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pping out the interest rate subsidy program for SMEs in Incheon

104
2015년 정책연구과제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지원효율화에 대한 정책적 제언 정남지

Transcript of Mapping out the interest rate subsidy program for SMEs in Incheon

≫ 2015년 정책연구과제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지원효율화에 대한 정책적 제언

정남지

연구진

연구책임 정남지 지역경제연구실�연구위원

※ 본 연구결과는 연구진의 견해로서 인천광역시의 정책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지원효율화에 대한 정책적 제언 ❚ i

연구 요약

Ⅰ. 연구개요

q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m 인천시는 제조업 중심의 산업도시이며, 제조업의 89%가 50명 미만의 중소기업으로, 제조업 중소기업의 기여도가 큰 경제구조를 가지고 있음.

m 인천의 제조업 중소기업은 지역의 고용 및 소득 창출, 지역자원의 활용 및 지방재정기반의 강화에 기여한다는 점에서 지역경제의 안정적 발전을 위해 중요한 부문임.

m 최근 들어 인천시 제조업 분야 경쟁력 약화의 징후들이 계속 보이고 있음. 동시에 시중자금이 상대적으로 담보력, 신용등급 면에서 우월한 대기업에 치중되면서 인천소재 중소기업들은 경영상 어려움을 겪고 있음.

m 이렇듯 어려운 경제여건과 중소기업의 자금확보가 절실한 상황이 겹친 중요한 시기에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의 운용현황을 파악하고 정책적 개선방향을 도출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이 연구를 수행하게 됨.

m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과 같은 정책자금은 두 가지 측면에서 정당성이 확보됨.- 시장실패에 대한 정책적 보완: 민간 금융기관이 요구하는 대출금 회수에 대

한 확신을 줄 수 있는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 정부의 정책목표 달성: 성장성·기술성 등에서 잠재력이 있는 기업의 경우 신

용위주의 대출을 함으로써 담보위주의 대출을 하는 민간 금융기관과는 지원 대상 및 지원방법을 차별화하여 인천시 주요산업 성장지원

m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의 배분 및 운용이 위 두 가지 측면에서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분석해 볼 필요가 있음.

m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의 효율적 운용을 저해하는 부분들을 도출하고 개선방향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

ii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지원효율화에 대한 정책적 제언

q 연구 목적

m 중소기업 지원정책의 핵심인 경영안정자금의 운용현황 및 문제점 파악m 정책자금의 효과적 운용은 위한 정책개선방향 제안

q 연구방향의 설정

m 정책연구는 현실문제의 개선을 통한 사회발전을 지향하는 실천적 성격의 학문으로, 엄밀한 객관성을 기반으로 진리 추구를 목표로 하는 순수과학과는 차별화되며, 따라서 순수과학이 추구하는 가치중립성을 확보하기 어려움.

m 따라서 공공정책의 효과성·효율성 대한 논의는 도구적 합리성(설정한 목표를 얼마나 효과적으로 성취하는가)의 수준을 넘어서 포괄적으로 정책의 정당성을 확보하는 범위 안에서 정책의 목적을 제대로 실현하고 있는가 하는 차원에서 진행되어야 할 것임.

m 또한 경제가 어려운 시기에 경영안정자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시의 재정에 부담이 된다는 점을 고려해 자금의 지속가능성 부분에 대한 것도 염두에 두어야 할 것임.

m 본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서 아래 두 가지 방향에 초점을 맞추고자 함① 앞서 살펴 본 기업지원 정책에 정당성을 부여하는 두 가지 측면인 ‘시장실패

보완’과 ‘정부정책목표의 실현’이라는 관점에서 경영안정자금의 운용현황을 분석

② 정책대안 개발 시 시장실패 보완기능과 정부정책목표가 동시에 충족될 수 있는 방안을 구상하고, 동시에 경영안정자금 재정의 지속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지 여부도 고려함.

q 연구내용

m 인천시 경영안정화자금 지원체계 및 자금운용 현황 분석(2008~2-2014)- 자금배분현황을 정책자금의 시장실패 보완, 시의 정책목표 실현측면에서 분석

m 타 시·도의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지원규모 및 운용방법 검토m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지원체계 및 운용상 개선이 필요한 부분 도출m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개선을 위한 정책제언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지원효율화에 대한 정책적 제언 ❚ iii

정책자금 효과분석 관련 선행연구 검토 (문헌분석)▼

연구 방향 확정 및 연구체계 구축▼

인천시 경영안정자금 제도적 근거고찰 (문헌분석)▼

인천시 경영안정자금 운용관련 자료수집▼

인천시 경영안정자금 지원체계 분석 (문헌분석, 심층인터뷰)▼

인천시 경영안정자금 운용현황 분석 (데이터분석, 심층인터뷰)▼

타지역 사례조사 및 분석 (문헌분석, 심층인터뷰)이메일로 설문회수

인천지역과 타지역 비교▼

인천시 경영안전자금 지원체계와 운용상 문제점 도출

▼정책자금 운용이라는 측면에서 문제점 도출

제도개선방향 제안

<그림� 1>� 연구의�흐름도�

2.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운용현황

q 인천시 중소기업 지원 개괄

m 인천시 중소기업 지원자금은 8,000억. 이 중 운전자금을 지원하는 경영안정자금은 7,000억 규모이고, 나머지 1,000억은 목적성 기금으로 운용 중임.1)

m 인천시는 7,000억 내에서 시중은행을 통한 융자대출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으며, 시는 일반예산에서 200~300억 원의 이차보전예산을 확보함.

m 인천시의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은 일반지원과 우대지원으로 구분됨.- 일반지원의 경우 관내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하며 지원한도는 5억 원, 이차

1) 기금은 기계구입자금, 공자구입자금, 기업연구소설치자금, 벤처창업자금, 재해자금, 지식산업센터건설자금 등을 지원. 경영안정자금은 재료구입비, 인건비, 세금, 기계구입비 등 다양한 항목의 운전자금 지원.

iv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지원효율화에 대한 정책적 제언

보전율을 2.0%를 적용함(2014년 현재).- 우대지원에 속하는 기업의 경우 최저 5억 원에서 최고 30억 원 사이의 융

자대출한도가 적용됨.

구� � � � 분 중류 합�계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합� � � � 계 7,000 2,000 2,000 1,500 1,500

일반기업지원 인천�소재�일반중소기업 5,000 1,250 1,250 1,250 1,250

우수기업지원 유망중소기업,� 기업인대상�수상기업,�비전기업,�향토기업 1,000 500 500 - -

산업확충지원�우리시� 전입기업,� 중견사다리기업,� 신규� 산업단지입주기업,�산업단지�지식산업센터�입주기업 1,000 250 250 250 250

자료� :� 인천경제통상진흥원�내부자료

<표� 1>� 인천시�중소기업�경영안정자금의�목적에�따른� 지원규모(2014년� 현재)

(단위� :억� 원)�

구� � � 분 지원대상� (신청자금�구분) 지원한도 이차보전율 적용시기

일반지원 관내�중소기업� (일반) 5억� 원 1.0%~2.0% 2004

우대지원

고용우수인증기업� (일반) 8억� 원 2.0% 2013

여성기업� (일반) 5억� 원 3.0% 2004

장애인기업� (일반) 5억� 원 3.5% 2004

FTA� 인증� 수출기업� (일반) 6억� 원 2.0% 2011

FTA� 활용� 성공사례�수상기업� (일반) 6억� 원 2.0% 2011

우리시� 8대�전략산업� (일반) 6억� 원 2.0% 2015

시지정�유망중소기업� (우수) 8억� 원 2.0% 2004

중소기업인대상� (우수) 10억� 원 2.0% 2004

비전기업� (우수) 10억� 원 2.0% 2012

향토기업� (우수) 20억� 원 2.0% 2013

우리시�전입기업� (산업) 30억� 원 2.0% 2004

중견사다리기업� (산업) 30억� 원 2.0% 2015

신규산업단지�입주기업� (산업)강화5억�원,�검단15억� 원

2.0% 2015

산업단지�지식산업센터�입주기업� (산업) 5억� 원 2.0% 2015

(사)함께하는�인천사람들�추천기업 2,000만� 원 2.0% 2013

<표� 2>� 일반지원과�우대지원의�구분과�적용항목별�지원한도와�이차보전율

q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운용현황

m 2008년~2014년 기간 동안 경영안정자금은 총 9,436건 지원. 이 기간 동안 전체 융자총액은 34,062억 원으로, 융자건당 평균 대출금액은 3.7억원임.

m 업력 10년 이상인 기업에 경영안정자금의 65.1%가 배분됨.m 앞서 평균 융자대출 규모가 3.7억 원이었던 것과 마찬가지로, 3억 원 이상

의 융자대출이 전체의 49.2%정도의 비중을 보이며, 또한 5억 원~10억 원 미만의 비교적 규모가 큰 대출도 거의 20%의 비중을 보이고 있음. 반면 5천만 원 미만(6.2%)과 5천만 원~1억 원 미만(11.3%)의 소규모 융자대출은 비중이 낮은 편임.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지원효율화에 대한 정책적 제언 ❚ v

구� � � � � 분 ’08 ’09 ’10 ’11 ’12 ’13 ’14 합�계

융자건수(개) 1,001 1,418 1,336 1,736 1,261 1,477 1,207 9,436

융자금총액(억) 4,634 4,760 4,252 5,462 5,639 5,098 4,219 34,062

업체당평균융자금액(억)

4.6 3.4 3.2 3.1 4.5 3.5 3.5 3.7

이차보전예산(억) 104 220 231 208 295 315 274 1,647

자료:�융자금총액과�이차보전예산은�인천광역시�경제산업국�산업진흥과�내부자료�사용.�융자건수는�

인천경제통상진흥원�내부자료�활용.�업체당�평균융자금액은�융자금총약을�융자건수로�나눈�것임.

<표� 3>� 경영안정화자금� 융자대출� 업체수,� 융자금총액,� 업체당� 평균융자금액,� 이차보전� 예산�

(2008~2014)�

m 융자대출액의 규모를 좀 더 동적으로 분석해 보면, 매출액의 규모와 융자대출액의 규모는 정의 비례관계에 있는 것으로 보임. 기업의 매출액 규모에 비례하여 융자대출액도 증가함. 그러나, 융자대출에 대한 실부담금리는 융자금액이 클수록 낮아지는 역현상 발이 발생하고 있음.

m 이러한 현상의 주요 원인은 현재 경영안정자금의 이차보전율은 기업이 은행으로부터 적용받는 융자대출 금리와 관계없이 같은 비율로 적용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됨.

- 예를 들어 융자대출 규모 1억 원 이상 3억 미만인 경우 평균 6.3%의 금리적용을 받고, 평균 2.9%의 이차보전율 적용을 받음.

- 반면 융자대출 규모가 10억 이상인 경우 평균 4.9%의 금리를 적용받고, 1.7%의 이차보전율을 적용 받음.

- 소규모 대출의 경우 실질부담금리는 3.6%선이며, 10억 원 이상 대규모 융자대출의 경우 실질부담금리는 3.2%로 오히려 더 낮은 이자율 적용을 받게 됨.

m 또한 우대지원 대상의 경우 대출액의 규모가 일반지원대상 보다 월등히 높으며 실부담 금리 또한 일반기업보다 0.5%~1%정도 낮게 나타나고 있음.

vi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지원효율화에 대한 정책적 제언

<그림� 2>� 연도별�지원기업�대출액�현황

자료:�인천시경제통상진흥원�내부자료� (연구진이�가공함)

3. 인천시 경영안정자금 운용방식과 타지역사례 비교정리

m 인천시의 연도별 평균 대출건수는 서울시와 경기도에 비해 현저하게 낮음.m 인천시의 경영안정자금의 규모다 두 비교대상보다 작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가장 큰 이유는 융자대출 건당 평균금액이 서울시나 경기도 보다 높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됨.

m 융자대출건당 평균금액은 서울시는 평균 3,000만 원 이하, 경기도의 경우 2~3억 원인데 비해, 인천은 3억 5천만원 이상으로 높은 편임.

m 인천 경영안정자금을 통한 융자대출시 금리는 시중은행의 여타 대출과 같은 정도의 금리가 적용됨.

m 서울시와 경기도의 경우, 시정부-기업체 대표-은행 3자간 간담회를 통해 시중금리 보다 낮은 ‘협약금리’를 설정해 놓고 있어서, 이차보전예산이 지나치게 금융권의 혜택으로 돌아가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고 있음.

m 인천시 경영안정자금에서 적용하는 이차보전율은 다른 지자체에 비해 높게 책정되어 있으며, 융자대출에 대한 은행금리와는 관계없이 비슷한 정도의 이차보전율을 적용하고 있음.

m 경기도의 경우 신용도가 우량해서 저금리로 은행융자를 조달할 수 있는 기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지원효율화에 대한 정책적 제언 ❚ vii

업에게는 낮은 이차보전율, 저신용기업에게는 높은 이차보전율을 적용

항목 인천시� 서울시 경기도

경영안정자금규모

7,000억�원 8,000억�원 6,000억�원

연간�평균지원�건수

1,200�여건 30,000�여건 3,500�여건

융자대출건당�평균�융자액

3.5억�원 3,000만�원�이하 3억�원�이하

자금�목적별�구분일반지원+15개�

우대지원모두�7개�구분 모두�7개�구분

금리 시중은행�금리시중보다�낮은�협약금리

시중보다�낮은�협약�금리

이차보전율�적용�방식

일반기업과�우대지원기업으로�나누어�일과적용

융자금액에�따라�차등지원

은행�이자금리에�따라�차등지원

자금�신청�접수방법

1년� 4분기�정해진�기간 상시�접수 상시�접수

<표� 4>� 인천시�경영안전자금�운용방식과�타� 지역�사례� 비교정리

4. 문제점 종합

1) 정책자금 운용의 불균형

q 시장실패 보완기능은 취약하고 중상위층을 대상으로 한 지원중심

m 우수, 우량기업에 대한 지원이 양과 질 모두 불균형적으로 좋음- 자금의 배분상 수적으로 우수, 우량 기업에 대한 지원 쪽으로 좀 더 많이

기울어 짐- 자금지원 조건 역시 우수, 우량 기업에 훨씬 유리한 조건

2) 이차보전율의 일괄적용

m 은행에서 저금리 적용을 받는 우량기업이나 그렇지 않은 기업들에게 같은 이차보전율 적용으로 정책자금운용의 균형상실

m 때문에 경영안정자금은 시중금융기관에서 발생하는 차별을 보정할 수 있는 기능을 제대로 작동시키지 못하는 것으로 보임.

m 이러한 특성은 2차적으로 다음과 같은 문제를 야기함.- 은행과 유사한 기능 수행하면서 시중금융기관에서 대출가능한 기업들의 정

책자금 의존도 높임

viii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지원효율화에 대한 정책적 제언

- 기금의 재정악화와 재정적 부담- 정책자금의 정치적 활용 가능성

3) 어려운 재정상황에도 불구하고 타 지역에 비해 후한 조건으로 운용

m 자금 규모 서울, 경북 다음으로 크지만, 지원건수는 상대적으로 매우 적음m 이는 융자대출 건당 규모와 이차보전율이 타지역보다 높게 책정되어 있는

것과 관련 있음.m 이는 시의 재정적 부담으로 고스란히 이어짐

4) 중복 또는 분할 지원

m 중복 또는 분할지원 받은 기업이 많은 것으로 보아, 경영안정자금의 진입장벽이 이미 공고해 진 것으로 보이며, 자금허용한도가 필요보다 큰 것으로 판단됨.

5.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개선방안 제언

1) 이차보전율의 조정

q 인천시 경영안정자금 이차보전율의 조정의 두 가지 축

m 전체적으로 타 시도 보다 상향책정되어 있는 이차보전율을 서울시 또는 경기도 주순으로 하향조정

m 실제 은행에서 융자대출시 적용하는 금리와 무방하게 시에서 정하는 기준에 따라 일괄적용되고 있는 이차보전율 차등지원

q 이차보전율의 전체적 하향 책정

m 현재 인천시 경영안정자금 우대기준에 따라 이차보전율은 2.0~3.5% 사이에서 적용되고 있음. 이를 경기도, 서울시의 이차보전율과 유사한 수준으로 전체적으로 하향조정할 필요가 있음.

m 이차보전율의 하향조정과 함께 금융기관의 대출적용금리의 ‘협정 금리’ 설정방식을 동시에 도입한다면 인천시 재정건전성에 기여하는 효과를 배가 할 수 있을 것임.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지원효율화에 대한 정책적 제언 ❚ ix

q 이차보전율의 차등적용 도입

m 현재 인천시 경영안정자금 이차보전율은 일반지원 2.0%, 우대지원 3.0~3.5%의 차이만 있을 뿐, 융자대출시 실재 은행에서 적용하는 금리에 따른 차등적용은 아직 도입하지 않고 있음

m 경영안정자금을 활용하는 기업들이 기업의 규모, 매출액 등에 따른 없이 공평한 지원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은행적용 금리수준에 따른 이차보전율의 차등적용이 중요함

m 경영안정자금 이차보전율을 은행금리와 관계없이 일괄적으로 적용할 경우, 담보, 신용등급 등이 우수해서 대규모 대출을 하면서도 낮은 은행금리를 적용받는 기업들은 그렇지 못한 기업들 보다 훨씬 더 큰 혜택을 입을 수 있는 상태임.

q 기대효과

m 이차보전율의 전체적 하향과 차등화를 위한 기준은 별도의 과제를 통해 구체적으로 연구되어야 할 것이니, 본 연구에서는 가상의 시나리오를 통해 기대효과를 제시하고자 함.

- 예를 들어 한 우대기업이 10억 원의 융자대출을 받으면서, 은행으로부터 4.9%의 융자대출 이자를 적용받고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을 통해 1.7%의 이차보전을 받을 경우 기업이 실부담이자는 3.2%로 금액은 년 3,200만원임.

- 이 때 기업이 경영안정자금을 통해 받게 되는 금전적 지원은 1,700만원임.- 여기서 이차보전율1.7%에서 1.5%로 0.2% 낮출 경우 해당 우대기업의 실부

담이자는 200만원 높아짐.- 이 금액은 2,000만원 소액대출 실부담이자인 62만원의 3번 지원가능한 금액임.- 이차보전율 하향조정을 10억원 대출받을 자격이 있는 우대지원대상들에게

일괄 적용할 경우, 그리고 대상이 1년에 10건일 경우, 3,000만원 소액대출56건을 더 지원해 줄 수 있는 자금의 여유 발생 (그림 3).

x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지원효율화에 대한 정책적 제언

<그림� 3>� 시나리오�1:�우대지원�대상기업의�이차보전율�0.5%�하향조정

2) 목적성 자금 확충

q 목적성 자금 확충의 두 가지 축

m 인천시의 경제산업 정책의 목표와 궤를 같이 하는 목적성 자금 추가 설치m 동시에 현재 15개로 운영되고 있는 우대지원 대상의 종류를 축소m 두 가지를 동시에 점진적으로 추진하여 자금지원대상의 갑작스러운 변경 또

는 축소를 방지하여 중소기업 지원정책의 안정성과 일관성 유지

q 목적성 자금 추가설치 및 관리의 명확화

m 현재 우대지원 대상 중 ‘8대 전략산업 지원’, ‘고용우수인증기업’, ‘수출인증기업’ 등 시의 경제정책, 산업정책과 맥락을 같이 하는 목적성 자금을 추가적으로 설치할 필요가 있음

- 특히 인천시의 중장기적 경제·산업 비전과 사회경제적 문제 해결이라는 측면에서 자금의 성격을 주의 깊게 선정하여 지속성이 있도록 해야 함.

- 목적성 자금을 단기적인 시각으로 설치할 경우, 자금의 효과성이 나타나기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지원효율화에 대한 정책적 제언 ❚ xi

도 전에 정치적인 환경 등의 영향으로 대상이 바뀔 가능성이 크므로, 설치시 10년 정도는 유지될 수 있는 조건을 만드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임.

m 참고로 경기도는 경영안정자금 지원대상에 신기술기업, 벤처창업기업, 여성창업기업 등 대상과 목적이 분명한 기업의 종류를 포함시킴.

m 각 구분별 지원규모 확정과 심사기준 개정이 수반되어야 하며, 은행의 협조도 필요함

m 인천시에서 정책적으로 육성하려는 기업에 대한 목적성 자금지원과 유사한 정부자금과 매칭펀드 조성으로 인천시 재정 건전성 확보

- 예를 들어 수출기업에 대한 지원은 수출입은행과 매칭펀드로 지원하는 방안- 소규모 신기술기업(start-up 기업)에 대한 지원 항목을 신설할 경우 중소기

업청의 벤처펀드와 매칭펀드를 받을 수 있도록 행정적 지원을 강화하거나 기술보증서, 신용보증서 발급시 비용 지원 등 방안 도입

q 목적성이 불분명한 우대지원 대상 축소

m 현재 우대지원 대상은 그 폭이 너무 넓으면서 각 대상간 특징이 명확하지 않은데, 이 부분을 중점적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음.

m 이는 우대지원 대상기업들 중 최근에 지원이 저조한 대상부터 순차적으로 제외시켜 가는 방법을 튀할 수 있음.

m 또한, 우대의 폭을 조절해야 할 필요가 있음.- 우리시 전입기업이나 중견사다리기업의 경우 한 기업에 집중되는 융자대출

액이 너무 큼.- 비전기업의 경우 10억 대출 시 2.0% (이전에는 3.0%)의 이차보전을 받아

기업 당 1년에 3천만 원 자금지원 효과

q 기대효과

m 목적성 자금의 추가설치시 자금에 대한 관리가 더욱 용이해 지므로 인천시 경영안정자금의 재정건전성에 기여할 수 있음.

m 우대지원의 종류를 줄이고, 지원의 폭을 감소할 경우, 현재 불균형적으로 운영중이 경영안정자금의 분배효과를 개선할 수 있음.

m 경영안정자금의 분배효과 개선여부는 별도의 과제로 심도있 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며, 본 연구에서는 우대지원 대상기업의 수가 줄어들 경우 발생하는

xii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지원효율화에 대한 정책적 제언

경영안정자금의 여유를 시나리오로 제시함. - 예를 들어, 한 우대지원 대상기업이 10억 원의 융자대출을 받으면서, 은행

으로부터 4.9%의 융자대출 이자를 적용받고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을 통해 1.7%의 이차보전을 받을 경우 기업이 실부담이자는 3.2%로 금액은 년 3,200만원임.

