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 스 터 발 표 순 서 - 한국축산학회

197
- 17 - 포스터발표순서

Transcript of 포 스 터 발 표 순 서 - 한국축산학회

- 17 -

포 스 터 발 표 순 서

- 19 -

PA11001 Genetic Variations of Meat Quality Relation Gene for Carcass Trait in Korean Native Pigs··································································· Jae-Young. Yoo, Kon-Joong. Kim, Jong-Wan. Lee, and Gye-Woong. Kim

PA11002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dendritic cell targeting peptide ligand······························································ Haiying Li, Geunhye Yeo, Namkyung Lee, Sangkee Kang and Yunjaie Choi

PA11003 Inhibition of Heat Shock Protein Beta 1 Blocks Testosterone-related Bovine Myogenesis············································· Qiankun Zhang1, Hong-Gu Lee2, Sang Kee Kang1, Myunggi Baik3 and Yun-Jaie Choi1

PA11004 돼지 출하가격에 대한 요인별 기여도 분석························································································································· 김병우, 선두원, 양한술, 주선태, 이정규

PA11005 한우의 경락가격에 대한 요인별 기여도 분석······································································································································· 선두원, 김병우, 박재찬, 이정규

PA11006 Identification of chicken stress markers using telomere length, DNA damage and HMGCR level··································································································· S. H. Sohn, V. G. Subramani, E. J. Cho, Y. S. Moon

PA11007 동물별 염색체 분석을 위한 최적 혈액배양 조건에 관한 연구··········································································································· 이정업, 손보람, 박단비, 조은정, 송혜란, 손시환

PA11008 Selection of Lactic Acid Bacteria with improved antimicrobial activity to poultry diarrhea by genome shuffling andit's characterization···························································· Ahnah Song, Youngmu Choi, Hoonhee Seo, Sangkee Kang and Yunjaie Choi

PA11009 대요크샤 및 랜드레이스종 근교계통돈의 총산자수에 대한 후보유전자 다형성간의 연관성 분석··········································································································· 김명직, 조규호, 김두완, 소경민, 최봉환, 김인철

PA11010 승용마 망아지 길들이기 및 품성 평가에 의한 조기 선발························································································································· 이종언, 김남영, 이성수, 박남건, 고문석

PA11011 계사사육 형태에 따른 닭의 생산성 및 스트레스 관련 표지 비교························································································································· 손보람, 조은정, 김황동, 김상엽, 손시환

PA11012 한우 Stearoyl-CoA Desaturase (SCD) 유전자내의 단일염기변이 (SNP)에 대한 연구······················································································································································ 최윤정, 전은경, 김관석

PA11013 한우 Fatty Acid Synthase (FASN)와 Acetyl CoA carboxylase-α (ACACA)유전자 내의 단일염기변이들이 한우 상업집단의 도체형질에 미치는 영향······································································································································ 전은경, 김상욱, 최윤정, 김관석*

PA11014 Application of DNA marker technology for determination of Hanwoo and Holstein crossed Animals································································ Eun-Kyeong Jeon1, Sang-Wook Kim1, Jong-Joo Kim2 and Kwan-Suk Kim1*

PA11015 Identification of genomic difference between Hanwoo and Holstein breeds using Illumina Bovine SNP50 Bead Chip······· Hailu Dadi Melka1, Eun-Kyeong Jeon1, Sang-Wook Kim1, James-Bond Han1, Du hak Yoon2 and Kwan-Suk Kim1

PA11016 Developmental plasticity of porcine muscle satellite cells····················································· Hyun-Jeong Lee, Kil-Won Jang, Mina Park, Whee-Cheol Lee, Seong-Heom Yeon,···················································································· Tae-Hun Kim, Hwan-Hwo Seong and Ramanna Valmiki Rajesh

PA11017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promote adipogenesis··········································································································· Yang Soo Moon, Chihyu Chen1, Kee-Hong Kim1

제1발표분야 : 유전 및 육종

- 20 -

PA11018 홀스타인 젖소의 산유형질과 체형형질간의 유전상관······································································································ 전병순, 최연호, 상병찬1, 도창희1, 박종수1, 이정규2

PA11019 Identification of Superior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SNP) Combinations Related to Economic Traits by Genotype Matrix Mapping(GMM) in Hanwoo··················································································· Yoonseok Lee1, Jea-Young Lee2, Dong-Yep Oh3, Jung-Sou Yeo3

PA11020 가축유전자원 국가관리 체계 확립 및 유전자원 다양성 보존··············································· 최성복, 김재환, 양보석, 고응규, 김상우, 김성우, 조창연1, 연성흠2, 죄진석, 유용희

PA11021 한우 암소의 선형심사와 BCS와의 관련성 연구························································ 최성복, 김재환, 유용희, 홍성구1, 정용호2, 제해신3, 김영신3, 이명지3, 이지웅3

PA11022 한우 쇠고기 맛에 영향을 주는 불포화지방산과 관련된 Fatty acid synthase(FASN)유전자의 Haplotype 분석··················································································································· 오동엽1, 이윤석2, 라부미1, 곽영훈1, 여정수1

PA11023 한우 Sterol regulatory element binding transcription factor 1(SREBF-1)에서 불포화지방산 및 융점과 관련된 SNP규명···································································································· 라부미1, 곽영훈1, 이윤석2, 오동엽1, 최창본1 여정수1

PA11024 mtDNA 2개 영역에 기초한 우리나라 흑염소의 유전적 특성 분석····························································· 김재환, 조창연, 최성복, 고응규, 김상우, 김성우, 연성흠1, 이풍연2, 유용희

PA11025 초위성체(MS) 표지인자를 이용한 한국재래닭 집단의 분자유전학적 분석····························································· 김재환, 조창연, 최성복, 고응규, 김상우, 김성우, 연성흠1, 이풍연2, 유용희

PA11026 Landrace와 Yorkshire종의 사산 및 미이라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 분석과 유전모수 추정···································································································································································· 윤지환, 이정구

PA11027 한우의 임신기간, 생시체중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의 효과·························································································· 정대진, 손호진, 이지홍, 김병기, 조광현, 선두원1, 이정규1

PA11028 한우 도축 두수의 연도별 변화 양상·················································· 최연호, 박병호, 최재관, 이승수, 최태정, 조광현, 김효선, 나승환, 오운용, 최유림

PA11029 한우 도체 경락가격에 근거한 도체 형질의 경제 가중치 추정·················································· 최연호, 발표자, 박병호, 최재관, 이승수, 최태정, 조광현, 나승환, 오운용, 최유림

PA11030 초위성체 표지로 본 축산원 보유 재래닭 집단의 분자유전학적 특성··································· 고응규, 조창연, 이풍연, 김성우, 양보석, 문성실, 김재환, 최성복, 박재홍, 황보종, 유용희

PA11031 Identification of QTL for carcass traits and its application for molecular breeding value in Hanwoo·································································· S.H Lee1, H.C Kim1, D Lim2, H.S Park2, Y.M Cho3, S.J Oh2, S.K Hong1

PA11032 Linkage disequilibrium and effective population size in Hanwoo········································· S.H Lee1,*, H.C Kim1, Y.M Cho2, D Lim3, B.H Choi3, S.C Kim3, N.K Kim4, H.S Park3,······························································································ S.D Kim2, S.J Oh3, E.W Park2, D Yoon5 and S.K Hong1

PA11033 혈중 인슐린 및 렙틴이 한우 지방형질에 미치는 효과·················································· 김형철1, 이승환1,‡, 장선식1, 조원모1, 우제석1, 박응우2, 조용민2, 오성종3, 홍성구1

PA11034 Strategy for marbling selection line using genomic information in Hanwoo·································································· H.C Kim1, S.H Lee1, D Lim2, H.S Park2, Y.M Cho3, S.J Oh2, S.K Hong1

PA11035 우리나라 돼지개량 네트워크의 Duroc종 유전능력평가················· 최재관*, 김효선1, 박병호, 최연호, 이승수, 최태정, 조광현, 나승환, 오운용, 손삼규, 최유림, 서강석2

PA11036 검정종료일령이 농장검정돈 경제형질 성적에 미치는 영향····················· 최재관, 권효중, 최연호, 최태정, 박병호, 이승수, 조광현, 나승환, 오운용, 최유림, 이재구, 정운영

- 21 -

PA11037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analysis of Fas (APO-1) gene in Hanwoo···································································· Seung Chang Kim, Bum Soo Kim, Seung Hwan Lee, Bong Hwan Choi

PA11038 Identification of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between Meat Quality Grade and DNA Markers Related to Economic Traits in Hanwoo············································································ S. C. Shin, J. P. Heo, C. K. Back, K. S. Chung, and E. R. Chung

PA11039 한우 지방대사 조절 후보유전자 발현 비교 분석 및 육질 연관 SNP 발굴···················································································· 정의룡1, 신기현2, 허재필1, 신성철1, 황효선1, 박세영1, 이종현1

PA11040 한우 경제형질 진단용 DNA marker의 농가현장 검증을 통한 유효성 평가·········································································································· 정의룡*, 신성철, 허재필, 심승화, 김성훈, 하정화

PA11041 Examination of frequencies and distributions of SLA class I haplotypes in the NIH miniature pig·························································· W. Y. Jung1, D. W. Seo11, N. R. Choi1, J. H. Lee1, D. I. Jin1, S. S. Hwang2,································································································· B. C. Yang2, K. W. Kim2, J. K. Park2 and H. C. Lee2

PA11042 Identification of insertional variation of porcine endogenous retrovirus (PERV) in different pig breeds··············· W. Y. Jung1, S. L. Yu1, D. W. Seo1, K. C. Jung1, 2, I. C. Cho3, H. T. Lim4, D. I. Jin1 and J. H. Lee1

PA11043 한우에서 전장의 유전체 정보를 활용한 연관불평형 및 유효집단크기 추정에 관한 연구······················································································································································ 조충일, 이준호, 이득환

PA11044 Evaluation of five candidate genes with fatty acid composition in Korean cattle······················································· D. Maharani1, Y.K. Jung1, C. Jo1, S.H. Ryoo2, S.H. Lee3, S.H. Yeon4, J.H. Lee1

PA11045 한우 농가단위의 개량성과 분석····································· 노승희1, 김창엽1, 황재문1, 이성수1, 배효문1, 서재호2, 박병호3, 최태정3, 김병우4, 이정규4

PA11046 초음파 생체평가를 활용한 강원 영동지역 암소 진단 방법 연구······················································································································································ 윤태수, 하재정, 송영한

PA11047 개 품종 특이적 유전자 마커 개발을 위한 모색 유전자 내 SNP 발굴 및 검증··························································································· 김재영, 김이경, 김승창, 김태헌, 성환후, 권무식1, 최봉환

PA11048 개 품종별 유전자 마커를 위한 InDel (Insertion and Delition) 변이 발굴 및 검증············································································ 김재영, 김이경, 김승창, 안정현, 임다정, 성환후, 권무식1, 최봉환,

PA11049 토종오리 순종의 부화능력 및 육성 성적··········································································································· 김학규, 강보석, 황보종, 허강녕, 홍의철, 추효준

PA11050 젖소 분만 월령에 따른 산유량의 변화 연구················································ 박병호, 조광현, 최재관, 최연호, 이승수, 최태정, 나승환, 오운용, 최유림, 이기환1

PA11051 한우 당대검정우 매입여부에 따른 체중 보상성장 파악······························································· 박병호, 최태정, 조광현, 최연호, 최재관, 이승수, 나승환, 최유림, 노태석1

PA11052 한우 거세우 도체 수율과 도체형질과의 상관분석················································ 나승환, 최태정, 조광현, 박병호, 최연호, 최재관, 이승수, 김대중1, 오운용, 최유림

PA11053 한우 거세우 도체 수율과 18개월령 체위형질과의 상관분석················································ 나승환, 최태정, 조광현, 박병호, 최연호, 최재관, 이승수, 노승희1, 오운용, 최유림

PA11054 cDNA microarray 분석을 통한 돼지 지방형질관련 후보유전자 발굴································································ 장길원, 이종연, 이경태, 조규호, 김명직, 김태헌, 이현정, 김범수, 최진애

PA11055 흑염소 반추위 미생물 메타게놈 NGS 해독 및 섬유소분해효소 유전자 클로닝································································ 김영주, 안현승, 안정현, 김지훈, 최윤정, 박정설, 이현정, 김태헌, 이경태

- 22 -

PA11056 Lipofectamine-mediated expression of fluorescent marker gene in chick embryo··················································································· Hong Jo Lee, Kyung Je Park, Kyung Soo Kang, Suzie E Ahn,··················································································· Min Yoo, Sung Kyu Kim, Deivendran Rengaraj, Jae Yong Han

PA11057 초음파를 이용한 한우의 경제형질에 대한 유전모수 추정·························································· 이승수, 조광현, 최연호, 전병순, 박경도1, 이도형1, 이학교1, 공홍식1, 장경만1

PA11058 돼지 및 돼지고기 이력제 구축················ 이승수, 정진형1, 강인수1, 김철중1, 손경자2, 이종문, 장길원, 조광현, 최태정, 최연호, 오운용, 최유림

PA11059 한우 LPIN3 유전자의 단일 염기다형성 분석························································································································· 김범수, 김승창, 최진애, 이승환, 장길원

PA11060 홀스타인의 유전평가를 위한 유전모수추정에 관한 연구·················································· 최태정, 조광현, 최연호, 박병호, 이승수, 최재관, 나승환, 오운용, 조주현, 최유림

PA11061 한우 후대검정우 등심내 조지방 함량에 유전모수 추정 및 도체형질과의 상관분석················································ 최태정, 조광현, 최연호, 박병호, 이승수, 최재관, 나승환, 오운용, 김창엽1, 최유림

PA11062 QTL Scan for Meat Quality Traits using High-density SNP Chip Analysis in Cross between Korean Native Pig and Yorkshire········································ Sang Wook Kim1, Yoon Mi Lee3, Yang il Choi1, Beong Wook Cho4, Bong Hwan Choi5,····································································································· Tae Hun Kim5, Jong Joo Kim3 and Kwan Suk Kim1

PA11063 홀스타인의 국제유전평가를 위한 모형개발에 관한 연구································································ 조광현, 박병호, 최연호, 최태정, 이승수, 최재관, 나승환, 오운용, 최유림

PA11064 국내산 더러브렛 경주마의 씨수말 평가 기준으로 이용되는 연간수득상금 분석····················································· 조광현1, 최연호1, 전병순1, 이도형2, 공홍식2, 이학교2, 박경도2, 조병욱3, 도경탁3

PA11065 돼지 품좀별 경제형질에 대한 유전모수 추정·································································································································· 서강석1, 강현성2, 남기창1, 김경태3

PA11066 Variation in mitochondrial DNA and maternal genetic ancestry of Ethiopian cattle Populations······································································ H. Dadi1,2, M.Tibbo3,4, Y.Takahashi1, K.Nomura1, H.Hanada1, T.Amano1*

PA11067 Microsatellite analysis reveals high genetic diversity but low genetic structure in Ethiopian indigenous cattle populations······································································ Hailu Dadi1, M.Tibbo2, Y.Takahashi1, K.Nomura1, H.Hanada1, T.Amano1

PA11068 농장 검정돈의 검정방법과 규모 및 환경요인의 효과 추정·································· 권효중, 최재관, 최연호, 최태정, 박병호, 이승수, 나승환, 최유림, 이재구, 정운영, 김종복1

PA11069 Investigation of possibility for chicken breed traceability using D-loop variations in mtDNA····· M. R. Hoque1, S. H. Lee2, K. C. Jung3, B. S. Kang4, M. N. Park5, H. K. Lim6, K. D. Choi6 and J. H. Lee1

PA11070 Porcine liver RNA-Seq: A nsSNP resource for evolutionary insights into the substrate specificities of human and animal carbonyl reductases.························································ Seul Gi Kwon1, Yong Hwa Lee1, Minky Son2,3, Yuno Lee2,3, Eun Jung Kwon1,······························································· Da Hye Park1, Keun Woo Lee2,3, Woo Young Bang1 and Chul Wook Kim1

PA11071 발효사료 급여 돼지에서 후보 차등발현유전자의 발굴 및 기능 분석······································································································································· 권슬기, 이용화, 방우영, 김철욱

PA11072 Prediction of genomic breeding values using a genomic relationship matrix·························································································································· Jungjae Lee, Hyukjin Jeon, Naesoo Kim

PA11073 Signatures of selection using bovine 50k SNP chips in Hanwoo················································· Li Yi1, Yun-Mi Lee1, Ji-Hong Lee2, Jin-Ho Kim3, Byung-Rae Park4, Jong-Joo Kim1

- 23 -

PA11074 소 특이 대사 경로 데이터베이스 재확립···································································································································································· 김운수, 서성원

PA11075 혈통정보와 유전체 정보를 이용한 혈연관계 추정 및 비교 ······················································································································································ 전혁진, 이중재, 김내수

PA11076 순종 랜드레이스 집단에서 GWAS를 이용한 성장관련 QTL 탐색·················································································· 정은지1, 박희복1, 이재봉1, 유채경1, 임현태2, 박경옥1, 이정규1,2

PA11077 SLA class III 영역의 Haplotype 특성과 Linkage disequilibrium (LD) block 분석··················································· 황정혜1, 이재봉1, 임현태2, 박희복1, 유채경1, 정은지1, 이길주1, 김병우2, 이정규1,2

PA11078 제주재래돼지xLandrace 실험축군을 이용한 6번 염색체 등심단면적형질에 연관된 QTL 지역 내의 LD 분석·································································· 박경옥1, 유채경1, 이재봉1, 정은지1, 임현태2, 박희복1, 조인철3, 이정규1,2

PA11079 제주 재래돼지 × Landrace 교잡 축군을 이용한 돼지 혈액의 생화학 지표 변이 연관 QTL 탐색·················································································· 유채경1, 박희복1, 임현태2, 이재봉1, 정은지1, 조인철3, 이정규1,2

PA11080 C2 유전자의 missense 돌연변이의 혈청 내 Ca++과의 연관성 분석·································································· 이재봉1, 유채경1, 박희복1, 정은지1, 임현태2, 황정혜1, 김병우2, 이정규1,2

PA11081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ransposable elements inserted into the coding sequences of horse genes····························································· Kung Ahn1, Jin-Han Bae1, Gyu-Hwi Nam1, Kyung-Do Park2, Kyudong Han3,······································································ Hong-Seok Ha1, Dae-Soo Kim4, Byung-Wook Cho5 and Heui-Soo Kim1

PA11082 Effect of intramuscular fat on meat quality traits in Hanwoo·························································· B.H Park1, S.H Lee1, H.C Kim1, Y.M Cho2, S.S Chang1, W.M Cho1, D Lim3,················································································································· B.H Choi3, D Yoon4, S.J Oh3 and S.K Hong1

PA11083 한우 거세우 성장형질에 대한 환경효과 분석 ······ 이재구, 최태정, 권효중, 나승환, 나종삼1, 박병호, 오운용, 이승수, 정운영, 조광현, 최연호, 최유림, 최재관

PA11084 한우 후대검정우 체중, 체위 및 도체형질간 상관분석 ······ 이재구, 나승환, 권효중, 나종삼1, 박병호, 오운용, 이승수, 정운영, 조광현, 최연호, 최유림, 최재관, 최태정

PA11085 분만년,생년 및 산차에 따른 유성분과 체세포점수의 상관분석·········· 정운영, 조광현, 최연호, 최태정, 박병호, 이승수, 최재관, 오운용, 나승환, 최유림,권효중,이재구 최호성1

PA11086 동기그룹 및 산차와 체세포점수에 따른 젖소의 유성분의 변화·········· 정운영, 조광현, 최연호, 최태정, 박병호, 이승수, 최재관, 오운용, 나승환, 최유림,권효중,이재구 최호성1

PA11087 Development of a Baculovirus based DNA Vaccine against Pandemic Influenza H1N1 2009····· Jae Yoo Choi1, Hee-Jung Lee1, Yoon-Ki Heo1, Yeon Dong Cho1, Yongdae Kwon1, Jungeun Lee1, Young Bong Kim1*

PA11088 조류 이종간 이식연구를 위한 공여체 꿩 성세포 특성·············································································· 강용준1, Nguyen Thanh Luan1, Haiha phamthi1,박해령1, 정동기1,2,3

PA11089 정원줄기세포 이식법을 통한 줄기세포 특성 및 유전자 전이 닭 생산·························································· 강용준1, 류재규5, 강태영3,4, Nguyen Thanh Luan1, Haiha phamthi1, 정동기1,2,3

PA11090 Bovine Genome Resources Bank·························································································································· Yu Mi Shin1, Eun Ju Lee2, Inho Choi1,2

PA11091 Gene Expression Profile of Myogenic Satellite Cells (MSCs) Differentiation into Myotube-formed Cells by Gender-specific Serum······················································· Eun Ju Lee1, KangHoi Kwon1, Smritee Pokhare2

, Abdul R. Bhat1, Inho Choi1,2,3

PA11092 Analysis of Gene Expression during Preadipocyte Cell Differentiation······················································· Eun Ju Lee1, Smritee Pokhare2, Abdul R. Bhat1

, Majid R. Kamli1

, Inho Choi1,2,3

- 24 -

PA11093 Comparison of gene expression for fatty acid esterification and oxidation among marbling groups in steers of Longissimus dorsi in Korean cattle································································································································· Jin Young Jeong and Myunggi Baik

PA11094 Comparison of adipogenic and myogenic gene expression among marbling groups in longissimus dorsi muscle in steers of Korean cattle································································································································· Jin Young Jeong and Myunggi Baik

PA11095 Estimation of effective population sizes (Ne) of Sapsaree dog using whole genome SNP panels··········································································································· Mahboob Alam, Myung-Hee Jung, Jong-Joo Kim

PA11096 Estimation of Genetic Parameters for carcass traits in Hanwoon using genome relationship matrix·························· Yi Li, Yun-Mi Lee, Myung-Hee Jung, Ji-Hong Lee, Jin-Ho Kim, Byung-Rae Park, Jong-Joo Kim

PA11097 Effect of Gender-Specific Adult Bovine Serum in Proliferation, Differentiation and Transdifferentiation of MyogenicSatellite cells························································ Jun Ho Lee1,4, Smritee Pokharel2, Eun Ju Lee3, Majid R. Kamli3, Inho Choi2,3,4

PA11098 개의 고관절이형성증 조기진단을 위한 단일염기다형성 (SNP) 유전자 마커 개발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NP) markers associated with hip dyspresia in dog)·············································································· 김이경, 김재영, 김승창, 이승환, 김태헌, 성환후, 남상윤, 최봉환

PA11099 Expression of Recombinant Staphylococcal enterotoxin A gene and its Antibody Production in Laying Hen················································································· Jin Hwan An, Kyung Min Jung, Sang Rae Lee, Jung Woo Kim

PA11100 Power of variance component linkage analysis to map quantitative trait loci········································································· Hee-Bok Park1,2, Kang-Nyeong Heo3, Jung-Gyu Lee1,2, Jun-Heon Lee4

PA11101 돼지 정소세포내 정원줄기세포 분화 유도를 위한 3D 배양법··················································· Haiha phamthi1, 강용준1, Nguyen Thanh Luan1,박해령1, Ina Dobrinski4, 정동기1,2,3

PA11102 Characterization of EB mediated differentiation using chicken testicular cells···························································· Thanh Luan Nguyen1, HaiHa PhamThi1, Yong Jun Kang1, Dong Kee Jeong1,2

PA11103 Efficient cardiac induction of chicken spermatogonial stem cells·································· Thanh Luan Nguyen1, HaiHa PhamThi1, Yong Jun Kang1, Sung Jin Lee3, Dong Kee Jeong1,2

PA11104 Induction of synergistic tolerance in cells from human FasL transgenic pig co-cultured with dexamethasone-treated human dendritic cells··················································· In Kyu Lee1, Young Min Son1, Chae Won Kwak1, Young Jun Ju1, Lee Hwi-Cheul2,····································································································· Woo Jae-Seok2, Jae Goo Seol3 and Cheol-Heui Yun1,*

PA11105 The programmed necrosis induced by ginsonoside, Compound K·············································································· Chae Won Kwaka, Young Min Sona, In Kyu Leea, Young Jun Jua,····································································· Sun Kwang Songa, Sang Yun Jia,b, Deok-Chun Yangc, Cheol-Heui Yuna,*

PA11106 Characterization of Gender-Specific Bovine Serum ··················································· Smritee Pokharel1, Eun Ju Lee2, Abdoul R. Bhat2, Majid R. Kamli2, Inho Choi1,2,3

PA11107 Porcine LMNA is a positional candidate gene associated with growth and fat deposition··········· Bong-Hwan Choi, Sang-Wook Kim1, Kwan-Suk Kim1, Seung-Hwan Lee, Jun-Heon Lee2 and Tae-Hun Kim

PA11108 한우 당대검정 탈락축의 산육능력 향상에 관한 연구······················ 남상일1, 김형철1, 이창우2, 박병기3, 이상민1, 권응기1, 임석기1, 전기준1, 박연수2, 이승환1, 홍성구1

PA11109 한우 육질 및 맛관련 형질의 유전력 및 유전상관분석································································································ 이송, 김형철, 이승환, 최정남, 남상일, 박보혜, 홍성구

- 25 -

PA11110 한우암소 초음파생체단층촬영 형질에 대한 유전모수 추정······································································································································· 박성식, 이준호, 조충일, 이득환

PA11111 한우 암소 도체형질 유전능력 평가 시 사육농가 효과의 처리···································································································································· 이창우, 전기준1, 김형철1, 김종복2

PA11112 칡소의 모색발현 양태와 성장특성에 관한 연구························································································· 이창우, 박연수, 황환섭, 유재원, 전기준1, 김형철1, 김종복2

PA11113 Development of a comprehensive high resolution genotyping method for SLA-DQA using genomic DNA PCR anddirect sequencing············································································································ Le Minh Thong, Hojun Choi and Chankyu Park

PA11114 모의실험을 통한 유전체 선발의 정확도 연구······································································································································· 이준호, 조충일, 박성식, 이득환

PA11115 Bayes Cpi 방법을 이용한 Landrace 종축의 유전체 육종가 추정······································································································································· 이준호, 조충일, 박성식, 이득환

PA11116 Development of LEE’s Animal Genetic Evaluation Tool(LAGET) Kit for animal breeding····································································································································································· Deukhwan Lee

PA11117 Identification of Creatine Kinase by exercise effect in horses································································· Jin-Han Bae1, Kung Ahn1, Gyu-Hwi Nam1, Kyoung-Tag Do2, Kun Wang2,··········································································· Kyung-Do Park3, Hak-Kyo Lee3, Heui-Soo Kim1, Byung-Wook Cho2

PA11118 국내 진양호 지역에서 서식하는 수달(Lutra lutra)의 mitochondrial DNA의 염기서열을 이용한 계통유전학적 유연관계 분석 및 DNA marker를 이용한 성(Sex) 판별·················································································· 박문성1, 임현태2, 오기철3, 문영록4, 김종갑1, 김병우2, 이정규1,2

PA11119 한우의 Acyl-CoA dehydrogenase, C-2 to C-3 short chain(ACADS) 유전자 내 염기변이지역 탐색······································································································································· 박찬호, 오재돈, 전광주, 공홍식

PA11120 한우의 PLTP유전자내 염기변이지역 탐색························································································································· 한정민, 오재돈, 성지연, 이학교, 공홍식

PA11121 돼지 형질과 육질 이화학적검사의 상관에 관한 연구·································································································································· 강현성1, 남기창2, 서강석2, 최재관3

PA11122 한우 Homogentisate 1,2 dioxygenase(HGD) 유전자내 염기변이지역 탐색························································································································· 김성민, 성지연, 전광주, 이학교, 공홍식

PA11123 재래흑염소의 성장특성 평가를 위한 성장곡선 추정··································································································· 이지홍1, 김병기1, 손호진1, 조광현1, 김종주2, 여정수2

PA11124 Identification, characterization and evolution in clusters of porcine ß-defensins···································································································· Min-Kyeung Choi, Le Min Thong and Chankyu Park

PA11125 Preliminary study results on SLA class II allele differences between successfully marketed and survival failed pigs······························································· Won kim, Kyung-Tae Kim, Le Min Thong, Hojun Choi and Chankyu Park

PA11126 Germ cell specific post-transcriptional regulators in chickens···· Young Sun Hwang, Bo Ram Lee, Sang In Lee, Hyun-Jun Jang, Hyung Chul Lee, Hee Jung Choi, Jae Yong Han

PA11127 한우 FABP4 유전자의 g.7516G>C SNP와 경제형질과의 연관성을 통한 DNA marker 개발···································································································································································· 이승규, 이성진

PA11128 한우에서 Akirin 2 유전자의 c.*188G>A와 경제형질간의 연관성 분석········································································································································································ 김훈, 이성진

- 26 -

PA11129 브로컬리 발효물 급여가 흰쥐의 장내 미생물 변화에 미치는 영향 ·················································································· 김병욱1, 차병욱1, 강석남1, 백남수2, 강승하3, 이상석4, 조광근1*

PA11130 생균제 수준별 급여가 이유자돈의 장내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 차병욱1, 김병욱1, 박화춘2, 정종현2, 류연선3, 강승하4, 이상석5, 조광근1*

PA11131 한우 거세우 도체등급 형질의 정확도와 유전모수 추정······································································· 구양모, 김시동1, 박병호1, 최태정1, 조광현1, 이승수1, 이기환, 송치은,·························································································· 김정일, 정용호, 이재윤, 장현기, 이재용, 이정규2, 김효선3

PA11132 한우 암, 수, 거세우 집단의 출하월령별 도체성적 변화 추세······································································· 송치은, 구양모, 김시동1, 박병호1, 최태정1, 조광현1, 이승수1, 이기환,·························································································· 김정일, 정용호, 이재윤, 장현기, 이재용, 이정규2, 김효선3

PA11133 3β-HSD 유전자의 FauI좌위가 수퇘지 웅취원인물질 함량에 미치는 효과··········································································································· 강지훈, 안정현, 김준모, 임규상, 이은아, 홍기창

PA11134 한우 암소의 선형심사형질과 등급형질에 대한 유전모수추정······································································ 이기환, 박병호1, 최태정1, 최재관1, 조광현1, 김시동1, 이승수1, 김정일,·········································································· 송치은, 구양모, 정용호, 이재윤, 장현기, 이정규2, 도창희3, 상병찬3

PA11135 한우 거세우 유전능력평가를 위한 혈통 자료 구조 분석····················································································· 김정일, 구양모, 김시동1, 박병호1, 최태정1, 조광현1, 이승수1,············································································ 이기환, 송치은, 정용호, 이재윤, 장현기, 이재용, 이정규2, 김효선3

PA11136 Identification and Classification of Feline Endogenous Retroviruses Based on the retroviral pro-polregion···························································································· Ning Song, Nameun Kim, Hojun Choi and Chankyu Park

PA11137 한우에서 MC4R 유전자의 SNP와 도체형질의 연관성···································································································································································· 이영섭, 이성진

PA11138 MYPN 유전자 SNP가 한우의 도체형질에 미치는 영향······················································································································································ 김진우, 홍민욱, 이성진

PA11139 한우고기내 불포화지방산(unsaturated fatty acid) 조성 관련 Fatty acid binding protein 5(FABP5) 유전자 효과 추정······························································· 허강녕, 김남국1, 이승환, 김남영, 강보석, 황보종, 김학규, 홍의철, 추효준

PA11140 토종닭 및 실용계에서 TYR(Tyrosinase) 유전자의 유전적 특성 조사···························································································· 허강녕, 강보석, 황보종, 김학규, 박미나, 홍의철, 추효준

PA11141 Post transcriptional regulation is necessary to germ cell maintenance and genetic stability in chicken················ Tae Won Yun, Hee Won Seo, Sang In Lee, Su Mi Lim, Su Jung Kim, Joo Youn Park, Jae Yong Han

PA11142 홍천 지역 한우 거세우의 도체 형질에 대한 유전모수 추정···································································································································································· 고대영, 김종복

PA11143 듀록, 랜드레이스, 요크셔 품종의 성장곡선 모수 및 보정계수 추정············································································ 조규호, 홍준기, 이성대, 소경민, 엄주철, 김명직, 김인철, 이일주*,

PA11144 재래돼지와 듀록 교잡종의 경제형질 평가·············································································· 조규호, 김두완, 사수진, 김동운, 김영화, 안홍원, 김명직, 김인철

PA11145 Gene co-expression analysis to characterize genes related to marbling in Hanwoo(Korean cattle)·············· Ig-Sun Kim1, Nam-Kuk Kim2, Seung-Hwan Lee1, Hye-Sun Park1, Hwan-Hu Seoung1 and Dajeong Lim1,3

PA11146 QTL mapping for marbling score in Hanwoo population and functional analysis of candidate genes···· Hyesun Park, Seung Hwan Lee, Ig-sun Kim, Yong Min Cho, Sung Jong Oh, Hwan-Hu Seoung, Dajeong Lim

- 27 -

PA11147 Bovine hepatic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between low and high marbled Hanwoo (Korean cattle) steer····································· Nam-Kuk Kim1, Seung-Hwan Lee2, Dajeong Lim3, Bong-Shig Shin1 and Hwan-Hu Seoung3

PA11148 Production of PG1, PR26, PMAP36 transgenic mice to study the in vivo function of porcine antimicrobial peptides····················································· Nameun Kim, Hojun Choi, Le Minh Thong, Min-Kyung Choi and Chankyu Park

PA11149 Bioinformatical analysis of olfactory receptor genes in the swine genome identified 1742 genes·························································································· Dinh Truong Nguyen1, Kyooyeol Lee2 and Chankyu Park1*

PA11150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iversity of olfactory Receptor Genes Between pigs and other mammals·························································································· Dinh Truong Nguyen1, Kyooyeol Lee2 and Chankyu Park1*

PA11151 토종 순계 3원교배 산란용 토종실용계의 산란능력 검정·············································································· 강보석, 황보종, 김학규, 허강녕, 박미나, 홍의철, 추효준, 서옥석

PA11152 말의 월라(Tobiano) 모색에 대한 ECA3 연관분석································································ 김남영, 한상현, 이종언, 이성수, 김준3, 고문석, 박남건, 양재혁1, 양영훈2

PA11153 Characterization of Parentage Testing and Individual Identification for Thoroughbred Racing Horses in KRA······························· Shin-Wook Kang*, Sun-Young Lee, Hye-Jin Kang, In-Su Cho, Soo-Deuk Lee, Kwan-Seok Han

PA11154 Identification of KIT gene polymorphisms in three different colored Hanwoo and Holstein breeds······························· N. R. Choi1, M. R. Hoque1, S. H. Lee2, D. W. Seo1, H. S. Park3, D. J. Lim3 and J. H. Lee1

PA11155 Discrimination of duck breeds using mitochondrial COI gene and D-loop variations················································································· D. W. Seo1, S. D. Jin2, M. R. Hoque1, W. K. Baek2, J. H. Lee1

PA11156 초음파진단을 통한 한우 암소의 도체형질 변화추세 추정······································································································ 정재경, 이창우1, 황정미2, 김종복2, 이용준, 김형철3

- 28 -

PB11001 한우 종빈우의 산차별 혈액성상의 변화에 관한 연구·················································································································································································· 홍경선

PB11002 흑염소의 콕시듐증 치료를 위한 항콕시듐제 투여 효과·························································· 최창용, 곽동미**, 정병열*, 최순호, 정연섭, 허태영, 정영훈, 강석진, 손동수

PB11003 Differential expression of connexin isoforms in the testis, epididymis, and bladder of the male rat reproductive tractduring postnatal development················································································ Ki-Ho Lee, Hee-Jung Seo, Seong-Kyu Lee, and Haing-Won Baik

PB11004 Evaluation of gene and protein expression of steroidogenic enzymes in the rat testis treated with nandrolone decanoate····················································· Ki-Ho Lee1, Hee-Jung Seo1, Inho Choi2, Yong-Pil Cheon3, and Tae Hoon Cheon4

PB11005 각 발달 단계별 생쥐 배아의 유리화 동결에서 동결보존 용기가 배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 서병부1, 김지철1,2, 김재명3, 송해범1

PB11006 한우 공란우 체내수정란 생산과 BUN 수준과의 관계······························································· 손준규, 최창용, 권응기, 백광수, 박성재, 임현주, 정연섭, 조상래, 손동수

PB11007 수단그라스 사일리지 급여가 한우 경산우의 번식성적에 미치는 영향·························································································· 장기영, 문승주, 국 길, 백광수1, 이왕식1, 김원호1, 김광현

PB11008 이탈리안라이그라스 사일리지 급여가 한우 경산우의 번식성적에 미치는 영향············································································ 이희진, 문승주, 국 길, 장기영, 백광수1, 이왕식1, 김원호1, 김광현

PB11009 Molecular modeling on small molecule that target BVDV RdRp ··································································· Han-ha Chai, Igsun Kim, Hyesun Park, Dajeong Lim, Hwan-hoo Seong*

PB11010 Identification of AHCYL1 as estrogen stimulated gene in the oviduct of chickens····················· Jin-Young Lee, Wooyoung Jeong, Suzie E. Ahn, Ga-Young Lee, Jae Yong Han and Gwonhwa Song

PB11011 인공수정 실패에 대한 어미암소와 KPN의 영향 분석··················································································································································· 박새롬, 송영한, 이성진*

PB11012 SERPIN Genes in the Chicken as Ovarian Cancer Markers··························· Jung Hwa Shin, Whasun Lim, Ji-Hye Kim, Chul-Hong Lim, Jae Yong Han and Gwonhwa Song

PB11013 제주특별자치도 축산진흥원종부소에서 濟州馬 씨수말의 性行動에 관한 調査 硏究 (1)····················· 권태준1, 배재호1, 강옥득1, 박준형2, 김대수2, 김대경3, 안상미3, 박소영3, 정혜나3, 한창민4, 강민수*

PB11014 濟州馬 種牝馬의 放牧地 行動에 관한 調査 硏究

······ 권태준1, 배재호1, 강옥득1, 박준형2, 김대수2, 김진표3, 김대경3, 안상미3, 박소영3, 정혜나3, 이성호5, 강민수*

PB11015 KRA 제주목장종부소에서 Thoroughbred 씨수말의 性行動에 관한 調査 硏究 (2)···························· 배재호¹ 권태준¹ 강옥득¹ 박준형² 김대수² 김대경³ 안상미³ 박소영³ 정혜나³ 변대호 강민수*

PB11016 濟州馬 씨수말의 放牧地 性行動에 관한 調査 硏究 (3)···························· 박준형² 권태준¹ 배재호¹ 강옥득¹ 김대수² 김대경³ 안상미³ 박소영³ 정혜나³ 이성호 강민수*

PB11017 Establishment of IVP Bovine Embryos and Calves by Ovum Pick-Up··························· Jong-In Jin, Tae-Hyeon Kwon, Byeong-Hyun Choi, Sung-Soo Kim, Hyun-Tea Jo, Il-Keun Kong1

PB11018 임신말기 자궁내 발육상태 및 자궁적출 시기가 SPF형질전환복제동물 생후 생존에 미치는 영향················ 우제석1, 형남웅, 이주영, 황성수, 오건봉, 이휘철, 양병철, 임기순, 이명식1, 박정용1, 박수봉, 홍성구1

제2발표분야 : 번식 및 생리

- 29 -

PB11019 복제기술을 이용한 한국형 복제미니돼지 생산 ················································································· 한주희1,2, 허창기1, 박천규1, 이은경1, 양혜영1, 안종덕1, 조성근2

PB11020 제주산마의 고강도 승마운동 후 정리운동 방법 및 휴식시간이 생리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강옥득2, 류연철1, 윤영민2, 권태준2, 배재호2, 박준형2, 강민수1,5,6*

PB11021 승용마로 이용 중인 제주산마의 수영 훈련기간에 따른 생리학적 효과에 대한 조사 연구 ·············································································· 강옥득2, 류연철1, 윤영민2, 권태준2, 배재호2, 박준형2, 강민수1,5,6*

PB11022 한우 암소의 번식 현황 조사를 통한 번식 효율성 제고에 관한 연구······························································· 박정용, 우제석, 이명식, 임영환, 이현재, 유동민, 이명숙, 장소희, 홍성구

- 30 -

PC11001 수용성지방유화제의 수준별 첨가가 비육후기 한우거세우의 발육 및 도체특성에 미치는 영향···························································································································· 정준, 이선복, 이명일, 남인식, 김정배

PC11002 장유박의 비육우 사료내 이용효율 및 이용량 검토에 관한 연구··········································································································································· 정준, 이선복, 이명일, 남인식

PC11003 한우농장 HACCP 실태조사 연구··························································································· 이종문*, 진현주, 김두완, 정영훈, 나재천, 서상철, 황규석

PC11004 Recycling of Fermented Sawdust-based Oyster Mushroom Spent Substrate as a Feed Supplement for Postweaning Calves····························································· Minkook Kim1, Honggu Lee2, Jeongah Park1, Sangkee Kang1 and Yunjaie Choi1

PC11005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Improved Antipathogenic Property to Calf Diarrhea by GenomeShuffling························································· Hoonhee Seo, Youngmoo Choi, Ahnah Song, Sangkee Kang and Yunjaie Choi

PC11006 Gamma linolenic acid 강화 사료 급여가 착유우 및 우유생산에 미치는 영향············································· 김상범, 임동현, 박중국, 이현준, 기광석, 이재식, 김영준1, 김삼철2, 김현수3, 권응기

PC11007 농산부산물을 이용한 in vitro 반추위 발효 특성 및 최적배합수준을 통한 농후사료 대체 효과············································································ 박중국, 임동현, 김상범, 기광석, 이현준, 권응기, 조원모, 김창현1

PC11008 자유경쟁조건에서의 젖소의 사료별 기호성 비교············································································ 이현준, 이왕식1, 기광석, 조원모, 김상범, 임동현, 박중국, 권응기

PC11009 느타리 버섯 배지 부산물에 대한 여러 가지 첨가제의 기호성 증진 효과············································································ 이현준, 이왕식1, 기광석, 조원모, 김상범, 임동현, 박중국, 권응기

PC11010 Availability of whole crop barley silage and whole crop rye silage TMR for late fattening of Hanwoo steers in the cattle····························· Jongkyoo Kim, Guanglin Jin, Weize Qin, Kyunghoon Kim1, Shinekhuu Jugder2, Mankang Song

PC11011 Feeding effect of whole crop barley silage and whole crop rye silage TMR on growth and meat characteristics ofHanwoo steers.········································ Jongkyoo Kim, Guanglin Jin, Weize Qin, Jeong Jun1, Shinekhuu Jugder2, Mankang Song

PC11012 Effects of defaunation o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methane production by rumen microbes in vitro when incubated with fiber sources··············································································· Wei-Ze Qin, Jong-Kyoo Kim, Young-kyoon Oh1, Man-Kang Song

PC11013 Effects of defaunation o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methane production by rumen microbes in vitro when incubated with starch sources·················································································· Wei-Ze Qin, Jong-Kyoo Kim, Sun-Sik Chang1, Man-Kang Song

PC11014 Effects of different harvesting time of whole rice plant on plasma metabolic profiles in Korean native steers fed whole rice plant silage························ D.W. Park1, Chang W. Choi1, Y.K. Oh2, S.S. Chang2, N.J. Choi3, D.K. Kam4*, I.H. Jo1, B.B. Seo1

PC11015 Effects of different casein supplements on plasma metabolic profiles of Korean native steers················ Chang W. Choi1, S. Hwangbo1, D.W. Park1, Y.K. Oh2, S.S. Chang2, N.J. Choi3, D. K. Kam4*, I.H. Jo1

PC11016 Effects of different casein supplements on concentration of soluble non-ammonia nitrogen in ruminal and omasal digesta of Korean native steers·············································································· Chang W. Choi1, W.M. Cho2, S.H. Yeon2, S.K. Hong2, H.B. Song1,··········································································································· C.I. Park1, H.G. Lee3, M.K. Song4*, S. Hwangbo1

제3발표분야 : 반추 영양

- 31 -

PC11017 엘크 암사슴에 대한 에너지 급여 수준이 번식에 미치는 영향··················································································· 김상우1, 조영무1, 도윤정1, 박재홍1, 서상원1, 유용희1, 문상호3

PC11018 엘크 육성록에 대한 에너지 급여 수준이 발육 및 녹용생산에 미치는 영향··················································································· 김상우1, 조영무1, 도윤정1, 박재홍1, 서상원1, 유용희1, 문상호3

PC11019 한우 미경산 암소 비육우의 반추위 보호아미노산 급여가 발육 및 근내지방도에 미치는 영향··································· 이상민, 최순호, 장선식, 김형철, 김태일, 김맹중, 조원모, 권응기, 박병기, 조수현, 홍성구

PC11020 한우 비거세, 거세 및 미경산 암소의 비육기 근내지방도 및 발육특성··································· 이상민, 최순호, 장선식, 김형철, 김태일, 김맹중, 조원모, 권응기, 박병기, 조수현, 홍성구

PC11021 농산부산물을 이용한 TMR사료의 비육우 급여효과 ···························································································· 조원모, 이현준, 장선식, 이승환, 김형철, 오영균, 홍성구

PC11022 Effect of interaction between genotype(878T>C) and treatment(TDN level) on fatty acid composition in Hanwoo·········································································································· 조원모, 장선식, 이승환, 연성흠, 김형철, 홍성구

PC11023 DDGS 급여가 거세한우의 비육능력과 도체특성에 미치는 영향··································································································· 이상욱1, 백경훈1, 정슬기1, 김성일1, 정근기2, 최창본1

PC11024 Iodopropane-CD complex의 반추가축 장내발효에 의한 In vitro 메탄생성저감 효과············································································ 오영균, 설용주, 백열창, 김경훈, 옥지운, 이강연, 최효진, 이상석1

PC11025 Iodopropane-CD complex의 반추가축 장내발효에 의한 In vivo 메탄생성저감 효과 ············································································ 오영균, 설용주, 백열창, 김경훈, 옥지운, 이강연, 주영혜, 전체옥1

PC11026 버섯재배부산물 혼합발효조사료급여가 한우 거세우와 미경산우의 생산성, 육질등급 및 경제성에 미치는 영향····················································································································································· 김영일, 박근규, 곽완섭

PC11027 버섯재배부산물 혼합발효조사료의 반추위 in situ 소실율 및 분해율 평가····················································································································································· 김영일, 박근규, 곽완섭

PC11028 Effects of mustard (Brassicajuncea) extracts on in vitro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Methane Production································· J. U. Ok, Y. K. Oh, Y. C. Baek, Y. J. Seol, K. Y. Lee, H. J. Choi, K. J. Han, S. Sill Lee1

PC11029 겨자 종자, 겨자 분말 및 겨자유의 in vitro 발효성상 및 메탄 저감 효과············································································ 옥지운, 오영균, 백열창, 설용주, 이강연, 한기준, 김원영, 이성실1

PC11030 한우 암소의 비육 개시체중별 비육기간이 산육 및 도체특성에 미치는 영향··································· 최순호, 이상민, 장선식, 김형철, 김태일, 김맹중, 조원모, 권응기, 박병기, 조수현, 홍성구

PC11031 한우 암소 비육우의 농후사료 급여방법별 산육 및 도체특성에 미치는 영향··································· 최순호, 이상민, 장선식, 김형철, 김태일, 김맹중, 조원모, 권응기, 박병기, 조수현, 홍성구

PC11032 한우암소 다산우의 비육개시 체중에 따른 도축성적 비교························································································································· 손호진, 이지홍, 정대진, 우선창, 조광현

PC11033 미경산 한우의 메탄배출계수 산출에 관한 연구············································································ 설용주, 오영균, 백열창, 김경훈, 옥지운, 이강연, 한기준, 이성실1

PC11034 성장단계별 한우의 메탄배출계수 산출에 관한 연구············································································ 설용주, 오영균, 백열창, 김경훈, 옥지운, 이강연, 한기준, 이성실1

PC11035 미경산 한우의 에너지 균형 및 유지에너지 요구량 측정··························································································· 이강연, 오영균, 설용주, 옥지운, 백열창, 김경훈, 박근규*

PC11036 미경산 한우의 단백질 요구량 측정에 관한 연구··························································································· 이강연, 오영균, 설용주, 옥지운, 백열창, 김경훈, 박근규1

- 32 -

PC11037 종류별 오일에 따른 in vitro 반추위 대사에 미치는 영향··································································································· 김원영1, 김경훈1, 송만강2, 오영균1, 최효진1, 한기준1

PC11038 유용 사일리지와 티모시 급여에 따른 반추위 발효성상 및 사료가치평가··················································································· 최효진1, 오영균1, 백열창1, 김원영1, 주영혜1, 최창원2, 송만강3

PC11039 Wasabi oil-CD complex의 반추가축 장내발효 메탄 생성 저감 효과··························································································· 한기준, 오영균, 이강연, 설용주, 옥지운, 주영혜, 박근규1

PC11040 오레가노 급여가 거세 한우 비육 후기의 비육특성에 미치는 영향··················································································· 문상호1, 김성진1, 김동현1, 정선희1, 오백영2, 최순호3, 전병태1

PC11041 흑염소 반추위 미생물 메타게놈 Fosmid 유전자은행 구축 및 섬유소분해 활성 클론 선발······························································· 이경태, 안현승, 안정현, 김지훈, 김영주, 최윤정, 박정설, 이현정, 김태헌

PC11042 원료사료별 메탄발생량 지표 개발을 위한 in vitro 메탄 발생량 측정·························································································· 백열창, 오영균, 이강연, 옥지운, 김경훈, 최효진, 김원영

PC11043 In situ 방법을 이용한 부존사료자원의 사료가치평가연구············································································ 백열창, 오영균, 이강연, 옥지운, 김경훈, 최효진, 김원영, 최창원1

PC11044 고온환경이 한우 비육우의 일반생리소견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 홍경선

PC11045 반추위추출물의 반추동물사료원료 및 사료첨가제 이용을 위한 성분 분석 및 in vitro 및 in situ 사료가치 평가······················································································· 이중일, 안규철, 김종민, 김수기2, 조상범2, 오영균3, 박근규1

PC11046 반추위추출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반추위 발효촉진제의 효능에 대한 한우 육성우 대상 사양실험······················································································· 이중일, 안규철, 김종민, 오영균3, 김수기2, 조상범2, 박근규1

PC11047 「무병장소」를 활용한 이등유발생 저감방법연구················································· 허태영, 정영훈, 최창용, 강석진, 박성재, 기광석, 이현준, 도윤정, 손동수, 김의형

PC11048 대추생균제 급여가 비육후기 거세한우 성장과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 김태일*, 최순호, 권응기, 임석기, 박병기1, 장선식, 김맹중, 조원모, 정영훈, 홍성구, 박인철2

PC11049 Effect of outside thermal condition to Hand-Held meter test results······························································ Yoonjung Do, Youngmoo Cho, Sangwoo Kim, Jaehong Park, Taiyoung Hur

PC11050 팽이버섯 재배부산물의 퇴적 시 처리방법에 따른 생물학적 변화······················································································· 문여황, 조수정, 강태원1, 조웅기, 현종환1, 정찬성2, 이성실1

PC11051 팽이버섯 재배부산물을 첨가한 사일리지의 사료적 가치 평가······················································································· 문여황, 강태원1, 조웅기, 현종환1, 정찬성2, 조수정, 이성실1

PC11052 코코넛오일과 팜오일의 사료내 첨가가 In vitro 반추위 발효에 미치는 영향······································································································································· 안중현, 김수헌, 김나라, 이상락

PC11053 사료 섭취수준이 흑염소와 꽃사슴의 영양소 소화율 및 메탄 발생량에 미치는 영향···························································································· 정왕용, 리동화, 김수헌, 김나라, 나영준, 김명화, 이상락

PC11054 Steam 처리 볏짚의 급여가 한우 비거세우의 증체, 사료섭취량, 도체등급 및 육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최장근, 안준상, 박병기, 신종서

PC11055 섬유질배합발효사료 급여가 거세한우의 육질에 미치는 영향······························· 김태일, 장기숙*, 최순호, 권응기, 임석기, 박병기1, 장선식, 김맹중, 이종문, 홍성구, 박인철2

PC11056 대추생균제 급여가 거세한우 육질에 미치는 영향················· 김태일, 박은영*, 최순호, 권응기, 임석기, 박병기1, 장선식, 김맹중, 조원모, 이종문, 홍성구, 박인철2

- 33 -

PC11057 사료 내 식물성 오일의 첨가가 in-vitro 반추위 발효성상 및 메탄 발생량에 미치는 영향···························································································· 이원현, 최한진, 안중현, 김나라, 김수헌, 정왕용, 이상락

PC11058 Effects of dietary n-3/n-6 fatty acid ratio on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gas production and rumen fermentationindices······························································ S. M. Amanullah, H. Yoon, D. H. Kim, H. J. Lee, S. C. Kim, S. B. Kim1

PC11059 섬유질배합발효사료 급여가 비육후기 거세한우의 성장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 김태일, 김재희*, 최순호, 권응기, 임석기, 박병기1, 장선식, 조원모, 김맹중, 정영훈, 박인철2, 홍성구

PC11060 Effects of essential oil supplementation on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gas production and rumen fermentationcharacteristics····························································································· D. H. Kim, H. Yoon, H. J. Lee, S. C. Kim, S. B. Kim1

PC11061 대나무 부산물 추출방법에 따른 In vitro 발효성상에서 반추위 메탄 저감에 대한 연구······································································ 김동현1, 정창대1, 차부영1, 이호일1, 정명희1, 이영규2, 전체옥3,이상석1

PC11062 열환경조건이 성장중인 한우 거세우의 사료 및 에너지 소비수준에 미치는 영향··································································································································································· 허성욱, 김동균

PC11063 기후환경 조건이 성장중인 한우 번식우의 사료섭취량 및 영양소 소비에 미치는 영향··································································································································································· 김초롱, 김동균

PC11064 TMR용 조사료로서 라이그라스사일리지와 총체보리사일리지의 착유우에 대한 급여효과 비교························································································································· 강정모, 이진성, 함상욱, 박지은, 손용석

PC11065 Continuous culture system을 이용한 반추위 내 온실가스 발생량 측정···························································· 이승헌, 김성훈, 감동근, 김인배, 오영균1, 최병양, 이상문2, 서성원2, 지석우

PC11066 버섯재배부산물발효 전용 유산균제제 개발····················································································································································· 이윤희, 김영일, 곽완섭

PC11067 버섯재배부산물 혼합발효조사료 급여가 한우 거세우와 미경산우의 행동패턴에 미치는 영향········································································································ 김진수, 김영일, 이윤희, 이상무1, 이재훈1, 곽완섭

PC11068 유산균 및 당밀 첨가가 사료용 버섯재배부산물의 발효성상에 미치는 영향······································································································································· 김진수, 이윤희, 김영일, 곽완섭

PC11069 Does restricted feeding of cattle from 6 to 18 months of age impact on development of organs and carcass tissues in Hanwoo cattle?····································································· S.K Hong, S.H Leea, W.M Choa, I.H Leea, D Perryb, J.M Thompsonb

PC11070 국내 자동착유시스템 설치농가의 설치 전․후생산성 비교·································· 기광석․ 김상범․ 이현준․ 임동현․ 박중국․ 임현주․ 박성재․ 정영훈․ 권응기․ 김현섭*․ 유인천**

PC11071 농후사료 급여수준이 한우 암송아지의 성장과 번식에 주는 영향························································································· 장선식, 엄정열* , 이명식, 김태일, 조원모, 최순호, 홍성구

PC11072 천궁추출물 처리에 의해 유발된 마우스 3T3-L1 지방전구세포의 세포독성 및 분화억제 완화작용에 미치는 당귀추출물의 영향····································································································· 허미림¹, 안정철¹, 황순범¹,김인숙², 강지영¹, 황성구¹

PC11073 완전혼합알코올발효사료의 급여가 반추위 발효특성과 급여개시 시점에 따른 거세한우의 산육 및 도체 특성 변화에 관한 연구······································································································································· 안준상, 최장근, 박병기, 신종서

PC11074 돈분내 죽초액 첨가에 따른 악취저감 효과 및 미생물 community 분석·················································································································· 차부영1, 김동현1, 조성백2, 김동운2, 이상석1

- 34 -

PC11075 Effects of specialized feeding program for multiparous Hanwoo on the production and quality of meat·········· Do Hyeong Lee1, Eun Joong Kim2, Chang Min Park3, Jong Won Joo4, Sang Buem Cho5*, Nag Jin Choi3*

PC11076 Development of beef cattle feed additive for enhancement of marbling by using Zn-Vit.C chelated compound··········································· Chiranjit Ghosh, Soon-Beom Hwang, Mi-Rim Heo, Seok-Keun Choi, Seong-Gu Hwang

PC11077 착유우에 대한 반추위 휘발성 지방산 농도와 유량 및 유성분과의 상관관계 분석································································································································································· 이준성1, 서성원1

PC11078 The effect of dietary Cynanchum wilfordii on ruminal fermentation and milk production in dairy cows········································· Dangana Mahama1, Seung-Hak Yang2, Jong-Ho Ahn1, Sang-Rak Lee3, Seong-Gu Hwang1

PC11079 GABA 생성균의 분리 동정 및 발효 특성 분석····················································································································································· 구범승, 김동운, 이상석

PC11080 버섯폐배지의 반추위 내 미생물 발효 특성 및 생산성 증진에 대한 연구··································································································· 박제환1, 고요한1, 배귀석1, 김상범2, 김현섭2, 장문백1

- 35 -

PD11001 거세 한우 육성우 사육밀도가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상무, 장재원, 황주환, 이재훈

PD11002 2010년도 해남목장 자생 갈대의 이용실태 및 사료가치··········································································· 서 성, 한대덕1, 김원호, 정민웅, 이상훈, 김재경2, 김수인,2 김성길3

PD11003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청보리, 호밀 등 월동 사료작물의 생산 및 유통 실태조사·························································································· 서 성, 김종덕1, 김종근, 김원호, 박형수, 전경협1, 이종경2

PD11004 사료용 볏짚곤포사일리지용 벼의 어린 성장시기 곰팡이 및 위해성 분석······································································································································ 성하균1, 서성2, 이종경3, 김동균4

PD11005 돼지슬러리의 수분함량 감소를 위한 전처리방법(마이크로파 이용) 개발연구································ 곽정훈, 정광화, 조승희, 안희권, 김재환, 최동윤, 송준익, 정만순, 이상철, 강희설, 라창식1*

PD11006 마이크로파 조사시간에 따른 돈분의 호기성 퇴비화 과정에서의 특성변화에 관한 연구································ 곽정훈, 정광화, 조승희, 안희권, 김재환, 최동윤, 송준익, 정만순, 이상철, 강희설, 라창식1*

PD11007 돼지 분을 이용한 퇴비화로 온실가스 저감························································································································· 박규현, 전중환, 전경호, 곽정훈, 최동윤

PD11008 가축분뇨 처리 방법에 따른 탄소원단위 산정························································································································· 박규현, 최동윤, 김재환, 조승희, 전경호

PD11009 이동식 친환경 폐사가축 처리기의 현장활용········································································································· 강석진, 허태영, 정영훈, 최창용, 손동수, 김종화1

PD11010 구제역 살처분 가축의 고온·고압·진공 방식을 이용한 처리방법 및 재활용········································································································· 강석진, 허태영, 정영훈, 최창용, 손동수, 김종화1

PD11011 AHP를 활용한 가축분뇨 처리시설 및 관련기술 평가지표 가중치 설정····································· 김재환1, 조승희1, 곽정훈1, 최동윤1, 정광화1, 천동원1, 이성현2, 김진호2, 소규호2, 박치호3

PD11012 LCC를 통한 가축분뇨처리시설의 경제성 분석···································································· 김재환1, 조승희1, 곽정훈1, 최동윤1, 정광화1, 정의수1, 정만순1, 박성균2

PD11013 1996 및 2006 IPCC 가이드라인을 이용한 축산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비교·········································································································· 지은숙, 박규현, 최동윤, 조성백, 양승학, 황옥화

PD11014 중온기에서의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퇴비화 방법 연구·········································································································· 양승학, 박규현, 조성백, 황옥화, 곽정훈, 최동윤

PD11015 비닐하우스 육추사의 환기 개선 효과······································································································································ 송준익, 전중환, 김재환, 김두환1

PD11016 축산 악취저감을 위한 이산화염소 연속 발생장치 개발······································································································································ 송준익, 전중환, 김재환, 김두환1

PD11017 가축분뇨 처리수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고도처리 적용 방법············································································ 정광화, 전승기, 김재환, 곽정훈, 조승희, 정만순, 강희설, 이광희1

PD11018 Investigation on energy saving for the anaerobic digester heating by SCB bed and characteristics of biogas productionby anaerobic digester heating······································································ Seung-Hee Cho, Jae-Hwan Kim, Jung-Hoon Kwag, Kwang-Hwa Jeong,········································································· Heekwon Ahn, Man-Soon Chung, Woongull Kim and Sang-Chul Lee

제4발표분야 : 초지 및 환경

- 36 -

PD11019 한우암소의 유지수준과 성장수준별 온실가스 배출량 비교···················································································································································· 김두리*, 하재정, 송영한

PD11020 사육밀도에 따른 한우 미경산우의 행동특성··················································································· 전병태1, 김동현1, 정선희1, 홍성구2, 최순호2, 박재현1, 문상호1

PD11021 한우사육용 깔짚의 종류별(톱밥, 대팻밥, 왕겨 및 톱밥과 대팻밥 혼합) 물리적 특성 평가········································································································ 안규철, 이강연, 장선식1, 오영균1, 김종민, 박근규

PD11022 한우사육용 깔짚의 종류 별(톱밥, 대팻밥 및 톱밥과 대팻밥 혼합) 이용성 평가·················································································· 안규철, 이중일, 노인순, 김종민, 오영균**, 장선식**, 박근규*

PD11023 한우사육용 깔짚의 종류(톱밥, 대팻밥 및 톱밥과 대팻밥 혼합) 및 원산지 별(중국, 베트남 및 미국) 물리적 특성·················································································· 주영혜, 안규철, 김종민, 이강연, 오영균**, 장선식**, 박근규*

PD11024 한우사육용 깔짚의 종류(톱밥, 대팻밥 및 톱밥과 대팻밥 혼합) 및 원산지 별(중국, 베트남 및 미국) 이용성 평가·················································································· 한기준, 안규철, 이강연, 오영균**, 장선식**, 김종민, 박근규*

PD11025 총체보리 사일리지 거세한우 급여효과················································· 김원호, 정민웅, 류재혁, 박형수, 최기춘, 지희정, 서 성, 임영철, 천민성1, 권찬호2

PD11026 거세한우 육성기 총체보리 사일리지 최대 급여효과············································· 김원호, 정민웅, 류재혁, 박형수, 최기춘, 지희정, 서 성, 임영철, 김완수*, 김종덕**

PD11027 환경개선제 급여에 따른 육성돈 생산성 및 분뇨 성상에 미치는 영향·········································································································· 이진수, 이윤진, 최태규, 최규석, 윤태한, 조준희

PD11028 In Vitro 발효조건에서의 사료자원별 유기탄소의 변화와 메탄가스 발생량과의 상관관계 분석······························································································ 이진수, 김미정, Rahman M.M., 신종서, 송영한, 라창식

PD11029 깔짚과 성별에 따른 토종육계의 행동특성····································································································································· 양가영*, 하재정, 오상집, 송영한

PD11030 Utilization of struvite as a sustainable fertilizer source for maize cultivation ·········································································· Y. H. Liu, M. M. Rahman, J. H. Kwag1, J. H. Kim1 and C. S. Ra

PD11031 Nutrient leaching loss of struvite in soil··········································································· Y. H. Liu, M. M. Rahman, J. H. Kwag1, J. H. Kim1 and C. S. Ra

PD11032 온실가스 저감물질의 탐색 및 효과에 관한 연구························································································································· 김미정, 이진수, 신종서, 송영한, 라창식

PD11033 Magnesium supplementation and compost reutilization: a practical approach for nutrient conservation in compost······················································································· M. J. Kim, J. E. Lee, S. Kumar, J. H. Kwag1 and C. S. Ra

PD11034 축산분뇨처리부문 국가 온실가스 배출계수 개발을 위한 최대 메탄 발생량(Bo) 산정 연구 ················································································································ 이진의*1, 이현주1, 곽정훈2, 박규현2, 라창식1

PD11035 축산분뇨처리부문 국가 온실가스 배출계수 개발을 위한 분뇨별 아산화질소(N2O) 최대 발생량 조사······················································································································ 이진의, 이현주, 곽정훈1, 박규현1, 라창식

PD11036 Optimization of CO2 concentration and light intensity for biomass production of Chlorella vulgaris and utilization of swine wastewater as growth medium································································· S. Kumar, C. M. Lee, Y. H. Liu, M. J. Kim, J. H. Kwag1 and C. S. Ra

PD11037 Upgrading the performance of submerged biofilm SBR process for swine wastewater treatment employing internal circulation through sand filter······················································································· S. Kumar, Y.S. Choi, J. H. Cho, J. H. Kwag1 and C.S. Ra

- 37 -

PD11038 가축분뇨 내 인자원 회수 및 제어효율 평가···································································································································· 이창민, 곽정훈1, 김재환1, 라창식

PD11039 회수된 MAP 결정체의 재이용을 위한 전기적 질소해리 기술 확립················································································································· 이창민, Liu Y. H., 곽정훈1, 김재환1, 라창식

PD11040 복합생균제의 살포 및 급여가 가축의 분변 내 암모니아 농도와 미생물 균총에 미치는 영향·················································································································· 이선녀1, 박선영1, 나영준2, 김명화2, 이상락2

PD11041 조명색의 차이가 육계의 에너지 소비량 및 행동 변화에 미치는 영향························································································································· 김나라, 정왕용, 이원현, 김명화, 이상락

PD11042 Application of IT technology to biological treatment process for swine manure········································································································· S. G. Won, J. H. Cho, J. H. Kwag and C. S. Ra

PD11043 Optimized conditions for the electrolysis of swine manure························································································ J. H. Cho, Y. J. Lee, J. E. Lee, J. H. Kwag1 and C. S. Ra

PD11044 두과 녹비작물을 이용한 유기 총체 벼의 생산성·························································································································· 정민웅, 윤세형, 김원호, 서 성, 최기춘

PD11045 Hydraulic retention time이 돈사 슬러리의 혐기발효 성상 및 메탄가스 발생에 미치는 영향························································································································· 김수헌, 정왕용, 나영준, 김명화, 이상락

PD11046 Medium optimization for the improvement of antioxidant activity on the submerged garlic fermentation by Leuconostoccitreum······················································································· Su-Ok Kim1, Mi-YoungWon1, Sang-BuemCho2, Soo-KiKim1,2*

PD11047 Fermentation Medium for the Production of Cellulase, Amylase and Xylanase Using Rumen Contents···· Jae-Won Park1, Ji-Ho Kim1 Sang-Buem Cho2, Keun-kyu Park2, Young-kyoon Oh3, Jong-Won Joo4 and Soo-Ki Kim1,2*

PD11048 돈사 악취물질 저감을 위한 섬유소원 선발연구·············································································· 조성백, 황옥화, 양승학, 박규현, 송준익, 최동윤, 김재환, 이상철

PD11049 돈사 피트 슬러리내 악취물질 저감을 위한 환경개선제 첨가효과······························································· 황옥화, 조성백, 양승학, 박규현, 정광화, 안희권, 최동윤, 이상철, 정만순

PD11050 이유자돈 스트레스 저감을 위한 보온막 효과 구명······························································· 김영화, 이성대, 김다혜, 정현정, 김동운, 조규호, 사수진, 김인철, 허태영

PD11051 IPCC(2006) Tier 2 방법론에 따른 한우의 장내발효에 의한 메탄(CH4) 배출계수 산출··································································································· 조남철1, 이상문1, 손근남1, 박규현2, 이상철2, 서성원1

PD11052 사육 규모에 따른 낙농사양 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 산출·································································································································· 이상문1, 이세영2, 박규현3, 서성원1

PD11053 Isolation of xylanase secreting Paenibacillus xylanexedens SK2925 from soil·················· Mi-Young Won1, Su-Ok Kim1, Xiao-Tian Quan1, Sang-Buem Cho2, Young-Kyoon Oh3, Soo-Ki Kim1,2*

PD11054 Antioxidant Activity on Onion Juice Fermentation by Using Lactobacillus plantarum ·············· Mi-Sang Yu1, Sang-Buem Cho2, Xiao-Tian Quan1, Jae-Sung Yeon1, Dong-Woon Kim3 and Soo-Ki Kim1,2

PD11055 수원과 평창에서 whole crop corn의 건물수량 변화··········································································· 성경일1, Ghassemi Nejad Jalil1, 김은정1, 조무환2, 윤세형3, 김경대4

PD11056 바이오가스 생산효율 향상을 위한 부산물의 사일리지 조제 조건 검토 ·························································································································· 성경일1, Ghassemi Nejad Jalil1, 김상헌2

PD11057 GIS를 이용한 조사료의 재배적지 판정 모델 개발의 가능성············································ 이인수1, 성경일2, 조무환3, 김은정2, Ghassemi Nejad Jalil2, 윤세형4, 김경대5, 정영상6

- 38 -

PE11001 β-hydroxyacyl-CoA dehydrogenase 활성에 의한 냉장 및 냉동우육 판별········································································································· 강선문, 강근호, 성필남, 정석근, 김동훈, 조수현*

PE11002 출하체중에 따른 듀록×재래흑돼지 교잡돈의 도체성적 및 육질·············································································································· 강선문1, Muhlisin2, 원정일3, 이정구3, 이성기2*

PE11003 Effects of Korea Traditional Leaf liquors (Bambusoideae Leaf or Camelliasinensis) on the Quality properties of Goudatype Cheese·············································································································· HeeYoungChoi1, KyoungHee Kim1, InHyu Bae*

PE11004 Development of Lactobacillus plantarum expressing M cell targeting peptide conjugated porcine epidemic diarrheavirus(PEDV) Spike protein1 as oral vaccine························································· Dachuan Piao, Huishan Li, Yeunkyoung Kim, Sangkee Kang and Yunjaie Choi

PE11005 거세 및 비거세 유산양고기의 품질특성 비교·································· 강근호1*, 이애경1,2, 조수현1, 성필남1, 박범영1, 정석근1, 김현섭1, 김상우1, 최순호1, 김동훈1

PE11006 소금 종류가 자연 발효생햄 중량감소, 일반성분 및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성필남, 김병경, 박범영, 조수현, 김진형, 강근호, 정석근, 김동훈, 정재홍*

PE11007 소금 종류가 자연 발효생햄 조직감, 제품색, 무기물함량 및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성필남, 김병경, 박범영, 조수현, 김진형, 강근호, 정석근, 김동훈, 정재홍*

PE11008 하수오의 용매분획별 항균 활성, 항산화 활성 및 돈육 패티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서태수, 김거유, 박재인*

PE11009 Effect of Diet Supplemented with Korean Black Goat Meat on Swimming Endurance, Hematochemicals and Testosterone Concentration in Rats··································· Kyung-Dong Cho1, Kyoung-Won Lee, Ki-Seung Seong, Chan-Kyu Han* and Soon-Ho Choi2

PE11010 Effects of different chicken breeds as raw materials of Chuncheon Dalkalbi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toragequality in combination with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Sung Ki Lee1.Sun Moon Kang2, Muhlisin1,and Won Hee Choi

PE11011 한우농장 HACCP 관리 방법 설정에 관한 연구··························································································· 진현주*, 이종문, 김용수, 김윤호, 김정화, 서상철, 황규석

PE11012 거세한우의 근내지방도별 풍미관련 화학물질 조성에 관한 연구··································································································· 백경훈1, 정슬기1, 김성일1, 이상욱1, 정근기2, 최창본1

PE11013 근내지방도별 한우 쇠고기 관능평가 성적과 풍미 성분간 상관관계 분석··································································································· 백경훈1, 정슬기1, 김성일1, 이상욱1, 정근기2, 최창본1

PE11014 Aroma flavor components as function of muscle types of Hanwoo beef········································· Hoa Van Ba1,Park Kyoung Mi1, Dashdorj Dashmaa1, Ganbat Odkhuu1, Yang You Bing1,··························· Jeong Dawoon1, Lee Jisuk1, Jang Jong-Soo2, Ryu Kyeong-Seon1, Cho In-Kyung3, Hwang InHo1,*

PE11015 The volatile components of Duroc purebred and their relation to fatty acids···································· Ganbat Odkhuu1, Cho Byung-Wook2, Hoa Van Ba1, Dashdorj Dashmaa1, Park Kyoung Mi1,························································ Lee Jisuk1, Do Kyoung-Tag2, Lee Ki-Hwan3, Seo Kang-Seok4, Choi Jae-Gwan5,······································································ Lee Moon-Jun6, Cho In-Kyung7, Ryu Kyeong-Seon1 and Hwang Inho1*

PE11016 젖소농가 HACCP 관리 방법 설정에 관한 연구·········································································································· 정영훈, 허태영, 최창용, 강석진, 박성재, 이종문

제5발표분야 : 축산물 이용 및 가공

- 39 -

PE11017 소 도축공정 유래 식중독균의 독성 유전학적 분석············································································· 오미화*, 김현욱, 설국환, 함준상, 장애라, 김소영, 이성지 김동훈

PE11018 돼지 도축공정 유래 위해미생물의 독성 유전학적 분석············································································· 김현욱*, 설국환, 함준상, 장애라, 김소영, 이성지 김동훈, 오미화

PE11019 젤라틴 효소분해물의 급여가 흰쥐의 혈청 생화학적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 장애라*, 함준상, 설국환, 오미화, 김현욱, 한기성, 김동훈

PE11020 원료육 비율을 달리하여 제조한 유화형소시지의 품질 특성······································································································································· 정은영, 김갑돈, 주선태, 양한술

PE11021 소 도축공정 유래 미생물의 항생제 감수성·························································································· 설국환*, 함준상, 김현욱, 이미정, 장애라, 오미화, 김동훈

PE11022 돼지고기 생산·가공단계 유래 미생물의 항생제 감수성·························································································· 설국환*, 함준상, 김현욱, 이미정, 장애라, 오미화, 김동훈

PE11023 한국인 신생아에서 분리한 비피도박테리움 롱검을 이용한 발효유 개발······························································· 함준상, 김민경, 최아리, 한기성, 정석근, 설국환, 장애라, 오미화, 김동훈

PE11024 한국인 신생아에서 분리한 비피도박테리움 롱검을 이용한 자연치즈 개발······························································· 함준상, 김민경, 최아리, 한기성, 정석근, 설국환, 장애라, 오미화, 김동훈

PE11025 Analysis of DNA Identity for Beef Traceability in Various Cooking Methods··········································································································· Min-Wook Hong1, Ki-Beom Kim, Sung-Jin Lee1,*

PE11026 저장기간 및 저장온도에 따른 오리알 품질 및 지방산 조성 변화 연구····································· 정선희, 추효준, 김동욱, 강환구, 방한태,김민지, 나재천, 채현석, 최희철, 서옥석, 박성복

PE11027 Effect of Packaging Methods and Storage Temperature on Quality Characteristics in Low-grade Hanwoo Beef················································································ Sang Keun Jin1,2, Sun Jin Hur3, In Chul Hur1, Jin Yeon Jeong1,2

PE11028 소목(Caesalpina Sappan L.) 첨가 수준이 소시지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진상근1,2, 허인철1, 황진원1, 우경민1, 신지민1, 안종휘1, 하소라1, 정진연2

PE11029 산란폐계육을 이용한 애완견 발효소세지 급여가 애완견의 단백질 소화율 및 분 내 암모니아 함량에 미치는 영향··················································································· 서강민1, 박상훈1, 신영준1, 남기택1, 이선녀2, 이상락2, 이명진3

PE11030 계육 가슴살과 Pediococcus acidilactici와 Pediococcus pentosaceus 혼합균종을 이용한 애완견 발효 육포 개발···································································· 서강민1, 박상훈1, 신영준1, 박지원1, 서현주1, 남기택1, 이명진2, 전찬미2

PE11031 육우 비선호 부위를 활용한 육포의 품질특성······················································································································ 최정석*, 정동순, 조현준, 강태윤1, 최양일

PE11032 육우 비선호 부위를 활용한 떡갈비제품 개발······················································································································ 최정석*, 정동순, 김은영, 강태윤1, 최양일

PE11033 Illite를 급여한 암퇘지의 도체 및 육질특성······································································································································ 정동순*, 최정석, 강태호, 최양일

PE11034 정제 오징어 부산물유지 첨가가 저지방소시지의 품질 특성 평가·························································································· 김일석, 양미라, 구태화, 노건령, 유슬기, 정원태, 강석남*

PE11035 정제 말고기 지방 첨가 미트패티의 저장 중 품질 특성 평가·························································································· 김일석, 양미라, 구태화, 노건령, 유슬기, 정원태, 강석남*

PE11036 한우고기와 수입채끝육의 휘발성 향기성분 비교·············································································· 조수현, 성필남, 강근호, 강선문, 정석근, 김현섭, 박범영, 김동훈

- 40 -

PE11037 The Combination Effect of Rosemary Extract, Organic Acid Salts and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on the Storage Quality of Ready-to-Eat Hamburg Steak················· Muhlisin1, Sun Moon Kang2, Won Hee Choi1, Keun Taik Lee3, Sung Hee Cheong4 and Sung Ki Lee1

PE11038 양돈농장 HACCP 관리방법 설정에 관한 연구·············································································· 김두완, 김상호, 이종문, 김영화, 김동운, 정현정, 이성대, 김인철

PE11039 Effect of NaCl levels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dried beef stick······························································································ G.D. Kim, E.Y. Jung, H.J. Lim, H.S. Yang and S.T. Joo

- 41 -

PF11001 미생물제제의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 나재천, 박성복, 채현석, 방한태, 강환구, 김동욱, 김민지, 최희철, 서옥석, 정현정1

PF11002 육계농장 HACCP 관리 방법 설정에 관한 연구····························································· 나재천. 박성복, 방한태, 김동욱, 강환구, 채현석, 최희철, 정영훈1, 이종문2

PF11003 Effects of Dietary Combination of Conjugated Linoleic Acid and Flaxseed Oil/Fish Oil on Lipid metabolism and n-3 to n-6 Fatty Acid Ratio in Broiler Chicks······························ J. H. Park, Y. M. Cho, S. W. Kim, Y. G. Ko, Y. J. Do, J. H. Kim. Y. H. Yoo and D. Shin1

PF11004 Effects of Glycine Betaine Supplementation on Performance, Serum Lipid Metabolites and Yolk Fatty Acid Profiles of Laying Hens in Different Dietary Energy Levels·························· J. H. Park, Y. M. Cho, S. W. Kim, Y. J. Do, J. H. Kim, Y. G. Ko, Y. H. Yoo and K. S. Ryu1

PF11005 육계의 사육일령에 따른 계사내 사육환경 변화······························································· 채현석, 나재천, 최희철, 방한태, 김민지, 김동욱, 강환구, 박성복, 서옥석

PF11006 사육일령에 따른 육계의 깃털 발생과 창상과의 관계······························································· 채현석, 나재천, 최희철, 방한태, 김민지, 김동욱, 강환구, 박성복, 서옥석

PF11007 입붙이 사료와 대용유 급여 프로그램 및 이유자돈 단계별 사양프로그램이 이유 전과 이유 후 돼지 성장에 미친 영향··································································································· 하덕민1, 장경순1, 원혜숙1, 하승호2, 박만종1, 이철영1

PF11008 돈모 추출 단백질의 급여가 산란계의 산란율과 난질에 미치는 영향·························································· 오현민, 정강석, 조치현, 박노성, 조철훈, 정사무엘, 이봉덕, 이형석1, 이수기

PF11009 산란계에서 사육형태가 스트레스호르몬 및 면역 사이토카인 발현에 미치는 영향······························································· 강선영, 윤서현, 김대근, 이창률, 최후락, 고영현, 문양수, 손시환, 장인석

PF11010 Effect of supplementation of different probiotics to broiler diets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retention, caecal microbiology and small intestinal morphology·············································· J. S. Kim, S. L. Ingale, K. H. Kim, S. Sen, C. Khong, I. K. Kwon and B. J. Chae

PF11011 Effect of antimicrobial peptide-P5 on performance, nutrient retention, fecal and intestinal microflora, serum immunoglobulin and intestinal morphology in broilers··················································· S. C. Choi1, J. S. Kim1, S. L. Ingale1, Y. K. Park2, I. K. Kwon1 and B. J. Chae1

PF11012 Effect of supplementation of ferritin protease complex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fecal micro-biology and hematology of weanling pigs··························································· K. H. Kim, J. S. Kim, S. L. Ingale, S. H. Lee, I. K. Kwon and B. J. Chae

PF11013 Effect of dietary energy levels and ferritin-protease complex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fecal microbiology and hematology of growing-finishing pigs··························································· K. H. Kim, J. S. Kim, S. L. Ingale, S. H. Lee, I. K. Kwon and B. J. Chae

PF11014 자돈에 Procyanidin 급여가 혈액의 항산화 활성 및 성장에 미치는 영향······························································· 박준철, 이세훈, 지상윤, 홍준기, 오영균, 김경훈, 백열창, 우제흥, 문홍길

PF11015 Retinoic acid가 암 수 돼지 지방전구세포의 증식과 분화에 미치는 영향··································································································································································· 송미연, 정정수

PF11016 자돈에 Procyanidin의 첨가 급여가 면역 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세훈, 박준철, 지상윤, 홍준기, 오영균, 김경훈, 백열창, 이선희, 문홍길

제6발표분야 : 단위영양

- 42 -

PF11017 육계에서 구멍갈파래의 항산화 및 면역조절 효과·········································································································· 홍준기, 봉미희, 박준철, 문홍길, 김동욱, 이상철

PF11018 무창 육계사의 지열냉난방 CFD 분석····· 최희철, 강환구, 나재천, 방한태, 김민지, 채현석, 박성복, 박재홍, 서옥석, 유동조, Hossan Md. Salim, Nazma Akter

PF11019 무창육계사 지열난방시 유해가스 농도변화와 에너지 절감 효과··· 최희철, 나재천, 강환구, 김민지, 방한태, 채현석, 박성복, 박재홍, 서옥석, 유동조, Hossan Md. Salim, Nazma Akter

PF11020 Miniature Maltese에 있어서 현미 함유 반려견 사료의 영양소 소화율 및 분 특성 ··································································································· 김경훈1, 임수정2, 오영균1, 장주송3, 지상윤1, 옥지운1

PF11021 Miniature Schnauzer에 있어서 현미 함유 반려견 사료의 영양소 소화율 및 분 특성 ··································································································· 김경훈1, 임수정2, 오영균1. 장주송3, 설용주1, 김원영1

PF11022 Effect of Taeksa (Alisma canaliculatum) Feeding on the Growth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in Broilers·································································· G.M. Kim, S. K. Lee, S. Y. Ko, M. E. Hossain, H. J. Sim , C. J. Yang

PF11023 A Study of the Manufacture of Enviroment- friendly Feed Additive Using Taeksa (Alisma canaliculatum) for Livestock································································· S. K. Lee, S. Y. Ko, M. E. Hossain, G. M. Kim, Y. J. Kim, C. J. Yang

PF11024 현미 함유 반려견 사료의 기호성 개선 효과 ·································································· 홍경희1, 김경훈1, 이상락3, 장주송2, 지상윤1, 옥지운1, 이강연1 , 이경원1

PF11025 육계 사료 내 클로렐라 첨가급여가 생산성 및 면역력에 미치는 영향······ 강환구, 최희철, 채현석, 강보석, 황보종, 김학규, 나재천, 김동욱, 방한태, 김민지, 허강녕, 박성복, 서옥석

PF11026 Effect of sex and dietary organic zinc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skin and carcass quality of broiler chicks····················································· H. M. Salim1,2, H. K. Kang2, H.R.Lee1, N.Akter1,2, C.Jo1, S.K.Lee1 and B.D.Lee1

PF11027 Effect of Taeksa (Alisma canaliculatum) Probiotics Feeding on the Growth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in Pigs··········································································· S. K. Lee, S. Y. Ko, M. E. Hossain, H. Ji, H. S. Moon, C.J. Yang

PF11028 Effect of Taeksa(Alisma canaliculatum) Probiotics Feeding on the Growth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in Broilers········································································ S. K. Lee, S. Y. Ko, G.M. Kim, M. E. Hossain, H. J, Jo, C.J. Yang

PF11029 두부부산물 위주 사료의 발효과정 중 성분 및 미생물 균총 변화····································· 추교문1, 강석남1, 김회윤2, 김종현2, 하지희2, 이성실3, 이신자3, 신년학3, 이성대4, 송영민2

PF11030 막걸리 부산물 위주 사료의 발효과정 중 성분 및 미생물 균총 변화····································· 추교문1, 강석남1, 김회윤2, 김종현2, 하지희2, 이성실3, 이신자3, 신년학3, 이성대4, 송영민2

PF11031 사료 내 유,무기산 및 복합유기산의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 박성복,나재천,채현석, 방한태, 강환구, 김동욱, 김민지, 최희철, 서옥석, 정현정1

PF11032 Efficacy of Fermented King Oyster Mushroom (Pleurotus eryngii) By-Products Diet on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Traits in Fattening Pigs···· Y. M. Song1, J. H. Kim1, H. Y. Kim1, J. H. Ha1, M. H. Park2, C. H. Kim1, S. D. Lee3, I. C. Kim3, G. M. Chu2

PF11033 Effects of Fermented King Oyster Mushroom (Pleurotus eryngii) By-Products Diet on the Meat Quality Charac-teristics in Fattening Pigs············ Y. M. Song1, J. H. Kim1, H. Y. Kim1, J. H. Ha1, M. H. Park2, C. H. Kim1,S. D. Lee3, I. C. Kim3 S. N. Kang2, G. M. Chu2

PF11034 Use of Cornelian Cherry (Cornus officinalis) Probiotics as a Feed Additive for Broiler···················································································································· M. E. Hossain, G. M. Kim and C. J. Yang

PF11035 The Effects of Light Emitting Diode(LED) Color on Performance, Ovarian Morphology and Reproductive Hormone Levels in Hy-Line Brown Strain································· Md Rakibul Hassan1, Yong dae Jeong1, Jongoh Oh2, Jae Yong Park2 and Kyeong Seon Ryu1

- 43 -

PF11036 Effects of Feeding Anthocyanin Fortified Barley and Whole Crop Barley on the Performance, Meat Qualtiy, Organ Weight and Blood Composition in Broilers··········· MD Rakiul Hassan1, Yong dae Jeong1, Tae Il Park2, Tae Hwa Song2, Ouk Kyu Han2, Kyeong Seon Ryu1

PF11037 Effect of Feeding Colored Barely and Whole Crop Barley on Performance and Egg Quality in Laying Hens······ Kyeong Seon Ryu1, Yong dae Jeong1, Tae Il Park2, Tae Hwa Song2, Ouk Kyu Han2 and Myoung Ja Youn1

PF11038 Effect of Different Litter and Stock Density on Productivity, Blood Composition and Meat Quality in Crossbred Chicks with Korean Native Chicks.······························································ Kyeong Seon Ryu1, Hee Cheol Choi2, Jae Cheon Na2 and Yong dae Jeong1

PF11039 Laying Performance, Egg Quality and Body Weight of Hens Reared in three housing systems···································································· Yong dae Jeong1, Hee Cheol Choi2, Jae Cheon Na2, Kyeong Seon Ryu1

PF11040 Effect of Feeding Complex probiotics, Fermented Processed sulfur and Red Ginseng Byproducts on Laying Perfor-mance, Egg quality and Blood Composition in Laying Hens.··························································································································· Yong dae Jeong and Kyeong Seon Ryu

PF11041 클로렐라 및 클로렐라 성장 인자의 급여가 육계의 성장성적 및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 김관응1, 김홍래1, 오성택1, 정란1, 최영인1, 전진영2, 안병기1, 강창원1

PF11042 Ileal digestibility of amino acids in meat meal fed to pigs·························································· Beob Gyun Kim1, Hyo Kon Kang1, Jie-Heung Woo2, and Kyoung Hoon Kim2

PF11043 Energy concentration and phosphorus digestibility in meat meal, fish meal, and soybean meal fed to pigs···························································································· Beob Gyun Kim1, Han-Bip Sim2 and Kyoung Hoon Kim2

PF11044 The dietary effects of fermented Chlorella vulgaris (CBT®) on egg performance, intestinal microflora and liver lipids in laying hens························ L. Zheng1, S. T. Oh1, J. H. Kim1, J. G. Yun1, J. Y. Jun2, B. H. Moon3, B. K. An1, C. W. Kang1

PF11045 암 수 분리사육과 사료의 대사에너지 수준 그리고 깔짚의 차이가 토종닭의 성장 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명호, 이준엽, 케오하봉 분미, 카이카이밍, 무사비르아메드, 김동명, 이시정, 오상집

PF11046 돈위 내용물의 양돈사료로의 활용가치 평가····································································· 이명호, 이준엽, 윤석민, 지상윤1, 카이카이밍, 김동명, 이시정, 오상집

PF11047 돈 분뇨 발생 암모니아의 저감을 위한 효율적 흡착제 탐색·································································································································· 성하균1, 조성백2, 이상석3, 김형준4

PF11048 환삼덩굴 추출물이 병원성 미생물 성장과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 서태수, 김거유, 박재인*

PF11049 매실과 홍삼 부산물이 스트레스에 대한 육계 생체변화에 미치는 영향························································································································· 봉미희, 박준철, 지상윤, 홍준기, 문홍길

PF11050 환우 기간이 산란계의 환우 후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황보종, 강보석, 김학규, 허강녕, 홍의철, 추효준

PF11051 Phytase가 첨가된 펠렛 사료가 육계의 생산성 및 영양소 이용률에 미치는 영향·········································································································· 황보종, 강보석, 김학규, 허강녕, 홍의철, 추효준

PF11052 Weissella koreensis를 기초로 한 생균제 및 마늘발효물의 사료내 첨가가 이유자돈의 성장능력, 영양소 소화율,그리고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 이시정, 이준엽, 윤석민, 이명호, 케이하봉 분미, 카이카이밍, 김동명, 오상집

PF11053 Weissella koreensis를 기초로 한 생균제 및 마늘발효물의 사료내 첨가가 육성비육돈의 성장능력, 영양소 소화율, 혈액성상 그리고 돈육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이시정, 이준엽, 윤석민, 이명호, 케이하봉 분미, 카이카이밍, 김동명, 오상집

- 44 -

PF11054 죽초액 첨가가 비육돈의 성장 및 도체특성에 미치는 영향····················· 김종현1, 추교문2, 김회윤1, 하지희1, 이성실3, 이신자3, 신년학3, 이성대4, 김인철4, 한영종5, 송영민1

PF11055 죽초액 첨가가 비육돈의 육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김종현1, 추교문2, 강석남2, 김회윤1, 하지희1, 김충희3, 이성대4, 김인철4, 한영종4, 송영민1

PF11056 LED 빛의 세기에 따른 산란계 특성 구명·············································································· 김민지, 최희철, 나재천, 채현석, 김동욱, 강환구, 박성복, 서옥석

PF11057 Effects of Creep Feeding Duration on Reproductive Performance of Sows, Creep feed Consumption and Growth Performance of Neonatal Pigs················································································· Y. D. Jang, S. K. Jang, D. H. Kim, K. H. Kim and Y. Y. Kim

PF11058 종류별 인산칼슘제의 사료 내 첨가가 산란계의 생산성과 계란 품질에 미치는 영향························································································································· 강효곤, 장영달, 조윤영, 진경영, 김유용

PF11059 Effect of different Cu sources on growth performance, Cu concentration in feces and blood in weaning pigs························································································································· 장성권, 정태삼, 김광호, 정정수, 김유용

PF11060 Effect of different Zn sources on growth performance, diarrhea score and immune response in weaning pigs·································································································· 김광호, 정태삼, 허필승, Nongyao C., 정정수, 김유용

PF11061 Evaluation of Bacteriophage as Feed Additives to Prevent Salmonella enteritidis in Broiler Chickens··················································································· K. H. Kim, J. C. Jang, D. W. Sin, S. K. Jang and Y. Y. Kim

PF11062 Supplementation of Wheat and DDGS as Alternatives to Corn and Soybean Meal on Growth Performance, Pork Quality and Nutrient Digestibility in Growing-finishing Pigs···················································································· D. H. Kim, P. S. Heo, K. H. Kim, J. C. Jang and Y. Y. Kim

PF11063 Effects of various levels of β-mannanase supplementation to swine diets containing copra or palm kernel meal on growth performance and pork quality of growing-finishing pigs····························································· Y. J. Kim, D. H. Kim, S. K. Jang, P. S. Heo, Nongyao C., and Y. Y. Kim

PF11064 Effect of dietary crude protein levels on growth performance, diarrhea score and intestinal microflora in weaning pigs························································································································· 허필승, 김영주, 장재철, 정정수, 김유용

PF11065 Effects of Fermented Soybean Meal Supplementation on Lactating Sow and Their Progeny ····················································································· P. S. Heo, D. H. Kim, Y. J. Kim, Y. D. Jang and Y. Y. Kim

PF11066 셀레늄 함유 청보리 급여가 육성자돈의 생산성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 남상욱, 조익환, 이성훈*, 황보순

PF11067 동결건조 돼지태반 급여가 모돈 유질 및 면역물질에 미치는 영향····································· 이성대1, 김다혜1, 김영화1, 정현정1, 김동운1, 조규호1, 사수진1, 김인철1, 허태영1, 송영민1

PF11068 임신모돈의 방목 사육이 악취유발물질 및 번식성적에 미치는 영향····················· 이성대1, 김다혜1, 정현정1, 김영화1, 김동운1, 조규호1, 사수진1, 김인철1, 허태영1, 김상범1, 송영민2

PF11069 Effect of shiitake (Lentinula edodes) mushroom on the productivity and egg quality of layer············································································ J. A. Hwang1, D. H. Yun2, S. T. Moon3, G. M. Kim1, C. J. Yang1

PF11070 Effect of antimicrobial peptide-A3 on growth performance, apparent total tract digestibility of nutrients, fecal and intestinal microflora, serum immunoglobulins and intestinal morphology of broilers···························· S. L. Ingale1, S. C. Choi1, J. S. Kim1, K. H. Kim1, Y. K. Park2, I. K. Kwon1 and B. J. Chae1

PF11071 Comparative evaluation of antimicrobial peptides A3 and P5 with antibiotic on performance, nutrient retention, fecal and intestinal microflora, intestinal morphology and serum immunoglobulins, in broilers·························· S. L. Ingale1, S. C. Choi1, J. S. Kim1, K. H. Kim1, Y. K. Park2, I. K. Kwon1 and B. J. Chae1

- 45 -

PF11072 Effect of Taeksa (Alisma canaliculatum) Feeding on the Growth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in Pigs·············································································· H. Ji, S. K. Lee, S. Y. Ko, M. E. Hossain, S. S. Kim, C.J. Yang

PF11073 Effect of Weight Control on the Growth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Composition and Digestibility in Pigs······················································································· J. S. Yang1, G. M. Kim1, S. B. Jo2, M. J. Kim2, C J Yang*

PF11074 Effects of Supplementation of Hemicell-HT®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Intestinal Morphology inWeaning Pigs·········································································································· 장재철, 강효곤, 조윤영, 신동욱, 진경영, 김유용

PF11075 Different Levels of Palm Kernel Meal Supplementation with β-mannanase on Growth Performance, Pork Quality and Nutrient Digestibility in Growing-finishing Pigs···················································································· 장재철, 조윤영, 신동욱, 진경영, 강효곤, Nongyao C., 김유용

PF11076 육계에 대한 잣나무 유래 에센셜 효과 구명 연구······························································· 김동욱, 박성복, 강환구, 방한태, 김민지, 나재천, 채현석, 최희철, 서옥석

PF11077 육계에 대한 포도 유래 프로아토시아니딘(Proanthocyanidin) 효과 구명······························································· 김동욱, 박성복, 강환구, 방한태, 김민지, 나재천, 채현석, 최희철, 서옥석

PF11078 Supplementation of Bacillus spp. on Growth Performance and Fecal Flora of Growing-finishing Pigs in Corn-SBM Based Diet and Diet Added Palm Kernel Meal························································································································· 조윤영, 김영주, 장영달, 강효곤, 김유용

PF11079 Impacts of carbohydrases on performance: implications in swine diet········································································· S. M. Hong, L. Yan, X. Gou, S. C. Kim, J. H. Cho and I. H. Kim

PF11080 Application of delta-aminolevulinic acid supplementation in monogastric animal diet······················································································ J. H. Jung, S. Zhang, J. M. Lee, J. H. Cho and I. H. Kim*

PF11081 청보리 곡실의 품종별 영양적 가치 평가···························································· 김회윤, 김삼철1, 추교문, 김종현, 하지희, 김동현1, 윤 희1, 이성대2, 송영민

PF11082 청보리 곡실의 품종별 지방산, 구성아미노산, 소화율(in-vitro) 평가···························································· 김회윤, 김삼철1, 추교문, 김종현, 하지희, 김동현1, 윤 희1, 이성대2, 송영민

PF11083 Effects of chestnut supplement level on growth performance, blood metabolites, carcass characteristics and fatty acid profiles in pig····································································· H. Yoon, D. H. Kim, H. J. Lee, S. C. Kim, M. S. kwon1, H. J. Jung2

PF11084 The effect of chestnut supplement on intake, digestibility and blood characteristics in pigs···································································· H. J. Lee, D. H. Kim, H. Yoon, S. C. Kim, M. S. Kwon1, H. J. Jung2

PF11085 돼지 말초혈액 단핵세포의 활성화에 미치는 Enterococcus faecium의 효과················································· 김동운, 김영화, 정현정, 이성대. 김상호, 사수진, 김두완, 김명직, 강석진, 김인철

PF11086 생균제용 유산균 배양액의 유통시 온도별 생존율 비교····································· 김동운1, 김영화1, 정현정1, 이성대1. 김상호1, 조규호1, 소경민1, 조상범2, 김수기2, 김인철1

PF11087 Growth inhibition of human hepatocarcinoma HepG2 cells by Saussureainvolucrata extract may be mediated through the down-regulation of anti-apoptotic gene expression.·················· Munkhzaya Byambaragchaa1, Baasanjav Batmunkh1, Doo-Ri Park1, AltantsetsegKh2, Seong-Gu Hwang1

PF11088 유자 추출물 처리가 LPS로 자극시킨 RAW264.7 Macrophages 세포의 항염증 작용 및 면역활성 조절에 미치는 영향························································································································· 황성구, 안정철, 김민주, 홍보라, 안종호

PF11089 Effect of Dietary Pharmaceutical Plant extracts on the Protection of Coccidiosis in Broiler chickens.······ Isack Ibrahim Kerario1, Sang-Hyun Park1, Seung-Hak Yang2, Soo-Ki Kim3, Ki-Taeg Nam1, Seong-Gu Hwang1

- 47 -

학 술 발 표 회 초 록

- 49 -

유전 및 육종

- 51 -

PA11001 Genetic Variations of Meat Quality Relation Gene for Carcass Trait in Korean Native Pigs

Jae-Young. Yoo, Kon-Joong. Kim, Jong-Wan. Lee, and Gye-Woong. Kim

Dept. of Animal Resource Science, Kongju National University

The Korean Native pigs (KNP) had been widely raised on farms in Korea until 1970s. Today, breeding for the KNPs are most from the southern region of Korea, including Jeju Island. There are very limited information on the genetic differences and meat quality traits of the KNP breeds. Thus, in this study, genotypic differences and frequencies of ryanodine receptor 1 (RYR1) and POU class 1 homeobox 1 (POU1F1) protein kinase were determin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PCR-RFLP) from 168 KNPs from Jeju Island, South Korea. Carcass traits relationships between genetic variations and the phenotypic alterations including carcass data, meat color and muscle pH were analyzed. The normal genotype (NN) of RYR1 gene was detected in KNP breeds (168/168). In POU1F1 gene, the allele frequencies of A were higher than those of B in KNP breed (0.744 vs 0.256). Also, in Korean native pig, the individual weight and meat color of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confirming that the genes do exert significant effects(p<0.05). In conclusion, understanding of not only the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phenotypes, moreover the regional characteristic for the breeding of native domestic animals could be applied to the analysis of the evolutionary characteristic of the breeds.

Key words : PSS, POU1F1, Korean native pigs, carcass grade, SNPs

PA11002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dendritic cell targeting peptide ligand

Haiying Li, Geunhye Yeo, Namkyung Lee, Sangkee Kang and Yunjaie Choi

Department of Agricultural biotechn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dritic cells (DCs) are dominant antigen presenting cells in the immune system. They orchestrate a repertoire of immune responses that play a pivotal role in bridging innate and adaptive immunity by presenting antigen to naïve T cells. Therefore, it is conceivable that vaccine delivery via DCs targeting may enhance the efficacy of vaccination and establish successful antigen specific immune response. In this study, we identified BMDC targeting peptide through in vitro cell based phage display. The TPAFRYS (TP) peptide ligand showed specific higher binding affinity to BMDC than random control peptide. However, there was no counterpart protein detected in affinity column chromatography and peptide binding assay experiments. Since then we found that the peptide internalization may be mediated by the cholesterol dependent endocytosis. Vaccine delivery through DC targeting is a promising strategy in the development of vaccination strategy.

Key words : Targeting peptide, Dendritic cell, phage display, vaccine, cholesterol

PA11003 Inhibition of Heat Shock Protein Beta 1 Blocks Testosterone-related Bovine Myogenesis

Qiankun Zhang1, Hong-Gu Lee2, Sang Kee Kang1, Myunggi Baik3 and Yun-Jaie Choi1

1Department of Agricultural Biotechn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2Department of Animal Science, Pusan National University

3Department of Molecular Biotechn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During skeletal myogeneiss, the contractile phenotype accompanies the expression of the specific proteins. Here we show that knockdown of heat shock proteins beta 1 (HSPB1) is sufficient to inhibit the expression of muscle-specific maker (Desmin) with block of the myogenesis in response to testosterone supplement. Bovine myoblasts respond to testosterone result in myotubes formation more quickly. Likewise, HSPB1 expression increases during bovine myogenesis in response to testosterone. The siRNA of HSPB1 not only decreases the expression of itself at mRNA or protein levels, and also blocks the myotubes formation. In addition, the knockdown of HSPB1 decease the expression of Desmin, which is particularly clear in response to testosterone. Therefor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inhibition of HSPB1 blocks testosterone-related bovine myogenesis.

Key words : Bovine, Heat shock protein, Myogenesis, Testosterone

- 52 -

PA11004 돼지 출하가격에 대한 요인별 기여도 분석김병우, 선두원, 양한술, 주선태, 이정규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응용생명과학부전국의 9개 실험농가 모돈 1두당 비육돈 3두를 특정 도축장에 선별출하 하였고, 도축된 도체는 익일 냉도체 판정된 444두의 냉도체 등급 출현율 및 9개부위별 육량 실측 중량 및 실험실 육질분석을 실시하였다. 돼지의 출하가격에 영향하는 요인별 기여도 분석을 위하여 SAS를 활용한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독립변수의 측정 단위가 다른 경우 종속변수에 대한 그들의 영향력을 비교할 때 사용되는 표준화 회귀계수와 다중 회귀분석에서 각각의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기여도 계산은 준부분 상관제곱(Squard semi-partial correlation) 값을 활용하였다. 다중 회귀분석시 돼지 출하가격에 유의하지 않은(P<0.05) 독립변수는 제거 하였고, 회귀식의 수정 모형 적합도 (Adj R-Square)는 0.9117 로 나타났으며, 요인별 기여도(%)는 육량실측 자료인 목심 중량 1.02%, 삼겹살 중량 26.26%, 등심 중량 0.79%, 도체중량 70.11%, 등지방 두께 0.63%, 도축후 24시간 pH 1.19% 로 나타났다. 돼지 출하가격에 영향하는 요인별 기여도는 도체중량이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것으로 분석 되었으며 이는 현행 육질을 고려한 등급판정의 보완이 필요하고, 출하가격에 반영 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 된다.

Key words : 돼지 출하가격, 다변량 회귀분석, 기여도

PA11005 한우의 경락가격에 대한 요인별 기여도 분석선두원, 김병우, 박재찬, 이정규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응용생명과학부지난 구제역 파동으로 인하여 우리나라의 축산업은 심각한 타격을 받았으며 소비자들로부터 외면 받고 있는 현실에 처해 있다. 이러한 상황에 양돈산업은 많은 두수를 살처분 함으로써 사육마리수의 감소로 인하여 돈가가 폭등하는 등의 때아닌 호황을 누리고 있지만 한우산업은 살처분 두수가 그렇게 많지 않았으며 사육마릿수의 꾸준한 증가로 인하여 전체적인 경락가격이 등급별로 20%정도 하락하는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한우암소검정사업을 통하여 암소검정 및 개량에 조금 더 집중하여 노력한다면 장기적으로 한우산업의 질적 발전에 많은 영향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한우암소검정 사업의 기본적 목적이 암소의 육량과 육질에 대하여 검정하고 평가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경락가격이 있는 경남 K지역의 4,783두의 자료를 바탕으로 도체형질(등지방두께, 배최장근단면적, 도체중, 근내지방도)의 요인별 기여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은 SAS를 활용한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독립변수의 측정 단위가 다른 경우 종속변수에 대한 그들의 영향력을 비교할 때 사용되는 표준화 회귀계수와 다중 회귀분석에서 각각의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기여도 계산은 준부분 상관제곱(Squard semi-partial correlation) 값을 활용하였다. 회귀식의 수정모형 적합도 (Adj R-Square)는 0.8062로 나타났으며, 요인별 기여도는 도체형질중에서 등지방두께가 1.09%, 배최장근단면적이 0.06%, 도체중이 54.73% 및 근내지방도가 44.12%로 나타났다. 한우 경락가격에서의 요인별 기여도는 도체중과 근내지방도가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 되었으며 본 연구 결과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한우암소검정사업과 연계해서 생각해 본다면 체중의 검정과 육질진단 평가가 요구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추후 더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Key words : 한우, 경락가격, 회귀분석, 기여도

PA11006 Identification of chicken stress markers using telomere length, DNA damage and HMGCR level

S. H. Sohn, V. G. Subramani, E. J. Cho, Y. S. Moon

Dept. Animal Science & Biotechnology, Gyeongnam Natl. Univ. of Science and Technology

Birds are emerging to be good model organisms in studies related to stress, senescence and aging. Telomeres shorten with organismal age in most somatic cells of vertebrates. However, the telomere attrition is usually increased during the early growing stage along with the influence of several other factors, genetic, epigenetic and environmental. A little DNA damages are naturally occurred in normal physiological condition. But the DNA damage is accelerated by various stress sources. Stress related genes such as HSP and HMGCR are also good stress markers. In this longitudinal study with a single comb white leghorn chicken,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stressed raising condition on the amount of telomeric DNA, the rate of DNA damage and the expression of heat shock protein genes and HMGCR gene. The results are in agreement with our hypothesis that harsh raising conditions exert a lot of physiological stress leading to genotoxicity and physiological decline in terms of body weight in these chickens. We conclude that telomere content, especially telomere shortening rates, DNA damage rate and expression level of HMGCR can be used as sensitive physiological stress markers in chicken.

Key words : chicken, telomeres, DNA damage, HMGCR, FISH, stress marker

- 53 -

PA11007 동물별 염색체 분석을 위한 최적 혈액배양 조건에 관한 연구이정업, 손보람, 박단비, 조은정, 송혜란, 손시환

경남과학기술대학교 동물생명과학과혈액을 이용한 염색체 분리는 생체로부터 쉽게 얻을 수 있는 시료일 뿐만 아니라 지금까지 많은 기술개발에 힘입어 비교적 간단한 배양방법으로 짧은 시간 내 만족할 만한 중기 상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혈액에서의 염색체 분리 기술이 보편화되었다고는 하나 동물의 종류마다 혈액세포의 특성이 다르고, 배양조건 또한 같을 수 없으므로 모든 종에서 동일하게 만족할만한 중기상을 얻기란 쉽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동물 종에 따른 혈액의 세포적 특성을 고려하여 소, 닭, 마우스 및 랫드를 대상으로 각 종의 염색체 분리를 위한 최적의 배양 조건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실험에서 각 동물 종에 적합한 최적의 염색체 분리 조건을 찾고자 혈액세포배양을 시행한 결과 배양시간, 세포분열촉진제 종류, 그리고 colcemid 처리시간이 세포분열 지수와 염색체 형태에 공히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이들 중 종에 따른 세포분열 촉진제의 선택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또한, 이들에 영향하는 여러 배양적 요인들 간의 상호작용이 존재함을 확인하였으며 동물에 따라 최적 배양방법에 다소의 차이가 있음도 확인하였다.

Key words : chromosomes, karyotype, lymphocyte culture, cattle, chicken, mouse, rat

PA11008 Selection of Lactic Acid Bacteria with improved antimicrobial activity to poultry diarrhea bygenome shuffling and it's characterization

Ahnah Song, Youngmu Choi, Hoonhee Seo, Sangkee Kang and Yunjaie Choi

Department of Agricultural Biotechn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Several strains of Lactic acid bacteria are usually considered to have probiotic potential and it was noted that they produce a variety of antimicrobial compounds such as lactic acid, bacteriocins and hydrogen peroxide etc. to compete against related species and other types of strains sharing the same ecological niche. In this study, we tried to select Lactic acid bacteria with improved antimicrobial activity for Salmonella gallinarum, which is a major cause of a poultry diarrhea. UV mutants of Lactic acid bacteria were screened for selecting ones with improved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Salmonella gallinarum by using a Pathogen-top agar assay and Pathogen-Lactic Acid Bactria co-culture assay. With these selected uv mutatants, we'll conduct genome shuffling. Genome shuffling can be a very powerful strategy for rapid evolution of antimicrobial activity of some microorganisms. At first, uv mutants which were selected as ones with imprvoed antimicrobial activity were subjected to recurrent protoplast fusion for homologous recombination of reciprocal genes. and then, their cell wall can be regenerated at the regeneration media. And we expect to screen genome shuffling mutants with improved antimicrobial activity as compared with wild-type bacteria and uv mutants.

