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KOPIST 실무급 온라인 심화연수 - 한국관광공사

56
2021 2021 2021 2021 2021 2021 2021 2021 2021 2021 2021 2021 2021 KOPIST KOPIST KOPIST KOPIST KOPIST KOPIST KOPIST KOPIST KOPIST KOPIST KOPIST KOPIST KOPIST 실무급 실무급 실무급 실무급 실무급 실무급 실무급 실무급 실무급 실무급 실무급 실무급 실무급 온라인 온라인 온라인 온라인 온라인 온라인 온라인 온라인 온라인 온라인 온라인 온라인 온라인 심화연수 심화연수 심화연수 심화연수 심화연수 심화연수 심화연수 심화연수 심화연수 심화연수 심화연수 심화연수 심화연수 『2021 KOPIST 실무급 온라인 심화연수』 결과보고서 2022. 02. 국제협력팀 - - Ⅰ. 교육 개요 개요 ----------------------------------------- 3 연수 상세일정 ----------------------------------------- 4 액션플랜 추진계획 ----------------------------------------- 8 업무 추진계획 ----------------------------------------- 10 Ⅱ. 참가자 관리 참가자 관리 ----------------------------------------- 25 초청 및 등록 ----------------------------------------- 26 교육생 명단 ----------------------------------------- 28 참가자 기념품 ----------------------------------------- 30 연락망 ----------------------------------------- 31 Ⅲ. 연사 관리 강사 리스트 ----------------------------------------- 32 Ⅳ. 세부 프로그램 사전 안내 및 준비 ----------------------------------------- 36 온라인 연수 프로그램 ----------------------------------------- 38 경진대회 ----------------------------------------- 40 Ⅴ. 온라인 과정 운영 교육 컨텐츠 관리 ----------------------------------------- 43 출결 관리 ----------------------------------------- 51 온라인 퀴즈 ----------------------------------------- 53 운영 및 관리 ----------------------------------------- 60 운영 개선사항 ----------------------------------------- 61

Transcript of 2021 KOPIST 실무급 온라인 심화연수 - 한국관광공사

『『『『『『『『『『『『『2021 2021 2021 2021 2021 2021 2021 2021 2021 2021 2021 2021 2021 KOPIST KOPIST KOPIST KOPIST KOPIST KOPIST KOPIST KOPIST KOPIST KOPIST KOPIST KOPIST KOPIST 실무급 실무급 실무급 실무급 실무급 실무급 실무급 실무급 실무급 실무급 실무급 실무급 실무급 온라인 온라인 온라인 온라인 온라인 온라인 온라인 온라인 온라인 온라인 온라인 온라인 온라인 심화연수심화연수심화연수심화연수심화연수심화연수심화연수심화연수심화연수심화연수심화연수심화연수심화연수』』』』』』』』』』』』』『2021 KOPIST 실무급 온라인 심화연수』

결과보고서

2022. 02.

국제협력팀

- 목 차 -Ⅰ. 교육 개요

1. 개요 ----------------------------------------- 32. 연수 상세일정 ----------------------------------------- 43. 액션플랜 추진계획 ----------------------------------------- 84. 업무 추진계획 ----------------------------------------- 10

Ⅱ. 참가자 관리1. 참가자 관리 ----------------------------------------- 252. 초청 및 등록 ----------------------------------------- 263. 교육생 명단 ----------------------------------------- 284. 참가자 기념품 ----------------------------------------- 305. 연락망 ----------------------------------------- 31

Ⅲ. 연사 관리1. 강사 리스트 ----------------------------------------- 32

Ⅳ. 세부 프로그램1. 사전 안내 및 준비 ----------------------------------------- 362. KOPIST 온라인 연수 프로그램 ----------------------------------------- 383. Action Plan 경진대회 ----------------------------------------- 40

Ⅴ. 온라인 과정 운영1. 교육 컨텐츠 관리 ----------------------------------------- 432. 출결 관리 ----------------------------------------- 513. 온라인 퀴즈 ----------------------------------------- 534. SNS 운영 및 관리 ----------------------------------------- 605. 운영 개선사항 ----------------------------------------- 61

- 3 -

ⅠⅠⅠⅠⅠⅠⅠⅠⅠⅠⅠⅠⅠ 교육 개요

1 개요

□ 교 육 명 : 2021 KOPIST 실무급 온라인 심화연수

* 2021 KOPIST Online Training Program

□ 기 간 : 2021.1.20 ~ 2022.02.09 (15일)

□ 초청 대상 : ODA 중점협력국 4개국 관광부처 공무원 등 국가별 12명 총 48명

- 아시아(3) : 네팔, 캄보디아, 필리핀

- 중남미(1) : 페루

□ 연수생 자격조건

- 초청대상국 관광부처, ODA 총괄부처, 지자체, NTO, RTO에 근무 중인 관광 ODA

실무담당자

- 관광학계/업계 종사자 및 동 학습 모듈 관련 업무 수행에 관심 있는 자

- 영어로 충분한 커뮤니케이션 가능 자

- 비대면 연수 진행에 따른 기기 사용에 익숙한 자

□ 주 제

- 녹색 전환을 고려한 지속가능한 방식의 관광 산업 발전(Advancing the tourism

industry in a sustainable way while considering the green transition in tourism. e.g.

application of green technology, etc.)

- 포스트 코로나 시대 관광산업 재건방안(Rebuilding tourism in the post-COVID 19

era)

- 관광을 통한 취약계층(여성, 저소득층 등)의 삶의 질 향상(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for vulnerable groups (women, low-income groups, etc.) through tourism))

- 지역사회 기반 관광(CBT)을 통한 지역 경제 발전 구축(Building the local economy

through community-based tourism (CBT))

- 4 -

□ 교육 목적 : 한국관광산업 발전 경험 공유를 통한 개발도상국의 지속가능한 관광

발전 기반 마련 및 수원국 관광지도자 및 실무자 대상 역량강화 지원

□ 주요 내용

- 관광 전문가 강의, 현장견학 강의, 실시간 강의, 액션플랜 컨설팅, PCP 컨설팅, PT

컨설팅, 액션플랜 경진대회

2 연수 상세일정

□ 일자별 주요일정

1.16(일) 1.17(월) 1.18(화) 1.19(수) 1.20(목) 1.21(금) 1.22(토)

액션플랜 프로포절(1p)

제출

액션플랜 서면 컨설팅

(국가별 OT/강의)

4h 액션플랜

작성액션플랜 컨설팅(2h)

(강의)4h

액션플랜 컨설팅(2h)

PCP 컨설팅(1h)

1.23(일) 1.24(월) 1.25(화) 1.26(수) 1.27(목) 1.28(금) 1.29(토)

(실시간 강의/토론)

4h액션플랜

작성액션플랜 컨설팅

(실시간 강의/토론)

4h 액션플랜

작성

(실시간 강의/토론)

3h 액션플랜

작성액션플랜

컨설팅(2h)PCP

컨설팅(1h)

(강의)4h

액션플랜 작성

(강의)4h

액션플랜 컨설팅PCP

컨설팅(1h)

1.30(일) 1.31(월) 2.1(화) 2.2(수) 2.3(목) 2.4(금) 2.5(토)

(강의)5h

액션플랜 작성

(강의)5h

액션플랜 작성

(강의)5h

액션플랜 작성

(강의)3h

액션플랜 컨설팅

(실시간 강의/토론)

3h액션플랜 컨설팅

2.6(일) 2.7(월) 2.8(화) 2.9(수) 2.10(목) 2.11(금) 2.12(토)(강의)

2h 액션플랜

컨설팅(2h)

액션플랜 컨설팅

액션플랜 최종본 제출

액션플랜 경진대회

실시

- 5 -

<액션플랜 경진대회 우수국가 혜택>

· 1위 : 맞춤형 관광 ODA 사업 발굴 / $100 상당 선물

※ 심도 있는 Action Plan 컨설팅(예비타당성조사 포함)

-현지 코로나19 상황에 따라 관광홍보마케팅 지원(웹사이트 개발, 관광홍보영상 제작, 리플렛

제작 등)으로 변경가능

· 2위 : $50 상당 선물

· 3~4위 : $30 상당 선물

□ 세부 일정

구분 내용 강사명

1주차

01월 20일

• 국가별 오리엔테이션(연수과정 안내, 퀴즈, 설문조사 및 액션플랜 컨설팅 등) (LIVE)

내부

• 국제개발 협력 및 ODA 이해 / KOPIST소개, 관광 ODA 프로젝트 발굴 및 승인 과정https://www.youtube.com/watch?v=CFD4LNWoOL0

배경숙

• 액션플랜의 이해와 작성법https://www.youtube.com/watch?v=Qyu3MiTN0q8

이슬기

• 액션플랜 컨설팅 (LIVE)컨설턴트

8명

01월 21일

• 지속가능관광의 이해와 가치 1부: https://www.youtube.com/watch?v=L0mn5wNvqJM 2부: https://www.youtube.com/watch?v=qMBuTJEL6KU

김송이

• 에코투어리즘의 이해와 관련 정책 1부: https://www.youtube.com/watch?v=ZbW7kuqlu7Y 2부: https://www.youtube.com/watch?v=H0Up_bD3wRA

강미희

• 액션플랜 컨설팅 (LIVE)컨설턴트

8명

• PCP컨설팅 (LIVE)곽재성/국제개발컨설팅

코닥

2주차

01월 24일

• 한국 에코투어리즘의 case-study 및 마케팅 전략 (*토론 병행)/ 스페인어 통역 (LIVE)

강미희

• 농업관광https://www.youtube.com/watch?v=D14jOO7Bx-w

강신겸

01월 25일

★ 강의 및 현장체험 영상 (연안보전 네트워크)https://www.youtube.com/watch?v=YdxNB9jkLBM

김갑곤

• CBT 개발의 이해와 이슈https://www.youtube.com/watch?v=O6hkXsWefWk

김용일

• 개발도상국 관점에서 CBT 활성화 및 장애 요인 /영어로 진행 (LIVE)Seweryn Zelenski

• 서울 도심부 역사문화자원 활용 도시재생 활성화 사업의 성과와 개선 방향 https://www.youtube.com/watch?v=lR6Rxx3eKD4

민현석

• 액션플랜 컨설팅 (LIVE)컨설턴트

8명

- 6 -

01월 26일

• 관광두레 사례연구 https://www.youtube.com/watch?v=03LORfKQRho

김용일

• 개발도상국 관점에서 CBT 성공을 위한 정책 평가 체계 (*토론 병행) /영어로 진행 (LIVE)

Seweryn Zelenski

• PCP컨설팅 (LIVE)곽재성/국제개발컨설팅

코닥

01월 27일

★ 강의 및 현장체험 영상(관광두레 우수지역‘문경’)https://www.youtube.com/watch?v=uLM_oiIhaRI

천금량

• 주요국 품질관리 체계 및 한국관광품질인증 체계https://www.youtube.com/watch?v=GGt4Dh4LJXs

엄서호

• KTO 관광벤처 지원 제도https://www.youtube.com/watch?v=IlH-ZwqTvWo

김현정

• 액션플랜 컨설팅 (LIVE)컨설턴트

8명

01월 28일

• (KTO) 1330 관광안내 제도 https://www.youtube.com/watch?v=Y82xmxMJIWw

김석일

• 관광경찰 제도https://www.youtube.com/watch?v=eLJvU1m4v20

정월문

★ 강의 및 현장체험 영상 (롯데호텔)https://www.youtube.com/watch?v=SAcHSu_bFl0

이희열

• PCP컨설팅 (LIVE)곽재성/국제개발컨설팅

코닥

3주차

01월 31일

• 관광사업 모니터링 의의 https://www.youtube.com/watch?v=YdG4GmE7tqw

권태일

• 관광조사 및 통계https://www.youtube.com/watch?v=8BbEH4Qo7D0

김준호

• 한국관광 외래관광객조사https://www.youtube.com/watch?v=Y2oequ8aRqM

권태일

• 포스트 코로나 시대 관광 산업 변화 및 대응 전략 https://www.youtube.com/watch?v=DsOpPWS5fck

김현주

02월 01일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과 산업 변화 https://www.youtube.com/watch?v=lL2l4ojht3I

이상원

• 관광 분야 소셜미디어 마케팅 1부: https://www.youtube.com/watch?v=Y_Q4_4gZHg8 2부: https://www.youtube.com/watch?v=fH9CjzHcItI

정란수

• 코로나 대응 KTO 언택트 관광지 홍보 및 한국관광홍보영상 캠페인 소개 1부: https://www.youtube.com/watch?v=n5q9BVSMe58 2부: https://www.youtube.com/watch?v=hgYS9FscqrU

오충섭

02월 02일

• OTA 이해와 활용 1부: https://www.youtube.com/watch?v=GmjusoHWBxc 2부: https://www.youtube.com/watch?v=EwKEzLsvhjU

이웅희

• 관광 수요의 다변화(새로운 관광 유형)https://www.youtube.com/watch?v=4ohEE47asVs

이병철

• FIT 관광객의 특성 및 시장 활성화 방안(밀레니엄 세대의 대두)https://www.youtube.com/watch?v=7NStpLQITbw

권태일

02월 03일

• 코로나19 영향 캠핑관광 활성화 https://www.youtube.com/watch?v=5fzaM0r_vyk

석영준

• 종교관광 (템플스테이 사례 중심으로)https://www.youtube.com/watch?v=Ce5mbCD6Qqs

전병길

- 7 -

★ 강의 및 현장체험 영상 (봉은사) https://www.youtube.com/watch?v=NGCZ6XmucbI

유남경

★ 강의 및 현장체험 영상 (안동 한옥스테이)https://www.youtube.com/watch?v=ziXNrCIYj3k

전미경

• 액션플랜 컨설팅 (LIVE)컨설턴트

8명

02월 04일

• 영어 프레젠테이션 발표 이론 및 실습 교육 (LIVE) 시몽 뷔로

• 한국 미식 여행 트랜드 및 한식 세계화 https://www.youtube.com/watch?v=vI_REkk3c-U

오영호

• 액션플랜 컨설팅 (LIVE)컨설턴트

8명

4주차

02월 07일

• 직장생활에서 필요한 리더십https://www.youtube.com/watch?v=tKJapA5p9wM

박신윤

★ 강의 및 현장체험 영상 (네팔 - 신안 섬티아고 12사도의 길)https://www.youtube.com/watch?v=ILIIAVzXhXU

윤미숙

★ 강의 및 현장체험 영상 (캄보디아 - 강원도 양구)https://www.youtube.com/watch?v=4O621zIP4TI

손영복

★ 강의 및 현장체험 영상 (필리핀 - 신안군 퍼플섬)https://youtu.be/914FME24orEhttps://youtu.be/914FME24orE

윤미숙

★ 강의 및 현장체험 영상 (페루 - 하늘내린인제로컬투어사업단)https://www.youtube.com/watch?v=l7sx3wNgKyc

이환기

• 액션플랜 컨설팅 (LIVE)컨설턴트

8명

02월 08일

화 • 액션플랜 컨설팅/액션플랜 최종본 제출 (LIVE)컨설턴트

8명

02월 09일

수 • 액션플랜 경진대회 실시 (LIVE)

- 8 -

3 액션플랜 추진 계획

□ 컨설팅팀 : 한국관광학회 소속 교수진 8명

- 참여자 : 허진무(연세대 스포츠응용산업학과), 강상훈(동아대 관광경영학과), 한승훈

(호남대 관광경영학과), 이병철(경기대 관광이벤트학과), 황조혜(경희대 호텔경영학과),

황두현(목포대 관광경영학과), 김경배(동아대 관광경영학과), 정지연(경북대 생태관광학부)

□ 액션플랜 추진 흐름도

구분 주요 내용 세부 내용 시행 일시

1단계 Action Plan 양식 전달AP 양식 전달

- AP 템플릿 및 샘플 자료 전달2022.01.04.

2단계 AP 방법론 강의

AP 방법론 통해 구성 기획

- 평가항목에 맞는 AP 체계도 수립

- 한국과의 협력방안 모색 검토

2022.01.20

3단계

AP 1안 제출

국가별 맞춤형 AP 초안 제출

- 국별 AP 템플렛에 맞게끔 AP

초안 작성 (doc 파일)

- 액션플랜 컨설팅 진행

2022.01.28

AP 2안 제출

국가별 맞춤형 AP 초안 제출

- 국별 AP 템플렛에 맞게끔 AP

초안 작성 (doc 파일)

- 액션플랜 컨설팅 진행

2022.02.04

4단계 AP 컨설팅

AP 컨설팅 피드백

- 각국별 AP 작성본에 대한 컨설턴

트 가이드 및 피드백 제공 (형

태 제한 없음)

- 본 연수 내용이 담길 수 있도

록 내용 반영

2022.01.20.~

02.08

5단계 AP 발표

AP 최종본 발표

- 라이브 형태로 국별 AP 발표

내용에 대한 심사위원 평가

2022.02.09

6단계 수상국 선정AP 1~4위 수상국 선정

- 수상품 해외배송 전달2022.02.09

- 9 -

□ 액션플랜 컨설팅 계획

# 국가 지도 교수 비고 (한국과의 시차)

1 페루 1,2팀 정지연GMT -5:00

(한국이 14시간 빠름)

2 페루 3,4팀 이병철GMT -5:00

(한국이 14시간 빠름)

3 필리핀 1,2팀 한승훈 GMT +8:00

(한국이 1시간 빠름)

4 필리핀 3,4팀 황두현GMT +8:00

(한국이 1시간 빠름)

5 캄보디아 1,2팀 황조혜GMT +7:00

(한국이 2시간 빠름)

6 캄보디아 3,4팀 김경배GMT +7:00

(한국이 2시간 빠름)

7 네팔 1,2팀 허진무GMT +5:45

(한국이 3시간 15분 빠름)

8 네팔 3,4팀 강상훈GMT +5:45

(한국이 3시간 15분 빠름)

□ 액션플랜 컨설팅 진행 순서

# 일정 주요 내용 진행 방법

1단계1월 17(월) ~ 19일(수)

Action Plan 1 page Proposal 취합 및 서면

컨설팅

현대- 이메일 취합- 컨설팅팀 전달/개별 컨설턴트 전달**

컨설팅팀 - 국가별 지도 교수 배정

참가국 - Action Plan 1 page proposal 제출

2단계1월 20(목) ~ 28일(금)

Action Plan 작성 및 1안

취합

현대- 이메일 취합 - 개별 컨설턴트 전달- 보완사항을 이메일/ 메신저 통해 전달***

컨설팅팀 - 주제, 1안 검토, 컨설팅 진행(줌/이메일)

참가국 - Action Plan 1안 제출

3단계1월 31일(월) ~ 2월 4일(금)

각 국 AP 수정 보완 및 2안

취합, PPT 1차 완성

현대- Action Plan 1안 검수- 보완사항을 이메일/ 메신저 통해 전달***

컨설팅팀 - 주제, 2안 검토, 컨설팅 진행(줌/이메일)

4단계2월 7일(월) ~

8일(화)AP 및 PPT

고도화 컨설팅 컨설팅팀 - 화상회의(ZOOM), 메신저(왓츠앱 등) 활용

5단계2월 8일(수)

18:00AP 및 PPT 발표본 취합

현대- 이메일 취합- 최종본 공유 (공사/컨설턴트, 심사위원 등)

** 국가별 배정된 지도교수진은 그룹 메신저에 참여함으로써, 참가국에 공지될 계획

*** 컨설턴트와 참가자와의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채널 확보 : (1단계) 국가별 그룹 메신저를 통해 피드백 교환, (2단계)

줌 통한 화상회의 진행 등.