- 이러한 기업에 대한 지원을 1년에 10건에서 9건으로 조정할 경우, 아래 <그림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3,000만원의 소액대출기업을 19개 지원해 줄 수 있는 자금의 여유가 확보됨.

<그림� 4>� 시나리오� 2:� 우대지원�대상기업을�하나�줄일� 경우

3) 행정적 개선

q 금리협약

m 경기도, 서울시와 같이 금융권-인천시-기업 간 간담회를 통해 시중금리 보다 낮은 수준의 금리협약 실현

m 정책자금 지원이 금융권으로 지나치게 유입되는 것 방지m 자금의 재정 건전성 개선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지원효율화에 대한 정책적 제언 ❚ xiii

q 경영안정자금 자격심사 기준 및 운용관련 제도 개선

m 자격조건 심사기준을 인천시의 산업목표와 연동되도록 개선 (기술 중심성 부각 등)

m 반복지원횟수 및 지원자격의 변경에 대한 기준설치 및 적용m 사후관리를 위한 시스템 정비(설문조사, 현장조사 및 데이터 베이스 관리)m 지원 체계 기준 간소화

q 일괄지원과 상시지원의 병행

m 일괄적으로 지정기간 신청 자금과 상시신청 가능 자금을 별도로 두어 자금이 꼭 필요한 기업이 필요한 시기에 지원신청 할 수 있도록 제도 개선방안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음.

m 장기적으로 볼 때 자금이 필요한 기업에게 필요한 시기에 배분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시신청방식으로 전환하는 게 바람직 할 것으로 판단됨.

q 성과검증 강화

m 소모성 자금은 운전자금의 성과 확인은 쉽지 않은 일이나,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목적성 자금을 명확히 할 경우 체계적인 성과검증이 가능할 것임.

m 현재 진행 중인 설문항목에 성과측정에 유용한 항목 추가 필요 - 서울시와 경기도의 설문지는 정책자금 활용 후 성과향상의 정도를 묻는 구

체적인 질문들이 포함되어 있음 (부록 3 설문지 참조).

q 영세·소기업 지원절차 간소화

m 규모상 매출액 기준상 영세하고 규모가 작은 기업들은 복잡한 지원절차 준비를 위한 인력 확보가 어렵거나 방법에 대한 습득이 어려울 수 있음

m 특히 신용보증이 필요한 영세기업에 대한 지원절차는 매출액 보고 등 지원절차의 일정부분을 생략하는 방안 등을 모색할 필요가 있음.

xiv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지원효율화에 대한 정책적 제언

6. 연구의 한계 종합 및 향후 과제

q 경영안정자금의 성과분석은 자금의 사용처와 사후관리가 명확하지 않은 소

모성 운전자금의 성격상 한계가 많음.

q 이를 보완하기 위해 패널형태의 데이터 확보가 필요함.

m 기존 정책자금 성과분석 연구는 1회 지원 받은 기업의 성과향상정도를 지원받지 않은 기업의 성과향상 정도와 비교함.

m 중소기업진흥원에서 제공하는 목적성 자금은 지원기업 선정기준부터 성과향상의 가능성이 높은 경우를 대상으로 하므로 1회 지원받은 기업의 성과향상 측정을 통해서도 긍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을 것임.

m 그러나 소모성 운전자금은 소규모 영세기업의 비중이 높고, 기술력 등 성과향상을 빠른 시일 내에 끌어 올릴 수 있는 기업의 내부역량이 부족한 경우가 많으므로 같은 형태의 데이터를 활용해서 원하는 결과를 측정하기 어려울 것으로 예측됨.

q 데이터의 형태가 다르기 때문에 분석 방법론 또한 새로이 정립해야 함.

q 이러한 이유로 경영안정자금의 성과향상에 관한 부분은 필요한 데이터 확보

후 별도의 과제로 진행하기로 함.

인천시 경영안정자금 지원 효율화에 대한 정책적 제언 ❚ xv

차례

Ⅰ.연구의�개요� ··································································································· 1

1.� 연구�배경�및� 필요성 ····························································································· 1

2.� 연구�목적�및� 방법 ································································································ 2

3.� 연구내용�및� 연구진행�순서 ················································································ 3

Ⅱ.� 선행연구�고찰�및� 연구방향의�설정� ························································ 4

1.� 중소기업지원�정책의�의의 ··················································································· 4

2.� 중소기업�지원정책�효과관련�선행연구�검토 ···················································· 6

3.� 인천시�중소기업�경영안정자금�지원효율화에�대한�연구방향�설정 ·············· 9

Ⅲ.� 인천시�중소기업�경영안정자금�운용현황 ··············································· 11

1.� 인천시�중소기업�경영안정자금�지원정책의�개요 ··········································· 11

2.� 인천시�중소기업�경영안정자금�운용현황 ························································ 18

Ⅳ.� 중소기업�경영안정자금�타시도�사례 ······················································ 30

1.� 서울시�중소기업�경영안정자금�운용현황 ························································ 30

2.� 경기도�중소기업�경영안정자금�운용현황 ······················································· 37

3.� 인천시�경영안정자금�운용방식과�타지역사례�비교정리 ······························· 41

Ⅴ.� 인천시�종소기업�경영안정자금�운용상�문제점�분석� ························· 43

1.� 자금의�배분 ········································································································· 43

2.� 융자대출�금리와�이차보전율 ············································································ 45

3.� 지원종류의�구분,� 자금신청�방법과�사후관리 ················································· 46

4.� 문제점�종합 ········································································································· 47

Ⅵ.� 인천시�중소기업�경영안정자금�개선방향�제언 ····································· 48

1.� 인천시�중소기업�경영안정자금�정책개선방향�제언 ······································· 48

2.� 연구의�한계�종합�및� 향후�과제 ······································································ 54

xvi ❚인천시 경영안정자금 지원 효율화에 대한 정책적 제언

참고문헌 ············································································································ 55

부록� 1� :� 표 ······································································································· 56

부록� 2� :� 지원대상�기업선정의�세부기준 ····················································· 58

부록� 3� :� 설문지 ······························································································· 69

인천시 경영안정자금 지원 효율화에 대한 정책적 제언 ❚ xvii

표차례

<표� 1>� 경영안정화자금�융자대출�업체수,� 융자금총액,� 업체당�평균융자금액,�

이차보전�예산� (2008~2014)� ··································································· 13

<표� 2>� 인천시�중소기업�경영안정자금의�목적에�따른�지원규모(2014년� 현재) 14

<표� 3>� 일반지원과�우대지원의�구분과�적용항목별�지원한도와�이차보전율 ····· 15

<표� 4>� 인천시�중소기업�경영안전자금에�대한�이차보전율� (2014년� 기준) ······ 17

<표� 5>� 전국�제조업�매출액�규모별�분포 ······························································· 19

<표� 6>� 인천시�중소기업�경영안정자금의�기업체�매출액�규모별�지원분포 ······· 19

<표� 7>� 같은�사업자등록번호가�다른�년도에�반복되어�나타난�경우 ·················· 22

<표� 8>� 융자액�규모별�지원기업�현황(평균�기준) ················································· 24

<표� 9>� 10억� 이상�융자대출기업의�특성(예)� ························································ 25

<표� 10>� 인천시�중소기업�경영안정자금�우대/일반�구분별�지원분포 ················ 26

<표� 11>� 지원구분에�경영안정자금�운영현황 ·························································· 28

<표� 12>� 담보구분별�지원기업�현황� ······································································ 29

<표� 13>� 서울시�시중은행협력자금�일반지원�대상�및� 조건 ································· 32

<표� 14>� 서울시�시중은행협력자금�특별지원�대상�및� 조건 ································· 33

<표� 15>� 운전자금�지원건수�및� 건당�평균�융자금액� ·········································· 34

<표� 16>� 서울시�대출금리의�차등적용�기준� ························································· 35

<표� 17>� 서울시�융자대출�금액별�차등화된�이차보전율 ······································ 35

<표� 18>� 이차보전율�계산�예 ···················································································· 35

<표� 19>� 서울시�자금성격에�따른�융자금액의�규모 ·············································· 36

<표� 20>� 경기도�중소기업�지원체계 ········································································ 38

<표� 21>� 경기도�운전자금�지원건수 ········································································ 39

<표� 22>� 경기도� 일반,� 신기술,� 벤처,� 여성,� 소상공인,� 사회적경제,� 특별경영(2014년

기준)� ··········································································································· 39

<표� 23>� 융자대출�은행적용�금리구간별�이자지원율 ············································ 40

<표� 24>� 융자대출규모별�이자지원�상한율 ····························································· 40

<표� 25>� 인천시�경영안전자금�운용방식과�타� 지역�사례�비교정리 ··················· 42

xviii ❚인천시 경영안정자금 지원 효율화에 대한 정책적 제언

<표� 26>� 융자대출규모에�따른�이차보전율�차등으로�발생하는�실부담이자의�변화 ··· 49

<부록표� 1>� 매출액별�지원기업�현황 ······································································· 56

<부록표� 2>� 기업규모별�지원기업�현황 ··································································· 56

<부록표� 3>� 업종별�지원기업�현황 ·········································································· 56

<부록표� 4>� 융자액�규모별�지원기업�현황 ····························································· 56

<부록표� 5>� 융자대출규모,� 금리,� 이차보전율�연도별�변화� ································ 57

<부록표� 6>� 기업업력별�지원기업�현황 ··································································· 57

<부록표� 7>� 융자규모별�지원기업�현황 ··································································· 57

<부록표� 8>� 원산지인증수출자�인증을�위한�제출서류� ········································ 60

<부록표� 9>� 인증수출자의�종류�및� 인증기간 ························································· 60

<부록표� 10>� 응모자격 ······························································································· 60

<부록표� 11>� 수상�및� 지원 ························································································ 61

<부록표� 12>� 서면심사�점수�부여�기준� ································································· 61

<부록표� 13>� 인천시� 8대전략산업�범위 ·································································· 62

<부록표� 14>� 비전기업지원�분야�및� 대상� ····························································· 64

<부록표� 15>� 향토기업지원�분야�및� 대상� ····························································· 65

<부록표� 16>� 중견사다리기업�선정업종�및� 자격기준� ·········································· 66

<부록표� 17>� 지원대상� ····························································································· 67

<부록표� 18>� 우대기업�인증서류� ············································································ 67

인천시 경영안정자금 지원 효율화에 대한 정책적 제언 ❚ xix

그림차례

<그림� 1>� 연구의�흐름도� ···························································································· 3

<그림� 2>� 연도별�경영안정자금�융자건수와�융자금�총액(2008-2014) ·············· 13

<그림� 3>� 업체당�평균�융자금� ················································································ 13

<그림� 4>� 연도별�이차보전�예산 ··············································································· 13

<그림� 5>� 융자대출규모,� 금리,� 이차보전율�연도별�변화(2008~2014) ·············· 17

<그림� 6>� 인천시�경영안전자금�매출액별�지원기업�현황 ····································· 18

<그림� 7>� 인천시�경영안정자금�지원�기업규모별�현황 ········································ 20

<그림� 8>� 인천시�경영안정자금�지원기업�기업업력별�현황 ································· 21

<그림� 9>� 지원기업�업종별�현황 ··············································································· 21

<그림� 10>� 융자액�규모별�지원분포 ········································································ 23

<그림� 11>� 융자액�규모별�지원금리�현황 ······························································· 24

<그림� 12>� 연도별�지원기업�대출액�현황 ······························································· 29

<그림� 13>� 지원받은�기업들의�평균�데이터 ··························································· 39

<그림� 14>� 이차보전�자금�지원�규모�및� 지원율 ··················································· 42

<그림� 15>� 시나리오�1:�우대지원�대상기업의�이차보전율을�전체적으로�0.5%�낮출�경우·· 50

<그림� 16>� 시나리오� 2:� 우대지원�대상기업을�하나�줄일�경우 ··························· 52

Ⅰ. 연구개요 ❚ 1

I 연구 개요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연구 배경

m 인천시는 제조업 중심의 산업도시이며, 제조업의 89%가 50명 미만의 중소기업으로, 제조업 중소기업의 기여도가 큰 경제구조를 가지고 있음.

m 인천시의 제조업 중소기업은 지역의 고용 및 소득 창출, 지역자원의 활용 및 지방재정기반의 강화에 기여한다는 점에서 지역경제의 안정적 발전을 위해 중요한 부문임.

m 최근 들어 인천시 제조업 경쟁력 약화의 징후들이 계속 보이고 있음.- 인천지역 제조업의 성장성을 나타내는 주요지표를 보면 매출액증가율과 총

자산증가율 (각각 –9.3%, 4.4%)이 전국 수준(각각 0.5%, 5.6%)을 하회- 수익성을 나타내는 주요지표인 매출액영업이익률, 매출액세전순이익률, 이

자보상비율(각각 4.9%, 4.0%, 313.0%) 모두 전국 수준(각각 5.3%. 4.7%, 513.6%) 하회2)

m 동시에 시중자금이 상대적으로 담보력, 신용등급 면에서 우월한 대기업에 치중되면서 인천소재 중소기업들은 경영상 어려움을 겪고 있음.

m 이렇듯 어려운 경제여건과 중소기업의 자금확보가 절실한 상황이 겹친 중요한 시기에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의 운용현황을 파악하고 정책적 개선방향을 도출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이 연구를 수행하게 됨.

2) 연구의 필요성

2) 한국은행 인천본부에서 발간한 2013년 인천기역 기업경영분석에서 발췌

2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지원효율화에 대한 정책적 제언

m 인천시 경영안정자금과 같은 정책자금은 두 가지 측면에서 정당성이 확보됨.- 시장실패에 대한 정책적 보완: 민간 금융기관이 요구하는 대출금 회수에 대

한 확신을 줄 수 있는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 정부의 정책목표 달성: 성장성·기술력 등에서 잠재력이 있는 기업의 경우 신

용위주의 대출을 함으로써 담보위주의 대출을 하는 민간 금융기관과는 지원 대상 및 지원방법을 차별화하여 인천시 주요산업 성장지원

m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의 배분 및 운용이 위 두 가지 측면에서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분석해 볼 필요가 있음.

m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의 효율적 운용을 저해하는 부분들을 도출해 내고 개선방향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

2. 연구목적 및 방법

1) 연구목적

m 인천시 중소기업 지원정책의 핵심인 경영안정자금의 운용현황 및 문제점 파악m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자금의 효과적 운용을 위한 정책개선방향 제안

2) 연구방법

q 문헌검토

m 정책자금 효과성 평가에 대한 선행연구 검토m 인천시 경영안정자금관련 제도 분석

q 계량 데이터 분석

m 인천시 경영안정자금관련 인천경제통상진흥원 데이터 수집 및 분석

q 정성 데이터 수집 및 분석

m 인천시 경영안정자금 운용주체 및 타 시도 경영안정자금 운용주체 인터뷰

Ⅰ. 연구개요 ❚ 3

3. 연구내용 및 연구진행 순서

1) 연구내용

m 인천시 경영안정자금 지원체계 및 자금운용 현황 분석(2008~2014)- 자금배분현황을 정책자금의 시장실패 보완, 시의 정책목표 실현측면에서 분석

m 타 시·도의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지원규모 및 운용방법 검토m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지원체계 및 운용상 개선이 필요한 부분 도출m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개선을 위한 정책제언

2) 연구진행 순서

정책자금 효과분석 관련 선행연구 검토 (문헌분석)▼

연구 방향 확정 및 연구체계 구축▼

인천시 경영안정자금 제도적 근거고찰 (문헌분석)▼

인천시 경영안정자금 운용관련 자료수집▼

인천시 경영안정자금 지원체계 분석 (문헌분석, 심층인터뷰)▼

인천시 경영안정자금 운용현황 분석 (데이터분석, 심층인터뷰)▼

타지역 사례조사 및 분석 (문헌분석, 심층인터뷰)이메일로 설문회수

인천지역과 타지역 비교▼

인천시 경영안전자금 지원체계와 운용상 문제점 도출

▼정책자금 운용이라는 측면에서 문제점 도출

제도개선방향 제안

<그림� 1>� 연구의�흐름도�

4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지원효율화에 대한 정책적 제언

Ⅱ 선행연구 고찰 및 연구방향의 설정

1. 중소기업지원 정책의 의의

1) 중소기업 관련 정책

q 중앙의 중소기업 관련 정책

m 대기업 위주의 급속한 경제개발 추진과정에서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정책은 다소 소외된 측면이 있음.

m 우리나라에서도 1960년대 초반부터 중소기업은행을 설립하고 일찍부터 중소기업에 대한 정책자금을 지원하기 시작

m 1980년대 전문중소기업 지원기관으로서 중소기업진흥공단이 설립되면서 본격적으로 정책자금 지원을 통한 중소기업 지원정책이 활발히 이루어졌음.

m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은 1990년대 중소기업청에서 시작함.m 기술력이 우수하며 사업성이 유망한 중소기업에 운전자금을 지원하는 ‘중소

기업경영안정자금’ 융자는 1999년 2월 8일 시작 함.

q 지자체 차원의 중소기업 관련 정책

m 1995년 지방자치시대의 본격적인 시행 이후 2000년대 초반부터 지방자치단체에서도 지역의 산업발전 및 경제개발을 위해 관내 중소기업 지원 시작함.

m 2003년 인천광역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지원 및 운용 조례로 지정함.

Ⅱ. 선행연구 고찰 및 연구방향의 설정 ❚ 5

2) 중소기업 정책자금의 정당화 논리

q 시장실패의 보완(market failure intervention)

m 특정 집단에 대한 정부의 정책자금 지원은 일반적으로 정부개입이 없을 경우, 민간자본시장에 의한 자금의 공급이 사회적 필요 수준을 충족시키지 못하게 되는 하나의 시장실패의 대안으로 인식되어 왔음(김준기 외, 2006).

- 민간자금의 한계점: 자금 대출시 안전한 자금회수를 통해 이익을 늘리고 손실은 최소화하려는 시중은행의 성향을 보면 담보력이 부족하고 신용등급이 낮은 중소기업의 경우 자금에 대한 접근성을 확보하기 어려움.

- 중소기업에 대한 정책자금 지원과 관련하여 일반적으로 중소기업의 경우 대기업과 달리 정보의 비대칭성(information asymmetry)에 따른 이유로 민간 자본 시장으로부터 충분한 자금을 확보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전형적인 정부의 정책자금지원의 대상으로 포함되어 왔음.

q 정부정책 목표 달성

m 정책자금은 정부가 산업 정책적 차원에서 특정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정책도구로 활용되면서 그 정당성을 확보함.3)

m 국가적인 차원에서 중소기업은 일자리창출, 신기술 개발 등의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산업정책의 한 부분으로 대규모 정부정책자금을 지원하고 있으며, 이에 발맞추어 지방자치단체에서도 일반회계예산으로 기금을 설치해 중소기업을 지원하고 있음.

3) 정부가 세금으로 공공재가 아닌 민간기업을 지원하는 정책을 펼치는 경제정책은 낙수효과이론’(trickle-down theory)에 기반을 두고 있음. 낙수효과는 선도부분의 성과가 늘어나면, 그 성과가 연관산업 분야의 확대로 일자리가 늘어나고 소비증대 등을 통해 저소득층으로 확대되어 갈 것이라는 이론. 문제는 낙수효과가 현실에서 실현되는 경우가 매우 드물다는 점인데, 이는 낙수효과를 옹호하는 경제학자들이 대세를 이루는 IMF가 2015년 6월 16일 발표한 보고서에서 ‘경제 강화를 위해서는 낙수효과가 작동하지 않는 것을 받아들이고 하위 20%의 급여와 생활수준을 높여야 하며, 보다 진보적인 세금정책을 펼쳐야 하고, 근로자 보호 장치를 개선하고, 중산층의 확대 및 강화를 위한 정책을 제도화해야 한다‘고 주장한 데에서도 여실히 드러남.

6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지원효율화에 대한 정책적 제언

2. 중소기업 지원정책 효과 관련 선행연구 검토

1) 정책자금 지원효과성 평가관련 연구

m 1990년대부터 중소기업진흥공단을 중심으로 막대한 규모의 중소기업 지원사업이 이루어짐에 따라 정책자금이 국가 경제 또는 지원 받은 개별 중소기업의 경영성과에 얼마나 큰 기여를 하고 있는지에 대해 평가할 필요성이 대두되었음.

m 2000년대부터 중소기업 정책자금의 효과성에 대한 평과와 관련하여 많은 연구들이 등장함.

q 김현욱(2005): 재정자금을 이용한 중소기업 정책자금의 수익성 개선효과

m 1998년부터 2003년까지 6년 사이 1억 원 이상의 정책자금을 추출하여 실제지원 된 16.7조 원 규모인 50,131건의 지원 실적을 분석함.

m 중소기업청의 중소기업현황 DB에서 추출된 정책자금 지원 자료 가운데 종업원 3,000명 미만을 분석대상으로 함.

m Ashenfelter(1978)가 제시한 정책효과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정책자금이 지원된 중소기업의 경우 수익성 개선정도가 상대적으로 양호한지 검증함.

m 분석결과 정책자금의 지원효과가 긍정적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 없다고 보고함.

q 장지인, 김준기(2006): 중소기업 정책자금 성과분석 및 역할 재정립 방안 연구

m 1994년부터 2005년까지 중소기업진흥공단에 의한 총48,199건의 정책자금 지원 실적 가운데 1회의 지원을 받고 최소 4개년도 이상 재무제표가 확보된 7,154개 업체 39,650건의 재무제표를 선정하여 정책자금 성과를 분석함.

m 비교집단으로 지원사업에 신청하지 않은 비신청 업체와 신청했으나 탈락한 업체에 대한 자료도 동시에 확보하여 총 19,989개 업체 165,478건의 재무제표를 포함시킴.

m 순차적 선택모형(Sequential Selection Model)을 적용하여 중소기업 정책자금 지원사업 성과를 분석한 결과, 영업이익률을 기준으로 한 매출액영업이익률과 자기자본영업이익률, 총자산영업이익률 등의 수익성 지표는 자금 지원 이후 각각 9.96%와 3.38%, 0.39% 등의 긍정적 개선 효과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보고했음.