Key words : uv mutation, genome shuffling, protoplast fusion, homologous recombination

PA11009 대요크샤 및 랜드레이스종 근교계통돈의 총산자수에 대한 후보유전자 다형성간의 연관성 분석김명직, 조규호, 김두완, 소경민, 최봉환, 김인철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본 연구는 국립축산과학원에서 조성한 대요크샤종 및 랜드레이스종 근교계통돈 86두에 대한 후보유전자 탐색과 유전적 다형성을 분석하여 돼지의 산자수에 관여하는 후보유전자들 간의 연관성을 검증함으로써 경제형질과 관련된 유용표지인자 활용방법을 개발하고자 수행하였다. 산자수와 관련하는 유전자로 알려진 PRLR3, ESR, RBP4 후보유전자 3종의 유전자빈도를 분석하여 산자수 관련 후보유전자의 다형성을 확인하였다. 대요크샤종은 PRLR3, RBP4 후보유전자에서 다형성을 보였으며 PRLR 후보유전자는 AA, AB 그리고 BB 유전자형 빈도가 각각 0.14, 0.44 및 0.42를 보였고 총산자수가 각각 7.14, 9.36 및 11.76두로 나타나 B대립유전자가 유의적인 연관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RBP4 후보유전자는 AA, AB 그리고 BB 유전자형 빈도가 각각 0.10, 0.44 및 0.46을 보였고 총산자수가 각각 10.00, 9.29 및 10.73두로 나타나 B대립유전자가 유의적인 연관성을 가지고 있었다. 랜드레이스종에서 PRLR과 ESR 후보유전자는 다형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RBP4 후보유전자에서 다형성을 보였고 RBP4 후보유전자는 AA, AB 그리고 BB 유전자형 빈도가 각각 0.29, 0.55 및 0.16을 보였으며 총산자수가 각각 10.36, 10.90 및 13.50두로 나타나 B대립유전자가 유의적인 연관성을 가지고 있었으나 BB 유전자형의 빈도는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활용하여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난 후보유전자의 유전자형을 고려하여 후보종돈을 선발할 경우 번식능력의 향상에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Key words : 근교계통돈, 분자유전, 후보유전자, 총산자수

- 54 -

PA11010 승용마 망아지 길들이기 및 품성 평가에 의한 조기 선발이종언, 김남영, 이성수, 박남건, 고문석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승용마의 품성은 승용능력과 함께 중요한 경제형질이다. 승용마의 품성은 주관평가와 반응평가 등을 통해서 평가할 수 있으나, 연구자에 따라 방법이 다양하다. 이 연구는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에서 육성하고 있는 ‘한국형 승용마’ 망아지의 품성을 평가하고 선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010년생 망아지 44두를 공시했고, 국립축산과학원 ‘말 길들이기 매뉴얼’에 따라 이유 후 수장(grooming), 끌기 등 기본 길들이기를 3회/두/주 실시했다. 망아지 이유 후 3개월(생시 8개월 내외)에 길들이기를 실시한 관리자 5명이 품성평가에 참여했다. 품성평가는 온순성, 인내성, 공격성, 과민성 등 4항목으로 5점(양호 5, 불량 1) 시스템을 적용했다. 평가자는 수장, 끌기, 정지, 다리 들기, 멈춤 등을 실시 한 후 품성을 평가했다. 품성평가 항목에 대한 Cronbach alpha 계수를 분석한 결과, 온순성 0.88, 인내성 0.85, 공격성 0.88, 과민성 0.84로 신뢰도가 높게 나타났다. 평가 항목 간 상관계수도 유의성 있게 높았다. 승용마 망아지 개체별로 품성평가 성적 차이가 크게 나타났으나, 씨수마(3두)별 품성평가 성적은 차이가 없었다. 품성 평가 합계 점수(20점)을 기준으로 12점 이하의 망아지는 승용마 육성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이 연구 결과 승용마 망아지 길들이기 및 품성 평가를 통해 조기에 선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 words : 승용마, 길들이기, 품성평가, 선발

PA11011 계사사육 형태에 따른 닭의 생산성 및 스트레스 관련 표지 비교손보람, 조은정, 김황동, 김상엽, 손시환

경남과학기술대학교 동물생명과학과계사 사육 형태에 따른 닭의 스트레스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백색레그혼종 및 한국재래닭을 대상으로 케이지 사육 및 방사 사육으로 관리 후 이들의 생산 능력과 스트레스 관련 표지를 비교 분석 하였다. 개체의 생산능력에 있어 생존율, 산란율, 산란지수, 난중 및 체중은 방사 사육 개체들이 케이지 사육 개체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성적을 보였고, 반면 초산일령 및 난질의 경우 케이지 사육 개체가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어 개체의 생리적 측면에서 방사 사육이 케이지 사육에 비해 보다 바람직한 사육형태로 나타났다. 사육형태에 따른 닭의 스트레스 관련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분석에서 텔로미어 함량, DNA 손상율 및 HMGCR 발현량을 비교 분석한 바 텔로미어 함량은 혈액 세포 및 신장, 비장 세포의 경우 케이지 사육구 개체들이 방사사육구에 비해 훨씬 높은 감소율을 보이고,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이의 차이는 더욱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Comet assay에 의한 DNA 손상율은 케이지 사육 개체들이 방사 사육 개체들에 비해 월등히 높은 손상율을 나타내었으나 HMGCR 발현량에 있어서는 혈액의 경우 방사 개체의 발현 값이 케이지 사육개체에 비해 높게 나타나 상반된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HMGCR을 제외한 텔로미어 함량 및 DNA 손상율 공히 유효한 개체의 스트레스 마커로서 분석 결과 닭의 케이지 사육 형태가 방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개체들에게 생리적 스트레스 요인이 큼을 시사한다.

Key words : cage type, floor type, productivity, telomere, commet assay, HMGCR, stress, chicken

PA11012 한우 Stearoyl-CoA Desaturase (SCD) 유전자내의 단일염기변이 (SNP)에 대한 연구최윤정, 전은경, 김관석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응용생명환경학부 축산학과소고기의 근내지방은 풍미와 연도를 증가시켜 육질등급결정에 있어 중요한 척도가 되고 있으며 근내지방을 구성하는 불포화지방산은 풍미와 다즙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소고기내의 불포화지방산 (unsaturated fatty acids) 들은 stearoyl-CoA desaturase (SCD) 유전자의 생화학적 매케니즘에 의해 합성되어진다. 때문에 본 연구는 한우의 stearoyl-CoA desaturase (SCD) 유전자내의 단일염기변이 (g.10329 Val->Ala) 가 한우개량사업소의 씨숫소 339 두 내의 빈도분포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유전자형 결정은 PCR-RFLP method 의해 분석하였으며, 유전자의 증폭산물을 Fau I 제한효소를 이용하여 유전자형을 결정하였다. 한우개량사업소의 씨숫소 339 두 중 VV 유전자형의 개체는 87 (26%)두, VA 유전자형의 개체는 159 (46%)두 그리고 AA 유전자형의 개체는 93 (28%)두로 관찰되었다. 선행의 연구보고에 따르면 AA 유전자형을 가진 개체는 소고기내의 불포화지방산인 Oleic acid (C18:1) 가 높은 개체로 보고되었다. 그러므로 이상의 결과는 한우개량사업소의 씨숫소의 유전자 마커를 통한 도움 선발 (marker assisted selection, MAS)에 이용 될 수 있도록 추가적인 연구와 검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 words : SCD, SNP, PCR-RFLP, Hanwoo

- 55 -

PA11013 한우 Fatty Acid Synthase (FASN)와 Acetyl CoA carboxylase-α (ACACA)유전자 내의 단일염기변이들이 한우 상업집단의 도체형질에 미치는 영향전은경, 김상욱, 최윤정, 김관석*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응용생명환경학부 축산학과본 연구는 지방산의 합성의 완성 및 지방세포의 성장 및 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FASN 과 ACACA 유전자내의 단일염기변이 (SNP)들을 한우의 도체형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FASN 유전자내의 4개의 단일염기변이 (g.11280 A>G, g.16024 A>G, g.16039 T>C, g.17924 A>G) 들과 ACACA 유전자내의 1개의 단일염기변이 (g.2274G>A) 들이 힌우 상업집단 1059 두를 대상으로 도체형질과의 연관성분석 및 두 유전자내의 단일염기변이간의 상호작용효과를 분석을 수행하였다. 특히, FASN 유전자내의 g.17924 A>G 변이의 연관성 분석 결과는 도체중과 등지방두께에 유의적인 연관성을 나타내었으며 (P<0.05), ACACA유전자내의 g.2274G>A 변이는 배장근 단면적과 근내지방도에 유의적인 연관성을 나타내었다 (P<0.05). 또한 FASN 유전자내의 g.17924 A>G 변이와 ACACA 유전자내의 g.2274G>A 변이간의 상호작용효과 분석은 MIXED Liner 모형에 slice option을 이용하여 polygene effect 를 추정하였다. FASN-g.17924 A>G 와 ACACA-g.2274G>A 변이들은 도체중, 근내지방도 및 육량지수에 상호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0.05), Polygene (FASN-g.17924 A>G +ACACA-g.2274G>A) 효과는 도체중 과 근내지방도에 매우 유의적인효과를 나타내었다 (P<0.001). GG (FASN) +GG (ACACA) 유전자형의 결합체 집단은 도체중이 무거우며, 근내지방도가 높고 육량지수 역시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두 유전자내의 두 개의 단일염기변이 마커는 일반농가에서 송아지 생산을 위한 암소 선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 words : FASN, ACACA, SNPs, Carcass trait, Hanwoo

PA11014 Application of DNA marker technology for determination of Hanwoo and Holstein crossed Animals

Eun-Kyeong Jeon1, Sang-Wook Kim1, Jong-Joo Kim2 and Kwan-Suk Kim1*

1Department of Animal Science, ChungbukNationalUniversity,Cheongju,Korea2School of Biotechnology, Yeungnam University, Gyeongsan 214-1,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breed composition of domestic beef products between Hanwoo (HW) and Holstein (HS) cattle using BovineSNP50 BeadChip. Genotype information on 52,337 SNPs were obtain from Illumina BovineSNP50 BeadChip using a total of 100 samples including HW (n=50) and HS (N=50). 52,337 SNPs were analyzed based on the following criteria; i) located in 29 bovine autosomes and X chromosome; ii) genotypes in all individuals were revealed and polymorphisms were observed. We selected a total of 60 SNP markers (two markers each chromosome) with large differences in allelic frequencies between HW and HS cattle. The average of allelic differences was 0.762. The frequencies of each marker were re-examined through base direct-sequencing using 8 HW and 5 HS. In addition, the genomic regions of the 60 markers were further investigated if they are differentially selected chromosomal regions during breed development. These results would provide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DNA marker set for breed identification and genomic locations with selective signatures between HW and HS breeds.

Key words : Hanwoo, Holstein, Bovine 50K SNP Bead Chip

PA11015 Identification of genomic difference between Hanwoo and Holstein breeds using Illumina BovineSNP50 Bead Chip

Hailu Dadi Melka1, Eun-Kyeong Jeon1, Sang-Wook Kim1, James-Bond Han1, Du hak Yoon2 and Kwan-Suk Kim1

1Department of Animal Science, ChungbukNationalUniversity,Cheongju,Chungbuk361-763,Korea.2DepartmentofAnimalScience,KyungbookNationalUniversity,Sangju,Kyungbook742-711,Korea

Use of genomic information in genomic selection program for dairy and beef cattle breeds is becoming a reality in recent years. In this investigation, we have developed single-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genomic information for Hanwoo (n=50) and Holstein (n=50) breeds using Illumina Bovine SNP50 BeadChip to facilitate Hanwoo breed genomic selection and utilization in South Korea. Analysis of the entire genomes showed different spectra of SNPs frequencies for Hanwoo and Holsteincattle.The study revealed a highly significant (P<0.001)differencebetween Hanwoo and Holsteinforminorallelefrequency(MAF). The average MAFs were 0.19±0.16and 0.22±0.16 for Hanwoo and Holstein,respectively.From the total of 52,337 SNPs that were successfully identified, about 72 and 79% were polymorphic in Hanwoo and Holstein,respectively.Polymorphic and fixed SNPs were not uniformly distributed across the chromosomes neither within the breed nor between the two breeds. The number of fixed SNPs on all chromosomes was higher in Hanwoo, reflecting genetic uniqueness of the Hanwoo breed. In general, the rate of polymorphism detected in these two breeds suggested that the SNPs can be used for different applications such as whole-genome association and comparative genetic studies, and further helpful tool in developing breed identification genetic markers.

Key words : Hanwoo, Holstein, SNP frequency, Rate of Polymorphism

- 56 -

PA11016 Developmental plasticity of porcine muscle satellite cells

Hyun-Jeong Lee, Kil-Won Jang, Mina Park, Whee-Cheol Lee, Seong-Heom Yeon,Tae-Hun Kim, Hwan-Hwo Seong and Ramanna Valmiki Rajesh

Division of Animal Genomics and Bioinformatics,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Omockchundong 564, Suwon, Korea

Satellite cells are skeletal muscle progenitor/stem cells that reside between the basal lamina and plasma membranes of skeletal fibers in vivo.To investigate the differentiation potential of porcine muscle satellite cells, a pool of satellite cells was derived from the semimembranosus muscle (SM) of adult pig. Muscle satellite cells were stimulated to migrate from protease-digested tissue fragments and cultured in DMEM supplemented with 20% FBS. The proliferating satellite cells expressed PAX3, PAX7, MYOD, MYOGENIN. For myogenic differentiation, myoblasts were cultured in fibronectin-coated 100 mm petri-dish for 6 day with growth medium containing 20% FBS. At 80% confluence, cells were grown in medium plus 2% HS and 1 μM insulin to initiate differentiation resulting in the formation of myotubes. The cells showed adipogenic and osteogenic lineage commitment when exposed to specific differentiation conditions. These observations were determined by Giemsa, Alizarin red and Oil-Red-O staining and confirmed by quantitative RT-PCR analysis. In conclusion, we developed an appropriate differentiation system in vitro to study porcine muscle satellite cell developmental plasticity.

Key words : porcine muscle satellite cells, adipogenic, osteogenic, myogenic

PA11017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promote adipogenesis

Yang Soo Moon, Chihyu Chen1, Kee-Hong Kim1

Gyeongnam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Jinju, Korea,1Purdue University, West Lafayette, USA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AGEs) are products formed from the Maillard reaction in food and exo-AGEs contribute to serum AGE level. AGEs are also formed in the body, and increased levels are found during hyperglycemia and lipid oxidation statu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haracterize the relationship between adipogenesis and AGE-RAGE(receptor of AGE) signaling axis. To model exogenous AGEs, bovine serum albumin (BSA) was incubated with methylglyoxal (MG) or glyceraldehyde (GA) and profiled using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and fluorescence. Both MG-BSA and GA-BSA showed similar modified protein conditions when compared to a standard AGE compound, Ncarboxymethylysine-BSA(CML-BSA). We found that adipogenesis is associated with induction of endogenous AGE and RAGEmRNA in 3T3-L1. The MG-BSA and GA-BSA enhanced lipid accumulation and increased the RAGE gene expression during adipogenesis, especially in higher passage cells. Aging markers, such as increased beta-galactosidase staining and decreased adiponectin expression, were present in higher passage cells. These results indicate a pro-adipogenic function AGEs, thereby reducing the generation of AGEs in food processing may be a new dietary strategy to control obesity.

Key words :AGEs, adipogenesis, aging

PA11018 홀스타인 젖소의 산유형질과 체형형질간의 유전상관전병순, 최연호, 상병찬1, 도창희1, 박종수1, 이정규2

국립축산과학원, 충남대학교1, 경상대학교2

홀스타인 젖소의 체형형질과 산유능력과의 유전적 연관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농가 젖소 32,791두의 혈통, 체형심사 및 능력검정 기록을 분석하였는바, 일반능력은 SAS 9.2시스템을 이용하였고 유전력.유전상관은 MTDFREML package를 이용하여 추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공시축의 선형점수는 강건성 21.64점, 체심 23.52점, 예각성 24.09점, 발굽기울기 23.36점, 뒷유방너비 23.86점, 유방깊이 형질이 24.72점이었으며 체형종합점수는 평균 75.83점을 나타냈다. 305일유량 평균은 9,866kg, 305일유지방량 372kg, 305일유단백량 305kg 그리고 305일무지고형분량은 평균 856kg이었으며, 체세포수는 평균 217(천)이었다. 체형형질과 산유형질에 대한 유전력은 키 형질이 .33으로 가장 높았고, 유두길이 .29, 정중제인대는 .05로 가장 낮았으며, 뒷유방너비와 예각성 형질의 유전력은 .10으로 추정되었다. 산유형질의 305일유량, 305일유지방량의 유전력은 .17, 305일유단백량 및 305일무지고형분량의 유전력은 .16로 추정되었으며 체세포수의 유전력은 .08로 나타났다. 체형형질과 산유형질간의 유전상관을 분석한 결과 .63에서 -.30의 범위로 추정되었으며, 305일유량과 뒷유방너비 형질은 .63의 높은 정(+)의 유전상관을 나타냈고, 예각성 형질과는 .48, 체형종합점수와는 .38로 추정되었으며, 유방깊이 형질과의 유전상관은 -.30으로 부(-)의 상관을 나타냈다. 305일유지방량과 305일유단백량이 가장 높은 유전상관을 나타낸 체형형질은 예각성 형질의 .46과 뒷유방너비 형질의 .58이었으며, 305일무지고형분량은 뒷유방너비 형질과 .61의 높은 유전상관을 나타내었다.

Key words : Holstein, type traits, milk production traits, genetic correlation coefficients, genetic parameter

- 57 -

PA11019 Identification of Superior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SNP) Combinations Related to Economic Traits byGenotype Matrix Mapping(GMM) in Hanwoo

Yoonseok Lee1, Jea-Young Lee2, Dong-Yep Oh3, Jung-Sou Yeo3

1Charmpoom Hanwoo Research Institution, 2Department of Statistics, Yeungnam University,3School of biotechnology, Yeungnam University

It is important to identify the interaction of genetic factor related to human diseases or animal traits. Many studies have been reported but previous methods did not consider the genetic interaction. The genotype matrix mapping have been developed to identify the genetic interaction. This study uses the GMM method to detect superior SNP combinations of CCDC158 gene that influence average daily gain, marbling score, cold carcass weight and longissimus muscle dorsi area traits in Hanwoo. We evaluate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ajor SNP combinations selected by implementing the permutation test of the F-measure. The effect of g.34425+102 A>T(AA), g.8778G>A(GG) and g.4102+36T>G(GT) SNP combinations produced higher performance of average daily gain, marbling score, cold carcass weight and the longissimus muscle dorsi area traits than effect of single SNP. The GMM is a fast and reliable method for multiple SNP analysis of potential application in marker-assisted selection. After further development, the GMM may prospectively be used for genetic assessment of quantitative traits.

Key words : Economic traits, Genotype matrix mapping,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Hanwoo, CCDC158 gene

PA11020 가축유전자원 국가관리 체계 확립 및 유전자원 다양성 보존최성복, 김재환, 양보석, 고응규, 김상우, 김성우, 조창연1, 연성흠2, 죄진석, 유용희

국립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시험장, 1국립축산과학원 기획조정과, 2국립축산과학원 동물유전체과“접근과 이익공유(ABS)” 레짐화 요구(‘09, FAO) 및 “나고야 의정서”(‘10, CBD) 채택 등 가축유전자원의 주권이 국제적 쟁점으로 대두되면서 가축의 유전적 다양성 보존을 위해 국가차원의 관리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에서도 농업유전자원의 보존·관리 및 이용에 관한 법률 및 동법 시행령 등에 근거하여 가축유전자원시험장을 가축유전자원의 총괄기관으로 지정운영하고 있다. 이를 근거로 2008년, 지자체 소속축산연구 기관 9개소 및 대학 2개소 등 11개소를 가축유전자원 관리기관으로 하고 있으며, 이들 관리기관에서는 5축종 11품종 26계통 17천여 마리의 가축유전자원이 보존·사육 및 확대되고 있다. 가축유전자원의 보존 및 평가를 위하여 가축유전자원시험장에는 악성질병에 대비하여 가금과 및 관리기관 유래 가금 6품종 17계통을 중복보존하고 있으며, 칡소, 흑우, 백우, 미니한우 등 희소 및 특이형질 생축의 보존 및 지속가능한 활용을 위한 평가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또한 희소품종 멸종위험 평가기준을 설정하여 해마다 희소가축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으며, 가축유전자원종합관리시스템(AGRIMS)을 구축하여 가축유전자원의 품종 및 계통의 특성 및 DNA 프로파일 정보를 축척하고 있다. 이러한 가축유전자원의 수집·보존·평가 및 정보의 축척은 대내적으로는 우리나라 가축유전자원의 보존, 관리에 활용하고, 대외적으로는 가축유전자원의 주권주장을 위한 과학적 근거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Key words : 가축유전자원, 국가관리, 관리기관, 유전자원 다양성

PA11021 한우 암소의 선형심사와 BCS와의 관련성 연구최성복, 김재환, 유용희, 홍성구1, 정용호2, 제해신3, 김영신3, 이명지3, 이지웅3

국립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시험장, 1국립축산과학원 한우시험장,2한국종축개량협회, 3전남대학교 동물자원학부

본 연구는 한우 암소의 선형심사와 산차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농가의 한우 개량을 위한 선발 기초자료로 활용하자고 실시하였다. 한우 암소개량을 위하여 서로 다른 두 지역에서 사육하는 암소에 대해 27개 조사항목에 대한 선형심사를 실시하였으며, 산차와 BCS(Body Condition Score)를 조사하였다. 산차별 선형심사의 변화 경향과 BCS의 변화 경향을 조사하였다. 한우 암소 선형심사는 A지역에서 578두, B지역에서 355두로 총 933두에 대해 실시를 하였다. 두지역의 암소에 대한 산차의 범위는 A지역은 미경산우에서 9산까지이며, B지역은 미경산우에서 6산까지 분포하였다. BCS는 A지역은 2점에서 9점까지 분포하였고, B지역은 4점에서 8점까지 분포하였다. B지역의 암소축군이 A지역보다 균일성을 나타내었다. 한우 암소의 강건성과 관련이 있는 엉덩이기울기와 좌골폭에 대한 BCS와 산차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BCS와 엉덩이 기울기에 대한 상관계수는 0.24, BCS와 좌골촉은 0.53, BCS와 산차는 0.14, 엉덩이 기울기와 좌골폭은 0.18, 좌골폭과 산차는 0.15로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P<0.05). 따라서 BCS는 암소의 엉덩이 기울기보다는 좌골폭과 관련이 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Key words : 한우 암소, 선형심사, 강건성, 산차, 상관계수

- 58 -

PA11022 한우 쇠고기 맛에 영향을 주는 불포화지방산과 관련된 Fatty acid synthase(FASN)유전자의 Haplotype 분석오동엽1, 이윤석2, 라부미1, 곽영훈1, 여정수1

1영남대학교 생명공학부, 2㈜참품한우 부설연구소본 연구는 한우에서 지방산 합성 효소인 FASN 유전자의 exon 23, 24, 34, 37, 39 위치에 있는 5종류의 SNPs(g.12870 T>C, g.13126 T>C g.15532 C>A, g.16907 T>C, g.17924 G>A)를 대상으로 쇠고기 맛에 영향을 주는 불포화지방산과 도체형질과의 상호관계를 규명하였다. 지방산 분석은 ㈜참품한우에서 관리하는 일반농가의 한우를 사용하였으며(n=513), 단일 유전자형과 지방산 및 도체형질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동형접합체인 CC, TT, AA, TT, GG 유전자형의 개체들이 다른 유전자형 개체들보다 근내지방도 및 불포화지방산이 높은 수치를 나타내고 있었다 (p<0.001). 이후, haplotype의 분석은 four-gamete rule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exon 23, 24에서 block1 이 형성되었고 exon 34, 37, 39에서 block2 가 형성되었다. Haplotype block1,2 모두 ht2*ht2 type에서 불포화지방산 (55.12%, 55.70%) 뿐만 아니라 marbling score (5.87, 6.05) 또한 강한 유의적인 연관성이 있었으며 (p<0.001), 단일 유전자 효과보다 더 강한 효과를 볼 수 있었다. 그러므로 이러한 ht2*ht2 type들은 한우집단에서 맛에 영향을 미치는 불포화지방산뿐만 아니라 근내지방도와도 강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났으므로 유전자를 활용한 한우의 개량에 새로운 지표로서 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 words : 한우, 불포화지방산, Fatty acid synthase(FASN), Haplotype

PA11023 한우 Sterol regulatory element binding transcription factor 1(SREBF-1)에서 불포화지방산 및융점과 관련된 SNP 규명

라부미1, 곽영훈1, 이윤석2, 오동엽1, 최창본1 여정수1

1영남대학교 생명공학부, 2(주)참품한우 부설연구소소비자가 느끼는 쇠고기의 맛(beef flavor)은 연도, 다즙성 및 풍미에 의해 좌우되며 근내지방을 구성하는 불포화지방산은 풍미와 다즙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융점 또한 불포화지방산과 깊은 연관이 있으며 융점이 낮을수록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높게 형성된다. 이러한 불포화지방산들은 SCD에 의해 합성되어지며, SREBF-1유전자에 의해 조절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우에서 불포화지방산 생합성 효소인 SCD 유전자를 조절해주는 SREBF-1 유전자내 SNP의 다형성(polymorphism)을 확인한 후 불포화지방산 및 융점과의 관련되는 SNP를 규명하고자 한다. 지방산 및 융점 분석을 위해 한우 등심조직을 절개하여 gas chromatography식을 이용하였으며 절개된 한우등심의 일부분에서 DNA를 추출하였다. 그리고 ABI PRISM® SNaPshotTM Multiplex Kit를 사용하여 SNP genotyping한 후 SPSS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불포화지방산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간 SNP별 빈도분석을 실시한 결과 g.3270+10274 C>T SNP와 g.13544 T>C SNP가 최종선발 되었다. 특히 g.3270+10274 C>T SNP 에선 TT유전자형에서 융점이 가장 낮으며, 불포화지방산이 가장 높게 형성(25.86℃, 46.00%)되었으며 g.13544 T>C SNP에서 또한 TT유전자형에서 20.27℃ 와 48.82%로 유의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P<0.001). 이후 다른 품종과의 비교에선 두 개의 SNPs의 TT 유전자형에서 한우와 암소에서 가장 많은 빈도가 나타났으며, 호주산 및 미국산에선 TT유전자형이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므로 이러한 2개의 SREBF-1 SNPs들은 한우집단에서 쇠고기 맛과 관련된 불포화지방산 및 융점 과 관련된 SNPs라 판단되어진다.

Key words : 한우, 불포화지방산, 융점, Sterol regulatory element binding transcription factor 1(SREBF-1)

PA11024 mtDNA 2개 영역에 기초한 우리나라 흑염소의 유전적 특성 분석김재환, 조창연, 최성복, 고응규, 김상우, 김성우, 연성흠1, 이풍연2, 유용희

국립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시험장, 1국립축산과학원 동물유전체과, 2국립축산과학원 기획조정과우리나라 흑염소의 형성 및 모계의 특성분석을 위해서 mtDNA 내 D-loop 및 cytochrome B 유전자 등 2개 영역에 대하여 염기서열 분석 및 변이를 탐색하고 계통유전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서 당진, 통영, 장수 및 경북에서 수집된 4개 집단을 공시하였으며, 각 집단별로 12두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mtDNA D-loop 영역은 전체 1,364bp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전체 26개의 염기변이가 확인되었고, cytochrome B 영역은 1,264bp이며 전체 4개의 염기변이가 동정되었다. 이들 변이를 이용한 haplotype 분석에서 D-loop 및 cytochrome B 각각 21개 및 5개의 haplotype으로 분류되었다. 집단별 haplotype 수는 D-loop 영역에서 당진 및 경북 집단이 8개로 동일하였고, 장수 집단은 7개, 통영 집단은 5개로 나타났으며, cytochrome B 유전자에서는 경북 및 통영집단이 3개, 당진 및 장수집단은 2개로 나타났으나, 전체적인 분포는 집단별로 1~2개 개체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개체가 하나의 haplotype에 포함되었다. D-loop 영역에서 집단별 특이적-haplotype 수는 당진 6개, 경북 5개, 장수 4개, 통영이 2개로 확인되었고, haplotype 다양성은 당진 및 경북 집단이 약 92%로 나타난 반면 장수집단은 86%, 통영집단은 85%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국가차원에서 우리나라 흑염소의 유전자원 평가 및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가능할 것이다.

Key words : mtDNA, D-loop, cytochrom B, 흑염소, 염기변이, haplotype

- 59 -

PA11025 초위성체(MS) 표지인자를 이용한 한국재래닭 집단의 분자유전학적 분석김재환, 조창연, 최성복, 고응규, 김상우, 김성우, 연성흠1, 이풍연2, 유용희

국립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시험장, 1국립축산과학원 동물유전체과, 2국립축산과학원 기획조정과본 연구는 초위성체(MS) 표지인자의 유전자형 분석을 통한 한국재래닭의 분자유전학적 특성을 조사하고, 또한 MS 분석체계에 기초하여 재래닭의 품종 및 계통분류를 통해 국내 가축유전자원의 관리에 활용하고자 실시하였다. 국내 관리기관 및 농가 보유 한국재래닭 12계통 및 백색레드혼 2계통 등 589수를 대상으로 18개 MS 표지를 이용하여 유전자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한국재래닭의 기대이형접합도(He)는 CBY 계통에서 가장 낮은 0.41, GWR 계통에서 가장 높은 0.63을 보였다. 또한 평균대립유전자수는 CBW 계통이 가장 적은 2.61개로 나타난 반면 GWL 계통이 8.72개로 가장 많은 대립유전자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백색레그혼 2계통은 0.52~0.53의 He값과 7.61~7.78개의 대립유전자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각 집단별 계통유전학적 분석 결과에서 GWW 및 CBB가 가장 먼 유연관계를 보인 반면 나머지 재래닭 계통들은 상대적으로 가까운 유연관계를 보였다. 유전적 균일도 분석에서 백색레그혼 2계통과 재래닭 CBY 및 GBC 등 2계통에서 0.9 이상의 높은 유전적 균일도를 보인 반면 0.89 및 0.83을 보인 CBL 및 HIL 계통을 제외한 나머지 계통은 0.65 이하의 낮은 유전적 균일도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국내유전자원의 유전적 고유성을 위한 과학적 근거 및 재래닭의 보존 및 육성방향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Key words : MS 표지인자, 재래닭, 관리기관, 유연관계, 유전적 균일도

PA11026 Landrace와 Yorkshire종의 사산 및 미이라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 분석과 유전모수 추정윤지환, 이정구

강원대 동물자원과학과본 연구는 Landrace종과 Yorkshire종의 사산 및 미이라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의 분석과 유전모수를 추정하여 돼지의 번식형질 개량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분석은 Landrace종과 Yorkshire종 각각 26,713복과 26,921복의 번식기록을 이용하여 수정하였고, 유전모수는 WOMBAT(Meyer, 2007)으로 분석하였다. Landrace종에서는 봄에서, 그리고 2산차 이후 사산 및 미이라의 발생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Yorkshire종에서는 여름에서, 그리고 2산차 이후 발생빈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두 품종 모두 2산차에서 사산 및 미이라의 발생이 가장 낮았다. 유전모수 추정에서 Landrace종의 사산두수에 대한 유전력 및 반복력은 각각 0.074±0.010 및 0.122±0.007로 조사되었고, 미이라두수에 서는 각각 0.006±0.003 및 0.022±0.004로 추정되었다. 사산율에 대한 유전력 및 반복력은 각각 0.071±0.010 및 0.120±0.007로 추정되었고, 미이라율에서는 각각 0.006±0.003 및 0.021±0.005로 추정되었다. Yorkshire에서는 사산두수의 유전력 및 반복력은 각각 0.096±0.011 및 0.171±0.007로 추정되었고, 미이라두수에서는 각각 0.011±0.004로 추정되었다. 사산율에 대한 유전력 및 반복력은 각각 0.086±0.011 및 0.163±0.073으로 추정되었고, 미이라율에서는 각각 0.012±0.004 및 0.027±0.005로 추정되었다.

Key words :

PA11027 한우의 임신기간, 생시체중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의 효과정대진, 손호진, 이지홍, 김병기, 조광현, 선두원1, 이정규1

경상북도 축산기술연구소, 1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본 연구는 2008년부터 2010년까지 경북에서 생산된 송아지 287두의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평균 임신기간은 286.19일이고, 평균생시체중은 25.6kg으로 나타났다. 암송아지의 평균임신기간은 285.72일, 수송아지의 평균임신기간은 286.65일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지만 수송아지의 임신기간이 암송아지의 임신기간 보다 다소 길게 나타났다. 암송아지의 평균체중은 24.63kg, 수송아지의 평균체중은 26.56으로 수송아지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계절의 효과에서는 봄의 임신기간 및 생시체중이 각각 287.99일, 26.6kg로 나타났으며, 가을의 임신기간 및 생시체중이 각각 284.60일, 24.71kg로 나타나 봄이 가을보다 임신기간이 길고 생시체중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산차의 효과에서는 산차가 늘어날수록 임신기간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면 체중은 4산차까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다가 4산차 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임신기간에 대한 연도의 효과에서는 2009년이 유의적인 차이는 없지만 287.55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생시체중은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지만 년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Key words : 한우, 생시체중, 임신기간

- 60 -

PA11028 한우 도축 두수의 연도별 변화 양상최연호, 박병호, 최재관, 이승수, 최태정, 조광현, 김효선, 나승환, 오운용, 최유림

국립축산과학원 가축개량평가과, 축산물품질평가원본 연구는 2008년 1월부터 2010년 10월까지 전국에서 도축한 한우 자료를 이용하여 한우 생산자들의 도축 성향을 보고자 실시하였다. 도축자료는 축산물품질평가원에서 수집한 자료를 활용하였다. 2008년부터 2010년까지 도축두수는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계절별로는 주요 명절인 설날과 추석을 앞두고 도축물량이 집중됨을 볼 수 있었다. 특히 이 시기에는 다른 시기에 비해 경매에 의한 판매보다 선구매 물량이 급증하는 경향이었다. 한우의 성우 가격이나 송아지 시장 가격도 연도와 계절에 따라 변화하였으나 도축 두수와 큰 관련은 없어 보였다. 다만 성우 암소 가격에 비해 수소 가격이 높은 시기에 도축물량도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암,수, 거세별 도축 두수 간에는 비슷한 양상을 보였으나 2010년으로 갈수록 암소나 수소에 비해 거세우의 도축 두수가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반면 암소나 수소의 도축 두수는 2008년에 비해 2009년에 증가하였다가 2010년에는 다시 감소하였다. 출하 거세우의 도체등급별 출하두수 변화에도 연도 계절별 차이가 크게 나타났으며 등급 간 출하 두수의 차이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커지는 경향이었다.

Key words : 한우, 도축두수, 변화양상, 성별, 연도별, 계절별, 도체등급

PA11029 한우 도체 경락가격에 근거한 도체 형질의 경제 가중치 추정최연호, 발표자, 박병호, 최재관, 이승수, 최태정, 조광현, 나승환, 오운용, 최유림

국립축산과학원 가축개량평가과, 축산물품질평가원한우 도체의 경락가격은 한우 농가의 수입과 직결되기 때문에 출하축의 경락가격에 대한 도체등급판정 결과에 대한 경제적 가중치를 추정하고자 2008년 1월부터 2010년 10월까지 도축 판매된 축산물품질평가원 자료를 활용하였다. 일반화 선형모형에서 공분산모형을 적용하였으며 성별로 혼합한 모형과 성별로 분리한 자료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성별 혼합모형에서는 성별과 도축장의 결합효과를 범주형 변량으로 하였고, 성별로 구분된 모형에서는 도축장 효과만을 범주형 변량으로 두었다. 두 가지 모형에서 공히 공변량으로는, 근내지방도 점수와 등심단면적, 등지방두께, 도체중을 적용하였다. 총 1,556,972두의 자료 중에서 D등급과 도체 kg당 경락가격이 6,000원 미만인 것은 제외하였고 도체성적별로 이상치를 제외한 후 나머지 268,319두 분의 자료를 가지고 모형에 대한 추정을 하였다. 육량과 육질 등급을 동시에 고려한 경우 육량과 육질 혼합 1등급씩 간에 약 도체 kg당 770원의 차이를 보였다. 도체 kg당 가격에 대해 모든 성별 평균적으로 봤을 때, 근내지방도, 등심단면적, 등지방두께, 도체중에 대한 상대적 경제 가중치는 각각 893.4, 18.8, -103.6, 8.11원/kg으로 추정되었다. 각 형질별로 관측치를 표준화한 값에 대해서는 이들 형질에 대해 87.3, 1.6, -10.1, 0.8의 가중치로 추정되어 이를 상대적 비율은 6:1:-2:1로 요약되었다.

Key words : 한우, 도체형질, 경락가격, 경제가중치

PA11030 초위성체 표지로 본 축산원 보유 재래닭 집단의 분자유전학적 특성고응규, 조창연, 이풍연, 김성우, 양보석, 문성실, 김재환, 최성복, 박재홍, 황보종, 유용희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시험장본 연구는 초위성체(MS) 표지를 이용하여 축산과학원 보유 재래닭 집단 각각의 분자유전학적 특성을 조사하고 그 평가를 통해 축산원이 보유하고 있는 재래닭에 대한 품종 및 계통분류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보유 재래닭 집단 내 및 집단간 유전적 변이성을 확인하고, 그 분류 및 특성평가를 위한 MS 분석체계를 마련하여 국내 가축유전자원의 관리에 활용코자 하였다. 국립축산과학원 보유 5품종 11개 계통의 한국 재래닭 300수(계통별 25수)를 대상으로 27개 MS 표지로 분석 대립유전자의 위치를 확인 이형접합도 및 대립유전자의 범위를 구하였다. 기대치는 토종닭 흑색계통이 0.64로 최고치를 보였고, 레그혼이 0.41로 최저치였다. 관측이형접합도 또한 토종닭 흑색계통이 0.64로 최고치를 보였고 화이트레그온 계통이 0.36으로 최저치를 보였다. 기대이형접합도가 유전적 평형상태라고 가정하였을 때 기대되는 이형접합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대부분의 토종닭과 상용계 집단에서 HO가 HE 보다 작게 나타나고 있는 것은 한정된 종계를 이용하여 계획 교배가 이루어지고 있는 국내 현실을 반영한 것으로 추정된다. 대립유전자의 범위는 72-111개 범위를 나타냈고 단형마커 2개에서 특이적으로 검출되는 것은 레그혼 F계통 이었고 단형마커 1개에서 특이적으로 검출되는 계통은 로드 C와 D게통, 레그혼 K계통, 코니쉬 S계통 이었다. 가장 많은 평균대립유전자를 보유한 집단은 토종닭 실용계 집단으로 확인 되었으며 기대이형접합도는 0.64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토종닭 순계의 3교잡을 통한 실용계집단 조성 과정에서 기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축산원이 보유 유지하고 있는 계통의 분자유전학적 고유의 기본정보를 과학적으로 구축함으로서 국가수준의 가축유전자원 보존 및 관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 words : 한국 재래닭, 초위성체, 이형접합도, 대립유전자

- 61 -

PA11031 Identification of QTL for carcass traits and its application for molecular breeding value in Hanwoo

S.H Lee1, H.C Kim1, D Lim2, H.S Park2, Y.M Cho3, S.J Oh2, S.K Hong1

1Hanwoo Experiment stat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PyeongChang, Korea,2Animal Genomics & Bioinformatics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Suwon, Korea,

3Research Policy Bureau,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uwon, Korea

This paper outlines the strategy which is being implemented to support commercialization of genome technologies for the Korean beef industry. Genomic breeding values (GEBV) predicted from SNP panelsare now being used in the dairy cattle for bull selection. However, the cost of genotyping for the dense SNP panel is still too high to applygenomic selection for many animals. If potential selection candidate bulls were genotyped for a standard panel of less expensive loose SNP panel that traces the chromosome segments having QTL effects in selection candidate, it would be practiced cost effective genomic selection. In this study, the accuracy of GEBV was evaluated based on two SNP tagging methods. The SNP tagging were carried out by two criteria; first criteria was tagged by LD value (r2), over 0.1 with adjacent SNP makers and in the second tagging methods, SNP markers were selected by their QTL effect derived from single marker regression analysis (P<0.001). GEBV was predicted using Bayesian approach which is implemented by RJMCMC. The RJMCMC predicted a prior QTL distribution based on each of SNP allele frequencies and phenotypes and then least squares estimates were regressed to an assumed known distribution of QTL effects.

Key words : Genomic selection, Genomic breeding value (GEBV), SNP tagging, LD

PA11032 Linkage disequilibrium and effective population size in Hanwoo

S.H Lee1,*, H.C Kim1, Y.M Cho2, D Lim3, B.H Choi3, S.C Kim3, N.K Kim4, H.S Park3,S.D Kim2, S.J Oh3, E.W Park2, D Yoon5 and S.K Hong1

1Hanwoo Experiment stat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PyeongChang, Korea,2Research Policy Bureau,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uwon, Korea, 3Animal Genomics & Bioinformatics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Suwon, Korea, 4Gyeongnam Provincial Office, National Agricultural products Quality management Service (NAQS), Busan, 661-804, 5Department of animal science,

KyungBuk National University, SangJu, Korea

This study presents a linkage disequilibrium (LD) analysis and effective population size (Ne) for the entire Hanwoo Korean cattle genome, which is the first LD map and effective population size estimate ever calculated for this breed. A panel of 4,525 markers was used in the final LD analysis. The pairwise r2 statistic of SNPs up to 50 apart across the genome was estimated. A mean value of r2=23 was observed in pairwise distances of <25 and dropped to 0.1 at 40-60 which is similar to the average inter-marker distance used in this study. The proportion of SNPs in useful LD (r2=0.25) was 20% for the distance of 10 and 20 between SNPs. Analyses of past effective population size estimates based on direct estimates of recombination rates from SNP data demonstrated that a decline in effective population size to Ne occurred up to three generations ago.

Key words :(Linkage Disequilibrium (LD), Effective population size (Ne), Hanwoo

PA11033 혈중 인슐린 및 렙틴이 한우 지방형질에 미치는 효과김형철1, 이승환1,‡, 장선식1, 조원모1, 우제석1, 박응우2, 조용민2, 오성종3, 홍성구1

1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한우시험장, 2농촌진흥청, 3국립축산과학원 생명환경부본 연구는 혈중 인슐린 및 렙틴이 한우 지방형질과의 연관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혈중 인슐린 및 렙틴과 같은 생물학적 표시자(biological indicator)가 개발된다면 송아지가 태어나자마자 혈액을 채혈하여 근내지방등의 형질에 대한 조기 예측이 가능할 것이다. 혈중 인슐린 및 렙틴과 한우 지방형질과의 회귀 분석결과, 혈중 인슐린은 근내지방형질(P=0.02)과 유의적인 효과를 보였지만, 등지방(P=0.07) 및 P8지방두께(P=0.09)에 대해서는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한편, 혈중 렙틴농도는 근내지방(P=0.03)과 등지방두께(P=0.02)에서 통계적 유의차를 보였고, P8지방두께(P=0.07)에서는 통계적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두 형질에 대해서 통계모델 적합도(R2)를 분석한 결과, 혈중 인슐린농도는 근내지방, 등지방두께 및 P8지방두께와 각각 0.05, 0.03 및 0.09를 보였고, 혈중 렙틴농도는 근내지방, 등지방두께 및 P8지방두께와 각각 0.03, 0.02 및 0.07정도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혈중 인슐린 및 렙틴농도가 근내지방, 등지방 및 P8지방두께에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Key words : 혈중 인슐린, 렙틴, 생물학적 지시자, 한우 지방형질

- 62 -

PA11034 Strategy for marbling selection line using genomic information in Hanwoo

H.C Kim1, S.H Lee1, D Lim2, H.S Park2, Y.M Cho3, S.J Oh2, S.K Hong1

1Hanwoo Experiment stat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PyeongChang, Korea,2Animal Genomics & Bioinformatics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Suwon, Korea,

3Research Policy Bureau,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uwon, Korea

Genomic selection(GS) is indirect selection process where a quantitative trait of economic important is selected not based on the trait itself but on a marker linked to QTL of the trait. GS can be useful for traits that are difficult to measure, exhibit low heritability, and are expressed late in development. Major genes which are responsible for quantitative traits and QTL that are linked to major genes are identified by using genome wide association test. Various methods are developed to predict a reliable genomic breeding value(GEBV) in cattle. This information underpin to apply GS in estimating breeding value. Creating divergent selection line on marbling is not easy process because marbling is a trait that is difficult to measure as well as expressed late in development. There are no methods to measure marbling accurately for young candidate bulls in the process of selection. In this context, selection of young bulls based on the GEBV might be one of the way to apply in creating marbling selection line. Therefore, this study will discuss about overall schemes for marbling selection line, and how to apply genomic selection model into the process of selection line.

Key words : genomic selection, marbling selection line, Hanwoo

PA11035 우리나라 돼지개량 네트워크의 Duroc종 유전능력평가최재관*, 김효선1, 박병호, 최연호, 이승수, 최태정, 조광현, 나승환, 오운용, 손삼규, 최유림, 서강석2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1축산물품질평가원, 2국립순천대학교 동물자원과학과본 연구는 Duroc종 돼지개량 네트워크 사업의 유전능력 평가를 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2008년부터 2010년 12월 31일까지 6개 농장의 Duroc종의 검정자료 15,148두를 이용하였고, 조사형질은 일당증체량, 90㎏ 도달일령, 등지방두께, 등심단면적 및 정육율을 조사하였다.본격적인 돼지개량 네트워크 사업의 정액공유는 2009년부터 시작되었으며 현재 정액공유로 태어난 자손에 대하여 검정이 일부는 완료되어 본 연구에 활용된 자료에 일부 포함되어 있다. 일반성분 분석은 SAS Package를 이용하였고, 육종가 추정은 BLUPF90을 이용하였다. 출생년도별 분석에서 평균 90㎏ 도달일령은 144.9일령에서 139.5일령으로 년도가 경과함에 따라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등지방두께는 2008년 12.2mm에서 2010년 13.5mm로 년도가 경과함에 따라 다소 두꺼워지는 경향을 보였다. 성별 분석에서 암컷과 수컷 모두의 표현형 값은 년도가 경과함에 따라 90kg 도달일령은 뚜렷하게 좋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육종가는 90kg 도달일령은 정액교류로 태어난 성적이 나타나는 2010년에 좋아 지는 경향을 보였고, 등지방두께는 년도가 경과함에 따라 다소 두꺼워지는 경향을 보였다. 근친계수에서는 0.033~0.039의 수준을 유지하였다.

Key words : 돼지, 네트워크, 성장형질, Duroc

PA11036 검정종료일령이 농장검정돈 경제형질 성적에 미치는 영향최재관, 권효중, 최연호, 최태정, 박병호, 이승수, 조광현, 나승환, 오운용, 최유림, 이재구, 정운영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본 연구는 국내 농장검정돈 검정시 검정종료일령기간의 차이가 검정성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에 이용된 자료는 2000년에서 2010년까지 검정종료된 농장검정돈 265,901두이고 품종별로는 Duroc종 40,266두 Landrace종 59,744두 Yorkshire종 165,891두를 이용하였다. 검정종료일령은 평균 150± 15일을 기준으로 134일 이하를 A그룹, 135일이상 164일 이하를 B그룹, 165일이상 194일 이하를 C그룹, 195일 이상을 D그룹으로 나누어 각 그룹별로 일당증체량, 90kg도달일령, 종료체중, 등심단면적, 등지방두께를 조사하였다. 모든 형질은 그룹간에 유의적인 차이(p<0.01)를 보였고, 검정종료일령이 길어질수록 일당증체량, 90kg도달일령, 종료체중은 증가하는 일반적인 경향을 나타낸 반면, 등심단면적과 등지방두께는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등심단면적과 등지방두께가 보정식에 의해 보정된 성적이기 때문에 검정종료일령이 짧아질수록 과대평가되고 검정종료일령이 길어질수록 과소평가됨으로 인한 것이라 사료된다. 등심단면적과 등지방두께의 보정식을 이용하여 보정 전 성적을 구해 그룹별로 살펴본 결과 검정종료일령이 길어질수록 등심단면적과 등지방두께가 늘어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현재 이용되는 등심단면적과 등지방두께에 대한 보정식은 검정종료일령에 따라 과소, 과대평가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농장에서는 적정 검정종료기간 안에 검정을 종료하는 것이 더 정확한 검정성적을 기대할 수 있고 이는 국내돼지개량에 대한 정확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이바지 할 것이다. 앞으로 적정종료일령에 대한 연구와 현재의 등심단면적과 등지방두께의 대한 보정식보다 더 정확한 보정이 가능한 보정식에 대한 연구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Key words : 돼지, 검정종료일령, Duroc, Landrace, Yorkshire

- 63 -

PA11037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analysis of Fas (APO-1) gene in Hanwoo

Seung Chang Kim, Bum Soo Kim, Seung Hwan Lee, Bong Hwan Choi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 D. A, KOREA

Fas gene known to associate with intramuscular fat content in Korean cattle was selected for DNA marker development. Fas (APO-1, CD95), a member of the tumor necrosis factor (TNF) receptor superfamily, is a cell membrane protein that mediates apoptosis (programmed cell death). We discovered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within Fas gene in order to develop novel DNA markers at genomic level. Fas gene have 9 exons and located at 11241196~11275050 bp in bovine chromosome 26 (BTA26). Of this gene to search for SNP, sequences of whole exon and 1kb range of both the front and back of the gene using 24 cattle were determined by re-sequencing methods. As a result, twenty-three SNPs in the exon, 30 SNPs in the intron and 2 SNPs in the promoter region, a total of 55 SNPs, were discovered. Also, three non-synonymous SNP in 3 exons found respectively. In this study, Fas SNPs based on the data determine genotypes of the object more cattle and would be possible finding of DNA markers through the relationship analysis of the traits related with marbling.

Key words : Fas, Hanwoo, SNP, BTA

PA11038 Identification of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between Meat Quality Grade and DNA Markers Related to Economic Traits in Hanwoo

S. C. Shin, J. P. Heo, C. K. Back, K. S. Chung, and E. R. Chung

Department of Animal Science and Resources, Sangji University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between high and low meat grades of the loin muscle by using ddRT-PCR in Hanwoo, and to detect SNPs of candidate genes derived from DEGs. Also, associations between SNPs of DEGs and economic traits were investigated. Haplotypes of candidate genes, linkage disequilibrium among SNPs and association with economic traits were analyzed in Hanwoo population. A total of 137 DEGs were detected between high and low meat grades of the loin muscle in Hanwoo by ddRT-PCR analysis. The expression of 41 DEGs in high meat grade were higher than low meat grade, whereas the 96 DEGs in low meat grade were higher than high meat grade. Among 137 DEGs, DEGs with significant difference were validated between high and low meat grades of the loin muscle by qRT-PCR and selected as candidate genes (ACTA1, TNNT1, MDH2 and TPI1) related to economic traits in Hanwoo. A total of 42 polymorphic SNPs were detected in candidate genes of ACTA1(14 SNPs), TNNT1 (19 SNPs) and MDH2 (9 SNPs). The SNP markers of ACTA1 gen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meat quantity traits such as LW, CW, DP, EMA and BF (p<0.05). Also, SNP markers of MDH2 and TNNT1 gene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both meat quality and quantity traits such as MS, LW, CW and EMA (p<0.05). The haplotypes of TNNT1 and MDH2 genes through linkage disequilibrium analysis using the SNP StudioTM program were constructed, and analyzed associations between haplotypes and economic traits in Hanwoo. The diplotypes of TNNT1 gene were significantly affected the MS and BF (p<0.05). The effect of diplotype h2*h2 on MS and BF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 diplotypes. Also, the diplotypes of MDH2 gene were significantly affected the MS and BF (p<0.05). The effect of the diplotype h3*h3 on MS and BF was lower than that of other diplotypes.

Key words : ddRT-PCR, economic traits, meat grades, DEGs(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haplotype, Hanwoo

PA11039 한우 지방대사 조절 후보유전자 발현 비교 분석 및 육질 연관 SNP 발굴정의룡1, 신기현2, 허재필1, 신성철1, 황효선1, 박세영1, 이종현1

1상지대학교 동물생명자원학부 생명공학전공, 2동횡성농업협동조합본 연구에서는 한우 지방대사 조절에 관여하는 GPD 1(glycerol-3-phosphate dehydrogenase 1), LIPE(hormone-sensitive lipase),ACC(acetyl-CoA-carboxlase), PPARγ(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amma), SCD(stearoyl-CoA desaturase), SREBP(sterol regulatory element binding protein) 및 GPAM(mitochondrial glycerol 3-phosphate acyltransferase) 등 총 7개의 후보유전자를 대상으로 한우 고급육 집단(1++등급, 20두) 및 저급육 집단(2,3등급 20두) 육질등급 간 mRNA 발현량을 비교 분석하고, 극명한 발현 차이를 나타내는 차등발현 유전자에 대해 SNP를 탐색 및 발굴하여 이들과 한우 육질형질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각 한우개체의 등심조직에서 total RNA를 분리하고 RT-PCR 기법으로 cDNA를 합성한 후, real-time PCR 기법으로 한우 육질등급 간 각 후보유전자들의 발현정량 비교 분석을 수행한 결과, ACC 및 GPAM 유전자의 발현량이 저급육 집단에 비해 고급육 집단에서 각각 10.9배 및 2.4배 이상 높게 관찰되었다. ACC 및 GPAM 유전자를 한우 육질관련 차등발현 유전자로 최종 선정하여 이들에 대한 SNP를 탐색한 결과 각각 24개 및 16개의 SNP를 발굴하였다. 발굴된 SNP 가운데 SCD g.10153A>G와 GPAM g.2521T>G SNP에 대해 multiplex ARMS-PCR (amplification refractory mutation system)기법으로 국가 후대검정집단 총 162두에 대한 검정대상 개체별 SNP genotyping을 수행하고, SNP marker와 한우 육질형질과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SCD g.10153A>G SNP가 한우 등지방두께 측정치 및 등지방두께 육종가 추정치와 유의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반면 GPAM g.2521T>G SNP의 경우 한우 육질형질과는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 words : lipid metabolism, ddRT-PCR, multiplex ARMS-PCR,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Hanwoo

- 64 -

PA11040 한우 경제형질 진단용 DNA marker의 농가현장 검증을 통한 유효성 평가정의룡*, 신성철, 허재필, 심승화, 김성훈, 하정화

상지대학교 동물생명자원학부 생명공학전공최근 축산업 선진국에서 생명공학 분야의 연구통태를 살펴보면 육우의 경제형질 관련 분자표지(DNA marker)를 개발하여 농가현장 적용 및 검증을 통해 지적재산권을 획득함은 물론 상품화하여 농가현장에서 상업적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특히 소비자의 기호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마블링, 연도 등에 연관된 일부 유용유전자 분자표지의 경우 이미 연구가 활발히 진행된 실정이다. 국내의 경우에도 한우 경제형질과 연관되어 있는 다수의 DNA marker를 개발하여 지적재산권을 획득하는 등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현재까지 대단위 상업축 한우 집단에 대한 유효성 검증에 대한 연구가 미비하여 상업적으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까지 보고되어 있는 한우 경제형질 관련 다수의 유용 DNA marker (TNNT1 g.6650C>T, RORC g.20152A>G, PDE1B g.17122A>G, PDE1B g.17507A>C, NPY 4271T>C, GPD1 g.2766C>T, EDG1 g.166A>G) 들에 대한 농가현장 유효성 평가 및 검증을 위해 횡성한우 브랜드 농가 현장에서 사육 관리되고 있는 대단위 상업축 집단(27~29개월령 거세우) 총 512두를 대상으로 각 개체별 DNA marker genotype 분석을 수행하고 확보된 표현형 도체성적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PCR-RFLP 분석을 통해 총 7종 DNA marker에 대한 각 검정대상 개체별 SNP를 수행하고, 도축 후 확보된 표현형 도체성적과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TNNT1 g.6650C>T, RORC g.20152A>G, PDE1B g.17122A>G SNP에서는 각각 근내지방도, 육질등급, 배최장근단면적, 도체중과의 유의적 연관성이 입증되었다(P<0.05).Key words : marbling score, carcass traits, diagnostic marker, SNP validation, Hanwoo

PA11041 Examination of frequencies and distributions of SLA class I haplotypes in the NIH miniature pigW. Y. Jung1, D. W. Seo11, N. R. Choi1, J. H. Lee1, D. I. Jin1, S. S. Hwang2,

B. C. Yang2, K. W. Kim2, J. K. Park2 and H. C. Lee2

1Department of Animal Science and Biotechn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305-764, Korea,2Animal Biotechnology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Suwon 441-706, Korea

Pigs were interested in a potential xenograft donor for xenotransplantation research due to the similarity of their organ size and physiology to human and breeding characteristics. The porcine MHC (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encoding the SLA (Swine Leukocyte Antigen) gene, i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regions associated with immune-rejection response for successful transplantatio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ree SLA class I alleles (SLA-1, SLA-3 and SLA-2) with allele-specific primers using PCR-SSP method in sixty NIH miniature pigs. As the results, three SLA class I haplotypes (Lr-2.0, Lr-3.0 and Lr-4.0) were identified. SLA class I haplotype Lr-2.0 was the most common haplotype with an overall frequency of 65.0%, followed by Lr-4.0 with an overall frequency of 33.3%. However, Lr-3.0 was the less common haplotype with an overall frequency of 1.7% in the NIH miniature pig population. Also, four combinations of SLA class I haplotypes, consisting of 2 homozygous haplotypes (Lr-2.0/2.0 and Lr-4.0/4.0) and 2 heterozygous haplotypes (Lr-2.0/4.0 and Lr-2.0/3.0), were examined. The combination of SLA class I homozygous haplotype Lr-2.0/2.0 was the most prevalent haplotype with an overall frequency of 48.3% and Lr-2.0/4.0 was the 2nd common haplotype with a heterozygosity of 30.0%, followed by Lr-4.0/4.0 with an overall frequency of 18.4%. However, the combination of SLA class I heterozygous haplotype Lr-2.0/3.0 (3.3%) were found in only two NIH miniature pigs. These results will give good information for establishment of highly inbred pig lines, which are having fixed SLA homozygous alleles and haplotypes.Key words : Xenotransplantation, Swine leukocyte antigen (SLA), PCR-SSP, haplotype, NIH miniature pig

PA11042 Identification of insertional variation of porcine endogenous retrovirus (PERV) in different pig breedsW. Y. Jung1, S. L. Yu1, D. W. Seo1, K. C. Jung1, 2, I. C. Cho3, H. T. Lim4, D. I. Jin1 and J. H. Lee1

1Department of Animal Science and Biotechn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305-764, Korea; 2National Agricultural Products Quality Management Service, Gyungki 430-824, Korea;

3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Jeju 690-150, Korea;4Division of Applied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660-701, Korea.

Recently, there are a lot of concerns about using pigs as a donor for xenotransplantation due to the shortage of organs, tissues and cells. Porcine Endogenous Retroviruses (PERVs) are one of the significant issues because they can infect human cell in vitro and have the potential for transmission of pathogens to humans. In this research, 101 pig individuals, including twenty-three Berkshire pigs, thirteen Duroc pigs, twenty-two Landrace pigs, fourteen Yorkshire pigs, nineteen Korean native pigs and ten NIH miniature pigs were used to investigate PERV insertional variations in six different pig breeds and eleven PERV locations (3 PERV-A, 6 PERV-B and 2 PERV-B) were investigated for the variations. As the results, more than 60% of the investigated animals had one PERV-A (ID: 907F8) integration and five PERV-B (ID: B3-3G, B3-7G, 742H1, 1155D9 and 465D1) integrations. However, 2 PERV-A (ID: A1-6C and 1347C1) and one PERV-B (ID: B3-7F) were absent in Duroc pigs. Moreover, 2 PERV-C loci (ID: C2-6C and C4-2G) were only existed in Korean native pigs and NIH miniature pigs.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PERV insertional variations were different among breeds as well as among individuals. These results can be efficiently used for selection of animals having relatively low PERV copy numbers for xenotransplantation researches.Key words : Porcine endogenous retroviruses (PERVs), Xenotransplantation, Insertional variation, NIH miniature pig.

- 65 -

PA11043 한우에서 전장의 유전체 정보를 활용한 연관불평형 및 유효집단크기 추정에 관한 연구조충일, 이준호, 이득환

국립한경대학교본 연구는 한우 유전체 전장에 존재하는 고밀도 단일염기다형을 DNA chip을 이용하여 각각의 유전자형을 구명하고, 동일염색체 내에 존재하는 각 표지인자쌍의 연관불평형을 성 염색체를 제외한 모든 상염색체에서 추정하여 물리적 거리별 연관불평형의 정도를 확인하고 이러한 결과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한우의 유효집단 크기를 추정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한우개량사업소에서 2005년부터 2008년사이에 태어난 후보종모우 및 후대검정우 288두에 대해 혈액을 채취하고 Bovine SNP 50 DNA Chip을 이용하여 유전자형을 분석하였으며, 총 51,582 표지인자 중 결측률이 10%이상인 표지인자 1개 및 다형성이 없는 표지인자 10,730개에 대해 사전제거를 실시하고 남은 40,851개의 SNP표지인자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그 결과, 성 염색체를 제외한 상 염색체의 총 SNP표지인자의 길이는 2,541.6 Mb였으며, 염색체별 평균 SNP표지인자간 거리는 0.55~ 0.74Mb으로 분포하였으며, EM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염색체별 연관불평형을 추정한 결과, 기존의 보고된 연구와 유사하게 표지인자간 거리가 짧을수록 높게 나타나는 지수형태의 그래프를 나타냈으며, SNP표지인자간 거리에 따른 r2추정치는 0.0~0.1 Mb일 때 0.136, 0.1~0.2Mb에서 0.06로 나타났다. 또한 한우의 세대별 유효집단 크기에 대해 추정해 본 결과, 현재 한우의 유효집단크기는 84두로 추정되었으며, 지금으로부터 약 50세대이전의 유효집단 크기는 1,150두로 추정되었다. 이는 한우에서 인공수정이 도입(1960년대)된 이 후 개량의 가속화로 인해 한우의 유효집단 크기가 급격히 감소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Key words : 한우, 유효집단크기, 연관불평형, 단일염기다형성

PA11044 Evaluation of five candidate genes with fatty acid composition in Korean cattle

D. Maharani1, Y.K. Jung1, C. Jo1, S.H. Ryoo2, S.H. Lee3, S.H. Yeon4, J.H. Lee1

1Department of Animal Science and Biotechn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305-764, Korea2Government of Chungcheongnam-Do,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Cheongyang 345-811, Korea

3Hanwoo Experiment Stat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Pyeongchang 232-956, Korea4Animal Genomics & Bioinformatics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Suwon 441-706, Korea

The candidate genes in relation to meat quality traits including FA composition have been extensively investigated in cattle. The objective of study is to evaluate the associations of five candidate genes, FABP4, FASN, NR1H3, GH and SCD with fatty acid composition in Korean cattle (Hanwoo). DNAs from longissimus thoracis muscle were extracted and selected of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were used for genotyping using PCR-RFLP method. The g.3691G>A SNP in FABP4 gene had significant effects on high C14:0 (P<0.01) and C16:0 (P<0.05) in animal having GG animals, and high C20:4 (P<0.05) in AA animals. The FASN SNP at position g.17924G>A was also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igh C14:0 (P<0.01) in AA genotype animals. In case of SCD gene, significant effect had only observed in C14:1 (P<0.01). However, the polymorphisms in GH and NR1H3 showed no significant effect involved in fatty acid composi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e mutation in three candidate genes, FABP4, FASN and SCD may greatly contribute in designing breeding plans to select animals having desirable fatty acid composition in Korean Hanwoo.

Key words : FABP4, FASN, SCD, fatty acid composition, Hanwoo, muscle

PA11045 한우 농가단위의 개량성과 분석노승희1, 김창엽1, 황재문1, 이성수1, 배효문1, 서재호2, 박병호3, 최태정3, 김병우4, 이정규4

1농협 한우개량사업소, 2농림수산식품부 축산정책과,3국립축산과학원 가축개량평가과, 4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한우개량사업은 1960년대부터 등록사업을 기초로 개량사업을 시작하였으며, 개량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우수한 씨수소를 이용하여 한우개량이 진행되어져 왔다. 이러한 한우개량에 의하여 1974년 한우개량추세조사를 실시한 이래 2007년 까지 18개월령 수소를 기준으로 290kg에서 567kg으로 2배 가량 개량성과를 보였으며, 현재는 육질개량에 더 많은 관심이 집중되어 개량이 진행되고 있다. 한우개량의 궁극적 목적은 한우사육농가의 경제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므로, 본 연구는 농가의 개량성과를 파악하여 향후 개량방향 설정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하였다. 분석에 이용된 자료는 한우개량사업소에서 실시하고 있는 당후대검정 자료와 한우육종농가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한우육종농가의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한우육종농가는 2005년부터 농림수산식품부의 지원으로 한우개량사업소가 시행해 오고 있으며, 농가의 보유암소 개량을 통하여 우수한 송아지를 생산하는 농가이다. 분석형질은 성장형질과 도체형질에 대하여 분석하였으며, 성장형질은 생시체중, 이유시(3개월령)체중, 6개월령체중, 12개월령체중이고, 도체형질은 도체중, 등심단면적, 등지방두께, 근내지방도에 대하여 씨수소 자손의 혈통지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유전모수 추정결과 성장형질인 생시체중, 이유시(3개월령)체중, 6개월령체중, 12개월령체중의 유전력은 각각 0.54, 0.41, 0.34, 0.33으로 추정되었으며, 혈통지수를 이용한 도체형질은 도체중, 등심단면적, 등지방두께, 근내지방도에서 각각 0.35, 0.37, 0.50, 0.53으로 추정되었다. 성장형질의 유전적개량량은 2000년도에서 2009년까지 생시체중, 이유시(3개월령)체중, 6개월령체중, 12개월령체중에서 각각 0.04kg, -0.06kg, 0.44kg, 1.49kg으로 나타났으며, 도체형질의 유전적개량량은 도체중, 등심단면적, 등지방두께, 근내지방도에서 각각 0.88kg, 0.36cm2, -0.06mm, 0.05로 나타났다. 유전적개량량에서는 성장형질에서는 개량량이 낮은 반면 도체형질에서는 개량량이 높은 결과를 보였다.

Key words : 한우, 유전적개량량, 유전모수, 유전력, 한우육종농가

- 66 -

PA11046 초음파 생체평가를 활용한 강원 영동지역 암소 진단 방법 연구윤태수, 하재정, 송영한

강원대학교 동물생명과학대학 동물생명시스템학과본 시험은 강원 영동지역 한우 번식우에 대하여 가계도 조사 및 초음파 진단장치를 이용하여 조기에 암소의 생체평가를 실시하여 농가단위에 제공함으로서 번식우 선발, 생산비 절감, 맞춤 정액 선정 등 농가소득향상에 기여하고자 번식우 1,101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초음파 진단장치를 이용하여 한우 번식우의 생체평가를 산차 및 등록구분에 따라 비교하였으며, 수집한 개체이력을 토대로 가계도 조사를 실시하여 둔근지방두께에 따른 수정실패빈도를 비교해 보았다. 분석치들의 유의성 검정은 SAS 9.1 프로그램 GLM 분석을 이용하였다. 산차별 비교결과는 각 산육형질의 값이 4산차까지 유의적으로 (p<0.01) 증가하다가 4산차 이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등록구분별 비교결과는 혈통등록우 그룹에서 등지방두께 및 둔근지방두께가 유의적으로 (p<0.01) 얇은 경향을 보였으며 고등등록우 그룹을 번식에 가장 많이 활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둔근지방두께에 따른 수정실패빈도의 비교결과는 둔근지방두께 5 mm 이하에서 수정실패빈도의 평균인 1.11회 보다 적은 0.90회를 보였고, 5 mm 이상에서는 모두 평균보다 높은 수정실패빈도를 나타내었다 (p<0.01).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조기에 평가성적이 불량한 개체를 구별함으로서 사료비를 절감하고, 우수한 송아지를 생산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 words : Hanwoo cow, Ultrasound, Characteristic, breeding

PA11047 개 품종 특이적 유전자 마커 개발을 위한 모색 유전자 내 SNP 발굴 및 검증김재영, 김이경, 김승창, 김태헌, 성환후, 권무식1, 최봉환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생명환경부 동물유전체과, 1성균관대학교 생명공학부 생명공학과 길들여진 개의 지놈은 지구상에 있는 5,500 종의 포유류 가운데 유전학적으로 가장 흥미로운 연구 대상 중의 하나이다. 개의 크기, 모양, 그리고 행동은 최소한 1만4천년 전 인위적인선택에 의해 대부분 만들어지게 되었으며, 품종간 행동 및 근골격의 차이는 인간에 의해 유도된 선발 육종의 결과이다. 특히, 개의모색은 많은 인간의 기호에 맞게 다채로운 즐거움을 선사하고 있으며 이렇게 다양한 모색은 개과동물의 특성이다. 이에 본 연구는 GenBank dbSNP 정보를 이용해 973 SNP를 선정하였으며 PCR 반응물의 크기는 1.1kb로 고정시켜 디자인 하였다. 973 Target Amplicon Region(TAR) 중 마우스의 모색 유전자 정보와 겹쳐지는 7개의 유전자를 선정하였고 선택된 유전자는 CFA81(MLPH), CFA225(ATRN), CFA323(MGRN), CFA446(ATP7B), CFA622(KRT-1),CFA762(SLC45A2), CFA792(RXR-a)이다. 위 7개 유전자에 사용된 샘플은 축산과학원에서 보유한 진도개(JD) 38, 풍산개(PS) 19, 삽살개(SAP) 30, 저먼 세퍼트(GS) 30, 라브라도 리트리버(LR) 30, 잉글리쉬 스팽글 스파니엘(ESS) 9, 말티즈(Mal) 7, 치와와(Cwa) 7,8품종 170마리를 이용하였다. Direct sequencing을 통해 19 SNP를 발굴하였다.

Key words : SNP(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모색 유전자, MLPH, ATRN, KRT-1, SLC45A2, RXR-a

PA11048 개 품종별 유전자 마커를 위한 InDel (Insertion and Delition) 변이 발굴 및 검증김재영, 김이경, 김승창, 안정현, 임다정, 성환후, 권무식1, 최봉환,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생명환경부 동물유전체과, 1성균관대학교 생명공학부 생명공학과개(Canis lufus familiaris)는 인간과 가장 가까이 지내는 동물이며, 인간에 의해서 다양한 외향적인 표현형을 가지는 종으로 개발되어 왔다. 최근 분자 유전자 기법의 발달로 DNA 수준에서 유전자 마커의 개발이 가능한 방향으로 발달되어 왔으며 유전체 변이 발굴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또한 개의 유전체 지도가 복서견 DNA를 이용해 2005년 미국의 MIT와 하버드 대학의 브로드 연구소에 의해 게놈 99 %를 완성하였다. 인간이 가진 유전자와 약 5% 가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고 약 70%의 유전자는 유사한 것으로 보여 졌으며, 암이나 심장병, 당뇨병, 간질, 실명, 청각 상실 그리고 일부 정신질환 질병 등 약 360가지로 매우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GeneBank dbSNP 정보를 이용해 1차 유전자 선발을 위한 973Target Amplicon Region(TAR)를 디자인하였다. 총 9 품종 48두의 Genomic DNA을 이용하여 Direct sequencing을 실시하였으며, 436TAR 에서 919SNPs 를 검증하였다. 위 방법을 통해 얻어진 결과 중 InDel 3부위 CFA557(TCF7L1), CFA857(SNTA1), CFA892(DFNA5)을 발견하였다. 증폭을 위해 사용된 sample은 7품종 진도개(JD) 38, 풍산개(PS) 19, 삽살개(SAP) 30, 저먼세퍼트(GS) 30, 라브라도 리트리버(LR) 30, 마르티즈(Mal) 7, 치와와(Cwa) 7, 잉글리쉬 스팽글 스파니엘(ESS) 10, 171두를 가지고 검증을 실시하였고 나타난 결과는 TCF7L1에서는 19bp 의 InDel을 2개, SNTA1 에서는 3개의 Insertion, 그리고 DFNA5에서도 2개를 발견하였다.

Key words : InDel(Insertion and Delition), TCF7L1, DFNA5, SNTA1

- 67 -

PA11049 토종오리 순종의 부화능력 및 육성 성적김학규, 강보석, 황보종, 허강녕, 홍의철, 추효준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본 시험은 토종오리의 순종의 부화능력 및 육성 성적에 대한 능력을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공시동물은 토종오리 순종의 1일령 초생추를 암오리 470수, 숫오리 120수를 이용하여 20주 동안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암오리는 47수씩 10반복, 숫오리는 40수씩 3반복으로 하여 육성성적을 조사하였다. 조사항목은 수정률 및 부화율, 육추율(8주령), 육성률(20주령)을 조사하였으며, 체중은 생시 체중과 2주 간격으로 조사하였고, 사료섭취량 및 사료요구율을 2주 간격으로 조사하였다. 토종오리 순종의 수정률은 91.5%, 부화율은 61.6%로 나타났다. 8주령까지의 육추율은 98.7%이었고, 20주령까지의 육성률은 96.4%이었다. 생시체중은 암 43.5 g, 수 43.7 g 이었으며, 육추기가 끝나는 8주령에는 암 1,335 g, 수 1,425 g로 나타났으며, 육성기가 끝나는 20주령에는 암 1,610 g, 수 1,720 g로 나타났다. 0~8주령까지 암컷은 증체량 1,292 g, 사료섭취량 5,133 g, 사료요구율은 3.97이었고, 수컷은 각각 1,381 g, 5,685 g, 4.12이었다. 0~20주령까지 암컷의 증체량, 사료섭취량, 사료요구율은 각각 1,567 g, 13,212 g, 8.43이었고, 수컷은 1,676 g, 16,304 g, 9.73이었다. 이런 결과들은 토종오리 순종의 능력검정시의 육추-육성기의 성적을 제시하며, 추후 토종오리 연구에 제공되는 기본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 words : 토종오리, 순종, 수정율, 부화율, 체중, 사료섭취량, 사료효율

PA11050 젖소 분만 월령에 따른 산유량의 변화 연구박병호, 조광현, 최재관, 최연호, 이승수, 최태정, 나승환, 오운용, 최유림, 이기환1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1한국종축개량협회본 연구는 젖소의 분만 월령에 따른 산유량의 변화에 관하여 조사하여 젖소 유전능력평가 모형 개선을 하고자 수행하였다. 자료는 1985년에서 2009년까지 농협 젖소개량사업소가 유우군능력검정 사업에서 수집한 1산에서 10산까지의 1,429,350개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각 산차의 자료수, 평균월령, 평균유량은 각각 1산은 467,199개, 26.2개월, 7,830kg, 2산은 373,737개, 40.3개월, 8,709kg, 3산은 263,195개, 53.8개월, 8,982kg, 4산은 162,295개, 67.1개월, 9,062kg, 5산은 88,613개, 80.3개월, 9,009kg, 6산은 43,020개, 93.2개월, 8,888kg, 7산은 19,194개, 106.0개월, 8,706kg, 8산은 7,869개, 118.4개월, 8,491kg, 9산은 3,055개, 131.1개월, 8,260kg, 10산은 1,173개, 144.3개월, 7,936kg이었다. 2산차 분만 후 1산차의 유량으로 고능력우라고 판단될 경우 번식을 늦추고 유생산을 지속적으로 하여 고능력우의 3산차 분만월령이 높아질 것이라 예상했으나 분석결과 분만월령이 늘어나도 높은 유량을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각 산차별 적정 월령 이내의 개체만 분석하더라도 고능력우가 제외되는 경우는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사료된다. 각 산차별로 분만월령이 유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유의한 차이(p < 0.001)가 있어, 국가단위 유전능력평가 모형에 분만월령을 고정효과로 해야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그러나 4산차 이상은 분만월령에 따른 평균유량의 변이 폭이 매우 커서 유전평가 자료로 사용하는데 신중을 기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1산차는 18개월령에서 40개월령, 2산차는 30개월령에서 57개월령, 3산차는 44개월령에서 66개월령까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1998년 유우군능력검정 사업의 일원화를 추진하며 데이터베이스가 다시 구축되고 검정자료의 변화가 있었을 것으로 보여, 연간 검정두수가 10만두 이상이 되는 2000년 이후의 자료를 이용하여 국가단위 유전능력평가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 words : 젖소 분만월령 유량

PA11051 한우 당대검정우 매입여부에 따른 체중 보상성장 파악박병호, 최태정, 조광현, 최연호, 최재관, 이승수, 나승환, 최유림, 노태석1

농촌진흥원 국립축산과학원, 1농협중앙회 가축개량원국가단위 한우 보증씨수소 선발시 실시하는 한우 당대검정은 농협중앙회 한우개량사업소 자체 생산축과 개량참여 농가 생산축을 대상으로 이뤄지기 때문에 능력검정 결과 평가시 출생지에 따른 효과를 제거 하더라도 보상성장에 따른 성적변화를 반영하기는 힘들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검정소축과 농가축의 검정시작일에서 종료시까지의 체중 변화양상을 관찰하여 보상성장 여부를 파악하고 평가에 이용되는 검정종료 체중 보정시 이용할 개월령 범위를 설정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분석은 1999~2005년까지 실시한 당대검정 대상우의 6, 9, 12 개월령 체중을 이용하였고, 각각 검정소와 농장 생산축을 구분하여 각 월령별 및 월령 구간간 변화 양상을 파악하였다. 추가적으로 각 출생지별 검정시작 체중성적을 각각 상하위 25%씩 구분하여 저체중에서 고체중에 해당되는 그룹별 체중변화율 및 종료체중 변화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농장축의 9개월 체중이 검정소축 보다 다소 증가하는 현상을 보이지만 12개월령에는 다시 비슷한 체중을 가지는 양상을 보였는데, 실제 상하위 25% 구분지어 분석한 결과 상위25%와 중위50%에 해당되는 그룹은 검정소축과 농장축 모두 6~12개월령까지 선형변화를 보이는 반면 하위 25%에 해당되는 그룹의 경우 농장축은 6~9개월간 체중 성장기울기가 증가하였다가 12개월령에는 검정소축과 비슷한 체중을 가지는 양상을 보였다. 따라서, 일당증체량 및 검정종료 보정체중 산출시 범위 설정에는 검정종료일을 기준으로 6개월령 체중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 words : 한우, 당대검정우, 체중, 보상성장

- 68 -

PA11052 한우 거세우 도체 수율과 도체형질과의 상관분석나승환, 최태정, 조광현, 박병호, 최연호, 최재관, 이승수, 김대중1, 오운용, 최유림

국립축산과학원, 1농협중앙회 가축개량원국내 한우 거세우의 도체성적은 도체중, 등심단면적과 같이 특정부위 또는 전체 지육중량을 판단할 수 있는 기준만이 마련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각 도체 부위별 수율차이가 존재하고 각 형질간 상돤도 다양하게 존재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한우 거세우 도체형질(도체중, 등심단면적, 등지방두께, 근내지방도)과 도체수율(안심, 등심, 체고, 목심, 앞다리, 우둔, 설도, 사태, 양지, 갈비, 총중량)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 논문으로 46~47차 한우 후대검정 대상우인 297두의 도체성적과 도체수율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도체형질이 도체수율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출생지-도축일을 고정효과로 도축일령을 공변량으로 설정하였으나 도축일령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아 모형에서 제외하였고 도체형질을 각각 독립변수에 포함하였다. 도체형질과 도체수율과의 표현형 상관분석 및 환경효과를 제거한 잔차상관 분석도 추가적으로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대부분 도체수율 형질은 출생지별 도축일에 따라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고(P<0.01), 대부분 도체수율은 도체중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는 반면 등심단면적, 등지방두께, 근내지방도에 따른 차이는 다양하게 나타났다. 특히, 고정효과를 제거한 도체수율 형질관 잔차상관은 -0.34(목심과 양지) ~ 0.75(우둔과 설도)의 범위로 나타났다. 본 논문의 결과는 후대검정 2개 차수의 결과만을 이용한 결과이지만 꾸준한 자료 축적을 통하여 형질간 유전상관 등을 파악한다면 한우개량 가속화를 위한 연구에 이용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Key words : 한우, 거세우, 도체수율, 도체형질, 상관관계

PA11053 한우 거세우 도체 수율과 18개월령 체위형질과의 상관분석나승환, 최태정, 조광현, 박병호, 최연호, 최재관, 이승수, 노승희1, 오운용, 최유림

국립축산과학원, 1농협중앙회 가축개량원한우 도축시 각 부위별 도체 수율은 도체중과의 높은 상관이 예상되지만 각 부위 크기를 결정하는 체위형질과도 상관관계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국가단위 한우 유전능력평가시 이용되는 한우 거세우 18개월령 체위형질(체고, 십자부고, 체장, 흉심, 흉폭, 요각폭, 곤폭, 좌골폭, 고장, 흉위)과 도체수율(안심, 등심, 체고, 목심, 앞다리, 우둔, 설도, 사태, 양지, 갈비, 총중량)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 논문으로 46~47차 한우 후대검정 대상우인 297두의 체위성적과 도체수율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체위형질 각 부위별로 도체수율에 미치는 영향 분석에서 출생지-도축일의 고정효과는 목살을 제외한 모든 도체수율 형질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고(P<0.01), 도체수율 중 등심, 갈비는 흉위에 따라 앞다리살, 우둔, 설도, 사태, 총중량은 십자부고, 흉위에 따라 채끝은 체고, 체장, 흉심 변화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P<0.01) 체위형질과 도체수율 간 표현형 상관분석 결과와 마찬가지로 상관정도가 가장 큰 형질의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고정효과를 제거한 도체수율의 형질관 잔차상관은 -0.11~ 0.86(우둔과 설도)의 범위로 나타나 목심과 양지 간 상관이 가장낮고 우둔과 설도간 상관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는 모든 체위형질과 도체수율과의 상관을 비교하였으나 각 체위형질을 이용하여 도출한 소의 용적과 부분육과의 상관을 파악하는 추가적인 연구가 수행된다면 보다 정확한 관계를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Key words : 한우, 거세우, 도체수율, 체위, 상관관계

PA11054 cDNA microarray 분석을 통한 돼지 지방형질관련 후보유전자 발굴장길원, 이종연, 이경태, 조규호, 김명직, 김태헌, 이현정, 김범수, 최진애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최근 돼지의 육질과 관련하여 지방침착에 대한 관심이 증가됨에 따라 지방대사에 관련한 후보유전자 개발을 위해 등지방 조직 유래의 cDNA microarray를 이용하여 재래돼지와 요크셔 품종에서 주령별, 조직별 지방관련 유전자들의 발현양상을 분석하였다. Microarray 분석 결과 재래돼지의 등지방 조직에서 SCD(steaoyl-CoA desaturase)와 ELOVL6(elongation of very long chain fatty acid 6)가 높은 발현을 보였고, 간에서 FMO1(hepatic flavin-containing mono oxygenase)가 높은 발현을 보였다. 요크셔 품종의 간 조직에서 FGG(fibrinogen gamma polypeptide)와 C3d(comlement component c3d), 등지방 조직에서 COL3A1(type collagen alpha 1)이 높은 발현양상을 보였다. SCD와 ELOVL6는 지방산 합성과 관련된 유전자로 이들 지방산 함량과 등지방 두께는 양의 상관관계에 있고 또한 등지방 두께와 근내지방 함량도 양의 상관관계를 가진다. 실제로 요크셔(1.44%)보다 재래돼지(5.3%)의 근내지방 함량이 더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FGG는 면역체계와 관련되어 있으며, 지방 조직과 면역이 관련되어 있어 이 유전자의 발현 정도에 따라 지질대사의 정도를 알 수 있다. 두 품종이 지방함량의 차이를 보아 재래돼지는 간에서 팝성된 지방산이 중성지방 형태로 다른 조직에 축적되었고, 요크셔는 간에서 합성된 지방산을 주로 에너지 생산에 사용하여 지방함량이 낮다고 추정된다. 따라서 이들 유전자는 돼지의 육질개선에 유용한 유전자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 words : 돼지, 육질, cDNA microarray, 유전자발현, 지방

- 69 -

PA11055 흑염소 반추위 미생물 메타게놈 NGS 해독 및 섬유소분해효소 유전자 클로닝김영주, 안현승, 안정현, 김지훈, 최윤정, 박정설, 이현정, 김태헌, 이경태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동물유전체과최근 염기서열 해독 기술의 발달에 따라 메타게놈 염기서열 정보의 대량 확보가 가능해졌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흑염소 반추위 미생물 메타게놈에 대하여 454 GS Titanium 플랫폼을 사용하여 대량의 pyrosequencing을 수행하였다. 총 4.9 백만개 reads를 생성하였고 이는 1.9 Gb에 해당된다. Newbler 2.5.3을 사용하여 assembly를 수행하여 총 1,289,577개 컨티그를 얻었으며 이에 대해서는 pfam 도메인을 이용하여 섬유소분해효소를 예측하여 GH 계열 1,297개 유전자와 CBM 계열 255개 유전자 정보를 확보하였다. 또한 fosmid 유전자은행 클론으로부터 섬유소분해 활성 클론 5개에 대하여 shotgun sequencing을 통하여 예측된 16개의 섬유소분해효소 유전자에 대해서 pET24 벡터에 클로닝하여 그 활성을 측정할 수 있도록 마련하였다. 먼저 예측된 유전자에 대하여 BamHI, EcoRI 및 NotI 서열을 넣은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증폭을 실시하고 이를 pGEM T easy 벡터에 클로닝 하였다. 이는 염기서열 분석을 통하여 그 서열을 확인하고 검증된 클론에 대해서는 제한효소 처리 후 및 분리를 통하여 목적 유전자를 pET24 벡터에 삽입하고 이를 DH5ɑ 대장균에 형질전환 하였다. 이로부터 다시 염기서열 검증으로 확인된 클론에 대해서는 다시 BL21 대장균에 형질전환 하여 IPTG 유도 발현이 되도록 마련하였으며 이에 대해서는 EnzChek Cellulase substrate를 사용하여 활성 측정을 하였다. 메타게놈을 통하여 확보한 섬유소분해 효소 유전자에 대한 대량 발현벡터 클로닝 시스템을 통하여 다량의 고효율 섬유소분해 효소 유전자 클로닝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Key words : 흑염소, 반추위, 메타게놈, NGS, pyrosequencing, 섬유소분해효소, 발현벡터 시스템

PA11056 Lipofectamine-mediated expression of fluorescent marker gene in chick embryo

Hong Jo Lee, Kyung Je Park, Kyung Soo Kang, Suzie E Ahn,Min Yoo, Sung Kyu Kim, Deivendran Rengaraj, Jae Yong Han

WCU Biomodulation Major, Department of Agricultural Biotechnology,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51-921, Korea

Chicken has unique developmental and biological characteristics. Since chicken embryo especially develops in the eggshell, chicken is a proper model to observe vasculogenic events during embryo development. However, there has not been established an appropriate experimental system which can fully use the such advantages. We therefore established the system for monitoring a gene expression during chicken vasculogenic development. A gene construct which contained fluorescent marker gene under the control of the tissue-specific regulatory sequences were mixed with lipofectamine reagent and injected into bloodstream of stage 14 White Leghorn embryos. After further incubation, the expression of marker gene was detected under fluorescent microscope. Consequently, fluorescent marker gene was expressed in the organs such as heart, liver, intra- and extra-embryonic blood vessels in day 3 embryos. Moreover, the expression of marker gene was increased in 5 day-old embryo. Our research indicates that lipofectamine mediated transfection system can be one of the alternative methods to induce the exogenous gene expression in chick embryos.

Key words : Chick embryo, Lipofectamine, Fluorescent marker gene

PA11057 초음파를 이용한 한우의 경제형질에 대한 유전모수 추정이승수, 조광현, 최연호, 전병순, 박경도1, 이도형1, 이학교1, 공홍식1, 장경만1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1국립한경대학교본 연구는 15개월령 이상 된 암소로부터 측정한 초음파 측정형질들에 대한 유전모수 및 육종가를 추정하여 농가단위의 종축선발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하였다. 배장근단면적, 등지방두께, 근내지방도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각각 54.11 ± 9.06, 3.57 ± 2.45와 2.65 ± 2.88이었다. 배장근단면적, 등지방두께와 근내지방도에 대한 연령의 1차 회귀계수는 각각 0.3532, 0.0868과 0.0833으로 모두 정(+)의 수치를 나타낸 반면, 2차 회귀계수는 각각 -0.0023, -0.0005과 -0.0006으로 모두 부(-)의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신체충실지수(Body condition score)가 증가하면 배장근단면적, 등지방두께와 근내지방도의 크기가 일괄적으로 증가하였다. 배장근단면적, 등지방두께 및 근내지방도에 대한 유전력은 각각 0.39, 0.48 및 0.13으로 추정되었으며, 배장근단면적, 등지방두께 및 근내지방도에 대한 연간 유전적 개량량은 각각 0.00334cm2, -0.0073mm과 0.0043점으로 추정되었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Key words : 초음파, 배장근단면적, 등지방두께, 근내지방도, 유전력

- 70 -

PA11058 돼지 및 돼지고기 이력제 구축이승수, 정진형1, 강인수1, 김철중1, 손경자2, 이종문, 장길원, 조광현, 최태정, 최연호, 오운용, 최유림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1축산물품질평가원, 2농림수산식품부돼지 및 돼지고기 이력제는 최근 구제역 등 가축전염병의 발생에 따라 방역 및 위생의 측면에서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EU 등 축산물 수출국과의 FTA 체결에 따라 원산지 둔갑판매로부터 국내 생산자를 보호하고 소비자 신뢰도를 증진시키기 위한 필수적인 제도이다. 돼지는 산자수가 많고 세대기간이 짧으며 동일한 돈군 내에 여러 세대가 존재하는 사육시설의 특성 상 이미 시행되고 있는 소 및 쇠고기 이력제의 개체별 관리가 아닌 그룹관리 형식의 접근법이 요구된다. 비육돈은 차량 또는 로트단위의 그룹 ID를 적용하며, 번호체계는 5자리의 축산업등록번호를 농장고유식별번호로 이용하고 여기에 6자리의 출하일자와 1자리의 차량 또는 로트번호를 결합하여 12자리로 구성하고 입묵기로 농장번호를 표시한다. 돼지의 양도, 도축 시 돼지열병 예방접종증명서에 농장번호가 기재되며, 도축 이후 가공·판매단계에는 지육 및 포장육에 농장번호가 표시된다. 각 단계 이동 시 모든 정보는 돼지 및 돼지고기 이력시스템에 입력되며 소비자는 포장육 또는 판매장에 표시된 농장식별번호를 통해 이력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수가 적고 수명이 길며 경제적 중요도가 높은 종돈과 모돈의 경우는 귀표 또는 입묵방법을 이용해 개체식별을 한다. 혈통등록된 순종돈 및 번식용씨돼지는 기존의 혈통등록번호를 이용하고, 모돈의 개체식별번호는 현재 소에 적용되는 12자리의 표준화 번호체계에서 첫 번째 자리에 돼지의 고유 축종코드를 설정하여 이용한다. 종돈과 모돈은 이력시스템에 개체단위로 출생·양도·폐사·도축정보 입력을 의무화한다.

Key words : 돼지, 돼지고기, 이력제, 그룹 ID, 개체식별

PA11059 한우 LPIN3 유전자의 단일 염기다형성 분석김범수, 김승창, 최진애, 이승환, 장길원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한우 도체형질에 관련된 DNA marker를 발굴하기 위하여 외국소와 돼지 등 가축의 도체형질과 관련 있는 것으로 보고된 LPIN3 유전자를 후보유전자로 선정하였다. LPIN3 유전자는 bovine chromosome 13(BTA13) 내 70,697,212~70,714,661 Kbp 사이에 위치하며 20개의 exon이 존재한다. 이 유전자의 SNP을 탐색하기 위하여 도체중과 관련 있는 것으로 알려진 LPIN3 유전자의 1.7 Kbp 영역을 한우 24두를 이용하여 PCR direct-sequencing 방법으로 결정하였다. 그 결과 intron 영역에서 31개의 SNPs 및 exon 영역에서 10개의 SNP, 총 41개의 SNPs를 발굴하였다. 그 가운데 Exon 8에서 발견된 SNP는 non-synonymous SNP인 것으로 나타났다. 발굴된 41개의 SNPs 가운데 5개는 외래 품종에 보고된 SNPs이며, 나머지 36개의 SNPs는 새롭게 발견된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본 연구에서 발굴된 한우 LPIN3 유전자의 SNPs 정보를 바탕으로 더 많은 한우 개체의 유전자형을 결정하여, 도체중 및 근내지방도 등의 도체 형질과의 관련성 분석을 통하여 DNA marker 발굴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 words : Hanwoo, SNP, LPIN3

PA11060 홀스타인의 유전평가를 위한 유전모수추정에 관한 연구최태정, 조광현, 최연호, 박병호, 이승수, 최재관, 나승환, 오운용, 조주현, 최유림

국립축산과학원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co)variance components of three milk production traits for genetic evaluation using a multiple lactation model. Each of the first five lactations was treated as different traits. For the parameter estimation study a data set was set up including lactations calved from 2001 to 2009. The total number of raw lactation records in first to fifth parities reached 1,416,589. At least 10 cows were required for each contemporary group, herd-year-season effect. Sires with fewer than 10 daughters were discarded. Lactations with 305d milk yield exceeding 15,000 kg were removed. In total, 1,456 sires of cows were remained after all the selection steps. A complete pedigree consisting of 292,382 records was used for the study. A sire model containing herd-year-season, caving age and sire additive genetic effects was applied to the selected lactation data and pedigree for estimating (co)variance components via VCE. Heritabilities and genetic or residual correlations were then derived from the (co)variance estimates using R package. On individual lactation basis, relatively low heritability values were obtained 0.14~0.23, 0.13~0.20 and 0.14~0.19 for milk, fat and protein yields, respectively. For the combined lactation heritability values were 0.29, 0.28, and 0.26 for milk, fat, and protein yields. For milk yield, genetic correlations between lactations ranged from 0.75 to 0.99, and similar correlations between lactations were also seen for fat or protein yields. Genetic correlations between official and any of the five lactations ranged from 0.90 to 0.98 for milk yields and from 0.92 to 0.99 for fat yields and from 0.89 to 0.98 for protein yields. Residual correlations between lactations were positive but much lower than genetic correlation estimates. The estimated parameters will be used in national genetic evaluations for production traits.

Key words : multiple lactation model, Heritabilities, Genetic correlations, parameters

- 71 -

PA11061 한우 후대검정우 등심내 조지방 함량에 유전모수 추정 및 도체형질과의 상관분석최태정, 조광현, 최연호, 박병호, 이승수, 최재관, 나승환, 오운용, 김창엽1, 최유림

국립축산과학원, 1농협중앙회 가축개량원본 연구는 국가단위 한우 후대검정 대상우의 검정종료시 도체형질(도체중, 등심단면적, 등지방두께, 근내지방도)과 등심단면적내 조지방 함량의 유전모수를 추정하고 각 근내지방 등급별 조지방 함량을 파악함으로서 한우 거세우 근내지방도 등급과 등급내 조지방 함량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한 것이다. 분석에 이용한 자료는 한우 후대검정 23~47차에 해당되는 개체 총 4,087두의 도체 및 조지방 함량 자료를 이용하였는데 유전모수 추정을 위한 모형으로는 차수-검정지-도축일을 고정효과로 도축일령을 공변량으로 포함한 모형을 적용하였다. 근내지방 등급별 조지방 함량 분석에는 생년-출생지-도축일을 동기우 그룹, 근내지방도를 고정효과로 하였으며 도축일을 공변량으로 한 모형을 이용하여 최소자승평균을 비교분석 하였다(R2=0.86). 근내지방등급별 조지방 함량은 1~7등급까지는 유의적인 지방함량 차이를 보이나 7~9등급까지는 등급간 유의적인 지방함량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8~9등급의 경우 지방함량에 대한 오차가 다른 등급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근내지방도 등급 판정시 지방함량을 기준으로 한 등급기준 설정시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 words : 한우, 거세우, 근내지방도, 조지방함량

PA11062 QTL Scan for Meat Quality Traits using High-density SNP Chip Analysis in Cross betweenKorean Native Pig and Yorkshire

Sang Wook Kim1, Yoon Mi Lee3, Yang il Choi1, Beong Wook Cho4, Bong Hwan Choi5,Tae Hun Kim5, Jong Joo Kim3 and Kwan Suk Kim1

1Department of Animal Scienc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eongju 361-763, Korea, 3School of Biotechnology, Yeungnam University, Gyeongsan 712-749, Korea, 4Department of Animal Science, Pusan National

University, Miryang 627-706, Korea, 5Division of Animal Genomics and Bioinformatics,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Suwon 441-706, Korea

We attempted to generate a linkage map using Illumina Porcine 60K SNP Beadchip genotypes of the F2offspringfromKorean native pigs (KNPs) crossed with Yorkshire (YS) pigs, and to identify quantitative trait loci (QTL) using the line-cross model. Among the genotype information of the 62,136 SNPs obtained from the high-density SNP analysis, 45,308 SNPs were used t0 select markers whose allelic gene appearance frequencies were >0.700 between the F0, KNP, (n=16), and YS (n=8) F0 animals. Of the selected SNP markers, a final set of 500 SNPs with polymorphic information contents (PIC) values of >0.300 in the F2 groups (n = 252) was used for detection of thirty meat-quality-related QTL on chromosomes at the 5% significance level and 10 QTL at the 1% significance level. The QTL linked to crude protein, intramuscular fat, marbling, and meat color were found to be localized to chromosomes (SSCs) SSC2, SSC3, SSC6, SSC9, and SSC12; SSC2, SSC8, SSC12, SSC14, and SSC18; and SSC1, SSC3, SSC4, SSC5, SSC6, SSC10, SSC11, SSC12, SSC16, and SSC18 (Color, CIE-L, CIE-a, and CIE-b). Our results suggest that a QTL linkage map of the F2 design in the pig breed can be made using Illumina Porcine 60K SNP Chip data. The detected QTL regions will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identifying genetic factors related to better pork quality in KNP.

Key words : Illumina Porcine 60K SNP Beadchip, QTL, Meat quality, Korean native pig, Yorkshire pig

PA11063 홀스타인의 국제유전평가를 위한 모형개발에 관한 연구조광현, 박병호, 최연호, 최태정, 이승수, 최재관, 나승환, 오운용, 최유림

국립축산과학원,

본 연구는 국내 국가단위 평가결과의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유전능력평가시스템을 고도화하고 우리나라가 2013년 국제유전평가에 참여하기 위하여 국제평가기구에서 요구하는 검증작업을 통과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 이용된 자료는 농협중앙회 젖소개량부에서 수집한 분만일이 2001년부터 2009년까지의 검정성적으로 총 1,416,589개이며 산차는 5산으로 제한하였으며, 누적착유일은 305일로 제한하였고, 전체 혈통자료는 2,279,741개이며 부모를 갖는 개체는 535,409개이고 Bull은 2,467두로 구성되어 있는 기록들을 이용하였다. 유량, 유지방, 유단백에 대한 육종가는 신규로 개발한 다형질모형(Multiple traits model)을 이용하여 육종가를 구하였으며 기초작업은 SAS version 9.2와 R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유전모수를 추정하기 위하여 VCE 6.0을 이용하여 유전모수를 추정하였다. 전반적으로 유전적 추세는 꾸준히 지속되어 오고 있으며 산차별 차이가 두드러지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유지방을 제외하고 유량과 유단백 형질의 추세가 잘 추정되었음을 알 수 있다. 유전평가분석결과 상위 1000두의 랭킹안에 최근의 생년을 갖는 딸소가 기존에 사용한 모수로 분석한 결과보다 딸소가 증가했음을 알 수 있다. 상위 100두를 분석한 결과 2006년생은 23두에서 28두로 2007년생은 12두에서 20두로 2008년생은 2두에서 8두로 증가하였다. 이는 최근의 딸소나 종모우의 유전능력이 우수함에도 불구하고 상위에 랭크되지 못했던 결과가 새 모형의 적용으로 보완하여 새로운 평가분석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기존의 단형질 모형대신 다형질 모형을 이용한 분석방법으로 평가를 실시하고 국제유전평가에도 다형질 모형을 이용한 육종가를 제시해야 할 것이다.

Key words : 유전능력평가, 유전모수, 다형질모형, 육종가, 유전능력

- 72 -

PA11064 국내산 더러브렛 경주마의 씨수말 평가 기준으로 이용되는 연간수득상금 분석조광현1, 최연호1, 전병순1, 이도형2, 공홍식2, 이학교2, 박경도2, 조병욱3, 도경탁3

1국립축산과학원, 2국립한경대학교, 3부산대학교본 연구는 연간수득상금형질을 이용한 국내 씨수말 평가시스템을 분석하여 주파기록과의 관계를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씨수말 당 평균 자마수와 출주수는 각각 34두와 221회였다. 반면에 평균 2세 자마수와 출주수는 각각 9두와 25회였으며, 2세 자마들이 벌어들인 상금은 연간 수득상금의 8.3%였다. 연간수득상금에 대한 자마수와 출주수간의 단순상관계수는 각각 0.922와 0.934, 그리고 자마수와 출주수간의 단순상관계수는 0.985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씨수말의 검정경력 첫해의 평균 자마수는 6두, 출주수는 17회로 매우 낮았으며, 검정경력에 따른 자마수와 연간수득상금은 매우 밀접한 관계를 나타내었다. 검정경력 4년차에서 40두 이상의 자마수를 확보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마수가 증가할수록 평균수득상금지수는 일괄적으로 증가하였다. 자마수가 30두 이하의 씨수말들의 평균수득상금지수는 1.00보다 낮았으며, 자마수가 10두 이하인 경우에는 0.06에서 0.13의 범위를 나타내어 자마수는 씨수말의 순위 결정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주파기록에 대한 육종가와 출주당 수득상금의 상관계수는 다른 형질들에 비하여 가장 높은 -0.524에서 -0.633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Key words : 더러브렛, 연간수득상금, 출주수, 평균수득상금지수, 검정경력

PA11065 돼지 품좀별 경제형질에 대한 유전모수 추정서강석1, 강현성2, 남기창1, 김경태3

1순천대학교 동물자원과학과, 2전북대학교 동물자원과학과, 3농협 종돈사업소종돈의 개량은 개량대상 형질을 설정하고, 대상형질에 대한 능력검정을 실시한 후 개체의 유전적인 능력에 근거한 선발과 선발된 개체들간의 계획교배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유전적인 능력이 우수한 종축을 정확히 선발하기 위해서는 집단의 유전분산과 표현형 분산 및 유전력을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는 전남 영광에 소재한 농협 종돈사업소 06-2011년까지 검정된 버크셔종, 랜드레이스종, 요크셔종 및 두록종 4품종, 18,655두에 대한 능력자료 및 관련 혈통자료를 근거로 하였으며 성별, 계절, 검정년도별 및 검정종료체중의 자료에 대한 유의성 검정을 실시하였고 모든 요인에 대해서 고도의 유의성(p<0.01)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형질로는 평균 등지방 두께, 일당증체량, 90kg 도달일령, 등심단면적, 체고 및 체장이며 Linear model을 기초로 [email protected]/GLM의 TYPE Ⅲ 제곱합을 이용하였으며 유의성 검정후 유전모수를 추정하기 위해 다형질 혼합 모형을 사용하여 DF-REML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품종별 랜드레이스 경제 형질에 대한 유전력은 일당증체량, 등지방두께, 체고, 체장, 등심단면적 및 90kg 도달일령에 대해서 0.41, 0.55, 0.39, 0.52, 0.25 그리고 0.41을 나타내었다. 등심단면적을 제외하고 형질별로 대체적으로 고도의 유전력이 추정되었으며, 요크셔종에 대한 형질별 유전력은 0.43, 0.47, 0.42, 0.50, 0.24 및 0.42의 유전력이 추정되었다. 두록종에 대한 각 형질별 유전력은 0.47, 0.61, 0.26, 0.25, 0.29 및 0.58이 추정되었고 버크셔종은 0.56, 0.57, 0.33, 0.41, 0.34 및 0.55를 나타내었다. 전체 품종별로 고도의 유전력을 나타내었으며 다른 품종에 비해 두록종의 경우에는 중도의 유전력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종돈장 네트워크에 의한 정액교류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Key words : 유전력, 유전모수, 유전상관, 랜드레이스, 요크셔, 두록, 버크셔

PA11066 Variation in mitochondrial DNA and maternal genetic ancestry of Ethiopian cattle Populations

H. Dadi1,2, M.Tibbo3,4, Y.Takahashi1, K.Nomura1, H.Hanada1, T.Amano1*

1Laboratory of Animal Genetics and Breeding, Department of Animal Science, Tokyo University of Agriculture, 1737 Funako Atsugi City, Kanagawa 243-0034, Japan, 2Adami Tullu Agricultural Research Center,P.O. Box 35,

Baatu, Ethiopia, 3InternationalLivestockResearch Institute (ILRI) P.O. Box 5689, Addis Ababa.4International Centre for Agricultural Research in the Dry Areas (ICARDA) P.O. Box 5466, Tel Hadya Aleppo, Syria.

Ethiopia is situated in the Horn of Africa, where African taurine and migrant Asian zebu cattle hybridized to produce different varieties of cattle. This study describes complete control region sequences of mitochondrial DNA (mtDNA) from 117 Ethiopian cattle from 10 representative populations, in conjunction with the available cattle sequences in GenBank. In total, 79 polymorphic sites were detected that defined 81 different haplotypes. The haplotype and nucleotide diversity of Ethiopian cattle did not vary among the populations studied. All mtDNA sequences from Ethiopian cattle converged into one main maternal lineage (T1) that corresponds to African B.tauruscattle. Noneofthehaplotypesin Ethiopian cattle was found to be of the B.indicustype. Network analysis displayed as tar-like network that reflected the genetic signature of the population expansion event. Analysis of molecular variance (AMOVA) showed a high degree of genetic homogeneity among the populations of Ethiopian cattle. The regional groupings, Ethiopiavs. India and Ethiopia vs. Europe, accounted for 91.8 and 52% of the variation, respectively.

Key words : Ethiopian cattle, mtDNA. genetic diversity, population structure

- 73 -

PA11067 Microsatellite analysis reveals high genetic diversity but low genetic structure inEthiopian indigenous cattle populations

Hailu Dadi1, M.Tibbo2, Y.Takahashi1, K.Nomura1, H.Hanada1, T.Amano1

1Laboratory of Animal Genetics and Breeding, Department of Animal Science, Tokyo University of Agriculture, 1737 Funako Atsugi City, Kanagawa 243-0034, Japan

2InternationalLivestockResearchInstitute(ILRI),P.O.Box5689,AddisAbaba,Ethiopia.

Ethiopian cattle are under threat from uncontrolled mating practices and are at high risk of becoming genetically homogeneous. Therefore, to evaluate genetic diversity and degree of admixture, 30 microsatellite markers were genotyped using 351 DNA samples. The mean observed and expected heterozygosities were 0.674 ± 0.015 and 0.726 ± 0.019, respectively. Ethiopian cattle populations have maintained a high level of within-population genetic differentiation (98.7%); the remainder being accounted for by differentiation between populations (1.3%). A highly significant deficiency in heterozygotes was detected within populations (FIS=0.071;P<0.001) and totalinbreeding(FIT=0.083;P<0.001).The study populations were highly admixed but distinct from pure Bostaurus and Bosindicusbreeds.Thevariouslevelsofadmixtureandhigh genetic diversity make Ethiopian cattle populations suitable for future genetic improvement and utilization under a wide-range of agro-ecologies in Ethiopia.

Key words : indigenous cattle, microsatellites, genetic diversity, level of admixture

PA11068 농장 검정돈의 검정방법과 규모 및 환경요인의 효과 추정권효중, 최재관, 최연호, 최태정, 박병호, 이승수, 나승환, 최유림, 이재구, 정운영, 김종복1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1강원대학교본 연구는 국내 농장검정돈 검정시 협회직원 입회하에 실시하는 입회검정과 농장에서 자체적으로 실시하는 자가검정의 두 가지 검정방법과 농장규모 및 환경요인이 돼지의 검정성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에는 2000년부터 2010년까지 검정 완료된 Duroc종 40,266두 Landrace종 59,744두 Yorkshire종 165,891두를 이용하였고, 일당증체량, 90kg도달일령, 검정종료일령, 종료체중, 등심단면적, 등지방두께에 영향을 미치는 검정방법과 농장규모 및 환경요인의 효과를 추정하였다. 분석결과 입회검정방법이 자가검정방법에 비해 일당증체량, 90kg도달일령, 종료일령, 종료체중이 유의적으로 높은 경향이 있었고, 등심단면적과 등지방두께는 유의적으로 낮은 경향이 있었다. 검정방법에 따른 농장규모별 검정성적은 입회검정방법에서 소규모농장이 일당증체량, 검정종료일령, 등심단면적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는데 반해 중간규모 농장에서는 일당증체량, 종료체중, 등지방두께가 저조한 성적을 나타냈다. 자가검정방법에서는 중간규모농장이 일당증체량, 90kg도달일령, 종료체중이 유의적으로 우수하게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입회검정방법이 자가검정방법에 비해 검정종료일령이 긴 경향이 있었는데 이는 입회검정이 한정된 인원으로 여러 농장을 다니며 검정하는 방법적 특성으로 인해 검정시기가 자가검정에 비해 비교적 제한적이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Key words : 농장검정, 검정방법, Duroc, Landrace, Yorkshire, 돼지

PA11069 Investigation of possibility for chicken breed traceability using D-loop variations in mtDNA

M. R. Hoque1, S. H. Lee2, K. C. Jung3, B. S. Kang4, M. N. Park5, H. K. Lim6, K. D. Choi6 and J. H. Lee1

1Department of Animal Science and Biotechn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305-764, Korea; 2Hanwoo Experiment Stat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Pyeongchang 232-956, Korea;

3National Agricultural Products Quality Management Service, Gyungki 430-824, Korea;4Poultry Science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Cheonan 331-801, Korea;

5Animal Genomics & Bioinformatics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Suwon 441-706, Korea;6Division of Applied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660-701, Korea.

Identification of chicken breeds in the world is important for developing the conservation strategies. The mitochondrial genome is maternally inherited and the sequences of mitochondrial DNA (mtDNA) have been extensively used in biodiversity studies of vertebrates. A total of 310 individuals from five chicken breeds were investigated in the mtDNAD-loop region. Thirty one nucleotide substitutions were identified from the sequence analysis and they were classified to 19 clades. Analysis of the clade distribution indicated the genetic diversity and relationships among breeds, where clade 1 included the largest number of birds. Unrooted neighbor-joining phylogenetic tree indicated the four lineage differentiation among the chicken breeds. Based on the network profiles, the utility of SNP markers can be used for the breed traceability. Also, distribution of chicken breed individuals indicates the lineage A, B, C and D were55.5%, 14.8%, 4.5% and 25.2%, respectively. The results presented here will be applicable in designing breeding and conservation strategies for the chicken breeds and also used for the development of breed traceability markers.

Keywords : mtDNA, breed traceability, phylogenetic analysis, network profiles, chicken breeds

- 74 -

PA11070 Porcine liver RNA-Seq: A nsSNP resource for evolutionary insights into the substrate specificities ofhuman and animal carbonyl reductases.

Seul Gi Kwon1, Yong Hwa Lee1, Minky Son2,3, Yuno Lee2,3, Eun Jung Kwon1,Da Hye Park1, Keun Woo Lee2,3, Woo Young Bang1 and Chul Wook Kim1

1Swine Science and Technology Center, Gyeongnam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GNTECH), Jinju 660-758, Korea

2Division of Applied Life Science (BK21 Program),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660-701, Korea3Plant Molecular Biology & Biotechnology Research Center(PMBBRC),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660-701, Korea

Changes in meat quality traits are strongly associated with alterations in postmortem metabolism which depend on genetic variations, especially nonsynonymous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nsSNPs) having critical effects on protein structure. To selectively identify metabolism-related nsSNPs, next-generation transcriptome sequencing (RNA-Seq) was carried out using RNAs from porcine liver, which contains a diverse range of metabolic enzymes. Noticeably, one nonsynonymous variation led to a stop signal in porcine testicular carbonyl reductase (PTCR), resulting in a C-terminal (E281-A288) deletion. Molecular docking and energy minimization calculations indicated that the binding affinity of wild-type PTCR to 5a-DHT, a C21-steroid, was superior to that of C-terminal- deleted PTCR or human CR. Furthermore, P284 was identified as an important residue mediating the specific interaction between PTCRand 5a-DHT, and phylogenetic analysis showed that P284 is an evolutionarily conserved residue among animal carbonyl reductases, which suggests that the C-terminal tails of these reductases may have evolved under evolutionary pressure to increase the substrate specificity for C21-steroids and facilitate metabolic adaptation. Altogether, RNA-Seq, along with structural and phylogenetic approaches, provides a structural and evolutionary insights into the specificity of human and animal carbonyl reductases for an androgen, 5a-dihydrotestosterone, and into the association of androgen production with meat quality traits.