- 10 -

4 업무 추진계획

1. 주차별 업무 추진 계획

과업내용

진행공정

11월

11월

12월

12월

12월

1월

1월

1월

2월

2월

2월

계약 체결 등

쳬약 체결

선금 신청

과정 기획

교수자 섭외

교안 수령

교안 검수 및 번역/ 디자인

현장견학 기획안 작성

영상 제작

영상 촬영

현장견학 촬영

영상 편집

자막 삽입 및 검수

최종 납품

참가자 모집

인포노트 초안 작성

인포노트 최종안 확정

참가국 발송 (w. official letter)

참가자 모집

연수 시행

온라인 연수 시행

액션플랜 컨설팅/ 발표

결과 보고

과정 결과보고서 제출

과업진도월계(%) 3 10 15 15 5 5 12 15 13 5 2

누계(%) 3 13 28 43 48 53 65 80 93 98 100

- 11 -

2. 콘텐츠 촬영 계획

구분 11월 29일 11월 30일 12월 01일 12월 02일 12월 03일10:00~11:00         권태일

(10:00~13:00)11:00~12:00        12:00~13:00        13:00~14:00          14:00~15:00 박신윤    

김송이 

15:00~16:00        16:00~17:00          17:00~18:00          18:00~19:00          

구분 12월 06일 12월 07일 12월 08일 12월 09일 12월 10일10:00~11:00 김용일

(10:00~12:30)

       11:00~12:00        12:00~13:00        13:00~14:00

전병길 

오영호 

14:00~15:00 김현주

(14:30~16:00)

   15:00~16:00        16:00~17:00      

김준호 

17:00~18:00   이웅희    18:00~19:00          

구분 12월 13일 12월 14일 12월 15일 12월 16일 12월 17일10:00~11:00

정란수 이병철     

11:00~12:00      12:00~13:00          13:00~14:00  

민현석 

강미희 

14:00~15:00 이상원    15:00~16:00      

석영준 

16:00~17:00        17:00~18:00          18:00~19:00          19:00~20:00          

구분 12월 06일 12월 07일 12월 08일 12월 09일 12월 10일10:00~11:00          11:00~12:00          12:00~13:00          13:00~14:00 강신겸        14:00~15:00          15:00~16:00          16:00~17:00          17:00~18:00          18:00~19:00          19:00~20:00          

- 12 -

3. 연수 현장 촬영 기획안

Ⅰ. 개발 내용

구분

(주제) 콘텐츠명 촬영장소 촬영 주요 내용 편수/

분량1 지속가능관광 연안보전

네트워크 - 안산의 생태관광에 개발 현황 및 지역 주민들의 소득 창출 사례 소개 1편 (15-20분)

2지역

커뮤니티 관광개발

문경 두레 - 문경 지역관광에 대한 현황 소개 / 지역 주민들의 소득 창출 사례 소개

1편 (15-20분)

3 관광 서비스 품질관리 (1)

웨스틴 조선호텔 - 우수인증업소 방문(숙박) 및 시찰 / 종업원 역량강화 프로그램 소개 1편

(15-20분)

4 관광 서비스 품질관리 (2)

안동 한옥스테이

- 대표적인 안동 지역관광인 한옥스테이(치암고택/ 수졸당) 사례와 함께 지역주민들의 참여 현황 소개

1편 (15-20분)

5 FIT & SIT 템플스테이 - 봉은사 - 템플스테이 사례 통해 종교 활용한 관광 자원 개발 사례 소개 1편

(15-20분)

6맞춤형

콘텐츠 - 네팔

신안 섬티아고 12사도의 길 - 네팔 산악트레킹 등의 관광 상품에 시사적용 가능한 사례로 판단 1편

(15-20분)

7맞춤형

콘텐츠 - 캄보디아

강원도 양구 - 캄보디아와 같이 접경지대에서 생태관광 활성화를 한 사례 소개 및 시사점 도출

1편 (15-20분)

8맞춤형

콘텐츠 - 페루

하늘내린인제로컬투어사업

단- 지역기반 농산촌관광 소개 및 농촌/산촌/보호지역 체험을 특화된 상품으로

개발한 사례 소개1편

(15-20분)

9맞춤형

콘텐츠 - 필리핀

신안군 퍼플섬

- 지역에서 키울 수 있는 작물과 색을 연결하고 관광화한 사례. 관광 자원 개발을 위한 개발의 컨셉과 방향에 대한 고찰

1편 (15-20분)

Ⅱ. 개발 방향 / 전략

- (학습대상) 개발도상국 관광부처 공무원으로 구성되었으며, 촬영 콘텐츠를 통해 사례들의 개발

현황에 대한 역사를 소개하고 현재까지 우수사례로 자리매김하는 내용 중심으로 콘텐츠 개발

- (내용설계) 동일한 내용이라도 일방적인 지식의 나열보다는 지식을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현장 중심형 학습내용 설계

- (전달방식) 기존 영상 활용 통해 개발 전후를 비교하는 형태로 구성. 주요 내용전문가 섭외 통해

학습대상이 사례를 벤치마킹 가능한 형태 제작

- (화면구성) 모바일 디바이스 환경에 최적화된 화면 디자인(텍스트 및 인물의 크기) / 유튜브 홍보

겸용을 감안한 표현(유튜브어)

Ⅲ. 컨셉

- (롱테이크) 실제 현장에 방문한 것과 같은 느낌으로 촬영 및 편집 예정. 다만, 내용전문가 등장

통해 설명하면서 스팟별 내용 전달

- 13 -

- (경험전수) 기존 영상을 교차 편집하여 현장 견학지 개발과정에 대해 학습(대담 형태). 일부 주요

내용 전달 위해 인터뷰 진행 필수

Ⅳ. 샘플 콘텐츠

Ⅴ. 인터뷰 / 현장촬영 일자

1) 경상북도 안동 : https://www.youtube.com/watch?v=1CrSWI6B2Wo&t=120s 2) 제주도 오설록 티하우스 : https://www.youtube.com/watch?v=loFoDuGpMAU 3) 추천가볼만한곳 달성 : https://www.youtube.com/watch?v=mWTJxF3d-Kk&t=89s

내용 사진

Seoul Walker (안동)1)

Seoul Walker (제주)2)

추천 가볼만한 곳 달성3)

인터뷰 영상 샘플

기존 영상 샘플

구분 일자 시간 촬영 장소 유형 담당자성명 연락처 이메일

11월 4주차

11월 22일(월)

10:00~16:00 신안 섬티아고 스케치+인터

뷰사단법인 섬연구소

윤미숙 이사 (김현석

신안군청 과장)

010-3640-2213 [email protected]

23일(화)10:00~15:00 신안 퍼플섬 스케치+대담

11월 24일(수)

13:00~18:00

인제로컬투어사업단 스케치+대담

하늘내린인제로컬투어사업단

이환기 사무국장010-8771-0768 hkl0405@hanmail.

net

11월 25일(목)

08:30~11:00

양구 DMZ 생태관광 스케치+대담

양구DMZ생태관광사회적협동조

합손영복 사무국장

010-4810-8410 [email protected]

14:00~18:00 치암고택 스케치+대담 안동관광두레

전미경 센터장 010-5017-5013 [email protected]

11월 26일(금)

10:00~15:00 문경 두레 스케치+대담 문경 관광두레

천금량 PD 010-5419-9035 [email protected]

- 14 -

[세부 주소]

- 신안 섬티아고 : 대기점도 (전남 신안군 증도면 병풍리)

- 신안 퍼플섬 : 신안군 안좌면 소곡리 599-4 / 반월도(전남 신안군 안좌면 반월리) / 박지도(전남

신안군 안좌면 박지리)

- 인제로컬투어사업단 : 인제군 기린면 조침령로 1061, 녹색농촌체험학교

- 양구 DMZ 생태관광 : 강원도 양구군 동면 숨골로310번길 132

- 치암고택 : 경북 안동시 퇴계로 297-10

- 문경 두레 : 경북 문경시 문경읍 상초리 157-1

- 안산 대부도 : 대부도 관광안내소 (경기 안산시 단원구 대부황금로 1531)

- 롯데 호텔 : 소공점

- 봉은사 : 서울 강남구 봉은사로 531

[이동편]

구분 출발 도착지 소요 시간 이동 수단출발지 출발 시간

11/22 ~ 11/23

서울역 6:24 목포역 (09:01) 2시간 37분 소요 KTX (개별 이동)

목포 내부에서는 렌트카 & 배로 이동 계획목포역 17:03 용산역 2시간 30분 소요 KTX (개별

이동)

11월 24일(수)용산역 10:00 인제로컬투어사

업단2시간 35분 소요

(165km) 렌트카인제로컬투어사

업단 18:00 숙소 26분 소요 (23km) 렌트카

11월 25일(목)

숙소 7시 40분경 양구 DMZ 생태관광 50분 소요 (48km) 렌트카

양구 DMZ 생태관광 11시경 안동 3시간 소요 (253km) 렌트카

안동 18시경 숙소 - 렌트카11월 26일(금)

숙소 9시경 문경 두레 57분 소요 (59km) 렌트카문경 두레 14시경 서울 용산역 3시간 30분 소요

(166km) 렌트카

- 전 구간 렌트카 이용 계획 / 촬영팀은 별도 개별 이동

- 숙박 장소 : 광주 라마다 호텔(2박 투숙 계획)

11월 5주차

12월 1일(수)

10:00~14:00 안산 대부도 스케치+인터

뷰연안보전네트워

크김갑곤 사무처장

010-3399-1295 [email protected]

12월 3주차

12월 23일(목)

14:00~17:00 봉은사 스케치+인터

뷰봉은사 유남경

팀장 010-5246-5291 [email protected]

12월2주차

12월 8일(수)

09:00~14:00 롯데 호텔 스케치+인터

뷰세종사이버대 이희열 교수 010-5251-7884 [email protected]

- 15 -

Ⅵ. 촬영 콘티

① 연안보전 네트워크 (분량 : 20분 내외)

# 분량 장소 대상자 주요 내용#1 0:00~0:05

(0:05) - - - 인트로 영상 및 썸네일

#2 0:05~4:05 (4:00)

구봉 주차장

김갑곤 사무처장

- 안산 대부도 소개 (위치, 유래 등)- 대송습지는 서해안 최대의 습지로서, 130여 종의 조류가 서식하는

생태관광의 명소- 생태관광 육성 및 활성화 사업 소개 (생태관광 핵심 콘텐츠 개발,

주민소득 창출모델 발굴 및 운영, 대부도 환경정화 사업 및 캠페인)- 대부도생태관광협의회를 중심으로 추진활동의 성격에 맞게 여러

협동조합 설립- 대부도길 8개 코스 소개 (74km로 조성)

#3 4:05~8:05 (4:00) - - - 스케치 영상

#4 8:05~8:35 (0:30)

해양관광안내소

김갑곤 사무처장 - 한국관광공사 추천 걷기여행길 선정 사례 소개 (2018년도)

#5 8:35~11:35 (3:00) 1코스 김갑곤

사무처장- 구봉도 - 간척지 조성 사례- 개미허리, 낙조전망대, 할매 할배 바위, 야생화 전경

#6 11:35~12:05 (0:30) -

지역 주민 인터뷰

- 지역 주민들의 역할 - Green Tourism 유지를 위해 쓰레기 버리는 것을 방지 (지킴이 역할)

#7 12:05~14:05 (2:00) 4코스 김갑곤

사무처장- 람사르 습지로 지정된 사례 소개- 습지 보존을 위한 지역주민들의 노력 소개

#8 14:05~15:05 (1:00) 5코스 김갑곤

사무처장- 염전 소개 (한국관광공사 생태관광 핵심 콘텐츠 개발 사례 소개)- 지역식당 주방을 공유하면서 둘레길 탐방객을 위한 도시락 4종

개발(대부해솔길 도시락)

#9 15:05~16:05 (1:00) 6코스 김갑곤

사무처장- 모세의 기적 코스 소개 / 지각변동 사례 소개 - 공룡 발자국 등의 사례 소개

#10 16:05~16:35 (0:30) 7코스 김갑곤

사무처장 - 대부광산 퇴적암 소개 - 경기도 기념물 지정 사례 소개#11 16:35~17:05

(0:30)바다향기 수목원

김갑곤 사무처장 - 식물 유전자원 보전 목적으로 조성된 사례 소개

#12 17:05~18:35 (1:30)

바다향기 수목원

김갑곤 사무처장

- Q&A1) 생태관광 콘텐츠 개발 사례가 저개발국가에 시사해줄 점은 무엇이 있을까?2) 콘텐츠 개발시에 애로사항들은 무엇이 있었나요?3) 콘텐츠 개발로 주민소득 창출모델 발굴은 무엇이 있을까요?

#13 18:35~18:45 (0:10)

바다향기 수목원

김갑곤 사무처장 - 클로징 멘트

#14 18:45~18:48 (0:03) - - - 엔딩 영상

- 협의사항 : (1) 지역 주민 인터뷰 섭외, (2) 소개 영상 확보 가능여부

- 참고영상https://www.youtube.com/watch?v=evtfy2BTjLs /

https://www.youtube.com/watch?v=EeTOOOfFVxk

- 16 -

② 문경 두레 (분량 : 15분 내외)

# 분량 장소 대상자 주요 내용#1 0:00~0:05

(0:05) - - - 인트로 영상 및 썸네일

#2 0:05~5:05 (5:00)

문경세재

1관문천금량

PD

- 문경 소개 및 문경 관광두레 개요 소개 (2018년 관광두레 사업지로 선정되어 로컬여행 기반 마련)

- 남해 관광두레 내 운영한 기업 현황 및 개수, 세부 내용 소개 : 가은팜스테이션, 엘오알오, 마실가자, 공앤유, 문경전통연희단 하늘재 등 총 5개 업체를 발굴해 37명의 구성원들이 관광사업 위해 활동 중

- 관광두레 규약 소개- 관광두레 기업 간 수익 배분 구조 소개- 조직의 특성- 관광 상품화 하는 방법 소개

#3 5:05~6:35 (1:30)

가은팜스테이

션기업 대표

- 관광두레소개 영상 - (https://www.youtube.com/watch?v=gTjc38Z9sXk)

#4 6:35~8:05 (1:30)

가은팜스테이

션기업 대표

- 기업 현황 소개 : 사과밀크티, 사과스프, 사과버터, 사과에이드 등 상품개발 및 브랜딩

- 유명 셰프의 지원을 받아 개발한 사례도 소개- 수익 창출 구조 소개- 관광두레 PD로부터 컨설팅 받은 사례 소개

#5 8:05~8:45 (0:40) - - - 가은팜스테이션 현장 스케치

#6 8:45~10:15 (1:30)

엘오알오

기업 대표

- 기업 소개 : 문경의 특색을 담은 기념품 제작 교육- 제작 콘텐츠 소개 : 문경새재 마그넷, 컬러링북, 로컬큐레이션북

등 다양한 상품을 개발 판매 중- 키링 관광두레 서포터즈와 함께 디자인 작업을 협업해서 진행한

사례 소개- 지역 주민들(로컬 크리에이터)가 납품하는 사례로, 지역 주민들과

상생하는 모델 소개#7 10:15~10:

55 (0:40) - - - 엘오알오 현장 스케치#8 10:55~12:

25 (1:30) 공앤유 기업 대표

- 기업 소개 : 오미자 염색체험, 스탬프 체험 등 다양한 상품을 판매 사례 소개

#9 12:25~14:05 (0:40) - - - 공앤유 현장 스케치

#10 14:05~17:05 (3:00)

문경세재

1관문천금량

PD

- 청년층의 문경 유입 사례 소개- 일자리 창출 현황- 관광객 방문 현황 추이 소개

#11 17:05~17:08 (0:03) - - - 엔딩 영상

- 협의사항 : (1) 오프닝 촬영 장소 협의, (2) 지역 주민 인터뷰 섭외, (3) 각 기업 소개 영상 확보

- 참고영상https://www.youtube.com/watch?v=gTjc38Z9sXk /

https://www.youtube.com/watch?v=_rjunQTThPQ

- 17 -

③ 롯데 호텔 (분량 : 15-20분)

# 분량 장소 대상자 주요 내용#1 0:00~0:05

(0:05) - - - 인트로 영상 및 썸네일

#2 0:05~1:05 (1:00)

(5성급 호텔)호텔 로비

이희열 교수 - 호텔 등급 심사 제도 개요 및 변천사

#3 1:05~3:05 (2:00)

(5성급 호텔)호텔 로비

아카데미 담당자

- 등급평가 구분 : 현장평가, 불시평가, 암행평가- 등급결정 기준 : 1~5성급

#4 3:05~6:05 (3:00)

(5성급 호텔)호텔 내부

이희열 교수

- 5성급 호텔 필수 요건 : 컨시어지와 벨맨의 배치 유무, duty magager 유무, 3개 이상의 청결한 음식장 등, 서비스 제공 시간

#5 6:05~8:05 (2:00)

(5성급 호텔)호텔 내부

아카데미 담당자

- (Q&A) 호텔 등급 유지를 위한 호텔 차원의 노력들은?- (Q&A) 종업원 서비스 마인드 함양 등을 위한 HRD 프로그램이

있다면?

#6 8:05~11:05 (3:00)

(4성급 호텔)호텔 내부

이희열 교수

- 4성급 호텔 필수 요건 : 환전 서비스, 근무자 외국어와 업무 숙지 능력, 객실 편의용품, 비즈니스 센터 등

#7 11:05~12:05 (1:00)

(4성급 호텔)호텔 내부

아카데미 담당자 - (Q&A) 호텔 등급 유지를 위한 호텔 차원의 노력들은?

#8 12:05~13:05 (1:00)

(5성급 호텔)호텔 내부

이희열 교수

- 코로나19 이후 포함된 서비스 패키지 : 입장시 발열 체크, 30시간 스테이, 스테이 헬씨

#9 13:05~15:05 (2:00)

(4성급 호텔)호텔 내부

이희열 교수

- 호텔 등급 심사에 탈락한 호텔 등을 위해 지원 제도 소개 컨설팅 제도

#10 15:05~16:05 (1:00)

(4성급 호텔)호텔 내부

이희열 교수

- (Q&A) 개도국에서 호텔 등급 심사 또한 진행 중, 한국에서 진행하는 차별화된 제도가 있다면 소개 바랍니다.

#11 16:05~16:08 (0:03) - - - 엔딩 영상

- 협의사항 : 호텔 2군데 섭외 필요

- 참고영상 : https://www.youtube.com/watch?v=tNaCowd4koE

- 18 -

④ 안동 한옥스테이 (분량 : 15분 내외)

# 분량 장소 대상자 주요 내용#1 0:00~0:05

(0:05) - - - 인트로 영상 및 썸네일#2 0:05~1:35

(1:30)안동

수졸당전미경 센터장 - 지역 안동에 대한 소개

#3 1:35~3:33 (1:59) - - - Fell the Rythem of Korea – 안동편 시청

#4 3:33~4:33 (1:00)

안동 수졸당

전미경 센터장

- 관광공사에서 전통한옥브랜드화사업 소개 - 관광공사에서 관광두레 제도로 지역민과 함께 관광사업 활성화를

만들어가는 예시 소개#5 4:33~5:31

(0:58) - - - 홍보영상 : 수졸당 (유두차사를 위한 국수 미는 장면) (미는 장면만 촬영)

#6 5:31~8:31 (3:00)

안동 수졸당

전미경 센터장

- 안동지역의 역사적 고택 수졸당에 대한 소개 : 퇴계이황 선생의 손자가 분가를 한 집으로 퇴계의 후손인 이육사 선생의 생가와 같은 동네에 있으며 이육사의 이름을 딴 264와인을 동네작목반에서 생산하고 있음

- 전체 방 개수 및 운영 방안에 대한 개요 소개- 수졸당 내부 소개 (w. 전체 map 소개)

#7 8:31~10:01 (1:30)

안동 수졸당 - - 수졸당 전경 소개

#8 10:01~11:31 (1:30)

안동 치암고택

전미경 센터장

- 원래는 수졸당과 이웃에 있었지만 안동댐을 건설하면서 집을 옮긴 이야기

- 독립운동과 관련된 이야기

#9 11:31~13:31 (2:00)

안동 치암고택

전미경 센터장

- 고택스테이가 갖는 의미 소개 (한국의 전통 관광 콘텐츠 활용 사례)

- 연간 방문하는 내외국인 수치 소개- 안동지역 주민들이 관광 상품 개발을 하는 현황 소개- 연간 창출하는 소득으로 지역주민들의 배분하여 성과 창출 사례

소개- 문체부/ 한국관광공사에서 지원하는 현황/ 인프라 소개

#10 13:31~14:01 (0:30)

안동 치암고택

전미경 센터장

- 퇴계이황을 주제로 한 다과상 차리는 장면- 한옥스테이에 대한 마무리 및 Closing

#11 14:01~14:04 (0:03)

안동 치암고택 - - 엔딩 영상 (다과와 함께 고택에서 즐기는 공연)

- 참고영상 : https://www.youtube.com/watch?v=DNK3W--T9gc

https://www.youtube.com/watch?v=QJ4Rb6Hl-1A

- 19 -

⑤ 템플스테이 - 봉은사 (분량 : 15분 내외)

# 분량 장소 대상자 주요 내용#1 0:00~0:05

(0:05) - - - 인트로 영상 및 썸네일

#2 0:05~2:05 (2:00)

봉은사 입구

유남경 팀장

- 봉은사 사찰 소개 : 도심 속에 위치한 사찰- 봉은사의 역사 : 신라시대 창설 및 조선시대 중창 등- 각 건물별 유래 소개 - 문화재 소개

#3 2:05~5:05 (3:00) - - - 봉은사 현장 스케치

#4 5:05~8:05 (3:00)

봉은사 입구

유남경 팀장

[템플스테이 소개]]- 템플스테이 개요 소개- '17~'18년 2년 연속 템플스테이 최우수 운영사찰로 선정- 연간 봉은사 템플스테이 방문하는 관광객수 소개 - 종교와 문화관광 콘텐츠를 결합하고자 한 노력 소개- OECD가 '창의적이고 경쟁력 있는 우수 문화상품'으로 선정한 대한민국

대표 문화체험 콘텐츠로 자리매김한 사례 소개

#5 8:05~9:05 (1:00)

봉은사 내부

유남경 팀장

[템플스테이 유형 소개]- 주요 프로그램 소개 : 사찰순례, 다도, 금니사경, 참선, 울력, 전통

문화체험, 사경(감지, 금니), 108배 등#6 9:05~13:2

3 (4:16) - - - 봉은사 템플스테이 홍보영상 소개 (https://www.youtube.com/watch?v=BFi0K4Joo4Q)

#7 13:23~15:23 (2:00)

대웅전 앞

유남경 팀장

[Q&A]1. 연간 봉은사 템플스테이와 템플라이프를 찾는 관광객수는 얼마나 되나?2. 관광객 비율 가운데, 내외국인 관광객 비율이 각각 어떻게 되나?3. 템플스테이를 알리기 위한 봉은사 혹은 조계종의 노력은 어떻게 되나?4. 외국인 관광객을 위해 특히 신경 쓰는 부문이 있다면?5. 코로나19에 대한 템플스테이 차원에서의 대응 방안이 있다면?