Ⅱ. 선행연구 고찰 및 연구방향의 설정 ❚ 7

q 유시용, 윤병섭(2007): 정책자금 정당성에 근거한 정책자금의 대출금리 결정

방안

m 정책자금 정당성에 근거한 정책자금의 대출금리 결정 방안을 연구함.m 정책자금의 대출금리는 기준금리에 정책목적성 스프레드와 신용위험 스프레

드를 합한 것으로 결정하는데, 중소기업진흥공단의 중조시업 산업기금대출사업의 경우 정책목적성 중심의 저금리 대출이라는 공공성에 치우쳐져 있기 때문에 기금의 안정성과 수익성이 크게 훼손되고 있음을 주장함.

m 대출사업 관리주체인 중소기업진흥공단이 대출금리 설정에 있어 최소한 기금손실은 발생하지 않도록 대출금리를 설정해야 함을 강조함.

q 노용환(2010): 중소기업 정책자금의 미시적 성과 분석과 역할에 관한연구

m 중소기업 정책자금의 미시적 성과 분석과 역할에 관한 연구임.m 제조업, 도소매업, 서비스업 등 전 산업에 속하는 중소기업을 분석함.m 2003년부터 2007년까지 동 기간 중 정책자금 1회 지원기업(직접대출 기업

과 은행 대리대출 기업 20,186개)을 모집단으로 하여 2002년부터 2008년까지 연도별 기업 속성 및 재무자료를 추출한 후 수익성, 안정성, 성장성, 금융접근성 등을 분석함.

m 정책자금은 단기에 중소기업의 수익성과 성장성 등 경영성과를 개선시키는 수준제고(level-up) 효과를 나타냈으나, 중소기업의 민간금융시장 접근성 제고와 같은 장기효과 측정에는 한계가 있음.

2) 정책자금 차별성 관련 연구

m 정책자금의 차별성에 관한 연구는 앞서 살펴본 정책자금의 효과성 측면의 실증적 분석에 초점을 맞춘 연구들의 한계를 지적하며 대안적인 접근방법으로 특정정책자금은 타 자금이나 금융기관과의 차별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함.

q 이민호 (2006): 지원 정책 중복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중소기업 정책자금 지

원사업을 중심으로

8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지원효율화에 대한 정책적 제언

m 개별정책이 지니는 내부적 합리성(특정정책의 목적성취도)만을 고려하여 자금지원의 성과 또는 비용편익 분석에만 집중할 경우 정책의 목적에 충실하게 운용되고 있는지 판단하기 어려운 이유를 다음과 같이 제시함.

- A라는 정책문제의 해결을 위해 a라는 정책 대안과 일대일 대응을 이루어 형성되는 것이 아니며, a1, a2, a3 등과 같은 다양한 정책대안이 중복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현실

- 이렇게 중복적인 정책이 적용되는 복잡한 현실에서 개별 정책의 합리적 효과성을 측정하기에는 현실적으로 상당한 어려움이 존재함.

m 저자는 이러한 논리를 바탕으로 중소기업진흥원의 중소기업지원정책이 타 중소기업 지원정책과 어떻게 차별화되어있는지를 분석함.

- 저자는 소규모 신규기업, 소자본의 혁신형 기업, 일시적인 경영위기를 겪고 있는 중소기업 등과 같은 한계적 대출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정책자금 지원정책의 차별성이 다른 민간 금융기관이나 정책자금 지원기관에 비해 높은 차별성을 나타내고 있음을 보여 줌.

q 장지인, 윤병섭(2007): 중소기업의 환경변화와 정책자금의 역할

m 중소기업 정책자금의 환경을 분석하고 정책자금의 차별성 확보를 통한 중소기업 정책자금의 역할을 재정립하고 있음.

m 일반적으로 정책자금의 필요성으로 지적되고 있는 것은 시장실패와 정부의 정책목적성임. 즉, 민간금융기관의 시장실패는 정보비대칭으로 인한 잘못된 신용할당에 있는 것이므로 정부가 정책적으로 이를 보완하는 것이 정당함.

m 따라서 중소기업 정책자금 역할을 정립하기 위해서는 시장의 실패로 금융접근도가 낮은 정책자금 지원대상의 명확화, 중소기업 정책자금 지원범위와 지원한도의 조정, 중소기업 정책자금의 차별화, 정책자금 정당성에 근거한 대출금리 차등화 방안 등을 통해 금융기관의 기능과 차별화된 지원이 필요함을 강조함.

Ⅱ. 선행연구 고찰 및 연구방향의 설정 ❚ 9

3. 경영안정자금 지원의 효율성 연구방향 설정

1) 경영안정자금의 성격과 자금지원 성과분석의 어려움

q 인천시의 경영안정자금은 기업의 운전자금을 지원해 주는 정책자금으로 기

본적으로 소모성 자금임.

m 운전자금의 경우 재료구입비, 인건비, 세금 등 다양한 분야에 지출되고 그 성과를 관리하지 않기 때문에 더더욱 선행연구와 같이 1회 지원을 받은 기업을 대상으로 그 성과를 분석하는 것으로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할 것으로 기대하기 어려움.

q 정책자금 효과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중심으로 한 연구들과 같은 방식으로

는 경영안정자금의 역할 수행에 대한 측정이 용이하지 않음.

m 따라서 운전자금의 성격을 반영한 이론과 그에 따른 차별화된 데이터와 분석기업의 개발을 위한 별도의 연구 진행이 필요함.

2) 연구방향의 설정

q 정책연구에 있어서 합리성의 의미

m 정책연구는 현실문제의 개선을 통한 사회발전을 지향하는 실천적 성격의 학문으로, 엄밀한 객관성을 기반으로 진리 추구를 목표로 하는 순수과학과는 차별화되며, 따라서 순수과학이 추구하는 가치중립성을 확보하기 어려움.

m 따라서 공공정책의 효과성·효율성 대한 논의는 도구적 합리성(설정한 목표를 얼마나 효과적으로 성취하는가)의 수준을 넘어서 포괄적으로 정책의 정당성을 확보하는 범위 안에서 정책의 목적을 제대로 실현하고 있는가 하는 차원에서 진행되어야 할 것임.

m 또한 경제가 어려운 시기에 경영안정자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시의 재정에 부담이 된다는 점을 고려해 자금의 지속가능성 부분에 대한 것도 염두에 두어야 할 것임.

q 본 연구의 두 가지 주요 방향

m 앞서 살펴 본 기업지원 정책에 정당성을 부여하는 두 가지 측면인 ‘시장실패 보완’과 ‘정부정책목표의 실현’이라는 관점에서 경영안정자금의 운용현황을

10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지원효율화에 대한 정책적 제언

분석- 자금의 ‘시장실패 보완‘기능은 경영안정자금의 운용이 금융기관의 융자대출

과 차별화되어 융자대출과 이차보전율을 적용하고 있는가 중심으로 판단- 정부정책목표 실현은 인천시 성장동력산업 및 향후 발전가능성이 높은 기술

기업 등에 대한 지원의 정도를 중심으로 판단m 정책대안 개발 시 시장실패 보완기능과 정부정책목표가 동시에 충족될 수

있는 방안을 구상하고, 동시에 경영안정자금 재정의 지속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지 여부도 고려함.

Ⅲ.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운용현황 ❚ 11

Ⅲ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운용현황

1.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지원정책의 개요

1)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지원정책 수립배경 및 법적근거

q 정책 수립 배경

m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은 중소기업청에서 기술력이 우수하며 사업성이 유망한 중소기업에 운전자금을 지원하는 것으로 ‘중소기업경영안정자금’의 융자는 1999년 2월 8일 시작 함.

m 인천시 중소기업 지원자금은 8,000억. 이 중 운전자금을 지원하는 경영안정자금은 7,000억 규모이고, 목적성 자금인 기금 1,000억으로 운용 중임.4)

q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정책의 법적 근거

m 인천광역시는 2003년 시에 소재하고 있는 중소기업에 대한 적극적 육성을 통해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중소기업경영안정자금 마련하고 매년 일반회계세출예산에 계상하여 지원 함.

m “지방중소기업육성계획”은 지역균형개발 및 지방중소기업육성에 관한 법률 제 40조 및 제 42조의 규정에 의하여 인천광역시장이 작성한 계획 임.

m 조례에서 지정하는 자금의 용처는 다음과 같음.- 금융기관 협조융자에 대한 이자차액의 보전- 기타 시장이 지원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중소기업육성사업- 자금의 관리·운용 및 각호의 사업을 수행하기 위한 필요경비

4) 기금은 기계구입자금, 공자구입자금, 기업연구소설치자금, 벤처창업자금, 재해자금, 지식산업센터건설자금 등을 지원. 경영안정자금은 재료구입비, 인건비, 세금, 기계구입비 등 다양한 항목의 운전자금 지원.

12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지원효율화에 대한 정책적 제언

m 조례에서 정하는 지원 대상기업- 중소제조업 및 관련서비스업을 영위하는 자, 시가 외국에 조성하는 산업단지

에 진출하는 중소제조업 및 관련서비스업을 영위하는 자, 지방중소기업육성계획 및 기타 중소기업육성을 위하여 시장이 특히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업자

m 자금의 위탁 및 관리- 시장이 필요할 경우에는 자금의 관리와 운용에 관한 사무의 일부를 지방자

치단체외의 위탁기관에게 위탁·관리하게 할 수 있으며 경영안정화자금은 2004년부터 인천경제통상진흥원에서 위탁·관리 중임.

m 사후관리 - 시장과 위탁기관은 자금을 지원받은 자에 대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실태를 조사하거나 이에 관련된 자료의 제출을 요구할 수 있음.- 허위에 의하여 자금을 지원받았거나 지원자금을 사업목적 이외의 용도로 사

용한 경우에는 규칙이 정하는 바에 따라 지원자금의 전부 또는 일부 환수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음.

2)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지원규모

q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지원규모

m 현재 운용 중인 경영안정자금의 규모는 7,000억 원으로, 서울 8,000억 원, 경북 7,500억 원에 이어 전국에서 세 번째로 큰 규모임5).

- 7천억 내에서 시중은행을 통한 융자대출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으며, 시는 일반예산에서 이차보전을 위한 재정을 확보함.

m 008년~2014년 기간 동안 경영안정자금은 총 9,436건 지원. 이 기간 동안 전체 융자총액은 34,062억 원으로, 융자건당 평균 대출금액은 3.7억원임.

m 2008년과 2012년 융자 건수는 전년에 해에 비해 감소한 반면, 융자총액은 급격히 증가한 것을 볼 수 있음

- 2008년은 세계경제위기의 여파로 대출건당 융자규모가 커진 것이며, 2012년은 비전기업 지원을 시작한 영향이라고 함(인천경제통상진흥원 인터뷰 내용).

- 2012년 비전기업 지원을 시작하면서 별도 예산 2,500억 원을 지정하였고,

5) 경기도는 중소기업 육성자금은 1조 5천역원 규모로 운영 중이며, 이 중 경영안정자금과 동일한 성격의 ‘운전자금지원’은 6,000억원으로 인천시 보다 작은 규모임.

Ⅲ.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운용현황 ❚ 13

융자대출규모 10억원, 이차보전율 3%를 적용하였다고 함(기업 당 연간 3,000 만원의 경영안정자금 보조, 융자거치 2년 동안 6,000만원 보조).

구� � � � � 분 합�계 ’08 ’09 ’10 ’11 ’12 ’13 ’14

융자건수(개) 9,436 1,001 1,418 1,336 1,736 1,261 1,477 1,207

융자금총액(억) 34,062 4,634 4,760 4,252 5,462 5,639 5,098 4,219

업체당평균융자금액(억)

3.7 4.6 3.4 3.2 3.1 4.5 3.5 3.5

이차보전예산(억) 1,647 104 220 231 208 295 315 274

자료:�융자금총액과�이차보전예산은�인천광역시�경제산업국�산업진흥과�내부자료�사용.�융자건수는�

인천경제통상진흥원�내부자료�활용.�업체당�평균융자금액은�융자금총약을�융자건수로�나눈�것임.

<표� 1>� 경영안정화자금� 융자대출� 업체수,� 융자금총액,� 업체당� 평균융자금액,� 이

차보전�예산� (2008~2014)�

<그림� 2>�연도별�중소기업�경영안정자금�융자건수와�융자금�총액(2008-2014)

<그림� 3>� 업체당�평균�융자금� <그림� 4>� 연도별�이차보전�예산

14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지원효율화에 대한 정책적 제언

3)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지원체계

q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지원대상

m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여기서부터 경영안정자금)의 일반적인 지원대상은 공장 또는 주 사업장이 인천광역시에 소재는 중소기업이며, 다음과 같은 업종 포함

m 제조업m 제조업 외에 인천시에서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포함시킨 산업분야

- 제조업관련 서비스업, 지식서비스 업체, 우리시 8대 전략산업- 시내버스운송업, 자동차정비업(종합, 소형), 택시운송업- 무역업(무역업등록증 소지, 전체 매출의 70% 이상 직수출), 측량업(지적법

에 의한 측량업등록증 보유업체)- 건설업, 전기공사업, 정보통신사업, 소방설비공사업 등

q 경영안정자금의 목적별 구분

m 현재 인천시는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을 일반기업지원, 우수기업지원, 산업확충지원의 세 가지 목적으로 구분하고 7,000억의 자금을 목적에 따라 배분하고 있음(표 2참조).

- 일반기업지원은 인천지역에 소재하는 일반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하며 5,000억 원의 규모로 지원됨.

- 우수기업지원 대상에는 유망중소기업, 기업인대상 수상기업, 비전기업, 향토기업 등이 포함되며 자금의 규모는 1,000억 원임.

- 산업확중지원 대상에는 우리시 전입기업, 중견사다리기업, 신규 산업단지입주기업, 산업단지 지식산업센터 입주기업 등이 포함되며 1,000억 원 규모로 운용됨.

구� � � � 분 중류 합�계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합� � � � 계 7,000 2,000 2,000 1,500 1,500

일반기업지원 인천�소재� 일반중소기업 5,000 1,250 1,250 1,250 1,250

우수기업지원유망중소기업,� 기업인대상� 수상기업,� 비전기업,�향토기업 1,000 500 500 - -

산업확충지원�우리시� 전입기업,� 중견사다리기업,� 신규� 산업단지입주기업,� 산업단지�지식산업센터�입주기업 1,000 250 250 250 250

자료� :� 인천경제통상진흥원�내부자료

<표� 2>� 중소기업�경영안정자금의�목적에�따른�지원규모(2014년� 현재)(단위� :억� 원)�

Ⅲ.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운용현황 ❚ 15

q 일반지원과 우대지원 구분

m 경영안정자금 목적에 따른 구분과는 별도로 융자지원한도와 이차보전율 우대를 위해 일반지원기업과 우대지원기업으로 구분함.

m 우대지원의 경우 모든 대상이 일괄적으로 지정된 것이 아니라 다양한 기업의 종류들이 포함되어, 시정현안에 따라 2004년부터 다른 종류의 우대지원기업들이 추가되어 왔으며 그 대상은 다음과 같음(표 3참조).

- 일반기업이면서 우대지원대상: 고용우수인증기업(2013년 이전에는 신규일자리창출기업), 여성기업, 장애인기업, FTA 인증 수출기업, FTA활용 성공사례 수상기업, 우리시 8대 전략산업(5,000억 원 내에서 지원)

- 우수기업이면서 우대지원대상: 시지정 유망중소기업, 중소기업인대상, 비전기업, 향토기업(1,000억 원 내에서 지원)

- 산업확충지원대상이면서 우대지원대상: 우리시 전입기업, 중견사다리기업, 산업단지 지식산업센터 입주기업(1,000억 원 내에서 지원)

m 자금 신청 시 기업들은 우선 목적별 구분에 맞추어 신청을 하고, 우대지원사항이 적용되는 경우, 지원한도와 이차보전율에서 추가적인 우대를 받을 수 있음.

- 예를 들어 인천시로 새로 전입해 들어오는 기업이면서 여성이 CEO라면 우리시 전입기업의 30억 원의 지원한도가 적용되며, 여성기업에게 부여되는 우대사항인 이차보전율 3%가 적용됨.

구� � � 분 지원대상� (신청자금�구분) 지원한도 이차보전율 적용시기

일반지원 관내�중소기업� (일반) 5억�원 1.0%~2.0% 2004

우대지원

고용우수인증기업� (일반) 8억�원 2.0% 2013

여성기업� (일반) 5억�원 3.0% 2004

장애인기업� (일반) 5억�원 3.5% 2004

FTA� 인증� 수출기업� (일반) 6억�원 2.0% 2011

FTA� 활용� 성공사례�수상기업� (일반) 6억�원 2.0% 2011

우리시� 8대� 전략산업� (일반) 6억�원 2.0% 2015

시지정�유망중소기업� (우수) 8억�원 2.0% 2004

중소기업인대상� (우수) 10억�원 2.0% 2004

비전기업� (우수) 10억�원 2.0% 2012

향토기업� (우수) 20억�원 2.0% 2013

우리시�전입기업� (산업) 30억�원 2.0% 2004

중견사다리기업� (산업) 30억�원 2.0% 2015

신규산업단지�입주기업� (산업)강화5억� 원,�검단15억�원

2.0% 2015

산업단지�지식산업센터�입주기업� (산업) 5억�원 2.0% 2015

(사)함께하는�인천사람들�추천기업 2,000만�원 2.0% 2013

<표� 3>� 일반지원과�우대지원의�구분과�적용항목별�지원한도와�이차보전율

자료:�인천경제통상진흥원�내부자료

16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지원효율화에 대한 정책적 제언

q 일반지원

- 일반지원의 경우 관내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하며 지원한도는 5억 원, 이차 보전율을 2.0%를 적용함(2014년 현재).

q 우대지원

m 우대지원에 속하는 기업의 경우 최저 5억 원에서 최고 30억 원 사이의 융자대출한도가 적용됨.

- 여성기업, 장애인기업, 산업단지 지식산업센터 입주기업에 해당하는 경우 5억 원의 한도

- FTA 인증 수출기업과 FTA활용 성공사례 수상기업, 우리시 8대 전략산업에 해당하는 기업들은 6억 원의 한도

- 고용우수인증기업, 시지정 유망중소기업에 해당하는 기업들은 8억 원의 한도- 중소기업인대상, 비전기업의 경우 10억 원의 대출한도 적용- 향토기업, 우리시 전입기업, 중견사다리기업에 대항하는 기업들은 30억 원

까지 대출가능 함.- 신규산업단지 입주기업이 강화에 위치할 경우 5억 원 한도를 적용하고 있

으며, 검단에 위치할 경우 15억 원의 한도를 적용함.

q 경영안전자금 이차보전율

m 경영안정자금의 이차보전율은 시중은행의 융자대출 금리변동에 따라 같이 변동되어 옴.

m 최근 은행금리가 많이 하향조정 됨에 따라 이를 반영하여 이차보전율도 2015년에 하향되어 조정됨(표 4참조).

m 일반기업의 이차보전율은 2012년도까지는 일괄적인 지원율을 적용하다가 2013년도부터 융자대출 회차에 따라 차등해서 지원

- 특정해에 융자대출 자격심사를 신청하고 인천경제통상진흥원으로부터 자격여부를 확인 받아 기업의 자격 요건에 따라 융자 가능한 금액을 통보 받은 후 통보금액의 전부를 일시에 대출받지 않고 융자거치 및 상환기단 동안 회차를 나누어 대출을 받을 수 있음.

Ⅲ.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운용현황 ❚ 17

구분 2008~2011 2012 2013 2014 2015

여성기업하단참조

3.5% 3.5% 3.5% 3%

장애인기업 4% 4% 4% 3.5%

우수기업 없음 3% 2.5%* 2.5%* 2%*

일반기업

일반기업1

하단�참조 3%

2.5% 2.5% 2%

일반기업2 2% 2% 1.5%

일반기업3 1.5% 1.5% 1%

자료� :�인천경제통상진흥원�내부자료.

주1� :�일반기업은�2012년도까지는�일괄적으로�지원율을�적용하다가�2013년도부터�지원회차별로�차등해서�지원

주2� [2008~2011�이차보전율�참고]

� -� 2008년도(상)� :�일반기업� (융자기간이�2년�또는�3년일�경우:2.5%,�4년:2.0%),�우대기업� (장애인-4%,�여성기업-2.5%)

� -� 2008년도(하)� :�일반기업� (융자기간이�2년�또는�3년일�경우:3%,� 4년:2.5%),�우대기업� (장애인-4.5%,�여성기업-3%)

� -� 2009년도� :�일반기업� (융자기간이�2년�또는�3년일�경우:3%,� 4년:2.5%),�우대기업� (장애인-4%,�여성기업-3.5%)

� -� 2010년도� :�일반기업� (융자기간이�2년�또는�3년일�경우:3%,� 4년:2.5%),�우대기업� (장애인-4%,�여성기업-3.5%)

� -� 2011년도� :�일반기업� (융자기간이�2년�또는�3년일�경우:3%,� 4년:2.5%),�우대기업� (장애인-4%,�여성기업-3.5%)

주3� :�우수기업(비전,�향토기업)은�2012년부터�지원을�시작하여�이전의�이차보전율�없음.�중견사다리기업은�2015년�시작함.

*�한국은행�보조� 1%�포함

<표� 4>� 인천시�중소기업�경영안전자금에�대한�이차보전율� (2014년� 기준)

q 경영안정자금 평균 융자대출 규모, 금리, 이차보전율 연도별 변화

m 2008년부터 2014년 사이 인천시 경영안정자금의 연도별 평균 융자대출 규모, 평균 금리, 평균 이차보전율은 <그림 5>과 같음.

m 금리의 하향조정에 따라 이차보전율도 하향조정 되고 있지만, 이차보전율의 하향정도가 금리의 하향정도보다 낮아 평균적으로 기업이 부담하게 되는 실부담금리가 계속해서 낮아지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음.

<그림� 5>� 융자대출규모,�금리,�이차보전율�연도별�변화(2008~2014)자료:�인천경제통상진흥원�내부자료(연구진이�가공함)n=9,436

18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지원효율화에 대한 정책적 제언

2.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운용현황

1)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배분현황

q 기업 매출액별 지원 분포

m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의 융자대출규모는 별도규정(우대조건)이 있지 않는 이상 전체 매출액의 1/4 한도 내에서 최대 4억 원까지 지원이 가능하도록 되어있어, 매출액은 융자규모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함.

m 2008년부터 2014년까지 7년 동안 인천시 경영안정자금의 지원 건수 9.436건을 기업매출액 구간별로 분석해 보면 전체 융자건수의 50%가 매출액 10억~50억 사이의 기업들에게 지원된 것으로 나타남(그림 6 참조).

