산업계 전 업종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하였GDAS

으며 공통 속성과의 매핑이 가능하다 또한 역으로 속성정보가 상품, GDAS . GDAS

속성코드로 매핑 될 수 있다 국내에서 에 기반하여 전자카탈로그를 구축할. GDAS

때 수반되었던 문제점들을 해결 및 보충할 수 있다.

의 필수 요소 및 기초 분류를 최대한 반영하여 개발하였기 때문에 국제 거래GDAS

환경에서도 상호 운용성을 보장한다.

나 주요내용( )

전자카탈로그의 속성정보는 기술하는 상품의 업종 및 업체에 따라 다양하게 표현될

수 있으므로 속성정보의 표준화가 매우 중요하다 이 규격은 전자카탈로그 상품 공.

통속성정보 표준 개발을 위해 전자카탈로그 국제 표준 GDAS(Global Data

에 기반한 공동속성을 개발하여 국재 호환이 가능하도록 하였으Alignment System)

며 국내 현황 및 특수성을 반영하는 속성을 추가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제 표준인, .

의 개 그룹을 기초로 유통 의존적인 속성과 국내 상황에 적합하지 않은 속GDAS 12

성을 제거하고 국내 업계 현황과 전자상가래 환경을 반영하여 새로운 속성항목을

추가하고 속성 중 범위나 데이터 값을 수정하여 범 업종적 개 속성 그룹GDAS 10

상품 식별 상품 분류 제조업체 유( Product Identification, Product Classification, ,

통 및 판매업체정보 상품 날짜 정보 상품 기술 정보Parties, Dates, Descriptions,

상품 측정 정보 상품 포장 정보 거래 정보Measures, Package, Commercial

취급 정보 배송 및 주문 정보 을 추출하고Data, Handling Information, Attributes)

개 데이터필드로 구성하였으며 개발 원칙으로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고려하였다52 .

- 82 -

첫째 그룹 중 유통 의존적인 그룹, GDAS (Product Hierarchies, Packaging Con

및 속성을 제거하여 범 업종적 속성정보를 포함하도록 하였다figuration) .

둘째 필수 항목 을 모두 수용함으로써 본 표준안에 기반한 전자, GDAS (Mandatory) ,

카탈로그가 국제 표준 기반의 거래와 상호 운용이 가능하게 하여 국제 거래GDAS

의 가능성을 최대한 넓혔다.

셋째 의 기초 분류 를 최대한 반영하여 기초 상품 레벨, GDAS (Base Classification)

에 저장된 데이터필드 분류 값이 모든 상품분류 리벨에서 공통으로 사용되도록 지l

정하였다.

넷째 국내 업계 현황 및 전자상거래 환경이 반영될 수 있도록 새로운 항목을 추가,

하고 속성을 변경하여 개발하였다GDAS .

다섯째 데이터 요소의 반복 여부를 지정하여 사용 환정을 개선하였다 반복 항목, .

지정을 통하여 상품 데이터를 풍부하고 상세히 기술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를 기반으로 업종에 관계없이 적용될 수 있는 공통 속성을 추출GDAS

하고 이를 적합한 우리말 용어를 개발하였다 또한 국내의 환경에 필요한 공통 속, .

성을 제안한다 공통속성으로 추출된 각 항목은 정의와 속성 항목에 대한 사용 설.

명이 따르며 공통속성 한글용어 표준에 대해서는 사용되는 한글 용어 및 영어 용,

어들의 변형을 수집하고 이들 용어들 중 대표 표현을 선정하였다.

전자카탈로그 상품 속성정보 국제표준 에 기반하였기 때문에 국내 거래 뿐만GDAS

아니라 국제간 전자상가래 환경에서 모든 업종에서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B2B

업종간 거래나 수평 환경에서 유용하게e-Marketplace (Horizontal e-Marketplace)

사용될 수 있으며 각 업종별 거래나 수직, e- Marketplace(Vertical e-Marketplace)

에서는 본 공통속성정보 표준을 바탕으로 각 업종별 고유한 속성을 추가하여 거래

에서 사용할 수 있다.

- 83 -

다 활용방안 및 기대효과( )

표준화되지 않은 전자카탈로그의 구축은 업종간 국제간 및 동일 업종간의 전자상,

거래에서 전자카탈로그 간에 상호 호환 및 연계가 어렵고 중복 투자 등으로 인한,

비효율과 낭비를 초래하게 되었으며 글로벌 전자상거래의 장애 요소가 되어 왔다, .

특히 업체 및 업종에 따른 서로 다른 속성 정보 게시로 인하여 전자 카탈로그의 효

율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카탈로그 속성 국제표준인 가. GDAS

개발되었으나 가 갖는 유통 중심적인 특징과 국내 상거래 환경과의 불일치로GDAS

인하여 완벽한 구현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국제 표준 에 기반하여 국내 환경을 반영한 공통속성표준 개발을 통하GDAS

여 업종간 및 국제간 거래의 호환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였다B2B .

이 규격은 국제 표준 를 기반으로 요소를 추가 또는 변경 및 삭제하여 개발GDAS

되었다 본 표준은 의 개 그룹과 개 데이터필드 중 유통 의존적이거나. GDAS 12 114

국내 상거래 환경에 적합하지 않은 요소를 제거하여 개 그룹 데이터필드로10 52

구성된다 공통속성정보 표준은 표준에 기반하되 추가적인 여과 과정을 거침. GDAS

으로써 보다 더욱 일반적이며 광범위하게 산업계 전 업종에 사용될 수 있으GDAS

며 공통 속성과의 매핑이 가능하다 또한 역으로 속성정보가 공통속, GDAS . GDAS

성정보로 매필 될 수 있다 국내에서 에 기반하여 전자카탈로그를 구축할 때. GDAS

수반되었던 문제점들을 해결 및 보충할 수 있다 의 필수 요소 및 기초 분류. GDAS

를 최대한 반영하여 개발하였기 때문에 국제 거래 환경에서도 상호 운용성을 보장

한다.

이 규격을 통하여 전자카탈로그의 표준화를 조기에 정착시키고 이를 통해 국내 전

자상거래 활성화를 도모할 뿐만 아니라 국제간 업종별 전자카탈로그의 공유와 교,

환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개발하고자 하는 공통속성 표준은 국제표준인 를GDAS

기반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전자상거래의 국제화를 촉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표준화 작업을 통해 국제적인 전자카탈로그의 표준화 작업에도 참여할 수 있다.

- 84 -

거래를 위한 전자카탈로그 상품속성코드를 분야별 업종에 실제 적용하여 업종B2B

독립적인 공통의 정보를 이용한 전자상거래 환경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거래에서의 실제 적용을 위해 개발된 공통속성정보의 개발이 필요하XML Schema

다.

전자카탈로그 운영 프로세스(4)

가 목적( )

전자 카탈로그는 전자상거래에서 있어서의 가장 중요한 데이터로 이에 대한 표준화

작업과 전자 카탈로그를 운영하는 운영 프로세스의 검증 및 정립은 전자 상거래를

촉진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전자 카탈로그를 위하여 현재까지 제정된 표준.

들을 조사해보고 각 표준들을 실제로 활용할 수 있게 하는 전자 카탈로그 운영 프,

로세스들을 구현 기술과 함께 정의하여 표준화 지침을 내린다.

전자 카탈로그 운영 프로세스 표준 개발을 위하여 크게 전자 카탈로그 이용 프로세

스와 전자 카탈로그 관리 프로세스의 두 가지 항목으로 분류하였으며 각각에 대하,

여 세부 운영 프로세스들을 정의하고 해당 세부 프로세스들을 운용하기 위한 구축,

기술들을 나열하였다 이 규격의 목표가 전자 카탈로그 관련 표준들을 실제로 시스.

템에 구현하여 운용하기 위함이므로 각 단계의 세부 프로세스들을 정의하기 위하여

현재 상업화되어 있는 각종 전자 카탈로그 관리시스템의 필수 프로세스들은 물론이

고 학계에서 지적되어 온 주요 기능들을 총망라하여 운용 목적에 따라 선별 정의, ,

하는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운영 프로세스 표준을 개발함에 있어 가장 중요하게 고려한 점은 전자 카탈로그는,

단순히 비즈니스 프로세스 내에 필요한 정보로서의 가치를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비즈니스 트랜잭션을 발생시키고 운영하는데 있어서 가장 핵심적인 단위라고 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위한 전자 카탈로그 관련 표준화 작업이 식별 분류 속성, ,

등 정적인 개념에만 집중됨에 따라 실제로 전자 카탈로그를 사용하여 전자 카탈로

그 관리 시스템을 구축 운영하려는 전자상거래 주체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기에/

부족하다는 현실적 요구를 충분히 수용하려 했다는 점이다 이를 위해 전자 카탈로.

그 운영 프로세스는 각종 전자 카탈로그 표준안을 어떤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는가

에 대한 타당성을 파악할 수 있게 하는 기술적 요소들과 역할상 중복되는 표준안들

간에 전자 카탈로그 운영 시스템에 적합한 표준안을 선택할 수 있는 넓은 범위에서

의 기능적 요소들로부터 추출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전자 카탈로그 표준안들의,

구현 절차와 방법 범위들을 정하는데 중요한 참고 모델이 될 수 있게 하였다, .

- 85 -

나 주요내용( )

이 규격은 전자카탈로그 시스템의 구축 또는 개발을 위한 참조모델로써 전자상거,

래에 필요한 전자카탈로그 운영프로세스의 주용 세부 프로세스를 정의하고 각 세부

프로세스들에 대한 설명과 각 세부 프로세스들을 구현하기 위한 기술과 방법을 제

시한다.

즉 전자 카탈로그 관리 프로세스를 구축 갱신 공유 프로세스로 세분화하고 또 이, ,

들의 하부 프로세스로서 설계 정제 입력 일관성 유지 백업 권한설정 인증 설정, , , , , ,

프로세스로 구체화하였다 전자 카탈로그 이용 프로세스에 대해서는 검색 동기화. , ,

교환 프로세스로 일치 세분화를 하고 하부 프로세스로 기본검색 검색 지원 검색, , ,

어 검증 검색 시나리오 제공 카탈로그 구성 병합 일관성 유지 교환규약 설정, , , , , ,

전송 프로세스로 정의하였다.

다 활용방안 및 기대효과( )

현재 전자 카탈로그에 대한 많은 규격들이 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 규격들은 식.

별 분류 속성 등 정적인 개념에만 집중하고 있거나 비즈니스 프로세스에 대한 정, , ,

의가 미비하기 때문에 규격을 도입하려는 전자상거래 업체의 목적과 규격이 제시하

는 기능이 불일치하여 업체가 규격 도입을 꺼려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전자 카.

탈로그의 구축 갱신 공유 검색 교환 등의 기능을 포함하는 전자 카탈로그 운영, , , ,

프로세스와 그 세부 프로세스를 정의함으로써 전자 카탈로그 관리 시스템을 구축/

운영하려는 전자상거래 주체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려고 한다 본 규격을 통해.

전자 카탈로그 개발에 대한 중복 투자를 막고 비용 절감과 효율성 증대를 기대하,

며 본 규격으로 인해 전자상거래 시장이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 86 -

결국 전자 상거래 관련 기술의 표준화를 위하여 전자상거래에 필요한 전자 카탈로, ,

그 운영 프로세스의 중요 세부 프로세스들을 정의하여 실제로 전자 카탈로그 시스,

템을 개발하려는 사람들에게 시스템의 내부 기능들을 참고할 수 있게 하고 전자,

카탈로그 시스템을 구축하려는 사람들에게는 구축 솔루션을 선택하기 위한 가이드

라인을 제공함으로써 아래와 같은 기대 및 활용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

전자 카탈로그 개발 및 운영에 대한 중복 투자 방지-

기업 간 전자 카탈로그 운영의 표준화를 통한 비용 절감과 효율성 증대-

전자상거래 시장의 확대를 통한 거래 활성화-

해외 규격과의 호환을 통해 국내 전자상거래 시장의 해외 적응력 증대-

세계적으로 앞선 표준으로서 국제 표준으로의 채택 노력-

국내 기업의 전자상거래 관련 기술 개발 동기 부여-

업종간 전자카탈로그 연계 지침(5)

가 목적( )

산업자원부에서 추진하는 업종별 시범사업이 년 현재 개의 업종에서B2B 2002 30

시범사업이 수행되고 있다 이 시범사업에서는 전자거래를 위한 표준화를 중. B2B

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 중에서 전자카탈로그의 표준화를 보면 제품 또는 부. , (

품 의 식별 체계 분류체계 속성체계의 표준화를 다루고 있다 그러나 업종별로 이) , , .

러한 표준이 다르게 개발되고 있다.

전자카탈로그 표준이 다를 경우 제품을 검색하기 힘들어지며 정보를 호환하는데 많

은 문제점이 발생하며 데이터의 중복 현상이 나타나 효율성이 떨어지게 된다 이러.

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거래에 필요한 업체 정보나 제품 정보 등을 신속히 찾을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업종간에 다르게 표현되는 동일 제품의 식별 분,

류 속성 정보를 연계시켜 주는 기능이 필요하다, .

- 87 -

이 규격에서는 현재 진행되는 업종별 시범사업에서 구축되는 전자카탈로그 저B2B

장소를 표준화된 식별 분류 속성 체제로 연결하여 기업 제품 등의 정보를 연계해/ / ,

주는 중앙등록기에 대한 사양과 운용 지침을 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기업 제품 등,

의 정보를 쉽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한다.

나 주요내용( )

이 규격은 업종간 전자카탈로그를 연계할 수 있는 중앙등록기 사양과 운용 지침을

제시한다.

중앙등록기 모델 중앙등록기를 설계하기 위한 기본 가정과 시나리오 중앙등록- : ,

기에 대한 정보모델 및 서비스 모델 서비스(Information Model) (Service Model),

프로세스 업종별 전자카탈로그 저장소와의 인터페이스,

중앙등록기 운용 방안 중앙등록기를 관리하기 위한 조직체계 수행업무 향후- : , ,

발전 방향

다 활용방안 및 기대효과( )

업종별 전자카탈로그 저장소간의 연계 및 정보 교환과 구매자와 판매자간의 전자카

탈로그 연계 및 정보교환 마켓플레이스간의 전자카탈로그 연계 및 정보교환에, e-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 88 -

전자카탈로그 데이터 인증 관련 기술현황(6)

가 목적( )

전자 카탈로그인증에 필요로 하는 기술들이 어떤 것들이 있는지 파악하고 전자 카,

탈로그의 인증을 적용하고자 하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기술들의 표준화에 대해 알

리는 것이 이 규격의 목적이다.

나 주요내용( )

이 규격에서는 이러한 전자 카탈로그 데이터 인증과정에서 필요한 기술과 적용방

식 기술들의 평가 방법 등 인증방식에 관한 전반적인 내용을 설명하고 있다, , .

전자 카탈로그의 데이터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와 이나 이라 하는 문자 기반Html XML

의 데이터로 구성되어 있는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위 변조를 검증하기 위해서 사, /

용되는 기술로는 워터마크를 이용한 방법이 있고 문자를 포함한 데이터 전체의 인,

증을 위해서는 전자서명이 현재 사용되고 있으며 데이터 전송의 공격이나 파일 형,

태의 위 변조 도용에 대한 방지책으로서 이 현재 사용되고 있는 기술이기 때문/ DRM

에 인증을 위한 기술의 소개는 워터마크와 전자서명 을 위주로 소개하며 이, DRM ,

와 연관이 있는 기타 다른 기술들과 이들 기술을 전자 카탈로그에 적용할 때 필요

한 시스템적인 사항들을 제시하고 있다.

다 활용방안 및 기대효과( )

전자 카탈로그는 그 자체로도 유료서비스와 같은 시장성을 가지게 될 것이며 이를,

이용한 상거래에서의 정보 제공 및 취득의 자료가 될 텐데 자료의 신빙성에 문제,

가 발생하가나 타인에 의해 위 변조 자료생성자의 정보를 임의적으로 악용하는 사( / ),

례가 발생하게 되면 전자 카탈로그 활성화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런 의미에서, .

인증은 구축초기 단계에서부터 고려되어야 할 사안이며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어떠한 형태로든 데이터의 신뢰성을 위해 도입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이에 전자.

카탈로그 데이터 인증에 필요한 기술 및 표준화 현황과 적용방법을 제시하여 전자

카탈로그의 안전한 보완성 유지 및 전달에 기여한다.

- 89 -

전자문서 분야2.

가 개요.

전자거래기본법에서는 전자문서를 컴퓨터 등 정보처리능력을 가진 장치에 의하여“

전자적 형대로 작성되어 송 수신 또는 저장되는 정보를 말한다 라고 정의되어, ”ㆍ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전자문서는 에서 정의. EDI(Electronic Data Interchange)

되고 있는 표준화된 전자문서로 협의의 의미로 쓰이고 있다.

이로 인해 전자상거래표준화 통합포럼의 기술위원회인 전자문서 기술위원회의 업무

범위 및 표준화로드맵 작업에서의 범위 등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전자문서 표준화 개발 체계에 대한 정립을 목표로 전자문서의

개념을 재정립하고 전자문서의 기술적 범위 등을 조사하였다.

전자상거래 패러다임의 변화 에서 로O : EDI ebXML

기존 전자상거래는 통신환경이 에서 인터넷 으로VAN (Value Added Network) Web

전환 등 시대적 요청에 따라 전자상거래 표준화 패러다임이 변화하게 되었다 이러.

한 주요 움직임은 과거 표준화 주관기관에서 인터넷 전자상거래를 지원하기 위EDI

한 전자상거래 프레임워크 기반의 새로운 표준 제정을 의미한다 즉 망ebXML . VAN

에 적용되던 전자문서는 인터넷망에서 전자상거래 데이터 처리가 용이한EDI , XML

언어를 적용한 전자상거래 프레임워크로 변화하게 된다ebXML .

이러한 표준화 패러다임 변화의 핵심은 기존 단위업종에서 전자문서 교환의 목적은

전세계 단일전자상거래 시장 창출이라는 목적의 새로운 지평선을 열고 있으며, EDI

전자문서에서 전자상거래 프레임워크의 표준화로의 이전이다ebXML .

표준은 상거래업무의 대부분은 오프라인 대면 전화 팩스 책자 등 공간에서EDI ( , , , )

추진하되 업무의 산출물로 발생되는 거래문서 만을 온라인 대상으로 하고 있다 즉. ,

기업 간 거래당사자 업무는 오프라인에서 추진되고 이후 기업간 거래문서를 온라인

으로 처리하여 반복적인 업무를 간소화 시키겠다는 취지이다 따라서 는 엄격하. EDI

게 제한된 표준만을 허용하고 있기 때문에 보다 개방적이고 광범위한 새로운 표준

재정이 필요하게 되었다.

- 90 -

전자상거래 프레임워크는 기존 보다 확대된 범위를 목표로 하여 거래ebXML EDI

당사자간 업무가 온라인 상에서 추진되도록 하는 한편 단일 전자상거래 시장 창출,

을 위한 등록저장소의 도입 상호연동성을 보장하는 메시지 전송 등 새로운 전자상,

거래 표준화 목표를 상정하고 있다 이를 위해 전자상거래 데이터 처리가 용이한.

언어를 표준화언어로 채택하였다XML(eXtensive Markup Language) .

따라서 전자상거래 표준의 시발점이라고 할 수 있는 표준제정 과정에서EDI ebXML

전자상거래 프레임워크로 전자상거래 환경이 변화됨에 따라 전자문서에 대한 새로

운 정의가 필요하다.

의 전자문서 정의 및 개념o EDI

전자문서와 관련된 개념은 주로 에서 출발하였으EDI(Electronic Data Interchange)

며 자체를 전자문서 또는 전자문서교환방식으로 인식하고 있다 또한 메시지EDI .

로서의 전자문서 개념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전자문서교환(message) . (EDI

이란 무역 상업 공업 서비스업 등 전 산업을 망라Electronic Data Interchange) , , ,

하며 정부기관 단체 업체 은행 등 다수의 거래자들이 컴퓨터 통신회선을 통하여, , ,

표준화된 서류를 전자적으로 상호 교환하는 것을 말한다 또는 전자문서교환. ,

이란 거래상대방과의 업무 처리에 있어 종래의 종이(Electronic Data Interchange)

서류 대신에 서로 합의한 표준화된 전자문서를 컴퓨터간에 교환하는 방식을 말한

다 와 관련되어 사용되는 전자문서의 정의는 다음과 같이 사용되고 있다. EDI .

협의의 전자문서 수평적 수직적인 일정한 단위 정부 기업 내에서 공식적으로 생- : / ( / )

성 유통 및 보관되는 전자적인 문서,

광의의 전자문서 전자적 수단을 통해서 공식적인 의사를 전달하기 위해 표현되- :

는 전자적인 기록으로 정부 국민 단체간의 유통되는 문서/ /

전자문서 의 기술적 정의 식별되고 이름을 갖고 있고 구조화된 기능- (message) : ,

적으로 연결된 전송항목의 집합 전자문서규격에 명시된 대로 특정유형의 거래 예. ( ,

송장 의 일정한 요건을 충족시킴 한 개의 전자문서는 전자문서머리로 시작해서 전) .