#8 15:23~15:26 (0:03) - - - 엔딩 영상

- 참고영상https://www.youtube.com/watch?v=_vHqulytUpQ /

https://www.youtube.com/watch?v=YZXYxohhars

- 20 -

⑥ 신안 섬티아고 12사도의 길 (분량 : 15분 내외)

# 분량 장소 대상자 주요 내용#1 0:00~0:05

(0:05) - - - 인트로 영상 및 썸네일#2 0:05~2:05

(2:00)베드로의

집윤미숙 이사

- 신안 지역에 대한 소개- 신안에 대한 연간 방문객 (국내외) 수치 소개 및 홍보

#3 2:05~3:35 (1:30)

베드로의 집

윤미숙 이사

[신안 섬티아고 12사도의 길 소개]- 대기점도, 소기점도, 소악도와 진섬, 딴섬으로 이루어진 모형 소개- 신안 섬티아고 12사도의 길 소개 : 국내 설치미술가들이 제작한

사례 소개- 12사도의 이름을 따서 지은 관광 콘텐츠 소개- 썰물때 노둣길로 이어져, 섬을 순례하는 12km 트레킹 코스 소개

#4 3:35~4:35 (1:00)

(1코스) 베드로의

집윤미숙 이사

- 건강을 뜻하는 곳으로, 설치 미술가 김윤환씨가 제작한 콘텐츠- 그리스 산토리니를 연상케 함- 섬의 흔한 길고양이들을 수호신으로 상징화

#5 4:35~5:35 (1:00)

(2코스) 안드레아

의 집윤미숙 이사

- 생각을 뜻하는 곳으로, 설치 미술가 이원석씨가 제작한 콘텐츠- 돌절구를 사용하여 해를 만든 해의 공간 (타일로 표현)

#6 5:35~6:35 (1:00)

(3코스) 야고브의

집윤미숙 이사 - 그리움을 뜻하는 곳으로, 설치 미술가 김강 씨가 제작한 콘텐츠

#7 6:35~7:35 (1:00)

(4코스) 요한의

집윤미숙 이사

- 생명, 평화를 뜻하는 곳으로, 설치 미술가 박영균 씨가 제작한 콘텐츠

- 타일아트로 제작한 사례 소개 : 사람, 동물, 나무, 물고기, 해, 달을 형상화

- 국내 관광 콘텐츠 첨성대와 닮은 사례 소개

#8 7:35~8:35 (1:00)

(5코스) 필립의

집윤미숙 이사

- 행복을 뜻하는 곳으로, 설치 미술가 장미셀 씨가 제작한 콘텐츠- 프랑스 남부 툴르즈에 거주하는 작가로, 프랑스 남부 건축 양식을

본 떠 설계한 작품- 한국의 전통 공예품인 절구통으로 마감처리한 창문 소개 / 인근 바닷가에서

주운 갯돌로 벽돌을 매꿈 / 주민들이 사용한 절구통으로 마감처리함 - 지역정서를 반영하고자 노력함

#9 8:35~8:55 (0:20)

(5코스) 필립의

집윤미숙 이사 - 5-6코스 이동하는 중 썰물때만 이동가능한 장면 소개

#10 8:55~9:55 (1:00)

(6코스) 바르톨로메오의

집윤미숙 이사 - 연못 위에 설치한 관계로, 유일하게 들어갈 수 없는 건물임

#11 9:55~10:55 (1:00)

(7코스) 토마스의

집윤미숙 이사

- 인연을 뜻하는 곳으로, 설치 미술가 김강 씨가 제작한 콘텐츠- 정문을 장식한 푸른 안료는 모로코에서 가져온 것임

#12 10:55~11:55 (1:00)

(8코스) 마태오의

집윤미숙 이사

- 기쁨을 뜻하는 곳으로, 설치 미술가 김윤환 씨가 제작한 콘텐츠- 러시아 정교회를 닮음 / 섬에서 실제 주민들이 많이 재배하는 양파를

형상화함

#13 11:55~12:55 (1:00)

(9코스) 작은

야고보의 집

윤미숙 이사

- 소원을 뜻하는 곳으로, 설치 미술가 장미셀 씨가 제작한 콘텐츠- 스테인글라스가 인상적

#14 12:55~13:55 (1:00)

(10코스) 유다

타대오의 윤미숙 이사

- 칭찬을 뜻하는 곳으로, 설치 미술가 손민아 씨가 제작한 콘텐츠- 어구가 어지럽던 쓰레기장에 지은 예배당- 주변은 털머위와 해국 등 자생식물을 심어 작은 공원으로 조성

- 21 -

- 협의사항 : (1) 차량 지원

- 참고영상 : https://www.youtube.com/watch?v=X1SB9Y93pYk

집#15 13:55~14:

55 (1:00)

(11코스) 시몬의

집윤미숙 이사 - 시몬의 집 소개

#16 14:55~15:55 (1:00)

(12코스) 가롯

유다의 집

윤미숙 이사

- 지혜를 뜻하는 곳으로, 설치 미술가 손민아 씨가 제작한 콘텐츠- 프랑스의 몽셸미셀을 형상화함- 고딕 양식의 예배당 앞에 붉은 벽독을 나선형으로 쌓은 종탑이

인상적임

#17 15:55~20:55 (5:00)

가롯 유다의

집윤미숙 이사

[Q&A]1. 신안에 관광 콘텐츠를 개발하게 된 이유는?2. 수익 창출 모델은 어떻게 되는지?3. 개발도상국, 특히 네팔에 적용가능한 점은 무엇이 있을까?4. 해당 관광 콘텐츠를 개발하는데 어려운 점은 무엇이 있었을까?5. 관광 콘텐츠 개발시에 중앙 정부 및 지자체의 지원들은 무엇이

있었을까?6. 지역 주민들과 의견 불일치 등은 없었나요?

#18 20:55~21:15 (0:20)

가롯 유다의

집윤미숙 이사 - 신안 현황에 대한 마무리 및 Closing

#19 21:15~21:18 (0:03) - - - 엔딩 영상

- 22 -

⑦ 강원도 양구 (분량 : 15분 내외)

# 분량 장소 대상자 주요 내용#1 0:00~0:05

(0:05) - - - 인트로 영상 및 썸네일

#2 0:05~2:05 (2:00) - 손영복

사무국장

[지역 양구 소개]- 군사도시로서의 역할 - 안보교육장 역할- 접경지대에서의 생태관광으로- 양구에 대한 연간 방문객 (국내외) 수치 소개 및 홍보

#3 2:05~3:35 (1:30) - - - 홍보영상 시청 (확인 필요)

#4 3:35~6:35 (3:00)

양구생태식물원

손영복 사무국장 - 희귀 자연 서식종에 대한 소개

#5 6:35~9:35 (3:00)

DMZ 야생동물생태관

손영복 사무국장

- 람사르협약, 생물다양성협약 내용 소개- 양구에서 서식하는 야생동물 사례 및 보존 방안 소개

#6 9:35~11:35 (2:00) 용늪 손영복

사무국장 - 우리나라 대표 람사르 습지 1호 사례 소개#7 11:35~12:3

5 (1:00) 펀치볼 손영복 사무국장

- 산책길을 따라 올라가면서 다양한 지례 등을 통해 접경지대 환기

#8 12:35~16:35 (4:00) - 손영복

사무국장

[Q&A]1. 양구 생태관광 콘텐츠를 개발하게 된 이유2. 접경지대에서 관광 자원을 개발하면서 겪게 되는 어려움은?3. 지역주민들과 소통/협의함에 있어 에피소드가 있다면 소개 요청4. 중앙정부와 지자체의 지원 내용들은 무엇이 있을까요?5. 접경지대에서의 관광 상품을 개발하면서, 참고해야 할 법률/

세재 지원 혜택 등은?6. 개발도상국, 특히 캄보디아 등에서 적용가능한 시사점이 있다면?

#9 16:35~16:55 (0:30) - 손영복

사무국장 - 양구 생태 현황에 대한 마무리 및 Closing

#10 16:55~16:58 (0:03) - - - 엔딩 영상

- 협의사항 : (1) 소개 영상에 대한 내용 확보 필요, (2) 추가 소개 콘텐츠에 대한 내용 확인 필요

- 참고영상 : https://www.youtube.com/watch?v=gRP1SvSviG8

- 23 -

⑧ 하늘내린인제로컬투어사업단 (분량 : 15분 내외)

# 분량 장소 대상자 주요 내용#1 0:00~0:05

(0:05) - - - 인트로 영상 및 썸네일#2 0:05~2:05

(2:00) - 이환기 - 인제 지역에 대한 소개- 인제에 대한 연간 방문객 (국내외) 수치 소개 및 홍보

#3 2:05~3:07 (1:02) - - - 홍보영상 시청 (https://www.youtube.com/watch?v=g51XmulK5GI)

#4 3:07~6:07 (3:00) - 이환기

- 인제군 내 모든 농촌/산촌/보호지역 체험을 특화된 상품으로 개발- 상품개발, 판매 등을 담당하는 민간조직(사)하늘내린인제로컬투어

사업단을 설립하여 관광시장과 지역 연결- 하늘내린인제로컬투어사업단과 같은 지역관광을 총괄하고 마케팅,

예약/판매, 관리를 하는 조직의 중요성이 강조되어야 함.

#5 6:07~11:46 (5:39) - - 영상 시청 (https://www.youtube.com/watch?v=hz9fy-ra_oY)

#6 11:46~13:46 (2:00)

하추리 마을 이환기

- 건강한 먹거리 - 체험 솥밥 짓기- 마을에서 재배하는 농산물로 판매 동시에 관광 콘텐츠 개발한 사례

소개- 관광상품뿐만 아니라 농산물 판매도 함께 하며, 귀산촌 교육 등도

병행하는 등 사업을 지속적으로 확장#7 13:46~15:

46 (2:00) 햇살마을 이환기 - 구상나무심기, 새싹삼 심기, 천연비누 만들기 등의 활동 진행- 이를 통해, 노인층의 인제 유입을 가속화시킴

#8 15:46~16:16 (0:30)

만병초농원 이환기 - 인제 주민들이 만들어가는 농산물 현황 소개

#9 16:16~17:16 (1:00)

진동계곡마을 이환기 - 유네스코 생물권 보전 지역으로 지정 : 울창한 원시림, 다양한

천연기념물 서식하는 우리나라 최고 청정지역 소개

#10 17:16~19:46 (2:30)

진동계곡마을 이환기

[Q&A]1. 인제 생태관광 콘텐츠를 개발하게 된 이유2. 지역주민들과 소통/협의함에 있어 에피소드가 있다면 소개 요청3. 중앙정부와 지자체의 지원 내용들은 무엇이 있을까요?4. 개발도상국, 특히 페루 등에서 적용가능한 시사점이 있다면?

#11 19:46~20:06 (0:20)

운곡 진동계곡

마을이환기 - 인제 생태 현황에 대한 마무리 및 Closing

#12 20:06~20:09 (0:03) - - - 엔딩 영상

- 협의사항 : 소개 영상에 대한 내용 확보 필요, 추가 소개 콘텐츠에 대한 내용 확인 필요

- 참고영상 : https://www.youtube.com/watch?v=hz9fy-ra_oY

- 24 -

⑨ 신안군 퍼플섬 (분량 : 15분 내외)

# 분량 장소 대상자 주요 내용#1 0:00~0:05

(0:05) - - - 인트로 영상 및 썸네일

#2 0:05~5:05 (5:00) 퍼플교 윤미숙

이사

- 신안 지역에 대한 소개- 박지도, 반월도, 두리마을에 대한 소개 - 작은 섬마을들의 경제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관광 추진- 여러 작물들을 시범적으로 심은 결과, '보라'를 주제로 한 관광지

개발(지역에서 키울 수 있는 작물과 색을 연결하고 관광화한 사례)

- 신안에 대한 연간 방문객 (국내외) 수치 소개 및 홍보 : 20만 3094명의 방문객이 퍼플섬을 찾아 수입도 1억 2750만원의 입장권과 대여로 수입

- 2015년 전남도 가고 싶은 섬 선정 - 전과 비교하면 거의 500% 가까운 관광객 증가율 보임

- 미국 CNN에서 사진작가들이 가고 싶은 꿈의 섬으로 소개함#3 5:05~6:35

(1:30) - - - 홍보영상 시청#4 6:35~8:35

(2:00) 반월도 윤미숙 이사 - 반월도 관광 콘텐츠 소개

#5 8:35~10:35 (2:00) 박지도 윤미숙

이사- 박지도 관광 콘텐츠 소개- 전동차를 타고 일주

#6 10:35~12:35 (2:00)

두리마을

윤미숙 이사

- 두리마을 관광 콘텐츠 소개- 많은 시설이나 마을주민의 높은 역량을 요구하지 않으면서도 섬마을을

활성화한 사례

#7 12:35~16:35 (4:00) 퍼플교 윤미숙

이사

[Q&A]1. 신안 퍼플섬 콘텐츠를 개발하게 된 이유2. 지역주민들과 소통/협의함에 있어 에피소드가 있다면 소개 요청3. 중앙정부와 지자체의 지원 내용들은 무엇이 있을까요?4. 개발도상국, 특히 필리핀 등에서 적용가능한 시사점이 있다면?

#8 16:35~17:05 (0:30) 퍼플교 윤미숙

이사 - 신안 지속가능한 섬관광 현황에 대한 마무리 및 Closing

#9 17:05~17:08 (0:03) - - - 엔딩 영상

- 참고영상 : https://www.youtube.com/watch?v=iS4etiOmYX8&t=406s

- 25 -

Ⅱ 참가자 관리

1 참가자 관리

1. 기본 방향

□ 4개국 48명의 교육생 이메일, 구글 클래스룸 및 Whatsapp 등을 통한 원격 시스템 관리

- 주요 공지사항 이메일 안내

- 구글 클래스룸 활용 강의 콘텐츠 및 퀴즈, 설문 진행

- 국가별, 컨설팅 팀별로 Whatsapp 대화방 개설하여 공지사항 대화방 이원화 진행

- 48명 전원 Whatsapp 대화방 개설로 소통 강화

What’s app 공지 안내 구글 클래스룸 강의 업로드

주요 공지사항 이메일 안내 What's app 전체대화방

- 26 -

2 초청 및 등록

1. 초청 프로세스

□ 한국관광공사 명의 공식 초청장 및 1차 Information Note 발송(21년 12월 20일)

- 국가별 1명 delegation 모집

□ 재외 대한한국 대사관 및 현지 담당자 통해 지속적인 협조 요청 및 공문 발송

문화체육관광부 장관명 수원국 초청연수 신청서

- 27 -

2. 등록 인원 관리 및 교육 안내

□ 참가 연수생 온라인 교육 안내 메일 발송

- 온라인 교육을 위한 구글 클래스룸 운영

- 액션플랜 및 경진대회 세부 일정 안내 등은 이메일 및 whatsapp 어플 활용

- 참가자 쌍방향 소통 및 관리/ 국가별 단체 대화방 개설을 통해 공지 사항 안내

- 매일 교육 시간 30분 전 국가별 단체방을 통해 교육 참석 안내

What’s app 출결 관리 주요 공지 사항 이메일 발송

- 28 -

3 교육생 명단

□ 4개국 총 48명 참가

No. 이름 국가성

별소속기관 직위

1 Narhari Ghimire 네팔 남 문화관광민간항공부 차관

2 Sitaram Ghimire 네팔 남 문화관광민간항공부 차관

3 Tikaram Niraula 네팔 남 문화관광민간항공부 과장

4 Prakash Dulal 네팔 남 문화관광민간항공부 과장

5 Pradip Raj Poudel 네팔 남 문화관광민간항공부 엔지니어

6 Sachindra Kumar Yadav 네팔 남 관광부 토목기사

7 Parbat Giri 네팔 남 관광부 과장

8 Kabindra Bhatt 네팔 남 관광청 담당자

9 Mani Lammichhane 네팔 남 관광청 소장

10 Rajkumar Dulal 네팔 남 문화관광민간항공부 과장

11 Ajay Kumar Dhakal 네팔 남 관광호텔경영아카데미 부장

12 Binod Aryal 네팔 남 관광호텔경영아카데미 강사

13Damián Orlando Quispe

Fuertes 페루 남 교육부 국장

14 Luz Johana Perales Alvarez 페루 여 전문직 경력부 부국장

15 Rocío del Pilar Aponte Fajardo 페루 여 전문직 학업활동부 담당자

16María Lorena Guzmán

Barrenechea 페루 여 기술영어센터 교사

17 Carmen Cecilia Castillo García 페루 여 정보부 담당자

18 Claudia Llontop Diez 페루 여 학술기록부 부국장

19 Sandrina Hernandez Alarcón 페루 여 관광연수원 강사

20 José Antonio Vera Cornejo 페루 남 관광연수원 강사

21Patricia Milena Vega- Centeno

Alzamora 페루 여 관광연수원 강사

22 Pedro Carlos Vargas Nalvarte 페루 남 고고학 연구센터 교수

23 Victor Ernesto Linarez Saldaña 페루 남 관광부 전문가

24 Karen Yazmin Sánchez Ortiz 페루 여 관광부 전문가

- 29 -

25 Toni Marcel S. Rimando 필리핀 여 관광부 책임자

26 Filbert Ian A.Tan 필리핀 남 관광부 담당자

27 Mylene Talana 필리핀 여 관광부 담당자

28 Faeroe Jeanne Fontanilla 필리핀 여 관광부 담당자

29 Mary Karlyn Subaldo 필리핀 여 관광부 보좌관

30 Rochelle Ann C. Eneria 필리핀 여 관광부 담당자

31 Ryan N. Sebastian 필리핀 남 관광부 책임자

32 Judy Colaljo 필리핀 여 관광부 책임자

33 John Trexy N. Noveros 필리핀 남 관광부 담당자

34 Ghienel B. Gustilo 필리핀 여 관광부 담당자

35 Kenneth Lorenz R. Ruedas 필리핀 남 관광부 담당자

36 JaimeVictorS.Bayhonan 필리핀 남 관광부 실장

37 CHEAK KEARUN 캄보디아 남 관광부 차장

38 Phyrum Manit 캄보디아 남 관광부 사무장

39 PHAN Sopheak 캄보디아 남 관광부 사무장

40 CHHOEURN Sarin 캄보디아 남 관광부 사무장

41 Ith Sreykeo 캄보디아 여 관광부 사무장

42 KAT Thida 캄보디아 여 관광부 사무장

43 Un Solida 캄보디아 여 관광부 사무차장

44 ROM Chanraksmey 캄보디아 여 관광부 사무차장

45 CHANTHA Rathana 캄보디아 남 관광부 담당자

46 Vin Lisaborami 캄보디아 여 관광부 담당자

47 Kunthy Channa 캄보디아 여 관광부 담당자

48 LanhPiset 캄보디아 남 관광부 담당자

- 30 -

4 참가자 기념품

□ 경진대회 수상 기념품

# 1위 (100$ 상당) 2위 (50$ 상당) 3위 (30$ 상당)

1안

삼성 갤럭시 버즈(블루투스 이어폰)

숨37도 시크릿 에센스

150ml로지텍 무선마우스

117,700원 47,000원 33,890원

- 31 -

5 연락망

1. 비상연락망 공지

□ 비상상황 시 연락가능 연락처 및 이메일 안내

2. 상시 연락 체계

□ 공지사항 및 비상상황 연락 대비용 What’s app 참여 진행

What’s app 실제 대화 내용

- 32 -

ⅢⅢⅢⅢⅢⅢⅢⅢⅢⅢⅢⅢⅢ 연사 관리

1 강사 리스트

□ 일시: 01월 20일 ~ 02월 09일

사진 성 명 직 책 주요 경력/국적

이슬기세종대학교

호텔관광경영학과 부교수

ㅇ Associate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Hotel and Tourism Management at Sejong Universityㅇ Doctorate and Master’s Degrees in Hospitality and Tourism Management from Purdue University ㅇ Bachelor’s Degree in Hotel and Tourism Management from Sejong University

강미희국제지속가능관광위

원회아태지역 디렉터

ㅇ 서울대학교 석사ㅇ 서울대학교 박사ㅇ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연구교수 (“13~”17) ㅇ 플레이포레스트협동조합/이사장 (“15.3~”19.8)ㅇ Asian Ecotourism Network/Founding board member ㅇ Global Sustainable Tourism Council/ Director for Asia-Pacific ("17.10~현재)

김송이상지대학교관광개발학과

조교수

ㅇ Texas A&M University 관광학 박사ㅇ 서울대학교 조경학 박사ㅇ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부연구위원 (2012-2021)

강신겸전남대학교

문화전문대학원교수

ㅇ M.A. in Landscape Architec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ㅇ Ph.D. in Tourism, Department of Tourism, Hanyang Universityㅇ Senior Research Fellow, Samsung Economic Research Institute ("95~"07)ㅇ Founder and President, Korean Green Tourism School ("04~"19)ㅇ Vice Chairman, The Korean Ecotourism Society ("14~"17)ㅇ Craduate School of Cultur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07~Current)ㅇ Chairman, Korean Tourism Resource Development Society ("19~Current)

- 33 -

사진 성 명 직 책 주요 경력/국적

민현석서울연구원/

선임연구위원

ㅇ 독일 칼스루에 대학교 (TH Karlsruhe) 도시설계 및 지역계획학 박사ㅇ (전) 고려대학교 건축학과 겸임교수ㅇ (전) 서울특별시 미래유산 보존위원회 위원ㅇ (전) 문화재청 고도 미래정책위원회 위원

김용일한국관광공사

전문위원

ㅇ 세종대학교 관광경영학 박사ㅇ 세종대, 동덕여대, 안양대 등 관광경영학 강의 다수ㅇ 한국관광공사 일자리기획팀 전문위원 및 관광두레 홍보마케팅 담당 (“14~현재)

이상원

경희대학교미디어학과 교수/

미디어커뮤니케이션대학원장

ㅇ 미국 University of Florida 박사ㅇ 미국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석사ㅇ 경희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대학원장ㅇ 한국미디어경영학회 부회장ㅇ 한국방송학회 수석총무이사ㅇ (전) 미국 Central Michigan University 교수