- 반면 매출액 5억 원 미만 기업의 경우 전체의 11.3%(1,070건), 매출액 5억 원~10억 원 사이의 기업들은 17.2%(1,627건)으로 훨씬 낮은 비중을 보임.

m 전체적으로 매출액 10억 이상의 기업에게 71%정도의 경영안정자금이 배분된 것임(그림 6 참조).

m <표 5>와 <표6>의 전국 제조업 매출액 규모별 분포와 인천시 경영안정자금 기업 매출액 규모별 지원분포를 비교해 보면, 경영안정자금 지원대상 중 매출액 10~50억 사이 기업의 비중이 50%로 같은 구간 전국비중 43.6%보다 조금 높게 나타남.

<그림� 6>� 인천시�경영안전자금�매출액별�지원기업�현황자료:�인천경제통상진흥원�내부자료(연구진이�가공함)

n=9,436�결측=18

Ⅲ.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운용현황 ❚ 19

기업체수 5억미만 5~10억미만

10~50억미만

50~100억미만

100~500억미만

500억이상

평균매출액

전체 42,110 2.4 6.5 46.0 19.7 21.3 4.1 107.1

제조업 34,257 2.1 6.2 43.6 19.6 23.8 4.8 117.9

5~19인 19,545 3.6 10.7 66.0 14.3 5.3 0.1 36.0

20~49인 9,524 - 0.2 20.9 37.2 41.0 0.7 112.5

50~99인 3,258 - - 1.2 10.9 72.6 15.2 316.8

100~299인 1,930 - - - 0.7 43.6 55.6 638.7

자료:� 중소기업청(2014),� 2014년�중소기업�기술통계조사�보고서.

<표� 5>� 전국�제조업�매출액�규모별�분포(단위:%,� 억� 원)

기업체규모 기업체수 5억미만5~10억미만

10~50억미만

50~100억미만

100~500억미만

500억이상

평균매출액

5인미만 2,279 34.5 32.0 30.4 1.5 0.7 0.1 11.9

5~20인미만 4,758 5.1 18.2 65.2 8.6 2.9 0.1 28.0

20~50인미만 1,720 0.4 1.5 45.6 33.6 18.4 0.5 73.0

50~100인미만 411 0.2 -  18.0 21.9 57.2 2.7 157.5

100인이상 222 -  -  15.8 8.1 52.3 23.9 350.9

자료:� 인천경제통상진흥원�내부자료(연구진이�가공함)

� � 주:� 기업체� 규모로� 구분하였을� 경우� 전체� n=9,408이며,� 그중� 5인,미만의� 경우� n=2,297,� 결측=18로�

타나� 5인미만은� 2,279로�관측됨.

<표� 6>� 중소기업�경영안정자금의�기업체�매출액�규모별�지원분포(단위:%,� 억� 원)

20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지원효율화에 대한 정책적 제언

q 기업 규모별 지원분포

m 종사자수 기준 기업규모별로 경영안정자금 지원현황을 분석해 보면 10인 미만 소공인의 경우 4,717건으로 전체의 약 50%의 분포를 보임.

m 10인 이상 50인 미만 소기업은 43%의 분포를 보임.m 전체적으로 50인 미만 소공인과 소기업의 분포가 93%이상임.m 50인 이상 중기업의 비중은 6.7%임.

- 이는 50인 미만 소공인과 소기업의 비중이 89%인 인천시 제조업 기업규모 분포와 거의 일치함.

m 경영안정자금 지원목적상 인천경제통상진흥원에서 규정하는 영세기업은 10인 미만 기업으로 전체 경영안전자금 지원의 50%를 상회함(인천경제통상진흥원 인터뷰 자료).

- 종사자수 10인 미만 영세기업의 경우 담보력이나 신용등급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많아 신용보증재단, 신용보증기금, 기술보증재단 등에서 발급하는 신용보증서를 통해 융자대출 자격을 받게 되며 이런 기업들은 전체의 38%를 차지하고 있음(인천경제통상진흥원 내부자료).

m 영세기업에 대한 지원으로 우대기업 대상으로 명문화 되어 있지는 않지만, 창업 1년 이내 신규창업기업의 경우 최소 추전한도 5,000만 원의 우대지원을 하고 있음.

<그림� 7>� 인천시�중소기업�경영안정자금�지원�기업규모별�현황자료:�인천경제통상진흥원�내부자료(연구진이�가공함)

n=9,436�결측=28

Ⅲ.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운용현황 ❚ 21

q 기업 업력별 지원분포

m 업력이 오래되고 매출액이 높은 중소기업에 정책자금이 주로 지원되고 있음.m 업력 10년 이상인 기업에 경영안정자금의 65.1%가 배분됨.

<그림� 8>� 인천시�경영안정자금�지원기업�기업업력별�현황자료:�인천경제통상진흥원�내부자료(연구진이�가공함)

n=9,436�결측=38

q 기업 업종별 지원분포

m 제조업의 비중이 높은 인천시 산업구조의 특성을 반영하여 경영안정자금 수혜기업도 제조업의 비중이 월등히 높음.

<그림� 9>� 지원기업�업종별�현황자료:�인천경제통상진흥원�내부자료(연구진이�가공함)

22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지원효율화에 대한 정책적 제언

q 중복되어 나타난 기업분포

m 2008년부터 2014년까지 지원한 총 융자대출 건수는 9,436개사 이며, 이중 다른 해에도 반복해서 사업자등록번호로 지원된 건수는 5,144개임.

m 그 중 같은 사업자번호가 2번 나타난 기업은 1,729개, 3번 나타난 기업은 463개, 4번 나타난 기업 68개, 5번 나타난 기업은 5개사임.

m 같은 사업자 등록번호가 2회 이상 나타난 융자대출건수를 제외하면 2008년부터 2014년 사이 신규로 지원받은 기업체의 수는 6,559개 업체임.

  2번 3번 4번 5번 평균

건수 1,729 463 68 5 566

신청금액 4.4 4.2 4.4 4.0 4.3

통보금액 4.0 3.7 3.6 2.4 3.4

금리 6.9 7.1 7.3 7.2 7.1

이차보전율 3.0 3.1 3.2 3.4 3.2

기업규모 21.2 22.8 27.0 15.2 21.6

기업업령 15.5 15.1 15.0 13.6 14.8

매출액 44.1 43.3 34.4 8.7 32.6

자기자본율 39.8 39.0 36.5 39.9 38.8

부채비율 375.4 483.0 248.6 229.8 334.2

자료:�인천경제통상진흥원�내부자료(연구진이�가공함)

<표� 7>� 같은�사업자등록번호가�다른�년도에�반복되어�나타난�경우(단위:� 개사,� 억� 원,�%,� 명,� 년)

q 융자대출 규모별 지원분포

m 앞서 평균 융자대출 규모가 3.7억 원이었던 것과 마찬가지로, 3억 원 이상의 융자대출이 전체의 49.2%정도의 비중을 보임.

- 대부분의 융자대출은 1억 원~3억 원 미만(33.4%)와 3억 원 이상~5억 원 미만(29.5%)에 집중되어 있음(그림 10참조).

m 5억 원~10억 원 미만의 비교적 규모가 큰 대출도 거의 20%의 비중을 보이고 있음.

m 반면 5천만 원 미만(6.2%)과 5천만 원~1억 원 미만(11.3%)의 소규모 융자대출은 비중이 낮은 편임(그림 10참조).

Ⅲ.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운용현황 ❚ 23

<그림� 10>� 융자액�규모별�지원분포자료:�인천경제통상진흥원�내부자료(연구진이�가공함)

n=9,436

m 융자대출액의 규모를 좀 더 동적으로 분석해 보면, 매출액의 규모와 융자대출액의 규모는 정의 비례관계에 있는 것으로 보임. 기업의 매출액 규모에 비례하여 융자대출액도 증가함(표 8참조). 그러나, 융자대출에 대한 실부담금리는 융자금액이 클수록 낮아지는 역현상 발이 발생하고 있음.

m 이러한 현상의 주요 원인은 현재 경영안정자금의 이차보전율은 기업이 은행으로부터 적용받는 융자대출 금리와 관계없이 같은 비율로 적용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됨(그림 11참조).

- 예를 들어 융자대출 규모 1억 원 이상 3억 미만인 경우 평균 6.3%의 금리적용을 받고, 평균 2.9%의 이차보전율 적용을 받음(표 8참조).

- 반면 융자대출 규모가 10억 이상인 경우 평균 4.9%의 금리를 적용받고, 1.7%의 이차보전율을 적용 받음(표 8참조).

- 소규모 대출의 경우 실질부담금리는 3.6%선이며, 10억 원 이상 대규모 융자대출의 경우 실질부담금리는 3.2%로 오히려 더 낮은 이자율 적용을 받게 됨.

24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지원효율화에 대한 정책적 제언

구분 종업원수 기업업력 대출금리 이차�보전율 실부담금리 매출액

0.3억미만(0.8%)

2.8(50)

4.8(61)

5.6(78)

2.8(78)

2.9(78)

2.2(61)

0.3~0.5억미만(5.4%)

5.3(505)

10.1(504)

6.4(504)

3.0(505)

3.4(504)

5.4(505)

0.5~1억미만(11.3%)

8.2(1,065)

12.0(1,064)

6.3(1,064)

2.9(1,065)

3.4(1,064)

11.8(1,065)

1~3억미만(33.4%)

11.9(3,149)

13.7(3,142)

6.3(3,149)

2.9(3,149)

3.4(3,149)

20.5(3,149)

3~5억미만(29.5%)

21.2(2,780)

15.3(2,771)

6.2(2,779)

2.8(2,780)

3.4(2,779)

48.2(2,779)

5~10억미만(19.5%)

37.8(1,842)

17.1(1,840)

6.5(1,840)

2.8(1,842)

3.7(1,840)

109.8(1,842)

10억이상(0.2%)

170.7(17)

32.5(16)

4.9(16)

1.7(17)

3.2(16)

713.3(17)

자료:�인천경제통상진흥원�내부자료(연구진이�가공함)

주� :� 항목별�자료의�유무에�편차가�있으므로�기업체수의�총합은�항목별로�다름.

<표� 8>� 융자액�규모별�지원기업�현황(평균�기준)(단위:� 억� 원,� 명,� 년,�%,� 개사)�

<그림� 11>� 융자액�규모별�지원금리�현황자료:�인천경제통상진흥원�내부자료(연구진이�가공함)

Ⅲ.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운용현황 ❚ 25

m 대규모 융자대출 기업과 소규모 융자대출기업에게 적용되는 실질부담금리 의 차이를 실재 금액으로 환산해 보면 대규모 융자기업들이 경영안전자금을 통해 훨씬 좋은 조건의 지원을 받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음(표 10참조).

m 10억 이상 융자대출을 받은 경우는 2008년~2014년 기간 동안 17건으로 나타남. 그 중 9개 건수의 특성과 대출금리, 보전금리, 실부담금리를 예로 살펴보면 <표 9>과 같음.

- 10억 이상 융자대출의 경우 실부담금리가 1.63%~5.51%로 나타남.

추천구분 특이사항대출액(억�원)

대출금리

보전금리

실부담금리

매출액(억�원)

직원수(명)

기업업력

승인연도

1 우대업체Ⅱ 재해기업 10 7.62 4 3.62 1,319 96 33 2010

2 일반업체 시지정비전기업 10 5.4 3 2.4 1,067 336 22 2012

3 일반업체 시지정비전기업 10 5.3 3 2.3 1,281 329 20 2012

4 일반업체 시지정비전기업 10 7.2 3 4.2 1,528 305 48 2012

5 우수업체 시지정향토기업 20 6.4 1.5 4.9 1,439 46 29 2013

6 우수업체 시지정향토기업 12 4.27 1.5 2.77 1,053 246 28 2013

7 우수업체 시지정향토기업 10 3.13 1.5 1.63 1,520 329 20 2013

8 우수업체 시지정향토기업 20 4.98 1.5 3.48 1,009 104 29 2013

9 우수업체 시지정향토기업 10 7.01 1.5 5.51 1,820 298 26 2014

<표� 9>� 10억� 이상�융자대출기업의�특성(예)�

q 지원구분별 경영안정자금 지원현황

m 일반기업, 우대기업의 구분은 앞서 살펴본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음.- 일반지업지원은 인천지역에 소재하는 일반중소기업- 우수기업지원 대상에는 유망중소기업, 기업인대상 수상기업, 비전기업, 향토

기업 등이 포함- 산업확중지원 대상에는 우리시 전입기업, 중견사다리기업, 신규 산업단지입

주기업, 산업단지 지식산업센터 입주기업 등이 포함m 일반기업과 우대대상의 건당 평균 융자대출 금액, 대출금리, 보전금리, 심부

담금리의 연평균은 <표 10>에 정리된 바와 같음. m 연도별 우대대상과 일반지원대상 융자건수는 <표 11> 괄호안의 숫자와 같이 2009

년부터 우대대상 지원건수의 비중이 차츰 증가하여 2012년에는 전체 지원건수의 46%를 차지하고 있음. 이는 2012년 시작된 비전기업지원의 영향으로 파악됨.

26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지원효율화에 대한 정책적 제언

m 2009년부터 신규고용창출기업이 우대지원대상에 포함되면서 경영안정자금 지원대상 중 우대기업의 비중이 일반기업비중보다 높아 졌으며, 이후에도 절반에 가까운 비중을 유지하고 있음.

m 신규고용창출기업지원의 경우 경영안정자금을 통한 대출 후 고용창출을 약속하는 조건부 융자대출이며, 사후 실사를 통해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였을 시, 지원금을 회수한 경우가 많다고 함(인천경제통상진흥원 인터뷰 자료).

- 융자대출규모, 이차보전율에서의 우대사항 때문에 신규고용창출기업으로 대출을 받은 경우가 급증했다고 함.

- 2014년부터 고용우수인증기업의 도입으로 허수는 사라짐.m 2013년부터 신규고용창출기업지원이 사라지면서 여성기업에 대한 지원이 대

폭 늘어남.m 요약하면 우대대상의 경우 대출액의 규모가 일반지원대상 보다 월등히 높으며 실

부담 금리 또한 일반기업보다 0.5%~1%정도 낮게 나타나고 있음(그림 12 참조).

구분 매출액 대출액 직원수 기업업력 대출금리 보전금리 실부담금리

2008우대

우리시전입기업21.3(11)

3.9(14)

16.9(14)

13.1(14)

8.0(11)

2.9(14)

5.1(11)

개성공단입주기업79.6(5)

6.5(8)

57.3(8)

21.6(8)

8.1(5)

4.5(8)

3.6(5)

시지정유망중소기업 79.5(61)

5.9(67)

43.6(67)

13.5(67)

7.8(61)

4.3(67)

3.5(61)

장애인기업 11.2(16)

2.6(17)

6.9(17)

12.8(17)

7.9(16)

4.5(17)

3.4(16)

재해기업 93.1(7)

5.5(7)

38.2(7)

22.9(7)

8.1(7)

4.4(7)

3.6(7)

중소기업인대상 65.3(3)

5.9(3)

41.0(3)

17.0(3)

7.3(3)

4.5(3)

2.8(3)

일반49.6(898)

4.5(898)

24.2(898)

17.4(898)

7.9(898)

2.9(898)

5.0(898)

2009우대

여성기업19.8(88)

3.1(88)

14.7(88)

14.5(88)

6.8(88)

3.5(88)

3.3(88)

개성공단입주기업 72.3(3)

7.7(3)

46.3(3)

16.3(3)

8.5(3)

4.0(3)

4.5(3)

시지정유망중소기업 124.8(14)

5.5(14)

63.0(14)

13.9(14)

6.3(14)

4.0(14)

2.3(14)

장애인기업 14.9(21)

3.4(21)

9.6(21)

14.2(21)

7.2(21)

4.0(21)

3.2(21)

재해기업 5.5(1)

1.8(1)

3.0(1)

14.0(1)

6.5(1)

4.0(1)

2.5(1)

중소기업인대상121.2(5)

6.5(5)

64.1(5)

12.0(5)

6.6(5)

4.0(5)

2.6(5)

우리시전입기업30.4(12)

5.5(12)

20.8(12)

12.2(12)

6.4(12)

3.0(12)

3.4(12)

신규고용창출 83.0(276)

6.0(276)

29.5(276)

17.7(276)

6.7(276)

3.0(276)

3.7(276)

일반 기타일반기업 62.4(998)

3.5(998)

38.7(998)

15.6(998)

6.6(998)

3.0(998)

3.6(998)

<표� 10>� 경영안정자금�우대/일반�구분별�지원분포(단위:� 억� 원,� 명,� 년,�%,� 개사)�

Ⅲ.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운용현황 ❚ 27

구분 매출액 대출액 직원수 기업업력 대출금리 보전금리 실부담금리

2010우대

여성기업20.8(78)

2.9(78)

12.6(78)

10.8(78)

6.8(78)

3.5(78)

3.3(78)

개성공단입주기업 139.4(3)

2.8(3)

93.8(3)

19.5(3)

7.3(3)

4.0(3)

3.3(3)

시시정유망중소기업 77.8(25)

5.4(25)

45.0(25)

16.3(25)

6.9(25)

4.0(25)

2.9(25)

장애인기업 30.8(12)

4.2(12)

8.4(12)

15.5(12)

6.4(12)

4.0(12)

2.4(12)

재해기업 44.1(53)

2.6(53)

18.6(53)

13.8(53)

6.7(53)

4.0(53)

2.7(53)

중소기업인대상256.9

(4)7.0(4)

84.5(4)

19.5(4)

6.4(4)

4.0(4)

2.4(4)

우리시전입기업61.7(6)

4.5(6)

26.0(6)

8.2(6)

6.2(6)

3.0(6)

3.2(6)

신규고용창출 65.5(345)

4.4(345)

45.6(345)

18.0(345)

7.0(345)

3.0(345)

4.0(345)

일반 기타일반기업 29.2(810)

1.9(810)

35.0(810)

14.0(810)

6.7(810)

3.0(810)

3.7(810)

2011우대

여성기업 24.9(124)

3.0(124)

17.0(124)

11.9(124)

6.8(124)

3.5(124)

3.3(124)

시지정유망중소기업 74.3(15)

3.4(15)

36.9(15)

13.4(15)

6.4(15)

4.0(15)

2.4(15)

장애인기업27.5(24)

2.5(24)

13.8(24)

9.8(24)

7.0(24)

4.0(24)

3.0(24)

재해기업233.6

(2)4.5(2)

79.0(2)

12.5(2)

5.8(2)

4.0(2)

1.8(2)

중소기업인대상 49.9(2)

5.0(2)

30.0(2)

11.5(2)

6.1(2)

4.0(2)

2.1(2)

우리시전입기업 69.6(10)

6.4(10)

23.4(10)

10.1(10)

6.0(10)

3.0(10)

3.0(10)

신규고용창출 63.4(458)

4.8(458)

28.6(458)

14.9(458)

6.4(458)

3.0(458)

3.4(458)

일반 기타일반기업 28.6(1,101)

2.1(1,101)

43.4(1,101)

13.9(1,101)

6.5(1,101)

3.0(1,101)

3.5(1,101)

2012우대

여성기업40.9(80)

4.1(80)

17.9(80)

11.1(80)

6.4(80)

3.5(80)

2.9(80)

시지정유망중소기업58.1(12)

5.9(12)

19.6(12)

12.7(12)

6.2(12)

4.0(12)

2.2(12)

장애인기업 26.8(19)

4.7(19)

15.5(19)

13.2(19)

6.8(19)

4.0(19)

2.8(19)

재해기업 21.6(1)

0.9(1)

26.0(1)

13.0(1)

9.0(1)

4.0(1)

5.0(1)

중소기업인대상 141.5(2)

10.0(2)

56.0(2)

15.0(2)

5.5(2)

4.0(2)

1.5(2)

우리시전입기업 50.2(6)

6.1(6)

15.4(6)

12.3(6)

6.5(6)

3.0(6)

3.5(6)

시지정비전기업157.7(250)

8.4(250)

52.7(250)

18.3(250)

6.1(250)

3.0(250)

3.1(250)

시지정유망중소기업14.8(1)

4.9(1)

11.0(1)

11.0(1)

10.6(1)

3.0(1)

7.6(1)

신규고용창출 74.2(260)

5.9(260)

25.0(260)

13.3(260)

6.6(260)

3.0(260)

3.6(260)

일반 기타일반기업 24.2(630)

2.2(630)

27.1(630)

11.2(630)

6.7(630)

3.0(630)

3.7(630)

2013 우대

여성기업 24.0(117)

2.9(117)

12.5(117)

10.8(117)

5.4(117)

3.5(117)

1.9(117)

장애인기업 14.5(27)

2.3(27)

7.6(27)

12.9(27)

5.7(27)

4.0(27)

1.7(27)

시지정비전기업257.6(235)

7.4(235)

43.4(235)

15.9(235)

4.8(235)

1.5(235)

3.3(235)

시지정향토기업842.3(12)

16.7(12)

192.3(12)

31.5(11)

4.3(11)

1.5(12)

2.8(11)

(사)함께하는인천사람들추천업체

- 0.2(17)

1.0(17)  

4.6(17)

2.5(17)

2.1(17)

FTA인증수출업체 6.9(1)

2.0(1)

12.0(1)

21.0(1)

5.2(1)

2.5(1)

2.7(1)

우리시전입기업 52.9(16)

6.7(16)

15.0(16)

7.8(16)

6.5(16)

2.5(16)

4.0(16)

28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지원효율화에 대한 정책적 제언

주1� :� ()는�기업수를�나타냄.주2:� 2013년부터의�일반기업은�대출�회차에�따라�일반1,2,3으로�구분됨.주3:� 2013년� 일반기업1의� 기업수는� 663개이나� 항목별� 분석과정에서� 결측치가� 제외되어� 646개로� 적용되

어� <표� 1>의�융자업체수� 1,477과�차이가�남.�따라서�본�분석의� 2013년�기업수는� 1,460으로�적용됨.주4:� <표� 10>은�각항목의�평균을�기준으로�함.자료:�인천시경제통상진흥원�내부자료� (연구진이�가공함)�

구분 매출액�평균 대출액�평균 실부담금리�평균

2008우대 61.4(80.0) 5.6(80.0) 3.8(80.0)