자문서꼬리로 종료됨 전송 시 한 개의 전자문서는 전자문서규격에 일치하는 특정. ,

한 순서를 가진 전송항목의 집합임.

- 91 -

비즈니스 환경에서의 전자문서 개념 및 정의o e

기존 전자문서의 개념은 주로 전자 자료 전자적 정보 서류 및 양식의 전자화 등에, ,

많은 비중을 두어 정의를 내리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전자문서란 오프라인에서.

사용하고 있는 문서 및 서식에 대한 물리적 전자화를 통한 전자문서 뿐만 아니라,

오프라인 또는 온라인에서 수행하는 비즈니스 프로세스에 대한 정형화된 결과물로

서의 컨텐트를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하는 경향이 있다 비즈니스 환경에서는 서류. e

의 물리적인 전자적 표현보다는 비즈니스를 수행하는 과정 또는 수행결과로 표현e

되는 정보의 총체적 의미로서 전자문서를 정의하고 있다 따라서 전자문서의 개념.

에는 문서 양식 문서 서식 문서 내용 비즈니스 프로세스 문서 처리 방법 문서, , , , ,

표현 방법 등 전자문서의 제반 환경을 포괄적으로 포함한다고 볼 수 있다.

비즈니스 환경에서의 전자문서의 정의는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정형화된 전자적e ’

매체 라고 할 수 있고 다음과 같은 다양한 표현으로 정의될 수 있다’ .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정형화된 결과물-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정형화된 전자적 매체-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정형화된 전자적 결과물-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정형화된 결과물에 대한 전자적 표현-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지원하는 정형화된 전자적 결과물-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결과물-

비즈니스 프로세스에 동반되는 전달 매체-

비즈니스 컨텐트- e

정보 컨텐트-

- 92 -

또한 당해연도 규격개발 사업으로 기반의 와 인터넷기반의 의 기본VAN EDI ebXML

사상을 비교하여 상호연계 가능한지를 분석하고 의 검증된 전자문서에 대한 경, EDI

험에 기반하여 개념의 메시지 개발에 대한 지침을 마련하여 에서XML EDI ebXML

로 발전하는 디딤돌로 사용할 수 있기 위한 를 기반으로 하는 메시지 규격EDI XML

개발과 에서 거래기업간의 상업적 상호연동성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공하기ebXML

위한 기반 비즈니스 프로세스 분석모델 및 전자문서를 재사용가능하고UMM XML ,

중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컴포넌트와 컨텍스트를 기반으로 전자문서 설계에 대한

지침을 제시한 업종간 핵심컴포넌트 사전 및 어셈블리 규칙(Dictionary) (Assembley

을 고려한 전자문서규격 개발 지침 등 건의 규격을 개발하였다rule) 3 .

나 국제표준화 동향.

국제적으로 전자문서와 관련된 표준화 활동은 등을 중심으로UN/CEFACT, W3C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본 장에서는 조직과 활동내용에 대한 자세한. UN/CEFACT

설명과 국제표준화기구인 의 해당위원회에 대한 간략한 소개를 하였다ISO .

- 93 -

표 전자문서 관련 국제표준화 기구[ 12]

구분 또는 분야WG

UN/CEFACT

Business Analysis WG(BAWG)International Trade Procedures WG(ITPWG)Legal WG(LWG)Codes WG(CDWG)UN/EDIFACT WG(EWG)Techniques and Methodologies WG(TMWG)Electronic Commerce Ad hoc WG(ECAWG)Promotion Advisory Ad hoc WG(PROMO)Electronic Business XML Ad hoc WG(ebXML)

ebTWG

Business Collaboration Patterns and MonitoredCommitments SpecificationBusiness Collaboration Protocol SpecificationBusiness Object Type LibraryBusiness Process Information Model Exchange SchemaBusiness Process Specification SchemaCommon Business Process CatalogCore Component SpecificationeBusiness Architecture SpecificationUML to XML Design RulesXML Business Document Library

IETF Electronic Data Interchange-Internet Integration (ediint)

ISO TC 154 Basic Semantic Register (BSR)

ISO + UN/CEFACT Joint Syntax Working Group (JSWG)

ISO + lEC ISO/IEC JTC1/SC34

ANSI X.12

Procedure Review Board(PRB)XML Task Group(XML)Policies And Procedures (P&P)Liaison Task Group(LTG)

- 94 -

구분 또는 분야WG

W3C

RDFWeb ServicesWeb OntologyXFormsXMLXML SchemaXSL and XSLTSemantic Web

OASIS

ebXML CPAebXML CPPebXML CPPAebXML RegistryTopic Maps

ECFramework,기타

의RosettaNet PIP의CommerceNet eCo Framework의CommerceOne xCBL

의Microsoft BizTalk의Ariba cXML의OBI OBI v.2.1

XML/EDIB2Bi표준들간의 interoperability

개요(1) UN/CEFACT

세계 무역의 는 즉 유럽과 북미2/3 UN/ECE(Economic Commission for Europe),

지역에서 발생하며 이 지역은 관세장벽 축소에 선구적인 역할을 해왔다 관세 장벽.

의 축소와 더불어 무역절차의 간소화 흑은 철폐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었고 이를 위

한 중요한 작업이 지역에서 시작되었다 이러한 작업의 결과로 무역 간소화UN/ECE .

기법 권고안 기준안 등이 전 세계적으로 작용되게 되었고 는 조직 내, , UN/ECE UN

에 를 설치하였고 현재 약 명 이상centre of excellence in trade facilitation 1,500

의 공공 민간 부문 전문기들이 활동하고 있다/ .

- 95 -

UN/CEFACT(United Nations Centre for Trade Facilitation and Electronic

는 년에 새로운 기술개발과 가용한 자원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하여Business) 1996

설립되었다 산하의 경제 및 사회위원회. UN (ECOSOC ; Economic and Social

가 인정한 산업체 정부간 협력기관 그러고 회원Council of the United Nations) , ,

국가의 참여가 가능하도록 개방되어 있다 의 목적은 참여한 기구를 포. UN/CEFACT

용하고 적극적으로 기구를 촉진해서 권고안 및 기준안을 개발하도록 하는 것이다.

의 중요한 특징은 의 정책적 수준에서의 작업을 민간 부UN/CEFACT UN/CEFACT ,

문 연합과 내의 실무자 단체 안에 있는 수백명의 민간 부문 기술 전문, UN/CEFACT

가의 참여로 만들어 낸다는 데에 있다 그러한 참여로 인해 민간부문과 공공기관의.

관계에서 새로운 협력적 관계가 연출되게 된다 는 의 지역위원회조. UN/CEFACT UN

직의 일부인 내에 있으며 이러한 지UN/ECE(Economic Commission for Europe) ,

역위원회는 내에 있는 경제 무역 및 개발부문에 있어서 최고의 기구인UN ,

에 작업내용을 보고하게 된다ECOSOC .

의 임무는 선진국 개발도상국 그리고 그 과도기에 있는 경제국가의 사UN/CEFACT ,

업 무역 및 행정기관의 진체적인 능륙을 향상시키고 효과적으로 적정한 서비스와,

생산물을 교환함으로써 전 세계적인 상거래의 성장을 촉진하는 것이다.

활동의 주안점은 절차와 정보흐름의 간소화외 일치로 전 세계 거래를UN/CEFACT

촉진하게 하는 것이다.

- 96 -

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UN/CEFACT .

가 세계적인 상거래의 확대( )

지속적인 세계 무역의 확대를 위하여 자유무역협정은 필요조건은 되지만 충분조건

은 되지 못한다 지속적인 성장은 중소규모의 기업들이 세계 무역에 참여하는 것을.

늘려야만 달성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 무역은 좀더 쉽고 단순해 져야 한다 즉. .

복잡하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서류작업 형식 절차들을 줄이는 것이고 이것이 관, ,

리와 상거래와 운송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나 관료제의 병폐를 줄이고 투명성을 확대( )

는 문서와 데이터 포맷의 단순화를 위하여 의미 있는 작업을 해 왔으UN/CEFACT

나 이는 작은 부분이며 근본적인 문제는 가래 상대방간에 정보가 전송되는 방식과

관리적이고 상업적인 절차들이다 복잡하고 어려운 절차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

여 는 다음과 같은 작업을 수행한다UN/CEFACT .

국제 거래에서의 중요 활동 과 요소 분석o (activity) (element)

영향을 주는 절차상의 제약조건 파악o

불필요하거나 중복된 정보 요청 포함( )

파악된 제약조간을 제거하기 위한 권고안을 개발하고 데이터 흐름을 단순화하며o

절차를 동일함.

다 전자상거래를 통한 정보 흐름의 향상( )

비즈니스나 관리적인 프로세스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최소 데이터 요구사항을 파악

하는 것으로는 충분하지 않으며 데이터를 전송하는 최적의 방법을 시험하여야 한

다 이 부분의 최적 비즈니스 프로세스 모델을 개발하기 위하여 전자상거래와 정보.

기술을 분석하고 있다.

- 97 -

라 거래비용의 축소( )

실제 거래 비용을 줄이기 위해서는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방안을 제시하는 것으로는

충분하지 않으며 반드시 해결방안의 구현이 있어야 한다 절차들은 흔히 관리적 요.

구사항과 관련이 있으며 구현은 종종 정부와 민간부문의 협조를 요구 한다.

는 권고안이나 도구 그리고 관련된 들의 구현을 촉진하UN/CEFACT Best Practices

기 위하여 정부와 산업계 그리고 서비스 연합 채널을 통하여 작업한다.

마 협력 국제기구와의 공동 연계를 전개( )

효과적인 작업을 위하여 는 다음과 같은 국제 기구와 연계하고 있다UN/CEFACT .

o the World Trade Organization (WTO)

o the World Customs Organization (WCO)

o the United Nations Conference on International Trade Law(UNCITRAL)

o the United Nations Conference on Trade and Development (UNCTAD).

바 민간과 공공부문의 경영 촉진( )

는 비즈니스와 관리적인 프로세스 절차 그리고 정보흐름을 개선하고UN/CEFACT , ,

자 한다 이러한 것들이 정보를 어떻게 수집 관리 교환하는가를 결정한다. , , .

의 조직 및 역할(2) UN/EDIFACT

그림 는 현재의 의 조직도를 보여주고 있다 최근 조직 변경에 대한[ 8] UN/CEFACT .

논의가 있으나 여기서는 기존의 조직에 대하여 우선적으로 살펴보고 후미에서 조직

변경 계획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 98 -

그림 구조[ 8] UN/CEFACT

- 99 -

가( ) UNICEF ACT Plenary

는 의 전략과 정책 그리고 센터의 목표달성을 위하여 필요한 자Plenary UN/CEFACT

원에 대한 포괄적인 책임을 진다 작업 프로그램 을 개발하고 유. (work programme)

지하며 센터활동이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기능하도록 감독한다 워킹 그룹에서 오.

는 모든 일에 대한 최종 중재의 역할을 수행한다 는 모든. Plenary Permanent

의 위임 사항을 승인하며 새로운 나Working Groups Permanent Working Groups

의 설립과 위임 사항을 결정 한다 에는 한 명의Ad hoc Working Groups . Plenary

위원장과 명의 부위원장이 있으며 임기는 년이다5 2 .

나( ) UNICEF ACT Steering Group

은 와 워킹그룹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한다Steering Group Plenary . Steering Group

의 위임사항은 에 의하여 승인되고 매 년마다 검토된다 의Plenary 2 . Steering Group

역할은 다음과 같다.

센터의 승인된 작업 프로그램을 모니터링 한다o .

를 위하여 관련된 절차와 감사보고서를 처리하여o UN/EDIFACT directories , UN

사무총장이 확인하고 공표 할 수 있도록 한다.

외부 기관간의 양해각서 에 따른 진행을 관리한다o (MoU) .

임시 내부 워킹그룹이나 승인된 작업 프로그램과 관련하여 한시적으로 특정 작업o

을 수행할 연합 외부 워킹그룹의 설립을 승인한다.

새로운 의 임시 설립을 승인한다o permanent working groups .

워킹그룹의 를 승인한다o terms of reference .

에게 새로운 작업 아이템을 제안한다o Plenary .

의 작업 진행 상황을 최소 년에 한번 검토한다o permanent working groups 1 .

은 한 명의 위원장과 명의 위원으로 구성된다 임기는 년이다Steering Group 15 . 2 .

- 100 -

다( ) Permanent working groups

는 장기간의 작업 프로그램을 담당하며 다음과 같은 그permanent working groups

룹이 있다.

Business Process Analysis Working Group (BPAWG)①

목적㉮

의 목적은 첫째 의 목적과 그것의 임무에 불리하게 작용하는 제BAWG , UN/CEFACT

약조건을 확인하는 것이고 둘째 현재의 업무처리절차를 분석하며 셋째로 업무처, , , ,

리절차상에서 적절한 변화를 제안하는 것이다.

주안점㉯

내에서 동의된 방법론의 목적과 임무에 합당하는 업무처리 절차를o UN/CEFACT

분석함

더 효과적인 업무처리절차를 이끌어내기 위한 제약조건을 확인o

더 효과적인 업무처리절차를 이끌어내기 위한 재안 초벌 권고안을 포함 제시o ( )

승인된 제안을 다른 이 이해할 수 있도록 조력함o Working Group

위임된 책무㉰

더 나은 업무 처리절차를 위한 지침을 제정o

다른 및 조직과의 연제를 구축하고 협력o group

에서 승인된 새 초벌 권고안을 제안하며 발전시킴o CEFACT

하위 을 정하고 필요한 팀을 지원함o group

다음과 같은 사항을 발행하고 발표하며 제출함 현존하는 업무처리절차를 분o , , -

석 더 나은 업무처리절차를 위한 제약조건들에 대해서 발표 더 나은 업무처리절- -

차를 위하여 와 다른 기관들에게 제안을 제시함CEFACT

- 101 -

International Trade Procedures Working Group(ITPWG)②

목적㉮

의 목적은 민간부문과 공공부문의 국제적인 무역거래 절차를 확인하여 가능ITPWG

한 한 그 절차들을 국내거래와 유사하게 만드는 것이다.

주안점㉯

거래 촉진 권고안에 대한 기안 제출o

관련되는 교육을 진흥하는 자료작성o

위임된 책무㉰

다른 과 조직과의 상호 연계를 수립하고 협력o group

지시사항의 범위 내에서 더 나은 업무 절차를 위한 지침을 발행o

가 승인한 새로운 초벌 권고안을 제안하고 개발o CEFACT

국재 무역거래에 있어서 업무절차와 정보흐름 분야에서 다음과 같은 사항을 발행o

하고 발표하며 제출함 업무분석 거래 제약조건에 관한 업무 보고 나, , - - - CEFACT

다른 기관에 제안

현존하는 권고안의 유지를 보장하기 위한 개정안의 제안o UN/ECE CEFACT

하위 을 정하고 필요한 팀을 지원함o group

Techniques and Methodologies Working Group(TMWG)③

목적㉮

의 목적은 에 의해서 실용화된 기술이나 방법론을 확인하고 연구하TMWG CEFACT

는 것이고 또 으로 하여금 작업처리를 향상시키게 하는 것이다, Working group .

- 102 -

위임된 책무㉯

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행되어야 하는 기술들이나 방법론에 관한o CEFACT

제안서를 포함하는 계획안.

새로운 기술과 방법들에 대한 수행이나 이전계획o

Codes Working Group(CDWG)④

목적㉮

의 목적은 의 목적을 지원하기 위하여 집합과 코드체계의 적CDWG CEFACT code

정성 가용성 및 특질을 보장하기 위한 것임, .

위임된 책무㉯

하위 그룹 및 요구되는 팀에 대한 지원체제의 확립o

권고안을 포함하는 코드 집합과 코드 구조의 유지보수 및 발행을 위한 절차o UN

체계의 유지

코드 집합 및 코드 구조와 연관된 의 초벌 권고안을 개발o UN/ECE

지시사항범위에서 업무거래절차를 증진하기 위한 지침을 발행o

다른 그룹 및 조직과 연력을 확립하고 협조함o

관련된 코드 유지보수 기관과 조화o

Legal Working Group(LWG)⑤

목적㉮

의 목적은 의 목적과 임무의 범위 내에서 현재의 법 처리 절차와 논점LWG CEFACT

을 분석하며 목적과 임무에 불리하게 작용하는 법적 제약조건을 확인하며 법적 처, ,

리 절차와 문제점에 대한 실제적인 개선을 제안하는 것이다.

- 103 -

주안점㉯

법적 절차와 문제점의 조사를 위한 연구와 분석o

더 유효한 법적 절차와 처리를 위하여 제약조건의 확인o

그러한 제약조건을 제거하기 위한 실제적인 제안o

권고안에 대한 호안의 작성o UN/ECE

최고의 법적 절차를 지원하기 위한 지침의 개발 발행 및 진흥o ,

과 와 같은 기구 내에 관계된 업무에 영향을 끼치기 위한 노력이o UNCITRAL ICC

적절히 필요한 곳에 기여함

내에 있는 영구 워킹그룹 및 특별 워킹그룹에 의해 착수된 업무를 보조o CEFACT

하고 실질적인 법적 조언에 대한 준비하며 법적 정책에 대한 관점에서 편성에 대한

기여

UN/EDIFACT Working Group(EWG)⑥

목적㉮

를 유지보수하며 개발 발전o UN/EDIFACT ㆍ

발전을 위한 필요한 행정적 지원과 방법을 제공함o UN/EDIFACT

전자문서의 문법적 특질을 향상시키는 제안서나 지침을 유지하거나 발전시킴으로o

써 외부 기관이 다국어로 해석하는 것을 촉진시킴, .

의 전 세계적 사용을 촉진함o UN/EDIFACT .

주안점㉯

메시지 지원하는 디렉토리 및 심사o UN/EDIFACT ,

의 선도 에 의해서 승인된 후 지원되는 디렉토리와o CEFACT group UN/CEFACT

메시지의 발행

와 양해각서 에서 정의된 방o ISO, IEC UN/ECE (Memorandum or Understanding)

법에 따른 구문EDIFACT

메시지 디자인 규칙o UN/EDIFACT

시행의 조화를 지원하기 위한 제안과 지침o UN/EDIFACT

인식과 진흥o UN/EDIFACT

- 104 -

라( ) Ad hoc Working Groups

은 짧은 시간 동안 특정 작업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립되는Ad hoc Groups (AHGs)

것으로 통상 개월 정도 운영된다12 .

Electronic Commerce Ad hoc Working Group(ECAWG)①

목적㉮

의 목적은 작업순서를 최근에 생겨난 전자상거래 환경 내에서 응ECAWG CEFACT ,

용성을 분석하는 것이고 가 현재와 미래에 전자상거래에 기여하는 분야를CEFACT

확인하는 것임.

주안점㉯

내에서 사용 가능한 전자상거래의 실제 정의를 사용함으로써 발행되는o CEFACT ,

규칙들의 집합을 정의함.

내에서 사용 가능한 전자상거래에 대한 실제적인 정의o CEFACT

joint Syntax Working Group(JSWG)②

목적㉮

에서 발행된 구문 규칙을 유지 보수하는 것임ISO 9735 UN-ISO /

주안점㉯

와 모 기관에서 임명된 의 전문가들로 이루어져 있o ISO/TC154 UN/ECE/CEFACT

으며 의 위원들은 다른 과 동등한 위치를 가질 것임JSWG group .

의 회원들은 위원간의 동의를 얻기 위해서 모든 노력을 기울일 것임 만약o JSWG

원간에 동의를 얻어내지 못한다면 위원의 의 찬성으로서 논점에 대한 찬 반 여, 2/3 /

부를 도출할 수 있음

Simple-EDI and forms & web based EDI Ad hoc Working Group(SIMAC)③

- 105 -

의 조직 변경 계획 안(3) UN/CEFACT ( )

년 월 총회는2001 3 UN/CEFACT “Realization of the UN/CEFACT Vision from an

문서를 승인하였으며 에게 이 문서에 대한 추eBusiness Standards Strategy” CSG

가 조치를 검토하고 필요시 조직 변경을 제안하라고 지시하였다 제안된.

재구성에 대한 추진력으로 작용한 것은 위 문서의 채택 년 월UN/CEFACT , 2001 5

프로젝트 단계의 성공적 완료 월 회의에서 제안된 의 새로운 조직ebXML 1 , 5 CSG

구조 제안 등이다.

는 에 할당된 작업을 빠르게 진전시키고 동시에CSG UN/CEFACT ebXML

구조에 대한 더 세부적인 자문을 허용하기 위하여UN/CEFACT e-Business

을 설립하였다 지금까지 자문은 비Transition Ad hoc Working Group (eBTWG) . e

즈니스 활동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지만 및 총회 의장으로부터 제출된 여, HoDs

러 의견에서 명확하게 보인 것은 이 기회가 점차 증가하는 무역촉진과 비즈니스e

활동의 통합을 고려하여 의 전체 구조를 조율하는데 사용되어야 한다UN/CEFACT

는 것이었다 이는 무역 촉진 활동을 별도로 검토하는 것은 회원에게. UN/CEFACT

비생산적이고 분열적이며 혼란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견해에 의해 지지되었다, .