엄서호

경기대학교

관광문화대학

명예교수

ㅇ 미국 Texas A&M University 관광개발학 박사ㅇ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석사)ㅇ (전) 경기대학교 관광문화대학 학장ㅇ (현) 한국관광공사 한국관광 품질인증제 자문위원회 위원장ㅇ (현)농촌진흥청 현장명예연구지도관 ㅇ (현) 농림축산식품부 농촌융복합산업 중앙자문단 위원

정란수프로젝트 수

대표

ㅇ 한양대학교 관광학 석사ㅇ 한양대학교 관광학 학사ㅇ (현) 한양대학교 관광학부 겸임교수ㅇ (현) 테마여행10선 5권역 PMㅇ (현) 한국관광학회 이사

- 34 -

사진 성 명 직 책 주요 경력/국적

전병길동국대학교

호텔관광외식경영학부 교수

ㅇ 서강대학교 경제학과ㅇ 플로리다주립대학교(F.I.U) 호텔관광경영학석사ㅇ 경기대학교 관광학박사ㅇ (사)한국관광학회 편집위원장 역임ㅇ (재)대한불교조계종 한국불교문화사업단 템플스테이 전문위원ㅇ 한국관광공사 관광품질인증 평가위원

정월문서울관광경찰대 /

경사

ㅇ 한양대학교 경영학과ㅇ 혜화경찰서 외사계ㅇ 서울경찰청 관광경찰대ㅇ 21년 경찰청 올해의 공무원

오영호한식진흥원

팀장

ㅇ 건국대학교 경영학박사ㅇ 건국대학교 행정학석사ㅇ 전북생물산업진흥원 정책팀장(전)ㅇ 대한민국김치산업협회 국산김치평가위원(전)ㅇ 한식진흥원 사업팀장(현)

이웅희H2O 호스피탈리티

대표

ㅇ 코넬 호텔 경영학사 학사ㅇ 모건스탠리 홍콩 GCM (5년)ㅇ Jarvis Capital (VC) / Gogovan (Starup) (1년)

석영준

서울 백석예대 관광학부 겸임교수 / 문화체육관광부 캠핑부문 자문위원

ㅇ 연세대학교 교육과학대학 체육교육학과 졸업ㅇ (사)대한캠핑협회 사무총장 역임ㅇ (현) (주)착한투어리즘 대표ㅇ (현) 문화체육관광부 캠핑부분 자문위원

이병철

경기대학교 관광대학

관광이벤트학과 / 일반대학원

관광이벤트국제회의학과 교수

ㅇ 경희대학교 호텔관광대학원 관광경영학 석사ㅇ University of Illinois, Urbana-Champaign, Ph.D, in Recreation, Sport and Tourismㅇ (사)한국컨벤션학회 사무국장ㅇ (사)한국 MICE 협회 자문위원ㅇ (현)이벤트컨벤션연구 편집위원장(등재지)ㅇ (현)고양시 컨벤션 지원지도 심의위원

- 35 -

사진 성 명 직 책 주요 경력/국적

박신윤 WOKTOK 대표

ㅇ (전) 서울대학교 Global HRD실 연구원ㅇ (전) 한국능률협회 HRD 전략팀 팀장ㅇ (현) 현대종합연수원 HRD 전문가ㅇ (현) 현대경제연구원 전문 교수ㅇ (현) WOKTOK 대표

- 오충섭한국관광공사브랜드마케팅팀

팀장

- 김현정한국관광공사관광창업지원팀

- 김석일한국관광공사 안내교통팀

- 36 -

ⅣⅣⅣⅣⅣⅣⅣⅣⅣⅣⅣⅣⅣ 세부 프로그램

1 사전 안내 및 준비

1. 사전 안내

□ 이메일을 통한 일정 및 프로그램 안내

□ 이메일과 WhatsApp 메신저 어플을 사용하여 해외 교육생들과 소통 채널 구축

- 4개의 국가별 단체 대화방을 개설하여 공지 및 질의응답

- 단체 대화방을 활용하여 교육생 출석 확인

□ Google Classroom LMS를 활용하여 프로그램 강의 및 자료 공유

□ Action Plan 작성을 위한 샘플 및 템플릿 공유

2. Action Plan 샘플 및 템플릿

Action Plan 예시 템플릿

- 37 -

3. 사전 준비사항

□ Google Classroom 개설 및 자료 업로드

- 일자 별 Youtube 강의 및 퀴즈 업로드

- 강의 PPT 발표자료 공유

- 연수생 Google Classroom 등록 여부 확인 (“학생”으로 입장)

강의 업로드 학생 관리

□ 연수 국가별 WhatsApp 단톡방 초대 및 등록

- 프로그램 일정 재차 공유 및 관련 질의 응답 관리

- 38 -

2 KOPIST 온라인 연수 프로그램

1. 개요

□ 일 시 : 2022.01.20(목)∼2022.02.09(수)

□ 참 석 자 : 4개국 교육생 48명

□ 주최/주관 : 한국관광공사

□ 장 소: 온라인 (Google Classroom LMS 플랫폼)

□ 공식언어 : 영어/스페인어

□ 주 제 : 한국관광산업 발전 경험 공유를 통한 개발도상국의 지속가능한 관광발전

기반 마련 및 수원국 관광지도자 대상 역량 강화 지원

2. 연수 추진 배경

□ 교육목표

- 한국의 문화와 관광시스템에 대한 설명을 통해 문화와 관광 산업 간의 연계 및 융합에

대한 이해

- 관광산업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경영 전략 및 포스트-코로나 시대 대응 전략 구축

□ 교육특징

- 이론 강의와 온라인 견학을 통해 한국 문화와 관광 시스템에 대한 정보 습득 및 이해

강화

- 주관기관의 관광벤처기업 육성사업 모델 성공 사례 공유 및 전문가 투입

- 강의를 시청한 후 퀴즈 및 WhatsApp 단톡방 질의응답을 통하여 반복 학습 유도

- 영상 강의 및 교육 자료를 Google classroom에 공유하여 자유롭게 교육 내용 학습 및

복습 가능

□ 주요 교육 Frame

- Step 1 : 한국문화와 관광시스템에 대한 학습

- Step 2 : 관광분야 국제개발협력과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사례

- Step 3 : 수원국 맞춤형 모델 개발

- 39 -

3. 운영사항

□ 현지시간 매일 오전 9시 30분 WhatsApp을 통한 참석 안내 및 출석 체크

□ Google Classroom 질의응답을 통한 프로그램 참여도 증진

□ 강의별 퀴즈 풀이를 통해 강의 내용 복습 유도

□ 퀴즈 풀이를 통한 교육생별 학습 진행률 확인

□ 국가별, 컨설턴트별 Whatsapp 대화방을 개설하여 효과적인 운영 안내사항 공지

□ 4개국 48명 전체 인원 대화방 활성화 진행, 4개국 간 소통을 지속적으로 강화

- 40 -

3 Action Plan 경진 대회

1. 개요

□ 일시/장소 : 2022.02.09.(수) 09:50-14:10 / 비대면 Zoom 접속 진행

□ 목적 : 한국관광발전 노하우 공유를 통한 개발도상국 빈곤퇴치 및 지속가능한 관광

발전에 기여, 한국의 관광 우수사례 전파를 통한 한국관광 글로벌 인지도 제고

□ 진행방법 : 참석자 전원 온라인 비대면 Zoom 참석 진행

※ 코로나19 확산 상황이 악화됨에 따라 비대면 심사평가회로 진행

□ 평가방법 : 심사표 및 평가점수 기준에 의거한 점수 부여

□ 주최/주관 : 문화체육관광부, 한국관광공사

□ 공식언어 : 영어

□ 사회자: 영어 진행

□ 참석자

- 문체부(2) : 국제관광과 한혜리 사무관, 모소연 주무관

- KTO(3) : 오미정 차장, 주영재 주임

- 심사위원(7)

구 분  소 속 직 위 성 명

외부

KOICA 연수사업실 과장 박한울

가천대 사회과학연구소 교수 김현정

지속가능한위원회 디렉터 강미희

한국농어촌공사 부장 손혁준

세계은행 컨설턴트 갈현수

내부관광산업본부 교수위원 신희섭

관광관광본부 관광기업지원관 이재상

2. 추진배경

□ 경진대회 목표

- 우수 Action Plan의 효과적 착수와 실행을 위한 전략 방안 도출

□ 경진대회 특징

- 관광 분야 전문가들을 섭외하여 객관적인 심사

- 액션플랜 발표 이후 Q&A 시간을 통한 피드백

- 차후 관광ODA 전문 컨설턴트 현지방문을 통한 관광분야 국제개발협력 사업 발전 계획

□ 주요 Frame

- Step 1 : 각국 관광 사업 프로젝트 발표 및 Q&A를 통한 피드백

- 41 -

- Step 2 : 심사를 통한 최우수 프로젝트 선정

- Step 3 : 컨설팅 및 프로젝트 사업화 계획

3. 세부 프로그램

일시 주요내용 비고

2.9(수)

09:50-10:00 (10‘) 사업 소개 및 심사기준 안내

10:00-10:05 (05‘) 개회사 문체부 한혜리 사무관

10:05-10:15 (10‘) 액션플랜 발표 및 피드백1 (페루1) 현지시간 : 2/8 08:05pm

10:15-10:25 (10‘) 액션플랜 발표 및 피드백2 (페루2) 현지시간 : 2/8 08:15pm

10:25-10:35 (10‘) 액션플랜 발표 및 피드백3 (페루3) 현지시간 : 2/8 08:25pm

10:35-10:45 (10‘) 액션플랜 발표 및 피드백4 (페루4) 현지시간 : 2/8 08:35pm

10:45-10:55 (10‘) 액션플랜 발표 및 피드백5 (필리핀1) 현지시간 : 2/9 09:45am

10:55-11:05 (10‘) 액션플랜 발표 및 피드백6 (필리핀2) 현지시간 : 2/9 09:55am

11:05-11:15 (10‘) 액션플랜 발표 및 피드백7 (필리핀3) 현지시간 : 2/9 09:05am

11:15-11:25 (10‘) 액션플랜 발표 및 피드백8 (필리핀4) 현지시간 : 2/9 10:15am

11:25-12:00 (35‘) 휴식 시간

12:00-12:10 (10‘) 액션플랜 발표 및 피드백9 (캄보디아1) 현지시간 : 2/9 10:00am

12:10-12:20 (10‘) 액션플랜 발표 및 피드백10 (캄보디아2) 현지시간 : 2/9 10:10am

12:20-12:30 (10‘) 액션플랜 발표 및 피드백11 (캄보디아3) 현지시간 : 2/9 10:20am

12:30-12:40 (10‘) 액션플랜 발표 및 피드백12 (캄보디아4) 현지시간 : 2/9 10:30am

12:40-12:50 (10‘) 액션플랜 발표 및 피드백13 (네팔1) 현지시간 : 2/9 9:25am

12:50-13:00 (10‘) 액션플랜 발표 및 피드백14 (네팔2) 현지시간 : 2/9 9:35pm

13:00-13:10 (10‘) 액션플랜 발표 및 피드백15 (네팔3) 현지시간 : 2/9 9:45am

13:10-13:20 (10‘) 액션플랜 발표 및 피드백16 (네팔4) 현지시간 : 2/9 9:55am

13:20-13:50 (30‘) 내부 심사

13:50-14:00 (10') 시상식 1~3등

14:00-14:10 (10‘) 폐회사

4. 준비 및 운영 사항 (온라인진행)

□ 진행실 장소 : 페럼타워 3층 페럼홀

* 사회자 : 배경숙 통역사

* 현장에서 피드백 진행 시간 점검 등 전반적인 경진대회 관리

□ 진행방법 : 참석자 전원 비대면 온라인 Zoom 참석

- 사전리허설: 수원국 참석자 사전 리허설(2회), 심사위원 및 참석내빈 리허설(1회)

- 심사자료 송부: 수원국 Action Plan 최종 제출안, 심사 평가표 이메일 송부 예정

- 42 -

5. 현장사진

- 43 -

VVVVVVVVVVVVV 온라인 과정 운영

1. Google Classroom - 온라인 LMS 플랫폼

□ 기획 의도

- 코로나19로 인하여 초청연수 프로그램이 온라인 형태로 변환되어 Google Classroom,

Youtube, 등의 플랫폼을 활용하여 해외교육생들에게 교육 콘텐츠를 제공함

- 프로그램 일정기간 동안 강의 영상 및 강의 PPT 자료를 플랫폼에 공유하여 해외

시차로 인해 일정이 다른 4개국의 교육생들에게 자유로운 학습 방안 제공

□ 교육 프로그램 자료 공유 및 관리

- 영어/스페인어 두 가지 버전으로 동영상 강의 자막 제공

- Google classroom에 동영상 강의 및 퀴즈 업로드

- 교육생들 질의응답 및 피드백 관리

Google Classroom 메인 페이지 강의 영상(영어/스페인어)

1 교육 컨텐츠 관리

- 44 -

□ 교육 영상제작 내용

공적개발원조에 대한 이해 액션플랜의 이해와 작성법

한국의 지속 가능한 관광 에코투어리즘의 이해와 관련 정책

한국의 지속 가능한 지역 기반 농업 관광 온라인 현장 학습 (대부도)

CBT 개발의 이해와 이슈 서울 도심부 역사문화자원 활용 도시재생

활성화 사업의 성과와 개선 방향

- 45 -

관광두레 사례연구 온라인 현장학습 (문경)

주요국 품질관리 체계 및 한국관광품질인증 체계 KTO 관광벤처 지원 제도

(KTO) 1330 관광안내 제도 관광경찰 제도

온라인 현장학습 (롯데호텔) 관광사업 모니터링 의의

- 46 -

관광조사 및 통계 한국관광 외래관광객조사

포스트 코로나 시대 관광 산업 변화 및 대응 전략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과 산업 변화

관광 분야 소셜미디어 마케팅 코로나 대응 KTO 언택트 관광지 홍보 및 한국관광홍보영상 캠페인 소개

OTA 이해와 활용 - H2O 호스피탈리티 사례 관광 수요의 다변화(새로운 관광 유형)

- 47 -

FIT 관광객의 특성 및 시장 활성화 방안 (밀레니엄 세대의 대두) 코로나19 영향 캠핑관광 활성화

종교관광 (템플스테이 사례 중심으로) 온라인 현장학습 (봉은사)

온라인 현장학습 (안동) 한국 미식 여행 트랜드 및 한식 세계화

직장생활에서 필요한 리더십 온라인 현장학습 (신안) - 네팔어 자막

- 48 -

2. 실시간 강의 및 토론

온라인 현장학습 (양구) - 캄보디아어 자막 온라인 현장학습 (퍼플섬) - 영어 자막

온라인 현장학습 (인제) - 스페인어 자막 프로그램 소개 및 오리엔테이션(LIVE)

- 49 -

□ 기획 의도

- 온라인 연수 프로그램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실시간 강의 세션을 기획, 진행하여

더욱 현장감 있는 연수 환경 제공.

- 대륙별 진행되는 온라인 세션 내의 다양한 토론을 통한 소통의 장을 마련.

□ 실시간 강의 진행 관리

- ZOOM을 이용한 실시간 강의 (국가별 시차 고려하여 2회에 걸쳐 진행)

- 교수자와 연수생들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 위해 스페인어 통역사 투입

- 연수생 질의응답 및 피드백 실시간 관리

한국 에코투어리즘의 case-study 및 마케팅

전략 (페루) / 스페인어 순차통역

한국 에코투어리즘의 case-study 및 마케팅

전략 (필리핀, 캄보디아, 네팔)

개발도상국 관점에서 CBT 활성화 및 장애

요인

개발도상국 관점에서 CBT 성공을 위한 정책

평가 체계 (*토론 병행)

- 50 -

영어 프레젠테이션 발표 이론 및

실습 교육영어 PT 컨설팅

- 51 -

1. WhatsApp 단체 채팅방

□ 4개의 국가별 단체 채팅방을 통해 매일 오전 현지시간 9:30에 출석 체크

□ 채팅방을 통한 실시간 커뮤니케이션을 활용하여 교육생들의 적극적인 참여

유도

2. Google classroom 온라인 퀴즈

□ 과목별 퀴즈를 Google Classroom에 매일 업로드하여 교육 내용 복습 및 제출

여부로 출석 여부 확인

3. Google classroom 일별 학습 관리

□ 일자별 학습 내용 콘텐츠 및 학습 자료 게시/일별 콘텐츠 및 출결 관리

2 출결 관리

일자별 학습자료 개시

- 52 -

일자별 온라인 동영상 개시

온라인 학습 동영상 Q&A 관리

- 53 -

1. 강의별 퀴즈

3 온라인 퀴즈

Lecture 31. Which of the following statements is not one of the five areas of sustainable tourism policy in Korea?① Legal and institutional governance② Crisis response and resilience③ Inclusive welfare and peace④ Sustainable development and investment2. As of 2022, what are the goals that are becoming the direction of global and Korean sustainable development? ① Agenda② Kyoto Protocol③ UN MDGs④ UN SDGsLecture 41. Which of the following statements about ecotourism is incorrect? (Correct answer is 4)① It is used as a way to preserve the cultural value of the local community in connection with the local culture. ② It is necessary to encourage local residents to participate in the entire process from the planning stage to operation and management. ③ It requires an equitable distribution of benefits, and the economic sustainability is also an important axis. ④ Pursuing luxury is against the equity, so high-end commercialization should be avoided. 2. Which of the following statements is not included in the principles of ecotourism? (Correct answer is 4)① It should contribute to biodiversity conservation and minimize the consumption of non-renewable resources. ② It should aim for small-scale development and pursue sustainability.③ In order to provide a quality experience to tourists, it should encourage stakeholders to participate and to make an effort. ④ It should avoid long-distance travel that causes climate change. Lecture 71. Which of the following statements is not an appropriate concept for community-based tourism?① Activation of tourism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② Development of endogenous tourism in the community③ Development of tourism led by local governments ④ Discovery of community-specialized resources and product development through collaboration among local stakeholders2. Which of the followings is the name of the Korean community-based tourism (CBT) policy project?① Activation of agri-tourism② Tourism Dure③ Fostering village enterprises④ Fostering social enterprises

- 54 -

Lecture 81. Which of the following is not a future heritage?① A Gupbap (Rice soup) restaurant, opened in Cheongjin-dong and operated by three generations ② A novel, realistically depicts Seoul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③ Namsan Tower in the picture, standing against the beautiful night view of Seoul④ Geunjeongjeon, in the BTS music video that has been designated and managed as a cultural property=> Correct answer 1) ④ A future heritage is a legacy of modern and contemporary Seoul with a common memory and emotion that Seoul citizens can share among tangible and intangible things that are not cultural assets.2. Which of the following is not the method to preserve and utilize the future heritage?① JungKook proposed a future heritage that contains modern and contemporary emotions and memories through a citizen contest. ② Jimin personally experienced the value of future heritage through the walking tour program and left a comment on the website.③ Namjoon registered his old house as a cultural heritage of Seoul, and received a subsidy from the city of Seoul to carry out remodeling work according to the strict guidelines of the city.④ Taehyung participated in the Future Heritage Sympathy Concert and sang old Seoul songs of modern and contemporary Seoul citizens’ emotions. => Correct answer 2) ③ The behavior of the owner registering his/her real estate as cultural heritage of Seoul and receiving a subsidy from the Seoul Metropolitan City to maintain and repair the property according to the strict guidelines of Seoul is a method of preserving registered cultural assets.Lecture 111. What characteristic of Service requires a service manual in order to standardize tourism services? ① Volatility ② Heterogeneity③ Intangible④ Non-separability2. Which of the following factors affects satisfaction rather than dissatisfaction with tourists? ① Accommodation facility ② Food service ③ Tourist attractions ④ Shopping facilities3. What is the tourism service that is not subject to the Korean Tourism Quality Certification System?① Bathroom ② Accommodation facility ③ Restaurants ④ Shopping Facilities 4. What service areas are not included in the evaluation area of the Korea Tourism Quality Certification System? ① Fire station ② Human resources③ Buildings and Facilities④ Follow-up service

- 55 -

Lecture 141. How are Tourist Police Officers selected?① Among police officers, those who want to work for the Tourist Police Unit are selected through an interview to evaluate his/her language skills and work attitude.② When recruiting new police officers, Tourist Police Officers are selected for a separate category.③ Only police officers who were hired through a special recruitment program of language skills can be candidates of the Tourist Police Officers.④ Tourist Police Officers are selected among police officers with experience of 10 years or more.2. Which is not the duty of the patrol team of the Tourist Police Unit?① Crime prevention patrol in crowded areas with tourists such as tourist destinations② Public administration tasks related to operation such as personnel, budgeting and equipment management③ Guidance and law enforcement of tourists' Illegal acts④ Provision of public security service such as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 to and addressing complaints of foreign touristsLecture 161. Which of the following is not one of major tourism statistics of Korea?① Survey of foreign tourists② National travel survey③ Tourism business survey④ Survey on the actual condition of contents2. Which of the following is a factor positively influencing the international tourism?① Foreign exchange crisis② Diseases such as COVID-19③ Entering the LCC (low-cost carrier) market④ Global financial crisisLecture 171. Choose the wrong option regarding big data use cases.① Big data is more important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② Big data is used in driverless cars, Google's AlphaGo, and robotics.③ Big data is used in customer analysis, smart city, and medical fields.④ There are no big data use cases in Korea yet.2. Which big data does the following description refer to? Data that shows who, when, where, and what they spent on.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analyze the consumption patterns of tourists, the characteristics of tourists (gender, age group, residential area, etc.), and the consumption ripple effect of tourist destinations. This analysis is used to establish/improve tourism policies in Korea.① Credit card big data ② Car big data ③ Medical big ④ Aviation big dataLecture 181. Which countries are not newly included in the outbound tourism survey?① China② Philippines③ Indonesia④ Vietnam