일반 49.6(898) 4.5(898) 5.0(898)

2009우대 86.34� (310) 6.24(310) 3.3(310)

일반 62.4(998) 3.5(998) 3.6(998)

2010우대 120.3(383) 4.8(383) 3.2(383)

일반 29.2(810) 1.9(810) 3.7(810)

2011우대 64.3(485) 4.9(485) 2.7(485)

일반 28.6(1,101) 2.1(1,101) 3.5(1,101)

2012우대 82.8(531) 6.9(531) 3.6(531)

일반 24.2(630) 2.2(630) 3.7(630)

2013우대 259.9(281) 6.0(298) 2.9(297)

일반 36.8(1,035) 2.8(1,035) 3.4(1,035)

2014우대 213.9(259) 5.1(259) 2.5(257)

일반 44.0(828) 2.9(828) 3.1(825)

자료:�인천시경제통상진흥원�내부자료� (연구진이�가공함)�주� :� 우대기업은�취약우대기업(여성기업,� 장애인기업,� 재해기업)을� 제외한�나머지�기업으로만�

적용하였음

<표� 11>� 지원구분에�경영안정자금�운영현황단위:� 억�원,� 개사)

구분 매출액 대출액 직원수 기업업력 대출금리 보전금리 실부담금리

시지정유망중소기업139.8(17)

2.9(17)

32.2(17)

18.4(17)

4.8(17)

2.5(17)

2.3(17)

일반1 28.9(612)

2.2(612)

18.6(612)

10.2(612)

5.4(612)

2.5(612)

2.9(612)

일반2 37.9(340)

3.0(340)

16.1(340)

15.1(340)

5.2(340)

2.0(340)

3.2(340)

일반3 43.5(83)

3.2(83)

15.5(83)

17.2(83)

5.5(83)

1.5(83)

4.0(83)

2014

우대

여성기업 30.0(98)

3.0(98)

11.8(98)

10.2(98)

5.6(98)

3.5(98)

2.1(98)

장애인기업14.8(21)

2.6(21)

7.7(21)

11.0(21)

5.0(21)

4.0(21)

1.0(21)

시지정비전기업142.8(197)

6.6(197)

37.1(197)

13.2(195)

4.7(195)

1.5(197)

3.2(195)

시지정향토기업 657.4(8)

14.9(8)

154.1(8)

38.6(8)

5.0(8)

1.5(8)

3.5(8)

(사)함께하는인천사람들추천업체

-(28)

0.2(28)  

-(28)

4.6(28)

2.5(28)

2.1(28)

우리시전입기업 31.4(14)

7.2(14)

13.6(14)

10.9(14)

5.2(14)

2.5(14)

2.7(14)

고용우수인증기업 278.7(1)

1.0(1)

30.0(1)

12.0(1)

4.9(1)

2.5(1)

2.4(1)

시지정유망중소기업64.3(10)

2.6(10)

10.9(10)

7.5(10)

4.5(10)

2.5(10)

2.0(10)

중소기업인대상108.8

(1)3.0(1)

26.0(1)

18.0(1)

3.9(1)

2.5(1)

1.4(1)

일반1 49.7(486)

2.4(486)

17.8(486)

8.9(471)

5.5(483)

2.5(486)

3.0(483)

일반2 33.7(283)

2.9(283)

12.8(283)

14.9(281)

4.9(283)

2.0(283)

2.9(283)

일반3 48.6(59)

3.4(59)

21.9(59)

17.7(59)

4.9(59)

1.5(59)

3.4(59)

Ⅲ.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운용현황 ❚ 29

<그림� 12>� 연도별�지원기업�대출액�현황자료:�인천시경제통상진흥원�내부자료� (연구진이�가공함)

q 담보 종류별 지원분포

m 담보별 지원분포를 보면 <표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부동산 또는 개인신용(시중 금융기관 등으로부터 부여 받은 신용등급) 등의 자격으로 경영안정자금 지원을 받은 건수가 63%에 이름.

m 부동산 담보력이나 CEO개인의 신용이 우수한 기업들은 시중 금융기관에서도 비교적 낮은 금리로 융자대출이 가능한 기업으로 볼 수 있음.

m 담보와 신용 등이 경영안정자금 지원요건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시중은행협력자금이 지니는 한계점이라 할 수 있겠음.

- 융자대출의 주체는 결국 시중은행이므로, 경영안정자금 자격심사시 은행의 대출조건 심사기준이 반영되는 것을 배재할 수는 없을 것임.

구분 분포

부동산 3,044(32.3%)

부동산+기타 24(0.3%)

부동산+신용보증서 8(0.1%)

신용보증서 3,452(36.6%)

신용보증서+기타 53(0.6%)

기타 2,836(30.1%)

결측 19(0.2%)

합계 9,436(100%)

자료:�인천시경제통상진흥원�내부자료� (연구진이�가공함)�

주:�기타는�금융기관으로부터�부여받은�개인신용등급과�기계�등�부동산�외�대물담보를�포함함

<표� 12>� 지원기업의�담보별�분포

30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지원효율화에 대한 정책적 제언

IV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타시도 사례

1. 서울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운용현황

1) 서울시의 중소기업육성기금 현황

q 중소기업 지원의 종류

m 서울시는 1조원 규모의 중소기업육성자금을 운용 중m 중소기업육성자금은 2,000억 규모의 중소기업육성기금과 8,000억 규모의 시

중은행협력자금으로 구분됨.m 이 중 시중은행협력자금이 인천시의 경영안정자금과 같은 성격인 운전자금

지원 프로그램으로 운용 됨.m 중소기업육성기금와 시중은행협력자금 모두 서울신용보증재단에서 운용 중

q 시중은행협력자금

m 시중은행협력자금이 인천시의 경영안정자금과 같은 운전자금 지원 프로그램임.m 서울시의 시중은행협력자금은 일반지원과 특별자금지원으로 구분m 일반지원의 전체 지원규모는 7,950억으로 시중은행협력자금의 대부분을 차

지하며, 이는 다시 경제활성화 자금, 창업기업 자금, 일자리창출 우수기업 지원 등으로 세분화 됨.

m 일반지원의 전체 지원규모는 7,950억으로 시중은행협력자금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이는 다시 경제활성화 자금, 창업기업 자금, 일자리창출 우수기업 지원 등으로 세분화 됨.

m 특별자금지원의 규모는 50억 원으로 사회적 기업, 여성고용우수 기업, 서부이촌동 영세상가 지원 등의 세부 프로그램으로 운용

Ⅳ.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타시도 사례 ❚ 31

- 특별자금의 50억 원은 세 가지 프로그램에 대한 별도의 한도액 없이 활용- 현재 특별자금의 이차보전율은 일반지원보다 조금 높은 2.0~2.5%선이며, 5

억 원 이내로 은행융자를 받을 수 있고, 1년 거치 후 4년 균등분할 상환이 가능함.

- 특별자금의 시중은행융자의 금리는 1.15~3.15% 사이에서 변동금리로 적용

2) 서울시 시중은행협력자금의 운용방식

q 시중은행협력자금 프로그램

m 경제활성화 자금- 일반지원 세부 프로그램인 경제활성화 자금은 서울시 소재 중소기업 및 소

상공인을 대상으로 함(유흥업소 등 제외기업은 제외. 자세한 내용은 아래 각주와 <표 13> 참조)6).

- 경제활성화 자금은 6,850억의 규모로 운용되며 시중은행협력자금 중 가장 큰 규모의 자금임.

- 경제활성화 자금지원을 받는 시중은행융자의 금리는 2.15~4.15% 사이에서 변동금리로 적용7)

- 금리 수준은 은행 융자신청 시 물적 담도와 서울시 신용보증재단에서 발급하는 신용보증의 비중에 따라 차별적으로 적용됨(표13 참조).

- 1.0~1.5%의 은행융자 금리를 보전해주며, 5억 원 이내 융자의 경우 1년 거치 2~4년 균등분할 상환 및 2년 만기 일시 상환 가능

6) 제외기업의 범위:- 금융기관의 신용정보관리규약에 의한 신용정보에 따라 금융기관으로부터 규제를 받고 있

는 자- 금융기관 여신운용 규정상의 계열기업군에 속하는 자- 휴업 또는 폐업중인 자 (다만 기존 재래시장, 공장 및 관광호텔, 수상관광호텔, 한국전통

호텔, 가족호텔 및 서울특별시에서 시행하는 관광숙박 단지화 사업에 참여하는 숙박시설 등을 재개발, 재건축, 증/개축 또는 개/보수하기 위하여 휴얼 또는 폐업 중인 자는 제외)

- 이미 융자받은 자금을 융자받은 목적 외의 용도로 사용한 자7) 시중은행협력자금의 금리는 서울시, 시중은행, 기업체 등 3자간 간담회를 통해 매년 새

로운 금리가 정해지며, 서울시의 자금지원 없이 받는 일반 은행융자보다 낮게 지정됨. 이에 대해서는 본 보고서의 나중 부분에서 다시 다루기로 함.

32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지원효율화에 대한 정책적 제언

m 창업기업 자금- 일반지원 세부 프로그램이며 1,000억 원의 규모로 운용 중임.- 소상공인지원센터 등 창업교육 및 컨설팅을 받고 창업 후 6개월 이내인 기업 - 또는 1인 창조기업, 청장년 보육기업 및 보육원 졸업 후 2년 이내 기업들을

대상으로 하며 5천만 원 이내 지원m 일자리창출 우수기업

- 일반지원 세부 프로그램이며 100억 원 자금규모로 운용 중- 지원대상은 일자리창출 우수기업 인증 선정 기업 또는 전년도 대비 상시종업

원 수 증가기업, 여성가장, 한부모 가정을 3개월 이상 고용한 기업 등 임.- 5억 원 이내 융자가능(1억 원 이내 융자는 매출액 심사 제외)

구분지원규모

금리 지원대상�및�상환조건비고

일반지원

소계 7,950

2.15~

4.15

이차보전(1.0~1.5%),� 5억� 원� 이내1년거치� 2~4년�균등분할�및� 2년만기�일시

변동금리

경제활성화자금

6,850서울시�소재�중소기업�및�소상공인(유흥업소�등� 제외기업은�제외)

창업기업�자금

1,000

소상공인지원센터�등� 창업교육�및� 컨설팅을받고,� 창업�후� 6개월�이내1인창조,� 청·장년� 보육기업�및졸업� 2년이�내� 기업5천만�원�이내(창업�후� 5천만�원�이내�추가가능)

일자리창출�우수기업

100

일자리창출�우수기업�인증」선정�기업,전년도대비�상시종업원수�증가�기업,여성가장,�한부모�가정을� 3개월�이상�고용기업�등5억� 원� 이내� (1억� 원� 이하는�매출액심사�제외)보증�혜택

<표� 13>� 서울시�시중은행협력자금�일반지원�대상�및� 조건

자료� :� 서울신용보증재단

q 특별자금지원

m 특별자금지원은 전체 규모 50억 원으로 운용 중이며, 1.15~3.15%의 금리 적용을 받으며, 5억 원 이내 1년 거치 3년 균등분할의 조건임.

m 사회적 기업- 고용노동부 또는 서울시 인증 사회적 기업에 대한 지원

m 여성고용우수 기업- 산업업종별 여성근로자 고용비율 기준 이상인 기업

Ⅳ.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타시도 사례 ❚ 33

- 서울시 가족친화경영 컨설팅 참여 우수기업- 가족친화 인증기업(여성가족부)

m 서부이촌동 영세상가 지원금- 용산 국제업무지구 내 상사영업자로 시에서 피해자로 지정한 업체들

구분지원규모

금리 지원대상�및�상환조건비고

특별자금지원

소계 50

1.15~3.15

이차보전(2.0~2.5%),� 5억�원�이내

1년거치� 4년�균등분할�상환

변동금리

사회적기업

50

고용노동부�또는� 서울시�인증� 사회적�기업

여성고용우수기업

산업업종별�여성근로자�고용비율�기준

이상인�기업,� 서울시�가족친화경영�컨설팅

참여�우수기업,� 가족친화�인증기업

(여성가족부)

5억� 원� 이내

서부이촌동영세상가

용산국제업무지구�내�상가영업자

<표� 14>� 서울시�시중은행협력자금�특별지원�대상�및� 조건

자료� :� 서울신용보증재단

q 서울시 운전자금 지원건수 및 건당 평균 융자금액

m 서울시 운전자금의 지원건수는 평균 36,000건을 상회함(<표 15>의 ‘건수’항목 참조).

m 인천시 경영안정화자금 규모 7,000억 원 보다 1,000억 원 많은 8,000억 원 규모이지만 인천시에서 2008년부터 2014년 6년 동안 지원해 온 융자대출건수인 10,500건 보다 3배 많은 건수를 2년 동안 지원한 것임.

m 서울시의 경우 융자대출 건당 평균 3,000만 원을 하회하는 소액 대출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임(<표 15>의 ‘평균융자금액’ 항목 참조).

34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지원효율화에 대한 정책적 제언

시중은행협력자금(경영안정자금) 계획 건수 추천금액 추천율

평균융자금액

2

0

1

3

합계 9,500 37,460 10,723 112.9 0.3

일반자금지원

소계 9,427 37,361 10,665 113.1 0.3

경제활성화�자금

8,127 32,124 9,220 113.5 0.3

창업기금자금 1,000 5,008 1,119 111.9 0.2

일자리창출우수기업

300 229 326 108.7 1.3

특별자금지원

소계 73 99 58 79.7 0.7

사회적기업 3 6 3 95.0 0.5

여성고용우수기업

20 9 16 81.5 2.2

국제업무지구영세상가

20 78 19 95.3 0.3

개성공단�입주기업

30 6 20 66.7 5.0

서울형마이크로크레딧

100 414 88 87.8 0.2

2

0

1

4

합계 9,000 36,394 9,976 110.9 0.2

일반자금지원

소계 8,930 36,348 9,947 111.4 0.2

경제활성화�자금

7,630 30,342 8,554 112.1 0.3

창업기업�자금

1,200 5,909 1,302 108.5 0.2

일자리창출우수기업

100 97 91 91.4 1.0

특별자금지원

소계 70 46 29 41.5 1.5

사회적기업 10 13 4 44.0 0.8

여성고용우수기업

20 14 20 100.0 1.4

서부이촌동�영세상가

20 19 5 23.2 1.1

개성공단�입주기업

20 0 0 0 -

서울형마이크로크레딧

100 367 79 79.3 0.3

자료:�서울신용보증재단�내부자료

주� :� 서울형�마이크로크레딧�특별자금은�별도계획으로�지원되는바,�전체�실적에�포함시키지�않음.�

<표� 15>� 운전자금�지원건수�및� 건당�평균�융자금액�(단위:� 억�원)

2) 인천과 운용방식 상의 차이점

q 대출은행 금리협약

m 서울시에서 운용하는 시중은행 협력자금은 인천의 경영안정화 자금과 마찬가지로 시중은행의 대출금리를 시에서 일부 보전하므로 업체들이 시중금리보다 저렴하게 대출받을 수 있음.

m 인천시의 경영안정자금과의 차이점은 서울시의 경우 2009년부터 매년 서울

Ⅳ.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타시도 사례 ❚ 35

시-협력은행-기업체간 간담회를 열고 대출은행과 최대금리를 시중금리 보다 낮추는 협약을 시행해 오고 있다는 점

q 대출금리의 차등적용

m 담보 여부에 따른 차등 상한금리 적용- 서울시는 융자시 부동산 담보와 신용보증서의 비중에 따라 대출금리를 차등

화 하여 적용(표 16참조)m 금액별 차등화 된 이차보전율

- 5천만 원 이하 규모의 융자를 받는 기업의 경우 1.5%의 이차보전율을 적용하고, 5천만 원 초과 기업에게는 1%의 이차보전율을 적용하여 보다 영세한 기업을 더 지원해 주는 방식 채택(표 17참조)

구분 기준금리 가산금리

신용보증서

100%

CD

2.0%

90%이상 2.3%

85% 2.5%

85%미만 3.0%

부동산�등�담보 2.5%

전액�신용 3.5%

<표� 16>� 서울시�대출금리의�차등적용�기준�

자료� :� 서울신용보증재단

금액구간 보전이율

5천만�원�이하 1.5%

5천만�원�초과 1%

<표� 17>� 서울시�융자대출�금액별�차등화된�이차보전율

� 자료� :� 서울신용보증재단

m 이차보전율 계산 예: 100% 신용보증서로 5천만 원 이하를 대출 받을 경우

자료� :� 서울신용보증재단

금리(CD� 91일물)� (A) 가산금리� (B) 이차보전이율� (C) 고객부담금리� (D=A+B-C)

2.12% 2.0% 1.5% 2.62%

<표� 18>� 이차보전율�계산�예

36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지원효율화에 대한 정책적 제언

q 상시지원

m 특정기간 동안 자금이 소진되기 전까지 지원하도록 하고 있는 인천시와는 달리 상시로 지원을 받고 있음.

m 지원 후 심사에 걸리는 기간은 1달 정도

q 보증업무와 이차지원업무에 대한 동시 처리

m 서울보증재단에서 사업을 운용하므로 담보가 없는 영세기업에 대해서는 신용보증 업무까지 함께 처리

q 융자금액의 규모

m 경제활성화자금의 경우 2014년 기준 총 30,342개 기업에 대해 8,554억 원을 추천하였음.

m 은행에서 결정된 최종 융자금액은 추천금액과 차이가 있겠지만, 추천금액을 기준으로 계산하면 한 기업체당 배정된 융자금액의 평균규모는 3,000만 원을 넘지 않음.

m 이는 인천시의 업체당 평균 융자금액이 매년 3억 원을 상회하는 것과는 매우 대조를 이룸.

구분지원규모

금리 지원대상�및� 상환조건 비고

시설자금

일반시설비 1000 3.5구조조정사업,� 입지지원사업,� 유통구조개선사업,� 시장재개발사업� 등� 100억� 원� 이내,� 3(5년)거치� 5(10)년�균분상환

준고정성변동금리

기술형창업기업자금

기술형�창업기업지원

500 3.5설립후� 3년�이내의�기술형�창업기업1년거치2(3,4)년� 균분상환� 또는� 2년� 만기�일시상환

준고정성변동금리

재해영세자금

재해중소기업지원

200 3.0수해�등�재해피해�중소기업2억� 원� 이내.� 1년거치� 4년�균분상환

준고정성변동금리

영세자영업지원 300 3.0생계형�영세업자�및� 여성기업�등5천만�원�이내.� 1년거치� 4년� 균분상환

준고정성변동금리

<표� 19>� 서울시�자금성격에�따른�융자금액의�규모

자료� :� 서울신용보증재단

Ⅳ.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타시도 사례 ❚ 37

2. 경기도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운용현황

1) 경기도 중소기업 지원사업 개괄

q 중소기업 지원 자금의 원천

m 기금과 시중은행협력자금의 구분 없는 활용- 인천과 서울시는 소모성자금인 경영안정화 자금(운전자금)은 시중은행 협력

자금을 중심으로 운용하고 목적이 분명한 시설자금은 시의 기금으로 분리해서 운용하는 반면, 경기도는 시설자금과 운전자금 모두 기금과 시중은행 협력자금을 동시에 활용하고 있음.

- 현재 운전자금으로 배정된 1조 5천 억 중 2,500억은 기금이며, 창업 및 경쟁력 강화자금으로 배정된 9,000억 중 기금은 1,500억으로 나머지 금액은 시중은행 협력자금으로 운용됨.

- 중소기업의 입장에서는 기금이나 시중은행 협력자금 중 지원받기에 편리하거니 금리 등이 유리한 쪽으로 선택해서 지원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음.

q 경기도 중소기업 지원의 종류

m 경기도 중소기업 지원은 크게 운전자금과 창업 및 경쟁력 강화자금으로 구분됨.

m 운전자금은 일반기업, 신기술기업, 벤처창업기업, 여성창업기업 지원 프로그램을 합해 6,000억 원의 지원규모로 운용 중

- 소상공인 지원 프로그램은 950억 원 규모로 운용- 사회경제적기업은 50억 원 규모로 지원됨.- 특별경영자금은 MERS, 세월호 사건 등으로 심각한 영향을 받은 취약계

층기업 지원을 위해 마련된 자금으로 심사 시 매출액 기준을 완화하고 다른 지원금과 중복지원이 가능함.

m 창업 및 경쟁력강화자금은 인천시의 기금과 같은 성격으로 지원되는 프로그램으로 세부 프로그램들은 운전자금 프로그램들과 마찬가지로 일반기업, 신기술기업, 벤처창업기업, 여성창업기업으로 나뉘며, 지식산업센터 벤처집적시설 건립사업이 추가적으로 포함됨. 이 자금은 대부분 시설자금의 성격으로 본 연구의 범위에서 제외됨.

38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지원효율화에 대한 정책적 제언

구분지원규모

자금별지원한도

상환기간

총계 15,000

운전자금

합계 6,000

일반기업

4,400

인건비,� 원부자재,� 물품구입비�등※ 이공계대학생�및� 창업보육센터입주기업�창업자금(지원한도�5천만�원,�신기술기업에�한함)

53년(1년거치)

신기술기업

벤처창업기업

여성창업기업

소상공인지원 950 창업·경영개선,� 점포임차 1 4년(1년거치)사회적경제기업 50 운전자금 1

특별경영자금 600 ※ 별도계획�수립

창업및경쟁력강화자금

합계 9,000

일반기업

9,000

공장(센터및집적시설)임차비,�연구개발비 5 3년(1년거치)기숙사매입·임차비 2

신기술기업

시설설비구입비(부대비용)� 및건축비(공장,창고,기숙사,복지시설),공장매입비

30 8년(3년거치)

지식산업센터�등�입주비용 5

벤처창업기업 유통시설개선사업비(일반기업지원에�한함)

0.2~303년,�8년,�15년여성창업기업

지식산업센터벤처집적시설건립사업

지식산업센터�건립사업 300 8년(3년거치)벤처집적시설�건립사업 150

<표� 20>� 경기도�중소기업�지원체계(단위:�억원)

자료� :� 경기신용보증재단

q 경기도 운전자금 지원건수 및 지원현황

m 경기도는 6,000억의 운전자금으로 연평균 3,500건 정도의 융자대출을 지원함(표 21참조).