Key words : carbonyl reductase, 5α-dihydrotestosterone, PTCR, SNP

PA11071 발효사료 급여 돼지에서 후보 차등발현유전자의 발굴 및 기능 분석권슬기, 이용화, 방우영, 김철욱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양돈과학기술센터본 연구에서는 농식품 부산물 및 잔여물을 발효시켜 돼지 사료로 재활용하였을 때 발효사료 급여 돼지에서 유전자 발현의 변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우선 발효사료로서 버섯 폐배지 등 농식품 부존자원을 활용하여 발효사료를 제조하였고, 발효사료 급여/비급여 돼지 각각 3두씩을 실험동물로 이용하였다. 발효사료 급여/비급여 돼지 110kg 시에 도축하여 일반형질 및 육질 형질을 조사하고 발효사료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도축된 6두의 조직으로부터 각각 total RNA를 분리하고, Affymetrix GeneChipⓇ Porcine Genome Array를 이용하여 대량 유전자 발현양상을 확인하였다. Expression Console 1.1로 data를 확인하고, MAS 5 normalization 후 급여/비급여 돼지 간에 2 fold 이상 차이가 나타나는 유전자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발효사료 급여 돼지에서 Up-regulation 되어 나타나는 유전자는 878개, Down-regulation 되어 나타나는 유전자는 362개로 총 1,240개 유전자가 차등 발현되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Up/Down regulation 되는 유전자 중 가장 높은 발현양적 차이를 나타내는 10여개 유전자를 선발하여 RT-PCR 분석을 실시하였다. LDH-B 유전자에서는 발효사료 급여 돼지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발현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들 차등 발현유전자에 대해서는 더욱 정확한 기능을 확인하고자 한다.

Key words : 발효사료, 차등발현유전자, LDH-B, Porcine Genome Array

PA11072 Prediction of genomic breeding values using a genomic relationship matrix

Jungjae Lee, Hyukjin Jeon, Naesoo Kim

Department of Animal Scienc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Korea

The first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genomic-BLUP program to estimate the molecular breeding values. The second objective was to compare the change in breeding values and their accuracies from genomic and traditional predictions. Carcass traits (carcass weight, eye muscle area, back fat and marbling score) data and genotyped data using the IlluminaSNP50 bovine chip for 497 progeny test bulls and 61 proven bulls were used in study. A genomic-BLUP program was complied by fortran codes using the single-trait animal model including the direct inversion of genomic relationship matrix(GRM) in place of numerator relationship matrix(NRM) and mixed model equation. Estimated breeding values using pedigree and genomic information were strongly correlated for CW, EMA, BF and MS (0.968, 0.957, 0.968 and 0.980, respectively). The average accuracies of breeding values for CW, EMA, BF and MS using GRM increased 2.63%, 3.97%, 3.97% and 5.02%, respectively in comparison with NRM.

Key words : genomic-BLUP, genomic relationship matrix(GRM), carcass traits

- 75 -

PA11073 Signatures of selection using bovine 50k SNP chips in HanwooLi Yi1, Yun-Mi Lee1, Ji-Hong Lee2, Jin-Ho Kim3, Byung-Rae Park4, Jong-Joo Kim1

1School of Biotechnology, Yeungnam University, 2Gyeongbuk Livstock Research Institute,3Hanwoo Improvement Center, 4SNPGenetics (Ltd)

The advent of high throughput and cost-effective genotyping techniques have enabled genetic evaluation more efficiently in cattle. The Illumina bovine 50k SNP chips were used for SNP genotyping in an elite Hanwoo population comprising 61 sires and their 486 steers. Haplotype phases were inferred by a LHCM method and maternal haplotypes were chosen across all the autosomal chromo-somes. To identify selection signatures on any genomic position, a long-range haplotype test was applied. Our results revealed 95 regions exhibiting footprints of recent positive selection (P<0.01). We found an overlap of the 11 core regions presenting top P-values,which were previously identified to harbor QTL of economic importance in other breeds. This result would allow to determine causal genes responsible for the trait of interest and to enable in the successive genome application process, i.e. genome selection.

Key words : Hanwoo, SNP chip, selection, haplotype

PA11074 소 특이 대사 경로 데이터베이스 재확립김운수, 서성원

충남대학교 동물바이오시스템과학과동물 유전체와 관련하여 대량의 다양한 정보가 급속도로 축적되고 있으며, 이러한 정보들을 통합적으로 저장, 처리, 해석, 표현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의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경제적 측면 및 포유동물 진화의 연구에 매우 중요한 생물종인 소의 경우, 유전자, 효소 및 대사경로와 관련된 모든 정보를 보유한 통합 데이터베이스(CattleCyc; http://biocyc.org/CATTLE/)가 이미 개발되었으나, 이는 소 유전체 빌드 3.1을 기반으로 구축되어 있어 현재의 표준 유전체(reference genome)인 Btau_4.0으로의 개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의 소 유전체 빌드 4.0을 기반으로 소 특이 대사 경로를 재확립하였고, 이를 기존의 CattleCyc 데이터베이스와 비교·분석 하였다. 이를 위해, Pathway Tools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소 유전체의 주석과 MetaCyc 데이터베이스와의 비교를 통한 초기 대사경로 구축하였고, 이후 6 man-month 이상을 소요한 manual curation 과정을 거쳐 빌드 4.0을 기반으로 한 소 특이 유전체·대사경로 데이터베이스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축한 소 특이 대사경로는 총 273개, 대사에 관여하는 유전자는 1,263개, 효소 반응에 관여하는 유전자는 4,122개 이며, 유전자가 확인되지 않은 효소 반응은 전체 효소 반응 중 18%를 차지한다. CattleCyc 데이터베이스와 비교·분석한 결과, 110개 대사 경로는 CattleCyc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지 않았다. 이는 MetaCyc 데이터베이스의 업데이트 및 소 유전체 데이터베이스가 개선된 결과이다. 결론적으로, 기존의 CattleCyc 데이터베이스 보다 본 연구에서 구축한 소 특이 대사경로 데이터베이스의 정확도 및 완성도가 개선되었다.

Key words : 대사경로, 소, 데이터베이스, 생물정보학

PA11075 혈통정보와 유전체 정보를 이용한 혈연관계 추정 및 비교 전혁진, 이중재, 김내수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축산학과본 연구에서는 농협중앙회 한우개량사업소의 보증 종모우 61두와 후대 검정우 497두, 총 558두에 대하여 Illumina SNP50 bovine chip genotyping 분석을 통하여 유전체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혈연행렬을 추정하였으며, 최종적으로 3,142두의 혈통기록을 이용하여 추정된 혈연행렬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혈통기록을 기반으로 하는 혈연관계를 추정하기 위하여 Tabular Method를 이용하였으며, 유전체 정보를 이용한 혈연관계를 추정하기 위하여 우선적으로 Quality Control 분석을 통하여 48,893개의 SNP 중에서 최종적으로 21,360개의 SNP가 남게 되었으며 이를 이용하여 Genomic 혈연관계를 추정하였다. Vanraden이 제시한 3가지 방법 중에서 allele 빈도를 이용한 첫 번째 방법과 혈통 자료를 이용하여 추정된 혈연 행렬과 Genomic 정보를 이용한 행렬간의 회귀식을 추정한 후 최종적인 Genomic 혈연관계를 추정하는 세 번째 방법 및 Forni 등이 Vanraden이 제시한 첫 번째 방법으로 추정하는 식에서 분모 부분을 수정하여 좀 더 실현적인 수준으로 추정되게 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혈통기반의 혈연행렬과 비교하였다. 유전체 정보를 이용하여 추정된 혈연행렬의 99%이상이 0이 아닌 값으로 추정된 반면에 혈통 자료를 이용하여 추정된 혈연행렬 중에 15% 이상이 개체들 간의 혈연관계가 없는 0으로 추정되었다. 혈통을 기반으로 하는 혈연 행렬과 Vanraden의 첫 번째와 세 번째 방법, 그리고 Forni의 방법에서의 평균 근교계수는 각각 0.0039, 0.9030, 0.0622, 1.0 이었으며 평균 혈연계수는 0.0239, 0.9047, 0.0237, 0.4754로 추정되었다.

Key words : SNP marker, Genomic Relationship Matrix, Numerator Relationship Matrix

- 76 -

PA11076 순종 랜드레이스 집단에서 GWAS를 이용한 성장관련 QTL 탐색정은지1, 박희복1, 이재봉1, 유채경1, 임현태2, 박경옥1, 이정규1,2

1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BK21), 2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GWAS (Genome wide association study)는 집단 내 유전체 전체의 유전변이정보를 DNA chip을 이용하여 다양한 양적형질에 관련된 DNA 표지를 발굴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성장형질은 등지방두께, 90Kg 도달일령, 등심깊이, 정육율, 일당증체량, 유두수 등이 주요 경제형질로 여겨진다. 이에 Illumina 사의 Porcine SNP 60K chip을 이용하여 랜드레이스 집단 240두를 분석하였다. Plink (Purcell, 2007)를 이용하여 유전자형분석 오류 10% 초과, minor allele 빈도 5% 미만, Hardy-Weinberg 평형 오류 0.1% 이하에 해당되는 단염기다형성 (SNP) 표지들을 제거하여 최종적으로 38,818 개의 SNP 표지를 선별하였으며, Qxpak (Perez-Enciso and Mitztal,2004)을 이용하여 random family effect를 고려한 Additive model, Additive + Dominance model로 분석한 결과를 Genome-wide 관련성 분석에 이용하였다. 성장 관련 QTL 탐색을 위한 Genome-wide 임계수준을 bonferroni 방법을 이용해서 결정 했을 때 model A에서 chr17 (P = 7.93 × 10-7), model A+D 에서 chr5 (P = 1.22 × 10-6), chr6 (P = 9.02 × 10-7)으로 임계치를 넘는 유의성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전통적인 표현형 기록에 DNA 표지의 정보를 추가하여 유전능력 평가의 정확도를 높여 가축의 유전적 개량의 효율성을 높이는 Marker assisted selection(MAS) 방법에 활용가능 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 words : QTL, GWAS, DNA chip, SNP 표지, MAS

PA11077 SLA class III 영역의 Haplotype 특성과 Linkage disequilibrium (LD) block 분석황정혜1, 이재봉1, 임현태2, 박희복1, 유채경1, 정은지1, 이길주1, 김병우2, 이정규1,2

1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BK21), 2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Haplotype 추정은 염색체내 Linkage disequilibrium (LD) 정도가 높은 부위에 존재하는 다양한 SNP들의 polymorphism이 어떤 조합으로 유지되어 다음 세대로 유전되는지를 알 수 있으며, 복합질병을 유발하는 유전자들을 탐지하는데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돼지 SLA class III 영역에 존재하는 다양한 SNP들의 haplotype을 추정하고, 이를 이용한 계통발생학적 분류와 LD block을 조사함으로써 SLA class III 영역 내에 존재하는 많은 SNP들이 어떤 조합의 형태로 다음 세대로 전달되는 지를 규명하였다. SLA class III 영역의 48개 SNP들을 선발하고, haplotype를 추정하기 위해 PHASE program 을 이용하여 8품종 (총 111두)에서 111개의 haplotype을 확보하였다. Haplotype 중 69번이 15.3% 분포하며, 그 외의 haplotype들은 거의 대부분이 10% 미만으로써 개체별로 다양하게 분포하였다. 48개의 SNP 결과를 바탕으로 XLSTAT program 을 이용하여 PC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분석을 수행한 결과 미니돼지는 독립적인 group을 형성하였으며, Large White, Landrace, Berkshire가 하나의 group을 형성하였다. 또한 한국 재래돼지와 Duroc, 한국 야생 멧돼지와 Tongcheng pig가 각각 group으로 형성 되었다. 하지만 100 kb 간격으로 SNP들을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에서는 각 간격마다 다른 group으로 형성하여 일치성을 보이지 않았으며, Haploview 4.1 program을 이용하여 LD를 추정한 결과 모든 품종에서 SNP들 사이의 LD block이 형성되지 않았다.

Key words : Haplotype, Linkage disequilibrium, SNP, SLA class Ⅲ

PA11078 제주재래돼지xLandrace 실험축군을 이용한 6번 염색체 등심단면적형질에 연관된 QTL 지역 내의 LD 분석박경옥1, 유채경1, 이재봉1, 정은지1, 임현태2, 박희복1, 조인철3, 이정규1,2

1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BK21), 2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3국립축산과학원 난지축산시험장최근 가축 선발의 경우 전통적인 육종 및 선발 방법에 유전적 개량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DNA marker를 이용한 방법인 marker-assisted selection (MAS) 가 대표적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MAS은 분자 유전학적 기술의 지원을 통한 게놈 프로젝트의 완성으로 가속화 되고 있으며, 축산 선진국에서는 정부기관, 민간회사, 생산자단체 등의 공동연구를 통해 주요 경제 형질관련 유전자들의 표지인자를 탐색하여 상업 축군의 선발에 활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도체형질을 측정하는 방법 중의 하나로 등심단면적의 경우 5번, 6번 늑골 사이의 등심부위를 등급판정용 면적자(1㎤)를 이용하여 단면적을 cm2 단위로 측정한다. 이는 증체량과 직결된 부분으로 돼지 도체등급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주재래돼지와 Landrace 품종을 상호교차교배 한 교잡 축군(F0 36두, F1 91두, F2 1106두)을 이용하여, microsatellite marker 140여종의 대립유전자형을 분석하고, CRI-MAP을 활용하여 linkage map을 제작하였으며, QTLexpress를 이용한 QTL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그 결과를 토대로 돼지 염색체 6번의 61-89cM에서 등심단면적 연관 quantitative trait locus (QTL) 지역 내의 linkage disequilibrium (LD) block 분석을 실시하였다. F0의 LD block의 경우 제주재래돼지 27개, Landrace 33개로 block이 형성되었고, 그 중에 3개의 LD block이 같은 지역에서 형성되었다. 또한, 세대가 거듭할수록 LD block의 크기가 작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LD block 내 SNP에 대한 세대별 유전적 특징을 추가적으로 분석하여 QTL 분석에 활용한다면 특정형질 연관된 유의적인 DNA marker 선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되어 진다.

Key words : 등심단면적, MAS(marker-assisted selection), QTL(quantitative trait locus), LD(linkage disequilibrium)

- 77 -

PA11079 제주 재래돼지 × Landrace 교잡 축군을 이용한 돼지 혈액의 생화학 지표 변이 연관 QTL 탐색유채경1, 박희복1, 임현태2, 이재봉1, 정은지1, 조인철3, 이정규1,2

1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BK21), 2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3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난지축산시험장

Albumin, alkaline phosphatase, gamma-glutamyl transferase 등과 같은 혈액의 생화학 지표는 간, 신장 등 주요 장기와 내분비 기관 등의 기능 이상 유무를 평가하는 지표로 질병 감염과 건강 상태를 판단하는 기준이 된다. 본 연구는 제주 재래돼지와 상이한 유전적 배경을 지닌 Landrace를 상호 교배하여 만들어진 79 개의 전형매 가계, 3 세대 집단 (총 1238 두)에 대하여 혈액의 생화학 지표 검사를 실시하고, 그 와 연관된 돼지 genome 상의 위치를 확인하고자 실시하였다. 형질의 측정은 F2 1106 두에 대해 실시하였으며, 140 일령에 채혈하고 20 가지 생화학 지표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QTL 추정을 위해 돼지 염색체 (Sus scrofa chromosome, SSC) 상에서 제주 재래돼지와 Landrace 특이 대립유전자를 갖는 Microsatellite (MS) marker를 170 여개 선발하고, 대립유전자형 분석과 연관지도를 작성하였으며, least squares interval mapping 방법을 이용한 GridQTL을 이용하여 QTL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9 개의 genome-wide significant QTL과 50 개의 suggestive QTL을 확인하였다. 특히, SSC 4 에서는 amylase (AMY)와 연관하여 99 cM (95% support interval : SW524-MP77)에서 4.4 %의 phenotype variance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mylase는 glycoside 결합을 maltose까지 가수분해하는 효소로 주요 생산 장기는 췌장 타액선이다. 혈중 낮은 amylase 농도는 대사 증후군, 당뇨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혈청과 요 내 amylase 활성 측정은 급․만성 췌장염의 진단 및 경과의 유일한 지표로 이용되므로,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유의적인 원인 돌연변이의 선발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Key words : 혈액 생화학 지표, Amylase, QTL, Sus scrofa, Genome-wide

PA11080 C2 유전자의 missense 돌연변이의 혈청 내 Ca++과의 연관성 분석이재봉1, 유채경1, 박희복1, 정은지1, 임현태2, 황정혜1, 김병우2, 이정규1,2

1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BK21), 2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돼지의 SLA class Ⅲ 영역은 65개의 유전자 좌위가 존재하며, 대다수가 HLA class Ⅲ와 일치하나 4개의 신규유전자가 SLA class Ⅲ에 존재한다. SLA class Ⅲ 영역에 존재하는 보체요인 유전자 C2, C4와 Bf 유전자는 항원항체 반응, 보체반응을 통해 외부 병원을 용해시키는 전통적인 체액성 면역 반응에 필수적인 유전자들이다. 특히 C2 유전자는 classical과 lectin pathway의 중요한 구성 요소이며 초기 활성 단계에서 주요 조절자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세균 감염에 대응하여 침입한 병원균을 감지하고 제거하는 첫 번째 방어기작 역할을 한다. 혈청 내 Ca++농도와 연관성이 있는 DNA 마커를 genome-wide 수준에서 선별하기 위하여 Illumina 사의 Porcine SNP 60K chip을 이용하여 한국재래돼지와 랜드레이스의 교잡축군 (526두)을 분석하였다. 또한 C2 유전자의 missense 돌연변이를 pyrosequencer를 이용하여 genotype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데이터를 Plink 프로그램을 통하여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GWAS)를 하여 7번 염색체상의 C2 유전자가 최고도의 유의성 (P= 1.40 × 10-9)을 보였다. 그러나 Plink에서 쓰인 linear 모델은 실험집단의 혈연관계를 전혀 고려하지 않고 F2를 혈연관계가 없는 독립적인 개체로 가정하여 분석한 결과로 보다 정확한 검증을 위하여 가계의 구조를 고려한 chromosome-wide의 2차 분석을 QTDT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Chromosome-wide 분석의 결과 Ca++의 평균 ± 표준편차는 12.5 ± 2.4 (N=410)이었으며, C2 유전자 내 missense 돌연변이의 Ca++에 유전 및 환경 분산 성분의 평가는 P = 4.00 ×10-28의 유의성을 보여 유전되어지는 형질로 인정되며, QTDT는 P = 1.60 ×10-4 (association), C2 유전자의 missense 돌연변이와 Ca++농도와의 연관검증은 P = 4.53 × 10-2 (linkage)로, 최종적으로 Ca++와 가장 높은 연관성을 보이는 것으로 추정되었다.Key words : SLA class Ⅲ, C2 유전자, Ca++, GWAS, chromosome-wide

PA11081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ransposable elements inserted into the coding sequences of horse genesKung Ahn1, Jin-Han Bae1, Gyu-Hwi Nam1, Kyung-Do Park2, Kyudong Han3,

Hong-Seok Ha1, Dae-Soo Kim4, Byung-Wook Cho5 and Heui-Soo Kim1

1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s, College of Natural Science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609-735, Republic of Korea, 2Department of Animal Life and Environment Sciences,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Anseong 456-749, Republic of Korea, 3Department of Nanobiomedical Science & WCU Research Center,

Dankook University, Cheonan 330-714, Republic of Korea, 4Genome Resource Center,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KRIBB), 111 Gwahangno, Yuseong-gu, Daejeon 305-806, Republic of Korea

5Department of Animal Science, College of Life Sciences, Pusan National University, Miryang 627-702, Republic of KoreaTransposable elements (TEs) are repetitive sequences dispersed throughout the mammalian genomesand occupy important genetic positions. They may cause harmful or beneficial effects such as exonization, polyadenylation and/or altering transcription rates in various vertebrate genomes. However, any study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s and horse genes has not been reported.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TEs inserted within horse genes. We collected the TEs inserted within mRNA genes to study the contribution of TEs in the horse genome. By screening abundance, distribution and orientation of TEs, we found that the majority of the TEs insertions belong to retroelements and DNA elements. Most of these elements exist within the coding sequences of the horse genes. An additional finding was that MIR, L1, L2, ERVL, and ERVL-MaLR subfamilies were the most abundant in both non-LTR elements and LTR elements. Retroelements (LTRs, LINEs, and SINEs) among the TEs inserted within the coding sequences show a preference for the antisense orientation. The most pronounced imbalance in insertional orientation was found in LINEs which contribute 40% of the TEs which are in the antisense orientation. Through these analyses, we identified that a total of 1310 TEs were integrated intothe horse mRNA genes and small fractions of them were exonized into coding sequences.Key words : Horse, Transposable elements (TEs), Retroelements, DNA elements.

- 78 -

PA11082 Effect of intramuscular fat on meat quality traits in Hanwoo

B.H Park1, S.H Lee1, H.C Kim1, Y.M Cho2, S.S Chang1, W.M Cho1, D Lim3,B.H Choi3, D Yoon4, S.J Oh3 and S.K Hong1

1Hanwoo Experiment stat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PyeongChang, Korea; 2Research Policy Bureau,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uwon, Korea; 3Animal Genomics & Bioinformatics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Suwon, Korea; 4Department of animal science, KyungBuk National University, SangJu, Korea

Effect of intramuscular fat on the chemical composition(moisture, protein content, cooking loss) and tenderness were investigated using carcasses of 90 Hanwoo(Korean cattle) steers. The Beef Marbling Standard(BMS) No and fat content, ranged from 1 to 7 and 5 to 32% in the M. longissimus thoracis, respectively. Moisture conten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crude fat content (r=-0.95, P<0.01). The marbling scor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rude fat content (r=0.55, P<0.001). On the other hand, a piecewise regression analysis provided that protein content was slightly decreased up to 20% of crude fat, which is corresponding to marbling score 6-7, and sharply decreased as the fat content increased. Cooking loss was also slightly decreased up to approximately 18% of fat content (marbling score 5) and markedly decreased with fat content increase. A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shear-force value and the fat content (r=-0.48, P<0.001). These results indicate that higher marbling Hanwoo beef (above approx 18-20%) would have an extremely lower protein content, which would be related to the lower cooking loss.

Key words : Intramuscular fat, moisture, protein content, cooking loss, piecewise regression

PA11083 한우 거세우 성장형질에 대한 환경효과 분석 이재구, 최태정, 권효중, 나승환, 나종삼1, 박병호, 오운용, 이승수, 정운영, 조광현, 최연호, 최유림, 최재관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1전북대학교본 논문은 한우 거세우 성장 형질에 대한 환경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진행하였다. 이 연구는 농협중앙회 한우개량사업소에서 후대 검정한 38차에서 47차까지의 거세우 1,838두의 성장형질과 도체형질 자료를 이용하였다. 성장형질은 18개월령 체척자료와 6개월, 12개월, 18개월, 24개월 체중을 이용하였고 도체형질은 축산물품질평가원 등급판정결과를 이용하였다. 각 월령별 체중에 대해서는 환경효과를 출생지, 후대검정차수로 하였고 공변량을 측정일령으로 하였다. 도체형질은 도축일을 고정효과로 도축일령을 공변량으로 하였으며 18개월 체척은 고정효과를 출생지, 후대검정차수로 하였고, 공변량을 18개월 체척측정일령으로 하였다. 24개월 체중에서는 출생지 환경효과가 유의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처음의 출생지는 다르나 한우개량사업소에서 일괄적으로 매입하여 사육했으므로 출생지 효과는 점차 떨어진 것으로 사료된다. 도체형질에서 도체중, 등심단면적, 육량지수, 등지방두께는 도축일과는 유의성이 있으나 도축일령 환경효과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근내지방도의 경우는 특이적으로 도축일령과 연관이 있었다. 체척형질은 흉심, 고장폭, 흉위에서 출생지효과가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 words : 성장형질, 체척, 도체형질, 체중, 환경효과

PA11084 한우 후대검정우 체중, 체위 및 도체형질간 상관분석 이재구, 나승환, 권효중, 나종삼1, 박병호, 오운용, 이승수, 정운영, 조광현, 최연호, 최유림, 최재관, 최태정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1전북대학교본 연구는 한우 성장형질간의 상관분석을 통하여 6개월, 12개월, 18개월, 24개월 체중, 일당증체량, 도체형질, 18개월 체형형질간의 성장단계별 형질간의 상관정도 변화를 파악하고 한우개량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하였다. 분석에 이용한 자료는 농협중앙회 한우개량사업소에서 후대 검정을 실시한 38차에서 47차까지의 거세우 1,838두의 체중과 체형형질을 이용하였고 도체형질은 축산물품질평가원의 등급판정결과를 활용 하였다. 각 성장형질간의 상관관계는 18개월 체중과 24개월 체중이 0.86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으며, 도축 전 생체중과 도체중간에도 0.92의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도체형질에서는 특이적으로 육량지수와 등지방두께는 -0.92의 부의상관을 보였다. 체형형질에서 십자부고와 체고는 0.89로서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흉폭과 흉심이 0.73의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었다. 체위 형질간 상관에서 요각폭에 대해 흉심과 흉폭이 각각 0.75, 0.74의 상관을 보였고 곤폭은 요각폭과 0.74의 상관을 보였다. 좌골폭은 각각 흉심(0.73), 흉폭(0.70), 요각폭(0.75), 곤폭(0.75)의 상관을 나타냈다. 본 논문의 결과는 표현형 상관만을 이용하였으며 실제 모수추정을 통해서 형질간 유전상관을 살펴보는 추가연구가 필요하다.

Key words : 성장형질, 체형형질, 도체형질, 체중, 일당증체량, 상관관계

- 79 -

PA11085 분만년,생년 및 산차에 따른 유성분과 체세포점수의 상관분석정운영, 조광현, 최연호, 최태정, 박병호, 이승수, 최재관, 오운용, 나승환, 최유림,권효중,이재구 최호성1

국립축산과학원, 1전북대학교본 연구는 2005년부터 2009년까지의 233,094두의 국내 젖소 검정자료를 이용하여, 산차에 의한 유량, 유지방, 유단백량, 무지고형분량이 어떤 분포를 형성하는지 알아보고, 각 유성분들 사이에 어떠한 상관이 있는지 알아 보기위하여 실시하였다. 먼저 산차별 단순상관을 실시한 결과 체세포 점수를 제외한 대부분의 형질간 상관은 고도의 양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하지만 산차수가 증가할수록 체세포 점수와 각유성분간 부의 상관이 증가하였다. 생년별 단순상관에서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계절별로도 상관이 거의 없었다. 또한 각각의 모델에서 독립변수를 생년으로 사용하였을 경우 생산형질간 잔차상관을 본 결과 유량과 유단백량의 상관은 0.94, 유량과 유지방은 0.73, 유량과 무지고형분량은 0.97로 고도의 양의 상관이 나타났으며, 유량과 체세포 점수는 -0.09의 부의 상관이 나타났다. 또한 유지방과 유단백질은 0.77 무지고형분량과 유단백량 간에는 0.95의 양의 상관이 있었으며, 유지방과 체세포점수, 유단백질과 체세포점수 사이에서는 약간의 부의 상관이 나타났다. 분만년을 동기그룹로 사용한 모델에서의 상관을 보면 유량과 유단백질 및 지방은 생년을 사용한 모델과 거의 비슷한 양의 상관을 보였고, 각 유성분과 체세포 점수의 경우 생년을 사용할 때보다 조금더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생년을 사용한 모델보다 분만년을 사용한 모델이 다소 선형적 상관이 높다고 할수 있다.

Key words : 체세포점수, 상관분석, 산차, 유성분, 잔차상관

PA11086 동기그룹 및 산차와 체세포점수에 따른 젖소의 유성분의 변화정운영, 조광현, 최연호, 최태정, 박병호, 이승수, 최재관, 오운용, 나승환, 최유림,권효중,이재구 최호성1

국립축산과학원, 전북대학교1

본 연구는 2005년에서 2009년까지 기록된 233,094개의 국내 젖소 검정자료를 사용하여 개체들의 생산형질에 대한 산차 및 계절별 추세를 알아보고, 생산형질에 영향을 미치는 두 가지 동기그룹의 차이를 추정하였다. 또 각각의 동기그룹과 산차, 체세포 점수에 따라 305일로 보정된 유량,유지방량,유단백량,무지고형분량이 어떠한 영향을 받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첫 번째 모델은 농장과 생년, 계절을 하나의 동기그룹으로 사용하였고, 두 번째 모델에서는 농장과 분만년, 계절을 또 하나의 동기그룹으로 사용하였다. 이 모델에서는 체세포 점수를 공변량으로 설정하였다. 먼저 동기그룹을 태어난 해 즉 생년으로 구성하였을 때 동기그룹과 산차 및 체세포 점수가 유량과 고도의 유의성을 보였고(p<0.001), 유단백질량, 무지고형분량, 유지방량에 있어서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01). 두 번째 동기그룹을 분만년으로 하였을 때에도 유량이 체세포점수 및 산차에 있어서 고도의 유의성을 보였고(p<0.001), 유단백질량, 유지방과 무지고형분량 또한 고도의 유의성을 보였다(p<0.001). 동기그룹별 모델에서는 Total Some of Squares 중 model이 차지하는 비율로 봤을 때 생년으로 동기그룹을 구성한 쪽이 다소 설명력이 높았다. 하지만 그 차이기 미미하기 때문에 유전능력평가 모델설정을 할 경우 생년과 분만년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큰 차이가 없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 words : 동기그룹, 체세포점수, 유성분, 산차, 생산형질

PA11087 Development of a Baculovirus based DNA Vaccine against Pandemic Influenza H1N1 2009

Jae Yoo Choi1, Hee-Jung Lee1, Yoon-Ki Heo1, Yeon Dong Cho1, Yongdae Kwon1, Jungeun Lee1, Young Bong Kim1*1Laboratory of Immunogenetics, Department of Animal Biotechnology,

College of Animal Bioscience and Technology, Konkuk University, Seoul 143-701, South Korea

Influenza viruses cause respiratory disease in humans and animals with high morbidity and mortality rates. In this study, we constructed baculovirus based influenza DNA vaccine(AcHERV-SH1N1). For vaccine efficacy test, C57BL/6 mice were injected intra-muscularly with 2X107particles of the AcHERV-SH1N1, with two boosts at 2-week intervals. Whole killed influenza vaccine(Greenflu®2ug,GREENCROSS) was used as a control. AcHERV-SH1N1 immune group induced high level of humoral immune response (IgG) with Greenflu®. And for challenge test, mice were intranasal challenged with pandemic H1N1 virus (A/California/04). Day 6 post-challenge,all of the mice immunized with PBS showed 100% lethal death. AcHERV-SH1N1 and Greenflu® immunized groups showed 80% solvability. This study supports that AcHERV-SH1N1 DNA vaccine can be a potential efficient prophylactic influenza vaccine.

Key words : Influenza virus, Baculovirus, DNA vaccine, Immunization, immune response

- 80 -

PA11088 조류 이종간 이식연구를 위한 공여체 꿩 성세포 특성강용준1, Nguyen Thanh Luan1, Haiha phamthi1,박해령1, 정동기1,2,3

1제주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동물생명공학전공, 2제주대학교 수의과학연구소, 3제주대학교 아열대생명과학 연구소멸종 위기의 조류들을 복원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방법들은 외국에서 몇 쌍씩 수입하여 보호시설에서 자연 교배(계절번식)를 통하여 수를 늘리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비용과 시간 그리고 급격한 근친으로 위한 많은 문제들이 파생되고 있다. 최근에 정원줄기세포를 이식하여 정자를 생산하는 기술들이 급격하게 발전하고 있으며, 그리고 이종 간 키메라에 대한 시도도 또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멸종조류의 계절번식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닭 또는 메추리 등을 주요한 수용체로 사용하여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야생 멸종 조류와 환경과 생리적 상황이 비슷한 제주 야생들꿩을 이용하여 정원줄기세포의 특성, 배양 양상 그리고 정자로의 분화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먼저, 기존의 정원줄기세포 배양 방법을 변형하여 배양을 실시하였으며, 줄기세포의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줄기세포, 성세포 마커를 통하여 검증하였다. 또한 RT-PCR를 통하여 분화와 성장 관련 유전자를 검증한 결과 본 세포 배양법이 효율적으로 정원줄기세포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양 양상을 살펴보면, 닭과 다른 배양 양상을 보여주고 있었으며, 줄기세포의 특성을 특이 마커를 사용하여 실험한 결과 본 연구에서 확립한 배양법을 통하여 효율적으로 분리 배양할 수 있음을 알았다. 세포 성장 분포와 세포 주기별 양상도 닭과는 약간 다른 형태를 보여 주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야생조류 성세포의 특성을 분석할 수 있었으며, 앞으로 진행할 정자분화 연구에 대한 기초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Key words : 꿩, 정원줄기세포, 이종간 이식, 정자분화

PA11089 정원줄기세포 이식법을 통한 줄기세포 특성 및 유전자 전이 닭 생산강용준1, 류재규5, 강태영3,4, Nguyen Thanh Luan1, Haiha phamthi1, 정동기1,2,3

1제주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동물생명공학전공, 2제주대학교 아열대생명과학연구소,3제주대학교 수의과학연구소, 4제주대학교 수의학과, 5축산과학원 동물바이오공학과

정원줄기세포(Spermatogonial Stem Cells)는 평생 동안 매일 정자 생산과 유전정보를 다음세대로 전달시키는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정원줄기세포는 다른 줄기세포와 마찬가지로 자가증식(Self-renewal) 능력과 분화(differentiation) 능력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조류에서의 정원줄기세포는 아직까지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아 연구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병아리의 정소 세포를 enzymatic 방법을 이용, 배양하였으며 그 결과 정원줄기세포를 확립하였다. 정원줄기세포를 확인하기 위해 germ cell을 염색하는 PAS 염색을 실시하였고, 줄기세포 marker SSEA-1, 3, 4, TRA-1-60, 81을 이용하여 줄기세포임을 확인하였다. 그 이후 RFP-BMP2 유전자를 정원줄기세포에 전이시켜 recipient 닭의 정소에 이식하여 recipient 닭이 성성숙이 된 이후에 정자를 추출하여 인공수정(Artificial Insemination)을 실시하였다. 그 중 형질전환 닭을 생산하는데 성공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조류에서 정원줄기세포를 이용하여 외래유전자를 다음세대로 전달이 가능함을 보였고, 앞으로 조류를 이용한 재조합 단백질 생산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 words : 정원줄기세포, 형질전환 닭, 인공수정

PA11090 Bovine Genome Resources Bank

Yu Mi Shin1, Eun Ju Lee2, Inho Choi1,2

Bovine Genome Resource Bank1 and School of Biotechnology, Yeungnam University2, Gyeongsan, Korea.

The "Bovine Genome Resource Bank (BGRB)" was established with the aim to collect and maintain a variety of precious genetic and informative resources for bovine genome research and the resources include genomic library, DNA samples from many cattle individuals, and eventually to construct a well-organized computer-assisted database. BGRB have material and immaterial resources related to bovine genome research. DNA, blood, serum, tissue, genomic library, and cDNA library are classified as material resources. All the above mentioned resources will be provided as per researchers requirement at anytime. 66 sera and 51,000 clones, and DNA were provided to researchers in 2010. BGRB will provide the useful tools for identifying the genes with economically important traits for the improvement of the cattle production in the future and descend the pure genetic resources of the Korean cattle to our next generation.

Key words: Bovine, DNA, Gene Library, Serum

- 81 -

PA11091 Gene Expression Profile of Myogenic Satellite Cells (MSCs) Differentiation into Myotube-formed Cells by Gender-specific Serum

Eun Ju Lee1, KangHoi Kwon1, Smritee Pokhare2, Abdul R. Bhat1, Inho Choi1,2,3

School of Biotechnology, Yeungnam University1 Gyeongsan, Republic of Korea, Department of Biotechnology, Yeungnam University2, Gyeongsan, Korea, Bovine Genome Resources Bank3, Gyeongsan, Republic of Korea.

Myogenic satellite cells (MSCs) are mononuclear progenitor cells in skeletal muscle and has been shown to possess multipotential capacity of forming myotube-formed, osteocytes, and adipocyte like cells. To understand the gene expression of MSCs differentiation into myotube by gender-specific serum, MSCs were isolated from bovine skeletal muscle and cultured in male, female, and castrated serum supplemented media and DNA microarray was performed with bovine related 24,000 oligo chip. Total 33, 34, and 21 genes were upregulated ( > 2 fold) in cells of male, female, and castrated serum supplemented media, respectively. Interestingly, 4, 11, and 4 genes were highly expressed only in male, female and castrated serum supplemented media, respectively. Thus, identification of the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in gender-specific serum will add information on the infrastructure of bovine genome research by gender-specific serum and provide insight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he molecular mechanism.

Key words: Myogenic Satellite Cell, Gender-specific serum, Differentiation, DNA microarray

PA11092 Analysis of Gene Expression during Preadipocyte Cell Differentiation

Eun Ju Lee1, Smritee Pokhare2, Abdul R. Bhat1, Majid R. Kamli1

, Inho Choi1,2,3

School of Biotechnology, Yeungnam University1 Gyeongsan, Republic of Korea, Department of Biotechnology, Yeungnam University2, Gyeongsan, Korea, Bovine Genome Resources Bank3, Gyeongsan, Republic of Korea.

The preadipocyte cells an differentiation forms adipocytes. To identify the fat type-specific adipogenic genes during bovine MSCs differentiation, total RNA was extracted from bovine preadipocyte and mature adipocyte, from Intramuscular fat (IMF), Abdominal fat (AF), and Subcutaneous fat (SF). DNA microarray analysis (24,000 oligo chip) was performed considering pre-adipocyte as control compared with mature adipocyte. In total 903 and 851 genes were upregulated in preadipocyte and mature adipocyte, (> 2 fold). 6, 12, and 3 genes were upregulated in IMF, AF, and SF of preadipocyte. Six, 4, and 1 genes were highly expressed in IMF, AF, and SF of mature adipocyte respectively (> 4 fold). This study may provide an insight for better understanding the molecular mechanism of differentiation of type-specific preadipocyte. The identified genes may be used as a marker to distinguish different fat types.

Key words: Pre-adipocyte, Differentiation, DNA microarray

PA11093 Comparison of gene expression for fatty acid esterification and oxidation among marbling groups insteers of Longissimus dorsi in Korean cattle

Jin Young Jeong and Myunggi Baik

Dept. of Molecular Biotechnology, Chonnam National Univ., Gwangju 500-757

Marbling or intramuscular fat (IMF) deposition in cattle is an important component of traits that influence meat quality variables including juiciness, tenderness, and taste. Marbling is determined by a balance between fat deposition and fat removal in Longissimus dorsi muscle (LM) tissue. To understand the underlying mechanism(s) responsible for accumulation of IMF, we compared the gene expression for fatty acid esterification and fatty acid oxidation among marbling groups in steers of LM tissues in Korean cattle. With increase in degree of marbling, mRNA levels of fatty acid esterification genes including glycerol-3-phosphate acyltransferase 1 (GPAT1),glycerol-3-phosphate dehydrogenase (GPDH), acylglycerol phosphate acyltransferase 1 (AGPAT1), diacylglycerol acyltransferase 1 (DGAT1), and diacylglycerol acyltransferase 2 (DGAT2) were increased in LM tissues of steers. In contrast, with increase in degree of marbling, mRNA levels of fatty acid oxidation genes including carnitine palmitoyl transferase 1B (CPT1B), very long-chain acyl-CoA dehydrogenase (VLCAD), medium-chain acyl-CoA dehydrogenase (MCAD),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3 (COX3),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6c (COX6c), and NADH dehydrogenase subunit 2 (ND2) were decreased in LM tissues of steers.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combined effects of increased fatty acid esterification and decreased fatty acid oxidation contribute to increasedaccumulation of IMF in steers of Korean cattle. Thus, genes of fatty acid esterification and of fatty oxidation could be used as positive and negative genetic markers, respectively, to predict marbling capacity.

Key words : Fatty acid esterification, oxidation, marbling, Korean cattle, steers

- 82 -

PA11094 Comparison of adipogenic and myogenic gene expression among marbling groups inlongissimus dorsi muscle in steers of Korean cattle

Jin Young Jeong and Myunggi Baik

Dept. of Molecular Biotechnology, Chonnam National Univ., Gwangju 500-757

Marbling or intramuscular fat (IMF) deposition in cattle is an important component of traits that influence meat quality variables including juiciness, tenderness, and taste. Castration improves marbling score and quality grade in Korean cattle. Transdifferentiation of myoblast into adipocyte has been implicated as one of mechanisms responsible for marbling. It has been suggested that adipogenicCCAAT/enhancer binding protein-alpha (C/EBPα) and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gamma (PPARγ) genes favor transdifferentiation of myoblast into adipocytes, whereas myogenic transcription factors, including myogenin, myogenic factor 5 (Myf5), and myogenic regulatory factors 4 (MRF4), are important for controlling skeletal muscle development and growth. We compared adipogenic and myogenic gene expression between bulls and steers and among marbling groups within steers in Longissimus dorsi muscle (LM) tissue of Korean cattle. Steers revealed higher mRNA levels of C/EBPα and PPARγ genes, and with increase in degree of marbling, mRNA levels of C/EBPα and PPARγ genes were increased in LM tissues of steers. In contrast, steers showed lower mRNA levels of Myf5 gene, and with increase in degree of marbling, mRNA levels of Myf5 gene were decreased in LM tissues of steers. Recently, wnt10 and β-catenin pathway has been associated with myogenesis. With increase in degree of marbling, mRNA levels of wnt10 and β-catenin genes were decreased in LM tissues of steers. Our study demonstrates that expression of adipogenic and some of myogenic genes is positively and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degree of marbling, respectively. These results imply that transdifferentiation of myoblast into adipocyte may contribute to marbling. Thus, genes of adipogenic and of myogenic factors could be used as positive and negative genetic markers, respectively, to predict marbling capacity.

Key words : Korean cattle, adipogenic, myogenic genes, marbling

PA11095 Estimation of effective population sizes (Ne) of Sapsaree dog using whole genome SNP panels

Mahboob Alam, Myung-Hee Jung, Jong-Joo Kim

School of Biotechnology, Yeungnam University, Gyeongsan, Gyeongbuk

The effective population size (Ne) of Sapsaree was estimated form the genomic data of 134 and 60 dogs using the Illumina Canine 20K and 170K chips, respectively. To do this, after deletion of SNPs with <5% minor allele frequencies and those not in Hardy- Weinberg equilibrium, a total of 17441, 89788 and 14055 markers were chosen from the 20K, 170K and a combined SNP data-set from both chips, respectively. R-square (r2), to measure linkage disequilibrium (LD), were calculated among the markers of data sets. The Ne was estimated either from each pair r2 measure or were regressed from all SNPs Morgan distances utilizing a non-linear model in SAS. The estimates of Ne for SNPs within 5 Mb flanking distances and across the whole chromosome lengths were obtained for all the data. The average Ne estimates observed within 5 Mb distances were 1486, 1025 and 1293 from 20K, 170K and combined data, respectively; whereas, for whole chromosome length, those were 313, 224 and 265 in the same order. However, the non-linear regression derived the higher Ne estimates compared to the each SNP pair wise Ne in all cases. Also, the population sizes of 245~286, 573~646 and 1126~1265 were calculated from the panel data which reflected the past effective population sizes at 20, 50 and 100 generations from the current population, respectively. Overall, a decrease in effective population size was observed in the experiment.

Key words : Effective population sizes, whole-genome SNP panel, Sapsaree

PA11096 Estimation of Genetic Parameters for carcass traits in Hanwoon using genome relationship matrix

Yi Li, Yun-Mi Lee, Myung-Hee Jung, Ji-Hong Lee, Jin-Ho Kim, Byung-Rae Park, Jong-Joo Kim

School of Biotechnology, Yeungnam University, Gyeongsan, Gyeongbuk; Gyeongbuk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Yeungju, Korea; Hanwoo Improvement Center of National Agricultural Cooperative Federation, Seosan,

Chungnam; Department of Genetic Epidemiology, SNP Genetics, Seou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genetic parameters for growth and carcass traits using genome-relationship matrix in Hanwoo. The Illumina bovine 50k SNP chips were used for SNP genotyping in an elite Hanwoo population comprising 61 sires and their 486 steers. Rather than exploiting conventional genetic relationships using pedigree information, genome relationship matrix were established by referring to the genome data with 395, 001 SNPs among the individuals. And then, variance components for weaning weight(WWT), 365-d yearling weight(YWT), carcass weight(CWT), backfat thickness (BFT), longissimusdorsimusclearea(LMA), and marbling score(Marb) were estimated using a REML methodology under the Animal Model. Heritability estimates were 0.21±0.12 for YWT, 0.02±0.09 for WWT, 0.16±0.11 for CWT, 0.69±0.12 for BFT, 0.54±0.13 for LMA, 0.54±0.14 for Marb. Our results indicate that even without pedigree information, whole genome association study can be conducted by exploiting genomic relationships among individuals to better estimate variance components for economically important traits in Hanwoo.

Key words : Hanwoo, genome relationship, parameter estimation, heritability, carcass traits

- 83 -

PA11097 Effect of Gender-Specific Adult Bovine Serum in Proliferation, Differentiation andTransdifferentiation of Myogenic Satellite cells

Jun Ho Lee1,4, Smritee Pokharel2, Eun Ju Lee3, Majid R. Kamli3, Inho Choi2,3,4

1Department of Animal Recourse, Daegu University, 2Gyeongsan, Korea, Department of Biotechnology, Yeungnam University, 3Gyeongsan, Korea, School of Biotechnology, Yeungnam University,

4Gyeongsan, Korea, Bovine Genome Resources Bank, Gyeongsan, Korea

Myogenic satellite cells (MSCs) are mitotically quiescent muscle precursor cells that posses the capacity of self renewal. These cells after activation enter the cell cycle and then either differentiate into myotubes or transdifferentiate into adipocyte-like cells (ALC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plore the effects of adult bovine male serum (MS), female serum (FS) and castrated male serum (C-MS) on MSCs proliferation, differentiation and transdifferentiation. MSC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was highest in the medium supplemented with MS. Myogenin and desmin were highly up-regulated in cells cultured in MS-supplemented medium. In contrast, lipid accumulation in ALCs was highest in the medium supplemented with FS. Detection of higher FAT/CD36 inducing fatty acids (arachidic acid and eicosapentaenoic acid) in FS compared with MS and C-MS suggests that these fatty acids may have influenced the enhanced formation of lipid droplets in ALCs. Concluding the above facts, the results indicate that each gender-specific bovine serum constitutes of different component, which leads to unique effects on cell behavior.

Key words: Myogenic satellite cell, Differentiation, Transdifferentiation, FAT/CD36,serum

PA11098 개의 고관절이형성증 조기진단을 위한 단일염기다형성 (SNP) 유전자 마커 개발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markers associated with hip dyspresia in dog)

김이경, 김재영, 김승창, 이승환, 김태헌, 성환후, 남상윤, 최봉환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동물유전체과, 충북대학교 수의과대학

개의 여러 유전질환은 근친교배율이 높아짐에 따라 생긴 결과이며 지금까지 개의 유전질환을 이용한 연구로는 왜소발육증(독일 세퍼트), 퇴행성 망막위축증(마스티프), 악성발열(전 품종)등으로 분자생물학적 기법을 통해 개발되어지고 있으며, 이중 고관절 이형성증은 특수 목적견이나 애견시장에서 대두되고 있는 중요한 유전질환중 하나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고관절이형성증을 조기진단 할 수 있는 유전자 마커를 개발하기 위해 개 22K SNP chip를 이용하여 고관절 이형성증에 대한 엑스레이 진단결과를 가지고 있는 레브라도 래트리버 48두의 혈액으로부터 Wizard Genomic DNA Purification Kit(Promega, Madison, WI, USA)를 이용하여 DNA를 추출하였으며, 전체 22,362개의 SNP 정보로 구성되어있는 Canine SNP20 Beadchip (Illumina, San Diego, CA, USA)를 이용, SNP 유전자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고관절 표현형 연관 QTL 검출을 위하여 고관절 표현형질에 대해서 각 SNP 마커를 R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한 회귀분석(single SNP regression analysis)을 통하여 고관절 표현형에 대한 SNP marker의 상가적효과(additive effect)를 평가하였다. 1차 분석 결과로 고관절 이형성증에 유의성을 가지는 SNPs를 4, 38번, X 염색체에서 각각 11, 4, 10, 개씩 총 25개를 발굴하였다(genome-wise P<0.001).

Key words : SNP, 개 고관절 이형성증

PA11099 Expression of Recombinant Staphylococcal enterotoxin A gene and its Antibody Production in Laying Hen

Jin Hwan An, Kyung Min Jung, Sang Rae Lee, Jung Woo Kim

Dept. of Animal Science and Resources, College of Bio-Resource Science, Dankook University, Cheonan, Korea 330-714, The National Primate Research Center (NPRC),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KRIBB)

Staphylococcal enterotoxin A (SEA) is an exotoxin excreted mainly by Staphylococcus aureus and nowadays is the most prevalent compound in staphylococcal food poisoning worldwide. In this study, the SEA gene (776bp) was cloned by PCR with genomoic DNA of S. aureus (ATCC 13883) and was recombinated into the pGEX 4T-1 expression vector. Firstly, the GST-fusion SEA recombinant protein was used to raise antiserum in mice. The antiserum reacted in western blot with a 29.8 kDa of SEA. Secondly, the recombinant protein(rDNA antigen) was immunized to laying hen and the antibody titers against SEA were tested. It was observed that the antibody titers both in serum and egg yolk of laying hen 2-3 weeks after the immunization with recombinant antigen. At the time of 6 weeks, the titers of antibody in serum and yolk were increased up to 256,000 and 270,000 respectively. According to results of immuno-specificity test, the chicken egg yolk antibody(IgY) against rDNA antigen strongly reacted with Staphylococcus aureus(SEA).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recombinant SEA could be used as an immunogen to produce antibody (IgY) against SEA-inducing food poisoning.

Key words : Staphylococcal enterotoxin A(SEA), recombinant SEA antigen, Immune response, IgY Production

- 84 -

PA11100 Power of variance component linkage analysis to map quantitative trait loci

Hee-Bok Park1,2, Kang-Nyeong Heo3, Jung-Gyu Lee1,2, Jun-Heon Lee4

1Animal Science Major, Division of Applied Life Science (BK21 program), 2Institut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3Poultry Science Division, NIAS, RDA, 4Department of Animal

Science and Biotechn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A crucial first step in the planning of any scientific experiment is to evaluate an appropriate sample size in order to accomplish sufficient power (i.e., 1-beta; beta is the probability of a false-negative error) to detect the desired effec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optimal sample size of QTL linkage analysis for simple random sibship samples, under the variance component framework using analytic power equations implemented in the genetic power calculator program (Purcell et al., 2003). In the program, equations are derived for power required to achieve a given sample size in variance component linkage analysis of a quantitative trait in random sibship data. For simplicity, an additive model, comprising effects due to a single QTL, shared residual variance, non-shared residual variance, and recombination fraction, is taken into account. Equations are given relating sample size to heritability attri-butable to a QTL for nuclear families. Comparative power curves will be presented for various sibships size.

Key words : power, variance component, linkage, QTL, sample size

PA11101 돼지 정소세포내 정원줄기세포 분화 유도를 위한 3D 배양법Haiha phamthi1, 강용준1, Nguyen Thanh Luan1,박해령1, Ina Dobrinski4, 정동기1,2,3

1제주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동물생명공학전공, 2제주대학교 수의과학연구소,3제주대학교 아열대생명과학 연구소, 4캘거리대학 수의과대학

생쥐와 랫의 전체 정소 세포 중에서 줄기세포가 차지하는 비중은 0.03~0.2%이다. 돼지의 경우도 비슷한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최근 돼지의 경우는 형질전환동물 생산과 생리활성연구 그리고 이종 간 이식실험을 위하여 매우 중요한 가축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돼지 정원줄기세포에 관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중에서 정소를 배양액 상태에서 3D 형태로 배양하는 기술 또한 줄기세포의 분화 양상 및 돼지의 정소발달을 관찰 하여 타 가축과의 차이점 규명할 수 있는 좋은 연구 방법이다. 그래서 본 연구는 기존의 3D 배양 방법을 연구목적에 맞게 개량하여 정소 내 세포의 배양 양상과 분화 그리고 노화 형태를 관찰하였다. 그리고 정소 3D 배양 후 분리한 세포에서 일반 배양법과 비교하여 분화능이 증가됨을 관찰 할 수 있었다. 배양을 실시한 후 효소법을 통하여 처리한 후 성세포의 비율을 조사한 결과 대조구에 비하여 높은 비율의 성세포 분리효율을 얻을 수 있었다. 그리고 정원줄기세포 이외의 세포의 배양 양상도 관찰 할 수 있는 실시간 방법도 또한 3D 배양법을 통하여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시험관내에서 정원줄기세포의 정자 직접 분화법을 확립하는데 매우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 words : 꿩, 정원줄기세포, 이종간 이식, 정자분화

PA11102 Characterization of EB mediated differentiation using chicken testicular cells

Thanh Luan Nguyen1, HaiHa PhamThi1, Yong Jun Kang1, Dong Kee Jeong1,2

1College of Applied Sciences, JejuNationalUniversity,Jeju,SouthKorea2Research Institute of Subtropical Agriculture and Biotechnology, Jeju National University

Spermatogonial stem cells (SSCs) have the capability to self-renew and to revert spontaneously back to pluripotent embryonic stem (ES)-like cells have the capacity to give rise to all kinds of cells of the body. In addition, the in vitro differentiation system from SSCs into derivatives of three germ layers will serve as a powerful tool and resource for the investigation of mammalian development, cell function, tissue repair, and drug discovery. In recent study, we have successfully isolated chicken SSC from the testicular cells and identified pluripotent cells by investigation with cytochemical reagents including periodic acid-Schiff (PAS), alkaline phosphatase, antibodies to stage-specific embryonic antigens (Oct4, SSEA1, SSEA3, SSEA4, and STRA 1-60, STRA 1-81). Using suspension culture condition, we found that pluripotent colonies have spontaneously differentiated into three embryonic germ layers in vitro to prepare for ability differentiation into cell types. Under differentiated condition, embryoid body (EB) derived from SSC, propagated and differentiated into cell types of mesoderm layer including osteoblasts, adipocytes and specific into spontaneously cardiomyocytes, which can be visualized by the appearance and markers. In conclusion, SSCs could be used as a new source to differentiate into much kind of different cell types of three germ layers and it opens new trend for potential stem cell therapies

Key words : Spermatogonial stem cell, differentiation, embryonid bodies, osteoblasts, adipocyte, cardiomyocyte.

- 85 -

PA11103 Efficient cardiac induction of chicken spermatogonial stem cells

Thanh Luan Nguyen1, HaiHa PhamThi1, Yong Jun Kang1, Sung Jin Lee3, Dong Kee Jeong1,2

1College of Applied Sciences, JejuNationalUniversity,Jeju,SouthKorea2Research Institute of Subtropical Agriculture and Biotechnology, Jeju National University

3Department of Animal Biotechnolog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umulative experiments have illustrated that multipotent adult germline stem cells (maGSCs) have been successfully established and show phenotypic characteristics similar to embryonic stem cells (ESCs). As such, this would be an ideal cell source for stem cell–based regenerative therapy which is a promising approach for the treatment of heart failure. In the present study, we successfully isolated chicken spermatogonial stem cells (SSCs) and identified pluripotent cells by investigation with cytochemical reagents including periodic acid-Schiff (PAS), alkaline phosphatase (AP), and antibodies to stage-specific embryonic antigens (Oct4, SSEA1, SSEA3, SSEA4, STRA 1-60, and STRA 1-81). Our results show that maGSCs highly express these markers related to ESCs and could spontaneously differentiate into three embryonic germ (EG) layers in vitro. The maGSC-derived cardiomyocytes expressed some cardiac-specific markers such as sarcomeric alpha actinin, conexin-43 and cardiac troponin T. Furthermore,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results indicated these genes related to cardiac transcription factors were expressed following differentiation. Our results contribute information related to the ability of maGSCs to differentiate into cells such as contraction cardiomyocytes similar to ESCs providing a new source of distinct cardiomyocyte types for basic research and potential therapeutic application.

Key words : Spermatogonial stem cell, chicken germ cell, cardiomyocyte differentiation.

PA11104 Induction of synergistic tolerance in cells from human FasL transgenic pig co-cultured with dexamethasone-treated human dendritic cells

In Kyu Lee1, Young Min Son1, Chae Won Kwak1, Young Jun Ju1, Lee Hwi-Cheul2,Woo Jae-Seok2, Jae Goo Seol3 and Cheol-Heui Yun1,*

1Department of Agricultural Biotechnology and Research Institute for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2Animal Biotechnology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3MGEN, Inc.

In general, it has been accepted that xenotransplantation may provide a solution to the increasing shortage of donor organs. Hyperacute rejection has been overcome by the depletion of α-gal epitope (Galα1-3Galβ1-4GlcNAc-R). However, acute vascular rejection and cell-mediated rejection remain to be the primary hurdles in order to achieve successful xenotransplantation. Therefore,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whether pig cells over-expressing human FasL was able to induce tolerance to human immune cells (hICs) causing cell-mediated rejec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ig cells over-expressing human FasL induced apoptosis to hICs. It appeared that human CD4+ T cells were more susceptible to FasL than other subtypes at early time point (2 hrs). It has been proven that tolerogenic dendritic cells (tDCs) have regulatory roles including suppression of CD4+ and CD8+ T cells. Thus, we produced human tDC (htDCs) by dexamethasone (DXM) treatment and examined the impact of tolerogenic capacity of htDC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xpression CD80, CD86 and HLA-DR on and the secretion of IL-12p70 and TNF-αin DXM-treated DC was reduced while IL-10 production increased. These data suggest that hFasL over-expressing pig cells together with htDCs could have synergistic effects to induce tolerance in hICs.

Key words : Xenotransplantation, FasL, Apoptosis, tolerogenic, dendritic cells, Dexamethasone

PA11105 The programmed necrosis induced by ginsonoside, Compound K

Chae Won Kwaka, Young Min Sona, In Kyu Leea, Young Jun Jua, Sun Kwang Songa, Sang Yun Jia,b, Deok-Chun Yangc, Cheol-Heui Yuna,*

aDepartment of Agricultural Biotechnology and Research Institute for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bAnimal Nutrition & Physiology Team,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cKorean

Ginseng Center and Ginseng Genetic Resource Bank, Kyung Hee University

Compound K (CK) is known to be an intestinal bacterial metabolite at final stage of the ginseng saponin (Panax ginseng). It was recently shown that CK inhibited the growth of cancer cells including hepatocellular carcinoma and gastric carcinoma however, the mechanism has yet to be known.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1) whether CK can induce cell death, (2) if it does, what type of death occurs, and finally (3) what kind of molecules are involved in this action. Our results showed that CK inhibited proliferation of MCF-7 in a time- and dose-dependent manner. Indeed, CK at 70 μM induced programmed necrosis, not apoptosis, in MCF-7 via Wnt/β-catenin pathway. CK activated Gsk3β and subsequently decreased the expression of β-catenin and Cyclin D1 level. Furthermore, CK induced increase of PARP1 expression and it is intriguing to note that PARP1 is activated in programmed necrosis, but not activated and cleaved in apoptosis. The result also indicates that CK induced the release of apoptosis-inducing factor (AIF) from mitochondria. It has been known that cleaved AIF (tAIF) translocates into the nucleus and induce programmed necrosis. Collectively,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CK induced programmed necrosis via Wnt/β-catenin and AIF pathways.

Key words : Ginsenoside, Compound K, Programmed necrosis

- 86 -

PA11106 Characterization of Gender-Specific Bovine Serum

Smritee Pokharel1, Eun Ju Lee2, Abdoul R. Bhat2, Majid R. Kamli2, Inho Choi1,2,3

Department of Biotechnology, Yeungnam University1, Gyeongsan, Korea, School of Biotechnology, Yeungnam University2, Gyeongsan, Korea, Bovine Genome Resources Bank3, Gyeongsan, Korea.

Adult bovine serum contains a variety of nutrients including inorganic minerals, vitamins, salts, proteins, lipids as well as growth factors that promote animal cell growth. To evaluate the potential use of gender-specific bovine serum (GSBS) for cell culture, biochemical properties of male serum (MS), female serum (FS) and castrated-male serum (CMS) were investigated. Overall, chemical profile of GSBS was similar to that of bovine references except for glucose, cholecystokinin, lactate dehydrogenase and potassium. FS showed elevated total protein and sodium concentrations compared to MS and CMS. Proteins present in MS, FS and CMS were selected by two-dimensional gel electrophoresis and identified by peptide mass fingerprinting. Some identified proteins are known to be involved in immune responses. Moreover, it was found that proteins such as alpha-2 macroglobulin appeared to be gender-specific with higher contents in FS. Insulin and testosteron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S, and 17ß-estradiol and estrone were higher in FS, as compared to the other sera. Taken altogether, each GSBS has a different ratio of components and these ratios may affect cell cultures in a different manner and could be beneficial, depending on the specific aim of cell cultures.

Key words: Adult bovine serum, Serum proteins, Cell culture

PA11107 Porcine LMNA is a positional candidate gene associated with growth and fat deposition

Bong-Hwan Choi, Sang-Wook Kim1, Kwan-Suk Kim1, Seung-Hwan Lee, Jun-Heon Lee2 and Tae-Hun Kim

Animal Genomics & Bioinformatics Division, 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RDA, Omockchun-dong, Suwon 441-706, Korea, 1Department of Animal Scienc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eongju 361-763, Korea

2Division of Animal Science and Resource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305-764, Korea

Crosses between Korean and Landrace pigs have revealed a large quantitative trait loci (QTL) region for fat deposition in a region (89 cM) of porcine chromosome 4 (SSC4). A region in the human genome that corresponds to the porcine QTL region was identified in HSA1q21. Furthermore, the LMNA gene, which is tightly associated with fat augmentation in humans, was localized to this region. Radiation hybrid (RH) mapping using a Sus scrofa RH panel localized LMNA to a region of 90.3 cM in the porcine genome, distinct from microsatellite marker S0214 (87.3 cM). Two-point analysis showed that LMNA was linked to S0214, SW1996, and S0073 on SSC4 with logarithm (base 10) of odds scores of 20.98, 17.78, and 16.73, respectively. To clone the porcine LMNA gene and to delineate the genomic structure and sequences, including the 3'untranslated region (UTR), rapid amplification of cDNA ends was performed. The coding sequence of porcine LMNA consisted of 1719 bp, flanked by a 5’UTR and a 3'UTR. Two synonymous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were identified in exons 3 and 7. Association tests showed that the SNP located in exon 3 (A193A)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weight at 30 weeks (p<0.01) and crude fat content (p<0.05). This association suggests that SNPs located in LMNA could be used for marker-assisted selection in pigs.

Key words : LMNA, SSC4, linkage mapping, QTL mapping, pig

PA11108 한우 당대검정 탈락축의 산육능력 향상에 관한 연구남상일1, 김형철1, 이창우2, 박병기3, 이상민1, 권응기1, 임석기1, 전기준1, 박연수2, 이승환1, 홍성구1

1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2강원도축산기술연구센터, 3강원대학교본 연구는 당대검정에서 탈락된 한우의 산육능력 및 육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거세를 시키고, 비육우로써의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지방산 혹은 아미노산을 추가적으로 공급할 경우 개별 이용보다는 병행 이용 시 상호작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점을 이용하여 아미노산이 강화된 반추위 보호지방산을 급여하여 산육능력, 도체 및 육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당대검정 탈락축은 생후 14개월령에 거세를 실시하였고 생후 27개월령에 도축하였다. 반추위 보호지방산의 급여가 배최장근단면적, 등지방두께, 육색, 지방색, 조직감 및 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은 없었으나 육량 A등급 및 육질 1등급 이상의 고급육 출현률은 대조구에 비해 높은 경향이었다. 따라서 거세, 적정 사료급여 관리 및 반추위 보호지방산의 급여는 당대검정 탈락축의 산육능력 및 육질등급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Key words : 한우, 당대검정, 아미노산, 도체형질

- 87 -

PA11109 한우 육질 및 맛관련 형질의 유전력 및 유전상관분석이송, 김형철, 이승환, 최정남, 남상일, 박보혜, 홍성구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한우시험장본 연구는 국립축산과학원 한우시험장 보유 축군중 1990년부터 2008년까지 혈통자료 5,743두 및 한우 육질(근내지방, 등지방, 조지방함량) 및 연도(다즙성, 연도 및 풍미)관련 형질을 보유한 981두의 자료를 이용하여 유전모수와 육종가를 추정하였다. 현재까지 한우의 육질관련한 유전력 및 유전상관에 대한 보고는 다수 있었지만, 연도와 관련한 유전력 및 유전모수는 보도된바가 없다. 단형질 분석을 통한 육질형질의 유전력 추정치는 조지방함량, 근내지방도, 등지방두께, 배최장근단면적, 냉도체중에서 각각 0.31, 0.29, 0.42, 0.33, 0.66이었으며, 연도관련 형질중, 다즙성, 연도 및 풍미는 각각 0.15, 0.17, 0.17로 육질형질에 비해서 유전력이 현저히 낮게 나타났다. 다형질모형을 이용한 유전상관추정결과, 조지방함량과 근내지방도는 0.87로 매우높은 유전상관을 보였고, 등지방두께와는 0.1, 그리고, 냉도체중 및 배최장근단면적과는 각각 -0.19 및 -0.1로 부의 유전상관을 보였다. 또한 육질형질과 맛관련형질과의 유전상관은 조지방 과 다즙성, 연도 및 풍미에서, 매우 높은 0.65, 0.65 및 0.91로 매우 높은 유전상관을 보였다. 그러나, 도체중 및 배최장근단면적은 맛관련형질과 부의 유전상관을 보였다(도체중vs다즙; -0.98, 도체중vs연도; -0.20 및 도체중vs풍미 -0.08). 본 연구는 한우의 근내지방중심의 육종목표는 한우육의 풍미, 연도 및 다즙을 함께 높이는 매우 강한 간접선발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 words : 한우 조지방, 근내지방, 다즙, 연도, 풍미, 단형질모형, 다형질모형

PA11110 한우암소 초음파생체단층촬영 형질에 대한 유전모수 추정박성식, 이준호, 조충일, 이득환

국립한경대학교본 연구는 한우 암소를 대상으로 한 초음파 측정 도체형질(배최장근단면적, 근내지방도, 등지방 두께)의 유전적 변이 및 형질간의 유전적 관련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분석에 이용된 자료는 2002년부터 2010년까지 안성시를 포함한 전국 시도에 사육되고 있는 15개월령 이상 암소 20,453두의 초음파 측정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임신유무, 임신개월 및 개체의 나이가 초음파 측정형질에 영향을 미치므로, 신체충실지수 및 월령에 대해 사전보정을 실시한 후, 다형질 동물개체모형을 설정하여 유전분석을 실시하였다. 고정효과로는 농가효과 및 연도-계절효과를 분류형 효과로 가정하였고 초음파 측정시 흉위 측정치를 1차항 및 2차항 공변이로 가정하여 모형에 적합시켰으며, 임의효과로 개체의 상가적 효과 및 임의오차를 모형에 포함하여 각 형질별 유전모수를 추정하였다. 유전모수 추정 결과로 초음파 배최장근단면적, 등지방두께 및 근내지방도에 대한 유전력은 각각 0.23, 0.51 및 0.40로 나타났으며, 형질간의 유전상관은 배최장근단면적과 등지방 두께에서 0.41, 배장근단면적과 근내지방도에서 0.47, 등지방두께와 근내지방도에서 0.36으로 나타났다.

Key words : 한우암소, 초음파, 생체단층촬영, 유전모수, 유전상관

PA11111 한우 암소 도체형질 유전능력 평가 시 사육농가 효과의 처리이창우, 전기준1, 김형철1, 김종복2

강원도축산기술연구센터, 1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2강원대학교본 연구는 육질 평가형질(carcass traits)인 도체중(cold carcass weight), 등지방두께(backfat thickness), 등심면적(eye-muscle area) 및 근내지방도(marbling score)에 대한 유전모수(genetic parameters) 및 한우 암소번식우(Hanwoo breeding cow)의 육종가(breeding value) 추정에서 사육농가(fattening farm)가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모델1은 도축장소-도축년도-도축월을 동기우 그룹(contemporary group)으로 형성한 고정효과(fixed effect)로 그리고 상가적 개체 유전 효과(animal additive genetic effect) 를 임의 효과(random effect)로 포함시켰고, 모델 2는 모델 1에 사육농가의 효과(fattening farm effect)를 임의 효과(random effect)로 추가하였으며, 모델 3은 모델 1에 사육농가의 효과(fattening farm effect)를 고정효과(fixed effect)로 추가하였다.각 모델을 적용해서 실시한 분석결과를 비교한 결과 모델 1에 비해 사육농가의 효과를 포함한 모델 2나 모델 3에서 모든 형질의 유전력 추정치가 작았는데 특히 도체중에서 유전력 크기의 감소가 더 심했으며, 사육농가를 포함한 모델 2나 모델 3의 우도함수 값(maximum log Likelihood)이 사육농가를 포함하지 않은 모델 1 보다 더 컸고, 사육농가의 효과를 임의효과로 적합시킨 모델 2에서 사육농가의 분산은 형질에 따라 최대 18%(도체중)에서 최하 4%(등심면적)의 범위로 추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한우 암소의 도체형질(carcass traits)개량을 위한 목적으로 육종가(breeding value)를 추정할 때 분석모형(analytical model)에 사육농가의 효과(fattening farm effect)를 포함시켜야 함을 시사한다.

Key words : 한우, 암소, 도체형질, 농가효과, 육종가, 유전력

- 88 -

PA11112 칡소의 모색발현 양태와 성장특성에 관한 연구이창우, 박연수, 황환섭, 유재원, 전기준1, 김형철1, 김종복2

강원도축산기술연구센터, 1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2강원대학교본 연구는 칡소의 모색발현 양태와 성장특성을 조사하여 칡소의 성장능력 개량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칡소의 산업적 활용도를 높이고자 실시하였다. 칡소 모색발현과 성장특성 조사를 위해 공시된 재료는 강원도 축산기술연구센터에서 2006년부터 2010년까지 출생한 칡소 72두에 대한 모색발현 양태 및 체중 측정 자료이다.칡소의 모색 양태는 12개월령에 모색에 발현에 따라 3단계로 구분하였다. 모색이 황색으로 발현된 개체는 1단계, 부분적으로 검은 줄무늬가 발현된 개체는 2단계, 전체가 검은 줄무늬로 발현된 개체는 3단계로 구분하였다. 조사 결과 1에서 3단계로 발현된 비율은 각각 39%, 11%, 및 50%로 조사 되었다.모색의 발현 양태에 따라 성장특성에는 유의적인(p<0.05)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모색 발현 1단계에서 3단계까지 성장형질을 보면 생시체중이 각각 25.2kg, 22.8kg 및 24.6kg으로, 이유시체중은 각각 778kg, 72.1kg 및 74.1kg으로, 6개월령 체중은 131.9kg, 136.0kg, 121.7kg으로 조사되었다. 칡소 성별 생시체중은 각각 22.5 및 25.3kg이었고, 90일령 이유시 체중은 각각 67.9kg 및 78.8kg 이었으며, 6개월령 체중은 각각 108kg 및 151kg 조사되었다.

Key words : 칡소, 모색발현, 성장특성

PA11113 Development of a comprehensive high resolution genotyping method for SLA-DQA usinggenomic DNA PCR and direct sequencing

Le Minh Thong, Hojun Choi and Chankyu Park

Department of Animal Biotechnology, Konkuk University, Seoul 143-701, Korea

The determination of the genotypes of MHC genes is very important for organ transplantation, biomedical studies and animal bree-dings. In this study, we report an effort to enable simple and comprehensive high resolution genotyping for SLA-DQA genes, encodingfor part of the antigen binding groove on MHC class II molecular of pig. Our study conducts a strategy combining PCR using genomic DNA and direct sequencing. We cloned and analyzed partial sequences of introns 1, 2 and exon 3 from 8 SLA-DQA alleles. The understanding of the nucleotide variations allowed us to evaluated the conserved regions and designed a set of primers which can specifically amplify as well as obtain sequences all known SLA-DQA alleles. We genotyped 85 animals and identified 16 DQA alleles including 2 new ones. The reliability and accuracy of method were evaluated. We identified 40 different genotypes from this study and the level of heterozygosity was 71%. We expect that our method can be used widely in the field of SLA genotyping and contribute to our knowledge about polymorphism, function and importance of SLA in porcine immunogenetics.

Key words : direct sequencing, DQA, genotyping, PCR, swine leukocyte antigen

PA11114 모의실험을 통한 유전체 선발의 정확도 연구이준호, 조충일, 박성식, 이득환

한경대학교유전체 선발 방법을 적용하여 가축의 유전체 육종가 추정시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그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유전체 육종가 추정치에 영향하는 요인으로써, 형질에 관여하는 양적형질좌위 밀도(5cM,1cM), 유전력(0.1, 0.5), 표지인자밀도(0.5cM, 0.1cM) 그리고 유전체 정보와 표현형 자료를 가지고 있는 참조집단의 크기를(400두, 2000두) 각각 다르게 설정하여 모의자료를 생성하고 다수의 유전체 육종가 추정방법(8종류)을 적용하여 유전체 육종가를 추정하였으며, 참육종가와의 상관 비교로 정확도를 계산하였다. 모의실험자료는 서로 길이가 다른 3쌍의 염색체만 존재한다고 가정하였으며, 표지인자는 균일하게, QTL은 임의로 위치시켰다. 임의 교배로 수컷과 암컷의 비율은 각각 0.5이며, Marker는 2.5*10-3, QTL는 2.5*10-5

의 확률로 돌연변이를 발생시켰고, 감마분포(scale=1.66,shape=0.4)에서 임의값을 발생시켜 양수와 음수 각각 0.5의 확률로 QTL효과를 생성하였으며 교차는 Haldane's 계산에 의해 Hardy-Weinberg 평형집단(Ne=100)으로서 1000세대까지 성장시켰다. 유전체 육종가의 추정은 기존의 혈통자료를 이용하는 BLUP 방법보다 높은 정확도를 보였으며, 특히 표현형이 없이 유전체 정보만을 가진 개체에서도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정확도는 유전력과 참조집단의 크기 및 표지인자 밀도에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 양적형질좌위의 밀도는 유전력이 낮을 경우 정확도를 감소시키며 유전력이 높을 경우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방법론별 정확도는 BLUP, Bayes A, Bayes B계열, Bayes C계열 순으로 나타났다.

Key words : Genomic selection, Bayesian, Simulation, EBV Accuracy

- 89 -

PA11115 Bayes Cpi 방법을 이용한 Landrace 종축의 유전체 육종가 추정이준호, 조충일, 박성식, 이득환

국립한경대학교동물의 유전체 정보를 이용한 육종가 추정에 있어서 Bayesian 추론방법인 Bayes Cpi방법을 이용하여 Landrace 순종 종축의 유전체 육종가를 추정하고 추정된 표지인자별 유전효과를 기존의 혈통을 이용하여 추정한 육종가와 비교·분석하여 유전체 정보 활용 육종가 추정치의 정확도를 알아보았다. 본 분석에는 모돈 및 웅돈 225두로부터 Illumina PorcineSNP60 chip을 이용한 SNP 분석자료와 집단 전체의 번식 및 검정자료를 수집하여 이용하였으며, 통계분석으로써 산육형질은 환경요인들에 대한 보정을 실시한 후의 관측치를 종속변수로 각 표지인자들의 효과를 추정하였고 번식형질의 경우 환경요인 및 유전요인을 포함한 통계분석에서 추정된 육종가를 종속변수로 가정하여 각 표지인자별의 유전효과를 추정하였다. SNP자료의 경우, 62,163개 표지인자의 유전자형 분석 결과, 염색체상의 위치가 확인되지 않은 표지인자, 결측률 10%이상, 다형성이 없는 표지인자, 모두 이형인 표지인자를 제외한 후 35,358개의 표지인자를 본 분석에 이용하였다. F검정을 통한 표지인자 효과의 유의성(p<0.001)을 확인한 결과 등지방두께에서 57개, 90KG도달일령에서 159개, 일당증체량에서 207개, 생존산자수에서 532개, 총산자수에서 748개의 표지인자가 형질에 매우 유의적으로 영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전체 정보를 이용하여 추정된 육종가와 혈통정보를 이용하여 추정된 육종가간의 상관을 계산한 결과, 생존산자수와 총산자수에서 각각 0.998, 0.953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등지방두께, 일당증체량 및 90kg 도달일령에서는 각각 0.437, 0.500, 0.557로 낮게 나타났다.

Key words : Genomic selection, Bayesian Inference, SNP, Landrace

PA11116 Development of LEE’s Animal Genetic Evaluation Tool(LAGET) Kit for animal breeding

Deukhwan Lee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A novel computer program package was developed which aid to genetic evaluation for animal breeding using FORTRAN95. The strategy of programming skill was taken to enable to estimate direct genetic effects for any number of traits simultaneously with any kind of genetic model(Animal model, Sire model and MGS model etc). Within this package, several modules were included which were 1) module for type definition with declaration of global variables, 2) module for input and output interpretation, 3) module for encoding parameters on given model, 4) module for renumbering source information using link-list technique, 5) module for mixed model equation using sparse hashing tool, and 6) module for solving mixed model equation with sparse matrix. Memory utilizing and computing time were optimized. Running this package was simply executed by one-step batch job for getting the estimated breeding values and selection index with economic values by denoted user’s parameters. Further development should be needed to enable to estimate genetic parameters and breeding values for longitudinal and/or categorical data.

Key words : computer package, FORTRAN95, sparse matrix, hashing technique, genetic evaluation, multitrait animal model

PA11117 Identification of Creatine Kinase by exercise effect in horses

Jin-Han Bae1, Kung Ahn1, Gyu-Hwi Nam1, Kyoung-Tag Do2, Kun Wang2,Kyung-Do Park3, Hak-Kyo Lee3, Heui-Soo Kim1, Byung-Wook Cho2

1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s, College of Natural Sciences, Pusan National University,Busan 609-735, Republic of Korea

2Department of Animal Science, College of Life Sciences, Pusan National University,Miryang 627-702, Republic of Korea

3Department of Animal Life and Environment Sciences, Hankyong National University,Anseong 456-749, Republic of Korea

The horse CK (Creatine Kinase) gene encodes creatine kinase which is an enzyme conversed creatine to phosphocreatine. CK regulates energy preservation for rapid regeneration of ATP and for maintenance of energy balance in the cell. Commonly, creatine kinase has been reported that is dominantly expressed in skeletal muscle, smooth muscle and brain tissue and presented in most of tissues. Generally, CK isoforms (CKM, CKB, CKMT) have been known that existed in brain, muscle, mitochondria of vertebrate. In this study, we were performed to comparison of the creatine kinase enzyme level between exercised and non-exercise horse blood for whole blood composition analysis. The creatine kinase enzyme showed highly levels in exercised horse blood. We identified isoforms of CK was very highly conserved in vertebrate by bioinformatics tool.

Key word : Creatine kinase, Isoform, Whole blood composition analysis, Bioinformatics

- 90 -

PA11118 국내 진양호 지역에서 서식하는 수달(Lutra lutra)의 mitochondrial DNA의 염기서열을 이용한 계통유전학적 유연관계 분석 및 DNA marker를 이용한 성(Sex) 판별

박문성1, 임현태2, 오기철3, 문영록4, 김종갑1, 김병우2, 이정규1,2

1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BK21), 2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3낙동강유역환경청, 4(사)수달생태연구센터

국내에 서식하는 수달(Lutra lutra)의 경우 멸종 위기Ⅰ급 종으로 지정되어 국가적인 차원에서 관리하고 있는 보호종이다. 수달의 유전자원 보호 및 체계적인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경상남도 진주시 진양호에서 서식하는 수달의 계통유전학적 유연관계를 mitochondrial DNA (mtDNA)의 Cytochrome b와 D-loop 영역의 염기서열분석을 통해 실시하였고 또한 수달의 성(Sex) 판별을 위한 DNA marker를 개발하였다. 공시 재료는 진양호 주변에서 Road-Kill 된 수달 9마리의 조직을 (사)수달생태연구센터에서 분양 받아 Cytochrome b 영역의 1080bp 와 D-loop 영역의 1105bp의 염기서열을 분석에 이용하여 계통유전학적 유연관계를 추정하였고, 성 판별 DNA marker 개발의 경우 암․ 수가 구별되는 수달 8마리(조직 4, 분변4)를 이용하였다. 계통유전학적 유연관계 분석에는 DAMBE, PAUP v4.0, MrModeltest v2.3, Mrbayes v3.1를 이용하였고, 도식화는 FigTree v1.3.1을 이용하였으며, haplotype을 이용한 연관관계 분석 및 도식화는 Network v4.6.0,0 프로그램을 사용였다. 수달의 mtDNA Cytochrome b 영역의 경우 2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지고 하나의 SNP(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만을 찾을 수 있었고, D-loop 영역은 4개의 그룹으로 나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4개의 SNP를 찾을 수 있었다. 두 영역의 염기서열을 합하여 분석 한 결과 9마리 전체가 단 하나의 그룹으로 나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는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유전적 변이가 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며, 일반적으로 야생동물의 경우 Cytochrome b 영역에서 D-loop 영역보다 다양한 변이가 나타난다고 보고 되어 있었지만 국내의 진양호 지역에서 서식하는 수달의 경우 D-loop 영역이 Cytochrome b 영역보다 다양한 변이를 나타내고 있었다. 성 판별을 위한 DNA marker는 수달의 ZFX(NCBI:AB491606)와 ZFY(NCBI:AB491597) 유전자에서 primer를 제작하여 성 판별을 수행한 결과 수컷 4마리와 암컷 4마리로 구분되었다.

Key words : Lutra lutra, mtDNA, D-loop, Cytochrome b, ZFX, ZFY

PA11119 한우의 Acyl-CoA dehydrogenase, C-2 to C-3 short chain(ACADS) 유전자 내 염기변이지역 탐색박찬호, 오재돈, 전광주, 공홍식

한경대학교 유전정보연구소ACADS(acyl-CoA dehydrogenase, C-2 to C-3 short chain)는 미토콘드리아의 4분자체로 이루어진 황색 단백질로써, 세포 안에서 에너지 합성에 중심역할을 하며 미토콘드리아에 존재하는 단백질인 SCAD(short chain acyl-CoA dehydrogenase) 효소를 합성하는 유전자이다. 또한 fatty acid oxidation에 필수적으로 필요하며, 지방 대사 작용과 에너지 전환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ACADS 유전자는 소의 17번 염색체에 위치하며 염기의 돌연변이에 의해 지방산 대사이상 질환 중 하나인 SCAD 결핍증을 야기시킨다. 따라서 본 연구는 ACADS 유전자 내 변이지역을 탐색하고 탐색된 변이지역과 경제형질과의 연관성을 분석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서로 가계성이 없는 24두의 한우 조직 DNA를 공시재료로 이용하였으며 변이를 탐색한 결과 총 2개의 변이를 확인하였다. Exon 2번 지역에서 1개의 변이(T1570G), Exon 4번 지역에서 1개의 변이(G13917A)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탐색된 변이 중 T1570G는 Cys(TGT)이 Trp(TGG)으로 G13917A는 Arg(CGG)이 Gln(CAG)으로 바뀌는 Missense Mutation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추후 Haplotype과 경제형질간의 연관성을 규명하고 분자육종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 words : 한우, ACADS(acyl-CoA dehydrogenase, C-2 to C-3 short chain), SNPs

PA11120 한우의 PLTP유전자내 염기변이지역 탐색한정민, 오재돈, 성지연, 이학교, 공홍식

한경대학교 유전정보연구소PLTP(Phospholipid transfer protein)유전자는 소의 13번 염색체에 위치하고 있으며, HDL의 대사 작용을 조절하는 유전자로써, HDL은 간과 소장에서 생성되며, 혈관 내막과 신체부위의 과잉 지방을 흡수해 간으로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 PLTP유전자는 염기변이에 의해 HDL대사 작용에 영향을 주어 지방축적에 따른 동맥경화, 당뇨, 고혈압 등의 질병을 야기시킨다. 또한 a-Tocopherol, LPS ,Cholesterol 수송과 Cholesterol을 방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PLTP유전자의 경제형질간의 연관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총 8개의 SNP가 탐색되었다. 한우 집단을 대상으로 유전자내 변이지역 탐색 결과 Exon 3번 지역에서 1개의 변이(A1137C), Exon 4번 지역에서 2개의 변이(T1673G, T1683C), Exon 10번 지역에서 2개(C7368T, G7453A), Exon 15번 지역에서 2개(C9905T, C9888T), Intron 지역 5번에서 1개의 SNP(A1750G)가 발견되었고, 이 중 3개(A1750G, G7453A, C9888T)의 SNP가 새롭게 발견된 변이지역으로 탐색되었다. Exon 지역에서 새로 탐색된 G7453A는 Ala이 Thr로, C9888T는 Pro가 Ser으로 바뀌는 Missense Mutation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추후 haplotype과 경제형질과의 연관성을 규명하여 분자육종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 words : 한우, PLTP, HDL

- 91 -

PA11121 돼지 형질과 육질 이화학적검사의 상관에 관한 연구강현성1, 남기창2, 서강석2, 최재관3

1전북대학교 동물자원과학과, 2순천대학교 동물자원과학과, 3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본 연구는 2010년도 4개 종돈장에서 출하된 163두에 대한 품종, 농장 및 형질과 샘플링된 등심을 이용하여 ph, 가열감량, 육색, 전단력, 지방산조성, 근내지방함량, 수분함량, 보수력 및 관능검사에 대한 표현형 상관을 알아보며 이에따라 국내 소비자가 원하는 육질에 대한 품종 및 형질에 대한 개량의 방향 설정을 위해 시행되었다. 4개소 종돈장의 샘플 확보로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실험 시행자 교체자등의 요인을 고정효과로 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email protected]/Corr를 이용하여 ph와 각 형질의 상관관계를 알아보면 가열감량과 전단력이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ph 고하에 따라서 전단력의 씹을 때의 조직감에서의 우수성의 차이가 나는것이 나타났고, 보수력은 ph가 낮은 군에서 수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육색항목중에 b*값(yellowness; 황색도)이 pH와 0.134의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으며 종돈장(도축장)효과를 넣고 [email protected]/GLM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종돈장별로 형질의 평균 차이가 크게 존재하는것을 나타냈으며 이는 동일하지 못한 농장관리, 개체 운송중 받는 스트레스 및 일괄적이지 못한 실험방법의 이유로 사료된다. 종돈장별 이화학적 검사형질의 최소자승 평균값을 보면 근내지방도 및 가열감량의 검사형질의 값이 종돈장별로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화학적육질특성에 대한 분석결과 도축후 24시간 pH과 이화학적 실험결과 측정치 간에 대부분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었으며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고기의 맛과 기호성에 영양을 주는 것으로 사료된다.

Key words : 유전력, 유전모수, 유전상관, 랜드레이스, 요크셔, 두록, 버크셔

PA11122 한우 Homogentisate 1,2 dioxygenase(HGD) 유전자내 염기변이지역 탐색김성민, 성지연, 전광주, 이학교, 공홍식

한경대학교 유전정보연구소HGD(Homogentisate 1,2 dioxygenase)유전자는 단백질, 호르몬, 색소 및 신경전달물질 등을 합성하는데 주로 간과 신장에서 활성화 되는 Homogentisate Oxidase Enzyme을 만들기 위한 유전자이다. 최근 연구에서는 HGD유전자 대사장애와 관련하여 선천적으로 homogentisate 1,2 dioxygenase가 결여되면 다량의 homogentisate가 이뇨로 배설되는 알캅톤뇨증(Alkaptonuria)이 발생하게 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고 가축에 있어서 돼지에서는 지방과 육질에 관련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되어져 있으며 소의 경우 최근 Chinese red cattle에서 PCR-RFLP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육질과 도체형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어졌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변이지역과 경제형질과의 연관성 분석을 위한 HGD 유전자내 SNP탐색을 실시하였다. 한우집단에서 선발된 24두의 유전자내 변이지역 탐색결과 Exon 1번 지역(G29832A)에서 SNP가 탐색 되었고, 이는 Arg(CGC)이 His(CAC)로 바뀌는 Missense Mutation임을 알 수 있었다. 추후 Haplotype과 경제형질간의 연관성을 규명하고 분자육종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 words : 한우, HGD, SNP

PA11123 재래흑염소의 성장특성 평가를 위한 성장곡선 추정이지홍1, 김병기1, 손호진1, 조광현1, 김종주2, 여정수2

1경상북도축산기술연구소, 2영남대학교경북지역 재래흑염소에 대한 성장 특성평가를 위하여 재래흑염소 20두에 대하여 생시부터 40개월령까지의 체중을 이용하여 성장곡선을 추정하였다. 재래흑염소의 성장곡선 함수의 추정은 SAS(1990)의 비선형 회귀 분석 절차인 PROC NLIN을 이용하였으며, 편도 함수의 지정이 필요하지 않은 탐색기법인 다변량정활반복법, 흔히 DUD방법에 의하여 추정하였다. 비선형회귀식인 Gompertz model, Von Bertalanffy model, Logistic model을 이용하여 성장곡선 모수 A, b, k 를 추정한 결과 Gompertz model은 암컷에서 42.82kg, 3.051, 0.164, 수컷은 60.41kg, 3.254, 0.138이었다. Von Bertalanffy model은 암컷에서 44.29kg, 0.745, 0.138, 수컷은 65.12kg, 0.749, 0.107로 나타났다. Logistic model에서는 암컷에서 40.21kg, 7.989, 0.243, 수컷에서 53.47kg, 10.406, 0.231로 나타났다.

Key words : 재래흑염소, 성장곡선, 비선형회귀식

- 92 -

PA11124 Identification, characterization and evolution in clusters of porcine ß-defensins

Min-Kyeung Choi, Le Min Thong and Chankyu Park

Department of Animal biotechnology, Konkuk Uniersity, Seoul 14-701, Korea

The importance of antimicrobial peptides (AMPs) to mammalian immunity was underestimated compared to their role in complex immune systems. AMPs are multifunctional molecules that have a central role in infection and Inflammation. ß-defensins are a member of AMPs and belong to members of a large family of innate immune effector molecules. They conserved across a wide range of species. More than 30 ß-defensins have been identified in humans, mice. However, studies on ß-defensins are relatively poor in other mammals. To identify ß-defensins, the 6-cystein motif has been used as a crucial clue in various species. Bioinformatic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6-cystein motif in the pig genome assembly, version 9.2. Eleven new ß-defensin genes were identified and a differential expression pattern for predicted ß-defensin genes was analyzed against our tissue panel. pBD119 and pBD124 were expressed in multiple tissues, including intestine, lung, liver, skin, trachea, male reproductive tissues, thymus and spleen. pBD115 was expressed strongly in kidney and testis. pBD127 was expressed in spleen, kidney, liver, lung, small intestine. pBD133 was highly expressed in spleen and lung. Phylogenetic analysis showed that the evolutionary relationship between each pBDs and their human orthologs was closer than the relationship among ß-defensins in the same species. The discovery and characterization of porcine ß-defensins may provide useful information on the diversity and function of ß-defensins in mammals.

Key words : antimicrobial peptides, ß-defensins, pigs, genome

PA11125 Preliminary study results on SLA class II allele differences between successfully marketed and survival failed pigs

Won kim, Kyung-Tae Kim, Le Min Thong, Hojun Choi and Chankyu Park

Department of Animal biotechnology, Konkuk University, Seoul 14-701, Korea

Genetic selection of livestock with superior resistance to disease is attractive application of the annotated livestock genome information and it can contribute to improve livestock productivity. Genes encoding SLA classⅡ molecules in mammals play important roles in defending pathogens by immune systems. Therefore, these genes could be candidates to develop DNA markers for the genetic selection of pigs with disease resistance.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SLA-DQB1 and SLA-DRB1 proteins and to evaluate association between identified SNP types and postweaning survivability of pigs. To investigate association between SLA-DQB1 and SLA-DRB1 and postweaning survivability of pigs, we compared allele frequencies of the two genes between successfully marketed and survival failed pig groups. To obtain genotyping result from SLA-DQB1 and DRB1, GSBT was used. as results, the SLA-DQB1 0101, 0701 and 0901 alleles and SLA-DRB1 0101, 0404 and 1102 allel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postweaning survivability of pigs. In conclusion, SLA-DQB1 and SLA-DRB1 genes could be used as valuable genetic marker for animal disease resistance if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in more larger scale analysis

Key words : disease resistance, pigs, MHC, allele frequency

PA11126 Germ cell specific post-transcriptional regulators in chickens

Young Sun Hwang, Bo Ram Lee, Sang In Lee, Hyun-Jun Jang, Hyung Chul Lee, Hee Jung Choi, Jae Yong Han

WCU Biomodulation Major, Department of Agricultural Biotechnology,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51-921, Korea

The development of early germ cells in many species including chicken are complex processes governed by transcriptional and post-transcriptional regulation. However, the gene regulations of germ cells controlled by post-transcriptional regulators for modulating their developmental processes remain largely unknown. Based on the expression profiling of germ cells and somatic cells, we identified differentially expressed post-transcriptional regulators indicating the significant changes between two samples. To investigate the putative roles of post-transcriptional regulators, we predicted its putative target by target prediction database and confirmed target binding affinity by dual fluorescence target validation assay. GFP expression was decreased compared to control by direct binding to target mRNA's 3'UTR. In this study, combining transcriptional and post-transcriptional expression profiling, we finally found that the particular post-transcriptional regulator binds to target mRNA's 3'UTR and represses its expression. Also, our study will contribute to understanding how the post-transcriptional regulators act in early embryonic germ cell development in chicken.

Key words : Expression profiling, Germ cells, Post-transcriptional regulator, Chicken

- 93 -

PA11127 한우 FABP4 유전자의 g.7516G>C SNP와 경제형질과의 연관성을 통한 DNA marker 개발이승규, 이성진

강원대학교 동물생명공학과 Fatty Acid Binding Protein 4(FABP4)는 지방조직에서 발현되며,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s(PPAR) 와 상호작용을 하여 Hormone-Sensitive Lipase(HSL)과 결합한다. FABP4는 세포내 지질대사와 항상성에 있어서 중요한 유전자로 알려져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한우 FABP4 유전자 발현 양상을 비교 분석하고, 유전자 내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를 이용하여 한우 경제형질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한우 고기시료에서 DNA를 추출하여 Polymerase Chain Reaction -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PCR-RFLP)방법으로 g.7516G>C SNP를 분석하였다. 도체 성적자료를 이용하여 SNP와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도체중 및 등지방 두께(p<0.05), 배최장근 단면적 및 마블링(p<0.01)에 있어서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FABP4 유전자의 g.7516G>C SNP는 한우 집단에서 경제형질을 평가할 수 있는 DNA marker로써 사용할 수 있는 이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 words : 한우, SNP, 경제형질, FABP4, marbling, marker, RFLP

PA11128 한우에서 Akirin 2 유전자의 c.*188G>A와 경제형질간의 연관성 분석김훈, 이성진

강원대학교 동물생명공학과Akirin 2 유전자는 소의 9번 염색체에 위치하여 nuclear factor-kappa B (NF-κB)를 보조하는 역할을 통해 면역 반응에 관여되어 있음이 보고되어진 바 있으며 마블링 형성에서도 관련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본 연구는 한우에서 육질과 육량에 있어 우수한 개체를 조기에 선발하고자 DNA marker개발을 하기위해 Akirin 2 유전자의 3'UTR에 위치한 c.*188G>A와 한우 경제형질간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PCR-RFLP를 이용하여 Akirin 2 유전자의 c.*188G>A SNP를 genotyping하였다. c.*188G>ASNP와 한우 경제형질인 도체중, 배최장근단면적, 등지방두께, 근내지방도, 육량지수를 분석한 결과 배최장근단면적, 근내지방도에서 유의적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본 연구를 통하여 Akirin 2 유전자의 c.*188G>A SNP가 한우의 경제형질인 배최장근단면적, 근내지방도에서 주요한 DNA marker로 활용 가능할 것이라 사료된다.

Key words : 한우, Akirin 2, 경제형질, SNP, DNA marker, PCR-RFLP

PA11129 브로컬리 발효물 급여가 흰쥐의 장내 미생물 변화에 미치는 영향 김병욱1, 차병욱1, 강석남1, 백남수2, 강승하3, 이상석4, 조광근1*

1국립경남과학기술대학교 동물소재공학과, 2(주)메디오젠, 3CSIRO Livestock Industries, 4국립순천대학교본 연구에서는 유산균으로 발효시킨 유기농 브로컬리 발효물을 흰쥐에 급여한 후 Genome Sequencer FLX (GS-FLX)을 이용하여 장내 미생물을 pyrosequencing 하여 브로컬리 발효물이 장내 미생물 균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사양 시험은 4주령의 암컷 흰쥐 80마리를 공시하여 기초사료 대조구, 항생제 처리구(Enramycin, Tiamulin 각 0.05%), 브로컬리 분말 처리구(0.1%), 혼합균주 처리구(0.1%), 브로컬리 발효물 처리구(0.1%)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Pyrosequencing 분석 결과 대조구, 항생제 처리구, 브로컬리 처리구, 혼합 균주 처리구, 브로컬리 발효물 처리구에서 각각 396종, 312종, 350종, 404종, 354종의 미생물 species를 확인할 수 있었다. Phylum(문)으로 분류한 결과 Firmicutes의 경우 항생제 처리구에서 86.38%로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에 대조구와 브로컬리 처리구, 혼합 균주 처리구, 브로컬리 발효물 처리구에서 각각 79.61%, 77.77%, 78.25%, 84.24% 로 브로컬리 처리구와 혼합 균주 처리구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Bacteroidetes의 경우에는 항생제 처리구에서 12.77%로 가장 낮게 나타난 반면에 대조구와 브로컬리 처리구, 혼합 균주 처리구, 브로컬리 발효물 처리구에서 각각 17.93%, 21.33%, 20.11%, 14.48% 로브로컬리 처리구와 혼합 균주 처리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Ley 등(2006)은 장내 미생물이 비만과 관련이 있다고 Nature에 보고하였으며 특히 비만인 사람의 경우 마른 사람과 비교했을 때 Bacteroidetes는 감소하고 Firmicutes 는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도 항생제 처리구에서는 체중 증가와 관련된 Firmicutes가 가장 높고 체중 감소와 관련된 Bacteroidetes는 가장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브로컬리 처리구와 혼합 균주 처리구의 경우에는 체증 증가 관련 Firmicutes가 감소하고 체중 감소 관련 Bacteroidetes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Key words : 브로컬리, 흰쥐, 장내 미생물, Pyrosequencing

- 94 -

PA11130 생균제 수준별 급여가 이유자돈의 장내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차병욱1, 김병욱1, 박화춘2, 정종현2, 류연선3, 강승하4, 이상석5, 조광근1*

1국립경남과학기술대학교 동물소재공학과, 2다산종돈, 3(주)조이바이오텍, 4CSIRO Livestock Industries, 5국립순천대학교본 연구에서는 시판 중인 대표적 생균제 A를 사료에 수준 별로 첨가, 급여하였을 때 이유자돈의 장내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사양 시험은 체중과 일령(19±1)이 비슷한 F1(L × Y) 거세 이유자돈 총 64두를 선발하여 3일간의 예비사양 후 31일간(생후 19일 - 52일령)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처리는 항생제가 첨가되지 않은 기초사료 대조구, 항생제 처리구(기초사료 + 티아무린, 엔라마이신 각 0.1%), 생균제A 0.5% 처리구(기초사료 + 생균제A 0.5%), 생균제A 1.0% 처리구(기초사료 + 생균제A 1.0%)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장내 미생물 분석은 CombiMatrix사의 4x2K format DNA chip을 사용하였으며 negative control 9개를 포함하여 총 747개의 probes를 디자인하였다. DNA chip 분석 결과 species(종) 수준에서는 대조구 487종, 항생제 처리구 482종, 생균제A 0.5% 처리구 489종, 생균제A 1.0% 처리구 482종의 미생물이 확인되어 각 처리구 마다 미생물의 다양성이 비슷하게 나타났다. 전체 처리구에서 대조구와 비교했을때 class(강) 수준에서 가장 많이 증가한 미생물은 Clostridia, Bacilli종 이었으며, 감소한 미생물은 항생제 처리구에서는 Bacilli; Streptococcus caballi, Streptococcus alactolyticus, 생균제A 0.5% 처리구에서는 Acidobacteria, Gammaproteobacteria, 생균제A 1.0% 처리구에서는 Gammaproteobacteria, Bacilli; Lactobacillus plantarum로 나타났다. 생균제 Bacillus 1.0% 첨가 사료 급여 돼지 분변에서 2배 이상 감소한 미생물은 총 5종으로 class 수준에서 볼 때 Gammaproteo-bacteria Enterobacter, Lactobacillus plantarum, Fructobacillus, Lactobacillus 순으로 나타났으며, 1% 수준의 생균제 Bacillus 급여가 장내 미생물의 감소 변화를 최소화 시키는 결과를 나타내었다.Key words : 생균제, 이유자돈, 장내 미생물, DNA chip

PA11131 한우 거세우 도체등급 형질의 정확도와 유전모수 추정구양모, 김시동1, 박병호1, 최태정1, 조광현1, 이승수1, 이기환, 송치은,

김정일, 정용호, 이재윤, 장현기, 이재용, 이정규2, 김효선3

한국종축개량협회, 1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2국립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3축산물품질평가원본 연구에 이용된 재료는 2006년부터 2009년까지 한국종축개량협회에서 등록된 한우 암소, 수소, 거세우 중에서 축산물품질평가원에서 등급판정 되어 도체성적이 있는 개체 231,382두의 기록 중 부, 모의 기록이 확인된 혈통등록우 이상 거세우 87,355두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관련 혈통 자료는 추적이 가능한 모든 세대를 추적하여 226,818두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거세우의 자료만 추출한 이유는 소 및 쇠고기 생산이력제 등으로 개체 식별이 이전보다 좋아졌지만, 아직까지 암소의 수소에 대한 출하성적은 대부분이 균일하게 사육되지 않으며, 암소는 번식이 잘 이루어지지 않으면 도태를 하는 현실이다. 거세우는 브랜드별 사양 및 관리가 암소나 수소보다는 잘 이루어지고 있다고 판단하여 거세우에 한해서만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에 포함된 형질은 도체중, 배최장근단면적, 등지방두께, 근내지방도 이상 4가지 형질이다.유전모수 추정에서는 출생년도, 출생계절, 출하월령, 출생지역 등을 분석모형에 고려하였다. 출생년도와 출생계절을 하나의 효과로 합쳐 분석하였고, 도축일령은 공변이로 분석하였다. 유전력은 도체중, 배최장근단면적, 등지방두께, 근내지방도에서 각각 0.35, 0.29, 0.28, 0.44로 추정되었으며, 유전분산은 각각 768.3, 29.5, 7.8, 1.8이며, 잔차분산은 1404, 72.8, 19.9, 2.3으로 추정되었다.유전적 변화 추세는 추정한 유전모수를 기반으로 구해진 육종가에 대하여 연도별 변화 추이를 나타낸 것으로 기준년도는 2005년으로 설정하였다. 2005년부터 2007년까지 EBV 평균치는 도체중 3.62, 6.25, 6.08, 배최장근단면적 1.67, 1.95, 2.09, 등지방두께 -0.36, -0.33, -0.21, 근내지방도 0.35, 0.35, 0.45로 나타났다. 또한 능력검정 성적을 가진 개체의 정확도는 전체적으로 평균 68%정도로 추정되었다.Key words : Hanwoo steer, genetic parameter, accuracy, genetic trend

PA11132 한우 암, 수, 거세우 집단의 출하월령별 도체성적 변화 추세송치은, 구양모, 김시동1, 박병호1, 최태정1, 조광현1, 이승수1, 이기환,

김정일, 정용호, 이재윤, 장현기, 이재용, 이정규2, 김효선3

한국종축개량협회, 1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2국립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3축산물품질평가원본 연구에 이용된 재료는 2006년부터 2009년까지 한국종축개량협회에서 등록된 한우 117만 여두 중 축산물품질평가원에서 등급 판정된 한우 암, 수, 거세우 231,382두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2006년부터 2009년까지의 등급판정 성적을 선정한 이유는 소 및 쇠고기 생산이력제가 2006년에 전국 20여개 브랜드 경영체와 3개 시, 군이 참여하여 확대 추진하였기 때문에 개체 확인 및 등록여부가 이전의 도체성적 자료보다는 일치되는 개체가 많았기 때문이다.한우 암, 수, 거세우의 출하월령별 도체성적의 표현현을 상대비교 하기 위해 표준화로 변환하여 출하월령별로 표현형의 변화 추세를 나타낸 것으로 암소는 60개월령, 수소는 30개월령, 그리고 거세우는 40개월령까지 표시하였으며, 해당 개우러령 이후는 두수는 적고 변이가 심하기 때문에 삽입하지 않았다. 한우 암소에 대한 표현형 변화 추세는 도체중과 배최장근단면적은 40개월령까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근내지방도는 30개월령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한우 수소는 암소와 비슷하게 월령이 지남에 따로 도체중과 배최장근단면적은 증가하고 있지만 근내지방도와 등지방두께는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한우 거세우는 30개월령까지 증가하지만 이후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는 현재 한우농가 사양프로그램이 대부분 30개월령으로 되어 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농가의 수익 측면에서 30개월령보다 출하월령을 앞당길 수 있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겠다.Key words :

- 95 -

PA11133 3β-HSD 유전자의 FauI좌위가 수퇘지 웅취원인물질 함량에 미치는 효과강지훈, 안정현, 김준모, 임규상, 이은아, 홍기창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생명공학부웅취는 수퇘지 식육의 풍미를 극도로 저하시키는 원인으로, 2차 성성숙시 고환에서 생성되는 웅성호르몬중 하나인 androstenone과 장내미생물에 의해 생성되는 skatole이 돈육의 지방층에 축적됨에 따라 발생하며, 특히 androstenone은 유전적인 요인에 의해 생성수준이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3β-Hydroxysteroid dehydrogenase (3β-HSD) 유전자는 웅취원인물질인 androstenone이 간에서 β-androstenol로 분해되는 대사과정에 주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androstenone함량과 관련된 후보유전자로 알려져 있다. 3β-HSD 유전자 Exon4번의 염기서열분석을 실시하여 FauI좌위의 변이(C→T)를 새로이 발견했다. 본 연구에서는 비거세돈 147두에 대해 등지방에 축적된 androstenone과 skatole을 동시에 추출하여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er 를 통해서 정량분석하였고, PCR 및 RFLP기법을 이용하여 FauI 좌위에 대한 유전자형진단을 실시했다. 웅취원인물질과 유전자형과의 연관성분석결과, 등지방내의 androstenone 수준에 있어서 TC 유전자형이 CC 유전자형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P < 0.1), skatole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특히, TC 유전자형은 Androstenone함량이 다른 유전자형이 높게 나타난 것에 비해 웅취를 느끼는 역치 값인 0.5ppm보다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3β-HSD 유전자의 FauI좌위는 웅취원인물질인 androstenone 의 함량과 관련하여 의미있는 DNA마커로서 웅취를 제거시키는 데 효용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Key words : Boar taint, Androstenone, 3β-HSD, DNA marker

PA11134 한우 암소의 선형심사형질과 등급형질에 대한 유전모수추정이기환, 박병호1, 최태정1, 최재관1, 조광현1, 김시동1, 이승수1, 김정일,송치은, 구양모, 정용호, 이재윤, 장현기, 이정규2, 도창희3, 상병찬3

한국종축개량협회, 1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2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3충남대학교 동물바이오시스템과학과

한우 암소 선형심사형질 및 등급형질에 대한 2008년부터 2010년까지 한국종축개량협회 주관으로 한우 기초등록우 이상 등록된 암소를 대상으로 선형심사를 통하여 점수가 부여된 40,595두의 심사자료로 부터 각 형질별로 이상치의 범위에서 벗어나는 자료와 환경효과 단계설정 등에 의한 자료 교정에 의해 제거된 자료를 제외한 총 32,312두의 심사점수가 이용되었다. 개체의 혈연관계를 추적하여 66,568두의 혈통자료가 유전모수추정에 이용되었다. 혈통에 대한 사전 조사는 한국종축개량협회의 혈통등록기록을 참조하였으며, 혈통을 기초로 하여 심사를 받은 개체에 따른 각 개체의 혈통경로의 추적을 실시하여 세대순으로 정렬한 뒤 각 심사우에 대해 일련번호를 부여하여 분석에 이용하였다. 모형설정을 위해 1차 예비분석과 2차 본분석으로 실시하였다. 1차 예비분석결과 최종 주요인으로 판단된 출생지, 심사자, 심사년도, 심사연령, 비유단계를 유전모수추정에 적용하였다. 이중 출생지, 심사자, 심사년도의 효과가 주효과로서의 효과뿐만 아니라 요인간 상호 교호작용 효과가 거의 모든 형질에서 나타나 결합하여 하나의 고정효과인 HYC로서 모형에 적용하여 단형질(single trait) 개체모형으로 REML방법으로 BLUPF90 family program을 이용하여 유전모수를 추정하였다. 선형형질 중 키(ST), 몸길이(BL), 엉덩이기울기(RA)의 유전력이 0.3~0.4의 범위로 가장 높게 추정되었으며, 넓적다리두께(TT), 강건성(STR), 체심(BD)이 0.2의 유전력을 나타냈으며, 나머지 형질들은 0.2미만의 유전력을 나타내었다. 등급형질에서는 체적균형(BB)이 0.25로 가장 높았으며, 엉덩이(RP), 넓적다리(TD), 중구(BKL), 전구(FQ)의 유전력은 0.1~0.2의 범위로 추정되었다. 그리고 체형종합점수(FS)의 유전력은 0.25로 추정되었다.