- 56 -

2. Which is the survey method of foreign tourists changed due to COVID-19?① Face-to-face survey② Untact survey through QR code③ Telephone survey④ Online survey Lecture 191. Which of the following statements is the change with the highest level of impact and substantiality in social trend changes due to COVID-19? (Correct answer is ② )① Replace travel with other leisure activities② Increase in small-scale tourist travel activities ③ Increase in demand for travel through LAN④ Dispersion of tourism season2. Which of the following statements is not included in the guidelines for future tourism policies announced at the G20 Tourism Ministers’ Meeting held in May 2021? (Correct answer is ③ )① Safe travel: Restore and maintain confidence in travel② Crisis management: Minimize the impact of future crises affecting tourism③ Travel restrictions: Effective travel restrictions to overcome COVID-19④ Digital transformation: Create an environment where all stakeholders can make the most of digital opportunitiesLecture 201. Which of the following is difficult to consider as a major driver of recent digital transformation (DX)? ① Spread of Subscription Economy② Innovation of E-commerce③ Increase in the role of middleman in the value chain process④ Increase in the importance of automation such as RPA(Robot Process Automation)2. Which of the following is difficult to consider as a change caused by the recent spread of digital transformation (DX) in the tourism industry? ① Increase in the role of existing offline travel agencies in the post-tour evaluation stage② Disintermediation③ The rise of platforms in which consumers directly meet tourism products④ Providing customized tourism information through data analysisLecture 211.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buying decision pattern of consumers in the digital age and the traditional purchase decision?① Attention/Attention② Interest ③ Behavior ④ Search/Share 2. In an era where digital video media is important, what is the new marketing medium?① Newspaper ② Magazine ③ TV ④ YouTube3. Recently, as digital marketing increases, analytical marketing techniques are increasing. What is the typical analysis?① Google Analytics ② Word of mouth

- 57 -

③ Company advertisement ④ Tourist survey4. Recently, what is not a form of digitally experiencing travel instead of a real trip as you can’t actually travel because of COVID-19?① LAN-line tour ② AR/VR experience ③ Metaverse ④ Travel entertainment5. What media induces consumer reviews in the Luang Prabang Library?① SNS ② Magazine ③ TV ④ Tripadvisor6. Which image did the Tra Que Village send by e-mail to encourage consumer reviews? ① Customer experience photo ② Book review photo ③ Food recipe ④ Village view photoLecture 231. What does H2O mean?① Element symbol meaning water② 2nd generation hospitality③ Hotel to Online④ Hospitality to Online2. What is the core of Hospitality Digital Transformation?① Hotel operation through robots② Increase hotel returns by automating the operating system③ Cloud-type hotel management④ Hotel operation through SaaSLecture 241. Which of the following is far from the growth factor of special-purpose tourism? (Correct answer 2)특수목적관광의 성장요인과 거리가 먼 것은? (정답 2)① Improved Access to destination② Emergency of high-cost and luxury airlines③ Improved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④ Increased awareness of sustainability2. Which of the following is the most appropriate motive for participation in adventure tourism among the types of special-purpose tourism? (Correct answer 1)특수목적관광 형태 중 모험관광(Adventure tourism)의 참여 동기로 가장 적절한 것은? (정답 1)① Risk seeking② Social exchange③ Observation ④ Health promotionLecture 251. Which of the following is a factor positively influencing the international tourism?① Foreign exchange crisis

- 58 -

② Diseases such as COVID-19③ Entering the LCC (low-cost carrier) market④ Global financial crisis2. Which of the following is not an infection risk assessment factor for successfully implementing the Travel Bubble?① Infection rate as a percentage of population② Trend of infection rate change③ Population aging phenomenon④ Overall response to the COVID-19 situation in each countryLecture 261. Which of the following is not the background for the growth of Korea’s camping industry? (Answer: 4)① Role of mass media② Active policy of the government③ Growth of family leisure culture④ Entering an aging society2. Which of the following can’t be seen as a camping trend in Korea? (Answer:3)① Camping with companion animals② Minimalist camping③ Fishing and camping④ RV campingLecture 271. Which of the following is not a type of Temple Stay currently in operation? ( 2 )① Experiential-type ② Weekend-type ③ One-day-type ④ Relaxation-type2. Which of the following is not part of the Buddhist culture experience program that can be experienced through Temple Stay? ( 4 )① Yebul Buddhist ceremony ② Zen meditation ③ Conversation over tea with a monk ④ Archery3. In terms of personal healing, the temple stay experience allows participants to improve their socio-psychological competency. Which of the following is not a socio-psychological competency? ( 3 )① Emotional competency ② Social competency ③ Cultural competency ④ Cognitive competency Lecture 301. Which of the following is not fermented food in Korea? Correct answer (2)① Kimchi ② Hangwa (Korean traditional sweets) ③ Salted seafood ④ Doenjang (soybean paste)2. Which of the following is the ancient cookbook that recently designated as a Treasure by the Korean Government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Correct answer (3)① Jeungbosanrimgyeongje ② Eumsikdimibang ③ Suunjapbang ④ Gyuhapchongseo

- 59 -

2. 교육생 과정 진도 확인

출석 및 과제 제출 모니터링

Lecture 311. Choose which of the following statements is incorrect. (answer: 4)① Revolution means replacing an existing system with a new one at a rapid rate, and the industrial revolution mainly starts with the appearance of super items. ②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originated from the explanation of the change in manufacturing through the Internet of Things as ‘industry 4.0’ at the 2011 Hannover Industrial Expo.③ The super item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re artificial intelligence (AI), big data, Internet of Things, and cloud computing, which are connected and converged with each other for use.④ Since all jobs that will be lost by robots in the future will belong to jobs that perform repetitive tasks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only those who work in specialized occupations accompanying analysis will survive in the future. Reason for answer: What robots do better than humans are repetitive and analytical tasks, so professional occupations are also at risk of disappearing depending on their job type. 2. Choose which of the following statements is correct. (Answer: 3)① As it becomes difficult to solve complex problems alone and the power of collaborative intelligence is emphasized more and more, it becomes more important for people of similar groups in the same major to collaborate to create synergy. ② ‘Multiplier’ means demonstrating leadership by maximizing one’s energy and abilities, and the opposite concept is called ‘diminisher.’③ In order to make employees work on their own, it is effective to implement a strategy based on the ‘need for self-esteem’, ‘need for autonomy’, ‘ need for achievement’, and ‘need for growth’ that all humans have. ④ A strategy based on the need for achievement means giving employees four types of work autonomy: what, by when, how, and with whom.

- 60 -

1. WhatsApp 관리 및 운영

□ 48명 참가자 단체 채팅방 초청 및 네트워킹

□ 4개 국가별 채팅방 및 팀별(액션플랜 교수진용) 채팅방 추가 개설

□ 매일 오전 현지시간 9:30에 맞춰 하루 강의 일정과 과제 관련 안내

□ Aciton Plan 수립 및 컨설팅 세션(LIVE) 관련 공지

연수생 네트워킹 (단체) 연수생 네트워킹 (국가별 및 팀별)

질의 응답 팀별 Action Plan 컨설팅

4 SNS 관리 및 운영

- 61 -

5 운영 개선 사항

1. 본 연수사업 운영 시 미비 사항

□ 다수의 채팅방 관리 관련

- 금번 연수에서는 팀별(액션플랜 교수진용) 8개의 채팅방 개설로 국가별 채팅방 외에

교수진별 채팅방 1개 등 다수의 채팅방 개설로 공지사항 안내 진행의 일원화, 단순화가

불가했음. 이에 다수의 채팅방에서 진행되는 반복적인 안내가 연수생들에게 효과적이지

않았을 것으로 사료됨.

- 팀별, 전체 대화방 개설을 통해 더욱 강화된 소통이 가능했다는 점에서 온라인 연수의

한계로 꾸준히 지적됐던 교수진과 연수생들 간의 교류, 환류 과정 부족의 문제를 보완할

수 있었음. 뿐만 아니라 연수생 네트워킹은 향후 국가별 관광산업 현황 및 지속적인 교류를

통해 상호 간 이해도 지속 발전을 기대해볼 만 함.

2. 향후 개선방안 추가

□ 추가 모듈 개발

- 금번 과정에서는 국가별 특화 모듈을 개발하여 적용 가능한 사례로 제공하였음.

추후 과정에서는 주요 화두인 ESG 지속가능 관광 모듈을 구체화시키고, 성공 사례를

전수하는 방향으로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됨.

- 심화 교육 우승팀에게는 코로나 상황이 장기화됨에 따라 관광홍보마케팅, 온라인

관광홍보 등을 지원하는 바 이에 대한 추가 모듈을 개발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임.

□ 라이브 세션 강화

- ESG 관광, CBT 등 수원국 주요 관심분야 모듈에 라이브 세션을 추가 개설하여 실시간

질의응답을 통한 모듈 이해도를 높일 필요성이 있음.

- Q&A세션 증설 외에 토론 시간을 추가하여 국가별, 세부 분야별 다양한 의견교류,

관광개발 ideation 구체화 및 고도화, 소통 강화 등을 도모할 필요가 있음.

- 62 -

2021 KOPIST 심화연수

모니터링 및 평가 결과보고서

2022. 2.

- 63 -

목 차

I. 서론 ·········································································································································· 1

II. 모니터링 및 평가 대상 ····································································································· 2

1. 모니터링 및 평가 대상 ······························································································ 2

III. 모니터링 및 평가 방법론 ······························································································ 5

1. 평가팀 구성 ···················································································································· 5

2. 모니터링 및 평가 절차 ································································································ 6

3. KOPIST 성과모형 ········································································································ 7

4. 조사 방법 ······················································································································ 8

IV. 평가 결과 ··························································································································· 12

1. 활동(Activity) 단계 ······································································································ 12

2. 산출물(Output) 단계 ··································································································· 26

3. 성과(Outcome) 단계 ·································································································· 35

V. 결론 및 제언 ······················································································································· 37

1. 주요 결론 ······················································································································ 37

2. 개선 사항 ···················································································································· 37

[첨부 1] 연수생 인터뷰 결과 ································································································ 40

- 64 -

표 목 차

<표 1> 모니터링 및 평가대상 온라인 연수 개요 ······························································· 2

<표 2> 연수 일정 및 내용 ······································································································ 2

<표 3> 모니터링 평가 일정 ···································································································· 6

<표 4> 연수생 설문조사 참여도 ···························································································· 8

<표 5> 사전조사 설문 인구 통계 특성 ················································································ 9

<표 6> 연수생 심층 인터뷰 수행 일시 ············································································ 10

<표 7> 액션플랜 컨설팅 과정 평가 기준 ·········································································· 10

<표 8> 연수 전반에 대한 만족도 결과 ·············································································· 13

<표 9> 세부 사항별 만족도 ································································································ 13

<표 10> 연수 이후 한국에 대한 이미지 및 관심의 변화 정도에 대한 조사 결과 ···· 14

<표 11> 온라인 형태에 대한 만족도 조사 결과 ······························································ 15

<표 12> 액션플랜 컨설팅 모니터링 결과 ·········································································· 16

<표 13> 프로그램 콘텐츠에 대한 만족도 조사 결과 ······················································· 17

<표 14> 강의별 만족도 조사 결과 ······················································································ 18

<표 15> 가장 인상적인 강의에 대한 연수생 의견 ··························································· 23

<표 16> 액션플랜 컨설팅에 대한 만족도 조사 ································································ 25

<표 17> 모듈 및 강의별 연수 전후 자기효능감(이론) 변화 비교 ······························· 27

<표 18> 모듈 및 강의별 연수 전후 자기효능감(실제 활용) 변화 비교 ····················· 29

<표 19> 모듈별 자기효능감 사전사후 비교 ···································································· 31

<표 20> 모듈 및 강의별 연수 전후 자기효능감 변화 비교 ········································· 32

<표 21> 모듈별 강의 만족도 및 자기효능감 비교 ··························································· 33

<표 22> 액션플랜 컨설팅 1-3 순위 및 주제 ···································································· 34

<표 23> 액션플랜/PCP 자기효능감 ·················································································· 35

<표 24> 본 연수의 실제 직무에의 적용에 대한 기대 ····················································· 35

- 65 -

그 림 목 차

[그림 1] 평가의 목표 및 범위 ································································································ 1

[그림 2] 평가팀 구성 ················································································································ 5

[그림 3] KOPIST 성과모형 ···································································································· 7

[그림 4] 1일차 강의 만족도 ·································································································· 19

[그림 5] 2일차 강의 만족도 ·································································································· 19

[그림 6] 3일차 강의 만족도 ·································································································· 19

[그림 7] 4일차 강의 만족도 ·································································································· 19

[그림 8] 5일차 강의 만족도 ·································································································· 20

[그림 9] 6일차 강의 만족도 ·································································································· 20

[그림 10] 7일차 강의 만족도 ································································································ 20

[그림 11] 8일차 강의 만족도 ································································································ 20

[그림 12] 9일차 강의 만족도 ································································································ 20

[그림 13] 10일차 강의 만족도 ····························································································· 20

[그림 14] 11일차 강의 만족도 ····························································································· 20

[그림 15] 12일차 강의 만족도 ····························································································· 20

[그림 16] 일별 강의 만족도 ································································································ 23

[그림 17] 동영상 강의 및 실시간 강의 만족도 비교 ······················································· 25

[그림 18] 모듈별 이론에 대한 자기효능감 사전/사후 비교 ············································ 29

[그림 19] 모듈별 실제 활용에 대한 자기 효능감 사전/사후 비교 ································ 30

[그림 20] 연수생들의 연수 프로그램 기대효과에 대한 주요 단어 ································ 39

- 1 -

I. 서론

¡ 한국관광공사는 개발도상국의 경제발전을 위하여 관광분야 활성화를 지원하기

위한 목적으로 2017년부터 관광 ODA 연수를 기획 및 주관하였음.

2019년부터는 KOPIST라는 연수 프로그램명을 공식 채택하여 한국관광공사의

특화된 ODA 사업으로 발전함

¡ 코로나19 팬데믹 이후인 2020년부터는 해당 연수 프로그램을 온라인

과정으로 운영하고 있음. 특히, 금번 2021년 온라인 심화연수에서는

녹화강의와 함께 실시간 강의를 추가하여 진행하는 등 지속적으로 발전되고

있음

¡ 본 모니터링 및 평가는 2021년 KOPIST 온라인 심화연수의 진행 과정

모니터링과 함께 그 성과를 평가하였으며, 성과 달성의 주요한 원인을

분석하고, 차년도 연수과정의 개선 방안 제안 도출을 위해 수행되었음

¡ 이를 위하여 2021년 KOPIST 온라인 심화연수과정에 참여한 연수생 및

연수과정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도출하였음

[그림 107] 평가의 목표 및 범위

- 2 -

II. 모니터링 및 평가 대상

1. 모니터링 및 평가 대상

¡ 본 모니터링 및 평가는 한국관광공사가 주최한 2021년 KOPIST 온라인 심화

연수과정4)을 대상으로 함. 해당 연수과정은 2022년 1월 20일부터 2월

9일까지 진행(주말 제외)되었으며,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온라인으로

진행되었음

¡ 대부분의 온라인 강의는 녹화로 진행되었으며, 현장학습 역시 온라인

현장학습으로 대체하여 진행되었음. 일부 강의의 경우 실시간 강의(라이브

세션)로 진행되었으며, 액션플랜 컨설팅 역시 국별로 전담 컨설팅 자문 교수를

매치하여 각 5-6회 실시간으로 진행하였음

4) 연수과정 및 연수프로그램으로 칭함

구분 실무급 온라인 심화 연수

연수기간 2022.1.20.(목)∼2.9(수)

연수방법 강의) 구글 클래스룸, (액션플랜) Zoom

대상국가

ODA 중점협력국 4개국 관광부처 공무원 등 총 48명(국가별 12명)

- 아시아(3) : 네팔, 캄보디아, 필리핀

- 중남미(1) : 페루

주요내용

- 한국 관광 벤치마킹을 위한 이론 강의 및 온라인 현장답사

- 한국과의 협력을 통한 자국 관광개발 프로젝트 사업 액션플랜 작성 등

- 국가별 1:1 맞춤 액션플랜 온라인 컨설팅 및 액션플랜 경진대회

강의내용

- 1주차 : 오리엔테이션, 국제개발 협력 이해, 관광ODA 액션플랜, 지속가능관광

- 2주차 : 지속가능관광, 지역 커뮤니티 관광개발, 관광품질관리, 관광 ODA 액션플랜

- 3주차 : 관광 모니터링,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관광 리더십, FIT&SIT, 관광ODA 액션

플랜

- 4주차 : 관광 리더십, 관광ODA 액션플랜, 액션플랜 경진대회, 수료식 등

<표 72> 모니터링 및 평가대상 온라인 연수 개요

- 3 -

¡ 한편 액션플랜 강사진을 대상으로 ODA 전반 및 PCP 작성방법에 대한

오리엔테이션이 추가로 구성되었음

구 분 시 간 내 용

1.20(목)

<< 오리엔테이션 >>

10:00~11:00 (1h) ㅇ (프로그램 소개) - 일자별 프로그램 소개 / 질의응답

<< 관광 ODA >>

11:00-12:00 (1h) 관광 ODA 사업의 이해

<< 액션플랜 컨설팅 >>

13:30-15:30 (2h) ODA 방법론 강의

15:30-17:30 (2h) 액션플랜 워크숍

1.21(금)

<< 지속가능관광 >>

10:00-12:00 (2h) 지속가능관광의 이해와 가치

13:30-15:30 (2h) 에코투어리즘의 이해와 관련 정책

<< 액션플랜 컨설팅 >>

15:30-17:30 (2h) 액션플랜 워크숍

1.24(월)

<< 지속가능관광 >>

10:00-12:00 (2h) 한국 에코투어리즘의 case-study 및 마케팅 전략 (라이브세션)

13:30-15:30 (1h) 농업관광

<< 액션플랜 컨설팅 >>

15:30-17:30 (2h) 액션플랜 워크숍

1.25(화)

<< 지속가능관광 >>

10:00-11:00 (1h) 현장학습 (안산 대부도 연안 생태관광)

<< 지역 커뮤니티 관광개발 >>

11:00-12:00 (1h) CBT 개발의 이해와 이슈

13:30-14:30 (1h) 개발도상국 관점에서 CBT 활성화 및 장애 요인(라이브세션)

14:30-15:30 (1h) 서울 도심부 역사문화자원 활용 도시재생 활성화 사업의 성과와 개선 방향

<< 액션플랜 컨설팅 >>

15:30-17:30 (2h) 액션플랜 워크숍

1.26(수)

<< 지역 커뮤니티 관광개발 >>

10:00-12:00 (2h) 관광두레 사례연구

13:30-15:30 (2h) 개발도상국 관점에서 CBT 성공을 위한 정책 평가 체계 (라이브세션)

<< 액션플랜 컨설팅 >>

15:30-17:30 (2h) 액션플랜 워크숍

1.27(목)

<< 지역 커뮤니티 관광개발 >>

10:00-11:00 (1h) 현장학습 (문경 관광두레)

<< 관광 서비스 품질관리 >>

11:00-12:00 (1h) 주요국 품질관리 체계 및 한국관광품질인증 체계

13:30-15:30 (2h) KTO 관광벤처 지원 제도

<< 액션플랜 컨설팅 >>

<표 73> 연수 일정 및 내용

- 4 -

구 분 시 간 내 용

15:30-17:30 (2h) 액션플랜 워크숍

1.28(금)

<< 관광 서비스 품질관리 >>

10:00-11:00 (1h) (KTO) 1330 관광안내 제도

11:00-12:00 (1h) 관광경찰 제도

13:30-14:30 (1h) 현장학습 (관광 숙박 등급인증 – 롯데호텔)

<< 액션플랜 컨설팅 >>

14:30-17:30 (3h) 액션플랜 중간 점검

1.31(월)

<< 관광산업 모니터링 >>

10:00-11:00 (1h) 관광사업 모니터링 의의

11:00-12:00 (1h) 관광조사 및 통계

13:30-14:30 (1h) 한국관광 외래관광객조사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

14:30-15:30 (1h) 포스트 코로나 시대 관광 산업 변화 및 대응 전략

<< 액션플랜 컨설팅 >>

15:30-17:30 (2h) 액션플랜 워크숍

2.1(화)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

10:00-12:00 (2h) 관광 분야 소셜미디어 마케팅

11:00-12:00 (1h)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과 산업 변화

13:30-15:30 (2h) 코로나 대응 KTO 언택트 관광지 홍보 및 한국관광홍보영상 캠페인 소개

<< 액션플랜 컨설팅 >>

15:30-17:30 (2h) 액션플랜 워크숍

2.2(수)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

10:00-12:00 (2h) OTA 이해와 활용

<< FIT & SIT >>

11:00-12:00 (1h) 관광 수요의 다변화(새로운 관광 유형)

13:30-15:30 (2h) FIT 관광객의 특성 및 시장 활성화 방안(밀레니엄 세대의 대두)

<< 액션플랜 컨설팅 >>

15:30-17:30 (2h) 액션플랜 워크숍

2.3(목)

<< FIT & SIT >>

10:00-12:00 (2h) 코로나19 영향 캠핑관광 활성화

11:00-12:00 (1h) 종교관광 (템플스테이 사례 중심으로)

13:30-14:30 (1h) 현장학습 (템플스테이)

14:30-15:30 (1h) 현장학습 (안동 한옥스테이)

<< 액션플랜 컨설팅 >>

15:30-17:30 (2h) 액션플랜 워크숍

2.4(금)