- 이는 인천의 7,000억 자금보다 1,000억 적은 자금으로 연간 2배 정도의 융자대출건수를 지원한 것임.

m 경기도 역시 제조업 기업에 대한 지원비중이 높음(그림 13참조).m 기업규모별로는 소상공인 39.9%, 소기업 48.7%, 중기업 11.4%의 분포를 보

임(그림 13참조).m 매출규모별로는 매출액 10억 이하 기업 17.6%, 10억~30억 이하 36.%,

30~50억 이하 15.6%, 100억 이하 17.3%, 그리고 100억 초과는 12.8%의 분포를 보임(그림 13참조).

m 경기도의 경우 운전자금의 목적적 구분은 일반기업, 신기술, 벤처기업, 여성창업기업, 소상공인, 사회경제적 기업, 특별경영자금 등 7개로 목적별 구분이 일반기업, 우수기업, 산업확충지원 등 3개로 구분된 인천에 비해 다양함(표 22참조).

Ⅳ.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타시도 사례 ❚ 39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6월말

3,355 3,395 4,415 3,392

자료� :� 경기신용보증재단�내부자료

<표� 21>� 경기도�운전자금�지원건수(단위� :� 건)

<그림� 13>� 지원받은�기업들의�평균�데이터자료� :� 경기신용보증재단�내부자료주� :� 2014년�경기도�중소기업육성자금�지원업체�통계(소상공인�제외)� �

일반기업 신기술 벤처창업 여성창업 소상공인 사회적경제 특별경영 계

2,720 71 86 93 1,929 34 130 5,063

자료� :� 경기신용보증재단�내부자료

<표� 22>�경기도�일반,�신기술,�벤처,�여성,�소상공인,�사회적경제,�특별경영(2014년기준)�(단위� :� 건)

40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지원효율화에 대한 정책적 제언

2) 경기도 운전자금의 운용방식

q 이차보전율 차등화

m 경기도에서는 융자대출에 대한 은행금리에 따라 이차보전율을 차등화하고 있으며 금리구간별 이자지원율은 <표 23>과 같음.

m 은행에서 적용하는 융자대출금리가 낮을수록 낮은 이자지원율 적용m 이는 신용도가 우량한 기업일수록 은행에서 저금리로 융자조달이 가능하고

신용도가 낮은 기업일수록 고금리 적용을 받게 되는 현실을 고려하여 도의 동일한 도자금을 이용하는 유량기업과 저신용기업 간 금리차가 크게 발생하기 않도록 하는 취지임.

은�행� 금� 리 이자지원율 은�행� 금� 리 이자지원율

1.51%� ~� 2.00% 0.4% 5.01%� ~� 5.25% 1.2%

2.01%� ~� 2.50% 0.5% 5.26%� ~� 5.50% 1.3%

2.51%� ~� 3.00% 0.6% 5.51%� ~� 5.75% 1.4%

3.01%� ~� 3.50% 0.7% 5.76%� ~� 6.00% 1.5%

3.51%� ~� 4.00% 0.8% 6.01%� ~� 6.25% 1.6%

4.01%� ~� 4.33% 0.9% 6.26%� ~� 6.50% 1.7%

4.34%� ~� 4.66% 1.0% 6.51%� ~� 6.75% 1.8%

4.67%� ~� 5.00% 1.1% 6.76%� ~� 7.00% 1.9%

자료� :� 경기신용보증재단

<표� 23>� 융자대출�은행적용�금리구간별�이자지원율

q 이자지원 상한율

m 대출금액별 이자지원 상한율을 두어 큰 금액의 융자대출일 이자지원율이 낮아짐.

대�출� 금� 액 이자지원�상한율

2억� 원� 이하 2.0%

10억� 원� 이하 1.5%

10억� 원� 초과 1.0%

자료� :� 경기신용보증재단

<표� 24>�융자대출규모별�이자지원�상한율

Ⅳ.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타시도 사례 ❚ 41

3. 인천시 경영안정자금 운용방식과 타지역사례 비교정리

q 대출건수

m 인천시의 연도별 평균 대출건수는 서울시와 경기도에 비해 현저하게 낮음(표 25참조).

m 인천시의 경영안정자금의 규모다 두 비교대상보다 작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가장 큰 이유는 융자대출 건당 평균금액이 서울시나 경기도 보다 높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됨.

q 경영안정자금 융자대출 건당 평균금액

m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융자대출건당 평균금액을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음.- 인천시: 평균 3억 5천만 원 이상- 서울시: 평균 3,000만 원 이하- 경기도: 소상공인의 경우 2,000~3,000만 원, 그 외 운전자금의 규모는 2~3

억 원 규모임.m 인천시는 서울시과 경기도에 비해 작은 수의 기업에 큰 규모의 융자대출이

집중하는 정도가 큰 것으로 해석됨.

q 금리

m 인천 경영안정자금을 통한 융자대출시 금리는 시중은행의 여타 대출과 같은 정도의 금리가 적용됨.

m 서울시와 경기도의 경우, 시정부-기업체 대표-은행 3자간 간담회를 통해 시중금리 보다 낮은 ‘협약금리’를 설정해 놓고 있어서, 이차보전예산이 지나치게 금융권의 혜택으로 돌아가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고 있음.

q 이차보전율

m 인천시 경영안정자금에서 적용하는 이차보전율은 다른 지자체에 비해 높게 책정되어 있음(표 25참조).

m 인천의 경우 융자대출에 대한 은행금리와는 관계없이 비슷한 정도의 이차보전율을 적용하고 있음.

42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지원효율화에 대한 정책적 제언

m 서울의 경우 큰 규모의 자금을 대출할 수 있을 정도의 담보력이나 신용도가 있는 기업의 경우 낮은 이차보전율 적용

- 융자대출 규모를 기준으로 이차보전율 차등지원m 경기도의 경우 신용도가 우량해서 저금리로 은행융자를 조달할 수 있는 기

업에게는 낮은 이차보전율, 저신용기업에게는 높은 이차보전율을 적용- 동일한 도자금을 이용하는 우량기업과 저신용기업 간 실금리 차이가 크게

발생하지 않도록 정책적 목적으로 운용 중

항목 인천시� 서울시 경기도

경영안정자금규모

7,000억�원 8,000억�원 6,000억�원

연간�평균지원�건수

1,200�여건 30,000�여건 3,500�여건

융자대출건당�평균�융자액

3.5억�원 3,000만�원�이하 3억�원�이하

자금�목적별�구분일반지원+15개�

우대지원모두�7개�구분 모두�7개�구분

금리 시중은행�금리시중보다�낮은�협약금리

시중보다�낮은�협약�금리

이차보전율�적용�방식

일반기업과�우대지원기업으로�나누어�일과적용

융자금액에�따라�차등지원

은행�이자금리에�따라�차등지원

자금�신청�접수방법

1년� 4분기�정해진�기간

상시�접수 상시�접수

<표� 25>� 인천시�경영안전자금�운용방식과�타� 지역�사례�비교정리

<그림� 14>� 이차보전�자금�지원�규모�및� 지원율자료:�서울신용보증재단�내부자료

Ⅴ.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운용상 문제점 분석❚ 43

V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운용상 문제점 분석

1. 자금의 배분

1) 타 지역에 비해 규모가 큰 융자대출 한도액

m 앞의 인천 경영안정자금 운용현황 분석과 타 지역 사례분석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인천시의 건당 평균융자대출 규모는 타 지역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남.

m 인천시 경영안정자금 지원기업의 규모와 매출액 분포를 보면 경기지역 보다 영세한 업체들의 비중이 훨씬 높지만 융자대출 건당 평균 금액은 서울시 3,000만 원 이하, 경기도 3억 이하 보다 더 높은 3.5억 원으로 나타남.

m 경기도의 경우 모든 운전자금성격의 융자대출은 5억 원 이하로 설정되어 있으나 인천시의 경우 우수기업 뿐만 아니라 별도의 우대항목이 많아 융자대출 규모를 8억, 10억, 많게는 30억까지 가능한 것으로 해석됨.

m 이는 재정적으로 어려운 기업이 많은 인천의 여건과 견주어 볼 때, 경영안정자금의 분배가 매출액이 큰 기업 쪽으로 기울어져 있는 것으로 판단됨.

2) 우수·우대 기업의 높은 비중

m 인천시의 경우 융자대출금액과 이차보전율에서 우대지원을 받도록 설정되어 있는 기업의 종류가 15가지임.

m 이들 중 여성기업, 장애인기업, 재해기업, 8대전략산업기업, (사)함께하는 인천 사람들이 추천하는 기업 등을 제외하면 우대기업 선정기준8) 상 매출액의 규모와 신용상태가 양호하여 정책자금의 지원 없이도 시중에서 융자대출이 가능한 기업들이 대부분임.

8) 부록의 우대기업 선정기준 참조

44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지원효율화에 대한 정책적 제언

m 앞서 이미 언급했듯이(28쪽, 표 11) 우대기업들의 매출액, 융자대출 규모는 일반기업보다 훨씬 큰 반면, 실부담금리는 큰 편차가 없는 것을 볼 수 있음

m 또한 해마다 융자대출규모의 우대대상 기업들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음.- 우대·우수기업의 비중은 전체 경영안정자금의 절반 가까이 비중을 차지하거

나 해에 따라 일반기업의 수 보다 많은 경우도 있음.

3) 부동산·개인신용 위주의 담보대출의 높은 비중

m 자금지원 자격심사 시 부동산, 개인신용, 대물 담보 등 금융기관 심사기준과 유사한 기준 적용울이 높음.

m 즉 시장실패 영역에 있는 기업지원을 위해 정부에서 risk-taking하는 대신 안전한 쪽으로 집중 되어 있음.

4) 경영안정화 자금을 통한 융자대출 지원 건수

m 서울시의 경우 경영안정화자금의 대부분의 차지하는 경제활성화 자금은 8,000억 원 예산에 32,124건의 대출로 건당 평균 3,000만 원 이하의 융자대출.

- 인천시 건당 평균 융자대출 규모의 1/10, 연 대출 건수의 25배임. m 경기도의 경우 이차보전을 통한 운전자금 지원규모는 6,000억 원이며, 연

대출 건수는 인천의 3배 정도임(42쪽 표 25).

5) 높은 중복지원 또는 분할지원 비중

m 신규지원 분포(22쪽, 표 7)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2008년부터 2014년 사이 지원된 경영안정자금 건수 중 2번 이상 같은 사업자번호가 나타난 건수는 5,144개임.

m 이 중 2012년 이후 기업들은 중복지원이 아니라, 한번 지원 결정된 금액을 융자거치기간 동안 분할하여 대출받을 수 있도록 되었음

- 이는 결정된 융자대출 금액이 모두 필요하지 않거나, 전액 융자대출할 담보 능력이 부족해서 분할 대출 받는 경우라고 함(인천경제통상진흥원 인터뷰 자료).

- 어떤 경우이든 이는 현재 융자대출액 규모가 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금액을 상회하여 책정되어 있음을 간접적으로 보여주는 것임.

Ⅴ.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운용상 문제점 분석❚ 45

2. 융자대출 금리와 이차보전율

1) 융자대출 금리

m 인천시의 경우, 금융권-시정부-기업 간 간담회를 통해 협의된 금리를 적용하는 서울시, 경기도와는 달리, 정책자금 융자대출의 금리수준을 시중은행에 맡겨 두고 있음.

m 그러나 평균적으로 다른 지역보다 높은 이차전율을 적용하고 있으며, 우대지원의 대상이 되는 기업들에게는 적용되는 이차보전율 또한 높아 우량기업일 수록 실부담금리는 시장금리보다 훨씬 낮게 설정됨.

m 또한 융자규모가 큰 기업일수록 낮은 실부담금리 적용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24쪽, 표 8와 그림 11).

m 시의 경영안정자금은 기업에게 금융혜택을 주는 것과 동시에 은행의 사업을 돕는 결과를 낳을 수도 있음.

2) 이차보전율

m 인천은 현재 2~3.5% 이차보전율을 적용하고 있음.m 이는 서울, 경기에 비해 높은 이차보전율을 보일 뿐 아니라, 경영안정화 자

금을 운용하고 있는 16개시도 중 인천은 4번째로 높은 이차보전율을 보이고 있음(42쪽 그림 14참조).

- 지원구분에 따라 서울은 1~2.5%, 경기 0.4~2%의 분포를 보임.- 이차보전율이 인천보다 높은 지역은 강원(2%~4.7%), 울산(3%~4%), 충남

1.75%~4.25%) 등 세 개의 지역으로 이들 지역은 인천지역보다 제조업의 비중이 높거나 제조업을 적극적으로 유치하고자 하는 의지를 지닌 지방자치단체들임.

m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서울, 경기 등은 기업이 은행을 통해 융자대출 받을 때 적용받는 금리에 따라 이차보전율을 차등적용하고 있음.

- 우수기업일수록 신용등급이 높거나 담보력이 뛰어나 융자대출 시 낮은 금리를 적용받기 때문에 이를 고려해 낮은 이차보전율을 적용하고 있음.

- 경기도의 경우 금리구간을 촘촘하게 나누고 그에 따른 이차보전율을 정해

46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지원효율화에 대한 정책적 제언

놓고 있음.m 인천의 경우 오히려 우대기업, 우수기업 등의 구분을 통해 우량기업일 수록

큰 규모의 융자한도와 높은 이차보전율을 적용하고 있어서, 더 큰 혜택이 돌아가도록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음.

3. 지원종류의 구분, 자금신청 방법과 사후 관리

1) 복잡한 지원종류 구분

m 현재의 우대지원 종류만 15가지로 나누어져 있으며, 각각 다른 심사조건을 요구함

2) 짧은 신청기간

m 인천시의 경우 현재는 4분기에 나누어 지정된 기간 동안에만 신청접수를 받음.- 짧은 시간 안에 신청인의 폭주로 15분 만에 자금이 소진되는 경우도 있음.

m 이에 반해 서울, 경기의 경우 신용보증재단을 통해 상시적으로 자금신청접수를 받고 있음.

m 자금신청이 특정 기간에 한정되어 있고 자금의 소진도 빨라 자금이 반드시 필요한 실수요자 기업에게 자금의 배분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판단하기 어려움.

3) 정책자금 지원효과 사후관리 미흡

m 경영안정화 자금은 소모성 자금으로 재료 구입, 인건비, 세금 등 광범위한 분야의 지출에 적용될 수 있음.

m 현재는 자금신청 시 자금사용처를 기록하도록 하고는 있지만, 자금이 제대로 운용되었는지, 그 효과는 어떤지에 대한 사후검증은 하지 않고 있음.

m 2008년부터 설문조사를 진행 중이지만, 자금수혜 결과 기업의 성과향상 여부를 측정할 수 있는 구체적인 질문이 체계적으로 포함되어 있지 않음(부록 3의 설문지 참조)

Ⅴ.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운용상 문제점 분석❚ 47

4. 문제점 종합

1) 정책자금 운용의 불균형

q 시장실패 보완기능은 취약하고 중상위층을 대상으로 한 지원중심

m 우수, 우량기업에 대한 지원이 양과 질 모두 불균형적으로 좋음- 자금의 배분상 수적으로 우수, 우량 기업에 대한 지원 쪽으로 좀 더 많이

기울어 짐- 자금지원 조건 역시 우수, 우량 기업에 훨씬 유리한 조건

2) 이차보전율의 일괄적용

m 은행에서 저금리 적용을 받는 우량기업이나 그렇지 않은 기업들에게 같은 이차보전율 적용으로 정책자금운용의 균형상실

m 때문에 경영안정자금은 시중금융기관에서 발생하는 차별을 보정할 수 있는 기능을 제대로 작동시키지 못하는 것으로 보임.

m 이러한 특성은 2차적으로 다음과 같은 문제를 야기함.- 은행과 유사한 기능 수행하면서 시중금융기관에서 대출가능한 기업들의 정

책자금 의존도 높임- 기금의 재정악화와 재정적 부담- 정책자금의 정치적 활용 가능성

3) 어려운 재정상황에도 불구하고 타 지역에 비해 후한 조건으로 운용

m 자금 규모 서울, 경북 다음으로 크지만, 지원건수는 상대적으로 매우 적음m 이는 융자대출 건당 규모와 이차보전율이 타지역보다 높게 책정되어 있는

것과 관련 있ㅇ,a m 이는 시의 재정적 부담으로 고스란히 이어짐

4) 중복 또는 분할 지원

m 중복 또는 분할지원 받은 기업이 많은 것으로 보아, 경영안정자금의 진입장벽이 이미 공고해 진 것으로 보이며, 자금허용한도가 필요보다 큰 것으로 판단됨.

48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지원효율화에 대한 정책적 제언

Ⅵ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개선방안 제언

1. 인천시 경영안정자금 정책개선방향 제언

1) 이차보전율의 조정

q 인천시 경영안정자금 이차보전율의 조정의 두 가지 축

m 전체적으로 타 시도 보다 상향책정되어 있는 이차보전율을 서울시 또는 경기도 주순으로 하향조정

m 실제 은행에서 융자대출시 적용하는 금리와 무방하게 시에서 정하는 기준에 따라 일괄적용되고 있는 이차보전율 차등지원

q 이차보전율의 전체적 하향 책정

m 현재 인천시 경영안정자금 우대기준에 따라 이차보전율은 2.0~3.5% 사이에서 적용되고 있음.

m 이를 경기도, 서울시의 이차보전율과 유사한 수준으로 전체적으로 하향조정할 필요가 있음.

m 이차보전율의 하향조정과 함께 금융기관의 대출적용금리의 ‘협정 금리’ 설정방식을 동시에 도입한다면 인천시 재정건전성에 기여하는 효과를 배가 할 수 있을 것임.

q 이차보전율의 차등적용 도입

m 현재 인천시 경영안정자금 이차보전율은 일반지원 2.0%, 우대지원 3.0~3.5%의 차이만 있을 뿐, 융자대출시 실재 은행에서 적용하는 금리에 따른 차등적용은 아직 도입하지 않고 있음

m 경영안정자금을 활용하는 기업들이 기업의 규모, 매출액 등에 따른 없이 공

Ⅵ.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개선방향 제언❚ 49

평한 지원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은행적용 금리수준에 따른 이차보전율의 차등적용이 중요함

m 경영안정자금 이차보전율을 은행금리와 관계없이 일괄적으로 적용할 경우, 담보, 신용등급 등이 우수해서 대규모 대출을 하면서도 낮은 은행금리를 적용받는 기업들은 그렇지 못한 기업들 보다 훨씬 더 큰 혜택을 입을 수 있는 상태임.

q 기대효과

m 이차보전율의 전체적 하향과 차등화를 위한 기준은 별도의 과제를 통해 구체적으로 연구되어야 할 것이니, 본 연구에서는 가상의 시나리오를 통해 기대효과를 제시하고자 함.

- 아래 <표 26>에 보이는 바와 같이 한 우대기업이 10억 원의 융자대출을 받으면서, 은행으로부터 4.9%의 융자대출 이자를 적용받고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을 통해 1.7%의 이차보전을 받을 경우 기업이 실부담이자는 3.2%로 금액은 년 3,200만원임.

- 이 때 기업이 경영안정자금을 통해 받게 되는 금전적 지원은 1,700만원임.- 여기서 이차보전율1.7%에서 1.5%로 0.2% 낮출 경우 해당 우대기업의 실부

담이자는 200만원 높아짐.- 이 금액은 2,000만원 소액대출 실부담이자인 62만원의 3번 지원가능한 금액임.- 이차보전율 하향조정을 10억원 대출받을 자격이 있는 우대지원대상들에게

일괄 적용할 경우, 그리고 대상이 1년에 10건일 경우, 3,000만원 소액대출56건을 더 지원해 줄 수 있는 자금의 여유 발생 (그림 15).

융자대출금액 2� 천만� 원 10� 억�원

은행융자�금리에�따른� 이자부담�

6.3%�적용시 120만원 6,400만원

4.9%�적용시 98만원 4,900만원

이차보전율�적용혜택� save

2.9%�적용시 58만원 2,900만원

1.7%� 적용시 34만원 1,700만원

실부담이자금리� 6.3%+보전� 2.9% 62만원 3,500만원

금리� 4.9%+보전� 1.7% 64만원 3,200만원

금리에�따른�이차보전율�차등시

금리6.3%+보전� 3.5%(대출2천만원원에만적용)

50만원 -

금리� 4.9%+보전� 1.5%(대출10억� 원에만�적용)

-3,400만원

(기존에서200만원�증가)

<표� 26>� 융자대출규모에�따른�이차보전율�차등으로�발생하는�실부담이자의�변화

50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지원효율화에 대한 정책적 제언

<그림� 15>� 시나리오�1:�우대지원�대상기업의�이차보전율�0.5%�하향조정

2) 목적성 자금 확충

q 목적성 자금 확충의 두 가지 축

m 인천시의 경제산업 정책의 목표와 궤를 같이 하는 목적성 자금 추가 설치m 동시에 현재 15개로 운영되고 있는 우대지원 대상의 종류를 축소m 두 가지를 동시에 점진적으로 추진하여 자금지원대상의 갑작스러운 변경 또

는 축소를 방지하여 중소기업 지원정책의 안정성과 일관성 유지

q 목적성 자금 추가설치 및 관리의 명확화

m 현재 우대지원 대상 중 ‘8대 전략산업 지원’, ‘고용우수인증기업’, ‘수출인증기업’ 등 시의 경제정책, 산업정책과 맥락을 같이 하는 목적성 자금을 추가적으로 설치할 필요가 있음

- 특히 인천시의 중장기적 경제·산업 비전과 사회경제적 문제 해결이라는 측면에서 자금의 성격을 주의 깊게 선정하여 지속성이 있도록 해야 함.