는 모든 영구 및 임시 워킹그룹에게 구조CSG UN/CEFACT (Permanent) (Ad hoc)

에 대한 그들의 의견에 대하여 자문을 구하였다 이는 년 월 회의를 시. 2001 9 EWG

작으로 년 월 일 끝난 공식적인 자문 프로세스를 성립하였다 워킹그룹으2002 1 23 .

로부터 접수된 의견 및 제안을 상세하게 고려한 후에 는 총회를CSG UN/CEFACT

위해 다음과 같은 구조 개편안을 준비하였다 이곳에 언급된 내용은 아직 확정. (※

된 것은 아니며 향후 변경가능성도 충분히 있음을 밝혀둔다)

- 106 -

가 전반적인 구조 개편안( ) ( )

그림 은 제안된 전반적인 구조를 보여준다 이는 개의 그룹과 관[ 9] . 5 UN/CEFACT

리팀으로 구성되어 포럼을 형성한다 및 는 새롭게 운UN/CEFACT . TBG, ICG ATG

영되는 그룹이며 와 는 근본적으로 지원그룹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그룹간TMG LG .

의 상호작용은 그림 의 워크플로우에서 보여지는데 여기서 유의할 것은 그림이8 ,

무역촉진 및 비즈니스 활동에 있어 그룹간의 상호작용을 모두 적절하게 나타내지e

는 못 한다는 것을 감안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그림 에 나타난 박스는 각. , [ 9]

각 특정 활동의 발전을 책임지는 일련의 독립된 관리 단위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림 의 전반적인 구조 개편안[ 9] UN/CEACT ( )

- 107 -

나 개편안에 따른 조직 별 역할( )

포럼UN/CEFACT①

포럼은 하나의 작업 기구로서 긴밀한 연락과 완전한 상호작용을 도모UN/CEFACT

하도록 하기 위해 한번에 모든 그룹이 공동 회의를 힐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이러.

한 회의는 년 회 개최를 예정하고 있으며 각 그룹은 그룹의 사정에 따라 추가적2 ,

인 그룹 차원의 회의를 가질 수 있다 개별적으로 권한을 각지는 각. UN/CEFACT

그룹은 자신의 작업을 추진하기 위해 필요한 경우 내부적으로 자유롭게 그룹의 구

조를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각 그룹은 그룹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젝트 팀. ,

을 가지는 위킹그룹으로 나누거나 단순히 프로젝트 팀으로 구성되는 것이 제안된

다 각 그룹의 회원 구성은 물리적이거나 가상적일 수 있다. .

각 프로젝트 팀은 사전에 정의된 시한 내에 승인된 프로젝트를 완성하는 임무를 가

진 전문가로 구성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프로세스는 프로젝트 자체가 지속적이. ,

고 재작업의 기능을 가지는 경우에 있어서는 상시 프로젝트 팀의 설립을 배제하지

않아야 한다 프로젝트 팀의 책임은 개방형 개발 프로세스 하에서 모든.

회원 정부 비정부 및 국제 기구 에 의해 제출된 작업 과제를 다룰UN/CEFACT ( , )

수 있다.

관리 팀(Forum Management Team)②

포럼의 전반적 운영 관리는 개 그룹의 의장 및 부의장으로 구성 되UN/CEFACT 5

는 포럼 관리 팀 에 의해 이루어질 것이다 추가적으로 포럼 의장이 있는데 이(FMT) .

는 에 의해 선출되며 년의 임기를 가진다 그룹 의장은 직권상 의 위원이FMT 2 . CSG

된다 프로젝트가 적절한 그룹에 의해 주도되는 것을 보정하기 위해 모든 신규 프.

로젝트 제안은 합의된 수락 기준에 따라 에 의해 검토 및 승인될 것이다FMT . FMT

위원의 부정적 응답은 비승인의 이유에 대한 세부 설명이 이루어져야 한다 제안에.

대한 최종 처분에 이르기 위하여 비승인에 대한 모든 청원을 다루는 것은 전체

의 책임이 될 것이다CSG .

- 108 -

는 진행중인 프로젝트의 관리를 보장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매달 전화회의를 개FMT

최한다 전화회의동안 각 프로젝트의 상태가 검토되며 이에는 중요 진행 사항 이슈. ,

및 이슈 해결 단계 등이 포함된다 이는 프로젝트 상호의존성과 사용자 단체를 위.

해 계획된 발간이 합의된 대로이며 예정된 대로임을 보장하기 위함이다.

국제 거래 및 비즈니스 프로세스 그룹 (TBG)③

국제 거래 및 비즈니스 프로세스 그룹 은 적절한 무역 촉진 및 비즈니스 솔(TBG) e-

루션의 개발을 지원하기 위하여 모델링 방법론을 사용하여 비즈니스UN/CEFACT

및 정부 프로세스 분석 우수 관행 및 국제거래 절차에 대한 책임을 진다 는, . TBG

현행 비즈니스 및 정부 프로세스 및 절차에 대한 분석과 더 효과적인 거래 프로세

스에의 제약에 관한 보고서 등을 발표 발간 및 출판한다 이에는 임무의 범위 안에, .

서 우수한 비즈니스 관행을 위한 무역 촉진 권고안 및 가이드라인의 출판과 필요,

에 따라 타 그룹 및 조직과 협력관계를 가지는 것이 포함된다.

는 워크플로우의 엔트리 포인트이며 무역 비즈니스 및 행정 휠용을 하는데 있TBG ,

어 불가분한 상호작용적이며 협업적인 역할을 분석하는 책임을 진다 무역 비즈니. ,

스 및 행정 정보거래 패턴과 흐름을 정의하며 비즈니스 정보 모델의 명세를 포함,

하여 각 역할간에 오고 가는 특정 정보 교환을 문서화한다.

에 의해 수행될 프로젝트로는 공통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명세화 참조 모델의TBG ,

명세화 및 무역 촉진 권고안의 명세화 및 개발 등이 포함된다 는 또한 현UN . TBG

존하는 공통 비즈니스 및 정부 프로세스의 공유 및 평가와 데이터 관리 요청(DMR)

의 비즈니스 연관성을 검토하기 위한 담당기관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 109 -

이 그룹의 전문가들은 주로 국제 거래 및 비즈니스 영역에서의 프로세스 절차 및e ,

모델링 전문가가 될 것이다 이 그룹은 도메인 간의 조화 특히 산업 구현 단계에. (

서의 를 보장하기 위하여 비즈니스 도메인과 정보 전문가를 결합할 것이다) .

정보 컨텐츠 관리 그룹 (ICG)④

는 주로 재사용 가능한 정보 블록의 관리 카테고리화 및 표준화를 책임질 것이ICG ,

다 이런 컨텐트는 기본 정보 구조 및 컴포넌트를 상세화하고 있는 일련의 라이브.

러리 개방형 저장소 에 보유 될 것이다( ) .

활동으로는 모든 정보 모델을 통틀어 공통 정보 빌딩 블록을 적용하는 것 서비스,

프로토콜과 의미론을 상세화하는 것이 포함된다 라이브러리의 컨텐트는 핵심 컴포.

넌트 라이브러리 컨텐트와 함께 오늘날 다양한 산업에 의해 사용되는 것처럼 현존,

하는 정보 블록의 분석을 통해 산출될 것이다 이 그룹은 또한 에 의해 개발되. TBG

는 도메인 참조 모델과의 조율을 위해 정보 모델이 표준화 괴정을 거치는 것을 보

장하는 책임을 진다.

이 그룹은 주로 기술 중립적이고 재사용 가능한 설계 부문에서의 의미론 및 정보

모델링 전문가로 구성된다 이 그룹은 데이터 엘리먼트 디렉토리에. UN/EDIFACT

포함된 재사용 기능한 프로세스 및 정보 블록 모든 코드 디렉토리 비즈니스 프로, ,

세스 카탈로그 비즈니스 정보 객체 참조 라이브러리 및 핵심 컴포넌트 라이브러리,

에 대한 책임을 진다.

응용 기술 그룹 (ATG)⑤

는 같은 특정 기술이 나ATG UN/EDIFACT, UN Layout Key, UN e-docs or XML

표준에 의해 채택될 무역 비즈니스 및 행정 문서 구조의 생성을 책임진다, .

의 활동은 매시지의 설계 및 조합 디렉토리 및 라이브러리에 대ATG UN/EDIFACT ,

한 데이터 관리 요청 의 적용 스키마 및(DMR) , UN Layout Key, UN eDocs, XML

문서형 정의 그리고 핵심 컴포넌트의 정의를 포함한다(DTD), .

- 110 -

이 그룹은 주로 다양한 구현 구문 프로토콜 및 교환을 위한 데이터의 패키징 방식,

에 정통한 기술 전문가로 구성된다.

기술 및 방법론 그룹 (TMG)⑥

는 모델링 방법론 같이 현재 에 의해 임무가 주어진TMG UN/CEFACT UN/CEFACT

작업에 대한 책임을 진다 이 그룹은 기반 메타 명세와 교육을 제공함TMWG . ( ) ICT

으로서 모든 그룹에 대한 지원을 제공할 것이다 추가적으로 이 그룹UN/CEFACT .

은 와 산하 그룹이 무역 촉진과 비즈니스에 있어 임무와 비전을 완성UN/CEFACT e

하는데 있어 도움이 될 수 있는 새로운 기술과 방법론을 평가하는 연구 그룹으ICT

로서의 기능을 지속할 것이다.

이 그룹의 전문가는 내에서 사용되는 현존 기술 및 방법론 기술적 발UN/CEFACT ,

전 그리고 와 산하 그룹의 기능에 대한 폭 넓은 기반 지식을 가진다UN/CEFACT .

법률 그룹 (LG)⑦

는 현재 에 의해 임무가 부여된 작업에 대한 책임을 진다 이LG UN/CEFACT LWG .

그룹은 총회에 의해 결정된 대로 자체 프로젝트와 모든 그룹을 지원UN/CEFACT

한다.

는 더 효과적인 법적 프로세스 및 절차를 위해 현행 법적 프로세스 및 절차의LG

분석 더 효과적인 법적 프로세스에의 제약에 대한 보고 및 다른 조, , UN/CEFACT

직에 대한 제안 등을 출간 출판 및 발표하는 책임을 진다 이는 임무의 범위 내에, .

서 우수한 비즈니스 관행을 위한 가이드라인의 발표와 필요에 따라 타 그룹 및 기

관과 협력 관계를 가지는 것을 포함한다.

이 그룹의 전문가는 의 작업 프로그램으로부터 발생하는 법적 문제를UN/CEFACT

해결할 수 있는 지식을 가진다.

- 111 -

다 전환 계획( )

그림 는 현존하는 워킹그룹 구조로부터 제안된 그룹[ 10] UN/CEFACT UN/CEFACT

구조로의 예정된 전환을 보여준다 각 새로운 그룹의 주요 기능은 네. UN/EDIFACT

모 괄호 안에 나타난 활동에 대한 책임을 가지는 대응되는 현존 워킹UN/CEFACT

그룹과 함께 보여진다 현재 프로젝트의 전환계획은 표 와 같이 정리해 볼 수. [ 13]

있다.

그림 전환 계획[ 10] UN/CEFACT

- 112 -

표 현재 프로젝트 팀의 전환 방안[ 13]

프로젝트 명 현재 워킹그룹 제안 그룹

Accounting and Auditing Core Components EWG(P7) TBG

Business Collaboration Patterns and MonitoredCommitments Specification

eBTWG TMG

Business Collaboration Protocol Specification eBTWG TMG

Business Neutral Core Component Library EWG (P1) ICG

Business Entity Library eBTWG TMG

Business Process Information Model ExchangeSchema

eBTWG TMG

Business Process Specification Schema eBTWG TMG

Common Business Process CatalogueSpecification

eBTWG TMG

Common Business Process Catalogue DefinitionsEBTWG/BPAWG

TBG

Core Component Realization Schema eBTWG TMG

Core Component Specification eBTWG TMG

Core Component Supplements eBTWG TMG

e-Business Architecture Specification eBTWG TMG

Finance Business Process Modelling EWG (P4) TBG

Finance Core Components EWG (P3) TBG

Harmonization Documentation EWG (P2) TBG

Insurance Core Components EWG (P6) TBG

Travel, Tourism and Leisure Core Components EWG (P5) TBG

UML to XML Design Rules eBTWG ATG

- 113 -

주요 워킹그룹의 활동내용(4) UN/CEFACT

가( ) UN/EDIFACT(EWG)

표준 생성 배경UN/EDIFACT①

년대 말 미국의 운송업계에 처음 도입된 것이 보편적인 견해이다 미국의 운송1960 .

업계에 속한 일단의 회사들이 전자적인 통신방법의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해 1968

년 구성한 운송데이터조정위원회 의 활동에서 비롯된다 의 목적은 운(TDCC) . TDCC

송관련서류를 전송하는데 사용할 공통언어 또는 전자문서표준을 개발하는 것이었

다 는 년 최초의 표준사양을 발표한 이래로 계속 발전된 표준을 항공. TDCC 1975 ,

육운 철도 해운 등에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이에 자극을 받아 다른 업계에서도 자, , .

체적으로 에 사용될 표준을 개발하였는데 특히 식품업계의 표준인EDI

와 창고업계의 표준인UCS(Uniform Communication Standard) WINS(Warehouse

가 잘 알려져 있다 이들은 모두information Network Standard) . UCC(Uniform

에서 관리하고 있으며 에서 정한 일반 규정과 양식 및 규칙에Code Council) , TDCC

대한 요건 등을 따르고 있기 때문에 커다란 차이는 없다 이후 국가 차원의 표. EDI

준을 마련하려는 노력이 진전되어 위원회가 창립되었는데 년에 창립된 이 위, 1978

원회는 위원회로 불렸으며 미국표준기구 는 년 이 위원회를X.12 , (ANSI) 1979 ASC

로 정식 승인하였다 이 위원회는 년 최초의 표준을 발표했으며 전자문서표준. 1981 ,

은 물론 통신표준까지도 제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서유럽 특히 영국 에서는 년대에 무역분야에서 문서의 표준화를 시도하였고( ) 1970 ,

그 후 유통 분야 은행분야 항공분야 에서 참여하게 되었다(EANA), (SWIFT), (SITA) .

년 발에 위원회와 서유럽의 표준화 단체들은 의 후윈 아래 모임을1986 ASC X12 UN

갖고 국제적인 표준을 재정하기 위해 위원회를 결성 하였다 년에EDI EDIFACT . 1987

에 의해 구문이 채택되고 년에는 미국 서유럽 동유럽에ISO EDIFACT , 1988 , ,

이사회가 구성되고 태평양 연안국가들이 활동에 참여하기 시작하였다EDIFACT , .

- 114 -

위원회와 위원회는 전세계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국제 표준의ASC X12 EDIFACT

개발이 필요하다는데 전적으로 동의하고 있다 미군의 경우 아직까지는 국가표EDI .

준인 와 산업별 표준이 우위를 접하고 있지만 년 이후에는ANSI X.12 , 1995 ANSI

가 신규 메시지 개발을 하지 않겠다고 공식 선언함에 따라 외국과의 무역거래ASC

는 물론 국내 거래에 있어서도 점차 로 통합되어 가는 양상을 보이고UN/EDIFACT

있다 그런데 표준과 산업계 고유의 표준들은 표준보다 더 고도. ANSI X12 EDIFACT

로 개발되어 있고 더 널리 실용화되어 있고 소프트웨어업계의 지원을 더 많이 받, ,

고 있는 형편이다 왜냐하면 표준은 매우 적은 표준 문서를 가지고 있는. , EDIFACT

반면에 구문과 통신 표준만을 정하여 사용자가 그에 맞게 문서를 생성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표준이 표준을 대체하여 명실상부한 국. EDIFACT ANSI X12

제 표준으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종류의 표준 문서를 개발하고 변환소프

트웨어 등 관련 소프트웨어가 표준을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실용적인 기ANSI X12

능을 갖도록 개발되어야 한다.

의 내용UN/ EDIFACT②

행정 상업 운송부문의 전자문서교환규칙o The Rules of UN/EDIFACT ( / / )

개발 주체o ; UN/ECE/CEFACT

기술의 보편화 추세에 따라 유엔에서 재정하고 가 국제표준으로 승인한- EDI ISO

범세계적인 에 관한 비즈니스 프로토콜EDI

현재 은행 항공운송 해상운송 무역 행정등 각 분야에서 에 관한 세계적 표- , , , , EDI

준으로 인정 사용되고 있는 국제적으로 가장 보편성 있는 전자문서표준,

전자문서 구문규칙o UN/EDIFACT System Rules(SO 9735) : UN/EDIFACT

무역자료항목 사진o UNTDED(United Nations Trade Data Elements Directory; ;

행정 상업 및 운송분야에서 사용되는 데이터의 속성 및 정ISO 7372): , (attributes)

의 규정 경우에 따라 자료 항목별 코드와 한정어 목록도 규정, (qualifier)

표준전송항목집 표준전자문서에o EDSD(UN/EDIFACT Data Segment Directory: ):

사용되는 표준자료전송항목이 전부 기술

- 115 -

전자문서사전 유엔에서 승인한 표준o EDMD(UN/EDIFACT Messages Directory ):

전자문서가 모두 수록 상기의 모든 사진을 최신화하기 위한 관리 절차도 포함, .

구문규칙에 준거하여 전송항목을 체계적으로 결합한 전자문서ISO 9735 .

전자문서설계지침서 전자문서설계에o UN/EDIFACT Message Design Guidelines( )

관련된 각종 지침 및 절차 수록 이 지침서의 목적은 이미 국제적으로 승인 인정되. ,

고 있는 표준과의 호환성을 위하여 전자문서의 재정절차에 관한 상세절차를 규EDI

정하는데 있음.

구성 요소-

유엔데이터 교환 지침서 전자o (UNTDID: UN Trade Data Interchange Directory):

문서 구문규칙과 전자문서 설계규칙으로 구성

전자문서 구문규칙 전자문서의 구조 및 구성을 제어o (Syntax Rules:ISO 9735) :

하는 규칙 즉 시스템상의 메시지 작성표준으로서 전자문서에 사용되는 문, EDI EDI

자집합 교환정보 전자문서의 구조 및 구성순서와 관련 보조 데이터의 구성에 관한, ,

규칙을 말한다.

전자문서 설계규칙 전자문서 설계에 관련된 각종 지침 및 절차를 수록하o (MDR) :

고 표준전자문서개발을 위한 통일된 기법을 소개하고 있으며 신규 메시지의 개발,

및 기존 메시지의 개정 시 사용된다.

전자문서 구문규칙에 준거하여 전송항목을 체계적으로 결합한 것으o (Message) :

로서 기존의 종이 문서에 상응하는 개념

전자문서 목록 의 표준전자문서o (UNEDMD) : EDIFACT (UNSM: UN Standards

들의 목록이다 에서 전자문서들은 자의 영문 대문자로 표Messages) . UN/EDIFACT 6

현된다.

참고 개발전자문서 메시지 목록< > (MiD: Messages in Development) D.97A

자료항목 전자문서를 구성하는 데이터의 단위로o (DATA Elements: ISO 7372) :

서 자료항목은 기본단어 또는 문장 내 어구에 해당되며 자리 숫자로 구성되어, 4

단위로 데이터항목을 구분하고 짝수는 평문을 흘수는 코드계열을 나타낸다1000 .

또한 매 단위마다 개 숫자는 국제적으로 다음 개는 각국별로 나머지500 300 200

개는 업체별로 사용된다.

- 116 -

복합자료항목집 기본 단어라o (UNEDCD: Composite Data Elements Directory) :

고 할 수 있는 자료항목으로 구성된 일종의 구 내지 복합단어들의 목록을 말한다.

복합자료항목은 자의 숫자 앞에 대문자 자를 붙여 자리로 분류되어 있다3 C 4 .

전자문서구문실행지침서 전자문서 구문규o (Syntax Implementation Guidelines) :

칙의 실행 및 에 수록한 일부 규칙을 확장하는데 이용된다ISO 9735 .

코드 에서는 전송항목 복합자료항목 자료 항목 등o (Code)(UNCL) : UN/EDIFACT , ,

에 자리의 숫자로 된 코드를 부여하며 이들을 상이한 전자문서에서 재입력 없이4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코드목록은 이러한 코드들을 일련번호로 수록한 것이.

다.

전송항목 전자문서에 사용되는 자료전송항목o (Segments) :

전송항목집 전송항목은 문장에 해당하며 전o (UNEDSD : Segments Directory) : ,

자문서 내에서 실질적인 정보를 담고 있으며 등 자리 영문 대문자로 데NAD, PAl 3

이터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데이터전송교환통일규칙 는o (UNCID) : UNCID Uniform Rules of Conduct for

의 약자로 에 따른 법적 문제Interchange of Trade Data by Teletransmission EDI

를 규제하기 위한 데이터교환과 관련한 일반원칙을 말한다.

디렉토리UN/EDIFACT③

디렉토리는 주관으로 개발된 물품 또는 용역과 관련된 데이터UN/EDIFACT UN/ECE

의 전자식 교환에 대한 와 를 총칭하며 는 이 두 가UNTDED UNTDID , UN/CEFACT

지 를 매년 회 개정을 통하여 발간한다 디렉토리의 대략적인 내용은DIRECTORY 2 .

다음과 같다.

- 117 -

표 디렉토리[ 14] UN/EDIFACT

하위 워킹그룹④

의 허위 워킹그룹은 다음 표와 같다EWG .