<< FIT & SIT >>

10:00-12:00 (2h) 한국 미식 여행 트랜드 및 한식 세계화

<< 관광 리더십 >>

11:00-15:30 (3h) 영어 프레젠테이션 발표 이론 및 실습 교육

<< 액션플랜 컨설팅 >>

15:30-17:30 (2h) 액션플랜 워크숍

2.7(월)

<< 관광 리더십 >>

10:00-11:00 (1h) 직장생활에서 필요한 리더십

11:00-12:00 (1h) 현장학습 (국가별 맞춤형 콘텐츠)

<< 액션플랜 컨설팅 >>

- 5 -

구 분 시 간 내 용

15:30-17:30 (2h) 액션플랜 워크숍

2.8(화) << 액션플랜 컨설팅 >>

전일 ㅇ (국가별 과제) 액션플랜 컨설팅

2.9(수) << 액션플랜 프리젠테이션 >>

전일 ㅇ (국가별 과제) 액션플랜 프리젠테이션

*액션플랜 컨설팅의 경우, 국가 및 팀별로 일정을 조율하여 진행되었음

- 6 -

III. 모니터링 및 평가 방법론

1. 평가팀 구성

¡ 평가팀은 1인의 책임연구원과 공동연구원 이외에 3인의 연구원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구성원의 세부 역할 및 과업은 다음과 같음

[그림 2] 평가팀 구성

- 7 -

2. 모니터링 및 평가 절차

¡ 연수 시작 이전에 전체 모니터링 및 평가 계획을 수립하고 기존 모니터링

도구를 금번 연수과정에 맞게 수정하였음. 연수생들의 피로는 낮추고 응답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전반적으로 설문문항을 축소 조정하고 금번 과정에서

새로 도입된 라이브 세션에 대한 질문을 추가 구성함. 특히 액션플랜 컨설팅

평가를 위한 관찰 기준도 개발하였음

¡ 설문조사 이후 이에 대한 심층분석을 위하여 연수생 대상의 인터뷰가

진행되었음. 모든 이론 강의 및 액션플랜 컨설팅 이후에 아시아 지역과 남미

지역으로 나누어 진행되었으며, 남미 지역 연수생 인터뷰의 경우 스페인어

통역사를 투입함

¡ 금번 모니터링에서는 액션플랜 강사진에 대한 인터뷰를 추가하여 강사진들의

의견을 청취하였음

¡ 모든 조사 실시 직후 결과가 분석되었으며, 설문조사 결과를 해석하는

과정에서 인터뷰 결과를 필요에 따라 반영하였음

추진업무1월 2월

1주 2주 3주 4주 1주 2주 3주

모니터링 계획 수립모니터링 도구 개발연수생 대상 설문조사연수생 대상 인터뷰액션플랜 강사진 대상 인터뷰모니터링 결과 분석모니터링 보고서 작성최종보고회 및 보고서제출

<표 74> 모니터링 평가 일정

- 8 -

3. KOPIST 성과모형

¡ KOPIST 연수 과정의 목적은 [그림 3]과 같이 “효과적인 관광 정책 및

프로그램 수립” 이며, 장기적으로 참여국의 경제발전을 위하여 관광산업이

활성화되기를 기대하는 논리로 구성됨

¡ KOPIST 연수 과정의 목적과 장기적인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이론강의,

현장학습, 액션플랜 작성 및 컨설팅, 그룹 토의 및 국별발표로 구성된

연수과정이 운영됨. 이를 통해 연수생들이 신규 프로젝트를 개발할 수 있는

역량을 강화하고, 이를 기반으로 구체적으로 설계된 신규 프로젝트를

발굴뿐만 아니라, 연수를 통한 네트워크를 강화할 수 있도록 함

¡ 2020년도부터 온라인 형태로 진행되면서 그룹토의 및 국별발표가

생략되었으나, 온라인 연수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녹화 강의 외에도

실시간 강의, 실시간 컨설팅 등 하이브리드 식의 연수를 운영하였음

[그림 109] KOPIST 성과모형

- 9 -

4. 조사 방법

4.1. 설문조사

¡ 본 연수과정의 모니터링 및 평가를 위해 연수생 대상의 설문조사를 연수

전후에 실시하였으며 각 온라인 강의가 진행되는 연수기간 동안 일일

강의평가와 액션플랜 컨설팅 만족도조사를 진행하였음. 설문조사는 구글

서베이(Google Survey)를 통해 온라인으로 응답을 집계하였음

¡ 설문조사는 본 연수에 참여한 연수생 48명 전체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1월

20일부터 2월 11일까지 사전설문조사, 강의별 만족도 조사, 액션플랜 만족도

조사 및 사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음. 사전 설문조사의 경우 44명이

사후설문조사는 37명이 응답하였음(<표 4> 참조)

구분 설문응답자 수 응답비율

사전 설문조사 44명 92%

강의별 만족도 조사

구분 설문응답자 수 응답비율1일차 38 79%2일차 48 100%3일차 45 94%4일차 44 92%5일차 42 88%6일차 41 85%7일차 42 88%8일차 41 85%9일차 42 88%10일차 42 88%11일차 44 92%12일차 40 83%13일차 38 79%

액션플랜 만족도 조사 33명 69%

사후 설문조사 37명 77%

<표 75> 연수생 설문조사 참여도

- 10 -

¡ 장기간 지속되는 연수 특성 상, 모든 설문을 사후에 일시 진행할 경우 과도한

문항수로 인하여 응답의 신뢰도가 떨어질 수 있으므로 매일 강의가 종료될

때마다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음. 이에 응답률에서 차이가 있음

¡ 연수생의 국적은 캄보디아, 네팔, 필리핀, 페루이며, 특히 금번 연수과정부터

학계(academia) 출신 연수생이 포함되었음(<표 5> 참조)

구분 특성

총 응답자수

44명

국적 § 네팔, 캄보디아, 페루, 필리핀

성별§ 남자 15명§ 여자 14명

소속기관

§ Federal government 22명§ Provincial/local/state government 8명§ Government affiliated public cooperation 5명§ Academia 5명 § 기타 4명

직책

§ Senior 레벨 19명§ Junior 레벨 19명§ Entry 레벨 4명 § 관리자급(executive) 2명

경력

§ 0-5년 미만 8명 § 5년 이상-10년 미만 19명§ 10년 이상-15년 미만 7명§ 15년 이상-20년 미만 3명§ 20년 이상 7명

ODA 업무경험

§ 13명

<표 5> 사전조사 설문 인구 통계 특성

- 11 -

4.2. 인터뷰

¡ 연수 종료 이후에는 설문조사를 통한 만족도뿐만 아니라, 연수생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화상회의를 통해 연수 전반에 대한 만족도에 대한 심층

인터뷰를 시행하였음. 페루의 경우, 연수생 12명 전체가 참여하였으나

캄보디아, 네팔, 필리핀 인터뷰의 경우 국별로 일부만 참여하였음

4.3. 자기효능감 연수 전/후 차이 분석

¡ 매년 진행하는 자기 효능감의 경우, 금번 과정부터는 사전 조사에 한하여

모듈별로 응답을 받음. 이는 연수 실시 이전에 연수생들이 강의명만으로

해당 내용을 추측할 수 없기 때문에 각자의 능력을 평가하는데도 한계가

있기 때문임

4.4. 액션플랜 컨설팅 관찰

¡ 액션플랜 작성에 대한 컨설팅 과정 모니터링 시, 객관적인 평가기준을

기반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해서 다음의 <표 7>과 같이 액션플랜 컨설팅

평가기준을 마련하였음. 평가기준은 크게 수업설계-수업실행 영역으로

구분하였으며, 수업실행은 수업 일반, 수업 전개, 정리(수업 마무리)로

구분하여 평가기준을 마련하였음

일시(한국시간) 구분

2월 8일(화) 08:00-09:00 페루

2월 9일(수) 15:00-15:40 캄보디아, 네팔, 필리핀

<표 6> 연수생 심층 인터뷰 수행 일시

- 12 -

영역 평가기준평가척도

1 2 3 4 5

수업

설계

1연수생들의 자발적이고 능동적인 참여를 끌어내기 위한

활동(경험)을 구성하였다.

2

강의가 구조화된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액션플랜 컨설팅을 각 차시별로 단계적으로 구성 및 단계

간의 연계/전환 여부)

3 연수생들이 적극적으로 컨설팅에 참여하였다.

4 컨설팅이 액션플랜 목표와 연결되고 흐름에 일관성이 있었다.

5자료와 교수매체 등이 연수생들의 수준과

과제해결(PCP/액션플랜 작성)에 적절하였다.

6연수생이 과제해결에 필요한 다양한 자료 등을 어떻게 이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명확하게 제시해 주었다.

7 강의자는 연수생에게 피드백을 명확하게 제시하였다.

8강의자는 연수생이 학습 내용 및 제공되는 피드백/강의내용

대해 충분히 이해했는지 확인하였다.

9

강의자는 연수생들이 강의 내용 및 피드백 내용을 기반으로

스스로 심화적인 내용(idea develop)을 스스로 이끌어 낼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10수업 과정에서 대화·토의·토론 등 연수생들 간 원활한

상호작용이 이루어졌다.

11적절한 발문과 피드백으로 연수생의 활동을 격려함으로써

강의자와 연수생 간 상호작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12과제 해결 과정에서 겪고 느꼈던 사고 과정에 대한 대화와

질문이 이루어졌다.

13학습의 내용을 정리하고 학습 참여에 대한 반성, 다음

컨설팅에 대한 안내가 이루어졌다.

<표 7> 액션플랜 컨설팅 과정 평가 기준

- 13 -

IV. 평가 결과

1. 활동(Activity) 단계

1.1. 연수생 선발 및 준비

¡ (연수과정에 대한 정보 접근) 연수 과정에 대한 정보 접근성과 관련하여

연수생 응답자 44명 중, 37명(84%)이 연수 프로그램 신청 기간 이전에 신청

절차를 포함하여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고 응답하였음

- 22명의 응답자 중, 22명이 이전에 연수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동료로부터

정보를 얻었다고 응답하였으며, 11명은 직장 상사, 8명은 본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한국기관, 6명은 각 국가 내 공무원(public officer)을 통해 정보를

얻었다고 응답하였음. 이전 경험 및 부처의 초청으로 정보를 얻었다고

응답한 연수생도 있었음 5)

- 매년 동일 국가 및 유사 기관을 대상으로 연수가 진행됨에 따라, 기관

내에서 정보 전달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됨

¡ (연수지원 요구조건) 사전조사에서 연수 지원을 위한 요구조건으로는 해당

프로그램과 관련 있는 직무(68.2%) 및 관련 분야에서의 경험(63.6%)이 가장

중요하였다고 응답6)하였음

1.2. 연수 진행 만족도

¡ 연수생들은 연수 전반에 대하여 4.71점으로 응답하였고, 백분위 환산 시

92.75점으로 나타남

5) 해당 문항은 복수응답이 가능하였음 6) 해당 문항은 복수응답이 가능하였음

- 14 -

- 연수 콘텐츠에 대한 만족도(4.92점) 및 연수 운영관리에 대한

만족도(4.81)가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음. 이는 2021 일반연수에서도

콘텐츠와 운영관리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았던 것과 일치함. 한편

온라인 연수 특성 상 현장학습에 대한 만족도가 금번 심화연수에서도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음(<표 8> 참조)

단위: 점

항목

2019년 2020년 2021년

일반연수 심화연수 일반연수 일반연수 심화연수

연수 운영관리에 대한 만족도

4.95 5 4.77 4.73 4.81

(온라인) 연수 콘텐츠에 대한 만족도

4.89 5 - 4.81 4.92

온라인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 - 4.6 4.62 4.59

(온라인)* 현장학습에 대한 만족도

4.84 4.92 4.47 4.35 4.49

연수 환경(시설)에 대한 만족도

4.89 5 - - -

실시간 라이브 세션에 대한 만족도

- - - - 4.70

액션플랜 워크숍에 대한 만족도 (성취도)

4.74 5 4.50 4.65 4.76

평균4.86

(96.5)

4.98

(99.5)

4.59

(89.75)

4.63

(90.75)

4.71

(92.75)

*온라인 현장학습은 2020년부터 적용, 2019년까지는 실제 현장답사로 진행되었음

<표 8> 연수 전반에 대한 만족도 결과

¡ 연수 프로그램 적절성 및 유용성, 연수 운영 및 전체적인 강의와 강의자에

대한 만족도 조사 결과는 다음의 <표 9>와 같으며 프로그램 유용성에서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임

- 교육기간 및 시간 구성 비율에 대해서는 매년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조사됨.

이는 액션플랜 작성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인 것으로 조사됨. 한편

녹화강의 특성 상 질의응답 절차가 있더라도 강사와의 소통 부분에서

만족도가 낮게 나타남

- 15 -

- 본 연수 과정을 통해 연수생들의 한국에 대한 이미지와 관심의 변화는 매우

긍정적이었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표 10>과 같음

단위: 점구분 항목 점수 (5점 만점)

연수 운영에 대한 만족도

연수 과정의 관리에 대한 만족도 4.70

연락 담당자(liason)의 지원에 대한 만족도 4.73

평균 4.72

연수 프로그램 적절성

온라인 연수 교육기간의 적절성 4.51

강의와 온라인 현장학습 비율의 적절성 4.51

실시간 라이브 세션 비율의 적절성 4.46

각 국가의 관광 분야 개선을 위한 방안과 연수

프로그램 주제와의 적절성4.84

평균 4.58

연수 프로그램 유용성

해당 프로그램이 각 국가의 관광분야 개선에

기여 4.89

해당 프로그램이 각 국가의 관광 정책 수립과

관광 정책의 향상에 기여(연수 프로그램의

유용성)

4.86

향후 해당 프로그램을 향후 동료에게 추천여부 4.86

해당 프로그램이 각 국가의 관광분야에의

일자리를 창출하는데 기여 4.81

평균 4.86

강의 및 강의자에 대한 만족도

제공된 교재가 강의 내용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는가? 4.81

강사는 질문이 있거나, 강사와 소통이 필요할

때 구글 클래스룸(또는 이메일, 왓츠앱)을 통해

연수생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하였는가?

4.65

평균 4.73

전체 평균 4.72

<표 9> 세부 사항별 만족도

- 16 -

1.3. 온라인 형태 연수 운영

¡ 온라인 형태에 대한 만족도에 대한 조사는 평균 4.73점으로 만족도가 높게

조사되었으며, 온라인 강의실의 접근성이 4.81점으로 만족도가 가장 높았음.

연수기간 동안 학습관리 시스템으로 활용한 구글 클래스룸(Google

Classroom) 사용의 용이성에 대한 만족도 및 동영상 강의의 품질에 대한

만족도 모두 4.78점으로 높게 조사되었음. 구체적인 내용은 <표 11>과 같음

- 다수의 연수생들은 인터뷰를 통하여 온라인 연수에서 가장 좋았던 점에

대한 질문에 대해 동영상 강의 품질을 선정하였으며, 본 연수에 다수 참여한

연수생의 경우 강의 품질이 매년 개선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음

단위: 점

항목 점수 (5점 만점)

해당 프로그램을 통해 한국에 대한 이미지가 이전에 비해 달라졌는가?

4.84

해당 프로그램 이후 한국의 문화, 사회 및 관광분야에 더 관심을 가지게 되었는가?

4.89

평균 4.86

<표 10> 연수 이후 한국에 대한 이미지 및 관심의 변화 정도에 대한 조사 결과

단위: 점

항목 점수 (5점 만점)

온라인 강의실에 쉽게 접근 할 수 있었다. 4.81

학습 관리 시스템 (예 : 구글 교실)을 사용하기 쉬웠다. 4.78

각 동영상 강의의 길이가 적당했다. 4.70

동영상 강의의 품질이 좋았다. 4.78

SNS 플랫폼 (예 : Whatsapp)을 사용하여 쉽게 소통 할 수 있었다. 4.65

구글 클래스룸이나 whatsapp을 통해 강사들과 소통하거나 피드백을

받는 것이 활발했다.4.65

평균 4.73

<표 11> 온라인 형태에 대한 만족도 조사 결과

- 17 -

1.4. 액션플랜 컨설팅

¡ 모니터링 팀은 <표 7>의 액션플랜 컨설팅 평가기준에 따라 모니터링을

실시하였으며, 다음의 <표 12>는 모니터링 요원 5인이 채점한 점수 결과의

평균값임

- 전체 평균은 4.28점으로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수업설계, 수업 일반,

수업 전개, 수업 정리 구분에 따라 살펴보면 수업 일반적인 내용에 대한

점수가 4.52점으로 가장 높았음.

- 각 개별 평가기준을 살펴보면, 수업일반의 ‘컨설팅이 액션플랜 목표와

연결되고 흐름에 일관성이 있었다’ 기준이 4.59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수업

전개의 ‘강의자는 연수생들이 강의 내용 및 피드백 내용을 기반으로 스스로

심화적인 내용을 스스로 이끌어 낼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기준에 대한

점수가 3.78점으로 가장 낮았음

단위: 점

구분 평가기준 점수

수업

설계

1연수생들의 자발적이고 능동적인 참여를 끌어내기 위한

활동(경험)을 구성하였다.4.03

2

강의가 구조화된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액션플랜 컨설팅을 각 차시별로 단계적으로 구성 및 단계

간의 연계/전환 여부)

4.39

평균 4.21

수업

일반

3 연수생들이 적극적으로 컨설팅에 참여하였다. 4.52

4 컨설팅이 액션플랜 목표와 연결되고 흐름에 일관성이 있었다. 4.59

5자료와 교수매체 등이 연수생들의 수준과

과제해결(PCP/액션플랜 작성)에 적절하였다.4.45

평균 4.52

<표 12> 액션플랜 컨설팅 모니터링 결과

- 18 -

1.5. 프로그램 콘텐츠

¡ 연수 프로그램 콘텐츠에 대한 만족도 평균은 4.73점으로 특히, 프로그램의

목적에 따른 과정 구성여부에 대해서는 4.86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남. 한편

이번에 새로 시도한 ‘실시간 강의’가 프로그램을 더 잘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는지에 대한 질문에서도 4.7점으로 만족도 점수가 비교적 높게

조사되었음 (<표 13> 참조)

수업

전개

6연수생이 과제해결에 필요한 다양한 자료 등을 어떻게

이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명확하게 제시해 주었다. 3.95

7 강의자는 연수생에게 피드백을 명확하게 제시하였다. 4.63

8강의자는 연수생이 학습 내용 및 제공되는 피드백/강의내용

대해 충분히 이해했는지 확인하였다.4.45

9

강의자는 연수생들이 강의 내용 및 피드백 내용을 기반으로

스스로 심화적인 내용(idea develop)을 스스로 이끌어 낼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3.78

10수업 과정에서 대화·토의·토론 등 연수생들 간 원활한

상호작용이 이루어졌다.4.02

11적절한 발문과 피드백으로 연수생의 활동을 격려함으로써

강의자와 연수생 간 상호작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4.42

평균 4.21

수업

정리

12과제 해결 과정에서 겪고 느꼈던 사고 과정에 대한 대화와

질문이 이루어졌다.4.08

13학습의 내용을 정리하고 학습 참여에 대한 반성, 다음

컨설팅에 대한 안내가 이루어졌다.4.36

평균 4.22

전체 평균 4.29

- 19 -

¡ 각 강의별 만족도 조사 결과는 다음의 <표 14>와 같으며, 강의 전체 만족도

평균은 4.63점으로 조사됨. 특히 ‘관광조사 및 통계’와 ‘직장생활에서 필요한

리더십’에가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임

단위: 점

항목 점수 (5점 만점)

과정은 프로그램의 목적에 따라 구성되었다. 4.86

온라인 현장 방문은 자국의 관광분야 맞게 적용 혹은 맞춤형으로

적용할 수 있을지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다.4.57

액션플랜 세션은 프로그램을 더 잘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4.68

실시간 강의는 프로그램을 더 잘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4.70

전반적으로 연수 프로그램 콘텐츠에 만족한다. 4.84

평균 4.73

<표 13> 프로그램 콘텐츠에 대한 만족도 조사 결과

단위: 점

일별 강의명 만족도

1일차관광 ODA 사업의 이해 4.59

ODA 방법론 강의 4.61

2일차

지속가능관광의 이해와 가치 4.56

에코투어리즘의 이해와 관련 정책 4.61

3일차

한국 에코투어리즘의 case-study 및 마케팅 전략

(라이브세션)4.61

농업관광 4.58

4일차

CBT 개발의 이해와 이슈 4.56

개발도상국 관점에서 CBT 활성화 및 장애 요인(라

이브세션)4.56

서울 도심부 역사문화자원 활용 도시재생 활성화 사

업의 성과와 개선 방향4.52

<표 14> 강의별 만족도 조사 결과

- 20 -

¡ 일자별 강의 만족도 조사 결과 상세 내용은 다음의 [그림 5]~[그림 16]과

같음 (단, 13일차의 경우 1개 강의만 진행되어 별도의 비교 그래프는 없음)

5일차

관광두레 사례연구 4.49

개발도상국 관점에서 CBT 성공을 위한 정책 평가

체계(라이브세션)4.52

6일차주요국 품질관리 체계 및 한국관광품질인증 체계 4.55

KTO 관광벤처 지원 제도 4.56

7일차(KTO) 1330 관광안내 제도 4.58

관광경찰 제도 4.55

8일차

관광사업 모니터링 의의 4.71

관광조사 및 통계 4.75

한국관광 외래관광객조사 4.72

포스트 코로나 시대 관광 산업 변화 및 대응 전략 4.72

9일차

관광 분야 소셜미디어 마케팅 4.73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과 산업 변화 4.69

코로나 대응 KTO 언택트 관광지 홍보 및 한국관광

홍보영상 캠페인 소개4.73

10일차

OTA 이해와 활용 4.64

관광 수요의 다변화(새로운 관광 유형) 4.65

FIT 관광객의 특성 및 시장 활성화 방안

(밀레니엄 세대의 대두)4.67

11일차코로나19 영향 캠핑관광 활성화 4.71

종교관광 (템플스테이 사례 중심으로) 4.66

12일차한국 미식 여행 트랜드 및 한식 세계화 4.72

영어 프레젠테이션 발표 이론 및 실습 교육 4.72

13일차 직장생활에서 필요한 리더십 4.77

평균 4.63

- 21 -

[그림 110] 1일차 강의 만족도 [그림 111] 2일차 강의 만족도

[그림 112] 3일차 강의 만족도 [그림 113] 4일차 강의 만족도

[그림 114] 5일차 강의 만족도 [그림 115] 6일차 강의 만족도

[그림 116] 7일차 강의 만족도 [그림 117] 8일차 강의 만족도

- 22 -

- (1일차 강의 만족도) 1일차 강의는 관광 ODA 사업의 이해 및 ODA 방법론

강의로 구성됨. 1일차 강의에 대한 만족도 평균은 4.6점이며, 각 강의의

만족도 점수는 4.59점, 4.61점으로 거의 유사하게 조사되었음

- (2일차 강의 만족도) 2일차 강의는 지속가능관광의 이해와 가치 및

에코투어리즘의 이해와 관련 정책으로 구성됨. 2일차 강의 만족도 평균은

4.59점이며, 지속가능한 관광의 이해와 가치 강의 만족도는 4.56점,

에코투어리즘의 이해와 관련 정책 강의 만족도는 4.61점으로 만족도는

거의 유사하게 조사되었음

- (3일차 강의 만족도) 3일차 강의는 한국 에코투어리즘의 사례 및 마케팅

전략 및 농업관광로 구성되었으며, 강의 평균 만족도는 4.6점임. 한국

에코투어리즘의 사례 및 마케팅 전략은 라이브 강의로 진행되었으며,

만족도는 4.61점으로 농업관광 만족도인 4.58보다 0.03점 높게 조사됨

- (4일차 강의 만족도) 4일차 강의는 CBT 개발의 이해와 이슈, 개발도상국

관점에서 CBT 활성화 및 장애요인 및  서울 도심부 역사문화자원 활용

도시재생 활성화 사업의 성과와 개선 방향으로 구성됨. 강의 만족도 평균은

[그림 118] 9일차 강의 만족도 [그림 119] 10일차 강의 만족도

[그림 120] 11일차 강의 만족도 [그림 121] 12일차 강의 만족도

- 23 -

4.55점으로 조사되었음. CBT 관련 강의는 각각 4.56점, 도시재생 활성화

관련 강의는 4.52점으로 조사되었음. 개발도상국 관점에서 CBT 활성화 및

장애요인 강의의 경우, 라이브 강의로 진행되었으나, 녹화강의로 진행된 타

강의와의 만족도 점수는 거의 유사하게 조사되었음

- (5일차 강의 만족도) 관광두레 사례연구 및 개발도상국 관점에서 CBT

성공을 위한 정책 평가 체계로 구성되었으며, 평균 만족도는 4.5점임.