Key words : Hanwoo cow, linear type trait, Genetic parameter, Classification, REML, Heritability

PA11135 한우 거세우 유전능력평가를 위한 혈통 자료 구조 분석김정일, 구양모, 김시동1, 박병호1, 최태정1, 조광현1, 이승수1,

이기환, 송치은, 정용호, 이재윤, 장현기, 이재용, 이정규2, 김효선3

한국종축개량협회, 1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2국립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3축산물품질평가원본 연구에 이용된 재료는 2006년부터 2009년까지 한국종축개량협회 혈통등록우 이상 거세우 87,355두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관련 혈통 자료는 추적이 가능한 모든 세대를 추적하여 226,818두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혈통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부, 모가 존재하는 혈통등록우 이상의 개체만 분석 실시하였고, 아비는 KPN으로 사용되는 명호를 사용하고, 어미는 등록번호를 사용하여 후대자손을 추적하였으며, 혈통정보를 세대순으로 정렬하고, 일련번호로 재정렬, 그리고 혈통자료의 세대별, 출생년도별 근친계수를 추정하였다.KPN의 후대 자손이 1두만 생산한 종모우는 전체 58두로 추정되었고, 2두에서 100두 사이의 후대 자손을 생산한 종모우는 143두이며 2,348두의 후대를 생산하였고, 101두에서 1,000두 사이의 후대 자손을 생산한 종모우는 36두로 12,286두를 생산하였고, 1,001두에서 3,000두 사이의 후대 자손을 생산한 종모우는 18두로 32,733두를 생산하여 전체 38% 정도를 차지하였다.근교된 개체 수는 전체 4,668두로 전체 혈통두수 대비 약 2.1%로 나타났다. 세대별로는 9세대까지는 근친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10세대에 977두 평균 근친계수 9.68%, 11세대 3,711두가 출현되었고 평균 근친계수 5.79%로 나타났다.세대별 두수 분포는 3세대 이후부터는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조기 도태에 따른 우량 유전자를 유출을 막고 우량한 암소가 후대축을 생산할 수 있는 기반 조성이 시급한 것으로 사료된다.

Key words :

- 96 -

PA11136 Identification and Classification of Feline Endogenous Retroviruses Based on the retroviral pro-polregion

Ning Song, Nameun Kim, Hojun Choi and Chankyu Park

Department of Animal Biotechnology, KonkukUniversity,Seoul143-701,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nd classify the endogenous retrovirus (ERV) in the cat genome. The cat genome was subjected to degenerate PCR which was to amplify the conserved retroviral pro-pol region.59 clones out of 194 obtained from cloning showed retroviral regions by blasting analysis. These sequences were then classified into 9γ and 1β families based on phylogenetic analysis. In silico screening of amplified ERV region against cat genome database allowed us to reach a much larger scale study of ERV in cat. We identified 217 ERV sequences. Phylogenetic analysis using amplified PCR and in silico derived Felis catus endogenous retrovirus (FERV) sequences displayed a classification of 16 γ and 2 β families. Owing to incomplete cat genome assembly, here we could only identify 29 γ and 2 β full length sequences, respectively. We showed their contig coordinates, element length, LTR length and 5’ and 3’ LTR sequence identity. Integration time of evolutionary analysis was estimated by two families, FERVγ1 and FERVγ6, which were two most abundant gamma retroviruses. The results suggested that FERVγ1 and FERVγ6 integrated into the feline genome from 5.5 to 12 and from 2.6 to 5.7 million years ago(MYA).Finally, we searched in silico spuma-like element in cat genome using the most conserved pol region of spuma-like element. Five spuma-like elements were obtained. In conclusion, although cat genome assembly has not been finished, here we took advantage of the available data to report the results of a genome scale study of FERV. Our study is the first to analyze ERVs in the feline genome and classify them into the family level.

Key words : endogenous retrovirus (ERV); cat genome; phylogenetic analysis; contig sequence; Felis catus Endogenous Retrovirus (FERV); LTR

PA11137 한우에서 MC4R 유전자의 SNP와 도체형질의 연관성이영섭, 이성진

강원대학교 동물생명공학과MC4R(Melanocortin-4 receptor) 유전자는 에너지 중심조절에 중요한 G-protein receptor를 중심으로 발현하며 포유동물의 인슐린 조절작용 및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최근 연구에서 MC4R 유전자는 인간에서 에너지 대사와 관련하여 비만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고, 가축에서도 MC4R 유전자가 Leptin 유전자와 함께 지방축적과 체중에 관여하는 매우 중요한 역할이 보고되어 가축의 경제형질, 생체 에너지 대사 및 지방대사와 관련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MC4R 유전자의 1,069C>G SNP와 한우의 경제형질과의 연관성에 대해서 PCR-RFLP를 이용하여 실험하였고 그 결과 marbling score와 LMA(longismus muscle area)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보임을 알 수 있었지만(P<0.05) BF(back fat)과 CW(carcass weight) 에서는 유의적인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MC4R 유전자의 1,069C>G SNP는 한우에서 marbling score와 LMA의 유전적인 마커로서 유용할 것이라고 사료 된다.

Key words : MC4R, SNP, PCR-RFLP

PA11138 MYPN 유전자 SNP가 한우의 도체형질에 미치는 영향김진우, 홍민욱, 이성진

강원대학교 동물생명과학대학Myopalladin(MYPN)은 근절의 형태 유지 및 Z라인 구조를 조절하는 다기능 단백질로서, 주로 심장과 골격, 근육 내 Z라인에 존재한다. 이 유전자는 마커 선택을 통한 경제형질관련 육질 선정에 있어 중요한 후보 유전자로서, MYPN 유전자의 A1795G Single Nucletide Polymorphism(SNP)를 PCR-RFLP기법으로 이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근내지방도와 배최장근단면적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지만(p<0.05), 반면 등지방두께와 도체중에서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MYPN 유전자의 SNP가 한우의 경제형질 중 근내지방도와 배최장근단면적에 대한 유전자 선발 마커로서 잠재력이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Key words : MYPN, SNP, RFLP, 한우、근내지방도, 배최장근단면적

- 97 -

PA11139 한우고기내 불포화지방산(unsaturated fatty acid) 조성 관련 Fatty acid binding protein 5(FABP5)유전자 효과 추정

허강녕, 김남국1, 이승환, 김남영, 강보석, 황보종, 김학규, 홍의철, 추효준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1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본 연구는 건강에 유익한 지방산과 관련한 DNA마커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Bovine chromosome 14 (BTA 14)에서 근내지방도 및 도체중과 관련성이 보고된 QTL영역(48-58cM)내 존재하는 4개의 후보유전자 중 FABP5 유전자를 선정하여 PCR-direct sequencing을 통해 DNA 염기서열 변이를 탐색하였다. 혈연관계가 먼 한우 24두를 이용한 SNP 탐색 결과 FABP5 유전자에서 4개의 SNPs (전사조절 영역에서 1개, intron 1영역에서 3개)를 검출하였으며, 검출된 SNPs 중에서 근내지방도와 유의성이 확인된 전사조절 영역의 SNP1 (-1141A>G)과 지방산 조성과의 관련성 분석을 위하여 ASReml 프로그램의 혼합회귀분석모형을 이용하여 유전자형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올레인산, 단일불포화지방산, 불포화지방산 및 포화지방산에서 고도의 유의성 (p<0.01)이 인정되었다. 유의적인 차이가 관찰된 올레인산, 단일불포화지방산, 불포화지방산 함량에서는 AG 유전자형이 AA와 GG 유전자형보다 더 높은 지방산 함량을 보였으며, 포화지방산에서는 반대로 AG 유전자형이 AA와 GG 유전자형보다 더 낮은 지방산 함량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FABP5 유전자 SNP중 근내지방도와 유의적인 관련성을 보인 SNP1 (-1141A>G)은 추후 유전자 기능 및 경제형질과의 관련성 구명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요구되어지며, 건강에 유익한 지방산을 포함하는 한우를 선발하는 표지인자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 words : 한우, FABP5 유전자, 불포화지방산, DNA 마커

PA11140 토종닭 및 실용계에서 TYR(Tyrosinase) 유전자의 유전적 특성 조사허강녕, 강보석, 황보종, 김학규, 박미나, 홍의철, 추효준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재래닭 및 토착종의 3원 교배를 통해 생산한 신품종 실용계와 일반 실용계간의 구별을 위한 마커를 발굴하고자 실험을 수행하였다. 피부색과 연관성이 높을 것으로 추정되는 TYR 유전자 상의 3 SNP와 intron 4에서 발생하는 180 bp(열성 백색)와 13 bp(정상)의 염기서열 삽입 유무를 이용하여 각 개체별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품종별로 TYR 유전자 상의 SNP들을 조사한 결과에서 정강이색이 노란색으로 발현되는 로스, 하바드, 아바에이커, 로드아일랜드레드 그리고 일반적으로 유통되고 있는 브로일러는 비록 변이가 존재하지만 거의 대부분이 특정한 변이로 고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정강이색이 흑색, 노란색 그리고 흑색과 노란색이 섞여서 발현되는 적갈색 재래닭, 흑색 코니쉬, 신품종 실용계 그리고 한협에서 생산한 토종닭인 '한협3호'의 경우 변이의 발생이 고정되어 있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TYR 유전자의 intron 4에서 발생하는 180 bp와 13 bp의 염기서열 삽입 유무를 분석한 결과 DD(정상 동형), Dd(이형) 그리고 dd(열성 백색 동형)의 3가지 형태가 확인되었으며, 3원 교배에 의해 생산한 신품종 실용계는 TYR 유전자 내의 염기서열 삽입 유무에서 정상과 열성 백색의 염기서열이 모두 삽입된 Dd 형태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실험 결과에서는 품종별 haplotype이 고정되어 있지 않았으며, 품종 구별이 어려워 추가 실험이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 words : 닭, SNPs, TYR, 피부색

PA11141 Post transcriptional regulation is necessary to germ cell maintenance and genetic stability in chicken

Tae Won Yun, Hee Won Seo, Sang In Lee, Su Mi Lim, Su Jung Kim, Joo Youn Park, Jae Yong Han

WCU Biomodulation Major, Department of Agricultural Biotechnology,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51-921, Korea

Post transcriptional regulator such as piRNAs is exclusively expressed in the germ cell and stem cells. Also, proteins associated with production of piRNA perform an important function in stem cell-self renewal, germ cell development, maintenance, gametogenesis and transposon silencing. To identify the function of these proteins, we carried out knockdown experiment in chicken primordial germ cells. We designed two siRNA (siRNA1 and siRNA2) and introduced into cultured PGCs using liposome mediated method. To confirm the efficiency of knockdown, qRT- PCR and RT-PCR were performed. Knockdown efficiency is 57% in siRNA2 treated PGCs compared to control siRNA. Also, we analyzed retrotransposon expression in siRNA treated PGCs. Activity of retrotransposon transcripts were suppressed in PGCs compared with fibroblast as a control. However, in siRNA treated PGCs, expression of retrotransposon transcripts were increased dramatically. This data showed that activity of retrotransposon might be repressed by genes associated with post-transcriptional regulators for germ cell maintenance and genetic stability. Therefore, post transcriptional regulation plays an essential part in germline development through silence transposable element in chicken.

Key words : siRNA, piRNA, PGCs, Retrotransposon silencing

- 98 -

PA11142 홍천 지역 한우 거세우의 도체 형질에 대한 유전모수 추정고대영, 김종복

강원대학교 동물자원과학과강원지역 한우의 유전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2009년 12월부터 2011년 1월 까지 홍천지역에서 도축된 거세우 982두의 도체성적을 이용하여 유전모수 및 유전상관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통계 모형에는 도축월을 분류변수로 하고 도축일령의 일차식 효과와 이차식효과를 공변이로 하는 고정효과와 임의효과인 상가적 개체유전 효과를 포함하였으며, 유전모수 추정은 WOMBAT package(Meyer K, 2007)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단형질 분석을 통해 추정된 유전력은 도체중, 등심단면적, 등지방두께 및 근내지방도에서 각각 0.30, 0.22, 0.41 및 0.43이었다. 이형질 분석을 통해 추정된 도체중과 등심단면적, 등지방두께 및 근내지방도와의 유전상관계수는 각각 0.33, 0.84, -0.20이었으며 등지방두께와 등심단면적 및 근내지방도 사이의 유전상관계수는 각각 0.27, -0.13이었고 등심단면적과 근내지방도 사이의 유전상관 계수는 0.21이었다. 도체중과 등지방두께, 도체중과 근내지방도 및 등지방 두께와 근내지방도 간의 표현형 상관계수는 각각 0.48, 0.024, -0.03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추정된 등지방두께와 근내지방도 사이의 유전상관계수 -0.13은 근내지방도에 대한 단형질 선발을 실시하더라도 등지방 두께가 증가하는 현상은 초래하지 않을것임을 시사하는 결과이다.

Key words : 한우, 거세우, 도체형질, 유전모수, 유전상관

PA11143 듀록, 랜드레이스, 요크셔 품종의 성장곡선 모수 및 보정계수 추정조규호, 홍준기, 이성대, 소경민, 엄주철, 김명직, 김인철, 이일주*,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주)다비육종보유 돈군의 단계별 영양소 급여량 설정, 성장특성 등을 파악하여 개량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성장곡선은 많은 도움을 준다. 본 연구에서는 국립축산과학원에서 사육하고 있는 듀록, 랜드레이스 및 요크셔 품종의 다시점 자료를 바탕으로 Gompertz 모형을 이용하여 성장곡선을 추정하였으며, 또한 검정개시체중의 정확도 제고를 위하여 35kg도달일령에 대한 보정계수를 추정하였다. 생시부터 15일~20일 간격으로 측정한 다시점 자료를 이용하여 추정한 성장곡선 모수인 점근상한계 값, 성장비율 및 성숙율의 평균은 듀록 종의 경우 264.9 4.99 0.012, 랜드레이스 종에서는 254.9, 4.72, 0.009 그리고 요크셔 종에서는 178.2, 4.80, 0.013으로 추정되었으며, 듀록종이 가장 빨리 자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현재 능력검정 기준상 검정개시는 35kg에서 시작되는 바, 성장곡선에서 추정한 모수를 이용하여 구간별 일당증체량을 바탕으로 추정한 35kg도달일령의 보정게수 평균 및 표준편차는 암, 수 그리고 전체에서 각각 35.5±5.52, 35.0±5.51, 35.3±5.52로 추정되었다.

Key words : 듀록, 랜드레이스, 요크셔, 성장곡선, 보정계수

PA11144 재래돼지와 듀록 교잡종의 경제형질 평가조규호, 김두완, 사수진, 김동운, 김영화, 안홍원, 김명직, 김인철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국립축산과학원에서는 2007년에 재래돼지의 복원을 완료하여 품종등록을 실시하였다. 순종돈으로서 재래돼지의 유전자원을 지속적으로 보존하면서, 활용도 제고 및 효율적인 산업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듀록 품종과의 교잡시험을 수행하여, 교잡돈의 형질발현 양상을 조사하고 더 나아가 우리나라 고유 유전자원을 활용한 합성종으로서의 가능성을 모색코자 본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결과 듀록과 재래돼지 1대 교잡종의 모색은 전부 흑색으로 조사되었으나, 2대 교잡종의 경우 흑색과 갈색비율이 각각 48.6%, 51.4%로 조사되어 일반적인 모색유전 발현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2대 교잡종의 경우 90kg 검정종료시까지의 일당증체량은 암수 공히 640g 정도로, 이는 듀록 순종돈 생시부터의 일당증체량이 670g 인것에 비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지만 155일령의 등지방두께는 암수 각각 15.9mm와 14.7mm 로 조사되어 듀록종 농장검정에 90kg시 실시한 등지방두께(암 14.5mm, 수 12.4mm)보다는 높은 것으로 조사되어 재래돼지의 높은 등지방두께 유전자가 작용한 결과로 분석된다. 이는 근내지방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재래돼지의 유전자를 도입 후 선발과 교배의 일반적인 개량과정을 거쳐 근내지방이 우수한 합성종도 도출이 가능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 words : 재래돼지, 듀록, 교잡종, 경제형질

- 99 -

PA11145 Gene co-expression analysis to characterize genes related to marbling in Hanwoo(Korean cattle)

Ig-Sun Kim1, Nam-Kuk Kim2, Seung-Hwan Lee1, Hye-Sun Park1, Hwan-Hu Seoung1 and Dajeong Lim1,3

1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Korea2Gyeongnam Provincial Office, National Agricultural products Quality management Service(NAQS)

3Department of Food and Animal Biotechn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Marbling (intramuscular fat) is an important trait that affects meat quality and a casual factor determining price of beef in the Korean beef market. It is complex trait and has biological pathway in muscle and fat. Therefore, We need to identify functional modules related to marbling traits and investigate their relationships based on a system-level analysis. Our approach that investigate co-expression relationships of genes related to 'marbling score' trait and systemically analyze the network topology in Hanwoo(Korean cattle). We constructed gene co-expression network related to marbling score in m. longissimus with divergent marbling phenotype (marbling score 2 to 7). As a result, we determined 3 modules (gene group) that showed significant result for marbling score. We selected one module (denoted as red) that was the most significant among 3 modules. Pathway and gene ontology analysis of the marbling score related module genes implicates enrichment of functional categories related to biological pathway in muscle and fat. The marbling score related modules contain a number of candidate genes possibly involved in pathway of marbling. We noticed a overlapping genes from the analysis that five genes (IL6, CHRNE, RB1, INHBA and NPPA) belonged to a red module. These genes are shared in skeletal muscle related biological pathways that might represent a phenomenon occurring in muscle with highly divergent marbling phenotype as key drivers.

Key words : Hanwoo, Gene co-expression network, marbling

PA11146 QTL mapping for marbling score in Hanwoo population and functional analysis of candidate genes

Hyesun Park, Seung Hwan Lee, Ig-sun Kim, Yong Min Cho, Sung Jong Oh, Hwan-Hu Seoung, Dajeong Lim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Korea

Marbling score is one of the major trait for meat quality in Korean beef market. Quantitative trait loci (QTL) mapping was conducted for finding phenotypic variation derived QTL variation. In this study we conducted QTL mapping for marbling score trait in Hanwoo population using Bovine 10K SNP chip panel (Affymetrix) applied Linkage disequilibrium and linkage analysis method (LDLA). 4,525 SNPs from Bovine 10K panel was used and we found 9 significant SNPs for marbling score in BTA6, BTA17, BTA22 and BTA29 (LR = 4.6). Detecting of linkage candidate genes for marbling score, these significant 9 SNPs was used. The position of these 9 SNPs on bovine whole genome (build 3.1) were used interval 1Mbp span using Bovine Genome Database (http://genomes.arc.georgetown.edu/cgi-bin/gbrowse/bovine31/). We define 98 candidate genes and conduct functional analysis of these candidate genes using DAVID (http://david.abcc.ncifcrf.gov/) about gene ontology terms. We identified significant of total 18 gene ontology terms that 12 of biological process, 2 of cellular component and 4 of molecular function (p-value < 0.05).

Key words : QTL mapping, Marbling score, Hanwoo

PA11147 Bovine hepatic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between low and high marbled Hanwoo (Korean cattle) steer

Nam-Kuk Kim1, Seung-Hwan Lee2, Dajeong Lim3, Bong-Shig Shin1 and Hwan-Hu Seoung3

1Gyeongnam Provincial Office, National Agricultural products Quality management Service(NAQS)2Hanwoo Experiment Stat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3Animal Genomics and Bioinformatics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Intramuscular fat (IMF) has been highlighted in the Korean beef industry because it is important for determining beef meat quality. However, the role of hepatic transcrips in deposition of subcutaneous and IMF in cattle remains unclear. So we investigated gene expression profiles within liver between low- and high marbled Korean cattle (Hanwoo). Using the bovine genome array and three data-processing methods (MAS5.0, GCRMA and RMA), we detected 19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DEGs) in liver tissue with divergent marbling phenotype (marbling score 2 to 7). Gene Ontology (GO) analysis demonstrated that five genes (TAT, CTPS, MMCE, UST and HLCS) over expressed in low marbled animals are involved in a energy pathways. On the other hand, zinc finger protein 34 and 403 genes, which are involved in nucleic acid metabolism, were highly expressed in high marbled anima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DEGs are potential meat quality indicators and their identification provides new insight into the molecular mechanisms and pathways associated with overall beef quality.

Key words : Hanwoo, Liver, Microarray, Marbling, Intramuscular fat

- 100 -

PA11148 Production of PG1, PR26, PMAP36 transgenic mice to study the in vivo function of porcine antimicrobial peptides

Nameun Kim, Hojun Choi, Le Minh Thong, Min-Kyung Choi and Chankyu Park

Department of Animal Biotechnology, Konkuk University, Seoul 143-701, Korea

Antibiotic-resistant bacteria are a costly problem in the food animal industry and cause a growing public health concern. PG-1 and PR-39 are a neutrophil-derived antimicrobial peptide, and PMAP-36 is a porcine myeloid antimicrobial peptide. Here we report the production of transgenic mice that expressed PG-1, PR-26 and PMAP-36 as tools to explore their in vivo functions AMPs. Transgenic mice expressing PG1, PR26 and PMAP36 under the control of either chicken beta actin or porcine mucin 1 were produced. There expression was confirmed at the mRNA level. All three mutant mice did not show any critical abnormalities associated with reproduction and survivability. The detailed characterization of those transgenic mice at the histological and molecular levels is underway. Future works using these mice will contribute to understand the functional roles of AMPs in vivo and lead to developing applications in animal production with them.

Key words : Antibiotic resistance, PG-1, PR-26, PMAP-36, Transgenic, antimicrobial peptides, pigs

PA11149 Bioinformatical analysis of olfactory receptor genes in the swine genome identified 1742 genes

Dinh Truong Nguyen1, Kyooyeol Lee2 and Chankyu Park1*1Department of Animal Biotechnology, Konkuk University, Seoul 143-701, Korea

2#909, Venture Valley, 958, Gosaek-dong, Gwonseon-gu, Suwon, Gyeonggi-do, Korea 441-813

Mammalian olfactory receptors (ORs) are encoded by the largest multigene family in the genome of mammals. We report here the result of a whole genome scanning of olfactory receptor genes in the pig using conserved OR sequence motifs and their variants derived from transmembrane 3, 6 and 7. Using these conserved motifs, we had retrieved 1,742 genes from the swine genome assembly build 10. After characterization and classification, we annotated 1,139 genes as functional OR genes, 380 as pseudogenes and 223 genes as partial. Genes were annotated as pseudogenes when they had one or several mutations interrupting their open reading frames and with more than 300 amino acids in length. While genes were classified as partial when they were shorter than 300 amino acids. OR genes were located in 57 different loci on 16 pig chromosomes. We also classified these genes into 18 families consisting 2 classes with 4 and 14 families respectively. Analysis of the chromosomal locations of members of each subfamily showed that many OR gene loci encode for one or a few subfamilies. Our results also showed that most subfamilies were encoded within a single locus, suggesting that the structural features to recognize different types of odorant molecules may be encoded by different loci.

Key words : Olfactory receptor, OR genes, pigs, odorant receptors

PA11150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iversity of olfactory Receptor Genes Between pigs and other mammals

Dinh Truong Nguyen1, Kyooyeol Lee2 and Chankyu Park1*1Department of Animal Biotechnology, Konkuk University, Seoul 143-701, Korea

2#909, Venture Valley, 958, Gosaek-dong, Gwonseon-gu, Suwon, Gyeonggi-do, Korea 441-813

Pigs, insects and other mammals can recognize the world around them by using the senses to detect thousands of chemical odorants. In mammals, the nose was used for the detection of odorant molecules by a diverse family of olfactory receptors. Olfactory receptors are encoded by the largest multigene family in the genome of mammals. It is known that humans have fewer olfactory receptor genes and a higher ratio of pseudogenes than mice and dogs. Here we showed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 of OR genes between pigs and other mammals. Phylogenetic analysis using multiple species resulted in identifying 631 orthologous gene clusters. Subfamily sizes vary extensively with 349 subsets that are the largest of total subfamilies among species studied until now. There was species specific OR genes among different species, suggesting that some classes of odorants might be more easily detected or discriminated in one species than others. Our study will help to understand the biological aspect of OR genes in the pigs and possible association with production traits such as reproduction efficiency.

Key words: Olfactory receptor, OR genes, pigs, odorant receptors

- 101 -

PA11151 토종 순계 3원교배 산란용 토종실용계의 산란능력 검정강보석, 황보종, 김학규, 허강녕, 박미나, 홍의철, 추효준, 서옥석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본 연구는 국립축산과학원에서 계통 육성한 토종닭 순계를 이용한 유정란 생산, 취미·관상용 토종닭을 선발하기 위하여 순계(Pure Line) 3원 교잡 실용계의 초기 산란능력을 검정하였다. 시험계는 총 360수로 4교배조합, 3반복, 반복당 30수씩 완전 임의배치 하였다. 4개의 교배조합은 A) 토착겸용종C계통×재래종Y계통×토착겸용종C계통, B) 토착겸용종C계통×재래종L계통×토착겸용종C계통, C) 토착겸용종C계통×재래종G계통×토착겸용종C계통, D) 토착겸용종C계통×재래종W계통×토착겸용종C계통이다. 조사항목은 체중, 산란율, 난중, 산란지수, 사료섭취량 및 사료요구율 등이었다. 체중은 B처리구에서 20, 30, 40주령에 각각 1,570, 1,864, 2,044 g로 다른 교배조합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특히 D 조합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20~40주령까지의 산란율은 C 조합에서 74.8%로 높았으며, B와 D 조합에서 낮았다(P<0.05). 평균난중은 조합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산란지수는 C 조합이 60.5개로 가장 높았다(P<0.05). 사료섭취량은 B 조합에서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사료요구율은 3.3~3.7정도로 처리구간에 유의차는 없었다. 본 연구에서 공시된 시험계의 64주령까지의 능력을 검정하여 우수한 조합의 부모계통 종계를 농가에 보급하여 유정란 생산, 취미·관상용으로 활용할 예정이다.

Key words : 토종 순계, 3원교배, 산란용 토종실용계, 산란능력

PA11152 말의 월라(Tobiano) 모색에 대한 ECA3 연관분석김남영, 한상현, 이종언, 이성수, 김준3, 고문석, 박남건, 양재혁1, 양영훈2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1한국마사회, 2제주대학교 동물자원과학과, 3제주특별자치도 축산진흥원말의 월라(Tobiano) 모색은 사지가 백색이며 등을 가로질러 백색 반점이 나타나는 것으로 정의 된다. 월라 모색은 말의 3번 염색체에 있는 KIT 유전자에 의해 표현되는 것으로 추정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3번 염색체 chromosome inversion이 tobiano 패턴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본 연구는 말의 월라(Tobiano) 모색에 대한 ECA3 내의 연관 좌위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한국형 승용마로 육성 중인 마필 중 월라마필 20두, 비월라 마필 61두로 총 81두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분석에 이용된 가계는 45개 가계를 이용하였다. 유전자 분석은 ECA3에 존재하는 10개의 MS(microsatellite)를 이용하였다. Multipoint nonparametric linkage(NPL) 분석을 위해 MERLIN software(Multipoint Engine for Rapid Likelihood INference, version 1.1.2)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ABGe2188(69.5Mb)에서 가장 높은 non-parametric Z mean(53.5 p<0.00001) 값과 pLOD(2.63 p<0.0003) 값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 말의 월라 모색은 ECA3에서 연관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3번 염색체 chromosome inversion 위치와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Key words : 월라(Tobiano), 한국형승용마, 모색

PA11153 Characterization of Parentage Testing and Individual Identification for Thoroughbred Racing Horses in KRA

Shin-Wook Kang*, Sun-Young Lee, Hye-Jin Kang, In-Su Cho, Soo-Deuk Lee, Kwan-Seok Han

Racing Laboratory, Korea Racing Authority, Gwacheon 427-711, Korea

Thoroughbred horse racing is a worldwide sport and industry involving the racing of Thoroughbred horses. The Korea Racing Authority has played its role as the sole authority for Thoroughbred registry in Korea since 1993, when the Rules and Requirements of Thoroughbred Registry were enacted by the government. We have analyzed allelic DNA type for parentage testing and individual identification of Thoroughbred racing horse every year. In this study, we experimented the total 1,530 horses. Genomic DNAs from equine hair roots were extracted using MgExtractor System MFX-6,100 according to the manufacture's protocols. Multi-plex PCR to amply alleles was performed using ABI euqine DNA kit. The number of alleles of the markers was varied between 3(HMS1) and 9(ASB17) with an average number of alleles of 6.0. The observed heterozygosity were ranged from 0.507(HTG4) to 0.848(LEX3) and mean expected heterozygosity was 0.699. Observed PIC was from 0.417(HTG4) to 0.804(ASB2) and mean PIC was 0.652. The PE was observed from 0.230(HTG4) to 0.654(ASB2) and total PE of all markers was 0.9998.

Key Words : Thoroughbred horse, parentage testing, individual identification

- 102 -

PA11154 Identification of KIT gene polymorphisms in three different colored Hanwoo and Holstein breeds

N. R. Choi1, M. R. Hoque1, S. H. Lee2, D. W. Seo1, H. S. Park3, D. J. Lim3 and J. H. Lee1

1Department of Animal Science and Biotechn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305-764, Korea;2Hanwoo Experiment Stat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Pyeongchang 232-956, Korea;

3Animal Genome & Bioinformatics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Suwon 446-250, Korea

Recently, identification of cattle breed is important because of the increasing interests in the market. In terms of the coat color, KIT gene has an important regulation for melanocyte migration from the neural crest to target tissues and this gene mutation affect the white coat color in various animals. Since this KIT has a major influence for the coat color variation, a total of 14 Hanwoo individuals were investigated. They have three different colors (Black, Yellow and Stripe). Also as the 5 control Holstein breed was also included for the KIT mutation analysis. Total 126 polymorphisms have been identified and 23 of them are located in the exon region. Also we identified 5 bp (TTCTC) and 3 bp (TCT) intronic indels in intron 3 and intron 5, respectively. Out of 23 exonic polymorphisms, 15 SNPs are the missence mutations and the rest of the SNPs are silence mutations. The KIT gene polymorphisms identified in this study will possibly give some solutions for the color variations in Hanwoo.

Key words : polymorphisms, color variation, KIT gene, Hanwoo, Holstein

PA11155 Discrimination of duck breeds using mitochondrial COI gene and D-loop variations

D. W. Seo1, S. D. Jin2, M. R. Hoque1, W. K. Baek2, J. H. Lee1

Department of Animal Science and Biotechn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1

Division of Natural History, National Science Museum2

Awareness of discrimination of duck species is economically important for developing conservation strategies. Mitochondrial DNA (mtDNA) has been widely used for phylogenetic analysis in various species including birds. Avian phylogenetic studies have been successfully achieved using mtDNA D-loop and Cytochrome b gene variations. Also, Cytochrome Oxidase I (COI) gene has been used for the bird species identification markers. A total of 17 individuals from five duck breeds were investigated in the D-loop region and COI gene in mtDNA and phylogenetic analysis were performed. As we expected, COI gene could not discriminated mallard, spot billed and three domestic duck breeds. However, D-loop variations in duck breeds were successfully discriminated among duck breeds. Our results indicated mtDNA D-loop variations are suitable for breed discrimination and this will help for designing breeding and conservation strategies.

Key words : discrimination, D-loop, COI, phylogenetic analysis, duck breeds

PA11156 초음파진단을 통한 한우 암소의 도체형질 변화추세 추정정재경, 이창우1, 황정미2, 김종복2, 이용준, 김형철3

농협중앙회, 1강원도축산기술연구센타, 2강원대학교, 3국립축산과학원 한우시험장본 연구는 초음파진단기술을 활용하여 한우 암소의 자질을 평가할 때, 특정 진단월령에서의 표현형 값이 해당연령에 적합한지 여부를 평가하여 초음파진단의 신뢰도를 높이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공시된 재료는 1997년생부터 2009년까지 출생한 한우 암소 2,803두에 대한 초음파진단 등지방두께(mm), 배최장근단면적(cm2), 근내지방도(점수)의 표현형값을 이용하였다. 측정시점에 암소의 연령은 565일 이하인 경우 1세로, 930일령 이하는 2세로 1,295일 이하는 3세로, 1,660일 이하는 4세로, 2,025일 이하는 5세로, 2,390일 이하는 6세로 그리고 2,391일 이상은 7세로 구분하였다. 등지방두께는 2.9㎝에서 6.3㎝ 범위, 배장근단면적은 46.2 mm에서 60.8mm 범위, 근내지방도는 2.4에서 6.0까지 범위로 변하였다. 한우 암소의 등지방두께는 6세 이후 증가폭이 둔화되었고, 배장근단면적 및 근내지방도는 5세 이후 변화가 없었다. 연령별 표현형 변화추세의 1차 및 2차 회귀계수는 등지방두께가 각각 1.1429 및 -0.0567, 배장근단면적이 각각 7.3285 및 -0.6239, 근내지방도가 각각 1.6409 및 -0.1413으로 추정되었다. 따라서 초음파 진단을 활용하여 암소의 자질 평가 시 해당 연령의 암소가 해당 시점의 표현형값에 부합되지 않으면 암소의 자질이 떨어진다고 볼 수 있어 암소의 도태기준으로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 words : 한우, 암소, 초음파진단, 등지방두께, 배최장근단면적, 근내지방도, 표현형값

- 103 -

번식 및 생리

- 105 -

PB11001 한우 종빈우의 산차별 혈액성상의 변화에 관한 연구홍경선

MPT KOREA

[목적] 본 연구는 한우 고급육생산의 기초가 되는 한우 종빈우의 핵군조성사업을 보다 과학적이고도 쳬계적으로 실시하기 위하여 한우 종빈우(씨암소) 초임우 및 경산우에 대한 혈액 대사판정검사(metabolic profile test : MPT)를 통하여 산차별 사료급여체계의 문제점을 검토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방법] 자연 상온환경에서 한우 암소 핵군농장에서 사육중인 한우 종빈우 초임우 25두와 경산우 75두(1~2산 : 25두, 3산이상 :50두),총 100두를 공시축으로 하였다. 채혈전 12hr동안 농후사료공급을 중단하고 경정맥 채혈 직후 원심분리하여 냉장(4 )보관한 후, 채혈 24hr이내에 혈액 대사물질(glucose,urea-N, FFA,TG)농도와 혈중 주요 미네랄(Ca, Pi, Mg)농도 및 간수치(GPT, GOT) 농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혈중 glucose, GOT농도는 1~2산시 감소하다가 3산 이후 증가하였으며, 혈중 triglyceride(TG), Mg, GPT 농도는 산차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한편 혈중 BUN, Cholesterol 농도와 Ca/Pi 비율은 1~2산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다가 3산이후 초임우 수치로 회복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한우 종빈우의 산차별 최적사양관리 프로그램을 운영하기 위한 주요 영양수치 등을 제시해 줌으로서 한우 종빈우의 번식효율향상과 경제수명연장 등을 통한 체계적인 ‘한우 암소 핵군조성’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동물복지형 사양관리 시스템’을 제공해 줌으로서 자가 면역력저하에서 비롯되는 한우의 각종 질병과 악성 전염병(FMD 등)의 예방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 words : animal welfare, MPT, thermoneutral temperature, korean cow, FMD

PB11002 흑염소의 콕시듐증 치료를 위한 항콕시듐제 투여 효과최창용, 곽동미**, 정병열*, 최순호, 정연섭, 허태영, 정영훈, 강석진, 손동수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국립수의과학검역원*, 경북대학교 수의과대학**

우리나라에서 흑염소는 고유의 재래가축으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사육되어 오고 있는데, 2009년 12월 기준 17,049 농가에서 249,855두를 사육하고 있다. 오래전부터 약용으로 이용하던 흑염소 고기가 축산물의 소비증가와 함께 육용으로 이용되면서 꾸준히 소비가 증가하고 있으며, 흑염소의 사육환경이 집단·다두 사육으로 바뀜에 따라 이와 더불어 질병의 발생도 증가하여 농가의 생산성이 저하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흑염소에서 설사를 유발하는 질병 원인체 중의 하나인 콕시듐을 대상으로 항콕시듐제 투여효과를 확인하였다. 국립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시험장에서 사육하고 있는 흑염소의 분변에서 콕시듐 충란을 검사한 결과 항콕시듐제를 투여하기전 85두의 분변시료에서 52두(61%)에서는 검출되지 않은 반면, 26두(31%)에서 미량 검출, 7두(8%)에서 대량 검출되었다. 그러나 항콕시듐제의 일종인 Toltrazuril(바이콕스 5%)을 동일한 시험축에 경구투여한 결과 62두(72%)에서 미검출, 20두(24%)에서 미량 검출, 3두(4%)에서 대량 검출된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항콕시듐제를 투여함으로써 콕시듐 충란이 검출되지 않은 흑염소의 비율이 11%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바탕으로 흑염소에서 정기적으로 항콕시듐제를 투여한다면 설사의 발생을 예방함으로써 질병발생에 따른 경제적인 손실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 words : 흑염소, 설사, 콕시듐증, 항콕시듐제

PB11003 Differential expression of connexin isoforms in the testis, epididymis, and bladder of the male rat reproductive tract during postnatal development

Ki-Ho Lee, Hee-Jung Seo, Seong-Kyu Lee, and Haing-Won Baik

Department of Biochemistry and Molecular Biology, School of Medicine, Eulji University, Daejeon, 310-746, Korea

Direct cell-to-cell communication is necessary for functional regulation of specific tissues and is accomplished by gap junctional channels. In vertebrate, gap junction is mainly formed by connexins (Cxs). To date, there are at least 20 Cx isoforms identified in mammals. The present study was focused to determine expression of various Cx isoforms in the rat testis, epididymis, and bladder during postnatal period by using real-time PCR analysis. Total RNA was utilized to generate the first strand of cDNA, which was used as a template DNA for real-time PCR. Gene expression of 15 Cx isoforms were examined. There were 9 Cx isoforms (Cxs 26, 31, 31.1, 32, 33, 40, 43, 45, and 50) expressed in the testis. In the epididymis, 9 Cx isoforms (Cxs 26, 30.3, 31, 31.1, 32, 37, 40, 43, and 45) were detected. However, there expressional pattern of each Cx was different among caput, corpus, and caudal epididymis. A total of 6 Cx isoforms (Cxs 31, 31.1, 32, 37, 40, and 43) were expressed in the bladder. Expression patterns of some Cxs in a given tissue during postnatal developmental period were quitely similar, while others were absolutely different each other. The present research reveals complicated regulation of gene expression of Cx isofomrs in age- and tissue-specific manners and even regional-specific manner within the epididymis.

Key words : connexin, testis, epididymis, bladder, postnatal development

- 106 -

PB11004 Evaluation of gene and protein expression of steroidogenic enzymes in the rat testis treated withnandrolone decanoate

Ki-Ho Lee1, Hee-Jung Seo1, Inho Choi2, Yong-Pil Cheon3, and Tae Hoon Cheon4

1Department of Biochemistry and Molecular Biology, School of Medicine, Eulji University, Daejeon, 310-746, Korea2School of Bitechnology, Yeungnam University, Gyeongsan, 712-749, Korea

3School of Life Sciences and Chemistry, Institute of Basic Sciences,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136-742, Korea

4School of Life Sciences and Biotechnology, Division of Life Sciences, Korea University, Seoul, 136-701, Korea

Nandrolone is an anabolic-androgenic steroid frequently found in pork and beef. Nandrolone decanoate (ND), a synthetic form of nandrolone, is used for treatment of various clinical diseases. However, abuse of ND in male results in significant reproductive impairment, including infertility. The present study was aimed to evaluate gene and protein expression of steroidogenic enzymes in the adult rat testis with ND treatment at low (2mg ND/kg bw/week) or high (10mg ND/kg bw/week) dose for 2 weeks or 12 weeks. Real-time PCR, western blotting, and immunohistochemical analyses were utilized to determine changes of gene expression, protein levels, and staining-intensity and localization of steroidogenic enzymes in the testis, respectively. ND treatment resulted in decreases of body, testis, epididymis, and epididymial weights. Serum testosterone levels were decreased. Treatment of ND at a higher dose and longer period led significant decreases of mRNA and protein levels of steroidogenic enzymes in the testis. Similar findings were detected from immunohistochemical examin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sub-fertility or infertility induced by ND administration is likely due to aberrant expression of steroidogenic enzymes in the testis.Key words : Nandrolone decanoate, Testis, Steroidogenic enzyme, Gene expression, Infertility

PB11005 각 발달 단계별 생쥐 배아의 유리화 동결에서 동결보존 용기가 배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서병부1, 김지철1,2, 김재명3, 송해범1

1대구대학교 동물자원학과, 2로사산부인과, 3CHA 의과학대학교목적: 본 연구는 생쥐 배아의 효과적인 동결보존 방법을 확립하기 위해 각 발생단계별 배아를 여러 가지 동결보존 용기로 유리화 동결하여 배아의 생존율과 발달율을 조사하였다. 연구방법: 생쥐 2-, 8-세포기와 포배기 배아는 EM-grid, OPS, cryo-loop의 동결보존 용기에 각각 유리화동결-융해한 후 회수율, 생존율, 발달율 및 부화율을 조사하였다. 결과: 생쥐 배아를 EM-grid, OPS, cryo-loop로 각각 유리화동결-융해한 후 회수율과 생존율은 cryo-loop구가 EM-grid구보다는 유의하게 높았다(p<0.05). 생쥐 2-세포기 배아의 포배기 배아로의 발달율과 부화율은 대조구가 EM-grid구와 OPS구보다 높은 유의차가 있었지만(p<0.05), cryo-loop구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8-세포기 배아의 상실배, 포배기 배아의 발달율과 부화율은 대조구가 모든 처리구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포배기 배아의 부화율은 대조구가 EM-grid구와 OPS구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cryo-loop구는 다른 처리구와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지만 약간 높았다. 결론: 각 발달단계별 배아의 동결보존 용기에 따른 유리화동결은 할구가 증가되고 배아의 발달단계가 진행된 배아일수록 높은 배아의 발달율을 나타내었고, 동결보존 용기에 따른 배아의 발달율은 차이가 없었으며, 앞으로 여러 가지 동결보존 용기에 대한 개발과 숙련된 동결 조작기술 및 액체질소를 통한 오염의 위험성을 예방하는 방안의 연구가 추가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Key words : 유리화동결법, 생쥐 배아, EM-grid, OPS, cryo-loop

PB11006 한우 공란우 체내수정란 생산과 BUN 수준과의 관계손준규, 최창용, 권응기, 백광수, 박성재, 임현주, 정연섭, 조상래, 손동수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수정란 이식은 우수 유전형질을 보유하고 있는 암가축으로부터 다수의 수정란을 회수하여 다른 개체에 이식 후 자축을 생산함으로써 우수한 유전 형질을 가진 개체를 효과적으로 증식시킬 수 있고, 형질이 동일한 다수의 자축을 단시간내에 생산이 가능하므로 가축의 능력 개량에 매우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한우의 체내 수정란 생산과 BUN 수준과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한우 공란우 55두에 대하여 발정주기에 관계없이 CIDR를 질내에 삽입 후 4일째부터 성선자극호르몬(안토린) 28AU를 4일간 12시간 간격으로 근육주사 하였다. 투여 3일째 CIDR를 제거하였으며, 동시에 PGF2α 25mg을 근육 주사하여 과배란을 유기하였다. 공란우의 인공수정은 PGF2α 투여 후 발정을 확인하고 12시간 간격으로 2회 인공수정 하였으며, 1회 인공수정 전 GnRH 100 을 근육 주사하였다. 수정란 회수는 1차 인공수정 후 7-8일째에 비외과적 방법으로 채란하였다. CIDR 삽입하는 날부터 일주일에 2회, 수정 후 100일까지 채혈하여 호르몬을 분석하였다. BUN의 농도가 10mg/dl 이하, 11-18mg/dl, 19mg/dl 이상일 때 이식가능 수정란 수는 3.1±1.1, 5.6±1.7, 4.3±1.9를 보였다. 혈장 내 요소태질소의 수준이 11mg/dl 보다 낮을 경우 회수 난자수나 이식가능 수정란 수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이식 가능 수정란을 안정적으로 다수 생산하는 것은 수정란 이식 기술의 실용화를 위한 가장 기초적이며 매우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 영양수준을 고려한 기본적인 영양 사양관리가 뒷받침 되어야 체내수정란 생산 및 이식가능 수정란 수의 생산이 증가 할 것으로 사료된다.Key words : 공란우, 체내수정란,BUN, 과배란처리

- 107 -

PB11007 수단그라스 사일리지 급여가 한우 경산우의 번식성적에 미치는 영향장기영, 문승주, 국 길, 백광수1, 이왕식1, 김원호1, 김광현전남대학교 동물자원학부, 1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수단그라스사일리지 급여가 한우 경산우의 번식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1년간 전남대학교 한우대표실습장의 한우 번식우사에서 번식성적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분만 후 첫 수정까지의 일수는 대조구가 78.8±25.3일, 처리구가 84.7±24.6일이었고, 분만 후 수태까지의 일수는 대조구가 90.1±24.1일, 처리구가 87.7±26.8일 이었다. 분만 후 첫 수정 시 수태율은 대조구가 66.7%, 처리구가 90.0%였고, 분만간격은 대조구가 375.1±46.7일, 처리구가 370.2±34.4 일이었다. 인공수정시 번식우의 신체충실지수는 대조구가 5.36이고, 처리구는 4.93이었다.

Key words : 한우, 수단그라스사일리지, 번식성적

PB11008 이탈리안라이그라스 사일리지 급여가 한우 경산우의 번식성적에 미치는 영향이희진, 문승주, 국 길, 장기영, 백광수1, 이왕식1, 김원호1, 김광현

전남대학교 동물자원학부, 1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이탈리안라이그라스사일리지 급여가 한우 경산우의 번식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1년 동안 전남대학교 한우대표실습장의 한우 번식우사에서 번식성적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분만 후 첫 수정까지의 일수는 대조구가 70.2±12.84일, 처리구가 62.3±8.55일이었고, 분만 후 수태까지의 일수는 대조구가 75.8±8.99일, 처리구가 63.6±7.23일 이었다. 분만 후 첫 수정 시 수태율은 대조구가 73.3%, 처리구가 93.7%였고, 분만간격은 대조구가 368.80±9.76일, 처리구가 350.63±4.00일 이었다. 인공수정시 번식우의 신체충실지수는 대조구가 5.13±0.29, 처리구 4.90±0.20이었다.

Key words : 한우, 이탈리안라이그라스 사일리지, 번식성적

PB11009 Molecular modeling on small molecule that target BVDV RdRp

Han-ha Chai, Igsun Kim, Hyesun Park, Dajeong Lim, Hwan-hoo Seong*

Animal Genomics & Bioinformatics Division, NIAS, RDA

Bovine viral diarrhea virus (BVDV) is a major pathogen of cattle that may will be the most wide spread virus in bovines. The BVDV is the prototype of the genus Pestivirus within the family of Flaviviridae. The genus Pestivirus contains other important animal pathogens, such as the classical swine fever virus (CSFV) and the border disease virus (BVD) that cause diseases in pigs andin sheeps, respectively. The viral RdRp is the replicase enzyme that is necessary for viral transcription or replication, so we were targeted to BVDV RdRp. The BVDV RdRp activity can be targeted using either nucleotide analogs or non-nucleotide compound targeting allosteric sites in the protein. we employed a ligand-based computational approach to identify the molecular structure requirements in the known series of compound to act as effective BVDV inhibitors and searched for a putative binding site with the inhibitors on BVDV RdRp. Based on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 using computer modeling analysis, important insight into the molecular substructure of anti-BVDV compounds may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for the design of novel inhibitor against Pestivirus.

Key words : BVDV(Bovine viral diarrhea virus), RdRP(RNA-dependent RNA polymerase), Molecular Modeling

- 108 -

PB11010 Identification of AHCYL1 as estrogen stimulated gene in the oviduct of chickens

Jin-Young Lee, Wooyoung Jeong, Suzie E. Ahn, Ga-Young Lee, Jae Yong Han and Gwonhwa Song

WCU Biomodulation Major, Department of Agricultural Biotechn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599 Gwanak-ro, Gwanak-gu, Seoul 151-921, Korea

S-adenosylhomocysteine hydrolase-like protein 1 (AHCYL1), also known as IP3 receptor-binding protein released with IP3 (IRBIT), is a member of the AHCY-like protein family. AHCYL1 protein regulates IP3-induced Ca2+ release in the cytoplasm of cell sand, therefore, is likely to bean important gene regulating various biological processes in the oviduct of chickens. In mammals, expression is greatest during activation of dendritic cell swhich are antigen presenting cells associated with immuno regulatory processes in blood and skin. However, the identification of the AHCYL1 gene in chickens has not been investigated. In the present study, we first used RT-PCR to demonstrate AHCYL1 gene expression in adult chicken organs and oviducts of immature chickens treated with DES (diethylstilbesterol, a synthetic estrogen agonist). The results indicated that AHCYL1 mRNA is expressed in chicken reproductive organs (testis, ovary and oviduct). In addition, expression of AHCYL1 mRNA increased in response to DES-treated immature oviducts compared to the non-treated control immature oviducts of chickens. Interestingly, AHCYL1 was abundant in the cytoplasm of luminal and glandular epithelia, but not in other cell-types such as stroma and connective tissues, of the chicken oviduct. These results suggest that AHCYL1 is a novel estrogen-stimulated gene associated with development of the chicken oviduct, as well as functions of oviductal glandular and luminal epithelia that may include activation of resident immune cells, such as dendritic cells.

Key words : AHCYL1, chicken oviduct estrogen

PB11011 인공수정 실패에 대한 어미암소와 KPN의 영향 분석박새롬, 송영한, 이성진*

강원대학교 동물생명과학대학본 연구는 강원도 영동의 대표 한우 브랜드인 ‘한우령 한우’에 속한 7개 시 군(강릉, 동해, 태백, 삼척, 속초, 양양, 고성)의 93농가 중 1655두의 암소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암소 중 인공수정 실패율이 1회 이상인 암소는 930두로 총교배수는 4707회 실패횟수는 2259회로 약 47.9%의 실패율을 보였다. 강원 영동지방에 사용된 상위 KPN 14두 중 KPN593과 KPN676이 각각 78.97%, 68.79%로 가장 높은 실패비율을 보인 반면 KPN506과 KPN458이 각각 30.41%와 24.44%로 가장 낮은 실패비율을 보였다. 또한 인공수정 실패율이 높은 상위 KPN 10두의 평균은 62.59%로 인공수정에 있어서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에 이용된 암소들 중 6산차 이상의 암소와 그들의 자우 암소의 인공수정 실패율을 비교하였고 친자확인을 위해 ABI 310 DNA sequencer로 11개 microsatellite marker를 이용하여 genotyping 하였다. 인공수정 실패율이 높은 자우암소는 어미 암소의 실패율도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1) 또한 자우암소의 인공수정에 사용된 KPN의 실패율도 유의적으로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P<0.01). 따라서 암소의 인공수정 실패율은 어미와 사용된 정액(KPN)의 인공수정 실패와 깊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본 분석결과는 암소와 KPN 인공수정 실패분석을 통해 강원도 영동지방의 한우 암소의 번식형질 개량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 words : Hanwoo cow, KPN, Failure rate of AI

PB11012 SERPIN Genes in the Chicken as Ovarian Cancer Markers

Jung Hwa Shin, Whasun Lim, Ji-Hye Kim, Chul-Hong Lim, Jae Yong Han and Gwonhwa Song

WCU Biomodulation Major, Department of Agricultural Biotechn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599 Gwanak-ro, Gwanak-gu, Seoul 151-921, Korea

SERPINs are serine and cysteine peptidase inhibitors and have been identified in a variety of species with a unique mechanism of action. It has been suggested that SERPINs may be involved in tumor suppression of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and an inhibition of apoptosis in human cancer cell lines. Here, we aimed to study the expression of SERPINB3 and SERPINB11 mRNA and protein in normal and cancerous ovarian tissues of chickens.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both SERPINB3 and SERPINB11 mRNA expressions were induced in cancerous ovaries compared to normal ovaries. Consistent with these results, in situ hybridization and immunohistochemistry verified that both SERPINB3 and SERPINB11 mRNA and protein are highly increased only in glandular epithelia of cancerous ovarian tissue. Furthermore,immunofluorescencemicroscopy showed that SERPINB3 protein was translocated from cytoplasmic compartment into nucleus, and SERPINB11 protein was abundantly detected only in cytoplasm in chicken cancer cells. We also explored the comparison of CpG methylation pattern in the upstream of SERPINB11 gene in both normal and cancerous cells. Bisulfite sequencing results showed that -54, -329 and -346 CpG sites from transcriptional start site maintained methylation in both cells. However, 30% of -110 CpG site was methylated in ovarian cancer cells, while all of -110 CpG site was demethylated in normal ovarian cells. Therefore, our current data suggests that the laying hen is a unique model for the research of human ovarian cancer, and both SERPINB3 and SERPINB11 as biomarkers could be used for early diagnosis and therapy of the disease.

Key words : SERPINB3, SERPINB11, chicken, ovarian cancer

- 109 -

PB11013 제주특별자치도 축산진흥원종부소에서 濟州馬 씨수말의 性行動에 관한 調査 硏究 (1)

권태준1, 배재호1, 강옥득1, 박준형2, 김대수2, 김대경3, 안상미3, 박소영3, 정혜나3, 한창민4, 강민수*

제주대 대학원 생명공학전공 * 박사과정 1석사과정 제주대 생명자원과학대학 생명공학부 동물생명공학전공 ³*제주대 산업대학원 석사과정 말산업학과 * 제주대 재활승마 아카데미 * 제주대 마필산업연구센터 *4제주특별

자치도 축산진흥원본 연구는 말의 기초적인 연구이면서 점차 폭넓게 활용이 될 제주마 씨수말의 성행동 연구를 통하여 말의 번식률 향상 및 말 사육농가의 소득증대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제주마의 행동 양식에 대해 성행동(Erection duration, Flehmen count, Flehmen duration, Mating behavior attempts, Duration of mating attempts behaviors, Mating behavior<Insertion Dismountion> times, Piston movement frequency)을 조사하였으며, 제주특별자치도 축산진흥원종부소에서 2009년에서 2010년까지 행동양식에 따라 유형별 빈도와 지속시간을 정밀 측정 기록하였다. Erection duration는 2009년에는 64.60±39.38초, 2010년에는 40.90±17.28초, Flehmen count는 각각 3.75±3.08회, 3.65±1.90회, Flehmen duration는 각각 21.70±16.66초, 23.20±16.00초, Mating behavior attempts는 각각 2.45±1.64회, 3.05±1.67회, Duration of mating attempts behaviors는 2009년에는 104.90±75.75초, 2010년에는 102.35±64.97초의 결과를 나타냈다. Mating behavior(Insertion Dismountion) times는 각각 27.40±4.02초, 26.60±2.21초, Piston movement frequency는 각각 9.35±0.93회, 9.35±1.46회로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이상으로 본 연구결과는 가축관리학분야의 기초자료 제공 및 번식관리기술을 제고시켜 번식률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Key words : Duration of mating attempts behaviors, Erection duration, Flehmen count, Flehmen duration, Mating behavior attempts, Mating behavior(Insertion Dismountion) times, Piston movement frequency

PB11014 濟州馬 種牝馬의 放牧地 行動에 관한 調査 硏究

권태준1, 배재호1, 강옥득1, 박준형2, 김대수2, 김진표3, 김대경3, 안상미3, 박소영3, 정혜나3, 이성호5, 강민수*

제주대 대학원 생명공학전공 박사과정 ¹* 석사과정²* 제주대 산업대학원 석사과정 말산업학과³ * 제주대 생명자원과학대학 생명공학부 동물생명공학전공 * 제주대 재활승마 아카데미 * 제주대 마필산업연구센터 * 제

주특별자치도 축산진흥원 ⁵본 연구는 제주특별자치도 축산진흥원의 천연기념물 제347호 제주마 견월악 방목지에 방목중인 종빈마의 여름철 하고현상(夏枯現

象:내한성이 강하여 월동을 잘하는 북방형 목초의 경우 여름철에 접어들면서 생장이 쇠퇴, 정지하고 심하면 황화, 고사하는데 이것을 하고라 함)에 따라 어떤 행동을 발현하는가를 연구하며, 아울러 그 행동 발현의 메카니즘을 명확히 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조사 연구는 견월악 방목지에서 종빈마가 4월에서 11월까지 매월 2회씩 방목지에서 조사 기록하여 분석하였고, 관찰시간은 A.M. 8 ~ P.M. 5 까지 점심시간 한 시간을 제외한 8시간 동안 1명씩 조사원이 1두씩 담당하여 조사기록 하였다. 조사결과 채식시간은 4월은 230±65.2분, 5월 227±62.7분, 6월 255±67.3분, 7월 301±53.2분, 8월 350±27.3분 일조시간이 짧아지는 10월에는 219±62.5분을 채식하여 계절적으로 보아 채식행동시간이 가장 길었던 달은 7월과 8월이었다. 또한, 휴식행동은 4월은 90±37.2분, 5월 112±89.5분, 6월 136±61.6분, 7월 76±31.2분, 8월 35±18.4분, 10월 90±19.7분으로 나타났으며, 7월과 8월에 휴식시간이 급격히 저하되는 원인은 목초의 하고현상에 따른 목초생산 공급 감소로 생각된다. 이 자료는 종빈마의 방목지행동으로 축산학 및 초지학 연구자들에게 가축의 번식기술 및 방목지관리기술의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여겨진다.

Key words : Jeju Horses, Mare, Grazing Behavior, Eating time, Defecation, Foraging Time, Resting time, Urination

PB11015 KRA 제주목장종부소에서 Thoroughbred 씨수말의 性行動에 관한 調査 硏究 (2)

배재호¹ 권태준¹ 강옥득¹ 박준형² 김대수² 김대경³ 안상미³ 박소영³ 정혜나³ 변대호 강민수*

제주대 대학원 생명공학전공 * 박사과정 ¹ 석사과정 ² 제주대 생명자원과학대학 생명공학부 동물생명공학전공 ³* 제주대 산업대학원 석사과정 말산업학과 * 제주대 재활승마 아카데미 * 제주대 마필산업연구센터 * KRA

제주목장 본 연구는 KRA 제주목장종부소에서 Thoroughbred의 성행동 Patten을 획득 제공함으로서 Thoroughbred의 번식률 향상 및 번식관리기술을 제고시켜 자마 생산비 절감과 농가소득향상에 기여 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Thoroughbred 씨수말의 행동 양식에 대해 성행동(Erection duration, Flehmen count, Flehmen duration, Mating behavior attempts, Duration of mating attempts behaviors, Mating behavior<Insertion Dismountion> times, Piston movement frequency)을 조사하였고, KRA 제주목장종부소에서 2009년에서 2010년까지 행동양식에 따라 유형별 빈도와 지속시간을 정밀 측정 기록하였다. Erection duration는 2009년에는 29.00±14.47초, 2010년에는 34.15±15.25초, Flehmen count는 각각 2.30±1.17회, 1.35±0.81회, Flehmen duration는 각각 10.15±7.80회, 8.30±8.03회, Mating behavior attempts는 각각 1.60±0.82회, 1.60±0.68회, Duration of mating attempts behaviors는 각각 51.20±54.16초, 53.40±37.62초, Mating behavior(Insertion Dismountion) times는 각각 29.30±6.11초, 26.50±2.40초, Piston movement frequency는 각각 8.85±1.23회, 8.50±1.10회를 나타냈다. 이상으로 본 연구 결과는 Thoroughbred 씨수말의 성행동 양식에 대해서 과학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하며, 번식률 향상 및 번식관리기술을 제고시켜 자마 생산비 절감 및 농가소득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여겨진다.

Key words : Duration of mating attempts behaviors, Erection duration, Flehmen count, Flehmen duration, Mating behavior attempts, Mating behavior(Insertion Dismountion) times, Piston movement frequency

- 110 -

PB11016 濟州馬 씨수말의 放牧地 性行動에 관한 調査 硏究 (3)박준형² 권태준¹ 배재호¹ 강옥득¹ 김대수² 김대경³ 안상미³ 박소영³ 정혜나³ 이성호 강민수*

제주대 대학원 생명공학전공 * 박사과정 ¹ 석사과정 ² 제주대 생명자원과학대학 생명공학부 동물생명공학전공 ³*

제주대 산업대학원 석사과정 말산업학과 * 제주대 재활승마 아카데미 * 제주대 마필산업연구센터 * 제주특별자치도 축산진흥원

본 연구는 제주마의 동물학적인 특징을 기록하며 제주특별자치도 축산진흥원 천연기념물 제347호 제주마 견월악 방목지에서의 합리적인 관리방안을 제시하게 되고 아울러 종모마의 성행동에 관한 조사를 통해 효율적인 번식생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제주마 씨수말의 행동양식에 대해 성행동(Erection duration, Flehmen count, Flehmen duration, Mating behavior attempts, Duration of mating attempts behaviors, Mating behavior<Insertion Dismountion> times, Piston movement frequency)을 조사하였고, 번식기인 3~8월까지 제주특별자치도 축산진흥원에서 관리하고 있는 견월악 방목지에서 A.M. 7 ~ A.M. 10 , P.M. 4 ~ P.M. 7시까지 선선한 시간 때를 이용하여 조사가 진행되었다. Erection duration는 2009년에는 140.65±8.20초 2010년에는 143.05±9.28초의 결과를 얻었다. Flehmen count는 각각 4.5±1.24회, 5.00±1.38회, Flehmen duration는 각각 41.50±17.02초, 44.35±17.04초, Mating behavior attempts는 각각 2.70±1.34회, 2.80±1.15회, Duration of mating attempts behaviors는 각각 104.20±42.13초, 97.45±40.07초, Mating behavior(Insertion Dismountion) times는 각각 24.50±2.09초, 23.15±2.23초, Piston movement frequency는 각각 8.90±0.97회, 9.30±0.92회를 나타냈다. 이상으로 연구결과는 앞으로 제주마의 번식률 향상 및 번식관리 기술개선에 유익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Key words : Duration of mating attempts behaviors, Erection duration, Flehmen count, Flehmen duration, Mating behavior attempts,

Mating behavior(Insertion Dismountion) times, Piston movement frequency

PB11017 Establishment of IVP Bovine Embryos and Calves by Ovum Pick-UpJong-In Jin, Tae-Hyeon Kwon, Byeong-Hyun Choi, Sung-Soo Kim, Hyun-Tea Jo, Il-Keun Kong1

Department of Animal Science, Division of Applied Life Science (BK 21 Program),1Institut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Graduate School of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660-701, Korea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d effect of OPU system on the mass production of cow embryo and calf in ultra-elite Hanwoo. The collected oocytes were cultured by our lab's culture system. OPU session was performed continually total 88 times, 2 times per week from 4 donor cows (Hanwoo) for 3 months. Total 682 oocytes were collected from 961 follicles aspiration and became 549 (85.6%) cleavage and 284 (44.4%) blastocyst. OPU derived blastocyst was transferred into recipients and then 44 (53.01%) of 83 recipients were pregnant (48.1% from single ET and 55.4% from double ET), and then produced total 42 calves. In conclusion, OPU system can be produced 2 transferable embryos per session per donor of hanwoo and so produced over 64 transferable embryo for this period. From 52 recipient cows, 44 recipient of 83 times ET were palpated the pregnancy and then delivered 42 calves including of 6 twin calves from 36 recipients. OPU system can be applied on mass production of ultra-elite cow embryos and offspring, and also adapted this system in developmental breeding in hanwoo and dairy cow herd.Key words : OPU, Embryo, Hanwoo, Embryo transfer, Pregnancy

PB11018 임신말기 자궁내 발육상태 및 자궁적출 시기가 SPF형질전환복제동물 생후 생존에 미치는 영향우제석1, 형남웅, 이주영, 황성수, 오건봉, 이휘철, 양병철, 임기순, 이명식1, 박정용1, 박수봉, 홍성구1

동물바이오공학과, 1국립축산과학원 한우시험장본 연구는 바이오 이종장기용 형질전환복제미니돼지는 수태율이 극히 낮고, 자궁내 태아의 착상수가 극히 저조하여 임신말기 자연분만이 매우 어려우며, 형질전환개체는 일반돼지에 비하여 자궁내 발육상태가 매우 불량하여 생후에도 생존율이 매우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자궁내에서 충분한 발육기간이 지난 후에 SPF상태로 생산하여 출생후에도 안정적으로 생명을 유지하며 발육하게 하기위하여 형질전환복제미니돼지가 임신기간 동안 성장하는 과정을 초음파임신진단기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임신말기 113일 이후에 태아를 자궁에서 적출하는 적정시기를 결정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태아발육정도를 비교하기위하여 임신4주부터 15주까지 약90일동안 매주 태아를 초음파진단기로 측정하여 일반돼지 태아가 4주령에 1.8cm에서 임신말기 15주령에 14.4cm정도 발육하였으며, 또한 실제 분만기시인 113일에 초음파 측정을 실시한 후 자궁적출 하였을 때 몸통길이가 각각 초음파측정 시 15.9±4cm이었으며, 자궁적출후 태아를 실측하였을 때 16.0±2cm로, 초음파 측정치와 실측치가 거의 유사하여 초음파에 의한 태아의 발육상태를 예측하였을 때 생후 발육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일반돼지와 형질전환복제미니돼지의 임신말기 초음파에 의한 태아의 발육을 비교 조사한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형질전환복제미니돼지가 대리모의 자궁에서 자연분만시기인 114일이 지나도 자연분만이 일어나지 않았으며, 분만시기 후 2 4일 사이에 태아를 초음파 측정하여 몸통길이가 14cm이상 성장하였을 시기에 태아를 자궁적출 하는 것이 생후 태아가 정상적으로 발육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Key words : 형질전환복제미니돼지, 자궁적출, 초음파

- 111 -

PB11019 복제기술을 이용한 한국형 복제미니돼지 생산 한주희1,2, 허창기1, 박천규1, 이은경1, 양혜영1, 안종덕1, 조성근2

1조아제약 조아생명공학연구소, 2부산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생명자원응용과학과본 연구는 이종간 장기이식용 mini-pig를 생산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 한국형 mini-pig 품종 개발을 위해 핵이식 방법을 통한 복제기술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현재 mini-pig는 장기이식, 신약개발, 임상 시험 및 의료실습대상으로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지만 전세계적으로 공급이 부족한 상황이며, 국내에서는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mini-pig 는 사람과 생리적으로 아주 유사하여 이를 이용한 연구 및 산업으로의 활용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한국의 자원이 될 한국형 mini-pig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공시된 난자 1287개의 난자를 핵이식하여 62.0% 융합율을 보였으며 그 중 610개의 복제란을 이식하여 7두의 산자를 생산하였으며, 5두는 정상분만 하였고 2두는 사산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우수한 계통의 mini-pig를 확보하기 위한 연구가 수행되어지면 한국형 mini-pig 생산 기술개발 및 대량 생산체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또한 유가 및 사료비 폭등으로 인한 국내 양돈산업의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계기를 마련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본 연구는 농촌진흥청 바이오그린21사업(과제번호:PJ007183)의 지원에 의해 이루어졌다.

Key words : mini-pig, 복제기술, 장기이식, 핵이식

PB11020 제주산마의 고강도 승마운동 후 정리운동 방법 및 휴식시간이 생리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강옥득2, 류연철1, 윤영민2, 권태준2, 배재호2, 박준형2, 강민수1,5,6*

1제주대학교 대학원 생명공학과, 2제주대학교 대학원 생명공학과 박사과정, 2석사과정, 4제주대학교 수의과대학 수의학과, 5제주대 마필산업연구센터, 6재활승마아카데미

본 연구는 승용마에서 고강도 운동 후 정리운동방법 및 휴식시간이 운동피로 회복에 미치는 생리적 효과를 규명 하고자 실시되었다. 제주산마 25두를 공시하여 승마운동(3,000m, 10.0m/sec) 후 심박수, 혈중 glucose 농도, 혈중 젖산 농도, 적혈구용적(PCV), 총 단백질(TP), 해모글로빈(Hb)의 수준에 대해 분석하였다. 정리운동 방법은 평보와 속보를 이용하였고, 정리운동시간은 휴식 15분 후, 30분 후, 60분 후에 측정 하였으며, 대조구로 휴식군을 이용하였다. 또 운동직후 측정수준을 100%로 하여 휴식시간 경과 후 감소율을 분석하였다. 자료처리는 SAS 통계프로그램 (SAS user’s guide, version 8.2. Cary, NC, SAS Institute. 2001)을 이용하여 각 그룹에 대한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유의수준은 95%로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운동 후 말의 심박수는 15분 휴식 경과 후에 모든 그룹에서 급격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혈중 glucose 농도는 평보그룹이 휴식그룹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한 반면 속보그룹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휴식시간에 따른 감소율을 비교한 결과, 혈중 젖산 농도의 감소율은 속보그룹에서 15분 휴식 후 75%의 젖산 감소율을 나타냄으로써 매우 긍정적 효과를 나타냈으며, PCV는 그룹 간에 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P, Hb는 정적인 휴식이 동적 휴식에 비해 빠른 회복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고강도 운동으로 피로가 축적된 말들은 빠른 회복을 위한 동적인 정리운동이 필수적이며, 그 방법으로는 평보보다 속보에서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자료는 승마동호인과 승마지도자들에게 운동 후 말의 회복과 건전한 웰빙승마 레포츠를 즐기는 데 있어 기초자료로 유익하게 활용 될 것으로 기대된다.

Key words : Horse, Cooling-down, High-intensity exercise, Heart rate, Horse riding, Lactate

PB11021 승용마로 이용 중인 제주산마의 수영 훈련기간에 따른 생리학적 효과에 대한 조사 연구 강옥득2, 류연철1, 윤영민2, 권태준2, 배재호2, 박준형2, 강민수1,5,6*

1제주대학교 대학원 생명공학과, 2제주대학교 대학원 생명공학과 박사과정, 3석사과정, 4제주대학교 수의과대학 수의학과, 5제주대 마필산업연구센터, 6재활승마아카데미

본 연구는 승용마로 이용 중인 제주산마의 수영훈련기간에 따른 생리적 효과를 확인하고자 실시되었다. 수영훈련은 제주산마 5두를 이용하여 매일 10분씩 2주 동안 실시되었으며, 생리적인 변화를 조사하기 위한 측정은 수영훈련 전(D0), 수영훈련 7일 후 (D7), 수영훈련 14일 후(D14) 3단계로 나누어 실시되었다. 또 말의 혈액은 매 단계마다 수영 전, 수영 직후, 10분 휴식 후로 나누어 말의 경정맥을 통해 채혈하였다. 운동 전 후의 증가율과 감소율에 대한 비교분석은 운동을 시작하기 전(D0) 측정수준을 100%로 설정 비교하였으며, 측정항목은 말의 심박수, 혈중 글루코스 농도, 혈중 젖산 농도, 적혈구용적, 총 단백질, 해모글로빈 수준을 분석하였다. 자료처리는 SAS 통계프로그램(SAS user’s guide, version 8.2. Cary, NC, SAS Institute. 2001)을 이용하였으며, 유의수준은 95%로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혈중 젖산 농도의 운동 직후 측정수준을 비교했을 때, D0, D7, D14 단계 각각 1600%, 800%, 580%로 모든 항목에 대한 측정수준은 훈련 전(D0)에 비해 훈련기간의 지속됨에 따라 증가 수준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측정 항목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 모든 항목에서 매우 높은 연관성을 나타냈다. 따라서 수영훈련은 수압, 부력, 저항 등에 영향을 받으므로 운동충격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체력증진 및 추진력 증가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어서 말의 지구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훈련방법으로 적합하다고 사료된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하여 최근 급격히 증가하는 승마동호인들과 승용 마필을 관리하는 농가 및 승마지도자들에게 건강한 말 관리를 위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적용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Key words : Horse, Equine, Heart rate, Physiologic parameters, Swim exercise

- 112 -

PB11022 한우 암소의 번식 현황 조사를 통한 번식 효율성 제고에 관한 연구박정용, 우제석, 이명식, 임영환, 이현재, 유동민, 이명숙, 장소희, 홍성구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한우시험장최근 한우 번식우의 사육형태가 규모화 됨에 따라 개체관리 미흡 등으로 번식효율 저하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농가 한우에 대한 번식실태 조사로 번식성적에 관한 기초자료 확보하고 번식우에 대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 도출로 번식 효율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대관령 한우 시험장 및 전국 한우 번식우 다두사육농장 10개소 내외에서 번식 기록부를 제작 배포하여 임신기간, 수태율, 발정재귀일등을 조사, 관찰하였다. 미경산우의 경우 초수정일령은 450일(±69.51일)이며 최단 330일 최장 761일로 조사되었으며 초임일령은 471.2일 (± 89.18일), 최장 821일, 최단 330일로 조사되었고 평균 수태당 종부횟수는 1.47회, 발정 재귀일은 평균 82일(±42.8일)이며 분만 후 발정재귀일이 90일을 초과하는 미경산우의 발생은 약 30%정도로 나타났고, 경산우의 경우는 분만 후 공태기간은 평균 97.6일이며 공태기간은 최단 25일, 최장 286일, 수태당 종부횟수는 평균 1.46회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이 제시하고 있는 것은 미경산우와 경산우가 번식에 있어 생리학적으로 차이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Key words : 한우, 번식, 난소

- 113 -

반추 영양

- 115 -

PC11001 수용성지방유화제의 수준별 첨가가 비육후기 한우거세우의 발육 및 도체특성에 미치는 영향정준, 이선복, 이명일, 남인식, 김정배

농협중앙회, ㈜보가한우 거세우 72두에 대하여 비육후기 출하 전 163일간 배합사료 내 지방유화제의 첨가수준별 발육성적과 도체성적 및 도체의 이화학적특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시험구는 대조구(관행사육 농후사료), DSP구(Down spec with 0.05% PROSOL®) 및 SP(supple-mented 0.1% PROSOL®)구였다. 일당증체량은 대조구 및 SP구에 비하여 DSP구에서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고(P>0.05), 사료효율은 대조구(4.67)와 SP구(5.78)에 비하여 DSP구(6.75)에서 개선되는 경향을 보였다. 시험기간 동안 혈액화학치는 알부민, 크레아티닌, 글루코스, GOT, GPT, 콜레스테롤, 총 단백질, 중성지방 및 혈중요소태 질소함량등에서 처리구간 차이가 없었으나 8, 16 및 24주차의 성적은 각기 다른 특성을 나타내어, 알부민과 크레아티닌 및 콜레스테롤은 8주차와 16주차에 수용성지방유화제의 첨가구에서 높은 특성을 나타내었다. 육량형질은 전체적으로 DSP구가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등지방두께는 대조구에 비하여 SP구 및 DSP구가 얇은 경향이었고 등심단면적도 DSP구가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육질형질중 근내지방도는 DSP구, SP구 및 대조구의 순서로 조사되었는데 이 영향으로 등급과 kg당 경락가격은 DSP구가 높은 수취금액을 받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만 초음파생체단층촬영을 통한 근내지방도의 변화량에 대한 조사에서 DSP구(3.40)가 대조구(1.41)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량이 많았던 것으로 조사되었다(P=0.015). 등심수분함량은 대조구 69.60%, DSP구 및 SP구가 각각 71.41% 및 70.60%로 조사되었다. 등심조직 중의 조지방함량은 대조구와 DSP구 및 SP구가 각각 8.42%, 10.35% 및 10.61%로서 수용성지방유화제 급여구가 모두 높았다(P<0.05). 등심중의 지방산조성은 대조구와 처리구간의 차이가 없었으나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DSP구와 SP구에서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한우거세우 비육후기 수용성지방유화제의 첨가는 발육과 도체의 경제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사료생산원가를 절감하고 농가 수익성을 최대화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 words : 한우거세우, 수용성지방유화제, 발육성적, 도체성적, 등심이화학적특성

PC11002 장유박의 비육우 사료내 이용효율 및 이용량 검토에 관한 연구정준, 이선복, 이명일, 남인식

농협중앙회, ㈜농협사료한우 거세우 비육전기에 속하는 54두에 대하여 160일간 배합사료 내 장유박의 이용효율 및 이용량을 검토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시험구는 대조구(CP12%, TDN 72%), LSSC구(Soysauce cake 5.0%) 및 HSSC(Soysauce cake 10.0%)구였다. 장유박과 시험사료의 단백질 분획 및 소화율 측정에서 대조구 버퍼용해도는 29.7%였고 LSSC구는 37.0% 및 HSSC구는 37.1%로 장유박을 첨가한 배합사료가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LSSC구 및 HSSC구는 추출전, 후 암모니아농도가 대조구에 비하여 높게 나타나 단백질활용도가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Total VFA조성에서 대조구와 LSSC구 및 HSSC구에서 처리간의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HSSC구라고 하더라도 반추위 내 환경에 영향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발육성적은 시험 종료체중과 일당증체량에서 대조구와 각 처리구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정상적으로 발육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사료섭취량과 기호성에 영향을 주지 않았기 때문에 사료요구율 역시 각 처리구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모든 혈액화학치의 혈청 중 농도는 정상적인 비육전기 거세우의 범주에 있었고 처리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혈청 중 총 단백질 함량은 전기간에 걸쳐 대조구에 비하여 LSSC구와 HSSC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중성지방(triglyceride)의 농도역시 대조구에 비하여 LSSC구에서 높은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비육전기 배합사료 영양소 스펙에 장유박을 5% 및 10% 첨가한 시험결과 모든 시험에서 정상적인 증체와 정상적인 혈액성상 및 소화율 등을 나타내고 있어 경제성을 갖는 장유박을 비육전기의 배합사료에 활용하는 것이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법으로 사료된다. 사료공장 제조원가는 대조구와 LSSC구와 HSSC구가 각각 264.19원, 260.46원 및 259.14원으로 대조구에 비하여 제조원가는 각각 1.4% 및 5.4% 절감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Key words : 한우거세우, 장유박, 발육성적, 혈액화학치

PC11003 한우농장 HACCP 실태조사 연구이종문*, 진현주, 김두완, 정영훈, 나재천, 서상철, 황규석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한우농장 HACCP 실태조사를 한우농장 74 개소를 대상으로 24문항 157항목에 대하여 현지방문조사 및 우편조사로 수행하였다. 한우농장 HACCP 도입의 장점 생산적인 측면은 증체율향상(26.0%), 번식률 향상(24.7%), 등급향상(23.3%) 순 이었고, 위생관리 측면의 장점은 차단방역관리가 54.2%로 가장 높았으며, 그다음 질병감소 순(19.4%)이었으며 경영관리 측면에서의 장점은 농장의 정리정돈(31.6%) 기록관리 체계화(29.8%) 순 이었다. 한우농장 HACCP 기술지도 및 보급 확대의 장애요인 한우농가는 HACCP가 어렵다(38.93%), 인센티브 없음(16.5%), 비용문제(12.2%) 순이었다. 한우농장 인증 준비의 어려운 점은 기록관리(17.7%), 7원칙 12절차(17.2%),선행관리프로그램 작성 (16.1%) 및 관리기준서 작성(15.1%) 이었다. 한우농장 HACCP 보급 확대 방안 농가는 교육 및 기술보급구축(20.9%), 정부홍보(13.4%), 단체급식 우선권 부여(11.2%) 순 이었다. 이상의 조사 결과에서 한우농장 HACCP 조기정착을 위한 제도 및 평가방법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Key words : 한우농장, HACCP, 실태조사, 장점, 개선방안,

- 116 -

PC11004 Recycling of Fermented Sawdust-based Oyster Mushroom Spent Substrate as a Feed Supplement for Postweaning Calves

Minkook Kim1, Honggu Lee2, Jeongah Park1, Sangkee Kang1 and Yunjaie Choi1

1Department of Agricultural Biotechn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2Department of Animal Science, Pusan National University

Three strains of LAB (Lactobacillus plantarum Lp1’, Pediococcus acidilacticii Pa193, L.plantarum Lp2M) were selected and in mixture they lowered the pH of the fermented OMSS to 3.81. fOMSS (fermented sawdust-based oyster mushroom spent substrate) could be stored at room temperature for at least 17 days without any deterioration of feed quality based on the pH, smell, and color. In dry matter disappearance, commercial TMR, OMSS and OMMM(oyster mushroom mycelium mas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amples after 6, 12 and 24h incubation except for 48h. Two separate field studies were performed to test the effects of fOMSS supplement on the growth performance of postweaning Holstein calves. Field trials included groups of animals feeding calf starter supplemented with: Control (no supplement), AB (colistin 0.08% and oxyneo 110/110 0.1%), fOMSS (10% fOMSS) and fConc (10% fermented concentrate) and DFM (109 cfu for each of three LAB/d/head). Growth performance (ADG and FE) of the fOMSS supplement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AB followed by fConc and DFM even though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ur results suggest that sawdust-based OMSS could be recycled after fermentation with three probiotic LAB strains as a feed supplement for post-weaning calves, and fOMSS has the beneficial effects of an alternative to antibiotics for a growth enhancer.

Key words : Postweaning holstein calves, Lactic acid bacteria, Sawdust-based oyster mushroom by-products

PC11005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Improved Antipathogenic Property toCalf Diarrhea by Genome Shuffling

Hoonhee Seo, Youngmoo Choi, Ahnah Song, Sangkee Kang and Yunjaie Choi

Department of Agricultural Biotechn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Digestive disease remains the major cause of mortality in calves. Infectious diarrhea in calves is most commonly associated with enterotoxigenic Escherichia coli and Salmonella typhymurium. Antibiotics are used to prevent digestive disease. However, antibiotics have side effects. The increase in bacteria that are resistant to antibacterial treatments has prompted the development of alternative methods to treat that diseases. In this study, as a substitute for antibiotics, we studied the lactic acid bacteria. Lactobacillus plantarumand Pediococcus acidilactici derived from animal feces were used. To enhance antimicrobial activity, we have developed two key strategies such as 'UV mutation' and 'genome shuffling'. Genome shuffling is a influential strategy for rapid engineering of microbial strains for desirable industrial properties. Here we applied the genome shuffling to improve the anti pathogenic activity of lactic acid bacteria while simultaneously enhancing the growth rate and acid tolerance activity. The UV mutants were generated by ultraviolet irradiation and then subjected for the recursive protoplast fusion. First, UV mutants were isolated by exposing the cells on agar plate (106 cells) to UV irradiation for 42 sec which gave approx. 99.9% killing. Selection was based on a clear zone of pathogen top agar assay. About 5 colonies showing greater anti pathogenic activity production were selected. Next, these 5 colonies underwent an 'Genome shuffling'.

Key words : calf diarrhea, E.coli, Salmonella, ultraviolet(UV) mutation, genome shuffling, protoplast fusion, antipathogenic activity

PC11006 Gamma linolenic acid 강화 사료 급여가 착유우 및 우유생산에 미치는 영향김상범, 임동현, 박중국, 이현준, 기광석, 이재식, 김영준1, 김삼철2, 김현수3, 권응기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1고려대학교, 2경상대학교, 3㈜시내바이오본 연구는 감마-리놀렌산(gamma linolenic acid; GLA)의 생리활성 기능이 강화된 우유를 생산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반추가축용 사료첨가제는 달맞이 꽃 종자유에서 추출한 GLA를 반추위 bypass를 위해 칼슘염과 보호지방으로 각각 1, 2차 캡슐화하여 제조하였다. 착유우에 GLA 첨가가 우유생산성, 유성분 함량 및 체세포 수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착유중후기우 40두를 공시하였다. 시험축으로 대조구와 GLA 첨가 급여구로 각각 구분하여 8주간 사양시험을 수행하면서, 산유량, 유성분, 혈중 영양성분 및 GLA의 우유 이행 여부 등을 각각 조사하였다. 시험 결과 대조구와 GLA 급여구의 두당 평균 산유량은 각각 21.44kg 및 23.95kg이었고, GLA 급여에 의해 체세포 수는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또한 GLA 급여구에 있어서 약 12.51 ppm(mg/L)이 검출되었다. 본 실험의 결과 공시되었던 착유우가 비유중기 이후로 영양소 요구량에 맞게 사료섭취를 충분히 하고 있어 생산성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으나, GLA의 급여로 체세포 수가 감소되어 유질이 개선될 수 있으며, 우유 중 GLA의 증가로 이를 이용한 특정 기능 강화우유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Key words : 감마-리놀렌산, 착유우, 체세포 수

- 117 -

PC11007 농산부산물을 이용한 in vitro 반추위 발효 특성 및 최적배합수준을 통한 농후사료 대체 효과박중국, 임동현, 김상범, 기광석, 이현준, 권응기, 조원모, 김창현1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1한경대학교 동물생명환경과학부본 연구는 국내 농산부산물을 이용하여 in vitro 반추위 발효 특성을 조사하고 에너지 사료인 농후사료와 동일한 반추위 발효특성을 나타내는 농산부산물을 선정하여 최적배합수준을 통한 농후사료 대체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영양적 가치가 높다고 인정되는 9점의 부산물(소맥피, 단백피, 제빵부산물, 비지, 미강, 청치, 대두피, 주정박, 버섯배지)을 선발하였다. 1차 시험에서는 in vitro 배양을 통해 각각 원료사료의 시간대별(0, 3, 6, 12, 24, 48h) 반추위 발효특성을 평가하였으며, 옥수수 및 대두박과 동일한 발효특성을 나타내는 원료사료 2종류를 선발하였다. 최종적으로 선발된 2종류의 원료사료는 다른 원료사료와 혼합한 조합구를 만들어 in vitro 배양을 통한 옥수수와 대두박의 대체효과를 평가하였다. 시험설계는 옥수수와 대두박을 기본배합으로 하여, 알팔파, 티머시 건초 및 옥수수사일리지를 조사료로 사용하였다(T1). T2구는 대두박을 비지로 2.5% 대체, T3구는 옥수수를 청치로 15% 대체하였으며, T4구는 옥수수와 대두박을 청치와 비지로 각각 10 및 5% 대체하여 in vitro 반추위 발효특성을 평가하였다. 각 원료사료와 농산부산물의 in vitro 반추위 발효 특성을 조사한 결과, 옥수수 및 대두박과 동일한 발효특성을 나타내는 농산부산물로 청치와 비지를 선정하였다. 2차 시험에서는 pH의 경우, T4구에서 T1구와 비교하여 유의하게 낮았으며, 가스발생량은 T3구에서 T1구와 비교하여 유의하게 높았다(p<0.05). 또한 건물 분해율은 3 및 24시간에 T4구에서 T1구와 비교하여 높았다(p<0.05). 결과적으로 농산부산물인 청치와 비지의 사용은 옥수수와 대두박을 일부 대체하기 위해 사용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 words : 농산부산물, 농후사료, 반추위, 청치, 비지

PC11008 자유경쟁조건에서의 젖소의 사료별 기호성 비교이현준, 이왕식1, 기광석, 조원모, 김상범, 임동현, 박중국, 권응기

농진청 국립축산과학원, 1제주대학교본 연구는 젖소의 주요 조사료로서 옥수수 사일리지, 혼합목초 건초, 고수분 볏짚 중수분 볏짚의 4종의 조사료와 농산부산물인 새송이 폐배지, 느타리-병(A), 느타리-봉지형(B)의 버섯폐배지 3종에 대하여 자유경쟁 섭취조건 에서의 젖소의 사료별 기호성과 섭취행동을 조사하였다. 두당 일일 섭취회수는 볏짚-중수분, 새송이 버섯폐배지, 목초건초, 볏짚-고수분, 느타리버섯폐배지-A, 옥수수 사일리지, 느타리버섯폐배지-B의 순서로 많았으며, 두당 일일 섭취시간은 목초건초, 느타리버섯폐배지-A, 새송이 버섯폐배지, 옥수수, 볏짚-중수분, 느타리버섯폐배지-B, 볏짚-고수분의 순서로 많은 것으로 나타나 접근성에 있어서는 느타리 버섯폐배지-B에서만 특이적으로 나쁜 것을 알 수 있었다.

Key words : palatability, byproduct feed, corn silage, rice straw, spent mushroom substrates

PC11009 느타리 버섯 배지 부산물에 대한 여러 가지 첨가제의 기호성 증진 효과이현준, 이왕식1, 기광석, 조원모, 김상범, 임동현, 박중국, 권응기

농진청 국립축산과학원, 1제주대학교본 연구는 가축의 기호성이 특히 낮은 느타리 버섯 배지 부산물에 대한 여러가지 첨가제(곡물향, 밀크향, 사카린, 스테비아 및 당밀)의 처리가 Holstein종 젖소의 기호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기호성이 저조한 버섯 페배지에 대하여 기호성 증진을 위한 처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한 단일첨가제로써는 당밀이 탁월한 개선효과가 있었으며, 사카린, 스테비아, 밀크향, 곡물향의 순서로 개선효과가 좋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당밀을 제외한 향미제를 당과 향을 1:1 혼합시에 합성향제만을 사용했을 때보다는 기호성이 상당히 개선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나 당 물질인 사카린과 스테비아에 대한 인공향 첨가효과는 나타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었다.

Key words : neutari mushroom, Spent mushroom substrates, molasses, Saccharine, stevia, milk flavor, grain flavor

- 118 -

PC11010 Availability of whole crop barley silage and whole crop rye silage TMR for late fattening ofHanwoo steers in the cattle

Jongkyoo Kim, Guanglin Jin, Weize Qin, Kyunghoon Kim1, Shinekhuu Jugder2, Mankang SongDeptment of animal scienc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Korea

1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Suwon, Kyung-gi 441-350, Korea2Mongolian national agricultral university, 53 Ulan bartar, Mongolia

The metabolism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effective degradability(ED) in the rumen, and whole tract digestibility of whole crop silage based TMR manufactured for late fattening of Hanwoo steers in comparison with conventional separate feeding of concentrate and roughage. Three ruminally fistulated non-lactating Holstein cattle were used in a 3 x 3 Latin square design. The cattle were fed 7.8g of whole crop barley silage based TMR(BS-TMR) or 7.8kg(DM basis) of whole crop rye silage based TMR(RS-TMR) twice(08:00 and 18:00) daily divided into two in an equal amount. The TMR was consisted of 20% whole crop silages and 80% other ingredients(as fed basis). The cattle were also fed concentrate(7.2kg) and rice straw(0.8kg) seperately(DM basis, control) twice(08:00 and 18:00) daily in an equal amount. pH, and contents of ammonia-N and total VFA in the rumen were not influenced by the experimental diet. Proportions of acetate, propionate and butyrate were not affected by the experimental diet. Parameter "a" relevant to degradability of DM, CP and NDF, and EDs of measured components were slightly higher for silage TMRs. Whole tract digestibility of DM, CP, EE and NDF tended to be increased in silage TMR(BS-TMR and RS-TMR) without difference between silage TMRs.Key words : Hanwoo, TMR, whole tract digestibility

PC11011 Feeding effect of whole crop barley silage and whole crop rye silage TMR on growth andmeat characteristics of Hanwoo steers.

Jongkyoo Kim, Guanglin Jin, Weize Qin, Jeong Jun1, Shinekhuu Jugder2, Mankang SongDeptment of animal scienc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Korea

1Livestock Research Center, NACF, Ansung 456-824, Korea2Mongolian national agricultral university, 53 Ulan bartar, Mongolia

The feeding trial was conducted with 80 castrated Hanwoo steers for 680 days from growing period to late fattening period to estimate the feeding value of whole crop barley silage TMR(BS-TMR) and whole crop rye silage TMR(RS-TMR). Treatments were conventional separate feeding of concentrate(110% level) and rice straw(control; 2kg/d), feeding whole crop barley silage TMR(ad libitum) up to middle fattening period and same diet during late fattening period(BS-TMR I), feeding whole crop barley silage TMR for whole experimental period(BS-TMR II), feeding whole crop rye silage TMR up to middle fattening period and same diet during late fattening period(RS-TMR I) and feeding whole crop rye silage TMR for whole experimental period(RS-TMR II). Total body gain and daily body gain were slightly higher for Hanwoo steers fed BS-TMR and RS-TMR than for control diet regardless of feeding duration. Feed cost was closely related with the intake, thus the feed cost per kg gain per head was relatively low in the Hanwoo steers fed silage TMR to that fed control diet. Hanwoo steers fed silage TMR(BS-TMR II & RS-TMR II) for all feeding period costed slightly less per kg gain per head than those fed silage TMR up to middle fattening stage and fed control diet during late fattening stage(BS-TMR I and RS-TMR I).Key words : Hanwoo, barley silage, rye silage, TMR, Growth performance, Meat quality

PC11012 Effects of defaunation o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methane production byrumen microbes in vitro when incubated with fiber sources

Wei-Ze Qin, Jong-Kyoo Kim, Young-kyoon Oh1, Man-Kang SongDepartment of Animal Scienc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Korea

1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Suwon, Kyung-gi 441-350, KoreaAbstract: An in vitro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defaunation (removal of protozoa) on ruminal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CH4 production and degradation of cellulose and 3 forages (rice straw, ryegrass and tall fescue) by rumen microbes. Sodium lauryl sulfate as a defaunation reagent was added into the culture solution at a concentration of 0.000375g/ml, and incubated for up to 24h at 39℃.Protozoa in the culture solution were rarely observed. The difference in pH was found among fiber sources regardless of defaunation at all incubation times (P<0.0023-0.0001). Defaunation increased pH at 6h (P<0.0199)and12h(P<0.0001) and also increased ammonia-N concentration for fiber sources at all incubation times (P<0.0001). Total VFA concentration was decreased by defaunation at 3h (P<0.0044) and 24 h (P<0.0001) for fiber sources. Meanwhile, defaunation decreased acetate (C2) and butyrate (C4) proportion at all incubation times(P<0.0001), but increased propionate (C3) proportion at all incubation times (P<0.001) for fiber sources. Defaunation decreased in vitro DM degradation of fiber sources at 12h (P<0.0471) and 24h incubation (P<0.0001). Total gas, CO2 and CH4 production were decreased by defaunation for fiber sources at all incubation times (P<0.05-0.0001) except CO2

production at 1h. Difference in total gas, CO2 and CH4 production was found between faunation and defaunation for fiber sources at all incubation times (P<0.0001).Key words : Defaunation, Forages, Fermentation, Degradation, Total gas, CH4

- 119 -

PC11013 Effects of defaunation o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methane production byrumen microbes in vitro when incubated with starch sources

Wei-Ze Qin, Jong-Kyoo Kim, Sun-Sik Chang1, Man-Kang Song

Department of Animal Scienc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Korea1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268 Chanhang-ri, Pyungchang, Gangwon, Korea

an in vitro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defaunation (removal of protozoa) on ruminal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CH4 production and degradation of starch and 3 grain feeds (starch, corn, wheat and rye) by rumen microbes. Sodium lauryl sulfate as a defaunation reagent was added into the culture solution at a concentration of 0.000375g/ml, and incubated for up to 12h at 39 .Protozoa in the culture solution were rarely observed. The difference in pH was found among grains regardless of defaunation at 1h (P<0.001), 6h (P<0.001) and 12h (P<0.001). Defaunation decreased pH at 6h (P<0.001) and 12h (P<0.001) when incubated with grains. Ammonia-N concentration was increased by defaunation for all grains at all incubation times (P<0.05-0.001). Total VFA concentration was increased by defaunation at 6h (P<0.001) and 12h (P<0.001) for all grains. Meanwhile, defaunation decreased acetate (C2) and butyrate (C4) proportion at 6h (P<0.001) and 12h (P<0.001), but increased propionate (C3) proportion at 3h, 6h and 12h incubation (P<0.001) for all grains. Defaunation increased in vitro DM degradation of all grains at 6h and 12h incubation (P<0.05-0.001) except rye at 6h incubation. Total gas and CO2 production were decreased by defaunation for all grains at 1h (P<0.001) and then increased at 6h (P<0.001) and 12h (P<0.001). Difference in CH4 production was found between faunation and defaunation for all grains at all incubation times (P<0.01-0.001). But defaunation decreased (P<0.05-0.001) CH4 production in all grains at all incubation times.

Key words : Defaunation, Grains, Fermentation, Degradation, Total gas, CH4

PC11014 Effects of different harvesting time of whole rice plant on plasma metabolic profiles in Korean native steers fed whole rice plant silage

D.W. Park1, Chang W. Choi1, Y.K. Oh2, S.S. Chang2, N.J. Choi3, D.K. Kam4*, I.H. Jo1, B.B. Seo1

1Daegu University, 2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3Chonbuk National University, 4CJ Ltd.

Four ruminally cannulated Korean native steers (BW 600.0± 48.42kg) fed whole rice plant (WRP) silage as forage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fferent harvesting time (milk, dough, yellow ripe and mature stages) of WRP on plasma metabolic profiles. Four different WRP by harvesting time was rapped for producing round bale silages. The steers fed 4.4kg concentrate and 0.78kg each WRP silage were used in a 4× 4 Latin square design. For plasma metabolic profiles analysis, blood was collected from the jugular vein of the steers. Concentrations of glucose, blood urea nitrogen (BUN), triglycerides, albumin and creatinine in the plasma were measured. Data derived from samples collected at each sampling interval were analyzed with the mixed procedure of SAS. WRP silage harvested at the yellow ripe stage tended (P = 0.06) to increase glucose concentration compared with that at the mature stage. Plasma albumin concentration in the steers fed WRP silage harvested at the mature stage was significantly (P = 0.03) higher than that at the dough stage. However, harvesting time of WRP did not affect most of plasma metabolic profiles of the steers. Thus, present results indicate that different harvesting time did not affect blood metabolism in Korean native steers fed WRP silage as forage.

Key words : Korean native steer, harvesting time, whole rice plant silage, plasma metabolic profiles

PC11015 Effects of different casein supplements on plasma metabolic profiles of Korean native steers

Chang W. Choi1, S. Hwangbo1, D.W. Park1, Y.K. Oh2, S.S. Chang2, N.J. Choi3, D. K. Kam4*, I.H. Jo1

1Daegu University, 2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3Chonbuk National University, 4CJ Ltd.

Three ruminally and duodenally fistulated Korean native steers were used to study the effect of different casein supplements on plasma metabolic profiles. The treatments in a 3 × 3 Latin square design consisted of a basal diet (control) of rice straw and corn based concentrate (30:70) and two casein protein supplemented diets. Crude protein intake for control (0.65kg/d of DM) was increased to 0.82 or 0.81kg/d of DM by replacing the basal diet with intact casein (IC, 0.24 kg/d) or acid hydrolyzed casein (ACH, 0.46 kg/d), respectively. For plasma metabolic profiles analysis, blood was collected from the jugular vein of the steers. Concentrations of glucose, blood urea nitrogen (BUN), total protein and albumin in the plasma were measured. Except for albumin concentration, no differences in plasma metabolic prfiles between intact and acid hydrolyzed casein appeared. Casein supplements increased glucose (P < 0.001), total protein (P = 0.02) and albumin (P = 0.006), respectively. In the diurnal patterns in metabolic profiles, IC decreased glucose, BUN and total protein at 1.5 - 4.5 h post-feeding and increased thereafter, whereas ACH was vice versa.

Key words : plasma metabolic profiles, casein supplements, Korean native steers

- 120 -

PC11016 Effects of different casein supplements on concentration of soluble non-ammonia nitrogen in ruminal and omasal digesta of Korean native steers

Chang W. Choi1, W.M. Cho2, S.H. Yeon2, S.K. Hong2, H.B. Song1, C.I. Park1, H.G. Lee3, M.K. Song4*, S. Hwangbo1

1Daegu University, 2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3Pusan National University, 4Chungbuk National University

Three ruminally and duodenally fistulated Korean native steers were used to study the effect of different casein supplements on concentration of soluble non-ammonia N (SNAN) in ruminal (RD) and omasal digesta (OD). The treatments in a 3 × 3 Latin square design consisted of a basal diet (control) of rice straw and corn based concentrate (30:70) and two casein protein supplemented diets. Crude protein intake for control (0.65kg/d of DM) was increased to 0.82 or 0.81kg/d of DM by replacing the basal diet with intact casein (0.24 kg/d) or acid hydrolyzed casein (0.46 kg/d), respectively. For SNAN analysis, digesta was collected from both the rumen and the omasum at 2.0 h intervals after a morning feeding and sequentially precipitated with trichloroacetic acid followed by centrifugation. Different N fractions i.e., free amino acids (AA), peptides and soluble protein in RD and OD were assessed using the ninhydrin assay. Casein supplements significantly increased concentrations of peptide (P = 0.02 for RD and = 0.002 for OD) and SNAN (P = 0.03 for RD and = 0.004 for OD). Peptide concentration in OD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intact casein (P = 0.02) and by acid hydrolyzed casein (P < 0.001). Relatively high concentration of SNAN in OD indicate that a considerable amount of soluble N may escape rumen fermentation and affect nutrients digestion in lower gastrci tracts.

Key words : soluble non-ammonia nitrogen, casein, omasal digesta, Korean native steers

PC11017 엘크 암사슴에 대한 에너지 급여 수준이 번식에 미치는 영향김상우1, 조영무1, 도윤정1, 박재홍1, 서상원1, 유용희1, 문상호3

1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2충남대, 3건국대본 연구는 엘크 사슴 사료의 적정 에너지 수준을 구명하기 위하여 엘크 성록 암컷 30두를 공시하여 처리수준을 에너지 수준별로 TDN 67%, 70% 및 73%의 3처리를 두고 농후사료를 체중의 1.5%내외로 급여하고 건초를 자유채식 시킨 후 사료이용성, 체중변화, 번식성적 및 경제성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엘크 암사슴의 증체량은 TDN 67%, 70% 및 73%가 각각 7.6±12.4,15.5±3.0 및 11.3±10.4 kg으로 TDN 70%구가 가장 좋았다. 엘크 암사슴의 에너지 급여 수준별 일일 DM섭취량은 TDN 67%, 70% 및 73%가 각각 5.01, 4.98 및 4.87kg으로 67%구가 가장 많았다. 엘크 암사슴의 일일 증체량은 TDN 67%, 70% 및 73%가 각각 7.6±12.4, 15.5±3.0 및 11.3±10.4kg으로 70%구가 가장 높았다. 엘크 암사슴의 일일 자록 생시체중은 TDN 67%, 70% 및 73%가 각각 15.1±1.6, 15.8±2.0 및 15.6±3.0kg 이었으며, 자록의 일당증체량은 각각 525±107, 603±117 및 608±74kg으로 73%구가 가장 높았다 경제성 분석에서 사슴 값의 하락으로 3처리 모두 소득이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나타나지는 않았으나 이것은 사슴 개체간의 편차가 심하여 나타난 결과로 생각되며 엘크암사슴 사료의 적정에너지 수준은 TDN 70% 수준으로 사료된다.

Key words : 엘크, 암사슴, 에너지, 번식, 자록

PC11018 엘크 육성록에 대한 에너지 급여 수준이 발육 및 녹용생산에 미치는 영향김상우1, 조영무1, 도윤정1, 박재홍1, 서상원1, 유용희1, 문상호3

1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2충남대, 3건국대본 연구는 엘크 사슴사료의 적정 에너지 수준을 구명하기 위하여 엘크 육성록 24두(암컷12두, 수컷12두)를 공시하여 처리수준을 에너지 수준별로 TDN 67%, 70% 및 73%의 3처리를 두고 농후사료를 체중의 1.8%내외로 급여하고 건초를 자유채식 시킨 후 사료이용성, 체중변화, 녹용생산량 및 경제성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엘크 육성록 수컷의 구간증체량은 TDN 67%, 70% 및 73%가 각각 71±5, 71±3 및 68±16kg 이었으며 육성록 암컷은 으로 처리 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암컷은 각각 52±7, 50±10및 51±15kg으로 암수모두 처리 간에 차이가 없었다. 엘크 육성록 수컷의 에너지 급여 수준별 일일 DM섭취량은 TDN 67%, 70% 및 73%가 각각 4.43, 4.47 및 4.41kg 이었으며, 암컷은 3.91, 3.93, 및 3.86kg으로 처리 간에 차이가 없었다. 엘크 육성록 수컷의 일일 증체량은 TDN 67%, 70% 및 73%가 각각 360±26, 360±14 및 345±824g 이었으며 암컷은 265±24, 255±52 및 257±56g로 암수모두 3처리 간에 차이가 없었다. 엘크 육성록의 녹용생산량은 TDN 67%, 70% 및 73%가 각각 611.7±126, 735.8±308 및 676.3±236kg으로 70%구가 가장 많았으나 개체차가 심하여 처리 간에 유의성은 없었다. 경제성 분석에서 육성록 수컷은 TDN 70%구가 소득지수가 가장 높았으며, 암컷은 3처리 모두 적자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통계적으로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으나, 엘크 육성록 사료의 적정에너지 수준은 TDN 70% 수준으로 사료된다.

Key words : 엘크, 육성록, 사슴, 녹용생산량, 에너지

- 121 -

PC11019 한우 미경산 암소 비육우의 반추위 보호아미노산 급여가 발육 및 근내지방도에 미치는 영향이상민, 최순호, 장선식, 김형철, 김태일, 김맹중, 조원모, 권응기, 박병기, 조수현, 홍성구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본 연구는 한우 미경산 암소 비육우의 반추위 보호아미노산 급여가 발육 및 근내지방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생후 5개월령 암소(평균체중 109kg) 24두를 공시하여 각각 12두씩 2처리(무처리 및 보호 아미노산급여)로 완전 임의배치하여 24개월간 수행하였다. 시험 결과 대조구 및 처리구의 종료 시 체중은 각각 595.1±15.90, 611.4±13.02, 비육전∙중기 일당증체량은 각각 0.75, 0.71kg과 0.82, 0.77kg로 처리구가 높은 경향이었다. 건물섭취량은 비육전기 처리구에서(5.2 vs 5.4kg)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사료요구율(kg/증체kg) 또한 육성기를 제외한 비육 전기간에서 처리구가 낮은 경향이었지만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초음파를 통한 근내지방도 및 등지방두께는 각각 11.75±1.71, 13.17±1.28 및 12.29±1.38, 10.29±0.89㎝로 근내지방도는 처리구가 높고, 등지방두께는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 반추위 보호아미노산의 급여는 미경산 암소 비육우의 발육 및 근내지방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 words : 한우 미경산 암소, 반추위 보호아미노산, 근내지방도, 일당증체량, 사료섭취량

PC11020 한우 비거세, 거세 및 미경산 암소의 비육기 근내지방도 및 발육특성이상민, 최순호, 장선식, 김형철, 김태일, 김맹중, 조원모, 권응기, 박병기, 조수현, 홍성구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본 연구는 한우 성별 비육기 발육(체중 및 체위) 및 근내지방도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생후 12개월령 비거세, 거세, 암소를 각각 4두씩 공시하여 10개월간 수행하였다. 본 시험결과 한우 성별(비거세, 거세 및 미경산 암소) 개시체중 및 종료체중(생후 24개월령)은 각각 339.8, 309.8 및 289.3kg과 632.0, 585.3 및 543.0kg으로 나타났다. 일당증체량은 0.97, 0.92 및 0.85kg이었고, 건물섭취량은 8.75, 8.63, 7.46kg으로 비거세우에서 높았고, 사료요구율은 9.02, 9.38 및 8.78kg으로 암소에서 낮았다. 체위변화에 있어서 비거세, 거세 및 미경산 암소의 체고는 140.4, 138.3 및 131.5㎝, 체장은 165.3, 162.0 및 160.8㎝, 흉위는 221.3, 219.3 및 210.3㎝로 조사되었다. 초음파를 이용한 등지방두께 및 근내지방도는 3.5, 6.3 및 7.9mm와 1.0, 7.5 및 6.3으로 비거세우는 근내지방도가 거의 발현되지 않은 경향이었으나 등지방두께는 거세우와 미경산 암소에 비해 얇았으며, 암소에서 등지방두께가 높았고, 거세우에서는 근내지방도가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Key words : 한우 미경산 암소, 보호 아미노산, 근내지방도, 발육

PC11021 농산부산물을 이용한 TMR사료의 비육우 급여효과 조원모, 이현준, 장선식, 이승환, 김형철, 오영균, 홍성구

국립축산과학원 한우시험장본 시험은 주요 농산부산물을 활용하여 비육우사육농가의 경영여건을 개선하고 육우고기의 품질향상을 도모하고자 시험을 수행하였다. 공시축은 비육우(홀스타인 거세우, 평균체중 275kg)을 이용하여 40두(5처리*8반복)를 공시하였으며, 사양시험은 22개월령까지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의 결과로 보면 전체 증체량의 경우 30%급여(맥주박 및 비지)구가 15%급여(맥주박 및 비지)구에 비하여 0.9∼4.8% 향상되었으며, 비육후기의 경우 kg증체당 TMR사료 요구량도 30%급여(맥주박 및 비지)구가 9.05∼10.35kg으로 15%급여(맥주박 및 비지)구 10.13∼10.76kg 사료이용성이 향상되는 결과를 얻었다. 도체특성에서도 30%급여(맥주박 및 비지)구가 도체중의 증가 및 육질등급의 향상 등 영향으로 전체적인 소득에서는 30%급여(맥주박 및 비지)구가 월간소득이 향상되는 결과를 얻었다Key words : 비육우, 발육, 사료이용성, 도체성적

- 122 -

PC11022 Effect of interaction between genotype(878T>C) and treatment(TDN level) on fatty acid composition in Hanwoo

조원모, 장선식, 이승환, 연성흠, 김형철, 홍성구국립축산과학원 한우시험장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interaction of the SNP(878T>C) in SCD gene with treatment(TDN levels) on fatty acid composition in Hanwoo. In this study, the SNPs(878T>C) were detected in exon 5 of the SCD gene and genotyped on 90 Hanwoo with three different treatment(TDN levels) by PCR-RFLP. Statistical analysis revealed that 878T>C SNP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unsaturated (P=0.016), and monounsaturated fatty acid (P=0.026) composition. In statistical analysis using F-test, the interaction between treatment(three levels) and SNP(878T>C, three levels) was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unsatureted(P=0.1) and monounsaturated fatty acid composition(P=0.5). However, genotypes(TT, TC and CC) effect between and within each treatment level(TDN 71, 72 and 73) was partly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unsaturated(P<0.05) and monounsaturated fatty acid composition(P<0.05).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non-synonymous SNP (878T>C) in the SCD gene might be a causal mutation showing interaction effect with nutrient treatment that contributes to MUFA variation in Hanwoo.