표 하위 워킹그룹[ 15] EWG

D 1 Materials Management D14Accounting & Auditing,Registration and FinancialInformation Services

D 2 Purchasing D15Environmental Management &Safety

D 3 Transport G 2 Promotion Advisory TeamD 4 Customs G 5 Secretariats GroupD 5 Finance DAT Directory Audit Team

D 6Architecture,Engineering &Construction

DPT Directory Production Team

D 7 Statistics T 1 Technical Assessment GroupD 9 Insurance T 2 Message Design Rules

D10Travel. Tourism &Leisure

T 8 Implementation Harmonisation

D11 Healthcare T 9 Object Oriented EDI

D12Social Security,Employment &Education

JSWG Joint Syntax Working Group

- 118 -

각 하위 워킹그룹의 목적과 주요 산출물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D1 Materials Management㉮

목표-

글로벌 환경에서 물자 관리를 위한 의 개발과 유지o UN/EDIFACT messages

회원 규정에 따라 산업 무역업무 혹은 국가 구매 작업에 종사하는 관심 있o D1 ,

는 사용자들이 능동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

다른 들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o EWG Sub Working Groups .

비즈니스 프로세스간에 사용되는 세그먼트와 데이터 엘리먼트의 정확한 사용과o

번역을 보증하기 위하여 다른 들과 협조SWGs

의 작업을 지원o EWG

주요 산출물-

o UN/EDIFACT messages for Materials Management

메시지의 필요부분과 관련된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분석o

비즈니스 요구사항과 그룹에 의하여 지원되는 득정 메시지간의 정확한 정렬을 보o

명확한 비즈니스 요구사항을 지원하는 을 개발 검토o DMRs /

표준의 국제적 구현을 위한 지원o UN/EDIFACT

- 119 -

D2 Purchasing㉯

목표-

는 일반거래 영역o D2 (purchasing, invoicing and trading partner information,

에서 거래 파트너간의 메시지를 개발 유지 예로는etc) EDI / Party information

등임(PARTIN), Purchase order (ORDERS) and Invoice (INVOIC) .

회원 규정에 따라 산업 무역엽무 혹은 국가 구매 작업에 종사하는 관심 있o D2 ,

는 사용자들이 능동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

다른 들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o EWG Sub Working Groups

활동 지원o EWG

주요 산출물-

에서 승인되고 와 에서 해결된 작업프로그램 회의록o DMRs EWG D2 session ,

구매 송장 거래 파트너 정보에 관한 메시지o , , UN/EDIFACT

메시지와 관련된 비즈니스 프로세스 분석o

메시지에 영향을 주는 정보구조의 에 대한 코멘트와 결정o D2 DMR

표준의 국제적 구현을 위한 지원o UN/EDIFACT

전자상거래와 관련된 이슈에 대한 검토 의견o

D4 Transport㉰

목표-

운송관련 데이터 전송을 위한 메시지 요구사항 확인o EDlFACT

운송과 물류 목적의 개발 유지o United Nations Standard Messages (UNSM’s) /

예( : IFTM series - International Forwarding and Transport Messages-,IFCSUM

- International Forwarding Consolidation Summary-.Coxxx series -Containers

Movements Messages-.)

주요 산출물-

사용자 커뮤니티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o United Nations Messages

개발 유지(UNSM’s) /

- 120 -

변화를 수용하기 위하여 에서 정의된 절차를 준수o EWG/CEFACT

에서 규정된 품질 기준을 준수하기 위하여o EWG message documentation and

을 관리lay-out

국제 표준을 만들기 위해서 다양한 지역의 관점을 조율o

자신의 하위 그룹인o ITIGG (International Transport Implementation Guidelines

를 통하여 가이드 라인을 개발하고 다른 조Group) EDIFACT Transport messages

직이 이 규칙을 따르도록 유도

운송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표준에 적절히 반영하도록 전자상거래에서o

새롭게 떠오르는 기술 들을 모니터(INTERNET, Web-EDI, SimplEDI, XML/EDI···.)

링 분석/

D5 Customs㉱

목표-

은 고객과 고객의 거래 파트너간에 교환되는 메시지의o D5 Customs (SWG) EDI

개발과 유지를 담당한다 포함되는 다음과 같은 메시지가 포함 된다. .

- Customs Cargo Report Message (CUSCAR),

- Customs Declaration Message (CUSDEC),

- Customs Express Consignment Declaration Message (CUSEXP),

- Periodic Customs Declaration Message (CUSPED),

- Customs Conveyance Report Message (CUSREP),

- Customs Response Message (CUSRES),

- Passenger List Message (PAXLST),

- International Movement of Goods Governmental Regulatory Message

(SANCRT), and

- Value Added Tax Message (VATDEC)

- 121 -

주요 산출물-

고객과 관련된 메시지o UN/EDIFACT

메시지 설계 가이드라인이나 와 같은 이슈에 대한 검토의견 제o EDIFACT syntax

와 긴밀한 협조 하에 메시지o World Customs Organization (WCO) UN/EDIFACT

구현을 위한 원칙과 규칙 준비

D6 Finance㉲

목표-

의 목표와 임무 내에서o (CEFACT) EDIFACT Working Group financial EDIFACT

의 개발과 구현

주요 산출물-

와 관련된 비즈니스 프로세스o SWG/Finance

o financial EDIFACT messages

의 구현을 지원하는o financial EDIFACT Message Implementation Guidelines

보안 권고안을 포함한 의 정확한 구현을 위한 권고안o financial EDIFACT

의 비즈니스 요구사항을 지원하기 위한o financial EDIFACT DMRs

활성화 지원o financial EDIFACT

다른 그룹들이 의 비즈니스 기술적 요구사항을 이해하도록 지o financial EDIFACT /

의 연차작업계획 수립o D6 Finance activities

작업에 대한 연차보고서o SWG/Finance

- 122 -

D8 Statistics㉳

목표-

통제 자료와 관련된 정보의 정확한 수집과 배포를 위하여 사용자 커뮤니티에게o

표준 제공EDIFACT

메시지의 통계 부문 개발과 통계 정보를 위한 메시지 사용o EDIFACT EDIFACT

촉진

주요 산출물一

준비o DMRs

통계 부분의 메시지 개발o UN/EDIFACT /

작성o Message Implementation Guides

메시지 구현을 위한 원칙과 규칙을 개발하기 위하여 과 공조o UN/EDIFACT T8

등에 대한 검토의견o message design Guidelines, the EDIFACT syntax

D9 Insurance㉴

목표-

보험 부문 거래 파트너간의 매시지를 개발 유지한다 사회보장부분을 제외한o EDI / .

보험과 재보험 영역을 포괄한다includes life, property, liability, private health .

o Insurance Production Policy Administration message (IPPOAD), Insurance

Premium message (INSPRE), Insurance Claim Notification message (ICNOMO),

등과 같은 메시지를 개발하는 것and Reinsurance Technical Account (RETACC

을 포함한다.

주요 산출물-

보험 분야의 메시지 개발 유지o UN/EDIFACT /

등에 대한 검토o Message Design Rules, the EDIFACT syntax

메시지 구현을 위한 원칙과 규칙을 개발에 참여o UN/EDIFACT

- 123 -

D10 Travel, Tourism & Leisure㉵

목표-

여행 산업에서의 메시지 개발 유지o UN/EDIFACT /

o the Availability Request (AVLREQ) and Availability Response (AVLRSP),

Reservation Request (RESREQ) and Reservation Response (RESRSP) and

등의Timetable or Schedule update (SKDUPD) and acknowledgment (SKDACK)

메시지 개발

주요 산출물-

여행 산업을 위한o UNSM’s (United Nations Standard Message) and UNSIM’s

의 개발 유지(United Nations Standard Interactive Message) /

작성o message implementation guides for UN/EDIFACT messages

처음 사용자를 위한 매뉴얼 작성o

등에 대한 검토의견o Message Design Guidelines, the EDIFACT syntax

D11 Healthcare㉶

목표-

에 관한 메시지 개발o healthcare UN/EDIFACT

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키도록o healthcare community medical, person related,

등의 교환 구조를 개발 관리한다administrative and financial information / .

주요 산출물-

부분에 대한 메시지의 생성과 유지o healthcare UN/EDIFACT

새로 제정되거나 개정된 메시지 세그먼트 단순 혹은 복합 그리고o healthcare , ( ),

데이터 엘리먼트 한정자나 코드 포함 등에 대한 권고안( )

등에 의하여 정의된 절차에 따o ISO, IEC, UN/ECE MoU and UNICEF ACT/EWG

른 과 관련된 세그먼트 데이터 엘리먼트 코드의 개발healthcare UNSMs , ,

- 124 -

메시지 설계 가이드라인 규칙 구문 규칙 구현방안 등에 대한 검토 의o / , EDIFACT ,

메시지 구현을 위한 원칙과 규칙 준비o UN/EDIFACT

조직과 관련된 이슈와 규칙 등 에 대한 검토o EWG (ToR, Procedures ) ,

나 다른 단체로부터 제안된 메시지에 대한 평가o ISO/TC215 Health Informatics

D12 Social Security, Employment & Education㉷

목표-

사회보장 고용정책 그리고 교육 부문의 메시지 개발 관리o , , UN/EDIFACT /

다음과 같은 메시지를 대상으로 함o

- Worker's insurance history message (SSRECH);

- Social administration message (SOCADE);

- Job application result message (JAPRES);

- Student’s education records message (STUREC).

주요 산출물-

사회보장 고용 교육에 관한 메시지o , , UN/EDIFACT

국가 지역 혹은 국제적인 사회보장 기구로부터 제안된 메시지 비즈니스와 정보o , , ,

모델 등에 대한 검토 ,

메시지 설계 가이드 라인이니 구문규칙에 대한 검토o EDIFACT

메시지 구현을 위한 원칙과 규칙o UN/EDIFACT

과 이의 사용을 위한 홍보o UN/EDIFACT

- 125 -

D14 Accounting & Auditing, Registration and Financial Information Services㉸

목표-

회계 감사 등록 그리고 회계정보서비스에 관한 메시지 개발 관o , , , UN/EDIFACT /

다음과 같은 부분을 대상으로 하고 있음o .

- Accounting and Auditing include accounting entries recording, processing

and control of accounting documents with respect to Generally Accepted

Accounting Principles (GAAP)

- Registration includes information related to taxation, new business filings,

business amendments and other information filings required by governmental

agencies;

Financial Information Services include administrative, credit and risk reporting,

financial statements, filings and similar exchanges that are applied across

business and administrative sectors;

주요 산출물-

회계 감사 등록 그리고 회계 정보 서비스에 관한 메시지의 개발o , , UN/EDIFACT

과 관리

메시지 설계 가이드 라인이나 구문규칙에 대한 검토o EDIFACT

메시지 구현을 위한 원칙과 규칙 준비o UN/EDIFACT

D15 Environmental Management & Safety㉹

목표-

환경 보호와 안전에 관한 표준 메시지 개발 관리o UN/EDIFACT /

표준과 관련된 비즈니스 모델에서 환경과 안전 정보의 역할을 정의하기 위o EDI

하여 다른 들과 공조SWGs

환경과 안전 정보의 교환과 기술 이전을 위하여 국제적 혹은 지역적 협력을 장려o

표준 기반의 환경과 안전정보 인프라스트럭쳐를 제공하는 제품과 서비스 개발o

- 126 -

주요 산출물-

국제 표준으로 공표된 환경과 안전 데이터 교환을 위한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분o

석과 모델링

환경 안전 데이터 교환을 지원하기 위하여 기존의 메시지 집합 활o / UN/EDIFACT

용방법을 개발하거나 이를 위하여 새로운 메시지 집합을 개발하기 위한 백서 준비

환경 안전 데이터 교환을 위한 적합하고 새로운 메시지 개발o /

기존 메시지 집합의 유지 관리o

기술적 조직적 법률적 관점에서 환경 안전 데이터 교환을 위한 새로운 혹은 기존o / / /

의 메시지 집합을 사용하는 방안에 대한 구현 가이드

표준 기반의 환경 안전 정보 교환을 위하여 국제 혹은 지역 단체들을 대상으로o /

와 이와 관련된 기술을 교육하는 워크샵이나 세미나 제공EDI

T1 Technical Assessment Group㉺

목표-

를 시기적절하게 개발할 수 있도록 기술직 지원을 제공o UN/EDIF ACT directories

최고 수준의 품질과 조화를 위한 표준개발절차 제공o

사용자의 비즈니스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자동화되고 연결된 표준개발절차를 지원o

하는 절차와 도구

주요 산출물-

디렉토리 생성 프로세스의 디렉토리 생성 팀o UN/EDIFACT (Directory Production

의 입력을 위한 고 품질 데이터 관리Team, DPT)

기술적 이슈에 대한 가이드를 제시함으로써 들 지원o EWG SWG

o R.1023 - “UN/EDIFACT Rules for Presentation of Standardized Message

의 검토와 관리에 공동 참여and Directories Documentation"

기술 평가과정에서 제출 교환 등록 승인 절차 제공o DMR , , ,

- 127 -

T9 Object Oriented EDI㉻

목표-

전자적 정보 교환 개념에서의 비즈니스 프로세스 정의를 위한 기반 모델 개o UML

에서의 객체지향기술의 영향을 파악o EDI ,

회원들의 도움을 바탕으로 응용 프로그램o TMWG and EWG OO-edi

주요 산출물-

o The UML model,

o The relevant business object classes

o A report on the impact of Object Oriented Approach (OOA) on EDI

나( ) eBTWG (eBusiness Transition Ad-Hoc Working Group)

개요①

은 년 월에 전자상eBusiness Transition Ad-Hoc Working Group (eBTWG) 2001 7

거래를 위한 의 표준개발분야에서의 선구적인 역할을 계속하기UN/CEFACT XML

위하여 에 의하여 설립되었다 와UN/CEFACT Steering Group (CSG) . UN/CEFACT

간의 를 통하여 성공적으로 완수된 기 의 성공을 바탕OASIS Joint Initiative 1 ebXML

으로 하고 있다 의 성공을 위하여 이 관리와 논리적 지원을. eBTWG CommerceNet

제공할 예정이다.

- 128 -

목표②

최근에 작업을 완료한 와 다음 단계의o ebXML initiative future Electronic

조직의 연계Business Working Group (eBWG)

이 완전히 정의되고 기능할 때까지o eBWG ebXML Business Process, Core

그리고 을 위한 작업 항목을 확인하고 이들의Components, Architecture projects

개발을 관리

주요 산출물③

o Core Components Specifications

o Discovery and Analysis

o Naming Conventions

o Context

o Metadata Definition

o Lexicon of Core Components

o XML production rules

o Business Process Specification Schema

o Business Process and Information Model

o UN/CEFACT eBusiness Architecture

o Standard library of XML business grammar for XML document structures

프로젝트 팀④

산하에서 개의 프로젝트 팀이 운영되고 있는데 이들 각각의 최종 산출물eBTWG 10

을 중심으로 연구 활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129 -

Business Collaboration Patterns and Monitored Commitments Specification㉮

의 일관성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o ebXML architecture specification

다.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주요 테마를 다루고 있다o .

- Developing Declarative Business Process Collaboration Pattern structures;

- The notion of Commitments and the need for Monitored Commitments;

- Identifying a closer alignment of Business Process Models (ebXML BP) and

Information Models (ebXML Core Components) in this narrow but critical area.

Business Collaboration Protocol Specification㉯

을 정의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o Business Collaboration Protocol Specification

있다.

이 스펙은 기술 중립적으로 요구되는 서비스들의 Collaboration Layer, Business

그리고 를 정의하게 된Transaction Layer Business Transaction Layer

다.(UMM(CEFACT/TMWG/N090))

주요 산출물은 다음과 같다o .

- ebXML Business Collaboration Protocol specification

- Documented revisions to the UMM (CEFACT/TMWG/N090) Functional Service

View (FSV) and Implementation Framework View (IFV).

Business Object Type Library㉰

다양한 비즈니스 프로세스 모델링의 결과로 생성된o Business Information

초기 접합을 가지고 있는 를 만들고Objects (BIO) the eBTWG reference library

활용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주요 산출물들은 다음과 같다o .

- Business Information Object Reference Library.

- New base elements as discovered in the analysis modeling phase.

- Procedures for the submission and maintenance of Business Information

Objects.

- Documented revisions to the UMM (CEFACT/TMWG/N090) Information

Modeling Patterns.

- 130 -

Business Process Information Model Exchange Schema㉱

를 정의 하는 것을 목o Business Process Information Model Exchange Schema

적으로 한다 이 는 에 따라 작성된 비. schema UN/CEFACT UMM N090R10 ebXML

즈니스 프로세스와 정보 모델을 위한 저장과 교환 포맷을 정의하게 된다.

주요 산출물들은 다음과 같다o .

- UMM (CEFACT/TMWG/N090) Resource Definition Framework (RDF) Schema

Specification

- ebXML Business Process Worksheets to UMM

(CEFACT/TMWG/N090) RDF

- UMM (CEFACT/TMWG/N090) RDF to BPSS productions Rules

Business Process Specification Schema㉲

의 변경을 조정 하는 것을 목적o ebXML Business Process Specification Schema

으로 한다.

주요 산출물은 다음과 같다o .

- Business Process Specification Schema 1.0.1 +-

- Business Collaboration Specification Schema

- Change log for Business Process Specification Schema

- Requirements for Business Process Specification Schema 2.0

- Technical Reports and White Papers

- Identify opportunities to coordinate with other relevant standar

Common Business Process Catalog㉳

이 프로젝트는 와o ebXML Business Process and Core Components projects

관련된 활동 완료와 관련을 가지고 있다.

주요 산출물은 다음과 같다o .

- Technical Report (Structural Definition of Catalog of Common Business

Processes)

- Enumerated catalog content entries based on examples from Automotive,

Retail, Electronics and other industries

- Technical Report (Essential Catalog Services Requirements)

- 131 -

Core Component Specification㉴

작성을 목적으로 한다o Core Component Specification .

주요 산출물은 다음과 같다o .

- ebXML Discovery and Analysis, Naming Convention, and Context technical

에 있는 내용에 근거한 기술 규격reports ebXML Core Components

- Specification for and the beginning lexicon of core components

eBusiness Architecture Specification㉵

기 기술적으로 그러고 실질적으로 구현 가능하다는o electronic business initiatives

것을 확인하고 가 전세계적인 비즈니스 요구사항을 충족시eBusiness architecture

킨다는 것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주요 산출물은 다음과 같다o .

- UN/CEFACT eBusiness Architecture Specification;

- Possible requests for modification to the ebXML Technical Architecture

V1.04 (to be review by the Joint ebXML Architecture Team).

UML to XML Design Rules㉶

에 따른 클래스 다이어그램을 물리적인 표현으로 변환 하도록 표o UMM UML XML

준화된 비즈니스 매시지를 변환하는 방법을 자세하고 엄밀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정

형화된 생성 규칙을 만드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syntax .

- 132 -

XML Business Document Library㉷

기존의 시멘틱과 코드 엘리먼트 메시지 시멘틱 등을 포함하고 있는o EDI , ,

를 비즈니스 문법 요소의 표준business process artifact dictionaries XML Library

로 옮기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주요 산출물은 다음과 같다o .