관광두레 사례연구는 4.49점, 라이브 강의로 진행된 개발도상국 관점에서

CBT 성공을 위한 정책평가 체계 강의는 0.03점 높은 4.52점으로 조사됨

- (6일차 강의 만족도) 6일차 강의는  주요국 품질관리 체계 및

한국관광품질인증 체계와  KTO 관광벤처 지원 제도 강의로 구성됨. 강의

만족도 평균은 4.55점이며, 각각의 만족도는 4.55점 및 4.56점으로 거의

비슷하게 조사됨

- (7일차 강의 만족도) 7일차에는  (KTO) 1330 관광안내 제도 및 관광

경찰제도 강의가 있었으며, 해당 강의 만족도 평균은 4.57점으로 조사됨.

1330 관광안내 제도 강의는 4.58점, 관광 경찰제도는 4.55점으로 조사됨

- (8일차 강의 만족도) 관광사업 모니터링 의의, 관광도사 및 통계, 한국 관광

외래 관광객 조사, 포스트 코로나 시대 관광 산업 변화 및 대응 전략 4개

강의로 구성됨. 4개 강의 모두 4.7점 이상으로 전체적으로 매우 높은

만족도를 보임. 특히, 관광조사 및 통계는 4.75점으로 전체 강의 중

2번째로 높은 만족도 점수를 받은 것으로 조사됨

- (9일차 강의 만족도) 관광 분야 소셜 미디어 마케팅,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과 산업 변화. 코로나 대응 KTO 언택트 관광지 홍보 및

한국관광홍보영상 캠페인 소개 강의로 3개 강의로 구성됨. 관광분야 소셜

미디어 마케팅 및 코로나 대응 KTO 언택트 관광지 홍보 및 한국관광홍보영상

캠페인 소개는 4.73점으로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과

산업변화 강의 만족도는 4.69점으로 조사됨

- (10일차 강의 만족도) 10일차 강의는  OTA 이해와 활용,  관광 수요의

- 24 -

다변화(새로운 관광 유형) 및  FIT 관광객의 특성 및 시장 활성화

방안(밀레니엄 세대의 대두) 3개 강의로 구성됨. 강의 평균 만족도는

4.66점으로 조사되었으며 각각 4.64, 4.65, 4.67점으로 유사한 만족도

점수를 받은 것으로 조사됨

- (11일차 강의 만족도) 11일차는  코로나19 영향 캠핑관광 활성화 및

 종교관광 (템플스테이 사례 중심으로) 강의로 구성되었으며, 강의 만족도

평균은 4.68점임. 코로나19 영향 캠핑관광 활성화강의는 4.71점으로

조사된 반면, 종교관광은 4.66점으로 조사됨

- (12일차 강의 만족도) 한국 미식 여행 트랜드 및 한식 세계화 강의와 영어

프레젠테이션 발표 이론 및 실습 교육으로 구성되었으며, 2개 강의 모두

4.72점으로 동일한 만족도로 조사됨

- (13일차 강의 만족도)  직장생활에서 필요한 리더십 강의가

진행되었으며, 강의 만족도 점수는 4.77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로

조사되었음

¡ 관광 분야 주제가 아니었던 13일차를 제외하고 일별 강의 만족도는 8일차가

4.73으로 가장 높았으며 5일차가 4.5점으로 가장 만족도7)가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음([그림 16] 참조)

[그림 122] 일별 강의 만족도

7) 온라인 현장학습 만족도 조사는 제외됨

- 25 -

¡ 연수생들은 만족도 조사를 통해 가장 인상적인 강의(혹은 주제)에 대해서

CBT, 지속가능한 관광, 생태 관광을 가장 많이 언급하였음. 또한, COVID19

팬데믹이 지속되고 있는 만큼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관련 강의에도 관심을

보였으며, 관광 모니터링을 위한 통계 및 빅데이터에 대한 관심도 보임.

강의에 대한 연수생들의 의견은 다음의 <표 15>와 같음

1) CBT 강의에 대한 의견

“제 업무는 CBT에 중점을 두고 있으므로 다른 국가에서 CBT에 대해 배우고 우리 모두가 어떻게 약간의 문제를 공유하는지 배우는 것이 흥미로웠습니다.”

“지역 사회 기반 관광에 대한 강의가 좋았습니다. 지역 사회 기반 관광은 국가적 맥락에서도 실행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소득, 고용, 권한 부여, 지역 리더십 개발, 참여 관광 관행, 기업가 정신 개발 등을 생성하는 경제 및 생계에 중대한 변화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2) 지속가능 관광에 대한 의견

“가장 인상적인 강의는 교육 프로그램의 지속 가능한 지역 사회 기반 농촌 관광이었습니다. 지역 사회의 경제를 개선하고, 농촌 지역을 녹색 관광의 지속 가능한 관광으로 전환하는 방법을 알게 되었습니다. 자원에 관한 책임 있는 관광 개발뿐만 아니라, 관련 부처, 지방 당국, 민간 부문 및 지역 사회 참여에 참여하는 방법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3) 생태 관광에 대한 의견

“생태 관광을 실천하는 것의 중요성 때문에 관광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합니다. 이 아이디어는 여행 수단을 통한 보존, 지역 사회 및 지속 가능한 개발을 포함합니다.”

4)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에 대한 의견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강의는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기간에 필요성이 높아졌으며, 현시대에 정말 의미가 있었습니다. 우리나라 관광 산업 발전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5) 통계 및 빅데이터에 대한 의견

“가장 재미있게 들었던 것은 통계, 빅데이터, 방문자 설문조사에 대한 강의였습니다. 주로 보고서 작성과 데이터 수집에 중점을 둔 작업 배경이기 때문에 이 강의가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표 15> 가장 인상적인 강의에 대한 연수생 의견

- 26 -

¡ 금번 연수에서 신규로 반영된 3개의 실시간 강의8)에 대하여 이를 기존

녹화강의 만족도와 비교했을 때, 녹화 강의 만족도 평균은 4.56점, 실시간

라이브 세션으로 진행된 강의 만족도 평균은 4.6점으로 실시간으로 진행된

강의의 만족도가 약 0.05점 높게 조사되었음([그림 17] 참조)

[그림 123] 동영상 강의 및 실시간 강의 만족도 비교

¡ (온라인 현장학습) 온라인 현장학습의 경우, 맞춤형콘텐츠로 제공된 신안

섬티아고, 강원도 양구, 신안구 퍼플섬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음. 이외에도, 봉은사의 템플스테이나 대부도, 롯데호텔 관광 숙박

등급인 현장학습 콘텐츠 역시 가장 인상 깊었던 현장학습으로 연수생들이

선정하였음. 전반적으로 온라인 현장학습을 통해서 지역 관광, 문화, 생태관광

및 지속가능 관광 등에 대한 관심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음

8) 한국 에코투어리즘의 case-study 및 마케팅 전략, 개발도상국 관점에서 CBT 활성화 및 장애 요인, 개발도상국 관점에서 CBT 성공을 위한 정책 평가 체계

6) 기타

“저는 롯데호텔 강의가 제일 좋았어요. 현재 관광학과에서 우수 호텔 분류 작업을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체크리스트를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27 -

¡ (액션플랜 컨설팅) 액션플랜 컨설팅에 대한 만족도는 4.83점으로 나타남 (<표

16> 참조)

- 강의자들의 풍부한 지식에서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강의자의

구조화된 컨설팅 제공되었는지, 액션플랜 컨설팅 세션을 통해 우리나라의

관련 정책과 연계하여 나의 아이디어를 발전시키는 방법을 배웠는가에 대한

질문에서도 높은 만족도를 보였음

- 실제로 연수생 인터뷰 시 액션플랜 컨설팅이 신규 사업 제안을 위해 작성이

단위: 점

구분 항목 점수 (5점 만점)

컨설팅 만족도

강의자들은 액션플랜 컨설팅을 제공하는 지식이 풍부하였다.

4.94

강의자들은 액션플랜에 활용할 수 있는 실증적인 데이터나 사례들을 제시하였다.

4.79

액션플랜 컨설팅에 대한 내용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강의자들의 영어 실력이 충분했다.

4.88

강의자들은 전체 액션플랜 세션을 통해 구조화된 컨설팅을 제공하였다.

4.88

컨설팅에 대한 시간은 충분했다. 4.82

컨설팅 동안, 나는 액션플랜에 대해서 강의자들과 소통할 수 있었다.

4.76

액션플랜 컨설팅 세션을 통해 우리나라의 관련 정책과 연계하여 나의 아이디어를 발전시키는 방법을 배웠다.

4.88

액션플랜 컨설팅 세션을 통해 ODA 프로젝트 제안 및 다른 개발 파트너에게 프로젝트를 제안하는 방법에 대해서 배울 수 있었다.

4.76

액션플랜 컨설팅 세션은 배운 것을 실제 계획에 적용하는 것을 배우는데 도움을 주었다.

4.79

평균 4.83

<표 16> 액션플랜 컨설팅에 대한 만족도 조사

- 28 -

필요한 Project Concept Paper 작성에 많은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하였음.

반면, 컨설팅 시 받은 피드백을 바로 반영하여 수정 및 보완하는 시간이

부족하여, 액션플랜 컨설팅을 위한 시간뿐만 아니라 작성을 할 수 있는

시간이 더욱 확보되었으면 좋겠다는 의견도 있었음

2. 산출물(Output) 단계

2.1 관광 분야 역량

¡ 연수 과정 전후로 연수생들의 강의 주제에 대한 이론(theory) 및 실제

활용(practice)에 대한 자기효능감을 조사하였음. 강의 주제에 대한

이론(theory) 부분 효능감이 연수 전 3.92에서 사후 4.49로 0.57점

상승하였음

- 연수 전후 각 강의별 내용 이론에 대한 자기효능감 변화는 다음의 <표

17>과 같으며, 연수 전 전체적인 평균이 3.79이었던 반면 연수 이후

4.46점으로 0.67점 증가하였음

단위: 점

구분 연수 전 연수 후

모듈 I

관광 ODA관광 ODA 사업의 이해 - 4.24

평균 3.52 4.24

모듈 II

지속가능

관광

지속가능관광의 이해와 가치 - 4.44

에코투어리즘의 이해와 관련 정책 - 4.42

한국 에코투어리즘의 case-study 및 마케팅 전략

- 4.36

농업관광 - 4.49

평균 4.02 4.43

모듈 III

지역

CBT 개발의 이해와 이슈 - 4.41

개발도상국 관점에서 CBT 활성화 및 장애 요인

- 4.34

<표 17> 모듈 및 강의별 연수 전후 자기효능감(이론) 변화 비교

- 29 -

커뮤니티

관광개발

서울 도심부 역사문화자원 활용 도시재생 활성화 사업의 성과와 개선 방향

- 4.34

관광두레 사례연구 - 4.26

개발도상국 관점에서 CBT 성공을 위한 정책 평가 체계

- 4.36

평균 3.93 4.34

모듈 IV

관광

서비스

품질관리

주요국 품질관리 체계 및 한국관광품질인증 체계

- 4.46

KTO 관광벤처 지원 제도 - 4.49

1330 관광안내 제도 - 4.40

관광경찰 제도 - 4.50

평균 3.57 4.46

모듈 V

관광산업

모니터링

관광사업 모니터링 의의 - 4.66

관광조사 및 통계 - 4.63

한국관광 외래관광객조사 - 4.59

평균 3.86 4.63

모듈 VI

디지털

트랜스

포메이션

포스트 코로나 시대 관광 산업 변화 및 대응 전략

- 4.61

관광 분야 소셜미디어 마케팅 - 4.64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과 산업 변화 - 4.57

코로나 대응 KTO 언택트 관광지 홍보 및 한국관광홍보영상 캠페인 소개

- 4.52

OTA 이해와 활용 - 4.45

평균 3.91 4.56

모듈 VII

FIT&SIT

관광 수요의 다변화(새로운 관광 유형)

- 4.52

FIT 관광객의 특성 및 시장 활성화 방안(밀레니엄 세대의 대두)

- 4.55

코로나19 영향 캠핑관광 활성화 - 4.59

종교관광 (템플스테이 사례 중심으로) - 4.52

한국 미식 여행 트랜드 및 한식 세계화

- 4.50

- 30 -

[그림 124] 모듈별 이론에 대한 자기효능감 사전/사후 비교

- 연수 전후 각 강의별 내용의 실제활용에 대한 자기효능감 변화는 다음의

<표 18>과 같으며, 연수 전 전체적인 평균이 4.04이었던 반면 연수 이후

4.5점으로 0.46점 증가하였음

평균 3.55 4.54

모듈 VIII

관광리더십

영어 프레젠테이션 발표 이론 및 실습 교육 - 4.48

직장생활에서 필요한 리더십 - 4.68

평균 3.98 4.48

전체 평균 3.79 4.46

단위: 점구분 연수 전 연수 후

모듈 I

관광 ODA관광 ODA 사업의 이해 - 4.47

평균 4.23 4.47

모듈 II

지속가능

관광

지속가능관광의 이해와 가치 - 4.46

에코투어리즘의 이해와 관련 정책 - 4.44

한국 에코투어리즘의 case-study 및 마케팅 전략

- 4.44

농업관광 - 4.44

<표 18> 모듈 및 강의별 연수 전후 자기효능감(실제 활용) 변화 비교

- 31 -

평균 4.25 4.45

모듈 III

지역

커뮤니티

관광개발

CBT 개발의 이해와 이슈 - 4.48개발도상국 관점에서 CBT 활성화 및 장애 요인

- 4.50

서울 도심부 역사문화자원 활용 도시재생 활성화 사업의 성과와 개선 방향

- 4.34

관광두레 사례연구 - 4.38

개발도상국 관점에서 CBT 성공을 위한 정책 평가 체계

- 4.38

평균 4.05 4.43모듈 IV

관광

서비스

품질관리

주요국 품질관리 체계 및 한국관광품질인증 체계

- 4.37

KTO 관광벤처 지원 제도 - 4.51

1330 관광안내 제도 - 4.40

관광경찰 제도 - 4.52

평균 3.80 4.45모듈 V

관광산업

모니터링

관광사업 모니터링 의의 - 4.56

관광조사 및 통계 - 4.56

한국관광 외래관광객조사 - 4.54

평균 4.07 4.55

모듈 VI

디지털

트랜스

포메이션

포스트 코로나 시대 관광 산업 변화 및 대응 전략

- 4.63

관광 분야 소셜미디어 마케팅 - 4.55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과 산업 변화 - 4.52

코로나 대응 KTO 언택트 관광지 홍보 및 한국관광홍보영상 캠페인 소개

- 4.52

OTA 이해와 활용 - 4.38평균 4.07 4.52

모듈 VII

FIT&SIT

관광 수요의 다변화(새로운 관광 유형) - 4.52FIT 관광객의 특성 및 시장 활성화 방안(밀레니엄 세대의 대두)

- 4.50

코로나19 영향 캠핑관광 활성화 - 4.52종교관광 (템플스테이 사례 중심으로) - 4.52한국 미식 여행 트랜드 및 한식 세계화 - 4.53

평균 3.75 4.52

모듈 VIII

관광리더십

영어 프레젠테이션 발표 이론 및 실습 교육 - 4.58

직장생활에서 필요한 리더십 - 4.66

평균 4.11 5.62

전체 평균 4.04 4.50

- 32 -

- 실제 적용 역량에 비하여 이론 역량에서 사전 사후 점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남. 이는 현재 연수생들이 현업자이므로 실무 경험은 많지만 연수

주제와 관련된 최신 트랜드의 이론 분야에서 보다 취약성을 느끼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됨

¡ 이론 부분과 실제 활용 부분의 자기효능감을 결합한 결과는 <표 19>와 같음

[그림 125] 모듈별 실제 활용에 대한 자기 효능감 사전/사후 비교

단위: 점

항목 사전(A) 사후(B) 차이(B-A)

모듈 I 관광 ODA 3.88 4.36 0.48

모듈 II 지속가능관광 4.14 4.44 0.3

모듈 III 지역 커뮤니티 관광

개발3.99 4.38 0.39

모듈 IV 관광 서비스 품질관

리3.68 4.46 0.78

모듈 V 관광산업 모니터링 3.97 4.59 0.62

모듈 VI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3.99 4.54 0.55

<표 19> 모듈별 자기효능감 사전사후 비교

- 33 -

- 특히 FIT&SIT에서 0.88점으로 가장 상승폭이 컸으며 다음으로 관광 서비스

품질관리가 0.78로 크게 상승하였음

단위: 점

구분 연수 전 연수 후

모듈 I

관광 ODA관광 ODA 사업의 이해 - 4.36

평균 3.88 4.36

모듈 II

지속가능

관광

지속가능관광의 이해와 가치 - 4.45

에코투어리즘의 이해와 관련 정책 - 4.43

한국 에코투어리즘의 case-study 및 마케팅 전략

- 4.40

농업관광 - 4.47

평균 4.14 4.44

모듈 III

지역

커뮤니티

관광개발

CBT 개발의 이해와 이슈 - 4.44

개발도상국 관점에서 CBT 활성화 및 장애 요인

- 4.42

서울 도심부 역사문화자원 활용 도시재생 활성화 사업의 성과와 개선 방향

- 4.34

관광두레 사례연구 - 4.32

개발도상국 관점에서 CBT 성공을 위한 정책 평가 체계

- 4.37

평균 3.99 4.38

모듈 IV

관광

서비스

품질관리

주요국 품질관리 체계 및 한국관광품질인증 체계

- 4.41

KTO 관광벤처 지원 제도 - 4.50

1330 관광안내 제도 - 4.40

관광경찰 제도 - 4.51

<표 20> 모듈 및 강의별 연수 전후 자기효능감 변화 비교

모듈 VII FIT&SIT 3.65 4.53 0.88

모듈 VIII 관광리더십 4.05 4.61 0.56

평균 3.92 4.49 0.57

- 34 -

- FIT&SIT 모듈에서 가장 효능감이 높았던 강의는 코로나19 영향 관광

활성화로 최근 트랜드를 반영한 강의였고, 관광서비스 품질관리 모듈에서

효능감이 높았던 강의는 관광경찰 제도 및 KTO 관광벤처 지원 제도 등

한국에서 특화된 서비스를 다룬 강의였음

평균 3.68 4.46

모듈 V

관광산업

모니터링

관광사업 모니터링 의의 - 4.61

관광조사 및 통계 - 4.60

한국관광 외래관광객조사 - 4.56

평균 3.97 4.59

모듈 VI

디지털

트랜스

포메이션

포스트 코로나 시대 관광 산업 변화 및 대응 전략

- 4.62

관광 분야 소셜미디어 마케팅 - 4.60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과 산업 변화 - 4.55