Key words : Hanwoo, monounsaturated fatty acid (MUFA), Treatment, Interaction, stearoyl-CoA desaturase (SCD)

PC11023 DDGS 급여가 거세한우의 비육능력과 도체특성에 미치는 영향이상욱1, 백경훈1, 정슬기1, 김성일1, 정근기2, 최창본1

1영남대학교 생명공학부, 2(사)목산한우연구소본 연구는 비육후기 사료 내 DDGS의 첨가가 거세한우의 비육능력과 도체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평균 28.8 개월령 (평균 체중 747.1±62.8kg)의 거세한우 44두를, 대조구, 시험1구 (DDGS 15% 첨가구) 및 시험2구 (DDGS 30% 첨가구)에 각각 15, 14 및 15두씩 배치하여 84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DDGS 첨가 수준은 거세한우 비육성적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DDGS 30% 첨가구의 경우, 사료요구율이 대조구에 비하여 약 17.1% 개선되었으며, DDGS 15% 첨가구의 경우, 1+ 등급 이상 출현율이 76.2%로, 대조구와 DDGS 30% 첨가구 각각 60%에 비하여 향상되었다. DDGS 15% 첨가구의 경우, 등심과 신장지방의 단가불포화지방산 (MUFA) 비율이 각각 57.28 및 51.81%로써 대조구와 DDGS 30% 첨가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P<0.05) 높았다. 지방산 조성 및 쇠고기 ‘맛’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지방 융점은 DDGS 15% 첨가구가 25.55℃로써, 대조구 26.11 및 DDGS 30% 첨가구 28.07℃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P<0.01) 낮았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들은, 거세한우 비육후기 농후사료내 DDGS를 15% 정도 첨가할 경우, 비육성적에 별다른 영향없이 육질등급, 지방산 조성 및 융점에 유리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대체원료로써 충분한 사료적 가치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Key words : 한우, DDGS, 비육성적, 지방산 조성, 융점

PC11024 Iodopropane-CD complex의 반추가축 장내발효에 의한 In vitro 메탄생성저감 효과오영균, 설용주, 백열창, 김경훈, 옥지운, 이강연, 최효진, 이상석1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1순천대학교 동물자원과학과본 연구는 iodopropane과 사이클로 덱스트린의 복합물이 반추가축의 장내발효 메탄 저감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반추위 캐뉼라가 장착된 한우 거세우 2두(체중 : 568 ± 5kg)로부터 아침 사료 급여 1시간 전에 반추위액을 채취하여 사용하였다. 본 실험은 1) 대조구, 2) IP, CD(단독), 3) IP-CD 첨가구(2.8g/L, T1) 4) IP-CD 첨가구(5.6g/L, T2), 5) IP-CD 첨가구(8.5g/L, T3)로 6, 12, 24시간에서 반추위 발효특성과 메탄생성량을 조사하였다. 반추위내 pH변화는 IP-CD complex의 첨가량 및 배양시간이 증가할수록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낮아졌다(P<0.05). 휘발성지방산 생성량은 모든 처리구에서 차이가 없었으나, C2의 생성비율은 모든 IP-CD complex 첨가구의 배양시간 12h와 24h에서 평균 56.6%로 대조구 평균 67.7보다 유의적으로 생성비율이 낮았고(P<0.05), 반면에 C3의 생성비율은 6h, 12h와 24h 배양시간에서 대조구 평균 16.1%보다 IP-CD complex 첨가구 평균 27.6%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총 가스발생량은 IP-CD complex 첨가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6h와 12h에는 가스발생량이 적었으나 24h에는 T2와 T3구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메탄 발생량은 모든 IP-CD complex 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배양 전 시간대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특히 24h T3구에서 98%까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수소발생량은 전 배양시간과 전 IP-CD complex 첨가구에서 유의적으로 발생량이 많았다(P<0.05). 따라서 본 연구에서 사용한 IP-CD complex는 메탄 저감효과가 탁월하여 실제 가축급여 시험에도 메탄 저감효과가 기대된다.

Key words : In vitro, 메탄, 사이클로 덱스트린, Iodopropane

- 123 -

PC11025 Iodopropane-CD complex의 반추가축 장내발효에 의한 In vivo 메탄생성저감 효과 오영균, 설용주, 백열창, 김경훈, 옥지운, 이강연, 주영혜, 전체옥1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1중앙대학교 생명과학부본 연구는 iodopropane과 사이클로 덱스트린의 복합물을 실제 급여하여 반추가축의 장내발효에 의한 메탄 생성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본 시험은 육성기 한우(200.93 kg ± 2.91) 4마리를 공시하여 cross-over design을 적용하였고, 시험 사료의 급여는 4마리의 공시축을 각각 2마리씩 대조구와 처리구에 배치하여 대조구에는 시험사료를 급여하고, 처리구에는 시험 사료에 IP- CD complex를 건물섭취량 기준 1%를 혼합하여 급여하였다. Period당 시험기간은 적응기간 14일, 가스측정 및 샘플링 기간 4일을 포함하여 총 18일으로 구성하였다. 영양소 섭취량은 IP-CD complex를 급여에 따라서 건물, 조단백질, 조지방, 조섬유, 조회분, NDF와 ADF의 영양소 섭취량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소화율에서도 처리별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메탄생성량은 IP-CD complex 첨가구에서 77.2g/d 으로 대조구의 99.6g/d보다 일일 메탄발생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여(P<0.05), 건물섭취량 대비 메탄 발생량도 대조구 24.5 g/kg-DMI보다 IP-CD 첨가구 18.6g/kg-DMI으로 약 23%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이산화탄소 발생량은 대조구 785.5g/kg-DMI보다 IP-CD 첨가구 745.8g/kg-DMI으로 감소하였다. 따라서 IP-CD complex 급여로 한우의 반추위내 메탄생성을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 words : In vivo, 메탄, 사이클로 덱스트린, Iodo-propane

PC11026 버섯재배부산물 혼합발효조사료급여가 한우 거세우와 미경산우의 생산성, 육질등급 및 경제성에 미치는 영향김영일, 박근규, 곽완섭

건국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자원환경과학부 축산학전공한우고급육 생산을 위해 육성기 동안 양질의 조사료를 급여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양질조사료를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에서 계절성과 지역성이 없는 값싼 양질조사료의 생산은 한우산업 발전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이런 관점에서 볏짚 또는 수입 건초를 100% 대체하기 위하여 버섯재배부산물을 주원료로 하여 미강, 질소원 부산물, 최소량의 짚류를 적정비율로 혼합하고, 버섯부산물에서 분리·동정한 고섬유소분해성 균주를 접종하여 혐기발효시킨 양질의 조사료(SMS-silage)를 개발 제조하였다. 평균 254.4kg의 거세한우 15두, 192.8kg의 미경산 한우 12두를 각각 공시하여 처리구별 체중을 고려하여 배치하였다. 대조구는 조사료원으로 볏짚만을, 100%SMS-silage구는 조사료원으로서 SMS-silage만을, 50%SMS-silage구는 조사료원으로서 SMS-silage와 볏짚을 자유채식 시켰다. SMS-silage는 육성기와 비육전기에만 급여하였고 30개월령에 도축하였다. SMS-silage 급여에 따라 전체 기간 동안의 일당 DMI는 거세우 06~0.7kg, 미경산우 0.38~1.25kg 증가하였다. 100%SMS-silage구의 ADG는 대조구에 비해 거세우 0.19kg, 미경산우 0.18kg 증가하였으며, 육성기 사료요구율은 거세우 17.9%, 미경산우 2.7% 수준에서 개선되었다. SMS-silage 급여 시 거세우와 미경산우 모두 전체 기간 동안의 증체량 차이는 없었다. SMS-silage 급여 시 거세우의 경우 1+이상 출현율은 100%로 대조구의 60%보다 높았으며, 미경산우의 경우 대조구에 비해 2등급 출현율은 낮아지고, 1+이상 출현율은 2배 증가하였다. 1kg 증체를 위한 사료비는 SMS-silage 급여 시 육성기에 거세우는 20~33%, 미경산우는 6~18% 절감되었다. 결과적으로, 값싼 국산 부산물조사료(SMS-silage)는 한우 거세우와 미경산의 증체율, 고급육 출현율 및 사료비 절감율을 현저히 향상 시켰다.

Key words : 버섯부산물, 버섯폐배지, 양질조사료, 한우, 부산물사료

PC11027 버섯재배부산물 혼합발효조사료의 반추위 in situ 소실율 및 분해율 평가김영일, 박근규, 곽완섭

건국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자원환경과학부 축산학전공본 연구는 버섯재배부산물 혼합발효조사료(SMS-silage)의 반추위 in situ 소실율 및 분해율 평가를 위하여 실시하였다. 버섯재배부산물을 주원료로 하여 미강, 질소원부산물, 최소량의 짚류를 적정비율로 혼합하고, 버섯부산물에서 분리·동정한 고섬유소분해성 균주를 접종하여 혐기발효시킨 양질의 조사료(SMS-silage)를 개발 제조하였다. Cannular가 장착된 Holstein 2두(평균 626kg)를 이용하여 반추위 in situ 소실율 및 분해율을 측정하였다. SMS-silage의 반추위 수용성 DM분획은 44.5%로 볏짚과 ryegrass 짚에 비해 각각 27.1% 단위, 25.9% 단위 높았다(P<0.0001). SMS-silage의 수용성 CP분획은 88.2%로 매우 높은 특징이었다. SMS-silage의 반추위 72시간 DM소실율은 64.7%로 볏짚보다 10.1% 단위 높았으며, NDF소실율은 38.7%로 볏짚보다 14.8% 단위, ryegrass 짚보다 17.9% 단위 낮았다(P<0.0001). SMS-silage의 반추위 48시간 CP소실율은 82.7%로 볏짚과 ryegrass 짚보다 각각 35.8%, 22.8% 높았다(P<0.0001). SMS-silage의 반추위 DM분해율은 47.8%로 (KpB=0.025) 볏짚과 ryegrass 짚보다 각각 16.1% 단위, 11.9% 단위 높았다(P<0.0001). SMS-silage의 반추위 NDF분해율은 27.0%로 (KpB=0.025) 볏짚과 ryegrass 짚보다 각각 10.6% 단위, 12.7% 단위 낮았다(P<0.0001). SMS-silage의 CP분해율은 73.8%로 볏짚과 ryegrass 짚에 비해 각각 2.2배, 1.8배 높았다(P<0.0001). SMS-silage의 NDF 분해율은 볏짚과 ryegrass 짚보다 낮았으나, DM 및 CP분해율이 높은 특징이 있었다. 결과적으로, SMS-silage는 고단백질 양질 조사료원이며, 기존 조사료를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 words : 버섯부산물, 버섯폐배지, in situ, 조사료, 부산물사료

- 124 -

PC11028 Effects of mustard (Brassicajuncea) extracts on in vitro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Methane Production

J. U. Ok, Y. K. Oh, Y. C. Baek, Y. J. Seol, K. Y. Lee, H. J. Choi, K. J. Han, S. Sill Lee1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1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mustard extracts on in vitro rume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methane production of mixed rumen microorganisms. Ruminal fluid was collected from two cannulated Hanwoo cow (BW : 461± 17kg) fed rice straw and concentrate (1:4). Collected rumen fluids, corn starch and buffer added mustard extracts were incubated at 39℃ for 24h. Methanol extracts of each treatment were supplied at 0.1, 0.2 and 0.3g/30㎖ of culture fluid. The pH value was significantly lower (p<0.05) in treatments than the control (feed additives not added) at 6 and 12h of incubation, and was highest (p<0.05) in T6 at 24h of incubation. The total gas produc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in treatments than the control. However, methane production was significantly lower (p<0.05) in treatment. The concentration of total VFA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in treatment at all of the incubation time. The concentration of propionic acid was higher in all of the treatments at all of a incubation time. The number of methanogen were significantly lower (p<0.05) in treatments except T1 and T4 at 24h of incubation. Therefore, mustard extracts appeared to reduce methane production by inhibiting mehtnogen.

Key words : Mustard extracts, Methane, Methanogen

PC11029 겨자 종자, 겨자 분말 및 겨자유의 in vitro 발효성상 및 메탄 저감 효과옥지운, 오영균, 백열창, 설용주, 이강연, 한기준, 김원영, 이성실1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1국립경상대학교 동물생명과학과본 연구는 겨자 종자, 겨자 분말 및 겨자유을 이용하여 in vitro 반추위 발효성상과 메탄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반추위액은 볏짚과 농후사료를 1:4의 비율로 급여한 두 마리의 반추위 cannula가 장착된 한우 거세우 (체중 : 461 ± 17kg)로부터 채취하였다. 채취된 반추위액은 buffer와 1:4(v/v)의 비율로 혼합하여 옥수수 전분과 각각의 수준별 겨자 종자(0.0.5g, 0.10g, 0.15g 및 0.20g), 겨자 분말(0.0.5g, 0.10g, 0.15g 및 0.20g) 및 겨자유(0.00.5g, 0.010g, 0.015g 및 0.020g)가 첨가된 60㎖ serum bottle에 30㎖씩 분주한 다음, butyl rubber stopper와 aluminium cap으로 봉하여 39℃ shaking water bath에서 24시간동안 배양하였다. 시험 결과 pH 값은 배양 24h에 대조구에서 유의적으로(p<0.05) 가장 높았고, 0.2g 겨자분말 첨가구에서 유의적으로(p<0.05) 가장 낮았다. 가스발생량은 겨자유 첨가구를 제외한 나머지 첨가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높았고, 겨자 종자를 0.15g과 0.20g 첨가하였을 때 유의적으로(p<0.05) 가장 높았다. 메탄발생량은 처리구들에서 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겨자유를 0.02g 첨가하였을 때 유의적으로(p<0.05) 가장 낮았다. 총 휘발성 지방산의 함량은 모든 겨자 종자와 겨자 분말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p<0.05) 높았고, 겨자유는 낮았지만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C2/C3 생성비율은 처리구들에서 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본 시험결과 겨자분말과 겨자종자를 0.15g과 0.20g 첨가할 때 반추위 발효성상에 영향없이 메탄발생량을 억제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Key words : 겨자, 메탄, 반추위 발효 성상

PC11030 한우 암소의 비육 개시체중별 비육기간이 산육 및 도체특성에 미치는 영향최순호, 이상민, 장선식, 김형철, 김태일, 김맹중, 조원모, 권응기, 박병기, 조수현, 홍성구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본 연구는 한우 암소의 비육 개시체중 및 비육기간에 따라 산육 및 도체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한우 암소 41두를 개시체중 및 비육기간별로 6처리(450kg미만 6, 8 및 10개월: T1, T2, T3; 450kg이상 6, 8 및 10개월: T4, T5 및 T6)로 완전임의배치 하였다. 처리구간 일당증체량은 각각 0.99, 0.75, 0.60, 0.71, 0.86 및 0.59kg으로 T1에서 가장 높았고, T6에서 가장 낮았다(p<0.05). 건물사료섭취량은 각각 10.07, 10.40, 9.88, 9.97, 10.24 및 9.91kg으로 T2에서 높은 경향이었고, 사료요구율은 개시체중 450kg미만에서는 T1구가 가장 낮았고, 450kg이상에서는 T4, T5구가 낮았다(p<0.05). 도체성적에서 등지방두께는 T3(13.8mm) 및 T6(14.8mm)이 유의적으로 높았고(p<0.05), 육량등급에서는 A등급 출현율이 T2구가 가장 높았다. 근내지방도와 1등급이상 출현율은 각각 3.0, 3.3, 4.8, 4.7, 4.6 및 3.6과 28, 50, 86, 71, 71 및 72%로 체중별 T3 및 T6에서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한우 암소의 비육 개시체중별 비육기간에 따른 산육 및 도체성적은 개시체중 450kg미만에서 10개월, 450kg이상에서는 6개월간 비육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Key words : 한우 암소, 개시체중, 비육기간, 사료요구율, 도체특성

- 125 -

PC11031 한우 암소 비육우의 농후사료 급여방법별 산육 및 도체특성에 미치는 영향최순호, 이상민, 장선식, 김형철, 김태일, 김맹중, 조원모, 권응기, 박병기, 조수현, 홍성구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본 연구는 한우 암소의 배합사료 급여방법별 일당증체량, 사료섭취량 및 도체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한우 암소 29두를 배합사료 급여방법별(자유채식 0, 2 및 4개월) 3처리로 완전 임의배치하여 8개월간 수행하였다. 처리구별(T1, T2 및 T3) 종료체중 및 일당증체량은 각각 631.1±24.1, 642.8±26.6, 652.2±35.6kg과 0.63, 0.75 및 0.72kg으로 처리구별 유의적 차이는 없었지만, 일당증체량은 T2구가 높은 경향이었지만 사료섭취량은 처리구간 차이가 없었고, 사료요구율은 각각 17.44, 12.86 및 14.27kg으로 T2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육량특성에서 도체중은 T3처리구가 높았고, 배최장근단면적 및 육량지수는 T2처리구가 높은 경향이었으나,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등지방두께는 각각 11.90±2.60, 8.11±1.34 및 12.90±1.57으로 나타났고, 육량등급출현율(A:B:C)은 각각 60:20:20, 68:22:0, 30:40:20로 T2처리구가 가장 좋았다. 육질특성은 육색, 지방색, 조직감 및 성숙도에서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근내지방도 및 육질등급출현율(1++:1+:1:2:3, %)은 각각 3.30±0.26, 3.56±0.65 및 3.80±0.44와 0:0:50:50:0, 11:0:22:67:0 및 0:10:40:50:0%로 T3처리구가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한우 암소 비육시 배합사료 급여 방법은 최소한 4개월은 자유채식 하는 것이 산육 및 도체특성에 유리한 것으로 사료된다.

Key words : 한우 암소, 배합사료, 일당증체량, 사료요구율, 도체특성

PC11032 한우암소 다산우의 비육개시 체중에 따른 도축성적 비교손호진, 이지홍, 정대진, 우선창, 조광현

경북축산기술연구소한우번식농가에서 단산과 단기비육이 이루어짐으로 암소의 개량이 무의미하고 이로 인한 경제적 손실이 크게 된다. 노폐우(다산우)의 경우 약 7산 정도까지 송아지를 생산한 이후 비육을 하여도 증체량과 육량의 최대치를 벗어지나 않으며 단기비육(90~120일)보다 중장기비육(150~180일) 또는 8개월 정도 비육하는 것이 좋은 상태의 고기를 생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산우의 비육개시 체중에 따른 도축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비육개시시 체중은 각각 417.3± 5.14, 464.3± 5.26, 516.7±3.00, 568.0± 5.80kg이였으며 종료시 체중은 각각 544.9± 8.53, 566.0± 9.88, 627.5± 9.55, 675.6± 16.51kg이였다. 도체중은 299.6±5.85, 311.5± 4.43, 345.4± 6.52, 376.9± 7.65였으며 등지방두께와 등심단면적은 비육개시체중이 증가할수록 두꺼워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육량지수는 비육개시체중 568kg이 62.60으로 가장 낮았으며 다른 구는 65.4~65.7을 나타내었다. 근내지방도는 비육개시 체중이 568kg인 구에서 4로 가장 높았으며 417kg은 1.9로 가장 낮았다. 또한 육질등급은 417kg구에서는 대부분 2, 3등급을 나타냈으며 464kg구는 1등급 출현율이 7두로 근내지방도가 높아졌으며 516kg구에서는 1+등급이 1두, 1등급이 8두였으며 비육개시체중이 많이 나가는 568kg구에서는 1++ 1두, 1+ 1두, 1등급 7두, 2등급이 6두였으며 3등급은 나타나지 않았다.

Key words : 암소비육, 생체중, 도체중, 근내지방도, 도축성적

PC11033 미경산 한우의 메탄배출계수 산출에 관한 연구설용주, 오영균, 백열창, 김경훈, 옥지운, 이강연, 한기준, 이성실1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1국립경상대학교 동물생명과학과본 연구는 한우암소의 육성기 기간에 옥수수 위주의 농후사료를 급여하여 메탄배출계수를 산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공시 사료는 옥수수 위주의 농후사료 50%와 볏짚 50% 비율로 급여하였고 TDN함량은 62.2%, CP는 11.7%이었다. 시험은 한국사양표준 한우(2007)에 따라 각각 일당 증체량 0.7kg/일에 필요한 각각의 TDN량 2.80kg 의 공시사료를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duplicated 3 ×3 Latin square design으로 수행하였다. 급여한 시험사료 전량 섭취하였고 건물 섭취량 대비 조단백질, 조지방, 조섬유, 조회분 섭취량은 급여수준이 높아질수록 유의적으로 섭취량이 높았다. 그리고 건물, 조단백질, 조지방, 조회분, 조섬유, NDF와 ADF 등 각 영양소별 소화율의 차이는 없었다. 수준별 대사체중 당 총에너지 섭취량은 각각 215.3, 309.8과 382.23kcal/BW0.75로 분으로 손실된 에너지는 수준별로 각각 26.1%, 26.5%와 25.9%, 메탄가스에 의한 에너지 손실은 수준별로 각각 9.8%, 8.1%와 6.9%이었다. 메탄전환율은 수준별로 각각 10(0.10 Ym), 8.1(0.08 Ym)과 7%(0.07 Ym)로 나타났고, 그에 따른 메탄배출계수는 수준별로 각각 30.6kg CH4 head-1 yr-1, 35.8kg CH4 head-1 yr-1과 38.5kg CH4 head-1 yr-1로 High구가 Low와 Medium구보다 20.5%와 7.0% 연간 반추위 메탄발생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일반적인 사양실정에 부합한 암소 육성기 한우 메탄배출계수는 35.8kg CH4 head-1 yr-1로 산출되었다.

Key words : 미경산 한우, 메탄배출계수, 메탄전환계수

- 126 -

PC11034 성장단계별 한우의 메탄배출계수 산출에 관한 연구설용주, 오영균, 백열창, 김경훈, 옥지운, 이강연, 한기준, 이성실1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1국립경상대학교 동물생명과학과본 연구는 성장단계별 거세 한우에 옥수수 위주의 농후사료를 급여하여 메탄배출계수를 산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시험은 생후 7개월령(BW 175.8 ± 2.4kg) 육성기와 24개월령의 비육기(614.4 ± 8.3kg) 거세한우를 각각 6두씩를 공시하여 수행하였다. 육성기와 비육기의 공시사료는 각각 옥수수 위주의 농후사료 60%와 티모시 건초 40% 비율로 급여하였고(TDN함량은 71.4%, CP는 14.6%)와 농후사료 90%와 볏짚 10% 비율로 급여(TDN함량은 71.77%, CP는 12.71%)하였다. 시험은 한국사양표준 한우(2007)에 따라 일당 증체량 0kg, 0.4kg, 0.7kg/일에 필요한 각각의 TDN량 (육성기) TDN량 1.70(Low), 2.05(Medium), 2.80kg(High), (비육기) 4.19kg(Low), 5.80kg(Medium), 6.91kg(High)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duplicated 3 × 3 Latin square design으로 수행하였다. 급여한 시험사료는 전량 섭취하였고 건물 섭취량 대비 조단백질, 조지방, 조섬유, 조회분 섭취량은 급여수준이 높아질수록 유의적으로 섭취량이 높았다(P<0.05). 그리고 건물, 조단백질, 조지방, 조섬유, 조회분, NDF와 ADF 등의 각각의 영양소 소화율의 차이는 없었다. 그리고 메탄전환계수는 육성기 4.9(0.049 Ym), 4.7(0.047 Ym)과 5.6%(0.056 Ym)와 비육기 4.9(0.049 Ym), 4.7(0.047 Ym)과 5.6%(0.056 Ym) 나타났고, 그에 따른 메탄배출계수는 육성기 19.8kg1, 23.6과 28.4kg CH4 head-1 yr-1와 비육기 32.8, 37.2와 50.8kg CH4 head-1 yr-1로 나타났다. 따라서 일반적인 사양실정에 부합한 육성기와 비육기 한우의 메탄배출계수는 28.4kg과 50.8kg CH4

head-1 yr-1로 산출되었다.

Key words : 비육기 한우, 메탄배출계수, 메탄전환계수

PC11035 미경산 한우의 에너지 균형 및 유지에너지 요구량 측정이강연, 오영균, 설용주, 옥지운, 백열창, 김경훈, 박근규*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건국대학교*

본 시험은 미경산 한우의 에너지 균형 및 유지 에너지 요구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육성기 한우 암소 6두(199±5.2kg)를 공시하여 옥수수 위주의 농후사료와 볏짚을 급여하였고, 시험 디자인은 일당 증체량 0kg/일(Low), 0.4kg/일(Medium) 그리고 0.7kg/일(High)의 공시사료를 섭취하는 duplicated 3×3 Latin square design으로 수행하였다. 미경산 한우의 유지에너지 요구량은 사료로 섭취한 에너지와 분, 뇨 그리고 호흡가스로 배출한 에너지를 측정하여 에너지 균형법을 통해 측정하였다. 각 처리구의 에너지 섭취량은 Low 215.3kcal/BW0.75, Medium 309.9kcal/BW0.75 및 High 382.2kcal/BW0.75이었다. 이 중 분으로 손실된 에너지는 급여수준에 따라 56.3kcal/BW0.75, 82.2kcal/BW0.75 그리고 96.8kcal/BW0.75로 수준별 유의차가 나타났고(P<0.05), 뇨에 의한 손실은 Low 14.9kcal/BW0.75, Medium 19.9kcal/BW0.75 및 High 24.9kcal/BW0.75로 Low와 High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5). 메탄에 의한 에너지 손실은 급여 수준별 21.2kcal/BW0.75, 25.1kcal/BW0.75, 및 26.6kcal/BW0.75으로 유의차는 없었다. 체열에 의한 손실량은 Low 122.2kcal/BW0.75, Medium 158.9kcal/BW0.75그리고 High 206.9kcal/BW0.75로 Low와 High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5). 이러한 결과를 이용하여 산출된 각각의 에너지 균형값은 Low 0.8, Medium 23.8 및 High 26.8이고(P<0.05), 에너지 급여 수준에 따른 체축적 에너지 결과를 이용하여 구한 회귀식은 y=0.3463x-41.642(R2=0.2635)으로 에너지 균형이 0인 유지 에너지 요구량은 120.2kcal/BW0.75로 나타났다.

Key words : 미경산 한우, 에너지 균형, 유지 에너지 요구량

PC11036 미경산 한우의 단백질 요구량 측정에 관한 연구이강연, 오영균, 설용주, 옥지운, 백열창, 김경훈, 박근규1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1건국대학교본 시험은 미경산 한우의 단백질 요구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육성기 한우 암소 6두(199±5.2kg)를 공시하여 옥수수 위주의 농후사료와 볏짚을 급여하였고 시험디자인은 단백질 급여 수준을 세 처리구로 duplicated 3×3 Latin square design으로 수행하였다. 시험구별 조단백질 섭취량은 Low 313.7g/day, Medium 447.7g/day 및 High 560.3g/day 이었다. 단백질 섭취량을 근거로 대사 체중당 처리구별 질소 섭취량은 Low 0.96g/day/BW0.75, Medium 1.37g/day/BW0.75 그리고 High 1.69g/day/BW0.75 이었다. 이에 반해 분으로 손실된 질소는 Low 0.19g/day/BW0.75, Medium 0.29g/day/BW0.75 및 High 0.35g/day/BW0.75로 Low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분으로 손실된 질소량이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뇨에 의한 질소 손실량은 Low 0.56g/day/BW0.75, medium 0.57g/day/BW0.75및 High 0.55g/day/BW0.75로 조사되었다. 이렇게 섭취한 질소와 분과 뇨로 배설된 질소의 양을 통해 산출한 질소 균형값은 Low 0.21, Medium 0.51 그리고 High 0.79로 모든 처리구별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5). 질소 급여 수준에 따른 체축적 질소를 이용하여 구한 회귀식은 y=0.7863x-3.5543 (R2=0.7759)으로 질소 균형이 0인 유지 단백질 요구량은 4.5g/BW0.75 인 것으로 나타났다.

Key words : 미경산 한우, 질소, 유지 단백질 요구량

- 127 -

PC11037 종류별 오일에 따른 in vitro 반추위 대사에 미치는 영향김원영1, 김경훈1, 송만강2, 오영균1, 최효진1, 한기준1

1국립축산과학원 영양생리팀, 2충북대학교 축산학과본 연구는 in vitro 반추위 발효과정에서 palm oil과 palm oil by-product의 지방산 조성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In vitro배양액은 반추위 캐뉼라가 장착된 한우 육성우 1두(200kg)로부터 채취한 반추위액과 buffer solution을 1:2로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본 실험은 4처리(control, corn oil, palm oil, palm oil by-product) 3반복으로 수행하였고, 첨가기질은 ground corn 500mg만을 첨가하였다. 식물성 오일 첨가는 기질량의 5%로 하였고, 0, 3, 6, 12, 24시간에서의 발효특성과 지방산 조성 변화에 대해 조사하였다. 식물성 오일 첨가는 control과 비교하여 pH를 감소시켰으며(P<0.05), total VFA 생산은 24시간에서 control에 비해 유의적인 감소가 있었다(P< 0.05). 식물성 오일 첨가구의 acetic acid와 propionic acid의 비율(C2/C3)은 6시간 이후부터 control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Control을 포함한 모든 처리구의 stearic acid 비율은 배양 0시간과 비교하여 24시간 후에 약 3-4배 증가하였으나 대표적인 불포화지방산인 oleic acid와 linoleic acid는 2-3배 감소하였다. 그러나 palm oil과 palm oil by-product 처리구의 palmitic acid 비율은 0시간에서 약 28%로 다른 2개 처리구의 13%보다 2배 이상 높았으며, 배양 24시간 시간 후에도 큰 변화 없이 높은 palmitic acid 비율을 유지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palm oil과 palm oil-byproduct의 반추위 발효 억제 효과는 없었고 배양과정에서 palmitic acid의 높은 비율이 유지되는 특징을 보여주어, palmitic acid가 in vivo 지방대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향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 words : in vitro ruminal fermentation, palm oil, palm oil by-product, palmitic acid

PC11038 유용 사일리지와 티모시 급여에 따른 반추위 발효성상 및 사료가치평가최효진1, 오영균1, 백열창1, 김원영1, 주영혜1, 최창원2, 송만강3

농촌진흥청, 1국립축산과학원, 2대구대학교 동물자원학과, 3충북대학교 축산학과본 시험은 티모시(Timothy),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사일리지(Italian ryegrass silage: IRGS), 총체벼 사일리지(Whole rice plant silage: WRPS), 및 청보리 사일리지(Whole crop barley silage: WCBS)의 반추위 내 발효특성과 분해율 및 TDN을 평가하기 위해 반추위 캐뉼라가 장착된 육성우 4두를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사일리지 및 티모시의 일반성분 중 조단백질 함량이 티모시가 원물기준으로 7.22%로 가장 높았으며 WRPS가 2.85로 가장 낮았다. 조지방의 경우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으며, 티모시의 조섬유의 함량이 32%로 IRGS 15.17, WRPS 12%, WCBS 12.03%에 비해 높게 측정되었다. 티모시의 NFE는 41.44%로 가장 높았고, WRPS가 25.05%로 다음으로 높았으며, IRGS 18.36% WCBS 18.35%로 비슷하게 측정되었다. 티모시의 TDN이 건물기준으로 하였을 때 72.37%로 가장 높았으며, WRPS 67.76%, WCBS 64.62%, IRGS 65.34%로 WRPS가 약간 높았으나 크게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추위내 pH의 변화는 급여사료 중 IRGS 급여구에서 대체적으로 높은 편이었으며, 모든 급여구에서 사료 급여 후 4시간에 가장 낮은 pH를 보였다. 반추위내 암모니아 질소 농도는 IRGS 급여구에서 41.5mg으로 급여구 중 가장 높게 측정되었으며, 모든 급여구에서 급여 2시간에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IRGS 급여구에서 사료 급여후 4시간에 다른 급여구와 달리 높은 암모니아 수치를 보여 차이를 보였다. VFA 농도는 모든 급여구에서 크게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시험 결과 티모시는 반추위 발효성상에서 다른 사일리지와 차이가 없었으나, TDN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일리지 중에서는 IRGS가 반추위 발효성상에서 다른 처리구와 차이가 있었으나, TDN 값은 유사하였다.

Key words : 사일리지, 반추위내 발효성상, TDN

PC11039 Wasabi oil-CD complex의 반추가축 장내발효 메탄 생성 저감 효과한기준, 오영균, 이강연, 설용주, 옥지운, 주영혜, 박근규1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1건국대학교본 연구는 와사비 오일과 사이클로 덱스트린의 복합물이 반추가축의 장내발효 메탄 저감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반추위 캐뉼라가 장착된 한우 거세우 2두(체중 : 568 ± 5kg)로부터 아침 사료 급여 1시간 전에 반추위액을 채취하여 사용하였다. 본 실험은 1) 대조구, 2) WO-CD 첨가구(0.017g/L) 3) WO-CD 첨가구(0.033g/L), 4) WO-CD 첨가구(0.077g/L), 5) WO-CD 첨가구(1.33g/L)로 6, 12, 24시간에서 반추위 발효특성과 메탄생성량을 조사하였다. 반추위내 pH변화는 대조구보다 WO-CD complex첨가구에서 첨가량 및 배양시간이 증가 할수록 유의적으로 낮아졌다(P<0.05). 휘발성 지방산생성량은 대조구에 비해 12h와 24h 배양시간에서 T3과 T4구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P<0.05), acetate는 모든 WO-CD complex 첨가구와 배양시간에서 대조구 보다 유의적으로 생성비율이 낮았다(P<0.05). 반면에 propionate의 생성비율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총 가스 발생량은 24h T4구에서 대조구보다 가스발생량이 8.4%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P<.0.05), CD 단독 처리구에서도 9.4%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메탄 발생량은 모든 WO-CD complex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P<0.05), 특히 T3과 T4구는 모든 배양시간에서 98% 메탄가스 발생량이 저감되는 탁월한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사용한 WO-CD complex는 낮은 첨가 수준에서도 메탄 저감효과가 탁월하여 실제 가축급여 시험에도 메탄 저감효과가 기대된다.

Key words : in vitro, 메탄, 사이클로 덱스트린, Wasabi oil

- 128 -

PC11040 오레가노 급여가 거세 한우 비육 후기의 비육특성에 미치는 영향문상호1, 김성진1, 김동현1, 정선희1, 오백영2, 최순호3, 전병태1

1건국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축산학과, 2이천시농업기술센터, 3국립축산과학원 한우시험장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feeding oregano on the beef characteristics with 15 heads of fattening Korean native cattle. These animals were allotted 3 groups that control group (CON) was without oregano, treatment 1 group (ORE1) was added 1% and treatment 2 group (ORE4) was added 4% oregano in feed for 1 month before butchery. The samples including blood, longissimus muscle and beef grade were collected. ADG of ORE1 is higher than other groups. Marbling score of ORE4 is higher than the other groups but there are no significantly different. Back fat thickness of ORE4 and ORE1 were lower than CON. The protein and fat contents of meat were 66.81~69.63% and 37.69~43.49%, respectively. GAGs content was 0.449~0.457%. The uronic acid and sialic acid contents were 0.248~0.255% and 0.0461~0.0490%, respectively. Total free amino acid content of the CON group was 90.70~1137.01 mg/100g, which was higher than the other groups. ALT of ORE4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CON (P<0.05). Glucose content of treatment groups at initial time was higher than finishing time (P<0.05). In this study, physical characteristic of beef was not changed by feeding oregano. However, b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lood was changed by feeding oregano. Thus feeding oregano to beef cattle is invaluable that improved beef quality.

Key words : OREGANO, BEEF CHARACTERISTICS, HANWOO

PC11041 흑염소 반추위 미생물 메타게놈 Fosmid 유전자은행 구축 및 섬유소분해 활성 클론 선발이경태, 안현승, 안정현, 김지훈, 김영주, 최윤정, 박정설, 이현정, 김태헌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동물유전체과반추위의 미생물의 섬유소분해 능력을 이용한다면 사료 효율 증대 및 메탄생성 조절의 기작을 이해하는데 매우 유용할 것이다. 특히 흑염소의 경우, 매우 조악한 사료에 잘 적응하면서 진화해 온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흑염소의 반추위에 대해 한 달간 볏짚 사료 급여를 실시한 후 반추위 소화액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소화액은 액상(Liquid; Lq)과 사료 흡착상(Adherent; Ad)로 구분하여 미생물총을 회수하였다. 이로부터 각 분획에 대하여 메타게놈 DNA를 추출하여 이를 fosmid 유전자은행 제작에 사용하였다. 추출한 메타게놈 DNA는 HindIII 제한효소 5 units를 사용하여 부분절단을 수행하였으며 Pulse-Field Gel 전기영동을 수행한 후 (200V, 0.-40초, 14시간), 10~50 kb 영역을 잘라내어 DNA 조각을 회수하였다. 회수된 DNA 조각은 pCC1Fos 벡터에 클로닝하였다. NotI 제한효소 처리를 통하여 평균 삽입크기가 30 kb임을 확인하였다. Lq 분획과 Ad 분획에 대해 각각 384 well plate로 150개씩 freezing medium에 접종하여 보관하였다. 총 115,200개 클론에 대해 Multim다 96 액체분주기를 사용하여 0.2% CMC agar plate에 2㎕씩 접종한 후, 이를 2% Congo Red 염색과 1M NaCl 세척을 통하여 투명영역 발생 클론을 선발하였다. Ad 분획에서는 91개, 그리고 Lq 분획에서는 64개의 클론이 선발되었다. 이들 클론에 대한 유전체 해독을 통하여 GeneMark 프로그램과 PBLAST를 사용하여 섬유소분해효소 유전자를 검출하였다. 이와 같은 메타게놈 fosmid 클론 선발 기법은 다양한 목적 유전자 탐색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 words : 흑염소, 반추위, 메타게놈, fosmid, 섬유소분해효소

PC11042 원료사료별 메탄발생량 지표 개발을 위한 in vitro 메탄 발생량 측정백열창, 오영균, 이강연, 옥지운, 김경훈, 최효진, 김원영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본 연구는 12종의 원료사료를 이용하여 각각의 발효 성상과 메탄 발생량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실험에 이용된 반추위액은 반추위 캐뉼라가 장착된 한우 거세우 2두(733.5±19.7kg)로부터 아침사료 급여 1시간 전에 반추위액을 채취하여 완충용액과 혼합한 후 사용하였다. 본 실험은 박류 6종(옥배아박, 야자박, 대두박, 면실박, 채종박 및 수지박)과 조사료 3종(볏짚, 총체벼 및 티모시), 그리고 분쇄옥수수, 글루텐 및 단백피를 각각 60ml serum bottle에 0.2g씩 넣어 30ml의 반추위 혼합액과 함께 12처리 3반복으로 6시간과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발효특성과 메탄 생성량을 조사하였다. pH 변화는 박류와 조사료류가 대부분 6.5~6.59 사이로 나타났고, 단백피 6.40, 옥배아박 6.39 및 분쇄 옥수수가 6.29로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1). 휘발성 지방산의 생성량은 단백피, 분쇄 옥수수 및 대두박 처리구가 높았고(P<0.01), 글루텐과 총체벼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P<0.01). 총 가스 발생량은 분쇄 옥수수 처리구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P<0.01), 볏짚이 가장 낮았다(P<0.01). 생성가스 중 메탄 농도는 대두박과 수지박이 다른 원료사료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고(P<0.01), 옥배아박, 볏짚 및 글루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P<0.01). 본 실험에 이용된 12종의 원료사료 중 메탄 농도가 가장 높은 대두박과 비교하여 가스 생성량이 비슷하면서 메탄 생성량이 낮은 원료사료는 옥배아박으로 대두박에 비하여 24% 가량 메탄 생성량이 적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Key words : 원료사료, 메탄, 반추위 발효 성상

- 129 -

PC11043 In situ 방법을 이용한 부존사료자원의 사료가치평가연구백열창, 오영균, 이강연, 옥지운, 김경훈, 최효진, 김원영, 최창원1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1대구대학교 동물자원학과본 연구는 반추위 및 십이지장 cannula가 동시 장착된 거세한우 3두(평균체중 623±18.5kg)를 공시하여 in situ 기법으로 부존사료자원(막걸리박, 깻묵, 맥주박, 미강)의 한우 장관별 영양소 분해율 및 TDN을 분석하고자 실시를 하였다. 각각 시료의 반추위내 단백질 분해율을 구하기 위해서 nylon bag에 시료를 넣어 반추위에서 0, 2, 4, 6, 12, 24, 48, 72시간동안 발효를 시켰고, mobile bag 방법을 이용, DE값을 측정하여 TDN을 추정하였다. Nylon bag 시험을 통한 반추위내 단백질 분해율(RDP. %)은 막걸리박, 깻묵, 맥주박, 미강에서 각각 87.22, 23.92, 46.90, 72.25으로 측정되었다. 한편 각 시료의 반추위내 분해특성에 있어서 반추위내 빠르게 분해되는 a fraction은 막걸리박에서 72.04%로 가장 높게 나왔으며, 서서히 분해되는 b fraction은 맥주박에서 91.7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Mobile bag을 이용한 총 소화기관의 건물 소화율은 막걸리박이 75.65%으로 가장 높았고, 맥주박이 가장 낮은 58.07%로 측정되었다. 소화기관별 건물 소화율의 비교했을 때 막걸리박이 반추위에서 가장 높은 소화율을 보였으며 반면에 하부소화기관에서는 깻묵이 45.1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Mobile bag 방법을 이용하여 총 소화기관에서의 에너지 손실율을 측정하여 변환한 TDN 수치는 막걸리박, 깻묵, 맥주박, 미강에서 각각 92.97, 86.29, 76.69, 85.78%로 추정되었다. Key words : In situ, 부존사료자원, TDN

PC11044 고온환경이 한우 비육우의 일반생리소견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홍경선

MPT KOREA[목적] 본 연구는 여름철 고온환경에 있어서 한우 비육우의 자가 면역력 저하에서 비롯되는 각종 질병발생을 사전에 예방하고 고급육생산기술을 체계적으로 개발하기 위한 ‘여름철 동물복지형 한우 고급육 생산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방법] 한우 비육우 4두를 공시축으로 하여 온습도조절이 자유로운 환경온도 조절실(20℃~40℃)내 cage에서 사양시험을 실시하였으며, 14일간의 사료적응기와 8일간의 기초 환경온도(20℃) 적응기를 거친 후, 기본적으로 매일 1℃씩 사육환경온도를 상향 조정하였다. 매일 아침 사료급여전에 일반생리소견(호흡수, 심박수, 직장온도, 뇨 pH)을 측정한 후, 조사료 ․ 농후사료 섭취량과 음수량 및 분뇨배설량을 측정하였다. [결과] 1일 조사료 및 농후사료 섭취량은 33℃이후 감소하기 시작하여 35℃에는 0.99kg와 4.03kg을 나타내었으며, 분배설량은 33℃이후 감소하여 36℃에 5.43kg을 나타내었다. 이에 비하여, 음수량은 24℃이후 증가하기 시작하여 30℃와 35℃에 36.1ℓ와 49.8ℓ를, 배뇨량은 환경온도 증가에 따라서 꾸준히 증가하여 30℃와 35℃에 13.4ℓ와 24.8ℓ를 나타내었다. 또한, 직장온도는 33℃이후 계속 증가하여 38℃에는 40℃이상(40.2℃)을 나타내었고, 심박수는 30℃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36℃에 최고값(72.3회/min)을 나타낸 후 감소하였으며, 호흡수(20℃, 35.6회/min)는 24℃부터 상승하기 시작하여 37℃에 최고치(148.2회/min)를 나타내었다. 한편, 뇨 pH농도는 전반적으로 환경온도 증가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는 육량과 육질의 저하로 인한 피해가 큰 여름철 고온환경에 있어서의 한우 고급육 생산과 질병 예방관리 등, 여름철‘동물복지형 고급육생산 시스템’을 보급하는데 크게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Key words : respiration rate, heart rate, rectal temperature, heat exposure, korean cattle, animal welfare

PC11045 반추위추출물의 반추동물사료원료 및 사료첨가제 이용을 위한 성분 분석 및 in vitro 및 in situ 사료가치 평가이중일, 안규철, 김종민, 김수기2, 조상범2, 오영균3, 박근규1

건국대학교 동물생명과학대학 동물자원연구센터, 2건국대학교 동물생명과학대학 동물생산환경학과,3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본 실험은 가축도축부산물인 반추위추출물의 사료이용가치를 평가하기 위하여 in vitro 및 in situ 상에서 실시하였다. 반추위추출물은 도축장 5곳에서 샘플링을 실시(평균 수분 함량, 82.5%)하였으며, in situ 소화율은 반추위 cannula가 장착된 한우 수소 2두를 이용하였다. 실험 결과 일반 성분 분석에서 조단백 15.4%, 조섬유 23.7% 및 TDN 62.4%로 나타나, 주정박과 단백질 함량이 비슷하며 알팔파 및 비트펄프와 유사한 조섬유 함량을 보였다. NDF 함량은 평균 62.4%로 비교적 높았으나 ADF 및 리그닌 함량이 각각 평균 33.6 및 8.8%로 나타나 소화 가능한 hemicellulose 및 cellulose의 함량이 각각 28.8 및 24.8%로 비교적 높았다. 배양 시간에 따른 반추위추출물의 in vitro 건물소화율(IVDMD)은 도축장 5곳의 10개 샘플에서 배양 후 6h에 8.0~21.5%(평균 12.9%)로 나타났고 72h에는 29.0~51.9%(평균 39.2%)로 나타났는데, 배양 시간의 경과에 따라 대체로 증가하다가 48h 이후부터 증가 속도가 둔화되었다. 72h의 평균 IVDMD는 대체로 볏짚과 유사하였으나 10개 샘플간의 변이가 크게 나타났다. In vitro 유기물 소화율(IVOMD)은 배양 후 6h에 4.2~26.3%(평균 12.6%)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72h에는 28.7~53.0%(평균 42.0%)로 나타나 IVDMD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In situ 건물 소화율(ISDMD)은 배양 후 6시간에 22.1~32.6%(평균 28.5%)였고, 72시간 경과 시에는 42.3~75.6%(평균 56.3%)로 나타났으며, 이것은 같은 배양시간의 IVDMD보다 각각 15.6 및 17.1% unit 높은 수치이다. In situ 유기물소화율(ISOMD)은 72시간 경과 후 40.2∼77.2%(평균 57.51%)였으며, ISDMD보다 평균 1% unit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반추위추출물은 반추동물의 사료 내에 단백질 및 섬유소원으로 이용가치가 있을 것으로 보이며, 반추위 평균 소화율은 볏짚과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Key words : 한우, 부존사료자원, 반추위추출물, 사료가치, in vitro, in situ, 소화율

- 130 -

PC11046 반추위추출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반추위 발효촉진제의 효능에 대한 한우 육성우 대상 사양실험이중일, 안규철, 김종민, 오영균3, 김수기2, 조상범2, 박근규1

건국대학교 동물생명과학대학 동물자원연구센터, 2건국대학교 동물생명과학대학 동물생산환경학과,3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본 실험은 반추위 추출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반추위 발효촉진제의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한우 육성기(502±18kg) 거세우 32두(4처리, 처리당 4두, 2반복 우방)를 대상으로 120일간 실시하였다. 일일 0, 2, 4 및 6%의 반추위 발효촉진제를 기본사료(농후사료 9.1kg 및 볏짚 2kg)에 추가 급여하였고, 일일사료섭취량 및 체중(개시, 0d; 중간, 69d; 종료, 120d)을 측정하여 일당증체량 및 사료전환효율을 계산하였다. 실험 결과 실험전기(0~69d)에 일당증체량은 대조구에서 0.63kg/d, 반추위추출물 2%, 4% 및 6% 처리구에서 각각 0.70, 0.83 및 0.83kg/d로 나타나, 대조구와 반추위 발효촉진제 2% 처리구는 유의차가 없었으며 반추위 발효촉진제4 및 6% 처리구는 대조구에 비해 약 0.2kg/d 높았고(P<0.05), 처리구 내에서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실험전기의 사료전환효율은 대조구에서 16.38, 반추위추출물 2%, 4% 및 6% 처리구에서 각각 14.60, 12.89 및 12.02로 나타나, 대조구와 반추위 발효촉진제 2% 처리구는 유의차가 없었으며, 반추위 발효촉진제 4 및 6% 처리구는 대조구에 비해 각각 3.49 및 4.36이 낮았고(P<0.05) 처리구 내에서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실험후기(69-120d)에는 일당 증체량이 반추위 발효촉진제 2% 처리구에서 4, 6% 처리구 및 대조구보다 수치상 높았으나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고, 사료전환효율은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실험 결과를 종합하면, 반추위 발효촉진제 급여 초기(0~69d)에는 일당증체량 및 사료전환효율이 4 및 6% 처리구에서 대조구 및 2% 처리구보다 우수하였고, 급여 후기(69~120d)에는 실험구간에 통계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Key words : 한우, 반추위, 추출물, 첨가제, 발효촉진제, 사료섭취량, 일당증체량, 사료전환효율

PC11047 「무병장소」를 활용한 이등유발생 저감방법연구허태영, 정영훈, 최창용, 강석진, 박성재, 기광석, 이현준, 도윤정, 손동수, 김의형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본 연구는 이등유 발생농장의 발생 원인을 파악하고자 축산원에서 개발한 젖소대사판정시험 온라인 프로그램인 「무병장소」를 적용한 결과이다. 2009년부터 2011년까지 이등유가 발생된 7개 목장의 농장 및 개체정보, 사료배합비, 혈액 및 생화학검사 결과를 분석 비교하였다. 이등유 발생농장의 주요 혈액생화학치 검사결과에서 비유초기 beta-hydroxybutyrate 농도, 최성기 이후 콜레스테롤, 뇨소질소, 알부민 및 총단백질의 농도가 참고치보다 높게 나타났다. 분만 후부터 비유기동안 aspartate aminotransferase와 gamma-glutamyltransferase 혈중농도가 높게 나타났다. 몇몇 농장의 경우 본 결과는 사료내 단백질급여 과다와 조사료 부족으로 인한 아급성1위과산증과 간기능 장애로 인해 이등유가 발생된 것으로 조사되어, 이등유 발생농장의 관리방법으로 무병장소를 활용할 경우 매우 좋은 효과를 볼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무병장소는 국립축산과학원 홈페이지(www.nias.go.kr)에서 활용할수 있도록 되어있다.

Key words : 무병장소, 이등유, 젖소농장, 대사판정시험, 혈액

PC11048 대추생균제 급여가 비육후기 거세한우 성장과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김태일*, 최순호, 권응기, 임석기, 박병기1, 장선식, 김맹중, 조원모, 정영훈, 홍성구, 박인철2

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 1강원대학교, 2가델유기축산본 연구는 대추생균제 급여가 비육후기 거세한우의 성장과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서 수행하였다. 처리구는 일반관행(농후사료 및 조사료 급여) 처리구와 대추생균제 급여구로 하여 체중 450kg 내외의 거세한우 19개월령 8두를 각각 공시하였다. 사료의 영양수준은 KRC에 준하여 급여하였다. 관행구의 종료시 체중은 615kg이였으며, 대추생균제 처리구의 종료시 체중은 633kg으로 측정되었다. 일당증체량은 21개월령에서 유의적 차이가 있었으며(P<0.05) 대추생균제 처리구에 비해 대조구가 높게 나타났다. 건물섭취량은 19, 21, 22, 25, 26개월령에서 대조구가 대추생균제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전기간 사료요구율은 유의성은 없었지만 19, 23,25,28개월령에서는 유의성 있게 처리구간 차이가 있었다(P<0.05). 종료시 대조구와 대추생균제 처리구는 각각 체고 133.8, 133.1cm, 십자부고 133.6, 136.5cm, 체장 160.0, 160.4cm, 흉심 76.3, 74.1cm, 흉폭 46.0, 49.5cm, 요각폭 46.6, 48.1cm, 곤폭 40.8, 43.3cm, 좌골폭 23.6, 24.0cm, 고장 52.9, 52.3cm, 흉위 214.6, 212.8cm, 전관위 22.4, 23.0cm로 측정됐으며, 비육후기동안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혈액성상은 19개월령에서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고 Cre, TG, PHO, BUN는 22개월령에서, ALB, CA, Cre, GLU, LDH, Mg, b-Hydro는 24개월령에서, CA, GLU, GPT 농도는 26개월령에서, PHO는 28개월령에서 각각 처리구간 유의적 차이가 있었다(P<0.05). 혈중 GOT의 경우 통계적인 유의적 차이는 없었지만(p>0.05), 모든 개월령 대추생균제 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낮은 경향을 보여 대추생균제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가축의 생리활성이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여겨졌다.

Key words : 대추생균제, 거세한우, 사료요구율, 혈액성상

- 131 -

PC11049 Effect of outside thermal condition to Hand-Held meter test results

Yoonjung Do, Youngmoo Cho, Sangwoo Kim, Jaehong Park, Taiyoung Hur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Heat and cold stress is detrimental to dairy production and affects numerous variables including feed intake, milk production, reproduction and so on and according to previous reports, it affects also the blood level of glucose and ketone. To measure these levels, Hand-Held meter which is very useful and has high sensitivity and specificity is usually used as a field simple test. In this study, we observed whether outside cold thermal condition affects directly the test result with Hand-Held meter except by body inside. Five cows without any symptoms were selected and tested blood glucose and ketone levels at 4 different outside thermal conditions(-20, -1, 5, 17℃) with Hand-Held meter after that whole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once. As the results of that, test results of glucose at -1, -20℃ tend to appear higher than that at 5, 17℃, especially, the level was highest at -1℃ in three of them. On the other hand,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ketone test results was not existed. Although more tests for effects of thermal condition to Hand-Held meter are required, it is considered that these test results are enough to ask a question wether the simple test equipments for diagnosis in field can give always the regular results regardless of outside thermal condition.

Key words : Hand-Held meter, Glucose, Ketone

PC11050 팽이버섯 재배부산물의 퇴적 시 처리방법에 따른 생물학적 변화문여황, 조수정, 강태원1, 조웅기, 현종환1, 정찬성2, 이성실1

국립경남과학기술대학교, 1경상대학교, 2경기도축산위생연구소팽이버섯 재배부산물의 저장성평가를 위하여 단순 퇴적, 비닐피복, 뒤집기 처리구의 물리적 처리방법과 무처리, 미생물처리, 개미산 처리의 생물화학적 처리방법을 두고 각 처리구당 900kg을 적재하여 총 8일간 실시하였고 퇴적실험용 배지부산물은 탈병 후 12~15시간 경과된 것을 사용하였으며 각각 외형변화와 온도, pH, 세균수를 조사하였다. 샘플은 매일 동일 시간대에 채취되었고 단순퇴적과 비닐피복 처리구를 제외한 뒤집기 처리구의 경우 샘플채취 후 뒤집기를 실시하였다. 각 처리구간 pH와 일반 미생물 수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뒤집기 구에서 발효에 의한 온도가 8일차 때에 미생물 처리구에서 66℃, 무처리와 개미산 0.5% 처리구에서 68℃로 퇴적, 비닐피복의 동일 처리구에서의 44~57℃에 비하여 크게 상승하였다. 저장성을 지속시키기 위한 무처리, 개미산 0.5%, 미생물 처리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수거 후 3일째 까지는 버섯 자실체가 표면에 우점하고 있어 변패의 징후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4일째부터 곰팡이와 부패취가 감지되었다.

Key words : 팽이버섯재배 부산물, 퇴적, 저장성

PC11051 팽이버섯 재배부산물을 첨가한 사일리지의 사료적 가치 평가문여황, 강태원1, 조웅기, 현종환1, 정찬성2, 조수정, 이성실1

국립경남과학기술대학교, 1경상대학교, 2경기도축산위생연구소팽이버섯 재배부산물의 사료적 가치 평가를 위하여 팽이버섯 재배부산물을 각각 20, 40, 60%의 비율로 호밀과 수수에 첨가하고 당밀 5%와 개미산 0.2%를 첨가하여 제조한 사일리지를 0, 3, 6, 9주간 발효하여 그 성상을 비교하였다. pH는 4~5의 범위로서 양질 사일리지의 범위보다 높은 편이었다. 제조 후 9주간 발효기간 경과에 따른 호밀과 수수사일리지의 유기산 함량은 부산물을 각각 20% 첨가한 처리구의 낙산함량이 27.01과 62.08에서 5.32와 10.69, 40% 첨가구의 18.55와 70.97에서 5.77과 16.81, 60% 첨가구의 15.70과 66.26에서 6.47과 6.51 mM/l로 두 사일리지 모두 감소하였고, 수수사일리지의 젖산함량은 20% 첨가구가 1.17에서 78.02, 40% 첨가구가 0.51에서 79.03, 60% 첨가구가 0.88에서 59.24 mM/l로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들로 미루어 사일리지에 팽이버섯 재배부산물을 20% 첨가 시 상대적으로 발효가 양호하였으며, in vitro 시험에서 실시한 가스 발생량과 pH변화, 미생물 성장량의 결과에서는 첨가수준별 차이는 없었고, 건물 소화율은 호밀사일리지와 수수사일리지 모두에서 6시간째에 증가하였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Key words : 팽이버섯 재배부산물, 호밀, 수수, 사일리지

- 132 -

PC11052 코코넛오일과 팜오일의 사료내 첨가가 In vitro 반추위 발효에 미치는 영향안중현, 김수헌, 김나라, 이상락

건국대학교 동물생명과학대학 동물생산·환경학전공본 연구는 코코넛오일과 팜오일 등의 식물성 오일의 사료내 첨가 수준이 in vitro 반추위 발효성상과 메탄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실험은 코코넛오일과 팜오일 무첨가구를 대조구로 설정하였으며, 처리구로는 코코넛오일과 팜오일을 각각 1.5% 및 3.0%첨가구로 5처리, 3반복으로 0, 3, 6, 9, 12, 18, 24 및 48시간동안 배양 후, 배양시간대별 pH, 휘발성지방산 및 암모니아 농도와 총 가스 및 메탄 발생량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전체 배양기간 동안 pH수준은 모든 처리구에서 배양 3시간 이후부터 배양 48시간까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총 VFA 농도는 배양 48시간에 코코넛오일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들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Propionic acid 농도는 팜오일 3.0% 첨가구가 배양 12시간 이후부터 다른 처리구들보다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고(p<0.05), acetic acid의 농도는 배양 12시간 이후부터 대조구에 비해 팜오일 3.0% 첨가구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암모니아 농도는 배양 12시간 이후부터 배양 종료시까지 대조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가스발생량은 코코넛오일 1.5% 첨가구가 대조구와 비교하여 배양개시부터 종료 시까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p<0.05), 코코넛오일 3.0% 첨가구는 대조구보다 배양 48시간에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메탄발생량은 배양종료 시에 코코넛오일 1.5%의 첨가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따라서 본 연구에서 코코넛오일과 팜오일을 사용하면, 반추위내 발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메탄생성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 words : 코코넛오일, 팜오일, 메탄발생량, 반추위 발효, in vitro

PC11053 사료 섭취수준이 흑염소와 꽃사슴의 영양소 소화율 및 메탄 발생량에 미치는 영향정왕용, 리동화, 김수헌, 김나라, 나영준, 김명화, 이상락

건국대학교 동물생명과학대학 동물생산 환경학전공사료 섭취수준이 한국 토종 흑염소와 꽃사슴의 영양소 소화율 및 메탄가스 발생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한국 토종 흑염소 3두와 수컷 꽃사슴 3두를 각각 공시하여 조사료:농후사료를 50:50 비율로 혼합한 실험사료를 건물기준으로 체중의 1.5%, 2.0%, 2.5%으로 3개의 처리구로 나누어 3 3 Latin Square design에 따라 급여하였다. 매 실험 기간은 10일간으로 하였고 각 시험사료에 7일간 적응시킨 후 3일간 연속하여 CH4 발생량을 측정하였고, 발생한 분을 수집하였다. 흑염소와 꽃사슴 모두 사료급여 후 1시간까지 CH4 발생량은 급속히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사료 섭취수준이 증가할수록 흑염소의 영양소 소화율은 낮아졌지만 꽃사슴은 사료 섭취수준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또한 CH4 발생량은 흑염소와 꽃사슴 전부 사료 섭취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에 가소화유기물섭취량 당 CH4 발생량은 사료 섭취수준과 상관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흑염소에 있어서 사료 섭취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소화율은 낮아지고 CH4 발생량은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꽃사슴에 있어서 사료 섭취수준이 체중의 1.5~2.5% 사이에서는 영향을 받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두 동물 모두 가소화건물섭취량 및 가소화유기물섭취량 당 CH4 발생효율은 처리와 상관없이 같은 것으로 확인되어 중소반추동물에서 CH4 발생량은 소화된 영양소와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Key words : 사료섭취수준, CH4 발생량, 흑염소, 꽃사슴

PC11054 Steam 처리 볏짚의 급여가 한우 비거세우의 증체, 사료섭취량, 도체등급 및 육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최장근, 안준상, 박병기, 신종서강원대학교 동물생명과학대학

본 연구는 저질조사료인 볏짚의 사료가치 증진을 목적으로 고온고압의 steam 처리 볏짚의 급여가 한우의 산육능력 및 도체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평균체중 276±48.1 의 한우 비거세우 45두를 공시하여 14개월간 실시하였다. 시험구 배치는 배합사료+볏짚 급여구(대조구) 및 steam 처리 볏짚을 이용하여 제조한 TMF 급여구(처리구)의 2처리로 하였다. 건물섭취량은 대조구에 비해 처리구에서 적었지만, 일당증체량 및 사료요구율은 steam 처리 볏짚의 급여로 인해 각각 13 및 24% 향상되는 결과를 보였다(p<0.05). Steam 처리 볏짚의 급여는 한우 비거세우의 육질 및 육량 등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등심의 지방산 중에서 linoleic 및 linolenic acid 함량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보였다. 또한 steam 처리 볏짚의 급여는 등심의 아미노산 중에는 풍미와 관련이 있는 glutamic acid 함량을 증가시키는 경향을 보였으며, 육색을 구성하는 육색소 중에서는 명도(lightness)를 향상시키는 결과를 보였다(p<0.05).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에서 볏짚에 대한 고온고압의 steam 처리는 볏짚의 사료가치를 증진시켜 한우 비거세우의 증체 및 사료이용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도체품질 개선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되며, 추후 한우 거세우를 대상으로 steam 처리 볏짚의 급여효과에 관한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 words : Steam 처리 볏짚, 증체량, 도체등급, 육질특성

- 133 -

PC11055 섬유질배합발효사료 급여가 거세한우의 육질에 미치는 영향김태일, 장기숙*, 최순호, 권응기, 임석기, 박병기1, 장선식, 김맹중, 이종문, 홍성구, 박인철2

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 1강원대학교, 2가델유기축산본 연구는 섬유질배합 발효사료(TMF) 급여가 한우 거세우의 육질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기 위해서 수행하였다. 처리구는 일반관행(농후사료 및 조사료 급여) 처리구와 섬유질배합 발효사료 처리구로 하여 체중 294kg 내외의 거세한우 12개월령 8두를 각각 공시하였다. 사료의 영양수준은 KRC에 준하여 급여하였으며 17개월령을 비육시킨 후 28개월령에 도축하였고 도축시 체중은 관행구가 615kg이였고 섬유질배합발효사료 처리구는 661kg였다.배최장근 단면적, 등지방두께, 육색 및 지방색 등은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P>0.05), 배최장근 단면적이 대조구가 82.50인 반면TMF 처리구 85.88로 개선되는 결과를 보였으며, 근내지방도는 TMF 급여구가 5.63이였고 대조구가 3.13으로 측정되어 처리구간 유의성이 있었다(P<0.05). 또한, 육질특성에서 향미 및 육색에서는 처리구간 차이가 없었으나 C18류의 지방산 함량, 다즙성과 연도에서 TMF처리구가 유의성 있게 높아져(P<0.05) 섬유질배합발효사료가 거세한우 육질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최종 등급은 대조구에서 3두가 1등급, 5두가 2등급이였고 TMF구에서는 1등급이 4두, 1+ 2두, 1++ 2두로 판정되어 도체가격이 5,418,872원에서 6,722,364원으로 24%정도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섬유질배합발효사료를 급여함으로서 거세한우의 육질 및 한우농가의 채산성을 높혀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 words : 섬유질배합발효사료(TMF), 거세한우, 육질, 근내지방도, 육색

PC11056 대추생균제 급여가 거세한우 육질에 미치는 영향김태일, 박은영*, 최순호, 권응기, 임석기, 박병기1, 장선식, 김맹중, 조원모, 이종문, 홍성구, 박인철2

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 1강원대학교, 2가델유기축산본 연구는 대추생균제 급여가 거세한우의 육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서 수행하였다. 처리구는 일반관행(농후사료 및 조사료 급여) 처리구와 대추생균제 급여구로 하여 체중 290kg 내외의 거세한우 12개월령 8두를 각각 공시하였다. 사료의 영양수준은 KRC에 준하여 급여하였으며 17개월령을 비육시킨 후 28개월령에 도축하였고 도축시 체중은 관행구가 615kg이였고 대추생균제 처리구는 633kg였다.근내지방도는 대추생균제 급여구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P<0.05), 배최장근 단면적과 육량지수는 대조구에 비해 높게 검출되었다. 육질의 연도와 육색에서는 대추생균제급여구가 대조구와 비교시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나 다즙성, 향미 등에서는 대추생균제 처리구가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지방산 중 처리구간 포화지방산과 불포화지방산는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대조구에서 아미노산성분 중 Cystine, Aspartic acid, Threonine, Serine, Alanine, Lysine이 유의적으로 높게 검출되었다.최종 등급은 대조구에서 3두가 1등급, 5두가 2등급이였고 대추생균제급여구에서는 2등급이 1두, 1등급이 5두, 1+가 2두로 판정되어 도체가격이 5,418,872원에서 6,049,924원으로 11.6%정도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추생균제를 거세한우에 급여함으로서 육질 및 한우농가의 채산성을 높혀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 words : 대추생균제, 거세한우, 육질, 근내지방도, 육색

PC11057 사료 내 식물성 오일의 첨가가 in-vitro 반추위 발효성상 및 메탄 발생량에 미치는 영향이원현, 최한진, 안중현, 김나라, 김수헌, 정왕용, 이상락

건국대학교 동물생명과학대학 동물생산·환경학전공본 연구에서는 사료 내 식물성 오일의 첨가가 in-vitro 반추위 발효성상과 온실가스 발생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옥수수, 대두박 및 tall fescue를 혼합한 기초사료에 coconut, palm 및 soy bean oil을 각각 1.5 및 3.0% 수준으로 첨가한 사료를 한우의 반추위에서 채취한 반추위액에 39℃ 혐기성 조건으로 0, 3, 6, 9, 12, 24, 48시간 동안 총 7처리구 3반복으로 배양하였다. 오일 첨가구들은 대조구에 비하여 전체적으로 메탄발생량이 감소하였고, coconut oil 3.0%구에서 저감효과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total gas production에서도 저감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pH는 배양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전체적으로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냈으나 coconut 3.0%구만이 48시간에서 다른 처리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Ammonia 농도의 경우에도 coconut 3.0% 처리구가 가장 낮은 값을 보여 coconut 3.0%구가 반추위 발효성상 및 메탄 발생량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Key words : Coconut oil, Palm oil, Soy bean oil, Methane, pH, In-vitro ruminal fermentation

- 134 -

PC11058 Effects of dietary n-3/n-6 fatty acid ratio on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gas production andrumen fermentation indices

S. M. Amanullah, H. Yoon, D. H. Kim, H. J. Lee, S. C. Kim, S. B. Kim1

Department of Animal Science(Insti. of Agri. & Life Sci.),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1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dietary n-3/n-6 fatty acid (FA) ratio on in vitro DMD, gas production and rumen fermentation indices. Rice bran mixed with oil sources (cottonseed oil and linseed oil) to make the diets at 0.02, 0.30 and 0.61 dietary n-3/n-6 FA ratios. These diets (0.5g) placed into the incubation bottles, and added 40ml of the anaerobic culture medium, which contained the rumen fluid and Van Soest medium with 1:2 ratio. Five replicates of each diets and two blanks were incubated at 39℃for 48h. After incubation, the incubated bottle contents were centrifuged at 12,000 rpm for 15 min, and then the residues were freeze-dried for DMD and FA analysis and the supernatant was analyzed for pH, ammonia-N and VFA. The concentrations of lactate (L, P<0.001) and iso-valerate (L, P=0.001) decreased with increasing dietary n-3/n-6 FA ratio, but acetate concentration (L, P=0.056) and the ratio of acetate to propionate (L, P=0.005) increased. The concentration of n-3 and n-6 FA and the ratio of n-3/n-6 FA in residues increased (L, P<0.001) with increasing dietary n-3/n-6 FA ratio, but C18:1c-9 FA concentration decreased (L, P<0.001). With these results, the dietary n-3/n-6 FA ratio could affect on rume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FA profiles of rumen content.

Key words : Fatty acid, Cottonseed oil, Linseed oil, Rumen fermentation indices

PC11059 섬유질배합발효사료 급여가 비육후기 거세한우의 성장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김태일, 김재희*, 최순호, 권응기, 임석기, 박병기1, 장선식, 조원모, 김맹중, 정영훈, 박인철2, 홍성구

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 1강원대학교, 2가델유기축산본 연구는 거세한우 비육후기에 미생물배합발효사료(TMF) 급여효과를 구명하기 위해서 수행하였다. 공시두수는 처리구당 19개월령 거세한우 8두를 공시하여 28개월령까지 월령별 체중변화, 사료섭취량 등이 조사되었다. 미생물배합발효사료 제조는 청보리 위주의 TMR에 축산원에서 개발한 미생물제제를 첨가하여 6일간 무산소 발효를 시켜 제조하였다. 제조된 발효사료는 체중의 2%를 급여하였으며, 대조구는 배합사료 위주의 관행방법으로 사육하였다. 대조구의 개시체중은 449kg, 종료시체중은 615kg이였으며, TMF 급여구는 개시체중 498kg, 종료시체중은 661kg이었다. 일당증체량은 대조구가 0.77kg/일, TMF 처리구가 0.70kg/일로 10%정도 낮아졌다. 비육후기 동안 건물섭취량은 대조구가 9.18±0.16, TMF 처리구 7.63±0.24으로 유의적 차이가 있었으며(p<0.05), 사료요구율은 대조구가 12.32±0.79, TMF 처리구가 11.28±0.73으로 나타나 건물섭취량은 줄어들면서 사료요구율도 낮아져 사료효율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9개월령에서 Glucose, T-Cholesterol농도가 대조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았고(p<0.05), 22개월령 GOT, LDH, TG, UN이 유의적 차이가 있었으며(p<0.05), 24개월령 GOT, MG, T-BIL, NEFA, Hydro에서 유의적 차이가 있었고(p<0.05), 26개월령 MG에서, 28개월령 ALB, LDH, TG에서 유의적 차이가 있었다(p<0.05). 그 중, 혈중 GOT(Glutamic oxaloacetic transferase)농도가 유의적 차이는 없었지만, 비육후기동안 낮아지는 점을 감안하면 미생물발효사료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가축의 생리활성이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여겨졌다.

Key words : 섬유질배합발효사료(TMF), 비육후기, 거세한우, 사료요구율

PC11060 Effects of essential oil supplementation on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gas production andrume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D. H. Kim, H. Yoon, H. J. Lee, S. C. Kim, S. B. Kim1

Department of Animal Science (Insti. of Agri. & Life Sci.),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1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effect of essential oil (EO) supplement level on in vitro DMD, gas production and rume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using a novel wireless automated gas production system. Rumen fluid was collected from two cannulated Holstein cows, filtered by surgical gauze and mixed with Van Soest medium with 1:2 ratio. The incubation bottle containing 0.5g of either soybean meal (SM) or bermuda grass (BG) with 40ml of rumen fluid/Van Soest medium mixture added EO at 0, 0.1, 1 and 10 ppm. Three replicates of each treatments and four blanks were sealed and incubated at 39℃ for 72 h. Gas production was measured every 30 min interval during the incubation period. After incubation, the samples were centrifuged at 12,000 rpm for 15 min and analyzed in vitroDMD and NDFD, pH, ammonia nitrogen and VFA. By increases of EO supplement, in vitro DMD, NDFD, total fermentable fraction and fractional fermentation rate increased linearly (P<0.01). The pH of BG was decreased linearly (P=0.03) with increasing EO supplement, but the concentration of ammonia-N did not affect. By increases of EO supplement, acetate to propionate ratio increased linearly (P=0.03) resulted by the linear increases of propionate concentration (P<0.05). In conclusion, EO supplementation increase the digestibility and rumen acetate to propionate ratio.

Key words : Essential oil, Soybean meal, Bermuda grass, Digestibility, Volatile fatty acid

- 135 -

PC11061 대나무 부산물 추출방법에 따른 In vitro 발효성상에서 반추위 메탄 저감에 대한 연구김동현1, 정창대1, 차부영1, 이호일1, 정명희1, 이영규2, 전체옥3,이상석1

1순천대학교, 2국립축산과학원, 3중앙대학교반추동물로부터 생성되는 메탄 생성 및 배출은 지구온난화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사료효율을 낮추고 있다. 장내 발효 조절과 메탄생성 감소를 위한 사료 첨가제로서 천연물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항균능력을 가지고 있는 폴리페놀에 의해 메탄이 감소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본 실험은 폴리페놀을 함유 하고 있는 대나무부산물을 활용하여 반추위내 메탄 억제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대나무 부산물 추출방법은 감압 증류법과 상압 증류법을 이용하여 추출하였으며 대나무부산물 무 첨가구 (Con), 대나무부산물 (T1), 감압증류법 (T2) 및 상압증류법 (T3)로 분류하였으며 4처리 4반복으로 공시된 홀스타인 암소의 반추위 캐뉼라를 통해 반추위액을 채취하여 in vitiro상에서 (0,6 12, 24, 48시간)시간대별 배양 후 pH, 총 가스발생량, H2,·CH4 농도 및 VFA 생성량을 조사하였다. pH의 변화는 대조구간에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총 가스 생산량은 대나무부산물 첨가 처리구에서 48시간 배양 시 유의적으로 낮았다. CH4 농도는 상압증류법처리구가 24시간 배양 시 높았으며, H2 농도는 대나무부산물첨가 처리구에서 24시간 배양 시 높았다. VFA 생산량은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본 실험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폴리페놀성분을 함유한 대나무부산물 및 추출물이 반추위 발효 및 메탄가스 저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Key words : 메탄, 폴리페놀, 대나무부산물, 추출물, in vitro, 반추위발효

PC11062 열환경조건이 성장중인 한우 거세우의 사료 및 에너지 소비수준에 미치는 영향허성욱, 김동균

상지대학교 동물생명자원학부본 연구는 체중 200kg전후인 성장 중인 거세우 16두를 공시하여 기후환경의 변화가 거세우의 사료섭취량 및 영양소 소비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공시축은 대관령 상지대 실습목장의 개방식 우사에 배치하여 기온의 변화가 심하게 전개되는 9월초순부터 10월말까지 60일간 공시하였으며 급여사료는 한우사양표준에 따라 적정한 수준의 사료를 조제하여 자유섭취케 하였고, 기후조건은 시험기간 전체의 기후인자를 자동측정하는 장치를 사용하였으며, 매일 사료영양소의 섭취수준과 기후조건의 기록을 기초로 하여 기후조건의 작용수준과 영양소의 섭취수준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시험기간 일 평균기온 0.7~27.6℃의 범위였고 온습도지수는 38~78.7를 나타냈다. 시험기간 중 공시축의 증체량은 대사체중으로 8.6%였으며 섭취한 DMi, TDNi 및 MEi 각각의 평균섭취량은 8.12kg, 5.10kg 및 20.90Mcal이었고 온도와 THI가 낮을수록 DMi, TDNi 및 MEi는 모두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시험기간중 대사체중당 DMi, TDNi 및 MEi의 소비수준은 기온이 1K 하락할 때마다 각각 0.041kg, 0.0026kg 및 0.0108Mcal의 수준으로 증가하였다. 한편 온습도지수를 기준으로 환산한 결과는 THI 1.0 point당 대사체중 1kg당 각각 0.0026kg, 0.0016kg 및 0.0068Mcal 수준으로 증가하였다. 본 시험에서는 한우 거세우의 사료섭취량에 미치는 영향은 온도가 온습도지수보다 더 높은 상관{R²= 0.8302(온도)> 0.8144(온습도지수)}을 보였으며, 일평균 기온이 10℃이하부터 거세우의 사료에너지 섭취량이 급증하는 현상을 나타내어 영하의 조건에서 무려 40%까지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냈다.

Key words : growing Hanwoo steers, temperature, THI, feed energy consumption per metabolic body weight,correlation

PC11063 기후환경 조건이 성장중인 한우 번식우의 사료섭취량 및 영양소 소비에 미치는 영향김초롱, 김동균

상지대학교 동물생명자원학부본 연구는 기후환경의 변화가 성장 중인 한우암소의 사료섭취량 및 영양소 소비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체중 200kg 내외의 성장중인 암소 16두를 개방식 우사에서 기온의 변화가 심하게 전개되는 대관령에서 9월초순부터 10월말까지 60일간 공시하였다. 급여사료는 한우사양표준에 따라 적정한 수준의 사료를 조제하여 자유섭취케 하였고, 기후조건은 시험기간 전체의 기후인자를 자동측정하는 장치를 사용하였으며, 매일 사료영양소의 섭취수준과 기후조건의 기록을 기초로 하여 기후조건의 작용수준과 영양소의 섭취수준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시험기간의 1일 평균기온은 0.7~27.6℃의 범위였고 온습도지수는 38~78.7를 나타냈다. 시험기간 중 공시축은 대사체중이 7.3% 증체하였으며 온도와 THI가 낮을수록 건물섭취량(DMi), 가소화영양소섭취량(TDNi) 및 대사에너지섭취량(MEi)은 모두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성장중인 한우 암소의 대사체중 kg당 DMi, TDNi 및 MEi의 소비수준은 기온이 1K 하락할 때마다 각각 0.039kg, 0.0024kg 및 0.0088Mcal의 수준으로 증가하였으며, THI가 1.0 point씩 하락함에 따라 DMi, TDNi 및 MEi는 각각 0.0024kg, 0.0015kg 및 0.0056Mcal 수준으로 증가하였다. 본 시험에서는 성장중인 한우암소의 사료에너지 섭취수준에 온도가 온습도지수보다 더 높은 상관계수 {R²= 0.8412(온도)>0.8270(온습도지수)}를 나타냈으며, 이 성적을 근거로 볼 때 환절기 한우 육성우 사양에서 기온이 10℃이하로 급락하는 조건이라면 사료급여량을 30~40%수준으로 증가시켜주는 것이 한우의 성장지연 방지에 바람직하다고 사료되었다.

Key words : weather condition, growing Hanwoo heifer, dry matter intake, energy consumption, correlation

- 136 -

PC11064 TMR용 조사료로서 라이그라스사일리지와 총체보리사일리지의 착유우에 대한 급여효과 비교강정모, 이진성, 함상욱, 박지은, 손용석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생명공학과

본 연구는 이탈리안라이그라스(IRG) 사일리지 또는 총체보리(WCB) 사일리지를 주조사료로 하는 TMR을 착유우에 급여하였을 때, 산유량과 유성분 및 경제성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해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공시동물로 평균 산차 2.6인 비유후기의 홀스타인 착유우 28두를 산차, 비유일수 및 산유량을 기준으로 IRG-TMR 급여군과 BS-TMR 급여군에 배치하였다. 군 간 유전적 차이를 보정하기 위하여 IRG-TMR을 급여하는 4주 간의 공분산기간(Covariate Period)을 거친 후 예비사양기간을 2주, 본사양기간을 13주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공시 IRG사일리지와 WBS사일리지는 2010년 5월 하순 전북 김제지역 논에서 원형곤포로 제조하였다. TMR은 B사에 위탁 제조한 것을 1일 1회 급여하였고, 착유는 1일 2회 실시하였으며, 주 1회 사료섭취량, 산유량, 유성분 등을 조사하고 최종적으로 경제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IRG-TMR과 WCB-TMR의 일반영양소 조성에 있어 통계적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p>0.05). 본 사양기간에서 나타난 두당 평균 건물섭취량은 BS-TMR군이 26.57kg/일, IRG-TMR군이 27.37kg/일로 후자가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두당 평균산유량(4% FCM)은 WCB-TMR군이 30.83kg/일, IRG-TMR군이 31.36kg/일로 나타났으나, 유성분 함량과 마찬가지로 통계적 유의차는 관찰되지 않았다. 목장의 유대수입과 사료비를 기초로 처리구별 경제성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IRG-TMR 급여는 BS-TMR 급여에 비해 조수입이 982원/일/두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TDN 1kg 당 사료비는 WCB-TMR이 IRG-TMR에 비해 598원/일/두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이탈리안라이그라스 사일리지를 기초조사료로 사용하는 TMR의 경우 TDN kg당 가격은 총체보리사일리지를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높았지만, 사료효율과 산유량 및 유대수입 등의 결과를 감안할 때 이탈리안라이그라스 사일리지가 비유성적과 경영수익의 두 가지 측면에서 보다 유리한 착유우 TMR용 조사료일 것으로 사료된다.

Key words : Italian ryegrass, Whole Crop Barley, Silage, Total Mixed Ration, Economic Analysis

PC11065 Continuous culture system을 이용한 반추위 내 온실가스 발생량 측정이승헌, 김성훈, 감동근, 김인배, 오영균1, 최병양, 이상문2, 서성원2, 지석우

CJ제일제당 동물생명연구소, 1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2충남대학교 동물바이오시스템과학과축산업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의 주범은 반추가축의 메탄 발생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본 연구는 반추위로부터 발생하는 온실가스인 메탄과 이산화탄소를 연속배양 혐기 발효장치 (Continuous culture system)를 통하여 측정하고자 하였다. 공시동물은 평균체중 400kg의 cannulation된 Holstein종 거세우를 사용하였으며 사료급여 전에 위액을 채취하여 혐기적인 상태를 유지하면서 총 13일동안 수행하였다. Fermenter는 2L closed glass vessel (double water jacket, 4 inlet)으로 제작하였고, 사료는 초기 adaptation 7일 동안 Corn, Alfalfa (1:1)를 1일 2회 (12시간)로 급여하고 본 실험에서는 Corn, Alfalfa를 각각 단일 급여하였다. 교반봉을 이용하여 10~12rpm으로 교반하고 사료급여시 500rpm으로 30초간 교반하였다. Buffer (O2-free)는 turnover rate 0.042h-1로 공급하고 Overflow는 fermenter 중간에 45°배출관을 연결하여 기질 및 배양액이 배출되도록 하였다. Adaptation 기간 후에 각 샘플당 2일간 발생된 가스 (CH4,CO2)를 gas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pH value, outflow DM concentration을 측정하였다. 온실가스의 함량은 사료급여 주기로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메탄과 이산화탄소의 함량은 Alfalfa 단독 급여시 가장 높았다. pH는 Corn에서 가장 낮은 6.6±0.03을 나타내었으며 이전 연구결과인 pH 6.5±0.09와 차이가 없었다. Outflow DM concentration는 배양 5일 이후에 안정적인 함량 (3.8g/day)을 나타내어 이전 실험결과인 4g/day과 차이가 없었다. 본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료원료별 온실가스 발생량 측정과 첨가제의 메탄저감 효과에 대한 연구가 가능할 것이다.

Key words : Continuous culture system, Greenhouse gas, Corn, Alfalfa

PC11066 버섯재배부산물발효 전용 유산균제제 개발이윤희, 김영일, 곽완섭

건국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자원환경과학부 축산학전공본 연구는 버섯재배부산물(SMS) 전용 유산균제 개발을 위해 SMS로부터 유산균의 분리 동정 및 배지조건 최적화를 위하여 실시하였다. SMS로부터 MRS agar plate를 이용하여 유산균을 순수분리 후 MRS broth 상에서 배양 간(0, 3, 6, 9, 12, 15 그리고 24시간) pH, OD, 유산균수 및 clear zone을 측정하였다. 대조균주로는 Lactobacillus plantarum KCCM12116을 이용하였다. KU-5균주는 유산생성이 빨라 pH를 가장 빠르게 그리고 낮게 감소시키는 특징이 있었으며, KU-13균주는 균체생성량이 많아 OD가 가장 높았다. pH 감소능력 또한 대조균주보다 높았다. 최종적으로 산을 빠르게 생성하는 KU-5번 균주, 균체 생성량이 많은 KU-13를 선발하였다. 선발균주를 대상으로 50CHB kit을 이용하여 선발균주의 당 이용성을 평가하였다. 선발균주를 대상으로 16s rRNA를 분석 후 BLAST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NCBI의 GENBANK의 rRNA와 비교하였으며, Clustal X and Mega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동성 분석을 통해 최종적으로 동정결과 KU-5, KU-13균주 모두 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동정되었다. KU-5 균주는 Lactobacillus plantarum KU-5으로, KU-13 균주는 Lactobacillus plantarum KU-13으로 명명하였다. L. plantarum KU-5와 L. plantarum KU-13번 균주를 NCBI에 등록하였으며 L. plantarum KU-5 access number는 HQ542227이며, L. plantarum KU-13 access number는 HQ542228이다. 배지조건 최적화 확립을 위해 대두박, 미강, 맥강 그리고 배합사료를 이용하여 0.5, 1.5, 2.0%에서 균수 측정을 실시하였다. KU-5균주는 대두박 2%에서, KU-13균주는 배합사료 2%에서 가장 높은 균수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L. plantarum KU-5와 L. plantarum KU-13은 SMS 발효를 위해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 words : 버섯부산물, 버섯폐배지, 발효, 유산균

- 137 -

PC11067 버섯재배부산물 혼합발효조사료 급여가 한우 거세우와 미경산우의 행동패턴에 미치는 영향김진수, 김영일, 이윤희, 이상무1, 이재훈1, 곽완섭

건국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자원환경과학부 축산학전공, 1경북대학교 생태환경대학 축산BT학부 축산학전공본 연구는 버섯재배부산물 혼합발효조사료(SMS-silage) 급여가 한우 육성우(거세우, 미경산우)의 채식 행동 및 배설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육성기 거세한우(11개월령, 평균체중 301.7kg) 10두, 육성기 미경산한우(14개월령, 평균체중 314.8kg) 8두 공시하여 처리구별 체중을 고려하여 배치하였다. 대조구에는 조사료원으로 볏짚만을 처리구에는 SMS-silage 만을 자유채식 시켰다. 배합사료는 육성기 거세우에 4.7kg/day, 미경산우에 5.4kg/day 급여하였으며, 대조구와 처리구 모두 동일량을 급여하였다. 급여사료의 입자도는 Penn state particle separator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육성기 거세우는 24명의 관찰자가 3교대로 48시간동안 관찰하였으며, 미경산우는 켐코더로 10일간 녹화 후 발정이 없는 1일을 택하여 관찰하였다. SMS-silage급여에 따라 DMI는 거세우가 2.6kg/d, 미경산우가 1.4kg/d 증가하였다. SMS-silage급여에 따라 거세우는 섭취, 반추, 휴식 저작시간에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미경산우는 섭취, 반추, 휴식 및 저작시간이 감소하였다(P<0.05). 그러나 저작시간은 거세우와 미경산우 모두 정상적인 범위(150min/NDF kg 이상) 내에서 감소하였다. SMS-silage급여에 따라 거세우와 미경산우 모두 음수, 배분 횟수는 차이가 없었으나(P>0.05), 거세우의 배뇨회수는 7.3회 증가하였다(P<0.05). 결과적으로, SMS-silage급여에 따라 거세우는 반추행동에 있어서 영향을 받지 않았다. 미경산우는 SMS-silage 급여에 따라 섭취시간 및 저작시간이 감소하였으나 정상적 범위에 속하였다. 한우 거세우와 미경산우 모두 볏짚을 전량 SMS-silage로 대체하여 급여하여도 반추행동 측면에서는 양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Key words : 버섯부산물, 버섯폐배지, 한우, 반추행동, 부산물사료

PC11068 유산균 및 당밀 첨가가 사료용 버섯재배부산물의 발효성상에 미치는 영향김진수, 이윤희, 김영일, 곽완섭

건국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자원환경과학부 축산학전공본 연구는 버섯재배부산물(SMS)을 동물사료로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혐기저장기술 개발을 위하여 실시하였다. 효과적인 혐기저장을 위하여 SMS에 유산균(LAB, lactobacillus plantarum KU-5) 0.5%(v/w) 그리고/또는 당밀 5%(DM basis)를 첨가하였다. Small-silo study에서는 발효기간을 2주차 까지, large-silo study에서는 4주차까지로 하였다. 발효성상으로 pH, lactic acid, water soluble carbohydrate, NH3를 분석하였으며, 유산균과 효모를 측정하였다. Small-silo study에서, 저장 1주차까지는 LAB 및 당밀 첨가구가 lactic acid 생성량 및 LAB수가 높았으나, 저장 2주차에서는 처리구별 차이는 없었다. 저장 2주차에서 LAB 및 당밀 첨가에 따라 acetic acid는 증가하였고, pH는 감소하였다. Large-silo study에 있어서, LAB와 당밀을 함께 첨가함에 따라 1주차부터 pH감소 효과가 가장 높았으며(P<0.0001), lactic acid 생성량도 저장 1주차부터 지속적으로 높게 유지하였다(P<0.0001). 당밀 첨가에 따라 저장 1주차부터 WSC함량이 높게 유지되었으며(P<0.0001), 이로 인해 lactic acid 생성량이 가장 많았다. LAB 접종시에는 저장 1주차에서는 첨가 효과가 미미하였으나, 저장 2주차에서부터 LAB수가 높아 lactic acid 생성량이 비첨가구에 비해 높았으며, pH 또한 낮게 유지하였다(P<0.0001). 결과적으로, small-silo study에서 LAB 및 당밀을 혼합첨가 시 초기에 발효를 빠르게 진행시키는 효과가 있었으며, large-silo study에서는 LAB와 당밀을 혼합처리 시 발효 1주차부터 지속적으로 유산발효를 촉진하는 효과가 있었고, LAB 단독 첨가 시에는 저장 2주차부터 그 첨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 words : 버섯부산물, 버섯폐배지, 부산물사료, 유산균, 당밀

PC11069 Does restricted feeding of cattle from 6 to 18 months of age impact on development of organs and carcass tissues in Hanwoo cattle?

S.K Hong, S.H Leea, W.M Choa, I.H Leea, D Perryb, J.M Thompsonb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Suwon, KoreabBeefCRC, UNE, Armidale, Australia.

A serial slaughter investigated the effect of restricted feeding on digestive tract components, major organs, carcass composition and fat partitioning development in cattle. A total of 196 Hanwoo steers were allocated to ad libitum and restricted treatments, and groups of approximately 8 steers from each treatment slaughtered at 2 monthly intervals from 6 months to 30 months. The restricted steers were fed a concentrate ration daily at 1.5% of live weight from 6 to 12 months, 1.75% of live weight from 12 to 18 months and ad libitum thereafter. After slaughter the left side was dissected into muscle, bone, and fat. Muscle tissue from each joint was chemically analysed for fa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restricted feeding from six to until 18 months of age on the development of the digestive tract and major organs in the body of Hanwoo steers. In addition it was of interest to examine the effects of growth restriction during early growth and backgrounding on development of carcass tissues and fat partitioning. Obviously given the priority Korean consumers place on marbling, management systems which impact on carcass composition and more importantly marbling levels are extremely important.

Key words : carcass tissue, fat partitioning, Korean consumers, Marbling, management systems

- 138 -

PC11070 국내 자동착유시스템 설치농가의 설치 전․후생산성 비교기광석․ 김상범․ 이현준․ 임동현․ 박중국․ 임현주․ 박성재․ 정영훈․ 권응기․ 김현섭*․ 유인천**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Lely**

본 시험은 국내에 도입된 자동착유시스템 설치농가에서 사육하고 있는 젖소들의 검정성적을 이용하여 자동착유시스템 설치 전과 후의 산유량과 유성분 및 체세포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자동착유시스템 설치농가의 147두의 설치 1년 전과 1년 후의 검정기록을 이용하였다. 산유량을 비교한 결과, 기존착유시스템의 30.37kg에 비하여 자동착유시스템에서 34.27kg으로 유의성 있게 높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지율은 자동착유시스템 설치 전 3.7±0.5%에 비하여 설치 후 3.8±0.5%으로 설치 후 유지율이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유지방량은 기존 착유시스템에서 보다 자동착유시스템으로 전환 후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산유량 증가에 기인된 것이다. 유단백율 역시 자동착유시스템 설치 전 3.2±0.2%와 설치 후 3.2±0.2%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유단백량에 있어서는 유지방과 같이 산유량 증가로 인하여 기존 착유시스템에 비하여 자동착유시스템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체세포수는 로봇착유기 설치 전 169.4±188.5천개/ml로 1등급 수준이었던 것에 비하여 설치 후 314.4±279.9천개/ml로 2등급 수준으로 유의성 있게 낮아졌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자동착유시스템 설치에 따라 산유량은 증가하나 유질등급에 영향을 주는 체세포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자동착유시스템을 설치하려는 농가에서는 이에 대한 고려가 있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 words : 자동착유시스템, 착유우, 생산성

PC11071 농후사료 급여수준이 한우 암송아지의 성장과 번식에 주는 영향장선식, 엄정열* , 이명식, 김태일, 조원모, 최순호, 홍성구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영주시 농업기술센터*

미경산 한우의 성장단계별 최적 농후사료 급여수준을 구명하여 생산비 절감을 위한 한우사양 관리체계를 확립하고자 5개월령 내외의 한우 암송아지 45두를 공시하여 14개월간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구는 구당 12두씩 4개 처리(T1~T4)로 농후사료 급여수준을 체중 대비 1.2, 1.4, 1.6 및 1.8%를 급여하고, 조사료는 육성기에 목건초와 이후 볏짚을 자유채식토록 하였다. 성장단계는 육성기(4~8개월령), 성성숙기(9~14개월령) 및 임신초기(15~19개월령)로 구분하였고, 처리구별 4두씩 배치하였다. 인공수정은 15개월령, 체중270kg 내외에 실시하였으며 매일 사료섭취량 및 매월 체중을 측정하였다. 5개월령 개시시 체중은 123.2kg내외였으며, 8개월령 167.2~176.3kg, 14개월령 243.4~269.7kg 및 19개월령 322.9~363.1kg으로 농후사료 급여수준이 높을수록 체중이 무거웠다. 일당 증체량에 있어서도 체중과 마찬가지로 농후사료 급여수준이 높을수록 많았으며 육성기에 0.49~0.55kg, 성성숙기 0.42~0.52kg 및 초임기 0.53~0.62kg이었고 전 기간은 0.47~0.57kg의 일당증체량을 보였다. 한편 사료섭취량은 육성기 농후사료 1.8~2.74kg, 톨페스큐 건초 3.44~3.50kg, 성성숙기 농한우후사료 2.42~3.87kg, 볏짚 4.07~4.2kg, 임신전기 농후사료 3.57~6.01kg, 볏짚 4.74~4.82kg을 섭취하였으며, 전기간 DM, CP 및 TDN 섭취량은 각각 6.10~7.52kg, 0.57~0.79 및 3.44~4.58kg이었다.1차 수정은 16.7~17.4개월령에 실시하였고 농후사료를 체중대비 1.2% 급여한 T2가 비교적 빨랐으며, 임신율은 50.0(T3)~83.3%(T2)로 T2구가 가장 높았다.

Key words : Hannwoo, heifer, concentrate feeding level, reproduction performance

PC11072 천궁추출물 처리에 의해 유발된 마우스 3T3-L1 지방전구세포의 세포독성 및 분화억제 완화작용에 미치는 당귀추출물의 영향

허미림¹, 안정철¹, 황순범¹,김인숙², 강지영¹, 황성구¹

¹한경대학교 동물생명환경학부, ²건국대학교 생명공학과본 연구는 한방약재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천궁을 이용하여 3T3-L1 지방전구세포의 분화촉진을 통한 고급육 생산 및 성장촉진 첨가제 개발 과정 중 천궁을 일정농도 이상으로 처리하면 나타나는 세포독성 및 분화억제 현상을 완화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도입한 당귀추출물 혼합 처리에 대한 작용기전을 조사하였다. 3T3-L1 지방전구세포를 0, 50, 100, 200, 400ppm 농도로 각 추출물을 단일 또는 혼합 처리한 후 MTT assay에 의해 세포 독성 여부를 조사하였으며 분화유도 배지(MDI)로 분화를 유도하고 8일째 샘플링 하여 Oil red O 실험을 통해 중성지방을 염색하여 분화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RT-PCR을 통해 분화유도관련 단백질인 PPAR-γ, C/EBP-α, leptin, aP2 등의 유전자 발현을 조사하였다. 실험결과, 천궁과 당귀를 단일 처리 하였을 때 보다 혼합하여 처리하였을 때 분화유도 최종마커로 알려진 PPAR-γ 및 C/EBP-α의 발현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것은 추출물을 혼합하여 처리하였을 때 MTT assay를 통해 나타난 천궁의 세포 독성이 완화된 결과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이 결과는 TG 및 Oil red O 결과에서도 혼합처리 시 400ppm까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천궁추출물에 의한 세포독성 및 분화억제 완화 현상을 반영해 주고 있다. 이 결과로 부터 천궁추출물 처리가 일정농도 이상에서 세포독성을 유발할 경우 당귀 추출물처리는 천궁 추출물과는 다른 신호전달체계 또는 상호보상적인 신호전달을 통하여 지방세포의 분화억제 현상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천궁추출물의 단일 처리보다는 당귀추출물과의 혼합 처리가 천연추출물의 이용효율 또는 안전성을 높이고 비육우의 마블링 증진을 위한 고급육 생산 사료첨가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Key words : Cnidium officinale, Angelica gigas Nakai, adipocyte differentiation, PPAR-γ, C/EBP-α, 3T3-L1 preadipocytes

- 139 -

PC11073 완전혼합알코올발효사료의 급여가 반추위 발효특성과 급여개시 시점에 따른 거세한우의산육 및 도체 특성 변화에 관한 연구

안준상, 최장근, 박병기, 신종서강원대학교 동물생명과학대학

본 연구는 부산물과 발효성 미생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완전혼합알코올발효사료(Total mixed alcoholic fermented feedstuff, TMAFF)의 급여가 반추위 발효특성과 TMAFF의 급여개시 시점이 거세한우의 증체, 사료섭취량 및 도체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반추위 발효특성은 반추위 Cannula가 장착된 한우 3두(평균체중 450kg)를 이용하여 배합사료와 볏짚을 급여하는 대조구와 TMAFF를 급여하는 처리구의 2처리로 실시하였다. 사양실험은 육성기 거세한우(평균 체중 300kg) 12두와 비육기 거세한우(평균 체중 450kg) 10두를 공시하여 육성기~출하시까지 TMAFF를 급여하는 T1구와 비육기~출하시까지 급여하는 T2구의 2처리로 실시하였다. 반추위 pH는 배양시간에 관계없이 대조구에 비해 처리구에서 낮았지만(p<0.05),ammonia 농도는 대조구에 비해 처리구에서 높은 결과를 보였다(p<0.05). TMAFF의 급여는 반추위 propionate 및 total VFA 농도를 증가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일당증체량, 건물섭취량 및 사료요구율은 T1구에 비해 T2구에서 향상되는 결과를 보였다(p<0.05). 등지방두께, 육량지수, 육색 및 육량등급은 T2구에 비해 T1구에서 우수한 결과를 보였지만, 배최장근단면적 및 육질등급은 T1구에 비해 T2구에서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TMAFF의 급여는 에너지원으로 이용될 수 있는 휘발성지방산의 생성량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판단되며, 육량등급의 측면에서는 TMAFF를 육성기부터 급여하는 것이 유리하지만, 증체, 사료이용성 및 육질등급의 측면에서는 비육기부터 급여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사료된다. Key words : 거세한우, 완전혼합알코올발효사료, 비육단계, 산육특성, 도체특성

PC11074 돈분내 죽초액 첨가에 따른 악취저감 효과 및 미생물 community 분석차부영1, 김동현1, 조성백2, 김동운2, 이상석1

1국립순천대학교 동물자원과학과, 2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돈사에서 발생하는 악취에 대한 민원이 많이 증가함에 따라 죽초액 첨가에 따른 돈사의 악취저감 효과를 규명하고 돈분내 죽초액 첨가에 따른 미생물 community 분석을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옥수수와 밀을 위주로 한 기초사료를 급여한 모돈 5두를 공시하여 NH3와 H2S와 같은 돈분내 유해가스 함량을 분석하기 위해 신선한 분과 뇨를 1:1 비율로 혼합하여 실온에서 실험하였다. 처리구는 각각 Control, 죽초액 1%, 죽초액 2%, 죽초액 3% 첨가하여 4처리구로 2반복 실시하였다. NH3 발생 농도는 죽초액을 3% 첨가한 처리구에서 가장 낮았으며, H2S 발생 농도는 죽초액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에서 가장 낮았다. 죽초액을 첨가한 돈분내 미생물 변화를 관찰한 결과, 장내 총 미생물 수는 죽초액 2%를 첨가한 처리구에서 3.4 × 108 CFU/ml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죽초액을 첨가하지 않은 72시간 배양한 대조구에서 1.9 × 106 CFU/ml으로 낮게 나타났다. 또한 병원성 미생물인 E. Coli와 Salmonella. spp와 효모 및 곰팡이는 검출되지 않은 반면에 유산균은 장내 총 균수와 비슷하게 나타났다. 돈분내 총 VFA 함량은 72시간 배양한 돈분에 죽초액을 1% 첨가한 처리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72시간 배양한 대조구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DGGE 기법을 통한 돈분내 미생물 community 분석에서는 대조구와 72시간 배양한 대조구가 다른 처리구보다 많은 밴드 양상이 나타났으며, 죽초액을 농도별로 첨가한 처리구들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Key words : fecal, pig odor, odor compounds, DGGE, community

PC11075 Effects of specialized feeding program for multiparous Hanwoo on the production and quality of meatDo Hyeong Lee1, Eun Joong Kim2, Chang Min Park3, Jong Won Joo4, Sang Buem Cho5*, Nag Jin Choi3*

1GRRC center, Hankyung University, Korea, 456-749, Korea2Department of Animal Scienc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Sangju, 742-711, Korea

3Department of Animal Scienc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561-756, Korea4Department of Companion Animal Science, Joongbu University, Chungnam, 312-702, Korea

5Animal Resources Research Center, Konkuk University, Seoul, 143-701, KoreaCorrespondings: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It has been generally regarded that multiparous and old Hanwoo cattle show poorer meat quality compared to young and primiparous Hanwoo in Korea. There are few studies concerning the development or understanding feeding programs for multiparous old Hanwoo until recent. In this study, two different feeds which combined to a program for multiparous Hanwoo and commercially used feed were compared in the aspect of meat production and quality. Three farms were employed for a feeding study. Diet for treatment consist of two steps - starting and finishing - and each diet contained 14.28% and 12.70% of CP, respectively as fed. For control, diet contained 12.39% of CP as fed. Different number of animals from each farm were used. In farm A, for treatment and control, 29 herds and 3 herds were used, respectively. In farm B and C, herds for treatment and control were 8 vs. 3 and 11 vs. 4 herds, respectively. Feeding trials were performed during different periods across farms and the average feeding period was 205 days. Average daily gains, thickness of back fat, area of Longissimus Dorsi, carcass weight, index of carcass weight, intramuscular fat, meat color and texture were analyzed after slaughter. For statistical analysis, random effect model (Kook et al., 2009) was employed. In terms of ADG, two of three farms showed significance but one of them represented negative effect and overall summary effect was positiv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ickness of back fat, area of Longissimus Dorsi, intramuscular fat and carcass weight showed positive effect but index of carcass weight, meat color and texture showed negative effects.Acknowledgement: This work was supported by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foundation and by the GRRC program of Gyeonggi province [GRRCHankyong2010-B04].Key words : multiparous Hanwoo, meat quality, carcass yield, Longissimus Dorsi

- 140 -

PC11076 Development of beef cattle feed additive for enhancement of marbling by using Zn-Vit.C chelated compound

Chiranjit Ghosh, Soon-Beom Hwang, Mi-Rim Heo, Seok-Keun Choi, Seong-Gu Hwang

Division of Animal Life and Environmental Science,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Recently many researches trying to develop alternatives for antibiotics to promote animal growth and intramuscular fat deposition are attracted by many scientists all over the world. Nutritional supplements that enhance immune system function may improve livestock performance and be economically advantageous. We her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zinc vitamin C chelating (ZVC) agent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of 3T3-L1 cells. ZVC treatment of 3T3-L1 cells resulted in an increase in glycerol-3-phosphate dehydrogenase (GPDH) activity and lipid accumulation, a marker of adipogenesis, in a dose dependent manner. Moreover, mRNA expression levels of both CCAAT/enhancer-binding protein (C/EBP) α and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PPAR) γ, the key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s, were markedly increased by ZVC. ZVC increased significantly gene expression of adipocyte fatty acid binding protein (aP2) and leptin, which are adipogenic marker protei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ZVC can be a useful material as feed additives for alternatives to antibiotics in growth performances and adipocytes differentiation.

Key words : Zinc-Vitamin C, adipocyte differentiation, C/EBPα, PPARγ, 3T3-L1 cells

PC11077 착유우에 대한 반추위 휘발성 지방산 농도와 유량 및 유성분과의 상관관계 분석이준성1, 서성원1

1충남대학교 동물바이오시스템과학과본 연구는 메타분석(Meta-Analysis) 기법을 이용하여 착유우에 대한 반추위 휘발성 지방산 농도와 유량 및 유성분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실시. 이를 위해, 최근 5년간(2006년 1월호~2011년 4월호) 미국낙농학회지에 발표된 탄수화물 공급원의 종류 및 수준을 달리한 실험 중 반추위 휘발성지방산(VFA) 농도 및 유량과 유성분 수치를 보고한 총 50편의 논문(186개의 처리구 평균)의 결과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반추위내 VFA의 수치는 acetate(mM), propionate(mM), butyrate(mM)와 이들의 합으로 계산된 총 VFA(mM) 및 총 VFA 중 acetate 비율(%), propionate 비율(%), butyrate 비율(%)과 acetate/propionate 비율(A/P ratio)로 표기하였으며, 이들과 유량(kg), 유단백량(kg), 유지방량(kg) 및 유단백율(%), 유지방율(%)과의 상관관계를 일반선형모형(GL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유지방량 및 유단백율과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갖는 변수는 도출되지 못한 반면, 유량과 유단백량은 propionate, acetate 비율, propionate 비율 및 A/P ratio와 유의적인 상관관계(P<0.05)를 가지고 있으며 유지방율은 앞선 4개 변수와 더불어 총 VFA와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Acetate, butyrate, butyrate 비율은 유량 및 유성분과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없었다. 가장 유의적인 선형관계를 보인 두 변수는 propionate 비율과 유지방율로, 유지방율(%) = 5.04(±0.185) - 0.07(±0.008)×Propionate 비율(%)(R2=0.30, RMSE=0.382)의 관계식이 도출되었으며, 유지방율은 propionate 비율과 유의적인 음의 상관관계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Key words : 유량, 유성분, 젖소, 데이터베이스, 메타분석(Meta-Analysis)

PC11078 The effect of dietary Cynanchum wilfordii on ruminal fermentation and milk production in dairy cows

Dangana Mahama1, Seung-Hak Yang2, Jong-Ho Ahn1, Sang-Rak Lee3, Seong-Gu Hwang1

1Division of Animal Life and Environmental Science,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2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3College of Animal Bioscience & Technology, Konkuk University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ynanchum wilfordii(CW) on volatile fatty acid(VFA) production, methane gas production, ruminal protein metabolism and milk yield. Collected rumen fluid were incubated with CW powder(1%, W/V) for 12h and 24h. Samples were analyzed for pH, VFA and Methane. In field trial, 20 dairy cow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d fed the 100g of CW powder for 3 weeks. Milk yield was measured everyday for 3 weeks and milk composition analysis was undertaken. In vitro batch culture study, the results showed that Cynanchum wilfordii decreased the pH during both 12hr and 24hr incubation. VFAs were increased in CW treated groups. It was interesting that propionate production was increased more than other VFAs by the treatment of Cynanchum wilfordii. Ammonia nitrogen was tended to increase. However, there was significant decrease in methane gas production in Cynanchum wilfordii treated batch culture. In vivo feeding trials,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milk yield.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ilk composition including somatic cell count. Cynanchum wilfordii could manipulate rumen fermentation considered by increasing VFA production and inhibition of methanogenesis. It has been suggested that Cynanchum wilfordii can be a useful resource for low-carbon-emitting feed additives improving milk yield but further study is needed for the stability of ruminal microflora.

Key words: rumen fermentation, Cynanchum wilfordii, VFA, methanogenesis, milk production.

- 141 -

PC11079 GABA 생성균의 분리 동정 및 발효 특성 분석구범승, 김동운, 이상석

순천대학교 동물자원과학과, 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본 연구는 한우의 사양관리에 있어서 스트레스 저감효과와 항생제를 대체할 수 있는 사료첨가제의 개발을 목적으로 GABA (γ-Aminobutyric acid) 생성량이 높은 균주를 선발하여 반추위 발효특성을 조사하였다. 선발된 균주를 무첨가구 (T1), 1% (T2), 5% (T3) 첨가구로 나누어 시간대별 (0, 24, 48시간)로 In vitro 실험을 실시하였고, 시료는 옥수수, 대두박 2가지 원료사료로 비교 분석하였다. 공시된 홀스타인 암소 반추위 케뉼라를 통해 반추위액을 채취했으며 시간대별로 샘플을 채취해 pH, VFA, Total gas, NH3-N 농도를 분석하였다.pH는 첨가수준과 상관없이 대조구와 유사한 경향으로 낮아졌고, VFA는 대조구에 비해 첨가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Total gas도 대조구에 비해 첨가구 (T3)에서 높게 나타났고, NH3-N 농도 역시 대조구에 비해 첨가구 (T3)에서 높은 수치를 보임에 따라 GABA 생성균의 첨가가 반추위내 발효에 효과적인 영향을 미쳤다. 추가 연구는 반추위 내 Biogenic amine과 Endotoxin 분석을 통해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Key words : GABA, 사료첨가제, 반추위, Endotoxin, biogenic amine

PC11080 버섯폐배지의 반추위 내 미생물 발효 특성 및 생산성 증진에 대한 연구박제환1, 고요한1, 배귀석1, 김상범2, 김현섭2, 장문백1

1중앙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동물생명공학전공, 2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본 연구는 버섯폐배지와 폐미생물배양액의 유효미생물 발효에 의한 total mixed ration (TMR)사료 내 첨가 수준이 반추위 내 미생물 발효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알아보기 위하여 in vitro와 rumen simulation continuous culture (RSCC) system 그리고 젖소를 이용한 in sacco시험이 실시되었으며, 젖소용 TMR 사료 내 사료원들을 유효미생물발효 버섯폐배지를 이용하여 대조구와 각 3, 5, 10 그리고 20%로 대치하여 5처리 3반복으로 시험이 실시되었다. In vitro시험과 RSCC system 시험에서 TMR사료 내 유효미생물배양 버섯폐배지 첨가수준 10%처리구에서 pH, NH3-N, 미생물단백질합성량, 건물소화율, NDF소화율에서 대조구와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첨가수준 20%처리구는 높은 섬유소 함량으로 인하여 건물소화율과 NDF소화율이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p<0.05). In sacco시험에서는 건물소실율이 3, 5 그리고 10% 처리구의 경우 유효미생물발효 버섯폐배지의 수준이 증가할수록 다소 감소하였으나 대조구와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고, 20%처리구에서는 유의적으로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p<0.05). 이와 같은 결과는 버섯폐배지 내 높은 섬유소 수준에 대한 유용미생물 발효에 의한 섬유소분해효과는 버섯폐배지 10% 수준까지 TMR사료 내 원료들을 대체할 수 있는 결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시험에서 버섯폐배지와 폐미생물배양액을 이용한 TMR사료 내 유효미생물 발효 버섯폐배지의 첨가수준 10% 수준까지 대체효과에 대한 결과는 젖소사료비 감소에 의한 생산성증대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추후 젖소를 이용한 in vivo시험을 통한 생물학적 검정이 실시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 words : 버섯폐배지, 폐미생물배양액, TMR, 유효미생물, in vitro, RSCC system, 반추위 내 미생물

- 143 -

초지 및 환경

- 145 -

PD11001 거세 한우 육성우 사육밀도가 행동에 미치는 영향이상무, 장재원, 황주환, 이재훈

경북대학교 생태환경대학 축산BT학부농장 경영자들은 생산 일변도에 국한하여 최대 사육 밀도를 통 하여 단위 면적당 수익성을 올리는 가축 사육 체계를 실시하고 있는 것이 보편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거세 육성 한우가 사육 밀도에 따라 채식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여 친환경 축산 및 가축 복지형 축산문제 해결을 행동학적으로 규명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사육밀도는 32m2(4x8m)에 각 각 1두(1G), 2두(2G), 3두(3G) 및 4두(4G)로 하여 4처리 3반복으로 실험한 결과, 자유채식한 조사료 채식량은 1G에 비하여 2G, 3G 및 4G 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제한급여 한 농후사료 채식시간은 1G > 2G > 3G > 4G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P< 0.05), 조사료 채식시간은 3G > 1G > 2G > 4G 순으로 높게 나타났지만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반추시간 중 서서반추는 밀 도가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누워서 반추는 4G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지만 유의적 차이 는 나타나지 않았다. 서서휴식은 4G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다른 처리구와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며, 누워서 휴식은 2G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총저 작시간(채식시간+반추시간)은 채식과 반추시간이 길었던 3G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대조적으로 반추시간과 채식시간이 짧았던 4 G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 을 보였다(P<0.05). 식괴당 저작수는 1G에 비하여 2G, 3G, 4G 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P<0.05). 이상 결과로 볼 때 사 육밀도가 증가하면 채식시간 및 총저작시간은 감소하나 서서휴식 및 식괴당 저작수는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Key words : 한우, 사육밀도, 채식행동, 반추행동, 휴식행동

PD11002 2010년도 해남목장 자생 갈대의 이용실태 및 사료가치서 성, 한대덕1, 김원호, 정민웅, 이상훈, 김재경2, 김수인,2 김성길3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1해남목장, 2해남군농업기술센터, 3해남축협주요 부존 조사료자원인 갈대 등 야초류는 지역별로 널리 이용되고 있으나 생산량, 사료가치, 수거이용 수익성 등에 대한 기술정보는 미흡한 실정으로, 본 연구는 전남 해남군 해남목장에서 300ha 규모의 자생 갈대(Phragmites communis) 초자원의 이용실태를 2010년 5월부터 10월까지 조사 ․ 분석하였다. 조사내용은 곤포수거면적, 수확시기, 생산량, 수분함량, 사료가치, 사일리지 품질, 작업비용, 유통판매가격 등이었다. 2010년도 곤포작업은 1회에 그쳤으며 작업기간은 30일 정도였다. 생산량은 총 4,200롤로롤당 450~500kg 기준시 사일리지로 2,000톤이었으며, ha당 7톤 정도였다. 곤포 롤당 유통판매 가격은 2009년도에는 50,000~ 55,000원, 2010년도에는 55,000~60,000원이며, 출수 이후 사료가치는 낮아졌다. 해남목장 수익성은 총 조수입으로 연간 2억 2,260만원(53,000원/롤×4,200롤), 작업비용으로 지출경비는 1억 920만원(26,000원/롤×4,200롤), 비료대로 연 1,000만원 정도가 지출되어, 연간추정 소득은 1억원 정도이고 ha당 소득은 345천원 정도였다. 한편 해남목장에서 제조한 갈대 사일리지 10점의 사료가치와 품질은 평균 조단백질 5.57%, RFV(상대사료가치) 67.5(5등급), 건물 소화율 46.26%, 사일리지 젖산함량 0.126%였다. 수확시기에 따라 사료가치는 현저한 차이가 있어 조사료의 품질향상을 위해서는 수확적기에 집약적인 곤포작업이 유리하였다.