문법 컴포넌트의 표준 라이브러리 명사 동사 그러고 비즈니스 문서 구조와- XML ( , ,

그들간의 연관된 켄텐츠들의 의미를 위한 컨텍스트 규칙 포함)

레지스트리 시스템에 저장된 공통 소스 라이브라리로부터 변환하거- ebXML XML

니 조립하는 규칙을 통하여 기본 비즈니스 문서와 그들의 컴포넌트를 위한

를 생성하는 규칙context-specific schemas

다( ) Business Process Analysis Working Group (BPAWG)

목표 산출물①

공통의 표현 기법과 방법론을 사용하여 의 목적과 임무에 부합하는o UN/CEFACT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분석

좀더 효율적인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위한 제약조건 파악o

좀더 효율적인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위한 권고안과 제안서 작성o

기존 프로세스에서 새로운 프로서스로의 전의를 지원하기 위하여 다른 워킹그룹o l

과 협조

현재까지의 연구 결과물②

o Reference Model of the International Supply chainCatalog of Common

Business Process Working Example

o Business Area Table- Resources- Events- Agent

o E-Commerce Patterns, v1.0

o Catalog of Common Business Processes, v1.0

o Business Process and Business Information Analysis Overview, v1.0

o Business Process Analysis Worksheets and Guidelines: Procedures for

developing Business Processes in ebXML, v1.0

o SIMPL e-Business

o Map, model and manage International and domestic Commerce and trade

Supply chains

o Business Modelling for UN/CEFACT

- 133 -

라( ) Codes Working Group (CDWG)

목표 산출물①

코드 집합의 출판과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절차o CEFACT

코드 집합의 일치성과 연관성을 보장하기 위한 코드집합의 주기적 검토o CEFACT

절차를 포함한 품질관리 절차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지원하기 위한 새로운 코드 집합과 코드 구조에 관한 드래o

프트 권고안과 제안

코드 집합에 관한 권고안UN②

o UN Recommendation No. 3 ISO Country Code for Representation of Names

of Countries

o UN Recommendation No.5 Abbreviations of INCOTERMS

o UN Recommendation No. 7 Numerical Representation of Dates, Time, and

Periods of Time

o UN Recommendation No. 8 Unique Identification Code Methodology - UNIC

o UN Recommendation No. 9 Alphabetical Code for the Representation of

Currencies

o UN Recommendation No. 10 Codes for Ship's Names

o UN Recommendation No. 15 Simpler Shipping Marks

o UN Recommendation No. 16 UN/LOCODE Code for Ports and Other

Locations

o UN Recommendation No. 17 Payterms

o UN Recommendation No. 19 Codes for Modes of Transport

o UN Recommendation No. 20 Codes for units of measure used in

international trade

o UN Recommendation No. 21 Codes for Types of Cargo, Packages and

Packaging Materials

o UN Recommendation No. 23 Freight Cost Code

o UN Recommendation No. 24 Harmonisation of Transport Status Codes

- 134 -

마( ) International Trade Procedures Working Group (ITPWG)

목표 산출물①

무역 간소화에 관한 권고안과 이와 관련된 수단의 개발과 제안내용의 개정 폐지o ,

무역 간소화 구현의 진행상황 평가o

무역 간소화 권고안 구현 상황의 검토와 모니터링o

국제 무역 절차 부문에서 파악된 제약조건들을 다른 워킹그룹에 통과o

관련된 정부기구 혹은 비정부기구들에 대한 지원과 영향력 행사o

관련된 노하우 교육 홍보 자료의 제공o , /

현재까지의 연구 결과물②

o International Trade Transaction Frameworks

- Global Reference Framework

- Regional & National Frameworks

- Guidelines

국제 무역에 있어서 물자 운송과 관련된 비자 절차 간소화o

무역 간소화 인덱스 설정o

- 135 -

바( ) Legal Working Group(LWG)

목표 산출물①

법률 프로세스와 이슈에 대한 검토 연구 분석o , ,

좀더 효과적인 법률 프로세스와 절차에 대한 제약 조건의 확인o

제약 조건의 제거를 위한 실제적인 제안o

권고안 초안o UN/ECE

최적 법률 과정을 지원하는 가이드라인의 개발 출판 진흥o , ,

과 등과 같은 다른 조직들의 관련된 작업에 영향을 미치는 작업o UNCITRAL ICC

다른 워킹그룹 정책 형성의 법률적 조언과 지원o CEFACT

현재까지의 연구 성과물②

o Commercial use of interchange agreements for Electronic Data Interchange,

o Electronic Commerce Agreement

o recommendation on Self-Regulatory Instruments for Electronic Commerce

(Model Codes of Conduct)

사( ) Techniques & Methodologies Working Group (TMWG)

목표 산출물①

목표 달성을 위한 구현괴정의 기법과 방법론에 대한 권고안과 제안o CEFACT

제안에 대한 가능성 연구와 파일럿 구현을 통한 개념 확인o

새로이 승인된 기법과 방법론에 대한 구현 및 전이 계획o

- 136 -

현재까지의 연구 결과물②

o UN/CEFACT's Modeling Methodology (UMM)

- Business Modelling

- Business Requirements

- Analysis

- Design

- Protocol Specific Standards

- Requirements and Training

- Metamodel

- Patterns

무역절차 간소화 권고안(5) UN/CEFACT

가 무역서류에 관한 유엔( ) Layout Key(United Nations Layout Key for Trade

년 월 발행Documents) (81 3 , ISO 6422)

이 권고안은 국제 거래 및 운송에 사용되는 문서의 표준화 빚 해당 서류들의(trade)

시각적 표시방법 에 관한 국제적 기본원칙을 제안한 것이다(visual representation) .

나 무역 서류 내 코드의 위치( ) (Location of Codes in Trade Documents)

년 월 발행 로 편입됨(81 3 , ISO 8440, UN Layout Key )

이 권고안에서는 코드 풀이 시 혼란을 피하고 애매모호함을 제가하기 위해서 국제

거래에서 사용되는 문서 내 문서 코드 항목 코드(document codes), (field codes)

및 코드화된 자료들 의 위치를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coded data entries) .

다 국가의 명칭을 나타내는 국가코드( ) ISO (ISO Country Code for Representation

년 월 발행of Names of Countries) (74 10 , ISO 3166)

- 137 -

국가코드는 로 알려져 있으며 국가 및 보호령ISO ISO ALPHA-2 Country Code ,

명칭의 표현에 사용된다 또한 이는 코드화된 문자표시. (alphabetical designation)

가 필요한때는 언제든지 국제 거래의 목적을 위해 특별히 지정학적 관심이 기울여,

지는 기타 지역들의 표현에도 사용된다.

예 : Finland F1 Bulgaria BG

라 국가무역 절차간소화기구들 년 월 발( ) (National Trade Facilitation Organs)(74 10

행 무역절차간소화 단체들의 목록은 일정기간마다 개정된다, )

이 권고안에는 국제무역절차간소화에 대한 권고안의 구현을 촉진시키기 위해서 국

가 법규에 따라 국가기구와 위원회를 설립하는 지침들이 수록되어 있다.

마 의 약어 년 월 차 개정됨( ) INCOTERMS (90 3 2 )

이 권고안은 전자적 자료 전송 및 처리에서뿐만 아니라 무역 용어가 생략된 형식으

로 사용될 필요가 있을 때 정부 또는 국제 기구들이 채택하고 사용하도록 하기 위,

해서 무역용어의 약어를 제안한 것이다.

바 년 월 발행( ) Aligned Invoice Layout Key (83 9 )

이 권고안은 상품의 국제무역을 위한 상업송장 의 설계에 적(commercial invoices)

용된다 는 또한 다른 경우의 송장 설계시에도 기본원리로 사용될 수 있. layout key

다 이러한 권고안에 따라 설계된 송장은 기존의 서류가 보안되어야 할 경우나 대.

체되어야 할 경우 즉 영사증명 송장 원산지( Customs invoices, (consular invoices),

영세서 등 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declarations of origin) ) .

- 138 -

사 날짜 시간 및 기간의 수적 표현( ) , (Numerical Representation of Dates Time

년 월 차 개정and Periods of Time) (88 10 2 , ISO 8601)

이 권고안에서는 주어진 날짜 시각 및 주어진 기간의 표준화되고 명백한 모든 수,

적 표시에 대한 방법을 확립하였다.

아 단일식별코드방법론 년( ) (Unique Identification Code Methodology (UNIC) (92

월 개정 의 개정된 버전임3 , Commen Access Reference )

이 권고안에서는 국제적 및 국가 무역 거래에서 거래 당사자들이 사용하는 수많은

상이한 참조사항 들을 감소시킬 목적으로 단일한(references) consignment

를 제정하였다 그러나 이것이 제품식별방법으로 사용되지는 않reference number .

는다.

자 통화를 표시하는 문자 코드( ) (Alphabetic Code for the Representation of

년 윌 발행Currencies) (78 2 , ISO 4217)

이 권고안은 국제거래 또는 상거래에서 통화가 코드화되거나 또는 생략된 형식으로

표현될 때 국제표준 ISO 4217 Codes for the representation of currencies and

의 세 개 알파벳 문자 코드사용을 권고하고 있다 코드는 자동적 또는 수동적funds .

어플리케이션에 모두 적합하게 설계되었다.

차 선박명칭에 대한 코드 년 월 발행( ) (Codes for Ship's Names) (78 2 )

이 권고안에서는 선박명칭의 코드화된 표현이 요구되어질 때 선박 에 대해station

기존의 호출 부호ITU(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s Union) radio (call signs)

사용을 잠정적으로 권고하고 있다 또한 이 권고안은 호출 부호 를 명료한. (call sign)

언어로 된 선박명칭으로 쉽게 전환하는 것과 그 역으로 행하는 방법을 설계하고 그

방법에 적용하기 위한 것이다.

- 139 -

카 위험화물의 국제적 운송의 문서적 측면( ) (Documentary Aspects of the

년 월 발행International Transport of Dangerous Goods) (78 2 )

이 권고안에서는 복잡성을 감소시키고 정확성과 효율성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위험

화물운송에 대한 서류적 절차를 간소화하고 필요한 정보를 일치시키기 위한 가지4

방법을 규정하고 있다.

타 해상운송서류절차 간소화를 위한 수단 년 월 발행( ) (93 3 )

이 권고안은 운송계약을 입증하기 위해서 상품의 해상운송에 관여하는 운송업자,

하수인 은행 및 기타 거래당사자들이 사용하는 절차와 문서들을 간소화하고 일치,

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 권고안은 선박에 의한 상품의 운송에 대한 계.

약 또는 책임을 증명하는 문서에 근거한 탁송 및 관련 절차에 적용(consignment)

된다 또한 사유에 따라 복합운송 이 적용되기도 한다. (multimodal transport) l .

파 수입통관절차상에서의 법적 문제의 간소화( ) (Facilitation of Legal Problems in

년 월 발행Import Clearance Procedures) (79 3 )

이 권고안은 각 정부에 세관 또는 관리기관들이 더 효율적으로 수입통관을 수락하

고 발전된 현대 정보기술로부터 이점을 얻도록 하기 위해서 국가법 및 법규에 적용

될 수 있는 일련의 개정들을 권고하고 있다.

하 서명이 아닌 수단에 의한 무역서류 입증( ) (Authentication of Trade Documents

년 월 발행by means other than signature) (79 3 )

이 권고안은 종이 서류에 대한 필요사항을 제거하고 전송수단으로 보장되는 입증으

로 서명의 필요요건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각국 정부에 국제무역 서류상의 서명에

대한 국가적 및 국제적 필요사항을 재조사하도록 권고하여 국제무역에서 전자적 자

료 전송의 사용을 촉진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이 권고안은 서명이 안전하게 제.

거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는 현행 상업 서류들을 시험과 상관행에서 필수적인 변

화 촉진을 권고하고 있다.

- 140 -

거 간략한 선적 표시 년 월 차 개정됨( ) (Simpler Shipping Marks) (92 3 3 )

이 권고안에서는 비용 오류 혼란 및 선박 지연 등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선적사항, ,

을 표시하는 간단하고 표준화된 해결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이 권고안에서 규정된.

표준선적표시 는 무역자료교환에서 자료항목으로써 관(the standard shipping mark)

련서류에 재사용되기 위해서 모든 운송수단에 의해서 국제적으로 운송되는 포장

에 대한 표시에 사용된다(packages) .

너 항구 및 기타 지역에 대한 코드( ) LOCODE- (Code for Ports and other

년 월 발행Locations)(80 9 )

이 권고안에서는 국제무역에 참여하는 거래상대방들간 자료교환에서 그 명칭이 명

백하게 표현될 필요가 있는 국제 무역에서 관심이 대상이 되는 위치 항구 공항 내( ,

륙운송터미널 화물의 통관절차가 일어나는 기타지역 명칭을 약어화하기 위한 다, )

섯 가지 문자로된 코드 사용을 권고하고 있다.

더 대금결재용어에 대한 약어( ) PAYTERMS- (Abbreviations for Terms of Payment)

년 월 발행(82 3 )

이 권고안에서는 상품 및 서비스 공급에 관련된 국제 상거래에서 사용되도록 하기

위해서 일정한 대금결제용어에 대한 약어를 규정하고 있다.

- 141 -

러 국제무역절차에 대한 간소화 수단( ) (Facilitation Measures Related to

년 월 발행International Trade Procedures) (82 9 )

이 권고안에서는 상품운송에 관련된 것으로 일반적인 국제 무역 거래에서 발생되,

는 모든 상황에 관여하는 그룹에 제공되는 일련의 수단들이 규정되어 있다 각 부.

문은 어플리케이션 부분 관련된 절차 및 서류 제공된 간소화 수단들에 대한 특별, ,

한 문제점들을 설명하고 있다.

머 운송형식에 대한 코드 년 월 발행( ) (Codes for Modes of Transport) (81 3 )

이 권고안에서는 운송형식을 나타내는 한가지 숫자 코드와 세분되는 부분에 대한

두 가지 숫자코드를 규정하고 있다 이 권고안은 국제무역서류상에 코드형식으로.

표현되는 모든 운송형식 및 간단한 코드 구조로 만족되는 모든 경우에 적용된다.

버 국제무역에 사용되는 측정단위 코드( ) (Codes for Units of Measurement used

년 월in International Trade) (85 3 )

이 권고안은 국제 무역에 사용되는 length, area, volume/capacity, mass

및 기타 수명에 대한 측정 단위를 나타내는 세 가지 알파벳 문자와(weight), time

세 가지 숫자 코드를 규정하고 있다 코드들은 국제 무역애서 거래당사자간에 정보.

교환을 위해 수동 또는 자동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서 화물 포장 및 포장 재료의 형태에 대한 코드( ) , (Codes for Types of Cargo,

년 월 발행Packages and Packaging Materials) (94 8 )

이 권고안은 식별 저장 처리 및 관세처리 규정을 간소화하기 위해서 상품의 운송, ,

상태를 나타내는 숫자코드시스템 을 규정 한 것이다 이 권(numeric code system) .

고안은 또한 포장 의 명칭을 나타내기 위해서 보충적 알파벳 문자코드를(package)

규정하고 있으며 코드와 코드가 나타내는 포장 의 간 시각적인 관계, (package) type

를 제공하기 위해서 그림으로 나타낸 들을 제공하고 있(visual association) symbol

다.

- 142 -

어 표준 탁송지시에 대한( ) Layout Key(Layout Key for Standard Consignment

년 월 발행Instructions) (89 3 )

이 권고안에서는 상품운송 및 관련 행위들을 수행하면서 또는seller/consignor

로부터 운송포워더 운송업자 또는 그 대리인 또는 다른 서비스buyer/consignee ,

제공업자에게 지시를 전달하는 표준탁송지시(standard consignment instructions)

의 설계를 위해 무역서류에 대한 에 근거한 를 규정하고 있Layout Key layout key

다 이 권고안은 상품의 운송 및 치리 통관 서류유통. , , (distribution of documents),

비용할당 및 특별 한 지시에 관련된다(allocation of charges) .

저 운송비용코드 년 월 발행( ) (Freight Cost Code-FCC) (90 3 )

이 권고안은 상품의 국제 운송에 관련된 적절한 운송비용 명세서와 다른 책임규정

에 사용되는 을 제안하고 있다 이 권고인은 그것이 종이서류 교환naming system .

이든 전자적 수단에 의한 교환이든 간에 자료교환에서 운송비용 및 기타 책임 명세

서가 명확한 언어 또는 코드 형식으로 표현되어야 하는 모든 경우에 적용된다.

처 운송상태코드의 일치 년 월( ) (Harmonization of Transport Status Codes) (95 9

발행)

이 권고안은 물류체인 상 특정시점 또는 장소에서 적송품 상품의 상(logistic chain) ,

태 운송설비 및 수단에 대한 정보교환에 사용되는 코드를 규정 하고 있다 이 권고, .

안은 상풍 적송품 그리고 또는 설비의 상태에 관한 정보교환의 정확성을 보장하기, /

위해서 운송상태 와 함께 상태이유 에 대한 설명(Transport Status) (Status Reason)

을 덧붙여 놓았다.

- 143 -

커 의 사용( ) UN/EDIFACT (Use of The UN Electronic Data Interchange For

년 월 발행Administration, Commerce And Transport) (95 9 )

이 권고안에서는 다양한 이점을 제공하는 사용시 국내뿐만 아니라 국제 간의EDI ,

간소하고 효율적인 거래를 위해서 각국 정부 지방자치단체 관련 경제단체들은, ,

표준사용을 민간 및 공공부문에 홍보하고 권장할 것을 권고하고 있UN/EDIFACT

다.

터 거래약정의 상업상의 사용( ) EDI (Commercial Use of Interchange Agreements

년 월 발행for Electronic Data Interchange) (91 3 )

이 권고안에서는 국제거래시시 를 사용하려는 당사자들은 거래의 합법적인 안전EDI

을 위해 의 국제상거래사용에 관한 거래당사자간 거래협정을 적용할 것을 권고EDI

하고 있으며 거래협정모델을 제공하고 있다, .

(6) ISO TC154

가 범위 및 활동 사항( ) TC154

범위 비즈니스 행정 프로세스와 개별적인 조직 기업 간의 정보교환에 사용되: , ( )①

기 위해 지원되는 데이터의 국제 표준화 및 등록과 산업부문 데이터 영역에서의 표

준화 활동 지원.

- 144 -

어플리케이션에 적용되는 메타 표준의 개발 과 유지 :②

프로세스 규격 다른 기술위원회에서 개발하고 있지 않는o ( )

컨텐츠를 포함한 데이터 규격o

폼 레이아웃 종이 전자적 방식o - ( / )

표준의 개발 및 유지 :③

프로세스 식별 다른 기술위원회에서 개발하고 있지 않는o (( )

데이터 식별o

구문의 유지o EDIFACT-

관계된 위원회 :④

ISO TC 6, TC 10, TC 37, TC 46, TC 68, TC 184, TC 184/SC 4, TC 215,

ISO/IEC JTC 1, JTC 1/SC 31, JTC 1/SC 32

사무국이 직접 책임지고 있는 공식 표준 개수 개의 표준TC ISO : 20⑤

나 워킹그룹( ) TC154

WG1 : Basic Semantic Register (BSR)

(7) ISO/IEC JTC1 SC34

가 개 요( )

문서 기술 및 프로세싱 언어

- 145 -

나 목적 및 활동 사항( ) SC34

문서 구조와 언어 그리고 이와 관련된 기술과 복합적인 프로세싱과 하이퍼미디어

문서들의 활용과 관련된 분야에서의 표준화로 다음과 같은 것을 포함한다.

문서의 논리적 구조들과 그것을 지원하는 활용을 서술하는 언어o

웹 환경에서의 문서와 같은 객체들을 서술하는 언어o

문서 프로세싱 구조와 논리적인 문서들에 대한 포맷o

대화형 문서들을 서술하는 언어o

다중 언어 폰트 정보 교환과 연관된 서비스들o

문서 구조와 페이지 정보교환o final-form

하이퍼미디어 문서 구조화 언어와 어플리케이션 리소스들o

문서 프로세싱을 위한o API

다 각 워킹그룹별 활용 사항( ) SC34

정보 기술 언어들에 대한 분야로 주로 과 서브셋과 연관된WG1 : , SGML SGML①

부속적인 표준들 테스팅과 등록 등을 담당하고 있다- APls, .

o SGML(ISO 8879)

o SDIF(ISO 9069)

공식 식별자에 대한 등록 절차o SGML

기술 레포트o 9573

시스템 에 대한 준수 테스팅o SGML (DIS 13673)

문서 프로세싱에 대한o APls

복합물과 하이퍼미디어 문서들의 기술이나 프로세싱에 대한 언어와 리소WG2 :②

스에 대한 표준 개발을 담당하고 있다.

논리적인 문서에 대한 문서 프로세싱 구조와 포맷o ,

다중 언어 폰트로 된 정보 교환과 관련된 서비스o

문서 구조와 페이지 정보교환o final-form .

위의 문서 프로세싱에 대한o APls

- 146 -

과 이와 관련된 표준들 에 기반하여 정보 관리 및 교환WG3 : ISO 8879(SGML )③

에 대한 구조들에 대한 표준 개발을 담당하고 있다.

정보의 연관과 할당o

정보 관리o Time-based

지식 구조들의 표현 인덱스들 기타o , ,

대화형 문서들에서 행위 컴포넌트들의 관리o

다 국내표준화 활동.

전자문서 기술위원회 활동(1)

전자문서 회의WG○

일시 금: 2002. 3. 29( ) 15:00-17:00口

장소 대한상공회의소 제 회의실: 2口

참석 명: 11口

안건 개 과제 표준 안 검토: 3 ( )口

를 기반으로 하는 메시지EDl XML․기반 비즈니스 프로세스 분석 모델UMM․

업종간 핵심 컴포넌트 사전 및 어셈블리 규칙(Dictionary ) (Assembly․ 을 고려ruIe)

한 전자문서규격 개발 지침

전자문서 검토회의○

일시 금: 2002. 4. 19( ) 15:00口

장소 대한상공회의소 제 회의실: 4口

참석 명: 11口

안전 개 과제 표준 안 검토 및 수정: 3 ( )口

를 기반으로 하는 메시지EDl XML․기반 비즈니스 프로세스 분석 모델UMM․

업종간 핵심 컴포넌트 사전 및 어셈블리 규칙 을 고려(Dictionary) (Assembly rule)․한 전자문서규격 개발 지침

- 147 -

산업부문 네트워크 구축지원사업 전자문서 표준화 가이드라인(2) B2B ,

비즈니스 프로세스 분석 방법 가이드라인 째즈넷o ,

컴포넌트 방식의 전자문서 개발 가이드라인 인터넷o , B2B

방식의 전자문서 개발 가이드라인 인터넷o XML/EDI , B2B

라 개발 규격 요약.