코로나 대응 KTO 언택트 관광지 홍보 및 한국관광홍보영상 캠페인 소개

- 4.52

OTA 이해와 활용 - 4.42

평균 3.99 4.54

모듈 VII

FIT&SIT

관광 수요의 다변화(새로운 관광 유형)

- 4.52

FIT 관광객의 특성 및 시장 활성화 방안(밀레니엄 세대의 대두)

- 4.52

코로나19 영향 캠핑관광 활성화 - 4.56

종교관광 (템플스테이 사례 중심으로) - 4.52

한국 미식 여행 트랜드 및 한식 세계화

- 4.51

평균 3.65 4.53

모듈 VIII

관광리더십

영어 프레젠테이션 발표 이론 및 실습 교육 - 4.53

직장생활에서 필요한 리더십 - 4.68

평균 4.05 4.61

전체 평균 3.88 4.49

- 35 -

- 한편 FIT&SIT은 만족도는 보통 수준인 것으로 조사됨. 반면 만족도가 가장

높았던 관광 리더십은 자기효능감이 다른 모듈과 비교하여 보통

수준이었음. 한편 지역 커뮤니티 관광개발은 만족도도 낮고 자기효능감도

비교적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음

2.2 설계된 프로젝트

¡ 연수생들은 액션플랜 컨설팅을 거쳐 국가별 3팀이 각 1건씩 총 12건의 사업

설계안을 도출하였음. 액션플랜 평가 결과, 1위 페루 2팀, 2위 네팔 3팀, 3위

페루 3팀 및 캄보디아 1팀이 우수한 액션플랜으로 선정되었음

순위 국가 주제

1 페루 2팀자연 보호 구역 컨디셔닝 : Medio Mundo 습지 (지역 기반

관광 제안

2 네팔 3팀 Palpa의 친환경 홈스테이 개발

3 페루 3팀지역관광개발을 위한 여성 직조자의 역할 강화를 통한

섬유문화전통의 활성화

<표 22> 액션플랜 컨설팅 1-3 순위 및 주제

항목 강의 만족도(순위) 자기효능감 차이(순위)

모듈 I 관광 ODA 4.59 (5) 0.48 (6)

모듈 II 지속가능관광 4.59 (5) 0.3 (8)

모듈 III 지역 커뮤니티 관광개

발4.53 (8) 0.39 (7)

모듈 IV 관광 서비스 품질관리 4.56 (7) 0.78 (2)

모듈 V 관광산업 모니터링 4.73 (2) 0.62 (3)

모듈 VI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4.70 (3) 0.55 (5)

모듈 VII FIT&SIT 4.68 (4) 0.88 (1)

모듈 VIII 관광리더십 4.75 (1) 0.56 (4)

평균 4.64 0.57

<표 21> 모듈별 강의 만족도 및 자기효능감 비교

- 36 -

3. 성과(Outcome) 단계

¡ 연수생들은 액션플랜 컨설팅 세션을 통해 사업기획서(Project Concept

Paper) 문서 작성 및 개발에 대한 지식 향상 여부에 대해 4.82점으로 매우

높은 만족도를 보였음

¡ 또한 실제 직무에의 적용에 대한 기대치에 대해서 전이학습 동기가

4.77점으로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직무와의 연계성은 4.68점,

학습전달은 4.65점으로 조사됨(<표 24> 참조)

- 직무와의 연계성 부문에서는 프로그램 내용과 연수생들의 기대와의 일치

여부 대한 만족도가 4.84점으로 가장 높았음

- 학습전달 부문에서는 교육 프로그램이 업무에 실질적으로 적용하는데

도움이 되는 유용성에 대한 만족도 점수가 4.7점으로 가장 높았음

- 전이학습 동기 부문에서는 업무를 위해 배우고 싶은 것에 대한 만족도가

4.81점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됨

캄보디아 1팀Koh Kong 지방 Chi Phat 커뮤니티 기반 생태 관광(CBET)을

통한 지역 경제 구축

단위: 점구분 항목 점수 (5점 만점)

자기효능감

액션플랜 컨설팅 세션을 통해 Project Concept Paper 문서 작성 및 개발에 대한 지식이 향상되었다.

4.82

나는 다른 업무에 액션 플랜을 작 적용할 자신이 있다. 4.79

나는 액션플랜 수립에 대한 방법/지식을 다른 동료들에게 공유하는 데 자신이 있다.

4.79

전반적으로 나는 액션플랜 컨설팅 세션에 만족한다. 4.79

평균 4.80

<표 23> 액션플랜/PCP 자기효능감

- 37 -

단위: 점

구분 항목 점수 (5점 만점)

직무와의

연계성

각 강의별 주제는 내가 담당하고 있는 업무(task)와 직

접적으로 연관이 있다. 4.57

제공된 자료는 나의 업무에 유용할 것이다. 4.65

프로그램의 내용은 프로그램에 대한 나의 기대와 일치

했다.4.84

평균 4.68

학습 전달

(Learning

transfer

design)

교육 프로그램은 업무에 실질적으로 적용하는 데 매우

유용할 것이다.4.70

교육 프로그램은 내가 배운 내용을 실제로 적용하는

방법을 계획하는 실행 계획을 충분히 다루었다. 4.62

교육 프로그램은 실제 업무에 사용할 수 있는 구체적

인 실증 데이터를 제공했다.4.62

평균 4.65

전이 학습동기(Motivation for transfer learning)

나는 업무를 위해 배우고 싶은 것을 배웠다. 4.81

교육 프로그램에서 배운 지식과 기술을 업무에 적용

할 수 있을 것이다. 4.73

평균 4.77

전체 평균 4.70

<표 24> 본 연수의 실제 직무에의 적용에 대한 기대

- 38 -

V. 결론 및 제언

1. 주요 결론

¡ 본 평가 대상 사업인 KOPIST는 지난 2020년도에 이어 세 번째로 온라인

형태로 운영되었으며, 매년 보완을 거치며 보다 안정화되어가고 있음. 이번

2021 심화연수 역시 기존 연수과정 모니터링 및 평가 결과에서 도출된

제언들이 적극적으로 반영되었으며, 그 결과 공무원 외 학계 출신 연수생

참가, 실시간 강의(라이브 세션), 액션플랜 강사진 대상의 ODA 오리엔테이션

등 연수의 효과를 제고하기 위한 방안들이 반영되었음

¡ 만족도는 매년 우수한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으며 각 국가의 개발수준 및

현안에 따라 강의별 만족도에서 차이를 보임. 금년에는 관광조사 및 통계와

직장에서 필요한 리더십 강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으며, 이외에도 관광 분야

소셜 미디어 마케팅, 코로나 대응 KTO 언택트 관광지 홍보 및 한국관광

홍보영상 캠페인 소개 만족도가 높았음

¡ 연수생들이 스스로 체감하는 성취도인 자기효능감의 경우, FIT&SIT 등 새로운

수요에 대응하는 주제에서 가장 높게 조사되었음. 액션플랜을 통하여 PCP를

작성하는 역량이 향상되었다는 느끼는 연수생이 많은 것도 본 연수과정의

주요 성과중 하나임. 한편 연수생들은 본 연수과정이 본인의 기대에 부합하고

향후 본인의 업무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응답하는 등, 장기적으로

수원국에서의 신규 프로젝트 개발 등으로 그 성과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됨

- 39 -

2. 개선 사항

1) 온라인 + 오프라인 하이브리드식 연수 운영

¡ COVID19의 치명률이 점차 안정화에 접어들고 국경 이동 제한이 보다

완화되어가고 있으므로 오프라인 연수로의 전환을 고려해 볼 수 있음. 그러나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식으로 운영한다면 기존에 제작된

우수한 콘텐츠를 지속 활용하면서 효율성을 확보하고, 연수생들이 지적하는

액션플랜 작성 시간 부족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연수생들 역시 각 형태의 장점 및 단점에 공감하며 장점을 전략적으로 취하는

방안을 지지하고 있음. 예를 들어 자국에서 먼저 온라인 연수를 통해 연수

강의를 듣고, 한국에서의 오프라인 연수를 통해 현장학습 및 액션플랜

워크숍을 실시하는 방안이 있음

2) 설문조사 간결화

¡ 연수생들의 피로도를 고려하여 금번 연수과정 모니터링에서는 설문조사

문항을 일부 축소하였음. 그러나 여전히 많은 문항들로 인하여 연수생들의

피로를 유발하고 응답률 저하, 응답의 신뢰성 저하 등의 문제점이 발견됨.

따라서 다음 연수에서는 일별 만족도 및 사후 설문을 위주로 보다 간결하게

개선할 필요가 있음

3) 참여 국가 다변화

¡ 중점 협력국을 중심으로 매년 참여국가가 일부 다르게 선정되어 왔으나,

온라인으로 운영 형태가 전환된 이후부터는 매년 동일 국가에서만 참여하고

- 40 -

있음. 한국정부의 중점 협력국의 변화에 맞추어 KOPIST 참여 국가도 보다

다양화할 필요가 있음

¡ 인도의 경우 2019년 KOPIST 참여국으로 참여 당시 성취도가 우수하였음.

최근 한국 정부의 3기 중점협력국으로 신규 선정되었으므로 정부 정책의

부합성을 높이기 위하여 인도가 다시 참여할 수 있도록 독려할 수 있음

¡ 콜롬비아와 볼리비아는 이전부터 중점협력국이었으나 KOPIST에 참여한 적이

없음. 중남미권 국가들을 위하여 스페인어 리아종 등을 이미 운영하고 있기

때문에 중남미권 국가를 추가로 선정하는 데에 큰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사료되는 바, 위 두 국가의 신규 참여를 고려해 볼 수 있음

4) 연수생 네트워킹 강화

¡ 타 연수생과의 교류가 확보되었으면 좋겠다는 연수생들의 의견이 매년

개진되고 있음. 사전 오리엔테이션 공통 진행, 액션플랜 중간 점검 등을

통하여 각 연수생들 간 친목을 도모하고 액션플랜의 보다 내실화있게

준비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음

5) 우수 액션플랜 공유

¡ 매년 도출되는 우수 액션플랜들을 모아서 pool을 운영할 수 있음. 이는

신규 연수생들의 액션플랜 과제 선정에 도움이 될 수 있고, 또한 국내에서

개발도상국 대상 사업을 발굴하는데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41 -

6) 연수생들의 수요 반영

¡ 연수 사전 설문조사 시, 대부분의 연수생들은 한국의 관광 모델과 사례 및

지속가능한 관광 발전과 구현에 대해서 배우고 싶다고 응답하였음. 또한

PCP/액션플랜 수립 및 작성 방법에 대한 지식 및 기술 향상에 대한 기대에

대해서도 응답한 연수생들이 많았음. 이 외에도 관광 경영에 대한 전문 지식

향상에 대해서도 배우길 기대한다고 응답한 연수생들도 있었음. 신규 모듈

또는 강의 주제 선정 시 이러한 수요를 반영할 수 있음

[그림 126] 연수생들의 연수 프로그램 기대효과에 대한

주요 단어

- 42 -

[첨부 1]

2021 관광ODA 연수사업 심화과정 모니터링 평가 및 개선방안 연구

- 연수생 인터뷰 결과 -

1. 인터뷰 날짜 : 2월 8일 (화요일) / 오전 8시-9시

2. 인터뷰 대상 : 페루 연수생 12인

3. 인터뷰 방법 : Zoom 화상회의를 통해 진행하였으며, 통역을 거쳐 진행함

4. 인터뷰 주요 의견

ㅇ (연수 전반) 연수 전반에 대한 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특히

다양한 주제를 다룰 수 있어서 좋았다는 의견이 많았음

ㅇ (연수 내용) 한국의 관광분야 정책에 대해서 심층적으로 배울 수 있어서

도움이 많이 되었음

ㅇ (녹화 강의) 녹화 강의의 비디오 품질이 우수하다는 의견과 스페인어 자막이

도움이 많이 되었다는 의견도 공통적이었음

ㅇ (액션플랜) 전문가의 피드백을 실시간으로 받을 수 있어서 도움이 많이

되었으며, 특히 다양한 의견을 공유하면서 액션플랜을 수립할 수 있었다는

공통적인 의견이 있었음. 그러나, 액션플랜 컨설팅 시간이 더욱 확장되기를

희망함

ㅇ (온라인 필드트립) 한국-페루 문화관광에 대해서 비교할 수 있었고, 페루

관광에서 어떤 부분이 개선이 필요한지에 대해서 생각해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는 의견이 있었음

ㅇ (연수관련 제안사항) 타 국가 연수생들과 교류할 수 있는 시간이 없었음.

다음 연수 때에는 타 국가의 관광 정책과 상황 등을 공유할 수 있는

시간이 마련되길 희망함

ㅇ (액션플랜 발표 관련 제안사항) 발표는 영어로 진행하나, Q&A 세션에서는

- 43 -

팀에서 전문성을 가진 팀원이 스페인어로 응답할 수 있도록 통역이

제공되기를 희망함. 언어의 한계가 있어서 전달하고자 하는 바를 다

전달하는 데 한계가 있기 때문임

5. 인터뷰 내용

1) 연수 전반에 대한 의견

ㅇ (응답 1) 많은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였지만, 이번 연수는 주제가 다양해서

특별하였음. 특히 페루-한국 간의 거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온라인으로

진행되어서 연수에 참여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 관광 관련 지식을

향상시키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음. 또한, 녹화 강의는 스페인어 자막이

제공되어 매우 도움이 되었음. 강의의 양이 많았으나, 그만큼 관광 분야에

있어서 다양한 주제를 다루었기 때문에 도움이 되었음

ㅇ (응답 2) 전문가들의 피드백을 실시간으로 받으면서 강의와 함께 새로운

정보를 얻을 수 있어서 좋았음. 강의의 양이 많아서 다시 한번 복습하는

시간이 필요함. 녹화 강의의 비디오 품질이 매우 좋았으며, 연수 스케쥴은

페루 시간에 맞춰서 들을 수 있도록 배려해 줘서 좋았음. 다양한 주제를

다룰 수 있도록 연수 프로그램이 구성되어서 많은 도움이 되었음

ㅇ (응답 3) 2번째로 연수에 참여하고 있는데, 지난 연수에서 다루었던

주제들은 더 확장 및 보강되어서 진행되어 많은 도움이 되었음. 특히

온라인 필드트립의 경우, 한국-페루 문화관광을 비교하면서 페루 관광

분야에서 어떤 부분이 개선이 필요한 지에 대해서 생각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음

ㅇ (응답 4) 녹화 강의의 비디오 품질이 매우 좋았으며, 한국의 경험, 개념 및

정책에 대해서 배울 수 있어서 좋았음

ㅇ (응답 5) 페루의 한국 문화가 매우 인기있고, 현재 관심도 높은 편인데,

한국의 관광분야 정책 등에 대해서 배울 수 있는 기회가 되어 좋았음

2) 실시간 세션(live session)에 대한 의견

ㅇ (응답 1) 페루 시간에 맞춰 진행할 수 있도록 고려해 주어서 감사하게

- 44 -

생각함. 실시간 세션을 통해서 더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강의가 다이나믹하게 진행할 수 있었던 것으로 생각함. 특히, 관광

전문가의 피드백을 통해서 아이디어를 풍부하게 제안할 수 있었고, 정보를

공유할 수 있었음. 실시간으로 진행되는 세션이 다음 연수에 더욱 확장될

수 있길 기대함

3) 액션플랜 컨설팅에 대한 의견

ㅇ (응답 1) 한 국가에서 팀이 나뉘어져서 경쟁하게 되는 상황이지만 모두가

같은 기관에서 함께 일하고 있기 때문에 한 배를 타고 있다고 생각함. 한국

전문가들이 많은 것을 요구했지만, 이런 과정에서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음. 특히, 액션플랜 수립 시에 어디에 중점을 두어야 하는지에 대해서

세부적으로 컨설팅 및 코칭을 해주어서 도움이 많이 되었으며, 새로운

아이디어를 지속적으로 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음

ㅇ (응답 2) 컨설팅 시간이 너무 짧다고 생각되어 다음 연수 때에는 컨설팅

시간이 보다 확장될 수 있길 기대함. 액션플랜 수립 시작 단계에서부터

전문가들이 아이디어를 줘서 작성해 나가는 데 많은 도움이 되었음

ㅇ (응답 3) 액션플랜 수립 시에 어디에 중점을 두고 집중해야 하는지 알려줘서

좋았음. 더불어 팀워크를 기반으로 일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다른 팀원들의

의견이나 경험을 공유하면서 풍부한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액션플랜을

작성하는데 도움이 많이 되었음

ㅇ (응답 4) 액션플랜 발표는 영어로 하지만, 액션플랜 이후에 Q&A 세션에서는

각 분야의 전문성을 가진 팀원들이 스페인어로 대답을 할 수 있도록 통역이

지원되길 기대함

4) 향후 액션플랜 활용방안에 대한 의견

ㅇ (응답 1) 팀 내에서 액션플랜이 채택이 되지 않더라도 작성한 액션플랜이

집행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자는 이야기를 내부적으로 하였음. 액션플랜

수립 과정에서 받은 가이드라인을 바탕으로 페루에 적용해 나갈 예정임.

전체적으로 동기부여가 되어서 향후에도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

- 45 -

지속적으로 고민해 나갈 예정임

ㅇ (응답 2) 미래 페루 관광산업 개발을 위해서 어디에 중점을 두어야 할지에

대해서 그리고 액션플랜을 수립하는 방법론을 기반으로 계속해서 연구해

나갈 예정임. 특히, 액션플랜 집행을 위해서 자금 조달을 어떻게 할지에

대해서 고민이 필요하지만,, 프로젝트 집행 가능성이 충분히 있기 때문에

자금을 지원받을 수 있는 경로 역시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함

5) 기타 추가 의견

ㅇ 지난 연수 때에는 타국가와의 의견을 공유할 수 있는 세션이 있었는데,

이번에는 없었음. 타국가의 관광 정책, 현황 등을 들을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되길 희망함. 언어의 한계가 있어서 전달하고자 하는 바를 다 전달하는

데 한계가 있기 때문임

- 46 -

2021 관광ODA 연수사업 심화과정 모니터링 평가 및 개선방안 연구

- 연수생 인터뷰 결과 2-

1. 인터뷰 날짜 : 2월 9일 (수요일) / 오후 3시-3시40

2. 인터뷰 대상 : 네팔, 필리핀, 캄보디아 연수생 약 10-12인

3. 인터뷰 방법 : Zoom 화상회의를 통해 진행하였으며, 연수생 일정에 맞게 자유

롭게 참여하였음

4. 인터뷰 주요 의견

ㅇ 전반적으로 만족하나, 액션플랜 관련해서 피드백을 반영하고 수정하고

라이브세션이 더욱 추가되길 희망함

ㅇ 대면 연수에 대한 참여의지가 높음

ㅇ 액션플랜과 관련하여 한국 정부 및 부처에서 중점을 두고 있는 주제나

내용을 좀 더 연수생에게 제공하여 액션플랜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하길

원함

5. 인터뷰 내용

1) 연수 전반에 대한 의견

ㅇ 좋은 연수를 제공해준 KTO에 감사의 인사를 전함

ㅇ 특히 본 연수를 통해서 액션플랜을 통해서 많은 것을 배웠음. 구글 클래스룸

및 줌을 통해서 온라인 연수를 한 것에 어려움은 없었음

ㅇ 액션플랜 컨설팅은 전반적으로 좋았으며, 시간은 조금 부족한 감이 있었음.

예를 들어, 컨설팅 피드백 이후에 수정하고 제출 시간에 맞추는 시간을

맞추는 데 어려움을 겪기도 하였음

ㅇ 컨설팅을 도와주는 교수님들을 통해서 많은 것을 배웠을 뿐만 아니라,

팀별로 진행하면서 팀원들 간에 협력하는 과정에서도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음. 각 국가간에 4개의 팀으로 나뉘어 졌지만 탐 간에도 많은 의견을

주고받으면서 상호간의 도움을 받을 수 있었음

ㅇ 연수 관리가 매우 체계적이며, 왓츠앱 등을 통해서 안내가 매우 잘

제공되어서 연수를 무사히 종료하는데 도움이 되었음

- 47 -

2) 라이브 세션에 대한 의견

ㅇ 라이브 세션을 통해 많은 가이드를 실시간으로 받아서 좋았음

ㅇ 라이브 세션을 통해 온라인 연수임에도 불구하고, 연수생들과 교류할 수

있어서 좋았음

ㅇ 다음 연수를 기획한다면, 더 많은 라이브 세션 강의가 제공되면 좋겠음.

라이브 세션을 통해서 강의자 연수생 간의 커뮤니케이션이나 상호 교류가

가능하기 때문에 좋은 기회임

3) 대면 연수 관련

ㅇ 코로나19로 인한 자가격리는 상황에 따라 계속해서 변하고 있음.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프라인 대면 연수로 바뀌길 희망함

ㅇ 자가격리를 해야 하는 상황이 와도 대면 연수에 참여할 수 있다면,

참여하기를 희망함

ㅇ 대면 연수는 다른 국가에서 참여하는 연수생들과의 네트워킹을 할 수 있는

좋은 기회이기 때문에 자가격리를 해야하는 상황에서도 참여할 의지가

있음. 2019년도 대면 연수에도 참여한 적이 있었는데, 비대면 연수도 매우

도움이 되지만 대면 연수가 훨씬 더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으며 강력하게

추천함

4) 향후 연수를 위한 제안사항

ㅇ 액션플랜 작성 시, 한국 기관이나 부처에서 조금 더 투자 혹은 중점을 두고

있는 내용에 대해서 보다 더 자세하게 알고 해당 분야에 집중하여 작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길 원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