Key words : Reed, Wild grass, Forage yield, Silage quality, Bale silage, Profit

PD11003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청보리, 호밀 등 월동 사료작물의 생산 및 유통 실태조사서 성, 김종덕1, 김종근, 김원호, 박형수, 전경협1, 이종경2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1천안연암대학, 2농업기술실용화재단본 연구는 주요 월동 사료작물의 생산과 이용, 유통실태를 조사분석하여 국내 양질 조사료 자급과 유통 활성화를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하고자 도별, 지역별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IRG), 청보리, 호밀 등의 재배면적, 생산량, 곤포 사일리지 유통현황과 유통가격 등을 조사하고, 사료가치와 사일리지 품질을 분석하였다. 2009년도 월동 사료작물의 총 재배면적은 130천ha, 생산량은 건물기준 1,132천톤으로 전체 사료작물 재배면적의 65%를 점유하며, IRG가 재배면적 52천ha, 생산량 470천톤으로 40~41.5%로 가장 많고, 다음이 호밀과 청보리로 각각 31~32%, 24~26%였다. 전북과 전남이 재배면적과 생산량에서 각각 전국의 48% 및 51%를 점유하며, 다음이 경남, 경기, 경북, 충남 순이었고, 강원과 충북이 가장 낮았다. IRG는 전북 29%, 전남 50%로 호남이 전국의 79% 점유, 다음이 제주 13%, 청보리는 전북 31%, 전남 30%로 호남이 전국의 61% 차지, 다음이 충남 12.6%, 경남 9.9%, 호밀은 경남(20%), 경북(19%), 전북(16%), 경기(13.0%), 충남(12.9%) 순이었다. 2010년도 나주시 동계 사료작물의 ha당 생산량은 사일리지 기준 평균 23.2톤이었으며, IRG에서 33톤으로 가장 많고 다음이 혼파, 청보리 순이었다. 2010 동계 사료작물 유통비 보조 관외 유통량은 요청물량 100천톤의 절반인 51천톤이 공급되었으며, 청보리가 가장 많았고, 유통가격은 kg당 100~120원 수준으로 IRG에서 다소 높은 경향이었다.

Key words : Forage production, Marketing, Silage, Quality, Winter forages

- 146 -

PD11004 사료용 볏짚곤포사일리지용 벼의 어린 성장시기 곰팡이 및 위해성 분석성하균1, 서성2, 이종경3, 김동균4

1(주)애드바이오텍, 2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3농업실용화재단, 4상지대학교 동물생명자원학부국내 자급조사료의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사료용 볏짚 곤포사일리지의 곰팡이 오염은 현장에서 많이 발견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영양적 손실뿐만 아니라 가축에게 높은 독성을 나타내는 이차대사산물인 곰팡이 독소(mycotoxin)에 의한 부작용에 대한 우려가 많아지고 있다. 물론 볏짚 곤포사일리지를 비롯한 많은 조사료는 저장 기간에 오염되기도 하지만, 일부 곰팡이는 작물포에서 사료작물이 성장하는 시기에 오염되어 발생하는 경우도 많다. 따라서 이들 곰팡이가 벼의 생육기간에서부터 유래될 수 있는지 규명하고자 벼의 어린 시기에 곰팡이 및 mycotoxin 오염 여부를 분석하여 이들의 위해성을 규명하고자 실시하였다. 벼의 생육 시기에 곰팡이 및 mycotoxin 오염 여부를 분석하기 위하여 모종 후 2개월 내의 30-40cm 성장한 어린 벼를 샘플로 채취하여 오염 곰팡이를 PDA에서 배양하여 오염 정도를 파악하였고, 순순 분리한 곰팡이는 18SrRNA 유전자 분석을 통하여 곰팡이의 종류를 조사하였고, Mycotoxin 즉, Aflatoxin B1, Aflatoxin B2, Aflatoxin G1, Aflatoxin G2, Ochratoxin, Fumonisin B1, Fumonisin B2, Deoxynivalenol, Zearalenone을 분석하여 오염 실태를 파악하였다. 채취한 성장 초기의 벼에 오염된 곰팡이 오염 수준은 103-4

FCU/g이었다. 그리고 오염된 곰팡이의 18SrRNA 유전자 분석 결과 일부 곰팡가 Ascomycota sp.와 Fusarium proliferatum로 조사되었으며, mycotoxin은 일 부 샘플에서 275ppm Deoxynivalenol이 발견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사료용 볏짚의 발생 곰팡이가 벼의 성장시기부터 오염에 노출 되어있음을 시사한다.

Key words : 볏짚, 곰팡이, Mycotoxin

PD11005 돼지슬러리의 수분함량 감소를 위한 전처리방법(마이크로파 이용) 개발연구곽정훈, 정광화, 조승희, 안희권, 김재환, 최동윤, 송준익, 정만순, 이상철, 강희설, 라창식1*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1강원대학교2012년부터 가축분뇨의 해양배출 전면 금지에 따른 가축분뇨의 처리가 양돈농가의 입장에서 다급한 상황에 처해 있는 상황이다.돈사 중에서 약 50%이상이 슬러리 형태이며, 슬러리의 경우 수분함량이 평균 95%이상으로써 슬러리의 적정 퇴비화는 현실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돼지분뇨의 퇴비화 하는데 있어서 수분함량을 줄이는 방법으로 마이크로파를 이용함으로써 톱밥 등 수분조절재 소요비용의 절약을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마이크로파 반응은 각각 5분, 10분, 20분 단위로 조사를 하였으며, 시료의 깊이는 각 처리구별로 각각 8cm 및 15cm로 하였다, 마이크로파 조사 후 수분감소량은 마이크로파 반응시간이 길어질 수록 수분증발량이 증가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감소량은 시료의 깊이가 8cm일 경우 5분 반응시 △ 15.7%, 10분반응시 △24.3% 및 20분 반응시 △37.7%가 감소되었으며, 시료깊이를 15cm를 적용할 경우 수분감소량이 각각 △6.3%, △5.7% 및 16.3%로 시료깊이에 따른 수분증발량 차이가 높게 조사되었다. 따라서 마이크로파 조사시 시료의 깊이를 8cm 정도로 하는 것이 수분증발 효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Key words : 돼지분뇨, 수분증뱔랑, 마이크로파

PD11006 마이크로파 조사시간에 따른 돈분의 호기성 퇴비화 과정에서의 특성변화에 관한 연구곽정훈, 정광화, 조승희, 안희권, 김재환, 최동윤, 송준익, 정만순, 이상철, 강희설, 라창식1*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1강원대학교돼지 슬러리의 수분함량이 95% 이상으로 적정 퇴비화가 어려운 현실에서 톱밥 등 수분조절재의 사용량을 적게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본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시험재료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퇴비원료에 반응시간을 각각 5, 10, 15, 20분으로 조사한 후 퇴적송풍식의 방법을 이용하여 호기성 퇴비화 시험을 추진하였다. 퇴비화조건은 20ℓ용기에 공기공급량을 퇴비더미 1㎥당 150ℓ를 공급하여 2주간으로 하였다. 이때 퇴비화기간중 발효온도는 마이크로파 15분을 조사한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65℃를 가장 먼저 도달하였으며, 20분처리구>10분처리구>5분처리구 순으로 발효온도가 상승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퇴비화정을 거치면서 발효 1주징 후 중량감소량은 마이크로파 15분 처리구에서 △31.9%로 가장 높았으며 20분처리구>5분처리구>10분 처리구 순으로 조사되었다. 1차 발효가 끝난 2주후에는 총 중량 감소량은 마이크로파 15분처리구에서 △39.6%로 가장 높게 감소되었으며, 20분처리구 △34.1%, 5분처리구 △33.5 및 10분 처리구 △28.9%로 각각 감소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마이크로파를 15분 조사하여 호기성 퇴비화을 실시하는 것이 가장 효율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Key words : 돼지분뇨, 호기성 퇴비화, 중량감소랑, 마이크로파

- 147 -

PD11007 돼지 분을 이용한 퇴비화로 온실가스 저감박규현, 전중환, 전경호, 곽정훈, 최동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돼지 분을 이용한 퇴비화 과정에서 메탄과 아산화질소 배출량을 조사하였다. 공시재료인 돼지 분은 국립축산과학원 스크레이퍼 돈사에서 수집하였으며 톱밥을 부재료로 퇴비를 만들었다. 만들어진 퇴비는 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container에 담았다. 공기 급기 방법은 1) 팬을 이용한 강제송풍, 2) LDPE 하단부에 철망을 이용하여 퇴비화 과정 중의 chimney effect (thermal buoyance) 효과를 통해 공기 통풍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한 자연송풍, 3) 퇴비의 뒤집기, 그리고 4) 아무런 처리를 하지 않은 대조구로 나누었다. 퇴비에서 배출되는 메탄과 아산화질소의 양을 측정하기 위해 LDPE container를 모두 덮을 수 있는 steady-state chamber를 제작하여 1초에 10회 분석 가능한 trace gas analyzer를 이용하여 85일간의 시험 기간 동안 연속 측정하였다. 강제송풍, 자연송풍, 뒤집기, 대조구의 시험기간의 평균 메탄 배출량은 각각 5.2, 3.8, 7.5, 34.6 µg/m2/s이었으며, 아산화질소 배출량은 1.6, 3.1, 7.9, 11.4 µg/m2/s이었다. 메탄과 아산화질소가 100년의 기간 동안 미치는 온실효과는 이산화탄소의 그것에 비해 각각 21배, 310배 높기 때문에 그 비율을 곱하여 이산화탄소 환산량을 구하여 비교를 하였다. 대조구를 1로 보았을 때 강제송풍, 자연송풍, 뒤집기는 각각 0.14, 0.24, 그리고 0.59로 나타났다. 강제송풍은 팬을 이용하기 때문에 자연송풍의 경우 경제적으로 온실가스를 저감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주 : 이 결과는 Animal Feed Science and Technology(doi:10.1016/j.anifeedsci.2011.04.078)에서 자세히 볼 수 있다).

Key words : 돼지 분, 퇴비화, 온실가스, 이산화탄소 환산량

PD11008 가축분뇨 처리 방법에 따른 탄소원단위 산정박규현, 최동윤, 김재환, 조승희, 전경호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우리나라는 2009년 제15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에서 자발적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발표하였다. 이에 따라 축산업 각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량에 대한 정확한 평가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과제에서는 전과정평가의 관점에서 가축분뇨 처리과정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계산하였다. 분석한 온실가스는 IPCC 인벤토리에서 지정한 메탄과 아산화질소, 그리고 IPCC 인벤토리에서 축산부문의 온실가스로 지정되지는 않았으나 화석연료 연소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였다. 국립축산과학원의 가축분뇨 자원화 시스템 평가 자료 및 전화 조사를 통해, 축산 현장에서 사용하는 가축분뇨의 저장 방법 및 처리 방법에 따른 처리 흐름도를 조사하였으며 5개 분뇨처리 시스템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분석하였다. 각 시스템은 메탄/아산화질소 배출량, 에너지 사용량 등이 다르기 때문에 100년의 기간 동안 메탄과 아산화질소는 이산화탄소에 비해 각각 21배, 310배 온실효과 기여도가 높기 때문에 그 비율을 곱하여 이산화탄소 환산량(CO2-eq)을 구하여 비교를 하였다. 5개 시스템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938~1310 kg/CO2-eq/두였으며, 전기 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CO2의 양이 시스템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의 양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30%에 달하였다. 시스템 별 전기 사용량이 다르기 때문에 고도 처리 시스템일수록 전기 사용량 증가에 따라 총 배출량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향후 각 처리 방법별 사용되는 미생물제, 응집제 등의 생산을 위해 배출되는 온실가스에 대한 정보를 추가할 것이다.

Key words : 전과정평가, 탄소원단위, 메탄, 아산화질소, 이산화탄소 환산량

PD11009 이동식 친환경 폐사가축 처리기의 현장활용강석진, 허태영, 정영훈, 최창용, 손동수, 김종화1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1태성기계악성가축전염병인 구제역 및 HAPI에 의해 살처분된 가축을 기존의 매몰이나 소각방법이 아닌 비매몰방식의 고온·고압 스팀을 이용하여 병원체를 완전 살균 처리함과 동시에 장비내 진공 상태를 유지시켜 폐사된 가축의 수분을 완전히 제거한 건조 상태를 제공하여 폐사된 가축이 쉽게 분쇄될 수 있도록 고안된 장비를 활용하여 처리후 폐사체의 처리능력을 살처분 현장에서 평가하였다. 폐사체 처리는 폐사 가축을 동물사체처리드럼에 투입시킨 후 고압 스팀으로 직접 가열하여 병원균이 완전 살균되기까지의 처리시간을 측정하였으며, 처리시간내 폐사체의 처리결과를 분석하였다. 돼지 및 종오리 폐사체 3000kg 처리시 처리장치의 가열 2시간 후 압력이 3.4kg/cm2에 도달하였으며, 처리장치내 내부온도가 250 에 도달하였다. 처리 4시간 후 폐사체의 부피는 25%가 감소하였으며 50L의 경유가 소모되었다. 폐사체의 상태는 손으로도 쉽게 뼈가 부스러질 정도를 처리되었으며 반건조 상태였다.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여 폐사체 처리시 매몰로 인한 불필요한 공간확보 문제 및 소각으로 인한 비용부담문제와 이에 동반된 수질오염과 공기오염을 방지하여 환경오염에 대처할 수 있는 효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

Key words : 이동식, 고온 고압 스팀 방식, 폐사체 처리

- 148 -

PD11010 구제역 살처분 가축의 고온·고압·진공 방식을 이용한 처리방법 및 재활용강석진, 허태영, 정영훈, 최창용, 손동수, 김종화1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1태성기계*

구제역으로 발생된 살처분가축의 대량처리를 위해 현재는 매몰법을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비매몰방식으로 채택된 본 처리방법을 활용하여 국립축산과학원에서는 구제역 살처분 가축을 처리하였다. 본 처리방식은 고온 고압 스팀방식을 이용하여 살처분 가축을 멸균처리한 후 처리부산물을 퇴비화하는 방식으로 본 연구에서는 고온 고압 스팀방식의 처리방법에 관한 효능을 평가하였다. 폐사가축을 동물사체처리드럼에 투입시킨 후 고압 스팀으로 직접 가열하여 병원균이 완전 살균되기까지의 처리시간을 측정하였으며, 처리시간내 폐사체의 처리결과를 분석하였다. 돼지 폐사체 3000kg 처리시 처리장치의 가열 2시간 후 압력이 4kg/cm2에 도달하였으며, 처리장치내 내부온도가 170 에 도달하였다. 안전장치에 의해 처리장치의 작동이 중단된지 1시간 후 재가동되어 2.5kg/cm2에서 30분 만에 다시 4kg/cm2에 도달하였다. 폐사체의 부피는 1560kg (48%)로 감소하였으며 55L의 경유가 소모되었다. 처리된 고형물은 톱밥과 1:1비율로 3시간 교반후 C/N률을 측정한 결과 10의 수치를 확인하여 향후 퇴비발효과정을 거쳐 고품질의 퇴비로 재활용이 가능할것으로 여겨진다Key words : 구제역, 고온 고압 스팀 방식, 재활용

PD11011 AHP를 활용한 가축분뇨 처리시설 및 관련기술 평가지표 가중치 설정김재환1, 조승희1, 곽정훈1, 최동윤1, 정광화1, 천동원1, 이성현2, 김진호2, 소규호2, 박치호3

1국립축산과학원, 2국립농업과학원, 3농업기술실용화재단‘08년부터 농촌진흥청에서 수행하고 있는 ’가축분뇨 처리시설 및 관련기술 평가사업‘의 운영 개선과 종합평가시 평가지표에 대한 합리적 가중치를 설정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직접적 이해관계자인 평가를 받은 업체를 대상으로 우편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중 30개 업체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평가사업의 종합평가 결과는 축산농가 등의 신뢰성 확보에 도움이 되었으며, 평가의 주요 항목인 ‘업체의 능력’,‘기술력’,‘시설의 처리효율’,‘시설의 편이성’,‘경제성’에 대해서는 객관성측면에서 70% 이상이 보통이상이었으며, 객관적 평가이상이라 응답한 비율은 각각 46.4%, 46.4%, 57.1%, 53.6%, 35.7%로써 경제성 평가분야가 가장 낮아 이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였다.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계층분석법)분석에 있어서 기하평균을 산출하여 분석한 결과 기술성과 경제성에 대한 가중치는 0.425, 0.575로서 경제성의 비중이 높았으며, 초기시설비와 연간 운영비 및 수익성에 있어서는 각각 0.253, 0.421, 0.326으로서 연간운영비의 중요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기술적 요소로 대표되는 기술의 현장 적용성과 관리 용이성, 처리 효율성에 있어서는 각각 0.226, 0.375, 0.399로서 처리효율성이 가장 높았고, 기술 적용성이 가장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AHP의 신뢰성을 나타내는 CI(Consistency Index)와 CR(Consistency Ratio)에 있어서 각 계층별로 0.1이하를 나타내어 쌍대비교의 일관성도 만족한 수준이었다.

Key words : 축산, 가축분뇨, 처리시설 평가, AHP

PD11012 LCC를 통한 가축분뇨처리시설의 경제성 분석김재환1, 조승희1, 곽정훈1, 최동윤1, 정광화1, 정의수1, 정만순1, 박성균2

1국립축산과학원, 2현대엔지니어링가축분뇨 처리시설의 평가 및 최적 선택의 의사결정에 있어서, 내구연한 전기간에 걸친 비용측면에서의 경제성이 고려되어야 하는 바, 이를 위하여 LCC(Life Cycle Cost) 기법을 적용하여 공법간 경제성을 비교분석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한국은행 및 통계청의 10년간(‘00~’09) 자료를 이용하여 이자율(4.7%), 물가상승율(3.13%), 실질 할인율(1.52%)를 기준하고, 현가계수 산정을 위해 내용연수를 토목 건축(30년), 기계(10년), 전기계장(15년) 으로 기준하여 LCC 분석을 실시한 결과, 톤당 운영비로 보면 17,570~18,998 원/톤 수준으로서 E공법이 17,570원/톤으로 가장 낮은 반면, B 공법이 20,661원/톤으로 가장 높아 상대적으로 가장 비경제적이었다. 특히 초기투자비가 높더라도 연간 운영비가 낮은 T 공법이 초기투자비는 T 공법보다 낮으나 연간 운영비가 상대적으로 높은 B 공법에 비해 LCC가 낮게 평가되었다. 불확실성에 따른 LCC분석 결과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00 ’09년 간의 할인율 변동폭을 적용하여 민감도분석을 실시한 결과, 변동범위 안에서 변화하더라도 각 대안별 비용우위에 대한 변화는 달라지지 않았다. 따라서, LCC를 이용한 경제성 평가는 가축분뇨 처리시설의 공법 선택을 위한 의사결정에 유용한 평가 지표가 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Key words : 축산, 가축분뇨, 처리시설, 생애주기비용, 경제성

- 149 -

PD11013 1996 및 2006 IPCC 가이드라인을 이용한 축산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비교지은숙, 박규현, 최동윤, 조성백, 양승학, 황옥화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우리나라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보고서(National Inventory Report, NIR) 중 축산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은 1996년 IPCC 가이드라인(1996 GL)에 따라 1990년부터 현재까지의 각 연도별 배출량을 산출하고 있다. 현재 1996 GL을 사용하고 있지만 2006년 IPCC 가이드라인(2006 GL)이 발표되었기 때문에 향후 2006년의 방법을 사용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그 차이에 대해 조사하고 그에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1996 GL 및 2006 GL을 비교하고 실제 NIR 계산 방법으로 사용하여 배출량에 대한 차이를 비교한다. 축산부문의 온실가스 종류는 장내발효로 인한 아산화질소, 가축분뇨 처리에 따른 메탄과 아산화질소다. 현재 우리나라 축산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Tier 1 방법을 사용하여 계산하고 있으며 배출량은 활동자료(사육두수)와 그에 따른 배출계수의 곱을 이용하여 계산한다. 따라서 1996 GL과 2006 GL에서 사용하는 배출계수의 차이는 배출량의 차이로 이어진다. 장내발효에 의한 메탄의 경우 1996 GL에 대한 2006 GL의 배출계수 비는 젖소, 한육우, 돼지의 경우 각각 1.03, 1.13, 1.0이었다. 가축분뇨 처리에 의한 메탄의 경우 1996 GL에 대한 2006 GL의 배출계수 비는 젖소, 한육우, 돼지, 닭의 경우 각각 1.61, 1.0, 2.79, 0.31이었으며 아산화질소의 경우 각각 0.73, 0.45, 6.33, 0.52였다. 이에 따라 및 2006 GL을 이용한 2000년부터 2008년까지의 축산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은 1996 GL의 그것과 비교하였을 때 이산화탄소 환산량을 기준으로 31~45% 많이 배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 words : 전과정평가, 탄소원단위, 메탄, 아산화질소, 이산화탄소 환산량

PD11014 중온기에서의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퇴비화 방법 연구양승학, 박규현, 조성백, 황옥화, 곽정훈, 최동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기후변화협약 대응을 위해 IPCC 온실가스 인벤토리 가이드라인에 따라 가축분뇨 퇴비 자원화 처리과정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평가하고 저감 가능량을 산출하기 위해 본 시험이 수행되었다. 축산원 내 온실가스 측정시설에서 수행되었으며 공시재료로는 돈분뇨 및 톱밥을 이용하였다. 단순퇴적 퇴비화구를 대조구로 하고 자연송풍, 교반, 강제송풍 퇴비화방법과 비교하였으며, 메탄(CH4)과 아산화질소(N2O)를 측정하였다. 고온기와 달리 중온기에 있어서 단순퇴적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CO2-환산량 기준)을 1로 보았을 때, 강제송풍 퇴비화 방법의 경우 0.18, 자연송풍 퇴비화 방법의 경우 0.32, 교반 퇴비화 방법의 경우 0.31로 강제송풍 퇴비화 방법의 경우 무송풍 퇴비화 방법에 비해 80% 내외로 온실가스 배출량이 감소되었다. 중온기에서는 아산화질소(N2O)와 달리 메탄(CH4)의 발생량이 20도보다 낮은 외기온도의 변화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며 강제송풍 퇴비화방법과 자연송풍 퇴비화방법이 유효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Key words : 돈분, 퇴비화, 온실가스, 중온기, 송풍

PD11015 비닐하우스 육추사의 환기 개선 효과송준익, 전중환, 김재환, 김두환1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1진주산업대학교우리나라에서 겨울철에 사육되는 비닐하우스에서 낭비되는 에너지가 상당히 많음에 따라 육추사 가운데 우리나라 대부분을 차치하고 있는 비닐하우스 육추사에 대한 에너지 절약 환경제어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현장조사 결과 우리나라 개방식 계사의 측벽 비율은 윈치시설이 47.7% 이상이었고, 반무창은 19.8% 전후로 조사되었다. 리모델링 계사는 복도덕트 입기 -> 지붕, 측벽배기로 하였고 이때 계사의 폭 : 10m, 길이 40m 전후로 조사되었다. 에너지 절감효과를 위한 복도 설치는 개방식 계사의 리모델링 개조시 계사 출입문에 복도 2~3m를 설치가 양호하였다. 리모델링 계사의 환기시스템은 복도에서의 덕트를 통한 입기를 실시하고 양쪽 측벽을 판넬 또는 윈치 등으로 밀폐화(무창)를 하고 측벽배기를 하였다. 폐사율 저감은 개선전 5%(500수) -> 개선후 1%(80수)(84% 감소)되었으며, 경제성을 분석한 결과 7,500수 계사를 리모델링 할 경우 가을철 3개월(8월부터 11월까지) 사육할 경우 3,660,000원 이익을 얻을 수 있었다.

Key words : 비닐 하우스, 육추사, 게사, 겨울철, 에너지, 환기시스템, 폐사율

- 150 -

PD11016 축산 악취저감을 위한 이산화염소 연속 발생장치 개발송준익, 전중환, 김재환, 김두환1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1진주산업대학교축사에서 발생하는 악취발생의 확산으로 민원이 증가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축사의 냄새를 줄이는 기술 중 바이오필터가 가장 우수한(Barber 등. 1998)것으로 알려져 있다. 악취제거 방법은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처리방식으로 분류되며, 최근 새로운 생물탈취 방법(bio-technology)을 이용한 악취제거 연구가 심도 있게 진행(Jacobson 등. 1997)되고 있으며 국가시험연구사업 중 악취에 대한 부분적인 모니터링 및 모델 개발 사업은 추진되고 있으나(축산연 2003), 현장에서의 악취확산 방지를 위한 시스템 확립 연구는 미흡한 편이다. 이산화염소 분무 장치 설치시 퇴비사에서의 악취 확산방지 결과 암모니아는 설치전 420 ppm에서 장치 설치후 35 ppm(83% 감소)으로 감소하였고, 황화합물 계통에서 황화수소는 210 ppb에서 장치 설치후 32 ppm(85% 감소)으로 감소하여 효과가 나타났다. 그리고 돈사내부에서의 암모니아 악취 저감 효과는 설치전 20-25 ppm에서 설치후 10 ppm 전후로 감소하였고, 방풍벽에서의 암모니아 악취 저감 효과는 돈사내부 27 ppm이 방풍벽으로 배출될 때 방풍벽 내에서 35 ppm으로 증가하였으나 방풍벽 외부 10cm 떨어진 지점에서는 1ppm 이하로 측정되어 이산화염소 장치의 효과가 나타났다.

Key words : 이산화염소, 악취저감, NH3, 축산, 양돈

PD11017 가축분뇨 처리수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고도처리 적용 방법정광화, 전승기, 김재환, 곽정훈, 조승희, 정만순, 강희설, 이광희1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소, 1해성엔지니어링개별 양축농가의 사육규모가 커지면서 단위농가당 가축분뇨의 발생량이 많아지는 추세에 있다. 양돈농가의 예를 들어보면, 농가 규모가 커질 경우 액비화나 정화처리를 비롯한 양돈분뇨의 액상처리 수요가 늘어나는 경향이 있는데, 현재는 액상처리수의 거의 대부분을 경지환원이나 수계방류를 통해 자연계에 직접 환원하는 방식이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최근 들어서 액상처리수를 재이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일부에서 수행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실험은 환경적 차원이나 자원 재이용 차원에서 바람직한 시도로 보여지지만 처리수 재활용을 위해서 반드시 선결되어져야 할 과제는 재이용을 위한 처리과정을 거친 재이용수의 생물학적 안전성확보 문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가축분뇨의 액상 처리효율 향상과 더불어 처리수 재활용시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오존과 과산화수소수의 적용방법 및 처리수준에 따른 효과분석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용 고도처리장치를 활용한 오존처리를 거친 결과, 재이용 대상수 중의 색도와 COD 그리고 SS 함량 등 수질관련 요소가 전반적으로 개선되었으며, 과산화수소의 적용수준에 따라 처리수중의 잔류 미생물수가 크게 달라지는 등 처리수의 수질개선 및 생물학적 안전성 확보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고도처리효과는 오존농도와 적용시간에 따라 달라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본 시험에서는 오존 농도를 높였을 때 최초 1,693수준이었던 색도가 5분 처리시 582로 낮아졌으며 10분 처리시에는 111까지 감소하였다. 동일 조건에서 5.8×102 CFU/ml 수준이었던 대장균은 5분 처리 후 검출되지 않았다. 과산화수소 첨가수준에 따라 최초 8 mg/l 였던 암모니아 휘산 농도가 1 mg/l 까지 감소하였다.

Key words : Livestock manure, Recycling, Treatment

PD11018 Investigation on energy saving for the anaerobic digester heating by SCB bed and characteristics ofbiogas production by anaerobic digester heating

Seung-Hee Cho, Jae-Hwan Kim, Jung-Hoon Kwag, Kwang-Hwa Jeong,Heekwon Ahn, Man-Soon Chung, Woongull Kim and Sang-Chul Lee

Animal Environment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NIA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Though anaerobic digestion is an alternative solution to livestock manure management that offers environment and energy benefits, it is not significantly expanded in Korea due to some drawbacks such as high energy demands for the digester heating in winter season, difficulty of anaerobic digestion wastewater treatment and so on. However, biogas production using livestock manure has been paid attention since Korea government is concentrating to develop the renewable energy under the paradigm of 'Low carbon, Green growth'. In this study, to observe the energy saving for the digester heating by inner heat of SCB (slurry composting and biofiltration) bed, anaerobic digester (effective volume ; 125m3) was operated in winter time. The surface temperatures of digester were 14.47±2.75 and 28.59±3.53 for the absent and present SCB bed, respectively. To maintain the mesophilic condition (35±3 ), the required heating energy for the anaerobic digester without SCB bed was 341,911 kcal/day and that with SCB bed was 126,033 kcal/day. Also, the characteristics of biogas production was examined according to the heating of anaerobic digester. The amount of biogas production for the anaerobic digester in the range of 33-35 was 2.3 times higher than that in the range of 26-29 .

Key words : biogas production, livestock manure, energy demand for the anaerobic digester heating, slurry composting and biofiltration(SCB) bed

- 151 -

PD11019 한우암소의 유지수준과 성장수준별 온실가스 배출량 비교김두리*, 하재정, 송영한

강원대학교 동물생명과학대학최근 온실가스 감축에 관한 국제적인 관심이 대두되면서 반추가축의 가스발생을 조절하기 위한 연구가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료급원별 TDN 유지수준에 따른 호흡가스발생량을 측정함으로써 섭취수준별 관계를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실험은 43개월 령의 평균체중 372±11.2kg 의 Fistula가 장착된 한우 암소를 공시하여 한우사양표준(2007)에 의거하여 TDN(kg) 유지, 성장 200g/일 및 400g/일 수준으로 섬유질 배합사료를 각각 오전 8시 30분과 오후 5시 30분에 2회에 걸쳐 급여하였으며 물과 미네랄 블럭은 자유 섭식하도록 하였다. 온실가스 측정은 NDIR(Non-dispersive infrared absorption)센서를 이용한 가스다중검출기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 및 메탄가스를 측정하였으며, 호흡챔버 내 환경온도는 20 를 유지하였다. 실험결과 이산화탄소 발생량에서는 유지수준에 비해 200g/일에서 21.1%, 400g/일에서 40.6% 수준으로 가스발생량을 나타내었다. 메탄 발생량은 유지수준에 비해 200g/일에서 33.5%, 400g/일에서 69.6% 수준의 가스발생량을 나타내었다. 또한 절식 대사시 3일차부터 이산화탄소 발생량은 8%와 51%수준으로 급격한 감소를 보였으며 메탄발생량은 각각 15%와 37%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Key words : TDN, TMR, 메탄, 이산화탄소, 한우

PD11020 사육밀도에 따른 한우 미경산우의 행동특성전병태1, 김동현1, 정선희1, 홍성구2, 최순호2, 박재현1, 문상호1

1건국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축산학과, 2국립축산과학원 한우시험장한우의 행동특성을 이해하고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는 것은 동물복지와 생산성 측면에서 중요하다. 이에 본 시험은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사육방법 확립을 위해 2010년 7월부터 9월 까지 이천시 마장면 각평리 새봄 농장에서 18개월령 미경산우를 대상으로 대조구 (C: 64 ), 처리구 1 (T1: 32 ) 및 처리구 2 (T2: 96 )를 각 6두씩 배치하여 행동 관찰을 측정하였다. 밀도별 행동 측정에서는 C군의 횡와(LD), 스스로 핥기(SG), 다른소와 서로 핥기(PG)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기립(ST)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P<0.05). T1군의 경우, 횡와(LD), 스스로 핥기(SG), 보행(WA), 다른소와 서로 핥기(PG)가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고 기립(ST)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P<0.05). T2군은 보행(WA)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P<0.05). 반추 시간의 경우 사육밀도에 의한 영향은 없었으나, 모든 군에서 엎드려 반추(LR)가 서서 반추(SR)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소의 사육밀도 차는 한우 미경산우의 행동특성에 영향을 미치며 동물복지와 생산성 향상 측면에서 보았을 때 10 이상의 사육밀도가 적합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본 시험의 자료는 국내형 축사에 적합한 사육관리와 합사관리에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 words : 사육밀도, 행동특성, 미경산우

PD11021 한우사육용 깔짚의 종류별(톱밥, 대팻밥, 왕겨 및 톱밥과 대팻밥 혼합) 물리적 특성 평가안규철, 이강연, 장선식1, 오영균1, 김종민, 박근규

건국대학교 동물생명과학대학 동물자원연구센터, 1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본 실험은 한우 사육용 깔짚으로 이용하는 톱밥, 대팻밥, 왕겨 및 톱밥과 대팻밥 혼합(톱밥+대팻밥; 혼합비율, 1:1)의 입자 분포도, 용적중, 수분 흡수율, 수분증발효율 및 NH3 휘산 등의 물리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깔짚의 입자 분포도는 톱밥이 비교적 작은 입자가 많고(250µm+250μm 이하, 30.4%) 대팻밥이 큰 입자의 비율이 높았다(3.35mm, 41.3%). 용적중은 작은 입자가 많은 톱밥이 가장 높고(112kg/m3), 톱밥+대팻밥>왕겨>대팻밥의 순이었다(P<0.05). 수분흡수율은 1h에 대팻밥이 톱밥 및 톱밥+대팻밥에 비해 약 2배 높았고(519.8%) 톱밥+대팻밥=톱밥>왕겨의 순이었다(P<0.05). 수분흡수 후 24시간의 결과는 대팻밥>톱밥+대팻밥>톱밥>왕겨의 순이었고, 왕겨는 다른 처리구에 비해 수분흡수율이 약 1.5~3배 낮았다. 수분증발효율은 12시간에 대팻밥>톱밥+대팻밥>톱밥>왕겨의 순이었으며, 왕겨는 7h 이후부터 가장 낮았다(57.0%; P<0.05). 시간 당 NH3 휘산은 1h까지 톱밥+대팻밥이 가장 낮았으며(2.98mg/m2/h; P<0.05), 전체 평균으로는 동일부피의 대팻밥을 제외하고 나머지 처리구간의 차이가 없었다. 총 NH3 발생량은 톱밥 및 톱밥+대팻밥과 동일중량으로 투여한 대팻밥이 13.5mg/m2으로 가장 낮았으며, 톱밥+대팻밥이 32.1mg/m2으로 가장 높았다. 이상의 물리적 특성을 종합하면, 입자분포도에서 비교적 큰 입자가 많은 대팻밥이 우수하고 용적중은 입자가 비교적 작은 톱밥이 높았다. 수분흡수율, 수분증발효율 및 NH3 휘산은 대팻밥이 우수하였으며, 왕겨는 수분흡수율과 수분증발효율이 떨어져 한우사육용 깔짚으로서의 이용성이 낮음을 관찰하였다.

Key words : 한우, 우사, 깔짚, 톱밥, 대팻밥, 왕겨, 입자분포도, 용적중, 수분흡수율, 수분증발효율, NH3 휘산, 깔짚 물리적 특성

- 152 -

PD11022 한우사육용 깔짚의 종류 별(톱밥, 대팻밥 및 톱밥과 대팻밥 혼합) 이용성 평가안규철, 이중일, 노인순, 김종민, 오영균**, 장선식**, 박근규*

건국대학교 동물생명과학대학 동물자원연구센터,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본 실험은 한우 사육용 깔짚으로 널리 이용하는 톱밥, 대팻밥 및 톱밥과 대팻밥 혼합(톱밥+대팻밥; 혼합비율, 1:1)의 한우 번식우 대상 사양실험(톱밥, 대팻밥 및 톱밥+대팻밥; 처리당 4두, 3반복 우방)을 통해 한우 사육용 깔짚으로서의 이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우사 내 깔짚의 수분함량은 축우가 머무르는 시간이 비교적 긴 사료조가 위치한 부분(Side A)과 그 반대편인 음수대가 위치한 부분(Side B)으로 나누어 총 6주간 측정하였다. 깔짚의 수분함량 측정 결과, 총 6주간의 평균 수분함량에서 Side A의 수분함량은 톱밥, 대팻밥 및 톱밥+대팻밥이 각각 64.9, 68.1 및 64.0%로 나타났고, Side B는 54.6, 60.3 및 53.1%로 나타나 대팻밥의 수분함량이 톱밥 및 톱밥+대팻밥에 비해 모두 높았으며(P<0.05), 톱밥 및 톱밥+대팻밥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세 처리구 모두 우사 내 음수대 방향(Side B)은 사료조 방향(Side A)에 비해 수분함량이 평균 약 9.7% unit 낮았으며(P<0.05), 6주간의 수분증가량변화에서는 대팻밥의 평균 수분증가량이 톱밥 및 톱밥+대팻밥에 비해 Side A에서 약 8.2% unit 높았고, Side B에서는 약 11.8% unit 높았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한우 사육용 깔짚으로서 톱밥 및 대팻밥을 이용할 시, 우사 내 수분함량 및 수분증가량은 대팻밥이 톱밥 및 톱밥+대팻밥에 비해 높았으며, 톱밥 및 톱밥+대팻밥은 수분함량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입자가 작아 분진 발생이 많은 톱밥의 물리적 특성을 고려하여 톱밥과 대팻밥의 혼합 이용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Key words : 한우, 우사, 깔짚, 톱밥, 대팻밥, 왕겨, 깔짚수분함량

PD11023 한우사육용 깔짚의 종류(톱밥, 대팻밥 및 톱밥과 대팻밥 혼합) 및 원산지 별(중국, 베트남 및 미국) 물리적 특성주영혜, 안규철, 김종민, 이강연, 오영균**, 장선식**, 박근규*

건국대학교 동물생명과학대학 동물자원연구센터, 국립축산과학원**

본 실험은 한우 사육용 깔짚으로 이용하는 톱밥, 대팻밥 및 톱밥과 대팻밥 혼합(톱밥+대팻밥; 혼합비율, 1:1)을 원목 소나무의 원산지별(중국, 베트남 및 미국)로 분류하여 입자 분포도, 용적중, 수분 흡수율, 수분증발효율 및 NH3 휘산 등의 물리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깔짚의 입자 분포도는 중국산 톱밥이 비교적 작은 입자가 많고(250μm+250μm 이하, 78.3%) 그에 따라 용적중도 가장 높았으며(208kg/m3; P<0.05), 비교적 입자가 큰 미국산 대팻밥(3.35mm, 46.4%)의 용적중이 117kg/m3으로 가장 낮았다(P<0.05). 수분흡수율은 물에 침지 후 1h에 베트남산 톱밥이 683.5%로 가장 높았으며, 베트남산 대팻밥이 291.3%로 가장 낮았다(P<0.05). 24h에는 베트남산 및 미국산 톱밥+대팻밥의 수분흡수율이 가장 높았으며(701.0 및 712.8%; P<0.05), 비교적 입자가 작은 톱밥은 대체로 초기의 수분흡수율과 24h의 수분흡수율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비교적 입자가 큰 중국산 및 베트남산 대팻밥은 1h에서 24h까지 수분흡수율이 약 2.1배 증가하였고, 베트남 및 미국산 톱밥+대팻밥은 약 1.6배 증가하였다. 수분증발효율은 1시간째에 비교적 입자가 큰 대팻밥 처리구가 톱밥 및 톱밥+대팻밥 처리구에 비해 약 2배 높았고, 5시간 이후로는 전체 처리구간에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미국산 대팻밥은 중국 및 베트남산 대팻밥에 비해 1h까지의 수분증발효율이 약 2.9% unit 낮았다(P<0.05). 시간 당 NH3 휘산은 1~36h까지 깔짚 종류 내의 원산지 별로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전체 평균 수치로는 중국산 톱밥+대팻밥이 가장 낮았으며(2.77mg/m2/h), 총 NH3 휘산은 중국산 대팻밥이 11.79mg/m2으로 가장 낮았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입자분포도는 중국산 톱밥이 가장 작은 입자가 많았으며, 수분흡수율은 베트남 및 미국산 톱밥+대팻밥이 우수하고 수분증발효율 및 NH3 휘산은 입자가 균일한 중국산 대팻밥이 우수한 것으로 보인다.

Key words : 한우, 우사, 깔짚, 톱밥, 대팻밥, 입자분포도, 용적중, 수분흡수율, 수분증발효율, NH3 휘산, 깔짚 물리적 특성

PD11024 한우사육용 깔짚의 종류(톱밥, 대팻밥 및 톱밥과 대팻밥 혼합) 및 원산지 별(중국, 베트남 및 미국) 이용성 평가한기준, 안규철, 이강연, 오영균**, 장선식**, 김종민, 박근규*

건국대학교 동물생명과학대학 동물자원연구센터,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본 실험은 한우 사육용 깔짚으로 이용하는 톱밥, 대팻밥 및 톱밥과 대팻밥 혼합(톱밥+대팻밥; 혼합비율, 1:1)을 원목 소나무의 원산지별(중국, 베트남 및 미국)로 분류하여 한우 번식우를 대상으로 한 사양실험(총 9처리, 처리 당 4두, 2반복 우방)을 통해 한우 사육용 깔짚으로서의 이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우사 내의 수분함량은 축우가 머무르는 시간이 비교적 긴 사료조가 위치한 부분(Side A)과 그 반대편인 음수대가 위치한 부분(Side B)으로 나누어 총 6주간 측정하였다. 우사 내 깔짚의 수분함량 측정 결과 6주간 평균 수분함량은 Side A에서 톱밥은 미국>중국=베트남의 순이었고, 대팻밥은 베트남=미국>중국의 순이었으며, 톱밥+대팻밥은 중국=미국>베트남의 순이었다(P<.05). 중국산 대팻밥의 수분함량(Side A, 44.6%; Side B, 37.55%)이 전체 처리구 중 가장 낮았으며(P<0.05), 나머지 처리구는 수치상으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Side A는 Side B에 비해 전체 기간 평균 수분함량이 약 8.9% 높았으며(P<0.05), 수분 증가량 변화는 톱밥 및 톱밥+대팻밥은 원산지별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대팻밥은 중국산 대팻밥이 베트남 및 미국산보다 Side A에서 약 6.5% unit 낮았다(P<0.05). Side B는 베트남산 톱밥, 중국 및 미국산 대팻밥의 수분증가량 평균이 가장 낮았으며(13.7, 14.0 및 15.2%; P<0.05), 나머지 처리구간의 차이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우사 내 Side A에서 깔짚의 수분함량 및 수분증가량은 중국산 대팻밥이 가장 낮았고 나머지 처리구간의 차이는 뚜렷하지 않았으며, Side B에서는 베트남산 톱밥 및 중국산 대팻밥의 수분함량 및 수분증가량이 낮아 물리적 특성 측정에서 큰 입자가 많고 비교적 입자도가 균일했던 중국산 대팻밥이 한우 사육용 깔짚으로서의 이용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Key words : 한우, 우사, 깔짚, 톱밥, 대팻밥, 깔짚수분함량

- 153 -

PD11025 총체보리 사일리지 거세한우 급여효과김원호, 정민웅, 류재혁, 박형수, 최기춘, 지희정, 서 성, 임영철, 천민성1, 권찬호2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1고성군농업기술센터, 2경북대학교본 시험에 공시한 볏짚, 총체보리의 조단백질은 각각 5.0, 9.0%였고 TDN함량은 각각 43.6, 59.5%였다. 그리고 거세한우에 농후사료와 조사료 급여량을 조한 결과 관행구에서 5,100kg과 조사료 1,736kg을 각각 섭취하였고 총체보리구에서 4,200kg과 5,775kg을 섭취하였다. 따라서 총체보리를 거세한우에 급여한 결과 농후사료를 18%이상 대체할 수 있었다. 전기간 일당증체량을 살펴보면, 대조구 0.74kg, 총체보리 사일리지구 0.77kg 대조구 대비 총체보리 사일리지 급여시 4% 증체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일당증체의 효과는 육성기에서 그 효과가 뚜렷하여 육성기 일당증체량은 대조구 0.88kg, 총체보리 사일리지구 0.99kg으로 관행 대비 11%이상 증체하는 효과를 얻었다. 거세한우에 총체보리를 급여한 육질등급은 관행구에서 1++등급이 17%, 1+ 등급이 25%, 1등급이 41% 그리고 2등급이 17%로 나타났고 총체보리구에서는 1++등급이 25%, 1+등급 41%, 1등급 25% 그리고 2등급이 9%나타났으며, 1등급이상 출현율이 91%이상 나타났다. 그리고 처리별 근내지방도는 관행구에서 5.4로 가장 낮았고 총체보리 사일리지에서 5.9로 가장 높았다. 그러나 육색, 지방색 및 조직감에 있어서는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다. 저 처리간 등지방 두께는 관행구에서 9.9mm였고 총체보리구에서 13.5mm였다 그리고 등심단면적은 관행구에서 89.8mm, 총체보리구에서 88.2mm로 처리간에 뚜럿한 차이가 있었다. 도체중은 411~417kg, 육량지수는 64.8~66.9으로 각각 나타났다. 그리고 처리별 육량등급은 관행구에서 A등급이 42%, B등급이 52%씩 나타났다. 그리고 총체보구에서는 각각 17, 67, 16%씩 나타났다.

Key words : 총체보리, 사일리지, 섭취량, 일당증체량, 육질등급, 육량등급, 소득향상

PD11026 거세한우 육성기 총체보리 사일리지 최대 급여효과김원호, 정민웅, 류재혁, 박형수, 최기춘, 지희정, 서 성, 임영철, 김완수*, 김종덕**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상주시청*, 천안연암대학**

거세한우에 농후사료와 조사료 급여량은 관행구에서 5,524kg과 조사료 1,816kg을 각각 섭취하였고 육성기 총체보리 최대 급여구에서는 농후사료가 4,397kg과 총체보리 6,862kg을 급여하여 총체보리 최대급여를 통해 농후사료를 20%까지 대체할 수가 있었다. 전기간 일당증체량을 살펴보면, 대조구 0.80kg, 총체보리 최대급여 0.73kg으로 대조구 대비 총체보리구에서 낮았다. 그러나 육성기에는 총체보리구가 대조구에 비교해서 높았고 총체보리 최대급여구에서는 현저하게 낮았다. 그리고 거세한우에 총체보리 최대급여구에서는 1++등급이 10%, 1+등급이 40%, 1등급이 50%이다. 1등급이상 출현율은 100%이상으로 전국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처리별 근내지방도는 관행구에서 4.3로 가장 낮았고 총체보리 최대급여구에서 5.6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육색, 지방색 및 조직감에 있어서는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다. 처리간 등지방 두께는 관행구에서 14.7mm였고 총체보리 최대급여구에서 12.9mm였다 그리고 등심단면적은 관행구에서 89.8mm, 청보리구에서 85.2mm 그리고 청보리 최대급여구에서 88.7mm로 처리간에 차이가 있었다. 도체중은 430~455kg, 육량지수는 62.9~64.2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처리별 육량등급은 관행구에서 A등급이 30%, B등급이 40%, C등급이 30%씩 나타났다. 그리고 총체보리 최대급여구에서는 각각 20, 50, 30%씩 나타났다.

Key words : 총체보리, 사일리지, 사료비 절감, 섭취량, 일당증체량, 육질등급, 육량등급, 소득향상

PD11027 환경개선제 급여에 따른 육성돈 생산성 및 분뇨 성상에 미치는 영향이진수, 이윤진, 최태규, 최규석, 윤태한, 조준희

(주)도드람환경연구소본 연구에서는 환경개선제 급여가 육성돈의 생산성에 미치는 효과와 더불어 분뇨의 성상 변화에 미치는 영항을 조사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돈사는 각각의 돈방 넓이 2.5(W)m×1.8(L)m로 6개방으로 구성하였다., 각 돈방에 3~4마리의 육성돈을 입식한 후 사료배합기를 이용하여 일정한 비율(0.1~0.2%)로 각각의 환경개선제를 배합하여 급여 하였다. 환경개선제는 단미사료협회의 자료에 근거하여 환경개선제(상위 2종, 하위 2종, 자체개발 1종)를 선택 한 후 대조구와 비교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결과 일부 제품은 육성돈 생산 효과를 찾기 어려운 반면, 일부 제품에서 대조구 대비 약 9%수준의 증체율 개선되어 생산성 증가가 확인되었다. 또한 환경개선제 첨가구의 분뇨에서 대조구 대비 분뇨 중 SS, BOD가 높게 측정 되었으며, 주요 비효성분인 질소, 인산, 칼리, 칼슘 및 마그네슘의 농도도 첨가구 별 차이는 있었지만 전체적으로 대조구 대비 비슷하거나 높은 경향을 보였다. 위와 같은 경향은 높은 사료섭취량과 환경개선제에 함유되어 있는 미생물이 분뇨 내 고분자 유기물을 저분자 형태의 유기물로 분해시키는 과정 중 유기물과 결합되어 있던 비효성분 물질들이 많이 해리되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분뇨 중 입자분포는 환경개선제 급여 유무에 관계없이 전체 실험구 중 3~7µm 입자수가 45% 이상으로 가장 많았으며, 대조구에 비해 첨가구에서 7µm 이상의 큰 입자수 분포는 낮은 반면, 3µm 이하의 작은 입자수 분포는 높게 분석되어 미생물을 함유하는 환경개선제를 급여한 사료가 보다 소립자로 형태로 분해되는 것으로 추론된다.Key words : 환경개선제, 생균제, 분뇨

- 154 -

PD11028 In Vitro 발효조건에서의 사료자원별 유기탄소의 변화와 메탄가스 발생량과의 상관관계 분석이진수, 김미정, Rahman M.M., 신종서, 송영한, 라창식

강원대학교 동물생명과학대학 동물생명시스템본 연구는 국내에서 이용하고 있는 35종의 사료자원별 in vitro 발효에서의 메탄(CH4)의 발생량을 파악하고 메탄발생량 측정을 위한 간접지표 확립을 위해 소화율, 수용성 총 유기탄소(TOCS), 휘발성지방산(VFA)과 메탄발생량과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반응기는 in vitro 발효가 진행되는 동안 발생 된 메탄가스를 포집하고 반추위액을 수집할 수 있게 설계되었다. 실험결과 in vitro발효가 일어나는 48시간 동안 사료원료의 소화율, TOCs 그리고 메탄발생량은 유의적으로 차이가 남을 알 수 있었다(p<0.01). 사료자원별 최대 메탄발생량은 타피오카(energy feed), 대두피(protein feed), 클라인그라스(forage)였으며 최소 메탄발생량은 옥수수 글루텐(energy feed), 맥주박(protein feed), 알팔파(forage)로 조사되었다. 메탄가스 발생(r2=0.73) 및 TOC생산(r2=0.72)은 소화율과 반비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TOCs생산은 메탄생산(y=0.0063x, r2=0.83) 및 VFA 생산(y=1.117x, r2=0.8647)과 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의거하여 판단할 때 메탄발생량은 사료품질의 간접지표가 될 수 있으며 반추위액내 TOCs 변화는 사료자원별 메탄발생량을 간접적으로 추정할 수 있는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Key words : CH4, 발효, in vitro, 간접지표

PD11029 깔짚과 성별에 따른 토종육계의 행동특성양가영*, 하재정, 오상집, 송영한강원대학교 동물생명과학대학

본 연구는 깔짚의 종류와 암 수 분리 사양이 토종닭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총 8주의 시험기간으로 토종육계(한협 3호)를 200수 공시하였고, 깔짚은 왕겨와 톱밥으로 4처리 2반복으로 실시하였다. 깔짚의 종류에 따른 행동발현 시간에 있어서 왕겨 처리구에서 사육전기에 서기 시간이 증가하고, 앉기 시간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톱밥 처리구에는 사육후기에 서기 시간이 길게 나타났다(p<0.05). 두 처리구 모두 걷기 시간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특히, 톱밥 처리구에서 감소하였다(p<0.05). 행동발현 빈도에서 모래욕은 왕겨에 비해 톱밥 처리구에서 증가하는 것으로 보였다(p<0.05). 전체 사육기간 동안 행동발현 시간은 톱밥 처리구가 왕겨 처리구에 비해 앉기 시간에서 상대적으로 긴 반면, 걷기시간은 더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행동의 빈도수를 보면 날개짓이 왕겨 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났다(p<0.05). 성별에 따른 행동변화는 수컷에서 사육전기의 앉기 행동이 긴 것으로 나타났다(p<0.05). 암컷과 수컷 모두 사육후기에 서기와 걷기 행동은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앉기 행동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수컷에서 서기 시간이 유의적(p<0.05)으로 증가하였고, 암컷에서는 앉기 시간이 유의적(p<0.05)으로 증가하였다. 섭식과 날개짓은 수컷에서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p<0.05). 암컷과 수컷 모두 사육기간이 길어질수록 음수는 감소한 반면 섭식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를 통하여 깔짚과 성별의 차이에 따른 개체의 행동특성을 고려하여 복지형 사육기반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 words : 깔짚, 성별, 토종육계, 행동

PD11030 Utilization of struvite as a sustainable fertilizer source for maize cultivation

Y. H. Liu, M. M. Rahman, J. H. Kwag1, J. H. Kim1 and C. S. Ra

Laboratory of Livestock Environment, Department of Animal Life System, Kangwon National University, 1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Struvite, a crystal of magnesium ammonium phosphate (MAP), was successfully recovered from swine wastewater and the feasibility of reutilizing it as a slowly-releasing fertilizer on maize growth was evaluated. Maize growth was investigated with normal and high application rates of MAP and a fused super phosphate (FSP) fertilizer. Five treatments (T0=control, T1=MAP based on 30 kg P ha-1, T2=FSP based on 30 kg P ha-1 + urea equivalent to nitrogen of MAP applied in T1, T3=MAP based on 40 kg P ha-1, T4= FSP based on 40 kg P ha-1 + urea equivalent to nitrogen of MAP applied in T3) were performed with 3 replications. The results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height and circumference of control and treated maize plants (p < 0.01). However, no statistical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MAP- and FSP-urea treated maize. Leaf area and green biomass yield were significantly (p < 0.01) higher in the treated group than control. Leaf area was also found significantly higher (p < 0.01) in higher MAP- treated group (2374 cm2 plant-1) than other treatments. On comparing MAP-treated and FSP-urea-treated maize,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nutritional components such as CP, CF, Ash, ADF, and NDF. N2O emission was found lower in MAP treated soil (T1, T3) than FSP-urea treated soil (T2, T4), which might be due to slow releasing pattern of MAP. Hence, it could be assumed from the results that MAP can be used as an eco-friendly sustainable fertilizer source and effective alternative to general chemical fertilizers for maize cultivation.

Key words : Struvite (MAP), Swine wastewater, Leaf area, Biomass yield, Maize

- 155 -

PD11031 Nutrient leaching loss of struvite in soilY. H. Liu, M. M. Rahman, J. H. Kwag1, J. H. Kim1 and C. S. Ra

Laboratory of Livestock Environment, Department of Animal Life System, Kangwon National University, 1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Struvite (MAP) was recovered from swine wastewater using a newly designed process, and its effect on pH and nutrient leaching loss from soil was examined. The process was operated under conditions of adding 1.0 molar ratio of magnesium (Mg) with respect to orthophosphate (OP), 4 h hydraulic retention time (HRT) based on reaction zone, a continuous flow mode, and aeration rate of 0.73 L/L min. A total of 5 treatments (T0=control, T1=MAP based on 30kg P ha-1, T2=a fused super phosphate (FSP) fertilizer based on 30 kg P ha-1 + urea equivalent to nitrogen of MAP applied in T1, T3=MAP based on 40 kg P ha-1, T4=FSP based on 40 kg P ha-1 + urea equivalent to nitrogen of MAP applied in T3) were arranged with 3 replications. The results show that 93% of OP in swine wastewater was crystallized and recovered using the process, and the MAP crystals formed were verified by X-ray diffraction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nalyses. The initial soil pH levels for T1 and T3 were 6.17 and 6.16, respectively, and the final soil pH levels for T1 and T3 after 5 weeks of experiment were 6.22 and 6.29,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 initial and final pH levels of T2 and T4 were 6.11 and 6.08, and 6.13 and 6.13, respectively. Analyses revealed that leaching losses were higher in T2 and T4, with T1 and T3 showing nitrogen (N) losses of only 1.93 and 2.05% respectively, while T2 and T4 showed N losses of 7.82 and 6.47%, respectively, during the same period. Phosphate (P) leaching was very slow in both MAP- and FSP-treated groups.Key words : Struvite (MAP), Swine wastewater, pH, Leaching loss

PD11032 온실가스 저감물질의 탐색 및 효과에 관한 연구김미정, 이진수, 신종서, 송영한, 라창식

강원대학교 동물생명과학대학 동물생명시스템학과본 연구는 발효생리기법을 통한 한우의 사육기술 개발을 위해 반추동물에게 적용 할 수 있는 온실가스 저감물질을 탐색하고 그 효과를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저감물질 첨가가 반추위내 발효성상 및 메탄발생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인공반추위(In vitro) 실험법을 활용한 메탄측정기술을 개발하여 사용하였다. 저감물질로는 천연물질 35종(약용식물 22종: 감초, 길경, 당귀, 독활, 두충, 맥문, 모과, 백출, 복분자, 산피, 구기, 세신, 솔잎, 시호, 오미자, 의이, 인진, 지실, 진피, 천궁, 치자, 산사 / 추출액 5종: 인도허브1-3, 잣에센스, 잣추출수 / 채소류 및 부산물 5종: 마늘, 마늘쫑, 생강, 잣송이, 쑥 / 허브류 3종: 녹차, 페퍼민트, 오레가노) 및 약용식물 에센스 14종(청피, 세신, 백출, 우슬, 마황, 형개, 목단, 자모, 시호, 목과, 육두, 속단, 후박, 파고)을 선정하고 각 물질별 온실가스 저감효과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천연물질 18종, 약용식물 에센스 11종에서 메탄발생이 저감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첨가물질 별 메탄저감 효율 및 반추위액 성상변화를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화 하였을 때 맥문, 잣에센스, 잣추출수, 세신, 자모에서는 50%이상의 저감 효과를 보였으며, 길경, 오미자, 인도허브 추출물3, 녹차, 청피, 백출, 우슬, 마황, 후박에서는 20~50% 사이의 메탄 저감 효과를 보였다. 또한 원료물질별 반추위액내 발효 패턴 및 저감물질의 첨가가 소화생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물질별 첨가수준에 따른 발효패턴을 분석하였을 때 온실가스 저감효과가 있는 물질인 길경, 맥문, 녹차, 마늘, 잣에센스, 잣추출수, 오미자, 생강, 시호, 마황, 세신, 청피는 반추위액내 사료소화율을 저해시키지 않고 오히려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Key words : 온실가스, CH4, 반추위, In vitro, 저감물질

PD11033 Magnesium supplementation and compost reutilization: a practical approach for nutrient conservation in compostM. J. Kim, J. E. Lee, S. Kumar, J. H. Kwag1 and C. S. Ra

Department of Animal Life System, Kangwon National University, Hyoja 2, 192-1, Chunchon 200-7011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s, RDA, Suwon, 441-350, South Korea

Compost is the most efficient and economical source of soil conditioning. Using compost in agriculture field is an easier approach to recycle organic matter (OM) into the soil. However, problem associated with the compost is low nitrogen content. Moreover, because of use of bulking material, high costs are incurred in attaining composting.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nutrient content of compost and reduce the use of bulking agents, a series of experiments were performed and their influence on physical and chemical traits of compost (1) addition of magnesium (Mg) at a molar ratio of 1.2 w.r.t PO4 and (2) reutilization of compost containing MgNH4PO4.6H2O (magnesium ammonium phosphate, MAP) were examined. Three independent batch tests were performed in replication: batch test I-control (C) and Mg added (T), batch test II-C, T and compost recycle (TR1), and batch test III-C, T and compost recycle (TR2). Results showed that adding Mg and reusing compost containing MAP did not hamper the OM degradation. However, compost reutilization, increased the total nitrogen (TN) and total phosphorous (TP) content of the compost. A decrease in the orthophosphate (OP) to TP ratio was found upon supplementing the Mg to the composting material, due to the crystallization and conversion of water soluble phosphate to slow release phosphate. X-ray diffraction analysis of the irregular shaped crystals formed in the compost indicated that they are MAP crystals and crystallization begins immediately after the Mg supplementation. Hence, from the present investigation it can be concluded that Mg addition to the composting materials and reutilization of the compost as bulking agent would be a realistic approach to conserve nutrient content.Key words : Bulking agent, Compost, Magnesium ammonium phosphate

- 156 -

PD11034 축산분뇨처리부문 국가 온실가스 배출계수 개발을 위한 최대 메탄 발생량(Bo) 산정 연구 이진의*1, 이현주1, 곽정훈2, 박규현2, 라창식1

1강원대학교 동물생명시스템학과 춘천시 강원대학길2국립축산과학원 축산환경과 수원시 권선구

축산분뇨처리 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 국가보고서 작성을 위한 배출량 통계는 그동안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에서 제시한 가이드라인의 Tier 1의 기본 값을 적용하여 산정하였으나, 각 국가의 고유의 값이 있는 경우 이러한 국가 고유의 배출계수를 적용하도록 권고하고 있어 각 배출원별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는 배출계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가축분뇨 처리 시 발생하는 CH4의 배출 계수 산정을 위한 주요 변수 중 하나인 축종별 분뇨의 최대 메탄 발생량(Bo)을 산정하였다. 시험대상 분뇨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사육되는 축종 위주로 선별하였으며, 한우분, 모돈분, 비육돈분, 산란계분을 이용하여 시험하였다. 시험대상 농장에서 신선한 분뇨를 채취하여 자체 제작한 바이오리액터에 각각 투입하고, 분뇨 투입 시 발생한 가스의 효율적 배출을 위해 beads를 혼합하였다. 밀폐시킨 바이오리액터는 초기 혐기 상태유지를 위해 질소(N2)를 주입하였다. 시험 온도는 미생물 반응 최적온도 조건과 분뇨처리 조건을 고려한 37 , 55 로 설정하여 시험하였다. 바이오리액터에서 생성된 가스는 전량 tedlar bag에 포집하여 가스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모든 분뇨에 대하여 시험 초기 및 완료시 Total Solid, Moisture, T-N 등 성상분석을 실시하였다. 시험결과 축종별 분뇨의 최대 메탄 발생량은 한우분 0.01161 m3

CH4/kg-VS, 모돈분 0.00078 m3 CH4/kg-VS, 비육돈분 0.00019 m3 CH4/kg-VS, 산란계분 0.00102 m3 CH4/kg-VS이었으며, 이는 IPCC guideline에서 제시한 기본값(default value)에 비해 10~1000배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Key words : 온실가스, 가축분뇨, 메탄가스

PD11035 축산분뇨처리부문 국가 온실가스 배출계수 개발을 위한 분뇨별 아산화질소(N2O) 최대 발생량 조사이진의, 이현주, 곽정훈1, 박규현1, 라창식

강원대학교 동물생명시스템학과, 1국립축산과학원 축산환경과국내 축산부문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중 축산분뇨 처리시 발생하는 아산화질소(N2O)의 배출 계수를 산정하기 위하여 분뇨별 아산화질소(N2O) 최대 발생량(kg N2O-N/kg N)을 조사하였다. 혐기/호기 주기변화에 따른 아산화질소(N2O)의 발생패턴을 알아보고자 모돈분을 자체 제작한 바이오리엑터에 투입하였다. 또한, 미생물의 활성 증진을 위하여 온도조건을 37 로 유지하였으며, 공기는 2시간, 4시간, 6시간, 8시간, 12시간, 16시간 간격으로 주입시켜 발생하는 가스를 전량 포집·분석하였다. 축종별 분뇨에서 발생하는 N2O의 최대발생량 조사 실험은 모돈분, 비육돈분, 산란계분, 한우분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공기를 2시간 간격으로 주입하면서 중온(37 )과 고온(55 )조건에서의 emission factor for direct N2O emission from manure management system S in the country(EF3(s))을 조사하였다. 시험결과 공기주입 간격에 따른 N2O 누적발생량은 2시간 간격으로 공기를 주입하였을 경우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EF3(s)(kg N2O/kg N)는 한우분:0.00189, 모돈분:0.00127, 비육돈분:0.00019, 산란계분:0.00016으로 IPCC guideline에서 제시한 자연 및 강제 통기 분뇨시스템의 기본값(defalut value) 0.01 및 0.005에 비해 매우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Key words : 온실가스, 아산화질소, 가축분뇨

PD11036 Optimization of CO2 concentration and light intensity for biomass production of Chlorella vulgaris and utilization of swine wastewater as growth medium

S. Kumar, C. M. Lee, Y. H. Liu, M. J. Kim, J. H. Kwag1 and C. S. Ra

Department of Animal Life System, Kangwon National University, Hyoja 2, 192-1, Chunchon 200-701;1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s, RDA, Suwon, 441-350, South Korea

The world fossil oil reserves will be exhausted soon due to staggering rates of consumption; therefore, to avert the imminent oil crisis, crops (soybean and corn) are used worldwide for the biofuel production. In this situation, for sustainable growth in animal production, economic, sociological,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friendly approaches are needed to identify alternative feed resources. Among various microalgae, Chlorella seems to be a potential candidate for feed and food. Thus, growing C. vulgaris would not only solve the problem of animal feed, but help in biological CO2 mitigation. Moreover, using nutrients-rich swine wastewater for algal cultivation may be novel if it enhances high cell density, and lowers the problem of eutrophication. Therefore, in the present work C. vulgaris was evaluated for its biomass production at varying concentrations of carbon dioxide (0.07, 1.4, 3.0 and 5.0%) and photon densities (39.19, 72.97, 105.41, 116.22, 135.14, 175.68 μmol/m2/s) employing a photo bioreactor. At the above optimized conditions, the average growth rate of C. vulgaris was approximately 0.20 g/L.d. In addition, growth and nutrition depletion potential from swine wastewater under optimized growth parameters was also observed. Results showed that the higher biomass production was found to be at 3.0% CO2 concentration. However, no difference in biomass production was found at 105.41 μmol/m2/s and above photon densities with 12 h of photoperiodicity. It was also observed that C. vulgaris could easily grow in 200 times diluted swine wastewater and growth was found to be similar with that of artificial medium. Provided the conducive conditions for optimal growth, it also has the potentiality of depleting ammonia nitrogen and orthophosphate completely from the wastewater after 3-4 days of cultivation. Hence, from the present investigation it can be concluded that C. vulgaris could grow economically and can be employed as an alternative feed with respect to the increasing demand of crops for biofuel production.

Key words : Biomass, Chorella vulgaris, Swine wastewater

- 157 -

PD11037 Upgrading the performance of submerged biofilm SBR process forswine wastewater treatment employing internal circulation through sand filter

S. Kumar, Y.S. Choi, J. H. Cho, J. H. Kwag1 and C.S. Ra Department of Animal Life System, Kangwon National University, Hyoja 2, 192-1, Chunchon 200-701, South Korea,

1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s, RDA, Suwon, 441-350, South KoreaAs livestock industries are becoming widespread, the amount of animal waste produced has attracted the concern of the environmentalscientists worldwide. Among, the variety of biological treatment systems consisting of various processes, submerged biofilm process have been used as the major treatment methods for the removal of organic matter and nitrogen from the wastewater. In the present study, to enhance the performance of submerged biofilm sequencing batch reactor (BSBR) sand filter was employed for effective removal of pollutants from swine wastewater. The variations of the nutrient removal efficiencies with changes in volumetric circulation ratios and rates were determined. The operating conditions for the reactor were: One cycle day-1, HRT of 15 d, average NH4-N loading rate of 55 g m-3 d-1, and without supplementing external carbon source. On comparing the performance of a single BSBR with and without sand filter, nitrogen and phosphorous removal competency were found to augment by 18% and over 33%, respectively. At the circulation rate of 170 L h-1 m-3 and 22 h time, TOC, NH4-N, and total soluble inorganic nitrogen removal efficiencies were found to be 73, 97.8 and 85.6%, respectively. This step up in nitrogen removal was attributed to denitrification in the sand filter during circulation of liquor. Denitrification rate in sand filter was found proportional to the volumetric circulation rate, resulting in an average 15% NOx-N removal. Hence, it can be concluded that upgrading BSBR with sand filter for internal liquor circulation could be economical and feasible method to achieve nitrogen and phosphorous removal from wastewater. Also, it was found that continuous circulation during the entire reaction phases could be good approach to achieve improved performance.Key words : Biofilm, Sequencing batch reactor (SBR), Sand filter, Wastewater management

PD11038 가축분뇨 내 인자원 회수 및 제어효율 평가이창민, 곽정훈1, 김재환1, 라창식

강원대학교 동물생명과학대학 동물생명시스템학과, 1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축산환경과2010년 이후 국내 농경지의 인산축적 문제가 이슈가 됨에 따라, 가축분뇨로부터의 인 회수에 대한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또한, 인광석 수입 가격의 지속적인 상승과 인광석 보유국들이 자원 수출을 전면 중단하거나 감축시킴에 따라 국가적으로 수입 인광석을 대체할 자원 탐색/확보 및 가축분뇨로부터 인을 회수하여 산업적으로 재활용하는 인자원 순환체계구축이 국가적으로 매우 시급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가축분뇨 내에 고농도로 존재하는 인자원을 회수할 목적으로 개발된 공정을 농가에 설치하고 운전하면서 공정에서의 질소·인 제어 및 회수율과 성분제어효율을 평가하였다. 또한 공정에서 회수된 인자원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공정은 스텐레스로 제작하여 100톤 규모의 양돈분뇨 저장조 위에 설비하였으며 국내 양돈농가로서 대표성을 가질 수 있는 조건을 지니기 위하여 주변 축산분뇨 공공처리장으로부터 분뇨를 수거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공정의 운전용량은 3m3/d 이상이었으며, HRT 3시간, 포기율 32L/m3·min의 조건에서 운전하였고, 인 결정체 형성을 위한 MgCl2 주입량은 분뇨 내 용해성 인 대비 1.0 몰비로 조정하였다. 연구결과 개발된 공정에서의 성분제어효율은 TS:12.9%, NH4-N:4%, TOCs:13% 로 낮았으나 크리스탈 형성 및 인 회수율은 약 85% 수준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효율증진 기술 적용 시 약 95%이상의 효율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공정에서 회수된 크리스탈-Solid의 물리적 특성 및 NH4MgPO4·6H2O(MAP) 결정체 형성여부를 파악하기 위하여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과 X-ray diffracter(XRD)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혼합물 내에서 흰색의 특이적인 결정체가 관찰되었고, XRD를 통해 발견되는 결정체와 MAP Reference 상분석 결과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나 회수된 혼합물에서 관찰되는 결정체가 NH4MgPO4 6H2O(MAP)임을 알 수 있었다. 회수된 혼합물을 분말화하여 성상을 분석한 결과 유기물이 65%, 무기물이 35%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분말화 된 물질 중 인의 함량은 23.2% 수준으로, 현재 중국, 베트남 등에서 수입되는 인광석에 비해 1.7배 정도 높은 함유량을 나타내었다.Key words : 가축분뇨, 인자원 회수, MAP, 인광석

PD11039 회수된 MAP 결정체의 재이용을 위한 전기적 질소해리 기술 확립이창민, Liu Y. H., 곽정훈1, 김재환1, 라창식

강원대학교 동물생명과학대학 동물생명시스템, 1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본 연구는 가축분뇨 내 인자원 회수 및 제어효율 평가 시험에서 회수된 결정체로부터 질소만을 선택적으로 해리시켜 제거하고 Mg 및 PO4를 재이용하는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에 사용된 반응기는 총 볼륨 4.6L, 전극면적 480cm2, 양극판은 티타늄(Ti)에 이산화이리듐(IrO2)을 전착한 불용성 망형극판을 사용하였고, 음극판은 Stainless steel을 사용하였다. 극판간의 간격은 1cm로 조절하여 전기분해 리엑터를 자체제작 하였다. NaCl(전해질)의 첨가량에 따른 질소 해리율을 파악하기 위해 5, 7, 9V의 조건하에서 전해질을 0.01, 0.02, 0.04, 0.06, 0.08% 첨가하여 PO4

3--P와 NH4-N의 농도변화를 분석한 결과, 각 전압조건에서는 전해질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인의 재용해율은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NH4-N의 경우 0.06%과 0.08%에서 큰 차이가 없었으며, 전해질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질소 해리율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전해질농도 0.06%에서의 전압변화에 따른 PO4

3--P와 NH4-N의 농도변화를 분석한 결과 전압이 증가할수록 질소해리/소실율이 높았으며 완전 해리/소실되는 시간은 5V, 7V, 9V에서 각각 2hr, 1.5hr, 1hr으로 나타났으나, 인의 용해율은 7V와 9V가 크게 차이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수된 결정체의 재 이용량 최적조건을 알아보기 위해 전해질농도 0.06%, 전압 7V로 설정한 후, MAP의 재활용량을 0.25g/L, 0.5g/L, 0.75 g/L, 1g/L, 1.25g/L, 2.5g/L로 조절하여 인의 용해율을 분석한 결과, 0.75g/L일 때 까지는 PO4

3-농도가 증가하여 1시간 이후 plateau 상태에 도달하였으나, 1.25g/L 이상에서는 2.5시간까지도 plateau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NH4-N의 소실율은 1.5hr내에 모든 MAP 농도에서 완료되는 것으로 나타난 것으로 보아 HRT는 1.5hr가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 실험으로 얻어진 결과에 의거하여 MAP 재이용 기술 확립을 위한 전기해리 공정의 최적 조건은 HRT: 1.5hr, NaCl: 0.06%, Voltage: 7V, MAP 재이용량: 1.25g 으로 나타났다.Key words : MAP, 질소해리, 전기분해

- 158 -

PD11040 복합생균제의 살포 및 급여가 가축의 분변 내 암모니아 농도와 미생물 균총에 미치는 영향이선녀1, 박선영1, 나영준2, 김명화2, 이상락2

1(주)바이어드 부설연구소, 2건국대학교 동물생명과학대학 동물생산 · 환경학전공본 연구는 복합생균제의 살포 및 급여가 가축 분변 내 암모니아 농도와 미생물 균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실험 1에서는 Rhodopsendomonas capsulata, Bacillus subtilis, Bacillus polyfermenticus 및 Bacillus licheniformis 를 조합한 복합생균제를 돈방 내 슬러리피트에 0, 3, 7, 10, 14, 21일에 살포하고 돈방 내 암모니아 가스량과 분변 내 미생물 균총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실험 2에서는 40두의 한우 및 10두의 젖소를 각각 생균제 비급여구인 대조구와 생균제 급여구인 실험구로 나누어 Clostridium butyricum, Lactobacillus plantarum 및 Bacillus subtilis 를 조합한 복합생균제를 매일 1회 top dressing으로 급여하고 급여 0, 7, 14, 21, 28일에 직장 내 분변을 채취하여 암모니아 농도 및 미생물 균총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실험 1에서 복합생균제를 살포한 돈방의 경우 살포하지 않은 돈방에 비하여 살포 7일 후부터 암모니아 가스량이 50%이상 감소하였고(p<0.05) 분변 내 유산균은 증가하였다. 실험 2에서는 복합생균제를 급여한 한우 및 젖소 모두에서 급여 중반부부터 대조구에 비하여 분변 내 암모니아 농도가 감소하였고(p<0.05) 유산균은 대조구보다 약 10배가 증가하였으며 유해균은 실험이 종료될 때까지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복합생균제는 악취저감 및 유해균 감소 등으로 축사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는 잠재성을 보였다고 판단된다.

Key words : 복합생균제, 암모니아 농도, 미생물 균총, 젖소, 한우, 돼지

PD11041 조명색의 차이가 육계의 에너지 소비량 및 행동 변화에 미치는 영향김나라, 정왕용, 이원현, 김명화, 이상락

건국대학교 동물생명과학대학 동물생산 환경학전공본 연구는 조명색의 차이가 육계의 에너지 소비량 및 행동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에너지를 적게 소비하고 안락함을 느끼는 조명색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8주령 ROSS품종 육용계 4두를 공시하여 240lux의 백색, 적색(618nm), 녹색(515nm) 및 청색(450nm)의 light-emitting diode(LED)조명에 매회 2시간씩 3일간 총 12회 무작위로 폭로시키고 open-circuit calorimeter를 이용하여 에너지 소비량을 측정하였고, CC카메라를 이용하여 sitting, standing 및 eating 등의 행동변화를 녹화하여 조사하였다. 에너지 소비량은 적색의 LED 처리구가 녹색 처리구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백색 처리구 또한 녹색 처리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행동변화는 적색의 LED 처리구보다 녹색 처리구에서 sitting 행동이 많이 관찰 되었으며, 백색과 녹색 처리구의 경우에는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녹색 처리구에서 sitting 행동이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육계는 백색, 적색, 녹색 그리고 청색의 LED조명 중에서 녹색 LED 처리구에 노출될 경우 적색 처리구와 백색 처리구에 비해 에너지 소비량이 적게 나타났으며, 행동에서는 sitting행동이 많이 관찰되는 것으로 보아 녹색의 조명 처리구에서 안락함을 느끼는 것으로 판단된다.

Key words : 조명색, 에너지 소비량, 행동, 육용계

PD11042 Application of IT technology to biological treatment process for swine manure

S. G. Won, J. H. Cho, J. H. Kwag and C. S. Ra

Department of Animal Life System, Kangwon National University, Hyoja 2, 192-1, Chunchon 200-701, South Korea

Swine wastewater contains a huge amount of nitrogen, phosphorous, potassium and other minerals. If discharged with improper treatment, a severe environmental problem can occur. In order to prevent environmental pollution by swine wastewater, an evaluation of a newly designed real time control strategy using oxidation-reduction potential (ORP) and pH (mV)-time profiles was conducted and effectiveness was investigated by operating a farm scale sequencing batch reactor (SBR) process. Feeding, anoxic, anaerobic, oxic, settle, and discharge were six phases of SBR process. The real time control point for aerobic and anoxic phases were nitrogen break point in the pH (mV)-time profile and nitrate knee point (NKP) in the ORP-time profile, respectively. Through the successful real time control, time involved in aerobic and anoxic phases could be optimized and hence, high nitrogen removal and hydraulic retention time could be attained. In fact, complete removal (100%) of NH4-N was always achieved in spite of high variation in loading rate (0.5-1.8 Kg NH4-N m-3 cycle -1). The removal efficiencies were found to be 98%, 90% and 82% for soluble nitrogen, soluble total organic carbon, and soluble COD, respectively. From the present study it could be revealed that use of pH (mV) for aerobic phase and ORP for anoxic phase as a real time control parameter is more reliable, as in some cases, a false NBP was detected in the ORP time profile during aerobic phase and a vague NKP appeared in the pH (mV) time profile during anoxic phase.

Key words : Oxidation-reduction potential, Moving slope change, Swine wastewater

- 159 -

PD11043 Optimized conditions for the electrolysis of swine manure

J. H. Cho, Y. J. Lee, J. E. Lee, J. H. Kwag1 and C. S. Ra

Department of Animal Life System, Kangwon National University, Hyoja 2, 192-1, Chunchon 200-701, South Korea1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s, RDA, Suwon, 441-350, South Korea

Electrolysis, a modern treatment technology, has attracted a great deal of attention in the application of the wastewater treatment. It is reported that the electrolysis is a simple, reliable, cost-effective and promising technique for the treatment of various wastewaters. However, most of the researches have focused on organic matter (OM) removal from wastewater and combined effect removal of nitrogen (N), OM, phosphorus (P), and color from high strength swine wastewater has rarely been conducted. Therefore, the effect of electric voltage and sodium chloride (NaCl) concentration on the removal of pollutants in swine wastewater were investigated to establish the optimum operational parameters with the designed up-flow electrolytic reactor. The electrolytic reactor was made of Plexiglas, anode (titanium plate coated with iridium oxide) and two stainless steel plates as cathodes, which were installed on either side of the anode. The electrolysis process was operated in a batch mode and the hydraulic reaction time was 6 h. Results indicated that the removal efficiencies of pollutants from swine wastewater were proportional to the electric voltage. At 0.2% NaCl, the removal efficiencies of ammonia nitrogen (NH4-N) were 14, 46 and 97%, at 3, 5 and 7V, respectively. The removal efficiencies of soluble total organic carbon (STOC), phosphate (PO4-P) and color were also found to be proportional to the electric voltage and maximum influence of electric voltage was on color removal. The pollutant removal (NH4-N, soluble nitrogen, STOC, and color) efficiencies were proportionally enhanced up to 0.05% NaCl, beyond which no further improvement could be obtained. However, such propensity was not observed in the case of PO4-P removal. Considering the overall results, it could be stated that approximately 0.05% NaCl and 7V would be optimum and the average removal efficiencies of NH4-N, soluble nitrogen, PO4-P, STOC, and color were 99, 94, 59, 64 and 93%, respectively under these optimized conditions.

Key words : Electrolysis, Swine wastewater, Color

PD11044 두과 녹비작물을 이용한 유기 총체 벼의 생산성정민웅, 윤세형, 김원호, 서 성, 최기춘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초지사료과

유기 조사료 생산에 있어 두과 녹비작물을 이용한 재배는 토양에 유기물을 공급함으로서 지력을 향상시키고, 근류균에 의해 고정된 질소를 토양에 공급할 수 있어 많이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구를 녹비작물 재배를 위한 가축분뇨 처리와 무처리구 그리고 세구는 녹비작물 종류로하여 총체 벼의 생산성을 조사하였다. 가축분뇨 시용에 따른 녹비작물의 건물생산성은 레드클로버(8,433kg/ha), 헤어리베치(6,102), 알팔파(5,976)순으로 높았다. 두과 녹비작물 시용에 따른 총체 벼의 건물생산성 헤어리베치(13,355kg/ha) > 레드클로버(13,291kg/ha) > 알팔파(10,208kg/ha)구 순으로 높았다. 헤어리베치와 레드클로버 녹비구의 총체 벼 수량 차이는 미미하였지만, 알팔파 녹비구의 총체 벼 수량과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5). 또한 녹비작물을 재배하기 위해 가축분뇨를 시용한 구에서 가축분뇨 무시용 재배한 시험구에 비해 총체 벼 수량이 높게 나타났다. 사료가치는 녹비작물 종류에 따른 ADF, NDF 및 TDN 함량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없었다. 본 시험의 결과 녹비작물의 건물생산성이 높은 레드클로버와 헤어리베치를 이용할 경우 건물수량 기준으로 약 12~13톤의 총체 벼를 생산할 수 있었다.

Key words : Organic forage, Whole crop rice, Feed value, Manure

PD11045 Hydraulic retention time이 돈사 슬러리의 혐기발효 성상 및 메탄가스 발생에 미치는 영향김수헌, 정왕용, 나영준, 김명화, 이상락

건국대학교 동물생명과학대학본 연구는 hydraulic retention time(HRT)이 돈사발생 슬러리의 혐기발효 성상 및 메탄가스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2L 용량의 lab scale의 혐기소화조를 38 로 설정된 항온조에서 HRT를 각각 15, 20 및 30일로 설정하여 15일간 안정화시킨 후 3일간 총가스발생량, 메탄발생량, 메탄농도와 pH, 유기물분해율, 암모니아농도 및 VFA농도를 측정하였다. 총가스발생량은 HRT가 길어질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고(p<0.001), 메탄농도는 HRT가 길어질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p<0.001), 총메탄생성량은 HRT 15, 20 및 30일에서 각각 475, 502 및 447cc/l가 발생하여 HRT 20일에서 가장 많은 메탄이 생성되었다(p<0.05). pH는 HRT가 길어질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p<0.001). 유기물분해율은 HRT 20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1). 암모니아 농도는 각 처리구별로 유의차가 없었다. VFA는 HRT가 길어질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p<0.01).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현재 우리나라 돈사 슬러리의 혐기발효에는 HRT 20일이 유효한 것으로 사료된다.

Key words : Hydraulic retention time, 돈분 슬러리, 혐기발효, 메탄가스, 유기물분해율, VFA, Ammonia

- 160 -

PD11046 Medium optimization for the improvement of antioxidant activity on thesubmerged garlic fermentation by Leuconostoc citreum

Su-Ok Kim1, Mi-YoungWon1, Sang-BuemCho2, Soo-KiKim1,2*

1Department of Animal Science and Environment, Konkuk University, Seoul, 143-701, Korea2Animal Resources and Research Center, Konkuk University, Seoul, 143-701, Kore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ptimize the medium composition for the improvement of antioxidant activity of submerged garlic fermentation with Leuconostoc citreum SK2556. Plackett Burman design was employed for investigation of medium composition. The composition of basal medium was 30% garlic juice, 0.01% dipotassium phosphate, 0.001% magnesium sulfate, 0.001% sodium acetate and 0.1% sodium chloride. The culture was incubated with shaking for 24 hours at 30 °C and 150 rpm. Plackett Burman design consisted of 12 runs with selected six variables and their effects on the cell growth and antioxidant activity of each strain was evaluated. Molasses, sucrose, glucose, corn steep liquor, yeast extract, and sodium acetate were selected as variables. The antioxidant activity of cultures was determined by using DPPH (α, α’-diphenyl-ß-picrylhydrazyl, Sigma) regent for the detection of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s a result, all six variables did not contribute to enhance cell growth and in antioxidant activity, only molasses showed positive effect statistically.

Key words : Garlic, Fermentation, Optimization, Leuconostoc citreum

PD11047 Fermentation Medium for the Production of Cellulase, Amylase and Xylanase Using Rumen Contents

Jae-Won Park1, Ji-Ho Kim1 Sang-Buem Cho2, Keun-kyu Park2, Young-kyoon Oh3,Jong-Won Joo4 and Soo-Ki Kim1,2*

1Department of Animal Science and Environment, Konkuk University, Seoul, 143-701, Korea,2Animal Resources Research Center, College of Animal Bioscience and Technology,

Konkuk University, Seoul, 143-701, Korea3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Suwon, 441-706, Korea.

4Department of Companion Animal Science, Joongbu University, Chungnam, 312-702, Kore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new feed additive using rumen contents as a slaughter by-product. Bacillus pumilus, Bacillusamyloliquifaciens and Saccharomyce cerevisiae were used as starter cultures to produce the feed additive containing rumen contents from slaughter process, and showed high activities of cellulase, amylase and xylanase. For variables of medium ingredients and fermentation conditions, moisture contents, rumen contents, inoculation rate, molasses, corn starch, soybean meal, wheat bran and NH4Cl were selected. The level effect of each variable on the enzyme activity were evaluated by using Taguchi experimental design. In this study, to figure out the integrated effects of variables that are able to influence three enzymes simultaneously, the standardization of signal-noise (SN) ratios was applied and their average values were used to estimate the effects of levels of variable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40% of moisture content, 20% of rumen content, 1% of inoculation rate, 10% of molasses, 2% of corn starch, 5% of soybean meal, 30% of wheat bran and 0.1% of NH4Cl were ideal levels for enzyme production.

Key words :Rumen contents, Fermentation, Enzyme production, Taguchi method, Medium composition

PD11048 돈사 악취물질 저감을 위한 섬유소원 선발연구조성백, 황옥화, 양승학, 박규현, 송준익, 최동윤, 김재환, 이상철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본 연구는 육성비육돈의 분뇨에서 발생되는 악취물질을 저감하기 위하여 장내 발효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원료 사료를 선발하고자 in vitro 대장발효 시험을 수행하였다. 본 시험에 공시된 원료 사료는 비트펄프와 사일리지를 분쇄하여 이용하였으며, 시험방법은 100mL 배양액에 임신돈의 항문에서 채취한 신선분 10g과 임신돈 사료 1g을 혼합하고, 여기에 섬유소원 원료사료를 배합사료에 첨가하여 48시간 배양한 후 pH, VFA 및 VOC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배양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모든 처리구에서 페놀류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인돌류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임신돈사료에 비트펄프를 첨가하였을 때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페놀류 및 Iso-VFA 농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양돈사료를 배합할 때 비트펄프를 사용함으로써 돈사내 악취를 저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 words : 돼지, in vitro 대장발효, 사료, 악취

- 161 -

PD11049 돈사 피트 슬러리내 악취물질 저감을 위한 환경개선제 첨가효과황옥화, 조성백, 양승학, 박규현, 정광화, 안희권, 최동윤, 이상철, 정만순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본 연구는 Lab-scale에서 양돈 분뇨 슬러리내 환경개선제를 혼합한 후 15일간의 배양기간 동안 슬러리에서 발생되는 악취물질의 생성 및 저감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본 시험에 공시된 환경개선제는 3종으로 생균제, 가용성탄소원, 난용성탄소원을 이용하였으며, 시험방법은 임신돈의 분과 뇨를 2:8로 혼합하고, 환경개선제를 첨가하여 15일간 배양한 후 pH, VFA 및 VOC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배양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슬러리의 pH는 감소하였으며,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난용성탄소원구에서 감소 경향이 높았다. 또한 VFA와 Iso-VFA의 농도변화는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pH가 감소함에 따라 VFA, Iso-VFA, 페놀류 및 인돌류의 농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슬러리내 인돌류와 페놀류의 농도가 증가한 것은 슬러리의 적정 pH 5.5보다 높았기 때문으로 판단되며, 향후 슬러리의 pH 감소방안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 words : 돈사, 피트, 슬러리, 악취

PD11050 이유자돈 스트레스 저감을 위한 보온막 효과 구명김영화, 이성대, 김다혜, 정현정, 김동운, 조규호, 사수진, 김인철, 허태영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본 시험은 이유자돈의 보온설비가 생산성 및 스트레스 저감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공시동물은 요크셔 이유자돈 64두를 이용하였고, 처리는 보온막 설치를 하지 않은 대조구와 보온막을 설치한 처리구로 구분하여 사양시험을 4주간 실시하였다. 일당증체량은 2주차까지 대조구와 처리구간에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2주에서 4주차의 일당증체량은 보온막을 설치한 처리구가 대보구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내었다(P<0.05). 사료섭취량에서도 2주에서 4주차의 일당증체량은 보온막을 설치한 처리구가 대보구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내었다(P<0.05). 설사 발생율은 개시에서 2주까지 대조구 8.9%에 비해 처리구 3.3%로 낮게 나타내었다. 돈방 온도는 대조구에 비해 시험구가 1 이상 높게 형성되었다. 혈중 cortisol 함량(µg/dL), IgG(mg/dL), IgM(mg/dL)은 대조구와 시험구간에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이유자돈의 돈방에 보온막을 설치하므로 설사 방지로 인해 일당증체량을 개선되는 효과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Key words : 돼지태반, 모돈, 자돈, 초유, IgG

PD11051 IPCC(2006) Tier 2 방법론에 따른 한우의 장내발효에 의한 메탄(CH4) 배출계수 산출조남철1, 이상문1, 손근남1, 박규현2, 이상철2, 서성원1

1충남대학교 동물바이오시스템과학과, 2국립축산과학원본 연구는 한우 비육우의 사육기간 동안 장내발효에 의해 발생되는 메탄배출계수를 Tier 2 방법을 적용하여 산출하고자 실시되었다. 메탄배출량은 김 등(2005)에 나타난 기초자료를 이용하여 세 수준의 배합사료 TDN(저: 70-71-72, 중: 71-72-73, 고: 72-73-74) 급여에 따라 나누어 산출하였고, 7개월령에 입식하고 28개월까지 사육하여 출하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평균 메탄배출량은 육성기, 비육기 및 전 사육기에 각각 127.0, 112.4, 116.6 g CH4/두 일로 예측되었으며, 한우 육성기, 비육기,육성 비육기 전체의 메탄배출계수는 46.4, 41.0, 42.6 kg CH4/두 년으로 산출되었다. 또한, 전 사육기간 동안 출하체중 당 평균 108.1 g의 메탄을 배출하는 것으로 산출되었다. 저, 중, 고 TDN 수준에 따른 전 사육기 메탄배출량은 각각 113.9, 117.3 및 118.6 g CH4/두 일로 TDN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배출량이 높게 산출되었는데, 이는 육성기간의 차이에서 기인하였다. 동일한 메탄전환계수(Ym)를 사용하되 동물의 총에너지섭취량을 IPCC(2006)의 방법론이 아닌 실제 건물섭취량을 이용하여 계산한 결과, IPCC 방법론과 비교하여 육성기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비육기는 유의적으로 28.5% 낮게 산출되어(P<0.01), 실제 건물 섭취량을 이용한 전 사육기간 동안 비육우 메탄배출계수는 33.5 kg CH4/두 년으로 IPCC 방법론 대비 유의적으로 21.3% 낮았다(P < 0.01).결론적으로 Tier 2 방법에 따라 산출된 장내발효에 의한 메탄발생량은 육성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실제 건물섭취량 자료를 이용하여 총에너지 섭취량을 예측하는 경우 IPCC(2006) 방법론에 비해 메탄배출계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Key words : 한우, 비육우, 장내발효, 메탄(CH4), 메탄배출계수

- 162 -

PD11052 사육 규모에 따른 낙농사양 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 산출이상문1, 이세영2, 박규현3, 서성원1

1충남대학교 동물바이오시스템과학과, 2천안연암대학, 3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본 연구는 낙농사양 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 LCI(Life cycle inventory) DB(Data Base)기반 구축 및 사육규모에 따른 목장단위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출하고자 실시되었다. 시스템 경계는 낙농목장 내 동물 사육을 통한 유생산과 관련된 부분으로 정하고 분뇨처리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은 제외하였으며 국내 현실에 따라 사료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것으로 가정하되 자가 TMR 배합과 관련된 배출은 산출하였다. 낙농 목장을 사육규모에 따라 4단계로 40두미만, 40-59두, 60-79두, 80두이상으로 분류하고, 온실가스의 배출원은 장내발효에 의한 부분, 착유 관련기기 및 자가 TMR 배합에 따른 부분으로 나누고, 장내발효에 의해서 발생 되는 온실가스는 IPCC(2006) Tier 2방법에 기초하여 산출하였다. 그 밖의 에너지(전기, 연료) 이용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은 국내 LCA 프로그램인 PASS의 자료를 이용하여 계산하되, 착유관련 착유기, 우유저장탱크, 기타 전기기기 및 자가 TMR 배합관련 TMR배합기, 트랙터 등을 고려하였다. 온실가스 발생량은 1kg의 4% 유지율 보정유(FCM)당 배출되는 CO2 eq(g)으로 표기하였다. 국내 낙농 목장의 사육단계에서 발생하는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은 사육규모가 증가함에 따라 621.0, 571.7, 580.8, 562.7 g CO2 eq/kg FCM으로 산출되었고, 이중 장내발효에 의한 배출량은 각각 605.3, 558.4, 565.9, 549.6 g CO2 eq/kg FCM로 전체 배출량의 약 97.6%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낙농사양 부문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는 장내발효에 의한 부분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사육규모가 증가 할수록 온실가스의 배출량(g CO2 eq/kg FCM)은 상대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Key words : LCI, 온실가스, 낙농

PD11053 Isolation of xylanase secreting Paenibacillus xylanexedens SK2925 from soil

Mi-Young Won1, Su-Ok Kim1, Xiao-Tian Quan1, Sang-Buem Cho2, Young-Kyoon Oh3, Soo-Ki Kim1,2*

1Department of Animal Science and Environment, Konkuk University, Seoul, 143-701, Korea2Animal Resources Research Center, Konkuk University, Seoul, 143-701, Korea

3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Suwon, 441-706, Korea.Corresponding: Soo-Ki Kim, [email protected]

Spent mushroom is produced about 105 ton per a year in Koreaand it is considered as a pollutant. Therefore, appropriate treatment or reuse is important. Generally, saw dust, rice bran, wheat bran, beet pulp and cotton seed meal are used as substrate for mushroom media. These ingredients contain a lot of cellulose. Therefore effective treatment of these cellulose components is important for the treatment or reuse of spent mushroom.In this study, bacteria showing high xylanase activity was screened and identified to develop the strains as biological treatment agent of spent mushroom. Xylanolytic strains were screened by using isolation medium that composed of birchwood xylan and staining of congo red that identify xylanolytic strains by development of clear zone aroundcolony on medium. Ten strains were isolated and their xylanase activities were tested. Finally, SK2925 which showing the highest xylanase activity was selected and 16SrRNA gene sequence was analyzed. Homology search by using BLAST in Genbank and phylogenetic analysis were performed and finally it was named as Paenibacillus xylanexedens. The birchwood xylan, a substrate for xylanase, concentration was varied from 5 ug/uL to 100 ug/uL and xylanase activity was investigated. The xylanase from P. xylanexedens SK2925 showed linearly increasing pattern along increased concentration of substrate.

Key words : Spent mushroom, Paenibacillus xylanexedens, Xylanase

PD11054 Antioxidant Activity on Onion Juice Fermentation by Using Lactobacillus plantarum

Mi-Sang Yu1, Sang-Buem Cho2, Xiao-Tian Quan1, Jae-Sung Yeon1, Dong-Woon Kim3 and Soo-Ki Kim1,2

1Department of Animal Science and Environment, Konkuk University, Seoul 143-701, Korea2Animal Resources and Research Center, Konkuk University, Seoul, 143-701, Korea

3Swine Science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Cheonan, 331-801, Korea

This study was to optimize the medium condition for onion fermentaion by using Lactobacillus plantarum. Onion juice, sucrose and yeast extract were selected as media ingredient factors and the effect of their mixed ratio in medium was evaluated. The full factorial design consisted of 24 experimental runs was employed to estimate main effects of the factors and their interactions.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ell yield and antioxidant activity was shown at yeast extract and onion juice, respectively. Significant interaction was found only between sucrose and yeast extract in antioxidant activity. Finally, we selected optimal medium that was composed of (g/l) onion juice, 600; sucrose, 15; yeast extract, 5. The efficiency of optimum medium was estimated by using 5 l jar fermenter. As a result, maximum of cell yield was 9.7 log10(CFU/ml) at 12 h. The cell yield at the end of incubation (20 h) was 8.9 log10(CFU/ml) and it was very similar with the predicted value, 9.0 log10(CFU/ml). Antioxidant activity of culture was maintained at about 60 ~ 65% during all incubation time, resulting in more higher than the predicted activity, 47.1%.

Key words : Lactobacillus plantarum, onion juice, cell yield, antioxidant activity

- 163 -

PD11055 수원과 평창에서 whole crop corn의 건물수량 변화성경일1, Ghassemi Nejad Jalil1, 김은정1, 조무환2, 윤세형3, 김경대4

1강원대학교 동물생명시스템학과, 2농어촌청소년육성재단, 3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4강원농업기술원옥수수(whole crop corn)의 육종기술과 재배기술의 발달로 지역특성에 적합한 다양한 품종이 개발되어 왔고 이에 따라 옥수수의 건물수량도 그 동안 증가되고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팀은 현재까지 개발된 전자기후도와 토양전자지도의 토양특성, 그리고 그 동안 축적된 조사료 연구자료를 활용하여 조사료의 재배적지 제시와 조사료 생산성 예측 기술을 개발하여 조사료생산 전자지도(Web-based forage map)를 구축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이것의 일환으로 본 연구는 지난 30년간 옥수수와 관련되어 수행한 연구결과 자료를 정리하여 지역이나 연도에 따라 옥수수의 건물수량의 변화가 어떠한지를 검토하였다. 옥수수의 건물수량은 1979년부터 2009년까지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에 수록된 논문 중에서 수원과 평창에서 수행된 결과를 이용하였다. 옥수수관련 수행된 결과의 논문 수는 총 20편(수원 15, 평창 5), 실험품종의 종류는 43개, 수원과 평창에서의 실험품종은 총 52개(수원 40, 평창 12)및 실험품종의 합 n=208개(수원 139, 평창 69)였다. 논문의 재배기술에 대한 요소(기후, 토양, 파종 및 수확시기, 시비량, 사료성분 및 작부체계 등)는 다양하였다. 수원의 건물수량(kg/ha)은 최저 9,810(1993, Commet 80), 최고 27,780(1999, GW737) 및 평균 18,210이였다. 평창의 건물수량(kg/ha)은 최저 8,512(2002, 품종명 없음), 최고 25,792(2001, DK689) 및 평균 17,784였다. 수원과 평창을 pool한 건물수량(kg/ha)은 최저 8,512, 최고 27,780 및 평균 18,069였다.

Key words : whole crop corn, 건물수량, 수원, 평창

PD11056 바이오가스 생산효율 향상을 위한 부산물의 사일리지 조제 조건 검토 성경일1, Ghassemi Nejad Jalil1, 김상헌2

1강원대학교 동물생명시스템학과, 2강원대학교 바이오시스템공학과본 연구는 바이오가스 생산 효율을 높이기 위해 부산물(수산 및 농산부산물)을 이용하여 사일리지를 조제하고(혼합사일리지) 발효품질, 화학성분 및 추정메탄발생량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혼합사일리지 조제(건물기준)는 수산부산물인 꽁치부산물 (머리+내장+꼬리), 고등어부산물(머리+내장+꼬리) 및 오징어부산물(내장 등)을 맥주박과 60:40 또는 50:50으로 혼합하여 사일리지를 조제하였다. 또한 꽁치부산물은 빵부산물과 60:40으로, 배추부산물(배추 바깥부분 + 꽁다리)은 미강과 60:40으로 혼합하여 사일리지를 조제하였다. 혼합사일리지는 조제 후 4주 후에 개봉하였다. 고등어 및 꽁치 부산물 원료의 조단백질함량은 37.8~40.0%로 농산 부산물에 비해 높았으며, 조지방함량은 사료성분표(NRC, 1989)와 비교할 때 상당히 높았고 NFE함량은 농산부산물보다 현저히 낮았다. 혼합사일리지의 pH는 수분함량이 71~75%임을 고려할 때 모든 사일리지에서 5.9~7.2로 전반적으로 높았으며 발효품질도 불량하였다. 꽁치와 빵부산물의 혼합사일리지의 pH는 다른 사일리지에 비해 양호한 발효를 나타냈다. 혼합사일리지의 추정메탄발생량은 처리에 따른 차이는 있으나 0.49~0.60 L/g 범위에 있었다. 이상에서 양호한 사일리지조제를 위해서 수분함량은 60%이하로 하며, 수산부산물의 경우 당함량이 높은 농산부산물 등과 혼합하여 조제할 필요가 있다.

Key words : 수산 및 농산부산물, 사일리지, 발효품질, CH4 발생량

PD11057 GIS를 이용한 조사료의 재배적지 판정 모델 개발의 가능성이인수1, 성경일2, 조무환3, 김은정2, Ghassemi Nejad Jalil2, 윤세형4, 김경대5, 정영상6

1(주)새누정보기술, 2강원대학교 동물생명시스템학과, 3농어촌청소년육성재단,4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5강원농업기술원, 6강원대학교 바이오자원환경학과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지리정보체계)는 실세계의 시공간적인 현상들을 도형, 영상, 속성 및 위치정보로 저장하여 검색, 갱신, 분석 등의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관리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원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시스템이며 의사결정지원체계이다. 이러한 GIS는 원격탐사(RS : Remote Sensing)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으며 농업분야에서도 확대 도입되고 있는 과정에 있다. 최근 우리나라 축우산업도 단순한 생산성 향상 보다는 위생적이고 안전한 생산물, 환경친화적이고 지속가능한 농업에 관심을 가지게 되면서 국내 조사료(풀사료) 생산의 당위성과 생산의욕이 어느 때보다도 높은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에서는 초지 및 사료작물의 재배에 GIS 기법을 적용하여 특정지역의 기후와 토양에 맞는 조사료의 선택을 결정할 수 있는 의사결정지원 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조사료의 적지를 판정할 수 있도록 조사료 생산의 영향인자인 지표경사, 토질, 배수특성 등의 토양의 물리적 특성과 산도, 전기전도도의 토양의 화학적 특성 및 생육한계온도, 파종기 가뭄지수, 적산온도 등의 기후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GIS 공간분석기법인 도면중첩법을 이용하여 조사료의 재배적지를 분석하였다. 기후는 국가농림기상센터의 자료, 토양은 한국토양정보시스템의 자료를 기본으로 하고 있다. 조사료 생산분야 전문가들의 설문과 토론을 통해 토양특성 및 기후특성의 각 인자들에 대한 중요도를 적용하고 계층적 분석을 실시하여 조사료 적지판정 모델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Key words : GIS, 조사료 재배적지, 계층적 분석

- 165 -

축산물 이용 및 가공

- 167 -

PE11001 β-hydroxyacyl-CoA dehydrogenase 활성에 의한 냉장 및 냉동우육 판별강선문, 강근호, 성필남, 정석근, 김동훈, 조수현*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식육의 냉동 처리는 미토콘드리아에 손상을 입혀 여러 효소들을 세포 외부로 유출시킨다. 본 연구는 미토콘드리아 효소 중 하나인 β-hydroxyacyl-CoA dehydrogenase(HACD)의 활성을 이용하여 냉장 및 냉동우육을 판별하고자 실시하였다. 시료는 한우 등심(M. longissimus)과 우둔(M. semitendinosus)을 냉장 및 냉동 처리에 따라 각각 2 에서 7일간 숙성 및 동일한 조건으로 숙성 후 -20에서 1개월간 저장하였으며, HACD 활성 1 milliunit은 1 nmol NADH를 산화시키는데 필요한 meat extract량(mL), 시료량(g) 및 단백질량(mg)으로 산출하였다. 냉장우육 등심의 HACD 활성은 2.12 milliunits/mL meat extract, 6.36 milliunits/g meat 및 2.19 milliunits/mg protein으로 나타났으며, 냉동우육 등심 및 우둔의 HACD 활성은 이보다 13배 및 5.4배 높은 수치를 보였다(p<0.05). 냉동우육에서는 부위간에 활성의 차이를 보여 등심의 HACD 활성이 우둔보다 2.4배 높게 나타났다(p<0.05). 따라서 HACD 활성 측정을 통해 냉장 및 냉동우육을 판별할 수 있었으며, 또한 냉동우육의 부위별 판별 역시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 words : β-hydroxyacyl-CoA dehydrogenase, 냉동우육, 냉장우육, 한우, 판별

PE11002 출하체중에 따른 듀록×재래흑돼지 교잡돈의 도체성적 및 육질강선문1, Muhlisin2, 원정일3, 이정구3, 이성기2*

1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2강원대학교 동물식품응용과학과, 3강원대학교 동물자원과학과본 연구는 출하체중에 따른 듀록×재래흑돼지 교잡돈의 도체성적 및 육질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생체중 1.3 kg의 듀록( ) ×재래흑돼지( ) 교잡돈들(거세돈 19두 및 미경산돈 17두)을 출하체중이 49~100 kg로 될 때까지 사육한 후 출하체중에 따라 세 처리구(49~64 kg, 68~84 kg 및 85~100 kg)로 나누어 도체성적과 육질을 비교하였다. 도체성적은 도체중, 등지방두께 및 근내지방도가 출하체중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되었다. 등심단면적, 규격등급 및 육질등급은 세 처리구들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일반성분은 68~84 kg 처리구의 조지방 함량이 49~64 kg 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5), 보수력은 68~84 kg 및 85~100 kg 처리구들이 49~64 kg 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총육색소 함량과 전단력은 처리구들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표면육색은 68~84 kg 및 85~100 kg 처리구들의 명도(L*)가 49~64 kg 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5), 적색도(a*)는 49~64 kg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들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따라서 출하체중이 증가함에 따라 듀록×재래흑돼지 교잡돈육의 근내지방 함량과 보수력이 증가되었으며, 색깔은 밝아졌다.

Key words : 듀록, 재래흑돼지, 교잡돈, 출하체중, 도체성적, 육질

PE11003 Effects of Korea Traditional Leaf liquors (Bambusoideae Leaf or Camelliasinensis) on theQuality properties of Gouda type Cheese

HeeYoungChoi1, KyoungHee Kim1, InHyu Bae*

1Iimsil Institute of Cheese Science, Iimsil-Gun 566-700, Korea*Dept.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College of Bio Industry Science,

Sunchon National University, Suncheon, Jeonnam, Korea

The effects of adding traditional Leaf liquors(Bambusoideae Leaf or Camelliasinensis liquor) to Gouda cheeses on the quality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Cheese samples were prepared with Leaf liquor. Approximate composition, lactic acid bacterial population, pH, water-soluble nitrogen (WSN), sensory characteristics and proteolysis were analyzed. The electrophoretic patterns of cheese proteins, the functional components originated from the Leaf liquor, and the thio barbituric acidvaluesofthecheeseswerealsodetermined. The appearance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the cheeses were not affected by adding 4.0% Medicinal-liquor. Significantly higher amount of crudeash, mineral and EGCG were observe din the cheese added with the liquors compared to the control cheese, made of milk.