를 기반으로 하는 메시지(1) EDI XML

가 목적 및 필요성( )

인터넷 기반의 전자거래 표준인 의 등장으로 기 구축된 시스템과의 관ebXML EDI

계가 고민되는 현실에서 와 의 상호운용성에 대한 방식과 방법에 대해EDI ebXML

고찰할 필요가 있음

와 이 별개로 공존해야 하는 환경에서 의 교환정보 구조 헤더와EDI ebXML EDI /

의 교환정보 구조 헤더에 대한 분석을 통해 교환단위와 교환단ebXML / EDI ebXML

위 간의 대응관계를 고찰하여 어느 정도의 상호운용이 기능한지 파악하여 상호운용

방안을 제시함

나 주요내용( )

이 규격은 일본 호환성 맵핑 가이드라인 및UN/EDIFACT-XML , ISO TR 20625

를 기반으로 하여 규정하였으며 와 의 상호 변환 등에 대한EDIFACT MIG , EDI XML

사항을 염두에 두고 작성되었다.

이 규격은 를 기본으로 하여 와 간의 상호 변환 가능한 형EDIFACT MIG , EDI XML

태의 메시지 규격에 대하여 규정한다XML .

- 148 -

기본적인 규칙 규정 의 태그명 작성 구조 등 기본적인 규- : XML/EDI , (Structure)

칙에 대하여 규정한다.

로 생성하는 데 대한 규칙 규정 의 전자문서유형- XML/EDI : EDI (Message type),

세그먼트 그룹 전송항목 복합자료항목 단순 자료항목 각각에 대한 기, (Segment), ,

본 규칙에 대하여 규정한다.

스키마 표현 형식 규정 로 생성하는 데 대한 규칙을 기준으로 하- W3C : XML/EDI

여 의 전자문서유형 세그먼트 그룹 전송항목 복합자료항목, EDI (Message type), , , ,

단순자료항목 각각에 대하여 스키마로 정의하였을 때의 표현 형식에 대하여W3C

규정한다 또한 표현 형식에 따라서 스키마 문법에 맞춰 각각에 대한 실. W3C XML

제적인 예제를 서술한다.

다 활용방안 및 기대효과( )

비즈니스 활성화로 중심 시장이 인터넷 중심 로 변화함에 따e- VAN EDI B2B(XML)

른 새로운 인터넷 서비스는 물론 기존 이용 고객들의 인터넷 기반 서비스와, VAN

상호 연동 기능하게 한다.

가반 비즈니스 프로세스 분석 모델(2) UMM(UN/CEFACT Modeling Methodology)

가 목적 및 필요성( )

의 비전은 모든 기업이 서로 기반 메시지의 교환을 통해 서로 비즈니스ebXML XML

를 할 수 있는 전자상거래시장의 창조이다 기업이 서로 전자거래를 하기 위해서는.

서로를 발견하고 각 자가 제공하는 제품과 서비스를 알아야 한다 그리고 기업들은. ,

서로의 제품과 서비스를 획득하기 위하여 필요한 비즈니스 프로세스와 문서가 무엇

인지를 결정하여야 한다 그리고 나서 어떻게 정보의 교환을 할 것인지를 결정해야. ,

하며 계약 조건에 합의해야 한다 이 후에 기업들은 계약조건에 따라 정보와 제품. /

서비스를 교환할 수 있다 이를 도모하기 위해 은 데이터 통신 상호연동성. , ebXML

을 위한 인프라 상업적 상호연동성을 위한 의미론적 프레임워크 및 기업이 서로를,

발견하고 관계를 수립하며 비즈니스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을 제공한다.

- 149 -

이 규격은 에서 거래 기업간의 상업적 상호 연동성을 위한 의미론적 프레임ebXML

워크를 제공하기 위한 기반 비즈니스 프로세스 분석 모델이며 을 기반으UMM , UMM

로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모델링 필요 조건 분석 및 설계하는 방법에 대한 표준을, ,

목표로 한다.

나 주요내용( )

이 규격은 에서 권장하는 모델링 방법론UN/CEFACT (UMM UN/CEFACT Modeling

을 이용하여 비즈니스 프로세스 분석 모델을 만들기 위한 일련의 워Methodology)

크시트 및 가이드 라인을 제공하기 위해 ebXML Business Process Analysis

을 근거로 하여 작성 되었다 이 규격은 의Worksheets and Guidelines v1.0 . ebXML

상업적 상호 연동성 특히 기업이 다른 기업과 프레임워크 내에서 전자거래, ebXML

를 하기 위해 필요한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분석 및 비즈니스 문서 확인 및 정의할,

수 있는 방법을 규정하고 있다.

비즈니스 프로세스 분석 모델 개발을 위한 권고에서는 분석개발팀이 을 사- UMM

용하여 비즈니스 프로세스 모델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비즈니스 프로세스 명세

스키마 에 따른 비즈니스 프로세스 명세 를 산출한다는 의(BPSS) (BPS) UN/CEFACT

권고 사항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모델 개발을 위한 분석 과정에서는 비즈니스 프로세스 및 비즈니스 정보 분석에-

관련된 단계와 활동에 대한 개략적인 내용을 다룬다.

비즈니스 프로세스 분석 모델 규격 개발 과정은 실제적인 분석 모델 규격 개발-

과정별로 각 단계의 목적 산출물 워크시트를 이용한 분석 과정 등을 기술하고 있, ,

다.

- 150 -

다 활용방안 및 기대효과( )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분석은 전자 비즈니스 거래에 필요한 상위 레벨 프로세스의

세분화에 주 목적이 있다 또한 비즈니스 정보 및 문서의 분석 활동을 통해 비즈니.

스 프로세스의 비즈니스 거래에 관련된 비즈니스 문서를 규정하며 비즈니스 프로,

세스 명세 및 비즈니스 문서 정의 형태로 그 결과물을 도출한다 기업 전체에 의해.

검토 및 확인 될 수 있는 비즈니스 프로세스 명세 및 메타 모텔과 명세 스ebXML

키마에 기반한 모델을 수용할 수 있는 모든 필수 정보를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업종간 핵심 컴포넌트 사전 및 어셈블리 규칙 을(3) (Dictionary) (Assembly rule)

고려한 전자문서규격 개발 지침

가 목적 및 필요성( )

인터넷 기반의 전자상거래의 활성화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는 현시점B2B, G2B

에서 상거래 시스템의 핵심을 이루고 있는 전자문서를 재사용 가능하고 중립XML ,

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컴포넌트와 컨텍스트를 기반으로 하는 전자문서 설계를 주

안점으로 두고 실제 업종별 시범사업에서 적용 가능한 규격을 제시한다, .

업종별 전자문서의 개발시 각 엽총별로 유사한 비즈니스 프로세스 때문에 공통 적

으로 사용되는 전자문서가 도출된다 이를 각 업종별로 또는 업종내의 각 업체 별.

로 각각 사용할 경우 유사문서의 중복으로 인한 시스템간 연동의 어려움 및 시스

템간 연동 시 불필요한 비용의 소요가 발생하는데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핵심 컴,

포넌트 사전 구축 및 컨텍스트 기반의 어셈블리 규칙을 고려한 공통 전자문서를 개

발하기 위함.

- 151 -

나 주요내용( )

이 규격은 업종간 핵심 컴포넌트 사전 및 어셈블리 규칙을 고려한 전자문서규격의

개발에 관한 지침을 기술한다 따라서 핵심 컴포넌트를 이용하여 전자문서를 개발.

할 경우 다음과 같은 지침 내용을 적절하게 적용해야 한다.

핵심 컴포넌트 정의-

컨텍스트 정의-

조합규칙 및 컨텍스트 규칙 정의-

핵심 컴포넌트와 규칙들을 이용하여 전자문서 개발하는 방법-

다 활용방안 및 기대효과( )

거래 기업간에 공유해야 할 필요성이 있는 자원과 이것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등록

하여 재활용 가능성을 높이고 각종 산업 표준의 적용을 용이하게 지원하기 위한

등록저장소는 구현 인프라의 핵심 구성요소이다 을 사용하여 거래하ebXML . ebXML

고자 하는 기업은 자신에 관한 자원을 작성하여 등록하고 등록저장소를 통하여 핵,

심 컴포넌트 공통 업무 프로세스 협업 프로토콜 프로파일 등 각종 자원에, , (CPP)

관한 등록사항을 검색한다 핵심 컴포넌트는 비즈니스 프로세스에 기반하여 재사용.

성 확장성 상속성을 지닌 의미 중립적 비즈니스 객체이며 법 산업분야 및 다양한, ,

환경에서 재사용 가능하고 컨텍스트에 영향을 맞지 않는 일반 빌딩블럭 이다 따“ ” .

라서 이 규격은 핵심 컴포넌트 개발 활동을 통해 전세계적 단일 전자상가래 시장

형성이라는 비전을 현실화하는 작업으로 전자상거래 표준화를 통한 업체별ebXML

중복 개발 비용절감과 업종간 공동 비즈니스 프로세스 개발 관리 및 이기종 이질

업무의 상호 연동성 제공 및 그로 인한 업무 협업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하기 위

해서 개발되었다.

- 152 -

제품모델 분야3.

가 개요.

은 에서 재정 중에 있는 국제표준으로 제조업체에서 제품을 개발하고 생STEP ISO ,

산할 때 서로 다른 자동화 시스템간에 제품정보를 교환하는데 사용하는 공통의 언,

어 역할을 하는 인터페이스 기술이다 을 응용하면 엔지니어링 데이터베이스. STEP

를 통해 생산 시스템을 통합하고 인터넷을 통해 전자거래를 위한 제품 정보를 교,

환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의 에. ISO High level steering group on CALS (HLSGC)

서 추천한 세 가지 중요한 표준이 EDI (Electronic Data Interchange), SGML

으로 전자거래에서의 은 기(Standard Generalized Markup Language), STEP STEP

술정보 를 포괄한다(technical data) .

제품모델링 기술은 모든 제조업체와 건설 토목 플랜트 분야에서도 필요한 기술로/ / ,

제품의 개발정보와 생산정보를 디지털 정보로 저장하고 공유하는데 사용되는 기술

이므로 제품과 관련된 모든 분야와 과정에 이용된다 현재로는 제품의 개발단계에, .

집중적으로 이용되고 있으나 이는 재품의 개발단계가 제품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이,

므로 이곳에서 시작되는 것이 자연스러운 일이며 일단 제품정보가 표준화된 형태,

로 디지털화 되면 생산 생신관리 판매 애프터서비스 그리고 분해소멸 단계까지, , , , ,

사용된다.

을 뒷받침하는 요소기술은 기계를 중심으로 컴퓨터 산업공학이 기반을 이루STEP ,

며 응용분야로는 토목 건축 화공플랜트 조선 전자부품 등 전 제조업체로, / , , , , STEP

은 다양한 요소기술이 사용되는 복합형 기술이므로 다양한 전문가들이 협력해서 해

결해야 하는 기술이다.

최근에 논의되고 있는 전자거래 디지털 목업 전사적 자원관리, (mockup), (ERP

등은 정보기술을 활용하여 기존에 사용되는 서류양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식 실물 모델 물품목록을 디지털 모델로 대체하여 프로세스를 개선하여 비용과, , ,

시간을 절약하려는 노력으로 볼 수 있다 이 과정에 제품을 디지털 모델로 표현하.

는 정보 표준은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자동차의 예를 들면 자동치의 개발과정.

에서 생성되는 제품정보는 개발과정 자체를 개선하는데도 사용되지만 생산과정과,

판매 매뉴얼 제작 사용자 교육 부품 생산 유지보수 분해조립 동의 과정에 필요, , , , ,

한 정보이다.

- 153 -

이와같이 제품의 생산에서 교환까지 제품 수명주기 전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제품모델의 표준화를 위해 차년도 사업에서는 을 국내산업에 적용하기2 STEP

위한 등을 포함한 국내 적용지침을 개발하였으며 서로 다STEP, PUB, PLCS STEP ,

른 시스템들 사이에서 모델을 교환할 때 설계이력을 이용하여 설계의도를 전CAD

달할 수 있는 매크로 파라매트릭 교환을 위한 표준 모델링 명령어를 개발하였다.

또한 제품데이터 관리 시스템 내에서 처리되는 데이터 중에서 중심적이고 공(PDM)

통적인 집합들의 교환을 위한 참조 정보 모델인 제품데이터 관리 스키마를(PDM)

개발하였다.

나 국제표준화 동향.

표준의 개발과 응용기술의 개발은 미국을 중심으로 독일 영국 일본 프랑STEP , , ,

스 그리고 북유럽 국가들이 중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미국은, . NIST(National

가 조직과 연계하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www.nist.gov/sc4) ISO

여 표준 개발의 중심 역할을 하고 있으며, PDES (product data exchange using

는 기업체들을 회원으로 하는 컨소시엄으로STEP, http://pdesinc.aticorp.org)

응용기술을 개발하고 있다STEP .

는 전산학STEP Tools (www.steptools.com) RPI (Rensslaer Polytechnic Institute)

과 교수인 이 세운 벤처기업이다 독일은Martin Hardwick . ProSTEP(

라는 컨소시엄 성격의 회사를 설립하여 표준의 개발과 응용기술을www.prostep.de)

같이 개발하는데 자동차 산업체가 중심축을 이루고 있다 영국은, . PDT Solutions

나 과 같은 컨설팅 회사(www.pdtsolutions.co.uk) EuroSTEP (www.eurostep.com)

를 중심으로 전문가들이 활동하고 있다.

- 154 -

일본은 라는 센터JSTEP (japan STEP promotion center, www.jstep.jipdec.or.jp)

를 운영하고 있고 의 회의에는 미국 다음으로 많은 사람들이 참여하고, ISO STEP

있지만 기술적으로는 아직 독일 영국 프랑스에 비해 뒤져있는 형편이다 재정적, , , .

으로는 일본 정부가 통산성의 자금을 지원하여 운영되고 있고 전문 인력들은 산업,

체에서 일정 기간동안 파견 나와 있는 산업체 전문가들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최근 들어 플랜트 분야를 중심으로 새로운 표준안을 제안하기 시작하, CAD STEP

고 있다 아시아에서는 이밖에 중국 호주 싱가폴 등이 참여하고 있으나 아직 소수. , ,

에 불과하다.

한편 기술이 완성도를 높여가고 있기 때문에 타 부문에로의 적용을 위한 노STEP

력들이 눈에 띄게 늘고 있다 그중 하나가 생산분야로의 확산과 전자상거래의 요소.

기술인 와의 결합이다 특히 생산 분야로의 확산은EDI . MANDATE(MANufacturing

와 의 표준안으로 표출되고 있다DATa Exchange) STEP-NC (numerical control) .

다 국내표준화 활동.

선진국의 기술수준과 비교할 때 국내의 수준은 아직 도입과 검토 단계에 있STEP

는 것으로 파악된다 대학교와 정부출연연구소에서는 년 전부터 실험적인 연구. 4 5~

를 해오고 있으며 기업체들은 대형 업체들을 중심으로 도입의 타당성을 검토하고,

있는 단계이다 그 중에서도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대우중공업 종합기계와 조선공. , , (

업 전자 등이 선도적으로 테스트를 하고 있다 특히 현대자동차는 내부에 사용), LG .

하고 있는 와 사이에 데이터 교환을 위해Alias, Pro/Designer, Pro/Engineer Catia ,

선진국과 같이 을 적용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고 대우조선공업과 삼성중공업STEP ,

의 조선소에서도 적용을 위한 국가 과제를 수행중에 있다STEP .

- 155 -

제조업에서 숙련된 저임금의 노동력을 산업 경쟁력의 바탕으로 삼았던 시대는 어쩌

면 사라질지 모른다 정보기술력을 바탕으로 과 같은 제조정보 표준화를 통해. STEP

로봇을 이용한 자동화와 기간단축이라는 경쟁력으로 선진국들이 다시 무장하고 있

으므로 우리나라도 기술 확보에 서둘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국내에는 전자거래의 활성화를 위한 업종별 시범사업이 년도부터 시작CALS 2000

되어 우선 전자 자동차 건설 국방의 개 분야기 시작되었고 조선 철강 철도, , , , 4 , , , ,

플랜트 분야의 추가적인 시범사업이 준비되고 있다 일본의 건설분야에서 진행중인.

프로젝트는 세계적으로도 앞장선 과제로 국내에도 건설도면 정보의 교환SCADEC

을 위해 표준이 사용되는 방향으로 추진되고 있다STEP .

국내의 활동은 년에결성된 연구회가 학계를 중심으로 활동해 오고STEP 1994 STEP

있으며 외국의 경우와 같이 산업계 중심의 센터가 필요하다는 판단에 년, STEP 2000

월에 센터가 발족되었다 현재 센터가 설치되어 있는 국가들은11 STEP . STEP

일본 미국 독일 중국 프랑스JSTEP( ), PDES( ), ProSTEP( ), CSTEP( ), GOSET( ),

호주 캐나다 와 같다AUSDEC( ), CanSTEP( ) .

또한 국제적으로 표준을 재정하고 있는 국제표준화기구인 에STEP ISO TC184/SC4

대응한 국내조직인 산업표준심의회의 제품모델전문위원회가 구성되어 운영되고 있

다 이 전문위원회의 간사기관은 센터에서 담당하고 있다. STEP .

규격개발과 관련된 회의 개최 내역은 다음과 같다.

과제 중간 발표회○

일시 금- : 2001.12.14( )

장소 대한상공회의소 제 회의실- : 2

참석 한순흥 이현찬 이수홍 오유찬 외 명- : , , , 2

안건 개 과제 중간결과 발표 및 검토- : 3

국내적용 지침STEP․매크로 파라메트릭 교환을 위한 표준 모델링 명령어․제품 데이터 관리 스키마(PDM)․

- 156 -

제품모델 표준화 로드맵 초안에 대한 전문가 토론회○

일시 금- : 2002.01.25( )

장소 대한상공회의소 제 회의실- : 2

참석 한순흥 이현찬 이수홍 오유찬 이상헌 지행성 외 명- : , , , , , 2

안건 주제 발표 및 토론- :

주제발표 제품모델 표준호 로드맵 초안 이현찬 홍익대- ( , )․총합토론 분야별 지정토론-․

과제 최종 발표회○

일시 금- : 2002.03.22( )

장소 대한상공회의소 제 회의실- : 2

참석 한순흥 이현찬 이수홍 오유찬 외 명- : , , , 2

안건 개 과제 최종발표 및 검토- : 3

국내적용 지침STEP․매크로 파라메트릭 교환을 위한 표준 모델링 명령어․제품 데이터 관리 스키마(PDM)․

- 157 -

라 개발 규격 요약.

국내적용 지침(1) STEP

가 목적 및 필요성( )

관련 분야가 국제적으로 매우 활발하게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으나 국내에서STEP

는 아직 현장에 적용하는 활동이 적은 상태에 있기 때문에 국제화에 뒤떨어지고 있

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관련 분야 중 국내에 보다 빨리 적용하여 산업 경쟁. STEP

력을 높이기 위하여 추진해야 할 활동들을 정리하여 향후 년간 추진할 항목을 정6

하고 이의 을 작성하는데 목표를 두었다road map .

전자상거래의 활성화로 전자상가래 시 필요한 제품 정보를 보다 효과적으로 교환하

기 위한 국제 표준인 의 국내 현장 적용이 시급해 졌다 그 동안을 국내 산업STEP .

별 관행에 의존하여 왔는데 전자상거래가 활성화되면 모든 제품 정보가 전자화 되

어야 하며 이를 네트워크를 통해 교환하려면 표준화된 파일 형식을 이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표준화된 파일 형식을 정의하는 것이 관련 국제 표준이. STEP

기 때문의 이의 국내 적용을 위한 단계식 전략 수립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나 주요내용( )

이 규격은 전자상거래 표준화 통합 포럼의 제품모델 기술위원회에 속한 다음의 네

개 분야에 대한 국내 적용을 위한 로드 맵 권고 내용을 제시한다.

- STEP (STandard for Exchange of Product model data)

- PUB (Part LIBrary)

- PLCS (Product Life Cycle Support)

공통요소기술 한글화 등- (Express, XML, Geometry, MANDATE, )

또한 관련 분야는 매우 광범위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이 산업별 분류에 따른STEP

권고 로드 맵으로 구성된다.

- 158 -

자동차 산업-

건설 산업-

조선 산업-

분야- STEP-NC

산업- Plant

기계 산업 매우 광범위하고 부품 산업에 초점이 있기 때문에 와 연계 함- ( PUB )

기타 전자 항공 산업 등- ( , )

다 활용방안 및 기대효과( )

전자상거래 표준화 통합 포럼 내에 제품모델 기술위원회가 발족함으로써 그 동안

여러 기관에서 산발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관련 활동을 보다 체계적으로 정리STEP

하여 국가적으로 통합된 시야를 가지고 추진할 필요가 제기 되었다 이에 관. STEP

련 분야별 산업별 현황과 앞으로 추진해야할 사항들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여 옆,

으로 국가적으로 추진해야할 사항들에 대한 우선순위를 제시함으로써 투자자원의

보다 효율적인 운용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매크로 파라메트릭 교환을 위한 표준 모델링 명령어(2)

가 목적 및 필요성( )

현재 서로 다른 시스템들 사이에서 모델을 교환할 때 쓰이는 기술로는 중립CAD

포맷인 을 이용하는 방법이 널리 쓰이고 있다 그런데 현재의 은STEP AP203 . , STEP

파라메트릭 변경 정보를 포함하여 설계 의도를 전달하지 못하기 때문에 이를 해결,

하기 위해 파라메트릭을 수학적으로 표현하는 연구들이 산하의SC4/WG12

내에서 활발히 진행중에 있다 이 규격은 표Parametrics Group . STEP Parametrics

준의 하나로 국내에서 새롭게 개발되고 있는 표준안으로 설계 이력, (design

을 전달함으로써 설계자의 의도를 온전히 전달할 수 있게 하는 매크로 파라history)

매트릭 규격 권고안을 개발한 내용을 담고 있다.