Ⅵ.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개선방향 제언❚ 51

- 목적성 자금을 단기적인 시각으로 설치할 경우, 자금의 효과성이 나타나기도 전에 정치적인 환경 등의 영향으로 대상이 바뀔 가능성이 크므로, 설치 시 10년 정도는 유지될 수 있는 조건을 만드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임.

m 참고로 경기도는 경영안정자금 지원대상에 신기술기업, 벤처창업기업, 여성창업기업 등 대상과 목적이 분명한 기업의 종류를 포함시킴.

m 각 구분별 지원규모 확정과 심사기준 개정이 수반되어야 하며, 은행의 협조도 필요함

m 인천시에서 정책적으로 육성하려는 기업에 대한 목적성 자금지원과 유사한 정부자금과 매칭펀드 조성으로 인천시 재정 건전성 확보

- 예를 들어 수출기업에 대한 지원은 수출입은행과 매칭펀드로 지원하는 방안- 소규모 신기술기업(start-up 기업)에 대한 지원 항목을 신설할 경우 중소기

업청의 벤처펀드와 매칭펀드를 받을 수 있도록 행정적 지원을 강화하거나 기술보증서, 신용보증서 발급시 비용 지원 등 방안 도입

q 목적성이 불분명한 우대지원 대상 축소

m 현재 우대지원 대상은 그 폭이 너무 넓으면서 각 대상간 특징이 명확하지 않은데, 이 부분을 중점적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음.

m 이는 우대지원 대상기업들 중 최근에 지원이 저조한 대상부터 순차적으로 제외시켜 가는 방법을 튀할 수 있음.

m 또한, 우대의 폭을 조절해야 할 필요가 있음.- 우리시 전입기업이나 중견사다리기업의 경우 한 기업에 집중되는 융자대출

액이 너무 큼.- 비전기업의 경우 10억 대출 시 2.0% (이전에는 3.0%)의 이차보전을 받아

기업 당 1년에 3천만 원 자금지원 효과

q 기대효과

m 목적성 자금의 추가설치시 자금에 대한 관리가 더욱 용이해 지므로 인천시 경영안정자금의 재정건전성에 기여할 수 있음.

m 우대지원의 종류를 줄이고, 지원의 폭을 감소할 경우, 현재 불균형적으로 운영중이 경영안정자금의 분배효과를 개선할 수 있음.

52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지원효율화에 대한 정책적 제언

m 경영안정자금의 분배효과 개선여부는 별도의 과제로 심도있 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며, 본 연구에서는 우대지원 대상기업의 수가 줄어들 경우 발생하는 경영안정자금의 여유를 시나리오로 제시함.

- 예를 들어, 한 우대지원 대상기업이 10억 원의 융자대출을 받으면서, 은행으로부터 4.9%의 융자대출 이자를 적용받고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을 통해 1.7%의 이차보전을 받을 경우 기업이 실부담이자는 3.2%로 금액은 년 3,200만원임.

- 이러한 기업에 대한 지원을 1년에 10건에서 9건으로 조정할 경우, 아래 <그림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3,000만원의 소액대출기업을 19개 지원해 줄 수 있는 자금의 여유가 확보됨.

<그림� 16>� 시나리오� 2:� 우대지원�대상기업을�하나�줄일�경우

3) 행정적 개선

q 금리협약

m 경기도, 서울시와 같이 금융권-인천시-기업 간 간담회를 통해 시중금리 보다 낮은 수준의 금리협약 실현

Ⅵ.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개선방향 제언❚ 53

m 정책자금 지원이 금융권으로 지나치게 유입되는 것 방지m 자금의 재정 건전성 개선

q 경영안정자금 자격심사 기준 및 운용관련 제도 개선

m 자격조건 심사기준을 인천시의 산업목표와 연동되도록 개선 (기술 중심성 부각 등)

m 반복지원횟수 및 지원자격의 변경에 대한 기준설치 및 적용m 사후관리를 위한 시스템 정비(설문조사, 현장조사 및 데이터 베이스 관리)m 지원 체계 기준 간소화

q 일괄지원과 상시지원의 병행

m 일괄적으로 지정기간 신청 자금과 상시신청 가능 자금을 별도로 두어 자금이 꼭 필요한 기업이 필요한 시기에 지원신청 할 수 있도록 제도 개선방안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음.

m 장기적으로 볼 때 자금이 필요한 기업에게 필요한 시기에 배분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시신청방식으로 전환하는 게 바람직 할 것으로 판단됨.

q 성과검증 강화

m 소모성 자금은 운전자금의 성과 확인은 쉽지 않은 일이나,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목적성 자금을 명확히 할 경우 체계적인 성과검증이 가능할 것임.

m 현재 진행 중인 설문항목에 성과측정에 유용한 항목 추가 필요 - 서울시와 경기도의 설문지는 정책자금 활용 후 성과향상의 정도를 묻는 구

체적인 질문들이 포함되어 있음 (부록 3 설문지 참조).

q 영세·소기업 지원절차 간소화

m 규모상 매출액 기준상 영세하고 규모가 작은 기업들은 복잡한 지원절차 준비를 위한 인력 확보가 어렵거나 방법에 대한 습득이 어려울 수 있음

m 특히 신용보증이 필요한 영세기업에 대한 지원절차는 매출액 보고 등 지원절차의 일정부분을 생략하는 방안 등을 모색할 필요가 있음.

54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지원효율화에 대한 정책적 제언

2. 연구의 한계 종합 및 향후 과제

q 경영안정자금의 성과분석은 자금의 사용처와 사후관리가 명확하지 않은 소

모성 운전자금의 성격상 한계가 많음.

q 이를 보완하기 위해 패널형태의 데이터 확보가 필요함.

m 기존 정책자금 성과분석 연구는 1회 지원 받은 기업의 성과향상정도를 지원받지 않은 기업의 성과향상 정도와 비교함.

m 중소기업진흥원에서 제공하는 목적성 자금은 지원기업 선정기준부터 성과향상의 가능성이 높은 경우를 대상으로 하므로 1회 지원받은 기업의 성과향상 측정을 통해서도 긍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을 것임.

m 그러나 소모성 운전자금은 소규모 영세기업의 비중이 높고, 기술력 등 성과향상을 빠른 시일 내에 끌어 올릴 수 있는 기업의 내부역량이 부족한 경우가 많으므로 같은 형태의 데이터를 활용해서 원하는 결과를 측정하기 어려울 것으로 예측됨.

q 데이터의 형태가 다르기 때문에 분석 방법론 또한 새로이 정립해야 함.

q 이러한 이유로 경영안정자금의 성과향상에 관한 부분은 필요한 데이터 확보

후 별도의 과제로 진행하기로 함.

참고문헌 ❚ 55

참고문헌

김준기․이석원․이영범․장경호․신기철. (2006). "정책자금지원의 성과분석: 중소기업 지원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원고. pp.643-678.

김현욱(2005), "재정자금을 이용한 중소기업 정책자금의 수익성 개선효과,“ 『한국개발연구』, 제27권, 제2호, 한국개발연구원, pp.45-87.노용환(2010), "중소기업 정책자금의 미시적 성과 분석과 역할에 관한연구,“ 『중소기업연구』, 제32권, 제1호, 한국중소기업학회, pp.153-175.유시용·윤병섭(2007), "정책자금 정당성에 근거한 정책자금의 대출금리 결정 방안,"

『기업경영연구』, 제14권, 제2호, 한국기업경영학회, pp.35-52.유영중·황성수(2009), "중소기업 정책자금 지원의 성과분석," 『상업교육연구』, 제23

권, 제1호, 한국상업교육학회, pp.219-237.윤창훈(2006), "정책자금 수혜 중소기업의 재무상태 개선효과 연구," 『회계연구』, 제

11권, 제1호, 한국회계학회, pp.169-186.이민호(2008),『지원 정책 중복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중소기업 정책자금 지원사업

을 중심으로-』, 행정학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장지인·김준기(2006),『중소기업 정책자금 성과분석 및 역할 재정립 방안 연구』, 서

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장지인·윤병섭(2007), "중소기업의 환경변화와 정책자금의 역할," 『국제회계연구』,

제17집, 한국국제회계학회, pp.1-22.Ashenfelter, O.(1978), "Estimating the Effect of Training Programs on Earnings,"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Vol.60, No.1, February, pp.47-57.

Heckman, J. and J. Smith(1999), "The Pre-Program Earnings Dip and the Determinants

Participation in a Social Program: Implications for Simple Program Evaluation

Strategies," Economic Journal, Vol.109, pp313-348.

56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지원효율화에 대한 정책적 제언

부록 1 : 표

구분 분포(%)

5억� 미만 1,070(11.3%)

5억이상~10억미만 1,627(17.2%)

10억이상~50억미만 4,692(49.7%)

50억이상~100억미만 1,127(11.9%)

100억이상~500억미만 824(8.7%)

500억이상 78(0.8%)

결측 18(0.2%)

합계 9,436(100%)

주� :� 2010~2014년� 자료

<부록표� 1>� 매출액별�지원기업�현황�(단위:� 억� 원)�

구분 분포(%)

5명미만 2,297(24.3%)

5명이상~10명미만 2,420(25.6%)

10명이상~15명미만 1,422(15.1%)

15명이상~30명미만 1,850(19.6%)

30명이상~50명미만 786(8.3%)

50명이상~100명미만 411(4.4%)

100명이상 222(2.3%)

결측 28(0.3%)

합계 9,436(100%)

<부록표� 2>�기업규모별�지원기업�현황�(단위:� 명)�

구분 분포

제조업 71.6%

전기,�가스,�증기�및�수도사업 0.6%

하수폐기물처리,�원료재생�및�환경복원업 1.1%

건설업 5.1%

도매�및�소매업 1.6%

운수업 2.3%

출판,�영상,�방송통신�및�정보서비스업 0.3%

금융�및�보험업 0.0%

부동산업�및�임대업 0.0%

전문,�과학�및�기술�서비스업 0.8%

사업시설관리�및�사업지원서비스업 0.2%

사회복지서비스업 0.0%

수리업 1.3%

<부록표� 3>� 업종별�지원기업�현황

융자규모 분포(%)

0.3억� 원미만 78(0.8%)

0.3억�원이상~0.5억�원미만 505(5.4%)

0.5억�원이상~1억�원미만 1,065(11.3%)

1억�원이상~3억� 원미만 3,149(33.4%)

3억� 원이상~5억� 원미만 2,780(29.5%)

5억�원이상~10억�원미만 1,842(19.5%)

10억� 원이상 17(0.2%)

합계 9,436(100%)

<부록표�4>�융자액�규모별�지원기업�현황

부록 ❚ 57

 구분 대출액(억원) 이차보전율(%) 금리(%)

2008 4.6 3.0 7.9

2009 3.4 3.1 6.7

2010 3.2 3.1 6.7

2011 3.1 3.1 6.5

2012 4.5 3.1 6.3

2013 3.5 2.3 5.2

2014 3.5 2.3 5.1

자료:�인천경제통상진흥원�내부자료(연구진이�가공함)

n=9,436

<부록표� 5>� 융자대출규모,� 금리,� 이차보전율�연도별�변화�

융자규모 분포(%)

1년� 미만 84(0.9%)

1~5년�미만 928(9.8%)

5~10년�미만 2,244(23.8%)

10~15년�미만 2,755(29.2%)

15~30년� 미만 3,001(31.8%)

30~50년�미만 376(4.0%)

50년이상� 10(0.1%)

결측 38(0.4%)

합계 9,436(100%)

<부록표�6>�기업업력별�지원기업�현황

표준산업분류코드

지원제한업종

46109중 골동품,� 귀금속�중개업

46416중 모피제품�도매업.� 단,� 인조모피제품�도매업�제외

561

건평� 330m²를�초과하는�영업장을�가진�식당업(다만,�다음�각호의�경우는�제외)가.� 기관구내식당나.� '관광진흥법'에�의하여�지정된�관광지,� 관광단지�및� 관광특구소재�식당업다.� 시장,�군수,� 또는�구청장의�지정을�받아� "좋은식단"을�실시하는�모범�업소라.� 소기업/소상공인에�대한�여신

5621 주점업� (단,� 56219� 기타주점업은�제외)

9112 골프장�및�스키장�운영업

91291 무도장운영업

91249 기타�갬블링�및� 베팅업

96121 욕탕업�중�증기탕

96122 마사지업

<부록표� 7>� 융자규모별�지원기업�현황

58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지원효율화에 대한 정책적 제언

부록 2 : 지원대상 기업선정의 세부기준

q 일반지원

m 제조업- 공장이 지역내 소재하는 중소기업 중 제조업 전업율이 30%이상인 제조업으

로 공장건축면적 500㎡이상으로 공장등록을 필한 기업- 공장건축면적 500㎡미만으로 「소기업 및 소상공인 지원을 위한 특별조치

법」의 적용을 받는 소기업으로 공장용도 사용확인을 받은 기업 또는 적합한 건출물(용도: 공장, 제조소 등)에서 제조업을 영위하고 있는 업체

m 비제조업- 사업장이 지역내 소재하는 중소기업중 제조업관련서비스업, 제조업관련지식

기반서비스업 및 지식서비스업으로 사업자등록증의 업종은 의미가 없으며, 반드시 <부록>에 있는 산업과 관련된 등록증 또는 허가증이 있어야 함.

q 우대지원

m 고용우수인증기업- 일자리를 많이 만들어낸 기업체를 발굴하여 고용우수기업으로 인증하고 각

종 인센티브지원, 육성정책 및 홍보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사업으로 현재 14개 기업이 고용인증 기업으로 등록되어 있음.

- 인천소재(본사 또는 주공장)한 기업으로 3년 이상 정상 가동중인 기업체중 일자리 창출 실적이 우수한 기업

- 최근 1년간 근로자 증가율이 5%이상이고 증가인원이 10명 이상인기업- 일자리 성장에 있어 현저한 성과와 실적을 보이며 일반적인 기업평가(성장

성, 수익성, 안정성, 생산성 등의 지표가)양호한 기업

부록 ❚ 59

※ 고용증가율(%)� :� (2014년도� 12월말� 근로자수-2013년도� 12월말� 상시� 근로자수/2013년도� 12월말� 상시글로자수� ×100※ 고용증가� 근로자� 인정기준� :� 고용보험� 가입자로서� 1년미만� 계약을� 체결한� 근로자� 및� 근

로기준법�상의�단시간�근로자9)가�아닐�것�

m 제외대상- 금융기관과 정상적인 거래를 할 수 없거나, 임금체불, 환경오염, 법령위반

등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 기업- 공고일 현재 국세 및 지방세 체납기업, 최근 1년간 고용증가인원이 10명미

만이거나 최근 1년간 고용증가율이 5%미만인 기업m 사후관리 및 인증취소

- 사후관리기간은 인증일로부터 2년이며, 감원 등으로 고용증대 인원을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와 신청 배제사유에 해당할 경우 인증취소가 되며 이에 대한 조치로 해당기업에 대한 인증서 및 현판 회수, 우대지원(인센티브)중단 및 환수 가능한 인센티브는 환수 조치를 취함.

q FTA인증 수출기업

m 원산지인증수출자제도는 FTA체결국가가 증가함에 따라 원산지증명서 발급시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하여 도입한제도로 관세 당국이 원산지증명 능력이 있다고 인증한 수출자에게 원산지증명서 발급절차 또는 첨부서류 제출 간소화 혜택을 부여하는 제도 임.

- “원산지인증수출자”란 세관장이 「자유무역협정의 이행을 위한 관세법의 특례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2조제5항에 따라 인증요건을 모두 충족하였다고 인증한 “업체별 원산지인증수출자”와 “품목별 원산지인증수출자”를 말함.

- 원산지인증신청자는 자유무역협정 체약국에 수출을 하고 있거나 수출을 하고자 하는 자는 원산지인증수출자로 인증을 신청할 수 있음.

m 인증신청 방법 및 제출서류- 원산지인증수출자로 인증을 받으려고 신청하는 자는 관세청 전자통관시스템(UNI-PASS)

을 이용하여 인증신청서를 전자서류로 제출하러나 종이서류로 제출할 수 있음.

9) 단시간 근로자 : 1주 동안의 소정 근로시간이 그 사업장에서 같은 종류의 업무에 종사하는 통상근로자의 1주 동안의 소정 근로시간에 비하여 짧은 근로자

60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지원효율화에 대한 정책적 제언

구분 제출서류

업체별원산지인증수출자

1.� 서식의�신청서2.� 수출자가�수출또는�생산하는�주요�품목의�원산지�소명서3.� 원산지�확인서4.� 원산지� 소명서에� 기재된� 내용을� 입증할� 수� 있는� 서류·정보�

및� 국내제조확인서

품목별원산지인증수출자

1.� 서식의�신청서2.� 원산지인증�신청품목별�원산지�소명서3.� 원산지확인서4.� 원산지소명서에� 기재된� 내용을� 입증할수� 있는� 서류·정보� 및�

국내제조확인서

자료� :�자유무역협정의�이행을�위한�관세법의�특례에�관한�법률�시행규칙

<부록표� 8>� 원산지인증수출자�인증을�위한�제출서류�

구분 업체별�원산지인증수출자 품목별�원산지인증수출자

혜택범위 모든협정,� 모든품목 인증받은�협정별,� HS� 6단위

인증유효기간 3년 2년(법규준수도에�따라�차등적용가능)

인증기간 본부세관(서울·부산·인천·대구·광주)� 및� 평택� 직할세관

인증기준협정상대국별� 원산지증명능력� 및�법규준수도

HS� 6단위별� 원산지증명능력� 및� 법규�준수도

자료� :� 관세청

<부록표� 9>� 인증수출자의�종류�및� 인증기간�

q FTA활용성공사례 수상기업

m 인천시 FTA활용 성공사례 경진대회는 2011년에 개최되었으며, 현재는 관세청에서 총괄하여 관리하는 것으로 파악되었음.

m 2011년 개최된 「인천지역 FTA활용 성공사례 경진대회」는 인천세관과 인천광역시가 중소기업의 FTA수출활용률 제고를 위해 FTA활용 우수업체의 활용전략과 성공사례 노하우를 공유하고자 함.

응모�분야 응모�자격

업체-본사�또는� 사업장이�인천광역시�소재�기업-FTA� 체결(예정)국과� 수출․입거래가� 있거나� 예정인� 기업으로서� FTA를� 활용하여�기업경영에�성과를�달성하였거나�경영�전략을�수립한�기업

FTA컨설턴트

-상기업체를� FTA비지니스�컨설팅한�컨설턴트-상기업체가� FTA� 원산지수출인증자로�지정받는데�공헌한�컨설턴트

<부록표� 10>� 응모자격

m 수상기업은 중소기업경영안정자금 한도 확대 및 이차보전금리를 3% 지원받을 수 있었으나 현재는 2%로 변경되었으며, 해외마케팅 지원사업 및 수출인프라 확충지원 참가업체 선정시 우대함.

부록 ❚ 61

수�상 지�원

인천시장상(3개� 기업)

ㅇ 중소기업경영안정자금�한도�확대(최대� 6억)� � � 및� 이차보전금리� 3%� 지원ㅇ 해외마케팅�지원사업�및� 수출인프라확충지원� � � 참가업체�선정시�우대(가산점�부여)

인천세관장상(3개� 기업)

<부록표� 11>� 수상�및� 지원

m 서면심사 기준- 서면 심사시 사례의 효과성, 창의성, 충실성, 확산가능성, 구체성등을 심사

하며,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음.- 정성평가 위주로 하되 사례에 따라 가능한 경우 정량 평가를 병행할수 있으며

단계별 점수차는 원칙으로 구간 점수를 부여하지만 중간점수도 부여할 수 있음.

심사�항목 배점 평가�기준� (착안� 사항)

① 사례의�효과성 30점 ㅇ성공사례가�구체적인�성과가�있는가:수출(매출)증대,�원가절감,�시장확대�등

② 사례의�창의성 20점 ㅇ성공사례가�창의적이고�독창적인�사례인가:�사례의�차별화,�독창적인�사례

③ 사례의�충실성 20점 ㅇ성공사례를�일목요연하게�작성했는가?::�항목의�충실도�및�분석의�정확성�등

④ 사례의�확산가능성� 15점 ㅇ다른�분야에도�적용이�가능한가?:�다른�기업들이�적용이�가능하는지�여부

⑤ 사례의�구체성 20점 ㅇFTA�활용시�업체의�장애요인이나�애로요인을�극복한�내용을�적시했는가?

<부록표� 12>� 서면심사�점수�부여�기준�

q 우리시 8대 전략산업

m 인천시 8대 전략산업에 해당하는 산업은 항공산업, 자동차부품산업, 로봇산업, 바이오산업, 관광산업(일반, 의료, MICE), 화장품산업, 서비스산업(교육, 금융, 물류), 마리나 산업임.

- 전략산업분야와 분류코드, 매출액, 전략산업 관련매출액 등의 내용을 포함한 전략산업 확인서(업체작성)와 매출증빙서류 등을 제출하여 인천시 8대 전략산업으로 인증을 받을 수 있음.

- 각 산업별 주요 항목은 <부록표 13>과 같음.

62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지원효율화에 대한 정책적 제언

구분 주요항목

1.항공산업

기타운송장비

고무제품�및�플라스틱�제조업

비금속광물제품�제조업

1차금속�제조업

조립금속제품�제조업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제조업

기타�전기기계�및� 전기변환장치�제조업

기타�기계�및�장비제조업

2.자동차부품산업 자동차�및�트레일러�제조업

3.로봇산업제조업

제조업관련�지식기반서비스업

4.바이오산업제조업

제조업관련�지식기반서비스업

5.관광산업

운수업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

지식서비스업

6.화장품산업제조업

제조업관련�지식기반서비스업

7.서비스업(물류) 제조업관련�서비스업

8.마리나산업

제조업

건설업

제조업관련�서비스업

제조업관련지식기반서비스업

지식서비스업

<부록표� 13>� 인천시� 8대전략산업�범위

q 시지정 유망중소기업

m 우리시 관내에 본사와 사업장이 소재하고 공장등록을 필한 중소제조기업, 제조업관련 서비스업(기업활동규제완화에 관한 특별조치법 시행령 제2조 관련), 지식산업(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 제2조 제2항 관련)을 영위하는 기업

- 선정목표는 50개기업으로 선정 후 유효기간은 3년임. - 선정대상은 상시 종업원 70인 이하(단, 지식산업센터 입주(예정)기업은 예

외)로 자산은 120억 미만인 기업 m 제외업체

- 대기업·대규모 기업집단 계열사로 지정된 기업으로 전년도 매출액 기준으로 제조업 전업율이 30%미만인 기업임.