Key words : Gouda cheese, Korea Traditional Leaf liquors, cheese ripening, EGCG, Bambusoideae Leaf, Camellia sinensis

- 168 -

PE11004 Development of Lactobacillus plantarum expressing M cell targeting peptide conjugated porcine epidemic diarrhea virus(PEDV) Spike protein1 as oral vaccine

Dachuan Piao, Huishan Li, Yeunkyoung Kim, Sangkee Kang and Yunjaie Choi

Department of Agricultural biotechn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potential use of food-grade lactic acid bacteria as live vehicle for production and delivery of therapeutic molecules is being actively investigated toda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oral vaccine using recombinant Lactobacillus plantarum expressing M cell targeting peptide conjugated porcine epidemic diarrhea virus(PEDV) spike protein1. Firstly, spike protein1 region which is known to contain most neutralizing epitops was cloned from Korean PEDV strain ppiv756. Then we sequenced the spike protein1 region and aligned nucleotide and deduced amino acid sequence with European PEDV strain cv777 spike protein gene. From the alignment results we found that there are 8 nucleotide and 4 amino acid changes on spike protein1 region of Korean PEDV strain ppive756 compare to strain cv777. For successful expression of model antigen in L. plantarum, spike protein1 gene was codon optimized by using L. plantarum codon usage. In the further study, we will chemically synthesize the optimized model antigen gene and construct expression vectors for L. plantarum.

Key words : Oral vaccine, L. plantarum, M cell targeting peptide, PEDV Spike protein1

PE11005 거세 및 비거세 유산양고기의 품질특성 비교강근호1*, 이애경1,2, 조수현1, 성필남1, 박범영1, 정석근1, 김현섭1, 김상우1, 최순호1, 김동훈1

1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2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본 연구는 거세 및 비거세 유산양고기의 활용성 증진을 위해 품질특성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본 시험에 공시된 유산양은 자넨 품종으로 총 20두를 6개월간 사육하여 거세 4두, 비거세 5두에서 등심근을 채취하여 육질분석 시료로 이용하였다. 거세 유무에 따른 유산양고기의 품질특성 조사를 위해 일반성분, pH, 육색, 보수력, 전단력, 단백질 용해성 및 SDS-PAGE에 의한 근원섬유 단백질 분포를 측정하였다. 또한, 거세 유무에 따른 이취물질 조사를 위해 관능평가 및 GC-MS에 의한 휘발성 물질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화학적 조성 및 이화학적 특성에 있어서는 거세유무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단백질 용해성(근장, 근원섬유 및 총 단백질) 및 SDS-PAGE에 의한 근원섬유 단백질 분포도에 있어서도 처리구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평가 결과에 있어서는 비거세 유산양고기에서 이취항목의 점수가가 높게 평가되어 전체적인 기호성에 있어서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관능평가 결과를 토대로 GC-MS를 이용하여 휘발성 물질을 조사한 결과, 비거세 유산양고기에서 인돌, 옥타데카에노익산 등의 물질이 검출되었다. 따라서,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비거세 유산양고기의 화학적 조성 및 육질 특성은 유산양고기와 차이는 없었으나, 근육조직 내 포함되어 있는 웅취 물질로 인해 기호성이 떨어지므로 이취저감을 위한 방안에 대해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 words : 유산양고기, 거세, 육질, 웅취, 휘발성 물질

PE11006 소금 종류가 자연 발효생햄 중량감소, 일반성분 및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성필남, 김병경, 박범영, 조수현, 김진형, 강근호, 정석근, 김동훈, 정재홍*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안산공과대학우리나라는 국민의 식생활 관습에 의해 돼지고기의 경우 선호 및 비선호 부위가 뚜렷하여 부위별 가격차이가 많이 발생하고 있어 이들 부위들의 부가가치 향상 및 고급육제품개발에 의한 새로운 소비창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자연환경에서 제조하는 돼지 뒷다리 발효생햄 염지과정에서 사용하는 소금의 종류가 제조 중 중량감소, 일반성분 및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돼지 뒷다리 발효생햄 제조를 위해 염지과정에 사용되는 소금을 천일염, 암염, 구운소금, 죽염으로 달리 했을 때 제조과정 중 중량감소를 조사한 결과, 소금 종류는 발효생햄 제조 단계별 중량감소량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p>0.05) 수율은 천일염 58.57%, 암염 54.88%, 구운소금 58.97%, 죽염 57.92%였다. 소금 종류별 발효생햄 일반성분을 조사한 결과, 수분함량은 천일염 발효생햄이 52.26%로 가장 높았으며(p<0.05), 암염과 구운소금 발효생햄이 각각 46.65%, 50.05%로 가장 낮았다. 지방함량과 단백질 함량은 소금 종류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소금 종류별 발효생햄 화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발효생햄의 pH는 6.36 6.50 수준이었고, 수분활성도(aW)는 0.89 0.90 수준으로 소금 종류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며(p>0.05), 염도는 천일염 발효생햄이 4.54%로 가장 낮았으며, 암염, 구운소금, 죽염은 비슷한 수준을 나타내었다. 칼로리 수준은 2.81 2.94kcal/g 수준으로 소금 종류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p>0.05).

Key words : 소금, 발효생햄, 중량감소, 일반성분, 이화학적 특성

- 169 -

PE11007 소금 종류가 자연 발효생햄 조직감, 제품색, 무기물함량 및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성필남, 김병경, 박범영, 조수현, 김진형, 강근호, 정석근, 김동훈, 정재홍*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안산공과대학우리나라는 국민의 식생활 관습에 의해 돼지고기의 경우 선호 및 비선호 부위가 뚜렷하여 부위별 가격차이가 많이 발생하고 있어 이들 부위들의 부가가치 향상 및 고급육제품개발에 의한 새로운 소비창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자연환경에서 제조하는 돼지 뒷다리 발효생햄 염지과정에서 사용하는 소금의 종류가 제조 중 조직감, 제품색, 무기물 함량 및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소금 종류별 발효생햄 조직감 특성을 조사한 결과, 조직감을 나타내는 경도, 응집성, 탄력성, 검성, 씹힘성은 소금 종류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p>0.05). 소금 종류별 발효생햄 제품색 특성을 조사한 결과, 색깔을 나타내는 명도(L*), 적색도(a*), 황색도(b*), 채도, h° 역시 소금 종류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p>0.05). 소금 종류별 발효생햄 무기물 함량을 조사한 결과, 염지제로 사용한 소금 종류에 따라 P, Na, Fe 함량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여 P 함량은 죽염을 처리한 발효생햄이 다른 소금처리구 보다 낮은 함량을 보였으며(p<0.05), Na 함량은 천일염 처리구에서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Fe 함량은 암염과 죽염을 처리한 발효생햄이 천일염을 처리한 발효생햄 보다 낮았다. 소금 종류별 발효생햄 관능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색, 향미, 맛, 전체기호도는 염지제로 사용된 소금 종류에 유의적인 영향을 받지 않았다(p>0.05).

Key words : 소금, 발효생햄, 조직감, 제품색, 관능적 특성

PE11008 하수오의 용매분획별 항균 활성, 항산화 활성 및 돈육 패티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서태수, 김거유, 박재인*

강원대학교 동물생명과학대학 동물식품응용과학과 하수오는 중국, 일본 및 한국에서 가장 유명한 강장제 중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하수오 가루를 구입하여 하수오 용매 분획물(CHCl3, EtOAc, BuOH, water)에 대한 병원성 미생물의 성장억제력 및 항산화 활성을 시험하고 비교항산화 물질로 Ascorbic acid를 사용하였으며 water분획물의 돈육 patty의 저장성 증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pH, TBARS, 휘발성염기질소함량(VBN) 분석하였다. 항균활성 실험결과 성장억제력과 Inhibition zone test에서는 항균활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항산화 활성 시험은 분획물들을 각각 1,000 /mL, 3,000 /mL, 5,000 /mL의 농도로 희석한 후 항산화 활성검증에 사용하였다. DPPH radical 소거능은 Ascorbic acid보다 낮은 소거능을 보이지만 EtOAc 분획물에서 3,000 /mL 농도에서 91.42%로 다른 분획물들의 비해 높은 소거능을 보였으며 페놀성 화합물 함량분석은 BuOH 분획물 123.26mg/g으로 가장 높았다. 환원력 측정에서는 3,000 /mL 농도에서 EtOAc 분획물 2.0541±0.0056 (O.D. value)이 Ascorbic acid 1.7064±0.0074 보다 높은 환원력을 나타냈다. SOD 유사활성은 Ascorbic acid와 비교하였을 때 모든 분획물에서 30~40% 낮은 활성을 나타냈으며 각 분획물의 아질산염 소거능은 농도가 증가할수록 커졌으며 water 분획물이 5,000 /mL의 농도에서 78.9% 가장 높게 나타나 돈육 patty의 저장성 실험에 사용하였고 아질산염을 첨가하지 않은 처리구를 대조구로 사용하여 water 분획물과 아질산염을 농도별로 혼합 첨가한 처리구, 아질산염만 첨가한 처리구를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pH 측정결과 water 분획물과 아질산염을 혼합 첨가한 처리구에서는 일정 pH를 유지하였고 TBARS에서는 아질산염만 첨가한 처리구와 아질산염 50ppm과 water 분획물을 0.3% 첨가한 처리구에서 비슷한 효과를 보였다. 휘발성염기질소함량(VBN) 측정 실험에서는 모든처리구가 대조구보다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저장기간이 지날수록 아질산염만 첨가한 처리구보다 아질산염 50ppm과 water 분획물을 첨가한 처리구가 12.79±0.18의 낮은 VBN값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실험결과를 통하여 하수오의 항산화력과 돈육patty의 육색고정으로 사용되는 아질산염은 하수오 water 분획물과 혼합하여 사용되어진다면 저장성 증진이 아질산염과 비슷하다는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Key words : 아질산염 소거능, 아질산염, water 분획물, 하수오, 돈육 패티

PE11009 Effect of Diet Supplemented with Korean Black Goat Meat on Swimming Endurance, Hematochemicals and Testosterone Concentration in Rats

Kyung-Dong Cho1, Kyoung-Won Lee, Ki-Seung Seong, Chan-Kyu Han* and Soon-Ho Choi2

1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2Han Woo Experiment Stat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The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iet mixed black goat meat powder and the extract on swimming endurance, blood fatigue components and testosterone levels in SD male rats. Three-week-old male rats were allocated randomly to one of the following 5 groups: (1) AIN-93G diet+10% of black goat meat+ extract(A), (2) AIN-93G diet+20% of black goat meat+extract(B), (3) AIN-93G diet+30% of black goat meat + extract(C), (4) AIN- 93G diet+extract (D), and (5) AIN-93G diet only(E). Group D showed the longest swimming time(p<0.05). Blood inorganic phosphate (Pi) concentration was higher in group D than those of group A, B, and C (p<0.05).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parameters such as muscle metabolites and lactase dehydrogenase. Blood glucose level was higher in the groups fed Korean black goat meat powder than in group D(p<0.05). In blood lipid profiles, blood total cholesterol level was not different among the groups, but HDL-cholesterol and triglyceride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s fed Korean black goat meat powder than group D. In addition, LDL-cholesterol level was the highest in group D. In terms of blood testosterone and IGF-1 levels did not differ among the groups, while sperm count was the highest in group D(p<0.05).

Key words : black goat meat, blood fatigue, testosterone, IGF-1, glucose, lipid profile

- 170 -

PE11010 Effects of different chicken breeds as raw materials of Chuncheon Dalkalbi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torage quality in combination with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Sung Ki Lee1.Sun Moon Kang2, Muhlisin1,and Won Hee Choi1Department of Animal Products and Food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2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Abstrac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uncheon Dalkgalbi made from different chicken breeds and packed with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MAP). Chuncheon Dalkgalbi were prepared from four different meat sources, those are Korean Native Chicken (KNC), Broiler grade 13, broiler grade 18, and Cross-breed between KNC and Broiler grade 13 (Cross). Chuncheon dalkgalbi were prepared by mixing/dipping the meat in chili pepper sauce. The results showed that KNC contained highest fat and lower pH, and broiler both grade 13 and 18 contained highest protein, lower fat, higher pH, and higher scores of cooked sensory evaluation such as texture and overall liking. On storage quality studies, the Chuncheon Dalkgalbi were packed with Air-Packaging (Air-P) and 30% CO2 MAP (0%O2:30%CO2:70%N2), and stored for 10 d at temperature 5 oC. The 30% CO2-MAP decreased the protein deterioration (VBN) on 4 and 7 d, and lipid oxidation on 7 and 10 d of storage, in all kind of chickens. It was noted that Air-P sharply resulted high concentration of carbondioxide in head space during storage. However, no clear evidence was observed as the effect of different chicken materials. For packaging methods of Chuncheon Dalkgalbi, the 30% CO2 MAP showed better storage quality than Air-P.

Key words : Chuncheon Dalkgalbi, Chicken breeds, MAP, Storage quality

PE11011 한우농장 HACCP 관리 방법 설정에 관한 연구진현주*, 이종문, 김용수, 김윤호, 김정화, 서상철, 황규석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본 연구는 한우농장 HACCP 관리방법 설정을 위하여 수행되었다. 국내외 한우농장 HACCP 운영방법 비교검토를 위하여 우리나라 농식품부의 한우 농장 HACCP 지침서를 기준으로, 일본(HACCP), 캐나다(OFFSP), 미국(BQA), 호주(LPA), 유럽(GAP) 관련 지침서를 비교 분석하였다. 한우농장에서 운영할 수 있는 HACCP는 위해요소 중점관리 개요, 농장 HACCP 지정준비, 한우농장 HACCP 실천계획, 한우농장 위생관리요령, 관련법령으로 총 5개의 장으로 구성하였다. 선행관리는 차단방역관리, 농장시설관리, 농장위생관리, 사료 동물의약품 음수관리, 질병관리, 반입 및 출하관리 6개 분야로 설정하였다. HACCP 실천은 사전 5단계 및 기본 7단계로 설정하였으며 그밖에 HACCP 계획 점검표 로 구성하였다. 기록관리는 방문일지, 소독기록, 약품수불기록, 구입우기록, 주사기록, 출하기록(CCP monitoring), 폐사우기록, 주사침수불기록, 개선조치기록 등 11개 분야로 설정하였다. 이번에 설정된 한우농장 HACCP 관리방법은 앞으로도 농장에서 쉽고 빠르게 운영될 수 있도록 개선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Key words : 한우농장, HACCP, 운영방법, 선행관리, 기록관리

PE11012 거세한우의 근내지방도별 풍미관련 화학물질 조성에 관한 연구백경훈1, 정슬기1, 김성일1, 이상욱1, 정근기2, 최창본1

1영남대학교 생명공학부, 2(사)목산한우연구소본 연구는 거세한우의 근내지방도(5, 6, 7, 8 및 9)별 풍미와 관련된 화학물질 조성의 차이를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거세한우 근내지방도 5, 6, 7, 8 및 9별로 각각 9두씩 총 45두로부터 등심시료를 채취하여, 지방산, 유리아미노산 및 핵산화합물들의 조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거세한우 등심내 oleic acid(C18:1)의 비율은 근내지방도 5, 6, 7, 8 및 9에서 각각 46.20, 47.47, 45.31, 49.67 및 44.71%를, 단일불포화지방산/포화지방산 (M/S)의 비율은 각각 1.17, 1.24, 1.15, 1.35 및 1.12를, 풍미 지수 (flavor index)는 각각 1.11, 1.17, 1.09, 1.29 및 1.07를 나타내어 근내지방도 8에서 가장 높았으며, 등심지방의 융점은 각각 30.00, 28.20, 30.20, 26.55 및 31.49 로 근내지방도 8에서 가장 낮았다. 유리아미노산 중 arginine의 비율은 각각 1.10, 0.30, 1.11, 1.21 및 1.12로 근내지방도 6에서 유의적으로 (P<0.01) 낮았으며, 거세한우 등심내 glutamic acid의 함량은 1.33~1.50%, taurine은 3.97~4.05%의 분포를 나타내어 근내지방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또한 dipeptides인 anserine과 carnosine의 경우도 근내지방도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며, 유리아미노산을 맛 특성별로 분류한 결과 또한 근내지방도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등심내 핵산화합물 중 IMP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나, 근내지방도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며, 특히 IMP의 경우 각각 83.07, 62.51, 87.53, 107.24 및 99.88μM/g로 근내지방도 8에서 가장 높았다.

Key words : 한우, 근내지방도, 지방산, 유리아미노산, 핵산화합물

- 171 -

PE11013 근내지방도별 한우 쇠고기 관능평가 성적과 풍미 성분간 상관관계 분석백경훈1, 정슬기1, 김성일1, 이상욱1, 정근기2, 최창본1

1영남대학교 생명공학부, 2(사)목산한우연구소본 연구는 거세한우 근내지방도 (5, 6, 7, 8 및 9)별 등심에 대한 관능평가 결과와 풍미 관련 성분간의 상관관계를 구명하고자 실시되었다. 훈련된 패널리스트에 의한 한우 관능평가 결과, 연도, 풍미 및 기름기는 근내지방도가 증가할수록 높아지는 경향이었으며, 다즙성과 우마미는 근내지방도 9에서 각각 5.68 및 5.62점으로서, 각각 근내지방도 5의 4.74점 및 근내지방도 6의 5.10점에 비하여 높게 (P<0.05) 나타났고, 종합기호도는 근내지방도 9가 5.58점으로 가장 높게 (P<0.05) 평가되었다. 상관관계 분석 결과, 등심내 myristic acid(C14:0), palmitic acid(C16:0), stearic acid(C18:0) 및 총 포화지방산 (SFA)은 지방의 융점과 정 (+)의 상관관계 (각각 r=0.603, 0.901, 0.522 및 0.963)를, palmitoleic acid (C16:1), oleic acid(C18:1), CLA(c9,t11C18:2) 및 총 불포화지방산 (UFA)은 지방의 융점과 부 (-)의 상관관계 (각각 r=-0.323, -0.885, -0.331 및 0.963)를 나타내었고, palmitoleic acid(C16:1)는 우마미 및 종합기호도와 정 (+)의 상관관계 (각각 r=0.316 및 0.295)를, oleic acid(C18:1)는 연도와 부 (-)의 상관관계 (r=-0.330)를 나타내었다. Linoleic acid(C18:2)는 다즙성, 기름기 및 종합기호도와 부 (-)의 상관관계 (각각 r=-0.345, -0.479 및 -0.319)를 나타내었다. Aspartic acid는 연도와 정 (+)의 상관관계 (r=0.440)를, glutamic acid는 기름기와 부 (-)의 상관관계 (r=-0.314)를 나타내었다. 핵산화합물인 IMP는 종합기호도와 정 (+)의 상관관계 (r=0.306)를 나타내었다. Key words : 한우, 근내지방도, 관능평가, 상관관계

PE11014 Aroma flavor components as function of muscle types of Hanwoo beefHoa Van Ba1,Park Kyoung Mi1, Dashdorj Dashmaa1, Ganbat Odkhuu1, Yang You Bing1, Jeong Dawoon1,

Lee Jisuk1, Jang Jong-Soo2, Ryu Kyeong-Seon1, Cho In-Kyung3, Hwang InHo1,*

1Department of Animal Science and Institute of Rare Earth for Biological Aplicatio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561-756, Korea, 2Department of Agricultural Science, National Open University, Seoul, 110-791, Korea

3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Nambu University, Gwangju 506-824, Korea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roma flavor components in two different cooked muscles including Longissimus dorsi (LD) and Semitendinosus (ST) from Hanwoo beef. The aroma flavor components were analyzed using Solid Phase Microextractioncombined with Gas Chromatography and Mass Spectrometry (SPME-GC/MS). The results showed that sixty and fifty-six compounds corresponding to 8.671 and 7.466 µg per gram samples were identified and approximated from the LD and ST muscle types, respectively. Most of compounds were commonly found in the both cooked muscles. Aldehydes were the most predominant in both kinds and quantities among the detected flavor chemical classes, which occupied for more than a half of amount of total aroma flavor components in both cooked beef muscles however significant higher (p 0.05) was observed for the cooked beef from LD muscle. Otherwise, the variations in kinds and concentrations of aroma flavor components were observed among the muscle types, this is probably due to the differences in free amino acids, and especially unsaturated fatty acid (UFA) levels existed among the two muscle types.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higher amounts of total aroma flavor components in general and especially aldehydes in particular that probably make the cooked beef steaks from LD muscle associating with the some odor notes of aldehydes such as fruity, green, sweet and fatty, and overall have higher flavor intensities than the cooked beef steaks from ST muscle. Key words : Longissimus dorsi (LD) and Semitendinosus (ST), aroma flavor component, SPME-GC/MS

PE11015 The volatile components of Duroc purebred and their relation to fatty acidsGanbat Odkhuu1, Cho Byung-Wook2, Hoa Van Ba1, Dashdorj Dashmaa1, Park Kyoung Mi1, Lee Jisuk1,

Do Kyoung-Tag2, Lee Ki-Hwan3, Seo Kang-Seok4, Choi Jae-Gwan5, Lee Moon-Jun6, Cho In-Kyung7,Ryu Kyeong-Seon1 and Hwang Inho1*

1Department of Animal Science and Institute of Rare Earth for Biological Aplicatio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561-756, Korea, 2Department of Animal Science, Pusan National University, Miryang 627-706,

Korea, 3Korea Animal Improvement Association, Seoul 137-871, Korea, 4Department of Animal Resources Science, Suncheon National University, Sunchon 540-742, Korea, 5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Chaenon 331-801, Korea, 6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Iksan 570-752, Korea7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Nambu University, Gwangju 506-824, Korea

A large amount of volatile compounds that important in pork aroma is originated from oxidation of fatty acid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nd quantify selected volatile flavor compounds and relate to total IMF content and fatty acids from pork of Duroc breed (n=10) which has been known to contain high levels of intramuscular fat (3.28%) and monosaturated fatty acids (44.58%)specially for polyunsaturated fatty acids (7.22% of total fatty acids) in our previous study. Identified and quantified 40 volatile compounds in pork meat, using headspace solid phase microextraction (HS-SPME) and gas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ry (GC-MS). The identified volatiles were classified into chemical classes including 17 aldehydes which were the most abundant among the detected flavor compounds, followed by 7 hydrocarbons, 6 heterocycles, 5 alcohols, 3 ketones, and 2 sulphur compounds. The most of aldehydes such as pentanal, hexanal, heptanal, E-2-heptanal, octanal, E-2-octenal, E-2-decenal, E,E-2,4-decadienal and tetradecanal which can produce pungent, rancid, fatty odors negatively correlated with C18:1 fatty acids but positively correlated with C18:2 fatty acids. ketones 2-propanone which probably produce unpleasant flavor negatively (r=-0.51) correlated with C18:1 and with total fatty acids (r=-0.84). The alcohols 1-hexanol and 1-octen-3-ol negatively (r=-0.62 and r=-0.79 respectively) correlated with C18:1 fatty acid. The fatty acids18:1, 18:2 and 18:3 may produce different odor profiles.Key words : Meat flavor; pork; volatile compounds; meat flavor; fatty acids

- 172 -

PE11016 젖소농가 HACCP 관리 방법 설정에 관한 연구정영훈, 허태영, 최창용, 강석진, 박성재, 이종문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본 연구는 젖소농장 HACCP 관리기준을 설정하기 위한 모델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2007년부터 농장단계 HACCP이 추진되면서 꾸준히 늘어 2011년 5월 현재 한육우농장 870개소, 돼지 458개소, 가금 459개소 등 총 2,100여개 농장이 HACCP인증을 받았으며 년도별로는 58농장(’07), 240농장(’08), 628농장(’09), 1,065농장(’10), 142농장(’11.5) 등의 가축사육업 분야에서 인증받아 꾸준히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며 금년의 경우 구제역으로 인한 증가세가 둔화되었지만 이후 저면확대 될 전망이다. 젖소농장 관리기준서 모델은 총 5장, 38항목으로 제시하였으며 세부 구성은 자체운영규정 (HACCP 제, 개정 등 7개 항목), 선행요건프로그램 (차단방역관리 등 6개 항목), HACCP 실천계획 (HACCP팀구성 등 10개 항목), 생산관리 (송아지 및 육성우 관리 등 3개 항목), HACCP 기록양식 (출입 관리부 등 12개 항목)으로 구성되었다. 젖소농장 HACCP 인증 및 관리의 효율성을 위하여 전산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환경을 설정하였고 개발언어 및 사용DB는 파워빌더 10.0과 MS Access DB이며 운영체제는 윈도우용 OS로 Win XP, Vista, Win7 등이 호환되며 PC용 버전으로 농가에서 단일 사용가능토록 하였다. 사용 PC 시스템 최소사양은 1G 이상 메모리와 250GB의 HDD가 필요하다. 전산프로그램은 시험 운영후 농가 보급될 전망이고 현재 젖소농장 관리기준서 모델 및 HACCP 운영방법은 국립축산과학원 홈페이지(www.nias.go.kr)에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농장 상황에 맞게 수정하여 활용되도록 하였다.

Key words : HACCP, 젖소농장, 관리기준, 선행프로그램

PE11017 소 도축공정 유래 식중독균의 독성 유전학적 분석오미화*, 김현욱, 설국환, 함준상, 장애라, 김소영, 이성지 김동훈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축산물은 생산에서부터 도축, 가공, 운반, 판매까지의 전과정에서 부패 및 변질되기 쉽기 때문에 안전관리에 특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돼지 도축장의 위해미생물의 분포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소 도축장 1개소를 대상으로 소 도체 복강 내 외부의 세척 전 후, 목살, 부산물 (폐, 위, 소장, 대장)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Salmonella spp. Staphylococcus aureus, Listeria monocytogenes, Escherichia coli O157:H7, Bacillus cereus 등 5종의 병원성 미생물에 대하여 분리 동정하고 분리균주에 대한 독성학적 및 유전학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실험결과 부산물 및 세척전의 복강에서 B. cereus 3균주, S. aureus 3균주 등 6균주가 분리 동정되었다. 분리된 B. cereus와 S. aureus의 독소생성을 확인한 결과 B. cereus 3균주 모두 장독소(enterotoxin)을 생성하였고, S. aureus는 1균주가 장독소를 생성하였다. 장독소를 생성하는 B. cereus에 대한 PCR을 이용한 독소유전자검사에서 3균주 모두 nheA 등 독소생성 유전자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S. aureus는 A~E형 독소유전자 PCR 결과 증폭되지 않았다. S. aureus는 17종의 독소유전자가 존재하는데 본 실험에서 분리된 균주는 A~E형 이외의 독소유전자(G~R형)를 가진 것으로 판단된다.

Key words : 소 도축장, 병원성 미생물, immnoassay, 독소유전자

PE11018 돼지 도축공정 유래 위해미생물의 독성 유전학적 분석김현욱*, 설국환, 함준상, 장애라, 김소영, 이성지 김동훈, 오미화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축산물은 도축, 가공, 운반, 판매 등 전 과정에서 적절한 안전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교차오염 등에 의하여 오염될 가능성이 높고, 부패 및 변질되기 쉽기 때문에 안전관리에 특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축산물의 1차생산 과정 중 돼지 도축장의 위해미생물의 오염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돼지 도축장 2개소를 대상으로 세척 전 후의 복강 내 외부, 목살, 부산물 (폐, 위, 소장, 대장)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Salmonella spp. Staphylococcus aureus, Listeria monocytogenes, Escherichia coli O157:H7, Bacillus cereus 등 5종의 병원성 미생물에 대하여 분리 동정을 실시하고 분리균주에 대한 독성학적 및 유전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실험결과 S. aureus 9균주, B. cereus 1균주 등 10균주가 분리 동정되었다. 분리된 균주 중 독소를 생성하는 S. aurues와 B. cereus의 독성학적 특성을 확인한 결과 S. aureus 9균주 중 7균주가 장독소(enterotoxin)를 생성하였으며, B. cereus는 장독소를 생성하였지 않았다. S. aureus 유전학적 실험결과 1균주 만이 A형과 C형의 독소유전자를 가진 것으로 조사되었다. S. aureus의 독소는 A형부터 R형까지 17개의 유전자가 존재하는데, immunoassay에서 독소를 생성하지만 독소유전자 PCR에서 증폭하지 않은 균주는 본 실험에서 검사한 A~E형의 독소유전자 이외의 독소유전자(G~R)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Key words : 돼지 도축장, 병원성 미생물, immunoassay, 유전자

- 173 -

PE11019 젤라틴 효소분해물의 급여가 흰쥐의 혈청 생화학적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장애라*, 함준상, 설국환, 오미화, 김현욱, 한기성, 김동훈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본 연구는 돈피 젤라틴에서 식품첨가물로 이용되는 효소인 flavozyme과 protamex를 첨가하여 분해시킨 후 3kDa이하의 저분자 펩타이드 분획(colpep26)을 분리하여 사료내 3%(T1)와 5%(T2)의 고농도로 각 처리구당 10마리의 ICR mouse에 16주간 급여하여 실험동물의 생리학적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위해 실시하였다. 체중과 사료효율은 T1에서 크게 증가하였으나 신장, 비장, 폐, 고환 등의 장기무게는 차이가 없었다. 혈중 생화학적 지표를 살펴본 결과 간의 독성 지표인 AST와 ALT는 정상수준에 포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혈중 단백질과 알부민의 함량은 T1에서 다소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지만 uric acid의 수준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돈피 젤라틴에서 효소 분리한 저분자 펩타이드의 급여는 실험쥐의 혈청 생화학적 지표에 부정적인 영향이 없어 추후 이를 이용한 식품소재로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기대 된다.

Key words : 젤라틴, 효소분해, 혈액, 생화학적 특성, 안전성

PE11020 원료육 비율을 달리하여 제조한 유화형소시지의 품질 특성정은영, 김갑돈, 주선태, 양한술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응용생명과학전공 (BK21 program)

본 연구는 소비가 부진한 국내산 소고기 비선호부위를 이용하여 기존 시장에 없는 제품을 개발하기위해 원료육의 비율을 달리하여 제조한 유화형소시지의 품질 특성 및 제조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실시하였다. 처리구는 T1(우둔50%+계육50%), T2(우둔50%+어육50%), T3(우둔50%+계육25%+어육25%), T4(우둔30%+계육35%+어육35%)로 배합비는 원료육 58.60% 지방 20%, 전분 10%, 물 9%, 소금 1.4%, 인산염 및 향신료 1%로 세절 및 유화공정을 거쳐 steam chamber를 이용하여 심부온도 65 에서 30분간 가열 후 냉각 시킨 뒤 일반성분, pH, 육색, 조직감 및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제품의 일반성분 분석 결과, 수분함량과 pH는 T2에서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T1에서 가장 낮은 값이 나타났다(P<0.05). 지방함량은 T2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지만 처리구별 유의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육색은 T4에서 가장 높은 명도 값이 나타났고 T1,2에서 가장 낮은 값이 나타났다(P<0.05). 반면, 적색도 값은 T1,T2에서 가장 높은 값을, T4에서 가장 낮은 값이 나타났다(P<0.05). 황색도 값은 T2와 T4에서 높은 값이 나타났다(P<0.05). 조직감은 T1과 T4에서 높은 경도 값이 나타났지만(P<0.05) 응집성 및 탄력성에서 처리구별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내지 않았다(P>0.05). 관능평가 결과, 육색은 T4에서 가장 낮은 값이 나타났는데 이는 원료육 비율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사료된다(P<0.05). T2의 경우 다즙성, 저작감 및 종합적 기호도에서 가장 높은 값은 나타내었다.

Key words : 유화형소시지, 우둔

PE11021 소 도축공정 유래 미생물의 항생제 감수성설국환*, 함준상, 김현욱, 이미정, 장애라, 오미화, 김동훈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농림수산식품부는 국내 축산물의 안전성 관리 강화의 일환으로 2011년 7월 1일부터 배합사료 중 항생제 첨가를 전면 금지한다고 발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소 도축장의 도축공정, 도축부산물 및 환경시료로부터 분리된 미생물을 MALDI-TOF를 이용하여 동정한 후, 위해미생물에 대하여 13계열 20종의 항생제에 대한 감수성 분석을 paper diffusion method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소 도체 및 내장으로부터 항생제 다제내성을 보이는 Bacillus cereus, Staphylococcus aureus, Enterococcus faecalis, Enterococcus faecium을 분리하였다. 우육 생산단계에서 분리된 Enterococcus 28종 중 11종(39.29%)이 vancomycin에 내성을 보이는 Vancomycin Resistant Enterococcus(VRE)로 나타났다. 또한 우육 생산단계에서 분리된 Staphylococcus aureus 7종 중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MRSA)는 보이지 않았으나, 3종(42.86%)이 vancomycin에 중간내성을 보이는 Vancomycin Intermediate Staphylococcus aureus(VISA)로 나타나 추후 항생물질의 효과적인 사용과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Key words : 소, 항생제 감수성, VRE, VISA

- 174 -

PE11022 돼지고기 생산·가공단계 유래 미생물의 항생제 감수성설국환*, 함준상, 김현욱, 이미정, 장애라, 오미화, 김동훈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농림수산식품부는 국내 축산물의 안전성 관리 강화의 일환으로 2011년 7월 1일부터 배합사료 중 항생제 첨가를 전면 금지한다고 발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양돈농가의 생산환경, 도축장의 도축공정 및 도축부산물 시료로부터 분리된 미생물을 MALDI-TOF를 이용하여 동정한 후, 위해미생물에 대하여 13계열 20종의 항생제에 대한 감수성 분석을 paper diffusion method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돼지 도체 및 내장으로부터 항생제 다제내성을 보이는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 Listeria monocytogenes, Escherichia coli, Enterococcus faecalis, Enterococcus faecium을 분리하였다. 돈육 생산단계에서 분리된 28종의 Enterococcus 중 8종(28.57%)이 vancomycin에 내성과 중간내성을 보이는 Vancomycin Resistant Enterococcus(VRE)로 나타났다. 또한돈육 생산단계에서 분리된 Staphylococcus aureus 14종 중 1종(7.14%)이 oxacillin에 내성을 보이는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로, 5종(35.71%)이 vancomycin에 중간내성을 나타내는 Vancomycin Intermediate Staphylococcus aureus (VISA)로 나타나 추후 항생물질의 효과적인 사용과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Key words : 돼지, 항생제 감수성, VRE, MRSA, VISA

PE11023 한국인 신생아에서 분리한 비피도박테리움 롱검을 이용한 발효유 개발함준상, 김민경, 최아리, 한기성, 정석근, 설국환, 장애라, 오미화, 김동훈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발효유는 건강식품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으나, 소비량은 1997년 65만톤을 정점으로 점차 감소하고 있어 소비 촉진 및 국민건강증진을 위한 신제품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신제품 개발은 발효유 제조에 사용되는 유산균의 기능성을 주장하는 방향으로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발효유 제조에 사용되는 유산균은 주로 우유의 발효에 역할하는 Streptococcus thermophilus와 Latobacillus bulgaricus 외에도 프로바이오틱 효과를 위해 비피더스균이 첨가된다. 그런데, 상업용 요구르트 제조에 사용되는 비피더스균은 동물에서 분리한 Bifidobacterium animalis가 대부분이나, 성인의 장내에는 B. adolescentis, B. longum, 유아에서는 B. infantis, B. breve이 주요 균종으로 알려져 있어 인체에서의 효과가 의문스럽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신생아에서 분리한 B. longum의 특성과 B. longum을 첨가하여 제조한 발효유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을 구명하였다. Bifidobacterium animalis는 우유내에서 전혀 생장하지 않는 반면 선발된 B. longum은 우유를 발효하여 커드를 형성하였으며, B. longum 첨가 발효유는 우수한 관능적 특성을 나타내었다. B. longum의 유전체 분석을 완료하였으며 B. longum의 기능적 특성과 음용효과 구명에 관한 연구가 진행중이다.

Key words : Bifidobacterium longum, fermented milk

PE11024 한국인 신생아에서 분리한 비피도박테리움 롱검을 이용한 자연치즈 개발함준상, 김민경, 최아리, 한기성, 정석근, 설국환, 장애라, 오미화, 김동훈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치즈는 우유를 발효시켜 고형분을 농축시킨 고부가가치 유제품으로 우리나라 치즈 매출액은 연간 4천8백억(‘08)이며 소비량은 7만2천톤(’08)에 달한다. 소득수준 증가에 따라 치즈소비도 크게 증가하였으나 우유가격이 높은 이유로 국내 치즈산업은 크게 발달하지 못하였다. FTA 체결에 따라 외국산 치즈의 수입 증가와 함께 낙농산업에 막대한 타격이 예상되고 있다. 일부 낙농가는 목장형유가공연구회를 조직하여 치즈와 발효유제품 제조기술을 습득하였으며 유제품을 제조 판매하는 곳이 30개소에 달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제품의 차별화 필요성이 높아져 지역 특산품을 활용한 다양한 치즈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발효유의 관능적 특성 개선효과를 나타낸 한국인 신생아에서 분리한 B. longum을 첨가하여 고다치즈제조에 활용하였으며 숙성중 관능적, 조직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B. longum을 첨가하여 제조한 치즈의 관능성이 우수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치즈는 다품종 소량생산에 적합하며 지속적으로 소비가 증가될 것으로 예상되는 품목이다. 다양한 소재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소비자 기호에 적합한 치즈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Key words : 신생아, Enterococcus faecalis, 발효타락죽

- 175 -

PE11025 Analysis of DNA Identity for Beef Traceability in Various Cooking Methods

Min-Wook Hong1, Ki-Beom Kim, Sung-Jin Lee1,*

1College of Animal Life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Korea Institute for Animal Products Quality Evaluation

Enforcement of the possibility of beef DNA identity test for traceability can block the sale of imported beef disguised Hanwoo and help customers to know detailed information of the Hanwoo beef while purchas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n various ripening and roasting methods (soy sauce, gochujang sauce, 10% vinegar, 10% coke, 10% Cheongha, 10% Soju, general roasted, raw, dried, boiled, decayed, and completely burn out). Completely burned out meat could not yield useful DNA, hence the sample was not analyzed. The amplified DNA peaks in most of the samples appeared equally barring completely burned out meat. The DNA allele height and the amount of extracted DNA in roasted beef after ripening in 10% Cheongha was found to be higher than those in the raw beef. The DNA content of decayed beef was higher than those of other cooking methods because of bacteria contamination. The amount of extracted DNA (156 ng) of the ripened sample in 10% vinegar for 3 days and amplified DNA allele height (18% based on the raw beef) of the roasted beef after ripening in 10% vinegar was the lowest in comparison with other cooking methods. Also, these results suggest that beef traceability using microsatellite (MS) markers is possible in various cooking methods because of bovine specific MS markers. Therefore, beef traceability system by DNA identify test would give the confidence in food safety and beef distribution system to customers.

Key words : Beef traceability, microsatellite (MS) marker, DNA identity

PE11026 저장기간 및 저장온도에 따른 오리알 품질 및 지방산 조성 변화 연구정선희, 추효준, 김동욱, 강환구, 방한태,김민지, 나재천, 채현석, 최희철, 서옥석, 박성복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본 시험은 오리알의 보관온도 및 보관기간이 품질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동일 오리군의 오리알을 공시하여 4 , 15 , 22 에 나누어 보관하였으며, 저장기간 1, 3 ,7, 14, 21, 30일 경과 후 오리알 품질 및 지방산 조성을 측정하였다. 저장온도에 따른 저장기간별 Haugh Unit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p<0.05), 특히 실온(21~23 )에서 보관시 시간경과에 따라 Haugh Unit이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저장기간별 저장온도의 차이에서도 저장 14일째부터 15 , 22 에서 Haugh Unit이 4 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난중 역시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p<0.05), 저장온도가 낮을수록 난중 저하가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p<0.05). 난황색, 난각강도, 난각두께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지방산 조성 역시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불포화지방산이 다소 감소하는 경향이 보였으나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저장온도에 따른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본 시험 결과 오리알은 저장기간과 저장온도에 따라 품질이 쉽게 변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장기간 오리알의 적정품질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4 에서 보관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 words : Haugh unit, 난중(egg weight), 오리알

PE11027 Effect of Packaging Methods and Storage Temperature on Quality Characteristics in Low-grade Hanwoo Beef

Sang Keun Jin1,2, Sun Jin Hur3, In Chul Hur1, Jin Yeon Jeong1,2

1Department of Animal Resources Technology, Gyeongnam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Gyeongnam, Jinju, 660-758, Korea

2Swine Science and Technology Center, Gyeongnam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Gyeongnam, Jinju, 660-758, Korea

3Department of Applied Biochemistry, Konkuk University, Chungju 380-701, Korea

The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Air, Vacuum and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methods on the quality of low-grade beef during high temperature storage. After the meat low-grade was judged, the M. longissimus dorsi (LD) were removed from the right side of the carcass at 24h postmortem in commercial slaughter house. The meat samples were finally divided three groups(AP : Air packaging, VP : Vacuum packaging and MAP :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CO2 : N2 = 3 : 7). After packaged, sample were store at 15 for 7days to measure Hanwoo beef quality. The water-holding capacity (WHC) and redness were high in MAP than other sample. TBARS and total microbial counts were lower VP and MAP than AP at the end of storage. However, all sensory characteristics were not affected by packaging methods during storage at high temperature condition. As result of this study, we assume that the color and WHC can be improved by MAP method. Moreover, MAP method shelf-life can extend shelf life in low-grade Hanwoo beef during storage at high temperature condition, although sensory characteristics wes not influenced by packaging method.

Key words: Low-grade beef,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vacuum packaging, meat quality.

- 176 -

PE11028 소목(Caesalpina Sappan L.) 첨가 수준이 소시지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진상근1,2, 허인철1, 황진원1, 우경민1, 신지민1, 안종휘1, 하소라1, 정진연2

1경남과학기술대학교 동물소재공학과, 2대학중점연구소 양돈과학기술센터한약재인 소목을 수준별로 첨가하여 소시지의 저장성을 알아보고자, 소목 첨가 유무 및 수준에 따라 C(일반 소시지), T1(sodium ascorbate 0.2%), T2(소목 0.05%), T3(소목 0.1%), T4(소목 0.2%) 및 T5(소목 0.1% +sodium ascorbate 0.2%) 처리구로 하여 일반 유화형 소시지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소시지는 4 에서 4주 동안 저장하면서 휘발성단백태질소화합물, 지방산패도, 라디칼소거능 및 총균수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휘발성단백태질소화합물은 C가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p<0.05). 저장기간 경과에 따른 유의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은 반면, 지방산패도는 C가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라디칼소거능은 C가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T4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총균수는 T5가 저장 3주까지는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나(p<0.05) 4주째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소목을 첨가함으로써 라디칼소거능 및 항균 효과가 있는 결과였다.

Key word: VBN, TBARS, DPPH, TPC

PE11029 산란폐계육을 이용한 애완견 발효소세지 급여가 애완견의 단백질 소화율 및 분 내 암모니아 함량에 미치는 영향서강민1, 박상훈1, 신영준1, 남기택1, 이선녀2, 이상락2, 이명진3

1국립한경대학교 동물생명환경과학부, 2건국대학교 생산환경학과, 3(주)포켄스급속도로 발전해 온 애완동물식품 산업은 소득증대, 고령화, 핵가족화 등의 사회적 양상의 변화로 인해 제품의 다양성, 품질의 향상, 기능성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요구를 충족시키고자 산란폐계육을 이용한 애완견 발효소세지의 급여가 애견의 단백질 소화율 및 분변 내 암모니아 발생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실험동물은 말티즈(교잡종), 평균체중(3.21±0.32kg), 24개월령, 수컷 7마리를 공시하여 T1(비발효소시지), T2(발효소시지)의 2개 처리구를 두고 체중 10%의 량을 급여하였으며, 실험은 11일간 섭취량, 음수량, 배변량 등을 기록하였으며, 최종 4일간 분변을 채집하여 분석 시료로 사용하였다. 그 결과 섭취량은 발효소세지 T2(발효소시지)에서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배변량은 T2(1.51±0.17g/day)가 T1(2.74±0.12g/day)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5), 단백질 소화율도 T2(98.51 ±0.09%)가 T1(97.26 ±0.33%)보다 유의하게 증가 하였다(P<0.05). 또한 분 내 암모니아 함량의 경우도 T1(163.27 ±11.92mg/day)처리구 보다 T2(63.65 ±17.73mg/day)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지만(P<0.05), 분 pH 및 수분함량은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본 실험의 결과 발효과정에서 생산되어지는 유기산에 의한 영향으로 소화율 증진과 장 내 환경이 개선되었다고 사료된다.

Key words : Fermented sausage, Dog, Protein digestibility, Faecal Ammonia

PE11030 계육 가슴살과 Pediococcus acidilactici와 Pediococcus pentosaceus 혼합균종을 이용한 애완견 발효 육포 개발서강민1, 박상훈1, 신영준1, 박지원1, 서현주1, 남기택1, 이명진2, 전찬미2

1국립한경대학교 동물생명환경과학부, 2(주)포켄스애완동물식품 시장의 대형화, 고속화, 수입의존의 환경에서 기존의 애완동물 간식류와 차별화된 제품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며, 시기적 흐름에 부합하는 소비자의 욕구를 만족시킬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육계의 가슴육과 Pediococcus acidilactici와 Pediococcus pentosaceus의 혼합균종을 이용한 발효 육포 개발에 그 목적이 있다. 실험은 starter culture 균주의 초기 생육안정을 위해 5종류의 당을 3% 첨가한 조건과 다양한 발효온도, 발효시간 조건 그리고, 발효 후 건조온도, 건조시간조건의 차이에 의한 발효 육포의 양상을 pH 및 Lactic acid Bacteria의 균수를 통해 측정하였다. 그 결과 Isomalto oligosaccharide, Sucrose, Glucose을 첨가한 처리구에서 pH 4.1 4.5의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37 , 48시간 발효 후 건조된 처리구에서 가장 낮은 pH가 측정되었으며, Lactic acid bacteria는 8.85±0.20 log10CFU/g의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건조온도 및 건조시간 조건의 차이에 따른 결과 45 , 6시간의 건조조건에서 Lactic acid bacteria가 8.4±0.04 log10CFU/g, pH 4.68±0.04로 측정되었다. E-coli 및 Salmonella spp. 등의 경우 측정되지 않아 높은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Key words : Fermented Jerky, Dog, Lactic acid bacteria

- 177 -

PE11031 육우 비선호 부위를 활용한 육포의 품질특성최정석*, 정동순, 조현준, 강태윤1, 최양일충북대학교 축산학과, 1(주)육품정클러스터

육포는 포의 일종으로 고기를 조미하여 얇게 펴서 말린 우리의 전통적인 육제품이다. 본 연구는 육우의 소비를 촉진시키고자 개발한 육포와 시중 유통중인 육포 3개 제품의 품질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육우 육포는 무항생제로 사육된 육우 우둔부위를 활용하여 천연 양념류만으로 제조하였으며, 비교제품은 청주시내의 대형마트에서 구매한 육포제품을 사용하였다. 일반성분에서 수분과 지방은 육우 육포가 시중 제품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으며, 단백질과 회분에서는 시중 제품에 비하여 육우 육포가 낮았다(p<0.05). 관능검사에서는 Thickcness에서 육우 육포가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고, 전체기호도에서는 육우 육포가 유의적으로 낮았다. 이러한 결과는 육포의 두께, 양념첨가수준, 가공공정의 차이에서 기인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12주간 냉장 저장중 육색변화에서 명도, 적색도, 황색도의 경우 저장기간중 커다란 차이는 없었다. 반면에 적색도와 황색도의 경우 육우 육포가 시중 제품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p<0.05). 그 외 12주간 냉장 저장중 10주까지는 모든 육포에서 지방산패도가 낮은 수준을 유지하였으며, 총미생물수에서도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육우 비선호부위를 활용하여 제조한 육포제품의 경우 육색과 관능특성이 보완된다면 친환경 육제품으로의 산업화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Key words : 육우, 비선호부위, 육포, 품질특성

PE11032 육우 비선호 부위를 활용한 떡갈비제품 개발최정석*, 정동순, 김은영, 강태윤1, 최양일충북대학교 축산학과, 1(주)육품정클러스터

떡갈비는 쇠고기의 비선호 부위를 분쇄하여 쇠고기만으로나 쇠고기와 돼지고기를 혼합하여 제조하는 국내의 대표적인 재구성 육제품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육우의 소비를 촉진시키고자 개발한 떡갈비와 시중 유통중인 떡갈비 4개 제품의 품질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육우 떡갈비는 무항생제로 사육된 육우(우둔)와 돈육(후지)을 기본으로 화학첨가제는 완전히 배제하고 천연 양념류만으로 제조하였으며, 비교제품으로 청주시내의 4개 대형마트에서 구매한 떡갈비제품을 사용하였다. 육우 떡갈비의 일반성분중 수분은 시중 떡갈비보다 높은 수준이었으며, 지방과 단백질의 함량은 낮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육질특성에서는 pH, 보수력, 가열감량은 시중의 떡갈비보다 육우 떡갈비가 다소 떨어지는 수준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차이는 원료육의 함량 및 양념첨가수준의 차이에서 기인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반면에 조직특성에서는 육우 떡갈비가 모든 항목에서 시중 떡갈비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그 외 주관적판정에서 육우 떡갈비는 시중 떡갈비와 유사한 경향이었으나, 관능평가에서는 연도, 풍미와 전체기호도에서 우수한 수준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육우 비선호 부위를 활용하여 제조한 떡갈비제품의 경우 육질특성이 다소 낮은 것을 제외하고는 친환경 육제품으로의 산업화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Key words : 육우, 비선호부위, 떡갈비, 품질특성

PE11033 Illite를 급여한 암퇘지의 도체 및 육질특성정동순*, 최정석, 강태호, 최양일

충북대학교 축산학과소비자가 요구하는 고품질 돈육생산을 목적으로 돼지 사료에 다양한 기능성물질의 첨가가 시도되고 있다. Illite는 대표적인 황토광물질의 한 성분으로서 Al, Mg, Li등의 팔면체 양이온과 K, Na, Rb등의 층간 양이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금속흡착, 유독가스 흡착 및 원적외선 방사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illite의 급여가 암퇘지의 도체 및 육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시험돈은 3원교잡 비육돈(LYD) 50두를 공시하여 5개 그룹으로 나눠 대조구(기본사료), T1(기본사료+ 0.5% illite), T2(기본사료+ 1.0% illite), T3(기본사료+ 1.5% illite), T4(기본사료+ 2.0% illite)처리구로 사양한 후 출하체중에 도달한 공시돈은 관행적인 방법으로 도축하여 도체특성이 조사되었다. 도축 후 예냉된 좌반도체에서 제 6번과 13번 갈비사이의 등심근을 공시재료로 하여 육질특성을 조사하였다. 도체특성에서 도체중과 등지방두께는 illite의 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도체장은 유사한 수준이었다. 한편, illite 1.5% 첨가구에서 높은 A와 B등급 출현율을 나타내었다. 일반성분중 수분과 회분의 함량은 유사한 수준을 나타내었으며, 단백질과 지방에서는 illite 첨가구들이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이었다. 육질특성에서는 pH, 보수력, 육즙손실 그리고 가열감량에서 각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전단력에서는 illite 1.0%와 1.5% 첨가구에서 다소 낮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주관적판정결과, 대조구에 비해 illite 첨가구들이 마블링, 육색, 조직감 그리고 돈육특성에서 다소 높은 수준이었다. 육색에서는 대조구에 비해 Illite 첨가구 모두에서 L값이 낮았으며, 반면 a값은 1.0%와 1.5% 첨가구에서 높아 바람직한 경향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illite 1.0%와 1.5%의 첨가는 암퇘지의 도체 및 육질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Key words : illite, 암퇘지, 도체특성, 육질특성

- 178 -

PE11034 정제 오징어 부산물유지 첨가가 저지방소시지의 품질 특성 평가김일석, 양미라, 구태화, 노건령, 유슬기, 정원태, 강석남*

경남과학기술대학교 동물소재공학과Acetone 추출로 오징어 부산물 정제유(RSO)의 산가는 0.50, peroxide value는 1.97, DHA는 30.2%, EPA는 15.0%였다. 소지지의 제조는 전체무게의 0% RSO 첨가군(C), 지방대체제 첨가군(T1), 2.55% RSO 첨가군(T2) 및 2.55% RSO와 0.02% ascorbic acid 혼합첨가군(T3)을 저장기간 중 비교 분석하였다. 제조 소시지의 평가에서 RSO첨가군은 pH, 백색도 및 황색도를 증가시키나(p<0.05) T3은 T2보다 낮은(p<0.05) 결과를 가져왔다. 또한, RSO첨가가 적색도를 감소(p<0.05)시켰으나 ascorbic acid첨가군은 적색도를 증가(p<0.05)시켰다. 지방산화도는 RSO첨가구가 유의적으로 증가시켰으나(p<0.05), ascorbic acid 처리구에 의해 감소하였으나(p<0.05) C 및 T1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값(p<0.05)을 나타내었다. 조직감의 평가결과 T2첨가가 C 및 T1에 비해 hardness, gumminess 및 adhesiveness를 증가시켰으나(p<0.05), cohesiveness, springness를 감소시켰다(p<0.05). 또한 T3처리구의 cohesiveness, spriness, gumminess 그리고 chewiness를 유의적으로 증가시켰다(p<0.05). 또한, 보수력 및 VBN가는 T2가 C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Key words :

PE11035 정제 말고기 지방 첨가 미트패티의 저장 중 품질 특성 평가김일석, 양미라, 구태화, 노건령, 유슬기, 정원태, 강석남*

경남과학기술대학교 동물소재공학과마유는 불포화지방산(특히, palmitoleic acid) 함량이 돈 및 우지보다 높아, 피부보호, 췌장 기능 향상 및 항균활성이 우수하다고 최근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돈육 75%, 돈지 20%, 전분 3%, 염 0.9%, 설탕 1.1%, 아질산염 0.005% 및 향신료 1%를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처리구는 돈육지방대신에 정제마유(RHO)를 0%(C) 5%(T1), 10%(T2) 및 15%(T3)를 대체하여 미트패티를 제조하여 저장 중 제품의 pH, VBN, 육색, 조직감, 미생물평가 및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마유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pH 및 보수력이 증가하였으며(p<0.05), 적색도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p<0.05), 백색도 및 황색도의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저장 중 TBA, VBN의 경우 처리구간별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총균 및 대장균수의 경우 T3처리구가 다른 시험구보다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p<0.05). 관능평가의 경우 마유의 첨가가 패티의 향, 맛, 조직감 등에 유의적인 영향을 주지 않았다.

Key words :

PE11036 한우고기와 수입채끝육의 휘발성 향기성분 비교조수현, 성필남, 강근호, 강선문, 정석근, 김현섭, 박범영, 김동훈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본 연구의 목적은 한우고기와 호주 및 미국산 냉장 채끝등심육의 휘발성향기성분을 비교하고자 수행하였다. 한우고기는 pentanal, hexanal, E-2- heptenal 함량이 호주산 및 미국산 수입냉장 채끝육보다 유의적으로 많았다(p<0.01). 반면에 Heptanal 함량은 호주산이 한우 및 미국산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한편, Tetradecanone, 2,2-dideuterooctadecanal, toluene, tetradecane, 2-ethylfuran 함량은 호주산 채끝육에만 유의적으로 존재하는 성분이었고(p<0.05) undencenal, 2-butylfuran은 미국산 채끝육에만 존재하는 성분(p<0.01)으로 분석되었다. 전반적으로 한우고기와 호주 및 미국산 냉장 채끝육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성분은 3-methylbutanol, pentanal, hexanal, heptanal, E-2-heptenal, undecenal, 1-pentanol, demthyldisulfide, toluenen, 2-ethylfuran, 2-heptylfuran, 2-butylfuran으로 분석되었다(p<0.01).

Key words : 휘발성향기물질, 한우고기, 수입쇠고기

- 179 -

PE11037 The Combination Effect of Rosemary Extract, Organic Acid Salts and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on the Storage Quality of Ready-to-Eat Hamburg Steak

Muhlisin1, Sun Moon Kang2, Won Hee Choi1, Keun Taik Lee3, Sung Hee Cheong4 and Sung Ki Lee1

1Department of Animal Products and Food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2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3Department of Food Processing and Distribution,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4GO Food Tech Institute, Korea

Abstract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combination effect of MAP and the addition of both rosemary extract and organic acids to the quality of Ready-to-Eat Hamburg steak during refrigerated storage. Two groups of Hamburg steak were prepared, those are control and treatment groups. The Hamburg steaks of treatment group were added with rosemary extract (500 ppm), sodium acetate (3000 ppm) and calcium lactate (1500 ppm). The steaks were steamed at 115oC for 7 minutes, following with cooling in a chilled room at 7oC for 10 minutes and packaged with MAP with two gas compositions ,0%O2:30%CO2:70%N2 (30% CO2-MAP) and 0%O2:0%CO2:100%N2 (100% N2-MAP). The Hamburg steaks were stored at 5oC for 14 d. The pH value of treated group was lower (P<0.05) compared to control group. The addition of rosemary and organic acid salts reduced (P<0.05) the aerobic and anaerobic bacterial counts both in 30%CO2-MAP and 100%N2-MAP. The 30% CO2-MAP also showed more detaining ability to microbial growth compared to 100% N2-MAP, more over 30% CO2-MAP in combination with additives resulted lowest bacterial counts during storage. The treated Hamburg steaks were darker (lower CIE L*), lower in redness (CIE a* ) and higher in yellowness (CIE b*), and in contrast control Hamburg steak packed with 30% CO2-MAP maintained highest redness during storage. The 30% CO2-MAP decreased (P<0.05) lipid oxidation from 8 to 14 d of storage regardless the addition of additives. The use of 30% CO2-MAP in combination with rosemary and organic acids can maintain and prolonged the self-life of Ready-to-Eat Hamburg steak during refrigerated storage.

Key words : MAP, Ready-to-Eat Hamburg steak, Rosemary extract, Organic acid, Storage quality

PE11038 양돈농장 HACCP 관리방법 설정에 관한 연구김두완, 김상호, 이종문, 김영화, 김동운, 정현정, 이성대, 김인철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본 연구는 양돈농장 HACCP 관리방법 설정을 위하여 수행되었다. 국내외 양돈농장 HACCP 운영방법 비교검토를 위하여 우리나라 농식품부의 양돈 농장 HACCP 지침서를 기준으로, 미국(PQA), 캐나다(CQA), 호주(LPA), 유럽(GAP), 일본(HACCP), 관련 지침서를 비교 분석하였다. 양돈농장에서 운영할 수 있는 HACCP는 위해요소 중점관리 개요, 양돈농장 HACCP 지정준비, 양돈농장 HACCP 실천계획, 관련법령으로 총 4개의 장으로 구성하였다. 선행관리는 차단방역관리, 농장시설관리, 농장위생관리, 동물의약품 사료음수관리, 질병관리, 반입 및 출하관리 6개분야로 설정하였다. HACCP 실천은 사전5단계 및 기본 7단계인 7원칙 12절차에 대하여 설정하였으며 그밖에 HACCP 계획 점검표로 구성하였다. 양돈농장 HACCP 관리기준서는 농장자체규정, 선행요건프로그램, HACCP 실천계획, 성장단계별 관리, 기록양식으로 구성하였으며 기록은 방문일지, 소독기록, 약품수불기록, 농장일보, 교육기록, 구입돈기록, 주사기록, 출하기록(CCP monitoring), 폐사돈기록, 주사침수불기록, 개선조치기록 등 11개 분야로 설정하였다. 이번에 설정된 양돈농장 HACCP 관리방법은 앞으로도 농장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보완 발전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Key words : 양돈농장, HACCP, 운영방법, 선행관리, 기록관리

PE11039 Effect of NaCl levels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dried beef stick

G.D. Kim, E.Y. Jung, H.J. Lim, H.S. Yang and S.T. Joo

Division of Applied Life Science (BK21 program), Institut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Recently, there are few introductions of new or value-added products made from various meats such as chicken, pork and beef. The meat consumers pay close attention to health and functional foods. Thus, many researchers have great interest in development of new or functional meat products for such reasons. We developed a new kind of beef product (dried beef stick) and evaluated the effect of NaCl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it. Minced beef (semimembranosus m.) were mixing with different levels of NaCl (C, 0%; T1, 0.5%; T2, 1.0%; T3, 1.5%; T4, 2.0%) for 5 min using mixer (K45SS, KitchenAid, USA) and dried at 75 ˚C for 9 h following spreading the mixture to a size of 10x20x0.4 cm on a febric. Dried beef was cutted in the shape of a stick with 0.4 cm in width. The yield (%) of dried beef stick was higher in T3 (52.33) and T4 (52.14) than in other beef sticks (p<0.05). T4 which contains 1.5% of NaCl had the highest values of moisture content, lightness (CIE L*), redness (CIE a*), springiness and cohesiveness among the treatments (p<0.05). Crude protein and hardnes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4 than the other treatments (p<0.05). Addition of NaCl affected increase of yield, moisture content, shear force and redness, while crude fat and protein content were decreased by addition of NaCl (p<0.05). However, crude ash and yellowness (CIE b*) were not affected by addition of NaCl (p>0.05). In conclusion, 1.5% of NaCl level could be effective on yield, surface color and texture property of dried beef stick.

Key words : beef, beef stick, NaCl

- 181 -

단 위 영 양

- 183 -

PF11001 미생물제제의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나재천, 박성복, 채현석, 방한태, 강환구, 김동욱, 김민지, 최희철, 서옥석, 정현정1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금과, 1농촌진흥청 국제협력기술과항생제는 질병의 예방차원에서 뿐만 아니라 육계의 성장촉진 및 사료효율을 개선시키는 목적으로 이용되었으나 오 남용시 축산물에 잔류되어 인체에 전이되고 결과적으로 알레르기 등의 질환을 일으키거나, 인체의 내성을 증가시켜 질병발생시 약물치료효과를 감소시키는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어 사용에 규제가 시작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에도 2011년 7월부터는 사료내 항생제 사용이 전면금지 될 예정이나, 항생제의 사용금지는 질병 발생 증가와 생산성 감소 등을 초래하고 있다. 본 연구는 시판 미생물제제의 급여가 항생제를 대체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는데, 시험구는 항생제 첨가구(C), Lactobacillusreuteri 0.2% 첨가구(T1), Bacillus subtillus 0.1% 첨가구(T2), Bacillus subtillus, Latobacillus plantarum, Enterococcus faecium, Saccharomyce cerevisiae 0.2% 첨가구(T3)로 배치하여, 처리당 3반복, 반복당 35수씩 총 420수를 공시하였으며, 5주간 평사에서 수행하였다. 시험결과 체중 및 증체량은 T3구를 제외한 다른 처리구는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며(P<0.05), 사료요구율은 대조구와 T3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개선되었다(P<0.05). 혈액의 Total cholesterol에서는 처리구간에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Triglyceride는 T3구가 다른 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수치를 보였다(P<0.05).

Key words : 육계, 생산성, 미생물제제, 혈액, Total cholesterol

PF11002 육계농장 HACCP 관리 방법 설정에 관한 연구나재천. 박성복, 방한태, 김동욱, 강환구, 채현석, 최희철, 정영훈1, 이종문2

국립축산과학원 가금과, 1국립축산과학원 낙농과, 2국립축산과학원 기술지원과본 연구는 육계농장 HACCP 관리방법 설정을 위하여 수행되었다. 국내외 육계농장 HACCP 운영방법의 비교 검토를 위하여 우리나라 농식품부의 육계 농장 HACCP 지침서를 기준으로, 미국(CPA), 캐나다(OFFSP), 호주(LPA), 유럽(GAP), 일본(HACCP), 관련 지침서를 비교 분석하였다. 육계농장에서 운영할 수 있는 HACCP는 위해요소 중점관리 개요, 농장 HACCP 지정준비, 육계농장 HACCP실천계획, 관련법령으로 총 4개의 장으로 구성하였다. 선행관리는 차단방역관리, 농장시설관리, 농장위생관리, 사료 동물의약품음수관리, 질병관리, 반입 및 출하관리로 설정하였다. HACCP 실천은 사전5 단계 및 기본 7단계인 7원칙 12절차에 대하여 설정하였으며 그밖에 HACCP 계획 점검표로 구성하였다. 육계농장 HACCP 관리기준서, 농장자체규정, 선행요건프로그램, HACCP 실천계획, 성장단계별 관리, 기록양식으로 구성하였으며, 기록은 방문일지, 소독기록, 약품수불기록, 농장일보, 교육기록, 육추기록, 출하기록 등으로 설정하였다. 이번에 설정된 육계농장 HACCP 관리방법은 앞으로도 농장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있도록 보완 발전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Key words : 육계농장, HACCP, 운영방법, 선행관리, 기록관리

PF11003 Effects of Dietary Combination of Conjugated Linoleic Acid and Flaxseed Oil/Fish Oil on Lipid metabolism and n-3 to n-6 Fatty Acid Ratio in Broiler Chicks

J. H. Park, Y. M. Cho, S. W. Kim, Y. G. Ko, Y. J. Do, J. H. Kim. Y. H. Yoo and D. Shin1

Animal Genetic Resources Stat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Namwon, Korea 1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Hallym University, Chuncheon, Korea

In order to increase the n-3/n-6 fatty acid ratio as well as CLA deposition in meats, we investigated the supplementary effects of CLA, flaxseed oil and fish oil and their combination forms on fatty acid profiles of liver, breast and thigh meat in young broiler chicks. One day old Cobb × Ross broiler chicks (n= 60) were fed with basal diet and supplemented with conjugated linoleic acid (2% CLA), flaxseed oil (2% FXO), fish oil (2% FHO), or their combination (CLA and flaxseed oil mixture (1:1; 2% CXO), and CLA and fish oil mixture (1:1; 2% CHO)). Eight birds from each group were slaughtered, and liver, breast and thigh samples were analyzed for the fatty acids profiles at 3 weeks of ag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crude fat content of liver was high in CLA-fed birds. Moreover, addition of CLA to the broiler chicks caused the increase of SFA contents in liver compared with groups fed other fat sources, whereas n-3 fatty acids and n-3/n-6 fatty acid ratio of liver decreased. The same pattern of SFA, n-3 fatty acid and n-3/n-6 fatty acid ratio was also observed in breast and thigh meats of birds fed CLA alone. However, these adverse effects of CLA feeding in fatty acid deposition of the meats were improved by the combination with flaxseed oil or fish oil. In conclusion, combination of CLA and flaxseed and fish oil to broiler chicks could increase the n-3/n-6 fatty acid ratio of their meat along with the deposition of CLA. In addition, these combinations can actually reduce the SFA content in breast and thigh meat than when feeding CLA alone.

Key words : broiler chicken, conjugated linoleic acid, fish oil, flaxseed oil, omega fatty acid

- 184 -

PF11004 Effects of Glycine Betaine Supplementation on Performance, Serum Lipid Metabolites and Yolk Fatty Acid Profiles of Laying Hens in Different Dietary Energy Levels

J. H. Park, Y. M. Cho, S. W. Kim, Y. J. Do, J. H. Kim, Y. G. Ko, Y. H. Yoo and K. S. Ryu1

Animal Genetic Resources Stat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Namwon, Korea 1Department of animal Scienc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Korea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glycine betaine supplementation on laying performance, egg quality, serum lipid metabolites, and yolk fatty acid profile in laying hens using a diet with low energy or high energy. A total of 450 Hy-Line Brown laying hens were allotted to 5 treatments with 5 replications for 24 weeks. Treatments were designed with 3 levels of ME (2,600; low ME, 2,900; high ME and 2,750 kcal/kg; as a control), and 600 ppm level of betaine was supplemented in low- and high ME diets. As a result of this study, higher ME resulted in an improvement of egg production, feed intake, feed conversion and egg yolk color (P<0.05), but glycine betaine treatment had no significant effects on production parameters. Egg weight, Egg mass, eggshell breaking strength, eggshell thickness and Haugh units were not influenced by supplementary glycine betaine or the level of ME. Glycine betaine did not affect serum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triglyceride, liver weight and abdominal fat. Changes of fatty acid profiles in yolk were significantly induced by both ME levels and glycine betaine supplementation (P<0.05). Glycine betaine increased the palmitic acid and SFA concentrations in the yolk of birds fed the high ME diet (P<0.05), whereas MUFA was increased in both low- and high ME fed-groups. Futhermore, glycine betaine also increased concentrations of PUFA and n-6 fatty acid in low ME group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glycine betaine does not improve egg performance, egg quality, serum lipid metabolites and abdominal fat, but may affect egg yolk fatty acids in laying hens.

Key words : glycine betaine, laying hens, performance, serum metabolite, yolk fatty acid

PF11005 육계의 사육일령에 따른 계사내 사육환경 변화채현석, 나재천, 최희철, 방한태, 김민지, 김동욱, 강환구, 박성복, 서옥석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닭고기의 도체이상 발생시기를 조사하기 위하여 육계의 사육일령에 따른 계사 내 환경변화를 조사하였다. 계사의 형태는 무창계사를 사용하였고 깔짚으로는 왕겨를 사용하였다. 육계의 품종은 Ross 이었고 사육밀도는 평당 68수이었다. 입추 후에 14일부터 3일 간격으로 29일령 출하시까지 6회를 조사하였다. 사육일령별 계사내 CO2 발생은 14일령이 933.0ppm, 17일령 1033.3, 20일령 1133.3, 23일령 1333.3, 26일령 1,366.7, 29일령 1,266.7을 나타내어 사육일령이 증가할수록 CO2 계사내 농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NH3 함량은 14일령이 14.0ppm, 17일령 15.7, 20일령 16.3, 23일령 15.3, 26일령 11.3, 29일령 7.0을 나타내어 20일령까지는 증가하다가 그 이후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23일령 이후에는 계사내 온도 상승(외기온도 30 )으로 최대한 문들을 개방한 상태에서 저하되지 않았나 사료된다. 사육일령에 따른 계사내 낙하세균의 총균수 변화는 14일령이 5.1×102 cfu/dish, 2분, 17일령 6.3×102, 20일령 8.2×102, 23령 9.0×102, 26일령 1.1×103, 29일령 1.2×103를 나타내어 사육일령이 증가할수록 낙하세균에서 총균수가 약간 씩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특히 26일령이 경과하면서 부터는 1000 cfu/dish 이상을 나타내었다. 또한 계사내의 위치에 따라서는 낙하세균의 총균수는 전방, 중반보다 후방에서 더 높게 나타냈다. 사육일령에 따른 계사내 낙하세균의 E. E. E. coli coli coli 변화는 17일령이 1.0 cfu/dish, 2분, 20일령 0.3, 26일령 1.0, 29령 0.3을 나타내어 사육일령과는 무관하게 나타났으며 계사내의 위치는 중간, 후방 보다는 전방에서 많이 나오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Key words : 육계, 사육일령, 계사, 사육환경

PF11006 사육일령에 따른 육계의 깃털 발생과 창상과의 관계채현석, 나재천, 최희철, 방한태, 김민지, 김동욱, 강환구, 박성복, 서옥석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닭고기의 도체이상 발생 시기를 조사하기 위하여 육계의 사육일령에 따른 깃털 발생과 창상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사육일령에 따른 가슴부위의 깃털의 잔여량은 14일령이 13.3%, 17일령 9.3, 20일령 7.3, 23령 7.2, 26일령 5.5, 29일령 4.8를 나타내어 사육일령이 증가할수록 가슴부위에 깃털이 거의 다 빠졌다. 다리부위는 14일령이 81.0%, 17일령 66.5, 20일령 20.8, 23령 33.8, 26일령 34.5, 29일령 44.5를 나타내어 사육 20일령 까지는 계속적으로 감소하다가 그 이후는 새 깃털이 생겨나면서 증가하기 시작하여 29일령 때는 약 45% 까지 증가하였다. 날개의 바깥쪽은 14일령이 97.1%, 17일령 87.0, 20일령 66.3, 23령 64.0, 26일령 58.0, 29일령 58.8로 사육 26일까지는 날개의 깃털이 계속 작아지다가 29일령 이후 새 깃털이 나오기 시작하였다. 등 부위는 14일령이 96.5%, 17일령 84.5, 20일령 56.8, 23령 74.0, 26일령 84.8, 29일령 94.0을 나타내어 사육 20일령 까지는 계속적으로 감소하다가 그 이후는 새 깃털 나오기 시작하였다. 창상발생율은 깃털의 잔여량과 관계가 많았는데 14일령, 17일령에는 가슴, 날개, 다리, 등 어느 부위에서도 창상발생이 전혀 나타나지 않았고 20일령이후부터 다리, 등 부위에 각각 5% 정도 나타났다. 23일령이 경과하면서 다리부위에 45% 등부위에 5% 정도로 발생하여 계속 증가하였으며 26일령에서는 다리부위 만 95%까지 증가하였고 29일령은 다리부위는 모든 닭에서 창상이 발생하였고 등은 45% 정도가 발생하였다.

Key words : 육계, 사육일령, 깃털, 창상

- 185 -

PF11007 입붙이 사료와 대용유 급여 프로그램 및 이유자돈 단계별 사양프로그램이이유 전과 이유 후 돼지 성장에 미친 영향

하덕민1, 장경순1, 원혜숙1, 하승호2, 박만종1, 이철영1

1경남과학기술대학교 동물생명산업센터, 2부경양돈농협24복(10.6자돈/복)의 (Yorkshire × Landrace) × Duroc 자돈을 3구로 나누어 포유기간 중에 “대조구”는 대용유와 입붙이 사료를 급여하지 않았고, “최소구”는 포유기 15일째부터 입붙이 사료를 200gm/복/일 급여했으며, “최대구”는 7일째부터 대용유와 입붙이 사료를 무제한으로 급여하고 모든 공시자돈을 21일령에 이유하였다. 대조구와 최소구로부터 이유된 돼지 중에서 실험구당 68두씩 임의로 선발된 돼지는 각각 2돈방에 수용하고 이유자돈 1, 2 및 3호 사료를 각각 7, 14 및 13일간 급여하였고, 최대구로부터 이유된 같은 수의 자돈에게는 1, 2 및 3단계 사료를 6, 10 및 18일간 급여하였다. 이후에는 모든 실험구에 육성돈 전 후기 사료를 차례로 95 및 135일령까지 급여하였다. 이상의 이유 전과 이유 후 전 과정 사양시험은 3차례 반복되었다. 포유자돈의 개시체중, 종료체중 및 일당증체량은 최대구와 최소구 대비 대조구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P>0.05) 개시체중은 대조구에 비해 최대구가 0.17kg 작았지만 개시체중에 보정된 최대구의 종료체중은 대조구에 비해 0.31kg 컸던 반면 최소구와 대조구 간의 차이는 보정 후에도 거의 변하지 않았다. 자돈기 및 육성기 돼지 성장은 사양프로그램의 영향을 받지 않은 반면 55일령과 135일령 및 6일령 체중은 이유체중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각각 r=0.81, 0.57 및 0.76; P<0.001, 0.05 및 0.001). 결론적으로 본 결과는 포유초기부터 대용유와 입붙이 사료 무제한 급여는 체중이 낮은 자돈에 증체 효과가 있을 것이나 포유후기 입붙이 사료 제한급여나 1, 2단계 대비 3단계 자돈사료 급여기간의 연장은 돼지 성장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임을 시사한다.

Key words : 자돈, 성장, 대용유, 입붙이 사료, 이유

PF11008 돈모 추출 단백질의 급여가 산란계의 산란율과 난질에 미치는 영향오현민, 정강석, 조치현, 박노성, 조철훈, 정사무엘, 이봉덕, 이형석1, 이수기

충남대학교 동물자원과학과, 1우송정보대학본 연구는 돈모추출단백질의 가축사료로의 이용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으며, 실험 1에서는 산란능력을 조사하였고, 실험 2에서는 난질을 조사하였다. 실험동물은 50주령의 산란 실용계 Hi-line 240수를 공시하였으며, 실험설계는 2처리(대두박에 대한 돈모 아미노산 대체율 0 및 10%)에 30반복, 반복당 4수로 실시하였다. 실험 3에서는 돈모아미노산의 급여형태에 따른 산란능력 및 난질을 측정하였으며, 실험동물은 30주령의 산란계(Hi-line) 240수를 공시하였고, 5처리(대조구, 대두박첨가구, 옥수수+돈모아미노산 급여구, 패각+돈모아미노산 급여구, 유자박+돈모아미노산 급여구), 12반복, 반복당 4수로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는 각 처리에서 돈모 아미노산의 급여에 의하여 유의성이 인정되는 변화는 없었으며, 부정적인 결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결과에서 보듯이 돈모추출단백질이 대두박의 10% 수준의 대체에는 무리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산란율, 난각 강도 등에서는 개선의 가능성도 기대된다고 하겠다. 더 많은 수준의 대체를 위해서는 제한 아미노산의 추가 공급 등 지속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Key words : 돈모추출단백질, 산란율, 난질

PF11009 산란계에서 사육형태가 스트레스호르몬 및 면역 사이토카인 발현에 미치는 영향강선영, 윤서현, 김대근, 이창률, 최후락, 고영현, 문양수, 손시환, 장인석

경남과학기술대학교 동물생명과학과본 연구는 닭에서 사육형태가 스트레스 및 면역관련 지표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White leghorn을 케이지사육군 및 방사사육군 등 2개의 군으로 설정하여 각각 40주 동안 사육하였다. 케이지군의 사육밀도는 825cm2/수, 방사군은 2,800cm2/수의 사육밀도로서 모두 자유급이와 자유급수를 실시하였다. 본 시험 결과 40주령 산란계에서 케이지사육군은 방사사육군에 비해 체중이 유의적(P<0.05) 높았다. 체중 100g당 상대적 간, 비장 및 F-낭의 무게는 사육방식에 따라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흉선의 무게는 케이지사육군에서 현저히(P<0.05) 증가되었다. 스트레스 지표인 corticosterone는 케이지사육군이 방사사육군에 비해 약 5.1배의 수준으로 유의하게(P<0.05) 높았다. 사이토카인 발현은 케이지사육군에서 방사사육군에 비해 간, 비장 등 면역 조직에서 IL-10, IFN-γ 등과 같은 친염증계열의 사이토카인 발현이 전반적으로 증가되었다. 그러나 TRLs4 유전자의 발현은 장기 특이적 발현 양상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로 보아 산란계에서 사육형태에 따라 스트레스에 따른 체중, 호르몬 등의 생리적 지표와 함께 면역체계에 유의적 차이가 유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 words : 사육방식, 케이지, 방사, 스트레스, 호르몬, 면역, 사이토카인

- 186 -

PF11010 Effect of supplementation of different probiotics to broiler diets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retention, caecal microbiology and small intestinal morphology

J. S. Kim, S. L. Ingale, K. H. Kim, S. Sen, C. Khong, I. K. Kwon and B. J. ChaeCollege of Animal Life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different probiotics (Lactobacillus acidophilus, Bacillus subtilis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retention, caecal microbial population and intestinal morphology in broiler. Three hundred twenty d-old Ross chicks were randomly allotted to 1 of 4 treatments on the basis of BW in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Each treatment was comprised of 4 replicates with 20 chicks in each. Experimental diets were fed in 2 phases, starter (d 0 to 21) and finisher (d 22 to 35). Dietary treatments were basal diet without any probiotic (Control) and basal diet supplemented with 0.30 %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P1), Bacillus subtilis (P2)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P3). Supplementation of P1, P2 and P3 in broilers diet improved (P < 0.05) feed intake, BW gain and digestibility of DM (d 35), CP and GE (d 21 and 35) as compared to broilers fed control diet. Moreover, birds in treatments P1, P2 and P3 showed better (P < 0.05) FCR compared with control. At d 35 birds in treatments P1, P2 and P3 showed decrease (P < 0.05) in cecal Clostridium ssp. and Coliforms count than control. Villus height and villus height to crypt depth ratio of duodenum and ileum were increased (P < 0.05) in treatments P1, P2, P3 as compared to control. However, there were no effect (P > 0.05) of any of dietary treatments on morphology of jejunum and crypt depth of duodenum and ileum. All the measured variables remain comparable among the birds fed diet supplemented P1, P2 and P3. Result obtained in present study indicates that L. acidophilus, B. subtilis and S. cerviciae at 0.30% level of inclusion can be used as growth promoter in broiler diet and can improve nutrient digestibility, cecal microbial balance and intestinal morphology.Key words : Probiotics, Growth performance, Nutrient retention, Intestinal morphology, Broiler

PF11011 Effect of antimicrobial peptide-P5 on performance, nutrient retention, fecal and intestinal microflora, serum immunoglobulin and intestinal morphology in broilers

S. C. Choi1, J. S. Kim1, S. L. Ingale1, Y. K. Park2, I. K. Kwon1 and B. J. Chae1

1College of Animal Life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2College of Natural Sciences, Chosun University, Kwangju

In this study, effect of feeding antimicrobial peptide P5 was investigated. P5 antimicrobial peptide was produced by using specially designed Lactobacillus casei expressing P5 on their surface. Four hundred d-old Ross chicks were randomly allotted to 1 of 5 treatments on the basis of BW in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and performance, nutrient retention, fecal and intestinal microflora, intestinal morphology and serum immunoglobulins were evaluated. Each treatment had 4 replicates with 20 chicks in each. The basal diets were formulated without any antimicrobial (NC), and 0.15% antibiotic (PC I, apramycin), 0.2% probiotic (PC II, L. casei), 40ppm (P5-40) and 60ppm (P5-60) were added to diets as treatments. Experimental diets were fed in 2 phases, starter (d 0 to 21) and finisher (d 22 to 35). Overall growth performance and retention of DM, CP (d 21 and 35) and GE (d 35) in treatments PC I, PC II and P5 were greater (P < 0.05) compared to NC. Fecal and intestinal coliforms count were lowered (P < 0.05) in treatments PC I, PC II and P5 (40 and 600 ppm) than NC. Intestinal and fecal microflora among pigs fed P5 antimicrobial peptide and PC II diets remained comparable but greater (P < 0.05) than NC. P5 antimicrobial peptide at 60ppm of diet was effective as antibiotic (PC I) in improving performance, ATTD of nutrients and reducing intestinal and fecal coliforms.There were no effect of any of dietary treatments on ATTD of amino acids, serum immunoglobulins, carcass traits and intestinal morphology of broilers. Results obtained in present study indicate that antimicrobial peptide P5 at 60 ppm level can be used as alternative to antibiotic growth promotor in broilers.Key words : Growth performance, Intestinal and fecal microflora, Nutrient digestibility, Antibiotic, Antimicrobial peptide P5, Broilers

PF11012 Effect of supplementation of ferritin protease complex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fecal microbiology and hematology of weanling pigs

K. H. Kim, J. S. Kim, S. L. Ingale, S. H. Lee, I. K. Kwon and B. J. ChaeCollege of Animal Life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ferritin-protease complex (FP)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fecal microbial population and hematology of weanling pigs. A total of 144 pigs (Landrace x Durocx Yorkshire) were randomly allotted to 1 of 3 treatments on the basis of BW in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Each treatment was comprised of 4 replicates with 12 pig in each. Experimental diets were fed in 4 phases, phase I (d 0 to 7), phase II (d 7 to 21), phase III (d 21 to 35) and phase IV (d 35 to 49). Dietary treatments were isocalorific diet (3,330 kcal/kg) supplemented with 0 % (T1), 0.1% (T2) and 0.2% (T3) FP complex. Supplementation of increasing level of FP complex resulted into linear increase (P < 0.05) in ADG and better F/G of weanling pigs during phase I and II. However, during phase III, IV and overall study period supplementation of increasing level of FP complex resulted into linear and quadratic improvement in (P < 0.05) ADG and F/G of weanling pigs. During phase I and II supplementation of pig diet with increasing level of FP resulted into linear (P < 0.05) increase in digestibility of DM, CP and GE, whereas during phase III and IV there were improvement of digestibility of DM (linear; P < 0.05), CP and GE (linear and quadratic; P < 0.05). Highest overall growth performance and digestibility of nutrients were reported in treatment T3 (0.2% FP). There were no effects of supplementation of graded level of FP complex on fecal microbial population and blood hematology of weanling pigs. Result obtained in present study indicates that FP complex have potential to improve the growth performance and digestibility of nutrients in weanling pigs.Key words : Ferritin, Protease, Growth, Digestibility, Fecal microbiology, Hematology, Weanling pigs

- 187 -

PF11013 Effect of dietary energy levels and ferritin-protease complex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fecal microbiology and hematology of growing-finishing pigs

K. H. Kim, J. S. Kim, S. L. Ingale, S. H. Lee, I. K. Kwon and B. J. Chae

College of Animal Life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dietary energy levels and ferritin-protease complex (FP)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fecal microbial population and hematology of weanling pigs. A total of 120 growing pigs (Landrace x Duroc x Yorkshire) were randomly allotted to 1 of 3 treatments on the basis of BW in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Each treatment was comprised of 4 replicates with 10 pigs in each. Dietary treatments were, 3,350 kcal/kg ME without FP ( T1) and 3,200 kcal/kg ME with 0% FP (T2), 0.1% FP (T3). Experimental diets were fed in 2 phases, grower (60-80 kg), finisher (80-115 kg). During grower and finisher phase, ADG and F/G were similar and significantly better (P < 0.05) for treatment T1 and T3 compared with treatment T2. However, during overall study period, ADG and F/G for treatment T1 was greater (P < 0.05) than T2 and T3, moreover ADG of treatment T3 was greater (P < 0.05) than T2. During grower phase digestibility of DM in treatment T1 was greater (P < 0.05) than T2 and T3, whereas digestibility of GE and CP were similar and significantly greater (P < 0.05) for treatment T1 and T3 compared with T2. During finisher phase digestibility of DM and CP for treatments T1 was greater (P < 0.05) than T2 and T3, with T3 being greater (P < 0.05) than T2. Fecal microbial count remained unaffected by dietary treatments. At d 26 neutrophil count in treatment T3 was greater (P < 0.05) than T2, with T1 being intermediate. However, at d 26 lymphocyte count in treatment T3 was greater than T1 and T2. Results obtained in present study indicates that supplementation of ferritin-proteasecomplex at lower energy level have positive effect on growth performance and nutrient digestibility of growing-finishing pigs.

Key words : Energy, Ferritin, Protease, Growth, Digestibility, Fecal microbiology, Hematology, Growing-finishing pigs

PF11014 자돈에 Procyanidin 급여가 혈액의 항산화 활성 및 성장에 미치는 영향박준철, 이세훈, 지상윤, 홍준기, 오영균, 김경훈, 백열창, 우제흥, 문홍길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본 연구는 포도씨에서 추출한 Procyanidin을 자돈에 급여시 혈액의 항산화 활성과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사양시험은 평균체중 19.2±0.3kg인 2원교잡종(Landrace×Yorkshire) 거세자돈 32두를 공시하여 8주간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설계는 1)대조구(기초사료), 2)MOS 0.1%(기초사료 + Mannanoligosaccharide 0.1%), 3)Pro 2ppm(기초사료 + Procyanidin 2ppm), 4)Pro4ppm(기초사료 + Procyanidin 4ppm)로 4개 처리를 하여 처리당 4반복, 반복당 2두씩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시험성적을 조사한 결과에서 일당증체량과 사료섭취량은 처리구간의 유의적인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으나(P>0.05), 사료요구율에서는 Procyanidin의 수준별 첨가구가 대조구와 MOS 0.1%보다 낮게 나타났다(P<0.05). 또한, Procyanidin의 항산화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혈청 SOD 유사활성 측정과 DPPH를 이용한 전자공여능을 측정하기위해 SOD 측정 결과에서는 Pro 4ppm처리구가 대조구와 Pro 2ppm보다 유사활성이 높게 나타났다(P>0.05). DPPH 소거능은 농도가 높아질수록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였고(P<0.05), 50%를 감소시키는 농도인 SC50에서 Procyanidin은 Vitamin C보다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Procyanidin을 자돈 사료 내에 첨가하는 것은 사료효율을 개선시키고, 혈액의 항산화 활성을 높이는 것으로 사료된다.

Key words : Procyanidin, 사양, 자돈, 항산화 활성, SOD, DPPH

PF11015 Retinoic acid가 암 수 돼지 지방전구세포의 증식과 분화에 미치는 영향송미연, 정정수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축산학과본 연구는 retinoic acid(RA)가 돼지 지방전구세포의 증식과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지방전구세포는 신생자돈을 죽인 후 떼어낸 등지방 조직을 collagenase 처리에 의해 분리했고, CO2 배양기에서 배양했는데 접종 1일 후에 cell을 washing한 후(day 0) 2일 동안 RA를 처리했다. 증식은 day 2에 trypsin 처리 한 후 hematocytometer로 조사하였으며, 분화는 day 6에 glycerol-3-phosphate dehydrogenase의 활성도를 측정함으로써 조사했다. RA가 암 수 돼지 지방전구세포의 증식에는 별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세포의 분화를 크게 억제했다. 암퇘지에서 분리한 지방전구세포의 분화를 0.1uM, 1uM 및 10uM의 RA가 각각 23%, 72% 및 84% 억제시켰으며, 수퇘지의 그것은 각각 20%, 59%, 71% 억제시켰다. 세포의 증식단계에 RA를 처리했는데 증식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분화를 크게 억제시킨 본 연구의 결과는 매우 흥미롭다.

Key words : retinoic acid, 돼지, 지방세포 증식, 지방세포 분화

- 188 -

PF11016 자돈에 Procyanidin의 첨가 급여가 면역 능력에 미치는 영향이세훈, 박준철, 지상윤, 홍준기, 오영균, 김경훈, 백열창, 이선희, 문홍길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본 시험은 LPS(lipopolysaccharide) 자극에 대한 Procyanidin의 면역 반응과 염증 관련 Cytokine(IL-1β, IL-6,TNF-α)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LPS 자극에 대한 Procyanidin의 면역 반응을 조사하기위해 평균체중 13.4±1.3kg인 2원교잡종(Landrace×Yorkshire) 거세자돈 8두를 공시하여 2 처리당 4두씩 임의배치하여 실시하였다. 시험 설계는 1)대조구(기초사료), 2)Pro 8ppm(기초사료+Procyanidin 8ppm)으로 하였으며, 개시일부터 4주 후에 LPS에 대한 면역 반응 시험(혈구성상 조사, 면역글로불린 측정)을 실시하였다. 혈구성상 조사 결과에서는 시험사료를 30일 첨가 급여한 LPS 전과 LPS 후 모두에서 Pro 8ppm 처리구가 대조구 보다 PLT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수치를 나타내며 혈소판 응집으로 인한 질병에 효과적으로 작용하였다(P<0.05). 또한, 면역글로불린 측정 결과에서는 IgM에서 Pro 8ppm 처리구가 대조구 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내며 면역력 증가에 효과적으로 작용하였다(P>0.05). 그리고, 혈액으로부터 PBMC를 분리하여 LPS 자극에 대한 Procyanidin의 항염증반응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Cytokine 발현량을 조사한 결과, 대조구(PBS)보다 IL-1β,IL-6,TNF-α 수치가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나면서(P<0.05), LPS 자극에 의해 염증이 유발된 PBMC에 Procyanidin을 첨가하였을 때, 발현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포도씨에서 추출한 Procyanidin을 자돈사료에 첨가 급여하는 것은 항염증반응에 영향을 주며, 면역 반응에 개선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 words : Procyanidin, 자돈, LPS(Lipopolysaccharide), 면역, 항염증 반응

PF11017 육계에서 구멍갈파래의 항산화 및 면역조절 효과홍준기, 봉미희, 박준철, 문홍길, 김동욱, 이상철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본 연구는 구멍갈파래 급여가 육계 혈액 내 항산화, 면역조절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실시하였으며, 이를 위해 1일령 Ross종 육계수컷 96수를 선별하여 5주 사양시험 종료 후 LPS로 염증반응을 유도하여 혈액 SOD 유사 활성, 비장 조직 내 cytokine mRNA 발현을 조사하였다. 시험구 배치는 무첨가구(Negative Control ; NC), 시판 면역증강제 첨가구(Positive Control ; PC, β-glucan 25 ppm), 구멍갈파래 분말 3% 첨가구(Ulva pertusa kjellman Powder ; Ulva P) 및 구멍갈파래 추출물 0.3% 첨가구(Ulva pertusa kjellman Extract ; Ulva E)로 배치하였다. 혈액 내 SOD 유사 활성을 분석한 결과 구멍갈파래 첨가구(Ulva P, UlvaE)는 무첨가구와 면역제제 첨가구보다 높은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비장 조직 내 cytokine mRNA 발현량을 조사한 결과 IL-1, IL-2 및 IL-6에서 처리구별 공통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는데 구멍갈파래 처리구(Ulva P, Ulva E)의 mRNA 발현 비율이 무첨가구와 면역제제 처리구에 비해 낮았으며, 구멍갈파래 처리 간 비교에서 구멍갈파래 추출물이 분말보다 더 낮았다(P<0.05). 따라서 육계에서 구멍갈파래 급여는 염증, 질병의 원인인 활성산소 제거에 효과가 있다고 사료된다. 특히 구멍갈파래 추출물은 cytokine mRNA 발현을 억제에 효과적으로 작용하여 육계 면역조절에 긍적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Key words : 육계, 면역, 구멍갈파래, SOD 유사활성, cytokine

PF11018 무창 육계사의 지열냉난방 CFD 분석최희철, 강환구, 나재천, 방한태, 김민지, 채현석, 박성복, 박재홍, 서옥석, 유동조, Hossan Md. Salim, Nazma Akter

국립축산과학원본 연구는 무창 육계사의 지열냉난방시스템 도입에 대비한 Computational Fluid Dynamics(CFD)을 통한 공기유동분석을 통하여 시설이 완료되기 전 계사 환경변화 양상을 시뮬레이션으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Mesh type은 Trimmed + prism mesh로 그리드를 이용하였으며 Solution method는 unsteady state로 하였으며 Tubulence model은 K-Epsilon tubulence model을 이용하였다. STAR design V3.06을 이용하여 3D surface grid model을 구성하였으며 STAR CCM+ V3.06을 이용하여 3D volume grid 모델을 구축하였고 CFD simulation을 분석하였다. 해석조건은 입구구는 253개, 유입속도 7.2m/s, 입구크기 지름 100mm 주름관, 출구크기 1.1m×1.1m, 냉방온도 20 의 공기를 공급하여 목표온도 25 , 초기온도 35 로 설정하였으며, 난방온도 42.6 의 공기를 공급하여 목표온도 34 로 하고 초기온도 10 로 하여 STAR-CCM+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을 분석하였다. CFD 분석결과 여름철과 겨울철의 풍속에 대한 Vector 분석시 지열을 공급하는 입기덕트를 통하여 공기가 고르게 유입되어 분포하였으며 배기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ontour 분석에서도 입기구를 통하여 고르게 수직으로 공기가 유입되어서 배기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실내온도가 35 인 여름철에 300초 동안에 계사 내부온도는 25.0 에 도달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겨울철에는 실내온도가 10 일때 지열냉난방시스템을 난방용으로 가동시 400초에 34 를 상회하는 온도에 도달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Key words : 무창계사, 육계, 지열, 냉난방, Computational Fluid Dynamics(CFD)

- 189 -

PF11019 무창육계사 지열난방시 유해가스 농도변화와 에너지 절감 효과최희철, 나재천, 강환구, 김민지, 방한태, 채현석, 박성복, 박재홍, 서옥석, 유동조, Hossan Md. Salim, Nazma Akter

국립축산과학원본 연구는 52,700수 규모의 무창 육계사에서 여름철 지열냉난방시스템의 난방효율을 분석하기 위하여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계사의 폭은 13m, 길이는 69m 이었으며 단열재는 샌드위치패널을 지붕은 150mm, 벽은 100mm를 사용하였으며 당 사육밀도는 18.7수 이었다. 관행계사는 연소가스를 직접 분사하는 직접열풍기를 3대 이용하여 난방하였으며 지열난방계사는 60RT 용량의 수직개방형(SCW) 지열냉난방기를 이용하여 지하수를 재순환해가며 지하수 열원을 이용하여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송풍하였다. 무창육계사의 관행난방시 평균 암모니아 가스 농도는 16.6ppm 이었으나 지열난방시 11.1ppm으로 감소하였으며 이산화탄소 농도는 관행난방계사는 3,561ppm으로 높았으나 지열난방 계사는 2,150ppm으로 감소하였다. 무창육계사의 겨울철 1회 사육시 연료 소모량에 있어서 관행계사는 8,490 으로 많은 연료를 소모한 반면 지열난방계사는 2,010 로 낮아 졌으며 7일령 이후에는 지열난방만으로 적정 온도 유지가 가능하였다. 봄철에는 관행난방계사는 4,740 의 연료를 소모하였으며 지열난방계사는 675 의 연료를 소모하였다. 여름철에는 관행난방계사는 460.8 의 연료를 소모하였으며 지열난방계사는 26.1 의 연료를 소모하여 년간 총 연료비 소모량은 6회 사육을 기준으로 관행난방계사는 27,381.6 를 소모하였으나 지열난방계사는 5,428.2 를 소모하여 년간 연료 절감율은 80% 이었다. 난방방법별 출하체중은 관행난방은 5주령시 1.9kg, 6주령시 2.38kg인데 비하여 지열난방계사는 5주령시 2.0kg, 6주령시 2.5kg으로 출하체중이 개선되었다.

Key words : 육계, 지열, 난방, 암모니아가스, 이산화탄소, 생산성

PF11020 Miniature Maltese에 있어서 현미 함유 반려견 사료의 영양소 소화율 및 분 특성 김경훈1, 임수정2, 오영균1, 장주송3, 지상윤1, 옥지운1

1국립축산과학원 영양생리팀, 2이화여자대학교 동물행동생태학과, 3CJ 제일제당주식회사본 연구는 Miniature Maltese 사료에 현미를 혼합 급여하였을 때, 사료의 소화율 및 배설분의 특성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평균 연령 약 10개월의 Miniature Maltese 6두(2.9±0.4kg)를 공시하여 replicated 3×3 balanced Latin square design에 의해 실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에 공시된 대조구 사료의 탄수화물원은 wheat flour가 약 50%이었고, 그리고 단백질원은 poultry offal meal, soybeab meal, meat meal 등이 약 33% 구성되었다. 현미 혼합 사료는 wheat flour를 각각 15% 및 30% 대체하였으며, 모든 시험사료의 조단백질과 조지방 함량은 각각 30%, 15% 수준이 되도록 하였다. 모든 실험사료는 extruding하여 급여하였으며, 분 성상과 기호성에 대한 현미의 대체 효과만을 보기 위하여 beet pulp와 기타 분 성상 및 기호성 개선 목적의 첨가제는 사용하지 않았다. 사료급여량은 각 period 시작 체중의 3.1%를 1일 2회 균등 분할 급여하였으며, 전량 섭취하였다. 현미 대체에 의해 유기물과 에너지 소화율은 유의적인 증가가 있었으나, 조단백질과 조섬유 소화율은 반대로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현미 30% 대체구에서 생분 배설량이 감소하는 경향(P=0.08)가 나타났으며, 분 형상 평가점수도 개선되었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Miniature Maltese를 이용한 본 실험에서는 탄수화물원으로 현미의 대체급여가 사료의 소화율 및 분 특성 개선에 미치는 효과는 크지 않았다.

Key words : Miniature Maltese, 현미, 소화율, 분성상

PF11021 Miniature Schnauzer에 있어서 현미 함유 반려견 사료의 영양소 소화율 및 분 특성 김경훈1, 임수정2, 오영균1. 장주송3, 설용주1, 김원영1

1국립축산과학원 영양생리팀, 2이화여자대학교 동물행동생태학과, 3CJ 제일제당주식회사본 연구는 Miniature Schnauzer 사료에 현미를 혼합 급여하였을 때, 사료의 소화율 및 배설분의 특성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평균 연령 약 10개월의 Miniature Schnauzer 6두(5.0±0.3kg)를 공시하여 replicated 3×3 balanced Latin square design에 의해 실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에 공시된 대조구(Control) 사료의 탄수화물원은 wheat flour가 약 50%이었고, 그리고 단백질원은 poultry offal meal, soybeab meal, meat meal 등이 약 33% 구성되었다. 현미 혼합 사료는 wheat flour를 각각 15%(T1) 및 30%(T2) 대체하였으며, 모든 시험사료의 조단백질과 조지방 함량은 각각 30%, 15% 수준이 되도록 하였다. 모든 실험사료는 extruding하여 급여하였으며, 분 성상과 기호성에 대한 현미의 대체 효과만을 보기 위하여 beet pulp와 기타 분 성상 및 기호성 개선 목적의 첨가제는 사용하지 않았다. 사료급여량은 각 period 시작 체중의 3.1%를 1일 2회 균등 분할 급여하였으며, 전량 섭취하였다. 현미 대체에 의해 건물, 유기물, 조단백질, 산분해 조지방, 에너지 소화율은 증가하였으나,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다. 그러나 조섬유 소화율은 유의적이 개선효과를 보였다(P<0.001). 현미 대체 처리구에서 생분 배설량 감소 효과(P<0.05)가 나타났으며, 분 형상 평가점수에서 유의적(P<0.01)인 개선 효과를 보였다. 분에 함유된 short-chain fatty acid 중, acetic 및 propionic acid도 현미 30% 함유 처리구에서 유의적이 감소를 보여, Miniature Schnauzer를 이용한 본 실험에서는 탄수화물원으로 현미의 대체급여가 사료의 소화율 및 분 특성을 효과적으로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 words : Miniature Schnauzer, 현미, 소화율, 분성상

- 190 -

PF11022 Effect of Taeksa (Alisma canaliculatum) Feeding on the Growth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in Broilers

G.M. Kim, S. K. Lee, S. Y. Ko, M. E. Hossain, H. J. Sim , C. J. Yang

Dept.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Sunchon National University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ate the effects of Taeksa (Alisma canaliculatum) in growth performance, carcass composition, fatty acid composition and lipid oxidation of broilers. A total of 140 broiler (Ross) chicks were assigned to 4 dietary treatments for 5 weeks in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The four dietary treatments were control, antibiotic(0.003% CTC), Taeksa 0.25% and Taeksa 0.5%. Results revealed that the feed intake was lower in finishing and total period compare with control but the FCR of additive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d among each other. Moisture and crude fat content of meat were decreased and crude protein content was increased in Taeksa 0.25% and Taeksa 0.5% compared with antibiotic group. Cholesterol content and fecal E. coli number were not differed among the treatments. Thiobarbituric acid values were not differed among the treatments, whereas pancreas and large intestine weight were decreased in the additive groups. Among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meat, SFA was decreased but PUFA was increased in Taeksa 0.5% group while, USFA and their ratio were lower in Taeksa 0.25% group. It is concluded from the study that 0.25 to 0.5% Taeksa would be added to the broiler diet as a feed additive.

Key words : Alisma canaliculatum, Cornus officinalis probiotics, growth, oxidation, broiler

PF11023 A Study of the Manufacture of Enviroment- friendly Feed Additive Using Taeksa (Alisma canaliculatum) for Livestock

S. K. Lee, S. Y. Ko, M. E. Hossain, G. M. Kim, Y. J. Kim, C. J. Yang

Dept.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Sunchon National University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select appropriate microbial strains for Taeksa (Alisma canaliculatum) probiotic production and examine their tolerance to acid, bile, and heat. A total of 16 strains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Lactobacillus plantarum, Enterococcus faecium, Bacillus subtilis, Bacillus coagulans,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from Korean Collection for Type Cultures (KCTC) were evaluated in this experiment. The strains were first tested for acid and bile tolerance and the higher tolerance strains were subsequently analyzed for heat tolerance. Among the tested strains, L. acidophilus (KCTC 3111), L. acidophilus (KCTC 3146), L. acidophilus (KCTC 3150), L. plantarum (KCTC 3104), E. faecium (KCTC 2022), B. subtilis (KCTC 3239), B. coagulans (KCTC 1015), S. cerevisiae (KCTC 7915) and S. cerevisiae (KCTC 7928) which displayed a high tolerance to acid and bile were selected for heat tolerance test. L. acidophilus (KCTC 3111), E. faecium (KCTC 2022), B. subtilis (KCTC 3239) and S. cerevisiae (KCTC 7928) which had higher tolerance in acid, bile and heat were finally selected for making fermented Taeksa probiotics. Associative inoculation of Taeksa probiotics with E. coli S93 F5 and S99 LT showed that the numbers of E. coli were increased after 3 hours of inoculation and then decreased gradually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of E. coli. In conclusion, the multi-strain Taeksa probiotics tested exhibited a high tolerance to acid, bile, and heat, and had an inhibitory effect on E. coli proliferation.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aeksa probiotics may provide a viable substitute for antibiotics in livestock feed.

Key words : Alisma canaliculatum, probiotics, acid, bile, heat, E. coli

PF11024 현미 함유 반려견 사료의 기호성 개선 효과 홍경희1, 김경훈1, 이상락3, 장주송2, 지상윤1, 옥지운1, 이강연1 , 이경원1

1국립축산과학원 영양생리팀, 2CJ 제일제당주식회사, 3건국대학교 동물자원과학과 본 연구는 반려견 사료에 현미를 혼합하였을 때, 기호성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평균 연령 10개월의 Miniature Maltese 8두를 공시하였다. 대조구 사료의 탄수화물원은 wheat flour가 약 50%이었고, 그리고 단백질원은 poultry offal meal, soybeab meal, meat meal 등이 약 33% 구성되었다. 현미 혼합 사료는 wheat flour를 각각 15% 및 30% 대체하였으며, 모든 시험사료의 조단백질과 조지방 함량은 각각 30%, 15% 수준이 되도록 하였다. 모든 실험사료는 extruding하여 급여하였으며, 기호성에 대한 현미의 대체 효과만을 보기 위하여 기호성 개선 목적의 첨가제는 사용하지 않았다. 기호성 평가는 two-pan 방법을 이용하여 4일간 오후 사료급여 시간에 평가 사료의 위치를 바꾸어 급여하였고, 한 시간 후에 각 사료의 잔량을 측정하였다. 평가 1에서는 대조구 사료와 현미 15% 대체 사료를 비교, 평가 2에서는 대조구 사료와 현미 30% 대체 사료를 비교하였다. 평가 1에서 개체별 대조구 사료의 평균 섭취량은 0.0 58.6g, 현미 15% 대체사료는 6.9 56.2g의 변이가 있었으나, 현미 15% 대체 사료의 평균 섭취량은 35.6g으로 대조구 사료 15.9g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P=0.06). 그러나 전체 섭취량에 대한 각 사료의 섭취량 비율을 비교하면 현미 15% 대체 사료가 71.5%로 대조구 사료 28.5%보다 유의성(P<0.05)있게 높았다. 평가 2에서도 개체별 대조구 사료의 평균 섭취량은 0.8 38.5g, 현미 30% 대체사료는 11.3 70.8의 큰 변이를 보였으나, 현미 30% 대체 사료의 평균 섭취량은 37.4g으로 대조구 사료 14.5g보다 유의성(P=0.01) 있게 높았다. 전체 섭취량에 대한 각 사료의 섭취량 비율을 비교에서도 현미 30% 대체 사료가 69.7%로, 대조구 사료 30.3%보다 유의성(P<0.001)있게 높았다.

Key words : 반려견, 현미, 기호성

- 191 -

PF11025 육계 사료 내 클로렐라 첨가급여가 생산성 및 면역력에 미치는 영향강환구, 최희철, 채현석, 강보석, 황보종, 김학규, 나재천, 김동욱, 방한태, 김민지, 허강녕, 박성복, 서옥석

농촌 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금과기능성 식품으로 알려진 클로렐라는 담수 녹조류과에 속하는 미세조류로 담백질 함량이 60%이상이며 CGF(chlorella growth factor)라는 성장촉진용 생리활성물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면역력 개선 등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필수아미노산을 비롯하여 비타민, 미네랄 등 다양한 영양소를 함유한다. 하지만 현재까지 고가라는 문제로 사람에게만 이용됐을 뿐 축산업에 이용은 매우 어려웠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이러한 클로렐라를 축산에 적용할 수 있도록 경제적 측면에서 고려하여 제조된 발효클로렐라를 이용하여 육계 사료 내 급여 하였을 때 생산성 및 면역력 개선에 대한 효과를 검증 하고자 시험을 실시하였다. 처리구는 무항생제처리구, 항생제처리구 및 발효클로렐라 처리구로 나누어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 결과 증체량은 무항생제처리구와 비교 시 6%의 증체량이 개선되었으며 면역력 역시 무항생제 처리구와 비교시 발효클로렐라 처리구에서 9% 가 개선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장내 미생물 중 유산균의 수를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결과적으로 면역력 및 장내 환경 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향후 축산업에 클로렐라의 이용가능성을 시사하는 결과로 사료되며 향후 더 많은 연구가 이루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 words : 클로렐라, 육계, 면역력, 생산성, 장내 미생물

PF11026 Effect of sex and dietary organic zinc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skin andcarcass quality of broiler chicks

H. M. Salim1,2, H. K. Kang2, H.R.Lee1, N.Akter1,2, C.Jo1, S.K.Lee1 and B.D.Lee1

1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305-764, Republic of Korea,2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Cheonan, Republic of Korea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sex and lower levels of dietary organic zinc (OZ)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and skin and carcass quality of broiler chicks. For this experiment, 120 each of 1-d-old male and female broiler chicks (Cobb × Cobb) were allotted to two dietary levels of OZ (2 × 2 factorial) with 6 replicates per treatment, and 20 birds per replicate. The OZ supplementation levels were 0 and 25 mg/kg. During the 5-wk experimental period, feed and water were provided adlibitum. Growth performance, skin and car cass quality and tissue zinc content were evaluated. Results showed that, OZ supplementation did not affect the growth performance of male and female broiler chicks, but the male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0.05) growth performance than females. Similarly, OZ supplementation did not affect the thickness of both back and thigh skin of male and female broilers; however, male had thicker skin than females. Dietary OZ supplementation did not affect the collagen contents in skin and meat samples. Male broilers had higher skin collagen contents than females, but no sex difference was found in meat collagen contents. Lower levels of OZ supplementation did not affect the shear force values of skin and meat samples. Male broilers had higher shear force values of back skin than females, but not in the meat samples. Dietary OZ supplementation increased (P<0.05) the thigh meat zinc content in both sexes. It is concluded that lower levels of dietary OZ supplementation have no effect on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quality of broiler chicks except zinc content in the thigh meat. Male broilers have better growth performance and skin quality than females.

Key words: organic zinc, growth performance, skin quality, sex, broiler chicks

PF11027 Effect of Taeksa (Alisma canaliculatum) Probiotics Feeding on the Growth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in Pigs

S. K. Lee, S. Y. Ko, M. E. Hossain, H. Ji, H. S. Moon, C.J. Yang

Dept.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Sunchon National University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ate the effects of Taeksa probiotics on the growth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s, fatty acid composition and lipid oxidation in pigs. A total of 84 crossbreed finishing pigs with average 46 kg of body weight were assigned to 3 dietary treatments for 10 weeks in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The three dietary treatments were control, Teksa probiotics 0.5% and Teksa probiotics 1.0%. Results revealed that weight gain and FCR were improved (P<0.05) after 6 weeks of study but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no differences were found. E. coli number was increased in the additives group as compare with control. Carcass characters and cholesterol content of meat were not differed (P>0.05) by the addition of Teksa to the feed. Moisture content of meat was decreased in Teksa 0.5% probiotics group but the other parameters were not different. Among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meat, palmitic acid was increased in the Teksa 1.0% probiotics group whereas, eicosenoic acid was increased and DHA was decreased in the additive group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eksa probiotics would be added to the grower pig diet as a feed additive.