- 159 -

현재 산업계에서 모델의 교환을 위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의 은STEP AP203

이라고 불리는 경계 표현법이라는 정보를 교환하B-Rep (boundary representation)

는 것으로 파라메트릭 정보는 교환하지 못한다 따라서 모델 자체의 교환은 가능하, .

지만 전달된 모델의 설계변경은 곤란하다, .

이러한 기능상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의 작업반SC4 (WG: working group)

산하의 이 표준을 개발하고 있다 현WG12 Parametrics Group STEP Parametrics .

재 예로 투표가 마무리된 파트 은 형상 요소 간에 제한조건 을CD 108 , (constraint)

부과 함으로서 파라메트릭 설계 변경이 가능한 방법을 담고 있다.

미국의 센터인 컨소시엄을 중심으로 개발증인STEP PDES SMCH (solid model

는 모델링 이력을 저장하고 교환하는 방식인데 차원 스케construction history) , 2

치 부분은 명시적인 모델 을 이용하고 차원 부분에만 모델링 이(explicit mode]) 3

력을 이용하는 절충형 하이브리드 방식이다( : Hybrid) .

이 규격은 의 모델링 명령어 집합인 매크로와 표준 모델링 명령어CAD (Standard

를 이용하여 이종의 시스템간의 파라메트릭 정보가 포함된 제품Macro Set) CAD

데이터를 교환하여 파라메트릭 정보를 지원하는 전 수명주기 동안의 제품 데이터를

이종의 시스템들에 전달하는 데 목적이 있다CAD .

나 주요내용( )

이 규격은 전자상거래를 위한 제품 데이터의 표현과 관리에 기반한 매크로 파라메

트릭 규격의 기본원리 및 표준 모델링 명령어 집합에 대하여 규정 한다.

- 160 -

다 활용방안 및 기대효과( )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중립 표준의 하나인 IGES (Initial Graphics

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표준으로 차원과 차원 데이터Exchange Specification) 2 3

를 포함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제품 형상이외에 제품의 전 수명주기에 걸쳐 사

용되는 비 형상데이터를 포함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제품 데이터 교환에 관한.

국재 표준인 인ISO 10303 STEP (STandard for the Exchange of Product data)

은 제품의 형상 정보뿐만 아니라 전 수명주기에 걸친 모든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으

며 향후 의 역할을 대체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에는 파라메트릭 정보가IGES , STEP

포함되지 않아서 을 이용하여 시스템들 사이에서 제품 데이터를 교환할STEP CAD

경우 각 시스템에서 생성된 제품의 파라매트릭 정보를 이종의 시스템에CAD CAD

전달할 수 없다 설계자 제품을 설계할 때 설계자의 의도는 제약조건 파라매트릭. , ,

정보 디자인 히스토리 특정형상에 의해서 표현된다 설계자는 설계 초기에 주어진, , .

제약조건들에 의해서 대안을 가지고 있는 불충분한 모델을 생성한 후 점진적으로,

주어지는 요구조건과 사양들을 만족하도록 하기 위해 파라메트릭 정보 특징형상 등

을 넣어 최종 모델을 생성한다 또한 기존의 재품을 재 사용하여 주어진 조건을 만. ,

족하는 새로운 제품을 설계를 한다면 가능한 한 원래 제품의 설계 의도가 많이 남

아 있는 것이 중요하다 만약에 설계자의 의도가 손실이 된다면 개념 설계 단계 이.

후의 설계를 변경하는 시간과 비용이 든다 그러므로 중립 포맷을 이용하여 이종의.

시스템들 사이에서 제품 데이터의 교환을 할 때 중립 포맷이 제약조건 파라CAD , ,

메트릭 정보 디자인 히스토리 특정형상 정보를 포함하여 제품 데이터를 전달할 수, ,

있어야 하지만 이나 는 파라메트릭 정보를 포함하는 전 수명주기 동안의, STEP IGES

제품정보를 전달하지 못한다 이 규격을 이용하면 모델링 이력인 매크로를 사용하.

여 제품 데이터를 교환하기 할 수 있게 된다.

- 161 -

제품 데이터 관리 스키마(3) (PDM)

가 목적 및 필요성( )

제품 데이터에 의존하는 응용 시스템과 정보 관리 시스템에 의해서 사용되는 STEP

데이터 교환과 번역 소프트웨어의 개발자를 도와주는 지침이나 안내서 역할을 한

다 을 사용하여 다른 시스템이나 다른 응용 프로그램 사이에서 의미있는 정. STEP

보를 교환하기 위해서 정의되는 인스턴스 모델 생성과 속성 값의 지속적인 선처리

기를 위한 가이드라인 역할을 한다 통합된 제품 데이터 관리 스키마. STEP (PDM)

에 따라 파일을 교환하는 규격 의 후처리기에 의한 지속적인 해석을KS B 7099-21

위한 가이드라인이기도 하다.

나 주요내용( )

이 규격은 제품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서 관리하고 있는 주요 공통 데이터의(PDM)

교환을 위한 참조 정보 모델이다 이 규격은 별개의 전기적 기계적 부품 및 조립품. ,

의 설계와 개발 영역에서의 응용 프로토콜의 영역으로부터 요구되는 데이터STEP

구조의 공통부분을 표현한다.

다 활용방안 및 기대효과( )

이 규격은 제품 데이터 관리 의 개념을 지원하는 개체들의 핵심 집합이(PDM) STEP

다 이 규격과 제품 데이터 관리 스키마는 와 사이의 협동 연. (PDM) ProSTEP PDES

구 개발의 결과이다 이 규격은 제품 데이터 관리 의 영역에서의 응용. (PDM) STEP

프로토콜 사이의 정보처리 상호운영의 가능성을 지원한다

- 162 -

전자화폐 분야4.

가 개요.

전자 화폐 기반 시설의 발달로 인해 전자상거래의 실현이 구체화되면서 전자상거래

의 기술 표준 규격이 중요성을 갖게 되었다 전자지불방식은 신용 직불 전자화폐. , ,

등으로 나눌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전자화폐가 현재 유통되고 있는 화폐의 특성,

을 대부분 수용하고 있다 실물 화폐는 익명성 양도성 이동성 직불성등의 특성을. , , ,

갖는데 전자화폐는 이러한 특성과 함께 실물 화폐가 갖는 물리적인 단점등을 보강

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서 실물화폐 생산에 들어가는 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된다. .

전자화폐는 스마트 카드를 이용하여 화폐 가치를 디지털화 시켜 저장하였다가 온

오프라인으로 지급할 수 있는 기술이다 이러한 디지털 지불수단이 가능화되기.ㆍ

위해서는 전자지갑 발급 매입장치 전자지갑 소유자 스마트 카드 충전장치 가, , , ,ㆍ

맹점 단말기 정산서비스 제공자 인증기관 등을 포함하는 전자화폐시스템이 필요, , ,

하다.

현재 국내에서는 마이비 비자캐시 몬덱스 등의 전자화폐 사업K-Cash, A-Cash, , ,

자가 개별적인 표준으로 전자화폐 시스템을 설계하여 시범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다.

이 경우 개별 전자화 사업자의 사업적 요구사항에 따라 요소 기술들이 정립됨에 따

라 호환성 및 상호 동작성에 치명적인 결함을 가지게 되었다 또한 국제적으로 대.

두되고 있는 국제 전자화폐 표준에 부합하지 못할 경우 내수시장은 물론 국제시장,

에 부품 및 시스템 관련 기술을 수출하는 것은 어렵다 할 수 있다, .

이에 전자화폐 사업자간의 호환성을 확보하고 국제적으로 전자화폐 시스템상의 거,

래 프로토콜과 데이터 요소에 상호 연동되면서 부합하는 규격 재정의 필요성으로

인해 유럽표준인 CEN 1546(1999) Identification card systems Inter-sector

를 기초로 한 국내 대응 규격으로 스마트카드 기반의 전자화폐electronic purse “

키 관리 전자화폐 거래 프로토콜 및 데이터 요소 스마트 카드형 전자화폐를", “ ". “

위한 등 건의 규격을 개발하였다PSAM" 3 .

- 163 -

나 국제표준화 동향.

전자화폐와 관련된 표준으로 에서 제정한 규격과 및ISO/IEC JTC1/SC17 CEPS

에서 제정한 규격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EMV .

년 규격으로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신용카드와 직불 카드의o ISO: 1985 ISO

규격인 을 제정하였으며 년에는 에서 정의된 카드에ISO 7810 1987 ISO 7810 ID IC

칩을 내장한 형태의 카드 표준인 을 제정하였다 을 기본IC ISO 7816 . ISO/IEC 7816

으로 다른 표준화 기관이나 에서 다양한 응용서비스에 대한 표준과Working Group

규격 작업을 추진해 왔다.

세계적인 신용카드 브랜드인o CEPS(Common electronic Purse Specification) :

비자인터내셔널이 마스터카드의 멀토스 라는 운영체제에 대항하기 위해‘ (MOUTOS)’

회원사들을 규합해 만든 스마트 카드 표준이다 따라서 마스터카드가 자회사인 몬.

덱스를 내세워 멀토스 기반으로 만든 전자화폐와는 원칙적으로 호환되지 않는다’ ‘ .

다만 가 규격을 정힌 국제 규격의 단말기EMV(Europay, Master & Visacard) ’EMV

를 서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전세계에서 통용될 수 있는 전자화폐로 봐도 무방‘

하다.

규격 와 그리고 가 법 세계적으로 통용할 수 있o EMV : VISA MasterCard Europay

는 신용카드를 카드화하기 위한 통일규격인 규격을 년 월에 개발하였다IC EMV 95 6 .

규격의 카드는 기존의 신용카드와 동일한 기능을 하지만 기술적으로 소프트EMV IC

웨어 가상지갑에서 사용하는 공개키 암호기술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카드는 전. IC

자화폐의 기능을 가질 수 있어서 현금지급기애서 일정금액을 미리 인출해서 카드lC

에 저장해 두고 상품을 구매할 경우 전자화폐를 지불한다, .

최근 개발된 의 경우에는 신용카드 및 오프라인 직불카드와 범용 선불 카EMV ‘97

드 마스터 카드의 비자의 등 의 기능 이외에 와 까( Mondex, Visa Cash ) SET C-SET

지 포함시킨 기능을 기지고 있다 또한 은 개인의 지불에 대한 보증 카드. , EMV '97 ,

의 발급과 인증 및 지불절차가 기존 신용카드의 발급체계와 연계되어 있고 기존 신

용카드의 비호환성 및 보안성 문제 그리고 전자상거래 결제와의 호환문제 등을 해

결하고 있다.

- 164 -

다 국내표준화 활동.

전자화폐 표준화 동향 분석 및 전자화폐 표준 개발을 위해 년 월 전자화폐표2001 4

준화 포럼이 창립하였으나 동년 월 산업자원부와 정보통신부의 협의로 년11 2001

월 한국전자지불포럼과 통합되었음11 .

라 개발 규격 요약.

가 스마드카드 기반의 전자화폐 키 관리( )

가 목적 및 필요성( )

스미트카드 기반의 전자화폐 키 관리 표준화 규격은 전자화폐 시스템에서 장치 사

이에 안전한 통선을 위하여 사용되는 키의 용도와 키 계층을 정의한다 이는 국내.

전자화폐 시스템의 최소 보안 요구사항을 정의하고 각 전자화폐 시스템간의 호환,

성을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 주요내용( )

이 규격에서는 와 같은 대칭형 암호 알고리즘이나 와 와 같은 비대칭DES RSA DSS

형 암호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전자지갑의 프로토콜에서 용도별로 키의 종류를 정의

하고 사용 방법을 기술한다 또한 전자지갑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키의 분할이나 변.

경 갱신 등의 키 관리 방법을 정의한다, .

- 165 -

키 관리에서 사용되는 암호화 알고리즘을 참조하기 위해서 나 표준의PKCS1 EMV

의 내용을 참고하여 작성하였다 또한 전Part 2(Security and Key management) .

자화폐 시스템의 키 관리를 표준화하기 위해서 유럽 전자화폐 표준인 prEN 1546

를 참조로 하여 작성하였다Part2 : Security Architecture .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전자화폐 시스템 혹은 거래 시에 사용하는 용어 및 약어 기호 정리- ,

전자화폐 시스템에서 각각의 거래 충전 구매 마다 필요한 상호 인증과 승인을- ( , ...)

위하여 키의 생성 주기 및 키를 생성하는 일정 시간 간격이나 흐름을 정리

전자화폐 시스템에서 필요한 다양한 키의 역할과 특성에 대해 정리- .

전자화폐 시스템에서 구성된 키를 이용한 상호 인증과 승인시 필요한 계층 즉- ,

전자화폐 트랜잭션의 키 사용과 장치별 키 계층 정리.

그림 전자화폐 키 관리 시스템[ 11]

- 166 -

다 활용방안 및 기대효과( )

주로 대칭키 암호기술을 사용하는 전자화폐 시스템은 대칭키를 이용한 다자간의 인

증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아주 많은 수의 키를 생성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런 키들.

의 생성부터 소멸까지 모든 생성 주기를 담당하는 키 관리 시스템을 표준화 함으로

써 전자화폐의 키사용의 오류를 줄일 수 있으며 국내의 전자화폐 간에 상호운용성

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전자화폐 시스템의 신뢰성을 위해 국내의 전자상거래법과 전자서명법을 통해

법적인 보호를 받을 수 있도록 국내 암호 알고리즘을 수용하고 전자서명 기법과,

같은 보안 기술을 키 관리 시스템에 포함시켜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전자화폐

시스템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기존의 가맹점 및 인터넷.

상점에서 대금 결제 수단으로 전자화폐 시스템을 안전하게 이용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전자화폐 거래 프로토콜 및 데이터요소(2)

가 목적 및 필요성( )

이 규격은 국내의 전자화폐 사업자간 시스템의 호환성을 확보하고 국내의 전자화폐

시스템이 국제적으로 표준화된 전자화폐 시스템의 거래 프로토콜과 데이터 요소에

상호 연동 및 부합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 주요내용( )

이 규격은 국내외에서 검증 받은 표준을 준용하여 전자화폐의 일반적CEN, CEPS

인 거래 즉 충전 구매 구매취소 등을 정의하였다 특히 은 유럽의 상품과 서, , . CEN

비스 시장의 단일화 및 통합화를 달성하는데 필요한 표준을 제정하기 위한 유럽 국

가간 표준 기관의 연합으로 이중 년에 발행한 은 유럽의 전자화폐1999 CEN 1546

표준으로 제정되어 있다 전자화폐 거래 및 프로토콜의 부. CEN 1546 2 “Security

를 데이터 요소의 정의는 부architecture" , CEN 1546 3 "Data Elements and

를 참고로 하여 기술하였다Interchanges" .

- 167 -

이 규격의 적용범위는 다음과 같다.

전자화폐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충전 구매 구매취소 잔액복구 파라미터 갱신- , , / , ,

수집 거래에 대해 정의한다.

위에서 정의한 거래에 대한 카드와 단말기간 단말기와 호스트간의 처리 흐름과- ,

상호간 인증방식 등을 정의한다.

전자지갑에서 사용되는 각종 데이터 요소를 정의하고 정의 시에 참고한 국제 규-

격 의 내용을 명시하고 데이터 요소의 용도 형식 내용 등을 규정한다ISO , , .

위에서 언급한 내용 외에 전자화폐 사업자와 매입기관간의 정산 처리나 전자화폐

거래시 하나의 구성요소로 위치하는 구매장치 충전장치 과 같은 단말기 규격, , SAM

에 관해서는 이 규격의 범위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그림 프로토콜[ 12] Flow

- 168 -

다 활용방안 및 기대효과( )

국내 전자화폐 시스템은 마이비 비자캐시 먼덱스 등 전자화폐K-Cash, A-Cash, , ,

사업자가 사업자별로 각각 전자화폐 시스템을 설계하여 시범 서비스를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경우 사업자가 개별적으로 설계한 시스템은 사업자의 사업적 혹은 영.

업적 요구사항에 따라 요소기술이 정립되었기 때문에 타 전자화폐 시스템과의 호환

성 및 상호운용성은 보장받을 수 없다 또한 국제적으로 대두되고 있는 국제 전자.

화폐 표준에 부합하지 못하여 내수시장은 물론 국제시장에 부품 및 시스템 관련,

기술을 수출하는 것이 어렵다고 판단된다 이에 국내적으로는 시스템간 호환성이.

보장되고 국제적으로는 국제 표준에 부합하는 규격을 마련해야 할 필요성이 강하게

대두되고 있다.

외국의 전자화폐 기술은 현재 유럽의 전자화폐 표준인 과 를 기반으로 하CEN EMV

여 비자가 중심이 되어 마련한 가 있다 이 규격은 국내외에서 검증 받은 표CEPS .

준 를 참고하여 전자화폐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거래 및 거래 프로세스CEN, CEPS

를 정의 표준화하고 있기 때문에 향후 전개되는 전자상거래 상의 지불 표준의 요,

소 기술로서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이 규격은 국내의 전자화폐 시스템의 시스템간 호환성 및 이기종간 상호 운용성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제정되었다 즉 전자화폐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거. ,

래 및 거래 프로세스를 정의함으로서 전자상거래의 지불 표준을 담당하게 된다 이.

처럼 전자화폐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기술요소들이 표준화 될 때 광의의 시스템 설

계시 기초가 되는 소 시스템 간 인터페이스가 표준 모델로서 제공되어 질 수 있다.

스마트카드형 전자화폐 시스템을 위한(3) PSAM

가 목적 및 필요성( )

표준화 규격은 통일된 국내 규격이 없는 상황에서 전자화폐 활성화를 위해PSAM

제정되었다 즉 에서 사용되어지는 데이터요소들을 나열하고 각각의 내용을. , PSAM

정리하여 전자화폐 사업자의 활발한 시장 활동과 신규 진입을 촉진 시킬 수 있는,

기술적인 밑거름을 재공하기 위함이 목적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국내 전자화폐 시.

장은 통일된 기반시스템을 구축하게 될 것이고 세계적인 기술력 성장을 도모할 수,

있다.

- 169 -

나 주요내용( )

규격에서는 명령어와 파일구조는 구매거래에 필요한 명령들을PSAM PSAM ISO

형식으로 정리하였고 파일구조는 데이터요소들을 저장할 수 있도록 맵을 구Format ,

성하여 정리하였다.

의 거래시 필요한 데이터 요소들도 초기 상태 및 실제적인 거래시 저장되- PSAM

는 정보와 시기 목적 등을 정리, .

내부에서 구조화되어 있는 논리적인 파일 구조 및 물리적인 성질을 정리- PSAM .

거래시 필요한 정리- Protocol .

그림 구성도[ 13] PSAM

- 170 -

다 활용방안 및 기대효과( )

표준화된 은 전자화폐 개발 및 호환 사용성의 토대가 될 것이고 신규 사업자PSAM ,

의 시장 진입시 필요로 하는 기술적 요구사항을 제시함으로써 관련 시장의 활성화

를 적극적으로 도모할 수 있고 구매용 단말기를 제조하고 있는 사업자에게 핵심부,

품인 을 표준화함으로써 전자화폐사업자가 단말기 제조업체를 평가 인증하PSAM , ,

는 프로세스를 규격화할 수 있게 됨으로 비용의 중복 투자를 막을 수 있음.

또한 전 세계 시장이 마그네틱카드에서 스마트카드를 이용하는 단말기 시장으로 이

동하게 됨에 따라 핵심부품인 의 표준화는 세계 시장 진출시 예상하는 기술PSAM

장벽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게 될 것임.

- 171 -

제 절 전자상거래 인증방안 연구4

개요1.

전자상거래는 상거래 행위가 컴퓨터와 인터넷을 이용한 비대면 형태로 수행되는 경

제 활동 모델로써 컴퓨터와 컴퓨터간의 상호연동 을 전제로 하지 않(Interoperation)

으면 발생할 수 없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서는 시범사업을 통해 이에 대한 중. B2B

요성이 입증되었으며 그 대응책 마련이 시급한 것임을 경험적으로 체험하게 되었

다 이와같은 전자상거래의 상호운용성 및 전자상거래 통합 환경을 확보하기 위해.

서는 최우선적으로 전자상거래 표준화 활동의 활성화를 통하여 필요로 하는 표준의

개발 및 적극적인 수용을 추진해야 하며 이를 바탕으로 표준의 준수 및 적용 범위

를 판단하기 위한 인증 체계의 확립이 이뤄져야 한다 전자상거래는 표준 이니셔티.

브를 근간으로 추진되고 있는 것이어서 표준과 인증이란 도구를 배제하고선 그 전

략적 목표를 달성한다는 것은 사실상 어려운 일이 아닐 수 없다.

국내에서도 전자상가래 인증과 관련한 논의들이 그 모습을 다양화하며 표출되고 있

는 실정이다 거래인증의 경우 전자서명법의 제정을 통해 가장 빠른 인증 체제를.