- 금융기관과 정상적인 거래를 할수 없는 기업 및 휴·폐업 또는 부도중이거나 화의신청 중인기업, 공장등록을 하지 않은 기업(제조업관련서비스업 및 지

부록 ❚ 63

식산업, 소기업 및 소상공인지원을 위한 특별조치법에 의한 기업으로써 제조업을 영위하고 있는 기업은 제외함)

- 산업재해 및 직업병다발, 세금포탈 등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 기업, 우리시 비전기업, 우리시 유망중소기업으로 선정되었거나 졸업한 기업, 공고일 현재 국세 및 지방세 체납업체, 그 밖의 중대한 기업윤리에 어긋난 행위를 한 기업 해당

m 유망중소기업 선정지 지원사항_특전- 중소기업육성자금 우대금리 적용, 생산제품 판로지원(수출상담회, 전시회 참

가 우선지원), 국내 전시회(코엑스 등)참가지원- 해외규격(CE, UL, JIS 등)획득 신청시 우대, 산·학·연을 통한 기술지도사업

우선지원- 시 홈페이지 및 카타로그 제작배부에 의한 홍보, 각종 중소기업육성 시책

및 정보제공 등

q 중소기업인대상

m 신기술 개발 및 생산성 향상 등으로 대외경쟁력을 제고하고 인천시의 지역경제 발전과 위상을 높이는데 모범적으로 이바지한 우수 중소기업인의 사기앙양과 자긍심 고취를 위하여 인천광역시 중소기업인 대상을 수여함.

- 시장의 종류는 대상 1개업체, 우수상 2개업체, 장려상 3개업체 이내로 하며 수상인원은 각 1명으로 정함.

- 수상후보자의 자격 및 공적은 수출실적과 생산매출액의 성장률 및 기업의 건실도와 기술개발 노력과 기업경영의 성실도, 근로자 복지증진과 지역경제의 기여도를 기준으로 심사함.

m 수상후보자는 군수·구청장, 재단법인 인천광역시경제통상진흥원 본부장, 인천상공회의소 회장, 중소기업진흥공단 인천본부장,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 인천지회장이 규칙이 정하는 구비서류를 작성하여 시장에게 추천함.

- 추천구비서류로는 중소기업인대상 추천서 1부, 공적조서(공적요약서 및 이력서 포함)1부, 사업자등록증 사본 및 공장등록증(보유시)사본 1부, 공적증빙서류(사진·인쇄물 및 스크랩 등 공적내용을 증빙할 수 있는 서류 및 자료 등)각 1부 등을 준비하여 제출

- 수상후보자를 심사히기 위하여 인천광역시 중소기업대상 심사위원회를 매년

64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지원효율화에 대한 정책적 제언

구성하며 위원장과 부위원장을 포함하여 15인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하되 위원장은 경제부시장이 되고 부위원정은 위원회에서 호선함.

- 대상 수상자는 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인천광역시장이 결정함.

q 비전기업

m 비전기업은 기술력이나 마케팅 능력이 뛰어나고 차별화전략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지속가능한 경쟁력을 확보하여 성장 잠재력이 높은 작지만 강한 기업으로 1,125개의 기업 등록

- 인천신용보증재단의 보증으로 통하여 경영안정자금의 최대 10억 원 및 이차보전금 지원을 받을 수 있으며, 인천시 시책추진 30여개 사업 사업자 선정시 우대배점을 부여 받을 수 있음.

m 평가항목- 업종, 기업규모, 업력, 기업특성 등 신척자격 심사를 통한 사전평가와 이러

한 사전평가를 통과한 기업을 대상으로 경영성과분야, 성장성분야, 기술성분야. CEO리더쉽·경영혁신 등 4개 분야별로 평가 실시

- 분야평가를 통과한 기업을 대상으로 실태 및 사실여부 확인과 분야 평가, 현장 평가 및 검증 결과를 종합하여 우수기업 선정

업종 신청기준

C.� 제조업(10~33)(제조업 전업율 30% 이상기업) 자산 인원 업력

신용등급

E.�하수·폐기물처리,원료재생�및�

환경복원업

3701�하수�및�폐수처리업381�폐기물수집운반업382�폐기물처리업

-법인�50억�원이상�-개인20억�원이상

1 0 명이상

3년이상

B B o이상

H.�운수업 5210�보관�및�창고업/물류-법인20억이상-개인� 10억이상

1 0 명이상

3년이상

B B o이상

L.�부동산업�및�임대업

6939� 기타산업용기계� 및� 장비임대업

(오락기 및 도박기계 임대업은 제외)-법인20억이상-개인� 10억이상

1 0 명이상

3년이상

B B o이상

M.�전문,�과학�및�기술�서비스업

70121�전기,�전자공학연구개발업72129�기타엔지니어링�서비스업

-법인20억이상-개인� 10억이상

1 0 명이상

3년이상

B B o이상

732�전문디자인업※한국디자인진흥원의� 산업디자인전문회사�인증기업

-법인3억�원이상-개인1억�원이상

6명이상

3년이상

B B o이상

자료� :� Bizok*주� :� (예외규정)� 비전기업은� 신청기준� 중� 일부를� 충족하지� 못하더라도� 아이템과� 핵심기술,� 마케팅�

등이�우수하여�성장성과�글로벌�경쟁력을�갖춘�기업은�신청�가능함.� �

<부록표� 14>� 비전기업지원�분야�및� 대상�

부록 ❚ 65

q 향토기업

m 인천에서 오랜 기간 동안 기업가적 소명의식으로 기업을 영위하면서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 활성화 등 지역사회에 기여하는 기업을 향토기업으로 발굴·선정하여 존경받는 기업으로 육성하며 현재 47개 기업이 등록되어 있음.

업종 신청기준

C.� 제조업(10~33)(제조업 전업율 30% 이상기업) 업력 인원 매출액

E.하수·폐기물처리,원료재생�및�환경복원업

3701�하수�및�폐수처리업381�폐기물수집운반업382�폐기물처리업

25년이상

100명이상

200억이상

H.운수업 5210�보관�및�창고업/물류

J.출판,�영상,�방송통신�및�정보서비스업

58221시스템소프트웨어�개발�및�공급업58222응용소프트웨어개발�및�공급업62010컴퓨토프로그래밍�서비스업62021컴퓨터시스템통합�자문�및�구축서비스업

L.부동산업�임대업

6939기타�산업용�기계�및�장비임대업(오락기�및�도박기계�임대업은�제외)

M.전문,�과학�및�기술서비스업

70121전기·전가공학연구개발업72129기타엔지니어링�서비스업

732전문디자인업※한국디자인진흥원의�산업,�디자인전문회사�인증기업자료� :� Bizok*주� :� 매출액은� 3개년(2011~2013년)� 각각� 200억�원�이상�기업

<부록표� 15>� 비전기업지원�분야�및� 대상�

m 선정기업지원은 인천신용보증재단을 통해 보증공급을 받아 경영안정자금의 최대 20억 및 이차보전금을 지원받을 수 있음.

m 평가항목- 사전평가를 통과한 기업에 한하여 분야별 평가를 진행하고, 분야평가 결과

일정한 수준 이상인 기업을 대상으로 현장 확인 및 검증, 종합평가를 진행함.

q 중견사다리기업

m 영리기업 또는 사회적 기업으로 규모기준과 독립성 기준을 모두 충족하는 중소기업중에서 중견기업으로 성장 가능성이 높고 혁신 역량이 있는 기업으로 「중견기업 성장촉진 및 경쟁력강화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 제2조 제2항에 해당하는 기업

- 생산 활동의 중추 역할을 할 허리기업을 중점 육성하여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

66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지원효율화에 대한 정책적 제언

- 선정업종은 제조업(10~33)을 바탕으로 선정자격은 다음과 같음.

업종신청기준

매출액 자산 종업원수 업력 신용등급

C제조업(10~33)(제조업�전업율� 30%�

이상�기업)500억이상 300억이상 50명이상 3년이상 BBB-이상

자료:�인천경제통상진흥원� �주� :�매출액� 3개년(2012~2014)평균� 500억�원�이상�기업

<부록표� 16>� 중견사다리기업�선정업종�및� 자격기준�

m 중견성장사다리 기업 지원- 경영안정자금 최대 30억 원 및 이차보전금 지원과 지방세 세무조사 유예

및 인천시 시책추진 14개 사업 대상기업 선정시 우대배점 부여m 제외대상

- 「중소기업기본법」상 중소기업이 아닌 기업-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 제14조 제1항에 따른 상호출자제한기

업집단 등에 속하는 기업- 산업재해 등과 관련하여 명단이 공표된 기업 : 최근 2년간 「산업안전보건

법」 제9조의2, 동법 시행령 제8조의 4 및 시행규칙 제3조의 3의 규정에 의하여 명단이 공표된 사업장

-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을 위반한 법인 및 개인기업: 최근 2년 이내 3회 이상 고발 또는 과징금 처분을 받은 기업

- 사회적으로 물의를 야기한 기업: 세금 포탈 또는 수사 중이거나 언론보도 등의 기업

q (사)함께하는 인천사람들 추천기업

m 인천사회적은행 (사)함께하는 인천사람들은 신한은행인천지역본부, 농협은행인천영업본부, 인천신용보증재단 및 인천시와 협력하여 개인 사업자를 위한 창업 및 경영개선 지원 사업을 추진 중에 있음.

- 지원대상은 사업장 또는 창업예정지가 인천시내인 만 20세 이상의 인천거주자(주민등록기준, 법인사업자 제외)로서 3인이하 가구는 연간 세전 총가구 소득 3,700만 원인자와 4인이상 가구 월소득금액이 최저생계비 200%이하 또는 지역견강보험료가 다음 금액 이하인 자임.

부록 ❚ 67

구분 4인가구 5인가구 6인가구

소득금액 334만� 원 395만� 원 457만� 원

지역건강보험료(월) 9만� 원 10만� 원 12만� 원

자료� :� (사)함께하는�인천사람들� 2015년�공고문

<부록표� 17>� 지원대상�

- 그 외 실직자·장애인·여성가장·한부모가장·다둥이가정·다문화가정 등이 해당되며 사업예정자의 경우 신청은 가능하지만 사업자등록증 발급 후 보증추천 및 대출을 실행할 수 있음.

- 자금지원은 원칙적으로 2천만 원 이내의 창업자금(임차보증금 등) 및 경영개선자금을 지원해 주고 있으며 1년거치 월 균등분할상환을 기준으로 하고 있음.

q 기타

m 이외에 여성기업, 장애인기업, 우리시전입기업, 신규산업단지 입주기업, 신업단지 지식산업센터 입주기업은 인증서류제출만으로도 지원을 받을 수 있음.

우대기업구분 제출서류 비고

고용우수인증기업-일자리창출우수기업�및�고용우수기업�인증서�1부� (중앙�및�인천시�선정)

적용시기

시지정유망중소기업 -인천시지정�유망중소기업�선정서�1부

시지정�우수기업 -인천시지정�비전�또는�향토기업�선정서�1부

중소기업인대상�수상업체 -인천시지정�중소기업인대상�선정서�1부

장애인기업-장애인기업확인서�1부(인천지방중소기업청에서�발급)

여성기업인 -여성기업인확인서�1부(인천지방중소기업청에서�발급)

FTA인증�수출기업 -관세청�인증수출자�선정서�사본�1부

FTA활용�성공사례수상기업 -인천시선정�FTA활용�성공사례�수상�선정서�사본�1부

중견사다리기업 -인천시지정�중견사다리기업�선정서�1부

우리시전입기업-법인:�법인등기부등본1부(이전날짜표기)-개인:�사실증명원�1부(세무서�발급)

사유발생�1년이내

우리시8대전략산업-전략산업확인서(업체작성)-매출증빙서류(계약서,�품목리스트,�세금계산서�등)

신규산업단지입주기업-관리기관�발급�입주확인서-이전일자�확인서류(법인등기부등본,�세무서�발급�사실증명

입주전/사유발생�1년이내

산업단지�지식산업센터�입주기업-지식산업센터�입주확인서-이전일자� 확인서류(법인등기부등본,� 세무서� 발급� 사실증명)

사유발생�1년이내

자료� :�인천경제통상진흥원

<부록표� 18>� 우대기업�인증서류�

68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지원효율화에 대한 정책적 제언

m 기타서류는 창업 1년 이내 업체 및 결산재무제표증명원 기간이 1년 이내 업체만 해당

- 창업 1년 이내 또는 결산미도래 기업 : 추정재무제표증명원(세무사 또는 공인회계사가 확인), 부가가치세 과세표준증명원(과세기간을 연간으로 역산하여 매출액 산정)

- 결산재무제표증명원 기간이 1년이내 업체: 최근 결산년도 재무제표증명원(세무사 또는 공인회계사가 확인), 과세기간을 연간으로 역산하여 산정

부록 ❚ 69

부록 3 : 설문지

q 인천시(1)

인천시중소기업육성자금 설문지

■회신방법 : 팩스, 이메일 中 택1 ■회신기한 : 2014. 1. 31(금)○ 팩 스 : 032-260-0250 ○ 이메일 : [email protected]○ 설문지 다운로드 : 홈페이지(www.iba.or.kr)의 [지원사업안내] - [자금지원] - [각종양식]

작성자 성명 부서 직위

연락가능 전화번호 이메일

Ⅰ. 업 체 개 요

회 사 명 대표자명

사업자등록번

호대표자 휴대폰번호

※ 기입시 지원사업정보 실시간 SMS발송

기업형태 □ 개인 □ 법인 설립일자※ 사업자등록증 상 일자

사업장 소재지

현매출액※ 2013년도 백만

원 현종업원수※ 고용보험가입 피보험자수

전화번호 팩스번호

업태

(※주요업태 V표시)

□ 1. 제조업

제조업인 경우오른쪽에주생산품이무엇인지

체크해주십시오

□ 1. 음 ․ 식료품, 담배□ 2. 섬유, 의류, 가죽, 신발□ 3. 목재, 가구, 종이, 종이제품□ 4. 인쇄, 출판□ 5.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6. 화학물질, 화학제품□ 7. 의료용 물질, 의약품□ 8. 고무, 플라스틱□ 9. 비금속광물□ 10. 1차금속, 금속가공제품□ 11.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통신□ 12. 의료, 정밀, 광학기기, 시계□ 13. 전기장비, 기타 기계 및 장비□ 14. 자동차, 자동차부품□ 15. 기타( )

□ 2. 제조업관련서비스업

□ 3. 제조업관련지식서비스업

□ 4. 지식서비스업

□ 5. 건설업

□ 6. 소방시설공사업

□ 7. 전기공사업

□ 8. 정보통신공사업

□ 9. 측량업

□ 10. 버스 ․ 택시운송업

□ 11. 자동차정비업

□ 12. 무역업

□ 13. 창업보육센터입주기업

70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지원효율화에 대한 정책적 제언

Ⅱ. 자금신청 및 지원에 관한 일반사항

1) 인천시 중소기업육성자금에 대해서 어떻게 알게 되셨습니까?

① 과거에 지원받은 적이 있었음 ② 시․군․구․유관기관 등의 홍보자료

③ 주위의 안내 ④ 주거래은행을 통해서

⑤ 기타 ( )

2) 인천광역시에서는 ①경영안정자금, ②시설구입, ③공장매입, ④기업연구소설치 등에 대하여 매년자금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귀사에서 생각하시기에(1) ①∼④번 중 중점적으로 지원이 필요한 자금은 무엇입니까? ( )(2) ①∼④번 외에 필요한 자금이 있다면 무엇입니까? ( )

Ⅲ. 중소기업육성자금 활용 만족도

1. 귀사가 이용하신 중소기업육성자금의 활용 만족도

항 목 매우도움 도움 보통 도움미비 도움안됨

자금이용목적의 달성정도 ① ② ③ ④ ⑤

④, ⑤ 를 체크한 경우 그 이유는?

이유 :

경영성과 도움정도

매출증가 ① ② ③ ④ ⑤

고용증가 ① ② ③ ④ ⑤

기타

2. 인천시 자금지원 행정서비스 지원수준 만족도

항 목매우만족

(매우적합)

만족

(적합)보통

불만

(부적합)

매우불만

(매우부적합)

서비스 만족도 ① ② ③ ④ ⑤

④, ⑤ 를 체크한 경우

그 이유 및 해결방안은?

이 유 :

해결방안 :

자금지원 절차 ① ② ③ ④ ⑤

④, ⑤ 를 체크한 경우

그 이유 및 해결방안은?

이 유 : ㉠지원조건 ㉡구비서류과다 ㉢심사기준엄격 ㉣기타(

)

해결방안 :

선정기준 적합성 ① ② ③ ④ ⑤

④, ⑤ 를 체크한 경우

그 이유 및 해결방안은?

이 유 :

해결방안 :

부록 ❚ 71

3. 은행 서비스 만족도

항 목매우만족

(매우적합)

만족

(적합)보통

불만

(부적합)

매우불만

(매우부적합)

서비스 만족도 ① ② ③ ④ ⑤

④, ⑤ 를 체크한 경우

그 이유 및 해결방안은?

이 유 :

해결방안 :

대출 절차 ① ② ③ ④ ⑤

④, ⑤ 를 체크한 경우

그 이유 및 해결방안은?

이 유 : ㉠담보조건 ㉡구비서류과다 ㉢심사기준엄격 ㉣기타(

)

해결방안 : 대출시 구속성 적금․보험․펀드

(일명“꺾기”) 가입 제의 여

① 있다 ② 없다

제의받았을 경우 대처방법 대처방법 :

4. 신용보증기관 서비스 만족도 (신용보증서 발행한 업체만 기록)

항 목매우만족

(매우적합)

만족

(적합)보통

불만

(부적합)

매우불만

(매우부적합)

서비스 만족도 ① ② ③ ④ ⑤

④, ⑤ 를 체크한 경우

그 이유 및 해결방안은?

이 유 :

해결방안 :

보증 절차 ① ② ③ ④ ⑤

④, ⑤ 를 체크한 경우

그 이유 및 해결방안은?

이 유 : ㉠담보조건 ㉡구비서류과다 ㉢심사기준엄격 ㉣기타(

)

해결방안 :

72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지원효율화에 대한 정책적 제언

Ⅳ. 지원조건

귀 사에서는 2013년 지원조건 기준으로 답변해주시기 바랍니다.

구 분 내 용

성 격 중소기업의 경영 안정을 위한 운전자금지원

융자규모 연 6,500억 원

대상업체 인천에 공장이 소재한 중소 제조업 및 제조업관련서비스업체,

시내버스운송업, 자동차정비업(종합, 소형), 건설업, 전기공사업 등

지원금액 최대 4억 ~ 10억

대출금리

(업체의 실질 대출금리) = (은행대출금리) - (인천시 이자지원)

※ (은행대출금리)는 업체와 은행이 자율적으로 결정하는 방식

※ (인천시 이자지원)은 1.5%∼4.0%

※ 지원 회차별 차등 지원 1회차(2.5%), 2회차(2.0%), 3회차(1.5%)

융자기간

○ 2년 (2년 만기 일시상환)

○ 3년 (6개월 거치 5회 분할상환)

○ 4년 (1년 거치 6회 분할상환)

횟수산정 2004년부터 소급하여 3회 지원

※ 1회 구간 : 대출일~만기일+6개월 ※ 업체별 한도 내 지원

지원한도 총 매출액의 1/3

취급은행

(10개은행)

신한은행, 기업은행, 우리은행, 외환은행, 한국산업은행

한국씨티은행, KB국민은행, SC은행, 하나은행, 농협은행

1. 경영안정자금

항 목 매우적합 적합 보통 부적합 매우부적합지원금액

(최대 10억 이내)① ② ③ ④ ⑤

④, ⑤ 를 체크한 경우 적정지원금액은?

적정지원금액 : ( )백만 원

이자지원(1.5%~4.0%)

① ② ③ ④ ⑤

④, ⑤ 를 체크한 경우 적정 이자지원은?

적정 이자지원 : ( ) % ※ (업체의 실질 대출금리) = (은행대출금리) - (이자지원)

차등지원(1.5%~2.5%)

① ② ③ ④ ⑤

④, ⑤ 를 체크한 경우 이유는?

이 유 :

융자기간(2, 3, 4년)

① ② ③ ④ ⑤

④, ⑤ 를 체크한 경우 적정융자기간은?

적정융자기간 : ( )년

횟수산정(3회까지 지원)

① ② ③ ④ ⑤

④, ⑤ 를 체크한 경우 이유는?

이 유 :

대출금리 결정방식(업체와 은행간에 자율결정)

① ② ③ ④ ⑤

④, ⑤ 를 체크한 경우 그 이유는?

이 유 :

부록 ❚ 73

Ⅴ. 업종구조고도화자금 및 산업구조고도화자금

귀 사에서는 2013년 지원조건 기준으로 답변해주시기 바랍니다.

구 분내 용

업종구조고도화자금 산업구조고도화자금

성 격 기계구입, 공장구입, 기업연구소설치 벤처창업자금, 기업에너지구조개선사업자금

융자규모 500억 원 500억 원

대상업체 인천에 공장이 소재한 중소 제조업, 벤처기업 등

지원금액 10억 원 이내 (지식산업센터건설은 200억 원 이내)

지원방법 은행대출금리에서 이자지원 2.5% 은행대출금리 3.0% (이자지원 아님)

융자기간 8년 (3년 거치 5년 분기별 분할상환)

취급은행 신청업체 주거래은행

2. 업종구조고도화자금 및 산업구조고도화자금

항 목 매우적합 적합 보통 부적합 매우부적합

지원금액 (10억 원 이내)

① ② ③ ④ ⑤

④, ⑤ 를 체크한 경우 적정지원금액은?

적정지원금액 : ( )백만 원

융자기간(3년 거치 5년 분기별 분할상환)

① ② ③ ④ ⑤

④, ⑤ 를 체크한 경우 적정대출 기간은?

적정기간 : ( )년

업종구조(이자지원 2.5%)

① ② ③ ④ ⑤

④, ⑤ 를 체크한 경우 적정 대출금리?

적정 이자지원 ( ) % / 적정 대출금리 ( ) %

산업구조(대출금리 3.0%)

④, ⑤ 를 체크한 경우 적정 대출금리?

적정 이자지원 ( ) % / 적정 대출금리 ( ) %

※ 그밖에 인천광역시 중소기업육성자금(경영안정자금, 업종구조고도화자금, 산업구조고도화자금)과 관련하여 애로사항이나 건의사항이 있다면 기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 끝까지 성실하게 응답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보내주신 고견이 인천시 중소기업육성자금

시책에 적극적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습니다.

74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지원효율화에 대한 정책적 제언

q 인천시(2)

부록 ❚ 75

76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지원효율화에 대한 정책적 제언

부록 ❚ 77

78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지원효율화에 대한 정책적 제언

부록 ❚ 79

q 경기도

80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지원효율화에 대한 정책적 제언

q 서울시

부록 ❚ 81

82 ❚인천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지원효율화에 대한 정책적 제언

부록 ❚ 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