Key words : Alisma canaliculatum, probiotics, growth, composition, fatty acid, pig

- 192 -

PF11028 Effect of Taeksa(Alisma canaliculatum) Probiotics Feeding on the Growth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in Broilers

S. K. Lee, S. Y. Ko, G.M. Kim, M. E. Hossain, H. J, Jo, C.J. Yang

Dept.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Sunchon National University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ate the effects of Taeksa probiotics on the growth performance, carcass composition, internal organ development and lipid oxidation of broilers. A total of 140 Ross broiler chicks were assigned to 4 dietary treatments for 5 weeks in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The four dietary treatments were control, antibiotic (0.003% CTC), Taeksa probiotics 0.5% and Taeksa probiotics 1.0%. Results indicated that the feed intake and FCR were higher in the Taeksa probiotics 0.5% group as compare to antibiotic group. among the treatments. Moisture and crude ash content of the supplemented groups were lower, but crude protein content was not changed. By the addition of Taeksa fecal E. coli number was deceased as compare to control. TBA values were decreased in the Taeksa probiotics group when compare to the control. Gizzard weight was increased in both the supplemented groups, whereas kidney weight was decreased and proventriculus weight was increased in Taeksa probiotics 1.0% group. It is concluded from the study that addition of Taeksa probiotics at 0.5% to 1.0% level had no major adverse effect on the parameter tested and would be added to the broiler diet as feed additive.Key words : Taeksa, probiotics, growth, oxidation, broiler

PF11029 두부부산물 위주 사료의 발효과정 중 성분 및 미생물 균총 변화추교문1, 강석남1, 김회윤2, 김종현2, 하지희2, 이성실3, 이신자3, 신년학3, 이성대4, 송영민2

1경남과학기술대학교 양돈과학기술센터, 2경남과학기술대학교 동물소재공학과,3경상대학교 동물생명과학과, 4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 양돈과

본 연구는 식품 부산물로 생산되는 두부부산물을 양돈용 사료원료로 사용하고자 발효를 실시하였고, 실험사료 중의 원료는 두부부산물, 옥수수 및 대두박을 사용하였으며, 실험사료는 한국사양표준의 영양소 요구량에 부합하도록 배합하였다. 배합된 실험사료에 0.5% 생균제와 0.5% 효소제를 첨가하여 37 에서 0, 3, 6, 10, 15 및 20일 간 혐기적 상태에서 발효하였고, 기간별로 시료를 채취하여 미생물 균총을 분석하였으며 발효 개시시 및 종료시의 시료에서는 일반성분을 분석하였다. 발효기간이 경과할수록 pH, 효모(yeast)수 및 곰팡이(fungi)수는 감소하였고, 일반세균(total bacteria) 및 유산균(Lactobacillus) 수는 증가하였다. 발효 3일 이후부터 pH, 효모, 곰팡이 및 대장균 수는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P<0.05) 낮았고, 처리구의 유산균 수는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P<0.05) 높았다. 발효 종료시의 단백질 함량은 발효개시시 보다 유의적으로 (P<0.05)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두부부산물 위주의 원료에 생균제와 효소제를 동시에 첨가하여 37 에서 최소 3일간 이상의 발효를 하여야 유익균이 증가하고 유해균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이로 인하여 단백질의 함량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Key words : by-products, fermented diet, growth performance, king oyster mushroom, pigs.

PF11030 막걸리 부산물 위주 사료의 발효과정 중 성분 및 미생물 균총 변화추교문1, 강석남1, 김회윤2, 김종현2, 하지희2, 이성실3, 이신자3, 신년학3, 이성대4, 송영민2

1경남과학기술대학교 양돈과학기술센터, 2경남과학기술대학교 동물소재공학과,3경상대학교 동물생명과학과, 4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 양돈과

본 연구는 식품 부산물로 생산되는 막걸리 부산물을 양돈용 사료원료로 사용하고자 발효를 실시하였고, 실험사료 중의 원료는 막걸리 부산물, 옥수수 및 대두박을 사용하였으며, 실험사료는 한국사양표준의 영양소 요구량에 부합하도록 배합하였다. 배합된 실험사료에 0.5% 생균제와 0.5% 효소제를 첨가하여 37 에서 20일간 혐기적 상태에서 발효하였고, 발효 개시시(0일) 및 발효 종료시(20일)에 시료를 채취하여 미생물 균총 및 일반성분 함량을 분석하였다. 발효 종료시의 pH, 효모(yeast)수 및 곰팡이(fungi)수는 발효 개시시 보다 유의적으로(P<0.05) 감소하였고, 발효 종료시의 일반세균(total bacteria) 및 유산균(Lactobacillus) 수는 발효 개시시 보다 유의적으로(P<0.05) 증가하였다. 또한. 발효 종료시의 단백질 함량은 발효개시시 보다 유의적으로 (P<0.05) 높았고, 조섬유의 함량은 유의적으로(P<0.05) 낮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막걸리 부산물 위주의 원료에 생균제와 효소제를 동시에 첨가하여 37 에서 20일 발효 시켰을 때, 유익균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이로 인하여 조섬유의 함량이 감소하고, 단백질의 함량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Key words : by-products, fermented diet, growth performance, king oyster mushroom, pigs.

- 193 -

PF11031 사료 내 유,무기산 및 복합유기산의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박성복,나재천,채현석, 방한태, 강환구, 김동욱, 김민지, 최희철, 서옥석, 정현정1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금과, 1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양돈과 우리나라는 ’05년부터 배합사료용 항생제 허용품목을 단계적으로 감축하여 2011년 7월부터는 사료 내 항생제 사용이 전면 금지되는데, 사료첨가제로 이용되는 유기산은 위장의 pH를 낮추고 장내 단백질 분해 및 영양소 소화율을 개선시키고 유해세균의 증식을 감소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acetic acid, lactic acid, citric acid, propionic acid, formic acid, fumaric acid 등이 사용되고 있다. 현재 국내에는 항생제 대체제로서 수많은 유기산 및 무기산이 사용되고 있는데, 본 시험은 육계 사료 내 유, 무기산 및 복합유기산의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구는 항생제 첨가구(C), citric acid 0.5% 첨가구(T1), 유기산+무기산 0.4% 첨가구(T2), 복합유기산 1.0% 첨가구(T3)로 배치하여, 처리당 3반복, 반복당 35수씩 총 420수를 공시하였으며, 5주간 평사에서 수행하였다. 시험결과 체중 및 증체량은 모든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었으며(P<0.05), 사료요구율은 대조구가 모든 처리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혈액의 Total cholesterol에서는 처리구간에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유기산+무기산 0.4% 첨가구(T2)와 복합유기산 1.0% 첨가구(T3)가 대조구(C)에 비해 다소 낮은 경향을 보였다. 또한 AST 함량에서는 대조구에 비하여 유기산+무기산 0.4% 첨가구(T2)와 복합유기산 1.0% 첨가구(T3)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Key words : 육계, 생산성, 유기산, 무기산, 혈액

PF11032 Efficacy of Fermented King Oyster Mushroom (Pleurotus eryngii) By-Products Diet on Growth Performanceand Carcass Traits in Fattening Pigs

Y. M. Song1, J. H. Kim1, H. Y. Kim1, J. H. Ha1, M. H. Park2, C. H. Kim1, S. D. Lee3, I. C. Kim3, G. M. Chu2

1Gyeongnam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Jinju, 2Dukcheon Farm, Hadong,3Swine Science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Cheona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ermented king oyster mushroom (P. eryngii) by-product diet on the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traits in fattening pigs. The fermented diet mainly contained 40.0% king oyster mushroom by-product, 20.0% corn, 28.0% soybean meal, 0.1% supplemental probiotics and 0.08% cellulase. The mixed ingredients were fermented for 1 day at 37°C followed by 9 days at room temperature. Pigs (n=96) were divided into 8 heads per pen, 4 groups and 3 replications. The basal diet (C) was substituted by 20% (T1), 50% (T2) and 80% (T3) of fermented king oyster mushroom by-product diet. Crude protein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at the end of fermentation days compared with the initial day. Average daily weight gain and feed efficiency were significantly lower (P<0.05) in T3 than in C. Carcass grade was significantly better (P<0.05) in the pigs fed fermented diet than pigs fed control diet and the ratio of high grade was higher in the fermented diet group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refore, although a dietary of fermented king oyster mushroom by-product diet decreased growth performance, it improved the carcass grade in fattening pigs.

Key words : by-products, fermented diet, growth performance, king oyster mushroom, pigs.

PF11033 Effects of Fermented King Oyster Mushroom (Pleurotus eryngii) By-Products Diet on theMeat Quality Characteristics in Fattening Pigs

Y. M. Song1, J. H. Kim1, H. Y. Kim1, J. H. Ha1, M. H. Park2, C. H. Kim1, S. D. Lee3,I. C. Kim3 S. N. Kang2, G. M. Chu2

1Gyeongnam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Jinju, 2Dukcheon Farm, Hadong,3Swine Science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Cheonan

This study was carried out so 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ermented king oyster mushroom (Pleurotus eryngii) by-products diet on meat quality characteristics and oxidations during storage periods in fattening pigs. The fermented diet mainly contained 40.0% king oyster mushroom by-products, 28.0% soybean meal and 20.0% corn and ingredients was fermented for 10 days. The basal diet for control was substituted by 20%, 50% and 80% fermented diet. The backfat thickness, Warner-Bratzler shear forces (WBSF) and cooking loss were lower in treatments than in control. Crude protein concentration and water hold capacity (WHC) were higher in treatments than in control. The protein oxidation (volatile basic nitrogen; VBN) at storage 1 period was lower in treatments than in control. However, the texture profile analysis (TPA) and sensory evaluation were not differs between control and treatments. The pH, lipid oxidation, protein oxidation and meat color (lightness, yellowness and Chroma) in all treatments increased by the storage period elapsed. Therefore, dietary of fermented king oyster mushroom by-product diets influenced meat quality parameters, such as crude protein concentration, fatty acid composition, cooking loss, WBSF, WHC and protein oxidation of longissimus doris in fattening pigs.

Key words : by-products, fermented diet, king oyster mushroom, meat quality, pigs.

- 194 -

PF11034 Use of Cornelian Cherry (Cornus officinalis) Probiotics as a Feed Additive for BroilerM. E. Hossain, G. M. Kim and C. J. Yang

Department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Sunchon National UniversityA trial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cornelian cherry (Cornus officinalis) probiotics on the growth performances, meat composition, internal organ development, oxidative stability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broilers. Sixteen probiotic strains were tested for acid, bile and heat tolerance, and among them Lactobacillus acidophilus KCTC 3111, Enterococcus faecium KCTC 2022, Bacillus subtilis KCTC 3239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KCTC 7928 were selected for making cornelian cherry probiotics. One hundred forty Ross broiler chicks had been arranged for a period of 5 weeks to 4 dietary groups: NC (basal diet), PC (basal diet+0.005% oxytetracycline), CCP-0.5% (basal diet+0.5% cornelian cherry probiotics), CCP-1.0% (basal diet+1% cornelian cherry probiotics). The results indicated that growth performances were not affected by the addition of cornelian cherry probiotics except FCR at 0-3 weeks. Proximate composition of breast meat was not significant, but crude ash content of thigh mea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CCP groups compare to PC group. Thigh meat weight and percentage in relation to body weight were increased in CCP-0.5% group compare to PC group. Gizzard and pancreas weight were increased by the higher level of cornelian cherry probiotics(CCP-1.0%), whereas large intestine was decreased in both the groups compare to control. Supplemented groups showed a significant reduction of thiobarbituric acid values in both breast and thigh meat as compare to control group. Among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breast meat, CCP groups had higher MUFA and lower PUFA, n3 and n6 contents compare to the PC group. In thigh meat, MUFA content was also increased, but SFA, PUFA, n3 and n6 contents were decreased, which resulted in higher n6/n3 ratio in CCP groups. It is suggested from the study that lower level of CCP could be incorporated to broiler diet as an alternative feed additive.Key words : Cornelian cherry, probiotics, feed additive, broiler

PF11035 The Effects of Light Emitting Diode(LED) Color on Performance, Ovarian Morphology and Reproductive Hormone Levels in Hy-Line Brown Strain

Md Rakibul Hassan1, Yong dae Jeong1, Jongoh Oh2, Jae Yong Park2 and Kyeong Seon Ryu1

1Department of animal scienc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561-756, Korea2Taejong C&I, KOPTI 1708, 971-35 Wolchul-dong, Buk-gu, Gwangju 500-779, Korea

The effects of light emmiting diode (LED) color on performance, ovarian morphology and reproductive hormone levels in Hy-Line brown strain. At 12 wks of age, 600 pulle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8 treatments group with 3replications having 25 birds in each group and were assigned to 24 light proof rooms (Red R, 618-635nm, Green G, 515-535nm, Blue B, 455-470nm and combination of Red-Green (RG), Red-Blue (RB), Red-Green-Blue (RGB) and Red-Blue-Green (RBG), where incandescentlight (W) as a control. Pullets were reared following Hy-Line brown guidelines and all light sources were equalized to a light intensity of 17 lux and applied 10h from 12 wks and stepwise increase per week and reached 16h(R 16h, G 16h, B 16h, RG&RB 14:2h; RGB&RBG 12:2:2h) in 23 wks of age.After the first oviposition, 3 birds per treatment was dissected and oviduct, ovary, stroma and ovarian follicles were weighed, counted and divided according to size. Follicular stimulating hormone (FSH) and Estradiol (E2) were measured fromplasma by radioimmunoassay. The result showed that the overall average egg production (20-34 wks) was higher in G light (81.22%) followed by W, RG, B, RGB, RBG, RB and R, where lowest egg production was found in Red lighting condition but the effect was non-significant. Though, the first three weeks (20, 21 and 22 wks) egg production was higher in RB light treatment group. The light color affected ovary, oviduct, total large yellow follicle and largest yellow follicle weight which werenon-significantly higher in RB group. Different follicle size and number also non-significantly affect on light color but RB color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number of follicle (2-3 mm diameter). The light color affected on ovary development, as birds with the RG exposure had lower ovary weights and fewer LYF in RBG than did RB birds, suggesting that the RB group come 7 days later sexual maturation. Consequently, small yellow follicle number was significantly higher in Red and Blue light color. Follicular stimulating hormone (FSH) and Estradiol (E2)concentration was also non-significantly effect on LED light color but higher FSH & E2 concentration obtained in RG and Red lighting color respectively. Though this is ongoing trial, but the result suggested that green light stimulates egg production.Key words : laying hens, LED wave, performance, ovary size, reproductive hormones

PF11036 Effects of Feeding Anthocyanin Fortified Barley and Whole Crop Barley on the Performance, Meat Qualtiy, Organ Weight and Blood Composition in Broilers

MD Rakiul Hassan1, Yong dae Jeong1, Tae Il Park2, Tae Hwa Song2, Ouk Kyu Han2, Kyeong Seon Ryu1

1Department of Animal Scienc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561-756, Korea2Rice and Winter Cereal Crop, NICS, RDA, Iksan 570-080, Korea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feeding anthocyanin fortified barley (AFB) and whole crop barley (WCB) on the performance, meat qualtiy, organ weight and blood composition in broilers. A total of 320, 1 day old chickens were subjected to the test and grouped as control, 5 and 10% formulated AFB and WCB feed treatment with the basal diet. The diet is prepared to divide starter (CP, 22%; ME, 3,100 kcal/kg) and finisher (CP, 20%; ME, 3,100 kcal/kg). For the starting period, weight gain was increased in AFB 5 and 10% than WCB 5 and 10% (P<0.05). No difference was found in feed intake and Feed conversion. For the finishing period, weight gain and feed conversion were no difference, but feed intake was decreased in AFB 5 and WCB 5, 10% than the control (P<0.05). For the whole period, weight gain and feed intake were increased in control, AFB 5 and 10% to compare WCB 5 and 10% (P<0.05). But feed conversio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Shear force tended to be lower in AFB and WCB treatments than the control. Meat color and pH was no difference. but, cooking loss was higher in WCB 5% to compare AFB 5 and 10%. Total protein in blood was increased in AFB 5% than the other treatments and control (P<0.05). Albumin was increased in AFB 5 and 10% than the control and WCB 5% (P<0.05). In the organ weight, liver was higher in WCB 10% than the other treatments and control (P<0.05). Spleen and fabricius bursa tended to be increased in treatment to compare control. As the results suggest, AFB could be able to utilize as a feed ingredient.Key words : broiler, anthocyanin fortified barley, whole crop barley, performance, meat quality, organ weight blood composition

- 195 -

PF11037 Effect of Feeding Colored Barely and Whole Crop Barley on Performance and Egg Quality in Laying Hens

Kyeong Seon Ryu1, Yong dae Jeong1, Tae Il Park2, Tae Hwa Song2, Ouk Kyu Han2 and Myoung Ja Youn1 1 Department of Animal Scienc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561-756, Korea

2 Rice and Winter Cereal Crop, NICS, RDA, Iksan 570-080, Korea

This experiment was performed to search the possibility of using whole crop barley (WCB) and colored barley (CB) as a feed ingredients in the laying hen diet. A total of three hundred sixty Hy-line Brown laying hen (age 31 weeks) were allocated to five treatment (control, CB 10, 20% and WCB 10, 20%) with four replicates having 18 birds in each group for 4 weeks trial. Egg production and egg mas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control and WCB 10% treatment compared to the CB 20% and WCB 20% treatment (p<0.05). Egg weigh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control and treatments. Feed intake was statistically decreased in the CB 20% and WCB 20% treatment than that of the control, CB 10% and WCB 10% treatment (p<0.05). However, feed conversion ratio was not different among the control and treatments. Egg shell color, albumin height and haugh unit were slightly higher but not significant in CB and WCB treatments than that of control (p>0.05). Yolk color was greatly grew in WCB 20% treatment compared to control, CB 10% and WCB 10% treatment, but, the yolk color of control group was significantly reduced than the other treatments (p<0.05). Egg shell breaking strength was extremely fortified in WCB 20% treatment than that of the control and WCB 20% treatment (p<0.05). The above results indicated that productivity and egg quality was slightly difference by changing the CB and WCB level in the diet. Thus CB and WCB were the possible source of feed ingredients in the laying hen diet.

Key words : laying hens, colored barley, whole crop barley, performance, egg quality

PF11038 Effect of Different Litter and Stock Density on Productivity, Blood Composition and Meat Quality in Crossbred Chicks with Korean Native Chicks.

Kyeong Seon Ryu1, Hee Cheol Choi2, Jae Cheon Na2 and Yong dae Jeong1

1Department of Animal Scienc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561-756, Korea2Poultry Science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Cheonan 331-801, Korea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fferent litter and stock density on productivity, blood composition in commercially crossbred chicks with korean native chick. The experimental design was 3×3 factorial to consist litter (sand, palm husk, rice hull) and stock density (15, 18, 21/1.41 m2). A total of 648 1day old birds was used in the 14 weeks. In the 0-5 wks, weight gain was increased in the sand and rice hull treatments than the palm husk treatment (P<0.05). Feed intake was increased in sand and 21/1.41 m2 treatment than the others (P<0.05). FCR was significantly lower in 18/1.41 m2 treatment than 15 and 21/1.41 m2

treatments (P<0.05). In the 6-10 weeks, weight gain was not differ among litter and stock density treatments. Feed intake and FCR was improved in the palm, rice hull treatment and 18 /1.41 m2 treatment (P<0.05). In the 11-14 weeks, Weight gain and FCR was not differ among litter and stock density treatments. But feed intake was decreased in the 21/1.41 m2 treatment than the 15 and 18/1.41 m2 treatments (P<0.05). The total protein, albumin, glucose, total cholesterol content was not statistically differ in the litter and stock density treatments. But, interaction effect of albumin and glucose was exited between litter and stock density (P<0.05). The pH was higher in the rice hull treatment than the palm husk treatment (P<0.05). Cooking loss was decreased in the rice hull treatment to compare the other treatments (P<0.05). Lightness in the breast muscle was higher in the sand and 21 bird/1.41 m2

treatment than the other treatment and was showed to interaction effect between litter and stock density (P<0.05). The various litter and stock density was not influenced in the gizzard development. Therefore, the litter and stock density of commercially crossbred chicks with korean native chick was palm husk and 18 bird / 1.41 m.

Key words : crossbred chicks, litter, stock density, productivity, blood composition, meat quality

PF11039 Laying Performance, Egg Quality and Body Weight of Hens Reared in three housing systems

Yong dae Jeong1, Hee Cheol Choi2, Jae Cheon Na2, Kyeong Seon Ryu1

1Department of Animal Scienc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561-756, Korea2Poultry Science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Cheonan 331-801, Korea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aring three-type of housing system (battery cage, BC; aviary system, AS; floor system, FS) on body weight, laying performance and egg quality in hens. A total of 375, 12 weeks old Hy-Line brown hens was prepared and assigned to 125 birds with five replications in each housing systems. For growing periods (12-18 weeks), body weight of pullets in BC was continuously higher than AS and FS. Though body weight of pullets in AS was lower until 14weeks but increased than FS from 15 weeks. Age at first laying was faster in BC than AS and FS. Egg production per week in BC was rapidly increased than the AS and FS. The weekly egg production was lower in FS than BC and AS, but that was increased from 26 weeks to compare AS. Egg shell color was improved FS than AS and BC. Albumin height, haugh unit and yolk color was not different among the housing systems. Egg shell breaking strength was increased in FS than BC. Linoleic acid was increased in AS than FS and BC, but Linolenic acid was higher in FS than AS and BC. Economic life of laying hen have 60 weeks or more. Therefore, current trial will perform at least 60 weeks.

Key words : laying hens, housing systems, performance, egg quality, body weight

- 196 -

PF11040 Effect of Feeding Complex probiotics, Fermented Processed sulfur and Red Ginseng Byproducts on Laying Performance, Egg quality and Blood Composition in Laying Hens.

Yong dae Jeong and Kyeong Seon Ryu

Department of Animal Scienc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561-756, Kore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eeding complex probiotics, fermented processed sulfur and red ginseng byproducts on laying performance, egg quality and blood composition in laying hens. A total of 360, forty-four weeks old Hy-Line brown laying hens were allocated to four treatments with control of 80 birds in each. Complex probiotics (CP), fermented processed sulfur (FPS) and fermented red ginseng byproducts (FRGB) were added to 0.1% in basal diet. Feed intake was decreased in CP than control (P<0.05). Egg production, weight, mass and feed conversion was not different among the treatments, but tended to improve intreatments to compare that of control. GOP and HDL-cholesterol in blood was non significant among the treatments.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were lower in FRGB than control and CP (P<0.05). Physical quality of egg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ce. Total saturated fatty acids in egg yolk tended to be decreased in treatment than the control. Total unsaturated fatty acid was presented against results of total saturated fatty acid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supplementation of FRGB may improve laying performance and lipid metabolism.

Key words : laying hens, complex probiotics, fermented red ginseng byproducts, fermented processed sulfur, performance, egg quality, blood composition

PF11041 클로렐라 및 클로렐라 성장 인자의 급여가 육계의 성장성적 및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김관응1, 김홍래1, 오성택1, 정란1, 최영인1, 전진영2, 안병기1, 강창원1

1건국대학교 동물생명과학대학, 2(주)대상 웰라이프 중앙연구소본 실험에서는 사료내 클로렐라 및 클로렐라 성장인자(CGF)의 수준별 급여가 육계에서 성장성적, 항체 생성 및 생리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1일령 Ross 육계 수평아리 1,050수를 공시하여 각 처리구별 150수씩 완전임의 배치하였고, 항생제를 첨가하거나(Positive control, PC) 첨가하지 않은 기초사료(Negative control, NC)에 클로렐라를 0.05, 0.15 또는 0.5%, CGF는 0.05% 및 0.15% 각각 첨가하여 전체 7개 처리구에 5반복으로 구성하였다. 실험 전 기간의 사료요구율은 PC, 클로렐라 0.15%, 클로렐라 0.5%와 CGF 0.05% 첨가구에서 NC에 비해 개선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장내 암모니아 농도와 계육의 물리, 화학적 특성에서는 처리간에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NDV와 IBV 항체가 모두에서 대조구에 비해 클로렐라 및 CGF를 급여한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차는 없었으나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혈중 IgG 및 IgM 수준은 클로렐라 첨가구에서 유의하게 증가하거나(p<0.05),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Key words : 클로렐라, CGF, 육계, 성장 성적, 면역반응

PF11042 Ileal digestibility of amino acids in meat meal fed to pigs

Beob Gyun Kim1, Hyo Kon Kang1, Jie-Heung Woo2, and Kyoung Hoon Kim2

1Department of Animal Science and Environment, Konkuk University, Seoul 143-701, Korea2Animal Nutrition and Physiology Team,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Suwon 441-706, Korea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standardized ileal digestibility (SID) of amino acids (AA) in meat meal (MM) and soybean meal (SBM). The source of MM used contained approximately 64.1% crude protein (CP), 3.45% Lys, 1.07% Met, 0.56% Cys, and 1.98% Thr. Six barrows were surgically fitted with a T-cannula each in the distal ileum. Animals with mean initial body weight of 66.9 kg (SD = 3.8) were alloted to a replicated 3 × 3 balanced Latin square design with 3 diets and 3 periods. Two diets based on test ingredients as the sole source of AA were prepared. A nitrogen-free diet was also prepared to measure basal endogenous losses of AA. Pigs were individually housed in crates equipped with a feeder and a nipple waterer. Diets were provided to pigs twice a day, and water was freely available at all times. During each period, ileal digesta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cannula for 9 hours on days 6 and 7 after 5 days of adaptation. The SID of CP and AA were less (P < 0.01) in MM than in SBM (CP, 63.5 vs. 88.8%; Lys, 65.1 vs. 86.7%; Met, 79.2 vs. 92.8%; Cys, 43.5 vs. 83.6%; Thr, 65.9 vs. 88.7%). In conclusion, MM contains greater AA concentrations than SBM, but AA in MM are less digestible than those in SBM.

Key words : amino acid, ileal digestibility, meat meal, pigs

- 197 -

PF11043 Energy concentration and phosphorus digestibility in meat meal, fish meal, and soybean meal fed to pigs

Beob Gyun Kim1, Han-Bip Sim2 and Kyoung Hoon Kim2

1Department of Animal Science and Environment, Konkuk University, Seoul 143-701, Korea2Animal Nutrition and Physiology Team,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Suwon 441-706, Korea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DE concentration and standardized total tract digestibility (STTD) of phosphorus (P) in meat meal (MM), fish meal (FM), and soybean meal (SBM) fed to growing pigs. The concentration of DM, GE, and P was 96.5%, 4,400 kcal/kg, and 3.76% in MM; 92.2%, 4,445 kcal/kg, and 2.73% in FM; 87.7%, 4,204 kcal/kg, and 0.64% in SBM. The DE values in test ingredients were measured using 24 growing barrows with initial BW of 77.7 kg (SD = 8.3). A corn-based diet and 3 diets containing corn and 22 to 30% of each test ingredient were prepared. The difference procedure was used to calculate values for DE in each ingredient. The DE values in FM (3,798 kcal/kg) and SBM (3,851 kcal/kg) were greater (P < 0.05) than the DE in corn (3,443 kcal/kg) and MM (3,194 kcal/kg). The STTD of P in the 3 test ingredients was measured using 24 barrows (90.9 ± 6.6 kg BW) that were placed in metabolism cages. Three diets were formulated to contain each test ingredient as the sole source of P, and a P-free diet was also prepared to estimate the basal endogenous loss of P. Fish meal (64.3%) had greater (P < 0.05) STTD of P than SBM (44.8%) with FM (55.8%) having intermediate STTD of P. In conclusion, FM contains a less concentration of DE than FM and SBM, and the STTD of P in FM is not different from the STTD of P in FM or SBM.

Key words : digestible energy, phosphorus digestibility, meat meal, pigs

PF11044 The dietary effects of fermented Chlorella vulgaris (CBT®) on egg performance, intestinal microflora andliver lipids in laying hens

L. Zheng1, S. T. Oh1, J. H. Kim1, J. G. Yun1, J. Y. Jun2, B. H. Moon3, B. K. An1, C. W. Kang1

1College of Animal Bioscience and Technology, Konkuk University,2Daesang Welllife Co., Ltd, 3Celltech Co., Ltd

Fermented Chlorella vulgaris CBT® was evaluated for its effect on egg production, egg quality, intestinal microflora and liver lipids in laying hens. Hy-line brown layers (n=108), 80 wk of age, were randomly divided into 3 groups (control diet devoid of CBT®, and diet with 0.1% or 0.2% CBT®) for 42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feed intake and egg production among groups. Egg yolk color and Haugh unit in group fed diet with 0.2% CBT® were significantly improved than control (P<0.05). The results also showed improvements in CBT® group, including increases in the numbers of cecal lactic acid bacteria and decreases in cecal ammonia concentration (P<0.05). The contents of hepatic triacylglycerol in groups fed diets with CBT® were significantly reduced than that of control (P<0.05).

Key words : fermented chlorella, egg yolk color, cecal microflora, cecal ammonia, hepatic triacylglycerol, laying hens

PF11045 암 수 분리사육과 사료의 대사에너지 수준 그리고 깔짚의 차이가 토종닭의 성장 능력에 미치는 영향이명호, 이준엽, 케오하봉 분미, 카이카이밍, 무사비르아메드, 김동명, 이시정, 오상집

강원대학교 동물생명과학대학본 연구는 암 수 분리사육과 사료의 대사에너지 수준 그리고 깔집의 차이가 토종닭의 사료섭취량, 증체량, 사료요구율 그리고 영양소이용률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시험 동물로는 토종닭(한협3호)병아리 848수를 공시하였고, 10일간 초이사료를 급여 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설계는 3가지 요인을 암 수 분리, 대사에너지수준, 깔짚의 종류를 달리하여 총 8처리를 요인분석을 위해 처리당 4반복 반복당 수컷은 25수, 암컷은 28수씩 배치하였다. 사료는 전기(10~40일령)), 후기(40~70일령)로 나누어 급이 하였다. 점등관리는 16L/8D로 하였고, 조도는 15lux로 하였다. 성장능력은 15일 간격으로 조사하였다. 사양시험 결과 증체량은 26~40일령을 제외한 전 기간에서 수컷이 암컷에 비해 높은(P<0.05) 결과를 나타내었지만, 대사에너지 수준에 따른 증체량은 26~40일령에서만 대사에너지 수준이 높은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은(P<0.05) 결과를 나타내었다. 깔짚에 따른 증체량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사료섭취량은 수컷이 암컷에 비해 실험 전 기간에 걸쳐 높은(P<0.05) 결과를 나타내었고, 깔짚과 대사에너지 수준에 의한 차이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사료요구율의 경우 실험 전 기간 모두 수컷과 암컷이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10~40일령에 대사에너지 수준이 높은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낮은(P<0.05) 결과를 나타내었다. 영양소 이용율은 수컷이 암컷에 비해 CP, EE, Total-CHO이 높게(P<0.05) 나타났고, 깔짚을 왕겨로 하였을 때 CP 이용율이 높은(P<0.05)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대사에너지 수준이 높은 처리구의 조지방 이용율이 낮은(P<0.05) 결과를 나타내었다.

Key words : 토종닭, 대사에너지, 분리사육, 깔짚, 사양성적

- 198 -

PF11046 돈위 내용물의 양돈사료로의 활용가치 평가이명호, 이준엽, 윤석민, 지상윤1, 카이카이밍, 김동명, 이시정, 오상집

강원대학교 동물생명과학대학, 1국립축산과학원본 연구는 돼지 도축전 미절식으로 발생되는 위 내용물(사료)의 양돈 사료로서 잠재적 가치를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도축장에서 도축 후 수거한 위 내용물의 수분함량을 조절하기 위해 기존 배합사료(비육돈용)를 5%, 10%, 15%, 20%씩 혼합하였고, 대조구를 포함하여 총 5처리를 두었으며, 시료 당 5반복을 두어 시험을 실시하였다. 측정항목으로는 희석수준별 실온에서 호기 및 혐기 상태 저장시 기간별 pH와 수분함량의 변화, In vitro digestibility 그리고 기간별 곰팡이독소(aflatoxin, ochratoxin)함량을 측정하였다. 시험 결과 배합사료 혼합수준별 저장 기간에 따른 pH 변화량은 호기 및 혐기 저장시 모두 혼합 수준이 높아질수록 pH가 높아지는 결과(P<0.05)를 나타내었다. 기간별 pH 변화는 호기 상태에서 전체적으로 10일까지는 pH가 높아지다 다시 감소하는 결과(P<0.05)를 나타내었지만, 혐기 상태에서는 기간이 경과할수록 pH가 감소하는 결과(P<0.05)를 나타내었다. 수분함량의 변화는 혼합 수준에 따라서 감소하였지만, 기간별 수분함량의 변화에는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배합사료 혼합수준에 따른 In vitro digestibility는 10% 첨가구가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P<0.05)를 나타내었다. 곰팡이독소 함량은 호기 상태에서 3일, 7일 두 차례에 걸쳐 측정한 결과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P<0.05) 하였으나, 7일 이후에는 대조구가 배합사료 첨가구에 비해 낮은 결과(P<0.05)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돈위 내용물의 높은 수분함량에 따른 물성변화를 평가한 결과 배합사료 참가로 조절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나, 장기간 저장시에는 곰팡이 독소의 함량이 증가하므로 일정기간 내에 양돈사료로 활용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Key words : 비육돈, 사료, 곰팡이독소, 위 내용물, 미절식

PF11047 돈 분뇨 발생 암모니아의 저감을 위한 효율적 흡착제 탐색성하균1, 조성백2, 이상석3, 김형준4

1(주)애드바이오텍, 2축산과학원, 3순천대학교, 4(주)대호소비자들에게 좀 더 가까이 접근할 수 있는 친환경 축산을 위해서는 근본적으로 해결하여야 할 과제로 축사로부터 분뇨 악취를 저감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여러 가지 분뇨악취 성분 중 대표적 성분인 암모니아를 경제적이면서 효율적인 저감제를 발굴하고자 다양한 점토 광물질를 사용하여 그 효능을 비교하였다. 악취 저감 효과는 화학적 암모니아 발생 장치를 이용하여 발행한 암모니아의 량을 측정하여 비교 분석 하였다. 화학적 가스발생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은 암모니아의 농도를 적정하는 방법 중 황산암모늄에 수산화나트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반응하여 암모니아 가스를 발생시켰다.

(NH4)2SO4 + 2NaOH -------> Na2SO4+ 2H2O + 2NH3

이러한 원리로 황산암모늄 2g에 수산화나트륨 용액(0.1N)을 200μl를 첨가하였을 때 약 200ppm의 암모니아 가스 발생을 확인 하였으며, 동일 방법으로 암모니아 발생을 준비하여 점토광물질 첨가에 따른 암모니아 제거 효능을 비교하였다.본 연구를 위하여 경탄칼슘, 맥반석, 벤토나이트, 산화마그네슘, 세라믹파우더, 제오라이트를 0.5% 첨가하여 암모니아 생성량을 비교 하였을 때 대조구에서 암모니아 발생량은 52 ppm이 생성되었으며, 벤토나이트 첨가구에서는 16 ppm 그리고 제오라이트 첨가구에서는 26 ppm으로 대조구에 비하여 낮은 수준으로 감소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상기 사용 원료 중 암모니아를 흡착하여 제거하는 효능은 벤토나이트가 가장 효율적 원료라 사료 된다.

Key words : 점토광물질, 벤토나이트, 제오라이트, 악취, 돈분뇨, 암모니아, 황화수소

PF11048 환삼덩굴 추출물이 병원성 미생물 성장과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서태수, 김거유, 박재인*

강원대학교 동물생명과학대학 동물식품응용과학과환삼덩굴은 삼과에 속하는 덩굴성 1년초로서 혈압강하작용,이뇨작용 등이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식품들이 가지고 있는 항균성, 항돌연변이원성, 항산화성 등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에 자생하는 환삼덩굴을 채취한 후 각종 유기용매(MeOH, EtOH, CHCl3)로 추출하여 병원성 미생물의 성장과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병원성 미생물의 성장억제력 측정 결과 MeOH추출물 0.5%농도에서 Escherichia Coli 6.76±0.24 cfu/mL로 대조군 7.51±0.23 cfu/mL보다 높은 유의적 차이를 보이며, 저지원법 실험 결과 모든 추출물이 4mg/disc농도에서 Listeria monocytogenes에 대해 clear zone을 형성하였다. 항산화 활성 시험은 추출물들을 각각 1,000 /mL, 3,000 /mL, 5,000 /mL의 농도로 희석한 후 항산화 활성검증에 이용하였으며 비교항산화 물질로 Ascorbic acid를 사용하였다. DPPH radical 소거능은 Ascorbic acid보다 낮은 활성을 보였지만 MeOH 추출물 5,000 /mL의 농도에서 1.4526±0.0097로 가장 높은 소거능을 보였고 페놀성화합물함량측정 결과 EtOH추출물에서 115.11±3.76mg/g 가장 많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환원력 측정 결과 MeOH 추출물 5,000 /mL의 농도에서 1.4526±0.0097로 다른 추출물에 비해 높은 환원력을 나타내었고 SOD유사활성은 Ascorbic acid보다 낮은 활성을 보였지만 EtoH 추출물 5,000 /mL의 농도에서 80.47±5.09 /mL로 가장 높은 SOD유사활성을 나타났다. 따라서 본 실험결과를 통하여 병원성 균에 대한 항균제 및 항산화제로 이용가능하다고 사료되어진다.

Key words : 성장억제력, DPPH radical 소거능, SOD 유사활성, Escherichia Coli, Listeria monocytogenes

- 199 -

PF11049 매실과 홍삼 부산물이 스트레스에 대한 육계 생체변화에 미치는 영향봉미희, 박준철, 지상윤, 홍준기, 문홍길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본 연구는 기능성 물질을 함유하는 매실과 홍삼 부산물을 이용하여 스트레스에 대한 육계 적응효과를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1일령 Ross종 육계수컷 192수를 선별하여 공시계를 고온자극(96수)과 외부항원 주입(96수) 2종류의 스트레스 시험으로 구분하였다. 시험구 배치는 무첨가구(Negative Control ; C), 시판 면역증강제 첨가구(Positive Control ; T1, β-glucan 25 ppm), 매실 부산물 1% 첨가구(T2), 홍삼 부산물 3%(T3)로 스트레스별 동일하게 배치하였다. 고온스트레스 시험은 불쾌지수 86(33 , 75%)의 환경으로 5주 간의 사양시험 종료 후 혈액 생화학 분석을 하였으며, 외부항원 주입 시험은 5주간의 사양시험 종료 후 LPS를 복강 주입하여(1ml/수) 혈액 및 비장조직의 면역반응 변화를 조사하였다. 고온스트레스 후 혈액 생화학 변화 분석 결과, MG에서 매실 부산물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5), 홍삼부산물 처리구는 대조구와 유의적 차이는 없지만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LPS에 대한 immunoglobulin의 농도를 분석한 결과, 매실 부산물을 급여한 육계에서 IgM의 농도가 무첨가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홍삼 부산물을 급여한 육계 또한 유의적 차이는 없었지만 무첨가구에 비해 낮은 경향을 보였다. 비장 조직 내 cytokine mRNA 발현량을 조사한 결과 IL-1와 IL-2의 mRNA 발현에서 매실 및 홍삼 부산물이 무첨가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으며(p<0.05), iNOS의 경우 매실 부산물과 홍삼 부산물 모두 유의적 차이는 없었지만 대조구 대비 낮게 나타났다. 본 실험 결과 육계에서 매실과 홍삼 부산물은 고온스트레스에 대한 생체변화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진 않았지만, MG 농도 저하 방지 등 일부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외부항원(LPS) 주입 시 혈액 내 IgM의 농도를 조절하고 염증 관련 cytokine mRNA 발현을 억제하여 육계 면역조절에 긍정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사료된다.

Key words : 매실, 홍삼, 육계, 면역조절

PF11050 환우 기간이 산란계의 환우 후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황보종, 강보석, 김학규, 허강녕, 홍의철, 추효준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본 시험은 산란계의 환우 기간이 환우와 환우 후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공시계는 64주령의 White Leghorn 산란계 300수를 이용하였으며, 시험설계는 비환우 대조구(control), 10일 동안의 절식환우구(FW), 2주 동안 밀기울 위주의 환우용 사료 급여구(NF2), 3주 동안 급여구(NF3) 및 4주 동안 급여구(NF4)로 총 5처리구 처리당 3반복, 반복당 20수씩을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환우 후 산란 기간에는 다시 산란사료를 급여하였다. 유도환우 기간동안 H:L의 비율과 난포수란관의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시험기간 전반을 거쳐 산란율, 난질, 체중, 사료섭취량을 조사하였다. 체중과 사료섭취량 및 난포수란관의 무게는 환우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P<0.05). 환우 개시 후 10일째 H:L의 비율은 NF구가 FW구보다 낮게 타나났다(P<0.05). 산란율은 FW구에서는 4일, NF구에서는 2주 동안 3%까지 감소하였다. 환우 개시 후 5주째 FW구와 NF3구에서 산란율의 50% 회복이 이루어졌으며, NF2에서는 3주째, NF3구는 7주째 산란율이 50%정도 회복되었다. 환우 후의 산란율과 난질은 환우 전보다 개선되었으며, NF3구에서 가장 높았다. 따라서, 효율적인 유도환우와 환우 후 생산성 증대를 위해서는 환우용 사료를 3주간 자유급여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사료된다.

Key words : 환우 기간, 체중, 섭취량, 난포수란관, H:L 비율, 산란율, 난질

PF11051 Phytase가 첨가된 펠렛 사료가 육계의 생산성 및 영양소 이용률에 미치는 영향황보종, 강보석, 김학규, 허강녕, 홍의철, 추효준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본 시험은 phytase가 첨가된 옥수수-대두박 위주의 펠렛 사료를 육계에 급여하였을 때 육계의 생산성 및 영양소 이용률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공시계는 1일령 Ross종 육계 144수를 이용하여 3주 동안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설계는 phytase 첨가유무(phytase 처리구와 무처리구), 500 FTU/kg phytase가 첨가된 두 가지 사료 형태(가루사료와 펠렛사료)로서 2×2의 복합요인으로 총 4처리구로 나누고 처리구당 4반복, 반복당 9수씩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시험사료는 한국가금사양표준(2007)의 육계 초기사료를 이용하였으며, 기초사료의 Ca와 비피틴태인 함량은 요구량(각각, 1.00%, 0.45%)보다 낮게 첨가하였다. 모든 사료에는 비소화 지시제로서 산화크롬을 첨가하였다. 본 시험에서 펠렛 사료가 가루 사료에 비해 체중과 사료섭취량이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Phytase 첨가구는 회분과 회장 인 소화율을 각각 10.5와 38.1%까지 증가시켰으나(P<0.05), 회장 내 칼슘, 조단백질 및 아미노산 소화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P>0.05). 결론적으로, phytase 첨가 유무는 육계의 생산성과 영양소 이용률을 개선시키지만, 사료 형태(가루 혹은 펠렛 사료)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펠렛과 가루 사료의 차이에 의한 생산성과 영양소 이용률의 비교 시험이 추후 계속되어야 한다고 사료된다.

Key words : phytase, 첨가 유무, 가루 사료, 펠렛 사료, 생산성, 영양소 이용률

- 200 -

PF11052 Weissella koreensis를 기초로 한 생균제 및 마늘발효물의 사료내 첨가가 이유자돈의 성장능력,영양소 소화율, 그리고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

이시정, 이준엽, 윤석민, 이명호, 케이하봉 분미, 카이카이밍, 김동명, 오상집강원대학교 동물자원과학과

본 연구는 Weissella koreensis를 기초한 생균제 첨가가 이유자돈의 사양성적과 소화율, 혈액성상 및 면역반응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사양실험을 위해 3원교잡종(L x Y x D, 시험개시시 평균체중 5.85±0.76kg) 48두를 공시하여 처리당 4반복, 반복당 3두씩 완전 임의배치하여 4주간 실시하였다. 시험사료는 NRC(1998) 요구량에 따라 배합한 사료로서 1) NC(Basal diet) 2) PC(Basal diet + antibiotic 0.2%) 3) T1(Basal diet + Weissella koreensis 0.3%) 4)T2(Basal diet + 마늘발효추출물 0.3%)로 설계하였다. 시험을 하는 기간 동안 음수와 사료는 자유채식 하도록 하였다. 육성성적은 생균제 첨가가 항생제 첨가에 비해 뚜렷한 결과를 보이지는 않았다. 건물소화율은 처리구간 아무런 차이가 없었으나 단백질 소화율은 마늘 발효물을 첨가한 처리구가 다른처리구들에 비해 유의적으로(P<0.05) 감소하였다. 혈청내 IgM의 농도는 대조구에서만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다른 혈액성상에서는 전처리구간에 차이가 없었다.Key words : 생균제, 이유자돈, 사양성적, 영양소 소화율, 혈액성상

PF11053 Weissella koreensis를 기초로 한 생균제 및 마늘발효물의 사료내 첨가가 육성비육돈의 성장능력, 영양소 소화율, 혈액성상 그리고 돈육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이시정, 이준엽, 윤석민, 이명호, 케이하봉 분미, 카이카이밍, 김동명, 오상집강원대학교 동물자원과학과

본 연구는 Weissella koreensis를 기초한 생균제 첨가가 육성비육돈의 사양성적과 소화율, 혈액성상 및 면역반응, 그리고 돈육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3원교잡종(L x Y x D) 48두를 공시하여 4처리 3반복 반복당 4두씩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시험사료는 NRC(1998) 요구량에 따라 배합한 사료로서 1) NC(Basal diet) 2) PC(Basal diet + antibiotic 0.2%) 3) T1(Basal diet + Weissella koreensis 0.3%) 4)T2(Basal diet + 마늘발효추출물 0.3%)로 설계하였다. 시험은 4주간의 이유자돈에 대한 시험에 이어 실시하였으며 육성돈 8주, 비육돈 6주 총 14주 동안 시험하였다. 시험을 하는 기간 동안 음수와 사료는 자유채식 하도록 하였다. 생균제 첨가구가 항생제 첨가구에 비해서 성장능력이 개선되지는 않았지만 항생제 무첨가구에 비해 생균제 첨가구가 대게 개선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생균제를 첨가한 처리구가 대조구와 비교하여 영양소 소화율이 개선되는 경향이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생균제 급여를 통한 처리간 면역 능력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혈액내 T-Cho, Alb, T-pro, GOT, GPT 함량에서는 Weissella koreensis를 첨가한 T1처리구의 Alb가 비육기에 다른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난 결과(P<0.05)를 제외하고는 전체적으로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평균 등지방 두께와 늑골 등지방 두께 역시 비육 후반 증체량이 가장 높았던 마늘발효추출물 첨가구가 높은 수치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육질 특성 결과는 관능 평가 결과 육색과 마블링은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Key words : 생균제, 육성비육돈, 사양성적, 영양소 소화율, 혈액성상, 도체분석

PF11054 죽초액 첨가가 비육돈의 성장 및 도체특성에 미치는 영향김종현1, 추교문2, 김회윤1, 하지희1, 이성실3, 이신자3, 신년학3, 이성대4, 김인철4, 한영종5, 송영민1

1경남과학기술대학교 동물소재공학과, 2경남과학기술대학교 양돈과학기술센터,3경상대학교 동물생명과학과, 4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 양돈과, 5(주)보림산업

본 연구는 대나무숯 생산 시 생산되는 죽초액에 대한 양돈용 첨가제로서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성장 및 도체특성을 조사하였다. 죽초액 원액과 물을 1 : 100으로 희석한 후, 사료 중에 0.3% 첨가하여 비육돈에 급여하였다. 죽초액의 첨가는 비육돈의 성장, 사료섭취량 및 사료효율에는 유의적으로(P<0.05) 영향을 주지 않았다. 또한, 죽초액의 첨가는 도체중, 도체율 및 등지방 두께에도 유의적으로(P<0.05) 영향을 주지 않았다. 하지만, 도체등급은 죽초액 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P<0.05) 높았고. 높은 등급 출현율도 죽초액 급여구가 대조구 보다 약 15% 정도 개선되었다. 분의 암모니아, 메탄, 황화수소 및 아민 가스 발생량은 죽초액 첨가 급여구가 대조구 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죽초액 첨가는 성장 및 사료효율을 높이지는 않았지만, 도체등급 및 높은 등급 출현율을 높이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분 중의 악취 가스를 줄여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죽초액은 돈사의 악취 발생을 저감시켜줄 뿐만 아니라, 농가 소득 증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Key words : 죽초액, 비육돈, 성장, 도체등급.

- 201 -

PF11055 죽초액 첨가가 비육돈의 육질특성에 미치는 영향김종현1, 추교문2, 강석남2, 김회윤1, 하지희1, 김충희3, 이성대4, 김인철4, 한영종4, 송영민1

1경남과학기술대학교 동물소재공학과, 2경남과학기술대학교 양돈과학기술센터,3경남과학기술대학교, 동물생명과학과, 4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 양돈과, 4(주)보림산업

본 연구는 대나무숯 생산 시 생산되는 죽초액에 대한 양돈용 첨가제로서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등심 중의 육질을 분석하였다. 죽초액 원액과 물을 1 : 100으로 희석한 후, 사료 중에 0.3% 첨가하여 비육돈에 급여하였다. 죽초액의 첨가는 등심의 조지방 함량을 유의적으로(P<0.05) 높여주었지만, 등심의 수분, 단백질 및 회분 함량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또한 보수력은 죽초액 첨가 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P<0.05)으로 낮았지만, 전단력은 처리구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비육돈의 성장, 사료섭취량 및 사료효율에는 유의적으로(P<0.05) 영향을 주지 않았다. 또한, 죽초액의 첨가는 육색 및 지방색에 영향을 주지 않았지만, 지방산 중 불포화 지방산 함량을 유의적(P<0.05)으로 높였다. 관능 검사 항목 중 딱딱함 및 씹힘성은 죽초액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P<0.05) 낮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죽초액 첨가는 등심의 육질 특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다.

Key words : 죽초액, 비육돈, 육질특성.

PF11056 LED 빛의 세기에 따른 산란계 특성 구명김민지, 최희철, 나재천, 채현석, 김동욱, 강환구, 박성복, 서옥석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금과빛은 닭의 성장, 성성숙, 산란 능력, 건강 등에 영향을 미치며 특히 빛의 파장과 세기는 닭의 사양관리에 있어 가장 중요한 환경요소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light emitting diode(LED)를 산란계의 점등광원으로 도입하기에 앞서 빛의 세기에 따른 산란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시험동물로는 14주령 산란계(Hy-Line) 108수를 공시하여 3처리 3반복, 반복당 12수를 배치하고 적색 일자형 LED 점등장치를 5, 10, 20lux로 빛의 세기를 조절하여 무창계사에서 60주령에 도달시까지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계군의 주령에 따라 점등시간을 조절하여 점등을 실시하고 산란계가 산란이 시작된 후 산란능력, 생산된 계란 품질 등을 평가하였다. 산란계를 적색 LED로 점등을 실시한 결과 초산, 시산일령은 다른 빛의 세기(5, 10lux)에 비해 20lux에서 유의적으로 빠른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산란율은 다른 처리군에 비해 20lux에서 가장 높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P<0.05). 또한 사료 섭취량은 다른 처리군에 20lux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P<0.05) 계란 품질 면에서 난각 강도와 난각 두께는 빛의 세기에 따른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에 의하면 적색 LED 점등시에 빛의 세기에 따른 계란 품질에 미치는 영향이 없었으며, 적색 LED 이용시 20lux의 빛의 세기로 점등을 실시할 경우 산란계의 생산성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Key words : light emitting diode(LED), 파장, 산란계, 산란율. 계란, 품질

PF11057 Effects of Creep Feeding Duration on Reproductive Performance of Sows, Creep feed Consumption andGrowth Performance of Neonatal Pigs

Y. D. Jang, S. K. Jang, D. H. Kim, K. H. Kim and Y. Y. Kim

School of Agricultural Biotechn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51-742, Kore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fferent creep feeding duration on sow and nursing piglet’s performance and creep feed consumption. A total of 14 sows (Yorkshire × Landrace) were allotted to 4 treatments with different creep feeding duration by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CRD) according to farrowing and parity. Creep feeding was provided at day 7, 14 and 21 after birth for 18, 11 and 4 days of creep feeding duration with no creep feeding group, respectively. The creep feed with 0.5% chromic oxide was provided ad libitum until weaning (day 25) in stainless steel open feeder. Fecal samples from piglets were taken using white cotton swab for detecting piglets consumed creep feed on day 14, 21 and 25 of age, respectively. Piglets were classified as eaters with green colored feces. And body weight, backfat thickness, feed intake of lactating sows and preweaning performance of nursing piglets were measured day 0, 7, 14, 21 and 25(weaning) after farrowing.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t in body weight and backfat thickness of lactating sows and preweaning performance. The number of piglets consumed creep feed was increased as creep feed duration was increased. The lactating feed intake of sows tended to decrease as creep feeding duration was increased (P=0.12). Although no effects on the weaning weight and daily body weight gain of nursing piglets, piglets in the longest duration of creep feeding were the lowest on weaning weight and daily body weight gain at weaning time. Consequently, creep feeding duration did not affect on sow performance but may reduce lactating feed intake of sows and growth of nursing piglets.

Key words : Creep feed duration, Sow, Piglet

- 202 -

PF11058 종류별 인산칼슘제의 사료 내 첨가가 산란계의 생산성과 계란 품질에 미치는 영향강효곤, 장영달, 조윤영, 진경영, 김유용

서울대학교 단위동물영양생화학실본 연구는 산란계 사료에 쓰이고 있는 종류별 인산칼슘제의 사료 내 첨가가 산란계의 생산성과 계란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총 320수의 250일령 Hy-Line Brown 종을 4처리 8반복 반복당 10수씩 산란율에 따라 난괴법(randomized complete block (RCB) design)으로 배치하였다. 처리구는 1) MCP: 기초사료 + MCP(Monocalcium phosphate), 2) DCP: 기초사료 +DCP(Dicalcium phosphate), 3) MDCP: 기초사료 +MDCP(Mono-dicalcium phosphate), 4) 기초사료 +TCP(Tricalcium phosphate)구성되었다. 인산칼슘제의 첨가 함량은 MCP 1.19%, DCP 1.58%, MDCP 1.31%, TCP 1.91% 였으며, 각 처리구마다 인산칼슘제와 석회석에 의해 공급되는 칼슘과 유효 인의 비율은 같았다. 시험 기간 동안 산란율, 난중, 사료 요구율, 사료 섭취량과 체중간의 유의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계란 품질에 미치는 영향은 사료 내 인산칼슘 원료로 MDCP와 TCP를 첨가한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서 8주차에 난각 강도가 유의적으로 개선되었다(P=0.047). 난각 두께는 전 기간 동안 처리간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6주차에는 MCP를 첨가한 처리구에서 난황색이 개선되는 경향을 보였다(P=0.07). 결과적으로 실험에서는 MDCP와 TCP를 인산칼슘제로써 사용하는 것이 계란의 품질을 높이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Key words : 인산칼슘, 계란 품질, 난각 강도, 산란율

PF11059 Effect of different Cu sources on growth performance, Cu concentration in feces and blood in weaning pigs

장성권, 정태삼, 김광호, 정정수, 김유용서울대학교 단위동물영양생화학실

본 실험은 이유 자돈 사료 내 구리의 형태와 첨가수준이 자돈의 성장, 설사발생 빈도, 그리고 면역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1) I-Cu25 : 기초사료 + CuSO4 74 ppm (구리 함량 25 ppm), 2) I-Cu50 : 기초사료 + CuSO4 147 ppm (구리 함량 50 ppm), 3) I-Cu100 : 기초사료 + CuSO4 294 ppm (구리 함량 100 ppm), 4) O-Cu12.5 : 기초사료 + Cu-glycinate 60 ppm (구리 함량 12.5 ppm), 5) O-Cu25 : 기초사료 + Cu-glycinate 119 ppm (구리 함량 25 ppm), 6) O-Cu50 : 기초사료 + Cu-glycinate 238 ppm (구리 함량 50 ppm) 으로 구성하였으며, 사양실험은 24±3일령의 평균체중 7.11 ± 0.28kg인 삼원교잡종([Yorkshire ×Landrace] × Duroc) 이유자돈 126두를 공시하여 6처리 3반복으로 돈방 당 7두씩 난괴법(RCBD)으로 배치하여 수행하였다. 사양성적에 있어서 유기태 구리(Cu-glycinate)의 첨가가 무기태 구리(CuSO4) 보다 상대적으로 성장성적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I-Cu25처리구와 O-Cu25 처리구의 종료 체중, 실험 전 기간 동안의 사료효율은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p=0.06). 혈청 내 구리의 농도는 사료 내 구리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분변 내 구리의 농도는 사료 내 구리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1).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동일 함량에서의 유기태 구리(Cu-glycinate)는 무기태 구리(CuSO4) 보다 이유자돈의 성장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며, 무기태 구리(CuSO4) 대비 50% 첨가수준에서도 자돈의 사양성적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 words : 구리, 이유자돈, 성장, 구리 농도

PF11060 Effect of different Zn sources on growth performance, diarrhea score and immune response in weaning pigs

김광호, 정태삼, 허필승, Nongyao C., 정정수, 김유용서울대학교 단위동물영양생화학실

본 실험은 이유 자돈 사료 내 무기태 아연(ZnSO4)과 유기태 아연(Zn-Met)의 약리적인 수준 이하의 첨가가 자돈의 성장, 설사발생 빈도, 그리고 면역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처리구는 1) In140 : 기초사료 + ZnSO4 (순수 아연 함량 140ppm:) 2) In280 : 기초사료 + ZnSO4 (순수 아연 함량 280ppm) 3) In560 : 기초사료 + ZnSO4 (순수 아연 함량 560ppm) 4) Or70 : 기초사료 + ZnMet (순수 아연 함량 70ppm) 5) Or140 : 기초사료 + ZnMet (순수 아연 함량 140ppm) 6) Or280 : 기초사료 + ZnMet (순수 아연 함량 280ppm)로 하여, 유기태 아연의 첨가량은 무기태 아연 첨가량의 50%로 하였다. 사양실험은 평균 체중 8.04 ± 0.20kg인 삼원 교잡종([Yorkshire x Landrace] x Duroc) 144두를 공시하여 총 6처리, 6반복으로 돈방 당 4두씩 체중과 성별에 따라 난괴법 (RCBD; Randomized Completely Block Design)로 배치하여 실시하였다. 전체 사양성적에서는 무기태 아연 처리구 내에서 사료 내 아연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일당증체량(p<0.1)과 사료효율(p<0.05)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1/2수준의 아연함량처리구간의 비교에서는 In140 처리구가 Or70 처리구보다 성장성적이 높은 경향을 보였고(p<0.1),처리구 Or280이 처리구 In560보다 일당증체량(p<0.05)과 일당사료섭취량(p<0.1)이 높게 나타났다. 면역반응에 있어서는 아연의 자돈사료 내 첨가는 IgG와 IgA의 농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설사빈도에 있어서는 1~3주차에 설사빈도가 높았는데 아연의 첨가량이 높은 In560에서 설사빈도가 높게 나타났고(p<0.05) 이것은 5주차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p<0.1). 따라서 무기태 아연의 함량 대비 50%의 양을 유기태 아연으로 첨가하여도 성장능력에 부정적인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오히려 성장능력 향상과 설사발생빈도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보다 적은 양의 유기태 아연(Zn-Met)의 사료 내 첨가가 무기태 아연의 첨가를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 words : 아연, 이유자돈, 성장, 설사빈도, 면역력

- 203 -

PF11061 Evaluation of Bacteriophage as Feed Additives to Prevent Salmonella enteritidis in Broiler Chickens

K. H. Kim, J. C. Jang, D. W. Sin, S. K. Jang and Y. Y. Kim

School of Agricultural Biotechn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51-742, Korea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icacy of dietary bacteriophage as feed additives for prevention of Salmonella enteritidis. A total of 320 broilers (1-d-old male, Ross 308) were allotted to 4 treatments by randomized complete block (RCB) design with 10 chicks per pen. The dietary treatments were formulated with basal diet and different dietary bacteriophage levels including 1) Control (basal diet), 2) BP 0.05 (basal diet+0.05% phage), 3) BP 0.1 (basal diet+0.01% phage) and 4) BP 0.2 (basal diet+0.2% phage). Effective phage titer of dietary bacteriophage was 109 pfu/g. Growth performance (BW gain, feed intake, FCR), relative weight of organ tissues and blood profile (GOT, GPT) were not affected by supplementation levels of dietary bacteriophage during whole experimental period (P<0.05). Enumeration of Salmonella bacteria in caecum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s dietary bacteriophage level was increased (P<0.05). At 5 week, after challenged Samonella enteritidis exposure the mortality linearly declined in the group that have been fed with increasing dietary bacteriophage level (P<0.05). These results able to demonstrated the dietary bacteriophage have the potential to prevent. Salmonella enteritidis infection without any detrimental effects on broiler growth.

Key words : Bacteriophage, Salmonella enteritidis, Feed additives, Broiler

PF11062 Supplementation of Wheat and DDGS as Alternatives to Corn and Soybean Meal on Growth Performance, Pork Quality and Nutrient Digestibility in Growing-finishing Pigs

D. H. Kim, P. S. Heo, K. H. Kim, J. C. Jang and Y. Y. Kim

School of Agricultural Biotechn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51-742, Korea

To evaluate the effect of supplementing wheat and DDGS as alternatives to corn and soybean meal in growing-finishing pig diet, a total of 96 crossbred pigs with an average body weight of 35.15 ± 0.01 kg were allotted according to RCBD in 8 replicates with 4 pigs per pen. Three dietary treatments included a corn-soy meal based diet as a control and the others were substituted with wheat and DDGS at the rate of more than 50 (Medium) and 80 (High) % of corn and SBM. Two-phase feeding programs were utilized in this experiment. Throughout the experimen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inal body weight, ADG and feed efficiency among treatments. However, the pigs fed Medium and High diets showed higher ADFI than control during the late finishing phase (P<0.05, at 11-12 weeks period ). For digestibility study, a total of 12 male growing pigs (34.16 ± 1.34 kg initial BW) were allotted to one of three dietary treatments according to CRD. The supplementing wheat and DDGS did not affect nutrient digestibility of growing pigs and similar growth performance was observed. The pH value, shear force, water holding capacity, cooking loss and TBARS values were not affected by dietary treatments. Consequently, wheat and DDGS could replace up to 80% without any adverse effect on the growth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Keywords : Wheat, DDGS, Pigs, Growth performance

PF11063 Effects of various levels of β-mannanase supplementation to swine diets containing copra or palm kernel meal on growth performance and pork quality of growing-finishing pigs

Y. J. Kim, D. H. Kim, S. K. Jang, P. S. Heo, Nongyao C., and Y. Y. Kim

School of Agricultural Biotechn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51-742, Korea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various levels of β-mannanase on growth performance and pork quality of pigs with the diets containing either 10% copra meal (CM) or palm kernel meal (PKM). A total of 96 growing pigs ([Yorkshire×Landrace]× Duroc),averaging 32.47± 0.76kg body weight were assigned in a 2 x 3 factorial arrangements with 4 pigs per pen. Six dietary treatments formulated for 3 phase during growing (week 0~6), finishing I (week 6~9) and II (week 9~12),were supplement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IU) of β-mannanase including 1) C800 : CM + 800IU ; 2) C1200 : CM + 1,200IU; 3) C1600 : CM +1,600IU ; 4) P800 : PKM + 800IU; 5) P1200 : PKM + 1,200IU and 6) P1600 : PKM + 1,600IU. The animals were free access to feed and water. Efficacy of β-mannanase in PKM diet on body weight in both finishing periods was higher than in CM diet (P<0.05), and PKM had a higher ADG (P=0.005) and G:F ratio (P=0.006) than those of CM groups. Crude fat digestibility in PKM groups had higherthan CM group (P=0.004). High level of β-mannanase supplemented resulted in higher water holding capacity (P<0.01) regardless of dietary treatments. Higher content of crude fat, lower crude protein and crude ash in longissimus muscle in PKM group were observed (P<0.001).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PKM diet with β-mannanase showed better growth performance and higher fat content in longissimus muscle in finishing pigs.

Key words : Copra meal, Palm kernel meal, β-mannanase, Growing-finishing pig, Growth performance, Pork quality

- 204 -

PF11064 Effect of dietary crude protein levels on growth performance, diarrhea score and intestinal microflora in weaning pigs

허필승, 김영주, 장재철, 정정수, 김유용서울대학교 단위동물영양생화학실

본 실험은 자돈 사료 내 단백질 함량의 조절이 이유자돈의 성장과 설사빈도 그리고 분내 유해미생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위해 수행되었다. 평균체중 7.66 ± 1.01kg, 8주령의 삼원교잡종([Yorkshire × Landrace]×Duroc) 96두를 이용하였으며, 5주간 자돈기 사양실험이 수행되었다. 전체 4처리 6반복으로 돈방당 4두씩 성별과 체중에 따라 난괴법(RCBD :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으로 배치하였다. 실험사료는 처리구에 따라 NRC 조단백질 요구량을 고려하여 1) 처리구 1: NRC 요구량 + 1.5%, 2) 처리구 2: 대조군, NRC 요구량 충족, 3) 처리구 3: NRC 요구량 -1.5%, 4) 처리구 4: NRC 요구량 -3.0%로 배합되었다. Phase I (0~2주령)의 체중측정결과 사료 내 단백질 함량이 감소할수록 체중과 증체량이 높아지는 결과를 나타냈다(linear, P < 0.05). 또한 비록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지만 단백질 함량을 낮춘 처리구들이(-1.5%, -3.0%)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사료 섭취량을 보였다. Phase II에서도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Phase I 과 유사한 결과를 보였으며, 조단백질 1.5%를 제한시킨 처리구의 일당증체량 및 일당사료 섭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설사지수의 경우 전 실험기간 동안 단백질 함량의 감소에 따라 유의적으로 설사발생이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분내 병원성 대장균에는 처리구간의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사료 내 아미노산조성이 동일하다면 자돈 사료 내 단백질 함량의 제한은 자돈의 설사개선과 성장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사료되며, NRC(1998)을 기준으로 1.5% 수준의 제한이 권장되며, 3% 수준까지 제한을 해도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Key words : 단백질 수준, 이유자돈, 성장, 설사지수, 분내 미생물

PF11065 Effects of Fermented Soybean Meal Supplementation on Lactating Sow and Their Progeny

P. S. Heo, D. H. Kim, Y. J. Kim, Y. D. Jang and Y. Y. Kim

School of Agricultural Biotechn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51-742, Korea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ybean meal fermented by Bacillus subtilis PP6 strain (FSBM) in lactating sow diet, a total of 15 F1 sows (Yorkshire × Landrace) were allotted according to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Three dietary treatments included control diet, diets containing 2% FSBM and 4% FSBM, were provided ad libitum. Body weight(BW) gain of both sow and piglets was not affected by dietary treatments, but a higher numerically piglet BW gain and feed intake of sows were observed in FSBM treatment groups. Milk fat contents were linearly decreased by feeding FSBM during 2nd (linear, P<0.01) and 3rd weeks (linear, P<0.05). In contrast, sows fed 4% FSBM showed higher SNF(solid no fat) contents in milk than the others and had a linear effects (P<0.05) during 2nd and 3rd weeks. Supplementation of FSBM did not influence on total protein, urea nitrogen, glucose and FFA contents in plasma of sows and piglets. At terminal, collected sow's fecal Bacillus subtilis counts were increased according to dietary FSBM levels(linear, P<0.01) and total bacterial counts were also numerically increased. This experiment demonstrated that supplementation with FSBM could improve feed consumption of sows and piglet performance and show a potential probiotics in lactating sow diet.

Key words : Fermented SBM. Lactating sow, Reproductive performance

PF11066 셀레늄 함유 청보리 급여가 육성자돈의 생산성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남상욱, 조익환, 이성훈*, 황보순대구대학교, *경남축산진흥연구소

본 연구는 셀레늄 함유 청보리를 육성자돈에 급여 시 자돈의 사료섭취량, 증체량, 사료효율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시험은 육성자돈 20두를 공시하였고, 처리구는 셀레늄 농도에 따라 4처리구(T0, 대조구 : 셀레늄 농도 0.1ppm, T1 : 0.2ppm, T2 : 0.4ppm, T3 : 0.6ppm)로 나누어 처리구당 5두씩 배치하여, 6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각 시험사료는 셀레늄 함유 및 비함유 청보리를 조합하여 배합비의 5%를 첨가하였고, 조단백질 및 대사에너지 함량은 각 18% 및 3,500㎉/㎏을 함유하도록 배합하였다. 청보리내 존재하는 셀레늄 수준은 사료섭취량 및 증체량에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고, 혈액성상의 변화는 0∼2주에 사료내 셀레늄 함유 청보리 급여구의 혈중 알부민 농도가 대조구보다 높았고(P<0.05), 혈중 셀레늄 농도도 셀레늄 함유 청보리 급여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직선적 증가하였다(P<0.01). 간수치(GOT 및 GPT)는 셀레늄 함유 청보리 급여군과 대조구 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독성수준은 아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2∼4주에는 혈중 총단백질 농도가 셀레늄 0.2ppm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고(P<0.05), 혈중 총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 포도당농도는 셀레늄 함유 청보리 급여로 낮아졌다(P>0.05). 4∼6주에는 혈중 총지질 농도는 셀레늄 함유 청보리 급여로 유의하게 낮아졌고(P<0.05), 혈중 셀레늄 농도는 2주 및 4주와 마찬가지로 수준별 셀레늄 함유 청보리 급여로 직선적으로 증가하였다(P<0.01). 이상의 결과에서 청보리내 존재하는 셀레늄은 혈중 셀레늄농도가 증가하여 자돈의 장관내 셀레늄 이용효율의 우수성과 조직내 셀레늄 전이가능성을 시사하였다.

Key words : 셀레늄, 청보리, 육성자돈, 생산성, 혈액성상

- 205 -

PF11067 동결건조 돼지태반 급여가 모돈 유질 및 면역물질에 미치는 영향이성대1, 김다혜1, 김영화1, 정현정1, 김동운1, 조규호1, 사수진1, 김인철1, 허태영1, 송영민1

1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2국립경남과학기술대학교본 시험은 임신말기 모돈에 동결건조 돼지태반 급여가 초유의 유질 및 면역물질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공시동물은 요크셔 초산 임신 모돈을 11두를 이용하였고, 옥수수·대두박 위주의 배합사료(대조구)에 동결건조 태반 1%를 첨가한 사료를 섭취한 시험구로 구분하여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초유에서 단백질 함량은 대조구 16.44%보다 시험구 18.70%로 13.7%가 개선되었다(P=0.043). 포유개시 자돈폐사율은 시험구가 11.43%로 대조구 18.28%보다 37.47% 낮게 나타내었다. 모돈 및 자돈의 혈액 생화학 결과에서는 시험구와 대조구간에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초유의 유성분 분석결과에서는 단백질 함량이 시험구가 18.70%로 대조구 16.44%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함유하고 있었다(P=0.043). 초유의 IgG 함량은 시험구가 65.14mg/ml로 대조구 46.79mg/ml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내었다(P=0.004). 또한 자돈 25일령 혈액의 IgG 함량은 시험구가 대조구보다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P=0.184). 이상의 결과에서, 동결건조 돼지태반 급여는 초유의 단백질 및 IgG 함량을 개선시켜 자돈의 면역력을 증가시키는 효과 있다.

Key words : 돼지태반, 모돈, 자돈, 초유, IgG

PF11068 임신모돈의 방목 사육이 악취유발물질 및 번식성적에 미치는 영향이성대1, 김다혜1, 정현정1, 김영화1, 김동운1, 조규호1, 사수진1, 김인철1, 허태영1, 김상범1, 송영민2

1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2국립경남과학기술대학교본 시험은 임신 모돈의 방목장 활용에 따른 생리적 변화 및 분변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공시동물은 축진듀록 2산차 임신 모돈을 16두를 이용하였고, 방목기간은 임신 5주차부터 분만예정일 10일전까지 방목을 실시하였다. 옥수수·대두박 위주의 배합사료를 방목기간동안 대조구(일반관행 사육-스톨)과 시험구(방목 사육)에 동일하게 급여하였다. 임신 모돈의 체중과 등지방 두께 변화는 대조구와 시험구간에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분변의 악취유발물질에서 p-cresol은 종료 시점에서 대조구보다 시험구가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P=0.054). Indole은 개시와 종료 시점에 대조구와 시험구간에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Skatole은 종료시점에서 대조구보다 시험구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92). 모돈의 번식성적에서, 총산자수와 폐사율은 대조구와 시험구간에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자돈 폐사율은 대조구와 시험구간에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시험구가 대조구보다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임신기 모돈의 방목장은 분변의 악취유발물질을 감소시키고 모돈의 생산성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구명되었다.

Key words : 돼지태반, 모돈, 자돈, 초유, IgG

PF11069 Effect of shiitake (Lentinula edodes) mushroom on the productivity and egg quality of layer

J. A. Hwang1, D. H. Yun2, S. T. Moon3, G. M. Kim1, C. J. Yang1

1Dept.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Sunchon National University2Gongju Life Science High School

3Dept. of Agriculture Education, Sunchon National University

The Shiitake (Lentinula edodes) is an edible mushroom native to East Asia, which is cultivated and consumed in many Asian countries, as well as being dried and exported to many countries around the world. It is a feature of many Asian cuisines including Vietnamese, Chinese, Japanese, Korean and Thai. In the East, the shiitake mushroom has long been considered a delicacy as well as a medicinal mushroom.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potential use of shiitake mushroom on egg production and external and internal egg quality traits of laying hen. The dietary groups were control (basal diet), shiitake 0.25% (basal diet + 0.25% shiitake mushroom) and shiitake 0.50% (basal diet + 0.50% shiitake mushroom). The results indicated that egg production and egg weight were not affected by the addition of shiitake mushroom to the diet.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lower feed intake and better feed conversion ratio were found in shiitake 0.50% and control group than shiitake 0.25% group. Egg shape was not differed but a thinner egg shell was observed in the shiitake 0.25% group than others. No statistical differences were found in external and internal quality of egg, and sensory quality of eggs among the groups. Dietary addition of shiitake mushroom were not induced any effect on fatty acid composition and cholesterol content of egg yolk. It may be suggested from the study that addition of 0.50% shiitake mushroom has no negative effect on egg production and egg quality traits, and would be added to diet as alternative feed additive.

Key words : shiitake mushroom, egg production, egg quality, fatty acid, sensory evaluation

- 206 -

PF11070 Effect of antimicrobial peptide-A3 on growth performance, apparent total tract digestibility of nutrients, fecal and intestinal microflora, serum immunoglobulins and intestinal morphology of broilers

S. L. Ingale1, S. C. Choi1, J. S. Kim1, K. H. Kim1, Y. K. Park2, I. K. Kwon1 and B. J. Chae1

1College of Animal Life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2College of Natural Sciences, Chosun University, Kwangju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ntimicrobial peptide-A3 on performance, ATTD of nutrients, fecal and intestinal microflora, intestinal morphology and serum immunoglobulins of broilers. Four hundred d-old Ross chicks were randomly allotted to 1 of 5 treatments on the basis of BW in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Each treatment had 5 replicates with 20 chicks in each. Dietary treatments were basal diets without any antimicrobial (NC), and 0.15% basal diet added with antibiotic (PC I, apramycin), 0.2% probiotic (PC II, L. casei), 60ppm A3 (A3-60) and 90ppm A3 (A3-90). Experimental diets were fed in 2 phases, starter (d 0 to 21) and finisher (d 22 to 35). Improved (P < 0.05) growth performance and ATTD of nutrients were reported in treatments PC I, PC II, A3-60 and A3-90 as compared to NC. Highest performance and ATTD of nutrients were reported in PC I followed by A3-90, PC II and A3-60. Birds in treatments PC I, PC II, A3-60 and A3-90 showed decrease (P < 0.05) in fecal and intestinal Clostridium spp. and coliforms count than NC. Villus height and villus height to crypt depth ratio of duodenum and jejunum were increased (P <0.05) in treatments PC I, PC II, A3-60 and A3-90 as than NC. There were no effects of any of dietary treatments on ATTD of amino acids, serum immunoglobulins and carcass traits of broilers. Results obtained in present study indicates that antimicrobial peptide-A3 improved growth performance, ATTD of nutrients, intestinal microflora and intestinal morphology and can used as alternative to antibiotics at level of 90 ppm in broilers.Key words : Antimicrobial peptide-A3, Antibiotics, Growth performance, Digestibility, Intestinal microflora, Intestinal morphology

PF11071 Comparative evaluation of antimicrobial peptides A3 and P5 with antibiotic on performance, nutrient retention, fecal and intestinal microflora, intestinal morphology and serum immunoglobulins, in broilers

S. L. Ingale1, S. C. Choi1, J. S. Kim1, K. H. Kim1, Y. K. Park2, I. K. Kwon1 and B. J. Chae1

1College of Animal Life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2College of Natural Sciences, Chosun University, Kwangju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comparative effect of antimicrobial peptides A3, P5 and antibiotic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retention, fecal and intestinal microflora, serum immunoglobulins and intestinal morphology in broilers. A total of 400 d-old Ross chicks were randomly allotted to 5 treatments (20 chicks per replicate, 4 replicates per treatment). The basal diet was formulated without any antimicrobial (NC), and 0.05% antibiotic (PC I, apramycin), 0.20% probiotic Lactobacillus (PC II), 60 ppm antimicrobial peptides A3 and P5 were added to the basal diets as treatments. Birds fed PC I and P5 antimicrobial peptide diets had greater (p<0.05) overall BW gain and better (p<0.05) FCR than birds fed NC diet. Birds in treatments PC I and P5 showed higher (p<0/05) retention of DM, CP (d 21 and 28) and GE (d 28) as compared to NC. At d 21 in treatments PC I and P5 showed lower fecal coliforms count than NC. Moreover on d 35 birds in treatments PC I and P5 showed lower (p<0.05) total anaerobic bacteria (TAB), coliforms and Clostridium spp. count. Birds fed PC I diet had lowest TAB, Clostridium spp. and coliforms in the ileum and cecum, while birds fed P5 diet had lesser Clostridium spp. and coliforms in the ileal and cecal contents than pigs fed NC diet. Additionally, birds fed A3 diet had less coliforms in the ileum and TAB, Clostridum spp. and coliforms in cecum when compared with pigs fed NC diet. However, the apparent ileal digestibility of amino acids, serum immunoglobulins, relative visceral organ weights and small intestinal morphology were comparable among the dietary treatments. Result obtained herein suggests that antimicrobial P5 and antibiotic supplemented birds have comparable efficacy and antimicrobial peptide P5 can be used as alternative to antibiotic in broilers diet.Key words : Growth performance, Intestinal and fecal microflora, Nutrient digestibility, Antibiotic, Antimicrobial peptide A3, Antimicrobial

peptide P5, Broilers

PF11072 Effect of Taeksa (Alisma canaliculatum) Feeding on the Growth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in PigsH. Ji, S. K. Lee, S. Y. Ko, M. E. Hossain, S. S. Kim, C.J. Yang

Dept.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Sunchon National University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ate the effects of Taeksa (Alisma canaliculatum) in growth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s, fatty acid composition and lipid oxidation of pigs. A total of 84 crossbreed [(Landrace × yorkshire) × Duroc] growing pigs with average 28 kg of body weight were assigned to 4 dietary treatments for 12 weeks in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The four dietary treatments were control, antibiotic (0.003% CTC), 0.25% and 0.5% Taeksa. Results revealed that weight gain and feed intake were not differed but feed conversion ratio in the additive groups were significantly better compare with control. Although,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ut a numerical reduction of E. coli number and improvement of IgG, IgM and IgA were achieved in the 0.5% Taeksa group. Carcass characters and cholesterol content of meat were not differed (P>0.05) by the addition of Taeksa to the feed. Among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meat, myristic acid and eicosatetranoic acid were decreased but stearic acid was increased in the Taeksa groups compare with the antibiotic group. Higher α-linolenic acid was observed in the Taeksa 0.25% group whereas, eicosanoic acid was in the Taeksa 0.5% group. Thiobarbituric acid values were not differed among the treatments but Taeksa 0.25% group showed a lower value compare with others. The results indicated that 0.25 to 0.5% Taeksa would be added to the starter and growing pig diet as an alternative feed additive.Key words : Alisma canaliculatum, growth, composition, fatty acid, pig

- 207 -

PF11073 Effect of Weight Control on the Growth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Composition and Digestibility in Pigs

J. S. Yang1, G. M. Kim1, S. B. Jo2, M. J. Kim2, C J Yang*

1Dept.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Sunchon National University2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A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weight control on the growth performance, carcass trait, composition and digestibility of pigs. Ninety six pigs (Landrac × Yorkshire) were assigned to 3 treatments based on body weight in 4 replications with 8 pig per replication. The treatment groups were control, high weight and low weight. The results indicated that initial weight of higher control group was also higher in the end of the experiment than others, but higher weight gain was observed in the low weight group. Although feed intake was higher but better feed conversion ratio was found in low weight group. Carcass traits were not differed but high weight group showed better value than low weight group. Among the carcass composition, crude fat content of high weight group was reduced than control, but other parameters were not affected. Higher digestibility was found in treated group but IGg content was not changed. In the economic analysis, per day weight gain was higher in low weight group but feed cost per unit weight gain was not significant among the groups. It is concluded that management on weight basis is helpful for pig production.

Key words : weight control, growth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pig

PF11074 Effects of Supplementation of Hemicell-HT®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Intestinal Morphology in Weaning Pigs

장재철, 강효곤, 조윤영, 신동욱, 진경영, 김유용서울대학교 단위동물영양생화학실

본 실험은 mannanase의 일종인 Hemicell-HT® 첨가가 이유 자돈의 성장 능력과 혈액 성상 그리고 소장의 형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총 120두의 28일령 이유자돈 ([Yorkshire × Landrace]×Duroc)을 5처리 6반복 돈방당 4두씩 공시하였다. 실험돈은 체중과 성별에 따라 난괴법(randomized complete block (RCB) design)으로 배치하였다. 처리구는 phase (0-2주), (3-5주)에서 1) NC (항생제 무첨가 기초사료), 2) PC (기초사료 + 항생제 0.10% 첨가), 3) A (기초사료 + Hemicell-HT® 0.04%), 4) B (기초사료 + Hemicell-HT® 0.06%) 로 구성되었다. 총 5주간의 자돈기 성장 능력에서는 항생제를 첨가한 PC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은 체중과 일당증체량, 사료효율을 나타내었다(P<0.05). 폐사율에 있어 사양실험 기간 동안 폐사한 개체가 없었으며, 혈액 분석을 통한 처리구별 glucose, lactic acid, triglycerides 함량에서는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분변의 점도에 있어서는 항생제 처리구와 Hemicell-HT® 0.04% 첨가 처리구가 동등한 분변 점도를 나타내었다(P<0.05). 자돈의 융모와 융와의 비율을 보았을 때 PC 처리구에 비해 항생제 무첨가구(B, C)에서 개선되는 경향을 보였다(P=0.10). 따라서 Hemicell-HT® 0.06%의 첨가가 자돈의 성장성적과 소장의 건강성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생각된다.

Key words : mannanase, Hemicell-HT® ,폐사율, 분변 점도, 건강성

PF11075 Different Levels of Palm Kernel Meal Supplementation with β-mannanase on Growth Performance, Pork Quality and Nutrient Digestibility in Growing-finishing Pigs

장재철, 조윤영, 신동욱, 진경영, 강효곤, Nongyao C., 김유용서울대학교 단위동물영양생화학실

본 연구는 β-mannanase를 첨가한 팜박의 수준별 급여가 육성·비육돈의 성장, 영양소 소화율 및 돈육 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옥수수-대두박 위주의 기존 양돈 사료에서의 이용 가능성에 대한 평가를 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평균 체중 29.68 ± 0.17 kg의 3원 교잡종([Yorkshire × Landrace]) × Duroc) 80두를 공시하였으며, 사양시험은 전체 5처리 4반복, 반복 당 4마리씩 성별과 체중에 따라 난괴법 (RCBD;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으로 배치하여 수행하였다. 실험의 처리구는 1) NC (β-mannanase를 첨가하지 않은 기초사료), 2) PC (β-mannanase를 첨가한 기초사료), 3) PKM6 (기초사료 내 팜박 6% 첨가 + β-mannanase 800IU), 4) PKM12 (기초사료 내 팜박 12% 첨가 + β-mannanase 800IU), 5) PKM18 (기초사료 내 팜박 18% 첨가 + β-mannanase 800IU)로 설정하였다. 사양성적은 체중, 일당증체량과 사료 효율 모두 실험 전 기간에 걸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영양소 소화율에서도 팜박 수준별 첨가에 따른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육질 역시 pH, 육색, 가열감량, 보수력, 전단력 항목분석 결과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혈중 요소태 질소는 PKM 18이 가장 낮은 경향을 나타냈으며(P=0.07) 경제성 분석 결과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지만 1kg 증체당 사료비용에서 PKM 12% 처리구가 가장 낮은 생산비용을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팜박을 돼지 사료 내에 첨가할 경우 12%까지는 성장률과 영양소소화율과 육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 words : β-mannanase, palm kernel meal, 소화율, 경제성, 육질, BUN

- 208 -

PF11076 육계에 대한 잣나무 유래 에센셜 효과 구명 연구김동욱, 박성복, 강환구, 방한태, 김민지, 나재천, 채현석, 최희철, 서옥석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application technology of essential oil originated Korean nut pine (KNPE) actually vastly underutilized as of yet for improving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in broiler chicks. One thousand two hundred sixty 1-day-old male broiler chicks (Ross 308) were divided in to 9 treatment groups with 4 replicates of 30 birds in each group. The treatments were NC (no antibiotics), PC (avilamycin, 10 ppm and salinomycin, 60 ppm), and 0.02, 0.04 or 0.06% supplemental groups of two kinds of KNPE (liquid and nano-sized dosage forms). Final body weight and body weight gai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0.02 and 0.04% KNPE treated groups than in control (NC, PC).But, the final body weight and feed intake of 0.06% KNPE treated groups tended to be decreased. The blood damage parameter of liver and kidney or biosafety index were more significantly decreased or tended to be decreased in all treated groups than in NC. The total white blood cell (WBC), heterophil, lymphocyte, and heterophil/lymphocyte ratio which is known as stress indicator were also more significantly decreased or tended to be decreased in all treated groups than in NC. Consequently, The supplemental KNPE influenced positive effects on growth performance, health maintenance, and meat quality. The optimum supplemental level of KNPE was 0.02~0.04%. These results suggested the possibility that these essential oil originated Korean pine could serve as alternatives for antibiotic growth promoters or feed additive high quality chicken meat production.

Key words : 잣나무 유래 에센셜 오일, 육계 생산성, 혈액특성, 계육 품질

PF11077 육계에 대한 포도 유래 프로아토시아니딘(Proanthocyanidin) 효과 구명김동욱, 박성복, 강환구, 방한태, 김민지, 나재천, 채현석, 최희철, 서옥석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application technology of proanthocyanidin originated grape peel actually vastly underutilized as of yet for improving performance and blood characteristics in broiler chicks. Six hundred 1-day-old male broiler chicks (Ross 308) were divided in to 5 treatment groups with 4 replicates of 30 birds in each group. The treatments were NC (no antibiotics), PC (avilamycin, 10 ppm and salinomycin, 60 ppm), and 1, 5 or 10 ppm supplemental groups of proanthocyanidin. Final body weight and body weight gai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all treated groups than in NC. Especially, proanthocyanidin 5 ppm treated group was the most excellent of all groups. In analysis results of blood urea nitrogen (BUN), creatinine, total protein (TP), albumin, globulin, and aspatate aminotransferase (AST) which used with blood damage parameter of liver and kidney or biosafety index for new feed ingredient, the levels of them were more significantly decreased or tended to be decreased in all treated groups than in NC. The total white blood cell (WBC), heterophil, lymphocyte, and heterophil/lymphocyte ratio which is known as stress indicator were also more significantly decreased or tended to be decreased in all treated groups than in NC. Consequently, The supplementalproanthocyanidin originated grape peel influenced positive effects on growth performance, health maintenance. These results suggested the possibility that these essential oil originated Korean pine could serve as alternatives for antibiotic growth promoters or feed additive high quality chicken meat production.

Key words : 프로안토시아니딘, 육계, 생산성, 혈액 생화학 조성, 백혈구 조성

PF11078 Supplementation of Bacillus spp. on Growth Performance and Fecal Flora of Growing-finishing Pigs in Corn-SBM Based Diet and Diet Added Palm Kernel Meal

조윤영, 김영주, 장영달, 강효곤, 김유용서울대학교 단위동물영양생화학실

육성 비육돈에서 옥수수-대두박 위주의 기존 사료 및 팜박 10%가 첨가된 사료에 생균제 (Bacillus spp.)를 첨가 하였을 경우 성장성적 및 분변 내 미생물 균총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실험돈은 총 120두로 6처리 5반복 돈방당 4두씩 공시하였고, 체중과 성별을 고려하여 난괴법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으로 배치하였다. 처리구는 1) C1 : 기초사료, 2) C2 : 기초사료 + 0.05% Bacillus spp. supplementation, 3) C3 : 기초사료 + 0.1% Bacillus spp. supplementation, 4) P1 : 팜박 10% 첨가, 5) P2: 팜박 10% 첨가 + 0.05% Bacillus spp. supplementation, 6) P3: 팜박 10% 첨가 + 0.1% Bacillus spp. supplementation로 설정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성장 실험 결과, 실험 전 기간 동안의 (0-13주) 일당 증체량, 일당사료섭취량 및 사료효율에 있어서 생균제 첨가에 따른 효과가 나타내지 않았다 (P>0.05). 반면 실험 전 기간 동안의 (0-13주) 체중, 일당 증체량 및 일당사료섭취량에 있어서 팜박을 첨가한 경우 (P1, P2, P3), 옥수수-대두박 위주의 기존 사료 처리구 (C1, C2, C3)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main effect, P<0.05). 분변 내 미생물 균총의 경우, 비육 종료시 팜박 10% 첨가구 (P1, P2, P3)에서 Bacillus subtilis수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P<0.01). 본 실험결과, 성장성적에 있어 10% 수준의 팜박 첨가는 일당 증체량과 일일 섭취량을 감소시킬 가능성이 있으며, Bacillus spp.의 첨가는 성장 성적에는 영향이 없었지만 유익균을 증가시켜 육성 비육돈의 장내 미생물 균총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Key words : 생균제, 육성 비육돈, 성장성적, 분변 내 미생물균총

- 209 -

PF11079 Impacts of carbohydrases on performance: implications in swine diet

S. M. Hong, L. Yan, X. Gou, S. C. Kim, J. H. Cho and I. H. Kim

Department of Animal Resource and Science, Dankook University, Cheonan, Choongnam, Korea

most of those cheap ingredients such as DDGS and wheat midds. Researchers have confirmed that those NSP and fiber had various anti-nutritive effects to livestock, although pigs have the ability to utilize the NSP due to the hindgut fermentation to some extent (26% to 85%). It had been suggested that that enzymes can degrade the fiber and NSP both invivoandinvitro. Therefore, this review is going to introduce the effects of dietary multi-enzyme in pigs on growth performance and nutrient digestibility based on different basal diets, nutrient density and pig stages. In this reviews, we suggested that dietary enzyme supplementation can improve the growth performance (1.0-7.8%) in growing pigs, because of its positive effect on the dry matter (DM) digestibility (2-7%) and blood urea nitrogen (9-16%) and serum glucose (5.6-12.8%); moreover, it could also decrease feed cost by 4.5% (1,170.6 vs. 1,117.6 /kg) in growing pigs. In finishing pigs, dietary enzymes supplementation could also benefit the growth performance (6.3-9.5%) by increasing the DM digestibility (2-6%). Dietary enzyme did not affect the blood characteristics and meat quality in finishing pigs. Moreover, our results also indicated that the enzymes supplementation could be used as an energy source to cut down nutrient dietary density (growing, DE 150kcal/kg; finishing, DE 120kcal/kg) without sacrificing growth performance. Furthermore, this review also indicated that the optimal supplementation level is highly depend on the enzyme sources and types employed in different study and pigs stages.

Key words : enzyme, growth performance, swine diet

PF11080 Application of delta-aminolevulinic acid supplementation in monogastric animal diet

J. H. Jung, S. Zhang, J. M. Lee, J. H. Cho and I. H. Kim*

Department of Animal Resource and Science, Dankook University, Cheonan, Choongnam, Korea

The iron requirement increases with the rapid growth of neonatal piglets in the early stage of life. Nursing pigs require 7 to 16 mg of Fe/d to support erythropoiesis and other metabolic activities. Delta-aminolevulinic acid (ALA) which is a non-protein amino acid with widespread distribution in living organisms has been well known as a precursor in porphyrin and additional heme synthesis. It is hypothesized that when ALA synthase is limited, addition of exogenous ALA can provide an adequate amount of precursor to induce the synthesis of additional heme. Therefore, this review is to introduce the effects of dietary ALA supplementation as a new iron source to improve iron status in swine and poultry. In those studies, the ALA was added as an extra iron additive in the diet. For sow, dietary ALA supplementation at the level of 10 mg/kg could increase blood iron concentrations and sucking, milk iron concentration of sows and thus benefits their progeny. In addition, dietary ALA supplementation could increase feed intake and decrease backfat loss of sows. For broiler chickens, dietary supplementation of 10 mg/kg ALA together with 500 mg/kg vitamin C could improve Fe status without affecting their growth performance, blood immune status and relative organ weight. For laying hens, basal diet supplemented with 2 or 4 mg/kg ALA had the capacity of increasing iron availability, egg weight, eggshell quality and immunity. Furthermore dietary supplementation of ALA at a low level (2 mg/kg) exerted better effects compared with that at a high level (4 mg/kg) in laying hens. In conclusion, dietary supplementation of ALA can improve blood iron status and bring healthy body condition in monogastric animals.

Key words : delta-aminolevulinic acid, sow, broiler chicks, laying hens

PF11081 청보리 곡실의 품종별 영양적 가치 평가김회윤, 김삼철1, 추교문, 김종현, 하지희, 김동현1, 윤 희1, 이성대2, 송영민

경남과학기술대학교 동물소재공학과, 1경상대학교 축산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 2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 양돈과축산 사료비의 급등으로 농가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농촌진흥청에서 가락이 없는, 가축 사료용 청보리를 개발 보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품종별(우호보리, 영양보리, 유연보리) 사료적 가치를 구명할 목적으로 일반성분(DM, CP, EE, CF, CA, NFE), 섬유소((NDF, ADF, hemicellulose, NFC), Ca, P 및 에너지가(TDN, DCP, GE, DE, ME)를 조사하였으며, 국내 농후 사료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대두박과 옥수수와 비교 분석하였다. 일반성분은 AOAC법(2000), NDF, ADF, NFE는 Van Soest 법, 에너지가는 NRC 계산식으로 구하였다. 건물기준으로 CP 함량(%)은 우호, 영양, 유연보리 각각 11.93%, 13.37%, 13.84%로 대두박 53.08%에 비해 낮았으나(P<0.0001), 옥수수 8.76%에 비해 높았다. 칼슘과 인 함량(%)도 대두박에 비해 낮았지만(P<0.0001), 옥수수에 비해 높았다(P<0.0001). NDF와 ADF(%)는 대두박과 옥수수에 비해 높았으며(P<0.0001), hemicellulse는 대두박보다 높았다(P<0.0001). NFC(%)는 대두박에 비해 높았지만, 옥수수에 비해 낮았다(P<0.0001). TDN(%), GE( / ), ME( / )는 옥수수와 대두박에 비해 낮았다(P<0.0001). 영양률(nutritive ratio)에서는 우호, 영양, 유연, 대두박, 옥수수가 각각 9.92, 8.28, 7.69, 0.86 및 19.48로 영양률이 중등이상으로 넓게 평가되어 청보리 곡실은 가축 사료용으로 적합할 것으로 예상되나, CF(%) 함량이 우호, 영양, 유연 각각 69.4%, 6.18%, 및 6.74%로 양돈용 사료에서는 혼합수준을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학술발표는 농촌진흥청 공동연구사업(과제번호:PJ906960)의 지원에 의해 이루어진 것임)

Key words : 청보리, NDF, ADF, 일반성분, 에너지가

- 210 -

PF11082 청보리 곡실의 품종별 지방산, 구성아미노산, 소화율(in-vitro) 평가김회윤, 김삼철1, 추교문, 김종현, 하지희, 김동현1, 윤 희1, 이성대2, 송영민

경남과학기술대학교 동물소재공학과, 1경상대학교 축산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 2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 양돈과청보리 품종 중 우호보리, 영양보리, 유연보리는 우수한 동계 사료작물로 개발되어 정책적으로도 재배와 이용을 장려하고 있다. 이에 청보리의 품종별(우호보리, 영양보리, 유연보리) 지방산조성, 구성아미노산조성 및 pepsin 소화율을 대두박과 옥수수와 비교 검증하여 수입에만 의존하고 있는 배합사료 대체효과와 청보리 곡실의 효율적인 이용가능성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지방산조성은 Folch 등(1957)의 방법으로 지질추출 후 methylation 후 GLC로 분석하였고, 구성아미노산은 6N-HCl로 분해 후 아미노산 분석기(Biochrom 20, England)로 분석하였으며, Cystine과 Methionine은 개미산처리 후 분석하였다. 펩신소화율은 펩신 처리하여 pH 3.0으로 맞추어 0, 30, 60 및 240분 동안 비교 실험하였다. 지방산조성에서 청보리 곡실이 대두박과 옥수수에 비해 myristic acid(14:0), palmitic acid(16:0), stearic acid(18:0), gadoleic acid(20:1), erucic acid(22:1) 함량이 높았고, linoleic acid(18:2)는 대두박 가장 높았으며, linolenic acid(18:3)은 옥수수가 가장 높았다(P<0.01). 구성아미노산에서 Cystine + Methionine은 대두박보다는 낮았으나, 옥수수보다는 높았다(P<0.01). Lysine 함량에서는 대두박이 2.68로 가장 높았고(P<0.01), 나머지 처리구들은 0.24~0.28로 유의차는 없었다. 펩신소화율은 처리구 전부 30~60분까지 소화가 빠르게 진행되었으며, 이후부터는 낮은 소화율을 보였다. 처리구에서는 대두박에 가장 높은 소화율을 보였으며, 옥수수가 가장 낮은 소화율을 보였다(P<0.01), 또한, 청보리 품종에서는 영양보리가 가장 높은 소화율을 보였다(P<0.01). 청보리 곡실은 수입옥수수의 대체 가능성을 보였다.(본 학술발표는 농촌진흥청 공동연구사업(과제번호:PJ906960)의 지원에 의해 이루어진 것임)

Key words : 청보리, 펩신소화율, 지방산조성, 구성아미노산조성

PF11083 Effects of chestnut supplement level on growth performance, blood metabolites, carcass characteristics andfatty acid profiles in pig

H. Yoon, D. H. Kim, H. J. Lee, S. C. Kim, M. S. kwon1, H. J. Jung2

Department of Animal Science(Insti. of Agri. & Life Sci.),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1Hapcheon-Gun Agricultural development & technology center,

2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chestnut supplement on growth performance, blood characteristics and loin fatty acid profiles in pig. Thirty two pigs (67.8±3kg) were alloted by BW, assigned randomly to one of four treatments for 49 d in which commercial fattening diet of pig was replaced with 0 (Control), 3 (T1), 5 (T2) and 10% (T3) of chestnut on DM basis, and fed twice daily (08:00 h and 17:00 h) ad libitum. The refusal measured weekly and the pigs weighed on O, 28 and 49-d period. At the end of trial, blood collected from jugular vein and slaughtered to measure th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loin fatty acid profiles. There was no differences among treatments in initial BW, but final BW and ADG increased linearly (P<0.05) with increasing chestnut replacement, especially pigs fed all chestnut replaced diets had higher (P<0.05) than those in pig fed the control diet. The feed intake increased quadratically (P<0.001) with increasing chestnut replacement, while feed efficiency decreased quadratically (P=0.02) and was highest in pig fed T2 diet. There were no differences among treatments in blood metabolites. The n-6/n-3 FA ratio in loin was tended to increase (Q, P=0.07) with increasing chestnut replacement. Therefore, growth performance and loin n-6/n-3 FA ratio improve by replacement of 5% commercial fattening pig diet with chestnut.

Key words : chestnut, porker, daily gain, feed efficiency, fatty acid composition

PF11084 The effect of chestnut supplement on intake, digestibility and blood characteristics in pigs

H. J. Lee, D. H. Kim, H. Yoon, S. C. Kim, M. S. Kwon1, H. J. Jung2

Department of Animal Science(Insti. of Agri. & Life Sci.),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1Hapcheon-Gun Agricultural development & technology center, Hapcheon-Gun

2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Two studies were carried out to estimate the feed value of chestnut for pigs. In vitro pepsin DM and CP digestibilities of hull, endodermis, kernel and mixture of chestnut were examined in exp. 1. The feed intake, digestibility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pigs fed one of four diets which the basal diet substituted with 0, 5, 10 and 15% of chestnut on DM basis were measured in exp. 2. Twelve fattening pigs (95±2kg) were individually housed in metabolism cages and assigned randomly to one of four treatments for 21 d which 14 d adaptation was followed 7 d of collection. In exp. 1, CP of hull, endodermis, kernel and mixture of chestnut were 2.45, 8.19, 9.68 and 8.45%, respectively. In vitro DM and CP digestibilities of chestnut kernel (P<0.05, 42.1% and 100%) were highest (P<0.05), but those of chestnut hull (P<0.05, 6.78% and 0%) were lowest. In exp. 2, the feed intake increased linearly (P=0.049) with increasing chestnut supplement. The digestibilities of DM and CP decreased linearly (P<0.001), while those digestibilities were not differ between the pigs fed 0% and 5% diets. Blood glucose and blood urea nitrogen concentrations did not affect by the chestnut supplementation. Therefore chestnut could replace up to 5% of the fattening diet for pig.

Key words : Chestnut, Pig, Digestibility, Feed intake, Blood characteristics

- 211 -

PF11085 돼지 말초혈액 단핵세포의 활성화에 미치는 Enterococcus faecium의 효과 김동운, 김영화, 정현정, 이성대. 김상호, 사수진, 김두완, 김명직, 강석진, 김인철

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생균제로 사용되는 Enterococcus faecium이 돼지면역 활성에 어떻게 관여하는지 구명하기 위하여 돼지의 혈액에서 분리된 단핵세포(PBMC)를 이용하여 각종 cytokine의 생성정도를 조사하였다. 엔테로코코스의 균체 처리조건은 열처리균체(HWC), 효소처리에 의한 침전물과 상등액을 사용하였다. HWC, 침전 및 상등을 PBMC와 함께 세포배양 하면서 PBMC가 활성화 될 때 분비되는 nitric oxide, IL-1β,IL-4, IL-6, IL-10,IL-12, IFN-γ 및 TNF-α의 유도량을 측정하였다. 엔테로코코스의 열처리균체(HWC), 침전물과 상등액은 PBMC를 자극하여 IL-1β, IL-12, TNF-α와 같은 cytokine 유도에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nitric oxide, IL-6의 유도는 미약하였다. IFN-γ의 유도에는 침전물 10ug 처리에서 특징적인 높은 유도활성을 보였다. 일반적으로 nitric oxide 및 cytokine의 유도는 균체처리조건에 따라 차이가 있음이 관찰되었다. 즉 PBMC와 균체성분사이의 반응성에 차이가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Enterococcus faecium의 HWC, 침전물, 상등이 macrophage mediators의 유도에 관여하며 돼지의 장관 면역계에 유익한 작용을 할 것임을 시사한다.

Key words : 돼지, 단핵세포, cytokine

PF11086 생균제용 유산균 배양액의 유통시 온도별 생존율 비교김동운1, 김영화1, 정현정1, 이성대1. 김상호1, 조규호1, 소경민1, 조상범2, 김수기2, 김인철1

1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2건국대학교 동물생명과학대학 농업인들에게 미생물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액상 유산균 배양액의 유통시 온도별 생존율 시험을 수행하였다. 두 종류의 유산균(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락토바실러스 루테리)을 MRS 액체배지에서 37 , 24시간 배양하고 이것을 4 , 15 , 30 에서 보관하면서 생존율을 조사하였다. 생존율 측정은 온도별, 보관일자별 유산균 배양액을 십진희석하여 MRS 한천배지에서 37 , 36시간 배양하여 나타나는 콜로니를 카운터하여 측정하였다.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의 생존율은 4 에서 보관시 보관 28일에 93%(생균수 값을 log값으로 환산한 수치), 15 에서 보관 12일에 93%, 30 에서 보관 4일에 88%의 생존율을 보였다. 락토바실러스 루테리의 생존율은 4 에서 보관시 16일에 92%(생균수 값을 log값으로 환산한 수치), 15 에서 8일에 90%, 30 에서 4일에 85%의 생존율을 보였다.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의 생존율이 락토바실러스 루테리보다 전반적으로 높으며 특히 4 에서 12일 정도 더 오래 생존하였다. 유산균 배양액은 4 에서 비교적 생존율이 높지만 여름철 무더운 온도인 30 에서는 사멸속도가 빠르게 진행되는 결과를 얻었다. 따라서 농업인들은 액상 유산균 배양액을 구입했을 때는 바로 냉장고에 보관하고 가능한 빨리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생각된다.

Key words : 유산균, 배양액, 생존율

PF11087 Growth inhibition of human hepatocarcinoma HepG2 cells by Saussureainvolucrata extract may be mediated through the down-regulation of anti-apoptotic gene expression.

Munkhzaya Byambaragchaa1, Baasanjav Batmunkh1, Doo-Ri Park1, AltantsetsegKh2, Seong-Gu Hwang1

1Division of Animal Life and Environmental Science, Hankyong National University2Mongolian State University of Agriculture, Mongolia

Saussurea involucrata is a Mongolian medicinal plant well known for its effect on promoting blood circulation and anti-inflammation, and its analgesic functions. Very few earlier studies have reported that there is an anticancer activity of Saussurea involucrata. On the immune modulational points of view, we evaluated the effect of Saussurea involucrata extract (SIE) on proliferation and apoptotic gene expressions of a human hepatocarcinoma cell line, HepG2. Also, we investigated if SIE treatment causes apoptotic cell death determined by EB/AO staining method. HepG2 cells were tre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50-400ppm) of SIE for 6-72 hours. Our results showed that SIE strongly inhibited HepG2 cell proliferation in a time and dose dependent manner. The differential gene expressions of SIE treated HepG2 cells were examined by RT-PCR analysis. We found that the expression of apoptotic BAX gene was up-regulated while anti-apoptotic BCL-2 and p21 gene expressions were down-regulated. Even though, caspase-3 gene expression was not significantly changed, apoptosis might be induced through the down-regulation of BCL2 and p21.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growth inhibition of HepG2 cells by SIE might be mediated through the apoptotic signalings.

key word : Liver cancer, Saussurea involucrata, apoptosis, Caspase, HepG2 cells

- 212 -

PF11088 유자 추출물 처리가 LPS로 자극시킨 RAW264.7 Macrophages 세포의 항염증 작용 및면역활성 조절에 미치는 영향

황성구, 안정철, 김민주, 홍보라, 안종호한경대학교 동물생명환경학부

최근 축산업은 각종 가축질병 발생으로 인하여 농가의 경제적 손실 및 위험부담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현실이다. 또한 2012년부터 가축사료 내 항생제의 사용이 전면 금지됨에 따라 이에 대한 대비책 마련이 시급히 요구되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항산화 기능 및 면역강화 기능이 높은 것으로 알려진 유자를 이용하여 LPS로 자극시킨 RAW 264.7 Macrophages cell에 유자 추출물 처리를 통해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mouse의 spleen cell을 이용한 면역력 향상효과를 조사하여 유자를 이용한 질병예방 사료첨가제 개발에 대한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유자 추출물은 80% EtOH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DPPH assay를 통해 유자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RAW 264.7 Macrophages cell을 LPS로 자극시킨 후 유자추출물을 0, 100, 200, 400, 800ug/ml 농도로 처리하였다. Nitric Oxide(NO) assay를 실시하여 유자 추출물의 농도 및 시간(24, 48시간)에 따른 NO생성 억제를 확인하였다. 마우스 Splenocyte를 분리하여 유자의 면역활성 효과를 확인했으며, RT-PCR을 통해 COX-2, iNOS, 그리고 NF-kB mRNA 발현을 측정하여 항염증에 관한 유자추출물의 작용기전을 확인하였다. 실험결과 DPPH의 경우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NO 생성율 또한 농도 및 시간 의존적으로 발생량이 감소하였다. Splenocyte 결과, 유자 추출물 처리 시 T-cell 및 B-cell의 활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RT-PCR을 통해 항염증 관련 mRNA 발현을 측정한 결과 대표적인 염증유발인자인 COX-2와 iNOS의 경우 LPS 처리에 따라 증가했던 유전자의 발현이 유자 추출물 처리에 따라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전사 유전자인 NF-kB 또한 발현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유자 추출물의 항염증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추후 가축질병 예방을 위한 사료첨가제 개발에 매우 유용한 소재로 이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Key words : 유자, 항염증, 면역활성, Nitric Oxide, splenocyte, iNOS, COX-2, NF-kB, RAW264.7 Macrophages

PF11089 Effect of Dietary Pharmaceutical Plant extracts on the Protection of Coccidiosis in Broiler chickens.

Isack Ibrahim Kerario1, Sang-Hyun Park1, Seung-Hak Yang2, Soo-Ki Kim3, Ki-Taeg Nam1, Seong-Gu Hwang1

1Division of Animal Life and Environmental Science, Hankyong National University,2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3College of Animal Bioscience & Technology, Konkuk University

Coccidiosis is one of the most economically important diseases in poultry industry. Many anticoccidial drugs have been developed and introduced worldwide but their extensive use and misuse has led to the emergence of drug-resistant strains. Recently, the antioxidants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plant extracts have formed the basis of many applications in pharmaceuticals, alternative medicines and natural therapy. In this study, the effect of L.japonica and M.alba against oxidation,cell proliferation and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were investigated invitro prior to in vivo study. The highest DPPH scavenging activity (83.38%) was recorded for L.japonica, at a concentration of 1,000 µg/ml. MIC values of plant extracts were found to be 250µg/ml for both E.coli and in field test, HK1 and HK2 (a mixture of L.japonica and M.alba) at an dietary level of 0.10% each were examined against coccidiosis in broiler chickens. Groups supplemented with HK1 and HK2 exhibited relatively higher growing rates, body weight gain and lesion score as compared to control groups. However, oosyst output and mortality rate were significantly lower for supplemented groups in comparison to non supplemented groups. Evaluation of ceaca of the birds discovered that HK1 and HK2 suppressed the multiplication of coccidia. The results signify that HK1 and HK2 are effective pharmaceutical plants against coccidiosis.

Key words: Pharmaceutical plant extracts, Coccidiosis, Broiler chickens, antioxidation activity, antimicrobial activity

PROCEEDINGS vol. II- 한국동물자원과학회 학술발표회 -