구축하였으며 과 국제 표준을 근간으로 한 국제표준 적합성 인증 전자XML ebXML ,

카탈로그와 같은 콘텐츠 인증 등이 이와는 별도로 심층적으로 논의되며 구체화되고

있다 또한 비즈니스의 적용 및 구현 수준 평가를 위한 인덱스 프레임워크. , E- ,

의 국내 적용 등과 같은 전자상거래 관련 평가 시스템도 적극적인 도입 방안e-BAT

을 모색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즈니스의 기술분야에서 정책분야에 이르는 모든 분야를E-

포괄할 수 있는 비즈니스 국가 인증 체계 기반을 프레임워크 개발을 통해 선E- “ ”

행적으로 구현하여 현재 시행되고 있거나 향후 발생하게 될 다양한 인증 시행 주체

들이 해당 분야별 인증 수행을 위한 공통의 가이드라인으로써 활용할 수 있도록 하

겠다 또한 비즈니스 인증 프레임워크의 효율적인 필드 적용을 위해 비즈니스. E- E-

인증과 관련된 다양한 요소들을 살펴보며 요소들의 역할 및 상호 연관성 적용을,

위한 변화의 요소 등을 파악하여 통합 인증 체계의 현실 적용 방법을 제시하려 한

다.

- 172 -

먼저 비즈니스 인증에 있어서의 민 관의 역할 분담 및 활동 범위를 구체화, E- ㆍ

하여 시장논리에 의거한 민간차원의 인증시스템을 유지하면서도 질적 수준의 보장

과 필요요소별 인증시스템 도입의 활성화 관련 국제 활동에 대한 능동적으로 대처,

를 가능케 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또한 비즈니스 통합 인증 체계가 국가 차원. , E-

의 비즈니스 활성화 정책과 연동되어 국가 차원의 시너지효과를 발생할 수 있도E-

록 국가 전자상거래 정책의 분석 및 여타 전자상거래 사업과의 연계성 강화를 모색

하며 법적 근거 및 제도 정비 방안 연구를 통해 비즈니스 통합 인증 체계가 안E-

정적인 시행 기반을 마련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관련기관간의 연계성 강화 및 업무의 중복성 배제를 통한 효율적인 통,

합 인증 체계 적용을 위해 비즈니스 관계 기관간의 역할 분담 및 담당 영역의E-

명확화를 추진하여 국가 전자상가래 활성화를 통한 디지털 경제시대의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반을 형성할 것이다.

전자상거래 인증 프레임워크 연구2.

가 연구의 추진 절차.

- 173 -

나 연구의 필요성.

전자상가래 상호운용성 및 신뢰성 확보○

전자상거래는 사이버공간을 매개체로 거래 당사자인 판매자와 구매자가 상호간-

대면하지 않고 거래를 수행하는 상호 신뢰 기반 거래 유형이다“ ” .

즉 거래 당사자간 거래에 대한 신뢰 또는 확신을 보장할 수 없다면 거래 자체가,

발생하지 않거나 발생 빈도기 줄어드는 특징을 가지고 있음

전자상거래는 계층화된 다양한 요소 기술이 공통의 프로토콜 또는 상거래 프로세- (

스 에 따라 운영되는 시스템으로 상호간 정의한 표준 및 규칙이 필요하게 됨)

전자상거래의 글로벌화를 추진하기 위한 기반 구축○

전자상거래 솔루션의 세계 시장 경쟁력 확보를 통한 전자상거래 자체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

전자상거래 솔루션 및 기술은 직접적인 글로벌 마켓에 대한 진출이 용이하여 국-

내 산업경제의 기회와 위기를 동시 제공

국경이 없는 전자상거래 특성상 국제적인 공조는 반드시 진행 되야 하는 것으로-

국가적 차원의 정책 기반 형성이 중요

전자상가래 기술 및 상거래요소의 상호운용성 확보○

전자상거래는 기술 요소 상거래 요소 글로벌 요소 및 정책적 요소 가- “ ”, “ ”, “ ” “ ”

복합적으로 연결되어 구현되는 상거래 유형으로 개별 요소내의 상호운용성 확보는

물론 요소간 효율적인 연계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수적인 요인임

- 174 -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현실적이며 효율적인 전자상가래 인증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는 전자상거래를 구성하고 있는 전반적인 요소에 대한 포괄적 이

해와 흡수가 필수적인 요인임

다 연구의 목표.

국가 전자상거래 인증제도의 총괄적 모델 개발○

국가 전자상거래 인증제도의 효율적 도입 및 확산을 위해서는 기술분야와 정책분-

야를 포괄할 수 있는 인증제도 기반을 구축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함

지불 보안 및 쇼핑몰 분야에 집중되어 추진되던 전자상거래 인증제도를 국가- ㆍ

차원의 가시적 관점에서의 총괄적인 국가 인증제도 모델을 제시

또한 전자상거래 인증과 관련된 민 관의 상호 보완적인 협력체계를 정의- , ㆍ

국가 전자상거래 인증제도의 시스템 모델 개발○

전자상거래 인증이 개별적 기관의 자체적인 활동으로 시행되던 것을 정부와 민간-

의 역할을 정의

일관된 국가 전자상가래 인증 정책을 추진할 수 있는 법적 근거 및 제도 정비 방-

안 연구를 통해 시스템화된 인증제도 마련

전자상가래 표준화 및 적합성 평가 정책을 연계하여 체계적이며 효율적인 통합-

인증 시스템 개발을 통해 국가 전자상거래 기반 및 확정의 탄력성을 확보하여 궁극

적인 국가 전자상거래 활성을 추진

- 175 -

시장논리에 의거한 민간차원의 인증시스템을 유지하면서도 일정한 질적 수준을-

보장하고 필요요소별 인증시스템 도입을 활성화 할 수 있으며 관련 국제적 움직임

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며 유기적인 공조체제를 형성할 수 있는 국가차원의 인증제도

구현

라 연구 내용.

전자상거래 인증제도 구현을 위한 법 제도 연구○ ㆍ

전자상거래 인증과 관련한 법규로 국가표준기본법 산업표준화법 전자상거- “ ”, “ ”, “

래기본법 전자서명법 품질경영 및 공산품안전관리법 등이 있으며 이에 대한”, “ ”, “ ”

분석을 통하여 법적 근거의 명확화 및 보완 추진

관련 법규의 선언적 의미 파급효과 상호 연계성 및 보완의 필요성에 대한 연구- , ,

를 통해 국가 전자상거래 인증제도의 기반구조를 법과 제도적 측면에서 조명하여

보고 효율적인 국가 선자상거래 인증제도를 구현하기 위한 법적 제도적 방안 마련,

세계 선진 각 국의 법적 제도적 환경을 분석하여 보고 각 국이 추진하고 있는- ,

전자상거래 인증 모델과 법적 제도적 환경의 구현 모델을 분석하여 적용 가능성,

검토

전자상거래 인증제도 구현을 위한 기술 및 정책 연계방안 연구○

전자상거래는 다양한 기술적 요소로 인한 다양한 정책 요소를 동반하고 있어 상-

호간의 효율적인 연계 방안이 마련되지 않은 상태에서 전자상거래 인증제도가 추진

되면 도리어 활성화에 걸림돌 구실을 할 수 있음

전자상거래는 기술요소와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결합으로 거래가 발생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대한 방안 연구를 통해 글로벌 상호운용성 확보를 위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음

- 176 -

이는 전자상거래가 단순히 기술 확보를 통해서만 구현되지 않음을 단적으로 증명-

하는 것으로 기술과 국가 글로벌의 정책적 환경이 유기적인 연계 체계를 형성하여,

야 함을 의미함

전자적인 정보에 화폐 가치를 부여하는 전자 화폐 가 실제적으로 사용되게 되- “ ”

면 전자 화폐가 전반적인 금융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는 것과 같이 다양한 전자상,

거래 기술요소와 관련 정책과의 연계성 연구가 필요

전자상거래 인증제도 구현을 위한 민 관 기관별 역할 분담 연구○ ㆍ

전자상거래는 다양한 기술요소로 이뤄진 시스템 구조를 형성하고 있어 이에 관련-

된 많은 기관간의 상호 연계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전자상거래 인증제도를 활성화

하기 위한 선행 조건임

전자상거래 선진 각 국의 인증제도에 대한 민 관의 역할 분담 현황을 분석하- ㆍ

여 작용 대안을 제시

국내 전자상거래는 산업자원부와 정보통신부를 주축으로 추진되고 있어 전자상거-

래 인증제도에 있어서도 상호 보완적 구조를 체계화해야 하며 이를 구현하기 위한

역할 분담의 명확화를 도출해야 함

민간차원의 인증시스템을 기본적으로 유지하며 일정한 질적 수준을 보장하고 국-

제적 움직임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민 관의 역할 분담 체계 구축ㆍ

전자상거래 인증제도 국가 총괄 운영체계 연구○

전자상거래의 법적 제도적 기반 마련을 통한 국가 전자상거래 총괄 인증 체계- ,

연구

전자상거래 인증제도 구현을 위한 민 관의 명확한 역할 분담 및 기능적 상호- ㆍ

유기적 연계성 구현

전자상거래 인증제도의 총괄적 모델을 제시하고 이를 이뤄내기 위한 대안 연구-

- 177 -

제 절 전자상거래표준화 통합포럼 운영5

개요1.

전자상거래표준화 통합포럼은 전자상거래표준화 추진체계간의 연계성을 강화하고,

전자상거래표준화 로드맵을 수립하여 시급하고 필요한 표준을 적기에 공급할 수 있

는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구성되었다.

구성 경과과정을 살펴보면 년 월 일 산업자원부 차관주재로 개부처가 참2000 4 28 11

여한 일 창립을 위해 준비위원회가 구성되어 년 월 일 창립기념세미나를12 2000 6 23

개최를 통해 창립되었다.

또한 전자상거래표준화 통합포럼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산업자원부와 정보통

신부의 합의에 의해 운영간사기관으로 한국표준협회와 한국전산원이 선정되었고,

사무국이 대한상공회의소에 설치되었다.

현재 전자상거래 준화 통합포럼 사무국에는 한국표준협회에서 명 한국전산원에서1 ,

명이 파견을 나가 운영간사기관의 역할인 통합포럼의 운영 및 기술위원회를 지원1

하고 있다.

주요추진 질적2.

가 전자상거래표준화 통합포럼 운영 회의.

전자상거래 표준화 통합포럼 정기총회○

일시 년 월 일- : 2001 7 3

장소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실- :

안건-

정기총회 정관개정안 전자문서 기술위원장 승인안 신임이사 추천안 등 의결· : , , ,

정기총회 일정보고

기념 심포지엄·

전자상거래 시장전망과 정책방향-

의 최근이슈와 대응전략- E-Commerce Standards

- 178 -

년 제 차 이사회2001 2○

일시 년 월 일- : 2001 4 24

장소 서면 개최- :

안건 전자상거래 표준화 로드맵 승인- :

년 제 차 이사회2001 3○

일시 년 월 일- : 2001 5 9

장소 대한상공회의소 층 상의클럽- : 12

안건- :

사업계획 및 예산안·

정관개정안·

조직운영개정안·

정기총회 개최안·

기타 보고안건·

년 제 차 이사회2001 4○

일시 년 월 일- : 2001 7 3

장소 서울 플라자 호텔 층 난초홀- : 4

안건- :

정관개정안·

전자문서 기술위원장 승인안·

신임이사 선출안·

전략위원회 자문위원회 구성안· ,

기술위원회 표준권고안 승인안·

- 179 -

년 제 차 이사회2001 5○

일시 년 월 일- : 2001 10 5

장소 롯데호텔 층 룸- : 36 PEACOCK

안건- :

프레임워크 표준권고안 승인안·

기술보고서 승인안·

제품모델기술위원회 승인안·

전자지급결제 표준화업무 위임안·

나 기술세미나 개최.

전자카탈로그 선진구축 사례 및 표준화 방안 기술세미나○

일시 년 월 일- : 2001 4 18

장소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실- :

내용-

e-Catalog and e-Market․기반의 구축· GDAS e-Catalog

성공적인 이마켓플레이스를 위한 전자카탈로그·

와e-Catalog Intelligent Supply Chain Management․Industrial SCM & e-Catalog․

포럼 코리아IT 2001○

일시 년 월 일- : 2001 5 9

장소- : COEX

내용 각 포럼 소개 및 섹션 진행- :

튜토리얼 전자상거래 기술 및 표준화 동향· :

섹션 프레임워크 비즈니스 프로세스 모델 분야· 1 : & /

섹션 전자카탈로그 제품모델 분야· 2 : &

섹션 전자문서 지급결제 분야· 3 : &

- 180 -

개최XML KOREA 2001○

일시 년 월 일- : 2001 6 5

장소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실- :

내용- :

의 최근 기술동향 및 미래의 발전방향· XML

· XML Schema

· ebXML : Creating a Single Global Electronic Market

지식경영 지식관리시스템· -

시스템· XML/EDI

온라인 금융서비스 를 위한 기술 적용방안· (e-Finance) XML

응용 기반으로 한 의료문서 관리시스템 적용사례· XML - XML

응용 운송시스템 및 전자입찰시스템· XML -

토론 국제표준경쟁에서의 우리전략· : XML

프레임워크 워크샵e- Business○

일시 년 월 일- : 2001 6 12

장소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실- :

내용-

안세기 팀장· EDI(KTNET, )

삼성전자 이선우 부장· RosettaNet( , )

조현규 팀장· eCo(ETRI, )

마이크로소프트 최영훈 차장BizTalk( , )․충남대 이규철 교수· ebXML( , )

전자상거래 프레임워크 국제 표준 조사 비교 대진대 장윤석교수· ( , )

- 181 -

제 차 차세대 인터넷 전자상거래 표준화6 (ebXML) Workshop○

일시 년 월 일- : 2001 6 20

장소 컨벤션센터 그랜드컨퍼런스룸- : COEX

내용-

기술구조· (Technical Architecture)

거래 당사자(Trading Partners)․등록저장소· (Registry & Repository)

핵심 컴포넌트· (Core Components)

비즈니스 프로세스(Business Process)․전자메시지 서비스(Transport, Routing & Packaging)․비엔나 회의 개요 의 전망과 국가등록저장소 시연회· POC : ebXML POC

전자상거래용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관리 세미나○

일시 년 월 일- : 2001 7 12

장소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실- :

내용-

데이터베이스 기술의 세계적 동향 및 국내 대응방안·

전환을 위한 최적의 솔루션· e-Business Oracle 9i

전자상거래를 위한 전략· IBM DB2 UDB

의 솔루션· SYBASE Mobile Database

를 이용한 데이터웨어하우징· TERA DB

국산 데이터베이스 성능 모니터링 도구DBMax :․· SQL RDA

· SQL/Multimedia & Application Packages - SQL OLAP

· Open EDI

데이터베이스 산업 국내외 동향·

종합토의 현안 및 발전방안· : DB

- 182 -

CALS/EC KOREA 2001○

일시 년 월 일- : 2001 8 30

장소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실- :

내용-

· Track A : e-Government

전략· Track B : e-Business

· Track C : m-Commerce

기술· Track D : e-Business

차세대 를 위한 표준 워크샵e-Business○

일시 년 월 일- : 2001 10 10

장소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실- :

내용-

기업간 거래에 있어서의 시연회 이노디지털· ebXML ( )

프레임워크 아키텍쳐 기능 정의 충남대 이규철 교수ECIF ( , )․과 서비스인터페이스의 표준화 방향 명지대 박정선 교Registry Information Model (․

수)

메시지 교환형식 강릉대 이창수 교수· ( , )

기업 정보 표현방법 서울대 김영호 교수· ( , )

전자상거래 표준화 수요 조사 워크샵○

일시 년 월 일 일- : 2001 10 19 20~

장소 베어스 타운 경기도 포천- : ( )

내용-

쇼핑몰 운영실태 및 문제점B2C․마켓플레이스 운영실태 및 문제점B2B․

물류에서의 표준·

고객 기업 의 식별 인증 신용· ( ) , ,

전자카탈로그 구축 및 시연·

토의 워크샵 정리· :

- 183 -

분류코드 국내적용을 위한 국제심포지엄UNSPSC○

일시 년 월 일- : 2001 10 22

장소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실- :

내용-

최신동향과 전망· UNSPSC

국내적용방안 및 사례· UNSPSC

국제표준상품코드와 전자카탈로그 구축사례·

의 적용상의 과제· UNSPSC G2B

전자 카탈로그 표준의 활용을 위한 실무 워크샵○

일시 년 월 일- : 2001 10 23

장소 대한상공회의소 제 회의실- : 3

내용-

국내외 분류코드 체계·

체계· UNSPSC

시스템EAN, UCC․· GDAS

전자카탈로그 시스템 기술·

전자상거래 표준기술 국제심포지엄○

일시 년 월 일- : 2001 11 2

장소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실- :

내용-

One Technical Architecture for ALL․· Mobile Commerce Standards European Perspective

· RosettaNet : Gaining Speed & Traction in Asia

· Eleanor-The Benefits of Online Trading Through E-Payment

· The Role of Web Service & UDDI in B2B Solutions

- 184 -

공급망 협업체제 구축과 신경쟁력 창출○

일시 년 월 일- : 2001 11 13

장소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실- :

내용-

적용분야 기반기술 및 성공조건· C-Commerce ,

상호관계와 도입 우선순위 구현전략· SCM, SRM, SCP ,

통합적인 협력형 공급망관리 모델과 적용사례·

관련 표준화 활동 내용과 전망· EC/SCM

국제표준을 선도하는 세미나e-Business RosettaNet○

일시 년 월 일- : 2001 11 28

장소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실- :

내용-

· KeyNote

의 표준화 동향과 우리의 대응· RosettaNet

을 이용한 기업간 공급망 프로세스의 혁신· RosettaNet

을 통한 구현 모델 및 이의 구현사례· RosettaNet B2B

를 위한 추진전략 및 구축사례 세미나e- Business eAI○

일시 년 월 일- : 2001 12 4

장소 대한상공회의소 제 회의실- : 3

내용-

기술개요 및 추진전략 소홍선 앤더슨 컨설팅Tutorial : eAI ( , )․구축사례eAJ․

솔루션을 이용한 구축사례 포스코 박혜경- IBM eAl e-Infrastructure - ( IBM)

분산 시스템 통합 적용사례 주 만도 송영수 팁코코리아- ERP EAI -( ) ( )

결제시스템에서의 솔루션 구축사례 김중식- B2B eAl ( K4M)

- 185 -

전자상거래 표준화 추진체계의 효율제고를 위한 워크샵○

일시 년 월 일- : 2001 12 20

장소 아카데미하우스 호텔- :

내용-

년 정책방향 발표 산업자원부 정보통신부· 2002 ( , )

전자상가래 표준화 프로세스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기술표준원· ( )

년도 사업실적과 차기년도 계획 유관단체· 2001 ( )

의 차기년도 계획을 위한 의견수렴을 위한 토의ECIF․

다 국제표준화 협력 추진.

국제 표준단체 가입(1)

가 목적( )

전자상거래 표준화 관련 최신 기술에 대한 동향파악o

관련 국제회의 세미나 참석을 통한 전세계 회원들과의 협력채널 구축o ,

나 기업단체( )

로제타넷o (2001.6.20)

o ECCMA (2001.9.20)

o OASIS (2001.9.25)

커머스넷o (2001.10.04)

o W3C (2001.11.20)

- 186 -

국제표준전문가 해외파견(2)

가 목적( )

기관 방문조사 및 실무조사o

전자상거래 표준화 관련 국제컨퍼런스 참가o

나 파견내역( )

일시 장소 내역

2001.08.19~2001.80.22 일본국제표준기구 및 정부기구 방문

경제산업성(W3C, ECCMA, ECOM, )

2001.10.09~2001.10.13 미국Electronic Commerce WorldConference 2001

2001.10.15~2001.10.19 대만 로제타넷 컨퍼런스 참가2001.10.30~2001.11.02 호주 참가IT Expo 2001

2001.11.27~2001.11.30 일본International Conference on

참가Conceptual Modeling2001.12.08~2001.12.15 미국 참가XML Conference 2001

2001.12.09~2001.12.16 미국분류체계 조사단 기관방문조사(UCC, UNDP, D&B, ECCMA, UDDI)

라 정보제공 시스템 구축 및 운영.

개발목적(1)

전자상거래 관련 기업 및 단체들의 연계성을 강화하고 커뮤니티를 형성하는 한편,

국내외 전자상거래 표준화 정책 기술동향 정보 등이 집약된 포탈 싸이트의 역할,

수행이 가능하도록 표준정보 공유시스템을 구축 운영하고자 함,

- 187 -

개발이력(2)

년 월 일 표준정보공유시스템 용역 계약o 2001 8 27 : ECIF (LG-EDS)

년 월 일 표준정보공유시스템 구축완료o 2001 10 26 : ECIF

년 윌 일 커뮤니티 연계 용역계약o 2001 12 3 : (LG-EDS)

년 월 일 표준정보시스템 커뮤니티 연계 구축완료o 2001 12 24 : ECIF

(3) URL

o http://www.ecif.or.kr

주요기능(4)

포럼소개o

회원관리o

위원회 활동o

표준동향o

자료실o

행사o Calendar

커뮤니티 활동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